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40

고등학교

방민호

박현수

황재문

정우상

조성임

윤나라

고등문학(001~009).indd 1 2019. 1. 8. 오후 10:29


집/필/진
방민호 (현)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 박사 | 총괄 진행
박현수 (현)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 박사 | 1, 4단원 집필
황재문 (현)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 박사 | 3, 4단원 집필
정우상 (현)보성고등학교 교사,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 2, 4 단원 집필
조성임 (현)평촌고등학교 교사, 홍익대학교 국어교육학 석사 | 1, 3단원 집필
윤나라 (현)성재중학교 교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 2, 4, 5단원 집필

고등문학(001~009).indd 2 2021. 8. 31. 오전 9:57


머리말

지금 저는 제가 고등학생이었을 때 읽었던 문학 작품들을 생각합니다. 윤동주 시인의

〈서시〉나 〈별 헤는 밤〉 같은 시는 너무 좋아한 나머지 시를 옮겨 써서 가지고 다녔습니다.

또 최인훈과 황순원 작가의 소설들도 좋아했습니다. 최인훈의 《광장》은 쉽지 않았지만 행

간의 뜻을 열심히 생각하며 읽었고, 황순원의 《나무들 비탈에 서다》를 읽으면서는 주인공

의 불행한 삶을 생각하며 안타까워했습니다.

좋은 문학 작품은 저를 키워 준 양식이었습니다. 세상에는 삶에 대해 알 수 있는 많은 공

부들이 있지만 문학만큼 삶에 대해 깊이 깨닫게 해 주는 것도 없습니다. 문학은 추상적인

언어나 객관적인 공식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이해와 사랑을 바탕으로 하여 작품을 통해

가치 있는 삶의 방향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고등학생은 이 나라의 꿈이며 미래입니다. 윤동주처럼 싱그러운 젊음과 순수를 품고 있

는 여러분입니다. 삶에 대한 생각이 많고 고민도 깊은 여러분이기도 합니다.

어떻게 하면 여러분이 이 문학을 재미있게, 보람차게 공부할 수 있을까요? 저와 함께 이

책을 쓴 저자들은 무엇보다 여러분의 마음에 닿는 교과서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여기 수록

한 문학 작품과 즐거운 문학 활동이 여러분의 인생 공부, 세상 공부를 위한 좋은 길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이 교과서를 통해 여러분이 다툼과 경쟁 대신 이해와 사랑의 마음을 키

워 주시기 바랍니다. 우리 함께 문학이라는 이 아름다운 숲을 탐험해 갑시다.

대표 저자 방민호

고등문학(001~009).indd 3 2019. 1. 8. 오후 10:29


이 교과서의
차례

문학의 기능과 원리
(1) 문학의 본질
13 1 배를 매며 장석남

19 2 성난 풀잎 이문구

(2) 문학의 내용과 형식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27 1 어부사시사 윤선도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33 2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박태원
1 17 1 제가야산독서당 최치원

44 창의적
 감상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 차마설 (이곡),
1 21 2 황진이 홍석중
서울, 1964년 겨울 (김승옥), 단단한 고요 (김선우)
129 3 나도 그들처럼 백무산

(2)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37 1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143 2 변신 프란츠 카프카


문학의 수용과 생산
152 창의적
 감상 개밥바라기 별(황석영), 적벽가 (작자 미상), 
(1) 문학 감상의 맥락 우리는 질문하다가 사라진다 (파블로 네루다)

59 1 이생규장전 김시습

67 2 쉽게 씌어진 시 윤동주

(2) 문학 활동의 이해
75 1 스노우맨 서유미

85 2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황인숙

(3) 문학의 인접 분야와 매체


95 1 저녁에 김광섭

99 2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조세희 원작, 박진숙 극본

110 창의적
 감상 호질(박지원), 꽃(김춘수), 라디오같이 사랑을 끄
고 켤 수 있다면(장정일), 메밀꽃 필 무렵(이효석 원작, 안재훈 극본)

고등문학(001~009).indd 4 2019. 1. 8. 오후 10:29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1) 고대 문학
159 1 주몽 신화 작자 미상

167 2 공무도하가 백수 광부의 아내

(2) 중세 문학 문학의 가치
175 1 찬기파랑가 충담사
(1) 문학과 삶의 다양성
179 2 청산별곡 작자 미상
295 1 다시 느티나무가 신경림
185 3 경설 이규보
299 2 김 씨 표류기 이해준
189 4 시조 세 편 우탁, 성삼문, 홍랑
(2) 문학과 공동체
193 5 사미인곡 정철
3 11 1 바퀴벌레는 진화 중 김기택
(3)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31 5 2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박완서
205 1 어이 못 오던가 작자 미상
326 창의적
 감상 형제 (박현수), 순후와 질박함에 대하여 (공선옥),
209 2 흥보전 작자 미상
긍정적인 밥 (함민복), 평상이 있는 국숫집 (문태준)
219 3 절명시 황현

(4) 근현대 문학
227 1 초혼 김소월
48 한 권 독서 1 시집을 읽고 시 영상 제작하기
231 2 만세전 염상섭
284 한 권 독서 2 문학 작품을 읽고 비평문 쓰기
241 3 백록담 정지용

247 4 광장 최인훈

255 5 원고지 이근삼 부록

267 6 벼 이성부 330 빠르게 찾아보기

271 7 내 여자의 열매 한강 332 듣기 대본

280 창의적
 감상 한림별곡 (한림제유), 소대성전 (작자 미상),  334 작품 및 제재 출처
산촌 여정 (이상) 337 사진 및 그림 출처

고등문학(001~009).indd 5 2019. 1. 8. 오후 10:29


이 교과서로 문학을
즐겁게 공부하는 방법

1
사람들이 길을 잃
별이 있고, 바다에는 등대가 있어 캄캄한 밤에도
하늘에는
문학 작품
별이나 등대와 같다. 우리는

문학의 지 않게 해 준다.

을 읽고 제대로 삶을 살아가고
문학 작품도 우리 삶에서

있는지 되돌아보며, 올바른


삶의 방향에 대해 고민할

본질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문학
작품은 별이나 등대의 빛처럼
우리 마음속의 다양한 감정을

비추기도 한다.

였습니다.
다양한 기능을 살펴보며 문
무엇인지 이해하고, 문학의
이 단원에서는 문학의 본질이

학에 가까이 다가가 보자.


, 모두 하나의 독립적인 책처럼 구성하
한 편한편
작품
과서는 나의 도서관을
교 를 공부하면서
문학은 세계를 인식하고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이 교과서
문학이 정서적ㆍ미적으로 우리의 삶을 깨닫게 하는 데 장석남 (1965~ )
아름답고 섬세한 감성
삶을 고양한다는 점을 이해 생각해 보자. 어떤 역할을 할까? 시인. 1987년에 등단한 이후
작품을 주로 발표했다.
하며 문학 활동을 한다. 으로 마음의 풍경을 묘사하는
서정을 보여 주는 그의 시
절제된 시어로 내면의 깊은
문학을 통해 인간과 세계에 구사를 보여 준다. 주요 작품

차곡차곡 채워 갈
는 특히 이미지의 탁월한
대한 인식을 넓히고, 삶의 정원 9 -번짐〉, 〈왼쪽 가슴 아
으로 〈배를 밀며〉, 〈수묵
의미를 깨닫게 된다는 점을 문학은 정서적ㆍ미적으로 래께에 온 통증〉 등이 있다.
이해한다.
우리는 왜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 수 있
문학 작품을 읽을까?
일반적으로 배를 매는 까닭은 습니 무엇일까?

다.


어떤 느
 물가에 배가 매어 있는 풍경은
낌을 줄까?


이 단원에서는
보자.
문학의 미적 기능을 이해해
1 〈배를 매며〉를 감상하며
기능을 이해해 보자.
문학의 인식적 기능과 윤리적
〈성난 풀잎〉을 감상하며
2
⑴ 문학의 본질 13
정리·점검해 보자.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12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 1) 문학의 본질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문학의 본질이란 무엇인가. 문학은 정서적·미적 기능, 인식적 기능, 윤리적 기능을 지닌다.

습니다.
제시하였
‘문학’이란 말의 사전적 의미는 ‘사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한 예술’이다. 이때 ‘사상’이란 우리가 문학은 정서적ㆍ미적 기능과 인식적 기능, 윤리적 기능 등을 지닌다. 먼저 정서적ㆍ미적 기능은 문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보고 떠올리는 여러 가지 생각을 뜻하고, ‘감정’이란 어떤 대상을 보고 갖게 되 학이 우리를 정서적ㆍ미적으로 고양하는 기능을 말한다. 문학 작품에 나타난 아름답고도 탁월한 언어


는 느낌을 말한다. 이러한 생각과 느낌을 예술에서는 음악, 미술, 문학 등 그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표현을 보며 우리는 정서적으로나 미적으로 그 이전에 경험하지 못하였던 감동과 즐거움의 세계로

심으 방식으로 표현한다. 미술은 선과 색채, 형태 등으로 그것을 표현하고, 음악은 음성이나 악기로 표현 나아갈 수 있다. 〈배를 매며〉 14쪽 를 감상하며 이 작품에 나타난 아름답고 탁월한 표현을 통하여 감

을중 하고,
한다. 문학은 언어로 생각과 느낌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다른 예술과 차이가 있다. 그래서 문학을 언 성의 세계에 빠져들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작품
어 예술이라 부르기도 한다. 인식적 기능은 문학이 우리 자신과 자신이 속한 세계를 더욱 잘 이해하고

에 도달
문학의 본질은 문학이 우리 삶에서 지니는 다양한 기능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이는 ‘문학이 성찰하게 하는 기능을 말한다.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평소에 잘 생각하지

문학 목표
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 바로 ‘문학 작품을 읽으면 어떤 점이 좋을까?’에 않았던 자신의 문제나 자신이 속한 사회의 상황을 거리를 두고 바라보


대한 대답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며 이해하고 성찰하게 되는 것이다. 〈성난 풀잎〉 20쪽을 읽고 우리 사

수있 학습
우리는 평소에도 문학 작품을 읽는다. 도대체 무슨 까닭으로 읽는 것일까? 무엇 회가 지닌 인간 중심적인 사고의 문제점을 알고 성찰하게 되는 것이 그

으로
보다 문학 작품이 우리에게 정서적으로 위안을 주거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는 예가 된다.

이 교과서는 감동을 느낄
점이 첫 번째 이유가 된다. 또한, 자신과 자신이 속한 세계를 잘 알게 하고 성찰 윤리적 기능은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삶이 지닌 가치나 의미를 깨닫게


니다.
하게 한다는 점, 삶이 지닌 가치와 의미를 깨닫게 한다는 점이 또 다른 이유 되는 기능을 뜻한다. 문학 작품을 통해서 자신이 왜 사는지, 이렇게 사는

활 가 될 것이다. 문학이 우리 삶에서 지니는 기능을 이해할 때 문학을 더욱 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더 나은 삶이란 무엇인지 등의 깨달음을 얻

생산 있습
깊이 있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을 수 있다는 것이다. 〈성난 풀잎〉을 감상하면서 모든 존재의 가치를 인
신윤 은 음 현한

과 수
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삶임을 깨닫게 되는 것은 좋은 예가 된다.



의 성이나 .

수용 리할
정을

〈청
금 악기


련( 등으

양한 을정



賞 생각

)〉 과



일부

후 내

감상한 배운
작품을 먼저 으 로 점검 사항

평가
중 하

이론
문학이 정서적·미적으로 삶을 고양한다는 점을 이해하며 문학 활동을 할 수 있다.
이 단원에서
빈센트 반 고흐의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문학을 통해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삶의 의미를 깨닫게 된다는
원고


〈별이 빛나는 밤〉
〈서시〉 육필 표현한다. 미술은 선과 색채
윤동주의 , 형태 등으로 생각과 점검해 보자. 점을 이해할 수 있다.
생각과 감정을 감정을
문학은 언어로


표현한다.

하기
24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⑴ 문학의 본질 25

정리


⑵ 모둠별로 모여 앉아 각자 고른 시를 낭송해 보고, 어떤 친구의 시가 마음에 드는지 이야


기해 보자.

나는 정아가 낭송해 준 시가 참 좋아.


지금 내 마음을 나타낸 것 같아.

나는 이/ 가
낭송해 준 시가 참 좋아.

서 문학 작품을 직접 선정하고,
왜냐하면
독서 시집을 읽고 시 영상 제작하기 .

이 도서관에
1
시를 읽는 일을 어렵게 여기는 사람이 적지 않습니다. 시는 시인이 자기 생각과 감정을 최대

나 모둠
개인이
한 응축된 언어로 표현하는 예술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시를 읽는 일은 즐거운 작업입니

서는
다. 시를 읽으면서 미적 경험을 하고 새로운 인식을 발견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 ⑶ 친구들이 고른 시가 수록된 시집들을 다시 살펴보면서 모둠에서 시인 한 명을 정하고, 시
인이 쓴 시집 중에서 함께 읽고 싶은 책을 선정해 보자.


라, 어려운 암호문을 풀이하여 그 속에 숨겨진 내용을 찾아내는 것과 같은 지적인 즐거움도 누

교 작품을 꾸준히 읽도록 안내하였습


기 동안
릴 수 있습니다. 도서관에서 친구들과 함께 시집을 찾아 읽고 시를 감상하며 그 내용을 영상으 이름 시집 제목

로 제작하는 즐거움을 느껴 봅시다.


이 학 니다.



1 모둠별로 함께 읽을 시집을 선정해 보자.

한 권 독서 1 – 시집을 읽고
⑴ 도서관에서 시집을 구경하면서 가장 마음에 드는 시를 골라 보자. 시를 그대로 옮겨 쓰
고, 이 시가 좋다고 생각하는 까닭은 무엇인지 써 보자.

•제목:
시 영상
•작가: 내가
우리 모둠이 고른 시집

한 권 독서 2 – 제작
하기
마음에 드는 시 마음에 들었던
•시가 수록된 시집 제목:

문학 작
시는…….
•출판사 및 출간 연도:

품을
시가 좋은 이유
읽고
비평
48 문학이 꽃피는 도서관 한 권 독서 1 49

쓰기

고등문학(001~009).indd 6 2019. 1. 8. 오후 10:29


이 교과서의 구성과 특징

대단원
시작

문학의 본질
기능과 원리
(1) 문학의 본질
(2) 문학의 내용과 형식

(1) 문학의 본질
(2) 문학의 내용과 형식

나무가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양질의 토양에 뿌리를


내리고, 잎사귀마다 따뜻한 햇볕을 받으며 때로는 거센 비, 사나운
바람까지도 온몸으로 안을 줄 알아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 예쁜 꽃을 피우고 알찬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다.
문학 매면
배를 활동도 마찬가지입니다.
구름과 빛과 시간이 함께
나무가 흙과것도
매어진다는 햇볕,처음
비와알았다
바람을 받아들여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듯
이 우리도그런
사랑이란 다양한 경험을
것을 바탕으로
처음 아는 것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색깔을 지닌 글을 쓸 수 있습니다. - 장석남, 〈배를 매며〉에서

창의적
비판적 사고

공동


체 역량


• 대인

의사소통

역량


•정보 활

대단원 시작
문학의 한국 문학의
수용과 생산 개념과 성격
즐거운 문학 수업을 위한 첫걸음이 될 대단원의 시 (1) 문학 감상의 맥락
(2) 문학 활동의 이해
(3) 문학의 인접 분야와 매체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2)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작입니다. 대단원과 소단원의 제목을 보고 이 단원 나는 꿈을 꾸리라.


놓친 참새를 쫓아
밝은 들판을 내닫는 꿈을.
- 황인숙,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에서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서


비판

사고

에서 배울 내용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앞



•창 의 적 문화
향유


의 사소 통 •정보 활


성 찰•계

으로 감상할 작품 중에서 일부분을 제시하여 부담


없이 문학 활동에 다가갈 수 있습니다. 한국 문학의 문학의 가치
갈래와 흐름 (1) 문학과 삶의 다양성
(2) 문학과 공동체

(1) 고대 문학
(2) 중세 문학
(3)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4) 근현대 문학

다시 느티나무가 커진 눈에
세상이 너무 아름다웠다
눈이 어두워지고 귀가 멀어져
오히려 세상의 모든 것이 더 아름다웠다
살어리 살어리랏다 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산(靑山)애 살어리랏다 - 신경림, 〈다시 느티나무가〉에서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 작자 미상, 〈청산별곡〉에서


•정보 활 의 사소 통
공동

공동

체• 체•

대인 대인


문화 성 찰•계
향유

고등문학(001~009).indd 7 2019. 1. 8. 오후 10:29


소단원
활동 2

1

밤에도 사람들이 길을

7
등대가 있어 캄캄한
하늘에는 별이 있고, 바다에는
우리는 문학 작품
별이나 등대와 같다.
문학 작품도 우리 삶에서
문학의 지 않게 해 준다.

을 읽고 제대로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 되돌아보
며, 올바른 삶의 방향에
대해 고민할 수

마음속의 다양한 감정을


등대의 빛처럼 우리
본질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문학 작품은 별이나

비추기도 한다.
살펴보며 문
, 문학의 다양한 기능을
본질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이 단원에서는 문학의

보자.
학에 가까이 다가가

1
박태원 (1910~1986)
소설가. 호는 구보(仇甫
). 구인회(九人會)의
활동하였으며, 문체와 회원으로
표현 기교를 중시하면서
사회 현실에 대한 도 당대
날카로운 인식을
보여 주는 소설을
주로 썼다. 주요
작품으로 〈천변
풍경〉, 〈피로〉 등이
있다.

문학은 세계를 인식하고 장석남 (1965~ )


적으로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우리의 삶을 깨닫게 하는 데 시인. 1987년에 등단한
이후 아름답고 섬세한
감성
 과거 서울의 풍경은
문학이 정서적ㆍ미 발표했다. 어떠했을까?
생각해 보자. 묘사하는 작품을 주로
삶을 고양한다는 점을
이해 어떤 역할을 할까? 으로 마음의 풍경을
그의 시  소설가의 하루는
깊은 서정을 보여 주는 어떠할까?
절제된 시어로 내면의
하며 문학 활동을 한다. 구사를 보여 준다. 주요
작품 
는 특히 이미지의 탁월한
문학을 통해 인간과
세계에
정원 9 - 번짐〉, 〈왼쪽 가슴 아
삶의 으로 〈배를 밀며〉, 〈수묵
대한 인식을 넓히고, 있다.
래께에 온 통증〉 등이
문학은 정서적ㆍ미적으로
한강
점을 (1970
의미를 깨닫게 된다는 ~ )
소설
이해한다. 우리에게 시적인
가. 199
4년에
우리는 왜 어떤 영향을 줄까? 언어로
사회의
소설가로
등단하여
는 작품
문학 작품을 읽을까? 배를 매는 까닭은 무엇일까
? ⑵ 문학의 내용과 을 발표 여러
문제를 섬세한
 일반적으로
형식 33 자〉,
〈소년이
온다〉
하고
있다
. 주요
근원적으 감성과
로 진단
느 작품
있는 풍경은 어떤 등이
있다. 으로 하
 물가에 배가 매어 〈채식주

낌을 줄까?

식물의
 특성에

도시에 는어
서사 떤것
는삶 이있

의장 는가?
단점은
무엇일
이 단원에서는 까?
보자.
문학의 미적 기능을 이해해
〈배를 매며〉를 감상하며
13
1 보자.
윤리적 기능을 이해해 ⑴ 문학의 본질
문학의 인식적 기능과
2 〈성난 풀잎〉을 감상하며
보자.
내용을 정리·점검해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⑷ 근현
12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대 문학
271

소단원 시작 작품 감상 열기
대단원의 학습 목표를 제시하고, 핵심 내용에 쉽게 다가가기 위 도서관의 책꽂이에서 우리를 기다리는 책을 만나듯이 자연스
한 글로 시작하였습니다. 럽게 감상을 시작할 수 있는 ‘작품 표지’를 제시하였습니다. 한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질문 형식으로 떠올려 보고, 우리가 편씩 작품을 감상하고 문학 활동을 하면서 ‘마음속 도서관’을
감상해야 할 작품을 소개하였습니다. 채울 수 있습니다.

〈스노우맨〉은 경쟁 사회를 살아가는 한 남자의 이야기를 독특한 설정을 통해 그려 낸 소설이다. 배달이 될까 의심하면서도 밑져야 본전이라는 심정으로 번호를 눌렀다. 신호
소설의 내용을 공감적ㆍ비판적으로 수용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가 가는 소리가 길어지자 절대로 전화를 받을 리가 없다는 확신이 들었다. 그가
전화하는 건 짜장면을 먹을 수 없다는 걸 확인하기 위해서인 것 같았다. 그래서
“여보세요.”라는 굵직한 목소리가 튀어나왔을 때 남자는 당황해서 아무 말도 하

스노우맨 | 서유미
5 지 못했다. “여보세요.” 상대가 한 번 더 말한 뒤에야 “거기가 중국집 맞습니
까?” 하고 물었다.
1 〈스노우맨〉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
“네, 진성각입니다.” 이 작품에서 남자는 제시된 ‘눈’의 상징적
때문에 힘겹게 ‘눈’ 의미를 말해
출근하고 있어. 보자.

2
“혹시, 지금 배달이 됩니까?” 남자가 위험을
무릅쓰고 출근 공감적ㆍ비판
하려는 까닭은 적 태도로 작품을
“주소가 어떻게 되세요?” 무엇일까? 감상하는 활동을
해 보자.
앞부분 줄거리 10 중국집 주인은 도시가 눈으로 덮여 버렸다는 걸 모르는 것처럼 태연하게 물었 ⑵ ‘남자’, ‘유 ⑴ 다음에
대리’, ‘과장’ 제시된 항목 중 한 가지를
새해 첫 출근 날, 회사에 다니는 주인공 ‘남자’는 밤새 내린 눈이 허리를 넘어설 만큼 쌓여 출근할 수 이 상징하는 선택하여 이
다. 여기 주소가……. 남자는 주변을 둘러봤다. 인물의 유형을 에 대해 자유롭 작품에서 공감하
다음과 같이 게 이야기해 거나 비판하
없게 된다. 초조함 속에서 하루를 더 보낸 남자는 결국 눈을 파헤치며 회사로 향하지만 금세 지쳐 버린
정리해 보자. 보자. 고 싶은 부분
“가정집이 아니라 대로변인데 가능하겠습니까? 근처에 ○○ 병원하고 부동산
다. 상사의 압박에 불안감을 느끼던 남자는 우수 사원인 유 대리 역시 출근하지 않았다는 소식을 듣고 5 남자
이 있습니다.” 유 대리
유 대리에게 전화해 보지만 그는 전화를 받지 않는다.
과장
“아, 거기요. 예, 배달됩니다. 짜장 곱빼기 하나요? 네, 알겠습니다.”
눈을 파면서
회사에 출
빨리 안 오고 뭐 해. 과장의 문자가 도착했다. 어느새 두 시였다. 남자는 삽을 15 전화를 끊은 뒤에도 남자는 한동안 멍하게 서 있었다. 배 속에서 나는 꼬르륵 남자가 한동안 멍하게 서 있었 눈을 파며 회사로 인물의 행동
근하려고 하지만 가는
던 까닭은 무엇일까? 중간에 ‘남자’에게 회사에 눈이 와도
지쳐서 멈춘다 도중 눈에 파묻힌 이 작품은
쥐고 기계적으로 움직였다. 눈을 치우는 속도가 점점 빨라졌다. 하지만 그만큼 소리가 요란했다. 통화하면서 나눈 말들은 모두 장난이고 배고픔만 진짜인 것 . 다. 빨리
사건의 출근해야 하는
출근하라고 너무 비현실적인
재촉한다. 전개 상황이 이해돼
빨리 지쳤다. 눈 속에 앉아서 쉬고 있으면 드러누워서 눈을 붙이고 싶은 마음이 같았다. 배달을 기다리는 동안 시간은 흐르지 않고 어깨 위에 차곡차곡 쌓였다. 상황을 설정한 .
경쟁 체제에서 것 같아.
간절해졌다. 그 순간에는 눈이 딱딱하고 차갑게 느껴지지 않고 그저 공원에 있 10 이대로라면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어깨가 뚝 부러져 버릴 것 같았다. 살아남으 표현 방법
려고 노력하
지만 잘되지
는 나무 벤치 같았다. 심지어 솜이불처럼 포근하게 느껴져서 안으로 한없이 파 남자는 주위를 두리번거렸다. 차가 사라지고 상가들이 문을 닫은 도시는 고요 않는 인물
고 들어가고 싶어지기까지 했다. 남자는 쭈그리고 앉아서 꾸벅꾸벅 졸다가 한기 20 했다. 어디에서도 짜장면을 싣고 오는 오토바이 소리는 들리지 않았다. 짜장면
때문에 경기하듯 깨어났다. 이 정말 올까. 휴대 전화를 꺼내서 시간이 얼마나 흘렀는지 확인했다. 눈 때문에
남자의 삽 끝에 폐지 묶음이 걸렸다. 얼어붙은 종이 뭉치는 돌덩이처럼 무거 출근도 못 하는데 배달이 될 리가 없지. 남자는 눈을 한 주먹 떠서 입에 쑤셔 넣
‘중국집 스티커’가 하는 기능은 웠다. 삽으로 떠내는데 그 사이에 들어 있던 중국집 스티커가 남자의 구두 위에 15 었다가 도로 뱉었다. 가만히 서서 기다리고 있는 자신이 이상한 사람 같았다.
무엇일까?
툭 떨어졌다. 손바닥만 한 광고지에는 짜장면과 짬뽕, 볶음밥 사진이 인쇄되어 그때 오른쪽 골목 끝에서 안전모를 쓴 사람이 나타났다. 그 사람은 빠른 속도
⑶ 다음 내용을 ⑵ 다음 자료의
있었다. 하얀 눈 위에서 그 까맣고 빨간 색상은 너무나 선명했다. 남자는 자신이 참조하여 이 밑줄 친 부분이
25 로 눈을 파내면서 걸어왔다. 그 사람이 삽으로 파내는 것은 언 눈이 아니라 가볍 작품의 제목인 이 작품에 어떻게
〈스노우맨〉은 관점에서 이 드러나 있는지
무엇을 뜻하는 작품의 주제는 찾아보자. 그리고
아침, 점심도 거른 채 삽질을 했다는 걸 깨달았다. 머릿속에서 짜장면과 짬뽕의 고 보드라운 밀가루인 것 같았다. 노를 젓는 것처럼 몸의 움직임이 유연하고 리 지 생각해 보자. 무엇인지 말해 주체적인
맞은편에 불 보자.
꺼진 편의점
냄새가 천천히 피어올랐다. 그건 아주 먼 옛날에 먹었던 것처럼 아득하고 그리 듬감이 넘쳤다. 덕분에 남자와의 거리는 금세 가까워졌다. 안전모에는 ‘신속 배 이 있었다.
피가 마시고 편의점 간판을 디스토피아(d
ystopia): 현대
싶어졌다. 얼마 보자 온장고 사회의 부정적
전까지 일상이 에 든 따뜻한 문학 작품. 또는 인 모습을 허구로
운 맛이었다. 입 안에 따뜻한 침이 고였다. 짜장면 곱빼기 한 그릇만 먹고 나면 20 달’이라고 쓰여 있었다. 안전모를 쓴 배달원이 남자를 보곤 오른팔을 번쩍 들었 밑에 파묻혀 었던 것들이 캔커 그 사상. ‘역(逆) 그려 냄으로
버렸다. 누가 지금은 손이 유토피아’라고 써 현실을 날카롭
만들어 놓았는 닿지 않는 저 도 함. 게 비판하는
서 있었다. 동그란 지 편의점 앞에는 눈
회사까지 갈 힘이 생길 것 같았다. 다 먹고살자고 하는 일 아닌가. 남자는 홀린 다. 거짓말 같은 상황에 남자는 눈만 껌벅거렸다. 안전모에 쓰인 문구 그대로 신 눈과 웃는 입 남자의 키만
경기(驚氣)하다 갑자기 의식을
잠시 멈춰 섰다. 모양을 한 눈사람 한 눈사람이
듯 휴대 전화를 꺼냈다. 눈이 재앙이 이었다. 그 웃는
잃고 경련을 일으키다. 30 속하고 정확한 배달이었다. 되고 눈 때문에 얼굴을 보고
의 눈사람은 일상이 무너진 남자는
교과서
김새는 농담 같았다 곳에 서 있는, 눈이 내려도 회사에
. 남자는 자신도 웃는 얼굴 가야
76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⑵ 문학 활동의 이해 77붙어 있던 입술이 툭
79쪽 모르게 그 입 만 하는 주인공
의 상황은 잠시 ⑶ 자신의
주변에서 이
터져서 피가 모양을 흉내 의 여유조차 없는 작품에
찔끔 새어 나왔다 냈다. 말라 나타난 상황과
. 각박한 현대 비슷한 경우가
사회의 현실을 있었는지 생각해
나타내는 것은 보자.
아닐까? 그런 점에서
보면 우리 나의 경험에
주변에도 유사한 서
상황이 많이
있는 것 같아.
82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소설이나 영화

다른 매체에

작품 감상 + 문학 활동 ⑵ 문학 활동의
이해
83

창의성과 상상력을 키울 수 있는 작품과 다양하고 흥미로운 문학 활동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작품 감상 : 학습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치 있고 감동을 얻을 수 있는 대표적
인 문학 작품을 선정하였으며, 최근에 주목받는 흥미로운 작품도 수록하였습니다.
문학 활동 : 작품 이해, 목표 활동, 심화 감상 등 단계별로 활동을 제시하였습니다.

고등문학(001~009).indd 8 2019. 1. 8. 오후 10:30


소단원
정리

(1) 문학의 본질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문학의 본질이란 무엇인


가.
‘문학’이란 말의 사전적
의미는 ‘사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한 예술’이다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보고 떠올리는
. 이때 ‘사상’이란 우리가 문학은 정서적·미적
여러 가지 생각을 뜻하고, 기능, 인식적 기능,
는 느낌을 말한다. ‘감정’이란 어떤 대상을
보고 갖게 되 윤리적
기능을 지닌다.

소단원 정리하기
이러한 생각과 느낌을 문학은 정서적ㆍ미적
예술에서는 음악, 미술, 기능과 인식적 기능,
방식으로 표현한다. 문학 등 그 종류에 윤리적 기능 등을 지닌다.
미술은 선과 색채, 따라 서로 다른 학이 우리를 정서적 먼저 정서적ㆍ미적
형태 등으로 그것을 ㆍ미적으로 고양하는 기능은 문
한다. 문학은 언어로 표현하고, 음악은 음성이나 기능을 말한다. 문학
생각과 느낌을 표현한다 악기로 표현 표현을 보며 우리는 작품에 나타난 아름답고
는 점에서 다른 예술과 정서적으로나 미적으로 도 탁월한 언어
어 예술이라 부르기도 차이가 있다. 그래서 그 이전에 경험하지
한다. 문학을 언 나아갈 수 있다. 〈배를 못하였던 감동과 즐거움의
매며〉 14쪽 를 감상하며 세계로
문학의 본질은 문학이 이 작품에 나타난 아름답고
우리 삶에서 지니는 성의 세계에 빠져들 탁월한 표현을 통하여
다양한 기능을 통해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감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
란 무엇인가?’라는 . 이는 ‘문학이

앞에서 감상한 작품과 문학 활동을 통해


질문에 대한 대답이 인식적 기능은 문학이
바로 ‘문학 작품을 읽으면 우리 자신과 자신이
대한 대답이 될 수 있다는 어떤 점이 좋을까?’에 속한 세계를 더욱 잘
성찰하게 하는 기능을 이해하고
사실을 의미한다. 말한다.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평소에 잘
우리는 평소에도 문학 않았던 자신의 문제나 생각하지
작품을 읽는다. 도대체 자신이 속한 사회의
무슨 까닭으로 읽는 상황을 거리를 두고
보다 문학 작품이 우리에게 것일까? 무엇 며 이해하고 성찰하게 바라보
정서적으로 위안을 되는 것이다. 〈성난
주거나 아름다움을 풀잎〉 20쪽을 읽고
느끼게 한다는 우리 사

소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할 수


점이 첫 번째 이유가 회가 지닌 인간 중심적인
된다. 또한, 자신과 사고의 문제점을 알고
자신이 속한 세계를 성찰하게 되는 것이
하게 한다는 점, 삶이 잘 알게 하고 성찰 예가 된다. 그
지닌 가치와 의미를
깨닫게 한다는 점이
가 될 것이다. 문학이 또 다른 이유 윤리적 기능은 문학
우리 삶에서 지니는 작품을 읽으면서 삶이
기능을 이해할 때 문학을 지닌 가치나 의미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더욱 되는 기능을 뜻한다. 깨닫게
신윤 은 음 한다

감상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통해서


자신이 왜 사는지, 이렇게
음악 을 표

복의 성이

있습니다. 이론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사는
감정

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 더 나은 삶이란 무엇인지
〈청 나 악

등의 깨달음을 얻
금상 기

을 수 있다는 것이다.

〈성난 풀잎〉을 감상하면


련( 등으로

서 모든 존재의 가치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인
聽琴
.

삶임을 깨닫게 되는
것은 좋은 예가 된다.
賞蓮 각과
)〉

사진과 삽화를 적절하게 배치하였습니다.



일부

점검하기 : 소단원 시작에서 제시한 학습


윤동주의 〈서시〉
육필 원고

문학은 언어로 생각과


감정을 표현한다
. 빈센트 반
미술은 선과
고흐의 〈별이
색채, 형태
빛나는 밤〉
등으로 생각과
이 단원에서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문학이 정서적·미적으로
삶을 고양한다는 점을
점검 사항

이해하며 문학 활동을
할 수 있다.

평가
중 하
목표를 스스로 점검할 수 있습니다.
감정을 표현한
24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다.
점검해 보자.
문학을 통해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삶의 의미를
점을 이해할 수 있다. 깨닫게 된다는

⑴ 문학의 본질
25

대단원
마무리
바가 있기에, 차마
접하고서 느껴지는
하였다. 내가 이 말을
수필이다. 글쓴이
문제에 대해 쓴 고전 부연해 보았다.
2 다음은 소유의 설을 지어서 그 뜻을
, 이 작품을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가 ‘소유’를 어떻게
보자.
된 점을 친구들과 이야기해 하다 몹시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하다.
통해 새롭게 깨닫게 전전긍긍(戰戰兢兢) 말.
재앙을 통틀어 이르는
환란(患亂) 근심과 말.
사내종을 아울러 이르는
비복(婢僕) 계집종과 못하다.
홀려 정신이 차려지지
차마설(借馬說) _ 미혹(迷惑)되다 무엇에게
이곡 군주를 이르
국민에게 외면을 당한
포악한 정치를 하여
독부(獨夫) 예전에,
던 말.
모란을 소재로 소망의 간혹 남의 말을 빌
피는 화려한 꽃인 말이 없기 때문에 백승(百乘) 백 대의
수레.
나눈 품계의 하나.
②고
1 다음은 봄에 나는 집이 가난해서 벼슬아치를 세 등급으로
작가가 모란을 통 얻었을 경우는 대부(大夫) ① 중국에서
표현한 현대시이다. 노둔하고 야윈 말을
실현에 대한 기다림을 려서 타곤 한다. 그런데 도 려ㆍ조선 시대에, 벼슬의
품계에 붙이던 칭호.
살펴보자. 못한 채 금방이라 못하는 신하. 아 나오며 내 아이들에
형상화하고 있는지 감히 채찍을 대지 신임이나 사랑을 받지 게 내가 바로 그런
(1) ‘문학의 본질’에서
는 해 자신의 소망을 어떻게 일이 아무리 급해도
개천이나 도
고신(孤臣) 임금의
어머니가 되어야겠
어머니, 고향 같은
문학의 미 전전긍긍 하기 일쑤요, 다는 깨달음을 얻는다. 4
풀잎〉을 감상하며 쓰러지고 넘어질 것처럼 다음은 평상에 마주
〈배를 매며〉와 〈성난 앉아 국수를 먹는 사람들의
다. 한다. 그래서 후회하는 나는 다시 집으로 돌아온다 모습을
윤리적 기능을 이해하였 또 말에서 내리곤 . 정성 들여서 청소를 형상화한 시이다. 국숫집에
적 기능, 인식적 기능, _ 김영랑 랑이라도 만나면 하고 밥 서 만난 사람들이 서로
모란이 피기까지는 발굽이 높고 귀가 쫑긋하며 잘 달리 “할머니는 누구랑 사세요?”
을 짓고 빨래를 하고
바느질을 하고 푸성귀를 가꾼다. 고 서로의 삶을 이해하는
소통하
일이 거의 없다. 반면에 채찍을 갈 면서 나는 어떻게 늙어 그러 태도를 보며 상생과
형식’에서는 하여 방자하게 마루에 걸터앉아 갈 것인가를 생각한다 공존의 문화
(2) ‘문학의 내용과 감상 는 준마를 얻었을
경우는 의기양양 내가 누구랑 사느냐고
묻는 사이에 할머 . 늙는 생각을 에 대해 생각해 보자.
구보 씨의 일일〉을 모란이 피기까지는 골짜기를 모두 니는 어느 틈에 냉수 하게 되면 나는 오래된
〈어부사시사〉와 〈소설가 놓기도 하면서 언덕과 사발을 건네준다. 나는 마을을 생각할 때 그런
다.
기다리고 있을 테요 기기도 하고 고삐를 맛난 물을 단숨 것처럼 아주
형식의 관계를 이해하였 한다. 그러나 간 아주 포근해진다.
하며 문학의 내용과 나는 아직 나의 봄을 매우 유쾌하게 질주하곤 에 들이켠다 . 그러고 나서 빼놓지
버린 날 평지로 간주한 채 않고 인사를 차린다. 평상이 있는 국숫집
모란이 뚝뚝 떨어져 면하지 못한다. “이럴 인물이 하룻밤을 함께 보내면서 _ 문태준
혹 위험하게 말에서
떨어지는 환란을 만난줄세알았으면 막걸리라도 받아 오는
테요 3 다음은 우연히 건데.”
여읜 설움에 잠길 지 달라지 전개 방식이 주제 가녘 가장자리.
나는 비로소 봄을 는 것이 어쩌면 이렇게까 “막걸리는 무슨,
소설이다. 이야기의
집에 술 있는데
무덥던 날
아, 사람의 감정이라 생긴 이야기를 그린 한잔 마실라요?” 거개(擧皆) 거의 대부분.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빌려서 잠깐 동안 “아이고, 아닙니다 평상이 있는 국숫집에
말인가. 남의 물건을 생각해 보자.
.” 갔다
시들어 버리고는 고 뒤바뀔 수가 있단 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단원에서 문학의 기능과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진짜로 자기가 가지 나는 기쁘게 사양한다 붐비는 국숫집은 삼거리
따라서 우리는 이 이와 같은데, 하물며 . 우린 오래전부터 슈퍼 같다
쓸 때에도 오히려 알았던 사람들 평상에 마주 앉은 사람들
활동을 해 보면서 능동적으 자취도 없어지고 처럼,
리를 이해하고 문학 천지에 모란은 말해 무엇하겠는가. 어머니와 딸 사이인
앞에서 서운케 무너졌느니 고 있는 경우야 더 남에게 빌 겨울 _ 김승옥
것처럼 다정해진다. 3 다음은 자신의 주변에서
나갈 수 있게 되었다. 뻗쳐오르던 내 보람 가지고 있는 것 가운데 서울, 1964년이렇듯 흔히 볼 수 있는 것을 세월 넘어온 친정 오빠를
로 문학을 향유해 낯선 사람을 보고도 대상으 서로 만난 것 같다
더 알아보고 싶은 점을 가고 말아 그렇긴 하지만 사람이 하나도 낯설어하지 로 삶에 대한 성찰을
그뿐 내 한 해는 다 . 임금은 백성으로
않는 시골 담은 시이다. 시적 화자처럼 국수가 찬물에 헹궈져
활동한 내용을 떠올리며 모란이 지고 말면 뭐가 있다고 하겠는가
사람들이 나는 좋다.
처음 보는 ‘안’을 자기 주 건져 올려지는 동안
리지 않은 것이 또 겨울밤의 어느 선술집,
대학원생인
‘나’는사람인데 도 하나도 낯설지 변의 일상적인 사물을
간단하게 써 보자. 섭섭해 우옵내다 되는 것이요, 신하는 않은1964년 중심으로 삶을 성찰해 쯧쯧쯧쯧 쯧쯧쯧쯧
삼백예순 날 하냥 존귀하고 부유하게 앞부분 줄거리 시골 사람들, 정확히
말해 시골두 사람은 자리를 옮 보자. ,
부터 힘을 빌려서 되는 의미 없는 대화를 주고받던 할머니들 에게서 나는 손이 손을 잡는 말
신분이 만난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빌려서 총애를 받고
귀한 우연히 선술집에서 늘 위안을 얻는다.
돈이 많은 사람, 중국요릿집에 간
함께 권력을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임금으로부터 권세를 게 함께 갈 수 없겠냐고 묻는 ‘사내’와 가진 사람, 육체 긍정적인 눈이 눈을 쓸어 주는
지아비에 자신도
기던 중에 가 너무 건강한 밥 _ 함민복
나는 아직 기다리고 어버이에게서, 지어미는 사람, 아는 병원에 팔고 괴로워한다. 말
것이다. 그리고 자식은 비용이 없어 죽은 아내의
시신을것이 너무 많은 사람들 앞에서는
또한 심하고 다. 사내는 장례 병실에서 온 사람도
서 각각 빌리는 것이 무형의 저항감을 느낀다.배회하다가 화재 난 곳을 찾아간 있다
서, 비복(婢僕)은 주인에게 중국요릿집에서 나온
세 사람은 밤거리를 가진 것 없고 그 생애 자체가
있는 것처럼 여기기 으로만 점철된 시골 본 사내는 남은 돈을 모두 불 속에 던져 희생 시(詩) 한 편에 삼만 식당 일을 손 놓고
온 사람도 있다
자기가 본래 가지고 아내의 환영을 할머니들의 순후한 인정이, 원이면
도 많은데, 대부분 다. 불길 속에서 죽은 그것이 비 사람들은 평상에만
이 어찌 미혹된 록 냉수 한 사발의 너무 박하다 싶다가도
보려고 하지 않는다. 인정이라 할지라도 마주 앉아도
만 할 뿐 끝내 돌이켜 버린다. 나는 사람을 반기고 마주 앉은 사람보다
사람을 사람으로 보고 쌀이 두 말인데 생각하면 먼저 더 서럽다
사람을 섬기는 그
일이 아니겠는가. 선한 눈빛이 고 좋아
것을 돌려주는 어찌할 줄 모르겠다 사내는 가끔 “여보.”라 금방 마음이 따뜻한 세상에 이런 짧은 말이
사이에 그동안 빌렸던 사내는 계속해서
울고 있었다.
. 이제 이 한 시대가 밥이 되네 있어서
그러다가 혹 잠깐 되고 또 정처 없이 흘러 세상에 이런 깊은 말이
독부(獨夫)가 가 버리면 그들은울고 있었다.
만방(萬邦)의 임금도 중얼거리며 오랫동안 가고 그들의 인정도 끊기고울음을
있어서
일이 생기게 되면, 그 순후와그 질
되는 법인데, 더군 박함 또한 영영 발짝쯤 떨어진 곳에서 그가 시집 한 권에 삼천 국수가 찬물에 헹궈져
)도 고신(孤臣)이 우리는 여전히 열 사라져 버릴 것이다. 나는 그것이비틀 원이면 건져 올려지는 동안
백승(百乘)의 대부(大夫
는가. 맹자(孟子) 끊어져 버리는있었다. 한참 후에 그가 우리
앞으로 두렵다. 든 공에 비해 헐하다 쯧쯧쯧쯧 쯧쯧쯧쯧
,
경우야 더 말해 무엇하겠 치기를 기다리고
것이 두렵고 싶다가도
다나 미천한 자의 사라져 버리는 것이
골목길 이
두렵다.
않았으니, 그들 제 세상은 온통 아는 모두 고개를 숙이고 어두운 국밥이 한 그릇인데 큰 푸조나무 아래 우리는
빌리고서 반환하지 비틀 걸어왔다. 우리는 것 많은 사람들만의
가 말하기를 “오래도록 세상이 될 것이고 모처럼 평상에 마주
알았겠는가.”라고 돈 많은 사람들만의 내 시집이 국밥 한
아니라는 것을 어떻게 세상이 될 것이고 45 그릇만큼 앉아서
이 자기의 소유가 사람을마무리
대단원 경계하는 사
람들만의 세상이 될 사람들 가슴을 따뜻하게
것이고, 그럴 것이고… 덥혀 줄 수 있을까
…. 나는 절망한
다. 그러면, 내 지친 생각하면 아직 멀기만
영혼은 어디 가서 위안을 하네
얻나, 잃어버 푸조나무 느릅나뭇과
린 고향을, 어머니를 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20미터 정도이며,
어디가서 찾나. 긋나고 달걀 모양인데 잎은 어
톱니가 있음.
내가 왜 이렇게 지치나, 시집이 한 권 팔리면
무엇 때문에 이렇게
44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힘들어하는
가, 늘 모르고 지내 내게 삼백 원이 돌아온다
오다가 그 할머니들
을 보고 나서 나는
내가 결국은 고향을 박리다 싶다가도
잃어버려서, 어떤
정신적 유토피아를
잃어버려서 그렇다는 굵은 소금이 한 됫박인데
걸 알게 된다. 아이를 생각하면
업고 마을을 돌
푸른 바다처럼 상할
마음 하나 없네
328 5. 문학의 가치

대단원 마무리
329

대단원 정리

단원의 주요 학습 내용을 소단원별로 정리하고, 더 알아보고 싶은 점을 스스로 떠올려 자기 주


도적 감상으로 대단원을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창의적 감상 : 문학 감상의 경험을 넓히고 창의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작품을 제시하였습니
다. 또한, 창의적 감상의 방향을 작품마다 안내하였습니다.

고등문학(001~009).indd 9 2019. 1. 8. 오후 10:30


대단원 설정 이유 대단원 지도 방안
이 단원은 문학이 우리 삶에서 지니는 의의를 살펴보고 문학의 수용과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작품 감상의 결과를 자신의 인생관, 가치관, 심
생산 활동이 인간의 삶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설정하였 미적 태도 등과 관련지어 보도록 함으로써, 인간의 삶에서 문학이 지니는
다. 또한, 이를 통해 문학 작품의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연관성을 이해하 의의를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문학의 수용과 생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
고 작품 자체를 하나의 언어 예술로서 감상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 여할 수 있도록 한다. 작품의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연관성을 지도할 때
도록 하였다. 문학은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세계를 알 수 있게 하고, 감정 에는 발상의 참신함이나 창의성을 추구한 작품을 감상한 후 그러한 형식
을 정화시키며 윤리 의식을 고양하고, 세계에 대하여 깊이 있게 이해하여 적 특성이 작품의 내용이나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데 어떻게 기여
삶의 의미에 대한 통찰을 기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문학은 내용과 형식 하는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이 긴밀하게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유기적인 언어 예술이라는 점을 바탕
으로 문학의 수용과 생산 활동을 이해할 수 있다.

교과서 그림 활용하기
여행을 떠나는 듯한 삽화를 활
용하여, 문학 공부의 시작에 관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타 학년과의 연계성
소단원명 문학 성취기준 타 학년 관련 성취기준
⑴ [문학01-01] 문학이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
[중1~3학년군] 인간의 성장을 다룬 작품을
문학의 를 돕고, 삶의 의미를 깨닫게 하며, 정서적·미
읽으며 삶을 성찰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본질 적으로 삶을 고양함을 이해한다.
⑵ [문학02-01] 문학 작품은 내용과 형식이 긴밀 [고등 국어] 문학 작품은 구성 요소들과 전체
문학의 하게 연관되어 이루어짐을 이해하고 작품을 가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는 구조물임을 이해
내용과 형식 감상한다. 하고 문학 활동을 한다.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10 2019. 1. 8. 오후 10:10


문학의
기능과 원리
대단원별 수업 지도안

단원별 평가 계획서

작품 ① 배를 매며
1~4차시 (1) 문학의 본질 작품 ② 성난 풀잎
차시별 수업 지도안

작품 ① 어부사시사
5~9차시 (2) 문학의 내용과 형식 작품 ②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차시별 수업 지도안

10차시 대단원 마무리

배를 매면 구름과 빛과 시간이 함께
매어진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사랑이란 그런 것을 처음 아는 것
- 장석남, 〈배를 매며〉에서
공동

체•

대인
대단원 핵심 역량
관련 핵심 역량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은 공동체의 가치와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상
공동체·
호 협력하여 관계를 맺고 갈등을 조정하는 능력이다. 이 단원에서는 문학을 통해 개
대인 관계
개의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며 공동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료

•정보 활
자료·정보 활용 역량은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수집, 분석, 평가하고 이를 효과적으
자료·정보
로 활용하여 의사를 결정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다. 이 단원에서는 작품의
활용
형식적 요소를 분석, 평가하고 이를 내용 및 주제와 관련지어 볼 수 있다.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11 2019. 1. 8. 오후 10:10


하늘에는 별이 있고, 바다에는 등대가 있어 캄캄한 밤에도 사람들이 길을 잃

문학의
별과 등대의 기능
지 않게 해 준다. 문학 작품도 우리 삶에서 별이나 등대와 같다. 우리는 문학 작품

을 읽고 제대로 삶을 살아가고 있는지 되돌아보며, 올바른 삶의 방향에 대해 고민할 수


본질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문학 작품은 별이나 등대의 빛처럼 우리 마음속의 다양한 감정을
스마트 수업 PPT
비추기도 한다.

이 단원에서는 문학의 본질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문학의 다양한 기능을 살펴보며 문


정서적·미적 기능, 인식적 기능, 윤리적 기능
학에 가까이 다가가 보자.

세 번째 질문 이끌기
문학의 인식적 기능과 윤리적 기능
에 해당하는 질문이다. 학생들이 문학
작품을 통해 인간과 세계의 관계나 스
스로 삶의 의미를 어렴풋이 생각해 본
경험을 떠올리게 한다.

문학이 정서적ㆍ미적으로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문학은 세계를 인식하고


삶을 고양한다는 점을 이해
생각해 보자. 우리의 삶을 깨닫게 하는 데
하며 문학 활동을 한다.
소단원 도입 애니메이션 어떤 역할을 할까?
문학을 통해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삶의
의미를 깨닫게 된다는 점을
이해한다.
문학은 정서적ㆍ미적으로
우리는 왜 우리에게
문학 작품을 읽을까? 어떤 영향을 줄까?
소단원 수업은 이렇게
이 단원은 문학의 기능과 가치
두 번째 질문 이끌기
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목표이다. 첫 번째 질문 이끌기
문학은 사상이나 감정을 언어로 문학의 기능 중 미적 기능과 관
학생들이 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련된 질문이다. 학생들이 문학을 감
표현한 예술로, 우리의 삶에서 긍
이유에 대해 자유롭게 생각하며 상하며 정서적·미적으로 아름다움
정적인 역할을 해 왔다. 우리는 문
이야기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을 느껴 본 경험을 떠올리게 한다.
학을 통해 인간과 세계에 대해 이
해하고 삶의 의미를 깨닫게 되며,
정서적·미적으로 삶을 풍요롭게
가꾸어 왔다. 이것은 문학의 인식
적 기능, 윤리적 기능, 미적 기능과 이 단원에서는 
관련된 것이다. 이 단원에서는 작
품을 감상하며 이러한 문학의 다 1 〈 배를 매며〉를 감상하며 문학의 정서적·미적 기능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13쪽, 지도서 64쪽
양한 기능과 가치를 이해하고 자
발적으로 문학을 향유할 수 있는 2 〈 성난 풀잎〉을 감상하며 문학의 인식적 기능과 윤리적 기능을 이해해 보자.
기반을 마련하도록 한다. ▶ 교과서 19쪽, 지도서 72쪽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 교과서 24쪽, 지도서 63쪽

12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12 2019. 1. 8. 오후 10:10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예상하지 못한 순간에 사랑이 시작되고 커 가는 과정을 배
를 매는 일에 빗대어 사랑의 본질에 대해 노래한 시이다. 작가는 추상적
1
대상인 ‘사랑’이라는 감정을 ‘배’라는 구체적 사물을 통해 형상화함으로써
사랑이라는 보편적 감정에 대한 독자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처
럼 문학 작품은 아름답고 탁월한 언어 표현을 통해 우리가 정서적으로나
미적으로 경험하지 못했던 감동과 즐거움을 느끼게 한다. 〈배를 매며〉의
형식적 아름다움과 비유적 표현을 통한 형상화 과정을 파악하고 감상하
는 활동을 통해 이러한 문학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배를 맨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요?
질문의 예

삽화 관련 교과서 13쪽의 삽화를 참고하여 이 작품의 분위기를


질문의 예 예측해 볼까요?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장석남 (1965~ ) 작가 동영상

시인. 1987년에 등단한 이후 아름답고 섬세한 감성


으로 마음의 풍경을 묘사하는 작품을 주로 발표했다.
절제된 시어로 내면의 깊은 서정을 보여 주는 그의 시
는 특히 이미지의 탁월한 구사를 보여 준다. 주요 작품
으로 〈배를 밀며〉, 〈수묵 정원 9 -번짐〉, 〈왼쪽 가슴 아
래께에 온 통증〉 등이 있다.

 배를 매는 까닭은 무엇일까?
 물가에 배가 매어 있는 풍경은 어떤 느

낌을 줄까?
 예시 답 우리 시에서 ‘배’를 소재로 한 작품은 무

엇이 있을까?

⑴ 문학의 본질 13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13 2019. 1. 8. 오후 10:10


〈배를 매며〉는 사랑이 시작되고 커 가는 과정을 배를 매는 일에 빗대어 사랑의 본질을 그린 작품이다.
문학이 정서적·미적으로 삶을 고양한다는 점을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수업의 포인트 작품 개관
•‘배를 매는 과정’과 ‘사랑의 과정’의 유추 관계 파악하기 갈래 자유시, 서정시
•사랑의 본질에 관한 시적 화자의 깨달음과 정서 및 태도 이해하기 성격 서정적, 사색적, 비유적
•시어의 상징적 의미 파악하기 제재 배를 매는 일
주제 사랑이 시작되는 과정과 사랑의 본질에 대한 깨달음
① 유추를 사용하여 시상을 전개함.
특징 ② 소재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하여 주제를 부각함.

배를 매며 | 장석남
③ ‌사랑이라는 감정을 배를 매는 일에 빗대어 표현함.

작품 감상 애니메이션

작품 감상 음성

아무 소리도 없이 말도 없이
등 뒤로 털썩
음성 상징어
밧줄이 날아와 나는
사랑의 대상과 맺는 인연 사랑하게 될 대상
뛰어가 밧줄을 잡아다 배를 맨다
사랑하는 사람과 인연을 맺는다.
아주 천천히 그리고 조용히
배는 멀리서부터 닿는다 ▶ 우연히 배를 매어 본 경험

사랑은,
호젓한 부둣가에 우연히,
사랑의 인연을 받아들이게 되는 곳, 사랑이 찾아올 공간
별 그럴 일도 없으면서 넋 놓고 앉았다가
배가 들어와
던져지는 밧줄을 받는 것

그래서 어찌할 수 없이 「」 : 피할 수 없는, 운명적인 속성을 지닌 사랑

배를 매게 되는 것」 ▶ 갑자기 배를 매듯 운명적으로 찾아오는 사랑

화자의 정서 표현과 어조
사색적이고 담담한 어조

배를 매는 경험을 통해 깨달
은 사랑의 의미를 차분하게
드러냄.

호젓하다 후미져서 고요하다.

14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14 2019. 1. 8. 오후 10:10


유추에 의한 시상 전개 시적 화자의 정서 및 태도
‘배를 매는 일’과 ‘사랑’의 유사성 → 추상적 관념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함. 시구 정서 및 태도
배를 매는 일 사랑 ‘뛰어가 밧줄을 잡아다 배를 맨
반가운 마음으로 사랑을 맞이함.
밧줄이 갑자기 날아옴. 사랑이 갑자기 시작됨. 다’

어찌할 수 없이 배를 매게 됨. 사랑을 운명적으로 받아들임. ‘함께 / 매어진다는 것도 처음 알


진정한 사랑의 본질을 깨달음.
≒ 았다’
유 사랑의 맺어짐은 서로의 꿈과
구름과 빛과 시간이 함께 매 ‘배는 울렁이며 / 온종일을 떠 있 운명적 사랑의 아름다움으로 설
추 기쁨과 세월이 함께 맺어지는
어짐. 다’ 렘(환희와 경이로움을 느낌.).
것임.
빛 가운데 배가 온종일 울렁 온종일 사랑의 기쁨과 설렘
이며 떠 있음. 속에 있음.

잔잔한 바닷물 위에
◯: 배(사랑하는 사람)를 둘러싼 세계(주변 환경)
구름과 빛과 시간과 함께
떠 있는 배 ▶ 배를 둘러싼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

「배를 매면 구름과 빛과 시간이 함께


「」 : 사랑은 그 세계를 둘러싼 모든 주변 환경과 사물, 시간까지 함께 공유하는 것
매어진다는 것도
」 처음 알았다

사랑이란 그런 것을 처음 아는 것 ▶ 사랑에 대한 깨달음

빛 가운데 배는 울렁이며 사랑으로 설레는


설렘, 기쁨, 경이로움
마음을 형상화함
온종일을 떠 있다 ▶ 온종일 울렁이며 떠 있는 배

제재 정리

작품 구성
1연 우연히 배를 매어 본 경험
2연 갑자기 배를 매듯 운명적으로 찾아오는 사랑
3연 배를 둘러싼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
4연 사랑에 대한 깨달음
5연 온종일 울렁이며 떠 있는 배

⑴ 문학의 본질 15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15 2019. 1. 8. 오후 10:10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시적 화자와 시어를 중심으로 〈배를  〈배를 매며〉가 정서적·미적으로 감  백석의 시 〈백화〉를 감상하며 문학
매며〉의 내용 이해하기 동을 주는 까닭 이해하기 의 정서적·미적 경험을 내면화하기

1 〈배를 매며〉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시적 화자는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예시 답
활동 1 지도 방안
시적 화자가 있는 장소 시적 화자가 하는 행동
작품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
한 활동이다.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을 파악한 후 핵심 시어의 •배에서 던져진 밧줄을 엉겁결에 받아 맴.
의미를 생각하도록 이끌어 준 부둣가 •구름과 빛, 시간이 함께 있는 배를 바라보며 사랑
다. 그리고 이를 종합하여 마지 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고 있음.
막 연에 담긴 시적 화자의 정서
를 추측할 수 있도록 한다.

⑵ 다음 시어에 담긴 의미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배를 매는 것?
사랑을 시작하는 것?
배 예시 답 사랑하게 될 사람

밧줄 사랑의 대상과 맺는 인연

예시 답 •사랑의 인연을 받아들이게 되는 곳


부둣가 •사랑이 찾아을 공간

시의 분위기로 보아 빛을 ⑶ 마지막 연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정서는 어떠한지 이야기해 보자.


받으며 떠 있는 풍경은 어떤 느
낌을 주는지 생각해 봐.
빛 가운데 배는 울렁이며
교과서 온종일을 떠 있다
15쪽

‘이끌기’ 플러스 예시 답
시에서 느껴지는 분위기, 시 •운명적 사랑의 아름다움으로 설렘.
어, 심상 등은 시적 화자의 정서 •운명적 사랑의 환희와 경이로움을 느낌.
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16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16 2019. 1. 8. 오후 10:10


활동 2 지도 방안
2 문학의 정서적ㆍ미적 기능을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서 리듬감이 느껴지는 부분을 찾고, 그렇게 생각한 까닭을 써 보자.


작품의 형식적 특징과 표현
예시 답
상 특징, 형상화 방법을 살펴보
고 이를 주제와 관련지어 이해 리듬감이 느껴지는 부분 그렇게 생각한 까닭
하는 활동이다. 작품에 담긴 미 •‘소리도 없이 말도 없이’
적 세계를 파악하여 이를 통해 •‘맨다’, ‘닿는다’
심미적 가치를 이해하고 문학을 •‘받는 것’, ‘되는 것’, ‘매어진다는 것’, ‘그런 것’, ‘아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어휘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리듬
향유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 것’ 감이 느껴짐.
록 한다. •‘구름과 빛과 시간과 함께’(3연), ‘구름과 빛과 시간이
함께’(4연)
유사한 통사 구조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리듬감이 느
‘사랑은(이란) ~ -ㄴ(는) 것’
껴짐.

⑵ 이 작품에 나타나는 비유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밧줄이 갑자기 날아오는 것 운명적으로 사랑이 갑자기 찾아오는 것

밧줄로 배를 매는 것 예시 답 운명적인 사랑을 받아들이는 것

예시 답 사랑의 맺어짐은 서로의 꿈과 기쁨과 세월


배를 매면 구름과 빛과 시간이 함께 매어지는 것
이 함께 맺어지는 것

질문으로 끌어 주기
•이 작품을 읽고 어떤 감정이 들었나요?/심상이 느껴졌나요?
•그러한 감정이나 느낌은 작품의 어느 부분에서 받을 수 있었나요?
•감상을 통한 감정과 느낌을 ‘정서적·미적 감동[아름다움]’이라고 할 때, 답변한 내용을 바탕으로 2-(3)을 정리
해 봅시다.
⑶ 이 작품이 정서적ㆍ미적으로 감동을 주는 까닭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자.
문학은 다양한 문학적 표현이
나 형상화 방법, 자유로운 상상
예시 답 갑자기 찾아온 사랑과 그 심정을 적절한 비유와 리듬을 통해 형상화했기 때문이다.
력을 통해 정서적ㆍ미적 가치를
실현하고 작품을 감상하는 우리
의 삶을 고양한다.

‘도움말’ 플러스
문학을 읽으며 독자는 정서
적 반응 속에서 각별한 의미를
느끼게 된다. 이는 논리적 사고
와 구별되는 것으로, 이러한 심
미적 체험을 통해 독자의 능동
적 참여와 생각의 변화를 이끌
어 낼 수 있다.

⑴ 문학의 본질 17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17 2019. 1. 8. 오후 10:10


‘백화(白樺)’는 순우리말로
3 다음 작품을 감상하며 문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서적ㆍ미적 즐거움을 생각해 보자.

옮기면 ‘흰 자작나무’이다. 이 시 산골집은 대들보도 기둥도 문살도 자작나무다 → 시각적 심상 ☐ : ‌각 행 끝에 ‘자작나무다’라는
음성 상징어 시구를 반복하여 운율을 형
는 흰 자작나무에 둘러싸여 있
밤이면 캥캥 여우가 우는 산(山)도 자작나무다 → 청각적 심상 성함.(각운적 요소)
는 깨끗하고 아름다운 산속의 청각적 심상
세계와 그 속에서 살아가는 순 그 맛있는 메밀국수를 삶는 장작도 자작나무다
수하고 소박한 사람들의 모습을 그리고 감로(甘露)같이 단 샘이 솟는 박우물도 자작나무다 → 미각적 심상
그리고 있다. 미각적 심상
산(山) 너머는 평안도(平安道) 땅도 보인다는 이 산(山)골은 온통 자작나무다
활동 3 지도 방안
- 백석, 〈백화(白樺)〉
〈배를 매며〉를 통해 문학의
미적 기능을 이해한 후 이를 다
른 작품에 적용하여 감상해 보
는 활동이다. 〈배를 매며〉와는
달리 어떤 점에서 미적 가치를
느낄 수 있는지 생각해 볼 수 있 대들보 작은 들보의 하중을 받기 위하여 기
게 한다. 둥과 기둥 사이에 건너지른 큰 들보.
문살 문짝에 종이를 바르거나 유리를 끼우는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데에 뼈가 되는 나무오리나 대오리.
성격 향토적, 자연 친화적 감로(甘露) 여름에 단풍나무ㆍ떡갈나무 따위
제재 자작나무 의 잎에서 떨어지는 달콤한 액즙.
순수한 삶과 아름다 박우물 바가지로 물을 뜰 수 있는 얕은 우물.
주제 운 자연이 어우러진
풍경
① ‌자연과 그 속에 사
는 사람들의 삶에
대한 예찬적 태도 ⑴ 이 작품이 정서적ㆍ미적으로 아름답다고 느낀다면 그 까닭은 무엇인지 리듬감과 심상을
가 드러남.
특징
② ‌‘자작나무다’라는
중심으로 살펴보자.
시구를 각 행의 끝 예시 답 이 작품은 시행 끝에 특정 시구(‘자작나무다’)를 반복 배열하여 리듬감을 형성하고, 다양한 심상(시각, 청각,
에서 반복하여 운 미각)을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삶과 자연이 하나로 어우러진 산골 풍경을 효과적으로 그려 감동을 자아내기 때
율을 형성함. 문에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⑵ 문학 작품을 읽고 정서적ㆍ미적 아름다움을 느꼈던 경험에 대해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 생략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1

〈배를 매며〉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예시 답 이 작품은 불현듯 시작된 사랑과 그 특별한 의미를, 배가 부둣가에 도착하여 정박하는 것에 빗대어 그리고 있는 것 같아.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나의 책방 키우기 이 작품은 배를 미는 행위를, 사랑하는 사람을


장석남의 떠나보내는 일에 빗대어 나타내고 있다. 〈배를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장석남의 〈배를 밀며〉 〈배를 밀며〉 매며〉의 시적 상황과 비교하는 활동을 통해 시
를 감상하는 즐거움을 느껴 본다.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유치환의 〈행복〉 이 작품은 편지를 소재로 하여, 사랑을 하는
유치환의 일의 설렘과 소중함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행복〉 있다. 사랑의 어떤 측면에 중점을 두고 있는지
18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배를 매며〉와 비교하며 감상한다.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18 2019. 1. 8. 오후 10:10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풀독이 올라 고생했던 글쓴이의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인간 중심적인 사고에 대
한 반성과 깨달음을 담은 수필이다. 글쓴이는 작고 쓸모 없다고 생각하는 ‘잡풀’에 대한 자신
2
의 인식을 성찰하면서 인간 중심적인 가치관을 비판하고, 모든 생명을 존중하며 자연을 거스
르지 않는 삶의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있다. 글쓴이의 이러한 인식과 태도는, 독자가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새롭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이는 문학의 인식적 기능과 관
련된다. 또한, 독자는 이 작품을 통해 자신의 삶과 사회에 대해 성찰하면서 바람직한 삶의 자
세를 정립하게 된다. 이는 문학의 윤리적 기능과 관련된다. 따라서 〈성난 풀잎〉을 감상하며
문학의 인식적 기능과 윤리적 기능에 대해 파악하고 문학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문구 (1941~2003) 작가 동영상

소설가. 1966년에 등단하여 농촌이나 어촌, 혹은 산


업화의 소외 지대인 도시 변두리 사람들의 삶의 애환을
다룬 소설과 수필을 주로 썼다. 주요 작품집으로 《관촌
수필》, 《우리 동네》 등이 있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풀잎이 성났다는 말은 무슨 의미일까?


제목 관련 제목을 통해 이 작품에서 다루어질 이야기가 무엇일  식물을 만지다가 상처를 입은 경험이 있
질문의 예 지 예측하고 자유롭게 말해 볼까요?
는가?
삽화 관련 교과서 19쪽의 삽화에서 남자는 무엇을 하고 있는 것
 예시 답 자연에 얽힌 인상적인 경험이 있는가?
질문의 예 일까요?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⑴ 문학의 본질 19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19 2019. 1. 8. 오후 10:10


〈성난 풀잎〉은 풀독이 오른 경험을 통해 인간 중심적인 시각을 성찰한 수필이다.
문학이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돕고, 삶의 의미를 깨닫게 한다는 점을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수업의 포인트 작품 개관
•글쓴이의 경험과 깨달음 파악하기 갈래 현대 수필
•작품 제목의 의미와 글을 쓴 의도 파악하기 성격 사색적, 교훈적
•‘타인과의 소통’의 측면에서 작품의 주제 파악하기 제재 풀독이 오른 경험
주제 인간 중심적 사고에 대한 비판과 반성
① ‌글쓴이의 경험을 통해 인식을 변화를 드러
냄.
특징

성난 풀잎 | 이문구
② ‌자연의 본성과 관련된 말을 인용하여 내용
을 효과적으로 전달함.

작품 감상 애니메이션

작품 감상 음성

인용
‘처음’ 부분의 내용 전개 - 인 처음 예로부터 하늘과 땅은 어질지가 않다[天地不仁]는 말이 있다. 온갖 생물을 낳
용과 예시 천지가 만물을 생성함에 있어, 억지로 인심을 쓰지 아니하고 자연 그대로 맡김.
인용 고 기르면서도 그 생물들 가운데 어느 것을 편들거나 어느 것을 떼치거나 하지
•‘하늘과 땅은 어질지가 않 특정 생물만 이롭게 하거나 해롭게 하지 않고(동등하게 하고)
다.’라는 말 않고 자연에 그대로 맡긴다는 뜻이다. 서양의 한 자연주의 작가 역시 자연은 인
•‘자연은 인간의 운명에 대해 인위적이지 않음. 인용
관심을 두지 않는다.’라는 말 간의 운명에 대해 관심을 두지 않는다고 말한 적이 있다. 이를테면 『큰 잉어가 어 5

예시 예시 『』: 점강법

•물고기의 먹이 사슬
린 붕어를 먹고, 큰 붕어가 어린 피라미를 먹고, 큰 피라미가 어린 송사리를 먹
•고기잡이 늙은 아비와 딸 이
야기 고, 큰 송사리가 어린 생이를 먹고 살더라도 말리지 않으며,』 『넓고 넓은 바닷가의
『』: 인간 세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
오막살이집에서 늙은 아비가 고기잡이를 하며 철모르는 딸과 함께 살다가 배가
뒤집혀 돌아오지 않는다고
』 하더라도 모르쇠를 댄다는 것이다.

☐ : ① 인간의 의지나 노력 그러고 보면 ‘자연스럽다’라는 말처럼 매몰스럽고 정나미가 떨어지는 말도 드 10

과 무관하며, 인위적인 조작 인간의 노력이나 의지와는 무관하기 때문에


이 개입하지 않음. 물 것 같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인간의 이기주의적인 생각에 지나지 않
② 자연과 인간을 비롯한 모
든 존재가 근원적으로 동등 는다. 자연은 인간의 힘을 더하지 않은 채 우주 사이에 저절로 된 그대로 그냥 있
함. 자연의 본성
는 것이 제 본성이기 때문이다. ▶ 자연의 본성에 대한 인식

중간 아무 데나 나는 풀도 이름이 없는 풀은 없다고 한다. 그러나 농부는 저마다 논


모든 존재는 저마다 가치를 지님.
밭에 심고 가꾸는 것이 아닌 것은 죄다 잡풀이라고 한다. 『자기에게 필요할 때는 15
농부가 인식한 가치
나물도 되고 화초도 되고 약초도 되고 목초도 되고 거름도 되고 하는 풀도 필요
『』: 견강부회(牽强附會). 이치에 맞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 붙여 자기에게 유리하게 함.
가 없을 때는 잡풀이 되는 것이다.』 잡풀로 그치는 것만도 아니다. 논밭에 나서 서
로가 살려고 작물과 경쟁을 할 때는 여지없이 농부의 원수가 되어 낫에 베이거나
떼치다 어떤 생각이나 정(情) 호미에 뽑히거나 농약에 마르거나 하여 덧없이 죽어 가기 마련이다. 논밭의 작
따위를 딱 끊어 버리다. 농사에 방해되기 때문에
생이 새뱅잇과의 민물 새우. 물은 주인의 발걸음 소리에 자란다는 말을 들을 때 잡풀의 서러움은 그 무엇에 20
주인의 끊임없는 관심과 사랑으로 자란다는 의미
모르쇠 아는 것이나 모르는 것
견주어 말한대도 성에 찰 리가 없을 터이다. ▶ 농부에게 가치 없는 존재인 잡풀
이나 다 모른다고 잡아떼는 것.
집터서리 집의 바깥 언저리. 나는 장마 전에 시골집에 가서 고추밭과 집터서리에 뒤덮인 잡풀을 이틀에 걸

20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20 2019. 1. 8. 오후 10:10


쳐서 뽑고 베고 하였다. 장마가 지면 고추밭이 풀밭이 되고 울안의 빗물도 빠지
지 않아서 나간 집이나 다름이 없어질 터이기 때문이었다. 풀을 뽑고 베는 동안
사고나 충격으로 부서진
에 팔과 다리에 ‘풀독’이 올랐다. 『뽑히고 베일 때 성이 난 풀잎에 팔과 다리가 긁
풀이나 나뭇가지에 긁히거나 쏘여 피부가 쓰리고 가려운 증상이 나타남.
히더니 이윽고 벌겋게 부르트면서 옻이나 옴이 오른 것처럼 가렵고 따갑고 쓰라
5 려서 안절부절못하게 된 거였다.』 『』: 풀독의 증상이 나타나 고통스러웠던 경험을 제시함.
약국에서는 접촉성 피부염이라면서 먹는 약과 바르는 약을 주었지만, 열흘이
인위적인 치료 ①
지나고 보름이 지나도 가라앉지 않았다. 누구는 병원의 주사 한 방이면 직방으 글쓴이가 풀독이 올랐는데도
인위적인 치료 ② 병원을 끝내 찾지 않은 까닭은
로 나을 텐데 미련을 떤다고 흉을 보기도 했다. 그러나 장마가 끝나도록 병원을 무엇일까?
예시 답 풀독의 상처를 약이나
찾지 않았다. ▶ 풀독이 올라 힘들었던 ‘나’의 경험 주사와 같은 인위적인 방법이 아
니라 자연의 순리대로 치유하는

10 한갓 잡풀일망정 뽑히고 베일 때 왜 느낌이 없을 수 있겠는가. 느낌이 있다면 것이 옳다고 생각하여 병원을 찾
겨우 느낌이 있다.(설의법) 지 않았다.
왜 가만히 있을 수 있겠는가. 자연스럽다는 것은 본디 인간의 뜻과 무관한 것이 울안 울타리를 둘러친 안.
풀독은 풀이 자신을 해치려는 존재에게 반발한 작용임.(설의법) 인간의 의지와 관련이 없음. 옴 옴진드기가 기생하여 일으
아니었던가. 풀독은 근 달포나 되어서야 자연스럽게 가라앉았다. 키는 전염 피부병.
인위적인 처방 없이 자연스럽게 원래대로 돌아감. 직방 어떤 결과나 효과가 지체
▶ 자연스럽게 가라앉은 풀독
없이 곧바로 나타나는 일.

제재 정리
달포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

글쓴이의 인식 변화
잡풀은 필요가 없으므로
풀독이 이기주의적 사고,
뽑고 베어 내야 한다고 생
오르기 전 인간 중심적 사상
각함.
 풀독이 오름.
잡풀도 인간과 동등하게 자
풀독이 이타주의적 사고,
신을 인위적으로 해하려는
오른 후 생명 존중 사상
대상에 반발할 수 있음.

제목의 의미와 글을 쓴 의도

성난 인간 중심적인 사고로 자연의 순리를 거스르는 삶의


풀잎 태도를 경고하고 질책하는 존재

인간 중심적 사고에 대해 비판하고 반성하기 위해 글을 씀.

작품 구성
처음 자연은 우주 사이에 저절로 된 그대로 그냥 있는 것이 본성임.
중간 ‘나’는 풀독이 올라서 고통스러웠지만 병원을 찾지 않음.
끝 병원에 가지 않고 자연스럽게 ‘나’의 풀독이 가라앉음.

⑴ 문학의 본질 21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21 2019. 1. 8. 오후 10:10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 작품 속 인물의 관점을 비교하여 〈성  오봉옥의 시 〈등불〉을 감상하며 문


주요 구절과 제목의 의미를 파악하
난 풀잎〉의 주제를 파악하고, 자신의 학의 윤리적·인식적 기능의 의미 살
며 〈성난 풀잎〉의 내용 이해하기
태도 성찰하기 펴보기

1 〈성난 풀잎〉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자연스럽다’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본 후, 이 작품에서는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말해

활동 1 지도 방안
보자.
작품의 주요 구절에 대한 의
미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시 답 •억지로 꾸미지 아니하여 이상함이 없다.
하여 작품 제목의 의미를 생각 사전적 의미 •순리에 맞고 당연하다.
해 보는 활동이다. 글쓴이가 어 •힘들이거나 애쓰지 아니하고 저절로 된 듯하다.
떤 경험을 하였으며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삶의 태도가 자연스럽다
무엇인지 정리해 보도록 한다. 예시 답 •인간의 의지나 노력과 무관하며, 인간의 인위적인
이 작품에서의 의미 조작이 개입하지 않았다.
•모든 존재가 근원적으로 동등하다.

⑵ 이 작품의 제목인 ‘성난 풀잎’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말해 보자.


예시 답 인간 중심적인 사고로 자연의 순리를 거스르는 삶의 태도를 경고하고 질책하는 존재를 의미한다.

2 문학의 인식적, 윤리적 기능을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잡풀’을 바라보는 ‘농부’와 ‘나’의 관점을 비교해 보자.


문학 작품에 담긴 다양한 삶
의 모습은 독자가 자기 삶을 비 농부 나
추어 보는 거울이 되며, 타인과
의 관계를 반성하고 발전시켜 논밭에 심고 가꾸는 것이 아 한갓 잡풀일망정 뽑히고 베일
나가는 계기가 된다. 이를 통해
닌 것은 죄다 잡풀이다. 잡풀 때 왜 느낌이 없을 수 있겠는가.
독자는 인간과 세계를 깊이 있
게 이해하고 삶의 의미를 깨달
을 수 있다.
활동 2 지도 방안
관점 관점
문학의 인식적 기능과 윤리적
기능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농 예시 답 오직 인간에게 이로운지 해로 예시 답 인간 중심적 사고를 벗어나 대
부’와 ‘나’가 ‘잡풀’을 바라보는 운지만을 중심으로 어떤 상황이나 사태 상의 입장을 헤아려서 어떤 상황이나
관점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를 파악하는 관점 → 이기주의, 인간 중 사태를 파악하는 관점 → 이타주의, 생
글쓴이가 인간과 세계의 관계를 심 사상 명 존중 사상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이해하
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자
신의 삶의 태도를 성찰해 보도
록 한다.

질문으로 끌어 주기 ⑵ ‘타인과의 소통’이라는 측면에서 이 작품의 주제를 정리해 보자.


•이 작품에서의 ‘인간’과 ‘자연’
의 관계를, ‘자신’과 ‘타인’으로 예시 답 타인의 존재를 동등하게 인식함으로써 얻게 되는, 자기중심적 사고에 대한 비판과 반성
옮겨서 생각해 보세요.
•이 작품의 ‘나’는 타인과 어떻
게 소통해야 한다고 생각할까
요? ⑶ 평소에 타인을 대하는 자신의 태도를 돌아보며, 이 작품을 읽은 후의 느낌을 말해 보자.
•앞서 생각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2-(2)를 정리해 봅시다. 예시 답 나는 그동안 이기적이고 자기중심적 태도로 다른 사람을 대했던 것 같아. 이 작품을 읽은 후 다른 사람이나
생명의 입장을 고려하여 이해하려는 태도를 지녀야겠다고 생각했어.

22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22 2019. 1. 8. 오후 10:10


3 다음 작품에서 시적 화자가 ‘두 아이에게서 배운 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문학 작품을 통해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 것의 의미를 생각해 보자.

〈등불〉은 생활 속의 작은
경험에서 발견한 삶의 가치와
그것의 의미를 말하고 있는 작 이렇게 환한 등불 본 적 있나요
품이다. 자아와 타자의 관계를 개미 두어 마리가 죽은 나방을 움켜쥐고
새로운 눈으로 성찰할 수 있게 인간이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존재
영차 영차 손잔등만 한 언덕을 기어오를 때
한다.
공놀이하던 한 아이가 잠시 길을 비켜 줍니다 ◯: 높임의 어미 ‘-ㅂ니다’ 사용
활동 3 지도 방안    생명 존중의 태도 ①
순간 개미의 앞길이 환해집니다 ▶ 개미를 위해 길을 비켜 주는 아이
〈성난 풀잎〉을 통해 이해한
문학의 인식적 기능과 윤리적
기능을 바탕으로 하여, 현대시
〈등불〉을 감상해 보는 활동이 이렇게 빛나는 등불 본 적 있나요
다. 글쓴이의 깨달음이 직접적
으로 드러나는 수필과 달리, 시 일곱 살짜리 계집아이가 허리 꺾인 꽃을 보고는
에서는 시적 화자의 어조와 태 인간이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존재
도 등을 중심으로 문학의 인식 냉큼 돌아서 집으로 달려가더니
적·윤리적 기능을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밴드 하나를 치켜들고 와 허리를 감습니다
   생명 존중의 태도 ②
순간 눈부신 꽃밭이 펼쳐집니다 ▶ 허리 꺾인 꽃을 치료해 주는 아이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성찰적 오늘 난 두 아이에게서 배웁니다
생명을 존중하는 두
제재
아이를 본 경험
우리는 모두 누군가의 등불이 될 수 있다는 걸 ▶ 아이들에게서 배우는 생명 존중의 태도
두 아이에게서 배운점 - 생명 존중의 태도
주제 생명 존중의 태도 - 오봉옥, <등불>
① ‌생명을 존중하는
두 아이를 본 경험
을 병렬적으로 제
시하여 주제를 효
특징 과적으로 전달함.
② ‌높임의 어미 ‘-ㅂ니
다’를 사용하여 두
아이에 대한 존경
의 태도를 드러냄.
예시 답 •시적 화자가 두 아이에게서 배운 점: 시적 화자는 곤충이나 꽃과 같이 인간이 쉽게 지나칠 수 있는 존
재를 배려하는 따뜻한 마음을 아이들에게서 배우고 있다.
•문학 작품을 통해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 것의 의미: 〈등불〉을 감상하면서 통해 타자를 바라보는 관습적이고
상투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생명 존중에 대한 교훈과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이처럼 문학 작품은 간접적인 경험
을 제공하여 인간과 세계를 바라보는 시선을 확장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2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성난 풀잎〉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이문구의 대표 연작 소설집으로, 총 8편으로 구성
예시 답 이 작품은 잡풀을 대하는 농부의 태도와 잡풀을 제거하다
이문구의 되어 있다. 1인칭 서술자인 ‘나’를 통해 어린 시절
가 풀독이 오른 글쓴이의 경험을 통해 인간 중심적인 사고에 대한 《관촌 수필》 에 대한 추억과 농촌의 세태를 충청도 사투리를
비판과 반성의 태도를 보여 주고 있어. 이렇게 일상적인 경험을 통 사용하여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음을 안내한다.
해 인간과 세계에 대한 큰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니 신기해.
‘개’와 ‘이’의 죽음을 소재로 하여 사물의 본질을
나의 책방 키우기 제대로 보아야 한다는 교훈을 주는 한문 수필이
이규보의
다. 사물의 이치를 풀이하고 자신의 의견을 덧붙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이문구의 《관촌 수필》 〈슬견설〉
여 독자에게 깨달음과 교훈을 주고 있는 다른 한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이규보의 〈슬견설〉 문 수필들과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다.

⑴ 문학의 본질 23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23 2019. 1. 9. 오후 4:15


‘소단원 정리하기’ 지도 방안
•문학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학습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개념 정리’,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도
록 한다.

(1 ) 문학의 본질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개념 정리 평가 자료
•어휘 평가 •서술형 평가
•쪽지 시험 •수행 평가
•소단원 평가

문학의 본질이란 무엇인가.


‘문학’이란 말의 사전적 의미는 ‘사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한 예술’이다. 이때 ‘사상’이란 우리가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보고 떠올리는 여러 가지 생각을 뜻하고, ‘감정’이란 어떤 대상을 보고 갖게 되
는 느낌을 말한다. 이러한 생각과 느낌을 예술에서는 음악, 미술, 문학 등 그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표현한다. 미술은 선과 색채, 형태 등으로 그것을 표현하고, 음악은 음성이나 악기로 표현
한다. 문학은 언어로 생각과 느낌을 표현한다는 점에서 다른 예술과 차이가 있다. 그래서 문학을 언
어 예술이라 부르기도 한다. ▶ 문학의 개념

문학의 본질은 문학이 우리 삶에서 지니는 다양한 기능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이는 ‘문학이
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 바로 ‘문학 작품을 읽으면 어떤 점이 좋을까?’에
대한 대답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우리는 평소에도 문학 작품을 읽는다. 도대체 무슨 까닭으로 읽는 것일까? 무엇
보다 문학 작품이 우리에게 정서적으로 위안을 주거나 아름다움을 느끼게 한다는
점이 첫 번째 이유가 된다. 또한, 자신과 자신이 속한 세계를 잘 알게 하고 성찰
하게 한다는 점, 삶이 지닌 가치와 의미를 깨닫게 한다는 점이 또 다른 이유
가 될 것이다. 문학이 우리 삶에서 지니는 기능을 이해할 때 문학을 더욱
깊이 있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 문학의 본질
신윤 은 음 현한




정을

〈청 나 악



상 기등
련(
다.

聽 으로

賞 생각

)〉 과

일부

빈센트 반 고흐
필 원고 의 〈별이 빛나는
〈서시〉 육 현한다. 미술은 선과 색 밤〉
윤동주의 감정을 표 채, 형태 등으로
은 언어 로 생각과 생각과 감정을
표현한다.
문학

24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24 2019. 1. 8. 오후 10:10


1-⑴단원 개념 정리 ① 1-⑴단원 개념 정리 ②
문학의 본질 문학의 기능
문학 어떤 대상을 보고 떠오르는 가치 문학이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를 도움. → 작품을 읽
인식적 기능
 있는 생각이나 느낌을 언어로 형 으면서 자신의 문제, 사회 상황 등을 이해할 수 있음.
사상이나 감정을 언
어로 표현한 예술 상화하여 표현하는 언어 예술 문학을 통해 삶의 의미를 깨닫게 됨. → 작품을 통해 삶
윤리적 기능
의 의미나 더 나은 삶 등에 관한 깨달음을 얻음.
문학은 정서적·미적으로 삶을 고양함. → 작품에 나타
정서적·미적
난 탁월한 언어 표현을 보며 정서적·미적으로 감동과
기능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음.

문학은 정서적·미적 기능, 인식적 기능, 윤리적 기능을 지닌다.


문학은 정서적ㆍ미적 기능과 인식적 기능, 윤리적 기능 등을 지닌다. 먼저 정서적ㆍ미적 기능은 문
학이 우리를 정서적ㆍ미적으로 고양하는 기능을 말한다. 문학 작품에 나타난 아름답고도 탁월한 언어
표현을 보며 우리는 정서적으로나 미적으로 그 이전에 경험하지 못하였던 감동과 즐거움의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 〈배를 매며〉 14쪽  를 감상하며 이 작품에 나타난 아름답고 탁월한 표현을 통하여 감
성의 세계에 빠져들 수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 문학의 정서적·미적 기능

인식적 기능은 문학이 우리 자신과 자신이 속한 세계를 더욱 잘 이해하고


성찰하게 하는 기능을 말한다.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평소에 잘 생각하지
않았던 자신의 문제나 자신이 속한 사회의 상황을 거리를 두고 바라보
며 이해하고 성찰하게 되는 것이다. 〈성난 풀잎〉 20쪽을 읽고 우리 사
회가 지닌 인간 중심적인 사고의 문제점을 알고 성찰하게 되는 것이 그
예가 된다. ▶ 문학의 인식적 기능

윤리적 기능은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삶이 지닌 가치나 의미를 깨닫게


되는 기능을 뜻한다. 문학 작품을 통해서 자신이 왜 사는지, 이렇게 사는
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더 나은 삶이란 무엇인지 등의 깨달음을 얻
을 수 있다는 것이다. 〈성난 풀잎〉을 감상하면서 모든 존재의 가치를 인
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삶임을 깨닫게 되는 것은 좋은 예가 된다.
▶ 문학의 윤리적 기능

평가
점검 사항
상 중 하

문학이 정서적·미적으로 삶을 고양한다는 점을 이해하며 문학 활동을 할 수 있다.


이 단원에서 ▶ 교과서 17쪽 2-⑶번, 18쪽 3번 문제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문학을 통해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인식을 넓히고, 삶의 의미를 깨닫게 된다는
점검해 보자. 점을 이해할 수 있다. ▶ 교과서 22쪽 2번, 23쪽 3번 문제

⑴ 문학의 본질 25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25 2019. 1. 8. 오후 10:10


작곡가는 다양한 음악적 요소를 의도에 따라 배열하고 조직하여 하나의 곡을 만

문학의 든다. 그러나 단순히 요소를 섞는다고 해서 음악이 되는 것은 아니다. 문학도 이

와 비슷하다. 작가는 자신의 의도에 따라 문학적 요소를 조화롭게 배열하여 작품을 창


내용과 내용과 형식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작하는데, 이 문학적 요소가 바로 ‘내용’과 ‘형식’이다. 작가는 내용과 형식을 유기적으로
생물체처럼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이 서로 밀접하게

형식 결합하여 하나의 작품을 만들어 낸다. 관련을 가지고 있어서 떼어 낼 수 없는. 또는 그런 것

이 단원에서는 언어 예술인 문학이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결합물임을 이해하면서 작


스마트 수업 PPT

품을 깊이 있게 감상하는 능력을 키워 보자.

세 번째 질문 이끌기
이 단원을 학습한 학생들이 궁극적
으로 도달해야 할 학습 목표와 관련된
질문이다. 본격적으로 학습을 시작하
기 전에, 문학 작품의 내용과 형식이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미리 생각
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문학 작품을 감상하며 내용
생각해 보자. 문학의 내용과 형식은 서로
과 형식의 특징을 파악한다.
어떤 관계를 맺고 있을까?
문학 작품의 내용과 형식이 소단원 도입 애니메이션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한다.

문학의 내용과 형식은 문학의 내용과 형식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
소단원 수업은 이렇게
이 단원은 문학 작품의 내용과
형식이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첫 번째 질문 이끌기 두 번째 질문 이끌기
이해하며 감상하는 것이 목표이
다. 문학 작품은 내용과 형식이 유 문학 작품의 내용과 형식이 무 문학의 내용과 형식을 파악하는
기적으로 짜인 언어 예술이다. 문 엇을 의미하는지 확인하는 질문이 방법에 대한 질문이다. 내용과 형
학 작품의 내용은 삶에 대한 작가 다.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작품 식이 의미하는 바를 떠올리며 각
의 탐구에서 비롯되며, 이를 통해 을 예로 들어 내용과 형식의 개념 각의 특징을 파악하는 방법을 생
형성된 작가의 가치관과 세계관은 을 말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작품 속에서 주제 의식으로 구현
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학의 내용
과 주제 의식은 문화적·관습적으
로 형성된 여러 가지 언어 형식으 이 단원에서는 
로 표현된다. 이 단원에서는 작품
의 주제 및 내용과 언어적 표현 사 1 〈 어부사시사〉를 감상하며 시조의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관계를 이해해 보자.
이의 유기적 관련성을 찾아보고, ▶ 교과서 27쪽, 지도서 82쪽
이를 고려하여 문학 작품을 깊이 2 〈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을 감상하며 소설의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관계를 이해해 보자.
있게 감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교과서 33쪽, 지도서 90쪽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 교과서 42쪽, 지도서 81쪽

26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26 2019. 1. 8. 오후 10:10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작가가 65세 때 보길도에서 한적한 나날을 보내며 지은 연
시조로, 사계절의 흥취를 춘하추동 각 10수씩 모두 40수에 걸쳐 노래한
1
작품이다. 각 계절의 10수는 출항에서 정박까지 어부의 하루 일과를 시간
순서대로 읊으면서, 세속을 벗어나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살며 자연과 합
일을 추구하는 삶의 경지를 그리고 있다. 특히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리면서도 한자어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세련된 언어 표현이 돋보인다.
따라서 이 작품은 문학 작품의 내용 및 주제, 시조의 형식, 다양한 언어
수사와 우리말의 아름다운 표현 등 문학의 구성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어
우러진 작품의 표본이라 할 만하기에 선정하였다.

윤선도 (1587~1671) 작가 동영상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인. ‘자연 시인’이라 할 정도
제목 관련
작품의 제목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로 자연을 제재로 한 작품이 많았고, 자연 속의 삶을 아
질문의 예
름다운 우리말 표현으로 예찬한 작품을 다수 남겼다.
작가 관련 주요 작품으로 〈견회요〉, 〈만흥〉 등이 있다.
이 작가에 대해서 알고 있는 정보가 있나요?
질문의 예

경험 관련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한가롭게 있어 본 경험이 있나


질문의 예 요?
 사계절을 대표하는 이미지는 무엇일까?
 바닷가의 풍경을 보면 어떤 느낌이 드는

가?

예시 답 어부가 보내는 사계절은 어떤 모습일까?

⑵ 문학의 내용과 형식 27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27 2019. 1. 8. 오후 10:10


〈어부사시사〉는 자연에서 살아가는 모습을 계절별로 각각 10수씩 읊은 40수의 연시조이다.
시조의 형식이 주제를 구현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수업의 포인트 작품 개관
갈래 연시조(총 40수)
•사계절을 짐작할 수 있는 시어 찾아보기
성격 풍류적, 자연 친화적
•시적 화자의 정서 및 태도 이해하기
•작품의 형식적 특징 및 형식과 내용(주제)과의 관계 파악하기 제재 어촌의 자연과 어부의 삶
주제 자연 속에서 한가롭게 살아가는 어부의 흥취
① 시간의 흐름(계절의 변화)에 따라 시상을 전개함.
특징 ② 대구법, 은유법, 반복법 등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함.
③ 여음구를 배치하여 작품의 흥을 돋우고 내용에 사실감을 더함.

어부사시사 (漁父四時詞) | 윤선도


참고 동영상 - 윤선도의 시 세계

춘사(春詞) 1
「압개예 안개 것고 뒫뫼희  비췬다」 「」 : 대구법

 떠라  떠라 → 여음구 ①: 하나의 계절 안에서 각 수마다 다르게 나타남.


배 띄워라
밤믈은 거의 디고 낟믈이 미러 온다
지국총 지국총 어와 → 여음구 ②: 각 수에 동일하게 나타남.
강촌 온갓 고지 먼 빗치 더옥 됴타 ▶ 강촌의 아름다운 봄 풍경
◯: 계절감을 드러내는 시어 좋다

하사(夏詞) 2

년닙희 밥 싸 두고 반찬으란 쟝만 마라
안분지족(安分知足)
닫 드러라 닫 드러라

쳥약립은 써 잇노라 녹사의 가져 오냐


닻 들어라

밤믈 썰물.
낟믈 밀물. 지국총 지국총 어와
무심 구 내 좃가 제 좃가
지국총(至匊悤) 닻을 감거나 노
▶ 물아일체된 삶의 즐거움
를 저을 때 찌그덩 하는 소리.
욕심 없는 자연과 시적 화자가 하나가
어와 (於思臥) 배를 저을 때 된 물아일체의 경지
내는 의성어.
쳥약립(靑篛笠) 푸른 갈대로 만
시적 화자의 정서 및 태도
든 삿갓.
녹사의(綠蓑衣) 도롱이. 짚이나 •사계절의 아름다운 풍경을 즐김.
•자연과 하나가 된 물아일체의 삶을 즐김.
풀 따위로 엮어 만든 재래식 비
•속세를 떠나 자연 속에서 한가롭게 지내는 것에 만족함.
옷.
구(白鷗) 갈매기.

속세를 벗어나 자연 속에서 한가롭게 사는 삶을 추구함.

28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28 2019. 1. 8. 오후 10:10


여음구의 특징과 효과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관계
초장과 중장 사이의 중장과 종장 사이의 내용 형식
여음구 여음구
•연시조의 형식을 취함.
노 젓는 소리(지국총)와 노 자연에서 즐기는 흥취와
출항부터 정박까지의 과정 •여음구를 사용하여 변화
저을 때 외치는 소리(어사 여유로움
을 순서대로 보여 줌. 를 줌.
와)를 나타냄.

 
자연 속 삶의 흥겨움이라는 내용을 연시조와 여음구라는 형식
•작품에 사실감을 부여함. 에 유기적으로 담아냄.
작품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흥취를 북돋움.
줌. •평시조의 단조로운 흐름에
변화를 줌.

추사(秋詞) 2

슈국의 히 드니 고기마다 져 읻다


바다 가을 가을의 풍성함
닫 드러라 닫 드러라
만경딩파의 슬지 용여쟈
지국총 지국총 어와
시적 화자의 여유로운 태도

인간을 도라보니 머도록 더옥 됴타 ▶ 속세를 떠나 사는 어부의 즐거운 삶


속세를 멀리하고 자연에 몰입하고자 하는 태도

동사(冬詞) 4

간밤의 눈 갠 후에 경믈이 달랃고야


지난 밤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경치 → 온 세상에 눈이 내려 하얗게 덮임. 만경딩파(萬頃澄波) 한없이 넓


이어라 이어라 은 바다나 호수의 푸른 물결.

압희 만경류리 뒤희 쳔텹옥산


노 저어라
슬지 실컷. 마음껏.
용여(容與)쟈 느긋한 마음으
지국총 지국총 어와 로 여유 있게 놀자.
인간 (人間) ‘인생 세간(人生世
선계ㄴ가 불계ㄴ가 인간이 아니로다 ▶ 눈 덮인 겨울 강촌의 아름다움
間)’의 준말. 속세.
신선 세계 불교의 극락세계
이어라 ‘노를 저어라’라는 의미
제재 정리 의 여음구.
만경류리(萬頃琉璃) ‘만 이랑의
유리’라는 뜻으로, 유리처럼 맑
고 평온한 아름다운 바다를 이
작품 구성
르는 말.
춘사 1 강촌의 아름다운 봄 풍경
하사 2 물아일체된 삶의 즐거움 쳔텹옥산(千疊玉山) 수없이 겹
추사 2 속세를 떠나 사는 어부의 즐거운 삶 쳐 있는 눈 덮인 산.
동사 4 눈 덮인 겨울 강촌 아름다움

⑵ 문학의 내용과 형식 29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29 2019. 1. 8. 오후 10:10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어부사시사〉의 구성을 바탕으로 주요 시  시조로서 〈어부사시사〉의 형식적 특징을  박목월의 시 〈청노루〉를 감상하며 시상
어를 파악하고 시적 화자의 정서 및 태도, 파악하며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관계 이 전개 방식을 중심으로 문학의 형식과 내
추구하는 삶의 모습 이해하기 해하기 용의 연관성 이해하기

1 〈어부사시사〉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은 어부의 사계절을 소재로 하고 있다. 각 수에서 계절을 짐작할 수 있는 시어를

활동 1 지도 방안
찾아보자.
문학 작품의 전반적인 내용
을 이해하고 시적 화자가 추구 춘사 1
하는 삶의 모습을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어부사시사〉에 드러
난 계절적 배경과 시적 화자의
온갖 꽃
정서 및 태도를 정리하고, 그것
을 바탕으로 시적 화자가 추구
하는 삶의 모습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안내한다.
하사 2 동사 4

계절감을
예시 답 연잎, 청약립, 녹사의 예시 답 눈, 천첩옥산
드러내는 시어

추사 2

예시 답 가을, 살진 고기

시적 화자는 고기잡이를 ⑵ 각 수의 종장을 중심으로 시적 화자가 자연을 인식하는 태도 및 정서를 정리해 보자.
생업으로 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어. 시적 화자에게 ‘자 강촌의 아름다운 봄 풍경을 감상하며 만
연’이 어떤 공간인지 생각해 보 춘사 1 강촌 온갓 고지 먼 빗치 더옥 됴타
족스러워함.
면 화자의 정서를 잘 이해할 수
있을 거야.
무심 구 내 좃가 제 좃가
예시 답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살며 물아일체
‘이끌기’ 플러스 하사 2 의 즐거움을 느낌.
조선 시대의 시조에는 자연
을 예찬하고 그 속에 묻혀 살면
서 유교적 관념을 노래한 강호
가도(江湖歌道) 경향의 작품들 예시 답 속세를 떠나 자연 속에서 한가롭게 지
추사 2 인간을 도라보니 머도록 더옥 됴타 내며 만족감을 느낌.
이 많았다. 〈어부사시사〉 역시
그러한 경향의 작품으로, 여기
서의 어부(漁父)는 고기잡이를
생업으로 하는 사람이 아닌 취
예시 답 속세를 초월한 듯한 겨울 풍경을 보며
미로 고기를 잡는 풍류객을 의 동사 4 선계ㄴ가 불계ㄴ가 인간이 아니로다 감탄함.
미한다.

⑶ ⑵를 바탕으로 하여 이 작품의 시적 화자가 추구하는 삶의 모습을 생각해 보자.


예시 답 시적 화자는 속세를 벗어나 자연과의 합일을 추구하며, 한가롭고 소박한 삶을 살고자 한다.

30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30 2019. 1. 8. 오후 10:10


시상
과내

활동 2 지도 방안
2 시조에 나타난 내용과 형식의 관계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이 일반적인 시조의 형식과 다른 점을 말해 보자.


문학 작품이 내용과 형식의
예시 답 •초장과 중장 사이, 중장과 종장 사이에 여음구가 있음.
유기적 결합으로 이루어진 하나
•종장의 첫 구의 시작이 세 글자가 아닌 경우가 있음.
의 예술임을 이해하기 위한 활
•계절별로 10수씩 총 40수의 연시조로 이루어짐.
동이다. 시조의 일반적인 형식
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어부
사시사〉의 형식적 새로움이 무
엇인지 찾아보도록 하고, 그것 ⑵ 이 작품에 사용된 여음구를 찾아보고, 그 효과가 무엇인지 정리해 보자.
이 작품의 내용과 어떤 연관성
을 맺고 있는지 살펴보는 데 초
점을 두도록 한다. 여음구 여음구의 효과
‘도움말’ 플러스
여음
여음은 조흥구와 후렴구를 포 초장과 중장 예시 답  떠라  떠라, 닫 드 러 예시 답 출항에서 정박까지의 시상의 흐름을 정연하
함하며, 시나 노랫말에서 가사 사이의 여음구 라 닫 드러라, 이어라 이어라 게 보여 주어 작품을 유기적으로 연결해 줌.
의 앞·가운데·뒤에 위치하여
의미 표현보다는 감흥과 율조에
영향을 미치는 어절이나 구절 예시 답 •시상 전개에 사실감을 부여하고 시적 화자
을 이르는 말이다. 종류로는 악 중장과 종장 의 흥취를 북돋움.
기의 소리를 모방한 의성어, 감 예시 답 지국총 지국총 어와
사이의 여음구 •‌평시조의 단조로운 흐름에 변화를 주어 시적 분위기
동적 심리 상태를 표현하는 감
를 살림.
탄사, 뜻이 들어 있는 어절 등이
있다.

⑶ 다음은 이 작품의 형식에 대한 설명이다. 이를 참고하여 작품의 형식이 주제를 구현하는


〈어부사시사〉의 여음구(초장
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탐구해 보자.
과 중장 사이)는 춘사, 하사, 추사,
동사에서 다음과 같이 반복적으
로 나타난다. 〈어부사시사〉는 일반적인 시조의 형식을 따르면서도 여음구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
•제1수:  떠라  떠라
•제2수: 닫 드러라 닫 드러라
징적이다. 초장과 중장 사이의 여음구는 배의 출항에서 정박까지의 과정을 보여 주고
•제3수: 돋 라라 돋 라라 있어서 한 계절 안에서도 수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중장과 종장 사이의 여음구는 노
•제4수: 이어라 이어라
젓는 소리와 노를 저을 때 외치는 소리를 표현한 의성어로, 모든 수에 공통으로 나타
•제5수: 이어라 이어라
•제6수: 돋 디여라 돋 디여라 난다.
•제7수:  셰여라  셰여라
•제8수:  여라  여라 예시 답 이 작품은 시조의 기본적인 형식을 지키면서도 여음구를 사용하여 형식적인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제9수: 닫 디여라 닫 디여라 특징으로 인해, 속세에서 벗어나 자연에서 살아가는 즐거움과 흥취라는 작품의 주제가 더욱 선명하게 드러난다. 이

•제10수:  브텨라  브텨라


처럼 문학 작품의 형식은 내용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주제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질문으로 끌어 주기
•이 작품의 여음구를 생략하여 낭송해 봅시다.
•여음구 없이 <어부사시사>를 낭송했을 때 어떤 느낌이 들었나요?
•여음구의 효과와 이 작품의 주제 사이에는 어떤 관련성이 있을까요?

⑵ 문학의 내용과 형식 31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31 2019. 1. 8. 오후 10:10


3 다음은 현대시 〈청노루〉이다. 이 작품의 시상 전개 방식에 유의하여 형식과 내용의 연관성에
대해 생각해 보자.

〈청노루〉는 청운사의 원경 시적 허용
과 근경을 통해 평화롭고 아름 머언 산 청운사(靑雲寺) ☐ : ‌시선의 이동
다운 자연을 노래한 작품이다. 푸른색 - 탈속적 이미지
낡은 기와집 ▶ 멀리서 바라본 청운사
짧은 시행 배열, 동적 이미지와
정적 이미지의 조화 등을 통해
탈속의 세계를 효과적으로 형상 산은 자하산(紫霞山)
화하고 있다. 보라색 - 환상적 분위기
봄눈 녹으면 ▶ 봄눈 녹는 자하산
활동 3 지도 방안 계절적 배경

현대시를 통해 문학 작품의
내용과 형식이 유기적으로 결합 느릅나무
하는 양상을 확인하는 활동이
다. 먼저 시를 낭송하며 운율이 속잎 피어 가는 열두 굽이를 ▶ 새잎이 나는 느릎나무
나 시상 전개 방법, 표현 방법이
어떠한지 살펴보고, 그러한 형식
적 특징이 시의 분위기나 주제
를 드러내는 데 어떤 역할을 하
청노루
맑고 순수한 존재
는지 생각해 보도록 한다. 맑은 눈에 ▶ 청노루의 맑은 눈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서경적, 묘사적 도는
제재 청노루
구름 ▶ 청노루의 눈에 비친 구름
주제 봄의 정경과 정취 탈속적 이미지
① ‌동적 이미지와 정
적 이미지가 조화
를 이룸.
특징
② ‌‌시행을 짧게 배열
하고 명사로 시를
종결함.

- 박목월, 〈청노루〉

예시 답 이 작품은 원경에서 근경으로의 시선 이동에 따라 시상이 전개되고 있다. 즉 시적 화자는 ‘먼 산의 청운사’


를 바라보는 데서 시작하여 ‘청노루의 눈에 비친 구름’으로 시상을 집중해 작품을 마무리한다. 또한 순수하고 맑은
느낌의 시어와 압축적인 리듬을 통해 탈속적인 자연의 정경을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시상 전개 방식이나 운율, 시
어 등의 형식적 요소는 작품의 내용과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주제를 형상화한다.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1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어부사시사〉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작가가 해남에 은거하고 있을 때 지은
예시 답 이 작품의 시적 화자는 번잡한 속세를 벗어나 자연 속에서 소박하게
전 6수의 연시조로, 시비나 명리에 대
살아가고 있어. 자신의 삶에 만족하며 즐겁게 살아가는 시적 화자의 모습이 윤선도의 한 다툼이 없는 삶, 자연에 묻혀 사는
인상적이야. 〈만흥〉 삶의 즐거움을 노래하고 있다. 시적 화
자가 추구하는 삶의 태도를 〈어부사시
나의 책방 키우기 사〉와 비교하여 감상하도록 한다.
월산 대군이 현실을 떠나 자연 속에 머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윤선도의 〈만흥〉

무르며 느낀 정서를 표현한 시조로, 세
월산 대군의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월산 대군의 〈추강에 밤이 드니〉 속적 욕심을 초월한 여유와 멋을 노래
〈추강에
하고 있다. 〈어부사시사〉와 유사한 주제
밤이 드니〉
를 다루면서도 형식적 특징이 어떻게
32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다른지 살펴보며 감상하도록 한다.

고등문학(010~055)1단원(교).indd 32 2019. 8. 21. 오후 1:38


2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작가 박태원의 자전적인 소설로, 발표 직후 새로운 형식의
소설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주인공인 구보가 집을 나서서 다시 집으로 돌
아오기까지 하루 동안에 겪은 여러 가지 일들과 그 속에서 반응하는 구보
의 의식 세계, 경성의 일상적 풍경 등이 내용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작가
는 의식의 흐름 기법, 몽타주 기법, 쉼표의 잦은 사용 등의 문학적 형상화
방법을 다채롭게 사용하여 주인공인 구보의 내면 의식을 효과적으로 보
여 주고 있다. 따라서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을 감상하며 문학 작품의
내용과 형식이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박태원 (1909~1986) 작가 동영상

소설가. 호는 구보(仇甫). 구인회(九人會)의 회원으로


활동하였으며, 문체와 표현 기교를 중시하면서도 당대
사회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인식을 보여 주는 소설을
주로 썼다. 주요 작품으로 〈천변 풍경〉, 〈피로〉 등이
있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제목을 통해 이 작품에서 다루어질 이야기가 무엇일  과거 서울의 풍경은 어떠했을까?


질문의 예 지 예측하고 자유롭게 말해 볼까요?
 소설가의 하루는 어떠할까?
삽화 관련 교과서 33쪽의 삽화에 있는 남자는 어떤 성격일까

질문의 예 요? 그렇게 생각한 까닭은 무엇인가요? 예시 답 혼자 도시를 걸으며 생각에 잠겨 본 경험

이 있는가?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⑵ 문학의 내용과 형식 33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33 2019. 1. 8. 오후 10:10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은 소설가 구보가 하루 동안 경성 거리를 배회하면서 보고 느낀 것을 그린 작품이다.
서술 방법과 문체가 주제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개관
갈래 현대 소설, 모더니즘 소설, 세태 소설, 심리 소설
수업의 포인트 성격 심리적, 관찰적, 묘사적
•구보가 여정에 따라 생각하고 느낀 점 정리하기 배경 1930년대의 어느 날 / 서울 시내
•작품의 서술 방법과 문체상 특징 파악하기 주제 무기력한 소설가의 눈에 비친 1930년대 서울의 일상과 그의 내면 의식
•작품의 서술 방법과 주제의 영향 관계 이해하기
① 특별한 줄거리 없이 주인공의 의식의 흐름에 따라 서술됨.
특징 ② 주인공의 하루 여정에 따라 사건이 전개되는 여로형 구성임.
③ 당대 서울의 모습과 세태를 구체적으로 보여 줌.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 박태원
작품 줄거리 애니메이션 참고 동영상 - 1930년대 문단 상황

작품 줄거리 음성 참고 동영상 - 1930년대 시대 상황

앞부분 줄거리
이 작품은 여정에 따라 구보의 스물여섯 살의 구보는 동경 유학까지 하고 돌아온 작가이지만, 직업도 없고 결혼도 하지 못해 늙은
생각이 두드러지게 변화하고 일제 강점기의 무기력한 지식인을 상징함.
어머니의 근심을 산다. 한낮에 집을 나선 구보는 경성 거리를 배회하다가 자신의 청력과 시력에 문제가
있다. 제시된 부분을 읽으면서 구보의 삶의 방향에 ‘현실성’이라는 영향력을 끼치는 존재
있다고 생각하며 불안감을 느낀다. 5
이를 정리해 보자.

구보는 ☐ : 첫 어절을 소제목처럼 처리함. 독자의 주의를 집중시키는, 창작 당시로서는 참신한 시도였음.
종로 네거리로 향하는 구
보의 생각: 갑자기 걸음을 걷기로 한다. 그렇게 우두커니 다리 곁에 가 서 있는 것의 무의
예시 답 대낮에도 제대로 현재형 서술 → ① 현장성을 느끼게 함. ② 독자가 인물을 진행형으로 따라가게 하는 효과를 줌.
볼 수 없는 자신의 시력을 미함을 새삼스러이 깨달은 까닭이다. 그는 종로 네거리를 바라보고 걷는다. 구
저주하고, 안과에 갔던 일
을 떠올리며 우울해함.
보는 종로 네거리에 아무런 사무(事務)도 갖지 않는다. 「처음에 그가 아무렇게나
내어놓았던 바른발이 공교롭게도 왼편으로 쏠렸기 때문에 지나지 않는다.」 10
「」 : 논리적이거나 인과적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구보의 발길이 닿는 대로 우연적으로 전개됨.
갑자기 한 사람이 나타나 그의 앞을 가로질러 지난다. 구보는 그 사내와 마주
칠 것 같은 착각을 느끼고, 위태롭게 걸음을 멈춘다. ▶ 종로 네거리로 걸어 감.

종 그리고 다음 순간, 구보는, 이렇게 대낮에도 조금의 자신을 가질 수 없는 자기





리 의 시력을 저주한다. 그의 코 위에 걸려 있는 이십사 도의 안경은 그의 근시를 도
가까운 데 있는 것은 잘 보아도 먼 데 있는 것은 선명하게 보지 못하는 시력
와주었으나, 그의 망막에 나타나 있는 무수한 맹점을 제거하는 재주는 없었다. 15
생리적인 시야 결손 부분, 시신경 통로인데 여기에 상이 맺히면 이를 감지할 수 없음.
총독부 병원 시대의 구보의 시력 검사표는 그저 그 우울한 ‘안과 재래(眼科再來)’
안과 재방문
의 책상 서랍 속에 들어 있을지도 모른다. ▶ 시력이 나빠진 것에 대해 생각함.

R,4 L,3
오른쪽 4, 왼쪽 3(구보의 시력)

구보(仇甫) 작가인 박태원의 호


구보는, 이 주일간 열병을 앓은 끝에, 갑자기 쇠약해진 시력을 호소하러 처음
(號)이자 필명. 열병을 앓은 이유는 나오지 않지만 열병 후 시력이 약해진 것으로 보아, 구보의 몸이 병약함을 추측할 수 있음.
경성(京城) 서울의 옛 이름. 으로 안과의와 대하였을 때의, 그 조그만 테이블 위에 놓여 있던 ‘시야 측정기’ 20

작품의 내용과 당대 현실

34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작품의 내용 당대 현실


소설가 ‘구보’가 하루 동안 경성 일제 강점기의 근대화된 도시
거리를 배회하면서 보고 느낀  (경성)에서 무기력하게 살아가
것들에 대해 서술함. 고 있는 사람들(지식인)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34 2019. 1. 8. 오후 10:10


사건 전개 방식

•‘발단 - 전개 - 위기 - 절정 - 결말’이라는 소설의 일반적인 구성 단계를 따르지 않음.


•인과 관계에 따른 일반적인 짜임이 아니라 단편적인 의식들을 보여 주는 방식으로 전개됨.
•여로형 구성, 원점 회귀형 구성을 보여 주며, 공간의 이동에 따른 전개 방식을 사용함.

를 지금 기억하고 있다. 제 자신 강도(强度)의 안경을 쓰고 있던 의사는, 백묵을


센 정도. 즉 눈이 나빠 도수가 높은 안경을 쓰고 있다는 뜻임. 화신 상회에 있는 구보의
가져, 그 위에 용서 없이 무수한 맹점을 찾아내었었다. ▶ 안과에 갔던 일을 생각함. 생각:
예시 답 행복을 자랑하고
그래도, 구보는, 약간 자신이 있는 듯싶은 걸음걸이로 전차 선로를 두 번 횡단 싶어 하는 젊은 내외의 마
음이 엿보이는 것 같아서
해 화신 상회 앞으로 간다. 그리고 저도 모를 사이에 그의 발은 백화점 안으로 들 그들을 업신여겨 볼까 하
1931년 한국인이 개설한 최초의 백화점 다가, 생각을 고쳐 그들을
축복하기로 함.
5 어서기조차 하였다.
「젊은 내외가, 너덧 살 되어 보이는 아이를 데리고 그곳에 가 승강기를 기다리
「」 : 구보의 분위기와 달리 단란하고 행복한 모습
고 있었다.」 이제 그들은 식당으로 가서 그들의 오찬을 즐길 것이다. 흘낏 구보를
점심 식사

본 그들 내외의 눈에는 자기네들의 행복을 자랑하고 싶어 하는 마음이 엿보였는 신


지도 모른다. 구보는, 그들을 업신여겨 볼까 하다가, 문득 생각을 고쳐, 그들을
10 축복해 주려 하였다. 사실, 「사오 년 이상을 같이 살아왔으면서도, 오히려 새로운
「」 : 구보는 사오 년 이상을 같이 살면 새로운 기쁨을 느끼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기쁨을 가져 이렇게 거리로 나온 젊은 부부는 구보에게 좀 다른 의미로서의 부러
움을 느끼게 하였는지도 모른다.」 그들은 분명히 가정을 가졌고, 그리고 그들은
그곳에서 당연히 그들의 행복을 찾을 게다.
▶ 백화점에 들어가 젊은 내외를 보며 행복에 대해 생각함.
승강기가 내려와 서고, 문이 열리고, 닫히고, 그리고 젊은 내외는 수남(壽男)
구보가 적당히 추측하여 붙인 아이의 이름
15 이나 복동(福童)이와 더불어 구보의 시야를 벗어났다.
구보는 다시 밖으로 나오며, 자기는 어디 가 행복을 찾을까 생각한다. 발 가는
안전지대
대로, 그는 어느 틈엔가 안전지대에 가 서서, 자기의 두 손을 내려다보았다. 한
손의 단장과 또 한 손의 공책과 ― 물론 구보는 거기에서 행복을 찾을 수는 없다. 안전지대에 있는 구보의
‘산책’을 의미함. ‘글쓰기’를 의미함. ▶ 밖으로 나오며 행복에 대해 계속 생각함.
생각:
안전지대 위에, 사람들은 서서 전차를 기다린다. 그들에게, 행복은 알 수 없다. 예시 답 행복을 알지 못하
구보와 달리 목적지가 분명한 사람들의 모습 지만 갈 곳이 분명한 것처
20 그러나 그들은 분명히, 갈 곳만은 가지고 있었다. 럼 보이는 사람들이 전차
에 다 오르자 외로움과 애
전차가 왔다. 사람들은 내리고 또 탔다. 구보는 잠깐 멍하니 그곳에 서 있었다. 달픔을 느낌.

그러나 자기와 더불어 그곳에 있던 온갖 사람들이 모두 저 차에 오른다 보았을


때, 그는 저 혼자 그곳에 남아 있는 것에, 외로움과 애달픔을 맛본다. 구보는, 움
혼자 남겨진 것에 대한 두려움과 소외감을 느낌.
직인 전차에 뛰어올랐다. ▶ 외로움을 느끼며 전차에 뛰어오름.

25 전차 안에서
공중에 설치한 전선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지상에 걸친 궤도 위를 다니던 차
구보는, 우선, 제 자리를 찾지 못한다. 하나 남았던 좌석은 그보다 바로 한 걸
백묵(白墨) 분필.
음 먼저 차에 오른 젊은 여인에게 점령당했다. 구보는, 차장대 가까운 한구석에 단장(短杖) 짧은 지팡이.
차장(車掌)대 전차에서 찻삯을
가 서서, 자기는 대체, 이 동대문행 차를 어디까지 타고 가야 할 것인가를, 대체,
뚜렷한 목적의식이 없음. 받거나 차의 원활한 운행을 도
어느 곳에 행복은 자기를 기다리고 있을 것인가를 생각해 본다. 모하는 사람이 있는 자리.
행복을 원하지만 행복을 구하는 데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임.
▶ 전차를 타고 행복을 찾아 행선지를 궁리함.
의식의 흐름 기법
아무 목적 없이 종로 거리를 걸음. → 자기의 시력을 저주 뚜렷한 사건이나 인과 관계
⑵ 문학의 내용과 형식 35
함. → 안과 진료를 받았던 일을 회상함. → 화신 상회에  없이 구보의 관찰과 생각의
들어감. → 승강기를 기다리는 젊은 내외 가족을 관찰함. 흐름대로 이야기가 전개됨.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35 2019. 1. 8. 오후 10:10


문체상의 특징
현재형 어미의 사용 → 현장감과 인물의 내면 의식을 잘 드러냄.
쉼표의 잦은 사용 → 긴 문장을 끊어 리듬감을 주며 인물의 심리를 섬세하게 드러냄.
만연체 문장의 사용 → 정돈되지 않은 인물의 사유 전개 과정을 그대로 보여 줌.

이제 이 차는 동대문을 돌아 경성 운동장 앞으로 해서……. 구보는, 차장대,


운전대로 향한, 안으로 파란 융을 받쳐 댄 창을 본다. 전차과(電車課)에서는 그
곳에 ‘뉴스’를 게시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요사이 축구도 야구도 하지 않는 모양

종묘로 향하는 구보의 이었다.


생각:
예시 답 전차를 탔지 장충단으로. 청량리로. 혹은 성북동으로……. 그러나 요사이 구보는 교외를 5
한가하고 고요함.
만 뚜렷한 목적 없이
방황하다가 고독을 느 즐기지 않는다. 그곳에는, 하여튼 자연이 있었고, 한적이 있었다. 그리고 고독조
끼고, 예전에 고독을 사 요사이 구보가 교외를 즐기지 않는 이유
랑했던 기억을 떠올림. 차 그곳에는, 준비되어 있었다. 요사이, 구보는 고독을 두려워한다.
▶ 고독이 두려워 교외로 나서지 않음.
일찍이 그는 고독을 사랑한 일이 있었다. 그러나 고독을 사랑한다는 것은 그
사람들과 소통하며 적극적으로 살지 않고, 고독한 삶을 좋아했던 일
의 심경의 바른 표현이 못 될 게다. 그는 결코 고독을 사랑하지 않았는지도 모른
다. 아니 도리어 그는 그것을 그지없이 무서워하였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는 10

고독과 힘을 겨루어, 결코 그것을 이겨 내지 못하였다. 그런 때, 구보는 차라리


고독에게 몸을 떠맡겨 버리고, 그리고, 스스로 자기는 고독을 사랑하고 있는 것
자기 위안
이라고 꾸며 왔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 고독이 두려워 오히려 고독을 사랑함.

표, 찍읍쇼 — 차장이 그의 앞으로 왔다. 구보는 단장을 왼팔에 걸고, 바지 주


머니에 손을 넣었다. 그러나 그가 그 속에서 다섯 닢의 동전을 골라내었을 때 차 15

종묘 는 종묘 앞에 서고, 그리고 차장은 제자리로 돌아갔다.


구보는 눈을 떨어뜨려, 손바닥 위의 다섯 닢 동전을 본다. 그것들은 공교롭게
1923년 1922년 1919년

종묘에 있는 구보의 도 모두가 뒤집혀 있었다. 대정(大正) 12년. 11년. 11년. 8년. 12년. 대정 54
동전의 뒷면에 새겨진 화폐 발행 연도
생각: 년 —, 구보는 그 숫자에서 어떤 한 개의 의미를 찾아내려 들었다. 그러나 그것은
예시 답 손바닥 위의
동전을 보며, 자신이
행복했던 적이 없었음
부질없는 일이었고, 그리고 또 설혹 그것이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하더라 20
과거의 기억 속에 자랑스럽게 떠올릴 만한 따뜻한 기억이 없음.
을 느낌.
도, 그것은 적어도 ‘행복’은 아니었을 게다.
▶ 차비를 내며 동전의 발행 연도에서 의미를 찾으려고 함.
차장이 다시 그의 옆으로 왔다. 어디를 가십니까. 구보는 전차가 향해 가는 곳
을 바라보며 문득 창경원에라도 갈까, 하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는 차장에게 아
무런 사인도 하지 않았다. 「갈 곳을 갖지 않은 사람이, 한번, 차에 몸을 의탁하였
목적지를 정하지 못했기 때문에 「」 : 방향을 상실한 구보의 모습 → 당시 지식인의 무기력한 모습
을 때, 그는 어디서든 섣불리 내릴 수 없다.」 25

차는 서고, 또 움직였다. 구보는 창밖을 내다보며, 문득, 대학 병원에라도 들를


경성 운동장 현재 동대문 역사
문화 공원이 자리한 곳. 것을 그랬나 해 본다. 연구실에서, 벗은, 정신병을 공부하고 있었다. 그를 찾아
융 (絨) 면사를 사용하여 평직
또는 능직으로 짠 후 보풀이 일 가, 좀 다른 세상을 구경하는 것은, 행복은 아니어도, 어떻든 한 개의 일일 수 있
게 한 직물.
다……. ▶ 목적지를 고심하다가 병원 연구실의 친구를 떠올려 봄.
대정(大正) ‘다이쇼’를 우리 한
자음으로 읽은 이름. 일본 연호. 구보가 머리를 돌렸을 때, 그는 그곳에, 지금 막 차에 오른 듯싶은 한 여성을 30

36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36 2019. 1. 8. 오후 10:10


보고, 그리고 신기하게 놀랐다. 집에 돌아가, 어머니에게 오늘 전차에서 ‘그 색
마땅히. 당연히 예전에 어머니를 통해 소개받아 선을 본 여자
시’를 만났죠 하면, 어머니는 응당 반색을 하고, 그리고 “그래서 그래서”, 뒤를
몹시 반가워하는 기색
캐어물을 게다. 그가 만약 오직 그뿐이라고라도 말한다면, 어머니는 실망하고,
그리고 그를 주변머리 없다고 책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누가 그 일을 알고, 그리
‘주변’을 속되게 이르는 말. 일을 주선하거나 변통함. 또는 그런 재주 문
동대
5 고 아들을 졸(拙)하다고라도 말한다면, 「어머니는, 내 아들은 원체 얌전해서…….
「」 : 아들의 평판이 나빠지는 것을 원치 않음.
동대문으로 향하는 구보
그렇게 변호할 게다.」
의 생각:
구보는 여자와 시선이 마주칠까 겁(怯)하여, 얼토당토않은 곳을 보며, 저 여자 예시 답 맞선을 본 여자
를 우연히 전차에서 보게
는 내가 여기 있는 것을 보았을까, 하고 생각한다. ▶ 전차에 오른 어느 여성을 보고 놀람. 되자 그 여자를 만났던
기억을 떠올리며 자신에
대한 여자의 마음을 궁금
해함.
여자는 「」 : 의문과 가정의 문법 → 구보의
‌ 소극적인 행동력과 관념적인 태도를 반영함과 동시에 서술자가
구보의 시점에서 서술, 진행하고 있음을 드러냄.
10 「혹은, 그를 보았을지도 모른다. 전차 안에, 승객은 결코 많지 않았고, 그리고
초점화
자리가 몇 군데 비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석에 가 서 있는 사람이란, 남의 눈에
주로 3인칭 전지적 시점에서
서술자가 특정 인물에 초점을
띄기 쉽다. 여자는 응당 자기를 보았을 게다. 그러나, 여자는 능히 자기를 알아볼 맞추어 서술하는 것을 ‘초점화’
라고 한다. 〈소설가 구보 씨의
수 있었을까. 그것은 의문이다. 작년 여름에 단 한 번 만났을 뿐으로, 이래 일 년 일일〉은 주인공 ‘구보’를 초점화
하여 구보의 시선에서 서술하고
간 길에서라도 얼굴을 대한 일이 없는 남자를, 그렇게 쉽사리 여자는 알아내지 있다.

15 못할 게다.」 그러나, 자기가 기억하고 있는 여자에게, 자기의 기억이 없으리라고


생각하는 것은, 누구에게 있어서든, 외롭고 또 쓸쓸한 일이다. 구보는, 여자와의
서술상 특징과 효과
회견 당시의 자기의 그 대담한, 혹은 뻔뻔스러운 태도와 화술이, 그에게 적잖이
서로 만나 봄. 구보에 서술자가 구보의 시
초점을 각에서 소설 속의
인상 주었으리라고 생각하고, 그리고 여자는 때때로 자기를 생각해 주고 있었다
맞춘 사건을 인식하고 서
서술 술함.
고 믿고 싶었다. ▶ 여자가 자신을 기억하고 있기를 바람.

20 그는 분명히 나를 보았고 그리고 나를 나라고 알았을 게다. 그러한 그는 지금 1인칭 시점과 유사한 효과를
줌으로써 독자가 구보의 내면
어떠한 느낌을 가지고 있을까, 그것이 구보는 알고 싶었다. 심리를 잘 알 수 있게 함.
여자가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해함.
그는 결코 대담하지 못한 눈초리로, 비스듬히 두 칸 통 떨어진 곳에 앉아 있는
구보의 성격이 드러남. → 소심함, 소극적임, 자신감이 없음.
여자의 옆얼굴을 곁눈질하였다. 그리고 다음 순간, 그와 눈이 마주칠 것을 겁하
여 시선을 돌리며, 여자는 혹은 자기를 곁눈질한 남자의 꼴을, 곁눈으로 느꼈을
25 지도 모르겠다고, 그렇게 생각하여 본다. 여자는, 남자를 그 남자라 알고, 그리고
책(責)하다 잘못을 꾸짖거나 나
남자가 자기를 그 여자라 안 것을 알고 있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경우에, 나는 어 무라며 못마땅하게 여기다.
졸(拙)하다 주변이 없고 생각이
떠한 태도를 취해야 마땅할까 하고, 구보는 그러한 것에 머리를 썼다. 알은체를 좁아 옹졸하다.
여자를 아는 체해야 할지 모르는 체해야 할지 망설임.
겁(怯) 무서워하는 마음. 또는
하여야 옳을지도 몰랐다. 혹은 모른 체하는 게 정당한 인사일지도 몰랐다. 그 둘
구보의 성격이 드러남. → 결정력이 부족하고 우유부단함. 그런 심리적 경향.
중에 어느 편을 여자는 바라고 있을까. 그것을 알았으면, 하였다. 그러다가, 갑자 화술(話術) 말재주.

⑵ 문학의 내용과 형식 37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37 2019. 1. 8. 오후 10:10


구보의 성격
•여자와 시선이 마주칠까 걱정함. 우유부단하고 소심
•자기를 알아본 여자가 어떤 느낌일지 궁금해함.  하며 지나치게 사색
•여자를 알은체 할지 말지 망설임. 적임.
훈련원(訓鍊元) 조선 시대에 기, 그러한 것에 마음을 태우고 있는 자기가 스스로 괴이하고 우스워, 나는 오직
군사 훈련, 선발 등을 담당하
던 기관. 지금의 을지로 6가 요만 일로 이렇게 흥분할 수가 있었던가 하고 스스로를 의심해 보았다. 그러면
요만한
부근에 있었음.
나는 마음속 그윽이 그를 생각하고 있었던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해 보았다. 「그러
백동화(白銅貨) 동전의 한 가 그 여자를 마음에 두고 있었는지도
지. 백동으로 만든 은빛 주화. 나 그가 여자와 한 번 본 뒤로, 이래 일 년간, 그를 일찍이 한 번도 꿈에 본 일이
없었던 것을 생각해 내었을 때, 자기는 역시 진정으로 그를 사랑하고 있는 것은 5

아닌지도 모르겠다고, 그러한 생각이 들었다. 만약 그렇다면 자기가 여자의 마


음을 헤아려 보고, 그리고 이리저리 공상을 달리고 하는 것은, 이를테면, 감정의
「」 : 여자에 대한 자신의 감정이 확실하지도 않으면서 공
모독이었고, 그리고 일종의 죄악이었다.」 상만 하는 것은, 일종의 모독이자 죄악이라고 생각함.
▶ 여자를 향한 미련과 기대가 진정성을 벗어났다고 자책함.
그러나 만일 여자가 자기를 진정으로 그리고 있다면 ―.
동 여자가 자신을 마음에 두고 있기를 바라는 마음

문 구보가, 여자 편으로 눈을 주었을 때, 그러나 여자는 자리에서 일어나 양산을 10

들고 차가 동대문 앞에 하차하기를 기다려 내려갔다. 「구보의 마음은 또 한 번 동


「」 : 여자를 따라 전차에서 내릴까 말까 갈등함.
동대문에 있는 구보의 요하며, 창 너머로 여자가 청량리행 전차를 기다리느라, 그곳 안전지대로 가 서
생각:
예시 답 전차에서 내 는 것을 보았을 때, 그는 자기도 차에서 곧 내리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 그러나,
려 멀어지는 여자를
보며 구보는 여자에게 여자가 청량리행 전차 속에서 자기를 또 한 번 발견하고, 그리고 자기가 일도 없
말을 걸지 못한 자신
의 우유부단함을 후회
건만, 오직 여자와의 사이에 어떠한 기회를 엿보기 위해 그 차를 탄 것에 틀 15
함.
림없다는 것을 눈치챌 때, 여자는 그러한 자기를 얼마나 천박하게
주인공의 전체 여정
생각할까.」그래, 구보가 망설거리는 동안, 전차는 달리고, 그들의 사
집 집 밖으로 외출함.
천변 길 두통을 느끼고, 왼쪽 귀의 기능에 대해 생각함. 이는 멀어졌다. 마침내 여자의 모양이 완전히 그의 시야에서 떠났
종로 네거리 시력 이상을 느끼며, 안과에 갔던 일을 떠올림.
을 때, 구보는 갑자기, 아차, 하고 뉘우친다.
아이와 함께 있는 젊은 부부를 보고 행복에 대하
화신 상회 우유부단한 구보의 성격이 드러남.
여 생각함.
▶ 갈등만 하다가 여자를 따라 내리지 못하고 후회함.
고독에 대해 생각하고, 우연히 맞선을 본 여인과
전차 안
마주친 후 결혼과 행복의 의미에 대해 생각함. 행복은 20
다방 욕망과 행복에 대해 생각함.
경성역 고독과 슬픔을 발견하고 황금과 물질에 대해 생 그가 그렇게도 구하여 마지않던 행복은, 그 여자와 함께 영구히
(대합실) 각함. 구보가 가장 원하고 찾으려고 하는 것

다방 신문사에 재직한 친구를 만남.


가 버렸는지도 모른다. 여자는 자기에게 던져 줄 행복을 가슴에 품
여인과 차를 마시는 청년을 보며 질투와 고독을 고서, 구보가 마음의 문을 열어 가까이 와 주기를 갈망하였는지도
다료
느낌.

거리
고독과 권태 이상의 애처로움을 느끼며 동경 유 모른다. 왜 자기는 여자에게 좀 더 대담하지 못하였나. 구보는, 여
학 시절의 연애에 대해 떠올림.
광화문 거리 우연히 만난 벗의 조카 아이들에게 수박을 사 줌. 자가 가지고 있는 온갖 아름다운 점을 하나하나 세어 보며, 혹은 25

술을 마시며 정신병에 관한 대화를 나누고, 가난 여자와 인연을 맺지 못한 아쉬움


술집(카페) 이 여자 말고 자기에게 행복을 약속해 주는 이는 없지나 않을
과 불행에 대해 생각함.
종로 네거리 결혼과 소설 쓰기에 대해 생각하며 집으로 감. ▶ ‌여자를 생각하며 행복을 놓친
까, 하고 그렇게 생각하였다. 것이 아닌지 아쉬워함.
집 집으로 돌아옴.
※ 교과서 수록 부분은 ‘종로 네거리’, ‘화신 상회’, ‘전차 안’에 해당함. 방향판을 한강교로 갈고 전차는 훈련원을 지났다. 구보는
자리에 앉아, 주머니에서 오 전 백동화(白銅貨)를 골라 꺼내

38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38 2019. 1. 8. 오후 10:10


면서, 비록 한 번도 꿈에 본 일은 없었더라도, 역시 그가 자기에게는 유일한 여
꿈에서 본 일이 없을 정도로 강하게 끌리지는 않았음.
자가 아닐까 하고 생각해 본다.
자기가, 그를, 그동안 대수롭지 않게 여겨 왔던 것 같이 생각하는 것은, 구보가
중요하게 여길 만하지
제 감정을 속인 것에 지나지 않을지도 모른다. 그가 여자를 만나 보고 돌아왔을
5 때, 그는 집에서 아들을 궁금히 기다리고 있던 어머니에게 ‘그 여자면’ 정도의 뜻
어느 정도의 호감을 느낌.
을 표하였었던 것에 틀림없었다. 그러나 구보는, 어머니가 색시 집으로 솔직하게
구혼할 것을 금하였다. 「그것은 허영심만에서 나온 일은 아니다. 그는 여자가 자
기 생각을 안 하고 있는 경우에 객쩍게시리 여자를 괴롭혀 주고 싶지 않았던 까
「」 : 자신이 거절한 것은 그 여자를 배려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함. → 배려심이 많으나 자신감이 부족함.
닭이다.」 구보는 여자의 의사와 감정을 존중하고 싶었다.
10 그러나, 물론, 여자에게서는 아무런 말도 하여 오지 않았다. 구보는, 여자가 은
구보를 다시 찾지 않은 여자
근히 자기에게서 무슨 말이 있기를 기다리고 있는 것이나 아닐까, 하고도 생각하 훈련원

여 보았다. 그러나 그런 것을 생각하는 것은 제 자신 우스운 일이다. 그러는 동안


에, 날은 가고, 그리고 그것에 대한 흥미를 구보는 잃기 시작하였다. 혹시, 여자
에게서라도 먼저 말이 있다면 ─. 그러면 구보는 다시 이 문제에 흥미를 가질 수
15 있을 게다. 언젠가 여자의 집과 어떻게 인척 관계가 있는 노(老)마나님이 와서 훈련원을 지난 구보의 생
혼인에 의하여 맺어진 친척 각:
색시 집에서도 이편의 동정만 살피고 있는 듯싶더란 말을 들었을 때, 「구보는 쓰 예시 답 맞선을 본 후 여
일이나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낌새 자에 대한 호감을 가지고
디쓰게 웃고, 그리고 그것이 사실이라면, 그것은 희극이라느니보다는, 오히려 한 기다렸지만 결국 여자의
조소, 냉소 연락을 받지 못했던 기억
개의 비극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면서도 구보는 그 비극에서 자기네들을 구하 을 떠올리고, 서로의 반응
만 살피다 끝나 버린 두
기 위해 팔을 걷고 나서려 들지 않았다.」 「」 : 결단성과 행동력이 없는 구보 사람의 인연을 조소함.
▶ 서로의 반응만 살피다가 끝난 자신과 여자의 인연에 대해 조소함.

제재 정리

20 뒷부분 줄거리
작품의 주제와 형식의 관계
다방에 들어간 구보는 차를 마시며 자기에게 약간의 여행 경비만 있으면 행복할 것 같다고 생각한
주제 형식
다. 다방에서 나와 배회하던 그는 활력을 찾기 위해 경성역 대합실을 찾아가지만, 그곳에서 군중 속의 •여정에 따른 구성
1930년대 소설가 구
•의식의 흐름 기법
고독과 슬픔을 느낀다. 다시 다방으로 들어간 구보는 벗을 만나 이야기를 들으며 상념에 잠긴다. 황혼 보의 예술과 행복에
•잦은 쉼표의 사용,
대한 갈등과 고뇌
이 되자 벗은 집으로 돌아가고 다방에서 나온 구보는 동경 유학 시절의 옛사랑을 추억한다. 다시 찾은 만연체의 문장

25 다방에서 구보는 어느 보험 회사의 외판원과 대화를 나누다 그의 속물성에 불쾌함을 느끼고 구보는 다
1930년대 무기력한 지식인들의 고독과
시 돌아온 벗과 술을 마시러 카페를 찾아간다. 그곳에서 그는 ‘여급 대모집’의 의미를 물어 오던 여인을 쓸쓸한 내면 풍경이 작품의 형식적 특징과
유기적으로 결합됨.
회상하며 가난과 불행에 대해 생각한다. 새벽 두 시에 종로로 나온 구보는 어머니를 떠올리고 앞으로는
객쩍다 행동이나 말, 생각이 쓸
좋은 소설을 쓰겠다고 생각하며 집으로 돌아간다. 데없고 싱겁다.

⑵ 문학의 내용과 형식 39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39 2019. 1. 8. 오후 10:10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의 주인공인 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의 서술 방법  의식의 흐름 기법이 사용된 다른 작품
구보의 성격을 파악하고, 여정에 따라 과 문체상의 특징을 파악하고, 형식적 을 읽고, 서술 방법과 주제의 영향 관
변화하는 구보의 생각 정리하기 특성과 주제의 영향 관계 이해하기 계 파악하기

1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 제시된 단어 중 구보의 성격과 관련된 것을 선택하고, 그 근거를 본문에서 찾아 정

활동 1 지도 방안
리해 보자.
주인공인 구보에게 초점을 맞
추어 작품의 내용을 파악하는 적극적이다
활동이다. 작품에 드러나는 구
우유부단하다 긍정적이다
보의 행동과 생각을 통해 그의
성격을 정리하고, 구보가 서울
을 배회하는 여정 내내 지속적 냉철하다 활동적이다 소심하다
으로 던지는 질문을 찾아 그가
궁극적으로 소망하는 것이 무엇
인지 파악하도록 지도한다. 예시 답 •구보의 성격과 관련된 단어: 우유부단하다, 소심하다
•본문에서 찾은 근거: 자신이 갈 곳을 정하지 못하고 배회하는 모습, 예전에 만난 적 있는 여자와 시선이 마주칠까
걱정하는 모습, 여자를 보고 알은체를 할지 말지 망설이는 모습, 여자가 자신을 어떻게 생각할지 고민하는 모습, 전
차에서 내린 여성을 따라갈지 고민하는 모습, 여자에게 대담하게 다가가지 못했던 과거를 생각하는 모습 등
⑵ 동대문행 전차 안에서 구보는 예전에 만난 적이 있던 여자를 발견한다. 장면에 따라 구보
다.
의 생각을 정리해 보자.

장면 구보의 생각

여자가 전차에 탐.
예시 답 •여자는 내가 전차에
있는 것을 보았을까?
예시 답 •여자를 따라 전차에서 내릴까?
•‌여자는 나를 응당 보았을 것이
여자가 전차에서 내림. •여자는 나를 천박하다고 생각할까?
다.
•망설이는 동안 전차가 떠나 여자와 멀어지는 것을 보니 후회스럽다.
•여자는 나를 기억하고 있을까?
•여자는 나에 대해 어떤 느낌을
가지고 있으며, 나는 여자에게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할까?
•내가 여자를 진정으로 사랑하고
있는 것도 아니면서 그녀에 대
한 공상을 하는 것은 감정의 모 ⑶ 이 작품에서 구보가 서울 거리를 배회하면서 궁극적으로 소망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독이고 죄악이다.
생각해 보자.
예시 답 구보는 서울 거리를 배회하면서 여러 사물과 인물을 관찰하고 자신의 고독을 확인하며 끊임없이 행복에 대
해 생각하고 있다. 이로 보아 구보는 고독에서 벗어나 진정한 행복을 찾고자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활동 2 지도 방안
2 소설의 내용과 형식의 관계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은 이 작품에 쓰인 서술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이 작품에서 이러한 방법이 잘 드러


문학 작품은 작가에 의해 잘
조직된 언어 예술이며 내용과 난 부분을 찾아보자.
형식의 유기적 결합체임을 확인
하는 활동이다. 먼저, 이 소설의
서사 구조는 사건이 인과적으로 의식의 흐름(Stream of consciousness): 등장인물의 의식, 즉 생각의 흐름을 따라 이야기를 전개해 가
전개되는 일반적인 소설과 차이
가 있음을 안내한다. 그리고 소 는 서술 방법이다. 이를 활용한 소설은 외부적인 사건을 따라 이야기를 전개하는 대신에, 등장인물의
설에 사용된 실험적 형식들이
내용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살펴 사고, 기억, 연상 등과 같은 내부적인 계기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해 나가는 구성 방식을 취한다.
본 후, 이러한 형식적 특징이 주
그러므로 등장인물이 보고 듣는 사실보다 그 사실을 계기로 해서 생각하게 되는 내용이 서술의 중심을
제를 전달하는 데 어떤 영향을
주는지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 이루게 된다.
다.

