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9

제3차( 21~ 25년)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 ’

’21. 6. 9.

관계부처합동
목 차

Ⅰ . 수립배경 및 경과 ·
··
··
··
··
··
··
··
··
··
··
··
··
··
··
··
··
··
··
·1

Ⅱ . 환경변화와 여건 분석 ·
··
··
··
··
··
··
··
··
··
··
··
··
··
·10

Ⅲ . 제3차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
··
··
··
··
··
··
··13

1. 비전 및 기본방향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2. 추진전략 및 과제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3. 핵심과제 및 중점과제 ·
··
··
··
··
··
··
··
··
··
··
··
··
··
··
··
··
··
··
··
··
··
··15

4. 과제별 추진계획 ·
·
···
··
··
··
··
··
··
··
··
··
··
··
··
··
··
··
··
··
··
··
··
··
··
··
··
··16

Ⅰ 부담없고 편리한 건강검진 ·
··
··
··
··
··
··
··
··
··
··
··
··
··
··
··
··
··
··
··
··
··
··
··
··16

Ⅱ 믿을 수 있는 건강검진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

Ⅲ 건강생활실천을 이끄는 건강검진 ·
··
··
··
··
··
··
··
··
··
··
··
··
··
··
··
··
··
··27

Ⅳ 건강검진 관리기반 강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Ⅳ . 실행방안 ·
··
··
··
·
···
··
··
··
··
··
··
··
··
··
··
··
··
··
··
··
··
··
··
··
··
·34

[붙임1] 제2차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16~’20) 과제 및 추진 현황 ·


· 38
[붙임2] 국가건강검진 추진 연혁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붙임3] 국가건강검진 실시 체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41
[붙임4] 국가건강검진 실시 현황(수검률, 검진기관, 예산) ·
··
··
··
··
··
··
··
··
··
··42
[붙임5] 국가건강검진 목표 질환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
Ⅰ . 수립배경 및 경과

1 제3차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수립배경

□ 「건강검진기본법 제 조 」에 따라 국가건강검진의 기본 목표와


( 11 )

추진방향을 제시하는 건강검진종합계획을 수립


○ 년부터 년 주기로 계획을 수립하여 현재까지 총 차례 종합
’11 5 2

계획 수립․시행
○ 제 차 종합계획 추진이 년으로 완료됨에 따라 년부터 향후
2 ’20 ’21

년간의 국가건강검진 추진방향을 제시하는 제 차 국가건강검진


5 3

종합계획 ~ 년 마련 필요 (’21 ’25 )

구 분 제1차(’11~’15년)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제2차(’16~’20년)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상담서비스 및 ICT 기반의 수요자 중심


비 전 국가건강검진, 온 국민의 건강한 미래
스마트 건강검진체계

만성질환 관리와 건강관리에 효과적인


목 표 검진의 질 향상, 형평성 제고, 질병부담 감소
건강검진체계로 전환

➊ 신속한 검진-치료·건강관리 연계
➋ Big Data와 ICT 융합을 통한 수요자
➊ 정확하고 신뢰받는 검진
중심의 건강검진체계 구축
➋ 전 국민 평생 건강관리체계 구축
➌ 건강취약계층 지원 확대
중점과제 ➌ 사후관리가 강화된 검진
➍ 근거 기반의 생애주기별 검진체계 구축
➍ 미래지향적 IT 검진
➎ 바람직한 건강검진 정보 제공
➎ 생애주기별로 발전하는 검진
➏ 국가건강검진 운영체계 재정비
➐ 검진기관 질 관리 및 질 향상 지원

- 1 -
제3차 (’21~’25)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수립 경과

□ 제 차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수립 사전준비반 운영 ∼ 월
3 (’19.11 12 )

○ 국가건강검진 분야별 관계기관 자문 등 차 종합계획 수립을 * 3

위한 시사점 도출 및 분야별 추진과제 안 등 논의 ( )

* 보건복지부, 교육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질병관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립암센터등


□ 제 차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수립 연구 ∼ 월
3 (’20.3 11 )

○ 제 차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수립과정 분석 및 분야별 정책


2

실행 과정 모니터링
○ 부처별 건강검진 관련 정책현황 및 계획 조사·분석
○ 건강검진 분야별 민간전문가 유관기관 및 전문학회 등 자문회의
( )

○ 제 차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방향 제안 및 세부 추진과제 안 마련
3 ( )

□ 제 차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안 마련 및 확정
3 월
( ) (’20.4~’21.5 )

○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의 실행력 제고를 위한 유관기관 협의체 *

운영 월 (’20.4~7 )

* 보건복지부, 교육부, 고용노동부, 여성가족부, 질병관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립암센터등


○ 제 차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비전 추진전략 중점과제 선정 및
3 , ,

과제별 추진계획 안 마련 ( )

○ 제 차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안 관계부처·이해관계자 의견
3 ( )

수렴 및 국가건강검진위원회 심의·의결

- 2 -
2 국가건강검진 성과 분석

1 그 간 국가건강검진 성과

 생애주기별 건강관리를 위한 검진대상, 인프라 지속 확대

○ 건강검진 대상자 검진유형 및 항목의 단계적 확대로 생애주기별


,

국가건강검진체계 구축
-직역 공무원·교직원→일반사업장 과 세대 성인→아동청소년 청년세대 에 따른
( ) ( , )

수검대상자 확대

- 전체 요양기관의 41.1% (23,030 개소 에서 국가건강검진을 실시


)

구분 2011년 2016년 2018년 2019년


전 체 16,411개소 (34.5%) 20,957개소 (39.8%) 22,268개소 (40.6%) 23,030개소 (41.1%)
종합병원 312개소 (97.8%) 333개소 (97.7%) 343개소 (97.2%) 346개소 (97.2%)
병 원 1,018개소 (40.0%) 1,150개소 (35.7%) 1,142개소 (34.3%) 1,160개소 (33.9%)
의 원 6,620개소 (23.8%) 8,240개소 (27.2%) 8,658개소 (27.3%) 8,899개소 (27.4%)
보건기관 153개소 (9.9%) 157개소 (10.0%) 157개소 (10.0%) 157개소 (10.0%)
치과병원 129개소 (64.8%) 170개소 (76.2%) 188개소 (79.3%) 196개소 (82.0%)
치과의원 8,209개소 (54.5%) 10,907개소 (66.7%) 11,780개소 (66.7%) 12,272개소 (68.3%)
주 1) 분율: 종별 전체 요양기관 대비 건강검진기관
2) 종합병원 : 상급종합병원 42개소 중 39개소 포함, 병원 : 한방병원 포함
보건기관 : 보건의료원, 보건소, 보건지소 포함

- 3 -
 만성질환과 암의 관리수준 향상
○ 고혈압 당뇨병 인지율 치료율과 조절율 향상
, , ,

치료 및 관리에 따른 소기의 건강상태 개선 효과


< 만성질환 인지율 및 치료율 변화와 위험요인 개선 >

구분 `10-`12 `16-`18 구분 `10-`12 `16-`18


인지율 65.9% 69.1% 인지율 72.7% 71.5%
고혈압 치료율 60.7% 65.3% 당뇨병 치료율 63.9% 66.2%
조절율 69.3% 73.1% 조절율 25.0% 25.8%
자료원 : 질병관리청 (2020) 국민건강영양조사

○ 국가암검진을 통한 의료기관 조기방문은 대장암 위암 76.9%, 73.1%,

간암 이며 주요 암 종의 년 생존율은 전반적으로 향상
60.1% , 5

< 주요 암 5년 생존율 >

구분 5년 생존율 조기 병원방문율1)
`96-`00 `01-`05 `06-`10 `13-`17 (2017년)
위암 47.3% 58.0% 68.4% 76.5% 73.1%
대장암 58.8% 66.9% 73.9% 75.0% 76.9%
유방암 83.6% 88.6% 91.2% 93.2% 48.4%
간암 14.1% 20.5% 28.2% 35.6% 60.1%
자궁경부암 80.3% 81.5% 80.7% 80.2% 57.0%
자료원 : 질병관리청, 중앙심뇌혈관질환예방관리사업지원단 (2020) ‘2020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
국민건강보험공단 내부자료 분석
주 1) 조기 병원방문율 = (180일 이내 암 진료를 받은 자 / 건강검진 이상소견자)*100

- 4 -
 주요 만성질환의 사망률 감소

○ 당뇨병 고혈압 등 주요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및 사망률


,

인구 만명당 은 지속적으로 감소
( 10 ) *

* 당뇨병에 의한 사망률 : (’11년) 인구 10만명 당 21.5명 → (’19년) 15.8명


* 뇌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 : (’11년) 인구 10만명당 50.7명 → (’19년) 42.0명
< 주요 만성질환에 의한 사망률 변화 >

사망자수(명) 사망률(명/10만명)
사망원인
2011년 2016년 2019년 2011년 2016년 2019년 증감2)
당뇨병1) 10,775 9,807 8,102 21.5 19.2 15.8 5.7 
허혈성심장질환 13,593 14,654 13,699 27.1 28.7 26.7 0.4 
뇌혈관질환 25,404 23,415 21,586 50.7 45.8 42.0 8.7 
자료원 : 통계청, 사망원인통계(각 년도)
주 1) 당뇨병(E10∼E14), 허혈성심장질환(I20∼I25), 뇌혈관질환(I60∼I69)
2) 증감 = 2019년 사망률 – 2011년 사망률
- 국가암검진에 포함된 대 암 종에 의한 사망률은 같은 기간
5

전반적으로 감소
< 주요 암종 사망률 변화 >

사망자수(명) 사망률(명/10만명)
사망원인1)
2011년 2016년 2019년 2011년 2016년 2019년 증감2)
위암 9,719 8,264 7,624 19.4 16.2 14.9 4.5 
국가 유방암 2,018 2,472 2,643 4.0 4.8 5.1 1.1 ⇧
건강
검진 자궁경부암 989 897 898 2.0 1.8 1.7 0.3 
대상 간암 10,946 11,001 10,586 21.8 21.5 20.6 1.2 
암종
대장암 7,721 8,432 8,966 15.4 16.5 17.5 2.1 ⇧
자료원 : 통계청, 사망원인통계(각 년도)
주 1) 악성신생물(C00∼C97), 위암(위의 악성신생물, C16), 간암(간 및 간내 담관의 악성신생물, C22),
유방암(유방의 악성신생물, C50), 대장암(결장, 직장 및 항문의 악성신생물, C18∼C21),
자궁경부암(자궁경부의 악성신생물, C53)
2) 증감 = 2019년 사망률 – 2011년 사망률

