You are on page 1of 135

KACES-1531-C028

[해외전문가 연계 연수(Artis)]
드라마와 음악, 창의적 움직임으로 예술
가득한 수업 만들기

일 시 : 2015.8.3(월)~8.7(금), 40시수
장 소 : 양평 현대종합연수원
주 최 : 문화체육관광부
주 관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목 차

1. 연수 안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2. 5-Day Artis Program for Arts Educators ·


··
··
··
··
··
··
··
··
··
··
··
··
··
··
··
··
··
··
··
··
··13

Nigel Mainard (Artis Managing Director)

Caroline Hotchkiss (Artis Education Manager)

Stuart Barter (Artis Mentor Leader)

3. Artis Worksheets for Arts Educators ·


··
··
··
··
··
··
··
··
··
··
··
··
··
··
··
··
··
··
··
··
··
··
··
··
··73

1) A defensive response(방어적 반응) ·


··
··
··
··
··
··
··
··
··
··
··
··
··
··
··
··
··
··
··
··
··
··
··
··
··77

2) Observation task(관찰활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1

3) Day 2 worksheet(2일 핸드아웃)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1

4) Day 4 worksheet(4일 핸드아웃)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7

5) Laban Movement Analysis(라반 움직임 분석) ·


··
··
··
··
··
··
··
··
··
··
··
··
··
··
··
··101

6) Movement scenarios(움직임 시나리오) ·


··
··
··
··
··
··
··
··
··
··
··
··
··
··
··
··
··
··
··
··
··
··107

7) Chair duet instructions(체어 듀엣(chair duet) 지시 사항) ·


··
··
··
··
··
··
··111

8) One-shot film making instructions(한번에 영화 만들기 지시 사항) ·


· 115

4.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9

- 3 -
연수 안내
연수 안내

아르떼 아카데미(AA)는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예술강사, 교육기획자, 교원, 사회문화예술교육


기관‧단체 실무자, 예비인력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교육 전문성 및 역량 강화를 위하여 다양한
연수를 기획·운영하고 있습니다.

■ 2015 하반기 연수개요


ㅇ 연수대상 : 학교·사회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사회문화예술교육 단체 실무자, 교원,
행정인력 등
ㅇ 연수일정 : 2015.7.18(토)~8.23(일) /약 1.5개월간
ㅇ 연수장소 : 한라인재개발원(경기 용인 /ʻ15.7.18~8.23),
현대종합연수원(경기 양평 /ʻ15.7.26~8.23)
※ 각 과정별 입소일에 서울→연수원 셔틀버스 제공 예정(참여자 확정 후 별도 공지 안내)
ㅇ 참 가 비 : 전액 무료 (숙식 제공)
ㅇ 참가신청 마감 : 각 과정별 시작일로부터 5일 전까지
ㅇ 참여자 선정기준
- 과정별 제시된 1순위 참가 대상자 선착순 선정
- 과정별 제시된 참가대상은 연수신청 시 1순위 선정자이나,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도 과정
별 기준에 따라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신청인원이 많아 정원에 초과할 경우, 더 많은 분들에게 연수 참여 기회를 드릴 수 있도
록 동 연수기간에 처음 연수를 신청한 분들이 우선 선정될 수 있습니다.
ㅇ 참여자 안내 : 각 과정별 마감일 혹은 최소 3일 전까지(개별 SMS 발송예정)

■ 2015 하반기 아르떼 아카데미 프로그램


우선 선정
순 연수구분 연수과정 일정 시수 정원 장소
연수대상
1 국악/전래놀이 창의적 감성을 깨우는 국악감상과 전래놀이 7.18(토)~7.20(월) 18 25
2 연극/공연예술 시각예술, 연극을 만나다 학교 예술강사 7.18(토)~7.20(월) 18 25
3 영화/영상미디어 아이디어를 영상으로 풀어내는 즐거운 시나리오 쓰기 7.21(화)~7.23(목) 18 25
시각예술
4 사회예술강사 마음 속 숨은 그림책 찾기 사회 예술강사 7.21(화)~7.23(목) 18 25 용인
선택 예술 (미술/영화/사진)
5 연수 전문성 무용/공연예술 함께하는 춤, 라인댄스로 만나는 힐링 7.24(금)~7.26(일) 18 25
학교 예술강사
6 무용/ 공연예술 아이들, 무용으로 상상력 키우기 7.24(금)~7.26(일) 18 25
7 국악/음악 리듬으로 시작해서 난타로 끝내기 사회 예술강사 7.24(금)~7.26(일) 18 25
8 국악/음악 동아리수업과 사물놀이 7.26(일)~7.28(화) 18 25
학교 예술강사 양평
9 무용/공연예술 청소년 무용으로 감성 키우기 7.30(목)~8.1(토) 18 25

- 7 -
우선 선정
순 연수구분 연수과정 일정 시수 정원 장소
연수대상

10 공연예술 세계음악을 통한 나, 너 우리 이해하기 사회예술강사 8.1(토)~8.3(월) 18 25 양평

움직임/무용
11 알고知 좋아하고好 즐기고樂 쓰임用 있는 놀이인문학 8.6(목)~8.8(토) 18 25 용인
/연극/놀이
사회 예술강사
12 인문학/시각예술 예술과 명화를 통한 생각 깨우기 8.6(목)~8.8(토) 18 25 용인
13 레파토리 사회 문화예술교육 레파토리 공유 (분야별) 8.6(목)~8.8(토) 18 25 용인
만화‧애니메이션/
14 만화‧애니메이션 교육에 팝아트와 웹툰 더하기 8.6(목)~8.8(토) 18 25 양평
팝아트/웹툰
15 영화/감상 학생들의 마음을 여는 영화감상지도 8.6(목)~8.8(토) 18 25
용인
16 미디어/비평 미디어 문화-예술 비평 워크숍 8.6(목)~8.8(토) 18 25
학교 예술강사
17 공연예술 세계 민족무용으로의 여행1 8.6(목)~8.8(토) 18 25 용인
18 사진/시각예술 사진(시각예술) 감상의 이해 및 교육적 활용 8.9(일)~8.11(화) 18 25 양평
19 무용 창의적 사고기반 즉흥창작 무용 8.9(일)~8.11(화) 18 25 용인
20 인문학 신화로 문화예술교육에 상상력 더하기 8.9(일)~8.11(화) 18 25 용인
21 미술/영화/사진 영상매체를 활용한 수업 만들기 사회 예술강사 8.9(일)~8.11(화) 18 25
22 연극/공연예술 초등학생과 연극놀이 하기 8.12(수)~8.14(금) 18 25
23 공연예술 세계 민족무용으로의 여행2 학교 예술강사 8.12(수)~8.14(금) 18 25
24 예술치유 음악과 예술치유 8.12(수)~8.14(금) 18 25
25 콘텐츠 기획 지역 문화축제 기획 워크숍 8.12(수)~8.14(금) 18 25 용인
26 시각예술 우리 생활 속의 전통공예 8.15(토)~8.17(월) 18 25
27 디자인 데이터 시각화와 사고의 확장 사회예술강사 8.15(토)~8.17(월) 18 25
28 연극/공연예술 아이들과 만드는 아주 짧은 드라마, 촌극(寸劇) 8.15(토)~8.17(월) 18 25
29 디자인 미디어아트 말랑말랑하게 이해하기 8.15(토)~8.17(월) 18 25