예시 답 구보가 전차 안에서 손바닥 위의 다섯 동전의 발행 연도를 살펴보다가, 발행 연도의 어느 해에도 행복한 적

40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이 없었음을 생각해 내는 부분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40 2019. 1. 8. 오후 10:10


작품 개관 오상원, <유예>
갈래 현대 소설, 심리 소설, 전후 소설 성격 독백적, 실존적
배경 6·25 전쟁 당시의 겨울 / 어느 산골 마을의 눈 덮인 들판
작품 개관 이상, <날개> 주제 전쟁이라는 극한 상황 속에서 인간이 겪는 고뇌
갈래 현대 소설, 심리 소설 특징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하며 색채 대비를 통해 전쟁의 비극성을 강조함.
성격 고백적, 상징적 ⑵ 다음을 바탕으로 하여 이 작품에 나타난 문체상의 특징을 설명해 보자.
배경 일제 강점기 / 서울
전도된 삶과 자아 분열
의 의식 속에서 본래적
주제 그러나 그가 여자와 한 번 본 뒤로, 이래 일 년간, 그를 일찍이 한 번도 꿈에 본 일이
자아를 지향하는 인간의
내면 의지 없었던 것을 생각해 내었을 때, 자기는 역시 진정으로 그를 사랑하고 있는 것은 아닌
①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하여 서술함. 지도 모르겠다고, 그러한 생각이 들었다. 만약 그렇다면 자기가 여자의 마음을 헤아려
② ‌인간 의식의 심층부
를 그려 내었으며, 독 보고, 그리고 이리저리 공상을 달리고 하는 것은, 이를테면, 감정의 모독이었고, 그리
백체에 의한 직접적
특징 서술이 두드러짐.
고 일종의 죄악이었다.
③ ‌대조적인 인물과 공 그러나 만일 여자가 자기를 진정으로 그리고 있다면 ―. 교과서
간을 설정하여 식민 38쪽
지 지식인의 무기력
하고 수동적인 면모 예시 답 만연체 문장과 잦은 쉼표가 사용되었다. 만연체 문장은 정돈되지 않은 사유의 전개 과정을 논리적인 과정
를 부각함. 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드러내는 역할을 하며, 쉼표의 잦은 사용은 긴 문장을 끊어 리듬감을 주는 동시에 인물의 심
리를 섬세하게 드러내는 역할을 한다.

활동 3 지도 방안
‘의식의 흐름’이 사용된 작품
을 더 찾아 읽고 작품에 사용된
서술 방법이 주제 형성에 어떻 ⑶ ⑴, ⑵의 활동을 통해 이 작품의 서술 방법과 문체가 주제를 전달하는 데 어떤 영향을 주
게 기여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활동이다. 교과서에 제시된 작 는지 생각해 보자.
품 중 모둠별로 학생들이 원하
는 것을 선택하여 읽은 후, 논의 예시 답 이 작품은 생활과 예술, 고독과 행복이라는 대립적 가치 사이에서 갈등하고 고뇌하는 인물의 내면을, 구보
를 통해 서술 방법과 주제의 영 의 여정에 따른 의식의 흐름 기법을 통해 잘 보여 주고 있다. 또한 만연체와 잦은 쉼표를 사용하는 문체상의 특징은
향 관계를 파악해 볼 수 있도록 주인공의 내면 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에 사용된 서술 방법과 문체는, 1930년대 일제 강
지도한다. 점하에서 무기력했던 지식인들의 고독과 쓸쓸한 내면이라는 주제를 잘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3 다음은 ‘의식의 흐름’이 사용된 또 다른 작품의 예이다. 이 중 한 작품을 읽고, 서술 방법과 주


제가 어떤 영향 관계에 있는지 모둠별로 이야기해 보자.

〈날개〉는 일제 강점기를 배
경으로 현대인의 분열된 내면을 이상, 〈날개〉 오상원, 〈유예〉
드러낸 작품이며, 〈유예〉는 6ㆍ25
전쟁을 배경으로 국군 포로의 예시 답 이상, 〈날개〉 : 이 작품은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하여, 아내에게 기생하면서 무기력하게 살아가는 ‘나’의 자
내면 의식을 통해 전쟁의 비극 아 분열적 모습과 그러한 삶에서 벗어나 자아를 찾고자 하는 ‘나’의 내면 의식을 있는 그대로 보여 주고 있다. 즉 의
식의 흐름의 기법은 ‘무기력한 삶과 자아 분열 상태에서 벗어나 본래의 자아를 찾고자 하는 의지’라는 작품의 주제
을 고발하고 있는 작품이다.
를 효과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2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1930년대 청계천 주변 사람들의
예시 답 이 작품은 주인공의 생각이나 감상을 흘러가는 대로 서술한 것이 삶의 모습을 특별한 줄거리나 순서
특징이야. 소설을 읽을 때 이러한 서술 방식이 낯설게 느껴지기도 했지만 박태원의 없이 삽화식으로 나열하여 사실적
주인공의 내면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어. 〈천변 풍경〉 으로 보여 주고 있는 작품이다. 독
특한 서술 방식과 문체에 주목하여
나의 책방 키우기 감상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의 물질 만능주의에 의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박태원의 〈천변 풍경〉 유진오의 해 파멸되어 가는 지식인의 모습을
시대적 배경이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유진오의 〈김 강사와 T 교수〉 〈김 강사와 그린 작품이다. 식민지하 지식인의
T 교수〉 모습을 비판하고 있는 점에서 다른
작품과 연계하여 감상할 수 있다.
⑵ 문학의 내용과 형식 41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41 2019. 1. 8. 오후 10:10


‘소단원 정리하기’ 지도 방안
•문학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학습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개념 정리’,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도
록 한다.

(2) 문학의 내용과 형식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개념 정리 평가 자료
•어휘 평가 •서술형 평가
•쪽지 시험 •수행 평가
•소단원 평가

문학 작품은 인간의 삶을 이야기한다.


문학은 무엇을 다루는가? 초등학교에서부터 지금까지 수많은 문학 작품을 감상해 왔지만, 이 질문
에 답을 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각각의 문학 작품은 조금씩이라도 다른 소재를 다루고 있으며, 비
록 유사한 소재를 다루더라도 작품에 담아낸 작가의 생각, 즉 ‘주제 의식’은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다양한 소재를 통해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주제 의식은 대체로 ‘인간의 삶’을 벗어나지 않
는다. 여우와 같은 동물이 등장하는 《이솝 우화》를 떠올려 보자. 여우라는 동물은 교활하거나 꾀가
많은 사람을 대변하는 것일 뿐이며, 따라서 실제 이 작품에서 다룬 것은 동물의 삶이 아닌 인간의 삶
이다. 독자는 작품을 감상하며 작가가 작품 속에 담아낸 인간의 삶과 그에 대한 생각을 접하게 되는
데, 이것이 곧 문학 작품의 내용인 것이다. ▶ 문학의 내용

문학 작품은 고유의 언어 형식으로 표현되는 예술이다.


문학 작품이 누구에게나 친숙한 인간의 삶을 다룬다고 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누구나 어떤 문학이
든지 쉽게 감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소설이나 시를 어렵게 여기는 사람을 주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물론 이는 작가가 인간의 삶에 대해 남다른 통찰력을 발휘하여 심오한 문제를 다루
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렇지만 많은 경우에는 문학 작품의 고유한 언어 형식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 역사 기록이나 철학 논문을 읽을 때와 비교해 보
면 이에 대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어부사시사〉 28쪽를 감상하는 것과 ‘윤선도의 생
애를 서술한 역사 기록’이나 ‘윤선도의 학문을 다룬 철학 논문’을 읽는 것은 같지 않은
데, 이는 시조 갈래의 형식과 관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감상이 필요하기 때
문이다. 따라서 문학 작품을 제대로 감상하기 위해서는 문학 작품의 형식을 파악
하는 것이 중요하다. ▶ 문학의 형식

윤선도 〈어부사시사〉

42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42 2019. 1. 8. 오후 10:10


1-⑵단원 개념 정리 ①
문학 작품의 내용과 형식

•인간의 삶과 관련된 주제 의식
내용
•작가의 가치관, 세계관 등이 작품 속 내용으로 제시됨.

•문화적·관습적으로 형성된 문학 고유의 언어 형식


형식
•갈래에 따른 형식과 관습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문학 작품은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결합물이다.
문학 작품에서 주제 의식(내용)과 고유의 언어 형
소설가 구보 씨
의집 앞 광교로 올라
식(형식)은 어떤 관계에 있을까? 내용과 형식은 흔 가는 광통관 길
의 당시 모습이다
.
히 용액과 그릇의 관계에 비유된다. 내용이 용액이라
면 형식은 그릇이라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 비유는 문학 작품의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다.
이미 준비된 그릇에 용액을 담는 것은 형식과 내용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문학 작품의 경우와는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어부사시사〉를 예로 들어 보자. 윤선도는 시조의 규범에 따라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자신의 흥취
를 표현하였지만, 어부의 삶과 사계절의 실감을 제대로 표현하기 위해 여음구를 넣고 40수에 이르는
연시조로 구성하여 형식을 변화시켰다. 이때 여음구는 어부가 계열 작품의 전통을 이은 것이다. 결국
〈어부사시사〉의 내용과 형식은 분리된 것이 아니며,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작품을 완성
하였다.
이처럼 문학 작품에서 내용과 형식이 유기적으로 결합한다면, 각각의 작품에서 내용과 형식이 서
로 어떻게 연관되는지 따져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작품 감상법이 될 수 있다. 작가
가 자기 생각을 효과적으로 담아낼 수 있는 적절한 언어 형식을 선택했는지 생각
해 볼 수 있고, 문화적ㆍ관습적으로 형성된 갈래의 일반적인 규칙을 적절히 변형
했는지 살펴볼 수도 있다. 또한, 때에 따라서는 독특한 형식을 취하는 것 자체가
작가의 주제 의식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이 관점에서 〈소설가 구보 씨
의 일일〉 34쪽이나 〈청노루〉 32쪽를 감상하면 보다 풍부한 작품 해석이 가능해
1-⑵단원 개념 정리 ②
진다. ▶ 문학과 내용의 관계
내용과 형식의 관계
문학 문학 작품 감상
내용 유기적 관계 형식 •‌작가가 자기 생각을 효과적으로 담아낼 수
 있는 적절한 언어 형식을 선택했는가?
•‌문화적·관습적으로 형성된 갈래의 일반적
•문학 작품의 내용과 형식은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음.
인 규칙을 적절히 변형했는가?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초판본 표지
•두 요소는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하나의 작품을 완성함.

평가
점검 사항
상 중 하

문학 작품을 감상하며 내용과 형식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이 단원에서 ▶ 교과서 30쪽 1번, 31쪽 2-⑴~⑵번, 40쪽 1번, 40쪽 2-⑴번, 41쪽 2-⑵번 문제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문학 작품의 내용과 형식이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
점검해 보자. 할 수 있다. ▶ 교과서 31쪽 2-⑶번, 32쪽 3번, 41쪽 2-⑶번, 3번 문제

⑵ 문학의 내용과 형식 43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43 2019. 1. 8. 오후 10:10


‘대단원 마무리’ 지도 방안
•대단원에서 학습한 요소를 확인한 다음, 더 알고 싶은 점이 있는지
스스로 생각해 보며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단순한 기록에서 그
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과제나 평가를 진행하거나, 심화
자료를 활용하여 궁금한 부분을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창의적 감상’에 제시된 감상의 방향과 그에 따른 작품을 살펴보며
문학의 경험을 넓힐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작
품을 읽고 자유롭게 자기 생각을 말할 수 있도록 끌어 준다. 또한,
추가로 엮어 읽을 수 있는 또 다른 작품을 안내하여 수업 외의 시
창의적 감상 활동지
간에도 문학 감상을 생활화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다.
평가 자료
•대단원 평가 1 다음은 봄에 피는 화려한 꽃인 모란을 소재로 소망의

(1) ‘문학의 본질’에서는 실현에 대한 기다림을 표현한 현대시이다. 작가가 모란을 통


〈배를 매며〉와 〈성난 풀잎〉을 감상하며 문학의 미 해 자신의 소망을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적 기능, 인식적 기능, 윤리적 기능을 이해하였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_ 김영랑


(2) ‘문학의 내용과 형식’에서는
〈어부사시사〉와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을 감상
하며 문학의 내용과 형식의 관계를 이해하였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봄’, ‘보람’과 통하는 이미지로 시적 화자의 소망을 의미함.
나는 아직 나의 봄을 기다리고 있을 테요
▶ 모란이 피기를 소망함.
모란이 뚝뚝 떨어져 버린 날
나는 비로소 봄을 여읜 설움에 잠길 테요
모란이 떨어진 설움
오월 어느 날 그 하루 무덥던 날
따라서 우리는 이 단원에서 문학의 기능과 원
리를 이해하고 문학 활동을 해 보면서 능동적으 떨어져 누운 꽃잎마저 시들어 버리고는

로 문학을 향유해 나갈 수 있게 되었다. 앞에서 천지에 모란은 자취도 없어지고


활동한 내용을 떠올리며 더 알아보고 싶은 점을 뻗쳐오르던 내 보람 서운케 무너졌느니
모란이 피었을 때의 보람을 잃고, 시적 화자의 소망도 사라짐.
간단하게 써 보자.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예시 답 생략 과장법 ▶ 모란을 잃고 서러워함.
모란이 피기까지는
역설법
나는 아직 기다리고 있을 테요 찬란한 슬픔의 봄을
▶ 모란이 피기를 기다림.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낭만적, 유미적
제재 모란
주제 소망이 이루어지기를 기다림.
① ‌‘슬픔’이라는 보이지 않는 관념을 ‘찬란한’이라고 시
각화하여 표현함.
특징
② ‌논리적으로 모순되는 표현(역설법)을 통해 전달하려
는 내용을 강조함.
예시 답 이 시는 ‘기다림 - 상실로 인한 슬픔 - 기다림’ 이라는 순
환 구조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봄’과 피어나는
‘모란’의 결합인데, 시적 화자에게 있어 봄은 기쁨과 환희의 계절
인 동시에, 모란이 덧없어져 버리고 말리라는 예감 때문에 슬프고
고통스러운 계절이기도 하다. 하지만 모란이 지는 것은 기다림으
로 이어져 결코 슬픈 것만은 아니라는 인식을 역설적인 표현을 통
해 전달하고 있다.

44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44 2019. 1. 8. 오후 10:10


예시 답 글쓴이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것은 잠시 빌린 것이며, 인간에게 영원한 소유물이라는 것은 없다고 깨닫고 있다. 나는 그동안 내가 가지고
있는 것은 모두 나의 것이라고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 작품을 읽으면서 ‘소유’라는 개념이 영원한 것이 아닐 수 있다는 깨달음을 얻
었고, 따라서 내가 가지고 있는 물건을 더 소중히 다루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아가 현대인들이 이와 같이 소유에 대해 성찰하게 된다면, 우
리 사회는 욕심에 가득차서 서로 다투고 해를 끼치는 일이 줄어들 것 같다.
2 다음은 소유의 문제에 대해 쓴 고전 수필이다. 글쓴이 하였다.」 내가 이 말을 접하고서 느껴지는 바가 있기에, 차마
집필 동기
가 ‘소유’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 작품을 설을 지어서 그 뜻을 부연해 보았다.
▶ 잘못된 소유 관념에 대한 비판과 집필 동기
통해 새롭게 깨닫게 된 점을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전전긍긍(戰戰兢兢)하다 몹시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하기.
환란(患亂) 근심과 재앙을 통틀어 이르는 말.
차마설(借馬說) _ 이곡 비복(婢僕) 계집종과 사내종을 아울러 이르는 말.
미혹(迷惑)되다 무엇에게 홀려 정신이 차려지지 못한.
독부(獨夫) 예전에, 포악한 정치를 하여 국민에게 외면을 당한 군주를 이르
나는 집이 가난해서 말이 없기 때문에 간혹 남의 말을 빌 던 말.
말을 빌려 타게 된 경험 제시
백승(百乘) 백 대의 수레.
려서 타곤 한다. 그런데 「노둔하고 야윈 말을 얻었을 경우는
「」: 빌린 말의 상태에 따라 마음가짐이 달라짐. 대부(大夫) ① 중국에서 벼슬아치를 세 등급으로 나눈 품계의 하나. ② 고
일이 아무리 급해도 감히 채찍을 대지 못한 채 금방이라도 려ㆍ조선 시대에, 벼슬의 품계에 붙이던 칭호.
쓰러지고 넘어질 것처럼 전전긍긍하기 일쑤요, 개천이나 도 고신(孤臣) 임금의 신임이나 사랑을 받지 못하는 신하.

랑이라도 만나면 또 말에서 내리곤 한다. 그래서 후회하는


예시 답 이 소설은 우연히 만난 세 인물의 하룻밤 동안의 이야
일이 거의 없다. 반면에 발굽이 높고 귀가 쫑긋하며 잘 달리 기를 중심으로 서술되고 있다. 익명화된 등장인물들은 서로 무
의미한 대화만을 나누다가 헤어지는데, 이는 서로 소통하지 못
는 준마를 얻었을 경우는 의기양양하여 방자하게 채찍을 갈 하는 현대인의 고독과 소외감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또
한, 작품 후반부에서 세 사람이 벽으로 나누어진 여관방에 따
기기도 하고 고삐를 놓기도 하면서 언덕과 골짜기를 모두
로 들어가는 것은, 진정한 의사소통이 단절된 채로 살아가며
평지로 간주한 채 매우 유쾌하게 질주하곤 한다.」 그러나 간 서로에게 무관심한 현대 도시인의 삶을 드러낸다. 그리고 숙박
계에 거짓 이름과 거짓 주소, 거짓 나이, 거짓 직업을 쓰는 ‘나’
혹 위험하게 말에서 떨어지는 환란을 면하지 못한다. 의 행위는, 진정한 자신을 드러내기를 꺼리는 현대 도시인의
▶ 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마음가짐 모습을 드러낸다.
아, 사람의 감정이라는 것이 어쩌면 이렇게까지 달라지 3 다음은 우연히 만난 세 인물이 하룻밤을 함께 보내면서
개인적 경험이 보편적 깨달음으로 변화함.
고 뒤바뀔 수가 있단 말인가. 남의 물건을 빌려서 잠깐 동안 생긴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이야기의 전개 방식이 주제
쓸 때에도 오히려 이와 같은데, 하물며 진짜로 자기가 가지 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생각해 보자.
고 있는 경우야 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 남의 물건일 때와 자기 소유물일 때에 따라 달라지는 마음가짐
그렇긴 하지만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 가운데 남에게 빌
주제 - 소유의 본질 서울, 1964년 겨울 _ 김승옥
리지 않은 것이 또 뭐가 있다고 하겠는가. 임금은 백성으로
◯: 익명화된 등장인물
부터 힘을 빌려서 존귀하고 부유하게 되는 것이요, 신하는
앞부분 줄거리 1964년 겨울밤의 어느 선술집, ‘나’는 대학원생인 ‘안’을
임금으로부터 권세를 빌려서 총애를 받고 귀한 신분이 되는 시대적 배경
우연히 선술집에서 만난다. 의미 없는 대화를 주고받던 두 사람은 자리를 옮
것이다. 그리고 자식은 어버이에게서, 지어미는 지아비에게
기던 중에 자신도 함께 갈 수 없겠냐고 묻는 ‘사내’와 함께 중국요릿집에 간
서, 비복(婢僕)은 주인에게서 각각 빌리는 것이 또한 심하고
다. 사내는 장례 비용이 없어 죽은 아내의 시신을 병원에 팔고 괴로워한다.
도 많은데, 대부분 자기가 본래 가지고 있는 것처럼 여기기 중국요릿집에서 나온 세 사람은 밤거리를 배회하다가 화재 난 곳을 찾아간
만 할 뿐 끝내 돌이켜 보려고 하지 않는다. 이 어찌 미혹된 다. 불길 속에서 죽은 아내의 환영을 본 사내는 남은 돈을 모두 불 속에 던져

일이 아니겠는가. 버린다.

그러다가 혹 잠깐 사이에 그동안 빌렸던 것을 돌려주는


일이 생기게 되면, 만방(萬邦)의 임금도 독부(獨夫)가 되고 사내는 계속해서 울고 있었다. 사내는 가끔 “여보.”라고

백승(百乘)의 대부(大夫)도 고신(孤臣)이 되는 법인데, 더군 중얼거리며 오랫동안 울고 있었다.

다나 미천한 자의 경우야 더 말해 무엇하겠는가. 「맹자(孟子) 우리는 여전히 열 발짝쯤 떨어진 곳에서 그가 울음을 그
「」 : 맹자의 말을 인용하여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함.
가 말하기를 “오래도록 빌리고서 반환하지 않았으니, 그들 치기를 기다리고 있었다. 한참 후에 그가 우리 앞으로 비틀

이 자기의 소유가 아니라는 것을 어떻게 알았겠는가.”라고 비틀 걸어왔다. 우리는 모두 고개를 숙이고 어두운 골목길
작품 개관
갈래 한문 수필, 설(說) 성격 교훈적, 경험적, 유추적
제재 말을 빌려 탄[借馬] 경험 주제 소유에 대한 성찰 대단원 마무리 45
① ‘경험(사실)-깨달음(의견)’의 구조로 내용이 전개됨.
특징
② 개인적 경험을 보편적 깨달음으로 일반화하는 유추의 전개 방식이 사용됨.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45 2019. 1. 8. 오후 10:10


라고 안은 말하고 나서 자기의 방으로 들어가 버렸다.
“나도 피곤해 죽겠습니다. 안녕히 주무세요.”라고 나는
아저씨에게 말하고 나서 내 방으로 들어갔다. 숙박계엔 거
짓 이름, 거짓 주소, 거짓 나이, 거짓 직업을 쓰고 나서 사환
현대인들의 익명성, 소통의 단절을 의미함.
을 걸어서 거리로 나왔다. 적막한 거리에는 찬바람이 세차 이 가져다 놓은 자리끼를 마시고 나는 이불을 뒤집어썼다.
삭막한 도시의 모습
게 불고 있었다. 나는 꿈도 안 꾸고 잘 잤다.
▶ 여관에서 세 사람이 각각 방을 잡아 투숙함.
“몹시 춥군요.”라고 사내는 우리를 염려한다는 음성으로 다음 날 아침 일찍 안이 나를 깨웠다.

말했다. “그 양반, 역시 죽어 버렸습니다.”


‘안’이 ‘사내’의 죽음을 예상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추운데요. 빨리 여관으로 갑시다.” 안이 내 귀에 입을 대고 그렇게 속삭였다.

안이 말했다. “예?”
“방을 한 사람씩 따로 잡을까요?” 나는 잠이 깨끗이 깨어 버렸다.
타인의 일에 관여하고 싶어 하지 않는 개인주의적인 ‘안’
여관에 들어갔을 때 안이 우리에게 말했다. “방금 그 방에 들어가 보았는데 역시 죽어 버렸습니다.”
“그게 좋겠지요?” “역시…….”
“모두 한방에 드는 게 좋겠어요.”라고 나는 아저씨를 생 나는 말했다.
‘사내’를 걱정하는 ‘나’
각해서 말했다. “사람들이 알고 있습니까?”
아저씨는 그저 우리 처분만 바란다는 듯한 태도로, 또는 “아직까진 아무도 모르는 것 같습니다. 우선 빨리 도망해
책임을 회피하려는 현대인의 개인주의와 이기심
지금 자기가 서 있는 곳이 어딘지도 모른다는 태도로 멍하 버리는 게 시끄럽지 않을 것 같습니다.”
니 서 있었다. 여관에 들어서자 우리는 모든 프로가 끝나 버 “자살이지요?”
린 극장에서 나오는 때처럼 어찌할 바를 모르고 거북스럽기 “물론 그것이겠죠.”
만 했다. 여관에 비한다면 거리가 우리에게는 더 좋았던 셈 나는 급하게 옷을 주워 입었다. 개미 한 마리가 방바닥을
자살한 ‘사내’를 떠올리게 함.
이었다. 벽으로 나누어진 방들, 그것이 우리가 들어가야 할 내 발이 있는 쪽으로 기어오고 있었다. 그 개미가 내 발을
단절과 소외의 공간
곳이었다. ▶ 세 사람이 모두 여관에 들어감. 붙잡으려고 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나는 얼른 자리를
“모두 같은 방에 들기로 하는 것이 어떻겠어요?” 옮겨 디디었다. ▶ 자살한 ‘사내’를 두고 ‘나’와 ‘안’은 급히 여관을 빠져나옴.

내가 다시 말했다. 밖의 이른 아침에는 싸락눈이 내리고 있었다. 우리는 할


“난 아주 피곤합니다.” 수 있는 한 빠른 걸음으로 여관에서 멀어져 갔다.
안이 말했다. “난 그 사람이 죽으리라는 걸 알고 있었습니다.”
“방은 각각 하나씩 차지하고 자기로 하지요.” 안이 말했다.
“혼자 있기가 싫습니다.”라고 아저씨가 중얼거렸다. “난 짐작도 못 했습니다.”라고 나는 사실대로 이야기했다.
앞으로 일어날 사건(아저씨의 죽음)에 대한 복선
“혼자 주무시는 게 편하실 거예요.” “난 짐작하고 있었습니다.”
안이 말했다. 그는 코트의 깃을 세우며 말했다.
우리는 복도에서 헤어져 사환이 지적해 준, 나란히 붙은 “그렇지만 어떻게 합니까?”
방 세 개에 각각 한 사람씩 들어갔다. “그렇지요. 할 수 없지요. 난 짐작도 못 했는데…….”
현대인의 단절된 인간관계
“화투라도 사다가 놉시다.” 내가 말했다.
헤어지기 전에 내가 말했지만, “짐작했다고 하면 어떻게 하겠어요?”
“난 아주 피곤합니다. 하시고 싶으면 두 분이나 하세요.” 그가 내게 물었다.

46 1. 문학의 기능과 원리

고등문학(010~055)1단원(교).indd 46 2019. 8. 21. 오후 1:39


“어떻게 합니까? 그 양반 우리더러 어떡하라는 건지…….” 4 다음은 도토리묵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그린 현대시이

“그러게 말입니다. 「혼자 놓아두면 죽지 않을 줄 알았습니 다. 문학의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관계를 생각하며, 이 작
「」 : ‘안’의 개인적이고 폐쇄적인 가치관
다. 그게 내가 생각해 본 최선의, 그리고 유일한 방법이었 품이 주는 미적 기능을 생각해 보자.
습니다.”」
“난 그 양반이 죽으리라고는 짐작도 못 했으니까요. 약을
단단한 고요 _ 김선우
호주머니에 넣고 다녔던 모양이군요.”
안은 눈을 맞고 있는 어느 앙상한 가로수 밑에서 멈췄다.
마른 잎사귀에 도토리알 얼굴 부비는 소리 후두둑 뛰어내
나도 그를 따라가서 멈췄다. 그가 이상하다는 얼굴로 나에 의인법 의성어
려 저마다 멍드는 소리 멍석 위에 나란히 잠든 반들거리는
게 물었다.
몸 위로 살짝살짝 늦가을 햇볕 발 디디는 소리 먼 길 날아온
“김 형, 우리는 분명히 스물다섯 살짜리죠?” 의태어 공감각적 심상
늙은 잠자리 채머리 떠는 소리 맷돌 속에서 껍질 타지며 가
“난 분명히 그렇습니다.” 머리가 저절로 계속하여 흔들리는 병적 현상 알알이 쪼개지며
슴 동당거리는 소리 사그락사그락 고운 뼛가루 저희끼리 소
“나도 그건 분명합니다.”
근대며 어루만져 주는 소리 보드랍고 찰진 것들 물속에 가
그는 고개를 한 번 기웃했다.
라앉으며 안녕 안녕 가벼운 것들에게 이별 인사하는 소리
“두려워집니다.”
‘사내’의 죽음 이후 고독감과 허무감을 인식하기 시작함. 아궁이 불 위에서 가슴이 확 열리며 저희끼리 다시 엉기는
“뭐가요?”
소리 식어 가며 단단해지며 서로 핥아 주는 소리
내가 물었다. ▶ 도토리묵이 만들어지는 과정

“그 뭔가가, 그러니까…….”
도마 위에 다갈빛 도토리묵 한 모 ▶ 완성된 도토리묵
그가 한숨 같은 음성으로 말했다.
“우리가 너무 늙어 버린 것 같지 않습니까?”
모든 소리들이 흘러 들어간 뒤에 비로소 생겨난 저 고요
“우린 이제 겨우 스물다섯 살입니다.” 도토리묵 한 모에 여러 소리들이 들어가 있는 상태를 나타냄.
저토록 시끄러운, 저토록 단단한,
나는 말했다. ▶ 도토리묵의 개성적 이미지 환기
작품 개관
“하여튼…….” 하고 그가 내게 손을 내밀며 말했다.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감각적, 개성적
“자, 여기서 헤어집시다. 재미 많이 보세요.” 하고 나도
제재 도토리묵
그의 손을 잡으며 말했다. 주제 도토리묵에 대한 개성적 통찰
① 시적 대상인 도토리를 의인화함.
우리는 헤어졌다. 나는 마침 버스가 막 도착한 길 건너편 ② ‌주로 청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대상을 효과적으로 표현
특징 함.
의 버스 정류장으로 달려갔다. 버스에 올라서 창으로 내다 ③ ‌도토리묵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는 소리’로 반복적으로
표현 하여 운율을 형성함.
보니 안은 앙상한 나뭇가지 사이로 내리는 눈을 맞으며 무
예시 답 이 시는 우리가 흔히 무르고 연약하며 밋밋한 것으로 인식하는
언지 곰곰이 생각하고 서 있었다. 도토리묵을, 의인화와 청각적 이미지 등을 통해 개성적으로 표현한 작
▶ ‘나’와 ‘안’은 헤어져 각자의 길을 감.
작품 개관 품이다. 시인의 이러한 창의적인 인식은 독특한 시상 전개와 표현 방식,
갈래 단편 소설 성격 사실적, 현실 고발적 산문적 리듬과 끊어 읽기의 호흡 등을 통해 한층 더 심화된 문학적 완
배경 1964년 어느 겨울밤 / 서울 거리 성도를 보여 준다. 이를 통해 독자는 깊은 감동을 느끼게 된다.
주제 현대인들의 방황과 연대감 상실로 인한 절망
① 등장인물을
‌ 익명화하여 제시함.
특징
② 상징적
‌ 표현으로 인간적 유대가 없는 현대인의 모습을 그림.
사환(使喚) 관청이나 회사, 가게 따위에서 잔심부름을 시키기 위하여 고용
한 사람.
숙박계 여관이나 호텔 등에서 숙박인의 성명, 주소, 행선지 등을 적은 서류.
‘숙박부’,  ‘숙박 신고’,  ‘숙박 신고서’,  ‘ 숙박 장부’로 순화.
자리끼 잠자리에서 마시기 위해 머리맡에 미리 떠 놓은 물.

대단원 마무리 47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47 2019. 1. 9. 오후 5:00


독서 시집을 읽고 시 영상 제작하기
1
시를 읽는 일을 어렵게 여기는 사람이 적지 않습니다. 시는 시인이 자기 생각과 감정을 최대

한 응축된 언어로 표현하는 예술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시를 읽는 일은 즐거운 작업입니

다. 시를 읽으면서 미적 경험을 하고 새로운 인식을 발견하는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

라, 어려운 암호문을 풀이하여 그 속에 숨겨진 내용을 찾아내는 것과 같은 지적인 즐거움도 누

릴 수 있습니다. 도서관에서 친구들과 함께 시집을 찾아 읽고 시를 감상하며 그 내용을 영상으

로 제작하는 즐거움을 느껴 봅시다.

1 모둠별로 함께 읽을 시집을 선정해 보자.

⑴ 도서관에서 시집을 구경하면서 가장 마음에 드는 시를 골라 보자. 시를 그대로 옮겨 쓰


고, 이 시가 좋다고 생각하는 까닭은 무엇인지 써 보자.

•제목:
•작가: 내가
마음에 드는 시 마음에 들었던
•시가 수록된 시집 제목:
시는…….
•출판사 및 출간 연도:

시가 좋은 이유

48 문학이 꽃피는 도서관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48 2019. 1. 8. 오후 10:11


⑵ 모둠별로 모여 앉아 각자 고른 시를 낭송해 보고, 어떤 친구의 시가 마음에 드는지 이야
기해 보자.

나는 정아가 낭송해 준 시가 참 좋아.


지금 내 마음을 나타낸 것 같아.

나는 이/ 가
낭송해 준 시가 참 좋아.
왜냐하면
.

수업 tip ⑶ ⑵를 바탕으로 하여 모둠에서 시인 한 명을 정하고, 시인이 쓴 시집 중에서 함께 읽고 싶


모둠원들의 시 나누기
가 끝나면 투표 및 토론 은 책을 선정해 보자.
을 통해 우리 모둠의 시를
고른다. 학생들이 고른 시
로 글쓰기와 시 영상 만들
이름 시집 제목
기 작업을 해야 하므로 너
무 짧은 시를 고르지 않도
록 주의를 준다. 시가 너
무 짧으면 해석해야 할 부
분이 너무 많아 시 영상이
제대로 나오지 않을 수 있
기 때문이다.

우리 모둠이 고른 시집

한 권 독서 1 49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49 2019. 1. 8. 오후 10:11


2 선정한 시집을 읽으면서 독서 일지를 써 보자.

⑴ 시집과 만난 첫 느낌의 내용을 정리해 보자.

•표지를 보았을 때 느낌은 어땠어?

•목차를 보았을 때 어떤 내용이라고 생각했어?

•작가에 대해서 배경지식이 있었니?

•기타:
등 관계

수업 tip ⑵ 모둠이 고른 시집을 읽으면서 떠오르는 점, 궁금한 점 등에 대해 자유롭게 메모해 보자.


시집을 읽고 기록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학생
들이 많을 것이다. 이때는
세부적으로 적기보다는
자신의 일상생활과 관련 •읽은 날짜: •읽은 날짜:
하여 느낀 점을 떠올려 간
단하게 작성하여 부담을 •읽은 작품 수: •읽은 작품 수:
갖지 않도록 한다.
•느낀 점: •느낀 점:

•읽은 날짜:
•읽은 날짜:
•읽은 작품 수:
•읽은 작품 수:
•느낀 점:
•느낀 점:

50 문학이 꽃피는 도서관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50 2019. 1. 8. 오후 10:11


⑶ 시집을 모두 읽고 다음 내용을 정리해 보자.

개인
활동
1 시집에 있는 작품 중에서 인상 깊은 구절 옮겨 적기

수업 tip 2 가장 마음에 드는 시 적기
학생들에게 자신이 마
음에 드는 부분을 필사하
도록 하는 활동으로, 이러
한 과정을 통해 작품의 내
용을 한번 더 음미할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한다.
필사할 시간이 부족한 경
우는 해당 시의 원문을 복
사하여 정리하는 것도 가
능하다.

한 권 독서 1 51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51 2019. 1. 8. 오후 10:11


모둠
활동
3 시집을 다 읽고 느낀 점을 친구들과 정리하기

4 이 시집의 대표 작품 선정하기

대표 작품 후보 선정 여부

5 이 시집을 다른 모둠 친구들에게 소개할 때, 그 내용을 한 줄로 써 보기

52 문학이 꽃피는 도서관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52 2019. 1. 8. 오후 10:11


수업 tip
3 선정한 시에 대한 영상을 제작해 보자.

⑴ 우리 모둠에서 고른 시를 함께 감상하고, 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로 꾸며 보자.


모둠별로 논의하여, 선
정한 시의 내용을 어떻게
영상으로 만들 것인지 간
단한 시놉시스(영상 줄거 제목
리)를 완성하게 한다. 이
때 작품의 해석이 제대로
안 된 상태에서 영상 줄거
리를 만들게 되면 영상을
만드는 내내 다시 처음으 줄거리
로 돌아와서 해석과 줄거
리 짜기를 반복하게 된다.
작품에 대한 꼼꼼한 해석
을 바탕으로 인물, 배경,
사건 등의 기본적인 줄거 구성
리를 짤 수 있게 한다.

① 처음:

② 중간:

③ 끝: 시의 내용과 관련된
자신의 경험을 소재로 하거나
자신이 시적 화자라면 어떻게
하고 싶은지 상상한 내용을
소재로 하여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어.

⑵ 모둠원의 역할을 나누어 보자.

역할 모둠원 이름

총 감독

스토리보드 작성

촬영

편집

배역

한 권 독서 1 53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53 2019. 1. 8. 오후 10:11


⑶ 영상 촬영 기법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스토리보드(storyboard)를 작성해 보자.

•로 앵글(Low angle, 밑에서 보기) 피사체보다 밑에 카메라를 위치시키고 위로 향해 피사체를 촬영하는 방
법.
•하이 앵글(High angle, 위에서 보기) 피사체보다 위에 카메라를 위치시키고 밑으로 피사체를 내려다보며
촬영하는 방법.
•클로즈업(close-up, 가까이 찍기) 인물의 얼굴이나 특정 피사체를 중심으로 촬영하는 방법.
•익스트림 클로즈업(Extreme close up, 매우 가까이 찍기) ‘가까이 찍기’에서 특정 부위를 더 확대하여 포착
해 한 부분만을 극도로 확대하여 촬영하는 방법.
•롱 숏(Long Shot, 멀리서 찍기) 카메라를 피사체로부터 멀리 하여 전경을 모두 찍을 수 있도록 촬영하는 방
법.
•풀 숏(Full shot, 대상이 가득 차게 찍기) 피사체의 전체를 화면에 가득히 촬영하는 방법.
•오버 더 숄더 숏(Over The Shoulder Shot, 어깨 너머로 찍기) 두 인물을 보여 줄 때 한 인물의 어깨 너머로
다른 인물이 보이게 촬영하는 방법.

번호 영상 효과 내용

풍경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잘 전달되도록


설명 카메라를 멀리서 찍는다. 잔잔한 물결 위에
배가 떠 있다.

1
소리 조용한 가운데 ‘털썩’ 하는 소리.

자막 아무 소리도 없이 말도 없이 등 뒤로 털썩

우리 모둠의 스토리보드

번호 영상 효과 내용

설명

1 소리

자막

설명

2 소리

자막

54 문학이 꽃피는 도서관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54 2019. 1. 8. 오후 10:11


설명

3 소리

자막

설명

4 소리

자막

⑷ 스토리보드를 바탕으로 하여 역할에 맞게 각 장면을 촬영하고 어울리는 음악을 삽입하여


시 영상을 편집해 보자.

⑸ 시 영상을 만들고 감상한 다음 소감을 적어 보자.

⑹ 각 모둠이 만든 시 영상을 함께 감상하고, 다음 기준을 고려하여 평가해 보자.

기준 평가

시 영상이 시를 깊고 풍부하게 만들고 있는가?

시의 내용이 영상과 잘 어울리는가?

영상과 소리가 잘 어울리는가?

화면의 흐름이 자연스러운가?

영상의 길이는 적절한가?

한 권 독서 1 55

고등문학(010~055)1단원(교)사.indd 55 2019. 1. 8. 오후 10:11


대단원 설정 이유 대단원 지도 방안
이 단원은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과정에서 다양한 문학 활동을 즐기고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학생들이 문학 작품과 관련된 다양한 맥락을
그 결과를 자유롭게 소통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문학을 수용하 스스로 발견하고 탐구하면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문학
는 과정에서 다양한 맥락을 고려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고, 문학 작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활동을 할 때는 작품의 내용, 형식, 맥락, 매체
품을 공감적·비판적·창의적으로 수용하는 과정과 재구성하거나 창작하 등을 바꾸어 보며 작품을 비판적, 창의적으로 수용하고 재구성해 보도록
는 과정을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문학과 인접 분 지도한다. 문학과 인접 분야의 관계를 고려한 작품 감상을 지도할 때는
야의 관계를 이해하고 전달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학 작품 감상의 능 문학을 다른 예술 분야로, 또는 다른 예술 분야를 문학으로 변환하는 활
력과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동을 하면서 문학과 다른 예술 분야의 관계를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도
록 지도한다.

교과서 그림 활용하기
생활 속에서 문학 작품을 감상
하는 즐거움을 표현한 삽화를 활
용하여, 문학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다양한 활동을 소개할 수 있다.

타 학년과의 연계성
소단원명 문학 성취기준 타 학년 관련 성취기준
⑴ [문학02-02] 작품을 작가, 사회·문화적 배경,
[중1~3학년군] 작품이 창작된 사회·문화적
문학 감상의 상호 텍스트성 등 다양한 맥락에서 이해하고
배경을 바탕으로 작품을 이해한다.
맥락 감상한다.
[문학02-04] 작품을 공감적, 비판적, 창의적
⑵ 으로 수용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상호 소통
[중1~3학년군] 재구성된 작품을 원작과 비교
문학 활동의 한다.
하고, 변화 양상을 파악하며 감상한다.
이해 [문학02-05] 작품을 읽고 다양한 시각에서
재구성하거나 주체적인 관점에서 창작한다.
[문학02-03] 문학과 인접 분야의 관계를 바
⑶ 탕으로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하며 평가한다. [고등 국어] 주체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해석
문학의 인접 [문학02-06] 다양한 매체로 구현된 작품의 하고 평가하며 문학을 생활화하는 태도를 기
분야와 매체 창의적 표현 방법과 심미적 가치를 문학적 관 른다.
점에서 수용하고 소통한다.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56 2019. 1. 8. 오후 10:12


문학의
수용과 생  산
대단원별 수업 지도안

단원별 평가 계획서

작품 ① 이생규장전
1~3차시 (1) 문학 감상의 맥락 작품 ② 쉽게 씌어진 시
차시별 수업 지도안

작품 ① 스노우맨
4~8차시
(2) 문학 활동의 이해 작품 ②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차시별 수업 지도안

작품 ① 저녁에
9~11차시
(3) 문학의 인접 분야와 매체 작품 ②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차시별 수업 지도안

12차시 대단원 마무리

나는 꿈을 꾸리라.
놓친 참새를 쫓아
밝은 들판을 내닫는 꿈을.
- 황인숙,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에서

대단원 핵심 역량
관련 핵심 역량
다양한 상황이나 자료, 담화, 글을 주체적인 관점에서 해석하고 평가하여 새롭고
비판적·
독창적인 의미를 부여하거나 만드는 능력이다. 이 단원에서는 문학 작품을 공감적,
창의적
비판

사고

비판적, 창의적으로 수용하고, 주체적인 관점에서 새롭게 재구성하거나 창작할 수 적


사고 역량 •창 의 적
있다.
음성 언어, 문자 언어, 기호와 매체 등을 활용하여 생각과 느낌, 경험 등을 표현하
의사소통 거나 이해하면서 의미를 구성하고, 자아와 타인 및 세계와의 관계를 점검·조정하
역량 는 능력이다. 이 단원에서는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전 과정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상호 소통해 볼 수 있다.
삶의 가치와 의미를 끊임없이 반성하고 탐색하며, 변화하는 사회에서 필요한 재 의사 통

자기 성찰· 능과 자질을 계발하고 관리하는 능력이다. 이 단원에서는 문학 작품을 창작하는
계발 역량 활동을 통해 자기 삶에 대해 성찰하고, 나아가 사회와 세계를 이해하는 안목을 기
를 수 있다.


성 찰•계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57 2019. 1. 8. 오후 10:12


눈앞에 맛있어 보이는 음식이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런데 같은 음식이라도 누가

문학 만들었는지, 어떻게 만들었는지, 어떤 음식과 함께 먹는지에 따라서 그 맛을 다르게 느

낄 수 있다. 문학도 이와 비슷하다. 문학 작품도 작가가 어떤 사람인지를 알고, 작


감상의 품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며, 유사한 작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알면 더 많은
작품의 이해와 감상에 필요한 맥락 - 작가의 맥락, 사회·문화적 배경의 맥락, 상호 텍스트성의 맥락

맥락 것을 느낄 수 있다.

이 단원에서는 문학 작품이 어떤 맥락에서 만들어졌는지를 파악하고, 감상 맥락에 따


스마트 수업 PPT

라 의미와 가치가 달라짐을 이해하며, 문학을 감상하는 힘을 길러 보도록 하자.


세 번째 질문 이끌기
맥락을 고려한 작품 감상의 효과와
관련된 질문이다. 맥락을 고려하면 문
학 작품을 감상하는 폭을 넓히고 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생각해 보자. 맥락을 고려해서 작품을 읽을 때의
‌문학 작품과 관련된 작가의
맥락을 고려하여 작품을 소단원 도입 애니메이션
장점은 무엇일까?
이해하고 감상한다.
‌문학 작품과 관련된 사회ㆍ
문화적 배경의 맥락을 고
려하여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맥락이란 무엇을 작품의 이해와 감상에 필요한
말하는 것일까? 맥락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문학 작품과 관련된 상호
텍스트성의 맥락을 고려하
여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 첫 번째 질문 이끌기
두 번째 질문 이끌기
한다. 맥락의 사전적 의미인 ‘사물 따
위가 서로 이어져 있는 관계나 연 문학 작품 감상을 위해 맥락
관’을 제시해 주고, 문학에서 해당 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간략하
소단원 수업은 이렇게 게 설명하고, 그러한 맥락에는 어
개념이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
이 단원은 문학 작품이 다양한 요소 자유롭게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이 떤 것들이 있을지 생각해 보게 한다.
들의 결합체임을 이해하고 작품에 작용 끌어 준다. 작가, 사회·문화적 배경, 상호 텍
하는 다양한 맥락을 고려하여 감상하는 스트성의 맥락에 대해 자연스럽게
것이 목표이다. 문학 작품에는 창작의 이해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주체인 작가, 창작 당시의 사회·문화적 이 단원에서는 
배경,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다른 작품
들과의 상호 텍스트성 맥락이 존재한다. 1 〈 이생규장전〉을 감상하며 문학 작품의 사회ㆍ문화적 배경 및 문학 작품이 다른 작품과 맺는
그러므로 독자가 문학 작품을 온전히 수
용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다양한 맥 관계를 이해해 보자. ▶ 교과서 59쪽, 지도서 118쪽
락을 함께 고려하여 감상해야 한다. 따
라서 이 단원에서는 작품을 둘러싼 맥락 2 〈 쉽게 씌어진 시〉를 감상하며 문학 작품과 작가가 맺는 관계를 이해해 보자. ▶ 교과서 67쪽, 지도서 126쪽
을 고려하여 작품을 감상하는 활동이 유
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 교과서 72쪽, 지도서 117쪽

58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58 2019. 1. 8. 오후 10:12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죽음을 초월한 남녀 간의 애절한 사랑을 그린 조선 초기의
한문 소설로, 《금오신화(金鰲新話)》에 실린 다섯 편 중 하나이다, 이생과
1
최 씨는 부모의 반대와, ‘홍건적의 난’으로 인한 죽음을 극복하고 생사를
초월한 사랑을 한다. 이 과정에서 여성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을 통
해 사랑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당대의 유교적 관습에서 벗어난 자유 연애
사상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 작품은 상호 텍스트성 맥락
을 고려할 때 ‘전쟁으로 인한 만남과 이별의 반복’이라는 구조를 지닌 다
른 고전 소설 작품과 함께 감상할 수 있다. 따라서 〈이생규장전〉을 둘러
싼 다양한 맥락을 고려하여 작품을 감상하는 활동을 통해, 문학 작품에
작용하는 사회·문화적 맥락과 상호 텍스트성 맥락에 대해 이해할 수 있
을 것이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김시습 (1435  ~1493) 작가 동영상
제목 관련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는 이 작품의 내용은 무엇일까
질문의 예 요? 조선 전기의 문인.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수양 대군
이 단종을 내쫓고 왕위에 오르자 승려가 되어 전국을
삽화 관련 교과서 59쪽의 삽화에 있는 두 사람은 어떤 관계일 떠돌아다녔으며, 인간의 고뇌를 섬세하게 다룬 작품을
질문의 예 까요?
남겼다. 한국 최초의 한문 소설집인 《금오신화》를 지
었다.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누군가를 좋아해 본 경험이 있는가?


 전쟁은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예시 답 사람들은 왜 저승과 이승이 엮이는 이야

기를 좋아할까?

⑴ 문학 감상의 맥락 59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59 2019. 1. 8. 오후 10:12


〈이생규장전〉은 《금오신화》에 수록된 다섯 편의 작품 가운데 하나로, 생사를 초월한 남녀의 애틋한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문학 작품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상호 텍스트성을 고려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개관
갈래 전기 소설(傳奇小說), 한문 소설
수업의 포인트
성격 전기적, 낭만적, 비극적
•주요 사건 및 ‘만남-이별’의 구조 파악하기
배경 고려 말 / 고려의 개성
•비현실적인 내용을 찾고 작품의 전기성 이해하기
주제 죽음을 초월한 남녀 간의 애절한 사랑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작품이 지니는 의미 생각해 보기
① ‌현실의 제도, 전쟁, 운명과 대결하
‘이생이 담 안을 엿본 이야기’라는 뜻으로, 이생과 최 씨의 인연이 시작되는 는 인간의 의지가 드러남.
순간을 의미함. 여기서 ‘담’은 두 사람 사이를 막는 장애물을 뜻함. ② ‌죽은 여인과 사랑을 이루는 후반부
에 전기적 특성이 드러남.

이생규장전 (李生窺牆傳) | 김시습 특징


③ ‌삽입 시를 활용하여 등장인물의 심
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함.
④ ‌‘만남 - 이별’을 반복하는 구조로 사
窺(엿볼 규), 牆(담 장)
건이 전개됨.
작품 줄거리 애니메이션
⑤ ‌유(儒)·불(佛)·선(仙) 사상이 혼재
하여 나타남.
작품 줄거리 음성

앞부분 줄거리

개성에 사는 이생은 어느 봄날 우연히 담 너머로 아름다운 여인을 보게 되고, 여인(최 씨) 역시 이생에


고려의 수도 → 공간적 배경 첫 번째 만남
게 마음이 끌린다. 편지로 서로의 마음을 확인한 두 사람은 결국 사랑하는 사이가 된다. 두 사람의 관계
자유연애
를 눈치챈 이생의 아버지는 이생을 지방으로 보내고, 최 씨는 상사병을 얻는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최 씨 5
첫 번째 이별 → 원인: 봉건적 사회 제도
의 부모는 간곡한 딸의 청에 따라 이생의 부모를 설득하고 결국 이생과 최 씨는 혼례를 올린다.
두 번째 만남

〈이생규장전〉의 구성 위기 「신축년에 홍건적이 고려의 서울인 개성을 점령하자 임금은 복주(福州)로 피란


•이생과 최 씨의 사랑 「」 : 1361년에 있었던 홍건적의 2차 침범을 역사적 배경으로 제시함.
전반
과 결혼 을 갔다. 홍건적은 집을 불태우고 사람을 죽이고 가축을 잡아먹었다.」 백성들은

•현실적 이야기
 부부, 친척끼리도 서로를 보호하지 못하고 이리저리 달아나 숨은 채 각자 자기
홍건적의 침입으로 전쟁 중에
최 씨가 죽게 됨.
살기를 도모해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10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하여 대책과 방법을 세움.
 이생도 가족들을 데리고 외진 산골로 숨었는데 도적 한 명이 칼을 빼 들고 그
•이생과 죽은 최 씨의
후반

사랑과 이별 들의 뒤를 쫓아왔다. 이생은 달아나 겨우 목숨을 건졌지만 최 씨는 도적에게 사
•비현실적 이야기 두 번째 이별 → 원인: 전쟁
로잡히고 말았다. 도적이 자신을 겁탈하려 하자 최 씨는 크게 꾸짖으며 말하였
다.
규장(窺牆) 담 안을 엿봄.
신축년(辛丑年) 고려 공민왕 10 “호귀(虎鬼)야, 나를 죽여 삼켜 버려라. 차라리 죽어 승냥이와 이리의 배 속에 15
년(1361년)을 말함.
홍건적(紅巾賊) 중국 원나라 말 들어갈지언정 어찌 개돼지 같은 놈의 짝이 되겠느냐.”
기에 일어난 도둑의 무리. 머리
도적은 노하여 최 씨를 죽였다. 이생은 거친 들판에 숨어서 겨우 목숨을 보전
에 붉은 수건을 쓴 까닭에 이렇
게 부르며, 두 차례에 걸쳐 고려 하다가 얼마 후 도적이 물러갔다는 소식을 듣고 부모님이 사시던 옛집을 찾아갔
를 침범하였음.
복주(福州) 경상북도 안동시의
다. 그러나 집은 이미 전쟁 통에 불타 버린 후였다. 그래서 이번에는 최 씨의 집
옛 이름.
으로 가 보았더니 행랑채만 덩그러니 남아 황량한 가운데 쥐들이 찍찍대고 새들 20
호귀(虎鬼) 호랑이에게 물려 죽
은 귀신. 창귀라고도 함. 이 지저귀고 있었다. ▶ 홍건적의 침입으로 전쟁이 일어나고 최 씨가 죽게 됨.

60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indd 60 2020. 11. 24. 오전 9:48


죽은 최 씨가 이승으로 돌아온
절정 이생은 슬픈 마음을 억누를 길이 없어 작은 누각에 올라가서 눈물을 훔치며 길 사건의 의미
•이생과 최 씨의 사랑을 다시 성
게 탄식할 뿐이었다. 어느새 날이 저물었다. 그는 우두커니 홀로 앉아 지난날을 취하기 위한 작가의 의도적인
장치
가만히 떠올려 보았지만 모든 게 한바탕 꿈만 같았다. •이승과 저승의 경계를 허물고
죽음도 초월하여 두 사람이 사
랑을 이루는 모습을 통해 부당
이경(二更)쯤 되어 달빛이 희미한 빛을 토하며 들보를 비추었다. 그런데 회랑
한 현실(전쟁)에 대한 저항 의지
새로운 사건의 발생을 암시함.
를 드러냄.
5 끝에서 웬 발소리가 들려왔다. 그 소리는 멀리서부터 들려오더니 차츰 가까워졌
죽은 최 씨가 살아남은 이생을
다. 발소리가 이생 앞에 이르렀을 때 보니 바로 최 씨였다. 찾아온 까닭은 무엇일까?
예시 답 홍건적의 난에 의해 헤
이생은 그녀가 이미 죽은 것을 알고 있었지만 너무도 사랑하는 나머지 한 치의 어졌던 이생과 다시 만나서 부부
비현실적인 사건 전개 → 전기성(傳奇性) 의 인연을 계속 맺고 행복하게
의심도 없이 물었다. 지내기 위해서이다.

전기성(傳奇性)
“당신은 어디로 피란하여 목숨을 부지하였소?”
‘전기(傳奇)’는 ‘기이한 것을 전
10 최 씨는 이생의 손을 잡고 한바탕 통곡하더니 그간의 사정을 이야기하기 시작 한다’는 뜻으로, 중국 당나라 때
의 작품명에서 유래함. 현실적으
로 믿기 어려운 괴기하고 신기한
했다. 내용들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현
실적 인간 세계를 벗어나 천상과
“저는 본디 양가의 딸로서 어려서부터 어버이의 가르침을 받들어 수놓기와 바 명부, 용궁 등을 배경으로 하며,
지체가 있는 좋은 집안 초인적 능력을 발휘하는 인간이
느질에 힘쓰고 시서(詩書)와 인의(仁義)의 방도를 배울 뿐이었습니다. 오로지 나 자연물 등이 등장함.

규문의 법도만 알았을 뿐 어찌 집 밖의 일을 헤아릴 수 있었겠습니까? 그런데


봉건주의적 사회 질서에 맞는 여자로서의 태도
15 당신께서 붉은 살구꽃이 핀 담장 안을 한 번 엿보신 후 제가 스스로 푸른 바다
‘이생규장’이라는 제목의 의미가 담긴 구절 주체적, 적극적으로 사랑을 이룸.
의 구슬을 바쳤지요. 꽃 앞에서 한 번 웃고는 평생의 은혜를 맺었고, 휘장 안
이생과의 첫 번째 만남
에서 다시 만났을 때는 은정이 백 년을 넘칠 것 같았지요.
이생과의 두 번째 만남
말이 여기에 이르고 보니 슬프고 부끄러워 견딜 수가 없군요. 장차 평생을
함께하려고 하였는데 뜻밖의 횡액을 만나 구덩이에 뒹굴게 될 줄 어찌 생각이
홍건적의 난
20 나 했겠습니까? 그러나 저는 끝까지 짐승 같은 놈에게 몸을 내맡기지 않고 스 최 씨의 성격과 가치관
절개를 지키기 위해 죽음을 선택함. 이생을 만나 사랑을 하게 된
스로 진흙탕에서 육신이 찢기는 길을 택하였지요. 그건 천성이 저절로 그렇게 후 어려움을 극복하고 혼례를
올림.
한 것이지 인정으로야 차마 견딜 수 있는 일이 아니었답니다. 
적극적이고 진취적인 애정관
외진 산골짜기에서 당신과 헤어진 후로 짝을 잃고 홀로 날아가는 새의 신세
이 드러남. → 당시 봉건적인
이생과 헤어진 자신(최 씨)의 처지를 비유함.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비추
가 된 것이 너무 한스러웠습니다. 집도 없어지고, 부모님도 돌아가셨으니 고단 어 볼 때 파격적임.

25 한 혼백조차 의지할 곳이 없었지만 절의는 귀중하고 목숨은 가벼우니 쇠잔한


절개와 의리가 목숨보다 귀중함. → 유교적 세계관
몸뚱이일망정 치욕을 면한 것만으로도 다행이라 생각했지요. 하지만 누가 마
이경 (二更) 하룻밤을 오경(五
디마디 끊어져 재처럼 식어 버린 제 마음을 불쌍히 여겨 주겠습니까? 그저 조 更)으로 나눈 둘째 부분. 밤 아홉
시부터 열한 시 사이.
각조각 끊어진 썩은 창자만 모아 두었을 뿐, 해골은 들판에 던져졌고 간과 쓸개 규문(閨門) 규중(閨中). 부녀자
가 거처하는 곳.
는 땅바닥에 버려져 흙먼지를 뒤집어쓰고 있지요. 가만히 지난날의 즐거움을
횡액(橫厄) 뜻밖에 닥쳐오는 불
30 헤아려 보기도 하지만 오늘의 근심과 원한만이 마음에 가득 차 버렸습니다. 행.

⑴ 문학 감상의 맥락 61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61 2019. 1. 8. 오후 10:12


이제 추연(鄒衍)이 피리를 불어 적막한 골짜기에 봄바람을 일으켰으니 저도
천녀(倩女)의 혼이 이승으로 돌아왔듯이 이곳으로 돌아오렵니다. 봉래산에서
십이 년 만에 만나자는 약속을 이미 단단히 맺었고, 취굴(聚窟)에서 삼생(三
전생(前生), 현생(現生), 내생(來生)인 과거세, 현재세, 미래세
生)의 향이 그윽이 풍겨 나오니 그동안 오래 떨어져 있던 정을 되살려서 옛 맹
세를 저버리지 않겠다고 약속하겠어요. 만약 당신이 아직도 옛 맹세를 잊지 5
최 씨가 이생에게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내용
않으셨다면 저는 끝까지 잘해 보고 싶어요. 당신도 허락하시는 거지요?”
▶ 최 씨가 그동안의 사정을 이야기함.
이생은 기쁘고도 감격하여 말했다.
“그건 바로 내가 바라던 바요.”
두 사람은 다정하게 마주 앉아 그간의 회포를 풀었다. 그러다가 재산을 얼마
마음속에 품은 생각이나 정(情)
나 도적에게 약탈당했는가에 관해 묻자 최 씨가 말하였다. 10

“조금도 잃지 않았어요. 아무 산 아무 골짜기에 묻어 두었답니다.”


이생이 또 물었다.
“양가 부모님의 유해는 어디에 있소?”
최 씨가 대답하였다.
“아무 곳에 그냥 버려져 있는 상태랍니다.” 15

두 사람은 그간의 정회를 다 나눈 후 나란히 잠자리에 들었다. 지극한 즐거움


생각하는 마음. 또는 정과 회포를 아울러 이르는 말
이 예전과 같았다. ▶ 이생과 죽은 최 씨가 재회함.

결말 다음 날 최 씨와 이생은 함께 재물이 묻혀 있는 곳을 찾아갔다. 과연 금은 여러


덩이와 얼마간의 재물을 얻을 수 있었다. 그들은 또 양가 부모님의 유골을 수습
•‌두 사람이 처음 만나 사랑 한 후 금과 재물을 팔아 각각 오관산 기슭에 합장하였다. 묘소에 나무를 심고 제 20
을 나눈 시절 여러 사람의 시체를 한 무덤에 묻음.
•‌부모의 허락을 얻어 혼례 사를 드려 예를 극진히 갖추었다.
를 치르고 부부가 되어 지 유교적 도리인 효(孝)를 실천함.
낸 시절 「그 뒤 이생은 벼슬을 구하지 않고 최 씨와 함께 살았다. 목숨을 구하고자 달아
•‌죽음을 초월하여 다시 만 「」 : 이생이 속세와 인연을 끊고 최 씨와 행복하게 지냄.
나 함께 지낸 시절
났던 종들도 다시 스스로 돌아왔다. 이생은 이때부터 인간사에 게을러져서 비록
추연(鄒衍) 중국 전국 시대 제 친척이나 손님들의 길흉사에 하례하고 조문해야 할 일이 있더라도 문을 걸어 잠
(齊)나라의 음양오행설을 제창 두문물출(杜門不出): 집에만 있고 바깥출입을 아니함.
한 사상가. 그고 밖으로 나가지 않았다. 그는 항상 최 씨와 더불어 시를 지어 주고받으며 금 25
금실지락(琴瑟之樂)
천녀 (倩女) 당나라 진현우(陳
실 좋게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 그렇게 몇 년이 흘러갔다.
玄祐)가 지은 전기 소설 〈이혼기 ▶ 이생은 인간사와 인연을 끊고 최 씨와 행복한 시간을 보냄.
(離魂記)〉에 나오는 인물로 영혼 어느 날 저녁 최 씨가 이생에게 말했다.
이 되어서도 애인과 함께 살았
던 여인. “세 번이나 좋은 시절을 만났지만 세상일은 뜻대로 되지 않고 어그러지기만
취굴(聚窟) 중국 서해에 있다고
하네요. 즐거움이 다하기도 전에 갑자기 슬픈 이별이 닥쳐오니 말이에요.”
하는 신선의 거처.
금실(琴瑟) 부부간의 사랑. 그러고는 마침내 오열하기 시작하였다. 이생은 깜짝 놀라서 물었다. 30
이생과 헤어져야 하기 때문에

62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62 2019. 1. 8. 오후 10:12


“무슨 일로 그러시오?”
최 씨가 대답하였다.
“저승길의 운수는 피할 수가 없답니다. 하느님께서 저와 당신의 연분이 아직
끝나지 않았고, 또 저희가 아무런 죄악도 저지르지 않았음을 아시고 이 몸을
최 씨가 환생하여 이생을 만날 수 있었던 이유 → 필연성 부여
5 환생시켜 당신과 지내며 잠시 시름을 잊게 해 주신 것이었어요. 그러나 인간
세상에 오랫동안 머물면서 산 사람을 미혹시킬 수는 없답니다.”
이승과 저승의 세계에 분명한 경계가 있음.
최 씨는 시녀를 시켜 술을 올리게 하고는 <옥루춘(玉樓春)>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면서 이생에게 술을 권하였다.
삽입 시의 역할
•작품의 분위기를 형성함.
•사건의 전개 방향을 암시함.
창과 방패가 눈에 가득한 싸움터 •주제를 집약적으로 전달함.
이 노래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홍건적의 침입으로 어지러운 세상 •인물의 심리를 비유적, 함축적 생각해 보자.
10 옥이 부서지고 꽃도 흩날리고 원앙도 짝을 잃네. 으로 표현함. 예시 답 삽입된 노래에는 홍건적
죽음을 맞은 최 씨의 상황을 비유함. 의 침입으로 죽음을 맞은 최 씨
여기저기 흩어진 해골을 그 누가 묻어 주랴. 가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내용
과 이생과의 영원한 이별을 앞둔
피에 젖어 떠도는 영혼 하소연할 곳 없어라. 슬픈 마음이 담겨 있다. 따라서
작품에 삽입된 노래는 최 씨의
애달픈 심리를 표현하고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역
할을 한다.
무산 선녀가 고당에 한 번 내려온 후
최 씨를 가리킴.
깨졌던 거울이 다시 갈라지니 마음만 쓰려라.
최 씨와 이생의 이별
15 이제 한번 이별하면 둘 사이 아득하니
세 번째 이별을 암시함.
하늘과 인간 사이에 소식마저 막히리라.
이승과 저승의 절대적인 거리감

최 씨는 한 마디씩 노래를 부를 때마다 눈물을 삼키느라 곡조를 제대로 이어가


지 못하였다. ▶ 최 씨가 영원한 이별의 슬픔을 노래함.

이생도 슬픔을 걷잡지 못하여 말하였다.


20 “내 차라리 당신과 함께 저세상으로 갈지언정 어찌 무료히 홀로 살아남을 수
있겠소? 지난번 난리를 겪은 후 친척과 종들이 뿔뿔이 흩어지고, 돌아가신 부
홍건적의 난 풍비박산(風飛雹散). 사방으로 날아 흩어짐.
모님의 유해가 들판에 버려져 있을 때 당신이 아니었다면 누가 부모님을 묻어
드릴 수 있었겠소? 옛 성현이 말씀하시기를 ‘어버이 살아 계실 때는 예로써 섬
옥루춘(玉樓春) 악곡의 이름.
기고, 돌아가신 후에는 예로써 장사 지내야 한다.’라고 했는데 당신의 천성이 무산 선녀(巫山仙女) 중국 전설
효(孝)를 중시하는 이생의 태도 → 유교적 가치관 에 등장하는 아름답다는 선녀.
25 효성스럽고 인정이 두터웠기 때문에 이런 일을 다 처리할 수 있었던 것이오. 고당(高唐) 중국 초나라 때 운
몽택(雲夢澤, 지금의 호남성 동
당신의 정성에 너무도 감격하지만 한편으로는 나에 대한 부끄러움을 참을 길
홍건적의 난 때 홀로 살아남은 죄책감 때문에 정호) 가운데 있던 누대(樓臺)의
이 없었소. 부디 그대는 인간 세상에 더 오래 머물다가 백 년 후 나와 함께 흙 이름.
자신의 곁에 더 머물러 줄 것을 간곡하게 요청함.

⑴ 문학 감상의 맥락 63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63 2019. 1. 8. 오후 10:12


으로 돌아가시구려.”
최 씨가 대답하였다.

‌“당신의 목숨은 아직도 한참 더 남아 있지만 저는 이미 귀신의 명부에 이름
「」 : 최 씨가 더 이상 이생과 함께 지낼 수 없는 이유 이미 죽은 사람이니
이 실렸으니 이곳에 더 오래 머물 수가 없답니다. 만약 제가 굳이 인간 세상
을 그리워하며 미련을 두어 운명의 법도를 어기게 된다면 단지 저에게만 죄 5

과가 미치는 게 아니라 당신에게도 누를 끼치게 될 거예요.」 다만 제 유해가


아무 곳에 흩어져 있으니 만약 은혜를 베풀어 주시려면 그것이나
이생이 최 씨의 죽음을 받아들이지 않아 아직 최 씨의 시신이 수습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음.
거두어 비바람과 햇볕 아래 그냥 나뒹굴지 않게 해 주세요.”
두 사람은 서로 바라보며 눈물만 줄줄 흘렸다.
“서방님, 부디 몸 건강하세요.” 10

말을 마친 최 씨의 자취가 점차 희미해지더니 마침내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다.
이생은 그녀의 유골을 거두어 부모님 무덤 곁에 묻어 주었다.
장사를 지낸 뒤 이생도 최 씨와의 추억을 생각하다 병을 얻어 몇
최 씨에 대한 지극한 사랑
달 만에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15

이 이야기를 들은 사람들마다 애처로워하며 그들의 절의를 사


설화적 기법을 사용하여 여운을 줌.
모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 ▶ 최 씨가 이승을 떠나고 이후 이생이 세상을 떠남.

명부 (名簿) 어떤 일에 관련된
사람의 이름, 주소, 직업 따위를
제재 정리 작품 구성
적어 놓은 장부. 발단 이생이 최 씨를 만나 사랑을 나눔.
전개 이생이 부모의 반대를 극복하고 최 씨와 혼인함.
위기 홍건적의 침입으로 최 씨가 죽게 됨.
절정 이생이 최 씨의 환신과 재회하여 행복하게 지냄.
결말 이생과 최 씨가 영원히 이별함.
※ 교과서 수록 부분은 ‘위기’, ‘절정’, ‘결말’에 해당함.

작품에 나타난 전기성(傳奇性)과 그 기능


죽은 최 씨가 이승의 이생과 재회하여 사랑을
비현실적인 사건 전개
나누며 행복하게 지냄.

•환상적이고 애절한 사랑 이야기를 엮어 냄.
•만남과 이별을 통해 이야기에 서사적 긴장감을 부여함.
•작품의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부각함.
•죽음을 초월한 주인공의 사랑과 이를 지켜 내려는 의지를 강하게 드러냄.

64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64 2019. 1. 8. 오후 10:12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 〈이생규장전〉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 〈이생규장전〉과 〈최척전〉의 공통점


〈이생규장전〉의 주요 사건을 정리
상황을 정리하고 인물의 성격이 갖 과 차이점을 찾고, 비교하여 감상하
하고 비현실적인 상황 파악하기
는 의의 생각해 보기 는 효과 이해하기

1 〈이생규장전〉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주요 사건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활동 1 지도 방안
〈이생규장전〉의 주요 사건과
특징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학
생들이 작품의 인물, 사건, 배경 홍건적에 의해 예시 답 이생과 수년간 같이 이생은 최 씨를
예시 답 최 씨가
에 주목하여 스스로 문제를 해 최 씨가 다시 만 잊지 못하다
최 씨가 죽음. 지냄. 저승으로 떠남.
결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남.
죽음.

⑵ 이 작품에 나타난 비현실적인 내용이나 상황을 말해 보자.


문학에서 현실적인 인간의 생
예시 답 •죽은 최 씨가 다시 이승에 나타났다.
활을 벗어나 비현실적인 사건이
•죽은 최 씨와 살아 있는 이생이 만나서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
전개되는 것을 ‘전기성(傳奇性)’ •최 씨의 자취가 이생의 눈앞에서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이라고 한다. 환상적인 세계를
무대로 하거나 초현실적인 요소
가 포함되는 것 등이 그 예이다.

활동 2 지도 방안
2 사회ㆍ문화적 배경의 맥락에서 이 작품이 지니는 의미를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 나타난 당시 사회ㆍ문화적 상황은 어떠했을지 정리해 보자.


문학 작품을 사회·문화적 배
경의 맥락과 연결지어 보면서
역사적 배경과 관련된 상황 남녀 간의 애정과 관련된 인식 당시 여성상과 관련된 가치관
작품의 의미를 살펴보는 활동
이다. 우선 학생들이 소설에 드 예시 답 신축년(1361년)에 홍건 예시 답 사랑하는 남녀 사이에 예시 답 여성은 집 밖의 일은
러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조 적이 고려의 수도인 개성을 점 는 절개와 믿음을 중요하게 여 잘 모르고 부녀자의 법도만 알
선 초기의 사회·문화적 분위기 령함. 김. 며, 수놓기, 바느질 등에 힘쓰
에 대해 유추할 수 있도록 이끌 며 지냄.
어 준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최 씨와 같은 인물
의 등장이 어떤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는지 생각해 보도록 지 예시 답 최 씨는 ‘제가 스스로 푸른 바다의 구슬을 바쳤’다고 말할 정도로 이생에 대한 자신의 감정에 충실하며
도한다.
사랑을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는 인물이다. 여자에게는 집 안의 도리만을 익히도록 강요했던 조선의 사회에서,
이와 같은 최 씨의 진취적인 면모는 유교적 관습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이처럼 인물의 능동적인 성격은 주인공의
사랑을 반대하는 봉건적 사고와 ‘홍건적’이라는 세계의 횡포에 대한 저항을 효과적으로 그려 죽음을 초월한 사랑
을 강조하고 자유로운 인간의 삶에 대한 지향을 드러내고 있다.

⑵ 다음 내용에 나타난 최 씨의 성격을 알아보자. 그리고 ⑴에서 정리한 사회ㆍ문화적 상황


소설에서 ‘인물’은 사건을 이
에서 이러한 성격이 갖는 의의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끌어 가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물은 말이나 행동 또는
다른 인물들과의 관계를 통해서 ‌“저는 본디 양가의 딸로서 어려서부터 어버이의 가르침을 받들어 수놓기와 바느질
자신의 성격을 나타내며, 소설
의 배경이 되는 시대적 상황을
에 힘쓰고 시서(詩書)와 인의(仁義)의 방도를 배울 뿐이었습니다. 오로지 규문의 법
투영하는 장치가 되기도 한다. 도만 알았을 뿐 어찌 집 밖의 일을 헤아릴 수 있었겠습니까? 그런데 당신께서 붉은
살구꽃이 핀 담장 안을 한 번 엿보신 후 제가 스스로 푸른 바다의 구슬을 바쳤지요.” 교과서
61쪽

⑴ 문학 감상의 맥락 65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65 2019. 1. 8. 오후 10:12


〈최척전〉은 조선 시대에 조
3 다음은 고전 소설 〈최척전〉의 줄거리이다. 〈이생규장전〉과 비교하면서 감상해 보자.

위한이 쓴 소설로, 주인공 최척 남원의 가난한 유생 최척은 부친의 친구인 정 상사의 집으로 공부하러 다닌다. 정
과 옥영의 사랑 이야기를 중심
상사의 친척이자 과부 심 씨의 딸 옥영은 최척에게 마음이 끌려 시를 써서 보내고, 이
으로 하며, 전란으로 인한 가족 옥영의 적극적인 성격이 드러남.
의 이산(離散)과 기적적인 재회 들은 곧 사랑에 빠져 약혼을 한다. 그러나 최척이 의병으로 참전하여 혼인 날짜가 지
첫 번째 이별
를 그리고 있다. 나도 돌아오지 않자, 심 씨는 옥영을 부잣집에 시집보내려 한다. 하지만 옥영은 최척
활동 3 지도 방안
을 기다리고, 드디어 두 사람은 혼인한다.
상호 텍스트성 맥락에서 작품
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문학 작 이후 정유재란으로 남원이 함락되면서 최척과 옥영, 첫아들 몽석은 뿔뿔이 흩어진
품은 내용, 주제, 표현 등 여러 두 번째 이별
부분에서 다른 작품과 관련된 다. 옥영은 왜병의 포로로 일본에 잡혀간 후 장사를 돕게 되고, 최척은 중국에서 살게
다. 이러한 작품들을 함께 살펴
봄으로써 문학 작품에 대한 감 된다. 여러 해가 지난 뒤 최척은 친구 송우와 함께 상선을 타고 떠돌아다니다 우연히
상의 폭을 넓힐 수 있음을 지도
안남(지금의 베트남)에서 아내 옥영을 만나게 된다. 이들은 중국 항주에 정착하고 둘
한다.
유생(儒生) 유학을 공부하는 선 째 아들 몽선을 낳아 기르며 십여 년간 행복한 생활을 누린다.
비.
몽선이 성장하여 혼례를 올린 이듬해 호족이 침입하여, 최척은 가족과 이별하고 명
정유재란(丁酉再亂) 조선 시대 세 번째 이별
에, 임진왜란 휴전 교섭이 결렬 나라 군사로 출전하였다가 호족의 포로가 된다. 그는 포로수용소에서, 조선에서 출전
된 뒤, 선조 30년(1597)에 왜장 했다가 역시 호족의 포로가 된 첫아들 몽석을 극적으로 만나게 된다. 두 사람은 함께
가토 기요마사 등이 14만의 대
수용소를 탈출하여 고향으로 향한다. 한편 옥영은 몽선과 더불어 어려운 고비를 겪으
군을 이끌고 다시 쳐들어와 일
으킨 전쟁. 며 고국으로 돌아오고, 가족이 다시 만나 행복하게 살아간다.
〈이생규장전〉과 다른 행복한 결말
호족(胡族) 오랑캐.

작품 개관
한문 소설, 애정 소 ⑴ 두 작품의 내용상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정리해 보자.
갈래
설, 군담 소설
성격 우연적, 사실적
전란으로 인한 가족
•공통점: 예시 답 두 작품 모두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 등장인물들이 전란으로 인해 이별을
제재 하고 수난을 겪게 되는 점 등이 공통적이다.
의 이산과 재회
이산가족의 고통과 •차이점: 예시 답 〈이생규장전〉에서는 이승과 저승의 질서에 따라 이생과 최 씨가 결국 헤어지게 되지만, 〈최
주제 척전〉에서는 최척과 옥영이 우여곡절을 거듭한 끝에 다시 만나 행복하게 살게 된다.
가족애를 통한 재회
① ‌‘만남-이별-재회’
의 과정이 반복되
어 나타남.
② ‌실제 일어났던 전
특징
쟁을 배경으로 하 ⑵ ⑴에서와 같이 문학 작품을 다른 작품과 비교하며 감상하였을 때 어떤 효과가 있는지 생
여 당시 백성들의
고통을 사실적으 각해 보자.
로 표현함. 예시 답 한 편의 문학 작품을 읽은 후 이를 유사한 특성의 다른 작품과 비교하며 감상하면, 작품에 대한 보다 깊이
있고 섬세한 감상이 가능하며, 다양한 텍스트를 경험하게 되어 감상의 범위도 확장할 수 있다.
01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이생규장전〉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예시 답 이 작품은 죽음을 초월한 사랑 이야기를 통해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제시하는 것 같아. 특히 사랑을 이루기 위해 적극적이
고 진취적으로 행동한 최 씨가 기억에 많이 남아.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금오신화》에 실린 다섯 편의 소설 중 하나로, 사람
과 귀신 간의 사랑 이야기를 담고 있어 전기성(傳
나의 책방 키우기 김시습의
奇性)이 두드러진다. <이생규장전>과의 비교 감상
〈만복사저포기〉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김시습의 〈만복사저포기〉 을 통해, 조선 전기 한문 소설의 표현상 특징과 작
품에 반영된 당대의 현실을 짐작해 보도록 한다.
소재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작자 미상의 〈운영전〉 17세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전 소설로, 궁
녀 운영과 김 진사의 비극적인 사랑을 그리고 있다.
작자 미상의
봉건적 사회에서의 남녀 간의 사랑을 소재로 하고
66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운영전〉
있다는 공통점을 중심으로 하여, <이생규장전>과
비교 감상하도록 한다.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66 2019. 1. 8. 오후 10:12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시인 윤동주가 일본에서 유학 중이던 때에 쓴 시로, 암울한 시대적 현실 속에서
도 시가 쉽게 쓰이는 것을 부끄러워하며 자기반성을 하고, 밝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통해 암
2
울한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이 작품에는 일제 강점기의 현실 속에서 항
일 투쟁에 나서지 못하는 지식인으로서의 부끄러움이 진솔하게 드러나 있는데, 나라를 잃은
시기에 일본에서 유학을 하며 식민지 지식인으로 살아가던 시인의 고뇌를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작가의 삶과 작가가 살았던 당시의 시대적 배경 맥락을 중심으로 <쉽게 씌
어진 시>를 감상하는 활동을 통해, 문학 작품에 작가의 가치관이나 인식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시가 쉽게 씌어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질문의 예

삽화 관련 교과서 67쪽의 삽화에 있는 남자가 살고 있는 시대


질문의 예 는 어떤 시대일까요?

작가 관련
작가에 대해 알고 있는 배경지식이 있나요?
질문의 예

윤동주 (1917~1945) 작가 동영상


시인. 순수한 감성과 성찰적 태도로 일제 강점기의
암울한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시로 썼다. 주요 작
품으로 〈서시〉, 〈참회록〉 등이 있으며, 유고 시집으로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있다.

 윤동주 시인의 다른 시를 읽어 본 적이

있는가?
 자신의 삶을 시로 표현해 본 적이 있는가?

예시 답 자신의 모습이 부끄럽게 느껴졌던 때가

있는가?

⑴ 문학 감상의 맥락 67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67 2019. 1. 8. 오후 10:12


〈쉽게 씌어진 시〉는 어두운 시대를 살아간 한 청년의 고뇌를 섬세하게 표현한 시이다.
문학 작품에 작가의 삶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개관
수업의 포인트 갈래 자유시, 서정시
•시적 화자의 생각과 어조 변화 파악하기 성격 반성적, 저항적
•시대적 배경 맥락을 고려하여 시어, 시구의 의미 파악하기 일본에서의 유학 생활과 시가 쉽게 씌이는
•작가의 삶과 관련지어 작품의 주제 이해하기 제재
것에 대한 부끄러움
어두운 현실을 살아가는 지식인의 자기 성
주제
찰과 현실 극복 의지
① ‌밝음과 어둠의 시각적 이미지를 대립시

쉽게 씌어진 시 | 윤동주 특징
켜 부정적 현실과 극복 의지를 드러냄.
② ‌현실적 자아와 내면적 자아의 대립과
화해를 통해 시상을 전개함.
작품 감상 애니메이션

작품 감상 음성

창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시간적 배경 → 암울한 시대 현실을 상징함.
육첩방(六疊房)은 남의 나라, ▶ 어두운 시대 현실을 인식함.
공간적 배경 → 낯설고 구속적인 삶의 공간

시인이란 슬픈 천명(天命)인 줄 알면서도


부정적인 현실에 적극적으로 저항하지 못하고 시를 쓸 수밖에 없는 처지
한 줄 시를 적어 볼까, ▶ 시인으로서의 슬픈 운명을 자각함.

「땀내와 사랑내 포근히 품긴


「」 : 무기력하고 소극적인 현실적 자아의 구체적인 모습이 드러남.
보내 주신 학비 봉투를 받아

대학 노-트를 끼고
늙은 교수의 강의 들으러 간다.」 ▶ 일상적이고 무기력한 삶을 보냄.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지식

생각해 보면 어린 때 동무를

속살거리다 남이 알아듣지 못
하나, 둘, 죄다 잃어버리고
상실감
하도록 작은 목소리로 가만가만
이야기하다. □: 현실적 자아, 소극적이고 무기력한 자아

육첩방(六疊房) 일본식 돗자리 나는 무얼 바라


인 다다미 여섯 장을 깐 작은 방.
나는 다만, 홀로 침전(沈澱)하는 것일까? ▶현실에서 상실감과 회의를 느낌.
다다미는 보통 너비 석 자에 길 무기력한 삶의 모습(하강적 이미지)
이 여섯 자 정도의 직사각형 모
시어와 시구의 상징적 의미
양으로 만듦. 한 자는 약 30.3cm
에 해당함. 시간적 배경을 나타내며 자기 성찰의 계기를 마련하는 부
밤비, 어둠
정적인 현실(일제 강점기)
침전(沈澱) 의식이나 사고, 행
육첩방 시적 화자가 현재 있는 장소로 시적 화자를 억압하는 공간
동 등이 내부에 가라앉음. 등불 현실을 극복해 나가려는 시적 화자의 의지와 희망
시대처럼
반드시 도래할 희망찬 미래(광복)
올 아침
악수 내면적 자아와 현실적 자아의 화해
68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indd 68 2019. 8. 21. 오후 1:41


작가와 작품의 관계
작가 작품
•일제 강점기에 일본에서 유
학 생활을 함.  어두운 현실을 살아가는 지
•엄격한 자기 성찰을 통해 식인의 자기 성찰과 현실 극
자신의 현재 모습을 부끄러 복의 의지를 드러냄.
워함.


•작가는 작품을 통해 인간과 세계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함.
•작품에는 작가의 고유한 개성이 드러남.

인생은 살기 어렵다는데
일제 강점기의 살기 힘든 시대 현실
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정적인 현실에 적극적으로 대항하지 못하는 무기력하고
소극적인 자신의 모습을 성찰함.
부끄러운 일이다. ▶ 무기력하고 소극적인 삶에 대해 반성함.

「」 : 1연의 변조적 반복, 인식의 변화(소극적 → 적극적)


「육첩방은 남의 나라

창밖에 밤비가 속살거리는데,」 ▶ 어두운 시대 현실을 재인식함.

일제에 맞서는 저항 의지, 미래에 대한 희망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부정적 현실 ○: 반성을 통해 성숙한 내면적 자아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 ▶ 현실을 극복하려는 희망적 의지를 드러냄.
희망찬 미래, 조국의 광복

나는 나에게 작은 손을 내밀어
눈물과 위안으로 잡는 최초의 악수. ▶ 두 자아가 화해하고 현실 극복의 의지를 다짐.
분열된 두 자아의 화해와 화합

제재 정리

작품 구성
시적 화자의 정서 및 태도의 변화 1연 어두운 시대 현실을 인식함.
자신이 처한 부정적 현실 속에 2연 시인으로서의 슬픈 운명을 자각함.
서 회의하고 절망함. 3~4연 일상적이고 무기력한 삶을 보냄.
 5~6연 현실에서 상실감과 회의를 느낌.
•자신의 삶을 성찰함. 7연 무기력하고 소극적인 삶에 대해 반성함.
•‌자신의 무기력한 삶의 모습에 8연 어두운 시대 현실을 재인식함.
서 부끄러움을 느낌. 9연 현실을 극복하려는 희망적 의지를 드러냄.
 10연 두 자아가 화해하고 현실 극복의 의지를 다짐.
미래에 대한 희망과 현실 극복
의 의지를 보임.

⑴ 문학 감상의 맥락 69

고등문학(056~113)2단원(교).indd 69 2019. 8. 21. 오후 1:41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 〈쉽게 씌어진 시〉에서 시적 화자의 처지  현대시 〈파랑새〉의 작가가 시 창작


〈쉽게 씌어진 시〉에 나타난 시적 화
를 알아보고, 창작 시기와 작가의 성격을 의 계기를 밝힌 글을 읽고 작품 감상
자의 생각과 어조 파악하기
고려하여 시구와 제목의 의미 파악하기 하기

1 〈쉽게 씌어진 시〉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생각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활동 1 지도 방안
시적 화자의 생각, 태도, 어조 1~4연 5~7연 8 ~10연
등에 초점을 맞추어 작품을 이
해하는 활동이다. 시대적 상황
현재 자신의 모습을 인식 예시 답 미래에 대한 희망을
에서 비롯된 시적 화자의 모습 예시 답 자신의 모습에서 부끄
발견하고 현실 극복의 의지를
과 상태, 분위기 등을 생각해 볼 러움을 느낌.
함. 드러냄.
수 있도록 지도한다.

내가 이 시의 시적 화자
라면 어떤 어조로 이야기할까?
어조란 쉽게 말하면 말투, 태도
등의 말하기 방식인데 이 시에
⑵ 이 작품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어조는 어떠한지 말해 보자.
드러난 화자의 상황과 생각을
예시 답 독백적이고 성찰적인 어조로 말하고 있다.
고려해 보면 쉽게 알 수 있을 것
같아.

활동 2 지도 방안
2 작가와 작품 간의 관계를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서 시적 화자의 신분이나 처지를 알 수 있는 시구를 찾아보자.


작가와 관련된 맥락을 고려하
여 작품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예시 답 시적 화자의 신분이나 처지를 알 수 있는 시구로는 ‘육첩방은 남의 나라’, ‘시인이란 슬픈 천명’, ‘보내 주신
일제 강점기였던 시대적 상황
학비 봉투’, ‘대학 노트’, ‘늙은 교수의 강의’ 등이 있다. 이로 보아 시적 화자가 일제 강점기에 일본에서 유학하고 있
속에서 지식인이자 시인으로 살
는 대학생이며 시인임을 알 수 있다.
았던 작가의 삶에 대해 생각해
보고, 그러한 작가의 삶이 작품
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찾아보 ⑵ 이 작품의 창작 시기를 고려하여 다음 구절의 의미를 파악해 보자.
게 한다. 이를 위해 작가와 관련
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거나,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자료를 준
비해서 감상하면 더욱 효과적으
등불을 밝혀 어둠을 조금 내몰고,
로 활동할 수 있다. 교과서
69쪽
시대처럼 올 아침을 기다리는 최후의 나,

예시 답 비록 일제 강점기의 현실이 힘들지만 앞으로 다가올 밝은 미래(광복)를 확신하고 기다린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⑶ 다음은 작가의 성격에 대한 글이다. 이 작품의 제목인 〈쉽게 씌어진 시〉의 의미는 무엇인
시에서 작가는 독자에게 자신
지 밑줄 친 부분과 관련지어 써 보자.
이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효과
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시적 화
자를 설정한다. 외유내강, 동주 형을 아는 분이라면 누구나 그를 이렇게 표현하는 데 이의가 없을 것
‘도움말’ 플러스
이다. 그는 대인 관계에서 모가 나는 일이 없었고 따라서 적이 없었다. 누구도 그를 지
<쉽게 씌어진 시>의 화자는
어두운 시대 상황 속에서 무기 탄하고 싫어하는 사람은 없었다. 그러나 그는 자신에게는 엄격하였다. 남을 이해하고
력하게 시를 쓰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부끄러워하며 반성하고 용서하고 변명하는 일에는 너그러웠지마는 스스로를 용서하는 일은 없었다.
있다. 이것은 일제 강점하에서
적극적으로 행동하지 못한 채 - 정병욱, 〈동주 형의 편모〉에서
시인으로 살아가고 있는 자신의 1922〜1982. 국문학자. 서울대학교 국어국문
외유내강(外柔內剛) 겉으로는 부드럽고 순하게 보이나 속은 곧고 굳셈.
모습을 엄격하게 성찰하는 작가 학과에 27년간 재직하면서 한국 고전 문학의
의 태도가 작품에 투영된 것이 분야에 탁월한 연구 업적을 쌓음.
라 할 수 있다. 예시 답 엄격한 자기 성찰을 통해,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시를 쉽게 쓸 수 있는 자신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끼고 반

70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성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70 2019. 1. 8. 오후 10:12


활동 3 지도 방안

3
〈쉽게 씌어진 시〉를 통해 확
는 현대시 〈파랑새〉이고, 는 작가가 〈파랑새〉를 창작하게 된 계기를 설명한 글이다.
인한 작가와 작품 간의 관계를
확장하여 또 다른 작품을 감상 를 읽고, 이를 참고하여 에 대한 감상을 말해 보자.
해 보는 활동이다. 작품 창작 계
기를 설명한 글을 통해 작가의
삶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을 감상하도록 지도한다.
고향 땅 함흥에 돌아왔으나 이 꼴
〈파랑새〉는 현생에서 자유 로 집에 들어갈 수가 없다. 더욱 동리
통해 자유
와 행복을 누리지 못하는 안타 나는 : 푸른색의 이미지를
소망을 시 사람들의 눈이 무서워서 도저히 밝은
로운 삶에 대한 화자의
까운 마음을 ‘파랑새’에 담아 표 냄. 나환자의 모습을 들키지 않으려고
나는 각적으로 드러 낮에는 들어갈 수가 없었다. 진종일 밤
현한 작품이다.
작품 개관
죽어서 이 오기를 기다렸다. 사람이 안 다니는
갈래 자유시, 서정시 파랑새 되어 들에서 종일 굶으며 기다려야 했다. 이
나 자유로운 존재
성격
민요적, 서정적, 애상 나환자의 고통에서 벗어 소망함.
적 ▶ 자유로운 존재가 되길 제는 정말로 나환자가 된 설움이 가슴
제재 파랑새
자유로운 삶에 대한
푸른 하늘 을 찢는다. 나환자 생활로 입학하는 분
주제
소망 푸른 들
① ‌민요조의 3음보
함과 서러움에 하루 종일 잔디에서 울
함.
▶ 자유로운 삶을 소망
율격과 선명한 색 날아다니며 었다. 내가 나를 생각해 보아도 내 값
채 심상을 드러냄.
② ‌반복과 수미상관 이 정말로 한 푼어치도 되지 않는 것
특징
의 구조를 통해 화
자의 자유로운 삶 푸른 노래 같다. 이제는 인간 폐업령이 내려졌
에 대한 소망을 강
푸른 울음 다. 이 원한을 피를 토하며 통곡하였
조함.
울어 예으리. 하는 마음 다. 몇 백 번 고쳐 죽어도 자욱자욱 피
▶ 자유로운 삶을 갈망
맺힌 서러움과 뉘우침이 가득 찬 나환
나는 자라는 것을 비로소 알게 되었다. 밤이
나는 어두워진다. 모든 것을 검게 가려 주는
죽어서 밤이 온다. 나는 여기서 인간의 자유와
파랑새 되리.로운 존재가 되기를 소망함. 이상과 동경을 상징하는 노래로 〈파랑
▶ 자유
- 한하운, 〈파랑새〉 〈파랑새〉의 구체적인 창작 동기
새〉라는 시를 읊으며 인간의 행복을
빌었다.
- 한하운, 《나의 슬픈 반생기》에서
예시 답 시적 화자가 겪고 있는 아픔과 고통의 크기가
얼마나 클지 짐작해 볼 수 있었다. 현실에서 극복할 수 나환자  (癩患者) 나병을 앓고 있는 사람. 나병은 나
없는 아픔과 고통이기에 사후에라도 자유와 이상을 누
리길 갈망하는 시적 화자의 절실함이 잘 느껴진다. 병균에 의하여 감염되는 만성 전염병을 뜻함.

02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쉽게 씌어진 시〉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예시 답 시대의 아픔을 자신의 삶과 연결하여 성찰하는 시적 화자의 모습이 인상적이었고, 이를 통해 나도 부끄러운 부분이 없는지
성찰해 볼 수 있었어.

나의 책방 키우기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윤동주의 〈참회록〉

시대적 배경이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이육사의 〈절정〉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윤동주의
〈참회록〉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며 역사 속에서 삶의 의미를 찾으려 노력했던 윤동주의 시이다. 시적 화자의 태도를 중심으
로 〈쉽게 씌어진 시〉와 함께 감상하고, 일제 식민지하의 지식인으로서 윤동주가 지향했던 바를 생각해 보게 한다.
⑴ 문학 감상의 맥락 71
유치환의 극한 상황에 처한 화자의 극복 의지와 신념을 노래한 시이다. 일제 강점기의 암울한 시대 상황을 배경으로 하고
〈절정〉 있다는 점에서 〈쉽게 씌어진 시〉에 나타난 작가의 현실 인식 태도와 비교 감상할 수 있다.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71 2019. 1. 8. 오후 10:12


‘소단원 정리하기’ 지도 방안
•문학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학습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개념 정리’,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도
록 한다.

(1 ) 문학 감상의 맥락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개념 정리 평가 자료
•어휘 평가 •서술형 평가
•쪽지 시험 •수행 평가
•소단원 평가

문학 작품을 어떻게 이해하고 감상할 것인가.


문학 작품을 어떻게 이해하고 감상해야 할까? 앞 단원에서 우리는 내용과 형식의 유기적 결합 관
계를 살핌으로써 작품을 감상해 보았는데, 이는 문학의 내적 구조에 대한 이해와 감상의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작품 자체에만 관심을 두고 작품을 감상하는 절대주의적 관점에서는 가장 적절한 방법
이다. 그렇지만 문학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에서는 작품 외부의 세계로부터도 영향을 받는데, 이 작품
외적 세계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작품의 총체적인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채 어느 한 단면만
을 보는 데 그칠 수 있다. 작품이 외부 세계와 맺는 관련성을 ‘맥락’이라고 하는데, 맥락에는 작가, 사
회ㆍ문화적 배경, 상호 텍스트성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결국 문학 작품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깊이 감상하기 위해서는 작품의 내적 요소와 외적 요소를 모두 살펴봐야 하며, ‘맥락의 이해’는 외적
요소를 고려하는 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 ‘맥락’의 개념

작가의 맥락에서 작품을 감상한다. 인터넷 링크 - 작가의 경험과 문학 작품

작가는 대개 자기 삶의 경험, 사상, 감정 등을 바탕으로 하여 개성적 표현법을 발

8) 휘하며 문학 작품을 창작한다. 작가가 어떤 환경에서 성장하였고 어떤 취미나 사상,


》(194
과 별과 시 편 의
람 3 1 종교를 가졌는지는 자연스럽게 작품에 반영되기 마련이다. 이 때문에 작가에 대한
《하늘
과바
시집으로,
의 유고
윤동주 있다. 이해는 문학 작품을 보다 풍부하고 효과적으로 이해하며 감상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수록되어
작품
작가에 대해 알고 작품을 읽을 때와 작가가 어떤 사람인지를 모른 채 작품을 읽을 때
를 비교해 보면, 그 차이점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 단원을 통해 우리는 윤동주의
삶과 사상을 알게 된 뒤에 〈쉽게 씌어진 시〉 68쪽를 감상했을 때 작품에 대한 이
해가 더 깊어질 수 있다는 점을 경험하였다. ▶ 문학 작품의 맥락 ① - 작가의 맥락

2-⑴단원 개념 정리 ①
문학 작품의 이해와 감상

작가
•작품이 외부 세계
와 맺는 관련성
→ 맥락
•문학 작품을 총제
문학 작품 
적으로 이해하고
깊이 감상하기 위
사회·문화적 다양한 상호 해 다양한 맥락을
배경 맥락 텍스트성 고려해야 함.

시인 윤동주의 삶을 알고 그의 작품을
감상하면 감동의 깊이가 달라진다.

72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72 2019. 1. 8. 오후 10:12


2-⑵단원 개념 정리 ② 문학 작품의 다양한 맥락

작가는 자기 삶의 경험, 사상, 감정 등을 바탕으로 하여


작가의 맥락
개성적 표현법을 발휘하여 문학 작품을 창작함.
문학 작품을
사회·문화적 문학 작품이 창작될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 역사적 사 보다 풍부하고

배경의 맥락 건, 문화적 현상 등을 의미함. 효과적으로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음.
상호 텍스트성의 하나의 작품이 다른 작품과 맺고 있는 관계, 즉 작품 간
맥락 의 상호 관련성을 의미함.

사회·문화적 배경의 맥락에서 작품을 감상한다.


‘사회ㆍ문화적 배경’이란 문학 작품이 창작될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 역사적 사건, 문화적 현상 등을
의미한다. 문학 작품이 어떤 시대에 어떤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창작되었는지, 어떤 사회ㆍ문화적 사
건이나 사고를 표현하려고 했는지를 알 수 있다면, 우리는 그 작품을 더 잘 이해하고 풍부하게 감상
할 수 있다. 〈이생규장전〉 60쪽을 삶과 죽음까지 넘어서는 남녀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로 이해하고
감동할 수도 있지만, 홍건적 침입기의 역사적 상황이나 김시습이 활동하던 조선 전기의 사회ㆍ문화적
사건이나 현상을 알고 작품을 감상하면 보다 입체적으로 작품을 이해할 수 있다.
▶ 문학 작품의 맥락 ② - 사회·문화적 배경의 맥락

상호 텍스트성의 맥락에서 작품을 감상한다.


‘상호 텍스트성’은 하나의 작품이 다른 작품과 맺고 있는 관계, 즉 작품 간의 상호 관련
성을 말한다. 이와 같은 상호 텍스트성은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작품 간에 영향을 주
고받는 것뿐만 아니라, 작품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비슷한 성향의 작품을 비교하는 것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한 편의 작품을 감상한 후 유사한 작품을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독
자는 다양한 텍스트를 경험하여 감상의 범위를 확장하게 된다. 〈이생규장
전〉과 〈최척전〉 66쪽은 전란과 그로 인한 이산(離散)의 문제를 다룬 작품
이라는 공통점이 있는데, 두 작품을 함께 읽으면 각각에 대해 더 깊이 이해
할 수 있다. ▶ 문학 작품의 맥락 ③ - 상호 텍스트성의 맥락

《금오신화》
〈이생규장전〉을 포함하여 〈만복사저포기〉, 〈취
유부벽정기〉, 〈용궁부연록〉, 〈남염부주지〉 등
5편이 수록되어 있다.

평가
점검 사항
상 중 하

문학 작품과 관련된 작가의 맥락을 고려하여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 교과서 70쪽 2번, 71쪽 3번 문제
이 단원에서
문학 작품과 관련된 사회·문화적 배경의 맥락을 고려하여 작품을 이해하고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감상할 수 있다. ▶ 교과서 65쪽 2번 문제
점검해 보자.
문학 작품과 관련된 상호 텍스트성의 맥락을 고려하여 작품을 이해하고 감상
할 수 있다. ▶ 교과서 66쪽 3번 문제

⑴ 문학 감상의 맥락 73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73 2019. 1. 8. 오후 10:12


우리는 평소에 노래를 즐겨 듣는다. 조용한 노래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신나

문학 는 노래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그리고 노래에 자신만의 가사를 붙여 보기도 하고 나

만의 랩을 만들어 부르기도 한다. 문학 작품을 읽거나 쓰는 것도 이와 다르지 않


활동의 다. 누구나 자신의 가치관과 생각으로 문학 작품을 수용하거나 창작하기 때문에 다양한
문학 작품의 공감적·비판적 수용이 가능한 까닭

이해 해석과 표현을 할 수 있다.

이 단원에서는 문학 작품을 적극적으로 감상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문학 작품을 재구


스마트 수업 PPT

성 또는 창작하면서 타인과 상호 소통하는 경험을 해 보자.


세 번째 질문 이끌기
문학 작품을 수용한 후 이를 바탕으
로 하여 작품을 재구성하거나 새로운
작품을 창작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이
다. 학생들이 문학 작품을 재구성하거
나 창작해 본 경험을 떠올리며, 문학의
생산 활동에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문학 작품을


공감적ㆍ비판적으로 작품 생각해 보자. 재구성하거나 창작하려면
을 수용하고, 그 결과를 다 소단원 도입 애니메이션 무엇이 필요할까?
른 사람과 소통한다.
창의적인 시각과 주체적인
관점으로 작품을 재구성하
거나 창작한다. 문학 작품을 읽고
자신의 관점에서 다른 사람과 어떻게
소단원 수업은 이렇게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은 생각을 나눌 수 있을까?
이 단원은 문학 작품의 수용과 무엇일까?
생산 활동에서 지녀야 할 시각 및
태도를 기르는 것이 목표이다. 문
첫 번째 질문 이끌기 두 번째 질문 이끌기
학 작품을 수용할 때는 독자가 자
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주체 문학 작품을 주체적으로 감상 문학 작품 감상 결과를 다른 사
적으로 작품의 주제와 형식에 대 하기 위해서는 작가의 생각을 그 람과 공유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
해 공감하거나 비판하며 창의적으 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 해 보게 하는 질문이다. 학생들이
로 수용해야 한다. 또한 작품의 수 의 생각이나 가치관에 따라 작품 다른 사람과 함께 작품에 대한 생
용에 그치지 않고 창의적인 생산 을 해석하고 평가해야 함을 이해 각을 나누어 본 경험이 있는지 떠
을 목표로 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올리며 질문에 대한 답을 하도록
재구성하거나 새로운 작품을 창 지도한다.
작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단원에서
이 단원에서는 
는 문학 작품을 공감적, 비판적, 창
의적으로 수용하는 활동과 다양한
1 〈스노우맨〉을 감상하며 문학 작품을 수용할 때 필요한 태도를 생각해 보자.
시각과 주체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 교과서 75쪽, 지도서 136쪽
작품을 생산하는 활동을 통해 학 2 〈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를 감상하며 자신의 관점과 방법으로 재구성하거나 창작하는
생들이 주체적인 문학 활동 능력
을 기르고 문학의 가치를 느낄 수 활동을 해 보자. ▶ 교과서 85쪽, 지도서 144쪽
있도록 한다.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 교과서 92쪽, 지도서 135쪽

74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74 2019. 1. 8. 오후 10:12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현실적으로 일어나기 어려운 상황을 설정하여 경쟁 사회에
서 살아가는 현대인의 비극적인 모습을 그린 소설이다. 흔히 눈이 내린
1
풍경을 환상적이거나 순수한 이미지로 생각하는데, 이 작품에서 ‘눈’은 회
사로 출근을 해야 하는 주인공에게 장애물이자 시련이다. 걸음을 걷기조
차 힘든 상황에서도 회사에 가야 하는 주인공은 어쩔 수 없이 삽으로 눈
을 파내며 출근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설정은 맹목적인 목표를 위해 반
복적인 노동을 강요당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이다. 또한 작품
의 결말에서는 여운을 남기는 방식을 통해 현대인의 삶과 사회 현실에 대
한 비판적 인식을 극대화하고 있다. 따라서 〈스노우맨〉은 주인공의 모습
을 통해 드러나는 현대인의 삶에 공감하거나 비판하면서 작품을 감상하
고, 결말을 창의적으로 재구성해 보기에 적절한 작품이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제목을 통해 느껴지는 작품의 분위기를


질문의 예 추측해 볼까요?

삽화 관련 교과서 75쪽의 삽화에서 인물은 어떤


질문의 예 모습을 하고 있나요?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
질문의 예 나요?

서유미 (1975~ ) 작가 동영상

소설가. 2007년 〈판타스틱 개미지옥〉으로 등단했다.


현대인들의 소외 의식과 자본주의 사회의 부조리한 단
면을 재치 있는 비유와 진솔한 문체로 표현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 소설 〈쿨하게 한 걸음〉, 〈끝의 시작〉 등
이 있으며, 소설집 《당분간 인간》 등이 있다.

 눈이 쌓인 풍경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

는가?
 마치 자신의 이야기를 다룬 것 같은 작

품을 읽어 본 적이 있는가?
 예시 답 ‘눈사람’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어떠한

가?

⑵ 문학 활동의 이해 75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75 2019. 1. 8. 오후 10:12


작품 개관
갈래 현대 소설, 단편 소설
성격 현실 비판적
〈스노우맨〉은 경쟁 사회를 살아가는 한 남자의 이야기를 독특한 설정을 통해 그려 낸 소설이다.
배경 현대 / 대도시의 아파트와 거리
소설의 내용을 공감적ㆍ비판적으로 수용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인간성을 상실한 현대인의 기계적인 노동과 경
주제
쟁 사회에 대한 비판
수업의 포인트
① ‌과장된 상황을 설정하여 주제를 효과적으로
•‘눈’과 등장인물의 상징적 의미 파악하기
드러냄.
•주요 소재의 역할 파악하기
② ‌등장인물을 ‘대리’, ‘과장’, ‘부장’ 등 회사의
•주인공의 행동을 통해 드러나는 현대인의 모습 이해하기
특징 직급으로 제시하여, 서열 중심의 경쟁 사회
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나타냄.
③ ‌여운을 남기는 방식으로 작품의 결말을 제
시하여 비판적 인식을 극대화함.
작품 줄거리 애니메이션

작품 줄거리 음성
스노우맨 | 서유미 눈을 파내는 행위의 의미
‘눈사람(스노우맨)’이라는 제목을 통해 엄청나게 많은 눈이 내린 상황에서도 빨리 출근하
환상적인 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 하지만, 라는 말을 듣고 눈을 파내며 회사로 출근함.
이는 결말의 비극적 반전을 위한 장치임. 
현대인들이 느끼는 삶의 무게나 장애물, 시련, 현실
의 부담감 등을 상징함.

앞부분 줄거리
특정한 이름이 없음. 일반적인 직장인을 대표함.
새해 첫 출근 날, 회사에 다니는 주인공 ‘남자’는 밤새 내린 눈이 허리를 넘어설 만큼 쌓여 출근할 수
한 해의 업무를 시작하는 날 상황을 과장되게 표현함.
없게 된다. 초조함 속에서 하루를 더 보낸 남자는 결국 눈을 파헤치며 회사로 향하지만 금세 지쳐 버린
출근하지 못하여 초조함.
‘유 대리’의 성격(교과서에 수 다. 상사의 압박에 불안감을 느끼던 남자는 우수 사원인 유 대리 역시 출근하지 않았다는 소식을 듣고 5

록되지 않은 앞부분에 제시됨.) 빨리 출근하라는 부장과 과장의 연락 남자가 잠시 안도감을 느낌.


유 대리에게 전화해 보지만 그는 전화를 받지 않는다.
•‌초고속으로 승진한 유능한 인
재임.
•‌제2사업부의 유력한 과장 승진
후보임. 위기 빨리 안 오고 뭐 해. 과장의 문자가 도착했다. 어느새 두 시였다. 남자는 삽을
•‌일밖에 모르는 유형으로 회사 과장의 문자 내용
내에서 평판이 나쁘지 않음. 쥐고 기계적으로 움직였다. 눈을 치우는 속도가 점점 빨라졌다. 하지만 그만큼
•‌회사에서는 마치 컴퓨터와 한
세트처럼 움직임 없이 일을 함. 빨리 지쳤다. 눈 속에 앉아서 쉬고 있으면 드러누워서 눈을 붙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해졌다. 그 순간에는 눈이 딱딱하고 차갑게 느껴지지 않고 그저 공원에 있 10

는 나무 벤치 같았다. 심지어 솜이불처럼 포근하게 느껴져서 안으로 한없이 파


쉬는 공간으로 느낌.
고 들어가고 싶어지기까지 했다. 남자는 쭈그리고 앉아서 꾸벅꾸벅 졸다가 한기
추운 기운
때문에 경기하듯 깨어났다. ▶ 남자가 회사로 출근하기 위해 눈을 치우다 잠시 졺.

남자의 삽 끝에 폐지 묶음이 걸렸다. 얼어붙은 종이 뭉치는 돌덩이처럼 무거


‘중국집 스티커’가 하는 기능은 웠다. 삽으로 떠내는데 그 사이에 들어 있던 중국집 스티커가 남자의 구두 위에 15

무엇일까? 비현실적인 듯한 사건 전개의 계기가 됨.


예시 답 남자가 아침과 점심도 툭 떨어졌다. 「손바닥만 한 광고지에는 짜장면과 짬뽕, 볶음밥 사진이 인쇄되어
거른 채 삽집을 했다는 것을 깨
닫게 하여, 폭설이 내린 상황에 있었다. 하얀 눈 위에서 그 까맣고 빨간 색상은 너무나 선명했다. 남자는 자신이
서도 짜장면을 배달시키는 계기 시각적인 대비를 통해 장면을 선명하게 부각함.
가 된다. 아침, 점심도 거른 채 삽질을 했다는 걸 깨달았다. 머릿속에서 짜장면과 짬뽕의
후각적 묘사
냄새가 천천히 피어올랐다. 그건 아주 먼 옛날에 먹었던 것처럼 아득하고 그리
미각적 묘사
운 맛이었다. 입 안에 따뜻한 침이 고였다. 짜장면 곱빼기 한 그릇만 먹고 나면 20

회사까지 갈 힘이 생길 것 같았다. 다 먹고살자고 하는 일 아닌가. 남자는 홀린


경기(驚氣)하다 갑자기 의식을 금강산도 식후경(아무리 재미있는 일이라도 배가 불러야 흥이 나지 배가 고파서는 아무 일도 할 수 없음.)
잃고 경련을 일으키다. 듯 휴대 전화를 꺼냈다.」 「」 : 눈이
‌ 내린 백색의 단조로운 장면을 시각적, 후각적,
짜장면을 배달시키기 위해서 미각적 묘사를 통해 생동감 있게 제시함.

76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76 2019. 1. 8. 오후 10:12


일이 잘못되어도 손해 볼 것이 없으니
배달이 될까 의심하면서도 밑져야 본전이라는 심정으로 번호를 눌렀다. 신호
배달이 어려울 정도로 눈이 많이 내렸기 때문에
가 가는 소리가 길어지자 절대로 전화를 받을 리가 없다는 확신이 들었다. 그가
전화하는 건 짜장면을 먹을 수 없다는 걸 확인하기 위해서인 것 같았다. 그래서
“여보세요.”라는 굵직한 목소리가 튀어나왔을 때 남자는 당황해서 아무 말도 하
중국집이 영업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전화를 받아서 당황함.
5 지 못했다. “여보세요.” 상대가 한 번 더 말한 뒤에야 “거기가 중국집 맞습니
까?” 하고 물었다.
“네, 진성각입니다.”
평범한 상황이라면 전혀 이상하지 않지만,
“혹시, 지금 배달이 됩니까?” 눈이 많이 내린 상황에서는 주고받기 어려
운 대화임.
“주소가 어떻게 되세요?”
남자의 성격(교과서에 수록되
10 중국집 주인은 도시가 눈으로 덮여 버렸다는 걸 모르는 것처럼 태연하게 물었 지 않은 앞부분에 제시됨.)
•집에서나 직장에서나 인정받
다. 여기 주소가……. 남자는 주변을 둘러봤다. 지 못함.
•소심하고 자신감이 부족해 경
“가정집이 아니라 대로변인데 가능하겠습니까? 근처에 ○○ 병원하고 부동산 쟁에서 자꾸 밀려남.
눈을 퍼내고 있는 곳 → 남자의 현재 위치가 정확하지 않음. •소극적인 현대인의 모습을 대
이 있습니다.” 변함.

“아, 거기요. 예, 배달됩니다. 짜장 곱빼기 하나요? 네, 알겠습니다.”


15 전화를 끊은 뒤에도 남자는 한동안 멍하게 서 있었다. 배 속에서 나는 꼬르륵 남자가 한동안 멍하게 서 있었
배달이 불가능한 상황인 것 같은데 배달을 온다고 해서 던 까닭은 무엇일까?
소리가 요란했다. 통화하면서 나눈 말들은 모두 장난이고 배고픔만 진짜인 것 예시 답 엄청나게 눈이 많이 내
비현실적 사건 현실적 사건 린 상황이기 때문에 남자는 중국
같았다. 배달을 기다리는 동안 시간은 흐르지 않고 어깨 위에 차곡차곡 쌓였다. 집에서 짜장면을 배달하는 일이
시간의 흐름이 남자에게 부담이 되는 상황임을 감각적으로 표현함.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이대로라면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어깨가 뚝 부러져 버릴 것 같았다. 하지만 중국집에서 아무일도 없
▶ 남자가 중국집에 전화를 걸어 짜장면을 주문함. 다는 듯이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남자는 주위를 두리번거렸다. 차가 사라지고 상가들이 문을 닫은 도시는 고요 자연스럽게 주문을 받자 남자는
당황하며 멍하게 서 있는다.
20 했다. 어디에서도 짜장면을 싣고 오는 오토바이 소리는 들리지 않았다. 짜장면
이 정말 올까. 휴대 전화를 꺼내서 시간이 얼마나 흘렀는지 확인했다. 눈 때문에
출근도 못 하는데 배달이 될 리가 없지. 남자는 눈을 한 주먹 떠서 입에 쑤셔 넣
었다가 도로 뱉었다. 가만히 서서 기다리고 있는 자신이 이상한 사람 같았다.
그때 오른쪽 골목 끝에서 안전모를 쓴 사람이 나타났다. 그 사람은 빠른 속도
짜장면을 가지고 온 배달원
25 로 눈을 파내면서 걸어왔다. 그 사람이 삽으로 파내는 것은 언 눈이 아니라 가볍
고 보드라운 밀가루인 것 같았다. 노를 젓는 것처럼 몸의 움직임이 유연하고 리
남자와 달리 배달원은 쉽게 눈을 파냄.
듬감이 넘쳤다. 덕분에 남자와의 거리는 금세 가까워졌다. 「안전모에는 ‘신속 배
달’이라고 쓰여 있었다. 안전모를 쓴 배달원이 남자를 보곤 오른팔을 번쩍 들었
다. 거짓말 같은 상황에 남자는 눈만 껌벅거렸다. 안전모에 쓰인 문구 그대로 신
30 속하고 정확한 배달이었다.」 ▶ 짜장면을 가지고 배달원이 신속하게 도착함.
「」 : 안전모의
‌ ‘신속 배달’이라는 문구를 통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신속하
게 일을 처리할 것을 요구하는 현대 사회의 속성을 단적으로 나타냄.
⑵ 문학 활동의 이해 77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77 2019. 1. 8. 오후 10:12


남자와 배달원의 공통점 철가방을 내려놓고 안전모를 벗은 배달원은 뜻밖에도 머리가 희끗희끗한 중
폭설에도 회사에 가 험한 길을 뚫고 왔기 때문에 젊은 사람일 것이라고 생각함.

남자
기 위해 힘겹게 눈을 년이었다. 눈 속을 뚫고 오느라 어깨와 신발이 눈투성이였다.
파헤치며 출근을 해
야 함. “먹고 그릇은 그냥 버리시면 됩니다.”
“눈이 와도 먹고는
살아야죠.”라는 말처 “대단하시네요. 이런 날까지 배달을 하시고…….”
배달원 럼 어려운 상황에서 배달이 불가능해 보이는 날
도 생계를 유지하기 “눈이 와도 먹고는 살아야죠.” 5
위해 배달을 해야 함. 먹고사는 생존의 문제에 내몰린 현대인의 처지를 드러냄.
 배달원은 그릇을 건네자마자 다시 안전모를 쓰고는 바쁘게 걸어갔다. 짜장면
생계유지를 위해 힘들게 살아
가는 현대인을 상징함. 위에 쿠폰 한 장이 단정하게 놓여 있었다.
희극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소재
손이 얼어서 젓가락은 짝짝이로 쪼개졌다. 짜장의 고소한 냄새와 일회용 용기
예시 답 남자는 현실적으로 일어 의 따뜻함은 너무 생생해서 오히려 비현실적이었다. 젓가락을 쥐고 짜장면을 비
나기 어려운 사건이 발생하자,
인위적으로 연출된 상황이 아닐 비면서 남자는 코를 훌쩍거렸다. 엉거주춤하게 서서 짜장면을 먹는 동안 남자는 10
까 하고 의심한 것이다. 촬영을 당하는 사람이 촬영을 당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상태로 촬영하는 카메라
남자가 몰래카메라를 찍고 있 세상이 자신을 상대로 몰래카메라를 찍고 있는 게 아닌가 의심했다. 자신처럼
다고 의심한 까닭은 무엇일까? 현실적으로 일어나기 어려운 사건이 발생하여 현재의 일들이 믿기지 않음.
보잘것없는 사람에게 관심이 있어서가 아니라 별 볼 일 없는 사람이 다급한 상황
남자를 가리킴.
에 처했을 때 보여 줄 법한 우스꽝스러운 행동을 즐기기 위해서. 정말 그런 거라
배가 고파서 눈 속에서 짜장면을 배달해서 먹는 행동 등
쿠폰(coupon) 교환권. 어떠한
면 남자는 지금 자신이 그들의 기대에 충분히 부합하고 있다고 생각했다. 「줄줄
서비스나 상품을 무료로 받을 사물이나 현상이 서로 꼭 들어맞음.
수 있는 표. 흐르는 콧물을 손등으로 닦으면서 젓가락질을 했고 그릇까지 먹어 치울 기세로 15

78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78 2019. 1. 8. 오후 10:12


허겁지겁하다 젓가락을 한 짝 떨어뜨리기까지 했으니까. 그걸 찾으려고 눈 속을
파헤쳤지만 결국 찾지 못하고 남은 짜장면은 젓가락 한 짝으로 긁어 먹었다.」 그
「」 : 우스꽝스러운 행동들
래도 양념까지 깨끗하게 비웠다. 부끄러움이나 자괴감 같은 걸 느낄 겨를도 없
스스로 부끄러워하는 마음
었다. ▶ 남자가 배달 온 짜장면을 허겁지겁 먹음.

5 회사까지의 거리는 이제 삼 분의 일쯤 남아 있었다. 남자는 과장의 문자와 부


출근을 재촉하는 내용일 것이므로 피함.
장의 전화를 한 번씩 받지 않았다. 그것과는 전혀 다른 이유로 아내의 전화도 받 제목 ‘스노우맨’의 의미
눈 속에서 웃는 얼굴
지 않았다. 남자는 그저 파고 걸었다. 쉴 때는 허리를 펴고 목을 좌우로 돌리면 눈사람
을 하고 있음.
경쟁 사회에서 도태
서 거리를 천천히 둘러보았다. 전화는 받지 않았지만 누군가와 이야기를 나누고 되지 않기 위해 안간
진정한 소통을 원함. 남자
힘을 쓰며 겨우 살고
싶은 마음은 어느 때보다 간절했다. 있음.

10 맞은편에 불 꺼진 편의점이 있었다. 편의점 간판을 보자 온장고에 든 따뜻한
극심한 경쟁 사회 속
온기가 있는 인간적 소통을 상징함.
제목의 에서 기계적인 노동
캔 커피가 마시고 싶어졌다. 얼마 전까지 일상이었던 것들이 지금은 손이 닿지 의미 으로 힘들게 살아가
는 현대인을 상징함.
않는 저 눈 밑에 파묻혀 버렸다. 누가 만들어 놓았는지 편의점 앞에는 남자의 키
만 한 눈사람이 서 있었다. 동그란 눈과 웃는 입 모양을 한 눈사람이었다. 그 웃
작품의 제목(스노우맨) 남자가 처한 힘겨운 상황과는 어울리지 않는 밝은 표정
는 얼굴을 보고 남자는 잠시 멈춰 섰다. 눈이 재앙이 되고 눈 때문에 일상이 무너
15 진 곳에 서 있는, 웃는 얼굴의 눈사람은 김새는 농담 같았다. 남자는 자신도 모
현실 상황에 맞지 않는 존재 같음.
르게 그 입 모양을 흉내 냈다. 말라붙어 있던 입술이 툭 터져서 피가 찔끔 새어
힘든 현실 속에서도 억지
‌ 웃음을 지으며 사는 현대인의 고통과 상처를 나타냄.
나왔다. 현대인의 모습을 의미함. ▶ 남자가 다시 눈을 파다가 눈사람을 봄.

절정 한참 속도를 내고 있는데 삽 끝에 딱딱한 게 또 걸렸다. 시간은 촉박하고 마음


은 급한데 발로 눌러도 삽날이 더 이상 들어가지 않았다. 남자는 일 미터쯤 떨어
20 진 곳에 다시 삽을 꽂았다. 한 삽 떠내고 나자 또 삽이 들어가지 않았다. 생활 정
보지 함이나 자전거가 쓰러진 게 아니라 공룡이라도 묻혀 있는 것 같았다. 하는
심상치 않은 것이 묻혀 있음을 알 수 있음.
수 없이 방향을 옆으로 틀어서 팠다. 그때 어디선가 메아리처럼 음악 소리가 들
려왔다. 가느다란 목소리의 여자가 부르는 곡인데 멜로디가 익숙했다. 남자는
잠시 손을 멈추고 그 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비록 벨 소리이긴 하지만 그날 처음
25 으로 듣는 음악이었다. 주머니 속에서 휴대 전화의 진동이 울렸지만 남자는 무 음악 소리는 어디에서 나는 것
출근을 재촉하는 전화일 것이라고 추측함. 일까?
시해 버렸다. 음악 소리는 멈추었다가 눈을 퍼내자 다시 시작되었다. 아까와 같 예시 답 음악 소리는 눈에 파묻
혀 있는 유 대리의 휴대 전화가
은 멜로디였고 눈을 퍼낼수록 소리가 점점 커졌다. 남자는 길이 아니라 소리를 울려서 나는 벨 소리이다.
묻혀 있는 대상과 점점 가까워짐.
찾아서 삽을 움직였다. 손으로 눈을 쓸어 낸 뒤에야 소리의 진원지를 찾아낼 수
진원지(震源地) 사건이나 소동
있었다. 그것은 눈 속에 파묻힌 누군가의 휴대 전화였고 공교롭게도 빳빳하게
유 대리 따위를 일으킨 근원이 되는 곳
30 언 양복바지 안에 들어 있었다.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옷이 꽁꽁 얼어 버릴 만큼 눈 속에 오래 묻혀 있었음.

⑵ 문학 활동의 이해 79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79 2019. 1. 8. 오후 10:12


남자는 무릎을 꿇고 앉아서 삽과 손으로 눈을 파냈다. 판박이 스티커를 천천
아주 신중하고 조심스럽게 눈을 파냄.
히 벗겨 낼 때처럼 눈 속에서 검은색 구두와 발, 모직으로 된 양복바지가 차례대
로 모습을 드러냈다. 남자는 코를 훌쩍거리면서 언 손으로 조심스럽게 눈을 파
헤쳤다. 입에서는 입김이 쉴 새 없이 쏟아져 나왔다. 양복 차림의 사람은 눈의
중간쯤에 화석처럼 묻혀 있었다. 양복 웃옷과 와이셔츠는 주름을 그대로 간직한 5
오랫동안 눈에 묻혀 있어서 생사를 알기 어려움.
채 얼어붙었고 검붉은색의 실크 넥타이는 오래전에 흘린 피처럼 굳어 있었다.
상황의 비극성을 강조함.
양손 다 눈을 그러쥐고 있어서 손가락은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몸을 둥글
게 말고 있는 모습이지만 상반신 일부는 아직도 눈 속에 묻혀 있었다. 쌓인 눈의
그러쥐다 그러당겨 손안에 잡
다. 두께로 봐서는 그가 쓰러진 뒤에도 눈이 계속 내렸다는 걸 알 수 있었다.
▶ 남자가 눈을 치우다 눈 속에 파묻힌 누군가를 발견함.

등장인물의 상징성

남자 경쟁 체제에서 살아남으려고 노력하지만 뜻대로 되지 않는 인물

다른 사람들과의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 노력하고 인정도 받았으나,


유 대리
결국 도태되는 인물

80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80 2019. 1. 8. 오후 10:12


결말 해가 빠르게 기울고 있었다. 몸은 추운데 남자의 얼굴은 땀범벅이 되었다. 흘
시간의 경과를 나타냄.(늦은 오후)
러내리는 땀을 닦으며 남자는 조심스럽게 눈을 치웠다. 고대 유물을 발굴하는
고고학자처럼 손이 떨렸다. 눈을 쓸어 내자 어깨와 목, 안경을 쓴 얼굴이 차례로
눈 속에 묻힌 사람의 신원과 그의 생사를 알기 직전의 불안감이 나타남.
나타났다. 혹시라도 맥박이 뛰는지 확인하려던 남자가 바닥에 그대로 주저앉았
5 다. 「눈 속에서 화석이 된 사람은 집에도 없고 전화도 받지 않던 유 대리였다. 이
유 대리가 무리하게 출근을 하다가 눈 속에 파묻혔다는 것을 알 수 있음.
봐. 남자는 유 대리의 몸을 흔들었다. 턱에서 땀이 툭 떨어졌다. 일어나. 휴대 전 눈 속에 묻힌 사람이 유 대리라
는 것을 알게 됐을 때 남자의
화에서 다시 익숙한 멜로디의 노래가 흘러나왔다. “이봐!” 유 대리를 부르는 남 심정은 어떠했을까?
유 대리 역시 남자처럼 출근을 재촉받고 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음.
예시 답 유 대리를 보고 몹시 놀
자의 목소리가 떨렸다. 유 대리의 전화기를 주워 귀에 댔지만 남자는 아무 말도 란 남자는 자신 역시 동일한 상
황에 놓여 있음을 느끼게 되어
하지 못했다. ‘여기, 눈 속에, 유 대리가 있어요.’ 하지만 그 말은 입 밖으로 나오 괴로웠을 것이다.

10 지 않고 남자의 입 안에서 딱딱하게 굳었다.」 ▶ 눈 속에 파묻힌 사람의 정체가 밝혀짐.


「」 : 눈 속에 묻혀 있는 유 대리는 결국 남자의 앞으로의 처지가 될 것임을 암시함.
해가 기울고 주위는 어느새 어둑어둑해졌다. 이대로 한 시간 정도만 파고 가
시간의 경과를 나타냄.(저녁)
면 회사에 도착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남자는 회사 쪽을 쳐다보았다. 그리고 자
신이 파고 온 길을 돌아보았다. 앞으로 나아가기에도 다시 돌아가기에도 만만치 소설집 《당분간 인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어려운 처지. 진퇴양난(進退兩難)
‌
〈스노우 맨〉이 실려 있는 책 《당
않은 거리였다. 게다가 남자는 너무 지쳐 있었다. 그는 유 대리의 옆에 쪼그리고 분간 인간》은 8편의 단편 소설
로 구성되어 있다. 소설집의 제
15 앉아서 숨을 골랐다. 졸음이 밀려왔지만 졸지 않으려고 눈을 부릅떴다. 눈 더미 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에는
차가운 곳에 오래 있어서 체온 저하로 인해 졸음이 몰려옴. 오로지 당분간만 인간의 모습으
는 딱딱하거나 차갑게 느껴지지 않고 그저 공원에 있는 나무 벤치 같았다. 시야 로 살 수 있는 사람들, 즉 인간
눈을 파내는 것을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생김. 답게 살아가기가 어려운 현대인
가 구겨진 종이처럼 뭉개지고 있었다. 들의 모습을 다루면서 직장 문
졸음 때문에 서서히 눈이 감기는 남자 → 사건의 결말을 명확하게 서술하지 않고 여운을 남김. 화, 육아, 자본주의, 도시 문명
▶ 저녁이 되면서 눈을 치우던 남자는 서서히 지쳐감. 등을 풍자하고 있다.
제재 정리 작품 구성
새해 첫 출근 날 눈이 너무 많이 쌓인 것을 발견하
발단
고 남자는 회사에 출근하지 않기로 함.
남자는 출근에 대한 상사의 압박에 불안감을 느끼
전개
다 결국 눈을 파헤치며 출근함.
회사를 향해 나아가면서 쌓인 눈을 치우다 남자는
위기
배고픔을 느끼고 짜장면을 배달시켜 먹음.
남자는 계속 눈을 파헤치던 중 휴대 전화 벨 소리
절정 를 듣게 되고, 소리가 나는 곳을 향해 삽집을 하다
가 사람을 발견함.
눈에 파묻힌 사람이 유 대리임을 알고 놀란 남자
결말
는 그 옆에서 서서히 잠이 듦.
※ 교과서 수록 부분은 ‘위기’, ‘절정’, ‘결말’에 해당함.

⑵ 문학 활동의 이해 81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81 2019. 1. 8. 오후 10:12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스노우맨〉의 소재의 상징적 의미  〈스노우맨〉에서 공감하거나 비판하고  창의적인 태도로 〈스노우맨〉을 감상
와 등장인물의 유형을 정리하고 작 싶은 내용에 대해 이야기하고, 작품 하고, 결말의 내용을 이어서 창작해
품의 제목이 의미하는 바 생각하기 의 주제와 비슷한 경험 생각해 보기 보기

1 〈스노우맨〉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 제시된 ‘눈’의 상징적 의미를 말해 보자.


이 작품에서 남자는 ‘눈’ 예시 답 회사에 출근해야만 하는 남자에게 ‘눈’은 시련의 대상이고, 남자는 경쟁 사회에서 뒤처지지 않기 위해 필사
적으로 눈을 파헤친다. 따라서 눈은 현대인들이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극복해야만 하는 압박, 삶의 부담감 등을
때문에 힘겹게 출근하고 있어.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남자가 위험을 무릅쓰고 출근
하려는 까닭은 무엇일까?
‘이끌기’ 플러스 ⑵ ‘남자’, ‘유 대리’, ‘과장’이 상징하는 인물의 유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눈이 내린 풍경을 낭만적으
로 바라보면 환상적이고 아름답
지만, <스노우맨>의 주인공인 ‘
남자’에게는 그저 출근을 어렵 남자 유 대리 과장
게 하는 요소일 뿐이다. ‘남자’
는 폭설이 내린 것을 보고 처음
에는 출근이 불가능하다고 판단
했지만, 빨리 출근을 하라는 부
눈을 파면서 회사에 출 눈을 파며 회사로 가는 ‘남자’에게 회사에 빨리
장과 과장의 연락을 받고 어쩔
수 없이 눈을 파헤치며 나아가 근하려고 하지만 중간에 도중 눈에 파묻힌다. 출근하라고 재촉한다.
게 된다. 이처럼 작품에서 ‘눈’이
‘남자’에게 어떤 역할을 하는지 지쳐서 멈춘다.
를 고려하면 ‘눈’의 상징적 의미
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활동 1 지도 방안 ‌경쟁 체제에서 살아남으    ‌ 예시 답 다른 사람들과의    ‌ 예시 답 일상에서 압박을


경쟁에서 앞서기 위해 노력하고 주는 인물
작품을 세밀하게 읽고 소설 려고 노력하지만 뜻대로 인정도 받았으나, 결국 도태되는
의 주요 요소들에 대해 이해하
인물
는 활동이다. 작품의 소재, 인물 되지 않는 인물
의 특징, 제목의 의미 등 소설에
담긴 주제 의식을 이해하기 위
해 필요한 내용들을 체계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⑶ 다음 내용을 참조하여 이 작품의 제목인 〈스노우맨〉은 무엇을 뜻하는지 생각해 보자.

맞은편에 불 꺼진 편의점이 있었다. 편의점 간판을 보자 온장고에 든 따뜻한 캔 커


피가 마시고 싶어졌다. 얼마 전까지 일상이었던 것들이 지금은 손이 닿지 않는 저 눈
밑에 파묻혀 버렸다. 누가 만들어 놓았는지 편의점 앞에는 남자의 키만 한 눈사람이
서 있었다. 동그란 눈과 웃는 입 모양을 한 눈사람이었다. 그 웃는 얼굴을 보고 남자는
잠시 멈춰 섰다. 눈이 재앙이 되고 눈 때문에 일상이 무너진 곳에 서 있는, 웃는 얼굴
의 눈사람은 김새는 농담 같았다. 남자는 자신도 모르게 그 입 모양을 흉내 냈다. 말라
교과서 붙어 있던 입술이 툭 터져서 피가 찔끔 새어 나왔다.
79쪽

예시 답 폭설로 세상이 마비된 상황과 어울리지 않게 웃고 있는 눈사람의 표정은 고된 삶에 대한 냉소나 조소에 가


까움을 알 수 있다. 또한 남자는 눈사람의 웃는 표정을 흉내 내다가 입술이 터지고 마는데, 이로 보아 ‘스노우맨(눈
사람)’은 힘든 현실에서도 억지웃음을 지으며 살아가야만 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출근
을 위해 눈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남자를 ‘스노우맨’이라고 본다면, 이 작품의 제목은 극심한 경쟁 사회 속에서 기계
적인 노동으로 힘들게 살아가는 현대인의 모습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82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82 2019. 1. 8. 오후 10:12


활동 2 지도 방안
2 공감적ㆍ비판적 태도로 작품을 감상하는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에 제시된 항목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이 작품에서 공감하거나 비판하고 싶은 부분


공감적·비판적 태도로 작품
을 수용하며 내면화하는 활동이 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해 보자.
다.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활동
에 초점을 맞추되 자신의 생각
과 경험 등을 바탕으로 작품의
의미를 좀 더 확장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눈이 와도
인물의 행동 이 작품은 출근해야 하는
너무 비현실적인 상황이 이해돼.
상황을 설정한
사건의
전개 것 같아.
표현 방법

예시 답 •선택한 항목: 인물의 행동


•자신의 의견: 내가 만약 작품 속 과장이었다면, 이런 상황에서는 충분히 기다려
주었을 거야. 천재지변에 해당하는 일이 발생했는데 출근을 재촉하는 것은 상
사로서 적절하지 못한 행동이라고 생각하거든. 다그치고 지적하는 것이 효율적
이라고 생각하는 직장 문화는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해.

⑵ 다음 자료와 관련된 내용이 이 작품에 어떻게 드러나 있는지 찾아보자. 그리고 주체적인
관점에서 이 작품의 주제는 무엇인지 말해 보자.

디스토피아(dystopia): 현대 사회의 부정적인 모습을 허구로 그려 냄으로써 현실을 날카롭게 비판하는

문학 작품. 또는 그 사상. ‘역(逆)유토피아’라고도 함.

예시 답 이 작품에 나오는 사회는 이상이나 행복을 추구하는 공간이라기보다, 주인공으로 하여금 비정상적이고 극
단적인 행동을 하도록 강요하는 공간으로 형상화되어 디스토피아의 한 단면을 보여 주고 있다. 이로 볼 때 이 작품
의 주제는 하나의 기계가 되어 인간성을 상실한 채 노동을 강요당하는 현대인의 모습과 경쟁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
에 대한 비판이라고 할 수 있다.

눈이 내려도 회사에 가야 ⑶ 자신의 주변에서 이 작품에 나타난 상황과 비슷한 경우가 있었는지 생각해 보자.
만 하는 주인공의 상황은 잠시
의 여유조차 없는 각박한 현대
예시 답 나는 미대 입시를 준비하고 있는데, 정해진 기한 내에 작품을 완성해야
사회의 현실을 나타내는 것은 해서 잠도 못 자고 아파도 쉬지 못한 채 그림을 그렸던 적이 있다. 내가 선택한 길
아닐까? 그런 점에서 보면 우리 나의 경험에서
이긴 하지만, 정해진 틀에 맞추어 무언가를 해야만 했던 상황이 〈스노우맨〉과 비
주변에도 유사한 상황이 많이 슷한 것 같다.

있는 것 같아.
예시 답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이라는 소설을 보면 주인공은 아픈 아내를 두고
소설이나 영화 등
돈을 벌러 나간다. 일하지 않고는 약을 살 수도, 설렁탕을 살 수도 없기에 인력거
다른 매체에서 를 끌어야만 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습이 〈스노우맨〉과 비슷한 것 같다.

⑵ 문학 활동의 이해 83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83 2019. 1. 8. 오후 10:12


활동 3 지도 방안
3 창의적인 태도로 작품을 감상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결말의 내용을 이어서 창작해 보자.

⑴ 이 작품의 결말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보자.


작품을 창의적인 태도로 수용
예시 답 작품의 결말에서 유 대리는 눈 속에 파묻혀 있고 남자도 지쳐서 그 옆에 앉아 있지만, 두 사람 모두 아직은
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의 결
희망이 있다고 생각해. 현재의 위기 상황을 극복하는 내용을 덧붙여서 행복한 결말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
말을 재구성해 보는 활동이다.
먼저 작품의 결말에 대한 자신
의 생각을 정리하게 한 후, 결
말 이후에 이어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내용을 떠올려 보게
한다. 그러한 생각들을 바탕으
⑵ ⑴의 내용이 잘 드러나게 이 작품의 결말을 이어 써 보자.
로 하여 결말에 이어지는 소설
을 창작하도록 지도한다. 완벽
한 소설을 창작해야 된다는 부
담감을 버리고 자유로운 상상력
을 발휘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예시 답 생략

조성해 준다.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1

〈스노우맨〉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예시 답 열심히 눈을 파내면서 회사에 출근하려는 남자의 모습이 안타까웠어. 눈에 묻힌 사람이 유 대리라는 것을 알았을 때는 나
또한 절망스러운 마음이 들었어.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나의 책방 키우기 가족과 연애, 결혼이라는 주제를 30대 여성의 다
서유미의 양한 시선으로 그린 소설이다. 불안하고 어두운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서유미의 〈쿨하게 한 걸음〉

〈쿨하게 한 걸음〉 사회를 살아가는 인물의 모습을 중심으로 〈스노
표현 방법이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조지 오웰의 〈1984〉 우맨〉과 비교 감상하도록 한다.
극단적인 전체주의 사회에서 붕괴되는 개인의
조지 오웰의
존엄성을 보여 주는 소설이다. 디스토피아를 드
〈1984〉
84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러낸 표현 방법에 주목하여 감상하도록 한다.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84 2019. 1. 8. 오후 10:12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현재의 안락한 삶보다 자유로운 삶을 추구하고
싶은 화자의 의지를 ‘고양이’의 모습을 통해 드러낸 시이다.
2
인간이 제공하는 안락하고 편안한 삶이 아닌 야생의 자유로
운 삶을 추구는 고양이의 모습은, 결국 새로운 삶을 지향하는
시적 화자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
리라〉는 이러한 화자의 소망을 참신하지만 비교적 쉬운 시어
로 표현하고 있어, 학생들이 다양한 시각으로 재구성하거나
창작 활동을 수행하기에 적절한 작품이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고양이로 태어나고 싶은 이유는 무엇


질문의 예 일까요?

삽화 관련 교과서 85쪽의 삽화에서 고양이의 행


질문의 예 동에는 어떤 분위기가 느껴지나요?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질문의 예 있나요? 황인숙 (1958  ~ ) 작가 동영상

시인. 1984년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로 등단하


였다. 참신하고 경쾌한 상상력으로 일상과 현실을 풍자
하는 시를 주로 썼다. 시집으로 《새는 하늘을 자유롭게
풀어놓고》, 《우리는 철새처럼 만났다》, 《나의 침울한,
소중한 이여》 등이 있다.

 고양이를 관찰해 본 경험이 있는가?


 만약 자신이 고양이로 태어난다면 무엇

을 하고 싶은가?
 예시 답 안락한 삶과 자유로운 삶 중 어떤 것을

택하고 싶은가?

⑵ 문학 활동의 이해 85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85 2019. 1. 9. 오후 4:51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낭만적, 의지적, 감각적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는 새로운 삶에 대한 지향을 고양이의 모습을 통해 참신하게 표현한 시이다.
제재 고양이
문학 작품을 재구성하거나 창작하는 방법을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편안하고 안락한 삶을 거부하고 자유로운
주제
수업의 포인트 야생의 삶을 소망함.
① ‌시적 화자의 소망을 ‘고양이’의 모습을
•시에 드러나는 고양이의 모습과 특성 파악하기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냄.
•화자가 추구하는 삶의 모습 이해하기
② ‌특정한 어미(‘-리라’, ‘-겠지’ 등)를 반복
•표현상의 특징 정리하기 특징
적으로 사용하여 운율을 형성함.
③ ‌의성어와 의태어를 활용하여 고양이의
모습이나 행동을 생동감 있게 묘사함.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 황인숙


작품 감상 애니메이션

작품 감상 음성

자유로운 삶을 사는 존재
이다음에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 어미
‌ ‘-리라’의 반복적 사용 → 운율
시적 화자의 소망을 드러냄. 형성, 시적 화자의 의지 강조
윤기 잘잘 흐르는 까망 얼룩 고양이로
생명력이 충만한 모습 ○: ‌의성어, 의태어의 사용 → 고양이의
태어나리라. 모습을 생동감 있게 묘사함.

사뿐사뿐 뛸 때면 커다란 까치 같고
민첩하고 날렵한 특성을 지님.
공처럼 둥굴릴 줄도 아는
유연함을 지닌 존재
작은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나는 툇마루에서 졸지 않으리라.
인간의 보살핌을 의미함. 인간의 보살핌이 없는 자유로운 삶을 소망함.
사기그릇의 우유도 핥지 않으리라.
인간의 보살핌을 의미함.
가시덤불 속을 누벼 누벼
야생적인 삶
너른 벌판으로 나가리라.
야생적인 삶
거기서 들쥐와 뛰어놀리라.
배가 고프면 살금살금
참새 떼를 덮치리라.
한 마리가 아닌 ‘참새 떼’를 덮친다고 표현하여 큰 포부를 드러냄.
그들은 놀라 후다닥 달아나겠지.
아하하하
‘참새’의 상징적 의미 웃음소리를 그대로 제시하여 밝은 분위기를 형성함.
폴짝폴짝 뒤따르리라.
참새

•시적 화자가 고양이로 태어 꼬마 참새는 잡지 않으리라.


난 삶에 속한 존재 ‘참새 떼’보다 작은 존재에 대해 관심을 가지지 않음.
•시적 화자가 꿈속에서도 찾 할딱거리는 고놈을 앞발로 톡 건드려
아다니는 대상

놀래 주기만 하리라.
(고양이로 태어난) 시적 화자 그리고 곧장 내달아
가 추구하는 꿈, 이상, 목표
등을 의미함. 제일 큰 참새를 잡으리라. ▶ 자유로운 삶에 대한 소망
‘참새 떼’와 같이 커다란 존재를
잡겠다고 표현하여 큰 포부를 드러냄.
86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86 2019. 1. 8. 오후 10:12


표현상의 특징 시적 화자가 추구하는 삶의 모습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리듬감 •‘나는 툇마루에서 졸지 않으리라.’ 편안하고 안락한 삶을
‘-리라’, ‘-겠지’
을 형성함. •‘사기그릇의 우유도 핥지 않으리라.’ 거부함.

잘잘, 사뿐사뿐, 고양이의 모습이나 행동을 생 •‘너른 벌판으로 나가리라.’ 자연 속에서 야생적인
살금살금, 폴짝폴짝 등 동감 있게 묘사함. •‘거기서 들쥐와 뛰어놀리라.’ 삶을 추구함.

•‘참새 떼를 덮치리라.’ 원대한 꿈과 포부를 지닌


•‘제일 큰 참새를 잡으리라.’ 삶을 지향함.

•‘어둠을 핥으며 낟가리를 찾으리라.’


•‘내 잠자리는 달빛을 받아 / 은은히 빛 고독을 두려워하지 않는
나겠지.’ 고고한 삶을 추구함.
•‘그래도 난 털끝 하나 적시지 않을걸.’

•‘나는 꿈을 꾸리라.’
이상 실현을 포기하지 않
•‘놓친 참새를 쫓아 / 밝은 들판을 내닫
는 삶을 추구함.
는 꿈을.’

