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56

KR-04-(T)-07 과제번호 3-1-1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
21st Century Frontier R&D Program
- Sustainable Water Resources Research -

지질특성별 지하수 진단/평가/탐사 기법 개발


Technology for Site Characterization, Assessment and
Exploration Method of Groundwater Resources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과 학 기 술 부
제 출 문

과학기술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과제 (세부과제 “지질특성별 지하수 진단/평가/탐


사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4. 6.

주관연구기관명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관연구책임자 : 염 병 우
연 구 원 : 조 민 조
김 석 중
문 상 호
이 봉 주
고 희 재
황 학 수
황 세 호
김 형 찬
김 연 기
성 낙 훈
하 규 철
위탁연구기관명 : 강원대학교
위탁연구책임자 : 유 재 영
위탁연구기관명 : 서울대학교
위탁연구책임자 : 김 준 모
위탁연구기관명 : 군산대학교
위탁연구책임자 : 김 강 주
위탁연구기관명 : 이화여자대학교
위탁연구책임자 : 이 상 돈

- 1 -
보고서 초록
해당단계 2001.10.20~
과제관리번호 3-1-1 단계 구분 1단계 / 3단계
연구기간 2004. 6.30
중사업명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사업명
세부사업명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
중과제명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
연구과제명
세부과제명 지질특성별 지하수 진단/평가/탐사 기법 개발
총 : 25명 정부: 1,125백만원
해당단계 해당단계
연구책임자 염 병 우 내부 : 22명 기업: 백만원
참여연구원수 연구비
외부 : 3명 계 : 1,125백만원
연구기관명 및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참여기업명
소속부서명 지하수지열연구부
국제공동연구 상대국명 : 상대국연구기관명 :
연구기관명 : 강원대학교 연구책임자 : 유 재 영
연구기관명 : 군산대학교 연구책임자 : 김 강 주
위 탁 연 구
연구기관명 : 서울대학교 연구책임자 : 김 준 모
연구기관명 : 이화여자대학교 연구책임자 : 이 상 돈
보고서
요약(연구결과를 중심으로 개조식 500자이내) 345
면수

지하수자원 진단 분야로 갈수기 비유량과 유역 지질특성과의 상관성 및 지하수 관측자


-3
료(212개 관측정)와 강수자료와의 상관성 연구를 통하여 지하수위 변동자료 추세는 10
에서 -10-3 정도의 기울기를 보였다. 지질도, 전산음영기복도, LANDSAT TM 자료로
한반도 전역의 선구조선을 판독하고 분석하였으며, 지하수와 지표수 수질을 판별 분석한
결과 Sr과 Ni이 물-암석 반응 추적자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자원 평가 분야로 지하수 하천유출량 추정방법 중 디지털 필터링 방법이 94%
이상의 상관도를 보였으며 유성온천지구에 대해 해석요소법을 이용 포획지 분석을 한 결
과 리베라호텔과 유성관광호텔 관정이 하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해안 대
수층의 특성을 고려한 해수침투 모델 개발 및 Cl, NO3의 화학 지시자를 이용한 오염취
약성을 평가한 결과 저심도 암반지하수는 지표오염에 매우 민감하였다. 수직포획정 방법
을 이용한 천부 오염물질의 심부 유입 차단방안 방법을 개발하였고 지하수 환경에서의
미생물에 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지하수자원 검층/탐사에서는 지하수의 유동 및 수질 파악을 위해 동시 다채널/다기능
측정시스템과 센서를 개발하였으며, 이 측정시스템은 최대 56 입력채널까지 확장할 수
있다. 천부 및 심부 지질구조에 대한 고분해능 해석을 위한 TEM 탐사기술을 확보하였
고, 자료의 신호대잡음비 향상을 위하여 시계열 측정시스템 및 잡음제거필터를 개발하였
다. 또한, 유향․유속검층을 이용하여 시추공간 파쇄대의 수리적 연결성을 파악하는데
Heat-pulse Flowmeter 방법이 매우 유용하였다.

한 글 지하수자원, 진단, 평가, 시추공검층, 물리탐사


색 인 어
(각 5개 이상)
영 어 groundwater, site characterization, assessment, logs, exploration

- 2 -
요 약 문

Ⅰ. 제 목

세부과제명 : “지질특성별 지하수 진단/평가/탐사기법 개발”


위탁과제명 : “암반대수층 지하수의 오염 취약성 진단 평가기술 개발”
위탁과제명 : “해안지역 대수층내의 지하수의 염수화 오염도 진단 및 평가기술 개발”
위탁과제명 : “지질 특성에 따른 지하수질 규명 및 예측 연구”
위탁과제명 : “생물종 다양성을 통한 지하수 수질에 관한 기초조사 연구”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지하수자원의 효율적인 (지속적인) 이용과 개발을 위하여 지하수자원에 대한 정확한 진단


과 평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국내 지하수자원의 지질특성별, 수문지질 단위별 분류, 기존
탐사방법과 평가코드 등의 검토와 이용현황, 새로운 탐사기법의 개발과 소화, 우리나라의 수문
지질 특성에 맞는 평가코드의 개발 등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한 국내 실정에 맞는 체계적
인 지하수 자원 조사 및 개발과 유기적인 관계를 지닌 지하수 자원 진단/평가/탐사기법의 개
발 등을 실시하였다.
지질매체와 관련한 수문지질 파라메타의 결정은 지하수 순환시스템을 밝히는 기본자료로서
제공되며, 양수의 지속성, 개발가능량 산정 등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된다. 아울러 기반암, 토
양, 리니어먼트 등의 지질 특성과 지하수위 강하와 수문곡선의 기저유량과 같은 유출현상의
관계를 구명하고자 한다. 이는 지역별 지하수 함양량 및 기저유출의 양상을 파악함으로서 지
하수 개발 및 나아가 수자원 관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단층, 파쇄대, 절리, 층리 등의 지질구조에 의하여 형성되는 균열암반이
대부분의 대수층을 형성하고 있다. 인공위성영상과 수치지형고도자료(전산음영기복도)에서 나
타나는 선구조선은 이들 지질구조요소들과 거의 일치하므로 직간접적인 연관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대수층의 부존위치, 지하수의 유동 등을 해석하기 위하여 선구조선의 방향성과 발달양
상 파악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전 지역을 대상으로 광역적인 선구조선의 특성, 구조, 형
성시기 등을 해석고자 한다.
우리나라는 지하수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하여 지역적으로 장애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지역
별 유역별로 지하수를 관리해야만 하는 시점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광역적으로 지하수의
개발가능량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들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지하수 자원의 평가를 위하여 현
재까지 진행된 지하수모델은 복잡한 실제 대수층의 상황을 단순화시켜 재현한 일종의 도구로
서, 현상을 분석, 평가할 수 있고, 과거의 지하수 관련현상을 재현하며, 미래에 일어날 수 있
는 변화를 예측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모델은 지하수 자원을 가장 광범위하게 평가할 수 있

- 3 -
는 하나의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지하수 유동을 포함한 지하수 오염거동의 공간적 평가를 위해서는 수위/수질의 측정
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수시/수위 측정시스템의 대부분은 외국의 장비에 의존
하고 있으며, 이러한 외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동시 다채널 다기능 측정시스템의 국내
개발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TEM 측정시스템과 동일한 측정 하드웨어를 이용하고, 수위/수질
측정 센서를 개발하여 지하수 유동을 포함한 지하수 오염거동의 공간적 평가기술에 적용하고
자 한다.
시추공과 교차하는 균열암반의 수리적 특성 파악은 지하수 유동 특성 평가는 물론, 환경오
염의 치유, 개선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의 목적은 균열암반의 수리특성 파악을 위하
여 국내의 실정에 적합한 물리검층 기술개발이다. 시추공과 교차하는 많은 파쇄대 중에서 투
수성 있는 파쇄대의 확인과 시추공간 파쇄대의 수리적인 연결성 파악은 지하수 수치모델 설
정, 각종 공내 수리시험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범위는 유향․유속검층을 이용
하여 시추공간 파쇄대의 수리적인 연결성을 파악하는 기술개발이다.
지하수자원의 지속적 개발을 위한 표준화 작업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본 과제는 선진기법의
도입을 통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지하수자원 진단/평가/탐사기법을 개발코자 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연구 접근 방법을 갖고 있다.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이 사업의 연구개발 내용과 범위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으며, 이 범위는 1단계


(2001. 10. 20~2004. 6. 30)에 한정된 내용이다.

- 지질특성에 따른 수문지질단위 재고찰/분석/검토


- 관입화성암/변성암/퇴적암 수리-파쇄대 특성 확립
- 한반도 광역선형구조선 분석
- 지하수 관측자료와 강우와의 상관성 연구
- 지질과 관련한 환경영향 평가 기존요소 문제점 도출
- 수질과 지질매체 상호반응에 대한 연구
- 국내외 지하수자원 평가 코드/프로그램 분석/정리
- 모델링을 이용한 지하수 평가기술 개발
- 지질특성별 지하수-지표수 연계 유출특성 연구
- 기존자료를 이용한 유출특성과 영향인자간 관계 파악
- 편마암 지역 지하수 산출 특성 연구
- 3차원 탐사기술 및 해석기술개발
- 지표물리탐사 및 물리검층 자료의 연계 해석기술 개발
- 전자잡음하에서 EM 잡음제거 및 다채널 동시지하수위 및 수질 측정 시스템 개발
- 단일 시추공에서 물리검층을 이용한 균열암반의 수리 특성 연구
- 지질특성별 물리탐사의 적용성 비교․검토

- 4 -
- 암반대수층 지하수의 오염원인 및 오염경로 진단 기술 개발
- 지질특성에 따른 지하수질 규명 및 예측 연구
- 2차원 공간에서의 해수침투에 대한 특성 규명
- 서해안 대수층의 특성을 고려한 해수침투 모델 개발 및 적용
- 지표생물을 이용한 지하수 수질 연구

Ⅳ. 연구개발결과

기권에서 비롯하는 강수량의 도수분포 특성치를 추출하였고 지표수 갈수량의 요인과 측정


량의 상관계수 매트릭스를 완성하였다. 또한 지하수위 감수곡선과 상승곡선의 추출을 자동화
하였으며(DONGWON I v1.1), 지하수위와 강수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한반도 광역 선
구조선을 분석한 결과 북동-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이 타 방향의 선구조선들보다 빈도수에 있
어 절대적 우위에 있으며, 한반도의 대표 선구조선 군집방향으로 볼 수 있다. 지질시대를 기준
으로 암석에 기록된 선구조선이 만들어진 지질시대와 그 방향성은 (1) 선캠브리아기에서 중생
대 초엽까지 형성된 N30o~40oE 방향으로 대표되는 북동-남서 방향, (2) 백악기에 형성된
o o o o
N40 ~50 W 방향, (3) 신생대에 형성된 N10 ~20 E 방향의 순서로 선구조선이 형성되었
다. 지하수질과 지질별 매체간의 상호반응에 대한 연구 및 지하수와 암석간의 반응을 추정하
기에 가장 적합한 tracer를 개발하였다. 지하수와 지표수 수질을 판별 분석한 결과 식 D=
-0.713 + 9.265(CBa/CSr) - 3.134(CNi/CRb)이 이 두 물을 가장 잘 분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식을 이용하면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물-암석 반응 및 오염에 의한 상대적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물과 암석 시료 내 용존 부성분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Sr과 Ni이 물-암석 반
응 추적자로 사용될 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물과 암석내의 희토류 원소
함량도 분석 비교하였는데, 그 결과 물 시료 내 용존 희토류원소의 분포 패턴이 지하수 지표
수 순환 해석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해석요소법 프로그램인 MLAEM을 가지고, 유성지역 온천지구내의 온천공의 양수량을 적용
하였을 경우에 나타나는 수위 변화패턴을 모의하였고 곡성지역의 한 유역에 하천유량수문곡선
을 이용하여 지하수의 유출량 산정을 모의한 결과 국내 실정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저유출을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산정하는 기법들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으
며, stream partitioning이나, 디지털필터링, Rorabaugh 방법들을 국내실정에 맞게 수정 개발하였
다.
서해안 대수층의 특성을 고려한 해수침투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였으며, 화학 지시
자를 이용하여 오염취약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저심도의 암반지하수는 지표오염에 매우 민감
하다고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암반지하수 오염은 충적층 지하수오염과 밀접한 관계
를 가질 수밖에 없으며, 암반지하수 오염감시를 위해서는 지시자는 충적층 지하수를 일차적으
로 감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암반지하수의 적절한 관리를 위해서는 지표오염원
및 충적층 지하수 수질관리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며, 충적층 지하수의 오염상태에 따
른 암반지하수 개발 밀도를 제한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직포획정 방법을 이용

- 5 -
하여 천부 오염물질이 심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특허 출현하였으며,
지표생물을 이용한 지하수 수질 평가에 대한 기초조사로 지하수 환경에서의 미생물에 대한 조
사를 하였다.
지질특성별 물리탐사 표준화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로서 EM 전자잡음 하의 TEM 탐사기술
확보 및 다채널 동시 수위/수질측정시스템 개발하였으며, 유향, 유속 검층을 이용하여 시추공
간 파쇄대의 수리적인 연결성을 파악하여 균열암반에서의 수리특성을 고찰함으로서 국내 실정
에 적합한 물리검층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다양하게 이용되는 물리검층의
표준화에 대한 제안을 하였으며 이들 표준화는 기술개발과 목적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개선,
보완되어야 한다. 지하수 조사에서 지표물리탐사는 관정의 위치선정이 매우 중요하지만 지표
물리탐사와 물리검층 결과의 비교는 지층의 수평적인 연결성이 작은 경우는 적용이 어렵지만
지속적이 노력이 필요하다. 균열암반의 수리특성화를 위한 물리검층은 지하수 유동에 대한 직
접적인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많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heat-pulse flowmeter는 균열암반의 수리특성에 매우 유동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유향․유속검층은 개별 파쇄대의 투수성 판단, 시추공 파쇄대의 수리적인
연결성과 모형 설정이 매우 유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단층대 혹은 파쇄대와 같은 지질구조는 암반대수층의 분포와 지하수의 유동경로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선구조선과 이들 지질구조가 거의 일치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연구지역
을 대상으로 선구조선 판독을 보다 정밀하게 수행하면 암반대수층의 부존 위치와 지하수의 유
동경로를 예측할 수 있다. 선구조선과 일치하는 단층대에서는 단층면이 단층점토 혹은 미고결
단층각력암으로 충진된 것은 지하수의 부존 여부에 있어 큰 차이점을 갖는다. 선구조선으로
인지되는 단층대 혹은 파쇄대의 발달양상이 지질특성별, 지질시대별 차이점을 상세하게 파악
되고 단층면의 특성이 야외지질조사를 통하여 확인된다면 차후 선구조선의 활용은 암반대수층
의 확인과 지하수 유동경로 파악에 중요한 지시자가 될 것이다.
전국에 분포하고 있는 하천 수문자료를 획득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지하수 평가기법 연
구를 통한 우리나라의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전체적으로 평가하고 지질특성별로 수문특성을 밝
혀 지하수 개발가능량이 재평가되면 국가단체나 지방자치단체, 수자원공사 등 지하수 업무 및
관리를 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또한 지하수 모델에 대한 리뷰를 통하여 지하수 관
련 연구자 및 실무자들에게 지하수 평가를 위한 프로그램 선정에 참고자료를 제공하고 유사한
상황에서 문제해결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연구과정에서 개발한 다차원 수리지구화학적 연동 해석 기술, 포화-불포화 지하수 유동 해
석 기술, 강수-지하수 상호작용 해석기술,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 해석 기술을 개발하여 향후
관련분야에 활용할 수 있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상업적 수치모델의 개발로 앞으로 해
안지하수의 오염도 진단 및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6 -
S U M M A R Y

Groundwater model is a tool to assess groundwater resources to a wide extent. Many numerical
models have been developed with digital computer development, and the selection of the proper
model for the various conditions become a primary problem to be solved when you assess ground-
water resources using models. Various organizations,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have been
collecting, managing, and selling the programs. We need to analyze and arrange their programs, and
it can be helpful for researchers and modelers to use these programs.
Representative models were tested and applied to groundwater resources evaluations. MODFLOW
as a finite difference model was used to evaluate groundwater contamination risks stochastically.
Uncertainty can be complemented with this kind of numerical tools in heterogeneous and anisotropic
aquifer. HYRUS2D as a finite element model, which is a variably saturated flow and transport pro-
gram, was applied to a certain contaminant transport scenario. And, MLAEM as a analytic element
model was applied to a Yuseong district groundwater flow system.
Automated estimation methods for base flow and groundwater recharge were analyzed and modi-
fied to be used in basin scale. Digital filtering and stream partitioning methods were applied to
Gokseong and Jiri-mountain areas. Those methods are so powerful in groundwater recharge evalua-
tions of a basin where long term stream flow monitoring stations are.
Both Landsat TM satellite image and shadow relief map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an-
alyzed to speculate regional-scale flow direction of groundwater and anisotropy of aquifer along the
fractured rockmass. Schematic rose diagrams show predominant lineament of each domain, 20km x
20km. Frequency, length and density maps of lineaments reveal location of the highly fractured
rockmass area. Mater lineaments in the Korean Peninsula show various orientations such as NE-SW,
WNW-ESE, E-W and N-S directions. Especially NE-directed lineament holds the advantage rather
than other orientation of lineament. Development of lineaments can be divided into 3 stages based
on the age of basement and orientation of lineament: (1) Precambrian to Early Mesozoic age is
o o o o
N30o-40oE, (2) Cretaceous age is N-S and N40 -50 W, (3) Tertiary age is N10 -20 E. Lineaments
interpreted are generally representative of geological discontinuities such as fault zone, highly frac-
tured zone, bedding trace, and geological boundaries which are closely associated with flow path of
groundwater. Thus analysis of lineament can be expected as raw data to study flow path of ground-
water and location of aquifer.
The water quality analysis of the groundwater from Youngam-Gangjin and Jeonju-Wanju area in-
dicates that the factors controlling the water quality are water-rock interaction, component input
from the meteoric water, and pollution from point and non-point sources. Discriminant analysis be-
tween groundwtaer and stream water quality gives a function of D = -0.713 + 9.265(CBa/CSr) -
3.134(CNi/CRb). The function may be used in estimating the relative extents of influence of wa-
ter-rock interaction and pollution on the water quality. REE patterns of water reveals that it can be

- 7 -
used in tracing the cycle of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A web-based database 'geoWQDB' is
being constructed to manage of combined water quality data.
A three-dimensional numerical model is presented (1) to evaluate impacts of the pumping
scheme (2) to evaluate impacts of the tidal fluctuation of sea level (3) to investigate an efficiency
of freshwater injection technique on groundwater flow and salt transport in the unsaturated layered
coastal aquifer system. This numerical model is developed based on the fully coupled governing
equations for density-dependent unsaturated groundwater flow and solute transport and the Galerkin
finite element method. The layered coastal aquifer system used in the numerical simulation is set
composed of a sand aquifer overlain by relatively thin clay aquitards since it is the most common
hydrogeological setting observed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Three different pumping schemes
are then applied to a pumping well installed within the sand aquifer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a continuous and two periodical pumping schemes, which withdraw the same amount of ground-
water during the total simulation time.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eriodical
pumping schemes have significant adverse impacts on the groundwater flow and salt transport fields
not only in the sand aquifer but also in the clay aquitard, and hence the continuous pumping
scheme is more desirable to minimize the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seawater intrusion. In addi-
tion, the periodical pumping scheme with a higher pumping rate results in spatially and temporally
more deteriorated groundwater salinization than that with a lower pumping rate. On the other hand,
the groundwater salinization pattern in the clay aquitard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the sand
aquifer under each periodical pimping scheme. Such differences in groundwater flow and salt trans-
port patterns between the sand aquifer and the clay aquitards are caused by the layered hetero-
geneity of the coastal aquifer system and the relatively low hydraulic diffusivity of the clay aqui-
tards compared to the sand aquifer.
An actual tidal fluctuation data collected in a weather station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is
also utilized in the numerical simulation. Spatial distributions of hydraulic head and salt concen-
tration obtained through a steady-state numerical simulation are used as static initial conditions.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tidal fluctuation of sea level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groundwater flow and salt transport fields not only in the sand aquifer but also in the clay
aquitard. The hydraulic head in the aquifer system also oscillates as the sea level fluctuates, and its
magnitude is higher in the sand aquifer and near the coastal line. As a result, the groundwater dis-
charges into the sea during the low tide whereas the seawater intrudes into the aquifer system dur-
ing the high tide. It strongly suggests that the hydraulic head change is mainly controlled by the
water flow mechanism. On the other hand, the salt concentration in the aquifer system asymptoti-
cally increases with time showing some slight oscillation, and its increment is higher near the coast-
al line. As a result, the isoconcentration lines explained toward the fresh groundwater body, and the
groundwater salinization intensifies further. It strongly implies that the salt concentration variation is
mainly influenced by the hydrodynamic dispersion mechanism through flowing groundwater. The nu-
merical simulation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static initial conditions used in the numerical simu-

- 8 -
lation should be revised since the tidal fluctuation is a dynamic phenomenon.
Simulations were performed under four different categories classified by factors influencing in-
jection/extraction well's efficiency: injection/extraction rates, well screen depths, number of wells, and
distances from a pumping well. Initially, an aquifer was set to be contaminated by 5000m3/day ab-
straction for 10 years from the pumping well, and then four series of numerical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observe changing patterns of aquifer with injection/extraction method.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rate of injection/extraction, numbers and positions of injection/ex-
traction wells were critical for recovery efficiency. Therefore, it may be concluded that injection
scheme should be properly considered when minimizing contamination of coastal aquifer is required,
and we should compare control technique carefully in aspects of water quality and the con-
tamination of coastal region.

Standardization of geophysical method based on geological characteristics


-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geophysical methods based on geological characteristics
- Determination of the study areas based on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alluvium,
crystalline rocks, limestone area, vesicular volcanic rock
-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geophysical data carried out in the study areas
- Geophysical surveys over the study areas and comparison of the geophysical results based on the
geological characteristics
- Standardization of geophysical method based on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urvey objects.
development of an elemental technique
- Determination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fracture zone based on the three dimensional DC
resistivity survey and three dimensional geophysical interpretation
- A simultaneous muti-channel/multi-function measurement system and probes are developed for de-
termining the groundwater quality and the underground flow of groundwater. The input channels of
the measurement system can be expanded up to 56 channels. The transient electromagnetic (TEM)
technique for highly resolving the shallow and deep geological structures is accomplished with a
time series measurement system and a noise reduction technique.

Groundwater can filter various kinds of polluted water and organic compounds, and can reduce
sources from water pollution. Also deep water is less contaminated due to microbial processes that
abate and detoxify human-induced contamination. Furthermore it has become clear that the chemistry
and water-quality of pristine groundwater systems is largely determined by microbial processes.
Nonetheless due to increased human activities and industrialization soil function less as a protector
of polluted water, and risk can be increased from a contamination such as a direct input, surface
water, fragments from groundwater, sea water, etc.
Once the increased pollution from sewage and industrial water concentration of organic com-
pounds can be increasing and microbial activities can be reduced. This resulted in lack of dissolved

- 9 -
oxygen in groundwater that suffocated biological organisms in groundwater. On the other hand ac-
tivities of anaerobic microorganisms are increasing that produce bad smelling chemical compounds
such as H2S, fatty acid and toxic materials to vertebrates or plants. Materials that are produced in
the processes can deteriorate the quality of groundwater.
This study aims at micro-organisms that deteriorate the quality of groundwater. Such organisms
can be listed as plankton of both plant and animal, and algae, benthic organisms, moss and we will
identify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ensity that can be served as fundamental information for sus-
tainable use of water resources.
The criteria for groundwater quality can be studied in limiting factors for concentration of or-
ganic compounds, enzyme activities, benthic organisms, water plants, turbidity, concentration of
COD, etc. This study will identify biological diversity for groundwater quality and we will limit
species list only for both plant and animal species composition.

- 10 -
C O N T E N T S

Chapter 1. Introduction ··················································································································· 13


Section 1. Purpose of research ································································································ 13
Section 2. Scope of research ··································································································· 13
Section 3. Necessity of research ····························································································· 14

Chapter 2.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methods ·································································· 16


Section 1. Status of characterization methods ······································································· 16
Section 2. Status of assessment methods ··············································································· 17
Section 3. Status of geophysical exploration and logging methods ··································· 19

Chapter 3. Research performances and results ············································································ 20


Section 1. Discharge feature analyses related with geology ··············································· 20
Section 2. Relationships between groundwater monitoring and rainfall data ···················· 49
Section 3. Analyses for Groundwater level and quality in national monitoring wells ···· 59
Section 4. Groundwater assessments using modeling ··························································· 76
Section 5. Regional lineaments analyses in Korean peninsula ·········································· 106
Section 6. Groundwater contamination vulnerability assessments in bedrock aquifers ··· 128
Section 7. Characterizations groundwater quality related with geology ··························· 163
Section 8. Sea water intrusion diagnoses and assessments ··············································· 202
Section 9. Geophysical exploration methods ······································································· 252
Section 10. Geophysical logging applications ······································································ 293
Section 11. Groundwater quality assessments using biological index ······························ 323

Chapter 4. Levels of research goal achievements and contributions on other fields ··········· 331

Chapter 5. Plans for usage of the research results ·································································· 334

Chapter 6. Collected foreign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s ········································ 336

Chapter 7. References ··················································································································· 338

※ Manual for groundwater quality classification ··············································································· 346

- 11 -
목 차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3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 13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 13
제 3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 14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16


제 1 절 지하수자원 진단을 위한 기술개발 현황 ········································································· 16
제 2 절 지하수자원 평가 현황 ········································································································· 17
제 3 절 지하수자원 탐사/검층의 기술개발 현황 ········································································· 19

제 3 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20
제 1 절 지질특성에 따른 유출특성 평가 ······················································································· 20
제 2 절 지하수 관측자료와 강수자료와의 상관성 ······································································· 49
제 3 절 지하수 관측정의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변동 특성 ······················································· 59
제 4 절 모델링을 이용한 지하수 평가기법연구 ··········································································· 76
제 5 절 한반도의 광역 선구조선 ··································································································· 106
제 6 절 암반대수층 지하수의 오염 취약성 진단 평가 ····························································· 128
제 7 절 지질과 지하수질과의 현상 진단 및 평가 ····································································· 163
제 8 절 해수침투 현상 진단 및 평가 ··························································································· 202
제 9 절 지질특성별 지하수자원 물리탐사 ··················································································· 252
제 10 절 지하수 조사에서의 물리검층 적용 ·············································································· 293
제 11 절 지표생물을 이용한 지하수 수질 연구 ········································································ 323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 331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334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336

제 7 장 참고문헌 ····································································································································· 338

※ 지하수 수질 분류 지침서 ················································································································· 346

- 12 -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제 1 절 연구개발의 목적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 중 지하수 확보기술개발에 속한 본 과제의 제목은 “지


질특성별 지하수 진단/평가/탐사기법 개발” 이다. 이 제목은 지하수자원의 지속적 개발
(sustainable development)과 선진기법을 도입한 균열암반으로 대표되는 우리나라 암반 대수층
지하수자원의 적절한 개발과 평가를 위한 기초사업으로 지하수자원의 정확한 평가, 지하수자
원의 규모/산출량 산정을 위한 탐사기법, 그리고 지하수자원에 대한 자료의 해석(진단) 등을
총망라하는 조사연구사업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지하수자원의 개발과 이용은 무계획적이고 산발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최근 10여년에 걸친 정비작업으로 건설교통부 수자원 정책과와 한국수자원공사를 중심으로 체
계적인 연구/개발사업을 수행 중에 있다. 이를 위하여 지하수 기본정책의 수립, 지하수 기초조
사의 육성, 폐공관리에 관한 사항 등을 일관성 있게 진행한 정책이 효력을 발휘하기 시작하면
서 지하수 조사와 연구가 본궤도에 오르게 되었다. 아울러 이 사업은 좀 더 심도있는 조사/연
구를 위한 프론티어 사업단의 노력으로 기존의 모든 자료와 연구성과를 아우를 수 있는 연구
사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제 2 절 연구개발의 범위

지질특성별 지하수 진단/평가/탐사기법 개발 사업의 연구개발 범위는 매우 폭넓은 영역에


걸쳐있다. 먼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우리나라 전지역을 덮는 지질도의 작성 등 모든 지질도
의 작성, 지질도의 전산화, 목적에 맞는 도면의 작성, 지하수 기초조사의 수행 등을 수행중이
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지하수자원, 특히 암반 지하수 대수층에 대한 평가/탐사 기법을 꾸준
히 조사/연구하여 왔다.
우리나라의 지질은 화성암/변성암/퇴적암 등 암석이 다양하게 산출되고 있으며, 이들 암종
별로 지하수의 산출능력이나 대수층 발달 상태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퇴적암에서의 대수
층 발달 구조는 1차 퇴적구조와 많은 연관이 있으나, 화성암/변성암의 경우에는 2차 지질구조
가 대수층 발달에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2차 지질구조인 단층, 절리, 엽리 구조의 발달
특성은 대수층 발달의 적합성이라는 관점에서 암종별로 서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이해되고 있
으나, 아직까지는 이에 대한 정량적인 자료가 제시 및 정리되지 않았다.
암종별로 국내 지하수 대수층의 발달 상태와 지하수 산출 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심도별
암반 대수층의 발달 특성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지하수 개발 심도인 0~
300m 심도의 천부 및 중간 지하수형과 300m 이하 심도의 대수층에서 개발되는 심부 지하수
형을 구분하여 암종별로 수리특성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농업용, 생활용수용
등의 일반 지하수는 대부분 천부 및 중간 지하수형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심부 지하수형은 온
천개발 등의 특별한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 13 -
지질특성에 따른 지하수자원의 진단(site characterization)은 많은 연구분야를 내포하고 있다.
먼저 인공위성 스케일에서 살펴본 광역적인 선구조 등의 지질정보로부터 광물 사이즈의 크랙
까지를 포함하기까지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선구조 판독; 장기 광역
모니터링 수위 및 수질 자료의 분석; 다양한 지질매체로 대표되는 지역에서의 수질 특성 파
악; 시추공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검층기법의 표준화; 다양한 탐사기법의 제시와 최적의
탐사방법 선택 등 다양한 연구내용이 포함된다. 지하수자원의 평가는 위 진단에 대한 정확한
파라메타가 제시되면 하나의 툴로서 자리잡게 된다. 전세계적으로 많은 지하수 관련 문제를
풀기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이 제시되어 있으나, 우리는 필요한 목적에 맞는 코드를 선택하
는 것이 적정한 평가를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된다.

제 3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지하수 관측자료 분석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하수의 변동 자료와 지표수 및 기상 변동자료


와의 연관성 평가를 통하여 수자원의 통합적인 관리를 위한 주요 요인으로서의 자리 매김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지하수위 및 수질의 변동은 자연적인 요인과 인공적인 요인에 의하여 발
생하게 되며 이중에서 특히 자연적인 요인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정량화할 필요
성이 높다
또한, 우리나라는 지하수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하여 지역적으로 장애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지역별 유역별로 지하수를 관리해야만 하는 시점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광역적으로 지하수
의 개발가능량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들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모델링 방법은 이를 위해 저비
용, 효율적인 방법이다. 지하수 관련 모델은 1970년대 초부터 USGS(미국지질조사소)를 비롯
한 국립연구소와 대학을 중심으로 개발이 이루어지다가, 80년대 말부터는 기존의 공공 소프트
웨어를 기반으로 하여 이용자가 사용하기 편리한 방향으로 개조한 상용 프로그램들이 소개되
기 시작하였다. 현재는 각 국의 다양한 연구기관 및 학교 등에서 독자적인 연구 모델들을 소
유하고 있으며, SSG(Scientific Software Group) 및 IGWMC(International Ground Water Modeling
Center)에서 다양한 기관에서 개발된 지하수 관련 프로그램들을 광범위하게 수집, 관리하며 판
매하고 있고, 소비자 지원도 하고 있다. 미국 환경보존청(USEPA)에서는 23여개에 이르는 프
로그램을 source code와 함께 공개해 놓고 있어서, 실무자뿐만 아니라 연구자에게도 중요한 참
고자료가 되고 있다. 이러한 기관들로부터 다양한 지하수관련 프로그램의 목록을 작성하고, 특
성 및 용도를 조사 정리하였다.
우리나라에도 유한차분법, 유한요소법, 해석요소법, Kriging기법 등등의 방법을 이용한 모델
들이 개발되었지만, 일선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 코드는 MODFLOW가 가장 많고, 그
밖에 보고되고 있는 코드 또는 모델들은 연구용으로 개발한 것들로서 모사의 어려움 때문에
전문가를 제외하면 아직은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다양한 기법들을 활
용한 지하수 모델링평가기법들은 분석하여 활용도를 높이고, 선진기법들을 국내실정에 맞도록
수정 적용하도록 한다.
암반대수층은 다공질의 천부대수층에 비하여 깊이 존재하고 있어 천부대수층처럼 지표오염
원에 민감하지는 않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깊이가 수백 미터에 이르는 심정개발이 다수를 이

- 14 -
루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암반대수층 지하수 보호를 위한 기술개발 및 관리방안에 대한 연
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 부응해서 본 연구과제의 최종 목표도 암반대수층의 오
염취약성 평가에 필요한 제반 기술을 개발하고, 오염물질의 암반대수층 유입경로 및 과정을
파악함으로써, 그 결과를 오염물질 유입차단이나 암반대수층의 적정관리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차년도 연구결과에 지표 오염원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지역에서 대규모로 심부 지하수
를 개발하게 되면 상부의 오염물질이 심부까지 유입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이에 대
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심부지하수의 개발 밀도 (단위 면적 당 개발량) 제한을 통한
지하수 관리가 타당함을 제안한 바 있다.
시추공과 교차하는 균열암반의 수리적 특성 파악은 지하수 유동 특성 평가는 물론, 환경오
염의 치유, 개선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의 목적은 균열암반의 수리특성 파악을 위하
여 국내의 실정에 적합한 물리검층 기술개발이다. 시추공과 교차하는 많은 파쇄대 중에서 투
수성 있는 파쇄대의 확인과 시추공간 파쇄대의 수리적인 연결성 파악은 지하수 수치모델 설
정, 각종 공내 수리시험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15 -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제 1 절 지하수자원 진단을 위한 기술개발 현황

1. 지질특성별 현황

가. 리니어먼트
리니어먼트와 지하수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통계적 의미로 다루어지며 단열흔(fracture
trace)이라는 명칭으로 이들이 비교적 잘 나타나는 석회암지역에서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
였다(Lattman, L.H. and Parizek, R.R., 1964). 지하수 탐사의 일환으로 재현성 시험(reproducibility
test)을 한다든가(Sander, P. et al, 1997) 우물생산성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factors influencing well
productivity)로서 사용하였다(Mabee, S.B., 1999). 특히 최근에는 터널에서의 지하수 산출량과 리
니어먼트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Mabee, S. B. et al, 2002). 또한 리니어먼트의 주
관성을 배제하기 위하여 초심자, 유경험자, 전문가 세 부류의 리니어먼트를 재현성 시험하여
광역적 단열암반 대수층연구를 한 바도 있다(Mabee, S.B. et al., 1994). 국내에서 지하수와 연계
한 리니어먼트의 연구는 먹는샘물 개발 타당성 조사(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6) 외에 아직
뚜렷하게 진행된 바가 없다.

나. 토양, 기반암 및 토지이용 등의 특성


기반암 특성과 관련된 수문현상의 파악은 크게 두 가지 계열에서 진행되고 있다. 첫째는
분산형 유역모형(distributed watershed model)(Abbott, M.B. et al., 1986, Singh et al., 1998) 또는
SWAT와 MODFLOW를 결합하는 반분산형 유역모형(quasi-distributed watershed model)의 적용단
계에서이고 (Singh, R. et al., 1999, Sophocleous, M., 2000, Sophocleous, M. and Perkins, S.P.,
2000), 두번째로는 수문 지역화(regionalization of hydrology)의 일환으로 연구되고 있다
(Haberlandt, U. et al., 2001).

2. 강수량 분석
강수량에 대해서는 최근 강수량의 신뢰도에 관한 분석(Laughlin, G.P. et. al., 2003)과 광역적
극값에 관한 연구(Gellens, D., 2002)등이 있을 뿐 최근 국내외에서 수문특성으로서의 강수분포
의 특성에 관한 뚜렷한 연구 및 기술개발 자료를 발견 할 수 없다. 이는 강수량의 분포와 지
하수 분포사이에는 분명 상관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자 사이의 규모차이 때문에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3. 하천 유출 분석
최근 갈수량 수문학(Low flow hydrology)의 개관을 정리한 논문이 발표되었다(Smakhtin.,
V.U., 2001). 이 논문은 다양한 갈수량의 지시자와 그 응용면을 기술하였다. 또한 엘베강 유역
에서 기저유출을 지역화한 연구가 있었다(Haberlandt, U. et. al., 2001). 지표수와 지하수와의 연

- 16 -
계에 관한 연구는 최근 가장 부각되는 주제로서 충적층 소하천의 유량으로부터 지하수 개발에
따른 하천수의 유출량강하를 연구한 것이 가장 관심을 끌고 있다(Nyholm, T. et. al., 2003).

4. 지하수위 분석
국내 지하수위 분석은 지하수 함양량을 구하거나(최병수와 안중기, 1998, 문상기와 우남
칠, 2001) 시계열분석(time-series analysis)(이진용과 이강근, 2002), 지하수 함양특성 분석
(이동률과 구호본, 2000) 측면에서 국지적으로 이루어졌다. 해외 연구로는 최근 비산출량과
수리전도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지하수위 분석한 논문(Shevenell, Lisa, 1996)이 국내에서 많이
인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지하수 함양과 대수층 반응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Joeson,
J.M.U. et al., 2002). 그러나 이들 연구들에서는 한결같이 국지적인 지질의 배경을 설명하였을
뿐 전체적인 경향성에 대한 언급은 발견할 수 없었다.

5. 지하수 수질에 관한 현황
기반암을 구성하는 단위 광물의 용해 반응과 연관시켜 지하수질을 해석하기 위한 노력은
그 동안 국내외 여러 학자들에 의해 시도되었으며 (이인호 등, 1997; 이종운 등, 1997; 성
익환 등, 1998; 윤성택 등, 1998; 이재영 등, 1998; 고용권 등, 1999; Palmer and Cherry,
1984; Soulsby et al., 1998; Iwasuki and Yoshida, 1999), 이러한 연구 결과 지하수질이 정말로
기반암의 광물 조성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미시적인 수
질의 해석과 한정된 자료로 인해, 기반암상을 위시한 지질 조건이 지하수질에 어느 정도 영향
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결과 지하수질의 유형이 서로 구분 가능한 것인지에 대한 규명 노력
은 아직 부족한 형편이다.

6. 선구조선 분석 기술
과학 선진국에서는 전국토를 대상으로 인공위성영상을 해석하여 선구조선의 위치 및 특성
에 관한 연구가 이미 수행되었으며, 현재는 자국의 인공위성(예: Landsat, ERS 등)을 이용하여
보다 정밀한 여러 종류의 영상사진을 촬영하여, 선구조선 분석에 관한 정밀도를 높이고 기존
자료를 재해석하여 신뢰도를 향상시켜, 지질특성별 지하수의 부존 양상 파악 및 기타 지질구
조 해석에 널리 활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선구조선의 분석 기술은 선진국의 수준에 도달하
였으나 이를 활용하여 지질특성별, 지질구조별 암반대수층의 부존지역 예측 및 검증을 위한
기술개발은 과학 선진국의 수준에는 도달하지 못하였다.

제 2 절 지하수자원 평가 현황

1. 지하수자원 관련 모델의 현황
지하수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 지역에서는 이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유한차분법,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모델 개발이 많이 이루어져 있다. 지하수와 지표수를 연계하여 평가하는 방
법들에 대하여도 꾸준히 개발이 되어지고 있다. 지하수와 지표수를 하나의 수문시스템에서 같
이 해석하려는 경향이 늘고 있으며, 그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하천 유량 수문곡선을 이용

- 17 -
하는 방법이다. 지하수를 광역적 규모에서 관리하기 위해 유역을 균질한 수리지질적 특성변수
로 추정하는 방법들에 대하여 그 중요성이 늘어 가고 있다.

2. 오염 취약성 평가
국외에서는 지역 및 사업특성에 맞는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
는 상황이나, 국내에서는 DRASTIC 평가법만이 단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한정상, 1998). 그러나 이 같은 평가법은 지하수함양량, 수리전도도 등 얻기 힘든 자료
들을 많이 필요로 하여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이들 자료들의 부정확성 때문에 신뢰
도가 높은 취약성평가가 이루어지기 힘든 실정이며, 따라서, 적절한 암반대수층 수질관리를 위
해서는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신뢰성이 있는 새로운 평가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최근에
는 수질자료를 이용한 평가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3. 국내외 해수침투현상 규명 기술개발현황


국내에서 연동 수치 모델링 연구로는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에서 경기도 화성군의 임
해지역 대수층 지하수의 밀도 의존적 유동과 염수화를 위한 2차원 수치 모델을 제시한 바 있
으며, 서해안 임해지역 충적 대수층 내에서의 지하수 양수를 가정한 경우의 해수침투에 의한
3차원 지하수 유동과 염분 이동을 수치 모델링 한 바 있다. 또한 제주도 지하수 개발에 대한
모델링 연구는 담수 지하수의 유동만을 고려하였으며 해수침투에 대해서 조사된 거의 모든 경
우에도 수질 조사 등의 기초 조사와 해수의 동역학을 고려하지 않는 Ghyben-Herzberg 가정을
이용한 분석에 그친 상황이다(김천수, 1992; 이기화, 1992; 최순학, 1992; 윤정수와 박상
운, 1994). 또한 해수­담수 경계면에 대한 추정을 김천수 등(1997)이 여수 지역에서 지하수
공동시설에 대해 이론적으로 계산한 바 있으며 해수침투에 대한 수치학적 모델링을 박남식 등
(1997)이 제주도 중-동 수역의 지하수 개발로 인한 해수침투에 관한 모델링을 실시한 바 있
다.
해외의 경우에는 유럽의 여러 국가들의 경우 2년마다 한번씩 열리는 SWIM (Salt Water
Intrusion Meeting)을 통해 이미 30여 년간을 같은 분야에 대하여, 석학들의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며, 미국내에도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와 관련 연구모임인 Saltnet 회원들을 중심으로
해안지역 및 내륙지역에서의 고밀도 지하수의 유동에 관한 연구가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해수침투 전문학회인 SWIC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altwater Intrusion and
Coastal Aquifers--Monitoring, Modeling and Management)를 창설 이 분야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
심이 점차 확대되어가는 추세이다.
미국의 경우 대서양, 카리브 해 및 태평양과 접하는 대부분의 주에서 해수침투 경로를 포
함한 해수침투 현황 파악뿐만 아니라 관측망의 설치 및 운영을 통한 해수침투 진단 및 수치
모델링을 통한 확산 예측 등 장기적인 연구가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영국에서도 Depertment for Unternational Development (DFID)에서 연구비를 조성하여,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생하는 해수 침투의 현황 조사와 연구가 영연방 지질조사소에 의해 수행 중
에 있다. 해수침투가 발생하는 해안 지역에서 해수 침투에 의한 지하수 및 지질오염의 확산을
관측하기 위하여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진행되고 있다.

- 18 -
호주의 경우는 주로 호주의 국립과학 연구소 및 조사에 대한 사례를 수록하고 또한, 매년
입력된 연구자료를 갱신하고 있다. 예로서, 1996년 인도의 Madras에서에 해수침투, 1996년
아르헨티나 Mardel Plata 지역에서의 해수침투 연구, 1999년 베네수엘라 Trinidal and Tobago항
구에서의 해수침투 실태 조사를 들 수 있다.

제 3 절 지하수자원 탐사/검층의 기술개발 현황

1. 물리검층 기술개발 현황
미국 국립지질조사소(USGS)의 경우, 약 20년 전에 Heat-pulse type의 유향․유속검층 장비를
자체 개발하여 균열암반의 수리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Hess, 1982, 1986), USGS
의 유향․유속검층 장비는 장비의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 지상에서 제어 가능한 packer 시스템
을 개발하여 매우 낮은 유속(또는 유량, 0.04~8ℓ/min)의 측정이 가능하며 지금까지 다양한 현
장에 응용하고 있다(Paillet, 1983, 1991, 1993, 1994, 1998, 2000, 2001). 국내의 경우, 유향․유속
검층을 이용하여 균열암반의 수리특성화에 대한 연구는 2~3개 지역에 대한 적용사례가 보고
될 정도로 매우 활동이 작다(황세호 등, 2001, 2003, 2004; 구민호 등, 2001). 연구 결과가 작은
가장 큰 이유는 이에 대한 관심과 적용성에 대한 이해의 부족이라 할 수 있다. 현재의 기술수
준이나 연구 인력은 기술 선도국과 비교할 때, 매우 낙후되었기 때문에 앞으로 현장자료의 품
질관리, 정량적인 자료 해석 등에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2. 물리탐사 국내외 현황
현재 국내외에서 연구 수행된 지질특성별 물리탐사의 비교검토에 대한 사례는 극히 단편적
이며, 일반적인 암상별 물리적 특성치만 소개되었다(민경덕 등, 1987). 그러나 이러한 암상에
대한 물성치들은 실내실험에 의한 균질한 암석에 대한 물성치로서, 실제 야외에서 측정되는
물리탐사 측정값으로 평가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른다. 또한, 국내의 경우, 탐사환경의 복잡
한 지질특성에 따라 실내실험에 의한 물성치의 적용은 상당히 어렵다.
요소기술 중의 하나인 ‘지하 지질구조의 공간적 파악을 위한 3차원 물리탐사기술 개발’은
현재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특히, 진보된 물리탐사 기술을 확보한 선진국(미국,
캐나다, 독일, 호주 등)에서는 이미 많은 3차원 물리탐사기술(예, 전기비저항탐사, 전자탐사
등)이 개발되었고, 상용화 단계에 있다. 국내의 경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이에 대한 연구
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지형효과에 대한 문제를 보정한 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기
술 및 해석기술이 이미 개발되어 현장에 사용되고 있다(정승환 등, 2001; 이상규 등, 2000).
또한 이와 더불어 물리탐사 자료의 복합해석을 위한 3차원 영상 구현기술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요소기술인 ‘EM 전자잡음 하의 TEM 탐사기술 확보 및 다채널 동시 수위/수질측
정시스템 개발’에서 TEM 탐사 장비는 외국에서 개발되어 상용화 되어 있으나, 이러한 장비들
은 TEM탐사만을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개발된 TEM 측정시스템은 다채널
동시 수위/수질 측정시스템과 동일한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필요에 따라 측정 소프트웨어만을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TEM 탐사를 위한 장비들로는 대표적으로 호주 MIC 사의 SIROTEM
MK3 장비와 미국 Zonge 사의 NANOTEM 장비들이 있다.

- 19 -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제 1 절 지질특성에 따른 유출특성 평가

1. 연구 목적

일반적으로 자연계는 기권(atmosphere), 육권(lithosphere), 수권(hydrosphere), 생물권


(biosphere) 등으로 분류된다(Fig 3-1-1). 이들 각 권역은 서로 맞물려 작용하기 때문에 한 권역
의 요소는 다른 권역의 요소에 영향을 끼치기 마련이다. 또한 본 연구과제의 중심축을 이루는
물은 인류생존에 필요 불가결한 요소일 뿐만 아니라 작금에 이르러 문명의 발달과 인구의 증
가 등으로 인하여 가장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를 통하여, 궁
극적으로 육권의 가장 특징적인 요소인 지질과 육수(continental water)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
고 있는 지하수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물 관리 정책을 비롯하여 각종 지하수 관련 연구, 개발
및 관리에 보탬이 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전국적인 지질 특성에 따라
서 지표수와 연계된 지하수의 특성을 개괄적으로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atmosphere :
precipitation. biosphere :
temperature,
plant,
humidity,
animal,
...
microorganism
...
hydrosphere:
precipitation,
surface water,
groundwater

lithosphere:
pedology
geology
...
Fig 3-1-1 hydrographic scheme layout.

2. 연구의 범위
전반적인 연구의 범위는 강수현상과 지표수 유출, 그리고 지하수위의 변화에 대해 수집 가
능한 자료의 범위와 일치한다. 기본적으로 기상관측소의 강수량 자료와 건교부의 지하수위 관
측망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자료선별과정에서 홍수통제소 산하의 강수량 자료도 참고하였
다. 그러나 지표수유출에 관한 자료는 한국 지질자원연구원의 자료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요소

- 20 -
사이의 시공간이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이들 불일치한 점은 점차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보완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3. 강수량

가. 자료의 선별
일차적으로 강수량의 적용범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상청 관측소 위치와 홍수통제소 산하
의 강우량 관측소의 위치를 UTM 좌표변환을 실시하여 표와 그림으로 나타내었다(Table 3-1-1
및 Fig 3-1-2).

Table 3-1-1 Number of the National Precipitation Gauging Stations.

유역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섬진강
구분 암반 충적 암반 층적 암반 충적 암반 충적
개소 16 14 14 9 12 4 7 5

이러한 강수량 자료의 신뢰도를 가늠하기 위하여 49개 지하수위 관측소에 해당하는 기상청
산하의 관측소와 홍수통제소 관할 관측소의 자료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Fig 3-1-2 The Location of the National Precipitation Gauging Stations.

이를 위하여 기상청 산하관측소와 홍수통제소 관할 관측소 각 14개소의 총 1,803개월의


강수량 가운데 1,557개월의 자료를 비교하였다. 이들 자료는 기상청 홈페이지와 건설기술연
구원으로부터 얻었다.

- 21 -
비교 검토 내용

① 광주
자료 월수 : 72개월
비교 월수 : 36개월
비교 기간 : 1994, 1995, 1997
월 평균강수량 : 홍수통제소 96.5mm, 기상관측소 83.9mm
참고 : 총 72개월의 홍수통제소 자료 가운데 36개월은 기상관측소 자료와 동일하다. 이는 홍
수통제소 관할 관측소의 자료가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복사한 것으로 무의미한 것으로 판단된
다. 홍수통제소에서 평균월강수량 12.6mm가 더 많은 것은 총 평균이 -11.5mm인 것에 비하
여 이례적이라 할 수 있다. 두 관측소 월 강수량간의 절대 편차 평균은 27.9mm이고 그 표준
편차는 54.7로서 평균의 두 배 정도가 된다. 그 가운데 2개월은 100mm이상의 편차를 나타
내고 있다.

② 부여, 규암
자료 월수 : 72개월
비교 월수 : 72개월
비교 기간 : 1993 - 1998
평균월강수량 : 홍수통제소 108.9mm, 기상관측소 115.6mm
참고 : 총 72개월의 홍수통제소 자료 가운데 2개월의 자료에 부분적인 결측이 있는 것으로
의심된다. 평균월강수량이 6.7mm가 적은 것은 결측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두 관측
소 월 강수량간의 절대편차 평균은 16.9mm, 그 표준 편차는 18.4로서 비교적 양호한 결과
를 보여준다.

③ 김해
자료 월수 : 132개월
비교 월수 : 129개월
비교 기간 : 1988 - 1998
평균월강수량 : 홍수통제소 96.0mm, 기상관측소 120.2mm
참고 : 총 132개월의 홍수통제소 자료가운데 3개월 자료는 전부 결측 되었고 24개월 자료에
는 일부 결측 사항이 있을 것으로 의심된다. 평균 월강수량이 23.9mm(1mm는 소수점처리로
인한 차이)나 적은 것은 이러한 결측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월 강수량의 절대편차도
40.7mm로 14개 관측지점 가운데 가장 크며 그 표준편차도 55.4에 달한다. 평균 월강수량이
100mm이상 차이가 나는 월수도 무려 13개월로 14개 관측지점 가운데 가장 많다.

④ 남원
자료 월수 : 98개월
비교 월수 : 74개월

- 22 -
비교 기간 : 1990. 11 - 1993, 1995 - 1997
평균월강수량 : 홍수통제소 120.2mm, 기상관측소 132.5mm
참고 : 총 98개월의 홍수통제소 자료 가운데 24개월의 자료는 기상관측소의 자료와 동일하
다. 74개월의 자료 가운데도 25개월의 자료에는 결측이 포함된 것으로 보이며 월 평균 강수
량의 차이도 12.3mm가 적다. 그러나 월 강수량의 절대편차는 평균 19.7mm이고 그 표준편
차도 28.5로서 매우 큰 편은 아니다.

⑤ 밀양
자료 월수 : 129개월
비교 월수 : 129개월
비교 기간 : 1988. 4 - 1998
평균월강수량 : 홍수통제소 91.3mm, 기상관측소 99.9mm
참고 : 총 129개월의 홍수통제소 자료 가운데 25개월의 자료에는 결측이 포함된 것으로 의심
된다. 평균 월강수량도 홍수통제소 자료에서 8.5mm가 적다. 월 강수량의 절대편차 평균은
19.3mm이고 그 표준편차는 25.0이다. 100mm이상의 차이가 나는 달은 1996. 6의 1개월
뿐이다.

⑥ 보은, 삼산
자료 월수 : 197개월
비교 월수 : 197개월
비교 기간 : 1982. 8 - 1998
평균월강수량 : 홍수통제소 101.8mm, 기상관측소 108.4mm
참고 : 총 197개월의 홍수통제소 자료가운데 17개월의 자료에 결측 사항이 있는 것으로 의심
된다. 평균월강수량은 6.6mm가 더 적고 월 강수량의 절대편차 평균은 15.2mm, 그 표준편
차는 24.0이다. 100mm이상 편차가 나타난 달수는 총 4개월이며 8월 달에 3번, 7월 달에
한번 나타나 주로 풍수기의 계측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⑦ 양평
자료 월수 : 240개월
비교 월수 : 189개월
비교 기간 : 1979 - 1998
평균월강수량 : 홍수통제소 105.2mm, 기상관측소 113.1mm
참고 : 총 240개월의 홍수통제소의 자료가운데 51개월의 자료가 기상관측소 자료와 일치하며
47개월 자료에 결측이 있는 것으로 의심된다. 따라서 두 관측소 자료간의 비교는 서로 일치하
는 달을 제외한 189개월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평균 월강수량은 홍수통제소의 자료가
7.9mm 더 적고 월강수량의 절대편차 평균은 19.8mm이며 그 표준 편차는 29.5이다.
100mm이상의 월강수량 차이가 나는 달은 총 6개월이다.

- 23 -
⑧ 의성
자료 월수 : 129개월
비교 월수 : 129개월
비교 기간 : 1988. 4 - 1998
평균월강수량 : 홍수통제소 81.4mm, 기상관측소 81.2mm
참고 : 총 129개월의 홍수통제소 자료 가운데 24개월의 자료에 결측이 있을 것으로 의심되나
이는 오히려 자료의 이기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14개 홍수통제소 관측자료 가운데
서 가장 기상관측소 자료와 가깝게 일치하고 있으며 두 관측소 자료의 월평균 차 0.2mm, 월
강수량의 절대편차 평균 8.1mm, 그 표준편차 12.7은 위치가 다름으로서 발생하는 실제 차이
로서 표준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⑨ 이천
자료 월수 : 240개월
비교 월수 : 178개월
비교 기간 : 1979 - 1998
평균월강수량 : 홍수통제소 106.2mm, 기상관측소 113.3mm
참고 : 총 240개월의 홍수통제소 자료 가운데 62개월의 자료가 가상관측소 자료와 일치하며
49개월의 자료에 결측이 있을 것으로 의심된다. 평균월강수량은 7.1mm가 기상관측소에 비하
여 적으며 월강수량의 절대편차 평균은 18.2mm, 그 표준 편차는 29.3이다. 편차가 100m이
상인 달은 7-9월 사이에 5회 발생하였다.

⑩ 장수
자료 월수 : 120개월
비교 월수 : 120개월
비교 기간 : 1988 - 1992, 1994 - 1998
평균월강수량 : 홍수통제소 86.0mm, 기상관측소 116.0mm
참고 : 1965. 4 - 1988까지 총 393개월의 홍수통제소 자료가 수집되었으나 기상관측소의
자료가 1988 - 1988 까지 132개월에 지나지 않고 그 가운데 24개월의 홍수통제소 자료에
누락이 발생하여 총 자료 월수를 120개월로 정하였다. 또한 120개월의 홍수통제소 자료가운
데 12개월의 자료에 결측이 있는 것으로 의심된다. 이러한 결측사항 때문인지 월 평균강수량
의 차이가 무려 30mm에 달하며 두 관측자료 사이의 절대 편차의 평균도 34.2mm, 그 표준
편차도 64.0에 달한다. 편차가 100mm이상인 달은 6-9월 사이에 7회 발생하였다.

⑪ 청주
자료 월수 : 72개월
비교 월수 : 36개월
비교 기간 : 1995 - 1997
평균월강수량 : 홍수통제소 91.3mm, 기상관측소 99.9mm

- 24 -
참고 : 총 72개월의 홍수통제소 자료가운데 36개월의 자료가 기상관측소의 자료와 일치하며
1개월의 자료는 결측이 있는 것으로 의심된다. 월 평균강수량은 기상관측소보다 8.5mm가 적
으며 월강수량의 절대편차 평균은 10.4mm 그 표준편차는 12.5이다. 그러나 두 관측소의 월
강수량이 100mm이상 차이가 나는 달은 나타나지 않았다.

⑫ 춘천
자료 월수 : 213개월
비교 월수 : 189개월
비교 기간 : 1981. 4 - 1993, 1995 - 1997
평균월강수량 : 홍수통제소 98.2mm, 기상관측소 108.8mm
참고 : 총 213개월의 홍수통제소 자료가운데 24개월의 자료가 기상관측소 자료와 일치하며
32개월의 자료에 결측이 있을 것으로 의심된다. 평균월강수량은 10.6mm가 기상관측소보다
적으며 월강수량의 절대편차 평균은 19.2mm이고 그 표준편차는 25.4이다. 월강수량의 차이
가 100mm이상 차이가 나는 달은 5-9월 사이에 6회가 발생하였다.

⑬ 포항
자료 월수 : 7개월
비교 월수 : 7개월
비교 기간 : 1998. 6 - 1998. 12
평균월강수량 : 홍수통제소 180.4mm, 기상관측소 216.4mm
참고 : 홍수통제소의 자료는 7개월에 불과하다. 짧은 기간 중에 두 관측소 간의 평균 월 강수
량 차이는 무려 36.1mm로서 14개 지점 가운데 가장 크다. 월강수량의 절대 편차도
39.4mm로 매우 크며 그 표준편차도 45.5mm에 달한다. 또한 9월에는 120.4mm의 강수량
차이가 있다.

⑭ 대전, 회덕
자료 월수 : 72개월
비교 월수 : 72개월
비교 기간 : 1993 - 1998
평균월강수량 : 홍수통제소 104.1mm, 기상관측소 120.0mm
참고 : 홍수통제소의 자료가운데 특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러나 월강수량의 평균이
16.0mm이고 월강수량의 절대편차 평균이 18.3mm, 그 표준편차가 25.5mm로서 결코 적은
값이 아니며 월 강수량 차이가 100mm이상인 달도 8월 중에 두 번 나타난 것으로 보아 계측
장소의 선정이나 방법에 약간의 문제가 있을 것으로 의심된다.

전체적으로 홍수통제소의 자료에서 결측이 의심되는 달은 1996년 등 특정한 기간에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보아 옮겨 기록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것으로 보이며, 월강수량이 100mm
이상 차이가 나는 달은 대개는 6-9월 사이의 풍수기에 대부분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측정기

- 25 -
설치장소나 또는 호우관측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의성에서의 관측자료는 특
별한 경우로 국지적인 강수량 차이를 나타내는 표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비교검토 결과 추후의 연구는 전체적으로 기상청산하 관측소 자료만을 선택하게
되었다.

나. 강수특성분석
특별한 매개변수에 의존하지 않고 강수특성을 나타내는 방법 가운데 가장 단순한 것으로
도수분포로 나타내는 것이 있다.
우선 분석 대상 관측소로는 대전, 남원, 군산, 그리고 분석 대상 기간은 1973부터 2000까지
28년간의 일 자료를 선택하였다. 이는 자료 수집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 대상 자료
는 language program으로 구분한 뒤 MS Excel과 GS Surfer를 통하여 분석하고 표현하였다.
도수분포의 class는 식 3-1-1에 의거하여 결정하였다.

class = 0.1 × 2i i = 0, 1, 2, 3, ... (3-1-1)

이와 같이 분류한 강수량과 강수량에 해당하는 강수일수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각


요소에 대한 상관도를 작성하였다. 먼저 연강수량(Py)과 class를 초과한 강수량(초과강수량:
Po ≥ Py)의 관계를 나타내어 보면 class값이 커짐에 따라서 상관도가 떨어지는데(Fig 3-1-3)
이는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초과 강수량(대전) 초과강수량(남원)

2500
2500
연강수량:Py(mm)
연강수량:Py(mm)

2000 0.8 2000 0.8


1500 6.4 1500 6.4
12.8 12.8
1000 1000
25.6 25.6
500 51.2 500 51.2
0
0
500 1000 1500 2000 2500 500 1000 1500 2000 2500
초과강수량:Po(mm) 초과강수량:Po(mm)

초과강수량(군산)

2500
연강수량:Py(mm)

2000 0.8
6.4
1500
12.8
1000
25.6
500
51.2
0
500 1000 1500 2000 2500
초과강수량:Po(mm)

Fig 3-1-3 The exceedance versus yearly precipitation.

- 26 -
다음 연강수량(Py)에 대해서 class를 초과하는 강수일수를 나타내 보면 위와 반대로 class
값이 커질수록 미약하게나마 강수량이 많을수록 초과강수일수가 많아지는 경향이 분명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 3-1-4).

초과강수일수(대전) 초과강수일수(남원)

160 160
140 140
120 0.1 120 0.1

초과강수일
0.8
초과강수일

100 0.8 100


6.4 6.4
80 80
12.8 12.8
60 25.6 60 25.6
40 51.2 40 51.2
20 20
0 0
700 1200 1700 2200 500 1000 1500 2000
강수량(mm) 강수량(mm)

초과강수일수(군산)

160
140
120 0.1
초과강수일

100 0.8
6.4
80
12.8
60 25.6
40 51.2
20
0
500 1000 1500 2000
강수량(mm)

Fig 3-1-4 The yearly precipitation versus exceedance number of days.

이 연구에서 매우 흥미로운 사실은 class값에 따라서 초과 강수일수의 28년 평균값이 매우


규칙적으로 감소한다는 점이다(Fig 3-1-5).

초과강수일(대전) 초과강수일(남원)

140 140
120 120
100 100
초과강수일수
초과강수일수

y = -16.863Ln(x) + 78.17 y = -16.737Ln(x ) + 77.965


80 80
R 2 = 0.9831 R 2 = 0.9782
60 60
40 40
20 20
0 0
0.1 1 10 100 1000 0.1 1 10 100 1000
class(mm) class(mm)

- 27 -
초과강수일(군산)

120

100
초과강수일수

80 y = -16.525Ln(x) + 75.091
R2 = 0.9799
60

40

20

0
0.1 1 10 100 1000
class(mm)

Fig 3-1-5 The exceedance number of days by the class.

또한 지하수 수문과 관련하여 가장 관련이 깊은 사항은 class보다 적은 강수일수가 일 년


중 가장 오랫동안 지속된 일수이다.

최대연속무강수일수(대전) 최대연속무강수일수(남원)

400 400
최대연속무강수일수
최대연속무강수일수

300 300

200 200
y = -0.0073x 2 + 3.1726x + 23.22
y = -0.0075x 2 + 3.1159x + 23.761 R2 = 0.9976
100 R 2 = 0.9981 100

0 0
0 50 100 150 200 250 0 50 100 150 200 250
class(mm) class(mm)

최대연속무강수일수(군산)

400
최대연속무강수일수

300

200
y = -0.0078x 2 + 3.1903x + 24.349
100 R2 = 0.9978

0
0 50 100 150 200 250
class(mm)

Fig 3-1-6 The number of maximum continuous non-exceedance precipitation days by class.

이를 본 연구에서는 최대연속무강수일수로 정의하였다. 이 최대연속무강수일도 역시 class


값이 커짐에 따라 일정하게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Fig 3-1-6).
이러한 방법으로 대구, 밀양, 의성 등 동부지역을 포함하여 강수량과 강수일을 분석 종합
해 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이 확인된다.

- 28 -
① 초과강수량 : 매년 class값 즉 0.8, 6.4, 12.8, 25.6, 51.2mm 이상의 일강수량을 합계한
값을 0.1mm이상의 강수량 값과 비교해 보았다. 예상대로 class값이 클수록 강수량 값이 작아
지고 상관관계가 적어지는 현상을 뚜렷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그 상관도와 기준값과의 관계
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 관계는 대전, 남원, 군산 등 서부지역에서는 기준값이 커져도 어느
정도 상관성이 유지되는 반면 대구, 밀양, 의성 등 동부에서는 그 상관성이 급자기 나빠지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즉 동부지역에서는 큰 일 강수량 값에 의해 연강수량 값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 3-1-7 에서 개원은 대구의 경우이고 폐원은 대전의 경우이다.

상관도(대전,대구)

1.2

1.0

0.8
상관계수

0.6

0.4

0.2

0.0
0 50 100 150 200 250
class(mm)

Fig 3-1-7 The coefficient correlation between exceedance precipitation and class.

② 초과강수일수: 연강수량과 대해 class를 초과하는 강수일수와의 상관성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적게 나타났다. 이는 두 자료간의 값이 커다란 차이가 있다는 점이 있고 강수량의 편차
와 강수일의 편차 사이에도 큰 차이가 있다는 원인도 있겠지만 강수량이 많을수록 강수일도
많을 것이라는 가설이 잘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 또한 확인할 수 있다. 전체강수일수와
초과강수일수와의 관계는 전체강수량과의 관계보다는 분명해 보이나 기준 값이 큰 경우의 강
수일은 거의 일정한 값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강수가 잦다고 해서 반드시 큰 강
수가 온 날 역시 많아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기준 값에 따라 강수일의 변
화는 비교적 확실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준 값을 Log scale로 바꾸
면 이에 따른 강수일은 거의 직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③ 최대연속무강수일수: 연중 기준 값보다 적게 온 강수일수 가운데 가장 긴 강수일수를 나타


낸 것이다. 최대연속무강수일수는 연강수량이나 0.1mm이하의 최대연속무강수일수와 관계없
이 비교적 일정한 값으로 나타난다. 각 관측소마다 정도차이가 있지만 전반적으로 최대연속무
강수일수와 기준강수량과의 관계가 거의 2차곡선 관계를 갖는다.

다. 강수특성의 공간적 분포
전국적인 강수특성분포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특성요소 가운데 전술한 class별 무
강수일수와 최대연속무강수일수를 선택하였다. 여기서 무강수일수란 일 년 중 class값보다 적

- 29 -
게 비가 온 총 날짜 수를 말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술한 연구와는 약간 다르게 자료의 시간적
범위를 1981년도부터 2000년도까지의 20년간으로 잡았다. 이는 가능한 많은 햇수로 가장 많
은 관측소자료를 사용할 수 있는 최적기간으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class별 무강수일수
는 자료의 왜곡도를 줄이기 위하여 식 2)의 알고리듬과 같이 산술적으로 class를 정하고 집계
하였다.

즉,
class = 5 x i i = 1, 2, 3, ...
if Pj ≤ class then ni → ni + 1 (3-1-2)

여기서 i는 class 단계이고 j는 날짜 즉 평년은 365일이고 윤년은 366일이다.


또한 최대연속무강수일수는 식 3)의 알고리듬과 같이 class를 정하고 집계하였다.


class = 5 x I i = 1, 2, 3, ...
if Pj ≤ class then ni → ni + 1
else if ni ≥ Mi then Mi → ni and ni → 0 (3-1-3)

이와 같이 분류방법을 달리하면 class에 따른 강수일수와 최대연속무강수일수 역시 다른 형태


를 취하게 된다(예:Fig 3-1-8).

무 강 수 일 (속 초 ) 최 대 연 속 무 강 수 일 (속 초 )

400 250

200
최대연속무강수일

300
무강수일

150

100
200
50

100 0
0 20 40 60 80 0 20 40 60 80
class(mm) class(mm)

Fig 3-1-8 An example of the non-exceedance days (up) and the maximum continuous
non-exceedance days of precipitation by class.

먼저 무강수일수와 최대연속무강수일수의 공간적분포를 비교하기 위하여 연평균강수량분포


도를 작성하였다(Fig 3-1-9). Fig 3-1-9 에는 지형적으로 과우현상을 나타내는 대구지방 및 전
선성 내지는 지형성 다우지역인 강릉지역 남해안 지역이 잘 나타나 있는 것으로 보아 대체로
우리나라의 평년강수량(30년 평균강수량)의 분포도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1981년부
터 2000사이의 강수량 값에 대한 분석이 다른 요소에서도 무난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 30 -
이와 같은 바탕에서 class 0mm의 무강수일수의 전국적인 분포는 Fig 3-1-10 과 같다. 본
무강수일수 분포의 특징은 경상분지에서 많게 나타나고 동북-남서 대에 걸쳐 적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음을 볼 수 있다.

Fig 3-1-9 The distribution of average Fig 3-1-10 The distribution of non
precipitation for 20 years. precipitation days.

다음 class 5mm 이하의 무강수일수 분포는 Fig 3-1-11 과 같다.

Fig 3-1-11 The distribution of non-exceedance


days of 5mm precipitation.
5mm이하의 무강수일수 역시 대구지방이 매우 많은 경향이 있고 강릉지방이 상당히 적은

- 31 -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경우 0mm에 비하여 남부지방이 비교적 적고 안면도 서해안 지방
이 내륙보다 긴 것으로 확인된다. 즉 안면도를 비롯한 서해안에서의 비가 전혀 오지 않는 일
수는 내륙에 비해 많지 않으나 5mm이하의 기준에서는 내륙보다 비가오지 않는 일수가 많다
는 것이다.
동일한 방법으로 10mm이하의 무강수일수의 분포는 Fig 3-1-12 에 나타나 있다. 이 경우에
도 마찬가지로 대구분지 일대의 무강수일수가 많고 강릉부근의 무강수일수가 가장 적은 것으
로 나타났다. 다만 남쪽 내륙의 무강수일수가 class 5mm에 비하여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동 남서 방향의 대상 분포가 분명하지 않다. 철원지방이 주위에 비하여 무강수일수가 많은
점이 나타난다. 이처럼 class의 값이 달라짐에 따라서 전국적인 무강수일수의 분포양상이 달라
지는 현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무강수일수의 분포는 연간 수자원의 이용 가능량과 관련되는 사항이지만 보다 실질
적 가뭄의 영향은 일정 강수량 이하의 상태가 얼마나 오래 지속되는가에 보다 크게 작용할 것
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무강수일수의 지속기간을 정확하게 파악하려면 여러 가지의 제약
이 따른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일례로 class값 5mm 이하의 경우 3-4mm 정도의 강수가
지속된다면 그 기준이 애매해질 가능성이 있으며 우리나라 기후 특성상 겨울철 강수량이 적어
보통은 연속무강수일수가 해를 넘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계부근의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
이 크다는 것이다.

Fig 3-1-12 The distribution of non-exceed- Fig 3-1-13 The distribution of maximum
ance days of 10mm precipitation. continuous non-precipitation days.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정확성의 문제는 차츰 개념이 정교해 짐에 따라서 해결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우선은 가장 단순한 형태의 지속적인 가뭄현상을 연중 최대길이의 무
강수일수로 나타내어 보기로 하였다. Fig 3-1-13 은 일 년 중 연속적으로 강수량이 없는 날 가
운데서 가장 긴 날을 20년 평균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로부터 경상분지 전역이 가장 길게 나

- 32 -
타나고 군산지방에 특이하게 길게 나온 것을 제외하면 그 밖의 지역은 비교적 짧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Fig 3-1-14 는 class의 값이 5mm인 경우 최대연속무강수일수를 나타낸 것이
다.

Fig 3-1-14 The distribution of the Fig 3-1-15 The distribution of the
maximum continuous non-exceedance maximum continuous non-exceedance
precipitation days of 5mm. precipitation days of 10mm.

class값을 5mm로 한 경우는 0mm의 최대연속무강수일수에 비하여 경상분지에서는 분지


안쪽으로 가면서 길어지고 그 밖의 북동 남서 방향의 지방에서는 반대로 안쪽으로 가면서 짧
아지는 경향이 분명해 진다. 역시 군산지방의 특이점이 있고 철원지방이 주변에 비하여 길게
나타난다. class값을 10mm로 한 경우 분포는 Fig 3-1-15 에 나타나 있다.
이 경우에는 특이하게 대구분지의 최대연속무강수일수가 상대적으로 짧게 나타나고 오히려
충북지방이 길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중부에서 북동쪽으로 철원지방에 이르기까
지 대상으로 최대연속무강수일수가 긴 지역이 나타난다. 이는 이 지역이 강수량 5mm이하로
날이 지속되는 기간은 짧은데 반해 10mm이하인 경우에는 길게 나타난다는 의미이며 이처럼
class 값에 따른 상이점은 추후 수자원 활용의 계획 판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라. 강수특성 연구의 결론
강수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연 강수량과 class초과 강수량을 비교해보면 class값이 커짐
에 따라서 상관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영남지방에서는 상관도 하강 폭이
매우 큰데 이는 곧 큰 일 강수량 값에 의해 연 강수량 값이 비교적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것
을 의미한다. class값보다 많은 강수량을 기록하는 날수를 분석한 결과 class값에 대하여 매우
일정한 양상으로 일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최대연속무
강수일수 또한 class값에 따라서 일정한 양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 33 -
이들의 관계는 class값을 어떻게 설정하는가에 따라서도 달라지는데 이를 산술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연중 무강수일은 class값에 대해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최대연속무강수일은 1차함수적
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연중 무강수일의 평균치의 공간적 분포는 class값에 따라서 변화하며 이는 연중 가용수자원량
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고 최대연속무강수일 역시 class값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이하
게 분포하며 이는 기후요인의 가뭄지수를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지표유출

하천을 통하여 유출되는 지표유출량은 토양함수비나 지하수위와는 달리 하천에 물을 공급


하는 전 수역의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넓은 범위에 걸쳐 강수, 지표피복, 토양, 지질 등이
수문현상에 끼치는 종합적인 결과를 파악하고자 할 경우에 지표유출현상을 매우 유용하게 사
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자연적인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인위적인 물의 조절이 거의 없거나 매우
적은 집수구역의 자료를 통해야 보다 정확한 결론을 얻을 수 있을 텐데, 현재 자료 취득이 상
대적으로 어려운 각급 연구원이나 대학교에서 운영하는 시험유역을 제외하고는 이를 만족하는
유역을 찾아보기가 힘들다. 따라서 이 분야에 관한 자료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기 조사한
하천유량 자료에 의거할 수밖에 없었다. 이들 유량자료는 전국적인 규모에서 관측된 것이 아
니고 국지적으로 1-2년의 단기간에 걸쳐 관측된 자료이므로 다른 요소와 규모의 문제가 발생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인 접근방법으로 개별적인 분석을 하고 다른 요소와의
연계는 추후로 미룰 수밖에 없었다.

가. 곡성지역의 지표유출
전남 곡성지역은 비교적 자연유역이 많이 발달된 지역으로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비교
적 성공적으로 지표수 자료를 수집 분석한 지역이다. 이 지역의 연구를 통하여 지표유출과 이
에 관련된 집수구역의 구성 요소와의 연계방법을 파악하고자 한다.
Fig 3-1-16 은 곡성지역의 유역을 구분한 것으로서 비교적 동질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보이는
유역을 묶어 유역으로 나타낸 것이다. 즉, GS-1, GS-2, GS-3, GS-4, GS-5, GS-6, GS-7은 GS-11,
GS-12, GS-13, GS-21, GS-31, GS-32, GS-33, GS-34, GS-35, GS-36, ... 등으로 각각 분류된다.
이들 유역의 특성으로 먼저 지질특성으로서 유역별로 수치화가 가장 쉬운 요소로서 리니아
멘트를 들 수 있다. 리니아멘트는 1972년 지구자원탐사위성(Landsat-1)이 발사된 후 구조지질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왔으며, 그 결과 지표암석권의 단열과 대부분 일치된다는 사실이 증명
됨으로써 global structure 분석, tectonics 연구, 수자원탐사 및 육상석유탐사 등에 매우 유용하
게 쓰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암석은 심하게 고화되었으며 변성작용에 의한 재결정도가 높아
지하수가 대체로 1차 공극 보다는 단열구조 등의 2차 공극을 따라 부존하기 때문에 리니아멘
트는 지하수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연관성이 있다.
Table 3-1-2 는 각 유역별 면적과 리니아멘트의 길이를 나타낸 것이다.

- 34 -
Fig 3-1-16 The watersheds of Gokseong area.

Table 3-1-2 Area and total length of the lineaments in each watersheds.
소유역번호 면적 (km2) 리니아멘트 (km)
gs-11 19.7 33.7
GS-1 gs-12 59.6 46.3
gs-13 53.9 108.2
GS-2 gs-21 38.5 67.5
gs-31 16.6 25.2
gs-32 21.6 30.3
gs-33 26.0 27.3
GS-3
gs-34 23.9 27.3
gs-35 16.7 17.0
gs-36 11.2 9.9
GS-4 gs-41 42.3 64.0
gs-51 12.1 14.0
gs-52 29.8 30.2
gs-53 11.2 18.4
GS-5
gs-54 38.8 47.3
gs-55 21.1 19.0
gs-56 7.0 2.8
gs-61 10.2 3.2
gs-62 24.9 4.6
GS-6 gs-63 15.4 19.9
gs-64 22.9 29.0
gs-65 13.2 14.1
GS-7 gs-71 11.2 6.1
합계 548.2 664.6

- 35 -
지표 수문 분야에서는 갈수기 유량측정사항을 들 수 있다. 즉, 갈수기에 하천에서 흐르는
물은 대체로 지하로부터 누출된 것으로서 이는 수자원 관리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
다. 갈수시 유출량이 적으면 한발피해가 예상되므로 보와 같은 수리시설물을 설치하여 수자원
을 확보하여야 하며, 지하수 개발은 가급적 삼가야 한다. 갈수시 유출량이 상대적으로 큰 곳에
서는 지하수 개발이 용이하므로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산업의 입지조건으로 적합할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인위적 영향이 적은 13개의 소하천(gss1~13)에서 갈수기 유량을 측정하였
다.

다음은 각 집수구역의 상황이다.

① gss-1 (보정교)
옥과천 하류로서 오산면과 옥과면의 경계에 있는 교량 상류에서 측정하였다. 집수구역은
오산면 청단리, 봉동리 율천리, 조양리, 단사리, 선세리 등을 포함하고 하천은 대체로 남쪽으
로부터 북쪽으로 흐른다. 유역경계에는 꾀꼬리봉, 기우산, 오지봉 검장산 등 고도 400 -
500m의 봉우리가 있으나 유역 내부에 고도 588m에 달하는 작산이 있다. 소규모 저수지로
2
주암저수지, 율천제, 성덕제 등이 있다. 유역면적은 31.5km 정도이고 유량에 인위적인 영향
을 많이 끼치는 부분의 면적는 3.5km2이다.

② gss-2 (평장교)
삼기천은 삼기면 노동리 부근의 통명산에서 발원하여 북서류하다가 보정교 유량측정 지점
을 지나온 옥과천과 합류한다. 평장교는 삼기천과 옥과천의 합류점 상류 650여m 지점에 위치
2
한다. 본 교량을 단면으로 하는 하천에 물을 공급하는 면적은 53.0km 로서 곡성군 내의 유량
측정지점 가운데서 가장 큰 집수구역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본 집수구역은 삼기면 노동리에
서 비롯하여 금반리, 청계리, 농소리, 의암리, 괴소리, 월경리, 원등리 등을 포함하며 중하류
에서는 겸면의 괴정리, 대명리, 운교리, 송강리, 칠봉리, 상덕리, 남양리, 현정리, 가정리, 이
문리 등을 포함한다. 집수구역의 경계에는 검장산(485.7m), 차일본(666.9m), 대명산
(498.5m), 통명산, 최악산, 서리봉(402.5m), 장파봉 등의 봉우리가 있고 목동저수지, 현정
저수지, 남양제, 괴정제, 운강제, 백운제, 원등제, 월경제, 의암제, 금반제, 남계제 등 소규모
저수지들이 있으며, 유량에 인위적인 영향을 끼치는 부분의 면적은 9.3km2정도이다.

③ gss-3 (묘천교)
묘천천은 곡성읍 서계리, 구원리, 월봉리 등지에서 발원하여 신월리, 묘천리, 죽동리, 교촌
리를 거쳐 섬진강에 합류한다. 측정지점은 묘천천의 하류에 설치된 묘천교로부터 500m 정도
상류지점에 정하였다. 집수구역의 경계에는 최악산(716.5m), 형제봉(655.0m)등이 있으며
저수지로는 서방저수지, 은곡제, 구천제 등이 있다. 집수구역의 면적은 24.7 km2정도이며 인
2
위적인 영향을 끼치는 부분의 면적은 3.1km 정도이다.

④ gss-4 (구성교)

- 36 -
오곡면 명산리와 구성리를 포함하는 집수구역으로서 구성저수지의 상류에 위치한다. 유로
는 대체적으로 남에서 북으로 형성되어있다. 집수구역 경계에는 통명산(511.9m) 주부산
(678.4m)등이 있고 지형도 상에 저수지나 소류지가 나타나 있지 않으며 논이나 주거가 차지
2 2
하고 있는 면적은 0.7km 정도이다. 집수구역 면적 11.0km 이다.

⑤ gss-5 (미산교)
오곡면 미산리를 관통하여 북류하는 하천의 집수구역으로서 구성저수지에서 흘러나오는 하
천수와 합류하여 섬진강으로 유입한다. 집수구역은 천덕산, 통명산(511.9m), 통점재 등으로
2
둘러싸여 있으며 지형도 상에 저수지나 소류지가 기재되어있지 않고 유역면적 8.3km 에 대해
2
논이나 주거지로 이용되고 있는 면적이 0.2 km 정도로 비교적 자연유량을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⑥ gss-6 (침곡교)
오곡면 침곡리를 관통하여 섬진강으로 유입하는 하천의 집수구역으로서 천덕산, 곤방산
(714.8m)등 봉우리를 잇는 능선이 경계를 이루고 있다. 하천은 대체로 남에서 북으로 형성되
어 있으며 저수지나 논, 주거지 등 지표수의 인위적인 변화가 매우 적은 자연 유역에 가깝다.
집수구역 면적은 4.8km2로서 곡성군에서 선정된 집수구역 가운데 가장 작다.

⑦ gss-7 (석곡교)
온수천은 국사봉(682.0m)에서 발원, 남동 방향으로 흘러 보성강에 유입한다. 지형도 상에
서 석곡교는 온수천과 보성강의 합류점 하류에 있으나 유량측정 단면은 합류점 상류, 온수천
하류에 설치된 석곡교에 정하였다. 온수천은 석곡면 죽산리, 염곡리, 온수리를 포함하며 한동
산(647.9m), 천황봉(362.4m), 국사봉(682.0m)등의 봉우리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저수지
2
로는 죽산제, 염곡제, 염곡2제 등이 있고 논과 주거가 차지하고 있는 면적은 1.9 km 이다.

⑧ gss-8 (덕흥교)
삼기면 수산리, 금계리 등지에서 발원한 하천은 경악리, 근촌리, 그리고 석곡면의 방송리,
연반리, 당월리, 덕흥리를 지나 능파리에서 온수천과 합류한 보성강에 유입한다. 하천의 유로
는 전체적으로 북에서 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석곡교(gss-7) 집수구역과 경계를 이루는 능선
에 천황봉(362.4m), 국사봉(682.0m) 등이 있으며 그밖에 차일봉(666.9m), 대명산
(487.9m) 장군봉, 예봉(348.1m), 통명산(511.9m) 등이 있다. 집수구역의 면적은
2
38.4km 으로 평장교(gss-2) 다음으로 크고 근촌제, 용주제, 방송제 등의 저수지가 있으며 논
2
이나 주거 등 인위적인 영향이 크게 미치는 범위는 약 5.3km 로 측정되었다.

⑨ gss-9 (하주교)
주부산(678.4m), 성주봉 부근에서 발원하는 하천은 남류하여 죽곡면 신풍리, 봉정리, 화
양리를 지나 태평리에서 보성강과 만난다. 하주교는 보성강과의 합류점 300여m 상류에 설치
된 교량으로서 집수구역 면적은 29.2km2정도이고 인위적인 영향을 많이 받는 부분의 면적은

- 37 -
2
2.2km 정도이다. 집수구역의 경계는 장군봉, 통명산, 주부산(678.4m), 천덕산(673.0m)
바로봉(454.2m), 청룡봉(172.4m) 등의 봉우리를 연결하는 능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
저수지나 소류지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⑩ gss-10 (구룡교)
유치산에서 발원하는 하천은 목사동면의 남쪽 죽전리, 신전리, 용봉리, 평리를 지나 북류하
여 보성강에 합류한다. 집수구역의 경계는 아미산(583.0m), 형제산(425.0m), 유치산
(530.2m), 희아산, 선주산 등을 연결하는 능선으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는 소류지 1개소가
2 2
있을 뿐이다. 유역면적은 약 22.3km 이며 논이나 주거가 차지하는 면적은 약 2.6km 이다.

⑪ gss-11 (유봉교)
동계천은 숫개봉(542,8m)부근에서 발원하여 북류하면서 죽곡면 원달리, 유봉리, 동계리를
지나 보성강 하류로 유입한다. 유봉교는 보성강 합류점으로부터 300m 정도 상류에 있으나 측
정지점은 이보다 700m 정도 상류에 정하였다. 집수구역의 경계는 신유봉, 비래봉(690.9m),
삼산, 숫개봉(542.8m), 송소리봉, 봉두산(752.5m) 등을 잇는 능선으로 이루어졌다.
2
집수구역 면적 23.4km 에 비하여 저수지는 원달저수지 1개소에 불과하고 인위적인 영향
이 큰 면적도 0.8km2으로 매우 작은 편이다.

⑫ gss-12 (고치교)
죽곡면 고치리 일대의 작은 지류들은 대체로 북북서 방향으로 흘러 보성강과 합류한다. 고
치교는 합류점 상류 1km 부근에 설치된 작은 교량으로서 이 지점을 유출구로 하는 집수구역
2
의 면적은 약 5.9km 이다. 경계에는 봉두산(752.5m)과 응봉(570.8m)이 있으며 저수지도
없고 논이나 거주지가 차지하는 면적도 0.2km2 이내로 작은 편이다.

⑬ gss-13 (조사교)
죽곡면 하한리 일대의 작은 지류들은 대체로 북류하여 섬진강으로 유입한다. 측정지점은
합류점 상류 800m정도에 설치된 교량으로 정하였으며 이 지점에 대한 집수구역 면적은 약
2
7.6km 이다.

이들 집수구역에서의 리니아멘트의 길이는 table 3-1-3 과 같으며 2000년 5월부터 2001년


7월까지 총 11회에 걸쳐 유량을 측정하였다. 이들 유량 측정 사항은 다음과 같다.

Table 3-1-3 Total lengths of lineaments in each watersheds. (unit: km)

집수구역 gss-1 gss-2 gss-3 gss-4 gss-5 gss-6 gss-7


리니아멘트(km) 18.2 108.2 27.1 15.2 8.5 3.2 18.8
집수구역 gss-8 gss-9 gss-10 gss-11 gss-12 gss-13
리니아멘트(km) 46.5 30.7 28.3 8.4 4.0 3.7

- 38 -
① 1차 측정 (2000. 5. 30 - 5. 31)
보정교(gss-1)와 침곡교(gss-6)를 제외한 11개 집수구역의 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일을
포함하여 5일전까지의 강우량을 살펴보면 본 측정시기에 gss-3, 4, 5 집수구역에서는 1-2mm
의 선행강수량이 있을 뿐이나 gss-13 집수구역에서는 6.1mm, 그외의 7개 집수구역에서는
8-10mm의 강수량이 기록되어있다. 선행강수량이 많은 집수구역 가운데 gss-7, 8, 10이 특
히 영향을 많이 받아 큰 유량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② 2차 측정 (2000. 8. 1 - 8. 2)
13개 전 집수구역의 유량을 측정하였다. 5일 선행강수량이 gss-1, 2, 3, 4, 5, 6 집수구
역에서는 30mm이상, 그 외의 집수구역에서는 20-21mm로 기록되어 있다. 특히 gss-1, 2,
3 집수구역에서는 선행강수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③ 3차 측정 (2000. 10. 4 - 10. 5)


13개 전 집수구역의 유량을 측정하였다. 5일 선행강수량은 gss-3, 4, 5, 6 집수구역에서
는 11mm, gss-13 집수구역에서는 14.7mm, 그 외의 집수구역에서는 20mm 안팎으로 기록
되었다. 전반적으로 선행강수량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집수구역의 면적에 비하여
gss-1, 3에서 비교적 적게 측정되었고 gss-7, 11에서 비교적 크게 측정되었다.

④ 4차 측정 (2000. 10. 30 - 10. 31)


13개 전 집수구역의 유량을 측정하였다. 5일 선행강수량은 전 집수구역에서 1-2mm에 불
과하여 적절한 측정조건이었다. 집수구역 면적에 비하여 gss-1에서 비교적 적게 측정되었으며
gss-2가 비교적 크게 측정되었다.

⑤ 5차 측정 (2000. 12. 5 - 12. 6)


13개 전 집수구역의 유량을 측정하였다. 5일 선행강수량은 모든 집수구역에서 기록되지 않
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수구역 면적에 비하여 gss-1에서는 적게 측정되었고 gss-8에서는 크게
측정되었다.

⑥ 6차측정 (2001. 2. 26 - 2. 27)


13개 전 집수구역의 유량을 측정하였다. 유량의 크기로 보아 상당한 선행강수량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집수구역의 면적에 비하여 gss-7, 9에서 유량이 크게 측정되었다.

⑦ 7차 측정 (2001. 4. 3)
13개 전 집수구역의 유량을 측정하였다. 5일 선행강수량은 전반적으로 2-3mm를 기록하
고 있으나 집수구역면적에 비하여 gss-8에서 유량이 크게 측정되었다.

⑧ 8차 측정 (2001. 4. 17 - 4. 18)
gss-2를 제외한 12개 집수구역에서 유량을 측정하였다. 5일 선행강수량은 gss-1 집수구역

- 39 -
에서 7mm, gss-7, 8, 10 집수구역에서 각각 3.4mm, 3.0mm를 기록하였으나 gss-7에서 유
량이 약간 크게 측정되었을 뿐 gss-1에서는 오히려 유량이 매우 적게 측정되었다. 선행강수량
이 실측 유량의 크기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⑨ 9차 측정 (2001. 5. 7 - 5. 8)
13개 전 집수구역에서 유량을 측정하였다. 5일 선행강수량은 gss-3, 4, 5, 6에서 50mm
이상을 기록하였으며 그 외의 집수구역에서는 15-20mm를 기록하였다. 유량은 집수구역의
면적에 비하여 gss-2에서 이례적으로 적게 측정되었으며 반면 gss-8에서는 매우 크게 측정되
었다. 이는 선행강수량의 영향이라기보다 농사철 모내기에 임박하여 물을 사용하거나 방류하
여 발생하는 현상으로 생각된다.

⑩ 10차 측정 (2001. 5. 31)


gss-12, 13을 제외한 11개 집수구역의 유량을 측정하였다. 5일 선행강수량은 전체적으로
1mm 내외를 기록하여 그 영향이 적다고 할 수 있으나 본격적인 모내기가 시작되는 시기로
유량에 인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⑪ 11차 측정 (2001. 7. 30 - 7. 31)


gss-1, 3을 제외한 11개 집수구역의 유량을 측정하였다. 5일 선행강수량은 gss-2, 11, 12
에서 10mm 이상, gss-13 에서 8.6mm 그 외의 집수구역에서는 5mm 미만이었다.

이들 집수구역별 유량측정 결과는 Table 3-1-4 와 같다.

Table 3-1-4 Point discharge of natural watersheds in Gokseong. (unit: liter/sec.)

집수구역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10차 11차


gss-1 475.8 223.6 60.7 66.7 434.4 103.3 16.3 91.9 30.2
gss-2 29.9 971.6 681.1 742.1 221.2 695.9 255.6 27.1 76.1 517.8
gss-3 5.0 465.0 179.9 173.5 99.7 296.9 76.1 50.9 215.8 103.7
gss-4 18.6 84.1 144.3 85.6 53.1 153.9 53.7 34.1 155.7 14.0 96.3
gss-5 16.8 62.6 69.0 35.6 26.1 117.4 27.8 11.9 43.5 6.1 45.2
gss-6 75.7 75.2 15.9 9.6 55.5 20.3 2.0 45.0 2.8 22.3
gss-7 70.0 170.0 422.8 137.5 134.2 349.4 79.4 82.4 104.6 68.1 348.6
gss-8 164.8 239.8 558.7 356.2 283.5 458.4 467.9 110.0 530.2 104.6 721.1
gss-9 20.7 241.4 346.2 167.3 109.6 521.1 112.6 89.2 104.5 48.0 337.9
gss-10 130.1 131.5 354.7 144.7 123.1 264.9 137.3 51.4 76.6 111.9 132.2
gss-11 23.7 201.1 456.6 130.2 81.1 281.0 123.1 40.0 131.6 10.5 239.1
gss-12 4.1 102.6 85.3 47.2 16.8 73.2 17.0 9.4 8.1 39.6
gss-13 19.4 114.8 113.8 57.0 34.2 90.3 20.0 13.6 28.0 49.8

위 자료들로부터 각 집수구역의 유량과 리니아멘트 길이와의 관계를 리니아멘트의 길이를


독립변수로 하여 멱함수로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Fig 3-1-17 에 나타나는 것과 같다.

- 40 -
1차 유량측정 결과와 리니아멘트와의 관계는 Fig 3-1-17 과 같이 두개의 경향을 동시에 나
타내고 있다. gss-7, 8, 10을 제외한 유량(Q1')은 기울기가 낮고 상관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며 gss-2, 3, 9, 11를 제외한 유량(Q1)은 상관도가 0.8에 가깝게 나타났다.
3차 유량측정 결과는 비교적 유량이 적게 측정된 gss-1, 3과 크게 측정된 gss-7, 11을 제
외하면 멱함수의 관계를 잘 나타내주는 것을 볼 수 있다. 유량측정 조건이 양호한 6차 측정결
과를 보면 리니아멘트와의 관계도 역시 양호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11차에 걸친
유량측정결과와 리니아멘트와의 관계를 Table 3-1-5 에 나타내었다.

Fig 3-1-17 Correlation between lineaments and discharges.

Table 3-1-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2차 측정과 7차 측정을 제외하면 상관계수가 모두 0.7이


상이고 B값이 0.8 정도에서 가장 잘 관계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Table 3-1-5 Correlation between lineaments and discharges.


