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수능특강Light 지문분석 제 15 강

Gateway

[빈칸/서술형주의]
현재완료 진행형 ~이후로
Urbanization(주어)/ has been taking place since the Neolithic Revolution, when agriculture(주
신석기 시대 관계부사

5형식 목적어 목적보어


어)/ enabled food surpluses to create a division of labor in settlements.
정착지에서 분업

주어의 수를 결정하는 명사
The unlocking of human ingenuity to work on technology, trade, and urban culture(주어)/ has
인간의 창의력을 발휘 기술, 교역 그리고 도시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

created ever-expanding opportunities in cities.


계속 확대되는 기회

(However), while some cities(주어)/ took advantage of these new opportunities, many(주어)/
활용하다

~에 지나지 않다
remained little more than rural trading posts.
많은 도시들은 여전히 지방의 교역 장소에 불과했다

[빈칸/서술형주의]
부사
Urban opportunities(주어)/ accelerated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more recently with

the globalization of the economy.

[문장삽입주의]
부분 부정
But again, not every city(주어)/ has taken advantage of these opportunities.

~하려고 애쓰다
Some cities, such as Liverpool, Philadelphia, and Pittsburgh(주어)/, have struggled to adapt to

the new opportunities and have relied for too long on outmoded methods of industrial
부사 구식의 산업 생산 방식
production.

- 1 -
수능특강Light 지문분석 제 15 강

Yet other cities, such as Manchester and New York(주어)/, have made the transition and are
전환을 이루어 내서 번영하고 있다
thriving.

요지 - Urbanization has unevenly been taking place according to whether urban opportunities
accelerated with other opportunities.
(도시화는 도시화 기회가 다른 기회들과 함께 속도가 빨라지는지 여부에 따라 고르지 않게 발
생하고 있다.)

도시화는 신석기 혁명 이래로 계속 일어나고 있는데, 그 당시에 농업으로 인해 잉여 식량이 정착지에서 분업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기술, 교역 그리고 도시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 인간의 창의력을 발휘하여 도시에서 계속 확대되는 기회가 생겨났
다. 하지만 일부 도시들은 이 새로운 기회를 활용한 반면, 많은 도시들은 여전히 지방의 교역 장소에 불과했다. 도시의 기회
는 산업 혁명, 그리고 보다 최근에는 경제의 세계화와 함께 속도가 빨라졌다. 하지만 또다시 모든 도시가 이 기회를 활용했던
것은 아니었다. 리버풀, 필라델피아 그리고 피츠버그 같은 몇몇 도시들은 그 새로운 기회에 적응하려고 애쓰면서도 너무 오랫
동안 구식의 산업 생산 방식에 의존해 왔다. 하지만 맨체스터와 뉴욕 같은 다른 도시들은 전환을 이루어 내서 번영하고 있다.

- 2 -
수능특강Light 지문분석 제 15 강

1.
부사 동사
After domestication came farming(주어).
가축화 이후에 농업이 생겼다.

Fire(주어)/ was a force here.


여기서는 불이 힘을 발휘했다.

Slash-and-burn agriculture(주어)/ is one of the oldest and simplest ways to clear the land of
화전 농업 one of the 최상급 복수명사 형용사적용법

trees.

Once (it is) used extensively by primitive tribes, it(주어)/ is still used today in some places, like
부사 : 광범위 하게
Borneo.

[빈칸/서술형주의]
계속적용법 주격 동사1
The process(주어)/ involves slashing the bark on the tree, which stops the sap from flowing
나무의 껍질을 깊이 베는 것 =and it(=slashing the bark on the tree)
동사2

and eventually kills the tree.

능동태 분사구문 관계부사


The leaves(주어)/ die and fall off, allowing sunlight to filter onto the forest floor where the
동사1 동사2 5형식 목적어 목적보어

fallen leaves(주어)/ change into fertilizer.


낙엽

Then crops(주어)/ are planted.

부사 명사적용법 동명사의 수동태


In two or three years, when the soil(주어)/ starts to show signs of being depleted of nutrients,
영양분의 고갈 징후

the dead trees(주어)/ are burned, the ash(주어) provides fertilizer, and more crops(주어)/ are

planted.

- 3 -
수능특강Light 지문분석 제 15 강

부사 동명사 목적어1 목적어2


(Unfortunately), this(주어)/ requires constantly moving into new areas and destroying the
forests.
* slash-and-burn agriculture: 화전 농업 ** sap: 수액

요지 - Although slash-and-burn agriculture is one of the oldest and simplest ways, this requires
constantly moving into new areas and destroying the forests.
(비록 화전농업이 가장 오래되고 간단한 방식들 중 하나 일지라도 이것은 계속해서 새로운 지역
으로의 이동과 숲을 파괴하는 것을 요구한다.)