30 시각예술 몸소실천: 움직임으로 느끼고 체험하기 8.15(토)~8.17(월) 18 25


사회예술강사 양평
31 공연예술/음악 예술로 즐기는 소리 : 사운드 아트 8.15(토)~8.17(월) 18 25

마임/움직임
32 가난한 풍요, 그 치유의 예술-마임과 움직임 8.18(화)~8.20(목) 18 25
/문제해결
만화‧애니메이션/
33 동화 속 캐릭터로 스토리텔링하기 8.18(화)~8.20(목) 18 25 용인
캐릭터/스토리텔링
만화‧애니메이션 캐릭터를 활용한 나만의 만화 애니메이션 예술교육 수 학교예술강사
34 8.18(화)~8.20(목) 18 25
/ 캐릭터 업만들기
35 디자인 마음과 생각을 잇는 예술놀이 8.21(금)~8.23(일) 18 25 양평
36 예술치유 무용과 예술치유 8.21(금)~8.23(일) 18 25
37 공연예술 음악적 경험의 확장과 음악 정체성 찾기 8.21(금)~8.23(일) 18 25 용인
38 문화다양성 다름다움, 문화다양성의 이해 사회문화예술교육 8.18(화)~8.20(목) 18 25
39 지역문화와 생활예술공동체, 삶을 이야기 하다 지원사업 참여 8.21(금)~8.23(일) 18 25
40 콘텐츠 기획 전통문화와 예술교육기획 단체 실무자, 8.21(금)~8.23(일) 18 25 용인
41 박물관미술관에서의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등 8.21(금)~8.23(일) 18 25
42 멘토링 예술적 감각을 깨워주는 코치형 예술강사 되기 7.26(일)~7.28(화) 18 25 양평
개발지
43 상담 소시오드라마 힐링여행 '나를 찾아서' 8.9(일)~8.11(화) 18 25 용인
원관계 사회 예술강사
44 동기부여 놀이치료를 통한 아동의 이해 8.12(화)~8.14(목) 18 25 용인
45 설계개발 예술로 만드는 역사교과서 7.21(화)~7.23(목) 18 25 용인
학교 예술강사
46 실행 [초급] 스마트 러닝, 문화예술교육에 상상력을 더하다 7.30(목)~8.1(토) 18 25 양평
47 문화예술교육 학습을 위한 액션러닝 8.1(토)~8.3(월) 18 25 양평
프로그램
48 예술강화 역량강화를 위한 마이크로티칭 사회 예술강사 8.1(토)~8.3(월) 18 25 양평
교육전 설계개발
49 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워크숍 8.9(일)~8.11(화) 18 25
문성
50 실행 수업분석을 활용한 수업의 달인 되기 8.15(토)~8.17(월) 18 25
51 전문성 개발 학습자 중심의 프로그램기획 워크숍 8.15(토)~8.17(월) 18 25 용인
학교 예술강사
52 프로그램 실행 [심화]스마트 도구, 문화예술교육에 날개를 달다 8.15(토)~8.17(월) 18 25
53 수업/동기유발/놀이 수업동기유발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놀이체험 8.18(화)~8.20(목) 18 25

- 8 -
우선 선정
순 연수구분 연수과정 일정 시수 정원 장소
연수대상
54 요구분석 특수교육대상의 이해 학교 예술강사 8.21(금)~8.23(일) 18 25 양평
55 아동의 심층이해 기반 문화예술교육 수업기획 워크숍 사회 예술강사 7.18(토)~7.20(월) 18 25 용인
고객지향성
56 사회문화예술교육, 노인의 심층적 이해 사회예술강사 7.18(토)~7.20(월) 18 25 용인
대인관 심리극/ 이해/
57 심리극을 활용한 교육대상의 이해 학교 예술강사 8.9(일)~8.11(화) 18 25 양평
계 의사소통
장애 심층 이해 및 장애문화예술교육 레파토리 공유(연
58 고객지향성 사회 예술강사 8.15(토)~8.17(월) 18 25 양평
극, 영화, 미술 중심)
59 전문성 개발 사회 예술강사를 위한 예술사회학의 이해 사회 예술강사 7.18(토)~7.20(월) 18 25
용인
60
개인전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뉴 미디어의 활용 사회문화예술교육 7.21(화)~7.23(목) 18 25
61 문성 관련 콘텐츠 지원사업 참여
인문학으로 기획자의 상상력, 깊이를 더하기 7.24(금)~7.26(일) 18 25 용인
단체 실무자,
62 전문성개발 사회문화예술교육자를 위한 라이프코칭 기획자 등 8.12(수)~8.14(금) 18 25 양평

63 성취지 장애 문화예술교육현장 엿보기 7.18(토)~7.20(월) 18 25 용인


변화관리 사회예술강사
64 향성 상담기법을 통한 노인과의 대화 8.18(화)~8.20(일) 18 25 양평

65 군인, 근로자와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7.18(토)~7.20(월) 18 25


66 학교 밖, 위기청소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7.21(화)~7.23(목) 18 25 용인
교육 대상 이해
67 커뮤니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7.24(금)~7.26(일) 18 25
68 케이션 예술과 주민, 마을을 잇는 문화예술교육 관계 맺기 8.9(일)~11(화) 18 25 양평
69 교정시설 아이들과 문화예술로 소통하기 사회문화예술교육 8.18(화)~8.20(목) 18 25 용인
70 커뮤니티 문화예술로 지속 가능한 커뮤니티 만들기 지원사업 참여 8.15(토)~8.17(월) 18 25 양평
71 프로젝트 기획 창의적 문화예술교육 프로젝트 기획하기 단체 실무자, 7.21(화)~7.23(목) 18 25
기획자 등
문화예술교육 조직 경영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
72 프로젝트 기획 7.21(화)~7.23(목) 18 25
경영/ 창출 방법론 용인
행정 엑셀 및
73 문화예술교육 단체를 위한 엑셀과 재무회계 7.24(금)~7.26(일) 18 25
회계정산
74 홍보/마케팅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홍보 마케팅 방법론 8.15(토)~8.17(월) 18 25 양평
창의학습과 촉진기술(Creative Learning and Facilitation
75 예술강사 7.27(월)~7.29(수) 18 30
Series) 워크숍 1기
사회문화예술교육
용인
해외 문화예술교육 창의학습과 촉진기술(Creative Learning and Facilitation 지원사업 참여
76 7.30(목)~8.1(토) 18 30
전문가 연계 Series) 워크숍 2기 (예정) 단체
실무자, 기획자 등
드라마와 음악, 창의적 움직임으로 예술가득한 수업 만
77 예술강사 8.3(월)~8.7(금) 40 30 양평
들기
78 인문키움 1기 '음악과 미술로 인문학 다시 들여다보기' 7.28(화)~7.29(수) 15 30
예술키움 1기 '뻔뻔(FunFun)한 세계의 춤과 음악을
79 7.28(화)~7.29(수) 15 30
만나다
감성키움 코스1 - 1기 '색채, 공간과 움직임으로 변화
80 7.29(수)~7.31(금) 15 30
하는 미술관 체험하기'
감성키움 코스2 - 1기 '기획부터 연출까지, 살아있는
81 7.29(수)~7.31(금) 15 30
공연예술 감상의 세계'
교원(교사, 학교장,
82 교원 대상 문화예술교육 인문키움 2기 '음악과 미술로 인문학 다시 들여다보기' 교육전문직 등) 8.4(화)~8.5(수) 15 30
양평
역량키움 연수 예술키움 2기 '뻔뻔(FunFun)한 세계의 춤과 음악을 *직무연수
83 8.4(화)~8.5(수) 15 30
만나다' 학점연계 가능
감성키움 코스1 - 2기 '색채, 공간과 움직임으로 변화
84 8.5(수)~8.7(금) 15 30
하는 미술관 체험하기'
감성키움 코스2 - 2기 '기획부터 연출까지, 살아있는
85 8.5(수)~8.7(금) 15 30
공연예술 감상의 세계'