이윽고 해는 기울어
시간의 경과(저녁)
바람은 스산해지겠지.
시련을 상징함.
들쥐도 참새도 가 버리고
고양이의 먹이가 없는 상황
어두운 벌판에 홀로 남겠지.
고독한 공간을 상징함.
나는 돌아가지 않으리라.
편안하고 안락한 삶을 거부함.
어둠을 핥으며 낟가리를 찾으리라.
고독을 즐기려는 태도가 드러남.
그 속은 아늑하고 짚단 냄새 훈훈하겠지.
야생적인 삶에서 아늑함을 느낌.
훌쩍 뛰어올라 깊이 웅크리리라.
내 잠자리는 달빛을 받아
야생적인 삶을 의미있게 만들어 주는 존재
은은히 빛나겠지.
혹은 거센 바람과 함께 찬비가
시련을 상징함. 시련을 상징함.
빈 벌판을 쏘다닐지도 모르지.
그래도 난 털끝 하나 적시지 않을걸.
힘든 상황에서도 의지를 꺾지 않겠다는 다짐
나는 꿈을 꾸리라.
작품의 핵심 시어
놓친 참새를 쫓아 목표를 이루지 못해도 다시 그 목표를 향해
꿈을 꾸겠다는 의지가 드러남.
밝은 들판을 내닫는 꿈을.
▶ 시련 속에서도 이상을 추구하며 사는 삶에 대한 소망

제재 정리
스산하다 날씨가 흐리고 으스
작품 구성 스하다.
1연 자유로운 삶에 대한 소망 낟가리 나무, 풀, 짚 따위를 쌓
2연 시련 속에서도 이상을 추구하며 사는 삶에 대한 소망 은 더미.

⑵ 문학 활동의 이해 87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87 2019. 1. 8. 오후 10:12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 자신의 경험과 가치관을 고려하여 조건  주체적인 관점에서 새로운 작품을 창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의
에 맞게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의 1 작하고, 그 결과물을 바탕으로 하여 친
소재와 시구의 의미 파악하기
연을 재구성하고, 느낀 점 이야기해 보기 구들과 상호 소통하기

1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서 ‘참새’는 무엇을 상징하는지 생각해 보자.


활동 1 지도 방안
예시 답 참새는 시적 화자가 고양이가 되어 자유롭게 살아가는 삶 속에 속한 존재이며, 동시에 시적 화자가 꿈속에
작품의 핵심 소재와 주요 구
서도 찾아다니는 존재이다. 따라서 ‘참새’는 시적 화자가 추구하는 꿈, 이상, 목표 등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절의 의미를 생각해 보는 활동
이다. 두 연으로 구성되어 있는
작품의 흐름과 주요 소재의 상
징적 의미를 파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시적 화자가 추
구하는 삶이 무엇인지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시의 고양이가 집에서 ⑵ 이 작품에서 다음 구절이 뜻하는 바를 써 보자.
키우는 평범한 고양이와 다른
점이 무엇일까? ‘~않으리라’라고 ① ②
말한 내용을 살펴보면 답을 찾
나는 툇마루에서 졸지 않으리라. 들쥐도 참새도 가 버리고
을 수 있을 것 같아.
사기그릇의 우유도 핥지 않으리라. 어두운 벌판에 홀로 남겠지.
나는 돌아가지 않으리라.

예시 답 인간의 보살핌을 받는 안락하고 편 예시 답 집으로 돌아가지 않고 자연 속에서

안한 삶을 거부함. 야생적인 삶을 추구함.

2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의 일부를 재구성하는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시적 화자는 고양이로 태어나고 싶다는 소망을 말하고 있다. 자신은 무엇이 되
고 싶은지 이유를 들어 말해 보자.

자신이 되고 싶은 대상 이유

예시 답 소설 〈모비딕(Moby Dick)〉에 나오는 큰 향유고래의 삶이 궁


예시 답 향유고래
금했기 때문이다.

88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88 2019. 1. 8. 오후 10:12


활동 2 지도 방안 ⑵ ⑴에서 자신이 이야기한 대상이 ‘하고 싶은 것’과 ‘하지 않을 것’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창의적으로 문학 작품을 재구
성하는 활동이다. 교과서에 제
시된 과정에 따라 진행하되, 학 하고 싶은 것 하지 않을 것
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 예시 답 예시 답
게 표현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
•태평양 횡단하기. •새끼 물고기 먹기.
성하도록 한다. 또한 작품을 재
구성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재
•심해에 가 보기. •인간과 대결하기.
구성한 결과물을 통해 친구들과
소통하는 활동 역시 중요한 과
•대왕 오징어 사냥하기 등 •얕은 바다에서 헤엄치기 등
정임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
한다.

이 작품은 두 개의 연으 ⑶ 을 고려하여 이 작품의 1연을 재구성해 보자.


로 구성되어 있어. 1연은 낮, 2연
은 밤을 배경으로 해.
‘이끌기’ 플러스 •자신이 되고 싶은 대상의 속성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것.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의 1연에서는 고양이의 외양과
•반복적 표현을 사용하여 리듬감을 형성할 것.
움직임의 특성, 뛰어노는 모습 •‘~(으)로 태어나리라’, ‘~을/를 하리라’, ‘~을/를 하지 않으리라’ 등의 표현을 사용할 것.
등을 구체적이고 실감나게 묘사
하고 있다. 이처럼 대상의 속성
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는, 먼저 자신이 되고 싶은 대상
이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예시 답 이다음에 나는 고래로 태어나리라. 둥근 머리와 유선형의 몸으로 물속을 헤쳐
구체적으로 떠올려 정리해 보는 깊은 바다를 헤엄치는 한 마리 커다란 고래로 더 깊은 바닷속으로 가 보리라.
것이 좋다. 그리고 그렇게 정리 태어나리라.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해구에서
한 대상의 속성을 다양하고 참 칠흑같이 어두운 심연을 유유히 떠돌고 대왕 오징어를 사냥하리라.
신한 방법으로 표현해 보아야 가끔씩만 수면에 올라와 깊은 숨을 들이마시는 억센 다리로 나를 휘감는 그 녀석을
한다. 큼직한 향유고래로 태어나리라. 더 억센 이빨로 깨물어 주리라.
나는 작은 물고기를 먹지 않으리라. 그럼 화들짝 놀라 먹물을 뿜어 대겠지.
새우 떼도 그냥 보내주리라. 아하하하 (후략)

⑷ 재구성한 작품을 친구들과 바꾸어 낭독해 보고, 표현이 재미있거나 발상이 참신한 작품
을 선정하여 느낀 점을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 생략

⑵ 문학 활동의 이해 89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89 2019. 1. 8. 오후 10:12


3 주체적인 관점에서 문학 작품을 창작해 보자.

⑴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를 감상한 후, 작품을 창작하기 위한 구상을 해 보자.


나에게
인상적이거나
의미 있었던 내용은
자신이 문학 작품으로 표현하고 싶은 소재나 주제
무엇이 있었지?
예시 답 지난달 학교에서 친구들과 다녀온 수련회

활동 3 지도 방안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의 참신한 발상과 표현 방법 등
을 참고하여, 주체적인 관점에
서 새로운 문학 작품을 창작해 ⑵ 자신이 창작할 내용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갈래와 구성, 표현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는 활동이다. 먼저 자신이 문
학 작품으로 표현하고 싶은 소
보자.
재나 주제를 정한 후, 그것을 가
장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갈래와 구성, 표현 방법을 정리
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작
품을 쓰도록 지도한다. 학생들
이 갈래나 구성, 표현 방법 등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조
나는 소설을
언을 해 주되, 하나의 틀에 얽매
갈래 예시 답 소설 창작해
이지 않고 자유롭게 창작해 볼 보고 싶어.
수 있도록 유도한다. 또한 창작
한 작품을 친구들과 공유하고
소감을 나누는 시간을 갖게 하
여,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에만
갇히지 않고 타인에 대해 개방
적이고 포용적인 자세를 갖출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구성 예시 답 •발단: 같은 방 친구들과 수련관의 어떤 공간에 대해 이야기함.


•전개: 방을 빠져나와 그 공간으로 감.
•절정: 그 공간에 들어가 봄.
•결말: 방으로 다시 돌아옴.

소설을 어떤
방식으로 구성해 볼
까? 어떤 표현법이
좋을까?
예시 답 •장소의 이동에 따른 전개 방식
표현 방법 •1인칭 주인공 시점

90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90 2019. 1. 8. 오후 10:12


⑶ ⑴, ⑵를 바탕으로 하여 작품을 써 보자.

예시 답 10월의 어느 날, 나는 학교 친구들과 함께 수련회를 떠났다. 학창 시절 마지막 수련회라고 생


각하니 기분이 묘했다. 초등학교 때부터 수련회를 다녔지만, 늘 분위기는 비슷했다. 줄을 서서 받아
내가 쓴 먹는 식사, 시간에 쫓겨 참여해야 하는 프로그램, 취침 점호, 엄격한 규칙과 통제. 어떻게 보면 편한

소설이야. 읽은 점도 있었지만, 수련회라는 말만 들어도 답답함과 지루함이 내 머릿속에 자리잡았다.


한 시간쯤 차를 타고 가자 넓은 운동장과, 나무로 둘러싸인 건물들이 보였다. 가운데에 있는 커다란
소감이 어때?
체육관을 중심으로, 뒤쪽에는 생활관이 있었으며 좌우로는 식당과 종합 활동실이 마치 고성(古城)처
럼 서 있었다.
“야, 수연아 저 건물들 봐. 느낌이 왠지 음산한데? 우리 방은 어디쯤일까?”
나는 옆자리에 앉아 있던 수연이에게 말을 걸었다. 수연이는 나와 같은 중학교를 나와서 예전부터
알고는 있었지만 같은 반이 된 것은 올해가 처음이었다. 집도 같은 방향인 데다 좋아하는 연예인도 비
슷해서 금방 친해졌고, 이번 수련회에서도 같은 방을 쓰게 되었다. 우리 방에는 그 외에도 두 명의 친
구가 더 있었다. (후략)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었구나.

⑷ 창작한 작품을 친구들과 감상하고, 작품에 대한 소감을 나누어 보자. 그리고 친구들의 의
견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의 작품을 다듬어 보자.
예시 답 생략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2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예시 답 이 작품은 풍부한 상상력과 참신한 표현으로 시적 화자의 꿈을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잘 드러낸 것 같아. 나도 내 꿈을 시나 소설로 표현해 보고 싶다는 생각 칼로 사과를 깎는 일상적인 행위에서 얻은 삶의
이 들어. 황인숙의
깨달음을 노래한 시이다. 일상적인 대상을 바라
〈칼로 사과
보는 참신한 시선과 표현 방법에 주목하여 〈나는
나의 책방 키우기 를 먹다〉
고양이로 태어나리라〉와 함께 감상하도록 한다.
고양이의 털과 눈, 입술과 수염에서 연상되는 봄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황인숙의 〈칼로 사과를 먹다〉 이장희의

의 향기와 불길, 졸음과 생기를 섬세하게 표현한
〈봄은 고양
소재가 같은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이장희의 〈봄은 고양이로다〉 시이다. 시인의 치밀한 분석과 생동감 넘치는 묘
이로다〉
사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하도록 한다.

⑵ 문학 활동의 이해 91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91 2019. 1. 8. 오후 10:13


‘소단원 정리하기’ 지도 방안
•문학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학습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개념 정리’,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도
록 한다.

(2) 문학 활동의 이해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개념 정리 평가 자료
•어휘 평가 •서술형 평가
•쪽지 시험 •수행 평가
•소단원 평가

독자는 문학 작품을 주체적으로 수용한다.


문학 작품을 읽으며 우리는 각자 나름의 방법으로 해석하고 평가한다. 자기 경험에 비추어서 소설
속 주인공의 행동에 감동하기도 하고, 때로는 수필에서 알 수 있는 작가의 생각을 비판적으로 보기도
한다. 그리고 같은 작품을 읽으면서도 사람마다 각기 다른 해석을 하기도 한다. 이렇듯 독자는 작가
가 그린 세상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가치관이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비판적ㆍ창
의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 문학 작품의 주체적인 수용

독자는 공감적·비판적·창의적으로 작품을 수용한다.


작가의 손을 떠난 문학 작품은 이미 작가의 것이 아니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일단 발표된 문학 작
품은 독자가 자기 생각과 방식으로 읽고, 공감하거나 비판적ㆍ창의적으로 수용한다는 의미이다. 문학
작품의 수용에서 독자가 갖는 몫은 매우 크고 중요하다. 따라서 독자는 작가가 전달하는 내용을 그대
로 받아들이는 소극적인 태도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공감적ㆍ비판적ㆍ창의적인 태도
로 수용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독자의 적극적인 태도는 작가에게 영향을 주고, 이
를 통해 작가와 독자는 상호 소통을 하며 다양한 문학 작품의 수용과 생산으로 연
결된다.
서유미의 소설 〈스노우맨〉 76쪽을 읽고, 어떤 사람은 눈 속을 헤치고 회사로
가는 주인공의 처지가 자신과 비슷하다고 느껴 깊이 공감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사람은 폭설 속에서 짜장면을 배달하는 장면이 지나치게 비현실적이라는 비판
을 할 수도 있다. 또 눈 속을 뚫고 가야 한다는 설정이 비현실적이라고 비판하
는 독자가 있는가 하면, 비현실적인 설정을 통해 날카롭게 현실을 비판한 작
가의 발상을 높게 평가하는 독자도 있을 것이다. 열심히 일한 유 대리가 이대
로 눈 속에 파묻힌 것이 못마땅하다고 여기는 독자는 작품의 결말을 바꾸
고 싶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공감적ㆍ비판적ㆍ창의적 태도로 작품을
수용한다면 독자는 자기가 감상한 문학 작품으로부터 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 공감적·비판적·창의적으로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독자의 태도
2-⑵단원 개념 정리 ① 문학 작품의 수용

독자 자신의 가치관이나 경험을


공감적 수용
바탕으로 작품을 수용함.
독자의 적극
작품의 주제나 형식, 다른 독자 적인 수용은 다양한 문학
주체적
 비판적 수용 들의 생각 등을 평가하고 비판 작가에게 영 작품의 수용
수용  
하며 수용함. 향을 주며 상 과 생산으로
호 소통을 하 연결됨.

92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창의적 수용


작품의 가치를 발견하고 주체적
인 관점에서 창의적으로 수용함.
게 함.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92 2019. 1. 8. 오후 10:13


2-⑵단원 개념 정리 ②
문학 작품의 재구성과 창작

•의미: 자신이 읽은 문학 작품의 내용, 형식, 갈래, 맥락, 매체 등을 바꾸어 쓰는 것


문학 작품의
•필요한 태도: 자신의 주체적인 시각과 방법으로 재구성해야 함.
재구성
•의의: 문학 작품을 꼼꼼하게 읽고 깊이 이해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음.
•창의적 시각
•주체적 관점
•과정: 자기 삶을 성찰함. → 의미 있는 경험을 찾고 그 경험에서 자신만의 생각과 느
문학 작품의 낌을 끌어냄. → 알맞은 문학 형식이나 매체를 정하여 표현함.
창작 •필요한 태도: 여러 가지 표현법이나 구성 방법 익히기, 창작한 작품을 다른 사람들에
게 보여 주고, 스스로 되돌아보기 등의 꾸준한 노력이 필요함.

문학 작품의 생산은 재구성에서부터 시작한다.


사람들은 문학 작품을 쓰는 것을 어렵게 생각하고, 문학 작품은 특별한 자격을 갖춘 사람만 쓸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문학 작품을 쓰는 것은 그리 어렵지도 않으며 누구나 쓸 수 있다.
문학 작품을 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모든 일이 그렇듯이 연습이 필요하다. 연습의 첫걸음은 자
신이 읽은 작품을 자기 나름의 시각으로 재구성해 보는 것이다. 문학 작품의 재구성은 문학 작품을
읽고 내용, 형식, 갈래, 맥락, 매체 등을 바꾸어 쓰는 것을 말한다. 이는 작품을 감상하는 활동이므로
수용 활동이자, 다시 쓰는 활동이므로 생산 활동에도 해당한다. 앞에서 우리는 〈나는 고양이로 태어
나리라〉 86쪽를 감상하며 자신의 관점에서 작품 일부를 재구성해 보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반드
시 자신의 시각과 방법으로 문학 작품을 재구성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재구성 활동을 통해 우
리는 문학 작품을 꼼꼼하게 읽고 깊이 이해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 문학 작품의 재구성

주체적인 관점에서 문학 작품을 창작한다.


문학 작품을 창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기 삶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자신
의 삶에서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경험들을 찾아내고, 그 경험에서 자신만의 생각
과 느낌을 끌어낸다. 그리고 그것을 표현하기에 알맞은 문학 형식과 매체를 정
한다. 창작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여러 가지 표현법이나 구성 방
법도 익혀 두고, 자신이 창작한 작품을 다른 이들에게 보여 주고 스스로 되돌아
보는 활동도 도움이 될 것이다. ▶ 문학 작품의 창작

평가
점검 사항
상 중 하

공감적·비판적으로 작품을 수용하고, 그 결과를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다.


이 단원에서 ▶ 교과서 83쪽 2번 문제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점검해 보자. 창의적인 시각과 주체적인 관점으로 작품을 재구성하거나 창작할 수 있다.
▶ 교과서 84쪽 3번, 88~89쪽 2번, 90~91쪽 3번 문제

⑵ 문학 활동의 이해 93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93 2019. 1. 8. 오후 10:13


사람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자라고 다양한 분야의 경험을 통해 배우며

문학의 성장하게 된다. 문학 작품도 이와 비슷하다. 문학 작품은 예술, 인문, 사회 등 여러


문학과 관련된 인접 분야
분야와의 관계 속에서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변화해 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인접 변화 속에서 문학은 다양한 매체로 소통되었다.
신문, 잡지, 단행본, 라디오, 텔레비전, 영화, 애니메이션, 인터넷, 휴대 전화 등

분야와 이 단원에서는 문학이 다양한 인접 분야와 맺고 있는 관련성을 이해하고, 전달 매체

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입체적인 태도로 문학 활동을 해 보자.

매체 세 번째 질문 이끌기
다양한 매체가 등장하는 환경에서
문학 작품의 미적 특성이나 감상의 내
스마트 수업 PPT
용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해 생각
해 보게 하는 질문이다. 학생들이 다양
한 매체를 통해 작품을 수용·생산해
본 경험을 떠올리며 질문에 답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매체에 따라


문학 작품을 표현하고
생각해 보자.
수용하는 방법이
문학 작품은 다양한 인접 소단원 도입 애니메이션

분야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달라질까?
있음을 이해한다.
전달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
여 문학 작품을 감상한다. 인접 분야를 고려해서
문학과 관련된 문학 작품을 수용·생산할 때
인접 분야에는 어떤 장점이 있을까?
소단원 수업은 이렇게 어떤 것이 있을까?
이 단원은 문학이 다양한 분 두 번째 질문 이끌기
야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이해함으로써 문학의 외연에 대 첫 번째 질문 이끌기 인접 분야를 고려해서 문학 작
한 이해를 넓히고 입체적으로 문 문학이 인간의 보편적인 문제 품을 수용·생산해 본 경험이 있는
학 활동에 참여하는 태도를 기르 에 대한 작가의 생각을 언어로 표 지 떠올려 보게 하고, 그러한 감상
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다양한 현하는 예술의 일종이라고 볼 때, 방법을 통해 더 깊고 넓은 감상이
매체로 구현된 문학 작품을 감상 인간의 보편적 문제를 다른 수단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
한 후, 전달 매체의 특성이 작품의 을 통해 표현하는 또 다른 예술 분 도록 지도한다.
창의적 표현 방법과 심미적 가치 야에는 무엇이 있는지 떠올려 볼
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봄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로써 문학적 관점에서 이를 수용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이 이 단원에서는 
단원에서는 그림의 모티프가 된
시를 감상하면서 문학과 미술 분 1 〈 저녁에〉를 감상하며 문학 작품과 인접 분야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이해해 보자.
야의 관계를 이해하고, 소설을 각 ▶ 교과서 95쪽, 지도서 154쪽
색한 드라마 대본을 감상하면서 2 〈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을 감상하며 매체의 특성이 표현 방법과 심미적 가치에 어떻게
문학 작품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
의 창의적 표현 방법과 심미적 가 반영되는지 이해해 보자. ▶ 교과서 99쪽, 지도서 162쪽
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 교과서 108쪽, 지도서 153쪽

94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94 2019. 1. 8. 오후 10:13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저녁이라는 시간을 배경으로, 별과 ‘나’의 만남과 헤어짐을
담담하게 노래한 시이다. 자연 현상의 변화를 만남과 이별, 재회로 연관
1
지어 철학적인 깊이를 더하고 있으며, 짧고 담백한 시상 전개를 통해 공
감의 폭을 넓히고 있다. 한편, 미술 작품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
랴>는 화가 김환기가 시 <저녁에>를 읽고 느낀 점을 그림으로 그린 것이
다. 따라서 시 〈저녁에〉와 미술 작품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를
함께 감상하고 두 작품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활동을 통해, 문학이 예술,
인문, 사회, 문화, 매체 등의 인접 분야와 교섭하며 다양하게 변화·발전
해 나갈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김광섭 (1905  ~1977) 작가 동영상
경험 관련
밤하늘의 별을 보았을 때 어떤 느낌이 들었나요?
질문의 예 시인. 국권 상실의 좌절과 절망을 읊은 〈고독〉이라는
시를 발표하며 본격적으로 시 창작을 하였다. 이후에도
삽화 관련 교과서 95쪽의 삽화에서 느껴지는 분위기는 어떠한 고독과 불안, 허무 의식을 담은 시를 많이 발표하였다.
질문의 예 가요?
주요 작품으로 〈성북동 비둘기〉, 〈산〉 등이 있다.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저녁 무렵에 하늘을 바라본 경험이 있는

가?
 시를 다른 예술로 표현한 것을 보거나

들은 적이 있는가?

예시 답 ‘만남’과 ‘이별’에 관해서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⑶ 문학의 인접 분야와 매체 95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95 2019. 1. 8. 오후 10:13


<저녁에>는 저녁 하늘을 쳐다보고 깨달은 만남과 헤어짐의 의미를 담담하게 그린 시이다. 작품 개관
문학과 인접 분야의 관계를 고려하는 입체적인 태도로 작품을 감상해 보자.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관조적, 사색적, 상징적
수업의 포인트
제재 별
•‘별’과 ‘나’의 의미와 관계 파악하기 주제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이 있는 내면 성찰
•시상 전개의 따른 시적 화자의 정서 및 태도 이해하기 ① 시각적 이미지를 주로 사용함.
•미술 작품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와의 관계 이해하기 특징
② 대조와 대구를 통해 시적 의미를 강조함.
중심 소재의 의미
저녁에

천상에 있는 존재, ‘나’와 인연을 맺



저렇게 많은 중에서 는 소중한 존재
천상의 존재들
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본다 ‘나’ 지상에 있는 존재
화자와 관계를 맺는 소중한 존재
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 별 하나와 ‘나’ 운명적 만남을 이루게 되는 관계
지상의 존재들
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 ▶ 지상의 ‘나’와 천상의 별의 인연
별과 ‘나’가 관계를 형성함.
|
김광섭

밤이 깊을수록
저녁 → 밤(시간이 경과하면서 이별의 시간이 다가옴.)
별은 밝음 속에 사라지고
대구, 대조 별이라는 존재는 아침이 다가오면 사라지는 운명임.
작품 감상 애니메이션 나는 어둠 속에 사라진다 ▶ ‘나’와 별의 이별
인간이라는 존재는 고독하게 지내다 죽는 운명임.
작품 감상 음성

인터넷 링크 - 김환기의 그림 세계
이렇게 정다운
인연을 맺은 관계
너 하나 나 하나는
어디서 무엇이 되어
재회를 소망함.(불교적 윤회관)
다시 만나랴
▶ ‘나’와 별의 재회에 대한 소망
시상 전개의 특징

‘저렇게 많은 중에서 ‘이렇게 많은 사람 중에서


대구
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본다’ 그 별 하나를 쳐다본다’

별과 ‘나’의 운명적 만남

‘별은 밝음 속에 사라지고’ 대구, 대조 ‘나는 어둠 속에 사라진다’

별과 ‘나’의 관계 소멸

시적 화자의 정서 및 태도

운명적 만남
별 ‘나’

•천상의 존재 •지상의 존재
이별
•밝음 속에 사라짐. •어둠 속에 사라짐.

제재 정리 김환기,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재회에 대한 소망 코튼에 유채, 236 × 172cm, 1970
작품 구성
1연 별 하나가 ‘나’를 내려다보고 ‘나’는 그 별을 바라봄.
2연 밤이 깊어 별은 밝음 속에 사라지고 ‘나’는 어둠 속에 사라짐.
96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3연 별과 ‘나’가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기를 바람.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96 2019. 1. 8. 오후 10:13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 시 〈저녁에〉와 미술 작품 〈어디서 무엇이  현대시 〈사이버 공간〉에 나타난 우리 사회


〈저녁에〉의 내용 전개를 정리
되어 다시 만나랴〉를 통해, 문학과 다른 의 모습을 찾고, 문학 작품을 통해 표현하
하고, 시어의 의미를 파악하기
예술 분야의 관련성에 대해 생각해 보기 고 싶은 사회 현상이나 사건 생각해 보기

1 〈저녁에〉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내용 전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예시 답
활동 1 지도 방안
1연 2연 3연
작품의 내용을 이해하고 시어
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는 활동 별과 ( )하고
별과 ‘나’가 서로 바라보며 밝음과 어둠에 의해 별과 재회
이다. 각 연의 내용과 시상의 흐
름을 정리하고, 그것을 바탕으 인연을 맺음. ‘나’가 ( 헤어짐 ). 싶은 ‘나’의 소망을 드러냄.
로 작품의 주제 및 중요 시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
한다.

⑵ 이 작품에서 ‘별’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예시 답 하늘에 무수히 떠 있는 것 중 ‘별’ 하나는 ‘나’를 내려다보고 있으며, ‘나’ 또한 수많은 사람들 중에서 그
‘별’ 하나를 쳐다보고 있다. 밤이 깊어지면서 ‘나’는 별과 이별하게 되지만, 다시 만날 것을 소망하고 있다. 따라
활동 2 지도 방안 서 ‘별’은 ‘나’와 인연을 맺는 소중한 존재이며, ‘나’와 서로 의미를 주고받는 존재라고 할 수 있다.
문학과 다른 예술 분야가 서
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이해
하는 활동이다. 문학과 인접 분
야의 관계를 고려하여 작품을
감상하면 보다 폭넓고 입체적으
로 문학 활동을 할 수 있음을 이

2
해하도록 지도한다.
다음 글을 읽고, 문학과 다른 예술 분야의 관련성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1960년대 말. 뉴욕에 살고 있던 화가 김환기는 어느 날 오랜 친구였던 김광섭의 시


김환기는 한국의 서양화가로,
초창기 추상 미술의 선구자로 를 읽었습니다. 당시 김환기는 가난과 고독에 지쳐 있었습니다. 그럴 무렵 긴 투병 끝
평가를 받는다. 프랑스와 미국 에 놀라운 기적으로 소생한 김광섭이 펴낸 시집에서 그는 눈이 번쩍 띄는 시를 발견하
에서 활동하며 한국 미술의 국
제화를 이끌기도 했다. 한국 현
게 됩니다. 최근에 어떤 가수가 작곡해서 노래로 불리기도 한 이 시를 읽는 순간 김환
대 미술사를 대표하는 거장으 기는 자신이 버림받은 존재라는 것을 이겨 내고 그립고 다정한 얼굴들을 생각하며 점
로, 서구 모더니즘에 한국 회화
과 선이 무수히 반복되어 찍혀지는 점묘화를 그리게 됩니다.
의 정체성을 접목하여 구현해 점을 찍어서 그린 그림
- 최인호, 《너는 나를 누구라고 생각하느냐》에서
내었다.

⑴ 화가가 작품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에서 무수한 점을 통해 표현하고 싶은 것


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예시 답 화가는 힘들고 외로운 삶 가운데에서 시 〈저녁에〉를 읽고 자신도 누군가와 이어져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이러한 유대감과 존재의 의미를 그림에 담아 무수한 점으로 표현했다.

화가도 독자의 한 사람 ⑵ 화가 김환기가 시의 제목이 아닌 시의 구절을 그림의 제목으로 삼은 까닭은 무엇인지 생


으로서 문학 작품에서 영감을 받
각해 보자.
고, 이를 그림으로 새롭게 해석
한 것 같아. 작품을 능동적으로 예시 답 누군가와 진정한 관계를 맺고 그 관계가 지속되기를 바라는 마음은 시의 마지막 구절에서 집약되어 나타나
고 있다. 화가는 사람 사이의 숙명적인 관계와 그 희망을 그림에 담고자 했기 때문에, 그것을 잘 드러낼 수 있는 시의
해석했을 때 새로운 창작으로 구절을 그림의 제목으로 삼았을 것이다.
이어질 수 있어.

⑶ 문학의 인접 분야와 매체 97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97 2019. 1. 8. 오후 10:13


3 다음은 우리 사회의 한 단면을 그려 낸 시이다. 문학과 사회의 관계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사이버 공간〉은 가상의 공


간에서 의미를 찾으려고 하는 마지막으로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오늘의 검색 항목은 ‘사랑’
시적 화자의 모습을 통해, 현대 주소에 엔터 키를 치면 자꾸만 자꾸만 달아나는 너를 좇아
인에게 익숙해진 사이버 공간의
모니터에 떠오르는 또 하나의 공간, 윈도우를 열어 보지만
본질적 속성을 그린 작품이다. 사이버 공간
▶ 사이버 공간에
그 공간에도 비는 오는지 접속함. 결코 들어갈 수 없는 너의 빈
활동 3 지도 방안 인간관계가 형성되지 못함.
문학이 시대적·사회적 상황 빗속의 너는 자꾸만 멀리 달아나는데 사이버 공간
과 맺고 있는 관련성을 이해하 ▶ 진정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려는 노력이 좌절됨.
는 활동이다. 문학은 인간을 둘 가냘픈 코드를 붙들고 - 오세영, 〈사이버 공간〉
러싼 시대적·사회적 상황이나
덧없이 서핑을 반복한다
사회 제도, 이념, 현상 등을 다 ▶ 진정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함.
양하게 반영한다. 현대시 〈사이 세상은 거대한 월드 와이드 웹
버 공간〉에 반영된 사회 현상을
파악하는 활동을 통해 이러한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문학과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도
록 지도한다. 서로 보이지 않는 올가미를 씌우며
인연을 확인한다
▶ 관계의 확인에 그치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연

⑴ 이 작품에 나타나 있는 우리 사회의 모습은 어떤 것인지 말해 보자.


문학은 시대적ㆍ사회적 상황
예시 답 사이버 공간에서 진정한 인간관계가 아닌 피상적인 관계만을 형성하고 있는 현대인의 모습이 나타나 있다.
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예술 분
야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ㆍ문화
현상 등과도 관련을 맺는다.
⑵ 이 작품처럼 문학 작품을 통해 표현할 만한 사회 현상이나 역사적 사건에는 어떤 것이 있

작품 개관
을지 생각해 보고, 그 이유를 설명해 보자.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서정적, 비판적
제재 사이버 공간
사이버 공간에서 좌 나는 예시 답 전쟁 상황 을/를 문학 작품으로 표현하고 싶어.
주제 절된 진정한 인간관
계의 형성 예시 답 전쟁은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가 위협받는 가장 비극적인 상황
그 이유는
바람직하고 진정한
인간관계 형성의 어
(이)기 때문이야.
특징 려움을 점층적으로
전개하여 좌절의 깊
이를 심화•확대함.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1

〈저녁에〉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예시 답 세상은 어차피 혼자서 살아가는 것이라고 생각한 적도 있었는데, 이 작품을 감상하면서 가족과 친구 등 나와 인연을 맺고
있는 사람들의 소중함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었어.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나의 책방 키우기 196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황폐해


진 자연과 소외된 현대인의 모습을 ‘비둘
김광섭의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김광섭의 〈성북동 비둘기〉 기’를 통해 보여 주고 있는 시이다. 산업화
〈성북동 비둘기〉
에 따른 폐해를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다른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김춘수의 〈꽃〉
작품들과 연계하여 감상하도록 한다.
‘꽃’을 소재로 하여 사물의 존재론적 의미
를 탐구하고 있는 시이다. 관계를 바라보는
98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김춘수의 〈꽃〉
관점에 주목하여 〈저녁에〉와 비교 감상하
도록 한다.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98 2019. 1. 8. 오후 10:13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조세희의 연작 소설을 드라마 대본으로 각색한 것으로, 1970
년대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 개발 속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삶을 적나라하
2
게 보여 주고 있다. 특히 가난한 난장이 가족의 삶을 제재로 하여 산업화
과정에서 좌절하는 모습과 이에 저항하는 과정을 담아내고 있다. 원작 소
설에 등장하는 난장이 가족의 상황과 각 구성원들의 성격은 큰 변화 없
이 반영하고 있으며, 각색의 과정에서 일부 내용을 추가하거나 제외하였
다. 이는 문학이 영상 매체로 구현될 때 전달 매체가 지닌 성격에 따라 작
품의 미적 특성이나 감상의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드라마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은 이러한 특성을 이해해야 하는 이 단원의 학습 목표
를 성취하기에 적절한 작품이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난장이가 공을 쏘아 올리는 장면을 상상해 보았을 때


질문의 예 해당 장면은 시청자에게 어떤 느낌을 줄까요?

삽화 관련 교과서 99쪽의 삽화에 제시된 가족들의 표정은 어떠


질문의 예 한가요?

작가 관련
소설가 조세희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조세희 (1942  ~  2022) 작가 동영상

소설가. 산업화의 과정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삶을 상


징적이고 환상적인 기법으로 그린 작품들을 주로 썼다.
주요 작품으로 소설 〈뫼비우스의 띠〉, 〈내 그물로 오는
가시고기〉 등이 있다.

박진숙 (1947  ~ )
드라마 작가. 1981년에 소설 〈지다위〉로 등단하였으
며, 현재는 드라마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
로 〈아들과 딸〉, 〈방울이〉 등이 있다.

 이 드라마의 원작 소설을 읽어 본 적이

있는가?
 문학 작품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를 본

적이 있는가?

예시 답 1970년대 우리나라의 사회상에 관해 알

고 있는가?

⑶ 문학의 인접 분야와 매체 99

고등문학(056~113)2단원(교).indd 99 2023. 8. 9. 오후 2:34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은 난장이 가족의 고달픈 삶을 통해 1970년대 한국 사회의 모습을 그린 소설을 원작으로 한 드라마이다.
전달 매체의 특성이 표현과 심미적 가치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고려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개관
수업의 포인트 갈래 드라마 대본 성격 사회 비판적, 상징적
•작품에 반영된 시대적 상황 이해하기 배경 1970년대 / 서울의 재개발 지역(낙원구 행복동)
•주요 소재의 의미 및 등장인물의 특성 이해하기 주제 삶의 터전을 빼앗긴 도시 빈민의 삶과 좌절
•원작 소설과의 차이점 파악하기 ① ‌전체적으로 어둡고, 명암의 대비가 뚜렷한 장면을 제시하여 판자촌의 황
량한 분위기를 전달하고 있음.
특징
② ‌등장인물의 성격을 형상화하거나 꿈과 희망 등의 정서적 심리 상태를 드
러내기 위해 소품을 활용하고 있음.
작품 줄거리 애니메이션

작품 줄거리 음성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 조세희 원작, 박진숙 극본
참고 영상 - 〈난·쏘·공〉의 200쇄 출판

등장인물의 성격 등장인물 난장이(아버지, 김불이), 어머니, 영수, 영호, 영희


•사회적·경제적으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빈민 계층을 상징함.
로 소외된 계층을
아버지 대표함.
(난장이) •성실하고 근면하
앞부분 줄거리
나 매사에 소극적
영수, 영호, 영희 남매의 가족은 무허가 판자촌에 집을 짓고 산다. 수도 배관공인 아버지는 키가 작아 5
임. 난장이 가족이 쫓겨나는 이유가 됨.
•가족을 위해 헌신 주변 사람들에게 ‘난장이’라고 놀림을 받는다. 아버지는 가족을 위해 열심히 일하지만 집은 늘 가난하
하며 생활력이 강
어머니 함. 다. 영수와 영희는 학업을 중단하고 공장에서 일을 시작했지만 집안 사정은 별반 달라지지 않는다. 엎
•가장인 남편을 존 따로 별다르게
중함. 친 데 덮친 격으로 아파트 개발 계획이 발표되어 영수네 집은 철거될 위기에 처한다.
설상가상(雪上加霜) 건물, 시설 따위를 무너뜨려 없애거나 걷어치움.
•장남으로, 가난하
여 학업을 중단하
고 공장에서 일을
영수 함.
•생각이 깊지만,
S# 12 난장이네 집 마당(밤)
한편으로는 나약
하고 소극적임. 난장이와 어머니는 마당에 있는 평상에서 저녁을 먹고 있다. 집으로 들어오는 영호, 10

•둘째 아들로, 영 밥상 앞에 털썩 앉는다.


수와 영희에 비해 불만이 가득함.
반항심과 허세가
있으며 다혈질임.
영호 •가족이 처한 어려 영호 (밥상을 보며) 아이고. 이거 먹고 힘쓰겠나, 어디. 아이, 고기 좀 먹고 삽
움을 자기 나름의 빈곤한 상차림을 보며 불만을 드러냄. → 가난한 형편을 짐작하게 함.
방법으로 해결하 시다, 네?
고자 하는 데 적
극적임.
어머니 들개마냥 쏘다니다 들와선.
•막내로, 밝고 긍
정적임.
영희 •가족을 위해서 자
영호 뭐 좋은 일 볼 거라고 맨날 집구석에 기어들어 와. 15

신을 희생하는 헌
신적인 성격임. 어머니 (영호에게 눈을 흘기며) 나쁜 놈, 아버지 앞에서 할 말이야?
난장이 현재 표준어는 ‘난쟁이’
영호 돈 벌어다 준다니까 그러네.
지만 발표 당시의 제목을 따라
‘난장이’로 표기함. 어머니 그래 말 잘했다, 이놈아. 고기반찬 먹고 싶으면 사지 육신 멀쩡한 네놈이
평상 (平牀/平床) 나무로 만든 영호가 아직까지 특별한 직업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침상의 하나. 밖에다 내어 앉거
돈 벌어 와. 고기반찬 아니라 소라도 잡는다. 지 형 지 동생은 착실하게
영수 영희
나 드러누워 쉴 수 있도록 만든
일하는데 저만 뭐가 그리 잘나. 20
것으로, 살평상과 널평상의 두
가지가 있음. 영호 (인상을 찌푸리고 자리에서 일어나면서) 아이 씨, 또 그 소리! 아, 나 김영호요.

100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100 2019. 1. 8. 오후 10:13


시시한 거 안 합니다. 다들 아실 만한
허세가 있음.
양반들이 자꾸들 그러시네.
어머니 (영호를 위아래로 흘겨보며) 한심한 놈

같으니라고. (난장이에게 수저를 건네


5 며) 어서 드셔.
▶ 영호가 집에 돌아와서 반찬을 핑계로 불만을 표출함.

통장이 난장이네 안으로 들어온다.


행정 구역의 단위인 통(統)을 대표하여 일을 맡아보는 사람

어머니 (놀란 목소리로) 통, 통장님!


불길한 일을 예감함.
통장 아, 마침 있었네. 자네 얼굴 본 지 오
래됐네. (평상에 앉으며) 이거 아무래
10 도 내가 직접 전해 줘야 될 것 같아
서. (서류 봉투에서 종이를 찾으며) 어
디 보자. 김불이가, 김불이……. 어,
여기 있다. (종이를 난장이에게 건네
주며) 이거, 저, 철거 계고장일세.
갈등 상황을 유발하고, 난장이 가족에게
시련을 주는 소재임.

15 불안한 눈으로 계고장을 바라보는 어머니와


난장이. 이내 난장이는 떨리는 손으로 철거 계
고장을 받아 든다.(클로즈업)
작품에서 중요한 계기가 되는 장면을 강조함.

통장 그쪽에서는 20일 안에 결정을 보라


고 하는데……. 아이고, 이거 참 내
20 가 할 소리는 아니지만 뭐, 돈을 좀
구해 가지고 아파트 입주를 하든지,
선택 ① → 돈이 없는 난장이 가족은 선택할 수 없음.
아님, 뭐 입주권을 어디다가 비싸게
선택 ② → 비싸게 팔 수 있는 처지가 아니므로 선택할 수 없음.
팔든지……. 이런 거 전하는 나도 영
사람 꼴이 아니네.
S# 12에서 클로즈업의 기능
철거 계고장을 받아 철거 계고장으로 인해 인물의 계고장(戒告狀) 행정상의 의무 이행을 재촉하는 내용을 담은 문서.
든 어머니와 난장이의  갈등이 유발될 것임을 짐작하 클로즈업(close - up) 등장하는 배경이나 인물의 일부를 화면에 크게
불안한 표정 게 하여 위기감을 조성함. 나타내는 일.

⑶ 문학의 인접 분야와 매체 101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101 2019. 1. 8. 오후 10:13


작품의 시대적 배경 - 1970년대의 현실 ①

도시 개발을 이유로, 무허가 판자촌 사람들이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되는 시대로, 가난한 소

살던 동네에서 강제로 쫓겨남. 외 계층이 삶의 터전을 빼앗기고 고통받음.

영호, 난장이에게서 계고장을 휙 빼앗아 버린다.

영호 잘됐네, 잘됐어. 지긋지긋한 이놈의 동네……. 확 떠 버리라, 이거네. 어?


사회에 불만이 많으며 거친 성격임을 알 수 있음.
통장 (평상에서 일어나 난장이에게 손짓을 하며) 나 가네.

통장이 대문을 나서다 집에 들어오던 영수와 마주친다.

5
통장 (영수를 보며) 응, 이제 오나?

영수는 통장에게 인사를 한다.


예의 바른 영수의 성격을 알 수 있음.

영호 (빈정대는 말투로) 어이, 장남 오셨네. (한 손으로는 철거 계고장을 흔들고


영수
한 손은 주머니에 넣은 채로) 이 집 대들보, 장남!

통장, 영수 어깨를 두어 번 두드려 주고 집을 나간다. 영수는 가족들을 걱정스러운


눈으로 바라본다. ▶ 난장이 가족이 철거 계고장을 받고 걱정스러워함. 10

S# 13 안방(밤)

어머니는 쌈짓돈을 세다가 철거 계고장을 보고는 이내 크게 한숨을 쉰다. 옆에 누워


쌈지에 있는 돈이라는 뜻으로, 적은 돈을 이르는 말
있던 난장이 역시 걱정스러운 마음에 잠을 이루지 못한다.
▶ 어머니와 아버지는 철거 계고장 때문에 잠을 이루지 못함.

S# 14 마당(밤)

평상에 앉아 고민하는 영수. 영호, 화장실을 가려고 마당으로 나온다. 15


가족의 형편을 걱정함.

영호 (바깥 날씨에 어깨를 움츠리며) 아유, 그게 고민한다고 되냐? 그냥 들어가 자.


대들보 지붕의 무게를 지탱하
기 위하여 기둥과 기둥 사이에
미동도 없이 계속 앉아 있는 영수.
건너지른 큰 들보. 여기서는 한
나라나 집안의 운명을 지고 나
어렵고 궁한 상태
갈 만큼 중요한 사람을 비유적
영호 (다시 한 번 돌아서 영수를 바라보며) 아이, 거 진짜. 지지리 궁상을 떨어요.
으로 이르는 말로 사용됨. 아주 몹시, 지긋지긋하게
▶ 어머니와 영수는 집의 가난한 형편을 걱정함.

102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102 2019. 1. 8. 오후 10:13


작품의 시대적 배경 - 1970년대의 현실 ②

•공장의 조장이 여공들의 팔을 옷핀으로 찌르며 잠을 깨움. 산업화가 최우선시되는 시대로, 공장 노동자들

•무리한 밤샘 근무가 일상화되어 있음. 이 인간적인 대우를 받지 못하고 착취당함.

S# 15 영희의 작업 공장(새벽)

새벽 3시를 가리키는 시계. 「멈추지 않고 돌아가는 기계들. 기계를 만


늦게까지 일하는 영희의 상황을 나타냄.
지는 직공들의 분주한 손길. 기계에서는 열기가 뿜어 나오고 엄청난 소
음이 귀를 괴롭힌다.」 라디오에서 나오는 음악이 기계음에 섞여 웅웅 댄
「」 : 당시 공장 노동자들의 열악한 작업 상황을 알 수 있음.
5 다. 영희, 깜박깜박 졸고 있다. 조장, 공장 안을 이리저리 다니며 졸고
있는 여공들의 팔을 옷핀으로 찌른다. 졸고 있던 영희도 옷핀에 찔린
일을 멈추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다. (클로즈업) 영희의 작업복 팔 부분에 한 점 빨간 피가 묻어난다.
영희가 겪는 고통을 강조하여 보여 줌.

영희 (깜짝 놀라 팔을 움켜쥐며) 아야!

조장 (앙칼진 목소리로) 정신 차려, 정신! 기계가 멈추면 공장이


산업화로 인한 생산성 중심의 사회
10 손해고, 공장이 멈추면 우리가 다 손해야! 정신 차려, 정신!

영희, 호주머니에서 잠 깨는 약을 꺼내 꿀꺽 삼킨다. 옆에 있던 파마


아줌마가 영희에게 다가간다. S# 15에서 클로즈업의 기능
조장으로부터 옷핀에 찔린 영희의 작
업복에 묻어난 한 점의 빨간 피

파마 아줌마 영희야!
공장 노동자인 영희가 인간적인 대우
영희 (못 듣고) 를 받지 못하고 있음을 강조하여 상
황의 비극성을 드러냄.
15 파마 아줌마 (어깨를 툭 치며) 야, 김영희!

영희 (돌아보며 큰 소리로) 왜요, 아줌마.

파마 아줌마 아유, 살살 말해. 너 이러다 시집 못 간다. (영희의 손

에 들린 약을 가리키며) 야, 나도 저 독한 조장한테 옷핀에


잠 깨는 약
찔리기 전에 하나 줘라. 졸려서 돌아가시겠다.

해당 장면을 클로즈업하면 어
20 잠 깨는 약을 동료 아줌마에게 주는 영희. 떤 효과가 있을지 생각해 보자.
▶ 영희는 새벽까지 공장에서 힘들게 일함. 예시 답 클로즈업은 일반적으로
대상을 강조하여 영상을 보는 사
람을 장면 속으로 끌어들여 극적
인 효과를 느끼게 한다. 이 장면
에서는 영희가 옷핀에 찔려 흘린
S# 16 공장 앞(이른 아침) 빨간 피를 카메라로 클로즈업하
여 시청자가 영희의 고통을 강렬
퇴근하는 직원들 사이로 영희와 파마 아줌마가 보인다. 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파마 아줌마 (동료들에게 손을 흔들며) 어이, 잘 가.

선하품 몸에 이상이 있거나 흥


영희는 선하품을 하는 파마 아줌마와 팔짱을 끼고 함께 걸어간다.
미 없는 일을 할 때 나오는 하품.

⑶ 문학의 인접 분야와 매체 103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103 2019. 1. 8. 오후 10:13


파마 아줌마 야, 이제 밤 근무는 진짜 힘들어서 못 해 먹겠다.

영희 아줌마, (밝은 얼굴로) 그래도 다음 주엔 낮에 근무하는 거네?


파마 아줌마 (영희를 보고 웃으며) 응. (영희의 팔을 살피며) 야, 찔린 데는 괜찮냐?

괜찮다는 듯 파마 아줌마에게 웃음을 보이는 영희.


밝고 긍정적인 성격임을 알 수 있음. ▶ 영희는 아침이 되어서야 공장에서 퇴근함.

S# 17 난장이네 집(아침) 5

어머니가 콩나물을 다듬다가 콩나물을 다듬고 있던 어머니. 집 걱정에 콩나물 다듬기를 멈추고 한숨을 쉰다. 영
한숨을 쉬는 까닭은 무엇일까? 철거 계고장을 받았기 때문에
예시 답 어머니는 철거 계고장
희, 지친 얼굴로 집에 들어오다가 망연자실해 있는 어머니를 본다.
을 받은 후 더 이상 버틸 수 없
다는 것을 알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해한다. 비싼 영희 (짐짓 밝은 목소리로) 엄마!
아파트 입주권을 살 수 있는 처
지도 아니기 때문에 가족이 거
어머니 (기운 없이) 어, 이제 오냐?
리에 나앉게 될까 걱정하며 한
숨을 쉬고 있는 것이다.
영희 (어머니 표정을 보며)……? 10
작품 구성 밤을 새서 일하느라 어제 저녁에 철거 계고장이 나온 사실을 알지 못함.
아파트 개발 계획으
로 철거가 진행되고
발단 있는 무허가 판자촌 「난장이는 바닥에 쪼그려 앉아 있고, 어머니와 영수는 마루에 앉아 있다. 영희는 그
에 가난한 난장이 가
족이 살고 있음. 옆에 걱정스러운 얼굴로 서 있고, 영호는 샌드백을 툭툭 건드리고 있다.」
어느 날 난장이 가족 「」 : 인물의 행동이나 얼굴 표정으로 가족의 분위기를 드러냄.
에게 철거 계고장이
전개 나오고, 이사할 돈이
없는 난장이 가족은
영호 에휴, 미련 없이 뜨는 거야, 미련 없이. 행복동? 이름부터가 웃겼다고.
소외 계층의 비참한 삶을 강조하기 위해 동네 이름을 반어적으로 설정함.
혼란스러워함.
난장이 가족은 결국
영희 (영호를 보며) 여기가 우리 집인데 가긴 어딜 가. 그리고 갈 데도 없잖아.
아파트 입주권을 투
기업자에게 팔고, 집 어머니 선거철만 되면 시커먼 양복들 쫙 빼입고 와서는, 허가 내준다고, 정식 허 15
절정
은 강제로 철거되어
거리에 나앉을 처지 가 내준다고. 어쩜 그렇게 지키지도 못할 일들을 쉽게 그러는지……. 아
가 됨.
입주권을 돌려주겠다 이구, 참…….
는 투기업자의 말에
속은 영호는, 투기업
하강
자가 영희의 순결까
지 빼앗자 복수를 결 어머니의 뒤편으로 걱정스러운 얼굴을 한 난장이의 모습이 보인다. 영수의 얼굴 역
심함.
시 근심으로 가득 차 있다.
도망치던 투기업자가
자신의 실수로 죽지
만 영수는 동생을 위
대단원
해 모든 책임을 지기 영호 (영수에게 다가와 빈정대는 말투로) 아유, 이럴 땐 책에선 뭐라 그러나? 20
로 하고, 난장이는 하 평소 책을 많이 읽는 영수를 비꼬는 영호
늘로 공을 쏘아 올림. 영수 (영호를 보며)…….
※ 교과서 수록 부분은 ‘전개’에
해당함. 영호 형, 뭐라고 말 좀 해 보슈.
샌드백(sandbag) 권투에서, 치
는 힘을 기르고 치는 방법을 연
습하기 위하여 천장에 매단 모
답답한 마음에 영호와 영수를 바라보는 영희.
래주머니.

104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104 2019. 1. 8. 오후 10:13


영호 책 속에 해답이 다 있는 거라며?
영수는 비참한 현실을 벗어나는 길은 공부하는 것밖에 없다고 생각했음.
영수 (영호를 바라보다 고개를 돌리며) 취직자린, 알아보고 있는 거
동생의 말에 대꾸를 하지 못하고 화제를 돌림. → 소극적인 성격
야?
영호 (버럭 소리를 지르며) 걱정 마. 형보다 돈 많이 벌어 올 테니까!

5 어머니 목소리들 낮춰. 아버지 앞이다.


남편의 입장을 배려하는 아내의 마음
난장이 …….

어머니의 다그침을 듣고 딴청을 피우는 영호.


딴전. 어떤 일을 하는 데 그 일과는 전혀 관계없는 일이나 행동

영수 죄송해요.
딴청을 피우는 영호와 상반됨.
어머니 (평상에서 내려와 난장이 앞에 쪼그려 앉으며) 당신 생각은 어때요? 어떻게

10 하면 좋겠어요?

난장이, 아무 말 없이 공구를 집어 들고 집 밖으로 나선다. 가족들, 안쓰러운 표정으


가족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어 일하러 나가는 난장이
로 난장이를 바라본다.

영호 (신경질적으로 샌드백을 치며) 아유, 대책 없어, 대책 없어. 돈만 있으면


반항적이고 거친 성격임을 알 수 있음.
다 해결되는 거 아니야.
뒷부분 줄거리

투기업자의 농간으로 입주권값이 뛰자, 영수네는


15 하늘을 바라보며 씁쓸한 표정을 짓는 영희.
시(市)에서 주겠다는 이주 보조금보다 약간의 웃돈을

받고 투기업자에게 입주권을 판다. 그러나 빚을 갚고


영호 가족회의는 무슨 얼어 죽을. 나니 남는 것이 없다. 결국, 난장이 가족의 집은 헐린

다. 어머니는 허드렛일을 하고, 영수와 영희는 공장에


영희가 집 앞으로 걸어 나온다. 집 앞의 건물은 이미 헐려 서 일하며 생계를 이어 나간다. 아버지도 일하며 적은
서 빈터만 남았다. 동네 전체가 공사판이고 흙무더기이다. 돈이나마 벌고자 하였으나, 그마저도 사람들의 무시
집들이 거의 철거되어 황량한 분위기임.
걸어가던 영희 눈에 쓰러진 꽃이 보인다. 꽃을 다시 세워 땅 와 편견으로 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입주권을 돌려주
난장이 가족이 겪는 현실의 억압과 고통을 형상화함.
20 에 묻으며 주변 풍경을 둘러본다. 겠다는 약속을 받고 철거에 참여했던 영호는 자신이
다시 행복해지고 싶은 소망과 희망을 상징함. ▶ ‌난장이 가족은 집이 철거될 위기에
놓이지만 별다른 대책이 없음.
속았다는 것을 깨닫고 투기업자를 찾아간다. 투기업

자에게 복수하려던 영호는 영수의 설득에 행동을 멈


제재 정리 추지만, 도망치던 투기업자가 자신의 실수로 불길에

휩싸인다. 영수는 동생을 지키기 위해 방화죄를 뒤집

어쓰기로 한다.

‘꽃’의 상징적 의미
건물이 헐린 황량한 빈터에 꽃이 쓰러져 있음. 영희가 꽃을 다시 세워 땅에 묻어 줌.
⑶ 문학의 인접 분야와 매체 105
난장이 가족이 겪는 현실의 억압과 고통을 상  현재의 시련을 딛고 행복해질 수 있
징함. 다는 희망적 메시지를 드러냄.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105 2019. 1. 8. 오후 10:13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에 제  드라마 대본과 원작 소설을 비교하  대중가요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시된 소재의 의미와, 작품에 반영된 여, 내용 전달 방식의 차이와 새로운
공〉을 듣고 표현상의 특징 파악하기
시대적 상황 이해하기 장면 삽입의 의미 파악하기

1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 소재가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설명해 보자.

예시 답 난장이 가족이 사는 동네의 이름으로, 낙원이나 행복과는 대조되는 빈민촌의 상황을


문학 작품에서 반어, 상징과 낙원구
반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를 통해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소외된 계층의 빈곤하고 고통스
같이 우회적인 표현 방식을 활 행복동 러운 삶을 강조하고 있다.
용하면 직접적인 표현보다 더
효과적으로 주제 의식을 전달할
수 있다. 예시 답 인물의 신체적 왜소함을 통해 사회적 왜소함을 나타낸 표현으로, 사회적·경제적으
난장이
로 소외된 계층(노동자, 빈민 계층)을 상징한다.
활동 1 지도 방안
주요 소재의 의미와 작품에
반영된 시대적 상황을 파악함으
로써 작품이 전달하려는 주제
의식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학
생들이 시대적 상황에 대한 배
경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신
문 기사나 서적, 영상 등의 다양
한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⑵ 이 작품의 S# 15에서 알 수 있는 시대적 상황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 새벽 3시에도 멈추지 않는 공장의 기계, 잠시 졸았다는 이유로 조장에게 옷핀으로 팔을 찔리는 영희, 기계
가 멈추어선 안 된다고 다그치는 조장, 잠 깨는 약을 먹으며 일하는 영희와 동료 아줌마의 모습 등에서, 노동자들이
최소한의 인간적 대우도 받지 못한 채 돈을 버는 수단으로 전락해 버렸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S# 15에는 급속한
활동 2 지도 방안
산업화로 인한 가치 전도 현상, 인간의 도구화 등의 문제 상황이 드러난다.
전달 매체에 따라 작품의 구
현 양상과 심미적 가치 등이 달

2
라질 수 있음을 이해하는 활동
이다. 영상 매체에 속하는 드라
영상 매체의 표현상 특징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마는 음성, 이미지 등이 복합적
으로 작용하여 주제를 표현하고
전달하기 때문에, 텍스트를 중 ⑴ 다음은 이 작품의 원작 소설인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의 일부이다. 소설과 드라마
심으로 하는 소설과는 감상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 가 내용을 전달하는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말해 보자.
하도록 지도한다.

“형은 이상주의자야.” 책 속에 해답이


다 있는 거라며?
말을 하고 나는 아주 기분이 좋았다. 나도 형만
큼 자랐다는 것을 알려 주고 싶었다. 다른 아이들
과 달리 어려운 말을 할 수 있을 만큼 자랐다는
것을 알려 주고 싶었다. 나는 고민하는 이상주의
자의 얼굴을 쳐다보았다. 기대는 어그러졌다. 형
은 화가 나 있었다. 나는 그때 형이 화를 내야 하
는 까닭을 알 수 없었다.
-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에서
예시 답 •소설: 인물(초점 화자)의 내면 심리를 구체적으로 서
술하여 직접적으로 전달한다. 인물(초점 화자)의 눈에 비친 다
른 인물들을 관찰자의 시점에서 있는 그대로 그려 낸다.
•드라마: 3인칭 시점의 카메라가 모든 인물을 외부에서 객관적
으로 관찰하게 되므로, 인물들의 심리가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대사, 표정, 행동을 통해 우회적으로 묘사된다.

106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106 2019. 1. 8. 오후 10:13


⑵ 다음은 원작 소설에는 없는 장면이다. 드라마에서 이러한 장면을 삽입한 까닭을 생각해
보자.

예시 답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막막함을 느끼던 상황에서 영희는 자신의 처지와 같이 쓰러진 꽃을 발견하였
고, 그 꽃을 가만히 바라보다가 일으켜 세운 뒤 다시 땅에다 심었다. 이처럼 영희가 쓰러진 꽃을 다시 일으켜 세우는
장면을 삽입한 것은, 현재의 시련을 딛고 다시 행복해질 수 있다는 희망적 메시지를 상징적으로 전달기 위해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 다음은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을 소재로 하여 창작한 노래이다. 원작 소설의 내용을


생각하며 노래를 듣고, 노래 가사에 나타난 표현상 특징을 파악해 보자.

듣기 대본 332쪽
선생님과 함께 노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를 들어 보자.
인터넷 링크 -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더크로스) C G Am E7 F G7sus4G7 C

활동 3 지도 방안
원작 소설의 내용이 대중가요
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
F G7 C F G7 C
는 활동이다. 노래를 직접 들으
면서 소설과 비교해 보고, 표현
상의 특징을 파악하도록 한다.
아주작은 공 을가 졌 던 나의 아 버지는 난 장이

F G7 C F G7 C

저 하 늘 을 보 시며 내게 말 씀하셨 죠

예시 답 •제한된 글자 수와 음수율을 고려하여 간결하게 표현하였다.


•함축적인 어휘들을 활용하여 감정을 고조시킨다.
•비교적 길이가 짧은 노랫말에 원작의 주제 의식을 녹여내기 위해, 구체적인 내용 설명보다는
상징적인 표현들을 반복적으로 활용하였다.
02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예시 답 어떤 매체로 표현하는가에 따라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의 이야기가 조금씩 다르게 느껴졌어.

나의 책방 키우기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박진숙의 〈마당 깊은 집〉(김원일 원작)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윤흥길의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6·25 전쟁 직후부터 1년 동안의 대구를 배경으로 하여, ‘마당 깊은 집’이라고 불리는 가
박진숙의
옥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그리고 있다. 원작과 드라마가 어떤 점에 주목하고 있는지 비
〈마당 깊은 집〉 (김원일 원작)
교하면서 감상하도록 한다. ⑶ 문학의 인접 분야와 매체 107
윤흥길의 197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소외되고 가난한 삶을 살아가는 소시민의 전형을 주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인공으로 설정한 소설이다.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107 2019. 1. 8. 오후 10:13


‘소단원 정리하기’ 지도 방안
•문학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학습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개념 정리’,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도
록 한다.

(3) 문학의 인접 분야와 매체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개념 정리 평가 자료
•어휘 평가 •서술형 평가
•쪽지 시험 •수행 평가
•소단원 평가

문학은 인접 분야와 관련을 맺고 있다.


문학은 인간의 다양한 활동 가운데 하나로, 다른 분야와 관련을 맺으면서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
며 발전해 왔다. 문학에서 다룬 소재가 인간의 삶이라는 점에서 역사, 철학 등의 인문 분야와 관련이
있고, 문학이 언어 예술이라는 점에서 다양한 예술 분야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또한, 인간을 둘러싼
시대적ㆍ사회적 상황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사회, 문화 현상 등과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인접 분야에 대한 이해는 문학 활동을 풍요롭게 한다.


문학은 음악, 미술, 연극, 영화, 무용 등 문학과 다른 표현 수단을 사용하는 예술 분야와 소재나 주
제를 공유한다. 때로는 서로에게 창작의 원천을 제공하기도 한다. 한편 문학은 인간을 탐구하고 성찰
한다는 점에서 역사나 철학 등의 인문 분야와 관련을 맺고 있으며, 인문 분야의 성과를 받아들이거나
인문 분야에 자극을 주면서 함께 발전하기도 한다. 그리고 사회의 구성원인 작가와 독자는 특정한 사
회ㆍ문화적 환경 속에서 작품을 생산하고 수용하기 때문에 사회ㆍ문화 현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때로는 문학 작품 자체가 사회ㆍ문화 현상의 중요한 부분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문학의 인접 분야에 대한 이해는 문학 작품의 수용과 생산을 더욱 풍요롭게 한
다. 우리는 〈저녁에〉 96쪽라는 시와 김환기의 미술 작품을 통해서 문학과 예술을 더욱 입
체적으로 수용할 수 있었고, 문학 활동의 폭이 넓어진다는 것을 알았다.
▶ 문학의 인접 분야를 이해하는 것의 필요성

2-⑶단원 개념 정리 ① 문학과 인접 분야의 관계

문학

사회·
예술
문화
분야
현상

문학이 언어 예술이라는 점에 인간을 둘러싼 시대적·사회적


서 음악, 미술, 연극, 영화, 무 상황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사
인문
용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회, 문화 현상 등과 밀접한 관
분야
계가 있음.

문학이 인간의 삶을 탐구하는


언어 활동이라는 점에서 역사,
철학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화가 김환기(위쪽)가 시인 김광섭(오른쪽)에게 보낸 편지

108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108 2019. 1. 8. 오후 10:13


2-⑶단원 개념 정리 ② 문학과 매체

문학 작품 다양한 매체 독자
어떤 매체로 구현되 전달 매체의 특성을
느냐에 따라 미적 특 고려하여 문학 작품
예 신문, 잡지, 단행본, 라디오, 텔  
성이나 독자의 감상 을 해석하고 감상해
레비전, 영화, 애니메이션, 인터넷, 이 달라짐. 야 함.
휴대 전화 등

문학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달된다.


일상생활에서 어떤 매체를 통해 문학 작품을 접하게 되
는지 생각해 보자. 어떤 사람은 시집이나 소설책을 떠올
릴 것이며, 어떤 사람은 문학 작품이 실린 신문이나 잡지
의 이름을 떠올릴 것이다. 다양한 매체가 사용되는 요즘
에는 라디오, 텔레비전, 영화, 애니메이션, 인터넷, 휴대
전화 등을 떠올리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문학 작품을 전
달하는 매체들은 앞으로 더욱 다양해질 것이므로, 문학
작품의 효과적인 창작과 수용을 위해서는 여러 매체의 특
성과 그 효과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 문학 작품을 전달하는 매체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

다양한 매체로 구현된 문학 작품을 수용한다.


같은 재료라도 조리하는 방법에 따라 맛은 달라진다. 예를 들어 고구마를 찌거나 말리거나 굽는
등 어떻게 조리하는가에 따라 고구마의 맛이 다르다. 이와 마찬가지로, 문학 작품은 어떤 매체로 구
현되는지에 따라 미적 특성이나 독자의 감상이 달라지기도 한다. 이는 전달 매체마다 표현 방법이나
심미적 가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다매체 시대에는 구현된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문학 작품을 해
석하고 감상해야 한다.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100쪽은 1970년대 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이
텔레비전이라는 매체로 구현된 경우이다. 따라서 영상 매체의 특성에 맞추어 소설이 어떻게 변화하
여 전달되는지를 살펴보면 이 작품에 대한 이해나 감상이 제대로 이루어진다.
▶ 매체에 따라 문학 작품의 심미적 가치가 달라짐.

평가
점검 사항
상 중 하

문학 작품은 다양한 인접 분야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이 단원에서 ▶ 교과서 99쪽 2번, 98번 3번 문제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점검해 보자. 전달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학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 교과서 106~107쪽 2번, 3번 문제

⑶ 문학의 인접 분야와 매체 109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109 2019. 1. 8. 오후 10:13


‘대단원 마무리’ 지도 방안
•대단원에서 학습한 요소를 확인한 다음, 더 알고 싶은 점이 있는지
스스로 생각해 보며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단순한 기록에서 그
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과제나 평가를 진행하거나, 심화
자료를 활용하여 궁금한 부분을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창의적 감상’에 제시된 감상의 방향과 그에 따른 작품을 살펴보며
문학의 경험을 넓힐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작
품을 읽고 자유롭게 자기 생각을 말할 수 있도록 끌어 준다. 또한,
추가로 엮어 읽을 수 있는 또 다른 작품을 안내하여 수업 외의 시
창의적 감상 활동지
간에도 문학 감상을 생활화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다.
평가 자료
•대단원 평가 1 다음 작품은 호랑이를 등장시켜 당시 사회의 세태를 풍

(1) ‘문학 감상의 맥락’에서는 자한 고전 소설이다. 작품 속 ‘호랑이’를 통해 작가가 비판


〈이생규장전〉과 〈쉽게 씌어진 시〉를 감상하며 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사회·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문학 작품과 관련된 다양한 맥락을 이해하였다. 생각해 보자.

(2) ‘문학 활동의 이해’에서는


〈스노우맨〉과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를 감 호질(虎叱) _ 박지원
상하며 주체적인 관점에서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작가를 대변하여 양반층의 허위의식을 비판하는 존재
생산하는 활동을 하였다. 앞부분 줄거리 범은 지덕을 겸비하였으며 용맹스러운 존재이다. 어느 날

범이 먹을 것을 구하려고 하니, 범에게 잡아먹혀서 예속된 존재인 창귀가 의


(3) ‘문학의 인접 분야와 매체’에서는 원, 무당 등을 추천한다. 그러나 범은 이들이 각기 먹을 만한 것이 못 되는 이
〈저녁에〉와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을 감 유를 말하였다.
상하며 문학이 다른 분야나 매체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았다.
정(鄭)나라의 도읍에 벼슬을 하찮게 여기는 선비가 있었
는데 ‘북곽 선생(北郭先生)’이라고 하였다. 나이는 마흔 살
로, 손수 교열한 책이 일만 권이며, 유교의 아홉 가지 주요
따라서 우리는 이 단원에서 문학의 수용과 생 경전의 뜻을 해설하여 다시 일만오천 권의 책을 저술하였
산을 이해하고 문학 활동을 해 보면서 능동적으
다. 천자는 그의 절의를 가상하게 여겼으며, 정나라 제후는
로 문학을 향유해 나갈 수 있게 되었다. 앞에서
그의 명성을 흠모하였다. ▶ 학식과 절의가 높은 북곽 선생에 대한 소개
활동한 내용을 떠올리며 더 알아보고 싶은 점을
또한 도읍 동쪽에 아름다운 젊은 과부가 있었는데 ‘동리
간단하게 써 보자.
자(東里子)’라고 하였다. 천자는 그녀의 절개를 가상하게 여
예시 답 생략 겼으며, 정나라 제후는 그녀의 현숙함을 흠모하여 도읍 주
변 사오 리의 땅을 하사하고는 ‘동리(東里)의 과부가 사는 마
을의 문’이라는 정려문을 세워 표창하였다.
▶ 절개가 높은 과부인 동리자에 대한 소개
동리자는 과부로서 정절을 잘 지켰다. 하지만 아들 다섯
을 두었으며, 그들은 제각기 다른 성을 지녔다. 하루는 다섯
정려문까지 세워진 과부인데 다섯 아들의 아버지가 제각기 다름. → 동리자의 위선 풍자
아들들이 서로 말을 주고받기를,
“강 북쪽에선 닭이 울고, 강 남쪽에선 샛별이 빛나는데,
방 안에서 무슨 소리가 나네. 어쩌면 그리도 북곽 선생과
목소리가 닮았을까!”
하고는, 오 형제가 번갈아 문틈으로 엿보았다.
작품 개관
갈래 한문 소설, 풍자 소설 성격 비판적, 풍자적, 우의적
110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제재 양반의 허위의식 주제
양반층의 허위의식과 부도덕
성에 대한 풍자와 비판
① 등장인물이 희화화된 언행을 통해 스스로의 위선을 폭로함.
특징
② 작가를 대변하는 ‘범’을 의인화하여 등장인물을 비판함.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110 2019. 1. 8. 오후 10:13


동리자가 북곽 선생에게 청하기를, 범이 길을 막고 있었다.
▶ 동리자의 아들들에게 쫓기다가 범을 만난 북곽 선생
‌“선생님의 덕을 오랫동안 흠모하였습니다. 오늘 밤 선생 범은 얼굴을 찌푸리며 구역질을 하고, 코를 막고 고개를
님께서 글 읽는 소리를 듣고 싶사옵니다.” 왼쪽으로 돌리며 숨을 내쉬고는,
하니, 북곽 선생이 옷깃을 가다듬고 무릎을 꿇고 앉아서 《시 “선비는 구린내가 심하구나!”
① 똥 냄새 때문에 ② 부패한 도덕성 때문에
경》을 읊었다. 하였다.
북곽 선생이 머리를 조아리고 기어 와서, 세 번 절하고 무
원앙새는 병풍에 그려져 있고 ○: 남녀 간의 정을 의미함. 릎을 꿇은 채 고개를 들고는,
반짝반짝 반딧불 날아다니는데 ‌“범의 덕이야말로 지극하다 하겠사옵니다. 대인(大人)은
대인군자(大人君子)
크고 작은 이 가마솥들은 그 가죽 무늬가 찬란하게 변하는 것을 본받고, 제왕은 그
성이 다른 동리자의 다섯 아들을 가리킴.
누구를 모형 삼아 만들었나? 걸음걸이를 배우며, 사람의 자식은 그 효성을 본받고, 장
수는 그 위엄을 취하지요. 명성이 신령스러운 용과 나란
그러고 나서 히 드높아, 하나는 바람을 일으키고 하나는 구름을 일으
“이는 흥(興)이로다.” 키니, 하계에 사는 이 천한 신하는 감히 그 아랫자리에서
하였다. ▶ 북곽 선생과 과부 동리자의 부도덕한 관계 모시고자 하옵니다.”
▶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범에게 아첨하는 북곽 선생
다섯 아들들이 서로 말을 주고받기를, 하였다. 그러자 범은 이렇게 꾸짖었다.
‌“《예기(禮記)》에 과부의 집 문안에는 들어가지 않는 법이 ‌“가까이 오지 말라! 예전에 듣기를 유(儒)는 유(諛)라더
언어 유희. 유학자는 아첨을 잘한다는 의미임.
라고 했는데, 북곽 선생은 현자가 아니신가.” 니, 과연 그렇구나. 너는 평소에 천하의 못된 이름을 다
‌“정나라 도읍의 성문이 허물어진 곳에 여우가 굴을 파고 모아 함부로 나에게 갖다 붙이다가, 이제 급하니까 면전에
산다더라.” 서 아첨을 하니, 장차 누가 너를 신뢰하겠느냐?” <중략>
▶ 북곽 선생의 인물됨을 꾸짖는 범
‌“여우가 천 년을 묵으면 요술을 부려 사람으로 둔갑할 수
북곽 선생에 대한 풍자
있다더라. 그러니 이는 여우가 북곽 선생으로 둔갑한 게 뒷부분 줄거리 북곽 선생은 자신을 꾸짖는 범에게 경의를 표하고 머리를

아닐까?” 조아린다. 하지만 한참 만에 고개를 들자 범은 이미 가 버리고 없었다. 밭을

갈던 농부가 그 모습을 보고 의아해하자 북곽 선생은 하늘과 땅에 예를 갖추


하고는, 서로 함께 모의하기를, 위선적인 태도
고 있었노라고 둘러댄다.
‌“여우가 쓰던 모자를 얻은 사람은 그 집에 천금의 부(富)
가 굴러 들어오고, 여우가 신던 신발을 얻은 사람은 대낮
에도 종적을 감출 수가 있으며, 여우의 꼬리를 얻은 사람
은 홀리기를 잘하여 사람들이 반하게 된다더라. 그러니
어찌 이 여우를 죽여서 나누어 갖지 않으랴!” 호질(虎叱) 호랑이의 꾸짖음.
교열(校閱) 글의 내용 중 잘못된 것을 바로잡아 고침.
하였다. ▶ 북곽 선생을 여우로 오해한 동리자의 아들들
경전(經典) 옛 성현들의 사상과 교리를 써 놓은 책.
이에 다섯 아들들이 함께 에워싸고 공격하니, 북곽 선생 흠모(欽慕) 기쁜 마음으로 받들어 모시며 사모함.
정려문(旌閭門) 충신, 효자, 열녀 등을 표창하기 위해 그 집 앞에 세우던 문.
은 몹시 놀라 뺑소니를 치면서도 남들이 자기를 알아볼까
시경(詩經) 고대 중국의 시가를 모아 엮은 시집.
두려워하였다. 그래서 「다리를 들어 목에 걸치고는 귀신처럼 흥(興) 《시경》에서 말하는 한시의 여섯 체(體) 가운데 하나.
「」 : 북곽 선생의 행동을 희화화하여 그를 풍자함.
춤추고 귀신처럼 웃더니, 대문을 나서자 줄달음치다가 그만 예기(禮記) 의례에 대한 해설과 음악·정치·학문 등 여러 방면에 걸쳐 예의
근본정신에 관하여 서술한 중국의 고전.
들판의 구덩이에 빠져 버렸다. 그 속에는 똥이 가득 차 있었
하계(下界) 사람이 사는 이 세상.
다.」 구덩이에서 기어올라 와 고개를 내놓고 바라보았더니, 유(儒)는 유(諛)라더니 선비 ‘유(儒)’ 자는 아첨 ‘유(諛)’의 뜻이라더니.

예시 답 북곽 선생은 학식 있고 고매한 인품을 지닌 유학자이며, 동리자는 정절을 지켜서 나


라로부터 정려문을 받은 현숙한 과부로 세상에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상은 두 사람 모두 겉
과 속이 다른 인물이다. 북곽 선생은 고고한 척하지만 과부와 밀회를 즐기며, 동리자는 성이 대단원 마무리 111
다른 아들을 다섯이나 두고 있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범’(호랑이)을 등장시켜 ‘선비는 구린
내가 심하구나!’라고 말하며 표리부동하고 허위의식이 가득한 양반 계층을 비판하고 있다.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111 2019. 1. 8. 오후 10:13


예시 답 김춘수의 〈꽃〉은 이름을 부르는 행위를 통해 서로에게 의미 있는 존재가 되고자 하는 소망과 의지를 담고 있다. 장정일의 〈라디오와
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은 김춘수의 〈꽃〉을 변주한 작품으로, 라디오라는 일상의 사물과 사랑을 연결하여 현대인의 세태를 풍자적으
로 노래하고 있다. 장정일의 시는 운율이나 통사 구조 등 형식적인 측면은 거의 김춘수의 시와 동일하지만, 현대 사회의 사랑의 모습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김춘수의 시와 그 내용이 다르다. 김춘수의 시에서 ‘이름’을 부르는 행위는 장정일의 시에서 라디오의 ‘단추’를 누르는 행위로
바뀌었다. 이러한 변형을 통해 쉽게 만나고 쉽게 헤어지는 현대인의 사랑에 대한 비판이라는 주제를 부각하고 있다.

2 다음 두 편의 작품은 존재의 본질을 노래한 현대시와 라디오와 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이를 원작으로 하여 재구성한 현대시이다. 원작을 어떤 관 - 김춘수의 〈꽃〉을 변주하여
점에서 해석하고 재구성하였는지 살펴보자. _ 장정일

꽃 _ 김춘수 내가 단추를 눌러 주기 전에는


라디오의 전원을 켜는 행위
그는 다만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하나의 라디오에 지나지 않았다.


대상에 대한 인식(명명 행위) 사랑에 대한 인식 이전의 무의미한 존재
그는 다만 ▶ 존재 인식 전에 무의미한 존재인 ‘라디오’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단추를 눌러 주었을 때


무의미한 존재 ▶ 사물의 이름을 부르기 이전의 상태
그는 나에게로 와서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전파가 되었다.


‘나’와 ‘그’를 이어 주는 사랑의 감정
그는 나에게로 와서 ▶ 존재 인식 후에 의미 있는 존재가 된 ‘전파’

꽃이 되었다. ▶ 명명 행위를 통해 의미를 지님. 내가 그의 단추를 눌러 준 것처럼


의미 있는 존재
누가 와서 나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굳어 버린 핏줄기와 황량한 가슴속 버튼을 눌러 다오


현대인의 고독과 소외감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그에게로 가서 나도
존재의 본질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그의 전파가 되고 싶다.
사랑 ▶ 누군가에게 의미 있는 존재가 되고 싶은 ‘나’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 의미 있는 존재가 되고 싶은 ‘나’의 소망 우리들은 모두
사랑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끄고 싶을 때 끄고 켜고 싶을 때 켤 수 있는
마음이 내키는 대로 사랑할 수 있는 인스턴트식 사랑
개인적인 소망이 전체의 소망으로 확대됨.
무엇이 되고 싶다. 라디오가 되고 싶다.
의미 있는 존재 ▶ 현대인의 인스턴트식 사랑에 대한 비판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의미 있는 존재
▶ 의미 있는 존재가 되고 싶은 우리의 소망

작품 개관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상징적, 관념적, 주지적 성격 관념적, 풍자적, 비판적
제재 꽃 제재 라디오
진정한 관계 맺음을 통해 의미 있는 존재가 되 쉽게 만나고 헤어지는 현대인들의 사랑을 비
주제 주제
고 싶은 소망 판함.
① ‌반복과 변화를 통해 시의 주제를 점층적으 ①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의미를 구체적 사물
로 강화하고 있음. 을 활용하여 드러냄.
특징 특징
② ‌철학적 의미 부여를 통해 주지시의 특성이 ② ‌패러디 기법을 사용하여 원작의 운율과 통
잘 드러남. 사 구조 등 형식적인 면을 그대로 차용함.

112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112 2019. 1. 8. 오후 10:13


예시 답 소설에서는 허 생원이 동이가 왼손잡이라는 사실을 알고, 그가 자신의
아들일 것이라 생각하는 상황을 서술자를 통해 전달하고 있다. 하지만 애니메이
션에서는 동이가 왼손잡이인 모습, 성 서방네 처녀의 얼굴과 동이의 얼굴을 겹쳐
보이는 모습 등으로 제시하여 두 사람이 혈육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3 다음은 이효석의 소설 〈메밀꽃 필 무렵〉을 각색하여 만 훗이 쉬어. 나귀에겐 더
든 애니메이션이다. 영상 매체의 특성이 작품의 창의적 표 운물을 끓여 주고 내일 대
현 방법과 심미적 가치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자. 화 장 보고는 제천이다.
조 선달 후우. (담배 연기 뿜으며)

생원도 제천으로?
메밀꽃 필 무렵 _ 이효석 원작, 안재훈 극본
생원, 나귀 위의 짐을 주섬주섬 챙
앞부분 줄거리 봉평 장터에서 조 선달과 함께 충줏집을 찾은 허 기더니 고개 돌려 동이를 쳐다보며

생원은 그곳에서 어린 장돌뱅이인 동이가 충줏집에게 수작을 거는


여러 장으로 돌아다니면서 물건을 파는 장수 허 생원 오래간만에 가보고 싶어.
것을 보고 심하게 나무란다. 세 사람은 대화 장터로 가는 길을 동행
(고개 돌린 후) 동행하려
하게 되고, 허 생원은 성 서방네 처녀와의 추억을 이야기한다. 동이
나, 동이?
는 자신의 성장 내력과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허 생원은 동
동이 (보이스오버) 저야 가는
이가 자신의 아들일지도 모른다는 충격에 개울을 건너다 발을 헛디
길이니까요.
뎌 물에 빠진다. 동이는 물에 빠진 허 생원을 업고 개울을 건넌다.
허 생원은 동이가 들고 있는 채찍

S# 20 개울가(밤) 이 오른손이 아니라 왼손에 들려 있


동이가 허 생원처럼 왼손잡이임을 보여 줌.
다는 것을 발견한다.
개울을 건너 물 밖에 나온 두 사람. 동이의 등에서 내린 허 생 순간적으로 동이의 얼굴에서 성 서방네 처녀의 얼굴이 보인
애니메이션 기법 → 동이가 허 생원의 아들일지도 모른다는 사실을 암시함.
원이 고맙다는 듯이 웃으며 동이의 등을 토닥인다. 다. 자신의 왼손에 들려 있는 채찍을 내려다보던 생원은 나지막
이 동이를 부른다.
조 선달 진종일 실수만 하니 웬일이요, 생원. 허어허.

허 생원 동이, 자네…….
어쩐지 허 생원은 조 선달의 놀림에 변명을 한다.
동이 (보이스오버) 네?
허 생원 나귀야 ! 나귀. 나귀 생각하다 실족을 했어. 말 안 허 생원 아, 아닐세.
했던가?
저만치 먼저 위로 올라가 있던 동이 쪽으로 올라가는 허 생
풀을 열심히 뜯어 먹고 있는 당나귀들이 보인다. 원. 세 사람은 하얗게 드넓은 메밀밭을 걸어간다.
▶ 동이가 자신의 아들일지도 모르겠다고 생각하는 허 생원

허 생원 저 꼴에 제법 새끼를 얻었단 말이지. 읍내 강릉집

피마에게 말일세.
피마(-馬) 다 자란 암말.
허 생원은 물에 젖은 옷을 벗어 힘줘 짜낸다. 동이도 목에 메 보이스오버(voice - over) 텔레비전 또는 영화 등에서 화면에 모습을 보이
고 있던 바지를 탈탈 턴다. 지 않으면서 다만 대사, 해설 등을 설명하는 목소리만 들리도록 하는 일.
작품 개관
허 생원 귀를 쫑긋 세우고 달랑달랑 뛰는 것이 나귀 새끼같 갈래 애니메이션 대본
성격 서정적, 낭만적
이 귀여운 것이 있을까. 그것 보러 나는 일부러 읍 제재 허 생원이라는 장돌뱅이의 삶
주제 떠돌이 삶의 애환과 혈육의 정
내를 도는 때가 있다네.
① ‌원작 소설의 서사를 충실히 따르면서 향토
조 선달 사람을 물에 빠트릴 젠 대단한 나귀 새끼군. 적인 분위기를 잘 살려 냄.
특징
▶ 나귀를 생각하다가 물에 빠졌다고 핑계를 대는 허 생원 ② ‌시각적으로 아름다운 화면을 통해 서정적
허 생원 주막까지 부지런히들 가세나. 뜰에 불을 피우고 훗 인 분위기를 형성함.

대단원 마무리 113

고등문학(056~113)2단원(교)사.indd 113 2019. 1. 8. 오후 10:13


대단원 설정 이유 대단원 지도 방안
이 단원은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이해하고, 외국 문학과의 관련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한국 문학의 개념 설정 시 가장 많은 논의가 되
양상을 통해 한국 문학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설정하였다. 한문학, 구비 는 언어적, 작가적 관점에 대해 언급한 후,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에 대
문학, 국문 문학의 세 영역 아래 한국 문학이 어떤 흐름으로 변화했는지 해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을 단순하게 파
그 양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고 한국 문학을 이해하기 위해 내적 다 악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한국 문학이 나아갈 바를 탐색
양성과 외적 전개 양상을 살펴보는 과정도 포함하였다. 공간적으로는 지 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지도할 때는
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에 대해서, 시간적으로는 전통적인 문학과 디지털 균형 잡힌 시각으로 한국과 외국의 문학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
화된 새로운 문학을 살펴보며 한국 문학에 대한 입체적이고 포괄적인 이
해를 돕게 하였다. 또한 외국 문학과 비교를 통해서 한국 문학만의 고유
한 특성과 문학으로서의 보편적 특성을 파악하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한
국 문학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였다.

교과서 그림 활용하기
문학 작품을 서로 비교하며 감
상하는 남학생의 모습과 디지털
기기로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여
학생의 모습을 통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변화와 발전 등에 관
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
다.

타 학년과의 연계성
소단원명 문학 성취기준 타 학년 관련 성취기준
[문학03-0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이해
⑴ 한다.
[고등 국어] 문학사의 흐름을 고려하여 대표
한국 문학의 [문학03-06]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 전통
적인 한국 문학 작품을 강상한다.
개념과 범위 적 문학과 현대적 문학 등 다양한 양태를 중
심으로 한국 문학의 발전상을 탐구한다.

[문학03-05]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비교
한국 문학의 [중1~3학년군] 작품이 창작된 사회·문화적
해서 읽고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
보편성과 배경을 바탕으로 작품을 이해한다.
악한다.
특수성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14 2019. 1. 8. 오후 10:35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대단원별 수업 지도안

단원별 평가 계획서

작품 ① 제가야산독서당
1~4차시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작품 ② 황진이
작품 ③ 나도 그들처럼
차시별 수업 지도안

5~9차시
(2)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작품 ①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작품 ② 변신
차시별 수업 지도안

10차시 대단원 마무리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 이상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서

대단원 핵심 역량
관련 핵심 역량 문화
향유
문화 향유 역량은 국어로 형성·계승되는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그 아름다운 가
문화 향유 치를 내면화하여 문화를 향유·생산하는 능력이다. 이 단원에서는 한국 문학을 구
역량 성하는 다양한 층위의 작품을 살펴보면서 한국 문학을 구성하는 각 영역의 가치를
이해할 수 있다.

자료·정보 활용 역량은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수집, 분석, 평가하고 이를 효과적 •정보 활
자료·정보 으로 활용하여 의사를 결정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다. 이 단원에서는 한
활용 역량 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비교·분석하면서 문학으로서의 보편적 특성과 한국 문학
의 특수한 성질을 이해할 수 있다.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15 2019. 1. 8. 오후 10:35


‘경주’라는 지역의 종합적인 모습을 알아보려면 이 공간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한국
‘경주’라는 지역의 종합적 이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어떻게 변모해 왔는지 파악해야 한다. 한국 문학도 이와 비

슷하다. 한국 문학을 공간과 시간을 축으로 하여 파악할 때, 종합적인 전망이 가능한 것


문학의 이다. 한국 문학은 공간적으로 국내에서 창작된 문학과 우리 민족이 외국에서 한국어로
공간적 측면의 한국 문학

개념과 창작한 문학을 아우른다. 시간적으로는 전통적 의미의 문학과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부
시간적 측면의 한국 문학
응하는 새로운 문학을 포괄한다.

범위 이 단원에서는 한국 문학의 과거와 현재를 인식하고 나아가 그 미래에 대해서도 함께

스마트 수업 PPT
생각해 보자.

세 번째 질문 이끌기
한국 문학의 개념이나 범위가 고정
적이지 않고 역동적으로 전개될 것임
을 예측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앞으로 한국 문학은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생각해 보자. 어떻게 발전하고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한다. 소단원 도입 애니메이션 변화하게 될까?
한국 문학의 다양한 면모를
살펴보며 미래와 발전상을
탐구한다.
한국 문학으로서
소단원 수업은 이렇게
한국 문학의 범위는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이
이 단원은 한국 문학의 개념
과 범위, 한국 문학의 다양한 양 어떻게 규정할 수 있을까? 지닌 가치는 무엇일까?
태를 파악함으로써 한국 문학에
대한 입체적이고 포괄적인 이해 첫 번째 질문 이끌기 두 번째 질문 이끌기
를 돕고 한국 문학이 앞으로 나
어떤 작품이 한국 문학에 포함될 수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의 개념, 특징, 의의
아갈 바를 탐색하는 태도를 지
있을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질문이다. 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질문이다. 지역 단
니는 데 목표를 둔다. 따라서 이
표현 문자, 작가, 향유 계층, 작품 내용 위의 문학, 재외 국민이 쓴 문학, 북한 문학의
단원에서는 구비 문학, 한문학,
등을 중심으로 한국 문학의 범위를 파 등 그간 한국 문학의 범주에서 상대적으로 등
지역 문학, 한민족 문학을 대표
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한시했던 영역을 살펴봄으로써 한국 문학의 다
하는 다양한 작품을 감상하면서
양한 면모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이
해하고, 한국 문학이 가지는 다 이 단원에서는 
양한 면모를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지도한다. 또한 매체의 1 〈 제가야산독서당〉을 감상하며 한국 문학을 구성하는 영역을 이해해 보자.
발달로 인한 문학 수용 및 생산 ▶ 교과서 117쪽, 지도서 178쪽
방식의 변화를 구체적인 작품으 2 〈 황진이〉를 감상하며 한민족 문학과 지역 문학의 가치를 탐구해 보자.
로 경험해 봄으로써 앞으로 한 ▶ 교과서 121쪽, 지도서 186쪽
국 문학의 변화와 발전상을 모
3 〈 나도 그들처럼〉을 감상하며 전통적인 문학과 디지털화한 문학을 이해하고, 한국 문학의 미
색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래를 탐색해 보자. ▶ 교과서 129쪽, 지도서 196쪽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 교과서 134쪽, 지도서 177쪽

116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16 2019. 1. 8. 오후 10:35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자연물을 통해 세상과 단절된 자신의 모습을 포착하여 형상
화한 통일 신라 시대의 한시이다. ‘가야산의 독서당에서 지었다’라는 작품
1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속세를 떠나 있는 작가 최치원은 이 작품을 통해
통일 신라 말기의 혼란한 현실에서 벗어나 세속과 단절하려는 태도와 심
리를 노래하고 있다. 한글이 창제되기 전 한국 문학은 구비 문학과 한자
를 사용한 한문 문학이 공존하며 발전을 이루어 나갔는데, 〈제가야산독서
당〉을 감상하면서 한국 문학으로서 한문학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 문학의 범위에 대해서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경험 관련 한시를 읽어 본 경험이 있나요? 감상한 느낌은 어떠


질문의 예 했나요?

삽화 관련 교과서 117쪽 삽화 속의 인물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


질문의 예 을까요?

작가 관련
‘최치원’에 대해서 무엇을 알고 있나요?
질문의 예

최치원 (857~? ) 작가 동영상

통일 신라 말기의 학자이자 문장가. 중국에서 문장가


로서 이름을 떨쳤고, 오늘날 통일 신라 시기 한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평가된다. 말년에는 신분제의 벽에 가
로막혀 자기 뜻을 현실 정치에 펼치지 못하고 은거하였
다. 대표 문집으로 《계원필경(桂苑筆耕)》이 있다.

 독서를 하기에 좋은 공간은 어떤 곳일

까?
 물이 흐르는 깊은 산 속에 홀로 있다면

어떤 느낌이 들까?
 예시 답 홀로 있고 싶은 마음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17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17 2019. 1. 8. 오후 10:36


〈제가야산독서당〉은 통일 신라 말기에 최치원이 가야산에 은거하며 지은 한시이다.
한국 문학에서 한문학의 가치를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개관
수업의 포인트 갈래 한시(7언 절구)
•자연물의 주관적 변용과 대조적 시어의 사용을 바탕으로 작품의 표현상 특징 이해하기 성격 상징적, 현실 비판적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과 심리 파악하기 주제 세속과 거리를 두고 산중에 은둔하고 싶은 마음
•<제가야산독서당>을 한국 문학으로 볼 수 있는 이유 이해하기 ① ‌자연물의 속성(물의 이미지)을 활용하여 시상
을 전개함.
특징
② ‘기-승-전-결’의 4단 구성을 취함.
③ 대조적 시어를 통해 주제를 형상화함.

제가야산독서당 (題伽倻山讀書堂) | 최치원

狂奔疊石吼重巒 자연물의 주관적 변용(해석)


광분첩석후중만 속세의 소리를 막기 위해
人語難分咫尺間 ‘흐르는 물’에게 온 산을 둘
인어난분지척간 러싸도록 했다고 표현함.
常恐是非聲到耳 
상공시비성도이
•시적 화자가 자연을 자신
故敎流水盡籠山 의 소망대로 변화시킴.
고교류수진룡산
•시적 화자의 주체적인 의
지를 드러냄.

첩첩한 돌 사이로 미친 듯 내뿜어 겹겹 봉우리에 울리니 ▶ 격렬히 흐르는 계곡물


외적 부정적 소재, 인간의 소리
상황
사람 말소리야 지척에서도 분간하기 어렵네. ▶ 사람의 말소리를 막아 버리는 물소리
물소리가 사람의 말소리를 차단했기 때문에
내면 항상 시비하는 소리 귀에 들릴까 두려워하기에 ▶ 속세에 대한 부정적 인식
세계 분쟁과 갈등을 일삼는 속세의 소리
일부러 흐르는 물로 하여금 온 산을 둘러싸게 했네. ▶ 속세와 단절하고 싶은 마음
•시적 화자와 속세를 단절시키는 존재
•자연의 소리

제재 정리
표현상의 특징과 효과
흐르는 물  말소리, 시비하는 소리
자연의 소리 대조 인간(속세)의 소리

자연에 묻혀 살고 싶은 시적 화자의 심리를 드러냄.

시적 화자의 심리
1행 2행 3행 4행 작품 구성
계곡물의 모습과 물소리를 통해 사 물소리를 이용하여 1행(기) 격렬히 흐르는 계곡물
  속세를 멀리하려는  2행(승) 사람의 말소리를 막아 버리는 물소리
소리를 묘사하며 람 사이의 시비와 속세와 단절하고자
솔직한 내면을 드
속세와 단절하고자 어지러움을 벗어나 하는 의지를 표현 3행(전) 속세에 대한 부정적 인식
러냄.
함. 고자 함. 함. 4행(결) 속세와 단절하고 싶은 마음

118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18 2019. 1. 8. 오후 10:36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제가야산독서당〉에 사용된 시어의 역  이광수의 비평문을 읽고, 한국 문학의 범위를  전설 〈장자못 이야기〉를 감상하
할을 파악하고, 작가의 생애와 제시문 생각하며 한문 문학이 한국 문학에서 지니는 며 구비 문학이 한국 문학에서
을 읽으며 시적 화자의 심정 추측하기 가치 파악하기 어떤 가치를 지니는지 이해하기

1 〈제가야산독서당〉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서 ‘흐르는 물[流水]’이 하는 역할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활동 1 지도 방안
작품의 내적 요소와 외적 요 예시 답 •시적 화자가 속세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법
소를 모두 살펴봄으로써 작품에 •세속과 단절하려는 시적 화자의 의지를 드러내는 역할
관한 이해도를 높이는 활동이
다. 핵심적인 시어가 작품에서 ⑵ 다음의 글을 참고하여 시적 화자는 어떤 심정일지 추측해 보자.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는
활동을 하면서 작품에 사용된
주된 표현법까지 이해할 수 있 최치원은 중국에 유학하여 얻은 바가 많았다고 생각하였으며, 고국에 돌아와 장차
도록 한다. 다음으로, 작가의 생
애와 관련된 제시문을 통해 작 자신의 포부를 펴려 하였다. 그러나 의심과 시기가 많은 말세(末世)여서 용납되지 못
품 세계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시적 화자의 심정을 파악할 수 하였다. 그리고 외직(外職)에 나가 대산군(大山郡)의 태수가 되었다. <중략>
있도록 이끌어 준다.
최치원은 당나라의 관리로 있을 때부터 고국에 돌아와서까지 항상 난세를 만나 처
신하기가 어려웠고 곧잘 비난을 받기도 했기 때문에, 스스로 불우함을 한탄하고 다시
외직(外職) =외관직. 지방에 두
는 벼슬길에 오르지 않기로 하였다. 그는 산림과 강해(江海)를 소요하며 누대와 정자
었던 문관과 무관을 통틀어 이
르는 말. 를 지어 소나무와 대나무를 심어 놓고 책 속에 묻혀서 풍월(風月)을 읊었다.
소요(逍遙)하다 자유롭게 이리 - 김부식, 《삼국사기(三國史記)》에서
저리 슬슬 거닐며 돌아다니다.

예시 답 사람들의 시비에 대해 불만과 불안감이 있으면서도 이를 해결하고자 적극적으로 세상에 나서기보다는 자


연에 은거하고 싶었을 것이다.

활동 2 지도 방안
2 다음은 한국 문학의 개념을 이야기한 비평문의 일부이다. 글을 읽고, 한국 문학의 범위에 대
해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조선 숙종 때 김만중이 지은 장편 소설로 한문본과 한글본이 모두 전함. 육관 대사(六觀大師)의
한문 문학과 한국 문학이 맺 제자인 성진(性眞)이 양소유(楊少游)로 환생하여 여덟 선녀의 환신인 여덟 여인과 인연을 맺고
는 관계를 생각하며 한국 문학 입신양명하여 부귀영화를 누리나 깨어 보니 꿈이었다는 내용을 담고 있음.
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생각을 <구운몽〉은 어느 나라 문학인가? 그것은 물론 중국 문학이다. 그 취재(取材)가 중국
정리해 보는 활동이다. 한자로
쓴 문학은 중국 문학이라는 이
에서라 하여 중국 문학이 아니라, 그 문(文)이 중국문이기 때문에 중국 문학이다. 다만
광수의 비평문을 살펴보고, 비 작자가 조선인일 따름이다. 허난설헌의 시도 중국 문학이다. 한문으로 쓰인 모든 문
평문의 핵심적 논리가 타당한
것인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 학 — 최치원, 정몽주 이하로 신위, 황현에 이르기까지 모두 중국 문학 제작자였다.
다.
그와 반대로 조선문(朝鮮文)으로 번역된 <삼국지〉, <수호지〉며 <해왕성〉, <부활〉 같
한국어로 된 글
은 것이 도리어 조선 문학이다. 조선문으로 쓰인 까닭으로. 그러면 우리 선인들의 한
우충동(汗牛充棟)할 시문은 전혀 중국 문학일까? 물론! 도저히 조선 문학은 될 수 없
취재(取材) 작품이나 기사에 필
을까? 있다. 조선문으로 번역함으로! 그러하기 전에는 그것은 다만 조선의 국토에서
요한 재료나 제재(題材)를 조사
하여 얻음. 생(生)한 중국 문학이 될 뿐이다.
한우충동(汗牛充棟) 가지고 있 - 이광수, 〈조선 문학의 개념〉에서
는 책이 매우 많음을 이르는 말.

〈제가야산독서당〉이 한국 문학
⑴ 이 글에서 한국 문학의 범위를 정하는 기준으로 내세운 것은 무엇인지 찾아보자.
인 이유 예시 답 작품을 표기한 문자

•글을 쓴 주체가 한국인임.


•우리 민족의 생활 현실과 사
상, 감정을 표현함. ⑵ ‘최치원은 중국 문학 제작자였다.’라는 주장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해 보자.
•한글이 창제되기 전 한자는 예시 답 한글이 없던 시대, 그리고 한자가 한글과 함께 사용되던 시대에는 한문 또한 한국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
우리글처럼 쓰였음. 해해야 한다. 따라서 최치원이 쓴 한시는 한국 문학이라고 생각한다.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19

고등문학(114~155)3단원(교).indd 119 2019. 8. 21. 오후 1:43


활동 3 지도 방안
문자로 정착되지 않은 구비

3
문학이 문학에 포함될 수 있는
다음은 여러 지역에 널리 퍼져 있는 전설인 〈장자못 이야기〉이다. 이 작품의 내용을 듣고, 한
가에 관해 생각해 보며 한국 문
학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자신 국 문학의 범위를 탐구해 보자.
의 관점을 세우는 활동이다. 이
활동을 통해 구비 문학의 가치
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듣기 대본 332쪽 용소는 장연읍에서 한 이십 리 되는 거리에 있는데, 에 장연


선생님과 함께 이야 읍에서 그 서도 민요로 유명한 몽금포 타령이 있는 데거든.
기를 듣고 활동해
그 몽금포 가는 길 옆에 그 인지 바로 길 옆에 그 용소라는 것
보자.
이 있는데 그 전설이 어떻게 됐냐 할 거 같으면, 그렇게 옛날
인터넷 링크 - 장자못 이야기 옛적 얘기지. ……

구비 문학은 사람들의 입을 ⑴ 이 작품에서 구비 문학으로서의 특징이 나타난 부분을 찾아보자.


통해 전승된 문학을 뜻한다. 구
비 문학은 문자가 만들어지기 •‘에’, ‘또’ 등의 군말이 많다.
이전부터 존재하여 사람들의 사
예시 답 방언을 사용하여 생동감을 느끼게 한다.
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역할을 •
하였는데, 문자가 일반화된 오 예시 답 구비 문학은 현장성을 띠기 때문에 ‘한 이십 리 가면 불타산이라는 산이 있는데 ~ 불타산이라는 그

늘날까지도 여전히 생명력을 지 • 런 절이 있는데’, ‘그 또 자기네 집에서 개를, ~ 귀엽게 기르던 개를 불러 가지구서 나와섬낭,’과 같이 구연자
가 자신의 표현 의지에 따라 내용을 덧붙여서 말할 수 있다.
니고 있다.
작품 개관
갈래 설화(전설)
전기적, 교훈적, 향토
성격

① ‌인과응보(권선징
질문으로 끌어 주기
악)
② ‌초월적 질서와 본 •<장자못 설화>를 감상한 소감은 어떠한가요? 문자로 기록된 문학과 비교하여 생각해 볼까요?
주제
능적 욕망 사이에 •1단원에서 학습한 문학의 기능에 비추어 볼 때 〈장자못 설화〉와 같은 구비 문학은 문학이라고 볼 수 있을지 생각
서 갈등하는 인간 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3-(2)를 정리해 봅시다.
의 한계
① ‌지역 방언으로 구
⑵ 구비 문학이 문학에 포함될 수 있는 까닭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전 전승되어 현장 예시 답 구비 문학은 문자로 기록되어 있지는 않지만 이를 통해 감동이나 즐거움을 얻고, 우리가 속한 세계에 더 잘
감이 느껴짐. 이해하게 되며 삶의 가치나 의미를 깨달을 수 있다. 즉 구비 문학도 문자로 기록된 문학처럼 정서적·미적 기능, 인
특징 ② ‌군말이나 불필요 식적 기능, 윤리적 기능을 지니고 있으므로 문학에 포함된다.
한 반복 등의 구
비 문학적 요소가
나타남.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1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제가야산독서당〉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이 작품은 당나라에서 문장가로 이름을 떨쳤던
예시 답 오늘날에도 세상에 인정받지 못하고 소외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최치원이 자신을 알아 주지 않는 세상에 대한
다룬 작품들이 많아서인지 공감이 잘 되었어. 그리고 이 작품은 한자로 최치원의 고독과 외로움, 그리고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기록한 한시이지만 우리 선조가 당시의 정서를 그리고 있기 때문에 우리 〈추야우중〉 노래한 5언 절구의 한시이다. 〈제가야산독서당
문학에 포함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이해할 수 있었어. 〉의 시적 상황과 비교하는 활동을 통해 최치원
나의 책방 키우기 의 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 작품은 작가가 인목 대비 폐위 사건으로 유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최치원의 〈추야우중〉 배된 상황에서 쓴 평시조이다. 〈제가야산독서
신흠의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신흠의 〈산촌에 눈이 오니〉 당〉에 담긴 시적 화자의 정서 및 태도와 비교하
〈산촌에
면서 한문 문학과 국문 문학이 표기 문자는 다
눈이 오니〉
르지만 유사한 정서와 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120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0 2019. 1. 8. 오후 10:36


2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북한의 소설가 홍석중이 창작한 장편 소설로, 조선 시대부터 전승되어 오던 황
진이 서사에 ‘놈이’라는 새로운 인물을 등장시켜 황진이의 비극적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황
진이의 시조를 글 사이사이에 삽입하여 사실성을 주고 있으며, 당대 민중의 언어와 양반의
언어가 혼용되어 현실감을 주고 있다. 또한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풍습과 문화가 잘 드러난
다. 〈황진이〉는 2004년에 만해문학상을 받아 남한에서도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은 작품으로,
분단 이후 북한에서 창작된 작품도 한국 문학에 포함됨을 확인할 수 있다.

홍석중 (1941~ ) 작가 동영상

북한의 소설가. 〈임꺽정〉을 쓴 벽초 홍명희의 손자로


서 북한에서 성장하였고, 그곳에서 역사 속의 인물 등
을 소재로 삼아 장편 소설을 다수 발표하였다. 주요 작
품으로 대하소설 〈높새바람〉이 있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황진이’의 이름을 들어 본 적이 있는가?


제목 관련 제목을 통해 이 작품에서 다루어질 이야기가 무엇일  남한과 북한의 상황을 소재로 한 영화를
질문의 예 지 예측하고 자유롭게 말해 볼까요?
본 적이 있는가?
삽화 관련 교과서 121쪽의 삽화로 보아 황진이는 어떤 사람이라

질문의 예 고 생각하나요? 예시 답 역사적 인물을 다룬 소설을 읽어 본 경험

이 있는가?
배경지식 관련
북한 문학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이 있나요?
질문의 예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21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1 2019. 1. 8. 오후 10:36


〈황진이〉는 북한에서 활동하는 작가가 조선 시대부터 전승되어 오던 황진이의 이야기를 재구성하여 쓴 소설이다.
한국 문학의 공간적 다양성과 전개 양상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수업의 포인트 작품 개관
갈래 장편 소설, 역사 소설
•황진이의 행동을 통해 성격 파악하기
성격 묘사적, 일대기적, 비극적, 비판적
•서술상의 특징 이해하기
•한민족 문학으로서 작품의 가치 이해하기 제재 황진이의 생애
① ‘황진이’의 격정적인 삶과 비극적 사랑
주제 ② ‌조선 시대 지배 계층의 위선적 허위의식
비판
① ‌역사적 사실에 문학적 상상력을 더하여

황진이 | 홍석중 특징
개성적인 인물을 만들어 냄.
② ‌속담을 비롯하여 민중의 언어를 풍부하
게 살림.
작품 줄거리 애니메이션 ③ 우리 민족의 고유한 풍습이 드러남.

작품 줄거리 음성

앞부분 줄거리

송도에 사는 황 진사의 딸 황진이는 시와 음악에 재능이 뛰어나고 용모가 아름답기로 유명했다. 황


어머니가 황 진사 댁 종의 신분임.
진이는 서울의 윤 승지댁과 혼약을 맺지만, 집안의 하인인 놈이가 황진이의 출생 배경을 누설하여 파

혼을 당한다. 어린 시절 유일한 말동무였던 놈이가 황진이를 사랑한 나머지 그녀가 서출임을 신랑 댁에 5

폭로했기 때문이다. 황진이는 자신의 출생을 둘러싼 사대부가의 거짓과 위선을 알고 괴로워한다. 이 무
남자나 여자가 마음에 둔 사람을 몹시 그리워하는 데서 생기는 마음의 병
렵 한 총각이 황진이를 연모하다가 상사병으로 죽어서 그의 장례식이 열린다.
또복이
「」 : 안방마님이
‌ 황진이가 태어나게 된 내력과 
친어머니에 대한 이야기를 해 줌.
담장 너머는 구경군들로 붐비는데 집 안은 괴괴했다. 「안방마님은 진이한테 자초
황진이의 처신을 보기 위해 몰려온 사람들 황 진사의 정실 부인으로 황진이를 키운 양어머니
지종을 털어놓은 이후」 안방 문턱을 넘어 본 일이 없고 사랑채 서방님은 이금이를
황진이의 이복 오빠
그 꼴로 만들어 놓고 자취를 감춘 후 아직 그림자도 보이지 않았다. 이른 아침이어 10
여종인 이금이를 겁탈함.
서 집 안의 바깥채가 떠들썩하겠건만 안채, 행랑채 할 것 없이 모두 호기심에 들떠
서 벌써부터 담장 너머 구경군들 속에 섞여 버린 모양인지 쥐 죽은 듯 조용했다.
‘참으로 박정한 세상이다.’라고 참으로 박정한 세상이다. 남의 경사나 기쁜 일을 구경하고 즐긴다면 모르겠지
한 까닭은 무엇일까?
예시 답 남의 고통이나 슬픔을 만 남의 고통이나 슬픔을 구경해서 자기의 호기심을 만족시킨다면 그것은 벌써
한낱 구경거리로 여기는 사람들 신분의 비밀이 밝혀진 황진이의 슬픔, 자신을 사모하다 총각이 죽게 된 일에 대한 황진이의 심정
때문이다. 선한 마음이 아니다. 하기는 오정문 밖 장터에서 죄인의 목을 벤다면 먼 촌에서 15

도시락까지 싸 들고 구경을 온다니 그 무지몰각한 마음의 선악을 구태여 따져서


서출(庶出) 첩이 낳은 자식. 선악을 따질 필요가 없을 정도이다.
구경군 ‘구경꾼’의 북한식 표기. 무엇하랴.
괴괴하다 쓸쓸한 느낌이 들 정
진이는 담장 밖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 서로 부르고 찾
도로 아주 고요하다.
박정(薄情)하다 인정이 박하다. 는 소리, 자리를 다투는 걸직한 욕설들, 느닷없이 터져 오르는 너털웃음들…….
오정문(午正門) 한때 고려의 수
도였던 개성의 대문 가운데 하
저 사람들은 지금 그의 고통을, 그의 슬픔을, 그의 창피를, 그의 굴욕을 구경하 20
황진이
나.
고 싶어 저리도 뒤설레고 있는 것이었다.
무지몰각(無知沒覺)하다 지각
이나 상식이 도무지 없다. ‘그래, 그렇다면 응당 그들이 보고 싶어 하는 것을 보여 주어야지.’
마땅히 황진이의 모습
교과서 수록 부분의 사건 전개
122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한 총각이 황진이를 황진이의 집 담장
황진이의 집 앞에 황진이가 치마로 상
연모하다가 상사병 너머로 상여를 구경
  죽은 총각의 상여가  여를 덮어 총각의
으로 죽어 장례식이 하기 위해 사람들이
멈춤. 혼을 위로함.
열림. 몰려듦.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2 2019. 1. 8. 오후 10:36


윤 승지 댁과 혼인하기 위해 준비했던 혼수
진이는 자개함 통을 열고 그 안에 깊숙이 간수해 두었던 자기의 혼수를 꺼냈다.
▶ 상여를 보기 위해 몰려든 구경군들의 박정함을 생각하며 혼수를 꺼내는 황진이
사시쯤 되었을 때 상행이 뒤골 어구에 들어섰다. 「맨 앞에는 붉은 저고리에 검 「」 : 상례 절차가 자세하게 묘사
되고 한국 전통문화를 사실적
은 치마를 입고 방울 달린 탈바가지를 뒤집어쓴 방상시가 창과 방패를 갈라 든 으로 재현함.

두 손을 휘저으며 길을 잡고 그 뒤를 이어 명정, 혼백, 만장, 공포를 차례차례 앞


5 세운 상여가 골목 안으로 꺾어 들어오는데 상여 우에 올라선 상두수번이 요령을
놋쇠로 만든 종 모양의 큰 방울
뗑그렁뗑그렁 울리며 구슬픈 상여 노래의 선소리를 먹이면 생베수건을 눈섭까
메기는소리. 한 사람이 앞서 부르는 소리
지 눌러 쓰고 구정닻줄을 걸머멘 상두군들이 음울한 목소리로 후렴을 받았다.」
▶ 골목 안으로 꺾어 들어오는 상여
드디어 사람들이 기다리는 그 구경스러운 대목에 이르렀다. 앞으로 움직이던
상행이 황 진사 댁 후원 뒤문 앞에 이르자 제자리걸음을 시작했으니 이것이 이른
‘메기는소리’의 북한어
10 바 ‘지살받기’가 시작되기 전의 ‘그네뛰기’였다. 상두수번의 먹임소리와 상두군
상두군들이 메고 가는 상여가 앞으로 갔다, 뒤로 갔다 하면서 흔들리는 모습을 그네에 비유하여 일컫는 말 사시 (巳時) 십이시(十二時)의
들의 받는 소리는 원귀의 울음소리처럼 처량하게 들렸다. 여섯째 시. 오전 아홉 시부터 열
죽은 총각의 혼
한 시까지를 뜻함.
상행(喪行) 상여의 뒤를 따르는
…… 산천초목 다 리별하고 황천 먼 길을 떠나가네 행렬.
‘그네뛰기’에 관심이 쏠리는 까닭 방상시(方相氏) ‘나자(儺者)’의
◻ : 상두수번의 선소리(먹임소리)
워 너머차 너호 상여가 집 앞에 멈추고 ‘그네뛰기’가 하나. ‘나자(儺者)’는 음력 섣달
○ : 상두군의 받는 소리
시작되면 그 순간부터 상두수번의 선소
그믐날에 묵은해의 마귀와 사신
리는 무당이 ‘기밀굿’에서 쏟아내는 말처
럼 험담과 숨은 비밀들이 담기는 경우가 을 쫓아내려고 베풀던 의식을
황 진사 댁 고명따님 어 잘났다 한 번 보고 많다. 이때 상목필을 내어 상두수번의 입 거행하는 사람들을 통틀어 이르
을 틀어막아야 중단시킬 수 있다. 그렇지 는 말.
15 워 너머차 너호 않으면 ‘그네뛰기’를 당하는 집의 체면이
사람들 앞에서 깎이게 되는 것이다. 상여 명정(銘旌) 죽은 사람의 관직과
가 황진이의 집 후원 뒤문 앞에 멈추고 성씨 따위를 적은 깃발.
‘그네뛰기’를 시작하자 사람들의 관심이 혼백(魂帛) 죽은 사람의 위패인
쏠린 것도 이 때문이다.
외기러기 짝사랑에 외로운 혼이 되었구나 신주(神主)를 만들기 전에 임시
로 명주나 모시를 접어서 만든
워 너머차 너호……
자리.
만장(輓章/挽章) 죽은 이를 슬
퍼하여 글을 비단이나 종이에
상여는 앞으로 나갈 듯 뒤로 물러서고 물러설 듯 다시 앞으로 나가며 요령 소 적어 기(旗)처럼 만든 것.
공포(功布) 장례식에서 관을 묻
리와 상여 노래에 맞추어 그네처럼 한자리에서 흔들렸다.
▶ 황 진사 댁 후원에 도착한 상여 을 때에, 관을 닦는 데 쓰는 삼베
20 진이는 담장 안쪽에서 문고리를 쥐고 마음을 굳게 다잡았다. 담장 밖 구경군 헝겊.
상두수번 상여꾼의 우두머리.
들의 눈길이 모두 이 문에 쏠려 있을 것이다. 늦지도 않게, 또 너무 이르지도 않 구정(九井)닻줄 상여를 운반하
출생의 비밀로 파혼당한 황진이가 자신을 그리워하다 죽은 총각의 상여 앞에 나타날 것인지에 대한 호기심 때문에
는 데에 쓰는 넓은 줄.
게 제때에 문을 열고 사람들 앞에 나서야 한다.
상두군 ‘상두꾼’의 북한식 표
상직할멈과 이금이가 등 뒤에서 간을 졸이며 공포에 질린 눈길로 주인아씨를 기. 상여를 메는 사람.
집 안에서 부녀(婦女)의 시중을 드는 늙은 여자 황진이 지살받기(地煞--) 터가 나빠서
지켜보고 있었다. 지금 별당 안마당에서는 주인아씨한테 발목을 묶이운 놈이가 땅에 붙었다는 살(煞)을 받드는
일. ‘살(煞)’은 사람을 해치거나
25 우리 안에 갇히운 범마냥 왔다 갔다 하며 몸살을 앓고 있었다.
상여를 구경하기 위해 몰려든 사람들을 건드리지 말라는 황진이의 명령을 받고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함. 물건을 깨뜨리는, 모질고 독한
상두수번의 먹임소리는 차차 과녁을 조여 갔다. 귀신의 기운을 뜻함.
긴장감을 조성함.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23

고등문학(114~155)3단원(교).indd 123 2021. 8. 18. 오후 5:55


…… 애슬프다 이내 몸은 한번 가면 못 오리라
◻ : 상두수번의 선소리(먹임소리)
워 너머차 너호
○ : 상두군의 받는 소리

황 진사 댁 여기로다 그대로는 못 가겠네

워 너머차 너호……

진이는 문을 열었다. 골목을 나서는 순간, 만 사람의 날카로운 눈길이 창끝처 5


사람들의 모든 시선이 주목함.
럼 날아와 박혔다. 사람들의 웅성거리는 소리가 점점 더 커지더니 마침내 상여
노래를 눌러 버렸다.
사람들이 황진이를 보고 놀란 구경군들은 깜짝 놀랐다. 그들은 감히 황 진사 댁 주인아씨가, 죽은 혼백의 상
까닭을 말해 보자.
예시 답 죽은 혼백이 무서워 멀 문살이 무서워 천리만리로 달아났거나 집 안 구석방에 들어박혀 이불을 뒤집어
리 달아났거나 집 안에서 꼼짝하 사람들이 추측했던 황진이의 모습
지 않고 숨어 있을 것이라는 사 쓰고 숨어 있을 진이가 직접 상행 앞에 나타나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던 10
람들의 예상과 달리, 황진이가
상여 앞에 당당하게 나와 죽은 것이다. ▶ 문을 열고 직접 상행 앞에 나서는 황진이
총각의 혼을 진심으로 위로했기
때문이다. 진이는 상두군들의 구정닻줄 우에 흔들거리고 있는 상여 앞으로 다가갔다. ‘그
네뛰기’가 멎었다. 상두군들이 상여를 내려놓았다. 요령 소리가 멎고 상두수번
상문살(喪門煞) 사람이 죽은 일
로 일어난 살(煞). 의 선소리도 멎었다.
한민족 문학으로서 〈황진이〉의 가치

공통된 소재 역사적 인물인 ‘황진이’를 소재로 함.

보편적 주제 ‘놈이’와 ‘황진이’의 사랑을 낭만적으로 그려 냄.


남한의 표준어와 북한의 문화어가 공존하고, 당시
언어적 표현
민중의 언어와 양반가의 언어를 확인할 수 있음.
문화적 전통 당대의 장례 풍속을 사실적으로 재현함.

통일 시대를 대비하여 문학을 통해 민족의 동질성을 확인하게 해 줌.

124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4 2019. 1. 8. 오후 10:36


「」 : 혼례에 입을 옷을 죽은 총각의 혼과 약속의 징표로 사용하겠다는 것은, 앞으로는 다른 사람과 혼례를 올리
고 평범하게 사는 여인의 삶을 선택하지 않겠다는 의미가 담겨 있음.
「 황진이의 인물됨
진이는 죽은 총각의 관곽 앞에 마주 섰다. 그러고는 손에 들고나온 꽃무늬의
사람들의 호기심 어린 시선에
붉은 슬란치마를 활짝 펴서 관곽을 덮었다.」 도 불구하고, 자신을 연모하
혼수로 준비해 둔 치마 다 죽은 총각의 상여로 다가
골목 안이, 골목 안에 꽉 들어찬 사람들이 물 뿌린 듯 조용해졌다. 가 그의 혼백을 진심으로 위
로함.
진이는 마치 눈에 보이는 그 누구와 속삭이듯 입을 열었다. 그러자 신기하게 
•‌제 뜻대로 당당하게 행동하
5 도 류두날 밤 달빛 속에서 자기를 넋 잃고 쳐다보던 그 총각의 얼굴이 우렷하게 는 당찬 인물
눈앞에 보이거나 떠오르는 모양 따위가 좀 희미한 가운데 은근하면서도 뚜렷하게 •‌따뜻한 심성을 지닌 인물
떠오르는 것이었다.

“……. 여보세요, 나는 당신을 잘 모릅니다. 한번 얼핏 뵈온 일밖에 없으니까
「」 : 총각의 혼백을 진심으로 위로함.
요. 그러나 당신이 죽음으로 보여 준 나에 대한 뜨거운 사랑은 압니다. 유명의
길이 달라 지금은 당신의 그 진실한 사랑에 보답할 길이 전혀 없군요. 혹시 이
슬란치마 스란치마. 스란을 단
10 후 저승에서 다시 만나 뵙게 될는지……. 이승에서 보답할 수 없었던 사랑을
꽃무늬의 붉은 슬란치마 긴 치마. ‘스란’은 치맛단에 금박
저승에서는 꼭 갚아드리렵니다. 그 약속에 대한 표적으로 제가 마련해 가지고 을 박아 선을 두른 것을 말함.
류두날(流頭-) ‘유둣날’의 북한
있던 혼례 옷을 당신의 령전에 바치오니 알음이 있으면 받아 주세요. 인명이 식 표기.

하늘에 매였다고는 하나 인정에 어찌 애달프지 않겠나요. 생사가 영 리별이라 유명(幽明) 저승과 이승을 아울
인명재천(人命在天) 러 이르는 말.
고 하지만 후생의 기약이 있으니 바라옵건대 어서 떠나세요…….”」 알음 사람끼리 서로 아는 일.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25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5 2019. 1. 8. 오후 10:36


진이의 눈에서는 눈물이 흐르고 있었다. 목소리가 갈려서 마지막 말을 채 맺
①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된 후 그동안 마음고생이 심했음. ② 죽은 총각에 대한 미안함과 고마움
지 못했다.
주위의 모든 것이 그대로 얼어붙었다. 바늘이 떨어져도 그 소리를 들을 수 있
을 것만 같았다. ▶ 치마로 상여를 덮고 총각의 혼을 위로하는 황진이

황진이의 주체적인 삶 진이는 상여 앞에서 물러났다. 문을 열고 후원 안으로 사라질 때까지도 그 무 5

존경했던 아버지 ‘황 진사’의


거짓과 위선을 알고 절망감에 거운 침묵이 골목 안에 그대로 가라앉아 있었다.
빠져 있다가 목석 같은 여인
의 되기로 결심함. 진이는 별당에 돌아와 방 안에 앉았다. 그는 방금 전에 수많은 사람들이 지켜

양반의 허울을 벗어던지고 기
보는 앞에서 죽은 혼백과 저승의 사랑을 약속했다.
생의 삶을 살며 부조리한 세
상에 맞섬. ‘이것이 과연 옳은 일인가?’

진이는 사람들의 구구한 시비와 말밥에 오르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이 아니었 10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여 좋지 못한 이야기의 대상이 되는 것
주체적으로 살고자 함. 다. 한 가지 자신에게 명백히 할 것은 이 행동이 일시적인 충동이나 변덕이 아니
라는 것이며 보다 중요하게는 자신이 지니고 있던 사랑의 감정을 송두리째 죽은
혼백한테 바쳐 버렸으니 이제부터 자기는 이승의 목숨이 다할 때까지 사랑이라
황진이가 ‘목석과 같은 녀인’이 는 감정은 전혀 있을 수 없는 목석과 같은 녀인이라는 것이었다.
되기를 바라는 까닭을 짐작해 나무나 돌처럼 아무런 감정도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자.
바로 이것이 지금 진이가 간절히 바라는 바요 진심으로 원하는 바였다. 15
▶ 목석 같은 여인이 될 것을 원하는 황진이
예시 답 출생의 비밀을 알게 된
황진이는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
을 느끼며 겉으로는 품위 있는
척하는 양반 사대부의 거짓과 위
뒷부분 줄거리
선을 깨닫게 된다. 이후 황진이
결국 황진이는 기생이 되기로 결심한다. 황진이는 뛰어난 미색과 총명함으로 거짓과 위선에 차 있는
는 어떤 감정도 느끼지 않는 목
석 같은 삶을 살 것임을 다짐하 양반과 승려를 조롱하며 부조리한 세상에 맞서 살아간다. 한편 황진이에게 사랑을 고백하고 화적패의
게 된다.
우두머리가 되어 떠났던 놈이는 부하를 살리기 위해 자수한다. 황진이는 놈이에 대한 사랑을 확인하고
‘놈이’의 특징과 역할 그를 살리려 노력하지만 결국 놈이는 처형을 당한다. 황진이는 죽은 놈이를 묻어 준 후, 소리꾼으로 전 20
•특징
–‌작가에 의해 새롭게 창조된 국을 떠돌다 생을 마감한다.
허구적 인물
–황진이를 짝사랑하여 그녀
를 파혼당하게 하는 문제적 제재 정리
인물
–‌헌신적이고 순수한 사랑을
보여 주는 비극적 사랑의 주
인공 작품 구성
–‌낡은 사상과 봉건 제도, 관 황진이는 송도에 사는 황 진사의 딸로, 비범한 재주와 아름다운 용모
발단
습을 뛰어넘으려 했던, 자주 를 갖추었으며 황 진사 댁 하인 놈이는 황진이를 짝사랑함.
성이 강한 인물 놈이는 황진이의 혼인을 막고자 그녀의 출생의 비밀을 신랑 댁에 폭
•역할: 황진이와 함께 서사를 이 전개 로하고, 이 때문에 황진이는 파혼당함. 자신의 정체성에 혼란스러워하
끌어 가면서 작가의 주제 의식 던 황진이는 기생이 되고, 죄의식으로 괴로워하던 놈이는 화적이 됨.
을 드러냄. 놈이가 송도의 사또인 김희열의 계략으로 목이 잘리는 효수형을 받
위기
을 처지에 놓임.
황진이가 놈이를 구하려고 애쓰는 과정에서 그에 대한 사랑을 확인
절정
하지만, 놈이는 결국 목이 베여 죽게 됨.
결말 황진이는 놈이를 묻어 주고 전국 각지를 떠돌아다니다 죽게 됨.
※ 교과서 수록 부분은 ‘전개’에 해당함.

126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6 2019. 1. 8. 오후 10:36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황진이〉의 주요 사건을 통해 주인공의  황진이를 소재로 한 남북한의 소설을  김수열의 시 〈지삿개에서〉를 감상하며
성격을 파악하고, 작품의 의의를 발견 살펴보며 한민족 문학의 가치와 통일 지역 문학의 가치와 발전 방법에 관해
할 수 있는 부분 찾아보기 이후 우리 문학의 모습 생각해 보기 생각해 보기

1 〈황진이〉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사건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때,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황진이의 성격을 말해 보자.

사람들은 황진이가 겁에 사건
질려 집 밖을 나오지 못할 거라
예상했지만, 이를 깬 황진이의
황진이의 집 담장 너머 황진이의 집 앞에 죽은 황진이가 치마로 상여를
모습이 인상적이었어.
로 사람들이 모임. 총각의 상여가 멈춤. 덮어 총각의 혼을 위로함.
활동 1 지도 방안
북한 문학인 〈황진이〉를 읽고 주인공인
황진이의 성격과 이 작품의 의의가 무엇인
지 파악하는 활동이다. 황진이가 자신이 처 •황진이의
성격: 예시 답 마을 사람들은 죽은 사람의 혼백이 두려워 황진이가 집 밖을 나서지 못할 것이라
예상한다. 그러나 황진이는 골목으로 나와 자신을 연모하다 죽은 총각의 혼을 진심으로 위로하였다. 이를 통해
한 상황에 대응하는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황진이는 사람들의 편견과 호기심 어린 시선에 맞서 당당하게 행동하는, 당차면서도 따뜻한 심성을 지닌 인물임
인물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을 알 수 있다.
⑵ 다음은 이 작품의 의의를 설명하고 있는 글이다.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품에
역사를 소재로 한 소설에서는
서 찾아 보자.
작가가 자기 생각을 표현하기 위
해 역사상 실존하지 않는 인물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이 소설은 황진이의 실제 사적과 설화적인 이야기를 적절히 뒤섞어 흥미진진한 서
사적 구성을 보여 주며, ㉠ 문제적 인물까지 새롭게 창조하여 ‘황진이 서사’의 전통에
새로움을 더하고 있다. 나아가 이 소설은 당대의 ㉡ 풍속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고 전통
적인 표현과 생생한 비유를 함께 구사하며, 민중의 살아 있는 언어와 양반가의 품위
있는 표현을 아울러 담고 있어 역사에서 소재를 찾은 작품으로서의 가치를 풍부하게
가지고 있다.
예시 답 •㉠: 황 진사 댁 하인인 놈이가 황진이의 출생 배경을 신랑 될 집안에 누설하여 황진이가 파혼당하는 부
분, 놈이가 황진이에게 사랑을 고백하고 떠나는 부분, 놈이가 처형당할 상황에 놓이자 황진이가 그를 구하려고 노
력하는 부분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소설 <황진이〉에는 황진이의 행적과 관련된 문헌에서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인
물 ‘놈이’가 작가에 의해 등장하고 있다.
•㉡: 황진이를 연모하다가 상사병으로 죽은 총각이 황진이 집 앞에 도착하는 부분에서는 ‘방상시, 명정, 만장, 공포, 상
두군, 지살받기’ 등 장례 풍속과 관련된 구체적인 소재를 언급하며 당대의 장례 풍속을 사실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활동 2 지도 방안
2 한민족 문학의 가치를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은 황진이를 소재로 쓴 소설 작품들이다. 남북한에서 동일한 소재를 활용하여 문학 작


한민족 문학으로서 북한 문학
의 가치와 통일 이후 한민족 문 품을 창작하고 향유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 말해 보자.
학의 미래에 대해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보도 자료나 실물 책
등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 설 설 설 설
하여 남북한이 동일 인물을 소 홍석중 소 이태준 소 최인호 소 전경린 소
재로 문학 작품을 활발히 생산
하며 향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학생들이 인지할 수 있도록 지
도 한다.

예시 답 분단 현실이 지속됨에 따라 남북의 이질화가 점점 심화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이때 동일한 소재를 활


용하여 문학 작품을 창작하고 향유하는 것은 남북이 공동의 기억을 환기하고 공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로의 이질성을
극복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는 통일 시대를 대비하여 문학을 통해 민족의 동질성 확인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한민족 문학에는 북한 문학뿐
⑵ 한민족 문학의 관점에서 통일 이후 우리 문학이 어떤 모습으로 발전하게 될지 생각해
만 아니라 재외 국민이 한국어
로 창작한 문학도 포함된다. 보자.
예시 답 남한은 매체의 발달로 인해 문학에 대한 다양한 수용 및 생산 방식이 생겨나고 있으며, 외국의 문화나 새로운
문화를 자유롭게 항유할 수 있기 때문에 문학에서 취할 수 있는 소재나 형식이 다양하다. 한편, 북한은 우리의 전통적 문
화 양식이 많이 보존되어 있고, 북한만의 독특한 문학 향유 및 생산 방식이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27
존재한다. 따라서 통일 이후 우리 문학은 형식적, 내용적 측면에서 다양한 전개 양상을 보일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재외
국민이 한국어로 생산한 문학 역시 한민족 문학으로서 다양하게 수용되고 창작될 것이다.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7 2019. 1. 8. 오후 10:36


활동 3 지도 방안
제주도를 배경으로 한 시를 통해
지역 문학의 가치를 확인하는 활동

3
이다. 지역 문학은 지리적·문화적 지역 문학 작품인 〈지삿개에서〉를 감상하고, 한국 문학이 지역 문학의 총체라는 점에 주목하
특성을 바탕으로 활발하게 창작되고
있으며 한국 문학을 풍부하고 다양 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하게 만든다는 점을 인식할 수 있도
록 지도한다.
○ : 공간적 배경이 제주도임을
그립다,는 말도 「 가냘픈 털뿌리로
알려 주는 시어
때로는 사치일 때가 있다 검은 주검처럼 숭숭 구멍 뚫린
현무암
노을 구름이 산방산 머리 위에 머물고 바윗돌 거머쥐고
가파른 바다 휜 허리로 납작 버티고 선
「」 : 갯쑥부쟁이의
‌
어화(漁火) 점점이 피어나고 갯쑥부쟁이 한 무더기!」
생명력
영탄적 표현
바람 머금은 소나무 - 김수열, 〈지삿개에서〉

긴 한숨 토해 내는 순간
바다 끝이 하늘이고
하늘 끝이 바다가 되는 지삿개에 서면 어화(漁火) 고기잡이하는 배에 켜는 등불이나 횃불.
주검 죽은 사람의 몸을 이르는 말.
그립다,라는 말도 동일 시행의 갯쑥부쟁이 ‘개쑥부쟁이’와 비슷하지만 바닷가에서
반복
그야말로 사치일 때가 있다 자라는 두해살이풀.

〈지삿개에서〉는 지삿개의
절경을 배경으로 갯쑥부쟁이의 ⑴ 이 작품의 배경이 제주도임을 알려 주는 시어를 찾아보자.
생명력에 대한 경외심을 그린 예시 답 ‘산방산’과 ‘지삿개’는 제주도에 있는 산과 지역이며, ‘구멍 숭숭 뚫린 / 바윗돌’은 현무암을 의미한다. 따라서
작품이다. ‘지삿개’는 제주특별 ‘산방산’, ‘지삿개’, ‘(구멍 숭숭 뚫린) 바윗돌’은 모두 제주도의 지역적 특성을 드러내는 시어이다.
자치도 서귀포시 중문동의 옛
이름으로, 주상 절리대로 유명
하다.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예찬적, 향토적 ⑵ ⑴을 바탕으로 하여 지역 문학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보고, 지역 문학의 발전을 위해 어
제재 지삿개의 풍경
떤 노력이 필요할지 생각해 보자.
지삿개의 아름다운
주제
풍경에 대한 예찬 예시 답 지역적 특성을 기반으로 지역의 정체성, 역사, 그 지역 사람들의 사고를 담고 있는 지역 문학은 한국 문학
핵심 시구의 반복과 을 다채롭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역 문학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역 문학의 가치를 이해하고자 노
영탄적 표현으로 지 력한다면 한국 문학의 뿌리가 더욱 굳건해질 것이다.
특징 삿개의 풍경에 대한
예찬적 태도를 드러
냄.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2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황진이〉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이 작품은 1506년의 ‘중종반정’과 1510년의 ‘삼포왜
예시 답 이 작품에서 황진이가 자신의 의지대로 삶을 이끌어 가려 란’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다루고 있는 홍석중의 또
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어. 그리고 북한 문학을 읽고 나니 우리 문학 홍석중의 다른 소설이다. 봉건 지배층의 허위와 위선에 맞서
도 북한에서 향유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어. 언어적 동질성 〈높새바람〉 며 순수하고 낭만적인 사랑의 가치를 강조하는 작품
이 있으니 문학적 교류가 가능하지 않을까? 으로, 작가뿐 아니라 주제의 측면에서도 〈황진이〉와
나의 책방 키우기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음을 안내한다.
이 작품은 황진이를 소재로 다룬 또 다른 소설이다.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홍석중의 〈높새바람〉 대부분의 황진이류 소설들이 야담을 통해 내려오는
일반적인 캐릭터 ‘황진이’를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소재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김탁환의 〈나, 황진이〉 김탁환의

그 삶의 굴곡진 양상과 남녀 간의 사랑을 중심으로
〈나, 황진이〉
한 서사 구조를 가진 데 반해, 이 작품은 과거 회상
과 현재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서술한다는 점에서
128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특징적임을 안내한다.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8 2019. 1. 8. 오후 10:36


3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분석적이고 이성적으로 변해 버린 자신의 삶을 반성하고, 생
명력이 있는 삶에 대한 염원을 진솔하게 담은 시이다. 상징적이고 대조적
인 의미를 지닌 시어와 반성적인 어조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특히, 이 작
품은 음성과 음악, 이미지 등이 결합된 영상 시로 제작되어 인터넷 사이
트에서 널리 향유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따라서 〈나도 그들
처럼〉은 문학 작품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고전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디지
털화한 문학 작품이 일상에서 향유되는 방식을 보여 줄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 문학의 미래와 발전상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백무산 (1955~ ) 작가 동영상

시인. 본명은 백봉석. 1984년에 등단하여 노동에서


삶의 가치를 발견한 시를 썼다. 최근에는 인간의 삶의
보편적 가치를 찾는 시를 쓰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
〈길 밖의 길〉, 〈초심〉, 〈거대한 일상〉 등이 있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누군가를 닮고 싶었던 적이 있는가?


제목 관련 이 작품의 제목에서 ‘나’와 ‘그들’은 어떤 존재일까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문학 작품을 감상
질문의 예 요?
해 본 적이 있는가?
삽화 관련 교과서 129쪽의 삽화에 있는 인물은 어떤 상황에 있

질문의 예 는 것일까요? 예시 답 자신의 삶에 대해 반성해 본 경험이 있는

가?
배경지식 관련
자신이 알고 있는 인터넷 문학 사이트가 있나요?
질문의 예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29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29 2019. 1. 8. 오후 10:36


작품 개관
〈나도 그들처럼〉은 생명력 있는 삶으로부터 멀어진 자신을 성찰하는 시로, 영상 시로도 널리 향유되고 있다.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자기 성찰적, 반성적, 상징적
한국 문학의 시간적 다양성과 전개 양상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제재 이성적이고 난해하게 변한 ‘나’의 삶
수업의 포인트 주제 생명력 충만한 삶에 대한 지향
•시어의 상징적 의미 이해하기 ① ‌일상적인 대상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함.
•시적 화자가 지향하는 삶 파악하기 ② ‌대조적인 이미지의 시어를 유사한 문장 구
특징
나도 그들처럼
•한국 문학의 미래에 관해 예측하기 조에 일정하게 배치함으로써 주제 의식을
선명하게 부각함.

〈나도 그들처럼〉을 영상 시로 감상해 보자. 인터넷 링크 - 문학 집배원

작품 감상 애니메이션

작품 감상 음성
○: 자연적 생명력이 충만한 삶 → 시적 화자가 긍정적으로 보는 대상
△: 이성적, 합리적, 분석적인 삶 → 시적 화자가 부정적으로 보는 대상

나는 바람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었습니다


도치법 동일한 통사 구조를 반복하여 운율을 형성함.
내가 계산이 되기 전에는
▶ 계산이 되기 전 바람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었던 ‘나’

나는 비의 말을 새길 줄 알았습니다
|
백무산

내가 측량이 되기 전에는
▶ 측량이 되기 전 비의 말을 새길 수 있었던 ‘나’

나는 별의 말을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내가 해석이 되기 전에는
▶ 해석이 되기 전 별의 말을 이해할 수 있었던 ‘나’

나는 대지의 말을 받아 적을 수 있었습니다
내가 부동산이 되기 전에는
사이버 문학 광장 문장 2008 나희덕의 문학 집배원 〈나도
▶ 부동산이 되기 전 대지의 말을 받아 적을 수 있었던 ‘나’
그들처럼〉(백무산)
조회수 451회

시어의 상징적 의미
계산, 측량, 해석,
바람, 비, 별, 대지, 숲
부동산, 시계
 
•자연의 생명력이 있는 •계산되고 분석되는 근
시적 화자의 상황 삶 대적 삶
측량되기 전(과거) •시적 화자가 긍정적으 대조 •시적 화자가 부정적으
로 바라보는 대상 로 바라보는 대상
•바람·비·별·대지·숲의 말을 알아
들을 수 있었음.
•바람의 이웃이었고, 물과 별의 동무 과거의 삶 현재의 삶
였으며 그들과 말을 놓고 살았음.

측량된 후(현재)
•바람·비·별·대지·숲의 말이 심오
해지고 난해해져서 알아들 수 없음.
•자신의 삶이 터무니없이 난해해짐.

130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0 2019. 1. 8. 오후 10:36


시적 화자가 지향하는 삶

‘나도 그들처럼 소용돌이였습니다’

•계산, 해석되지 않은 존재
소용돌이
•생명력이 충만한 자연 본래의 모습


시적 화자는 합리적인 분석 행위로 난해해져 버린
삶에서 벗어난, 생명력 충만한 삶을 지향함.

나는 숲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었습니다
내가 시계가 되기 전에는
▶ 시계가 되기 전 숲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었던 ‘나’

이제 이들은 까닭 없이 심오해졌습니다
바람·비·별·대지·숲의 말
그들의 말은 난해하여 알아들을 수 없습니다
합리적이고 분석적인 삶을 살게 되면서 자연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게 됨.
▶ 심오하고 난해해져 그들의 말을 알아들을 수 없게 된 ‘나’

내가 측량된 다음 삶은 터무니없이
난해해졌습니다 ▶ 난해해진 ‘나’의 삶

내가 계산되기 전엔 바람의 이웃이었습니다


내가 해석되기 전엔 물과 별의 동무였습니다
그들과 말 놓고 살았습니다
생명력이 충만한 자연 속에서 편안하고 즐겁게 지냄.
나도 그들처럼 소용돌이였습니다
계산이나 해석되지 않는 자연의 본래 모습
▶ 계산되고 해석되기 전 자연과 함께했던 ‘나’

제재 정리

덕의 문학
으 문장 2008 나희
사이버 문학 광장 산산’ )
들처
그들 처럼
럼- 백
〉(백무

도그
‘나도
집배원 〈나
조회수 451회

즐겨찾기 추가
작품 구성 0 저장
329
1연 계산이 되기 전 바람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었던 ‘나’
2연 측량이 되기 전 비의 말을 새길 수 있었던 ‘나’
3연 해석이 되기 전 별의 말을 이해할 수 있었던 ‘나’
4연 부동산이 되기 전 대지의 말을 받아 적을 수 있었던 ‘나’
5연 시계가 되기 전 숲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었던 ‘나’
6연 심오하고 난해해져 그들의 말을 알아들을 수 없게 된 ‘나’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31
7연 난해해진 ‘나’의 삶
8연 계산되고 해석되기 전 자연과 함께했던 ‘나’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1 2019. 1. 8. 오후 10:36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나도 그들처럼〉에 사용된 시어의 의미  디지털 시대의 문학 향유 방식이 지닌  한국 문학의 내용과 범위, 생산과 수용
를 파악해 보고, 마지막 행을 통해 시적 특징과 문학의 생산 및 수용 방식의 변 매체를 중심으로 미래 한국 문학에 관
화자가 추구하는 삶에 관해 정리하기 화 이해하기 해 토론하기

활동 1 지도 방안
1 〈나도 그들처럼〉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 쓰인 시어를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고 할 때, 빈칸에 들어갈 적절한 말을 찾아


영상으로 감상한 작품의 내용
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우선 유 쓰고 그 속에 담긴 공통된 의미를 파악해 보자.
사한 이미지의 시어들을 찾아보
고 그 함축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바람, 비, 별, ( 대지 ), ( 숲 ) 계산, 측량, 해석, ( 부동산 ), ( 시계 )

예시 답 자연적 생명력이 있는 삶 예시 답 이성적, 합리적, 분석적인 삶

⑵ 마지막 행의 의미를 바탕으로 하여 시적 화자가 추구하는 삶은 무엇인지 정리해 보자.