2
유량측정 A B R 비고
1 1.503 1.216 0.782 gss-1, 6 결측
2 38.639 0.574 0.553
3 32.234 0.667 0.870 gss-1, 3, 7, 11 제외
4 11.707 0.814 0.768 gss-1, 2 제외
5 7.229 0.803 0.799 gss-1, 8제외
6 33.770 0.699 0.824
7 8.423 0.761 0.795 gss-8 제외
8 1.581 1.154 0.772 gss-1제외, gss- 2결측
9 9.854 0.797 0.538 gss-2, 8제외
10 0.942 1.177 0.749 gss-12, 13 결측
11 12.729 0.893 0.748 gss-1, 3 결측

나. 지표유출특성 분야의 결론
갈수기의 유량과 리니아멘트가 공히 지하수와 관계가 깊다고는 하지만 각 집수구역의 사항
과 유량측정 사항에서 그 밖에 많은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Table
3-1-5 에서와 같이 항상 두 요소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고는 할 수 없지만 어느 정도는
관계가 있음을 인정 할 수 있다. 이 분야에서는 아직도 해결해야할 문제가 매우 많다. 가장 심

- 41 -
각한 문제라면 집수구역 면적의 요소가 개입되어있다는 점이다. 이 요소 역시 유량과 리니아
멘트에 공히 작용하기 때문에 추후 보다 심도 깊은 조사 연구를 통하여 이를 적절히 제거하는
방법을 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5. 지하수위

지하수위의 변화특성은 지하수위 분석프로그램인 DONGWONI를 다음과 같이 제작하여 실


시하였다.

가. program DONGWONI 1.1


(DONGWONI 1.0에서 상승부와 하강부를 결합시켜 upgrade한 것임.)
본 program은 지하수위의 분석을 위하여 간단하게 고안된 것이다. 무릇 t1, t2 두 시점의
지하수위는 상승이거나 하강 또는 불변의 관계에 있게 된다. 즉 t1이 전수위(anterior level)이
고 t2가 후수위(posterior level)라면
t1 > t2 → rising rim (상승부)
t1 < t2 → recession rim (하강부)
t1 = t2 → stable rim (평형부)
라고 정의할 수 있다.
여기에서 평형부는 전수위가 상승 중이었으면 상승으로 정하고 전수위가 하강 중이었으면
하강으로 전수위의 상태와 동일한 것으로 정하면 모든 지하수위는 상승부를 형성하거나 하강
부를 형성하게 된다. 분석의 주요관점을 강수량에 대한 지하수위의 상승폭으로 보았을 경우
상승부의 끝점에서의 지하수위 변동량은 전단계 하강부의 수위가 지속될 것을 가정한 위치에
서부터 계산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단순한 두 가지의 분류 program의 algorithm이 몹시 복잡하
게 얽히게 되었다.

(1) procedure ANEVENT


DONGWONI 1.1의 핵심 procedure의 이름을 ANEVENT라 정하였다. 이 procedure 이전에
먼저 한 시점의 지하수위 속성을 구분하는 procedure가 선행되었다. 즉 t시점 지하수의 속성을
ht.at라고 하여 숫자로 나타내도록 하였다. 기본 입력 자료가 일자료(daily data)이므로 만일 현
수위 ht가 수위감쇄가 발생한 5일 후이면 ht.at = -5로 표시하고 전수위가 된다. 이러한 전수
위보다 현수위가 더 높으면 ht.at = +1로 나타나도록 하였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승부의 분석에서 수위차는 하강부의 수위하강이 지속되었을 것
을 가정해야하므로 program은 먼저 하강부를 계산해야 했다. 하강부를 계산할 경우에는 보다
장기적인 측면에서의 하강을 고려하기 위하여 지하수위 감쇄가 5일 이상 지속되었을 경우만
나타내도록 하였다. (통제감쇄 지속기간 condown = -5) 즉

read(ht.at)
if ht.at < condown and h(t+1).at = 1

- 42 -
downevent(n) → downevent(n + 1)

5일 이상 지하수위의 감소가 발생해야 발생사건으로 간주하여 그 회수가 증가한다. 여기서


지하수위가 시작하는 날자 ti는 현재 날자 tp에서 다시 ht.at 만큼 거꾸로 계산해가면 보다 간명
하게 처리할 수 있다.

ti → tp + ht.at

여기서 htp가 가장 낮은 날을 찾기 위해 조건문에 h(t+1).at = 1을 첨가였다.


다음 ti에서 tp에 이르는 구간을 ti를 1로하여 회귀분석한 후 downevent(n)의 속성값에 포함시켰
다. 따라서 downevent(n)의 속성 값으로는 감쇄가 시작한 ti, 감쇄가 끝나는 tp, 감쇄상수 a, 절
편 b, 상관계수 r이 있다. 여기서 회귀분석은 지수함수로 하였다. 즉

ln(ht) = at + b

다음 upevent가 발생하면 곧,

if ht.at > 0 and h(t+1).at = -1 then


upevent(n) → upevent(n +1)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최대 수위상승 날을 찾기 위하여 h(t+1).at = -1을 조건문에 첨가하


였다. 역시 상승 초기일 ti는 현재 날짜 tp에서 다시 ht.at를 빼고 다시 1을 더하여 간명하게 처
리했다. 즉

ti → tp - ht.at

종전의 수위 상승폭은 h(tp) - h(ti)로 계산하였으나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기간 중에도


전에 발생한 지하수위 감쇄는 계속 일어나는 것을 감안하여 h(ti)'을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h(ti) = exp(downevent(n).a * (tp - ti) + ln(h(ti)))

이를 다시 정리하면 upevent(n)의 속성값으로는 upevent의 시작일 ti, 종료일 tp, 시작수위


h(ti), 종료수위 h(tp), 수정된 최저수위 h(ti)', 그리고 상승시작하기 2일전부터 상승최종일까지
집계한 강수량 p가 있다. (conprec = 2)
전국 지하수 관측망 자료 가운데 2000년도 안동의 충적층 지하수위를 표본으로 실행 한
결과를 통하여 본 program의 정상작동 여부와 강수량과 수위상승관계를 판단하였다(Fig
3-1-18).
먼저 지하수위의 상승 사상은 총 48회가 있었다. 이 가운데 상승사상 시작 2일전부터 상승

- 43 -
최고점에 이르는 날까지 강수량이 전혀 없는 사상이 19회이고 나머지는 다소간 강수량이 기록
되어 있다. 반면 상승사상에 기여한 총 강수량은 986.5mm로서 총 강수량 1,055.2mm과의
차이 68.7mm는 하강부에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1-6 과 Table 3-1-7 은 본 결과
를 종합한 것이다.

example (Andong 2000)


100 3

90
2.5
80

70
2
60
P (mm)

H (m)
50 1.5

40
1
30

20
0.5
10

0 0
1/1 2/1 3/1 4/1 5/1 6/1 7/1 8/1 9/1 10/1 11/1 12/1

T (date)

Fig 3-1-18 The groundwater level and the precipitation of Andong 2000.

Table 3-1-6 The groundwater up event without precipitation.


시작일 종일 시수위 종수위 차수위 수위차
1 30 31 1.12 1.13 1.11 0.02
2 33 45 1.11 1.21 1.00 0.21
3 49 54 1.18 1.21 1.13 0.08
4 58 60 1.19 1.20 1.17 0.03
5 71 73 1.16 1.19 1.15 0.04
6 114 116 1.52 1.64 1.49 0.15
7 125 126 1.44 1.45 1.42 0.03
8 171 172 1.33 1.35 1.31 0.04
9 183 185 1.70 1.75 1.64 0.11
10 272 273 1.91 1.93 1.88 0.05
11 287 288 1.67 1.68 1.65 0.03
12 289 291 1.65 1.69 1.62 0.07
13 301 302 1.67 1.69 1.66 0.03
14 309 310 1.62 1.64 1.61 0.03
15 311 315 1.62 1.71 1.56 0.15
16 318 319 1.67 1.68 1.66 0.02
17 333 334 1.55 1.56 1.53 0.03
18 336 338 1.53 1.56 1.50 0.06
19 345 347 1.47 1.57 1.45 0.12

- 44 -
Table 3-1-7 The groundwater up event with precipitation.
시작일 종일 시수위 종수위 차수위 강수량 수위차
1 5 6 1.24 1.36 1.23 6.4 0.13
2 23 25 1.16 1.17 1.14 1.0 0.03
3 65 66 1.18 1.19 1.18 0.1 0.01
4 74 80 1.18 1.54 1.15 14.5 0.39
5 87 89 1.36 1.47 1.31 8.5 0.16
6 99 101 1.29 1.44 1.26 10.0 0.18
7 109 112 1.33 1.59 1.29 44.0 0.30
8 131 132 1.36 1.38 1.34 5.0 0.04
9 137 139 1.32 1.53 1.30 7.0 0.23
10 147 149 1.38 1.54 1.34 25.0 0.20
11 160 162 1.35 1.54 1.32 19.0 0.22
12 173 175 1.31 1.50 1.26 25.0 0.24
13 178 180 1.41 1.79 1.36 105.0 0.43
14 192 193 1.51 1.71 1.48 31.0 0.23
15 204 206 1.39 2.08 1.33 171.0 0.75
16 212 213 1.81 1.83 1.77 19.0 0.06
17 216 217 1.79 1.86 1.75 27.0 0.11
18 219 220 1.80 1.95 1.76 39.0 0.19
19 228 230 1.65 1.68 1.58 3.0 0.10
20 232 234 1.62 1.68 1.56 10.0 0.12
21 237 240 1.58 2.12 1.49 137.0 0.63
22 251 253 1.74 1.87 1.68 45.0 0.19
23 254 255 1.84 1.86 1.81 9.0 0.05
24 256 260 1.84 2.39 1.71 160.0 0.68
25 296 299 1.62 1.73 1.58 18.0 0.15
26 305 307 1.63 1.69 1.60 16.0 0.09
27 320 322 1.65 1.69 1.62 6.0 0.07
28 327 328 1.62 1.66 1.61 22.0 0.05
29 357 360 1.41 1.54 1.37 3.0 0.17

Table 3-1-6 과 3-1-7 에서 시작일은 수위상승이 일어나기 시작한 날이며 종일은 수위가 최고조
에 이른 날, 시수위는 수위상승 초기 수위이고 종수위는 최고수위를 말한다. 또한 차수위는 시
수위로부터 이전 하강부의 지하수 감쇄가 종일까지 지속되었을 것을 가정하였을 경우의 수위
이다. Table 3-1-7 에서 강수량을 독립변수로 하여 상관그래프를 그려보면 Fig 3-1-19 와 같이
상관계수가 0.845 정도가 된다.
이 분석에서는 강수량이 없는 지하수위 상승사상을 제외한 것이다. 이는 국지적 강수로 인
하여 기상관측소에서 관측되지 않은 사항일 가능성도 있으며 이 사항이 포함되면 상관관계는
상당히 악화될 것이다.
지하수위 하강 사상 가운데 5일 이상 지속된 회수는 총 27회이다. Table 3-1-8 에서도 시일
은 수위하강이 일어나기 시작한 날이며 종일은 수위가 최저로 떨어진 날이다. 기울기와 절편
은 시일을 1로 하여 경과일을 독립변수로 하고 수위를 종속변수로하여 지수함수 회귀분석을
하였을 경우이다.

- 45 -
강수량과 지하수위 상승폭

0.80

0.70

0.60

지하수위 상승폭(m)
0.50

0.40

0.30
R2 = 0.8448
0.20

0.10

0.00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180
강수량 (mm)

Fig 3-1-19 Correlation between the precipitation and the graoundwater level.

Table 3-1-8 The recession events of the groundwater level. (Andong)


시일 종일 기울기 절편 상관계수
1 1 5 -0.010 1.303 0.983
2 6 23 -0.010 1.375 0.990
3 25 30 -0.009 1.180 0.958
4 60 65 -0.003 1.201 0.852
5 66 71 -0.005 1.187 0.757
6 80 87 -0.017 1.539 0.933
7 89 99 -0.012 1.460 0.909
8 101 109 -0.011 1.453 0.962
9 116 125 -0.015 1.644 0.954
10 126 131 -0.013 1.461 0.927
11 132 137 -0.008 1.387 0.981
12 139 147 -0.013 1.550 0.995
13 149 160 -0.012 1.537 0.977
14 162 171 -0.018 1.583 0.989
15 185 192 -0.020 1.783 0.974
16 193 204 -0.020 1.756 0.993
17 206 212 -0.022 2.092 0.951
18 220 228 -0.020 1.985 0.980
19 240 251 -0.018 2.124 0.973
20 260 272 -0.017 2.356 0.966
21 273 287 -0.010 1.913 0.945
22 291 296 -0.009 1.700 0.869
23 322 327 -0.009 1.700 0.869
24 328 333 -0.011 1.689 0.769
25 338 345 -0.008 1.547 0.822
26 347 357 -0.010 1.569 0.975
27 360 365 -0.016 1.570 0.987

- 46 -
나. 지하수위 특성분야의 결론
본 연구에서 지하수위의 특성분석은 프로그램 DONGWONI 1.1을 통하여 시도하였다. 그러
나 최근 단순한 지하수위 변화의 현상적 분석으로는 쉽게 지역적 특성화가 이루어지기 매우
힘들 것이라는 점이 여타의 지하수관측망 자료 분석에 의해 감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접근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6. 강수량과 충적층 지하수위의 시각적 모형(PHEAD)

이상과 같이 강수량과 지하수위의 변화가 일률적이지 않은 사실이 확인됨에 따라 우선 강


수량과 지하수위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판단하는 모형을 구상하기에 이르렀다. 모형 제작 취지
는 무엇보다도 관찰자가 화면을 통하여 전국적인 강수량 변화 양상과 동시에 지하수위의 변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상청 산하의 전국 강수량 자료를 일별
로 나타내고 동시간대의 지하수위 자료를 동적으로 나타나게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따라서
동적 화면의 구성시 디자인 및 전체적인 일관성과 속도 등이 관찰자의 입장에서 고려되어야하
며 전체화면이 한눈에 들어 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강수량의 변화와 지하수위의 변화는 일
단위로 표시되며 기간은 1999년에서 2000년까지이다. 강수량은 각 관측소간의 영향범위를
Thiessen network로 결정한 면을 푸른색 계통 농도로 표시하며 수위는 전국지도 상의 위치에
원으로서 따뜻한 색 계통의 농도로 표시했다(예: Fig 3-1-20).

Fig 3-1-20 Visual presentation model of precipitation and groundwater level(PHEAD).

- 47 -
7. 결론

강수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연강수량과 class초과 강수량을 비교해보면 class값이 커짐에


따라서 상관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영남지방에서는 상관도 하강 폭이 매우
큰데 이는 곧 큰 일강수량 값에 의해 연강수량 값이 비교적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것을 의미
한다. class값보다 많은 강수량을 기록하는 날수를 분석한 결과 class값에 대하여 매우 일정한
양상으로 일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최대연속무강수일수
또한 class값에 따라서 일정한 양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들의 관계는 class값을 어떻게 설정하는가에 따라서도 달라지는데 이를 산술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연중 무강수일은 class값에 대해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최대연속무강수일은 1차함수적
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연중 무강수일의 평균치의 공간적 분포는 class값에 따라서 변화하며 이는 연중 가용수자원
량을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고 최대연속무강수일 역시 class값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이
하게 분포하며 이는 기후요인의 가뭄지수를 평가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
다.
지표수 유출특성의 분야에서, 갈수기의 유량과 리니아멘트가 공히 지하수와 관계가 깊다고
는 하지만 각 집수구역의 사항과 유량측정 사항에서 그 밖에 많은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항상 두 요소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고는 할 수 없지만 어느 정도
는 관계가 있음을 인정 할 수 있다. 이 분야에서는 아직도 해결해야할 문제가 매우 많다. 가장
심각한 문제라면 집수구역 면적의 요소가 개입되어있다는 점이다. 이 요소 역시 유량과 리니
아멘트에 공히 작용하기 때문에 추후 보다 심도 깊은 조사 연구를 통하여 이를 적절히 제거하
는 방법을 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지하수위의 특성분석은 프로그램 DONGWONI 1.1을 통하여 시도하였다. 그러나 최근 단순
한 지하수위 변화의 현상적 분석으로는 쉽게 지역적 특성화가 이루어지기 매우 힘들 것이라는
점이 여타의 지하수관측망 자료 분석에 의해 감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접근방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48 -
제 2 절 지하수 관측자료와 강수자료와의 상관성

1. 자료 수집

현재까지 전국에는 우량관측소가 592개소(기상청 운영 77개소, 건교부 운영 370개소, 한


국수자원공사 운영 149개소 등) 있으며, 이외에도 기상청 위탁 관측소와 각 지방자치단체 및
학교 등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관측시설이 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현재 운영중인 전국의 지하수 관측소 중에서 암반과 충적관측정이
모두 있는 10개의 관측소를 선정하였으며, 기상자료와의 상관성 분석을 위하여 지하수 관측소
주변의 기상관측소를 선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지하수 관측소 및 관련 기상관측소 현황은 아래 Table 3-2-1과 같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개의 지하수 관측소 선정시 다양한 표고에 위치한 관측소를 대상으로 골고
루 선정하였으며, 이들 관측소의 지형적인 특성은 평야, 구릉지, 완경사, 급경사 등 다양하다.
또한, 국지적 강우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지하수 관측소로부터 33km 정도의 거리를 보이
는 가까운 기상관측소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Table 3-2-1 Brief description of groundwater measurement stations.

지하수 관측소 인근 기상청 관측소


명칭 관측기간 표고 지형경사 명칭 거리(km)
광주 유덕 2000.1.1~2000.12.31 19.8m 평야 광주 3.16
진주 초전 2000.1.1~2000.12.31 21.5m 평야 진주 1.00
옥천 청성 2000.1.1~2000.12.31 140.0m 산악, 급경사 보은 23.73
정읍 옹동 2000.1.1~2000.12.31 23.0m 구릉지 정읍 12.01
합천 합천 2000.1.1~2000.12.31 48.1m 평야 합천 2.93
청송 파천 2000.1.1~2000.12.31 172.5m 완경사 안동 32.36
거창 거창 2000.1.1~2000.12.31 204.6m 평야 거창 5.66
충주 가금 2000.1.1~2000.12.31 63.1m 구릉지 충주 14.36
경산 남산 2000.1.1~2000.12.31 69.5m 평야 대구 22.47
예산 예산 2000.1.1~2000.12.31 14.3m 평야 천안 28.57

Fig 3-2-1 은 각 관측소의 2000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지하수 변동자료를 시계열 도표로
나타낸 것으로서 암반관측정 지하수위와 충적 관측정 지하수위를 비교하여 수록하였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광주유덕, 진주초전 및 충주가금 관측소는 Sine 형태의 부드러운
변동 곡선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관측소에서는 강우에 대한 지하수위의 반응 시간이 비교적
느린 것으로 관찰되고, 옥천청성, 합천합천, 청송파천, 거창거창, 예산예산 관측소의 경우에는
하절기 호우기에 현저한 Peak를 보이는 곡선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정읍옹동과 경산남산 관
측소의 경우에는 다소의 Peak를 보이기는 하나 계절에 따른 특이한 변동성을 약하게 나타나고
있다.

- 49 -
광주유덕 암반 및 충적 관측정 지하수위 변동 진주초전 암반 및 충적 관측정 지하수위 변동
17.5 18.0

17.5
17.0
암반 17.0 암반
16.5 16.5
충적 충적
16.0 16.0

15.5
15.5
15.0

15.0 14.5
00/1/1 00/3/1 00/4/30 00/6/29 00/8/28 00/10/27 00/12/26 00/1/1 00/3/1 00/4/30 00/6/29 00/8/28 00/10/27 00/12/26

광주 기상관측소 강우량 변동 진주 기상관측소 강우량 변동


120 180
160
100
140
80 120
100
60
80
40 60
40
20
20
0 0
0 60 120 180 240 300 360 0 60 120 180 240 300 360

(a) 광주 유덕 관측소 (b) 진주 초전 관측소

옥천청성 암반 및 충적 관측정 지하수위 변동 정읍옹동 암반 및 충적 관측정 지하수위 변동


139.0 19.0

138.5
18.5
암반 암반
138.0
18.0
137.5 충적 충적
17.5
137.0

17.0
136.5

136.0 16.5
00/1/1 00/3/1 00/4/30 00/6/29 00/8/28 00/10/27 00/12/26 00/1/1 00/3/1 00/4/30 00/6/29 00/8/28 00/10/27 00/12/26

보은 기상관측소 강우량 변동 정읍 기상관측소 강우량 변동


200 120

160
80
120

80
40
40

0 0
0 60 120 180 240 300 360 0 60 120 180 240 300 360

(c) 옥천 청성 관측소 (d) 정읍 옹동 관측소

- 50 -
합천합천 암반 및 충적 관측정 지하수위 변동 청송파천 암반 및 충적 관측정 지하수위 변동
45.5 170.0

169.5
45.0
암반 169.0 암반

168.5
44.5 충적 충적
168.0

167.5
44.0
167.0

43.5 166.5
00/1/1 00/3/1 00/4/30 00/6/29 00/8/28 00/10/27 00/12/26 00/1/1 00/3/1 00/4/30 00/6/29 00/8/28 00/10/27 00/12/26

합천 기상관측소 강우량 변동 안동 기상관측소 강우량 변동


160 200

160
120
120
80
80
40
40

0 0
0 60 120 180 240 300 360 0 60 120 180 240 300 360

(e) 합천 합천 관측소 (f) 청송 파천 관측소

거창거창 암반 및 충적 관측정 지하수위 변동 충주가금 암반 및 충적 관측정 지하수위 변동


203.5 53.5

203.0 53.0
암반 암반
202.5 52.5
충적 충적
202.0 52.0

201.5 51.5

201.0 51.0
00/1/1 00/3/1 00/4/30 00/6/29 00/8/28 00/10/27 00/12/26 00/1/1 00/3/1 00/4/30 00/6/29 00/8/28 00/10/27 00/12/26

거창 기상관측소 강우량 변동 충주 기상관측소 강우량 변동


200 120

160
80
120

80
40
40

0 0
0 60 120 180 240 300 360 0 60 120 180 240 300 360

(g) 거창 거창 관측소 (h) 충주 가금 관측소

- 51 -
경산남산 암반 및 충적 관측정 지하수위 변동 예산예산 암반 및 충적 관측정 지하수위 변동
67.0 11.0

66.0
10.0
암반 암반
65.0
9.0
64.0 충적 충적
8.0
63.0

7.0
62.0

61.0 6.0
00/1/1 00/3/1 00/4/30 00/6/29 00/8/28 00/10/27 00/12/26 00/1/1 00/3/1 00/4/30 00/6/29 00/8/28 00/10/27 00/12/26

대구 기상관측소 강우량 변동 천안 기상관측소 강우량 변동


160 120

120
80

80

40
40

0 0
0 60 120 180 240 300 360 0 60 120 180 240 300 360

(i) 경산 남산 관측소 (j) 예산 예산 관측소


Fig 3-2-1 Fluctuation of groundwater levels and precipitation changes in each station.

2. 지하수위 결측자료 처리

지하수 관측소 지하수위 결측이 짧은 점을 고려하여 원자료의 변동 패턴을 반영하는 3차


스플라인 보간법을 적용하여 결측 처리를 수행하였다.

정읍옹동 관측소 결측처리후 지하수위 정읍옹동 관측소 결측처리후


전 지하수위

18.0 18.0

18.0 18.0

17.9 17.9

17.9 17.9
00/2/4 00/2/9 00/2/14 00/2/19 00/2/24 00/2/29 00/3/5 00/3/10 00/3/15 00/2/4 00/2/9 00/2/14 00/2/19 00/2/24 00/2/29 00/3/5 00/3/10 00/3/15

a) 정읍옹동 암반 관측정 지하수위 (우: 결측처리후)


경산남산 관측소 결측처리전 지하수위 경산남산 관측소 결측처리후 지하수위
65.0 65.0

64.0 64.0

63.0 63.0

62.0 62.0

61.0 61.0
99/ 12/ 26 00/ 1/ 15 00/ 2/ 4 00/ 2/ 24 00/ 3/ 15 00/ 4/ 4 00/ 4/ 24 00/ 5/ 14 99/ 12/ 26 00/ 1/ 15 00/ 2/ 4 00/ 2/ 24 00/ 3/ 15 00/ 4/ 4 00/ 4/ 24 00/ 5/ 14

b) 경산남산 암반 관측정 지하수위 (우: 결측처리후)


Fig 3-2-2 Estimation of the omitted data by cubic spline interpolation.

- 52 -
Fig 3-2-2 는 3차 스플라인 보간법을 활용한 관측정 지하수위의 결측 처리 예를 수록한 것
으로서,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일 이내의 짧은 기간의 결측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3차 스
플라인 보간법이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짧은 결측의 경우에는 그래프 자체의 Peak 특성
이 비교적 잘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3. 지하수위와 강수량간의 상관관계 평가

Fig 3-2-3 은 암반 및 충적층 지하수위와 강우량간의 교차상관함수 도표를 작도한 것이다.


Fig 3-2-3 및 Table 3-2-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하수위와 강수량 간에는 뚜렷한 교차상관관
계를 보이는 관측소가 매우 적음을 알 수 있다. 옥천 청성 관측소의 충적 지하수 관측정에서
교차상관계수가 0.654로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고 나머지 관측소에서는 대부분이 0.5 미
만의 값을 보이고 있어 상관도가 낮은 편에 해당한다.

Table 3-2-2 Crossing correlation data analysis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precipitation.
수리전도도 투수량계수 강우량과
관측소 관측정 Lag k
(cm/sec) (㎡/day) 교차상관계수
암반 0.001240 7.890 0.365 -23
광주 유덕
충적 0.003347 28.890 0.360 -22
암반 0.001020 3.660 0.282 -48
진주 초전
충적 0.001670 19.960 0.287 -48
암반 0.000251 7.809 0.409 -1
옥천 청성
충적 0.004832 17.867 0.654 -1
암반 0.000004 0.203 0.226 -105
정읍 옹동
충적 0.000068 0.418 0.279 156
암반 0.002942 132.187 0.355 -1
합천 합천
충적 0.002757 21.631 0.257 -1
암반 0.000924 45.757 0.465 -1
청송 파천
충적 0.128700 742.006 0.410 -1
암반 0.000108 5.491 0.455 -1
거창 거창
충적 0.001879 107.664 0.457 -1
암반 0.000328 5.110 0.279 -65
충주 가금
충적 0.005710 69.040 0.277 -67
암반 0.000242 13.073 0.223 -1
경산 남산
충적 0.000353 1.262 0.339 -1
암반 0.000010 0.461 0.498 -1
예산 예산
충적 0.004217 4.992 0.514 -1

또한, 강우와 지하수위의 변동간의 Lag time은 많은 관측소에서 1일 정도의 선행관계를 보


이고 있으나 일부 관측소(광주 유덕 : 22 및 23일, 진주 초전 : 48일, 정읍 옹동 : 105 및
156일, 충주 가금 : 65 및 67일)에서는 수십일 이상의 선행관계를 보이기도 한다. 이와 같은
수십일 이상의 선행관계는 특히 교차상관계수가 0.3 미만의 관측정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어
강수와 지하수위 변동간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낮은 경우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낮은 교차상

- 53 -
관계수가 나타나는 원인으로는 관측지점의 특성상 지하수위 변동이 강우에 의하여 직접 영향
을 받지 않는 경우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국지성 호우 등에 의한 영향도 무시할 수 없을 것
으로 보여 여러 가지 요인이 복잡하게 관련이 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특히 Lag
time이 장기간으로 나타나는 관측소의 공통된 특징으로는 지하수위 변동 곡선이 완만한 Sine형
태를 보이고 있어 Peak특성을 잘 나타내지 않는다는 점이며, 이는 지하수위 변화가 서서히 발
생하여 계절적인 변동요인이 주변동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해당된다. 한편, Table 3-2-2 에
서 정읍옹동 충적 관측정의 경우 Lag K가 156으로서 지하수위 변동이 발생한 후 강우에 영향
을 주는 것으로 해석되어 물리적인 의미가 없는 결과이다.

1) 광주 유덕 지하수 관측소
.6 1.0

.4
.5

.2
0.0
0.0

-.5
-.2 신뢰한계 신뢰한계
CCF

CCF

-.4 계수 -1.0 계수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89 -67 -45 -23 -1 21 43 65 87 -89 -67 -45 -23 -1 21 43 65 87

시차수 시차수

2) 진주 초전 지하수 관측소
1.0 1.0

.5 .5

0.0 0.0

-.5 -.5
신뢰한계 신뢰한계
CCF

CCF

-1.0 계수 -1.0 계수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89 -67 -45 -23 -1 21 43 65 87 -89 -67 -45 -23 -1 21 43 65 87

시차수 시차수

3) 옥천 청성 지하수 관측소
1.0 1.0

.5 .5

0.0 0.0

-.5 -.5
신뢰한계 신뢰한계
CCF

CCF

-1.0 계수 -1.0 계수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89 -67 -45 -23 -1 21 43 65 87 -89 -67 -45 -23 -1 21 43 65 87

시차수 시차수

- 54 -
4) 정읍 옹동 지하수 관측소
1.0 1.0

.5 .5

0.0 0.0

-.5 -.5
신뢰한계 신뢰한계
CCF

CCF
-1.0 계수 -1.0 계수
-200 -158 -116 -74 -32 10 52 94 136 178 -200 -158 -116 -74 -32 10 52 94 136 178
-179 -137 -95 -53 -11 31 73 115 157 199 -179 -137 -95 -53 -11 31 73 115 157 199

시차수 시차수

5) 합천 합천 지하수 관측소
1.0 1.0

.5 .5

0.0 0.0

-.5 -.5
신뢰한계 신뢰한계
CCF

CCF

-1.0 계수 -1.0 계수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89 -67 -45 -23 -1 21 43 65 87 -89 -67 -45 -23 -1 21 43 65 87

시차수 시차수

6) 청송 파천 지하수 관측소
1.0 1.0

.5 .5

0.0 0.0

-.5
신뢰한계 -.5
신뢰한계
CCF

CCF

-1.0 계수
-1.0 계수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1
-800
-79
-68
-57
-46
-35
-24
-13
-12
10
21
32
43
54
65
76
87
98

-89 -67 -45 -23 -1 21 43 65 87

시차수 시차수

7) 거창 거창 지하수 관측소
1.0 1.0

.5 .5

0.0 0.0

-.5 -.5
신뢰한계 신뢰한계
CCF

CCF

-1.0 계수 -1.0 계수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89 -67 -45 -23 -1 21 43 65 87 -89 -67 -45 -23 -1 21 43 65 87

시차수 시차수

- 55 -
8) 충주 가금 지하수 관측소
1.0 1.0

.5 .5

0.0 0.0

-.5 -.5
신뢰한계 신뢰한계
CCF

CCF
-1.0 계수 -1.0 계수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89 -67 -45 -23 -1 21 43 65 87 -89 -67 -45 -23 -1 21 43 65 87

시차수 시차수

9) 경산 남산 지하수 관측소
1.0 1.0

.5 .5

0.0 0.0

-.5 -.5
신뢰한계 신뢰한계
CCF

CCF

-1.0 계수 -1.0 계수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89 -67 -45 -23 -1 21 43 65 87 -89 -67 -45 -23 -1 21 43 65 87

시차수 시차수

10) 예산 예산 지하수 관측소


1.0 1.0

.5 .5

0.0 0.0

-.5 -.5
신뢰한계 신뢰한계
CCF

CCF

-1.0 계수 -1.0 계수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100 -78 -56 -34 -12 10 32 54 76 98
-89 -67 -45 -23 -1 21 43 65 87 -89 -67 -45 -23 -1 21 43 65 87

시차수 시차수

Fig 3-2-3 Crossing correlation function between groundwater level and precipitation (left: bedrock
aquifer groundwater level, right: alluvial aquifer groundwater level and precipitation).

Fig 3-2-4 에서 암반 및 충적층의 모든 지하수 관측정의 투수량 계수와 교차상관계수의 관


계도를 산점도로 도시한 결과 특별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고 암반과 충적층 관측정을 분류하
여 지하수위와 강우량간의 관계도를 도시한 결과(Fig 3-2-5) 특별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고 상
관계수도 낮았다. 반면에 관측정의 표고와 교차상관계수의 관계를 도시한 결과(Fig 3-2-6),
2
R ≈0.23 정도의 미약하나마 관련성을 보였다. 이는 저지대의 경우에 토지이용 특성 및 산업
구조 특성 등에 따라 지하수위에 영향을 미치는 인위적인 요인이 고지대보다 많은데 기인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56 -
Fig 3-2-7 은 강수량과 지하수위 변동간의 시간 간격인 Lag K 와 암반 및 충적층 지하수 관
측정의 투수량계수(Log T)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암반 지하수위와 강수량 간의 Lag
K가 충적층 지하수위와 강우량간의 Lag K보다 큰 것으로(반응 시간이 느린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암반 지하수 관측정의 투수량계수(Log T)와 Lag K 사이에는 R 2 = 0.3553 정도의
설명력을 갖고 비례하는 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나, 충적층 지하수 관측정의 투수량계수(Log T)
와 Lag K 사이에는 특이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10개 관측소의 경
우, 암반관측정의 경우에는 이들 두 인자가 비례 관계를 미약하게나마 보이고 있으며, 반면에
충적층 관측정의 경우에는 지하수위가 주변의 지표수 상태 등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
기 때문에 비례 관계를 잘 보여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시계열자료의 기본 단위가
1일로서, 충적층 지하수의 경우에는 강우에 반응하는 시간이 수 시간 이내인 경우도 있을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일평균 자료가 이들 단기간의 반응을 반영하지 못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도 있다. 지하수 관측정에서 기상관측소까지의 거리에 따른 교차상관계수의 영
향정도를 검토한 결과 별 상관성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00
400
300
200
100
50
40
30
20
10
충적 및 암반

T
5
(
4
3
2
1
.5
.4
) .3
.2
.2 .3 .4 .5 .6 .7

지하수위와 강우간의 교차상관계수

Fig 3-2-4 General trend of transmissibility(Log T) and crossing correlation factor in


the whole bedrock and alluvial stations.

200
500
400
100 300
50 200
40
30 100
20
50
40
10 30
20
5
4 10
3
2 5
4
암반층

3
충적 층

T T
1 2
( (

.5 1
.4
) .3
.2 ) .4
.5
.2 .3 .4 .5 .6 .2 .3 .4 .5 .6 .7

암반 지하수위와 강우간의 교차상관계수 충적 지하수위와 강우간의 교차상관계수

Fig 3-2-5 Correlation of groundwater level and precipitation.

- 57 -
300 300

13 14
200 200
11 12

5 6

100 100
ELEVATION

ELEVATION
17 15 16 18
9 10
7 3 1 84 2
19 20
0 Rsq = 0.2301 0 Rsq = 0.2329
.2 .3 .4 .5 .6 .2 .3 .4 .5 .6 .7

암반 지하수위와 강우간의 교차상관계수 충적 지하수위와 강우간의 교차상관계수

Fig 3-2-6 Correlation of ground level and precipitation.

200
500
400
100 300
50 200
40
30 100
20
50
40
10 30
20
5
4 10
암반관측정

충 적 관 측정
T T
( 3 (
2 5
4
1 3
2
.5 1
.4
) .3
.2 Rsq = 0.3553
) .4
.5
-120 -100 -80 -60 -40 -20 0 -100 -50 0 50 100 150 200

암반 지하수위와 강우간의 lag K 충적 지하수위와 강우간의 lak K

Fig 3-2-7 Correlation of transmissibility(Log T) and precipitation.

4. 연구 결과 및 향후 추진계획

지하수위의 결측 처리를 위하여 적용한 방법은 결정함수를 이용하는 수학적인 방법으로서


3차 스플라인 보간법을 적용하였다. 지하수 관측소 인근 지역 기상대에서 관측한 강우량 자료
와 지하수위와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교차상관계수를 산정한 결과 평균 약 0.37 정도의
값을 보였으며 강수가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이 낮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와 지하수위 변동간의 상관성 규명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두 인자간의
명확한 상관관계가 도출되지는 않았다. 지하수위는 인근 하천의 수위변동과 직접적인 관련성
이 높은 것으로서 본 연구에서 검토된 강수량 자료보다 상관성이 뛰어날 것으로 예상이 되나,
지하수 관측정의 지하수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하천 수위를 관측할 수 있는 유량/수위관
측소가 지하수관측소 인근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지하수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인자(예를 들면 하천 유량/수위 자료, 주변 지하수 채수 등)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지하수위와 하천수위간의 상관관계가 명확
하게 정립이 된다면 가뭄 및 홍수기의 지하수 변동 특성을 고려한 가뭄 예측과 홍수의 사전
대비 등에 지하수 관측자료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58 -
제 3 절 지하수 관측정의 지하수 수위 및 수질 변동 특성

지하수 관측망은 지하수 수량과 수질 자료를 취득하는 조직화된 시스템으로 정의되며, 우


리나라의 체계적인 관측망은 건설교통부와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운영/관리/구축하는 지하수 광
역 관측망과 환경부에서 운영/관리하는 환경오염 관측망이 있다. 후자의 경우 1년에 2회 이상
의 지하수 수질기준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며, 오염우려지역에 밀집한 관측망을 운영하고 있다.
금번 연구에서는 한국수자원공사 김규범 과장의 자문을 받아 169개 광역관측망의 현황과 수
위변동자료와 수질자료를 분석하였다.

1. 국내 지하수 관측망 현황

가. 개 요
지하수 관측망은 지하수 수량 및 수질 자료를 취득하는 조직화된 시스템으로 정의된다. 관
측망 설계의 기본적인 가정은 이와 같은 조직화된 시스템에서의 가정과 같다. 각기 다른 관측
포인트에서의 지하수 수위와 화학성분과의 비교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동일한 관측망 내에
있는 관측정들은 같은 지하수 흐름 체계 내에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관측망 자체의 성분에 대한 정의는 일반적으로 관측망 분류 내에 반영되어 있다. 기본적으
로 아래 사항들이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

① 지형학적인 관점 - 예를 들면 국가적, 지역적, 사업단위별 수위 등


② 자료의 사용 용도 - 예를 들면 지하수자원의 계획, 관리, 탐사 또는 연구 등
③ 관측 변수들 - 예를 들면 지하수 수량 또는 수질 등
④ 관측기간 - 예를 들면 장기, 단기 또는 간헐적 관측기간 등

이와 같은 요소들이 조합되어 다음과 같은 3개의 관측망 유형을 분류하고 상호 연계 체계


를 형성하게 된다 ;

ㅇ기초 관측망(Primary(basic) network)


ㅇ이차 관측망(Secondary network)
ㅇ일시 관측망(Temporary network).

기초 지하수 관측망(Primary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은 국가적이나 광역적인 규모에


있어서 지하수 관리 정책을 수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연상태에 초점을 둔
지하수계에 대하여 지하수 수량이나 수질에 관한 광역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기본 지하
수 관측망으로부터 얻어지는 지하수 수량이나 수질에 관한 정보는 지하수자원의 계획, 관리
및 수리지질학적 연구에 필요한 기초를 제공한다. 기본 관측망은 전 국가를 망라하여 넓은 지
역을 포함하게 된다. 관측 경로는 일정 기간 간격으로 정해진 주기에 따라 수행된다.
이차 관측망은 일차관측정의 확장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양수정 또는 광산 등과 같은 지역

- 59 -
적인 인공적인 활동에 대하여 고안되어지며, 인간활동에 의한 지하수의 수질이나 수량의 변화
를 관측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차 관측망으로부터 얻어지는 자료는 특별한 지하수 관리 체
계를 구축하거나 작동하는데 필요한 정보에 해당된다. 이차 관측망은 독립된 지하수 분지나
특정 관심지역을 대상으로 하게 된다. 관측망은 특별한 관측 목적에 맞는 자료를 취득하거나
특정 주기로 관측된다.
일시 관측망은 특별한 지하수 프로젝트를 위하여 설치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① 수리지질
학적 조사, ② 다중 양수시험, ③ 지하수 수치모델의 보정, ④ 기타 특별한 연구 등이 있다.
프로젝트가 끝나게 되면 관측정의 일부는 기초 관측망 또는 이차 관측망에 포함되기도 한다.
지하수 수량 및 수질 관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가장 기초적인 지하수 수위/수질 정보의
획득을 위하여 1995년부터 전국을 대상으로 지하수 관측망이 설치, 운영되기 시작하였으며,
1996년 지하수법의 개정시에는 법 제17조에 법적 사업으로 명문화하여 사업의 근거를 마련
하였다. 이후 2001년 1월 지하수법의 개정시 지하수 관리 강화를 위하여 지하수 관측망의 설
치, 운영에 대한 내용을 대폭 강화하여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의무 사항으로 규정하였다.

第17條(地下水의 觀測 및 調査등 ) ①建設交通部長官은 전국적인 地下水觀測施設(이하 “國


家觀測網”이라 한다 )을 설치하여 大統領令이 정하는 바에 따라 地下水의 水位變動實態를
調査하여야 한다 .
②市․道知事는 관할구역안의 地下水水位 등의 변동실태를 파악․분석하기 위하여 國家
觀測網을 보완하는 地域地下水觀測施設(이하 “補助觀測網”이라 한다 )을 설치하여야 한
다.
③市․道知事가 第2項의 규정에 의하여 補助觀測網을 설치하고자 하는 때에는 觀測網의
위치 , 構造圖, 測定裝備 등이 포함된 補助觀測網 設置計劃을 수립하여 建設交通部長官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
④建設交通部長官 및 市․道知事는 第1項 및 第2項의 규정에 의한 觀測網의 위치 및 構
造圖, 測定項目 등을 명시한 觀測網 設置計劃을 결정하여 고시하고 , 일반인이 이를 열람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 觀測網 設置計劃을 변경하고자 하는 때에도 또한 같다 .
⑤第1項 및 第2項의 규정에 의한 觀測網의 設置區域이 第18條의 規定에 의한 水質測定
網과 동일구역인 경우에는 상호 연계하여 운영되도록 하여야 한다 .
⑥市․道知事는 大統領令이 정하는 바에 따라 管轄區域안의 地下水의 水量․水質등 利
用實態를 調査하여 建設交通部長官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 이 경우 建設交通部長官은 그 내
용을 環境部長官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
⑦關係中央行政機關의 長 또는 地方自治團體의 長이 關係法律에 의하여 地下水開發․利
用을 許可 또는 認可하거나 申告를 받은 때에는 第6項의 規定에 의한 地下水의 利用實態
調査를 위하여 建設交通部令이 정하는 바에 따라 관계 市․道知事에게 이를 통보하여야
한다 .
⑧第1項 내지 第3項의 規定에 의한 觀測網의 설치기준 , 觀測網의 수 , 觀測方法 등에 관
하여 필요한 사항은 大統領令으로 정한다 .
第18條(水質汚染의 測定) ①環境部長官은 地下水의 水質保全을 위하여 地下水水質測定施

- 60 -
設(이하 “水質測定網”이라 한다 )을 설치하여 全國의 地下水에 대한 水質汚染實態를 測定
하여야 하며 , 測定을 완료한 때에는 그 결과를 建設交通部長官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
②第1項의 規定에 의한 水質測定網의 설치기준․설치구역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環
境部令으로 정한다 .
第18條의 2(土地 등의 收用 및 使用) ①建設交通部長官, 環境部長官 또는 市․道知事는 第
17條 및 第18條의 規定에의한 地下水觀測施設 및 水質測定網의 설치를 위하여 필요한 경
우에는 해당 지역의 土地 또는 그 土地에 定着된 물건을 收用 또는 使用할 수 있다 .
②第1項의 規定에 의한 收用 또는 使用의 節次․損失補償 등에 관하여는 土地收用法이
정하는 바에 의한다 .

정부에서는 국가 지하수 관측망 구축을 위한 기본 설계 작업과 관측소 위치 선정의 합리성


과 타당성 검증을 위한 기술자문회의를 거쳐 1995년 5월 310개소의 지하수 관측소를 설치하
는 지하수 관측망 기본 계획(안)을 수립하여, 1995년부터 설치 사업에 착수, 시행 중에 있다.

나. 국가 지하수 관측망의 설치․운영

(1) 기본 방향
중앙 정부에서 전국을 대상으로 지역 또는 유역 단위의 대표 지점에 지하수위 및 수질 등
의 변동 상황을 지속적으로 감시 관측하기 위해 설치하는 국가(광역) 지하수 관측망의 설치
지점 선정 및 운영 관리의 기본 방향의 다음과 같다.

◦ 지하수 관측망은 수자원의 종합 관리 차원에서 수계별 유역 단위에 관측정을 설치하고


이들을 연계하여 관측망으로 구축 운영토록 한다.
◦ 지하수 관측망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구축 운영하는 행정구역 단위의 보조 지하수 관측망
과 연계할 수 있도록 광역적인 Key Station의 개념을 적용한다.
◦ 지하수 관측망은 국내 지하수자원의 종합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 관측 시설의 역할을 담
당한다.
◦ 국내에 부존하는 지하수의 전반적인 현황 파악을 위하여 광역적인 수위 분포 및 배경적
수질(Back Groundwater Quality) 자료를 취득한다.
◦ 기상 및 지표수문과 지하수문의 상관관계 규명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수원 고갈, 수질오염, 지반침하, 염수침입 등의 지하수 장애의 현황 파악과 지하수의 개
발․이용 및 보전․관리 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관측정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는 지하수 정보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로 입력하여 전산 통합
관리토록 한다.

(2) 설치 지점 선정
지하수 관측망의 설치 지점은 기본적으로 유역별 균등 배치, 수문지질 조건의 대표성, 지하
수 이용 특성 및 시설의 유지 관리 측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이에 따

- 61 -
라 우선 전국을 5대 유역권으로 대분하고 다시 이를 지형 및 수문지질에 따라 78개 소유역으
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설치지점을 선정하였다.
◦ 본 관측망이 광역적인 대표성을 부여한다는 의미에서 지하수 함양 지역과 배출 지역에 대
하여 각각 설치함으로써 광역적인 수문지질 특성을 분석 가능토록 한다. 함양 지역은 기존의
기상 또는 우량관측소 지점과 연계하여 설정하고, 지하수 배출 지역은 기존의 수위 관측소 설
치 지점과 연계하여 설정한다.
◦ 단위 면적당 지하수 이용량이 많아 과다 채수의 경향이 높은 지역이나 오염에 취약한 지역
에 비중을 두어 배치토록 한다.
◦ 시설의 유지 관리 측면을 고려하여 유지 관리가 용이한 지점에 설치한다.
이상의 조건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1995년 5월에 각 소유역내에 수 개의 관측 지점을 선
정, 전국에 대하여 총 310개소의 관측망 구축 지역을 결정하였다.

(3) 설치 및 운영
국가 지하수 관측망은 ’95년에 15개소, ’96년에 37개소, ’97년에 45개소, ’98년에 37개,
‘99년에 20개소, 2000년에 15개소 등 총 169개의 관측소를 설치되었다. 일반적으로 동일 지
역이라 하더라도 지하수의 수위와 수질은 대수층의 성
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각대수층별로 독립적으
로 관측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측정을 설치하여야 한
다. 이러한 목적으로 동일 지점에 설치되는 다수의 관
측정들을 관측정군(群)이라 하는데, 그 설치 방법에
따라 단일망 관측정군과 다중 관측정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일망 관측정군이란 심도를 달리 하는 각 대수
층별로 관측정을 설치하여 지하수를 관측하는 방식으
로서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고 측정자료의 신뢰
도가 높으나, 다중 관측정군에 비하여 우물 굴착 비용
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다중 관측정군
1995 (15)
1996 (37) 은 1개 굴착공 내부에 대수층의 심도별 분포에 따라
1997 (45)
1998 (37)
1999 (20)
복수의 관측 관을 설치하여 각 관측 관에서의 지하수
수위와 수질을 측정하도록 고안된 관측정으로서 단일
Fig 3-3-1 Location of primary
망 관측정군에 비하여 굴착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있다. 반면에 시공 및 유지 관리가 어렵고 관측 관 중
하나라도 손상되는 경우 관측정의 전체적 역할이 파괴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국가 지하수 관측망의 관측정군 방식으로는 그 중요성을 감안하여 유지 보수의
안정성과 관측자료의 신뢰도가 높은 단일망 관측정군 방식을 채택하여 각 관측소별로 대수층
의 성격에 따라 상부의 모래,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미고결 퇴적층(충적층)에 부존된 지하수
를 관측 대상으로 하는 충적층 지하수 관측정과 하부의 고결된 암반층에 부존된 지하수를 관
측 대상으로 하는 암반 지하수 관측정을 별도로 굴착하고, 관측정 설치 완료 후에는 외부인에
의한 관측정 및 장비의 훼손, 관측자료 유출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 건물을 축조하는 것

- 62 -
으로 계획하였다.

Table 3-3-1 Description of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설치대상 기 설 치 2001
시 도 시 군
개 소 수 계 ’95 ’96 ’97 ‘98 '99 2000 이후
총 계 - 310 169 15 37 45 37 20 15 141
서울특별시 - 1 - - - - - - - 1
부산광역시 - 1 1 - - 1 - - - -
대구광역시 - 4 3 1 - 1 1 - - 1
인천광역시 - 1 1 - - - 1 - - -
광주광역시 - 2 1 1 - - - - - 1
대전광역시 - 2 2 - - 1 1 - - -
울산광역시 - 4 3 - - 3 - - - 1
경 기 도 16시 9군 43 21 2 4 6 5 3 1 22
강 원 도 7시 11군 41 12 1 2 5 2 - 2 29
충청북도 3시 8군 24 23 2 6 2 6 6 1 1
충청남도 6시 9군 35 21 1 4 7 5 1 3 14
전라북도 6시 8군 34 17 1 4 4 2 3 3 17
전라남도 4시 15군 36 22 2 4 5 5 5 1 14
경상북도 10시 12군 46 25 2 7 7 5 2 2 21
경상남도 8시 11군 36 17 2 6 3 4 - 2 19

관측 항목은 수위, 전기전도도, 수온 및 수질 등으로서 이중 수위, 전기전도도, 수온은 매


일 1회 이상 관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동관측을 실시하고, 수질은 지하수 수질기준 15개
항목에 대하여 년 2회 이상 실시한다. 자동 관측은 6시간 간격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관측자
료는 관측 장비 자체 기억장치에 내장된 자료를 직접 취득하거나 원격송수신시스템을 활용하
여 취득하고 있다.

Table 3-3-2 Installation description of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제 원
구 분
굴 착 구 경 정 호 자 재
충적층지하수 350mm Φ 250mm 스테인레스 스틸 케이싱 및 스트레이너
관측정
암반지하수 상부 비고결암층 350mm Φ 250mm 스테인레스 스틸 외부 케이싱
관측정 하부 암반층 250mm Φ 200mm PVC 내부 케이싱 및 스트레이너
주) 1. 관측정 심도는 대수층 발달 심도에 따라 결정
2. 충적층지하수 관측정은 대상지역의 대수층 발달 상태에 따라 설치 여부 결정

지하수 관측망의 수위 및 수질 관측자료는 건설교통부와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구축 중에 있


는 지하수 정보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종합 관리되고, 매년 도표 및 그래프의 형태로 정리되
어 『지하수 관측연보』로 발간되는데, 장기적으로 관측자료가 축적되면 향후 국내 지하수자

- 63 -
원의 종합적인 개발 이용과 관리 업무의 귀중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게 된다.

(4) 수문지질단위별 지하수 관측정 현황


국가 지하수 관측정의 수문지질단위별 설치 현황은 Table 3-3-3 과 같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고결퇴적물에 설치된 89개의 지하수 관측정은 각 지하수 관측소의 충적층지하수관측
정을 의미하며, 나머지 7개 수문지질단위별 지하수 관측정은 암반관측정에 해당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설치된 지하수 관측소중 154개 관측소의 충적 및 암반의 총 243개 지하수 관측정
을 대상으로 해당 수문지질단위를 파악하였다.
Table 3-3-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리나라 암석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관입화성암 및 변성
암 지역에 설치된 지하수 관측정은 총 115개로서 충적 관측정을 제외한 관측정의 70% 이상
에 해당한다.

Table 3-3-3 Monitoring network and hydrogeologic units.

관측정
구 분 비율(%) 지질시대 및 암상
설치갯수
수문지질단위 243 100.0 -
미고결퇴적물 89 36.2 제4기 충적층 : 점토,미사,사,역
다공질화산암 0 0.0 제4기 화산암 : 현무암,안산암,조면암
제4기 해성퇴적암 및 제3기 층군 : 반고결 천해성-비해성쇄설퇴
신기퇴적물 1 0.4
적암,화산암류
비다공질화산암 10 4.1 백악기 화산암 : 안산암,유문암,응회암, 현무암
관입화성암 74 30.9 백악기 불국사화강암, 쥬라기 대보화강암, 시대미상 화성
암: 화강암,섬록암,편상화강암, 중성반심성암,염기성심성암
백악기 경상누층군 및 쥬라기 대동누층군, 석탄-트라이아스기 평
고기퇴적암 25 10.3 안누층군 : 천해성-비해성 쇄설퇴적암
오도비스기 대석회암층군 : 해성 탄산염퇴적암, 쇄설퇴적암
석회암 3 1.2
협재
석탄-페름기 변성퇴적암, 캠브로-오도비스기 변성퇴적암, 옥천누
변성암 41 16.9 층군, 선캠브리아기 육괴 : 편마암,화강편마암,편암,각섬암,저
변성 퇴적암

(5) 토지이용별 지하수 관측정 현황


Table 3-3-4 는 관측지점의 토지 특성을 정리한 것이다. 토지의 사용은 관측정이 위치한 주
변 약 1km 정도 내에 주로 분포하는 토지의 용도를 기록한 것이다. 6개의 토지용도 분류를
적용하였으며, 가장 많은 것이 논과 도시주거지에 해당하며 약 83%를 차지한다.

Table 3-3-4 Location of monitoring network and land uses.


Landuse Rice Dry Residential Residential Industrial/ Unused
Total(%) field field (Urban) (Rural) Business land
154 50 25 33 30 4 12
100 32.5 16.2 21.4 19.5 2.6 7.8

- 64 -
(6) 지형경사별 지하수 관측정 현황
Table 3-3-5 는 관측 지점의 지형특성을 정리한 것이다. 지형의 경사는 관측정이 위치한 주
변지역의 평균적인 지형 형태를 고려하여 판단한 것으로서 4개의 형태로 분류하였다. 급경사
지역은 깊은 계곡 또는 산악이 분포하는 지역이며, 완경사 지역은 얕고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갖는 지역이며, 구릉지는 주변이 비교적 편평한 지형으로 싸여 있는 지역이며 평탄지역은 평
야 또는 평탄한 지역을 말한다. 평탄지역에 관측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논
지역이나 도시 주거지에 위치한 것이 많기 때문이다.

Table 3-3-5 Number of monitoring wells according to slopeness.

Slope
Total(%) Steep Moderate Hilly Flat

154 24 26 25 79
100 15.6 16.9 16.2 51.3

2. 지하수위 변동자료의 특성

가. 수위관측 자료의 변동 특성
지하수 관측소의 지하수 변동 특성은 일반적인 시계열 자료에서 볼 수 있는 아래 4가지 형
태로 나타나게 된다. 일반적으로 시계열 자료를 도표로 표현하면 매우 불규칙한 특성을 보임
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계열 자료를 토대로 미래의 변화 양상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는
몇 가지 가정을 전제로 자료의 단순화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시계열 변동은 아래
와 같이 4가지 패턴으로 분류한다.

ㅇ 추세변동 : 시계열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경향을 갖는 자료 특


성을 말하며, 과거의 일정기간 시계열 자료로부터 발견할 수 있는 추세변동의 형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선형함수 : T t = a o + a 1t

이차함수 : T t = a o + a 1t + a 2t 2
a 1t
지수함수 : T t = a oe , ln T t = ln a o + a 1t

로지스틱함수 : T t = c
a 1t
1 + a oe

역함수 : T t = a o + 1 t
a1
ㅇ 계절 변동: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갖고 동일한 현상이 반복되는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서, 호
우기와 갈수기 동안의 지하수 수위 변동 특성이 계절 변동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ㅇ 순환 변동: 시계열 자료가 추세를 중심으로 반복된 상승과 반복된 하강의 형태를 보이지만
주기적인 양상이 아닌 경우를 말한다. 계절변동의 계절성은 년, 월, 분기 등의 고정된 주기를

- 65 -
가지고 반복적 변동을 하는데 비하여 순환 변동의 순환성은 주기가 계절성보다 클 뿐 아니라
주기 자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기도 하는 특성을 갖는다.
ㅇ 불규칙 변동: 시계열자료가 상기 3가지 변동 특성으로 설명이 되지 않는 불규칙한 변동 양
상을 보이는 경우를 말한다.

국가 지하수 관측망 중에서 가장 긴 관측기간이 약 3년에 불과하므로 상기 변동 특성 중에


서 순환변동에 해당하는 것을 평가하기가 매우 어렵다. 즉, 순환변동은 순환성이 수 년 등과
같은 매우 장기적인 패턴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기존 관측소의 2~3년에 불과
한 관측자료를 토대로 순환 변동성을 판단하기는 곤란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세변동,
계절변동 및 불규칙변동을 나타내는 관측소에 대하여 그 현황을 정리, 분석하였다.
Table 3-3-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재까지 관측된 지하수 수위 관측자료를 변동 특성별로
나누면, 미약한 추세 변동과 계절변동을 동시에 나타내는 관측정이 약 75%를 차지하고 있어,
호우기 및 갈수기의 강우조건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음을 예측할 수 있다.

Table 3-3-6 Number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types.

구 분 해 당 관 측 정 개 소
추세 변동 4개소
추세 변동 + 계절변동 123개소
계절 변동 11개소
순환 변동 ※ 본 연구의 검토대상에서 제외
불규칙변동 + 추세 변동 25개소
주) 관측기간이 약 2년 이상 되는 163개 관측정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임

Table 3-3-7 은 관측기간이 2년 이하인 경우는 제외하고 3년~4년 정도의 관측 기간을 갖


는 한강유역권의 13개 암반관측정 및 12개 충적층관측정, 낙동강 유역권의 17개 암반관측정
및 15개 충적층 관측정, 금강 유역권의 9개 암반관측정 및 6개 충적층 관측정, 영산섬진강
유역권의 13개 암반관측정 및 10개 충적층 관측정 등 총 52개 암반지하수관측정과 43개의
충적층지하수관측정을 토대로 관측자료의 변동 특성을 통계 처리한 결과이다.
Table 3-3-7 은 각 유역권별로 해당 관측소의 일 관측자료를 토대로 각 관측소의 최대 수위
와 최소 수위 값의 차이를 분석한 것이다. 표준편차와 분산은 각 관측소의 수위 변동의 표준
편차와 분산을 토대로 분석한 것이다. 암반지하수관측정의 지하수 수위 변동이 충적층 지하수
관측정의 수위변동 보다 훨씬 크며, 표준편차의 평균값도 크게 나타난다. 암반관측정의 경우
최대 지하수위와 최소 지하수위의 차이가 약 3~4m이며 충적 관측정의 경우 약 2~3m에 해
당한다(금강 유역의 이상치를 제외). 이와 같은 사실은 암반지하수의 지하수위 변동이 충적층
지하수의 경우보다 큼을 지시하고 있다. 또한, 유역별로는 금강 유역에서의 지하수위 변동 폭
이 타 유역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 66 -
Table 3-3-7 Long-term level characterisitcs of monitoring network in each regional watershed.
최대 지하수위와 최저
지하수위의 차이 (m) 표준편차 분산
구분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평균 최대 최소
한강유역 3.41 8.27 1.08 0.45 0.83 0.23 0.22 0.69 0.05
암 반 낙동강유역 3.94 9.39 1.03 0.75 2.30 0.16 0.91 5.28 0.03
관측정 금강유역 8.46 41.82 1.94 1.70 8.84 0.18 9.51 78.09 0.03
영산섬진강유역 3.97 14.80 1.43 0.80 3.51 0.24 1.37 12.31 0.06
한강유역 2.73 5.44 1.02 0.44 0.90 0.18 0.23 0.81 0.03
충 적 낙동강유역 3.00 8.49 1.14 0.50 1.74 0.15 0.43 3.04 0.02
관측정 금강유역 4.12 10.32 1.64 0.81 1.97 0.20 1.08 3.88 0.04
영산섬진강유역 2.99 4.40 1.66 0.54 0.97 0.28 0.33 0.93 0.08

Fig 3-3-2 Maximum(red),


minimum(blue) and average(white) Fig 3-3-3 Bot plot results from maximum
difference of groundwater level changes and minimum groundwater level change
in each regional watershed. differences.

Fig 3-3-2 는 암반 및 충적층 지하수 관측정에서의 최대 및 최저 지하수위 변동 차이를


Box-plot로 나타낸 것으로서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암반관측정의 경우 25(부여 부여) 및
21(무안 무안)번 관측정에서 이상치를 보이고 있으며, 충적층 관측정의 경우에는 70(부여 부
여)번 관측정에서 이상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관측정에서는 타 관측정와 비교하여 지하수
위의 변동 폭이 이상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지역으로서 주변 지역의 대수층 현황 및 지하수 채
수 실태 등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

나. 수위관측 자료의 추세성 평가


지하수위 변동을 예측하는 방법에는 과거자료의 변동 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시계열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온 방법은 평활법으로서, 단순
이동평균법(Moving average) 또는 가중이동평균법(Weighted moving average) 등이 사용되어 진
다. 이 방법은 통계적인 개념을 적용하지 않고 단순한 사칙 연산 개념을 적용한 것으로 사용
이 간편한 장점을 갖고 있다. 시계열자료가 장기간에 걸쳐서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

- 67 -
는 경우에는 선형이동평균법, 선형추세법, 이중지수평활법, Holt의 선형지수평활법 등이 사용
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이 간편한 선형 추세분석법을 적용, 검토하였다. Fig 3-3-4 는 A
지역의 암반 지하수 관측정의 지하수위 변동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직선 회귀식은
y = 0.0006x + 16.027, R 2 = 0.1145 로서 계절 변동을 보이면서 지속적으로 지하수위가 미미하게
상승하는 지역이다. 여기에서 x축은 관측일수, y축은 지하수위 값을 의미한다. 또한, R-제곱은
선형 모형의 적합도에 대한 측도로서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라고 한다. 이 항목
은 회귀 모형으로 설명한 종속변수의 변동 비율이 된다. 범위는 0부터 1까지이고 값이 작으면
모형이 데이터에 잘 맞지 않음을 나타내고 1에 가까운 경우는 산점도에서 데이타들이 직선 주
위에 밀집되어 나타남을 의미한다. 지하수위 변동자료는 계절적인 변동성을 갖기 때문에 R-제
곱은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02

70
.01 44
105
10
53
109
3
5
296 138
201
118
131 141
0.00
67 186
210
155
174
125 207
66
12

-.01 81

87
지하수위 변동 기울기

-.02

-.03

-.04 92

-.05
N= 134 78

암반 관측정 충적 관측정

관측정 분류

Fig 3-3-5 Slope box-plot of groundwater


Fig 3-3-4 Example of groundwater level change level changes in bedrock and alluvial
in 3 years. aquifers.

Table 3-3-8 및 Fig 3-3-5 는 이상과 같이 구한 암반 및 충적층 관측정에서의 지하수위의 기


울기 값에 대한 통계 및 Box-plot을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부 지역의 지
하수 관측정(인천 하점(92번), 의령 봉수(87번))의 지하수위 변동 기울기가 이상치로 나타나
고 있다.

Table 3-3-8 Distribution of slopes of groundwater level change in bedrock and alluvial aquifers.
..(unit: m/day)
구 분 n 평균 최대 최소 표준편차
암반 관측정 134 -0.0002366 0.0113 -0.0407 0.0044503
충적층 관측정 78 -0.0001043 0.0043 -0.0041 0.0011473

Table 3-3-8 은 총 212개 지하수 관측정을 수문지질단위별로 분류한 후 각 수문지질단위별


로 각 관측정의 지하수위에 대한 변동 그래프 선형회귀식의 기울기 통계를 구한 결과이다.

- 68 -
Table 3-3-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반적인 지하수위 변동 자료의 추세는 +10-3 에서 -10-3
정도의 기울기를 보이는데 이는 약 1000일에 1m 정도의 지하수위 상승 또는 하강을 의미하
는 것이다. 본 지하수위 변동 기울기에 대한 분석 결과, 본 분석에서 도출된 정도의 수위 기울
기 및 변동은 강우량의 감소 등 자연적인 요인에 의하여 나타날 수 있는 범위라 볼 수 있으며
인위적인 지하수의 과다 채수 등에 의한 지하수위의 뚜렷한 상승과 하강은 나타나지 않는다
할 수 있다. 본 지하수위 변동에 대한 분석은 불과 3~4년의 짧은 관측자료를 근거로 수행되
었기 때문에 향후 보다 장기간의 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지하수위 변동에 대한 특성을 분석할
필요성이 있으며, 향후 이상치를 보이는 지하수 관측정 주변에 대해서는 주변의 대수층 특성,
양수 특성 및 토지이용 등에 대한 면밀한 조사, 분석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able 3-3-9 Long term trends in each hydrogeologic unit.


수문지질단위 분석대상 관측정 지하수위 추세선 기울기(m/day)
계 212 -
-4
미고결퇴적물 78 -1.04×10
다공질화산암 - -
신기퇴적암 1 -3.80×10-3
-3
비다공질화산암 10 1.55×10
-6
관입화성암 63 -6.98×10
고기퇴적암 25 3.98×10-6
-4
석회암 2 -5.50×10
-3
변성암 33 -1.27×10

3. 지하수 수질 변동자료의 특성

가. 지하수 수질 관측 현황
지하수 수질은 다양한 인자들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하여 나타나는 결과이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인자들은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으로서 2개의 부류로 대분된다. 광역적인 지하
수 수질에 있어서 자연적인 변화는 기후, 강우, 토양, 지층 분포, 지하수 유동 방향 등에 의하
여 나타나게 되며, 인간의 활동에 의한 수질의 변화는 토지이용, 폐기물 처리, 자원 개발, 농
업 활동, 산업 활동, 도시 개발, 지하 저장고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국가 지하수 관측정
에서의 지하수 시표 샘플링은 일년에 두 번 봄과 가을에 수행되었다. 최소한 약 3시간 정도의
양수 후에 지하수 시료를 샘플링 하였고 무균 병을 활용하여 실험실로 송부되고 가능한 한 빠
른 시간 내에 분석이 이루어졌다.
수질 분석 대상 항목은 아래 표와 같은 15개 항목이다.

- 69 -
Table 3-3-10 Water quality components and factors in trend analysis.
Analysed item Abbreviation Remarks
pH pH -
COD COD Do trend test
Count of Coliform group Coliform Do trend test
Chloride Cl Do trend test
Nitrate-Nitrogen NO3-N -
Cyan CN
Cadmium Cd
Arsenic As
Lead Pb
6+
Chromium Cr Generally not detected,
Mercury Hg so do not trend test
Phenol Phenol
Trichloroethylene TCE
Tetrachloroethylene PCE
Organophosphorus P

243개의 관측정 중에서 163개의 관측정의 지하수 수질을 대상으로 추세 분석을 실시하였
다(Table 3-3-11). 지하수 수질 분석이 1997년부터 수행되었기 때문에 1998년부터 수질 분석
이 이루어진 77개의 관측정들은 본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163개의 관측정 중에서 97개는 암
반 지하수 관측정을 대상으로 수행한 것이며 나머지 66개는 충적층 지하수 관측정을 대상으로
분석이 이루어 졌다.

Table 3-3-11 Description of quality analysis


Number of monitoring Quality analysis
Monitoring well Sampling periods
wells (Amount of data)
Deep well 97 8 times ‘97 ~ 2001
(or 6 times) ('98 ~ 2001)
8 times ‘97 ~ 2001
Shallow well 66 (or 6 times) ('98 ~ 2001)

나. 추세 분석 기법
각종 환경 및 지하수 인자에 대한 추세 분석 및 추세 판단에 사용되는 방법들을 Table
3-3-12 에 수록하였다. 첫 번째 유용한 방법은 변동 데이터를 그래프로 표현하는 것으로서 이
와 같은 그래픽 표현은 일반적인 추세 경향성과 주기성을 포괄적으로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사
용된다. 이 그래픽 방법은 통계적인 분석들을 수행하기 이전에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Table 3-3-1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추세 판단 기법들은 장단점을 갖고
있으며 이들 장단점 및 적용 대상을 숙지한 후 해당 기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 70 -
Table 3-3-12 Methods and applicability of trend analysis.
Methods Applicability Notes
Graphical
Method Graphic display of trend No quantifiable results
Allows quantified estimate of influence of multiple
Linear Provides a Slope estimation, independent variables.
Regression confidence interval. Does not handle missing data.
Method Quantifies goodness of fit. Does not handle BD measurements.
May be greatly affected by outliers and cyclic data
Box-Jenkins Test for trends in long term Requires large data set.
Time Series
Model with regularly spaced data Requires constant temporal spacing of data set.
Allows missing data.
Estimates value and con-
Sen's Test fidence interval for slope Makes no assumptions on distribution of data.
Does Not affected by gross data errors and outliers.
Allows missing data.
Mann-Kendall Yes/No test for existence Allows reporting of levels BD
Test slope
Does Not affected by gross data errors and outliers.
Seasonal Allows missing data.
Yes/No test for existence Allows reporting of levels BD
Mann-Kendall slope with seasonal variation Does Not affected by gross data errors and outliers.
Test
Consider the seasonal variation

관측자료가 이상치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누락된 자료가 있는 경우 또는 값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등에는 시계열 분석 방법을 적용하는데 다소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지하수
수질자료와 같이 비정기적이면서 이상치들이 자주 나타나는 자료에 대해서는 비모수적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추세판단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비모수적 방법 중에서 환경인자에 대하여
주로 적용하는 기법은 Sen's test 또는 Mann-Kendall test 등이 있다.

다. Sen's Test를 활용한 지하수 변동 분석


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관할구역내의 지난 수년간의 지하수위 또는 수질
측정자료에 대한 자료를 최대한 많이 수집하여 지점별로 분류하여야 한다. Sen's Trend
Estimator를 계산하기 위하여, N ' slope estimator인 Q 를 각각의 관측정에 대하여 구하여야 한
다.
x i' - x i
Q=
i'-i
여기에서, x i' 및 x i 는 관측 시점 i' 및 i 에서의 측정 농도를 말한다. 이 경우 i' > i 이며,

N ' 는 i' > i 인 데이터 쌍의 개수이다. Q 에 대한 N ' 값들의 중앙값은 Sen's Trend Estimator이라
고 한다(이는 즉, 농도회귀선에 의한 시간의 기울기 : Slope of the time by concentration re-
gression line). 관측 시점 당 한 개의 측정값이 있는 경우에는,
n( n - 1)
N'=
2
이 되고, 여기에서 n 은 관측 시점의 개수를 의미한다. Q 의 중앙값(여기에서는 S 라고 함)을
얻기 위하여, Q 의 N ' 값들은 가장 작은 값에서부터 가장 큰 값으로 나열되어야 한다(즉,

- 71 -
Q 1≤Q 2≤.....≤Q n - 1≤Q n 이 된다). 또한, 중앙기울기(Median slope)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
다.
S=Q [ ( N ' + 1)/2] if N ' is odd

Q [ N '/2] +Q [ ( N ' + 2)/2]


S= if N ' is even
2
0의 기울기를 갖는 Null 가정을 검증하기 위하여(이는 추세성이 없는 것을 의미함), 실제
기울기에 대한 낮은 쪽의 ( 1 - α ) 100% 신뢰구간을 계산한다. 신뢰구간을 계산하기 위하여,
S 의 분산에 대한 추정이 필요한데, Gilbert(1987)는 Kendall(1975)의 추정자를 사용하기를
제안하였다. Kendall의 추정자는 10개 이하의 작은 개수의 시료인 경우에 사용될 수 있고, 동
일한 측정값이나 비측정치가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분산추정치(Variance Estimate)는 아
래와 같이 주어진다.
q
1
var( S) =
18 [
n( n - 1)( 2n + 5)- ∑ t p ( t p - 1)( 2t p + 5)
p= 1 ]
여기에서, q 는 동일값으로 구성된 값의 개수를 의미하며, t p 는 동일한 값들의 수를 의미한
다. 근사 정규 이론 낮은 부분의 신뢰구간(approximate normal theory lower confidence limit)은
Q 의 M 1 번째의 가장 큰 값이 된다. 여기에서 M 1 은,

N'-Z 1-α [ var( S)] 1/2


M1 =
2
이다. 여기에서, Z 1 - α는 정규분포곡선에서 ( 1 - α ) 100% 지점을 의미한다(즉,

Z .95 = 1.645 ). S 에 대한 높은 쪽의 신뢰구간(higher confidence limit)은 Q 의 ( M 2 + 1) 번째의


가장 큰 값에 의하여 주어진다. 여기에서 M 2 는 다음과 같다.
1/2
N'+Z 1-α [ var( S)]
M2 =
2
이상 M 1 및 M 2 는 상기에서 순서대로 나열된 관측값의 순서를 의미하며 하부의 M 1 및

상부의 M 2 번째 관측값 사이에 나타난 추정자가 0을 갖으면 추세가 없고, 0이 아닌 경우 추


세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라. Mann-Kendall Test를 활용한 지하수 변동 분석


Sen's Test 방법과 마찬가지로 Mann-Kendall Test(일명 Kendall's Test)도 분포에 대한 특정한
가정은 없으며, 결측자료(또는 Nondetects)나 불규칙한 측정간격 등이 모두 허용된다. 일반적으
로 지하수 수질 데이터의 경우 시료의 분석에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1년에 수회 정도만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하수 관측망의 경우에도 수질분석의 횟수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으며 이들 제한된 수질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질 변동성을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십
개(약 40개) 이하의 수질 데이터를 활용하여 수질 변동의 추세성을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본
Mann-Kendall Test가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첫째로 관측 날짜순으로 자료를 정렬한다
: x 1,x 2,......,x n , 여기에서 x i 는 i 번째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둘째로 두 관측치간의 N '

- 72 -
개의 차이 값( x i ' -x i , 여기에서 i' > i 이다)에 대한 부호를 기록한다. 예를 들면,

 1 : if x i ' - x i > 0 
sgn( x i ' - x i ) = 0 : if x i ' - x i = 0
 1 : if x i ' - x i < 0
이다.
Table 3-3-13 은 Mann-Kendall Test를 수행함에 있어서 각 관측 값들의 차이를 계산하여 정
리하는 방법을 수록한 것으로서 우측 하단의 “SUM of +" 및 ”SUM of -"를 토대로 추세성을
판단한다.

Table 3-3-13 Mann-Kendall Test method.


Measurement ordered by time
x1 x2 x3 ... x(n-1) x(n) No. + No. -
x2-x1 x3-x1 ... x(n-1)-x1 x(n)-x1
x3-x2 x(n-1)-x2 x(n)-x2
.... ....
x(n-1)-x(n-2) x(n)-x(n-2)
x(n)-x(n-1)
Sum of + Sum of -

상기 Table 3-3-13에서 정리된 자료를 토대로 Mann-Kendall test statistics는 다음과 같이 계산


된다.
n-1
S= ∑ ∑ sgn(x i ' -x i )
i= 1 i ' = k +1

이 값 S는 두 값의 차이가 양의 경우인 개수에서 음의 경우인 개수를 뺀 것이다. S 및 n


의 값과 S = 0 (증가하는 추세성이 없음을 의미하는 경우임 : No increasing trend)인 검증을 위
하여 Kendall의 확률 표를 활용한다. 마찬가지로 환경복원 등의 사업이 이루어진 후 수질 환경
복구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질 악화 추세가 감소하는 지에 대한 검증도 가능한데, 이
때는 S < 0 으로서 부호가 뒤집어 진다.

마. 국가 지하수 관측망의 수질자료를 활용한 추세 변동 분석 결과

(1) 추세 분석 결과
국가 지하수 관측망의 163개 관측정의 수질 분석 자료를 대상으로 Sen's test와
Mann-Kendall test를 수행하였다. 대상 관측정은 97개의 암반 관측정과 66개의 충적층 관측정
으로서, 수질 분석 횟수는 관측정별로 6 또는 8회씩 이루어졌다. 69의 관측정에 대해서는 6
회, 94개의 관측정에 대해서는 8회씩 수행되었다. Table 3-3-14 는 163개의 관측정을 대상으
로 15개 수질 분석 항목중 지속적으로 분석 값이 구해진 4개 항목(대장균군수, 염소, COD
등)의 추세를 분석한 결과이다. 첫번째 표는 Sen의 방법에 의하여 분석된 추세 관측정의 갯수
와 비율을 나타내었고, 두번째 표는 Mann-Kendall의 방법에 의하여 분석된 결과로서 다음과 같

- 73 -
은 사실을 추정할 수 있다.

(a) Mann-Kendall method에 의한 추세 분석 결과가 Sen's method에 의한 추세 분석 결과보다


추세성을 더 많이 보인다는 판단을 하게 한다.
(b) 대장균군수는 과거 수 년 동안 암반지하수 관측정과 충적층 지하수 관측정에서 공히 감소
하는 경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우 뚜렷한 특성을 보인다.
(c) 염소는 여러 지역에서 증가하는 추세성을 강하게 보이고 있다.
(d) COD는 두 가지 방법 공히 감소하는 경향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 증가
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e) 각각의 항목에 대한 추세성 분석 결과 암반지하수 관측정과 충적층 지하수 관측정에서 공
히 유사한 변화 특성을 보이고 있다.

Table 3-3-14 Result of trend analysis of 4 components in 163 stations.


(a) Sen's test의 결과
Total wells Deep wells Shallow wells
구 분
Coliform Cl COD Coliform Cl COD Coliform Cl COD
MWs with upward trends 0 22 3 0 10 3 0 12 0
MWs with downward trends 39 3 10 19 1 7 20 2 3
Total MWs with trends 39 25 13 19 11 10 20 14 3
% of MWs with upward trends 0.0 88.0 23.1 0.0 90.9 30.0 0.0 85.7 0.0
% of MWs with downward trends 100.0 12.0 76.9 100.0 9.1 70.0 100.0 14.3 100.0
% of upward of total MWs 0.0 12.5 1.8 0.0 6.1 1.8 0.0 7.4 0.0
% of downward of total MWs 23.9 1.8 6.1 11.7 0.6 4.3 12.3 1.2 1.8

(b) Mann-Kendall test의 결과


Total wells Deep wells Shallow wells
구 분
Coliform Cl COD Coliform Cl COD Coliform Cl COD
MWs with upward trends 0 28 3 0 16 3 0 12 0
MWs with downward trends 49 4 10 24 2 7 25 2 3
Total MWs with trends 49 32 13 24 18 10 25 14 3
% of MWs with upward trends 0.0 87.5 23.1 0.0 88.9 30.0 0.0 85.7 0.0
% of MWs with downward trends 100.0 12.5 76.9 100.0 11.1 70.0 100.0 14.3 100.0
% of upward of total MWs 0.0 17.2 1.8 0.0 9.8 1.8 0.0 7.4 0.0
% of downward of total MWs 30.1 2.5 6.1 14.7 1.2 4.3 15.3 1.2 1.8

추세성을 보이는 관측소들의 토지 이용 특성을 파악한 결과 Table 3-3-15 와 같다. 항목별


로 추세성을 보이는 관측정 중에서, 논 및 밭 등의 토지용도 지역에서는 대장균군수가 현저하
게 줄어드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택지역의 경우에는 대장균군수
가 현저하게 줄어든 반면에 염소이온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농업 활
동에 있어서 재래식 퇴비 등의 사용이 줄어들고, 도시화가 진행되는 등의 요인에 의하여 발생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74 -
Table 3-3-15 Correlation and trend in land uses of monitoring stations.
항 목
대장균군수(+) 대장균군수(-) 염소(+) 염소(-) COD(+) COD(-)
토지이용특성
계 0 39 22 3 3 10
논 - 13 8 2 - 1
밭 - 7 4 1 - 2
주택지역(도시) - 7 8 - 1 3
주택지역(면) - 6 1 - 2 3
주택지역(마을) - 1 - - - -
공단 지역 - 2 - - - -
나대지/기타 - 3 1 - - 1

(2) 해석의 한계점


Sen's test의 경우, 결측자료가 매우 많은 경우에는 그 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매우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그 결과도 신뢰도가 낮다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결측치가 거의 없
는 것으로 나타나 본 기법 적용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Sen's test의 경우 Non-Detect 자
료가 전체 관측 횟수의 (n-1)/2 보다 적은 경우에도 사용이 될 수 있으나 신뢰구간의 결정시
한계를 보이는 단점을 갖고 있다. Gilbert (1987)는 Kendall (1975)의 추정자 S의 사용이 샘
플의 수가 적은 경우(n≤10)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Ties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사용
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정 운영 기간이 짧은 관계로 사용된 관측 횟수가 6
또는 8회로서 충분한 양은 되지 못하였지만, 향후 수년 후에 더 많은 관측자료가 활용된다면
보다 신뢰도가 높은 추세성 분석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지하수 자료로부터 추세성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주의를 요하여야 한다. 광역적인 지하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많은 광역
적인 인자들 외에도 관측 지점의 특별한 요인이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계절적인 영향, 지하수
유동성의 변화, 불규칙한 강우 패턴 등이 이와 같은 수질 인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관측자료는 수년간에 걸친 지하수의 변동을 판단하게 하는 주요한
인자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 75 -
제 4 절 모델링을 이용한 지하수 평가기법연구

지하수 자원 평가 코드 및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지하수 유동방정식과 용질 거동 지배 방


정식을 해석적, 수치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풀게 된다. 경계조건이 복잡한 경우에는 유한요소
법, 유한차분법, 해석요소법 등의 수치적인 방법이 유리하며, 유한 요소법은 유한 차분법이 경
계가 불규칙하거나, 불규칙한 격자의 표현이 어려운 단점이 있기 때문에 개발된 것으로, 다소
유한 차분법보다는 이론적으로 이해하기 어렵고 역사가 짧아서 실용화가 미미한 상태이다. 해
석요소법은 해석요소들의 중첩을 통하여 종합적인 해를 구성함으로써, 지하수 흐름상태를 규
명하고자 하는 방법인데, 구현하기가 쉽고 규모에 의존적이지 않은 장점이 있지만, 해석요소들
의 개발이 어려운 관계로 수치해에서 다룰 수 있는 3차원적인 현상을 표현하는데 있어서는 다
소 무리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대표적인 유한차분법, 유한요소법, 해석요소법 프로그램을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개연성
있는 문제를 가지고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각각의 평가기법들간을 비교하여 보았다. 첫 번째로
유한차분법 프로그램으로는 USGS의 MODFLOW을 이용하였는데, 이 프로그램과 최근의 모델
링 기법에서 주목받고 있는 추계론적(stochastic)인 기법 연계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두 번째
로 유한요소법 프로그램으로는 HYRUS2D프로그램을 활용하였는데, 포화대 및 불포화대를 아
우를 수 있는 유용한 도구이다. 마지막으로 해석요소법프로그램인 MLAEM을 이용하여 실제현
장에 적용하여 보았다.

1. 지구통계학적 모델링(유한차분법의 적용)

지하수 모델링에서 수리지질학적 변수들에 대하여 불완전한 지식 때문에, 모델결과에 대하


여 확신을 가질 수가 없다. 대수층의 수리전도도, 함양량 등에 대한 공간적 분포를 얻을 수가
없는 이유로 불확실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지구통계학적 모델링 접근방법에서는 결정론
적 방법과는 달리 모델의 변수들은 어떠한 값에 대한 확률분포로 묘사한다.
난수 발생프로그램(field generator)에 의하여 수평수리전도도를 로그노말(lognormal)로 분포시키
는데, 평균값은 3.4×10-4m/s를 사용하였고, 표준편차는 0.5, 상관길이(correlation length)는
60m를 사용하였다.
오염된 지하수를 뽑아내기 위하여 양수정을 만들어 포획지를 유도하게 되는데, 양수량이 오염
운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양이 되어야 한다. 수리전도도의 불균질성을 고려하여 포획지 분석
을 수행하였다. 수리전도도의 불균질성에 의하여 항상 유도된 포획지가 적합하게 나오지는 않
는다. 안전율을 전체오염지역에 대한 커버되는 지역의 비율로 정의하게 되면 지구통계학적 모
의과정에 의한 안전기준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난수 발생프로그램(field generator)에 의하여 대상지역에 수평수리전도도를 로그노말로 분포시
키고 MODFLOW와 MODPATH를 실행시켜 포획지를 계산한다. 결과적인 안전율은 몬테카를로
모의과정을 통하여 얻는다. 많은 수리전도도의 발생과 그에 따른 흐름계산이 수행된다. 각각의
재현과정에서 나타나는 안전기준은 매번의 재현과정에서 얻어지는 안전율들의 평균값으로 나
타날 수 있다. 재현과정이 반복될수록 어떤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게 되었을 경우에 이 수렴

- 76 -
값을 해당 양수정에 대한 적절한 포획지 결정 안전기준이라고 말할 수 있게 된다.
Fig 3-4-1 은 모델 구성 및 경계조건을 표현한 것이다.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일정하게 지하
수위가 분포되게 하였고, 오염지역과 오염지역에서 흘러나오는 오염운을 포획하기 위한 양수
정을 지하수흐름의 하류지역에 위치시켜서 뽑아내려고 한다. 난수발생프로그램에 의거하여 재
생된 수평수리전도도에 의하여 형성된 지하수위 분포와 속도벡터를 나타낸 것이 Fig 3-4-2 이
다.

Fig 3-4-1 Modeling domain and boundary Fig 3-4-2 Groundwater level and velocity
conditions. distributions.

Fig 3-4-3 First realization and capture zone.

- 77 -
Fig 3-4-3 은 첫 번째 재현과정에서 얻어진 포획지를 MODPATH로 모의한 것이며, 오염운
을 포획할 수 있는 안전율이 65%로 계산되었다. 위와 같은 식으로 안전율을 구하게 되면, 해
당 오염운에 대한 매질의 수리전도도의 불균질성을 지구통계학적 방법에 의하여 재생할 수 있
으며, 결정론적인 모델링 방법에 대한 불확실성을 보전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으로 생각된다. Fig 3-4-4 는 양수율은 0.012로 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포획지를 모의한 것으
로, 10번의 모의과정에서 대표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10회의 모의결과 안전율은 10%이
하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Fig 3-4-5 는 양수율을 0.12로 10배 증가했을 경우에 10회의 모
의과정에서 나타나는 포획지를 대표적으로 나타낸 그림이다. 이 경우에 나타나는 평균 안전율
은 42%로 계산되었다.

Fig 3-4-4 Capture zone at 0.012 discharge rate.

- 78 -
Fig 3-4-5 Capture zone at 0.12 discharge rate.

2. 하천으로의 오염물 이동모델링(유한요소법 적용)

토양과 지하수 오염은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문제이다. 독일, 미국등지에서는 매년


지하의 오염을 방지 및 처리하기 위하여 수백억 달러의 비용이 들어가고 있다. 대부분의 지하
의 오염은 불포화대에서의 지하수와 토양과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발생한다. 불포화대에서의
물의 이동 및 오염물의 이동에 대한 연구는 오염의 방지 및 처리과정에 있어서는 필수적이다.
수치모델링은 이러한 불포화대에서의 물의 이동 및 오염물 이동과 관련한 복잡한 문제를 분석
하는데 중요한 툴을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불포화대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은 수문학적 시스템의 물이 지하로 스며들어 가는 최초
단계이며 지표와 지하수면에서의 여러 과정들이 포함되게 된다.
HYDRUS프로그램은 불포화대와 포화대의 지하수의 흐름 및 오염물 이동 현상을 모사할 수 있
는 코드로서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모델링 프로그램 중
의 하나이다. HYDRUS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불포화대에서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1) 1차원적인 수직흐름 Richards 방정식


  
         
  
(2) 열의 이동 방정식
     
        
   
(3) 오염물의 이동방정식
     
       
   

- 79 -
불포화대 및 포화대에서의 물이 강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모사하기 위하여 다음의 4단계로
구성하였다.

가. 1단계 - 강으로의 물의 흐름
도메인은 2차원의 수직단면으로 가로 50m 세로 5m의 영역을 상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모양으로 유한요소를 구성하였다. 시간단위는 일, 마지막 시간은 100, 처음 시간단계는
0.001, 최소시간단계는 0.00001, 최대시간단계는 5이다.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은 1일, 5일,
10일, 25일, 50일, 100일로 설정하였다. 해를 구하기 위한 반복기준은 수분함량한계를
0.0005, 압력수두한계를 1, 텐션구간의 최소, 최대한계를 각각 0.001, 1000으로 하였다. 토
양은 Loam으로 1989년 Carsel이 제시한 변수들을 인용하였다.

Fig 3-4-6 Finite element meshes. Fig 3-4-7 Boundary conditions.

경계조건은 다음 그림과 같이 왼쪽과 오른쪽은 일정수두조건으로 하였고, 강에 해당되는


곳에도 고도에 맞게 일정수두를 가하였다. 나머지 영역은 모두 무흐름 조건과 강 왼편에는 침
출수 경계조건을 걸어주었다.
고도에 따른 비례적 압력수두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1단계 흐름모형을 모사한 결과 100일
후의 압력수두분포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Fig 3-4-8 Pressure head distributions.

- 80 -
압력수두가 0인 지점이 지하수위가 되고, 강에 해당되는 부분과 지하수위가 만나는 지점에
서 강의 수위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나. 2단계
1단계의 모사가 끝난후 일정한 지표면 x=16-17m되는 지점에서 물이 주입된다고 할 때,
시간에 따른 압력수두분포는 다음과 같다.

t = 0 t=5

t=10 t=100
Fig 3-4-9 Pressure distributions as time.

다. 3단계
위 2단계의 함양지에서 오염물이 들어간다고 주입되었을 때를 가정하였다. 확산계수는 3,
종분산계수는 10, 횡분산계수는 1, 오염물의 주입은 펄스형태로 3형의 경계조건을 적용시켰
다.

t = 0 t=5

t=10 t=100
Fig 3-4-10 Contaminant infiltration as time.

- 81 -
라. 4단계
100일이 지난 다음 초기시간 100일, 마지막 시간 1200, 초기 시간단계 0.001, 최소 및
최대 시간단계는 각각 0.001, 0.00001을 적용하였고, 3단계에서 형성된 수두분포와 오염물
분포를 초기조건으로 하여 연속해서 모의를 수행하였다. 여기서 경계조건을 변화시켰는데, 침
출경계조건과 왼쪽경계면 사이 및 하천과 오른쪽 경계면 사이를 0.05cm/d의 일정한 물을 공
급해주었을 경우를 모사하였다.
100일째까지 주입되었던 오염물을 차단했기 때문에, 오염운(plume)이 형성되어 지하수흐름
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잘 볼 수 있다. 시간에 따라 농도가 점점 옅어 지면서 지속적으로 확
산 및 분산, 이류과정에 따라서 하천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지하수위의 흐름에 따라 900일정도
의 시간이 흐른 뒤에 모두다 하천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오염물질이 토양
및 지하수 환경에서 소멸기작이 발생하지 않고 보존성으로 이동할 때의 모습이며, 실질적으로
생화학적 반응에 의한 생성 소멸, 토양과의 상호작용(흡착 및 탈착) 등의 요인에 따라서 달라
질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달리 모사를 할 필요가 있다.

t=100 t=600

t=200 t=700

t=300 t=800

t=400 t=900

- 82 -
t=500 t=1000

concentration
Fig 3-4-11 Contaminant transport into a stream.

3. 해석요소법을 이용한 광역적 지하수 흐름 모델링

해석요소법은 2차원 혹은 3차원상에서의 지하수 유동을 모델링 하는 기법중의 하나이다.


이 방법은 대규모의 광역적인 지하수 흐름을 모사하기에 적합하다. 해석요소법을 유성온천지
구에 적용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영역의 지도를 구하였다. 관심영역은 box로 표시된 부분인
데, 강이나 강수량이 그 영역에 미칠 수 있는 경계영향을 포함시키기 위하여 그 이상의 영역
을 포함하여 모의하였다. 사용한 해석요소법 프로그램은 Strack이 개발한 MLAEM_2이다.

Fig 3-4-12 Regional domain. Fig 3-4-13 Interested domain.

강에 해당되는 부분은 고정수두 경계조건을 적용하였으며, 라인상에 control point를 그 지점


에 맞는 수위로 환산하여 표시하여 주었다. 강이 위치하고 있는 평지는 대체로 해발고도로
50m내외 지점이어서 대체적으로 50m보다 2-3m정도 낮은 위치에서 수위가 잡히므로 이 값
들로 지하수위를 대체시켰다.
유성온천지대의 지질은 주로 중생대 복운모 화강암으로 구성되며, 이를 석영반암 및 석영
맥 등이 관입하였다. 복운모 화강암의 구성광물은 주로 석영, 장석, 견운모, 흑운모 등이며,
조직은 중립 내지 조립질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소에서 지하수위 변화패턴을 가지고 구한 투

- 83 -
수량계수는 유성관광호텔은 40-72m2/day, 계룡스파텔은 55m2/day, 삼화장은 23m2/day
인데, 공의 깊이로 각각을 나누어 수리전도도를 구하면, 유성관광호텔은 0.1-0.2m/day이며,
계룡스파텔은 0.19m/day, 삼화장은 0.11m/day이 구하여 진다. 다음과 같은 Domenico와
Schwartz에 의하여 제시된 풍화화강암의 수리전도도 범위에 포함되는 값이다. 먼저
0.15m/day의 수리전도도로 모의를 시도하였다.
영역내 존재하는 온천공 현황은 Table 3-4-1 에 나와 있다. 허가량을 가지고 수두를 모사하
였다. 대수층의 두께는 온천공의 깊이가 350m이내에 분포하는 것으로 350m로 하였으며, 그
이상의 두께를 변화시켰으나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두께에 대한 영향은 무시하였다. 공극률
은 0.1의 값을 주었고, 이에 따른 수두의 분포는 Fig 3-4-8 에서 Fig 3-4-9 에 나타나 있다. Fig
3-4-14 는 순서대로 넓은 영역에서 관심의 영역까지 돋보기로 들여다보듯이 확대시켜 나간 그
림이다.

Table 3-4-1 Well inventories of Yuseong district in 2001.

업소명 온도(℃) 심도(m) 허가량(톤/일)


리베라호텔 42~52 254~300 1,586
유성관광호텔 28~58 300~350 1,880
홍인관광호텔 27~41 300~325 671
아드리아호텔 43 300 496
대온장 29~48 320 335
경하장 37 309 420
군인휴양소 51 100~285 630
신성장 31 350 235
삼화장 36 200 192
불노장 33 284 310
유진장 32 310 192
유성파크 49 300 264
상아장 32 300 65
청수장 30 350 67
뉴서울원탕 30 250 100
동아장 29 120 192
동아오피스텔 34 100 150
온천관광호텔 39 300 496
무궁화관광호텔 32 320 384
계 8,857
* 자료: 유성구 온천개발사업소(로얄관광 1개공 위치 불명, a: 폐공, b: 봉인조치)

- 84 -
Fig 3-4-14 Regional domain into interested domain.