- 5 -
2 제2차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성과와 한계

 주요 성과

신속한 검진-치료 연계 체계 구축

○ 확진검사 확대 등 검진 치료·건강관리 연계 강화 -

검진결과 질환 의심자 를 대상으로 모든 의료기관에서 본인부담


- *

없이 확진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
* 고혈압, 당뇨(’18년∼) 및 폐결핵(’21년∼) 질환 의심자
- 영유아 건강검진 결과 발달검사 심화평가 권고 대상 유선·방문 상담 년 (’17 ~)

및 영유아 발달정밀검사 진단비 지원 확대 건보료 하위 까지 <’15년>


( 30% ,

약 천명 →
6 건보료 하위
<’20년>
까지 약 천명 50% , 15 )

- 검진결과 만성질환 위험요인 보유자 높은 혈압·혈당 복부비만 등 등 ( , )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사업 추진 년 개소 → 년 개소 천명 * (’16 ~, 10 ’20 139 , 15 )

* 상담 → 건강관리 계획 설정 → 생활습관·건강정보 전송(모바일 앱) → 모니터링,


자가 건강관리 지원 및 교육·상담 등 피드백
Big Data와 ICT 융합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건강검진 기반 마련

○ 건강검진과 연계기반 마련 ICT

건강보험 빅데이터 및 검진정보 플랫폼 구축사업 추진 ∼ 년


- (’16 ’18 )

및 검진기록 표준화 Big D ata

비식별 건강정보 제공 개인·지역사회·기업·연구자 등 및 건강정보


- ( )

활용 건강서비스 및 기술개발 지원
,

모바일「건강 」앱 서비스 제공 년∼ 등 검진결과 및 맞춤형


- iN (’17 )

건강정보 개인 건강나이 뇌졸중·심장질환 등 만성질환 위험도 제공


( , )

* 건강iN 이용자 현황(연인원 기준) : (’16년) 347만명 → (’20년)1,422만명


- 6 -
건강취약계층 지원 확대

○ 수검자 접근성 향상 노력 등 검진여건 개선


-토요일 수가 가산 년 및 중증장애인 건강검진 시 기본
(30%) (’17 ~)

검진비용 외 가산수가 지급 년 * (’19 ~)

*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검진 시 장애인안전편의관리비(26,980원) 추가 지급


- 시각장애인 문진표 및 결과통보용 전자점자문서 프로그램 마련 년 (’19 )

- 다문화 가정을 위한 개 외국어 문진표 및 결과통보서 제공 년


14 * (’09 ~)

* 영어, 일어, 중국어, 베트남어, 필리핀어, 태국어, 네팔어, 인도네시아어, 러시아어 등


- 학교 밖 청소년 검진대상 연령 범위 확대 등 사각지대 해소 년 (’16 ~)

* (’16년) 15세 이상∼18세 이하, 수검률 55.6% → (’19년) 9세 이상∼18세 이하, 수검률 61.4%

근거 기반의 생애주기별 검진체계 구축

○ 근거 기반의 생애주기별 검진프로그램 개선


-수검자 건강특성에 맞는 성 연령별 목표질환 조기 발견을 위한 ,

검진주기 적정조정
< 주요 검진항목 주기 조정사항 >

구분 성연령별 검진항목 조정 전(前) 조정 후(後)


골다공증(‘18) 66세(여성) ⇒ 54·66세(여성)
일반
인지기능장애(‘18) 66세(1회) ⇒ 66세 이상(2년/1회)
검진
우울증(‘19) 40·50·60·70세(10년/1회) ⇒ 20·30·40·50·60·70세(10년/1회)
간암(‘16) 고위험군(1회/1년) ⇒ 고위험군(6개월/연2회)
자궁경부암(‘16) 만30세 이상 여성(2년/1회) ⇒ 만 20세 이상 여성(2년/1회)
암검진
만54∼74세 30갑년
폐암(‘19) - ⇒
흡연력 고위험군(2년/1회)

- 7 -

2 한계

취약계층 검진여건 지속 개선 필요

○ 건강검진 장애요인 분석 및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강화 필요


-취약 계층을 위한 지속적인 검진여건 개선 노력으로 장애인 ,

다문화 가정 수검자 등의 검진 접근·편의성이 다소 개선되었으나 ,

-건강보험 가입자격 및 장애 여부 등에 따른 수검률 차 가 여전히 *

존재하는 점 등을 고려하여 보다 세밀한 검진 영향요인 분석과,

수검자 중심의 수검여건 개선전략 마련 필요


* 일반검진수검률: 비장애인76.7%, 장애인63.7%, 중증장애인52.3%(’20년, ’18년장애인건강보건통계)
건강보험가입자 77.6% vs 의료급여수급권자 42.5% (’16∼’18년)
v 취약계층 건강검진 수검률 저조 원인 (’19년, 「취약계층 건강검진 수검률 심층분석 및 개선방안연구」, 보사연)
☞ 평소 높은 의료이용률, 추가 비용 부담, 검사결과 이해 및 접근성(시간·거리 등) 문제 등

건강검진-예방적 건강관리 참여·연계 미흡

○ 지역사회 자원을 연계한 건강검진 결과 활용도 제고 필요


-건강검진 결과를 활용한 사후관리 다양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

질환의심자 확진검사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 심화평가 권고


,

대상자 등 사후관리 참여가 저조한 상황


* 검진결과 고혈압 등 질환 의심자 확진검사 참여율 9.7% (’19년)
* 발달장애 정밀검사 심화평가 권고 대상자 중 정밀검사비 지원제도 이용률 15.0% (’19년)
- 보건소 등 지역보건의료기관 사업장 등 생활터 중심의 건강검진 ,

사후관리 프로그램 다양화 및 수검자 참여 활성화 방안 개발·


확산 등 사후관리 연계체계 개선 및 인프라 확대 필요
- 자가건강관리 지원 플랫폼 「건강 」앱 등 의 활용도 제고를 위한
( iN )

서비스 고도화 사용자 편의성 개선 및 대국민 확산 전략 마련 필요


,

- 8 -
국가건강검진 상시 평가 및 조정체계 미흡

○ 다양한 건강검진 변화 요구에 대응하는 검진제도 정비체계 보완 필요


-수시·단편적 검진항목 근거 연구와 타당성 검토 수행으로 건강
검진제도 운용과 개선 노력의 분절성 비효율성 상존 ,

-충분한 근거 확보와 심도있는 전문가 검토에 장기간의 시일이


소요 되어 신속한 의사결정에 한계
*

* 검진항목 개선 필요여부 검토(4개월), 근거 연구(1년), 타당성 검토(2년) 등 약 4년 소요


- 검진항목 검토·조정 등 유연하고 선제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안정적인 근거연구 기반과 합리적인 타당성 평가체계 건강검진 ,

성과평가·환류 기전 마련 필요

- 9 -
Ⅱ . 환경변화와 여건 분석

1 건강형평성 지향 : 건강검진의 사회적 기능 강화

□「건강과 삶의 질」의 선순환을 위한 포용적 건강검진

○ 기대수명과 건강수명은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으로 ,

취약계층으로 갈수록 더 큰 격차
* 소득 최저 1분위와 최고 5분위 사이 기대수명은 6.5년, 건강수명은 11.3년 차,
소득계층별 건강한 삶의 비중은 소득 최저 1분위는 77.5%, 최고 5분위는 84.8%
▮ 소득 5분위별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

자료원 : 김명희 (2019) 재인용

- 건강보험가입자의 일반건강검진 수검률 년 과 의료급여 (77.7%, ’16~’18 )

수급권자 수검률 년 의 격차도 지속 발생


(42.5%, ’16~’18 )

- 특히 장애인의 일반건강검진 수검률은


, 로 비장애인 보다 63.7% 76.6%

낮고 중증장애인 은 비장애인에 비해
12.9% , 낮은 수준
(52.3%) 24.3%

▮ 2018년 장애인 건강검진종별 수검률 ▮


(단위: 명, %)
일반건강검진 암검진 구강검진
구분 표준화 대상 표준화 표준화
대상자 수검률 수검률 대상자 수검률
수검률 인원 수검률 수검률
장애인 전체 1,213,784 63.7 68.5 1,860,544 45.1 37.9 1,213,784 20.1 28.6
비장애인 전체 18,869,684 76.6 78.7 21,583,229 53.4 53.5 18,869,684 31.7 35.0
수검률:
수검률은조건강보험
수검률, 표준화
대상자와수검률:의료급여 연령표준화
대상자를수검률포함한 수치
건강보험 가입자 및 의료급여 수급권자 포함, 발췌시점 차로 건강검진통계연보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자료원 :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2020) 2018년 장애인 건강보건통계

- 10 -
- 취약계층 중심 수검률 제고를 위한 영향요인 분석 및 개선방안 검진 (

결과 설명방식 개선 접근성 제고 등 마련 및 이행 필요성도 상존


, )

■ 건강검진 수검 장애요인 (’19, 보사연, 「취약계층 건강검진 수검률 심층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검진결과 이해의 어려움, 추가 비용에 대한 부담, 장애 등 건강특성을 고려한 수검 여건 미흡 등

○ 건강 격차 해소를 위해 전 생애주기와 계층을 아우르는 국가


건강검진제도 구현으로 사회 건강 안전망 지향
▮ 국가건강검진과 건강한 삶 ▮

2 인구구조 변화 : 생애 전 주기 건강검진과 사후관리 강화

□「고령사회, 건강한 노년」을 대비하는 국가건강검진

○ 고령사회 기대여명 연장과 건강수명 단축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 ,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 가중 예상
고령사회 전체 인구 중 세 이상은
- ( ) 년 만명 로 년까지
65 15.7%(`20 , 813 ) ’30

백 만명 이상이 새롭게 노인인구로 진입 예정


4

- 11 -
▮ 인구구조 변화와 노인인구 증가 추계 ▮
2020년 2025년 2030년
인구
피라미드

총인구 5,178만명 5,191만명 5,193만명


노인 65+ 813만명(15.7%) 1,051만명(20.3%) 1,298만명(25.0%)
비율 75+ 347만명( 6.7%) 426만명( 8.2%) 532만명(10.2%)
자료원 : 통계청 (2019)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
- ( 건강한 삶 기대수명은 세 연장 세→ 세 되었으나 같은 기간 건강
) 1.8 (80.9 82.7 ) ,

수명은 세가 줄어 세→ 세 전 생애 건강한 삶의 비중은 감소


1.3 (65.7 64.4 ) 3.4%p

▮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건강한 삶 비중의 변화 ▮

자료원 : 통계청 (2019) 2018 생명표

□「건강검진 결과」로 폭넓은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건강검진

○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노력 다양한 기대에 반해 사회기술 , ,

발전에 따른 매체 모바일 앱 등 기반 건강관리 체감수준은 미미


( )