교과서 나도 그들처럼 소용돌이였습니다


131쪽

예시 답 마지막 행에서 시적 화자는 자신도 ‘바람, 물, 별’처럼 ‘계산’이나 ‘해석’되지 않은 자연 본래의 모습이었다고
활동 2 지도 방안 성찰하고 있다. 따라서 시적 화자는 합리적인 분석 행위로 난해해진 삶에서 벗어나 생명력 충만한 삶을 지향하고 있
디지털 시대를 맞아 문학 활 음을 알 수 있다.
동의 환경도 급변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활동이다. 문자로 기
록된 전통적인 문학과 디지털화
된 문학은 우열의 관계가 아닌
공존의 관계임을 이해할 수 있

2
도록 안내한다.
디지털화한 새로운 문학의 성장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은 영상 시를 제공한 인터넷 문학 사이트의 창간사이다. 이를 참고하여 디지털 시대


디지털화한 문학은 다양한 콘
의 문학 향유 방식이 지닌 특성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텐츠로 제공되어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비교적 덜하다. 또한, 누
구나 손쉽게 창작하고 발표할
기회를 제공하고 문학 향유자들 문학의 주인은 독자다!
이 활발하게 소통할 수 있다는
인터넷을 매개로 대중의 자유로운 소통 구조가 만들어지고 표현 욕구가 극대화되는 시대가 되었
점도 특징적이다.
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맞게 문학에 대해 고민하고 이전의 독자와는 현저하게 달라진, 새로운 독자
디지털 시대의 한국 문학
문학 활동(창작, 수용, 소통)이 들의 감수성을 아는 일은 창작자나 기존의 유통자가 해야 할 몫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이런 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남.
민을 담아 새로운 독자들을 찾아 나서는 인터넷 사이트를 지향합니다. 항상 독자들의 ‘입맛’은 다양
•창작: 누구나 자신이 창작한 작품
을 발표할 수 있음. 하게 마련이고, 문학이 단지 종이 위에 찍힌 활자만은 아니라는 점에서 여러 가지 문학 콘텐츠를 생
•수용: 다양한 기기와 콘텐츠의 활용
•소통: 독자들의 활발한 문학적 소 산할 계획입니다. 우리는 새로운 문학 웹진을 통해서 이런저런 까닭으로 문학에서 멀어졌던 독자나
통이 가능함.
접근할 방법을 찾지 못했던 독자에 이르기까지 그들에 대한 배려를 잊지 않는

한국 문학의 미래 사이트를 만들어 나갈 생각입니다.
•더욱 자유롭고 적극적인 문학 활
동이 가능함. 예시 답 디지털 시대에서 문학을 향유하는 방식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기
•한국 문학의 개념이나 범위가 확 기의 사용으로 전통적 문학에 비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덜하다는 점이다.
장될 가능성이 있음. 또한 작품 수용에 머무르던 독자들이 매체를 기반으로 하여 작가나 다른 독
자들과 대면하지 않고도 활발하게 문학적 소통을 할 수 있으며 누구나 자신
이 창작한 작품을 발표할 기회가 있다는 점도 특징적이다. 이러한 특징은 누
132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구에게나 자신의 상황과 필요에 맞게 문학을 향유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2 2019. 1. 8. 오후 10:36


지금의 문학 환경은 문 ⑵ 다음은 오늘날 문학을 생산하고 수용하는 다양한 방식이다. 자신이 경험한 방식은 어떤
자로 기록된 문학과 디지털화 것이며 느낀 점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한 문학이 공존하고 있어. 이 둘
은 우열을 가릴 수 있는 것이 아
니야. 각각의 특성을 이해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게 활용한다 문학
면 우리는 문학과 더욱 가까워
휴대용 기기를
질 수 있어. 책
예시 답 •책: 전달 매체가 다양하게 발달 활용한
해도 종이책은 여전히 유효함을 느낄 수 문학 활동
있었다.
•전자책과 오디오 북: 전자책은 전자책 단 전자책과 문학 작품
말기에 내려받은 책을 읽는 것으로 수많은 오디오 북 창작 사이트
책을 넣어 다닐 수 있는 편의성이 있으며
메모와 북마크 등의 기능이 있어 능동적
인 독서 활동이 가능하다. 오디오 북은 책
의 활자를 음성으로 들려주는 것으로 시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쉽게 책을 접할 수
있으며, 다른 일을 하면서 동시에 책을 읽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문학 작품 창작 사이트: 누구나 쉽게 자신
이 창작한 글을 올리고 다른 사람과 교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작품을 올리
는 순간부터 독자들의 피드백을 받을 수 •휴대용 기기를 활용한 문학 활동: 애플리케이션 등의 모바일 콘텐츠를 활용한 문학 활동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없앤
있다. 따라서 문학 작품 창작 사이트에서 다는 점에서 문학 활동의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있다. 시와 소설을 소개하거나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는 애플리케이
는 작가와 독자 간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 션이 많아지면서 문학을 접하는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고 매체 특성상 양방향 소통이 가능해지면서 이전보다 능동적인
루어져 문학의 활성화에 도움을 준다. 문학 활동을 할 수 있다. 나아가 다양한 콘텐츠의 제공으로 자신의 기호에 맞는 문학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활동 3 지도 방안
3 모둠별로 미래의 한국 문학의 모습에 대해 토의하고, 그 결과를 발표해 보자.

미래의 한국 문학이 어떤 모 •한국 문학의 내용과 범위:


습일지 예측해 보는 활동이다. 예시 답 한국 문학에서 다루는 내용은 한국을 기반으로 한 문제뿐 아니라 인류 공동의 문제도 중요하게 다루
변화하는 한국 문학의 환경에 게 될 것이다. 이는 지금도 일어나고 있는 변화이지만 미래에는 그 정도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 한 한국 문학의 범위는 문학의 세계화와 더불어 그 범위가 고정적이지 않고 더욱 역동적으로 전개될 것임을 예측
국 문학의 모습을 상상해 볼 수 해 볼 수 있다.
있도록 한다. •생산과 수용의 매체:
예시 답 현재 한국 문학은 디지털 매체가 발달함에 따라 문학 활동(창작, 수용, 소통)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나고 있다. 미래의 한국 문학은 매체의 발달에 따라 더욱 자유롭고 적극적인 활동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문학 플랫폼이나 번역 기술의 발달로 외국인이 한국 문학을 접하는 방법도 쉬워져 한국 문학이 더 많은 사회
와 국가에서 향유될 수 있을 것이다.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이 작품은 사회의 중심부에서 배제된 ‘가장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자리’의 가치와 잠재성을 이야기한 시로, 끊
임없이 변화하고 생성하는 삶에 대해 긍정
03 백무산의
하는 작가의 인식이 잘 드러난다. 시적 화
〈그 모든
자는 중심부에서 벗어난 사회의 ‘가장자리’
가장자리를〉
〈나도 그들처럼〉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나 ‘바깥’에는 저항의 힘이 잠재해 있기에 ‘
그 모든 가장자리를 그리워한다’고 말하고
예시 답 작품을 영상 시로 감상하니 낭송을 들을 수 있어서 좋았어.
있음을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그리고 나도 자연과 동떨어진 삶을 살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내
삶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되었어. 이 작품은 ‘물푸레나무’를 생명력 있는 존
이상국의
재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을
〈물푸레
편지 형식으로 담은 시이다. 작품 전반에는
나의 책방 키우기 나무에게
시적 대상에 대한 작가의 섬세한 관찰과 이
쓰는 편지〉
해가 바탕을 이루고 있음을 안내한다.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백무산의 〈그 모든 가장자리를〉

소재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이상국의 〈물푸레나무에게 쓰는 편지〉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33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3 2019. 1. 8. 오후 10:36


‘소단원 정리하기’ 지도 방안
•문학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학습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개념 정리’,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도
록 한다.

(1 )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개념 정리 평가 자료
•어휘 평가 •서술형 평가
•쪽지 시험 •수행 평가
•소단원 평가

한국 문학이란 무엇인가.
3-⑴단원 개념 정리 ① 한국 문학은 흔히 ‘한국인이 한국어로 한국인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 언어 예술’로 정의되어 왔다.
한국 문학의 개념 이 정의는 얼핏 분명한 듯이 보이지만, 구체적인 작품을 예로 들어 따져 보면 그렇지 않음을 알 수 있
한국 문학의 시기적
개념 변화를 고려한 ‘한국 다. 특히 ‘한국어’라는 기준을 어떻게 풀이하는가에 따라 많은 문학 작품이 문젯거리가 될 수 있다. 한
어’로 된 문학
문으로 창작된 문학 작품들이 과연 한국 문학에 포함될 수 있는지, 문자가 아닌 말로 전승되는 민요
나 설화를 문학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사람도 있었다.
‘한국어’가 가리키는 대상이 시대에 따라 변해 왔다고 본다면, 이에 대한 해결 방법을 찾을 수 있다.
한국 문학은 이러한 시기적 변화를 고려한 ‘한국어’로 된 문학이라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문학의 개념

한국 문학은 구비 문학, 국문 문학, 한문 문학으로 구성되며,


그 관계는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한국어’가 가리키는 대상이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면, ‘한국 문학’의 영역 또한 이에 따라 나누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아직 문자가 없던 시대에는 말로만 전승되는 ‘구비 문학’이 향유되었으며, 한글이
창제되기 이전에는 한자로 표기되는 ‘한문 문학’이 나타났고, 한글 창제 이후에는 한글로 표기되는
‘국문 문학’이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 한국 문학의 세 영역

한국 문학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면, 세 영역의 관계는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문자가 없던 시대에는 신화나 전설
과 같은 구비 문학이 사람들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하는 역할을 하
였다. 한자가 사용된 이후에는 한문 문학과 구비 문학이 공존하면
조선 후기 한글 소설인 서 한국 문학의 발전을 이끌었는데, 〈제가야산독서당〉 118쪽처
〈소대성전〉
럼 한문 문학 가운데 높이 평가할 만한 성취를 이룬 작품도 나타
났다.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는 국문 문학과 구비 문학, 한문 문
학이 공존했다. 한문 문학은 동아시아에서 공유하는 문학 전통
을 갖고 있었던 까닭에 한글 창제 이후에도 상당한 기간 동안 한
국 문학으로서의 역할을 하였지만, 근대 문학의 등장과 함께 점차
쇠퇴하였다. ▶ 구비 문학, 국문 문학, 한문 문학 간의 관계

3-⑴단원 개념 정리 ②
한국 문학의 영역(범위)
《연암집》
구비 문학 문자가 없던 시대에 말로 전승된 한국 문학
조선 정조 때의 실학자 박지원이 쓴 한문으로 된 시문집이다. 세 영역의
관계는 시
한문 문학 한글이 창제되기 이전, 한자로 표기한 한국 문학
대에 따라
변함.
국문 문학 한글 창제 이후, 한글로 표기한 한국 문학
134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4 2019. 1. 8. 오후 10:36


3-⑴단원 개념 정리 ③
지역 문학과 한민족 문학

•해당 지역의 자연환경, 역사, 문화를


반영한 문학 한국 문학을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지역 문학 
•해당 지역 사람들의 정서와 사고를 만듦.
담고 있는 문학

한국 문학의 다채로운 면모를 확인하


•분단 이후 북한 문학
한민족 문학  고, 통일 이후 한국 문학의 발전 방향
•재외 국민이 한국어로 창작한 작품
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계기를 마련함.

한국 문학은 지역 문학의 총체이며, 


한민족 문학은 한국 문학을 다채롭게 한다.
한국 문학의 내부를 살펴보면 여러 지역에서 이루어진 문학 작품들을 발견할 수 있다. 지역 문학은
그 지역의 자연환경이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고 그 지역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정서와 사고를 담고
있어서 한국 문학을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만들어 준다. ▶ 지역 문학의 가치

한국 문학을 입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민족 문학’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한
민족 문학에는 분단 이후의 북한 문학과 재외 국민이 한국어로 창작한 작품이 포함되는데, 우리는 한
민족 문학을 통해 한국 문학의 다채로운 면모를 확인하고 통일 이후 한국 문학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도 생각해 보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특히 〈황진이〉 122쪽와 같은 북한 문학은 앞으로 다가올 통
일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서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북한 문학에 대한 이해는 남북 분단으로
초래된 이질감을 극복하는 바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한민족 문학의 가치

한국 문학의 변화를 통해 미래의 발전상을 상상해 보자.


미래의 한국 문학이 어떤 모습일지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 수
도 있지만, 새로운 매체의 등장에 따른 문학의 변화는 이미 나타나기 시작했
다. 문자로 기록되는 전통적 문학의 틀에서 벗어나서 디지털화한 새로운 문학
이 등장하고 있는 현재 상황을 통해 우리 문학이 나아가야 할 길을 짐작할 수
있다. 매체의 발달은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문학의 생산과 수용 방식
을 만들어 내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는 독자가 문학 활동에 보다 쉽게
다가갈 수 있게 해 준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이 적지 않다. 앞에서
〈나도 그들처럼〉 130쪽을 감상하면서 디지털화한 문학 작품의 향유
방식을 살펴보았는데, 우리는 이러한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더욱 능동적으로 문학 활동에 참여하는 자세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 한국 문학의 발전상

평가
점검 사항
상 중 하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를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이 단원에서 ▶ 교과서 119쪽 2번, 120쪽 3-⑵번, 127쪽 2번, 128쪽 3-⑵번 문제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점검해 보자. 한국 문학의 다양한 면모를 살펴보며 미래와 발전상을 탐구할 수 있다.
▶ 교과서 132쪽 2번, 133쪽 3번 문제

⑴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135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5 2019. 1. 8. 오후 10:36


외국인들 가운데 한국 영화를 즐겨 보는 사람이 적지 않다. 어떤 사람은 영화에

한국 나타난 한국의 역사나 문화가 흥미로워서, 어떤 사람은 영화 속에서 인류 보편의 정서

를 느끼기 때문에 즐겨 본다. 한국 문학도 이와 비슷하다. 한국 문학은 언어 예술


문학의 로서 문학이 지닌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 동시에 한국 문학은 고유한 역사적 전개 과정

보편성과 에서 형성된 특수성도 가지고 있다.

이 단원에서는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하고, 이를 통해

특수성 한국 문학을 넓고 깊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능력을 키우자.


스마트 수업 PPT
세 번째 질문 이끌기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하
여 얻을 수 있는 가치, 효용 등을 생각
해 볼 수 있는 질문이다. 외국 문학과
의 관계 속에서 한국 문학을 살펴볼 때
그 전통과 성격이 분명하게 드러나며
한국 문학에 대한 심화된 이해가 가능
함을 깨달을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세계 문학으로서 한국 문학
생각해 보자. 이해하는 것은 문학 작품
이 지닌 보편성을 파악한다.
소단원 도입 애니메이션 감상에 어떤 도움을 줄까?
특수성의 관점에서 한국 문
학과 외국 문학을 이해한다.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한국 문학과 외
국 문학을 감상한다. 문학의 보편성과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소단원 수업은 이렇게 특수성이란 무엇일까?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
이 단원은 한국 문학과 외국 문
학의 관련 양상에 대해 이해하고,
보편성과 특수성의 관점에서 한국 첫 번째 질문 이끌기
문학과 외국 문학을 이해하는 것 보편성과 특수성의 의미를 생각 두 번째 질문 이끌기
이 목표이다. 한국 문학은 물론 세 해 볼 수 있다. 사전적 의미를 먼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계 여러 나라의 문학은 각각 그 나 저 제시한 다음, 문학에서 보편성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볼
름의 발전 과정을 거쳐 왔으며, 각 과 특수성이 어떤 개념으로 사용 수 있다. 이때, 다른 나라의 문학과
국의 문학은 세계 문학에 두루 나 되는지 파악하도록 이끌어 줄 수 비교할 때 한국 문학의 특성이 잘
타나는 보편성과 자국의 문학에만 도 있다. 드러남을 안내한다.
나타나는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동일한 소재나 유사한 주
제 의식이 나타난 한국 문학과 외
국 문학 작품을 비교하여 감상하 이 단원에서는 
면서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
성을 이해하고, 문학 작품을 감상 1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감상하며 한국 문학의 특수성을 이해해 보자.
하는 데 균형 잡힌 시각을 형성할 ▶ 교과서 137쪽, 지도서 206쪽
수 있도록 지도한다. 2 〈 변신〉을 감상하며 문학의 보편성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143쪽, 지도서 214쪽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 교과서 150쪽, 지도서 205쪽

136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6 2019. 1. 8. 오후 10:36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일제 강점기의 국권 상실에 대한 울분과 그 회복에 대한 염
원이 잘 드러나 있는 시이다. 작가는 당대 현실을 상징하는‘빼앗긴 들’과
1
‘봄’ 등의 시어를 통해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을 드러내고 있으며,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국권 상실의 암담한 현실 인식을 보여 준
다. 특히, 자연의 섭리에 따라 봄은 왔지만 이와 달리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없었던 우리 민족의 현실을 답답해하는 화자의 울분이 잘 느껴진다.
따라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식민 지배의 역사적 상황을 바탕
으로 한국 문학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작품이다. 나
아가 식민지 상황을 바탕으로 한 다른 나라의 작품과 엮어 읽으며 문학의
보편성 측면을 이해할 수도 있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경험 관련 슬픈 상황에서 아름다운 풍경을 본 경험이 있나요?


질문의 예 그때 기분은 어떠했나요?

삽화 관련 교과서 137쪽의 삽화에 있는 사람은 어떤 상황에 있


질문의 예 나요? 그리고 어떤 생각을 할 수 있을까요?

배경지식 관련 1920년대에 우리 민족은 어떤 상황에 처해 있었나


질문의 예 요?

이상화 (1901~1943) 작가 동영상

시인. 초기에는 낭만적 경향의 작품을 주로 썼으나,


이후에는 현실에 대한 슬픔과 일제에 대한 저항 의식을
노래한 작품을 다수 창작했다. 주요 작품으로 〈나의 침
실로〉가 있다.

 언제 봄이 왔다고 느끼는가?
 봄을 맞은 들판을 보면 어떤 느낌이 들

까?

예시 답 ‘빼앗긴 들’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37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7 2019. 1. 8. 오후 10:36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봄을 맞은 국토를 소재로 국권 상실의 비극적 현실을 그려 낸 시이다.
한국 문학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개관
수업의 포인트 갈래 서정시 자유시
성격 상징적, 낭만적, 저항적
•시어의 상징적 의미 파악하기
•시적 화자의 정서와 태도 이해하기 주제 국권(국토) 상실의 비극적 현실
•작품을 통해 1920년대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징과 시대적 상황 파악하기 ① ‌대칭 구조를 통해 시적 화자의 의식과
태도의 변화 과정을 드러냄.
특징
② ‌향토적 소재를 사용하여 국권 회복의
염원을 서정적으로 그리고 있음.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이상화


작품 감상 애니메이션 참고 동영상 - 잡지 《개벽》

작품 감상 음성

질문 지금은 남의 땅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들을 빼앗긴 현실 인식


국권을 빼앗긴 상황 국토 ① ‘봄’이라는 계절을 가리킴.
‘질문 - 대답’ 형식의 수미상관 구성
② ‘조국의 광복’을 의미함.
지금은 남의 땅 — 빼앗긴
1연
들에도 봄은 오는가?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그러나 지금은 — 들을 빼
11연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희망의 세계, 자유로운 공간, 광복을 이룬 조국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 아름다운 봄 경치에 이끌림.
•시적 의미를 강조함. 좁고 길게 난 논길을 가르마에 황홀한 심정
•시적 안정감을 형성함. 비유함.(향토적 시어)
효과
•리듬감을 형성함.
•여운을 남겨 감동을 줌.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
국권을 빼앗긴 현실에 대한 답답한 심정을 표출함.
내 맘에는 내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다워라 말을 해 다오. ▶ 침묵하는 조국에 대한 답답함.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
시어의 상징적 의미 싱그러운 봄바람이 불어옴.(의인법)
한 자국도 섰지 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빼앗긴 들 봄
일제에 빼앗긴 국
광복, 국권을 회복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에 아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토, 일제에 국권을 대조 종다리를 순박하고 친밀한 이미지인 ‘아씨’에 빗대고 의인화하여 표현함.
한 조국
상실한 조국

일제 강점기 민족의 현실에 대한 절망감과 서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변함 없는 대지의 생명력에 대한 고마움.(의인법)
러움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땅에 생기를 주기 때문에 ‘곱다’고 표현함.
너는 삼단 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
국토에 대한 애정을 여성적 이미지로 나타냄. 자연에 동화된 시적 화자

구조상의 특징

1연 질문과 대답 11연

답다워라 ‘답답하다’의 방언. 2연 같은 형태, 대칭 구조 10연

삼단 삼을 묶은 단.
3연 같은 형태, 대칭 구조 9연

138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8 2019. 1. 8. 오후 10:36


표현상의 특징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국토의 일부분인 ‘들’로 국토 전체


  대유법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를 비유함.

서로 모순되는 표현으로 시적 화자
‘푸른 웃음 푸른 설움’   역설법
의 복합적인 심리를 드러냄.

혼자라도 가쁘게나 가자
민족이 다 함께 가지 못하지만 혼자라도 기꺼이 광복을 위해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표출함.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마른 논에 물을 공급해 주기 때문에 ‘착하다’고 표현함.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도랑이 흐르는 소리와 모습을 표현함. ▶ 봄을 맞이한 국토의 활기찬 모습

나비 제비야 깝치지 마라
맨드라미 들마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기름을 바른 이가 지심매던 그 들이라 다 보고 싶다.
전통적인 한국 여인의 이미지 국토에 대한 애정

내 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살찐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
국토의 풍요로움을 모성적 이미지로 나타냄.
발목이 시도록 밟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 국토에 대한 애정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
앞에 시련이 있는지 없는지 알지 못하는 아이에 시적 화자를 비유함.
짬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아
현재의 상황이나 형편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우스웁다 답을 하려무나. ▶ 현실에 대한 재인식
식민지 현실에 대한 허탈감으로 인한 자조적인 웃음

┌하루 종일 봄의 들판을 다녀서 국토의 자연과 동화됨.


나는 온몸에 풋내를 띠고
국권 상실의 비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 「」 : 모순된 감정이 복합적으로 제시됨.(역설법)
봄이 온 들판에서 느끼는 즐거움(청각의 시각화)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지폈나 보다. ▶ 감정의 혼란
정서적 불균형으로 인한 내면의 갈등을 봄 신령에게 홀렸나 보다.
동작으로 형상화함.

대답 그러나 지금은 —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 절망적 현실 인식


□: 시상의 전환

작품 구성 제재 정리
1연 들을 빼앗긴 현실 인식
2연 아름다운 봄 경치에 이끌림.
깝치다 ‘재촉하다’의 방언.
3연 침묵하는 조국에 대한 답답함.
지심매다 ‘김매다’의 방언. 논밭
4~6연 봄을 맞이한 국토의 활기찬 모습
7~8연 국토에 대한 애정 의 잡풀을 뽑아내다.
9연 현실에 대한 재인식
10연 감정의 혼란
11연 절망적 현실 인식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39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39 2019. 1. 8. 오후 10:36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서   세네갈의 시 〈아프리카〉와 〈빼앗긴
한국 문학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빼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과 시적 화자 들에도 봄은 오는가〉의 공통적인 문
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감상하기
의 정서 및 어조 파악하기 제의식 생각해 보기

1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시적 화자는 지금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자.


활동 1 지도 방안
작품에 나타난 시적 상황과 예시 답 시적 화자는 봄을 맞이했으나 지금은 남의 땅이 된 빼앗긴 들을 걷고 있다.
그에 대한 시적 화자의 정서나
태도 등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⑵ 다음 부분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감정을 정리해 보자.
시구를 중심으로 해당 내용을
짐작할 수 있도록 하고, 제시된 5연 시적 화자의 심리 상태
글을 통해 이 작품의 1연과 11연
은 각각 질문과 대답에 해당하
며 그 사이의 아홉 개 연은 질문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에서 대답에 이르는 과정에 해
당함을 인식하도록 이끌어 준다.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예시 답 봄에 잘 자란 보리밭을 애정 어린 눈으로
바라보며 자연(국토)에 감사의 마음을 느끼고 동화
너는 삼단 같은 머리를 감았구나 내 되고 있다.

머리조차 가뿐하다.

10연

나는 온몸에 풋내를 띠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
예시 답 봄이 찾아온 조국의 들판에서 느끼는 즐거
로 움, 기쁨, 애정과 남의 땅이 된 조국의 상황에서 느
끼는 슬픔과 안타까움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지폈나 보다.

⑶ 다음 설명을 참고하여 이 작품의 1연과 11연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어조와 정서를 비교


이 시의 1연과 11연은 각각
해 보자.
질문과 대답의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있는 아홉 개
의 연은 이러한 대답에 도달하 이 시는 시적 화자가 식민지의 고통스럽고 답답한 현실에서 출발하여 평화로운 자
기까지의 각성의 과정을 노래하
고 있다.
연으로 깊이 들어갔다가 다시 현실로 돌아오는 순환적인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화자에게 현실을 잊기 위해 들어간 자연 역시 부정적인 현실의 일부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하고, 자연에서 현실로 돌아올 때 더욱 뚜렷하게 현실을 인식하
게 하는 효과를 준다.

1연 11연
예시 답 깊고 처절해진 재인식 차원의 단정적
예시 답 단순히 인식하는 차원의 담담한 어조 어조
어조

예시 답 조국의 봄 들판에서 느낀 아름다움과


예시 답 봄 들판에서 빼앗긴 조국의 현실을 인
정서 즐거움, 애정 등이 깊으므로 국권 상실의 슬픔을
식하는 차원에서 안타까워하고 있다.
더욱 깊고 처절하게 느끼고 있다.

140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40 2019. 1. 8. 오후 10:36


각 나라의 문학은 저마
2 한국 문학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시구에서 파악할 수 있는 1920년대 한국 문화의 특징을 정리해 보자.


다 고유한 색깔을 가지고 있지?
그 나라 문학의 특수성은 고유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한 문화에서 나오는 거야. 예시 답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논농사를 짓고 있음.
활동 2 지도 방안 •자연(국토)에 대한 애정이 있음.
문학의 특수성에 관한 개념
•아주까리기름을 바른 이가 지심매던 그 •전통적 여인들이 농사에 참여함.
과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들이라 •직접 노동을 하며 살고자 함.
가 창작된 1920년대 한국의 사
회·문화적 상황을 이해한 다음 •내 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구체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⑵ 이 작품은 일제 강점기의 현실에 대한 작가의 인식을 담고 있다. 이에 유의하여 다음 시


어의 상징적 의미를 알아보자.

빼앗긴 들 예시 답 일제에 빼앗긴 국토, 일제에 주권을 상실한 조국

봄 예시 답 조국의 광복

⑶ 다음은 이 작품이 발표된 잡지의 편집 후기이다. 이를 참고하여 이 잡지가 압수당한 까닭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은 무엇일지 생각해 보자.
가 수록된 《개벽》 제70호는 순
종의 장례 날짜(6월 10일)와 시
기적으로 겹쳤다. 그래서 제70 빼앗긴 농토에 곡물 잘된 것을 자랑한들 무슨 소용이 있으랴마는, 전월분 ‘조선 500
호는 민족주의적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기사를 대거 실었다.
년 대관(大觀)호’는 참으로 만천하 독자의 대환영을 받았었다. 그러나 발행한 지 수일
만에 당국의 압수를 당하고, 연속하여 호외를 발행하다가 또 압수를 당하고, 이후 호
외의 호외까지 연달아 세 차례나 압수를 당하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시기도 늦어지고
7월호 편집도 바쁘게 되어 제3차 호외 발행은 유감이나마 부득이 중지하게 되었다.
- 《개벽》 제71호에서

호외(號外) 특별한 일이 있을 때에 임시로 발행하는 신문이나 잡지.

예시 답 《개벽》에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같이 일제의 국권 강탈을 비판하고 조선


인의 독립사상을 높이는 작품, 또는 각종 기사가 실렸기 때문에 압수당했을 것이다.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41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41 2019. 1. 8. 오후 10:36


활동 3 지도 방안
외국 문학과의 비교를 통해
문학의 보편성을 이해하는 활동

3
이다. 식민지 현실이라는 공통 다음은 세네갈 시인 다비드 디오프의 작품인 〈아프리카〉이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된 배경을 가진 두 작품의 문제
의식 및 가치를 생각해 보도록 와 비교하면서 감상하고, 공통적인 문제의식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지도한다. 예시 답 〈아프리카〉는 식민지 아프리카의 참상을 고발하며 아프리카의 미래에 대한 확신을,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국권 상실에 대한 비애와 광복에 대한 열망을 노래하고 있다. 따라서 두 작품은 식민지 조국의 현실 속에
〈아프리카〉는 흑인 문화의 서 밝은 미래(광복)의 염원이라는 문제의식을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부심을 알리고자 했던 ‘네그리 아프리카, 나의 아프리카여
튀드 운동’의 일환으로 창작된 시적 대상
대대로 살아온 대초원에서 늠름하게 싸우던 전사들의 아프리카여
1950년대 작품이다. ‘네그리튀 과거의 아프리카
드 운동’은 프랑스의 식민 정치 내 할머니가 머나먼 강가 둑에 앉아
와 동화 정책에 반발하면서 아
노래 부르던 아프리카
프리카의 전통과 아프리카인의
존엄성을 중요시하는 정치적 문 나는 그대를 알지 못하지만
학 운동이다. 내 핏줄 속에 그대의 피가 흐른다
밭을 적시는 그대의 아름다운 검은 피
작품 개관
갈래 현대시, 서정시
그 피는 땀의 피
저항적, 사회 고발적, 그 땀은 노역의 땀
성격
의지적
제재 식민지 아프리카 그 노역은 노예의 삶
식민지 아프리카의 아프리카의 현실
주제 참상 고발과 미래에 아프리카여, 말해 다오, 아프리카여
대한 염원
저것이 굽힐 줄 모르는 그대의 등인가
① ‌반복과 대구를 통
해 운율을 형성함. 굴욕의 무게에도 꺾일 줄 모르는
② ‌감각적 심상으로
특징 「붉은 흉터들로 몸을 떨면서도 「」 : 시각, 촉각 등의 이미지로 식민지 노예의 삶을 그림.
식민지 아프리카
현실을 구체적으
로 형상화함. 한낮에 내리치는 채찍에도 굴복하지 않는 저 등이?」
엄숙한 목소리가 대답한다
성급한 아이야, 저 나무, 저기 서 있는
젊고 강한 저 나무가
문학은 특수성과 함께
보편성도 가지고 있어. 〈아프리 창백하게 시든 꽃들 사이에 홀로 눈부시게 서 있는
카〉에는 이 지역의 특수한 역사 저 나무가 새롭게 태어나는 너의 아프리카란다
적 상황을 바탕으로 인간이라 아프리카의 긍정적 미래 확신
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보편적 끈기 있게, 고집스럽게 자라는
인 가치가 드러나 있어. 열매에 조금씩
자유의 쓰라린 맛이 배어드는 저 나무가
- 다비드 디오프, 〈아프리카〉

01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예시 답 비극적인 시대적 상황과 아름다운 봄날이 대비된 이 시를 통해 당시에 우리 선조들이 느꼈을 서러움과 울분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었어.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이 작품은 이상화의 초기 시로, 각 연의
첫 행마다 ‘마돈나’를 반복하여 대상에 대
나의 책방 키우기 이상화의
한 다양한 해석을 가능케 하고 문장 부호
〈나의 침실로〉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이상화의 〈나의 침실로〉 나 단어의 배열을 활용하여 시를 읽는 속
도를 다채롭게 구성하였음을 안내한다.
시대적 배경이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심훈의 〈그날이 오면〉 이 작품은 광복을 기다리는 간절한 마음
과 그 광복을 맞이했을 때의 기쁨과 환희
심훈의
를 담아 낸 시이다. 격정적 어조와 과장된
142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그날이 오면>
표현으로 조국 광복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음을 안내한다.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42 2019. 1. 8. 오후 10:36


2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주인공이 갑자기 흉측한 한 마리 벌레로 변하는 사건을 통
해 현대 사회 속 인간이 겪고 있는 소외 의식을 극단적으로 형상화한 소
설이다. 이 작품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변신 모티프는 현대 문명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인식을 고조하는 역할을 한다. 작품 속 인물이 다른 존재
로 변하는 변신 모티프는 일종의 문학적 장치로, 한국 문학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변신〉의 감상을 통해 문학의 보편적인 특성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하룻밤 사이에 다른 존재로 ‘변신’한다면 어떤 기분


질문의 예 이 들까요?

삽화 관련
교과서 143쪽 삽화 속 남자는 무엇으로 변했을까요?
질문의 예

경험 관련
현대 사회를 비판하는 작품을 읽은 경험이 있나요?
질문의 예

프란츠 카프카 (Franz Kafka, 1883~1924) 작가 동영상

독일의 작가. 인간 운명의 부조리, 인간 존재의 불안을


통찰하여 현대 인간의 실존적 체험을 극한에 이르도록
표현하였다. 이 때문에 실존주의 문학의 선구자로 높이
평가받는다. 주요 작품으로 〈성〉, 〈심판〉 등이 있다.

 변신이 가능하다면 무엇이 되고 싶은가?


 만약 벌레로 변신한 나의 모습을 사람들

이 본다면 어떻게 생각할까?



예시 답 현대인이 겪고 있는 문제에는 어떤 것들

이 있을까?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43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43 2019. 1. 8. 오후 10:36


〈변신〉은 주인공이 벌레로 변하는 기이한 사건을 통해 인간의 불안과 소외를 그린 소설이다. 작품 개관
문학의 보편성을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갈래 현대 소설, 실존주의 소설
성격 비판적, 우의적, 상징적
수업의 포인트
현대인의 소외 의식, 소통이 단절된 부조리
주제
•변신 전과 후 주인공의 삶에 나타난 변화 파악하기 한삶
•변신으로 시작하여 죽음으로 끝나는 구성상의 특징 이해하기 ① ‌비현실적 상황 설정을 통해 현실적인
•주인공의 변신이 의미하는 것과 변신 모티프의 사용 효과 이해하기 특징 문제를 비판함.
② 냉정하고 사실적인 문체를 사용함.

변신 | 프란츠 카프카 지음, 홍성광 옮김


작품 줄거리 애니메이션

작품 줄거리 음성

변신한 그레고르의 모습을 상 어느 날 아침 뒤숭숭한 꿈에서 깨어난 그레고르 잠자는 자신이 침대에서 흉측
상해 보자. 주인공의 변신으로 시작되는 이야기
예시 답 등은 딱딱하고 배는 활 한 모습의 한 마리 갑충으로 변한 것을 알아차렸다. 「그는 철갑처럼 딱딱한 등을
모양의 단단한 각질로 나누어져
있어 불룩하다. 몸에 비하면 턱 대고 침대에 누워 있었다. 머리를 약간 들어 보니 아치형의 각질 부분들로 나누
없이 가느다란 다리가 여러 개 활과 같은 곡선으로 된 형태나 형식
붙어 있다. 어진, 불룩하게 솟은 갈색의 배가 보였다. 금방이라도 주르르 흘러내릴 것 같은 5

이불은 배의 높은 부위에 가까스로 걸쳐 있었다. 몸뚱이에 비해 애처로울 정도


시점상 특징
이 작품은 3인칭 전지적 시점 로 가느다란 수많은 다리들은 그의 눈앞에서 어른거리며 하릴없이 버둥거리고
을 취하고 있다. 하지만 주인공 「」 : 갑충(벌레)으로
‌ 변한 그레고르의
인 그레고르의 내면이 독백 형 있었다.」 모습 → 현실 속에서 소외되고 ▶ 갑충(벌레)으로 변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는 그레고르
식으로 자주 나타나며, 그레고 고립된 현대인을 상징함.
르가 죽은 이야기를 제외하고 “나에게 대체 무슨 일이 생긴 걸까?”
다른 인물의 행동은 주인공인
그레고르가 보고 들은 대로 제 그는 생각했다. 이게 꿈은 아니었다. 좀 작기는 해도 사람이 살기에 손색이 없 10
시하고 있다. 즉, 그레고르에 초
점을 맞추어 서술되고 있다. 는 그의 방은 낯익은 사면의 벽에 조용히 둘러싸여 있었다. 풀어 헤쳐 놓은 옷감
견본 모음집이 펼쳐져 있는 탁자 위에는 — 잠자는 출장 영업 사원이었다 — 그
그레고르의 직업
가 얼마 전에 그림이 많이 들어 있는 잡지에서 오려 내 아기자기한 금박 액자에
끼워 넣은 그림이 놓여 있었다. 그림에는 모피 모자를 쓰고 모피 목도리를 두른
자본주의 사회에서 부를 축적한 계층의 모습
숙녀가 반듯한 자세로 앉아 있었다. 그녀는 그림을 보는 사람을 향해 팔뚝을 온 15

통 가리는 묵직한 모피 토시를 들어 보이고 있었다.


추위를 막기 위하여 팔뚝에 끼는 것
그러고 나서 그레고르는 창문 쪽으로 눈길을 돌렸다. 그런데 우중충한 날씨에
그의 기분은 더할 나위 없이 울적해졌다. 창문의 함석판을 후드득 두들기는 빗
우울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그레고르가 처한 상황을 암울하게 느끼게 함.
갑충(甲蟲) 딱정벌레 종류의 곤 방울 소리가 들려왔다. ‘잠을 약간 더 자서 이런 말도 안 되는 상황을 죄다 잊어
충을 통틀어 이르는 말. 온몸이 자신이 벌레로 변한 상황
단단한 껍데기로 싸여 있고 앞 버리는 게 어떨까?’ 하고 그는 생각했으나 이는 도저히 실행할 수 없는 일이었 20

날개가 단단함.
다. 그는 오른쪽으로 누워 자는 버릇이 있었지만 지금의 상태로는 그런 자세로
하릴없다 달리 어떻게 할 도리
가 없다. 누울 수 없었기 때문이다. 몸을 오른쪽으로 돌리려고 아무리 뒤척여 보아도 번
변신으로 시작되는 이야기

144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주인공이 벌레로 변신한 원인이나 과 독자의 관심을 끌며 호기심을 유발하
정 등에 대한 별다른 설명 없이 변신  고, 비인간적인 상황이 만연하여 일상
이 일어난 순간 사건이 시작됨. 적으로 일어나는 현대 사회를 암시함.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44 2019. 1. 8. 오후 10:36


번이 흔들거리며 등을 바닥에 대고 누운 자세로 되돌아올 뿐이었다. 그는 한 백
번쯤 그런 일을 시도해 보았고, 멋대로 버둥거리는 다리들을 보지 않으려고 두
눈을 꼭 감았다. 그러다가 지금껏 느껴 보지 못한 가볍고 뻐근한 통증을 옆구리
제목 ‘변신’의 상징성
에서 느끼기 시작했을 때야 비로소 그러기를 그만두었다.
인간(변신 전) 벌레(변신 후)
5 ‘아아, 원 세상에.’ 그레고르는 가족 그레고르는 쓸모
의 생계를 책임지 없는 존재가 되어

그는 생각했다. 며 정상적인 가족 가족으로부터 소
관계를 유지함. 외되고 구박받음.
‘어쩌다가 이런 고달픈 직업을 택했단 말인가! 날이면 날마다 여행이나 다녀야 

하다니.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것보다 업무상 스트레스가 훨씬 더 심하다. 게 제목 ‘변신’의 상징성


그레고르의 직업 특성 ① 인간 소외, 인간성 상실, 외부
다가 여행하다 보면 골치 아픈 일들이 한두 가지가 아니야. 기차를 제대로 갈 세계로부터의 도피, 인간의 부
조리한 현실 세계 등을 나타냄.
10 아타려고 신경 써야 하는 일, 불규칙하고 형편없는 식사, 상대가 늘 바뀌는 탓
그레고르의 직업 특성 ②
에 결코 지속될 수도 없고 진실해질 수도 없는 만남 따위들. 이 모든 것을 왜
악마가 잡아가지 않는지 모르겠다!’
그는 배 위쪽이 약간 가려운 것을 느꼈다. 머리를 더 잘 쳐들 수 있도록 그는 등으
로 몸을 밀면서 느릿느릿 침대 기둥 쪽으로 더 가까이 다가갔다. 그는 근질거리는 부
15 위를 발견했다. 그곳에는 뭔지 알 수 없는 깨알같이 작은 흰 반점들이 나 있었다. 그
래서 그는 다리 하나를 내밀어 그 부위를 건드려 보려고 했지만, 이내 다리를 움츠
리고 말았다. 다리가 그곳에 닿자마자 온몸에 오싹하는 소름이 돋았기 때문이다.
▶ 벌레가 된 자신의 몸을 움직여 보는 그레고르
그는 미끄러지며 다시 이전 자세로 되돌아갔다.
‘이렇게 일찍 일어나니.’
20 그는 생각에 잠겼다.
‘사람이 아주 멍청해진단 말이야. 잘 만큼 푹 자야 하는데. 다른 출장 영업 사원들 예시 답 그레고르는 다른 출장
영업 사원들처럼 게으르게 행동
은 하렘의 여자들처럼 살고 있지 않은가. 가령 주문 받은 물건을 장부에 기입하 하고 싶지만 그러지 못했다. 그
그레고르는 다른 영업 사원들처럼 여유 있게 일하지 못함. 의 부모님에게는 빚이 있어서 이
려고 오전 중에 여관에 돌아와 보면 그 작자들은 그제야 일어나 앉아 아침을 들 를 갚기 위해서는 경제 활동을
계속해야 하기 때문이다.
고 있지 않은가. 만일 내가 사장 앞에서 그러다간 당장 쫓겨나고 말 거야. 하기야 그레고르가 일을 그만두지 못
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25 그러는 편이 나에게는 훨씬 더 나을지도 모르지. 그동안 부모를 생각해서 꾹 참
아 왔지만 그렇지 않았더라면 진작 사표를 던지고, 사장 앞으로 걸어 나가 가슴
에 묻어 두었던 생각을 그에게 다 털어놓았을지도 몰라. 그랬다면 사장은 틀림없
이 책상에서 굴러떨어졌을 거야! 책상 위에 걸터앉아 아래를 내려다보며 직원에 하렘(harem) 이슬람 국가에서
부인들이 거처하는 방. 가까운
게 말하는 꼬락서니는 참 별나기도 하지. 게다가 사장은 귀가 어두워 직원들은
친척 이외의 일반 남자들의 출
30 그에게 바짝 다가가서 말해야 해. 그렇다고 아직 희망을 완전히 접은 것은 아니 입이 금지된 장소.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45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45 2019. 1. 8. 오후 10:36


그레고르 가족의 모습에 반영 야. 언젠가 내가 돈을 제법 모아 부모님이 진 빚을 다 갚게 되면 — 아직 한 5,
된 시대상 그레고르가 영업 사원 일을 그만두지 못하는 이유 →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고 있음.
그레고르 가족의 모습 6년 걸리겠지 — 꼭 그렇게 하고 말 거야. 그러면 일생일대의 전기가 마련되겠
•가족을 부양하던 그레고르가
벌레로 변하여 경제력을 상 지. 다섯 시면 기차가 떠나니까 지금 당장은 물론 일어나는 일이 급선무야.’
실하게 되자, 가족들이 그레 직장으로 가는 기차가 떠나는 시각 무엇보다도 먼저 서둘러 해야 할 일
고르를 냉담하게 대함. ▶ 직장에 가기 위해 침대에서 일어나려고 하지만 실패하는 그레고르
•그레고르로 인해 하숙 운영
이 어렵게 되자 가족들은 그 중략 부분 줄거리
를 없애야 할 골칫거리로 생
각함. 그레고르가 기차를 놓치자 가족과 직장 상사가 그레고르의 방에 찾아오지만, 벌레로 변한 그레고르 5


는 쉽게 밖으로 나오지 못한다. 이후 그레고르의 모습을 본 가족들은 크게 놀라고 그레고르는 방에서만
시대상
가족과 사회는 더 이상 따뜻 생활한다. 어머니는 그레고르를 동정하면서도 가까이 다가가지 못하지만, 누이동생은 연민을 느끼며
한 공동체의 공간이 아니며,
음식을 가져다준다. 그레고르는 가족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노력하나 의사소통이 되지 않아 어려움을
필요에 따라 인간도 도구로
여길 수 있는 계약적인 관계 느낀다. 그레고르를 혐오하던 아버지는 그에게 사과를 던져 큰 상처를 입히기까지 한다.
로 바뀌었음을 나타냄.
가족을 부양하던 그레고르가 경제력을 상실하자 가족들은 생계에 어려움을 느낀다. 그래서 가족들 10

은 직업을 구하고 하숙을 하며 살아갈 길을 모색한다. 하숙을 운영하던 중, 하숙인들이 그레고르의 존

재를 알게 되고 그들은 화를 내며 나가 버린다. 이 때문에 가족들은 그레고르를 원망한다.


가족으로부터 점점 소외당함.

그레고르를 ‘저것’이라고 부른 “우린 이제 저것에서 벗어나야 해요.”


여동생의 심리를 말해 보자. 그레고르를 가리킴. → 가족의 일원으로 대하지 않음.
예시 답 여동생은 그레고르를 오 여동생은 이제 아버지에게만 말했다. 어머니는 기침을 하느라 아무 소리도 듣
빠라 하지 않고 ‘저 사람’을 낮잡
아 이르는 대명사 ‘저것’을 사용 지 못했기 때문이다. 15
하여 부르고 있다. 이로 보아 여
동생은 벌레로 변한 그레고르를 “저것 때문에 두 분이 돌아가시고 말 거예요. 그럴 게 뻔해요. 우리 모두가 이
더 이상 자신의 가족으로 생각하
지 않고 심리적 부담만 주는 골 처럼 힘들게 일해야 하는 처지에 집에서마저 이처럼 끝없이 괴롭힘을 당한다
칫거리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그레고르를 냉대하는 이유 - 생계에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있다.
는 건 도저히 참을 수 없어요. 저도 더는 참을 수 없단 말이에요.”
그러고선 어찌나 격렬하게 울음을 터뜨렸는지 여동생의 눈물이 어머니의 얼
굴 위로 주르르 흘러내렸다. 그러자 어머니는 기계적으로 손을 움직이며 자신의 20
전기(轉機) 전환점이 되는 기회
나 시기. 얼굴에서 눈물을 닦아 내렸다. ▶ 그레고르를 ‘저것’이라고 부르며 내쫓으려는 여동생

“얘야!”
아버지의 목소리에는 동정심과 눈에 띌 정도로 확연한
그레고르와 여동생을 다르게 대하는 아버지의 모습
이해심이 담겨 있었다.

146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indd 146 2019. 8. 21. 오후 1:44


“그럼 우리 어떡하면 좋겠니?” 변신 모티프의 사용 효과
벌레로 변한 주인공을 냉대하
그러나 여동생은 자신도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는 표시로 그저 어깨만 으쓱할 는 가족들의 모습을 사실적으
로 그림.
뿐이었다. 이제 눈물을 흘리는 동안 그녀는 이전의 자신만만하던 태도는 온데간 
‘현대 사회에서의 인간관계 단
데없이 그처럼 난감한 심정이 되었던 것이다. 절과 소외’라는 작품의 주제 의
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함.
5 “만일 저 애가 우리 말을 알아듣는다면…….”
아버지가 반쯤은 묻는 듯한 어조로 말하자, 여동생은 울다가 말고 그런 일은
아예 생각조차 할 수도 없다는 듯 손을 격렬하게 내저었다.
“만일 저 애가 우리 말을 알아듣는다면 말이다.”
아버지는 또 한 번 같은 말을 되풀이하고는, 그런 일은 말도 안 된다는 여동생
10 의 확신을 자신도 받아들인다는 뜻으로 두 눈을 지그시 감았다.
그레고르에게 나가 달라고 말하고 싶은 아버지
“그렇다면 저 애와 합의를 볼 수도 있을 텐데 말이다. 그런데 저렇게…….”
▶ 여동생을 이해하며 그레고르를 쫓아내고 싶어 하는 아버지
“내쫓아야 해요!”
여동생이 소리쳤다.
“그렇게 하는 수밖에 없어요, 아버지. 저게 오빠라는 생각을 버려야 해요. 우 여동생의 비난을 듣는 그레고
르의 심정을 짐작해 보자.
15 리가 오랫동안 그렇게 생각해 왔다는 게 바로 우리의 진짜 불행이에요. 하지 예시 답 그레고르는 그동안 가족
을 위해 희생했고 벌레로 변했을
만 저게 어떻게 오빠일 수 있겠어요? 저게 오빠라면 인간이 자기 같은 짐승과 때도 가족을 생각하며 삶을 포기
하지 않고 견뎠다. 그런데 그레
같이 살 수 없다는 걸 알아차리고 진작 제 발로 나갔을 거예요. 그랬다면 우리 고르가 가족 중에서도 가장 아꼈
던 여동생에게서 자신을 내쫓아
곁에 오빠는 없지만 우리는 살아가면서 계속 오빠에 대한 추억을 소중히 간직 야 한다는 말을 듣는다면 큰 충
격을 받았을 것이며 비참한 심정
할 수 있을 텐데요. 그런데 저 짐승은 우리를 쫓아다니며 못살게 굴고 하숙인 이 들었을 것이다.

20 들을 쫓아내면서, 이 집을 온통 독차지하고 들어앉아 우리를 길거리에 나앉게


하려는 게 분명해요. 저것 좀 보세요, 아버지!”
여동생이 갑자기 비명을 질렀다.
“또 시작이에요!” 작품 구성
가족을 위해 출장 영업 사원으로
그러고서 여동생은 그레고르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공포에 사로잡혀 발단 일하던 그레고르는 어느 날 아침,
자신이 벌레로 변한 것을 발견함.
25 어머니마저 내버리고, 단호히 안락의자를 밀치고 일어나서는 아버지 뒤쪽으로 그레고르는 가족들에 대한 애정을
전개 유지하려 하나, 가족들은 벌레로
황급히 달려갔다. ▶ 갑충(벌레)으로 변한 그레고르에게 공포심을 느끼는 여동생 변한 그의 말을 이해하지 못함.
그레고르는 가족을 위한 자신의 희
위기
생이 헛된 것이었음을 깨닫게 됨.
열등감, 불면 등으로 고통당하던
뒷부분 줄거리 절정 그레고르는 아버지가 던진 사과에
상처를 입은 채 방에 갇혀 죽게 됨.
날이 갈수록 상처가 깊어지던 그레고르는 음식을 거부하며 쓸쓸히 죽음을 맞이한다. 가족들은 골칫 가족들은 평온을 되찾고 교외로 산
결말
거리가 사라졌다며 평온함을 느끼고 앞으로의 삶을 계획한다. 책을 나감.
인간성을 상실한 가족의 모습 제재 정리
※ 교과서 수록 부분은 ‘발단’과 ‘전개’에 해당함.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47

고등문학(114~155)3단원(교).indd 147 2019. 8. 21. 오후 1:44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변신〉에서 주인공의 직업적 특징,  〈변신〉에서 모티프가 사용된 이유를  보편성을 갖춘 한국 문학 작품을 선
변화와 그 결과, 가족이 주인공에게 파악하고 또 다른 작품을 통해 변신 정하여 외국인에게 소개하는 글 쓰
냉담한 이유 알아보기 모티프의 기능 파악하기 기

1 〈변신〉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서 그레고르의 직업이 지닌 특징을 말해 보자.


예시 답 그레고르의 직업은 출장 영업 사원으로, 그에 따르면 매일 출장(여행)을 다녀야 해서 신경 써야 할 일이 많
다. 또한 불규칙하고 형편없는 식사를 하며 지속될 수 없고 진실해질 수도 없는 만남을 하기 때문에 업무상 스트레
그레고르의 직업은 출장 영업
스가 심하다.
사원이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
의 단면을 드러내는 요소로 해
석되기도 한다. ⑵ 그레고르에게 일어난 변화가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활동 1 지도 방안
주인공의 직업과 그 특징, 주 그레고르의 변신 그 결과
인공이 처한 상황, 그에 대한 가
족들의 태도 등을 알아보면서 예시 답 어느 날 아침, 흉측한 한 마리의 갑충으 예시 답 •밖으로 쉽게 나오지 못하고 방에서만
소설의 주요 내용을 알아보는 로 변함. 생활함.
활동이다. 그레고르가 자기 직 •가족들과 의사소통이 되지 않아 어려움을 느낌.
업에 대해 언급한 부분을 중심 •가족들은 생계의 어려움을 느껴 하숙을 운영함.
으로 ‘출장 영업 사원’이 어떻게 •그레고르를 동정하고 연민하던 가족들은 차츰
그려지고 있는지 살펴보게 한 그를 원망하고 비난하게 됨.
다. •아버지가 입힌 상처가 깊어지고, 음식을 거부하
며 쓸쓸한 죽음을 맞이함.

⑶ 이 작품에서 가족들이 그레고르를 냉담하게 대하는 까닭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예시 답 가족을 부양하던 그레고르가 벌레로 변하여 경제력을 상실하게 되자 가족들은 생계의 어려움을 느낀다. 더
구나 생계를 위한 하숙 운영이 그레고르로 인해 어렵게 되자 가족들은 그를 없애야 할 골칫거리로 생각한다. 이처
럼 그레고르는 벌레로 변하여 쓸모없는 존재가 되었기 때문에 가족들은 그를 냉담하게 대한다.

2 다음은 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변신 모티프’에 관한 설명이다. 글을 읽고, 문학의 보편성에 주


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모티프(motif)는 예술 작품을 문학 작품에서 변신 모티프는 세계의 여러 나라 작가들이 즐겨 사용하는 보편적 장


표현하는 동기가 된 작가의 중
치이다. 이러한 문학적 장치가 널리 사용되는 까닭은 무엇일까? 우선, 작가들은 내용
심 사상을 의미한다.
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변신 모티프를 즐겨 구사한다. 다음으로, 작가들은 현
활동 2 지도 방안
〈변신〉과 한국 문학 작품에 실을 성찰하여 얻은 사유를 전달하고 상징적 장치로써 변신 모티프를 활용하기도 한
사용된 ‘변신 모티프’를 통해 문
다. 마지막으로, 이야기의 극적인 재미나 독자에게 흥미를 주어 재미있게 읽게 하려고
학의 보편성을 이해하는 활동이
다. 성실했던 출장 영업 사원이 변신 모티프를 사용한다.
흉측한 벌레로 변하고 가족과
단절되는 이야기를 통해 작가가
전달하려는 것은 무엇인지 현대
자본주의의 특성과 연관 지어
생각해 보게 한다. ⑴ 작가가 이 작품의 중요한 문학적 장치로 ‘변신 모티프’를 사용한 까닭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벌레가 된 그레고르가 의사소통을 할 수 없고 가족을 부양하지 못하게 되자 가족들은 그를 구박하고 소외
시킨다. 그레고르가 쓸쓸한 죽음을 맞이하였을 때는 평온함을 느끼기까지 한다. 이로 보아 작가는 현대 사회에서 인
간관계 단절과 소외라는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변신 모티프’라는 문학적 장치를 사용하였다.

148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indd 148 2019. 8. 21. 오후 1:45


⑵ 모둠별로 변신 모티프가 사용된 한국 문학 작품을 찾아보고, 그 글에서 변신 모티프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이야기해 보자.
변신 모티프의 보편성과 역할
변신 모티프는 세계의 여러
나라 작가들이 즐겨 사용하는
보편적 장치임.
작품 작품
예시 답 작자 미상, 〈박씨전〉
작품
예시 답 작자 미상, 〈옹고집전〉
 예시 답 작자 미상, 〈금방울전〉
•변신이라는 상징적 장치를
변신 모티프의 기능 변신 모티프의 기능
통해 현실에 대한 성찰을 드 변신 모티프의 기능
러냄.
예시 답 추녀인 박씨는 외로이 지 예시 답 금방울로 태어난 금령은 예시 답 허수아비가 가짜 옹고집
•이야기의 극적인 재미를 통
내다가 허물을 벗고 미녀로 변하 요괴를 물리치고 액운을 다한 뒤, 으로 변신하여 인색한 진짜 옹고
해 독자의 흥미를 유발함.
면서 병자호란의 영웅으로 활약하 허물을 벗고 절세미인이 되어 해 집과 다투는 과정을 보여 주는데,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효과
게 된다. 여기서 ‘변신 모티프’는 룡과 사랑을 이룬다. 여기서 ‘방울’ 이를 통해 불교의 인과응보 사상
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
통과 의례로 역경을 극복하는 장 은 단단한 껍질 속에 갇혀 있다가 과 유교의 효 사상을 드러낸다. 따
치이다. 한편 변신을 기준으로 작 재탄생을 위한 시련을 형상화한 라서 이 작품에서 ‘변신 모티프’는
품의 흐름이 나뉘므로 사건 전환 것으로, 이 작품에서 ‘변신 모티프’ ‘권선징악과 효’라는 작품의 주제
의 계기로 작용하기도 한다. 는 행복한 결말을 강조하기 위한 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장치이다.
시련의 장치이다.

활동 3 지도 방안
3 자신이 읽어 본 한국 문학 중에서 보편성을 갖춘 작품을 선정하고, 그 작품을 외국인에게 소개
하는 글을 써 보자.

문학의 보편성에 관한 이해 소개하고 싶은 작품 작품의 내용


를 바탕으로 하여 적절한 작품
을 골라 소개하는 활동이다. 인 예시 답 〈춘향전〉은 한국을 대표하는 고전 소설로, 전 세계에서 많은 사
간의 희로애락, 자유에 대한 갈 랑을 받은 〈로미오와 줄리엣〉의 한국판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시대 양
망, 불의를 극복하는 의지 등 인 반인 이몽룡과 기생의 딸 춘향의 신분을 초월한 사랑이 한국 고유의 명
간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절인 단옷날을 배경으로 아름답게 그려지고 있
예시 답 작자 미상, 〈춘향전〉
보편적인 가치를 담고 있는 작 다. 특히 백성을 괴롭히는 변 사또에 저항하며
품을 찾아 소개하는 글을 써 보 자신의 사랑을 지키는 춘향이의 모습은 모든
게 한다. 사람에게 사랑의 위대함을 느끼게 할 것이다.
다른 나라의 독자가 공 또한 신분적 제약을 극복하며 행복한 결말을
맞는 〈춘향전〉은 자유로운 연애 사상이나 신
감할 수 있는 내용이면서도 한 분 제도에 대한 비판 등 자유를 갈망하는 인
국 문학만의 매력을 느낄 수 있 류의 보편적 정서도 담고 있다.
는 작품은 무엇이 있을까?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이 작품은 프란츠 카프카의 유고작이
02 자 미완성된 소설이다. 미완의 작품이
프란츠 기 때문에 작품의 배경이 되는 ‘성’과 마
〈변신〉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카프카의 을 사람들, 주인공 K가 각각 어떤 존재
〈성〉 를 의미하는가에 관해서는 다양한 해석
예시 답 단순히 사람이 벌레로 변하는 괴기스러운 이야기인 줄 알았는데, 변
이 존재함을 안내하고 학생들이 자유롭
신을 통해 현대 사회나 가족의 부조리한 모습을 말하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
게 감상을 나눌 수 있도록 지도한다.
웠어.
이 작품은 현대인이 도시 속 삶에서 겪
게 되는 인간 소외, 고독 의식을 상징적
나의 책방 키우기 으로 묘사한 소설이다. 소설의 끝부분
최인호의
에 등장하는 ‘새로운 물건’은 ‘그’가 사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프란츠 카프카의 〈성〉 〈타인의
물로 변화한 것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
방〉
모티프가 유사한 한국의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최인호의 〈타인의 방〉 적인 감상이다. 이 작품과 ‘변신 모티프’
를 사용한 다른 작품을 연계하여 감상
하도록 지도한다.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49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49 2019. 1. 8. 오후 10:36


‘소단원 정리하기’ 지도 방안
•문학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학습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개념 정리’,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도
록 한다.

(2)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개념 정리 평가 자료
•어휘 평가 •서술형 평가
•쪽지 시험 •수행 평가
•소단원 평가

한국 문학은 문학으로서의 보편성을 지닌다.


우리는 외국의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감동을 느끼는 경우가 있다. 사회ㆍ문화적 배경이나 언어가
다른 지역의 문학 작품을 읽고 감동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그것은 어느 나라의 문학이든, 문학은 인
간의 문제를 언어로 형상화한 예술이라는 점에서 보편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문학은 인간의 희로애
락(喜怒哀樂), 자유에 대한 갈망, 불의를 극복하려는 의지 등 인간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보편적
인 가치를 담고 있다. 고전(古典)이라 일컫는 세계 각국의 문학 작품이 시공간을 초월하여 사람들에
게 깊은 감동을 주는 것은 바로 문학이 지닌 보편성 때문이다. ▶ 문학의 보편성

한국 문학 또한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 소재나 주제뿐만 아니라 때로는 서사 구조나 표현 방법 면


에서도 이러한 보편성을 발견할 수 있다. 한국 문학인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138쪽와 세네갈
문학인 〈아프리카〉 142쪽에서는 비슷한 유형의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소재와 주제 의식의 유사성
을 발견할 수 있고, 독일 문학인 카프카의 〈변신〉 144쪽에서 나타나는 변신 모티프가 한국 문학 작
품에서도 쉽게 발견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는 한국 문학의 보편성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한
국 문학이 세계 문학의 일원으로서 역동적으로 전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한국 문학의 보편성

한국 문학은 한국 문학만의 특수성을 지닌다.


한국 문학은 문학이 추구하는 보편적 가치를 지향하는 동시에 한국 문학만의 특수성
도 가지고 있다. 세계 각 나라의 문학은 고유한 역사적 전개 과정 속에서 형성된 그 나
프란츠
카프카 라만의 특성을 담고 있다. 한국 문학도 한민족 고유의 역사적ㆍ문화적 상황 속에서 형성
된 한민족의 사고와 사상을 담고 있으며, 문학사의 흐름 속에서 고유한 형식과 주제 의
식을 담은 문학 갈래들을 발전시켜 왔다. 특히 일제 강점, 한국 전쟁, 남
북 분단을 비롯한 특별한 역사적 경험을 그려 내고 그 경험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 점은 한국 문학이 지닌 특수
《변신》 초판본 표지 성이 세계 문학 속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근거
가 될 수도 있다. ▶ 한국 문학의 특수성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 표지
해외 문학상을 수상한 《채식주의자》에서는 나무로 변하는
주인공이 등장한다. 《변신》과 《채식주의자》 모두 변신 모티
프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드러내고 있다.

150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50 2019. 1. 8. 오후 10:36


3-⑵단원 개념 정리 ① 한국 문학의 보편성 3-⑵단원 개념 정리 ② 한국 문학의 특수성

문학 우리 고유의
문화
•인간에 관한 이야기에서 출발함.
•언어로 형상화한 예술임. 
역사적 우리의 말,
 문학의 특수성 감정 문학의
 
보편성 특수성
문학에는 희로애락(喜怒哀樂), 자 

유에 대한 갈망, 불의를 극복하려는
한국
의지 등 인간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문학
만한 보편적인 가치를 담고 있음.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고려하면서 작품을 감상하자.


한국 문학은 세계 문학의 일부로서 보편성을 지니며, 동시에 한국의 특수한 경험과 문화적 배경의
결과로서 특수성을 갖는다. 이처럼 보편성과 특수성을 나눠서 설명할 수는 있지만, 실제 문학 작품
안에서는 이 두 가지가 분리될 수 없다. 특히 문학 작품의 수용에서는 둘을 함께 고려하는 태도가 필
수적이다. 이런 태도를 갖추고 있는 독자는 문학 작품을 보다 입체적으로 감상하고 더 많은 것을 생
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한 작품 감상의 의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고려하는 독자가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정답이 없는 질문이지


만,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비교해 가면서 읽는 습관을 갖추는 것이 한 가지 방법은 될 수 있다. 예
컨대 중국의 소설 〈삼국지연의〉와 한국의 판소리 〈적벽가〉 154쪽를 함께 감상하면 두 작품이 지닌
보편성과 특수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독자 스스로가 편견 없이 작품 속의 등장인물이나 사건을 자기
경험에 비추어 보는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외국 문학을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접할 수 있게 된
오늘날의 환경을 생각하면, 이러한 태도를 갖추는 일은 우리의 문학 활동을 보다 생산적으로 만들어
가는 계기가 될 것이다. ▶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

3-⑵단원 개념 정리 ③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한 문학 작품 감상

보편성과 •입체적으로 문학 작품
특수성을 을 읽을 수 있음.

고려한 •생산적인 문학 활동이
작품 감상 가능함.

〈적벽가〉
〈적벽가〉는 중국 소설 〈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한 판소리이다. 중심 내용이나 등장인물의 성격 등
을 중심으로 두 작품을 함께 읽으면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파악할 수 있다.

평가
점검 사항
상 중 하
▶ 교과서 149쪽
세계 문학으로서의 한국 문학이 지닌 보편성을 파악할 수 있다.
2-⑵번, 3번 문제
이 단원에서
특수성의 관점에서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이해할 수 있다. ▶ 교과서 141쪽 2번 문제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점검해 보자.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한국 문학과 외국 문학을 감상할 수 있다.
▶ 교과서 142쪽 3번, 148쪽 2-⑴번 문제

⑵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151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51 2019. 1. 8. 오후 10:36


‘대단원 마무리’ 지도 방안
•대단원에서 학습한 요소를 확인한 다음, 더 알고 싶은 점이 있는지
스스로 생각해 보며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단순한 기록에서 그
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과제나 평가를 진행하거나, 심화
자료를 활용하여 궁금한 부분을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창의적 감상’에 제시된 감상의 방향과 그에 따른 작품을 살펴보며
문학의 경험을 넓힐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작
품을 읽고 자유롭게 자기 생각을 말할 수 있도록 끌어 준다. 또한,
추가로 엮어 읽을 수 있는 또 다른 작품을 안내하여 수업 외의 시
창의적 감상 활동지
간에도 문학 감상이 생활화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평가 자료
•대단원 평가 1 다음은 인터넷 블로그에 연재되어 책으로 출간된 소설

(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에서는 이다. 디지털화한 문학이 문학의 수용과 생산 활동에 어떤
〈제가야산독서당〉과 〈황진이〉, 〈나도 그들처럼〉을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 보자.
감상하며 한국 문학의 전개와 개념, 그리고 시·공간
적 구현 양상을 이해하였다.
개밥바라기 별 _ 황석영
(2)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에서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와 〈변신〉을 감상하 전체 줄거리 ‘나’(유준)는 1967년 겨울 베트남 파병이 결정되자 ‘죽거나 살

며 문학으로서의 일반적인 특성과 한국 문학의 고유 아남거나 둘 중의 하나’의 인생이 자신의 앞에 놓여 있음을 감지하고, 입대

한 성격을 이해하였다. 전 자신의 고등학교 시절을 회고한다. 학교에서 모범생으로 살던 ‘나’는 어느

날부턴가 학교가 제시하는 가치와 부모의 요구가 시시해지기 시작하면서

마침내는 견딜 수 없게 된다. 결국 자신의 삶을 더욱 충족해 주는 것이 무엇

인지를 깨닫고 학교를 떠난다. 이후 산속 동굴에 틀어박히고, 무전여행을 하

고, 유치장에서 만난 떠돌이와 막노동을 전전하고, 절에 들어가 행자 노릇을


따라서 우리는 이 단원에서 한국 문학의 개념
하기도 한다. 이러한 방황의 시간을 거치다가 삶이 막다른 골목에 이르렀다
과 성격을 이해하고 문학 활동을 해 보면서 능
고 느꼈을 때, ‘나’는 여기서 벗어날 방법은 삶을 바꾸는 것밖에 없다는 것을
동적으로 문학을 향유해 나갈 수 있게 되었다.
깨닫는다.
앞에서 활동한 내용을 떠올리며 더 알아보고 싶
은 점을 간단하게 써 보자.

예시 답 생략

내 블로그 | 이웃 블로그 | 블로그 홈

개밥바라기 별 <4회> | 개밥바라기 별


연재 소설임을 알 수 있음.

황석영 연재소설

개밥바라기 별 <4회>

가게의 덧문은 베니어판 위에 양철판을 씌운 것이었


얇게 켠 나무 널빤지를 서로 엇갈리게 여러 겹 붙여 만든 널빤지
는데 내가 검은 페인트로 쓴 번호 표시가 그대로 남아
있다.
3이라고 쓴 덧문 앞에서 나는 작은 쪽문을 두드렸다.

152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52 2019. 1. 8. 오후 10:37


작품 개관
갈래 장편 소설, 성장 소설 제재 사춘기 소년들의 삶
주제 사춘기 소년들의 방황과 성숙
① 작가가 블로그에 직접 연재하여 작품을 완성함.
특징
② 댓글을 통해 작가와 독자가 적극적으로 소통하여 작품의 전개를 이끌어 감.

“누구세요…….” 시장 안의 점포는 아버지를 먼저 보내고 혼자 남은


잠에서 막 깬 듯한 어머니의 목소리가 들린다. 어머니가 이리저리 까먹다가 남은 마지막 밑천이었다.
“저예요. 준이요.” 살림집을 팔고 누나들이 시집가기 전까지는 점포를 사
쪽문이 열린다. 내가 들어가기도 전에 어머니는 손 고 남은 돈으로 전셋집을 얻었다. 누나들이 집을 떠난
을 내밀어 내 소매를 붙잡았다. 뒤 우리 세 사람은 점포 안에서 살아왔다.
“아니, 네가 웬일이야? 어린 아우와 어머니가 가게에 붙은 방에서 잤고 나는
나는 어둠에 익숙지 않아서 눈을 가늘게 뜨고 가게 그 천장 위의 잠수함을 썼다. 이를테면 거꾸로 기어 들
안을 둘러보았다. 덧문의 틈새로 햇빛이 새어 들어왔 어가는 셈이라 다락방의 지붕 바깥은 깊이를 알 수 없
다. 판매대는 텅 비었고 그 위에 상자들이 쌓여 있다. 는 바닷속이라고 생각했다.
“전쟁터엔 안 가게 된 거야?” 그 어두운 가게의 천장 위에 내 잠수함은 뚜껑을 닫
“장사 안 해요?” 고 선장을 기다리고 있었다. 뚜껑을 젖히고 머리를 내
어머니와 나의 서로 다른 질문이 부딪친다. 내가 먼 밀자 나는 다시 심해에 잠기는 것 같았다.
저 대답하기로 한다. 내 다락방의 벽에는 떠나오던 날의 낙서가 여전히 남
“교육 끝나서 대기 중이에요. 월요일에 떠난대요.” 아 있었다. 베이지색 벽지 위에서 글자들이 꼬불꼬불
어머니도 내 질문에 뒤늦게 대답한다. 중얼거리고 있다.
“점포를 정리하기로 했다. 내놓았더니 며칠 전에 나 — 미친 새는 밤새껏 울부짖는다.
갔어.”
▶ 다음 회 보기(5회)
가게 안쪽의 방에서 중학생인 아우가 콩자반 같은 머
▶ 이전 회 보기(3회)
리를 내밀었다. 형 왔느냐고 졸린 목소리로 아우가 인
사했고 나도 잘 있었느냐고 대꾸한다. 태그 #황석영 #개밥바라기 별

나는 어머니가 아우를 먼저 학교에 보낸 뒤에 나와


댓글 221개 | 엮인 글 | 공감 407
뭔가 얘기하고 싶어 한다는 걸 알기 때문에 부엌간 구
석에 출입구가 있는 다락방에 올라가 있기로 했다. 좋은 향기
“피곤할 테니 좀 쉬어라. 마침 어제 치워 놓기는 했 ‘콩자반 같은 아우의 머리’라는 말에서 아우를 사랑하는 형의
작가와
마음이 느껴집니다. 독자의
는데…….” 대화
사닥다리나 다름없는 가파른 계단 위에 서너 칸쯤 발 황석영

을 딛고 올라서자마자 널판자 문에 머리가 닿아 버린 좋은 향기님의 말씀처럼 주인공은 아우를 사랑하지요.

다. 나는 널판자의 손잡이를 쥐고 위로 쳐들었다.


파랑새
나 스스로 이름을 지었는데 나는 이 천장 위 다락방 아직 완결이 나지 않아 이야기가 어떻게 진행될지 모르지만 기
대가 큽니다. 작가님의 작품은 언제나 진리인 것 같습니다.
을 ‘잠수함’이라고 불렀다. 물론 내 방의 별명은 동생에
게만 가르쳐 주었다. 나는 다 올라서지 않고 잠깐 멈춰 황석영 작가와
서서 머리만 내밀고 방 안을 둘러보았다. 사물에는 언제나 빛과 그늘이 있다는 걸 명심하세요. 여 독자의
대화
기 나오는 이야기들은 다 옳은 게 아닙니다. 다만 성장기
내가 떠나기 전에 확인하고 싶었던 것은 무엇이었을
에는 누구나 자기 스스로 능력을 키우고 자립적인 사고를
까. 그건 파충류의 허물과도 같은 것이고 나는 그 허물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요.

을 다시 뒤집어쓰고 싶어서 돌아온 건 아닌가.


예시 답 인터넷상의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화된 문학은 문학의 수용과 생산 활동에 많은 변
화를 가져온다. 작가는 더 많은 상상력을 얻을 수 있고, 문학 작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독자의 조
언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독자는 작가와 소통할 뿐만 아니라 다른 독자들과도 의견을 나누는 등 대단원 마무리 153
활발하게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다. 즉, 문학의 수용과 생산 활동이 일방적이지 않고 상호 소통하며
누구나 문학 활동의 주체가 될 수 있다.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53 2019. 1. 8. 오후 10:37


예시 답 〈적벽가〉의 군사 설움 타령은 원작인 〈삼국지연
의〉에 없는 것으로 새로운 시각에서 독창적으로 재해석하 아니리
여 만들어 넣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웅 중심으로 내용
이 전개되는 〈삼국지연의〉와는 다르게 영웅의 무용담 속 이렇듯이 설리 우니, 또 한 군사 나오난디, 그중에 키 작
에 묻히기 쉬운 이름 없는 군사들의 애환과 아픔,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설움 등을 진지하게 그리고 있다는 점, 현 고 머리 크고 작도만 한 칼을 내두르며 만군 중이 송신하게
실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서민 예술로서 판소리
의 면모를 잘 드러내고 있다. 말을 허겄다.

2 다음은 중국 소설인 〈삼국지연의〉를 수용하여 개작한

판소리 사설로, 원작에 등장하는 인물과 사건을 새로운 시 중중모리

각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능동적 수용과 독창적 재해석 ‌“이놈 저놈, 말 듣거라. 너희 울 제 좀놈일따. 위국자(爲

의 양상에 주목하여 작품을 감상해 보자. 國者)는 불고가(不顧家)라 옛글에도 일러 있고, 남아하필
연처자(男兒何必戀妻子)오. 막향향촌노각년(莫向鄕村老
却年)하소. 우리 몸이 군사 되야 전장 나와 공명도 못 이
적벽가(赤壁歌) _ 작자 미상
루고 속절없이 돌아가면 부끄럽지 아니허냐. 이내 심사
평생 한이 요하(腰下) 삼척 드는 칼로 오한(吳漢) 양진(兩
중모리
陣) 장수 머리를 번뜻 뎅기렁 베어 들고 창끝에 높이 달아
‌“이내 설움 들어 봐라. 나는 부모 일찍 조실(早失)하고 일
개가성(凱歌聲) 부르면서 승전고(勝戰鼓) 쿵쿵 울리면서
가친척 바이 없어 혈혈단신(孑孑單身) 이내 몸이, 이성지
본국으로 돌아갈 제, 부모 처자 친구 벗님 펄쩍 뛰어 나오
합(二姓之合) 우리 아내 얼굴도 어여쁘고 행실도 조촐하
며 ‘다녀온다, 다녀와, 전장 갔던 벗님이 살어를 오니 반
야 종가대사(宗家大事) 탁신안정(托身安定) 떠날 뜻이 바
갑네. 이리 오소. 이리 오라면 이리 와.’ 울며 반겨헐 제,
이 없어 철 가는 줄 모를 적에, 불화병 외는 소리 ‘위국 땅
원근당(遠近黨) 기쁨을 보이면 그 아니 좋더란 말이냐.
백성들아, 적벽으로 싸움 가자.’ 외는 소리 나를 끌어내니
전쟁에 참전할 것을 독려하는 소리 우지 말라면 우지 마라.” ▶ ‌설움을 한탄하는 군사들에 대한
아니 올 수 있든가. 군복 입고 전립(戰笠) 쓰고 창을 끌고 질책과 위로

나올 적에, 우리 아내 내 거동을 보더니 「버선발로 우루루


「」 : 남편이 전쟁에 나가는 것을 말리는 아내
루 달려들어 나를 안고 엎더지며, ‘날 죽이고 가오, 살려
두고는 못 가리다. 이팔 홍안 젊은 년을 나 혼자만 떼어
놓고 전장을 가랴시오.’」 내 마음이 어찌 되것느냐. 우리 바이 전혀.

마누라를 달래랼 제, 「‘허허 마누라 우지 마오. 장부가 세


혈혈단신(孑孑單身) 의지할 곳이 없는 외로운 홀몸.
「」 : 우는 아내를 말리는 남편 이성지합(二姓之合) 다른 두 성이 합하였다는 말로, 남녀의 혼인을 이르는
상을 태어나서 전장출세(戰場出世)를 못하고 죽으면 장 말.

부 절개가 아니라고 하니 우지 말라면 우지 마오.’」 달래어 탁신안정(托身安定) 몸을 붙여 편안히 머무름.


일부지전장 불식이라 ‘일부일(日復日) 전장(戰場)은 불식(不息)이라.’의 구
도 아니 듣고 화를 내도 아니 듣더구나. 잡았던 손길을 에 술적 표현. 날이 지나고 지나도 싸움이 그치지 않는구나.
후리쳐 떨치고 전장을 나왔으나, 일부지전장 불식이라. 수직(守直) 지킴.
만단정회(萬端情懷) 온갖 정과 회포.
살아가기 꾀를 낸들 동서남북으로 수직(守直)을 허니, 함
위국자(爲國者)는 불고가(不顧家)라 나라를 위하는 사람은 집안을 돌아보
정에 든 범이 되고 그물에 걸린 내가 고기로구나. 어느 때 지 않는다.
나 고국을 갈지, 무주공산 해골이 될지, 생사가 조석이 남아하필연처자(男兒何必戀妻子)오 남자가 하필 처자를 그리워하리오.
임자 없는 빈산. 인가도 인기척도 전혀 없는 쓸쓸한 곳 막향향촌노각년(莫向鄕村老却年)하소 시골에서 늙어 가는 사람은 되지 마
라. 어서 수이 고향을 가서 그립던 마누라 손길을 부여잡
오.
고 만단정회 풀어 볼거나. 아이고, 아이고, 내 일이야.” 원근당(遠近黨) 멀고 가까운 친척들.
▶ 고향의 아내를 그리워하는 군사의 설움
작품 개관
갈래 판소리 사설
성격 해학적, 풍자적, 회화적
제재 〈삼국지연의〉의 적벽 대전
주제 적벽 대전의 영웅들의 활약상과 전쟁으로 인한 하층민의 고통
154 3. 한국 문학의 개념과 성격
① ‌영웅보다는 평민을 내세워 전쟁을 부정적으로 평가함.
특징
② 외래 문화를 창조적으로 수용한 작품임.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54 2019. 1. 8. 오후 10:37


3 다음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자연물에 예시 답 이 시의 화자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자연물들에
대한 질문을 하고 있다. 이 질문들은 모두 우리가 익숙하고 당연하다고 생
대한 사소한 질문을 던지면서 인간 존재의 모습을 성찰하 각하는 사물과 현상에 대한 참신한 시각이 돋보이는 것들로, 존재의 의미
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할 수 있게 해 준다. 이 작품이 다양한 문화권의 사
게 하는 시이다. 이 시가 독자에게 보편적인 감동을 준다 람들에게 감동을 주는 이유는 역사와 문화가 달라도 인간이라면 누구나
존재에 대해 성찰하는 경험을 하기 때문이다.
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우리는 질문하다가 사라진다 _ 파블로 네루다

어디에서 도마뱀은 별들은 어떻게 물을 구할까.


꼬리에 덧칠할 물감을 사는 것일까. 전갈은 어떻게 독을 품게 되었고
꼬리가 재생 능력이 있어 다시 자라나는 것을 표현함.
거북이는 무엇을 생각하고 있을까.
어디에서 소금은 그늘이 사라지는 곳은 어디일까.
그 투명한 모습을 얻는 것일까. 빗방울이 부르는 노래는 무슨 곡일까.
빗방울이 떨어지는 소리를 노래에 비유함.
새들은 어디에서 마지막 눈을 감을까.
어디에서 석탄은 잠들었다가 왜 나뭇잎은 푸른색일까.
▶ 존재의 근원과 현상에 대한 질문들
검은 얼굴로 깨어나는가.

우리가 아는 것은 한 줌 먼지만도 못하고


아는 것이 적음. - 자연 속의 작은 존재인 인간
젖먹이 꿀벌은 언제 짐작하는 것만이 산더미 같다.
꿀의 향기를 맨 처음 맡을까. 그토록 열심히 배우건만
존재의 근원과 현상에 대한 궁금증
우리는 단지 질문하다 사라질 뿐.
▶ 자연 속에서 인간이 작은 존재임을 깨달음.
소나무는 언제
자신의 향을 퍼뜨리기로 결심했을까.

오렌지는 언제
태양과 같은 믿음을 배웠을까.

연기들은 언제
공중을 나는 법을 배웠을까.
연기가 공중에 날아가는 것을 표현함.
뿌리들은 언제 서로 이야기를 나눌까.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성찰적, 반성적
제재 자연의 모습
자연(우주)에서 인간의 인식 능력의 한계를 깨
주제 달음, 인간은 자연 앞에서 한없이 작은 존재임
을 깨달음.
① 사물을 바라보는 참신한 시각이 드러남.
② 자연에
‌ 대한 궁금증을 다양하게 나열하여
특징
우리는 짐작하는 것만 많고 알고 있는 것이
적다는 것을 보여 줌.

대단원 마무리 155

고등문학(114~155)3단원(교)삼.indd 155 2019. 1. 8. 오후 10:37


대단원 설정 이유 대단원 지도 방안
이 단원은 시대별로 대표적인 한국 문학 작품을 감상하고 한국 문학의 이 단원을 지도할 때는 이론적인 배경보다는 한국 문학사에서 중요하
전통과 특질을 파악하며 한국 문학의 역사적 갈래의 구현 양상을 탐구하 게 평가되어 온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 문학의 성격와 역사를 이해하고 경
기 위해 설정하였다. 또한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험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그리고 한국 문학의 성격과 역사를 과거에 국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도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 문학의 과거 한하지 않고 현재의 전개 양상이나 발전 과정 등을 살펴보게 함으로써 한
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국 문학의 역사적 전개는 현대에도 계속 이루어지고 있음을 환기해 준다.
나아가 작품에 나타난 시대 의식, 인물의 가치관, 배경, 표현 방법 등을
통해 당대 사회를 살펴보는 활동, 작품의 역사적 배경을 오늘날의 상황과
비교하거나 작품의 현재적 가치를 평가하는 활동 등을 함께 수행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교과서 그림 활용하기
씨앗이 뿌리를 내려서 시간이
지나 나무가 되듯이 문학도 오랜
시간 변화와 발전을 하여 오늘날
에 이르렀음을 이야기하며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타 학년과의 연계성
소단원명 문학 성취기준 타 학년 관련 성취기준

고대 문학
[문학03-02] 대표적인 문학 작품을 통해 한
⑵ 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을 파악하고 감상한다.
중세 문학 [문학03-03] 주요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 문 [중1~3학년군] 작품이 창작된 사회·문화적
⑶ 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하고 감 배경을 바탕으로 작품을 이해한다.
중세에서 상한다. [고등 국어] 문학사의 흐름을 고려하여 대표
근대로의 [문학03-04]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적인 한국 문학 작품을 감상한다.
이행기 문학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
계를 탐구한다.

근현대 문학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56 2019. 1. 9. 오후 3:0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대단원별 수업 지도안

단원별 평가 계획서

작품 ① 주몽 신화
1~4차시 (1) 고대 문학 작품 ② 공무도하가
차시별 수업 지도안

작품 ① 찬기파랑가 / 작품 ② 청산별곡 / 작품 ③ 경설
5~10차시
(2) 중세 문학 작품 ④ 시조 세 편 / 작품 ⑤ 사미인곡
차시별 수업 지도안

작품 ① 어이 못 오던가
11~14차시
(3)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작품 ② 흥보전 차시별 수업 지도안
작품 ③ 절명시
15~25차시 (4) 근현대 문학 작품 ① 초혼 / 작품 ② 만세전 / 작품 ③ 백록담 / 작품 ④ 광장
차시별 수업 지도안
작품 ⑤ 원고지 / 작품 ⑥ 벼 / 작품 ⑦ 내 여자의 열매
26차시 대단원 마무리

살어리 살어리랏다 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멀위랑 래랑 먹고 산(靑山)애 살어리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 작자 미상, 〈청산별곡〉에서

대단원 핵심 역량
관련 핵심 역량 료

•정보 활
자료·정보 활용 역량은 필요한 자료나 정보를 수집·분석·평가하고 이를 효과적으
자료·정보
로 활용하여 의사를 결정하거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다. 이 단원에서는 실제 작
활용 역량
품을 감상하면서 한국 문학의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할 수 있다.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은 공동체의 가치와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공동체·대인
상호 협력하며 관계를 맺고 갈등을 조정하는 능력이다. 이 단원에서는 시대별로
관계 역량
공동

공동체의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이 어떻게 이를 반영하는지 탐구할 수 있다. 체•


대인
문화 향유 역량은 국어로 형성·계승되는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그 아름다움과
문화 향유
가치를 내면화하여 수준 높은 문화를 향유·생산하는 능력이다. 이 단원에서는 국
역량
어를 바탕으로 한 한국 문학의 고유한 특질과 가치를 탐구할 수 있다.

문화
향유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57 2019. 1. 9. 오후 3:04


아름다운 꽃과 달콤한 열매를 얻기 위해서 가장 먼저 무엇이 필요할까? 바로 따뜻한

고대 흙 속에서 뿌리를 내리는 건강한 씨앗이다. 한국 문학의 역사에서도 고대 문학이


고대 문학 = 한국 문학의 씨앗
중요한 까닭은 이와 같다. 우리 문학의 출발점인 고대 문학의 모습을 살펴보면 앞
문학 으로 문학사에서 맞이하게 될 아름다운 꽃과 열매를 더 잘 이해하고 향유할 수 있다.
스마트 수업 PPT
이 단원에서는 한국 문학이 발생한 시기의 주요 작품을 살펴보면서 고대 문학의 특징

을 알아보자.

세 번째 질문 이끌기
이 시기의 문학이 어떤 변화 과정을
겪으면서 향유되고 생산되었을까를
추측해 보게 하는 질문이다. 이 시기의
문학 작품이 창작되었을 당시의 상황
을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문학은 어떤
변화를 겪었을지 생각해 보도록 이끌
어 준다.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생각해 보자. 고대의 한국 문학은
고대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
소단원 도입 애니메이션
어떤 변화 과정을 겪었을까?
을 감상하면서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을 파악한다.
고대의 주요 문학 작품을
통해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한다.
문학은 언제부터 고대의 한국 문학은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나타났을까?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을까?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
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
를 탐구한다. 첫 번째 질문 이끌기 두 번째 질문 이끌기

소단원 수업은 이렇게 학생들에게 문학이 발생하게 된 국가가 성립된 시기의 문학에
시기나 상황을 떠올릴 수 있도록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인지 생각해
이 단원은 한국 문학이 발생한 시기의 작품
하는 질문이다. 글이 없었던 시기 보는 질문이다. 학생들이 알고 있
의 특성과 그 변화 과정을 살펴 보는 것이 목
에도 문학이 존재하였는지, 존재했 는 고대 문학 작품에는 어떤 것이
표이다. 한국 문학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시
다면 사람들이 이를 어떻게 향유했 있는지 떠올려 보게 하고, 그 작품
기는 우리 선조가 최초로 국가를 세우기 시작
을지 등에 대해 학생들이 자유롭게 의 내용을 말해 보게 하면서 특징
한 청동기 시대로, 이 시기에는 건국의 시조를
이야기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주인공으로 삼아 건국의 내력을 밝히고 그 신
성성을 칭송하는 건국 신화들이 탄생하였다.
이는 건국 신화를 통해 집단의 결속을 다지고
자긍심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 이어서 고대 이 단원에서는 
문학은 점차 건국 신화 이외의 영역으로 확대
되어 전설, 민담, 서정 가요 등이 나타나게 된 1 〈 주몽 신화〉를 감상하며 신화의 특징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159쪽, 지도서 236쪽
다. 따라서 이 단원에서는 이 시기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에 해당하는 건국 신화 〈주몽 신화〉 2 〈 공무도하가〉를 감상하며 고대 시가의 흐름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167쪽, 지도서 244쪽
와 개인 서정 시가 〈공무도하가〉를 감상하면
서 한국 문학 태동기의 특징과 변화를 이해하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 교과서 172쪽, 지도서 235쪽
도록 지도한다.

158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58 2019. 1. 9. 오후 3:04


1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고구려를 건국한 주몽의 생애를 다루고 있는 건국 신화로,
역사적 사실과 신화적 상상력이 결합되어 있다. 〈주몽 신화〉는 여러 신
화에서 발견되는 천손 강림(天孫降臨), 난생(卵生), 동물 양육, 기아(棄兒)
등과 같은 요소들이 나타나 있어 신화의 특징과 전개 과정, 신화 속 인물
의 삶을 이해할 수 있기에 제재로 선정하였다. 특히 〈주몽 신화〉가 지닌
특징은 후대의 한국 문학 작품에 여러 가지 영향을 주었을 뿐 아니라 한
국 문학 전통의 한 줄기를 형성한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 작
품은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을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주몽’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나요?
 내가 알고 있는 ‘신화’에는 무엇이 있을까?
질문의 예
 주몽은 어떤 인물일까?
삽화 관련 교과서 159쪽의 삽화에 제시된 인물에게서 어떤 분

질문의 예 위가 느껴지나요? 예시 답 영웅 이야기의 특징을 알고 있는가?

갈래 관련 지금까지 읽은 ‘신화’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질문의 예 무엇인가요?

⑴ 고대 문학 159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59 2019. 1. 9. 오후 3:04


〈주몽 신화〉는 고구려를 건국한 주몽의 생애와 업적을 이야기한 건국 신화이다.
건국 신화의 특징을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개관
갈래 설화(건국 신화)
수업의 포인트
성격 신화적, 서사적, 영웅적
•건국 신화의 특징 파악하기 제재 주몽의 고구려 건국
•주몽의 고귀한 혈통 이해하기 주제 고귀한 혈통을 지니고 태어난 주몽의 영웅적 업적
•주몽의 위기 극복 과정 정리하기
① 일대기적 구성 방식을 취하고 있음.
② ‌천손 강림, 난생 등의 여러 가지 신화적 화소가 결합
특징
되어 있음.
③ 후대 영웅 서사 문학의 구조에 영향을 줌.

주몽 신화 (朱蒙神話) | 작자 미상
참고 동영상 - 〈주몽 신화〉 줄거리

부여 건국 신화와의 관계 앞부분 줄거리


부여 건국 신화
부여 왕 해부루(解夫婁)는 산천(山川)에 제사하여 곤연(鯤淵)의 돌 아래에서 아들 금와(金蛙)를 얻었
부여 왕 해부루가 곤연의 돌 지명
아래에서 아들 금와를 얻음. 다. 부여 왕은 정승 아란불(阿蘭弗)의 꿈에 나타난 천제(天帝)의 말에 따라 도읍을 옮겨 나라 이름을 ‘동

부여(東扶餘)’라 하였는데, 예전 도읍에는 신작(神雀) 3년에 천제의 아들 해모수(解慕漱)가 내려왔다. 5
주몽 신화 앞부분에 부여 건
국 신화를 기록함. 해모수는 하늘과 땅을 오가면서 정사를 돌보았는데, 하백(河伯)의 세 딸인 유화(柳花), 훤화(萱花), 위화
물을 다스리는 신
 (葦花)를 보고 왕비로 삼으려 했다. 해모수가 궁전을 지어 놓고 세 여자가 들어오기를 기다렸다가 급히
부여를 뛰어넘는 주몽의 영웅
성과 신이함을 부각함. 문을 닫으니, 맏딸인 유화는 미처 달아나지 못하여 해모수에게 붙잡히고 말았다.
천신(天神)과 수신(水神)의 결합 ▶ 해모수와 유화의 만남(주몽의 고귀한 혈통)

하백은 크게 노하여 사자를 보내 말하기를 “너는 어떤 사람인데 나의 딸을 붙


건국 신화의 특징
건국 시조가 나라를 잡아 두었는가?” 하니, 왕이 대답하되 “나는 천제의 아들인데, 이제 하백에게 구 10
개념 세우게 된 내력을 담
은 신성한 이야기 혼하고자 합니다.”라고 하였다. 하백이 다시 사자를 보내 말하기를 “네가 천제
건국 행위에 신성성
특징 을 부여하고 건국 시 의 아들이고 나에게 구혼하려 한다면 마땅히 중매를 보내야 할 것이다. 이제 갑
조를 신격화함. 결혼이 이루어지도록 중간에서 소개하는 일
안으로는 공동체의 자기 나의 딸을 붙잡아 두었으니 어찌 예법에 어긋난 것이 아니겠는가?”라 하였
결속을 다지고, 밖으
의의
로는 집단의 자긍심 다. 왕은 부끄러워하며 장차 하백을 찾아가 만나 보려 하였으나 궁실에 들어갈
을 높임.
수 없었다. 여자를 놓아 보내고자 하였으나 여자는 이미 왕과 정이 들어서 떠나 15
유화
해부루(解夫婁) 동부여의 시조. 려 하지 않았다. 그리고 왕에게 권하기를 “만약 용거(龍車)가 있으면 하백의 나
신작(神雀) 한나라 때의 연호인
신작(神爵)의 오기로 추정됨. 신 라에 갈 수 있습니다.”라 했다. 왕이 하늘을 가리키며 고(告)하니, 얼마 지나지
작 3년은 기원전 59년.
않아 오룡거(五龍車)가 하늘에서 내려왔다. ▶ 해모수가 구혼하기 위해 하백을 찾아감.
사자(使者) 명령이나 부탁을 받
고 심부름하는 사람. 왕과 여자가 오룡거에 오르자 갑자기 바람과 구름이 일어나더니 하백의 궁궐
왕 여기에서 왕은 해모수를 가
리킴.
에 이르렀다. 하백은 예를 갖추어 맞이하고 자리를 정한 뒤에 말하되 “혼인의 예 20

용거(龍車) 용이 끄는 수레.
법은 천하에 통용되는 것인데 어찌하여 예를 잃어 나의 가문을 욕되게 하였는
오룡거(五龍車) 다섯 마리의 용 중매의 절차 없이 딸을 데려감.
이 끄는 수레. 가? 왕이 천제의 아들이라 하는데, 무슨 신이(神異)한 재주가 있는가?”라 했다.
해모수의 능력을 시험해 보려고 함.

160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60 2019. 1. 9. 오후 3:04


주몽의 고귀한 혈통

부계 천제의 아들 해모수
(父系) (천제 → 해모수 → 주몽) 주몽
민족적
(하늘과 
자부심 고취
모계 물의 신인 하백의 딸 유화 물의 결합)
왕이 말하되 “오직 시험해 보소서.”라 하였다. (母系) (하백 → 유화 → 주몽)

이에 하백이 뜰 앞의 물에 들어가 잉어가 되어 물결을 따라 놀자 왕은 수달로 하백이 해모수와 도술 시합을


한 까닭은 무엇일까?
변해서 잉어를 잡았다. 하백이 다시 사슴이 되어 달아나니 왕은 늑대로 변해서 예시 답 하백은 해모수가 자신
해모수가 천제의 아들로서 비범한 능력을 지님을 알 수 있음. 의 딸과 예법을 갖추어 혼례를
쫓았고, 하백이 꿩이 되니 왕은 매로 변해서 공격했다. 올리지 않고 가문을 욕되게 한
것에 화가 나 그의 능력을 시험
5 하백은 이 사람이 진실로 천제의 아들이라 여기고 예법에 따라 혼인을 이루고 하기 위해 도술 시합을 하였다.

이 작품에 나타난 배경 사상
자 했지만, 그가 자신의 딸을 데려갈 마음이 없을까 두려웠다. 이에 잔치를 베풀
유화가 햇빛을 받아 주몽을
고 술을 권하여 크게 취하게 한 뒤에 딸과 함께 작은 혁여(革輿)에 넣어 용거에 잉태함. → 주몽이 하늘에 의
해 태어남.
실어 함께 하늘로 올라가게 했다. 그런데 용거가 미처 물에서 나오기도 전에 왕 
천신(天神) 숭배 사상
은 술이 깨었다. 그리고 여자의 황금 비녀를 가져다가 혁여를 뚫고 그 구멍으로
주몽이 알에서 태어남. → 주
10 빠져나와 홀로 하늘로 올라갔다. 몽이 태양과 같이 둥근 모양
해모수와 유화가 헤어짐. 으로 태어남.
하백은 크게 노하여 그 딸 유화에게 말하되 “너는 나의 가르침을 따르지 않고 
유화가 귀양을 가게 된 이유 태양 숭배 사상
나의 가문을 욕되게 했다.”고 하고, 주위의 신하들에게 명령해서 딸의 입을 잡아
늘여 그 입술의 길이가 삼 척이나 되게 했다. 그리고 노비 두 사람만을 주어 우발
수(優渤水) 가운데로 귀양을 보냈다.▶ 해모수가 혼자 하늘로 올라가고 유화는 우발수로 귀양을 감.
15 어사(漁師) 강력부추(强力扶鄒)가 금와왕에게 고하기를 “요즈음 어량(魚梁) 안
강한 힘을 가진 ‘부추’라는 이름의 어부
의 고기를 훔쳐 가는 자가 있는데 어떤 짐승인지 알지 못하겠습니다.”라 하였다.
유화
왕이 어사를 시켜서 그물로 그 짐승을 끌어내게 하였더니 그물이 찢어졌다. 다
시 쇠 그물을 만들어 끌어내니 비로소 한 여자가 돌 위에 앉아서 나왔다. 그 여자
는 입술이 길어서 말을 할 수 없었는데, 그 입술을 세 번 자른 뒤에야 말을 했다.
20 왕이 천제 아들의 비(妃)임을 알고 별궁(別宮)에 두었는데, 그 여자의 품 안에 햇
해모수 주몽이 하늘의 혈통임을 드러냄.
빛이 비치더니 그로 인해 임신했다. 신작(神雀) 4년 계해년(癸亥年) 4월에 주몽
(朱蒙)을 낳았는데, 울음소리가 매우 크고 골격과 외모가 영특하고 기이했다.
▶ 유화가 주몽을 낳음.
처음 주몽을 낳을 때 여자는 왼편 겨드랑이로 크기가 닷 되들이쯤 되는 알을
주몽의 비정상적이고 신이한 출생(난생 설화)
하나 낳았다. 왕이 괴이하게 여겨 말하되 “사람이 새알을 낳았으니 상서롭지 못
복되고 길한 일이 일어날 조짐이 아니다. 혁여 (革輿) 가죽으로 만든 수
25 하다.”라 하고, 사람을 시켜서 이 알을 마목(馬牧)에 가져다 두었으나 말들이 밟 레.
우발수(優渤水) 태백산 남쪽에
지 않았고, 깊은 산에 버렸으나 온갖 짐승이 모두 보호했다. 또한, 구름이 낀 날
모든 자연물의 보호를 받음. → 주몽이 신성한 존재임을 나타냄. 있었다고 전하는 못의 이름.
에도 그 알 위에는 언제나 햇빛이 있었다. 이에 왕은 알을 그 어미에게 보내 기르 어사(漁師) 어부를 높여 이르는
주몽이 하늘의 혈통임을 드러냄. 말.
도록 했다. 어량(魚梁) 물을 막아 물고기를
잡는 장치.
마침내 알이 갈라지고 사내아이가 나왔는데, 이 아이는 태어난 지 한 달이 못
비(妃) 임금이나 태자의 아내.
30 되어 말을 하였다. 어머니에게 말하되 “파리들이 눈을 빨아 잠을 잘 수 없으니 마목(馬牧) 말을 기르는 곳.
주몽의 신이하고 비범한 능력을 강조하는 부분 ①

⑴ 고대 문학 161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61 2019. 1. 9. 오후 3:04


어머니는 나를 위하여 활과 화살을 만들어 주소서.”라 하니, 어머니가 갈대로 활
과 화살을 만들어 주었다. 아이는 이 활로 물레 위의 파리를 쏘았는데, 화살이
주몽의 신이하고 비범한 능력을 강조하는 부분 ②
날면 모두 명중했다. 부여에서는 활 잘 쏘는 사람을 ‘주몽’이라고 불렀다.
        ‘주몽’이라고 이름을 지은 까닭 ▶ 주몽의 신이한 출생 과정
주몽은 나이가 들면서 재능도 함께 갖추어졌다. 금와왕에게는 아들 일곱이 있
었는데, 항상 주몽과 함께 사냥하였다. 왕자가 사십여 명을 이끌고 겨우 사슴 한 5

마리를 잡았는데, 주몽은 활을 쏘아 매우 많은 사슴을 잡았다. 왕자가 질투하여


주몽을 붙잡아 나무에 묶어 놓고 사슴을 빼앗아 가 버렸는데, 주몽은 그 나무를
뽑아 버리고 돌아왔다. 태자(太子)인 대소(帶素)가 왕에게 말하되 「“주몽은 신용
주몽과 갈등 관계의 인물
(神勇)이 있는 장사요, 범상치 않은 인물입니다. 만약 일찍 도모하지 않으면 반
신용(神勇) 신과 같은 용맹. 보
통의 사람으로서는 가질 수 없 드시 후환(後患)이 있을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왕은 주몽에게 말을 기르게 하 10
는 용맹. 「」 : 주몽을 질투하여 왕에게 고함. → 주몽이 시련을 겪게 될 것임을 암시함.
도모(圖謀)하다 어떤 일을 이루 여 그의 뜻을 시험코자 했다.」
기 위하여 대책과 방법을 세우
주몽은 속으로 한을 품고 어머니에게 말하되 “나는 천제의 손자인데 남을 위
다.
후환(後患) 어떤 일로 말미암아 해서 말을 기르고 있으니, 사는 것이 죽는 것만 못합니다. 남쪽 땅으로 가서 나
뒷날 생기는 걱정과 근심. 고구려 건국
길 길이의 단위. 한 길은 여덟 라를 세우고자 하지만, 어머니가 계시니 감히 마음대로 못 하겠습니다.”라고 하
어머니를 두고 떠나야 하는 것이 마음에 걸림.
자 또는 열 자로 약 2.4미터 또는
였다. 그 어머니가 말하되 “이것은 내가 밤낮으로 고심하던 일이다. 「내가 듣건대 15
3미터에 해당함. 몹시 애를 태우며 마음을 씀.
혀뿌리 혀의 뿌리 부분. 설근 먼 길을 갈 사람은 모름지기 좋은 말에 의지한다고 했다. 내가 좋은 말을 고를 수
(舌根).
예시 답 잘 달리는 좋은 말을 알 있다.”라고 하고, 드디어 마목으로 가서 긴 말채찍으로 마구 치니 말들이 모두
아본 주몽이 앞날을 위해 그 말 「」 : 좋은 말을 선택하기 위한 유화의 지혜
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고 지혜 놀라 달리는데 붉은 말 한 마리가 두 길이나 되는 난간을 뛰어넘었다.」 주몽이 그
를 발휘한 것이다. 능력이 뛰어난 말임을 알 수 있음.
주몽이 말의 혀뿌리에 바늘을 말이 잘 달리는 말임을 알아차리고 몰래 혀뿌리에 바늘을 찔러 놓았더니, 그 말
찔러 놓은 까닭은 무엇일까? ▶ ‌주몽은 그를 질투하는 대소의 20
은 혀가 아파 물과 풀을 먹지 못하여 매우 야위었다. 계략으로 위기에 빠짐.
앞날을 위해 좋은 말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한 주몽의 지혜

162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indd 162 2019. 8. 21. 오후 1:47


왕이 마목을 돌아보다가 말들이 모두 건강한 것을 보고 크게 기뻐하며 야윈 말
여기서는 좋은 말에 해당함.
을 주몽에게 주니, 주몽은 말을 얻어 그 바늘을 뽑고서 먹을 것을 주었다. 주몽
예시 답 물고기와 자라가 떠올라
은 오이(烏伊), 마리(摩離), 협보(陜父) 등 세 사람과 함께 남쪽으로 갔는데, 개사
다리를 만들어 주어서 주몽은 무
사히 강을 건 널 수 있었고, 자신
수(蓋斯水)에 이르니 강을 건널 배는 없고 추격하는 병사들이 곧 이를까 두려웠 을 추격하는 병사들에게서도 벗
주몽에게 닥친 시련 → 진퇴양난(進退兩難)
어날 수 있었다.
5 다. 이에 채찍으로 하늘을 가리키며 탄식하되 “나는 천제의 손자요 하백의 외손
자신의 고귀한 혈통을 밝힘. 주몽은 누구의 도움을 받아 위
으로, 지금 난을 피해 여기에 이르렀나이다. 황천후토(皇天后土)는 외로운 이 몸 기를 극복하는지 말해 보자.

을 불쌍히 여기시어 속히 주교(舟橋)를 보내 주소서.”라 하였다. 말을 마치고 활


로 물을 치니 물고기와 자라가 떠올라 다리를 이루어 주몽이 강을 건널 수 있었 개사수(蓋斯水) 압록강 동북쪽
천우신조(天佑神助) 에 있다고 전하는 강의 이름.
다. 한참 뒤에 추격하는 병사들이 강에 이르렀는데, 물고기와 자라가 만든 다리 황천후토(皇天后土) 하늘의 신
과 땅의 신. 천지의 신령.
10 는 곧 사라지고 이미 다리에 올라섰던 자들은 모두 물에 빠져 죽었다.
주교(舟橋) 배처럼 떠 있는 다
주몽은 어머니와 이별할 때 차마 떠나지 못하였다. 그 어머니가 말하되 “너는 리. 또는 배를 늘어놓아 강물을
건너게 만든 다리.
어미의 염려는 하지 말라.”라 하고 이에 오곡(五穀)의 씨앗을 싸서 주었는데, 주 오곡 (五穀) 다섯 가지 중요한
농경이 신성시되는 사회임을 알 수 있음.
곡식. 쌀, 보리, 콩, 조, 기장을 말
몽은 생이별하는 마음이 간절하여 보리 씨앗을 잃고 말았다. 주몽이 큰 나무 아
함.
래서 쉬었는데, 비둘기 한 쌍이 날아왔다. 주몽은 말하되 “분명히 신모(神母)께 신모(神母) 어머니 신. 지모신
(地母神).
15 서 보리 씨앗을 보내신 것이다.”라 하고, 이에 활을 쏘아 한 화살에 모두 잡았다. 왕 여기에서 왕은 주몽을 가리
킴.
목구멍을 벌려 보리 씨앗을 꺼내고 나서 비둘기에게 물을 뿜으니, 비둘기는 다
주몽의 신이하고 비범한 능력을 강조하는 부분 ③ 띠자리 풀을 묶어서 높고 낮은
시 살아나서 날아갔다. 왕은 스스로 띠자리 위에 앉아서 임금과 신하의 위계를 자리를 표시해 둔 것.
위계 질서를 세워 나라의 체제를 갖춤.
대략 정하였다. ▶ 주몽이 위기를 극복하고 고구려를 건국하는 위업을 세움.

제재 정리

작품 구성 영웅의 일대기 구조
고귀한 혈통 천신과 수신의 만남으로 태어남.
기이한 출생 유화의 품 안에 햇빛이 비치더니 임신을 하고 알을 낳음.
어렸을 때 버림을 받음. 금와왕이 알을 버림.
탁월한 능력 한 달이 못 되어 말을 하고, 활 쏘는 능력이 탁월함.
시련과 위기 대소를 비롯한 금와왕의 아들들로부터 위협을 받음.
조력자의 도움 물고기와 자라의 도움으로 시련을 극복함.
위대한 업적 고구려를 건국하고 왕이 됨.

⑴ 고대 문학 163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63 2019. 1. 9. 오후 3:04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 〈주몽 신화〉에 나타난 신화의 특징 


〈주몽 신화〉의 등장인물의 관계와 고조선의 건국 신화인 〈단군 신화〉를
을 살펴보고, 오늘날 신화의 가치 생
주몽의 생애 정리해 보기 〈주몽 신화〉와 비교하며 감상하기
각해 보기

활동 1 지도 방안
1 〈주몽 신화〉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의 등장인물 관계도를 완성해 보자.


먼저 등장인물의 관계도를 완
성하면서 이 작품의 내용을 정
확하게 이해하도록 한다. 그리고
⑵에서는 우리의 서사 문학사에 하늘[天] 물[水] 해부루
서 발견되는 ‘영웅의 일생’ 구조
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주몽
신화〉는 영웅의 일생 구조가 잘
구현된 작품이며, 이러한 구조는 천제(天帝) 하백 금와
우리 문학사에서 조금씩 변형된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다만 변
아들 딸 아들
형된(혹은 일부 요소가 없는) 작
품의 사례는 학생들에게 혼란을
줄 수도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 해모수 유화 대소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주몽

⑵ 주몽의 생애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고귀한 혈통 예시 답 천신(天神)과 수신(水神)의 만남으로 태어났다.

기이한 출생 예시 답 유화의 품 안에 햇빛이 비치더니 임신을 하고 알을 낳았다.

어렸을 때 버림받음. 금와왕이 알을 버렸다.

탁월한 능력 예시 답 한 달이 못 되어 말을 하고, 활 쏘는 능력이 탁월했다.

시련과 위기 예시 답 대소를 비롯한 금와왕의 아들들로부터 위협을 받았다.

조력자의 도움 예시 답 물고기와 자라의 도움으로 시련을 극복했다.

위대한 업적 고구려를 건국하고 왕이 되었다.

164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64 2019. 1. 9. 오후 3:04


활동 2 지도 방안
2 문학 작품의 갈래적 성격과 문학사에서의 가치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이 형성된 시기의 생활상은 어떠했을지 본문에 제시된 내용을 활용하여 정리해
작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
로 신화의 특징과 의의를 이해 보자.
하는 활동이다. 이 작품이 창작
된 시기의 생활상을 정리해 보
고, 주인공의 특성을 이해하며 어업 수렵 농경
나아가 신화의 가치는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지도한다. 예시 답 유화는 나라를 세우러
예시 답 어사인 강력 부추의 말 예시 답 주몽이 사냥하는 장면에
떠나는 주몽에게 오곡의 씨앗을
을 통해 어량과 그물을 사용했음 서 수렵 생활의 모습을 엿볼 수
전해 주었고, 뒤에 보리 씨앗을
을 알 수 있다. 있다.
보내 주었다. 이 장면에서 ‘신모
(神母)’가 보내 주었다는 말을 하
는 것으로 보아 농경이 신성시되
었음을 알 수 있다.

⑵ 신화는 주인공의 신이함이 강조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주몽 신화〉에는 이러한 특징
이 어느 부분에 나타나 있는지 살펴보자.
예시 답 •태어난 지 한 달이 못 되어서 말을 하고, 활을 쏘아 파리를 명중시킴.
•비둘기를 활로 잡아서 보리 씨앗을 꺼내고, 물을 뿜어 다시 살아나게 함.

⑶ 다음은 이규보가 쓴 〈동명왕편〉 서문의 일부이다. 고려 시대에 고구려의 건국 신화인


신화는 신에 대한 이야기를
〈주몽 신화〉를 다시 정리하여 세상에 전한 까닭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고, 오늘날 신화는
신성한 태도로 서술하는 설화이
다. 신화에서는 신의 내력을 설 어떤 가치가 있을지 생각해 보자.
명하는데, 이와 함께 천지와 인
간, 동식물 등의 기원부터 인간
세상의 문화와 제도의 기원까지
언급하곤 한다. 신화는 다루는 세상에서 동명왕(東明王)의 신이(神異)한 일을 많이 이야기하는데, 보통의
내용에 따라 천지 창조 신화, 인
남녀들조차도 그 사적을 대략은 말할 수 있다. 나는 일찍이 그 이야기를 듣고
류 기원 신화, 문화 기원 신화,
건국 신화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서 웃으면서 “공자께서는 괴력난신(怪力亂神)을 말씀하지 않았다. 동명왕의
고구려가 세워진 내력을 서술한
일은 실로 황당하고 기괴한 것이니, 우리가 이야기할 만한 것이 아니다.”라고
〈주몽 신화〉는 건국 신화에 속 이규보가 처음에 동명왕 이야기에 대해 가졌던 태도 → 황당한 이야기라고 생각함.
한다. 말했었다. 〈중략〉
동명왕의 일은 변화와 신이함으로 여러 사람의 눈을 현혹한 것이 아니요, 실
로 나라를 세운 신령한 자취이다. 이것을 기술하지 않는다면, 뒷사람들은 장차
이규보가 나중에 동명왕 이야기에 대해 가지게 된 태도
무엇을 살펴볼 수 있겠는가? 이런 까닭에 시를 지어 이 일을 기록하니, 우리나
라가 본래 성인(聖人)의 나라임을 천하에 알리고자 할 따름이다.
- 이규보, 〈동명왕편〉 서문에서

괴력난신(怪力亂神) ‘괴이(怪異)와 용력(勇力)과 패란(悖亂)과 귀신에 관한 일’이라는 뜻으로, 이성적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불가사의한 존재나 현상을 이르는 말.

예시 답 나라를 세운 신화의 주인공(주몽)의 신령한 자취를 확인함으로써 우리나라가 본래 성인(聖人)의 나라임을


알리고자 한 것이다. 이런 신화의 신성성은 오늘날에도 민족의 자부심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⑴ 고대 문학 165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65 2019. 1. 9. 오후 3:04


3 다음은 고조선의 건국 신화인 〈단군 신화〉의 일부이다. 〈주몽 신화〉와 비교하면서 작품을 읽
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단군 신화〉는 고조선을 건


국한 단군의 탄생과 업적을 서 곰 한 마리와 호랑이 한 마리가 있어 같은 굴에 살면서 항상 신령스러운 환웅에게
곰을 숭배하는 부족과 호랑이를 숭배하는 부족으로 볼 수 있음.
술한 신화이다. 하늘로부터 내
사람이 되게 해 달라고 빌었다. 환웅은 신령스러운 쑥 한 타래와 마늘 스무 쪽을 주면
려온 환웅과 곰에서 사람이 된
웅녀 사이에서 단군이 탄생한다 서 말하기를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백 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곧 사람의 모습으
금기 → 통과 의례로서의 의미
는 내용은 고조선 건국 세력의 로 될 것이다.”라고 하였다. 곰과 호랑이는 이것을 얻어먹고 삼칠일 동안 금기하였는
기원을 추측하는 단서가 되기도
데 곰은 여자의 몸이 되었으나 호랑이는 금기를 못하여 사람의 몸으로 되지 못하였다.
한다.
웅녀는 그와 혼인할 사람이 없어 매번 신단수 아래에서 아이를 갖게 해 달라고 빌었
다. 환웅이 이에 잠시 사람으로 변하여 그와 혼인한 후 웅녀가 아이를 임신하여 낳으
니 이름을 단군왕검이라고 하였다.
‘단군’은 종교적 제사장, ‘왕검’은 정치적 군장을 의미하
는 것으로 고조선이 제정일치 사회였음을 알 수 있음. - 작자 미상, 〈단군 신화〉에서

활동 3 지도 방안 ⑴ 〈단군 신화〉의 웅녀와 〈주몽 신화〉의 유화는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말해 보자.


<단군 신화>는 고조선의 건국 예시 답 웅녀와 유화 모두 건국 시조의 어머니이면서 동시에 신이한 존재라는 공통점이 있으며 모두 건국 시조의
신화이지만 실제로는 우리 민족 어머니가 되기까지 고난을 겪어야 했다. 웅녀는 쑥과 마늘을 먹으며 동굴에서 생활해야 했고, 유화는 아버지의 처벌
전체의 건국 신화로 이해되고 로 흉하게 변하여 귀양가는 고난을 겪었다.
있다. 따라서 <단군 신화>의 내
용을 확인하고 그 특징적인 요
소를 살펴보는 것은 문학사 학
습에서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활동이다. <단군 신화>의 줄거 ⑵ 주몽과 단군의 출생 과정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생각해 보자.
리는 학생들이 알고 있다고 판
예시 답 주몽은 난생(卵生), 즉 유화가 낳은 알에서 태어났다. 이에 비해 단군은 웅녀가 임신하여 낳았기 때문에 정
단되지만, 제시된 지문을 읽을
상적인 출생의 과정을 겪었다고 할 수 있다.
때 전후의 내용을 간단히 언급
하는 것도 필요하다.
작품 개관
갈래 설화(건국 신화)
단군의 탄생과 고조
제재
선의 건국
⑶ 신화, 전설, 민담과 같은 설화에는 특정한 행동이나 말을 금지하는 요소가 흔히 나타난
홍익인간의 이념과 다. 〈단군 신화〉에서 여기에 해당하는 부분을 찾아보자.
주제
단일 민족의 역사성
① ‌홍익인간의 건국 예시 답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백 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곧 사람의 모습으로 될 것이다.”라고 말한 환웅의 말
이념을 제시하고 은 큰일을 이루기 위해서 겪어야 하는 시련으로서 금기에 해당한다.
특징 있음.
② 천손
‌ 하강의 모티
프가 드러남.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1

〈주몽 신화〉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예시 답 이 작품을 처음 읽었을 때에는 비현실적이라고 생각했는데, 다시 읽어 보니 오히려 더 현실적인 것 같아. 먼 옛날의 현실은
이렇게 전해지는 것일지도 몰라.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여섯 가야의 왕이 즉위하기까지
의 과정을 다루고 있는 건국 신
나의 책방 키우기 〈가락국기〉 화로, 부족 중심의 사회에서 왕
을 중심으로 한 국가가 출현하
갈래가 같은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가야의 건국 내력을 담은 〈가락국기〉

는 역사적 상황이 드러난다.
주인공의 생애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허균의 〈홍길동전〉 광해군 때 허균이 지은 국문학
상 최초의 한글 소설로, 불합리
허균의 하고 모순된 사회 제도에 맞선
166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홍길동전〉 영웅적 인물의 행적을 소개하고
새로운 이상 세계에 대한 염원
을 담고 있다.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66 2019. 1. 9. 오후 3:04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백수 광부가 강을 건너다가 빠져 죽자 그의 아내가 이를 한탄하며 노래를 불렀
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고대 가요이다. 〈공무도하가〉는 집단적 의식을 담은 노래에서 점차
2
개인적인 정서를 담은 서정시로 변화하는 시기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따라서 건국 신화로 대
표되는 민족의 집단 서사시가 개인적 서정시로 변모하는 고대 문학의 과도기적 양상을 이해
하는 데 적절한 제재이다. 또한 이 작품을 통해 이별과 죽음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정서와 세
계관을 살펴볼 수 있으며, 우리 민족의 전통적 정서인 ‘한(恨)’의 정서와 맞닿아 있어 한국 문
학의 특질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다.

 강물을 보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는가?


 다른 사람의 행동을 만류해 본 적이 있
‘감상 열기’ 지도 방안
는가?
갈래 관련 아주 오랜 옛날 우리 조상들은 어떤 노래를 불렀을지

질문의 예 상상해 볼까요? 예시 답 알고 있는 노래 중, 이별의 슬픔을 담은

노래가 있는가?
배경 지식 관련
고대 가요를 감상해 본 경험이 있나요?
질문의 예

⑴ 고대 문학 167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67 2019. 1. 9. 오후 3:04


〈공무도하가〉는 남편을 잃은 슬픔을 간결하면서도 애절하게 읊은 고대 가요이다. 작품 개관
고대 가요의 전개 과정을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갈래 고대 가요, 서정 가요
성격 서정적, 애상적, 체념적
수업의 포인트 제재 물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과 정서 파악하기 주제 임의 죽음으로 인한 이별의 슬픔과 한(恨)
•배경 설화의 내용 이해하기 ① ‌시적 화자의 절박한 심정을 직접적으로 표
•개인 서정 시가로서의 이 작품의 의의 생각해 보기 출함.
특징
② ‌‘물’의 상징적 의미를 중심으로 시상을 전
개함.

공무도하가 (公無渡河歌) | 백수 광부의 아내

이 작품에서 ‘물’의 의미 「
公無渡河 임아, 그 물을 건너지 마오. ▶ 임을 만류함.
예술에서의 ‘물’은 이승과 저 공무도하 남편 중심 소재 → 이별, 슬픔, 단절, 사랑 등이 담겨 있음.
승을 가르는 경계, 삶과 죽음, 公竟渡河 임은 끝내 그 물을 건너셨네. ▶ 임이 떠남.(이별)
정화 혹은 정화를 통한 재생, 생 공경도하
명과 삶의 원천, 충만한 사랑 등 墮河而死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 임의 죽음
다양한 의미를 지닌 원형 상징 타하이사
으로 활용된다.
이 작품에서 임은 물에 빠져
當奈公何 가신 임을 어찌할꼬.▶ 임과의 이별에 대한 슬픔과 체념
당 내 공 하」 화자의 체념적 어투
죽게 되면서 화자와 이별하게
「」 : 4언 4구체 한역 시가임.
된다. 따라서 ‘물’은 ‘삶과 죽음
의 경계’, ‘화자와 임의 단절’, ‘이
별’, ‘슬픔’ 등의 의미를 지닌다.
또한 1행의 ‘물’은 그것을 건너 한자 풀이
지 않기를 바라는 화자의 ‘바람’, •公(상대 높임 공) : 그대, 당신, 임
‘사랑’ 등이 담겨 있다고 보기도 •無(없을 무) : ‘말다’의 뜻으로, 금지의 명령을 나타냄.
한다. •渡(건널 도) : 건너다
•河(물 하) : 물
•竟(마침내 경) : 끝내. 마침내
•墮(떨어질 타) : 흽쓸리다. 떨어지다
•而(말 이을 이) : 접속사로 ‘그리하여’의 의미
•當(마땅 당) : 마땅히
•奈(어찌 내) : 어찌

시적 화자와 시적 대상

시적
사랑하는 임이 물에 빠지는 모습을 보게 된 아내
화자

시적
스스로 물에 빠지는 남편, 백수 광부
대상

백수 광부와 그의 아내의 상황을 지켜본 곽리자고가 집에 돌아와


아내인 여옥에게 이 이야기를 들려줌.

168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68 2019. 1. 9. 오후 3:04


시적 화자의 정서 변화
1, 2행  3, 4행

임이 물을 건너려고 하자 만
임이 물에 빠져 죽고 시적 화
류하지만 결국 임은 물을 건
자는 그 모습을 보게 됨.
넘.

근심, 걱정, 불안감, 초조함 체념, 안타까움, 절망감, 한탄

배경 설화 및 작가 설명

배경 설화 고조선의 뱃사공 곽리자고(霍里子高)가 아침 일찍 일어나 배를 저어 가는데, 머리가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작품의
계보
하얗게 센 미친 사람[백수 광부(白首狂夫)]이 술병을 들고 강물을 가로질러 건너고 있었다. 그
고대 가요
의 아내가 뒤따르며 말렸지만, 그는 끝내 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그러자 아내는 강가에서 공후
〈공무도하가〉
에 맞춰 노래를 부르며 통곡하였는데, 이 노래가 〈공무도하가〉이다. 

노래가 끝나자 아내 또한 물에 몸을 던져 죽고 말았다. 이 광경을 목격한 곽리자고는 집에 돌 고려 가요


〈가시리〉, 〈서경별곡〉
아와 자기 아내인 여옥(麗玉)에게 이 이야기를 하면서 노래를 들려주었다. 여옥은 눈물을 흘리

면서 공후를 안고 노래를 불렀는데, 듣는 사람마다 눈물을 흘렸다. 여옥이 이 노래를 옆집에 사 한시
는 여용(麗容)에게 가르쳐 주니, 이 노래의 악곡명을 〈공후인(箜篌引)〉이라 한다. 정지상의 〈송인〉

시조
작가 설명 〈공무도하가〉는 고조선 사람인 ‘백수 광부(白首狂夫)의 아내’가 지은 작품으로 널리
황진이의 시조
알려져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곽리자고의 아내인 여옥이 이 작품의 작가라는 견해 
가 있는 것이다. 남편의 죽음을 목격한 아내가 공후를 들고 와서 노래를 부른다는 것은 이치에 현대시

어긋난다는 생각에서 비롯된 의견이다. 김소월의 〈진달래꽃〉

그렇지만 이러한 반론의 근거가 명확한 것은 아니다. 한치윤(1765~1814)이 《해동역사》를 편


공후(箜篌) 하프와 비슷한 동
찬하면서 이해한 방식에 따라, 백수 광부의 아내가 지은 작품으로 이해하는 것이 통설이다. 양의 옛 현악기.

제재 정리

작품 구성
1행 물을 건너려는 임을 만류함.
2행 임이 물을 건넘.
3행 임이 물에 빠져 죽음.
4행 임의 죽음을 한탄함.

⑴ 고대 문학 169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69 2019. 1. 9. 오후 3:04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시적 화자와 시어를 중심으로 〈배  〈배를 매며〉가 정서적·미적으로 감  백석의 시 〈백화〉를 감상하며 문학
를 매며〉의 내용 이해하기 동을 주는 까닭 이해하기 의 정서적·미적 경험을 내면화하기

활동 1 지도 방안
1 〈공무도하가〉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임’은 어떤 사람일지 말해 보자.


시적 화자의 생각, 태도, 어
예시 답 •시적 화자의 말을 듣지 않고 물을 건너다가 물에 빠져 죽는다.
조 등에 초점을 맞춰 작품을 구
•고집이 세서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은 위험해도 한다.
체적으로 감상하고 이해하는 활
동이다. 전문적이거나 도식적인
접근보다는 학생들의 시각에서 ⑵ 제시된 배경 설화를 고려할 때 시적 화자의 정서가 어떻게 변하는지 정리해 보자.
작품을 감상하는 태도가 필요
하며,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과
시적 대상의 모습, 분위기, 감정 1, 2행 3, 4행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
한다.
물을 건너려는 임이 물을
임이 물에 빠져 죽음.
임을 만류함. 건넘.

시적 화자의 정서 시적 화자의 정서

예시 답 근심과 걱정 예시 답 체념과 안타까움

활동 2 지도 방안
2 〈공무도하가〉의 문학사적 가치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 글을 참고하여 한국 문학사에서 〈공무도하가〉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보자.


〈공무도하가〉는 현전하는 최
고(最古)의 서정 가요 작품으로,
우리 고대 문학에서 서정 가요
원시 및 고대 초기의 시가는 집단이 공유하는 정서를 담은 노래였다. 또한 국중 대회
를 대표한다. 이러한 문학사적
의의를 이해하고, 〈공무도하가〉 (國中大會)와 같은 집단적인 행사에서 주로 불렀기 때문에 이러한 노래에서는 주술적
에 나타나는 특징이 이후 우리
문학의 전통을 이루는 요소가 이거나 제의적인 요소가 발견되기도 한다. 그러다가 시대가 흘러 점차 개인이 향유하
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
도한다. 는 노래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노래에는 개인의 고민이나 정서가 담겨 있다.

예시 답 이 작품은 물을 건너려는 임을 만류하다가 실패하게 되고 결국 임이 죽음에 이르자 안타까워하는 시적 화


자의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개인이 향유하는 노래’일 가능성이 높고 ‘개인의 고민과 정서’를 담은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로 보아 〈공무도하가〉는 우리 고대 문학에서 ‘개인 서정시’ 출현의 사례로 해석할 수 있
어 그 가치가 크다.

⑵ 이 작품에서 ‘물’이 지닌 상징적 의미는 무엇인지 말해 보자. 그리고 한국 문학의 전통에


한 개인이나 민족 구성원의 차
서 ‘물’의 의미가 〈공무도하가〉와 유사한 작품을 찾아보자.
원을 넘어서 고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지며 되풀이되는 인류의 보
편적 상징을 ‘원형(적) 상징’이라 〈공무도하가〉에서
고 한다. ‘물’은 오래전부터 문학 예시 답 사랑, 이별(임과의 단절), 죽음
‘물’의 의미
작품에서 자주 사용하는 상징물
이다.
‘물’의 의미가
예시 답 정지상의 〈송인(送人)〉
〈공무도하가〉와 유사한 작품

170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70 2019. 1. 9. 오후 3:04


3 다음은 고구려의 노래인 〈황조가〉와 그 배경 설화이다. 배경 설화와 함께 작품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황조가〉는 고구려 유리왕


이 불렀다고 전하는 고대 가요 翩翩黃鳥 펄펄 나는 저 꾀꼬리
편편황조 객관적 상관물 - 화자의 외롭고 슬픈 심정을 부각시킴.
이다. 여러 부족을 화해시키는
雌雄相依 암수 서로 정답구나.
데 실패한 왕으로서의 고뇌와 자웅상의
사랑하는 아내로부터 버림받은 念我之獨 외로워라 이내 몸은
염아지독 직접적인 감정 표현 → 개인적 서정시로서의
‌ 시가 문학으로 분화,
남편의 슬픔이 함께 담긴 작품 誰其與歸 뉘와 함께 돌아갈꼬. 변모되었음을 드러내는 구절
이다. 《삼국사기》에 실려 있다. 수기여귀
- 유리왕, 〈황조가(黃鳥歌)〉
활동 3 지도 방안 고구려 제2대 왕인 유리왕은 왕비 송 씨가 세상을 떠난 뒤에 두 사람의 왕비를 새
고대 가요인 〈공무도하가〉와
〈황조가〉를 비교 감상하면서, 로 맞이하였다. 한 사람은 골천 사람의 딸인 화희(禾姬)이고, 다른 한 사람은 중국 한
시적 화자의 처지와 시적 화자
가 생각하는 대상과의 관계가
(漢)나라 사람의 딸인 치희(雉姬)였는데, 두 왕비가 자주 다투었기 때문에 유리왕은 두
어떠한지를 생각해 보도록 한 개의 궁궐을 지어 각각 다른 곳에서 지내게 하였다.
다. 그리고 오늘날의 관점에서
두 작품이 주는 감동은 무엇인 어느 날 왕이 사냥을 나갔다가 7일 동안 돌아오지 않았는데, 그동안 두 왕비 사이에
지 자유롭게 이야기해 본다.
싸움이 일어났다. 화희가 치희를 꾸짖어 말하기를,
작품 개관 “너는 한나라 집안의 비천한 계집인데, 어찌 그리 무례한가?”
갈래 고대 가요, 서정 가요
성격 서정적, 애상적 하니, 치희는 한편으로 부끄럽고 한편으로 분하여 자기 나라로 돌아가 버렸다. 뒤늦게
제재 꾀꼬리
돌아온 유리왕은 급히 말을 달려 따라갔지만, 치희는 끝내 돌아오지 않았다.
임을 잃은 외로움과
주제
슬픔 어느 날 유리왕이 나무 밑에서 쉬다가 꾀꼬리가 날아서 모여드는 것을 보았다. 이에
① ‌작가와 창작 연대
가 구체적으로 알 느낀 바가 있어 노래하였는데, 이것이 〈황조가〉이다.
려진 고대 서정 가
- 김부식, 《삼국사기》에서
요임.
특징
② ‌시적 화자와 대비
되는 자연물을 활
용하여 시적 화자
의 정서를 강조함. ⑴ 〈공무도하가〉와 〈황조가〉의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말해 보자.
예시 답 •공통점: 시적 화자는 임과 이별한 상황에 처해 있다.
•차이점: 〈황조가〉와 달리 〈공무도하가〉에서는 임이 죽었기 때문에 시적 화자와 재회가 불가능하지만, 〈황조가〉에
서는 떠난 임이 돌아온다면 재회가 가능하다.

⑵ 〈공무도하가〉, 〈황조가〉와 같은 고대 문학 작품이 오늘날에도 감동을 준다면 그 까닭은


무엇일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사랑과 이별이라는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시·공간을 초월하여 오늘날에도 깊은 감
동을 준다.
02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공무도하가〉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예시 답 사랑은 인간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감정이야. 먼 옛날의 가락국의 시조인 수로왕의 탄생 신화 속에
작자 미상의
노래이지만 이별의 슬픔이 와닿아. 삽입되어 있는 고대 가요로, 임금의 강림을
〈구지가〉
바라는 집단의 소망을 담고 있다.
임과의 이별 상황에서 진달래꽃을 뿌리는
나의 책방 키우기 김소월의
행위를 통해 이별의 슬픔과 이를 극복하려
는 의지를 형상화한 1920년대 현대시로, 우
시대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작자 미상의 〈구지가〉 〈진달래꽃〉
리 민족의 보편적인 정서라 할 수 있는 이
별의 정한을 노래하고 있다.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김소월의 〈진달래꽃〉

⑴ 고대 문학 171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71 2019. 1. 9. 오후 3:05


‘소단원 정리하기’ 지도 방안
•문학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학습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개념 정리’,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도
록 한다.

(1) 고대 문학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4-⑴단원 개념 정리 ① 원시 문학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수렵 위주의 경제 활동을 함. 농경 위주의 경제 활동을 함.
<문화와 예술> <문화와 예술>


개념 정리
수렵의 성공을 기원하는 이야 농사와 관련된 노래, 천지와
평가 자료
고대 이전에도 문학이 있었을까. 기와 노래 인류의 기원을 담은 신화

•어휘 평가 문학의 기원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흔히 인간이 언어를 갖게 되면서 문학 작품이 나타났을 것
•쪽지 시험
•소단원 평가 이라 생각한다. 이런 견해에서 보면, 고대 이전에도 원시적인 형태의 문학이 존재했을 것이다. 그렇
•서술형 평가
지만 이러한 ‘원시 문학’은 온전한 형태로 전하는 작품이 거의 없어서 그 갈래나 흐름을 정확히 파악
•수행 평가
할 수 없다. 다만 암각화를 비롯한 유적이나 오늘날에도 전승되는 구비 문학인 무가(巫歌) 등을 통해
그 대략적인 양상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구석기 시대에는 수렵 위주의 경제 활동을 했으므로, 수렵의 성
공을 기원하는 이야기와 노래가 있었을 것이다. 신석기 시대에
는 농사와 관련된 노래나 천지와 인류의 기원을 담은 신화
가 향유되었을 것이다. 무가인 〈천지왕 본풀이〉처럼 우주
의 기원에서부터 인간 세상의 질서가 세워지기까지의
과정을 노래한 신화가 남아 있어서, 오늘날에도 대략
적인 모습은 짐작할 수 있다.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고래 사냥을 하는 모습 등 고대의 여러 가지 생활상이 담겨 있다.

고대 문학의 갈래와 흐름을 정리해 보자.


건국 신화의 탄생
청동기 시대에 이르러 국가가 성립되는데, 이와 함께 그 국가를 세운 인물, 즉 건국 시조를 주인공
으로 삼아 건국의 내력을 밝히고 신이하고 성스러움을 칭송하는 건국 신화가 나타났다. 고조선의
〈단군 신화〉 166쪽, 고구려의 〈주몽 신화〉 160쪽, 가야의 〈가락국 건국 신화〉와 같은 건국 신화는
역사서를 비롯한 옛 문헌에 기록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이들 신화에서는 특별한 혈통을 지
니고 신비롭게 태어나서 겪는 고난을 극복하고 나
라를 세우기까지의 건국 시조의 영웅적인 모습이
잘 나타나 있다. 건국 신화는 부여의 ‘영고’나 고구
려의 ‘동맹’과 같은 국중 대회(國中大會)에서 서사시 삼실총에 있는 〈공성도〉 중 기마전
로 구연이 되면서 집단의 결속을 다지고 자긍심을 삼실총은 중국 지린성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벽화 고
분이다. 내부의 북쪽 벽에는 〈공성도〉라는 그림이 남
높이는 기능을 했을 것이다. 아 있는데, 두 기병의 싸움이 잘 표현되어 있다.

172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indd 172 2023. 8. 9. 오후 2:37


4-⑴단원 개념 정리 ② 고대 문학

•시기: 국가가 성립되기 시작한 청동기 시대 •현실을 다루게 되면서 나타남.


전설,
•목적: 건국의 내력을 밝히고, 신이하고 성스러움을 칭송함. •작품: 〈낙랑 공주와 호동 왕자〉, 고구
민담
건국 신화의 •내용: 건국 시조가 특별한 혈통을 지니고 태어나 고난을 전설, 민담, 려의 미천왕이나 백제 무왕 이야기 등
 
탄생 극복하고 나라를 세우기까지의 영웅적인 모습이 제시됨. 서정 가요의 발생
•작품: 고조선의 〈단군 신화〉, 고구려의 〈주몽 신화〉, 가야의 서정 •개인의 삶과 감정을 담은 짧은 노래
〈가락국 건국 신화〉 등 가요 •작품: 〈공무도하가〉, 〈황조가〉 등

전설, 민담, 서정 가요의 발생


고대 문학에 건국 신화와 서사시만 존재한 것은 아니었다. 신화적 질서로는 해결되지
않는 현실을 구비 문학에서 다루게 되면서 전설과 민담이 나타났으며, 국중 대회에서
향유되는 집단적인 노래 이외에도 개인의 삶과 감정을 담은 짧은 노래들이 생겨났다.
〈낙랑 공주와 호동 왕자〉와 같은 전설에서는 남다른 혈통과 능력을 지닌 주인공이
현실에서 좌절하거나 희생되는 이야기가 그려졌다. 이와 함께 고구려의 미천왕이나 백
《삼국사기》
제의 무왕과 같이 미천한 처지에서 고생하다가 성공한 인물의 이야기를 다룬 민담 또한 유리왕의 〈황조가〉 가 수록되어 있다.

만들어졌다. 짧은 노래들로는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168쪽, 〈황조가(黃鳥歌)〉 171쪽, 〈구지가


(龜旨歌)〉 등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이 가운데 〈공무도하가〉와 〈황조가〉는 개인적 정서를 담
고 있는 작품으로 이해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문학 작품의 등장은 문학사의 전개에 중요한 의미를 지
닌다.

《해동역사》
한치윤이 엮은 사서(史書). 우리나라의 것은 물론
중국과 일본의 역사책에서 단군에서 고려 시대
까지의 우리나라에 관한 기록을 뽑아서 엮었다.
〈공무도하가〉가 실려 있다.
구지봉비
가야의 시조 수로왕이 태어났다고
하는 구지봉을 알리는 비석이다.

평가
점검 사항
상 중 하

고대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을 감상하면서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을 파악할


이 단원에서 수 있다. ▶ 교과서 170쪽 2번 문제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고대의 주요 문학 작품을 통해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할 수 있다.
점검해 보자. ▶ 교과서 165쪽 2번 문제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
계를 탐구할 수 있다. ▶ 교과서 165쪽 2번, 166쪽 3번 문제

⑴ 고대 문학 173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73 2019. 1. 9. 오후 3:05


숲에는 다양한 종류의 나무들이 함께 어우러져 있다. 종류도 다르고 자란 기간

중세
문학의 다양한 갈래를 비유함. 특징도 다르고 발생 시기도 다름.
도 다르지만, 그 나무들은 같은 땅에 뿌리를 내리고 숲을 이루며 살고 있다. 중세

문학 역시 고대 문학이라는 같은 땅에서 생겨났지만, 저마다 다른 형식과 내용을 갖추


문학 어 아름다운 나무로 성장했다. 이 시기에는 한국 문학이 풍성해졌는데, 새롭게 등장한
향가, 고려 가요, 시조, 가사 등
스마트 수업 PPT
갈래마다 소중한 작품들을 우리 문학사에 남겼다.

이 단원에서는 중세 문학이 어떤 모습으로 전개되었는지 생각하면서 다양한 작품들

을 감상해 보자. 세 번째 질문 이끌기


고대 문학과는 다른 중세 문학의 특
징에 대한 내용으로, 구체적인 작품을
통해 중세 문학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감상하면서 그 작품들이나 갈래가 지
닌 문학사적 가치를 생각해 볼 수 있
도록 지도한다.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중세 문학 작품의


생각해 보자. 문학사적 가치는
중세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 소단원 도입 애니메이션 무엇일까?
을 감상하면서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을 파악한다.
중세의 주요 문학 작품을
통해 갈래별 전개와 구현 중세 문학에는
양상을 탐구한다. 중세에는 어떤
어떤 시대 상황이
문학 갈래가 있었을까?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반영되어 있을까?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
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 첫 번째 질문 이끌기 두 번째 질문 이끌기
를 탐구한다. 중세 문학은 흐름이나 양식상 중세의 역사적 상황과 문학 작품이 이
소단원 수업은 이렇게 의 다양한 변화가 일어난 시기이 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생각
다. 학생들 스스로 자신이 알고 있 해 보는 내용이다. 문학사에서 중요한 의
이 단원은 동아시아의 공동 문어(共同文語)
는 문학 갈래에는 어떤 것이 있는 의를 지니는 역사적 사건뿐만 아니라 작
인 한문으로 문학 활동을 하면서부터 한글이
지 질문을 해 보면서 이에 대해 대 가층의 변화와 생활상의 변화에 대해서
창제되어 국문 문학이 창작된 시기, 즉 삼국
략적으로 떠올릴 수 있도록 한다. 도 함께 생각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준다.
시대부터 조선 전기까지의 중세 문학 작품의 이 단원에서는 
특성과 그 변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목표이
다. 따라서 이 단원에서는 차자 표기를 활용한 1 〈찬기파랑가〉를 감상하며 향가의 특성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175쪽, 지도서 256쪽
〈찬기파랑가〉, 구비 전승되다가 국문으로 기
록된 〈청산별곡〉, 한문 문학인 〈경설〉, 국문 시 2 〈청산별곡〉을 감상하며 고려 가요의 특성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179쪽, 지도서 264쪽
가 문학인 시조 세 편과 〈사미인곡〉 등을 감상
3 〈경설〉을 감상하며 고전 수필의 특성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185쪽, 지도서 272쪽
하면서 다양한 갈래가 등장한 중세 한국 문학
의 특징과 변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도록 지 4 ‘시조 세 편’을 감상하며 시조의 특성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189쪽, 지도서 280쪽
도한다.
5 〈사미인곡〉을 감상하며 가사의 특성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193쪽, 지도서 288쪽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 교과서 200쪽, 지도서 253쪽

174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74 2019. 1. 9. 오후 3:05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신라의 충담사가 화랑이었던 기파랑의 높은 인격을 사모하
여 지은 10구체 향가로, 기파랑의 인물됨을 자연물에 비유하여 찬양하고
1
있다. 중세 전기의 가장 대표적인 문학 갈래인 향가는 우리말 노래를 한
자의 소리와 뜻을 빌려 표기하는 향찰로 기록한 시가이다. 4구체, 8구체,
10구체가 있으며 이 중에서 10구체는 향가 가운에서도 가장 발전된 형식
이다. 〈찬기파랑가〉는 이러한 향가의 일반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시조로
이어지는 형식상의 전통이 어떻게 계승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선정하
였다. 즉, 연속성의 관점에서 한국 문학의 형성과 변화 및 발전을 이해하
는 데 적절한 제재이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충담사 ( ? ~? ) 작가 동영상
제목 관련 통일 신라 경덕왕(재위 742〜765) 때의 승려. 향가
제목은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요?
질문의 예
〈찬기파랑가〉, 〈안민가〉 등의 작품이 《삼국유사》에 전
한다.
삽화 관련 교과서 175쪽의 삽화에서 제시된 인물의 직업은 무
질문의 예 엇일까요?

갈래 관련 신라 시대에 ‘향가’라는 노래에 대해 가지고 있는 배


질문의 예 경지식이 있나요?
 화랑에 대해 알고 있는가?
 한글이 없었던 시대에는 우리말을 어떻

게 기록했을까?

예시 답 ‘기파랑’은 실존 인물이었을까?

⑵ 중세 문학 175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75 2019. 1. 9. 오후 3:05


〈찬기파랑가〉는 기파랑이라는 화랑의 고매한 인품과 덕성을 기린 향가이다. 작품 개관
향가의 특성에 주목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갈래 10구체 향가
성격 추모적, 서정적, 예찬적
수업의 포인트
제재 기파랑의 모습과 인격
•향가의 갈래적 특징 파악하기 주제 기파랑에 대한 추모와 예찬
•시어의 상징적 의미 이해하기 ① ‌뛰어난 상징과 비유를 통해 기파
•낙구의 감탄사 ‘아야’의 기능과 특징 파악하기 랑의 모습과 인격을 형상화함.
② ‌대상을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이
특징
미지를 사용하여 제시함.
③ ‌〈제망매가〉와 더불어 가장 서정

찬기파랑가 (讚耆婆郞歌) | 충담사 지음, 김완진 해독


성이 높은 향가 작품으로 평가됨.

향가의 갈래적 특징
개념 신라의 대표적 시가이며 향찰로 기록함.
전개 8~10세기 무렵 활발하게 창작·소통됨.
형식 4구체, 8구체, 10구체
•민요에 바탕을 둔 작품에서 개인이 창작한
의의 서정시까지 성격이 다양함.
•승려, 화랑 등 지식인 계층이 대체로 향유함.

咽嗚爾處米 늣겨곰 라매 흐느끼며 바라보매

이슬 갼 라리
열오이처미
露曉邪隱月羅理 이슬 밝힌 달이
(달).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攴下  구룸 조초 간 언저레
노효사은월라리
흰 구름 따라 떠간 언저리에

몰이 가 믈서리여
백운음축간부거은안지하
沙是八陵隱汀理也中 모래 가른 물가에

耆郞矣皃史是史藪邪 기랑(耆郞) 즈올시 수프리야


사시팔릉은정리야중
기랑(耆郞)의 모습이올시 수풀이여.