Fig 3-4-15 에서 Fig 3-4-17 은 관정에 포획되는 path를 표시한 것으로 관정으로 들어가는 처
음부분이 포획지라고 할 수 있다. 이 모의에서 리베라 호텔과 유성관광호텔의 관정은 강물(유
성천)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 3-4-15 Capture zone made by 1 well.

- 85 -
Fig 3-4-16 Capture zone made by 2 wells. Fig 3-4-17 Capture zones made by wells in
Yuseong district.

대수층의 수리전도도는 공간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수리전도도에 따른 지하수위변화를 고려


해 볼 필요가 있다. 강우에 의한 함양이 우리나라의 1년 평균 강수량이 1200mm라고 하였을
때, 그 중 10%에 해당하는 양만이 함양된다는 가정하에 이와 같은 모의를 수행하였다.

Table 3-4-2 Groundwater level variations as hydraulic conductivity.


K 리베라 유성관광호텔 온천사업소 계룡스파텔
0.05 -116.63 -107.78 -75.09 -33.26
0.075 -42.43 -40.23 -36.52 -2.52
0.09 -23.78 -23.78 -20.26 4.30
0.1 -20.92 -25.98 -13.77 13.26
0.15 -2.40 2.44 8.43 21.44
0.2 16.65 11.95 18.80 26.22
1 39.49 39.60 39.66 41.99
5 44.52 44.61 44.42 44.81
10 45.24 45.09 45.01 45.20

60.00

40.00

20.00

0.00

-20.00
지하수위

-40.00

-60.00

-80.00 리베라
유성관광호텔
-100.00
온천사업소
-120.00 계룡스파텔

-140.00
0 2 4 6 8 10 12

수리전도도

Fig 3-4-18 Groundwater level variations as hydraulic conductivity.

- 86 -
이 그래프를 보면 수리전도도가 1보다 작을 때는 무척 민감하게 지하수위가 반응함을 알
수 있다. 풍화된 화강암이나 결정질 화강암에서는 1보다 작은 수리전도도가 예상되기 때문에
실제지하수위에 calibration하는 작업이 앞으로 꾸준히 요구 된다고 할 수 있다.

4. FDM, FEM, AEM의 비교

유한차분법, 유한요소법, 해석요소법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을 개연성있는 가상의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모의하였고, 이들 수치적인 방법들간의 비교분석을 Table 3-4-3 에 요약하여 보았다.
각각의 수치적인 방법들은 컴퓨터의 성능과 기법의 혼합적 양상을 가짐으로서 서로의 장단점
을 공유하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현장을 얼마만큼 특성화할 수 있는가가 모델링기법을 적용
하는데 있어서 성공의 열쇠이다.

Table 3-4-3 Comparisons among FDM, FEM, AEM.

장 점 단 점 용 도
․개발역사가 길다 ․사각형 격자를 사용하기 때
․이론적으로 이해가 쉬움 문에 정확한 경계를 표현하는 ․지하수 흐름
․프로그래밍이 상대적으로 데 어려움 ․화학반응을 포함한 용질
쉽다(개발된 프로그램이 많 ․불규칙한 간격의 격자를 도 이동
유한차분법 음). 입하기 어렵다. ․해수침투 등 다공질 매질
․Solver의 적용시 수렴성이 ․경계조건을 형상화하기 위해 에서의 지하수 거동 모의
좋음 여분의 grid가 필요하다. 및 거의 모든 분야에 고루
․전체적으로 신뢰성이 있 ․tensor개념을 표시하는데 불 적용
음. 편하다.
․뷸규칙한 단열 시스템에
서의 지하수의 흐름 및 거
․불규칙한 경계를 표현하
동해석
기가 유리하다. ․자료를 입력하기가 어렵다.
․용질 이동
․이송 확산방정식에서 해 ․프로그램밍 하기가 어려움
유한요소법 ․수면의 위치(상부 경계)
가 유한차분법보다 안정 ․Solver의 적용시 수렴성이 좋
가 미지인 지표하의 단면이
․경계조건을 형상화하기가 음
나 형상을 통과하는 흐름분
쉬움

․구조역학적 문제
․광역지하수 흐름,
․해의 정확성 ․부정류 흐름에서는 지극히
․포획지 분석,
해석요소법 ․모델구현이 쉬움 제한적
․GIS소프트웨어와 접목이
․규모의 비의존성 ․해석요소의 개발이 어려움
쉬움.
․해의 정확성 ․특수 환경에서의 지하수
해석해 ․특수 환경에서만 사용
․계산속도가 빠름 의 거동

- 87 -
5. 하천유량 수문곡선을 이용한 지하수의 하천유출량 및 함양량추정

하천 유량 수문곡선을 이용하여 지하수의 함양량을 산정 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개발


된 모델은 성공적으로 현장에 적용될 수 있으며, 어떠한 대상유역의 지하수 자원의 평가에 유
용한 도구가 된다. 기저유출분리방법들에 대하여 분석 및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도록 모델을
구성하여 보았다. 적용결과 그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활용성도 클 것으로 기대한
다. 단지 모델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가정들은 묵과되어서는 안 된다. 하천이 대수층에 완
전 관통해 있다거나 대수층이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투수량계수, 저류계수가 일정하면서, 증
발산이나 심부지층으로의 손실량, 인위적인 지하수 양수에 의한 지하수 손실 등이 없다고 하
는 가정들은 적용시 상당히 주의해야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을 광역적인 규모의
지하수 함양량을 평가하고자 할 때나, 혹은 여러 해, 수십 년 이상의 자료에 대하여 적용하였
을 경우에는 유용하리라고 사료된다. 특히, 하천유량 곡선의 체계적인 분석은 지하수와 지표수
(하천)의 상호관계의 출발점에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가. Graphical method에 의한 기저유출분리


전형적인 유량수문곡선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강우히스토그램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유량수
문곡선의 첨두(crest)에 이르는 시간을 지체시간(lag time)이라고 하고, 한 유역에 있어서 최고
먼 지점에 있는 곳에서 측정지점까지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유량이 증가
하기 시작한 때부터 직접유출이 끝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기저시간(base time)이라고 한다.
유량수문곡선의 주요부분은 증가부(rising limb), 하강부(falling limb), 첨두(crest)로 구성된다.

Fig 3-4-19 Components of discharge hydrograph.

수문곡선은 2개의 주요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기저유출과 storm 유출부분이다. storm에 해


당되는 부분은 직접유출이라고 하며, 토양에 의해 흡수되는 강우가 과다하게 되었을 때 발생
하게 된다. 강우가 시작하고 직접유출의 최대 첨두까지의 지체시간과 직접유출의 감쇠패턴은
강우형태와 유역특성에 좌우된다. 그러한 관계성을 밝히고자하는 시도가 많이 되었는데,
NRCS TR-20과 HEC-I, HEC-HMS, HEC-RAS등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이 과다 강우와 직접유출을

- 88 -
관련시키고 있다.
기저유출은 지하수로부터 하천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의미한다. 하천은 지표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직접유출과 지하수로부터 공급되는 기저유출로 구성되며, 강우가 계속되는 동안에는
직접유출이 전체유출량에 큰 부분을 차지하나 강우가 그친 다음에는 기저유출이 대부분을 차
지한다. 따라서 총유출은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의 합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물수지에 의하면 기저유출은 함양된 지하수가 하천으로 유출되는 양이므로 유량수문곡선에
서 기저유출을 구하게 되면 간접적인 함양량을 산정할 수가 있다. 기저유출은 산정하기 위해
서는 수문곡선을 직접유출과 기저유출로 분리해야만 하는데, 다음과 같은 기준에 의하여 분리
한다.

나. Constant discharge method


기저유출은 하천수위와 무관하게 일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일반적으로 storm이 발생하기 직
전의 최소값으로 수평으로 나눈다. 이 방법은 자동화하기가 편리한 반면, 직접유출에 대한 각
각의 storm의 유량에 따라서 time base가 달라지며, 매우 길다는 단점이 있다.

다. Constant slope method


수문곡선의 감쇠곡선의 변곡점과 수문곡선의 상승시작점까지 잇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기
저유출이 storm의 시작 전에 시작을 한다는 가정을 하고, 변곡점을 정할 때 임의적이다.

Fig 3-4-20 Constant discharge method. Fig 3-4-21 Constant slope method.

라. Concave method
이 방법은 기저유출이 하천유량이 storm 수문곡선의 최고 정점까지 증가할 때까지도 계속
감소하고 나서 기저유출은 감쇠곡선의 변곡점을 만날 때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한다고 가정한
다. 변곡점을 구하는 대신 직접유출이 끝나는 지점을 Fig 3-4-23 과 같이 계산하여 잇는 방법
도 있다.

- 89 -
Fig 3-4-22 Concave method. Fig 3-4-23 D-day concave method.

마. Depletion curve method


이 방법은 지하수 저류에 의하여 기저유출이 일어난다는 가정하에 계산하는 방법이다. 몇
개의 감쇠곡선을 이용하여 유역감쇠상수를 결정하고 기저유출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한다고
가정한다. 개개의 유출사건이 시간대 유량의 로그를 씌운 값으로 그래프를 작성한다. 그리고
그 유출사건은 모두가 직선상에 놓이도록 시행착오법에 의하여 이동시킨다. 이렇게 해서 구하
여진 선의 기울기는 유역감쇠상수, 가 되고, 시간이 0인 유량축과 만나는 값이 이다.

일단 주곡선(master curve)이 결정되면, 시험 유출곡선을 그려서, 곡선이 주곡선과 평행하게


될 때까지 평행이동 시킨다. 이 때 만나는 점을 그 시험유출곡선의 기저유출량이라고 간주한
다. 기저유출량이 결정되고 난 후 기저유출 분리는 일정유량방법(constant discharge method)로
구하게 된다. 이 방법은 유역감쇠상수를 사용한다는 면에서 매력적이지만, 하천이 말라서 감쇠
상수를 구하지 못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새로운 주감쇠곡선(master recession curve)을 그려야 한
다는 단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들은 매우 주관성이 강하고, 물리적인 의미도 들어있지 않기 때문에 신뢰
성이 희박하다. 또한 수동으로 분리해내는 작업 시간이 많이 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다.
하지만, 장기간의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하게 되면, 평균적인 경향성을 알아 낼 수는 있다.

6. 자동유출산정기법에 의한 기저유출분리

수동적으로 기저유출을 분리해내는 과정은 매우 주관적이기 때문에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기저유출을 컴퓨터를 이용해 자동으로 분리해내게 된다면, 객관성이나 시간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이러한 자동으로 기저유출을 산정하는 방법들을 분석하였다.

가. 기저유출 지수법(base flow index, BFI)

- 90 -
수동으로 기저유출을 분리해내는 데 있어서 주관성을 배제하기 위해 영국의 수문학회
(Instititute of Hydrology)에서 제시한 기저유출분리방법이다. 수년(water year)을 5일 간격으로
나눈 다음, 각 5일 간격에서 최소 유량을 찾아내고, 이 최소유량들을 서로 비교하여 기저 유
출수문곡선의 변환점(turning point)으로 선택하게 된다. 기저유출수문곡선의 아래쪽 면적은 그
기간동안의 기저유출량이 된다. 기저유출량과 전체 하천유량과의 비율을 기저유출지수(base
flow index)라고 정의하며, 이것이 정확한 하천의 기저유출량을 제시하지는 못한다고 해도, 일
관된 결과를 내고 있기 때문에 영국, 캐나다, 미국에서 통용되는 방법이다.
중간에 위치한 최소유량값의 90퍼센트가 양쪽 최소 유량값보다 적다면, 그 값이 변환점
(turning point)이 된다. 변곡점들간에 직선이 기저유출 수문곡선을 이룬다. 수문곡선의 아래쪽
을 적분하면 그 기간동안의 기저유출량에 대한 추정치를 얻을 수 있다.
어떤 기간동안 전체하천유량에 대한 지저유출량의 비를 기저유출지수라고 정의하고,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도출된 기저유출량이 진정한 의미의 기저유출량을 의미하지는 않더라도, 영국
수문학회(1980)와 캐나다 미국 등지에서 행한 실험들은 결과들이 일관성이 있으며, 기저유출
의 지시자(indicative)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대부분의 수동적인 방법과는 달리 자동 기저유출분리 방법은 대량의 자료를 쉽고도 객관적
으로 다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BFI는 수문학회(Institute of Hydrology)가 처음 포트란 언어로
짜여진 이후 지속적으로 개발 발전된 프로그램이다.
하천유량이 0인 경우, 변환점이 유량이 0인 날에 해당하게 되게 되면, 표준 반대수관계가
아닌 선형적인 기저 유출감쇠관계를 사용하게 된다. 각 수년의 시작과 끝 지점 근처의 자료들
이 분석에서 제외되지 않도록, 해가 바뀌는 연속된 자료를 지속적으로 처리하게 된다.
영국수문학회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은 5일 최소 유량(N 변수)과 기저유출 변환점을 찾기 위해
0.9를 인자(f변수)로 사용한다. 이러한 변수들은 기저유출 변환점을 찾아내기 위하여 0.9를
인자로 사용하게 된다. N일의 기간으로 고루 나누어지지 않으면, 그 해의 마지막 기간은 남은
날을 포함하도록 늘어난다.
기저유출량이 실제 하천유량을 초과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이것은 하천이 기저유출
에 의해 좌우되는 랜덤 에러의 결과로 나타난다. 년별 기저유출량을 계산할 때 이러한 상황은
조정되지 않지만, 일별 기저유출량은 실제 하천유량에 의해서 제한이 된다.
BFI 프로그램은 N과 f를 조정하면서 맞추게 되는데, N이 커지면 높은 유량을 가진 날이 제외
되고, 따라서 기저유출은 감소하게 된다. f인자는 N보다는 덜 민감하다. 일반적으로 f에 대하
여 0.9를 사용하는 것이 무난하다고 알려져 있다.

나. Streamflow partitioning method(PART)


Stream flow partitioning방법은 하천유량수문곡선에서 기저유출이 시작되는 지점들간의 내삽
법에 의하여 기저유출을 직접유출과 분리해내는 방법으로 Knisel과 Sheridan(1983) 등에 의하여
적용되었던 방법이다. Rutledge(1998)는 하천유량 자료로부터 선행 하천유량감쇠에 의하여 일
별 기저유출량을 추정하였다. Rutledge(1998)이 만든 PART프로그램은 선행감쇠조건을 만족하
는 날을 찾고, 이 날은 기저유출과 하천유량이 같다고 정하고 난 뒤, 선행감쇠조건을 맞추지
않은 날에 대하여는 선형적으로 내삽하게 된다. PART에서 사용하는 기저유출분리방법은 (1)1

- 91 -
일단위의 유량을 사용한다는 점과 (2) 직접유출이 일어나고 있는 동안에는 선형적인 내사법을
사용하는 점에서 Knisel과 Sheridan(1983) 등에 의한 방법들과 유사하다. 다만, Knisel과
Sheridan(1983)에 의한 방법은 선행강우에 기초한 방법이지만, PART에서는 선행 하천유량감
쇠에 기초한다.

다. 디지털 필터링
디지털 필터링은 신호처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회귀적 디지털 필터방법이다. Nathan과
McMahon (1990)이 처음으로 이 방법을 적용하였는데, 낮은 주파수를 갖는 기저유출량은 높
은 주파수를 갖는 고수위유량과 구분될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이루어 졌다. 이 방법은 그래
픽 방법중 직선법으로 단순하게 기저유출을 분리하는 것이 비현실적이기 때문에 나온 것으로
다음과 같은 방정식에 의하여 계산되어 진다.(Nathan과 McMahon, 1990)

( 1 + α)
f k = αf k - 1 + ( y k - y k - 1) (7)
2

여기에서 fk는 k번째 샘플링 순간에 필터링 된 빠른 반응이고, yk는 초기 하천유량, α는


필터인자이다. 이러한 방정식을 전진 혹은 후진으로 계산하고, 위 방정식이 진행되는 회수에
따라서 기저유출 수문곡선의 곡선이 부드러워 지는 정도가 결정되게 된다. 필터인자, α 는 fk의
감쇠정도를 결정한다. Arnold 외(1995)는 3번의 필터링을 실시하여 현장자료와 가장 잘 부합
되는 자료를 취사선택하고자 하였다.

7. 자동 기저유출분리방법의 적용
기저유출의 자동분리방법인 PART프로그램과 Arnold가 개발한 알고리즘을 곡성군의 삼기천
유역 평장교, 지리산 뱀사골의 반야교 유량측정지점에서 모니터링 된 유량자료에 이를 적용하
여 보았다.
삼기천은 곡성군 삼기면 노동리 부근의 통명산에서 발원하여 북서쪽으로 흐르다가 옥과천
과 합류하는데, 삼기천과 옥과천의 합류점 상류 650여m 지점에 위치한 평장교 교각에 기포방
식을 사용한 OTT사의 Orphimedes를 설치하여 2000년 6월부터 2001년 9월까지 매 30분 간
격으로 수위를 기록하였다. 지리산 뱀사골의 반야교 유량측정지점은 2002년 8월1일부터
2003년 8월6일까지 매 30분 간격으로 수위를 기록하였다. 본 교량을 단면으로 하는 하천에
2
물을 공급하는 대상 유역의 면적은 평장교의 경우 약 53.0km 이고, 반야교의 경우 약
2
70.3km 이다. 수위-유량 곡선식을 유도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평수시에는 회전식 유속계(모
델명 UC-2)를 사용하였으며, 수심이 얕은 저․갈수시에는 전자기 유속계(모델명
SENNSA2300)를 사용하여 유속을 측정하고, 중간단면적법을 이용하여 유량을 계산하였으며,
수위자료와 이에 대응되는 유량자료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수위-유량곡선식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천유량수문곡선을 얻었다. 평장교 측정지점의 경우 측정기간
중 2000년 11월부터 2001년 3월의 일부 자료가 누락되어 1차와 2차로 구분 지어 분석을 수
행하였다.

- 92 -
옥과천 중류 ( 젼남 곡성군 겸면 평장리 평장교) 수위

3.0

2.5

2.0
수위 (m)

1.5

1.0

0.5

0.0
00/6 00/7 00/8 00/9 00/10 00/11 00/12 01/1 01/2 01/3 01/4 01/5 01/6 01/7 01/8 01/9

1000

100
유량 (m 3/sec)

10

0
00/06 00/08 00/10 00/12 01/02 01/04 01/06 01/08

Fig 3-4-24 Stream stages and discharges at Pyeongjanggyo.

2.5 300

Stream stage 200


Water level (cm)

stream discharge
1.5
Q (m 3/sec)

1
100

0.5

0 0

8/1/02 9/20/02 11/9/02 12/29/02 2/17/03 4/8/03 5/28/03 7/17/03 9/5/03


Date

Fig 3-4-25 Stream stages, precipitation and discharges at Banyagyo.

Fig 3-4-26 과 Fig 3-4-27 은 각각 평장교에서의 stream partitioning방법과 디지털 필터링방법으


로 기저유출을 분리한 그래프이고, Fig 3-4-28 과 Fig 3-4-29 는 반야교에서의 stream partitioning
방법과 디지털 필터링방법으로 기저유출을 분리한 그래프이다.

- 93 -
stream partitioning방법에서 #1, #2, #3는 하천유량수문곡선에서 기저유출이 시작되는 지점
을 판단하기 위해서 N-day법에서 사용되는 기저유출 시작되는 시간을 구하기 위한 방정식
N=A0.2(day)에서 구하여진 값보다 적은 가장 가까운 정수일로부터 추정된 기저유출을 #1으로,
#2는 계산된 날보다 큰 가장 가까운 정수일로부터 추정된 기저유출이며, #3은 #2보다 하루
많은 날로부터 계산된 기저유출 값이다. 따라서 기저유출 추정값은 #1, #2, #3에서 계산된
기저유출 값을 2차의 다항식을 구해서 역으로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평장교에서의 N은
1.83일이고, 반야교에서의 N은 1.94로 계산되어 이를 적용하였다.
디지털 필터링 기법에 의해서 기저유출을 구하기 위해서 Arnold 외(1994)의 방법을 이용
하였는데 Pass 1, 2, 3 은 필터링 횟수를 나타낸다. 필터링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기저유출
량은 적어지는데, Arnold는 이 값들을 현장의 다른 지화학적인 자료에 의하여 보정하도록 권고
하고 있다.
Fig 3-4-30 과 Fig 3-4-31 은 디지털 필터링에 의한 각각 평장교와 반야교에서의 월별기저유
출 및 월별 기저유출지수를 표시한 것이다. 기저유출지수(BFI)는 전체 유량에 대한 기저유출
량의 비를 의미하며, 1보다 적은 소수 또는 %로 표현하기도 한다. 절대적인 기저유출량은 비
가 집중되는 6, 7, 8월에 많지만, 기저유출지수는 갈수기시에 많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호우
시에는 직접유출에 의한 유량의 기여가 크며, 갈수기시에는 기저유출에 의한 기여도가 높은
것을 이 그림을 통하여 알 수 있다.
Fig 3-4-32 와 Fig 3-4-33 은 평장교와 반야교의 디지털 필터링과 stream partitioning에 의한
월별 기저유출량을 나타낸 것으로 평가된 기저유출량은 1년여의 짧은 기간이지만 비슷한 분포
를 가지고 산정이 되었다. Q는 전체 유량, DF는 디지털 필터링에 의한 기저유출량, SP는
stream partitioning에 의한 기저유출량 산정값을 의미한다. DF값으로는 pass1과 pass2의 평균값
을 사용하였으며, SP값으로는 #1과 #2의 가중평균에 의하여 구하였다.
Fig 3-4-34 는 디지털 필터링과 stream partitioning에 의하여 산정된 값들에 대하여 상관도를
비교하여 보았다. 두 값들은 94%이상의 높은 상관도를 가지고 비슷한 값들을 산정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Table 3-4-4 와 Table 3-4-5 는 평장교와 반야교의 종합적인 기저유출평가결과이다. 기저유출
량은 적게는 10%대에서 많게는 90%이상의 기저유출지수를 가지고 분포하고 있다. 유의해야
할 점은 기저유출을 계산하기 위한 시작점과 끝점 부근에서는 과다 평가될 소지가 많기 때문
에 주의하여야 한다. 장기적인 자료, 수년 혹은 수십 년에 걸친 자료를 가지고 있다면 좀더 신
뢰성 있는 값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94 -
100
S tre a m flo w ( m 3 / s e c )
#1
#2
#3
10
유량(m3/sec)

0
1 51 101 151 201 251 301 351 401 451
D ay

Fig 3-4-26 Base flow separation by stream flow partitioning at Pyeongjanggyo.

100
S tre a mflo w
P a ss1
P a ss2
P a ss3
10
유량(m3/sec)

0
1 51 101 151 201 251 301 351 401 451
D ay

Fig 3-4-27 Base flow separation by Digital filteringby at Pyeongjanggyo.

1000
S treamflo w( m3 /sec)
#1
#2
#3
100
유량(m3/sec)

10

0
1 51 101 151 201 251 301 351
Day

Fig 3-4-28 Base flow separation by stream flow partitioning at Banyagyo.

- 95 -
1000
S tre amflo w
P ass1
P ass2
P ass3
100
유량(m3/sec)

10

0
1 51 101 151 201 251 301 351
Day

Fig 3-4-29 Base flow separation by Digital filteringby at Banyagyo.

250

200
유량(m3/sec)

150 S tre amflo w


P ass1
P ass2
100 P ass3

50

0
6 7 8 9 10 11 12 1 2 3 4 5 6 7 8 9
M o n th

(a)

1 .0
0 .9
0 .8
0 .7
0 .6 P ass1 ( B FI)
BFI

0 .5 P ass2 ( B FI)
0 .4 P ass3 ( B FI)
0 .3
0 .2
0 .1
0 .0
6 7 8 9 10 11 12 1 2 3 4 5 6 7 8 9
M o nth

(b)
Fig 3-4-30 Digital filtering results at Pyeongjanggyo, (a) monthly base flow (b) monthly base flow
index(BFI).

- 96 -
900

800
700

600
유량(m3/sec)

S tre a m flo w
500 P ass1
400 P ass2
P ass3
300

200
100

0
8 9 10 11 12 1 2 3 4 5 6 7
M o n th

(a)

1 .0
0 .9
0 .8
0 .7
0 .6 P a s s 1 ( B F I)
BFI

0 .5 P a s s 2 ( B F I)
0 .4 P a s s 3 ( B F I)

0 .3
0 .2
0 .1
0 .0
8 9 10 11 12 1 2 3 4 5 6 7
M o n th

(b)
Fig 3-4-31 Digital filtering results at Banyagyo, (a) monthly base flow (b) monthly base flow
index(BFI).

8 6
7 Q Q
5
6 DF DF
5 SP 4 SP
4
Q

3
Q

3
2 2

1 1
0
0
Jun-00 Jul-00 Aug-00 Sep-00 Oct-00
Apr-01 May-01 Jun-01 Jul-01 Aug-01 Sep-01
Month Month

Fig 3-4-32 Monthly base flow at Pyeongjanggyo(DF:Digital filtering, SP:streamflow


partitioning).

- 97 -
10
30
y = 1.0218x + 0.0321
Q
25 8
R2 = 0.9455
DF
20
SP
15
Q

SP
10
4
5
0 2
Aug- Sep- Oct- Nov- Dec- Jan- Feb- Mar- Apr- M Jun- Jul- Aug-
02 02 02 02 02 03 03 03 03 ay- 03 03 03
03 0
0 5 10
Month DF

Fig 3-4-33 Monthly base flow at Banyagyo(DF:Digital Fig 3-4-34 Relation between DF and
filtering, SP:streamflow partitioning). SP.

Table 3-4-4 Base flow index at Pyeongjanggyo(bfi : base flow index).


평장교 Q DF SP bfi(%)
Jun-00 0.93 0.33 0.36 0.37
Jul-00 4.34 0.93 0.78 0.20
Aug-00 7.6 1.82 1.75 0.23
Sep-00 5.05 1.79 1.89 0.36
Oct-00 0.74 0.66 0.72 0.93
Apr-01 0.45 0.3 0.3 0.67
May-01 0.56 0.35 0.36 0.63
Jun-01 4.49 0.94 0.66 0.18
Jul-01 4.88 1.52 1.28 0.29
Aug-01 0.67 0.43 0.49 0.69
Sep-01 0.58 0.37 0.39 0.66

Table 3-4-5 Base flow index at Banyagyo(bfi : base flow index).


반야교 Q DF SP bfi(%)
Aug-02 26.09 7.81 9.63 0.33
Sep-02 3.37 1.7 1.27 0.44
Oct-02 0.67 0.55 0.62 0.87
Nov-02 0.89 0.66 0.8 0.82
Dec-02 1.35 0.81 0.99 0.67
Jan-03 0.93 0.6 0.62 0.66
Feb-03 1.75 0.93 1.23 0.62
Mar-03 2.67 1.84 2.27 0.77
Apr-03 7.59 3.42 4.09 0.49
May-03 8.28 2.2 2.26 0.27
Jun-03 4 1.96 2.17 0.52
Jul-03 26.05 8.58 7.19 0.30
Aug-03 2.23 1.93 2.22 0.93

- 98 -
8. 유역규모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

가. Meyboom 방법
Meyboom(1961)은 일찍이 기저유출(baseflow)을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지하수 감수곡선은 한 유역의 수리지질학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지형, 토
양, 지질, 하천의 형태 등의 함수라고 할 수 있다. 하천으로의 지하수 유출은 지하수로의 함양
이 일어나 지하수면이 증가하지 않는 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감소하게 된다. 기저 유출 감
소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지수형태로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at
Q = Q 0e (1)
Q : 지하수의 감수가 시작되고 t시간이 흐른후의 유량
Q 0 : 지하수의 감수가 시작되기 시작할 때의 유량

a : 유역의 감수상수
t : 감수가 일어나기 시작한 이후의 시간

따라서 시간에 따라 하천 유량 수문 곡선을 반대수지에 도시하면, 이론적으로 직선형태가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적합시킨 직선의 기울기에서 감수상수 a를 구할 수 있다. 지하수의 감
수가 완전히 일어난다는 가정하에 식(1)을 0부터 무한대까지 적분하면 가능 지하수 총유출량
(total potential groundwater discharge)이 다음과 같이 계산이 된다.

Q 0t 1
V tp = (2)
2.3
V tp : 가능 지하수 총유출량

t 1 : 지하수 감수유량의 한 상용로그 사이클 당 걸리는 시간

그리고 어떤 시간 t에서의 가능 지하수 유출량은 식(1)을 t에서 무한대까지 적분하면, 다음과


같다.

V tp
Vt= t/t 1
(3)
10
V t : 가능 지하수 유출량

t : 지하수 감수가 발생한 후부터의 시간

다음 단계의 지하수 감수가 발생하는 부분으로부터 식(2)를 이용하여 그때의 지하수 가능


총 유출량을 구한 다음, 전 단계의 감수곡선에서 식(3)을 이용하여 구하여진 가능 지하수 유
출량을 빼주면 지하수 유출량이 구하여지고, 이 값이 지하수 함양량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은 한 대상유역에서 지하수의 사용이 없이 모든 지하수가 하천으로 배출

- 99 -
된다는 가정 하에 성립될 수 있다. 그러나 인위적인 양수, 증발산, 심부 지층으로의 유입 등
지하수의 손실이 발생하여,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구하여진 값은 실제 지하수로의 함양량보다
도 작게 산출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하수의 손실이 없는 유역에서는 그렇지 않은 지역보다
더 정확한 함양량을 산출할 수 있다.

나. Rorabaugh 모델(PULSE)
Rorabaugh(1964)는 주어진 열전도방정식에 대한 해의 유사성을 참고로 식(4)와 같은 대수층
의 한쪽면으로부터 유출되는 지하수의 양을 계산하였다. 이 식에서 가정은 대수층의 두께, 수
리전도도, 저류계수가 일정하고, 하천이 대수층에 완전 관통한다고 한다. 또한 초기에는 대수
층의 수두와 하천의 수위가 같았다가, 순간적으로 대수층에 균일하게 지하수위의 상승이 발생
하였다고 한다.

h0 ∞
q = 2T (a) ∑ e
m = 1, 3, 5
( - m 2 π 2Tt )/ ( 4 a 2S )
(4)

q : 단위하천 길이당 지하수 유출량(한쪽면)


T : 투수량계수
h 0 : 순간 수위 상승고(instantaneous water table rise)

a : 하천에서 수문학적인 분수령까지의 거리


S : 저류계수
t : 순간 수위 상승이후의 경과 시간

Fig. 3-4-35 Rorabaugh model Assumption

(4)식은 한쪽면에서 흘러나온 양이므로, 양쪽에서 흘러들어 오고 하천 전체 길이 L에 대하


여 계산된 총 유출량은 식(5)와 같이 구하여진다.

Q = 2Lq (5)
Q : 유역에서 지하수 총 유출량
L : 하천의 전체 길이

하천의 전체 길이 L은 식(6)과 같이 근사화 시킬 수 있다.

- 100 -
A (6)
L=
2a
A : 유역의 면적

식(4)는 보다 실용적인 상수값인 감쇠지수(recession index), K를 이용하여 식 (7)과 같이


나타내어지는데, 감쇠지수는 함양이 일어난 후 지하수의 감수가 일어날 때, 지하수 유출량의
한 상용로그 사이클 당 걸리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1.866AR i ∞
( - 0.933 m π t )/ ( 4 K )
2 2

Q= ∑ e (7)
K m = 1, 3, 5

R i = h 0S y : 순간 함양고, Sy : 비산출량

0.933a 2S : 감쇠지수
K=
T

따라서 하천으로의 지하수 유출량은 감쇠지수(K), 유역의 면적(A), 순간함양고(Ri)의 함수


가 된다. 전체 지하수 유출 수문곡선(baseflow hydrograph)은 어떠한 기저선(baseline)으로부터
각각의 순간함양고로 계산된 지하수 유출량의 중첩에 의하여 생성시킬 수 있다. 기저선은 0으
로 정할 수도 있고, 관심의 대상이 되는 기간 이전의 하나의 함양사건에 대한 선형 회귀된 지
하수 유출량을 그 값으로 정할 수도 있다.

다. 지하수 함양량의 자동 산정 알고리즘(RORA)


Rutledge와 Daniel(1994)은 Meyboom(1961)의 기저유출을 이용한 지하수 함양량 산정방법과
같은 감수곡선 이동 방법(recession curve displacement method)을 확장시켰다. 지하수가 하천으
로 유출되는 총량은 유출량에 대한 로그값과 시간과의 선형관계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얻어
진다(Meyboom, 1961).

QK (8)
V=
2.3026
V : 전체 가능 지하수 유출량
Q : 초기 지하수 유출량

지표수의 유출이 있고 나서도, 지하수의 수두 분포가 안정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유출량의


로그값과 시간과의 감수곡선이 선형(직선)에서 벗어나는 양상이 임계시간까지 계속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식(4) 또는 (7)에서 유출량이 시간에 대한 지수함수의 무한대까지의 급수함
수이기 때문에 나타나는데, Rorabaugh(1964)는 이 식에 근거하여 선형성이 나타나는 임계시
간을 다음과 같은 식(9)에 의하여 근사화 시켰다.

T c = 0.2144K (9)

- 101 -
T c : 임계시간

Glover(1964)와 Rorabaugh(1964)의 식으로부터 임계시간에서의 가능 지하수 유출량은 전


체 지하수 함양량의 절반이 된다는 것을 보일 수 있으며, 따라서 지하수 함양량은 식(10)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2( Q 2 - Q 1 )K
R= (10)
2.3026
R : 지하수 함양량
Q 1 : 임계시간에서의 지하수 유출량(선행감수곡선에서 계산)

Q 2 : 임계시간에서의 지하수 유출량(해당 감수곡선에서 계산)

Recharge event of interest

Q2

Q1

TC

Time

Fig. 3-4-36 Recharge calculation

따라서 다음과 같은 단계를 밟아서 자동으로 지하수 함양량을 계산하게 된다.

step 1. 감쇠지수를 계산한다.


step 2. 임계시간을 계산한다.
step 3. 하천의 첨두유량이 발생하고, 임계시간이 흐른 후의 시간을 계산한다.
step 4. Q1, Q2를 계산한다.
step 5. 식(10)을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계산한다.

- 102 -
Rutledge와 Daniel(1994)은 지하수 유출이 시작되고 나서 임계시간 이전에는 감수곡선이 반대
수지상 선형성이 어긋나 있기 때문에, Rorabaugh의 식(4)로부터 함양 후 말단부 흐름을 식
(11)을 사용하여 근사화 하였다.

C (11)
dQ =
t'
dQ : 함양이 발생할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의 지하수 유출량 차이
t' : 함양이 발생하고 난 후의 시간
C : 함양의 크기에 따른 상수

지하수 유출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시간은 Linsley 등(1982)이 제안한 식(12)에 의하여 계
산하고, 이때부터 임계시간까지는 측정된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유량 자료를 대입하여 상수 C
를 결정하게 된다.

0.2
N=A (12)
N : 첨두유량이 발생한 후 직접유출이 끝나는 시점
A : 대상유역의 면적, [mile2]

함양이 발생하지 않았을 때의 유출량에 식(11)에서 계산된 dQ를 더하면, 임계시간에서의


지하수 유출량이 구하여 진다. 임계시간이후의 어떤 시간에서의 지하수 유출량을 알고 싶으면
반대수지에서 선형성을 갖는 식(13)에 의하여 계산이 된다.

- t''/K
Q = Q 0 10 (13)
Q : 임계시간이후의 시간 t''에서의 지하수 유출량
Q 0 : 임계시간에서의 지하수 유출량

t'' : 임계시간으로부터의 시간

9. 대상유역에의 적용

가. Rorabaugh 모델의 적용
Rutledge(1997)가 개발한 PULSE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삼기천 유역의 지하수 함양률을 산정
하였다. 감쇠지수, K는 Fig 3-4-24 의 그래프선상에서 지하수 감수부분을 적합 시켜 산정 해
본 결과 117일이 계산되었다. 각 유량의 첨점에서 적당한 함양고를 추정해서 지하수 감수부분
을 적합 시켜서 만족할 만한 결과가 나올 때까지 여러번 시행착오를 거듭한다.Fig 3-4-37 과
Fig 3-4-38 은 각각 1차와 2차시기의 보정결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 103 -
1000
1000
900
DISCHARGE IN CUBIC FEET PER DAY

DISCHARGE IN CUBIC FEET PER DAY


800

700
100
600

500

400

300 10

200

100

0 1
0 50 100 150 200 0 50 100 150 200

TIME IN DAYS TIME IN DAYS

Fig 3-4-37 Baseflow separation during first period

1000 1000
DISCARGE IN CUBIC FEET PER SECOND

DISCARGE IN CUBIC FEET PER SECOND


900

800

700
100
600

500

400
10
300

200

100

0 1
0 50 100 150 200 0 50 100 150 200

TIME IN DAYS TIME IN DAYS

Fig 3-4-38 Baseflow separation during second period

2차시기 때는 다소 인위적인 유량의 변동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곡선 접합이 매우 어려웠


고, 인위적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1차시기 때의 결과가 더욱 만족스럽다. 많은 시행착
오과정을 거쳐 산정된 지하수 함양량은 그 시기에 내린 강수량에 대하여 비율로 따져 봤을
때, 1차시기는 13~18%를 차지하였고, 2차시기는 14~20%가 지하수로 함양되는 것으로 계
산이 나왔다.

Table 3-4-6 Groundwater recharge by Rorabaugh model.

1st period(173days) 2nd period(195days)

rainfall(inch) 59.9 33.7

recharge(inch) 8~15 5~11

ratio(%) 13~25 14~30

- 104 -
나. 지하수 함양량의 자동산정 모델 적용
자동산정 모델은 Rutledge(1994)가 개발한 RORA프로그램을 이용하였는데, 수동으로 지하
수 감수곡선을 일일이 보정하는 시행착오 과정이 없이 자동으로 함양률의 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편리하고, 주관성이 개입되는 분석상의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Table 3-4-7 Results from automatic groundwater recharge estimations.

1st period(173days) 2nd period(195days)

rainfall(inch) 59.9 33.7

recharge(inch) 11.294 8.933

ratio(%) 18.9 26.5

다. 결론 및 토의
하천 유량 수문곡선을 이용하여 지하수의 함양량을 산정 하는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개발
된 모델은 성공적으로 현장에 적용될 수 있으며, 어떠한 대상유역의 지하수 자원의 평가에 유
용한 도구가 된다. 단지 모델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가정들은 묵과되어서는 안 된다. 하천
이 대수층에 완전 관통해 있다거나 대수층이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투수량계수, 저류계수가
일정하면서, 증발산이나 심부지층으로의 손실량, 인위적인 지하수 양수에 의한 지하수 손실 등
이 없다고 하는 가정들은 적용시 상당히 주의해야 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을 광역
적인 규모의 지하수의 함양량을 평가하고자 할 때나, 혹은 여러 해, 수십 년 이상의 자료에 대
하여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유용하리라고 사료된다. 특히, 하천유량 곡선의 체계적인 분석은 지
하수와 지표수(하천)의 상호관계의 출발점에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 105 -
제 5 절 한반도의 광역 선구조선(lineament)

1. 서언

일반적으로 “선구조선(lineament)은 지하지질구조를 반영하는 광역적 규모의 비교적 협소한


대로서 직선적이거나 약간 만곡된 선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러한
선구조선에 대한 연구는 1800년대 Sedwick 등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지질분야에서는 위성영
상에서 판독된 선구조선들이 실제 지표암석권의 단열과 대부분 일치한다는 사실이 증명됨으로
써, 그 활용빈도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다. 근래에는 지질, 광상, 지질재해, 활성단층 및 대형
인공구조물 설치 부지의 지반조사에서도 중요한 고려요소가 되고 있다.
균열 암반이 대부분의 대수층을 형성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선구조선은 지하수 유동 및 부
존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단층, 파쇄대, 층리 등의 지질구조 요소를 파악하는데 있어
매우 주요한 지시자가 된다. 금번 연구에서는 Landsat TM 인공위성자료와 수치지형 고도자료
로부터 작성된 전산음영기복도를 이용하여 광역 선구조선을 수 회 반복 판독, 자료해석의 정
밀도를 유지하였으며, 기발간된 1:50,000 지질도와 1:1,000,000 지질도에서 설정된 단층구
조의 방향을 추출하여 이들 선구조선을 상호 비교하였다. 이와 더불어 지체구조별, 지질시대별
로 발달하는 선구조선 해석을 위한 선행단계로서 한반도의 지질분포와 지질구조 특성에 따라
분류한 지체구조도(황재하 외, 2001)를 기본으로 하여 각 지체구조별 선형구조의 발달 방향
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암반대수층 지하수의 광역적 유동방향과 지하수 자원 부존
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반도를 단위면적을 갖는 방안으로 분할하여 각 방안별 선구조선 발달
양상과 선구조선의 연장길이 및 빈도수에 대한 통계처리를 수행하였다.

2. 사용자료 및 영상처리

한반도 전역의 선구조선 판독에 이용된 인공위성자료는 미국의 Landsat TM 자료로서 총


23개 단위영상(full scene)이 이용되었다(Fig 3-5-1). 1개 단위영상 자료의 관측권역(coverage)
은 180km x 180km 이다. Landsat TM은 가시광에서 열적외선에 영역에 이르는 7개의 분광
감지기(7 bands)를 제외한 6개 band의 공간분해능(ground resolution)은 30m이다. 이 외에 미
국 NIMA (National Imagery and Mapping Agency)에서 작성한 위도, 경도 3초(arc second) 간격
의 수치지형고도자료(Digital Elevation Model)를 영상 처리하여 전산음영기복도를 작성, 선구조
선 판독에 이용하였으며, 인공위성 영상의 태양광 편중에 따른 문제점(이봉주 외 1997)을 보
완하기 위해 태양광 조사방향을 달리하는 4매의 전산음영기복도가 작성되었다.

Landsat TM의 Band별 분광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Band 1: EMR spectrum range가 0.45㎛ - 0.52㎛인 blue band로 Landsat TM의 최단 파장대
역이다. 수륙 구분이 양호하며, 식생과 토양의 구분력이 우수하여 산지와 충적층의 구분이 명
확하다. low contrast, low radiance의 histogram 특성을 보여주며, 전체적으로 식생과 토양의 2
mode로 구성되어 있다.

- 106 -
Fig 3-5-1 Path/row index map of Landsat TM.

② Band 2: 0.52㎛ - 0.60㎛의 green band로 식생의 활성도를 측정하는데 유효한 가시파장대
로 알려져 있다. 6개 band중 가장 낮은 contrast, radiance의 histogram 특성을 보여주며, 지표피
복물에 대한 구분력은 band 1과 유사하나 담수와 해수의 구분이 보다 명확하다.
③ Band 3:엽록소의 흡수도에 따른 식생구분에 우수한 band로 알려진 0.63㎛ - 0.69㎛에 이
르는 가시파장대의 red band이다. 연구지역 산지의 contrast가 높아 가시파장대역의 band 중 지
형구분에 비교적 양호하며, 경작지의 구분 및 수계의 파악에도 양호하다.
④ Band 4: near infrared (0.7㎛ - 2.5㎛) 영역에 속하는 0.76㎛ - 0.9㎛에 이르는 파장
대역으로 water body의 구분이 명확하여 연구지역의 수계망 파악에 유효하며, 식생의 분광특
성이 잘 반영되어 있어 식생지수 산출에도 유용한 분광 대역이다.
⑤ Band 5: near infrared의 1.55㎛ - 1.75㎛에 이르는 파장역으로 토양수분(soil moisture)측정
및 구름과 눈의 구분에 유효한 band이다. 6개 band 중 가장 높은 contrast, vegetation과 soil간의
구분이 가장 명확하다.
⑥ Band 6: Landsat TM의 7개 band 중 가장 넓은 파장대역과 최장파장대역인 band 6은 열적
외영역(thermal infrared)의 10.4㎛ - 12.5㎛에 이르는 파장대역으로 공간해상력(spatial reso-
lution)이 120㎛이다. thermal mapping에 효과적이므로 SST (Sea Surface Temperature) 측정 등에
사용되나 본 연구에서는 영상처리에서 제외하였다.

- 107 -
⑦ Band 7: geologic band로 알려질 만큼 지질학적으로 매우 유용한 파장대역으로 NIR에 속
하는 2.08㎛ - 2.38㎛ 구간이다. 암종 구분, 특히 열수 변질 광상조사에 효과적이다.

가. 인공위성자료 영상처리
영상강조처리(image enhancement) 이전의 인공위성자료는 일반적으로 low contrast, low
brightness의 histogram 특성이 있어 육안으로 지표구성물질 파악이 매우 어렵고, 인공위성의 자
세변화, 고도변화 등의 원인으로 기하학적으로 왜곡되어 있어 이의 보정이 요구된다. 또한 각
영상 자료의 관측권역(coverage)이 제한되어 있어 광역의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여러 개의 단위영상(full scene)을 필요로 하게 되어 이들 단위영상들의 모자이크 처리
(mosaicking)가 불가피하다.
Fig 3-5-2 는 선구조선 판독을 위한 각 인공위성자료와 수치지형고도자료의 영상처리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일차적으로 연구지역에 해당되는 각 인공위성자료의 단위영상들을 추출한 다
음, 각 단위 영상들을 일차적으로 linear stretch 기법으로 위성영상을 강조처리 하였으며, 위성
영상과 지형도 양쪽에서 명확히 인지되는 GCP (Ground Control Point)를 선정, 위성영상의 기하
학적 왜곡을 보정하였다. 영상좌표의 지형도 좌표로의 변환은 Affine 변환식을 이용하였으며,
재배열(resampling)은 convolution법을 이용하였다. 보정결과는 rms (root mean square) error 가
0.9 pixel로 양호하였다. 각 단위영상의 기하학적 보정 이후, 이들을 모자이크 처리하여 한반
도 전역을 포함하는 단일 영상으로 작성하였다. 각 단위영상의 모자이크 처리 이전에 각 단위
영상의 7개 band 중 band 4, band 3, band 2를 선정, 각각 적색, 녹색, 청색을 할당하여 색합
성(false color composite)한 것을 이용하였으며, Fig 3-5-3 은 영상처리 결과인 한반도 전역의
Landsat TM 영상이다.
GCP correction

Interpretation
Enhancement
Landsat TM

Mosaic

Lineament map

Statistical analysis
Image Processing
DEM

Frequency Length Orientation


Shaded relief

Fig 3-5-2 Schematic work flow for lineament analysis.

- 108 -
Fig 3-5-3 Landsat TM imageries of Korean Fig 3-5-4 Shaded relief image of the Korean
peninsula peninsula.

나. 수치지형자료 영상처리(전산음영기복도 작성)


Landsat, SPOT 그리고 IRS-1C등과 같은 passive remote sensing system은 자료 획득시 태양광
에 의존하므로 계절적 차이는 있으나 거의 일정방향(북서방향)으로의 음영효과(shade effect)가
유도된다. 따라서 북동방향의 선구조선의 윤곽이 명확해지는 반면에 태양광 조사방향과 같은
북서방향의 선구조선의 윤곽은 미약해 지므로 태양광 조사방향과 평행 또는 아평행한 선구조
선의 판독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수치지형고도자료에 의한 전산음영기복도의 경
우, 태양광 조사방향 및 태양고도의 임의적 조절이 가능하므로 사면방위각에 관계없이 음영효
과 유도가 가능하므로 태양광 조사방향에 따른 문제점은 보완할 수 있다. 따라서 선구조선 판
독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인공위성자료와 더불어 전산음영기복도의 사용이
요구된다.
자연 상태에서의 지표면의 음영효과(shade effect)는 지표면의 기복, 경사 방위각, 경사도,
태양의 조사방향, 고도 등 여러 자연조건의 복합적 영향에 의한 태양광의 반사도 차이에 기인

- 109 -
한다. 그러나 컴퓨터를 이용하여 음영지도(shaded relief map)를 작성할 때 상기의 자연조건을
모두 부합시키기는 매우 어려우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표면의 음영효과를 태양의 고도 및 방
위각과 지표면의 경사도 및 경사방위각만의 함수관계로 조건을 단순화 시켰으며, 이의 계산을
위해 다음 식을 program 작성의 기본 algorithm으로 이용하였다.


 =
  

  

where : the intensity of the reflectance


: the angle between sun azimuth and slope normal of ground surface
 : the angle between sun elevation and slope normal of ground surface

따라서 가상의 태양고도 및 방위각에 대하여 DEM자료의 각 격자점에서의 지표면의 방위각


및 경사방위각에 상응하는 밝기 값 I를 구하면 된다. Fig 3-5-4 는 연구 대상지역 전산음영기
복도이다.

3. 선구조선 판독

인공위성영상이나 전산음영기복도로부터의 선구조선 추출은 영상처리기법에 의한 것과 육


안판독으로 대분된다. directional filter, Laplacian, Hough, Moore method 등의 영상처리기법에 의
한 선구조선 자동추출은 영상의 edge 성분을 강조 처리하는 것으로 영상 내에 포함된 edge들이
항상 지질학적인 특징을 반영하지는 못하므로 이들 기법에 의해 추출된 선구조선 모두가 지질
구조를 반영한다고 볼 수 없다. 선구조선 판독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영상처리
기법의 활용이 요구되나, 영상처리 기법에 의한 선구조선 추출은 실제로 많은 오차가 내포되
어 있어 현실적으로 전반적인 단열계 발달양상을 파악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반면에 항공사진
이나 인공위성영상을 통한 선구조선의 육안판독은 판독자 별로 상이한 판독결과를 보이는 경
우가 많은데, 이는 선구조선 판독이 판독자의 경험, 판독대상 자료의 특성, 축척 등에 의하여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구조선 판독의 객관성 및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는 객관적 선구조선의 판독기준의 설정, 판독대상 자료의 다양화와 축척의 다양화가 우선적으
로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위성자료 및 전산음영기복도등 선구조선 판독
대상 자료를 다양화하고, 동일지역의 선구조선을 수회에 걸쳐 반복 판독하여 매회 동일하게
판독되는 선구조선만을 추출함으로써 선구조선 판독의 객관성을 제고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
구에서 설정한 선구조선의 판독기준은 다음과 같다.

1) lines of variable length, straitness and continuity which are differentiated by tonal contrast in
image.
2) tonal discontinuites.

- 110 -
3) band of variable widths which contrast in to the area immediately adjacent.
4) alignment of topographic forms.
5) alignment of drainage patterns.
6) association of vegetation along linear trends.
7) and coalignment of cultural features with underlying structural and/or surrounding topographical
control.

가. 판독 결과 분석
육안 판독된 선구조선에 대한 통계처리는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Rosediagram V. 1)
을 이용하였다.

(1) 한반도 전역
Fig 3-5-5 와 Fig 3-5-6 은 Landsat TM과 전산음영기복도로부터 판독된 한반도 전역의 선구
조선도이다. Landsat TM에서 판독된 선구조선의 총 수는 9,370개이며, 최소 1.2km, 최대
144.0 km의 연장길이를 갖는다. 선구조선의 평균 연장길이는 5.4 km이며, 전체 선구조선의
총 연장길이는 52,094 km에 이른다. 전산음영기복도에서 판독된 선구조선의 총 수는 2743
개이며, 최소 2.2 km, 최대 197 km의 연장길이를 보인다. 평균 연장길이는 13.1km이며,
전체 선구조선의 총 연장길이는 41,155 km이다. Landsat TM과 전산음영기복도로부터의 선구
조선 판독 결과가 상이한 것은 자료의 공간분해력의 차이 때문이다. Landsat TM으로부터 판독
된 선구조선의 대부분은 20km 이하의 연장길이를 갖는 반면에, 전산음영기복도 선구조선의
대부분은 40km 이하의 연장길이를 갖는다. 선구조선의 방향별 연장길이 및 빈도수를 나타낸
장미그림에서 보면, Landsat TM의 경우, 북동-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이 전체 선구조선의 절
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이 외에 동-서, 서북서-남남동, 북북동-남남서, 남-북 방향의 선구
조선들이 군집방향(directional families)을 형성하고 있다. 전산음영기복도의 경우도 Landsat TM
과 별 차이 없이 유사한 방향대의 선구조선 군집방향을 형성하고 있다. 전술한 선구조선 군집
방향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 군집방향별 선구조선을 Fig 3-5-7 에 표시하였다.
동-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은 한반도 중앙부에 주로 분포하며, 연장길이가 짧고 대규모 선구조
선에 접하여 발달하는 것으로 보아 기존의 지질구조선이 대규모의 구조선에 의해 절단되었거
나, 대규모 구조선의 이차 단열구조의 가능성이 높은 선구조선들이다.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선구조선들은 한반도 북서부 지역과 동남부 지역에 밀집하여 분포하며, 동남부 지역의 가음단
층 및 금천단층 등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지질구조선들이 이에 포함된다. 서북서-동남동의 선
구조선 군집방향은 Nahm (1970)에 의해 평안방향으로 명명된 바 있다. 남-북 방향의 선구조선
들은 한반도 남부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다른 방향의 선구조선들보다 연장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편이다.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은 원산-철원-서울을 잇는 추가령단층대와 한
반도 동남부 지역의 부산-언양-경주-평해를 연결하는 양산단층대 선상 및 그 주변부에 다수
발달하며, 이들의 연장길이는 타 지역 선구조선들의 연장길이보다 월등하게 큰 대규모 선구조
선들이다. 북동-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은 한반도 전체 선구조선의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
으며, 한반도 전역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한다.

- 111 -
Fig 3-5-5 Linearment Interpretation map of Landsat TM imageries, and its
rose diagram and cartesian histogram.

Frequency

Length

300

250

200
Frequ ency

150

100

50

0
0 30 60 90 1 20 15 0
L en gth (k m )

Fig 3-5-6 Lineament interpretation map of shaded relief map, and its
rose diagram and cartesian histogram.

- 112 -
Fig 3-5-7 Major directional families of Lineament. E-W, WNW-ESE, N-S, NNE-SSW and NE-SW directions, from left to right of figure.

- 113 -
나. 지체구조구별 선구조선 발달 방향 및 특성
암석의 시대적 분포, 지질구조, 조산대의 발달 등과 같은 지구조적 특성에 따라 한반도의
지체구조를 10개 구역으로 구분하여(Fig 3-5-8), 지질도, 전산음영기복도, Landsat TM 위성자
료에서 추출된 선구조선을 각 구조구별로 분석하였다. 황재하 외(2001)는 낭림육괴(구조구
1)는 희천융기대(구조구 1a), 혜산-이원분지(구조구 1b), 백두산화산지대(구조구 1c), 평안육
괴(구조구 2)는 평남분지(구조구 2a), 옹진분지(구조구 2b), 임진강분지(구조구 2c), 함북습
곡대(구조구 5)는 관모봉융기대(구조구 5a), 두만강분지(구조구 5b)로 세분하였으며, 경기육
괴(구조구 3), 영남육괴(구조구 4), 옥천습곡대(구조구 6), 경상분지(구조구 7), 길주-면천분
지(구조구 8), 연일분지(구조구 9), 제주화산대(구조구 10)는 각각 독립된 지체구조구로 설
정하였다. 각 지구조별로 선구조선을 분석하여 평균방위각, 빈도 장미원도, 누적길이 장미원도
를 도식화하였다. 빈도 장미원도는 선구조선의 길이와는 무관하게 선구조선의 방향을 각각
o o
10 간격으로 분류하여 백분율((10 간격에서 측정된 선구조선 수/ 모든 선구조선 수) x
100)로 표시하였다. 그러나 지구조 운동시에 변형량이 하나의 선구조선에 집중되어 발생하면
선구조선의 발생 빈도수는 적다하더라도 각 선구조선의 연장성이 매우 양호하게 나타나게 된
다. 이런 경우에는 빈도 장미원도에서는 선구조선의 특성을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누적길이
o
장미원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누적길이 장미원도는 10 간격으로 측정된 선구조선의 총
누적길이를 모든 선구조선으로부터 측정된 누적길이를 백분율((10o 간격으로 측정된 선구조선
의 총 누적길이/전체 선구조선의 총 누적길이) x 100)로 표시한 것이다.

Fig 3-5-8 Tectonic domain map of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geological and tectonic characteristics (after Hwang et al., 2001).

(1) 지질도(1:50,000, 1,000,000)를 이용한 지질구조선 분석


지질도(1:50,000과 1:1,000,000)에서 총 6228개의 단층이 측정되었다(Fig 3-5-9). 한반

- 114 -
2
도 전체에서 지질도에서 설정된 단층은 평균길이는 5.1427km이며, 1km 단위면적당 평균
단층수와 길이는 각각 0.026개와 1.25km이다.
o o o o
총 1688개가 측정된 구조구 1에는 N40o~50 E, NS~N10 E, N40 ~50 W의 세 방향
o o
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구조구 1a는 N40 ~50 E 방향이 뚜렷하게 우세하며, 2차적으로 N
S~N10oE, N40o~50oW 방향이 유사한 산출빈도수를 갖는다. 구조구 1b에는 N40o~50oW
o o o
방향의 단층이 매우 뚜렷하며, N40 ~50 E, NS~N10 E의 두 방향이 약간 우세하다. 다른
o
방향의 단층은 전 방향에 걸쳐 비교적 균등한 분포 양상을 보여준다. 구조구 1c는 N30 ~
40oE로 집중되며, N20o~70oW 방향의 다양한 방향으로 단층이 발달한다. 그러나 구조구 1c
는 측정된 단층의 수가 8개로 매우 적기 때문에 이 지역에서 발달하는 단층의 전반적인 방향
성을 대표한다고 해석할 수 없다.
평안육괴에 속하는 구조구 2는 총 1341개의 단층이 측정되었다. 조선누층군과 평안누층군
으로 구성된 평안분지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구조구 2a는 구조구 1과 유사한 방향성을 나타난
o o o o o
다. 단층은 N40 ~50 E, NS~N10 E, N40 ~50 W의 세 방향으로 우세하게 발달하며, 누
적길이 장미원도에서도 동일한 양상을 보여준다. 구조구 2b는 상기 지역과 다르게 N10o~
o o
50 W 방향의 단층만이 우세하며, 부분적으로 N80 W~EW 방향의 단층이 존재한다. 누적길
o o
이 장미원도에서도 N10 ~50 W 방향으로 단층의 누적길이가 45% 이상 밀집된다. 임진강대
에 속하는 구조구 2c는 동-서 방향의 임진강대 방향과 유사하게 N70oE~N80oW 방향의 단
o
층이 발달하며, 누적길이는 35% 이상을 점유한다. 부수적으로 NS~N10 E 방향의 단층대가
발달한다.
경기육괴로 대표되는 구조구 3에서는 총 861개의 단층이 측정되었다. 빈도 장미원도에서
o o o o o
는 NS~N10 E 방향의 단층이 가장 뚜렷하며, N10 ~50 E, N40 ~50 W 방향의 단층이 발
o o
달한다. 특히 북북동 방향으로 발달하는 단층은 N10 ~50 E 방향으로 광범위한 분포를 나타
낸다. 누적길이 장미원도에는 빈도 장미원도와는 다르게 NS~N10oE 방향으로 최대누적길이
가 15% 이상 집중되어 있으며, 동-서 방향 단층의 누적길이는 산출수에 비하여 매우 작게 나
타난다. 이는 동-서 방향으로 존재하는 단층의 수가 많을지라도 각 단층의 연장성은 매우 불
량함을 의미한다.
구조구 4에는 영남육괴가 분포하며 총 412개의 단층이 측정되었다. 이 지역에는 NS~
o o o
N10 E, N20 ~50 E 방향으로 발달하는 단층이 다른 방향에 비하여 매우 우세하며, 2차적으
로 N40o~50oW 방향의 단층이 우세하게 분포한다. N40o~50oE 방향 단층의 누적길이는
16% 이상이다. 이들은 북동-남서 방향의 단층이 산출 빈도수와 각 단층의 연장성이 매우 양
호함을 의미한다. 함북습곡대에 속하는 구조구 5에는 다른 구조구와 비교하여 단층의 발달 방
향성은 북동-남서 방향으로 집중된다. 구조구 5a와 5b는 NS~N50oE 방향으로 단층의 산출
o o
빈도수가 60% 이상 밀집되어 있으며, 단층의 누적길이는 N20 ~40 E 방향으로 집중도가
30% 정도의 집중도를 보여준다.

- 115 -
Geological faults from geological map (1:50,000, 1:1,000,000)
Tectonic Numbers Average Rose diagram for cumulative length
Rose diagram for orientation (%)
domain measured length (m) vs orientation (%)

1a 1140 5325.0

1b 540 4390.3

1c 8 3224.1

2a 1170 4778.1

2b 100 5519.2

2c 71 5829.4

3 861 5121.3

4 412 3563.6

5a 68 8069.3

5b 125 6875.7

6 1132 3465.5

7 475 4356.0

8 56 8236.2

9 70 3244.8

all of
6228 5142.7
domain

Fig 3-5-9 Analysis of faults in each tectonic domain from geological map.

- 116 -
o o o o o o
옥천대에 속하는 구조구 6은 N20 ~50 E, NS~N10 E, N40 ~50 E, N80 W~EW방
향으로 4조의 단층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옥천대 방향과 아평행한 N20o~50oE 방향의 단층
은 산출빈도수에 비하여 누적길이가 뚜렷하게 증가하고, 다른 방향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분
포 양상을 보여준다. 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단층의 산출수와 각 단층의 횡적 연장성이
양호함을 나타낸다. 백악기 경상누층군이 분포하는 경상분지에 속하는 구조구 7은 다른 구조
o
구에서 전반적으로 우세한 북동-남서 방향의 단층은 미약하게 발달하는 반면에 NS~N10 E
o o o o
와 N40 ~50 W, N60 ~70 W 방향의 단층이 뚜렷하게 발달한다. 누적길이 분포는 남-북 방
향의 단층과 N40o~50oW, N60o~70oW 방향이 우세하다. 총 56개의 단층이 측정된 구조구
o
8은 신생대에 형성된 길주-면천분지에 속한다. 단층은 NS~N50 E 방향으로 폭넓게 나타나
o o o o
나, N20 ~30 E 방향으로 집중되어 있다. N10 ~30 E 방향의 단층은 이 지역에서 50% 이
상의 누적길이 분포를 갖는다. 연일분지에 속하는 구조구 9에서는 70개의 단층이 측정되었으
o o o o o
며, NS~N10 E, N40 ~50 E, N40 ~50 W 방향으로 단층대가 우세하다. 누적길이 분포는
o o
N40 ~50 E 방향으로 매우 뚜렷하게 밀집되어 있으며, 다른 방향은 상호 유사한 점유율을
보여준다. 이는 N40o~50oE 방향의 단층은 산출빈도수나 연장성이 양호한 반면에 다른 방향
의 단층은 산출빈도수는 높으나 단층의 길이가 짧다는 것을 지시한다. 제주화산대인 구조구
10은 지질도에는 소수의 단층이 기재되어 있으나 양적으로 자료의 신뢰성이 떨어져 방향성을
분석하지 않았다.

(2) 전산음영기복도를 이용한 선구조선 분석


Fig 3-5-10 의 지체구조구별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선구조선 229개가 측정된 구조구 1a는
o o o o
빈도수와 누적길이가 동일하게 N30 ~60 E, N50 ~60 W의 두 방향이 우세하다. 구조구 1b
o o
에는 N50 ~60 W 방향으로 뚜렷하게 집중되며, 2차적으로 N10o~30oE 방향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누적길이 분포는 N50o~60oW 방향으로 집중도가 증가한다. 구조구 1c는
측정된 선구조선의 수가 적기 때문에 방향성 분석이 의미가 없다.
o o o
구조구 2는 총 433개의 선구조선이 측정되었다. 구조구 2a에는 NS~40 E, N60 ~80 E,
N50oW~EW의 방향이 우세하지만 전 방향에 걸쳐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한다. 누적길이 분포
o o o o
는 N10 ~30 E 방향으로 최대 집중되며, 방향성 분석 자료와 비교하면 N70 ~80 W, N60
o o o
~80 E 방향으로 더욱 뚜렷하게 집중되어 있다. 구조구 2b에서 빈도 장미원도에는 N10
W~N10oE 방향을 제외한 전 방향이 고루 분포하나, 누적길이 장미원도는 N20o~30oW와
o o o o o
N80 W~EW 방향이 뚜렷하다. 구조구 2c는 N10 ~40 E와 N80 W~N80 E의 두 방향 빈
o
도수가 유사하게 나타나나 누적길이 장미원도에는 동-서 방향은 집중도가 떨어지고 N10 ~
40oE 방향으로 밀집된다. 521개가 측정된 구조구 3에는 NS~N40oE 방향에 걸쳐 우세한 방
o o o
향이 분포하나 누적길이는 NS~N20 E, N20 ~40 E의 두 방향으로 집중되어 있다. 동-서
방향으로 적은 양의 선구조선이 관찰되나 남-북 내지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선구조선의 발생
빈도에 비하면 매우 미약하다. 332개가 측정된 구조구 4에는 빈도 장미원도와 누적길이 장미
o o
원도가 매우 유사하며, NS~N40 E, N80 W~EW의 두 방향이 뚜렷하다. 지질도의 단층과
전산음영기복도의 선구조선 산출 방향, 누적길이는 구조구 3과 4에서 매우 상이한 결과를 나
타낸다(Fig 3-5-9 & 3-5-10).

- 117 -
Lineaments for shadow relief map
Tectonic Number Average Rose diagram for cumulative length
Rose diagram for frequence (%)
domain measured length (m) vs orientation (%)

1a 229 21930.09

1b 44 23038.70

1c 2 36863.66

2a 310 15032.82

2b 83 11728.35

2c 40 10793.95

3 521 13029.12

4 332 11760.76

5a 30 21822.43

5b 26 19562.90

6 712 11125.34

7 371 11327.67

8 12 230007.09

9 31 10325.22

all of
2743 17239.2
domain

Fig 3-5-10 Analysis of lineament in each tectonic domain from shadow relief map.

- 118 -
56개가 측정된 구조구 5에는 빈도 장미원도와 누적길이 장미원도가 서로 유사한 형태를
보여준다. 구조구 5a에는 N20o~40oE 방향이 가장 우세하며, 2차적으로 N30o~40oW 방향
o o
이 나타난다. 구조구 5b는 N20 ~30 E 단일방향으로만 발달한다. 712개가 측정된 구조구 6
o o o o
에는 NS~N50 E 방향이 우세하며, 2차적으로 N80 W~EW와 N30 ~40 W 방향이 분포한
다. 빈도수는 NS~N10oE 방향이 가장 우세하며, N20o~30oE 방향은 산출 빈도수는 적으나
누적길이에서는 더욱 강조되어 있다. 구조구 7에는 빈도수와 누적길이가 매우 다른 양상을 보
o o o o
여준다. 빈도 장미원도에는 NS~N30 E 방향이 우세하고 2차적으로 N60 ~70 W, N80
W~EW의 방향이 나타나며, NS~N10oE 방향이 가장 뚜렷하다. 그러나 누적길이 장미원도
o o o o
에는 N20 ~30 E 방향의 선구조선이 가장 우세하다. 구조구 8은 N10 ~30 E 방향, 구조구
o o o o
9에는 NS~N10 E와 N20 ~30 E 방향이 우세하고 2차적인 방향은 N80 W~EW이다.

(3) Landsat TM 인공위성영상을 이용한 선구조선 분석


Fig 3-5-11 의 구조구별 선구조선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1034개의 선형구조가 측정된 구조
구 1은 북동-남서 방향이 가장 우세하며, 2차적으로 북서-남동 방향이 나타난다. 구조구 1a는
o o o
빈도수와 누적길이 분포가 유사하다. 선구조선은 N30 ~50 E 방향이 가장 우세하며, N50 ~
o
60 W 방향이 비교적 뚜렷하다. 구조구 1b는 구조구 1a에 비하여 빈도수가 비교적 산만하며,
N20o~50oE, N60o~70oW 방향이 최대값을 형성한다. 누적길이는 N20o~50oE, N60o~
o o
70 W 방향이 더욱 강조되며, N80 W~EW 방향은 빈도수는 적으나 누적길이는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 구조구 1c는 측정수가 적기 때문에 방향성만으로는 대표성을 부여하기 어려우나
누적길이는 N20o~30oE 방향이 가장 우세하고 N50o~60oW, N80oW~EW 방향이 뚜렷하
다. 1755개가 측정된 구조구 2에서 구조구 2a는 빈도수와 누적길이가 유사한 양상이며, 선구
o o
조선은 NS~N50 E와 N50 W~EW의 두 방향으로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이들 중에서 선구
조선은 N20o~30oE 방향이 가장 뚜렷하며, 예외적으로 NS~N50oW 방향이 매우 적게 분포
한다. 구조구 2b는 발생빈도수와 누적길이가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전 방향으로 비교적 균등
o o
하게 선구조선이 발달한다. 구조구 2c에는 N80 E~N80 W 방향이 가장 우세하며, 2차적으
로 N30o~50oE 방향의 선구조선이 분포한다. 1627개가 측정된 구조구 3에서의 선구조선은
o o
북쪽에서 동쪽방향으로 90 에 걸쳐 나타나며, NS~N30 E 방향으로 비교적 뚜렷하게 분포되
o o o o
고, 2차적으로 N80 E~N80 W이 우세하다. 1192개가 측정된 구조구 4는 N10 ~40 E,
N80oE~N80oW가 주 선구조선 방향이다. 구조구 3과 4는 북서-남동 방향의 구조선이 적은
o o o o
양으로 인지되는 것이 특징이다. 구조구 5a와 5b는 각각 N10 ~50 E, N20 ~30 E 방향의
선구조선이 우세하다. 1718개가 분석된 구조구 6에는 1718개의 선구조선이 판독되었다. 선
구조선은 NS~N60oE 방향으로 광범위하게 나타나나 옥천대의 방향과 동일한 N30o~40oE
o
방향이 가장 우세하고 2차적으로 N80 W~EW 방향이 뚜렷하다. 1517개가 측정된 구조구 7
o o
은 빈도 장미원도와 누적길이 장미원도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선구조선은 N20 ~30 E 방
향이 가장 우세하며, 특징적으로 N60oW~EW 방향이 다른 구조구보다 산출 빈도수와 누적길
o o o o o o
이가 훨씬 높다. 구조구 8은 N10 ~30 E 방향, 구조구 9는 N10 ~20 E, N30 ~40 E 방향
o o
의 선구조선이 우세하다. 구조구 9에서 누적길이 장미원도는 N20 ~30 E 방향의 선구조선
이 뚜렷하며, 다른 방향은 비교적 분산되어 유사한 비율로 분포한다.

- 119 -
Lineaments for Landsat TM
Average
Tectonic Number Rose diagram for Rose diagram for cumulative
length
domain measured frequency (%) length vs orientation (%)
(m)

1a 790 9421.07

1b 220 8283.66

1c 24 9276.505

2a 1517 5018.94

2b 123 4857.66

2c 115 4743.25

3 1627 5090.81

4 1192 4720.57

5a 163 8257.65

5b 88 7951.77

6 1718 5193.92

7 1517 4198.48

8 65 4676.91

9 211 2719.33

all of
9370 6029.33
domain

Fig 3-5-11 Analysis of lineament in each tectonic domain from Landsat TM.

- 120 -
지질도, 전산음영기복도, Landsat TM에서 판독된 대표적인 선구조선과 단위면적당 선구조선
의 길이와 발생수를 Fig 3-5-12 에 종합적으로 도식화하였다.

Geological map Shaded relief map Landsat TM

Number of lin-
eaments for
tectonic domain

length/unit area
(m/km2)

Number/unit
2
area (m/km )

Representative
orientation of
lineament

Fig 3-5-12 Diagram showing characteristics of faults and lineaments of the Korean Peninsula.

- 121 -
4. 수리지질학적 활용을 위한 선구조선 자료처리

이 연구는 균열암반 대수층에서의 광역적인 지하수 유동방향과 이방성 그리고 지하수 부존


지역을 유추하는데 필요한 선구조선 자료를 생산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반도를
20km x 20km의 정사각형 방안으로 분할하고, 각 방안별로 Landsat TM 영상에서 판독된 선
구조선의 방향별 연장길이와 빈도수를 계산하여 각 방안별 장미그림을 작성하였다. 이와 더불
어 각 방안별로 계산된 선구조선의 연장길이와 빈도수를 이용하여 한반도 전역의 선구조선 빈
도수 분포도와 연장길이 분포도를 작성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방안별 빈도수와 연장길이를 통
합하여 기반암의 파쇄 정도를 추정할 수 있는 선구조선 밀도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다음은 각
단계별 작업내용을 기술한 것이며, 이들 작업의 대부분의 과정은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
램(Multirose V. 1)에 의해 처리되었다.

가. 한반도 전역을 20 km x 20 km 크기의 정사각형 방안으로 분할하고, 각 방안별로 선구


조선 방향별 연장길이와 빈도수 계산.
나. 각 방안별로 계산된 선구조선의 빈도수 및 연장길이 값을 각 방안의 중심점에 할당.
다. 방안과 동일한 크기의 window를 설정하고, 전체 방안의 우상단을 출발점으로 하여 window
를 10 km 씩 오른 쪽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window와 중첩되는 방안들의 빈도수와 연장
길이 값을 평균화시킴. 즉 이동평균(running average)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단계별의 win-
dow 중심점에 할당. 장미그림 작성.
라. 단계별 window 중심점의 X, Y 직각좌표를 추출
마. 추출된 X, Y 직각좌표와 단계별 window의 중심점에 할당시킨 선구조선 빈도수 및 연장길
이 값을 결합.
바. 각 window의 중심점에 할당된 연장길이 및 빈도수가 0과 1 사이의 값을 갖도록 최대 선
구조선 빈도수와 연장길이 값을 이용 정규화(normalization).
사. 5번의 결과를 내삽(interpolation)하여 연구지역의 선구조선 빈도수 및 연장길이 분포도와
선구조선 밀도 분포도 작성.

Fig 3-5-13 은 각 지역별 광역적 지하수 유동 방향과 암반대수층의 이방성을 추정하기 위해


각 방안별로 계산된 선구조선의 방향별 연장길이와 빈도수를 나타낸 장미그림으로, 선구조선
빈도수와 연장길이의 최대우세 방향은 적색으로, 기타 방향대는 황색으로 표현하여 방안별 선
구조선의 발달 방향과 최대우세 방향의 구분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20km x 20km 크기의 방
안으로 인하여 해안선 바다 방향으로도 장미그림이 나타나고 있다. 선구조선 빈도수와 연장길
이 최대우세 방향은 대부분 동일 방향이나, 판독된 선구조선의 수가 적은 방안에서는 빈도수
와 연장길이의 최대 우세방향이 상이하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인다.
한반도 전역에 대한 방안별 장미그림을 살펴보면, 우선 각 지역별로 다양한 방향의 선구조
선들이 발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같은 지체구조구내에서도 지역별로 상이한 선구조선
최대우세 방향을 보인다.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동일 또는 유사방향의 선구조선 최대우세 방
향을 보이는 방안들이 지역적으로 밀집 분포하는 양상으로 보아 특정 방향대의 선구조선들이

- 122 -
특정지역에 밀집하여 발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체구조구별로 살펴보면, 구조구 1a의 경
우, 북동-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이 구조구 전역에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며, 이들이 각 방안별
선구조선 최대우세방향을 형성하고 있으나,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선구조선들 역시 일부 지역
에서 최대우세 방향을 점하기도 한다. 구조구의 남서지역은 소위 평안방향으로 불리는 연장성
이 큰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선구조선 밀집 분포지역이나 연장성이 짧은 북동-남서 방향의 선
구조선들이 보다 빈도수가 낮아 최대우세 방향을 형성하지 못한다. 구조구 1b 지역에서는 북
동-남서, 동-서, 북서-남동 그리고 남-북 방향 등 선구조선 최대우세 방향이 지역별로 다양하
게 나타난다. 구조구 1c 지역에서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이 대부분의 방안에서
최대우세 방향을 보인다. 구조구 2a에서는 북동-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이 대부분의 방안에서
최대우세 방향을 점하고 있으며, 구조구의 남서부 지역에서는 서북서-동남동 방향과 동-서 방
향의 선구조선들이 최대우세 방향을 점하기도 한다. 구조구 2b의 동부지역은 주로 동-서 방
향, 서부지역에는 주로 북동-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이 우세하게 발달한다. 구조구 2c 지역에
는 동북동-서남서, 남-북, 북동-동서, 동-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이 혼재되어 있는 양상을 보이
며, 구조구 전체를 대변할 특정방향대의 선구조선 최대우세 방향을 보이지 않는다. 경기육괴인
구조구 3의 북동지역과 남부 일부지역에서는 북동-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이 각 방안에서 최
대우세 방향을 보이나, 이외의 지역에서는 남-북, 동-서 방향 등 여러 방향의 선구조선 최대우
세 방향이 각 방안에서 확인된다. 구조구 4(영남육괴)는 다른 구조구와는 달리 특징적인 선구
조선 발달 양상을 보이는데, 즉 구조구의 북부 지역에서 남부지역으로 갈수록 선구조선 최대
우세 방향이 북북동-남남서 방향에서 북동-남서 방향으로 변화한다.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구
조구 5a의 경우,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이 대부분의 방안에서 최대우세 방향을 형
성하고 있으나, 부분적으로 남-북 방향의 최대우세 방향을 보이는 방안들도 관찰된다. 구조구
5b에서는 북동-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이 대부분의 방안에서 최대우세 방향을 점하며, 일부지
역의 방안에서는 특정방향대로의 최대우세 방향이 확인되지 않는다. 옥천습곡대인 구조구 6의
경우, 북부지역에서 남부지역으로 갈수록 선구조선 최대우세 방향이 북북동-남남서, 동-서, 남
-북, 북동-남서 방향으로 변하고 있어 지역별로 우세한 선구조선들의 방향이 상이함을 보인다.
경상분지인 구조구 7의 경우, 양산단층이 지나는 동남부 지역과 북부지역에서는 양산단층의
발달방향인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이 우세하게 발달하고 있으며, 기타 지역에서는
서북서-동남동, 동-서, 북동-남서 방향의 최대우세 방향을 보이는 방안들이 확인된다. 구조구
8의 경우, 북동-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이 대부분의 방안에서 최대우세 방향을 점한다. 구조
구 9 지역에는 북동-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이 최대우세 방향을 점한다. 이상과 같이 방안별
선구조선 최대우세 방향이 지역별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북동-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
은 다수의 구조구에서 최대우세 방향을 점하는 양상을 보인다.
선구조선은 지하수의 유동 통로 역할을 담당하는 단층, 절리, 층리, 지질경계 등 지질학
적 불연속면을 반영하므로 지하수탐사에 있어서 주요한 지시자가 된다. 실제로 대량의 지하수
를 산출하는 관정들은 주로 지질경계선(Cressler et al. 1983), 파쇄대(Mabee et al., 1990)와
그 인접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그림 의 방안별 장미그림이 20 km x 20
km 크기의 지역별 지질 불연속면의 발달 양상을 대변한다고 전제하면, 각 방안별 선구조선
최대우세 방향은 그 지역의 광역적인 지하수 유동 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의 선구조선 발달

- 123 -
양상은 그 지역 균열암반 대수층의 이방성을 지시할 것으로 판단되나, 이의 검증을 위해서는
추후 현장 자료와의 비교 검토가 요구된다.

Fig 3-5-13 Rose diagram of lineaments within each grid. Grid size is 20 km by 20 km.

- 124 -
국지적인 지하수자원 부존지역 탐사에 있어서는 선구조선 개개의 방향, 연장길이 등이 주
요 고려 요소가 되나, 광역의 조사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개개의 선구조선의 특성보
다는 방향, 연장길이, 빈도수 등에 대한 선구조선 전체의 통계적 특성 파악이 효율적이다
(Hardcastle, 1995). 이 연구는 선구조선의 연장길이, 빈도수 등의 선구조선 개별 요소의 공간
적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 이차적으로 이들 개별 요소 값을 결합하여 광역의 선구조선 밀도분
포도를 작성하여 지하수자원 부존지역을 추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 생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 방안별로 계산된 선구조선 빈도수와 연장길이 값을 내삽하여 한반도 전역의 선
구조선 빈도수 분포도와 연장길이 분포도를 작성하였으며, 정규화된 방안별 선구조선 빈도수
값과 연장길이 값을 결합하여 한반도 전역의 선구조선 밀도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한반도 전역의 선구조선 빈도수 분포를 나타낸 Fig 3-5-14 를 살펴보면, 영남육괴와 경상분
지 일부 지역과 부산-포항 간 양산단층 발달구간에서 가장 높은 빈도수 분포를 보인다. 이 외
에 평남분지(구조구 2a)와 경기육괴(구조구 3) 일부 지역에서 빈도수가 높은 특징을 보이며,
한반도 북부지역은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구조선 빈도수가 낮게 나타난
다. 전반적으로 대규모 지질구조선이 지나는 지역과 그 인근에서 선구조선 빈도수가 높게 나
타나는 양상을 보인다. Fig 3-5-15 의 선구조선 연장길이 분포도를 살펴보면, 선구조선 빈도수
분포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에서 연장길이가 높게 나타난다. 희천융기대(구조구 1a)
에서는 서북서-동남동 방향과 북동-남서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갖는 띠 모양의 연장길이 이상대
가 형성되어 있으며, 평남분지에서는 북동-남서 방향의 이상대가 나타난다. 경기육괴에서는 철
원-의정부-서울을 잇는 추가령단층대를 따라 발달한 이상대와 옥천습곡대의 북쪽 경계를 따른
북동-남서 방향의 이상대가 분포한다. 옥천습곡대 지역에서는 방향성이 뚜렷하지는 않으나 대
체적으로 옥천습곡대의 발달방향인 북동-남서 방향으로의 이상대가 분포한다. 영남육괴 지역
에서는 방향성을 띠는 이상대는 관찰되지 않으며, 구조구 북부지역에 이상대가 형성되어 있다.
경상분지 지역에서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양산단층대를 따라 이상대가 분포한다. 이상과 같
이 선구조선 연장길이 이상대는 대부분 대규모 지질구조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음을 보이며,
이러한 현상은 선구조선 빈도수 분포에서 보다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Fig 3-5-16 은 정규화된 방안별 선구조선 빈도수와 연장길이 값을 단순 결합하여 작성한 선
구조선 밀도 분포도이다. 따라서 선구조선 빈도수 및 연장길이 분포도에서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지역이 선구조선 밀도 역시 높게 나타난다. 반면에, 선구조선 연장길이는 크나 빈도
수 값이 낮은 지역은 밀도 분포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개개의 선구조선 연장길이는
크나 상대적으로 빈도수가 낮은 지역, 즉 희천융기대(구조구 1a)와 같은 지역을 대변한다. 선
구조선 밀도분포도는 연장길이 분포도보다는 빈도수 분포도와 유사한데, 이는 빈도수 분도도
의 이상대 지역 대부분이 연장길이 분포도의 이상대 지역과 거의 일치하는 측면이 부각된 것
으로 보인다. 선구조선 밀도 분포도 역시 대규모 지질 구조선 발달지역에서 주로 높게 나타나
는데, 이는 대규모 지질구조선에 수반되는 파쇄대의 폭과 이차단열의 발달이 타 지역에 비해
양호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빈도수와 연장길이가 공통적으로 높게 나타나
는 지역들은 다른 지역에 비해 기반암내에 단층, 지질경계, 층리면 등의 지질 불연속면의 발달
이 양호함을 지시하며, 그림의 이상대 지역들은 지하수 자원의 부존이 용이한 고 파쇄대 지역
을 간접적으로 지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125 -
Fig 3-5-14 Iso-contour map of Fig 3-5-15 Iso-contour map of
lineament frequency. lineament length.

Fig 3-5-16 Iso-contour map of


lineament density.

- 126 -
5. 토의 및 결론

Landsat TM 영상과 전산음영기복도를 이용하여 한반도 전역의 선구조선을 판독하고 그 결


과를 분석하였으며, 선구조선 통계처리용 프로그램인 Rose diagram과 Multirose V.1을 개발하
고, 이를 연구에 이용하였다. 선구조선이 단층, 파쇄대, 층리, 지질 경계선 등의 지질 불연속
면을 대변한다고는 하나, 실제 판독된 선구조선이 어떤 지질 요소를 반영하는지는 직접적으로
현장에서 확인되지 않는 선형으로 나타나는 지형요소이다. 그러나 야외에서 선구조선을 추적
조사하면, 선구조선의 대부분은 단층, 지질경계, 절리 등의 지질구조 요소를 반영하고, 실제
기 확인된 많은 지질구조선들이 선구조선과 거의 일치한다는 점은 적어도 선구조선의 통계적
유의성을 제고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들이 차후 보완 수정이
필요하겠으나, 수리지질 연구에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
면 다음과 같다.

가. 한반도의 선구조선의 주요 군집방향은 북동-남서, 서북서-동남동, 동-서 그리고 남-북 방


향이다. 이 중에서 북동-남서 방향의 선구조선들이 타 방향의 선구조선들보다 빈도수에 있어
절대적 우위에 놓이며, 한반도의 대표 선구조선 군집방향으로 볼 수 있다.

나. 각 구조구별 주 구성암석의 지질시대를 기준으로 암석에 기록된 선구조선이 만들어진 지


o o
질시대와 그 방향성은 (1) 선캠브리아기에서 중생대 초엽까지 형성된 N30 ~40 E 방향으로
대표되는 북동-남서 방향, (2) 백악기에 형성된 N40o~50oW 방향, (3) 신생대에 형성된
o o
N10 ~20 E 방향의 순서로 선구조선이 형성되었다(Fig 3-5-9, Fig 3-5-10, Fig 3-5-11).

다. 균열 암반 대수층의 광역적 지하수 유동 방향과 대수층의 이방성을 추정하기 위한 한반도


전역의 방안별 장미그림을 작성하였으며(Fig 3-5-13), 고 파쇄대의 기반암 분포 지역을 추정하
기 위해 선구조선 빈도수 및 연장 길이 분포도와 밀도 분포도를 도식화하였다(Fig 3-5-14, Fig
3-5-15, Fig 3-5-16).

라. 한반도에서 발달하는 선형구조선의 보다 정확한 형성시기와 연장방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각각의 지질시대별 암석에 기록된 선구조선을 세분화하여 정밀한 비교, 검토가 필요하며, 이들
상세한 선구조선의 시대별, 암종별 분석 결과는 지하수자원 부존지역 탐사의 기초자료로서 활
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127 -
제 6 절 암반대수층 지하수의 오염 취약성 진단 평가

1.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서 상업지역, 해안지역, 농업지역 등을 각각 대표할 수 있는 온양온천 지역,


전북 군산지역, 전북 남원지역을 시범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이들 지역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국내 암반대수층의 오염취약성 평가를 위한 평가 인자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군산
지역 약 40개, 남원지역 약 70개, 온양온천지역 13개, 경주-포항지역 55개 암반대수층관정에
서 지하수 시료를 1-3회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온양온천 지역에서는 전형적인 암반피압
대수층 지하수를 대표할 수 있는 온천수를 대상으로 온천수에서 미량이나마 검출되고 있는 질
산성질소의 유입경로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심부의 암반대수층지하수와 천부의 충
적층지하수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군산, 남원지역에서는 각각 약 30개, 약 60개의 충
적층관정도 같이 조사되었다. 암반지하수와 충적층지하수의 구분은 취수정 심도 약 25m 내외
를 기준으로 하였다. 온양온천지역 조사에서는 충적층지하수에 대한 조사는 수행되지 않았으
며,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99)이 확보한 비교적 천부에 해당되는 암반지하수자료(10개, 2
회)를 본 연구에서 조사된 온천지하수와 비교하였다. 지하수 수질 분석은 질산성질소 및 염소
이온 등을 포함한 통상적인 지구화학적 항목 및 DOC 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방법은
APHA-AWWA-WEF (1995)의 Standard Method를 따랐다.

2. 심부암반대수층 지하수의 오염과정 규명

온양온천지구는 온양온천역 북쪽으로 약 1km 그리고 동서방향으로 약 1.5km에 이르는


좁은 구역을 말하며 (Thermal Well Field in Fig 3-6-1), 분 구역에서는 약 38공의 온천수공으로
부터 연간 130만 톤의 온천수를 개발하고 있다.
Moon et al. (1999)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여 보면, 온양온천지구 인근의 ‘냉천수(cold
groundwater)’는 과도한 도시화로 인하여 상당정도 오염이 진행되어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Table 3-6-2). 본 보고서에서 사용되는 ‘냉천수’라는 용어는 심부의 온천수(thermal groundwater)
와 비교되는 천부의 차가운 충적층 또는 암반지하수를 지칭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
용되는 용어는 아님을 밝힌다. 이들 냉천수는 수온이 25 ℃이하로 온천수를 양수하는 대수층
보다는 천부의 암반대수층 또는 충적층지하수에 해당된다. Moon et al.(1999)의 보고서에는
이들 냉천수에 대한 질산이온 농도가 보고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온균형을 맞추는 방법으로
추정하여 보면 질산성질소의 농도는 최대 106ppm에 이를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들 냉천수
공의 심도는 160-300m에 이르는 온천수공들보다는 작은 심도를 가지고 있다. 이들 냉천수공
의 수위는 지표로부터 10-50m정도에 해당되며, 온천수공의 수위는 대체로 지표로부터
100-140m 정도에 해당된다(Moon et al. 1999).
온양온천 지역은 과도한 암반 지하수(온천수)의 채수가 암반지하수의 수질에 어떠한 영향
을 평가하여 볼 수 있는 이상적인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본 지역의 조사를 통하여 천층
지하수의 오염과 심층부 지하수의 과도한 채수가 장차 심부암반대수층 지하수 수질에 얼마나

- 128 -
어떠한 과정으로 영향을 주는 지를 평가할 수 있는 이상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Fig 3-6-1 Onyang spa survey area

가. 온양온천수 수질 특성 및 수질영향인자 분석
Moon et al.(1999)의 동위원소자료를 분석하여 보면 이들 두 지하수는 서로 기원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냉천수는 온천지구에서 가까운 저고도에서 함양된 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온
천수는 멀리 떨어진 고지대에서 함양된 물이라고 할 수 있다(Fig 3-6-2). Fig 3-6-2 의 지역 강
우선(LMWL)은 이광식․이창복 (1999), 이광식․장병욱 (1994)의 대전지역 강수동위원소자
료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온양지역지하수가 LMWL과 평행하게 오른쪽으로 편이되어 나타나
는 이유는 두 분석기관(KIGAM, KBSI)의 산소동위원소 값이 1 ‰이내에서 편이된 것으로 추
측되나 확실하지는 않다.

- 129 -
-45

L
W
-50

LM
dD (permil)
-55

-60
Thermal Water
Cold Water
-65
-10 -9 -8 -7 -6
dO-18 (permil)

Fig 3-6-2 Oxygen and hydrogen isotope analysis results by KIGAM (1999).

Table 3-6-1 Water analysis results for the thermal groundwaters in Onyang-oncheon area. Nitrate
concentration for cold groundwaters were estimated by matching ion balances.
Thermal Water Cold Water

Well No. 2002 2004 2007 2008 2009 2010 2011 2015 2016 2022 2023 2029 2031 KIGAM (1999)*

Temp (℃) 49.1 49.9 49 43.8 40.1 49.2 45.3 46.4 53.5 51.8 53.9 52 42.3 18.4 (±2.89)

pH 8.79 8.77 8.68 8.44 7.93 8.64 8.33 8.17 8.81 8.67 8.86 8.76 8.01 7.09 (±0.29)

EC (μS/cm) 340 327 353 385 424 349 376 371 325 325 318 331 395 502 (±179)

Alk (μeq/L) 1830 1910 2090 2060 2210 1670 1950 1830 1670 1580 1590 1610 1940 2213 (±897)

F (mg/L) 1.49 1.69 1.39 1.30 1.03 1.56 1.35 1.26 1.80 1.64 1.79 1.83 1.15 0.027 (±0.023)

Cl (mg/L) 29.8 27.4 30.3 33 38.7 32.5 32.4 33.4 26.5 28.2 26.1 28.1 37.1 67.4 (±51.7)

NO3 (mg/L) 1.39 1.25 2.04 1.6 5.86 3.81 2.41 3.98 1.16 3.06 0.97 2.2 6.31 27.7 (±19.0)

SO4 (mg/L) 19.3 18.1 19.6 25.4 26.4 20.5 23.7 22.9 17.2 17.5 16.6 17.5 24.6 30.8 (±27.4)

Ca (mg/L) 7.2 4.2 8.3 7.1 22.7 6 8.8 15.5 3.2 6.3 2.8 4.1 22.2 52.7 (±20.4)

Mg (mg/L) 0.74 0.33 0.92 0.2 2.91 0.34 0.78 2.03 0.07 0.45 0.02 0.32 3.16 15.2 (±5.95)

Na (mg/L) 65.2 66.6 66.8 78.8 66 68.6 72.9 63.4 67.6 62.5 65.7 63.9 61.5 20.6 (±6.63)

K (mg/L) 1.48 1.48 1.48 1.39 1.17 1.56 1.27 1.4 1.49 1.39 1.49 1.56 1.25 1.86 (±0.79)

Si (mg/L) 26.5 27.7 26.4 26.6 26.4 27.5 26.9 26 28.7 27.7 28.1 28.2 25.9 19.2 (±3.71)
*Average (± standard deviation)

본 조사결과에 의한 온천수 수질은 천부의 냉천수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질을 보


여주고 있었다. 냉천수의 경우, EC, 염소이온, 황산이온, alkalinity 등의 농도가 매우 넓은 범
위의 값들을 보여주고 있었으나, 심부 온천수의 경우는 이들 값들이 비교적 좁은 범위에서 나
타나고 있었으며, 그 수치도 전체적으로 냉천수에 비하여 낮은 값들을 보여주고 있다(Table

- 130 -
3-6-1). 오염정도를 직접 지시해줄 수 있는 질산이온의 경우, 먹는 물기준치(60ppm)를 만족하
고는 있었으나, 탈질에 의하여 심부지하수에서는 잘 관찰되지 않는 질산이온이 0.6 - 6.3
ppm의 수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천부의 냉천수(0 - 106ppm)에 어느 정도 영향
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불소의 경우, 온천수에서는 비교적 높은 농도(1.0 ~ 1.8
ppm)를 보이고 있는 반면, 일반 지하수는 매우 좁은 범위에서 낮은 농도 (0.027±0.023
ppm)를 보임으로써 연구지역의 두 종류 지하수를 뚜렷이 구분해주고 있다(Table 3-6-1). 이러
한 수질특성과 아울러, 불소이온의 높은 보존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불소이온
농도를 각 화학종들의 거동을 분석하는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Fig 3-6-3 은 심부 온천수 수질이 전체적으로 불소이온농도와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음을 지
시한다. 특히, 보존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염소이온, EC, 불소이온 사이에는 매우 높은 상
관관계(r2>0.9)를 보여주었다. 염소이온과 전기전도도의 경우, 천부지하수 자체가 상당히 넓
은 범위의 값을 보여주고 있었으나, 온천수의 농도상관관계를 냉천수의 불소이온농도 영역까
지 확장하여 냉천수의 대표값을 추정하여 본 결과, 그 교차점이 평균 냉천수 농도 값에 매우
근접(± standard deviation 이내)하게 나타나고 있다(Fig 3-6-3, Table 3-6-2). 이 같은 현상은 황
산이온, 실리카, 총양이온농도 뿐 아니라, 수온, pH, 등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
는 온양지역 온천수의 수질 및 온도가 천부의 냉천수와 심부의 온천수와의 혼합에 의하여 거
의 전적으로 결정되고 있는 것을 지시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Table 3-6-2 The predicted cold water chemistry from flouride concentration and the observed cold
water chemistry reported by KIGAM (1999).
Observed Cold Water Chemistry
Estimated Cold Water Chemistry
by KIGAM (1999)
F (μmol/L) - 1.4 ± 1.2
temp (℃) 25.1 (24.7 to 25.6) 18.4 ± 2.9
pH 6.91 (6.88 to 6.93) 7.09 ± 0.29
alk (μeq/L) 2.78 (2.77 to 2.80) 2.2 ± 0.9
EC (μS/cm) 528 (525 to 531) 502 ± 179
Cl (μmol/L) 1459 (1450 to 1468) 1457 ± 535
SO4 (μmol/L) 403 (400 to 406) 286 ± 225
NO3 (μmol/L) 159 (158 to 161) 585 ± 504
Ca (μmol/L) 1062 (1049 to 1076) 1315 ± 510
Mg (μmol/L) 240 (237 to 244) 624 ± 245
Na (μmol/L) 3049 (3047 to 3052) 898 ± 288
K (μmol/L) 22.3 (22.0 to 22.5) 47.7 ± 20.2
Σ cation (μeq/L) 5678 (5712 to 5643) 4824 ± 1745
SiO2 (μmol/L) 801 (798 to 803) 684 ± 132

- 131 -
Fig 3-6-3 Plots of water chemistry with respect to F concentration.

