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10.

기초지반 조사 미흡

하천공사를 위한 지반조사는 계획법선을 따라 다음과 같이 세가지 순서에 의해 실시


한다.

1) 예비조사 및 현지답사
2) 본조사
3) 보완조사(연약지반조사 또는 투수성지반조사를 주로 한 조사)

예비조사 및 현장답사 결과 계획선의 지반이 명확하게 양호한 것임이 판명된 경우에는


본 조사와 보완조사를 생략할 수 있으나 본 조사에 있어서 연약지반 또는 투수성 지반
의 존재가 판명될 경우에는 계속하여 연약지반조사, 투수성 지반조사를 각각 실시한다.

지반조사의 3가지 순서중 첫번째인 예비조사에서는 계획법선의 위치 및 인근 지반의


상황을 현지답사 및 자료조사에 의하여 확인한다. 자료조사에 의한 결과 이외에 현지답
사시 평탄한 습지대나 논이 있는 지역은 연약지반으로 자연제방지역 및 삼각주 지역,
옛 하도가 차단된 장소나 홍수시 하천수위상승으로 인한 제내지로의 용수, 또는 지하수
위의 상승이 확인되는 장소는 투수성 지반으로 파악된다. 두번째 본조사에서는 지반을
구성하고 있는 토층의 종류, 층의 두께, 깊이방향에 따른 강도의 변화, 지지층의 심도
및 그 개략적 강도 등을 알기위한 것으로 Boring 및 Sounding시험을 실시한다.

<표 1>

시험항목 시 험 내 용 비 고

시험개소: 계획선을 따라 20m간격 지층구성을 확인하여 표준


시험깊이: 계획제방고의 3배가 표준 관입시험에 의한 N값을
Boring 결과정리: 지반의 토질, 층의 두께, 깊이, 방향에 구하며 채취한 시료는 토
따른 강도의 변화, 지지층의 심도 등을 알 수 있 질판별을 위하여 실내시험
도록 1/100 축척의 토질종단도에 기입함. 을 실시한다.

시험개소: 표층부터 비교적 연약층을 대상으로


Sounding 계획선을 따라 50~100m 간격
2. 하 천 시 설

세번째 보완조사에서는 연약지반과 투수성 지반에 따라 다음 <표 2>과 같이 보완


조사한다.

<표 2>

지반상태 보완조사내용 비 고
① Sounding 본조사 결과에 따라 더욱 정밀한 조사시험을
② 시료채취 실시하여 연약지반의 토질, 강도, 압밀특성,
연약지반
③ 토질시험 범위 및 지지층의 두께 등을 확실히 하여 설
④ 조사결과정리 계시 필요한 자료를 얻는다.
본조사에 의해 투수성 지반의 개략적 위치 및
① 시료채취
깔린 넓이가 판명되었을 경우에 실시하는데
② 원위치시험
투수성 지반 토질, 투수층의 두께, 깔린 넓이, 투수성 등을
③ 토질시험
명백히 한다. 필요에 따라 시험시공 및 소규
④ 조사결과정리
모의 모형실험도 실시한다.

하천제방의 설계시에는 상기표에 언급된 내용에 따라 기초지반 조사를 실시하여야


하나, 시행청 예산상의 문제 등으로 기초지반조사를 충분히 하지 않고 설계 및 시공함
으로서 일부 제방 또는 구조물이 지반침하로 인한 사고가 다수 발생하여 왔다.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에 대하여는 Boring조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특히 설


계시 계획에 없던 구조물을 신설하고자 할 때 그 지점에 대한 기초지반 조사를 추가로
실시하지 않고, 인근 지점의 부적절한 조사성과를 적용하여 구조물을 설계 및 시공함
으로서 구조물이 부등침하 등에 의하여 변형 또는 파괴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조사를 실시하여 지반의 상태가 연약지반 또는 투수성 지반일 경우는 충분한 보완


조사를 실시하여 그에 대한 대책을 검토하여야 하며, 특히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점에 대하여는 반드시 그 지점에 대한 기초지반조사를 실시하여 설계 및 시공에 반
영함으로서 공사중 또는 운영중 지반 침하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 하여
야 한다.연약지반 및 투수성지반처리공법은 각각 <표 4-1>, <표 4-2>와 같으며 이
외에도 많은 처리공법으로 불안정한 지반을 개선하여 제방과 구조물이 지반침하로 인
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10.기초지반 조사 미흡