감성키움 코스2 - 3기 '기획부터 연출까지, 살아있는


86 8.12(수)~8.13(목) 15 30
공연예술 감상의 세계'

- 9 -
우선 선정
순 연수구분 연수과정 일정 시수 정원 장소
연수대상
창의키움 '드라마와 음악, 창의적 움직임으로 예술가득
87 8.10(월)~8.13(목) 30 40
한 수업 만들기'
[실무자 연수코스 1] 창의학습과 촉진기술(Creative
88 7.23(목)~7.24(금) 14 25 용인
Learning and Facilitation Series) 체험 워크숍
89 [실무자 연수코스 2] 문화예술교육 공간과 지역 공동체 7.28(화)~7.29(수) 14 25
16개광역문화예술 양평
90 [관리자 연수코스 1] 문화예술교육 힐링 캠프 1 교육지원센터, 7.30(목)~7.31(금) 14 25
행정인력 대상
91 [실무자 연수코스 3] 미디어아트와 문화예술교육 국악운영단체 및 8.10(월)~8.11(화) 14 25
문화예술교육 역량키움 용인
92 [실무자 연수코스 4] 공공예술과 협력적 문화예술교육 한국문화예술교육 8.12(수)~8.13(목) 14 25
연수
[실무자 연수코스 5] 문화로서의 예술, 삶과 문화예술 진흥원 직원
93 8.18(화)~8.19(수) 14 25
교육 *별도안내
94 [실무자 연수코스 6] 예술적 감수성을 키우는 워크숍 8.20(목)~8.21(금) 14 25 양평

95 [관리자 연수코스 2] 문화예술교육 힐링 캠프 2 8.20(목)~8.21(금) 14 25

96 예술강사, 기획자,
2015 하반기 학습공동체, 아르떼동아리 오프닝 워크숍 7.24(금)~7.26(일) 18 40
학습공동체 아르떼 교사 등
용인
동아리 연수 문화예술교육
97 2015 하반기 학습공동체, 아르떼동아리 중간공유 워크숍 8.18(화)~8.19(수) 10 40
활동가

예비 문화예술교육 2015 문화도담 연수 '내가 그려본, 지역과 함께하는 문


98 전국 대학(원)생 8.10(월)~8.14(금) 40 40 양평
기획인력 연수 화예술교육'
99 하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공예분야 학교 예술강사 7.27(월)~7.29(수) 20 36
100 하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영화분야 학교 예술강사 7.27(월)~7.29(수) 20 8
101 하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무용분야 학교 예술강사 7.27(월)~7.29(수) 20 83
102 하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연극분야 학교 예술강사 7.30(목)~8.1(토) 20 65

103 의무 하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디자인분야 학교 예술강사 7.30(목)~8.1(토) 20 13


예술강사 기본/의무연수 용인
104 연수 하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사진분야 학교 예술강사 7.30(목)~8.1(토) 20 15
105 하반기 학교 예술강사 의무연수 만화애니메이션분야 학교 예술강사 7.30(목)~8.1(토) 20 19
106 하반기 사회 예술강사 의무연수 아동/노인/장애 전 분야 사회 예술강사 8.3(월)~8.5(수) 20 116
학교/사회
107 하반기 학교/사회 예술강사 기본연수 C코스 7.30(목)~8.1(토) 20 24
예술강사

※ 연수구분에 [의무] 표시가 되어 있는 과정은 선택적 참여가 아닌, 대상이 지정되어 있는


의무참여형 연수입니다.

■ 기타문의 : academy@arte.or.kr

- 10 -
연수 안내

□ 연수개요
1) 연 수 명 : 드라마와 음악, 창의적 움직임으로 예술 가득한 수업 만들기
2) 연수기간 : 2015.8.3(월)~8.7(금), 40시수
3) 연수장소 : 양평 현대종합연수원
4) 연수대상 : 학교 전분야 예술강사
5) 주요내용 : 음악과 움직임, 연극 등 다양한 예술표현을 체험하고 토론하며 나의 예술 감각을
일깨우는 새로운 수업방식을 경험하고 예술가득한 수업을 기획해본다.

□ 연수 프로그램
날짜 시간 시수 교육과목 주요내용 강사
12:30-13:00 입소식 진흥원
where am I now and what is my
Introduction
13:00-15:00 2 experience to date?
전인적 교수 및 학습
소개 - 소속 및 경험
8.3
Drama development No stars, no scripts
(월) 15:00-17:00 2
연극발달 스타도 대본도 없다
1일차
Music development Principles and finding your voice Nigel Mainard
6H 17:00-18:00 1
음악 발달 원칙 및 나의 목소리 찾기 (Artis Managing
18:00-19:00 Dinner Director and
Movement development Movement of the imagination Director of
19:00-20:00 1
움직임 발달 상상력의 움직임 International
Music development Internalising pitch and pulse Education)
09:00-10:30 1.5
음악 발달 피치와 펄스 내면화 Caroline
Movement development Starting on a journey Hotchkiss
10:30-13:00 2.5
움직임 발달 여정 시작 (Artis Education
Manager)
8.4 13:00-14:00 Lunch
Drama development Building a journey into a story Stuart Barter
(화)
14:00-16:00 2 (Artis Mentor
2일차 연극 발달 여정을 이야기로 만들기
Leader)
9H Integrated activities Creating a performance work
16:00-18:00 2
통합 활동 공연 작품 만들기
18:00-19:00 Dinner

Performance sharing Sequential starts


19:00-20:00 1
공연 공유하기 순차적 시작

- 11 -
날짜 시간 시수 교육과목 주요내용 강사
Leadership and Introduction to peer professional
09:00-10:30 1.5 mentoring development
리더십 및 멘토링 동료에게 소개하기, 전문성 신장
Feedback strategies Practical role assignments
10:30-13:00 2.5
8.5 피드백 전략 실질적 역할 배정
(수) 13:00-14:00 Lunch
3일차 14:00-16:00 2 Feedback strategies Continued...
9H Integrated activities Building a holistic approach
16:00-18:00 2
통합 활동 전인적 접근법 구축하기
19:00-20:00 Dinner
Performance sharing Sequential starts
19:00-20:00 1
공연 공유하기 순차적 시작
Movement development Styles and genres
9:00-11:00 2
움직임 발달 스타일 및 장르
Drama development Integrating film
11:00-13:00 2
연극 발달 영화 통합하기
8.6 13:00-14:00 Lunch
(목) Music development Living the music
14:00-16:00 2
4일차 음악 발달 음악 속에서 살기
9H Integrated activities Let's perform
16:00-18:00 2
통합 활동 공연하기
18:00-19:00 Dinner
Performance sharing Creating film
19:00-20:00 1
공연 공유하기 영화 제작
Integrated activities Silent film
09:00-11:00 2
통합활동 무성 영화
Rehearsal and
Rehearsal and performances
11:00-13:00 2 performances
리허설 및 공연
리허설 및 공연
8.7
13:00-14:00 Lunch
(금)
Tasks and strategies for trialing
5일차 What now
14:00-16:00 2 and implementation
7H 이제 무엇을 하지?
실험 및 실행에 대한 과제 및 전략
Reflection, analysis and
Reflection, analysis and feedback
16:00-17:00 1 feedback
성찰, 분석, 피드백
성찰, 분석, 피드백
17:00-17:30 퇴소식 진흥원
합계 40