- 기반의 개인건강관리 활성화 지원에 대한 경험과 혜택에서


ICT

어르신 등 모바일 기기 취약계층 은 소외 *

* 노년층의 스마트폰 사용률은 매년 증가하나, 어플리케이션 설치, 삭제 등을 할 수


있는 경우는 7.5%에 불과(정보통신정책연구원, ’19년)
* 개인형 데이터를 활용한 기대 서비스 : 필요한 검진분야 및 시기 추천 서비스
(36.4%), 나에게 맞는 연계 서비스(34.0%)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19년)

- 12 -
Ⅲ . 제3차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1 비전과 전략

비전

목표

추진
전략

- 13 -
2 추진전략 및 과제

▶ 4대 추진전략 / 7대 추진과제 / 37개 세부과제 ◀

추진전략 추진과제 세부과제

▪ 건강검진 접근성 및 편의성 제고 (2)


▪ 수검자 중심의 건강검진결과 이해도 제고 (3)
수검자 최우선
▪ 생애주기별 맞춤형 검진프로그램 개선 및
건강검진 구현
Ⅰ. 부담없고 편리한 검진체계 개편 (4)
건강검진 ▪ 건강검진 국민참여 확산 및 홍보 강화 (2)

건강검진 사회적 ▪ 사회적 건강문제 예방·관리체계 구축 및 지원 강화 (5)


기능 강화 ▪ 건강검진 정보 기반 사회안전망 점검체계 구축 (1)

근거 기반의
▪ 건강검진 근거 평가 체계 개선 (2)
건강검진제도
▪ 건강검진 성과 모니터링 및 평가체계 구축 (2)
내실화
Ⅱ. 믿을 수 있는 ▪ 검진기관 질 관리 중심 평가항목 개선 (1)
건강검진 ▪ 검진기관 평가분야별 인증제도 활성화 (1)
검진기관 질 향상
▪ 검진기관 평가결과 공개 강화 (1)
지원 강화
▪ 검진기관 종사자 대상 수검자 맞춤형 교육 추진 (1)
▪ 검진기관 재지정 기준 합리화 (1)

▪ 개인건강기록 관리 및 자가건강관리 지원 강화 (1)


건강정보 연계 및
▪ 건강검진 마이데이터(개인주도 건강정보 활용 지원)
활용도 제고
체계 구축 (1)
Ⅲ. 건강생활실천을
이끄는 건강검진
생활터 중심
▪ 수검자 위치기반 모바일 건강정보 제공 (1)
건강생활실천
▪ 고위험군 등 건강생활생활실천 연계 및 지원체계 마련 (5)
지원

▪ 국가건강검진위원회 컨트롤타워 재설계 (1)


Ⅳ. 국가건강검진 관리 국가건강검진
▪ 국가건강검진위원회 개편 (1)
기반 강화 거버넌스 정비
▪ 국가건강검진 개선을 위한 국민소통 강화 (1)

- 14 -
3 핵심과제 및 중점과제

□ 핵심과제

□ 중점과제

추진전략 중점과제


1 -➊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 지정·지원 확대 등 장애인 수검여건 개선
Ⅰ ▢
1 -➋ 건강검진 사각지대(요양병원입소자, 비사무직근로자 등) 해소를 위한 출장검진 기준 개정
부담없고

1 -➌ 영유아 건강검진 항목·주기 전반 조정
편리한
건강검진 ▢
1 -➍ 아동·청소년 건강검진 통합(학생+학교밖청소년) 등 관리체계 일원화


1 -➎ 영유아검진 미수검 정보 기반 복지사각지대 발굴 및 복지서비스 연계 지원


믿을 수 ▢
2 -➊ 검진항목 타당성 전문연구센터 지정 및 재평가 제도화

있는 ▢
2 -➋ 검진기관 질 관리 중심 평가항목 개선
건강검진

건강생활 ▢
3 -➊ 검진결과 조회 및 건강기록 입력 등 자가건강관리 지원 콘텐츠 고도화

실천을 ▢
3 -➋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시범사업 추진

이끄는 ▢
3 -➌ 건강친화기업인증제 참여 기업 종사자 등 근로자 건강관리 지원
건강검진

국가건강
4 -➊ 국가건강검진위원회 기능 정비 및 대국민 의견수렴 채널 마련

검진관리
기반강화

- 15 -
4 과제별 추진계획

Ⅰ. 부담없고 편리한 건강검진

▶ 추 진 전 략 ◀

접근성 건강검진 수검 장애요인 개선

수검자
검진항목·체계 생애주기별 검진항목·체계 적정 조정 편의성·안전성
제고

의료소외계층 발굴 및
사회지원
복지서비스 연계 지원

1 수검자 최우선 건강검진 구현

➊건강검진 접근성 및 편의성 제고


○ 건강검진 수검 영향요인 분석 및 개선 전략 마련 년 (’21 ~)

수검행태 실태조사 및 수검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의료급여


-

대상자 장애인 등 취약계층 수검 장애요인 지원전략 마련


,

< 수검행태 실태조사 추진방향 >

▪ 설문대상 : 설문조사 직전년도 국가건강검진 수검자 (일반·암검진 및 취약계층 수검자 각 1,000명 등)


▪ 설문방법 : 전화면접(Preview Dialing)
▪ 설문항목 : 국가건강검진 방법 및 검진항목, 검진기관에 대한 만족도 등

- 16 -
○ 건강검진 장애요인 등 수검여건 개선 년 (’21 ~)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 확대 년 개소 → 년 개소 지속 추진 (’20 16 ’21 32 )

및 지정의료기관 시설 개·보수 지원 등 검진기관 접근성 제고 *

* (시설 개보수·장비비) ’20년 114백만원 → ’21년 138백만원(개소당)


- 의료기관 방문이 곤란한 요양시설 입소자 비사무직 검진주기 ,

적용이 불가한 특수형태고용근로자 택배기사 등 의 건강검진기회 ( )

보장을 위한 출장검진 허용 검토
➊ ➋
※ (현행 출장검진 대상) 검진대상자가 속한 사업장 또는 기관이 요청한 일반검진, 섬·벽지 지역

(보험료 경감고시 대상지역) 검진대상자의 일반검진 및 암검진, 출장검진 필요항목(복지부 고시)에 대한 검진

☞ (개선) 출장검진 대상에 요양시설, 특수사업장 포함 및 출장검진 안전관리 기준 마련(건강검진


기본법 시행규칙 별표 5 출장검진기관 지정기준 개정) 추진

- 수검시간 확대 검진기관 대상 토요일·공휴일 검진수가 가산율 조정


등 인센티브 확대 검토 현행 ( 30%)

* 토요일·공휴일 검진기관비율 및 수검행태 변화 여부 분석 후 개선방안 마련


- 취약계층 장애인 도서벽지 거주자 등 대상 대장암검진 검체 채취
( , )

우편·이송픽업서비스 시범사업 등 암검진 접근성 제고


* 대장암검진용 분변 자가 채취 후 우편 제출 시 수검률 약 2배 증가(’20, 국림암센터))
- 정확도가 낮은 암검진 정확도 향상을 위한 검사방법 개선 위장 (

조영검사 순차적 폐지 추진 년 ) (’22 ~)

* 검진 정확도 지표(민감도) : 위장조영 20.2% vs 위내시경 71.6% (’17)


- AI 기반 판독지원 소프트웨어 등 암검진 시 클라우드 기반 정보
시스템을 통한 원격판독데이터 축적·활용으로 판독 정확도 향상
및 기관 간 편차 최소화 년 (’25 ~)

* 폐암검진에 적용 중인 클라우드 기반 정보시스템을 유방·자궁경부암까지 확대

- 17 -
➋수검자 중심의 건강검진 결과 이해도 제고
○ 세 이상 노인 등 대상 검진결과서 활자 확대 및 점자 유선
65 , (ARS)

안내 등 검진결과 안내 방법 다양화 년 (’21 ~)

노년층의 식별성 가독성을 고려한 노인건강검진 생활습관평가


- ,

문항 구성 조정 등 평가서식 개선 병행 추진 년 (’21 ~)

* 노인 건강검진 개선 방안 연구(’21.3∼9월,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검진결과 이해도 향상을 위한 한 눈에 보이는 건강검진결과 서식 개선
○ 검진항목별 목표질환 및 개인검진결과 비교정보 개인 및 동년배 등 ( )

등 자가건강관리 기초정보 제공 년∼ (’21 )

○ 검진결과 상담을 위한 의료기관 검진기관 방문 시 본인부담금 ( )

지원 가칭 국가건강검진 설명의사제 도입 검토
( , )

건강검진과 진료·치료의 연계를 위한 시범사업 모형개발 및 추진


- ,

효과성 분석·제도화 방안 검토 년 (’23 ~)

➌ 생애주기별 맞춤형 검진프로그램 개선 및 검진체계 개편

영유아기
○ 영유아 건강검진 확대 실시 차→ 차 생후 일 차 검진 신설 년 (7 8 , 14~35 1 , ’21 ~),

사회적 양육환경 변화를 고려한 건강교육 횟수 및 주기 조정 월 (’21.4 ~)*

* 전자미디어 노출(1→3회), 정서 및 사회성(1→2회), 취학 전준비(1→2회), 대소변가리기(1→2회)


년 검진항목 개편사항 타당성 및 사회환경 등 영유아 발달
- ’21

영향요인을 고려한 검진항목·주기 전반 조정 추진 년 (’25 ~)

○ 유치 빈발시기 등을 고려한 영유아 구강검진 시기 적정 조정


및 구강건강관리 교육 월령별 구강건강관리 팁 등 강화 년 ( ) (’22 ~)

○ 안과질환 굴절검사 사시 등 및 난청 검진항목 도입 검토 년


( , ) (’21 ~)

* 유아기국가건강검진내검진항목도입에대한타당성분석연구(’20.6월∼’21.10월, 한국보건의료연구원)
○ 건강신호등 활용 치아우식 위험도 안전 주의 위험 평가 및 안내 년 ( , , ) (’22 ~)

- 18 -
아동·청소년기
○ 아동·청소년기 질병구조 변화를 고려하여 정신건강 소아비만 등 ,

성장기 건강위험요인 중심 검진항목 개선 방안 검토 년 (’23 ~)

-
교육부 학생 및 여가부 학교밖청소년 검진항목 표준화 추진 등
( ) ( )

○ 아동․청소년 건강검진 통합관리 등 검진체계 개선


-「아동·청소년 건강검진」관리 시스템 통합 또는 관계기관 정보
공유시스템 구축 등 관리체계 일원화 추진 년 (’22 ~)