가축화 이후에 농업이 생겼다. 여기서는 불이 힘을 발휘했다. 화전 농업은 땅에서 나무를 제거하는 가장 오래되고 가장 간단
한 방법 중 하나이다. 그것은 한때 원시 부족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고, 보르네오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된다. 그 과정은 나무의 껍질을 깊이 베는 것을 포함하는데, 그것은 수액이 흐르는 것을 막고 결국 나무를 죽인다. 나뭇
잎은 죽고 떨어지며, 그것이 햇빛을 낙엽이 비료로 변하는 숲의 바닥으로 스며 들어오게 한다. 그런 다음 농작물을 심는다. 2,
3년이 지나 흙이 영양분의 고갈 징후를 보이기 시작할 때, 죽은 나무들은 태워지고, 재는 비료를 공급하고, 그리고 더 많은
농작물이 심겨진다. 불행하게도, 이것은 끊임없이 새로운 지역으로 옮겨가서 숲을 파괴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 4 -
수능특강Light 지문분석 제 15 강

2.
주.관.대
A factor that influences social cognition(주어)/ is culture.
선행사(단수) 단수동사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주어)/ think about the social world in different ways.

부사 5형식 목적어 목적보어


In one study, researchers(주어)/ asked both American and Mexican Americans to read a series
동사1

현재분사형용사 과거분사형용사
of sentences describing a person’s behavior, and then judge whether this person had a given
a series of + 복수명사 동사2

trait.
주어진 특징

(For example), one sentence(주어)/ read, “He(주어)/ took his first calculus test when he(주어)/

목.관.대 생략
was 12” (and the trait (that) they reacted to(주어)/ was “smart”).

목.관.대 생략
Another sentence(주어)/ read, “She(주어)/ left a 25% tip for the waitress” (and the trait (that)

they reacted to(주어)/ was “generous”).

과거분사 주의 부사의 비교급


As predicted, Americans(주어)/ made the trait judgments much more quickly than did Mexican
예측 된 대로 특성 판단을 내리다

Americans.

This(주어)/ reflects Americans’ strong tendency to emphasize the role of traits in leading to
행동으로 이어지는 데 있어 특성의 역할을 강조하는 미국인들의 강한 경향

- 5 -
수능특강Light 지문분석 제 15 강

behavior—as well as the tendency of those from collectivistic cultures to take situational factors
상황적 요인을 고려하는 집단주의적 문화권 출신의 사람들(즉, 멕시코계 미국인들)

into account.
* calculus: 미적분학

요지 -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think about the social world in different ways.
(다른 문화권 출신의 사람들은 사회 세계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생각한다.)

사회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한 가지 요소는 문화다. 다른 문화권 출신의 사람들은 사회 세계에 대해 다른 방식으로 생각한
다. 한 연구에서, 연구원들은 미국인과 멕시코계 미국인 모두에게 한 사람의 행동을 묘사하는 일련의 문장을 읽어본 다음, 이
사람이 주어진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라고 요청했다. 예를 들어, 한 문장에는 “그는 12살 때 첫 미적분학 시험
을 보았다.”가 쓰여 있었다. (그리고 그들이 반응한 특성은‘똑똑하다’였다.) 또 하나의 문장에는 “그녀는 웨이트리스에게 25%
의 사례금을 남겼다.”라고 쓰여 있었다. (그리고 그들이 반응한 특성은 ‘관대하다’였다.) 예측한 대로, 미국인들은 멕시코계 미
국인들보다 훨씬 더 빨리 특성 판단을 내렸다. 이것은 상황적 요인을 고려하는 집단주의적 문화권 출신의 사람들(즉, 멕시코
계 미국인들)의 경향뿐만 아니라 행동으로 이어지는 데 있어 특성의 역할을 강조하는 미국인들의 강한 경향을 반영한다.

- 6 -
수능특강Light 지문분석 제 15 강

3.
선행사 복수 주.관.대
Lions, snakes, and eagles(주어)/ are examples of predators —organisms that hunt and eat other
포식자들의 예 동사1 동사2
organisms.

[빈칸주의]
주어의 수를 결정하는 명사
Those that have the best techniques for obtaining food(주어)/ are the ones most likely to grow
주.관.대 먹이를 얻기 위한 최고의 기술 = those, organisma 성장하고 번식할

and reproduce.

[빈칸/서술형주의]

Predation(주어)/ affects the size of prey populations and the diversity of species within a
먹잇감이 되는 동물의 개체 수의 크기 종의 다양성

community.

[빈칸/서술형주의]

관계부사생략
One reason (why) {nonnative species(주어)/ are often a serious problem}(주어)/ is a lack of
선행사 주어의 수 결정 토착종이 아닌 종

natural predators in their new homes.


천적의 부족

*such의 어순 : such 관사 형용사 명사 전치사구(부사)


Purple loosestrife(주어)/ is such a species, whereas in its native habitats its populations(주어)/
털부처손 자생지

are kept in check by a leaf-eating beetle and root-eating weevil.