- 12 -
5-Day Artis Program for Arts
Educators

Nigel Mainard / Artis Managing Director

Caroline Hotchkiss / Artis Education Manager

Stuart Barter / Artis Mentor Leader


- 15 -
□ Artis 컨설던트 프로필

1. 나이젤 메이나르드(Artis 전무 이사 및 국제 교육 이사)


- 분야: 프로그램 개발 및 리더/ 음악
- Artis에 오기 전 나이젤 메이나르드는 사설 및 주 교육 부문에서 일하고 지역 정
부의 음악 부서를 이끄는 전문 음악인이었다. 그는 Artis의 창립 멤버로 교육과정, 채
용, 훈련 및 품질 보증 절차를 개발하는데 참여했다. 그는 PG Dip Performing Arts
Leadership (PAL) 과정 – Artis와 왕립 북부 음악 대학 간의 파트너십 과정을 이
끌고 있다. 또한, 그는 영국왕립음악대학연합회의 국제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있으며
전 세계를 다니며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2. 캐롤라인 허치키스
- 분야: 춤
- 캐롤라인 허치키스는 노던 현대 무용학교 및 런던 현대 무용학교에서 수학했다.
졸업 후, 그녀는 리처드 알스톤 댄스 컴퍼니에서 일을 시작했다. 2007년 마크 브루스
컴퍼니에 들어가기 전, Jan De Schynkel의 바크 댄스 프로덕션과 실레시안 댄스 씨
어터에서 일했다. 리 앤더슨, 제레미 제임스, 플뢰르 달킨, 요크 댄스 프로젝트에서
욜란드 요크 에겔과 같은 안무가들과 함께 일했다. 초등학교의 창의적 교육에 방대
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년 간 멘토 리더 및 트레이너로 Artis와 일했다.

3. 스튜어트 바터
- 분야: 드라마
- 스튜어트는 런던 출신의 연극인, 교육인, 그리고 음악가이다. 그는 유니콘 극단,
글라인드본 유스 오페라, 뉴 윔블던 극장의 젊은 배우 컴퍼니(New Wimbledon
Theatre's Young Actor’s Company)에서 음악 감독으로 일했다. 그는 빅토리아 알버
트 박물관의 젊은이들을 위한 팝업 공연인 트레져의 공동 음악 감독 및 출연자였다.
또한 Artis 워크숍, 로햄턴 대학교, 웨스트웨이 신탁 학습의 워크숍 리더로 활동하고
있다. 스튜어트는 TOOT 극장 컴퍼니를 설립했고 에딘버러 프린지를 포함, 영국 전
역에서 공연했다. 포크 팝 밴드 Left With Pictures의 창립 멤버이자 작곡가인 스튜어
트는 다수의 앨범을 발매했고 그의 노래는 BBC6 Music, BBC Radio 2, XFM에서 들을
수 있다. 소니 뮤직과 EMI에서 앨범 발매 되었다.

- 16 -
- 17 -
- 18 -
- 19 -
- 20 -
- 21 -
- 22 -
- 23 -
- 24 -
- 25 -
- 26 -
- 27 -
- 28 -
- 29 -
- 30 -
- 31 -
- 32 -
- 33 -
- 34 -
- 35 -
- 36 -
- 37 -
- 38 -
- 39 -
- 40 -
- 41 -
- 42 -
- 43 -
- 44 -
- 45 -
- 46 -
- 47 -
- 48 -
- 49 -
- 50 -
- 51 -
- 52 -
- 53 -
- 54 -
- 55 -
- 56 -
- 57 -
- 58 -
- 59 -
- 60 -
- 61 -
- 62 -
- 63 -
- 64 -
- 65 -
- 66 -
- 67 -
- 68 -
- 69 -
- 70 -
- 71 -
- 72 -
Artis Worksheets for Arts
Educators
A defensive response(방어적 반응)
A defensive response
for example: 'I know that' / 'I don't think you are right' / 'I normally do it that
way'

----------------------------------------------------------------------------------------------------------------

A nervous response, but won't stop talking


for example: 'I don't think that went very well, but ......................................

----------------------------------------------------------------------------------------------------------------

A defensive response
for example: 'I know that' / 'I don't think you are right' / 'I normally do it that
way'

----------------------------------------------------------------------------------------------------------------

Very little response at all


for example: very short answers and just 'yes' or 'no' answers most of the time
----------------------------------------------------------------------------------------------------------------

A response saying everything was awful and really bad


for example: 'That was really bad' / 'I did everything so badly' / 'nothing worked'

----------------------------------------------------------------------------------------------------------------

- 77 -
A denial response saying everything was good when it wasn't
for example: 'I was really pleased with the session' / 'Everything went the way I
had planned' / 'I think I did a very good job'

----------------------------------------------------------------------------------------------------------------

- 78 -
방어적 반응
예: '알고 있어요' / '틀리신 것 같습니다' / '원래 그렇게 합니다'
----------------------------------------------------------------------------------------------------------------

긴장된 반응, 그러나 말을 멈추지 않는다


예: '잘 된 것 같진 않습니다. 그렇지만 ......................................

----------------------------------------------------------------------------------------------------------------

방어적 반응
예: '알고 있어요' / '틀리신 것 같습니다' / '원래 그렇게 합니다'
----------------------------------------------------------------------------------------------------------------

반응이 거의 없음
예: 매우 짧게 대답하고 대부분의 경우 “예” “아니오”로 일관한다
----------------------------------------------------------------------------------------------------------------

모든 것이 엉망이고 잘못됐다는 반응
예: '정말 잘 안됐군요' / '전부 잘못한 것 같습니다' / '되는 게 하나도 없어요'
----------------------------------------------------------------------------------------------------------------

사실과 다르게 모든 것이 잘됐다는 부정의 반응


예: '세션에 대해 매우 만족합니다' / '모든 것이 계획대로 되었습니다' / '굉장히 잘했다고 생각합니
다’
----------------------------------------------------------------------------------------------------------------

- 79 -
Observation task(관찰활동)
Observation task

It is always a privilege to observe our colleagues work at such highly-skilled and professional
levels and we have, of course, the greatest respect for them.

Please write your observations (these only need to be brief and in note form for your own
purposes) in the boxes below and, before you watch the film, you may find it helpful to consider
the following points:-

Pupil relationships and class management


Relations with the pupils – How were they successful?
Management of the class – How did they do this?
Effective behaviour management – What strategies and tactics did you see?

Planning and preparation of work


The aims and objectives – Were these communicated to the children and how?
Choice of books/materials/ resources – What was used/provided?
Planned progression – What did you see?
Record keeping and feedback – What feedback did you see and how was this done?

Teaching process and match of work to pupils


Teaching style /s - What was this / were these?
Subject knowledge and understanding – What evidence did you see of this?
Pupils’ needs were addressed – In what ways?
Pupils’ capabilities were suitably stretched, with evidence of differentiation – what strategies were
employed?
Pupils’ interest maintained throughout the session – How was this achieved?
Pupils’ enjoyment of the session – What evidence did you see?

Use of language
Dialogue between specialist and pupils - What did you notice?
The encouragement of children to express their own thoughts and ideas - How was this done?
The extension of pupils’ language – In what ways was this achieved?
The use of appropriate language by the specialist – Give an example

- 83 -
Questioning techniques
Variation in questioning styles - What different approaches were used?
Distribution of specialist’s questioning – What evidence did you see?
Specialist’s use of children’s responses – Give an example
The engagement of children and their aesthetic experience - What evidence did you see?