각각의 양이온들과 질산이온, 알칼리도 등과 같이 각종 화학반응에 민감한 화학종들은 비


교적 낮은 상관계수를 보여주고 있었으나, 전체적으로는 불소이온농도와 선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이들의 농도 역시 상당부분 천부지하수와의 혼합에 의하여 결정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수온의 경우 불소이온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는 있었으나, 천부지
하수 쪽으로 외삽한 값이 평균지하수의 온도범위를 약간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 132 -
는 천층지하수가 심부지하수와 혼합되기 전에 지질매체로부터 약간의 열량을 취함으로써 나타
난 것으로 판단된다. 마찬가지로 냉천수 평균값과 불소이온농도와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외삽
한 값과 큰 차이를 보이는 질산성질소는 탈질반응에 의하여 나타난 결과로 추측된다. 각각의
양이온들 또한 두 값 사이에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각각의 양이온들과는 달
리, 이들의 당량 합인 총 양이온 농도 (Σ cation)는 불소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일 뿐 아
니라 냉천수의 추정 값도 관찰된 값±표준편자 범위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아 각 양이온의 농도
는 냉천수와의 혼합과 이온치환반응에 같이 영향을 받고 있음을 지시한다고 볼 수 있다 (Kim,
2002).
여기서 우리는 천층 냉천수의 수질의 변화폭은 매우 큰 반면, 냉천수에 영향을 받는 것으
로 생각되어지는 온천수는 그 수질이 농도의 상관관계직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다는 점과
불소이온으로 추정한 냉천수의 극단농도 값이 관찰값의 평균값에 매우 가깝다는 점(Fig 3-6-3 ;
Table 3-6-2)에 주목하였다. 우리는 이 같은 현상을 천층부의 냉천수가 단열망(frature network)
을 따라 점차 심부로 이동하면서, 이들 냉천수들이 서로 충분히 섞임으로써 수질이 균질해지
고, 이렇게 농도가 균질화 된 냉천수가 심부의 온천수와 혼합되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하였다.
함양된 지하수질의 계절적 변화는 지하수가 지질매체를 이동함에 따라 서로 혼합되어 점차 없
어지고 최종적으로 연중 평균값으로 균질화 된 농도를 보이는 현상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이미 관찰된 바가 있다(Eichinger et al. 1984; Darling and Bath, 1988; Velderman et al., 1993;
Clark and Fritz, 1997). 본 관찰결과, 또한, 그들이 관찰한 것과 유사한 과정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단지, 본 연구결과가 기존의 연구와 다른 점은 본 지역에서는 공간적 농도변화가 침
투되면서 없어지고 점차 공간 전체를 대표하는 값으로 균질해진다는 점이다(Fig 3-6-4). 이는
본 연구가 좁은 영역에서 이루어졌으며, 관찰 대상의 냉천수가 온천수의 과도한 양수에 영향
을 받는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어 나타난 현상으로 생각된다.

SURFACE INPUT

Concentration

Mean Input Concentration

Depth

Fig 3-6-4 Schematic illustration of concentration


homogenization during infiltration.

위와 같은 관찰결과가 지시하는 중요한 사항은 본 연구지역에서 오염물질의 심부 피압대수

- 133 -
층으로의 유입이 취수정의 casing을 따른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만약, 그와 같은 과정에 의한
냉천수의 유입이 일어났다면 각 우물별로 서로 다른 농도의 오염물질이 유입하게 되었을 것이
므로 모든 온천수는 Fig 3-6-3 과 같이 불소이온농도에 대하여 선형 관계를 보이지 않았을 것
이다. 따라서 본 연구지역에서 천부지하수의 심부유입은 천부와 심부를 구분하는 가압층
(confining unit)을 통과하는 형태로 일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관찰결과는 심부 암반
대수층의 수질저하가 주로 취수정의 케이싱을 따라 유입되는 오염물질뿐 아니라, 심부 암반지
하수의 과도한 채수로 인하여서도 오염물질이 심부에 유입될 수 있음을 지시하는 것이다. 그
리고 이러한 과정에 의한 지하수 오염은 전자에 비하여 훨씬 광범위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그
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손실은 케이싱을 따른 오염물질 유입에 비할 바가 못 될 것이다.

Fig 3-6-5 Prediction of end member F concentration for thermal groundwaters.

나. 천층지하수에 의한 영향정도 정량화


천층지하수에 의한 영향정도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냉천수와 온천수간의 농도차이가 크고
일반적인 자연환경에서 흡착반응에 자유스러운 불소이온의 농도를 이용하여 두 지하수간의 혼
합비율을 구하여 보았다. 본 계산을 위해서 KIGAM (1999)이 제시한 냉천수의 평균 불소이
온농도를 심부로 유입되는 천층지하수의 평균농도로 가정하였으며, 천층지하수와 혼합이전의
온천수수질은 질산이온과 불소이온과의 관계에서 질산성질소의 농도가 ‘0’이 될 때의 불소이온
농도를 온천수의 극단농도로 가정하였다(Fig 3-6-5)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본 계산에
서는 추정된 극단의 불소이온농도 값의 오차범위도 같이 고려하였다. 일반적으로 심부피압대
수층 지하수는 보통 환원환경상태이기 때문에 심부지하수가 유입될 당시의 질산이온은 탈질로
제거되어버렸을 것으로 판단되는 바(Chae et al., 2001), 이 같은 방법으로 온천수의 극단 농
도 값을 추정하는 것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천층지하수의 영향정도를 정량화한 결과, 조사된 대부분의 온양온천수공은 냉천수에 의하
여 10-50%정도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3-6-3). Fig 3-6-6 은 온양온천수
의 냉천수 영향정도를 bubble diagram으로 표시한 결과이다.

- 134 -
Table 3-6-3 Estimated cold groundwater fractions in the thermal groundwaters in Oyang-oncheon area.
Cold Water Fraction (%)
Thermal Well No.
max median min
2002 35 28 19
2004 26 18 8
2007 39 33 24
2008 43 37 29
2009 55 50 44
2010 31 24 15
2011 41 35 27
2015 45 39 32
2016 21 12 2
2022 28 20 11
2023 21 13 2
2029 19 11 0
2031 50 44 38

3. 암반대수층 오염 취약성평가 인자

위의 시범지구 조사를 통하여 암반대수층 지하수의 오염은 주로 암반대수층 지하수의 과도


한 채수와 천층지하수의 오염상태에 의하여 결정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암반대수층 취약성
정도 평가를 위해서는 천층지하수의 오염취약성 뿐 아니라, 천층지하수와의 연결 상태, 그리고
암반대수층 지하수의 개발 현황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인자에 대한 세
부평가항목은 Table 3-6-4 와 같다. 이중 천층지하수의 오염취약성부분은 DRASTIC평가에서 대
부분의 평가인자들을 고려하고 있으므로 이들을 원용하여도 무방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3-6-6 Estimated cold-water fractions (%) in the thermal wells.


The survey area is the same as figure 1b.

그러나 DRASTIC평가에서는 천층지하수와 심부지하수를 따로 구분하여 평가하지 않았기 때


문에 심부암반대수층에 중심을 두기 위해서는 표에 제시된 것과 같은 추가적인 인자가 필요할

- 135 -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들 인자들 간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한 평가는 지역특성과 관점에 따
라 달리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많은 지하수 오염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또한 지하
수 전문가 및 현장경험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상대적인 가중치를 두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6-4 Factors that have to be considered for the assessment of contamination vulnerability
of bedrock groundwaters.

암반대수층 지하수
세부평가항목 비고
오염 취약성 평가 인자
․ 불포화대 두께*
․ 지하수 함양량*
․ 천부대수층 구성물질*
․ 불포화대 구성물질*
천층지하수의 오염취약성 ․ 지표경사* *DRASTIC 평가지수 참조
․ 불포화대 구성물질*
․ 천부대수층의 수리전도도*
․ 토지이용현황
․ 오수차집시설 현황
․ 피압층의 두께
천층지하수와의 연결상태 ․ 수직수리전도도
․ 피압층 구성물질
․ 암반대수층의 수리전도도
․ 암반대수층 지하수 개발정도 및 향후 개발계획
심부암반대수층 상황 ․ 천층지하수와의 수두차이
․ 폐공실태
․ 취수정 관리실태

4. 포획정(capturing)을 이용한 천부 오염물질의 심부 유입차단 방안

가. 연구개요 및 방법
지하수 오염은 보통 지표의 오염원으로부터 기인한다. 특히, 오염원이 산재한 지역에서 심
정(深井)을 개발하게 되면 일시적으로는 양질의 지하수를 얻을 수는 있으나, 심부지하수 채수
가 과도하게 되면 지표근처의 오염물질이나 오염된 천층지하수를 지하 깊은 곳으로 이동시키
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같은 상황은 온양온천지역 지하수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바 있다.
본 연구의 요지는 심층부의 지하수를 채수하는 양수정 상부(즉, 천층부)에 오염물질을 포획할
수 있는 포획정을 설치하여 표층부의 오염물질(또는 오염된 지하수)이 수질이 양호한 심부대
수층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미국지질조사소(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가 개발한 MODFLOW와 MODPATH라는 수치모델 프로그램을 이용하
였으며, 모델 시험에서는 다음 사항을 모사함으로써, 천부포획정 설치에 따른 오염물질의 거동
을 관찰하였다.

(1) 심부지하수를 개발하지 않을 경우,

- 136 -
(2) 단순히 양수정(pumping well)을 이용하여 심부지하수를 개발하는 경우,
(3) 양수정 상부에 포획정을 설치하고 지하수를 개발하는 경우

recharge (220mm/year)

m)
95
=1 )
(h 5m
=18
(h

layer 1
layer 2
200 m

layer 3 )
ws
layer 4 ro
9
layer 5 (2
m
00
10
2000 m (39 columns)

Fig 3-6-7 Model illustration

Contaminated area
195 m Equipotential line
Flow line for contaminated groundwater
Flow line for uncontaminated groundwater Groundwater Table
(m)
200

160

120

80 195 m 194 193 192 191 190 189 188 187 186 185
40

0
-1000 -800 -600 -300 0 300 600 800 1000 (m)

Fig 3-6-8 Model results for the case when no significant groundwater abstraction is taking
place at the deeper part of aquifer.

Fig 3-6-9 Model results for the case when deep groundwater is intensively pumped
3
(Q = 2000 m /day).

- 137 -
본 연구에 이용된 모델은 39 column x 29 row x 5 layer의 격자를 가지며, 각 layer는 모
두 40m의 두께를 갖는다고 가정하였다(Fig 3-6-7). Row와 column의 너비는 0.2 - 100m로
다양하게 설정하였으며, 대수층은 모두 균질하고 등방성을 띤다고 가정하였다. 대수층의 수리
-5 -1
전도도는 3m/day로, 비산출율 및 비저류 계수는 각각 0.15와 10 m , 그리고 유효공극율은
최상부층에 대해서는 0.2로 그 하부층들에 대하여는 0.15로 설정하였다. 모델의 좌측과 우측
면은 각각 수두가 195m, 185m인 등수두경계(Constant Head Boundary)로, 최상부층은
220mm/year의 함양율을 갖는 함양경계(Recharge Boundary)로, 나머지 면은 모두 무유량경계
(No Flow Boundary)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오염물질은 궁극적으로 지표로부터 유입되는
3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모델의 중앙 지하 120-160m에서 일 2000m 을 양수하
3
는 양수정이 있을 때와 없을 때, 그리고 양수정 상부의 지하수면 근처에서 일 200m 을 양수
하는 포획정이 있다고 할 때 오염물질의 이동경로를 관찰하였다.

나. 연구결과 및 토의
심부지하수를 개발하지 않을 경우, 오염원이 지표로부터 유입되지만 지표부근의 지하수만
3
오염되고 심부지하수는 양질의 상태를 유지 할 수 있다(Fig 3-6-8). 일 2000m 의 심부지하수
를 개발한다고 가정할 경우, 지표부근에 존재하던 오염물질이 심부의 양수정으로 유입되어 결
국은 심부의 지하수 수질도 저하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ig 3-6-9). 그러나 천부포획정
을 설치하고 심부지하수를 개발하는 경우(Fig 3-6-10), 지표부근에 존재하던 오염물질이 대부
분 천부 설치된 포획정에 포획되고 심부의 양수정에는 오염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으로
모사되었다.

Fig 3-6-10 Model results for the case when groundwaters are pumped from the
3
shallow and the deep parts of the aquifer at the same time (Q = 2000 m /day in the
deeper part, 200 m3/day in the shallower part).

모델시험을 수행한 결과, 심정상부에 천부포획정을 설치하게 되면 오염물질이 심부의 양수


정에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지속적으로 양질의 심부지하수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심부 암반대수층은 대체로 피압되어 있음을 감안할 때, 본 공법으로 인한 천

- 138 -
부 오염물질 심부유입 차단효과는 실제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최적의 운영을 위한
포획정의 설치심도 및 양수량은 오염원 분포상황과 지질 조건, 양수정의 양수량 및 양수심도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양수정 인근에 대한 정밀한 수리지질조사
후 포획정의 양수량을 결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부포획정에 오염된 지하수를
포획하게 되면 지하수의 일부가 손실되고(본 모델의 경우 약 10 %), 또한, 천부포획정운영으
로 인한 비용손실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으나, 심부의 지하수수질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집단급수용 간이상수도나 먹는 샘물과 같이 양호한 수질을 유지해야하는 암반지
하수 개발에 특히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천부포획정으로 양수되는 지하수는 수질 수준에
맞추어 조경용수, 화장실 용수 등으로 이용한다면 비용의 손실을 줄 일 수 있을 것이다.

5. 수질자료를 이용한 지하수 오염취약성 평가가법 개발

본 연구는 금강변 충적층 지역(부여, Fig 3-6-11)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지역은 부여군
부여읍 군수리 일대로서, 면적의 대부분(95%이상)이 벼농사와 밭농사에 이용되고 있으며, 겨
울에는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여 채소와 과일을 생산하는 등 농업활동이 연중 왕성하게 일어나
는 지역이어서, 전 면적에 걸쳐서 비료와 lime과 같은 객토재가 지속적으로 살포되고 있다. 이
에 따라, 장기간의 농업활동에 의하여 파생되는 화학종들이 지하로 유입되어 지하수의 수질에
영향을 주고 있는 지역이다. 그러나 이에 의한 영향정도는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조건에 따
라 지표기원의 화학종들이 다른 정도로 침투하게 되므로, 이들 화학종들을 이용하여 본 지역
지하수의 오염취약성을 평가해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OREA

1.8 m

3.2 2.8
4.2 3.8

2.4

2.2

2.0

1.8 m

Fig 3-6-11 Sampling points in Buyeo area (a), water level (b), and surface geology (c).

- 139 -
연구지역은 point bar의 확장에 의하여 형성된 지역이며, 퇴적물은 전체적으로 fining upward
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연구지역 대부분은 주기적인 범람에 의하여 실트질 토양으로 덮여
있으나, 강변을 따라서는 이러한 실트질 토양이 관찰되지 않고 세립에서 중립질의 퇴적물이
토양층을 형성하고 있다(Fig 3-6-11C). 지하수의 흐름은 연구지역 북쪽의 구릉지역에서 강 쪽
을 향하여 흘러가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연구지역에 고르게 분포된 33개의 농업용 관정에서 2001년과 2002년,
2차례에 걸쳐 총 51개의 지하수시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첫 번째 시료채취가 있었던 2001년
은 극심한 가뭄이 있었던 시기로 기록되고 있으며, 연간 강우량은 755mm에 지나지 않았다.
반면 2002년에는 강우량(1274mm)이 평상시와 비슷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를 수질특
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분류(grouping)하는 방법(hierachical clustering)이 이용되었으며, 분류된
각 지하수group의 수질특성과 각 group이 위치하는 곳에서의 대수층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오
염취약성평가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지하수의 분류는 Davis (1986), Suk and Lee (1999),
Swanson et al. (2001)등의 방법을 따랐으며, pH, Eh, DO, TDS, Na, K, Ca, Mg, SiO2, Cl,
HCO3, SO4, NO3, Fe, Mn 농도 등이 변수로 이용되었다. 분류작업은 2001년과 2002년에 채취
된 시료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시료들은 시기별로 각 3개의 group으로 분류되었
다. 분류된 각 group은 t-검증을 통하여 수질 특성을 서로 비교/분석하였다. 본 t-검증시에는
비교되는 group간의 수질(평균농도)차이는 없다는 가설을 세웠으며, p값이 0.05이하일때, 이
같은 가설은 기각되는 것으로 하였다.

Table 3-6-5 Average water chemistry of the clustered groups.


Temp Eh DO Alk TDS Na K Ca Mg SiO2 Cl HCO3 SO4 NO3 Fe Mn
pH
(°C) (mV) (ppm) (meq/L) (ppm) (ppm) (ppm) (ppm) (ppm) (ppm) (ppm) (ppm) (ppm) (ppm) (ppm) (ppm)
Group I-1 17.3 5.4 339 2.9 0.3 487 18.6 3.6 83.5 24.1 31.5 45.4 17.8 65.6 194.7 0.05 0.05
(n=5)
Group II-1 16.3 6.2 100 2.0 2.5 308 22.0 3.4 13.6 13.8 49.2 24.1 149.7 5.6 0.9 23.5 1.91
(n=6)
Group III-1 17.6 5.7 121 3.5 0.6 249 15.8 2.7 33.4 11.8 31.2 27.3 36.4 30.0 58.4 2.46 0.33
(n=17)
Group I-2 18.1 5.5 362 3.7 0.2 488 17.7 4.9 75.8 23.9 31.0 44.4 15.0 56.5 218 0.23 0.26
(n=7)
Group II-2 16.0 6.5 151 1.1 2.7 355 21.0 3.1 13.5 12.6 48.8 28.7 162.7 18.5 2.1 41.5 2.14
(n=6)
Group III-2 16.6 5.9 334 2.5 0.8 236 14.6 1.7 23.3 11.4 33.1 32.1 49.6 28.6 37.9 3.06 0.47
(n=14)
Group I 17.8 5.5 353 3.4 0.3 487 18.1 4.4 79.0 24.0 31.2 44.8 16.2 60.3 208 0.48 0.33
(n=12)
Group II 16.1 6.3 125 1.5 2.6 332 21.5 3.2 13.6 13.2 49.0 26.4 156.2 12.1 1.5 32.5 2.03
(n=12)
Group III 17.1 5.8 217 3.0 0.7 243 15.3 2.2 28.8 11.6 32.0 29.4 42.3 29.4 49.1 2.35 0.34
(n=31)

연구지역 지하수에 대한 통계학적 분류결과, 2001년 시료는 I-1, II-1, III-1로 분류되었
으며, 2002년 시료는 I-2, II-2, III-2으로 분류되었다(Table 3-6-5). 각 group에 대해서 t-검
증을 수행한 결과, I-1과 I-2, II-1과 II-2, III-1과 III-2사이에는 수질특성에 있어 전체적으
로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6-6). 그러나 이들을 제외한 다른 비교에서는

- 140 -
수질에 있어 유의할 만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1과 I-2,
II-1과 II-2, III-1과 III-2 등은 각각 같은 group으로 간주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지
하수는 전체적으로 Group I (I-1, II-1), Group II (I-2, II-2), Group III (I-3, II-3) 등 3
개의 group으로 분류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들 3개 group들에 대하여도 t-검증이 수행되었으
며, 분석결과 이들 3개의 group 사이에는 비교적 많은 항목에 있어 상당한 화학적 특성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6-6).

Fig 3-6-12 Location of each group (A. 2001; B, 2002).

Fig 3-6-12는 각 group의 위치를 표시한 그림이다. 각 group의 위치가 그 지역의 지질조건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Group III가 실트토양으로 덮여있는 연구지
역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group들은 사질 토양을 보이는 강변지역(Group I)이나,
연구지역의 중앙과 동쪽편(Group II)의 좁은 지역에서 나타났다. 각 group이 차지하는 지역의
시기별 차이는 전체적으로 크지 않았으나, Group I의 경우는 상당한 시기별 차이를 보여주었
다. 2001년에는 Group I 지하수는 연구지역 북동편 강변에만 한정되어 나타났으나, 2002년
에는 강을 따라 남쪽으로 크게 신장된 영역에서 관찰되었다. 각 group의 화학적 특성 및 각
group이 차지하는 영역의 수리지질 특성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가. Group I 및 Group III

Table 3-6-6 The t-test results.


Comparison
Temp pH Eh DO TDS Na K Ca Mg SiO2 Cl HCO3 SO4 NO3 Fe Mn
pair
I-1 I-2 0.050 0.116 0.526 0.466 0.985 0.731 0.456 0.451 0.918 0.723 0.916 0.590 0.421 0.478 0.514 0.597

II-1 II-2 0.678 0.190 0.130 0.022 0.094 0.918 0.599 0.996 0.627 0.960 0.259 0.609 0.327 0.199 0.089 0.706

III-1 III-2 0.160 0.031 0.000 0.156 0.545 0.420 0.056 0.046 0.707 0.251 0.143 0.088 0.848 0.156 0.553 0.687

I II 0.000 0.000 0.000 0.007 0.000 0.486 0.205 0.000 0.000 0.000 0.001 0.000 0.000 0.000 0.000 0.000

I III 0.263 0.000 0.000 0.595 0.000 0.047 0.022 0.000 0.000 0.427 0.000 0.000 0.000 0.000 0.312 0.844

II III 0.104 0.000 0.003 0.001 0.000 0.206 0.042 0.000 0.210 0.000 0.291 0.000 0.014 0.000 0.000 0.000

- 141 -
Group I 은 전체적으로 Group III 보다는 높은 TDS, Na, K, Ca, Mg, SO4, NO3 농도와 낮
은 pH, Eh 와 알칼리도 값을 보인다(Table 3-6-5; Table 3-6-6). 그러나 SiO2, Fe, Mn 농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SiO2농도의 차이가 크지 않은 점에 비추어 볼 때, 두 group간의 화학
적 차이에 있어 광물의 풍화는 큰 역할을 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며, 그 같은 차이는 각
group이 차지하는 지역의 지질조건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된다. Group I이 관찰되는 강
변 지역(Fig 3-6-12)에서는 다른 지역과는 달리 실트질 토양이 나타나지 않으므로(Fig.
3-6-11C), 질소비료에서 야기된 질산이온이 사질대수층 깊이까지 침투될 수 있는 지질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조건에서는 지하수가 비교적 높은 질산이온농도를 보인다(Min et al.,
2003). 또한,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하는 lime(CaO)과 여러 종류의 비료(예: MgSO4, K2SO4
등)에도 영향을 받게 됨에 따라, 이들로부터 야기된 화학성분들이 Group III에 비하여 높은 값
을 보이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Group I 지역의 높은 TDS, Na, K, Ca, Mg, SO4, NO3
값들은 농업활동에 의한 화학성분들이 사질토양을 통하여 지하수계로 쉽게 유입되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해석은 Group I이 차지하는 영역이 극심한 강우가 있었던 2001
년에는 매우 국지적으로 나타나다가, 평상시의 강우를 보였던 2002년에는 강변의 사질 토양
지역 전체를 아우르게 나타나는 것으로도 뒷받침된다고 할 수 있다. 2001년에는 극심한 강우
로 인하여 토양을 통한 지하수함양이 매우 작았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따라, 강변의 사질토
양 지역 지하수의 수질은 주로 상류쪽(Group III 지역)에서 흘러오는 지하수에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2001년에서 강변지역 지하수가 대부분 Group III로 분류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02년 강우량이 많아지면서, 토양을 통한 지하수함양량이 늘어남에
따라, 이지역의 지하수는 토양에 뿌려진 비료와 lime에 강하게 영향을 받게 된 것으로 판단된
다.
Group I의 pH와 알칼리도가 Group III에 비하여 작게 나타난 것은 질소비료의 산화에 따른
토양산성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본 지역에서는 lime의 살포가 토양의 산성화를 막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나. Group II
Group II는 다른 group과는 상당히 다른 수질특성을 보여준다. 다른 group들에 비하여 매우
낮은 Eh 값과 매우 높은 Fe 및 Mn 농도에 비추어 볼 때, Group II 지하수는 극심한 혐기성
환경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수질의 특성도 Group II가 차지하는 지역의 대수층 특성
에 의하여 야기된 것으로 판단된다. Group II 지역에서 관찰된 약 10m 깊이의 구덩이는 이러
한 설명을 잘 뒷받침해준다. 그 구덩이의 사면은 최상부에 약 1m 두께의 실트질 토양과 그
하부에서 바닥에 이르는 두꺼운 점토질 실트층(9m 이상)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지하수는 실
트층 하부의 모래층에서 산출된다. 이 실트층은 깊이에 따라 색깔의 변화를 보였다. 즉, 상부
쪽에서는 갈색을 보이다가 하부쪽에서는 회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퇴적물 색의
변화는 상부의 호기성환경과 심부의 극심한 혐기성환경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Robertson
et al., 1996; Kelly, 1997). 이러한 지질 조건의 차이에 의하여 실트층 하부의 사질대수층은 심
각한 혐기성환경에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매우 낮은 Eh값과 매우 높은 Fe 및 Mn의
농도를 보이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주요원소들이 Group I이나 Group III에 비하여 매우

- 142 -
낮은 값을 보이고 있는 것은 Group II지역에서는 지하수수질이 두꺼운 실트층 때문에 농업활
동에 거의 영향을 받지 못한 결과로 판단된다.

다. 결 론
본 연구결과,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수질 특성에 따라 분류된 지하수 집단들은 그 집단
이 나타나는 지역의 수리지질학적 특성을 매우 잘 대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강변의 사질
토양지역에서는 농업활동에 강하게 영향 받은 수질특성을 보여주는 Group I이 주로 나타났으
며, 대수층 상부에 두꺼운 실트층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농업활동에 의한 영향이 미미하게
투영된 Group II의 수질을 보여주었다. 또한, 두꺼운 실트층은 존재하지 않고 단지 실트질 토
양만이 나타나는 지역(Group III 지역)에서는 농업활동에 의한 영향이 어느 정도는 수질에 투
영되어 있었으나, Group I에서와 같이 강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지하수의 지표오염원에 대한 오염취약성은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조건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지역은 다양한 지질조건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이러한 지질조
건에 따라 다양한 오염취약성 정도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처럼 수질자료를 통하
여 분류된 지하수집단들이 각 집단이 나타나는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특성과 잘 비교된다는
것은, 지하수 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오염취약성을 평가하여 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지역에서처럼, 연구지역 모든 면적에 걸쳐 비교적 고르게 오염원이 존
재하는 지역에서는 이들 오염원(비료, lime)의 구성성분이 오염취약성을 보여주는 추적자로 유
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 자연추적자를 이용한 벼농사지역 논물 침투량 산출

우리나라에서 답은 국토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또한 하절기에는 대부분 물을 담고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볼 때, 답을 통한 지하수함양은 적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그리고
함양되는 물과 함께 답에 살포된 비료성분도 지하로 침투되어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을 것
이다. 실제로 농경지역에서는 농업활동(특히, 비료살포)에 의한 지하수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얼마만큼의 비료성분이 지하수로 유입되고, 또한 유입된 후 지질매
체내에서는 얼마나 되는 양이 얼마나 빨리 제거되는지에 대한 정보는 아직 전무한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는 농경지역지하수의 농업활동에 의한 오염취약성평가에서 필수적인 정보
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오염물질의 지하수유입 및 유입 후 운명관계를 정확히 규
명하고 이를 통하여 농경지하수의 농업활동에 의한 오염취약성 평가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가. 논물 함양 모델
Fig 3-6-13은 논에서의 물 유출입 모식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단 논에 물이 유입되면 오
직 증발산(QET)과 침투(QIF)에 의하여만 논을 빠져나가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측정 기
간동안 강수나 추가적인 물의 유입은 없다고 가정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논에 녹아있는 용
질의 질량 균형식은 다음과 같다.

- 143 -
dm m (3-6-1)
=- Q IF ․
dt V

여기서, m은 논물에 녹아 있는 solute mass를, V 논에 있는 물의 부피를, t는 시간을 의미


한다. m( t) = C( t)×V( t) (C: 논물에 녹아있는 용질의 농도) 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이를 (1)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된다.
d( C․V) dV dC (3-6-2)
=C +V =- Q IF ․C
dt dt dt

반면, 논에 고여있는 물의 질량균형식은 다음과 같이 써줄 수 있다.


V = V o +dV = V o -( Q ET + Q IF )․t
(3-6-3)

100
Q ET Q IF
QIF, QET (relative %)

75

soil m oisture m onitoring


50 10 30 50 70 9 0 (∆ V % )
well
sam pler
25
Q OUT Q
A 0
ET

1 1 .2 1 .4 1 .6 1 .8 2
c o n c e n tra tio n c h a n g e (= C ( t)/C o )

1 100 1 .1 1 .3 1 .5 1 .7 1 .9 ( = C ( t ) / C o )
Q IF
QIF, QET (relative %)

80
water 2 Q IF
60
table
3 B 40

20
4 Q
1 .1 1 .3 1 .7 1 .9 ( = C ( t ) / C o )
ET
1 .5
0
0 20 40 60 80 100
∆ V ((V o - V (t))/ V o ; (% ) )

Fig 3-6-13 An illustration for the water Fig 3-6-14 Relative fractions for the infiltration and
recharge in the paddy field. evapotranspiration for the given changes in water
volume and concentration during a time period (Δt).

여기서, Vo는 초기 논물의 부피를 의미한다. 또한, 시간당 논물의 부피변화는 다음과 같다
고 할 수 있으므로,
dV (3-6-4)
=- Q ET - Q IF
dt

이 식을 (2)식에 대입하면 다음 식이 유도된다.


dC (3-6-5)
V =C․ Q ET
dt

여기서 (3)식을 위의 (5)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미분방정식이 유도된다.

- 144 -
dC Q ET
= dt (3-6-6)
C V o -( Q ET + Q IF )․t

Dt의 기간동안 논물의 초기농도 Co가 C(Δt)로 변화되었다고 한다면, 위의 미분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C ( Δt) Δt
Q Δt
⌠ dC 1
=⌠ dt = K ⌠
ET
⌡C ⌡0 ⌡ dt
o C V o -( Q ET + Q IF )․t 0 Vo
t-
Q ET + Q IF

Q ET
here, K =- (3-6-7)
( Q ET + Q IF )

다시 위 미방을 풀면 다음과 같아진다.

C( Δt) V o - Δt․( Q ET + Q IF ) ( V o + ΔV) K


ln = K․ ln ( ) = ln [ ] (3-6-8)
Co Vo Vo

여기서, ( Q ET + Q IF )․Δt =- ΔV= V( Δt) - V o 라고 할 수 있으므로, 위 식은 다음과 같


다.
( V o + ΔV) K
C(t) = C o ․ [ ] (3-6-9)
Vo

C( Δt)
ln
Co
K= (3-6-10)
( V o + ΔV)
ln
Vo

Vo, Co, ΔV, C(Δt) 등은 야외에서 직접 잴 수 있으므로, 위 식을 이용하여 K값을 계산해낼


수 있으며, (4)번식과 (7)번식을 이용하면, QIF과 QET를 다음과 같이 계산해 볼 수 있게 된
다.
ΔV
Q IF =K․
(3-6-11)
Δt

Q ET =-
ΔV- Q IF
(3-6-12)

위에서 계산된 식을 근거로 단위 시간당 논물의 부피변화정도와 농도변화정도를 변화시켜


가며, QIF과 QET를 계산한 결과는 Fig 3-6-14 와 같다. Fig 3-6-14 A그림은 논물의 부피(ΔV)
가 일정기간동안 30%가 감소하고, 농도는 처음보다 1.4배 증가되었다고 하면, 총 감소된 논
물의 약90%는 증발산(QET)에 의한 것이고 나머지 10%는 침투(QIF)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145 -
10 cm
7 cm

20 cm ∆h (=30cm)
K=10-5 cm/s Silt
10 cm Fine Sand
15 cm
Medium Sand Sampling
PE tubing port 1 Water draining
25 cm Coarse Sand per day
Screen Stopper
Gravel = app. 10 liter
Pebble Should be
glued
50 cm

Sampling Sampling
PH, Eh, DO port 2
measurement

Front View

20 cm

강철 frame

65 cm

4 cm

외경 0.7 cm

Fig 3-6-15 Illustration for the column experiment and the photographs for
the study site in Kunsan.

나. 모델 토의 및 모델 검증실험
위와 같은 모델은 단순히 논물의 부피변화와 농도변화만을 이용하여 논물의 침투량 및 증
발산량을 측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어, 이론상으로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서 Fig 3-6-15 와 같이 컬럼을 제작해 실험하였으며, 또한 군
산시 농업기술센터에 시범지역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컬럼 실험 결과는 위에 제시된 모델이
매우 잘 맞는 것을 지시하여 주었으나(Table 3-6-7), 시범지역 논에서 직접 조사한 결과로는
침투량을 직접 측정할 수 없어 위 모델의 검증에 이용될 수 없었다. 그러나 침투량을 직접 잴
수 있게 고안된 컬럼 실험결과가 모델의 정확성을 지시하는 바, 본 모델을 현장에 적용할 수
는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6-7 Verification of the infiltration model in the paddy field based on the
column experiment.

이론적으로 실험에서
농도비 부피변화 계산된 침투량 측정된 침투량 두값의 차이 (%)

A 1.0 5 34 88.26 87.45 -0 .9

B 1.0 7 23 74.11 73.23 -1.2

C 1.1 12 25.44 25.57 0 .5

D 1.21 25 33.74 34.0 3 0 .9

E 1.22 34 52.14 52.89 1.4

- 146 -
6. 수질영향 인자 분석 및 영향정도 정량화 기법 개발

본 연구를 위하여 군산 남원지역에서 각각 약 40개, 약 70개씩의 암반지하수관정과, 약


30개, 약 60개씩의 충적층지하수 관정을 선정, 2년간 총 3회씩 시료를 채취하여 화학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되도록 두 지역 전체를 아우를 수 있도록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였
다. 시료 채취 위치는 Fig 3-6-16 과 같다.

Geum River
Yellow Sea

Mankyung River

0 10km Bed Rock Aquifer


Alluvial Aquifer

0 10km

Fig 3-6-16 Location of groundwater sampling


points.

가. 군산-남원지역의 수질특성
남원, 군산지역 지하수 수질조사 결과를 Piper diagram에 도시하여 본 결과, 두 지역 모두
충적층 지하수 및 암반지하수 가릴 것이 없이, Ca-HCO3 type에서 Na-Cl type에 이르는 수질 유
형을 보여주고 있었다(Fig 3-6-17). 군산지역은 서해안과 접하고 있는 관계로 이러한 수질 전
이가 상당부분 해수 침투에 기인한 결과로 생각되어진다. 바로 그러한 이유로 군산지역 지하
수는 거의 모든 분석항목에서 남원지역 지하수보다 높은 농도를 보여주고 있었다. 용존유기탄
소와 질소의 경우, 그 수질 차이가 크지는 않았으나, 군산지역이 비교적 높은 농도를 보이는
것은 군산이 남원에 비하여 비교적 인구밀집도가 높고 오래 전부터 도시화가 되었으며, 보다
집중된 농업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내륙 고지대에

- 147 -
해당되는 남원지역에서도 Na-Cl type의 지하수가 적지 않게 관찰되고, EC가 염소이온농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이유는 아마도 주거지역의 오폐수와 농업활동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
다.

a) Namwon 100
Bed rock GW
Alluvial GW

0 0

100 0 100

Mg SO 4

100
100 100 0
0
100 0 0 100
Ca Cl + NO 3

100

b) Gunsan
Bed rock GW
Alluvial GW

0 0

100 0 100

Mg SO 4

100
100 100 0
0
100 0 0 100
Ca Cl + NO 3

Fig 3-6-17 Plots of groundwater chemistry of Gunsan and Namwon areas on the Piper diagrams.

나. 수질 영향인자 정량화
본 연구에서는 농경, 해수침투, 도시-산업 등 다양한 토지이용특성을 갖는 군산지역에서 지
하수 수질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고 그 정도를 정량화하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
구를 위하여, Sinclair (1976)가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Cl과 NO3 농도의 임계값(threshold
value)을 기준으로 군산지역 지하수를 4개의 집단으로 분류하였다(Fig 3-6-18). 여기에서 임계
값은 S 형태를 띠는 가중분포에서 변곡점을 의미하는 것으로 각 변수의 중간값과 매우 유사한
값을 갖는다. Cl 농도는 염류에 의한 영향 정도를 반영하고, NO3는 농경활동이나 인간의 활동
에 의한 영향을 지시하게 되므로, Fig 3-6-3에 보인 Group 1은 해수침투나 인간활동에 의한 영
향을 매우 적게 받은 지하수를 의미하며, Group 3의 물은 높은 Cl 농도와 낮은 NO3농도에 비
추어 볼 때, 해수에 의한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결과로 판단된다. Group 2의 경우는 비교적 낮
은 Cl 농도와 높은 NO3에 비추어 볼 때, 인간의 활동에 강하게 영향을 받은 물이라고 볼 수

- 148 -
있다.

Fig 3-6-18 Groundwater classification based on Cl and NO3 concentrations.

반면 Cl, NO3 모두에 대해서 높은 농도를 보이는 Group 4에 해당되는 Cl vs. NO3 관계(Fig
3-6-3b)에서 Group 2와 비슷한 거동경향성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해수침투에 의한 영향보다는
인간의 활동에 강하게 영향을 받은 결과로 보인다. 다시 말해서, Group 4의 높은 Cl 농도는
인간의 활동(NaCl, deicer 등)에 의하여 야기되었다는 점을 의미한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Group 4는 Group 3보다는 현격히 낮은 Cl 값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Fig 3-6-19).

Fig 3-6-19 Water chemistry of the classified Fig 3-6-20 Plots of pH and alkalinity as a
groups. function of NO3

- 149 -
지하수는 인간의 활동이나 해수침투에 동시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
나, Group 2와 4의 인간활동에 의한 영향은 pH vs. NO3 관계와 pH vs. alkalinity 관계 그림에
도 잘 나타나있다 (Fig 3-6-20). 즉, 질산성질소는 주로 비료와 같은 암모니아성 질소의 산화나
유기물의 산화로부터 야기되므로, 높은 NO3 농도를 보이는 Group 2, 4 지하수들은 암모니아
성 질소의 산화나 유기물의 산화와 같은 NO3생성과정 중 H+ 이온이 발생되므로 그렇지 않은
지하수들에 비하여 낮은 pH값이나 alkalinity값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군산지역에서는 지하수
의 수질이 인간의 활동과 해수침투에 강하게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
다. 그러나 지하수는 지질매체 속을 흐르는 물이므로 광물의 풍화에 의한 영향도 불가피하게
받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같은 수질 영향 인자들을 정리하면 Table 3-6-8과 같다.

Table 3-6-8 Suggested chemical reactions affecting alkalinity, and concentrations of cation and
nitrate in the study area and their stoichiometric ratios.
Stoichiometric Relation*
(in Equivalent)
Reactions
alkalin-
NO3 Cl Σ cation
ity
Anthropogenic Effect
Aerobic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C106H263O110N16P+38O2 => 106CO2+16NO3-+HPO42-+122H2O+18H+ 1 0 0 -1.125
Nitrification
NH4+ + 2O2 => NO3- + H2O + 2H+ 1 0 0 -2
Denitrification
- +
5CH2O + 4NO3 + 4H => 5CO2 + 2N2 + 7H2O -1 0 0 1
NaCl salt
NaCl => Na+ + Cl- 0 1 1 0
Deicer
CaCl2 => Ca2+ + 2Cl- 0 1 1 0
Seawater Input
- 2- - -
Seawater => 100Cl + 10.35SO4 + 0.42HCO3 + 0.15Br + 0 1 1.1 0.00
3.77Ca + 19.44Mg + 85.81Na + 1.87K+
2+ 2+ +

Mineral Weathering
Plagioclase
(Na0.8Ca0.2)Al1.2Si2.8O8 + 1.2CO2 + 1.8H2O => 0.8Na+ + 0.2Ca2+ + 0 0 1 1
1.2HCO3-+ 0.6Al2Si2O5(OH)4+ 1.6SiO2
carbonate
(Ca1-x, Mgx)CO3 + CO2 + H2O => (1-x)Ca2+ + xMg2+ + 2HCO3- 0 0 1 1
*: minus sign (-) indicates decrease in concentrations for the forward reaction

Kim(2003)은 광물풍화반응관계를 분석한 결과, 광물의 풍화에 주로 영향을 받은 물들은


총양이온(Σcation = Ca+Mg+Na+K, 당량)농도와 alkalinity는 1:1의 관계를 보인다고 주
장한 바 있다. 그러나 군산지역의 지하수를 총양이온 vs. alkalinity 도표에 도시하여 본 결과,
모든 물들이 광물용해선(1:1 mineral dissolution line) 위쪽에 분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3-6-21). 그러나 Group 1의 경우는 다른 집단들에 비하여 1:1 광물 용해선에 가깝게 도시되는

- 150 -
것으로 보아, 상대적으로 광물풍화에 의한 영향이 다른 인자들에 의한 여향에 비하여 큰 것으
로 판단된다. 하여간, 이처럼, 본 지역 지하수들이 1:1 광물용해선 위쪽에 분포되는 것은
Table 3-6-8 의 반응식에 보이는 것처럼, 모든 지하수들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광물의 풍화
뿐아니라, Cl-salt나 다양한 NO3 생성반응에 영향을 받은 결과로 해석된다. 즉, NaCl, deicer,
해수침투 등과 같이 Cl-salt에 영향을 받은 경우, alkalinity는 변함이 없으나, 총 양이온농도는
증대되게 되며, ammonium(질소계 비료 등)의 산화나 유기물의 산화 등에 영향을 받게 되는
경우는 총양이온의 농도변화는 거의 없으나, alkalinity를 감소시켜, 지하수들이 Fig 3-6-21처럼
총양이온 vs. alkalinity 도표상에서 광물 용해선 위쪽에 도시되도록 한다.

Fig 3-2-21 A plot of total cation versus alkalinity.

본 연구에서는 총양이온 농도에 대하여 Cl-salt에 의한 영향과 NO3 생성에 따른 영향을 순


차적으로 보정하여, 보정된 양이온농도와 alkalinity와의 관계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각 지하수
집단 내에서 이들의 상대적인 영향 정도를 관찰 하여보았다(Fig 3-6-22) 본 보정과정에서는 모
든 NO3는 질산화과정(nitrification, ammonium의 산화)에 의해서만 발생된다고 가정하였으며, 또
한, 모든 지하수들이 비교적 높은 용존산소 농도를 보이는 것을 고려하여 발생된 NO3는 탈질
에 영향을 받지 않는 다고 가정하였다. 질산화과정(Table 3-6-7)의 경우, 2당량의 NO3가 생성
되기 위해서는 2 당량의 alkalinity를 감소시켜야 하므로, 총양이온농도에서 2당량의 NO3농도
빼주었다. 만약, 각 집단의 지하수가 이들 인자에 의하여 주로 영향을 받은 결과라면 보정된
총양이온농도와 alkalinity는 1:1의 선형관계를 잘 보여주게 될 것이다.
Fig 3-6-22 는 이 같은 순차적인 보정에 따른 양이온(Σcation) 및 alkalinity의 관계를 보여주
고 있다. 예상한 것처럼, Group 1과 3의 경우는 Cl-salt 보정만으로도 좋은 1:1 상관관계를 보
여준반면, Group 2와 4의 경우는 Cl-salt 보정시 보다는 nitrification 보정을 해주었을 때 더 좋
은 1:1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Cl-salt와 nitrification 보정을 해주었을 때 Group 1과 3
은 가장 좋은 1:1 상관관계를 보여준 반면, Group 2와 4의 경우는 그 관계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특히, 이들 집단들은 두 가지 인자들에 대하여 동시에 보정하였을 경우, 모두 광물용
해선 아래쪽에 도시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는 NO3 생성과정에 대한 보정이 과하게 이루어

- 151 -
진 결과로 판단된다. 즉, NO3 생성이 전적으로 질산화과정에 의한 것으로 가정하는 것은 과도
하게 총양이온농도를 보정하여 줌으로써, 광물용해선 아래쪽에 도시되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
는 다시 말해서, NO3 생성이 질산화과정 뿐 아니라, 다른 과정, 즉, 유기물의 산화에 의해서
도 적지 않게 이루어짐을 지시하는 것이다. 유기물의 산화에 의하여 NO3가 생성될 경우는 1당
량의 NO3를 생성시키기 위해서 단지 1.125당량의 alkalinity만이 소모된다(Table 3-6-7). 이는
2당량이 소모되어야 하는 질산화과정보다는 작은 값이다.

Fig 3-6-22 Plots of total cation corrected for Cl-salts (a), nitrification (b),
and Cl-salts and nitrification (c) with respect to alkalinity. The shaded lines
in the figure represent the stoichiometric relation for mineral dissolution.

- 152 -
본 지역 지하수 내에 존재하는 NO3는 질산화과정 및 유기물의 산화에 동시에 영향을 받은
결과라고 할 수 있으므로 이들의 상대적인 영향정도를 계산하여 보았다. 광물의 풍화에 의하
여 발생된 alkalinity는 ‘Σ cation-Cl'이라고 할 수 있으므로(Kim, 2003), ‘Σ cation-Cl-alkalinity'
는 NO3 생성과정에 의하여 제거된 alkalinity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2개의 질량보정식을 만들어 볼 수 있다.

Σ cation - Cl - alkalinity = 2.0 x a + 1.125 x b

NO3 = a + b

여기에서 a와 b는 각각 질산화과정 및 유기물의 산화에 의하여 발생된 NO3의 농도를 나타


내며, 이들 값은 항상 양의 값을 갖는다고 가정하였다. 그래서 위식으로부터 a (또는 b)값이
음의 값으로 계산되면, 이들 값을 ‘0’으로 하고 b (또는 a) 값은 관찰된 NO3농도와 같다고 설
정하였다. 위 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a와 b값은 Table 3-2-9 에 정리하였다. Table 3-2-9 에는 아
울러, 광물풍화 및 Cl-salt에 의한 총양이온 영향정도값들도 같이 정리되어 있다. 여기에서 광
물풍화에 의한 영향은 ‘Σ cation-Cl’값과, 그리고 Cl-salt에 의한 영향은 Cl 농도와 같다고 가정
하였다.

Table 3-6-9 Calculation results for the contributions of various chemical processes to the
concentrations of total cation and nitrate. Units are meq/l and the numbers in the parentheses
represent the relative contributions for the total concentration.
Total Cation Nitrate
Oxidation of
Mineral
Cl-salt Total Nitrification organic Total
weathering
matter
0.49±0.28 1.61±0.83 0.07±0.08 0.06±0.09
Group 1 (25±13%) (75±13%)
2.09±0.90
(71±40%) (29±40%)
0.12±0.11

0.83±0.25 1.76±0.61 0.20±0.18 0.52±0.33


Group 2 (33±11%) (67±11%)
2.59±0.69
(32±29%) (68±29%)
0.71±0.28

5.95±7.53 4.65±2.97 0.10±0.12 0.15±0.81


Group 3 (50±20%) (50±20%)
10.60±9.16
(80±39%) (20±39%)
0.26±0.80

2.56±1.36 2.68±1.02 0.37±0.31 0.64±0.56


Group 4 (48±12%) (52±12%)
5.24±1.82
(42±33%) (58±33%)
1.01±0.53

이 같은 계산결과, 인간의 활동에 영향을 많이 받은 집단(Group 2, 4)의 경우, NO3농도에


있어 유기물 산화에 의한 영향이 비교적 크게 나타났으며, Group 1과 Group 3의 경우는 질산
화과정이 NO3농도에 더욱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
는 현재로써 확실하지 않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해수 영향을 많이 받
은 Group 3의 물이 광물의 풍화에 상대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침
투된 해수가 지질매체 속에 체류하는 시간이 토양으로 함양된 다른 지하수에 비하여 훨씬 큼

- 153 -
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흥미로운 점은 인간의 활동에 강하게 영향을 받은 Group 2와 4
의 물들이 Group 1의 물보다 상대적으로 풍화에 의한 영향도 비교적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
는데, 이는 질산화과정이나 유기물의 산화과정에서 발생된 수소이온이 광물의 풍화를 촉진시
킨 결과로 생각된다(Zilberbrand et al., 2001; Desimone et al., 1997).

다. 결과 및 토의
도시․해안․농업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군산과, 농업 산간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남원지
역의 암반 및 충적층 지하수 조사를 통하여 우리는 암반지하수 오염에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즉, 암반지하수는 보통 상부가 충적층으로 덮여있는 관계로 충적층 지하
수에 비해서는 전반적으로 지표오염에 덜 민감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깊지 않은 심도에서
는 충적층과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저심도의 암반지하수는 지표오염에 매
우 민감하다고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암반지하수 오염은 충적층 지하수오염과 밀접
한 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으며, 암반지하수 오염감시를 위해서는 지시자는 충적층지하수를 일
차적으로 감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충적층 지하수가 토지이용상황에 민감한 것처
럼 심부의 암반지하수도 그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암반지하
수의 적절한 관리를 위해서는 지표오염원 및 충적층 지하수 수질관리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며, 충적층지하수의 오염상태에 따른 암반지하수 개발 밀도를 제한하는 것이 타당할 것
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화학반응식의 균형을 맞추는 방법으로 군산과 같이 다양한
오염원을 가진 지역에 대하여도 각 수질인자들의 상대적인 영향정도를 계산할 수 있음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는 상당히 많은 단순화 과정을 거친 것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오차를 포함
한다고 볼 수 있겠으나, 국내외적으로 처음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의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7. 고불소 지하수 산출을 제어하는 인자들: 동위원소 연구

본 연구에서는 불소, 라돈 등과 같은 암석기원 오염물질(lithogenic contaminants)의 산출을


제어하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간이상수도용 암반지하수에서 불소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경주-포항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지역에서는 광역상수도 공
급이 어려운 농어촌 마을에 안정적인 수도물 공급을 위하여 614개의 간이상수도용 암반지하
수관정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로부터 약 13만명의 주민들이 생활 용수를 공급받고 있다. 그
러나 적지 않은 지하수 관정들이 먹는 물 수질기준치(1.5 mg/L) 를 상회하는 불소농도를 보
이고 있다. 음용수 중의 불소는 약 1 mg/L 까지는 충치예방효과가 있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
서는 치아불소증(반점치; fluorosis)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nahan, 1994). 일반적
으로 불소는 국내 온천수나 심부지하수에서 높게 검출되는 경향이 있다(이종운외, 1997; 김
규한과 최현정, 1998; 염병우와 김용제, 1999; 김건영외, 2000). 황정(2001, 2002)은 형
석광화대 부근 지하수의 불소분포특성과 기원에 대하여 연구하여, 고불소 지하수의 산출이 백
악기 화강암의 분포와 밀접하게 관련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그러나 형석광화대가 아니더라

- 154 -
도 지하수의 불소 산출은 지역적으로 여러 곳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그 기원과
지질학적 조건에 대한 상관관계가 완전히 규명된 것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포항-경주 지역
지하수의 불소산출원인을 안동대학교 정기영교수팀과 함께 조사하였다.

가. 연구지역 및 방법
본 지역의 지질은 Fig 3-6-23 과 같이 요약된다. 본 지역은 백악기에서 제3기에 걸쳐 형성
된 화산암류 및 퇴적암류를 관입한 화강암류로 특징지워진다. 이들 백악기 화강암류는 본 지
역의 기반암을 이루고 있으며, Fig 3-6-23 과 같이 양산단층을 따라 포항쪽과 경주쪽에서 간헐
적으로 나타난다. Lee et al. (1995)에 의하면 이들 화강암류들은 약 1%의 형석(fluorite;
CaF2)를 함유하고 있으며, 비교적 불소농도가 높은 흑운모(1.4 wt%)와 각섬석류(1.4 wt%)
등의 광물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광물들이 지하수내 높은 불소농도
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경상분지 동남부의 주단층대인 양산단층대가 본 지역을 가로지르고 있다. 양산단층은 신생
대 에오세부터 활동한 변위량 약35km 정도의 우수향 주향이동 단층이다(Chang et al.,
1990), 단층대가 지나는 지역은 대체로 낮은 지형을 이루어 충적층이 피복하고 있으며, 주변
부는 산지가 분포하고 있다. 포항시 신광면의 단층대 서쪽은 780m의 비학산을 중심으로 비교
적 높은 산지가 연이어 있으나 나머지 지역은 대개 300 m 정도의 낮은 산들이 분포하고 있
다. 지구물리탐사연구에 의하면 경주지역의 단층대는 폭이 약 3km에 이를 정도로 매우 큰 반
면 (Baag and Kang, 1994), 포항지역의 양산단층대에서는 경주지역에 비하여 폭이 매우 좁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포항지역에서 양산단층대가 지나는 지역에는 개천크기의 소규모 지표수
가 흐르고 있을 뿐이지만 안강읍과 경주시 사이에는 비교적 큰 하천인 형산강이 흐르고 있으
며, 충적층도 매우 넓게 나타나고 있다. 현재 양산단층대와 울산단층대에 연하여는 심도
500m 이상의 온천수관정이 개발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지역내에서의 전체적인 불소농도 분포를 관찰하기 위하여 경북보건
환경연구원, 경주시 수도사업소 등이 조사한 422개의 간이상수도 수질분석자료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자료들은 단지 먹는 물 기준 항목에 대한 분석결과 이므로, 지하수의 성인에 대
한 정보를 제공하여 주지는 못한다. 따라서 양산단층대를 따라 분포된 간이상수용 지하수공,
일반용 지하수공, 온천수공 등으로부터 총 55개의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여, 주요 양이온(Ca,
Mg, Na, K), 주요 음이온(Cl, SO4, NO3, F, HCO3), 용존실리카, Li, 산소/수소 동위원소 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나. 고불소 지하수의 분포
기존에 분석된 포항-경주 지역 다수의 간이상수도 관정 지하수의 불소 분석값 (422개)을
지도상에 도시하여 본 결과(Fig 3-6-23), 고불소 지하수는 단층대를 따라 산출되며, 또한 단층
대 중에서도 화강암지역에서 주로 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소산출이 단층대와 높은
불소함량을 갖는 백악기 화강암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지시하는 것으로 보인다. 통계분석
(t-test) 결과에 의하면(Table 3-6-10), 단층대지하수는 비단층대 지하수에 비하여 우물의 심도
차이는 없지만 불소농도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155 -
그러나 같은 화강암지역 단층대 지하수라고 하더라도, 경주지역에서는 포항지역에 비하여
지하수의 불소농도가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Fig 3-6-23). 이 같은 고불소 산출특성은 Table
10의 통계분석결과에서도 잘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내 산소/수소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같은 고불소지하수의 산출특성을 집중 조사하였다.

Fig 3-6-23 Location and geology of the study area, and the F level distribution in
groundwaters. The F data are from the ME (Ministry of Environment) database for the 422
public water-supply wells (B) and from the analysis of 55 groundwater samples collected
during this study (C). Only F levels are available in the ME database. Thus, full chemical
18
analysis for pH, major cations/anions, SiO2, and stable isotopes (δ O, δD) were carried out for
the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55 wells during this study.

- 156 -
Table 3-6-10 Results for the t-tests between fault zone and non-fault zone groundwaters (a) and be-
tween fault zone groundwaters in the granite area of Gyeongju and Pohang (b). For the second
comparisons, samples collected from the wells that are located on the alluvium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geology of the nearby areas.
(a) Between fault zone and non-fault zone groundwaters (based on ME data)
18
n Well depth (m) F (mg/L) δD (‰) δ O (‰)
Fault zone 323 153±82a 1.33±2.45 - -
non-fault zone 99 128±38 b 0.27±0.73 - -
p-value 0.137 0.000 - -
(b) Between fault zone groundwaters in granite areas of Gyeongju and Pohang (data of this study)
Pohang 7 246±179 9.40±5.97 -68.3±6.5 -9.55±0.86
All Gyeongju 12 242±241 1.77±3.36 -55.9±6.2 -7.93±0.90
p-value 0.968 0.014 0.002 0.002
≤ 400 m in Pohang 5 143 ±40 7.92 ±6.47 -66.4 ±6.9 -9.28 ±0.88
Gyeongju 10 146±94 0.61±0.83 -54.7±5.7 -7.76±0.86
well depth p-value 0.944 0.003 0.014 0.012

Table 3-6-11 Summary of the water analysis results (mean ± standard deviation) for each group
classified based on F concentrations.
Group 1 Group 2 Group 3 Group 4 Group 5
F level range (mg/L) <0.2 0.2 to 0.5 0.5 to 1.0 1.0 to 5.0 >5.0
n 15 15 10 6 9
Log F (mol/L) -5.30±0.17 -4.83±0.10 -4.47±0.09 -3.81±0.18 -3.30±0.17
Well depth (m) 128±46.6 131±37.8 139±102 226±260 322±228
δD (‰) -52.7±5.5 -55.4±3.1 -57.8±2.7 -59.6±3.8 -67.4±6.1
18
δ O (‰) -7.59±0.77 -7.88±0.41 -8.21±0.38 -8.54±0.39 -9.53±0.70
Slopea 6.88±0.90 7.05±1.37 6.77±1.04 9.30±2.18 8.41±1.62
Intercepta -0.48±6.9 0.11±10.8 -2.27±8.6 19.8±18.7 12.8±15.5
deutrium excess
8.01±1.66 7.64±1.20 7.84±0.77 8.69±0.96 8.84±1.62
(= δD - 8δ18O ‰)
pH 6.63±0.63 7.08±0.69 7.39±0.70 7.53±0.27 8.85±0.76
Log Alkb(eq/L) -3.05±0.32 -2.76±0.25 -2.82±0.33 -2.50±0.27 -2.83±0.29
Log Cl (mol/L) -3.53±0.29 -3.41±0.19 -3.42±0.29 -3.26±0.37 -3.06±0.37
Log NO3 (mol/L) -4.12±0.54 -4.25±0.83 -4.43±0.90 -4.94±0.86 -5.80±0.76
Log SO4 (mol/L) -4.21±0.51 -3.94±0.43 -3.86±0.53 -3.30±0.50 -3.50±0.45
Log Na (mol/L) -3.24±0.22 -3.02±0.25 -3.00±0.22 -2.49±0.31 -2.45±0.22
Log Ca (mol/L) -3.54±0.47 -3.25±0.23 -3.27±0.31 -3.30±0.26 -3.63±0.45
Log K (mol/L) -4.56±0.28 -4.65±0.28 -4.57±0.25 -4.32±0.24 -4.76±0.44
Log Mg (mol/L) -3.92±0.56 -3.58±0.26 -3.66±0.35 -3.66±0.38 -5.00±1.07
Log SiO2 (mol/L) -3.38±0.31 -3.30±0.24 -3.31±0.18 -3.42±0.20 -3.36±0.29
SIc for calcite -2.06±0.96 -1.04±0.96 -0.82±1.11 -0.45±0.56 0.20±0.22
SIc for fluorite -3.62±0.70 -2.42±0.3 -1.74±0.42 -0.54±0.26 0.14±0.33
18
a Regressed value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δ O and δD (Figure 2) ± 90% confidence level.
b Alkalinity
c Saturation Index (=log IAP/Ksp) calculated using PHREEQC (Parkhurst and Appello, 1999).

- 157 -
다. 주요 용존물질 및 동위원소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 채취된 55개의 지하수 시료분석결과, 불소농도는 pH, Cl, Na, Li, SO4, Br 등과
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NO3와는 역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Table 3-6-11) 그러
나, alkalinity, Ca, Mg의 경우는 불소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가 고농도에서는 오히
려 감소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 같은 현상은 방해석(CaCO3)의 침전에 의한 현상으로 판단
된다. PHREEQC(Parkhurst and Apello, 1998)를 이용, 각 광물에 대한 포화지수를 계산한 결과
(Fig 3-6-24), 불소농도가 매우 높은 영역에서는 방해석(CaCO3)에 대하여 포화상태 또는 미약
한 과포화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지역에서는 지하수가 암석내에서 지속적으
로 물-암석반응을 거치면서 공급된 alkalinity는 방해석에 대한 포화를 야기시키고, 이에 따라,
alkalinity, Ca, Mg 등의 감소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Group 1 (F < 0.2 ppm)


Group 4 (1.0 < F< 5.0 ppm)
Group 2 (0.2 < F < 0.5 ppm)
Group 5 (F > 5.0 ppm)
Group 3 (0.5 < F< 1.0 ppm)

Fig 3-6-25 Stable istope analysis results. The


Fig 3-6-24 Changes in saturation indices Precipitation-weighted averages of rain waters are
18
(= log IAP/Ksp) for calcite (a) and -51 permil (δD) and -7.78 permil (δ O) (IAEA data
fluorite (b) as a function of F obtained from Pohang during 1961-76; Lee and
concentration. Chung, 1997).

그리고 불소농도도도 오랜 물-암석반응에 의하여 지하수 속에 부화되고 있음을 지시하는


것이다. 불석(CaF2)에 대한 포화지수계산결과 역시, 고불소영역에서는 불석에 대한 포화상태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지하수가 고불소 영역에서 불석에 대하여
포화상태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해서 불소농도가 증가되는 이유는 공통이온효과
(common ion effect)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물-암석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Ca, Mg,
alkalinity, F 등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이들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되다가, 반응이 더욱 진행
되게 되면, 지하수는 방해석, 불석에 대하여 포화상태를 이루게 되고, 더 이상의 불소농도가

- 158 -
증가될 수 없는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나 지속적인 암석의 풍화로 추가적인 alkalinity가
공급되면서 물속의 Ca는 방해석의 형태로 침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불석의 포화상태를 유지
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F가 용해될 수 있는 여유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Mg는 방해석과
같은 탄산염광물의 침전시 Ca와 함께 침전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불소농도 증가 기작을 고려해볼 때, 지하수의 불소농도는 지질매체내 지하수의
체류시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산소/수소 동위원소분석결과에도 잘
반영되어 있다. 동위원소 분석결과, 저불소 지하수의 동위원소 조성은 현생의 강수동위원소 값
(δ18O= -7.78 permil, δD= -51 permil; 포항지역 IAEA data)와 매우 유사한 값을 보임으로
써, 최근에 함양된 지하수임을 잘 보여주고 있다(Fig 3-6-25). 그러나 고불소지하수의 경우는
현생 강수보다 매우 낮은 값을 보이고 있었다. 이 같은 현상은, 고도효과에 의한 것이거나, 지
금과는 기후가 다른 시기에 함양된 결과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후인자를 지시하는 중수
소과잉(deutrium excess) 값은 전자에 의한 결과는 아님을 잘 지시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중수소과잉 값은 불소농도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고도효과에 의
하여 산소/수소동위원소 조성이 다르게 나타났다면, 이 같은 중수소과잉 값의 차이는 나타날
수가 없다. 중수소과잉 값은 강우를 야기시키는 수증기를 만드는 지역의 기후에 의하여만 결
정되고, 같은 수증기 구름의 강수위치와는 상관이 없는 인자이다. 따라서 본 동위원소 분석결
과는 고불소지하수가 현재와는 기후가 다른 시기에 지하수로 함양된 결과임을 강력히 지시하
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해석은 지표기원 화학적인 질산성질소의 분석결과와도 잘 일치된다(Fig
3-6-26). 즉, 최근에 함양된 저불소 지하수는 비교적 높은 질산성질소의 농도를 보이고 있는
반면, 고불소지하수에서는 질산성질소가 거의 검출되지 않고 있었다. 이는 고불소지하수가 함
양될 당시 용존되어 있던 질산성질소가 오랜 체류시간으로 모두 탈질되어 없어진 결과로 해석
되며, 고불소지하수가 상대적으로 오랜기간동안 지질매체속에 체류하였음을 반증하는 것이기
도 하다.

Fig 3-6-26 A bubble plot of fluoride concentration on the δ18O vs. NO3 diagram.

- 159 -
라. 고불소지하수 산출 제어인자들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본 연구지역에서의 고불소지하수의 산출은 불소함량이 높은 백악
기 화강암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같은 지하수내 불소농도와 암반의 화학
조성과의 상관관계는 이미 많은 기존연구에서도 규명된 결과이다. 그렇다면, 지금부터는 고불
소지하수가 단층대를 따라 나타나는 이유를 고찰해보도록 하자. 단층대를 따른 고불소지하수
산출은 두 가지요인으로 설명해볼 수 있을 것이다. 첫 번째는, 단층대에는 파쇄된 암편들이 많
이 존재하게 되므로, 단층대 지하수는 상대적으로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이들 암편과의 왕성
한 반응으로 불소농도가 부화되었을 가능성이다(Fig 3-6-27). 두 번째는, 오랜기간 암석과 반응
한 심부지하수가 단층대를 따라 상승함에 따라, 이들이 단층대에 존재하는 우물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다(Fig 3-6-27b). 고불소지하수의 연령이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단층대를 따른 고불소지하수의 산출은 심부의 고기지하수가 단층대를 따라 상승한 결과임을
강하게 지시하여 준다. 그 이유는 단층대 천층부에서 산출되는 연령이 오래된 고불소지하수를
심부의 지하수와 연결시키지 않고는 해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첫 번째 요인에 의하여
단층대지하수의 불소농도가 부화되었다면, 이들 지하수의 연령이 다른 지하수에 비하여 오래
되었다는 점을 설명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지역에서의 단층대를 따른 고불소지하수 산출은
단층대와 같은 지질구조가 심부의 고불소지하수를 상승하게 하는 통로로 작용됨으로서 나타난
현상으로 판단된다.

low F level High F level

a) Enhanced weathering of b) Upward flow of deep groundwater


rock fragments

Fault zone

Fig 3-6-27 Two possible explanations for the high F levels in the fault zone: (a)
enhanced weathering of the in situ granite fragments generated during the fault
displacements and (b) upward flowing of F-enriched deep groundwaters.

- 160 -
a) Fluoride level b) Nitrate level
18 18
d O (permil) d O (permil)
-11.0-10.0-9.0 -8.0 -7.0 -6.0 -11.0-10.0-9.0 -8.0 -7.0 -6.0
Well depth (m) 0 0

Well depth (m)


200 200

400 400

600 600

0 4 16 mg/L 0 8 32 m g/L
800 800

Fault-zone GW in Gyeongju granite Others


Fault-zone GW in Pohang granite
18
Fig 3-6-28 Concentrations of fluoride (a) and nitrate (b) as bubbles on the δ O vs. depth diagram
for the groundwaters classified based on their occurrences (fault zone in granite area of Pohang,
fault zone in granite area of Kyeongju, and other area). Samples collected from the wells that are
located on the alluvium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geology of the nearby areas.

그러나 본 연구의 동위원소 분석결과는 같은 단층대라고 하더라도, 수문학적인 조건에 의


하여 고불소지하수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경주지역에서는 단층대가
불소함량이 높은 백악기 화강암을 관통함에도 불구하고 왜 포항지역 단층대와 같은 고불소지
하수가 나타나지 않는 지를 설명하기 위하여, δ18O-depth도 위에 불소농도 및 질산성질소농도
를 거품형태로 도시하여 보았다(Fig 3-6-28). Fig 3-6-28 은 포항화강암지역 단층대에서는 고불
소 지하수가 지표근처까지 상승하여 있는 반면, 경주화강암지역에서는 고불소지하수가 지하
600m이하에서 만 관찰되고, 이보다 얕은 심도에서는 질산성질소의 농도가 높은 현생 지하수
로 채워져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즉, 경주화강암 단층대에서는 현생에 함양된 지하수가 단
층대 심부까지 깊숙이 순환하는 반면, 포항화강암 단층대에서는 현생지하수의 단층대 침투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지시하는 것이다. 이는 두 지역 단층대에는 수문학적 조건에
큰 차이가 있음을 지시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경주화강암지역 단층대에서는 고불소지하수
가 매우 깊은 심도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로써는 이 같은 수문조건의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명확하지는 않으나, 경주지역 단층대가 포항지역에 비하여 매우 넓게 나타나
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
가 필요하다.

마. 결론 및 토의
본 연구결과, 경주-포항지역의 고불소 지하수는 암반의 화학조성, 지하수의 연대, 우물의
심도, 단층과 같은 지질구조, 그리고 수문학적 조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남을 확인

- 161 -
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의 국내외 관련 연구가 모두 암석의 화학조성과 지하수연대
에만 중점을 두었던 점에 반하여, 본 연구결과는 단층과 같은 지질구조와 수문학적 조건도 고
불소지하수의 산출을 제어하는 중요한 인자임을 밝혔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를 갖는다. 또
한, 본 연구결과는 단층대 주변지역 지하수 개발과 관련된 기초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162 -
제 7 절 지질과 지하수질과의 현상 진단 및 평가

1. 연구 지역 조사 및 시료 채취

이 연구는 영암-강진 지역 및 전주-완주 지역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Fig 3-7-1). 이 두 지


역은 지질자원연구원이 건설교통부의 의뢰를 받아 ‘지하수기초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
고한 지역이다 (조민조 등, 1999, 2001).
영암-강진 지역은 1998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2년에 걸쳐 조사되었으며, 이 때 지
질자원연구원 조사진은 이 지역에 대한 일반 지리 및 지형과 같은 일반 현황 조사, 기상 및
수문 조사, 지질 조사, 물리탐사, 시추 및 착정 조사, 기타 수리지질학적 시험 및 모델링, 그
리고 지하수 자원 평가 등을 통해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 많은 양의 자료를 축적 보고하
였다. 우리는 이들 자료 중, 지질과 지하수질 간의 상관관계를 지시할 만한 자료, 특히 수질
자료 및 암상 자료를 뽑아 정리하고 해석하였다.

Fig 3-7-1 Locations of the study areas, Youngam-Gangjin and


Jeonju-Wanju (Wanju is a county surrounding Jeonju).

전주-완주 지역의 지하수 기초 조사는 2000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2년에 걸쳐 조


사되었으며, 이때 지질자원연구원 조사진은 영암-강진 지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종 지질,
지리 및 수문 자료를 축적 보고하였다. 우리 연구진은 이 지역의 암반 지하수공 8군데에서 직
접 시료를 채취하였다 (Fig 3-7-2). 또한 시료 채취 지하수공에서 회수한 암석 코어 중 비교적
신선한 것과 풍화된 것을 지질자원연구원으로부터 입수하였으며, 채취 지하수공 주변의 하천

- 163 -
수 시료도 채취하였다. 지하수 및 지표수 시료 채취는 2002년 4월, 2003년 6월 및 8월, 그
리고 2003년 11월에 실시하였다.
지하수 시료는 지표로부터 60m 깊이에서 submersible well pump를 이용하여 채취하였다.
이때, 양수된 물의 pH, Eh, 전도도 및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들의 값이 일정해진 다음에야
이 값들을 기록하고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취된 지하수 및 지표수 시료는 즉시 0.2μm
공극의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시료 중 200 mL는 따로 0.2 mL 진한 질산을 첨가하여 산
처리 한 후 보관하였다. 전주-완주 지역에 대해서는 지질 조사도 실시하였다. 이때 노두에서의
암상 관찰과 암석 시료 채취를 실시하였다. Fig 3-7-3 은 전주-완주 지역의 지질도이다.

Fig 3-7-2 Drainage system and the locations of the sampling sites in
Jeonju-Wanju area.

- 164 -
Fig 3-7-3 Geologic map of Jeonju-Wanju area.

가. 측정 및 분석
채취된 지하수 및 지표수 시료의 염기도(alkalinity)는 시료를 실험실로 운반한 직후 그랜법
(Gran method; Wetzel and Likens, 1991)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지하수 및 지표수 시료의 용존
성분 분석은 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 분소 및 부산 분소의 ICP-AES (Si, Al, Ca, Mg, Na, K,
Fe), ICP-MS (Sr, Ba, Li, Co, Cd, U, As, Zn, Pb, Rb, Ni), 그리고 IC (Cl, SO4, NO3, F) 및 HR
ICP-MS (Rare Earth Elements)를 이용하여 하였다. ICP 분석에는 여과 및 산처리한 시료를, IC
분석에는 여과만을 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CO3 함량은 측정된 염기도와 pH 값으로부터 이론
적으로 계산하였다 (APHA et al., 1992).
암석 코어 시료는 박편을 제작하여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또한 이들 코어 시료의
일부는 분말화하여 X-선 회절 분석 및 화학 성분 분석을 하였다. 화학 조성 분석에 있어 주성

- 165 -
분은 기초과학지원연구원의 XRF를 REE를 포함한 부성분은 ICP-AES 및 ICP-MS를 이용하였다.

나. 통계 및 평형 분석
지하수 및 지표수 시료의 화학 조성을 변수로 하여 상관관계 분석, 요인 분석, 및 판별 분
석 등과 같은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통계 분석은 상용 프로그램인 SPSS for
Windows (V.11.5)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또한 지하수 및 지표수 시료의 화학 성분을 바탕으
로 평형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평형 모델링은 공개 프로그램인 PHREEQC (Parkhurst, 1995)를
이용하였다.

2. 연구 결과

가. 영암-강진 지역의 지하수질 해석

(1) 대수층 암상에 따른 암반 지하수질 일반

Table 3-7-1 은 1998년 9월 채취한 암반지하수의 측정 수질을 기반암상에 따라 다시 정리


한 것이다. Table 3-7-1 에 정리된 자료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기반암의 종류에 따라 수질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지하수 조성 분석 결과에 대한 전하 균형(charge
balance) 계산 결과는 몇몇 시료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양호하다.
Fig 3-7-4 는 수질을 전반적으로 나타내는 대표적인 항목인 pH와 전도도(EC) 간의 상관관계
를 암종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것으로, 화산암 지역의 지하수가 다른 곳의 지하수보다 약간 높
은 전도도를 보여주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암종에 관계없이 비슷한 범위의 pH와 전도도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1998년 9월에 채취된 시료와 1999년 5월에 채취된
시료 모두에서 비슷하게 나타나며, 이후 다루는 대부분의 수질 관련 해석에 있어서도 같은 결
과를 보여준다. 따라서 아래에 1998년 9월 자료에 대한 해석만을 제시하였다.
Fig 3-7-5 는 1998년 9월에 채취된 암반 지하수의 수질을 깁스 다이아그램(Gibbs diagram;
Gibbs, 1970)에 나타낸 것이다. 역시 기반암의 종류에 따라 약간의 수질 차이는 있지만 전체
적으로는 비슷하며, 모두 중앙에 좁고 길게 좌우로 분포하여 물-암석 반응이 수질의 결정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지하수 및 지표수의 수질과 유형을 판단하는데 있어 가장 흔하게 이용되는 것 중의 하나가
파이퍼 다이아그램이다 (Piper, 1944). Fig 3-7-6 은 1998년 9월 채취한 영암-강진 지하수의 수질
을 파이퍼 다이아그램에 표시한 것이다. 이로부터 화산암 지역의 지하수가 약간 높은 Cl 및
SO4 함량을 갖으며, 이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모든 암상에서 지하수질이 서로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지하수에 용존되어 있는 양이온은 Ca와 (Na+K)가 주를 이루며, 이 중 Ca 성분이
약간 우세한 편이다. 지하수의 용존 음이온 중 일반적으로 가장 우세한 것은 탄산이온(HCO3)
이나, 화산암 지역의 일부 지하수는 오히려 염소가 가장 많거나, 염소와 황산이온이 우세한
것이 나타나기도 한다. 전체적으로 양이온보다는 음이온의 함량이 훨씬 넓은 범위에 걸쳐 분
포하여, 해당 지역의 지하수질이 단순한 지질 조건에 따른 기반암과 지하수와의 상호 반응과

- 166 -
함께 오염 또는 염수의 침입과 같은 다른 요인에 의해서도 조절되었음을 나타낸다.

Table 3-7-1 Water quality parameters of the groundwater in various aquifers of different lithologies
in Youngam-Gangjin area.

a. September, 1998
charge bal-
Sample No. Lithology ℃ pH mV mg/L Ca Mg Na K Cl SO4 HCO3 NO3 SiO2 CO2 F PO4 Fe Mn Al Sr Ba Li Cu Zn Pb Ni
ance(%)

BYKS3 YAW*3 16.8 6.94 98 126 12.9 2.2 12.6 0.66 7.4 1.47 74.7 1.64 55.8 9.9 0.63 0 0 0 0 0.007 0.001 0.01 0 0 0 0 3.18

BYKS8 YAW8 16.8 6.2 181 240 20.7 7.3 21.2 2.21 57.3 0.19 35.1 28 40 0.04 0 0 0 0 0.038 0.045 0.02 0 0.018 0 0 -18.89
BYKS13 YAW13 17.1 6.66 88 102 12.7 1.9 9.6 0.68 6.22 4.68 64.1 0 38.9 6.1 0.63 0 0 0 0 0.009 0.002 0.01 0 0.12 0 0 10.27
BYDP12 YAW45 17.7 6.25 87 101 14.2 1.4 11.8 1.7 17.8 1.54 41.2 0.47 46.2 14.3 0.05 0 0 0 0 0.011 0.009 0.01 0 0.15 0 0 22.08
BYMA3 YAW51 16.6 6.55 148 131 11.5 2.7 14.2 0.58 15.8 4.47 36.1 18.2 47.5 18.7 0.12 0.2 0 0 0 0.009 0.002 0.02 0 0.49 0 0 -20.31
BYMA12 YAW60 17.1 6.37 83 78 4.6 2 9.1 1.38 10.4 0.37 33.3 1.23 40 25.9 0.09 0.12 0 0 0 0.006 0.005 0.01 0 0.021 0 0 11.5
BYSJ13 YAW97 18.9 7.04 84 101 9.6 2.3 9.5 0.55 9.9 0.34 61 0 43.2 0.27 0.007 0 0 0 0.009 0.001 0.02 0 0.11 0 0 -0.35
BYSJ15 YAW99 18.6 6.96 291 218 46.4 5.5 17.2 0.43 18 25.1 148 1.49 33.4 4.4 1.11 0 0 0 0 4.65 0.013 0.15 0 0.031 0 0 6.79
BYSJ19 YAW103 17.8 5.86 1006 825 95 32.4 83.5 7.56 238 11.4 106.8 133 32.3 41.8 0 0 0 0 0 0.095 0.059 0.07 0 0.042 0 0 -20.25
BYSB2 YAW105 17.1 7.29 111 131 17.4 3.1 16.6 0.9 24.7 0.72 56.4 8.86 34.6 2.27 0 0 0 0 0.027 0.005 0.04 0 0.26 0 0 -10.14
BYSB6 YAW109 16.3 5.82 232 279 33.6 6.6 31.4 1.96 61.4 17.1 64.1 31 40.6 30.3 0.05 0 0 0 0 0.025 0.003 0.04 0 0.4 0 0 -10.53
BYSB25 YAW128 17.1 6.98 149 178 19.6 5.8 17.5 0.85 19.9 4 67.1 34.9 43.4 16.5 0.19 0 0 0 0 0.016 0.003 0.03 0 0.29 0 0 -27.76
BYSB27 YAW130 17 6.7 114 113 13.3 3.2 13.9 0.94 15.7 5.66 56.4 7.15 35.9 30.8 0.13 0 0 0 0 0.01 0.003 0.02 0 0.17 0 0 -5.05
Granite
BYYA3 YAW135 16.7 6.74 102.5 119 11.7 2.3 13.9 0.87 16.7 2.41 61 4.8 52.6 0.53 0 0 0 0 0.009 0.003 0.02 0 1.13 0 0 -3.95
BYYA9 YAW141 16.3 6.92 70 81 7.1 2.7 10.2 0.76 6.43 0.6 54.9 0.23 39.1 4.4 0.1 0.13 0 0 0 0.007 0.007 0.01 0 0.17 0 0 7.2
BYHS9 YAW157 17.1 6.41 313 222 33.3 6.6 21.4 1.34 34.7 12.1 88.9 17.5 42.3 63 0.33 0 0 0 0 0.019 0.002 0.03 0 1.68 0 0 -1.6

BKKJ3 KJW**3 15.9 6.86 207 147 19.8 5.5 14 1.65 22.2 5.55 70.8 10.5 46.4 0 0 0 0 0 0.021 0.002 0.02 0 0.6 0 0 -6.42
BKKJ12 KJW12 16.5 6.72 191.7 147 19.2 2.2 13.1 0.74 11.8 3.69 83 13.8 47.3 0.09 0 0 0 0 0.017 0 0.02 0 0.12 0 0 -15.41
BKKD9 KJW24 17.1 6.88 85.5 69 6.8 2.1 7.8 1.43 7.61 1.29 33 4.55 28.4 17 0 0 0 0 0 0.009 0.005 0.01 0 0.057 0 0 -5
BKDG4 KJW38 16.9 6.98 72.8 66 4.2 1 8.4 0.95 5.54 0.88 32.4 0 36.6 18 0.09 0.2 0 0 0 0.004 0.003 0 0 0 0 0 6
BKBY3 KJW85 16.7 7.12 376 237 48.1 11.7 18.1 1.13 26.5 11.9 164.5 7.99 33.6 22.9 0.08 0 0 0 0 0.03 0.001 0.03 0 0.022 0 0 4.07
BKSJ16 KJW106 15.5 6.86 216 180 26.1 6.2 11.6 1.13 17.7 4.86 78.6 21.6 41.1 0.06 0 0 0 0 0.021 0.001 0.01 0 0.036 0 0 -14.79
BKCC3 KJW140 16.2 6.82 170 123 17.1 3.9 11.1 0.73 13.7 4.49 49.6 20.6 33.6 13.9 0.08 0 0 0 0 0.015 0 0.02 0 0.22 0 0 -21.35
BKCC4 KJW141 16.8 6.39 70 68 6 1.4 7.2 0.75 5.05 0.43 32.1 0.54 41.1 24 0.03 0 0 0 0 0.008 0.005 0.01 0 0.26 0 0 24.91
BKCC7 KJW144 15.8 6.29 314 217 45.4 6.5 15.4 0.75 19.3 26.3 126.8 1.01 46.6 121 0 0 0 0 0 0.031 0 0.04 0 0.022 0 0 25.22
BKCC9 KJW146 17 7.08 164 107 19.8 4.8 10.5 1.11 6.88 0.8 89 1.67 31.4 13.5 0.04 0 0 0 0 0.017 0.001 0.01 0 0.19 0 0 9.98
BYKJ1 YAW16 18.4 7.01 308 213 24.2 3.5 44 1.9 19.2 24.6 129.7 6.35 25.7 6.6 3.15 0 0 0 0 0.071 0.003 0.11 0 0 0 0 0.78
BYKJ5 YAW20 17.8 5.86 77 126 18.3 5.7 11.2 2.12 15.8 13 71.7 8.08 17.6 45.1 0.1 0 0 0 0 0.028 0.004 0.02 0 0.04 0 0 8.73
BYKJ6 YAW21 16.2 5.84 139 130 13.4 3.9 13.4 1.91 17.3 8.2 58 15 32.7 18.7 0 0 0 0 0 0.012 0.003 0.01 0 0.11 0 0 -9.37
BYKJ7 YAW22 7.03 435 310 29.1 5.5 59.3 1.99 29.1 31.2 175.4 7.65 24.4 7.2 2.84 0 0 0 0 0.092 0.005 0.15 0 0.1 0 0 0.66
BYDJ4 YAW28 16.4 7.07 97.9 112 13.6 2.5 10.8 1.36 9.23 2.48 73.2 5.06 39.6 12.1 0.09 0 0 0 0 0.012 0.003 0.02 0 0.095 0 0 -8.46
BYYA12 YAW144 16.4 7.02 90.6 97 12.3 3.3 10.2 0.9 7.69 0.85 79.3 0.59 38.5 13.2 0.07 0 0 0 0 0.011 0.004 0.02 0 0.094 0 0 0.25
Gneiss
BKDA9 KJW58 18.4 6.74 294 193 24 5.8 28.7 0.76 48.2 9.37 80.4 3.98 32.3 0.34 0 0 0 0 0.03 0.003 0.03 0 0.41 0 0 3.85
BKDA10 KJW59 18.5 6.51 148 122 28.8 3.4 11.3 1.47 11.2 2.38 104 4.56 7.9 0.07 0 0 0 0 0.051 0.002 0.03 0 0.7 0 0 15.02
BKSH10 KJW122 15.9 6.47 79.7 79 5.6 2.1 7.8 0.61 8.43 1.87 29.2 2.86 34.4 24 0.05 0 0 0 0 0.004 0 0.01 0 0.018 0 0 3.51
BKSH18 KJW130 16.5 6.39 225 202 19.2 3.3 18.2 2.55 30 0.76 23.4 56.3 31.4 18 0 0 0 0 0 0.017 0.008 0.01 0 0.039 0 0 -41.9
BKSH20 KJW132 16.8 6.34 75.4 66 4.3 1.7 7.7 0.72 8.03 1.06 16 12.7 31.4 14 0 0 0 0 0 0.004 0.002 0.01 0 0.033 0 0 -29.18
BKCR10 KJW156 17 6.79 139.5 107 11.7 4.4 11.4 0.9 11.3 2.08 58.6 5.68 49 0.08 0 0 0 0 0.008 0.001 0.01 0 0.061 0 0 0.15
BYSM2 YAW63 17.1 7.65 340 237 47 4.2 23.6 0.53 35.8 19.4 111.7 2.66 46.6 4.54 0.66 0 0 0 0 0.026 0.003 0.07 0 0.02 0 0 5.06
BYSM3 YAW64 16.8 6.43 611 409 74 9.8 39.6 2.35 109 44.2 99 10.8 25.2 67.4 0.07 0 0 0 0 2.14 0.016 0.18 0 0.045 0 0 6.37
BYSM4 YAW65 17.8 6.75 532 358 59 3.2 48.6 0.44 112 16.2 81.7 3.98 50.9 26.1 0.12 0.13 0 0 0 0.004 0.002 0.17 0 0 0 0 6
BYSM5 YAW66 16.5 6.47 440 343 44.4 8.6 41.3 2.65 72 23 67 45.5 53.3 41.8 0.03 0 0 0 0 0.017 0.004 0.05 0 0.041 0 0 -15.07
BYSM6 YAW67 17.6 7.34 219 149 24.9 2.5 21.1 0.42 25 3.83 82.4 1.11 31 6.79 0 0.13 0 0 0 0.008 0.002 0.06 0 0.039 0 0 7.05
BYSM8 YAW69 17.8 7.5 611 379 56 2.4 75.9 0.22 81 65.6 138.7 0 29.7 7.88 0.06 0 0 0 0 0.036 0.003 0.13 0 0.072 0 0 4.49
BYSM10 YAW71 18 5.69 292 202 11.6 5.2 29.2 8.57 61.1 7.34 10.6 26 44.3 0.03 0 0 0 0 0.01 0.014 0.01 0 0.012 0 0 -19.97
BYSH2 YAW73 17.1 6.64 308 247 35.3 6 17 1.46 43.5 5.74 62.5 22.3 51.8 26.1 0.22 0.22 0 0 0 0.021 0.002 0.05 0 0 0 0 -8.55
BYSH3 YAW74 18.7 6.15 278 187 31.4 5.3 15.1 5.88 22.2 18.3 118 20.2 39.6 148 0.1 0 0 0 0 0.021 0.006 0.03 0 0.37 0 0 -7.1
BYSH7 YAW78 16.8 7.26 296 181 53 3 14.7 0.59 11.6 11.2 150.5 0 20 15.1 0.95 0 0 0 0 0.038 0.004 0.1 0 0.32 0 0 11.82
BYSH11 YAW82 16 6.65 252 182 31.8 5.4 15 0.83 27.1 3.66 85.7 15.6 38.9 35.6 0.11 0 0 0 0 0.025 0.003 0.04 0 0.076 0 0 -3.83
BYHS4 YAW152 17.3 6.79 239 186 35.4 2.4 17.3 0.77 15 43.5 75.5 0.52 28.4 22.2 1.96 0 0 0 0 0.034 0.004 0.17 0 0 0 0 7.09
BYHS14 YAW162 Volcanics 16.8 6.11 539 414 56 13.5 32.5 0.86 90.6 19.4 111.3 37 49.8 158 0.13 0 0 0 0 0.041 0.001 0.05 0 0.023 0 0 -7.33
BKDG6 KJW40 18 7.48 534 443 71 14.5 19.3 0.72 28.5 18.2 94.4 4.02 35.3 12 0.06 0 0 0 0 0.028 0 0.04 0 0.09 0 0 32.27
BKDG9 KJW43 18.3 7.42 155.4 114 15 4.4 13.3 0.31 11.1 1.95 77.6 2.44 40.6 25 0.07 0 0 0 0 0.005 0 0.01 0 0 0 0 -0.24
BKDG10 KJW44 15.8 6.72 207 164 19.3 8.1 14.3 1.85 27 4 74.6 8.13 48.1 30 0.05 0 0 0 0 0.017 0.002 0.01 0 0.11 0 0 0.56
BKDG12 KJW46 16.1 7.11 160.5 119 14.6 3.5 14 1.01 17 4.03 50 17.9 30.8 24 0.09 0 0 0 0 0.008 0.001 0.01 0 0.061 0 0 -20.64
BKDG14 KJW48 16.3 7.01 181.4 149 24 5.8 11.3 1.2 185 2.58 65 13.7 32.1 0.11 0 0 0 0 0.012 0.003 0.02 0 0 0 0 -53.22
BKMR10 KJW79 16.5 7.11 120.1 109 10.5 2.8 10.4 1.03 8.66 4.65 51 4.97 48.1 16 0.26 0 0 0 0 0.007 0.001 0.01 0 0.029 0 0 -6.6
BKMR12 KJW81 16.6 6.79 123.2 113 11 3.3 10.8 0.68 8.23 0.61 62.2 2.51 52 34 0.07 0.22 0 0 0 0.009 0.001 0.01 0 0.69 0 0 7.01
BKBY2 KJW84 15.8 6.73 291 179 44 4.2 16.9 0.9 12.9 7.55 149.4 0.58 17.2 51.8 0.05 0 0 0 0 0.026 0.002 0.05 0 0.014 0 0 19.87
BKBY4 KJW86 16.2 6.3 366 214 28.3 3.9 18.1 1.13 25.8 7.85 48.8 44 40.4 45.3 0.06 0 0 0 0 0.026 0.002 0.03 0 0.025 0 0 -27.08
BKSJ9 KJW99 15.6 6.28 247 215 27.3 6.5 11.8 1.29 32.3 1.97 50.4 27 48.8 49.5 0.11 0.15 0 0 0 0.028 0.002 0.01 0 0 0 0 -14.32
BKCR6 KJW152 17.8 6.52 335 192 24.8 6.7 25.5 12.7 42 22 92 6.51 19.3 58 0.09 0 0 0 0 0.018 0.012 0.02 0 0.3 0 0 4.72
BKCR13 KJW159 16.5 6.6 231 144 20.1 3.3 15.9 1.19 20.6 4.31 72.6 11.4 49.4 0.04 0 0 0 0 0.013 0.001 0.02 0 0 0 0 -5.13
Seolokri
BKOC4 KJW136 735.85 48 7.1 1.6 5 1.57 6.61 3.39 23.6 0.9 9.9 57.6 0 0 0 0 0 0.004 0.002 0.01 0 0.039 0 0 28.66
Fm.