- 학생 건강검진 국민건강보험공단 위탁 운영 가칭「아동·청소년 건강검진 」 ( * )

및 예산 이관 등 통합 추진 년 (’22 ~)

* 학생 건강검진(교육부) 및 학교밖청소년 건강검진(여가부)


* 학생건강검진 통합정보시스템 및 운영체계 마련 등 초기 구축 비용 약 508억원
소요 예상(지방교육재정교부금 등)
☞ 복지부·교육부·건보공단 등 관계기관이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운영(’21.7~)

아동·청소년 건강검진 통합관리 추진방향

현 행 개편안

- 19 -
성인기
○ 폐기능검사 목표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 및 안저검사 목표질환 황반변성
(
< >
) (
< >
)

검진항목 도입 타당성 검토 년 검진기준 및 질관리반 검토 중 (’21 ~, )

▪ 폐기능검사 검진항목 도입 검토 경과
- 미세먼지 관련 폐질환 조기 발견을 위한 폐기능 검사 추가방안 검토(’20년, 미세먼지관리종합대책)
- 타당성 연구(’19~’20년,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및 질병청 「검진기준 및 질관리반」 검토(’21년~)
▪ 안저검사 검진항목 도입 검토 경과
- 당뇨망막병증·황반변성 등 안과질환 의료부담 해소를 위한 안저검사 검진도입 필요성 제기(’18년, 국회 등)
- 타당성 연구(’19~’20년,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및 질병청 「검진기준 및 질관리반」 검토(’21년~)

○ 검진항목 및 검진주기 조정방안 검토


- 이상지질혈증 검사 시작연령
( 세 이상 )
<남성>
( 24 ,
<여성>
40 세 이상 및 )

주기 년 에 대한 타당성 검토
(4 )

* 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의 이상지질혈증 검진주기 타당성 연구 추진(’21.3∼8월,


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
- ( 정신건강검사 ∼ 대 정신건강 위험도 증가 등 청년들의
) 20 30 *

우울증 조기발견 등을 위한 정신건강검사 적정 주기 검토 **

* 대학교 3학년(23세)~대학원(25세) 시기에 우울증상 심각(‘18년, 청소년연구원)


20대 사망원인 1위 자살(51.0%), 2위 악성신생물(11.1%), 3위 교통사고(9.9%)(’20년, 통계청)
** 현행 만20, 30, 40, 50, 60, 70세를 시작으로 10년동안 1회 검사 실시(’21년∼)
- ( 흉부 선 등 검진항목 정비 등 민관협의체 논의사항 월∼ 월 을
X- ) *(’18.10 ’19.11 )

바탕으로 국가건강검진위원회를 거쳐 조정·실행방안 검토 ∼ 년 ( ’22 )

* 결핵 고위험군(64세 이상 노인 및 만성질환자) 및 결핵전파 고위험군 직업군


(의료기관 및 산후조리원 종사자 등) 대상 흉부X-선 검사 실시 제안
- ( 구강건강검진 문진과 진찰·상담 중심의 구강건강검진 적정성
)

검토 및 내실화 방안 마련 추진 년 (’21 ~)

- 20 -
노년기
○ 세 이상 건강검진 항목 표준화 등 개선 방안 검토 년
65 * (’21 ~)

-건강보험 가입자격 건강보험 의료급여 에 따른 검진항목 편차 해소


및 건강검진 형평성 제고
( , )

구 분 검 사 항 목 * 65세 이상 수검자 기준

건강 일반 문진·진찰, 신체계측, 시력· 골밀도검사, 노인신체 혈압측정, 혈액검사, 요검사,


국 청력검사, 인지기능장애 기능검사, 정신건강검사, 흉부방사선검사, 구강검진
보험 검진
가 생활습관평가
검 생애
진 전환기 상동 상동
의료 검진
지 급여 노인
자 건강 상동 상동
체 진단

○ 노인건강진단 노인복지법 제 조 지자체 자율사업 및 국가건강검진


( 27 , )

국민건강보험법 제 조 등 이원화 체계 통합 추진 년
( 52 ) (’21 ~)

지자체에서 개별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노인건강진단사업 세 이상 을


- (65 )

국가건강검진으로 일원화 검토
○ 생활습관 인지기능 정신건강검사 등 적정 평가 도구 및 생활습관
, ,

처방 가이드라인 마련 등 고령자 특화 검진프로그램 개발 연구 년 (’21 ~)

➍ 건강검진 국민참여 확산 및 홍보 강화

○ 생애주기별 검진프로그램 안내서 개발 및 확산 년 (’21 ~)

- 검사항목별 목표질환 검사결과 해석 사례 등 안내서 보급 및 ,

온·오프라인 「 건강보험」앱 및 검진기관 리플릿 배포 등 등 홍보 추진


( THE )

건강검진 프로그램 안내서 예시

일반 건강검진 대상 안내 일반 건강검진 결과 안내 영유아 건강검진 안내

- 21 -
○ 세대별 국가건강검진 맞춤 홍보 강화 년 (’21 ~)

보육시설·유치원 영유아와 양육자 등 수검자 타겟형 전략 홍보


-

* 영유아 발달·건강특성 및 건강검진 필요성, 사후관리 검진프로그램 안내 등


- 국가건강검진 응원단 서포터즈 구성·운영 등 국민참여 홍보
( )

* 국가건강검진사업 홍보 캠페인 및 온라인 홍보 콘텐츠 제작·확산


- 고용부 등 관계부처 홈페이지 및 영상매체 협찬광고 , SNS (PPL) 등
각종 매체 활용 범부처 홍보 협업
* 수검률이 낮은 검진유형 또는 수검자 참여도가 낮은 사후관리 영역 등

2 건강검진 사회적 기능 강화

➊사회적 건강문제 예방·관리체계 구축 및 지원 강화


○ 정신건강검진 사후관리 강화 등 정신건강 관리체계 개선 년 (’22 ~)

정신건강검진 결과 우울증 의심자에 대한 조기상담·진료지원 등


-

사후관리 강화 를 위한 지역사회 자원 정신건강복지센터 등 연계 체계 마련


* ( )

* 우울증 의심자 대상 우울증상 극복 안내문 발송(건보공단) 외 사후관리 프로그램 부재


☞ 개인 동의 기반 검진결과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및 조기상담 프로그램 참여 지원
* 정신건강검진결과 사후관리 강화방안 마련 연구(’21.3∼11월,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전국민 치매예방 및 치매발생 고위험군 조기발견 체계 구축 년 (’22 ~)

국가건강검진 인지기능저하 선별검사 결과 인지기능 저하자 치매


- ( )

안심센터 전국 개 보건소 로의 연계를 위한 정보공유 추진


*( 256 )

* 치매 관련 상담, 조기검진(선별검사, 진단검사), 치매예방프로그램 및 인지지원프로그램


운영 등 경증 치매환자·가족 대상 맞춤형 서비스 제공

- 22 -
○ 영유아 영양·발달문제 등 사후관리 강화 년 (’22 ~)

영유아 건강투자를 위한
- 저체중·비만 영유아 정밀평가 (건강검진결과)

및 영양상담 등 사후관리 프로토콜 개발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비 지원사업 활성화를 위한 수요자
-

중심의 사업 개선방안 마련 정밀검사비 지원 대상 확대 검토 추진 ,

▪ (‘10.1.1) 의료급여수급권자 → (‘11.1.1) 차상위층 → (‘13.1.1) 건보료 하위 30% → (‘19.1.1) 건보료 하위 50%

○ 학생 건강검진의 건강관리 프로그램 연계 등 건강관리서비스 확대 년 (’21 ~)

스포츠클럽 운영 및 식생활 교육 강화 등 학생 비만예방 프로그램


- ,

금연상담·클리닉 지원 등 흡연예방 프로그램 활성화


정신건강복지센터 전국 개소 연계 곤란 지역 등 의료취약지 거주
- ( 260 )

위기학생 지원을 위한 정신건강 전문가 학교 방문 컨설팅 추진 ‘ ’

○ 택배기사 등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대상 직종별 건강진단 도입 년 (’22 ~)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이하 특고 택배기사 등 건강진단 제도화 로


- (‘ ’, ) *

과로로 인한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지원방안 마련


* 근로자 건강진단 대상을 사업장 근로자에서 특고까지 확대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추진)
➋건강검진 정보 기반 사회안전망 점검체계 구축
○ 국가건강검진 미수검 정보기반 복지사각지대 발굴 지원 년 (’22 ~)

영유아 건강검진 미수검 정보 등을 활용하여 위기아동 발굴


- ‘ ’

및 필요 복지서비스 방문건강관리 등 연계로 아동학대 예방 강화


( )

※ ‘e-아동행복지원시스템’ 검진정보 공유 및 반복적 검진 미수검 · 예방접종 미실시 사례 등 발굴,


복지서비스 연계 지원을 위한 지자체 방문확인 요청 등

- 23 -
Ⅱ. 믿을 수 있는 건강검진

▶ 추 진 전 략 ◀

검진항목 건강검진 근거 연구전문기관 지정


타당성평가 신규·기존항목 타당성 평가 제도화

국가건강검진
건강검진
건강검진 성과 평가·분석 체계화 신뢰성
성과평가
제고

검진기관 검진기관 질 관리 중심 평가
품질관리 검진기관 재지정기준 합리화

1 근거 기반의 건강검진제도 내실화

➊건강검진 근거 평가 체계 개선
○ 검진항목 타당성 연구·평가 관련 전문연구센터 지정 년 (’23 ~)

중장기 국가건강검진 제도개선 방향성 및 개별 검진항목 신규·기존


- ( )

타당성 연구 등 체계적 연구수행과 근거 확보 기반 마련


○ 건강검진 항목 재평가 제도화 년 (’24 ~)

국가건강검진 평가항목 선정 평가방식 절차 및 주기 등 재평가


- , ,

제도화 방안 및 세부 운영 규정 마련

- 24 -
➋건강검진 성과모니터링 및 평가체계 구축
○ 검진 유형 일반 영유아 구강 암에 따른 건강검진 성과평가 체계화 년
( , , , ) (’22 ~)

검진 유형별 특성과 중점 관리 필요사항 등을 반영한 검진 유형별


-

평가지표 항목개발 평가 주기 및 기준·절차 마련 ,

* 건강검진 성과평가 결과에 따른 미흡사항 관련 과제 발굴·점검 등 지속관리기반 구축


○ 성과모니터링센터 설치·운영 년 (’22 ~)

- 국가건강검진 운영 현황 모니터링 상시 성과분석 및 국가건강 ,

검진위원회 보고 정례화
2 검진기관 질 향상 지원 강화

➊검진기관 질 관리 중심 평가항목 개선
○ 검진기관 평가 관련 질 관리 항목 가중치 부여 등 평가기준 정비 년 * (’21 ~)