Pupil relationships and class management

Planning and preparation of work

- 84 -
Teaching process and match of work to pupils

Language used

Film Observation comments sheet:

Questioning techniques

- 85 -
Overall

What did you most enjoy?

- 86 -
관찰 활동

우리 동료들이 높은 기술을 가지고 전문적인 수준에서 일하는 것을 관찰하는 것은 언제나 영광이고


그들을 항상 존중한다.

아래 박스에 관찰한 내용을 적고(추후 자신이 사용할 것을 대비해서 간결하게 노트 형식으로 작성)
영화를 감상하기 전에 다음을 고려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

학생과의 관계 및 수업 관리
제자와의 관계 – 어떻게 성공적이었는가?
수업 관리– 어떻게 했는가?
효과적 행동 관리– 어떤 전략과 기술을 확인했는가?

업무 계획 및 준비
목표– 아이들에게 목표가 전달됐는가, 그렇다면 어떻게 전달됐는가?
책/자료/자원의 선택 –어떤 것이 사용되고 제공되었는가?
계획된 진행 –무엇을 볼 수 있었나?
기록 관리 및 피드백–어떤 피드백을 볼 수 있었고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교수 절차 및 학생들에의 적용
교수법 - 무엇이었는가?
주제에 대한 지식 및 이해 – 이에 대한 증거로 무엇을 목격했는가?
학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킴 – 어떤 점에서?
학생들의 능력이 증진되었고 달라진 점을 볼 수 있었다 – 어떤 전략이 사용되었는가?
세션 전반에 걸쳐 학생들의 관심이 지속되었다 – 어떻게 달성했는가?
세션을 학생들이 즐김 – 이에 대한 증거로 무엇을 목격했는가?

언어의 사용
전문가와 학생간의 대화 - 무엇을 볼 수 있었나?
아이들이 자신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표현할 수 있도록 장려 - 어떻게 했는가?
학생들 언어의 확장 – 어떻게 달성했는가?
전문가의 적절한 언어 사용 – 예를 들어보세요

- 87 -
질문 기법
질문 기법의 종류 – 어떤 다른 종류가 사용되었는가?
전문가 질문의 배포 – 이에 대한 증거는?
아이들의 반응을 전문가가 이용 – 예를 들어보세요
아이들의 참여 및 심미적 경험 - 이에 대한 증거는?

제자와의 관계 및 수업 관리

업무 계획 및 준비

- 88 -
교수 절차 및 학생들에의 적용

사용된 언어

영화 감상 코멘트:

질문 기법

- 89 -
종합적 평가

가장 즐긴점은?

- 90 -
질문 기법
질문 기법의 종류 – 어떤 다른 종류가 사용되었는가?
전문가 질문의 배포 – 이에 대한 증거는?
아이들의 반응을 전문가가 이용 – 예를 들어보세요
아이들의 참여 및 심미적 경험 - 이에 대한 증거는?

제자와의 관계 및 수업 관리

업무 계획 및 준비

- 91 -
교수 절차 및 학생들에의 적용

사용된 언어

영화 감상 코멘트:

질문 기법

- 92 -
종합적 평가

가장 즐긴점은?

- 93 -
질문 기법
질문 기법의 종류 – 어떤 다른 종류가 사용되었는가?
전문가 질문의 배포 – 이에 대한 증거는?
아이들의 반응을 전문가가 이용 – 예를 들어보세요
아이들의 참여 및 심미적 경험 - 이에 대한 증거는?

제자와의 관계 및 수업 관리

업무 계획 및 준비

- 94 -
교수 절차 및 학생들에의 적용

사용된 언어

영화 감상 코멘트:

질문 기법

- 95 -
종합적 평가

가장 즐긴점은?

- 96 -
Day 2 worksheet(2일 핸드아웃)
Day 2 1045 - 1245

A greeting

A departure

A celebration

A community

- 99 -
2일 1045 - 1245

환영 인사

작별 인사

축하

공동체

- 100 -
Day 2 1600 - 1800 handouts

 language acquisition and development

 working as an ensemble (teamwork)

 stimulating creative ideas

 developing confidence of the individual

- 101 -
2일 1600 - 1800 핸드아웃

 언어 습득 및 개발

 함께 일하기(팀워크)

 창의적 아이디어 촉진

 개인의 자신감 증진

- 102 -
Day 4 worksheet(4일 핸드아웃)
Day 4 1600 - 1800

a) a carefree and fun atmosphere [in GS holiday/day off]

b) different activities happening simultaneously - causing tension [in GS the different bands
playing on the decks]

c) transformation to a disaster / tumultuous happening [in GS the explosion / fire]

d) the aftermath [in GS the drowning & death of many]

1. choice of any story/narrative to fit the 4 stages (could be a fairy tale)

2. work out what part music, dance and drama will play

3. work out sequence of events - doesn't have to have 3 performing arts at all times
- Music can be voice/non voice/body/room
- Dance can be sequences / links / representations of various section
- Drama can use words (Korean) / key phrases / repeated single words / body
&facial expression

4. construct performance piece - rehearse, evaluate and refine

- 105 -
4 일 1600 - 1800

가) 자유롭고 즐거운 분위기(GS 휴일/쉬는 날)

나) 서로 다른 활동이 동시에 발생 - 긴장감 조성 [ GS에서는, 여러 밴드가 갑판 위


에서 연주한다]

다) 재난으로의 전환/ 혼란스러움[ GS에서는 폭발/ 불]

라) 그 여파[GS에서는 익사 및 다수의 죽음]

1. 4개의 무대를 채울 수 있는 이야기/서사 모두 가능(동화도 가능)

2. 음악, 춤, 드라마의 역할 정하기

3. 순서 정하기 - 3개의 공연 예술이 동시에 모두 존재하지 않아도 무관하다


- 음악은 유성/무성/신체/방 일 수 있다
- 춤은 다양한 섹션의 순서/관계/묘사일 수 있다
- 드라마에서는 단어(한국어)/핵심 구절/반복된 단일 단어/신체적 표현 및 얼굴
표정일 수 있다

4. 공연 작품 구성 – 리허설, 평가, 개선

- 106 -
Laban Movement Analysis
(라반 움직임 분석)
Laban Movement Analysis
Laban Movement Analysis (LMA) is a method and language for describing, visualizing, interpreting,
and documenting all varieties of human movement. It is one type of Laban Movement Study,
originating from the work of Rudolf Laban
It is used as a tool by dancers, actors, musicians, athletes,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ists,
psychotherapy, peace studies, anthropology, business consulting, leadership development, health &
wellness, and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systems of human movement analysis today.

Laban Movement Analysis is generally divided into these categories:[1]

• Body

• Effort (Energetic dynamics)

• Shape

• Space

With the children we will use EFFORT


Effort, or what Laban sometimes described as dynamics, is a system for understanding the
more subtle characteristics about the way a movement is done with respect to inner
intention. The difference between punching someone in anger and reaching for a glass is
slight in terms of body organization - both rely on extension of the arm. The attention to
the strength of the movement, the control of the movement and the timing of the
movement are very different.
• Effort has four subcategories (Effort factors), each of which has two opposite polarities
(Effort elements).

Effort Effort element (Fighting Effort element (Indulging


Factor polarity) polarity)

Space Direct Indirect (Flexible)

Weight Strong Light

Time Sudden (quick) Sustained

Flow Bound Free



•Reaching for a glass = Direct, sustained and light
•A punch = Direct, Sudden(quick) and strong
•With the children in key stage 1 it works well to name them as follows
•DIRECT – INDIRECT
FAST/ SUDDEN – SLOW/SUSTAINED

- 109 -
HEAVY – LIGHT
I find this table useful as a quick reference point for understanding the whole thing!