(Unit; ppm)

- 167 -
b. May, 1999

Sample No. lithology ℃ pH mV mg/L Ca Mg Na K Cl SO4 HCO3 NO3 SiO2 CO2 F PO4 Fe Mn Al Sr Ba Li Cu Zn Pb Ni Co

BYKS3 YAW3 16.2 5.85 123 119 10.5 1.71 13.6 0.71 7.47 1.55 76.28 0.8 47.7 9.9 0.56 0 0 0 0 0 0 0.01 0 0.02 0 0 0
BYKS8 YAW8 16.2 5.78 304 253 19.4 7.17 24 2.2 59.5 0.3 48.82 29 34.4 18.71 0.05 0 0 0 0 0.12 0.47 0.02 0 0.02 0 0 0
BYKS13 YAW13 16.5 7.39 98 93 7.9 1.21 11.3 0.76 6.33 2.55 64.07 0 35.9 6.6 0.28 0 0 0 0 0.02 0 0.01 0 0.26 0 0 0
BYDP12 YAW45 16.4 6.84 368 338 32.4 5.14 32.2 2.65 107 5.7 39.66 0.78 34.2 17.06 0.05 0 0 0.1 0 0.47 0.3 0.05 0 0.27 0 0 0
BYMA3 YAW51 17 7 154 122 13.7 2.07 13.8 0.53 13.7 4 50.4 12 30.8 9.2 0.14 0 0 0 0 0.02 0 0.02 0 0.67 0 0 0
BYMA12 YAW60 17.6 6.6 92 88 5.5 1.22 10.2 1.46 11.1 0.47 34.8 0.68 33.8 15.8 0.07 0 0 0 0 0 0.03 0 0 0 0 0 0
BYSJ13 YAW97 17.8 8.04 98 101 8.5 1.84 9.91 0.58 9.32 1.2 64.07 0 37.2 3.3 0.26 0 0 0 0 0.02 0 0.02 0 0.07 0 0 0
BYSJ15 YAW99 18.2 8.12 333 225 43.4 4.78 17.9 0.39 15.3 25.1 158.7 0.49 26.7 4.95 1.22 0 0 0 0 3.61 0.13 0.14 0 0 0 0 0
BYSJ19 YAW103 18.9 8.17 732 658 64.3 14 47 2.76 136 185 88.48 84.2 31.2 30.81 0.12 0 0 0 0 0.56 0.39 0.06 0.06 4.95 0 0 0
BYSB6 YAW109 16.8 7.57 400 323 31 6.15 34.3 2.02 65.5 15.9 67.12 36.2 32.5 36.32 0.05 0 0 0 0 0.1 0.01 0.02 0 0 0 0 0
BYSB25 YAW128 17.5 7.83 198 192 17.2 5.02 18.4 0.91 20.3 3.91 65.6 32.2 34.8 20.91 0.11 0 0 0 0 0.04 0.01 0.02 0 0.15 0 0 0
BYSB27 YAW130 17 7.95 146 122 12.2 2.25 15.8 1.02 13.9 6.33 67.12 6.71 29.7 34.12 0.15 0 0 0 0 0.03 0 0.01 0 0.15 0 0 0
BYYA3 YAW135 Granite 16.7 6.97 136 126 10.2 1.11 15.2 0.96 14.8 2.48 57.97 4.27 42.7 12.11 0.48 0 0 0 0 0.02 0 0.01 0 1.6 0 0 0
BYYA9 YAW141 16.5 7.02 89 83 6.6 1.47 10 0.78 6.29 0.68 54.92 0 31.4 5.5 0.8 0 0 0 0 0.01 0 0 0 0.15 0 0 0
BYHS9 YAW157 16.2 6.14 303 215 26.4 5.37 20.7 1.24 34.6 12.1 85.8 16.4 33.8 115 0.2 0 0.1 0 0 0.05 0 0.02 0 0.47 0 0 0
BKKJ2 KJW2 15.9 6.33 367 269 19.3 4.46 35.6 3.2 57 2.88 33.53 58.5 23.3 24 0.3 0 0 0 0 0.08 0.01 0.02 0.01 0.15 0 0 0
BKKJ3 KJW3 16.1 6.84 208 150 16.8 4.76 12.4 1.64 21.5 4.6 62.8 8.73 32.7 30 0.25 0 0 0 0 0.09 0.01 0.02 0 0.36 0 0 0
BKKD9 KJW24 18.2 6.9 90.4 75 5.8 1.62 7.97 1.44 7.49 1.12 36.05 3.96 22.8 18 0.03 0 0 0 0 0.02 0.04 0.01 0 0.15 0 0 0
BKKD14 KJW29 16.5 6.54 195 204 19.6 6.19 14.3 1.24 24.9 8.94 42.86 38.5 26.9 20 0.03 0 0 0 0 0.61 0.01 0.01 0 0.01 0 0 0
BKDG4 KJW38 18.4 6.73 79.9 69 3.7 0.6 8.18 1.02 5.36 0.9 30.76 0 32.3 23 0.08 0 0 0 0 0 0.02 0.01 0 0.31 0 0 0
BKBY3 KJW85 16.7 7.29 372 244 40.5 10.6 16.6 1.2 29.4 11.9 168.4 8.13 28.6 15.8 0.28 0 0 0 0 0.17 0 0.03 0 0.03 0 0 0
BKCC3 KJW140 16 7.51 169 150 15.4 3.52 10.3 0.75 5.02 4.94 52.9 21 27.5 3 0.08 0 0 0 0 0.07 0 0.02 0 0.57 0 0 0
BKCC4 KJW141 16.1 6.7 72 82 5.4 0.97 6.88 0.75 16.5 0.47 32.8 0.13 32.9 12.1 0.03 0 0 0 0 0.03 0.04 0 0 0.24 0 0 0
BKCC7 KJW144 15.4 7.23 308 215 34.3 5.22 13.5 1.01 6.92 18.2 154.5 0 30.3 17.1 0.04 0 4.8 1.2 0 0.14 0 0.04 0 0.88 0 0 0
BKCC9 KJW146 16.9 7.55 164 120 17.3 4.24 10.2 1.11 30.7 0.83 92 1.49 25.6 4.7 0.04 0 0 0 0 0.08 0 0.02 0 0.11 0 0 0
BYKJ1 YAW16 17.7 7.2 324 183 22.3 4.87 22.5 2.97 20.5 21.8 97.63 16.4 23.7 19.81 0.68 0 0 0 0 0.17 0.02 0.03 0 0.01 0 0 0
BYKJ5 YAW20 16.8 7.47 129 118 11 3.05 17.5 1.73 11.5 10.7 73.2 3.29 12.5 20 0.31 0 0.1 0 0 0.11 0.02 0.03 0 0.03 0 0 0
BYKJ6 YAW21 16.8 7.5 288 232 21.2 6.06 24.4 2.72 31.5 17.5 67.12 37.7 28.4 33.02 0.03 0 0 0 0 0.06 0.03 0.01 0 0.07 0 0 0
BYKJ7 YAW22 17.7 7.38 446 286 33 5.78 48.7 1.96 36.4 37.6 167.8 8.23 22.4 13.21 2.08 0 0 0.2 0 0.51 0.08 0.11 0.03 0.06 0 0 0
BYDJ4 YAW28 17.1 7.12 125 104 11.3 2.07 11.9 1.41 8.96 2.51 70.2 4.67 32.9 13.2 0.07 0 0 0 0 0.03 0.02 0.02 0 0.1 0 0 0
BYYA12 YAW144 16.3 7.07 112 101 10.3 2.07 11.4 0.95 7.88 1.06 82.38 0 31.8 14.31 0.07 0 0 0 0 0.03 0.01 0.01 0 0.05 0 0 0
Gneiss
BKDA9 KJW58 17.3 6.66 243 149 17 5.37 16.1 0.78 9.19 6.86 82.4 2.65 28 34 0.26 0 0 0 0 0.08 0.01 0.02 0 0.1 0 0 0
BKSH10 KJW122 16.5 6.37 79.4 64 4.8 1.61 7.32 0.58 28.5 1.9 31.51 1.93 24.1 24 0.29 0 0 0 0 0.02 0 0 0 0.01 0 0 0
BKSH18 KJW130 16.5 6.59 240 204 17.5 2.74 18 2.34 8.06 1.03 29.25 49.9 25.2 20 0.03 0 0 0 0 0.07 0.05 0.02 0 0.73 0 0 0
BKSH20 KJW132 16.8 6.44 81.6 78 3.9 1.32 7.49 0.72 7.5 1.17 15.88 12.8 21.3 24 0.24 0 0 0 0 0.03 0.01 0.01 0 0.03 0 0 0
BKCR10 KJW156 17.9 6.84 146.5 116 10.4 3.96 10.4 0.91 20.2 2.43 62.53 6.28 34.8 44 0.33 0 0 0 0 0.03 0 0.01 0 0.03 0 0 0
BKCR15 KJW161 17.3 7.13 139.7 97 16.6 1.46 6.69 1.22 1.83 60.3 7.75 15.5 22 0.09 0 0 0 0 0.12 0 0.01 0 1.18 0 0 0
BYKJ2 YAW17 14.9 7.32 190 145 30.3 4.61 8.53 0.76 6.53 4.74 128.1 3.06 17.9 5.5 0.05 0 0 0 0 0.14 0.2 0.03 0 0.26 0 0 0
BYSM2 YAW63 16.8 7.74 333 226 38.7 2.83 24.7 0.57 33.4 19.6 120.8 1.55 38.5 4 0.69 0 0 0 0 0.09 0 0.05 0 0.02 0 0 0
BYSM3 YAW64 15.8 6.85 655 460 61.5 9.23 38.5 2.46 104 44.9 103 11.8 19.5 27.1 0.06 0 0 0.1 0 1.53 0.16 0.12 0 0.04 0 0 0
BYSM4 YAW65 17.1 7.03 708 551 66.8 3.16 61 0.64 159 23.3 83.5 2.94 41.5 14.2 0.09 0 0 0 0 0.03 0 0.18 0 0.02 0 0 0
BYSM5 YAW66 16.2 6.47 502 384 37 7.5 45.2 3.25 76.5 26 71.1 52.5 41.7 44.6 0.04 0 0 0 0 0.07 0.02 0.03 0 0.1 0 0 0
BYSM6 YAW67 16.8 8 231 147 20.8 1.36 22.9 0.43 26.2 4.45 84.5 0.47 23.1 1.5 0.04 0 0 0 0 0.04 0 0.05 0 0.03 0 0 0
BYSM8 YAW69 16.9 7.56 605 376 48.4 1.36 75.9 0.27 80 65 143.2 0 24.1 7.2 0.04 0 0 0.1 0 0.25 0 0.1 0 0.03 0 0 0
BYSM10 YAW71 16.7 5.66 293 230 10.2 3.93 30.7 8.5 58.5 8.01 12.6 27.2 35.9 51.1 0.03 0 0 0 0 0.02 0.13 0 0 0.02 0 0 0
BYSH2 YAW73 16.7 6.65 342 277 32.8 5.44 18.5 1.54 48.4 6.05 71.6 25.6 42.7 29.4 0.03 0 0 0 0 0.08 0 0.04 0 0.02 0 0 0
BYSH7 YAW78 15.9 7.83 230 152 28.8 1.73 17.1 0.63 9.72 15.1 108 0 16.7 3 1.49 0 0 0 0 0.15 0.02 0.08 0 0.06 0 0 0
BYSH11 YAW82 16.7 6.8 255 196 25.5 4.24 16.3 0.94 27.1 4.55 80.7 18.1 31.6 24 0.09 0 0 0 0 0.08 0.01 0.03 0 0.09 0 0 0
BYHS4 YAW152 16.3 7.26 258 177 29.4 1.83 17.9 0.94 14.9 46.7 59.2 1.02 20.5 6 1.6 0 0 0 0 0.14 0.02 0.13 0 0 0 0 0
BYHS14 YAW162 Volcanics 16.8 6.13 532 448 46.6 7.21 38 1.12 100 16 58.7 42.3 44 79.8 0.08 0 0 0 0 0.24 0 0.03 0 0.03 0 0 0
BKDG9 KJW43 17.5 6.35 177.4 149 8.6 2.3 18.3 0.55 22 5.01 52.44 4.76 52.1 62 0.03 0 0 0 0 0 0 0.01 0 0.77 0 0 0
BKDG10 KJW44 16.7 6.43 258 181 18.1 7.5 16.4 2.09 31.2 5.82 80.93 7.26 36.7 73 0.05 0 0.3 0 0 0.03 0.01 0.02 0 0.13 0 0 0
BKDG12 KJW46 15.5 6.34 211 154 11.2 3.29 14.8 7.79 20.6 8.45 38.57 27.9 20.4 42 0.05 0 0 0 0 0.02 0.04 0.01 0 0.51 0 0 0
BKDG13 KJW47 16 6.61 70.4 47 4.7 1.3 5.44 1.24 7.15 4.03 21.18 1.5 7.8 18.4 0.05 0 0 0 0 0 0.01 0 0 0.03 0 0 0
BKDG14 KJW48 18.2 6.88 190.9 146 15.6 5.13 11.8 1.4 28.2 2.75 65.55 12.4 25.4 30 0.11 0 0 0 0 0.05 0.01 0.02 0 0 0 0 0
BKMR10 KJW79 17.4 7 128.4 112 8.1 2.85 10.8 1.05 7.83 3.64 48.66 7.87 37.4 39 0.22 0.28 0 0 0 0.01 0 0 0 1.3 0 0 0
BKMR12 KJW81 6.93 133.8 113 10.1 2.87 11.1 0.64 12.2 0.67 63.03 2.21 42.3 37 0.08 0.2 0 0 0 0.02 0 0.01 0 0.1 0 0 0
BKBY2 KJW84 15.9 6.91 270 177 34.2 3.22 14.8 0.88 26.6 6.3 144 1.77 24.8 37.8 0.28 0 0 0 0 0.16 0.01 0.04 0 0.06 0 0 0
BKBY4 KJW86 15.9 6.72 294 232 29.9 3.78 14.7 1.5 32.8 9.34 71.1 32.5 30.5 25.2 0.31 0 0 0 0 0.14 0.01 0.03 0 0.11 0 0 0
BKSJ9 KJW99 15.4 6.92 260 221 23.6 5.87 12.9 1.33 10.7 2.05 55 28.8 39.1 12.4 0.09 0.18 0 0 0 0.08 0 0.01 0 0.05 0 0 0
BKCR6 KJW152 17.2 6.88 299 201 25.3 4.14 23.3 6.12 10.9 25.5 96.31 1.48 26.3 24 0.67 0 0 0 0 0.08 0.05 0.02 0 0.09 0 0 0
BKCR13 KJW159 17.6 6.18 222 152 17.2 2.91 15 1.27 8.31 4.28 75.13 12.1 34 76 0.27 0 0 0 0 0.05 0 0.02 0.01 0.02 0 0 0
BKSJ15 KJW105 Seolokri 15.4 6.3 109.1 88 8.8 1.44 7.23 0.94 7.49 0.62 25.2 15.1 15.5 34 23 0 0.1 0 0 0.03 0.01 0.01 0 0.27 0 0 0
BKOC4 KJW136 Fm. 16 7.18 48 36 2.6 0.67 4.83 0.23 13.4 2.87 12.6 1.28 6.5 1.5 0 0 0 0 0 0 0 0 0 0.03 0 0 0

- 168 -
Fig 3-7-4 Plot pH vs. conductivity (EC) of the groundwater from various
bedrocks in Youngam-Gangjin area. a; September, 1998. b; May, 1999.

Fig 3-7-5 Groundwater in Youngam-Gangjin area,


plotted on Gibbs diagram.

(2) 지하수질에 대한 통계 분석

Table 3-7-2 는 1998년 9월에 채취된 영암-강진 지하수 내 용존 성분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


과를 암종별로 정리한 것이다. 화강암 지역의 지하수 내 용존 성분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Ca-Na-Mg-Cl, Mg-K, Na-K-Cl-NO3 간에 매우 긴밀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Ca-HCO3-NO3도
서로 상당히 연관성이 깊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중 NO3와 같은 성분은 오염을 지시하는 것으
로, 이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Na, Cl, K 등도 오염원으로부터 유래된 것일 가능성이 높다.
Ca, Mg 및 HCO3는 탄산염 광물의 용해 및 침전으로 인하여 지하수 및 지표수 통계 분석 결
과 흔히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성분임에도 불구하고, 이들 지하수에서 그리 높지 않은

- 169 -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은 상대적으로 탄산염 광물의 용해/침전이 수질의 변화에 크게 기여하지
않았을 수도 있음을 지시한다. 주목할 것은 Si가 다른 기반암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어떠
한 성분과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못하는데, 이는 또한 수질의 결정에 규삼염광물의 용해
가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작용하지 못했을 수도 있음을 지시한다고 하겠다.

Fig 3-7-6 Piper plot of the groundwater from the


aquifers of dissferent lithologies in Youngam-Gangjin
area.

Fig 3-7-7a, b, c, d 는 화강암 지역의 암반 지하수 내 용존 성분 중 상관관계가 높은 것들


간의 상대적 변화량을 도시한 것이다. Fig 3-7-7a 는 방해석의 용해에 의한 함량비에 비해 탄
산이온의 양이 더 많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탄산 이온이 탄산염 광물의 용해뿐 만 아니라 대
기중의 CO2의 용해 및 지하 미생물의 호흡 결과 생긴 CO2의 용해 등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Fig 3-7-7b 는 Ca/Cl의 비율이 해수의 것보다 Ca가 상대적으로 많은 쪽으로 치우치
는 것을 보여주는데, 이는 Ca의 많은 부분이 암석을 구성하는 광물로부터 유래되기 때문이다.
Fig 3-7-7c 는 Na/Cl의 비율이 해수와 매우 비슷함을 나타낸다. 이것이 반드시 지하수에 용존된
Na와 Cl이 빗물로부터 공급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가능성에 대해 보
다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ig 3-7-7d 의 NO3/Cl 함량비는 해수보다 Cl이 풍부
한 쪽으로 분포하는데, 이로부터 빗물 이외에 Cl의 추가 공급원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편마암 지역의 지하수 내 용존 성분들 중 Ca-HCO3, Na-HCO3-SO4가 서로 비교적 높은 상관
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이는 화산암 지역의 지하수질이 탄산염 광물과의 반응과 함께 ①
황화 광물의 산화 후 물-암석 반응, ② 황산염 광물과의 반응 또는 ③ Na, CO3 및 SO4를 포함
하는 오염원으로부터의 오염에 의해 조절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Fig 3-7-7e, f 는 편마암 지역

- 170 -
암반 지하수 내 Ca-HCO3와 Na-SO4의 함량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Fig 3-7-7e 가 나타내는 것
은 Fig 3-7-7a 와 비슷하며, Fig 3-7-7f 의 함량비는 빗물이외에 황산이온의 공급원이 더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화강암 및 편마암 지역에서와는 달리, 화산암 지역의 지하수 내 용존들은 Na-SO4 간에만 약
간 높은 상관관계를 보일 뿐,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다.
Table 3-7-3 은 1998년 9월 채취한 영암-강진 지하수 내 용존 성분들의 분산에 대한 요인 분
석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Table 3-7-2 Matrices of the correlation among the dissolved consitituents in the groundwater in
Youngam-Gangjin area.
*Granite
Ca Mg Na K Cl SO4 HCO3 NO3 SiO2 CO2 F PO4 Sr Ba Li Zn
Ca 1
Mg 0.92 1
Na 0.86 0.95 1
K 0.74 0.90 0.94 1
Cl 0.83 0.94 0.99 0.97 1
SO4 0.67 0.37 0.33 0.12 0.25 1
HCO3 0.72 0.48 0.32 0.13 0.24 0.74 1
NO3 0.77 0.91 0.95 0.92 0.96 0.18 0.17 1
SiO2 -0.25 -0.31 -0.20 -0.26 -0.23 -0.08 -0.13 -0.21 1
CO2 0.40 0.26 0.22 0.16 0.21 0.59 0.33 0.14 0.21 1
F -0.04 -0.15 -0.06 -0.21 -0.11 0.03 0.11 -0.16 -0.06 -0.30 1
PO4 -0.33 -0.22 -0.18 -0.14 -0.16 -0.24 -0.38 -0.14 0.04 -0.18 -0.15 1
Sr 0.27 0.03 0.02 -0.11 -0.02 0.55 0.47 -0.08 -0.22 -0.19 0.35 -0.09 1
Ba 0.60 0.75 0.78 0.84 0.84 0.06 0.05 0.77 -0.26 0.04 -0.08 -0.10 0.11 1
Li 0.63 0.41 0.42 0.22 0.36 0.73 0.63 0.29 -0.25 0.08 0.38 -0.24 0.88 0.33 1
Zn -0.04 -0.07 0.01 -0.07 -0.30 0.06 -0.04 -0.02 0.31 0.25 0.07 -0.08 -0.12 -0.19 -0.04 1

*Gneiss
Ca Mg Na K Cl SO4 HCO3 NO3 SiO2 CO2 F Sr Ba Li Zn
Ca 1
Mg 0.62 1
Na 0.69 0.49 1
K 0.53 0.32 0.38 1
Cl 0.57 0.66 0.58 0.27 1
SO4 0.61 0.55 0.92 0.44 0.40 1
HCO
0.79 0.53 0.81 0.30 0.27 0.83 1
3
NO3 0.03 -0.11 -0.02 0.62 0.30 -0.18 -0.39 1
SiO2 -0.62 -0.21 -0.22 -0.43 -0.11 -0.34 -0.39 0.00 1
CO2 -0.22 0.34 -0.50 0.12 -0.13 -0.23 -0.39 0.03 -0.46 1
F 0.56 0.28 0.92 0.33 0.28 0.92 0.80 -0.15 -0.23 -0.51 1
Sr 0.85 0.47 0.89 0.46 0.38 0.88 0.92 -0.13 -0.58 -0.36 0.87 1
Ba 0.40 0.22 0.55 0.61 0.45 0.36 0.25 0.67 -0.11 -0.25 0.35 0.43 1
Li 0.65 0.37 0.95 0.34 0.32 0.93 0.89 -0.18 -0.32 -0.49 0.96 0.94 0.45 1
Zn 0.56 0.20 -0.05 -0.11 0.23 -0.14 0.25 -0.21 -0.54 -0.20 -0.18 0.23 -0.16 -0.05 1

- 171 -
*Volcanics
Ca Mg Na K Cl SO4 HCO3 NO3 SiO2 CO2 F PO4 Sr Ba Li Zn
Ca 1
Mg 0.48 1
Na 0.57 0.07 1
K -0.22 0.12 0.38 1
Cl 0.36 0.28 0.47 0.04 1
SO4 0.61 0.08 0.77 0.05 0.28 1
HCO3 0.62 0.06 0.30 -0.17 -0.02 0.43 1
NO3 -0.63 0.36 0.03 0.16 0.21 -0.15 -0.42 1
SiO2 -0.24 0.13 -0.04 -0.20 0.02 -0.33 -0.52 0.44 1
CO2 0.12 0.45 -0.01 0.36 0.27 0.04 0.19 0.49 0.09 1
F 0.12 -0.27 -0.14 -0.16 -0.21 0.33 0.16 -0.29 -0.24 -0.20 1
PO4 -0.14 -0.17 -0.09 -0.18 -0.06 -0.29 -0.25 -0.05 0.40 -0.16 -0.13 1
Sr 0.45 0.27 0.24 0.25 0.31 0.40 0.11 -0.30 -0.26 0.15 -0.06 -0.11 1
Ba 0.19 0.22 0.20 0.63 0.23 0.33 0.01 0.05 -0.30 0.42 -0.15 -0.20 0.75 1
Li 0.71 -0.09 0.60 -0.23 0.32 0.73 0.42 -0.30 -0.30 -0.12 0.49 -0.01 0.50 0.23 1
Zn -0.16 -0.93 -0.18 0.25 -0.29 -0.08 0.18 -0.21 -0.07 0.17 -0.24 0.28 -0.06 0.16 -0.17 1

Fig 3-7-7 Relative abundances of the dissolved components in the groundwater


from Youngam-Gangjin area.

- 172 -
Table 3-7-3 Factor matrices for the dissolved constituents in the groundwater in Youngam-Gangjin
area.

a. Total
Variable Factor 1 Factor 2 Factor 3 Factor 4 Factor 5
pH -3.940 0.077 0.211 -0.777 0.007
Ca 0.672 0.381 0.470 -0.074 0.269
Mg 0.866 -0.079 0.248 0.075 -0.010
Na 0.805 0.237 0.221 -0.119 0.243
K 0.488 -0.128 0.150 0.430 -0.201
Cl 0.943 0.153 0.072 0.029 0.194
SO4 0.206 0.635 0.470 0.014 0.292
HCO3 0.163 0.365 0.766 -0.049 0.089
NO3 0.870 -0.169 -0.074 0.169 -0.021
SiO2 0.007 -0.083 -0.130 -0.051 0.861
CO2 0.158 -0.084 0.339 0.744 0.393
F -0.254 0.688 0.065 -0.087 -0.144
PO4 -0.066 0.000 -0.776 -0.043 0.311
Sr 0.060 0.736 0.006 0.024 -0.257
Ba 0.849 0.122 -0.054 0.125 -0.393
Li 0.253 0.859 0.192 -0.150 0.243
Zn -0.147 -0.005 -0.041 0.555 -0.146
Eigenvalue 4.8 2.601 1.996 1.758 1.619
% of variation 28.591 15.301 11.743 10.34 9.522
cumulative % 28.591 43.892 55.635 65.975 75.497
b. Gneiss
Variable Factor 1 Factor 2 Factor 3 Factor 4
pH 0.432 -0.122 0.771 0.072
Ca 0.824 0.484 -0.073 0.166
Mg 0.621 0.257 -0.618 0.370
Na 0.926 0.302 0.192 -0.009
K 0.339 0.778 -0.368 0.129
Cl 0.467 0.870 -0.115 0.027
SO4 0.976 0.091 -0.126 0.000
HCO3 0.950 -0.019 0.097 0.287
NO3 -0.336 0.920 -0.022 -0.177
SiO2 -0.578 -0.183 0.717 0.291
CO2 -0.310 -0.096 -0.895 -0.059
F 0.948 0.082 0.215 -0.184
Sr 0.975 0.216 0.041 -0.014
Ba 0.283 0.857 0.147 0.107
Li 0.967 0.118 0.198 -0.006
Zn -0.011 0.037 0.117 0.979
Eigenvalue 7.702 3.469 2.632 1.393
% of variation 48.136 21.682 16.451 8.707
cumulative % 48.136 69.818 86.269 94.975

- 173 -
c. Granite
Variable Factor 1 Factor 2 Factor 3 Factor 4
pH -0.573 0.193 -0.092 -0.609
Ca 0.766 0.216 0.583 -0.004
Mg 0.912 0.005 0.340 -0.110
Na 0.973 0.047 0.182 0.048
K 0.976 -0.130 0.052 -0.057
Cl 0.988 -0.010 0.143 0.020
SO4 0.159 0.454 0.777 0.262
HCO3 0.167 0.408 0.792 -0.149
NO3 0.964 -0.047 0.060 0.006
SiO2 -0.218 0.029 -0.190 0.753
CO2 0.108 -0.293 0.686 0.517
F -0.186 0.904 -0.004 0.025
PO4 -0.093 -0.048 -0.597 0.101
Sr -0.032 0.926 0.183 -0.169
Ba 0.954 0.132 -0.017 -0.126
Li 0.329 0.813 0.409 -0.048
Zn -0.028 -0.036 0.070 0.601
Eigenvalue 6.727 2.922 2.823 1.734
% of variation 39.569 17.191 16.604 10.198
cumulative % 39.569 56.76 73.364 83.562
d. Volcanics
Variable Factor 1 Factor 2 Factor 3 Factor 4 Factor 5 Factor 6
pH 0.035 -0.885 0.173 -0.228 -0.151 0.020
Ca 0.783 0.002 0.310 0.192 -0.217 0.150
Mg 0.149 0.440 0.253 0.164 -0.229 0.580
Na 0.924 -0.034 -0.018 -0.023 -0.003 0.094
K -0.103 0.371 0.228 0.276 0.614 0.046
Cl 0.839 0.274 -0.174 0.248 -0.146 0.215
SO4 0.778 -0.002 0.273 0.198 0.023 -0.299
HCO3 0.494 -0.202 0.649 -0.110 0.318 0.032
NO3 -0.044 0.822 -0.172 -0.103 -0.277 0.187
SiO2 -0.048 0.310 -0.673 -0.340 -0.251 0.228
CO2 0.095 0.815 0.193 0.071 0.280 0.157
F 0.026 -0.091 0.209 -0.059 -0.131 -0.884
PO4 -0.031 -0.122 -0.850 -0.058 0.207 0.041
Sr 0.301 0.033 0.030 0.906 -0.106 0.068
Ba 0.191 0.232 0.174 0.853 0.332 0.061
Li 0.763 -0.161 0.026 0.318 -0.146 -0.466
Zn -0.155 -390.000 -0.112 -0.013 0.844 0.027
Eigenvalue 3.804 2.773 2.099 2.094 1.756 1.628
% of variation 22.374 16.312 12.348 12.32 10.327 9.575
cumulative % 22.374 38.685 51.034 63.353 73.68 83.255

- 174 -
화강암 지역의 지하수 수질 분산은 약 40% 정도가 Mg-Na-K-Cl-SO4-NO3의 변화로 인한 요
인(제 1요인)에 의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 요인은 정확하게 어떠한 원인에 의한 요인인지 판
명하기 쉽진 않지만, Na, Cl, NO3 및 SO4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오염을 주로 지시
하는 요인으로 보인다. 즉, 화강암 지역의 지하수의 수질은 물-암석 반응보다는 오히려 오염
에 의해 결정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편마암 지역 지하수 수질 분산의 제 1요인은 전체
분산의 약 50% 정도를 차지하며, 주로 Ca-Na-SO4-HCO3 등의 변화에 의한 요인이다. 이러한
요인은 부분적으로 탄산염 광물-지하수 간의 반응과 함께 진행된 오염에 의해 작용하는 것으
로 판단된다. 화산암 지역 지하수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는 앞의 화강암 및 편마암 지역에서
보다 해석하기 모호한 편이다. 제 1요인과 제 2요인은 각각 전체 분산의 22% 및 16%를 설
명하며, 주로 Na-Cl 및 NO3-HCO3에 의한 요인이다. 이들은 모두 오염에 의한 요인으로 보인
다. 이상의 요인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1998년 9월 채취된 지하수의 수질이 주로 지질 조건
에 의해 정해지기보다는, 물-암석 반응과 함께 또는 이보다 더욱 오염에 의한 영향에 의해 정
해진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영암-강진 지역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지하수질이 기반암의 종류에 따라
뚜렷한 특징을 보여주지 못함으로서 지질 요인에 의한 수질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힘든 것으
로 나타났다. 더욱이 대부분의 지하수가 오염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음으로써, 지질 요인에
의한 지하수질 변화 추적을 더욱 어렵게 하였다. 이로부터, 현재 시급한 것은 물-암석 반응의
종류(또는 기반암의 종류)에 따른 지하수질의 특성이 아니라, 지하수의 수질 특성에 있어 물-
암석 반응과 같은 지질 조건에 의한 영향과 오염에 의한 영향이 상대적으로 얼마나 되는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일이다. 아래에 기술할 전주-완주 지역의 연구는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
추었다.

나. 전주-완주 지역의 수질

(1) 수질 일반

Table 3-7-4, 3-7-5, 3-7-6, 3-7-7 은 각각 전주-완주 지역 지하수 및 지표수의 주 용존 성분


및 부 용존 성분의 조성을 정리한 것이다. Fig 3-7-8 은 이들 지하수 및 지표수의 수질을 파이
퍼 다이아그램에 도시한 것으로 이로부터 대부분의 지하수 및 지표수가 Ca-CO3 유형에 속하
며, 일부에서는 Na+L, Cl 및 SO4가 주요 성분임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하수가 지표수
보다 용존 성분의 함량이 높다. 각 성분별로 살펴보면, 지하수는 지표수에 비해 높은 Si, Ca,
CO3, F, Mo, Sr 그리고 U의 함량을 갖으며, 낮은 K, Al, Co, Cu, 그리고 Ni의 함량을 갖는다
(Fig 3-7-9). 다른 시기에 채취된 시료의 화학 조성을 비교하면, 시료 내 용존 성분 함량의 계절
적 변화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Site 3에서 채취된 시료는 예외적으로 높은 용존 성분 함
량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이곳이 가장 하류 지역이고 심하게 오염된 곳이기 때문이다.

- 175 -
Table 3-7-4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concentrations (in ppm) of the major dissolved constituents in ground water.
Conductivity
Site No. T(℃) pH Eh(mV) Si Al Fe Mg Ca Na K Cl Mn F CO3* NO3 PO4 SO4
(μS/cm)
April, 2002
Site-1 14.5 8.73 409 93.1 4.84 0.018 0.01 0.54 12.6 5.54 0.57 3.00 N.D.** 0.25 18.5 5.01 N.D. 6.71
Site-2 15.7 6.95 390 194 4.01 0.004 0.02 3.12 22.5 9.02 2.31 8.66 0.11 0.82 60.1 9.60 N.D. 15.6
Site-3 15.8 7.62 189 595 8.68 0.004 0.01 13.6 81.4 N.D 8.21 57.7 0.81 0.22 160 0.23 N.D. 57.7
Site-4 15.8 7.79 295 430 9.58 0.004 0.02 17.0 55.0 7.95 3.16 40.2 0.10 0.25 138 0.35 N.D. 19.1
Site-6 16.4 7.56 262 221 8.59 0.009 0.001 2.53 31.1 9.04 0.96 10.8 0.05 0.79 55.6 0.21 N.D. 34.4
Site-7 18.9 8.43 376 140 9.18 0.009 0.002 1.91 19.5 8.41 0.88 6.51 N.D. 0.15 40.2 7.48 N.D. 5.41
Site-8 15.4 6.55 127 359 14.7 0.003 0.02 8.99 39.0 7.45 2.15 41.8 0.97 0.21 160 0.22 0.59 7.80

June, 2003
Site-1 15.0 8.52 468 112 8.36 0.032 0.01 0.51 15.2 6.11 0.67 2.65 0.001 0.22 37.5 2.25 N.D. 14.0
Site-2 16.5 6.37 455 187 5.47 0.002 N.D. 2.56 15.7 12.8 2.51 7.25 0.003 0.52 70.9 22.9 N.D. 18.6
Site-3 16.0 7.27 214 711 13.0 0.001 0.30 16.2 78.1 23.9 7.58 67.4 0.50 0.21 232 0.21 N.D. 78.8
Site-4 16.0 7.01 396 452 15.3 0.001 N.D. 15.8 50.8 18.1 3.57 41.5 0.48 0.23 196 10.5 N.D. 36.6
Site-6 16.2 7.03 273 236 11.6 0.001 0.07 2.28 26.3 14.2 1.16 10.2 0.06 0.63 72.7 0.17 N.D. 47.8
Site-7 16.5 7.61 476 150 11.4 0.003 N.D. 1.66 15.6 9.10 0.93 6.39 0.001 0.17 57.4 10.5 N.D. 6.48

August, 2003
Site-1 15.0 8.56 254 122 7.10 N.D. N.D. 0.45 15.3 4.89 N.D 2.53 N.D. 0.26 48.8 2.25 N.D. 14.0
Site-2 16.2 6.45 257 240 5.81 N.D. N.D. 3.11 20.1 14.8 1.60 8.08 N.D. 0.69 122 27.3 N.D. 19.5
Site-3 15.1 6.11 266 745 10.2 N.D. 24.3 11.6 28.9 66.9 1.45 120 1.51 0.07 131 0.19 N.D. 144
Site-4 15.4 6.97 272 545 15.1 N.D. N.D. 18.2 52.2 16.6 1.85 42.0 1.57 0.18 250 8.06 N.D. 44.2
Site-6 16.6 6.98 256 243 9.56 N.D. 0.07 2.25 25.5 12.5 0.59 9.87 0.03 0.59 80.7 0.26 N.D. 45.8
Site-7 16.4 8.16 256 157 10.2 N.D. N.D. 1.65 15.5 8.27 0.37 6.49 N.D. 0.13 57.0 10.7 N.D. 6.96
Site-8 15.8 6.68 260 348 12.8 N.D. 6.02 6.34 31.1 16.5 1.36 28.8 0.56 0.45 203 0.28 N.D. 6.67

November, 2003
Site-1 14.7 8.33 236 125 7.40 N.D. N.D. 0.46 16.0 5.10 0.30 2.86 N.D. 0.42 43.3 6.15 N.D. 15.4
Site-2 16.3 6.30 184 186 6.11 N.D. N.D. 2.62 17.6 9.6 1.59 5.10 N.D. 0.44 118 35.9 N.D. 21.1
Site-3 14.6 5.97 30 747 10.6 N.D. 23.9 11.5 29.6 68.1 1.66 138 1.40 0.00 145 4.48 N.D. 162
Site-4 16.2 7.37 71 485 11.2 N.D. N.D. 15.7 49.5 16.2 2.12 46.4 0.22 0.26 217 3.13 N.D. 28.6
Site-6 17.9 6.90 -6 226 9.99 N.D. 0.07 2.18 26.0 12.1 0.68 10.7 0.04 0.75 98.1 4.72 N.D. 50.1
Site-7 16.4 8.04 144 156 10.3 N.D. N.D. 1.68 16.4 8.42 N.D. 7.21 N.D. 0.13 70.6 22.5 N.D. 7.32
Site-8 15.8 6.30 -15 392 16.5 N.D. 14.22 8.26 28.5 17.7 1.76 57.2 0.81 0.19 252 1.81 N.D. 11.5

* ; calculated from alkalinity. ** ; not detected.

- 176 -
Table 3-7-5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concentrations (in ppm) of the major dissolved constituents in stream water.
Conductivity
Site-No. T(℃) pH Eh(mV) Si Al Fe Mg Ca Na K Cl Mn F CO3* NO3 PO4 SO4
(μS/cm)
April, 2002
Site-1 11.2 6.75 415 47.0 3.40 0.003 0.001 0.83 4.06 4.36 0.73 3.23 N.D.** 0.07 9.63 4.50 N.D. 3.97
Site-2 15.6 7.61 397 117 2.24 0.01 0.01 2.29 11.6 5.74 1.93 5.66 0.04 0.06 26.8 6.51 N.D. 10.1
Site-3 16.8 7.64 304 1088 2.12 0.01 0.01 5.99 48.1 159 9.02 183 N.D. 0.11 139 6.91 0.76 105
Site-4 16.7 7.78 380 332 1.33 0.01 0.02 7.92 40.8 6.95 6.68 26.8 0.19 0.16 83.5 6.39 0.12 51.1
Site-5 10.1 7.43 338 283 2.44 0.01 0.01 4.01 38.6 8.75 3.09 13.3 0.001 0.12 46.9 13.2 N.D. 69.0
Site-6 14.9 7.71 328 164 3.49 0.01 0.003 3.12 20.3 8.20 2.68 8.49 N.D. 0.31 46.3 12.1 N.D. 14.1
Site-8 18.5 7.48 438 588 6.87 0.02 N.D. 7.31 33.3 53.5 10.4 86.3 0.004 0.19 178 4.70 1.66 18.8

June, 2003
Site-1 25.2 7.16 493 70.4 5.06 0.01 0.004 0.99 5.48 5.56 1.35 0.29 0.0004 0.14 18.2 7.82 N.D. 7.20
Site-2 19.4 6.53 451 71.9 3.23 0.003 0.01 1.28 5.95 3.68 1.49 3.63 0.01 0.08 28.1 5.58 N.D. 6.32
Site-3 26.9 7.22 380 728 4.19 0.01 0.09 3.84 25.4 98.3 10.4 88.3 0.08 0.15 150 5.81 0.51 72.8
Site-6 21.4 6.93 455 183 6.61 0.002 N.D. 2.95 18.9 9.67 3.27 8.44 0.001 0.01 27.1 12.0 N.D. 20.2
Site-7 22.7 6.83 491 184 5.33 0.003 N.D. 2.77 19.9 10.2 3.11 0.70 0.0005 0.01 69.7 1.32 N.D. 3.50

August, 2003
Site-1 22.6 6.50 427 41.5 4.60 N.D. N.D. 0.61 2.75 2.50 0.26 1.14 N.D. 0.08 19.6 2.28 N.D. 5.44
Site-2 20.5 6.04 505 48.5 3.38 0.02 0.02 0.80 3.86 2.34 0.30 1.46 N.D. 0.07 33.0 3.38 N.D. 6.96
Site-3 26.0 6.83 412 246 4.43 N.D. 0.04 2.06 12.6 23.4 2.27 28.9 N.D. 0.09 58.1 8.62 N.D. 25.1
Site-4 24.9 6.80 449 129 2.78 0.03 0.14 2.84 11.3 3.34 3.34 5.59 0.04 0.16 51.3 5.23 0.29 13.7
Site-5 23.6 7.05 483 158 4.43 N.D. 0.01 2.54 16.2 6.14 2.02 4.60 N.D. 0.14 65.4 7.56 N.D. 19.1
Site-6 22.5 6.73 423 105 6.21 N.D. N.D. 1.62 9.60 4.45 1.07 2.78 N.D. 0.13 48.1 6.99 N.D. 10.9
Site-7 23.8 6.70 409 130 5.25 N.D. N.D. 1.85 13.6 4.92 2.05 2.90 N.D. 0.13 68.0 6.00 N.D. 14.8
Site-8 25.6 6.87 387 178 6.96 N.D. 0.04 2.46 10.6 13.1 1.75 16.0 N.D. 0.10 53.0 11.2 0.37 12.8

November, 2003
Site-1 16.6 6.38 295 61.2 3.94 N.D. N.D. 0.83 4.58 4.39 0.61 2.60 N.D. 0.25 29.3 8.81 N.D. 7.42
Site-2 19.2 6.47 183 59.0 3.06 N.D. N.D. 0.92 5.11 2.74 0.94 2.15 N.D. 0.13 32.2 9.66 N.D. 5.65
Site-3 16.4 6.87 213 567 3.89 N.D. 0.04 2.63 20.6 72.4 4.25 113 0.04 0.11 74.1 18.8 N.D. 78.6
Site-4 18.4 6.87 146 368 3.20 N.D. 0.05 8.43 33.2 15.4 9.01 33.9 0.05 0.18 118 33.7 0.29 40.6
Site-5 13.2 6.7 197 185 3.49 N.D. 0.02 2.83 19.3 9.09 2.72 9.24 N.D. 0.13 79.0 15.2 N.D. 22.3
Site-6 16.9 6.71 90 176 5.36 N.D. N.D. 2.59 17.7 8.56 1.92 7.99 N.D. 0.16 70.8 21.2 N.D. 22.9
Site-7 20.1 6.59 153 123 4.72 N.D. N.D. 1.65 11.9 6.01 1.94 4.72 N.D. 0.21 61.0 15.4 N.D. 14.4
Site-8 19.1 7.23 118 434 7.97 N.D. 0.05 4.92 22.9 3.01 8.29 86.1 0.01 0.10 78.9 41.9 0.37 25.6

- 177 -
Table 3-7-6 Concentration (in ppb) of the minor dissolved trace metalic constituents (in ppb) in groundwater.
Site-No. Ba Co Cs Cu Mo Ni Pb Rb Sr U Y Zn
April, 2002
Site-1 0.39 N.D.* N.D. N.D. 8.73 0.00 2.89 0.47 23.4 0.53 0.03 0.88
Site-2 19.0 0.30 0.09 N.D. 0.93 0.37 0.51 2.45 171 0.20 0.07 727
Site-3 23.4 4.39 0.33 N.D. 1.04 0.56 N.D. 9.19 304 12.7 0.04 202
Site-4 1.95 0.09 0.37 N.D. 0.93 0.18 0.13 1.21 174 6.04 0.03 13.3
Site-6 1.30 0.14 0.17 N.D. 9.42 0.27 0.51 0.68 77.3 0.32 N.D. 3.55
Site-7 0.84 0.08 0.10 N.D. 0.84 0.00 0.70 0.59 44.6 1.00 N.D. 0.68
Site-8 31.2 0.22 0.11 N.D. 0.29 0.34 N.D. 1.33 176 0.18 0.80 6.61

June, 2003
Site-1 0.40 N.D. N.D. 0.10 21.1 0.23 4.42 1.02 34.4 1.03 0.12 1.02
Site-2 20.5 0.31 0.09 0.43 1.03 0.35 0.04 2.79 212 0.12 0.05 566
Site-3 28.5 3.22 0.19 0.31 0.54 1.09 0.01 5.22 595 18.0 0.06 190
Site-4 2.01 0.10 0.38 0.30 0.70 0.63 0.25 1.23 389 4.32 0.07 11.6
Site-6 1.25 0.01 0.20 N.D. 8.80 0.44 0.44 0.95 137 0.37 N.D. 5.89
Site-7 0.93 0.07 0.10 N.D. 0.84 0.16 0.15 0.74 81.5 1.05 N.D. 2.82

August, 2003
Site-1 0.47 0.02 N.D. 0.17 20.1 0.15 2.99 0.86 33.6 0.85 0.14 1.84
Site-2 41.6 0.04 0.09 0.25 1.13 0.35 0.04 3.21 286 0.19 0.11 487
Site-3 155 2.43 N.D. 0.25 0.54 1.43 0.06 1.88 307 N.D. 0.12 5.80
Site-4 2.03 0.21 0.41 0.56 0.52 0.65 0.10 1.04 403 2.18 0.05 4718
Site-6 1.24 0.15 0.17 0.27 8.65 0.31 1.13 1.04 132 0.24 N.D. 15.1
Site-7 0.97 0.07 0.09 0.26 0.63 0.12 0.48 0.82 81.7 0.88 N.D. 4.53
Site-8 30.8 0.09 0.09 0.19 0.44 0.30 0.06 1.66 367 0.61 N.D. 2.66

November, 2003
Site-1 1.18 N.D. 0.06 0.59 21.5 6.23 2.04 1.06 35.0 1.23 0.13 4.00
Site-2 25.3 0.25 0.13 0.71 0.89 4.86 0.07 3.12 208 0.14 0.08 719
Site-3 128 4.11 N.D. 0.48 0.61 4.31 0.17 2.21 313 N.D. 0.21 16.3
Site-4 2.75 0.18 0.49 0.39 1.05 2.16 0.08 1.57 314 6.44 0.08 272
Site-6 1.55 0.13 0.23 0.25 9.03 1.65 0.52 0.98 125 0.38 0.02 5.86
Site-7 1.10 0.08 0.14 0.18 0.91 1.20 0.27 0.80 78.1 1.24 N.D. 1.26
Site-8 43.0 0.20 0.15 0.17 0.29 1.35 0.07 1.65 287 0.18 0.09 8.33

- 178 -
Table 3-7-7 Concentration (in ppb) of the minor dissolved trace metalic constituents in stream water.
Site No. Ba Co Cs Cu Mo Ni Pb Rb Sr U Y Zn
April, 2002
Site-1 2.76 N.D.* N.D. N.D. 0.18 0.02 N.D. 0.45 13.2 N.D. N.D. 0.10
Site-2 9.43 0.05 N.D. 0.22 0.26 0.16 N.D. 1.21 40.1 N.D. N.D. 0.10
Site-3 20.5 0.52 0.06 1.75 1.38 2.17 0.10 7.15 91.2 0.27 0.16 11.6
Site-4 25.9 0.15 N.D. 0.82 0.78 0.52 0.06 2.78 84.5 0.33 N.D. 0.96
Site-5 21.6 N.D. N.D. 0.35 1.15 0.28 N.D. 1.48 53.4 0.04 0.03 1.98
Site-6 11.6 N.D. N.D. 0.23 1.55 0.01 N.D. 0.81 59.6 N.D. N.D. 0.40
Site-8 20.5 0.13 N.D. 1.35 1.48 0.67 N.D. 9.02 123.1 0.54 N.D. 3.43

June, 2003
Site-1 3.08 N.D. N.D. 0.46 0.46 0.16 0.07 1.47 27.0 0.03 0.02 1.23
Site-2 4.24 N.D. N.D. 0.28 0.44 0.06 N.D. 1.38 39.5 0.02 N.D. 0.15
Site-3 20.1 0.23 N.D. 1.07 1.47 3.29 0.14 6.21 112 0.13 0.08 8.30
Site-6 9.78 N.D. N.D. 0.54 1.32 0.22 0.00 1.55 131 0.02 N.D. 0.88
Site-7 19.9 N.D. N.D. 0.62 1.33 0.16 0.02 1.66 124 0.05 0.02 3.25

August, 2003
Site-1 3.30 0.01 N.D. 0.17 0.11 0.08 0.06 1.00 15.4 N.D. 0.03 1.63
Site-2 5.89 0.03 N.D. 0.24 0.13 0.05 0.08 1.19 24.1 N.D. 0.08 1.21
Site-3 19.2 0.20 N.D. 0.85 0.60 2.19 0.14 2.85 65.9 0.02 0.05 3.88
Site-4 30.5 0.16 N.D. 1.95 0.25 0.49 0.29 2.53 59.0 0.03 0.09 22.8
Site-5 20.2 0.07 N.D. 0.90 1.26 0.20 0.17 2.12 65.5 0.09 0.02 2.54
Site-6 9.46 0.04 N.D. 0.61 0.69 0.01 0.07 1.18 67.0 N.D. 0.02 2.95
Site-7 20.6 0.05 N.D. 0.90 0.74 0.13 0.12 1.89 79.2 N.D. 0.02 6.14
Site-8 9.85 0.13 N.D. 1.09 0.14 0.32 0.13 2.64 68.4 0.04 0.04 4.35

November, 2003
Site-1 4.56 N.D. N.D. 0.24 0.72 0.91 0.06 0.97 20.4 N.D. N.D. 1.03
Site-2 6.28 0.04 N.D. 0.57 0.66 0.82 0.09 1.57 31.6 0.03 0.03 1.50
Site-3 14.0 0.42 N.D. 1.31 1.51 6.28 0.26 5.09 75.9 0.10 0.09 14.1
Site-4 31.3 0.16 N.D. 2.83 0.51 0.92 0.07 6.17 158 0.16 N.D. 3.04
Site-5 23.6 0.04 N.D. 0.70 0.89 0.47 0.18 2.63 79.6 0.11 0.03 1.82
Site-6 17.5 0.02 N.D. 0.44 1.10 0.31 0.06 1.42 112 N.D. N.D. 1.07
Site-7 14.5 N.D. N.D. 0.40 0.65 0.28 0.08 1.41 70.7 N.D. N.D. 2.07
Site-8 17.0 0.12 N.D. 1.82 0.47 0.69 0.30 7.84 167 0.07 0.07 6.67

- 179 -
Fig 3-7-8 Piper plot of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from Jeonju-wanju area.

90 0.04
Ca Al
80
Groundwater(mg/L)

70
0.03
Groundwater(mg/L)

60
50
0.02
40
30
0.01
20
10
0 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0 0.01 0.02 0.03 0.04
S t r e a m W a t e r (m g /L ) S t r e a m W a t e r (mg /L )

300 12
CO3 K
250 10
Groundwater(mg/L)
Groundwater(mg/L)

200 8

150 6

100 4

50 2

0 0
0 50 100 150 200 250 300 0 2 4 6 8 10 12
S t r e a m W a t e r (mg /L ) S t r e a m W a t e r (mg /L)

3
Cu 700
Sr
600
Groundwater(mg/L)
Groundwater(mg/L)

2 500

400

300
1
200

100
0 0
0 1 2 3 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S t r e a m W a t e r (mg /L )
S t e a m W a t e r (mg /L )

Fig 3-7-9 Comparison of the conductivity and the concentrations of the dissolved constituents in the
groundwater with those in the stream water. The diagonal line represents equal conductivity or
concentration.

- 180 -
(2) 평형 분석 및 광물 관찰

전주-완주 지역의 지하수 및 지표수 화학 조성을 기초 자료로 평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얻어진 각 용존 성분의 활동도 (activity)로부터 물의 고상에 대한 포화정도를 고찰하였으
며, 풍화 산물의 안정 영역을 활동도도 (activity diagram)를 통해 판단하였다. Fig 3-7-10 은
K-Si-O-H, Na-Si-O-H 및 Ca-Si-O-H 시스템의 활동도도에 계산된 물 시료 내 용존 성분의 활동
도를 표시한 것이다. 이로부터 암석과 반응하는 지표수 및 지하수와 안정하게 공존할 수 있는
풍화 산물은 카올리나이트임을 알 수 있다.
Fig 3-7-11 은 시추 코어로부터 얻은 암석 시료의 X-선 회절 분석 결과이다. X-선 분석 결
과는 암석의 주구성 광물이 석영과 장석임을 보여주고 있으며, 풍화 결과 일라이트와 녹니석
이 소량 만들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편광현미경 관찰 결과와 매우 잘 일치하는 것이다.
Fig 3-7-12 는 연구 지역의 화강암 및 사암의 박편 사진으로, 장석 및 흑운모가 각각 일라이트
및 녹니석 등으로 변질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래의 광물이 풍화되어 2차 광
물로 바뀌어 가는데, 최후의 안정한 광물은 평형 모델링에서 예측된 바대로 카올리나이트이므
로 계속해서 성분의 용탈이 진행되며 원래 광물뿐만 아니라, 만들어진 일라이트 및 녹니석의
화학적 풍화가 진행될 것이다. 이러한 물-암석 반응이 지하수질을 결정하는데 큰 요인이 되
는 것이다.

Fig 3-7-10 Activity plot of the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from
Jeonju-Wanju area on mineral stability feilds.

- 181 -
Fig 3-7-11 XRD patterns of the rock samples obtained from the drilling cores
of groundwater wells in Jeonju-Wanju-area. Abbreviations; Pl=plagioclase,
Ch=chlorite, ill=illite, Q=quartz.

Fig 3-7-12 Photomicrographs of granite and sandstones fron Jeonju-Wanju area.

- 182 -
(3) 수질 통계 분석

Table 3-7-8 은 지하수 및 지표수 시료 내 용존 성분의 함량 간 상관관계를 정리한 것이다.


이들 지하수 및 지표수 시료의 주성분 중, 두 집단의 용존 성분들이 매우 강한 상관관계를 보
인다. 그 중 한 집단은 Ca-(Mg)-K-CO3(제 1집단)이고 다른 한 집단은 Na-Cl-SO4(제 2집단)이
다. 제 1집단 성분은 탄산염광물 및 K-포함 광물들의 용탈 결과로, 제 2집단 성분은 강수와
기타 오염원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생각된다. 하천수에서는 K 및 Ca가 제 2집단 성분과 상
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데, 이는 이들 두 성분이 오염원으로부터도 유래될 수 있음을 나
타낸다고 할 수 있다. 용존 부성분 중에서는 Rb과 Sr이 제 1집단 성분과, Ba이 제 2집단 성분
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Rb은 하천수에서 제 2집단 성분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
기도 한다. NO3와 Zn은 다른 어떤 성분들과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으나, 오염을 지시하
는 성분으로 수질의 해석에 중요한 성분이다.
Table 3-7-9 는 전주 지역 지하수 및 지표수 내 용존 성분의 함량에 대해 요인 분석한 결과
이다. 지하수 수질 분산의 제 1요인은 전체의 약 27%를 차지하며, 주로 Na, Cl, SO4, (Ba)으
로 이루어져 있다. 이 요인의 주성분들은 주로 강수나 다른 오염원들에 의해 공급되므로 이
요인을 강수 및 기타 비점오염원에 의한 수질 분산 요인이라 볼 수 있을 것이다. 제 2요인은
전체 분산의 약 22%를 설명하며 주로 Ca, K, (Rb)로 구성되어 있다. 이 요인은 아마 Ca 및 K
함유 광물의 풍화로부터 기인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제 3요인은 전체 분산의 17%를 차지하며
주로 Si, NO3로 구성되어 있다. 이 요인은 규산염 광물의 용해 및 비 점오염원에 의한 오염에 의
한 수질 변화를 복합적으로 지시한다고 볼 수 있다. 제 4요인은 전체 분산의 약 14%를 설명하
며 주로 Na, Ca, 및 Zn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 Zn의 존재가 특이한데, 이는 아마도 점 오염원에 의
한 영향이 아닐까 추측된다.

- 183 -
Table 3-7-8 Matrices of the correlation among the dissolved consitituents in the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a. Groundwater
Si Mg Ca Na K Cl F CO3* NO3 SO4 Ba Mo Ni Rb Sr Zn pH
Si 1
Mg 0.57 1
Ca 0.45 0.86 1
Na 0.21 0.36 0.06 1
K 0.09 0.64 0.85 0.00 1
Cl 0.42 0.69 0.49 0.86 0.43 1
F -0.43 -0.40 -0.20 -0.33 -0.12 -0.50 1
CO3* 0.72 0.83 0.71 0.29 0.51 0.58 -0.27 1
NO3 -0.39 -0.29 -0.38 -0.14 -0.19 -0.34 0.15 -0.17 1
SO4 0.14 0.44 0.32 0.89 0.25 0.85 -0.23 0.27 -0.26 1
Ba 0.08 0.28 0.05 0.92 0.17 0.84 -0.30 0.27 -0.07 0.80 1
Mo -0.33 -0.51 -0.37 -0.29 -0.41 -0.41 0.22 -0.53 -0.25 -0.16 -0.32 1
Ni -0.09 0.01 -0.09 0.31 -0.03 0.25 -0.07 0.08 0.25 0.31 0.29 0.17 1
Rb -0.11 0.37 0.64 0.01 0.89 0.32 -0.02 0.34 0.05 0.28 0.22 -0.29 0.07 1
Sr 0.50 0.80 0.73 0.43 0.57 0.63 -0.17 0.88 -0.06 0.46 0.40 -0.57 0.06 0.52 1
Zn 0.18 0.35 0.21 -0.01 0.10 0.03 -0.03 0.37 0.18 0.02 -0.09 -0.19 -0.01 0.02 0.33 1
pH 0.07 0.18 -0.10 0.83 0.03 0.70 -0.18 0.28 0.17 0.68 0.89 -0.34 0.41 0.12 0.35 -0.01 1

b. Stream water
Si Mg Ca Na K Cl F CO3* NO3 SO4 Ba Mo Ni Rb Sr Zn pH
Si 1
Mg -0.10 1
Ca -0.20 0.88 1
Na -0.15 0.39 0.59 1
K 0.02 0.92 0.82 0.56 1
Cl 0.00 0.54 0.65 0.91 0.75 1
F -0.13 0.21 0.14 0.01 0.22 0.01 1
CO3* 0.10 0.77 0.74 0.68 0.85 0.72 0.24 1
NO3 0.28 0.39 0.26 -0.07 0.44 0.24 0.17 0.19 1
SO4 -0.33 0.56 0.79 0.81 0.60 0.81 0.04 0.59 0.20 1
Ba -0.16 0.72 0.70 0.24 0.65 0.30 0.19 0.66 0.29 0.46 1
Mo -0.03 0.41 0.60 0.53 0.41 0.50 0.21 0.50 0.11 0.53 0.22 1
Ni -0.11 0.16 0.27 0.65 0.32 0.68 -0.01 0.39 0.16 0.68 0.17 0.42 1
Rb 0.22 0.73 0.64 0.65 0.91 0.84 0.08 0.86 0.42 0.57 0.50 0.38 0.48 1
Sr 0.43 0.70 0.61 0.26 0.70 0.43 -0.04 0.67 0.60 0.33 0.63 0.44 0.17 0.68 1
Zn -0.07 0.17 0.21 0.45 0.34 0.49 0.02 0.33 0.05 0.43 0.48 0.06 0.52 0.43 0.19 1
pH -0.07 -0.51 -0.56 -0.29 -0.47 -0.35 -0.13 -0.37 -0.20 -0.39 -0.42 -0.37 -0.16 -0.37 -0.43 -0.18 1

- 184 -
Table 3-7-9 Factor matrices for the dissolved constituents in the groundwater and stream water.

a. Groundwater b. Stream water


Variable Factor1 Factor2 Factor3 Factor4 Variable Factor1 Factor2 Factor3 Factor4
Si 0.0077 0.0022 0.8140 0.4078 Si -0.0923 -0.3020 0.8488 -0.1554
Mg 0.1946 0.5696 0.5707 0.4508 Mg 0.2801 0.8634 0.2763 0.0608
Ca -0.0583 0.8409 0.4473 0.2183 Ca 0.4875 0.8112 0.0928 -0.0656
Na 0.9357 -0.0320 0.2707 0.0640 Na 0.9361 0.1737 -0.0462 0.0156
K 0.0346 0.9641 0.0648 0.1091 K 0.4725 0.7092 0.3906 0.1477
Cl 0.7867 0.3536 0.4794 0.1081 Cl 0.9018 0.2408 0.2175 0.0937
F -0.2685 0.0223 -0.5172 -0.1331 F -0.1049 0.4666 -0.1666 -0.0792
CO3* 0.1711 0.4416 0.4964 0.6338 CO3* 0.5669 0.5992 0.3280 0.0774
NO3 0.0496 -0.1953 -0.7675 0.5059 NO3 -0.0195 0.2949 0.6346 0.1165
SO4 0.8384 0.2701 0.2449 -0.0903 SO4 0.8064 0.4200 -0.1058 0.0947
Ba 0.9466 0.1160 0.1026 0.0116 Ba 0.1216 0.7773 0.1432 0.4731
Mo -0.2281 -0.2892 -0.0719 -0.6668 Mo 0.5789 0.3749 0.0627 -0.5071
Ni 0.4921 -0.0346 -0.2559 0.0346 Ni 0.8222 -0.0749 0.0101 0.2136
Rb 0.1316 0.9175 -0.2277 0.0471 Rb 0.6222 0.4157 0.5334 0.1904
Sr 0.3167 0.5725 0.3083 0.5711 Sr 0.2209 0.5109 0.7530 0.0302
Zn -0.1076 0.0163 0.0434 0.6801 Zn 0.4774 0.0525 0.0264 0.7565
pH 0.9238 -0.0380 -0.0661 0.1983 pH -0.2330 -0.5387 -0.1807 0.1359
Eigenvalue 4.5165 3.6633 2.8929 2.4045 Eigenvalue 4.9646 4.4031 2.4660 1.2523
% of variation 26.568 21.549 17.017 14.1441 % of variation 29.204 25.901 14.506 7.366
cumulative % 26.568 48.116 65.133 79.277 cumulative % 29.204 55.104 69.610 76.976

- 185 -
하천수의 요인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대체로 지하수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하천수 수질
분산의 요인 중 가장 큰 요인인 제 1요인은 전체 수질 분산의 약 29%를 차지하며, 지하수의 경
우와 같이 주로 Na, Cl, SO4로 이루어져 강수 및 비점오염원으로 인한 수질 분산 요인으로 생각된
다. 제 2요인은 전체 수질 분산의 26%를 차지하며 Ca, Mg, K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역시
지하수 제 2요인과 비슷한 기원을 갖는 요인으로 Ca, Mg 및 K 함유 광물의 풍화로부터 기인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제 3요인은 전체 수질 분산의 15%를 차지하며, 주로 Si와 NO3로 구성되
어 있다. 이 요인 역시 규산염 광물의 용해 및 비 점오염원에 의한 오염에 의한 수질 변화를 복
합적으로 지시하는 요인이라 볼 수 있다. 요인 4는 전체 분산의 7%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주
로 이루어져 있어, 점 오염원에 의한 분산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요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지하수 및 지표수 모두 물-암석 반응뿐만 아니라 오염에
의해서도 상당히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 광물의 풍화 및 용탈에 의한 수질 분
산 정도와 오염에 의한 수질 분산 정도를 비교해 보면 지하수 및 지표수 모두 비슷하나, 지하수
가 지표수보다 좀 더 물-암석 반응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요인 2) 지표수가 지하수보다 좀 더
비 점 오염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요인 1).
수질에 미치는 물-암석 반응에 의한 영향과 오염에 의한 영향 정도는 판별 분석에 의해 평가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서 요인 분석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하수는 보다 물-암석 반응
에 의해, 지표수는 보다 비점오염원에 의해 수질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이들 지하수와
지표수의 수질을 선형으로 구분하는 판별 함수를 얻는다면, 이 함수가 물-암석 반응과 오염에 의
한 상대적 영향 정도를 정량적으로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Fig 3-7-13a 는 모든 성분을 변수로 하는 지하수-지표수 판별함수를 구하고, 그 함수 값에 따라 각
시료의 위치를 표시한 것이다. 이를 보면 지하수가 지표수와 거의 완벽하게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
다. 그러나 이와 같이 모든 성분 변수를 사용하여 판별 함수를 만드는 것은 실제적으로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너무 크다. 따라서 몇 개의 성분 변수를 이용하는 현실적인 판별함수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다양한 성분 변수들의 조합을 살펴본 결과 Ba, Sr, Ni, Rb 등 네 성분이 지하수
와 지표수를 구분하는데 매우 유용함을 발견하였다. 이들 성분으로 이루어진 판별식은

D=-0.713+9.265(CBa/CSr)-3.134(CNi/CRb) (3-7-1)

이다. 이때, D는 판별 점수를 C는 각 성분의 함량을 나타낸다. Fig 3-7-13b 는 지하수 및 지표


수를 위 (3-7-1) 식의 판별 점수에 따라 나열한 것이며, Fig 3-7-13c 는 지하수 및 지표수의
성분 함량비 Ni/Rb vs. Ba/Sr를 도시한 것이다. 이로부터, 이 연구 결과 얻어진 판별식
(3-7-1)이 지하수를 지표수와 매우 잘 구분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 함수를 이용하여 수질
에 영향을 미치는 물-암석 반응 요인과 오염 요인의 정량 평가가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 186 -
Groundwater
Stream water

-6 -4 -2 0 2 4 6

Groundwater
Stream water

6.5 7 7.5 8 8.5

0.6
Groundwater
Streamwater
c 0.5

0.4
Ni/Rb

0.3

0.2

0.1

0
0 0.1 0.2 0.3 0.4 0.5 0.6
Ba/Sr

Fig 3-7-13 a; projection of the water samples on the line discriminant function
consisting of all the compositional variables. b; Plot of the water samples on
CBa/CSr and CNi/CRb space. The line in b represents the discriminant function of
equation (1). c; Plot of the waters on Ni/Rb vs. Ba/Sr space.

물-암석 반응의 정도를 시사하는 물-암석 반응 지시자(water-rock interaction tracer)는 물과


암석의 화학 조성을 직접 비교함으로써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Fig 3-7-14 는 지하수/지표수
시료와 암석 시료 내의 몇몇 부성분원소들의 함량을 비교한 것이다. 이 그림의 성분들을 포함

- 187 -
하여 다른 여러 부성분들의 성분을 비교한 결과, Sr과 Ni이 비교적 지하수/지표수와 암석 내에
서 비슷한 함량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수/지표수 내 Sr과 Ni의 함량 정
도가 물-암석 반응 정도를 지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들을 물-암석 반응 지시자로 사용하
는 것을 검토할 만하다.

Ni
Zn
120 5000
200 7

4500
180
6 100
160
4000

140 5 3500
80
120 3000
4

ppm

ppb
ppm

ppb
100 60 2500
3
80 2000
40
60 2 1500

40 1000
1
20
20 500

0 0 0 0
1 2 3 4 5 6 7
1 2 3 4 5 6 7

Sr Rb
1000 700 350 10

900
600 300
800 8

700 500 250

600 6
400 200
ppm

ppb
ppm

ppb

500
300 150
400 4

300 200 100


200 2
100 50
100

0 0 0 0
1 2 3 4 5 6 7 1 2 3 4 5 6 7

R oc k W a te r (Nov e mbe r,

W a te r (A pril. 2002) W a te r (Ju n e . 2003)

W a te r (A u gu s t. 2003)

Fig 3-7-14 Comparison of the concentrations of some selected minor constituents in water
with those in rock.

Fig 3-7-15 는 위 (3-7-1) 식에 의해 계산된 판별 점수 D를 Sr과 Ni의 함량과 비교한 것이


다. 만일, Ni과 Sr이 실제로 물-암석 반응의 정도를 지시하고 판별 점수 또한 물-암석 반응과

- 188 -
오염에 의한 상대적 수질 영향을 지시한다면, 이 둘은 정비례 관계를 보여야한다. 하지만, Fig
3-7-15 는 이들이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Ni과 Sr이 물-암석
반응 추적자로서 적당치 않거나, 판별 분석이 물-암석 반응의 상대적 평가 척도로서 역할을
못하기 때문이다. 상관관계 및 요인 분석 결과를 볼 때 Ni과 Sr은 제 1 집단 용존 성분과 높
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못하며 제 2 요인 등의 매우 주요한 성분이 아니므로, 전자가 맞는
설명일 확률이 높다. 판별 분석은 어쨌든 지하수와 지표수의 수질을 매우 잘 구분하고 있으므
로, 이러한 측면에서 이용 가치는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지하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물-암석
반응 및 오염 요인 상대적 평가에 보다 많은 수질 자료를 바탕으로 이와 같은 판별 분석의 적
용을 시도한다면, 판별함수를 이용한 지하수질의 해석이 높은 실제 활용도를 가질 것이다.

5 5
Groundwater Groundwater
4 Stream water Stream water
4

3 3

2 2

1 1
D

0 0

-1 -1

-2 -2

-3 -3

-4 -4
Ni Sr

5
Groundwater
4 S tream water

1
D

-1

-2

-3

-4

Ni+S r

Fig 3-7-15 Plot of D values calculated with equation (1) vs. Ni, Sr and Ni+Sr.

(4) 희토류 원소의 분포

Table 3-7-10, 3-7-11, 3-7-12 는 각각 연구 지역의 지하수, 지표수 및 암석 시료 내 희토류


원소의 함량을 정리한 것이다. 이와 같이 측정된 희토류원소 자료를 해석하는 가장 좋은 방법
은 표준물질로 규격화했을 때의 분포도로서, 표준물질로는 일반적으로 운석을 이용한다. 이는
지구 초기의 물질이 운석과 유사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하수의 경우, 지각내 대
개는 천부지각 구성암석과의 반응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운석보다는 지각의 대표적인 구성

- 189 -
물질을 지하수의 진화과정을 해석하기위한 표준물질로 선택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PAAS(post Archean Australian Shale; Nanace and Taylor, 1976)를 이용하여 희토류원소를 규격화
하였다 (Fig 3-7-16).

April 2002, Groundwater April 2002, Surface water


1E-005 800
(a) (b)
(c)
600

Precipitation (mm)
PAAS-normalized

1E-006

400

1E-007 ( SW1 * SW2


( GW1 * GW2 " SW3 , SW4
" GW3 , GW4 200
= SW5 & SW6
& GW6 . GW8 . SW8
+ GW7
1E-008 0
LaCe Pr NdPmSmEuGdTbDyHo ErTmYbLu La Ce Pr NdPmSmEuGdTbDyHo ErTmYbLu 1 2 3 4 5 6 7 8 9 10 11 12

Rare Earth Elements Rare Earth Elements Month (2002)

August 2003, Groundwater August 2003, Surface water


1E-004 800
(d) (e) (f)

1E-005 600
PAAS-normalized

Precipitation (mm)

1E-006 400

( SW1 * SW2
1E-007 ( GW1 * GW2 " SW3 , SW4 200
" GW3 , GW4 = SW5 & SW6
& GW6 . GW8 + SW7 . SW8
+ GW7
1E-008 0
LaCe Pr NdPmSmEuGdTbDyHo ErTmYbLu LaCe Pr NdPmSmEuGdTbDyHo ErTmYbLu 1 2 3 4 5 6 7 8 9 10 11 12
Rare Earth Elements Rare Earth Elements Month (2003)

Fig 3-7-16 Rare earth element patterns of groundwaters and stream waters from Jeonju-Wanju
area and variations of monthly precipitation in the same area.

- 190 -
Table 3-7-10 Rare earth elements concentrations (in ppt) of groundwater from Jeonju-Wanju area.

Site
La Ce Pr Nd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No.
April, 2002
Site-1 12.4 4.41 2.79 18.0 3.53 0.70 3.96 0.71 3.93 1.16 2.63 0.38 1.83 0.32
Site-2 39.2 38.5 5.93 29.5 5.14 2.67 6.46 1.11 7.80 2.38 5.78 0.99 5.90 0.99
Site-3 30.7 20.2 2.22 12.5 1.45 2.16 2.47 0.36 1.99 1.08 2.97 0.50 2.52 0.70
Site-4 9.74 18.0 1.79 9.43 1.42 1.57 2.26 0.39 2.89 0.98 2.64 0.35 2.40 0.44
Site-6 2.29 3.04 0.27 2.13 0.33 0.91 0.60 0.15 1.12 0.47 0.85 0.16 0.90 0.23
Site-7 3.65 7.48 0.72 3.96 1.23 1.67 0.77 0.16 0.88 0.36 0.54 0.10 0.44 0.09
Site-8 18.7 31.5 4.78 26.9 6.17 4.11 9.93 1.20 8.57 2.62 9.51 1.32 9.74 1.80
June, 2003
Site-1 198 260 61.7 216 34.0 1.22 35.7 3.72 28.5 6.23 10.3 1.37 10.4 1.30
Site-2 197 92.6 29.6 200 39.1 N.D. 88.6 12.9 83.4 23.2 73.0 10.7 87.1 12.3
Site-3 62.8 61.1 6.37 25.8 3.36 N.D. 5.01 0.47 4.01 1.17 3.85 0.40 2.99 0.52
Site-4 101 140 13.4 56.6 6.85 1.00 8.02 1.29 5.45 2.31 7.24 1.03 6.38 0.82
Site-6 10.5 13.6 1.29 5.21 0.97 N.D.* 1.27 0.13 1.50 0.55 1.50 0.17 1.00 0.13
Site-7 6.05 11.4 1.05 4.42 0.32 0.37 0.51 N.D. 0.31 0.17 0.14 N.D. 0.19 N.D.
August, 2003
Site-1 300 485 93.7 297 60.2 4.72 54.5 10.4 46.9 8.93 32.1 7.24 38.9 4.37
Site-2 64.1 32.7 12.4 38.4 8.84 N.D. 8.86 1.85 7.33 2.14 7.52 1.25 8.21 0.85
Site-3 31.2 75.1 10.4 38.3 12.5 N.D. 33.8 5.82 42.6 10.5 34.9 8.63 109 20.1
Site-4 12.3 31.1 3.27 8.64 1.76 N.D. 2.69 0.42 2.69 1.10 3.76 0.50 3.37 0.43
Site-6 102 246 24.9 107 20.1 2.06 19.8 3.61 22.6 3.88 14.4 1.95 14.7 2.35
Site-7 15.8 23.0 2.79 7.42 0.22 0.66 0.82 N.D. 0.68 0.58 0.30 0.12 0.54 N.D.
Site-8 22.1 53.8 7.09 22.3 3.84 1.35 7.04 1.12 7.99 1.49 5.39 0.68 7.53 1.01
November, 2003
Site-1 13.8 5.73 4.20 15.8 2.00 18.1 6.85 3.47 9.13 2.35 6.96 0.70 3.71 0.57
Site-2 54.3 9.22 8.12 25.8 3.20 N.D. 9.11 2.96 8.78 2.00 6.31 0.74 5.13 0.86
Site-3 64.8 83.7 11.9 51.6 14.0 28.6 33.4 7.14 42.4 10.7 36.3 4.02 52.6 15.4
Site-4 28.6 21.4 4.26 15.3 2.42 19.7 4.47 2.82 8.02 1.36 6.42 0.65 5.10 0.78
Site-6 6.23 8.80 0.95 1.16 N.D. 253 0.53 3.67 5.06 0.66 0.70 N.D. 0.29 0.20
Site-7 N.D. 5.87 N.D. N.D. N.D. 0.58 N.D. N.D. 0.51 0.36 0.26 N.D. N.D. N.D.
Site-8 22.5 39.0 4.29 21.7 4.27 N.D. 6.53 1.23 6.46 1.47 5.07 0.43 6.21 1.20

* ; not detected.

- 191 -
Table 3-7-11 Rare earth elements concentrations (in ppt) of stream water from Jeonju-Wanju area.

Site
La Ce Pr Nd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No.
April, 2002
Site-1 29.1 8.21 6.56 29.3 4.79 0.90 4.35 0.57 3.43 0.63 1.30 0.25 1.75 0.19
Site-2 19.0 22.7 4.20 18.4 3.27 N.D.* 2.77 0.34 2.69 0.54 1.40 0.20 1.73 0.26
Site-3 14.4 31.6 12.4 98.0 26.0 6.39 45.5 5.65 43.4 9.88 21.6 3.72 25.6 4.38
Site-4 17.4 23.8 4.31 17.3 3.85 3.10 3.56 0.77 4.10 2.19 5.02 0.80 7.62 1.58
Site-5 14.1 9.66 2.49 14.8 3.32 2.76 4.66 0.95 8.83 3.20 10.4 1.85 11.5 2.63
Site-6 11.4 6.87 2.10 10.0 2.36 1.72 2.13 0.32 1.42 0.98 1.11 0.17 0.99 0.19
Site-8 20.6 22.0 3.60 19.4 2.22 2.31 2.67 0.40 1.94 0.95 1.55 0.32 2.50 0.49
June, 2003
Site-1 71.6 49.1 15.8 52.4 9.14 1.06 8.52 1.09 4.73 0.87 2.70 0.21 1.81 0.16
Site-2 47.1 67.4 9.74 35.0 6.48 1.19 5.89 0.90 4.29 0.90 1.81 0.25 2.58 0.35
Site-3 36.1 94.6 18.7 81.5 7.54 2.67 35.6 2.56 16.5 3.91 8.88 1.43 9.50 1.58
Site-6 15.7 16.8 3.43 14.1 1.48 N.D. 2.16 0.27 1.34 0.44 0.88 N.D. 0.69 0.10
Site-7 35.2 41.7 12.8 28.0 3.74 0.83 4.90 0.45 4.17 1.03 3.16 0.44 3.18 0.33
August, 2003
Site-1 38.8 30.9 13.9 41.7 7.50 0.63 6.67 0.84 5.24 0.97 2.53 0.43 2.96 0.31
Site-2 336 479 86.5 279 65.0 6.68 46.2 8.97 35.0 7.27 24.2 4.70 25.3 3.05
Site-3 74.5 144.67 19.1 65.5 11.8 1.10 14.9 2.16 9.49 1.56 5.37 1.01 8.24 1.09
Site-4 171 355 40.3 153 23.4 1.51 20.6 3.03 17.3 3.52 8.75 1.81 8.15 1.30
Site-5 43.8 76.7 10.3 25.1 4.19 N.D. 5.30 0.80 3.56 1.24 4.66 1.25 8.90 0.95
Site-6 41.0 87.4 10.3 40.3 7.98 0.67 6.79 1.10 4.17 1.19 2.72 0.45 4.17 0.39
Site-7 66.5 154 18.2 44.7 9.80 0.46 9.51 1.47 5.62 1.22 4.05 0.89 3.65 0.60
Site-8 228 322 46.2 132 29.0 2.38 25.03 4.10 17.7 4.25 13.8 2.14 10.8 1.53
November, 2003
Site-1 26.3 5.19 5.87 19.0 3.85 5.21 7.15 1.62 3.71 0.64 1.55 N.D. 0.50 0.15
Site-2 28.7 29.8 6.34 20.3 3.23 40.4 10.9 3.60 8.41 1.08 2.35 0.15 2.02 0.45
Site-3 55.8 98.2 21.5 95.9 12.0 40.9 48.1 8.70 26.6 5.71 17.1 1.68 13.7 1.87
Site-4 17.0 23.7 4.30 12.9 2.02 21.6 4.24 2.67 7.79 1.30 2.42 0.26 2.79 0.74
Site-5 30.3 26.3 4.11 15.3 2.88 143 4.80 2.03 7.77 1.18 4.98 0.51 7.92 1.65
Site-6 11.4 9.40 2.46 4.79 0.37 7.20 1.14 0.50 1.34 0.39 0.35 N.D. 0.12 0.10
Site-7 6.48 2.98 1.73 6.95 0.68 18.6 1.15 1.14 2.73 0.36 0.30 N.D. 0.54 0.15
Site-8 154 90.1 18.6 47.7 7.14 59.3 13.8 3.85 7.83 1.49 4.29 0.47 3.21 0.52

- 192 -
Table 3-7-12 Rare earth elements concentrations (in ppt) of rcoks from Jeonju-Wanju area.

Site
La Ce Pr Nd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No.
Site-1 39.6 84.9 11.9 60.4 11.1 0.35 11.90 1.64 8.09 1.55 4.40 0.61 3.87 0.56
Site-2 55.8 94.0 10.5 52.2 6.03 1.89 5.95 0.67 2.90 0.54 1.60 0.19 1.40 0.18
Site-3 33.4 65.7 8.66 43.3 6.90 1.95 6.98 0.86 3.85 0.69 1.86 0.23 1.42 0.20
Site-4 30.3 52.8 5.61 28.0 2.99 1.31 2.65 0.27 1.07 0.19 0.57 0.08 0.53 0.09
Site-6 36.9 76.5 10.3 49.7 8.68 0.56 8.66 1.15 6.18 1.09 3.25 0.48 3.35 0.50
Site-7 45.0 74.1 8.61 43.0 4.85 1.42 4.73 0.51 1.96 0.31 0.84 0.10 0.69 0.09
Site-8 26.7 44.7 5.07 25.6 3.18 1.25 3.24 0.39 1.89 0.35 1.14 0.14 1.19 0.14

- 193 -
Fig 3-7-16 에는 PAAS로 지하수내 희토류원소를 규격화한 도면과 2002년도 및 2003년도
의 월별 강수량을 도시하였다. Fig 3-7-16a, 3-7-16b, 3-7-16c 는 각각 건기인 2002년 4월의 지
표수와 지하수의 희토류원소 분포도 그리고 2002년도의 월별 강수량변화도이다. Fig 3-7-16d
와 3-7-16e 그리고 3-7-16f 는 장마가 끝난 직후인 2003년 8월의 지하수, 지표수 그리고 2003
년도 월별 강수량변화도이다. 월별 강수량변화도를 고려하여, 전반적으로 지하수와 지표수 모
두 강수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알 수가 있다. 우선 Fig 3-7-16a 와 3-7-16b 를 보면 중희토류
(Gd-Lu)가 부화되어 있고, 건기의 지하수는 Eu의 정(+), Ce의 부(-) 이상이 현저한 편이다.
지표수의 경우, Ce은 대부분이 부(-)의 이상을 갖는 반면에, Eu은 정(+), 부(-)의 이상을
모두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표수와 지하수는 상호간에 서로 대비됨을 알 수 있다.
이는 Fig 3-7-16d 및 3-7-16e 의 장마직후의 희토류원소 분포도에서 보다 명확하게 나타난다.
즉 지표수와 지하수 대부분이 Eu의 부(-)의 이상을 갖는 반면에, Ce의 이상은 거의 소멸되어
있다. 이는 지표수와 지하수의 순환이 매우 빠르며, 광역적으로 서로 간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특히 2003년 8월의 장마직후에 채취된 시료에서의 희토류원소 분포도는 지
표수, 지하수 모두 연구지역의 북동쪽 상류에 위치한 규장암질 편마암 (GW1, SW1의 대수층
구성암석)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Eu과 Ce의 분포도 변화는 지하수와 지표수에
2+ 3+ 3+ 4+
서의 산화-환원 환경변화에 의한 Eu(Eu 와 Eu ) 과 Ce(Ce 와 Ce )의 산화수 변위 및 기반암
과 지표수 그리고 지하수의 반응결과를 지시해주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지표수와
마찬가지로, 이 지역에서의 지하수의 유동방향을 잘 지시해준다고 볼 수 있다.

(5) 수질 데이테베이스 ‘geoWQDB'

분석된 지하수 및 지표수 수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함으로써 훨씬


다양한 연구가 가능하도록 ‘geoWQDB’를 개발하고 있다. geoWQDB는 GEOdb Water Quality
Data Base의 준말로, GEOdb (KorEArtH NET의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구축하여 웹을 통해 서비
스하려는 수질 전문 데이터베이스이다. geoWQDB의 URL은 “http://geodb.korearth.net/wqdb”이다.
geoWQDB는 MySQL을 이용한 회원 전용 DB이다. 웹과 DB의 연동은 PHP 언어를 이용하였
다. 회원가입 및 인증은 "http://www.sir.co.kr"에서 개발한 gnuborad의 소스를 이용하였다. 여기
에 수질 DB를 붙여 geoWQDB system을 구축한다. geoWQDB의 DB는 회원, 게시판, 수질 데
이터에 대한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수질 데이터는 웹을 통해 입력하는데, 약 300여개의 입
력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geoWQDB의 회원 로그인 및 데이터 목록 보여
주기까지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며, 현재 회원관리 및 로그인, 데이터 입력, 데이터베이스 구조
구축 등은 완료한 상태이며, 목록보기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는 중이다.
Fig 3-7-17 은 geoWQDB page를 인터넷 브라우저로 열었을 때의 화면들을 캡쳐한 것이다.

- 194 -
Fig 3-7-17 Screen shots of geoWQDB pages.

3. 지질특성별 심부 지하수형 온천의 특성

가. 개요

우리나라의 지질은 화성암/변성암/퇴적암 등 암석이 다양하게 산출되고 있으며, 이들 암종


별로 지하수의 산출능력이나 대수층 발달 상태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퇴적암에서의 대수층

- 195 -
발달 구조는 1차 퇴적구조와 많은 연관이 있으나, 화성암/변성암의 경우에는 2차 지질구조가
대수층 발달에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2차 지질구조인 단층, 절리, 엽리 구조의 발달 특
성은 대수층 발달의 적합성이라는 관점에서 암종별로 서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이해되고 있으
나, 아직까지는 이에 대한 정량적인 자료가 제시 및 정리되지 않았다.
암종별로 국내 지하수 대수층의 발달 상태와 지하수 산출 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심도별
암반 대수층의 발달 특성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지하수 개발 심도인 0~
300m 심도의 천부 및 중간 지하수형과 300m 이하 심도의 대수층에서 개발되는 심부 지하수
형을 구분하여 암종별로 수리특성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농업용, 생활용수용 등
의 일반 지하수는 대부분 천부 및 중간 지하수형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심부 지하수형은 온천
개발 등의 특별한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 내용은 심부 지하수형 온천 대수층에 대한 암종별 수리특성 및 지하수 산출 능력 등
에 대한 종합 해석이며, 천부 및 중간 지하수형에 대한 암종별 대수층의 특성 해석 또한 차후
에 필요한 연구 내용이다. 1990년도부터 2001년도까지 국내에서 발간된 259개 온천조사 관
련 보고서를 종합 정리하였으며, 이에 따라 화강암 대수층 238개, 편마암 대수층 54개, 퇴적
암 대수층 47개, 화산암 대수층 34개, 변성퇴적암 대수층 7개를 대상으로 국내 심부 지하수
형 대수층에 대한 수리특성과 지하수 산출능력에 대한 종합정리가 연구성과로 제출되었다.
암종별 대수층 특성 파악은 선구조선이나 지질구조 발달 상태에 따른 대수층 발달 특성 파
악과 함께 국내 암반 대수층의 부존 특성을 규명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기반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향후 지속적인 지하수자원 확보 관련 기반기술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
을 것으로 판단된다.

나.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국외의 온천 개발은 주로 화산활동과 관련된 자연 용출 온천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우


리나라의 경우에는 활동중인 화산이 존재하지 않아 온천의 개발 개념이 매우 다른 상황이다.
즉, 국내의 온천 개발은 심부에 배태된 심부 지하수 중 온천법에 규정한 용출온도 25℃ 이상
의 온도를 제공할 수 있는 대수층 확보로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온천 대수층은 포괄
적으로 지하수의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게 되며 온천 대수층의 수리적 특성 평가를 위해서 일반
지하수에 대한 평가 방법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외국에서의 지하수 평가법은 심부의
암반 대수층과 천부의 암반 대수층 및 충적 대수층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시스템을 가정한
방법이나 이러한 방법을 국내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국내에서는 건교부에 의한 지하수
기초조사가 실시되고 있어 국내 천부 암반 지하수와 충적층 지하수에 대한 여러 가지 자료들
이 수집 평가되고 있다. 이에는 광역적인 선구조선과 지질구조 분석 및 지표지질조사가 수행
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지하수 대수층의 발달 상태와 수리적 특성 등이 종합적으로 평가되
고 있다. 이에 반하여, 심부 지하수형 온천수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바
없으며, 이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가 있어야만 국내 지하수에 대한 전반적인 부존 특성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 196 -
다. 연구 내용 및 결과

259개 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380개 온천 개발공이 굴착된 곳의 주변 지질은 Table 3-7-13과


같이 구분되며, 이들의 지질 관련 분포도는 Fig 3-7-18과 같다.

Table 3-7-13 Circumference geological in deep part groundwater type spa development wells

주변 지질 화강암 변성암 퇴적암 화산암 변성퇴적암

개발공수 238개 54개 47개 34개 7개

Table 3-7-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심부 지하수형 온천 개발공의 62.6%가 화강암 지역에서


굴착되었으며, 변성암 지역 14.2%, 퇴적암 지역 12.4%, 화산암 지역 8.9%, 변성퇴적암 지
역 1.8% 순으로 개발 빈도가 줄어든다. 이와 같은 개발 빈도의 차이는 굴착에 따른 심부 지
하수형 온천 대수층의 확보 가능성이 반영되는 것으로서 타 암종들에 비해 화강암 지역이 심
부 지하수 대수층 발달에 유리한 조건임을 지시하는 것이다. 화산암 산출 지역의 심부 지하수
형 온천 개발은 미비한 편이며, 온천공 개발이 가장 미비한 지질 조건은 변성퇴적암류가 발달
한 지역이다. 그림 중의 Gradient는 조사공에서 측정된 지온경사를 나타내준다.

그림 3-7-18 Location map of Deep part groundwater type spa development wells

- 197 -
Fig 3-7-19는 심부 지하수형 온천개발공의 심도와 적정양수량 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개
발 심도에 따른 지하수 산출 능력을 평가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이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
이, 대부분의 개발 심도는 1,000m 이하를 보인다. 전반적으로 일일 적정양수량 1,000톤 이
상의 대규모 대수층이 확보된 경우는 개발 심도 200m~800m 범위를 보이는 것들이다. 이외
에 1,000 이하의 규모를 대수층들은 개발 심도가 깊어짐에 따른 지하수 산출 능력의 감소 현
상은 뚜렷이 관찰되지 않는다. 이는 1,000m 이내의 심도 범위내에서는 지하수 산출 능력이
양호한 대수층을 확보할 수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증거이다. 암종별 지하수 산출 능력을
비교해 볼 때, 화강암 대수층이 다른 암종들의 대수층에 비해 높은 지하수 산출 능력을 보여
주는 것들이 많이 관찰되며 이들의 일일 적정양수량은 1,800~2,700톤의 규모를 보인다. 퇴
적암과 변성암의 일부 지역에서도 일일 적정양수량 1,000톤이 넘는 큰 규모의 대수층 발달이
관찰된다. 화산암과 변성퇴적암 지역에서는 개발 심도에 관계없이 1,000톤 미만의 대수층 규
모를 보인다.
Fig 3-7-20은 온천개발공의 심도에 따른 투수량계수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투수량계
수는 전반적으로 개발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심도 300m 이하로 개
2
발된 온천공의 투수량계수는 500m /day 이상의 매우 높은 값을 보이는 것들이 있으며, 개발
2
심도 800m 이상으로 깊어지는 경우에는 투수량계수 100m /day 이상 되는 것이 관찰되지
않는다. 심도 900m 이하까지 굴착된 경우에는 투수량계수가 모두 50m2/day 이하를 보였다.
2
암종별로 비교해 볼 때, 투수량계수 100m /day 이상의 높은 값을 보이는 경우는 대부분 화
강암 대수층으로서, 화산암과 퇴적암, 변성암 지역에서는 각각 1개소에서만 관찰되었고 변성
퇴적암 지역에서는 매우 낮은 투수량계수를 보였다.
Fig 3-7-21은 온천개발공의 심도에 따른 저류계수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저류계수가
-4
10 order 이상의 큰 값을 보여주는 경우는 개발 심도 300~800m 범위에서 관찰되었다. 암
종별로 볼 때, 화강암과 화산암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퇴적암 역시 비교적 높은 저류
계수를 보이는 경우가 관찰되었다. 이에 반하여, 변성암이나 변성퇴적암 지대의 대수층들은 대
-4
부분 10 order 이하의 낮은 값들을 보였으며 특히 변성퇴적암 지대에서 매우 낮은 상태를 보
였다.
Fig 3-7-22은 투수량계수와 저류계수와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많은 경우 투수량계수
의 변화에 따른 저류계수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부 자료들은 투수량계수가 증
가함에 따라 저류계수가 감소되어 가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 198 -
3000 3000
화강암 화강암
변 성 암 (편 마 암 , 편 암 ) 변 성 암 (편 마 암 , 편 암 )
퇴 적 암 (사 암 , 셰 일 ) 퇴 적 암 (사 암 , 셰 일 )
화 산 암 (유 문 -안 산 암 , 응 회 암 ) 화 산 암 (유 문 -안 산 암 , 응 회 암 )
변 성 퇴 적 암 (옥 천 층 군 ) 변 성 퇴 적 암 (옥 천 층 군 )
Optimum Yield (m /day)

Transmissivity (m /day)
2000 2000
3

2
1000 1000

0 0
0 500 1000 1500 0 500 1000 1500
Well Depth (m) Well Depth (m)

그 림 2. 심 부 지 하 수 형 온 천 대 수 층 의 개 발 심 도 -적 정 양 수 량 관 계 . 그 림 3. 심 부 지 하 수 형 온 천 대 수 층 의 개 발 심 도 -투 수 량 계 수 관 계 .

Fig 3-7-19 Relation of well depth and Fig 3-7-20 Relation of well depth and
optimum yield. transmissivity.

0.012 0.012
화강암 화강암

변 성 암 (편 마 암 , 편 암 ) 변 성 암 (편 마 암 , 편 암 )

퇴 적 암 (사 암 , 셰 일 ) 퇴 적 암 (사 암 , 셰 일 )

화 산 암 (유 문 -안 산 암 , 응 회 암 ) 화 산 암 (유 문 -안 산 암 , 응 회 암 )

변 성 퇴 적 암 (옥 천 층 군 ) 변 성 퇴 적 암 (옥 천 층 군 )

0.008 0.008
Storage Coefficient

Storage Coefficient

0.004 0.004

0.000 0.000
0 500 1000 1500 0 100 200 300 400 500
Well Depth (m) 2
Transmissivity (m /day)

그 림 4. 심 부 지 하 수 형 온 천 대 수 층 의 개 발 심 도 -저 류 계 수 관 계 . 그 림 5. 심 부 지 하 수 형 온 천 대 수 층 의 투 수 량 계 수 -저 류 계 수 관 계 .

Fig 3-7-19 Relation of well depth and storage Fig 3-7-20 Relation of transmissivity and
coefficient. storage coefficient.

Table 3-7-14는 암종별 심부 지하수형 온천 대수층의 수질 특성을 종합 정리한 것이다. 수


질 유형이 검토된 자료는 모두 301개로서, 화강암 지역 177개, 변성암 지역 50개, 퇴적암 지
역 36개, 화산암 지역 31개, 변성퇴적암 지역 7개이다. 수질 유형은 모두 26개로 매우 다양
한 형태로 나타나나 지배적으로 우세한 유형을 기준으로 하면 모두 8개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 중 Na-HCO3 유형은 화강암 지역에서 72.9%, 변성암 지역에서 60%, 퇴적암 지역에서
58.3%, 화산암 지역에서 38.7%, 변성퇴적암 지역에서 57.1%로서 모든 암종에서 지배적으
로 나타나는 수질 특성이다. 이 유형은 화강암 지역에서 특히 압도적인 비율로 나타나며 화산

- 199 -
암 지역에서는 다른 지역들에 비해 다소 비율이 낮게 나타난다. Na-Cl 유형도 Na-HCO3 유형처
럼 모든 암종에서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나나, 화강암 지역(8.5%)이 다른 암종의 지역(2
2~29%)들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난다. 2개 유형 외에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수질
유형은 Na-SO4와 Ca-HCO3 유형이다. 이 중 Na-SO4 유형은 변성암과 변성퇴적암 지역에서 관
찰되지 않았으며 화산암 지역에서 비교적 많이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Ca-HCO3 유형은 화강
암, 변성암, 화산암 지역에서는 관찰되었으나 퇴적암과 변성퇴적암 지역에서는 관찰되지 않았
다. Ca-SO4 유형은 변성퇴적암 지역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관찰되며 특히 퇴적암 지역이 다
른 지역들에 비해 다소 높은 비율로 산출한다.