건강검진 수행 과정 검진수행의 적절성 등 및 결과 질병예측도 등 평가


- ( ) ( )

항목 가산 기준 마련
* ‘검진기준 및 질관리반(질병청)’ 검토를 거쳐 국가건강검진위원회에서 우대항목 및
가중치 기준 심의·의결
검진기관 질관리 중심 평가항목 개선 방향

현 행 개선안

▪ 전문가 및 공급자 중심의 평가지표 우선순위와 ▪ 검진의 질병예측도 및 대표적인 평가분야


가중치 설정 목표 달성도 관련 평가지표에 가중치 부여

▪ 건강검진 운영을 위한 구조 및 시스템 관리 ▪ 문진·상담·건강교육 등 검진종사자 역량 강화를


분야 위주의 평가지표 유도할 수 있는 문항 개발

▪ 검진유형별 평가내용 수준 차로 종사자 및 ▪ 검진유형 및 평가분야별 평가내용의 특성과


기관의 전문성 확보와 질 개선에 한계 보편성, 난이도 균형 제고

- 25 -
➋검진기관 평가분야별 인증제도 활성화
○ 다양성과 전문성이 담보된 전문학회 인증사항 중 검진기관 평가 *

유사항목 대체 또는 가점 부여방안 검토 년 (’23 ~)

* 진단의학(대한진단검사의학재단, 우수검사실인증), 병리학(대한병리학회, 정도관리인증),


내시경학회(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우수내시경실인증) 등
○ 신규 진입 검진기관 등 인증 참여 유인 및 활성화로 자발적인
검진기관 품질관리 여건 조성 년 (’23 ~)

➌ 검진기관 평가 결과 공개 강화

○ 건강검진 관련 홍보물 검진안내 및 결과서 등 을 활용한 국가건강


( )

검진기관 평가결과 공개 매체 확대 등 검진우수기관 홍보 추진 년 * (’22 ~)

* (현행)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 (개선) 건강검진안내서 및 검진 결과서 등 추가


* (관련근거) 건강검진기본법제15조제3항, 같은법시행규칙제12조(검진기관평가결과의공개)
검진기관 평가 결과 우수 검진기관 중 상위 이내 최우수
- 10% “ ”

기관 선정 및 집중 홍보를 통한 자율경쟁·부실기관 퇴출 기전 마련
➍ 검진기관 종사자 대상 수검자 맞춤형 교육 추진

○ 수검자 특성을 고려한 장애인 등 교육 프로그램 마련 및 검진기관


( )

종사자 교육 이수 여부 등 검진기관 평가 반영 년 (’21 ~)

➎ 검진기관 재지정 기준 합리화

○ 검진기관 재지정 유예제도 신설 년 (’23 ~)

행정처분 회피 목적 등 자진취소 검진기관 대상 일정기간 월 년


- (6 ~1 )

재지정 유예 지정 제한 등 재지정 기준 정비
, *

* 건강검진기본법 시행규칙 제4조(건강검진기관의 구분 및 지정기준 등) 개정 추진


■ [참고] 건강검진기본법 시행령 별표(검진기관의 지정취소 및 업무정지 기준) ※ ’20.9.12. 시행
- 검진기관 평가에서 가장 낮은 등급을 두 번 이상 받은 경우 업무정지 3개월, 가장 낮은 등급을
세 번 이상 받은 경우 지정취소

- 26 -
Ⅲ. 건강생활 실천을 이끄는 건강검진

▶ 추 진 전 략 ◀

개인건강기록(검진, 진료 등)
검진정보 개인건강정보
건강상태 분석·예측 등
활용 활용도 제고
자가건강관리 지원 콘텐츠 다양화

생활터 중심
생활터 중심
건강생활 실천
사후관리 자가건강관리 인센티브 지원
확산
지역건강증진사업 다양화 등

1 건강정보 연계 및 활용도 제고

➊개인건강기록 관리 및 자가건강관리 지원 강화
○「 건강보험」앱 기반 검진결과 조회 및 건강기록 입력 등
The

자가건강관리 지원 콘텐츠 고도화 년 (’21 ~)

검진결과와 생활습관 설문 결과 연계 등 빅데이터 활용 건강


-

예측 건강나이 뇌졸중 심장질환 골다공증성 골절 위험도 등 서비스


( , , , )

건강검진 대상자 알람 및 건강검진 예약지원 건강기록 및 관리


- , *

* 혈압, 혈당, 운동, 식사, 체중, 걸음수 기록 및 기타 프로그램 연동


- 영유아 건강검진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기술 활용 개인 맞춤형
건강정보 영유아 비만·성장 안전사고 예방 등 제공 추진
( , )

「The 건강보험」 앱 콘텐츠 예시

앱 메인화면 질환 위험도 예측 영유아 비만·성장 정보

- 27 -
➋건강검진 마이데이터 개인주도 건강정보 활용지원 체계 구축( )

○ 마이 헬스웨이 플랫폼을 통한 생애주기별 국가건강검진 이력


정보 조회·활용 지원 년 (’21 ~)

나의 건강기록 앱을 통한 공공기관 건강정보 검진 진료 투약 등


- ‘ ’ ( , , )*

조회·저장·활용 등 통합관리 및 개인 주도 건강관리 생활화 지원


* (데이터 조회·저장) 앱을 통해 조회·저장하고자 하는 의료데이터만 선택하여
표준화된 형식(PDF 등) 으로 저장
* (데이터 활용) 개인이 저장한 본인 의료데이터를 원하는 곳에 전송(이메일, 메신저 등)
- 개인 건강기록 기반 맞춤형 운동 식이 처방 등 개인 맞춤 ,

건강관리 서비스 고도화·활성화 기반 마련


「나의 건강기록」 엡 콘텐츠 예시

앱 메인화면 투약 이력 저장 및 전송(공유)
* 진료이력 및 건강검진이력(건보공단), 투약이력(심평원), 예방접종이력(질병청)
참고 ‘나의 건강기록’ 앱 컨텐츠 개인정보 보호 및 정보보안 강화 추진 계획

▷ (데이터 활용 사전 심사제도 도입 추진) 개인 동의를 기반으로 건전한 의료데이터 활용 생태계


구축을 위해 정보보호, 보안, 안전한 의료데이터 활용 측면을 고려하여 ▴사전 심사제도 도입
방안을 마련하고, ▴서비스 제공 계획, ▴개인정보보호 체계 구축, ▴전문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심사기준 수립

☞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제공 시 「개인정보 보호법」 상 처벌 가능(5년 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 벌금, 제18조‧제71조)

▷ (개인정보 보안 기반 강화) 안전한 데이터 관리를 위해 개인 건강정보 활용 과정에서 물리적


정보 보안 확보 조치로 전송구간 암호화, 모바일 보안, 개인정보 보안 관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활용 등 정보보안 인프라 구축 예정

- 28 -
2 생활터 중심 건강생활실천 지원

➊ 수검자 위치기반 모바일 건강정보 제공


○ 지역 내 검진기관 안내 및 검진 예약 조회·알림 서비스 건강 관련 ,

프로그램 행사 등 정보 제공 년 ( ) (’22 ~)

유형별 검진기관 검색 및 검진예약 정보 지역 내 건강행사 등


- ,

➋ 위험군 등 건강생활실천 연계 및 지원체계 마련

○ 검진결과 질환의심자 등 만성질환관리 기반 강화 년 (’21 ~)

질환의심자 확진 검사비 지원 및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 확대 등


- * **

건강관리 건강관리계획 수립–상담–서비스 연계·조정 연계 강화 추진


( )

* 고혈압, 당뇨병(’18년∼) 및 폐결핵(’21년∼) 질환 의심자


** 의료기관 참여 요건 완화(지역동네의원20개이상함께신청가능→단, 군지역5개이상
신청가능) 및 관리대상 질환 확대 방안(고혈압·당뇨병·천식·아토피 피부염 등) 검토 추진
○ 검진결과 위험요인 보유자 등 자가건강관리 지원 년 (’21 ~)

검진결과 건강위험요인 비만 혈압·혈당 주의군 등 보유자 대상 생활습관


- ( , )

개선 노력과 건강개선 결과에 따라 건강포인트 지급 추진


* (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시범사업) 시범지역 건강생활실천 과정(교육 이수·걸음수
달성 등)과 건강개선 결과(체중·혈압·혈당 감소)에 따라 인센티브 지급
검진결과 고위험군 등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전국사업화 추진
-

년 개소 → 년 전국 보건소 등 · 활용 비대면 건강관리 강화


(’21 160 ’25 ) AI IoT

○ 근로자 등 사업장 중심 건강생활실천 여건 조성 년 (’22 ~)

건강친화기업 인증제 참여 기업 종사자 대상 흡연예방 교육 및


- *

운동프로그램 정신건강 상담 등 서비스 지원,

* 직장 내 건강 친화적 환경 조성(보건관리자 선임, 근로자 건강진단 실시 등) 등 건강


친화제도를 모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기업에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
- 29 -
- 근로자 건강진단 고위험군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보유자 등 모바일 활용
( )

건강관리 현황 모니터링 및 사업장 건강관리 프로그램 연계 강화 년 (’22 ~)

* 산업안전보건법 등 기타 관계법령에 따른 건강검진결과 상호 공유·연계 방안 검토


○ 암 검진결과 사후관리 강화 년 (’22 ~)

- 폐암 검진결과 이상소견 판정기준을 세분화 단계→ 단계 하고 검진 (5 6 ) ,

결과 상담 시 금연상담·교육 등과 연계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 *

* 암검진 실시기준(고시) 상 판정기준(이상소견 없음, 양성 결절, 경계선 결절, 폐암 의심,


폐암 매우 의심, 기타) 및 결과상담기록지(금연상담·치료연계 작성란 신설) 개정
<신설예정>

○ 흡연 경험 수검자 맞춤형 금연지원서비스 제공 년 (’22 ~)

- 금연상담전화·보건소 등을 통한 금연대상자 흡연습관 파악 및


적합한 금연지원서비스 금연치료지원 온라인 금연지원서비스 등 연계 등
( , )

금연사례관리 추진
○ 건강검진결과 활용 지역건강증진사업 등 참여 활성화 지원 년 (’21 ~)

-검진결과 건강위험요인 보유자 등 지역사회 중심 각종 건강증진


사업 안내 정보제공 및 건강상담 실시 등
,

▪ 맞춤형 검진 바우처 (보건복지부)


-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 참여자(고혈압·당뇨환자) 대상 검진 바우처(지질검사·당화
혈색소·요검사 등, 1회/연) 제공 및 교육·상담 등 사후관리