억제된다 잎을 먹는 딱정벌레와 뿌리를 먹는 바구미

[빈칸/서술형주의]

Parasitism(주어)/ is a variety of predation; a parasite(주어)/ feeds on prey but often weakens


기생 변종 ~을 먹이로 먹다

rather than kills its host.


~라기 보다는

- 7 -
수능특강Light 지문분석 제 15 강

Some parasites, such as wheat rust(주어)/, have very specific host requirements.
밀의 녹병균 숙주에 대한 매우 특정한 필요조건

Others, such as mistletoe(주어)/, parasitize a variety of species.


겨우살이 기생하다

* purple loosestrife: 털부처손 ** weevil: 바구미 *** parasitism: 기생 (상태)

요지 - Predation affects the size of prey populations and the diversity of species within a
community.
(포식은 한 군집 내의 먹잇감이 되는 동물의 개체 수의 크기와 종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친다.)

사자, 뱀, 독수리는 다른 생물체를 사냥해서 잡아먹는 생물체인 포식자의 예이다. 먹이를 얻기 위한 최고의 기술을 가진 것들
은 성장해서 번식할 가능성이 가장 많은 것들이다. 포식은 한 군집 내의 먹잇감이 되는 동물의 개체 수의 크기와 종의 다양
성에 영향을 미친다. 토착종이 아닌 종들이 흔히 심각한 문제인 한 가지 이유는 그들의 새로운 서식지에는 자연 포식자가 없
다는 것이다. 털부처손은 그런 종이지만, 그것의 자생지에서는 그 개체 수가 잎을 먹는 딱정벌레와 뿌리를 먹는 바구미에 의
해 억제된다. 기생은 포식의 변종인데, 기생 생물은 먹이를 먹고 살긴 하지만, 흔히 숙주를 죽이지는 않고 쇠약하게 한다. 밀
의 녹병균 같은 몇몇 기생 생물들은 숙주에 대한 매우 특정한 필요조건을 가지고 있다. 겨우살이 같은 다른 기생 생물들은
다양한 종에 기생한다.

- 8 -
수능특강Light 지문분석 제 15 강

4.
접속사
The saying(주어)/ goes that the ruined city of Petra in Jordan(주어) is ‘the rose-red city, half
‘장밋빛 붉은색의 도시이며,
as old as time itself’.
시간 그 자체의 절반만큼이나 오래되었다’

This(주어)/ would mean (that) it(주어)/ was built before the Earth(주어)/ was formed, so ignore

it.

But Petra(주어)/ is very old.

부사
Between about 200 BC and AD 400, it(주어)/ was the busy capital of the Arab kingdom of the
번화한 수도 아랍 왕국
Nabataeans.
나바테아인들

[어법주의]

수동태 분사구문주의 수동태 분사구문


Hidden away among red sandstone hills and surrounded by cliffs, it(주어)/ was the perfect

desert hideaway.
완벽한 사막의 은신처

부사
Into the cliff faces, the people of Petra(주어)/ carved hundreds of exquisite temples, tombs and
절벽의 표면에 수백 개의 정교한 사원, 묘지, 그리고 기념물

monuments.

Many(주어)/ have spectacular facades (fronts) with carved columns and lintels, often in styles
눈부신 정면과 조각된 기둥 그리고 상인방

copied from the buildings of Greece and Rome.


앞부분의 명사를수식하는 과거분사

주격/계속적용법
Most impressive of all(주어)/ is the front of the Treasury, which is 28 metres wide and 40
그것들 중 가장 인상적인 것 귀중품 보관실의 정면(선행사)
metres high.
* exquisite: 정교한 ** lintel: 상인방(창·입구 등의 위에 댄 가로대)

- 9 -
수능특강Light 지문분석 제 15 강

요르단의 폐허가 된 도시인 Petra가 ‘장밋빛 붉은색의 도시이며, 시간 그 자체의 절반만큼이나 오래되었다’라는 말이 있다. 이
것은 지구가 형성되기도 전에 그것이 건설되었다는 의미일 것이므로, 그것은 무시하라. 그러나 Petra는 매우 오래되었다. 대략
기원전 200년에서 기원후 400년 사이에 그것은 나바테아인들의 아랍 왕국의 번화한 수도였다. 붉은 사암 언덕 사이에 숨겨
지고 절벽들에 둘러싸였기 때문에, 그 도시는 완벽한 사막의 은신처였다. 절벽의 표면에, Petra의 사람들은 수백 개의 정교한
사원, 묘지, 그리고 기념물을 새겼다. 많은 것들이 종종 그리스와 로마의 건물 양식을 모방한 양식으로 만들어진, 눈부신 정면
과 조각된 기둥 그리고 상인방을 갖추고 있다. 그것들 중 가장 인상적인 것은 귀중품 보관실의 정면인데, 그것은 폭이 28미터
이고 높이가 40미터이다

- 1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