공법 Plastic Board Sand Compaction


Pre-Loading Sand Drain
구분 Drain Pile

시공
단면

재하하중에 의하여 지반중에 연직으로 Sand Drain에서 모래 진동 충격하중을 이용


압밀침하 촉진 모래기둥을 설치하 기둥대신 Drain Board 하여 모래를 압입시켜
여 수평배수 시킴 를 지중에 타설하여 직경에 큰 압축된 다짐
공법 으로써 배수거리를 수평배수 효과에 의한 모래기둥을 조성하여
개요 단축시키게 되어 배수거리를 단축시켜 Sand Drain 효과 및
압밀 침하를 촉진 압밀침하를 촉진시킴 치환에 따른 지반강도
시키며, 또한 강도 증대 효과를 얻음
를 증진시킴
시공기간 단축 모래치환에 따른 강 품질이 균일하여 배수 사질토, 점성토에 적
공사비 저렴 도증가 효과 일정 용성 양호
품질관리가 쉬움 지반중에 장애물(모 중량이 가벼워 운반, 강력한 개량공법 요구
래, 자갈층)이 있어 취급 용이 시 유효
도 시공 가능 설치기계가 경량 복합지반형성으로 지
장점
침하완료시간 단축 시공관리가 간단 내력과 전단강도증대
비탈면 안정이 양호 공사비 저렴 모래기둥으로의 응력
Drain재 절단 방지 집중현상으로 인하여
압밀량 저감 효과
잔류침하 조기 완료
연약층 심도가 깊 심도에 따른 지형변 설치후 측압, 압밀 많은 Drain 재료
은 경우 공기가 상 화가 있고 특히 높 의 영향으로 Drain (Sand)가 요구됨
대적으로 길어짐 은 함수비의 연약층 Board의 투수 기능 투입 모래량, 다짐
연약층 심도가 깊 에서는 모래기둥 단 저하(Plugging) 시간 측정 등 시공
은 경우 지반개량 면의 불균일, 불연 재료강도저하에 따른 관리가 어려움
효과가 상대적으로 속 시공 피복재파열 가능성 상부 1~2m는 구속
낮음 압밀진행에 따른 과 치환에 따른 강도증 성이 작으므로 충분
도한 응력집중으로 가가 없음 한 다짐 효과가 작음
모래기둥의 절단 지반중에 N값 10이 점토 함유율이 20%
단점
장비 중량이 커서 상의 지층이 발달되 이상일 경우 다짐효
초연약지반상에서의 어 있으면 시공 곤란 과 감소
시공이 어려움
Paper Drain보다
모래량 증가와 가
적치용 부지확보
가 요구됨
2. 하 천 시 설

공법
H형강+토류판 C.I.P S.C.W 강널말뚝
구분
천공하여 H형강 현장타설말뚝. 소일시멘트벽. 강널말뚝을 설치하여
삽입. (주열식) (주열식) 차수벽과 토류벽의
단가가 싸다. 시추기로 천공 지중벽으로 계획심 역할을 동시에 함.
공법 철근삽입후 콘크 도까지 천공후 주
개요 리트 타설. 입재를 투입벽체로
형성하고 H형강을
보강재로 삽입하여
토류벽으로 형성.
공사비 저렴. 벽체강성이 좋음. 별도차수 필요없음. 시공이 빠름.
자재의 재사용가능 불규칙한 평면형 토사유실 매우적음. 특별한 시공장비가
시공이 간단. 에 적응성 좋음. 공기가 짧음. 불필요함.
장점
인접구조물에 영 수밀성이 높다.
향적음. 대규모공사에 적용.
장비가 소규모임.
차수성 벽체시 차 기둥간 연결성 불 자갈, 암층시공이 곤란. 항타로 소음발생.
수필요. 량 및 별도의 차 H형강 사장. 연결부가 이탈한 경
벽체변형 큼. 수공 필요. 벽체로 이용불가. 우 상당히 곤란.
단점 토사유출 가능성큼 암반천공이 어려움. 철저한 시공관리가 사력층, 조밀한 모
토류판과 지반의 필요. 래지반에서는 시공
여굴로 지반침하 곤란.
우려.

참고문헌
『하천시설기준』, 1993, 국토해양부

『흙막이 설계와 시공』,1999, 도서출판 엔지니어즈

『하천설계기준』, 2005, 한국수자원학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