▪ 건강검진 대사증후군 사후관리 (국민건강보험공단)


-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보유자(복부미만, 높은 혈압·혈당 등) 생활습관 개선 방법 등 건강정보
제공, 건강상담(건강생활실천 여부 모니터링 등) 및 상담결과 평가

▪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 (보건소)
- 금연, 절주, 신체활동, 영양, 비만, 구강보건사업 등 지자체 주도 건강증진사업

- 30 -
Ⅳ. 국가건강검진 관리기반 강화

▶ 추 진 전 략 ◀

국가건강검진 건강검진 관계기관 협의·조정 총괄


총괄·조정 지원 조직 신설

건강검진
관계기관 건강검진 관계부처 위원회 참여
관리기반
참여확대 확대
효율화

국민소통 대국민 의견수렴 채널 마련

1 국가건강검진 거버넌스 정비

➊국가건강검진위원회 컨트롤타워 재설계


○ 국가건강검진위원회 산하조직 및 기능 정비 년 (’22 ~)

총괄·조정기능 강화 관계부처 간 협력·소통과 시의성 있는


- ( )

현장의견 수렴 논의 효율성 제고 등을 위해 국가건강검진위원회


,

산하 사무국 보건복지부 신설 *( )

* 관계부처(<총괄>보건복지부 및 교육부·고용부·여가부 등) 및 전문가·실무자 등 참여


- 조직 운영 효율화
( 범부처 협의·조정 총괄 검진제도
)
<사무국>
,

개선 제안 접수 및 적정성 검토 검진항목 근거연구 ,


<전문연구센터>
,

건강검진 성과 평가 및 분석 등 역할 세분화
<성과모니터링센터>

- 31 -
국가건강검진위원회 관련 조직 개편(안)



- 32 -
국가건강검진위원회 관련 조직 기능 및 역할
■ 국가건강검진위원회 : 국가건강검진 관련 중요사항(국가건강검진제도 운영 및 개선
관련 정책방향 등) 심의·의결
■ 사무국(신설) : 범부처 협의·조정 총괄, 검진제도 국가건강검진위원회 운영 지원
검진항목 개선 제안 접수·검토 및 관련 기준 운영
■ 검진기준 및 질관리반 : 검진항목(기존·신규) 타당성 연구결과 기반 검진항목 조정·
신설 방안 검토, 전문분과위원회 운영
■ 전문연구센터(신설) : 국가건강검진 항목(기존·신규) 타당성 분석 및 근거 연구
■ 성과모니터링센터(신설) : 국가건강검진 운영 현황 모니터링, 성과평가 및 분석
검진항목 선정 및 검토 절차

현 행 (AS–IS) 개 선 (TO-BE)

소요기간 기관별 소관사항 소요기간


기관별 소관사항 (4년) (2년10개월)

검진항목 개선 수시 건의 검진항목 개선 제안 접수
복지부 등 적정성 검토(수시) 복지부 및 적정성 검토
▸ 산발적 제도개선 건의 개별 4개월
▸ 검진항목 개선 제안 창구 2개월
질병청
일원화(복지부) 및 검토
(사무국)
검토 등 장기 관점에서의
선제 대응 한계 기준·절차 체계화
개별 전문
연구 검진항목 개선 근거 연구 1년 연구 검진항목 개선 근거 연구 1년
기관 센터

국가건강검진 원칙별 국가건강검진 원칙별


질병청 근거자료 검토 및 논의 질병청 근거자료 검토 및 논의
(검진기준
▸ 충분한 근거 확보, 전문성을 2년
➜ (검진기준
▸ 전문분과위원회 전문가풀 1년
및질관리반)
갖춘 전문가 심층 검토 등 및질관리반)
확충, 유연한 운영으로
속도감있는추진여건미흡 검토·논의기간 단축
질병청 국가건강검진위원회 안건 복지부 국가건강검진위원회 안건
(기획총괄 1개월 1개월
상정준비 · 의뢰 (사무국) 상정준비 · 의뢰
분과)

국가건강검진위원회 심의· 국가건강검진위원회 심의·


복지부 1개월 복지부 1개월
의결 의결

건강검진 항목 개선사항 건강검진 항목 개선사항


복지부 복지부
시행 준비 6개월 시행 준비 6개월
건보공단 건보공단
(고시개정 및 검진시스템 정비 등) (고시개정 및 검진시스템 정비 등)

- 33 -
➋ 국가건강검진위원회 개편
○ 국가건강검진위원회 참여기관 확대 년 (’22 ~)

국가건강검진위원회 참여기관을 국가건강검진을 주관하는 모든


-

부처 로 확대하고 국가건강검진 관련 범부처 협의·조정 기능 강화


* ,

* 여가부(학교밖청소년건강검진소관) 및질병관리청(검진기준및질관리반소관) 관계자포함


➌ 국가건강검진 개선을 위한 국민소통 강화
○ 검진항목 선정 및 평가 등 검진제도 개선 과정에서 정책 수요자
및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공식 채널 마련 년 (’22 ~)

대국민 수요조사 실시 등 의견수렴및 검토결과 발표 방안 마련 등


-

Ⅳ . 실행방안

1 이행전략

□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이행상황 점검 체계 구축
○ 제 차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추진과제 및 이행상황 상시 점검 추진
3

- 국가건강검진 성과모니터링센터 설치 및 상시 모니터링 체계 구축 년 (’22 ~),

종합계획 세부과제 연차별 추진실적 관리


□ 국가건강검진위원회 추진실적 보고 정례화
○ 건강검진 성과모니터링센터의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연차별 추진
실적 관리사항 건강검진위원회 보고 정례화 매년 말 ( )

소관 부처별 추진실적 상호 공유 및 이행상황 평가결과 환류


-

- 34 -
2 세부 추진일정

추진과제 추진일정 소관부처

Ⅰ. 부담없고 편리한 건강검진

 수검자 최우선 건강검진 구현

❶ 건강검진 접근성 및 편의성 제고

- ▢
신규 건강검진 영향요인 분석 및 개선 전략 마련 ’21~ 복지부, 건보공단


기존 장애친화검진기관 확대 및 지원 강화 ’21~ 복지부, 건보공단


신규 건강검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출장 ’22~ 복지부
검진 기준 개정
- ▢
신규 ▢
기존 건강검진 ▢
기존 토요일·공휴일 검진수가 가산 등 인센 ’23~ 복지부, 건보공단
장애요인 등 수검 티브 확대 검토
여건 개선 ▢
기존 비대면 암검진 프로그램 개발 등 암검진 ’22~ 복지부, 건보공단
접근성 제고


신규 암검진 원격데이터 축적 및 활용, 검사
’22~ 복지부, 건보공단
정확도 향상

❷ 수검자 중심의 건강검진결과 이해도 제고

- ▢
기존 건강검진결과 안내 방법 다양화 ’21~ 복지부, 건보공단

- ▢
기존 개인 검진결과 비교정보(개인 및 동년배 등) 자가 ’21~ 복지부, 건보공단
건강관리 기초정보 제공

- ▢
신규 검진결과 상담자 본인부담금 지원 확대방안 검토 ’24~ 복지부, 건보공단

➌ 생애주기별 맞춤형 검진프로그램 개선 및 검진체계 개편

- ▢
기존 (영유아) 구강검진 등 기존·신규 검진항목 검토 및 개선 ’21~ 복지부, 질병청, 건보공단

복지부, 교육부, 여가부,


- ▢
신규 (아동·청소년) 검진항목 표준화 및 검진관리체계 개선 ’22~
질병청, 건보공단

- ▢
기존 (성인) 이상지질혈증 등 기존·신규항목 검토 및 개선 ’21~ 복지부, 질병청

- ▢
기존 ▢
신규 (노인) 노인검진 항목 표준화 및 체계 개편 등 ’21~ 복지부, 질병청

➍ 건강검진 국민참여 확산 및 홍보 강화

- ▢
기존 생애주기별 검진프로그램 안내서 개발 및 확산 ’21~ 복지부, 건보공단

- ▢
기존 세대별 국가건강검진 맞춤 홍보 강화 ’21~ 복지부, 건보공단

- 35 -
추진과제 추진일정 소관부처

 건강검진 사회적 기능 강화

❶ 사회적 건강문제 예방·관리체계 구축 및 지원 강화

- ▢
신규 정신건강검진 결과 연계 정신건강 관리체계 개선 ’22~ 복지부

- ▢
신규 치매발생 고위험군 조기발견 체계 구축 ’22~ 복지부

- ▢
신규 ▢
기존 영유아 영양·성장문제 사후관리 강화 ’22~ 복지부, 건보공단

- ▢
기존 학생 건강검진 연계 등 건강관리서비스 확대 ’21~ 복지부, 교육부

- ▢
신규 특수고용근로자 직종별 건강진단 도입 ’22~ 고용부

❷ 건강검진 정보 기반 사회안전망 점검체계 구축

- ▢
신규 미수검 정보기반 복지 사각지대 발굴 지원 ’22~ 복지부, 건보공단, 지자체

Ⅲ. 믿을 수 있는 건강검진

 근거 기반의 건강검진제도 내실화

❶ 건강검진 근거 평가 체계 개선

- ▢
신규 건강검진 항목 관련 전문연구센터 지정 ’23~ 복지부, 질병청

- ▢
신규 건강검진 항목 재평가(Update) 제도화 ’24~ 복지부, 질병청

❷ 건강검진 성과 모니터링 및 평가체계 구축

- ▢
신규 건강검진 성과평가 체계화 ’22~ 복지부, 건보공단

- ▢
신규 성과모니터링센터 설치·운영 ’22~ 복지부, 건보공단

 검진기관 질 향상 지원 강화


기존 ❶ 검진기관 질 관리 중심 평가항목 개선 ’21~ 복지부, 건보공단


신규 ❷ 검진기관 평가분야별 인증제도 활성화 ’23~ 복지부, 질병청, 건보공단


신규 ➌ 검진기관 평가결과 공개 강화 ’22~ 복지부, 건보공단


기존 ➍ 검진기관 종사자 대상 수검자 맞춤형 교육 추진 ’21~ 복지부, 건보공단


기존 ➎ 검진기관 재지정 기준 합리화 ’23~ 복지부, 건보공단

- 36 -
추진과제 추진일정 소관부처

Ⅲ. 건강생활 실천을 이끄는 건강검진

 건강정보 연계 및 활용도 제고

❶ 개인건강기록 관리 및 자가건강관리 지원 강화

- ▢
신규 ▢
기존 「The 건강보험」 앱 기반 자가건강관리 지원
’21~ 복지부, 건보공단
콘텐츠 고도화
❷ 건강검진 마이데이터 체계 구축

- ▢
신규 마이 헬스웨이 플랫폼을 통한 생애주기별 국가
’21~ 복지부, 건보공단
건강검진 이력 등 조회·활용 지원
 생활터 중심 건강생활실천 지원

