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4

KERI 정책제언 19-16

화이트 리스트 제외에 따른


경제적 영향 조경엽
한국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임동원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
(glcho@keri.org) (dwlim@keri.org)

강제징용에 대한 대법원 판결 이후 불거진 한일간 경제 다. 첫 번째, 일본의 수출규제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주력


적 갈등이 악화되고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양 산업의 생산차질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규제수
국이 모두 화이트 리스트에서 상대국을 제외하면서 양국 준(5%~60%)에 따라 일본의 GDP 손실은 0.03%~0.06%
정부의 자의적인 판단에 따라 언제든지 수출품을 규제할 에 그치는 반면 한국의 GDP 손실은 0.07%~0.13%에 달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한일 갈등이 심화될 경우 양국은 할 전망이다. 두 번째, 한국의 대일본 수출규제에도 불
상대국에게 큰 타격을 주면서 자국 기업의 피해를 최소하 구하고 일본의 주력산업의 생산차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기 위해 수출규제품목을 전략적으로 선택할 가능성이 높 고 가정하면, 규제수준(5%~60%)에 따라 일본의 GDP 손
다. 이러한 수출규제를 충족하는 품목을 조사하면 일본이 실은 0.01%~0.02%에 그치는 반면 한국의 GDP 손실
14개, 한국이 18개로 추정된다. 일본의 수출품목은 부품 은 0.15%~0.28%에 달할 전망이다. 세 번째, 양국이 모
소재가 주를 이루고 있어 일본의 수출규제는 우리의 주력 두 상대국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하고 수출을 규제
산업의 생산차질과 직결될 가능성이 높다. 반면 일본 산업 할 경우 한국의 GDP는 0.25%~0.46% 감소하고, 일본은
에 타격을 줄 한국의 수출규제 품목은 전무한 것으로 평가 0.05%~0.09% 감소할 전망이다. 네 번째, 일본의 수출규
되고 있다. 고품질 철강은 주로 일본에서 생산되고 있고 화 제로 인해 생산차질이 발생할 경우 한국의 GDP 손실은
학공업품목도 일본의 자체생산이 가능해서 일본의 주력산 0.04%~6.26%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반면 일본의 GDP
업에 타격을 주기에 역부족인 것으로 평가된다. 손실은 미미한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한일갈등이 심화될
화학공업 제품을 중심으로 양국이 수출규제를 한다고 수록 일본에 비해 한국의 GDP 손실이 상대적으로 큰 만큼
가정할 경우, 한국의 GDP 손실이 일본의 GDP 손실보 국가적 외교적 노력은 물론 민간 외교력까지 총동원하여
다 커서 한국은 한일 무역전쟁의 패자가 될 가능성이 높 해결할 필요성이 높다.
Ⅰ. 문제제기 - 한국 정부가 화이트 리스트에서 일본을 제외하면
서 맞대응하였지만, ‘다’지역을 신설하여 일본을
배제하려던 계획을 ‘가의2’지역으로 수위조절을
□ 한·일 양국이 서로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하고
하면서 협상의 여지를 두고 있음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 1)을 종료하겠다고 발표하면
서 한·일 무역분쟁이 격화되고 장기화될 가능성이 - 8월 15일 광복절에서 대통령이 감정적 대응을 자
높아지고 있음 제할 것과 외교적 해결을 언급하면서 해결의 기
대감이 높아졌으나 지소미아 파기로 한ㆍ일 가등
◦ 일본이 반도체 핵심소재 3개 품목에 대한 수출
의 골이 깊어지고 있음
규제에 이어 지난 8월 2일에 일본은 각의를 열
- 9월 2일에는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소미아와 수출
어 한국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하는 결정을
규제 문제를 함께 처리하자고 일본 측에 제안했
내리고 8월 28일부터 시행에 들어감
지만, 일본 아베 총리는 징용 문제의 해결이 최
-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되면 전략물질 1,200여개 우선이라며 이를 거부한 상황임
와 일본 정부가 자의적 판단에 의해 수출규제를
할 수 있는 캐치올 리스트 5,000여개 품목을 합쳐 □ 무역분쟁이 강대강으로 가더라도 상대국에게 큰
6,200여개의 품목이 수출규제 품목이 될 수 있음 타격을 주면서 자국 기업의 피해를 최소하기 위해
수출규제품목을 전략적으로 선택할 가능성이 높음
◦ 국제적 부정여론을 의식한 일본이 수출규제 품
목 가운데 하나인 포토레지스트를 8월 4일과 ◦ 양국 모두 상대국이 자국의 제품에 대한 수입
19일 2번에 걸쳐 수출허가를 하고 8월 29일에 의존도가 높고 자국의 상대국에 대한 수출비중
는 에칭가스를 허가하면서 무역분쟁이 완화되 이 낮은 품목을 골라 규제할 것으로 판단됨
는 것이 아니냐는 기대감을 낳고 있음 - 일본이 현재 수출규제 품목으로 선택한 리지스트를