逸烏川理叱磧惡希 일오(逸烏) 나릿 긔


기랑의모사시사수사 모습과도 같은 ▶기파랑의 고결한 모습을 떠올리며 그의 부재를 안타까워함.
일오(逸烏)내 자갈 벌에서

郞也持以攴如賜烏隱
일오천리질적오희 냇물의 이름 화자가 있는 공간
낭(郞)이여 디니더시온 낭(郞)이 지니시던

心未際叱肹逐內良齊   좃라져


냥야지이지여사오은
마음의 갓을 좇고 있노라.
(갓). 끝 ▶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본받고 싶음.
阿耶栢史叱枝次高攴好
심미제질힐축내량제
아야 자싯가지 노포 아아, 잣나무 가지가 높아

누니 모 두폴 곳가리여
아야백사질지차고지호 낙구의 감탄사 ‘기파랑’의 고결한 절개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눈이라도 덮지 못할 고깔이여.
설시모동내호시화판야 눈(시련, 역경) 잣나무의 윗가지 부분이 ▶ 기파랑의 인품과 높은 절개를 예찬함.
‘기파랑’의 고깔처럼 보임.
제재 정리

소재의 상징적 의미 낙구의 감탄사 ‘아야’의 기능과 특징


•‌고난과 역경에 굴하지 않는 존재 10구체 향가의 9행의 첫 부분에 감탄사 ‘아야’
잣나무
→ 기파랑의 높은 절개
가지
•‘눈’과 대립되는 이미지
기능 의의

•‌시련, 역경, 부정한 세력 등을 의 •시상의 정서적 고양 조선 전기의 시조(종장의 첫 구)



미함. •시상의 압축 나 가사에도 낙구가 나타남. →
→ 구조의 완결성을 구현함. 한국 문학의 형식적 특징 계승

작품 구성
1~5행 기파랑의 고결한 모습을 떠올리며 그의 부재를 안타까워함.
6~8행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본받고 싶음.
9~10행 기파랑의 인품과 높은 절개를 예찬함.

176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76 2019. 1. 9. 오후 3:05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찬기파랑가〉의 시적 화자  〈찬기파랑가〉, 〈헌화가〉, 〈처용가〉를 통해 향가  〈찬기파랑가〉에 사용된 차자 표기
가 처한 상황과 시어의 의 의 형식을 탐구하고, 한국 문학의 전통 계승의 방식이 한국 문학사에서 지니는 의
미 정리하기 측면에서 시조와 함께 감상하기 의 생각해 보기

1 〈찬기파랑가〉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시적 화자는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말해 보자.


활동 1 지도 방안 예시 답 시적 화자는 일오내 자갈 벌에서 기파랑을 추모하고 있다.
작품의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
하는 활동이다. 시적 화자가 처
한 상황과 시적 대상, 그에 대한
시적 화자의 태도, 시어가 지니
는 상징성 의미 등을 파악하며
작품을 통해 작가가 전하려는
바를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⑵ 다음 시어가 의미하는 바를 정리해 보자.

잣나무 가지 눈

예시 답 기파랑의 고매한 인격(인품) 예시 답 장애물, 고난, 역경

2 〈찬기파랑가〉를 통해 향가의 갈래적 성격과 흐름을 살펴보자.

⑴ 다음은 향가인 〈헌화가〉와 〈처용가〉를 현대어로 풀이한 것이다. 〈찬기파랑가〉와 함께 비


향가는 한국 문학사에서 처음
교하며 감상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향가의 형식에 대해 말해 보자.
으로 등장한 정형 시가이다. 향가
는 한자로 우리말을 표기하는 ‘향 예시 답 〈찬기파랑가〉는 10행으로 구성되어 있고, 〈헌화가〉는 4행, 〈처용가〉는 8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향가는
행의 수에 따라 4구체, 8구체, 10구체로 나눈다.
찰(鄕札)’로 기록되었으며, 행의
수에 따라 세 종류로 나눌 수 있
다. 현재 25수가 전해지고 있다. 동경(東京) 밝은 달에
경주(신라의 수도)
밤들이 노니다가
활동 2 지도 방안 자줏빛 바위 가에
향가는 한자를 이용하여 우리 게 하시고, 들어 자리를 보니
말을 표기한 ‘향찰(鄕札)’로 표 잡고 있는 암소 놓 정도로 연정이 깊
음.
게 중요한 대상인 암소를 놓을 면
기되어 있지만, 우리 고유의 정 노인에
나를 아니 부 끄러워하시 다리가 넷이러라. ▶ 역신의 침범
형 시가 문학이다. 먼저 향가의 사건의 정황(역신과 아내의 동침
)
형식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향 오리다.
꽃을 꺾어 바치하
둘은 내해였고
가가 전통적인 시가 양식에서 는 매개물
정을 전 독,
노인의 분신, 연노 翁) 지음, 김완진 해 둘은 누구핸고.
차지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 - 견우 옹(牽牛老
도록 지도한다. 〈헌화가(獻花歌)〉
본디 내해다마는
빼앗은 것을 어찌하리오. ▶ 처용
의 관용
- 처용 지음, 김완진 해독,
〈처용가(處容歌)〉
① 이미 다른 사람의 여인이 된
상황에 대한 체념
② 자신의 아내까지도 대상에게
허용하는 관용
작품 개관 〈헌화가〉 작품 개관 〈처용가〉
갈래 향가 갈래 향가
성격 민요적, 서정적 성격 주술적
제재 수로 부인, 꽃 제재 역신(疫神)의 침범
주제 사회적 신분의 차이를 넘어선 연정 주제 아내를 범한 역신을 쫓아냄.
① ‌신라인의 소박하고 보편적인 미의식을 보여 줌. ① 체념과 관용을 바탕으로 한 축사(逐邪)의 노래임.
특징 ② ‌가정법과 자연물(꽃)을 통해 시적 화자의 심리를 특징 ② 영탄을 통해 분노와 슬픔, 체념과 관용의 감정을
드러냄. 동시에 드러냄.
⑵ 중세 문학 177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77 2019. 1. 9. 오후 3:05


⑵ 다음 시조의 밑줄 친 부분을 참고하여, 〈찬기파랑가〉 제9행의 ‘아야’가 한국 문학의 전통
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말해 보자.

〈오백 년 도읍지를〉은 멸망
한 고려의 도읍지를 바라보면서
느낀 안타까움과 무상감을 노래
한 작품이다. 오백 년(五百年) 도읍지(都邑地)를 필마(匹馬)로 도라드니
산천(山川)은 의구(依舊)되 인걸(人傑)은 간 듸 업다.
고려의 옛 서울인 개성 한 필의 말
작품 개관

어즈버 태평연월(太平烟月)이 이런가 노라.


평시조, 정형시, 서정 옛과 같이 변함이 없음. 고려의 유신(遺臣)
갈래

성격 회고적, 감상적
감탄사 영화로웠던 옛 고려 왕조
- 길재
제재 오백 년 도읍지
망국의 한과 인생무
주제

① 대조법을 활용하
여 무상감을 부각
함.
특징 ② 감탄사를 사용하
여 시적 화자의 고
조된 감정을 효과
적으로 드러냄.

예시 답 〈찬기파랑가〉 9행의 ‘아야’와 제시된 시조 종장의 ‘어즈버’를 통해서 두 작품은 형태적 유사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10구체 향가의 낙구와 시조의 종장 첫머리에 감탄사가 배치되어 유사한 결구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
한 감탄사는 앞부분까지 전개되던 시상을 집약하면서 전환하는 공통된 기능을 갖는다. 감탄사를 계기로 하여 앞에
서 노래했던 사물이나 풍경에 시적 화자가 부여한 의미가 진술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사성은 향가와 시조 사이에 상
당한 시간적 거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문학적 전통이 계승되었다고 해석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활동 3 지도 방안
3 〈찬기파랑가〉는 한자를 빌려서 우리말을 표기하는 차자 표기(借字表記)의 방식으로 기록
된 작품이다. 이와 같은 작품이 한국 문학사에서 어떠한 의의를 지니는지 생각해 보자.
향찰은 우리말을 표기하는 문 예시 답 우리말을 표기할 수 있는 문자가 없던 시기에 문학 작품의 기록은 한자를 통한 기록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
자가 없었을 때 고안된 것으로, 다. 그런데 향찰은 중국의 한자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의 어순에 따라 문장 전체를
한자를 이용하여 우리말을 표기 기록한 표기법이다. 이러한 향찰 표기는 시가 작품이 당시에 우리말로 어떻게 노래로 불렸는지 짐작하게 해 주는 한
하는 차자 표기에 해당한다. 그 의 편, 외래문화를 수용하는 태도면에서 우리 민족의 주체성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의를 생각해 보기 위해서는, “만약
향찰이 없었다면 어떤 일이 있
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답
을 해 보면 좋을 것이다.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1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찬기파랑가〉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이 작품은 죽은 누이의 명복을 빌며 추모
예시 답 기파랑을 추모하는 충담사의 마음이 매우 깊어 보여. 한 하고 있으며, 죽음에 대한 슬픔을 종교적
글이 창제되기 이전에 창제된 우리말 노래가 지금까지 전해지고 월명사의
으로 승화시킨 10구체 향가이다. 〈찬기파
있어서 참으로 다행이야. 〈제망매가〉
랑가〉와 함께 표현 기교와 서정성이 뛰어
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나의 책방 키우기 이 작품은 신라의 화랑 죽지랑의 낭도였던
득오가 죽지랑에 대한 사모의 정을 노래한
갈래가 같은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월명사의 〈제망매가〉 8구체 향가로, 죽은 죽지랑을 추모한 노래
득오의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득오의 〈모죽지랑가〉 로 보기도 한다. 주술성이 없는 순수 서정
〈모죽지랑가〉
시로 죽지랑에 대한 사모(추모)의 정과 지
난 세월에 대한 무상감이 잘 나타나 있다

178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78 2019. 1. 9. 오후 3:05


2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삶의 터전을 잃고 떠도는 유랑민의 처지를 노래한 고려 가
요이다. 고려 가요에는 평민들의 생활 감정과 정서가 진솔하게 담겨 있으
며, 우리말을 잘 살려 써 리듬이 매끄럽고 분연체 형식의 후렴구를 사용
한다는 특징이 있어서 국문학의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고려
가요는 민간에서 향유되다가 궁중 음악으로 유입되었고 조선 시대에 와
서야 문헌으로 정착되면서 오늘에 이르렀는데 〈청산별곡〉은 이러한 고려
가요의 전승 과정을 파악하기에 적절한 제재이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별곡’이란 말을 들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삽화 관련 교과서 179쪽의 삽화에서 느껴지는 ‘청산’의 이미지


질문의 예 는 무엇인가요?

갈래 관련
고려 가요 작품을 감상한 경험이 있나요?
질문의 예
 ‘청산’은 어떤 곳일까?
 힘든 일이 생겼을 때 가고 싶은 곳이 있

는가?

예시 답 고려 시대 평민들은 어떤 삶을 살았을

까?

⑵ 중세 문학 179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79 2019. 1. 9. 오후 3:05


〈청산별곡〉은 현실의 고난을 피해 청산과 바다를 찾아가는 심정을 노래한 고려 가요이다. 작품 개관
고려 가요의 형식과 정서에 주목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갈래 고려 가요, 서정시
성격 현실 도피적, 애상적, 낙천적
수업의 포인트
제재 청산, 바다
•시어의 상징적 의미 파악하기 삶의 고뇌와 비애로부터 벗어나고
•후렴구의 기능 파악하기 주제
싶은 욕구
① ‘A-A-B-A’ 형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남.
② 후렴구에 ‘ㄹ’과 ‘ㅇ’ 음을 반복하
특징
여 음악성을 드러냄.

청산별곡 (靑山別曲) | 작자 미상
③ 감정 이입, 반복, 상징, 의인, 비교
등 다양한 표현 방법을 구사함.

살어리 살어리랏다 산(靑山)애 살어리랏다


A A B A

멀위랑 래랑 먹고 산(靑山)애 살어리랏다


마음의 안식처, 이상향, 속세와 대조되는 공간

소박한 음식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 : 후렴구 ▶ 청산에 대한 동경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 니러 우러라 새여


시적 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대상
널라와 시름 한 나도 자고 니러 우니로라
살어리랏다 살겠노라. 살리로 동병상련(同病相憐)
다. 살았으면 좋았을 것을.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삶의 비애와 고독

멀위랑 머루랑.
우러라 우는구나. 울어라.
니러 일어나서. 가던 새 가던 새 본다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널라와 시름 한 너보다 시름 많 속세(청산과 대비되는 공간)
은.
잉무든 장글란 가지고 믈 아래 가던 새 본다
미련
가던 새 날아가던 새[鳥]. 혹은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속세에 대한 미련
‘갈던 사래(이랑)’로 보기도 함.
믈 아래 강물 아래에. 하류에.

이링공 뎌링공 야 나즈란 디내와손뎌


잉무든 장글란 이끼 묻은 쟁기
일랑.

오리도 가리도 업슨 바므란  엇디 호리라


‘이리고 뎌리고’에 음악적 효과를 주기 위해 ‘ㅇ’을 첨가함.
나즈란 디내와손뎌 낮은 지내
왔건만. 밤. 화자의 외로움이 심화되는 시간
바므란 밤은.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고독과 외로움

후렴구의 기능
얄리얄리 얄랑(라)셩 얄라리 얄라

•악기의 의성어로, 흥을 돋우고 노래의 리듬에 맞추기 위한 것


•‘ㄹ’ 음과 ‘ㅇ’ 음의 연속으로 매끄러운 음악적 효과를 가지며,
낙천적이고 명랑한 느낌을 줌.

180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80 2019. 1. 9. 오후 3:05


시어의 상징적 의미

청산,
시적 화자의 이상향으로, 현실과 대조되는 공간
바다

새 시적 화자의 분신이며 동병상련을 느끼는 대상

밤 시적 화자가 절대적인 고독을 느끼는 시간

돌 시적 화자의 의지와는 무관한 인간의 가혹한 운명

강수
현실의 고통과 외로움을 잊게 하는 매개체
(술)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믜리도 괴리도 업시 마자셔 우니노라


인간에게 주어진 운명 누리라 마치던 돌코 누구를 맞
히려던 돌인가?
믜리도 미워할 이도.
돌에 맞아서 고통스러움. 한탄함.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운명적 고독과 번뇌
괴리도 사랑할 이도.
자기 구조개 나문재와 굴

살어리 살어리랏다 바래 살어리랏다


과 조개. 나문재는 해초의 이름.
드로라 듣는다.

자기 구조개랑 먹고 바래 살어리랏다


바(바다) → ‘산’과 상징적 의미가 유사함.
에졍지 외딴 부엌이나 마당.
사미 대예 올아셔 ① (산
1연의 ‘멀위랑 래랑’에 대응함. 화자의 소박한 삶을 상징함.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바다에 대한 동경 대놀음을 하는 중에) 사슴의 가
면을 쓴 광대가 장대에 올라서.
② 사슴이 장대에 올라서.(현실
적으로 불가능하므로 기적이 일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졍지 가다가 드로라
어나기를 바라는 심정이 담긴
사미 대예 올아셔 금을 혀거를 드로라 표현으로 해석)
혀거를 켜는 것을.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기적을 소망하는 마음 설진 강수를 비조라 독한 강술
을 빚는다.
조롱곳 누로기 와 잡와니
가다니 브른 도긔 설진 강수를 비조라 조롱박꽃 누룩이 매워서 붙잡으

조롱곳 누로기 와 잡와니 내 엇디 리잇고


배가 불룩한 독(항아리)에 ‘강술’은 현실의 고통과 외로움을 잊게 하는 매개체 니.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 고뇌의 일시적 해소 제재 정리

작품 구성
1연 청산에 대한 동경
2연 삶의 비애와 고독 청산에서의 삶을
3연 속세에 대한 미련 노래함.
4연 고독과 외로움
5연 운명적 고독과 번뇌
6연 바다에 대한 동경 바다에서의 삶을
7연 기적을 소망하는 마음 노래함.
8연 고뇌의 일시적 해소

⑵ 중세 문학 181

고등문학(156~203)4단원(교).indd 181 2020. 11. 24. 오전 9:51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청산별곡〉의 구성을 정리하고, 시적  〈청산별곡〉의 작가와 운율에 대해 탐  임춘의 〈공방전〉을 감상하고 가전의
화자가 감정을 이입한 대상 및 처한 구하고, 고려 가요의 특징이 잘 나타
문학사적 의의를 생각해 보기
상황을 파악하기 난 작품 조사하기

1 〈청산별곡〉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은 8연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두 부분으로 나눈 후


시적 화자가 살고 싶다 시적 화자의 정서에 유의하여 각각의 중심 내용을 정리해 보자.
고 말한 공간을 찾아보면 작품
을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을거 중심 내용
야.

활동 1 지도 방안 예시 답 현실에서 벗어나서 청산에서 살고 싶지만, 그곳에서도 행복한 삶을 누릴


1 연~ 4 연
〈청산별곡〉은 8개의 연으로 수는 없다는 것을 깨달음.
구성되어 있는 작품인데, 흔히
화자가 살고 싶다고 말한 공간
을 중심으로 하여 크게 두 부분
으로 나누어진다고 본다. 학생 예시 답 고통스러운 삶을 벗어나 바다로 가고자 하는데, 그 과정에서 현실에 순응
들에게 작품을 두 부분으로 나 5 연~ 8 연 하거나 혹은 현실을 초월해야 한다는 점을 생각함.
누게 한 다음, 두 공간에서 시적
화자가 느끼는 감정이 어떤 것
이었을지 짐작해 보도록 한다.

⑵ 이 작품에서 시적 화자가 감정을 이입한 대상을 찾아보자.


예시 답 시적 화자는 자신의 슬픈 감정을 ‘새’에 이입하여 동병상련(同病相憐)의 정을 느끼고 있다.

⑶ 5연에서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을 짐작할 수 있는 시어를 찾고, 그 상황은 어떠한지 자기


생각을 정리해 보자.

시어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

예시 답 시적 화자는 자신에게 던진 것인지 누가 던진 것인지도 알


수 없는 돌에 맞아 울고 있다. 누구를 원망할 수도 없이 울고만 있게
돌(돌ㅎ) 되었다면, 그 상황은 자신의 힘으로는 극복하기 어려울 만큼 고통스
러운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활동 2 지도 방안
고려 가요는 대체로 민간에
서 부르던 노래를 궁중 음악으
2 〈청산별곡〉이 고려 가요로서 지니는 특성에 유의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청산별곡〉은 작가가 밝혀지지 않은 작품이다. 작품의 내용을 근거로 들어 작가가 어떤


로 받아들인 것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현재의 형식 가운데 일 계층에 속하는 사람일지 생각해 보자.
부는 민간의 노래일 때 형태를
예시 답 •3연에서 농사와 관련된 시어와 시적 상황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작가는 현실에서 고통을 받는 민중(농
갖추었을 것이며 또 일부는 궁
민)이나 삶의 터전을 잃은 유랑민일 것이다.
중 음악으로 편입될 때 갖추어
•시적 화자는 2연에서 새보다 자신의 시름이 깊다고 하고 4연에서는 밤을 근심한다. 5연에서는 원망할 대상도 제대
졌다고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고려 가요의 여 로 찾지 못한 채 슬피 울기만 한다. 또한 7연과 8연에서 시적 화자는 해금 켜는 상황을 통해 기적을 소망하고 독한
러 작품이 공유하는 특성을 찾 술로 고뇌를 해소하고자 한다. 이러한 처지에 놓인 사람은 보통의 민중이라기보다 자기 뜻을 펼 수 없어 고뇌하는
아 볼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지식인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182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3연에서 시적 화자는 떠나온 삶의 터전을 그리워한다. 따라서 이 작품의 작가는 어쩔 수 없이 삶의 터전을 떠난 유
랑민으로 볼 수 있다.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고려하면, 외적의 침입이나 정권의 폭정 등으로 생활을 영위할 수 없
었던 백성들이 이 작품의 작가였을 것이다.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82 2019. 1. 9. 오후 3:05


⑵ 이 작품에서 운율을 느낄 수 있게 하는 요소는 무엇인지 찾아보자.
고려 가요는 고려 시대에 궁중
에서 불리던 노래인데, 그 대부 예시 답 •3음보의 율격을 지니며 후렴구가 나타난다.

분은 원래 민간에서 유행하던 노 •유사한 형식을 갖춘 연이 반복되는 연장체 형식이다.


래였으리라 추정된다. 그래서 고
려 가요에는 백성들의 진솔한 감
정을 담은 작품이 많다. 형식에
서는 3음보의 율격과 후렴구를
갖춘 작품이 비교적 많다.

⑶ 다음은 고려 가요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다.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작품은 어떤 것이


있는지 모둠별로 조사해 보자.

고려 가요는 형식과 주제가 비교적 자유로운 갈래이다. 여러 연으로 이루어진 ‘연장


체’가 있는가 하면, 하나의 연으로만 이루어진 ‘단연체’도 있다. 연장체 가운데에는 12
개월의 시간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는 ㉠‘월령체(月令體)’ 작품도 존재한다. 진솔
한 감정을 표현했다는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제 면에서는 효도나 충절과 같
은 유교적 이념을 노래한 작품부터 ㉡현실의 모순에 대한 비판이나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룬 작품까지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 가운데 노골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남녀 간의 사
랑을 진솔하게 노래한 작품들은 조선 시대에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라고 비
판받기도 했다.

㉠ 예시 답 〈동동〉

㉡ 예시 답 〈청산별곡〉

㉢ 예시 답 〈만전춘별사〉, 〈쌍화점〉, 〈이상곡〉

⑵ 중세 문학 183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83 2019. 1. 9. 오후 3:05


3 다음은 〈청산별곡〉과 같은 고려 시대 작품인 〈공방전(孔方傳)〉의 일부이다. 작품의 표현 방
식에 유의하며 가전(假傳)의 문학사적 의의를 말해 보자.

〈공방전〉은 돈을 의인화하
여 그 내력과 행적을 허구적으 공방(孔方)의 자는 관지(貫之)다. 그의 선조는 옛날에 수양산에 은거하여 동굴에서
로 구성한 가전 작품이다. 물건을 꿰는 데 쓰는 끈이나 꼬챙이 또는 거기에 무엇을 꿴 것을 의미하는 ‘꿰미’를 뜻함.
살았는데, 일찍 세상으로 나왔지만 쓰이지 못했다. 비로소 황제(黃帝) 때에 조금씩
돈이 아직 세상에서 유용하게 쓰이지 않음.
쓰였으나, 성질이 강경하여 세상일에 매우 단련되지 못했다. 황제가 관상을 보는 사

‘가전(假傳)’은 설화에서 탈피 람을 불러 그를 살피게 하니, 관상 보는 사람이 자세히 보고 천천히 말하기를 “산야
하여 우화, 의인화 수법을 써서 (山野)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거칠어서 사용할 수 없지만, 만약 임금님의 쇠를 녹이
지은 짧은 산문으로, 주로 사람
는 용광로에서 갈고 닦으면 그 자질은 점점 드러나게 될 것입니다.」 임금이란 사람을
들을 경계하고 권선(勸善)할 목 「 」: 돈을 만드는 과정
적으로 쓴 것이다. 사람이 아닌 사용할 수 있는 그릇이 되도록 만드는 자리이니, 임금님께서 완고한 구리와 함께 버
물건을 의인화하여 썼기 때문에 리지 마십시오.”라고 했다. 이로부터 세상에 나타나게 되었다. 〈중략〉 ▶ 공방의 내력
‘가전’이라 부른다.
공방의 사람됨은 겉은 둥그렇고 가운데는 네모나며, 세상의 변화에 잘 대응했다.
공방은 한나라에서 벼슬하여 홍려경(鴻臚卿)이 되었다. 당시에 오나라 임금인 비
활동 3 지도 방안 돈의 이중성
가전은 문학사적 의의를 탐구
하는 활동이다. 작품에서 두드 (濞)가 교만하고 참람하여 권력을 마음대로 행사했는데, 공방이 비를 도와 이익을 취
러진 표현 방식을 찾게 하고 이
를 바탕으로 갈래의 속성을 파 했다. 호제(虎帝) 때에 나라가 텅 비고 창고가 텅 비게 되었는데, 호제가 이를 걱정하
악하게 하면서 가전이라는 갈래
가 문학사적으로 어떤 의의를 여 공방을 부민후(富民侯)로 임명했다. 그 무리인 염철승(鹽鐵丞) 근(僅)과 함께 조정
지니고 있을지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에 있었는데, 근이 항상 공방을 가형(家兄)이라고 부르고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 공
공방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냄.
작품 개관
방은 성질이 탐욕스럽고 염치가 없었는데, 이미 국가의 재산을 총괄하면서 자모(子
갈래 가전 母)의 경중을 저울질하는 것을 좋아했다. 공방은 국가를 이롭게 하는 것에는 도자기
비유적, 우의적, 비판 이자의 높고 낮음을 따짐.
성격
적, 풍자적 와 철을 주조하는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면서, 백성들과 함께 조그만 이익을 다투고,
제재 돈(엽전)
재물을 탐하는 세태
물가를 올리고 내리고, 곡식을 천대하고, 화폐를 귀중하게 여겼다. 그리하여 백성들
주제
를 경계함. 이 근본을 버리고 끝을 좇도록 하고, 농사짓는 것을 방해했다. ▶ 공방의 성질
① 사물을 의인화하 생산적인 일보다 돈을 만지는 일에 사람들을 매달리게 하여 농업을 위축시킴.
여 작가의 비판적 - 임춘, 〈공방전(孔方傳)〉에서
태도를 우의적으 홍려경(鴻臚卿) 외국에서 방문한 사신을 접대하는 관직.
로 드러냄.
참람(僭濫)하다 분수에 넘쳐 너무 지나치다. 예시 답 〈공방전〉에서 ‘돈’을 사람에 빗대어 표현한 것과 같이 가
특징 ② 전기(傳記)적 구성
전은 사물을 의인화하여 그 생애를 전기 형식으로 서술한다. 따
을 사용하여 한 인 호제(虎帝) 한나라 광무제를 말함.
라서 가전은 인간사의 다양한 문제를 간접적·우회적 수법으로
간의 생애를 다루 염철승(鹽鐵丞) 소금과 철을 담당하는 관료. 다루면서 비평하고 교훈적 내용을 전달하거나 사회에 대한 비판
듯 ‘공방’의 생애
자모(子母) 원금과 이자를 말함. 적 시각을 드러내는 데 적합하다. 이러한 특징을 지닌 전(傳)은 후
를 서술함.
대의 고전 소설 발생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2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청산별곡〉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이 작품은 이별의 정한과 재회에 대한 간절한 소망
예시 답 청산에서도 바다에서도 편하지 않을 것 같은 고려 시대 작자 미상의 을 진솔한 언어로 표현한 고려 가요로, 우리 민족의
사람의 삶의 모습과 감정을 절묘하게 표현한 노래야. 〈가시리〉 전통적인 정서인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작품은 청산의 생명력을 통해 청산과 같이 순수
나의 책방 키우기 하고 건강한 세상에 대한 그리움과 그러한 세상이
도래하기를 바라는 소망을 형상화한 시이다. 광복
박두진의
갈래가 같은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작자 미상의 〈가시리〉 후의 혼란한 시대 상황을 배경으로 이상 세계를 소
〈청산도〉
망하는 시적 화자의 모습과 혼란한 세상에서 삶의
소재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박두진의 〈청산도〉

터전을 잃고 유랑하며 이상향을 소망하는 〈청산별
곡〉의 시적 화자의 모습을 비교 감상할 수 있다.

184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84 2019. 1. 9. 오후 3:05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사물의 외양을 비춰 보는 도구인 거울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해 사물과 삶의 본질적인 의미를 발견하고 있는 ‘설(設)’이다. ‘설’은
3
일종의 한문 수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치에 따라 사물을 해석하고 시비
를 밝히면서 자기 의견을 말하는 형식을 가진다. 고려 시대 한문학을 대
표하는 이규보의 〈경설〉을 통해 당대의 한문학 및 수필 문학의 특징을 이
해하고, 시대 상황과 이에 대한 작가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제재로 선
정하였다.

이규보 (1168~1241) 작가 동영상

고려 때의 문인. 호탕하고 활달한 시풍으로 유명하였


고, 신의(信義)를 중시하는 문학론을 폈다. 문집으로
《동국이상국집》이 전한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사람들이 거울을 보는 이유는 무엇일까?


제목 관련
‘경설’의 뜻은 무엇일까요?
 사물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본 경험이
질문의 예
있는가?
삽화 관련 교과서 185쪽 삽화에 제시된 거울을 보며 평소 자신

질문의 예 은 어느 경우에 거울을 보는지 생각해 볼까요? 예시 답 전하려는 내용을 직접 말하지 않고 다른

상황에 빗대어 돌려 말하면 어떤 효과가 있을까?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⑵ 중세 문학 185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85 2019. 1. 9. 오후 3:05


<경설>은 거울이라는 사물을 통해 삶의 자세를 이야기한 한문 수필이다. 작품 개관
시대적 배경과 작가의 세계관을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갈래 고전 수필, 한문 수필, 설(說)
성격 교훈적, 철학적, 관조적
수업의 포인트
제재 거울
•등장인물의 특성 및 역할 살펴보기 주제 사물의 결점을 포용하는 유연한 태도
•소재의 의미 파악하기 ① 문답 형식을 통해 주제 의식을 드
•작가가 비판하고자 한 대상 파악하기 러내고 있음.
② 구체적인 경험에서 보편적인 삶의
특징
지혜를 이끌어 내고 있음.
③ ‘거사’라는 허구적 대리인을 내세

경설 (鏡說) | 이규보
워 작가의 인식을 표출하고 있음.

작품 구성
‘거사’의 행동 ‘거사’가 흐린 거울을 봄.
‘손’의 질문 흐린 거울을 보는 ‘거사’에게 ‘손’이 의문을 제기함.
‘거사’의 답변 ‘손’에게 흐린 거울의 의미를 설명함.

중심 소재
표현상의 특징: 문답법 거사(居士)에게 거울 하나가 있는데, 먼지가 끼어서 마치 구름에 가려진 달빛
작가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인물

처럼 희미하였다. 그러나 조석으로 들여다보고 마치 얼굴을 단장하는 사람처럼
거사
아침과 저녁을 아울러 이르는 말
하였더니,」 어떤 손[客]이 보고 묻기를, ▶거사의 행동
질문 답변
「」 : 거사는 늘 거울을 가까이에 두고 있음.
손 “거울이란 얼굴을 비추는 것이요, 그렇지 않으면 군자가 그것을 대하여 그 맑 5
거울은 반성과 성찰의 기능을 하거나 군자가 그 맑은 기품를 즐기는 기능을 한다고 보는 일반적인 관점
은 것을 취하는 것인데, 지금 그대의 거울은 마치 안개 낀 것처럼 희미하니,

작가가 작품에 직접 등장하지 이미 얼굴을 비출 수가 없고 또 맑은 것을 취할 수도 없네. 그런데 그대는 오히
않지만, 질문에 대한 답변을
통해 자연스럽게 작가의 가치
관을 드러냄.
려 얼굴을 비추어 보고 있으니, 그것은 무슨 까닭인가?” ▶ 손의 질문

 하였다. 거사는 말하기를,


사물이나 삶의 이치를
효과적으로 전달함. “거울이 밝으면 잘생긴 사람은 기뻐하지만 못생긴 사람은 꺼리네. 그러나 잘 10
자신의 단점이 바로 드러나기 때문에
생긴 사람은 수효가 적고, 못생긴 사람은 수효가 많네. 만일 못생긴 사람이 한
세상에는 완벽한 사람보다는 단점을 지닌 사람이 더 많음.
번 들여다보게 된다면 반드시 깨뜨리고야 말 것이네. 그러니 먼지가 끼어서
작가가 비판하고자 한 대상
비판의 맑은 거울을 지니고 희미한 것만 못하네. 먼지가 흐리게 한 것은 그 겉만을 흐리게 할지언정 그 맑
대상 다니는 사람
 은 것은 상우지 못하니, 만일 잘생긴 사람을 만난 뒤에 닦여져도 시기가 역시
•세상을 버리고 도피하여 잘
못된 세상과 결별하고자 하 늦지 않네. 아, 옛날 거울을 대한 사람은 그 맑은 것을 취하기 위한 것이었지 15

는 사회 풍조
•지나치게 결백하고 청명한 만 내가 거울을 대하는 것은 그 희미한 것을 취하기 위함인데, 그대는 무엇을
태도를 지닌 사람들 깨끗함만을 추구하기보다는 인간의 단점을 포용할 줄 아는 태도를 취함.
괴이하게 여기는가?”
등장인물의 특성 및 역할
하였더니, 손은 대답이 없었다.
‘거사’ ‘손’
거사의 말이 타당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반박하지 못함.
▶거사의 답변 •흐린 거울을 취함. •맑은 거울을 취함.
•사람의 결점을 포용할 줄 •사람의 결점을 이해하지
제재 정리 아는 태도를 지님. 못하는 태도를 지님.
 
거사 (居士) 숨어 살며 벼슬을
사물에 대한 통념을 제시
삶에 대한 통찰력을 지닌
하지 않는 선비. 함으로써, 거사가 이를 반
인물로, 작가의 목소리를
상(傷)우다 상하게 하다. 박하여 새로운 주장을 펼
대변함.
칠 기회를 제공함.

186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86 2019. 1. 9. 오후 3:05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경설〉의 주요 소재에 담긴 의미를  〈경설〉의 내용 전개 방식과 인물의 특  설총의 〈화왕계〉를 감상하고 작가의
파악하고, 거사의 행동을 중심으로 성을 살펴보고, 작가의 사회 인식 태 의도에 유의하여 뒷부분을 짐작해
작품의 주제 살펴보기 도 파악하기 보기

1 〈경설〉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거사(居士)’가 말한 ‘맑은 거울’과 ‘흐린 거울’,   ‘잘생긴 사람’과 ‘못생긴 사람’의 의미를 파악
활동 1 지도 방안
거사의 말을 통해 ‘맑은 거울’ 해 보자.
과 ‘흐린 거울’, ‘잘생긴 사람’과
‘못생긴 사람’의 의미를 파악하
맑은 거울 흐린 거울
고 이를 통해 주제를 생각해 보
는 활동이다. 대립되는 의미를
정리한 다음, 거사가 ‘흐린 거울’ 결점을 그대로 드러냄. 예시 답 결점을 잘 수용하여 이해해줌.
을 취하려는 까닭을 살펴보면
작가의 가치관을 파악할 수 있
다.
잘생긴 사람 못생긴 사람

도덕적으로 결점이 없는 소수의 사람 예시 답 도덕적으로 결점이 있는 다수의 사람

⑵ ‘거사’가 희미한 거울을 취하는 까닭을 통해 이 작품의 주제는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 ‘거사’는 맑은 거울을 취하게 되면 다수의 못생긴 사람은 깨뜨리기 쉬우니 희미한 것이 낫고, 희미한 거울이
라 할지라도 본성이 맑으면 먼지는 잘생긴 사람을 만난 뒤에 닦아내도 늦지 않다고 생각하여 흐린 거울을 취했다.
즉 ‘거사’는 다수의 사람이 결점이 있는데 지나치게 맑고 청명한 기준으로만 보기보다는 그 결점을 포용하고 이해할
수 있는 열린 자세를 지니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로 보아 이 작품은 흐린 거울을 보는 ‘거사’의 모습을
통해 상대방의 결점을 포용하는 유연한 태도가 필요하다는 주제를 전한다.

활동 2 지도 방안
2 〈경설〉에 나타난 작가의 사회 인식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내용 전개 방식을 바탕으로 하여 ‘손’과 ‘거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작가가 작품을 통해 비판하
는 인물을 살펴보고 작가의 현
내용 전개 방식
실 인식과 당시 사회상을 이해
하는 활동이다. 먼저 제시된 내
용 전개 방식을 바탕으로 ‘손’의 흐린 거울을 보는
질문과 ‘거사’의 답변을 정리하 ‘손’의 질문 ‘거사’의 답변
게 한다. 그 다음 ‘손’과 ‘거사’의
‘거사’
역할과 인물 유형을 파악하여
작가가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대
상을 찾아본다.
역할 인물 유형

‘손’ 사물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제시함. 기존의 상식에 얽매어 살아가는 인물

예시 답 •기존의 상식이나 고정 관념에서


‘거사’ 예시 답 새로운 관점으로 대상을 인식함. 벗어난 인물
•삶에 대해 통찰하는 인물

⑵ 내용 전개 방식과 인물의 특성이 주제를 전달하는 데 어떤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자.


예시 답 이 작품에서 ‘손’의 질문은 기존의 통념을 제시한 것이고, ‘거사’는 이러한 ‘손’에게 답을 하면서 통념을 깨
뜨리고 올바른 삶의 태도를 이야기하고 있다. 이렇게 ‘손’의 질문과 이와 대비되는 ‘거사’의 답변을 제시하는 것은 ‘거
이규보는 고려 고종(高宗) 때의 사’가 기존 상식이나 고정 관념에서 벗어난 인물 유형임을 부각하고 있다. 결국 ‘거사’는 작가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문인이며, 무신 정변의 정치적 혼 존재임을 알게 되고, 이는 세상을 살아가는 올바른 처세라는 작품의 주제를 드러내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란기 속에서 이 글을 썼다. ⑶ 작가가 이 작품을 통해 비판하고자 했던 당시 사회 풍조는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 작가는 맑은 거울을 지니고 다니는 사람들, 즉 지나치게 결백하고 청명한 태도로 사는 사람들을 비판하고
있다. 작가 이규보는 무신 정변이 일어날 무렵에 태어나 무신 집권기에 주로 활동한 인물로, 무신 정권의 집권자들
과 적극적으로 교류하였다. 그런데 당시 임춘과 같은 기존 귀족 출신들은 세상을 버리고 ⑵ 중세 문학
도피자 모임을 결성하여 잘못된 세상과 결별하고자 하였다. 작가는 이처럼 맑음만을 추
187
구하는 사람, 즉 지나치게 결백하고 청명한 태도를 지닌 사람을 비판적으로 보고, 이들의
태도를 풍자하였다고 볼 수 있다.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87 2019. 1. 9. 오후 3:05


활동 3 지도 방안
〈화왕계〉는 꽃을 의인화하여 왕의 도리에 대한 충언을 하고 있는 교훈적
내용의 작품이다. 작가가 이 작품을 지은 의도를 중심으로 ‘화왕’이 두 명 중
에서 누구를 선택했을지 자유롭게 의견을 이야기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3 다음은 꽃을 의인화하여 교훈을 전달한 작품인 〈화왕계(花王戒)〉이다. 작가의 의도에 유의하


여 ‘화왕’이 어떤 선택을 했을지 상상해 보자.

〈화왕계〉는 신라 신문왕이
설총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 신이 들으니 예전에 화왕이 처음 들어왔을 때, 향기로운 꽃동산에 심고 푸른 장막으
줄 것을 청하자 설총이 왕에게
로 보호하였는데, 봄이 되어 곱게 피어나 온갖 꽃들을 능가하여 홀로 뛰어났습니다.
들려준 교훈담이다.
작품 개관 이에 가까운 곳으로부터 먼 곳에 이르기까지 곱고 어여쁜 꽃들이 빠짐없이 달려와서
갈래 설화
혹시 시간이 늦지나 않을까 그것만 걱정하며 배알하려고 하였습니다. 홀연히 한 가인
우화적, 교훈적, 우의 장미(간교하게 아첨하는 간신배를 상징함.)
성격
적, 풍자적 (佳人)이 붉은 얼굴 옥 같은 이에 곱게 화장하고, 멋진 옷을 차려 입고 간들간들 걸어
꽃(모란, 장미, 할미
제재 와서 얌전하게 앞으로 나와서 말했습니다.
꽃)
임금의 마음가짐에
주제 “첩은 「눈같이 흰 모래밭을 밟고, 거울같이 맑은 바다를 마주 보며, 봄비로 목욕하여
대한 경계 「」 : 세파에 물들지 않고 곱게 자람.
① 간신을 가까이하 때를 씻고, 맑은 바람을 상쾌하게 쐬면서 유유자적하는데,」 이름은 장미라고 합니다.
지 말 것을 임금에
게 당부할 목적으 왕의 훌륭하신 덕망을 듣고 향기로운 휘장 속에서 모시고자 하는데 왕께서는 저를
로 창작됨.
받아 주시겠습니까?” ▶가인이 나와서 임금의 환심을 사려고 함.
② ‘모란’, ‘장미’, ‘할
특징
미꽃’을 ‘임금’, ‘간
신’, ‘충신’으로 의
또한 한 장부가 베옷에 가죽띠를 매고 허연 머리에 지팡이를 짚고, 힘없는 걸음으로
할미꽃(충신을 상징함.) 나이가 지긋함. → 연륜이 있는 신하를 말함.
인화하고 ‘장미’와 구부정하게 걸어와서 말했습니다.
‘할미꽃’을 대립시
켜 주제를 드러냄. “저는 경성 밖의 한길 가에 살고 있습니다. 아래로는 푸르고 넓은 들판의 경치를 내
려다보고 위로는 우뚝 솟은 산색에 의지하고 있는데, 이름은 할미꽃이라고 합니다.
화왕(花王) 꽃 중의 왕. ‘모란’을 가만히 생각건대, 비록 좌우의 공급이 풍족하여 기름진 음식으로 배를 채우고, 차와
의미함.
술로 정신을 맑게 할지라도, 상자 속의 준비물에는 반드시 양약이 있어서 기운을 돋
배알(拜謁) 지위가 높거나 존경
하는 사람을 찾아가 뵘. 우고, 극약이 있어서 병독을 제거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옛말에 생사와 삼베 같은
최선의 것
경성(京城) 도읍(都邑)의 성(城).
좋은 물건이 있다 해도, 왕골과 띠풀 같은 천한 물건을 버리지 않아서, 모든 군자들
여기서는 ‘경주시’를 의미함. 차선의 것
생사(生絲) 삶아서 익히지 아니 은 결핍에 대비하지 않는 일이 없다 하오니, 왕께서도 혹시 이런 생각을 갖고 계시
유비무환(有備無患)
한 명주실. 는지 모르겠습니다.” ▶ 장부가 나와서 임금의 마음가짐을 경계함.
왕골 사초과의 한해살이풀. 줄
어떤 이가 말했습니다.
기가 강하여 돗자리, 방석 따위
를 만드는 데 쓰임. “두 명이 왔는데 어느 쪽을 취하고 어느 쪽을 버리시겠습니까?”
▶ 임금에게 선택을 촉구함.
띠풀 ‘삘기’의 방언. 띠의 어린 예시 답 작가는 임금에게 충언할 목적으로 이 작품을 썼는데, 모란, 장미, 할미꽃 - 설총, 〈화왕계(花王戒)〉에서
꽃이삭. 등을 의인화하고 이들을 인간 세상에 빗댐으로써 우의적으로 자신의 의도를 드러
내고 있다. ‘가인(장미)’은 자신의 미모로 화왕의 환심을 사려고 하지만, ‘장부(할미
꽃)’는 임금의 잘못을 말해 주는 신하를 등용하여 미래를 대비해야 한다고 말한다.
작가가 이 작품을 통해 임금의 태도와 인식 변화를 이끌어 내고자 한다면, ‘화왕’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이 두 신하 사이에서 고민하다 ‘장부’를 취하고 ‘장미’를 버리는 선택을 함으로써
03
본질을 제대로 보는 왕의 모습이 그려졌을 것이다.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경설〉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이 작품은 이 하나가 빠진 것을 계기로 지금
예시 답 평소에 거울은 무조건 맑아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 작품을 통해 까지의 삶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삶을 계
일반적인 통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인식을 가질 수 있었어. 김창흡의 획하는 내용의 고전 수필이다. 개인적인 체
〈낙치설〉 험이나 상황으로부터 세계를 바라보는 인식
의 전환에까지 이르는 과정을 설(說)이라는
나의 책방 키우기 형식을 통해 인상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작품은 작가가 아들을 훈계하기 위해 지
갈래가 같은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김창흡의 〈낙치설(落齒說)〉 은 《훈자오설(訓子五說)》 가운데 하나이다.
강희맹의 위대한 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지금의 수준
표현 방법이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강희맹의 〈도자설(盜子說)〉
〈도자설〉 에 만족하지 말고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응
용과 창조를 거듭해야 함을 아버지 도둑과
아들 도둑의 이야기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
188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indd 188 2019. 8. 21. 오후 1:47


4
작품 설정의 취지
여기에 제시된 세 편의 시조는 시조의 형성기인 고려 말부터 부흥기인 조
선 시대에 이르는 대표 작품에 해당한다. 우탁의 시조는 늙음에 대한 한탄을
비유적인 표현을 사용하여 드러내었고, 성삼문의 시조는 고사를 활용하여 임
금에 대한 충절을 나타내었으며, 홍랑의 시조는 사랑하는 임에 대한 마음을
서정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시조 세 편은 시조의 다양한 향유층과
시조 형식 및 내용상의 특징 등을 비교하여 살펴볼 수 있어 학습 목표에 적절
하다. 또한 다양한 시조 작품들을 감상하면서 시조의 작자층과 형식, 내용 및
정서에 대한 주요 특성을 파악하고 시조의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우탁 (1262  ~1342) 작가 동영상

고려 말의 문인. 호는 백운(白雲). 주역에 밝았으며,


시조 두 편이 전해진다.

성삼문 (1418  ~1456) 작가 동영상

사육신의 한 사람. 세조가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오르자 단종 복위를 계획하였으나 실패하였다.

홍랑 ( ? ~ ? ) 참고 동영상 - 홍랑과 최경창

조선 선조 때의 기생. 삼당시인(三唐詩人)의 한 명인
최경창과의 애절한 사랑으로 널리 알려졌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시조의 형식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는


제목 관련 가?
시조는 언제부터 불려지기 시작했을까요?
질문의 예
 기억에 남는 시조 작품이 있는가?
삽화 관련 교과서 189쪽의 삽화를 통해 앞으로 감상할 작품은
 예시 답 작가층에 따라 시조의 주제는 어떻게 달
질문의 예 어떤 내용인지 짐작해 볼까요?
라졌을까?
작가 관련
제시된 작가 중에서 알고 있는 사람이 있나요?
질문의 예

⑵ 중세 문학 189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89 2019. 1. 9. 오후 3:05


이 작품들은 각각 늙음에 대한 탄식, 임금에 대한 충절, 임에 대한 사랑을 노래한 시조이다.
시조의 작자층과 형식에 주목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수업의 포인트
•시조 1 - 대비되는 시어의 의미 파악하기
•시조 2 - 시적 화자의 상황과 태도 이해하기
•시조 3 - 시적 화자의 마음을 임에게 전하는 소재 파악하기

시조 세 편 작품 개관
갈래 평시조
성격 낙천적, 달관적, 영탄적
제재 춘산에 눈 녹인 바람, 서리(백발)
주제 늙음에 대한 안타까움
① 색채 대비를 통해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특징
② 늙음을 한탄하면서도 인생을 달관하는 여유가 나타남.
1
춘산(春山)에 눈 노긴 람 건듯 불고 간 듸 업다 ▶ 봄바람이 산의 눈을 녹이고 사라짐.
‘젊음’을 비유함. 문득, 잠깐
잠간 비러다가 불리고쟈 마리 우희 ▶ 봄바람을 빌려 머리 위에 불게 하고 싶음.

귀 밋 무근 서리를 노겨 볼가 노라 ▶ 백발을 없애고 다시 젊어지고 싶음.


‘백발’을 비유함.
작품 개관 - 우탁
갈래 평시조 성격 절의적, 비판적, 풍자적
제재 백이와 숙제의 고사
주제 죽음을 각오한 굳은 지조와 결의, 단종을 향한 굳은 절개
① 중의적, 설의적 표현을 통해 대상에 대한 비판 의식을 비유적으로 드러냄.
특징
② 일반적 상식을 뒤집어 표현함으로써 시적 화자의 굳은 절개와 결의를 강조함.
2
수양산(首陽山) 라보며 이제(夷齊) 한(恨)노라

 것가」 「」 : 설의법
중의적 표현: ① 중국의 수양산 ② 수양 대군(세조) ▶ 수양산(수양 대군)을 보며 백이·숙제를 한탄함.
「주려 주글진들 채미(採薇)도
춘산(春山) 시조집에 따라 표기

비록애 푸새엣 거신들 긔 뉘 헤 낫니 ▶ 백이·숙제보다 더 굳은 지조를 지키겠다고 다짐함.


중의적 표현: ① 고사리를 캐어 먹음. ② 수양 대군의 녹을 먹음. ▶ 백이·숙제가 고사리로 연명한 것을 비판함.
가 조금씩 다르며, 《청구영언》
진본(珍本)에는 ‘청산(靑山)’으로
보잘것없는 음식 중의적 표현: ① 주나라 무왕 ② 수양 대군
표기됨. - 성삼문
마리 머리.
수양산(首陽山) 백이와 숙제가
은거하다 죽었다는 산. 수양 대
군(首陽大君)을 빗대어 쓴 말이
기도 함. 3
갈 것거 보내노라 님의손」
이제(夷齊) 백이(伯夷)와 숙제 「」 : 도치법
「묏버들
(叔齊). 고죽국(孤竹國) 군주의 ▶ 묏버들을 꺾어 임에게 보냄.

자시 창밧긔 심거 두고 보쇼셔


산버들 → 이별의 정표, 시적 화자의 분신
두 아들로, 주나라 무왕이 은나
▶ 주무시는 창가에 묏버들을 심어 두고 봐 달라고 당부함.
라를 멸망시키자 수양산(首陽 주무시는
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 먹 밤비예 새닙 곳 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쇼셔 ▶ 임이 ‘나’를 잊지 말기를 간절하게 호소함.
으며 살다가 굶어 죽었다고 전 시적 화자의 분신
작품 개관 - 홍랑
해짐.
갈래 평시조
채미(採薇) 고사리를 캐는 일. 제재 정리
성격 감상적, 애상적, 여성적
푸새엣 거신들 푸성귀인들. 제재 묏버들, 이별
님의손 님에게. 주제 이별의 정한
① 자연물을 매개로 임에 대한 시적 화자의 마음을 표현함.
특징
② 도치법을 사용하여 시적 화자의 섬세한 감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190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90 2019. 1. 9. 오후 3:05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시조 세 편’을 감상하고 시적 화자의   현대 시조 〈애기메꽃〉과 ‘시조 세 편’
‘시조 세 편’의 형식상 공통점을 정리
상황과 심정, 작가의 의도, 정서 전달 의 차이점을 찾아보고, 시조 갈래의
하고, 문학사적 의의 설명하기
의 매개체 파악하기 문학사적 가치 생각해 보기

1 시조 세 편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시조 1의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과 심정은 어떠한지 말해 보자.


예시 답 시적 화자는 봄바람이 불어 산에 눈이 녹는 것처럼 자신의 백발도 눈처럼 사라지길 바라며 늙음에 대해 탄
시적 화자가 ‘눈 녹인 바
식하고 있다.
람’을 빌려다가 자기 ‘귀밑의 서
리’를 녹이고 싶다고 말한 까닭
은 무엇일까? ⑵ 다음은 시조 2에 대한 정보이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이 작품에 고사를 사용한 작가의
활동 1 지도 방안 의도를 파악해 보자.
시적 상황과 시적 화자의 태도, 작가
의 창작 의도와 소재의 상징성 등 작품
의 주요 내용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시조 1에서는 시적 화자가 무엇
•작가: 단종 복위에 힘쓰다 죽음을 맞이한 충신.
을 바라보며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 •제재: 백이숙제의 고사. 백이와 숙제는 은나라의 주왕을 몰아낸 주나라의 무왕을 비
지에 초점을 맞추어 시적 상황과 그
에 대한 시적 화자의 태도를 파악할 판하였고, 고사리를 먹고 연명하다가 결국 죽음을 맞음. 절의(節義)를 대표하는 인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시조 2에서는 창작 당시의 역사
예시 답 작가는 절의(節義)를 대표하는 인물인 백이와 숙제보다 더 엄격하게 절의를 지키겠다는 자신의 의지를 표
적 배경과 작가 성삼문에 대하여 이
해한 후, 작가가 백이숙제의 고사를 현하기 위해 고사를 사용하였다.
인용하여 전하고자 하는 바를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시조 3에서는 시적 화자가 이별 ⑶ 시조 3에서 시적 화자의 심정을 전달하는 매개체는 무엇인지 찾아보자.
의 상황에 처해 있지만 임에 대한 사 예시 답 묏버들(새닙)
랑을 표현하고 있음을 파악하게 한
다음, 그 사랑을 드러내는 소재가 무
엇인지 찾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활동 2 지도 방안
2 시조의 문학사적 성격에 유의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세 작품에서 형식상의 공통점을 찾아 정리해 보자.


시조는 초등학교 때부터 학
습한 문학 갈래이므로 학생들이 • 예시 답 •3장 6구의 형태이다.
이미 학습했던 시조 작품들을 •4음보의 율격을 지닌다.
예로 들면서 시조의 특성을 정 •종장 첫 음보가 둘째 음보보다 짧다.
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⑵ 시조에 대한 다음 설명을 참고하여 세 작품이 지닌 문학사적 의의를 설명해 보자.

고려 후기에 발생한 시조는 사대부들의 미의식과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데 가장 알


맞은 문학 양식으로 정착되었다. 그 이유는 간결하면서도 안정적인 형식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대부 남성만 시조를 향유한 것은 아니었으며, 다양한 계층의 작가
들이 이 갈래를 통해 저마다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였다. 또한, 연시조나 사설시조처
럼 평시조의 형식을 변형한 작품이 창작될 수도 있었다. 시조가 다른 갈래보다 오랜
생명력을 지니게 된 데에는 이와 같은 갈래의 특성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예시 답 시조 1과 2에서는 사대부 작가가 자신의 개인적 문제나 신념을 말하


고 있고 시조 3에서는 기생인 작가가 임에 대한 사랑을 노래하고 있다. 특히
시조 1은 고려 후기 작품으로 시조의 발생과도 연관된다. 이처럼 시조 1과 2
는 시조가 사대부들의 미의식과 정신세계를 표현하는 문학 양식으로 정착되었
음을 드러내고, 시조 3은 다양한 계층의 작가들이 시조를 통해 여러 정서를 표
현했음을 보여 준다. 따라서 세 작품은 시조의 갈래상 특성을 잘 드러내는 의의
를 지니고 있다. ⑵ 중세 문학 191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91 2019. 1. 9. 오후 3:05


3 다음은 현대 시조 〈애기메꽃〉이다. 한국 문학에서 시조 갈래의 가치에 대해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애기메꽃〉은 길가에 피어
있는 애기메꽃을 보면서 자신의 한때 세상은
어린 시절을 되돌아본 작품으
날 위해 도는 줄 알았지
로, 시적 화자의 성찰적 자세가 자기중심적인 인식
인상적이다.

활동 3 지도 방안
날 위해 돌돌 감아오르는 줄 알았지
시조는 고려 후기에 나타나
서 현재까지도 창작되는 문학
갈래이다. 앞의 활동 2-⑵에서 들길에
살펴보았듯이, 시조의 생명력이
유지되는 이유는 다양한 작가층 쪼그려 앉은 분홍치마 계집애
에서 여러 주제를 다룰 수 있는 어리고 미성숙한 존재에 비유
- 홍성란, 〈애기메꽃〉
갈래라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작품 개관
애기메꽃 저지대에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갈래 현대 시조
성격 성찰적
제재 애기메꽃
자기중심적이었던 자 ⑴ 이 작품을 시조 1 ~ 3 과 비교할 때, 형식적인 면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찾아보자.
주제
신에 대한 성찰
① 4음보가 반복되어
운율을 느끼게 함. • 예시 답 ‘장’이 ‘연’으로 바뀌었으며, 평시조의 기본 형식인 3장 6구는 유지하되 1연과 3연은 2행으로, 2연은
1행으로 제시하여 변형을 시도했다.
② 꽃의 외양적 모습
을 시적 화자의 성
특징
찰적 모습과 관련
지어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드러
냄.

⑵ 시조는 오늘날에도 창작되어 향유할 만큼 생명력을 지닌 문학 갈래이다. 이러한 시조가


나아갈 방향에 대해 자기 생각을 말해 보자.
예시 답 생략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4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시조 세 편’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이 작품은 사육신의 한 사람인 작가가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실패하여 죽게 될 상황에 처
예시 답 시조는 이전의 갈래와 비교해 볼 때 좀 더 다양한 작가층이 존재했고 성삼문의
했을 때, 단종에 대한 자신의 충정을 소나무
그만큼 여러 주제를 다룰 수 있었던 것 같아. 〈이 몸이 죽
에 비유하여 노래한 시조이다. 백색과 청색의
어 가서〉
색채 대비를 통해 시적 화자의 굳은 절개를
나의 책방 키우기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 작품은 임을 기다리는 시적 화자의 마음을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성삼문의 〈이 몸이 죽어 가서〉

노래한 시조로, ‘밤’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황진이의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황진이의 〈동짓달 기나긴 밤을〉 〈동짓달 기나 잘라서 넣어 놓았다가 펼쳐 낼 수 있는 구체
적인 대상으로 참신하게 표현하여 임을 기다
긴 밤을〉
리는 애절한 마음을 호소력 있게 형상화하고
192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있다.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92 2019. 1. 9. 오후 3:05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관직에서 물러난 작가가 전남 창평에 머무르면서 임금을 그
리는 안타까운 심정을, 이별한 임을 그리는 여인의 심정에 의탁하여 읊은
5
연군 가사이다. 계절에 따른 자연과 생활의 변화를 그리면서 그 가운데에
서 솟아오르는 시적 화자의 슬픔과 연군의 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
다. 다양한 표현과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린 언어 표현으로 가사 문
학의 대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작가의 다른 가사 작품인 〈속미인
곡〉과 더불어 ‘전후(前後) 미인곡(美人曲)’이라고 일컬어진다. 따라서 이
작품을 통해 가사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우리말 표현의 아
름다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정철 (1536~1593) 작가 동영상

조선 선조 때의 문신. 호는 송강(松江). 윤선도와 더


불어 우리 고전 시가 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평가된
다. 주요 작품으로 〈관동별곡〉, 〈속미인곡〉 등이 있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미인’은 어떤 사람일까?


제목 관련
‘사미인곡’이란 어떤 뜻일까요?
 남성 시인이 여성 화자의 목소리로 쓴
질문의 예
시를 본 적이 있는가?
삽화 관련 교과서 193쪽의 삽화에 있는 여인은 현재 무엇을 하

질문의 예 고 있는 것일까요? 예시 답 정철이 지은 다른 작품을 감상해 본 적이

있는가?
작가 관련
정철이란 인물에 대해 알고 있나요?
질문의 예

⑵ 중세 문학 193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93 2019. 1. 9. 오후 3:05


〈사미인곡〉은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버림받은 여성의 목소리로 표현한 가사이다.
가사의 형식과 주제에 주목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개관
수업의 포인트 갈래 양반 가사, 서정 가사
•여성 화자 설정의 효과 파악하기 성격 서정적, 연모적
•가사의 갈래적 특징 이해하기 제재 임을 향한 그리움
•계절별 주요 소재의 의미 이해하기 주제 임(임금)을 향한 일편단심
① 시적 화자를 여성으로 설정하여 연군의
정을 절실하게 표현함.
② 뛰어난 우리말 구사를 통해 우리말의 아
특징

사미인곡 (思美人曲) | 정철 름다움을 보여 줌.


③ 계절(시간)의 흐름에 따라 임에 대한 시
적 화자의 정서를 드러냄.

서사 이 몸 삼기실 제 님을 조차 삼기시니 이 몸 생겨날 때 임을 따라 생겼으니

 연분(緣分)이며 하 모 일이런가
임금(선조)
한평생 연분이며 하늘 모를 일이던가.

나 졈어 잇고 님 나 날 괴시니」
하늘도 알 만한 운명적인 만남임.
「나 나 하나 젊어 있고 임 하나 날 사랑하시니

이  이 랑 견졸  노여 업다
오직 「」 : 임과 이별하기 전의 상황
이 마음 이 사랑 견줄 데 전혀 없다. 5

평(平生)애 원(願)요  녜쟈 얏더니


▶ 서사 1: 임과의 인연
평생에 원하기를 함께 살자 하였더니

므 일로 외오 두고 그리고」
화자의 소망
「늙거야 늙어서야 무슨 일로 외따로 두고 그리는가.
외로이 「」 : 임과 이별한 현재의 상황
엇그제 님을 뫼셔 광한뎐(廣寒殿)의 올낫더니 엊그제 임을 모셔 광한전에 올랐는데

그 더 엇디야 하계(下界)예 려오니 그사이에 어찌하여 인간 세상에 내려오니

올 저긔 비슨 머리 헛틀언디 삼 년(三年)일쇠 올 적에 빗은 머리 흐트러진 지 삼 년일세. 10

연지분(臙脂粉) 잇마 눌 위야 고이 고


임과 헤어진 후 삼 년이 지남.
연지분 있다마는 누굴 위하여 곱게 할까?

음의 친 실음 텹텹(疊疊)이 혀 이셔
□: 화자가 여성임을 드러내는 소재
마음에 맺힌 시름 첩첩이 쌓여 있어

짓니 한숨이오 디니 눈믈이라


겹겹이
짓느니 한숨이요 흐르느니 눈물이라.

인(人生)은 유(有限) 시도 그지업다


짓는 것이 떨어지는 것이
인생은 유한한데 시름도 끝이 없다.

무심(無心) 셰월(歲月)은 믈 흐 고야


▶ 서사 2: 임에 대한 그리움
무심한 세월은 물 흐르듯 하는구나. 15

염냥(炎凉)이  아라 가  고텨 오니 더위와 추위가 때를 알아 가는 듯 다시 오니


계절의 바뀜. 세월의 흐름
듯거니 보거니 늣길 일도 하도 할샤 듣거니 보거니 느낄 일도 많기도 많구나.
본사에 이에 관한 내용이 제시됨. ▶ 서사 3: 세월의 무상함

삼기실 제 생겨날 때. 태어날 때. 광한뎐(廣寒殿) 달의 선녀인 항아가 산다는 누각. 여기서는 임금이 계신 대궐
괴시니 사랑하시니. 을 뜻함.
노여 다시. 전혀. 더 동안에. 사이에.
 녜쟈 함께 지내자. 한곳에서 살아가자. 하계(下界) 인간 세상. 여기서는 작가가 낙향하여 지내던 전라도 창평을 뜻함.
그리고 그리워하는가. 사모하는가. 염냥(炎凉) 더움과 서늘함.

194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94 2019. 1. 9. 오후 3:05


본사 동풍(東風)이 건듯 부러 젹셜(積雪)을 혜텨 내니 동풍이 문득 불어 쌓인 눈을 헤쳐 내니

창(窓)밧긔 심근 화(梅花) 두세 가지 픠여셰라


계절적 배경을 나타냄.(봄) 쌓여 있는 눈
창밖에 심은 매화 두세 가지 피었구나.

득 담(冷淡) 암향(暗香)은 므 일고 가뜩 냉담한데 그윽한 향기는 무슨 일인고.

황혼(黃昏)의 이 조차 벼마 빗최니


쌀쌀하고 적막함. 그윽한 향기(임금에 대한 충성심)
황혼에 달이 따라와 베갯머리에 비치니

늣기  반기  님이신가 아니신가


임금
5 흐느끼는 듯 반기는 듯 임이신가 아니신가.

뎌 화(梅花) 것거 내여 님 겨신  보내오져
흐느끼는 듯
저 매화 꺾어 내어 임 계신 데 보내고자

님이 너 보고 엇더타 너기실고
시적 화자의 분신. 임에 대한 화자의 정성과 사랑 ①
임이 너를 보고 어떻다 여기실까.
▶ 본사 1: 매화를 꺾어 임에게 보내고 싶은 마음(봄)
 디고 새닙 나니 녹음(綠陰)이 렷 꽃 지고 새잎 나니 녹음이 깔렸는데

나위(羅幃) 젹막(寂寞)고 슈막(繡幕)이 뷔여 잇다


계절적 배경을 나타냄.(여름)
비단 휘장 쓸쓸하고 수놓은 장막이 비어 있다.

10 부용(芙蓉)을 거더 노코 공쟉(孔雀)을 둘러 두니 부용을 걷어 놓고, 공작 병풍을 둘러 두니

득 시 한 날은 엇디 기돗던고 가뜩이나 시름 많은데 날은 어찌 길던고.

원앙금(鴛鴦錦) 버혀 노코 오션(五色線) 플텨 내여 원앙금 베어 놓고 오색실을 풀어 내어


금자 견화이셔 님의 옷 지어 내니
원앙을 수놓은 비단 오색실
금자로 재어서 임의 옷을 지어 내니

슈품(手品)은 니와 졔도(制度)도 시고


재어서 임에 대한 화자의 정성과 사랑 ②
솜씨는 물론이고 격식도 갖추었구나.

산호슈(珊瑚樹) 지게 우 옥함(白玉函)의 다마 두고 산호수 지게 위에 백옥함에 담아 두고


자화자찬(自畫自讚)
15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 라보니 임에게 보내려고 임 계신 데 바라보니

산(山)인가 구롬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산인가 구름인가 험하기도 험하구나.

쳔리만리(千里萬里) 길 뉘라셔 자갈고


화자와 임 사이의 장애물
천리만리 길을 뉘라서 찾아갈까.

니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가거든 열어 두고 나인가 반기실까.


▶ 본사 2: 옷을 지어 임에게 보내고 싶은 마음(여름)

정철 가사의 가치 여성 화자의 설정 효과
•〈속미인곡〉과 더불어 가사 문학의 극치를 이루는 연지분(臙脂粉), 오션(五色線), 금자
작품으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구사함.
•고려 가요 〈정과정곡〉의 전통을 잇는 충신연주지사 
(忠信戀主之詞)에 해당함. 시적 화자가 여성임을 알 수 있음.
•우리 시가의 전통인 ‘부재하는 임에 대한 자기희생

적 사랑’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가시리〉, 〈동동〉으
로 그 맥이 이어지고 있음. •대상에 대한 애틋하고 절절한 감정을 효과적으로 나타냄.
•작품의 정서를 심화하고 주제를 구체화할 수 있음.
효과
•사랑이라는 보편적 감정에 호소하여 독자의 공감을 얻을
수 있음.

건듯 문득. 갑자기. 기돗던고 길던고.


암향(暗香) 그윽하게 풍겨 오는 향기. 플텨 풀어.
벼마 베갯머리에. 금자 금으로 만든 자로.
나위(羅幃) 비단으로 만든 휘장. 슈품(手品)은 니와 솜씨는 물론이거니와.
슈막(繡幕) 수놓은 장막. 시고 갖추었구나.
부용(芙蓉) 연꽃을 수놓은 비단 휘장. 머흐도 머흘시고 험하기도 험하구나.
공쟉(孔雀) 공작이 그려진 병풍. 니거든 가거든. 이르거든.

⑵ 중세 문학 195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95 2019. 1. 9. 오후 3:05


밤 서리 김의 기러기 우러 녤 제 하룻밤 서리 기운에 기러기 울며 갈 때
계절적 배경을 나타냄.(가을)
위루(危樓)에 혼자 올나 슈졍념(水晶簾) 거든마리 높은 누각에 혼자 올라 수정렴을 걷으니

동산(東山)의 이 나고 북극(北極)의 별이 뵈니
높은 누각
동산에 달 오르고 북극에 별이 뵈니
임(임금)
님인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 임인가 반기니 눈물이 절로 난다.

쳥광(淸光)을 픠워 내여 봉황누(鳳凰樓)의 븟티고져 맑은 달빛을 피워 내어 봉황루에 부치고자 5

누(樓) 우 거러 두고 팔황(八荒)의 다 비최여


임에 대한 화자의 정성과 사랑 ③ 임금이 계신 궁궐
누각 위에 걸어 두고 온 세상에 다 비추어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티 그쇼셔


① 힘들게 사는 백성 ② 화자가 있는 곳
심산궁곡을 대낮같이 만드소서.
▶ 본사 3: 임의 선정을 바라는 마음(가을)
건곤(乾坤)이 폐(閉塞)야 셜이  빗친 제 천지가 얼어 붙어 백설이 한 빛일 때

사은 니와 새도 긋쳐 잇다


하늘과 땅(온 세상) (생기가) 꽉 막힘.
사람은 물론이거니와 나는 새도 끊어졌다.

쇼샹남반(瀟湘南畔)도 치오미 이러커든 소상강 남쪽도 추위가 이렇거늘 10

옥누고쳐(玉樓高處)야 더옥 닐너 므리 옥루 높은 곳이야 더욱 말해 무엇하리.

양츈(陽春)을 부처 내여 님 겨신  쏘이고져 봄볕을 부쳐 내어 임 계신 데 쏘이고자

모쳠(茅簷) 비쵠  옥누(玉樓)의 올리고져


따뜻한 봄볕. 임에 대한 화자의 정성과 사랑 ④
초가 처마에 비친 해를 옥루에 올리고자

홍샹(紅裳)을 니믜고 슈(翠袖) 반(半)만 거더


따뜻한 봄볕. 임에 대한 화자의 정성과 사랑 ⑤
붉은 치마를 여미어 입고 푸른 소매를 반만 걷어

일모슈듁(日暮脩竹)의 혬가림도 하도 할샤 저물녘 대나무에 기대어 서니 생각이 많기도 많구나. 15

댜  수이 디여 긴 밤을 고초 안자
임을 기다리는 화자의 모습
짧은 해가 금방 지고 긴 밤을 꼿꼿이 앉아

쳥등(靑燈) 거론 겻 뎐공후(鈿箜篌) 노하 두고 청등 걸어 둔 곁에 자개로 장식한 공후 놓아 두고

의나 님을 보려  밧고 비겨시니 꿈에나 임을 보려 턱 받치고 기대어 있으니

앙금(鴦衾)도 도 샤 이 밤은 언제 샐고 원앙금침이 차기도 차구나. 이 밤은 언제 샐까.


▶ 본사 4: 임에 대한 그리움과 긴 겨울밤을 보내는 외로움(겨울)

계절별 주요 소재의 의미
시어 의미
봄 화(梅花) 임에 대한 시적 화자의 사랑
여름 옷 임에 대한 시적 화자의 정성
가을 ㅤ쳥광(淸光) 임의 선정에 대한 소원
겨울 양츈(陽春),  임의 건강에 대한 염려

거든마리 걷으니. 걷었더니. 니믜고 여미어 입고. 걸치고.


븟티고져 부치고 싶구나. 슈(翠袖) 푸른 소매.
팔황(八荒) 팔방의 넓은 범위. 일모슈듁(日暮脩竹) 해 저문 날에 긴 대에 의지하여 기다림.
졈낫티 대낮같이. 혬가림 사려 분별. 여러 가지 생각.
쇼샹남반(瀟湘南畔) 소상강 남쪽. 여기서는 전라도 창평을 뜻함. 댜 짧은.
옥누고쳐(玉樓高處) 옥으로 된 누각과 높은 곳. 곧 임금이 계신 곳. 쳥등(靑燈) 푸른 비단으로 싼 초롱불.
모쳠(茅簷) 초가집 처마. 앙금(鴦衾) 원앙새를 수놓은 이불.
홍샹(紅裳) 붉은 치마. 다홍치마.

196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96 2019. 1. 9. 오후 3:05


결사 도 열두   도 셜흔 날 하루도 열두 때 한 달도 서른 날

져근덧 각 마라 이 시 닛쟈 니
화자의 시름의 깊이를 강조함.
잠시라도 생각 말아 이 시름 잊자 하니

의 쳐 이셔 골슈(骨髓)의 텨시니 마음에 맺혀 있어 뼛속까지 사무쳤으니

편쟉(扁鵲)이 열히 오다 이 병을 엇디리
뼛속
편작이 열이 온다 한들 이 병을 어찌하리.

5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어와, 내 병이야 이 임의 탓이로다.

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차라리 죽어져서 범나비 되리라.

곳나모 가지마다 간  죡죡 안니다가


화자의 분신
꽃나무 가지마다 간 데 족족 앉았다가

향 므틴 애로 님의 오 올므리라 향 묻힌 날개로 임의 옷에 옮으리라.

님이야 날인 줄 모셔도 내 님 조려 노라


임에 대한 충성심, 사랑
임이야 나인 줄을 모르셔도 내 임 좇으려 하노라.
일편단심
▶ 결사: 임을 향한 변함 없는 마음

제재 정리

가사의 갈래적 특징 작품의 주제


•3·4조 또는 4·4 연속체로 4음보를 기본으로 함. 작품의 내적 해석 작품의 외적 해석
•대체로 ‘서사-본사-결사’의 짜임을 갖추고 있음.
형식 •마지막 4음보가 시조의 종장과 같은 3·5·4·3의 음수 시적 버림받은 신하
율을 지닌 정격 가사와 음수율의 제한을 받지 않는 변 버림받은 여인
화자 (작가)
격 가사가 있음.
임 임(옥황상제) 임금(선조)
조선 초기에는 자연 속에서의 생활이나 연군지정 등이
내용 주된 내용이었으나, 후기로 가면서 작가층이 확대되어  
실생활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을 다룬 작품이 많아짐. 임에 대한 변함없는 사 임금을 향한 변함없는
주제
랑 충성과 사랑(연군지정)

작품 구성
서사 임에 대한 그리움과 세월의 무상함.
① 봄: 매화를 꺾어 임에게 보내고 싶은 마음
② 여름: 옷을 지어 임에게 보내고 싶은 마음
본사
③ 가을: 선정을 베풀어 주기를 바라는 마음
④ 겨울: 임에 대한 그리움과 긴 겨울밤을 보내는 외로움
결사 임을 향한 변함 없는 마음

져근덧 잠깐 동안. 범나븨 호랑나비.


텨시니 사무쳐 있으니. 안니다가 앉아 있다가. 앉고 또 앉고 하다가.
편쟉(扁鵲) 중국 춘추 전국 시대의 명의. 애 날개.
싀어디여 사라져서. 없어져서.

⑵ 중세 문학 197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97 2019. 1. 9. 오후 3:05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사미인곡〉의 구조를 정리하고, 시적  
〈사미인곡〉의 형식적 특징을 설명하 ‘충신연주지사’ 유형에 속하는 작품
화자를 여성으로 설정한 효과 및 구
고, 한국 문학사에서의 가치 살펴보기 더 찾아보기
절의 의미 파악하기

1 〈사미인곡〉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구조를 다음과 같이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정리해 보자.

〈사미인곡〉은 연의 구분이 없 서사 임과의 이별로 인한 그리움과 고통


지만, 내용에 따라 ‘서사 - 본사 -
결사’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
다. 이 가운데 본사는 계절의 흐
봄 매화
을/를 보내 임을 향한 변함없는 사랑을 알리고 싶은 마음
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하고 있
다.

활동 1 지도 방안 여름 옷
을/를 지어 보내는 외로운 심정과 임에 대한 정성
제시된 작품 구조를 바탕으 본사
로 주요 소재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벼슬을 잃고 지 가을 달과 북극성을 보며 임이 선정을 베풀어 주기를 바람.
방으로 내려온 작가에 대한 정
보를 바탕으로 하여 여성 화자
를 설정한 효과와 구절의 함축 춘광
겨울 임 계신 곳에 따뜻한 을/를 보내고 싶은 마음
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지도
한다.

결사 임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의 다짐

⑵ 이 작품의 작가는 남성이지만 여성의 목소리를 빌려서 자신의 심정을 표현하고 있다. 이
를 통해 어떤 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 말해 보자.
예시 답 •우리 문학에 여성적 어조로 이별이나 사랑의 마음을 드러내는 관습이 있는 것으로 볼 때, 여성 화자를 설
정한 것은 이별로 인한 시적 화자의 애절한 마음을 보다 절실하게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임금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버림받은 여성의 마음에 빗대어 노래함으로써 독자의 공감을 효
과적으로 얻고 있다.

⑶ 이 작품은 작가가 벼슬을 잃고 고향으로 내려온 뒤에 창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창작 배경을 고려하여 다음 구절에 담긴 의미를 파악해 보자.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 라보니


예시 답 시적 화자는 ‘님 계신 곳’이 산과 구름에 가로막
혀 험하다고 말하고 있다. ‘산’과 ‘구름’이 ‘임’과 시적 화자
산(山)인가 구롬인가 머흐도 머흘시고 사이의 장애물임을 고려할 때 작가는 간신에 둘러싸여 있
는 임금을 걱정하고 있다.

누(樓) 우 거러 두고 팔황(八荒)의 다 비최여


예시 답 빛은 곧 임금의 선정이다. 임금이 깊은 산이나
계곡까지 다 비출 수 있을 만큼 선정을 베풀기를 바라는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티 그쇼셔 시적 화자의 심정을 표현한 것이다.

198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98 2019. 1. 9. 오후 3:05


2 〈사미인곡〉이 가사로서 지니는 성격에 유의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의 글을 참고하여 〈사미인곡〉의 형식적 특징을 설명해 보자.

초기에는 ‘정격 가사’가 대부 가사는 4음보 연속체의 율문으로, 길이에는 제한이 없는 시가 갈래이다. 가사는
분이었지만, 점차 ‘변격 가사’가
형식에 따라 마지막 행이 시조의 종장과 비슷한 형식을 지닌 ‘정격 가사’와 그렇지
늘어났다. 조선 후기에는 여성 종장의 첫 음보가 둘째 음보보다 짧음.
작가가 다수 등장하는 등 작가 않은 ‘변격 가사’로 나누기도 한다.
층이 확대되며, 길이가 매우 긴
작품도 나타났다. 예시 답 •〈사미인곡〉은 4음보의 연속체 형식을 취한다.

활동 2 지도 방안 •〈사미인곡〉의 마지막 행은 첫 음보가 3음절이며, 종장의 첫 음보가 둘째 음보보다 짧다는 시조의 형식과 같다. 따
라서 이 작품은 정격 가사에 해당한다.
〈사미인곡〉이 가사로서 지니
⑵ 다음은 정철의 가사를 비평한 글의 일부이다. 이를 참고하여 한국 문학사에서 〈사미인
는 갈래적 특징과 〈사미인곡〉의
문학사적 가치를 살펴보는 활동 곡〉의 가치를 말해 보자.
이다. 먼저 제시된 설명을 참고
하여 가사의 형식적 특징을 정
리하고, 이를 〈사미인곡〉에서 구
체적으로 찾아보도록 한다. 그리 지금 우리나라의 시문은 자기 말을 버리고 다른 나라의 말을 흉내 내어 쓴 것이니
시가의 산문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고 우리말 사용의 중요성을 강조
한 글을 통해 〈사미인곡〉의 문학
설령 아주 비슷하다 하더라도 앵무새가 사람의 말을 흉내 내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뜻을 모르고 기계적으로 재주를 부리는 것임.
사적 가치를 생각해 보도록 지도 나무하는 아이들이나 물 긷는 아낙네들이 서로 화답하며 노래하는 것이 비록 천하고
한다.

활동 3 지도 방안
속되다 할지라도, 그 참과 거짓을 따진다면 공부하는 선비들의 이른바 시부(詩賦)라고
시와 부(한문체에서 글귀 끝에 운을 달고 흔히 대를 맞추어 짓는 글)를 아울러 이르는 말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 하는 것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 게다가 이 세 편의 노래(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
는 충신이 임금에 대한 사모의
정을 표현한 작품을 가리키는 곡)는 하늘로부터 받은 본성이 담겨 있으면서도 천박함은 없다.
것으로 정계에서 밀려난 신하가
- 김만중, 《서포만필》에서
임금을 향해 제 뜻을 전하는 내
용으로 양식화되어 있다. 이러
한 작품을 더 찾아보면서 〈사미 예시 답 〈사미인곡〉은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린 가사 문학의 대표 작품이다. 주로 한문으로 문학 활동을 하던
인곡〉과 비교하여 감상하고 이 당시에 우리의 생각이나 정서를 우리말로 유려하게 표현한 〈사미인곡〉은 문학 활동의 수준을 한 단계 높였다고 할
러한 전통이 어떻게 계승되고 수 있다.
있는지 살펴볼 수 있도록 한다.

‘충신연주지사’는 충신이 임금
3 〈사미인곡〉은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를 대표하는 작품이다. 우리 문학에서 이와 같은
유형에 속하는 작품을 찾아보자.

예시 답 고려 가요 〈정과정곡〉: 이 작품은 고려 의종 때문인 정서가 귀양지인 동래에서 임금의 소환을


에 대한 사모의 정을 표현한 작
• 기다리다 소식이 없자 지어 부른 작품이다. 〈사미인곡〉과 같이 여성 화자를 활용한 충신연주지사의 전
품을 뜻한다. 정계에서 밀려난 통이 나타난다.
신하가 임금을 향해 제 뜻을 전
하는 글로 양식화되어 있다.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5

〈사미인곡〉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예시 답 자신을 버린 임금에 대한 원망보다는 그 임금이 자신의 진심을 알고 다시 등용해 주었으면 하는 바람이 담긴 노래인 것
같아.

나의 책방 키우기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정철의 〈관동별곡〉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정서의 〈정과정곡〉
이 작품은 작가가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금강산과 관동 팔경을 돌아보면서 아름다운 경치와 고사, 풍속,
정철의
선정에 대한 포부, 임금에 대한 연군 등을 읊은 가사이다.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려 언어적 기교가 뛰어
〈관동별곡〉
나며 중세 전기의 대표적인 양반 가사이며 기행 가사로 평가받고 있다. ⑵ 중세 문학 199
이 작품은 고려 의종 때 역모 죄로 귀양을 간 정서가 다시 부르겠다고 약속한 임금에게서 소식이 없자 자신
정서의
의 억울함과 결백을 호소하며 부른 노래이다. 고려 가요 중 작가를 알 수 있는 유일한 작품이며 유배 문학의
〈정과정곡〉
효시라고 할 수 있다. 〈사미인곡〉과 비교 감상하면서 우리나라 충신연주지사 문학의 전통을 이해할 수 있다.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199 2019. 1. 9. 오후 3:05


‘소단원 정리하기’ 지도 방안
•문학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학습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개념 정리’,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도
록 한다.

(2) 중세 문학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개념 정리 평가 자료
•어휘 평가 •서술형 평가
•쪽지 시험 •수행 평가
•소단원 평가

중세 문학의 특징은 무엇인가.


중세 문학은 대체로 동아시아 문명권의 공동 문어(共同文語)인 한문으로 문학 활동을 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동아시아에서 공유하는 문학 규범을 갖춘 한문 문학을 창작하였고, 한자를 이
용하여 우리말을 표기하는 차자 표기(借字表記) 문학이 함께 발달하였다.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는 국
한글 이외의 문자를 빌려서 우리말을 기록하는 방법의 총칭
문으로도 문학 창작을 할 수 있었다. 그래서 중세 문학은 구비 문학, 한문 문학, 차자 표기 문학 및 국
문 문학의 세 영역이 공존하였다.
한국의 중세 문학은 새로운 문학 갈래가 생겨나고 새로운 작가층이 등장하면서 변화를 겪기도 했
신흥 사대부
다. 서정 갈래인 향가가 등장하고 한시를 비롯한 한문 문학의 창작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시기와 경
기체가, 시조, 가사를 비롯한 새로운 문학 갈래가 등장한 시기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이를 각
각 ‘중세 전기’와 ‘중세 후기’라고 부를 수 있다.
삼국 시대부터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고려 전기까지

중세 전기 문학의 갈래와 흐름을 정리해 보자.


중세 전기에는 차자 표기를 활용한 향가(鄕歌)가 널리 창작되었으며, 신라의 육두품(六頭品)과 같
신라 때의 신분 제도인 두품제에서 첫째 등급. 왕족 다음가는 신분의 등급으로 아찬까지의 벼슬을 할 수 있었음.
이 한문으로 글을 쓰는 능력을 갖춘 이들이 주요 작가층으로 등장하였다. 이들은 불교를 수용하고 한
문 문학의 전범을 받아들이면서 보편성을 중시하는 문학을 추구하였다. 이 시기의 문학은 자기 민족
중세 전기 문학의 특징
의 우월성을 강조한 고대 문학과는 구별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향가의 형성과 전개
한국 문학사에서 처음으로 확인되는 정형 시가인 향가는 향찰(鄕札)로 표기되었으
신라 때에,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국어 문장 전체를 적은 표기법
며, 행의 수에 따라 4구체, 8구체, 10구체로 나뉜다. 이 가운데 10구체는 정형적 서정
시로서의 형식미를 갖추었다. 특히 제9행 첫머리에 쓰인 감탄구는 우리 시가 형식의
‘향가 → 시조 → 가사’로 연결되는 전통을 보임.
전통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향가는 고려 전기까지도 향유되었는데, 현재는 《삼국유사》와 《균여전》 등에 실린 작
품이 전해진다. 〈서동요(薯童謠)〉, 〈풍요(風謠)〉, 〈헌화가(獻花歌)〉 177쪽 , 〈도솔가(兜
率歌)〉의 4편이 4구체이고,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처용가(處容歌)〉 177쪽 등 2편
이 8구체이며,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176쪽, 〈제망매가(祭亡妹歌)〉를 비롯한 나머

충담사의 〈찬기파랑가〉 지 작품들은 모두 10구체이다. 《삼대목(三代目)》과 같은 향가집 편찬 기록이 있으니,


실제로는 더 많은 작품이 창작되었을 것이다.
4-⑵단원 개념 정리 ① 향가의 형성과 전개
•표기: 향찰
•형식: 행의 수에 따라 4구체, 8구체, 10구체(10구체는 정형적 서정시로서 형식미를 갖춤.)로 나뉨.
•작품: 고려 전기까지 향유되었으며, 〈서동요〉, 〈풍요〉, 〈헌화가〉, 〈도솔가〉, 〈모죽지랑가〉, 〈처용가〉,
〈찬기파랑가〉, 〈제망매가〉 등의 작품이 있음.
200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200 2019. 1. 9. 오후 3:05


4-⑵단원 개념 정리 ② 한문 문학과 구비 문학
•한문 문학: 신라 최치원의 〈격황소서〉, 발해 양태사와 고려 정지상의 한시 등 → 문학성이 뛰어
나며 새로운 창작의 원천을 제공함.
•구비 문학: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수록된 전설과 민담을 통해 구비 문학의 창작과 전승이
활발했음을 확인할 수 있음.

4-⑵단원 개념 정리 ③ 고려 가요와 민간 문학
•발생: 고려 시대에 민간에서 불리다가 궁중의 음악에 흡수됨. ‘고려 속요’라고도 함.
•형식: 후렴구를 갖춘 연장체의 3음보 형식이 많지만 갈래 전체를 아우르는 정형성은 없음.
•의의: 조선 시대에는 내용이 남녀상열지사라며 비판받기도 했지만, 백성들의 자연스러운 감정과
삶의 모습을 담고 있어서 오늘날 높이 평가되고 있음.
•작품: 〈청산별곡〉, 〈서경별곡〉, 〈가시리〉, 〈쌍화점〉, 〈동동〉 등

한문 문학과 구비 문학
중세의 규범적 문장을 구사한 최치원의 〈격황소서(檄黃巢書)〉는 중세 전기 한문
당나라 황소의 난 때 황소에게 항복을 권유하기 위하여 보내는 격문을 대필한 것임. 흔히 〈토황소격문〉으로 알려짐.
문학의 수준을 잘 드러낸 산문으로 높이 평가되기도 한다. 신라의 최치원, 발해의 양
〈제가야산독서당〉, 〈추야우중〉
태사, 고려의 정지상 등은 이 시기에 문학성이 뛰어난 한시(漢詩)를 남긴 작가로 알려져 있 최치원
〈야청도의성〉 〈송인〉
으며, 이들의 작품 가운데에는 오늘날에도 널리 읽히거나 새로운 창작의 원천을 제공하는 작품이 있
다. 중세 전기 구비 문학의 양상은 역사서를 비롯한 당시의 기록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삼국사기》
와 《삼국유사》에 수록된 전설과 민담을 통해 구비 문학의 창작과 전승이 활발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중세 후기 문학의 갈래와 흐름을 정리해 보자.


고려 시대의 무신 정변은 중세 문학에 새로운 변화의 계기를 마련한 사건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1170년(의종 24) 무신 정중부 등에 의해 일어난 정변
신흥 사대부 또는 신진 사류라고 불리는 새로운 작가층이 등장하였고, 이들은 새로운 문학 갈래를 만
시조, 경기체가, 가사 등
들어 향유하면서 자국 문화와 역사의 독자성을 강조하는 경향을 지닌 문학 작품의 창작을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조선의 건국에도 참여했기 때문에, 그 결과로 조선 전기 문학은 고려 후기 문학의
특징적인 면모들을 계승하게 되었다.

고려 가요와 민간의 문학
고려 시대에는 민간에서 불리다가 궁중의 음악에 흡수된 노래들이 있었
궁중의 연희에 사용할 목적으로 윤색하고 개작함.
는데, 이들은 ‘고려 가요’ 또는 ‘속요’,   ‘고려 속요’ 등으로 일컫는다. 고려 가
요는 백성들의 자연스러운 감정과 삶의 모습을 담고 있어서 오늘날 높이
평가되고 있는데, 조선 시대에는 오히려 이 때문에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
之詞)로 비판받기도 했다. 고려 가요는 후렴구를 갖춘 연장체의 3음보 형
고려 가요의 형식상 특징
식의 작품이 많지만, 이들 노래 전체를 아우르는 정형성을 발견하기는 어
《시용향악보》에 수록된 〈청산별곡〉
렵다. 〈청산별곡(靑山別曲)〉 180쪽을 비롯하여 〈서경별곡(西京別曲)〉, 〈가
작자 미상의 고려 가요로, 창작 연대
시리〉, 〈쌍화점(雙花店)〉, 〈동동(動動)〉 등의 작품이 오늘날 전한다. 는 전하지 않으나 〈서경별곡〉과 형식
이 비슷하여 고려 시대에 창작된 것으
로 추측한다.
경기체가(景幾體歌)의 등장
신흥 사대부의 등장과 함께 나타난 문학 갈래는 경기체가이다. 경기체가는 구체적 사물을 나열하
면서 감흥을 찾는 교술 문학 갈래로, ‘위 ~경(景)긔 엇더니잇고’라는 결구를 갖추고 여러 장으로 구
‘경기체가’라고 불린 까닭과 관련됨.
성되는 등의 형식적 특징을 지니고 있었다. 〈한림별곡(翰林別曲)〉 280쪽에서 신흥 사대부로서 자신
감을 표출하고 자신들의 생활을 표현한 이래로, 경기체가는 중세 후기 동안 지속해서 창작되었다.
4-⑵단원 개념 정리 ④ 경기체가의 등장
•발생: 신흥 사대부의 등장과 함께 나타남.
•특징: 구체적인 사물을 나열하면서 감흥을 찾는 교술 문학 갈래로, ‘위 ~경(景)긔 엇더니잇고’라는 ⑵ 중세 문학 201
결구를 갖추고 여러 장으로 구성됨.
•작품: 〈한림별곡(翰林別曲)〉 등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201 2019. 1. 9. 오후 3:05


4-⑵단원 개념 정리 ⑤ 시조의 발생과 향유
•발생: 향가가 사라진 이후 생긴 정형성을 띤 서정시임.
•형식: 3장 및 4음보의 정형성을 띠며, 10구체 향가의 전통을 이어 종장 첫 구에 감탄구를 두는 형식임.
•의의: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작가들이 작품을 창작하여 다채로운 소재와 주제 의식을 담아 냄.
→ 근대 이후에도 생명력을 잃지 않는 원동력임
•작품: 고려의 우탁, 이색, 정몽주, 조선의 성삼문, 이황, 정철, 황진이, 홍랑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품이
창작됨.
시조와 가사의 발생과 향유
중세 후기에 새롭게 나타난 시가 갈래로는 시조와 가사도 있었다. 시조와 가사는 중세 후기 이후
에도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다는 점에서 경기체가와 다른데, 특히 시조는 오늘날에도 문학 갈래로서의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시조는 향가가 사라진 이후에 생겨난 정형성을 띤 서정시로, 신흥 사대부의 서정 가요에 대한 요
구에 따라 생겨난 것으로 파악된다. 3장 및 4음보의 정형성을 띠며, 10구체 향가의 전통을 이어 종장
시조의 형식
4-⑵단원 개념 정리 ⑥ 첫 구에 감탄구를 두는 양식을 취하고 있다. 고려의 우탁 190쪽, 이색, 정몽주로부터 조선의 성삼문
가사의 발생과 향유
190쪽, 이황, 정철, 황진이, 홍랑 190쪽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가의 작품이 전해지고 있다. 다양한
•발생: 중세 후기 작가층
의 문학적 요구와 관련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작가들이 시조를 창작하여 다채로운 소재와 주제 의식을 담아냈는데, 이러한 개
것으로 해석되지만, 구체
적인 출발점에 대해서는 방적인 성격은 시조가 근대 이후에도 생명력을 잃지 않았던 중요한 이유이다.
논란이 있음.
가사는 4음보 연속체의 형식을 지닌 문학 갈래로, 음보와 결구의 형식이 시조와 유사하지만 길이
•형식: 4음보 연속체의 형 가사의 형식
식을 지닌 문학 갈래로, 는 시조보다 훨씬 길다. 가사의 발생은 중세 후기 작가층의 문학적 요구와 관련된 것으로 해석되지
음보와 결구의 형식이 시
조와 유사하지만 길이는 만, 구체적인 출발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고려의 나옹 화상이 쓴 〈서왕가(西
시조보다 훨씬 긺.
•작품: 정극인의 〈상춘곡〉, 往歌)〉가 첫 작품이라는 견해가 있는가 하면, 조선의 정극인이 쓴 〈상춘곡(賞
정철의 〈관동별곡〉, 〈사
미인곡〉, 〈속미인곡〉 등 春曲)〉을 첫 작품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도 제기되었다. 그렇지만 선승(禪
僧)인 나옹 화상이나 사대부인 정극인은 모두 중세 후기에 등장한 새로운 작
가층의 일원이 분명하다. 조선 전기의 가사 작가로는 송강 정철이 가장 잘
알려져 있는데, 〈관동별곡(關東別曲)〉, 〈사미인곡(思美人曲)〉 194쪽,

〈속미인곡(續美人曲)〉 등의 작품은 당시에는 물론 오늘날에도 높은


평가를 받는다.

산문 문학의 새로운 경향과 민족사의 재인식


정철
중세 후기에 새롭게 등장한 산문 문학의 갈래 가운데는 임춘의
〈공방전(孔方傳)〉 184쪽과 같은 ‘가전(假傳)’이 있다. 가전은 사물을 의인화하여 전기(傳記) 형식으로
서술한 갈래인데, 사물 자체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졌던 신흥 사대부의 성향과 어울리는 갈래로 평
가된다. 산문 문학의 내용에 초점을 맞추면, 중세 후기에는 자기 민족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관심이
작품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일연의 《삼국유사》가 가장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는데, 단군이나 주몽을 비롯한 건국 시조의 신화를 비롯하여 다양한 내용의 전설과 민담을 다루었
다. 또한, 이규보는 장편의 한문 서사시인 〈동명왕편〉을 창작하면서 당시의 역사 서술 등에서는 배제
되었던 신이한 행적을 포함시키기도 했다.
4-⑵단원 개념 정리 ⑦ 산문 문학의 새로운 경향과 민족사의 재인식
[가전]
•발생: 사물을 의인화하여 전기(傳記)의 형식으로 서술한 갈래 → 사물 자체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
던 신흥 사대부의 성향에 어울림.
•작품: 임춘의 〈공방전〉 등
[민족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작품]
202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일연의 《삼국유사》: 단군이나 주몽을 비롯한 건국 시조의 신화를 비롯하여 다양한 내용의 전설과
민담을 다룸.
•이규보의 〈동명왕편〉: 당시의 역사 서술 등에서는 배제되었던 신이한 행적을 포함시킴.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202 2019. 1. 9. 오후 3:05


4-⑵단원 개념 정리 ⑧ 한글 창제와 악장 문학
•발생: 한글을 창제한 후 이를 사용하기 위한 기능적 목적을 지님. →
일정한 형식을 갖추지 못한 기능적 문학이라는 한계를 지녔으나 국문
문학 발달의 토대가 됨.
•작품: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등

한글 창제와 악장 문학
한글 창제는 우리의 언어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온 사건이다. 그렇지만 한문이 공동 문어로서의 지
위를 유지하던 시대에 한글의 문학적 영향은 제한적이었다.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나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과 같은 악장 문학 작품이
석가모니를 예찬한 노래
창작되었지만, 악장은 일정한 형식을 갖추지 못한 기능적 문학이었다는
조선 건국의 문물제도를 찬양하기 위한 기능적 역할을 함.
한계를 가졌다. 그러다가 상층의 여성을 중심으로 점차 한글 사용층이 확
대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이후의 국문 문학 발달의 토대가 된다.

소설의 발생 〈용비어천가〉
조선 세종 27년(1445)에 정인지, 안지, 권제 등
신라 말과 고려 초의 전기(傳奇) 문학을 비롯한 산문 문학의 발전, 그리
이 지어 세종 29년(1447)에 간행하였다. 훈민정
고 설화에 대한 관심은 조선 전기에 이르러 소설의 발생으로 이어졌다. 음으로 쓴 최초의 작품이다.

소설의 발생 시기나 배경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대체로 김시습의


《금오신화(金鰲新話)》에 이르러 소설로서의 특질을 온전히 갖추게 되었다고 본다. 우리가 2단원에서
감상했던 〈이생규장전〉 60쪽이 바로 《금오신화》에 실린 5편의 작품 가운데 하나이다. 김시습 이후
에는 채수의 〈설공찬전(薛公瓚傳)〉 같은 작품, 신광한의 《기재기이(企齋記異)》 같은 작품집이 나타났
4-⑵단원 개념 정리 ⑨ 소설의 발생
으나, 소설로서의 특질이 《금오신화》만큼 뚜렷하지는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발생: 신라 말과 고려 초의 전기(傳奇) 문학을
비롯한 산문 문학의 발전, 그리고 설화에 대한
관심 등으로 조선 전기 소설이 발생함.
한문 문학과 구비 문학의 전개 •작품: 김시습의 《금오신화(金鰲新話)》 등

중세 후기에 등장한 신흥 사대부는 상당한 수준의 한문 교양을 갖추어야 했는데, 이들의 정치


적ㆍ문화적 지향이 분화하면서 한문 문학은 다양한 면모를 지니게 되었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경설
(鏡說)〉 186쪽을 지은 고려의 이규보, 이제현, 이색 등과 조선의 서거정, 김종직, 이달 등을 들 수 있
다. 일부이기는 하지만 여성의 한시도 나타났다. 사대부 계층은 당대에 유통되는 구비 문학에 대해
상당한 관심을 보여 주었는데, 그 결과로 다양한 설화집이 편찬되기도 했다.
4-⑵단원 개념 정리 ⑩ 한문 문학과 구비 문학의 전개
•한문 문학: 신흥 사대부가 분화하면서 다양한 면모를 지님. → 대표적인 작가로는 고려의 이규보,
이제현, 이색 등과 조선의 서거정, 김종직, 이달 등이 있음.
•구비 문학: 다양한 설화집이 편찬됨.

평가
점검 사항
상 중 하

중세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을 감상하면서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을 파악할


이 단원에서 수 있다. ▶ 교과서 170쪽 2번, 238쪽 2번, 199쪽 3번 문제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중세의 주요 문학 작품을 통해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할 수 있다.
점검해 보자. ▶ 교과서 177쪽 2번, 182~3쪽 2번, 191쪽 2번, 199번 2번 문제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
계를 탐구할 수 있다. ▶ 교과서 187쪽 2번 문제

⑵ 중세 문학 203

고등문학(156~203)4단원(교)삼.indd 203 2019. 1. 9. 오후 3:05


소단원 수업은 이렇게
이 단원은 조선 후기부터 20세기 초 개화기까지의 시기에 창작된 작품을 감상하며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 목표이다. 이 시기는 한문 문학, 국문 문학, 구비 문학이 공존한다는
점에서는 중세 문학에 가깝고, 작가층이 확대되고 한문 문학보다는 국문 문학의 비중이 커지며 근대적 가
치관이 드러난다는 점에서 근대 문학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 단원에서는 사설시조 〈어이 못 오던가〉,
조선 후기 생활상이 반영된 판소리계 소설 〈흥보전〉, 20세기 초에 창작된 한시 〈절명시〉 등 중세에서 근대
로의 이행기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을 감상하면서 이 시기 문학의 특징과 변화 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환절기에 사람들의 옷차림을 유심히 관찰한 경험이 있는가? 갑작스러운 날씨

중세에서
철이 바뀌는 시기 → ‘이행기’
변화로 어떤 사람은 짧은 길이의 얇은 옷을 입거나, 어떤 사람은 길고 두꺼운 옷을 입어

서 길거리에는 다양한 모습을 한 이들이 뒤섞인다. 한국 문학에도 이러한 시기가 있었


근대로의 다.
중세 문학과 근대 문학의 성격이 공존하는 것과 유사함.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가 되면 중세 문학과 근대 문학의 성격을 모두 지

이행기 닌 작품이 나타난다.

이 단원에서는 이행기의 한국 문학이 어떤 모습으로 전개되었는지 대표적인 작품을

문학 감상하며 이해해 보자.

스마트 수업 PPT

세 번째 질문 이끌기
첫 번째 질문과 두 번째 질문을 바
탕으로 하여 이 시기의 가치가 무엇인
지 생각해 보도록 한다.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중세에서 근대로의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생각해 보자. 이행기 문학은
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을 소단원 도입 애니메이션
어떤 가치를 지닐까?
감상하면서 한국 문학의 전
통과 특질을 파악한다.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의 주요 문학 작품을 통해 중세에서 근대로의
두 번째 질문 이끌기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는 이행기 문학은 중세 문학과 근현대 문
탐구한다.
어느 시기를 말하는 것일까?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을까? 학의 성격을 두루 띠고 있
는 이 시기의 특징에 대해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생각해 볼 수 있다.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
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 첫 번째 질문 이끌기
중세 문학에서 근현대 문학의 이행기에 해당하는 시기를 파악하기 위한
를 탐구한다.
것이다. ‘이행’이라는 말은 ‘다른 상태로 옮아감’을 뜻하는데, 이 단원은 중세
문학에서 근현대 문학으로 넘어가는 시기를 구분하여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
행기 문학’이라고 설정하였다는 점을 설명해 준다.

이 단원에서는 

1 〈 어이 못 오던가〉를 감상하며 사설시조의 특징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205쪽, 지도서 265쪽

2 〈 흥보전〉을 감상하며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209쪽, 지도서 271쪽

3 〈 절명시〉를 감상하며 한문 문학의 의의를 이해해 보자. ▶ 교과서 219쪽, 지도서 281쪽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 교과서 224쪽, 지도서 299쪽

204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04 2019. 1. 9. 오후 2:53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오지 않는 임을 기다리는 답답하고 안타까운 마음을 표현한
작자 미상의 사설시조이다. 〈어이 못 오던가〉는 안빈낙도나 충절 등을 주
1
제로 한 조선 전기의 시조와는 다르게 남녀 간의 사랑을 솔직하게 드러내
고 있으며, 평시조의 정형성에서 벗어나 장형화된 사설시조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는 점에서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시가 문학을 감상하기
에 적절한 제재이다. 따라서 이 작품을 통해 시조의 내용 및 형식의 변화
와 작자층의 확대 양상 등을 살펴보고 이 시기에 향유된 문학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제목이 나타내는 의미는 무엇일까요?
질문의 예

삽화 관련 교과서 205쪽의 삽화를 통해 이 작품의 내용은 무엇


질문의 예 일지 짐작해 볼까요?

배경지식 관련 시조의 형식에 대해 알고 있는 내용을 떠올려 볼까


질문의 예 요?
 누군가를 간절하게 기다려 본 경험이 있

는가?
 평시조와 형식이 다른 시조를 본 적이 있

는가?
 예시 답 기다리는 사람이 오랫동안 오지 않으면

어떤 마음이 생기는가?

⑶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205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05 2019. 1. 9. 오후 2:53


〈어이 못 오던가〉는 임을 기다리는 답답하고 안타까운 마음을 재치 있게 표현한 사설시조이다.
시조의 변모 과정에 주목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개관
갈래 사설시조
수업의 포인트
성격 해학적, 과장적
•시적 상황과 시적 화자의 정서 파악하기 제재 임에 대한 그리움
•표현상의 특징 이해하기 주제 오지 않는 임을 기다리는 답답하고 안타까운 마음
•사설시조의 갈래상 특징 이해하기
① ‌사물을 연쇄적으로 나열함으로써 오지 않는 임
에 대한 간절한 마음을 드러냄.
특징
② ‌임을 기다리는 안타까운 마음을 해학과 과장을
통해 그려 냄.

어이 못 오던가 | 작자 미상

□: ‘너’(임)를 오지 못하게 하는 장애물 (열거법, 연쇄법)


어이 못 오던가 무 일노 못 오던가
오 길에 무쇠로 성(城)을 고 성(城) 안에 담 고 담 안에 집을 짓고 집
오지 않는 이유에 대해 ‘너’(임)에게 질문함.
「너

안에 두지 노코 두지 안에 궤(樻)를 노코 그 안에 너를 필자형(必字形)으로 결박
그리움의 대상(임)

(結縛)여 너코 쌍목 걸쇠에 금(金)거북 자물쇠로 수기수기 잠가관 네 어이


몸이나 손 따위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동이어 묶음.

그리 못 오던다」 「」 : 과장법

 도 열두 이오   셜흔 의 날 보라 올 리 업스랴
오지 않는 ‘너’(임)에 대한 원망, 안타까움, 그리움

시적 상황과 시적 화자의 정서

시적 상황 시적 화자는 오지 않는 ‘너’(임)를 기다리고 있음.

시적 화자의 정서 ‘너’(임)가 오지 않아서 답답하고 안타까워함.

시적 화자가 추정하는 임이 오지 못하는 이유

쌍목
‘너’ 걸쇠, 담, × 시적
궤 두지 집
(임) 금거북 성 못 옴. 화자
자물쇠

표현상의 특징
사물을 연쇄적으로 나열하여 오
지 않는 ‘너’에 대한 간절한 마음  연쇄법
을 나타냄.
중장 

‘너’를 기다리는 안타까운 심정을


 과장법
과장적으로 드러냄.

제재 정리
두지 뒤주. 쌀 같은 곡식을 담아 두는 세간.
목 걸쇠를 거는 구멍난 못.
작품 구성
걸쇠 문을 걸어 잠그고 빗장으로 쓰는 ‘ㄱ’ 자 모양으로 생긴 쇠.
초장 ‘너’(임)가 못 오는 이유에 대해 궁금해함.
수기수기 깊이깊이. ‘너’(임)가 못 오는 이유에 대해 ‘나’(시적
중장
오던다 오더냐. 화자)가 나름대로 추측함.
리 하루가. 종장 오지 않는 ‘너’(임)를 원망함.

206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06 2019. 1. 9. 오후 2:54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어이 못 오던가〉의 시적 화자가  〈어이 못 오던가〉에 나타난 사설시  민속극 〈봉산 탈춤〉과 〈어이 못 오던가〉
처한 상황, 표현상의 특징, 시적 화 조의 특징을 찾아보고, 작품의 작 의 표현상 공통점을 찾고 시대적 상황과
자의 심정 파악하기 자층 이해하기 관련지어 그 까닭 생각해 보기

활동 1 지도 방안
1 〈어이 못 오던가〉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시적 화자는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살펴보자.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과 그
에 대한 정서나 태도, 표현상의 예시 답 ‘너’(임)를 기다리고 있지만, ‘너’(임)가 시적 화자를 찾아오지 않고 있다.
특징과 효과를 알아보는 활동이
다. 시적 상황을 추측할 수 있는
시구들을 찾아보고, ‘시적 화자가
어디에서 무엇을 하고 있다.’의
형식으로 정리해 보도록 한다.
간단하게 말할 수도 있 ⑵ 중장에 나타난 표현상의 특징과 그 효과를 말해 보자.
을 텐데 길게 표현한 이유는 무 예시 답 ‘너’(임)를 오지 못하게 하는 장애물을 반복·연쇄적으로 나열하여 과장되게 표현함으로써 ‘너’(임)가 오지 못
엇일까? 그만큼 화자의 마음이 하는 상황에 대한 시적 화자의 답답하고 안타까운 마음을 강조하고 있다.
간절한 것일까?

⑶ 종장에서 알 수 있는 시적 화자의 심정은 어떠한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너’(임)가 ‘나’를 찾아오지 않은 것에 대해 원망하고 비난한다.
•한편으로는 ‘너’(임)가 지금이라도 ‘나’를 찾아와 주기를 간절하게 기다린다.

활동 2 지도 방안
2 사설시조의 특성에 유의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의 설명을 참고하여 이 작품에 나타난 사설시조의 특징을 찾아보자.


〈어이 못 오던가〉에 나타난
사설시조의 특징과 작자층에 대
한 이해를 통해 시조의 변모 양 시조는 3장 4음보 형식의 정형시이다. 이러한 정형성은 시조가 발생할 때 작가층이
상을 파악해 보는 활동이다.
제시된 설명을 통해 사설시조 갖고 있던 세계관이나 문학적 지향과 관련 있다. 그러나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는 시
에 대한 이해를 선행하게 한 다
음, 앞 단원에서 학습한 평시조 기에 이르러 이러한 정형성이 느슨해지면서 장형화된 사설시조가 나타났다. 이로 인
세 편과 〈어이 못 오던가〉를 형
식적 측면과 미학적 측면에서 해 시조의 미학적 성격도 변하게 되었다. 우아한 격조를 지향하던 평시조에서 벗어나
구체적으로 비교해 보도록 한
다. 그리고 〈어이 못 오던가〉의
‘일탈성’을 추구하게 되면서, 가벼움이나 유희, 희화화와 같은 해학적인 요소 또한 볼
내용이나 표현을 근거로 사설시 수 있게 되었다.
조의 작가는 어떤 계층에 속한
사람인지 추측해 보도록 지도한
다. 예시 답 •형식의 변화: 작품의 길이, 특히 중장의 길이가 길어졌다.
•미학적 성격의 변화: 임이 오지 못하는 이유를 해학적이고 과장되게 표현하며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었다.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의
시조의 변화
•작가: 평민 계층으로까지 작자
층이 확대됨.
•내용
⑵ 이 작품의 작가는 어떤 계층에 속한 사람일지 추측해 보고, 그 근거는 무엇인지 정리해
① ‌평민 계층의 현실 인식을 바
탕으로 한 풍자적이고 해학 보자.
적인 내용을 노래함.
②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사
예시 답 이 작품은 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였고 어려운 한자어보다
물을 소재로 함.
•형식: 평시조에 비해 중장이 길 는 우리말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다소 과장되면서 해학적인 표현으로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어진 형태의 사설시조가 창작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의 작자층은 우아한 격조를 지향하던 양반층이라기보다는 중인을
됨. 포함한 서민 계층일 것이다.

⑶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207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07 2019. 1. 9. 오후 2:54


작품 개관
갈래 전통극, 민속극, 가면극 성격 평민적, 해학적, 풍자적
주제 양반에 대한 풍자와 조롱
① 양반이 쓰는 한자어와 평민이 쓰는 비속어가 섞여 있음.
특징
② 열거, 대구, 과장 등을 통한 해학과 풍자가 두드러짐.

활동 3 지도 방안
민속극과 사설시조의 비교 감
3 다음은 민속극 〈봉산 탈춤〉의 한 부분이다. 〈어이 못 오던가〉와 비교하면서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상을 통해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의 특징과 시대 상
황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실제
공연 현장에서 감상하는 기회를
양반 삼 형제 (말뚝이 뒤를 따라 굿거리에 맞추어 점잔을 피우나 어색하게 춤을 추며 등장. 양
마련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 반 삼 형제 맏이는 샌님[生員], 둘째는 서방님[書房], 끝은 도련님[道令]이다. 샌님과
런 형편이 아니라 해도 공연의
대본이라는 점을 고려하면서 작 서방님은 흰 창옷에 관을 썼다. 도련님은 남색 쾌자(快子)에 복건(幞巾)을 썼다. 샌님
품을 감상하도록 해야 한다.
과 서방님은 언청이이며(샌님은 언청이 두 줄, 서방님은 한 줄이다.) 부채와 장죽을 가
샌님 나이 많은 선비를 대접해 양반의 모습을 회화화함.
서 부르던 말. 지고 있으며, 도련님은 입이 삐뚤어졌고 부채만 가졌다. 도련님은 일절 대사는 없으며
서방님 지난날 벼슬이 없는 젊
형들과 동작을 같이하면서 형들의 면상을 부채로 때리며 방정맞게 군다.)
은 선비를 부르던 말.
도련님 도령의 높임말. 결혼하 말뚝이 (가운데쯤에 나와서) 쉬이. (음악과 춤 멈춘다.) 양반 나오신다아! 양반이라고 하
관객들의 시선 집중을 유도함. 양반의 위엄
지 않은 남자를 대접하여 부르 니까 노론(老論), 소론(少論), 호조(戶曹), 병조(兵曹), 옥당(玉堂)을 다 지내고
는 말.
삼정승(三政丞) 육판서(六判書)를 다 지낸 퇴로 재상(退老宰相)으로 계신 양
쾌자(快子) 조선 시대 관복 또
는 군복. 소매가 없고 등솔기가 반인 줄 아지 마시오. 개잘량이라는 ‘양’ 자에 개다리소반이라는 ‘반’ 자 쓰는
허리까지 트여 있다. 양반을 조롱함.
양반이 나오신단 말이오.
복건(幞巾) 도포(道袍)에 갖추
어 머리에 쓰는 건. 복건(幅巾)이
양반들 야아, 이놈 뭐야아!
양반의 호통
라고도 한다. 말뚝이 「아, 이 양반들 어찌 듣는지 모르갔소. 노론, 소론, 호조, 병
개잘량 털이 붙어 있는 채로 손
조, 옥당을 다 지내고 삼정승, 육판서 다 지내고 퇴로 재상
질하여 만든 개가죽 방석.
개다리소반 상다리 모양이 개 으로 계신 이 생원네 삼 형제분이 나오신다고 그리하였소.」
「」 : 말뚝이의 변명
의 다리처럼 구부정하게 된, 원 - 작자 미상, 〈봉산 탈춤〉에서
형이나 사각형의 작은 밥상. ▶ ‘양반’의 뜻풀이 재담

〈봉산 탈춤〉은 봉산 지방에 ⑴ 두 작품의 표현상 공통점을 찾아보자.


서 전승되던 탈춤으로 전체 7개
예시 답 두 작품 모두 열거, 반복, 과장 등을 통해 해학을 느끼게 한다.
의 과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의 사회상을 희극적으
로 제시하고 있다.

⑵ ⑴과 같은 공통점이 생긴 까닭은 무엇일지 시대적 상황과 관련지어 생각해 보자.


예시 답 조선 후기에는 봉건주의적 신분 질서가 흔들리고 지배 계층에 대한 비판 의식이 나타나며 평민 의식이 성
장하는 등 근대적 가치관이 널리 퍼졌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으로 인해 조선 후기에 창작된 사설시조나 관객들 앞에
서 연행된 〈봉산 탈춤〉에는 평민들의 솔직한 감정과 비판 의식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01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어이 못 오던가〉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이 작품은 ‘두터비’를 희화화하여 지배
작자 미상의 층이 자기 합리화를 꾀하는 모습과 강
예시 답 ‘너’가 왜 못 올까라고 하면서 그 이유로 생각한 내용을 읽다 보면 〈두터비 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한 사회상
어쩐지 웃음이 나. 참신한 발상인 듯해. 파리를 물고〉 을 풍자한 사설시조로, 사설시조의 한
특징인 비판 정신이 잘 드러나 있다.
나의 책방 키우기 이 작품은 임이 자신을 사랑해 준다면
모든 것을 버리고 따르겠다는 여인의
갈래가 같은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작자 미상, 〈두터비 파리를 물고〉 작자 미상의 애절한 목소리와 임에 대한 원망을 애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작자 미상, 〈서경별곡〉 〈서경별곡〉 꿎은 뱃사공에게 나무라는 구절 등에
서 고려 가요 특유의 진솔한 감정 표현
을 볼 수 있다.

208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08 2019. 1. 9. 오후 2:54


2

작품 설정의 취지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이 작품은 판소리 다섯 마당 중 하나인 〈흥보가〉의 사설이 문자로 정착
된 조선 후기 판소리계 소설이다. 다른 판소리계 소설들처럼 운문적 문체 제목 관련 이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있다면 줄거리를 대
에 양반과 서민의 언어가 공존하고 있고, 형제간의 우애와 권선징악이라 질문의 예 강 이야기해 봅시다.
는 교훈적 주제를 다루면서도 신분제의 동요 속에서 양반의 몰락과 신흥
부농의 등장, 비참한 서민의 생활상 등 조선 후기 사회의 현실을 해학적, 삽화 관련 교과서 209쪽의 삽화를 통해 흥보의 형편을 짐작해
풍자적으로 그리고 있다. 따라서 〈흥보가〉는 조선 후기의 사회상과 문학 질문의 예 볼까요?
의 관계를 이해하고 당시 민중들의 삶과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을 파악하
기에 적절한 제재로,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서사 문학의 특징과 구현
양상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배경지식 관련
판소리에 대해 알고 있는 내용을 떠올려 볼까요?
질문의 예

 흥보는 어떤 인물인가?
 조선 후기의 생활상은 어떠했을까?
 예시 답 판소리를 들어 본 경험이 있는가?

⑶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209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09 2019. 1. 9. 오후 2:54


〈흥보전〉은 판소리 〈흥보가〉를 바탕으로 한 판소리계 소설이다. 작품 개관
조선 후기의 생활상이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지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갈래 판소리계 소설, 국문 소설
성격 풍자적, 해학적, 교훈적
수업의 포인트 제재 조선 후기 / 경상, 전라 경계 지역
•‘가난 자랑’ 장면의 기능과 역할 이해하기 ① 표면적 주제: 형제간의 우애와 권선징악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 이해하기 주제
② 이면적 주제: 몰락 양반과 신흥 부농 사이의 빈부 갈등
•작품에 나타난 조선 후기의 사회상 파악하기 ① 판소리 사설의 특징이 잘 나타남.
특징 ② 조선 후기의 사회상과 세태를 잘 보여 줌.
③ 풍자와 해학 등 웃음의 미학이 잘 나타남.

흥보전 (興甫傳) | 작자 미상

판소리계 소설의 특징 전체 줄거리


•판소리계 소설은 조선 후기에
성행한 판소리 사설을 토대로 흥보와 놀보는 형제이지만 성품은 전혀 다르다. 심술궂은 놀보는 부유하지만 어진 흥보는 가난하다.
창작되어 3·4조 내지 4·4조의
4음보 형태가 문체의 기초를
흥보는 놀보에게 양식을 얻으려 하지만 매만 맞은 채 쫓겨난다. 흥보는 환곡(還穀)을 타러 갔다가 매품
이룸.
팔이 이야기를 듣고 병영을 찾아가지만 이마저도 실패한다. 그러던 어느 봄날 흥보는 다리가 부러진 제 5
•등장인물들은 비범한 영웅이 교과서 수록 부분
아닌 구체적인 생활 공간에서 비를 치료해 주는데, 이듬해 봄에 제비가 박씨를 물어다 준다. 흥보 부부가 박을 타니 온갖 보화가 나왔
살아 숨 쉬는 현실적인 인간
임. 는데, 놀보가 그 사연을 듣고는 제비를 잡아 다리를 부러뜨리고 치료해 준다. 놀보 또한 박씨를 얻어 심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순수한
우리말과 생생한 느낌의 의성 었는데, 박 속에서 나온 온갖 인물들은 오히려 이런저런 구실을 대며 놀보의 재산을 다 빼앗아 버린다.
어 및 의태어, 민중들의 속어
나 방언 등이 작품에 많이 사
수록된 부분은 흥보가 매품팔이를 하러 가는 장면이다.
용됨.

흥보 마삯 돈 닷 냥 받아 차고, ‘얼씨구 즐겁도다’ 제집으로 들어가며, 10


“애기 어멈, 게 있는가. 문을 열고 이것 보시오. 대장부 한걸음에 삼십 냥이 들
「」 : 돈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온 흥보의 자부심과 당당함이 드러남. 매품 파는 것에 대한 삯
어가네.”」
흥보 아내 이른 말이,
“그 돈은 웬 돈이며 삼십 냥은 웬 돈이오?”
흥보 이른 말이, 15

“천기누설이라, 말부터 앞세우면 이뤄질 일 없으니, 그 돈으로 양식 팔아 배불


중대한 기밀이 새어 나감을 이르는 말
리 질끈 먹고.”
환곡(還穀) 조선 시대에, 곡식
흥보 아내 이른 말이,
을 사창(社倉)에 저장하였다가
백성들에게 봄에 꾸어 주고 가 “먹으니 좋소만 그 돈은 어디서 났소?”
을에 이자를 붙여 거두던 일. 또 돈이 생겨서 좋긴 하지만 한편으로는 출처가 걱정됨.
는 그 곡식. 흥보 이른 말이, 20

마삯 말을 타는 데 대한 삯. 흥
“본읍 좌수 대신으로 병영 가서 곤장 맞기로 삼십 냥에 결단하고 마삯 돈 닷 냥
보가 매품을 팔기 위해 병영으 당시 지배 계층의 죄를 대신하여 매를 맞는 풍조가 있었음을 알 수 있음.
로 갈 때 드는 비용. 받아 왔네.” ▶ 흥보가 매품을 팔기로 하고 돈을 벌어 집으로 돌아옴.

210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10 2019. 1. 9. 오후 2:54


흥보 아내 이 말 듣고 기가 막혀 이른 말이,
“그놈의 죄상도 모르고 병영으로 올라갔다가 저 모습 저 몰골에 곤장 열을 맞
본읍 좌수 흥보의 허약한 모습
으면 곤장 아래 혼백 될 것이니 제발 덕분 가지 마오.”
죽게 될 것이니
흥보의 매품팔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조선 후기 사회상
흥보 이른 말이, •돈으로 자신의 죄를 대신하려는 물질주의적 가치관이 만연함.
•매품을 팔아 생계를 이어 갈 수밖에 없는 가난한 평민들의 삶이 드러남.
5 “볼기의 구실이 있나니.” •죄를 지은 사람이 제대로 형벌을 받지 않는 부패한 사회상이 드러남.
자기가 마땅히 해야 할 맡은 바 책임 •양반의 신분이지만 경제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존재했음.
“볼기가 구실이 있단 말이오?”
↱ 독자의 관심 환기. 판소리계 소설임을 알 수 있는 부분
“그렇지. 볼기 구실 들어 보소.「이내 몸이 정승 되어 평교자에 앉아 볼까, 육판
볼기의 구실에 대한 장황한 사설이 이어질 것임을 알 수 있음. 「」 : 유사한 구조의 반복
서 하였으면 초헌 위에 앉아 볼까, 사복시 관리 하였으면 임금 타는 말에 앉아 죄상(罪狀) 범죄의 구체적인 사
실.
볼까, 팔도 감사 하여 선화당에 앉아 볼까, 각 읍 수령 하여 좋은 가마에 앉아
평교자(平轎子) 종1품 이상의
10 볼까, 좌수 별감 하여 향사당에 앉아 볼까, 이방 호장 하여 작청 좋은 자리에 벼슬아치가 타는 가마.
초헌(軺軒) 종2품 이상의 벼슬
앉아 볼까, 소리명창 되어 크고 넓은 좋은 집 양반 앞에 앉아 볼까, 풍류 호걸 아치가 타는 수레.
사복시(司僕寺) 궁중의 말과 수
되어 기생집에 앉아 볼까, 서울 이름난 기생 되어 가마 안에 앉아 볼까, 많은
레를 담당한 관청.
돈 벌어 부담마에 앉아 볼까,」 쓸데없는 이내 볼기 놀려 무엇한단 말인가. 매품 선화당(宣化堂) 관찰사(감사)가
사무를 보는 정당(正堂).
이나 팔아먹세.” ▶ 흥보는 매품을 팔기로 한 것을 아내에게 자랑스럽게 이야기함.
향사당(鄕社堂) 지방관을 보좌
하는 향촌의 자문 기구.
15 흥보 자식들이 벌 떼같이 나앉으며,
작청(作廳) 실무를 담당하는 아
“아버지 말씀을 들으니 호사가 큼직하오. 그래 아버지 병영 가신다 하니, 날 오 전이 일을 보던 곳.
호화롭게 사치함. 부담마(負擔馬) 부담롱을 싣고
동철병 하나 사다 주오.” 사람도 함께 타도록 꾸민 말. 부

흥보 이른 말이, 담롱은 말에 실어 운반하는 작


은 농을 뜻함.
“고의 벗은 놈이 어디다 차게야?” 오동철병(烏銅鐵甁) 검붉은 빛
필요하지도 않으며 있어도 쓸 수 없다는 의미 → 개발에 편자 이 나는 구리로 만든 병.
20 “귀밑머리에 차도 찰 터이옵고 생갈비를 뚫고 차도 찰 터이오니 사 오기만 사
고의 벗은 놈 고의(袴衣)는 남

오오.” 자의 홑바지이므로, 고의도 벗


고 있을 정도로 어린아이라는
또 한 놈 나앉으며, 뜻인데, 여기서는 옷을 제대로
갖추어 입지 못했기 때문에 철
“나는 남수주 비단으로 만든 큰 창옷 한 벌 사다 주오.”
오동철병처럼 필요가 없는 물건임. 병이나 겉옷이 필요하지 않다는
“고의 벗은 놈이 어디다 입게야?” 말이기도 함.
큰 창옷 작은 창옷 위에 껴입는
25 흥보 큰아들 나앉으며 제 동생들을 꾸짖는데 옳게 꾸짖는 게 아니라 하늘에 사 겉옷.
탕평채에 모초의(毛綃衣) 탕평
무칠 듯 꾸짖어,
채는 음식 이름이며, 모초의는

“에라 심하구나, 후레아들 놈들. 아버지 그렇잖소. 나는 담비 가죽 탕평채에 비단의 일종인 모초로 만든 옷
배운 데 없이 제풀로 막되게 자라 교양이나 버릇이 없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을 뜻함.
모초의 한 놈과, 한포단 허리띠 비단 주머니 당팔사 끈 꿰어, 쇠 거울 돌 거울 한포단 한포(파초의 섬유로 짠
베)로 된 비단.
넣어다 주오.”」 「」 : 동생들을 꾸짖은 뒤 불필요한 물건을 가장 많이 요구함. → 해학성
당팔사(唐八絲) 중국에서 들여
30 흥보 이른 말이, 온, 여덟 가닥으로 짠 실.

⑶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211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11 2019. 1. 9. 오후 2:54


“네 아무것도 안 찾을 듯이 하더니 단계를 높여 하는구나. 너희 놈들이 내 마
아버지가 힘들게 매품 파는 것을 돈을 많이 버는 일로만 여기는 철없는 자식들에 대한 탄식
볼기를 대송방으로 안다는 말 른 볼기를 대송방으로 아는 놈들이로구나.”
은 무슨 뜻일까? ▶ 철없는 흥보 자식들이 흥보에게 매품을 팔아 물건을 사 달라고 요구함.
예시 답 흥보의 자식들은 흥보 흥보 이른 말이,
가 매품을 팔아서 받은 돈으로
자신들이 갖고 싶은 것을 사 달 “애기 어멈 그리하시오. 쉬 다녀옴세.”
라고 조른다. 이를 듣고 흥보는 매품 파는 것을 이해하시오.
매를 맞게 될 자신의 볼기를 물 흥보 병영 내려갈 제 탄식하고 내려간다. 5
건을 살 수 있는 가게로 아느냐
고 자식들에게 말한 것이다. “도로는 끝없는데 병영 성중 어디메요. 조자룡이 강을 넘던 청총마나 있으면
이제 잠깐 가련마는, 몸이 고생스러우니 조그마한 내 다리로 오늘 가다 어디서
‘가난 자랑’ 장면의 기능과 역할
‘가난 자랑’ 장면 자며 내일 가다 어디서 잘꼬. 제갈공명 쓰던 축지법을 배웠으면 이제로 가련
인물들이 차례대로 등장하여 도술로 지맥(地脈)을 축소하여 먼 거리를 가깝게 하는 술법
자신이 얼마나 가난한지 자랑 마는 몇 밤 자고 가잔 말가.”
함. 병영 문
 여러 날 만에 병영에 당도하니 영문도 엄숙하다. 쳐다보니 대장이 지휘하는 10
병영의 권위적인 분위기가 느껴짐.
•가난한 상황을 과장적, 해학
적으로 표현하여 웃음을 유 깃발이요 내려다보니 순시하는 깃발이로다. 도군뢰의 치레 보소. 「산짐승 털벙거
발함. 잘 손질하여 모양을 냄.
•평민들이 극심한 가난으로 지에 남일광단으로 안을 받쳐, 갓끈 고리와 밀화 귀를 땋은, 궁초로 만든 갓끈
인해 비참하게 사는 모습을
통해 당시 사회상을 비판함. 잡아매고, 관디 협수 군복 띠를 배에 눌러 매고, ‘날랠 용(勇)’이라는 글자 떡 붙
「」 : 도군뢰의 외양을 구체적으로 묘사하여 병영의 위엄을 보여 줌.
이고,」 흥보 앞에 썩 나서며,
“에라 이놈 게 앉거라.” 15

흥보 속마음에, ‘내가 분명 저승에 들어왔나 보다.’


권위적인 병영의 분위기를 느끼고 두려워함.
문간에 들어가니, 어떠한 사람들이 사오 인이 앉았거늘, 흥보 들어가며,
흥보처럼 매품을 팔러 온 사람들
“인사하오.”
“에 마오.”
대송방(大松房) 주로 서울에서
“거기 뉘라 하오?” 20
개성 상인들이 운영하던 가게.
청총마(靑驄馬) 푸른색과 흰색 “나 말씀이오? 조선 제일 가난 흥보를 모르시오.”
이 섞인 준마(駿馬).
도군뢰(都軍牢) 군대에서 죄인 한 놈 나서며,
솔봉 애비
을 다루던 병졸의 우두머리.
“장자가 무엇하러 와 계시오?”
남일광단(藍日光緞) 남빛 바탕 흥보를 부자라고 말하며 자신이 더 가난한 사람임을 드러냄.
에 해 또는 햇살 무늬가 있는 비 흥보 가슴이 끔쩍하여,
단. 깜짝 놀라서
밀화(蜜花) 호박(琥珀)의 한 종 “거기는 무엇하러 왔소?” 25

류.
“나는 평안도 사방동 동팔풍촌서 사는 솔봉 애비 모르시오. 이십오 대 가난으
궁초 (宮綃) 엷고 무늬가 둥근 오랫동안 지독하게 가난하였음을 과장하여 말함.
비단의 일종. 로 매품 팔러 왔소.”
관디 옛날 벼슬아치의 공복(公
服). 또 한 놈 나앉으며,
김딱직
협수(夾袖) 옛날 군복의 일종.
“나는 경상도 문경 땅의 제일 가난으로 사십육 대 호적 없이 남의 곁방살이로
장자 (長者) 큰 부자를 점잖게 앞의 솔봉 애비보다 더 가난한 처지임을 드러냄.
이르는 말. 내려오는 김딱직이란 말 듣도 못하였소.” 30

212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12 2019. 1. 9. 오후 2:54


작품을 통해 알 수 있는 조선 후기 사회상

돈으로 죄를 대신할 정도로 물질주의적 가치관


•흥보가 매품을 팔아 돈을 벌려고 함. 이 팽배해진 사회상
•먼저 매품을 팔기 위해 사람들이 ‘가
난 자랑’을 함.
한 놈 나앉으며, 매품을 팔아야 생계를 이을 수 있을 정도로 궁
핍했던 당시 백성들의 생활상
“이번 매품은 먼저 온 순서대로 들어간다니 그리하옵세.”
매품 파는 순서로 화제가 전환됨.
“저분 언제 왔소?”
“나 온 지는 저 지난 장날 아침밥 먹기 전 동틀 때 왔소.”
먼저 매품을 팔기 위해 일찍 온 것을 과시함.
5 한 놈 나앉으며,
“나는 온 지가 십여 일이라도 생나무 곤장 한 대 맞아 본 내 아들놈 없소.”
▶ 흥보가 병영에 도착하여 매품 팔러 온 사람들과 만남.
흥보 이른 말이,
“그리 말고 서로 가난 자랑하여 아무라도 제일 가난한 사람이 팔아 갑세.”
가난 자랑으로 매품 파는 순서를 정하기로 함. 매품을 서로 경쟁해서 팔아야 할 정도로 가난한 백성들의 형편이 드러남.
그 말이 옳다 하고,
10 “저분 가난 어떠하오?”
예시 답 첫 번째 사람은 삼십 일
“내 가난 들어 보오. 집이라고 들어가면 사방 어디로도 들어갈 작은 곳이 없어, 동안에 아홉 끼를 먹을 정도로
가난한 상황이고, 두 번째 사람
닫는 벼룩 쪼그려 앉을 데 없고 삼순구식 먹어 본 내 아들 없소.” 은 석 달 동안 밥알을 볼 수 없는
벼룩조차 앉을 자리가 없을 정도로 집이 작음. 삼십 일 동안 아홉 끼니밖에 먹지 못한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함을 이름.가난한 상황이다. 하지만 김딱직
한 놈 나앉으며, 은 밥을 해 먹지 않은 지 삼 년이
되었기 때문에 이들보다 더 가난
“족히 먹고살 수는 있겠소. 저분 가난 어떠하오?” 한 상황이므로 가난 자랑에서 이
별로 가난하지 않다고 대꾸함. 겼다고 할 수 있다.
15 “내 가난 들어 보오. 내 가난 남과 달라 이 대째 내려오는 광주산 사발 하나 선 가난 자랑에서 김딱직이 이긴
팔 년 동안 음식을 담는 사발을 쓸 일이 없을 정도로 가난함. 까닭이 무엇인지 설명해 보자.
반에 얹은 지가 팔 년이로되, 여러 날 내려오지 못하고 아침저녁으로 눈물만
뚝뚝 짓고, 부엌의 노랑 쥐가 밥알을 주우려고 다니다가 다리에 가래톳이 서서
쥐가 주워 먹을 밥알이 없을 정도로 가난하다는 것을 과장하여 표현함.
종기 터뜨리고 드러누운 지가 석 달 되었소. 좌우 들으신 바 내 신세 어떠하오?”
김딱직이 썩 나앉으며, 닫다 다리를 빨리 움직여 이동
하다.
20 “거기는 참으로 장자라 할 수 있소. 내 가난 들어 보오. 조그마한 한 칸 초막 발
삼순구식(三旬九食) ‘순(旬)’은
별로 가난하지 않다고 대꾸함.
뻗을 길 전혀 없어, 「우리 아내와 나와 둘이 안고 누워 있으면 내 상투는 울 밖 열흘이므로, 30일 동안 아홉 끼
「」 : 집이 무척 좁다는 것을 과장하여 표현함. 니만 먹을 정도로 가난하다는
으로 우뚝 나가고, 우리 아내 궁둥이는 담 밖으로 알궁둥이 보이니, 동네에서 말.
광주산(廣州産) 광주에서 생산
숨바꼭질하는 아이들이 우리 아내 궁둥이 치는 소리 사월 팔일 관등 다는 소리
된 물건.
같고,」 집에 연기 나지 않은 지가 삼 년째 되었소. 좌우 들으신 바 내 신세 어떠 관등(觀燈) 음력 4월 8일에 등
가난하여 밥을 하지 못한 지 삼 년이나 됨. 불을 다는 행사.
25 하오? 아무 목득의 아들놈도 못 팔아 갈 것이니.” ▶ 매품 팔러 모인 사람들의 가난 자랑
아무 목득의 아들놈도 못 팔아
갈 것이니 ‘목득’은 이름이 무엇
이놈 아주 거기서 게정을 먹더니라. 흥보 숨숨 생각하니, 자기에게는 어느 시
서술자가 개입하여 인물을 평가함. 가난한 사람들이 매우 많음을 알 수 있음. 인지 모르는 귀신인 ‘목두기’를
절에 차례가 돌아올 줄 몰라, 말한다. 자기 이외의 그 누구도
매품을 팔 수 없다는 뜻이다.
“동무님, 내 매품이나 잘 팔아 가지고 가오. 나는 돌아가오.” 게정 불평을 품고 떠드는 말과
▶ 흥보가 사람들의 가난 자랑을 듣고 매품 파는 것을 포기함.
행동.
하직하고 돌아오며, 탄식하고 집에 들어가니, 흥보 아내 거동 보소. 왈칵 뛰어
서술자의 개입 검치다 한 물체의 두 곳이나 두
30 달려들어 흥보 소매 검쳐 잡고 듣기 싫을 정도로 크고 섧게 울며, 물체를 맞대고 걸쳐서 붙이다.
흥보가 매품을 팔고 온 줄 알고 슬퍼함.

⑶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213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13 2019. 1. 9. 오후 2:54


“하늘이 사람들을 세상에 나게 할 때 반드시 자기 할 일을 주었으니, 생기는
대로 먹고살지 남 대신으로 맞을까. 애고애고 설움이야.”
욕심 없이 자신의 처지에 맞게 살지
이렇듯 섧게 우니 흥보 이른 말이,
“애기 어멈 울지 마소. 애기 어멈 울지 마소. 영문에 들어가니 세상의 가난한
병영 문
예시 답 흥보는 배고픔을 잊기 놈은 거기 모두 모여 내 가난은 거기다 비교하니 장자라 일컬을 수 있어, 매도 5

위해서 음식 노래를 부른다. 이


는 가난과 배고픔으로 인한 고 못 맞고 돌아왔네.”
통스러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우정 가장 흥보 아내 이 말 듣고,
애중 자식~이내 설움 어디다 하
소연할꼬.”라는 아내의 말을 통 “얼씨구나 즐겁도다. 우리 낭군 병영 내려갔다 매 아니 맞고 돌아오니, 이런 영
해 흥보의 노래를 듣는 아내의 남편을 진심으로 걱정하는 흥보 아내의 마음이 나타남.
심정은 처량하고 슬픈 심정임을 화 또 있을까.”
알 수 있다.
‘음식 노래’를 부르는 흥보와 이 「
“배고픔을 생각하여 음식 노래 불러 보자. 무슨 밥이 좋던 게요? 보리밥이 좋 10
를 듣는 아내의 심정은 어떠할 「」 : 배고픔을 잊기 위해 음식 노래를 부름. → 가난한 처지로 인한 슬픔의 극대화
지 생각해 보자. 거던. 무슨 국이 좋던 게요? 비짓국이 좋거던. 음식을 맛있게 하여 먹으려면,
개장국에 늙은 호박을 따 넣고 숭늉에는 고춧가루를 많이 치고 들기름을 많이
쳐, 사곰은 괴곰이 먹을 만하고, 이만큼 시장할 때는 들깨 깻묵 두어 둘레쯤 먹

사곰은 괴곰이 먹을 만하고 ‘곰’ 고 찬물 댓 사발쯤 먹었으면 든든커던.”」


은 고기나 생선을 푹 삶은 국을
이렇게 말을 할 제 흥보 아내 우는 말이, 15
뜻하는 말이다. 이 구절은 ‘곰’의
하나인 ‘사곰’ 중에서 ‘괴곰’이 먹 “우정 가장 애중 자식 배곯리고 못 입히는 내 설움 의논컨대 「피눈물이 반죽 되
을 만하다는 뜻이다. 낫게 치거나 값을 비싸게 정함. 「」 : 설움을 당하고 죽은 중국 고사 속의 인물들을 나열함.

애중(愛重) 사랑하고 소중하게


면 아황 여영 설움이요, 홍곡가를 지어 내던 왕소군의 설움이요, 장신궁중 꽃
여김. 이 피니 반첩여의 설움이요, 옥으로 장식한 장막 속에서 죽으니 우미인의 설
피눈물이 반죽(斑竹) 되면 아황
여영 설움이요 아황과 여영은 움이요, 목을 잘라 절사하니 하씨 열녀 설움이요,」 만경창파 너른 물을 말말이
순임금의 부인들인데, 순임금이 절개를 지키어 죽음.
다 되인들 끝없는 이내 설움 어디다 하소연할꼬.” 20
죽자 눈물을 대나무에 뿌렸는데
흥보 아내의 설움이 크다는 것을 나타냄.
그 대나무들이 모두 반죽(斑竹), 흥보 역시 슬퍼, 샘물같이 솟아 나오는 눈물 가랑비같이 흩뿌리며 목이 막혀
즉 얼룩이 있는 대나무가 되었 직유법, 과장법
다고 한다. 기절하더니 다시 살아나서, 들릴 듯 말 듯한 말로 겨우 내어 기운 없이 가는 목소
왕소군(王昭君) 한나라의 궁녀
리를 처량하게 슬피 울며 만류하여 이른 말이,
로 흉노에 보내졌다는 미녀.

반첩여 (班婕妤) 한나라의 궁 “마음만 옳게 먹고 의롭지 않은 일 아니하면 장래 한때 볼 것이니 서러워 말고
녀. 황제의 총애를 입어 첩여가 「」 : 흥보의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태도 나중에 복을 받게 될 것임을 암시함.(복선)
되었는데, 뒤에 사랑을 잃고 장 살아나세.”」 25

신궁(長信宮)에 유폐되었다고
부부 앉아 탄식할 제, 청산은 높이 솟아 있고 온갖 꽃이 화려하고 찬란하게 피
함. 인물의 슬픈 처지와 대조됨.
우미인(虞美人) 항우의 사랑을 어 있는 때 접동 두견 꾀꼬리는 때를 찾아 슬피 우니 뉘 아니 슬퍼하리.
받던 여인. 항우가 유방의 군사 서술자의 개입
▶ 매품 팔기를 포기하고 집으로 돌아온 흥보를 아내가 기쁘게 맞이함.
에게 포위되었을 때 자결했다고
함. 제재 정리

장래 한때 볼 것이니 장래에 좋
은 때를 만날 것이니.

214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14 2019. 1. 9. 오후 2:54


작품 구성
욕심 많은 형 놀보가 착한 동생 흥보를 집에서 무일
발단
푼으로 쫓아냄.
놀보에게 양식을 얻으러 간 흥보는 형에게 박대를 당
전개 하고, 흥보는 가난한 형편 때문에 매품을 팔려 하지
만 실패함.
흥보는 제비의 부러진 다리를 고쳐 주고, 이듬해 제
위기
비는 박씨를 물어다 줌.
박씨를 심어 수확한 박에서 금은보화가 쏟아져 나와
절정 흥보는 부자가 되고, 놀보는 일부러 제비 다리를 꺾
어 박씨를 얻으려다 벌을 받게 됨.
결말 흥보가 망한 놀보를 용서하고 함께 행복하게 삶.
※진한 색 부분은 교과서 수록 부분임.

⑶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215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15 2019. 1. 9. 오후 2:54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흥보전〉에서 흥보가 처한 상황과   가사 〈누항사〉의 시적 화자가 처한
〈흥보전〉의 문학사적 위상에 유의하
가족들의 반응, 매품팔이를 하지 못 상황을 파악하고, 뒤에 이어질 내용
며 표현상 특징과 주제 파악하기
한 까닭 정리하기 짐작해 보기

1 〈흥보전〉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흥보가 처한 상황은 어떠한지 살펴보자.


흥보는 왜 매품팔이를 예시 답 매품팔이에 나서야 할 만큼 가난한 생활을 하고 있다.
하러 나섰을까?
활동 1 지도 방안
주인공이 처한 상황과 그에
대한 주변 인물의 반응, 그리고
사건의 결과와 그 원인을 파악
하면서 작품의 주요 내용을 이 ⑵ 흥보가 매품을 파는 것에 대한 가족들의 반응을 비교해 보자.
해해 보는 활동이다. 흥보가 매
품팔이를 왜 하러 나서는지에
대한 답을 찾아가며 흥보가 처
한 상황을 파악하도록 지도하
고 흥보가 처한 상황에서 흥보
아버지 병영 가신다 하니, 곤장 아래 혼백 될 것이니
의 자식들과 흥보의 아내가 보 날 오동철병 하나 사다 주오. 제발 덕분 가지 마오.
인 서로 다른 반응을 비교해 가
면서 등장인물의 성격을 살펴보
흥보의
게 한다.
매품팔이

흥보의 자식들 흥보의 아내

예시 답 흥보의 자식들은 아직 철이 없어서 흥보가 매품을 팔아 벌어올 돈으로 자신들에게 필요한 물건을 사 달
라고 하지만, 흥보의 아내는 가장으로서의 책임을 지고 매품이라도 팔겠다는 흥보의 처지에 공감하고 안타까워
하고 있다.

⑶ 흥보가 결국 매품을 팔지 못한 까닭은 무엇인지 써 보자.