Table 3-7-14 Water quality classifications based on lithologies.


dominant type 수질특성 화강암 변성암 퇴적암 화산암 변성퇴적암
Na-HCO3 103 26 16 10 4
Na(Ca)-HCO3 14 - 1 2 -
Na-HCO3(CO3) 8 2 - - -
Na-HCO3 Na-HCO3(SO4) 2 1 1 - -
Na-HCO3(Cl) 1 1 2 - -
Na(Ca,Mg)-HCO3 1 - - - -
Na(Ca)-HCO3(SO4) - - 1 - -
Na-CO3 2 1 - - -
Na-CO3
Na-CO3(HCO3) 3 1 - - 1
Na-Cl 13 8 7 4 1
Na(Ca)-Cl - 1 - 2 -
Na-Cl
Na-Cl(HCO3) 2 2 1 3 1
Na-Cl(SO4) - - 2 - -
Na-SO4 6 - 2 4 -
Na-SO4 Na(Ca)-SO4(HCO3) 1 - - - -
Na(Ca)-SO4(Cl) - - - 1 -
Ca-HCO3 6 1 - 1 -
Ca-HCO3 Ca(Na)-HCO3 7 2 - 1 -
Ca(Na)-HCO3(Cl) 2 - - - -
Ca-Cl - - - 2 -
Ca-Cl
Ca(Na)-Cl 1 3 - - -
Ca-SO4 - 1 2 1 -
Ca-SO4 Ca(Na)-SO4 - - 1 - -
Ca-SO4(HCO3) 3 - - - -
K(Na)-HCO3 1 - - - -
Others
Mg(Na)-HCO3 1 - - - -
계 177 50 36 31 7

금번 연구 결과로 볼 때, 국내에서는 심도 1,000m까지 큰 규모의 지하수 대수층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300m~800m 심도 범위에서 개발된 대수층에서 일일 적정
양수량, 투수량계수, 저류계수가 매우 높은 경우가 많이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심도 300m
이내의 천부 및 중간 지하수 외에 심도 300m 이하의 심부에서도 대규모 지하수 대수층의 확

- 200 -
보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화강암 지대에서의 지하수 산출 능력이 다른 지질에 비해 높
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질의 측면에서도 Na-HCO3 유형이 화강암 지대의 대수층에서 보다
많이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종합 및 결론

영암-강진 및 전주-완주 지역 모두 지하수 수질은 물-암석 반응뿐만 아니라, 오염에 의해


서도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지하수 수질의 적절한 해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지하수의 정확한
진단 및 평가를 위해서는 수질에 미치는 물-암석 반응과 오염에 의한 상대적 영향을 정량적으
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화학조성의 직접 비교 및 통계적인 방법 등
을 사용하였다.
전주-완주 지역의 물-암석 반응은 암석을 구성하는 장석과 운모를 일라이트, 녹니석, 카올
리나이트 등으로 풍화시키며 지하수에 용존 물질을 공급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 지하수는
궁극적으로 풍화산물인 카올리나이트와 안정한 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지하수 및 지
표수의 용존 성분 함량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를 보면, 수질을 결정하는 요인들로는 규산염 광
물 및 탄산염 광물들과 같은 암석 구성 광물과 물과의 반응, 강수로부터의 용존 성분 공급, 비
점오염원 및 점오염원에 의한 영향 등이 있다. 요인 분석 결과는 지하수질에 미친 물-암석 반
응 및 오염에 의한 영향은 서로 비슷한 정도이나, 지하수가 지표수보다는 좀 더 물-암석 반응
에 의해, 지표수는 지하수보다 좀 더 오염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와 지표수 수질을 판별 분석한 결과 식 D= -0.713 + 9.265(CBa/CSr) - 3.134(CNi/CRb)
이 이 두 물을 가장 잘 분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식을 이용하면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물-암석 반응 및 오염에 의한 상대적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물과
암석 시료 내 용존 부성분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Sr과 Ni이 물-암석 반응 추적자로 사용될 만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부성분 원소의 함량과 판별함수에 의한 값을 비교한 결과,
이들 둘은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않아, 물-암석 반응 추적자 및 판별함수의 응용은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물과 암석내의 희토류 원소 함량도 분석 비교
하였는데, 그 결과 물 시료 내 용존 희토류원소의 분포 패턴이 지하수 지표수 순환 해석에 중
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현재 인터넷을 통해 수질 자료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수질 데이터베이스 geoWQDB를 개
발하는 중이다. 현재 이를 위한 웹서버가 구축되었고 (http://geodb.korearth.net/wqdb), 회원제 운
영을 coding, MySQL을 이용한 회원 DB 및 수질 DB 구축, 그리고 300 여 수질 항목 입력 양식
작성 등이 완료된 상태이며, DB 검색 엔진 및 목록 보기 엔진은 개발 중이다.

- 201 -
제 8 절 해수침투 현상 진단 및 평가

1. 수리지구화학적 수치 모델

가. 지하수 유동-용질 이동 지배 방정식


해수침투 현상을 수치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지배 방정식이 필요하다. 즉 용
질 농도에 따른 지하수 밀도 변화를 고려한 지하수 유동 방정식과 용질 이동 방정식이다. 첫
번째 방정식은 지질 매체 내의 지하수 수두 분포를 설명하며, 두 번째 방정식은 지질 매체 내
의 용질 농도 분포를 설명한다. 그리고 해수침투라는 특수한 경우에는 용질 농도와 지하수 밀
도 사이의 관계식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 두 지배 방정식을 완전 연동해야만 해안 대수
층 내에서의 밀도 의존적 지하수 유동과 염분 이동을 보다 정밀하게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상
황에 알맞은 초기 및 경계 조건이 적용되어야 한다.
지하수 유동 지배 방정식은 밀도 의존적 포화-불포화 지하수 유동을 설명할 수 있으며 다
음과 같다 (Yeh, 1999; Yeh, 2000).

ρ ∂h ρ ρo ρ*
{ [ (
ρ o F ∂t + ∇ ⋅ ρ o - K ⋅ ρ ∇h +∇z )] } = ρ qw
o
(3-8-1)

dS w
F = αρ ogS w + βρ ognS w + n (3-8-2)
dh

여기에서 유효수리전도도 K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ρg ρ ρ og ρ
K = K r K sat = K r μ k sat = K r ρ k sat = ρ K r K (3-8-3)
o
μ o
sat o

여기에서 K r 은 상대수리전도도, k sat 는 포화고유투수도이다. 일반적으로 해수침투에서


용질 농도 C 와 지하수 밀도 ρ 사이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ρ = ρ o ( 1 + εc) (3-8-4)

여기에서 c 는 농도의 최대값인 해수 농도로 나눈 무차원 농도이며, density difference ratio


ε 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ρ max - ρ o
ε= (3-8-5)
ρo

- 202 -
여기에서 ρ max 는 지하수 밀도의 최대값(또는 해수의 밀도)이다. 한편 식 (3-8-1)에서 우

측의 중괄호 [ ] 안은 지하수 유동 속도인 Darcy flux V 를 의미한다.


용질 이동 지배 방정식은 이송, 분산, 자연붕괴, 흡착 및 생분해를 설명할 수 있으며 다음
과 같다 (Yeh, 1999; Yeh, 2000).

θ ∂C + ρ b ∂S + V⋅∇C -∇⋅ ( θ D ⋅∇C ) =- αρ og ∂h + λ ( θC + ρ bS)


∂t ∂t ∂t ( ) (3-8-6)
ρ* ∂h ρo ρ ∂θ
- ( θK wC + ρ bK sS) + m - ρ q wC+ F
∂t [
+ ρ V⋅∇ ρ -
o ∂t
C
( ) ]
여기에서 수분함량 θ = nS w , 이며, 수리동역학적 분산계수 D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θ D = α T | V |δ + ( α L - α T ) V V + θa mτδ (3-8-7)
| V|

여기에서 α T 는 종분산지수, α L 은 횡분산지수, a m 은 분자확산계수이다.


한편 불포화대 내에서의 수분포화도 S w 와 상대수리전도 K r 의 압력수두 h 에 따른 변
화를 고려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수학 모델 (van Genuchten, 1980) 을 사용하
였다.

nV - mV
S w = S wr + ( 1 - S wr )( 1 + | α Vh| ) h<0 (3-8-8)

mV 2
n - m V /2
 | α V h|
n 
V

K r = ( 1 + | α Vh| ) (3-8-9)
V
1- n h<0
 1+| α V h| 
V

1 (3-8-10)
mV= 1-
nV

지질 매체 내에서 밀도 의존적 지하수 유동 및 용질 이동을 동시에 연동 모델링 (coupled


modeling) 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지하수 유동과 용질 이동에 대한 연동 지배 방정식
(3-8-1)과 (3-8-6)을 동시에 풀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지하수 압력수두 h 와 지하수 내
의 용질 농도  가 일차 종속 변수가 되고 이로 인한 Darcy flux V 와 지하수 밀도 ρ 가 이
차 종속 변수가 되어 지하수 유동 영역과 용질 이동 영역 간에 내․외연적으로 완전 연동 (full
coupling) 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흡착된 상 내의 용질 농도 S 는 linear, Langmuir 또는
Freundlich isotherm을 이용하여 수용액상 즉 지하수 내의 용질 농도 로 표현될 수 있다.

나. 수리지구화학적 수치 모델

- 203 -
3차원 대수층 내에서의 해수침투에 따른 밀도 의존적 지하수 유동 및 용질 이동을 연구하
기 위하여 3DFEMFAT (Yeh et al, 1994) 을 사용하였다. 이 수치 모델은 상기한 연동 지배 방
정식 (3-1-1)과 (3-1-6)를 이용하여 다차원 영역 내에서 밀도 의존적 지하수 유동과 용질
이동 현상을 모의할 수 있는 Galerkin finite element model이다. 또한 이 수치 모델은 수치 분산
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의 보다 정확하고 섬세한 농도 구배를 구현하기 위해 hybrid
Lagrangian-Eulerian approach를 통한 particle tracking method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포화
-불포화 지하수 유동, 불균질성 및 이방성 지질 매체, 강수-지하수 및 지표수-지하수 상호 작
용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2. 층상 불균질성이 해수침투에 미치는 영향 모델링 (수치모델의 적용 1)

가. 모델링의 배경
국내와 해외의 많은 해안 대수층은 하나의 균질한 매질로 이루어져 있지 않으며, 각기 대
수층 내에 해양성 점토층과 같은 투수도가 매우 낮은 여러 모양의 불투수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대수층내의 불균질성은 해수침투의 공간적 분포양상과 염수화 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자연적인 요인 중의 하나이다. 특히 불투수대가 층상으로 대수층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
수-담수 경계면의 심도 및 인공 양수로 인한 대수층내의 염수화 현상이 균질한 대수층일 경우
와 그 현상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이에 대한 수치학적 모델 연구는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경제
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번 수치 모의실험의 목적은 층상 불균질성 (layered het-
erogeneity) 를 가지는 해안 대수층 내에서의 해수-담수 경계면의 공간적 분포 및 대수층 내에
서의 지하수 유동 패턴 및 용질 이동 양상을 관찰하고, 인공적인 양수가 행해질 때의 각각 불
투수대인 점토층과 투수성 지층인 사질토층 내의 지하수 흐름 및 염분의 분포양상을 연구하는
것이다.

나. 층상 대수층의 구성
수치모의 실험에 사용될 도메인은 실제해안의 퇴적물의 퇴적형태와 성질을 모식화하여 제
작 되었다. Fig 3-8-1 은 모델링에 사용된 유한 요소망으로서(finite element mesh), 3차원적인
배열을 가지고 있으며, 절점의 총수는 4292개이다. 도메인은 각각 8개의 절점으로 이루어진
총 4400개의 요소들로 분할되어 있다.
도메인의 전체 크기는 가로 500m, 세로 500m, 높이 45m이며, 지표로부터 15m까지 상
부에는 투수도가 낮은 점토층으로 구성하고, 그 하부로 30m는 주요한 해수침투의 경로가 되
는 상대적으로 투수도가 높은 사질토층으로 구성하였다. 초기의 지하수면의 높이는 지표로부
터 5m 하부에 위치시키고, 지하수면 상부를 비포화대로 설정하였다. 비포화대에 대한 압력수
두 h 와 수리전도도 K 와의 관계를 위하여, van Genuchten의 식(van Genuchten, 1980) 을 사용
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점토층과 사질토층의 비포화대 물성치는 Carsel과 Parrish의 실험값
(Carsel and Parrish, 1988) 을 사용하였다. 바닥은 투수도가 낮은 기반암으로 가정하여, 전체의
하부면을 no-flow 경계면으로 설정하였다. 육지에서 해안으로의 자연적인 지하수의 흐름을 설
정하기 위하여, 담수가 유입되는 쪽의 면과 해수와 접하고 있는 면은 고정 수두 경계(constant

- 204 -
head boundary) 를 적용하였으며, 육지에서 해안으로의 자연스러운 지하수 흐름을 유도하기 위
하여 담수 쪽의 수두를 1.7m 높게 설정하였다. 나머지 면의 경계는 모두 no-flow 경계로 설정
하였다.

Fig 3-8-1 Finite element mesh and boundary conditions.

다. 퇴적층의 물성치 및 비포화대 수리상수


다공성 매질을 구성하는 퇴적물로는 우리나라의 각지에서 흔히 발견되는 사질토층을 가정
하였으며, 그 값들은 Table 3-8-1 에 정리되어 있다. Table 3-8-1 은 수치모의실험에 사용된 사
질토에 해당하는 수리전도도 및 비포화대 파라미터들, 그리고 지하수 및 매질의 역학적 성질
을 나타내는 값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문헌에서 참고한 것이다. (Guymon, 1994, Anderson
and Woessner, 1992, Spitz and Moreno, 1996)

Table 3-8-1 Material properties of the layered and lumped coastal aquifer systems.
Layered aquifer
Property Lumped aquifer
Sand Clay
Porosity, n 0.44 0.66 0.48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Ksat (mday-1) 50 0.001 25
3 3 3
Solid density. ρs (kgm-3) 2.65×10 2.80×10 2.68×10
-2 -5 -2
Irreducible water content, θr 6.69×10 5.00×10 5.86×10
Unsaturated hydraulic parameters
αv (m-1) 9.127 1.352 7.572
nv (dimensionless) 4.27 1.20 3.66
Longitudinal dispersity, αL (m) 25.0 28.0 26.5
Lateral dispersity, αT (m) 2.5 2.8 2.65
-4 -3 -3
Modified compressibility of medium, α'(m-1) 1.618×10 1.912×10 1.040×10
Modified compressibility of water, β'(m-1) 4.900×10-6
Tortuosity, τ(dimensionless) 0.4
Density different ratio, ε (dimensionless) 0.035

- 205 -
해수와 담수의 밀도차를 나타내는 ε 는 서해안 해수의 TDS를 고려하여 0.035로 설정하였
다. 종분산지수와 횡분산지수의 경우 사질토층과 점토층 사이의 분산도의 차이 및 도메인의
크기를 고려하여, 각각 25m/2.5m, 28m/2.8m로 정하였다. 또한 층상 해안 대수층과의 비
교를 위해서 점토층과 사질토층의 물성치를 평균적으로 균질하게 배합한 균질화 대수층을 설
정하였다.

라. 모델링 결과 및 분석
Fig 3-8-2 는 층상 해안 대수층과 균질화 대수층에서의 압력수두, 수리수두, 지하수 유동량
을 2차원 그림으로 비교한 것이다. 압력수두는 두 가지 대수층 모두에서 그 분포가 뚜렷한 차
이를 보이지 않는다. 층상 대수층에서 점토층 및 사질토층 사이에서도 (점선으로 구분) 압력
수두 분포는 비슷하다. 그러나 수리수두 및 지하수 유동량에서는 층상과 균질화 대수층 사이
의 뚜렷한 차이가 관찰되고 그 경계는 층상대수층의 아래와 위를 구성하는 물질의 경계에 해
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각 대수층의 수리수두 분포 (Fig 3-8-2 c, d)를 자세히 보면 층상 대
수층의 등위선 간격이 균질화 대수층 보다 넓은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층상 대수층 하부의
사질토층의 투수계수가 균질화 대수층의 그것보다 크기 때문이다. 지하수 유동량 그림에서 보
듯이 층상대수층과 균질화 대수층 모두 침입한 해수는 밀도에 의해 대수층 바닥으로 유입되었
다가 다시 해안으로의 지하수 흐름에 의해 순환하여 배출된다. 단, 층상대수층과 균질화 대수
층 각각은 해수의 순환 배출 통로의 위치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균질화 대수층은 배출 위치가
비포화대와 포화대 사이, 즉 지하수면과 거의 일치하는데 반해, 층상 대수층은 그 위치가 점토
층과 사질토층의 물성 경계에 해당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지하수 유동 경로의 차이는 자연스럽게 두 대수층의 염분 농도
분포에도 영향을 미친다. 염분의 이동은 주로 지하수의 유동과 함께 일어나므로 Fig 3-8-3 에
서 보이듯이 층상 대수층에서의 해수침투는 주로 하부의 사질토층에서 일어나고 있다. 균질화
대수층이 전 구간에 걸쳐서 침투가 일어나는 것과는 대조적인 현상이다. 염분 농도 분포를 3
차원으로 도시한 Fig 3-8-4 를 보면 이러한 차이를 더욱 뚜렷이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수치
모델 결과는 해안대수층에 존재하는 퇴적물사이의 물성치 차이가 퇴적층의 층상 불균질성을
만들고 이에 따라서 해수침투의 양상이 크게 변하는 데서 비롯한 것이다. 그러므로 지역의 해
수침투 오염도 진단에 앞서 그 지역의 대수층의 퇴적 구조를 자세히 조사하는 일이 보다 정확
한 해안 지하수의 운용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라고 하겠다.

- 206 -
Fig 3-8-2 Groundwater level, hydaulic head, and flux in layered and lumped coastal aquifers.

Fig 3-8-3 Salt concentration in layered and lumped coastal aquifers.

- 207 -
Fig 3-8-4 3-D Salt concentration distributions in layered and lumped coastal aquifers.

3. 양수 패턴에 의한 층상 해안 대수층 내의 해수침투 변화 모델링 (수치 모델의 적용 2)

가. 모델링의 배경
한국 서해안 지역에서는 벼농사를 위하여 주로 일 년 중에 일정한 기간에 집중적으로 지하
수를 양수한다. 따라서 본 수치 모델링에서는 연속적인 양수 패턴은 물론 주기적인 양수 패턴
에 의한 불균질 층상 해안 대수층 내에서의 해수침투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나. 층상 대수층 및 양수 패턴 설정
본 수치 모델링에 사용된 층상 대수층의 구성 및 물성값은 서해안에서 수집된 자료 (Jeen et
al. 2001; Kim, 2001; Kim et al. 2002) 를 기초로 하였으며 부분적으로 기존 문헌 (Voss and
Souza, 1987; Guymon, 1994) 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한국 서해안의 대수층은
일반적으로 하부로부터 기반암층, 육성 사질토층, 해성 점토층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성,
김제, 영광 지역의 점토층 두께는 8~18m 정도이고 사질토층의 두께는 20~30m 정도이다.
-8
또한 김제 지역에서 측정한 점토층의 포화수리전도도는 평균 5.5×10 m/sec 정도의 값을, 사
-3
질토층의 포화수리전도도는 평균 1.1×10 m/sec 정도의 값을 보여 준다.
본 수치 모델링에 사용된 층상 대수층의 크기, 유한요소망 및 경계 조건은 Fig 3-8-5 에 나
타나 있다. 층상 대수층의 크기는 수평으로 좌우 각각 500 m이고 수직으로 45m이다. 대수
층은 15m 두께의 상부 점토층과 30m 두께의 하부 사질토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전
술하였듯이 한국 서해안의 가장 일반적인 대수층 형태를 참고로 하였다. 유한요소망은 총
5292개의 절점과 4400개의 육면체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점토층 및 사질토층 요소의 수직
길이는 각각 2.5m와 5m이다.

- 208 -
Fig 3-8-5 Finite element mesh of the layered aquifer and boundary conditions
used in the numerical simulations.

층상 대수층의 바닥은 기반암을 고려하여 불투수 경계로 설정하였으며, 해안 경계면에는


해수 농도를 고려한 고정 수리수두 경계 조건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자연적인 동수구배를 고
려하여 내륙 경계면의 수리수두를 해안 경계면 보다 약 1.7m 높게 설정하였다. 지하수 양수
정의 위치는 대수층 한가운데이며, 양수는 사질토층에서만 수행하였다. 층상 대수층의 물성값
은 Table 3-8-1 에 열거되어 있다 (Voss and Souza, 1987; Guymon, 1994; Kim, 2001).
본 수치 모델링에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양수 패턴을 사용하였다. 세 가지 양수 패턴
3
모두 연중 양수량은 500 m /day로 하며, 총 양수기간은 10년이다.
① 양수 패턴 1 (연속적 양수): 연중 매월 500 m3/day 양수
3
② 양수 패턴 2 (6개월 양수): 연중 6개월 1000 m /day로 양수, 나머지 6개월 양수 중단
3
③ 양수 패턴 3 (3개월 양수): 연중 3개월 2000 m /day로 양수, 나머지 9개월 양수 중단

- 209 -
Table 3-8-2 Material properties of the layered and lumped aquifers.
층상 대수층
물성 값 균질 대수층
사질토층 점토층
Porosity,  0.430 0.380 0.413
-3 -8 -4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 (m/sec) 1.100 × 10 5.556 × 10 7.335 × 10
Dry bulk density,  (kg/m3) 1.563 × 103 1.485 × 103 1.537 × 103
-2 -2 -2
Water content,  (dimensionless) 4.500 × 10 6.800 × 10 5.267 × 10
Unsaturated hydraulic parameters
 (1/m) 14.50 0.80 9.93
 (dimensionless) 2.68 1.09 2.15
Longitudinal dispersity,  (m) 25.0 28.0 26.0
Lateral dispersity,  (m) 2.50 2.80 2.60
Modified compressibility of medium,  -4 -3 -4
1.618 × 10 1.912 × 10 7.493 × 10
(1/m)
-6
Modified compressibility of water,  (1/m) 4.900 × 10
Tortuosity,  (dimensionless) 0.4
-9
Molecular diffusion coefficient,  (m2/sec) 1.50 × 10
Density difference ratio,  (dimensionless) 0.025

다. 모델링 결과 및 분석
Fig 3-8-6 ~ 3-8-10 은 층상 대수층에서 양수 패턴 2 (왼쪽 열) 와 양수 패턴 1 (오른쪽
열) 로 지하수를 양수하였을 때의 지하수면, 수리수두, 지하수 유동 속도, 염분 농도, 염분 이
동 속도를 각각 도시한 그림이다. 그림에서 보다시피 연속적인 양수 시에는 모든 변화가 정적
인 평형 상태를 향하여 일어나지만, 주기적인 양수 시에는 모든 변화가 동적인 평형 상태를
향하여 일어나고 있다. 그리고 두 가지 양수 패턴 모두에서 모든 변화의 정도가 점토층보다
사질토층에서 더 크다. 따라서 해수의 침투와 후퇴의 정도도 사질토층에서 보다 현저하게 일
어나고 있다. 이는 사질토층의 수리전도도가 점토층의 것보다 더 크기 때문이다. 한편 Fig
3-8-10 에서 보다시피 시간이 흐를수록 연속적인 양수보다 주기적인 양수가 점토층 내에 더 많
은 염분을 축적시킨다. 또한 주기적인 양수인 경우에 양수를 하는 기간 동안에는 점토층 내의
염분 농도가 감소한다. 이는 점토층에서 양수정 방향으로 염수가 흐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
된다. 반면 양수를 하지 않는 기간 동안에는 점토층 내의 염분 농도가 증가한다. 이는 양수 기
간 동안에 내륙 쪽으로 들어왔던 염수가 양수 중단 기간 동안에 해안 쪽으로 후퇴하는 과정에
서 점토층 내부로 염분을 이동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현상은 점토층의 수리
분산계수가 사질토층의 그것보다 더 작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주기적인 양수가 연속적인 양
수보다 더 큰 지하수 유동 및 염분 농도 변화를 층상 대수층 내에 야기 시킴을 알 수 있다.
Fig 3-8-11 ~ 3-8-15 는 균질 대수층에서 양수 패턴 2 (왼쪽 열)와 양수 패턴 1 (오른쪽
열)로 지하수를 양수하였을 때의 지하수면, 수리수두, 지하수 유동 속도, 염분 농도, 염분 이
동 속도를 각각 도시한 그림이다. 그림에서 보다시피 층상 대수층에서와 마찬가지로 주기적인
양수가 연속적인 양수보다 더 큰 지하수 유동 및 염분 농도 변화를 야기 시킴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균질 대수층 내에는 점토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층상 불균질성의 효과는 보여주지

- 210 -
않고 있다.
Fig 3-8-16 은 층상 및 균질 대수층에서 세 가지 양수 패턴으로 양수를 하였을 경우 양수
정, 사질토층, 점토층에서의 지하수위 변화를 도시한 그림이다. 그림에서 보다시피 층상 및 균
질 대수층의 경우 세 위치 모두에서 지하수위가 양수를 하는 기간 동안에는 하강하고, 양수를
하지 않는 기간 동안에는 상승한다. Fig 3-8-17 은 층상 및 균질 대수층에서 세 가지 양수 패
턴으로 양수를 하였을 경우 양수정, 사질토층, 점토층에서의 염분 농도 변화를 도시한 그림이
다. Fig 3-8-17 a, b 에서 보다시피 층상 및 균질 대수층의 경우 양수정에서는 염분 농도가 양
수를 하는 기간 동안에는 다소 증가하고, 양수를 하지 않는 기간 동안에는 더 증가하다가 결
국에는 감소한다. 이는 양수정에서의 지하수와 해수의 밀도 차 및 혼합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
각된다. Fig 3-8-17 c, d 에서 보다시피 층상 및 균질 대수층의 경우 사질토층에서는 염분 농도
가 양수를 하는 기간 동안에는 증가하고, 양수를 하지 않는 기간 동안에는 감소한다. 이는 일
반적인 해수 침투 및 후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Fig 3-8-17 e 에서 보다시피 층상 대
수층의 경우 점토층에서는 염분 농도가 양수를 하는 기간 동안에는 감소하고, 양수를 하지 않
는 기간 동안에는 증가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염분의 농도는 전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점토층의 수리분산계수가 사질토층의 그것보다 더 작기 때
문이다. 그러나 Fig 3-8-17 f 에서 보다시피 균질 대수층의 경우 점토층에 해당하는 위치에서는
염분 농도가 양수를 하는 기간 동안에는 증가하고, 양수를 하지 않는 기간 동안에는 감소한다.
이는 일반적인 해수 침투 및 후퇴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Fig 3-8-6 Spatial distribution of water table Fig 3-8-7 Spatial distribution of hydraulic head
under periodical pumping (left column) and under periodical pumping (left column) and
continuous pumping (right column) schemes in continuous pumping (right column) schemes in
the layered aquifer. the layered aquifer.

- 211 -
Fig 3-8-8 Spatial distribution of groundwater Fig 3-8-9 Spatial distribution of salt
flow flux under periodical pumping (left concentration under periodical pumping (left
column) and continuous pumping (right column) and continuous pumping (column)
column) schemes in the layered aquifer. schemes in the layered aquifer.

Fig 3-8-10 Spatial distribution of salt transport Fig 3-8-11 Spatial distribution of water table
flux under periodical pumping (left column) under periodical pumping (left column) and
and continuous pumping (right column) continuous pumping (right column) schemes in
schemes in the layered aquifer. the lumped aquifer.

- 212 -
Fig 3-8-12 Spatial distribution of hydraulic Fig 3-8-13 Spatial distribution of groundwater
head under periodical pumping (left column) flow flux under periodical pumping (left
and continuous pumping (right column) column) and continuous pumping (right
schemes in the lumped aquifer. column) schemes in the lumped aquifer.

Fig 3-8-14 Spatial distribution of salt Fig 3-8-15 Spatial distribution of salt transport
concentration under periodical pumping (left flux under periodical pumping (left column)
column) and continuous pumping (right and continuous pumping (right column)
column) schemes in the lumped aquifer. schemes in the lumped aquifer.

- 213 -
Fig 3-8-16 Temporal change of hydraulic head Fig 3-8-17 Temporal change of salt concen-
at the pumping well, sand layer, and clay tration at the pumping well, sand layer, and
layer in the layered and lumped aquifers under clay layer in the layered and lumped aquifers
the three different pumping schemes. under the three different pumping schemes.

4. 조석에 의한 층상 해안 대수층 내의 해수침투 변화 모델링 (수치 모델의 적용 3)

가. 모델링의 배경
한국 서해안 지역에서는 연중 조석 간만의 차이가 매우 높다. 따라서 본 수치 모델링에서
는 조석 (동적인 해수면 변동) 에 의한 불균질 층상 해안 대수층 내에서의 해수침투 변화 양
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모델링을 통하여 해안 지하수 유출 (coastal groundwater
discharge, CGD) 에 대한 조석의 영향도 평가할 수 있다.

나. 층상 대수층 및 조석 설정
본 수치 모델링에 사용된 층상 해안 대수층의 구성, 물성 값 및 경계 조건은 앞의 수치 모
델링에 사용된 것들과 동일하다. 단 해안 경계면에는 해수 농도와 조석을 고려한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수리수두 경계 조건을 적용하였다.
본 수치 모델링에서는 군산 내항의 실측 조석 자료를 이용하였다(자료 출처: 한국해양연구
소). Fig 3-8-1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군산 내항의 조석차는 최저점과 최고점이 약 6m의 차이
를 보인다. 측정시간은 시간단위로 2002년 6월 1일부터 30일까지 한 달간의 자료이다. 본
수치 모델링에서는 조석차가 시간에 따른 주기함수임을 고려하여 한 달 뒤부터는 같은 자료를
반복하여 사용하였다.

- 214 -
800

700
Height from sea bottom (cm)

600

500

400

300

200

100

0
0 60 120 180 240 300 360 420 480 540 600 660 720
T im e ( h o u r)

Fig 3-8-18 Tidal fluctuation between June 1 and 30 in 2002 at the Kunsan harbor.

다. 모델링 결과 및 분석
Fig 3-8-19 는 해수면이 초기 평형 상태에 있을 때의 층상 대수층 내 수리수두와 염분 농도
의 분포이다. 해수면 만조 시와 간조 시의 지하수면, 수리수두, 지하수 유동 속도, 염분 농도,
염분 이동 속도를 Fig 3-8-20 의 좌우에 각각 도시하였다. 그림에서 보다시피 만조 시에는 해
수침투가 우세하고, 간조 시에는 해안 지하수 유출이 우세함을 알 수 있다. 또한 Fig 3-8-19 a
에 표시된 (1)~(8)의 위치에서 해수면 변동에 따른 수리수두와 염분 농도 변화를 Fig 3-8-21
~ 3-8-28 에 각각 도시하였다. 그림에서 보다시피 해수면 변동을 설정한 시점으로부터 층상 대
수층 내 모든 위치에서 수리수두 변동 주기는 해수면 변동 주기와 정확히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수리수두 변동 폭은 해안선과 가까운 곳에서, 그리고 점토층보다는 사질토층
에서 더 강하게 나타난다. 그리고 염분 농도는 (2)번 지점(Fig 3-8-19 b)을 제외하고는 모든 위
치에서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 a ) T o ta l h e a d
45
C LAY (8 )
(7 )
30 (5 ) (6 )
Z (m)

SAND (3 ) (4 )
15
0 .0

8
2

6
.4

0.
0.

0.
0

(1 ) (2 )
0
0 100 200 300 400 500
X (m )

( b ) C o n c e n tra tio n
45
41.00

40.75
41.25

40 .5 0
41.50

30
Z (m)

15

0 4 1 .2 5
0 100 200 300 400 500
X (m )

Fig 3-8-19 Initial spatial distributions of hydraulic head and salt concentration in the
layered aquifer before tidal fluctuation.

- 215 -
(a) Water table at high tide (b) Water table at low tide
45 45
0.00 0.00

30 30

Z
15 15

0 0
0 100 200 X 300 400 500 0 100 200 X 300 400 500

(c) Hydraulic head at high tide (d) Hydraulic head at low tide
41.0 45 45

40 .5
30 30

Z
40
41.5
15 15

.0
41.5

41.0
.5

40
41

.5
.0
42 0 0
0 100 200 X 300 400 500 0 100 200 X 300 400 500

(e) Darcy velocity at high tide 0.8 m/day (f) Darcy velocity at low tide 0.8 m/day
45 45

30 30
Z

Z
15 15

0 0
0 100 200 X 300 400 500 0 100 200 X 300 400 500

(g) Concentration at high tide (h) Concentration at low tide


45 45

30 30
Z

Z
15 15

0 0
0 100 200 X 300 400 500 0 100 200 X 300 400 500

(i) Chemical flux at high tide 2


0.5 kg/m /day (j) Chemical flux at low tide 2
0.5 kg/m /day
45 45

30 30
Z

15 15

0 0
0 100 200 X 300 400 500 0 100 200 X 300 400 500

Fig 3-8-20 Spatial distributions of water table, hydraulic head, groundwater flow flux, salt
concentration, and salt transport flux in the layered aquifer during the high tide (left column)
and the low tide (right column).

- 216 -
(a) Total head (a) Total head
45 45

44 44

43 43

Total head (m)


Total head (m)

42 42

41 41

40 40

39 39

38 38
0 15 30 45 60 0 15 30 45 60
Time(day) Time (day)

(b) Concentration (b) Concentration


0.040 0.75
0.74
0.035
0.73
0.030 0.72
0.71
0.025

C/C 0
C/C0

0.70
0.020 0.69

0.015 0.68
0.67
0.010
0.66
0.005 0.65
0 15 30 45 60 0 15 30 45 60
Time(day) Time (day)

Fig 3-8-21 Temporal changes of hydraulic Fig 3-8-22 Temporal changes of hydraulic head
head and salt concentration at point (1) in the and salt concentration at point (2) in the layered
layered aquifer. aquifer.

(a) Total head


45 (a) Total head
45
44
44
43
43
Total head (m)

Total head (m)

42
42

41
41

40
40

39
39

38 38
0 15 30 45 60 0 15 30 45 60
Time (day) Time (day)

(b) Concentration (b) Concentration


0.035 0.65

0.030
0.60

0.025
0.55
C/C0

C/C0

0.020

0.50
0.015

0.45
0.010

0.005 0.40
0 15 30 45 60 0 15 30 45 60
Time (day) Time (day)

Fig 3-8-23 Temporal changes of hydraulic Fig 3-8-24 Temporal changes of hydraulic head
head and salt concentration at point (3) in the and salt concentration at point (4) in the layered
layered aquifer. aquifer.

- 217 -
(a) Total head (a) Total head
45 45

44 44

43 43
Total head (m)

Total head (m)


42 42

41 41

40 40

39 39

38 38
0 15 30 45 60 0 15 30 45 60
Time (day) Time (day)

(b) Concentration (b) Concentration


0.025 0.55

0.50
0.020

0.45
C/C0

C/C0
0.015
0.40

0.010
0.35

0.005 0.30
0 15 30 45 60 0 15 30 45 60
Time (day) Time (day)

Fig 3-8-25 Temporal changes of hydraulic head Fig 3-8-26 Temporal changes of hydraulic head
and salt concentration at point (5) in the and salt concentration at point (6) in the
layered aquifer. layered aquifer.

(a) Total head (a) Total head


45 45

44 44

43 43
Total head (m)
Total head (m)

42 42

41 41

40 40

39 39

38 38
0 15 30 45 60 0 15 30 45 60
Time (day)

(b) Concentration (b) Concentration


0.015 0.45

0.40

0.010 0.35
C/C 0

C/C0

0.30

0.005 0.25

0.20

0.000 0.15
0 15 30 45 60 0 15 30 45 60
Time (day) Time (day)

Fig 3-8-27 Temporal changes of hydraulic head Fig 3-8-28 Temporal changes of hydraulic head
and salt concentration at point (7) in the layered and salt concentration at point (8) in the
aquifer. layered aquifer.

- 218 -
5. 해수침투 저지 및 개선 기법 연구 (수치 모델의 적용 4, 5, 6)

가. 모델링의 배경
해수침투와 과잉 양수로 인한 대수층의 오염은 환경적인 문제와 경제적 손실을 가져 올수
있다. 해안 대수층은 각종 교란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부적절한 관리는 해안으로부터의
해수 유입을 야기하여 담수정의 기능을 마비시킬 것이다.
Atkinson 등에 의하면, 해수침투의 통제의 목적은 다음과 같은 대수층의 인위적 조작을 통
하여 가능하다.
(a) 해안으로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 지하수(담수) 유출 방지
(b) 담수 함양을 통한 대수층 내 지하수 압력 증가
(c) 주변의 양수정의 관리를 통한 담수 공급 및 해수침투 저지
그리고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수침투 저지 및 개선 전략을 제시하였
다.
(a) 대수층에의 담수 직접 함양
(b) 양수의 감축 또는 정지
(c) 양수정의 재배치와 분산
(d) 담수 주입정을 통한 지하수 함양으로 해안과 평행한 수리적 장벽의 설치 (인공함양)
(e) 염수 추출정을 통한 양수정 근처의 해수 직접 제거
(f) 불투수성의 지하 장벽 설치
(g) 담수주입정/염수추출정 기술의 적절한 조합
또한 Bear 등도 Akinson과 비슷한 방법을 제안 하였으며, 해수침투의 저지를 위해 양수량을
줄이거나, 양수정의 위치를 재배치하는 것과 같은 방법 이외에도 담수 주입정을 통한 지하수
의 직접함양과 염수 추출정을 이용한 해수의 직접 제거 또는 이 두 가지 방법의 조합과 더불
어 해안 대수층내의 지하 장벽 (subsurface barrier) 의 설치를 제안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Bear와 Akinson이 제안한 해수침투 저지 및 개선 기법을 앞선 연구로
개발한 수리지구화학적 모델을 통하여 각각의 방법 (담수주입정, 염수추출정, 지하장벽) 의 효
율성과 실용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또한 담수주입정과 염수추출정의 실제 설치시 정책 결정의
자료가 될 수 있도록 담수 주입량/염수 추출량, 관정의 개수, 위치, 심도 등에 대한 여러 가지
변화를 적용하여 각각의 요소가 해수침투의 저지 및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해안 대수층에서 과잉양수에 의한 오염 상황을 설정한
후, 위에서 언급한 방법을 모델링에 적용하여 해수침투의 회복양상 및 양수정내에서의 염분
농도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할 것이다.

나. 지하수 과잉 양수에 의한 해안대수층 오염상황의 설정

(1) 해안 대수층의 구성
Fig 3-8-29 는 수치모의실험에 사용될 유한 요소망으로서 총 5824개의 절점과 4860개의
요소로 구성된 직육면체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x, y, z 방향으로 각각 300m, 600m,

- 219 -
40m의 크기로 되어 있고 해수면의 높이는 35m, 육지 방향의 지하수면 수위는 2.04m 높은
36.04m로 설정하였다. 유한 요소 영역은 크게 두 가지의 물성치를 가진 물질로 설정되었다.
하부에는 상대적으로 투수도가 높은 사질토층을 위치시키고 그 상부에 투수계수가 매우 낮은
점토층을 덮은 형태로 만들어져 서해안과 같은 층상 대수층 형태를 모의하고자 하였다. 사질
토층과 점토층의 물성치는 Table 3-8-3 에 정리하였다. 양수정은 300m 위치에 있고 담수 주입
정 및 염수 추출정은 그로부터 150m 떨어진 지점인 450m 위치에 설정하였지만, 앞으로 나
올 여러 가지 모델링 상황의 변화에 따라 그 위치와 개수, 심도가 바뀔 것이다.

Fig 3-8-29 Finite element mesh and boundary conditions.

Table 3-8-3 Material properties of the layered coastal aquifers.


층상 대수층
물성 값
사질토층 점토층
Porosity,  0.430 0.380
-4 -8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 (m/sec) 8.25 × 10 5.56 × 10
Solid density,  (kg/m3) 2.65 × 103 2.73 × 103
-2
Water content,  (dimensionless) 4.500 × 10 6.800 × 10-2
Unsaturated hydraulic parameters
 (1/m) 14.50 0.80
 (dimensionless) 2.68 1.09
Longitudinal dispersity,  (m) 25.0 25.0
Lateral dispersity,  (m) 2.50 2.50
-4 -3
Modified compressibility of medium,  (1/m) 3.528 × 10 1.274 × 10
-6
Modified compressibility of water,  (1/m) 4.312 × 10
Tortuosity,  (dimensionless) 0.4
-9
Molecular diffusion coefficient,  (m2/sec) 1.68 × 10
Density difference ratio,  (dimensionless) 0.025

- 220 -
(2) 해안 대수층의 오염상황 설정
담수 주입정 및 염수 추출정에 의한 해수침투의 저지 및 개선 효율을 비교 연구하기 위해
서는 먼저 과잉양수에 의한 해안 대수층의 오염을 고의로 유도할 필요가 있다. 과잉양수의 객
관적인 기준은 제시하기 어렵지만, 충분히 긴 기간을 두고 지속적인 양수량을 펌핑한 결과로
써 양수량과 침투량 사이에 있어서 일정한 평형상태에 도달한 지점을 양수로 인한 해안 대수
층의 오염상태로 설정하였다. Fig 3-8-30 에 보이는 그림은 양수시 해안대수층의 수리수두와
염분 농도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그림으로써 10년간의 장기 양수로 인하여 해안선으로부터
양수정에 이르는 부분이 심하게 오염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3-8-31 은 양수정으
로부터 10년간 5000t/day의 속도로 양수할 때 양수정에서의 수두변화와 염분 농도변화의 시
간적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에서 관찰할 수 있듯이 양수정의 수리수두는 약
34.345m, 염분 농도(표준화된 농도: 0.0<c<1.0) 는 0.0056에서 거의 평형 상태에 도달하
였다. 이러한 상태를 초기치로 하여 담수주입정 및 염수 추출정에 모델링 연구를 수행할 것이
다.

Fig 3-8-30 Contamination scenario due to groundwater pumping.

- 221 -
Fig 3-8-31 Hydaulic head and salt concentration variations in coastal
aquifer as time caused by pumping.

다. 담수 주입정을 이용한 해수침투의 저지 및 개선 기법 연구 (수치 모델의 적용 4)

(1) 담수주입정의 설치와 운용 계획


담수주입정을 이용한 해수침투 저지․개선 기법에 대한 실험은 다음과 같은 구성에 의해서
진행될 것이다. 각각에 해당하는 설정과 세부사상은 Table 3-8-4 에 정리하였다.
모델링 1~4는 각각 담수주입량 변화, 담수 주입정 개수, 담수 주입정과 양수정과의 거리,
담수 주입정의 심도(구간) 변화에 따른 해수 침투 양상과 양수정에서의 수리수두와 염분 농도
의 관찰을 위해서 고안 되었다. 각각의 모델링은 3가지의 하부 항목 변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항목이 변화에 따른 변화를 효과적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다른 항목은 모두 일정하게
유지 하였다. 예를 들면, 주입 모델링 1의 경우는 기존의 5000 ton/day 양수를 양수정에서
지속하면서 각각 총 양수량의 10%, 30%, 50%에 해당하는 담수 주입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비교 하였다.

- 222 -
Table 3-8-4 Model input for fresh water injection well simulations.
주입 모델링 2 주입 모델링 3 주입 모델링 4
주입 모델링 1
(담수 주입정의 (담수 주입정의 (담수 주입정의
(담수 주입량
개수변화에 따른 거리변화에 따른 구간변화에 따른
변화에 따른 영향)
영향) 영향) 영향)
담수 주입량 (a) 10%
(총 지하수 (b) 30% 30% 30% 30%
양수량 대비) (c) 50%
(a) 1개
담수 주입정의
1개 (b) 3개 1개 1개
크기
(c) 5개
(a) 75 m
담수 주입정의
150 m 150 m (b) 150 m 150 m
거리
(c) 225 m
(a) 상 (20~30 m)
담수 주입정의 0~30 m 0~30 m 0~30 m
(b) 중 (10~20 m)
구간 (대수층 전체) (대수층 전체) (대수층 전체)
(c) 하 ( 0~10 m)

(2) 모델링의 결과와 분석

(가) 담수주입량 변화에 따른 해수침투 양상 변화


Fig 3-8-32 는 담수 주입량의 변화에 따른 해안 대수층의 수리 수두 분포를 나타낸 그림이
다. 10%, 30%, 50% 주입 세 가지 경우 모두 양수정 부근에서의 낮은 수압과 더불어 주입
정 근처에서의 수압 증가를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서도 총 양수량의 50% 주입 시에는 450
m 지점의 담수 주입정 부근에서 강력한 수압이 생성됨을 알 수 있다. Fig 3-8-33 은 같은 상
황에서의 염분 농도 분포로써 3가지 경우 모두가 초기치와 비교할 때 상당한 해수침투 개선효
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Fig 3-8-34의 양수정에서의 시간에 따른 수리수두 변
화와 염분 농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를 보면 보다 확실히 비교․파악 할 수 있다 (좀더 세밀
한 비교를 위해 20%와 40%의 주입비율에 대한 그래프를 추가하였음). 그림에서 보여 지듯
이 양수정의 수리수두는 담수주입의 비율이 커질수록 증가하고 염분 농도는 감소함을 알 수
있다. Fig 3-8-34 b 의 그림에서 주목할 점은 담수 주입의 초기 약 1년간 양수정에서의 농도가
상당부분 상승한다는 것이다. 이는 기존에 오염되어 있던 해안 대수층에 담수를 주입함으로써
이미 존재하던 염분이 양수정 쪽으로 담수주입의 압력에 의해 밀려 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주
입 비율 50%에서 그 정도가 가장 심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도 담수주입량에 따른 변화라고 생
각된다. 또한 주입 비율 10%의 경우와 20%~50%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20%~50%사이에
는 상대적으로 차이가 크지 않은 반면 10%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를 미루어 볼 때 효
율성의 제고 경계가 주입비율 10%와 20%사이의 어딘가에 존재한다는 판단을 가능하게 한
다.

- 223 -
(나) 담수주입정의 개수 변화에 따른 해수침투 양상 변화
담수 주입정의 개수 변화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는 목적은 가장 효율적인 담수 주입 범위를
찾고자 하는 데 있다. Fig 3-8-35 에는 담수 주입정 1개, 3개, 5개에 해당하는 담수주입정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모델링에 사용된 유한 요소망이 좌우 대칭인 것을 고려할 것).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단수 또는 복수의 담수 주입정으로 들어가는 주입량의 총량은 동일하며, 담수
주입정이 복수인 경우에는 총 주입량을 주입정의 개수로 등분하여 주입한다.
Fig 3-8-36 에서 볼 수 있듯이 주입정이 3개 또는 5개인 경우에는 담수 주입으로 인한 수압
상승이 1개의 경우와 비교하면 거의 보이지 않는다. 같은 양의 담수를 복수의 관정으로 분할
주입하였으므로 대수층의 지하수 흐름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광범위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
다. Fig 3-8-37 은 염분 분포를 나타낸 그림으로 주입정 1기의 경우가 초기에는 대수층에 뚜렷
한 영향을 미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3가지 방법의 적용 결과는 거의 비슷하게 나타난다. 그
러나 Fig 3-8-38 에서 보듯이 1개의 담수주입정을 사용한 경우가 양수정의 수리수두가 높게 나
타나는 장점이 있다.

(다) 담수주입정의 위치 변화에 따른 해수침투 양상 변화


담수주입정의 위치를 양수정과 해안선의 어느 부분 정도에 위치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도
실제 현장 적용․설치 시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안선과 양수정과의 거리를 3분하
여 각각 75m, 150m, 225m의 위치에 담수주입정 1기씩을 설치하여 해안대수층의 변화양상
을 관찰하였다. Fig 3-8-39 는 각각의 담수주입정의 위치를 표시한 유한요소망을 나타나 낸 것
이다. 보는 것과 같이 위치이외의 영향을 주는 변수는 모두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Fig 3-8-40 에 나타난 대수층 내 수리수두 변화를 보면 담수주입정의 위치의 수압이 증가하
는 것을 볼 수 있다. Fig 3-8-41 에서 보면 염분 농도의 회복 양상은 비슷한 것으로 보인다. 그
러나 담수 주입정의 위치가 양수정에서 멀어질수록 해안 대수층의 회복 시간은 오래 걸리고
양수정의 농도도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Fig 3-8-42 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즉 담수 주입
정의 위치가 양수정에서 가까울수록 양수정의 염분 농도는 다른 먼 곳에 담수주입정을 위치시
킬 때 보다 뚜렷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또한 양수정에서의 수리수두 변화를 보면 담수주입정
의 위치가 양수정의 수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담수주입정의 위치
가 양수정과 가까울수록 양수정의 수위가 증가한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초기 단기간의 양수
정에서의 급격한 농도 증가 역시 발견된다. 이는 담수주입정에서 유입되어 오는 강한 지하수
흐름에 의한 이미 존재하고 있던 염분의 이동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모든
현상을 고려할 때 담수주입정을 수정에 일정부분 가까이 설치하는 것이 권장된다고 할 수 있
다.

(라) 담수주입정의 심도 변화에 따른 해수침투 양상 변화


마지막으로 담수주입정의 스크린 구간 변화 (심도 변화) 에 따른 대수층의 변화를 모의하
였다. 해수의 압력은 대수층이 깊어질수록 밀도차에 비례하여 커지므로, 해수침투의 양상은 보
통 쐐기 모양을 이루는 것이 통상적인 예이다. 이러한 것을 감안할 때, 담수 주입의 심도가 해
수침투 저지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을 것이다. Fig 3-8-43 은 각각의 경우에서 담수주입정의

- 224 -
위치와 심도를 나타낸 것이다. 역시 주입정의 심도를 제외한 모든 조건은 동일하게 유지하였
다. Fig 3-8-44~45 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해안 대수층의 수리수두와 염분 농도 분포를 나타
낸 그림이다. 심도에 따른 수리수두와 염분 농도의 변화가 담수 주입정을 중심으로 뚜렷이 나
타난다. 또한 심도 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Fig 3-8-46 에서 보여 주듯이 실제로 양
수정에서 나타나는 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수정에서의 수리수두 변화는 각각의
심도변화에 상응하여 거의 동일한 변화를 보여주었으며, 염분 농도 변화에서는 근소한 차이로
대수층의 하부 (0~10m) 에서 주입한 것이 낮은 값을 보였다. 앞서 전체구간에서 주입한 결
과와 비교하였을 때도 거의 같은 값을 보였다.

(3) 담수 주입정을 이용한 최적의 해수침투 저지․개선 기법


위에서 수행한 모든 담수 주입정에 대한 모델링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해수침투 저지․개선
을 위한 최적의 선택으로 다음과 같은 조합을 얻는다.
(a) 담수 주입량은 양수량의 10%~20% 사이 일 것
(b) 담수 주입정의 개수는 하나이거나 적어도 양수정에 가까운 부분에 모여 있을 것
(c) 담수 주입정은 양수정과 비교적 가까운 거리를 유지할 것
(d) 담수 주입정의 구간은 대체로 무관하나, 하부나 전체구간으로 만들 것

- 225 -
Fig 3-8-32 Hydaulic head distributions at various fresh water injection rate.

- 226 -
Fig 3-8-33 Salt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t various fresh water injection rate.

- 227 -
Fig 3-8-34 Hydaulic head and salt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t various fresh water injection rate in
pumping well.

Fig 3-8-35 Salt water extraction well numbers and locations.

- 228 -
Fig 3-8-36 Hydaulic head distributions as a salt water extraction well numbers.

- 229 -
Fig 3-8-37 Salt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s a fresh water injection well numbers.

- 230 -
Fig 3-8-38 Temporal variations of hydraulic head and salinity along with the time.

Fig 3-8-39 Distances between pumping and injection wells.

- 231 -
Fig 3-8-40 Temporal variations of hydraulic head distribution along with the distance between
pumping and injection wells in coastal aquifer.

- 232 -
Fig 3-8-41 Temporal variations of salinity along with the distance between pumping and
injection wells in coastal aquifer.

- 233 -
Fig 3-8-42 Temporal variations of hydraulic head and salinity along with the distance between
pumping and injection wells.

Fig 3-8-43 fresh water injection well dephs and screens.

- 234 -
Fig 3-8-44 Hydaulic head distributions as fresh water injection well depths.

- 235 -
Fig 3-8-45 Salt concentration variations as fresh water injection well depths.

- 236 -
Fig 3-8-46 Hydaulic head and salt concentration variations as fresh water injection well depth in
pumping well.

라. 염수 추출정을 이용한 해수침투의 저지 및 개선 기법 연구 (수치 모델의 적용 5)

(1) 염수 추출정의 설치와 운용 계획


10년간의 지속적인 양수로 대수층의 오염상황을 설정한 다음 5000 ton/day의 양수량을
유지한 상황에서 염수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양수정의 염분농도를 감소시키는 수치모의실험을
실시하였다.
염수 추출정을 이용한 해수침투 저지․개선 기법에 대한 실험은 다음과 같은 구성에 의해
서 진행될 것이다. 각각에 해당하는 설정과 세부사상은 Table 3-8-5 에 정리하였다.
.
Table 3-8-5 Salt water extraction modeling input.
추출 모델링 1 추출 모델링 2 추출 모델링 3 추출 모델링 4
(염수 추출량 변화에 (염수 추출정의 (염수 추출정의 (염수 추출정의
따른 영향) 개수변화에 따른 영향) 거리변화에 따른 영향) 구간변화에 따른 영향)
염수 추출량 (a) 10%
(총 지하수 양수량 (b) 30% 30% 30% 30%
대비) (c) 50%
(a) 1개
염수 추출정의 크기 1개 (b) 3개 1개 1개
(c) 5개
(a) 75 m
염수 추출정의 거리 150 m 150 m (b) 150 m 150 m
(c) 225 m
(a) 상 (20~30 m)
0~30 m 0~30 m 0~30 m
염수 추출정의 구간 (b) 중 (10~20 m)
(대수층 전체) (대수층 전체) (대수층 전체)
(c) 하 ( 0~10 m)

담수 주입정 모델링과 그 구성에서 동일하게 유지한 것은 차후에 염수 추출정/담수 주입정


양 방법간의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이다. 모델링에 따른 세부항목은 대부분 유사하지
만, 염수 추출정의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양수량에 더하여 추가로 총 양수량의

- 237 -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염수를 추출한다는 점이 담수주입정과는 다르다. (담수 주입정의 경우
에는 총 양수량의 일정비율을 대수층에 재주입한다.)

(2) 모델링의 결과와 분석

(가) 염수 추출량 변화에 따른 해수침투 양상 변화


Fig 3-8-47~48 은 염수추출량을 총 양수량의 10%, 30%, 50%로 설정했을 때, 해안 대수
층의 수리수두 변화와 염분 농도 변화를 도시한 그림이다. 그림에서 보듯이, 양수정과 더불어
염수 추출정에서도 지하수위 강하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며, 그 크기는 염수 추출 비율에 비례
하고 있다. 염수 추출 비율이 높을수록 양수정으로 유입되는 염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Fig 3-8-49 는 염수 추출 비율이 20%, 40%인 경우를 추가하여 시간에 따른
양수정에서의 수리수두 변화와 염분 농도 변화를 도시한 그림이다. 염수 추출 비율이 높을수
록 양수정에서의 염분 농도는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지만,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선형적
인 감소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즉, 염수 추출 비율이 10%인 경우와 20%인 경우를 비교하
면 양수정에서의 농도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만, 추출 비율이 40%인 것과 50%사이에는 별다
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반면 양수정의 수위는 추출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선형적인 하강을 나타내므로, 적절한 수준에서의 염수 추출 비율이 유지 되어야 할 것으
로 생각된다.

(나) 염수 추출정의 개수 변화에 따른 해수침투 양상 변화


Fig 3-8-50 은 개수에 따른 염수 추출정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그림이다. 염수 추출정의 개
수 변화는 양수정 부근의 염수를 추출하는 범위를 어떻게 할 것인가의 문제에 해당한다. 추출
정의 개수는 증가하여도 추출되는 염수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동일한 양을 하나의 관
정에 집중하여 추출할 것인가 여러 광범위한 영역에 분산하여 추출할 것인가에 대한 정책 판
단을 위한 수치 모의실험이다. 추출정 설치에 관한 다른 요인들은 모두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Fig 3-8-51~52 는 추출정의 개수가 1개에서 3개, 5개로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해안 대수층
의 수리수두와 염분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3차원 그림이다. 추출정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추출정 주위에서의 지하수 흐름은 분산되므로 염분 농도 변화에서 알 수 있듯이 양수정 근처
에 염수 추출 범위가 집중될 때 양수정에서의 염분 농도가 최저치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Fig
3-8-53 은 양수정에서의 수리수두와 염분 농도를 시간에 따라 도시한 그림이다. 추출정의 개수
가 한 개일 때, 즉 염수 추출 범위가 한 곳으로 집중될 때 가장 효과적으로 양수정에서의 염
분 침출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경우의 (염수 추출정의 개수가 3개 또는 5개)
결과는 염수 추출 시작 후 약 2년간은 양수정에서의 염분 농도가 감소하지만, 그 이후에 다시
초기치로 복귀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Fig 3-8-53 의 수리수두 변화에서도
알 수 있듯이 염수 추출량을 한곳에 집중 시키는 것이 양수정의 수위 하강의 원인이 되므로
적당한 판단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다) 염수 추출정의 위치 변화에 따른 해수침투 양상 변화

- 238 -
Fig 3-8-54 는 염수 추출정을 양수정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다르게 위치시킨 그림이다. 염
수추출정의 위치를 해안선과 양수정 사이 어느 곳에 위치시키는가 하는 문제는 실제 현장 적
용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본 수치모의실험에서는 염수 추출정의 위치를 양수정에서 75m,
150m, 225m의 3가지로 나누어 위치에 따른 해수침투 저지 효과의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
였다. Fig 3-8-55~56 은 염수 추출정의 위치에 따른 해안 대수층의 수리수두 변화와 염분 농도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양수정과 염수 추출정 사이의 거리가 가까우면 양수정과 추출정이 마
치 하나의 대규모의 양수정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거리가 너무 멀면
직접적으로 양수정의 염분 농도를 감소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
계는 양수정에서의 시간에 따른 수리수두와 염분 농도 변화를 나타낸 Fig 3-8-57 을 보면 더
뚜렷이 알 수 있다. 양수정과 추출정과의 거리가 75m로 비교적 가까운 경우 지하수위 하강은
다른 두 가지의 경우보다 현저히 나타났다. 이 경우 양수정에서의 염분 농도 변화는 초기에는
급격히 하락하지만, 약 2년이 지나면서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양수정과 추출
정이 너무 근접하면 양수량만을 더욱 증가시키는 양상을 야기하므로 전체 해안 대수층을 심각
히 오염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반면 거리가 너무 멀면 염수 추출시 기대하는 만큼의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을 것이다.

(라) 염수 주입정의 심도 변화에 따른 해수침투 양상 변화


마지막으로 염수 주입정의 스크린 구간 변화 (심도 변화) 에 따른 대수층의 변화를 모의하
였다. 전술하였듯이 해수의 압력은 대수층의 하부에서 강하므로 같은 양의 염수 추출이라 하
더라도 수행되는 심도에 따라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Fig 3-8-59~60 은 다른 조건을 일
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염수 추출정의 구간 심도만을 변화시켰을 때의 대수층 내의 수리수두
와 염분 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추출정의 심도에 따라서 깊이
별로 다른 위치에 빠른 지하수의 흐름이 포착된다. 그러나 시간에 따른 양수정에서의 수두변
화와 농도변화를 나타낸 Fig 3-8-61 을 보면 기대한 것과 같은 뚜렷한 심도별 차이는 관찰되지
않는다. 그러나 염분 농도의 변화를 자세히 살펴보면, 대수층의 하부에서 염수를 추출하는 경
우가 다른 경우보다 양수정에서의 염분농도를 낮게 유지하는데 약간의 장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3) 염수 추출정을 이용한 최적의 해수침투 저지․개선 기법


위에서 수행한 염수 추출정에 대한 모델링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해수침투 저지․개선을 위
한 최적의 선택으로 다음과 같은 염수 추출정 구성에 대한 조합을 얻는다.

(a) 염수 추출양은 양수량의 20%~30% 사이 일 것


(b) 염수 추출정은의 개수는 하나이면서 양수정과 적당한 거리를 유지할 것
(c) 담수 주입정은 양수정과 중간정도의 위치에 있을 것
(d) 담수 주입정의 심도는 대체로 무관하나, 하부에 위치할 경우가 좀더 효율적임.

- 239 -
Fig 3-8-47 Hydaulic head distributions as salt water extraction rates.

- 240 -
Fig 3-8-48 Salt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s salt water extraction rates.

- 241 -
Fig 3-8-49 Hydaulic head and salt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s salt water extraction rates in
pumping well.

Fig 3-8-50 Salt water extraction well numbers and locations.

- 242 -
Fig 3-8-51 Hydraulic head distributions as salt water extraction well numbers.

- 243 -
Fig 3-8-52 Salt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s salt water extraction well numbers.

- 244 -
Fig 3-8-53 Hydaulic head and salt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s salt water extraction well numbers
in pumping well.

Fig 3-8-54 Distances between pumping and salt water extraction well.

- 245 -
Fig 3-8-55 Hydaulic head distributions as distances between pumping and salt water
extraction well.

- 246 -
Fig 3-8-56 Salt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s distances between pumping and salt water
extraction well.

- 247 -
Fig 3-8-57 Hydraulic head and salt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s distances between pumping and
salt water extraction well in pumping well.

Fig 3-8-58 Salt water extraction well depth.

- 248 -
Fig 3-8-59 Hydaulic head distributions as salt water extraction well depth.

- 249 -
Fig 3-8-60 Salt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s salt water extraction well depth.

- 250 -
Fig 3-8-61 Hydaulic head and salt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s salt water extraction well depth in
pumping well.

Fig 3-8-62 는 연구에 사용되고 있는 지하장벽의 위치와 개념을 나타낸 그림이다. 다양한 경
우에 있어서 지하장벽의 높이, 위치, 폭에 변화를 주어 해수 침투 저지 및 개선에 최적의 효율
을 나타내는 조합 찾아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앞선 담수 주입정, 염수 추출정에 대한 수
치 모델 연구 결과와의 결합을 통하여 종합적인 해수침투 대처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ig 3-8-62 Subsurface barrier.

- 251 -
제 9 절 지질특성별 지하수자원 물리탐사

주로 조사지역의 지질구조의 파악에 이용되는 지표물리탐사는 조사지역의 지질특성과 환경


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며, 또한 물리탐사법의 선택도 조사지역을 구성하는 지질특성을
반영하여야 한다. 이는 지질특성들의 전기비저항, 대자율 그리고 암반의 밀도 등의 물리적인
특성이 각각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사지역에서의 물리탐사방법의 선택 시 이러한 지질특
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조사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지질특성별 물리탐사기법의 표준화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질특성
인 충적층, 결정질암, 석회암, 다공질 화산암에서 물리탐사기법 중 가장 널리 쓰이는 전기탐
사, 탄성파 탐사를 중심으로 기존에 수행하였던 연구자료를 비교 및 분석하였으며, 각 지질특
성별 연구지역을 선정하여 지표물리탐사의 적용과 자료해석을 통하여 지질구조 파악에 효과적
인 지표물리탐사법의 검토와 분석을 수행하였다.

1. 지질특성별 물리탐사 자료의 비교․분석

암석의 일반적인 전기비저항, 탄성파 속도 분포는 예전부터 조사되어 발표되고, 또는 이러


한 기준들을 야외조사의 결과들에 적용해 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값들은 실내실험에 의한
균질한 암석의 물성치로서, 야외에서 얻은 물성치들과 대비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또한 한
2
암석의 물성치도 조건에 따라 넓은 값의 범위를 보인다(화강암의 전기비저항 범위 : 3×10 ~
6
10 , Telford 등, 197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질특성별 물성치의 표준화가 아닌 지질특성
이 다른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지질구조 파악을 위한 물리탐사 기법의 표준화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우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지질특성들을 크게 충적층, 결정질암, 석회암, 다공질 화산암으
로 분류하였다. 이는 이와 같은 지질특성 하에서 물리적 성질이 크게 대별되며, 또한 야외 물
리탐사조사 시 이와 같은 지질특성을 먼저 고려하여 적용할 물리탐사기법을 선정하기 때문이
다.

가. 충적층 하부 지질구조의 파악
기존 자료의 분석결과, 충적층에서의 수행되는 대부분의 물리탐사는 충적층 하부의 지질구
조 파악에 있다. 그러나 충적층이라는 밀도가 낮은 고결되지 않은 하나의 층이 존재함으로서,
물리탐사 시 충적층 하부에까지 도달할 수 있는 물리적 성질을 신중히 고려하여야 한다.
아래 언급한 충척층에서의 물리탐사 예들은 기존에 수행되었던 자료들에 연구기간에 추가로
물리탐사기법을 수행하여 얻은 자료들과 새로이 연구지역을 선정하여 물리탐사기법을 적용한
자료의 해석결과들을 분석한 결과이다.

(1) 충적층 하부 대규모 파쇄대가 존재하는 경우


조사지역은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 부근의 엄다면 화양리, 학야리, 성천리 일대에 발달한

- 252 -
충적층으로서, 이 지역은 남서-북동방향으로 광주단층이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기존
에 발간된 지질도폭(홍승호 외, 1990)에 의하면 조사지역의 동쪽부는 흑운모 화강암과 편암
류가 서쪽부는 녹색사질암, 흑색이암 그리고 자색 사질암이 분포하고 있다(Fig 3-9-1). 또한,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옥천층군의 석회암과 규암을 협재한 편암류를 쥬라기 흑운모 화강암이
관입하고 있으며, 그 위에 백악기의 자색 사질암과 안산암질 응회암이 부정합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지질도 상에서 조사지역의 남서, 북동지역에 광주단층이 존재를 확인할 수 있으나, 충
적층으로 덮여있는 조사지역의 중앙부에는 이 단층의 연장성 및 그 방향성을 파악할 수 없다.

Fig 3-9-1 Geology map of the study area.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는 충적층 하부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대규모 파쇄대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표물리탐사를 수행하였다. 지질도 상의 광주단층은 편암류와 퇴적암류를 경계로 발
달되어 있으나, 상부에 대규모의 충적층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여러 물리탐사 방법 중에 충
적층하부의 지질구조 조사 시 상부 충적층의 영향이 매우 큰 중력탐사나 탄성파 탐사는 우선
제외하고, 대상암질의 전기비저항 및 대자율 차이 그리고 주변 암질에 대한 파쇄대의 전기비
저항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물리탐사법 중 전기비저항탐사, 자력탐사 그리고 전자탐사를 사
용하였다.

(가) 물리탐사 자료획득


물리탐사 측선은 조사지역의 중앙을 남북으로 흐르는 함평천의 서쪽지역에서 추정 단층대
와 거의 수직이 되도록 동-서 방향으로 설정하였다(Fig 3-9-2). 전기비저항 탐사는 쌍극자-쌍
극자 배열을 사용하여, 총 10개의 측선(탐사거리: 7000m)에서 탐사를 수행하였고, 측정시
목적심도가 100m 내외가 되도록 쌍극자거리와 전극 전개수(n)를 각각 20 m, n=1~10으로

- 253 -
하였다.
쌍극자 배열 전기비저항 2차원탐사의 측선 중 Fig 3-9-2 에서 파란선으로 표시된 ME-1~4
측선은 전자탐사와 자력탐사를 실시한 측선이며, 측점간 간격은 5m이며, 전자탐사와 자력탐
사에 사용한 측정기기는 각각 EM31 그리고 G858이다. 전자탐사의 경우는 동상(in-phase)성분
과 전기전도도를 측정하였고, 자력탐사는 총자기와 수직자력구배를 측정하였다.

Fig 3-9-2 Geophysical survey map including Fig 3-9-3 Topographical map including DC
survey lines. inversion results.

(나) 물리탐사 자료해석


Fig 3-9-3 은 조사지역에 설정한 총 측선(DP-1~DP-10)에서 수행한 전기비저항탐사에 대
한 역산 결과도면이다.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자료에 대한 역산결과에 의하면 조사지역에 분
포하는 변성암과 퇴적암으로 구성된 지질매체의 전체적인 전기비저항값의 범위는 10~5,000
ohm-m이며, 상대적으로 변성암의 전기비저항값이 퇴적암에 비교하여 높게 나타난다.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암반 내 파쇄대로 추정되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기비저항 분포대의 전
기비저항값은 10~100 ohm-m 범위에 있으며, 특히 측선 DP-7~DP-10에 대한 전기비저항
단면도에 분포하는 10~50 ohm-m 범위의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는 지질도(Fig 3-9-1) 상의
남서부에 위치하는 광주단층의 연장으로 판단된다. 이 같은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의 방향은
지질도 상에 표시된 단층대의 방향과는 달리 서북쪽으로 기울어 분포하고 있으며, 전기비저항
이상대의 연장선은 광주단층의 서쪽 경계인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충적층으로 덮여있는 조사
지역 중앙부에 여러 개의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가 분포하는 것으로 보아 충적층 하부에 분

- 254 -
포하는 결정질 암반 내에는 단층작용에 의해 형성된 여러 조의 파쇄대가 존재하는 것으로 해
석된다.
Fig 3-9-4 는 전기비저항 2차원탐사를 수행한 동일한 측선(DP-3, DP-5, DP-7, DP-9)에서 수
행한 전자탐사, 자력탐사의 결과 중 DP-3에 대한 결과이다. 전자탐사와 자력탐사로 획득된 자
료들은 전기비저항 2차원탐사 결과와 잘 부합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전자탐사의 경우, 탐사
에 사용한 측정기기(EM31)의 가탐심도가 약 9m 내외로서 암반 내에 발달한 파쇄대의 반응
을 감지하지 못했으며, 자력탐사의 경우는 단층파쇄대와 주위 암석간의 대자율의 차가 거의
없는 것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Fig 3-9-4 Geophysical results along the survey lines of DP-3.

(다) 결론
퇴적암과 변성암이 분포하는 조사지역에서 충적층 하부 암반 내에 존재하는 대규모 파쇄대
파악을 목적으로 수행한 전기비저항 2차원탐사, 전자탐사, 자력탐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
을 얻었다.
첫째,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파쇄대의 주 방향은 남남서-북북동이며, 파쇄대에 대한 전기비저항
값은 10~100 ohm-m의 범위를 보인다.
둘째,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지질매체의 전기비저항 분포는 약 10~5,000 ohm-m이며, 변성암
의 전기비저항값이 퇴적암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 충적층 하부 관입한 염기성 암맥이 존재하는 지역


조사지역은 지체구조적으로 경상분지의 동중앙부에 위치하며, 부산 동래부터 NNE-SSW방
향으로 발달된 동래단층의 북쪽 끝 부분에 해당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즉 연구지역의 북쪽 약
2km 지점인 입실읍 부근에서 동래단층은 울산-경주간 NNW-SSE방향으로 발달된 울산단층과
서로 교차하는 것으로 추정한다(Fig 3-9-5).
물리탐사 측선이 설정된 조사지역은 경주시에서 동남쪽 약 15km지점의 입실읍에서 남서

- 255 -
방향으로 약 2 km 떨어진 구어리 일대이다(Fig 3-9-6). 탐사지역 주변은 현재 비교적 넓게 발
달된 충적층으로 덮여 있고 기반암이 지표에 노출되어 있지 않아 단층의 지질학적 증거와 그
연장성을 찾을 수 없는 지역으로 단층파쇄대 탐지와 단층파쇄대의 연장성 확인을 위하여 총 5
개의 측선을 설정하였다.

Fig 3-9-5 Geological map of the study area.

5개의 모든 물리탐사 측선방향은 예상되는 단층파쇄대의 방향과 거의 수직되도록 N72。E


로서 각 측선들은 서로 평행하게 설정하였다. 측선 길이가 660m인 LN#1-1은 탐사 측선들
중 가장 남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쪽방향으로 측선 LN#1-2, LN#1-3, LN#1-4 그리고
LN#1-5등을 설정하였다. 측선 LN#1-1~LN#1-5 각각의 측선 길이는 600m, 1.2km, 300m,
540m, 540m이다. 적용한 물리탐사방법은 전기비저항 2차원탐사, 전자탐사, 자력탐사이다.

Fig 3-9-6 Topographical map including geophycal survey lines.

- 256 -
탐사지역 주변은 현재 비교적 넓게 발달한 충적층으로 덮여 있으므로 기반암이 지표에 노
출되어 있지 않으나, 단층대 주변의 지질에 근거하여 충적층 하부의 기반암은 흑운모 화강암
으로 추정된다.(Fig 3-9-5) 탐사지역에 가장 인접한(측선 LN#1-3으로부터 북쪽으로 15m 떨
어진) 구어리 문화재 발굴현장에서 관찰되는 화강암은 중립질 흑운모 화강암이며 분홍색 알카
리 장석을 다량 함유하는 점이 특징이다. 특히, 구어리 일대의 흑운모 화강암의 파쇄대 내에는
약선대를 따라 많은 염기성 암맥들이 도처에 관입해 있다. 이 암맥은 암록흑색을 띠나 표면은
풍화로 인하여 심하게 탈색되었다. 암맥의 관입방향은 매우 불규칙적이지만 전반적으로 우세
한 방향은N30˚E이다. 관입 암맥의 폭은 변화가 심하나 대부분 1 m내외이며, 연장성이 불량
하여 첨멸되거나 합쳐지는 경우가 많다.

(가) 물리탐사 자료획득


자력탐사는 Geometric사의 Proton Magnetometer을 사용하여 측선 LN#1-1, LN#1-2,
LN#1-3에서 20 m간격으로 수행하였다. 자력 이상값을 보이는 부근에서는 10 m간격으로 반
복 측정하였으며, 측정방향은 측선의 서쪽에서 동쪽으로 진행하면서 자력값을 측정하였다.
주파수영역전자탐사는 Geonics사의 EM31과 EM34를 사용하여 측선 LN#1-2에서만 측정하였
다. 측점간의 간격은 20m로서, EM31은 각 측점에서 송신기와 수신기의 방향을 남북과 동서
두 방향으로 설정하고 지표와 지표에서 1상부에서 수직, 수평 두 모드에서 측정이 이루어졌으
며, EM34의 경우에는 송신기와 수신기의 방향을 동서방향으로 고정하고 각 측점에서 송신기
와 수신기간의 거리를 10m, 20m, 40m 간격으로 수평과 수직 모드를 측정하였다.
쌍극자-쌍극자배열의 전기비저항 2차원탐사는 총 4개의 측선, LN#1-1, LN#1-2,
LN#1-4, LN#1-5에서 실시하였다. 모든 측선에서 쌍극자 전개수를 10으로 하였으며, 측선
LN#1-2에서의 쌍극자길이를 20m를 사용한데 반하여 나머지 측선들에서는 쌍극자 길이를
30m로 사용하였다. 또한, 측선 LN#1-4와 LN#1-5에서는 웨너배열의 수평 전기비저항탐사도
실시하였으며, 전극간의 간격으로 30, 60 그리고 90m를 사용하였다. 예상 단층선의 양편으
로 기대되는 측선 LN#1-2의 측점 13과 49에서는 슈럼버져 배열의 수직 전기비저항탐사가 수
행되었으며, 최대 전류전극간격은 100m를 사용하였다.

(나) 물리탐사 자료의 해석


측선LN#1-1, LN#1-2, LN#1-3에서 측정한 자력값의 프로파일은 Fig 3-9-7 의 (a)에 도시
하였다. 여기서 각 측선간의 간격은 약 120 m이다. 1개 측선에서의 측정시간은 2시간내외로
서 자기량의 일변화량이 510 gamma 이내로 일변화에 따른 보정은 수행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3개의 측선에 대한 배경 자력값은 약 49,000~49,200 gamma 내외이며, 측선
LN#1-1, LN#1-2, LN#1-3에서 자력이상대는 각각 700~900 m, 620~750 m, 300~800
m에 나타난다. 측선 LN#1-1의 자력이상대는 다른 두 측선의 자력이상대에 비해 매우 넓게
존재한다. 이와 같은 자력이상대의 주향방향은 대략 N30˚E이며, 본 조사지역에서 최대 자력
이상값은 49,500 gamma로서 측선 LN#1-2에서 나타나며, 배경자력값(측선 LN#1-2의 경우
49,150 gamma)과 약 350 gamma 차이를 보인다.
Fig 3-9-7의 (b)는 측선 LN#1-2에서 측정된 EM반응에 대한 프로파일로서 위에 도시된 그

- 257 -
림은 수평 쌍극자 송신원, 아래 도시된 그림은 수직 쌍극자 송신원에 대한 각각의 EM반응이
다. 수직 쌍극자 송신원의 EM프로파일은 수평 쌍극자 송신원 프로파일에 비하여 자료의 질이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측선과 평행하게 그리고 측선으로부터 약 500 m 떨어진 고
압선에서 발생한 power line 잡음과 EM반응의 수직성분과 매우 좋은 전자기적 coupling에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두 쌍극자 송신원 경우 모두 측선의 650~750 m에서 높은 EM반응 이
상대가 나타난다. 이 같이 높은 EM반응의 이상값은 전 절에서 설명한 자력이상대의 위치와
잘 일치하고 있다.
쌍극자-쌍극자배열의 전기비저항탐사는 총 4개의 측선, LN#1-1, LN#1-2, LN#1-4,
LN#1-5에서 실시하였으나, 본 발표에서는 측선 LN#1-1, LN#1-2에서 실시한 쌍극자배열 전
기비저항탐사 결과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Fig 3-9-8 은 측선 LN#1-1에서 측정된 전기비저항 자료에 대한 역산결과이다. 측선당 도시
된 그림들은 위로부터 측정된 겉보기 전기비저항 단면도, 측정된 자료와 통계적으로 가장 잘
일치할 때의 계산된 이론적 겉보기 전기비저항 단면도 그리고 맨 아래에는 계산된 이론적 전
기비저항자료가 실제 측정한 자료와 가장 잘 일치할 때의 지전기적 단면도이다. 지전기적 단
면도에서 측점 15(즉, 쌍극자 길이가 30m이므로 측선의 420m 지점)~측점20(측선의
570m)사이에 전기비저항이 100 ohm-m내의 낮은 전기비저항대가 존재하며, 심부로 갈수록
이 전기비저항값은 차차 낮아진다. 이와 같은 낮은 전기비저항대가 존재하는 위치는 자력 프
로파일에서 나타나는 자력이상대의 위치와 매우 잘 부합한다.

Fig 3-9-7 (a) Magnetic profiles along survey lines of LN#1-1, LN#1-2, and LN#1-3.
(b) EM profiles along the survey line of LN#1-2.

- 258 -
Fig 3-9-8 DC inversion result along the survey line of LN#1-1.

(다) 결론
화강암 내 약선대를 따라 관입한 염기성 암맥이 분포하는 조사지역에서 결정질 암반 내에
존재하는 대규모 파쇄대 파악을 목적으로 수행한 전기비저항 2차원탐사, 전자탐사, 자력탐사
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조사지역에 분포하는 파쇄대의 전기비저항값은 100 ohm-m 이내이며, 파쇄대의 폭
과 주향방향은 각각 100m 그리고 남남서-북북동 방향으로 해석된다.
둘째, 파쇄대를 따라 발달한 염기성 암맥은 화강암과 대자율 차이가 크므로 자력탐사의 결
과와 전기, 전자탐사 결과와 매우 잘 일치한다.
셋째, 화강암과 염기성 관입암으로 구성된 지역에서 결정질 암반 내에 발달한 파쇄대의 연
장성 파악은 자력탐사를 포함한 전기, 전자탐사를 복합 수행, 해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결
과를 산출하였다.

(3) 충적층 하부 지하수면의 파악


충적층 하부의 지하수면은 주로 시추공을 이용한 수위측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넓
은 지역에서의 지하수위의 파악은 많은 시추공을 착정해야 하므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
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물리탐사에 의한 충적층 하부의 지하수위를 파악하고자 연구지역을
선정하여 물리탐사기법을 적용하여 보았다. 충적층은 일반적으로 여타의 지질환경과 다르게
사질층과 같은 공극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퇴적층에서의 공극에 물이 충진
되면 밀도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러한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면, 물리탐사를 이용하
여서 지하수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단, 지하수면이 존재하는 지하의 지질환경
이 동일하다는 전제가 있어야 한다.
연구지역으로 선정된 경상남도 창원시 대산면은 낙동강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시추조사 결
과 표토부터 지하12m까지 균질한 세립질 모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기간의 수위관측 결과
지하 6~8m 사이에서 지하수위가 나타나고 있다. 이 지역에서 수행한 물리탐사 기법은 매질
의 밀도에 관련된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는 탄성파 탐사와 GPR 탐사(Ground Penetration Radar:
지표 레이다 탐사) 그리고 지하 매질의 전기전도도의 차를 이용하는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

- 259 -
하였다.

(가) 물리탐사 자료획득


Fig 3-9-9 는 물리탐사가 실시된 위치를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에서 빨간색 삼각형으로 표
시된 지점은 전기비저항 수직탐사가 시행된 측점을 나타낸다. 전기비저항 탐사는 술럼버져 배
열을 이용하여 탐사심도는 줄이는 대신 천부의 분해능을 높이기 위해 배열을 조정하며 측정하
였다. 빨간 실선은 쌍극자-쌍극자 배열법을 이용한 전기비저항 2차원 탐사가 시행된 측선을
나타낸다.
파란색 점선은 탄성파 탐사가 실시된 측선을 나타낸 것이다. 탄성파 탐사시 측정기기는 일
본 OYO사의 McSEIS-SX를 사용하였으며, 천부의 자료를 얻기 위해 1m 간격으로 배열한 24
개의 수진기(Geophone)를 이용하여 자료를 획득하였다. 각 측선마다 정방향 근거리 송신원
(Forward Near Shot), 중앙 송신원(Center Shot), 역방향 근거리 송신원(Reverse Near Shot)을
발생시켜 한 측선당 3개의 기록을 얻었으며, 송신원으로는 햄머를 사용하여 자료를 획득하였
다. 그리고 3개의 송신 점에서 획득된 자료에서 초동시간을 발췌한 후 역산을 수행하여 측선
하부 지반에 대한 탄성파속도를 구하였다. 역산은 파선추적법과 SILT법을 기반으로 한 주시
토모그래피 역산기법을 사용하였다.
탄성파 탐사와 동일한 위치에서 지표레이다 탐사를 수행하였다. 지표레이다 탐사시 사용한
안테나 주파수는 지하 투과 심도를 고려하여 100Mhz를 사용하였으며, 송수신 기간 간격은
1m, 측정간격은 0.1m 로 하여 측정하였다. 사용기기는 미국의 PluseEkko 100 GPR이다.

Fig 3-9-9 survey map including geophycal survey lines and wells.

(나) 물리탐사 자료의 해석


Fig 3-9-10 은 물리탐사의 결과들을 시추결과와 비교하기 위해 시추조사 자료가 있는 DS-1
관정 근처에서 시행된 물리탐사 결과들을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에서 시추결과 지하 1~12m
까지는 세립질 모래를 이루고 있으며, 12~24m까지는 중립 및 조립질 모래 및 갈탄층을 협

- 260 -
재하고 있으며, 그 하부로 세립질 중립질 모래가 나타나고 있다. 전기비저항 2차원 탐사 결과
(Fig 3-9-10 의 전기비저항 2차원 탐사)와 시추정보와의 비교결과 10~24까지 나타나는 낮은
비저항이상대는 시추결과 나타나는 갈탄층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그 외에는 전기비저항 수평
탐사로는 지하수의 영향을 파악할 수 없다. 이는 전기비저항 수평탐사의 전극간격이 10m 이
므로 10m 이하의 심도는 분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전기비저항 수직탐사의 결과를 살펴보면 시추결과 균일한 세립질 모래층에서 비저항의 구
조가 2층으로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비저항의 분포 폭이 그다지 크지 않고, 상부보다 하
부의 비저항이 낮아지는 점으로 보아, 지하수위에 의한 영향이라고 판단되며, 이는 DS-1 관정
에서 측정된 수위(5.6m)와 비교적 잘 일치하고 있다. GPR 탐사의 결과는 속도단면의 하부
6m 지점에서 반사면이 관찰되고 있으며, 탄성파 탐사 역산결과인 속도단면에서도 물의 속도
인 1.5km/s가 대략 지하 5~7m 사이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3-9-10 Comparison of geophysical result in survey ares.

이와 같은 결과들로 미루어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역산결과 나타나는 전기비저항 구조 중 1


층과 2층의 경계가 지하수위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어, 각 측점에서 측정된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역산결과들 중 1층의 심도들을 surface map으로 작성하였다(Fig 3-9-11). 작성된 sur-

- 261 -
face map을 각 관측공에서 같은 날 조사된 지하수위의 surface map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비
교적 심도의 분포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 1~2의 오차를 보이는 곳도 있다.
이는 전기비저항 탐사를 실시한 측점이 적고, 측점의 분포가 고르지 못한 점도 원인으로 판단
되나, 전기비저항탐사의 특성상 전극과 지표면과 접촉문제에서 오는 오차일 가능성도 배제 할
수 없다. 따라서 보다 많은 전기 비저항 수직 탐사의 측점을 설정하고, 탄성파 탐사 혹은 GPR
탐사의 결과들과의 연계 해석을 통해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Fig 3-9-11 Comparison of GWL and DC inversion result.

(다) 결론
층적층내의 지하수면의 파악을 목적으로 수행한 전기비저항 2차원탐사, 수직탐사, 탄성파
탐사, GPR 탐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충적층내의 지하수면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하수면이 존재하는 매질이 비교적


균질해야 한다.

- 262 -
둘째, 전기비저항 2차원 탐사를 제외하고,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탄성파 탐사, GPR 탐사로
서, 지하수면의 파악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물리탐사를 이용하여 충적층내의 지하수위의 파악하기 위해서는 전기비저항 수직탐


사, 탄성파 탐사, GPR 탐사를 연계 해석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나. 결정질암에서의 지질구조 파악.


결정질암에서의 시행되는 물리탐사 역시 지질구조 파악에 주목적이 있다. 주로 지반조사에
서는 암석의 정량적인 물성치를 구하기 위한 탄성파 탐사와 파쇄대와 같은 지질구조 파악을
위한 전기비저항 탐사가 널리 사용된다. 결정질암에서의 지질구조의 파악에는 역시 전기비저
항 탐사가 효과적이다. 결정질암에서의 물리탐사법의 적용은 예전에는 주로 광체 탐사에 주목
적이 있었으며 탐사기법 또한 광체 탐사를 위하여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요즘 들어 광체탐사
보다는 파쇄대와 같은 지질구조 파악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결정질암의 지질구조 파악을 목적으로 다양한 물리탐사 기법을 적용하
고, 그 해석 결과들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1) 결정질암에서의 심부 지질구조 파악을 위한 전자탐사의 적용


결정질암에서의 지하심부구조의 파악을 위해 많은 물리탐사법이 동원되고 있다. 이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전기비저항탐사이다. 전기비저항탐사는 전류를 지하에 흘려보내는
전류전극과 주입된 전류에 의해 야기된 전위차를 측정하는 전위 전극간의 배열을 사용하여 측
정한다. 그러나 지표의 매질의 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에서는 이와 같은 접지전극을 사용하는
방법은 지하내부로의 전류의 주입이 어렵기 때문에 지하의 심부로 갈수록 적절한 탐사자료를
얻는 것이 쉽지 않으며, 또한 전극의 이동과 배열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비한다. 이에 비해
많은 전자탐사(EM: Electromagnetic)탐사방법에서 사용하는 인터코일 스페이싱(intercoil spacing)
방법은 측선 길이가 일반적인 전기비저항탐사의 전극배열보다 짧고, 측점이동에 있어서 매우
용이하다.
전도성 광물탐사에 주로 사용되어온 시간영역 전자탐사(TEM: Time-domain/Transient
Electromagnetic)는 최근에 지질구조조사(Keller et al., 1984), 지하수탐사(McNeill, 1990;
Fitterman and Stewart, 1986; Mills et al., 1988), 지열조사(Fitterman et al.,1988), 탄화수소탐
사(Rabinovich et ai., 1977) 골재자원탐사, 그리고 지하수 및 지질오염조사(Hawang, 1997,
1998; Hoekstra and Blohm, 1990; 이상규 외, 1988)등에 그 활용 범위가 넓혀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역에 계획중인 터널노선을 따라 전기비저항탐사를 실시한 측선 중 심부
의 낮은 비저항 이상대의 분포가 관찰되는 구간(3+940m~4+440m)에서 TEM 탐사를 수행
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전기비저항탐사의 결과 및 시추, 지질조사 자료와 비교검토 하였다.

(가) 물리탐사 자료획득


TEM 탐사에 사용한 배열은 50m×50m인 정방형 동위치 송수신 배열(Coincident loop)이

- 263 -
며, 측정시간대는 composite series 원도우 1~32(0.05~47.825msec)에서 지연시간대에 따른
전자반응을 측정하였다. 탐사구간(line 1)의 길이는 480m(3+940~4+440)이며, 60m 간격
으로 7개 측점에서 측정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기기로 호주 MIC(Mineral Control Instrument)에
서 개발한 SIROTEM MK3를 이용하였으며, 측정시 송신루프의 전류세기는 약 6A이고, 사용한
중합(stacking)수는 1024이다.

(나) 물리탐사 자료해석


TEM 측정자료의 처리는 각 측점별 TEM 역산을 한 뒤, 2차원 가 단면도를 작성하였다. 이
러한 가단면을 2차원 그리딩(gridding)과 내삽(interpolation) 과정을 거쳐 다시 전기비저항 단면
도를 작성하였으며, 단면도상의 비저항값의 분포를 17개 색채 등급으로 나누어 녹색으로 갈수
록 낮은 비저항을 적색으로 갈수록 높은 비저항을 나타내었다.
전기비저항 단면도 상(Fig 3-9-12 의 중간)에서 대체로 고비저항의 분포가 우세하나 수직 또는
급경사는 저비저항 대상분포로 인하여 비저항 분포의 횡적 불연속면이 두 곳에 분포하고 있
다. 고비저항의 연속성을 단절시키는 저비저항대들은 대부분 함수율이 높은 단층파쇄대로 해
석되지만 곳에 따라서는 gridding 과정중에 나타난 과장된 저비저항대들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
다.
과장된 저비저항대들을 식별할 목적으로 비저항 단면도상(Fig 3-9-12 의 중간)에 역산 자료점
들을 ●으로 표시하였다. ●위치의 비저항 값들을 측점별 역산값들과 비교함으로서 저비저항
의 진위를 확인할 수 있다. 전기비저항 단면도 상 측점 4+050 지점과 4+450 지점의 심부
에 전기비저항 이상대가 존재. 저비저항 이상대의 비저항값은 대략 100~500Ohm-m이다.
TEM 탐사구간(Sta. 1+700~Sta. 5+500)에 대해서 전기비저항탐사 결과와 전자탐사 결과를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 서로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지하 심부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
보를 파악할 수 있다.

(다) 결론
연구지역에서 수행한 전기비저항 역산결과, TEM 역사결과, 시추 및 지질조사 자료와 비교,
해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조사 지역에 지표지질조사 및 시추조사에 의해 확인된 파쇄대는 전기비저항탐사,


TEM탐사, 지질조사 자료는 대체로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나, 전기비저항탐사의 중앙
(4200m)에서 나타나는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는 지형고도를 감안, 역산과정 중에 왜곡되어
나타난 비저항 이상대로 판단된다.

둘째, 지표의 매질의 상태가 좋지 않은 지역에서는 접지전극을 사용하는 전기비저항탐사


와 함께 TEM 탐사를 수행함으로서 양질의 심부 비저항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셋째, 단, TEM 탐사는 주변 환경 혹은 측정장비 자체의 전자 noise로 인해 천부의 자료를


제대로 얻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 264 -
Fig 3-9-12 Comparison of 2D resistivity inversion result and TEM inversion result.

(2) 결정질암에서의 단층대 파악을 위한 유도분극탐사방법의 적용


유도분극탐사는 통상적으로 전기비저항탐사와 같이 송신과 수신을 위해 전류전극과 전위전
극을 사용한다. 전류전극을 통하여 대지에 전류를 흘려보내다가 갑자기 전류를 차단하면 전위
전극에서 나타나는 전위차는 순간적으로 소멸하지 않고 수 초 내지 수 분간에 걸쳐 서서히 소
멸되는 양상을 갖는데, 이러한 현상을 유도분극(induced polarization)이라 한다. 이를 지하 매질
의 특성을 탐지하는데 사용하는 물리탐사법을 유도분극탐사법이라 하며, 이 유도분극탐사법은
전도성 광체, 분산형태의 황화광상 탐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요즘에 들어 유도분극 탐사는 단층점토를 함유한 단층대와 같은 파쇄대의 조사에도 이용되
고 있다. 유도분극 탐사는 전기비저항탐사와 매우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주파수 영역
유도분극 탐사는 탐사 측선에 대해 전기비저항 단면도와 분극효과 단면도를 함께 제공함으로
서, 해석 시 상호 연계 해석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도분극탐사는 전기비저항
탐사와 비교하여 자료측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측정자료의 해석이 어렵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많은 탐사비용이 소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비저항 이상대의 분극효과를 관찰하여 이 이상대의 지질공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단층대를 포함한 파쇄대 내에 발달할 수 있는 점토광물(단층점토는 상대
적으로 분극효과가 큼)의 공간적 범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단층의 규모 및 심부 연장
등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도분극 탐사를 수행하였다. 대규모 파쇄대 내에 발달한 점토광물의
존재는 터널과 같은 토목공사에서 주변부의 지하수 유동체계 뿐만 아니라 구조물 안전성을 좌

- 265 -
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가) 물리탐사 자료획득


주파수영역 유도분극탐사가 수행된 측선은 조사지역에 설정한 3개의 측선(IP-1, IP-2, IP-3)
으로 총 연장길이는 2,020m이다(Fig 3-9-13). 측정에 사용한 주파수는 0.125Hz와 4Hz이며,
탐사배열은 지하의 2차원 지질구조를 위해 쌍극자배열을 사용하였고, 쌍극자의 길이는 20m로
하였다. 측정장비는 크게 송신부와 수신부로 구성되었고, 수신부로는 미국 Zonge 사의
GDP-16, 송신부로는 동 회사의 GGT-3과 BMG-3을 사용하였다. 측정시 전극전개수는 1-7로하
고, 측정자료에 대한 신호대잡음비를 증가하기 위하여 각 측정주파수에서 최소한 12번의 중합
을 실시하였으며, 대지에 주입된 전류의 최소를 200mA 이상으로 하였다.

Fig 3-9-13 Survey area.

(나) 물리탐사 자료해석


Fig 3-9-14 는 측선 IP-1(Fig 3-9-13)에서 주파수영역 유도분극탐사의 결과이다. 자료측정은
각 전극전개수에서 두개의 주파수 0.125Hz와 4Hz를 사용하여 획득하였다. Fig 3-9-14 에서
상부그림은 사용주파수가 0.125Hz일 때 측선하부에 대한 전기비저항 단면도이고, 하부그림은
주파수효과(분극효과) 단면도이다. 각 단면도는 현장 측정치로부터 컴퓨터 역산에 의해 산출
된 결과도면이다. 전기비저항 단면도에서 색깔의 척도는 초록색을 기준으로 노란색을 걸쳐 빨
강색으로 갈수록 매질의 전기비저항이 차차 높아짐을 의미하며, 분극효과 단면도의 경우는 파
랑색을 기준으로 빨간색으로 갈수록 분극효과가 높음을 의미한다.

- 266 -
Fig 3-9-14 IP inversion result along the survey line of IP-1.

