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2023-02-23

 (…) to transcend economic disparity via 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in "developed"
nations and the children they sponsor in "less-developed" nations(Erica Bornstein,2001:595)
 (…) regular payments by sponsors, accompanied by the exchange of personal information,
characterise a fundraising phenomenon which currently links sponsors to more than eight million
children globally(Brad Watson & Matthew Clarke,2014:867)
 A key feature of the early child sponsorship programme seems to have become lost, namely, that it
was designed for the short-term support of undernourished children, primarily within family or
institutional settings at times of chronic food shortages. (Brad Watson,2015:877)
 Child sponsorship programs have been accused of representing children in the developing world
in a manner described as “development porn”.(…)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and continuing
humanitarian efforts, the portrayal of the “other” in marketing communications has
important(Robert Mittelman and Leighann C. Neilson,2011:370-371)
 Child sponsorship programmes have long been criticised for their conceptual and programmatic
flaws. In response, organisations changed their programme designs to minimise negative side
effects, or even stopped providing direct support to individual children altogether.(Willem van
Eekelen,2013:468)

1
2023-02-23

 World Vision Korea  Compassion Korea

 Plan International  Plan Korea

2
2023-02-23

△△△이 후원을 받고 있긴 하지만 약간 안정적인 후원처가 없었어요. 거기는 결연을 안 하거든요. 결연을 안
하고 사업으로 후원을 받고 있긴 하지만, 아직까지 약간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한국사람의 정서에 결
연 말고 사업을 후원한다는 것 자체가 약간 더 어려워서. 다른 나라에서 하는 사업을 이해시키
기가 생각보다 쉽지가 않아서. 그러다 보니까 안정적인 후원처가 많이 없고 그런 △△△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작은 엔지오가 안정적인 후원처가
없을 경우에는 기금을 이제 끌어올 수 있는 데가 기업이
라든가 아니면 정부 사업을 한다거나 하는 거 거든요. 그래서 진짜 저희 봉사 프로그램 하는
거는 기업에서 하는 사회공헌이 거의 주를 이루었고 사업부서도 사업팀도 기업 사회공헌 기금으로 하는게 컸
고 정부 사업으로 하는 거, 이런 게 크니까 아무리
사업을 잘 끌어가도 결국에는 정부 색깔이
들어가야 되고 기업의 색깔이 들어가야 되거든요. 그러면 이제 그거에서 또 그럼 약간 우리 기
관 단체의 색깔을 못 낼 수도 있잖아요(…)

–INGO Staff B

3
2023-02-23

요즘은 대형 엔지오들도 후원자들이 떨어지는 추세라고 하니까 이런 작은 엔지오들은 더 더 어렵고 그래서 이


제 프로젝트 따오는 거로 좀 유지가 되고 있고. 그리고 000은 특히 더 일대일 아동 결연을 안 해요. 그게 결국
에 대형 엔지오에서 하는 일대일 아동결연도 그 아이만을 지원하는게 아니고 그건 이
제 홍보의 약간 한 방법이고 결국에는 그 지역 접근을 하는 거 잖아요. 근데 이제 000에서
는 맨 처음에 그게 이제 약간 그 후원자들한테, 그니까 일반 대중들한테 거짓말을 하는 것 같은?
그니까 돈을 모으기 위한 어떤 그런 꾸며낸 홍보전략? 이런거다, 라고 판단을 어르신들이 하셔
가지고 그걸 안 했어요. 근데 그걸 안 하면 사실상 이렇게 모금이 잘 안되거든요. 확 와 닿
지 않으니까. 그래 가지고 좀 개인후원자가 더 없는 편이기도 했고(…)
–INGO Staff A

그때 무슨 일을 했냐면 후원자 관리팀에서 이제 매일매일 후원신청이 들어오는 후원자들의 정보와 후원정보


를 입력하는 일을 했었어요. 거의 하루 여덟 시간 내리 정보 입력하는 거만 했었고, 그 제가 일하는 기간 중에
희망티비가 있었어서 희망티비 들어오면 후원이 정말 물밀 듯이 들어오거든요.
그래서 정보 입력 하는 일이 정말 많았고 거의 대부분이었고, (…)

–INGO Staff A

4
2023-02-23

 Community based
 30 USD per month development

 Letters and Gifts  Financial support

 Travel fees  Letters and Gifts

Sponsor INGO Child

 Letters  Responding letters

 Annually updated  Being checked


pictures of the
sponsored child  Being photographed

 Child visit
programmes

5
2023-02-23

 How does a Korean sponsor consider the supported child as his/her son or
daughter?
 How is a child sponsorship program understood from the point of view of
sponsored children and from that of their parents?

Korean
Sponsors  Interviews
-Sponsored Children
INGO -Korean Sponsors
(Staffs)
-International NGO Staffs

Sponsored Children’s
-Children’s Parents
Children Parents

6
2023-02-23

 To know whether there is some emotional gap between sponsors and sponsored
children, when both sides understand the parent-and-child-like relationship
 To catch the tension between sponsors and children, between sponsors and
children’s parents, or between NGO staffs and children’s parents
 To show how international child sponsorship programs create emotion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dealing with the political issue of poverty, between
sponsors in “developed” nations and sponsored children in “less-developed”
nations
 To argue that in some ways it is sidestepping more essential question of
structural violence and inequality in the global terrain

 Brad Watson (2015). The origins of international child sponsorship. Development in Practice, 25:6. 867-879.

 Brad Watson & Matthew Clarke (2014). Child Sponsorship : Exploring Pathways to a Brighter Future. Palgrave Macmillan Limited.

 Erica Bornstein (2001). Child Sponsorship, Evangelism, and Belonging in the Work of World Vision Zimbabwe. American Ethnologist, Vol. 28, No. 3 (Aug.,
2001), pp. 595-622.

 Erica Bornstein (2005). The Spirit of Development: Protestant NGOs, Morality, and Economics in Zimbabwe.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 LIISA H. MALKKI (2015). The need to help: the domestic art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ism. Durham and London: Duke University Press.

 Robert Mittelman and Leighann C. Neilson (2011). Development porn? Child sponsorship advertisements in the 1970s. Journal of Historical Research in
Marketing, 3:3. 370-401.

 Willem van Eekelen (2013). Revisiting child sponsorship programmes. Development in Practice, 23:4. 468-48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