➊ 수검자 위치기반 모바일 건강정보 제공

- ▢
기존 지역 내 검진기관 예약 조회·알림 서비스, 건강
’22~ 복지부, 건보공단
관련 프로그램(행사) 정보 제공
➋ 고위험군 등 건강생활실천 연계 및 지원체계 마련

기존 만성질환관리 기반 강화 ’21~ 복지부
- ▢
신규 ▢
기존 검진결과
위험요인 보유자 등 ▢
신규 건강생활실천 지원금제 시범사업 ’21~ 복지부
자가건강관리 지원

기존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확대 추진 ’21~ 복지부


신규 건강친화기업인증제 참여기업 종사자
- ▢
신규 ▢
기존 근로자 등 대상 건강관리서비스 지원
’22~ 복지부, 건보공단
사업장 중심 건강
생활실천 여건 조성 ▢
기존모바일 활용 모니터링 및 사업장 ’21~ 고용부, 건보공단
건강관리 연계 강화

- ▢
신규 ▢
기존 암 검진결과 사후관리 강화 ’22~ 복지부, 건보공단

- ▢
기존 흡연 경험 수검자 맞춤형 금연지원서비스 제공 ’22~ 복지부

- ▢
기존 지역건강증진사업 참여 활성화 지원 ’21~ 복지부

Ⅳ. 건강검진 관리기반 강화

 국가건강검진 거버넌스 정비
복지부, 질병청,

신규 ❶ 국가건강검진위원회 컨트롤타워 재설계 ’22~
건보공단


신규 ❷ 국가건강검진위원회 개편 ’22~ 복지부, 질병청, 여가부


신규 ➌ 국가건강검진 개선을 위한 국민소통 강화 ’22~ 복지부, 질병청, 건보공단

- 37 -
붙임 1 제2차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16~’20) 과제 및 추진 현황

3대 전략 / 7대 중점과제 / 23개 실행과제 추진 현황

Ⅰ. 수요자가 만족하는 편리한 검진

Ⅰ-1. 신속한 검진-치료ㆍ건강관리 연계

Ⅰ-1-1 ㅇ병ㆍ의원을 통한 확진검사 확대 ㅇ고혈압·당뇨병 확진검사 제도 도입(’18년)

ㅇ보건소 중심의 「모바일 헬스케어」시범사업 실시(’16년)


Ⅰ-1-2 ㅇ건강관리서비스 활성화 추진
ㅇ건강관리서비스 가이드라인 및 사례집 발간(’19년)

ㅇ검진기관 금연치료사업 매뉴얼 제공, 금연치료 협력 우수기관 인증


Ⅰ-1-3 ㅇ검진기관의 금연치료 참여 확대 사업 실시(’17년)
ㅇ“검진에 금연치료는 필수입니다” 공동캠페인 실시(’17년)

Ⅰ-2. Big Data와 ICT 융합을 통한 수요자 중심의 건강검진체계 구축

Ⅰ-2-1 ㅇ검진정보 플랫폼 구축 ㅇ건강보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 추진(’16~’18년)

ㅇ검진정보 플랫폼을 활용한 개인건강관리


Ⅰ-2-2 ㅇ“건강iN 앱” 서비스 출시(’17년)
서비스 지원

ㅇ보건소 및 사업장 건강검진‧의료이용지표(57종) 개발 및 제공


Ⅰ-2-3 ㅇ지역사회 건강서비스 연계 및 혁신
ㅇ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성과관리체계 개선 지원 지표 제공

ㅇ개방형 Big Data를 활용한 건강서비스


Ⅰ-2-4 ㅇ건강서비스 앱 기술 개발 지원을 위한 비식별 건강정보 제공
기술개발 지원

Ⅰ-3. 건강취약계층 지원 확대

ㅇ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 지정(’19년 8개소, ’20년 16개)


ㅇ장애인안전편의관리비* 검진 가산수가 결정(’17년)
Ⅰ-3-1 ㅇ장애인 건강검진프로그램 도입
* 중증장애인 건강검진 시 기본검진 비용 외 검진 건당 26,980원 추가지급
ㅇ건강관리 통합정보시스템 시각장애인용 전자점자결과 통보서 오픈(’20년)

ㅇ심화평가 권고 영유아 사후관리


Ⅰ-3-2 ㅇ영유아 발달평가 결과 안내문 발송, 유선 및 방문 상담 제공
체계 구축

ㅇ토요일·공휴일 가산수가(30%) 지급(’17년)


Ⅰ-3-3 ㅇ접근성 제고
ㅇ다문화 가정을 위한 외국어 검진문진표 및 결과통보서 제공(14개 국어)

Ⅰ-3-4 ㅇ학교 밖 청소년 검진연령 확대 ㅇ검진연령 확대(만 15~18세 → 9세 이상 18세 이하)(’16년)

- 38 -
3대 전략 / 7대 중점과제 / 23개 실행과제 추진 현황

Ⅱ. 정확하고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

Ⅱ-1. 근거 기반의 생애주기별 검진체계 구축

ㅇ성․연령별 건강위험을 고려한 검진항목 ㅇ성, 연령별 검진항목 및 주기조정(’16년~)


Ⅱ-1-1
및 주기조정 *골다공증, 우울증, 노인신체기능, 인지기능장애, 생활습관평가 등

ㅇ신규 및 기존 검진항목에 대한 주기적 타당성 재평가 및 근거 연구


Ⅱ-1-2 ㅇ상시 근거평가 및 조정체계 구축
실시(수시, 계속)
ㅇ생활습관상담 실시(40·50·60·70세 10년/1회) 확대(’18년)
ㅇ건강행태 조기 개선을 위한 상담
Ⅱ-1-3 ㅇ평가문항 및 상담매뉴얼 개정을 통한 생활습관 평가 및 상담 질 개선(‘18년)
서비스 확대
ㅇ일반건강검진 검진의사 상담매뉴얼 제작 및 배포(’18년)

Ⅱ-1-4 ㅇ암 검진 프로그램 확대 개편 ㅇ간암, 자궁경부암 검진주기 및 연령 확대(’16년), 폐암 검진 도입(’19년)

ㅇ제2차 국가건강검진위원회(’16.7.28)에서 도입 결정하였으나, 「결핵


Ⅱ-1-5 ㅇ한시적 잠복결핵검진 도입
전문위원회」 권고·의결*(’17.6.21, 사업타당성 및 근거 부족)에 따라 미도입

Ⅱ-2. 바람직한 건강검진 정보 제공

ㅇ민간건강검진 실태조사 실시(’17년)


Ⅱ-2-1 ㅇ민간건강검진 실태조사 및 근거평가
ㅇ민간건강검진 항목에 대한 근거 평가 방안 검토(’19년)
ㅇ기존 검진항목에 대한 타당성 재평가 및 근거 연구 실시(수시, 계속)
ㅇ바람직한 검진프로그램에 대한 대국민
Ⅱ-2-2 ㅇ영유아건강검진 서식개선 및 의사상담매뉴얼, 보호자용 설명자료
정보 제공
개발* 및 배포(’19~’20)

Ⅲ. 국가건강검진 추진기반 강화

Ⅲ-1. 국가건강검진 운영체계 재정비

Ⅲ-1-1 ㅇ국가건강검진위원회 기능 강화 ㅇ국가건강검진위원회 산하 ‘전문위원회’ 구성 필요성 등 개편안 검토 예정

Ⅲ-1-2 ㅇ검진 성과평가체계 구축 ㅇ전문위원회 구성안과 연계하여 성과평가체계 구축 방안 검토 예정

Ⅲ-2. 검진기관 질 관리 및 질 향상 지원

Ⅲ-2-1 ㅇ검진기관 평가체계 고도화 ㅇ평가 미흡기관에 대한 재평가 실시 및 행정처분 강화(’19년)

ㅇ출장검진기관 현지확인 조사 확대(현지확인율: ’18년 20%→’19년 23%)


Ⅲ-2-2 ㅇ출장검진 질 제고
ㅇ검진인력 실명제 도입, 출장검진 검체 적정 관리 기준 마련 등(‘16년)

ㅇ영유아, 구강검진의사 사이버교육과정 콘텐츠 개선(’18년)


Ⅲ-2-3 ㅇ검진의사에 대한 교육과정 내실화
ㅇ일반건강검진의사에 대한 사이버교육과정 신설 운영 (’17년)

- 39 -
붙임 2 국가건강검진 추진 연혁

국가건강검진 추진 연혁

1950년 결핵, 기생충질환 집단검사(대한결핵협회, 기생충협회)


태동기 1951년 학교신체검사규정 제정(문교부령 15호)
1953년 16인 이상 사업장 정기건강진단 의무화(근로기준법 제71조)
1980년 공무원 및 사립학교 교직원 건강검진 실시
1988년 직장피부양자 건강검진 및 간염예방사업 실시
1995년 직장가입자 및 지역가입자 건강검진 실시
* 직장가입자 건강검진을 고용노동부에서 보건복지부로 이관

1999년 의료급여수급권자 대상 국가 암조기검진사업 실시


확장기
2005년 국가 암조기검진 대상자 보험료 하위 50%로 확대(보건복지부 암치료비
지원사업 실시)

2006년 직장가입자 신규자격 취득자에 대한 검진 실시(특정암검사 본인부담률


20%로 하향 조정)

2008년 「건강검진기본법」 공포(제정 ’08.3.21. 시행 ’09.3.22.)