측선 IP-1에서 지질매체에 대한 전체적인 전기비저항 분포는 수십 ohm-m에서 5,000


ohm-m 이상이다. 전기비저항 분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은 측선 200m 지점을 기
준으로 좌우대칭을 이룬다는 것이다. 즉, 측선 200m 부근에 지표에서 목적심도(100m 내외)
까지 연장성을 갖고 분포하는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를 중심으로 양편에는 높은 전기비저항
대가 심부까지 넓게 분포한다. 여기서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는 수십ohm-m에서 200ohm-m
범위의 값을 갖고, 지표로부터 20m까지는 넓게 분포하나, 그 하부에서는 약 30m의 폭을 갖
고 심부까지 연장 발달되었다.
측선 IP-1에서 지질매체의 분극효과는 전체적으로 5% 내외의 비교적 낮은 주파수효과를
갖고 있다. 주파수효과 단면도에서 주변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7%의 분극효과를 나타
내는 부분은 4,000ohm-m 이상의 높은 전기비저항 값을 갖는 영역으로서, 점토광물이 아닌
분극효과가 비교적 큰 금속광물 또는 황화광물을 소량 함유한 매우 견고한 암석으로 예상된
다. 전기비저항 단면도에서 200ohm-m 이하의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는 이 이상대 주변에
분포하는 분극효과(1% 이하)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분극효과(5%)를 나타내므로 약간
의 점토광물을 협재한 파쇄대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이 파쇄대에 함유된 소량의 점토
광물은 지하수유동을 차단하는 불투수층을 형성하지는 않지만 파쇄대와 더불어 연약한 지반을
형성할 것이다.
Fig 3-9-15 는 측선 IP-2에서 주파수영역 유도분극탐사의 결과로서, 상부 그림은 사용주파수
가 0.125Hz일 때의 전기비저항 단면도이고, 하부그림은 주파수효과 단면도이다. 두 단면도의
색깔 척도는 Fig 3-9-14 의 경우와 동일하다. 탐사측선은 측선 IP-1로부터 북서방향으로 약
300m 지점에서 측선 IP-1과 평행하게 설정하였고, 측선길이는 500m이다. 측선 IP-2에서 지
질매체의 전기비저항 분포는 IP-1과 같으며, 200ohm-m 이하의 낮은 전기비저항 값은 측선의
180m에서 500m까지 매우 넓게 분포하고 있다.

- 267 -
Fig 3-9-15 IP inversion result along the survey line of IP-2.

특히, 측선의 180m~280m 그리고 360m~420m 구간에서 목적심도까지 발달한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는 IP-1에서 파악된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파쇄대)의 연장이며, 360m~
420m 구간의 파쇄대는 매우 깊은 심도까지 발달된 것으로 추측된다. 분극효과는 심부보다는
천부에서 상대적으로 집중되어 크게 나타나는데, 이 같은 결과는 표토를 이루는 토양층이 점
토광물을 함유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그리고 낮은 전기비저항 값이 심부까지 분포한 구간 중
분극효과가 상대적 높은 210m~230m, 260m~280m, 370m~400m 구간은 소량의 점토
광물을 함유한 파쇄대로 판단된다. 360m~420m 구간에 분포하는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는
부분적으로 단층점토를 함유하고 매우 깊은 심도까지 발달한 단층 파쇄대로 예상된다.

Fig 3-9-16 IP inversion result along the survey line of IP-3.

- 268 -
Fig 3-9-16 은 측선길이가 980m인 IP-3에서 수행한 유도분극 탐사결과로서, 측선은 IP-1에
서 북서방향으로 약 1.2km에 위치하며, 측선방향은 IP-1과 거의 평행하게 설정하였다. 전체
적으로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는 지표로부터 약 30m 내외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며, 측선의
후반부로 갈수록 그 분포심도가 차차 깊어짐을 알수 있다. 특히, 목적심도인 80m까지 발달한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는 구간 200m~260m와 640m~700m에 나타나며, 이 구간들의 분
극효과는 높은 전기비저항 값을 갖는 다른 구간의 분극효과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
수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640m~700m 구간의 이상대와 더불어 740m~840m 구간의 낮
은 전기비저항 이상대는 다른 두 측선 IP-1과 IP-2에서 파악된 파쇄대의 연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 결과
결정질암에서의 단층대 파악을 위한 유도분극탐사방법의 적용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주파수영역 유도분극탐사가 수행된 3개 IP 측선에 대한 탐사결과를 종합해보면 측선


IP-1의 200m 부근을 기준으로 N35~40°W의 주향을 갖고 심부까지 발달한 단층파쇄대가 본
조사지역에 존재하며, 이 단층파쇄대를 따라 단층점토가 부분적으로 함유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 같은 단층점토는 매우 부분적으로 협재되었기 때문에 지하수유동을 차단하는 불투수층을
형성하지는 않았지만, 이 지역에 발달한 파쇄대와 더불어 연약지반을 형성한다.

둘째, 단층대에서의 유도분극 탐사의 적용을 통해 유도분극효과를 이용하여 단층대의 상태


(단층점토의 유무, 단층의 규모)를 유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전기비저항탐사에 비해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드는 유도분극 탐사는 대규모의 파쇄대


의 상태 파악에 적용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이다.

다. 석회암지역에서의 지질구조 파악.


신선한 석회암은 높은 밀도와 비저항값의 분포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실험치들은 야외
조사에서 실제 적용하기가 힘들다. 이는 앞서 언급했듯이 환경 혹은 조건에 따라 물성값들은
넓은 분포값을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물성값들을 이용한 석회암 지역에서의 물리탐
사 표준화를 이루기는 매우 어렵기 때문에 석회암지역에서도 결정질암지역과 마찬가지로 조사
대상에 따른 물리탐사기법의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석회암은 지하수에 이산화탄소가 녹아 있으면, 화학반응을 보여 용해되어 지하수에 함유되
고 지하에는 공동이 형성된다. 또한 돌리네, 라피에, 테라로사 등 석회암 지역에서만의 독특한
지질환경을 형성하기도 한다. 요즘의 석회암 지역에서의 물리탐사 기법의 주류는 이러한 공동
과 같은 석회암 지질구조의 파악에 목적이 있다. 기존 조사자료의 분석 결과, 석회암 지역에서
의 물리탐사기법은 대부분이 탄성파탐사, 전기비저항탐사, GPR 탐사 등이 주로 이용 되었으
며, 2가지 이상의 물성치를 파악하여 이를 연계 해석함으로써,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특히,

- 269 -
공동과 같은 구조는 공동이 지하수나 혹은 다른 충진물질에 충진되어 있는 경우, GPR 탐사나
탄성파 탐사만으로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1) 석회암 지역의 기반암 심도 파악


이 연구의 목적은 석회암 지역에서의 기반암의 심도를 파악하는데 있다. 그러나 이 지역이
평창강 충적층으로서, 기반암인 석회암 상부를 하상퇴적물이 퇴적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에
서는 일반적인 충적층에서 기반암의 심도를 파악할 때 널리 쓰이는 전기비저항탐사법과 탄성
파 탐사법을 적용하여 보았다. 또한 탄성파 탐사 시 이미 시추조사를 통해 기반암인 석회암의
심도가 그다지 깊지 않고, 지하수면을 굴절법 탄성파 탐사를 통해 확인해 보려는 목적으로 수
진기의 간격을 1m 와 3m 로 하여 천부의 분해능을 높이고자 하였다.

Fig 3-9-17 Geophysical survey area.

(가) 물리탐사 자료 획득
조사지역을 흐르는 평창강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기반암의 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측선
방향을 평창강과 거의 수직된 N38°E로 설정하였다. 측점간의 거리는 20m이며, 총 8개의 측
점에서 전기비저항 수직탐사를 수행하였다(Fig 3-9-17). 코아검층(core logging)이 실시된 시추
공은 시작측점(#1)으로부터 남서 방향으로 10m 지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Fig 3-9-17 에서 검
은색 원으로 표시하였다.
전기비저항 측점을 따라 측점#1을 첫 번째 수진기로 하여 굴절법 탄성파 탐사를 실시하였
다. 탄성파 탐사시 측정기기는 일본 OYO사의 McSEIS-SX를 사용하였으며, 천부의 자료를 얻
기 위해 3m 간격으로 배열한 24개의 수진기(Geophone)를 이용하여 자료를 획득하였다. 각
측선마다 정방향 원거리 송신원(Forward Far Shot), 정방향 근거리 송신원(Forward Near Shot),
중앙 송신원(Center Shot), 역방향 근거리 송신원(Reverse Near Shot), 역방향 원거리 송신원
(Reverse Far Shot)을 발생시켜 한 측선당 5개의 기록을 얻었으며, 송신원으로는 햄머를 사용
하여 자료를 획득하였다. 그리고 5개의 송신 점에서 획득된 자료에서 초동시간을 발췌한 후

- 270 -
역산을 수행하여 측선하부 지반에 대한 탄성파속도를 구하였다. 역산은 파선추적법과 SILT법
을 기반으로 한 주시 토모그래피 역산기법을 사용하였다.

(나) 물리탐사 자료 해석
Fig 3-9-18 은 시추공과 10m 떨어져 있는 측점#1에서 수행한 전기비저항탐사 자료에 대한
역산(inversion) 결과이다. 기호○은 측정자료를 나타내고 가는 실선은 비선형 최소자승법
(non-linear least square)을 이용한 역산에 의해 측점 하부의 지전기적 물성구조(굵은 실선)로부
터 계산된 이론적 겉보기 전기비저항 곡선을 나타낸다. 측점#1에서 실시된 전기비저항탐사의
최대 가탐심도(70)까지의 지전기적 구조는 5개의 층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기비저항 값이
4,000Ohm-m 이상인 제5층은 기반암을 이루는 석회암으로 해석되며, 1,000Ohm-m 이하의
전기비저항 값을 갖는 심도 약 5m까지의 층은 하상퇴적층으로 판단된다. 하상퇴적층의 전기
비저항 값의 변화는 하상퇴적물의 종류 및 입도 그리고 지하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로써,
제4층의 전기비저항 값이 다른 1, 2, 3층의 하상퇴적층에 비하여 매우 낮은 것은 제4층이 물
에 포화된 하상퇴적물이기 때문이며, 제 1, 2, 3층들간의 전기비저항 값의 차이는 하상퇴적물
을 구성하고 있는 퇴적물의 광물성분과 입도 등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조사지역의 지질매체에 대한 구조를 지전기적 층서구조로 가정하여 수행한 전기비저항 수
직탐사의 적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탐사 자료의 역산 결과와 코아검층에서 얻은
결과를 Fig 3-9-19 에 함께 도시하였다. 시추에 의해 확인된 지하수면의 깊이는 2.7m로서 물
리탐사에 의해 해석된 지하수면의 깊이(3.2m)와 근소한 차이(0.5m)를 보이고 있다. 또한,
시추조사에 의해 확인된 기반암인 석회암까지 심도(4.8m)는 물리탐사에 의해 해석된 기반암
심도인 5.6m와는 0.8m의 차이를 갖고 비교적 잘 일치한다. 그러므로 물리탐사 결과와 코아
검층과의 비교결과에 따라 이 조사지역에서 지질매체의 구조를 1차원 층서구조로 가정하여 선
택한 전기비저항 수직탐사가 매우 효율적임을 입증할 수 있다.

Fig 3-9-18 Inversion result of DC resistivity data measured at #1.

- 271 -
Fig 3-9-19 Comparison of DC inversion result with core logging data.

총 8개의 측점에서 수행한 전기비저항탐사로부터 측선 하부에 분포하는 기반암의 심도분포


단면도를 작성하면 Fig 3-9-20 과 같다. 단면도에서 알 수 있듯이 영월읍 북쌍리 남한강 유역
에서 하상퇴적층에 대한 전기비저항 값은 일반적으로 1,000 이하이며, 하상퇴적층의 두께는
약 5m 내외로서 이 지역을 흐르는 평창강을 중심으로 비교적 일정하게 분포되어 있다.

Fig 3-9-20 Geo-electric section obtained with DC resistivity inversion.

Fig 3-9-21 은 전기비저항 수직탐사의 측점과 같은 방향과 위치에서 측정한 굴절법 탄성파
탐사 자료의 역산결과이다. 4개의 속도 층으로 나누어 속도단면을 나타내었다. 우선 이 지역
의 기반암인 석회암의 속도는 지하수로 포화되어 있어도 2km/s 이상일 것으로 판단된다.
2km/s의 속도가 기반암의 경계라 판단할 때, 조사 측선은 3~8m깊이의 기반암 심도를 갖
는다. 이와 같은 수치는 Fig 3-9-20 의 전기단면상의 저비저항과 고비저항의 경계와 유사한 경
향을 갖는다. 또한 이 측선에서 일반적으로 물의 속도를 1.5km/s로 간주하여(지반환경물리탐
사, 손호웅 외, 1999, 시그마프레스, p.21, 28) 이 속도 경계가 지하수면 경계라고 판단되어

- 272 -
경계를 나눈 결과, 대략 2~3.5m 깊이를 보이다. 이 또한 Fig 3-9-19 의 시추결과 지하수면과
유사한 깊이를 보이고 있다.

Fig 3-9-21 Inversion Result of seismic reflection data.

(다) 결과
석회암 지역에서의 기반암의 심도 파악을 위해 연구지역에서의 현장물리탐사기법의 적용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석회암 지역은 석회암 지역만이 가지는 지질구조들이 존재하며, 물리탐사의 목적이
이러한 지질구조의 파악에 있다면, 전기비저항탐사, 탄성파 탐사, GPR 탐사가 유용하다.

둘째, 석회암 지역에서의 기반암 심도 파악을 위한 물리탐사기법은 전기비저항탐사와 물리


탐사만으로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라. 다공질 화산암지역에서의 지질구조 파악


제주도는 하부로 갈수록 수직적인 변화가 너무 커서 지표지질만으로는 지하의 지질구성을
전혀 예상할 수 없다. 제주도의 지표지질의 해석은 지하로의 연장성과 변화뿐만 아니라 화산
지형과 연관시켜 해석해야 하는데, 이는 지표지질이 각각의 지역에서 최후기에 분출된 화산암
류로 구성되어 있고 화산암의 분출지로부터 낮은 위치로 흘러 내려간 흔적을 따라 암석 경계
를 보이고 있어서 화산지형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하부의 지질을 파악하기 위한 물리탐사 기법들이 적용되어 왔으며, 광역적
인 지질구조의 조사에는 밀도, 대자율을 이용하는 중력, 자력 탐사들이 이용되었으며, 지하수
탐사를 위해서는 전기비저항탐사 및 전자탐사 기술들이 적용되었다.

(1) 다공질 화산암내 지질구조의 파악

- 273 -
연구지역은 제주도 북제주군 애월읍 일대로서, 천부에는 현무암류가 주로 분포하고 있다.
조사의 목적은 연구지역에 삼각형으로 위치하는 금오름과 정물오름 그리고 누운오름의 사이에
서 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 2차원 탐사를 실시하여 지표지질조사에 드러나지 않는 지질구조의
파악에 있다.
연구지역에서는 정현기 등(1999, 한국자원연구소)이 휴대용심부 전기탐사 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현장 심부 물리탐사를 실시하여 누운오름에서 북동쪽으로 심부에 대규모의 전기비저
항 이상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쌍극자 배열 전기비저항탐사법과 슐럼버져 배열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그리
고 굴절법 탄성파 탐사를 실시하여, 전기비저항 이상대의 분포와 다공질 화산암 지역에서의
전기비저항탐사와 탄성파 탐사의 적요의 효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Fig 3-9-22 는 조사지역의 위치는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에서 조사지역의 중앙세 금오름이 위
치하고 있으며, 금오름을 중심으로 남동쪽으로 정물오름이 북동쪽으로는 누운오름이 위치하고
있다. 전기비저항탐사의 측선은 현장의 탐사 여건 등을 고려하여 오름과 오름사이에 설정하였
으며, 탄성파 탐사는 쌍극자 배열 전기비저항탐사 측선 Line 1의 중앙이 굴절법 탄성파 탐사
의 1번째 측선의 중앙이 되도록 설정하여 굴절법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였다.

Fig 3-9-22. Survey area.

(가) 물리탐사 자료 획득
오름사이의 지하 하부 지질구조의 파악을 위하여 측선 방향을 오름과 오름사이를 관통하도
록 배열하였다. 측점간의 거리는 20m이며, 총 10개의 측점에서 전기비저항 수직탐사를 수행
하였다. 전기비저항 측선 Line1을 따라 측선의 중앙이 첫 번째 측선의 중앙이 되도록 설정하
여 굴절법 탄성파 탐사를 실시하였다. 탄성파 탐사시 측정기기는 일본 OYO사의 McSEIS-SX를
사용하였으며, 천부의 자료를 얻기 위해 3m 간격으로 배열한 24개의 수진기(Geophone)를 3
번 이동하여 자료를 획득하였다. 각 측선마다 정방향 원거리 송신원(Forward Far Shot), 정방

- 274 -
향 근거리 송신원(Forward Near Shot), 중앙 송신원(Center Shot), 역방향 근거리 송신원
(Reverse Near Shot), 역방향 원거리 송신원(Reverse Far Shot)을 발생시켜 한 측선당 5개의 기
록을 얻었으며, 송신원으로는 햄머를 사용하여 자료를 획득하였다. 그리고 5개의 송신 점에서
획득된 자료에서 초동시간을 발췌한 후 역산을 수행하여 측선하부 지반에 대한 탄성파속도를
구하였다. 역산은 파선추적법과 SILT법을 기반으로 한 주시 토모그래피 역산기법을 사용하였
다.

(나) 물리탐사 자료 해석
지역에서의 수행한 물리탐사 결과들은 다른 지질특성 지역과 다르게 전기비저항과 속도의
분포가 매우 불규칙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전기비저항 수직탐사들의 역산결과(Fig.
3-9-24)들을 전기비저항 2차원 탐사 역산결과(Fig3-9-23)와 비교해 볼 때, 각각의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측점 위치에서 전기비저항의 분포가 비교적 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ig
3-9-25 의 탄성파 속도층 단면에서도 Fig 3-9-23 의 line 1의 전기비저항 단면도상의 14번에 나
타나는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와 같은 위치에서 속도의 감쇄구간이 나타나고 있다. 탄성파의
속도의 분포는 전구간에 걸쳐 2km/s를 넘지 않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측선의 하부가 현무암
이 아닌 퇴적층일 가능성 내지는 지질구조의 영향에 의한 가능성이 있다.(현무암의 현장 탐성
파 속도 3.5~5.5 km/s: 물리탐사 실무지침,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특히 Line 1의 10번과
Line 2의 17번에 나타나는 심부까지 발달한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는 지질학적으로 어떠한
원인에 의한 것인지는 정확히 설명할 수 없으나 적어도 수직에 가까운 구조선이나 암상경계의
존재일 가능성이 높다.

Fig 3-9-23 DC inversion results along the survey lines of Line1, 2, 3.

- 275 -
측점 1 (s pot 1) 측점 2 ( s pot 2)

10000 10000

Resistivity [ohm-m]
Resistivity [ohm-m]

1000 1000

100 100
0.1 1.0 10.0 100.0 0.1 1.0 10.0 100.0
Current Distance [m] Current Distance [m]

측점 3 (s pot 3) 측점 4 ( s pot 4)

10000 10000
Resistivity [ohm-m]
Resistivity [ohm-m]

1000

100 1000

10

1 100
0.1 1.0 10.0 100.0 0.1 1.0 10.0 100.0
Current Distance [m] Current Distance [m]

측 점 5 (s p o t 5 )

10000
Resistivity [ohm-m]

1000
0.1 1.0 10.0 100.0

Current D istance [m]

Fig 3-9-24 Inversion results of DC resistivity data at #1, #2, #3, #4, #5.

- 276 -
Fig 3-9-25 Inversion Result of seismic reflection data.

(다) 결론
제주도 지역에서의 지질구조 파악을 위한 물리탐사 기법의 적용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
을 얻었다.

첫째, 조사된 전기비저항 2차원 탐사의 측선 하부에는 불규칙한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가


관찰된다. 그러나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굴절법 탄성파 탐사의 결과들과 비교시 탐사의 역산결
과들은 비교적 잘 일치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낮은 이상대들은 대규모의 지질구조대의 영향
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나, 지질학적으로 어떠한 원인에 의한 것인지는 정확히 설명할 수 없다.

둘째, 제주도 지역과 같은 다공질 화산암 지역은 지질의 수직적인 변화가 매우 크다. 따라
서 심부 전자탐사와 같은 깊은 가탐심도를 갖는 물리탐사 법의 적용이 매우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지역에서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물리적 성질을 이용한 탐사법을 적용하여
서로 연계해석을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2. 요소기술 개발

지질특성별 물리탐사기법의 표준화를 위한 요소기술로 지하지질구조의 공간적 파악을 위한


3차원 물리탐사기술과 EM 전자잡음하의 TEM 탐사기술 및 다채널 수위 측정시스템을 개발하
였다.

가. 지하 지질구조의 공간적 파악을 위한 3차원 물리탐사기술의 적용.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법이 시험 적용된 지역은 경기도 화성군 석정리이다. 이 지역은 해수
에 의해 오염된 지역으로 해수의 오염분포지역의 파악과 불연속면의 공간적인 분포를 파악하

- 277 -
기 위하여, 이상규 등(2000)과 황학수 등(2000)에 의해 전기비저항 1차원 탐사, 전기비저항
2차원탐사가 병행 수행된 지역이다.
연구 지역의 지질은 대체로 선캠브리아대의 편마암과 이를 피복하고 있는 4기의 충적층으
로 구성되어 있다. 편마암은 주로 중립질에서 세립질의 흑운모편마암과 호상편마암으로 구성
되어 있으며 편암과의 접촉면에서 점진적으로 변한다(이병주 외, 1993). 충적층은 해안과 하
천을 주위로 퇴적되어 있고 퇴적물은 대개 점토와 진흙, 그리고 부분적으로 모래와 자갈로 구
성되어 있으며, 기반암과의 깊이는 10~30m정도로 추정된다. 시추코아 자료에 의하면 대략
지표에서부터 2~3m까지의 모래와 자갈의 표층을 지나 10m정도까지 청회색의 진흙층이, 그
리고 그 이하 20m부근의 기반암 상층부까지는 이의 풍화산물로 보이는 황토색의 모래층이 존
재함을 보여준다.

(1) 물리탐사 자료획득


이상규 등(2000)에 의해 측정된 전기비저항 1차원탐사의 경우, 전체적으로 정밀조사지역
(Fig 3-9-26) 내에서 격자망을 형성하도록 총 41개 측점(정밀조사지역의 지형도상 ○으로 표
시)을 설정하였다. 황학수 등(2000)에 의해 수행한 전기비저항 1차원탐사는 조사지역 내에서
해수침투에 의한 염수화 영역 파악을 탐사의 목적으로 하며, 배열방법으로는 슐럼버져 배열을
사용하였다. 각 측점에서 탐사의 목적심도가 50m 이상이 되도록 최대 전류전극간 거리의 반
을 100~150m까지 전개하였고, 모든 측점에서 전류전극의 전개방향은 N20°~30°W를 유지
하였다. 또한, 이상규 등(2000)은 전기비저항 수직탐사와 더불어 조사지역의 2차원 전기비저
항 분포, 즉 해수침투의 우세한 통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2개의 측선(Fig 3-9-26)에서 굵은 점
선으로 표시한 측선 DP1과 DP2) 상에서 쌍극자-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 2차원탐사를 실시하였
다. 조사지역의 남서경계면과 접하는, 즉 구 해안선을 따라 설정한 측선 DP1은 측선거리와 측
선방향은 각각 1000m와 남동방향이며, 구해안선으로부터 내륙으로 약 320m되는 곳에서 측
선 DP1과 평행하게 설정한 측선 DP2의 측정거리는 780 m이다. 자료측정시 사용한 전극간
거리와 전극전개수는 각각 20m와 10m이며, 측정은 남동방향에서 북서방향으로 수행하였다.
기 수행된 자료를 토대로 2차원 탐사결과 파쇄대로 유추되는 낮은 비저항 이상대의 위치에
서 전기비저항 3차원 탐사를 수행하였다.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에 사용된 기기는 미국 ABEM
사의 SAS4000 이며, 배열 방법은 pole-pole배열이고, 전극간 간격은 10m로 하였다. Fig. 3-2-27
은 측점의 배열순서와 측정방법에 대한 모식도로서, 본 탐사에서는 하나의 전류전극에 대하여
모든 전위전극에 대한 반응을 측정한 것이 아니라 전류전극의 대각선에 위치한 전위전극의 반
응만을 측정하여 자료측정 시간을 8배 이상 단축하였다. 측점배열에 대한 모식도에서 전극 34
와 26을 해석된 파쇄대의 직상부에 위치시키고 전극 64 와 전극 8을 파쇄대로부터 각각 북서
그리고 북동방향에 설정하였다.
3차원 전기비저항탐사에 사용된 배열은 pole-pole 배열이며, 전극 간격은 10m 이며, 하나
의 전류전극에 대해 모든 전위전극을 측정하였다.

- 278 -
Fig 3-9-26 Geophysical survey map (from Fig 3-9-27 The location of potential electrodes
Lee et al., 2000). corresponding to a single current electrode.

(2) 물리탐사 자료해석


Fig 3-9-28 은 조사지역 내에 설정한 총 41개의 측점에서 수행한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자료
의 역산(inversion)을 통하여 얻어진 전기비저항 분포도이다. 분포도 작성에 사용한 값은 각 측
점에서 해석된 지전기적 층서구조에서 가장 낮은 전기비저항을 갖는 층의 전기비저항값으로
서, 그 범위는 2~250 ohm-m이다.

Fig 3-9-28 Horizontal distribution of lowest resistivity obtained with DC


inversion at each station. (from Lee et. al., 2000)

- 279 -
전기비저항 분포도에서 인지된 구 해안선에서 북동방향의 낮은 전기비저항대의 수직 연장
성과 점토층 하부에 존재하는 편마암 내의 파쇄대 유무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한 쌍극자-쌍
극자배열 전기비저항 2차원 탐사의 역산결과를 Fig 3-9-29 에 도시하였다. 역산에 의해 도출된
측선 DP1의 2차원 지전기적 단면도(상부 그림)에서 측선의 중앙부(측점 24~49)에 30
ohm-m 이하의 낮은 전기비저항이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측점 28~34에서는 15 ohm-m
이하의 매우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가 지하 80m까지 연장되어 나타나고 있다. 시작 측점으
로부터 측점 20까지, 즉 측선의 남동부에는 100 ohm-m 이상의 상대적으로 높은 전기비저항
이 분포하고 있다. 이 같은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의 결과는 Fig 3-9-29 의 전기비저항 분포도
결과와 매우 잘 일치한다. 예로서, 전기비저항 수직탐사 측점 stn 35에서부터 북서방향의 측점
stn 2까지가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에서 30 ohm-m이하의 낮은 전기비저항을 나타내는 부분에
해당된다.
따라서 전기비저항 2차원 탐사의 결과를 토대로, 암반내의 파쇄대의 존재할 것으로 판단되
는 측선 DP2상의 이상대에서 전기비저항 3차원 탐사를 수행한 측정위치도 및 결과도면은 각
각 Fig 3-9-31 과 Fig 3-9-32 이다. Fig 3-9-32 의 심도 15.1m~21.3m의 전기비저항 분포도
상에서 상부(Y좌표의 범위가 -10m~-35m)에 분포하는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가 암반내에
발달한 파쇄대이며,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에서는 알 수 없는 파쇄대의 발달 방향(지하 심부로
갈수록 Y축의 음의 방향으로 경사)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3-9-29 Resistivity sections along DP1 and DP2 (from Lee et al., 200).

- 280 -
Fig 3-9-30 3-D DC survey map and .Resistivity sections along DP2.

Fig 3-9-31 Horizontal section of the true resistivity at various depths.

- 281 -
나. TEM 탐사기술 확보 및 다채널 동시 수위/수질측정시스템 개발

(1) 연구개발 개요
이 연구는 지질특성별 물리탐사 표준화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로서 그 목적은 EM 전자잡음
하의 TEM 탐사기술 확보 및 다채널 동시 수위/수질측정시스템 개발이다. 국내 탐사환경에 적
합한 전자탐사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양질의 측정자료 획득을 위해 가탐심도의 증가와 송신신
호 증가 그리고 전자잡음 최소화 기술 개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중 전자공학적인 한계
로 인해 개발이 어려움이 있는 송신신호의 문제는 제외하고, 양질의 측정자료의 획득과 전자
잡음의 최소화기술 개발을 위해 전자탐사를 포함한 다목적 시계열 측정시스템과 전자잡음 필
터를 개발하고, 이를 천부/심부 TEM 탐사에 적용하고자 한다.
지하수 유동을 포함한 지하수 오염거동의 공간적 평가를 위해서는 수위/수질의 측정이 무
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수시/수위 측정시스템의 대부분은 외국의 장비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외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동시 다채널 다기능 측정시스템의 국내 개발
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TEM 측정시스템과 동일한 측정 하드웨어를 이용하고, 수위/수질 측
정 센서를 개발하여 지하수 유동을 포함한 지하수 오염거동의 공간적 평가기술에 적용하고자
한다.

다. 측정시스템의의 하드웨어 구성
TEM 탐사 시스템과 동시 다채널 수위측정 시스템은 동일한 측정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자
료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된 하드웨어는 전자계측시스템인 National Instruments 사
의 PXI 시스템을 이용하였다. PXI 시스템은 각각의 측정센서 및 루프에서 얻은 아날로그 신호
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얻은 데이터를 수집, 저장,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의
특징은 과거 PC와 분리되었던 AD 변환기가 PC와 일체형으로 되어 작업의 처리속도의 획기적
인 향상을 가져 왔다. 또한 데이터 신호의 수집과, 저장, 처리 과정이 각각의 독립적이었던 과
거에 비해 통합 일괄처리 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동시에 자료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측정시스템의 기본창치는 PXI(The PCI eXtensions for Instrumentation)플랫폼을 이용하였다.
PXI는 Compact PCI(The high-speed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에 원도우 운영시스템과 통
합된 트리거링을 결합하여 사용자들이 적은 시간 안에 많은 일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
다.
Fig 3-9-32 의 (a) PXI-1020으로서 측정시스템 장치의 기본 샷시이다. PXI-1020은 PC의 모
니터, 키보드, 마우스, 전원과 같은 입출력의 기능과 전원의 공급과 차단의 기능을 가지고 있
다. 또한 PXI DAQ 모듈용 엑세스 슬롯을 전면에 8개를 보유하고 있어, 필요에 따라 PXI
DAQ모듈을 장착 또는 추가 할 수 있다. 또한 전면에 LCD 및 포인트 장치를 완비하고 있어,
현장에서 사용 시 편의성을 증대하였다.
Fig 3-9-32 의 (b)는 PXI-1020 플랫폼의 컨트롤러인 NI 8171이다. NI 8171은 PC의 메인
본체와 같은 역할을 하며, 원도우 운영체제(Window 2000)하의 LabView기반의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자료의 수집, 저장, 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 282 -
(a) (b)

(c) (d)
Fig 3-9-32 The photo of hardware system (a)Flexible Instrument Chassis for PXI (PXI-1020) (b)
Pentium Ⅲ Embedded Controllers for PXI-1020 (c) 8-Channel Dynamic Signal Acquisition(NI 4472
DSA) (d) DAQ module NI-PXI 6115.

신호 수집을 위한 모듈로는 NI-4472 DSA(Dynamic Signal Acquisition Devices) 모듈과


NI-PXI 6115 모듈을 사용하였으며(Fig 3-9-32(c), Fig 3-9-32(d))), NI-4472 DSA모듈의 특징은
8개의 동시 샘플링을 위한 아날로그 입력 채널을 가지고 있으며, 24비트의 해상도와, 120
dB의 동적범위, 그리고 102.4kS/s 의 최대 샘플링 속도와 45kHz의 앨리어스 없는 대역폭
을 가지고 있으며, 아날로그와 디지털 트리거를 지원한다. NI-PXI 6115 모듈은 4개의 채널을
동시에 샘플링을 할수 있으며, 채널당 최대 10Ms/S 의 샘플링 속도로 샘플링을 할수 있다.
PXI-1020 샷시의 8개의 전면-엑세스 슬롯에 설치하는 NI-4472 DSA는 총 8개의 모듈까지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이 모듈의 특징 중의 하나는 각 채널에서 10mA의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기본적인 측정 소스로 활용할 수 있다.

라. 전자잡음하의 TEM 측정 시스템 개발

(가) 잡음제거 필터개발에 대한 기존자료수집 및 비교검토


국내 탐사환경에 적합한 전자탐사 기술 개발을 위해서는 양질의 측정자료 획득을 위해 가
탐심도의 증가와 송신신호 증가 그리고 전자잡음 최소화 기술 개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중 전자공학적인 한계로 인해 개발이 어려움이 있는 송신신호의 문제는 제외하고, 양질의
측정자료의 획득과 전자잡음의 최소화기술 개발을 위해 전자탐사를 포함한 다목적 시계열 측
정시스템(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포함)과 전자잡음 필터를 개발하고, 이를 물리탐사법인 TEM
탐사에 적용하고자 한다.
전자잡음 필터를 개발하기 전에 수행한 것이 잡음제거 필터개발에 대한 기존의 연구자료를

- 283 -
수집하고 이를 비교 검토하였다.
전도성 광물탐사에 주로 사용된 시간영역 전자탐사(TEM: Time-domain or Transient
ElectroMagnetic) 방법의 활용도는 현재 지질구조 Mapping, 지하수 그리고 환경오염문제까지 그
적용영역을 확대해가고 있다.
시간영역 전자파탐사 방법은 광대역(10-2~105Hz)스펙트럼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공적인
또는 자연발생적인 전자기 잡음에 영향을 받는다. 이와 같은 인공적, 자연적 전자기잡음들의
특성과 제거방법에 대해서는 많은 논문에 자세히 언급되어 있다. 이 중 자료의 취득과 처리
과정 그리고 역산과정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기술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황학수, 이상규(1997)는 이동하면서 측정할 수 있는 시간영역전자탐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센서흔들림 유도잡음 제거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김양수, 황학수 등(1997)은 천부
층서구조 조사를 위한 고분해능 시간영역전자탐사와 직류전기비저항탐사 모델링연구를 통해
초기지연시간대의 전자잡음을 보이는 초기 지연시간대의 비저항을 역산 시 고정함으로서 초기
지연시간대의 전자잡음을 제거하였다.

① 시간영역전자탐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센서흔들림 유도잡음 제거를 위한 연구


지표 고정 전자탐사의 경우와 달리 송수신부 이동 시간영역 전자탐사에서, 탐사대상체에
대한 전자기(EM: ElectroMagnetic)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전자기잡음 중의 하나는 지자장
내에서 수신코일의 움직임에 의해 야기되는 잡음이다. 이러한 잡음을 이 연구에서는 센서흔들
림유도잡음(Coil Motion-induced Noise)이라 명명하였으며, 항공전자탐사에서는 이를microphonic
잡음이라고도 부른다.
황학수, 이상규(1997)는 이동하면서 측정할 수 있는 시간영역전자탐사 시스템 개발을 위
한 센서흔들림 유도잡음 제거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내용은 수신코일의 움직임에 의
해 야기되는 잡음제거를 위해 시간영역 유도분극탐사(IP: Induced Polarisation) 시스템에 사용되
는 Halverson stacking을 적용하였다. 또한, 송신신호 없이 측정된 3성분 전자기파 시계열과 컴
퓨터 모델링을 통하여 얻어진 감쇠곡선을 이용하여 시뮬래이트된 가상 현장자료, 그리고 가상
현장자료의 TEM역산 결과를 통하여 그 효능을 검토하였다.
Fig 3-9-33 의 (a)는 송신신호 없이 수신기를 지표에 고정시키고 측정한 전자기잡음의 수직
성분 시계열과 그의 파워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수신기로는 호주 CSIRO에서 개발한 3성
분 Roving Vector Receiver (RVR-3C)을 사용하였다. RVR-3C의 수신면적은 성분별로 각각
100002이며 자료취득시스템의 analogue-to-digital converter (ADC)로는 초당 최대 1샘플까지 측
정할 수 있는 national instrument의EISA 2000A를 사용하였는데 자료취득시의 sample rate는
250kHz 이었다. 시계열에 나타나는 스파이크 형태의 파형은 공중전기(sferics)에 의한 전자기
잡음으로, 이와 같은 고주파수 공중전기에 의해 기여되는 스펙트럴 파워의 주파수영역은 대략
5~50 kHz로 보고되었다(Hwang, 1995; 황학수이상규, 1996). 시계열에서 보이는 배경잡음
의 대부분은 44의 VLF신호이며, 자료취득 시스템의 전자적 잡음수준은 125이내의 주파수영
역에서 약 -1052이다(Fig 3-9-33(a) 의 하부그림).
Fig 3-9-33 의 (b)는 수신기를 빠른 걸음(6km/hour)으로 이동시키며 측정한 전자기잡음의
수직성분 시계열과 그의 파워스펙트럼을 보인 것인데 저주파수의 센서흔들림유도잡음을 확인

- 284 -
할 수 있다. 센서흔들림에 의해 유도된 잡음의 진폭은 대략 200로서 Fig 3-9-33 의 시계열(공
중전기의 진폭은 30과 비교하여 잡음의 진폭이 약 70배 이상 증가하였다. 고정된 수신센서로
측정한 전자기잡음의 파워스펙트럼(Fig 3-9-33) 와 비교하여 센서흔들림 유도잡음에 의해 기여
되는 주파수대역은 약 700이하로 저주파수대역으로 갈수록 센서흔들림 유도잡음의 스펙트럴
파워는 현저하게 증가한다. 예로서, 200에서 센서흔들림 유도잡음이 있을 경우와 없을 경우의
스펙트럴 에너지는 각각 -902와 -1052이며, 주파수 100에서는 각각 -702와 -1052이다.

V e rtic a l-c o m p o n e n t T im e S e rie s


0.20
V ertica l-com ponent T im e S eries
0.15 0.04
0.10 0.03
0.05 0.02
0.00 0.01
-0.05
0.00
-0.10
-0.01
-0.15
-0.20 -0.02

-0.25 -0.03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0.04
V e rtic a l U n it : V o lts Ho riz o n ta l U n it : m s e c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500
V ertica l Unit : V olts Horiz onta l Unit : m s ec
V e rtic a l-c o m p o n e n t P o w e r S p e c tru m
-60
V ertica l-com ponent P ow er S pectrum
-70 -40
-80
-90 -60
-100
-80
-110
-120 -100
-130
-140 -120
-150
-140
-160
100 1000 10000 100000 1000000
-160
V e rtic a l U n it : d B V rm s ^2 Ho riz o n ta l U n it : Hz 1 10 100 1000 10000 100000
V ertica l Unit : dBV rm s ^2 Horiz ontal Unit : Hz

F ig . 2 V e rtic a l-c o m p o n e n t tim e s e rie s a n d p o w e r s p e c tru m o f E M n o is e


m e a s u re d w ith a m o v in g s e n s o r. Fig. 1 V ertical-com ponent tim e s eries a nd pow er s pectrum of E M nois e
m eas ured w ith a s ens or fix ed on the ground.

(a) (b)
Fig 3-9-33 (a) Vertical component time series and power spectrum of EM noise measured with a
sensor fixed on the ground, (b) ertical component time series and power spectrum of EM noise
measured with a sensor moving on the ground.

주로 Halverson stacking은 시간영역 IP(Induced Polarisation)방법에서 측정자료들의 DC offsets


과 linear drift를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신호처리 방법(J.E.E. Kingman, 1995)으로서, 알고리
즘은 송신신호의 1과 1/2주기에 그 기본 바탕을 두고 linear drift를 추정하는 것이다.
광범위한 천부 지질구조 조사 또는 천부 환경오염조사를 위한 시간영역전자탐사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매우 이른 지연시간대(예, 수 ㎲ec~수백㎲ec)를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지연시간 범위에서는 센서의 흔들림에 의해 야기되는 전자기잡음의 시간적인 변화는 선
형이라는 가정을 하였다. 500번의 Halverson stack과 Halverson stack후 일반적으로 후기 지연시
간에서의 자료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적용하는 windowing의 결과들을 비교하여 센서흔들림에 의
해 야기된 저주파수의 잡음(즉, 이 연구에서는 linear drift로 가정)이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Halverson stacking의 성능을 검토하기 위해 TEM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사용된 TEM자료는
Grendl (Raiche et al., 1985)을 이용하여 지하 2층구조 모델 500-20-10으로부터 계산되었다.
여기서 500은 첫째층의 비저항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는 Ohm-m이고, 20은 둘째 층의 비저

- 285 -
항이며, 그리고 10은 첫층의 두께로서 단위는 m이다. 이와 같은 컴퓨터 모델링에 사용된
TEM배열은 in배열로 수신면적은 10000㎡, 송신면적을 20㎡ 그리고 송신전류는 3A 를 가정
하였다.
Fig 3-9-34 의 (a)는 컴퓨터 모델링을 통하여 산출된 잡음이 전혀 없는(noise-free) 감쇠곡선
를 센서흔들림잡음을 함유한 전자잡음 시계열에 500 번의 Halverson stacking과 windowing을
적용하여 얻은 시계열을 더하여 만든 필터된 감쇠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Noise-free 감쇠곡선과
필터된 감쇠곡선들이 500sec내의 지연시간대에서 거의 서로 일치함을 보였다.
Fig 3-9-34의 (b)는 Grendl (Raiche et al., 1985)을 이용한 필터된 감쇠곡선에 대한 TEM역산
의 예로서 2층구조 역산을 위해 초기모델은 500그리고 3층구조 역산을 위한 초기모델은
500-500-500-50-50인 homogeneous half를 사용하였다. 초기모델의 비저항을 실제모델의 첫
층의 비저항과 같은 500로 사용한 이유는 김양수 등(1997)에 의해 보고된 연구결과에 기인
하였다. 김양수 등(1997)의 결과에 의하면 첫 층의 비저항을 알 수 있을 정도의 매우 작은
전류전극 간격에서 측정한 DC의 외견비저항값으로 첫 층의 비저항값을 고정하고 TEM역산을
수행할 경우 매우 정확한 지하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2층구조의 역산결과는 실제
모델과의 비교하여 5% 이내의 오차를 갖고 실제모델과 일치함을 보였다. 3층구조의 초기모델
이 사용된 경우에도 첫 층의 두께와 둘째 층의 비저항을 2층구조의 초기모델의 경우와 같이
매우 좋은 분해능을 보였으나, "역산을 통하여 얻어진 모델이 얼마나 잘 필드자료를 표현하는
가?"의 지표인 표준오차(standard error) 그리고 "과연 몇개의 층이 최적의 모델인가?"를 나타내
는 APRE(Average Predicted Residual Error) 값들이 가상의 세 번째 층의 삽입으로 2층 구조 역
산과 비교하여 증가하였다.

Comparison of the Filtered Transient with Comparis on of the true model with TEM invers ion res ults

15
the Noise-free Transient Resistivity [Ohm-m]
10 100 1000
1
12
Asinh(TEM Responses

Noise-free
[Micro-V/A])

9 Filtered
10
6
Depth [m]

3 초기모델
실제모델
100 2층구조
0

-3
0.0 0.2 0.4 0.6 0.8 1.0 1000
Delay Time [msec]

(a) (b)
Fig 3-9-34 (a) Comparison of the filtered transient with the noise-free transient. (b) Comparison of
the TEM inversion results obtained with the filtered transient with the true model.

② 초기 지연시간대의 잡음 제거를 위한 필터 기법 개발을 위한 천부 층서구조 조사를 위한


고분해능 시간영역전자탐사와 직류 전기비저항탐사 모델링
최근에 전기, 전자탐사를 포함한 대부분의 물리탐사 방법들은 점차 광물자원의 고갈, 지열
과 같은 심부자원 개발 그리고 그 동안의 광물자원의 개발에 의해 야기된 환경오염, 지하공간

- 286 -
등과 같은 인간생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의해 그 탐사방향이 극 심부의 물리탐사 기술개
발과 천부 고분해능 물리탐사 기술개발로 양극화되고 있다.
김양수, 황학수 등(1997)이 수행한 천부 층서구조 조사를 위한 고분해능 시간영역전자탐
사와 직류전기비저항탐사 모델링연구는 극천부 지질구조 조사, 지하 매설물 탐지, 골제자원탐
사 그리고 환경오염 mapping 등을 위한 고분해능 시간영역전자탐사(TEM: Transient
ElectroMagnetic) 기술개발의 기초적 단계로서 극천부범위(약 심도 1m에서 15m) 내에서 약 1
미터 정도의 얇은 층의 분해 가능성을 컴퓨터 모델링과 역산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에 사
용한 지하모델은 2, 3층의 층구조로서, 첫 층과 둘째 층간의 전기전도도 대비는 10~100범위
에 있으며, 첫 층의 두께는 1m에서 10m까지 1m의 간격으로 변화시켰다.
일반적으로, 첫 층의 두께가 3m 내외인 대부분의 지하구조에 대한 TEM자료의 역산결과는
그 실제 값과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첫 층의 비저항이 매우 높거나, 매우 낮은 경우에
TEM방법으로는 지하구조를 분해할 수 없었다. 2층구조의 경우, 같은 모델에 대한 DC모델링
자료 중 가장 작은 전류전극 간격(이 연구의 경우 1미터)의 자료를 사용한 TEM과 DC의 복합
역산들은 매우 좋은 분해능을 보였다. 그러나 3층 구조에 대한 TEM과 DC자료의 개별적 역산
과 DC자료 중 가장 작은 전류전극 간격자료와 TEM자료의 복합역산들은 지하구조에 대한 정
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했다. 전류전극 간격이 가장 작은 DC자료로부터 얻은 첫 층의 외견비
저항값으로 첫 층의 비저항을 고정하고 TEM역산을 수행할 경우에는 모든 2, 3층의 지하구조
에 대해 매우 정확한 결과를 산출했다.
이러한 기술은 첫 층을 대변하는 매우 이른 지연시간대의 전자잡음을 알고 있는 첫 층의
비저항으로 고정하여 줌으로써, 하부의 층들의 분해에 전자잡음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지
연시간대를 사용하여 알아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 TEM 측정 시스템 개발


TEM 측정 시스템은 앞 절에서 설명한 National Instruments 사의 PXI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
여 자료의 측정 하드웨어를 구성하였다. 측정 시스템에서는 2개의 채널에서 100KS/s 의 샘플
링 속도로 신호를 수집하며, 1번 채널에서는 Transmitter에서 송신 루프로 보내는 전류 파형을
Current Probe를 통해 Voltage 로 측정 하며, 2번 채널에서는 수신루프의 Voltage를 측정한다.
사용된 Transmitter는 호주 Geoinstrument 사의 ARTX Transmitter 이며 Transmitter 의 전류의 파
형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Current Probe 는 미국 Tektronix 사의 A622 이다. Fig 3-9-35 는
TEM 탐사 시스템의 모식도를 나타낸 그림이다.
TEM 탐사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전자잡음의 제거이다. 이를 위해 기존에 연구되었
던 잡음제거 기술의 비교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잡음 제거를 위한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현
재 개발된 TEM 탐사 시스템에서 연구중인 천부와 심부 탐사 시 잡음제거를 위한 필터링 기술
중 천부 탐사를 위한 잡음제거 기술 중의 하나는 첫 층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주는데 있다. 이
는 인덕티브 스파이크(inductive spike)를 보이는 초기 지연시간대를 인공적인 첫 층의 모형으
로 제거시킴으로서 역산 시 초기 지연시간대 보이는 초기시간대를 제외한 지연시간대를 이용
하여 천부의 지질의 전기비저항을 효과적으로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1MHz 대역의 저주파 통과 필터를 제작하여 TEM 심부 지하 구조 탐사 시 탐사 시스

- 287 -
템 하드웨어로 인한 유도 잡음과 주변 잡음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심부탐사 시 저주파
통과 필터 장착

Fig 3-9-35 Schematic diagrams fo TEM measurement system.

TEM측정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자료측정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사


용된 개발용 언어는 National Instrument사의 graphical 프로그램 언어인 LabView 이다. 이 같은
개발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선택은 프로그램과 PXI 와 같은 하드웨어와의 호환성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Fig 3-9-36 은 자료를 측정하기 위한 자료측정 어플리케이션의 주 원도우 화면이다.
자료측정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입력인자들이 있으며, 이들 입력인자를 통해 사용될 모듈, 채널,
샘플속도, 수집할 샘플의 수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인자들을 입력 후 원도우 상단의 툴바
(tool bar)중 화살표 버튼을 클릭하면 자료를 저장할 위치를 묻는 다이얼 로그 박스가 나타난
다. 파일이름을 입력 후, 측정이 시작되며 수집된 자료들은 2진수인 바이너리(binary)형태의
파일로 저장된다.
Fig 3-9-36 은 수집된 자료를 차트에 도시하고 Transmitter 의 on/off 시간에서의 측정된 자료
들을 중합(stacking)하여 얻은 감쇄 곡선의 자료를 Excel worksheet 파일로 저장하는 어플리케이
션의 원도우 화면이다. 원도우 상단의 툴바(tool bar)중 화살표 버튼을 클릭하면 측정된 자료의
위치를 묻는 다이얼로그 박스가 나타나며 자료를 선택하면 자료를 차트에 도시한 후, 저장할
위치를 묻는 다이얼로그 박스가 나타난다. 파일을 저장할 위치를 지정하고 나면 측정된 자료들
을 중합(stacking)하여 얻어진 감쇄곡선을 Excel worksheet 파일로 저장한다.
개발된 장비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야외에서 야외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지역은 한국
지질자원연구원 앞의 잔디밭이다. 측정에 사용된 측정 지연시간대는 SIROTEM MK3의 high
resolution series 윈도우 25 (0.008~1.709 msec)이다. 측정시 송신루프의 전류세기는 약 4A
이다. Fig 3-9-38 은 개발된 측정시스템의 사진이다.

- 288 -
Fig 3-9-36 Main window of the TEM Fig 3-9-37 Graphical window for a drawing
measurement application. measured data.

Fig 3-9-38 System configuration of TEM response measurement.

Fig 3-9-39 는 야외에서 실시한 실험을 통해 얻은 자료와 역산결과들을 차트에 나타낸 그림


이다. Fig 3-9-39 의 (a)는 측정시스템 채널1번에서 송신루프에서의 Current Probe를 통해 측정
된 전류의 파형을 나타낸 것이며, Fig 3-9-39 의 (b)는 측정시스템의 채널 2번에서 수신루프에
서 측정된 자료들을 나타낸 그림이다. Fig 3-9-39 의 (c)는 Transmitter의 off time에서 얻은 자료
들에 중합(stacking)을 실시한 후, 얻은 감쇠곡선을 나타낸 그림이며, Fig 3-9-39(d) 는 high res-
olution time series 에서의 감쇠곡선을 나타낸 그림이다. 감쇠곡선은 TEM 탐사에서 보여주는
감쇄곡선의 패턴을 보이고 있으며, 반응값(uV/I)또한 타 탐사 시스템과 유사한 값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 주변의 전자잡음으로부터 자유로운 야외 실험 지역을 선정하여 타 시스템과 함께
측정한 결과 값과 역산 값을 비교 하여 개발된 TEM 측정시스템의 타당성을 입증할 계획이다.
또한 잡음 제거를 위한 필터 기술을 적용하여 보다 양질의 자료를 얻는 연구를 수행 중에 있

- 289 -
다.

Current 0.01

3 0.008

0.006
2
0.004

1 0.002

Voltage(V)
Current(Amps)

0
0
-0.002

-1 -0.004

-0.006
-2
-0.008

-3 -0.01
0 5 10 15 20 25 30 35 0 5 10 15 20 25 30 35
Time(msec) Time(msec)

(a) (b)
1.00E+00 PXI measurment system

1.00E+04
1.00E-01

1.00E-02 1.00E+03
Voltage(V)

response(uV/I)

1.00E-03
1.00E+02

1.00E-04

1.00E+01
1.00E-05

1.00E-06 1.00E+00
0 1 2 3 4 5 6 0 1 2 3 4 5
Time(msec) Time(ms)

(c) (d)
Fig 3-9-39 Result of TEM survey.
(a)Current wave of Transmitter. (b)TEM response of Receiver. (c)Decay curve after stacking.
(d)Decay curve by measured PXI system in High resolution times series.

마. 다채널 동시 수위/수질 측정 시스템 개발


다채널 동시 수위/수질 측정 시스템도 역시 1절에서 설명한 National Instruments 사의 PXI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자료의 측정 하드웨어를 구성하였다. 현재 측정 시스템에서는
NI-4472 DSA 모듈의 각 채널에서 압력센서를 넣어 제작한 수위 Probe로 Voltage를 측정 하며,
한 모듈의 8개의 채널에서 동시에 자료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Probe에 사용된 센서는 압력센
서로서 microswitch honeywell division (미)사의 24pcg type모델이며, 측정범위 0-250 psi 이다.
현재까지는 수위측정 Probe 만이 제작된 상태이며, 앞으로 수질 측정을 위한 센서를 수위 측정
Probe에 내장하여 수위와 수질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Probe 제작을 수행 중이다.
수위 측정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자료측정 윈도우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사용된 개발용 언어는 National Instrument사의 graphical 프로그램 언어인 LabView 이다. 이 같
은 개발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선택은 프로그램과 PXI 와 같은 하드웨어와의 호환성을 극대화
하기 위함이다. Fig 3-9-40 은 수위를 8개의 채널에서 동시에 지속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자료
측정 어플리케이션의 주 원도우 화면이다. 자료측정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입력인자들이 있으며,
이들 입력인자를 통해 측정할 채널의 수, 측정시작시간, 측정종료시간, 측정간격을 입력할 수

- 290 -
있다. 입력인자들을 입력 후 원도우 상단의 툴바(tool bar)중 화살표 버튼을 클릭하면 측정이
시작되며 측정시간 종료시점까지 측정간격에 따라 자료를 측정한다. 측정된 데이터는 측정시
마다 측정시작시간을 파일명으로 Excel worksheet 파일로 저장된다.

Fig 3-9-40 Main window of the Water-level measurement application.

Fig 3-9-41 과 Fig 3-9-42 는 연구소 내 시험시추공에서 개발된 시스템과 제작된 수위측정
Probe의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시험한 결과를 도시한 차트이다. Fig 3-9-41은 4개의 수위
Probe 중 10m 심도에 설치된 Probe의 24시간 주기의 차트이다. 그림에서 측정값 차의 범위는
매우 작지만 12시간주기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는 earth tide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
다. Fig 3-9-42 는 4개의 수위 Probe의 46시간 측정자료를 나타낸 그림이다. 각각의 Probe 들
을 10, 20, 30, 40m에 위치하여 측정하였으며, 18시간 후 각각의 Probe 들을 10m 아래로
이동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심도에서 Probe 들이 안정적인 값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야외 실험을 통해 각 측정값들이 안정적인 상태에서 수위로 환산하는 계산식의 도출이
가능하다.

7.50E+00

7.49E+00

7.48E+00

7.47E+00

7.46E+00

7.45E+00

7.44E+00

7.43E+00

7.42E+00

7.41E+00

7.40E+00
2003-5-13 18:00 2003-5-14 0:00 2003-5-14 6:00 2003-5-14 12:00 2003-5-14 18:00

Fig 3-9-41 Data chart of measured CH1 in the test well.

- 291 -
1.20E+01

1.00E+01

8.00E+00

계열1
계열2
6.00E+00
계열3
계열4
4.00E+00

2.00E+00

0.00E+00
2003-5-13 0:00 2003-5-13 6:00 2003-5-13 12:00 2003-5-13 18:00 2003-5-14 0:00 2003-5-14 6:00 2003-5-14 12:00 2003-5-14 18:00

Fig 3-9-42 Data chart of measured CH1, CH2, CH3, CH4 in the test well.

- 292 -
제 10 절 지하수 조사에서의 물리검층 적용

1. 서론

현재 국내에서 물리탐사법은 지하수조사에서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전기비저


항탐사법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적용성도 매우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지하수 조사에서 중요한 물리탐사법 중의 하나인 시추공 물리탐사법은 주요 대수층의 파악 목
적으로 굴착된 시추공을 이용하는 물리탐사법으로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는 시추공 물리탐사
법은 물리검층 (Geophysical well logging)법이다. 물리검층은 지하수기초조사나 먹는샘물환경영
향평가 등의 지하수조사, 터널, 폐기물처분장, 대규모 구조물 또는 교량과 같은 지반조사, 환
경오염 조사 등에서 일부 적용되고 있다. 물리검층의 개발이나 적용은 주로 석유분야를 중심
으로 발달되어 왔으며 주로 퇴적층에 적용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주요 대수층이
결정질암반의 파쇄대 등에 많이 분포하는 국내의 경우, 석유검층에서 개발된 기술이나 장비를
곧바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국내에서 지하수조사에 적용하는 물리검층은 주
로 전기검층, 자연감마선검층, 공내수의 온도와 전기전도도검층 등, 비교적 자료취득이 용이하
고 경비가 저렴한 물리검층법으로 대부분의 경우, 자료 취득이나 해석․적용 등에 대한 품질
관리 (Quality Control)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지하수 조사에서 물리검층의 표준
화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조사에 필요한 물리검층의 품질관리에 대한 것을 다루고
있다.
현재 지하수조사를 위한 지구물리탐사법은 매우 다양한 탐사법이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전기비저항탐사법은 지하수 조사 분야는 물론, 지반조사나 환경오염
등의 분야에도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전기비저항탐사는 지표에서 약 200 m
정도의 심도까지 매우 빠른 시간에 정확한 지하의 전기비저항영상을 도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탐사법의 특성상 심부로 갈수록 수직 분해능의 감소로 작은 규모의 연약대나 단층대의
파악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시추공을 이용하는 물리검층은 물리탐사법 중에서 가장 높은 수직
분해능을 보이지만 가탐 반경이 시추공 주변에만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지표물리탐사
결과와 시추공을 이용하는 물리검층 결과와의 직접적인 연계 해석은 일차적으로 측정 규모의
문제 (scale problem) 때문에 매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지하수 조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
고 있는 지표물리탐사법 중에서 전기비저항탐사와 물리검층법 중에서 전기검층을 위주로 하여
결정질 암반에서 지표물리탐사 및 물리검층 자료의 연계해석에 대한 적용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시추공과 교차하는 균열암반의 수리적 특성 파악은 지하수 유동 특성 평가는
물론, 환경오염의 치유, 개선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균열암반의 수리특성 파악을
위하여 국내의 실정에 적합한 물리검층 기술개발은 매우 중요하다. 시추공과 교차하는 많은
파쇄대 중에서 투수성 있는 파쇄대의 확인과 시추공간 파쇄대의 수리적인 연결성 파악은 지하
수 수치모델 설정, 각종 공내 수리시험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향․유속
검층을 이용한 균열암반의 수리특성화에 대한 적용 결과를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2. 지하수 조사에서의 물리검층 표준화 및 지표탐사와의 연계해석

- 293 -
가. 물리검층의 표준화

(1) 물리검층 자료의 취득 절차


지하수 조사를 위한 물리검층법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각각의 원리에 대한 정확한 이해
가 선행되어야 양질의 자료를 취득할 수 있다. 물리검층법에서 측정 가능한 것은 지층의 속도,
밀도, 공극, 전기비저항, 대자율, 공내수의 온도/전기전도도, 유속 (또는 유량), 시추공과 교
차하는 단열의 특성 등으로 각각의 자료 취득에 대한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
하수 조사에서 위와 같은 모든 측정값을 얻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적
절한 물리검층법을 선택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료 취득 시, 시추공 굴착상황, 케이싱의
유무나 종류 등 현장 자료취득에 대한 정리도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현장 물리검층에 필요한
사항을 정리하는 Log Sheet의 작성이 필요하다. 물리검층의 자료 취득 절차는 각 검층법에 따
라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현장에서 기본적인 사항을 꼼꼼히 기재하는 것이 중요
하다. Table 3-10-1 은 현장 물리검층에 필요한 사항을 정리하는 물리검층 Log Sheet이다
(Table 3-10-1)의 내용은 용어의 편의상 국문으로 표기하였음).

Table 3-10-1 Log sheet of geophysical well logging.


물리검층 사업명
의뢰자 (의뢰기관)
물리검층 수행자
수행 일시 날씨
시추공 위치
시추공 이름
시추 회사 시추담당자
지하수위 (물리검층 수행시)
시추 종료일
시추방식/비트크기 이수정보
케이싱 높이 직경 재질 두께 기타
정보
시추 깊이 물리검층 구간 심도 기준 케이싱/지표
검층 장비명
발전기 전압/기종
파일저장 folder
검출기 교정여부 및 시기
공내 시험 수행 여부 및 시기
시추코아 유․무
코아 실내시험 유․무 및 종류
시추 주상도 작성 여부 및 작성자
비고사항

케이싱
지표

- 294 -
Table 3-10-2 는 지하수 조사에서 필요한 물리검층의 종류를 정리한 것으로 주로 퇴적층에
대한 것이나 결정질 암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공경검층, 자연감마선검층, 전기검층 (단노말
검층, 장노말검층, 단극저항검층), 자연전위검층, 공경검층 및 공내수의 온도 및 전기전도도검
층은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에 자료취득이 용이하나 방사능선원을 이용하는 중성자검층
이나 감마-감마검층은 조사비용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서 제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공벽영상화검층은 시추공과 교차하는 단열의 특성 파악에 매우 효과적이며 초음파
를 이용하는 방법과 광학을 이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공내수의 유무나 특성, 공경의 크
기 등을 고려하여 적용하는 것이 좋으며 방사능검층과 마찬가지로 조사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서 제한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able 3-10-2 Summary of geophysical logs, their conventional application in sedimentary


formations, and their application in fracture interpretation(Paillet, 1994).
Conventional Fracture
Log type Measurement Reference
Interpretation Interpretation
Formation gamma Clay mineral frac- Radioisotopes as in- Keys(1979)
Natural gamma
emission tion filling Aguilera(1980)
Porosity, clay frac-
Neutron flux attenu- Nelson et al.(1983)
Neutron tion, water satu- Alteration minerals
ation Paillet(1991)
ration
Alteration mineral,
Formation electrical re- Water salinity and Keys(1979)
Resistivity water quality and
sistivity lithology Katsube and Hume(1987)
permeability
Gamma flux attenu- Density and poros- Keys(1979)
Gamma-gamma Lithology
ation ity Paillet(1991)
Compressional wave
Porosity and lithol- Alteration and frac- Paillet(1991)
Acoustic travel time along bore-
ogy ture porosity Keys(1979)
hole wall
Tube-wave attenu- Paillet(1983,1991)
Acoustic wave- Acoustic pressure sig-
Shear velocity ation, fracture trans- Hornby et al.(1989)
form nal
missivity Tang et al.(1991)
Thermal con- Keys(1979)
Borehole fluid temper- Inflow and outflow
Temperature ductivity of for- Paillet(1991)
ature to borehole
mation Keys and Sullivan(1979)

Electric potential
Water salinity and
Spontaneous po- caused by salinity dif-
clay mineral frac- Streaming potential Keys(1979)
tential ferences in borehole
tion
and interstitial fluid.

Keys(1979)
Fluid con- Electrical conductivity Salinity of borehole Inflow and outflow
Hess and Paillet(1990)
ductivity of borehole fluid fluid to borehole
Paillet(1991)
Drilling damage Keys(1979)
Caliper Borehole diameter Hole enlargement
and fractures Paillet(1991)
Vertical flow in bore- Inflow and outflow Hess(1986)
Flowmeter Permeability
hole to borehole Hess and Paillet(1990)

- 295 -
(2) 검출기 교정의 필요성
지하수 조사에서 가장 많은 자료를 취득하는 자연감마선검층의 단위는 주로 계수율(CPS;
Count Per Second)를 이용하는데 이와 같은 측정단위는 측정 센서의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측정센서의 특성에 관계없이 활용 가능한 단위로의 변환이 필요하다. 방사능검층에서
자료 표준화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측정단위는 API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단위를 이용한
다.
Fig 3-10-1 은 자연감마선검출기에 대한 교정곡선(calibration curve)을 나타낸 것으로 측정된
CPS 단위를 API 단위로 쉽게 변환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측정장비는 영국 Robertson
Geologging사의 장비이고 검출기 교정 선원은 100μCi 137-Cs 선원으로 교정은 방사능 선원
의 반감기를 고려하였으며 선원의 세기는 200 API 이다.

200

150
API unit

100

50

0
0 50 100 150 200 250
Measured CPS
Fig 3-10-1 Example for the calibration curve of natural gamma log.

Fig 3-10-2 는 ABEM사의 물리검층 장비에 대한 자연감마선검층 교정곡선 작성결과를 나타


낸 것이다. ABEM사 장비의 특징적인 것은 측정 모드에서 Time mode 즉, 시간에 따라서 측정
하는 자료취득이 불가능하여 한국지질자원연구원내에 위치한 300m 시추공에서 자연감마선자
료를 취득하고 동일한 시추공에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보유 장비로 취득한 자연감마선자료를
이용하여 간접적인 방법으로 자연감마선검층 자료를 교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시추공이
위치하는 지역의 지질은 화강암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장비로 측정한 자연감마
선검층 자료를 이용하여 CPS 단위를 API로의 환산이 가능하며 Fig 3-10-2 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Natural gamma (API) = 1.3141 × CPS + 52.7085, R2 = 0.74

- 296 -
800

Natural gamma by KIGAM (API)


600

400

200

0
0 100 200 300 400 500
Natural gamma (CPS)

Fig. 3-10-2 Example for the calibration curve of natural gamma log by empirical method.

결론적으로, 서로 상이한 물리검층 장비로 측정한 자연감마선검층 자료는 API로 단위로의


환산이 가능하며 따라서, 장비의 특성에 관계없이 자료의 호환이나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
다.

(3) 검층자료의 활용
물리검층에서 측정한 검층자료는 동일한 시추공 내에서 수행된 다른 수리시험 결과와 비교
하면 물리검층의 활용성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Fig3-10-3 은 지하수 기초조사 목적으로 수
행한 물리검층 결과와 공내수압시험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적용한 물리검층은 공경검층, 전기
검층 (단노말검층, 장노말검층 및 단극저항검층), 자연감마선검층, 공내수의 온도 및 전기전도
도검층, 그리고 심도가 1m 증가할 때, 공내수의 온도 및 전기전도도 변화율(DELT 및 DELTC)
을 나타낸 것으로 온도변화율은 지온증가율과의 비교가 쉽도록 100배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
들 검층법은 지하수 조사에서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물리검층법이다. 공경검층에서 공경의 변
화가 있는 구간, 단극저항의 변화가 큰 구간 그리고 DELT 및 DELC의 변화가 큰 구간은 수압
시험 결과 K(수리전도도, hydraulic conductivity) 값이 높은 구간과 매우 양호한 관련성을 보
이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물리검층 자료는 층서구분, 암상변화 등의 기본적인 자료 해석
이외에도 시추공과 교차하는 대수층의 특성 파악에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
다.

- 297 -
Metres caliper short normal SPR natural gamma temperature DELT DELC K
70 (mm) 100 1000(ohm-m)10000 500 (ohm) 6000 0 (API) 300 10 (degree) 20 -10
(degree/100m)
10 -30 (us/cm/m) 30 0 (m/day) 0.15
long normal fluid cond.
1000(ohm-m)10000 0 (us/cm) 3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Fig 3-10-3 Comparison between the geophysical well logs and results of double packer test.

나. 지표물리탐사 및 물리검층 자료의 연계해석


지하수 조사에서 물리탐사의 역할은 매우 다양하지만 지표물리탐사법의 경우, 암반내 존재
하는 파쇄대의 규모나 범위 등의 파악이 주요 목적이다. 물리검층의 경우, 미고결 지층인 경
우, 지층의 특성 파악이 가능하지만 주요 대수층이 암반인 경우, 노말검층이나 단극저항검층을
복합적으로 적용하여 파쇄대의 특성을 파악한다. 물리검층은 공경검층, 자연감마선검층, 공내
수의 전기전도도 및 온도검층, 공벽영상화검층, 유향․유속검층 등을 이용하여 시추공과 교차
하는 파쇄대의 수리적 특성 파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지표물리탐사 결과와 물리검층 결과
를 연계하여 활용하기 위해서 지하수 조사 목적으로 굴착한 시추공에서 수행한 각종 물리검층
결과와 지표물리탐사법 중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전기탐사법에 의한 탐사결과를 비교․검토
하기로 한다. 물리검층의 경우, 지하수 기초조사에서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공경검층, 전
기검층, 자연감마선검층, 공내수의 전기전도도 및 온도검층 자료를 이용하며 물리검층의 반응
과 시추공과 교차는 파쇄대의 수리적 특성과 비교하기 위하여 이중 packer test를 이용하여 산
출한 수리상수와 비교․검토한다. 지표 물리탐사법은 수직분해능과 가탐심도를 증진시키기 위
하여 하나의 측선에 2개 이상의 전극 간격을 유지하여 측정한 자료를 이용하며 자료처리 및
지하의 전기비저항영상은 Dipro (김정호, 2001) S/W를 이용하여 작성하였다. 시험 시추공의
심도를 100m라 가정할 경우, 쌍극자 배열을 이용하는 전기탐사법의 경우, 전극간격을 최소

- 298 -
20m을 유지해야 심도 100m까지의 전기비저항 구조를 파악할 수 있으나 천부 구조는 전극간
격을 보다 작게 해야 파악이 가능하다. Dipro(김정호, 2001)의 경우, 하나의 측선상에서 전극
간격을 2개 이상이나 다양한 전극배열에 대한 자료처리 및 역산이 가능하여 염암-강진 지역의
지하수 기초조사 목적으로 굴착한 2개 지역의 시추공 주변에서 지표물리탐사를 수행하고 자료
처리 및 해석을 수행하였다. 위 결과 중에서 비교적 자료의 질이 좋은 1개 지역에 대한 역산
결과와 물리검층 결과를 비교․검토하기로 한다.
Fig 3-10-4 와 Fig 3-10-5 는 전남 영암군 시동면 내동리에 위치하는 시추공에 대한 물리검
층 결과로 그림에서 CAL은 공경검층으로 단위는 mm, SH N과 LO N은 단노말 및 장노말검층
으로 단위는 ohm-m, NGAM은 자연감마선검층으로 단위는 API, TEM 및 COND는 공내수의 온
도 및 전기전도도이며 단위는 degree 및 us/cm이다. SPR은 단극저항검층으로 단위는 ohm,
DELT 및 DELC는 1m 심도가 증가 할 때의 온도 및 전기전도도 변화율로 DELT는 100을 곱
하여 나타낸 것이다. K는 수압시험으로 산출한 구간별 수리상수를 나타낸 것이다.

Metres CAL SH N NGAM TEMP COND


70 (MM) 90 100 (OHMM) 5000 0 (API) 300 0 (DEG) 20 500 (US/CM) 2500
LO N
100 (OHMM) 50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Fig 3-10-4 Geophsysical well logs in Yoengam-gum.

- 299 -
Metres SH N SPR DELT DELC K
100 (OHMM) 5000 30 (OHM) 300 -10 (C/100M) 10 -50 (US/CM) 50 0 (M/DAY) 0.15
LO N
100 (OHMM) 5000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Fig 3-10-5 Fracture indicator logs and hydraulic results by double packer test in Yoengam-gum.

Fig 3-10-5 에서 공경검층, 전기검층 (노말검층 및 단극저항검층), 온도 및 전기전도도변화


율 검층 자료와 수압시험에 의한 수리전도도 (K)를 비교하면 공경검층에서 파쇄대 구간, 전기
검층에서 낮은 비저항을 보이는 구간, 또는 온도/전기전도도의 변화 폭이 큰 구간과 수리전도
도거 높은 구간이 전반적으로 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노말검층에서 낮은 비저항을 보
이는 구간은 단극저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수직 분해능이 작은 것을 알 수 있으며 투수성 있
는 파쇄대 구간에서 전기비저항이 매우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3-10-6 은 쌍극자 배열의 전기탐사 결과로 측선 중앙에 시추공이 위치하며 전극간격은
10m 및 20m이다. 전극 간격을 10m와 20m로 한 것은 수직분해능의 향상과 가탐심도의 증
진을 위함이다. 시추공은 측점 25 부근에 위치하며 탐사자료에 대한 역산 결과, 천부는 전반
적으로 낮은 비저항을 보이며 심도 60~70m 하부에서는 비저항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
다. 이와 같은 비저항의 분포는 장노말검층과도 비교적 잘 일치하고 있으며 전기검층에서 심
도에 따른 비저항의 변화는 자연감마선의 변화가 매우 작은 점에서 암상의 변화보다는 상대적
인 풍화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 300 -
Fig 3-10-6 Subsurface resistivity image of survey line.

Fig 3-10-6 에서 낮은 비저항을 보이는 구간이 전반적으로 투수성 있는 파쇄대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측정 규모상의 문제로 지표물리탐사 결과인 Fig 3-10-6 에서는 이와 같
은 추정은 어렵다. 그러나 측점 25 부근이 다른 측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비저항을 보이고
있어 상대적으로 풍화가 많이 진행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물리검층 자료와 지표물리탐사
결과와의 연계 해석은 다양한 지질 조건에 따른 사례 검토가 필요하지만 물리검층 결과와 연
계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측선에서 다양한 전극배열의 자료를 취득하여 수직분해능의 향상과
가탐심도의 증진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전기비저항탐사법 중,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전극배열은 쌍극자법으로 수직분해능이 다른 전극배열법보다 우수하
여 국내에서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다(김정호 외, 2001). Fig 3-10-7 은 수치모형에 대하여
각종 전극배열을 이용하여 측정한 인공자료에 대한 비저항 영상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쌍극자
배열법이 가장 좋은 수직 분해능을 보이고 있다(김정호 외, 200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0
100 ohm-m
20
Depth

40

60 1,000 ohm-m 10 ohm-m 1,000 ohm-m


80

(a) two dimensional model (b) pole-pole array

- 301 -
(c) pole-dipole array (d) dipole-dipole array

(e) Schlumberger array (f) Wenner array

Fig 3-10-7 Inverted subsurface resistivity images for various electrode arrays, using the synthetic
data based on the vertical twin-conductor model (a).

각종 전극배열에 대한 분해능, 자료의 S/N 비, 측정자료의 수와 적용환경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송윤호, 2002).

․ 분해능
쌍극자 > 단극-쌍극자 > 슐럼버져 > 단극 > 웬너
․ 탐사자료의 S/N 비
단극 = 웬너 > 슐럼버져 > 단극-쌍극자 > 쌍극자
․ 자료의 양
단극 > 단극-쌍극자 > 쌍극자 >> 슐럼버져 >> 웬너
․ 적용 환경
1,000 ohm-m 100 ohm-m 10 ohm-m
쌍극자 배열, 단극-쌍극자 배열, 단극 배열

편마암 지역에서 수행한 지표물리탐사 및 물리검층 자료를 검토해 보기로 한다. Fig 3-10-8
과 Fig 3-10-9 는 경기도 남양주군 일원에서 수행한 탐사자료로 시추공의 위치는 측점 13에
위치한다. 쌍극자 전극 배열 (전극간격 25m)을 이용하여 측정한 탐사 자료에 대한 역산 결과
인 그림의 하단을 보면 심도 약 60m 부근을 경계로 하부로 갈수록 비저항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다. 지표물리탐사의 경우, 심부로 갈수록 수직 분해능이 감소하여 시추공 물리탐사자료와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Fig 3-10-9 의 장노말검층 자료에서 비저항의 증가하는 심도와 전반
적으로 잘 일치하는 것은 알 수 있다.

- 302 -
Fig 3-10-8 Resistivity image by dipol-dipole array in Gneiss area (Lee et al., 1999).

Metres CAL SH N SPR NGAM DELT Remarks


70 (MM) 90 100 (OHMM) 12000 100 (OHM) 4000 0 (API) 400 -10 (C/100M) 10
LO N
100 (OHMM) 10000
0
Alluvium

Weathered rock
Granite & Gneiss
-10
Weathered rock
Gneiss
Biotite Granite
-20
Gneiss

Biotite Granite

-30

-40

-50

-60

-70
Gneiss

-80

-90

-100

Fig 3-10-9 Geophysical well logs in in Gneiss area (modified Lee et al., 1999).

- 303 -
다음은 지층의 전기비저항이 Fig 3-10-8 의 지역보다 작은 지역에서 수행한 물리검층과 지
표/시추공 전기탐사 자료를 비교해 보기로 한다. Fig 3-10-10 은 000 지역에 수행한 물리검층
자료와 지표/시추공 전기탐사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Metres NGAM resistiity


0 (API) 300 0 (ohm-m) 500
0

-5

-10

-15

-20

-25

-30

Fig 3-10-10 Comparison between the geophysical well logs and resistivity image by
surface/borehole array (Song et al., 2000).

Fig 3-10-10 의 물리검층 자료 중, resistivity는 전자유도검층에 의한 전기비저항으로 지표/


시추공 물리탐사의 시추공 부근 자료의 전기비저항 분포와 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
리검층의 가탐 반경은 수십 cm 이내로 매우 신속하게 높은 수직 분해능으로 시추공 주변의 물
리적 특성의 파악만 가능한 반면 지표/시추공 전기탐사의 경우, 적절한 수직분해능을 유지하
면서 공간적인 전기비저항의 파악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3. 물리검층을 이용한 균열암반 수리특성화

가. 물리검층의 적용사례
균열암반에 대한 수리특성화는 지하수 분야뿐만 아니라 터널이나 폐기물 처분, 에너지 저
장을 위한 지하공간 개발 등의 토목 분야나 환경오염분야 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내의 경우, 균열암반에서의 수리특성 파악을 위한 많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나 다양한 분
야의 전문가 집단이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기술선도국의
경우, 주로 핵 폐기물 처분장 선정을 위하여 많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추공을 이용하는 물리
검층은 결정질 균열암반의 수리특성화를 위한 한 분야로 처음에는 석유분야에서 많이 이용하
는 시추공 탐사법이나 최근에는 지반조사나 지하수 분야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결정질 암
반에서 지하수 유동 특성파악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미국 국립지질조사소에서 많이 수행하고
있다. 미국 국립지질조사의 경우, 수리분야 물리검층 연구책임자인 Paillet 박사의 주도로 핵
폐기물 처분장 선정, 유해물질 처분장 조사 분야 등에서 물리검층의 기술개발을 수행하고 있

- 304 -
다. 적용한 물리검층은 일반적인 물리검층인 공경검층, 전기비저항검층, 온도/전기전도도검층,
방사능검층(자연감마선, 중성자, 감마-감마) 등과 완전파형음파검층, 유향․유속검층 및 공벽
영상화검층 등의 최근에 개발되거나 적용성이 뛰어난 물리검층이 포함된다. 그리고 시추코아
의 절리분석 결과나 수압시험(packer test) 또는 VSP 탄성파탐사 등의 다양한 자료도 균열 암
반의 수리 특성화에 포함된다. 최근에는 물리검층을 이용하여 시추공과 교차하는 파쇄대의 원
위치 투수율(permeability)을 직접으로 측정 또는 추정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파쇄
대의 전기적인 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나 음파에너지의 분산(acoustic-energy dissipation) 또
는 파쇄대를 통과할 때의 Tube파 진폭변화 등을 이용하여 원위치 투수율에 대한 정량적인 해
석을 수행한다. 대부분의 연구는 1980년 이후에 수행되었으며 현장에 대한 적용은 1990년대
에 많이 수행되었다. 현재 국내에서도 이들 연구의 결과를 검토하여 일부 연구가 진행 중이다.
결정질 암반에서 시추공과 교차하는 파쇄대의 수리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일
반적인 물리검층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대부분의 경우, 비용면에서 매우 저렴하고 자료
취득과 해석 시간이 작게 소요된다. 그리고 기본적인 지식이 있는 경우, 물리검층 전문가가 아
닌 경우라도 쉽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보다 정량적으로 시추공과 교차하는 파쇄
대의 수리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완전파형음파검층 (Tube파), 유향․유속검층과 공병
영상화검층 (초음파 또는 광학 이용)을 활용하는 것이 추천된다. 이들 물리검층 기술은 현재
에서 결과에 대한 적용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인 분야로 해당 전문가 집단
이 자료취득, 처리 및 해석을 수행하는 것이 추천된다. 무엇보다도 한 분야의 자료만을 이용하
는 것보다는 다양한 자료를 취득, 해석해야 시추공과 교차하는 파쇄대의 수리적인 특성을 정
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물리검층에 측정 또는 추정된 원위치 수리전도도는 시추공에
서 수 m 이내의 가탐 반경을 갖기 때문에 수압시험이나 다른 수리시험과의 절대값 비교는 현
실적으로 어렵다. 이에 대한 것은 지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해결해야할 문제이다.
그리고 물리검층에서 측정하는 물성은 밀도, 속도, 공극, 전기비저항, 온도/전기전도도 등
매우 다양하다. 원위치 물성은 지층 평가에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다공질 또는
미고결 지질매체에서 원위치물성과 수리 상수와의 관련에 대한 연구는 매우 오래전부터 수행
되어 왔다.
물리검층으로 측정한 물성과 수리상수와의 관계는 주로, 공극과 관련된 것이 많으나 Fig
3-10-11 은 Formation factor와 투수율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Formation factor는 물리검층에
측정되는 원위치 물성에서 계산 가능하기 때문에 전기비저항 자료에서 투수율이 추정 가능함
을 보이고 있다. Fig 3-10-11 에서 투수율은 flow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며 위와 같은
결과는 지질특성에 따라서 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것이 아니다.

- 305 -
Fig 3-10-11 Relationship between the permeability and formation factor.

나. 유향․유속검층을 이용한 균열암반 수리특성화 기술개발


시추공과 교차하는 균열암반의 수리적 특성 파악은 지하수 유동 특성 평가는 물론, 환경오
염의 치유, 개선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추공과 교차하는 많은 파쇄대 중에서 투수성
있는 파쇄대의 확인과 특성 평가, 시추공간 파쇄대의 수리적인 연결성 파악과 개념모형의 설
정 등은 지하수 수치모델 설정, 각종 공내 수리시험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범
위는 유향․유속검층을 이용하여 시추공간 파쇄대의 수리적인 연결성을 파악하는 기술개발이
다.

(1) 유향․유속검층의 종류
유향․유속검층은 매우 다양한 종류가 이용되고 있다. 시추공 내에서 유속이 빠른 경우는
spinner 또는 impeller type의 flowmeter를 이용하는데 국내 지하수의 경우, 적용하기에는 유속이
늦어 부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낮은 유속을 측정하는 heat-pulse type의 flowmeter를
이용한 유향․유속검층 사례가 최근에 일부 소개되고 있다 (황세호 등, 2001, 2003, 2004;
구민호 등, 2001). Fig 3-10-12 는 최근 균열암반의 수리특성 연구에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
는 1-D Heat-pulse type의 flowmeter를 나타낸 것으로 미국 국립지질조사소 Hess (1982, 1986)
에 의해 개발된 flowmeter이다. 미국 국립지질조사소에서 개발된 flowmeter는 측정범위가 0.0
4~8 ℓ/min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이 가능하고 Fig 3-10-12 와는 달리 팽창 가능한 pack-
er를 이용하여 분해능이 높은 자료취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Fig 3-10-12 의 heat-pulse flowmeter를 이용한 연구는 미국 국립지질조사소의 Paillet(1983,
1991, 1993, 1994, 1998, 2000, 2001)에 의해 균열암반의 지하수 유동특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 306 -
Fig 3-10-12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1-D heat-pulse flowmeter.

2-D 또는 3-D의 유향․유속검층은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어 일부 시제품까지 개발되었으나


각 flowmeter 측정 결과에서 차이점이 존재하여 2-D 또는 3-D의 유향․유속검층에는 보완해야
할 점이 많은 것으로 판단된다(Wilson et al., 2001). Fig 3-10-13 은 지금까지 개발된 2-D, 3-D
flowmeter를 나타낸 것이다. Fig 3-10-14 는 다양한 2-D flowmeter을 미국 Indian Jefferson 지역
에 위치하는 시추공에서 측정한 결과로 유동의 방향과 유속에서 일관성이 적은 것을 알 수 있
다 (Wilson et al., 2001).

- 307 -
(a) (b)

(c) (d)

Fig 3-10-13 (a) Photographs of KVA flowmeter ⓐcontrol pannel, ⓑ fuzzy packer, ⓒ uniform-sized
glass beads, and ⓓ probe tip, (b) Borehole acoustic Doppler velocimeter (ADV), (c) Collodial
borescope, and (d) hydrophysical logging tools (Wilson et al., 2001).

- 308 -
Fig 3-10-14 Flow directions and adjusted velocities for measurements made at selected depths
(Wilson et al., 2001).

(2) 양수를 병행하는 유향․유속검층에서 적정 pump의 선택


유향․유속검층에서 양수량의 제어나 다양한 환경에 대한 적용성이 좋은 수중 pump는
Grudfos사에서 개발한 Redi-Flo2의 수중 pump가 다양한 시험결과 활용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Schalla et al., 2001). 특히, 양수의 범위, 저렴한 가격, 유지보수의 용이성 등이 우
수하며 매우 작은 범위의 양수가 가능하였다. 다음은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6종류의 pump
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로, 시추공 구경, 최소․최대양수량, 유지․보수, 가격, 크기, 양수
시의 영향, 환경영향 등에 대한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환경에 가장 좋은 결과를 도
출하는 RediFlo2와 VFC(Variable Frequency Controller)를 이용하였다.

- 309 -
Table 3-10-3 Comparison results of various available pumps (Schalla et al., 2001).
Co mparis o n o f Perfo rmance Criteria and Pumps
TM
Keck Fultz S P 201
P erformance Redi-Flo2(3T M )[4 TM ] Q ED Bennett P iston Hy droS tar
S ingle-Action P rogressiv e [S P 300] Gear-
Criteria S ubmersible P ump Bladder P ump P ump 1800-8
P iston P ump Cavity P ump Driven P ump

P hysical Dimensions-
Yes (Yes) [No] Yes Yes Yes Yes Yes
Fit in 10.1-well

Lift Capacity - 90m No (Yes) [No] Yes Yes Yes Yes Yes
Effect on S ample
None None None None None None
Chemistry
Flow-rate Range-
Yes (No) [Yes] No Yes Yes Yes Yes
100mL/min to 10L/min
P ower Requirement-
S tandard, Detachable Yes to All Yes Yes Yes Yes Yes
P ower S ource
Maintenance Moderate Low High High High Moderate
Cost Low Low High Moderate High Moderate

Phy s ical Dimens io n - Outs ide Diameter


TM
Keck Fultz S P 201
Redi-Flo2(3TM )[4 TM ] Q ED Bennett P iston Hy droS tar
Characteristic S ingle-Action P rogressiv e [S P 300] Gear-
S ubmersible P ump Bladder P ump P ump 1800-8
P iston P ump Cavity P ump Driven P ump
O utside Diameter (㎝ ) 4.6 (7.4) [9.7] 3.8 4.3 4.3 4.5 4.5 [6.4]

Lift Capability
TM
Redi-Flo2(3T M )[4 TM ] Q ED Bennett P iston Hy droS tar Keck Fultz S P 201
Characteristic S ingle-Action P rogressive [S P 300] Gear-
S ubmersible P ump Bladder P ump P ump 1800-8
P iston P ump Cav ity P ump Driven P ump
Max imum Lift (㎝ ) 85 (110) [183] 82 [305] 305 122 46 61

Flo w - Rate Ranges


TM
Keck Fultz S P 201
Redi-Flo2(3T M )[4 TM ] Q ED Bennett P iston Hy droS tar
Characteristic S ingle-Action P rogressiv e [S P 300] Gear-
S ubmersible P ump Bladder P ump P ump 1800-8
P iston P ump Cavity P ump Driven P ump
Max imum Design
30(29)[39] 5.7 10 19 4.6 9.1 [10.2]
Flow rate (L/min)
Typical Flow Rate @
29 2 10 18 2 8 [10]
30m of Lift (L/min)
Typical Flow Rate @ Lift Capacity
8 1.6 9 12 4 [8]
60m of Lift (L/min) Ex ceeded
Typical Flow Rate @ Lift Capacity Lift Capacity
(14) [39] 1 7 8
90m of Lift (L/min) Ex ceeded Ex ceeded
Max imum Achievable
0.1 (10) [0.2] 0.1 0.1 0.2 0.1 0.1
Flow rate (L/min)

Effect o f Pumps o n Sample Repres entativ enes s


TM
Keck Fultz S P 201
Representativ eness Redi-Flo2(3T M )[4 TM ] Q ED Bennett P iston Hy droS tar
S ingle-Action P rogressiv e [S P 300] Gear-
Factor S ubmersible P ump Bladder P ump P ump 1800-8
P iston P ump Cavity P ump Driven P ump
W ell Bore Mix ing No Mix ing No Mix ing No Mix ing No Mix ing No Mix ing No Mix ing
Induced Turbidity Initially High Initially High Initially High Initially High Low Low
P ositive P ositiv e P ositiv e P ositiv e P ositiv e P ositiv e
P ressure Changes
P ressure P ressure P ressure P ressure P ressure P ressure
Low-Flow S ampling Yes (No) [Yes] Yes Yes Yes Yes Yes
P ossible Air
S eal Leakage P ossible Low P ossible Low Low
Leakage
Increase Increase Increase Increase
Temperature No Increase No Increase
P ossible P ossible P ossible P ossible
316, 329/304 S S ,
Teflon; (316, P assivated 303/304 S S ,
316 S S , 304S S , 316L S S ,
316L/304 S S , 304L S S , Viton ,
P ump/Riser S urface Teflon, Teflon, Teflon,
P VDF, P P FP M Teflon, EP DM,
Composition HDP E, P P E, Viny l,
Rubber); 302 or HDP E,
Ny lon Nylon Ny lon
[304 S S /304ss, 303 S S LDP E
Teflon]

- 310 -
Po w er Requirement o f Pumps
TM
Keck Fultz S P 201
Redi-Flo2(3T M )[4 TM ] Q ED Bennett P iston HydroS tar
Characteristic S ingle-Action P rogressive [S P 300] Gear-
S ubmersible P ump Bladder P ump P ump 1800-8
P iston P ump Cavity P ump Driven P ump
P ower Requirement Electric P neumatic/ P neumatic/ P neumatic/ Electric Electric
110 or 220 Compressor Compressor Compressor 12 to 14.5 12, 24, 36 or
v olt (220) volt 110 v olt

Co s t Co mparis o ns
TM
Keck Fultz S P 201
Redi-Flo2(3T M )[4 TM ] Q ED Bennett P iston HydroS tar
Characteristic S ingle-Action P rogressive [S P 300] Gear-
S ubmersible P ump Bladder P ump P ump 1800-8
P iston P ump Cavity P ump Driven P ump
$1,200 (1,500)
Capital Cost $900 $2,500 $1,500 $4,000 $1,900
[$1,500]
O perating Cost Moderate Moderate High High Low Low
Maintenance Cost Moderate Low High High Moderate Moderate

Co ntaminants and Interactio ns w ith M etals and Po ly meric M aterials


Metals P oly emeric Materials
S tainless S teel
S tandard P assiv ated S pecial Carbon S teel Thermoplastics/Fluoropoly mers Thermoset Elastomers
Constituent 304 316 304L, 316L 321, 329 A53gB Galv . P TF TEF ETF P VC P VD HDP E P P AB FRE VDF-HEP Viton Nitril FP VC
Carbon
1d* 1d* 1d* 1d* 1o 1d* 1a* 1a* 1a* 2o* 1d* 1a 2o 3a 1d ? 1a 1a 2o*
Tetrachloride
Chloroform -- -- -- -- 1o -- 1a 1a ? 1a 1a 1a 1a 3a 1d ? 1a 1a 2o*
cis-1,2-
-- -- -- -- 1o -- 1a -- ? 2o* -- ? ? 3a 1d -- 1a 1a 2o*
Dichloroethy lene
Cesium-137 1a 1a -- ? 1a ? -- -- -- -- -- -- -- ? -- ? -- -- ?
Cobalt-60 and -57 2a ? ? ? 2a ? -- ? ? -- ? ? ? ? ? ? ? ? ?
Hex av alent
1d -- -- 3o 2o -- -- ? -- -- ? ? 1d 1d ? ? ? ?
Chromium
Nitrate -- -- -- -- -- -- -- -- -- -- -- -- -- -- -- -- -- --
S trontium-90 3a -- -- 3a 1a 1o 1o -- 1o 1o 1o 1o 1o ? ? -- -- ?
Technetium-99 1a -- -- 1a 1a 1o 1o -- 1o 1o 1o 1o 1o ? ? -- ? ?
Trichloroethy lene -- -- -- 3o ? 2a 2a ? 2o* ? 2a 2a 3a 1d -- 1a 1o* 3o
Tritium -- -- -- -- -- 1o 1o -- -- ? 1o ? ? -- ? -- -- ?
Uranium ? ? ? ? ? ? ? ? ? ? ? ? ? ? ? ? ? ? ?
W eak Acids -- -- -- -- 1c 2c -- -- -- -- -- -- -- -- 1o ? -- 1o ?
W eak Bases -- -- -- -- -- 1o -- -- -- -- -- -- -- -- 1o ? -- -- ?
P etroleum and
1c* 1a* -- -- 3o* 1d -- -- -- 1a -- 1o 2o 2o -- ? -- -- 3o
Fuels
W eak O x idiz ing
-- 1o* -- -- 3c 2c -- -- -- -- -- 2o 2o 1o 2o ? -- 2o ?
Agent

-- = No effect.
1 = Minor potential effect.
2 = Moderate and likely significant effect.
3 = S ev ere effect.
a = Adsorption is most significant effect.
d = Desorption is primary effect
o = O ther interac

(3) 1-D 유향․유속검층 기술의 현장적용


균열암반의 수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위성영상자료 분석, 지표 구조지질조사, 지표물
리탐사 등 규모가 큰 지표조사와 균열특성을 직접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굴착한 시추공을 이
용하는 조사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시추공을 이용하는 조사법은 시추공과 교차하는 다
양한 파쇄대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균열암반의 수리특성 평
가에 많이 이용되는 유향․유속검층은 기존의 물리검층과는 다른 수리지질학적인 정보를 제공
하는 장점을 갖고 있다. 유향․유속검층 중에서 매우 낮은 유속을 측정하는 Heat-pulse type의
유향․유속검층은 투수성 파쇄대의 평가, 시추공간 수리적으로 연결된 파쇄대 확인, trans-
missivity 추정 등에 활용되고 있다(Paillet, 1998, 2000, 2001).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실정
에 적합한 heat-pulse type의 유향․유속검층법에 대한 자료취득, 자료처리 및 해석을 연구의 범
위로 설정하여 현장적용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 311 -
(가) 물리검층의 적용
지하수 분야에서 많이 이용하는 물리검층법은 공경검층, 공내수의 온도/전기전도도검층, 전
기검층, 자연감마선검층, 공극검층 등은 일반적인 검층법으로 분류되며 공벽영상화검층(optical
televiewer, acoustic televiewer), 완전파형음파검층(Full waveform sonic log), 유향․유속검층(특
히, Heat-pulse flowmeter)은 최근에 국내에 소개되어 일부 적용이 되고 있다.
공경검층은 시추공과 교차하는 파쇄대 파악에 이용되며 공벽영상화검층에 비하여 분해능은
떨어지나 매우 빠른 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파쇄대 분포를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자연감마선검층은 암상변화 파악에 효과적이며 공경검층과 함께 투수성 파쇄대의 확인에 이용
되기도 한다. 즉, 지하수 유동이 있는 파쇄대가 변질작용을 받는 경우 자연감마선이 높은 경향
을 보이는 성질을 이용한다. 공내수의 온도/전기전도도검층은 지하수 조사에서 가장 기본적으
로 이용하는 물리검층법으로 공내수의 수직적 특성파악은 물론 심도에 따른 변화율에서 지하
수 유동 가능성이 있는 파쇄대의 확인에도 이용된다. 즉, 온도검층의 경우, 시추공 굴착이나
각종 수리시험이 종료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주변 지층과 열적인 평형을 이루게 되는데
지하수 유동이 있는 구간에서는 온도나 전기전도도의 변화가 존재한다. 따라서 온도변화율검
층 자료를 작성하거나 인접한 시추공 공내수의 전기전도도나 온도검층 자료를 이용하면 지하
수 유동 특성에 대한 정성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공벽영상화검층은 최근 지반조사에서 많이 이용되는 물리검층법으로 0.5~1.5MHz 대역의
초음파나 고해상도의 디지털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추공벽을 이미
징(Imaging)하는 물리검층법이다. 초음파를 이용하는 공벽영상화검층(ATV: Acostic Televiewer)
은 공내수가 있는 구간에서 적용 가능하며 공내수가 혼탁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한 정점이 있
다. 광학을 이용하는 공벽영상화검층(OTV: Optical Televiewer)은 공내수의 탁도가 높은 경우,
측정에 어려움이 있으나 공내수가 없는 구간에 대한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위의 공벽영
상화검층은 서로 보완되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시추공 상태와 조사 목적에 따라 적용해야 하
는데 무엇보다도 다른 물리검층법에 비하여 조사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광학을 이용
하는 공벽영상화검층인 경우, 충진물의 상태나 시추공 상태(예, 양수정인 경우 대부분이 시추
코아가 없음)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초음파를 이용하는 공벽영상화검층
은 고분해능의 3차원 공경검층 기능이 있어 파쇄대 파악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현재, 국내
지하수 분야에는 공벽영상화검층이 일부 적용되고 있으며 향후, 저렴한 비용으로 현장 적용이
가능하면 지하수 분야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완전파형음파검층은 석유검층에서 지층의 공극측정 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 1980년대 이
후, 미국 국립지질조사소와 MIT 대학을 중심으로 결정질 암반의 균열특성 평가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 졌다. 완전파형음파검층 자료 중에서 특히, Guide 파를 이용한 지층의 투수율 추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되었으며 현재는 상대적인 투수율 프로파일은 물론, 절대적인 투수율(k)
을 산출하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Dominguez and Perez, 1991; Burns, 1991).