- 110 -
라반 움직임 분석
라반 움직임 분석(Laban Movement Analysis)은 인간의 모든 움직임을 묘사, 시각화, 해석, 기록하는 언
어이자 방법을 의미한다. 이는 루돌프 라반이 개발한 라반 움직임 연구의 체계화된 연구 도구이다.
라반 움직임 분석은 무용가, 연기자, 음악가, 운동 선수, 물리 및 작업 치료사, 정신 치료, 평화 연구, 인
류학, 비즈니스 컨설팅, 리더십 개발, 건강 및 웰니스의 도구로 사용되고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
간 움직임 분석의 틀이다.

라반 움직임 분석의 기본 요소는 다음과 같다:[1]

• 신체

• 에포트

• 형태

• 공간
아이들에게는 에포트를 사용한다

라반이 종종 역학이라고도 묘사하는 에포트는 내적 의지에 따른 움직임의 미묘한 특성을


이해하는체계이다. 신체 구조학적으로 화가 나서 누군가를 주먹으로 때리는 것과 컵을 집기
위해 팔을 뻗는것의 차이는 경미하다. 모두 팔을 뻗는 행위이다. 움직임의 강도, 조절,
타이밍은 매우 다르다.
• 에포트는 4개의 하위 요소를 가지고 있고 각 요소는 두 개의 정반대의 양극성을
가진다(에포트 요소).

에포트 요인 에포트 요소 (호전적인 양극성) 에포트 요소 (관대한 양극성)

공간 직접적 간접적 (유동적)

무게 강함 약함

시간 급작스러운(빠른) 지속적인

흐름 얽매인 자유로운

컵을 잡기 위해 팔 뻗기 = 직접적, 지속적인 및 약함
주먹으로 때리기 = 직접적, 갑작스러운(빠른) 및 강함
1단계의 어린이들에게는 다음과 같이 나열하면 효과적이다
직접적 – 간접적
빠른/ 갑자기 – 느린/지속되는
무거움 – 가벼움

전체를 이해하는 데 빨리 참조하는데 아래 테이블이 매우 유용하다.

- 111 -
표2. 게임, 체조, 춤의 움직임 프레임워크

신체 요소 (신체가 무엇을 하 공간 요소(신체가 에포트 요소(몸이 관계 요소(몸이 움직이는 동


는지) 어디서 움직이는지) 어떻게 움직이는지) 안 누구와 또 무엇과 몸이 관
계를 맺는지)

몸의 움직임 지역 시간 신체 부위의 관계
웅크리다, 구부리다, 뻗다,비틀 일반적 갑자기/빠른/가속 앞에/나란히/뒤에
다, 흔들다 개인적 지속된/느린/감속 멀리/가까이
위에/아래
신체 부위의 움직임
방향 무게 만나다/떨어지다
몸 무게 지탱
활동 주도 앞으로 강한/공고한
힘 또는 무게 적용/수용 뒤로 가벼운/섬세한 개인 및 그룹(춤 및 체조)
흐름-동시/연속 옆으로 앞에/나란히/뒤에
대칭/비대칭 위 공간 멀리/가까이
아래 직선/직접적 위에/아래
신체의 활동 유동적/간접적 만나다/섞이다/떨어지다
이동의: 리드하다/따르다
레벨
게임: 걷다, 뛰다, 점프하다,질주
높은 흐름 둘러서/사이에/통과
하다, 구르다
춤:걷다, 뛰다, 질주하다, 점프하 중간 자유로운/계속되는 ~향해서/~떨어져
다, 리프, 깡총 뛰다, 줄넘기하 매우 낮은 묶여있는/멈출 수 위/아래
다, 스텝 있는 일치/미러/복제/반대
체조: 점프/날기, 흔들다, 구르 경로(공중 및 땅) 유니슨/캐논
다, 슬라이딩, 스텝, 기어오르다 직선 동시에/연속적인
곡선 지지하는/지지받는
비 이동:
게임: 구부리다, 뻗다, 비틀다, 각진
중심 이동, 회전, 멈춤-정지 일그러진 개인 및 그룹(게임)
경고 앞에/나란히/뒤에
춤: 몸짓, 웅크리다, 뻗다, 비틀 확대 멀리/가까이
다, 스핀, 스텝 & 점프 턴, 큰/먼 공격/방어
rise, sink, 오픈, 클로즈, 정지 작은/가까운 공간 공격/방어
체조: 균형/불균형, 평형력,카운 공간으로 패스
터텐션, 스핀, 스텝, 점프, 회전, 공간 만들기
매달리기, 웅크리다, 비틀다 평면
시상면 공간 커버하기(지키기)
정면 물체 받기, 보내기, 가로채기,
조종하는:
게임: 던지다, 받다, 스트라이크, 수평 보유할 때 플레이어 위치
모으다, 나르다, 드리블, 발리, 협력/경쟁
차다
기타 유형(게임)
신체의 형태 규칙/경계/목표
똑바로, 넓은, 둥근, 좁은,비틀어
진, 균형/불균형
기타 유형(춤)
균형/불균형 음악/소리/리듬/소품
운동/프레이징 이야기/시/미술
양쪽/한쪽 과학/사회과학

연속성 기타 유형(체조)
연속적/비연속적 리듬

기구(체조)
앞에/나란히/뒤에
온/오프/위/아래
위/아래
오르다/내리다

- 112 -
라반 움직임 분석
라반 움직임 분석(Laban Movement Analysis)은 인간의 모든 움직임을 묘사, 시각화, 해석, 기록하는 언
어이자 방법을 의미한다. 이는 루돌프 라반이 개발한 라반 움직임 연구의 체계화된 연구 도구이다.
라반 움직임 분석은 무용가, 연기자, 음악가, 운동 선수, 물리 및 작업 치료사, 정신 치료, 평화 연구, 인
류학, 비즈니스 컨설팅, 리더십 개발, 건강 및 웰니스의 도구로 사용되고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
간 움직임 분석의 틀이다.

라반 움직임 분석의 기본 요소는 다음과 같다:[1]

• 신체

• 에포트

• 형태

• 공간
아이들에게는 에포트를 사용한다

라반이 종종 역학이라고도 묘사하는 에포트는 내적 의지에 따른 움직임의 미묘한 특성을


이해하는체계이다. 신체 구조학적으로 화가 나서 누군가를 주먹으로 때리는 것과 컵을 집기
위해 팔을 뻗는것의 차이는 경미하다. 모두 팔을 뻗는 행위이다. 움직임의 강도, 조절,
타이밍은 매우 다르다.
• 에포트는 4개의 하위 요소를 가지고 있고 각 요소는 두 개의 정반대의 양극성을
가진다(에포트 요소).

에포트 요인 에포트 요소 (호전적인 양극성) 에포트 요소 (관대한 양극성)

공간 직접적 간접적 (유동적)

무게 강함 약함

시간 급작스러운(빠른) 지속적인

흐름 얽매인 자유로운

컵을 잡기 위해 팔 뻗기 = 직접적, 지속적인 및 약함
주먹으로 때리기 = 직접적, 갑작스러운(빠른) 및 강함
1단계의 어린이들에게는 다음과 같이 나열하면 효과적이다
직접적 – 간접적
빠른/ 갑자기 – 느린/지속되는
무거움 – 가벼움

전체를 이해하는 데 빨리 참조하는데 아래 테이블이 매우 유용하다.

