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장덕고등학교 2학년 독서 학습지

학습 키워드 글을 이해하고 상황에 응용할 수 있다. 2학년 반 번 이름

*108쪽 ‘뇌 안의 내비게이션’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06쪽 ‘셀러의 감정 윤리학’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길치인 사람들은 측두엽 안쪽에 있는 해마와 이를 감싸고 있
1. 칸트는 도덕적 인간이라면 반드시 이성이 있다고 보았다. 는 내후각피질과 관련된 문제를 가지고 있다. (O/X)
(O/X)
2. ① 알콜에 강해 술을 마셔도 취하지 않는 사람들은 그 반대
의 경향을 가진 사람보다 알콜에 대한 ‘역치’가 (낮다/높다)고 볼
2. 셸러는 인격이란 이성이 아닌 가치를 향한 감정에 좌우된 수 있다.
다고 보았다. (O/X) ② 뇌의 기능이 떨어지면 통증에 대한 역치가 (낮아져서/높아져
서) 작은 자극도 통증으로 인식하게 된다.

3. ‘가치가 선험적이다.’에서 밑줄 그은 말의 반대말은 무엇인 3. CA1과 CA3의 역할을 서술하시오.


가?
① CA1의 역할 :해마에서 장소세포가 있는 곳으로 시각에서 얻
→후천적, 경험적 은 정보를 결정적 단서로 삼아 머릿속 지도를 만든다.

4. 셸러에 의하면 ‘사랑’은 높은 감정이고, ‘미움’은 낮은 감정 ② CA2의 역할 :길을 찾는 데 도움을 주는 회상하게 해준다.
이다. (O/X)
4. 내후각피질이 손상된 사람, CA1이 손상된 사람, CA3가 손상
된 사람 중 어떤 사람이 익숙한 장소를 찾을 수 있는가. 그 이
5. 셸러는 성숙한 인격을 가진 사람은, 가치 선택의 순간에 유는 무엇인가? (참고로, 장소세포(space cell)란 위치와 방향,
상황에 좌우되지 않고 높은 가치를 선택할 것이라고 생각할 장소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하는 뇌 해마의 신경세포이다. 존 오
것이다. (O/X) 키프·모세르 박사 부부가 1971년 생쥐 실험에서 처음 발견한 이
후 관련 연구로 노벨생리의학상(2014) 수상했다.)

→ 익숙한 장소를 찾을 수 있는 사람은 ( CA3가 손상된 ) 사람


6. 셸러는 높은 가치를 선택하게끔 하는 것을 사랑이라고 보 이다. 그 이유는 ( 내후각피질에서 특정 좌표의 위상을 파악하게
았다. (O/X) 해주고 좌표들 사이의 거리도 알게 해주며, CA1의 장소세포는
머릿속 지도를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표지만 있다면 장
7. 다음 상황에서 나의 의견을 서술하시오. 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전보다 빠르게 찾을 수는
없을 것이다.)
<보기>

유럽의 한 부인이 특수한 종류의 희귀병을 앓아 거의


죽어 가고 있었다. 그 부인의 병을 치료 하는 데는 오직 5. 다음 <보기>를 참고하여 물음에 답하시오.
한 가지 약밖에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약은 같은
<보기>
마을에 사는 어느 약사가 최근에 발명한 약이었다. 그 약
을 만드는 데 원가는 200달러가 들었지만, 그 약사는 약 존 오키프 교수는 실험 쥐가 마음대로 돌아다니는 동안 뇌
값을 원가의 10배인 2,000달러나 요구하였다. 병든 부인
의 해마 신경세포 하나에 전극을 꼽고 언제 활성을 나타내는
의 남편인 하인츠는 돈을 구하기 위해 아는 사람을 모두
지 측정했다. 재미있게도 특정 장소에 갈 때만 활성을 보이
찾아 다녔으나, 그 약값의 절반밖에 마련하지 못했다. 할
수 없이 하인츠는 그 약사에게 가서 자기 부인이 죽어 고 다른 데에 돌아다닐 때는 활성을 띄지 않았다. 이번에는
가고 있다고 설명하고 그 약값을 반값에 팔거나, 아니면 해마의 다른 신경세포 하나에 전극을 꼽고 마찬가지로 관찰
다음에 나머지 돈을 갚겠다고 간청했다. 그러나 그 약사 해 봤다. 그랬더니 이번에는 또 다른 장소에서만 활성을 보
는 거절하였다. 절망에 빠진 하인츠는 약방을 부수고 들 였다. 오키프 교수는 해마의 신경세포들을 각각의 고유의 장
어가서 자기 부인을 위하여 그 약을 훔쳤다. 하인츠의 행 소(좌표)를 뇌에 표시하고 기억하는 ‘장소세포’라고 이름 짓
동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고 1971년 「브레인리서치」 저널에 발표했다.
→(예시 답안)나는 하인츠가 약을 훔친 행위는 (정당화될 수
있다/정당화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자신의 욕심
→만약 하나의 건물을 보고 쥐의 장소 세포가 활성화되는 것을
때문에 약을 훔친 것이 아니라 아내에 대한 사랑의 감정이
발견했다면, 내후각피질의 격자세포도 활성화되겠군. (O/X)
원인이 되어 생명의 가치를 추구한 행위이기 때문에 그러한
사정은 참착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

- 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