(나) 자연상태 또는 양수를 병행하는 유향․유속검층


미세한 공내수의 흐름을 측정하는 Heat-pulse type의 유향․유속검층은 1980년 초, 미국 국
립지질조사소의 Hess(1982)가 처음으로 장비를 개발한 후, 꾸준한 성능개선으로 균열암반의

- 312 -
수리특성 파악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현재 물리검층 분야에서 직접적으로 수리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물리검층법으로 측정범위는 0.04~6.1ℓ/min이다. 장비의 측정 민감도를 높
이기 위해 지상에서 제어 가능한 inflated packer를 장착한 sonde를 개발하였으며(Hess, 1986),
빠른 시간에 측정 가능하도록 제작된 flexible-disk flow diverter로 인한 측정의 불확실성을 줄이
거나 또는 영향을 보정하는 방법, 수위의 변화에 따른 측정값의 보정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
되었다(Paillet, 2001). Fig 3-10-15 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에서 운용중인 Heat-pulse
type의 유향․유속검층 장비에 대한 calibration chart로 측정된 유속을 유량으로 환산한다. 그
림에서 실선은 다양한 시험 자료로 작성된 교정곡선이고 △는 KIGAM에서 운용중인 장비에
대한 calibration 결과이다. calibration에 대한 검증방법 중의 하나는 케이싱 내에 flowmeter를 위
치하고 일정 양수를 하면서 측정한 유량과 비교하면 간단하게 현장에서 자료의 품질을 확인할
수 있다.

0.75

0.5
Flow(gal/min)

0.25

-0.25

-0.5

-0.75

-1

-20 -10 0 10 20
Transit time (sec)

Fig 3-10-15 Calibration chart for heat-pulse flowmeter of Mount Sopris .

물리검층을 이용한 균열암반의 수리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역에 위치하는 2개의 시


추공에서 각종 물리검층을 수행하였다. 시추공이 위치하는 지역의 지질은 Tuff이고 시추공의
공경은 NX (3인치), 시추공 심도는 145m, 시추공간 거리는 10m이고 케이싱 심도는 10m
이다.
적용한 물리검층은 지하수 조사에서 많이 이용하는 물리검층법인 공경검층, 자연감마선검
층, 공내수의 온도/전기전도도검층과 Heat-pulse type의 유향․유속검층을 수행하였다. 공경검
층, 자연감마선검층, 공내수 온도/전기전도도검층은 영국 Robertson Geologging사의 물리검층
시스템을 이용하였고 측정간격은 1cm이고 자연감마선은 20cm 구간, 공경검층과 온도/전기전
도도검층은 10cm 구간에 대한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였다. 유향․유속검층은 미국 Mount
Sopris사의 물리검층 시스템을 이용하였으며 측정범위는 0.046~3.962m/min, 0.03~3.785
ℓ/min이다.
Fig 3-10-16 은 시추공 A, B에 대한 물리검층 결과 중에서 자연감마선검층과 공경검층 자
료를 나타낸 것이다. 자연감마선검층 자료를 보면 심도 10m 부근에서 steel 케이싱의 영향으
로 자연감마선의 강도가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으며 시도 75~85m 구간 이외에는 동일한 암

- 313 -
상인 것을 알 수 있다. 공경검층의 경우, 천부 25m 이내와 55~75m 부근 80~100m 구간
에 많은 파쇄대가 존재한다. 시추공과 교차하는 많은 파쇄대 중에서 수리적으로 연결된 파쇄
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양수를 병행한 유향․유속검층이나 추적자시험 등을 이용한다.
Fig 3-10-17 은 시추공 A, B에 대한 공내수의 전기전도도와 온도검층 및 변화율검층 자료
이다. 온도 및 전기전도도가 변하는 지점인 심도 64m 또는 70m 부근의 지하수의 유동이 있
음을 지시한다(Fig 3-10-17 (b) 에서 온도/전기전도도검층 자료는 심도 1m 증가에 대한 변화율
이며 온도의 경우, 100을 곱한 수치임). 특히, 전기전도도검층 자료에서 심도 약 70m 까지
는 동일한 전기전도도를 보이며 하부는 큰 차이를 보이는데 동일한 전기전도도를 보이는 구간
은 수리적으로 연결된 파쇄대가 존재함을 추정할 수 있다.
시추공간 파쇄대의 수리적인 연결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양수 전․후에 유향․유속검층을
수행하였다. 유향․유속검층의 측정 심도는 공경검층 자료를 참고로 하여 파쇄대 상․하부 구
간을 선정하였고 측정의 민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flexible-disk flow diverter를 이용하였다. Photo
3-10-1(a) 는 유향․유속검층 장비의 측정 부분이며 (b)와 (c)는 flexible-disk flow diverter로 시추
공경의 크기보다 2.5cm 정도 크게 제작하였다. (d)는 유향․유속검층기 flexible-disk flow
diverter를 설치하고 크기를 측정하는 장면이다. 측정의 민감도를 높이기 위하여 flexible-disk
flow diverter 직경을 크게 하거나 탄력을 높이면 파쇄대 구간에서 유향․유속검층기의 이동이
어려움 점이 발생한다. flexible-disk flow diverter와 시추공벽 사이에 흐르는 지하수의 유동에
대한 보정은 수행하지 않았으며 측정된 자료는 시추공내의 지하수 유동이 flexible-disk flow
diverter로 흐른다는 가정 하에 자료를 측정, 해석하였다. 측정자료에 대한 해석은 Fig 3-10-15
의 교정 곡선을 이용하였다.
Fig 3-10-18 은 유향․유속검층 자료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동일한 심도에서 평균적으로 3
회 이상 측정하여 자료의 반복성(repeatability)을 확인하였다. Fig 3-10-19 는 양수 전에 시추공
A와 B에서 측정한 유향․유속검층 자료로 시추공 A의 경우 모든 구간에서 하향의 흐름을 보
였으며 심도 70m 부근에서 시추공 밖으로 지하수가 유출되는 것으로 해석되었으며 시추공 B
의 경우, 지하수 흐름 방향이 바뀌는 심도 63m 부근은 지하수가 유입, 70m 부근은 지하수가
유출되는 구간으로 해석되었다.
Fig 3-10-20 은 시추공 A와 B에서 각각 양수를 실시하여 안정 수위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
하면서 측정한 결과이다. 시추공 A와 B의 초기 수위는 각각 4.04m 와 3.97m 이고 양수시작
3시간이 경과한 후의 수위는 각각 4.95m와 4,87m로 안정수위와 수 cm 차이를 보인다. 양수
는 Redi-Flo2를 이용하여 20ℓ/min로 실시하였다. 시추공 B에서 양수를 하고 시추공 A에서
측정한 결과인 Fig 3-10-20 (a)의 왼쪽을 보면 지하수의 흐름이 모두 상향인 것을 알 수 있다.
심도 약 13m 부근과 심도 70m 부근에서 지하수 시추공 밖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시추공 A에서 양수를 실시하고 시추공 B에서 측정한 Fig 3-10-20(a) 의 오른쪽 그림을 보면 심
도 약 17m 부근에서 지하수가 유출되고 심도 63m 부근에 지하수 유입, 그리고 심도 70m
하부에서 지하수가 유출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Fig 3-10-21 은 양수 전․후의 유향․유속검층 자료를 나타낸 것으로 시추공간 수리적으로
연결된 파쇄대의 파악에 양수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이고 있다.

- 314 -
Natural gamma(API) Caliper(mm)

0 100 200 300 400 75 80 85 90 95 100


0 0

20 20

40 40

Depth(m)
Depth(m)

60 60

80 80

100 100

Fig 3-10-16 Caliper and natural gamma logs of borehole A and B. Red and blue lines are
the well logs of borehole A and B, respectively.

Temperature(Degree) Fluid conductivity(us/cm)


Temperature(Degree/100m) Fluid conductivity(us/cm/m)
8 10 12 14 16 0 20 40 60 80 100
-40 -20 0 20 40 60 80 -10 -5 0 5 10
0 0
0 0

20 20 20 20

40 40 40 40
Depth(m)

Depth(m)

Depth(m)

Depth(m)

60 60 60 60

80 80 80 80

100 100 100 100

(a) (b)
Fig 3-10-17 Geophysical well logs. (a) temperature and fluid conductivity logs, (b) gradient log of
temperature and fluid conductivity logs. Red and blue lines are the well logs of borehole A and B,
respectively.

- 315 -
(a) (b)

(c) (d)
Photo 3-10-1 (a) Measurement section of heat-pulse flowmeter, (b) flexible-disk flow diverter for 3
inch borehole, (c) flexibility of flow divertor, (d) comparison between the borehole size(i.e., ver-
nier-caliper) and flexible-disk flow diverter installed flowmeter.

(a) (b)

(c) (d)
Fig 3-10-18 (a) Thermal equilibrium before the measurement, (b) down flow at depth of 15 m in
borehole B during pumping in borehole A, (c) & (d) up- and down flow at depth of 60 m and 64
m in borehole B, respectively.

- 316 -
Fig 3-10-22 는 시추공 A에서 양수를 실시할 때, 지하수의 흐름을 개념적으로 표현한 것으
로 유향․유속검층의 적용으로 두 시추공 사이에 수리적으로 연결된 파쇄대 확인에 효과적임
을 보여주고 있다. Fig 3-10-22 의 결과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추공간 파쇄대의 수리적인 연
결성을 확인한 결과이지만, 앞으로 공경검층에서 확인되는 많은 파쇄대에 대한 각각의 수리적
특성을 평가해야 보다 정량적인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Fluid velocity(m/min) Fluid velocity(m/min) Flow(L/min) Flow(L/min)

-4 -2 0 2 4 -4 -2 0 2 4 -4 -2 0 2 4 -4 -2 0 2 4
0 0 0 0
Borehole A Borehole B Borehole A Borehole B

20 20 20 20

40 40 40 40
Depth(m)

Depth(m)
Depth(m)

Depth(m)

60 60 60 60

80 80 80 80

100 100 100 100

(a) (b)
Fig 3-10-19 Vertical flow profile obtained in borehole A and B under ambient condition. Profiles
of flow velocity (a), and flow rate. (b) of borehole A and B, respectively.

Fluid velocity(m/min) Fluid velocity(m/min) Flow(L/min) Flow(L/min)

-4 -2 0 2 4 -4 -2 0 2 4 -4 -2 0 2 4 -4 -2 0 2 4
0 0 0 0
Borehole A Borehole B Borehole A Borehole B

20 20 20 20

40 40 40 40
Depth(m)

Depth(m)
Depth(m)

Depth(m)

60 60 60 60

80 80 80 80

100 100 100 100

(a) (b)
Fig 3-10-20 Vertical flow profile obtained in borehole A and B during a cross-borehole pumping
test. Profiles of flow velocity (a), and flow rate. (b) of borehole A and B, respectively.

- 317 -
Fig 3-10-21 Interpretation of vertical flow of borehole A and B using Fig 3-10-19 and Fig
3-10-20. Symbol ← indicates the inflow into borehole and symbol ↔ means the interval of
hydraulic connections between boreholes.

Fig 3-10-22 hydraulic connections between borehole A and B inferred from flow measurements
made during cross-borehole pumping tests. Borehole A is the pumped borehole and borehole B is
the observation borehole.

- 318 -
시추공과 교차하는 파쇄대의 수리적 연결성이 확인되면 transient flow를 측정하면 파쇄대의
모형에 대한 도출이 가능해진다 (Paillet, 1998). Fig 3-10-23 (A)와 (B)에서 자연상태, 양수를
병행하는 유향․유속검층에서 시추공과 연결된 파쇄대의 확인이 가능해지면 관측정의 일정 위
치에서 유향․유속검층을 일정 시간간격으로 측정하면 (C)와 같이 시간에 따른 유량과 방향을
알 수 있다. 시간에 따른 유량과 유향의 변화는 시추공 크기나 시추공 사이에 연결된 파쇄대
의 특성에 따라서 달라진다. 물론, 대수층의 transmissivity나 hydraulic conductivity에 따라서 변
화하는 양상이 변하지만 이들 곡선에서 수리적으로 연결된 파쇄대의 모형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 (Paillet, 1998). Fig 3-10-23 은 두 개의 시추공과 교차하는 파쇄대의 특성에 따라서 관측
정에 측정된 전형적인 유량과 방향의 시계열자료를 보여주고 있다.

Fig 3-10-23 Schematic illustration of fracture characterization. (A) Two fracture zones
intersected by the pumped and observation boreholes. (B) Vertical flow profiles obtained during
cross-hole flow test, and (C) Transient flows measured at specific depths (Paillet, 1993).

- 319 -
Fig 3-10-24 Schematic illustration of aquifer models and flow transient type curves used in
cross-borehole flowmeter log analysis. (A) a single fracture connecting pumped and
observation borehole, (B) a second fracture communicating with the primary fracture zone
through the observation orehole, and (C) two fractures connecting both pumped and
observation boreholes (Paillet, 1998).

Fig 3-10-25 는 시추공 B호공에서 일정 양수 (약 18.2ℓ/min, pump의 심도는 9m)를 실시


하고 A호공의 심도 30m에서 측정한 유량의 시계열이다. 측정 당시는 상향의 지하수 흐름이
있었으며 흐름의 정도는 약간씩 변하는 상황이었다. 양수가 시작되고 갑작스런 유량의 변화가
측정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점점 유량이 감소되어 변화가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Fig
3-10-25 의 자료 해석에서 양수정 또는 관측정의 시추공 효과를 고려해야 하나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것은 제외하기로 한다. 단순히 양쪽의 시추공에서 양수를 병행하여 유향․유속검층
을 수행한 결과, 케이싱 하부의 파쇄대가 수리적 연결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해석되었으나 Fig
3-10-25 의 결과와 같이 양수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유량의 변화가 작은 점에서 70m 하부에
위치하는 파쇄대의 수리적 연결성도 매우 좋은 것으로 해석된다. 참고적으로 양수를 중단하기
바로 전, 시추공이 수위변화는 양수정의 경우, 0.45m, 관측정의 경우 0.39m 이다.

- 320 -
pump on pump off
1
upflow
Flow in liters per minutes

0.5

-0.5
downflow

-1
0 20 40 60 80 100 120 140 160
Time in minutes

Fig 3-10-25 (a) Transient flow measured in borehole A at depth of 30 m. (b) Hydraulic
connections between borehole A and B. Borehole B is the pumped borehole.

4. 결론

지하수 조사에서 물리검층은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각 물리검층의 정확한 이해


와 품질관리가 선행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지하수 기초조사와 같이 지하수자원을 평가, 확보하
는데 시추공 조사는 필수적이지만 이들 조사공 또는 지하수 개발 관정에 대한 물리검층 또한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다양하게 이용되는 물리검층의 표준화에 대한
제안을 하였으며 이들 표준화는 기술개발과 목적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개선, 보완되어야 한다.

- 321 -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현장 물리검층의 품질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라 할 수 있
다. 지하수 조사에서 지표물리탐사는 관정의 위치선정이 매우 중요하지만 지표물리탐사와 물
리검층 결과의 비교는 지층의 수평적인 연결성이 작은 경우는 적용이 어렵지만 지속적이 노력
이 필요하다. 균열암반의 수리특성화를 위한 물리검층은 지하수 유동에 대한 직접적인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많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heat-pulse flowmeter
는 균열암반의 수리특성에 매우 유동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경우, 공벽
영상화검층이나 공경검층에서 시추공과 교차하는 파쇄대의 심도와 방향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
였으나 투수성 파쇄대의 파악은 매우 어려운 문제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유향․유속검층은
개별 파쇄대의 투수성 판단, 시추공 파쇄대의 수리적인 연결성과 모형 설정이 매우 유용하였
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장 시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에 대한 적용이 부
족했지만 향후, 균열암반의 수리특성 연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 322 -
제 11 절 지표생물을 이용한 지하수 수질 연구

1. 지하수(groundwater) 환경에서의 미생물의 존재

생물권의 미생물의 종류는 다양하다. 미생물이 잘 배열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4개의 기본


적인 그룹 중 하나에 속하게 된다. 원핵생물, 진핵생물, 고박테리아(archaebacteria), 바이러스
가 4개의 그룹이다. 원핵생물세포는 진핵이 결여되어있고 박테리아와 시아노박테리아를 포함
한다. 시아노박테리아는 남조류라고 부르며 현재는 원핵생물과에 속한다. 진핵생물은 진핵을
가지고 있고 조류, 잔 균류, 원생생물을 포함한다. 고박테리아는 메탄생성 박테리아를 포함한
다. 일단은 원핵생물 조직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그러나 잘못된 것이라고 밝혀졌다. 혐기성 상
태에서 서식하는 박테리아로 밝혀졌는데 이들은 유기물이 풍부한 저서지역이나 고등동물의 창
자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상업용 메탄에 중요자원이며 지표수의 화학적 특성에 중
요한 영향을 끼친다. 바이러스는 미생물과는 다르다. 그들은 기생할 수 있는 생물이 없으면 살
수 있는 능력이 없고, 번식도 불가능하다. 즉 기생하고 산다. 바이러스는 지하미생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존재이다. 왜냐하면 지하수는 바이러스를 운반하며 바이러스는 질병을 전파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박테리아가 있는 곳은 어디라도 바이러스가 존재한다(Table 3-11-1).

Table 3-11-1 Microbial species in groundwater system.

분류군 구성원 비고
-bacteria 가장 원시적인 타입의 생물(핵이 존재하지 않으나 세포
원핵생물
-cyanobacteria 벽이 존재하고 있으며 세포벽을 통해 화학물질의 운반
(Procaryotes)
(blue green algae) 이 이루어지고 있음)
단세포조류: 규조(diatom), 적조발생조류, 유글레나(담
-조류(algae)
수에 서식)

진핵생물 단세포 및 다세포조류: 녹색조류문(엽록소 a,b), 갈조류

(Eurocaryote 및 홍조류문
척박한 환경에 살 수 있는 적응력이 있음. 박테리아에
s) -균류(fungi)
비해 적응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넓음
종속영양단세포생물, 운동성이 있으며 광합성을 하지
-원생동물(protozoa)
않음
고박테리아 -methanogens 혐기성조건에서 서식하며 쓰레기매립장 및 동물의 장에

(Archaebacte 서식함
-extreme halophiles 소금물이 존재하는 곳에 서식
ria) -thermoacidophiles 열이나 강산에서 존재
-poliovirus 지표상의 오염된물에 의해 발생되어 지하수로 흘러들어
바이러스
-coxsackievirus 감. 이들은 수주에서 수개월 지하에서 생존하며 오염된
(Viruses)
-rotavirus 지표수에서 지하수상황에서 생존할 수 있음

- 323 -
가. 원핵생물(Procaryotes)
박테리아의 염색체는 DNA의 분자 한 개로 구성돼 있다. DNA는 원형을 이룬다. 이러한 밀
폐된 원형은 오직 원핵생물과 고박테리아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특징이다. DNA는 원형을 이
루면 2개의 나선형(haploid)이다. 각각의 박테리아의 클로로솜은 2000~10000개의 유전자로
구성 되 있고 유전자는 DNA의 한 부분이다. 또한 원핵생물은 DNA의 작은 원형을 갖는다. 이
것을 플라스미스(plasmids) 라고 한다. 이것은 세포복제에 포함되지 않지만 매우 중요하다. 플
라스미드는 외부로부터의 세균의 침입을 막는 단백질 코드를 가진다. 또한 다른 유기물질을
분해하는 단백질을 가지며 이것은 에너지원이 되기도 한다.

나. 진핵생물(Eurocaryotes)
조류, 잔 균류, 원생동물은 원핵생물 세포와는 다른 세포를 가지고 있다. 매우 복잡한 구조
를 가지고 있다. 모든 진핵생물은 세포벽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나 세포막은 모두 가지고
있다. 이중구조이며 망상구조이다. 세포벽은 원핵생물의 것과 기능이 거의 유사하며 복합 당류
로 구성되어 있지만 펩티도글라칸이 없다. 세포막도 유사하다. 주요한 차이는 지질의 결합이
다.
에너지 생산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며 광합성활동은 클로로플라스타(chloroplast)에 의
해 일어난다. 소화 효소는 리소솜(lysosome)에서 저장된다. 이러한 모든 작용은 원핵생물의 세
포막에서 이루어지며 단백질의 합성은 리소솜 밖에서 일어나는 점이 원핵생물과 같다.
진핵생물의 단위는 원핵생물보다 크며 크기가 40S와 60S로 나뉜다. 그러나 진핵생물의 생
체입자는 원핵생물보다 크다. 게다가 진핵생물의 리보솜은 이중 막으로 배열되기도 한다.
원핵생물은 크게 3종류로 나뉘며: 조류(algae), 원생동물(protozoa) 및 균류(fungi) 각각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1) 조류(algae)는 진핵생물 생체이며 지구의 산소를 대부분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조류는
광합성엽록체(photosynthetic chloroplasts)를 가지고 있다. 조류의 세포벽은 셀룰로오스, 펙
틴, 규토(silica)로 구성되어 있고 단독이나 무리로 살 수 있다. 조류의 무리는 6개의 그
룹으로 나뉜다 : 녹조류(green algae), 갈조류(brown algae), 적조류(red algae), 규조류
(diatoms), 유글레나(euglenids), 쌍편모조류(dinoflagellates)이다.
2) 균류(fungi)는 조류가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생산자와는 다른 종속영양물질
(heterophic)이다. 디즐은 분해자이며 유기물을 분해함으로서 양분과 에너지를 얻는다. 호
흡하기 위해 산소가 필요하다. 그러나 일부는 발효능력도 있다. 환경에서 하는 중요기능
은 식물의 잔류물과 동물 사체를 분해하는 것이다. 균류는 원핵생물과 비교하여 구조가
매우복잡하며 이러한 복잡한 구조는 박테리아와 경쟁하여 이기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
다. 예를 들면, 균류는 나무의 리그닌을 분해하는 능력이 있으며 이러한 능력은 균류가
척박한 환경9예, 염류 환경 등)에 서식할 수 있는 생존방안이 된다.
3) 원생동물은 단일 세포의 이질 진핵생물이다. 이것은 복잡한 세포구조에 의해 특징지어
진다. 지질학에 등장하는 원생동물은 foraminifera, radiolaria, dinoflagellates 인데 이들은 모
두 화석에 존재한다. 몇몇 원생동물은 다른 생물을 잡아먹으며 박테리아를 먹기도 한다.
대부분의 원생동물은 동물성플랑크톤 형태로 물위에 떠다니며 살고 있다.

- 324 -
다. 고박테리아(Archaebacteria)
진핵세포와 원핵세포의 연구에서 특이한 점을 발견했다. 원핵세포 사이에서 메탄 생성 박
테리아가 다른 박테리아와 분리되어있었다. 메탄생성박테리아가 진핵세포에 가까이 관계되어
있는 것에 비해 다른 박테리아와는 멀리 있었다. 이것의 대답은 간단하다. 진핵세포와 원핵세
포만 있는 것이 아니라 3개가 존재하는 것이다: eubacteria(true bacteria), Eurocaryotes(진핵생
물), 고박테리아(archaebacteria)의 3종류이다. 진핵세포와 원핵세포와 지질은 (-co-o-)으로 연
결되어 있는 것에 비해 고고 박테리아 (-o-)로 연결되어 있다. 고박테리아는 많은 다른 종류
의 미생물을 가지고 있다 : 메탄 생성 미생물(methanogens), 효염균(extreme halophiles), 온도
에 적응하는 균(thermoacidophiles)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런 유형 중 메탄 생성 미생물은 지하에
서 가장 일반적이고 지질과정에 영향을 준다. 예전에는 어디에나 존재했지만 지금은 산소가
없고 수소와 탄소가 있는 곳에만 존재한다. 이들은 지하수의 혐기성조건에서 성장하며 쓰레기
매립장과 동물의 장에서 성장한다. 또한 깊은 지하환경에서 전자가 고갈되었을 때에도 존재하
고 있다(Table 3-11-1).

라. 바이러스
바이러스는 세포가 아니다. 그들은 독립적으로 대사작용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번식할 수
없다. 최소단위는 비리온(virion)이다. 박테리아에 기생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비리
온은 여러 가지 모양을 하고 있는 데 구형, 실린더형, 도끼형, 프리즘형 등이 있다. 박테리아
에 기생하는 바이러스를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s)라 부르며 이는 다소 복잡한 구조를 가지
고 있다. 머리는 핵산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고 수축 가능한 꼬리 덮개로 싸여 있다. 꼬리 덮게
는 꼬리 핀과 꼬리 섬유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는 세균 분해를 가능하게 해준다. 꼬
리 섬유질은 세포벽의 단백질을 찾고 접한다. 그리고 난 뒤 고리 핀으로 세포벽을 뚫는다. 마
지막으로 박테리아 안으로 꼬리 섬유질을 넣어서 DNA를 주입한다. 바이러스는 핵산에 의해
분류된다. 에르페스 바이러스를 포함한 DNA바이러스는 아데노바이러스와 함께 감기증상을 유
발하며 엔테로바이러스는 소아마비 나 장에 문제를 일으킨다. 리노바이러스는 감기증세를 일
으킨다.
물의 바이러스 연구는 오물의 바이러스 가동성에 중점을 둔다. 간장염(infectious hepatitis)는
수인성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되는 질병이다. 간장염의 유행병은 배설물로 오염된 마시는 물과
물고기를 대상으로 추적해 보았으나 충분한 자료가 확보되지는 못했다. 지표수의 병원성 바이
러스가 지하수에 전달되는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얕은 대수층의 배설물오염은 지하수
로 전달될 수 있으며 간장염을 일으킬 수 있다. Keswick, Wang, and Gerba(1982)의 연구에 의
하면 poliovirus, coxsackieviruses, rotaviruses는 지하수의 환경조건에서 수주 혹은 수개월을 생존
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야외조사를 실시한 Wellings et al (1975)에 의하면 바이러스
는 지하수에서 28일 동안 살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대수층까지 스며들 가능성은 충분히 있
는 것이다. 이로 인해 지하수를 사용하는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것이다.

마. 지하수의 박테리아
원핵세포 미생물과 그들이 지표수의 화학적 특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알아보았다. 고

- 325 -
박테리아가 박테리아와 함께 다루어 졌다. 진핵세포생물은 지표수에 존재하는 반면 원핵생물
인 박테리아 보다 3-4배 낮은 수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진핵생물은 산화된 환경에 제한적
이고 지하에 사는 것을 꺼려하기 때문이다. 바이러스는 지하환경에서도 살 수 있지만 바이러
스는 독립적인 대사를 가지고 있지 못하므로 박테리아에 비해 숫자도 적도 덜 위협적이다.

2. 지하수 시스템의 미생물생태학

생태학은 각 개체와 그들의 물리적 환경과의 관계를 말한다. 각 물리적 환경의 공동체를
생태계라 한다. 무리의 구조, 개체들간의 상호작용, 물리적 환경과의 상호작용들이 생태계의
주요 관점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생태계 공동체를 단순화하기 위해 특별히 분류학적인 그룹으
로 나눈다. 미생물 생태학자들은 미생물 사이의 관계 규명을 위해 미생물군집(community)에
중점을 둔다. 미생물생태학은 미생물과 그들의 환경과의 관계에 대해 의문점을 가진다. 그러나
미생물이나 서식환경은 직접 관찰하기는 매우 어렵다. 최근 들어서 미생물 생태학자들이 지하
수와 미생물 사이의 관계를 실험하기 시작했다. 앞으로 내용은 지표수 체계의 미생물 생태학
이해에 관한 내용이다.

가. 지하수 미생물 생태학의 범위


지표토양 아래 부분의 미생물생태학은 물과 관련된 미생물생태학분야와 유사성이 있다.
미생물 생태학자는 탄소와 에너지의 흐름경로를 찾았다. 그리고 그 흐름을 통제하는 과정을
알아보았다. 탄소의 흐름은 영양소의 흐름과 관계있다. 지하환경에서 탄소의 흐름 메커니즘은
미생물 먹이 사슬에 따른다. 미생물 혼자서 효소의 수용력을 가진다는 것은 어려운 것이다. 탄
소의 전환과 특별한 방법을 사용하여 탄소조직으로부터 특별한 미생물에너지를 추출해 내는
것은 어렵다. 전환된 탄소 합성체는 다른 미생물에 의해 사용될지도 모른다.
지하의 미생물의 먹이사슬을 통해 탄소와 다른 에너지흐름을 통제하는 지에 대한 내용을
그림은 설명하고 있다. Clostridia 에 의한 사슬은 혐기성 조건에서 리그닌(lignin)의 발효와 함
께 시작된다. 이 과정을 통해 탄소이산화물과 수소분자를 생성한다. 생성된 수소와 탄소산화물
은 산소가 있는 대수층 가까이로 확산되게 되고 수산화 박테리아(hydrogen oxidizing bacteria)에
의해 사용되어진다. 혐기성 조건에서 메탄 생성미생물 박테리아(methan oxidizing bacteria)는 메
탄을 생성하기 위한 수소와 탄소산화물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생성된 메탄은 물 층의 산화된
물로 확산되고 탄소산화물이 되기 위해 산화된다.
혐기성조건에서는 질산염(nitrate), Fe3, 황산염(sulfate)과 같은 이온수용체가 없으므로 메탄
형성박테리아가 수소 및 이산화탄소의 반응으로 메탄을 형성한다. 앙금은 많은 종류의 조직
합성체를 가지고 있어 미생물을 위한 기질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메탄은 추후 대수층을 통과
하면서 이산화탄소로 산화된다
하지만 지하 환경은 매우 제한된 영양단계를 가지며 그것은 육상의 생태계의 먹이사슬의
수와 구성면에서 매우 다르다. 지하는 1) 광합성이 가능하지 않으므로 1차생산자는 화학적 먹
이망구조(chemolithotrophy)를 가진다. 일차생산자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소비자가 존재하지 않
게 되므로 분해자(decomposer)가 존재하는 데 분해자는 주로 박테리아이며 균류 등을 포함한

- 326 -
다. 2) 다음단계로는 원생동물(protozoa)이 존재하는데 이는 분해자를 소비하는 그룹이 된다.
3) 마지막으로 고차소비자가 존재하는 데 이들은 앞이 보이지 않는 어류들(blind fishes)이며
이들은 탄소가 존재하는 대수층에 서식한다. 이들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위의 개념을 가지는 것은 매우 중요한 데 그 이유는 오염된 지하수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원생동물이 분해자를 많이 잡아먹게 되
면 오염의 분해정도가 느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진흙과 모래토양에서 이루어지는 군집구조의
차이는 다르게 나타날 것인데 침전물에 따른 탄소 및 에너지흐름이 구조별로 다를 수 있기 때
문이다. 지하토양에서 이루어지는 미생물의 호기성부분과 혐기성부분을 정리하면 아래의 표와
같다(Table 3-11-2).

Table 3-11-2 Microbial species in aerobic and anaerobic reactions in each groundwater environment.

반응 분류 관여미생물 내 용 비 고

유기물의 중간단계인 각종
산생성세균(acid former) pH가 5.0으로 낮아지나
유기산, 에탄올, 메탄올과
-Aerobacter, Clostridium, 유기물질이 줄어드는
호기성반응 이산화탄소가 물과 반응하여
Escherichia, Flavobacterium, 것이 아니며 다른 형태로
아세트산(CH3COOH)과
Micrococcus, Strptococcus 전환됨
수소를 생성
메탄생성기질(H2, CO2,
메탄생성세균(혐기성) 메탄생성세균은 매우
포름산, 아세트산 등)을
-Methanobacteriales, meth- 느리게 생장하며,
혐기성반응 메탄과 CO2로 전환시키는
anomicrobiales, 세대기간이 2-25일로
과정으로 메탄생성세균이
Methanoccales 김(pH 6.4-7.2)
필요함

나. 연구 결과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미생물의 각 개별 종은 단독으로 생활하는 것이 아니라 군집을 이
루며 집단으로 서식하는 것을 알았다(Ghrose and Wilson, 1988). Clostridia 에 의한 사슬은 혐
기성 조건에서 리그닌(lignin)의 발효와 함께 시작된다. 이 과정을 통해 탄소이산화물과 수소분
자를 생성한다. 향후 메탄을 생성하기 위한 수소와 탄소산화물의 한 부분을 차지한다. 생성된
메탄은 물 층의 산화된 물로 확산되고 탄소산화물이 되기 위해 산화된다. 이러한 사실은 오염
물질이 처리에 있어서 오염된 지하수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원생동물이 분해자를 많이 잡아먹게 되면 오염의 분해정도가 느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진흙과 모래토양에서 이루어지는 군집구조의 차이는 다르게 나타날 것인데 침
전물에 따른 탄소 및 에너지흐름이 구조별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해석되어 진다.
미생물은 현미경으로 직접관찰 가능하다. 지하미생물의 관찰은 지하대수층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수십 미터의 두께에 수백 평방킬로미터의 규모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관찰규모를 설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규모의 차이는 지하수관찰의 중요한 변수가 되며 실제로 이런 차
이는 관찰방법을 달리해서 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대수층의 박테리아를 관찰하기 위해서 직

- 327 -
접관찰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규모의 문제는 미생물 연구에서 장애요인이다. 이것은 망원경으
로 관찰 가능하다. 관찰규모는 사물과 일치해야 하며 이것이 주요관심사이다. 만약 대규모의
대수층의 관찰을 위해 적합한 규모가 선택되었다면 미생물 각각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규모의 문제는 적합한 실험 방법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지하환경의 미생물 생태학연구
에서 아래의 방법에 따른다 : 배양기술(작은 규모), 직접관찰(아주 작은 규모), 생화학적 표시
기술(작은 규모), 소우주의 활발한 측정(작은 규모), 지구화학지표수(큰 규모), 생태학 모델링
(다양한 규모지만 특히 작은 규모)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3.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연도별 연구목표 및 평가착안점에 입각한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및 관련분야의 기술발전


에의 기여도 등을 기술
깊은 지하수는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생각되어진다. 하지만 지하수는 영구미생물, 특히 장
바이러스(enteric virus)에 오염되기 싶다. 지표 밑 미생물의 대사와 생존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제한적이다. 그리고 이것들이 깊은 지하수로 이동해 간다는 것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건강과
위생에는 관련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적은 비용으로 샘플링할 수 있는 방안(low-cost sorption-based sampling) 과정을
사용하였으며 이는 지하의 장미생물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영국의 시료채취분야에서 증명된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것은 유리솜을 넣은 플라스틱 관에 과량의 지하수를 통과 시켜 장 바이
러스를 흡착시키는 방법이다. 시료분석을 위해 바이러스학 연구실에 빠르게 옮긴다. 지하수 시
료의 전처리는 없는 방법이며 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장비의 가격은 저렴했다. 따라서 이 방법
은 바이러스에 의한 지하수 오염 연구에 대한 부담을 덜어 줄 것이다.
우리는 미생물오염지표를 알아보면서 수인성 전염병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바이러스 오염의 양은 막대하다. 바이러스 분석에서 세포배양은 부분적인 바이러
스의 영향을 발견할 것이다. 반면에 PCR은 비활성 바이러스 분자로부터 DNA/RNA를 발견할
것이다. 최근의 지하수 장 바이러스의 발견은 3단계의 과정을 가진다.

1) 첫째 단계는 오염된 지역에서 샘플을 채취하고 미생물을 농축한다. 농축한 미생물은


DGGE(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의 방법을 이용하여 DNA를 추출한다. 추출된 DNA
는 PCR을 통해 유전자를 증폭시킨다. 증폭시킨 DNA를 전기영동(아래 그림)을 통해 DNA밴드
를 분리한다.
2) DGGE 방법은 DNA를 활성도(denaturant)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에 대한 변화를 읽는 방법으로
높은 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 328 -
Fig 3-11-1 DNA separation by DGGE method.

3) 미생물종의 분석을 위해 16S rDNA 방법을 이용한다. 16S rDNA 유전자는 모든 원핵생물에
존재하는 유전자이며, 일정한 자리를 가지고 있어서 미생물종의 유연관계를 파악하는 데 매우 유
용한 유전자 마커가 된다. 분석되는 유전자를 이용하여 아래의 그림에 의한 순서로 지하수 미생
물에 대해 종수준의 판독을 실시한다.

ƒ Plasmid extraction
ƒ Sequencing ƒ Comparative analysis
from clones
with Genebank DB
ƒ Amplification

T7 16S rDNA insert SP6

4)판독된 유전자의 밴드를 읽게 되면 다음의 그림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 329 -
Marker KSG 1-
1-07 KSG 1-
1-08 KSG 1-
1-12 KSG 1-
1-13 KSG 1-
1-16

10,000 bp
5,000 bp

3,000 bp
2,000 bp
1,500 bp

1,000 bp
750 bp

500 bp

250 bp

Fig 3-11-2 rDNA picture after separation

그림 Fig 3-11-2 의 왼쪽 부분은 미생물종이 가지고 있는 유전자의 크기를 나타내는 그림이


고 위의 샘플지역을 표기하고 있다. KSG1-07과 12, 16은 많은 미생물종이 출현할 가능성을
나타내주고 있다.
바이러스에 오염된 지하수 분석은 위의 설명과 같이 여러단계의 유전자분석을 거친다. 따
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유전자(rDNA)를 이용한 미생물종에 대한 동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사지역의 오염된 지하수의 출현 미생물을 파악할 수 있다.

- 330 -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제 1 절 지하수자원 평가

본 연구에서는 강수, 지표수, 지하수의 특성치 연구에 대해 연구하였으나 상호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차기년도에 명확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생
각되며, 이들 특성치를 지질특성별로 구분하여 지질특성별 지표수와 지하수와의 상호 연계에
대해 진단할 수 있을거라 생각된다. 또한 지질특성별 지하수 산출량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화강암, 퇴적암, 변성암, 화산암 순으로 산출량이 많았으나 이는 암종에 따른 결과보다는 파쇄
대의 발달에 따른 결과라 여겨진다. 현재까지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표수-지하수 연계 순환수
문시스템을 정립하고 이를 모델을 통해 평가하는 것은 2단계에서 가능할 것으로 본다.
한반도 선구조선 분석의 연구개발목표는 지질특성별 암반대수층의 부존 예측을 위하여 선
구조선의 분포와 방향, 형성시기, 지질특성별, 지구조별 발달 양상 파악을 기본적 목표로 설정
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인공위성영상과 전산음영기복도, 기 발간된 지질도를 이용하여
한반도 전역을 포괄하는 선구조선 분포도의 Database화를 달성하였다. 전산화된 선구조 분포도
를 바탕으로 지질시대별, 지질특성별, 지구조별 선구조선의 발달 양상을 파악하였으며, 선구조
선의 밀도, 빈도수, 연장길이 등을 분석하였다. 이들 자료는 장차 지하수를 개발하거나 보존하
고자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각종 정밀한 응용조사를 수행할 때 가장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역적인 암반대수층의 부존 가능성 및 지하수 유동경로 예측에 큰 기여
를 할 것이다.

또한 지하수, 암석, 토양의 주성분 및 부성분 원소 분석, X-선 분석, 지하수-암석 반응 정


도 추적을 위한 추적자(tracer) 개발, 수질 요인에 대한 통계적 해석, 평형 모델링을 통한 지하
수질의 해석 등을 모두 충실히 수행하였다. 이 결과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부성분 원소의 함
량 또는 그 비율을 이용한 잠재적 물-암석 반응 추적자를 개발하였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보
다 다양한 타당성 검토는 아직 필요한 상태이지만, 현재까지의 결과로는 충분히 활용할 만하
다는 것이다. 지하수질의 평가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 목적에 맞는 수질의 적정성과
오염 여부이다. 이때 오염 여부 판단을 위해서는 자연적인 수질 배경 값을 알아야하는데, 이
연구에서 개발한 물-암석 반응 추적자는 이러한 배경 값의 적절한 예측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관련 분야에 있어 비교적 새로운 내용이며, 만일 이 기술의 타당성
이 검증된다면 이와 유사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번 연
구에서는 원래 계획에 없던 수질 데이터베이스 “geoWQDB” 구축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 DB를
작동하기 까지는 앞으로 다소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생각한다. 만일 이 DB가 정상 작동하
게 된다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매일매일 쏟아지는 방대한 수질 자료를 통합 관리할 수 있
으며, 이 자료를 빠르게 검색하고 분류하여 여러 관련 연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331 -
지역특성별 암반대수층 오염원인 및 오염경로 진단을 위하여 연구대상지역에 대한 시료채
취 및 화학분석을 수행하고 수질자료를 분석하는 것과 자연추적자를 이용한 벼농사지역에서의
비료성분(질소) 유입량 산출을 위하여 논물의 지하수함양량 산출모델도출하고 그 모델을 실제
로 적용하여 논물의 지하수함양량을 산출하여 보는 것이었다. 이 같은 목표 중, 시료채취 및
화학분석은 전년도와 마찬가지로 군산, 서천, 남원지역에 대하여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를 통
하여 얻어진 자료는 아니지만, 부여지역의 충적층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농경지역에서의 오염
취약성평가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벼농사지역에서의 지하수함양모델을 본 연구기간 중
도출하였으며, 수질이 불량한 천부지하수의 심부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천부포획정공법을 개발
하여 특허출원하였다. 특히, 수질자료를 이용한 오염취약성평가가능성을 제시한 본 연구의 결
과는, 지하수오염취약성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높은 실용적, 학술적 가치를 가지
며, 천부포획정공법도 과도한 채수로 인한 심부대수층 오염방지에 있어 매우 실용성이 높은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한 논물함양모델은 단순히 수질 모니터링자료만
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매우 용이하며, 그에 따른 실용성의 가치도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심부의 암반대수층의 오염차단 및 관리기술 개발에 크게 공헌을 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제 2 절 지하수자원 평가

지질특성별 지하수 진단/평가/탐사 기법 개발에서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모델의 적용에 기


초적인 국내외 지하수 자원 평가코드의 수집 및 검토와 지하수 자원 평가코드 국내 적용 사례
분석은 1차년도에 달성되었고, 2차년도에서는 이 모델들을 직접 국내에 적용하였다. 향후 지
질특성별로 서로 다른 모델을 적용하여 지질특성별 국내실정에 가장 적합한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는 지질 특성별 지하수 진단 및 평가 뿐 만 아니라 지하수 자원의
오염 평가 그리고 그에 대한 대책 마련 연구에 중요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기술은 수자원의 이용, 평가 및 관리와 관련된 모든 산업, 즉 먹는 샘물 및 지하수 개발 그
리고 이를 환경 영향 평가 등의 분야에서 필수 기술로 사용될 수 있다.

제 3 절 연안대수층의 해수침투 현상 규명

국내 서해안 대수층은 사질토와 점토층의 구분이 뚜렷하여 층상 불균질성에 의한 해수침투


가 해외의 다른 해안과는 다른 형태로 나타나므로 이를 고려한 적절한 수치모델의 적용이 필
요하다. 또한 해안 가까이 위치한 간척지의 용도로 볼 때 년 중 지하수의 수요는 주로 농업적
필요에 이해 발생하고, 계절적인 주기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지하수의 양수에 의한 해수침투의
영향을 고려할 때 이러한 주기적인 양수의 효과를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번 연구 연구에서는
주기적인 양수에 의한 대수층 내 지하수 오염의 메카니즘을 밝히고 해안 자연 환경을 보존하
려는 방향에서 추진되었다. 또한 서해안의 높은 조차라는 국내적인 특수성을 고려하여 해수

- 332 -
침투 모델에 이러한 조석의 영향을 반영하였으며, 해안에서 가까운 관정에서 해수의 압력 변
화에 의한 지하수의 물리적 변화 뿐 아니라 염분 이동량 변화에 따른 수질 변화를 분석하였다

제 4 절 지하수자원 탐사 및 검층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추 공간 파쇄대의 수리적인 연결성을 확인하였으며 환경오염 치유 분


야, 지표구조지질과 물리탐사를 포함하는 지표조사 결과의 해석과 공벽영상화검층 자료의 수
리하적인 해석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333 -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현재까지의 유출 특성에 대한 연구개발 결과와 앞으로의 연구 방향은 지질특성과 연계되어


활용될 것이다. 이 연구가 완료되면 지질 특성에 따른 보다 합리적인 지하수 개발, 나아가서는
수자원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피압 암반대수층 지하수로의 오염물질 유입경로는 추후 암반대수층 지
하수의 수질 관리 및 오염물질 유입 차단 기술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과잉양수로 인한 심부오염방지 기술은 현장적용시험을 거친 뒤 곧바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므로, 현장적용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수질자료를
이용한 취약성평가법은 처음 가능성을 제기한 것이기는 하지만, 지속적인 연구가 뒤따른다면
매우 높은 활용성을 갖게 될 뿐 아니라, 세계의 취약성 평가기술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
대된다. 이밖에도 논물함양 모델도 현장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생각되며, 고불소지하수 연구결
과는 암반지하수 관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모델링을 이용한 지하수 평가연구에서는 지하수 관련 연구자 및 실무자들에게 지하수 평가
를 위한 프로그램선정과 활용에 참고자료로 제공하며, 객관적이면서 효율적인 지하수 유출량
산정 기법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모델을 이용한 지하수 평가기법 연구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
할 수 있다.
적절한 양수량 및 양수 기간을 설정하는 문제는 해안 대수층을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
수적인 요소이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계절적이고 주기적인 지하수 수요를 충당하기 위한 양
수가 해안 대수층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보다 해안 대수
층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양수 기술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진행될 계획이다. 또한 해안
가까이에 위치한 관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조석차에 의한 지하수의 화학적 물리적 영향을 보
다 세밀히 연구함으로써 실제 관측과 수치모델에서 오는 차이를 감소시키고 보다 정밀한 해수
침투 기작의 이해를 얻어 낼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의 연구는 실제 현장 규모의 연구를 위한 위치 선정하고, 본 연구의 결과인 밀도 의
존적 지하수-용질 이동 연동 모델을 적용하여, 현장의 지질학적, 수리학적 데이터를 최대한 반
영하는 모델을 제작, 앞으로의 조사지역내 지하수 사용량의 추이에 따른 지하수 염수화 정도
및 해수-담수 경계면의 이동 및 변화 양상에 대한 예측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렇게 제작된 모
델은 다시 조사지역내 수리지구화학적, 수리지질학적 결과 해석 및 종합 결론을 이루어 내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해안 대수층의 모델 제작에 표준화된 기법을 제시하여, 해수
침투 진단 및 염수화 정도 예측에 대한 방법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지하수에 존재하는 미생물종에 대한 기초자료가 수집되었다. 미생물종의
분류는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원생동물, 진핵동물, 고박테리아, 바이러스 등 매우
다양한 생물종이 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외국과 같이 출현하는 모든
종에 대한 표본(reference collection)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표본을 통해 발생하는 미생물종을
식별하는 것이 필요하며 구별된 종에 대한 대응방안의 마련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러한 일을
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만드는 것이 기업화 추진기술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
종의 동정을 위해 활용되는 DGGE기법은 지하수에 서식하는 미생물종에 대한 분류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하수의 오염과 미생물종의 다양성에 대한 관계분석이 가능하다.

- 334 -
지하수 자원의 물리탐사와 검층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 활용이 가능하다.

1. 지하수자원 물리검층의 활용

․ 환경오염조사 및 치유대책에 활용
․ 터널, 대규모 지하공동굴착과 같은 지하수의 유동이 중요한 지반조사 분야에 활용
․ 지하수기초조사, 먹는물 환경영향평가 등을 수행하기 위한 물리검층에 활용
․ 다수의 시추공이 존재하는 균열암반에 대한 시추 공간 3차원적인 파쇄대의 수리적인 연결
성 파악.

2. 지하수자원 물리탐사의 활용

개발시스템의 특허출원 및 중소기업 기술이전 추진을 통해 활용도를 극대화활 예정이다.


개발시스템의 시스템 하드웨어 기술을 타 탐사법으로 확대하여 개발하면 측정시스템의 외국
의존도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335 -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제 1 절 지하수자원 진단 첨단 해외 과학정보

지하수자원에 대한 관심과 주목을 끌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UN산하의 UNEP와


WTO, 리우협정, 그린라운드, NGO 등에서는 한 단계 더 앞선 환경친화적인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지하수자원 진단에 대한 해외 첨단 정보들은 이 같은 국제적인 협약이나 모임의 배경과
연구에서 찾아야 한다.

제 2 절 지하수자원 평가 첨단 해외 과학정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벤치마크의 대상은 미국지질조사소(U. S. Geological Survey)이다. 지


하수자원뿐만 아니라 모든 지하 지질매체와 이와 관련한 사항에 대하여 전세계를 이끌어나가
는 미국지질조사소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지하수자원의 다양한 평가코드에서 미국 지질조
사소의 평가 프로그램들을 벤치마킹하였으며, 아울러 영국지질조사소의 대표적인 코드 등을
중점 분석 평가하여 이를 우리의 실정에 맞도록 리뷰하였다. 이 같은 검토는 앞으로 우리의
실정에 맞는 평가기법을 개발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며, 계속적인 평가방법
의 개발과 지질 특성에 맞는 평가코드의 선택을 진행할 것이다.

제 3 절 해수침투현상 진단/평가 해외 과학정보

해외의 경우 해안 대수층의 염수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수리학 분야뿐


만 아니라 지질학적 지구물리학적, 생태학적 관점 및 방법 등으로 병행되고 있다. 대략의 연구
방향은 (1)분석해 연구, 해수- 담수 혼합대의 수리동역학(hydrodynamics)에 대한 연구, 모형실
험 등을 통한 해수침투 문제에 대한 기본적 이해 도모, (2)새로운 모델링 기법 및 접근 방식
을 통한 현장 적용 사례, (3)수리지구화학 및 환경 동위원소를 사용한 연구, (4)지구물리학적
탐지 기법, 장비들에 대한 연구, (5)해투침투로 인한 자연 생태계 변화 및 환경 변화, (6)염
수화 및 방제, 통제 및 저감 기술 개발, (7)전 지구적인 기후 변화와 해수면 상승이 해안 지
하수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등과 같다.
또한 해안 지역의 해수침투 정도를 직접적으로 관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미국의 USGS (U.
S. Geological Survey)는 헬리콥터에 대형 전자기 관측 장비를 탑재하여 해안지역을 단시간에
관측하는 기술 (HEM, helicopter electromagnatic mapping)을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monitoring
well을 통한 지하수 시료 채취 및 분석하는 방법이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는 있으나 시
료개수의 제한 및 시료 채취 제한 구역으로 인하여 3차원적인 해수침투의 모양을 적확히 얻을
수 없는 점을 감안할 때 상당히 획기적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헬리콥터 전자기 탐사는 상대적
으로 지형이 평탄하고, 점토층이 없으며, 해수와 담수가 좁은 폭의 전이대를 가진 즉 농도차이
가 뚜렷한 곳이 아니면 높은 해상도의 결과를 얻을 수 없으며, 전자기적인 소음이 발생하는
높은 건물 주위나 대도시 주위에서의 관측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 336 -
제 4 절 지하수자원 탐사/검층의 첨단 해외 과학정보

물리검층 분야에서 1980년대 이후, 주로 핵폐기물저장 시설의 부지특성화 목적으로 결정


질 암반에서의 물리검층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주로 최근에 개발된 3종류
의 물리검층법인 완전파형음파검층 (Full waveform sonic log), 유향․유속검층 (Flowmeter
log), 공벽영상화검층 (Borehole imaging log)법을 중심으로 결정질 암반의 균열특성화에 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대부분의 경우, 시추공과 교차하는 단열의 특성 파악이나 (공벽영상
화검층) 또는 시추공 전구간에 대한 수리상수의 추정 (완전파형음파검층, 유속흐름검층), 또는
시추공 내에서 지하수 유동을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유속흐름검층)으로 기술 선도국의
경우, 이 분야에 대한 장비개발, 운용 S/W 및 해석 분야에 많은 know-how를 축적하고 있는
상태이다. 장비 및 운용 S/W 개발은 국내의 기반시설 및 시장성의 문제로 접근하기 어려운 실
정이며 주로 국내의 지질학적 특성에 적합한 물리검층법의 적용과 해석에 연구의 중심을 두기
로 한다. 1차년도는 국내의 지하수 조사 분야에서 많이 이용하는 물리검층법에 대한 표준화를
목적으로 하였으며 자료취득, 보정 등에 대한 연구 결과의 수준은 기술 선도국 대비 약 80%
정도이다.
진보된 물리탐사 기술을 확보한 선진국(미국, 캐나다, 독일, 호주 등)에서는 이미 많은 3
차원 물리탐사기술(예, 전기비저항탐사, 전자탐사 등)이 개발되었고, 상용화 단계에 있다. 국
내의 경우,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지형효
과에 대한 문제를 보정한 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기술 및 해석기술이 이미 개발되어 현장에 사
용되고 있다(정승환 등, 2001; 이상규 등, 2000). 또한 이와 더불어 물리탐사 자료의 복합해
석을 위한 3차원 영상 구현기술 개발이 진행 중에 있다.
또한 다음 연구보고서는 물리검층 장비의 선택에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초기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Flowmeter의 원리와 적용: EPA 연구보고서, Young, S.C., Julian, H.E., Pearson, H. S., Molz,
F.J., and Boman, G.K., 1998, Application of the electromagnetic borehole flowmeter,
EPA/600/R-98/058, p.60.
- 2-D 또는 3-D flowmeter의 비교에 관한 보고서: USGS 연구부고서, Willson, J.T., Mandell,
W.A., Pailletm F.L., Bayless, E.R., Hanson, R.T., Kearl, P.M., Kerfoot, W.B., Newhouse, M.W., and
Pedler, W.H., 2001, An evaluationj of borehole flowmeters used to measure horizontal ground-water
flow in Limestones of Indiana, Kentucky, and Tennessee, 1999, U.S. Geological Survey
WRI-01-4139, p.129.
- 양수 pump의 선택: Schalla, R., Webber, W. D., and Smith, R. M., 2001, Selection of Sampling
Pumps Used for Groundwater Monitoring at the Hanford Site,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PNNL-13690, p.87.

- 337 -
제 7 장 참고문헌

고용권, 김천수, 배대석, 김건영, 정형재 (1999) 초정지역 탄산수의 지화학적 연구 I. 수리화학.
지하수환경, 6, 159-170.
구민호, 차장환, 이주형, 박창희, 정복선, 2001, 시추공 유속측정기(Borehole Flowmeter)를 이용한
구간별 수리전도도 산정,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93-97.
김정호, 이명종, 송윤호, 정승환, 2001, 2차원 전기비저항탐사를 위한 변형된 전극배열법에 관한
연구, 물리탐사, 4, 59-69.
김천수, 제주도 지하수환경의 오염취약성, 제8회 공동 학술강연회 발표논문집 (지하수 자
원의 활용과 보전), 대한광산지질학회, p. 13-28, 1992.
김천수 등, 임해지역 주변에서의 해수침투 특성, 지하수환경, 제4권, p. 61-72, 1997.
민경덕, 서정희, 권병두, 1987, 응용지구물리학, 우성문화사, 21-439p.
박남식 등, 중-동 제주 수역의 지하수 개발로 인한 해수침투, 지하수환경, 제4권, p. 5-13, 1997.
성익환, 추창오, 조병욱, 이병대, 김통권, 이인호 (1998) 선캄브리아기 변성암 지역에 분포하는
먹는 샘물 지하수의 수리화학적 특성. 지하수환경, 5, 203-209.
송원경, 김세준, 김형찬, 박인화, 선우춘, 신중호, 이대하, 이상규, 이영준, 이태섭, 정영욱, 채병
곤, 최성자, 최종호, 황세호, 김정호, 문상호, 박찬, 성낙훈, 신희순, 이명종, 이성곤, 이철우,
정소걸, 조성준, 최성웅, 최위찬, 하공창, 황학수, 김광은, 김일남, 2000, 경부고속철도 8-1공
구 상촌터널 주변계곡의 수량감소 원인조사연구, 한국자원연구소, p.218.
송윤호, 정승환, 이상규, 김정호, 황세호, 황학수, 이성곤, 조성준, 이명종, 설순지, 박인화, 2000,
지반 물리탐사 연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보고서 1999-R-TI02-P-01, p.111.
윤성택, 채기탁, 고용권, 김상렬, 최병영, 이병호, 김성용 (1998) 풍기 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
학 및 환경동위원소 특성 연구. 지하수환경, 5, 177-191.
이대하, 김원영, 기원서, 김형찬, 고동찬, 최범영, 김현태, 김유성, 황세호, 윤윤열, 이승구, 채병
곤, 문상호, 이평구, 권석기, 김세준, 현혜자, 박인화, 한종규, 염병우, 김용제, 이철우, 조민
조, 허대기, 김중열, 이상규, 이길용, 이강근, 우남칠, 1999, 암반내의 열극해석과 지하수 유
동 및 흡착연구, 한국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KR-99(B)-05, p.589.
이병주, 박기화, 윤욱, 윤윤영, 김남장, 황상기, 1993, 발안도폭 지질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이상규 ,황학수, 황세호, 이승구, 이대하, 염병우, 문상호, 최위찬, 고동찬, 성낙훈, 박인화, 이철
우, 해수침투 평가 및 방지기술 개발, KR-00-(T)-08, 과학기술부,329-333p.
이상규, 황세호, 이태섭, 구성본, 최종호, 박인화, 김광은, 송윤호, 성낙훈, 성기성, 이진수, 진명
식, 지세정, 이동영, 김주용, 양동윤, 성익환, 최순학, 조병욱, 김민규, 박철환, 박연준, 최성
웅, 박 찬, 이현철, 김태유, 양문희, 오경준, 박경민, 김연배, 송영수, 제주도 지열자원탐사
및 최적활용방안연구, 951K101113AG1, 통상산업부.
이인호, 이재영, 김통권 (1997) 대구시 지하수의 수질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자원환경지질, 30,
327-340.
이재영, 김철호, 이인호, 고인석 (1998) 고령 지역 지하수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지하수환경, 5,

- 338 -
162-170.
이종운, 전효택, 전용원 (1997) 국내 화강암질암내 심부지하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지하수환경,
4, 199-211.
정승환 ,김정호, 송윤호, 조성준, 이명종, 이성곤, 설순지, 손정술, 전기․전자탐사를 이용한 지
하구조의 3차원 진단기술 개발, M1-9911-00-0061, 과학기술부.
조민조 외 31인 (1999) 영암-강진 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보고서. HG-1999-YK, 건설교통부, 한
국자원연구소.
조민조 외 27인 (2001) 전주-완주 지역 지하수 기초조사 보고서. HG-2001-JW, 건설교통부, 한국
지질자원연구원.
최영길 외. 1999. 환경미생물학. 교학사.
한정상, 1998, 지하수환경과 오염. 박영사.
홍승호, 1990, 나주도폭 지질보고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황세호, 이상규, 박인화, 이대하, 채병곤, 2001, 물리검층을 이용한 지하수 유동특성 연구, 대한
지질공학회 춘계학회 논문집. 121-125.
황세호, 염병우, 김용제, 2003, 유향․유속검층을 이용한 시추공간 수리적 연결 특성 파악, 한국
지하수토양환경학회 추계발표회 논문집, 263-266.
황세호, 김용제, 염병우, 고진석, 이상규, 2004, 물리검층을 이용한 균열암반의 지하수유동특성
해석,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인쇄중.
황재하 외, 2001, 한반도 지체구조도. 한국자원연구원.
황학수, 기원서, 이태섭, 박종오, 최정환, 문창규, 암반사면 사태의 원인규명을 위하 지질조사,
대한지질공학회지, Vol 11, No.3, 2001, 295-301p.
황학수, 이상규, 고동찬, 김양수, 박인화, 전기비저항모니터링을 이용한 해수침투 파악, 물리탐
사학회지, Vol. 3, No, 1, 2000,p 1-6.
황학수, 이상규, 1997, 이동하면서 측정할 수 있는 시간영역전자탐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센서
흔들림유도잡음 제거연구, 자원환경지질학회지, Vol. 31, No. 1, p. 53-57.
황학수, 이태섭, 성낙훈, 1999, 인공잡음 제거를 위한 기준점 이용 탐성파 측정시스템 개발, 물
리탐사학회지, Vol. 2, No. 4, p. 180-183.
황학수, 1997, 황철석 광산 광미댐에서의 지하수흐름 경로탐지를 위한 물리탐사 적용, 대한자원
환경지질학회, v. 30, no. 2, p. 137-142.
Aguilera, R., 1980, Naturally fractured reservoirs: Tulsa, Okla., Petroleum Publishing.
APHA et al. (1992)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 Water, 18th Ed.
APHA Pub.
Arnold, J.G., P.M. Allen, R.Muttiah, and G. Bernhardt, 1995, Automated base flow separation and
recession analysis techniques, Ground Water, 33(6): 1010-1018.
Atkinson, S. F., G. D. Miller, D. S. Curry, and S. B. Lee, Saltwater Intrusion: Satatus and
Potential in the Contiguous United States, Lewis Publishers, Inc., Chelsea, MI, 1986.
Back. W. 1986. Hydrochemical facies and groundwater flow patterns in northern part of Atlantic
Coastal Plains. US Geological Survey of Professional Paper 498-C.

- 339 -
Balkwill. D. L. 1989. Numbers, diversity,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erobic, chemo-
heterotrophic bacteria in deep subsurface sediments from a site in South Carolina.
Geomicrobiology Journal 7:33-52.
Bear, J., A. H-D. Cheng, S. Sorek, D. Ouazar, and I. Herrera, Seawater Intrusion in Coastal
Aquifers-Concepts, Methods and Practic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9.
Burns, D.R., 1991, Predicting relative and absolute variations of in-situ permeability from full wave-
form acoustic logs, 32, 246-255.
Buselli, G., Barbar, C.,and Williamson, D.R., 1986, The mapping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and
soil salinity by electromagnetic methods, Proceedings of the 1986 National Hydrology and
Water Resources Symposium, Griffith University, Brisbane, p. 201-229.
Buselli, G., and Hwang, H.S., 1996, Electrical and electromagnetic survey of a mine tailings dam
at brukunga, South Australia, CSIRO Division of Exploration and Mining, Open Report 277F,
53 pp.
Buselli, G., and Williamson, D.R., 1994, The use of broadband electromagnetic methods to differ-
entiate layered models of soil salinity profiles: Exploration Geophysics, v. 25, p. 89-102.
Buselli, G., and Williamson, D.R., Modelling of broadband airborne electromagnetic responses from
saline environments: Geophysics, v. 61, no. 6, p. 1624-1632.
Buselli, G., K. G. McCRACKEN, H. RUTTER., MANUAL FOR SIROTEM FIELD PROCEDURES
AND DATA INTERPRETATION.
Chapelle, 2001. Groundwater microbiology and geochemistry. 2nd edition. John Wiley and Sons.
Chen, H., Xu, H., and Yang, X., 1990, Detecting underground cable and metal conducting pipes by
using EM methods: in Ward, S.H., Ed., Geotechnical and Environmental Geophysics, vol. III,
SEG, p. 229-237.
Cressler, C. W., Thurmond, C. J. and Hester, W. G., 1983, Ground Water in the Greater Atlanta
Region, Georgia. Georgia Geological Survey Information Circluar 63. Georgia Geologic Survey,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Environmental Protection Division, Atlanta, Georgia.
Davis, J.C., 1986.Statistics and data analysis in geology. Wiley, New York.
Davis, J.L., and Annan, A.P., 1989, Ground-penetrating radar for high-resolution mapping of soil
and rock stratigraphy: Geophysical Prospecting, v. 37, p. 531-551.
Doll W.E., Skibicky, T.V., Clay, C.S., 1984, Enhancement of transient electromagnetic soundings: A
metallic model study: Geophysics, v. 49, no. 7, p. 531-551.
Dominguez, H. and Perez, G., 1991, Permeability estimation in naturally fractured fields by analysis
of Stonely waves, 32, 120-128.
Fliermans, C.B. and T.C. Hazen. 1990. Proceedings of the 1st International Symposium of
Microbiology of the Deep Subsurface.
Freeze, R.A. and J.A. Cherry. 1979. Groundwater.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Gellen, D., 2002, Combining regional approach and data extension procedure for assessing GEV
distribution of extreme precipitation in Belgium, Journal of Hydrology, v.268, p.113-126.

- 340 -
Ghirose, W.C. and J.L. Wilson. 1988. Microbial ecology of the terrestrial subsurface. Advances in
Applied Microbiology 33:107-122.
Ghirose, W.C. and D.L. Balkwill. 1983. Enume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a indigenous to
subsurface environments. Developments in Industrial Microbiology 24:213-224.
Gibbs, R.J. (1970) Mechani는 controlling world water chemistry. Science, 170, 1088-1090.
Guymon, G. L., Unsaturated Zone Hydrology, 210 pp., Prentice-Hall, New Jersey, 1994.
Haberlandt, U., Klöcking, B., Krysanova, V. and Becker, A., 2001, Regionalisation of the base flow
index from dynamically simulated flow components - a case study in the Elbe River Basin,
Journal of Hydrology, v.248, p.35-53.
Hardcastle, K. C., 1995, Photolineament Factor: A New Computer-Aided Method for Remotely
Sensing the Degree to which Bedrock is fractured. Photogra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61, 739-747.
Hess, A.E., 1982, A heat-pulse flowmeter for measuring low velocities I boreholes,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82-699, U.S. Geological Survey, Denver.
Hess, A.E., 1986, Identifying hydraulically conductive fractures with a slow velocity borehole flow-
meter: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 23, 69-78.
Hess, A.E., and Paillet, F.L., 1990, Application of the thermal-pulse flowmeter in the hydraulic
characterization of fractured rocks: Saunders, W.R., ed.,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Standard Technical Publication 1101, 99-112.
Hornby, B.E., Johnston, D.L., and Plumb, R.A., 1989, Fracture evaluation using reflected
Stoneley-wave arrivals: Geophysics, 54, 1274-1288.
InstitKnisel, W.G., and J.M. Sheridan, 1983, Procedure for characterizing hydrologic processes in
the coastal plain of southeastern United States. In:Proceedings of VNESCO International
Program on Hydrology on Large Flatlands, Buenos Aires, Argentina, v.1, pp. 191-211.ute of
Hydrology, 1980, Low flow studies, Wallingford, UK.
Iwatsuki, T. and Yoshida, H. (1999) Groundwater chemistry and fracture mineralogy in the base-
ment granitic rock in the Tono uranium mine area, Gifu Prefecture, Japan- Groundwater com-
position, 또 evolution analysis by fracture filling materials-. Geochem. J., 33, 19-32.
Jeen, S. W., J. M. Kim, K. S. Ko, B. Yum, and H. W. Chang,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a mid-western coastal aquifer system, Korea, Geosciences Journal, 5, 339-348,
2001.
Katsube, T.J., and Hume, J.P., 1987, Permeability determination in crystalline rocks by standard ge-
ophysical logs: Geophysics, 52, 342-352.
Keswick, B.H., D. Wang, and C.P. Gerba. 1982. The use of microorganism as groundwater tracers;
A review. Groundwater 20:142-149.
Keys, W.S., 1979, Borehole geophysics in igneous and metamorphic rocks: SPWLA Symposium, 20th,
Tulsa, Okla., OO1-OO26.
Keys, W.S., and Sullivan, J.K., 1979, Role of borehole geophysics in defining the physical charac-

- 341 -
teristics of the Raft River geothermal reservoir, Idaho: Geophysics, 44, 1116-1141.
Kim, J. H., Hydrogeochemical study on shallow groundwater at the coastal area of Kimjae, Master
Thesis, 96 pp.,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1.
Kim, R. H., B. Yum, and H. W. Chang, Hydrogeochemical and isotopic characteristics for saliniza-
tion of a shallow groundwater in coastal area, Youngkwang, Korea, Proceedings of the 17th
Salt Water Intrusion Meeting, Delft, Neterlands, 227-238, 2002.
Kolbel-Boelke et al. 1988.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saturated groundwater environment, 11:
Diversity of bacterial communities in a Pleistocene sand aquifer and their in vitro
activities. Microbial Ecology 16:31-48.
Laughlin, G.P., Zuo, H., Walcott, J., and Bugg, A.L., 2003, The rainfall reliability wizard - a new
tool to rapidly analyse spatial rainfall reliability with examples, Environmental
Modelling and Software, v.18, p.49-57.
Lee, S.K., and Buselli, G., 1988, Transient EM analogue modelling for Korean treasure hunting
with the SIROTEM system: Geophysical Prospecting, v. 36, p. 976-994.
Linsley, R.K., Jr., M. A. Kohler, and J.L.H. Paulhus, 1982, Hydrology for Engineers (3rd ed.),
McGraw-Hill, New York, 508p.
Mabee, S. B., Hardcastle, K. C. and Wise, D. U., 1990, Correlation of lineaments and bedrock
fracture fabric: Implications for regional fractured bedrock aquifer studies, Preliminary results
from Georgetown, Maine. Proc. FOCUS Conf. on Eastern Reg. Groundwater Issues, 3, 283-297.
Mayboom, P., 1961, Estimating ground-water recharge from stream hydrograph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66, no.4, p.1203-1214.
Matthess, G. 1982. The Properties of Groundwater. New York, John Wiley.
McDonald, M.G., and Harbaugh, A.W., 1988, A modular three-dimensional finite-difference
ground-water flow model: U.S. Geological Survey Techniques of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book 6, chap. A1, 586 p.
McNabb, J.F. and W.J. Dunlap. 1975. Subsurface biological activity in relation to groundwater
pollution. Groundwater 13:33-44.
Nahm, G. Y., 1970, The tectoncs in Korean Peninsula shown on the 1/250,000 scal relief maps. 지
질학회지, 6, 53-60.
Nance, W. B. and Taylor, S. R., (1976) Rare earth elements patterns and crustal evolution-I.
Australian post-Archean sedimentary rocks. Geochim. Cosmochim. Acta, 40, 1539-1551.
Nathan, R.J., and T.A. McMahon, 1990, Evaluation of automated techniques for base flow and re-
cession analyses, Water Resour. Res., 27(7), 1785-1786.
Nelson, P.H., Magnusson, K.A., and Rachiels, R., 1983, Application of borehole geophysics at an
experimental waste storage site: Geophysical Prospecting, 30, 910-934.
Nyholm, T., Rasmussen, K.R. and Christensen, S., 2003, Estimation of stream flow depletion and un-
sertainty from discharge measurements in a small alluvial stream, Journal of Hydrology, v.274,
p.129-144.

- 342 -
Oki, D. S., W. R. Souza, E. L. Bolke, and G. R. Bauer, Numerical analysis of the hydrogeologic
controls in a layered coastal aquifer system, Ohau, Hawaii, USA, Hydrogeology Journal, 6,
243-263, 1998.
Paillet, F.L., 1983, Acoustic characterization of fracture permeability at Chalk River, Ontario:
Canadian Geotechnical Journal, 20, 468-476.
Paillet, F.L., 1993, Using borehole geophysics and cross-borehole flow testing to define hydraulic
connections between fracure zones in bedrock aquifers, J. Applied Geophysics, 30, 261-279.
Paillet, F.L., 1991, Use of geophysical well logs in evaluating crystalline rocks for siting of radio-
active waste repositories: Log Analyst, 32, 85-107.
Pailet, F.L., 1994, Application of borehole geophysics in the characterization of flow in fractured
rocks: U.S. Geological Survey Water-Resources Investigation Report 93-4214.
Paillet, F.L., 1998, Flow modeling and permeability estimation using borehole flow logs in hetero-
geneous forma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34, 997-1010.
Paillet, F.L., 2000, A field technique for estimating aquifer parameters using flow log data: Ground
water, 38, 510-521.
Paillet, F.L., 2001, Hydraulic head applications of flow logs in this study of heterogeneous
aquifer: Ground Water, 39, 667-675.
Palmer, C.D. and Cherry, J.A. (1984) Geochemical evolution of groundwater in sequences of sedi-
mentary rocks. J. Hydrology, 75, 27-65.
Parkhurst, D.L. (1995) User's guide to PHREEQC--A computer program for speciation, re-
action-path, advective-transport, and inverse geochemical calculations: U.S. Geological Survey
Water-Resources Investigations Report 95-4227, 143 p.
Piper, A.M. (1944) A graphic procedure in the geochemical interpretation of water.
Rencz, A. (ed.), 1999, Manual of Remote Sensing: Geosciences. John Wiley & Sons.
Rorabaugh, M.I., 1964, Estimating changes in bank storage and ground-water contribution to
streamflow, International Assoc. of Scientific Hydrology, Publication 63, p. 432-441.
Roberts G.P., Duncan, A.C., Anderson, A., and Roocke, P.A., 1993, SALTMAP-A new airborne elec-
tromagnetic system for salinity studies: Proceedings of the 7th ISCO Conference, Sydney, p.
745-750.
Rutledge, A.T., and Daniel, C.C., 1994, Testing an automated method to estimate groun-water re-
charge from streamflow records, Ground Water, v. 32, no. 2, p. 180-189.
Rutledge, A.T., 1997, Model-estimated ground-water recharge and hydrograph of ground-water dis-
charge to a stream : U.S. Geological Survey Water-Resources Investigation Report 97-4253,
29p.
Rutledge, A.T., 1998, Computer programs for describing the recession of ground-water discharge
and for estimating mean ground-water recharge and discharge from streamflow data - update :
U.S. Geological Survey Water-Resources Investigation Report 98-4148, 43p.
Schalla, R., Webber, W. D., and Smith, R. M., 2001, Selection of Sampling Pumps Used for

- 343 -
Groundwater Monitoring at the Hanford Site,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PNNL-13690, p.87.
Shamir, V. and G. Dagan, Motion of the seawater interface in coastal aquifers: a numerical sol-
ution, Water Resour. Res., 7(3), 644-657, 1971.
Simunek, J. and van Genuchten, M. Th, 1998, HYDRUS1D Software Package for Simulating the
one-dimensional Movement of Water,Heat and Multiple Solutes in Variably Saturated-Media,
IGWMC.
Simunek, J. and van Genuchten, M. Th, 1999, Computer Software for Evaluating Solute
Transport in Porous Media Using Analytic Solutions of the Convection-Dispersion Equation,
IGWMC.
Simunek, J. and van Genuchten, M. Th, 1999, HYDRUS2D Software Package for Simulating the
two-dimensional Movement of Water, Heat and Multiple Solutes in Variably Saturated-Media
ver.2.0, IGWMC.
Smakhtin, V.U., 2001, Low flow hydrology: a review, Journal of Hydrology, v.240, p.147-186.
Spies, B.R., 1989, Depth of investigation in electromagnetic sounding methods: Geophysics, v. 54, p.
872-888.
Street, G.J., 1992, Airborne geophysical surveys-applications in land management: Exploration
Geophysics, v. 23, p. 333-338.
Strack, O.D.L., 1989, Groundwater Mechanics, Prentice Hall, 732p.
Strack, O.D.L., "Groundwater Mechanics" Prentice Hall, 1989. van Genuchtem, M. T., A
closed-form equation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saturated soils, Soil Sci. Soc.
of Am., 44, 892-898, 1980.
Suk, H., Lee, K.K., 1999. Characterization of a ground water hydrochemical system through multi-
variate analysis: clustering into groundwater zones. Ground Water 37, 358-366.
Swanson, S.K., Bahr, J.M., Schwar, M.T., Potter, K.W., 2001. Two-way cluster analysis of geochemical
data to constrain spring source waters. Chem Geol 179, 73-91.
Tang, X.M., Cheng, C.H., and Paillet, F.L., 1991, Modeling borehole Stoneley wave propagation
across permeable in-situ fractures: SPWLA Symposium, 32d, GG1-GG25.
Van Genuchtem, M. Th., A closed-form equation for predi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un-
saturated soil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44, 892-898, 1980.
Vincent, R.K., 1997, Fundamentals of Geological and Environmental Remote Sensing, Upper Saddle
River. Prentice Hall.
Voss, C. I., and W. R. Souza, Variable density flow and solute transport simulation of regional
aquifers containing a narrow freshwater-saltwater transition zone, Water Resources Research,
23, 1851-1866, 1987.
Wellings, F.M. et al. 1975. Demonstration of virus in groundwater after effluent discharge onto soil.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29:751-757.
Wellings, F.M. et al. 1975. Demonstration of virus in groundwater after effluent discharge onto soil.

- 344 -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29:751-757.
Willson, J.T., Mandell, W.A., Pailletm F.L., Bayless, E.R., Hanson, R.T., Kearl, P.M., Kerfoot, W.B.,
Newhouse, M.W., and Pedler, W.H., 2001, An evaluation of borehole flowmeters used to meas-
ure horizontal ground-water flow in Limestones of Indiana, Kentucky, and Tennessee, 1999, U.S.
Geological Survey WRI-01-4139, p.129.
Wilson, J. L. and A. A. G. Sa da Costa, Finite element simulation of a saltwater/freshwater
interface with indirect toe tracking, Water Resour. Res., 18(4), 1069-1080, 1982.
Yakirevich, A., A. Melloul, S. Sorek, S. Shaath, and V. Borisov, Simulation of seawater intrusion in-
to the Khan Yunnis area of the Gaza Strip coastalaquifer, Hydrogeology Journal, 6, 549-559,
1998.
Yeh, G. T., J. H. Cheng, and H. P. Cheng, 3DFEMFAT: Users' manual of a 3-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density-dependent flow and transport through saturated-unsaturated media,
Technical Report, 200 pp.,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University Park, Pennsylvania, 1994.
Yeh, G. T., Computational Subsurface Hydrology: Fluid Flows, 277 pp., Kluwer Academic
Publishers, Norwell, Massachusetts, 1999.
Yeh, G. T., Computational subsurface hydrology Fluid Flows, 277 pp., Kluwer acad., Norwell,
Mass., 1999a.
Yeh, G. T., Computational subsurface hydrology Reactions, Transport, and Fate, 318 p p . ,
Kluwer acad., Norwell, Mass., 1999b.
Yeh, G. T., Computational Subsurface Hydrology: Reactions, Trasnport, and Fate, 318 pp., Kluwer
Academic Publishers, Norwell, Massachusetts, 2000.
Young, S.C., Julian, H.E., Pearson, H. S., Molz, F.J., and Boman, G.K., 1998, Application of the
electromagnetic borehole flowmeter, EPA/600/R-98/058, p.60.

- 345 -
특정연구개발사업 연구결과 활용계획서
중사업명 특정연구개발사업
사업명
세부사업명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
과제명 지질특성별 지하수 진단/평가/탐사 기법 개발
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책임자 염병우

총연구기간 2001년. 10월. 20일. ~ 2004년. 6월. 30일. (32개월)

총 연구비 정부출연금 민간부담금 합계


(단위 : 천원) 1,125,000 1,125,000
기술분야
참여기업
협동연구기관
위탁연구기관 군산대학교, 서울대학교, 강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4.타사업에 활
연구결과활용 1. 기업화 ( ) 2. 기술이전( ) 3. 후속연구추진(∨)
용(∨)
(해당항목에(∨) 5. 선행 및 기 6. 기타목적활용
표시) 7. 활용중단(미활용)( ) 8. 기타( )
초연구(∨) (교육,연구)(∨)

특정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제 31조(연구개발결과의 보고) 제 2항에 의거


연구결과 활용계획서를 제출합니다.

첨부 : 1. 연구결과 활용계획서 1부.


2. 기술요약서 1부
2004년 4월 14일

연구책임자 : 염 병 우 (인)
연구기관장 : 이 태 섭 (직인)

과학기술부장관 귀하
【첨부1】연구결과활용계획서(최종보고서 첨부)

연구결과 활용계획서

1. 연구목표 및 내용

O 지하수자원 진단/평가/탐사기법의 개발과 체계화


O 지하수 순환시스템 및 지하수 개발량 산정 등에 기반 기초자료
및 인풋 파라미터 제공
O 효과적인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표준화기술 제공

2. 연구수행결과 현황(연구종료시점까지)

가. 특허(실용신안) 등 자료목록
특허공고번호 공고일자 발명자
발명명칭 출원국 비고
출원(등록)번호 출원(등록)일자 (출원인)
천부포획정을
김강주
이용한 취수정의 10-2003-0030678 2003. 5. 14 대한민국
(주)지오그린2
수질보호 방법

나. 프로그램 등록목록
프로그램 명칭 등록번호 등록일자 개발자 비고
DONGWONI v1.0 2002-01-12-8495 2002-11-11 김석중

다. 노하우 내역

라. 발생품 및 시작품 내역
다채널 동시 수위/수질 시스템 : National Instruments 사의 PXI 시스템을 기반
으로 하여 자료의 측정 하드웨어를 구성하였다. 현재 측정 시스템에서는
NI-4472 DSA 모듈의 각 채널에서 압력센서를 넣어 제작한 수위 Probe로
Voltage를 측정 하며, 한 모듈의 8개의 채널에서 동시에 자료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Probe에 사용된 센서는 압력센서로서 microswitch honeywell division
(미)사의 24pcg type모델이며, 측정범위 0-250 psi 이다.

마. 논문게재 및 발표 실적
ㅇ논문게재 실적(필요시 별지사용)
SCI게재
학술지 명칭 제목 게재연월일 호 발행기관 국 명
여부
Hydrograph separation us-
대한지질학회 ing 18O tracer in a small 2003. 12 39 대한지질학회 대한민국
catchment, Cheongdo
Geologic controls on the
Hydrological chemical behaviour of ni- Wiley
Processes trate in riverside, alluvial 2003. 4. 1 17
Interscience
미국 O
aquifers, Korea
Hydrogeochemistry of allu-
Hydrological vial groundwaters in an ag-
ricultural area: an im- 2003. 4. 1 55 Elsevier 미국 O
Processes plication for groundwater
contamination susceptibility
계: 3

ㅇ학술회의 발표 실적 : 22건
학술회의 명칭 제목 게재연월일 호 발행기관 국명
불포화 층상 해안 대수층 내에서의
한국 지하수 토양 한국지하수토양
밀도 의존적 지하수 유동 및 염분 2002/4/12 한국
환경 학회 환경학회
이동에 대한 유한 요소 모델링
(사)한국지하수토양
온양온천지역 지하수가 주는 교훈: (사)한국지하수
환경학회 2002 한국
과도한 채수로 인한 영향 토양환경학회
추계학술발표회
통계 분석을 이용한 전주 지역의
대한지질학회 2002/10 대한지질학회 한국
지하수질 해석.

하천 유량수문곡선을 통한 지하수
대한지질학회 2002/10 대한지질학회 한국
하천 배출량 추정

강수량과 지하수위 상승과의


대한지질학회 2002/10 대한지질학회 한국
관계에 관한 연구
산소동위원소(18O)와
대한지질학회 전기전도도(EC)를 이용한 2002/10 대한지질학회 한국
수문곡선분리와 함량량 산정
경상북도 청도 다로천 소유역에서
산소동위원소(δ18O)와
대한지질학회 2002/10 대한지질학회 한국
전기전도도(EC)를 이용한
수문곡선분리연구
2003년(사)한국지
통계학적 분류법에 의한 함양율 03. 9. (사)한국지하수
하수토양환경학회 한국
추정 26-27 토양환경학회
추계학술발표회
학술회의 명칭 제목 게재연월일 호 발행기관 국명
2003년 대한지질학회 경주-포항지역 양산단층대에서 고불소 03. 10.
대한지질학회 한국
추계학술발표회 지하수 산출을 제어하는 인자들 24-25
2003년(사)한국지하
심부지하수 수질 보호를 위한 03. 9. (사)한국지하수
수토양환경학회 한국
천부포획정 공법 26-27 토양환경학회
추계학술발표회
2003년(사)한국지하
03. 9. (사)한국지하수
수토양환경학회 추적자를 이용한 논물함양 산정법 한국
26-27 토양환경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양수 및 조석에 의한 층상 해안 대수층
해안지역 지하수의
내에서의 지하수 유동 및 염분 이동 2004/2/24 한국
관리기술 심포지엄
모델링
2003년
03. 9. (사)한국지하수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 지하수위와 하천수위의 변동 양상 한국
26-27 토양환경학회
회 추계학술발표회
대한지질학회 03. 10.
지하수위와 하천수위의 변화양상 비교 대한지질학회 한국
추계학술발표회 24-25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 유향․유속검층을 이용한 시추공간 03. 9. 한국지하수토양
한국
회 추계발표회 수리적 연결 특성 파악 26-27 환경학회
물리검층을 이용한 균열암반의 한국지구시스템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 2004/5 한국
지하수유동특성 해석 공학회
전주-완주지역내 지표수와
지하수에서의 희토류원소 분포도의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 한국지하수토양
시간적-공간적 변화 : 지표수-지하수 2004/5 한국
회 환경학회
순환계 해석을 위한 희토류원소의
지구화학적 응용.
Finite element modeling of
17th SWIM density-dependent groundwater
2002/5/6~ 네덜
(Salt Water flow and solute transport in the SWIM
5/10 란드
Intrusion Meeting) unsaturated layered coastal
aquifer system
IUGG 2003 A numerical analysis of pumping
(International scheme impacts on groundwater 2003/6/30
일본
Union of Geodesy flow and salt transport in the ~7/11
and Geophysics) layered coastal aquifer system
Numerical modeling of
IUGG 2003
groundwater flow and salt
(International 2003/6/30
transport in the layered coastal 일본
Union of Geodesy ~7/11
aquifer system under tidal
and Geophysics)
fluctuation of sea level
Factors influencing the
American
AGU 2003 Fall occurrence of fluoride-rich 2003, Dec.
Geophysical 미국
meeting groundwaters in in a faulted 12. 8-12
Union
area of Korea
Statistical examination of
Goldschmidt Geochemical
subsurface and surface water 2003/9 일본
Conference Society
chemistry in Jeonju area, Korea.
계:22건
3. 연구성과
※ 기술이전이나 기업화 완료(추진중 포함) 실적 : 없음

4. 기술이전 및 연구결과 활용계획

가. 당해연도 활용계획(6하원칙에 따라 구체적으로 작성)


나. 활용방법
다. 차년도이후 활용계획(6하원칙에 따라 구체적으로 작성)

5. 기대효과
향후 활용에 따른 기술적, 사회․경제적 파급효과(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전문가입장
에서 구체적으로 작성)
- 예상매출액(단위: 백만원), 수입대체효과((단위: 백만원), 수출증대효과(단위: 백
만원), 원가절감(단위: 백만원,기존대비%), 에너지절감효과(단위: 백만원,기존대
비%), 생산성 향상(단위: 백만원,기존대비%) 인력양성 또는 고용창출효과(단
위:명), 투자유치실적((단위: 백만원), 인프라구축 효과 등

6. 문제점 및 건의사항(연구성과의 제고를 위한 제도․규정 및 연구관리 등의 개선점을


기재)
【첨부2】-기술요약서(최종보고서 첨부)

기술 요약서

■ 기술의 명칭

※기술이란? 과제 수행결과 확보된 신기술, 산업재산권, 기술적 노하우 등 개발된


성과중 수요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형태의 기술을 의미함

■ 기술을 도출한 과제현황

과제관리번호 3-1-1

과제명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

사업명 특정연구개발사업

세부사업명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

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기관유형 정부출연연구소

참여기관(기업)

총연구기간 2001. 10. 20 - 2004. 6. 30


총연구비 정부(1,125,000)천원 민간( 0 )천원 합계(1,125,000)천원
성명 염 병 우 주민번호 601227-1036819
근무기관
연구책임자 1 지하수지열연구부 E-mail ybw@kigam.re.kr
부서
직위/직급 책임연구원 전화번호 042) 868 3375
성명 주민번호
근무기관
연구책임자 2 E-mail
부서
직위/직급 전화번호
성명 하 규 철 소속/부서 지하수지열연구부
직위/직급 연구원 E-mail hasife@kigam.re.kr
실무연락책임자
전화번호 042) 868 3081 FAX 042) 863 9404
주소 (305-350)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동 30
■ 기술의 주요내용

[기술의 개요]

<기술적 특징>
(1)

(2)

(3)

[용도․이용분야]
(1)

(2)

(3)
■ 기술의 분류

[기술코드] □□□ (3 Digit) (KISTEP 홈페이지 기술요약서용 기술분류표 참조)

[기술분야] (1개만 선택(∨로 표시)하여 주십시오)


□ 정보산업 □ 기계설비 □ 소재 □ 정밀화학․공정 □ 생명과학
□ 원자력 □ 자원 □ 에너지 □ 항공․우주 □ 해양
□ 교통 □ 보건․의료 □ 환경 □ 기초․원천 □ 기타

[기술의 활용유형] (1개만 선택(∨로 표시)하여 주십시오)


□ 신제품개발 □ 신공정개발 □ 기존제품개선 □ 기존공정개선
□ 기 타 ( )

[기술의 용도] (복수 선택(∨로 표시)가능합니다)


□ 기계설비 □ 부품소자 □ 원료재료 □ 소프트웨어
□ 가공처리기술 □ 자동화기술 □ 불량률 감소 등 현장애로기술
□ 제품설계기술 □ 공정설계기술 □ 기 타 ( )

■ 산업재산권 보유현황(기술과 관련한)


권리유형 명 칭 국가명 출원단계 일자 등록번호

* ‘권리유형’란에는 특허, 실용신안, 의장, 컴퓨터프로그램, 노하우 등을 선택하여 기재


* ‘출원단계’란에는 출원, 공개, 등록 등을 선택하여 기재
■ 기술이전 조건

이전형태 □ 유상 □무상 최저기술료 천원


□ 소유권이전 □ 전용실시권 □ 통상실시권
이전방식
□ 협의결정 □ 기타( )
이전 소요기간 년 개월 실용화예상시기 년도

기술이전시
선행요건

* 기술이전시 선행요건 : 기술이전을 위한 사전준비사항(필수 설비 및 장비, 전문가 확보 등)을


기술
* 실용화예상시기 : 기술을 활용한 대표적인 제품이 최초 생산이 시작되는 시기를 기재

■ 기술의 개발단계 및 수준

[기술의 완성도] (1개만 선택(∨로 표시)하여 주십시오)


① 기초, 탐색연구단계 : 특정용도를 위해 필요한 신 지식을 얻거나 기술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단계
② 응용연구단계 : 기술적 가능성의 실증, 잠재적 실용화 가능성의 입증 등 실험실적
확인 단계
③ 개발연구단계 : Prototype의 제작, Pilot Plant Test 등을 행하는 단계
④ 기업화 준비단계 : 기업화에 필요한 양산화 기술 및 주변 기술까지도 확보하는 단계
⑤ 상품화 완료단계

[기술의 수명주기] (1개만 선택(∨로 표시)하여 주십시오)


① 기술개념 정립기 : 기술의 잠재적 가능성만 있는 단계
② 기술실험기 : 기술개발에 성공했으나 아직 실용성, 경제성 등이 확실치 않은 단계
③ 기술적용 시작기: 최초의 기술개발국에서만 활용되고 있는 단계
④ 기술적용 성장기: 기술개발국 및 일부 선진국에서 활용되고 있는단계
⑤ 기술적용 성숙기: 선진국사이에서 활발한 기술이전이 일어나며, 기술의 표준화가 되
어가는 단계
⑥ 기술적용 쇠퇴기: 선진국에서 개도국으로 기술이전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선진국에서는 기술
의 가치가 저하되나, 개도국에서는 아직 시장의 가치가 높은 기술

[기술발전 과정상의 기술수준] (1개만 선택(∨로 표시)하여 주십시오)


① 외국기술의 모방단계 : 이미 외국에서 개발된 기술의 복제, reverse Eng.
② 외국기술의 소화․흡수단계 : 국내시장구조나 특성에 적합하게 적응시킴
③ 외국기술의 개선․개량단계 : 성능이나 기능을 개선시킴
④ 신기술의 혁신․발명단계 : 국내 최초로 개발
■ 본 기술과 관련하여 추가로 확보되었거나 개발중인 기술

[ 기술개요]

기술명

개발단계 □ 연구개발 계획 □ 연구개발 중 □ 연구개발 완료

기술개요

[ 기술을 도출한 과제현황]

과제관리번호 3-1-1

과제명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사업

사업명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 개발사업

세부사업명 지질특성별 지하수 진단/평가/탐사기법 개발

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기관유형 정부출연연구소

참여기관(기업)

총연구기간 2001. 10. 20 - 2004. 6. 30.


합계 : ( 1,125 )백만원
총연구비
- 정부 : ( 1,125 )백만원 민간 : ( )백만원
소속 지하수지열연구부 성명 염 병 우
연구책임자
전화번호 042) 868 3375 E-mail ybw@kigam.re.kr

연구개발 주요내용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