예시 답 병영에 모인 사람들이 처음에는 먼저 온 순서대로 매품 팔 사람을 정하자고 했지만, 다시 제일 가난한


사람이 매품을 파는 것으로 규칙을 바꾸기로 합의한다. 그래서 각자 ‘가난 자랑’에 나섰으며, 흥보는 자기보다
더 가난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래서 매품팔이를 포기하고 빈손으로 돌아오게 된 것이다.

216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16 2019. 1. 9. 오후 2:54


활동 2 지도 방안
2 〈흥보전〉의 성격과 문학사적 위상에 유의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문학 작품에는 작품이 창작ㆍ향유된 시대의 상황이 반영된다. 이 작품을 통해 알 수 있는


〈흥보전〉과 같은 판소리계 소
설의 문학사적 위상을 살펴보는 조선 후기의 생활상을 정리해 보자.
활동이다.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의 시대적 상황과 판소리 예시 답 •돈으로 죄를 대신할 정도로 물질주의적 가치관이 팽배해졌다.
계 소설의 특징 및 문학사적 위 •매품을 팔아야 생계를 이을 수 있을 정도로 당시 백성들의 생활이 궁핍하였다.
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흥
보전〉에 반영된 조선 후기 생활
상과 표현상의 특징을 파악하
고, 중세의 가치관과 근대의 가
치관이 공존한다는 점을 고려하
여 〈흥보전〉에 담긴 주제 의식
을 분석해 보게 한다.

흥보 가족은 무척 어렵 ⑵ 흥보의 자식들이 물건을 사 달라고 떼쓰는 부분(211쪽)과 병영에서 가난을 자랑하는 부분
고 힘든 상황에 놓여 있지만 어
(212 ~ 213쪽)이 작품 전체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생각해 보자.
쩐지 두 부분을 읽으면 웃음이
예시 답 •과장 및 반복되는 표현을 통해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나오는 것 같아.
•고통스러운 현실을 웃음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한다.

⑶ 이 작품은 판소리 〈흥보가〉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이를 고려하여 다음 구절에 나타난 표


현상의 특징을 말해 보자.

4음보 연속체
‌“그렇지. 볼기 구실 들어 보소. 「이내 몸이 정승 되어 평교자에 앉아 볼까, 육판서 하
청자의 관심을 유도함.
였으면 초헌 위에 앉아 볼까, 사복시 관리 하였으면 임금 타는 말에 앉아 볼까, 팔도
감사 하여 선화당에 앉아 볼까, 각 읍 수령 하여 좋은 가마에 앉아 볼까, 좌수 별감
하여 향사당에 앉아 볼까, 이방 호장 하여 작청 좋은 자리에 앉아 볼까, 소리명창 되
어 크고 넓은 좋은 집 양반 앞에 앉아 볼까, 풍류 호걸 되어 기생집에 앉아 볼까, 서
울 이름난 기생 되어 가마 안에 앉아 볼까, 많은 돈 벌어 부담마에 앉아 볼까,」 쓸데
「」 : 유사한 상황을 장황하게 나열함.
교과서
없는 이내 볼기 놀려 무엇한단 말인가. 매품이나 팔아먹세.” 211쪽

예시 답 •유사한 상황을 장황하게 나열하였다.


•‘들어 보소’와 같이 청자의 관심을 환기하는 어휘를 사용하였다.
•4음보 연속체에 가까운 율격을 사용하여 리듬감을 형성하였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의 ⑷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은 중세의 가치관과 근대의 가치관이 공존한다. 이러한
조선 사회는 엄청난 변화를 겪
관점에서 〈흥보전〉의 주제를 분석해 보자.
는다. 중세의 봉건주의적 질서
예시 답 〈흥보전〉의 표면적인 주제는 중세의 가치관에 해당하는 ‘형제간의 우애’나 ‘권선징악’이지만, 이면적으로는
가 붕괴되기 시작하면서 평민
조선 후기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근대적 가치관에 해당하는 ‘빈부의 갈등’을 주제로 삼고 있다.
의식이 성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평민 의식의 성장은 다
양한 양상으로 표출된다.

⑶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217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17 2019. 1. 9. 오후 2:54


3 다음은 조선 후기에 창작된 가사 〈누항사〉의 일부이다. 작품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한기태심(旱旣太甚)여 시절이 다 느즌 졔
〈누항사〉는 1611년 박인로 작품 개관
(1561~1642)가 지은 가사로, 양 가사(정격 가사, 양반
서주(西疇) 놉흔 논애 잠  녈비예
농사철 갈래
반이면서도 농사를 지으며 살아 가사)

도상무원수(道上無源水)를 반만 혀 두고
가야 하는 곤궁한 생활을 묘사 사실적, 전원적, 사색
성격

쇼  젹 듀마 고 엄섬이  말삼
하고 있다.
빈이무원(貧而無怨)
제재
의삶
활동 3 지도 방안 진심으로 하는 말이 아님.
친절호라 너긴 집의 달 업슨 황혼의 허위허위 다라셔 가난하지만 자연을
조선 후기의 사회상이 잘 드
주제 벗 삼아 사는 삶을 추
구디 다 문 밧긔 어득히 혼자 서셔
러나는 가사 작품을 통해 이 시
구함.
기의 문학 작품에 나타난 시대
큰 기 아함이를 양구(良久)토록 온 후에
① ‌임진왜란 이후의
상황을 탐구하는 활동이다. 시
혼란한 사회와 곤
적 화자가 처한 상황에 주목하
어화 긔 뉘신고 염치업산 옵노라
구차하고 부끄러워서 큰 기침만 하고 있음. 궁한 사대부의 삶
여 〈누항사〉의 특징을 살펴보도
을 보여 줌.
초경도 거읜 긔 엇지 와 겨신고
록 지도한다. 특징
② ‌대화체를 사용하
한기태심(旱旣太甚) 가뭄이 매 여 일상적인 모습
우 심함. 연년(年年)에 이러기 구차 줄 알건마 을 사실적으로 제

쇼 업 궁가(窮家)애 헤염 만하 왓삽노라
시함.
서주(西疇) 서쪽 언덕.
녈비 지나가는 비. ▶ 소 빌리러 오라는 엉성한 말을 믿고 소를 빌리러 감.
도상무원수(道上無源水) 길 위
에 흐르는 물. 가뭄이 몹시 심하여 농사지을 시기도 다 늦어 가는 굳게 닫은 문밖에 우두커니 혼자 서서
엄섬이 엉성히. 탐탁지 않게. 때에 큰 기침으로 에헴을 오래도록 한 후에
아함이 ‘에헴’ 하는 헛기침 소 서쪽 언덕 높은 논에 잠깐 지나가는 비에 “어, 거기 누구신가?”, “염치없는 저옵니다.”
리. 길 위에 흘러가는 물을 반쯤 대어 놓고 “밤이 깊었는데 그 어찌 와 계십니까?”
양구(良久)토록 오래도록. 소 한 번 빌려 주마 하고 엉성하게 하는 말을 믿고 “해마다 이렇게 하기 구차한 줄 알지만은
초경 (初更) 하룻밤을 오경(五 친절하다고 여겼던 집에 달이 없는 저녁에 허둥지 소 없는 가난한 집에서 걱정이 많아 왔습니다.”
更)으로 나눈 첫째 부분. 저녁 7 둥 달려가서
시에서 9시 사이. - 박인로, 〈누항사(陋巷詞)〉에서
헤염 걱정.

⑴ 이 작품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상황은 어떠한지 설명해 보자.


예시 답 시적 화자는 가난하여서 엉성하게 하는 말만 믿고 소를 빌리러 다른 사람의 집을 찾아갔다.

〈흥보전〉에서는 흥보가
매품팔이를 결국 하지 못해. 시
⑵ 이 작품의 바로 뒤에 이어질 내용을 짐작해 보자.
대적 배경이 비슷한 〈누항사〉의
시적 화자는 어떨까? 예시 답 이웃집에 소를 빌리러 갔다가 수모만 당하고 돌아와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한다.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2

〈흥보전〉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예시 답 흥보가 ‘제비’와 ‘박씨’라는 비현실적인 장치로 행복해지는 결말만 떠올렸는데, 작품 속에 당시의 사회·경제적 현실이 잘
묘사되어 있다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되었어.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나의 책방 키우기 이 작품은 봉건 사회를 배경으로 신분을


초월한 남녀 간의 사랑을 다룬 판소리계
갈래가 같은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작자 미상의 〈춘향전〉 작자 미상의 소설이다. 표면적으로는 이몽룡에 대한
〈춘향전〉 춘향의 정절이라는 주제를 담고 있지만,
소재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박재삼의 〈흥부 부부상〉 이면적으로는 자유연애 사상과 신분 상
승에 대한 욕구가 반영되어 있다.
이 작품은 고전 소설 〈흥보전〉을 시적
218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박재삼의
〈흥부 부부상〉
모티프로 하여 가난한 사람들의 삶의 애
환과 소박한 행복을 노래하고 있다.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18 2019. 1. 9. 오후 2:54


3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작가 황현이 1910년 일제에 의해 국권이 피탈되자 이를
안타까워하며 자결하기 전에 지은 한시이다. 일본에 나라를 빼앗기
게 된 치욕스런 상황에서 나라를 제대로 지켜 내지 못한 것을 자책
하고, 지식인으로서의 책임과 한계를 통감하는 선비의 절절한 심정
이 잘 표현되어 있다. 이처럼 〈절명시〉는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변
화 과정 속에 있었던 한문 문학의 모습과 당대 한문 문학의 위치에
대해 살펴보기에 적절하여 제재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작품의 제목은 무슨 의미인지 생각해


질문의 예 볼까요?

삽화 관련 교과서 219쪽의 삽화를 통해 작품이 창


질문의 예 작된 시기는 언제일지 짐작해 볼까요? 황현 (1855  ~1910) 작가 동영상

조선 말기의 시인이자 문장가. 시문에 능하여 이름이


경험 관련 높았으나 시국의 혼란함을 개탄하고 향리에 은거하였
한시를 감상해 본 경험이 있나요?
질문의 예
다. 1910년 일제에 나라를 빼앗기자 〈절명시〉 4수를
남기고  자결하였다. 문집으로 《매천집》이 전한다.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사람을 알고

있는가?
 1910 년에 나라를 빼앗길 때 사람들은
어떤 생각을 했을까?

예시 답 나라를 빼앗긴다면 우리가 할 일은 무엇

일까?

⑶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219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19 2019. 1. 9. 오후 2:54


<절명시>는 1910년 나라를 잃은 지식인의 고뇌와 절망을 표현한 한시이다. 작품 개관
1910년 무렵의 시대적 상황을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갈래 한시(7언 절구)
성격 우국적, 고백적, 절망적, 비탄적
수업의 포인트
제재 국권의 피탈
•작가의 현실 대응 태도 파악하기 주제 나라를 잃은 지식인의 절망과 슬픔
•표현상의 특징 이해하기 ① ‌‘기-승-전-결’의 4단 구성을 취함.
•작품의 창작 당시의 시대 상황 이해하기 ② ‌대유법, 감정 이입 등을 사용하여 시적
화자의 정서를 드러냄.
특징
③ ‌시적 화자의 비통한 심정을 고백적으
로 나타냄으로써 독자의 공감을 이끌

절명시 (絶命詩) | 황현
어 냄.

참고 동영상 - 36년의 시작

제1수
작품 구성 제1수 亂離滾到白頭年 난리 통에 어느새 머리털 다 세었는데
쇠락해 가는 왕조에 난리원도백두년 난리를 겪은 지가 오래되었음을 나타냄.
1행
대한 걱정 幾合捐生却未然 몇 번 목숨 버려야 했건만 그러질 못했네
2행 죽음에 대한 결의 기합연생각미연 오래 전부터 죽을 결심을 하고 있었음.
3행 지식인으로서의 고뇌 今日眞成無可奈 오늘은 정녕 어찌할 수 없게 되었으니
나라를 지키지 못한 금일진성무가내 국권 피탈의 상황
4행
것에 대한 한탄 輝輝風燭照蒼天 바람에 흔들리는 촛불 아득한 하늘 비추는구나
휘휘풍촉조창천 ▶ 순명(殉名)에 대한 결심

제3수
작품 구성 제3수 鳥獸哀鳴海岳嚬 새와 짐승은 슬피 울고 강산은 찡그리네
1행 망국의 비애 조수애명해악빈 시적 화자의 비통한 심정을 자연물에 이입함.(감정 이입)
2행 망국의 상황 槿花世界已沈淪 무궁화 세계는 이미 사라지고 말았구나
지식인으로서의 소임 근화세계이침륜 ‘우리나라’를 비유함.(대유법)
3행
에 대한 생각 秋燈掩卷懷千古 가을 등불 아래 책 덮고 역사를 생각하니
지식인으로 살아가는 추등엄권회천고 성찰의 매개체
4행
일의 어려움 難作人間識字人 세상에서 글 아는 사람 노릇 하기 어렵구나
난작인간식자인 지식인
▶ 망국의 지식인으로서의 고뇌

작가의 현실 대응 태도
현실 상황 현실 인식 대응 태도
 지식인으로서  목숨을 끊기로
국권을 상실함.
책임감을 느낌. 결심함.

시대적 배경과 제목의 의미

일본에 의해 나라를 지식인으로서의 올바른 처신과 도리를 생


빼앗긴 상황 각하며 순절하기로 결심하며 시를 지음.

끊을 절(絕) + 목숨 명(命) + 시 시(詩): 목숨을 끊으며 지은 시 제재 정리

220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20 2019. 1. 9. 오후 2:54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시적 화자의 심정, 제목의 의미, 시적  황현의 사람됨과 ‘글 아는 사람의 노  신소설 〈구마검〉에서 작가가 비판하
상황을 묘사한 부분, 감정 이입 대상 릇’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지식인의 려는 바를 이해하고, 1910년 무렵 한
파악하기 모습 생각해 보기 국 문학의 범위와 성격 탐구하기

1 〈절명시〉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 시구에 담긴 시적 화자의 심정을 파악하고, 작품의 제목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 생


활동 1 지도 방안
한시에서 제목은 생각보다 많 각해 보자.
은 정보를 담고 있다. 이 작품
은 ‘절명(絶命)’ 즉 자신의 목숨
을 끊으면서 읊은 것이니, 여기
바람에 흔들리는 촛불 아득한 하늘 비추는구나 교과서
에는 목숨을 끊은 이유에서부터 220쪽
그 경과에 이르기까지의 사정
이 나타나게 된다. 이런 점을 고 예시 답 •시구에 담긴 시적 화자의 심정: 국권을 빼앗긴 상황을 보며 나라를 지키지 못한 것에 대해 한탄하는 심정
려하여 작품을 감상하고 각각의 이 나타나 있다.
활동에서 원하는 답을 찾을 수 •작품의 제목이 뜻하는 바: 나라 잃은 슬픔과 한탄으로 ‘목숨을 끊으며 지은 시’를 뜻한다고 할 수 있다.
있도록 지도한다.
⑵ 제1수의 ‘오늘’이 가리키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묘사한 부분을 제3수에서 찾아보자.

제1수 제3수

예시 답 무궁화 세계는 이미 사라지고 말았구나


오늘

시에서는 직접 심정을 드 ⑶ 제3수에서 시적 화자의 감정이 이입된 대상을 모두 찾아보자.


러내기보다는 다른 자연물을 예시 답 새, 짐승, 강산
통해 화자의 마음을 표현하기
도 해.

활동 2 지도 방안
2 다음은 황현의 생애에 대해 쓴 글의 일부이다. 오늘날의 독자에게 〈절명시〉가 어떤 가치가
있을지 생각하며 글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김택영의 <황현전〉 또한 이
시기의 대표적인 한문 산문 가
운데 하나이다. <황현전〉의 표 1910년 9월 일본이 마침내 대한 제국을 병탄하였다. 황현은 이 소식을 듣고 먹지도
현 방법에 유의하면서, 김택영
마시지도 못하였다. 어느 날 저녁에 〈절명시〉 4수를 지어 두고, 자제들에게 남기는
이 그려 낸 황현의 면모를 정리
해 보도록 지도한다. 편지를 썼다. 그 편지는 다음과 같다.
‌“나는 꼭 죽어야 할 의리는 없다. 그렇지만 500년 동안 나라에서 선비를 길렀는데
도 그 나라가 망하는 날에 한 사람도 순절(殉節)하는 자가 없다면 어찌 비통한 일이
아니겠는가. 나는 위로는 하늘의 떳떳한 도리를 저버리지 않고, 아래로는 평소 읽은
책을 저버리지 않을 것이다. 조용히 죽음에 임하니 참으로 통쾌하리라. 그러니 너희
들은 너무 슬퍼하지 말라.”
글을 다 쓰고 나서 황현은 독약을 가져와서 삼켰다.
날이 밝자 집안사람들이 비로소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깨달았다. 아우 황원이 달려
와서 보고 유언을 물었다. 황현은 말하기를,

⑶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221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21 2019. 1. 9. 오후 2:54


“다만 내가 쓴 것을 보면 될 것이다.”
하고서는, 웃으면서 말하였다.
“죽음이 그리 쉽지는 않구나. 내가 독약을 마시려 할 때, 입에서 뗀 것이 세 번이네.
나는 이처럼 모자라네그려.”
얼마 지나지 않아 숨이 끊어지니, 이때 나이 56세였다.
- 김택영, 〈황현전(黃玹傳)〉에서

병탄(倂呑) 남의 재물이나 다른 나라의 영토를 빼앗아 제 것으로 만듦.


순절(殉節) 충절(忠節)이나 정절(貞節)을 지키기 위하여 죽음.

⑴ 이 글을 참고하여 황현의 사람됨이 어떠한지 말해 보자.


예시 답 황현은 인간적인 약점이 있음을 스스로 인식하면서도 신념을 지키기 위해 목숨도 아까워하지 않는 성격을
지닌 인물이다.

⑵ 〈절명시〉에서 말한 ‘글 아는 사람 노릇’이란 무엇인지 이 글에서 찾아보자.


예시 답 ‘위로는 하늘의 떳떳한 도리를 저버리지 않고, 아래로는 평소 읽은 책을 저버리지 않’는 삶을 말한다.

⑶ 〈절명시〉와 이 글에 나타난 황현의 모습을 바탕으로 하여 바람직한 ‘지식인’의 모습에 대


한 자기 생각을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 황현은 국권 피탈이라는 절망적 현실 앞에서 지식인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자신이 어떤 행동을 취
해야 할지 고뇌하고 있다. 물론 나라를 되찾기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지 못하였다는 비난을 받을 수도 있지만 어두
운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책임감을 느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지식인의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3
〈구마검〉은 미신의 문제에
다음은 신소설 〈구마검〉의 앞부분이다. 이 작품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초점을 맞추어 당시의 사회상을 중부 다방골은 장안 한복판에 있어 자래로 부자 많이 살기로 유명한 곳이라. 집집마
비판한 신소설이다. 구습을 타 다 바깥 대문은 개구멍만 하여 남산골 딸깍샌님의 집 같아도 중대문 안을 썩 들어서면
파하고 개화사상을 고취하는 신
소설의 특성을 잘 보여 준다. 여
고루거각에 분벽사창이 조요하니, 이는 북촌 세력 있는 토호 재상에게 재물을 빼앗길
하얗게 꾸민 벽과 비단으로 바른 창. 여자가 거처하며 아름답게 꾸민 방을 이름.
기서 ‘구마검(驅摩劍)’은 마귀를 까 엄살 겸 흉 부리는 계교러라.
쫓아내는 데 쓰는 칼이라는 뜻
그중에 함진해라 하는 집은 형세가 남의 밑에 아니 들어, 남노비에 기구 있게 지내
이다. : 무속적 사고를 지닌 인물 → 비합리적, 비판적 인물
는 터인데, 한갓 자손복이 없어 낳기는 펄쩍해도 기르기는 하나도 못 하다가, 그 부인
활동 3 지도 방안
한시와 신소설은 매우 이질 최 씨가 삼취로 들어와 아들 하나를 낳아 놓고 몸이 큰 체하여 집안에 죽젓갱이질을
적인 문학 갈래로 인식될 수 있 세 번째로 맞이한 아내 아들을 선호하는 전근대적 가치관이 드러남.
지만 비슷한 시기에 이 두 갈래
할 대로 하며, 그 남편까지도 손톱 반머리만치 두려워하지 아니하고, 마음에 있는 일
가 함께 향유되었으며, 각기 문 이면 옳고 그르고 눈을 기어 가면서라도, 직성이 해토머리에 얼음 풀어지듯 하게 하여
학적 가치가 높은 작품들이 창
작되었음을 확인하는 활동이다. 보고야 말더라.
〈구마검〉을 읽고 한시와 신체시
의 공존이야말로 중세에서 근대 최 씨의 친정은 노돌이라. 그 동리 풍속이 재래로 제일 숭상하는 것은, 존대하여 말
로의 이행기 문학의 한 특징임
을 학생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자면 만신이요, 마구 말하자면 무당이라 하는, 남의 집 망해 주며, 날불한당질하는
지도한다.

222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22 2019. 1. 9. 오후 2:54


작품 개관 것들을 남자들은 누이님, 아주머니, 여인들은 형님, 어머니 하여 가며 개화 전 시대에
갈래 신소설
성격 계몽적 칙사 대접하듯 하여, 봄가을이면 으레히 찰떡 치고 메떡 치고 쇠머리, 북어쾌를 월수,
제재 무속, 풍수지리
주제 미신 타파
일수 얻어서라도 기어이 장만하여 철무리 큰굿을 하여야 세상일이 다 잘될 줄 아는 동
① 현재형
‌ 서술을 통 리니, 최 씨가 어려서부터 보고 듣고 자란 것이 그뿐이러니, 시집을 와서도 그 버릇을
해 독자와의 거리
감을 좁힘. 버리지 못하고 어디가 뜨끔만 하면 무꾸리질이요, 남편이 이틀만 아니 들어와 자도 살
② ‌무속적인 사고와 타고난 살(煞)을 풀기 위하여 하는 굿
합리적 사고(서구 풀이하기라. 어디 새로 난 무당이 있다든지, 신통한 점쟁이가 있다면 남편 모르게 가
특징
적 사고)의 대결과
합리적 사고의 승
도 보고 청해다도 보아, 노구메를 올리라든가 기도를 하라든가, 무당의 입이나 점쟁이
리를 보여 줌으로
입에서 뚝 떨어지기가 무섭게 거행을 하니, 이는 최 씨 부인이 무당이나 점쟁이를 위
써 당대의 시대적
욕구를 표출함. 하여 그리하는 바가 아니라, 자기 생각에는 사람의 일동일정으로 죽고 사는 일까지라
도 귀신의 농락으로만, 물 부어 샐 틈 없이 꼭 믿고 정신을 못 차려 그러는 것이러라.
- 이해조, 〈구마검(驅魔劍)〉에서

자래(自來)로 예로부터 내려오면서.


딸깍샌님 ‘딸깍발이’의 방언. 신이 없어 맑은 날에도 나막신을 신는 가난한 선비를 이르는 말.
고루거각(高樓巨閣)에 분벽사창(粉壁紗窓)이 조요(照耀)하니 높은 누각에 아름답게 꾸민 집이 빛나니.
죽젓갱이질 죽을 쑬 때 죽젓광이로 죽을 젓는 일. 여기서는 남의 일을 훼방하는 것을 뜻함.
기이다 어떤 일을 숨기고 바른대로 말하지 않다.
해토(解土)머리 얼었던 땅이 녹아서 풀리기 시작할 때.
철무리 큰굿 철물이 굿(철맞이 굿). 집안의 번영과 자손의 창성을 비는 재수굿의 일종.
무꾸리 무당이나 점쟁이에게 길흉을 점치는 일.
노구메 신령에게 제사하기 위해 노구솥에 지은 메밥.
일동일정(一動一靜) 하나하나의 동정.

⑴ 이 작품의 제목과 ‘최 씨’에 대한 서술에 유의하여 작가가 비판하려 한 것이 무엇일지 말


해 보자.
예시 답 미신을 숭상하는 태도와 개화기의 시대 풍조와 어긋나는 태도를 비판하고자 했다.

⑵ 이 작품은 1908년에 발표되었으며, 〈절명시〉는 1910년에 발표되었다. 이런 사실을 고려


하여 1910년 전후의 한국 문학의 범위와 성격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지 말해 보자.
예시 답 1910년 전후에도 여전히 한문학은 한국 문학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었으며, 새로운 형식과 사상을 추구
하는 신문학과 함께 생산되고 향유되었다. 물론 한문학은 점차 사라질 운명에 처해 있었으며 신소설은 보다 근대적
인 문학 갈래로 발전해 갈 바탕을 마련하고 있었다고 하겠지만, 이 시점에는 둘 모두 문학사적으로 충분한 가치를
03 지니고 있었다고 말할 수 있다.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절명시〉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이 작품은 자연사와 인간사를 대조하여 이별의 정한
예시 답 황현처럼 나라와 신념을 위해 모든 것을 버릴 수 있는 정지상의 을 그리고 있는 고려 시대의 대표적인 한시이다. 대
사람에게도 인간적인 고뇌와 망설임은 있었구나. 〈송인〉 동강을 배경으로 하여 임을 떠나보내는 슬픔을 담고
있으며, 서정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나의 책방 키우기 이 작품은 고려 왕조가 멸망할 무렵, 이방원이 정몽
주를 초대한 자리에서 〈하여가(何如歌)〉를 지어 새
갈래가 같은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정지상의 〈송인〉 정몽주의 왕조를 세우는 데 함께할 의사를 내비치자 그에 대
〈단심가〉 한 응답으로 지은 시조이다. 고려의 왕에 대한 변함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정몽주의 〈단심가〉

없는 충절을 직설적이고 반복적인 표현을 활용하여
노래하고 있다.

⑶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223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23 2019. 1. 9. 오후 2:54


‘소단원 정리하기’ 지도 방안
•문학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학습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개념 정리’,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도
록 한다.

(3)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개념 정리 평가 자료
•어휘 평가 •서술형 평가
•쪽지 시험 •수행 평가
•소단원 평가
4-⑶단원 개념 정리 ①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의 특징은 무엇인가.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의 특징 한글 창제 이후 국문 문학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다가 결국 한문 문학이 쇠퇴하고 국문 문학과 구
•중세 문학과 근대 문학의
성격을 동시에 지님. 비 문학이 공존하는 근대 문학의 시기로 접어든다. 이 시기를 ‘이행기’라고 부른다. 중세에서 근대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
으면서 점차 봉건주의적 질
넘어가는 시기의 이행기 문학은 한문 문학, 국문 문학, 구비 문학이 공존한다는 점에서는 중세 문학
서나 신분적 계층에 대해
에 가까우며, 작가층이 확대되고 국문 문학의 비중이 커지며 근대와 유사한 가치관이 표현된다는 점
재인식하는 계기가 마련됨.
•작가층이 확대되고, 국문 에서는 근대 문학에 가깝다.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이 나타나게 된 사회적 요인으로는 임진
문학의 비중이 높아졌으며
현실적인 문제를 다룬 작품 왜란과 병자호란의 충격을 들 수 있다. 중세 동안 지배적이었던 질서나 계층에 대해 재인식하는 계기
이 증가함.
가 마련되면서, 점차 작가층이 확대되고 국문 문학의 비중이 높아졌으며 현실적인 문제를 다룬 작품
이 많아지게 되었다. 경기체가는 거의 소멸하였고, 시조와 가사는 형식ㆍ작가층ㆍ주제 등에서 변화를
보였다. 소설이 본격적으로 발달한 것 또한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의 흐름을 정리해 보자.


4-⑶단원 개념 정리 ② 조선 후기 소설 문학의 발전
소설 문학
국문 소설로 인정되는 〈홍길동전〉 이후로 조선 후기에는
•전란의 체험을 문학적으로
변용함. 다양한 유형의 소설이 나타났다. 전란의 체험을 문학적으로
•군담 소설이 인기를 얻음.
•문체와 짜임새가 뛰어난 작 변용한 〈임진록〉, 〈임경업전〉과 같은 작품이 나타났고, 〈조웅
품이 창작됨.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 전〉, 〈소대성전〉 281쪽 과 같은 군담 소설도 인기를 얻었다.
이 나타남.
•판소리계 소설, 현실을 비 김만중의 〈구운몽〉과 〈사씨남정기〉에 이어서 〈창선감의록〉과
판하고 풍자하는 우화 소설
같이 문체와 짜임새가 뛰어난 작품들이 등장하기도 했다. 또 〈홍길동전〉
이 나타남.
한, 〈숙향전〉이나 〈홍계월전〉과 같이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 〈흥보전〉 210쪽을 비롯한 판소리
4-⑶단원 개념 정리 ③
시가 문학 계 소설과 우화 소설처럼 현실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작품도 나타났다.
[시조]
•평시조에서 중장의 길이가
확대되면서 사설시조가 나
조선 후기 시가 문학의 변화
타남.
•전문 가객이 등장하여 활동 시가 문학에서는 작가층이 확대되면서 양식도 변화하기 시작했다. 평시조에서 중장의 길이가 확
하면서 시조집을 편찬하는
풍조가 나타남. 대되면서 사설시조가 나타났고, 체험 또는 서사적 요소가 담긴 내용을 다루면서 장편의 가사가 등장
•작품집: 김천택의 《청구영
언》, 김수장의 《해동가요》, 했다. 이러한 시가 형식의 변화는 작가층, 제재, 미의식 등의 변화와 연관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이해
박효관과 안민영의 《가곡원
류》 등 된다. 시조의 경우에는 전문 가객이 등장하여 활동하면서 김천택의 《청구영언》, 김수장의 《해동가
[가사]
요》와 같은 시조집을 편찬하는 풍조가 나타났다. 박효관과 안민영의 《가곡원류》 등은 특히 주목할
•체험이나 서사적 요소가 담
긴 내용을 다루면서 장편의 만한 성과라 할 수 있다. 가사의 경우에는 여성 계층이 작가 또는 독자로 활동하면서 다수의 규방 가
가사가 등장함.
•여성 계층이 작가 또는 독 사(閨房歌辭)를 창작하게 되었다는 점도 이전과는 달라진 면모라고 지적할 수 있다.
자로 활동하면서 다수의 규
방 가사가 창작됨.
224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24 2019. 1. 9. 오후 2:54


4-⑶단원 개념 정리 ④ 구비 문학
•판소리는 열두 마당의 작품이 정리되고 유파가 형성됨.
•설화나 민요와 같은 구비 문학 작품이 널리 전승됨.

4-⑶단원 개념 정리 ⑤ 한문 문학
한국 문학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도 지속적으로 창작되었으나 국문 문학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퇴조함.

판소리와 구비 문학
이 시기에 민간에서는 설화나 민요와 같은 구비 문학 작품이 널리
전승되었으며, 판소리나 탈춤과 같은 공연 활동이 두드러지게 성장하
판소리 연희 장면 〈평양 감사 환영연도(일명 ‘평양도’)〉
였다. 특히 판소리는 빠른 속도로 자리를 잡았는데, 열두 마당의 작품
이 정리되고 유파가 형성되기도 했다. 이는 판소리를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보가〉, 〈적벽
가〉, 〈변강쇠가〉의 여섯 마당으로 정리하고 소리꾼들을 후원하거나 양성한 신재효와 같은 인물의 활
동이 있었기 때문이다.

19세기 말 20세기 초 한문 문학의 상황


국문 문학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한문 문학이 퇴조하는 것은 이 시기 문학의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그렇지만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에도 한문 문학은 지속해서 창작되었으
며, 그 가운데에는 당대의 위기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함으로써 높은 평가를 받은 작품이 적지 않았
다. 특히 황현의 〈절명시(絶命詩)〉 220쪽와 같은 작품은 오늘날에도 감동을 준다.

신소설과 신체시의 등장
근대 문학으로 진입하던 시기에 한국 문학에서는 새로운 형식의 문학이 등장하였는데, 흔히 ‘신소
설’과 ‘신체시’가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신체시와 신소설은 앞 시대 문학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갈래
라기보다는 과도기적인 성격을 지닌 갈래였다. 신소설의 대표작으로는 이해조의 〈자유종〉과 〈구마
검〉 222쪽, 안국선의 〈금수회의록〉, 이인직의 〈혈의 누〉 등을 들 수 있고, 신체시의 대표작으로는 최
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꼽을 수 있다. 이 작품들은 과도기적이라고 판단할 만한 한계를 지니
고 있었지만, 구습(舊習)의 타파와 개화사상의 고취 등을 다룸으로써 새로운 시대에 호응하는 내용을
4-⑶단원 개념 정리 ⑥ 새로운 형식의 문학
담았다는 점에서는 의미가 있다.
•과도기적 성격을 지닌 갈래인 신소설과 신체시가 등장함.
•구습의 타파와 개화 사상의 고취 등을 다룸으로써 새로운 시대에 호응하는
내용을 담았다는 의의를 지님.
평가
점검 사항
상 중 하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을 감상하면서 한국 문학의


이 단원에서 전통과 특질을 파악할 수 있다. ▶ 교과서 208쪽 3번, 217쪽 2번 문제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의 주요 문학 작품을 통해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
점검해 보자.
상을 탐구할 수 있다. ▶ 교과서 207쪽 2번, 222쪽 3번 문제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


계를 탐구할 수 있다. ▶ 교과서 208쪽 3번, 217쪽 2번, 221쪽 2번 문제

⑶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225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25 2019. 1. 9. 오후 2:54


근현대의 제도가 우리나라에 자리를 잡으면서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문학은

근현대 인간의 삶을 형상화하기 때문에 삶의 여러 가지 조건이 새로워지면 그에 따라 문학도


역사적 변화에 따라 인간의 가치관과 세계관이 바뀌고, 이러한 변화가 문학에 반영됨.
새로워진다. 그래서 근현대 문학도 새로운 변화의 내용을 담아내면서 더욱 풍성
문학 1910년대부터 일제 강점기와 광복, 그리고 현재까지의 문학
한 작품들을 갖추게 되었다.
스마트 수업 PPT
이 단원에서는 근현대 문학의 다양한 흐름과 풍성한 성과에 유의하면서 대표적인 작

품들을 감상해 보자. 세 번째 질문 이끌기


격동하는 역사적 상황들 속에서 문
학적 대응 방식이 지닌 가치를 생각해
보는 내용이다. 문학 작품에 반영된 역
사적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
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를 살펴보
고 그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근현대 문학 작품은


생각해 보자. 어떤 문학사적 가치를
소단원 도입 애니메이션
지니고 있을까?
근현대의 대표적인 문학 작
품을 감상하면서 한국 문
근현대 문학은 근현대 문학은
학의 전통과 특질을 파악
한다. 어떻게 전개되어 어떻게 시대와 사회를
근현대의 주요 문학 작품을 왔을까? 반영하고 있을까?
통해 갈래별 전개와 구현
첫 번째 질문 이끌기 두 번째 질문 이끌기
양상을 탐구한다.
근현대 문학의 전개 양상을 생 첫 번째 질문과 연관하여 근현대 문학이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각해 보는 내용이다. 학생들이 살 어떤 변화를 겪었을지 생각해 보도록 한다.
고 있는 시대를 포함하고 있는 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
기이므로, 역사적 전개 양상을 떠
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 올려 보도록 한다.
를 탐구한다.
이 단원에서는 
소단원 수업은 이렇게
이 단원은 1910년대부터 일제 강점기와 광 1 〈 초혼〉을 감상하며 전통적인 정서와 리듬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227쪽, 지도서 330쪽
복, 그리고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개별 문학 작
2 〈만세전〉을 감상하며 당대 사회의 문제 상황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231쪽, 지도서 338쪽
품을 감상하고 당시의 시대 상황과 이를 바탕
으로 하여 창작된 문학사의 흐름을 이해하는 3 〈백록담〉을 감상하며 시적 표현의 묘미를 이해해 보자. ▶ 교과서 241쪽, 지도서 348쪽
것이 목표이다. 1910년대부터 1945년 광복 이전
까지는 일제 강점기의 상황에서 근대성을 추구 4 〈광장〉을 감상하며 시대 상황과 지식인의 고민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247쪽, 지도서 356쪽
하는 동시에 일제에 저항하는 우리 문학의 변
화와 대응 양상을 살펴볼 것이며, 광복 이후에 5 〈원고지〉를 감상하며 현대 희곡의 특성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255쪽, 지도서 366쪽
는 우리 민족이 분단과 전쟁이라는 새로운 시
련을 겪으면서 산업화를 이루는 과정에서의 문 6 〈벼〉를 감상하며 시와 현실의 관계를 이해해 보자. ▶ 교과서 267쪽, 지도서 376쪽
학적 대응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 여러 가지
7 〈내 여자의 열매〉를 감상하며 현대 사회의 근원적인 문제점을 이해해 보자. ▶ 교과서 271쪽, 지도서 384쪽
역사적 변화가 우리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어떻
게 바꾸었으며, 이러한 변화가 문학에 어떻게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 교과서 278쪽, 지도서 327쪽
반영되 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226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26 2019. 1. 9. 오후 2:54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1920년대 대표적인 민족 시인으로 일컬어지는 김소월의 시
로 사별의 슬픔을 절절하게 노래하고 있다. 전통적인 상례의 한 과정인
1
초혼 의식을 소재로 한 이 작품은 ‘초혼’이라는 제목에서부터 전통 의식
이 강하게 환기된다. ‘초혼’은 사람이 죽었을 때에, 그 혼을 소리쳐 부르는
일을 말하는데, 죽은 사람이 생시에 입던 윗옷을 갖고 지붕에 올라서거나
마당에 서서 왼손으로는 옷깃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옷의 허리 부분을 잡
은 뒤 북쪽을 향하여 ‘아무 동네 아무개 복(復)’이라고 세 번 부르는 의식
이다. 또한 망부석 설화의 활용이나 시적 화자의 한의 정서 등 다양한 측
면에서 한국 문학의 전통성을 살펴볼 수 있어 제재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배경지식 관련
전통 상례 절차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이 있나요?
질문의 예

김소월 (1902~1934) 작가 동영상

시인. 본명은 김정식. 1920년에 등단하여 한국의 전


통적인 리듬과 정서를 탁월하게 표현한 작품을 많이 남
겼다. 주요 작품으로 〈진달래꽃〉, 〈산유화〉, 〈먼 후일〉
등이 있다.

 ‘초혼’은 무슨 뜻일까?
 초혼을 하는 사람의 심정은 어떠할까?
 예시 답 사랑하는 사람이 죽는다면 가장 후회되

는 일이 무엇일까?

⑷ 근현대 문학 227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27 2019. 1. 9. 오후 2:54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전통적, 민요적, 격정적, 애상적, 감상적
〈초혼〉은 사랑하는 사람과 사별한 슬픔을 애절하게 노래한 시이다. 제재 임과의 사별
일제 강점기의 시대 상황과 시에 나타난 정서의 깊이를 고려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주제 사별한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
① ‌전통 상례에서 죽은 사람의 영혼을 불러들이는
수업의 포인트
초혼 의식과 망부석 설화를 소재로 함.
특징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과 정서 이해하기 ② 3음보의 민요적 율격을 형성함.
•표현상의 특징 이해하기 ③ 반복, 영탄, 과장 등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함.
•작품의 문학사적 가치 파악하기 전통적인 상례 절차 중 하나인 ‘초혼’은 사람이 죽었을 때에, 그 혼을 소리쳐 부
르는 일을 뜻함. 사람이 생시에 입던 윗옷을 갖고 지붕에 올라서거나 마당에 서
초혼

서, 왼손으로는 옷깃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옷의 허리 부분을 잡은 뒤 북쪽을 향


하여 ‘아무 동네 아무개 복(復)’이라고 세 번 부름.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 ‘-이여!’를 반복함.(반복법, 영탄법) → ① 시적 화자의
심정을 강조함. ② 운율을 형성함.
허공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흩어진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여!
招( 魂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 죽은 임의 이름을 부르는 절망적 슬픔


임을 부르다 화자가 죽을 만큼 간절함.
) |김 소 월

심중(心中)에 남아 있는 말 한마디는
임을 사랑한다는 말
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구나.
사랑을 고백하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
작품 감상 애니메이션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작품 감상 음성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 사랑을 고백하지 못한 회한

붉은 해는 서산마루에 걸리었다.
작품의 배경과 의미 저녁이라는 시간적 배경을 통해 죽음의 이미지와 애상적 분위기를 느끼게 함.

•낮과 밤의 경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붉은 해는 화자의 슬픈 정서를 이입함.

서산마루에 떨어져 나가 앉은 산 위에서
•삶과 죽음의
걸리었다.’ 화자의 현재 위치 → 임과의 거리감을 느끼게 함.(고립감, 외로움)
경계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 임의 상실로 인한 허무감
•고립과 단절 작품에 나타난 전통적 요소
‘떨어져 나
의 공간
가 앉은 산 •전통 상례 과정 중 ‘초혼’ 의식을 소재로 함.
•임과 먼 거리
위’ 내용 •망부석 설화를 차용하여 시적 화자의 정서를 심화시킴.
에 있는 공간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화자의 심정을 직설적으로 드러냄. •전통적 정서인 ‘한(恨)’의 정서를 드러냄.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형식 전체적으로 3음보의 전통적 민요조의 율격이 나타남.
부르는 소리는 비껴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 삶과 죽음 사이의 절망적 거리감
삶과 죽음 사이의 거리감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망부석 설화’를 차용함. 이름을


부르다 돌이 되겠다는 말을 통해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그리움과 슬픔을 강조함.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 포기할 수 없는 사랑의 의지

작품 구성
제재 정리
1연 죽은 임의 이름을 부르는 절망적 슬픔
2연 사랑을 고백하지 못한 회한

228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3연
4연
임의 상실로 인한 허무감
삶과 죽음 사이의 절망적 거리감
5연 포기할 수 없는 사랑의 의지

고등문학(204~283)4단원(교).indd 228 2019. 8. 21. 오후 1:51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 전통적인 요소가 나타난 부분을 내용과  한용운의 시 〈님의 침묵〉에서 ‘님’의 의미


〈초혼〉의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 과
형식적 측면에서 정리하고, 시대 상황과 를 생각해 보고 〈초혼〉의 시적 화자와 비
정서 살펴보기
관련지어 독자들에게 끼친 영향 살펴보기 교해 보기

활동 1 지도 방안
1 〈초혼〉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시적 화자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 말해 보자.


시적 화자가 처해 있는 상황
예시 답 사랑하는 사람과 사별하여 깊은 슬픔에 빠져 있다.
과 표현상의 특징 및 시구의 의
미를 파악하여 시적 화자의 정
서를 파악하는 활동이다. 작품
의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
선 시어와 시구의 의미를 파악
한 후에 시적 화자의 정서를 강 ⑵ 시적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무엇인지 살펴보자.
화하는 표현상의 특징을 찾아보
예시 답 •리듬의 극대화: 3음보의 율격을 형성하여 시행이나 시구를 반복하고 있다.
도록 지도한다.
•고조된 감정의 표현: 슬픔의 정서를 극대화하는 영탄법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

망부석 설화
멀리 떠난 남편을 기 ⑶ 밑줄 친 시구를 통해 알 수 있는 시적 화자의 정서는 무엇인지 말해 보자.
다리던 아내가 남편
이 돌아오지 않자 높
내용
은 곳에서 바라보다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가 돌이 되었다는 이
야기 교과서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228쪽
신라 눌지왕때 신하
박제상(朴堤上)의 아
대표 내가 일본으로 떠난 예시 답 극한의 슬픔(한)
설화 남편을 기다리다가
치술령에서 망부석이
되었다는 설화

앞서 배운 한국 문학의
2 〈초혼〉의 문학사적 의의를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서 전통적인 요소가 두드러진 부분을 내용과 형식의 측면으로 나누어 정리해
흐름을 떠올려 보면, 고대부터
보자.
현재까지 꾸준히 이어져 오는 전
예시 답 1연에서 ‘초혼’의 행위가 나타나 있고, 5연에서 ‘망부석 설화’가 반영되어 있으며, 전체적
통적인 요소가 있었어. 시적 화 •내용: 으로 민족의 보편적 정서인 한(恨)을 노래하였다.
자의 정서나 작품의 소재, 운율
상의 특징 등을 중심으로 살펴 예시 답 전체적으로 3음보의 전통적 민요조 율격이 사용되었다.
•형식:
보면 이러한 요소를 발견할 수
있을 거야.
활동 2 지도 방안
작품에 나타난 전통적인 요소
와 당시의 독자들에게 끼친 영
향을 통해 이 작품이 지닌 문학 ⑵ 다음은 이 작품의 창작 배경에 대한 설명이다. 이 글을 참고하여 이 작품이 당대 독자들
사적 의의를 생각해 보는 활동
이다. 김소월의 작품은 대체로
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을지 시대 상황과 관련지어 생각해 보자.
전통적 율격과 정서를 담고 있
다는 점, 일제 강점기라는 당대
현실과도 관련지어 이해하였을 김소월의 〈초혼〉은 〈옛 님을 따라가다가 꿈 깨어 탄식함이라〉라는 시를 개작한 것
때 깊은 울림을 준다는 점 등을
학생들이 이해하고 그 의의를 으로 알려져 있다. 개작 전의 작품은 ‘옛 님’이라는 한 여자에 대한 시로서, 시인의 개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인적이고도 특수한 체험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그런데 개작을 통하여 지극히 개인적
인 사건이 모두 삭제되자, 구체적인 ‘옛 님’은 보편적인 ‘그대’로 한 단계 승화되었고,
더욱 많은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정서를 담게 되었다.

예시 답 이 작품은 처음에는 한 여자에 대한 개인적인 감정을 읊은 시였지만, 개작을 거


치면서 개인적인 사건이 모두 삭제되자 보편적인 ‘임’에 대한 정서를 담은 작품으로 승화
되었다. 특히 이 작품이 국권을 상실한 일제 강점기에 창작되었음을 감안한다면 ‘죽은 ⑷ 근현대 문학 229
임’은 ‘잃어버린 조국’으로도 해석되어, 나라를 잃은 애절한 슬픔과 강렬한 의지를 느끼
게 하고 이를 통해 당시의 사람들에게 보편적인 공감을 얻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29 2019. 1. 9. 오후 2:54


3 다음은 〈초혼〉과 같은 시대에 발표된 작품이다. 이 시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님의 침묵〉은 임에 대한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 영탄적 표현
절대적이고 영원한 사랑을 상징 이별에 대한 탄식
과 비유의 기법으로 노래한 작 푸른 산 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
품이다.
니다
활동 3 지도 방안
황금(黃金)의 꽃같이 굳고 빛나던 옛 맹세는 차디찬 티끌이 되어서 한숨의 미풍(微
일제강점기에 발표된 〈초혼〉 영원히 변치 않을 것 같던 사랑의 맹세
과 〈님의 침묵〉에서 시적 대상 風)에 날아갔습니다
에 대한 시적 화자의 태도를 비
교하는 활동이다. 작품에 내재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은 나의 운명의 지침(指針)을 돌려놓고 뒷걸음쳐서 사라졌
된 의미뿐만 아니라 당시 현실 임과의 황홀한 추억
▶ 이별의 상황(기)
과 연관지어 보았을 때 이 작품
습니다
의 시적 대상은 더욱 다양하게 나는 향기로운 님의 말소리에 귀먹고 꽃다운 님의 얼굴에 눈멀었습니다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을 향한 절대적 사랑
시대 상황을 바탕으로 하여 시 사랑도 사람의 일이라 만날 때에 미리 떠날 것을 염려하고 경계하지 아니한 것은 아
적 화자가 대상을 대하는 태도
를 비교하고 두 작품의 차이점 니지만 이별은 뜻밖의 일이 되고 놀란 가슴은 새로운 슬픔에 터집니다
을 이해해 보도록 지도한다. ▶ 이별 후의 고통과 슬픔(승)
그러나 이별을 쓸데없는 눈물의 원천을 만들고 마는 것은 스스로 사랑을 깨치는 것
작품 개관
전환(임과의 이별 → 임과 다시 만날 기대와 기쁨)
인 줄 아는 까닭에 걷잡을 수 없는 슬픔의 힘을 옮겨서 새 희망의 정수박이에 들어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슬픔의 힘을 새로운 희망으로 전환시킴.
성격 의지적 었습니다 ▶ 고통과 슬픔을 극복한 새로운 희망(전)
제재 임에 대한 사랑
임에 대한 영원한 사 우리는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에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
주제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① ‌경어체를 사용하 깨달음의 정서
여 여성적 어조를 제 곡조를 못 이기는 사랑의 노래는 님의 침묵을 휩싸고 돕니다
드러냄. ▶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결)
② ‌다양한 감각적 이 - 한용운, 〈님의 침묵〉
특징
미지와 상징적 표
현을 사용함.
③ ‌역설적 상황을 통
해 주제를 표출함. ⑴ 이 작품에서 ‘님’은 어떤 존재일지 자유롭게 말해 보자.
예시 답 사랑하는 사람, 진리, 절대자 등을 의미한다.

⑵ 이 작품의 시적 화자가 ‘님’을 대하는 태도를 〈초혼〉의 시적 화자가 ‘그대’를 대하는 태도


와 비교해 보자.
예시 답 •〈초혼〉의 시적 화자가 ‘그대’를 대하는 태도: 사랑하는 사람과의 사별로 인한 절망적 슬픔을 직설적으로
토로함.
•〈님의 침묵〉의 시적 화자가 님을 대하는 태도: 님과의 이별의 슬픔을 역설적으로 초극하여 재회의 확신으로 나아
감.
01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초혼〉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예시 답 이 작품은 죽은 이의 혼을 부르는 행위(초혼)를 통해 사랑하는 이를 잃은 절망적 슬픔을 애절하게 그리고 있어.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나의 책방 키우기 이 작품은 잊을 수 없는 임에 대한 강한 그리움


김소월의 을 간결한 형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특히 ‘잊었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김소월의 〈먼 후일〉 〈먼 후일〉 노라’라는 말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잊을 수
없는 마음을 반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김현승의 〈눈물〉
이 작품은 어린 아들을 잃은 슬픔을 종교와 신
김현승의
의 섭리에 의지하여 극복하고자 하는 아버지의
〈눈물〉
마음을 담고 있다.
230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30 2019. 1. 9. 오후 2:54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1919년 3·1 운동 이전의 일제 강점기 초기에 일제에 의해 고
통을 겪는 우리 민족의 모습을 비판적 시각에서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
2
는 소설로, 1920년대의 소설 문학의 한 경향을 보여 주고 있어 이 단원의
제재로 선정하였다. ‘묘지(墓地)’라는 제목으로 1922년 《신생활》에 연재되
었던 이 작품은 잡지가 폐간되면서 잠시 중단되었다가 1924년 《시대일보》
가 창간되면서 〈만세전〉으로 제목을 바꾸어 다시 연재되었다. 이 작품의
감상을 통해 문학의 현실 반영적 측면과 현실을 바라보는 작가의 문제의
식과 태도, 인물의 형상화 방식 등을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

염상섭 (1897~1963) 작가 동영상

소설가. 1921년에 등단하여 시대 현실을 깊이 있게


표현한 작품을 다수 남겼다. 사회 문제를 과학적인 시
선으로 다루는 자연주의적 경향으로 출발하여, 현실의
문제를 치열하게 다루는 사실주의적 경향으로 나아갔
다. 주요 작품으로 〈표본실의 청개구리〉, 〈삼대〉, 〈두
파산〉 등이 있다.

 ‘만세’는 어떤 사건을 말하는 것일까?


 일제 강점기에 일본에서 공부하는 유학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생들은 어떤 생각을 하며 지냈을까?
시대 상황 관련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의 생활은 어떠했을까요? 
예시 답 자신이 일제 강점기의 지식인이라면 어
질문의 예
떤 태도를 보였을까?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⑷ 근현대 문학 231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31 2019. 1. 9. 오후 2:54


〈만세전〉은 3·1 운동 직전의 암울한 시대 상황을 사실적으로 그린 소설이다. 작품 개관
일제 강점기의 시대 상황을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갈래 현대 소설, 사실주의 소설, 여로형 소설
성격 사실적, 현실 비판적
수업의 포인트
제재 1918년 겨울 / 동경에서 서울로 오가는 여정
•여로에 따른 주인공의 현실 인식의 변화 이해하기 주제 동경 유학생의 눈에 비친 조선의 현실
•작품에 나타난 비판 의식 파악하기
① 원점 회귀의 여로형 구조를 취하고 있음.
•주인공의 성격 및 태도 파악하기
②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보여 주
특징 고 있음.
③ ‌현실 문제를 인식하기만 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
가 결여되어 있어 지식인의 한계가 드러남.

작품 줄거리 애니메이션
만세전 (萬歲前) | 염상섭
3•1 운동 직전
작품 줄거리 음성
1인칭 주인공 시점의 효과
인터넷 링크 - 염상섭의 〈만세전〉
•자신의 체험을 있는 그대로 전 주인공의 시선에 따라 조선의 암담한
달하는 것처럼 느껴지게 함. 식민지 현실을 포착하고, 조선인을 대
‘나’ 
•사건을 좀더 생생하고 사실적 하는 일본인의 태도와 당시 조선의 현
으로 묘사함. 실을 사실적으로 전달함.

작품의 구조 앞부분 줄거리


이 작품은 총 9장으 조선에 3ㆍ1 운동이 일어나기 바로 전해 겨울, 일본에서 유학 중인 ‘나’는 아내가 위독하다는 전보를
여로 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품의 제목과 관련됨. 이인화
(旅路)형 주인공 ‘나’가 여행 받고 귀향한다. 늘 아프던 아내가 위독하다는 전보를 받았는데도 ‘나’는 별다른 충격을 받지 않는다. 기
구조 을 하는 여정에 따 ‘나’는 아내에 대해 별다른 애정을 느끼지 못하고 있음.
라 내용이 전개됨. 차 시간까지 여유가 있다는 이유로, 단골 카페에 가 그곳에서 일하는 정자를 만나 술을 마시거나 음악 5
주인공 ‘나’가 출발
원점
한 곳(동경)으로 다
학교 선생을 만나며 늑장을 부린다. 귀국하는 배에 올라서는 미행하는 일본 형사에게 계속 시달리면서
회귀형
시 돌아가는 구조로
구조 울분을 삭인다. 그러다가 ‘나’는 일본 형사를 피해 배 안의 욕실(浴室)로 들어간다.
되어 있음.

국권 피탈 후 10년 정도의 시간이 흐름.


“어쨌든 십 년이라면 한밑천 잡으셨겠구려.”
한몫할 만한 밑천이란 뜻으로, 일을 이루는 데 큰 도움이 될 만한 돈이나 물건 따위를 이르는 말
이번에는 상인 비슷한 자가 입을 벌렸다.
“웬걸요. 이젠 조선도 밝아져서 좀처럼 한밑천 잡기는 어렵지만…….” 10
이젠 조선 사람들도 세상 물정을 알게 되어서
“그러나 조선 사람들은 어때요?”
“요보 말씀요? 젊은 놈들은 그래도 제법들이지마는, 촌에 들어가면 대만(臺
제법 근대화가 되었지만
灣)의 생번(生蕃)보다는 낫다면 나을까, 인제 가서 보슈……. 하하하.”
조선인을 비하함. 비웃음
‘대만의 생번’이란 말에 그 욕탕 속에 들어앉았던 사람들은 나만 빼놓고는 모
요보 일본인이 한국인을 낮추 ‘나’를 빼고 모두 일본인만 있었음을 알 수 있음.
어 부르던 호칭. 두 껄껄 웃었다. 그러나 나는 기가 막혀 입술을 악물고 치어다보았으나 더운 김 15

생번(生蕃) 대만의 고산족 가운 조선인을 비웃는 행동에 분노를 느끼나 소극적으로 표출함.
데 야생 생활을 하는 종족을 낮 이 서리어서 궐자들에게는 분명히 보이지 않은 모양이었다. 욕객은 차차 꾸역꾸
추어 부르던 이름.
역 쏟아져 들어온다. ▶ ‘나’는 조선인을 멸시하는 일본인들의 대화를 듣게 됨.
궐자(厥者) ‘그’를 낮잡아 이르
는 말. 사실 말이지, 나는 그 소위 우국지사(憂國之士)는 아니나 자기가 망국(亡國)
욕객(浴客) 목욕하러 오는 손님. 투철한 민족의식을 지니지 않았으나 나라를 빼앗긴 것에 대해서는 아프게 인식하고 있음.

우국지사(憂國之士) 나랏일을
백성이라는 것은 어느 때나 잊지 않고 있기는 하다. 학교나 하숙에서 지내는 데
근심하고 염려하는 사람. 는 일본 사람과 오히려 서로 통사정을 하느니만큼 좀 낫다. 그러나 그 외의 경우 20
통사정 딱하고 안타까운 형편
을 털어놓고 말함. 의 고통은 참을 수 없는 때가 많다.

232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32 2019. 1. 9. 오후 2:54


그러나 또 한편으로 생각하면 망국 백성이 된 지 벌써 근 십 년 동안 인제는 무 주인공 ‘나’의 성격 및 태도
시대적 상황을 알 수 있음. •우국지사는 아니나 망국의
관심하도록 주위가 관대하게 내버려 두었었다. 도리어 소학교 시대에는 일본 교 백성이라는 것은 잊지 않음.
시대 현실을 대하는 ‘나’의 태도가 드러남. •일제의 압박을 당하면 귀찮
사와 충돌을 하여 퇴학을 하고 조선 역사를 가르치는 사립 학교로 전학을 한다는 고 분하지만 그때뿐일 때가
많음.
둥, 솔직한 어린 마음에 애국심이 비교적 열렬하였지마는, 차차 지각이 나자마자 •조선인을 멸시하는 일본인들
의 대화를 듣고 울분을 느끼
지만 별다른 행동을 보이지
5 일본으로 건너간 뒤에는 간혹 심사 틀리는 일을 당하거나 일 년에 한 번씩 귀국
는 못함.
현재 유학생임을 알 수 있음. 감정이나 심리 상태가 나빠지는
하는 길에 하관에서나 부산, 경성에서 조사를 당하고 성이 가시게 할 때에는 귀 
민족의 현실에 연민과
찮기도 하고 분하기도 하지마는 그때뿐이요, 그리 적개심이나 반항심을 일으킬 분노를 느끼지만 적극
‘나’ 적으로 행동하지는 못
기회가 적었었다. 적개심이나 반항심이란 것은 압박과 학대에 정비례하는 것이 하는 무기력한 지식인
의 모습을 보임.
나, 기실 그것은 민족적으로 활로를 얻는 유일한 수단이다. 그러나 칠 년이나 가
10 까이 일본에 있는 동안에 경찰관 이외에는 나에게 그다지 민족 관념을 굳게 의식
경찰관 이외에는 ‘나’에게 별다른 압박과 학대를 가하지 않아 민족적 울분을 느끼지 않음.
케 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원래 정치 문제에 흥미가 없는 나는 그런 문제로 머리
를 썩여 본 일이 거의 없었다 하여도 가할 만큼 정신이 마비되었었다. 그러나 요
아무런 생각이 없이 지냄.
새로 와서 나의 신경은 점점 흥분하여 가지 않을 수가 없다. 이것을 보면 적개심
조금씩 의식의 변화가 나타남.
이라든지 반항심이라는 것은 보통 경우에 자동적·이지적이라는 것보다는 피동
적개심이나 반항심은 상대방(일본인)의 자극에 의해 생기는 감정이라고 생각함.
15 적·감정적으로 유발(誘發)되는 것인 듯하다. 다시 말하면 일본 사람은 지나치는
말 한마디나 그 태도로 말미암아 조선 사람의 억제할 수 없는 반감을 끓어오르게
적개심, 반항심
하는 모양이다. 그러나 그것은 결국에 조선 사람으로 하여금 민족적 타락에서 스
국권 상실의 상태
스로를 구하여야 하겠다는 자각을 주는 가장 긴요한 원동력이 될 뿐이다.
▶ ‘나’는 서서히 민족의 비참한 현실을 인식하고 의식의 변화가 생김.
지금도 목욕탕 속에서 듣는 말마다 귀에 거슬리지 않는 것이 없지마는, 그것
조선인을 비하하는 말 때문에
20 은 될 수 있으면 많은 조선 사람이 듣고 오랜 몽유병(夢遊病)에서 깨어날 기회를 ‘나’가 조선 사람들의 상태를 ‘오
현실을 자각하는 계기 랜 몽유병’이라고 표현한 까닭
주었으면 하는 생각을 자아낼 뿐이다.
을 생각해 보자.
예시 답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그들은 여전히 이야기를 계속하고 있다. 현실에 무관심하며 투철한 민족
의식이 없이 정신이 마비되어 있
“그래 촌에 들어가면 위험하진 않은가요?” 는 듯한 조선 사람들의 상태를 ‘오
랜 몽유병’에 빠진 상태로 비유
조선에 처음 간다는 시골자가 또다시 입을 벌렸다. 하고 있다.

25 “뭘요. 어델 가든지 조금도 염려 없쇠다. 생번이라 하여도 요보는 온순한 데다


지각(知覺) 사물의 이치나 도리
가 가는 곳마다 순사요 헌병인데 손 하나 꼼짝할 수 있나요. 그걸 보면 데라우
조선인에 대한 일제의 통제와 탄압이 심했음을 알 수 있음. 를 분별하는 능력.
치[寺內] 상이 참 손아귀 힘도 세지만 인물은 인물이야!” 하관(下關) 시모노세키.
기실(其實) 실제의 사정.
매우 감격한 모양이다. 데라우치[寺內] 데라우치 마사
타케. 1910년 한국 통감으로 취
“그래 촌에 들어가서 할 게 뭐예요?”
임하고, 국권 피탈 이후 초대 총
30 “할 것이야 많지요. 어델 가기로 굶어 죽을 염려는 없지만, 요새 돈 몰 것이 똑 독을 지냄.

⑷ 근현대 문학 233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33 2019. 1. 9. 오후 2:54


서술 방식의 특징 하나 있지요. 자본 없이 힘 안 들고……. 하하하.”
욕실에서 진행되는 일
대화
본인들의 대화 → 주인 표독한 위인이 충동하는 수작이다.
공 ‘나’가 보고 듣는 것 남의 말이나 행동, 계획을 낮잡아 이름.
을 중심으로 전달함. “그런 벌이가 어디 있어요?”
일본인들의 대화 중간
에 서술되는 ‘나’의 생 촌뜨기 선생은 그 큰 눈을 더 둥그렇게 뜨고 큰 기대와 호기심을 가지고 마주
서술 각 → 주인공 ‘나’가 자
신의 내면을 직접적으 치어다보는 모양이다. 5
로 전달함.
“왜요? 한번 해 보시려우?”
‘시골자(촌뜨기)’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질문
그는 이렇게 한마디 충동이며 무슨 의미나 있는 듯이 그 악독하여 보이는 얼굴
‘시골자’를 충동질하는 사람에 대한 ‘나’의 부정적 시각이 드러남.
에 교활한 웃음을 띠고 한참 마주 보다가,
“시골서 죽도록 땅이나 파먹다가 거꾸러지는 것보다는 편하고 재미있습넨다.
게다가 돈을 쓰고 싶은 대로 쓸 수 있고…….” 10

여전히 뱅글뱅글 웃으면서 이 순실한, 어머니 배 속에서 나온 그대로 있는 듯


순진하고 세상 물정 모르는 듯한
한 촌뜨기를 꾄다.
“그런 선반에서 떨어지는 떡 같은 장사가 있으면 하다뿐이겠나요.”
하기 쉬운 장사를 의미함.(누워서 떡 먹기)
촌뜨기는 차차 침이 괴어 오는 수작이다.
“그러나 밑천이 아주 안 드는 것은 아니지요. 우선 얼마 안 되지만 보증금을 들 15

여놓아야 하고, 양복이나 한 벌 장만하여야 할 터이니까……. 그러나 당신이야


형님이 헌병대에 계시다니까 신분은 염려 없을 테니 보증금은 없어도 좋겠지.”
제 딴은 누구를 큰 직업이나 얻어 주는 듯싶이, 더구나 보증금은 특별히 면제
하여 주겠다는 듯이 오만한 태도로 어깨를 뒤틀며 호기만장이다. 일편 촌뜨기는
양복 신사가 돼야 하는 직업이라는 데에 속으로 헤에 하는 기색이다. 그러나 정 20
남의 말을 의심없이 받아들이는 어수룩한 인물임을 알 수 있음.
작 그 직업의 종류가 무엇인가는 좀처럼 가르쳐 주지 않는다. 실상 곁에서 엿듣
고 앉았는 나 역시 궁금하지만, 이러한 소리를 듣는 시골 궐자는 더한층 호기의
표독(慓毒)하다 사납고 독살스
럽다. 눈을 번쩍이며 앉았는 모양이다. 그러나 그것을 토설치 않는 것은 나와 그 외의
순실하다 순박하고 참되다.
두세 사람이 들을까 꺼리어서 그리하는 것 같기도 하고, 또는 그 시골뜨기가 좀
호기만장(豪氣萬丈) 꺼드럭거
리며 뽐내는 기세가 매우 높음. 더 몸이 달아 덤비며 자기의 부하가 되겠다는 다짐까지 받고서야 이야기하려는 25
토설(吐說)하다 숨겼던 사실을
비로소 밝히어 말하다. 수단 같기도 하다. ▶ ‘나’는 시골자와 시골자를 충동질하는 사람의 대화를 들음.

“그래, 그런 훌륭한 직업이 무엇인데, 어데 있단 말요?”


예시 답 현지에 있는 회사에 연
락하여 농촌에 있는 조선의 노동 이번에는 그 시골자의 동행인 듯한 사람이 가만히 듣고 있다가 욕탕에서 시뻘
자를 속인 후 일본 공장이나 광
산에 팔아넘기는 일을 말한다.
겋게 달아오른 몸뚱어리를 무거운 듯이 끌어내며 물었다. 그자도 물속에서 불쑥
일본인들이 말하는 ‘훌륭한 직
업’은 무엇일까? 일어서서 수건을 등 뒤로 넘겨서 가로잡고 문지르며 한번 목욕탕 속을 휘돌아다 30
다른 사람들에게 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234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34 2019. 1. 9. 오후 2:54


보고, 다른 사람들이 자기네의 이야기에는 무심히 이 구석 저 구석에서 멱을 감 일본인들의 대화를 통해 알 수
있는 것
는 것을 살펴본 뒤에 안심한 듯이 비로소 목소리를 낮추며 입을 벌린다. ‘표독한 ‘시골자
다른 사람 몰래 비밀스럽게 말함. 위인’ (촌뜨기)’
“실상은 누워 떡 먹기지. 나두 이번에 가서 해 오면 세 번째나 되우마는, 내지 쉽게 돈을 남의 말을
벌 수 있 의심 없이
의 각 회사와 연락해 가지고 요보들을 붙들어 오는 것인데……. 즉 조선 쿠리 다며 상대 대화 받 아 들 이
일본의 회사와 연락해서 조선 노동자를 속여서 데려 오는 것 방을 꾀어 며 관심을
5 [苦力] 말씀요. 농촌 노동자를 빼내 오는 것이죠. 그런데 그것은 대개 경상남 냄. 보임.

북도나 그렇지 않으면 함경, 강원, 그다음에는 평안도에서 모집을 해 오는 것 •두 인물의 성격이 드러남.
•당시 조선인을 대하던 일본
인데, 그중에도 경상남도가 제일 쉽습넨다. 하하하.” 인들의 생각과 태도가 드러
남.
그자는 여기 와서 말을 끊고 교활한 웃음을 웃어 버렸다.
▶ ‘나’는 일본인들이 조선인을 속여 일본의 공장과 광산으로 팔아넘긴다는 것을 알게 됨.
나는 여기까지 듣고 깜짝 놀랐다. 그 불쌍한 조선 노동자들이 속아서 지상의 ‘나’가 깜짝 놀란 까닭은 무엇인
참혹한 식민지 현실을 인식함. 지 말해 보자.
10 지옥 같은 일본 각지의 공장과 광산으로 몸이 팔리어 가는 것이 모두 이런 도적 예시 답 일본인에게 속아서 일본
으로 건너가 비인간적인 취급을
놈 같은 협잡 부랑배의 술중(術中)에 빠져서 속아 넘어가는구나 하는 생각을 하 당하는 조선 노동자들의 참혹하
‘얼굴’을 속되게 이르는 말 고 비참한 현실을 알게 되었기
며, 나는 다시 한번 그자의 상판대기를 치어다보지 않을 수 없었다. 때문이다.
조선인을 멸시하고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일본인에게 적개심을 느낌.
‘옳지! 그래서 이자의 형이 헌병 군조라는 것을 듣고 이용할 작정으로 반색을
조선인을 모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함. 매우 반가워하는 기색
한 게로군!’
15 나는 이런 생각도 하여 보며 가만히 귀를 기울이고 앉았었다.
▶ ‘나’는 조선인의 비참한 현실을 인식하고 대화를 나누는 일본인에게 적개심을 느낌.
궐자는 벙벙히 듣고 앉았는 그 두 사람의 얼굴을 이리저리 바라보고 빙긋 웃으
며 또다시 말을 잇는다.
“왜 남선 지방에 응모자가 많고 북으로 갈수록 적은고 하니, 이 남쪽은 내지인
일본인
이 제일 많이 들어가서 모든 세력을 잡았기 때문에, 북으로 쫓겨서 만주로 기
20 어들어 가거나 남으로 현해탄(玄海灘)을 건너서거나 두 가지 중에 한 가지 길
내지(內地) 외국이나 식민지에
대한 해협 남쪽, 일본 후쿠오카현(福岡縣) 서북쪽에 있는 바다
밖에 없는데, 누구나 그늘보다는 양지가 좋으니까 요보들 생각에도 일 년 열 서 본국을 이르는 말. 여기서는
북쪽 남쪽 ‘일본’을 뜻함.
두 달 죽도록 농사를 지어야 주린 배를 채우기는 고사하고 보릿고개에는 시래 쿠리[苦力, coolie] 육체노동에
종사하는 하층의 중국인·인도인
기죽으로 부증이 나서 뒈질 지경인 바에야 번화한 동경, 대판에 가서 흥청망
부종 일본의 오사카[大阪] 노동자. 여기서는 중노동에 종
청 살아 보겠다는 요량이거든. 그러니 촌의 젊은 애들은 말할 것도 없고 계집 사하는 하층 노동자를 이름.
협잡(挾雜) 옳지 아니한 방법으
25 애들까지 나두 나두 하고 나서거든. 뭐 모집이야 쉽지!” 로 남을 속임.
술중(術中) 남의 꾀 속.
“흥……. 그럴 거야!”
벙벙하다 어리둥절하여 얼빠
“아직 북선 지방은 우리 내지인이 덜 들어갔기 때문에 비교적 편안히 사니까 진 사람처럼 멍하다.
미구불원(未久不遠) 앞으로 얼
응모자가 적지만, 그것도 미구불원에 쪽박을 차고 나설 거라. 허허허…….” 마 오래지 아니하고 가까움.
득의만면(得意滿面) 일이 뜻대
이자는 자기 설명에 만족한 듯이 대단히 득의만면이다.
로 이루어져 기쁜 표정이 얼굴
30 “그래, 그렇게 모집을 해 가면 얼마나 생기나요?” 에 가득함.

⑷ 근현대 문학 235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35 2019. 1. 9. 오후 2:54


촌뜨기는 구수하다는 듯이 침을 흘리며 듣는다.
하루에 일한 대가로 얼마씩 정하여 받는 수당이나 보수
“얼마가 뭐요. 여비가 있지, 일당(日當)이 또 있지, 게다가 한 사람 모집하는
먼 길을 떠나 오가는 데 드는 비용
데에 일 원서부터 이 원이니까 — 그건 회사와 일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가령 방적 회사의 여직공 같은 것은 임금도 싼 데다가 모집원의 수수료도 헐하
동식물의 섬유나 화학 섬유를 가공하여 실을 뽑는 작업을 하는 회사 값이 싸고
고, 광부 같은 것은 지금 시세로도 일 원 오십 전으로 이 원 오십 전까지라우. 5
방적 회사의 여직공 모집보다 더 많이 벌 수 있음.
가령 천 명만 맡아 가지고 와서 보구려. 이삼 삭 동안에 여비나 일당에서 남는
개월
것은 그까짓 건 다 그만두고라도 일천오륙백 원, 근 이천 원은 간데없는 것일
게니 그런 벌이가 이판에 어디 있소! 하하하, 「나도 맨 처음에 — 그건 제주도에
「」 : 자신의 경험을 예로 들며 충동질함.
서 모집하여 갔지만 — 그때에 오백 명 모아다 주고 실살고로 남긴 것이 천 원
이었고, 두 번째에는 올가을에 팔백 명이나 북해도 족미탄광(足尾炭鑛)에 보 10

내고 이천 원 돈이 들어왔다우.”」
노동자 모집원이라는 자는 입의 침이 없이 천 원, 이천 원을 신이 나서 뇌며 목
실살고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시골자를 충동질하는 사람
실제 이익. 욕탕 속에서 나왔다. ▶ 노동자 모집원은 신이 나서 다른 일본인을 충동질함.

236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36 2019. 1. 9. 오후 2:54


뒷부분 줄거리 작품 결말의 의미
‘나’는 아내의 초상을
배로 부산에 도착하자마자 또 한 번 이런저런 조사를 받고 거리로 나선 ‘나’는 조선의 참담한 현실
결말 치른 후 황급히 동경
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 놀란다. ‘나’는 김천역에 내려 형을 만난다. 형은 전처가 아들을 못 낳아서 새 으로 돌아간다.
‘나’가 조선의 인습으로 여기는 요소 – 아들 지상주의가 만연한 조선 
로 아내를 맞이했다고 말하였는데 ‘나’는 이에 대해 불만을 토로한다. 형은 총독부 법에 의해서 지금부
•‘나’로 대표되는 당시 지식인
5 터 무덤은 공동묘지밖에 쓸 수 없다고 말하며 산소 걱정을 한다. ‘나’는 집에 도착한 지 며칠 되지 않아 의 무책임하고 소극적인 모
‘나’가 조선의 인습으로 여기는 요소 – 공동묘지법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 습과 한계를 드러냄.
아내의 장례를 치르고 다시 일본으로 돌아가려고 하지만, 집안 식구들의 만류로 발이 묶인다. 집안이고 •현실을 더욱 사실적이고 객
관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작
사회고 조선 전체가 구더기 끓는 공동묘지 같다고 생각하는 ‘나’는 사랑보다 연민이 앞섰던 아내를 가
가의 의도적인 설정으로 볼
련하게 여기며 탈출하듯 다시 동경으로 떠난다. 수 있음.
현실에서 도피하는 ‘나’ → 소극적이고 무책임한 당시 지식인의 모습
제재 정리

작품 구성
동경에서 유학 생활을 하는 ‘나’는 아내가 위독하다
발단
는 전보를 받고 귀국 준비를 함.
‘나’는 신호, 하관 등의 술집을 전전하면서 답답한 심
전개
정을 드러냄.
‘나’는 배 안에서 조선인을 멸시하는 일본인들의 대
위기
화를 듣고 분개함.
‘부산 → 김천 → 서울 → 집’으로 이동하면서 조선이
절정
처한 현실을 관찰하고 울분을 느낌.
결국 아내는 죽고, ‘나’는 죽은 아내를 위해 눈물조차
결말
흘리지 않고 다시 동경으로 돌아감.
※진한 색 부분은 교과서 수록 부분임.

⑷ 근현대 문학 237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37 2019. 1. 9. 오후 2:54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만세전〉에서 ‘나’의 현실 인식 변화 정  〈만세전〉의 시대 배경과 문학사적 가  〈만세전〉의 뒷부분과 〈무정〉을 읽고
리하기 치 살펴보기 주인공의 현실 인식 태도 비교하기

활동 1 지도 방안
1 〈만세전〉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 나타난 일본인들의 대화를 통해 당시 일본인들이 조선인을 어떻게 생각했는지


일본인들의 대화를 통해 ‘나’
의 현실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 말해 보자.
였는지 살펴보는 활동이다. ‘나’
예시 답 •조선인을 ‘요보’라고 낮춰 부르면서 야만적인 존재로 생각한다.
가 최근까지 어떤 태도를 지니
고 있었으며, 일본인들의 대화 •조선인은 성격이 온순하여 순사와 헌병으로 통제하고 탄압하면 꼼짝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를 들은 후 어떤 감정을 느끼게 •일본 각지의 공장이나 광산으로 팔아서 돈을 벌 수 있는 수단으로 여긴다.
되는지를 중심으로 파악해 보도
록 지도한다.
⑵ 조선에 대한 ‘나’의 현실 인식의 변화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이 소설은 주인공 ‘나’가 동경
에서 서울로 왔다가 다시 동경
으로 돌아가는 여로형 구조로 •정치나 시대에 관해 무심함. 예시 답 •정치나 시대에 관해 관
이루어져 있다. ‘동경 - 고베 - 시 목욕탕에서 일본인들의 심을 가지고, 일제의 강압과 수탈
•식민지 상황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 에 대한 적개심과 분노를 느낌.
모노세키 - 부산 - 김천 - 대전역 대화를 들음.
지 못함. •식민지 조선의 참담한 현실과 조
- 서울’로 이어지는 여로를 따라 선인이 고통 받는 현실을 인식함.
소설이 전개되면서 ‘나’의 현실
인식도 변화하게 된다.

활동 2 지도 방안
2 〈만세전〉의 시대 배경과 문학사적 가치를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조선인 노동자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일본 각지에서 일


작품에 나타난 시대 배경과
관련된 부분을 찾아보고, 이를 하게 되는지 말해 보자.
통해 사실주의 문학으로서 이 예시 답 일본인이 일본의 각 회사와 연락한 다음 조선의 농촌 노동자들을 속여서 사람들을 모집했다. 그리고 이들
작품이 지닌 가치를 탐구하는 을 일본 각지의 공장과 광산에 팔아넘겼다. 결국 조선인 노동자들은 일본인에게 속아서 제대로 된 대우도 받지 못
활동이다. 일본인들의 대화에서 한 채 노동력을 착취당했다.
당시 조선인 노동자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일본에서 일하게
되는지 정리하고, 제시된 신문
기사의 내용과 문학 작품에 반
⑵ 다음은 일제 강점기의 한국 노동자에 대한 기사이다. 이를 참고하여 이 작품이 당대 현실
영된 현실을 비교해 보도록 한 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말해 보자.
다.


일제 강점기 시절 일본의 고베 전철 건설 건너오면 상황은 1백80도 달랐다. 공사 인
「」 : 당시 조선인이 받는 탄압과 고통
을 위해 일본 전철업자들은 ‘값싼 노동력’ 원보다 2~3배 많은 조선인들을 데려와 이
인 조선인 1천5백 명을 뽑아 오기로 하고 중 일부만 쓰는 수법으로 노동자들의 목줄
경상도 지역에 모집책들을 보냈다. 도청과 을 졸랐고 임금 역시 일본인들의 절반에도
군청 등의 협조를 받아 “일본에 가면 일본 못 미치는 수준을 지급했다. 그나마 툭하
인과 똑같은 임금을 주는 등 고급 대우를 면 떼어먹기 일쑤였다. 밀린 임금을 달라
조선인을 속이기 위한 말
해주겠다.”라며 당시 가난에 시달리던 농 는 요구조차 못 하고 싸늘한 시체로 변해
민들을 유혹했다. 그러나 일단 일본으로 버리는 일도 흔했다.」
- 《경향신문》 1995년 8월 19일 자 기사

예시 답 제시된 신문 기사에 따르면, 일제 강점기에 조선 농민들이 정당한 임금을 주겠다는 일본인들의 말에 속아


238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서 일본으로 건너가지만 임금을 받지 못하거나 죽는 일까지 발생한다고 말하고 있다. 〈만세전〉에도 일본인들의 대
화를 통해 조선인에 대한 일제의 가혹한 노동력 착취의 행태가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38 2019. 1. 9. 오후 2:54


⑶ 이 작품은 사실주의 소설의 대표작이다. 다음 글을 읽고, 밑줄 친 부분에 유의하여 이 작
품의 특징을 정리해 보자.

사실주의 소설은 당대 현실의 객관적인 재현을 추구한다. 이러한 소설에서는 시대


상황을 대변하는 인물이 등장하여 문제적인 사건들을 엮어 나가게 되며, 작가는 당대
현실을 총체적으로 묘사할 뿐만 아니라 세부적으로도 충실하게 묘사하고자 한다.

예시 답 이 작품은 사회 현실에 무관심한 전형적 지식인인 ‘나’를 주인공으로 설정하고 있


다. 이러한 ‘나’의 시선으로 조선인을 착취하는 일본인 사업가의 비양심적인 행태를 목욕탕
이라는 공간에서 벌어지는 대화를 통해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적인 묘사
는 당대 현실을 비극적으로 나타내는 동시에 주인공이 현실을 인식하고 각성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한다.

활동 3 지도 방안
3 다음은 〈만세전〉의 뒷부분과 이광수의 〈무정〉이다. 두 글을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작품에 나타난 시대적 배경 지금 내 주위는 마치 공동묘지 같습니다. 생활력을 잃은 백의(白衣)의 백성과, 백


주에 횡행하는 이매망량(魑魅魍魎) 같은 존재가 뒤덮은 이 무덤 속에 들어앉은 나로
과 이에 대한 주인공의 현실 인 주인공이 인식한 현실 상황
식 태도 및 한계를 살펴보는 활
동이다. 작품에 사용된 어휘, 등
장인물의 어조 등을 바탕으로
서 어찌 ‘꽃의 서울’에 호흡하고 춤추기를 바라겠습니까. 눈에 보이는 것, 귀에 들리는
하여 두 작품에 드러난 작가의 것이 하나나 내 마음을 부드럽게 어루만져 주고 용기와 희망을 돋우어 주는 것은 없으
현실 인식의 태도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니, 이러다가는 이 약한 나에게 찾아올 것은 질식밖에 없을 것이외다. 그러나 그것은
장미 꽃송이 속에 파묻히어 향기에 도취한 행복한 질식이 아니라, 대기(大氣)에서 절
연된 무덤 속에서 화석(化石) 되어 가는 구더기의 몸부림치는 질식입니다. 우선 이 질
생기를 잃어 가는 무기력한 조선인을 상징함.
식에서 벗어나야 하겠습니다.
소학교 선생님이 사벨(환도)을 차고 교단에 오르는 나라가 있는 것을 보셨습니까?

이매망량(魑魅魍魎) 온갖 도깨 나는 그런 나라의 백성이외다. 고민하고 오뇌하는 사람을 존경하시고 편을 들어 주신


비. 다는 그 말씀은 반갑고 고맙기 짝이 없습니다. 그러나 스스로 내성(內省)하는 고민이
절연(絕緣)되다 인연이나 관계
요 오뇌가 아니라, 발길과 채찍 밑에 부대끼면서도 숨이 죽어 엎디어 있는 거세(去勢)
가 완전히 끊어지다.
사벨(환도) 세이버(saber). 예전 된 존재에게도 존경과 동정을 느끼시나요? 하도 못생겼으면 가엾다가도 화가 나고 미
에, 군복에 갖추어 차던 군도(軍 운증이 나는 법입넨다. 혹은 연민의 정이 있을지 모르나, 연민(憐憫)은 아무것도 구하
刀).
오뇌(懊惱)하다 뉘우쳐 한탄하
는 길은 못 됩니다.
고 번뇌하다. - 염상섭, 〈만세전〉에서

⑷ 근현대 문학 239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39 2019. 1. 9. 오후 2:54


〈무정〉은 1917년 《매일신 “옳습니다. 교육으로, 실행으로 저들을 가르쳐야지요, 인도해야지요! 그러나 그것
보》에 연재된 소설로, 신소설의 계몽주의적 태도
은 누가 하나요?” 하고 형식은 입을 꼭 다문다. 세 처녀는 몸에 소름이 끼친다. 형식은
과도기적 성격을 어느 정도 탈
피하였다는 점에서 최초의 근대 한 번 더 힘 있게
장편 소설로 평가된다. 이 작품 “그것을 누가 하나요?” 하고 세 처녀를 골고루 본다. 세 처녀는 아직도 경험하여 보
의 전반부는 형식, 영채, 선형의
지 못한 듯한 말할 수 없는 정신의 감동을 깨달았다. 그리고 일시에 소름이 쪽 끼쳤다.
삼각관계가, 후반부는 민족을 민족 계몽의 필요성에 대한 형식의 말에 고무되어 세 처녀가 자신들의 사명을 자각함.
위해 헌신하리라는 정신적 각성 형식은 한 번 더
이 이야기의 중심을 이룬다.
“그것을 누가 하나요?” 하였다.
“우리가 하지요!” 하는 기약하지 아니한 대답이 세 처녀의 입에서 떨어진다. 네 사
람의 눈앞에는 불길이 번적하는 듯하였다. 마치 큰 지진이 있어서 온 땅이 떨리는 듯
하였다. 형식은 한참 고개를 숙이고 앉았더니
‌“옳습니다. 우리가 해야지요! 우리가 공부하러 가는 뜻이 여기 있습니다. 우리가 지
금 차를 타고 가는 돈이며 가서 공부할 학비를 누가 주나요? 조선이 주는 것입니다.
왜? 가서 힘을 얻어 오라고, 지식을 얻어 오라고, 문명을 얻어 오라고……. 그리해서
새로운 문명 위에 튼튼한 생활의 기초를 세워 달라고……. 이러한 뜻이 아닙니까.”
번적하다 큰 빛이 잠깐씩 나타 - 이광수, 〈무정〉에서
났다가 사라지다.

작품 개관
갈래 장편 소설, 계몽 소설 ⑴ 의 ‘나’와 의 ‘형식’이 현실을 대하는 태도를 비교해 보자.
민족적, 계몽적, 설교
성격 예시 답 〈만세전〉의 ‘나’는 부정적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을 깊이 인식하고 있으나 이를 극복할 방법이나 의지를 보

개화기부터 일제 강 이고 있지 않지만, <무정〉의 ‘형식’은 부정적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교육)을 제시하고 이를 실천하려
배경 점기 / 서울, 평양, 삼 는 태도를 보인다.
량진
민족 현실의 자각과
주제 새로운 사회에 대한
열망
① ‌우리나라 최초의
⑵ 와 가 창작된 시대적 배경을 고려할 때, 의 ‘나’와 의 ‘형식’이 지닌 현실 인식
근대적 장편 소설 의 한계는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자.
임.
② ‌자유연애 사상 및 예시 답 •〈만세전〉의 ‘나’가 지닌 현실 인식의 한계: 〈만세전〉의 ‘나’는 사회 현실에 무관심한 인물이었으나 아내가
특징 계몽 의식을 담고 위독하다는 전보를 받고 귀향하는 과정에서 일제 강점기 조선의 비참한 현실에 분노를 느끼고 문제의식을 가지게
있음. 된다. 그러나 조선 사회에 대한 절망적 인식과 경멸적 태도만 드러날 뿐 이를 개선하기 위한 실천적 행동을 제시하
③ ‌운문체를 탈피한 지 못하는 한계를 보여 주고 있다.
언문일치의 산문 •〈무정〉의 ‘형식’이 지닌 현실 인식의 한계: 〈무정〉의 ‘형식’은 교육을 통해 지식을 얻어 조선의 현실을 극복하겠다는
체 문장을 사용함. 강렬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참담한 일제 강점기 현실의 궁극적인 해결책이 조선의 독립이라는 인식에
다다르지 못하고 계몽적 시선에만 머물고 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2

〈만세전〉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예시 답 현실에 무관심했던 주인공이 일본인들의 대화를 듣고 분노를 느끼는 모습을 보면서, 나 역시 일제에 착취 당한 조선인의
고통과 슬픔이 느껴져서 가슴 아팠어.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나의 책방 키우기
이 작품은 어느 중산층 일가의 세대 간 갈등을 중심
염상섭의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염상섭의 〈삼대〉 으로 하여 급변하는 시대의 혼란한 모습을 사실적으
〈삼대〉
로 다루고 있는 장편 소설이다.
소재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심훈의 〈상록수〉 이 작품은 러시아의 ‘브나로드 운동’에 영향을 받아
심훈의 전개된 농촌 계몽 운동을 소재로 한 소설로, 농촌 계
〈상록수〉 몽을 위해 적극적으로 헌신하는 두 남녀의 고난과 이
240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를 극복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40 2019. 1. 9. 오후 2:54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한라산을 등반하면서 보게 되는 풍경과 정상인 백록담의 신
비로움을 드러낸 시로, 자연과 합일되는 물아일체의 경지가 잘 나타나 있
3
다. 제재인 ‘백록담’은 제주시 한라산 봉우리에 있는 화구호(火口湖)로, 시
적 화자에게는 등반의 최종 목표이자 고통, 수난, 도취를 통한 몰아(沒我)
의 경지이다. 시적 화자는 일제 강점기의 암울하고 고통스러운 시대 상황
속에서 민족의 정기를 상징하는 백록담을 향하고 있는데, 이는 부조리한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을 통해 당시
작가의 현실 인식 태도와 이와 함께 작품이 지닌 문학사적 가치를 살펴볼
수 있어 제재로 선정하였다.

정지용 (1902~1950) 작가 동영상

시인. 1926년에 〈카페 프란스〉를 발표하며 등단하


였다. 초기에는 언어의 현대성에 주목하여 감각적이면
서도 지성적인 시를 창작하였고, 이후 전통적인 관조
속에 높은 정신적 경지를 표현한 시를 썼다. 주요 작품
으로 〈향수〉, 〈유리창〉, 〈장수산〉 등이 있다.

 ‘백록담’은 어느 산에 있을까?
 등산을 하면서 보았던 풍경 가운데 기억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에 남는 것이 있는가?
제재 관련 문학 작품에서 ‘산’은 주로 어떤 의미로 사용
 예시 답 정상에 도착했을 때의 느낌과 몸 상태는
질문의 예 되어 왔을까요?
어떠하였는가?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⑷ 근현대 문학 241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41 2019. 1. 9. 오후 2:54


작품 개관
〈백록담〉은 한라산을 오르면서 본 풍경과 그곳에서 느낀 정서를 표현한 시이다. 갈래 자유시, 서정시, 산문시
시대적 배경과 시인이 처한 상황을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성격 산문적, 신비적, 묘사적
제재 한라산의 백록담
수업의 포인트
주제 백록담의 신비로움과 아름다운 경치
•시상 전개 방식의 특징 이해하기 작품 감상 애니메이션 ① ‌한라산을 등반하며 보게 된 정경을 구
•중심 소재의 역할 파악하기 체적으로 묘사함.
•당시의 시대 상황과 작가의 창작 의도 이해하기 작품 감상 음성 특징
② ‌자연과의 합일(合一), 몰아(沒我)의 경
백록담
지 등 동양적 세계관이 드러남.

1
「」 : 정상에 올라갈수록 뻐꾹채꽃이 작게 보이는 모습을 나타냄.
「절정에 가까울수록 뻐꾹채꽃 키가 점점 소모된다. 한 마루 오르면 허리가 스

쓰여 없어지다.
러지고 다시 한 마루 우에서 모가지가 없고 나중에는 얼굴만 갸옷 내다본다. 화
문(花紋)처럼 판 박힌다. 바람이 차기가 함경도 끝과 맞서는 데서 뻐꾹채 키는
키가 완전히 줄어들어 지면에 꽃무늬처럼 박힌 듯이 보임.
白( 鹿 潭

아주 없어지고도 팔월 한철엔 흩어진 성신(星辰)처럼 난만하다. 「산그림자 어둑


꽃과 별의 이미지를 동일시함.
어둑하면 그러지 않아도 뻐꾹채 꽃밭에서 별들이 켜 든다. 제자리에서 별이 옮
「」 : 꽃이 별이 되어 다시 하늘로 자리를 옮긴 것 같은 신비로움을 느낌.
긴다.」 나는 여기서 기진했다.
) |정 지 용

기운이 다하여 힘이 없어짐.

2
등반의 고통을 치유하는 약에 비유함.
암고란(巖古蘭), 환약같이 어여쁜 열매로 목을 축이고 살아 일어섰다.
약재를 가루로 만들어 반죽하여 작고 둥글게 빚은 약 ▶ 산 정상 가까운 곳에서 휴식을 취함.



3

자작나무
백화(白樺) 옆에서 백화가 촉루가 되기까지 산다. 내가 죽어 백화처럼 흴 것이
살아 있는 자작나무와 죽은 자작나무가 함께 있는 모습
숭 없지 않다.

4
귀신도 쓸쓸하여 살지 않는 한 모롱이, 도체비꽃이 낮에 혼자 무서워 파랗게
암고란

산모퉁이의 휘어 둘린 곳 산수국. 제주도에서는 주로 파란색 꽃이


질린다. 피어서 도깨비불을 닮았다고 함.

5
백화 바야흐로 해발 육천 척 우에서 마소가 사람을 대수롭게 아니 여기고 산다. 말
화자의 위치 자연과 사람이 서로 함께 어울리며 살아감.
이 말끼리 소가 소끼리, 망아지가 어미 소를 송아지가 어미 말을 따르다가 이내
동물도 자신의 종족끼리 모여 있음. → 일제 강점기 우리 민족끼리 있지 못하는 현실과 대비됨.
헤어진다.

도체 화문(花紋) 꽃무늬.
촉루(髑髏) 해골.

숭 없다 ‘흉(이) 없다’의 방언. 말이나 행동 따위가 불쾌할 정도로 흉하다.

242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42 2019. 1. 9. 오후 2:54


시적 화자의 현실 인식
휘파
말이 말끼리 소가 소끼리 동물도 같은 종족끼 우리는 같은 민족끼 람
모여 있는 모습을 봄. 리 모여 있음. 리 살지 못함.


대조 일제 강점기
의 시대 상황

어미를 여읜 송아지가 말 송아지가 다른 어미 우리 새끼들도 모색 을 간접적으
이나 등산객을 보고 마구 에게 길러질 상황에 이 다른 어미에게 맡 로 드러냄.
매어 달림. 처함. 동일 겨질 상황에 처함.

6
점말

첫 새끼를 낳노라고 암소가 몹시 혼이 났다. 얼결에 산길 백 리를 돌아 서귀포


새끼를 낳느라 힘든 암소
로 달아났다. 물도 마르기 전에 어미를 여읜 송아지는 움매 — 움매 — 울었다.
민족의 정체성을 잃은 우리 백성을 상징함.
말을 보고도 등산객을 보고도 마구 매어 달렸다. 우리 새끼들도 모색(毛色)이 다
□: 송아지의 어미가 아님.
른 어미한테 맡길 것을 나는 울었다.
송아지가 털빛이 다른 어미한테 길러질 상황을 보
면서 화자는 우리 민족이 일제에 의해 정체성을 잃
고 살아갈 상황을 떠올리며 슬퍼함. → 부정적 현실 리

고사
에 대한 화자의 인식이 간접적으로 드러남. 7
「풍란이 풍기는 향기, 꾀꼬리 서로 부르는 소리, 제주 휘파람새 휘파람 부는 소
「」 : 시각적, 후각적, 청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산에 오른 즐거움을 생동감 있게 묘사함.
리, 돌에 물이 따로 구르는 소리, 먼 데서 바다가 구길 때 솨 — 솨 — 솔소리,」 물
푸레 동백 떡갈나무 속에서 나는 길을 잘못 들었다가 다시 칡넌출 기어간 흰 돌
박이 고부랑길로 나섰다. 문득 마주친 아롱점말이 피하지 않는다.

8 취

고비 고사리 더덕순 도라지꽃 취 삿갓나물 대풀 석용 별과 같은 방울을 달은


산에 사는 다양한 식물들을 열거함. 이슬을 의미함.
고산 식물을 새기며 취하며 자며 한다. 백록담 조촐한 물을 그리어 산맥 우에서
주체: 마소
짓는 행렬이 구름보다 장엄하다. 소나기 놋낱 맞으며 무지개에 말리우며 궁둥이
에 꽃물 이겨 붙인 채로 살이 붓는다. ▶ 신비로운 풍경을 만나면서 한라산을 등반함.
삿갓나물

9
가재도 기지 않는 백록담 푸른 물에 하늘이 돈다. 불구에 가깝도록 고단한 나
하늘이 물에 비친 모습 고된 등반으로 인해 육체적으로 지침.
의 다리를 돌아 소가 갔다. 좇겨 온 실구름 일말에도 백록담은 흐리운다. 나의 얼
작은 구름에도 흐려질 정도로 맑고 깨끗함.
굴에 한나절 포긴 백록담은 쓸쓸하다. 나는 깨다 졸다 기도조차 잊었더니라.
대풀

자연과의 합일, 자아와 세계의 일체 몰아(沒我)의 경지


▶ 정상에 도착하여 백록담을 보며 몰아(沒我)의 경지를 느낌.
모색(毛色) 털색.
작품 구성
석용(石茸) 석이(石栮), 즉 석이버섯의 오류.
1~2연 산 정상 가까운 곳에서 휴식을 취함.
새기다 소나 양 따위의 반추 동물이 먹었던 것을 도로 내어서 다시 씹다.
3~8연 신비로운 풍경을 만나면서 한라산을 등반함.
놋낱 노끈처럼 굵은 비를 나타내는 말. 정상에 도착하여 백록담을 보며 몰아(沒我)의
9연
경지를 느낌.
제재 정리
⑷ 근현대 문학 243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43 2019. 1. 9. 오후 2:55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 〈백록담〉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바탕 


〈백록담〉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정리 이육사의 시 〈광야〉에 나타난 시적 화
으로 하여 시구의 의미와 작가의 의도
하고 내용 이해하기 자의 현실 인식 태도 말해 보기
파악하기

활동 1 지도 방안
1 〈백록담〉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한라산을 오르는 과정에 따라 이 작품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정리해 보자.


작품의 시상 전개에 따른 내
용을 정리하고 시구의 내용을
등반 과정
이해하는 기본적인 활동이다.
의미를 알기 어려운 시어들도
있으나, 시적 상황과 시적 화자 예시 답 3~8연: 신비로운 예시 답 9연: 정상에 도착하
의 정서를 중심으로 시구의 의 예시 답 1, 2연: 산 정상 가
풍경을 만나면서 한라산을 여 백록담을 보며 몰아(沒我)
미를 파악해 보도록 한다. 까운 곳에서의 휴식
등반함. 의 경지를 느낌.

⑵ 다음은 이 작품의 작가가 쓴 한라산 기행문의 일부이다. 이 작품에서 밑줄 친 부분과 관


련 있는 내용을 다루는 연을 찾아보자.

혹은 산행 120리에 과도히 피로한 탓이나 아니올지 내려와서 하룻밤을 잘도 잤건


마는 축항 부두로 한낮에 돌아다닐 적에도 여태껏 풍란의 향기가 코에 알른거리는
것이요 ㉠ 고산 식물 암고란 열매(시레미)의 달고 신맛에 다시 입 안이 고이는 것입
니다. 깨끗한 돌 위에 배낭을 벼개 삼아 해풍을 쏘이며 한숨 못 잘 배도 없겠는데 눈
을 감으면 ㉡ 그 살찌고 순하고 사람 따르는 고원의 마소들이 나의 뇌수를 꿈과 같이
밟고 지나며 ㉢ 꾀꼬리며 휘파람새며 이름도 모를 진기한 새들의 아름다운 소리가
나의 귀를 소란하게 하는 것이 아닙니까.
- 정지용, 〈귀거래〉에서
시레미 시로미. ‘암고란’의 다른 이름.
벼개 ‘베개’의 옛말.

예시 답 2연
•㉠:
예시 답 5~7연
•㉡:
예시 답 7연
•㉢:

⑶ 2연과 8연에는 주어가 생략되어 있다. 문맥에 어울리는 적절한 주어를 찾아 써 보자.

2연 예시 답 나는 8연 예시 답 마소는

244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44 2019. 1. 9. 오후 2:55


활동 2 지도 방안
2 〈백록담〉에 반영된 시대 상황과 문학사적 가치를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은 이 작품의 9연이다. 밑줄 친 구절의 의미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이 작품에 일제 강점기의 시
대적 상황이 직·간접적으로 반
영된 부분을 찾아보고 이를 바
가재도 기지 않는 백록담 푸른 물에 하늘이 돈다. 불구에 가깝도록 고단한 나의 다리
탕으로 하여 작가의 현실 인식
의 태도를 파악하는 활동이다. 를 돌아 소가 갔다. 좇겨 온 실구름 일말에도 백록담은 흐리운다. 나의 얼굴에 한나절
특정한 시구에서 알 수 있는 시
대 상황은 어떠하며 이 작품을 포긴 백록담은 쓸쓸하다. 나는 깨다 졸다 기도조차 잊었더니라. 교과서
243쪽
쓴 작가의 의도를 생각해 보도
록 한다.
예시 답 시적 화자가 백록담의 신비로운 모습에 흠뻑 취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시적 화자와 자연물인
백록담이 합일된 경지를 뜻하며, 자아와 세계의 일체를 의미한다.

⑵ 이 작품을 쓴 작가는 일제 강점기 말에 이르러 한국의 자연을 다루는 시를 주로 썼다. 시


일제 강점기의 문인들은 끊임
대 상황을 고려할 때 ‘한라산’, ‘백록담’ 등을 작품의 소재로 다룬 의도를 추측해 보자.
없는 탄압을 받았다. 일본은 경
찰을 동원하여 조선의 민족 의 예시 답 민족의 맑고 깨끗한 정기와 정신을 상징하는 한국의 대표적인 명산과 그 정상에 있는 호수를 제재로 한 시
를 창작함으로써 일제 강점기의 부정적인 현실을 간접적으로 비판하고 극복하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식을 고취하는 대목을 삭제하거
나 문제가 되는 작품 자체를 압 중심 소재의 역할

수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1930 고된 등반 과정을 이겨


한라산, 백록담 일제 강점기
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애상적 내고 백록담에 오름.

인 정조를 환기하는 작품까지도


우리 민족의 맑고 깨끗한 정기 부정적 현실을 비판하고 극복하
철저하게 검열했다. 와 정신을 상징함. 려는 의지를 드러냄.

⑶ 다음 구절에서 일제 강점기를 살아가는 시인의 생각을 찾을 수 있다면 그 내용은 무엇인


지 말해 보자.

털 색깔이 다르다는 점은
무엇을 비유하는 것일까? 우리 새끼들도 모색(毛色)이 다른 어미한테 맡길 것을 나는 울었다. 교과서
243쪽

예시 답 국권을 상실한 우리 민족의 처지를 통탄하는 시인의 심정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모색이 다른’은
우리와 같은 민족이 아닌 ‘일제’를, ‘우리 새끼’는 일제 강점하의 ‘우리 민족’을 비유한 것이다.

⑷ 근현대 문학 245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45 2019. 1. 9. 오후 2:55


〈광야〉는 일제 강점기의 절
3 다음 작품을 읽고, 밑줄 친 부분에 나타난 시적 화자의 현실 인식 태도를 말해 보자.

망적인 현실을 극복하고자 하는 까마득한 날에


의지와 광명의 세계를 염원하는
하늘이 처음 열리고
미래 지향적인 신념을 드러낸
어데 닭 우는 소리 들렸으랴 ▶ 광야의 원시성
작품이다.
생명력
활동 3 지도 방안
작품에 드러난 시적 화자의 모든 산맥들이
현실 인식 태도를 살펴보는 활
동이다. 밑줄 친 시구의 의미를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시어의
차마 이곳을 범하든 못하였으리라 ▶ 광야의 신성성
상징적 의미와 시적 상황을 이
해해야 하며, 시상 전개의 흐름 광야의 신성함
을 살펴보는 등 작품을 감상하
는 기본적인 활동이 필요하다. 끊임없는 광음을
나아가 〈백록담〉과 서로 비교해 시간, 세월
보는 활동도 가능하다. 부지런한 계절이 피어선 지고
문명의 역사가 시작됨.
큰 강물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 역사와 문명의 태동
일제 강점기의 가혹한 현실 상황

지금 눈 내리고
매화 향기 홀로 아득하니
작품 개관 민족 정신, 독립의 기운
갈래 자유시, 서정시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 현재의 암담한 상황과 현실 극복 의지
의지적, 저항적, 상징 미래에 대한 준비이자 자기희생(속죄양 모티프)
성격

제재 광야
다시 천고의 뒤에
고통스러운 현실을 온갖 고통을 거친 먼 미래의 시간
주제 극복하려는 의지와 백마 타고 오는 초인이 있어
신념 조국의 광복을 실현하고 조국의 역사를 찬란히 꽃피울 존재. 이상적 구원자
① ‌‘과거-현재-미래’ 이 광야에서 목 놓아 부르게 하리라 ▶ 미래 지향의 강한 의지
의 시간적 추이에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적·자기희생적 태도
- 이육사, 〈광야〉
따라 시상이 전개
됨.
특징
② ‌종결 어미 ‘-(리) 예시 답 ‘여기’는 가난한 현실을 뜻하고, ‘씨’를 뿌린다는 것은 미래에 대한 준비를 뜻한다. 봄에 씨앗을 뿌리고 가꾸
라’의 사용으로 의 면 결실의 계절인 가을에는 반드시 풍성한 결실을 거둔다는 것을 고려할 때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리는 행위로 미
지적인 태도를 강 래에는 ‘풍성한 노래’가 열릴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에는 가난한 현실을 극복
조함.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시적 화자의 긍정적인 인식과 의지가 담겨 있다.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3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백록담〉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고향을 떠난 화자가 평화로운 고향의 모
예시 답 산을 오르는 고단한 과정을 시대 상황과 연결지어 생각해 보니
습을 떠올리며 간절한 그리움을 노래하
정상에 올라 백록담을 보게 된 경지는 결국 현실을 극복하려는 시적 화
정지용의 고 있는 시이다. 각 연에는 고향의 정경
자의 의지가 투영된 것이라고 느껴져.
〈향수〉 이 병렬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후렴구
는 시적 화자의 정서를 집약적으로 제시
나의 책방 키우기 하고, 반복을 통해 운율감을 형성한다.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정지용의 〈향수〉 산의 풍경을 묘사한 시로, 평화롭고 탈속
조지훈의 적인 공간을 형상화하고 있다. 〈백록담〉
소재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조지훈의 〈산〉 〈산〉 에 비해 절제된 화자의 감정과 짧은 문장
의 사용이 특징적이다.

246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46 2019. 1. 9. 오후 2:55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남한과 북한의 이념적 대립 상황에서 진실한 삶의 의미를
찾으려고 노력하는 주인공 명준이 겪는 갈등을 그린 소설이다. 작가는 남
4
과 북의 관념을 표상하는 ‘밀실’과 ‘광장’이라는 두 공간을 경험한 이명준
을 통해 남과 북의 현실을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또한 이 두 공간 사이
에서 갈등하다가 중립국을 선택하지만 결국 자살을 하는 이명준은 이념
의 갈등 속에 좌절하고 마는 지식인의 모습을 보여 준다. 6·25 전쟁 전후
의 혼란한 시대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분단과 이념적 갈등, 개인과 사회
의 이상적인 관계, 사랑을 통한 인간의 구원 문제 등 심오한 주제를 다루
고 있어 이 시기 한국 문학이 이루어 낸 성취와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의식을 살펴보기에 적절한 제재이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광장에 서 있다면 어떤 기분이 들지 상상해 볼까요?
질문의 예

경험 관련 6·25 전쟁이나 분단을 다룬 작품을 읽어 본 경험이


질문의 예 있나요?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최인훈 (1936~2018) 작가 동영상

소설가이자 극작가. 분단과 전쟁, 독재의 문제와 같


은 현대사의 단면을 지적으로 치밀하게 탐구하는 소설
을 주로 썼다. 주요 작품으로 소설 〈회색인〉, 〈구운몽〉
등과 희곡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어디서 무엇이 되
어 만나랴〉 등이 있다.

 남들과 다른 선택을 해 본 경험이 있는

가?
 광장에서 외로움을 느껴 본 적이 있는

가?

예시 답 자신이 살고 싶은 이상적인 세계의 모습

은 어떠한가?

⑷ 근현대 문학 247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47 2019. 1. 9. 오후 2:55


〈광장〉은 남북의 이념적 대립 속에서 고뇌하며 방황하는 지식인의 모습을 다룬 소설이다. 작품 개관
시대에 대응하는 문학의 역할에 주목하여 감상해 보자. 갈래 현대 소설, 사회 소설, 분단 소설
성격 관념적, 철학적
수업의 포인트
해방 직후부터 6·25 전쟁 직후까지 / 남한과 북
•‘광장’과 ‘밀실’의 의미 파악하기 배경
한, 타고르호(號) 안
•명준이 중립국을 선택한 이유 이해하기 이데올로기의 갈등 속에서 진정한 삶의 방식을
•작품이 창작된 당시의 시대 상황 이해하기 주제
추구하는 인간의 바람직한 모습
① ‌상징적인 소재를 통해 인물의 삶과 지향점을
암시하고 있음.
② ‌전체적으로 주인공이 과거를 회상하는 방식
특징

광장 | 최인훈
으로 내용이 전개됨.
③ ‌관념적이고 철학적인 용어가 많이 나타나며,
부분적으로 의식의 흐름 수법을 활용함.
작품 줄거리 애니메이션

작품 줄거리 음성 참고 동영상 - 〈광장〉의 문학적 배경

등장인물 소개 앞부분 줄거리


주인공. 남한에 대 이명준은 아버지가 월북하고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아버지 친구의 집에서 자라난다. 「철학과 3학년
해 회의적 시각을
갖고 월북하지만 이 된 명준은 개인적인 ‘밀실’만을 치장하는 남한 사회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지닌다. 그는 월북한 아버
이명준
북한에서도 실망 외부와의 접촉이 차단된 개인적 공간
한 채 중립국 행을 지 때문에 이유 없이 경찰서에 끌려가 조사를 받게 되는데,」 이로 인해 남한에 대한 회의적인 생각이 더 5
선택함. 「」 : 명준이 월북을 선택하게 된 이유
욱 강해진다. 그는 애인인 윤애의 집을 방문하여 설움을 달래지만, 불온 인물로 낙인 찍혔다는 괴로움
이념에 따라 월북
이명준의
아버지
을 했으나, 이상적 을 이기지 못하고 윤애를 남겨둔 채 월북한다.
혁명가의 면모를
(이형도)
보이지 못함. 그러나 북한 역시 명준이 원하던 곳은 아니었다. 이상적인 혁명가로 생각했던 아버지는 젊은 여인과
명준이 남한에 있 재혼하여 부르주아 생활을 하고 있었으며, 「북한 사회는 사회주의 제도의 공식적인 명령과 복종만 있는
을 때의 연인. 명 「」 : 명준이 북한에 환멸을 느낀 이유
윤애
준의 친구인 태식 공허한 ‘광장’ 같은 곳이었다.」 그는 아버지의 도움으로 《노동신문》의 기자가 되지만, 부르주아적이라는 10
과 결혼함.
명준이 북한에서
비판을 받고는 모든 것에 회의를 느껴 공사장에 인부로 자원한다. 명준은 공사 중 다쳐 병원에 입원하
은혜 만난 연인. 낙동강 게 되는데, 이때 위문을 온 국립 발레단에 속한 은혜와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은혜는 명준이 반대하는
전투에서 사망함.
상황에서도 예술제가 열리는 러시아로 떠난다.

6·25 전쟁이 발발하자 명준은 군대에 자원한다. 북한군 장교로 부산까지 내려온 그는 낙동강 전선

에서 은혜를 다시 만난다. 명준에게 용서를 빌기 위해 간호병으로 참전한 은혜를 보며 명준은 다시금 15

사랑을 느낀다. 그러나 낙동강 전투의 패배로 은혜는 죽고, 명준은 포로가 된다. 명준은 거제도 포로수

용소를 거쳐 판문점의 포로 송환 위원회에 서게 된다.

월북(越北) 삼팔선 또는 휴전선 방 안 생김새는, 통로보다 조금 높게 설득자들이 앉아 있고, 포로는 왼편에서


의 북쪽으로 넘어감.
불온(不穩) 사상이나 태도 따위
들어와서 바른편으로 빠지게 돼 있다. 네 사람의 공산군 장교와, 인민복을 입은
오른편 북한 측 사람들
가 통치 권력이나 체제에 순응
중공 대표가 한 사람, 합쳐서 다섯 명. 그들 앞에 가서, 걸음을 멈춘다. 앞에 앉은 20
하지 않고 맞서는 성질이 있음.
인민복(人民服) 신해혁명 이후 장교가, 부드럽게 웃으면서 말한다.
쑨원이 입었던 것과 같은 모양 북한을 선택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행동

의 중국의 국민복. 웃옷에 주머


“동무, 앉으시오.”
니가 네 개 있고 깃을 세웠음. 명준은 움직이지 않았다.
중공(中共) ‘중화 인민 공화국’ 설득당하지 않겠다는 명준의 단호한 태도가 드러남.
을 줄여 이르는 말. “동무는 어느 쪽으로 가겠소?”
이데올로기적 대립과 갈등의 상황에서 선택을 강요 받음. → 우리 민족이 처한 상황

248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48 2019. 1. 9. 오후 2:55


명준을 설득하기 위한 북측의 논리

•자본주의 국가의 부정적인 측면을 제시함.


북측 •북한을 선택하였을 때 누릴 수 있는 권리를 제시함.
•다시 돌아오더라도 일체의 보복이 없을 것임을 약속함.
“중립국.”
중립국을 선택함으로써 남한과 북한 중 어느 곳도 선택하지 않겠다는 의미
그들은 서로 쳐다본다. 앉으라고 하던 장교가, 윗몸을 테이블 위로 바싹 내밀
적극적으로 회유하려는 태도
면서, 말한다.
“동무, 중립국도, 마찬가지 자본주의 나라요. 굶주림과 범죄가 우글대는 낯선
북측 장교의 설득 논리 ① - 자본주의 나라의 부정적 측면을 제시함.
5 곳에 가서 어쩌자는 거요?”
“중립국.”
장교의 말을 무시한 채 계속 같은 말을 반복함.
“다시 한번 생각하시오. 돌이킬 수 없는 중대한 결정이란 말요. 자랑스러운 권
북한의 인민으로 살 수 있는 권리
리를 왜 포기하는 거요?”
“중립국.”
10 이번에는, 그 옆에 앉은 장교가 나앉는다.
“동무,「지금 인민 공화국에서는, 참전 용사들을 위한 연금 법령을 냈소. 동무는
「」 : 북측 장교의 설득 논리 ② - 북한을 선택하였을 때 누릴 수 있는 권리를 제시함.
누구보다도 먼저 일터를 가지게 될 것이며, 인민의 영웅으로 존경받을 것이
생계를 보장함. 사회적 명예를 가짐.
오. 전체 인민은 동무가 돌아오기를 기다리고 있소. 고향의 초목도 동무의 개
‘광장’과 ‘밀실’의 의미
선을 반길 거요.”」
싸움에서 이기고 돌아옴. •공동의 생각을 함께 나누고 토론하며 바
광장 람직한 방향을 실천할 수 있는 공간
15 “중립국.” •집단적이고 사회적인 삶을 상징함.

그들은 머리를 모으고 소곤소곤 상의를 한다. •안락함과 사생활이 보장되며 개인의 행
밀실 복을 추구할 수 있는 공간
•개인적이고 실존적인 삶을 상징함.
처음에 말하던 장교가, 다시 입을 연다.
남한과 유엔 측을 가리킴.
「“동무의 심정도 잘 알겠소. 오랜 포로 생활에서, 제국주의자들의 간사한 꾀임
「」 : 북측 장교의 설득 논리 ③ - 돌아오더라도 일체의 보복이 없을 것임을 제시함.
수에 유혹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는 것도 용서할 수 있소. 그런 염려는 하지 마
20 시오. 공화국은 동무의 하찮은 잘못을 탓하기보다도, 동무가 조국과 인민에게
바친 충성을 더 높이 평가하오. 일체의 보복 행위는 없을 것을 약속하오.」 동무
자본주의 사회에서 살았던 점에 대한 불이익
는…….”
“중립국.”
중공 대표가, 날카롭게 무어라 외쳤다. 설득하던 장교는, 증오에 찬 눈초리로
25 명준을 노려보면서, 내뱉었다.
명준을 설득하지 못하자 돌연 태도를 바꿔 적대적인 감정을 드러냄.
“좋아.”
눈길을, 방금 도어를 열고 들어서는 다음 포로에게 옮겨 버렸다.
▶ 북측 장교의 설득을 거부하는 명준 중립국(中立國) 중립주의를 외
「아까부터 그는 설득자들에게 간단한 한마디만을 되풀이 대꾸하면서, 지금 다 교의 방침으로 하는 나라.
“중립국.”
꾀임수 ‘꾐수’의 북한어. 꾐수는
른 천막에서 동시에 진행되고 있을 광경을 그려 보고 있었다. 그리고 그 자리에
남한과 유엔 측이 설득하는 공간 남을 꾀어 속여 넘기는 수단을
30 도 자기를 세워 보고 있었다.」 「」 : 남한 측의 설득에도 중립국을 선택하는 자신의 모습을 떠올려 봄. 의미함.

⑷ 근현대 문학 249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49 2019. 1. 9. 오후 2:55


“자넨 어디 출신인가?”
출신 지역이 남한임을 내세워 설득하려는 전략
“…….”
“음, 서울이군.”
설득자는, 앞에 놓인 서류를 뒤적이면서,

명준을 설득하기 위한 남측의 논리


‌“중립국이라지만 막연한 얘기요. 「제 나라보 5

•조국애에 호소함. 다 나은 데가 어디 있겠어요. 외국에 가 본


•인간이 누리는 자유를 강조함. 「」 : 남측 장교의 설득 논리 ① - 조국애에 호소함.
남측
•지식인으로서의 사회적 책임과 사람들이 한결같이 하는 얘기지만, 밖에 나
명준의 존재가 필요함을 강조함.
•개인적 조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가 봐야 조국이 소중하다는 걸 안다구 하잖
약속함.
아요?」 당신이 지금 가슴에 품은 울분은 나도
남한 사회에 대한 실망감
압니다. 대한민국이 과도기적인 여러 가지 10
한 상태에서 다른 새로운 상태로 옮아가거나 바뀌어 가는 도중의 시기
모순을 가지고 있는 걸 누가 부인합니까? 그
빈부 격차, 정치적 혼란 등
러나 대한민국엔 자유가 있습니다. 인간은
남측 장교의 설득 논리 ② - 자유를 강조함.
무엇보다도 자유가 소중한 것입니다. 당신은
북한 생활과 포로 생활을 통해서 이중으로
그걸 느꼈을 겁니다. 인간은…….” 15

“중립국.”
“허허허, 강요하는 것이 아닙니다. 다만 내
나라 내 민족의 한 사람이, 타향 만 리 이국땅
중립국
에 가겠다고 나서니, 동족으로서 어찌 한마
디 참고되는 이야길 안 할 수 있겠습니까? 우 20

리는 이곳에 남한 2천만 동포의 부탁을 받고


온 것입니다. 한 사람이라도 더 건져서, 조국
의 품으로 데려오라는…….”
“중립국.”
“당신은 고등 교육까지 받은 지식인입니다. 25

조국은 지금 당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당


신은 위기에 처한 조국을 버리고 떠나 버리
렵니까?”
“중립국.”
“지식인일수록 불만이 많은 법입니다. 그러 30

250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50 2019. 1. 9. 오후 2:55


나, 그렇다고 제 몸을 없애 버리겠습니까? 종기가 났다고 말이지요. 「당신 한 사
조국 대한민국의 과도기적 여러 가지 모순
람을 잃는 건, 무식한 사람 열을 잃는 것보다 더 큰 민족의 손실입니다. 당신은
‘제 몸’과 ‘종기’가 상징하는 것은
아직 젊습니다. 우리 사회에는 할 일이 태산 같습니다. 나는 당신보다 나이를 약 무엇일까?
예시 답 ‘제 몸’은 조국을 의미하
간 더 먹었다는 의미에서, 친구로서 충고하고 싶습니다. 조국의 품으로 돌아와 며, ‘종기’는 조국에 존재하는 과
도기적인 여러 가지 모순적인 문
5 서, 조국을 재건하는 일꾼이 돼 주십시오.」 낯선 땅에 가서 고생하느니, 그쪽이 제들을 말한다.
「」 : 남측 장교의 설득 논리 ③ - 지식인으로서의 사회적 책임과 존재의 필요성을 강조함.
당신 개인으로서도 행복이라는 걸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나는 당신을 처음 보
았을 때, 대단히 인상이 마음에 들었습니다. 뭐 어떻게 생각지 마십시오. 나는
소재의 비유적 의미
동생처럼 여겨졌다는 말입니다. 만일 남한에 오는 경우에, 개인적인 조력을 제
남북에서 제시
바다
공할 용의가 있습니다. 어떻습니까?” 한 이상적 이념
남측 장교의 설득 논리 ④ - 개인적 조력을 제공할 것임을 약속함. (한 사발의,
실제 현실
10 명준은 고개를 쳐들고, 반듯하게 된 천막 천장을 올려다본다. 한층 가락을 낮 한 잔의) 물
어떤 회유에도 관심이 없다는 태도 이상적 이념을
춘 목소리로 혼잣말 외듯 나직이 말할 것이다. 마술
현실에서 실현
시킬 수 있다는
“중립국.” 환상
남북한의 권력
마술사
설득자는, 손에 들었던 연필 꼭지로, 테이블을 툭 치면서, 곁에 앉은 미군을 돌 자
명준을 설득하지 못해 아쉽지만 그다지 신경쓰지 않는 듯한 태도 마술을 실현할
아볼 것이다. 미군은, 어깨를 추스르며, 눈을 찡긋하고 웃겠지. 신비한 수 있는 도구이
▶ 남측 장교의 설득을 거부하는 명준 술잔 나 존재하지 않
15 나오는 문 앞에서, 서기의 책상 위에 놓인 명부에 이름을 적고 천막을 나서자, 음.
단체나 회의에서 문서나 기록 따위를 맡아보는 사람
그는 마치 재채기를 참았던 사람처럼 몸을 벌떡 뒤로 젖히면서, 마음껏 웃음을
양측의 회유를 거절하고 중립국을 선택한 것에 대한 통쾌함
터뜨렸다. 눈물이 찔끔찔끔 번지고, 침이 걸려서 캑캑거리면서도 그의 웃음은 멎 ‘명준’이 천막을 나오며 웃음을
터뜨린 까닭은 무엇인지 생각해
지 않았다.
보자.
예시 답 남한과 북한의 이데올로
준다고 바다를 마실 수는 없는 일. 사람이 마시기는 한 사발의 물. 준다는 것도
기 중 하나의 선택만을 강요하는
남한과 북한이 주장하는 이상적 이데올로기 실제적인 현실
현실에 대해 저항하고 중립국을
20 허황하고 가지거니 함도 철없는 일. 바다와 한 잔의 물. 그 사이에 놓인 골짜기 선택한 것에 대한 통쾌함과 후련
이상과 현실
함을 느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와 눈물과 땀과 피. 그것을 셈할 줄 모르는 데 잘못이 있었다. 세상에서 뒤진 가 한편으로는 중립국을 선택할 수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와 그로 인한 고통 이명준을 비롯한 지식인 밖에 없는 자신의 현실에 대한
난한 땅에 자란 지식 노동자의 슬픈 환상. 과학을 믿은 게 아니라 마술을 믿었던 자조적인 비애와 허탈감도 느꼈
객관적 사실 허황된 이상 을 것이다.
게지. 바다를 한 잔의 영생수로 바꿔 준다는 마술사의 말을. 그들은 뻔히 알면서
이념의 허상만 내세운 남한과 북한의 권력자들의 말
권력이라는 약을 팔려고 말로 속인 꾀임을. 어리석게 신비한 술잔을 찾아 나섰
관련 한자 성어: 감언이설(甘言利說) 조력(助力) 힘을 써 도와줌. 또
25 다가, 낌새를 차리고 항구를 돌아보자, 「그들은 항구를 차지하고 움직이지 않고 는 그 힘.
이데올로기의 허상을 깨닫게 됨.
명부 (名簿) 어떤 일에 관련된
있었다. 참을 알고 돌아온 바다의 난파자들을 그들은 감옥에 가둘 것이다.」 못된
사람의 이름, 주소, 직업 따위를
균을 옮기지 않기 위해서. 역사는 소걸음으로 움직인다. 사람의 커다란 모순과 적어 놓은 장부.
지식인들이 다른 사람들을 각성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서 영생수(永生水) 영원한 생명을
업(業)에 비기면, 아무 자국도 못 낸 것이나 마찬가지다. 당대까지 사람이 만들 가져다주는 물.
업 (業) 미래에 선악의 결과를
어 낸 물질 생산의 수확을 고르게 나누는 것만이 모든 시대에 두루 맞는 가능한
가져오는 원인이 된다고 하는
30 일이다. 마찬가지 아닌가. 벌써 아득한 옛날부터 사람 동네가 알아낸 슬기. 사람 일. 업보.
「」 : 허황된 이데올로기로 군중을 속인 자들이 권력을 차지하고, 모순을
깨달은 지식인들은 결국 권력자에 의해 박해를 받게 됨을 의미함.
⑷ 근현대 문학 251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51 2019. 1. 9. 오후 2:55


이라는 조건에서 비롯하는 슬픔과 기쁨을 고루 나누는 것. 그래 봐야, 사람의 조
건이 아직도 풀어 나가야 할 어려움의 크기에 대면, 아무것도 아니다. 사람이 이
루어 놓은 것에 눈을 돌리지 않고, 이루어야 할 것에만 눈을 돌리면, 그 자리에
서 그는 삶의 힘을 잃는다. 사람이 풀어야 할 일을 한눈에 보여 주는 것 ― 그것
이 ‘죽음’이다. 은혜의 죽음을 당했을 때, 이명준 배에서는 마지막 돛대가 부러진 5
북한에서 지낼 때 사랑한 애인 삶의 희망과 의지를 잃음.
셈이다. 이제 이루어 놓은 것에 눈을 돌리면서 살 수 있는 힘이 남아 있지 않다.
팔자소관으로 빨리 늙는 사람도 있는 법이었다. 사람마다 다르게 마련된 몸의
길, 마음의 길, 무리의 길. 대일 언덕 없는 난파꾼은 항구를 잊어버리기로 하고
이명준(이념의 갈등 속에서 희생된 사람)
물결 따라 나선다. 환상의 술에 취해 보지 못한 섬에 닿기를 바라며. 그리고 그
이념의 갈등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삶을 살고자 함.
섬에서 환상 없는 삶을 살기 위해서. 무서운 것을 너무 빨리 본 탓으로 지쳐 빠진 10
이데올로기의 허상
몸이, 자연의 수명을 다하기를 기다리면서 쉬기 위해서. 그렇게 해서 결정한, 중
립국행이었다. ▶ 명준이 중립국을 선택하게 된 이유

뒷부분 줄거리

명준은 석방된 포로 30명과 함께 중립국인 인도로 가게 된다. 인도행 선박인 타고르호(號)에 탄 그는


팔자소관(八字所關) 타고난 운
될 수 있는 대로 단순노동을 하며 살리라 마음먹고 새로운 삶을 꿈꾼다. 그러나 따라오던 갈매기 두 마 15
수로 인하여 어쩔 수 없이 당하
명준은 투신하기 직전 갈
는 일. 리를 은혜와 자신의 딸이라 생각하다가 결국 마카오 근해에서 투신자살한다. 매기 두 마리를 보며 자신
이 사랑했던 은혜와 태어나
명준이 중립국을 선택한 이유 지 못한 자신의 딸을 생각
함. 즉 갈매기는 죽은 은혜
남한 북한 와 딸을 상징함.
명준의
‘광장’은 없고 개인적인 ‘밀실’ 갈등 ‘밀실’은 없고 명령과 복종만
만 있음. 있는 공허한 ‘광장’만 있음. 제재 정리

이념의 허상만을 내세운 남한과 북한의 사회

선택

남한과 북한 어느 곳에서도 진정한 삶을 누릴 수


중립국
없다고 생각하여 제3국을 선택함.

작품 구성
명준은 월북한 아버지 때문에 고초를 겪고 남한 사회
발단
에 회의를 느껴 월북함.
명준은 북한 사회의 부자유와 이념의 허상에 환멸을
전개
느낌.
명준은 6·25 전쟁에 인민군으로 참전하였다가 포로
위기
가 됨.
포로수용소에서 석방되는 과정에서 명준은 남한도
절정
북한도 아닌 제3국을 선택함.
명준은 제3국으로 가는 타고르호에서 바다에 투신하
결말
여 자살함.
※진한 색 부분은 교과서 수록 부분임.

252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52 2019. 1. 9. 오후 2:55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 작가가 작품에 시대 현실을 어떻게  6·25 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을 찾아


〈광장〉에 나타난 주인공의 성격과
반영하였는지 살펴보고 작가가 추구 전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발
태도 파악하기
하는 세계를 생각해 보기 표하기

1 〈광장〉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명준’의 성격은 어떠한지 말해 보자.


인물의 성격은 구체적인 예시 답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한 인물로 바람직한 사회를 지향하는 이상주의자이다.
•남한과 북한 사회 모두에 환멸과 회의를 느끼는 비관적이고 회의적인 인물이다.
행동을 통해 드러나. 주인공의
•현실을 적극적으로 바꾸려 하기보다는 자신이 원하는 공간을 선택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소극적 면모를 지니고
생애 전체를 살펴보면 더 정확 있다.
하게 알 수 있어. ⑵ ‘명준’을 설득하기 위한 북측과 남측의 논리는 무엇인지 정리하고, 이에 대한 ‘명준’의 반
활동 1 지도 방안 응을 파악해 보자.
작품에 나타난 주인공의 성격
을 파악하고, 주인공을 설득하
기 위한 양측의 논리를 정리하 북측 장교 남측 장교
여 인물이 처한 상황을 이해하
예시 답 •자본주의 국가의 예시 답 •조국애에 호소함.
는 활동이다. 주인공이 남한과
북한에서 겪은 사건들을 중심으 부정적인 측면을 제시함. •인간이 누리는 자유를 강조함.
로 작품의 내용을 정리해 보도 •북한을 선택하였을 때 누릴 •지식인으로서의 사회적 책임과
록 한다. 수 있는 권리를 제시함. 명준의 존재가 필요함을 강조함.
•다시 돌아오더라도 일체의 •개인적 조력을 제공할 
보복이 없을 것임을 약속함. 것임을 약속함.

예시 답 남한과 북한 모두 부조리한 사회로 여기는 자신의 생각을 바꾸지 않으며, 어느


쪽에도 회유되지 않고 중립국을 선택함.

활동 2 지도 방안
2 문학과 시대의 관계에 대해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 기사를 참고하여 작가가 역사적 현실을 작품에 어떻게 반영하였는지 말해 보자.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
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를 탐구 하는 활
동이다. 당시 신문 기사에 제시
된 현실이 〈광장〉에 어떻게 반
영되었으며, 남한과 북한의 모 국군 포로 설득 사업 개시, 미·영 포로는 15일 이후로 될 듯
습이 어떻게 묘사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도록 한다. 그리고 명준
중립국 송환 위원회는 오늘 오후 친공적 동시에 해설을 받게 될 것이다. 햄부렘 준
의 선택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
이며 이를 통해 작가가 지향하 이라고 보고된 송환 불원 한국인 포로에 대 장은 한국 정부를 대표하여 송환 불원 한국
는 세계를 생각해 보도록 한다.
한 귀국 설득 공작을 개시하겠다는 유엔 측 인 포로 삼백삼십일 명에 대한 해설이 끝날
거제도 포로수용소
한국 전쟁에 의한 포로들을 수 의 요구를 승인하였다. 때까지 매일 삼십 명의 한국인 포로가 유엔
용하기 위해서 1951년 2월부터
거제도에 설치된 시설이다. 인 유엔 측이 제출한 해설 계획에 의하여 이 측 해설반의 해설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고
민군 포로 15만 명, 중국군 포로
2만 명 등 최대 17만 3천 명의
일 삼십사 명의 한국인 송환 불원 포로들이 요구하였다.
포로를 수용하였다. 당시 이념 해설을 받게 될 것이다. 포로들은 오 명씩 - 《경향신문》 1953년 12월 3일 자 기사
전쟁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
는 곳이다.
예시 답 제시된 신문 기사에는 중립국으로 송환되는 한국인 포로에 대해 귀국을 설득하
기 위한 유엔 측의 요구가 승인되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로 보아 당시에 중립국을
선택한 포로들이 상당수 존재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광장〉은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명준이 처한 상황으로 설정하고 그가 남한과 북한 어느 쪽도 선택하지 않는 모습을 보
⑷ 근현대 문학 253
여 줌으로써 두 사회 모두를 비판하고 있다.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53 2019. 1. 9. 오후 2:55


⑵ 다음은 〈광장〉의 일부이다. 와 를 통해 작가가 나타낸 남과 북의 상황은 어떤 모습
인지 말해 보자.

‌“한국 정치의 광장에는 똥오줌에 쓰레기만 더미로 쌓였어요. 모두의 것이어야 할


꽃을 꺾어다 저희 집 꽃병에 꽂구, 분수 꼭지를 뽑아다 저희 집 변소에 차려 놓구,
페이브먼트를 파 날라다가는 저희 집 부엌 바닥을 깔구. 한국의 정치가들이 정치
의 광장에 나올 땐 자루와 도끼와 삽을 들고, 눈에는 마스크를 가리고 도둑질하러
나오는 것이지요.” ▶ 개인적인 욕망만 추구하는 남한의 상황

개인적인 ‘욕망’이 터부로 되어 있는 고장. 북조선 사회에 무겁게 덮인 공기는 바로

페이브먼트 (pavement) 포장 이 터부의 구름이 시키는 노릇이었다. 인민이 주인이라고 멍에를 씌우고, 주인이 제
한 보도. 인도(人道). 일 하는데 몸을 아끼느냐고 채찍질하면, 팔자가 기박하다 못해 주인까지 돼 버린 소들
터부(taboo) 특정 집단에서 어
은, 영문을 알 수 없는 걸음을 떼어 놓는다. 일등을 해도 상품은 없다는 데야 누가 뛰려
떤 말이나 행동을 금하거나 꺼
리는 것. 고 할까? 당이 뛰라고 하니까 뛰긴 해도 그저 그만하게 뛰는 체하는 것뿐이었다. 사람
기박(奇薄)하다 팔자, 운수 따
이 살다가 으뜸 그럴듯하게 그려 낸 꿈이, 어쩌다 이런 도깨비놀음이 됐는지 아직도,
위가 사납고 복이 없다.
도깨비놀음 갈피를 잡을 수 없 아무도 갈피를 잡지 못해서, 행여 내일 아침이면 이 멍에가 도깨비방망이로 둔갑할까
을 만큼 괴상하게 되어 가는 일 기다리면서. 광장에는 꼭두각시뿐 사람은 없었다. ▶ 사회적 가치만을 존중하는 북한의 모습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예시 답 가 는 남한의 상황을 드러낸 것으로, 공동의 이념이나 이익보다는 개인적인 욕망만을 추구하는 모습을 제
시하고 있다. 나 는 북한의 상황을 드러낸 것으로, 사회적인 가치만 존재할 뿐 개인적인 자유나 이익은 금기시된 모
습을 제시하고 있다.
⑶ ‘명준’의 선택에 주목하여 작가는 어떤 세계를 바람직하게 여기는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명준은 광장은 없고 개인적인 밀실만 있는 남한과 밀실은 없고 공허한 광장만 있는 북한 중 어느 곳에서도
진정한 삶을 누릴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는 제3국을 선택한다. 이에 주목하여 볼 때 작가는 밀실과 광장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세계, 즉 이념의 대립과 갈등이 없고 인간적 교감이 이루어지는 자유로운 세계를 바람직하게
여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활동 3 지도 방안
3 한국 문학에는 6ㆍ25 전쟁을 소재로 한 작품이 많다. 모둠별로 이에 해당하는 작품을 찾아 전
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발표해 보자.
예시 답 생략
6·25 전쟁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감상한 후
전쟁이라는 극한의 현실 상황을 어떻게 인식하
고 있는지 정리해 보는 활동이다. 전쟁이 남긴
비극에 좌절하는 모습, 전쟁의 상처를 적극적으
로 극복하려는 모습 등 주인공의 행동이나 사건
의 흐름을 중심으로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04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광장〉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예시 답 자신이 원하는 삶을 위해 제3국을 선택하는 명준을 보고
그 용기가 대단하다고 생각했어. 중립국에서 새로운 마음으로 행 이 작품은 바보 온달과 평강 공
복하게 살았으면 더 좋았을 텐데. 최인훈의 주의 설화를 변형하여 재해석한
〈어디서 희곡으로, 유려한 문장과 일상적
나의 책방 키우기 무엇이 되어 이지 않은 구성, 한국적 설화의
만나랴〉 독창적인 접목 등으로 높은 평가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최인훈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를 받고 있다.
이 작품은 전쟁 중에 북한군의
소재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이호철의 〈나상〉
포로가 되어 이송되는 형제의 이
이호철의
야기로, 어수룩한 형의 모습을
〈나상〉
통해 올바른 삶에 대한 물음을
254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던지고 있다.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54 2019. 1. 9. 오후 2:55


5

작품 설정의 취지 이근삼 (1929  ~  2003) 작가 동영상

이 작품은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기형화된 삶을 살아가는 한 가족의 극작가. 실험적인 형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희곡을
모습을 소재로 하여 현대인의 무의미한 일상과 인간 소외의 문제를 그린
발표하여 현대 사회의 물질주의와 인간 소외 등의 문제
희곡이다. 무대 장치와 분장, 소도구뿐만 아니라 대사와 동작에도 반어와
풍자 등 희극적인 과장법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소파 커버의 원고지 무 를 비판하였다. 주요 작품으로 〈국물 있사옵니다〉, 〈유
늬, 원고지로 세운 것 같은 벽 등의 설정을 통해 사실주의 극이 지닌 무대 랑 극단〉 등이 있다.
배경에 대한 고정 관념을 깨뜨린다. 〈원고지〉를 감상하면서 희곡 갈래의
일반적인 특징과 함께 서구 현대 극의 새로운 기법을 도입한 이 작품만의
특징도 함께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원고지에 글을 써 본 적이 있는가?
 같은 일을 반복적으로 하면 어떤 생각이
‘감상 열기’ 지도 방안
들까?
삽화 관련 교과서 255쪽의 삽화에 있는 남자의 직업은 무엇일
 예시 답 교수는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일까?
질문의 예 까요?

경험 관련
실제로 연극을 보러 간 경험이 있나요?
질문의 예

⑷ 근현대 문학 255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55 2019. 1. 9. 오후 2:55


〈원고지〉는 물질문명 속에서 혼돈과 무기력함을 느끼는 현대인의 모습을 풍자한 희곡이다.
희곡 갈래의 특징을 고려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개관
수업의 포인트 갈래 현대 희곡, 부조리극
•‘철쇄’, ‘원고지’의 의미 이해하기 성격 반사실적, 서사적, 풍자적, 실험적, 반어적
•표현상의 특징 파악하기 제재 어느 중년 교수의 일상
•부조리극의 특징 파악하기 주제 인간성을 상실한 현대인의 기계적인 삶에 대한 풍자
① ‌특별한 사건 전개 및 뚜렷한 갈등 양상이 드러나지
않음.
특징
② ‌무대 장치, 소도구, 인물의 대사와 행동 등이 희극

원고지 | 이근삼 적으로 과장되어 표현됨.

작품 줄거리 애니메이션

작품 줄거리 음성 참고 동영상 - 부조리극, 〈원고지〉

등장인물의 해설자 역할 등장인물 중년 교수(본직(本職) 번역), 처, 장남, 장녀, 감독관, 천사


등장인물이지만 동
장녀와
시에 해설자의 역할
장남
도 함. 앞부분 줄거리

•관객이 극에 몰입하는 것을
막이 오르면 장녀가 등장하여 관객들에게 가족을 소개하고, 장남이 등장하여 자신을 소개한다. 이어
‘장녀’와 ‘장남’은 극중 인물이면서 해설자 역할도 함.
방해하고 극을 낯설게 만들
원고지를 붙여 만든 양복을 입고 허리에 쇠사슬을 두른 교수가 나와 기계적으로 반복되는 삶을 살아가 5
어 거리를 두게 함.
•관객이 극에 대해 비판적이 는 모습을 보여 준다. 처는 교수에게 번역 일을 재촉하고, 교수는 이성이 마비된 듯 혼란스러워한다.
고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
게 만듦.

전개 교수 (신문을 혼자 읽는다.) 참 비가 많이 왔군. 강원도 쪽에 눈이 굉장한 모양


비정상적이고 부조리한 현실을 표현함.
인데. 또 살인이야, 이번엔 두 살 난 애가 자기 아비를 죽였대. 참 지프차
비정상적인 사건들 → 부조리한 현대 사회의 모습
가 동대문을 들이받아 동대문이 완전히 무너졌군. 지프차는 도망가 버
출판사의 이름. 노동자를 착취하여 돈을 버는 회사를 상징함.
리구. 이것 봐, 내 《개성을 잃은 노동자》라는 번역품이 착취사에서 다시 10
개성을 잃은 현대인의 모습을 드러냄.
나왔어. 이 씨가 또 당선됐군. 신경통에 듣는 한약이 새로 나왔는데. 끔
찍해라. 남편이 자기 아내한테 또 매 맞았군.
예시 답 교수가 읽은 삼 년 전 신
문의 내용은 비정상적인 사건들
로 가득하다. 또한 다시 바꿔 읽
은 오늘 신문도 삼 년 전의 내용 처가 신문지를 한 장 다시 접는다. 날짜를 보더니
과 다르지 않다. 이러한 신문을
읽는 교수의 행위는 현대인이 처
한 상황이 비정상적이며, 무의미
한 일상이 단순히 기계적으로 반 처 당신두 참, 그건 옛날 신문이에요. 오늘 것은 여기 있는데.
복되고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삼 년 전 신문 기사 내용과 오 교수 「(보던 신문 날짜를 읽고) 오라, 삼 년 전 신문을 읽고 있었군. 오늘 신문 이 15
늘 신문 기사 내용이 같다는 것
은 무엇을 상징하는 것일까?
리 주시오. (오늘 신문을 받아 가지고 다시 읽는다.) 참, 비가 많이 왔군. 강
원도 쪽에 눈이 굉장한 모양인데, 또 살인이야. 이번엔 두 살 난 애가 자
기 아비를 죽였대. 참, 지프차가 동대문을 들이받아 동대문이 완전히 무
본직(本職) 본업(本業). 주가 되
는 직업. 너졌군. 지프차는 도망가 버리구. 이것 봐, 내 《개성을 잃은 노동자》라
「」 : 삼 년 전 신문의 내용이 오늘 신문에서 다시 반복됨. → 현대인의 반복적이고 지루한 일상을 상징
적으로 드러냄.
256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56 2019. 1. 9. 오후 2:55


는 번역품이 악마사에서 나왔어. 이 씨가 또 당선됐군. 신경통에 듣는 한 출판사의 이름을 ‘착취사’, ‘악마
출판사의 이름 사’라고 지은 까닭은 무엇일까?
약이 새로 나왔는데. 끔찍해라. 남편이 자기 아내한테 또 매 맞았군.」 예시 답 ‘착취사’와 ‘악마사’라는
출판사의 이름을 통해 이들이 노
처 참, 세상도 무척 변했군요. 삼 년 전만 해도 그런 일이 없었는데, 당신 피 동자를 착취하는 기업이라는 것
을 상징한다.
곤하시죠? ▶ 비정상적인 사건과 무의미한 일상이 반복됨.

5 장녀 (옆방에서 화장을 하며, 장남에게) 얘, 시계가 좀 늦는데 일어선 김에 밥이

나 좀 줘라.

신문의 의미
장남, 시계에 밥을 준다. •비현실적이고 비정상적인 내
시계의 태엽을 감아 줌. → 계속 시계가 돌아가도록 함. 용으로 이루어짐.
•삼 년 전 신문과 오늘 신문의
내용이 동일함.
처 여기 좀 계세요. 저 밥을 좀 지을게요. 
시계에 밥을 주는 행위와 동일한 의미를 지님. → 시계에 밥을 주어 끝없이 현대 사회가 비정상적이고 부
교수 괜찮아. 밥 먹었어. 돌아가게 하는 것처럼, 교수가 끝없는 노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조리하며, 무의미한 일들이
기계적으로 반복된다는 것을
10 처 어디서요? 보여 주는 상징적 장치

교수 여기서 먹었던가? 아니야, 거기서 먹었던 것 같기도 하구.