2010년 제1차(`11~`15)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수립
암검진 본인부담률 10%로 하향 조정
영유아건강검진 대상자(만4세) 확대
2012년 의료급여 일반건강검진 실시(만 19∼39세 세대주 및 만 41∼64세 전체)
공휴일 건강검진 시 상담료 30% 가산 적용
영유아 건강검진 대상자(66∼71개월) 확대(4.1)
2015년 의료급여수급권자 자궁경부암 대상자(20세 이상) 확대(1.1.)
2016년 제2차(`16~`20) 국가건강검진종합계획 수립
발전기 자궁경부암 대상자(20세 이상) 확대
간암검진 주기 조정 연2회(1.1.)
학교밖청소년 건강검진 수탁사업 실시
2017년 토요일 건강검진 가산수가(30%) 적용(1.1.)
생애전환기건강진단 대상자 C형 간염검진 시범사업 추진(45개 시·군·구)
2018년 66세 이상 의료급여수급권자 생애전환기 검진 실시
대장암검진 본인부담금 10% 폐지(본인부담금 없음)
2019년 20~30 청년세대 국가건강검진 실시
폐암검진 신설

- 40 -
붙임 3 국가건강검진 실시 체계

영유아(0세∼5세) 학동기(6세∼18세) 성인기(19∼64세) 노년기(65세 이상)


(영유아건강검진) (학생검진) (일반건강검진 및 암검진) (일반건강검진 및 암검진)
구분
건강보험 의료급여 건강보험 의료급여 건강보험 의료급여
취학 학동기 비취학 학동기
가입자 수급권자 가입자 수급권자 가입자 수급권자

국민건강보험법
국민건강보험법
청소년 제52조 의료급여법 국민건강보험법
국민건강보험법 의료급여법 학교보건법 제52조
근거법령 복지지원법 산업안전보건법 제14조 제52조
제52조 제14조 제7조 의료급여법 제14조
제6조 제129조 암관리법 제11조 암관리법 제11조
암관리법 제11조
암관리법 제11조

일 만 0~5세 만 6세~18세 만 9~18세 ­직장가입자 ­만 19세~64세 ­성인기 건강보험 ­만 66세 이상(의료


반 전체 영유아 전 취학 학교 밖 ­세대주인 지역가입자 의료급여수급권자 가입자와 동일 급여생애전환기검진)
건 학동 청소년 ­만 20세 이상 피부양자
강 및 세대원
* 만 65세 이상 건강진단

검 ­노인복지법에 따라
진 시・군・구에서 실시

암 ­ ­ ­ ­암종별 대상연령 ­암종별 대상연령



생후 14일, 4개월, 9개월, 초등 1․4학년, ­3년 1회 ­2년 1회 ­2년 1회 ­2년 1회 ­2년 1회


18개월, 30개월, 42개월, 중등 1학년, (비사무직 1년 1회) (비사무직 1년 1회)
검진주기
54개월, 66개월 고등 1학년
(총 8회) (총 4회)

국민건강 시・군・구 학교장 여성가족부 국민건강보험공단, 시・군・구(보건소) 국민건강보험공단, 시・군・구(보건소)


검진 수행
보험공단 (보건소) *공단 위탁수행 시・군・구(보건소) *공단 위탁수행 시・군・구(보건소) *공단 위탁수행
주체
*공단 위탁수행 *공단 위탁수행 *공단 위탁수행

본인부담 없음 본인부담 없음 본인부담 없음 ­일반건강검진: 본인 본인부담 없음 ­일반건강검진: 본인 본인부담 없음


부담 없음 부담 없음
*건강보험재정 *국고 및 지방비 *국고 및 지방비 *국고 및 지방비
*건강보험재정 *건강보험재정

­암검진 ­암검진
∙ 보험료 상위 50%: ∙ 보험료 상위 50%:
본인부담 10%(자궁 본인부담 10%(자궁
비용 경부암, 대장암은 경부암, 대장암은
부담 본인부담 없음) 본인부담 없음)

*건강보험재정 90% *건강보험재정 90%

∙ 보험료 하위 50%: ∙ 보험료 하위 50%:


본인부담 없음 본인부담 없음

*건강보험재정 90%, *건강보험재정 90%,


국고 및 지방비 10% 국고 및 지방비 10%

ʼ07.11.15. ʼ08.1.1. 교육부 주관 여성가족부 ­일반 : ʼ80년 실시 ­일반 : ʼ12년 실시 ­의료급여생애전환기


실시 실시 (‘51년) 주관(’16년) ­암 : ʼ90년 실시 ­암 : ʼ99년 실시 검진: ’18년 실시

* 영유아 초기(생후 14∼35일) 생애전환기 건강진단(만 40세, 66세):


비고
건강검진: 2021.1.1. 시행 ’07~’17년까지 실시
* 이외 모자보건법, 영유아보육법,
유아교육법에 건강검진 임의
규정 명시

- 41 -
붙임 4 국가건강검진 실시 현황 (수검률, 검진기관, 예산)

□ 수검률
○ 일반건강검진 (‘21.3.31. 기준 단위 명
, : , %)

구분 건강보험 의료급여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2020 21,426,693 14,460,433 67.5 377,661 124,283 32.9


2019 21,716,582 16,098,417 74.1 377,552 144,147 38.2


2018 19,593,149 15,076,899 77.0 317,949 133,301 41.9


2017 17,818,302 13,987,129 78.5 314,878 133,421 42.4


2016 17,633,406 13,709,413 77.8 319,042 137,974 43.3

○ 영유아건강검진 (‘21.3.31. 기준 단위 명
, : , %)

구분 건강보험 의료급여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2020 2,488,308 2,064,086 83.0 30,064 22,242 74.0


2019 2,712,089 2,103,881 77.6 31,950 21,748 68.1


2018 2,889,140 2,152,240 74.5 32,686 22,183 67.9


2017 3,024,934 2,181,934 72.1 41,309 26,309 63.7


2016 3,128,947 2,249,928 71.9 44,674 28,882 64.7

○ 암검진 (‘21.3.31. 기준 단위 명
, : , %)

구분 건강보험 의료급여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대상자 수검자 수검률

2020 22,973,173 11,389,379 49.6 1,053,303 265,361 25.2


2019 23,122,600 12,891,329 55.8 1,022,441 322,091 31.5


2018 22,503,127 12,131,112 53.9 1,002,395 322,934 32.2


2017 22,658,023 11,411,036 50.4 1,004,283 324,177 32.3


2016 21,948,238 10,805,618 49.2 996,261 323,348 32.5

- 42 -
□ 검진기관 현황
(‘20.12.31. 기준 단위 개소
, : )

구분 합계 종합 병원 한방 의원 보건 치과 치과
병원 병원 기관 병원 의원

‘20 23,376 352 1,130 29 9,029 155 196 12,485


‘19 23,030 346 1,134 26 8,899 157 196 12,272


‘18 22,268 343 1,120 22 8,658 157 188 11,780


‘17 21,635 336 1,141 21 8,448 159 184 11,346


‘16 20,957 333 1,131 19 8,240 157 170 10,907

□ ‘21 년 건강검진 소요재정 현황


(단위 천명 백만 원
: , )

소요재정
구분 대상자 총계 건강 국비 및 지방비
보험재정 계 국비 지방비
합계 61,053 1,950,154 1,855,324 94,830 47,617 47,213

일반건강검진 27,386 650,522 641,468 9,054 6,633 2,421

영유아건강검진 2,811 89,136 86,963 2,173 1,606 567

암검진주 )
30,856 1,210,496 1,126,893 83,603 39,378 44,225

주) 암검진 - 건보료 상위 50%는 건보재정(90%)과 수검자 부담(10%)으로 실시


- 건보료 하위 50%는 건보재정(90%){기금(5%,서울3%), 지방비(5%,서울7%)}로 실시
- 의료급여수급권자는 기금(50%,서울30%) 및 지방비(50%,서울70%)로 실시

- 43 -
붙임 5 국가건강검진 목표 질환

구분 목표질환 검사항목
비만 진찰 및 상담 문진
시각이상
- ,

질환력 흡연 음주 운동・인지기능
청각이상
( , , , ,

기분상태 )

고혈압 - 혈압 측정
건강위험요소 파악 - 건강위험평가 (HRA)

폐결핵 흉부질환 , - 흉부방사선 촬영


신장질환 - 소변검사
빈혈 등 - 혈액검사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남자 만 세 여자 세부터
일반건강검진 년마다
( 24 , 40

4 )

형 간염 세
B (40 )

간질환 - 혈액검사
만성 신장질환
인지기능장애 세이상 년마다 (66 2 ) - KDSQ-C 검사 및 상담
골다공증 · 세 여성 (54 66 ) - 방사선 또는 초음파
노인신체기능 · · 세 (66 70 80 ) - 낙상검사
생활습관평가 · · · 세 (40 50 60 70 ) - 흡연 음주 운동 영양 비만
, , , ,

우울증 해당 연령 · · · · · 검사
세 을 시작으로 년 동안 회
( (20 30 40 50 60
- PHQ-9

문진 상담 교육
70 ) 10 1 )

구강검진 시진 검사
- , ,

치면세균막 검사 만 세
-

- ( 40 )

진찰 및 상담 - 의사 문진 및 진찰
골다공증 세 여성 (66 ) - 방사선 또는 초음파
의료급여 노인신체기능 · · 세 (66 70 80 ) - 낙상검사
생애전환기검진 생활습관평가 세 (70 ) - 흡연 음주 운동 영양 비만
, , , ,

우울증 검사
세를 시작으로 년 동안 회
- PHQ-9
(70 10 1 )

인지기능장애 세이상 년마다 (66 2 ) -KDSQ-C 검사 및 상담

- 44 -
구분 목표질환 검사항목
성장 이상 키 몸무게 머리둘레 등 신체계측
발육지연 과체중 소두증 등 - , ,

발달 이상
( , , )

(정신지체 자폐증 행동장애등


, , )
- 발달검사
사고 안전교육 수면교육
영유아건강검진 안전사고 수면중돌연사등
- ,
( , )

영양 영양교육
모유수유 영양결핍 영양과잉 -

청각 이상 난청 청각문진 귓속말 검사
( , , )

( ) - ,

시각 이상 약시 사시등 ( 시각문진 시각 및 청력검사


, ) - ,

구강 이상 치아우식증 치은비대등 구강시진 및 구강보건교육


( , ) -

고혈압 혈압 측정 -

시력측정 안질환 , 시력측정 등 눈 검사 -

청력 귓병 , 청력 등 귀 검사 -

콧병 부비동염 비염 등 검사 - ,

목병 편도선비대 갑상샘비대 등 검사 - ,

피부병 아토피성피부염 전염성피부염등검사 - ,

척추 척추측만증 검사 -

허리둘레 허리둘레 측정 -

학생건강검진 빈혈 혈색소
간장질환 혈액검사
-

혈당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
-

이상지질혈증 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 , ,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HDL), ,

당뇨병 간세포효소 (AST, ALT))


(LDL),

결핵 흉부방사선촬영 -

신장질환 소변검사 요단백 요잠혈 - ( , )

구강검진 치아상태 구강상태 - ,

※ 키, 몸무게, 비만도 항목은 신체발달상황 검사에서 측정


학생건강검진 목표질환과 동일 학생건강검진과 동일 -

형 형 간염
학교밖청소년 감염병질환 혈액검사
매독 임질
B , C -

건강검진 클라미디아
( , HIV, ,

고혈압 당뇨병 신장질환


)

이상지질혈증 등
,
질환의심자 대상 확진검사
, ,
-

- 4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