- 113 -
표2. 게임, 체조, 춤의 움직임 프레임워크

신체 요소 (신체가 무엇을 하 공간 요소(신체가 에포트 요소(몸이 관계 요소(몸이 움직이는 동


는지) 어디서 움직이는지) 어떻게 움직이는지) 안 누구와 또 무엇과 몸이 관
계를 맺는지)

몸의 움직임 지역 시간 신체 부위의 관계
웅크리다, 구부리다, 뻗다,비틀 일반적 갑자기/빠른/가속 앞에/나란히/뒤에
다, 흔들다 개인적 지속된/느린/감속 멀리/가까이
위에/아래
신체 부위의 움직임
방향 무게 만나다/떨어지다
몸 무게 지탱
활동 주도 앞으로 강한/공고한
힘 또는 무게 적용/수용 뒤로 가벼운/섬세한 개인 및 그룹(춤 및 체조)
흐름-동시/연속 옆으로 앞에/나란히/뒤에
대칭/비대칭 위 공간 멀리/가까이
아래 직선/직접적 위에/아래
신체의 활동 유동적/간접적 만나다/섞이다/떨어지다
이동의: 리드하다/따르다
레벨
게임: 걷다, 뛰다, 점프하다,질주
높은 흐름 둘러서/사이에/통과
하다, 구르다
춤:걷다, 뛰다, 질주하다, 점프하 중간 자유로운/계속되는 ~향해서/~떨어져
다, 리프, 깡총 뛰다, 줄넘기하 매우 낮은 묶여있는/멈출 수 위/아래
다, 스텝 있는 일치/미러/복제/반대
체조: 점프/날기, 흔들다, 구르 경로(공중 및 땅) 유니슨/캐논
다, 슬라이딩, 스텝, 기어오르다 직선 동시에/연속적인
곡선 지지하는/지지받는
비 이동:
게임: 구부리다, 뻗다, 비틀다, 각진
중심 이동, 회전, 멈춤-정지 일그러진 개인 및 그룹(게임)
경고 앞에/나란히/뒤에
춤: 몸짓, 웅크리다, 뻗다, 비틀 확대 멀리/가까이
다, 스핀, 스텝 & 점프 턴, 큰/먼 공격/방어
rise, sink, 오픈, 클로즈, 정지 작은/가까운 공간 공격/방어
체조: 균형/불균형, 평형력,카운 공간으로 패스
터텐션, 스핀, 스텝, 점프, 회전, 공간 만들기
매달리기, 웅크리다, 비틀다 평면
시상면 공간 커버하기(지키기)
정면 물체 받기, 보내기, 가로채기,
조종하는:
게임: 던지다, 받다, 스트라이크, 수평 보유할 때 플레이어 위치
모으다, 나르다, 드리블, 발리, 협력/경쟁
차다
기타 유형(게임)
신체의 형태 규칙/경계/목표
똑바로, 넓은, 둥근, 좁은,비틀어
진, 균형/불균형
기타 유형(춤)
균형/불균형 음악/소리/리듬/소품
운동/프레이징 이야기/시/미술
양쪽/한쪽 과학/사회과학

연속성 기타 유형(체조)
연속적/비연속적 리듬

기구(체조)
앞에/나란히/뒤에
온/오프/위/아래
위/아래
오르다/내리다

- 114 -
라반 움직임 분석
라반 움직임 분석(Laban Movement Analysis)은 인간의 모든 움직임을 묘사, 시각화, 해석, 기록하는 언
어이자 방법을 의미한다. 이는 루돌프 라반이 개발한 라반 움직임 연구의 체계화된 연구 도구이다.
라반 움직임 분석은 무용가, 연기자, 음악가, 운동 선수, 물리 및 작업 치료사, 정신 치료, 평화 연구, 인
류학, 비즈니스 컨설팅, 리더십 개발, 건강 및 웰니스의 도구로 사용되고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
간 움직임 분석의 틀이다.

라반 움직임 분석의 기본 요소는 다음과 같다:[1]

• 신체

• 에포트

• 형태

• 공간
아이들에게는 에포트를 사용한다

라반이 종종 역학이라고도 묘사하는 에포트는 내적 의지에 따른 움직임의 미묘한 특성을


이해하는체계이다. 신체 구조학적으로 화가 나서 누군가를 주먹으로 때리는 것과 컵을 집기
위해 팔을 뻗는것의 차이는 경미하다. 모두 팔을 뻗는 행위이다. 움직임의 강도, 조절,
타이밍은 매우 다르다.
• 에포트는 4개의 하위 요소를 가지고 있고 각 요소는 두 개의 정반대의 양극성을
가진다(에포트 요소).

에포트 요인 에포트 요소 (호전적인 양극성) 에포트 요소 (관대한 양극성)

공간 직접적 간접적 (유동적)

무게 강함 약함

시간 급작스러운(빠른) 지속적인

흐름 얽매인 자유로운

컵을 잡기 위해 팔 뻗기 = 직접적, 지속적인 및 약함
주먹으로 때리기 = 직접적, 갑작스러운(빠른) 및 강함
1단계의 어린이들에게는 다음과 같이 나열하면 효과적이다
직접적 – 간접적
빠른/ 갑자기 – 느린/지속되는
무거움 – 가벼움

전체를 이해하는 데 빨리 참조하는데 아래 테이블이 매우 유용하다.

- 115 -
표2. 게임, 체조, 춤의 움직임 프레임워크

신체 요소 (신체가 무엇을 하 공간 요소(신체가 에포트 요소(몸이 관계 요소(몸이 움직이는 동


는지) 어디서 움직이는지) 어떻게 움직이는지) 안 누구와 또 무엇과 몸이 관
계를 맺는지)

몸의 움직임 지역 시간 신체 부위의 관계
웅크리다, 구부리다, 뻗다,비틀 일반적 갑자기/빠른/가속 앞에/나란히/뒤에
다, 흔들다 개인적 지속된/느린/감속 멀리/가까이
위에/아래
신체 부위의 움직임
방향 무게 만나다/떨어지다
몸 무게 지탱
활동 주도 앞으로 강한/공고한
힘 또는 무게 적용/수용 뒤로 가벼운/섬세한 개인 및 그룹(춤 및 체조)
흐름-동시/연속 옆으로 앞에/나란히/뒤에
대칭/비대칭 위 공간 멀리/가까이
아래 직선/직접적 위에/아래
신체의 활동 유동적/간접적 만나다/섞이다/떨어지다
이동의: 리드하다/따르다
레벨
게임: 걷다, 뛰다, 점프하다,질주
높은 흐름 둘러서/사이에/통과
하다, 구르다
춤:걷다, 뛰다, 질주하다, 점프하 중간 자유로운/계속되는 ~향해서/~떨어져
다, 리프, 깡총 뛰다, 줄넘기하 매우 낮은 묶여있는/멈출 수 위/아래
다, 스텝 있는 일치/미러/복제/반대
체조: 점프/날기, 흔들다, 구르 경로(공중 및 땅) 유니슨/캐논
다, 슬라이딩, 스텝, 기어오르다 직선 동시에/연속적인
곡선 지지하는/지지받는
비 이동:
게임: 구부리다, 뻗다, 비틀다, 각진
중심 이동, 회전, 멈춤-정지 일그러진 개인 및 그룹(게임)
경고 앞에/나란히/뒤에
춤: 몸짓, 웅크리다, 뻗다, 비틀 확대 멀리/가까이
다, 스핀, 스텝 & 점프 턴, 큰/먼 공격/방어
rise, sink, 오픈, 클로즈, 정지 작은/가까운 공간 공격/방어
체조: 균형/불균형, 평형력,카운 공간으로 패스
터텐션, 스핀, 스텝, 점프, 회전, 공간 만들기
매달리기, 웅크리다, 비틀다 평면
시상면 공간 커버하기(지키기)
정면 물체 받기, 보내기, 가로채기,
조종하는:
게임: 던지다, 받다, 스트라이크, 수평 보유할 때 플레이어 위치
모으다, 나르다, 드리블, 발리, 협력/경쟁
차다
기타 유형(게임)
신체의 형태 규칙/경계/목표
똑바로, 넓은, 둥근, 좁은,비틀어
진, 균형/불균형
기타 유형(춤)
균형/불균형 음악/소리/리듬/소품
운동/프레이징 이야기/시/미술
양쪽/한쪽 과학/사회과학