처 언제요?
교수 오늘 아침에도 먹었구, 점심두……. 글쎄……. 그러다 보니 밥을 먹었는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이성적 판단을 하지 못함.
지 분간을 못 하겠군.
15 처 지금 하시는 번역은 언제 끝나요?
교수 지금 하는 번역이 몇 가지나 있지?
처 그러니까 밤낮 원고료를 잘리우지요. 《자존심의 문제》, 《예술에 있어서의
돈을 벌기 위해 번역 일에 파묻혀 사는 교수의 상황을 나타냄.
창조성》, 《어떤 여자의 고백》……. 이렇게 뿐인가요?
교수 그렇겠지. 아이 피곤해.
원통형 레코드 또는 원판형 레코드에 녹음한 음을 재생하는 장치
20 처 어떤 것이건 빨리 끝내야지, 어떻게 해요. 집도 수리해야겠구, 축음기도
교수가 많은 번역 일을 해야 하는 이유
사야겠구, 또 이달에 아버지 생일도 있잖아요.
교수 밤낮 생일을 치르고 있으니 어떻게 된 거요? 어제도 아버지 생일잔치를
자신이 버는 돈의 사용 내역을 잘 모른 채 일만 함.
했는데.
처 당신두 참! 어제는 당신 아버지 생신이었어요. 이번엔 우리 아버지 생일
25 이구.
교수 그저께도 누구 아버지 생일이라고 해서 돈 만 환을 내지 않았소?
처 그건 대식이 동생 사촌의 며느리뻘 되는 여자의 아버지 생일이래서 그랬 환 1953년부터 1962년까지 쓰
교수와 관련이 없는 사람의 생일까지 챙김. → 교수가 지는 책임감이 크다는 것을 과장하여 제시함. 였던 우리나라의 화폐 단위. 1환
지요. 은 1전(錢)의 100배.

⑷ 근현대 문학 257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57 2019. 1. 9. 오후 2:55


교수 그 바로 전날에도 누구 아버지 생일이라고 해서 돈을 냈는데.
처 그건 순자 언니 조카뻘 되는 며느리 시누이의 아버지…….
교수 됐어, 됐어. (크게 하품을 하며) 아이, 피곤해. (이때 밖에서 시계가 여덟 시
를 친다. 교수는 깜짝 놀라 일어선다.) 여덟 시야! 여덟 시! 늦겠군.

처 어디 가세요? 5

교수 어디 가긴 어디 가. 나 가는 데 모르시오? 옷 갈아입어야지.
▶ 가장으로서 책임감을 느끼고 많은 양의 번역 일을 함.

‘철쇄’의 상징성 전번 모양 철쇄를 졸라맨다. 이어 도어 쪽으로 가서 철문 같은 도어를 열고 밖으로


사회와 가정으로부터의 구속과 책임감, 노동의 중압감 등을 의미함.
가장으로서 끊임없이 나간다. 잠시 후 다시 들어온다.
교수 노동을 하고 돈을 벌
어야 한다는 의무감

현대인들이 느끼는 구속과 처 왜 또 돌아오세요? 나가시기가 바쁘게.
책임감, 중압감을 의미함.
교수 여덟 시를 치기에 아침 여덟 신 줄 알았지. 대학에 강의하러 나간다고 나 10
과중한 노동에 시달려 계속 일을 해야 한다는 강박 관념에 사로잡힌 모습
섰더니 밖이 캄캄하지 않아. 생각해 보니 밤 여덟 시군. (소파에 누우면
서) 오늘 밤은 좀 푹 쉬어야겠군.

처 공부는 안 하세요?
‘번역’을 ‘공부’라고 함으로써 교수에게
교수 공부? 연구(공부)보다 돈을 벌기 위한 번역이
더 중요한 일이 된 상황을 나타냄.
처 아, 번역 말이에요. 15

교수 좀 쉬어야겠어.
처 그럼 좀 쉬다가 일어나세요. 전 옆방에 좀 갔다 오겠어요. 참 당신두 옷
좀 갈아입으세요.

전번 모양 철쇄를 바꾸어 맨다. 이어 퇴장. ▶ 교수가 강박 관념에 시달림.

절정 교수 아이, 피곤해. 20

이때 고요한 음악이 들린다. 눈을 감고 자는 교수의 얼굴에 처음으로 미소가 돈다.


반복되는 일상에서 해방됨.
잠시 후 응접실 불이 서서히 꺼지고 플랫폼 방이 다시 나타난다. 소파 앞에 초라하게
공간이 다름을 나타내기 위한 장치
앉아 있는 처와 소파 앞에 자리 잡고 있는 장남, 장녀.
남편(교수) 앞에서와는 다른 모습 → 남편에게는 독촉하는
입장이었지만 자녀들에게는 독촉의 대상이 됨.
전번 지난번.
플랫폼(platform) 역에서 기차 장녀 (처에게 명령조로) 양말, 하이힐!
를 타고 내리는 곳. 여기서는 연
극 무대 위에 조금 높게 만든 단. 장남 (처에게 명령조로) 잠바, 머플러! 25

258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indd 258 2019. 8. 21. 오후 1:51


처는 말이 떨어질 때마다 알았다는 듯이 머리를 끄덕이며 순응한다. 장녀와 장남의 명령조 대사를 통
자녀의 물질적 욕망을 채워 주는 것이 부모의 의무라고 생각함. 해 이들의 성격을 추측해 보자.
예시 답 오직 물질적인 욕망에만
충실하여 자신의 욕망을 충족하
장녀 용돈, 교과서, 과자! 기 위해 부모에게 의무를 강요하
는 이기적인 성격이다.
장남 떡국, 만둣국, 설렁탕!
장녀 영홧값, 연극값, 다방값!
5 장남 교제비, 차비, 동창회비!

장남, 장녀 같이 손을 내밀면서. 장녀와 장남의 말하기 방식


•명령조로 말하며, 부모에게 일방적으로 요구함.
•부모에게 자식에 대한 물질적 책임만을 요구함.

장녀 돈!
소통이 부재한 현대 사회의 가족 관계를 보여 줌.
장남 돈!
장녀 자식에 대한 책임!
10 장남 자식에 대한 책임! ▶ 장남과 장녀가 부모에게 자식에 대한 물질적 책임을 강조함.
이 작품은 무대 위에 응접실과 플랫폼이라는
두 개의 공간을 설정하고, 조명을 통해 장면을 전환시키고 있음.
플랫폼 방의 불이 꺼지며 다시 응접실이 밝아진다. 소파에 누워 철쇄마저 어느 사이
구속과 억압에서 벗어나자 행복해하는 교수의 모습
에 풀어 헤치고 행복하게 잠자는 교수가 보인다. 시계가 아홉 시를 친다. 시간이 한 시
간 경과하였음을 표시한다. 이때 창문을 열고 감독관이 방 안을 들여다본다. 얼굴이 흉
교수를 기계적으로 움직이게 만드는 현실의 억압이나 구속성을 상징함.
측하게 생긴 데다 아래위를 까만 옷으로 차리고 있어 지옥의 옥리를 방불케 한다. 긴
15 회초리를 든 손을 방 안에 밀어 넣더니 잠자는 교수를 회초리로 때린다. 교수가 눈을
비비며 일어난다.

감독관 원고! 원고!

교수 (일어나며) 네, 곧 됩니다. 또 독촉이군.


옥리(獄吏) 감옥에서 죄수를 감
감독관 (책상을 가리키며) 원고! 원고! 시하던 사람.

⑷ 근현대 문학 259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59 2019. 1. 9. 오후 2:55


감독관의 의미 교수, 소파 한구석에 있던 가방을 집어 갖고서 황급히 책상에 가 앉는다. 가방에서
•논리적 인과 관계 없이 갑
원고를 끄집어내고 책을 펼친다.
자기 창문을 열고 등장함.
•교수를 회초리로 때리며 원
고를 독촉하고 사라짐.
 감독관 원고! 원고!
반복적으로 고된 노동에 시달리는 교수
•현실적인 인물이 아님.
•현대인들의 내면에 존재하
는 일상의 압박, 부담감 등 이윽고 교수는 번역을 시작한다. 감독관이 창문을 닫고 사라진다. 처가 들어온다. 큰
을 상징함. 교수와 자식을 매개하는 인물. 자식에게는
자루를 손에 들고 있다. 의무를 강요당하고, 남편에게는 의무를 강요
5

하는 이중성을 지님.

처 어머나! 그렇게 벌거벗고 계시면 어떡해요.

막대기에 감긴 철쇄를 줄줄 끌어다 교수 허리에 감아 준다.


교수에게 다시 가장으로서의 책임감을 지워 줌.

처 감기에 걸리면 큰일 나요.


교수를 진심으로 걱정하기보다는 감기에 걸려 원고를
쓰지 못하게 될까 봐 걱정함.

교수는 말없이 번역을 한다. 처는 의자를 하나 끌어다 교수 옆에 앉더니 큰 자루를


벌리고 교수를 주시한다. 10

처 빨리! 빨리!

교수가 말없이 원고지 한 장 쭉 찢어 처에게 넘겨준다. 처는 빼앗듯이 원고지를 가로


채더니 자루 안에 쓸어 넣는다. 그리고

처 삼백 환!
원고를 물질적인 가치로 환산함. → 물질주의적 사고방식

재빠르게 다음 페이지의 번역을 끝낸 교수가 다시 한 장을 찢어 처에게 넘긴다. 처는 15

같은 행동을 반복하며

처 육백 환! (이어) 구백 환! ▶ 교수는 돈을 벌기 위해 다시 반복적으로 원고를 씀.

플랫폼 방이 다시 밝아진다. 달콤한 음악과 더불어 장남, 장녀가 또 무엇을 먹으면서


거울 앞에 가더니 얼굴의 여드름을 짠다. 옆방에서는 여전히 교수와 처가 결사적으로
여유로운 모습의 장남과 장녀, 바쁘고 고된 모습의 부모(교수와 처)와 대조됨.
일을 한다. 처의 요란스러운 셈 소리가 삼천 환을 훨씬 넘었다. 감독관이 다시 창가를 20

지나가며 기웃거리고 사라진다. 일하던 교수가 갑자기 붓을 놓고 쓰던 원고지를 보더


니 슬그머니 미소를 짓는다.

260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60 2019. 1. 9. 오후 2:55


‘원고지’의 의미

처 왜 그러세요? •일상의 규격화된 틀 교수가 슬그머니 미소를 지은


원고지
•물질적 가치, 노동의 결과물
까닭은 무엇인가?
교수 참 신기한 일이야. 190자 칸의 원고지 잠시 현실에서 벗어난 일탈, 여유, 해방 예시 답 이전까지는 이백 자의
규격화된 원고지에 얽매어 살았
처 삼천 환을 겨우 넘었을 뿐인데 무엇이 신기해요. 는데, 규격화된 틀을 깬 원고지
오로지 돈을 버는 일에만 관심이 있음. 종이를 보고 지난날의 꿈과 이상
교수 이 원고지 말이오. 다 이백 자 칸이 있는데 이 종이만은 백구십 자 칸밖 이 생각났기 때문이다.
규격화된 틀을 깸.
5 에 안 들었어. 열 자 모자라. 어째서 그럴까? 원고지가 한결 크고 시원해
‘천사’의 의미
보이는군. 마음이 탁 트이는 것 같다. 이상한데, 이상해.
▶ 열 자가 모자란 원고지 종이를 발견하고 일을 멈춤. •천사가 등장하자, 교수가 잊
고 있었던 과거의 희망과 정
열을 떠올림.
•교수는 잃어버린 꿈을 되찾
하강 교수는 여전히 미소를 지으면서 전면을 바라본다. 이때 무대 전체가 어두워지고 스 고 싶어 하지만, 천사는 이미
포트라이트가 교수만을 포착한다. 잠시 모든 것이 조용해지며 과거를 상기시키는 감상 늦었다고 하며 떠남.

적인 음악이 고요히 흘러나온다. 교수 전면에 또 하나의 스포트라이트가 투사되며 천 •교수의 꿈과 희망,
천사의 정열
10 사가 역시 미소를 지으며 가벼운 발레를 추면서 들어온다. 교수는 천사를 물끄러미 바
의미 •다시 돌아갈 수 없
교수가 잃어버린 꿈과 희망, 정열을 상징함.
라본다. 는 과거

교수 (한참 있다) 오라, 생각이 나는 것 같아. 그래 바로 그거.


규격화된 틀을 깬 원고지를 보고 지난날의 꿈과 이상이 생각남.
천사 나를 완전히 잊은 줄 알았어요.
교수 (일어서며) 분명 그래. 아직 잊지를 않았어. 나의 희망, 나의 정열의
15 옛 모습이야.
천사 쥐꼬리만 한 기억력이 아직 남아 있군요.
교수 언제 어떻게 돼서 당신과 헤어졌는지 모르겠습니다. 나에게도 불
타는 듯한 정열이 있었어요. 그래요. 생각이 납니다. 밤을 새워 가
며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진리를 위해 온 생애를 바치겠노라고 떠
꿈과 희망, 정열이 있던 지난날
20 들던 때……. 아, 꿈같은 시절이었습니다. 당신은 왜 나를 버렸어
요?
천사 당신이 나를 떠났지요. 당신을 돕고 싶습니다. 그러나 이미 늦었어
요. 나한테 되돌아오기는 너무 늦었어요.
교수 내 꿈을 도로 찾아 주십시오. 생각할 힘을 주시오. 요즈음은 통 사
25 고를 할 수가 없습니다.
천사 「사고할 필요가 없어요. 이미 사고가 난 걸요.」 「」 : 동음이의어를 활용함. 스포트라이트(spotlight) 무대
생각하고 궁리함.[思考] 뜻밖에 일어난 불행한 일.[事故]
의 한 부분이나 특정한 인물만
교수 이 함정에서 뛰어나가고 싶습니다. (천사가 서서히 사라진다.) 가지 마시
자신이 처한 현실에 대한 교수의 인식이 드러남. 을 밝게 비추는 조명 기구 또는
오! 내 희망, 내 정열은 어떻게 되는 거요. 꿈을 주십시오! 내 꿈! 내 꿈! 조명 방식.
▶ 교수가 천사를 만나 지난날의 꿈과 희망, 정열을 떠올림.

⑷ 근현대 문학 261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61 2019. 1. 9. 오후 4:18


꿈을 잃은 교수는 맥없이 전면을 바라보며 앉아 있다. 어둠 속에서 창을 여는 소리가
나며, 감독관이 얼굴을 나타낸다.

감독관 (회초리를 흔들며) 원고! 원고는 언제 쓰는 거야?

대단원 이 소리에 교수는 비로소 정신을 차리고 다시 비참한 표정으로 번역을 계속한다. 이
러는 사이에 무대 전체가 암흑화된다. 잠시 후 새소리, 닭 우는 소리와 더불어 무대 전 5

체가 밝아진다. 아침이다. 교수는 책상에 머리를 박은 채 자고 있다. 플랫폼 방에서는


장남이 반나체가 돼서 아령을 쥐고 운동을 하고 있다. 장녀가 아침 신문을 들고 응접실
로 들어온다. ▶ 교수가 환상에서 깨어나 다시 번역을 하다 잠이 듦.

장녀 (관객들에게) 벌써 아침이 됐습니다. (자고 있는 교수를 가리키며) 아버지


관객들에게 직접 사건 전개나 상황을 설명함. → 관객의 극중 몰입을 방해하여 객관적 거리를 유지하도록 함.
는 연구하시다 가끔 그대로 책상에서 주무신답니다. 그야말로 학자지 10
반어적 표현 → 공부나 연구보다는 돈 버는 일만 하는 모습
요. 여러분은 아침에 어머니가 먼저 안 나오시고 제가 이 방에 대신 왔다
는 점을 이상하게 생각하실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머니는 아침 일찍이
아버지 원고를 가지고 출판사로 달려갔으니 이렇게 제가 대신 왔습니
다. 아시겠지요. 아버지가 밤늦도록 수고하시니 저도 아버지를 위해 한
가지 좋은 일은 해 드리고 있습니다. 아침마다 아버지께 신문을 읽어 드 15

립니다. (교수를 깨운다.) 아버지. (교수, 눈을 비비며 머리를 든다.) 아버지,


아침 신문 왔어요. 읽어 드리겠어요.
교수 (하품을 하며) 그래, 읽어 다오.

장녀 (신문을 읽는다.) 「비가 많이 왔어요. 강원도 쪽에 눈이 굉장한 모양이에


「」 : 이전의 신문 내용과 동일함. → 부조리한 현실이 반복됨.
요. 또 살인입니다. 이번엔 두 살 난 애가 자기 아비를 죽였대요. 참, 지 20

프차가 동대문을 들이받아 동대문이 완전히 무너졌답니다. 지프차는 도


〈원고지〉의 의의 망가 버리구. 이것 봐요. 아버지의 《개성을 잃은 노동자》라는 번역책이
1960년 1월 《사상계》에 실린
이 작품은 특별한 사건이나 갈 악마사에서 다시 나왔어요. 이 씨가 또 당선됐답니다. 신경통에 듣는 한
등 관계 없이 부조리한 상황들 출판사의 이름. ‘착취사’보다 더 악랄한 기업임을 드러냄.
을 과장되게 묘사하고 있다. 전 약이 새로 나왔군요. 끔찍도 해라. 남편이 자기 아내한테 또 매 맞았대요.」
후(戰後)에 자본주의와 물질 만
능주의가 싹트던 시기에 발표 교수 하룻밤 사이에 참 신기한 사건도 많아라. 세상이 그렇게 변해서야 어디 25
된 이 작품은, 가족 공동체의 해 반복되는 사건을 접하면서도 자각하지 못함.
체와 개인의 상실, 현대인에 대
살 수 있겠니. 너 왼쪽 손에 들고 있는 종이는 뭐냐?
한 풍자와 비판 등의 주제를 개
성적인 기법들을 통해 표현하여
우리 연극사에 남을 획기적인
장녀 이거요?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다.

262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62 2019. 1. 9. 오후 2:55


영자 신문을 교수에게 준다. 교수는 받기가 무섭게 기계적으로 번역을 한다.
희극적 상황으로 웃음을 유발함.

장녀 뭘 번역을 하세요? 교수의 사고와 행동의 의미


장녀가 읽어 주는 신문의 내용이 이전의 신문 내용과 같다
사고
교수 이 영어를 우리말로 고치는 거야. 는 것을 인식하지 못함.
행동 장녀가 들고 있는 영자 신문을 기계적으로 번역하려고 함.

그대로 번역을 한다. 일상의 굴레에 지쳐 현실을 전혀 자각하지 못하는 상태에 처해 있으
며, 이는 무의미한 노동에 익숙해져서 기계적으로 행동하는 서글픈 현
대인들의 단면을 보여 줌.

5 장녀 아버지두 참! 그거 오늘 아침 영어 신문이에요.
교수 (신문을 보더니) 그렇군! 난 영어길래 곧 번역하려구 했지.
번역을 하는 행위가 기계적으로 반복되었음을 알 수 있음.
▶ 교수가 영자 신문을 기계적으로 번역하려고 함.

(시계가 여덟 번을 친다. 교수는 무엇에 놀란 듯 황급히 일어나 가방을 들고 소파 쪽


으로 가 철쇄를 바꾸어 맨다.)

교수 벌써 여덟 시야. 빨리 가야지, 빨리 가야지. 이번엔 분명 아침 여덟 시겠


10 지. (무섭게 철문을 열고 퇴장하면서) 오늘이 무슨 요일이더라?
장녀 모레가 일요일이구, 내일이 국경일이니까……. 오늘은 금요일이군요.

「교수 퇴장. 장남 등장. 장남과 장녀는 소파에 앉아 고약한 세리처럼 처의 귀가를 기


「」 : 인간적 유대감과 소통이 단절된 가족의 모습
다린다. 이윽고 처가 철문을 열고 돌아온다. 피곤에 못 이겨 허둥지둥하면서도 돈 보따
리는 꽉 끼고 있다. 현기증이 심한 듯 소파 앞에 무릎을 떨어뜨리며 주저앉는다. 장녀
15 와 장남이 여전히 무표정한 얼굴로 손을 번쩍 내민다. 처는 보따리를 헤치고 돈을 나누
어 준다. 돈을 받자 두 자식은 일어서서 밖으로 나간다. 경쾌한 음악이 흘러나온다. 처
풍자적 분위기를 조성함.
가 마루에서 일어나 소파에 주저앉아 눈을 감는다. 잠시 후 창문이 열리더니 다시 감독
관이 회초리로 처를 친다. 처가 깜짝 놀라 일어난다.」

감독관 연탄 준비! 김장거리! 빨랫감!


처에게 주어진 현실의 압박감(교수에게 번역하는 일과 동일)
20 처 아이, 또 독촉이군.

세리 (稅吏) 세금 징수의 일을
책상 쪽으로 가 천천히 흩어진 책이며 원고지를 정리한다. 막. 맡아보는 관리.
작품 구성 ▶ 다시 기계적이고 무의미한 삶이 반복됨.
발단 장녀, 장남, 교수, 교수의 처가 등장함.
피곤에 지쳐 있는 교수는 처의 추궁으로 인해 이성 제재 정리
전개
이 마비된 듯한 혼란에 빠짐.
장녀와 장남이 용돈을 요구하고, 감독관은 교수에
절정
게 빨리 번역하라고 독촉함.
교수는 천사에게 잃어버린 꿈을 되찾으려 하다 실
하강
패하고 감독관은 다시 번역을 재촉함.
교수는 장녀가 읽어 주는 영자 신문조차 번역하려
263
대단원
할 정도로 기계적이고 무의미한 삶을 살아감. ⑷ 근현대 문학
※진한 색 부분은 교과서 수록 부분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63 2019. 1. 9. 오후 2:55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 작품에 제시된 대사의 종류, 등장인 


〈원고지〉에 등장하는 소재의 상징 한국 현대 극 문학의 흐름에 대한 글
물의 상징성, 극적 기법의 특징 등을
적 의미 정리하기 을 읽고 시기별 주요 작품 조사하기
통해 〈원고지〉의 가치 이해하기

활동 1 지도 방안
1 〈원고지〉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서 등장인물의 이름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까닭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학생들이 작품을 읽고 특징적
인 부분에 대해 생각해 봄으로 예시 답 등장인물을 ‘교수’, ‘처’, ‘장녀’, ‘장남’ 등의 호칭만으로 제시함으로써 개인의 상실, 획일화, 삭막함 등의 사회
써 작품을 보다 잘 이해하도록 적 문제를 상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하는 활동이다. 등장인물의 호
칭 및 소재의 상징성에 대해 살
펴보면서 작가가 작품을 통해
드러내려고 했던 주제 의식이나 ⑵ 이 작품에 등장하는 소재의 상징적 의미를 정리해 보자.
작품의 성격에 대해 다시 한번
접근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안내한다. 예시 답 교수가 돈을 벌기 위한 예시 답 비정상적이고 부조리한
원고지 수단이며, 규격화되고 반복적인 신문 현실, 매일 똑같은 일상이 반복
일상의 틀을 의미한다. 되는 현실을 의미한다.

예시 답 사회와 가정으로부터의
철쇄(쇠사슬) 구속과 책임감, 노동의 중압감
등을 상징한다.

2 〈원고지〉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을 읽고, ~ 의 대사가 어떻게 다른지 각각의 종류와 특징을 이야기해 보자.

희곡에서 대사는 인물의 성격 교수 (신문을 혼자 읽는다.) 참 비가 많이 왔군. 강원도 쪽에 눈이 굉장한 모양인


을 드러내고 사건을 진행하며, 데. 또 살인이야, 이번엔 두 살 난 애가 자기 아비를 죽였대. 참 지프차가
인물의 내적 심리를 표현하기도
동대문을 들이받아 동대문이 완전히 무너졌군. 지프차는 도망가 버리구.
한다. 이처럼 대사의 기능이 다
양하여 그것에 맞게 형식도 여
러 가지가 있다. 보통 대사는 ‘대 처 여기 좀 계세요. 저 밥을 좀 지을게요.
화, 독백, 방백’으로 구분한다. 교수 괜찮아. 밥 먹었어.
활동 2 지도 방안 처 어디서요?
희곡으로서 〈원고지〉의 특성
과 문학사적 의의를 살펴보는 교수 여기서 먹었던가? 아니야, 거기서 먹었던 것 같기도 하구.
활동이다. 대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표현 효과에 대해 학
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 장녀 (관객들에게) 벌써 아침이 됐습니다. (자고 있는 교수를 가리키며) 아버지는
한다. 또한 등장인물의 상징성
을 앞서 살펴본 소재의 상징성 연구하시다 가끔 그대로 책상에서 주무신답니다. 그야말로 학자지요.
과 연결하여 이해함으로써 주제
의식이나 작품의 성격을 재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종류 특징
예시 답 극 안의 등장인물이 혼자 이야기를 하면서 생각이나 감정, 심리 상태를 직접
독백
적으로 전달함.
예시 답 극 안의 등장인물들끼리 이야기를 함으로써 인물의 성격, 심리 상태를 간접적
대화
으로 제시하고, 인물 간의 갈등이나 사건을 전개함.
예시 답 극 안의 등장인물이 극 안의 다른 인물과 차단된 상태로 관객에게만 이야기를
방백
함으로써 극적 상황에 대해 관객들의 기대 심리를 이끌어 냄. 또한 관객들의 감정 몰입
을 방해하고 심리적 거리를 두게 하기도 함.

264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64 2019. 1. 9. 오후 2:55


⑵ 다음 설명을 참고하여 이 작품의 등장인물은 각각 무엇을 상징하는지 정리해 보자.

이 작품이 발표된 1950년대 말은 전쟁 이후 생존을 위한 논리가 강조되고 경제 개


발과 물질 만능주의의 풍조가 대두된 때였다. 이에 인간의 삶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
을 탐구해 낸 문학 작품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작품들은 사회가 급격히 변하
는 가운데, 기존의 전통적 가치가 무너지며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점과 이를 반영한
인간의 모습을 그리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예시 답 반복된 일상과 노동
현대인들을 기계적으로 예시 답 현대인이 잃어버린
에 시달리는 현대인 움직이게 만드는 꿈과 정열

현실의 억압

교수 감독관 천사

⑶ 이근삼은 서구 현대극의 새로운 기법을 도입하여 실험적인 작품을 창작한 작가로 알려져
부조리극이란 현대 사회의 삶
있다. 다음 부분에서 사용한 극적 기법의 특징과 효과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의 문제가 무질서하고 부조리하
다는 내용을 전제로 하는 연극
사조이다. 부조리극에서는 전통 처 ‌어머나! 그렇게 벌거벗고 계시면 어떡해요.
적인 기법 대신 극 중에서 등장
인물이 정체성을 잃거나, 시간과
막대기에 감긴 철쇄를 줄줄 끌어다 교수 허리에 감아 준다.
공간이 현실성을 잃고, 언어가
본래의 전달 의미를 상실하는 등 교과서
처 ‌감기에 걸리면 큰일 나요.
의 기법을 통해 현대 사회가 가 260쪽

진 부정적 속성을 드러낸다.


예시 답 ‘처’가 ‘교수’를 걱정해 주는 것처럼 말하고 있으나 행동으로는 철쇄를 감아 줌으로써 교수에게 노동을 강요
하고 있다. 이렇게 대사와 행동이 모순되는 기법을 통해 현대인들이 처한 부조리한 상황과 비정상적인 모습을 효과
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⑷ 이 작품이 오늘날의 독자들에게도 감동과 깨달음을 줄 수 있다면 무엇 때문일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작품이 발표되었던 시기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람들은 물질적 가치를 추구하며 무의미한 일상
의 반복 속에서 삶의 의미를 잃어버린 채 기계적으로 노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원고지〉는 오늘날의 독
자들에게도 울림을 준다.

⑷ 근현대 문학 265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65 2019. 1. 9. 오후 2:55


활동 3 지도 방안
3 다음은 한국 현대 극 문학의 흐름을 정리한 글이다. 이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전통적인 판소리나 그 형식을 빌려 만든 가극(歌劇)


우리 극 문학의 역사적 흐름 한국 현대 극 문학은 개화기 이후 창극, 신극 등이 등장하면서 큰 변화를 겪었고,
에 대해 살펴보는 활동이다. 제 서구 근대극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우리나라의 근대 연극
시된 글을 읽어 보고, 대표적인 1920년대에서 1930년대에 ‘토월회’, ‘극예술 연구회’ 등의 단체가 결성되면서 근대적
극 문학 작품에 대해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독서 활동 등을 통
작품들이 창작되기 시작했다. 이후 사실주의 극 문학과 해외 번안, 번역 작품 등이 주
해 대표작들을 읽어 보는 활동 류를 이루며 이런 흐름이 광복 이후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도 가능하다.
1940년대에서 1960년대에는 전후 현실을 다루거나 현대 자본주의의 속물성, 구시
대의 인습 등을 비판한 작품들이 많이 창작되었다. 서구의 사실주의 및 실험적 표현
기법이 활발히 도입되기도 했다. 1970년대에서 1980년대에는 현대 사회의 문제점,
사실주의 사조 우리나라의 정치적 현실, 역사 문제 등을 다룬 작품들이 탄생하게 되었다. 또한, 전통
일반적으로 현실을 있는 그대
로 묘사·재현하려고 하는 창작 적인 연희 양식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대학가를 중심으로 전통 제의인 무당굿을 계승
태도. 19세기 중엽에 유럽에서
일어난 예술 사조로, 현실을 존 한 굿극, 가면극을 계승한 탈춤극, 인형극을 계승한 꼭두극, 그리고 전통을 폭넓게 계
중하고, 주관에 의한 개변·장식
을 배제한 채 객관적으로 관찰 승한 마당극 등이 유행하며 현대극의 새로운 양식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아울러 전통
하여 그 개성적 특징을 있는 그
적 구성의 부재, 개성이 상실된 등장인물, 논리적 언어의 해체 등을 통해 현대인의 소
대로 그려 내려고 하는 경향 또
는 양식임. 외된 정신 상황을 표현한 부조리극도 창작되었다. 1990년대 이후에는 주로 사실주의
사조를 기본 방향으로 하되, 현대극의 다양한 기법과 양식을 수용하여 표현의 영역을
확대하는 시도가 더해졌다. 상징적이거나 시적인 분위기의 가미, 플래시백 수법을 통한
자유로운 시공간의 넘나듦 등으로 극 문학에서도 유연하고 개방적인 특성이 드러나게
되었다.

플래시백(flashback) 영화나 텔레비전 따위에서 장면의 순간적인 변화를 연속으로 보여 주는 기법. 긴장의 고조,
감정의 격렬함을 나타내는 데 효과적이며, 과거 회상 장면을 나타내는 데도 쓰임.

⑴ 이 글을 참고하여 모둠별로 현대 극 문학의 시기별 주요 작품들을 조사해 보자.


예시 답 •1920~1930년대: 조명희의 〈김영일의 사(死)〉, 김우진의 〈산돼지〉 등 / •1940~1960년대: 함세덕의 〈동승〉,
천승세의 〈만선〉, 이근삼의 〈원고지〉 등 / •1970~1980년대: 이강백의 〈파수꾼〉, 최인훈의 〈둥둥 낙랑둥〉 등
•1990년대 이후: 이강백의 〈북어 대가리〉, 장진의 〈웰컴 투 동막골〉 등
⑵ 앞으로의 극 문학은 어떤 내용을 어떤 형식으로 다루게 될지 자유롭게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 •내용 면에서는 기계 문명이나 정보화 사회의 폐해를 다룬 작품, 인간 본연의 모습을 돌아보는 작품 등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형식 면에서는 전통적인 극 문학 양식이 파괴되고 전자 매체 등 특수 기술을 응용하여 여러 제약들이 해소된 형태
05 의 작품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원고지〉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예시 답 이 작품은 물질적 가치를 중시하면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것 같아. 1960년대 산업 사회가 대두되면서
이근삼의 출세주의와 배금주의 풍조를 투사
〈국물 한 본격적인 서사극이다. 한 청년의
나의 책방 키우기 있사옵니다〉 세속적인 출세기를 통해 현대 사회
의 구조적인 모순을 풍자하고 있다.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이근삼의 〈국물 있사옵니다〉 1969년도 노벨 문학상 수상 작품으
로, 반연극적인 요소를 지녔다고 하
기법이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
 사무엘
여 ‘부조리극’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베케트의
절망과 불안 속에서도 미래에 대한
〈고도를
막연한 기대감으로 살아가고 있는
266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기다리며〉
현대인의 부조리한 삶의 모습을 그
리고 있다.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66 2019. 1. 9. 오후 2:55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벼’의 다양한 모습을 통해 이 땅에서 살아온 민중의 한과 공
동체 의식을 형상화하고 있는 시이다. 의인화와 비유, 상징 등의 기법을
6
통해 벼의 생장과 수확 과정을 그리는 동시에 민중이 지닌 기질과 덕성
을 예찬하고 있다. 1970년대라는 그늘진 한국의 현대사를 경험한 작가는
전쟁과 독재 체제, 산업화의 그늘 속에서 희생적인 역할을 감당해야 했던
민중들에 대한 깊은 관심과 사랑을 시로 담아 내었다. 〈벼〉를 감상하면서


시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벼’와 관련된 이미지를 자유롭게 떠올려 볼까요?
질문의 예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이성부 (1942~2012) 작가 동영상

시인. 현실 참여와 관련한 주제를 다루면서도 서정성


과 시적 상상력이 뛰어난 작품을 주로 발표하였다. 주
요 작품으로 〈봄〉, 〈산길에서〉, 〈전라도 7〉 등이 있다.

 황금물결이 넘실대는 가을 들판을 본 적

이 있는가?
 1970년대 우리나라의 시대 상황은 어떠
했을까?

예시 답 벼는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

⑷ 근현대 문학 267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67 2019. 1. 9. 오후 2:55


〈벼〉는 ‘벼’의 속성을 통해 민중의 유대와 생명력을 예찬한 시이다. 작품 개관
작품에 나타난 부정적인 시대 상황과 시인의 태도에 주목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갈래 자유시, 서정시, 참여시
성격 참여적, 예찬적, 상징적
수업의 포인트
제재 벼
•시적 대상에 대한 시적 화자의 태도 파악하기 주제 민중의 공동체적 유대감과 강인한 생명력 예찬
•‘벼’와 민중의 속성 이해하기 ① ‌‘벼’의 생장과 수확 과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햇살’의 상징성 이해하기 시상을 전개하고 있음.
작품 감상 애니메이션 특징
② ‌대상을 의인화하여 ‘벼’가 지닌 속성을 예찬

작품 감상 음성 하고 있음.

벼는 서로 어우러져
‘민중’을 상징함. ‘벼’의 속성 ① - 서로 의지하며
기대고 산다. 살아감.
|
이성부

햇살 따가워질수록
부정적 대상(시련, 고통)
깊이 익어 스스로를 아끼고
부정적 상황에서도 긍정적 태도를 보임.
이웃들에게 저를 맡긴다.
▶ 고난을 이겨 내며 서로 의지하고 살아가는 민중의 모습

‘햇살’의 상징성 「서로가 서로의 몸을 묶어 ‘벼’의 속성 ② - 힘을 합쳐 더욱


햇살: 시련, 고통, 억압(부정적 「」 : 결속력이 더 강해진 모습
강하게 맞서 싸움.
대상) 더 튼튼해진 백성들을 보아라.」
 벼

•결과적으로 벼를 깊이 익게
죄도 없이 죄지어서 더욱 불타는
역설법(무고하게 억압받는 민중의 모습)
하고 단결시킴.
•벼를 내적으로 더 성숙하게 마음들을 보아라. 벼가 춤출 때,
만듦. 가을이 되어 추수할 때를 의미함.
벼는 소리 없이 떠나간다. ▶ 공동체 의식으로 더 튼튼해진 민중의 생명력
희생적인 사랑을 실천함.

벼는 가을 하늘에도
서러운 눈 씻어 맑게 다스릴 줄 알고
서러움을 승화시킴.(자기 정화)
‘벼’의 속성 ③ - 서러움과 노여움
바람 한 점에도 을 승화시켜 성숙해짐.

제 몸의 노여움을 덮는다.
노여움을 절제함.
저의 가슴도 더운 줄을 안다.
저항 의식을 지닌 민중의 모습 ▶ ‌서러움과 노여움을 승화시키는 민중의
성숙한 모습

벼가 떠나가며 바치는 ‘벼’의 속성 ④ - 희생적인 사랑을


바칠 줄 앎.
이 넓디넓은 사랑,
시인 이성부의 작품 세계
이성부 시인은 대표작 〈벼〉,
〈누룩〉, 〈봄〉 등을 통해서 민중
쓰러지고 쓰러지고 다시 일어서서 드리는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민중의 모습
의 현실과 분노, 사랑을 노래하
면서도 늘 보다 나은 세상과 삶
이 피 묻은 그리움,
에 대한 희망을 전달하는 데 초 민중이 열망하는 염원(자유, 평등)
점을 두었다. 시대 현실과 사물 이 넉넉한 힘……. ▶ 희생적인 사랑을 하고, 고난을 이겨 내는 민중의 힘
에 대한 사실적 관찰을 통해, 공 민중의 저력
통적 속성을 찾아 연결하고 참 작품 구성
신하게 비유하는 기법은 그의 제재 정리 1연 고난을 이겨 내고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는 민중의 모습
시를 더욱 친근하게 만든다. 2연 공동체 의식으로 더 튼튼해진 민중의 생명력
3연 서러움과 노여움을 승화시키는 민중의 성숙한 모습
4연 희생적인 사랑을 하고 고난을 이겨 내는 민중의 힘
268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68 2019. 1. 9. 오후 2:55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 〈벼〉가 창작된 당시의 시대 상황을 살  김수영의 시 〈눈〉과 〈벼〉를 비교하며
‘벼’의 속성과 상징하는 대상 파악하기
펴보고 작가의 창작 의도 생각해 보기 감상하기

활동 1 지도 방안
1 〈벼〉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시적 화자는 가을날 ‘벼’의 모습에서 어떤 속성을 발견하고 있는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작품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
한 활동이다. 시적 화자가 처한
상황을 파악한 후 핵심 시어의
1연 서로 돕고 의지하며 살아감.
의미를 생각하도록 이끌어 준
다. 그리고 이를 종합하여 마지
막 연에 담긴 시적 화자의 정서
를 추측할 수 있도록 한다.
2연 예시 답 힘을 합쳐 불의에 더욱 강하게 맞서 싸움.

‘벼’

3연 예시 답 서러움과 노여움을 승화시켜 성숙해짐.

4연 예시 답 희생적인 사랑을 바칠 줄 앎.

이 시의 화자는 우리 농 ⑵ ⑴을 바탕으로 하여 ‘벼’가 상징하는 대상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촌에서 볼 수 있는 ‘벼’를 소재 예시 답 이 작품에서 ‘벼’는 민중, 백성 등을 상징한다.
로 노래하고 있어. 들판의 ‘벼’
를 보며 어떤 대상을 떠올렸을
지 생각해 봐.

활동 2 지도 방안
2 〈벼〉가 창작된 당시의 시대 상황을 고려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작품이 창작되었던 1970년대 이 시가 창작된 1970년대는 경제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독재 정권의 장기


의 역사적, 시대적 상황을 고려
하여 시구의 의미를 해석하고, 집권 등으로 사회 정치적 혼란이 계속된 시기이다. 경제 발전의 그늘 아래 빈부 격차
이를 통해 작품의 가치를 파악
하는 활동이다. 제시된 글과 함 에 시달리며 인권의 사각지대에서 힘든 삶을 살아야만 했던 민중들은 삶의 현장에서
께 1970년대 역사적 사건들을
추가로 설명해 주거나, 사전에
서로 연대하며 자신들의 기본권을 지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모둠별로 조사해 보는 활동을
추가할 수 있다.

⑴ 이 글을 참고하여 다음 시구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이며, 그 까닭을 말해 보자.

•햇살 따가워질수록
교과서
•죄도 없이 죄지어서 더욱 불타는 268쪽
1970년대의 시대 현실
•급속한 경제 발전의 시기 예시 답 제시된 시구는 혼란스러운 시기에 힘든 삶을 살아가는 민중들의 상황을 의미한다. ‘햇살 따가워질수록’은
•민중들은 독재 정권하에서 기 민중을 상징하는 ‘벼’가 겪는 고통과 시련이 점점 심해지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죄도 없이 죄지어서 더욱 불타
본적 권리를 갖지 못했으며, 는’은 죄가 없는데도 무고하게 억압을 받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 발전으로 인한 혜택도 제
대로 누리지 못함.
⑵ 문학 작품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이 작품이 지닌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보자.
•당시의 시대 상황을 반영한 문 예시 답 1970년대의 암울한 시대 상황을 바탕으로 창작된 이 작품은 ‘벼’가 지닌 긍정적인 속성에서 민중의 모습을
학 작품들이 탄생함. 발견하고 있다. 작가는 독재 체제와 산업화의 그늘 속에서 희생적인 역할을 감당해야 했지만 강인한 유대감과 저항
의식으로 어려움을 극복하는 민중의 모습에 주목한 것이다. 따라서 독자는 이 작품을 통해 민중의 희생과 인내의 모
습을 발견하고 감동하는 동시에 오늘날 자신의 삶을 성찰하게 된다.
⑷ 근현대 문학 269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69 2019. 1. 9. 오후 2:56


〈눈〉은 ‘눈’의 이미지를 통
3 다음은 현대시 〈눈〉이다. 〈벼〉와 비교하면서 감상해 보자.

해 1950년대 우리 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과 삶에 대한 성찰을
눈은 살아 있다 눈은 살아 있다
순수함(참된 가치의 상징)
드러낸 작품이다. 떨어진 눈은 살아 있다 죽음을 잊어버린 영혼과 육체를 위
죽음을 초월하여 순수하고 가치 있는
활동 3 지도 방안 마당 위에 떨어진 눈은 살아 있다 하여 것을 추구하는 사람: 젊은 시인
이성부의 〈벼〉에 대해 학습한 ▶ 순수한 생명을 지닌 눈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김수영의
눈은 새벽이 지나도록 살아 있다
미래 지향적
〈눈〉을 감상하는 활동이다. 두 기침을 하자 ▶ 죽음을 초월한 생명력을 지닌 눈
작가 모두 암울한 시대 상황을 가래(불순한 것)를 뱉어 내는 행위
극복하기 위해 어떤 점에 주목 젊은 시인이여 기침을 하자 기침을 하자
하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비교할 순수함을 추구하는 존재
수 있도록 한다. 눈 위에 대고 기침을 하자 젊은 시인이여 기침을 하자
눈더러 보라고 마음 놓고 마음 놓고 눈을 바라보며
작품 개관 지금까지는 마음 놓고 기침을 하지 못했음.
갈래 자유시, 서정시 기침을 하자 밤새도록 고인 가슴의 가래라도
비판적, 의지적, 상징 ▶ 눈 위에 대고 기침을 하는 젊은 시인 더럽고 불순한 것
성격
적 마음껏 뱉자 ▶ 밤새도록 가래를 뱉는 젊은 시인
제재 눈 억압과 불의에 대한 저항,
자유에의 갈망 - 김수영, 〈눈〉
순수하고 정의로운
삶에 대한 소망과 부
주제
정적 현실의 극복 의

① ‌‘-자’라는 청유형
⑴ 〈눈〉에서 ‘기침’을 하는 행위가 지닌 함축적 의미는 무엇인지 말해 보자.
의 문장을 사용하
여 순수한 삶에 대 예시 답 ‘기침’을 하는 행위는 ‘가래’와 같이 불순하고 부정적인 것을 밖으로 뱉어 내는 행위를 의미한다.
한 강한 의지를 드
특징 러냄.
② ‌‘눈’과 ‘기침’의 대
비를 통한 고도의
상징적 수법을 통 ⑵ 〈눈〉과 〈벼〉는 모두 시적 대상으로부터 긍정적 가치를 발견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이 주
해 주제를 부각함.
제를 전달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눈〉과 〈벼〉는 각각 자연물 ‘눈’과 ‘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주제 의식을 전달하
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독자가 시적 대상의 긍정적 가치를 발견하고 이를 수용하는 가운데 시인의
목소리에 자연스럽게 공감하게 되는 문학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6

〈벼〉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예시 답 무심코 지나칠 수 있는 ‘벼’를 면밀하게 관찰해서 다양한 속성을 발견하고 이를 민중의 모습으로 투영한 점이 참신한 것 같아.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나의 책방 키우기 이 작품은 기다리지 않아도, 기다림마저 잃었


이성부의 을 때에도 반드시 오는 ‘봄’을 제재로 하여, 새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이성부의 〈봄〉 〈봄〉 롭게 다가올 ‘봄’에 대한 화자의 기다림을 드러
내고 있다.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최두석의 〈성에꽃〉 이 작품은 새벽 시내버스를 타면 흔히 볼 수
최두석의 있는 성에꽃을 소재로 하여 서민들의 고단한
〈성에꽃〉 삶과 그에 대한 시적 화자의 애정 어린 시선을
270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담은 시이다.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70 2019. 1. 9. 오후 2:56


작품 설정의 취지

7
이 작품은 사람이 나무로 변하는 비현실적인 상황을 설정하여 현대 사
회의 폭력성을 비판하고 있는 소설이다. 아내는 콘크리트 속에서 점점 더
병들어 가고 말이 줄어들며 인간의 육체를 서서히 잃어 가지만, 그 대신
점차 식물의 상태로 변화해 간다.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한 이러한 상상을
통해 작가는 도시의 인공적인 세계로부터 벗어나 자연스러운 순환 속에
있는 본원적 생명의 세계를 꿈꾼다. 이 작품은 이전 시기의 이념 중심의
문학적 경향에서 벗어나 생태주의, 문명 비판주의, 인간 소외 현상 등 다
양한 경향의 작품이 창작된 1990년대 이후의 한국 문학의 특징이 잘 드
러나기에 이 단원의 제재로 선정하였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제목을 보고 어떤 내용일지 짐작해 볼까요?
질문의 예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한강 (1970  ~ ) 작가 동영상

소설가. 1994년에 소설가로 등단하여 섬세한 감성과


시적인 언어로 사회의 여러 문제를 근원적으로 진단하
는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 〈채식주의
자〉, 〈소년이 온다〉 등이 있다.

 식물의 특성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도시에서 사는 삶의 장단점은 무엇일까?

예시 답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때는 언제인

가?

⑷ 근현대 문학 271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71 2019. 1. 9. 오후 2:56


〈내 여자의 열매〉는 사람이 나무가 되는 상황을 통하여 현대 사회의 폭력성을 비판한 소설이다.
현대 사회의 문제와 독특한 서술에 주목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개관
갈래 현대 소설, 단편 소설
수업의 포인트
성격 생태적, 환상적, 회상적
•현대 문명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 인식 이해하기
배경 1990년대 / 서울
•소재의 상징적 의미 파악하기
•한국 현대 문학의 세계적 위상 살펴보기 도시 문명의 황폐함을 비판하고 자연 순환적인
주제
생명성을 소망함.
① ‌어머니를 청자로 설정하여 생명의 근원인
모성(母性)을 환기함.
② ‌주인공이 식물이 되어 가는 과정에서 생태

내 여자의 열매 | 한강
특징
학적 세계관을 드러냄.
③ ‌식물로 변하는 주인공의 상태를 다양한 감
각적 이미지로 형상화함.
작품 줄거리 애니메이션

작품 줄거리 음성

앞부분 줄거리
「」 : 작품의 앞부분은 1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서술자인 남편이 아내를 둘러싼 이야기를 서술함.
「도시에서 사는 아내와 남편은 점점 서로 소통하지 못한다. 바닷가 빈촌에서 성장한 아내는 도시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도시에서 성장한 남편은 그런 아내를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결국, 자유를 꿈꾸던 아내는 마침내 침묵한다. 그러던 중 아내에
남편과 아내가 소통을 하지 못함.
게 연두색 피멍이 생기고, 그것은 점점 커져 그녀의 온몸에 퍼진다. 음식도 먹지 않고 베란다에서 햇볕을 쬐는 것만 좋아하던 5

아내는 점점 나무로 변해 간다. 출장에서 돌아온 남편은 그런 아내의 모습에 처음엔 놀라지만 그녀를 정성껏 돌본다.」 말하는

것이 어려워진 아내는 어머니를 향해 마음속으로 편지를 쓴다.


식물이 되어 말을 하지 못한 아내의 이야기가 독백 형태로 제시됨.(교과서 수록 부분)

어머니. 때 나는 소리를 죽여 울었답니다. 그 따뜻한


생명의 근원인 모성(母性)을 환기시킴.
이제 어머니께 편지를 쓸 수 없게 되었어 빛을 좀 더 깊숙이 받아들이고 싶어서 베란다
식물이 광합성을 하듯 식물처럼 햇빛을 갈구함.
요. 어머니가 두고 가신 스웨터를 입어 볼 수 로 나가 옷을 벗었어요. 벌거벗은 살에 내리 10

도 없게 되었어요. 지난겨울 여기 올라오셨 박히는 햇빛이 꼭 어머니 살내 같아서, 그 자


다가 깜빡 잊고 두고 가신 자주색 스웨터 말 리에 무릎을 꿇고 앉아 어머니만 불렀어요.
포근함과 따뜻함을 느끼게 해 줌. ▶ ‘나’(아내)가 어머니를 그리워함.
예요. 얼마의 시간이 지났을까요. 며칠일까, 몇
몸이 오슬오슬 춥고 떨리는 증상
그이가 출장 간 다음 날, 아침부터 오한이 주일일까, 아니면 몇 달일까요. 제법 대기가
6박 7일간의 장기 출장을 감. 시간의 흐름을 느끼짐 못함.
들길래 그 옷을 입어 보았어요. 「제때 빨아 두 뜨거워지는가 싶더니 어느새 열기가 가시고, 15

「」 : 스웨터에 배인 냄새를 맡으며 심리적 안정을 찾으려고 함. 계절의 변화를 느낌.(가을)


지 않았던 덕분에 묵은 반찬 냄새며 어머니 살 그 뒤로 조금씩 쌀쌀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
냄새가 그대로 배어 있었어요. 다른 날 같으 을 뿐이에요.
면 빨아 입었을지도 모르지만 너무 추워서, 멀리 중랑천 너머 아파트의 창문들은 지금
경기도 양주시에서 발원하여 의정부를 지나 남류하여 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또 그 냄새를 오랫동안 맡고 싶어서 그냥 입고 쯤 주황빛으로 밝혀졌겠지요. 거기 사는 사람
잠들어 버렸어요.」 다음 날 새벽까지 오한은 들은 나를 볼 수 있을까요. 간선 도로에서 전 20

멈추지 않고, 어머니, 얼마나 춥고 목말랐는 조등을 내쏘며 달려가는 차들은 나를 볼 수


기차나 자동차 따위의 앞에 단 등
지, 마침내 아침 햇빛이 안방 유리창에 비칠 있을까요. 나는 지금 어떻게 생겼을까요.
▶ ‘나’(아내)가 점차 식물이 되어 가며 계절의 변화를 느낌.

272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72 2019. 1. 9. 오후 2:56


이 작품의 7장은 편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처음부터 끝까지 ‘ * ’ 표시가 총 7번 찍혀
있다. ‘ * ’ 표시에 따라 배경과 내용이 달라지는데, 이는 각각 새로운 편지라는 것을 뜻한다.
‘나’(아내)는 어머니에게 직접 편지를 보내지는 못하지만 머릿속으로 8장의 편지를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그 편지의 내용이 진행되면서 주인공은 점차 식물로 변해 간다.
* 히는 것을 느껴요. 낮이나 밤이나 별들은 유
「그이는 무척 친절해졌답니다. 커다란 화분 연한 포물선을 그리고, 해가 뜰 때마다 간선
남편
을 구해 와서 거기 나를 심어 주었어요. 일요 도로변 플라타너스들의 몸은 간절히 그쪽으
일이면 오전 내내 베란다 문턱에 걸터앉아 로 기울어집니다. 내 몸도 따라서 그쪽으로
5 진딧물도 잡아 줘요. 내가 수돗물을 싫어한 활짝 펼쳐져요.」
다는 것을 기억하고는, 그렇게 피곤해만 하 이해할 수 있으세요? 이제 곧 생각할 수도
던 사람이 아침마다 물통 가득 뒷산 약수를 없게 되리라는 걸 알지만 나는 괜찮아요. 오
인간의 능력인 사고의 기능도 점차 사라질 것을 암시함.
길어 와서 내 다리에 부어 준답니다. 얼마 전 래전부터 이렇게 바람과 햇빛과 물만으로 살
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요소
에는 기름진 새 흙을 한 아름 사 와서 갈아 주 수 있게 되기를 꿈꿔 왔어요.
▶ ‘나’(아내)는 식물이 된 후 더 많은 것을 느끼며 만족해함.
10 었어요. 비가 내린 다음 날, 오랜만에 도시의 *
공기가 깨끗해진 새벽녘이면 창문과 현관문 어렸을 때 생각이 나요. 부엌으로 달려가
「」 : 식물을 기르듯이 아내를 보살피는 남편 바닷가 빈촌에서 지낸 어린 시절을 회상함.
을 활짝 열어 공기를 바꾸어 준답니다.」 어머니 치마에 얼굴을 묻으면 아, 그 맛난 냄
▶ 식물이 된 ‘나’(아내)를 남편이 정성껏 보살핌.
* 새. 참기름 냄새, 볶은 깨 냄새. 내 손에는 언
후각적 이미지로 기억하는 어머니
이상하지요, 어머니. 보는 것, 듣는 것, 냄 제나 흙이 묻어 있었지요. 흙 묻은 손으로 어
동물적인 감각
15 새 맡고 맛보는 것이 없어도 모든 것이 더욱 머니 치맛자락을 더럽히곤 했어요.
생생하게 느껴져요. 「간선 도로를 거칠게 미 몇 살 때였을까요. 보슬비가 뿌리던 봄날
식물이 되어 오히려 주변을 생생하게 느끼는 ‘나’
끄러져 가는 차들의 질주를, 그이가 현관문 아버지가 모는 경운기에 실려 바닷가를 따라
「」 : 식물적인 감각으로 느낄 수 있는 것들
을 열고 나에게로 다가오는 발소리의 미세한 달렸던 기억이 나요. 그때 나를 향해 웃어 주
울림을, 비 내리기 전이면 비옥한 꿈에 젖어 시던 우비 차림의 어른들, 젖은 머리카락이
20 있는 대기를, 안개를 품은 새벽하늘의 희부 이마에 찰싹 붙어서는 깡충깡충 뛰며 손 흔
연 빛을 나는 느껴요. 들어 대던 아이들의 얼굴이 팔랑개비처럼 맴
가깝고 먼 곳에서 싹이 돋고 잎이 피는 것, 돌아요.
애벌레들이 알을 깨고 나오고, 개들과 고양 「어머니한테 세상은 그 바닷가 빈촌이지요.
「」 : 바닷가 근처에서 한평생 살아온 어머니
이들이 새끼를 낳고, 옆 동 노인의 맥박이 멈 그곳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자라셨지요. 그곳
25 출 듯 멈출 듯 멈추지 않고, 윗집 주방의 냄 에서 아이를 낳고 그곳에서 일하고 그곳에서
비에 시금치가 데쳐지고, 아랫집 전축 위에 늙어 오셨어요. 언젠가는 그곳의 선산 기슭
놓인 항아리 가득 허리 잘린 국화 다발이 꽂 에 아버지와 나란히 누우실 거예요.」
▶ ‘나’(아내)가 바닷가 빈촌에서의 어린 시절을 떠올림.

비옥(肥沃)하다 땅이 걸고 기름지다. 희부옇다 희끄무레하게 부옇다.

⑷ 근현대 문학 273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73 2019. 1. 9. 오후 2:56


어머니, 어머니처럼 될까 봐 나는 멀리멀 사는 초음파 검사기의 흑백 모니터를 틀었어
젊은 시절 도시적 삶을 동경하여 고향을 떠남.
리 여기까지 떠나왔어요. 열일곱 살 때였지 요. 누워 있는 내 배에 희고 차가운 유액을
요. 「무작정 집을 나와 달포 넘게 헤매 다녔던 바르고는, 막대기처럼 생긴 차가운 기구로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
부산, 대구, 강릉의 시가지들을 잊을 수 없어 명치에서 아랫배까지 살갗을 차근차근 문질
도시의 큰 길거리를 이루는 지역
요. 일식당에서 나이를 속여 일을 하고 저녁 러 내려갔어요. 그것을 통해서 내장들의 모 5

이면 독서실에서 새우잠을 자면서도 나는 그 습이 모니터에 나타나는 모양이었어요.


「」 : 모니터에 나타나는 모습으로만 진단함. 문
곳이 좋았어요. 시가지의 휘황한 불빛, 시가 「노말인데.
제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함.

지의 화려한 사람들이 좋았어요.」 쯧, 하고 입맛을 다시며 의사가 중얼거렸


「」 : 처음에 ‘나’는 도시의 풍경이 신기하고 화려해 보여서 좋아했음.
어머니. 낯선 사람들로 가득한 이 거리를 지요.
늙고 망가진 얼굴로 떠돌게 될 줄을 그때는 몰 지금 보이는 게 위장인데……. 아무 이상 10
도시 생활에 피폐해진 ‘나’의 상태
랐어요. 고향에서도 불행했고 고향 아닌 곳에 없어요.
고향에서 불행하다고 느껴서 떠났지만, 도시에서의 삶도 불행하다고 느낌.
서도 불행했다면 나는 어디로 가야 했을까요. 모든 것이 ‘노말’이라고 그분은 말했어요.
삶의 방향성을 상실함.
나는 한 번도 행복했던 적이 없었어요. 어 위, 간, 자궁, 콩팥 모두 정상인데.」
떤 끈질긴 혼령이 내 목을, 팔다리를 옥죄며 그것들이 모두 서서히 사라지고 있는 것을
따라다녔을까요. 아프면 울고 꼬집히면 소리 그는 왜 보지 못했을까요. 휴지를 몇 장 뽑아 15

치는 어린아이처럼, 나는 언제나 달아나고만 유액을 대충 닦아 주더니, 일어나려고 하는


싶었어요. 울부짖고 싶었어요. 무엇이 나를 나에게 다시 누워 보라고 하고는 별반 아프
그토록 괴롭혀서, 무엇으로부터 달아나겠다 지 않은 배 이곳저곳을 꾹꾹 누르기만 했어
고 나는 지구 반대편까지 가려고 했을까요. 요. 아파? 하고 대뜸 반말로 묻는 그의 안경
아내는 결혼 전에 그동안 저축했던 돈을 모아서 이 나라를
왜 가지 못했을까요, 바보처럼. 왜 훌훌 떠나 쓴 얼굴을 쏘아보며 나는 연신 고개를 흔들 20
떠나 멀리 가서 자유롭게 살고 싶어 했음.
이 지긋지긋한 피를 갈지 못했을까요. 었어요.
▶ ‘나’(아내)는 고향에서도, 고향을 떠나서도 불행함을
* 느끼며 삶의 방향성을 잃음. 여기도 괜찮고?
내 내장 속에서 아무런 소리도 들리지 않 여기도 안 아프고?
의사의 말
는다고 했어요. 먼 바람 소리 같은 것만 솨솨 안 아파요.
▶ 의사가 ‘나’(아내)의 상태에 대해 기계적인 진단만 내림.
메아리친다고 했어요. 손가락 끝으로 청진기 주사를 맞고 돌아오는 길에 다시 토악질을 25

를 두들기며 그 늙은 의사가 중얼거리는 것 했어요. 지하철 구내의 차가운 타일 벽에 등


‘나’의 상태에 대해 기계적인 진단만 내림.
을 들었어요. 청진기를 탁자에 올려놓은 의 을 대고 쪼그려 앉았어요. 통증이 멈추기를

새우잠 새우처럼 등을 구부리고 자는 잠. 노말(normal) 보통의, 평범한, 정상적인


명치 사람의 복장뼈 아래 한가운데의 오목하게 들어간 곳. 토악질 먹은 것을 게워 냄. 또는 그런 일.

274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74 2019. 1. 9. 오후 2:56


기다리며 숫자를 세었어요. 마음을 편하게 *
의사의 처방
가지라고 그 의사가 말했거든요. 모든 것이 하루가 다르게 추워지고 있어요. 「오늘도
계절의 변화를 느낌.(겨울)
마음 탓이라고 스님 같은 말을 했어요. 마음 세상의 땅에는 얼마나 많은 잎사귀가 떨어졌
문제의 원인이 환자 개인에게 있다고 판단함.
을 편하게, 마음을 평화롭게, 하나, 둘, 셋, 는지, 얼마나 많은 풀벌레가 죽어 갔는지, 얼
5 넷, 토하고 싶을 때는 숫자를 세면서, 한없이 마나 많은 뱀이 허물을 벗었고 어떤 개구리
평화롭게……. 기어이 눈물이 솟구칠 때까지 들은 일찌감치 겨울잠에 들었는지요.」
「」 : 겨울이 되면서 일어나는 자연 현상
통증은 멈추지 않고, 거푸 위액을 게워 낸 뒤 자꾸만 어머니 스웨터 생각이 나요. 어머
식물로 변신하기 위해 겪게 되는 시련을 의미함.(통과 의례적 성격) 도시 문명의 황폐함과 비정함에 대비되는 원초적인 평화로움, 따뜻함
엉덩이를 깔고 주저앉았어요. 흔들리는 지상 니 살냄새가 잘 기억나지 않아요. 그이더러
이 제발, 멈추어 주기를 기다렸어요. 그 옷으로 내 몸을 덮어 달라고 말하고 싶지
10 그것은 얼마나 먼 날의 일이었을까요. 만 말할 길이 없어요. 어쩌면 좋을까요. 그이
▶ ‘나’(아내)가 식물로 변하는 과정에서 고통을 겪음. 삭물로 변하여 말을 할 수 없음.
* 는 말라 가는 나를 보면서 울기도 하고, 화를
어머니, 자꾸만 같은 꿈을 꾸어요. 내 키가 내기도 해요. 아시지요, 그이한테 가족은 나
식물이 되는 꿈
미루나무만큼 드높게 자라나는 꿈을요. 베란 뿐이었어요. 그이가 부어 주는 약수에 따뜻
황폐한 도시를 벗어나 식물이 되는 꿈
다 천장을 뚫고 윗집 베란다를 지나, 십오 한 눈물이 섞이는 것을 느낄 수 있어요. 불끈
식물이 되어 남편이 슬퍼하는 모습을 볼 수 없지만, 느낄 수 있음.
15 층, 십육 층을 지나 옥상 위까지 콘크리트와 쥔 주먹이 겨냥할 곳 없어 허공을 휘저어 대
도시적 문명에 대한 비판과 거부
철근을 뚫고 막 뻗어 올라가는 거예요. 아아, 는 것을 느낄 수 있어요.
그 생장점 끝에서 흰 애벌레 같은 꽃이 꼬물 *
꼬물 피어나는 거예요. 터질 듯 팽팽한 물관 어머니, 무서워요. 내 사지를 떨구어야 해
겨울이 되어 잎이 떨어짐.
가득 맑은 물을 퍼 올리며, 온 가지를 힘껏 요. 이 화분은 너무 좁고 딱딱해요. 뻗어 나
20 벌리고 가슴으로 하늘을 밀어 올리는 거예 간 뿌리 끝이 아파요. 어머니, 겨울이 오기
요. 그렇게 이 집을 떠나는 거예요. 어머니, 전에 나는 죽어요. 이제 다시는 이 세상에 피
밤마다 그 꿈을 꾸어요. 어나지 못 하겠지요.
▶ ‘나’(아내)가 나무가 되어 자라는 꿈을 꿈. ▶ 식물이 된 ‘나’(아내)가 겨울이 되어 점점 시들어 감.

제재 정리

뒷부분 줄거리

남편은 나무가 된 아내를 화분에 옮겨 심는다. 하지만 겨울이 다가와 나무는 결국 시들어 버리고 마지막으로 열매를 남

긴다. 남편은 아내가 남긴 열매를 화분에 심으며, ‘봄이 오면 아내가 다시 돋아날까.’라고 생각해 본다.
생태계의 순환적 삶을 이어 가는 고리 작품 구성
바닷가 빈촌에서 성장한 아내는 도시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도시에서 성장
발단
한 남편과 점차 소통하지 못함.
자유를 꿈꾸던 아내는 마침내 침묵하고, 아내에게 생긴 연두색 피멍은 서서히
전개
온몸으로 퍼짐.
아내는 음식도 먹지 않고 베란다에서 햇볕을 쬐며 시간을 보내게 되고, 남편
위기
생장점(生長點) 식물의 줄기나 뿌리 끝에 있으며 생장을 현저하 은 어느 날 식물로 변한 아내의 모습을 발견함.
절정 식물이 되어 말을 하지 못하는 아내가 어머니에게 편지를 씀.
게 하고 있는 부분.
결말 화분에 옮겨진 아내는 늦가을이 되자 결국 시들어 버리고 마지막 열매를 남김.
※진한 색 부분은 교과서 수록 부분임.
⑷ 근현대 문학 275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75 2019. 1. 9. 오후 2:56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내 여자의 열매〉에서 과거와 현재 아  
작가가 작품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점 최근 한국 문학 작품이 세계적으로 인
내의 변화를 정리하고 작품에 등장하
을 살펴보고 ‘꿈’의 상징성 살펴보기 정을 받는 이유에 관해 생각해 보기
는 소재의 의미 파악하기

활동 1 지도 방안
1 〈내 여자의 열매〉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아내’의 과거와 현재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주인공이 처한 상황을 정리하
고, 그를 둘러싼 중요 소재의 의
미를 파악한 후 작품의 주제를 어린 시절 현재
이해하는 활동이다. 이 작품이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변 •바닷가 빈촌에서 태어남. 도시로 와서
신 모티프를 바탕으로 하여 내
용이 전개된다는 점을 학생들이 •빈촌에서 태어나 한평생을 살아 살지만 예시 답 점점 식물로 변하여 베란다의

이해하도록 지도한다. 화분에서 자라며 남편의 보살핌을 받


행복하지 않음.
온 어머니처럼 되지 않기 위해 열 음.

일곱 살 때 무작정 집을 나옴.

⑵ 나무가 된 ‘아내’가 덮고 싶어 했던 ‘어머니의 스웨터’가 상징하는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생명의 근원이자 모성(母性)을 지닌 어머니가 준 것으로, 현대의 도시적 황폐함이나 폭력성에도 사라지지
않는 원초적인 평화로움, 따뜻함 등을 의미한다.

도시적 삶에 적응하지 못 ⑶ 죽은 아내가 남긴 ‘열매’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작품의


한 ‘아내’는 결국 나무로 변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가을이 되면서 아내는 잎이 떨어
져 시들지만, 열매를 남기지. ‘남
편’은 그 열매를 화분에 심으면 예시 답 새롭게 돋아날 수 있도록 하는 존재, 생태계의 순환적 삶을 이어 가는 고리
‘열매’의 의미
서 아내를 다시 볼 수 있을지 모
른다는 생각을 해.

예시 답 도시 문명의 황폐함과 비정함에 대해 비판하고, 식물이 되는 상상력을 통해


작품의 주제
자연 순환적인 생명성을 소망함.

활동 2 지도 방안
2 작품이 쓰인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다음 부분에서 의사가 말하는 ‘노말’의 의미를 생각해 보고, 작가가 이를 통해 이야기하고


이 작품이 창작된 1990년대
의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이를 싶은 것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작품에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탐구하면서 1990년대 이후 문
학의 특징을 살펴보는 활동이 노말인데.
다. 이전 시기의 문학이 이데올
로기, 전쟁, 독재 등과 같은 거 쯧, 하고 입맛을 다시며 의사가 중얼거렸지요.
대한 담론을 중심으로 전개되었
음을 안내하고 최근 현대 문학 지금 보이는 게 위장인데……. 아무 이상 없어요.
은 어떤 특징을 지니는지 생각
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모든 것이 ‘노말’이라고 그분은 말했어요.
위, 간, 자궁, 콩팥 모두 정상인데.
교과서 그것들이 모두 서서히 사라지고 있는 것을 그는 왜 보지 못했을까요.
274쪽

예시 답 •‘노말’의 의미: 환자에게 아무 이상이 없다는 의미이다.

276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작가의 의도: 환자의 심각한 문제 상황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정상적이라는 진단을 내린 의사의 말을 통해서
문제 상황을 깊이 인식하지 못하는 현대인의 모습과 타인과 진정한 소통을 하지 못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비판하고
있다.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76 2019. 1. 9. 오후 2:56


⑵ 다음에 제시된 ‘꿈’이 무엇을 상징하는지 현대 사회의 문제와 관련지어 설명해 보자.

어머니, 자꾸만 같은 꿈을 꾸어요. 내 키가 미루나무만큼 드높게 자라나는 꿈을요.


베란다 천장을 뚫고 윗집 베란다를 지나, 십오 층, 십육 층을 지나 옥상 위까지 콘크리
트와 철근을 뚫고 막 뻗어 올라가는 거예요. 교과서
275쪽

예시 답 아내는 나무가 되어 콘크리트와 철근을 뚫고 드높게 자라는 꿈을 반복적으로 꾸는데, 이는 식물의 자연 본


원적인 생명력으로 현대 도시 문명의 황폐함과 비정함을 극복하고 싶은 소망을 상징한다.

활동 3 지도 방안
3 다음은 이 작품의 작가가 세계적인 문학상을 수상한 소식을 쓴 신문 기사이다. 최근 한국 문
학 작품이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한국 문학이 세계적으로 주
목 받고 있는 현상을 살펴보고,
그 이유를 생각해 보는 활동이
다. 이는 언어의 차이를 뛰어넘 한강의 맨부커상 수상, 한국 문학 도약의 계기로 삼자
어 인간이라면 누구나 보편적으
로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소설가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노벨 문
학상, 공쿠르상과 더불어 세계 3대 문학상
으로 꼽히는 맨부커상을 받았다.
한국 작가가 유수의 문학상을 처음 받은
것만도 큰 경사인데,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질문을 던진다. 거기에 서정적이면서도 날
터키의 오르한 파무크 등 쟁쟁한 경쟁자까
카로운 작가의 문학 세계가 더해졌다. 인
맨부커상(Man Booker Prize) 지 물리쳤으니 작가 개인을 넘어 한국 문학
노벨문학상, 공쿠르문학상과 간과 세계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개성 있게
전체의 쾌거라 할 수 있다.
더불어 세계 3대 문학상이라고
일컫는 상이다. 1969년 영국의
담아내면, 언어의 차이를 뛰어넘는 훌륭한
〈채식주의자〉는 인간의 폭력성과 상처
부커사(Booker)가 제정한 문학 작품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이번
상으로, 영어로 창작·출간된 책 를 집요하게 탐구한 연작 소설이다. 특정
중에서 수상작을 선정하는 맨부 수상은 보여 준다.
커상과, 영어로 번역된 작품 중 시대와 특정 지역에 국한되는 예외적 주제
에서 수상작을 선정하는 인터내 - 《한국일보》, 2016년 5월 17일 자 기사
셔널 부문으로 나뉜다. 한강은
를 다룬 게 아니라 누구나 공감하는 보편의
2016년 《채식주의자》로 인터내
셔널 부문을 수상했다.

예시 답 시대와 지역을 넘어서서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보편적인 내용을 다루면서도 진지한 성찰과 개성적인 인식
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7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내 여자의 열매〉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몽고반점〉, 〈나무 불꽃〉 등으로 이어지는 연작
예시 답 사람이 도시에서 살지 못하고 결국은 나무로 변신하는 소설의 첫 작품으로, 채식주의자인 한 여성에게
모습이 슬프기도 하고 고통스럽게도 느껴졌어. 한강의 가해지는 관습적 폭력을 다룬 소설이다. 특히 작
〈채식주의자〉 품 속에서 육식 문화를 관습으로 삼고 있는 사람
들이 채식주의자에게 던지는 시선에 대한 예리한
나의 책방 키우기 탐구와 질문이 독자들에게 큰 감동을 주었다.
이 작품은 삭막한 신도시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한강의 〈채식주의자〉 은희경의 한 젊은 부부의 황폐한 삶을 그리고 있다. 일상의
소재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은희경의 〈아내의 상자〉

〈아내의 황폐함과 수많은 상자들로 표상되는 인간의 슬픔
상자〉 과 상처, 젊은 부부의 불임과 신도시의 불모성 등
현대인의 불안한 삶과 고통을 담아 낸 소설이다.
⑷ 근현대 문학 277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77 2019. 1. 9. 오후 2:56


‘소단원 정리하기’ 지도 방안
•문학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학습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개념 정리’,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도
록 한다.

(4) 근현대 문학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ㆍ점검해 보자.

개념 정리 평가 자료
•어휘 평가 •서술형 평가
•쪽지 시험 •수행 평가
•소단원 평가

근현대 문학의 특징은 무엇인가.


근대 문학의 형성기에 국권의 상실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맞았기 때문에, 한국의 근대 문학은 문학
일제 강점기 일제 강점기의 문학의 목표 ①
자체의 근대화를 추구하면서 동시에 국권의 회복을 지향하는 이중의 목표를 지니게 되었다. 그래서
목표 ②
근대 문학은 새로운 내용과 형식을 추구하였고, 당대 현실 반영과 비판에 집중하였다. 광복 이후의
현대 문학은 분단과 전쟁이라는 민족적 고난과 산업화의 폐해를 경험하면서 새로운 문제 상황에 능
현대 문학의 사회 현실 ① 사회 현실 ②
동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다. 그뿐만 아니라 과거의 문학적 전통을 계승하면서 세계적 보
편성을 성취하는 데까지 나아가고 있다.

근현대 문학의 흐름을 정리해 보자. 인터넷 링크 - 근현대사를 반영한 문학

1910년대~1920년대 문학
1910년대에 들어 우리 문학은 본격적인 근대 문학의 단계로 접어든다. 이 시기 문학
에는 계몽 의식이 나타나지만, 내용과 형식에서 이전에 찾아볼 수 없는 근대 지향적인
특성도 나타났다. 이러한 과도기적 특성을 벗어난 것이 이광수의 〈무정〉 240쪽 이다.
1917년에 발표된 한국 최초의 근대 장편 소설
시에서는 개인의 서정을 새로운 형식으로 보여 준 주요한의 〈불놀이〉가 주목할 만하다.
1919년에 발표된 한국 최초의 자유시
1920년대에 들어 3ㆍ1 운동의 결과로 각종 문학잡지가 다수 발간되어 문학 발전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특히 《창조》, 《폐허》, 《백조》 등의 동인지가 간행되면서 작가층이
1919년 1920년 1922년
확대되었고 근대적 의식을 바탕으로 한 작품이 많이 발표되었다. 또한, 국권 상실이라는
《진달래꽃》 표지
민족적 현실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시에서 김소월의 〈진달래꽃〉,
전통적인 한의 정서를 고유의 민요적 율격으로 노래함.
〈초혼〉 228쪽 과 한용운의 〈님의 침묵〉 230쪽, 소설에서는 염상섭의 〈만세전〉 232쪽 이 대표적이
다. 1920년대 중반에는 사회주의 사상에 근거하여 카프(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 동맹)가 결성되어
한국의 사회주의 혁명을 위해 조직한 대표적인 문예 운동 단체
계급 문학이 창작되었다. 최서해의 〈탈출기〉를 위시하여 이기영, 김남천 등의 작품이 발표되었다.
가난한 삶의 고발과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저항 〈고향〉 〈대하〉

1930년대~광복 직전의 문학
•〈삼대〉: 일제 강 1930년대의 문학은 1920년대 계급 문학의 한계 극복과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에서 시작되었다.
점기 서울 중산층 〈모란이 피기까지는〉
일가의 세대 간 1930년대 초반에 박용철, 김영랑, 신석정 등의 시문학파가 등장하여 세련된 언어 감각으로 시 자체
갈등을 중심으로 〈떠나가는 배〉 〈꽃덤불〉 초현실주의 계열의 모더니즘
당시 사회의 급변 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추구하였다. 1930년대 중반에는 정지용, 김기림, 김광균, 이상 등이 지성에 호
하는 모습을 그 이미지즘·주지주의 계열의 모더니즘
림.
소하는 모더니즘 시풍을 보여 주었으며, 이후 이를 비판하며 서정주, 유치환 등이 등장하였다. 소설
생명파 시인
•〈탁류〉: 한 여인 에서는 현실 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룬 염상섭의 〈삼대〉, 채만식의 〈탁류〉 등의 장편 소설이 활발하게
의 비극적 삶을
통한 일제 강점기 창작되었다. 또한, 모더니즘 소설로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34쪽, 이상의 〈날개〉 등이 발
의 오염된 현실
고발 및 풍자 표되었다. 이후 일제의 탄압이 심해지면서 우리 문학도 크게 위축되었다.

278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78 2019. 1. 9. 오후 2:56


광복 직후~1950년대의 문학
광복 직후의 기쁨은 이념 대립으로 인한 정치적 혼란으로 바뀌었고, 이는 비극적인 6ㆍ25 전쟁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런 와중에도 의미 있는 문학적 성과가 있었다. 광복 직후에 시에서는 조지훈, 박
목월, 박두진의 《청록집》, 이육사와 윤동주의 유고 시집 등이 간행되었고, 소설에서는 이태준의 〈해•〈해방 전후〉: 해
청록파 시인 1946년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1946) 방 전후 지식인의
방 전후〉, 채만식의 〈논 이야기〉, 김동리의 〈역마〉 등이 발표되었다. 그리고 6ㆍ25 전쟁을 겪으면서 이념적 갈등
•〈논 이야기〉: 지
많은 문인들은 전쟁의 비극에 관심을 가지고 여러 작품을 발표하였다. 박인환, 구상 등이 전쟁의 참 배층의 수탈 및
1950년대 문학 〈목마와 숙녀〉 〈초토의 시〉
광복 이후 국가의
상을 다룬 시를 발표하였으며, 소설에서는 황순원의 〈학〉, 손창섭의 〈비 오는 날〉, 하근찬의 〈수난 이
토지 정책에 대한
대〉, 이범선의 〈오발탄〉 등이 전쟁이 가져다준 비극적 상황을 다루었다. 희곡에서는 이근삼의 〈원고 비판
•〈학〉: 전쟁의 이념과 증오를 넘어서는 우정의 따뜻함. •〈역마〉: 한국적
지〉 256쪽 등이 발표되었다. •〈비 오는 날〉: 전쟁이 가져온 허무 의식과 삶의 무기력함. 운명관의 순응과
•〈수난 이대〉: 우리 민족의 수난사와 이에 대한 극복 의지 그에 따른 인간성
•〈오발탄〉: 부조리한 사회 구조 속에서 몰락하는 양심적 인간의 비애 구현

1960년대~1980년대의 문학
1960년대는 4ㆍ19 혁명으로 표현된 성숙한 민주주의 의식, 5ㆍ16 군사 정변에 의한 독재, 산업화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 등을 중심으로 문학 활동이 전개되었다. 시에서는 김수영과 신동엽이 반민주적
〈폭포〉, 〈풀〉 〈껍데기는 가라〉
상황에 대한 비판을 보여 주었으며, 소설에서는 최인훈의 〈광장〉 248쪽이나 김승옥의 〈서울, 1964
년 겨울〉 45쪽, 이청준의 〈병신과 머저리〉 등이 현실 문제에 대한 심화된 인식을 보여 주었다.
두 형제의 서로 다른 삶의 방식을 통한 아픔과 그 극복의 의지
산업화로 인한 사회 문제가 본격적으로 나타난 1970, 80년대에는 시에서 신경림, 김지하, 이성부,
농촌 공동체의 붕괴, 도시 빈민 문제, 노동 현장의 갈등 등 〈즐거운 편지〉 〈농무〉 〈오적〉
박노해 등의 현실 참여적인 작품과 김춘수, 황동규, 정현종 등의 실험적인 경향이 강한 작품이 발표
〈노동의 새벽〉 〈꽃을 위한 서시〉 〈사물의 꿈〉
되었다. 소설에서는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106쪽, 박경리의 〈토지〉, 조정래의 〈태
토지를 삶의 근거지로 살아가는 이들의 명멸하는 삶
백산맥〉 등이 창작되었다. 희곡에서는 이강백의 〈파수꾼〉 등이 발표되었으며, 새로운 매체가 등장하
분단 현실의 극복과 민중적 삶의 한 진실을 향한 열망과 진실이 통하지 않는 사회의 비극
면서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의 드라마 대본, 영화 시나리오, 뮤지컬이나 애니메이션 대본 등으로 극 갈
래의 범위가 확장하였다. 인터넷 링크 - 80년대의 시

1990년대 이후의 문학
1990년대에 들어서 이념 지향적인 문학적 경향이 물러나고 다양한 경향의 작품
〈뿌리에게〉
이 발표되었다. 시에서는 장석남, 김기택, 함민복, 나희덕 등이, 소설
〈눈사람 속의 검은 항아리〉 〈눈물은 왜 짠가〉
에서는 윤대녕, 김소진, 은희경, 한강 등이 다양한 경향의 작품
〈은어 낚시 통신〉 〈아내의 상자〉 〈채식주의자〉
들을 발표하였다. 이 시기에 한국 문학의 세계화가 어느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정도의 성과를 내기 시작하였다. 출간된 한국 문학 작품

평가
점검 사항
상 중 하

근현대의 대표적인 문학 작품을 감상하면서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을 파악


이 단원에서 할 수 있다. ▶ 교과서 229쪽 2번, 238쪽 2번 문제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근현대의 주요 문학 작품을 통해 갈래별 전개와 구현 양상을 이해할 수 있다.
점검해 보자. ▶ 교과서 264~266쪽 2~3번, 277쪽 3번 문제
한국 문학 작품에 반영된 시대 상황을 이해하고 문학과 역사의 상호 영향 관
계를 탐구할 수 있다. ▶ 교과서 238쪽 2번, 245쪽 2번, 253쪽 2번, 269쪽 2번, 276쪽 2번 문제

⑷ 근현대 문학 279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79 2019. 1. 9. 오후 2:56


‘대단원 마무리’ 지도 방안
•대단원에서 학습한 요소를 확인한 다음, 더 알고 싶은 점이 있는지
스스로 생각해 보며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단순한 기록에서 그
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과제나 평가를 진행하거나, 심화
자료를 활용하여 궁금한 부분을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창의적 감상’에 제시된 감상의 방향과 그에 따른 작품을 살펴보며
문학의 경험을 넓힐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작
품을 읽고 자유롭게 자기 생각을 말할 수 있도록 끌어 준다. 또한,
추가로 엮어 읽을 수 있는 또 다른 작품을 안내하여 수업 외의 시
간에도 문학 감상이 생활화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평가 자료
•대단원 평가 1 다음은 고려 시대 귀족층의 정서를 표현한 경기체가이

(1) ‘고대 문학’에서는 다. 시적 화자의 태도. 사용된 어휘와 표현 등을 살펴보면


예시 답 이 작품은 옛 문인들의 명문장에 대한 예찬
고대의 문학적 전통과 특질을 파악하고 한국 문학의 서 작품을 감상해 보자. 과 과거 시험장의 광경을 나열하여 학문과 지식에
역사적 갈래의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하였다. 대한 신흥 사대부의 긍지와 자부심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우리말 표현보다는 한자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
어서 귀족 문학의 전형적인 특징이 잘 드러난다.
한림별곡(翰林別曲) _ 한림제유
(2) ‘중세 문학’에서는
중세의 문학적 전통과 특질을 파악하고 한국 문학의
역사적 갈래의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하였다. 〈제1장〉
「원슌문(元淳文) 인노시(仁老詩) 공로륙(公老四六)

(3)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에서는 니졍언(李正言) 딘한림(陳翰林) 솽운주필(雙韻走筆)


튱긔(沖基對策) 광균경의(光鈞經義) 량경시부(良
이행기의 문학적 전통과 특질을 파악하고 한국 문학
의 역사적 갈래의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하였다.
鏡詩賦)」 「」 : 문인들의 명문장을 나열함.
당시 신흥 사대부들이 자신
위 시댱(試場)ㅅ 경(景) 긔 엇더니잇고 들의 능력과 삶에 대한 자부
(4) ‘근현대 문학’에서는
금(琴學士)의 옥슌문(玉笋門生) 금(琴學士)의
심의 표현(반복법, 설의법)
근현대의 문학적 전통과 특질을 파악하고 한국 문
학의 역사적 갈래의 전개와 구현 양상을 탐구하였다. 옥슌문(玉笋門生)
위 날조차 몃부니잇고
신흥 문벌의 자만에 찬 의욕과 권세를 나타냄.(설의법)

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륙변려문

앞에서 활동한 내용을 떠올리며 앞으로 더 알 이규보와 진화의 쌍운을 맞추어 써 내려간 글

아보고 싶은 내용을 간단하게 써 보자. 유충기의 대책문, 민광균의 경서 해의(解義), 김양경의 시와 부


높은 사람의 물음에 답하는 글 한시의 체(體)
아아, 과거(科擧) 시험장의 광경, 그것이 어떠합니까?

금의가 배출한 죽순같이 죽 늘어선 제자들, 금의가 배출한 죽순

같이 죽 늘어선 제자들

아아, 나까지 몇 분이나 됩니까.

공노륙(公老四六) 이공로의 사륙변려문.


솽운주필(雙韻走筆) 쌍운으로 운자를 내어 빨리 시를 지어 쓰는 것.
튱긔(沖基對策) 유충기의 대책문. 대책문은 높은 사람의 물음에 답하
는 글을 뜻함.
량경시부(良鏡詩賦) 김양경의 시부. 시와 부는 모두 한시의 체(體).
금(琴學士) 금의(琴儀). 당시 무인 정권하에서 문인들의 우두머리 역
할을 한 사람.
작품 개관 옥슌문(玉笋門生) 죽순 같이 죽 늘어선 문하생.
갈래 경기체가 성격 풍류적, 향락적, 귀족적, 과시적
제재 제1장 - 시부(시와 부)
280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주제 신흥 사대부들의 긍지와 풍류
① 신흥 사대부들의 자부심과 객관적 사물에 대한 관심을 표현함.
특징
② 열거법, 영탄법, 설의법, 반복법 등을 사용함.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80 2019. 1. 9. 오후 2:56



2 다음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에 대중적으로 인기 패택에 잠긴 용이 구름을 얻었으며,
를 끌었던 한글 소설이다. 영웅 소설의 면모가 어떻게 드 초산에 날랜 범이 바람을 일으켰도다.
러나는지 살펴보고, 이 작품이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은 까 범증이 깨뜨린 구슬 백설(白雪)이 되었으니,
닭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항장의 날랜 칼이 쓸 곳이 전혀 없다.
장량의 퉁소 소리 달 아래 일어나니,
장막 안에 잠든 패왕 혼백이 놀랐도다.
소대성전 _ 작자 미상
음릉 저문 날에 달빛도 희미하고,
「」 : 고귀한 혈통 오강 넓은 물에 수운이 적막하다.

앞부분 줄거리 소대성은 소양이 노년에 얻은 아들로, 원래 동해 용왕의
역발산기개세도 강동을 못 가거든,
아들이었으나 비를 잘못 내린 죄로 적강(謫降)하였다.」그는 어려서부터 재주

가 뛰어났지만, 일찍 부모를 잃고 떠돌아다니게 된다. 소양의 옛 친구인 이 필부(匹夫) 형경이야 역수를 건널쏘냐?

승상은 기이한 꿈을 꾸고, 월영산에서 소대성을 발견하여 집으로 데려온다. 거문고 한 곡조에 살벌(殺伐)이 섞였으니,
이 승상은 소대성의 비범함을 알아보고, 자신의 딸 이채봉과 혼인시키고자 가련타, 저 장사(壯士)야 갈 길이 어디더냐?
한다. 이 승상의 부인 왕 씨는 초라한 소대성의 모습을 보고 혼인을 마땅치 멀고 먼 황천길 조심하여 가거라.
않게 여기지만, 이채봉은 소대성의 재주를 알아보고 아버지의 뜻을 받아들
가다가 깨치거든 현도를 닦아라.」
인다. 그러던 어느 날, 이 승상은 병으로 죽게 되고, 그 틈을 타 승상의 아들 「」 : 중국 전국 시대에 유방과 항우가 천하를 다툰 초한(楚韓)적 고사를 인용해 자객
이 자신을 죽이러 온 살기를 표현하고, 이 노래를 통해 조영이 자신의 손에 의해 죽게
들과 왕 부인은 조영이라는 자객에게 돈을 주고 소생을 처치하라는 명령을 될 수 있음을 경고함. 즉 조영이 순순히 돌아가기를 권하는 내용을 노래로 표현함.
내린다. 조영이 그 노래를 듣고 자세히 살펴보니, 그는 곧 소생이
었다. 이에 조영이 생각했다.

“네 어떠한 놈이기에, 이 깊은 밤에 칼을 들고 누구를 해 ‘내 재주는 십 년을 공부하여 사람은커녕 아직 귀신도 헤

하려 하느냐?” 아리지 못한다. 한데 오늘 칼을 두 번이나 휘둘러서 저자

조영이 그제야 소생인 줄 알고 칼춤을 추며 다가가려 하 를 죽이지도 못하고 도리어 저자로부터 노래로 조롱을 당
왕 부인과 세 아들이 보낸 자객
니, 소생이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 조영이 당황하여 어리 했다. 장량이 퉁소로 팔천의 장수를 흩어 버린 것처럼, 저
전기적 요소
둥절해 있던 찰나에 다시 서쪽 벽의 촛불 아래서 크게 꾸짖 자가 비록 비상한 거문고 솜씨로 나를 돌아가게 하려고

는 우렁찬 소생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하나, 내 어찌 저자의 간계에 넘어가겠는가?’

“어리석은 놈아! 돈을 받았다고 몸을 돌보지 아니하니 어 조영이 다시 칼을 들어 소생에게 던지니 칼 부딪치는 소


소대성은 조영이 매수당하여 자신을 암살하려 함을 이미 알고 있음.
찌 가련하지 않겠느냐?” 리만 날 뿐, 소생은 온데간데없었다. 조영이 칼을 찾고 있는

조영은 대답하지 않은 채 들고 있던 칼을 냅다 소생에게 데, 소생이 비수를 들고 촛불 아래에서 나오며 조영을 꾸짖

던졌다. 촛불 아래에서 검광이 번쩍 빛났으나, 소생은 다시 었다.


소대성의 비범한 능력
온데간데없었다. 조영은 촛불 그림자에 숨어 어찌할 줄 모 “내 처음에 너에게 일러 돌아가게 했거늘, 끝내 금은만

르고 있었다. 그때 남쪽 벽의 촛불 아래에서 검은 두건을 쓰 생각하고 네 몸은 돌아보지 아니하니, 진실로 하룻강아

고 베옷을 입은 한 소년이 칠현금(七絃琴)을 무릎 위에 놓고 지 범 무서운 줄을 모르는구나.”


소대성
줄을 타며 노래를 불렀다. 소생이 칼을 들어 조영을 치니 조영의 머리가 그 자리에
서 떨어졌다. 소생이 분한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칼을 들고
전국(戰國)적 시절인가 전쟁도 요란하며, 바로 내당으로 들어가 승상의 아들들을 모두 죽이고자 하다
초한(楚漢)적 천지던가 살기(殺氣)도 무궁하다. 가, 다시 생각하며 탄식했다.
작품 개관 홍문연 잔치던가 칼춤은 무슨 일인고? ‘제 비록 막되어서 나와 원수가 되었으나, 영인부아(寧人
갈래 고전 소설, 영웅 소설, 군담 소설 성격 전기적, 일대기적
제재 소대성의 영웅적 일대기
주제 고난을 극복하고 지위를 회복한 영웅의 활약상 대단원 마무리 281
① 영웅 군담 소설의 모티프를 수용하여 부분적으로 변용함.
특징
② 〈홍길동전〉과 〈유충렬전〉을 잇는 교량 역할을 함.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81 2019. 1. 9. 오후 2:56


3 다음은 도회에 사는 작가가 시골에 가서 보고 들은 바

를 감각적으로 표현한 수필이다. 1930년대 모더니즘 문학


으로서 이 작품이 지닌 특징을 살펴보자.

負我)언정 무아부인(無我負人)이라. 곧 남은 나를 배반할 산촌 여정 _ 이상


지언정 나는 남을 배반하지 않는다고 했으니, 이제 저들
을 죽여 분한 마음을 풀고자 하면 대인의 후사가 끊어질
이 승상의 은혜에 보답하는 마음으로 분노를 자제함. 등잔 심지를 돋우고 비망록에 불을 켠 다음 철필로 군청
것이라 아직은 피해야겠다.’ 잊지 않으려고 중요한 골자를 적어 둔 책자
빛 ‘모’를 심어 갑니다. 불행한 인구(人口)가 그 위에 하나하
펜으로 글을 쓰는 행위를 모 심는 행위로 비유함.
나 탄생합니다. 조밀한 인구가.
뒷부분 줄거리 소대성은 서당을 떠나고 이생은 소대성의 뛰어난 능력을
내일은 진종일 화초만 보고 놀리라, 탈지면에다 알코올을
짐작하고 두려워한다. 한편 소대성이 떠났다는 소식을 들은 채봉은, 어머니
묻혀서 온갖 근심을 문지르리라, 이런 생각을 먹습니다. 너
와 오빠들의 설득에 굴복하지 않고 소대성과의 약속을 지키겠다고 결심한

다. 소대성은 노승의 도움으로 불경과 병서를 익히며 지내는데, 그동안 오랑 무나 꿈자리가 뒤숭숭하여서 그러는 것입니다. 화초가 피어
도시에 두고 온 가족들에 대한 꿈을 암시함.
캐의 침입으로 나라가 큰 위기에 빠지게 된다. 소대성은 천문을 보고 나라의 만발하는 꿈, 그라비어 원색판 꿈, 그림책을 보듯이 즐겁게
작가의 이국적인 취향을 보여 줌.
위기를 짐작하고는 절을 떠나 전장에 이른다. 소대성은 항복을 강요당하던 꿈을 꾸고 싶습니다. 그러면 간단한 설명을 위하여 상쾌한
천자를 구하고 큰 공을 세운다. 노국 왕이 된 소대성은, 절개를 지키던 이채 시를 지어서 7포인트 활자로 배치하는 것도 좋습니다.
봉을 맞아들여 혼인한다. 또한, 이채봉의 오빠들을 불러 잔치를 베풀고 지난
도회에 화려한 고향이 있습니다. 활엽수만으로 된 산이
일을 잊고 화해한다.
고향의 시각을 가려 버린 이 산하에 팔봉산 허리를 넘는 철
골 전신주가 소식의 제목만을 부호로 전하는 것 같습니다.
아침에 볕에 시달려서 마당이 부스럭거리면 그 소리에 잠
적강(謫降) 신선이 인간 세상에 내려오거나 사람으로 태어남.
을 깨입니다. 하루라는 ‘짐’이 마당에 가득한 가운데 새빨간
홍문연(鴻門宴) 중국 섬서성 임동현의 홍문에서 항우가 베푼 잔치. 작가의 고통스러운 삶을 짐작할 수 있음.
패택(沛澤) 수초가 무성하고 빽빽하게 우거진 낮은 습지대. 여기서는 중국 잠자리가 병균처럼 활동입니다. 끄지 않고 잔 석유 등잔에
진나라 말기에 유방이 봉기하여 군대를 일으킨 고을을 지칭함. 불이 그저 켜진 채 소실된 밤의 흔적이 낡은 조끼 ‘단추’처럼
범증(范增) 진나라 말기 사람. 항우를 따라 기계(奇計)로써 전공을 세움.
항장(項莊) 홍문연에서 유방을 죽이려고 한 항우의 부하.
남아 있습니다. 작야(昨夜)를 방문할 수 있는 요비링입니다.
등잔불을 보면 어젯밤을 기억할 수 있음.
장량의 퉁소 소리 유방의 신하 장량이 해하(垓下) 싸움에서 항우의 군사들 지난밤의 체온을 방 안에 내어 던진 채 마당에 나서면 마당
을 흩으려고 분 퉁소 소리.
한 모퉁이에는 화단이 있습니다. 불타오르는 듯한 맨드라미
음릉(陰陵) 춘추시대 때 초나라의 고을로, 항우 군대가 한군(漢軍)에게 패
한 후 길을 잃었던 곳. 꽃 그리고 봉선화.
역발산기개세(力拔山氣蓋世) ‘힘은 산이라도 빼서 던질 만하고, 기개는 세 지하에서 빨아올리는 이 화초들의 정열에 호흡이 더워 오
상을 덮을 만큼 웅대하다’는 뜻.
는 것 같습니다. 여기 처녀 손톱 끝에 물들을 봉선화 중에는
형경(荊卿) 중국 전국 시대의 자객이었던 형가(荊軻)를 의미함.
예시 답 •작품에 드러난 영웅 소설의 면모: 이 작품은 전형적인 영웅 소설 흰 것도 섞였습니다. 흰 봉선화도 붉게 물들까 - 조금도 이
의 구조를 따르고 있다. 교과서에 제시된 부분은, 유리걸식하는 소대성을
이 승상이 집으로 데려와 딸의 배필로 삼으려 했으나 이 승상이 일찍 세 상스러울 것 없이 흰 봉선화는 꼭두서닛빛으로 곱게 물듭
상을 떠나자 이 승상의 부인과 아들들이 소대성을 죽이려고 하는 장면이
다. 이는 영웅의 일대기 구조 중에서 ‘자라서 다시 위기에 처하는 과정’에 니다.
해당한다.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은 까닭: 소대성은 겉으로는 보잘것없지만 실제로 수수깡 울타리에 오렌지빛 여주가 열렸습니다. 당콩 넝
는 남다른 능력을 가진 인물이다. 이것은 신분이나 경제적 지위로 사람을
쿨과 어우러져서 세피아빛을 배경으로 하는 일폭의 병풍입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당시의 사회적 인식을 대변하고 있다. 이러한 인물
의 특성이 당시 대중들의 호응을 얻었을 것이다. 또한 조선 후기에 소설 니다. 이 끝으로는 호박 넝쿨 그 소박하면서도 대담한 호박
을 즐기고 유통하는 계층이 확대되면서, 작가는 대중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영웅의 일대기 구조를 전개 방식으로 취하고 전쟁 장면을 더욱 생생 꽃에 스파르타식 꿀벌이 한 마리 앉아 있습니다. 농황색에
하게 묘사했을 것이다. 이러한 점도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게 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282 4. 한국 문학의 갈래와 흐름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82 2019. 1. 9. 오후 2:56


반영되어 세실. B. 데밀의 영화처럼 화려하며 황금색으로
치사(侈奢)합니다. 귀를 기울이면 르네상스 응접실에서 들
리는 선풍기 소리가 납니다.
야채 사라다에 놓이는 아스파라거스 잎사귀 같은 또 무슨
화초가 있습니다. 객줏집 아이에게 물어봅니다. 기상꽃, 기
생화란 말입니다. 무슨 꽃이 피나, 진홍 비단꽃이 핀답니다.
선조(先祖)가 지정하지 아니한 조젯 치마에 웨스트민스터
기생화를 보고 전통적이지 않고 서구적인 옷을 입은 도시 기생을 연상함.
궐련을 감아 놓은 것 같은 도회의 기생의 아름다움을 연상
하여 봅니다. 박하보다도 훈훈한 리그레추잉껌 냄새, 두꺼
운 장부를 넘기는 듯한 그 입맛 다시는 소리, 그러나 아마
여기 필 기생꽃은 분명히 혜원 그림에서 보는 것 같은 혹은
우리가 소년 시대에 보던 떨떨 인력거에서 홍일산(紅日傘)
받던, 지금은 지난날의 삽화인 기생일 것 같습니다.
청둥호박이 열렸습니다. 호박고자리에 무시루떡, 그 훅훅
끼치는 구수한 김에 좇아서 증조할아버지의 시골뜨기 망령
들은 정월 초하룻날 한식날 오시는 것입니다. 그러나 저 국
가 백 년의 기반을 생각게 하는 넙적하고도 묵직한 안정감
과 침착한 색채는 럭비구를 안고 뛰는 이 제너레이션의 젊
은 용사의 굵직한 팔뚝을 기다리는 것도 같습니다. 그라비어(gravure) 사진 제판에 사용되는 인쇄법.
작야(昨夜) 어젯밤.
유자가 익으면 껍질이 벌어지면서 속이 비져 나온답니다.
요비링 초인종.
하나를 따서 실 끝에 매어서 방에다가 걸어 둡니다. 물방울 꼭두서닛빛 붉은빛. ‘꼭두서니’는 꼭두서닛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로, 뿌리
는 물감의 원료로 씀.
져 떨어지는 풍염한 미각 밑에서 연필같이 수척하여 가는
여주 박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풀로, 관상용으로 기름.
이 몸에 조금씩 조금씩 살이 오르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당콩 강낭콩.
야채도 과실도 아닌 유머러스한 용적에 향기가 없습니다. 세피아 검은색에 가까운 흑갈색.
세실. B. 데밀 미국의 영화 제작자. 〈십계〉, 〈삼손과 데릴라〉 등을 만듦.
다만 세숫비누에 한 겹씩 한 겹씩 해소되는 내 도회의 육향
추상적인 존재를 눈에 보이는 구체적인 것으로 표현함. 사라다 ‘샐러드’의 일본어.
(肉香)이 방 안에 배회할 뿐입니다. 아스파라거스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예시 답 1930년대에 등장한 한국 모더니즘 문학은 이전의 감상적이고 모 조젯 여름 옷감의 한 가지.
호한 주관적 정서를 비판하며 도시적 감각으로 사물을 새롭게 표현하는 데 웨스트민스터 궐련 영국제 고급 담배. ‘궐련’은 얇은 종이로 가늘고 길게 말
치중하였다. 그래서 청신(淸新)한 감각, 명랑한 감성, 이국적이고 도시적인
아 놓은 담배를 뜻함.
이미지, 지적인 경향 등이 모더니즘 문학의 중요한 특징으로 나타나게 되
었다. 이 작품은 농촌에서 볼 수 있는 여러 소재들을 청신한 감각을 통해 리그레추잉껌 미국제 껌 이름.
이국적이고 도시적인 이미지에 비유하고 있으며, 감정 이입을 억제하며 대 혜원(蕙園) 조선 시대 풍속 화가 신윤복의 호.
상을 객관적으로 보려는 지적인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이
홍일산(紅日傘) 의장으로 쓰던 붉은 빛깔의 큰 양산.
작품은 모더니즘 문학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작품 개관 청둥호박 늙어서 겉이 굳고 씨가 잘 여문 호박.
갈래 현대 수필, 서간체 수필 호박고자리 ‘호박고지’의 방언. 애호박을 얇게 썰어 말린 반찬
성격 서정적, 감각적 거리. 물에 불려 볶아서 나물로 무쳐 먹음.
제재 산촌에서의 생활 유자 여주의 열매.
주제 도시적 감수성으로 바라본 산촌의 풍경
풍염(豊艶)하다 생김새가 살지고 아름답다.
① 작가의
‌ 서구적 취향이 다양한 외래어와 외국어 사용을
풍성하고 아름답다.
특징 통해 드러남.
② 시선의 이동에 따라 글을 전개함. 용적(容積) 물건을 담을 수 있는 부피.

대단원 마무리 283

고등문학(204~283)4단원(교)삼.indd 283 2019. 1. 9. 오후 2:56


독서
문학 작품을 읽고 비평문 쓰기
2
우리는 문학 작품을 읽고 깊은 감동을 얻습니다. 하지만 작품을 읽은 후에 등장인물에 대해

서, 또는 이야기 흐름에 대해서 비판하기도 합니다. 이것은 비평을 하는 첫걸음입니다. 다만, 비

평이란 단순히 자기의 의견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인 기준을 세워서 그 기준에 따라

작품에서 근거를 찾는 논리적인 작업입니다. 친구들과 함께 도서관에 가서 문학 작품을 선정하

고, 독서 일지를 꾸준히 작성하여 비평문을 써 봅시다.

1 모둠별로 함께 읽을 문학 작품을 선정해 보자.

⑴ 다음의 문학사 시대 구분과 관련된 제시어를 보고, 우리 모둠이 선택하고 싶은 시대와 그


까닭을 써 보자.

중세 문학 중세에서 근대로의 근현대 문학


고대 문학
이행기 문학

우리 모둠이
선택한 시대

이 시대의
작품을 선정하려는
까닭

284 문학이 꽃피는 도서관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84 2019. 1. 9. 오후 2:59


수업 tip ⑵ ⑴에서 고른 시대에 대해 간략하게 조사해 보자.
문학사의 시대 구분과
관련된 제시어를 고른 후
각자 해당 제시어와 관련
된 배경지식을 정리해 보
도록 한다. 제시어와 관련 중요한
하여 적절한 작품이 없거 중요한
작가
나 흥미를 가지지 못하게 역사적 사건
된 경우에는 모둠원들과
상의하여 제시어를 바꿀
수 있도록 허용한다.
문학

유명한
문학 작품

⑶ 모둠원들이 각자 해당 시대의 문학 작품을 자유롭게 고른 후 친구들에게 소개해 보자.

이름 문학 작품 (제목, 작가, 발표 연도 등) 그 까닭

⑷ 우리 모둠의 수준과 흥미, 독서하게 될 시간을 고려하여 문학 작품을 선정해 보자.

우리 모둠이 선정한 작품

한 권 독서 2 285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85 2019. 1. 9. 오후 2:59


2 선정한 문학 작품을 읽으면서 독서 일지를 써 보자.

⑴ 책을 읽기 전에 다음과 같이 작품의 내용과 관련된 활동을 해 보자.


읽기

① ‌표지 제목, 차례, 삽화, 사진 등을 훑어 보며 그와 관련된 자신의 배경지식과 경험을 떠올려


보자.

② 앞에서 떠올린 내용으로 책 전체 내용을 예측해 보자.

③ 예측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작품을 읽기 전에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만들어 보자.

읽는
중 ⑵ 책을 읽으면서 독서 일지를 꾸준히 작성해 보자.

수업 tip
독서 일지에는 날짜, 독 읽은 날짜 년 월 일~ 년 월 일
서량, 인상적인 부분과 책
을 읽으면서 생긴 질문 등
을 쓴다. 책을 읽으면서 읽은 분량
든 생각과 느낌을 쓰라고
하면 ‘슬프다’, ‘기쁘다’, ‘재
미있다’ 등과 같이 추상적 인상 깊은 부분
으로 쓰는 경우가 많으므
로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
을 적어야 하는지 안내하
도록 한다. 책을 읽으면서
생긴 질문

기타

286 문학이 꽃피는 도서관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86 2019. 1. 9. 오후 2:59


읽은 날짜 년 월 일~ 년 월 일

읽은 분량

인상 깊은 부분

책을 읽으면서
생긴 질문

기타

읽은 날짜 년 월 일~ 년 월 일

읽은 분량

인상 깊은 부분

책을 읽으면서
생긴 질문

기타

읽은 날짜 년 월 일~ 년 월 일

읽은 분량

인상 깊은 부분

책을 읽으면서
생긴 질문

기타

한 권 독서 2 287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87 2019. 1. 9. 오후 2:59


읽은
후 ⑶ 책을 읽은 후 내용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수업 tip
비평문을 완성하기 위
한 글쓰기 단계는 ‘내용
생성하기-초고 쓰기-고
쳐 쓰기’의 과정으로 진행 작품 안에서 작품 속의 시대 상황은 어떠한지 간단하게 정리해 보기.
한다. ‘내용 생성하기’ 단
계는 교사가 제시한 질문
이 담긴 활동지에 학생들
이 각자 작품의 내용을 정
리하는 것이다. 항목별로
내용을 꼼꼼하게 작성해
야 비평문 쓰기를 포기하
는 학생들이 줄어들 것이
다.

작품의 장면 중에서 가장 인상 깊은 장면이나 대사를 쓰고, 그 까


작품 안에서
닭을 간략하게 써 보기.

작품 속 인물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인물을 선정하여 삶의 모


작품 안에서
습을 간단하게 정리하고, 그 인물이 기억에 남는 까닭을 써 보기.

텔레비전 프로그램, 뉴스, 신문 기사, 영화, 음악, 인터넷 등을


작품 밖에서
통해 접했던 내용 중 이 작품과 관련된 것이 있는지 떠올려 보기.

288 문학이 꽃피는 도서관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88 2019. 1. 9. 오후 2:59


이 작품이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줄 수 있는 가치
작품 밖에서
는 무엇인지 생각해 보기.

작가에 대해 간략하게 조사하고, 작가가 이 작품을 통해 이야


작품 밖에서
기하고 싶었던 점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기.

작품 밖에서 그 밖에 이야기하고 싶은 내용을 써 보기.

3 2 에서 작성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다음 조건에 맞게 한 편의 비평문을 써 보자.

•작품을 읽은 후 작성한 내용에서 핵심 단어를 3~5개를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내용을 3~5개의 부분으로 나눈다.
•자신의 의견을 쓸 때는 작품 속에서 근거를 들어 최대한 논리적
으로 서술한다.

한 권 독서 2 289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89 2019. 1. 9. 오후 2:59


제목:

290 문학이 꽃피는 도서관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90 2019. 1. 9. 오후 2:59


4 작성한 비평문의 내용을 고쳐 쓰고, 평가하는 활동을 해 보자.

⑴ 비평문의 초고를 모둠 안에서 돌려 읽은 후 다음 내용을 중심으로 의견을 써 보자.

맞춤법에 어긋나는
이해가 되지 곳은 없는지
공감하는 않는 부분에 찾아보자.
표현에 밑줄을 물음표를 읽은 소감도
그어 볼까? 해 보자. 함께 써
보자.

수업 tip ⑵ 모둠원들이 적은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초고를 고쳐 비평문을 완성해 보자. 그리고 글을


1차 평가를 통해 모아진
의견을 반영하여 고쳐 쓴 학급 게시판에 탑재하여 함께 읽은 후 다음 기준에 따라 평가해 보자.
후 최종적으로 비평문을
완성한다. 이때 최종본은
학급 게시판 등에 탑재하
평가 기준 평가
여 함께 읽은 후 최종 평
가를 한다. 작품의 내용을 잘 파악하였는가?

내용 작품의 내용과 글쓴이의 의견이 잘 연결되었는가?

글쓴이의 생각과 근거가 논리적으로 제시되었는가?

글의 구성이 짜임새가 있고 흐름이 자연스러운가?

글의 분량이 적절한가?
형식
어법에 맞는 표현을 사용하였는가?

전달하려는 내용이 정확하고 명료하게 표현되었는가?

한 권 독서 2 291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91 2019. 1. 9. 오후 2:59


대단원 설정 이유 대단원 지도 방안
이 단원은 문학 작품을 감상하며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삶에 대한 깨 이 단원에서는 작품의 주제, 작품 속 인물의 모습 등을 통해 자신의
달음을 얻음으로써 삶의 다양성을 깊이 성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정 삶을 성찰하고 다른 사람들에 대한 이해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하였다. 또한 공동체가 직면한 문제 상황을 다룬 작품을 읽고 문제의식을 그리고 우리 사회가 직면한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그 문
형성하여 적극적으로 해결에 참여하는 태도를 함양하고자 한다. 나아가 제의식을 학생들이 서로 공유하여 소통할 수 있도록 끌어 준다. 또한 문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문학 활동을 통해 자존감과 유대감 등을 형성하고 학 활동을 생활화하면 개인의 삶이 풍요로워질 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문
공동체 문화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궁극적인 목표가 있다. 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자각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교과서 그림 활용하기
책을 읽고 자신의 삶을 성찰하
고 다른 사람과 즐겁게 이야기를
나누는 삽화를 활용하여 문학의
가치를 생각해 보는 질문을 던질
수 있다.

타 학년과의 연계성
소단원명 문학 성취기준 타 학년 관련 성취기준
⑴ [문학04-01] 문학을 통하여 자아를 성찰하고
[중1~3학년군] 인간의 성장을 다룬 작품을
문학과 삶의 타자를 이해하며 상호 소통하는 태도를 지닌
읽으며 삶을 성찰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다양성 다.
⑵ [문학04-02]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여 인간다 [고등 국어] 주체적인 관점에서 작품을 해석
문학과 운 삶을 가꾸고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 하고 평가하며 문학을 생활화하는 태도를 지
공동체 는 태도를 지닌다. 닌다.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92 2019. 1. 9. 오후 2:59


문학의 가치 대단원별 수업 지도안

단원별 평가 계획서

작품 ① 다시 느티나무가
1~4차시 (1) 문학과 삶의 다양성 작품 ② 김 씨 표류기
차시별 수업 지도안

작품 ① 바퀴벌레는 진화 중
5~9차시 (2) 문학과 공동체 작품 ②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차시별 수업 지도안

10차시 대단원 마무리

다시 느티나무가 커진 눈에
세상이 너무 아름다웠다
눈이 어두워지고 귀가 멀어져
오히려 세상의 모든 것이 더 아름다웠다

- 신경림, 〈다시 느티나무가〉에서

대단원 핵심 역량
관련 핵심 역량
의사 통
의사소통 역량은 음성 언어, 문자 언어, 기호와 매체 등을 활용하여 생각과 느낌, 경 소
의사소통
험을 표현하거나 이해하면서 의미를 구성하고 자아와 타인, 세계와 관계를 점검·조
역량
정하는 능력이다. 이 단원에서는 문학을 생활화하면서 상호 소통할 수 있다.
공동체·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은 공동체의 가치와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상
대인 관계 호 협력하며 관계를 맺고 갈등을 조정하는 능력이다. 이 단원에서는 문학 활동을 통
공동

역량 해 개개의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며 공동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체•


대인
자기 성찰·계발 역량은 삶의 가치와 의미를 끊임없이 반성하고 탐색하며 변화하는
자기 성찰·
사회에서 필요한 재능과 자질을 계발하고 관리하는 능력이다. 이 단원에서는 문학
계발 역량
을 창작하면서 자기 삶에 대한 성찰을 통해 사회와 세계를 이해할 수 있다.


성 찰•계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93 2019. 1. 9. 오후 2:59


드라마의 초반부에서는 얄미워 보이던 인물이 후반부에 가서 측은하게 느껴질

문학과 때가 있다. 그 인물이 그런 행동을 할 만한 이유가 있었음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 이럴

때 우리는 다른 사람을 이해했다고 말한다. 이런 이해는 소설이나 시와 같은 문학 작품


삶의 에서도 가능하다. 문학 작품을 감상하다 보면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게 되고, 때로
문학의 가치 ① - 타자 이해

다양성 는 몰랐던 나의 마음을 자세히 살필 수도 있게 된다. 이렇듯


문학의 가치 ② - 자아 성찰
자신과 타인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통로가 된다.
문학 작품은 인간이

스마트 수업 PPT

이 단원에서는 문학 작품을 향유하며 자신과 타인에 대해 좀 더 깊게 이해해 보자.

세 번째 질문 이끌기
문학 활동이 사람과 사람, 그리고
그들이 속한 공동체를 이어 주는 구실
을 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한다. 문
학을 통해 공동체의 문제 해결을 위한
소통의 장이 마련됨을 이해할 수 있다.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문학 작품을 감상하며 자아 문학 작품을 감상하는 것을 통해
생각해 보자.
를 성찰하고 자신의 삶을 풍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가?
소단원 도입 애니메이션
요롭게 하는 능력을 기른다.
문학 작품을 감상하며 타자
를 이해하고 상호 소통하는
태도를 갖춘다.
문학 작품 속에 형상화된
소단원 수업은 이렇게 문학 작품을 읽으며
타인의 삶을
이 단원은 문학을 통해 자신의 자신의 삶을
삶에 대해 성찰하고 다른 사람의 이해할 수 있는가?
삶을 이해하며 이를 바탕으로 하 돌아볼 수 있는가?
여 상호 소통하는 태도를 지니는
데 목표가 있다. 문학 활동을 생활 두 번째 질문 이끌기
첫 번째 질문 이끌기
화하여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태
문학 작품이 자신에게 미치는 문학을 통한 간접 경험으로 타
도를 지니는 것 또한 이 단원의 목
영향에 관해 생각해 보게 한다. 학 인의 삶을 인식한 경험을 떠올려
표이다. 따라서 작품 감상을 통해
생들은 문학 작품을 읽고 자신의 보게 한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
그 속에 담긴 다양한 삶을 이해하
삶을 되돌아보며 깨달음을 얻었던 로 인해 직접 경험할 수 없는 삶이
는 것뿐만 아니라 이를 다른 사람
경험을 떠올려 볼 수 있다. 나 자신과는 가치관이 다른 이들
과 공유하거나 비교하면서 소통하
의 삶도 문학을 통해서는 접할 수
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지도
있다는 사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한다. 나아가 문학은 공동체의 문
화 발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 이 단원에서는 
실을 이해하고, 문학의 생활화를
위해 작지만 의미 있는 실천 방법 1 〈다시 느티나무가〉를 감상하며 자아 성찰의 계기를 마련해 보자.
을 함께 생각할 수 있도록 한다. ▶ 교과서 295쪽, 지도서 408쪽
2 〈김 씨 표류기〉를 감상하며 타인을 이해하고 소통하는 태도를 길러 보자.
▶ 교과서 299쪽, 지도서 416쪽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 교과서 308쪽, 지도서 407쪽

294 5. 문학의 가치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94 2019. 1. 9. 오후 2:59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고향집 앞의 느티나무를 통해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내용을
담은 시로, 어린 시절에 크게 보이던 고향집 느티나무가 성년이 되면서
1
작게 보이다가, 병들고 늙은 현재 화자에게 다시 커 보이는 것을 통해 깨
달은 바를 형상화하고 있다. 즉, 화자는 노년기에 이르러 세상에 대한 인
식이 확장되어 내면의 가치에 집중을 하게 되자 늙고 병든 자신을 서러워
하지 않게 되고 세상의 모든 것이 아름다워지는 깨달음을 얻고 있다. 문
학 작품의 창작은 작가가 자신을 되돌아보고 깨달음을 얻는 데서 출발하
고, 독자들은 이러한 작품을 이해하고 평가하면서 각자의 삶을 돌아볼 수
있게 된다. 문학 활동을 통해 자아를 성찰하고 삶의 진정한 가치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것은 독자의 내면세계를 더욱 넓고 깊게 만든다. 그리고
이것은 독자에게 다시 새로운 문학 활동으로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이 된
다. 작가의 개인적 경험과 깨달음을 다룬 〈다시 느티나무가〉는 문학 작품
을 통한 자아 성찰과 삶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적절한 제재이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제목 관련 ‘다시 느티나무가’ 뒤에는 어떤 말이 올 수 있을까


질문의 예 요?

삽화 관련 교과서 295쪽 삽화 속에 있는 인물들은 느티나무를


질문의 예 보며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요?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신경림 (1936  ~ ) 작가 동영상

시인. 1956년 〈갈대〉로 등단하여 농촌 사회의 현실


적인 문제를 서정적으로 다룬 시를 써 왔으며, 삶의 근
원적 조건에 대한 섬세한 성찰을 담아낸 작품을 다수
발표하였다. 주요 작품으로 〈농무〉, 〈목계장터〉, 〈가난
한 사랑 노래〉 등이 있다.

 나무와 관련한 추억이 있는가?


 익숙한 사물이 새롭게 느껴진 경험이 있

는가?

예시 답 나이를 먹고 병이 드는 것을 걱정해 본

경험이 있는가?

⑴ 문학과 삶의 다양성 295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95 2019. 1. 9. 오후 2:59


〈다시 느티나무가〉는 고향집 앞 느티나무를 보며 자신의 삶을 되돌아본 시이다. 작품 개관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자세로 작품을 감상해 보자.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성찰적, 고백적
수업의 포인트
제재 고향집 앞 느티나무
•‘느티나무’의 기능 파악하기 ① 사물의 인식 변화를 통한 삶의 성찰
•시적 화자의 깨달음 이해하기 주제
② 늙어가는 것에 대한 자족감과 달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시적 화자의 태도 변화 파악하기 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상을 전개함.
특징
② 일상적인 경험을 평이한 시어로 진솔하게 표현함.

다시 느티나무가 | 신경림
작품 감상 애니메이션

작품 감상 음성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공간
고향집 앞 느티나무가 ‘느티나무’의 기능
시적 화자의 태도 변화 시적 화자에게 성찰을 유도하는 존재 •깨달음을 주는 존재: 시적 화자
터무니없이 작아 보이기 시작한 때가 있다 의 자아 성찰을 유도하여 삶에
느티나무가 아주 대한 깨달음을 줌.
유년기 예전에는 아주 커 보였는데 그렇지 않아서
커 보임. •공간적 배경의 형성: 시간의 흐
그때까지는 보이거나 들리던 것들이
름 속에서도 일관된 공간적 배
순수한 마음으로 인식하던 것들
•느티나무가 작아 경을 만듦.
 보임. 문득 보이지도 들리지도 않는다는 것을 알면서
•느티나무가 작아
보이는 것을 의 나는 잠시 의아해하기는 했으나
청·장년기 아하게 생각함.
•세 상 의 이 치 에 내가 다 커서거니 여기면서
따른 변화라고
생각함. 이게 다 세상 사는 이치라고 생각했다 ▶ 고향집 앞 느티나무가 작아 보이기 시작한 때의 ‘나’
성장의 과정에서 겪는 통과 의례적 변화
•느티나무가 다시
 크게 보임.
•세상에 대한 인 오랜 세월이 지나 고향엘 갔더니
식이 확장되어
청년기보다 깊은 고향집 앞 느티나무가 옛날처럼 커져 있다
깨달음을 얻고 유년기. 어린 시절
내면의 가치를 내가 늙고 병들었구나 이내 깨달았지만
노년기
볼 수 있게 됨.
•확 장 된 인 식 을
바탕으로 과거보
내 눈이 이미 어두워지고 귀가 멀어진 것을
겉으로만 인식하고 판단하는 것이 점점 사라짐. → 내면의 가치에 집중하게 됨.
다 세상을 아름
답게 바라볼 수 나는 서러워하지 않았다 ▶ 고향집 앞 느티나무가 옛날처럼 커 보이게 된 ‘나’
있게 됨. 세상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어 세상을 더 아름답게
볼 수 있기 때문에

다시 느티나무가 커진 눈에
삶의 깨달음을 얻은 노년기의 시각
세상이 너무 아름다웠다
눈이 어두워지고 귀가 멀어져
오히려 세상의 모든 것이 더 아름다웠다 ▶ 노년기에 느끼는 세상의 아름다움

제재 정리
시적 화자의 깨달음
•젊은 시절보다 세상을 좀 더 깊고 넓게 작품 구성
늙고 병든 것을 1연 고향집 앞 느티나무가 작아 보이기 시작한 때의 ‘나’
 바라볼 수 있어 만족감을 느낌.
서러워하지 않음.
•세상을 아름답게 느낌. 2연 고향집 앞 느티나무가 옛날처럼 커 보이게 된 ‘나’
3연 노년기에 느끼는 세상의 아름다움

296 5. 문학의 가치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96 2019. 1. 9. 오후 2:59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다시 느티나무가〉의 시적 대상에 관한  〈다시 느티나무가〉의 시적 대상이 지니는  〈다시 느티나무가〉의 감상
시적 화자의 인식 변화를 정리하고 그 까 기능을 파악하고 시적 화자의 정서를 이 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의
닭을 작품에서 찾아보기 해한 다음, 시인의 창작 의도 파악하기 삶 성찰하기

활동 1 지도 방안
1 〈다시 느티나무가〉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시적 화자의 눈에 비친 느티나무의 모습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작품 표면에 드러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시상 전개에 따
른 시적 화자의 인식 변화와 그 유년기 청·장년기 노년기
이유를 생각해 보는 활동이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시적 화자
가 시적 대상을 어떻게 인식하 예시 답 작아 보임. 예시 답 다시 커 보임.
아주 커 보임.
며 무엇을 느끼는지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⑵ 2연에서 오랜 세월이 지났을 때 시적 화자의 눈에 다시 느티나무가 크게 보인 까닭을 작


품에서 찾아보자.
예시 답 시적 화자가 늙고 병들어서 눈이 어두워지고 귀가 멀어졌기 때문이다.

이전에 대단해 보이던 것


2 문학 작품을 통해 자아 성찰의 과정을 파악하는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서 ‘느티나무’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정리해 보자.


이 작아 보이는 순간, 어떤 생각
이 들까?

활동 2 지도 방안 예시 답
시적 대상이 작품에서 하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도 동일한 공간적 배경을 만들어 줌.
기능과 시적 화자의 깨달음을 •시적 화자의 성찰을 유도하고 시적 화자에게 깨달음을 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시인의 창작 의도를 생각해 보
는 활동이다. 시적 화자가 자신
과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
느티나무
는지 성찰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작품에서 궁극적으로 말하
고자 하는 바를 파악할 수 있도
록 지도한다.
⑵ 3연을 참고하여 2연에서 시적 화자가 늙고 병든 상황을 서러워하지 않은 까닭을 생각해
보자.
예시 답 작아 보이던 느티나무가 다시 커 보이게 된 시적 화자, 즉 세상에 대한 인식이 확장되어 청년기보다 더 깊
은 깨달음을 얻은 시적 화자에게는 세상의 모든 것이 아름답게 보인다. 그래서 시적 화자는 눈이 어두워지고 귀가
점점 멀어지는 자신의 처지를 서러워하지 않고 오히려 병든 상황에 자족감을 느낀다.

⑶ 작가와 시적 화자가 동일인이라고 가정할 때, 작가가 이 작품을 창작한 의도는 무엇인지


말해 보자.
예시 답 •자신의 삶을 스스로 돌아보고, 깨달은 바를 사람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작품을 창작하였다.
•자신의 삶 속에서 새롭게 인식하게 된 것을 전달하기 위해서 작품을 창작하였다.

⑴ 문학과 삶의 다양성 297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97 2019. 1. 9. 오후 2:59


인생의 주기별로 사람에
3 문학 작품에 대한 감상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활동을 해 보자.

⑴ 어렸을 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 중에서 지금은 그리 중요하지 않게 느껴지는 것을 떠


게 중요한 것이 달라지기 마련이
올려 보고, 그 이유를 써 보자.
야. 이 작품의 시적 화자도 나이
가 들면서 생각이 변화했다는 •떠올린 것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예시 답 게임기 / 엄마 옆에서 자는 것 / 같은 반에 단짝 친구가 꼭 필요한 것
활동 3 지도 방안
문학 작품의 감상을 바탕으
로 하여 학생들이 직접 자신의 •그 이유
삶을 돌아보는 활동으로, 학생 예시 답 예전에는 멋있어 보였는데 이제는 다른 것들이 더 멋있어 보이기 때문에 / 혼자 자는 것이 더 자유롭
개개인의 경험이 묻어날 수 있 기 때문에 / 내 마음을 알아주는 친구가 존재한다면 장소는 어디라도 상관없기 때문에
도록 생각의 방향을 열어 주는
것이 좋다. 어렸을 적 중요하다
고 생각했던 것을 떠올리는 활
동을 할 때는 특정한 분야에 국
한하지 않고 구체적인 사물에서
부터 추상적인 개념에 이르기까
지 넓은 범위에서 생각할 수 있 ⑵ 30년 후 자신에게는 어떠한 것이 중요하게 느껴질지 생각해 보자.
도록 지도한다. 예시 답 •직업 - 이 직장에서 어떻게 하면 일을 더 잘할 수 있을지.
•자녀 - 우리 아이가 어떻게 하면 잘 자랄 수 있을지.
•부모 - 우리 부모님을 어떻게 챙겨드리고 돌봐드릴지.
•노후 - 내가 건강하고 행복하게 지내려면 어떤 것들을 준비해야 할지.

⑶ 미래의 ‘나’의 모습을 상상해 보고, 미래의 ‘나’가 현재의 ‘나’에게 조언하는 편지를 써 보자.

질문으로 끌어 주기
•<다시 느티나무가>의 시적 화 예시 답 안녕? 18살의 ◯◯아/야.
자의 태도를 시기별로 다시 한
번 떠올려 보세요. 네가 그동안 열심히 산 덕에 △△살의 나는 재미있게 살고 있어. 18살의 너는 성적과 진로 때문에 엄청 고민
•<다시 느티나무가>에서 노년기 했다는 것을 알고 있어. 그래도 너의 고민과 노력 덕분에 지금 나는 행복하게 살고 있단다. 지금 와서 생각해
의 화자는 청·장년기의 화자 보면 성적이 그렇게까지 중요한 것은 아니었던 것 같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은 중요하겠지만, 점수나 등급에
에게 어떠한 말을 할 수 있을 너무 연연하면서 살지 않아도 된다고 너를 다독여 주고 싶어.
지 생각해 보세요.
•생각한 내용을 바탕으로 3-⑶ 고등학교 생활이 많이 힘들겠지만 힘내길!
의 편지를 써 봅시다.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1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이 작품은 1960~70년대에 도시화·산업화로 소외되었
〈다시 느티나무가〉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던 농촌의 현실을 다룬 시로, 농무를 추는 모습을 통해
예시 답 자신의 삶을 돌아보면서 부족한 점을 깨닫고 뉘우칠 때 점차 신경림의 농민의 울분과 절망감을 표현하고 있다. 쇠락해 가는
나은 사람이 되는 것 같아. 성장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영양 〈농무〉 농촌의 처절한 현실 속에서 신명이 나기까지 하며 농
분이 아니라 성찰이지 않을까? 무를 추는 농민들의 모습은 역설적으로 그들의 울분과
한이 응축된 처절한 몸짓임을 깨닫도록 안내한다.
나의 책방 키우기 이 작품은 자신의 모습을 부끄러워하며 받아들이지 못
했던 사랑에 대한 회한을 담은 시이다. 시적 화자는 자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신경림의 〈농무〉 신을 남보다 더 사랑하는 사람이 된 것에 부끄러움을
문정희의 느끼고, ‘별’처럼 아름답고 소중한 존재를 온전히 받아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문정희의 〈비망록〉 〈비망록〉 들이지 못해 ‘돌’처럼 가슴에 박혀 있노라고 고백하고
있다. 이처럼 시적 화자가 자신의 모습을 성찰하는 모
습을 통해 독자 역시 각자 자기 삶을 돌아보는 경험을
298 5. 문학의 가치 하도록 지도한다.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98 2019. 1. 9. 오후 2:59


2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우연히 한강의 밤섬에 표류하게 된 한 남자와 그의 표류 생
활을 지켜보는 한 여자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의 시나리오이다. 〈김 씨 표
류기〉의 주인공인 남자 김 씨와 여자 김 씨는 사회로부터 단절된 채 소외
되어 살아가던 인물들이었지만, 모래사장에 글씨를 쓰고 와인병에 쪽지
를 넣는 방식으로 소통하며 점차 서로에게 마음을 열게 된다. 따라서 작
품에 나타난 인물의 태도 변화를 살펴보면서 타자를 이해하고 상대방이
지닌 가치를 인정하며 상호 소통하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해준 (1973  ~ ) 인터넷 링크 - 작가 소개

시나리오 작가, 영화감독. 사회에서 외면당하는 인간


에게 관심을 기울이며 이들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
는 작품을 주로 창작했다. 주요 작품으로 〈천하장사 마
돈나〉, 〈나의 독재자〉 등이 있다.

 표류한 사람에 관한 이야기를 들어 본


‘감상 열기’ 지도 방안
적이 있는가?
제목 관련 제목으로 미루어 보아 이 작품은 어떤 장르의 영화라
질문의 예 고 생각하나요? 그리고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요?  내가 만약 표류하는 상황에 놓인다면 어

삽화 관련 교과서 299쪽 삽화의 남자와 여자는 각각 무엇을 하 떤 생각이 들까?


질문의 예 는 것일까요?
 예시 답 주변 사람들과 자유롭게 소통하고 있다

영화를 보고 난 뒤, 삶의 깨달음을 얻은 경험이 있나 고 생각하는가?


경험 관련
요? 있다면 그 영화는 무엇이었으며 어떠한 것을 느
질문의 예
꼈나요?

⑴ 문학과 삶의 다양성 299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299 2019. 1. 9. 오후 2:59


〈김 씨 표류기〉는 세상과 단절된 채 살아가던 사람들이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하게 되는 과정을 그린 시나리오이다.
타자를 이해하고 상호 소통하는 자세에 대해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개관
갈래 시나리오 성격 상징적, 시사적
배경 현대 / 서울(밤섬, 여자 김 씨의 방 안)
제재 밤섬에 표류한 남자 김 씨와 자기 방에 고립되어 사는 여자 김 씨
주제 현대인의 소외감
특징 두 김 씨의 만남을 통해 타인과 소통하지 못하는 현대 사회의 모습을 우회적으로 고발함.

김 씨 표류기 | 이해준 작품 줄거리 애니메이션


① ‌주인공 남자 김 씨가 밤섬에서 표류하
고 있다는 영화의 내용을 반영함. 작품 줄거리 음성
② ‌삶을 어떻게 헤쳐 나가야 할지 몰라 막
막해하는 현대인들의 모습을 의미함.
인터넷 링크 - 오에스티 뮤직비디오
수업의 포인트
•제목의 의미 이해하기
•인물 관계의 변화 양상 파악하기
•등장인물의 처지와 특성을 바탕으로 작품의 주제 파악하기

등장인물 남자 김 씨, 여자 김 씨, 짜장면 배달원

지금까지 두 인물이 소 앞부분 줄거리


통해 온 방법(교과서 수록
앞부분) 빚 독촉에 시달리던 남자 김 씨는 한강에서 자살하려 S# 82 섬(오후)
와인병에 편 다 우연히 살아남아 무인도인 밤섬에서 깨어난다. 밤섬에
여자 경계하듯 섬을 두리번거리며 모래 해변 위를
지를 넣어 공간적 배경, 도시와 동떨어진 공간
김씨 사람이 살지 않을 것 같은 곳이어서
보냄. 서 탈출하려던 남자는 「버려진 오리배에 보금자리를 만들 걷는 배달원. 저 앞에 남자의 오리배를 발견하고
모래사장에
남자 고 물고기와 새를 잡아먹으며 살아간다.」 어느 날 쓰레기
커다랗게 글 는 조심스럽게 다가간다.
김씨 「」 : 밤섬의 생활에 서서히 적응함.
씨를 씀.
속에서 짜장 라면 양념 가루를 발견한 남자 김 씨는 짜장
삶의 목표가 됨.
면이 먹고 싶어져 농사를 짓기 시작한다.
배달원 저기요? 계세요?
한편 여자 김 씨는 다른 사람과 교류하지 않고 방에

만 틀어박혀 지낸다. 그녀의 유일한 취미는 방 안에서 사


카메라가 배달원의 시선으로 오리배를 향해
진 찍기인데, 우연히 밤섬 쪽을 찍다가 남자 김 씨를 발견
조심스럽게 다가간다. 이윽고 오리배 뒤에 잔뜩
한다. 그 후 여자 김 씨는 남자 김 씨에게 동질감을 느끼고
몸을 숨긴 웅크린 남자의 앙상한 뒷모습이 드러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노력한다. 오랜 관찰로 남자의
남자 김 씨와 소통하고자 하는 여자 김 씨 난다. 긴장하는 배달원.
사정을 알게 된 여자 김 씨는 남자 김 씨에게 짜장면을 배
여자 김 씨가 보이는 관심을 의미함.
달시켜 보낸다.
공간의 상징적 의미
•도시의 한복판이지만 고립된 장소임.
밤섬(무인도) •남자 김 씨가 표류한 장소로, 탈출을 시도하다
정착함.
(여자 김 씨의) •여자 김 씨가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는 장소
방안 •남자 김 씨를 관찰하는 장소

소통의 부재로 인해 고립된 현대인들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공간

300 5. 문학의 가치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00 2019. 1. 9. 오후 2:59


S# 82에 나타난 인물의 심리
남자 김 씨 배달원
•밤섬에 사람이 나타나서 당황함. •남자 김 씨의 모습에 긴장하고
•여자 김 씨가 짜장면을 보낸 것 두려워함.
을 알고 그녀를 궁금해함. •밤섬까지 배달하게 되어 불만스
•그토록 먹고 싶어 하던 짜장면을 러움.
보자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함. •배달시킨 여자 김 씨에게 화가 남.

배달원 짜장면…… 시키신 분?

남자, 조심스럽게 돌아본다. 남자의


행색에 흠칫 놀라는 배달원. 「남자도
야생의 생활로 인해 다듬어지지 않은 남자 김 씨의 모습 때문에
난데없는 배달원의 등장에 놀라긴 마찬가지이 배달원 그…… 사실 그래요. 배달이 어디든
「」 : 무인도에 예상치 못하게 사람이 나타나서
다.」 잠시 서로에게 당황하는 두 사람. 배달원, 머 가는 게 원칙이긴 한데……. 너무들
무인도인 밤섬으로 배달을 시켜서
뭇머뭇 조심스럽게 입을 떼는데, 말도 잘 안 나
하셨다, 이번 일은.
온다.
남자 ……. ① 그릇을 다
시 가지러 오
배달원 식사 많이 하시고요, 그릇은……. (남 기 힘들기 때
배달원 아니…… 어떤 여자가…… 여기로 문에
여자 김 씨 자의 주변을 훑더니) 가지세요……. ② 남자 김 씨
짜장면……. 가 가진 것이
남자 저기요! 여자…… 어떤, 여자예요? 없어 보여서
남자 김 씨는 여자 김 씨를 궁금해함.
배달원, 주뼛대다가 철가방을 내려놓는다. 그 어떻게 생겼는데요?

바람에 흠칫하는 남자. 여전히 경계를 풀지 않는 배달원 「(한숨을 쉬며) 저도 상당히 보고 싶거


다. 배달원, 남자의 눈치를 살피며 철가방 속에 든요? 도대체 어떻게 생긴 여잔지?」
「」 : 배달원의 심정: 밤섬까지 배달시킨 여자 김 씨가 못마땅함.
서 조심스럽게 짜장면을 꺼내 놓는다.

배달원, 돌아서 간다. 남자, 자기 앞에 놓여 있


남자는, 짜장면
배달원 보통 짜장……. 는 짜장면들을 바라본다. 남자의 눈동자는 미세 을 보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하게 흔들린다. 점점 복잡해지는 감정인가 싶은 농사를 뒤로하
고 배달된 짜장
배달원, 이번엔 다른 짜장면을 내려놓는다. 데 갑자기. 면을 먹어도 될
지 등의 생각으
로 혼란을 느낌.
배달원 간짜장……. 남자 저기요!
일반적인 짜장면보다 물기가 적게 볶아서 만든 짜장면 ▶ 여자 김 씨는 남자 김 씨에게 짜장면을 배달시켜 줌.

배달원, 굳이 하지 않아도 되는 설명을 왠지


해야 할 것 같은 또 하나의 짜장면을 내놓으며
문명과 단절된 것 같은 남자 김 씨에게는 짜장면 종류를 일일이 S# 83 방(오후)
알려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서
여자의 망원 렌즈 시점.
배달원 삼선 짜장……. 그리고…… (군만두 멀리 있는 물체 따위를 크고 정확하게 볼 수 있도록, 초점 거리를 비교적 길게 만든 렌즈
해삼, 새우, 전복 등의 해물을 넣은 짜장면 짜장면을 들고 배달원 앞까지 걸어오는 남자.
다.) 서비스……. 짜장면을 내려놓는다. 배달원에게 ‘뭐라 뭐라’ 하
짜장면을 다시 여자 김 씨에게 갖다 주면서 자신의 말을 전달해 줄 것을 요청함.
는 남자. 그러고는 돌아서 가 버린다. 황당한 배
짜장면들을 바라보는 남자의 표정. 그런 남자 달원. 어쩔 수 없이 짜장면을 도로 철가방에 담
여자 김 씨는 남자 김 씨를 위해 종류별로 짜장면을 배달시켜 줌.
의 표정을 잠시 살피다가 천천히 일어서는 배달 는다.
자신이 예상한 상황과 다른 상황이 벌어져서 놀람.
원. 다시 껌을 씹으며 퉁명스럽게 말한다. 카메라에서 눈을 떼는 여자. 놀라는 표정.
▶ 여자 김 씨는 배달원이 짜장면을 철가방에 도로 담는 것을 보고 놀람.

⑴ 문학과 삶의 다양성 301

고등문학(284~329)5단원(교).indd 301 2021. 8. 18. 오후 5:42


S# 84 한강 한복판(오후) 여자는 잠깐잠깐 배달원과 눈을 마주치지만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 익숙하지 않은 여자 김 씨의 모습
배달원의 역할 화를 내며 오리배의 페달을 돌리고 있는 배달 애써 시선을 피한다.
행동 역할
원.
여자 김 씨가
주문한 짜장 배달원 (잠시 본다.) 참, 두 분…… 서로 참,
면을 남자 김
두김씨사
씨에게 전해
이의 소통을
배달원 (잔뜩 짜증 난 목소리로) 내가 진짜 관심 있으신가 봐요……. 막 애틋할
주고, 남자 김
도와줌.
씨가 한 말을 …… 아우, 진짜……. 라 그러네?
여자 김 씨에 ▶ 배달원은 화를 내며 오리배의 페달을 돌림.
게 전달함.
오리배를 타
해학적인 분
고 밤섬까지
짜장면을 배
위기를 형성
S# 85 현관(오후)
함.
달함.
딩동! 딩동! 딩동! 짜증 날 대로 난 배달원.
대답이 없자 현관 앞에 급기야 무작정 짜장면
을 내려놓는다.

배달원 아, 몰라, 몰라, 몰라! 직접 전해

주든지, 먹든지, 버리든지…….


근육이 딴딴하고 둥글게 된 것
(울먹이며) 다리에 알 배었거든요!
오리배의 페달을 돌리며 밤섬을 오가느라 힘들었음.

배달원이 씩씩대며 돌아서 가는데, 철컥.


걸쇠에 걸린 현관문이 살짝 열린다.
S #85 이후 여자 김 씨의 행동
여자 김 씨는 남자 김 씨의 생각
을 헤아리지 못하고 무작정 짜장면
여자 저기요!
여자 ……. 을 배달시킨 자신의 행동을 미안
해한다. 그리고 ‘I AM SORRY’라고
배달원 전해 달래요. 적힌 메시지를 와인병에 넣어 남자
배달원, 극도의 짜증을 억지로 삼키며 천천히 김 씨에게 보낸다.
여자 (동그랗게 떠지는 두 눈)
돌아서는데, 여자가 안 보인다. 배달원, 천천히
현관을 향해 걸어가면 문 안쪽, 좁은 문틈으로 배달원 (갑자기 정색하며) 자기한테 짜장면
남자 김 씨가 생각하는 짜장
마치 공포 영화의 한 장면처럼 드러나는, 애써 은……. 희망이래요. 면의 의미 → 스스로 짜장면
외부와 단절된 채 살아가는 여자 김 씨의 모습
을 만들어 먹음으로써 삶의
얼굴을 돌리고 서 있는 긴 흑발의 여자. 놀라서 여자 (듣는 표정)……. 진정한 보람을 느끼게 됨.
멈칫하며 주춤대는 배달원.
배달원 (정색한 표정 그대로) 그 남자, 가까이

하지 마세요. 그릇은…… 가지시고.


① 남자 김 씨에 배달원 왜들, 그러세요……. 들…….
이어 평범하지
않은 여자 김 씨 여자 「그 남자……. 다른 말 없었어요? 뭐
의 모습에 또다
배달원은 돌아서 간다. 이미 불어 터진, 남겨
시 놀라서 ② 자 라고 하는 거 같던데…… 그죠? 뭐라 진 짜장면들을 바라보는 여자의 표정.
신을 고생시키 ▶ 배달원은 남자 김 씨가 돌려보낸 짜장면을 여자 김 씨에게 전함.
는 두 사람이 원 고 그랬어요?」 「」 : 남자
‌ 김 씨의 반응이
망스러워서 짜장면에 대한 인물의 태도
궁금한 여자 김 씨
여자 김 씨 남자 김 씨

302 5. 문학의 가치
•남자 김 씨를 위해 짜장면을 종류별로 •짜장 라면 봉지와 양념 가루를 본 이
배달시켜 밤섬으로 보냄. 후, 짜장면을 직접 만들어 먹으려고 함.
•‘짜장면은 희망’이라는 말을 전해 듣고 •배달온 짜장면에 잠시 흔들렸지만 돌
자신이 한 행동을 생각함. 려보내고 더욱 열심히 농사를 지음.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02 2019. 1. 9. 오후 2:59


중략 부분 줄거리 비벼진 면을 잠시 바라보는 남자. 남자의 표정은
남자는 여자가 보낸 짜장면을 돌려보낸 뒤 더욱 열심 설명할 수 없는 감격으로 가득하다. 작게 벌린
목표를 이루게 되어 감동함.
히 농사를 짓는다. 결국 직접 기른 옥수수와 채소로 짜장 입에서 흘러나오는 남자의 호흡이 가늘게 떨린
밤섬에서 자신이 세운 목표를 이룸.
면을 만든다. 다. 드디어 완성된 남자만의 짜장면을 한 젓가락
들어 입으로 가져간다. 후루룩 입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면발. 우걱우걱 씹는 남자의 감정이 어
느 순간 북받친다. 감정을 누르고 다시 한 젓가
S# 97 짜장면을 만들다(오후)
락을 입 속에 넣는다. 우걱우걱 씹을수록 점점
오리배 앞. 말린 옥수수의 알을 하나하나 떼어
더 뜨거워지는 눈시울. 다시 북받치는 감정. 어
내는 남자. 냄비에 담긴 노란 옥수수 알. 여자가
느새 뚝뚝 떨어지는 굵은 눈물. 남자, 입가가 시
보내온 와인병으로 힘차게 옥수수 알을 빻는 남
커멓게 되도록 짜장면을 욱여넣어 보지만, 북받
자. 이제는 가루가 된 옥수수에 적당량의 물을
치는 감정을 참을 길 없다. 애써 웃어 보려 하는
붓는다. 다시 한번 와인병을 가지고 정성을 다해
데 자꾸만 눈물이 흐른다. 이제껏 흘려 본 적 없
반죽한다. 반죽한 덩어리는 깡통 뚜껑으로 얇게
는 눈물. 말하자면 그것은 살아 있다는 증거 같
잘라 낸다. 모닥불 위에 끓고 있는 물. 잘라 낸
은 눈물이다. 그렇게 입 안 가득 짜장면을 물고
면을 넣고 나뭇가지로 천천히 젓는 남자. 모래
뜨거운 눈물을 흘리는 남자.」
깊숙이 파묻은 뭔가를 꺼낸다. 보면, 포장도 뜯 ▶ 남자 김 씨는 완성한 짜장면을 먹으며 눈물을 흘림.

지 않은 단무지다. 오리배 안. 오랫동안 곱게 보


관한 짜장 라면 양념 가루를 꺼내는 남자.
짜장면을 소중히 여기는 남자 김 씨의 태도
▶ 남자 김 씨는 손수 짜장면을 만듦.

S# 98 짜장면 완성(오후)
「모래사장. 김이 모락모락 나는 면을 그릇에 담
는 남자. 양념 가루를 들어 조심스럽게 찢는다.
찢는 손길이 가볍게 떨린다. 툭 툭 툭 양념 가루
의 마지막까지 남김없이 털어 낸다. 잘 익은 노 인물 관계의 변화 양상
서로 알기 전 서로 알게 된 후
란 면 위에 뿌려지는 검은 양념 가루. 나무젓가
•각자의 세계인 무인도와 •서로를 궁금해하며, 각자
락을 꺼내 쓱 쓱 면과 양념 가루를 비비는 남자. 방에 갇혀 살아감.  의 방식을 통해 메시지
•세상과의 소통을 두려워 를 전달함.
금세 시커멓게 변하는 면발. 마침내 어느 정도 하여, 스스로 고립을 택 •자신만의 세계에서 벗어
「」 : 밤섬에서 지내기 전까지 남자 김 씨는 빚 독촉에 시달리는 함. 나 소통을 위해 노력함.
등 제대로 이룬 것 없는 힘든 삶을 살았지만, 아무도 없는 밤섬
에서 자신의 노력으로 짜장면을 만들어 먹게 되자 삶의 희망을
가지게 됨. ⑴ 문학과 삶의 다양성 303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03 2019. 1. 9. 오후 2:59


S# 102 오리배 안(오후)
그동안 받은 와인병들이 줄지어 서 있는 오리배
안. 여자의 편지, ‘CONGRATULATIONS’를
짜장면을 만든 남자 김 씨를 축하하는 편지의 내용
보고 있는 남자. 바라보는 남자의 평온한 시선.
비록 짧은 단어지만 많은 감정을 읽을 수 있다. 한
동안 보던 남자, 무슨 생각에선지 오리배 안 구
석, 잡동사니가 쌓여 있는 곳에서 뭔가를 찾는다.

「」 : 여자 김 씨는 이전까지 타인에게 관심 남자가 집어 드는 건 다름 아닌 휴대 전화. 목소리


진정한 소통을 원하는 남자 김 씨의 마음이 드러남.
을 가지지 않고 혼자 고립된 삶을 살았지
를 가다듬어 보는 남자. 폴더를 열고 잠시 후.
만, 밤섬에 있는 남자 김 씨의 모습을 관
찰하면서 서서히 타인과 소통하고 그것의
S# 99 방(오후) 진정한 의미를 깨닫게 됨.
여자는 무언가를 바라보며 나지막히 말한다. 남자 헬로?……. 하우 아 유?……. 파인 생
큐, 앤 유? 파인 생큐! 음 …… 웨얼 아
여자 (미소를 지으며) 콩그래출레이션스…… . 유 프롬?……. 코리안? 리얼리? 오 마
작품 구성
여자 김 씨는 짜장면 만들기에 성공한 남자 김 씨를 축하해 줌.
빚 독촉에 시달리던
남자 김 씨는 한강에 이 갓! 미투! 미투! 아임 코리안! 프롬
서 자살하려다 우연히 「남자의 사진들로 도배된 벽면. 방금 인쇄한 남
발 살아남아 무인도인 밤 도봉구……. 예…… 아 …… 앤드, 아
단 섬에서 깨어나고, 여 자의 사진을 붙이는 여자. 보면, 짜장면을 한가득
자 김 씨는 다른 사람 …….
과 교류하지 않고 방 입에 물고 눈물을 흘리고 있는 남자의 얼굴. 바라
에만 틀어박혀 지냄.
여자 김 씨는 우연히 보는 여자의 눈가도 투명하게 촉촉하다. 천천히
밤섬 쪽을 사진 찍다 할 얘기가 없다. 아니다, 하고 싶은 얘기는 애초
손을 뻗어 사진 속 남자의 눈물을 쓱 닦아 주는 여
전 가 남자 김 씨를 발견
개 하고, 밤섬에서 탈출하
하나뿐이었다. 서서히 진지해지는 남자의 표정.
자. 여자의 눈에서 한 줄 눈물이 흐른다.」
려던 남자 김 씨는 그 ▶ 여자 김 씨는 짜장면을 완성한 남자 김 씨를 축하해 줌.
곳에 적응하여 살아감.
남자 김 씨에게 동질 남자 아이…… 아이…… 홉 투 씨 유 …….
감을 느낀 여자 김 씨
는 남자 김 씨가 먹고 S# 100 붙박이장 안(밤) I hope to see you.
‌ Who are you?(나는 당신과 만나
후 아 유? 기를 바랍니다. 당신은 누구신가요?)
절 싶어 하던 짜장면을
이리저리 몸을 뒤척이는 여자. 몸이 갑자기 커 ▶ 남자 김 씨는 여자 김 씨를 궁금해하며 만나고 싶어 함.
정 배달시켜 보내지만, 남
자는 이를 돌려보내고
졌을 리도 없는데. 오늘따라 관같이 비좁게 느껴
직접 농사를 지어 짜
여자 김 씨의 변화 → 단절되고 고립된 뒷부분 줄거리
장면을 만들어 먹음. 지는 붙박이장. 남자가 밤섬을 떠나게 되는 계기
삶을 답답하게 느낌.
환경 관리원에 의해 ▶ 여자 김 씨는 고립된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기 시작함. 태풍 때문에 남자가 일군 텃밭과 숙소가 모두 엉망이 되
밤섬 밖으로 끌려 나
온 남자 김 씨는 다시 고, 남자는 환경 관리원에게 끌려 나온다. 자신이 도망쳤
한번 죽을 마음을 먹

고 고층 빌딩으로 향 S# 101 방 안(밤) 던 사회에 억지로 돌아온 남자는 진정으로 죽고자 마음먹

하고, 여자 김 씨는 그
를 찾기 위해 거리로
달빛이 드리운 한밤의 방 안. 드르륵 조용히 미 고 고층 빌딩으로 향한다. 카메라로 이 광경을 지켜보던 여
뛰어다니다 버스에 탄 닫이문을 열고 나오는 여자. 방 한복판 맨발로 선 자는 몇 년 만에 대낮의 거리로 뛰쳐나와 남자를 찾기 위해
남자를 발견함.
민방위 사이렌이 울려 여자. 쓰레기들을 한쪽으로 대충 밀치고 자리를 온 힘을 다해 뛰어다닌다. 그녀는 버스에 탄 남자를 발견하
대 버스가 멈추자 여자
단 김 씨는 남자 김 씨를 잡고는 천천히 몸을 눕힌다. 부드럽게 하늘거리 고 열심히 뛰어가지만 아무래도 역부족이다. 때마침 민방
원 향해 달려가고 두 사
람은 마주함. 는 커튼. 창가를 바라보던 여자. 시선이 어느새 위 사이렌이 울려 버스가 멈추고 여자는 마지막 힘을 다해
남자 김 씨와 소통하며 점차 심리적 안정을 찾아가는 여자 김 씨
※ 교과서
‌ 수록 부분은 ‘절정’ 평온하게 감긴다. 달려가 버스 안의 남자와 마주한다.
에 해당함. ▶ 여자 김 씨는 마음의 평온함을 느낌. 남자 김 씨와 여자 김 씨가 처음 서로 만나게 됨. → 현대 사회의
소외감, 단절감을 극복하고 타인과 소통하는 장면

304 5. 문학의 가치 제재 정리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04 2019. 1. 9. 오후 2:59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김 씨 표류기〉의 두 인물이 처한 상  〈김 씨 표류기〉의 두 인물의 변화 양  현대시 〈우리 동네 구자명 씨〉를 감상
황의 공통점을 파악하고, 인물의 익 상과 중심 소재의 의미를 파악하고, 하며 시적 화자의 태도를 파악하고,
명성과 제목이 뜻하는 바를 이해하기 작품을 통해 깨달은 점 이야기하기 타인의 삶을 이해한 경험 공유하기

활동 1 지도 방안
1 〈김 씨 표류기〉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서 두 인물이 처한 상황을 정리해 보자.


주요 등장인물과 제목을 중
심으로 작품의 내용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두 인물 모두 사회로 인물이 머무는 공간 인물의 행동
부터 고립되어 소외감을 느낀다
는 공통점이 있음을 도출해 낼
수 있도록 끌어 주고, ‘표류’라는
예시 답 •섬에 고립되어 홀로 살아감.
단어가 복합적인 의미로 사용되
예시 답 밤섬(무인도) •농사를 지어 짜장면을 만들어 먹음.
었음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
•여자 김 씨의 편지를 받고 그녀를 궁금해함.
한다.

남자

예시 답 •다른 사람과 교류하지 않고 방 안에만 틀


어박혀 있음.
예시 답 밤섬(무인도)
•남자 김 씨를 관찰하고 짜장면을 먹기 위한 그의 노
력을 응원함.
•남자 김 씨에게 짜장면을 배달시켜 주고 편지도 보
냄.
여자

⑵ ⑴ 의 활동을 바탕으로 하여 두 인물의 공통점을 말해 보자.


예시 답 •특정한 공간에 갇혀서 고립되어 있음.
•타인을 경계하면서도 서로를 궁금해함.
질문으로 끌어 주기
•두 사람의 원래 이름은 각각 ‘김승근’과 ‘김정연’인데, 왜 주로 ‘남자/여자’나 ‘김 씨’로 불리는 것일까요?
•사람의 이름을 온전히 부르지 않고 성만으로 부른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생각한 내용을 바탕으로 1-⑶을 정리해 봅시다.

두 사람을 구분하지 않 ⑶ 이 작품에서 두 인물을 모두 ‘김 씨’라고만 나타낸 까닭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고 똑같이 ‘김 씨’라고만 나타낸 예시 답 •가장 보편적인 성(姓)인 ‘김 씨’를 활용하여 사람들은 누구나 고립될 수 있으며, 혹은 이미 고립되어 있음
건 두 사람이 처한 상황이 비슷 을 드러냄.
하기 때문이 아닐까? •서로를 잘 알지 못하는 현대 사회의 익명성, 개인에 대한 무관심함을 ‘김 씨’라는 이름으로 표현함.

⑷ ‘표류’라는 단어의 뜻을 찾아보고, 이 작품의 제목이 뜻하는 바를 생각해 보자.

예시 답 •물 위에 떠서 정처 없이 흘러감.
•정처 없이 돌아다님.
‘표류’의 사전적 의미
•어떤 목적이나 방향을 잃고 헤맴. 또는 일정한 원칙이나 주관이 없이 이리
저리 흔들림.

예시 답 •주인공 남자 김 씨가 밤섬에서 표류하고 있다는 내용을 반영함.


작품 제목의 의미 •삶을 어떻게 헤쳐 나가야 할지 몰라 막막해하는 현대인들의 모습을 표현
함.

⑴ 문학과 삶의 다양성 305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05 2019. 1. 9. 오후 2:59


활동 2 지도 방안
2 문학 작품을 통해 타자를 이해하는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서 두 인물이 변화하는 양상을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작품 속 인물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면서 타자에 대한 수용
과정을 이해하는 활동이다. 행 여자 김 씨 남자 김 씨
동 변화를 통해 인물의 생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 서로를 예시 답 타인과 전혀 교류하지 않으면서 무인도에서 혼자 사는 삶에
어떠한 요소들이 변화를 유발하 방 안에만 머무름.
알기 전 만족하며 살아감.
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지도한
다.

싫어하던 외출을 다시
서로를 예시 답 자신에게 메시지를 보낸 사람이
감행하여 남자에게 축하한다는
알게 된 후 누구인지 궁금해하며 보고 싶어 함.
메시지를 전달함.

홀로 방 안에만 있던 여 ⑵ ⑴ 의 활동을 바탕으로 하여 이 작품에서 ‘짜장면’이 지니는 의미를 파악해 보자.


자는 남자를 위해 짜장면을 시
켜 주었어. 그러나 남자는 여자 장면 ‘짜장면’의 의미
가 보낸 짜장면을 거절하고 직
예시 답 •남자 김 씨가 무인도에서
접 만들어 먹었어. 이로 보아 이
스스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며 보람
들에게 짜장면은 단순한 음식 을 느끼게 하는 삶의 목표
이 아닌 것 같아. •타인에게 무관심하던 여자 김 씨가
남자 김 씨에게 관심이 생겼음을 나
남자 김 씨가 짜장면을 거절한 타내는 소재
이유 •여자 김 씨와 남자 김 씨가 서로를
남자 김 씨에게 짜장면은 삶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게 되는 실마
의 목표이자 희망이다. 도시 생 리
활에서도 발견하지 못했던 삶 자기한테 짜장면은…….
의 의지가 짜장면을 통해 생긴
희망이래요.
것이다. 그러나 배달온 짜장면
은 남자 김 씨의 희망과 삶의 목
표를 한순간에 놓아버리게 만들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그는 짜장
면을 먹지 않고 돌려보내었다.

⑶ 이 작품을 감상한 후 자신이 깨달은 점은 무엇인지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 •인간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오래 관찰하면 다른 사람을 이해할 수 있다.
•생각이 다른 사람들도 서로를 이해하게 될 수 있다.

306 5. 문학의 가치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06 2019. 1. 9. 오후 2:59


3 다음은 한 여성의 일상을 형상화한 작품이다. 이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우리 동네 구자명 씨〉는


맞벌이를 하는 ‘구자명 씨’의 고
맞벌이 부부 우리 동네 구자명 씨 고단한 하루의 시작과 끝에서
단한 출근길을 통해 이 시대 여 일곱 달 아기 엄마 구자명 씨는 집 속에 흔들리는 팬지꽃 아픔
성들의 삶의 단면을 되돌아보게 시적 대상, 현대 여성의 전형 ◯: 여성의 희생을
「출근 버스에 오르기가 무섭게 식탁에 놓인 안개꽃 멍에
하는 작품이다. 「」 : 잠이 부족한 구자명 씨의 처지를 드러냄. 상징적으로 표현함.
아침 햇살 속에서 졸기 시작한다」 그러나 부엌문이 여닫기는 지붕마다
활동 3 지도 방안
현대시 〈우리 동네 구자명 씨〉 경기도 안산에서 서울 여의도까지 여자가 받쳐 든 한 식구의 안식이
를 감상하며 ‘구자명 씨’로 상징 ☐ : ① ‌마치 죽은 것처럼 깊이 잠이 들
되는 여성의 삶에 대해 생각해
경적 소리에도 아랑곳없이 아무도 모르게 었음을 표현함.
보는 활동이다. 직접 경험해 보 ② ‌피곤함이 죽음처럼 구자명 씨의
옆으로 앞으로 꾸벅꾸벅 존다 죽음의 잠을 향하여
지 못한 삶도 문학 작품을 통해 ▶ 출근 버스에서 졸고 있는 구자명 씨 삶을 갉아먹고 있음을 표현함.
접할 수 있고, 그 삶에 공감하거 거부의 화살을 당기고 있다
나 이해할 수 있음을 깨닫도록 ▶ 여성의 희생을 강요하는 현실에 대한 비판
지도한다. 차창 밖으론 사계절이 흐르고 - 고정희, 〈우리 동네 구자명 씨〉
계절이 바뀌어도 구자명 씨의 고단한 삶이 계속되고 있음을 드러냄.
진달래 피고 밤꽃 흐드러져도 꼭
작품 개관 부처님처럼 졸고 있는 구자명 씨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비판적, 상징적 「그래 저 십 분은 「」 : 가족을 위해 희생하고 있는 구자명 씨의 모습
여성의 희생을 일방
주제 적으로 강요하는 현 간밤 아기에게 젖 물린 시간이고
실에 대한 비판
또 저 십 분은
① ‌구체적인 대상을
보편적인 인물로 간밤 시어머니 약시중 든 시간이고
확장하여 현실을
특징 비판함. 그래그래 저 십 분은
② 상징적
‌ 시어를 사
용하여 전달 효과 새벽녘 만취해서 돌아온 남편을 위하
를 높임.
여 버린 시간일 거야」
▶ 구자명 씨의 삶에 대한 추측

⑴ 이 작품의 시적 화자는 ‘구자명 씨’의 삶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말해 보자.


예시 답 •시어머니를 모시고 살며, 아이를 돌보고 남편을 뒷바라지하는 여성의 삶
•잠도 제대로 못 자며 가사 노동을 도맡아 하는 고단한 삶

⑵ 문학 작품을 읽고 다른 사람의 삶을 이해하게 된 경험이 있는지 친구들과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 •〈완득이〉를 읽고, 불량스런 행동을 하는 아이들도 마음속 깊은 곳에 상처가 있어서 힘들 수 있겠다고 생
각했어.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운수 좋은 날〉을 읽고, 야근하고 늦게 들어와 엄마에게 투박하게 표현하는 아빠도 김 첨지처럼 삶이 힘들고 표현
이 서툴러서 그렇지 엄마를 사랑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02
이 작품은 여자가 되기를 꿈꾸는 소년이 성전
환 수술비 마련을 위해 씨름 선수가 되는 과정
〈김 씨 표류기〉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이해준의
을 담은 영화이다. 성 정체성, 성장기의 꿈과 목
〈천하장사
예시 답 이 작품을 통해 사람은 누구나 외롭고, 소통하고 싶어 한다는 생각이 표 등 가볍지만은 않은 내용을 담백하게 그리
마돈나〉
들었어. 그리고 사람을 오래 바라보면 그 사람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도 알게 고 있어 주인공 동구를 통해 인간의 다양한 삶
되었어. 과 가치를 발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작품은 주인공 크루소가 무인도에 표류하게
나의 책방 키우기 대니얼
되면서 겪는 모험담을 다룬 소설이다. 주인공
은 무인도에서 살아남기 위해 삶을 스스로 꾸려
디포의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이해준의 〈천하장사 마돈나〉
 가다 영국의 반란선을 진압하면서 28년여 만에
〈로빈슨
다시 자신이 살던 곳으로 돌아가게 된다. 〈김 씨
소재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대니얼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 크루소〉
표류기〉의 남자 김 씨와 처한 상황, 위기 상황의
대응 방식 등을 비교하며 감상하도록 한다.

⑴ 문학과 삶의 다양성 307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07 2019. 1. 9. 오후 2:59


‘소단원 정리하기’ 지도 방안
•문학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학습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개념 정리’,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도
록 한다.

(1 ) 문학과 삶의 다양성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개념 정리 평가 자료
•어휘 평가 •서술형 평가
•쪽지 시험 •수행 평가
•소단원 평가

문학에는 인간의 삶이 담겨 있다.


문학은 인간의 삶으로부터 온다. 인간이 경험하고 상상하고 깨닫는 모든 것들이 문학 작품의 소재
가 되고 주제가 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그 삶의 모습은 작가의 개인적 경험에 따라 조금씩 다르며,
지역, 문화, 인종, 시대를 반영하면서 달라질 수밖에 없다. 동시에 작가와 독자, 그리고 작품 속에 등
장하는 인물이 모두 인간이기 때문에 서로 비슷한 면모를 지니게 되는 것 또한 사실이다. 따라서 우
리는 문학을 수용하고 생산하는 활동을 하면서 수많은 인간의 삶을 접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다른 사람의 삶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문학 활동으로 얻은 인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상호 소통하는 삶의 태도를 익힐 수도 있다. ▶ 문학 작품과 인간의 삶이 맺는 관계

문학은 자아 성찰의 거울이다.


작가는 인간의 삶을 제대로 그리기 위해 인간을 연구한다. 아마 작가 대부분은 자신이 가장 잘 알
고 있는 인간부터 먼저 관찰하고 연구할 것이다. 그래서 많은 문학 작품의 출발점은 작가 자신이 된
다. 작가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면서 깨달음을 얻는 것이 곧 문학 작품 창작의 첫걸음이 되는 것이
다. 이 단원에서 학습한 〈다시 느티나무가〉 296쪽는 그 좋은 예가 될 수 있다. 노년기에 들어선 작가
는 느티나무를 보면서 미숙했던 어린 시절과 호기롭던 젊은 날을 떠올리고, 세상에 겸손하게 된 현재
의 자기 모습을 바라본다. 그리고 자신의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로 얻은 깨달음을 담담하게 표현한
다. 우리는 자신을 되돌아보는 시인의 자세와 그로부터 얻은 깨달음을 통해 자아 성찰이 어떤 것이며
왜 필요한지를 깨닫게 된다.
물론 자아 성찰이 작가가 자신을 그려 낸 작품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독자는 문학 작품
속에서 수많은 삶의 모습을 보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작품 속에 담긴 삶과 자신의 삶을 견주어 보게 된다. 독자는
자신을 되돌아보고 자기 삶을 평가하며 바람직한 삶의 태
도가 무엇인지 고민하게 된다. 따라서 모든 문
학 작품은 자아를 성찰하는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 문학 작품의 가치 ① - 자아 성찰
5-⑴단원 개념 정리 ① 문학 작품과 인간의 삶

문학
작품의
소재, 주제 문학 작품의 수 자아 성찰,
용과 생산 활동 타자 이해,
 을 통해 수많은  상호 소통의
인간의 삶을 접 태도를 형성
인간의 삶 하게 됨. 할 수 있음.
(경험, 상상, 깨달음)

308 5. 문학의 가치 인간의 삶은 문학의 근간이 됨.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08 2019. 1. 9. 오후 2:59


5-⑴단원 개념 정리 ② 문학 작품의 가치

•작가 - 작품 창작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깨달음을 얻는 것으로부터


자아 시작함.
성찰 •독자 - 작품 속에서 수많은 삶을 접함. → 자신의 삶과 견주어 보며 바람
직한 삶을 고민하게 됨.
문학 작품을 통해서
인간과 세계를
타자 문학 작품을 통해 다채로운 삶의 모습을 봄. → 타인의 삶을 간접 경험하
총체적으로
이해 며 타인을 이해하는 능력을 갖추게 됨.
이해할 수 있음.
상호 •상호 소통하는 태도의 필요성을 다룬 작품이 존재함.
소통 •문학 작품의 수용 활동을 통해 타인이나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을 배움.

문학은 타자를 이해하는 길을 제시한다.


인간은 단 한 번의 삶, 즉 자신의 삶만을 체험하게 된다. 하지만 인간은 나와는 다른 삶을 살아온
수많은 인간과 함께 어울려 살아가야 한다. 자신이 체험하지 못했고 따라서 이해할 수 없는 삶을 살
아온 이들과 함께 지낸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도 현실 속에서의 인간은 대부분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있는데, 문학 작품은 여기에 큰 도움을 준다. 인간은 문학 속에 형상화된 다채로운
삶의 모습을 보면서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삶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이를 통해서 다른 사람을 이해
하는 능력을 갖추기 때문이다. 〈우리 동네 구자명 씨〉 307쪽를 읽고 구자명 씨의 삶을 만나게 되는
과정에서, 독자는 ‘맞벌이 부부’이자 ‘일곱 달 아기 엄마’가 아니지만 그녀의 삶에 공감하고 이해하게
된다. ▶ 문학 작품의 가치 ② - 타자 이해

문학은 상호 소통의 창구가 될 수 있다.


〈김 씨 표류기〉 300쪽에는 세상과 소통하지 못하는 두 남녀가 등장한다. 이
들은 수많은 사람이 살아가는 도시에서 생활하면서도 제대로 된 소통의 경험
을 갖지 못한 공통점이 있다. 그렇지만 이 두 인물은 점차 상호 소통으로 가는
길을 찾아 나간다. 이 작품을 통해 독자는 아마도 자신의 생활 태도를 돌아보
고 세상과의 소통이 중요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이처럼 문학 작품 가운데에는
상호 소통하는 태도의 필요성에 대해 일깨워 주는 것이 존재한다. 또 우리는
문학 작품을 수용하는 활동을 하면서 자연스럽게 타인이나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을 배우기도 한다. 다른 사람과 의견을 교환하는 과정을 통해 타인에 대
한 배려와 포용의 태도를 키우고 더 나아가 타인과 조화를 이루고 소통하면
서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다. 우리는 문학 작품을 감상하면서 문학 자
체가 상호 소통의 창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문학 작품의 가치 ③ - 상호 소통

평가
점검 사항
상 중 하

문학 작품을 감상하며 자아를 성찰하고 자신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능력을


이 단원에서 기를 수 있다. ▶ 교과서 297쪽 2번, 298쪽 3번 문제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점검해 보자. 문학 작품을 감상하며 타자를 이해하고 상호 소통하는 태도를 갖출 수 있다.
▶ 교과서 306쪽 2번, 307쪽 3번 문제

⑴ 문학과 삶의 다양성 309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09 2019. 1. 9. 오후 2:59


빛의 3원색에 대해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빨강, 파랑, 초록의 세 빛은 서로

문학과 섞일수록 더욱 밝은 빛을 만들어 낸다. 문학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문학 작품 속

에는 많은 사람의 고뇌와 나름의 해결 방법이 담겨 있다. 마치 빛이 포개지면 더 밝아지


공동체 듯 문학 작품이 많아질수록 독자들은 이 문제들에 대한 더 나은 해결 방안을 찾아갈 수
문학과 공동체의 문제 간의 관계
스마트 수업 PPT
있다.

이 단원에서는 공동체 속의 여러 문제를 다룬 작품들을 만난다. 각 작품의 빛깔을 느

껴 보고, 공동체에 더 밝은 빛을 가져올 수 있는 길을 함께 찾아보자.

세 번째 질문 이끌기
문학 활동과 공동체 문화 발전의 상
관관계를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학
생들 스스로 공동체 구성원들과 문학
의 생활화에 대한 계획을 세워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문학 활동을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여 인 생각해 보자. 통해 공동체의 문화를
간다운 삶을 가꾼다.
소단원 도입 애니메이션
발전시킬 수 있을까?
문학 활동을 통해 공동체
구성원과 정서적으로 교류
하며 상호 존중감과 유대감
을 높인다. 문학을 통해
문학 활동을 통해 공동체의
문학 활동을 공동체의 문제에 대해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 생활화하는 방법에는 인식할 수 있는가?
를 기른다. 어떤 것이 있을까?
소단원 수업은 이렇게 두 번째 질문 이끌기
첫 번째 질문 이끌기
이 단원은 문학이 공동체의 문 사회의 문제를 직접 다루는 보도성 자료뿐
일상에서 문학 활동을 지속하
화 발전에 기여함을 알고 문학 활 만 아니라 문학을 통해서도 공동체가 직면한
는 방법을 생각하게 한다. 책을 전
동의 생활화를 통해 공동체의 문 다양한 문제 상황을 접할 수 있음을 인식하
부 읽거나 하나의 작품을 창작하
화 발전에 능동적으로 이바지하는 게 한다. 문학 활동의 경험을 통하여 문학 작
는 것만이 문학 활동의 전부가 아
주체가 되도록 하는 데 목표를 두 품 속에 반영된 공동체 문제를 파악하고, 이
님을 안내한다.
고 있다. 인간의 삶은 공동체 속에 에 대한 인식 과정 및 해결 방법에 관한 생각
서 이루어지고 문학 작품은 공동 을 끌어낼 수 있다.
체의 여러 모습을 담고 있다. 따라 이 단원에서는 
서 꾸준히 문학 활동을 하게 되면
이상적인 공동체가 무엇인지 고 1 〈‌ 바퀴벌레는 진화 중〉을 감상하며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문학의 역할에 대해 이해
민하면서 바람직한 문화를 형성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 단원에서 해 보자. ▶ 교과서 311쪽, 지도서 428쪽
는 문학 작품을 통해 공동체 문제
에 관심을 가지고 타인과 소통함 2 〈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를 감상하며 공동체 구성원 간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보자.
으로써 자신이 공동체의 문화를 ▶ 교과서 315쪽, 지도서 436쪽
형성하는 주체가 될 수 있음을 깨 문학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 교과서 324쪽, 지도서 427쪽
달을 수 있도록 지도한다.

310 5. 문학의 가치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10 2019. 1. 9. 오후 2:59


1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바퀴벌레의 진화 과정을 통해 환경 오염의 심각성을 고발
한 시로, 인간의 편리함을 위해 환경을 생각하지 않는 개발이 계속된다면
환경과 생태계가 지금보다 더욱 파괴될 것이라는 섬뜩한 메시지를 전달 김기택 (1957~ ) 작가 동영상
하고 있다. 〈바퀴벌레는 진화 중〉을 통해 생태계 파괴나 환경 오염은 개 시인. 1989년에 〈곱추〉로 등단하였다. 대상의 본질
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공동체적인 해결책을
도모해야 한다는 점을 깨닫게 될 것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공동체가 에 대한 통찰을 치밀하고 섬세한 묘사로 표현하는 시를
직면한 또 다른 문제 상황이 없는지 살펴보고 그 해결 방법에 관해 의견 주로 썼다. 주요 작품으로 〈멸치〉, 〈풀벌레들의 작은
을 교환하는 활동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귀를 생각함〉 등이 있다.

 바퀴벌레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에게 어

‘감상 열기’ 지도 방안 떤 느낌을 주는 존재일까?


경험 관련
사회 문제를 다룬 시를 읽어 본 경험이 있나요?
 바퀴벌레는 어떻게 진화할 것으로 생각
질문의 예
하는가?
삽화 관련 교과서 311쪽 삽화 속 바퀴벌레는 어떤 특성이 있을
 예시 답 바퀴벌레가 진화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질문의 예 까요?

작가 관련
이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⑵ 문학과 공동체 311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11 2019. 1. 9. 오후 2:59


〈바퀴벌레는 진화 중〉은 바퀴벌레의 진화 과정을 통해 현대 사회의 환경 오염 문제를 경고한 시이다.
공동체가 처한 문제를 생각하면서 작품을 감상해 보자.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수업의 포인트
성격 비판적, 상징적
•시어의 상징적 의미 파악하기
제재 바퀴벌레와 환경 오염
•작품에 사용된 표현 방법과 그 효과 이해하기
주제 현대 문명의 발달로 인한 환경 파괴의 심각성 고발
•시적 화자의 정서와 태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하기 ① 산문적 진술을 통해 시상을 전개함.
특징 ② 반어적 표현을 사용하여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냄.
③ 영탄법, 도치법 등을 통해 시적 화자의 심리와 정서를 효과적으로 표현함.

시적 화자의 정서와 태도
바퀴벌레는 진화 중 | 김기택
시구 정서와 태도
작품 감상 애니메이션
•~ 비대해질 수 있
‘바퀴벌레’의 생명
단 말인가.
력에 관한 충격과 작품 감상 음성
•~ 바꿀 수 있단
우려감을 표현함.
말인가.
•철판을 온몸에 두 믿을 수 없다, 저것들도 먼지와 수분으로 된 사람 같은 생물이란 것을. 그렇지
른 시적 대상인 ‘바퀴벌레’를 ‘저것’이라고 지칭함으로써 시를 읽는 사람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킴. - 도치법
•중금속 폐기물을 물질문명의 발달에 않고서야 어찌 시멘트와 살충제 속에서만 살면서도 저렇게 비대해질 수 있단 말
배설하면서 따른 환경 오염에 바퀴벌레가 사는 공간과 환경 → 현대 물질문명을 상징함. 몸에 살이 쪄서 크고 뚱뚱함.
•암회색 스모그가 관해 비판적인 태도 인가. 「살덩이를 녹이는 살충제를 어떻게 가는 혈관으로 흘려보내며 딱딱하고 거
그래도 맑고 희고 를 드러냄. 「」 : 바퀴벌레의 강인한 생명력에 대한 놀라움. → 환경 오염의 심각성
•폐수가 너무 깨끗 친 시멘트를 똥으로 바꿀 수 있단 말인가. 입을 벌릴 수밖엔 없다, 쇳덩이의 근
한 까닭에

신형 바퀴벌레가 나
미래에 더 심각해질 육에서나 보이는 저 고감도의 민첩성과 기동력 앞에서는.」 ▶ 바퀴벌레의 놀라운 생명력
환경 오염에 관한
올지 몰라.
우려감을 표현함.

시어의 상징적 의미 사람들이 최초로 시멘트를 만들어 집을 짓고 살기 전, 많은 벌레들을 씨까지


시어 상징적 의미 현대 물질문명이 발달하기 전
일시에 죽이는 독약을 만들어 뿌리기 전, 저것들은 어디에 살고 있었을까. 흙과
•환경 오염의 심각성
을 일깨우는 존재
바퀴벌레 •환경 파괴를 상징
나무, 내와 강, 그 어디에 숨어서 「흙이 시멘트가 되고 다시 집이 되기를, 물이 살
적으로 드러내는 현대 물질문명이 발달하기 전의 자연 → 오염되기 전의 깨끗한 상태
존재 충제가 되고 다시 먹이가 되기를 」 기다리고 있었을까. 빙하기, 그 세월의 두꺼운
「」 : 현대 물질문명의 발달로 환경이 오염되고 생태계가 파괴되는 과정
•환경 오염으로 인
철판을 온몸에 한 신형 바퀴벌레
얼음 속 어디에 수만 년 썩지 않을 금속의 씨를 감추어 가지고 있었을까.
바퀴벌레의 끈질긴 생명력을 상징적으로 드러냄. ▶ 바퀴벌레의 생존에 관한 궁금증
두른 벌레 •환경 파괴의 심화로
진화된 바퀴벌레
시멘트, 살충제, •현대 물질문명
로봇처럼, 정말로 철판을 온몸에 두른 벌레들이 나올지 몰라. 금속과 금속 사
쇳덩이, 독약, 금속, •생명이 살기 어려
환경 오염으로 인해 등장한 신형 바퀴벌레의 모습
로봇, 철판, 운 환경
중금속 폐기물, •오염이 심각하게
이를 뚫고 들어가 살면서 철판을 왕성하게 소화시키고 수억 톤의 중금속 폐기물
암회색 스모그, 된 환경
폐수 •반생명적 속성 을 배설하면서 불쑥불쑥 자라는 잘 진화된 신형 바퀴벌레가 나올지 몰라. 보이
흙, 나무, 내, 강, 물 오염되기 이전의 환경
지 않는 빙하기, 그 두껍고 차가운 강철의 살결 속에 씨를 감추어 둔 채 때가 이
환경이 오염되고 생태계가 파괴되어 생명체가 살기 힘든 상황을 ‘빙하기’에 비유함.
르기를 기다리고 있을지 몰라. 「아직은 암회색 스모그가 그래도 맑고 희고, 폐수
「」 : 현재의 심각한 상황을 ‘좋다’, ‘깨끗하다’로 표현히여 환경 오염의 심각성을 강조함. - 반어법
고감도(高感度) 외부의 자극이 가 너무 깨끗한 까닭에 숨을 쉴 수가 없어 움직이지 못하고 눈만 뜬 채 잠들어 있
나 작용에 대하여 반응하는 정
▶ 바퀴벌레의 진화에 관한 두려움
도가 매우 뛰어남. 는지 몰라.」
기동력(機動力) 상황에 따라 재 제재 정리
작품 구성
빠르게 움직이거나 대처하는 능 1연 바퀴벌레의 놀라운 생명력(현재)
력. 2연 바퀴벌레의 생존에 관한 궁금증(과거)
3연 바퀴벌레의 진화에 관한 두려움(미래)

312 5. 문학의 가치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12 2019. 1. 9. 오후 2:59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바퀴벌레는 진화 중〉의 구조를 정  현대 사회의 공동체가 겪는 문제를  현대시 〈붉은 꽃, 흰 꽃〉에 나타난 시
리하고 시적 화자가 주목한 시적 대 중심으로 〈바퀴벌레는 진화 중〉의 적 화자의 태도를 이해하고, 공동체
상의 특성 정리하기 시어의 의미와 주제 의식 이해하기 의 일원으로서 느낀 점 이야기하기

1 〈바퀴벌레는 진화 중〉을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시간의 흐름에 유의하여 이 작품의 구조를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활동 1 지도 방안
작품의 구조와 시적 대상의
특성을 파악하는 활동이다. ‘현 1연 2연 3연
재-과거-미래’로 이어지는 시
상 전개 과정과 혹독한 환경에
바퀴벌레의 현재 생태에 예시 답 바퀴벌레의 과거 생태 예시 답 바퀴벌레의 미래 생태
서도 끈질긴 생명력을 보이는
바퀴벌레의 특성은 물질 문명이 에 대한 인식 에 대한 인식
대한 인식
초래한 환경 문제의 심각성이라
는 주제를 드러내는 데 효과적
인 장치가 됨을 인식할 수 있도
록 이끌어 준다.

바퀴벌레를 소재로 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
익숙하지만 부정적인 이미지
의 ‘바퀴벌레’를 소재로 시상을
전개함으로써 독자의 흥미를 유 ⑵ 시적 화자가 주목한 ‘바퀴벌레’의 특성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발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극
한의 상황에서도 끈질긴 생명력 예시 답 바퀴벌레는 시멘트와 살충제 속에서도 비대하고 쇳덩이의 근육과 같은 고감도의 민첩성과 기동력을 가지

을 보여 주는 ‘바퀴벌레’의 모습 고 있으며 수만 년 썩지 않을 금속의 씨를 가지고 있다. 즉 바퀴벌레는 환경 오염에도 잘 적응하는 놀라운 생명력을
을 통해, 인간이 초래한 환경 문 가진 존재이다.
제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킨
다.

활동 2 지도 방안
2 현대 사회의 공동체가 겪고 있는 문제를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서 다음에 해당하는 시어를 모두 찾아보자.


문학을 향유하면서 사회 문제
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보는
경험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활동 현대 사회의 오염된 환경을 예시 답 시멘트, 살충제, 쇳덩이, 독약, 금속, 로봇, 철판, 중금속 폐기물, 암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를 위 회색 스모그, 폐수
가리키는 시어
해서는 작품의 주제에 반영된
공동체의 문제를 학생들이 비판
적으로 성찰하며 자연스럽게 체
화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의 오염되기 이전의 환경을
예시 답 흙, 나무, 내, 강, 물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가리키는 시어

이 작품에서 ‘신형 바퀴 ⑵ 3연에서 묘사한 ‘신형 바퀴벌레’의 모습을 참고하여 시적 화자가 생각하는 미래 사회의
벌레’는 금속을 뜯어 먹으며 중
모습을 짐작해 보자.
금속 배설물을 배출하는 끔찍
예시 답 •현재의 스모그와 폐수보다도 더욱 심하게 공기와 물이 오염된 사회
한 생명체로 묘사되고 있어.
•수많은 중금속 폐기물들이 쌓여 환경이 파괴된 사회

⑶ ⑴, ⑵의 활동을 참고하여 작가가 이 작품을 통해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전달하려는 바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작가는 환경 파괴와 이로 인한 생태계 변화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⑵ 문학과 공동체 313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13 2019. 1. 9. 오후 2:59


〈붉은 꽃, 흰 꽃〉은 베트남
3 다음 작품을 읽고, 공동체 문화 발전에 주목하여 다음 활동을 해 보자.

「한국에 온 지 이태가 되어서야 ◯ : 프엉은 ‘포인시아나’라는 붉은 꽃


에서 태어나 한국으로 이주해 가만있자, 프엉은 을 베트남에서 부르는 이름이기도 함.
온 ‘프엉 씨’가 성실하게 자신의
자기 이름을 겨우 쓸 수 있는 프엉 씨 하노이의 오월을 붉게 물들이는 꽃 이
삶을 일구어 가는 모습을 그린 「」 : 프엉 씨의 처지가 드러남.
작품이다. → 베트남에서 한국으로 건너와 생활하고 있음. 름이 아닌가」
활동 3 지도 방안 ☐ : 붉은색과 흰색의 색채 이미지를
어디에서 왔냐고 물었더니
이주민에 관한 시를 감상하 통해 대상에 대한 선명한 인상을 줌.
며 다문화 사회에서 발견할 수 호찌민, 버스, 여덟 시간, 까마우, 더워」 종일 고단했는지 붉은 꽃이 깜박
있는 문제의식과 필요한 가치 베트남 남부에 있는 도시 베트남 최남단에 있는 피곤하여 졸고 있는 프엉 씨의 모습
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는 활동 까마우 성(省)의 도시
이다. 다문화에 관한 개인적 경
험 및 의견을 자유롭게 교환할
공부한 지 두 달이 넘었는데도 때마침 함박눈이 내려서
수 있도록 하여 공동체의 문제 읽을 수 있는 단어는 열 개 남짓 딸 이름 설화가 바로 저 눈꽃이라고 일
에 관해 심도 있게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모르는 게 없는 생선 이름들 러 준다
「」 : 프엉 씨와 그녀의 딸 설화에 대한 시적 화자의
긍정적이고 따뜻한 태도를 알 수 있음.
오늘은 수술한 남편 대신 혼자서 「방 안에 붉은 꽃, 흰 꽃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열심히 살아가는 프엉 씨의 모습
생선 장사를 거뜬히 해냈다고 두 송이 시들지 않는 꽃이 활짝」
- 김선향, 〈붉은 꽃, 흰 꽃〉

손을 씻어도 비린내는 희미하게 퍼지고


「프엉 씨는 발개진 얼굴로 또 미안해
「」 : 부끄러워하는 프엉 씨의 얼굴을 프엉 꽃으
한다 이태 두 해.
작품 개관 로 아름답게 표현함.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묘사적, 서정적
호찌민에서 한국으로
제재 온 프엉 씨와 그녀의
⑴ 마지막 연에 유의하여 시적 화자가 ‘프엉 씨’와 그녀의 딸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생각
딸 설화
해 보자.
고단한 삶을 살아가
주제
는 이웃에 대한 애정 예시 답 시적 화자는 프엉 씨와 그녀의 딸을 ‘두 송이 시들지 않는 꽃’이라고 표현한다. 이를 통해 시적 화자가 두 사
① ‌비유적 표현과 색 람을 고단한 삶 속에서도 생명력을 지니고 살아가는 긍정적인 존재로 바라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채 이미지를 통해
시적 대상에 관한
긍정적인 인식을 ⑵ 이 작품을 읽고,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자신이 느낀 점을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해 보자.
특징
드러냄.
② ‌각 연을 다양한 품 예시 답 •‘프엉 씨’처럼 열심히 일하고 공부하는 이주민들은 우리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구성원이라고 생각해.
사로 마무리하여 •자신과 외모나 인종, 언어, 가치관 등이 다른 대상에 적대적인 마음을 갖기보다는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본다면 이
변화를 줌. 세상의 많은 갈등이 사라질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어.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01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바퀴벌레는 진화 중〉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이 작품은 식탁 위에 올려진 멸치를 보고 그것
예시 답 바퀴벌레를 통해서 환경 보호라는 주제를 드러내다니 참신해. 이 원래 지녔던 역동적인 생명력을 상상하여
또한 환경 보호에 대해서 새롭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어. 김기택의 표현한 시이다. 〈바퀴벌레는 진화 중〉과 마찬
〈멸치〉 가지로 작가 특유의 탁월한 시적 상상력과 대
립적인 시어 사용을 통한 주제 의식의 구현을
나의 책방 키우기 발견할 수 있음을 안내한다.
이 작품은 썩지 않는 비닐봉지로 인해 환경 오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김기택의 〈멸치〉 염이 더욱 심각해질 것임을 경고하는 시이다.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강은교의 〈비닐봉지의 추억〉 강은교의 〈바퀴벌레는 진화 중〉에서 ‘신형 바퀴벌레’의
〈비닐봉지의 등장을 통해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느낀 것과
추억〉 마찬가지로, 이 작품 속에 나타난 비닐봉지의

314
경고를 통해서 환경을 파괴하는 행동이 얼마
5. 문학의 가치
나 큰 문제인지 인식하도록 지도한다.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14 2019. 1. 9. 오후 2:59


작품 설정의 취지
이 작품은 전쟁과 급속한 근대화 과정을 배경으로, 인간의 개인적 이
기심과 사회적 윤리 사이의 갈등을 섬세하게 풀어낸 소설이다. 소외된 인
2
물과 가치관의 혼란을 겪는 인물을 통해 참된 가족 관념과 윤리적 가치
를 찾아가는 과정이 제시되어 있다. 이 작품은 표면적으로는 전쟁이 가져
다 준 상처를 이야기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혈육조차 냉정하게 버리는
중산층의 이기심과 허위의식에 대한 비판을 드러내고 있다.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를 통해 가장 작은 공동체라고 할 수 있는 가족 공동체 안에서
의 문제를 보게 되고, 나아가 우리 사회 전체 공동체의 바람직한 모습까
지 생각해 볼 수 있다

‘감상 열기’ 지도 방안
박완서 (1931~2011) 작가 동영상
제목 관련
겨울이 따뜻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요?
질문의 예 소설가. 분단과 전쟁, 산업화 등 한국 현대사의 굵직
한 문제들을 포착하여 섬세하고 유려한 문체로 형상화
배경지식 관련 6·25 전쟁부터 산업화에 이르는 우리의 현대사에 대 한 작품을 남겼다. 주요 작품으로 〈나목〉, 〈옥상의 민
질문의 예 해 알고 있나요?
들레 꽃〉, 〈엄마의 말뚝〉 등이 있다.

작가 관련
이 작가의 작품을 읽어본 적이 있나요?
질문의 예

 겨울이 따뜻하게 느껴진 적이 있는가?


 자신에게 기억에 남는 해는 언제인가?

예시 답 가족이나 친구들과 갈등이 있었을 때 어

떻게 행동했는가?

⑵ 문학과 공동체 315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15 2019. 1. 9. 오후 2:59


작품 개관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는 전쟁에서 비롯된 한 가족의 비극적 이야기를 다룬 소설이다. 갈래 장편 소설, 가정 소설
공동체 구성원 사이의 유대감에 대해 생각하며 작품을 감상해 보자. 성격 사실적, 비판적, 현실 고발적
제재 1951년 겨울~1980년대, 서울
수업의 포인트
전쟁의 비극과 이산가족의 아픔, 중산층의 허위의식에
•‘수지’의 심리 변화 파악하기 주제
대한 비판
•‘은표주박’의 상징적 의미 이해하기 ① ‌사회적·역사적 사실을 극적으로 형상화하여 드러냄.
•표면적 주제와 이면적 주제 파악하기 ② ‌전쟁으로 인한 가족의 불행과 더불어 현대 사회 중산
특징
층의 도덕성 문제를 제기함.
작품에 반영된 시대상 ③ 등장인물의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함.

6·25 전쟁 이후 급속
경제적 발전
한 근대화 과정에서 경
제적으로 풍요로운 중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 박완서
산층이 늘어남.
작품 줄거리 애니메이션 인터넷 링크 - 박완서의 전쟁 경험
•물질 앞에서 무너지
는 공동체 의식 작품 줄거리 음성
가치관 혼란
•가족 붕괴, 허위의식
과 이기심의 대두
앞부분 줄거리

6ㆍ25 전쟁 당시 일곱 살이었던 수지는 가족들과 함께 피란길에 오른다. 수지는 여동생(오목)에게 항


1951년 1·4 후퇴 때
상 양보해야 하는 것이 싫어서, 오목이가 갖고 싶어 하던 은표주박을 주는 대신 고의로 오목이의 손을
오목이는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이를 평생 간직함.
놓는다. 전쟁이 끝나고 동생을 버렸다는 죄책감에 괴로워하던 수지는 어느 고아원에 오목이가 있음을 5

알고 가끔 찾아간다. 하지만 지난날의 잘못이 들통날 것을 염려하여 진실을 털어놓지 않는다. 오빠 수

철도 오목이를 돕는 익명의 독지가로만 남는다.

수지와 수철은 아버지의 유산 덕분에 번듯하게 살아간다. 오빠 수철은 아내(영란)를 맞아 어엿한 중


등장인물의 특성
산층의 가장이 되고, 수지도 대학교까지 졸업한다. 한편 오목은 수지의 옛 애인인 인재와 만나는데, 수
•피란길에서 여동생을 버림.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 죄책 지는 질투심에 둘을 헤어지게 만든다. 결국, 오목이는 고아원 친구인 보일러공 일환과 결혼하여 힘겨운 10
수지 감을 가지면서도, 동생에게
사실을 밝히기 두려워하는 나날을 보낸다.
위선적인 인물
이후 부유한 남자와 결혼한 수지는 2남 3녀의 부모가 된 일환과 오목이를 다시 만난다. 수지는 죄책
•언니에게 버림받은 이후 고 감을 느껴 오목이에게 사실을 고백하려 하지만 끝내 하지 못한다. 수지는 죄책감을 씻는다는 생각으로
아원에서 지냄.
오목 •남편 일환을 만나 가난한 오목이의 남편이 중동 건설 현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도와 주지만, 일환이 중동으로 떠나는 날 오목이
삶을 살다가, 결핵으로 죽음
을 앞두고 있음. 는 결핵이 심해져 쓰러지고 만다. 수지는 오목이의 아이들을 같이 돌보자는 이야기를 하러 파티 중인 15

수철의 집에 방문한다.
•고아원에 있는 오목이를 익
명으로 후원함. ① 표면적인 의미: 오목이의 다섯 아이들의 양육 문제
수철 •가정의 평안을 위해, 끝까지 ② 이면적인 의미: 오목이에게 죄를 고백하고 용서를 구하는 문제
진실을 외면하는 위선적인 파티를 즐기는 사람들과 동화될 수 없는 차이점은 이제 그녀 내부에 있었고 그
인물
건 근심이었다. 한 번도 근심이라곤 깃들어 보지 않은 것처럼 오로지 즐겁기만
•수철의 아내로, 체면을 중시 동생 오목이에 대한 죄책감
하는 인물 한 사람들 속에서 그녀 혼자 크나큰 근심을 지니고 있었다.
영란
•속물적인 중산층의 전형적
인물 수지는 오빠를 찾아온 게 바로 그 근심을 나누기 위해서였다는 걸 잊어버린 양 20

독지가(篤志家) 남을 위한 자선
사업이나 사회사업에 물심양면 그 근심에 강한 애착을 느꼈다. 그 근심을 수철에게 나누어 준다는 건 돼지에게 진
으로 참여하여 지원하는 사람.
주를 던져 주는 것처럼 어리석은 짓이라는 극단적인 격정이 그녀를 사로잡았다.
격정(激情) 강렬하고 갑작스러
워 누르기 어려운 감정. 그녀는 속으로 허둥지둥 그녀의 근심을 부둥켜안았다. 「자신이 품고 있는 근심
값어치를 모르는 사람에게는 보물도 아무 소용 없음을 뜻하는 말로, 수철에게 오목이와 관련된 일을 의논하는
것이 의미가 없음을 비유함.
316 5. 문학의 가치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16 2019. 1. 9. 오후 2:59


작품 집필 배경 인터뷰
발단은 1·4 후퇴에서 비롯되었
지만, 내가 그리고자 한 것은 전쟁
의 비극이 아니라 풍요의 비극이었
에 대한 이런 돌발적인 애착은 근심 없는 사람들을 경멸하는 마음까지 불러일으 다. 폐허에서 떨치고 일어나 60년
대의 악착같은 생존 경쟁, 70년대
켰다. 근심 없는 사람들이 허깨비처럼 텅 비어 보였다. 즐거운 파티도 사람들이 의 기적적인 경제 성장을 거쳐 80
년대 국민의 절반 이상이 중산층을
몽땅 비워 놓은 자리에 아름다운 비단과 현란한 보석과 이국적인 훈향과 감각적 자처하게 된 안정과 풍요가 얼마나
「」 : 파티에 모여 있는 사람들을 회의적인 관점으로 바라봄. 냉혹한 이기심과 배타성을 가지고
인 소문만이 한데 어울려 들끓고 있는 것처럼 헛되고 허전해 보였다.」 있나를 보여 주고자 했을 뿐이다.
- 박완서, 〈오늘의 역사 오늘의 문
▶ 오목이로 인해 고뇌하는 수지
학 30〉에서
5 너덧 패로 나누어져 있던 사람들이 여자 남자 두 패로 갈라져서 웃고 떠들기
겉으로 보이는 외모나
시작했다. 여자들 사이에선 지압이 과연 기적의 회춘 요법인가에 대해 의견이 신분 상승에만 관심을
더 젋어보이기 위한 것에만 관심이 있음. 갖는 중산층의 모습
분분했고, 남자들은 그들이 현재 속한 신분보다 한층 높은 곳을 움직이는 인맥
신분이나 지위가 상승하는 것에만 관심이 있음.
에 대해 아는 체하고 분석하느라 점차 목청이 높아졌다.
수철의 아내이자 수지의 새언니
남자들의 화제는 단연 수철이, 여자들의 화제는 영란이 리드하고 있었다.
앞장서서 남을 이끎.
10 수지는 수철의 점잖고 정력적인 뒤통수를 바라보면서 생각했다. 그는 기억할 ‘1951년의 겨울’에는 어떤 일이

까? 1951년의 겨울을. 그 겨울의 추위와 그 이상한 허기를. 있었을까?


동생 오목이를 잃어버린 때 예시 답 피란 중에 수지가 막냇

그 생각은 수철이 낯설게 느껴질 때마다 수지에게 문득문득 떠오르던 의문이 동생 오목(수인)이를 고의로 잃어
버린 일이 있다.
었다. 그리고 그 대답은 늘 부정적이었다. 그에게 그것을 기억하게 하는 것은 불 수지가 ‘그 이상한 허기’라고 표
수철이 1951년의 겨울을 기억하지 못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대답
현한 이유
가능하리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알고도 모르는 척할 것이라는 음흉한 의심까지 수지가 동생 오목이의 손을 일
부러 놓아 버린 이유는 피란 중
15 없었던 건 아니었다. 수철을 자신에게 이로울 게 없는 기억에 대해선 얼마든지 에 느낀 배고픔 때문이었다. 허
기 들린 귀신처럼 수지와 수철의
시치미를 뗄 수 있는 위인이라고만 생각했지 그것을 정말 잊었다고 생각하진 않 밥마저 빼앗는 오목이의 모습을
보면서 수지는 동생을 떼어 버릴
았다.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파티의 사람들을 보고 있는 사이에 수지는 수철이 그것을 정말 잊었다 수지가 수철을 어떻게 생각하
는지 짐작해 보자.
는 것을 스스로 알아차렸다. 수철이뿐 아니라 거기 모인 모든 사람들에게 1951 예시 답 수지는 ‘수철이 그것(1951
년의 겨울)을 정말 잊었다.’라고
20 년의 겨울은 있지도 않았다는 걸 수지는 다소곳이 인정했다. 말하고 있다. 이로 보아 수지는
6·25 전쟁으로 인한 상처 수철이 부나 명예를 추구하는 속
그 겨울은 결국 나만의 것이었어. 그 겨울이 없었던 사람하고 어찌 그 겨울의 물적인 삶을 살면서 전쟁으로 인
수지의 독백을 제시함. 한 가족의 상처와 슬픔을 함께 나
죄과를 나눌 수 있기를 바랐던고. 눌 수 없는 존재로 변했다고 생각
할 것이다.
수지는 처음으로 그 겨울에 저지른 죄와 그 죄의식 때문에 떠맡게 된 온갖 근
심을 자기만의 것으로 받아들였다. 그것이 자기만의 것이라고 생각되자 근심조
25 차 소중했다. 마치 자기만의 진실인 양 그것을 조금만 덜어 내도 단박 삶이 떳떳
그 자리에서 바로
지 못해질 것 같았다. 그녀는 그 순간 뼈가 시리게 고독했지만 떳떳했고, 떳떳하
지은 죄를 혼자 해결해야 한다는 생각에 외로움을 느끼지만, 죄의식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생각에 떳떳함을 느낌.
다는 느낌은 그지없이 좋았다. 파티의 즐거움이나 그녀가 여태껏 살아오면서 맛
본 어떤 행복감보다도. ▶ 오목이에 대한 죄책감을 자기만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수지

훈향(燻香) 태워서 향기를 내는


화장실 쪽으로 가던 흰머리가 수지를 보자 깜짝 놀라면서 한마디 했다.
향료.
30 “충격입니다. 참으로 충격입니다.” 죄과(罪過) 죄가 될 만한 허물.

⑵ 문학과 공동체 317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17 2019. 1. 9. 오후 3:00


수지의 심리 변화 “뭐가요?”
•오목이에게 죄
•중산층으로서, 의식을 느끼며 “글쎄요, 거기까지밖에 생각이 안 나네요.”
허위의식 속에 반성함.
서 살아옴. •자신의 잘못을 흰머리가 어릿광대처럼 얼굴을 우스꽝스럽게 쭈그러뜨리고 말했다. 수지는
•오목이가 자기 인정함으로써
동생임을 알면  떳떳함을 느낌. 너그럽게 웃어 줬다. 흰머리는 화장실 쪽으로 비틀대며 달려갔다.
서도 사실을 밝 •오목이의 아이
히지 않음. 들에게 애정을 수지는 흐느적대는 파티의 환락을 바라보면서 거기 충격을 줄 수 있는 방법은 5
•오목이의 어려 느끼며 모두를
움을 외면함. 진심으로 키우 이미 없다고 생각했다. 그들의 건망증은 그렇게 확고해 보였고 순간의 환락은
고자 마음먹음. 파티에 모인 사람들에 대한 비판적 인식
기승스러웠다. ▶ 파티를 즐기는 이들을 회의적으로 인식하는 수지

•속물적으로 변한 수철에게 실망함. 수지는 더운 음식이 있는 테이블로 살금살금 걸어가 검고 윤기 나게 졸아붙은


•파티에 참석한 중산층을 회의적으로 바라
보게 됨. 갈비를 듬뿍 덜어 왔다.
‌“먹어 둬야 돼. 곧 어려운 일이 닥쳐올 테니까.” 10
1951년 겨울의 ‘그 이상한 허기’를 생각하며 살아온 수지의 무의식적인 행동
기승(氣勝)스럽다 기운이나 힘 수지는 부드럽게 익은 갈비를 손가락으로 쥐고 뜯으며 이렇게 중얼댔다.
따위가 성해서 좀처럼 누그러들
지 않으려는 데가 있다. 무언가 부족한 걸 발견하고 부엌 쪽으로 가던 영란이 한쪽 구석에서 갈비를 아
귀아귀 뜯고 있는 수지를 보고 소스라치게 놀
음식을 욕심껏 입 안에 넣고 마구 씹어 먹는 모양
라며 멈춰 섰다. 그러거나 말거나 수지는 천
천히 양념이 묻은 손가락을 깨끗이 핥았다. 15


“고모, 도대체 뭐 하는 거예요? 고모답지
수지를 가리킴.
않게 그게 무슨 청승이에요, 창피하게시
궁상스럽고 처량하여 보기에 언짢은 태도나 행동
리……. 파티에 참석하고 싶으면 샤워하고
옷 갈아입고 나와요. 내 옷 빌려줄 테니까
옷장에서 마음대로 골라 입어요. 참석하기 20

「」 : 남들의 시선을 의식하며, 속물적이고


싫으면…….”」 비인간적인 영란의 성격이 드러남.

영란이 말끝을 흐리며 눈썹을 우아하게 찡


그렸다.
“갈게요, 언니.”
수지는 오목이의 다섯 아이 중 둘이나 셋쯤 25

을 나눌 수 있기를 기대했던 자신의 마음이


부끄러워 얼굴이 화끈했다. 수철이가 맡는다
고 해도 실질적으로 떠맡아 양육할 사람은 영
란인데 영란에게 그 아이들을 돌보게 한다는
건 생각만 해도 치가 떨리는 일이었다. 30

영란에 대한 수지의 인식

318 5. 문학의 가치 •본질보다 체면이나 겉치레를 중시하는 위선


적인 인물로 생각함.
•정이 없는 비인간적인 인물이므로 아이들을
키울 수 없다고 생각함.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18 2019. 1. 9. 오후 3:00


맡기고 돌보게 하는 건 고사하고 그 아이들을 천인이나 거지 대하듯 바라다볼 영
란의 교만하고 정 없는 시선 앞에 그 아이들을 잠시 내보이는 것조차 단연코 허락할
수지가 생각하는 영란의 성격
수 없다고 생각했다. 생각만으로도 그것은 그 아이들에 대한 최악의 모독이었다. 수지는 영란에게 아이를 맡기
는 것이 왜 아이들에게 ‘최악의
“하마터면 큰일 날 뻔했지 뭐야.” 모독’이라고 생각한 것일까?
예시 답 수지는 오목이의 아이들
5 수지는 속으로 이렇게 중얼대며 「마치 그 아이들이 그 앞에 있는 양 허둥지둥 을 대신 양육하는 일을 수철과 논
「」 : 오목이의 아이들을 진정으로 생각하는 수지의 마음을 형상화함. 의하려고 파티에 참석했다. 그러
영란의 시선을 피해 그 아이들을 치마폭 가득, 품속 가득 껴안았다. 마음속으로 나 수지는 영란의 비인간적이고
속물적인 행동을 보며 아이들이
껴안은 그 애들의 체온은 생생하게 따뜻했고 가슴이 찐하도록 사랑스러웠다. 남 영란에게 맡겨지면 불행할 것이
라 생각한다. 그래서 수지는 아이
의 자식을 그렇게 찐한 마음으로 안아 보긴 처음이었다.」 들을 영란에게 맡길 수 없다고 생
각한다.
영란의 시선을 그 아이들에 대한 참을 수 없는 모독이라고 느낀 순간부터 수지
10 는 더 이상 그 아이들에 대한 자신의 마음을 속일 수가 없었다. 사랑하고 예뻐하
고 책임까지 지고 싶은 마음은 아직도 좀 생소했지만 이기의 껍질로 더 이상 싸
놓을 수 없을 만큼 싱싱하고 힘센 용틀임을 하고 있었다. 그 계집애들을 지겨워
한 것조차 사랑이었다고 감히 말할 수 있을 것 같았다.
▶ 오목이의 아이들을 품속으로 안으며 자신의 죄를 뉘우치는 수지
친정집에다 다섯 아이 중 몇을 덜기는커녕 행여나 하나라도 놓칠세라 치마폭
수철이네
15 가득 품속 가득 껴안고 수지는 병원으로 달음질쳤다. 더 늦기 전에 오목이에게
중산층으로서 그동안 쌓아 둔 수지의 허위의식
자신의 모습을 자랑하고 싶었다. 용서를 빌기 전에 자랑 먼저 하고 싶었다. 베풀
어진 은총처럼 마음속의 다섯 아이가 그녀를 기쁨으로 가득 채웠다. 수지가 자랑하고 싶은 모습
▶ 오목이에게 용서를 빌기로 결심한 수지 •그동안 중산층의 허위의식에
병원에선 오목이의 임종이 임박해 가족을 찾고 있었다. 주사로 임종을 잠시 사로잡혀 위선적인 삶을 살
어떤 때가 가까이 닥쳐옴. 았던 것에 대한 반성
유예하고 있는 상태라고는 믿어지지 않을 만큼 오목이의 의식은 또렷했고 표정 •내면과 외면이 같은 사람으
일을 결행하는 데 날짜나 시간을 미룸. 로 변화함.
20 은 해맑았다. 
•오목이에 대한 진정한 참회
“아아, 언니! 언니, 어디 갔었어? 못 보고 죽을까 봐 얼마나 조바심했는 줄 알
를 하고자 함.
•오목이의 아이들을 진심으로
아. 죽기 전에 꼭 하고 싶은 말이 있었거든. 진작 할 걸 왜 여태 참았나 몰라. 돌보고 싶은 마음이 생김.

죽을 때까지 나 미련한 건 하여튼 알아 줘야 한다니까.”


오목이는 마지막으로 재미있는 농담이라도 한 것처럼 장난스러운 미소를 띠
25 고 이렇게 말했다. 그러나 「그녀의 목소리는 숲속 길을 거닐 때 문득 옷소매를 스
「」 : 죽음을 앞두고 삶에 대한 미련이나 아쉬움을 버리고 담담한 모습인 오목이
용틀임(龍--) 이리저리 비틀거
치고 나무들 사이로 도망치는 미풍이나 환청처럼 인간적인 애증과 갈등이 남김
나 꼬면서 움직임.
없이 걸러진 고요하고 무심한 것이었다.
」 임종(臨終) 죽음을 맞이함.
직시(直視)하다 사물의 진실을
그런 오목이의 목소리는 죽음에 끝까지 따라다니는 설마 하는 비현실감을 단 바로 보다.
엄습(掩襲)하다 감정, 생각, 감
숨에 몰아냈다. 그리고 죽음을 직시해야 하는 일을 피할 수 없게 됐다는 크나큰
각 따위가 갑작스럽게 들이닥치
30 두려움이 수지를 엄습했다. 수지는 떨리는 소리로 말했다. 거나 덮치다.

⑵ 문학과 공동체 319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19 2019. 1. 9. 오후 3:00


“오! 오목아, 나야말로 할 얘기가 있었는데, 진작 했어야 하는 얘긴데 왜 여태
자신이 오목이를 버린 친언니라는 사실을 밝히고 오목이에게 용서를 구하려고 함.
껏 못 했나 몰라. 미련하게시리…….”
“언니, 내가 먼저야.”
오목이가 섬뜩하도록 강경한 목소리로 말하면서 믿을 수 없을 만큼 바싹 마른
팔로 허공을 휘저었다. 5

“언니, 내가 언니를 얼마나 싫어했는지 언니는 아마 모르고 있었을 거야. 고아


원에서 처음 언니를 만났을 때부터 난 언니가 싫었어. 왜 그렇게 미웠는지, 아
오목이는 고아원에서 본 수지의 행동이 가식적이라고 느껴져서 쌀쌀맞게 대했음.
마 질투였나 봐. 언니 제발 용서해 줘. 일생에 누굴 그렇게 미워해 보긴 언니
수지가 용서를 구해야 하는 상황임에도 오히려 오목이가 수지에게 용서를 구함.
가 처음이자 마지막이었어.”
“난 미움받아 싸단다. 난 널 용서해 줄 자격도 없어. 아아, 내 죄를 네가 안다 10
동생을 일부러 버린 것도 모자라 외면하며 이기적으로 살아온 죄
면…….” ▶ 수지에게 용서를 구하는 오목이

오목이의 고백을 듣고 있는 수 “언니, 내 말 안 끝났어. 내 말 먼저 할 테야. 나에겐 시간이 없으니까. 근데 언


지의 심정은 어떠했을지 말해
보자. 니, 내 미움은 참 이상해. 내가 남을 내 마음처럼 믿고 의지하기도 언니가 처
예시 답 오목이는 자신과 달리
풍족하게 산 수지를 질투했었다 음이었으니. 언니를 다시 만나기 전에 난 이미 죽었어야 했어. 막내 낳을 때
고 고백한다. 자기에게 버림받았
던 과거의 일을 모르고 되려 사과 안 죽은 걸 의사는 기적이라고 말했지만 그때 난 죽을래야 죽을 수가 없었어. 15
하는 오목이를 본 수지는 미안함
과 죄책감을 느꼈을 것이다. 아이들을 어떡하구 죽냐 말야. 언니도 알다시피 우린 두 내외가 다 고아 아뉴?
다 망가진 몸을 정신력 하나로 살아 있다는 게 얼마나 고달픈 일인지 언니는
아마 모를 거야. 그때 언니를 다시 만난 거야. 언니를 만나고부터는 정신력으
오목이의 고백과 그 효과 로 살아 있는 그 지겹고 고된 일로부터 놓여날 때가 됐다 싶은 생각이 왜 그렇
죽음을 앞둔 오목이
는 수지에게 자신의 게 분명히 떠올랐을까. 참 이상해. 아무튼 자기가 죽은 후 자기 어린 자식들을 20
잘못을 고백함. → 수
오목이의 지를 가식적인 사람 마음 놓고 맡길 수 있다고 생각할 만큼 누구를 믿는다는 건 동기간에도 여간
고백 이라 생각하여 쌀쌀
맞게 대했던 자신의 우애 있는 동기간 아니면 있을 수 없는 일인데 난 하필 죽도록 미워하고 있다
행동을 솔직하게 털
어놓고 용서를 구함. 고 생각한 언니에게 그런 걸 느낀 거야. 언니, 언니에게 힘든 짐을 지워 주려

수지에게 버림받은 고 일부러 꾸민 얘기가 아냐. 꾸민 것처럼 이상한 얘기지만 정말이야. 자기 자
사실을 모르는 오목
이가 오히려 수지에 식을 안심하고 맡길 수 있을 만큼 남을 믿을 수 있다는 건 너무도 큰 은총이야. 25
게 사과하는 상황을
효과
보여 줌으로써 이기 언니, 정말 고마워. 언니에 대한 내 믿음과 사랑과 감사의 표시로 언니에게 이
적인 현대인들에 대
한 비판 의도가 강하 걸 주고 싶었어. 이건 내 전 재산이자 내 모든 거야. 내가 죽는 날까지 알기를
게 드러남.
그렇게 원했지만 결국 못 알아내고 만 나의 정체까지도 아마 이 속에 포함되었
을 거야. 내가 고아가 되기 전부터 내가 지녀 온 유일한 물건이거든. 난 이걸
은표주박
동기간(同氣間) 형제자매 사이. 로 내 정체를 어떻게든 건져 올려 보려고 무진 애썼지만 허사였어. 아아, 내 30
자신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다는 생각에 평생 지님.

320 5. 문학의 가치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20 2019. 1. 9. 오후 3:00


은표주박의 의미
•수지는 오목이에게 은표주박을 쥐어주고
동생을 버림.
•오목이는 죽기 직전 수지에게 은표주박을
아이들…….” 건네줌.

오목이가 천 근의 무게처럼 힘겹게 건네준 건 은표주박이었다. 은행알만 하고 


오목이가 가족과 헤어져 고아로 자라게 된 계기를 제공한 물건 •동생을 버리기 위한 도구로
청홍의 칠보 무늬가 아직도 영롱한 은노리개였다. 수지는 벼락을 맞은 것처럼 써, 수지가 지은 죄악의 씨앗
수지
•오목이의 임종 직전 건네받음
에게
공구해서 풀썩 바닥에 무릎을 꺾고 그것을 받았다. 어쩌면 수지가 지금 꺾은 것 으로써 진정한 참회와 아이들
오목이에 대한 미안함과 죄책감을 느끼며 자신의 삶을 참회하는 수지의 모습 에 대한 책임감을 의미함.
5 은 무릎이 아니라 이기로만 일관해 온 그녀의 삶의 축이었다. 마침내 그것을 꺾
수지의 이기심 •오목이의 인생에 다가올 불행
오목이 의 씨앗
으니 한없이 겸허하고 편안해지면서 걷잡을 수 없이 슬픔이 밀려왔다. 에게 •정체성을 찾기 위해 끝까지
간직한 물건
“오목아, 아니 수인아, 넌 오목이가 아니라 수인이야. 내 동생 수인이야. 내가
칠보(七寶) 금, 은, 구리 따위의
버린 수인이야. 내가 너를 몇 번이나 버린 줄 아니……?”
바탕에 갖가지 유리질의 유약을
이렇게 목멘 소리로 시작해서 길고 긴 참회를 끝냈을 때 수인이는 이미 죽어 녹여 붙여서 꽃, 새, 인물 따위의
무늬를 나타내는 공예. 또는 그
10 있었다. 그러나 수지는 용서받은 것을 믿었다. 수인의 죽은 얼굴엔 남을 용서한 공예품.
과거의 상처를 극복하고 가족 공동체의 사랑을 회복함.
공구(恐懼)하다 몹시 두렵다.
자만의 무한한 평화가 깃들어 있었으므로. ▶ 죽음을 맞은 오목이에게 진심으로 참회하는 수지

주제의 확대
제재 정리
표면적 주제
전쟁으로 인한 이산가족의 비극 비극을 수용하거
나 극복하지 않고
 주제의 확대
외면하는 작품 속
이면적 주제 인물들의 모습
가족의 의미마저 해체하는 이기적이고
허위의식으로 가득 찬 중산층의 비판

작품 구성
1·4 후퇴 때, 피란길에서 수지는 다섯 살 된 동생 오목(수인)의 손을 일부러
발단
놓음.
전쟁이 끝나고 중산층으로 살던 수지는 고아원에서 동생 오목이를 찾지만,
전개 자신의 옛 애인이었던 인재가 오목이와 만난다는 사실을 알고서 둘 사이를
갈라놓고 끝끝내 자신이 언니라는 사실을 밝히지 않음.
수지는 부유한 남자와 결혼하여 행복하게 지내지만, 오목이는 가난과 남편
위기
일환의 학대로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냄.
오목이와 재회한 수지는 죄책감을 덜기 위해 일환이 중동에서 일할 수 있도
절정
록 도와주고, 일환이 중동으로 떠나던 날 오목이는 결핵이 심해져 쓰러짐.
오목이는 결국 수지 곁에서 죽음을 맞이하고, 수지는 동생에게 마음의 용서
결말
를 구함.
※ 교과서 수록 부분은 ‘결말’에 해당함.

⑵ 문학과 공동체 321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21 2019. 1. 9. 오후 3:00


활동의 흐름 활동 1 활동 2 활동 3
주인공의 감정 변화와 중심 소재에 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의 인물이 겪 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에 관해 토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해 겨울은 는 갈등을 바탕으로 하여 가족 공동체 의하고 공동체 구성원들과 문학 활
따뜻했네〉의 내용 정리하기 의 구성원이 가져야 할 태도 생각하기 동의 생활화 방법 계획하기

활동 1 지도 방안
1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오목이에 대한 수지의 감정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보자.


가족 공동체 내부에서도 개인
과 개인의 충돌은 존재할 수 있
으며 이기심이 발현될 수 있다. 어린 시절 헤어질 때 고아원에서 만났을 때 다시 만났을 때
이러한 인간의 감정에 대해 당
위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작품
속 인물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예시 답 오목이에게 양보하 예시 답 자신의 잘못이 들통 예시 답 자신 때문에 힘든 삶
어떤 감정을 가졌는지 구체적으 는 게 싫어서 일부러 오목이 날까 두려워 오목이를 외면 을 사는 오목이를 보고 죄책
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 의 손을 놓음. 함. 감을 느낌.
다.

오목이가 은표주박을 ⑵ 이 작품에서 ‘은표주박’은 오목이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생각해 보자.


‘자신의 전 재산’이자 ‘모든 것’
이라고 말한 데서 그 의미를 알
수 있을 것 같아. •은표주박의 의미:
예시 답 •오목이가 가족과 헤어지게 되는 계기가 되는 소재로, 불행의 시작을 의미
한다.
•오목이가 고아가 되기 전부터 지금까지 지녀 온 물건으로, 오목이의 정체성을 의미
한다.
•오목이가 죽기 전에 수지에게 건네는 물건이며, 수지에 대한 믿음을 의미한다.

활동 2 지도 방안
2 공동체 구성원 사이의 바람직한 관계를 생각하며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⑴ 이 작품에서 수지가 오목이를 계속해서 외면하게 된 원인은 무엇인지 본문에 제시된 부


수지가 겪는 심리적 갈등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고 무릎을 분을 활용하여 말해 보자.
꿇고 은표주박을 받는 수지의
예시 답 ‘어쩌면 수지가 지금 꺾은 것은 무릎이 아니라 이기로만 일관해 온 그녀의 삶의 축이었다.’라고 하는 것으로
행동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파악
보아 수지가 오목이를 외면했던 원인은 수지의 이기심 때문이다.
하도록 한다. 그리고 인물들의
감정과 태도를 바탕으로 하여 ⑵ 결말 부분에 나타난 수지의 태도에 유의하여 오목이의 죽음 이후 수지가 어떤 행동을 하
바람직한 가족 공동체의 방향이
무엇인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게 될지 예측해 보자.
한다.
예시 답 수지가 오목이에게 진실을 말한 부분과 오빠(수철) 부부에게 아이들을 맡길 수 없다고 생각한 부분을
보면 수지가 자신의 행동을 진심으로 뉘우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지는 오목이의 남은 다섯 아이들
을 친자식처럼 뒷바라지하고 키울 것이다. 

⑶ 이 작품의 내용에 비추어 볼 때, 가족 공동체의 구성원은 서로에게 어떤 태도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할지 생각해 보자.
예시 답 •서로를 사랑하고 배려하며 갈등을 치유하는 존재가 되어야 할 것이다.
•서로의 부족한 점을 이해하고 서로에게 도움을 주는 존재가 되어야 할 것이다.

322 5. 문학의 가치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22 2019. 1. 9. 오후 3:00


3 공동체 구성원들과 함께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는 활동을 해 보자.

⑴ 수지가 1951년 겨울에 동생의 손을 일부러 놓은 행동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지 친구들
과 토의해 보자.
활동 3 지도 방안
예시 답 •옳지 않은 행동이야. 아무리 동생이 얄밉다
작품에 관한 감상을 바탕으 고 해도 동생을 고아로 만들어 버리는 것은 한 사람의 오목이가 죽기 전에
로 하여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 인생을 망치는 행동이잖아. 그때는 어쩔 수
는 활동이다. 토의할 때는 비판 용서를 빌었어야
•어린 나이에 심각한 결과를 예상하지 못하고 한 행동 없었다고 생각
적 사고로 인물의 행동에 관해 해. 한다고 생각해.
이잖아. 부정적으로만 볼 수는 없는 것 같아.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눌 수 있 •고의로 놓았다는 부분을 보면 의도가 개입되었다는 걸
도록 한다. 나아가 이 활동이 공 알 수 있어. 그렇다면 수지의 행동은 지탄받아 마땅하
동체 구성원과 정서적으로 교류 다고 생각해.
하며 상호 존중감과 유대감을
높이는 과정이 될 수 있음을 느
끼도록 이끌어 준다. ⑵ 친구들과 문학 작품에 대해 토의하면서 유
익했던 점은 무엇인지 말해 보자.
예시 답 •같은 행동에 대해 사람마다 다른 평가가 가능
하다는 점을 이해하게 되었다.
•의견을 제시하는 것뿐만 아니라 옳고 그름에 대한 타당
한 근거를 대는 것도 중요하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수지의 행동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을까?

⑶ 토의한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공동체 구성원들과 문학 활동의 생활화 방법을 계획해 보자.
예시 답 •친구들과 정기적으
로 책을 읽고 의견을 나누는 자
율 독서 동아리를 만든다.
•학교에서 진행되는 도서관 프
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다.
•북 콘서트에 참여하여 다른 독
자들과 문학 작품에 대한 의견
을 나눈다.
•문학 답사를 통해 문학 작품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얻는다.

북 콘서트에 참여하면 문학 문학 답사를


통해 작품의
작품에 관해 다양한 의견을 가와 관련된 내용이나 작
장소를 방문
나눌 수 있다. 할 수 있다
‘나의 책방 키우기’ 지도 방안 .

학습 활동지 참고 자료 이 작품은 6·25 전쟁의 혼란한 서울을 배경


02 으로 화가 옥희도의 삶과 ‘나’의 성장 과정을
담은 소설이다. 이 작품을 통해 전쟁이라는
박완서의
시대적 상황이 만들어 낸 인물들의 초상을 만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에 대한 나의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기 〈나목〉
날 볼 수 있으며, 황폐한 상황마저도 ‘고목’이
예시 답 내가 우리 가족에게 어떻게 행동하고 있는지 돌아보면서, 가족에게
아닌 ‘나목’으로 형상화하는 작가의 희망적인
더욱 잘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소설이었어.
인식을 파악할 수 있음을 안내한다.
이 작품은 6·25 전쟁 중에 낙오되어 죽음의
위기에 처한 세 인물을 중심으로 각자가 선택
나의 책방 키우기 황순원의 한 삶의 방식을 보여 주는 소설이다. 작품 속
〈너와 인물을 통해 인간의 존재 의미와 삶의 의지
작가의 다른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박완서의 〈나목〉

나만의 에 관한 진지한 성찰을 끌어내고 있어, 윤리
주제가 유사한 작품을 감상하고 싶다면  황순원의 〈너와 나만의 시간〉 시간〉 적 가치 선택에 놓인 인간의 모습을 간접적으
로 체험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태도로 살
아야 하는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⑵ 문학과 공동체 323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23 2019. 1. 9. 오후 3:00


‘소단원 정리하기’ 지도 방안
•문학 지식을 일방적으로 전달하기보다는 학습한 작품의 내용이나 구성 등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
도록 지도한다.
•‘개념 정리’, ‘평가 자료’ 등을 활용하여 다채로운 방법으로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정리할 수 있도
록 한다.

(2) 문학과 공동체


앞에서 감상한 문학 작품을 떠올려 보고, 다음 글을 통해 배운 내용을 정리·점검해 보자.
5-⑵단원 개념 정리 ① 문학과 공동체의 문제
개념 정리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
인간의 삶 가 지닌 문제를 그려
 문학
개념 정리 공동체의  냄.
 작품
문제 •공동체가 지닌 문제의
평가 자료
문학은 공동체의 문제를 담아낸다. 해법을 제시하기도 함.

•어휘 평가 문학 작품이 그려 내는 인간의 삶 속에는 필연적으로 공동체의 문제들이 투영된다. 인간은 공동체
•쪽지 시험
•소단원 평가 의 일원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공동체’란 생활이나 행동, 목적 등을 같이하는 이들의 집
•서술형 평가
단을 일컫는 말로, 대개 인간은 사회, 민족, 역사, 자연환경 등 여러 공동체의 일원으로 살아간다. 문
•수행 평가
학 작품은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문학적인 수법으로 그려 내고 때로는 그 해법
까지 제시하기도 한다. 바퀴벌레라는 특이한 소재를 다룬 〈바퀴벌레는 진화 중〉 312쪽을 살펴보자.
시인이 바퀴벌레의 삶을 묘사하거나 바퀴벌레의 진화라는 과학적 문제를 설명하고자 이 시를 쓴 것
은 아닐 것이다. 아마도 시인은 바퀴벌레를 통해 지구에서 함께 살아가는 인류 공동체가 직면한 환경
파괴의 문제를 경고하면서 그 해법을 찾고자 시를 썼을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앞서 함께 감상한 〈붉
은 꽃, 흰 꽃〉 314쪽은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공동체의 모습을 이야기하며 우리에게 어떤 삶의 자
세가 필요한지 생각하도록 한다. ▶ 공동체의 문제나 그 해법을 담는 문학 작품

문학은 인간다운 삶을 가꾸는 데 도움을 준다.


우리는 앞에서 문학 작품이 인간의 삶을 다루고 있음을 여러 가지 각도에서 살펴보았다. 또 이 단
원에서는 인간의 삶 가운데 공동체의 문제에 초점을 맞춘 작품들이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바퀴
벌레는 진화 중〉에서 말한 환경의 문제, 〈붉은 꽃, 흰 꽃〉에서
그려 낸 다문화 사회에서 필요한 삶의 자세, 〈그해 겨울은 따
뜻했네〉 316쪽에서 성찰한 전쟁과 가족의 문제 등은 모두 우
리가 속한 공동체에서 한번쯤은 생각해 보아야 할 부분이다.
이처럼 문학 작품은 공동체의 구성원이기도 한 독자들에게
우리 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들의 중요성을 환기하는 기능을
하며, 그 결과로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함께 해결 방안을 모
색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문
제를 해결하는 것은 구성원
들이 함께 행복하고 평화로

현대 사회는 환경 오염이나 전쟁 운 삶,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등 공동체가 함께 고민해야 할
있는 길을 마련하는 것과 같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
다. ▶ 인간다운 삶을 누리는 데 도움을 주는 문학 작품
5-⑵단원 개념 정리 ② 문학과 인간다운 삶

문학 작품 인간다운 삶

324 5. 문학의 가치 문학 작품은 공동체가 지닌 문제


들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함께 해
문학 작품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는 것은 공동체 구성원들이 함께

결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계기를 행복하고 인간다운 삶을 누릴 수
마련함. 있는 길을 마련하는 것임.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24 2019. 1. 9. 오후 3:00


5-⑵단원 개념 정리 ③ 문학 활동과 공동체의 문화 발전

문학 활동의 공동체 구성원들과 함께하는 문학 활동은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것으로 이어질 수 있음.
생활화 → 문학 활동의 생활화에 도움이 됨.


공동체의 •문학을 매개로 건전한 문화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음.
문화 발전 •문학 작품에서 다룬 공동체의 문제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해결책을 찾아가는 계기 마련


문학 활동의 생활화로 인간다운 삶을 누리고
공동체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문화를 형성하도록 노력해야 함.

문학 활동은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문학 활동이 우리의 삶에 유익하다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지만, 지속해서 문학 활동을 실천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운동이 건강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운동을 쉽게 생활화하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일 것이다. 하지만 혼자가 아니라 다른 사람과 함께, 특히 같은 공동체에 속한
사람들과 함께한다면,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독서 모임에 참여하거나 인터
넷 창작 모임에서 활동하는 것도 가능하며, 때로는 각종 독서 토론회나 북 콘서트에 참가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공동체 구성원과 함께 문학 활동을 하면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문학 활동이 가능해지고, 한 걸음 더
나아가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이바지할 수도 있다. 문학을 매개로 하여 건전한 문화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에서 다룬 공동체의
문제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해결
책을 찾아 나가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문
학 활동을 생활화하여 모든
사람이 인간다운 삶을 누
리고 공동체의 문제를 함
께 해결하는 문화를 형성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문학 활동의 생활화

평가
점검 사항
상 중 하

문학 활동을 생활화하여 인간다운 삶을 가꿀 수 있다.▶ 교과서 313쪽 2-⑵번, 314쪽


3-⑵번, 322쪽 2-⑶번 문제
이 단원에서
문학 활동을 통해 공동체 구성원과 정서적으로 교류하며 상호 존중감과 유대
학습한 내용을 떠올리며
감을 높일 수 있다. ▶ 교과서 314쪽 3-⑴번, 323쪽 3-⑴~⑵번 문제
점검해 보자.
문학 활동을 통해 공동체의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 교과서 323쪽 3-⑶번 문제

⑵ 문학과 공동체 325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25 2019. 1. 9. 오후 3:00


‘대단원 마무리’ 지도 방안
•대단원에서 학습한 요소를 확인한 다음, 더 알고 싶은 점이 있는지
스스로 생각해 보며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다. 단순한 기록에서 그
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과제나 평가를 진행하거나, 심화
자료를 활용하여 궁금한 부분을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창의적 감상’에 제시된 감상의 방향과 그에 따른 작품을 살펴보며
문학의 경험을 넓힐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작
품을 읽고 자유롭게 자기 생각을 말할 수 있도록 끌어 준다. 또한,
추가로 엮어 읽을 수 있는 또 다른 작품을 안내하여 수업 외의 시
창의적 감상 활동지
간에도 문학 감상이 생활화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평가 자료
•대단원 평가
1 다음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서 형제의 얼굴을 발

(1) ‘문학과 삶의 다양성’에서는 견한 경험을 쓴 시이다. 이 시에 제시된 상황과 유사한 경


〈다시 느티나무가〉와 〈김 씨 표류기〉를 감상하며 험이 있거나, 문학 작품을 읽고 자신과 다른 사람의 삶에
문학을 통한 자아 성찰을 경험하였다. 대한 깨달음을 얻은 경험이 있는지 이야기해 보자.
예시 답 하종오 시인의 〈동승〉이라는 시를 읽으면서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차별적인 인식을 반성하고 성찰한 경험이 있
(2) ‘문학과 공동체’에서는 다. 우리 사회는 이제 여러 문화와 민족이 함께 살아가는 다
〈바퀴벌레는 진화 중〉과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형제 _ 박현수 문화 사회이다. 인종이나 국적, 문화가 다른 사람들에 대해
배타적인 시선으로 대하지 말고, 그들과 함께 조화를 이루며
를 감상하며 타인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이해하였다. 살아가도록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거울 속의 내 모습에
성찰의 매개체
형이
때로는 동생이 겹쳐 보인다
시적 화자와 형, 동생의 삶의 유사성을 깨달음.(동질감 인식)
가난한 화가의
따라서 우리는 이 단원에서 문학의 가치를 이
덧칠한 캔버스 아래 어리는
해하고 문학 활동을 해 보면서 능동적으로 문학
희미한 초상처럼
을 향유해 나갈 수 있게 되었다. 앞에서 활동한
어느 것이 밑그림이고
내용을 떠올리며 더 알아보고 싶은 점을 간단하
어느 것이
게 써 보자.
덧칠한 그림인지는 아무래도 좋다
예시 답 생략
아니면
둘다 덧칠이고 밑그림은
시적 화자의 모습 또는 형제의 모습
신이 가지고
조물주
있으리라는 반전도 괜찮다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삶이
언젠가 한번 살아본 듯
낯익을 때면
거울 속에
누군가
형, 동생
자주 겹쳐 보인다는 것이다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성찰적
제재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
주제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동질감과 유대감
특징 시행을 간결하게 배치하여 조용한 시적 분위기를 형성함.

326 5. 문학의 가치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26 2019. 1. 9. 오후 3:00


예시 답 글쓴이는 우리 사회가 돈이나 권력에 욕심을 내고 자신의 건강에
만 너무 신경을 쓰며 아는 것이 지나치게 많은 사람들이 양산되는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생각한다. 반면에 낯선 사람을 보고도 경계하지 않
고 따뜻하고 친절하게 대하는 할머니를 보며 이처럼 다른 사람들에게 따
뜻한 인정을 베푸는 공동체가 되기를 소망하고 있다.
2 다음은 시골 마을의 풍경을 통해 우리가 잃어버리고 있

는 가치를 되새겨 보는 수필이다. 우리 공동체가 직면한


문제점과 바람직한 공동체 문화를 생각하며 작품을 읽어
보자.

순후와 질박함에 대하여 _ 공선옥

처음 이따금씩, 아주 가끔 내가 살고 있는 공간이, 나의 삶이,


내 살아가는 방식이, 아니 거창하게 말할 것도 없이 내가 먹
고 있는 음식, 내가 입고 있는 옷들이 싫어지고 거추장스럽
일 따위가 성가시고 귀찮게
게 여겨질 때가 있다. 그럴 때는 청소하는 것도 빨래하는 것
도 설거지하는 것도 귀찮아지고 의미 없어지고 오직 이곳이
아닌 다른 곳을 꿈꾸게 된다. 이곳이 아닌 다른 곳이라면 적 “고추를 참 많이 따셨네요?”
귀찮아지고 무의미하게 느껴지는 것이 없는 공간
어도 내가 이러고 살지는 않을 텐데, 하는 막연한 꿈. 그럴 마을에 사는 사람들은 거개가 나이 든 사람들이다. 그들
때면 나는 하던 청소도 일시 중단하고, 설거지, 빨래도 미뤄 은 낯선 사람이 하나도 낯설어하지 않으며 말을 붙이면 그
둔 채 무작정 집을 나선다. 집을 나서면 어디로 가나. 막상 들은 하나도 낯설어하지 않으며 대답한다. 참으로 순박한
대문 밖을 나서면 갈 데가 없다는 것을 나는 잘 안다. 하지 음성으로, 거기에 덤으로 미소까지 얹어서 예에, 한다. 그러
만 이왕 나섰으니 가 볼 수밖에. 왜냐하면 갈 데는 없다 해 고 나서 뉘 집에 오셨느냐, 묻는다. 나는 또 스스럼없이 대
도 다시 집 안으로 들어서는 것은 집 밖으로 나서는 것보다 답한다.
더 좋을 리는 없으므로. 갈 곳 없다고 다시 집 안으로 들어 “마을 구경 왔어요.”
선다면 나는 필시 엉망이 되고 말 것이다, 마음도 생활도. 그러면 그들은 또 어김없이 말한다.
중간 정녕 갈 곳이 없는가. 꼭 그렇지는 않다. 갈 곳이 없다는 “이런 촌에 뭐 볼 게 있다고.”
말을 역으로 해석하면 갈 곳이 너무나 많다는 말과 같다. 갈 나는 그러면 또,
부정적인 상황을 역으로 생각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함.
곳이 정해져 있다면 우리는 오직 그 한 곳만을 가야 하지만 “촌이니까 볼 게 많지요.”
그렇지 않으니 천지 사방이 다 내가 갈 수 있는 곳이 되는 것 한다.
이다. 이제 세 살 난 아들 녀석을 고물차에 부착한 유아용 고추를 말리는 할머니 옆에 아이를 돌려 안고 나는 가만
시트에 단단히 비끄러매 놓고 나는 운전대를 잡는다. 시골 히 앉는다.
줄이나 끈 따위로 서로 떨어지지 못하게 붙잡아 매
길은 한가하다. 군데군데 참깨나 고추를 말리는 농부들이 “할머니 집은 어디세요?”
보인다. 그 옆을 지날 때면 좀 천천히 달린다. 내가 집을 나 “저기여.”
농부들에 대한 글쓴이의 배려
서서 주로 달리는 길은 보성 강변길이다. 햇빛은 투명하고 “할머니 집 구경해도 돼요?”
길 가녘에 이제 피어나기 시작한 코스모스가 앙증맞다. 마 “구경이야 해도 되지만, 심란해서 원.”
을이 자리하고 있다. 강 마을이다. 나는 마을 입구 정자나무 나는 할머니를 자박자박 따라간다. 사립문 옆에 감나무
가볍게 발소리를 내면서 자꾸 가만가만 걷는 소리. 또는 그 모양
아래 차를 세우고 차만 타면 잠이 드는 아들을 포대기에 업 가 있고 마당 한 귀퉁이에 샘이 있고 안 가꾼 듯 가꾸어진 화
고 마을 안으로 들어선다. 뉘 집에 온 손님인가, 하고 마을 단에는 붉은 맨드라미와 분홍 족두리꽃과 노란 분꽃이 화사
사람이 나를 바라본다. 나는 스스럼없이 다가간다. 하다.
낯선 사람들에 대해 거리감을 느끼지 않는 글쓴이의 모습

대단원 마무리 327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27 2019. 1. 9. 오후 3:00


작품 개관
갈래 경수필
성격 체험적, 감상적, 서정적 아 나오며 내 아이들에게 내가 바로 그런 어머니, 고향 같은
제재 시골 사람들의 소박한 생활 태도
순수하고 질박한 시골 사람들의 태도에서 받는 위로와 깨
어머니가 되어야겠다는 깨달음을 얻는다.
주제
달음 끝 나는 다시 집으로 돌아온다. 정성 들여서 청소를 하고 밥
① ‘글쓴이의 결험-경험을 통한 깨달음’의 구조로 구성됨.
특징
② 대화를 직접적으로 인용하여 상황을 생생하게 전달함. 을 짓고 빨래를 하고 바느질을 하고 푸성귀를 가꾼다. 그러
사람이 가꾼 채소나 저절로 난 나물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할머니는 누구랑 사세요?” 면서 나는 어떻게 늙어 갈 것인가를 생각한다. 늙는 생각을
시골 할머니처럼 순후와 질박함을 잃지 않는 노년을 생각함.
마루에 걸터앉아 내가 누구랑 사느냐고 묻는 사이에 할머 하게 되면 나는 오래된 마을을 생각할 때 그런 것처럼 아주

니는 어느 틈에 냉수 사발을 건네준다. 나는 맛난 물을 단숨 아주 포근해진다.

에 들이켠다. 그러고 나서 빼놓지 않고 인사를 차린다.


“이럴 줄 알았으면 막걸리라도 받아 오는 건데.” 가녘 가장자리.
거개(擧皆) 거의 대부분.
“막걸리는 무슨, 집에 술 있는데 한잔 마실라요?”
낯선 사람에게도 친절한 할머니의 모습
“아이고, 아닙니다.”
나는 기쁘게 사양한다. 우린 오래전부터 알았던 사람들
3 다음은 자신의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을 대상으
처럼, 어머니와 딸 사이인 것처럼 다정해진다.
로 삶에 대한 성찰을 담은 시이다. 시적 화자처럼 자기 주
이렇듯 낯선 사람을 보고도 하나도 낯설어하지 않는 시골
변의 일상적인 사물을 중심으로 삶을 성찰해 보자.
사람들이 나는 좋다. 처음 보는 사람인데도 하나도 낯설지
예시 답 생략
않은 시골 사람들, 정확히 말해 시골 할머니들에게서 나는
늘 위안을 얻는다. 돈이 많은 사람, 권력을 가진 사람, 육체 긍정적인 밥 _ 함민복 작품 개관
대조 갈래 자유시, 서정시
가 너무 건강한 사람, 아는 것이 너무 많은 사람들 앞에서는 성격 독백적, 점층적, 비유적
제재 따뜻한 밥
무형의 저항감을 느낀다. 가진 것 없고 그 생애 자체가 희생 시(詩) 한 편에 삼만 원이면 어려움 속에서도 긍정
예술을 물질로 보는 세태
주제 적인 삶을 살고자 하는
으로만 점철된 시골 할머니들의 순후한 인정이, 그것이 비 너무 박하다 싶다가도
온순하고 인정이 두터운 이익이나 소득이 보잘것없이 적다
삶의 자세
록 냉수 한 사발의 인정이라 할지라도 나는 사람을 반기고 쌀이 두 말인데 생각하면 ① 소재들의 대칭 구조
를 통해 삶에 대한
사람을 사람으로 보고 사람을 섬기는 그 선한 눈빛이 좋아 금방 마음이 따뜻한 밥이 되네 성찰을 드러냄.
특징
인본주의적 태도 ② 대구의 형식을 사용
어찌할 줄 모르겠다. 이제 이 한 시대가 또 정처 없이 흘러 하여 의미를 강조
함.
가 버리면 그들은 가고 그들의 인정도 끊기고 그 순후와 질 시집 한 권에 삼천 원이면
박함 또한 영영 사라져 버릴 것이다. 나는 그것이 두렵다. 든 공에 비해 헐하다 싶다가도
꾸민 데가 없이 순수함 값이 싸다
끊어져 버리는 것이 두렵고 사라져 버리는 것이 두렵다. 이 국밥이 한 그릇인데
제 세상은 온통 아는 것 많은 사람들만의 세상이 될 것이고 내 시집이 국밥 한 그릇만큼
돈 많은 사람들만의 세상이 될 것이고 사람을 경계하는 사 사람들 가슴을 따뜻하게 덥혀 줄 수 있을까
람들만의 세상이 될 것이고, 그럴 것이고……. 나는 절망한 생각하면 아직 멀기만 하네 ▶ 따뜻한 국밥이 되는 시
순후와 질박함이 사라질까 두려움
다. 그러면, 내 지친 영혼은 어디 가서 위안을 얻나, 잃어버
린 고향을, 어머니를 어디가서 찾나. 시집이 한 권 팔리면
내가 왜 이렇게 지치나, 무엇 때문에 이렇게 힘들어하는 내게 삼백 원이 돌아온다
가, 늘 모르고 지내 오다가 그 할머니들을 보고 나서 나는 박리다 싶다가도
적은 이익
내가 결국은 고향을 잃어버려서, 어떤 정신적 유토피아를 굵은 소금이 한 됫박인데 생각하면
이상향
잃어버려서 그렇다는 걸 알게 된다. 아이를 업고 마을을 돌 푸른 바다처럼 상할 마음 하나 없네
① 음식이 변하거나 썩어서 먹을 수 없게 됨. ▶ 굵은 소금이 한 됫박이 되는 시
② 마음이 언짢아짐.(중의적 표현)

328 5. 문학의 가치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28 2019. 1. 9. 오후 3:00


4 다음은 평상에 마주 앉아 국수를 먹는 사람들의 모습을

형상화한 시이다. 국숫집에서 만난 사람들이 서로 소통하


고 서로의 삶을 이해하는 태도를 보며 상생과 공존의 문화
에 대해 생각해 보자.
예시 답 생략

평상이 있는 국숫집 _ 문태준


나무로 만든 침상의 하나. 밖에다 내어 앉거나
드러누워 쉴 수 있도록 만든 것

평상이 있는 국숫집에 갔다
붐비는 국숫집은 삼거리 슈퍼 같다
평상에 마주 앉은 사람들
세월 넘어온 친정 오빠를 서로 만난 것 같다
국수가 찬물에 헹궈져 건져 올려지는 동안
쯧쯧쯧쯧 쯧쯧쯧쯧,
손이 손을 잡는 말
눈이 눈을 쓸어 주는 말
병실에서 온 사람도 있다
식당 일을 손 놓고 온 사람도 있다
사람들은 평상에만 마주 앉아도
마주 앉은 사람보다 먼저 더 서럽다
세상에 이런 짧은 말이 있어서
세상에 이런 깊은 말이 있어서
국수가 찬물에 헹궈져 건져 올려지는 동안
쯧쯧쯧쯧 쯧쯧쯧쯧,
큰 푸조나무 아래 우리는
모처럼 평상에 마주 앉아서

푸조나무 느릅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20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


긋나고 달걀 모양인데 톱니가 있음.

작품 개관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일상적, 서민적
제재 국숫집에 모인 사람들
주제 평범한 사람들끼리 주고받는 위로와 교감
① 국숫집
‌ 평상에 모인 사람들의 모습을 묘사하면서 시상
특징 을 전개함.
② 의성어에 다양한 의미를 부여하여 주제를 강조함.

대단원 마무리 329

고등문학(284~329)5단원(교)사.indd 329 2019. 1. 9. 오후 3:00


빠르게 찾아보기

작품으로 찾기

개밥바라기 별 황석영  152

경설 이규보 186

공무도하가 백수 광부의 아내 168

공방전 임춘 184

광야 이육사 246

부록
광장 최인훈 248

구마검 이해조 222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박완서 316

김 씨 표류기 이해준 300

꽃 김춘수 112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황인숙 86


빠르게 찾아보기
나도 그들처럼 백무산 130
- 작품으로 찾기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박진숙 극본 100
- 작가로 찾기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조세희 106

내 여자의 열매 한강 272


듣기 대본
누항사 박인로 218

눈 김수영 270
작품 및 제재 출처
님의 침묵 한용운 230

사진 및 그림 출처 다시 느티나무가 신경림 296

단군 신화 작자 미상 166

단단한 고요 김선우 47

작가로 찾기

견우 노옹  177

고정희  307

공선옥 327

길재  178

김광섭  96

김기택  312

김선우 47

김선향  314

김소월  228

김수열  128

김수영  270

김승옥 45

김시습  60

김영랑  44

김춘수  112

330 부록

고등문학(330~340)(교).indd 330 2019. 1. 9. 오후 3:19


등불 오봉옥 23 소대성전 작자 미상 281 지삿개에서 김수열 128

라디오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장정일 112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박태원 34 차마설 이곡 45

만세전 염상섭 232 수양산 라보며 성삼문 190 찬기파랑가 충담사 176

메밀꽃 필 무렵 안재훈 극본 113 순후와 질박함에 대하여 공선옥 327 처용가 처용 177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 44 쉽게 씌어진 시 윤동주 68 청노루 박목월 32

묏버들 갈 것거 홍랑 190 스노우맨 서유미 76 청산별곡 작자 미상 180

무정 이광수 240 아프리카 다비드 디오프 142 초혼 김소월 228

바퀴벌레는 진화 중 김기택 312 애기메꽃 홍성란 192 최척전 조위한 66

배를 매며 장석남 14 어부사시사 윤선도 28 춘산에 눈 노긴 람 우탁 190

백록담 정지용 242 어이 못 오던가 작자 미상 206 파랑새 한하운 71

백화 백석 18 오백 년 도읍지를 길재 178 평상이 있는 국숫집 문태준 329

벼 이성부 268 우리 동네 구자명 씨 고정희 307 한림별곡 한림제유 280

변신 프란츠 카프카 144 우리는 질문하다가 사라진다 파블로 네루다 155 헌화가 견우 노옹 177

봉산 탈춤 작자 미상 208 원고지 이근삼 256 형제 박현수 326

붉은 꽃, 흰 꽃 김선향 314 이생규장전 김시습 60 호질 박지원 110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138 장자못 이야기 작자 미상 120 화왕계 설총 188

사미인곡 정철 194 저녁에 김광섭 96 황조가 유리왕 171

사이버 공간 오세영 98 적벽가 작자 미상 154 황진이 홍석중 122

산촌 여정 이상  282 절명시 황현 220 황현전 김택영 221

서울, 1964년 겨울 김승옥 45 제가야산독서당 최치원 118 흥보전 작자 미상 210

성난 풀잎 이문구 20 주몽 신화 작자 미상 160

김택영 221 성삼문  190 이상 282 최치원  118

다비드 디오프 142 신경림  296 이상화  138 충담사  176

문태준 329 안재훈 113 이성부  268 파블로 네루다 155

박목월  32 염상섭  232 이육사  246 프란츠 카프카 144

박완서  316 오봉옥  23 이해조  222 한강  272

박인로  218 오세영  98 이해준  300 한림제유 280

박지원  110 우탁  190 임춘 184 한용운  230

박진숙  100 유리왕  171 장석남  14 한하운  71

박태원  34 윤동주  68 장정일 112 홍랑  190

박현수 326 윤선도  28 정지용  242 홍석중  122

백무산  130 이곡  45 정철  194 홍성란  192

백석  18 이광수  240 조세희  106 황석영 152

백수 광부의 아내 168 이규보  186 조위한  66 황인숙  86

서유미  76 이근삼  256 처용  177 황현  220

설총 188 이문구  20 최인훈  248

빠르게 찾아보기 331

고등문학(330~340)(교).indd 331 2019. 1. 9. 오후 3:19


듣기 대본

2-(3) 문학의 인접 분야와 매체 | 107쪽

아주 작은 공을 가졌던 서로 같아질 테니
나의 아버지는 난장이
저 하늘을 보시며 작은 공 하날 만들기 위해
내게 말씀하셨죠 평생이 걸릴 수도 있지만
하지만
look at that shining sky my son
닿을 수 없어 보여도 말씀하셨죠
먼 훗날 언젠가 모두
서로 같아질 테니 작은 이 작은 공을 우린
이제 다시 쏘아 올려야 하지
하늘 높이 오른 저 공은 절망의 반복이 언젠가
꿈을 이루지도 못한 채 저 희망이 될 테니
땅을 향해 돌아오겠죠 우리의 눈물이 언젠가
그게 세상이니까 저 희망이란다

- 시하(Siha) 작사,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look at that shining sky my son
닿을 수 없어 보여도
먼 훗날 언젠가 모두

3-(1) 한국 문학의 개념과 범위 | 120쪽

용소는 장연읍에서 한 이십 리 되는 거리에 있는데, 에 는 그런 영감이라네. 그래서 응 구걸하는 사람이 구걸을


장연읍에서 그 서도 민요로 유명한 몽금포 타령이 있는 와두 당최 주질 않구, 또 대개 중들이 인지 그 시주를 하
데거든. 그 몽금포 가는 길 옆에 그 인지 바로 길 옆에 그 러 와두 도무지 주지를 않구, 그런 아주 소문이 나쁘게
용소라는 것이 있는데 그 전설이 어떻게 됐냐 할 거 같으 나 있는 영갬인데, 어느 여름철에 거기서 인지 그 용, 용
면, 그렇게 옛날 옛적 얘기지. 옛날에 그 지금 용소 있는 소 있는 데서 한 이십 리 가면 불타산이라는 산이 있는데
자리가 장재(長者) 첨지네 집터 자리라 그래. 장재 첨지 그 불타산은 절이 많기 때문에 불타산이라는 그런 절이
네 집터 자린데, 거게서 그 영감이 인지 수천 석 하는 부 있는데 거게서 그 도승이, 그 영감이 아주 나쁘다는 소리
자루 아주 잘 살구 인지 거기다 좋은 집을 짓구서 있었는 를 듣구서, 우정인지 그 집을 찾어 가서 목탁을 치면서
데, 그 영감이 아주 깍쟁이가 돼서, 인지 뭐 다른 사람 도 인지 시주를 해달라고, 그러니까 이 영감이 뛰어나가면
무지 뭐 도와두 주지 않구, 돈만 모으던 그런 유명한 영 설람,
감이래서 거기 사람들이 인지 말하자면, “돼지, 돼지.”하 “이놈, 너이 중놈들이란 것은 불능불사하구, 댕기면서

332 부록

고등문학(330~340)(교).indd 332 2019. 1. 9. 오후 3:19


얻어만 먹구 그러는데, 우리 집에서는 절대루 인지 쌀 를 돌아보면 안 된다.”
한 톨이라두 줄 수가 없으니까 가라구.” 는 거를 인지 부탁을 했는데, 이 여인이 가는데 가분자기
소리를 질러두 그대루 인지 그 중이 이제 가지를 않구 뇌성벽력을 하면서 그 벼락 치는 소리가 나니까, 깜짝 놀
섬날 독경을 하구 있으니까, 이 영감이 성이 나서 지금은 래서인지 뒤를 돌아봤단 말야. 그러니까 그 자리에서 그
인지 대개 삽이라는 게 있지마는 옛날에는 저 그것을 뭐 만 화석이 돼서, 그 사람이 그만 화석이 되구 말았다는
이라구 하나. 부, 부삽이라구 하나, 인지 그거 있는데 그 게야. 개두 그렇게 화석이 돼서 그 자리에 서 있다고 하
걸루 두엄더미에섬낭 쇠똥을 에 퍼가 주구섬낭, 는데, 그 지금두 불타산 아래서 인지 얼마 내려오다가서
“우리 집에 쌀은 줄 거 없으니까 이거나 가져가라.” 그 비슥하니 인지 거기 사람들은 이것이 인지 으 며느리
하구섬낭 바랑에다가 쇠똥을 옇단 말야. 그래두 그 중은 가 화석된 게라고 인지 하는 바위가 있는데, 역시 인지
조금두 낯색두 변하지 않구서, 거저 ‘나무아미타불’만 부 사람 모양하구, 인지 뭐 머리에 뭐 인 거 같은 거 하구, 그
르다가섬나를 그 쇠똥을 걸머진 채 바깥으루 나오는데, 아래 개 모양 겉은, 그런 화석이 상게두 있단 말야. 한데
그 마당 옆에 우물이 있었는데 우물가에서 그 장재 첨지 그때 그 이 벼락을 치면서 장재 첨지네 그 집이 전부 없어
의 며느리가 인제 쌀을 씻구 있다가, 그 광경을 보구서 지면서 그만 거기에 멫 백 길이 되는지 모르는 이제 큰
그 중 보구섬낭 얘기하는 말이, 소(沼)가 됐단 말야. 한데 그 소가 어느만침 넓으냐 하면,
“우리 아버지 천생(天性)이 고약해서 그런 일이 있으니 여기 어린이 놀이터보담두 더 넓은데, 이거 고만 두 배쯤
까, 조금두 나쁘게 생각하지 말라구.” 되는 품인데 그 소에서 물이 얼마나 많이 나오는지, 물
그러면서 쌀, 씻든 쌀을 바가지에다 한 바가지 퍼섬낭, 나오는 소리가 쿵쿵쿵쿵쿵쿵 하면서 그 곁에 가면 이제
그 바랑에다 여 줬단 말야. 그러니께 그 중이 그 며느리 지반(地盤)이 울린단 말야. 이리이리 너무 물이 많이 나
보구 하는 말이, 와서 그래갖구, 그 물 나오는, 그 물을 가지구서 에 오마
“당신 감 집에 인제 조금 있다가 큰 재앙이 내릴 테니 멫 만 석 인지 되는 이제 말할 것 같으면, 에 수천 정보에
까, 당신 빨리 집으루 들어가서 평소에 제일 귀중하게 그 인지 평야에, 논에 물을 그 인지 소에서 나오는 물 가
생각하는 것이 무어 있는지, 두세 가지만 가지구서 빨 지구서 대는데, 그 물은 에 아무리 비가 와두 느는 벱이
리 나와섬낭, 저 불타산을 향해서 빨리 도망질하라구.” 없구, 아무리 인지 가물어두 주는 벱이 없는데, 사람들이
그랬단 말야. 그러니까 그 며느리가 급히 자기 집으루 그게 얼마나 깊으나 볼라구 명지실 멫을 갖다가, 돌을 넣
들어가서, 방 안에 자기 아들을, 뉘어서 재우든, 아이를 어섬낭 하니까 명지실 멫을 넣어도, 도무지 끝을 몰른다
들쳐 업구, 또 그 여자가 인지 명지를 짜던 그 명지 도토 는, 그만침 깊은 소가 됐단 말야.
마리를 끊어섬나를 이구 나오다가, 그 또 자기네 집에서 - 작자 미상, 〈장자못 이야기〉에서

개를, 아주 오마 잘 거시기 하던 모낭이야. 귀엽게 기르


던 개를 불러 가지구서 나와섬낭, 인지 그 불타산을 향해
서 달음박질루 가는데, 명지 도토마리, 어린애, 어린애를 우정 ‘일부러’의 방언.
불능불사 ‘불농불상(不農不商)’의 잘못. 농사를 짓지 않고 장사도 하지 않으
업구 명지 도토마리를 이구, 개를 불러 가지구섬나를 인
며 놀고 지냄.
지 그 불타산을 향해서 얼마쯤 가는데, 그때까지 아주 명 독경(讀經) 불경을 소리 내어 읽음.
랑하던 하늘이 가분자기 흐리면서 뇌성벽력을 하드니 말 바랑 승려가 등에 지고 다니는 자루 모양의 큰 주머니.
도토마리 베를 짜기 위해 날실을 감아 놓은 틀. 도투마리.
야. 근데 그 중이 먼저 무슨 주의를 시켰냐면,
뇌성벽력(雷聲霹靂) 천둥소리와 벼락을 아울러 이르는 말.
“당신, 가다가서 뒤에서 아무런 소리가 나두 절대루 뒤 상게 ‘아직’의 방언.

듣기 대본 333

고등문학(330~340)(교).indd 333 2019. 1. 9. 오후 3:19


작품 및 제재 출처
대단원 소단원 쪽수 제재명 저자 출처

14~15쪽 배를 매며 장석남 《왼쪽 가슴 아래께에 온 통증》(창비, 2016, 20~21쪽)

18쪽 백화 백석 《정본 백석 시집》(고형진 엮음, 문학동네, 2012, 93쪽)


소단원 ⑴
20~21쪽 성난 풀잎 이문구 《인간 사회에 대한 꿈》(랜덤하우스중앙, 2006, 46~47쪽)

23쪽 등불 오봉옥 《문학의 오늘 제21호》(솔출판사, 2016, 98쪽)

1. 《국역 고산유고》(이형대 외 옮김, 소명출판, 2004, 320쪽, 323쪽, 326


28~29쪽 어부사시사 윤선도
쪽, 330쪽)
문학의
소단원 ⑵
기능과 32쪽 청노루 박목월 《청록집》(박목월 · 조지훈 · 박두진, 을유문화사, 2015, 14쪽)
원리 34~39쪽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박태원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문학과지성사, 2012, 96~104쪽)

44쪽 모란이 피기까지는 김영랑 《영랑 시집》(열린책들, 2004, 58쪽)

45쪽 차마설 이곡 《국역 가정집 1》(이상현 옮김, 민족문화추진회, 2006, 153~154쪽)


창의적 감상
45~47쪽 서울, 1964년 겨울 김승옥 《서울, 1964년 겨울》(맑은소리, 2006, 43~48쪽)

47쪽 단단한 고요 김선우 《도화 아래 잠들다》(창비, 2003, 10쪽)

60~64쪽 이생규장전 김시습 《금오신화》(이지하 옮김, 민음사, 2009, 52~58쪽)

68~69쪽 쉽게 씌어진 시 윤동주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문학사상사, 2008, 125~126쪽)

소단원 ⑴ 70쪽 자료 글: 동주 형의 편모 정병욱 《바람을 부비고 서 있는 말들》(신구문화사, 1999, 24쪽)

71쪽 파랑새 한하운 《보리피리》(범우사, 2012, 86~87쪽)

71쪽 자료 글: 〈파랑새〉의 창작 동기 한하운 《고고한 생명 나의 슬픈 반생기》(무하문화사, 2012, 55~56쪽)

76~81쪽 스노우맨 서유미 《당분간 인간》(창비, 2013, 26~32쪽)


소단원 ⑵
86~87쪽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황인숙 《꽃사과 꽃이 피었다》(문학세계사, 2013, 16~18쪽)

96쪽 저녁에 김광섭 《성북동 비둘기》(시인생각, 2013, 13쪽)


2.
문학의 97쪽 자료 글: 김환기와 김광섭 최인호 《너는 나를 누구라고 생각하느냐》(샘터, 1995, 298쪽)

수용과 98쪽 사이버 공간 오세영 《봄은 전쟁처럼》(세계사, 2004, 28쪽)


생산 소단원 ⑶ 에이치디티브이(HDTV) 문학관, 난장 《케이비에스(KBS)》〈에이치디티브이(HDTV) 문학관 난장이가 쏘아 올
100~105쪽 박진숙 극본
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린 작은 공〉 2007년 3월 3일 자 방송

106쪽 소설,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이성과힘, 2000, 111쪽)

107쪽 대중가요,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시하(Siha) 작사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2003)

110~111쪽 호질 박지원 《지금 조선의 시를 쓰라》(김명호 편역, 돌베개, 2007, 92~95쪽)

112쪽 꽃 김춘수 《처용》(민음사, 1995, 25쪽)


창의적 감상 112쪽 라디오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장정일 《길안에서의 택시 잡기》(민음사, 2005, 64쪽)

《메밀꽃, 운수 좋은 날, 그리고 봄봄》(연필로 명상하기/이비에스


113쪽 메밀꽃 필 무렵 안재훈 극본
(EBS)/김영사 제작, 2014)

《한국 고전 문학 정선》(정병욱 외 4인 편저, 아세아문화사, 1985, 46


118쪽 제가야산독서당 최치원
쪽)을 집필진이 옮김

3. 119쪽 자료 글: 최치원의 삶 김부식 《삼국사기 열전》(신원문화사, 2003, 109~112쪽)을 집필진이 옮김

한국 119쪽 자료 글: 조선 문학의 개념 이광수 《이광수 전집 10》(우신사, 1979, 450쪽)


문학의 소단원 ⑴
120쪽 장자못 이야기 작자 미상 《한국구비문학대계 1-1》(조희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259쪽)
개념과
122~126쪽 황진이 홍석중 《황진이 1》(대훈닷컴, 2007, 188~192쪽)
성격
128쪽 지삿개에서 김수열 《바람의 목례》(애지, 2006, 12~13쪽)

130~131쪽 나도 그들처럼 백무산 《거대한 일상》(창비, 2015, 92~93쪽)

334 부록

고등문학(330~340)(교).indd 334 2019. 1. 9. 오후 3:19


대단원 소단원 쪽수 제재명 저자 출처

132쪽 자료 글: 《문장》 창간사 문장 《문장》 누리집(http://munjang.or.kr/user-wheremunjang)

138~139쪽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이상화 시전집》(이상규 엮음, 정림사, 2001, 151~154쪽)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재고〉(한국어문학회, 2010,


141쪽 자료 글: 《개벽》 71호 편집 후기 권유성
소단원 ⑵ 256쪽)

《국어 시간에 세계 시 읽기》(전국국어교사모임 엮음, 휴머니스트 ,


142쪽 아프리카 다비드 디오프
2012 , 150~151쪽)

144~147쪽 변신 프란츠 카프카 《변신》(홍성광 옮김, 열린책들, 2017, 123~125쪽, 198~200쪽)

152~153쪽 개밥바라기 별 황석영 《황석영의 개밥바라기 별》 블로그(http://blog.naver.com/hkilsan)

창의적 감상 154쪽 적벽가 작자 미상 《적벽가》(김현주/김기형, 도서출판 박이정, 1998, 323~324쪽)

155쪽 우리는 질문하다가 사라진다 파블로 네루다 《민들레를 사랑하는 법》(류시화 엮음, 나무심는사람, 1999, 58~59쪽)

160~163쪽 주몽 신화 작자 미상 《한국문학총서 3 구비 문학》(서대석 편, 해냄출판사, 1997, 31~34쪽)

《신편 국역 동국이상국집 1》(민족문화추진회 엮음, 한국학술정보,


165쪽 〈동명왕편〉 서문 이규보
2006, 167~168쪽)

《삼국유사 1》(일연 지음, 최광식·박대재 역주, 고려대학교출판부,


166쪽 단군 신화 작자 미상
2014, 29~30쪽)

소단원 ⑴ 168쪽 공무도하가 백수 광부의 아내 《한국 고전 문학 정선》(정병욱 외 4인 편저, 아세아문화사, 1985, 10쪽)

《한국고전문학총서 1 고전 시가》(권두환 편, 해냄출판사, 1997, 37~


169쪽 〈공무도하가〉의 배경 설화 작자 미상
38쪽)

171쪽 황조가 유리왕 《한국 고전 문학 정선》(정병욱 외 4인 편저, 아세아문화사, 1985, 9쪽)

《한국고전문학총서 1 고전 시가》(권두환 편, 해냄출판사, 1997, 33~


171쪽 〈황조가〉의 배경 설화 작자 미상
34쪽)

《향가 해독법 연구》(김완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80~81,


176쪽 찬기파랑가 충담사
90쪽)

177쪽 헌화가 견우 노옹 《향가 해독법 연구》(김완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68쪽)

177쪽 처용가 처용 《향가 해독법 연구》(김완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91~92쪽)


4. 178쪽 오백 년 도읍지를 길재 《한국 고전 문학 정선》(정병욱 외 4인 편저, 아세아문화사, 1985, 171쪽)
한국
180~181쪽 청산별곡 작자 미상 《고려 속요 집성》(김명준, 다운샘, 2008, 132~133쪽)
문학의
갈래와 184쪽 공방전 임춘 《서하집》(이정훈 옮김, 지식을만드는지식, 2008, 134~135쪽)
흐름 《신편 국역 동국이상국집 5》(민족문화추진회 엮음, 한국학술정보,
소단원 ⑵ 186쪽 경설 이규보
2006, 15쪽)

188쪽 화왕계 설총 《표점 교감본 삼국사기》(김부식, 허성도 옮김, 한국사사료연구소, 2004)

190쪽 춘산에 눈 노긴 람 우탁 《한국 고전 문학 정선》(정병욱 외 4인 편저, 아세아문화사, 1985, 158쪽)

190쪽 수양산 라보며 성삼문 《한국 고전 문학 정선》(정병욱 외 4인 편저, 아세아문화사, 1985, 174쪽)

190쪽 묏버들 갈 것거 홍랑 《한국 고전 문학 정선》(정병욱 외 4인 편저, 아세아문화사, 1985, 188쪽)

192쪽 애기메꽃 홍성란 《백여덟 송이 애기메꽃》(인북스, 2012, 55쪽)

194~197쪽 사미인곡 정철 《송강가사》(정재호 ·  장정수 공저, 신구문화사 , 2006, 139~147쪽)

199쪽 자료 글: 정철의 가사에 대한 평가 김만중 《서포만필》(이복규 옮김,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184~185쪽)

206쪽 어이 못 오던가 작자 미상 《한국 시조 대사전》(박을수 편저, 아세아문화사, 1992, 763쪽)

208쪽 봉산 탈춤 제6과장 작자 미상 《주석본 한국 가면극선》(이두현, 교문사, 1998, 186~187쪽)

소단원 ⑶ 210~214쪽 흥보전 작자 미상 《흥보전·흥보가·옹고집전》(정충권 옮김, 문학동네, 2010, 30~37쪽)

218쪽 누항사 박인로 《한국 고전 시가선》(임형택 · 고미숙 엮음, 창비, 1997, 174쪽)

220쪽 절명시 황현 《황현 전집》(한국학문헌연구소 편, 아세아문화사, 1978, 851~852쪽)

작품 및 제재 출처 335

고등문학(330~340)(교).indd 335 2019. 1. 9. 오후 3:19


대단원 소단원 쪽수 제재명 저자 출처

221~222쪽 황현전 김택영 《김택영 전집》(아세아문화사, 1978, 196~197쪽)을 집필진이 옮김


소단원 ⑶ 《〈구마검〉 〈모란병〉 〈자유종〉 〈산천초목〉 〈화의 혈〉》(서울대학교출
222~223쪽 구마검 이해조
판부, 2003, 2~4쪽)

228쪽 초혼 김소월 《교과서 시 정본 해설》(이숭원, 휴먼앤북스, 2008, 35~36쪽)

230쪽 님의 침묵 한용운 《교과서 시 정본 해설》(이숭원, 휴먼앤북스, 2008, 40~41쪽)

232~237쪽 만세전 염상섭 《만세전》(문학사상, 2015, 54~59쪽)

238쪽 자료 글: 일제 강점기 관련 기사 권석천 《경항신문》 1995년 8월 19일 자 기사

239쪽 만세전 염상섭 《만세전》(문학사상, 2015, 158쪽)

240쪽 무정 이광수 《무정》(문학과지성사, 2010, 463쪽)

242~243쪽 백록담 정지용 《한국문학총서 4 현대시》(오세영 편, 해냄출판사, 1997, 74~75쪽)


4.
244쪽 귀거래 정지용 《정지용 전집 2 산문》(권영민 엮음, 민음사, 2005, 162쪽)
한국
문학의 소단원 ⑷ 246쪽 광야 이육사 《원전주해 이육사 시전집》(박현수, 예옥, 2008, 162쪽)

갈래와 248~252쪽 광장 최인훈 《광장/구운몽》(문학과지성사, 2017, 188~192쪽)


흐름
253쪽 자료 글: 포로 송환 관련 기사 경향신문 《경항신문》 1953년 12월 3일 자 기사

254쪽 광장 최인훈 《광장/구운몽》(문학과지성사, 2017, 65쪽, 142쪽)

256~263쪽 원고지 이근삼 《이근삼 전집 1》(연극과인간, 2008, 190~199쪽)

268쪽 벼 이성부 《우리들의 양식》(민음사, 2012, 11~12쪽)

270쪽 눈 김수영 《김수영 전집 1 시》(민음사, 2003, 123쪽)

272~275쪽 내 여자의 열매 한강 《내 여자의 열매》(창비, 2016, 234~240쪽)

277쪽 자료 글: 한강의 맨부커상 관련 기사 한국일보 《한국일보》 2016년 5월 17일 자 기사

280쪽 한림별곡 제1장 한림제유 《고려 속요 집성》(김명준, 다운샘, 2008, 255~256쪽)

창의적 감상 281~282쪽 소대성전 작자 미상 《소대성전》(신해진 옮김, 지식을만드는지식, 2009, 64~69쪽)

282~283쪽 산촌 여정 이상 《레몬 향기를 맡고 싶소》(박현수 편, 예옥, 2008, 50~53쪽)

296쪽 다시 느티나무가 신경림 《사진관집 이층》(창비, 2015, 24쪽)

소단원 ⑴ 300~304쪽 김 씨 표류기 이해준 《김 씨 표류기》(시네마서비스 배급, 2009)

307쪽 우리 동네 구자명 씨 고정희 《고정희 시전집 1》(또하나의문화, 2011, 593~594쪽)

312쪽 바퀴벌레는 진화 중 김기택 《태아의 잠》(문학과지성사, 1991, 22~23쪽)


5.
소단원 ⑵ 314쪽 붉은 꽃, 흰 꽃 김선향 《여자의 정면》(실천문학사, 2016, 68~69쪽)
문학의
316~321쪽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박완서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2》(세계사, 2012, 332~339쪽)
가치
326쪽 형제 박현수 《우울한 시대의 사랑에게》(청년정신, 1998, 24~25쪽)

327~328쪽 순후와 질박함에 대하여 공선옥 《자운영 꽃밭에서 나는 울었네》(창비, 2000, 134~137쪽)
창의적 감상
328쪽 긍정적인 밥 함민복 《모든 경계에는 꽃이 핀다》(창비, 1996, 94쪽)

329쪽 평상이 있는 국숫집 문태준 《가재미》(문학과지성사, 2016, 72쪽)

332쪽 대중 가요,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시하(Siha) 작사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2003)


부록 듣기 대본 《한국구비문학대계 1-1》(조희웅,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259~
332~333쪽 장자못 이야기 작자 미상
262쪽)

※집필진의 직접 집필인 경우는 출처를 밝히지 않습니다.

336 부록

고등문학(330~340)(교).indd 336 2019. 1. 9. 오후 3:19


사진 및 그림 출처
대단원 소단원 쪽수 사진 / 삽화 출처 / 작가

장석남 《조선일보》 2010년 8월 22일 자 기사 사진

이문구 《헤럴드경제》 2011년 8월 12일 자 기사 사진

고산 윤선도 누리집(http://yungosan.hosting.bizfree.kr/zbxe/index.
윤선도
php?document_srl=91734&mid=pg6_1#0)

박태원 《매일경제》 2017년 7월 6일 자 기사 사진

4쪽 윤동주 윤동주 문학관

서유미 《매일경제》 2015년 1월 22일 자 기사 사진

황인숙 《동아일보》 2016년 12월 1일 자 기사 사진

조세희 《세계일보》 2008년 8월 1일 자 기사 사진

최치원 《연합뉴스》 1996년 1월 30일 자 기사 사진

프란츠 카프카 《연합뉴스》 헬로포토


차례 황현 국가보훈처 공식 블로그 《훈터》(http://mpva.tistory.com/search/황현)

김소월 《조선일보》 2010년 6월 26일 자 기사 사진

한국의 지식 콘텐츠 (http://www.krpia.co.kr/viewer/open?plctId=PLCT0000


염상섭
4652&nodeId=NODE04150520&medaId=MEDA04284072)

민음사 출판 그룹 작가 데이터베이스(DB)
정지용
(http://minumsa.com/bookauth/8050/)

5쪽 최인훈 《프리미엄조선》 2016년 7월 4일 자 기사 사진

이근삼 《이근삼 전집》(이근삼, 연극과인간, 2008, 표지)

이성부 《동아일보》 2009년 9월 27일 자 기사 사진

한강 《동아일보》 2016년 7월 25일 자 기사 사진

신경림 《서울경제》 2017년 08월 21일 자 기사 사진

박완서 《이투데이》 2016년 1월 22일 자 기사 사진

16쪽 단발머리 학생 ㈜게티이미지코리아

18쪽 백화 《파이낸셜뉴스》 2006년 11월 16일 자 기사 사진

24쪽 기생 ㈜토픽이미지스

소단원 ⑴ 24쪽 〈서시〉 육필 원고 《오마이뉴스》 2007년 2월 28일 자 기사 사진


1. 24쪽 〈별이 빛나는 밤〉 ㈜게티이미지코리아
문학의
25쪽 책 읽는 남학생과 여학생 ㈜게티이미지코리아
기능과
원리 25쪽 여러 권의 책 ㈜게티이미지코리아

42쪽 윤선도 《연합뉴스》 2013년 10월 24일 자 기사 사진

42쪽 〈어부사시사〉 《연합뉴스》 2013년 10월 24일 자 기사 사진


소단원 ⑵
43쪽 1930년대 경성 거리 《구보 씨와 더불어 경성을 가다》(조이담, 바람구두, 2009, 8~9쪽)

43쪽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초판본 표지 한국 현대 문학관(http://www.kmlm.or.kr/History/History01.asp)

69쪽 〈쉽게 씌어진 시〉 육필 원고 윤동주 문학관


2. 72쪽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표지 ㈜토픽이미지스
문학의
소단원 ⑴ 72쪽 윤동주 윤동주 문학관
수용과
생산 73쪽 김시습 《연합뉴스》 헬로포토

73쪽 《금오신화》 ㈜게티이미지코리아

사진 및 그림 출처 337

고등문학(330~340)(교).indd 337 2019. 1. 9. 오후 3:19


대단원 소단원 쪽수 사진 / 삽화 출처 / 작가

92쪽 눈 오는 거리 《연합뉴스》 2016년 2월 16일 자 기사 사진


소단원 ⑵
93쪽 안경 쓴 학생 ㈜게티이미지코리아

96쪽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김환기 25주기 추모전》 (박명자, 갤러리현대, 1999, 65쪽)

98쪽 책 읽는 학생 ㈜게티이미지코리아

99쪽,
〈에이치디티브이(HDTV) 문학관, 난장이가 《케이비에스(KBS)》 〈에이치디티브이(HDTV) 문학관, 난장이가 쏘아 올린
101~103쪽,
쏘아 올린 작은 공〉 작은 공〉 2007년 3월 3일 자 방송 화면
2. 105~107쪽
문학의 108쪽 김환기 《김환기 25주기 추모전》 (박명자, 갤러리현대, 1999, 6쪽)
수용과
108쪽 김환기가 김광섭에게 보낸 편지 《아시아투데이》 2015년 8월 15일 자 기사 사진
생산 소단원 ⑶
웹진 《대산문화》 2009년 여름호(http://daesan.or.kr/webzine_read.
108쪽 김광섭
html?uid=616&ho=31)

〈에이치디티브이(HDTV) 문학관, 난장이가 케이비에스(KBS) 누리집(http://www.kbs.co.kr/drama/hdtv/dwarf/photo/


109쪽
쏘아 올린 작은 공〉, 스틸(still) 사진 index.html)

109쪽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표지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조세희, 문학과지성사, 1989, 표지)

《메밀꽃, 운수 좋은 날, 그리고 봄봄》 (연필로 명상하기 / 이비에스(EBS) / 김


113쪽 애니메이션 《메밀꽃 필 무렵》
영사 제작, 2014)

127쪽 홍석중, 《황진이》 표지 《황진이》(대훈닷컴, 2007, 표지)

127쪽 이태준, 《황진이》 표지 《황진이》(깊은샘, 1999, 표지)

127쪽 최인호, 《황진이》 표지 《황진이》(문학동네, 2002, 표지)

127쪽 전경린, 《황진이》 표지 《황진이》(자음과모음, 2004, 표지)

128쪽 지삿개 ㈜게티이미지코리아


소단원 ⑴ 130~131쪽, 사이버 문학 광장 《문장》 - 문학 집배원(http://munjang.or.kr/archives/
영상 시 〈나도 그들처럼〉
133쪽 141014)

3. 134쪽 〈소대성전〉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사전(http://encykorea.aks.ac.kr)

한국 134쪽 《연암집》 실학 박물관(http://silhak.ggcf.kr)


문학의 135쪽 펼친 책 셔터스톡이미지
개념과
135쪽 사이버 문학 광장 《문장》 사이버 문학 광장 《문장》(http://munjang.or.kr/)
성격
142쪽 아프리카 풍경 셔터스톡이미지

149쪽 글을 쓰는 학생 ㈜게티이미지코리아

150쪽 프란츠 카프카 《연합뉴스》 헬로포토

소단원 ⑵ 위키피디아(https://ko.wikipedia.org/wiki/%EB%B3%80%EC%8B%A0_
150쪽 《변신》 초판본 표지
(%EC%B9%B4%ED%94%84%EC%B9%B4)

150쪽 《채식주의자》 표지 《채식주의자》(한강, 창비, 2007, 표지)

국립 중앙 박물관(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
151쪽 〈적벽가〉
view?relicId=2959)

166쪽 단군 영정 《연합뉴스》 헬로포토

168~169쪽 강물 풍경 셔터스톡이미지

172쪽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난처한 미술 이야기1》(양정무, 사회평론, 2017, 161쪽)


4.
소단원 ⑴ 172쪽 삼실총에 있는 〈공성도〉 중 기마전 문화 콘텐츠 닷컴(http://www.culturecontent.com)
한국
173쪽 《삼국사기》 표지 ㈜게티이미지코리아
문학의
갈래와 173쪽 《해동역사》 《연합뉴스》 2013년 9월 27일 자 기사 사진
흐름 173쪽 구지봉비 《연합뉴스》 2010년 9월 24일 자 기사 사진

192쪽 애기메꽃 ㈜게티이미지코리아


소단원 ⑵ 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사전(http://encykorea.aks.ac.kr/Contents/
200쪽 〈찬기파랑가〉
Index?contents_id=E0018588)

338 부록

고등문학(330~340)(교).indd 338 2023. 8. 9. 오후 2:40


대단원 소단원 쪽수 사진 / 삽화 출처 / 작가

201쪽 최치원 《연합뉴스》 1996년 1월 30일 자 기사 사진

한겨레 음악 대사전(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58627&cid
202쪽 〈청산별곡〉
소단원 ⑵ =42607&categoryId=42607)

202쪽 정철 《연합뉴스》 2013년 6월 29일 자 기사 사진

203쪽 〈용비어천가〉 제2장 ㈜게티이미지코리아

208쪽 말뚝이 봉산 탈춤 보존회

한국의 지식 콘텐츠(https://www.krpia.co.kr/viewer?plctId=PLCT00005191
223쪽 〈구마검〉
&tabNodeId=NODE03754981&nodeId=NODE03754983#none)

소단원 ⑶ 224쪽 《홍길동전》 표지 ㈜게티이미지코리아

224쪽 《홍길동전》 내지 ㈜게티이미지코리아

판소리 연희 장면 〈평양 감사 환영연도(일명


225쪽 《한국 전통 연희 사전》 (전경욱, 민속원, 2014, 1046쪽)
‘평양도’)〉

4. 242쪽 뻐꾹채 ㈜게티이미지코리아


한국
242쪽 암고란 ㈜게티이미지코리아
문학의
242쪽 백화 ㈜토픽이미지스
갈래와
흐름 242쪽 도체비꽃 국립 수목원

니고네의 자연 사랑(http://nygode.tistory.com/entry/%EC%84%AC%ED%9
243쪽 휘파람새
C%98%ED%8C%8C%EB%9E%8C%EC%83%88-2)

이병렬, 〈詩 속에 나타난 꽃, 나무, 풀, 열매〉


243쪽 아롱점말
(http://lby56.blog.me/ 220854377911)
소단원 ⑷
243쪽 고사리 국립 생물 자원관

243쪽 취 국립 수목원

243쪽 삿갓나물 국립 수목원

243쪽 대풀 국립 수목원

277쪽 한강의 맨부커상 관련 사진 《연합뉴스》 헬로포토

278쪽 《진달래꽃》 표지 《연합뉴스》 2011년 2월 24일 자 기사 사진

잡지 《럭셔리(LUXURY)》 (http://luxury.designhouse.co.kr/in_magazine/sub.
279쪽 외국에 번역된 우리 문학 작품
html?at=view&info_id=53552)

300~306쪽 영화 《김 씨 표류기》 《김 씨 표류기》(시네마 서비스 배급, 2009)

소단원 ⑴ 308쪽 책 읽고 생각하는 학생들 ㈜게티이미지코리아

309쪽 영화 《김 씨 표류기》 포스터 네이버 영화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44910)

314쪽 프엉 셔터스톡이미지

323쪽 등을 맞댄 학생들 ㈜게티이미지코리아


5.
서귀포 예술의 전당 누리집(http://culture.seogwipo.go.kr/artcenter/index.
문학의 323쪽 북 콘서트 포스터 - 서귀포
php/contents/guide/schedule?seq=46)
가치
소단원 ⑵ 323쪽 북 콘서트 포스터 - 원주 《브레이크뉴스 강원》 2017년 6월 1일 자 기사 사진

323쪽 문학 답사 《연합뉴스》 2010년 4월 17일 자 기사 사진

324쪽 환경 오염 셔터스톡이미지

324쪽 전쟁 셔터스톡이미지

325쪽 더불어 사는 삶 ㈜게티이미지코리아

표지 접시 ㈜게티이미지코리아

※ 출처 표시를 안 한 사진 및 삽화 등은 저작자 및 발행사에서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경우임.


※이‌ 책에 실린 저작물은 고등학생의 학습 수준 및 학습 목표를 고려하여 내용이나 표현을 부분적으로 바꾸기도 하였음을
밝힙니다. 그리고 여러 가지 사정으로 저자나 그 가족의 동의를 구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 이 자리를 빌려 양해를 구합니다.

사진 및 그림 출처 339

고등문학(330~340)(교).indd 339 2019. 1. 9. 오후 3:19


검정심의회
집필진
위원장│ 박윤우(서경대학교)
방민호 (현)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간사│ 김현정(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박현수 (현)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연구위원│
황재문 (현)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내용 조사> 정한기(전주교육대학교) 이민희(강원대학교) 노대원(제주대학교) 손민달(조선대학교)
정우상 (현)보성고등학교 교사
최원오(광주교육대학교) 오준호(휘문고등학교) 박여미(양재고등학교) 김현숙(성남외국어고등학교)
조성임 (현)평촌고등학교 교사
<표기·표현> 김인균(신라대학교) 전은진(한양대학교) 장혜진(고려대학교) 이수연(국민대학교)
윤나라 (현)신월중학교 교사
박혜진(숙명여자대학교) 황선희(중앙대학교) 노석은(고려대학교) 박종찬(주성고등학교)
현윤진(남악고등학교) 장동준(인천포스코고등학교) 이하나(광주고등학교) 유규상(유성고등학교)
검정위원│ 이정원(경기대학교) 조하연(아주대학교) 우신영(인천대학교) 민재원(전북대학교)
한지완(동화고등학교) 이은성(삼례공업고등학교) 박유진(경기여자고등학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박진용(검정심사관리위원회 위원장) 차조일(검정심사관리위원회 기획위원 대표) 김성혜(검정심사관리위원회 기획위원)


문영주(검정심사관리위원회 기획위원) 안종욱(검정심사관리위원회 기획위원) 윤지훈(검정심사관리위원회 기획위원)
김종윤(검정심사관리위원회 기획지원) 정학준(검정심사관리위원회 운영위원 대표) 강대민(검정심사관리위원회 심사지원팀장)
장일(검정심사관리위원회 심사진행팀장) 신동현(검정심사관리위원회 심사운영팀장) 허재영(검정심사관리위원회 운영위원)
임동주(검정심사관리위원회 운영위원)

개발 책임 정장아
편집 이충선, 백안나, 하남규
디자인 오영숙, 원유희, 윤지혜, 신수정
일러스트·삽화 김경진, 김성민, 김예슬, 김옥재, 민소원, 박나래, 박수정, 박영찬, 박지혜, 손지훈, 안병현, 이용규, 정윤미, 조진숙, 최미옥, 함서정
사진 촬영 필름피아
조판 린기획

교육부의 위탁을 받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검정 심사를 하였음.

고등학교 문학
초판 발행│ 2019. 3. 1. 4쇄 발행│ 2022. 3. 1. 정가 원
지 은 이│ 방민호 외 5인
발 행 인│ (주)미래엔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321)
인 쇄 인│ (주)미래엔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321)

교과서의 본문 용지는 우수 재활용 제품 인증을 받은 재활용 종이를 사용하였습니다.

교과서에 대한 문의 사항이나 의견이 있으신 분은 ‘교과서민원바로처리센터(전화: 1566-8572, www.textbook114.com 또는 www.교과서114.com)’를 이용하여 주시기
고등학교
바랍니다. 문학 선생님용
이 도서에 게재된 저작물에 대한 보상금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사단법인 한국문학예술저작권협회(전화: 02-2608-2800, www.kolaa.kr)에서
초판 발행│ 2019. 3. 1. 6쇄 발행│ 2024. 3. 1.
저작재산권자에게 지급합니다.
지 은 이│ 방민호 외 5인
발 행 인│ (주)미래엔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321)
내용 관련 문의│㈜미래엔 교육사업본부 전화 1800-8890 전송 (02)541-8150
인 쇄 인│ (주)미래엔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321)
공급 업무 대행│(사)한국검인정교과서협회 (10881)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439-1(신촌동 734-1)
개별 구입 문의│누리집 주소 www.ktbook.com 전화 (031)956-8581~4 (사)한국검인정교과서협회
ISBN: 979 - 1 1 - 6233 - 869 - 8

고등문학(330~340)(교).indd 340 2023. 8. 9. 오후 2:4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