연속성 기타 유형(체조)
연속적/비연속적 리듬

기구(체조)
앞에/나란히/뒤에
온/오프/위/아래
위/아래
오르다/내리다

- 116 -
Movement scenarios
(움직임 시나리오)
Movement scenarios

Togetherness

conflict

confusion

anticipation

- 119 -
움직임 시나리오

공존

갈등

혼돈

예측

- 120 -
Chair duet instructions
(체어 듀엣(chair duet) 지시 사항)
Chair duet instructions
Find a partner to work with. One member of the group will be ‘A’, the other will
be ‘B’.
Create a chair duet with the following instructions:
 ‘A’ make contact – ‘B’ respond
 ‘B’ make contact – ‘A’ respond
 Unison movement
 ‘B’ make contact – ‘A’ respond
 Unison movement
 Unison movement
 ‘B’ make contact – ‘A’ respond
 ‘A’ make contact – ‘B’ respond

Rehearseyoursequenceuntilyouknowitwell,andcanperformitquickly.

- 123 -
체어 듀엣(chair duet) 지시 사항
같이 작업할 파트너를 찾는다. 한 사람은 A, 다른 한 사람은 B가 된다.

다음의 지시 사항을 따라 체어 듀엣을 만든다.


 ‘A’ 가 접촉을 한다 – ‘B’ 는 응답한다
 ‘B’ 가 접촉을 한다 – ‘A’ 는 응답한다
 유니슨 동작
 ‘B’ 가 접촉을 한다 – ‘A’ 는 응답한다
 유니슨 동작
 유니슨 동작
 ‘B’ 가 접촉을 한다 – ‘A’ 는 응답한다
 ‘A’ 가 접촉을 한다 – ‘B’ 는 응답한다

완전히 익혀서 빨리 공연할 수 있을 때까지 연습한다.

- 124 -
One-shot film making instructions
(한번에 영화 만들기 지시 사항)
One-shot film making instructions
Devise and shoot a short film in your group. Maximum length 3 minutes.
The film must consist of one static shot (find a position for the camera, turn it on
at the beginning, and off at the end), but you may rehearse and review the shot
as many times as you’re able.
The title of your film is – Mayhem in the cake factory

Thefilmmustcontainthefollowingelements
 A monologue to camera
 Slow motion running
 A mimed battle
 A character in the background

- 127 -
한번에 영화 만들기 지시 사항

그룹에서 짧은 영화를 구상하고 찍는다. 최대 길이는 3분이다.


영화는 하나의 정적 화면을 담아야 한다(카메라 위치를 찾고 시작할 때 카메라를 켜고 끝날 때 끈다).
그렇지만 가능한 만큼 최대한 리허설을 하고 찍을 수 있다.
영화의 제목은 – 케이크 공장의 대혼란

영화는 다음의 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 카메라를 보고 독백
 슬로 모션
 마임 배틀
 배경 속의 캐릭터

- 128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소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교육과학기술부가 함께 마련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종합계획」의 근본취지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실행하기 위하여 설립되었습니다.
* 설립근거: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 10조)

창의교육 지원
학교교육(School Arts Education 예술로 사람을, 사람으로 예술을)
예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진취적이고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적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교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지원합니다. 특히, 학생들의 입장에서 함께 고민하고 역량있는 예
술강사를 파견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예술적 감수성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돕고 타인과 교감할
수 있는 자세를 배울 수 있도록 합니다. 성장하는 학생들 모두가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이를
매개로 소통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
- 예술강사 지원사업 운영
- 학교 문화예술교육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 학교 예술강사 교육활동 지원

창의교육 (Creative Education 아이들 마음에 예술의 씨앗 심기)


문화예술교육은 자라는 아이들의 현재와 미래를 풍요롭게 합니다. 창작과 표현의 기쁨은 무
엇과도 바꿀 수 없는 소중한 경험입니다.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운영을 통해 모든 어린이·청
소년이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도록 창의교육의 기반을 만들어 갑니다.
- 예술꽃 씨앗학교
-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신규분야 개발과 확대
-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운영

- 131 -
예술협력사업
사회교육 (Community Relations 행복한 삶과 공존의 문화)
문화예술교육은 사람과 사람 사이를 이어주며 사회 공동체를 건강하게 만듭니다. 우리 사회
모든 세대와 계층이 문화예술을 배우고 경험하는 조화로운 사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만들어 갑니다.
-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
- 범 부처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
- 시민 문화예술교육 지원

가족문화 (Cultural Relations 서로 소통하고 함께 성장하는 문화예술교육)


자라나는 아이들과 가족 구성원 모두가 문화예술 소양을 함양하고, 또래·가족 간 서로 소통
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을 만들어 갑니다.
-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 문화가 있는 날
- 인문예술 캠프

지역협력 (Regional Partnerships 건강한 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 조성)


지역의 문화적 환경과 특성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구현될 수 있도록 중앙과 지역
간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기획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지역 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 소외 아동·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지원

예술교육기반
정책연구 (Policy Analysis and Research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
문화예술교육 정책 및 사업의 질적 제고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연구 사업과 연구서비스
화 사업, 출판 사업, 전문가 연구회 운영을 추진합니다.
- 연구 개발
- 연구 서비스화 & 문화예술교육 포럼

- 132 -
홍보국제 (Public and International Relations 공감과 소통의 문화예술교육의 확장)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에 대한 공감대 확산을 목표로 대중과 소통하고, 전략적 국제
교류 활동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에 이바지합니다.
- 정책 공감
- 문화예술 명예교사
-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 개최
- 글로벌 문화예술교육

예술교육연수센터 (KACES Arts Education Center 문화예술교육의 동반 성장)


교육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적 자원입니다. 인적 자원의 자질이 높아지면 교육의 수
준도 높아집니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창의적인 리더와 인재를 키워 문화예술교육의
주춧돌로 삼고자 합니다. 문화예술교육 관련 인재들의 전문 역량을 높여 문화예술교육의 동
반 성장을 이끌어가는 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만들어 갑니다
- 문화예술교육 ArtE Academy : AA
- 학교·사회 예술강사 연수 : 의무연수, 선택연수, 보수교육
-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연수 :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교원, 행정인력, 공무원, 예비인력 등

- 133 -
해외전문가 연계 연수(Artis) 드라마와 음악, 창의적
움직임으로 예술 가득한 수업 만들기

발 행 인 주 성 혜
발 행 일 2015. 8
발 행 처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홈페이지 www.arte.or.kr
주 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성산로 128
연 락 처 T:02-6209-1325 F:02-6455-5969
기획/제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예술교육연수센터
인 쇄 (사)장애생산품판매지원협회

※본 자료집 내용의 무단전재 및 복제를 금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