- 일부 품목에 대한 수출허가는 국제적 여론을 일 보면 한국이 대일본 수입의존도가 93.2%에 달하고


본에 유리한 방향으로 돌리고 우리의 대응 상황 일본의 대한국 수출비중은 10.5%에 그치고 있음
을 봐가면서 대응수위를 조절하겠다는 의도로 읽 - 따라서 수입이 중단될 경우 한국의 반도체 산업
히고 있음 은 심각한 타격을 받는 반면 일본의 수출 기업의
- 수출규제가 무역보복이 아니라 안보차원에서 수 피해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전망임
출품을 관리하기 위한 조치라는 것을 보여줌으로
써 한국이 과잉대응하고 있다는 점을 알리고, 자 □ 본 연구는 수출규제 품목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
유무역주의를 훼손한다는 국제적 비판을 무마하 은 품목을 선택하고 양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는 동시에 WTO 판결에 유리한 위치를 점하려는 분석하고 있음
의도로 보임
◦ 본 연구는 농림수산물, 목재 음식료를 제외하고
◦ 한국도 맞대응으로 일본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5부에서 20부의 HS코드 10단위를 기준으로 전

제외하였으나 8월 15일 광복절에서 문재인 대 수조사를 통해 수출규제 품목을 선택하였음


통령이 외교적 해법으로 풀어나가겠다는 메시
◦ 본 연구는 수출규제로 상대국의 산업의 생산차질
지를 보내면서 한·일 갈등의 실마리를 찾는 듯
이 발생한다는 가정 하에 다지역 다국가 일반균
하였으나, 지소미아를 파기하면서 다시 강대강
형모형을 이용하여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고 있음
으로 부딪치고 있음

1)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 GSOMIA(지소미아)

2 KERI Insight 19-16


Ⅱ. 한일 양국의 화이트 리스트 배제 서 제외되면 일본 정부의 자의적 판단에 따라
5,000여개에 달하는 품목이 수출규제대상이 될

1. 일본의 화이트 리스트 제외 수 있음2)

□ 일본의 수출통제는 통제 리스트와 캐치올 리스트 □ 대일 수입에서 전략물자 대상품목이 차지하는 비


로 크게 2가지로 나누어짐 중은 39.7%(217억 달러)에 달하고 캐치올 리스
트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57.7%(315억 달러)
◦ 통제 리스트는 무기류와 원자력, 첨단 소재 등 에 달함
과 같이 민간과 군의 이중용도로 쓰이는 품목
◦ 전략물자 대상 품목의 총수입 1,496억 달러 중
을 규제하는 리스트로 민감품목 263개, 비민감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14.5%(217억 달러)에
품목 857개로 총 1,120여개에 달함
달하고, 캐치올 규제 품목은 총수입(3,215억 달
- 민감품목은 모든 지역에 적용되고 있으나, 비민감
러)의 9.8%를 일본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음
품목의 경우 화이트 리스트 국가는 일반포괄허가
로 3년간 유예를 받을 수 있음

◦ 캐치올은 수출금지 품목이 아니더라도 대량살


상무기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고 여겨지는 경
우 수출을 통제하는 제도인데, 화이트 리스트에

<표 1> 일본의 수출 통제 품목

수출통제 리스트 구분 품목 적용지역


제1항 무기류
제2항 원자력
제3항 화학무기/생화학무기
제4항 미사일
제5항 첨단소재
제6항 소재가공(Material Processing) - 민감품목 263개는 모든 지역에
제7항 전자제품 적용
통제 리스트 이중
제8항 컴퓨터
(List Control) 용도 품목 - 제2항에서 15항 중 비민감 품목
제9항 통신 857개는 화이트 리스트 대상으로
제10항 센서 일반 포괄허가로 3년간 유예
제11항 항법 장치
제12항 해양관련 제품
제13항 추진장치(propulsion Units)
제14항 기타 무기관련 품목
제15항 민감품목
캐치올 리스트 제16항 대량살상무기로 전환 가능성이 높은 품목 화이트 리스트를 제외한 모든 지역

자료: 일본경제산업성(2017), “Guidance for the Control of Sensitive Technologies for Security Export for Academic and Research
Institutions: 3rd Edition”

2) KIEF(2019)에 따르면 캐치올 규제품목은 6,275개이며, 이중 대일수입이 없었던 품목을 제외하면 4,898개에 달함

화이트 리스트 제외에 따른 경제적 영향 3


<표 2> 전략물자 및 캐치올 대상품목 수입현황(2018년)

대세계 수입 대일 수입 기타 국가 일본 비중
(백만 달러) (백만 달러) (백만 달러) (%)
한국 수입 535,172 54,605 480,567 10.2
전략물자 통제 대상 품목 149,622 21,666 127,956
14.5
(수입대비 비중, %) (28.0) (39.7) (26.6)
캐치올 대상 품목 321,471 31,496 289,975
9.8
(수입대비 비중, %) (60.1) (57.7) (57.7)

지료: 한국관세무역개발원, KIEP(2019) 에서 인용하여 재작성

□ 전략물질 관리품목 1,200여개와 캐치올 리스트 ◦ 부품소재가 주로 일본으로부터 수입되기 때문


5,000여개를 합쳐 6,200여개의 품목이 수출규제 에 일본의 수출규제는 우리의 주력산업의 생산
대상품목이 될 수 있음 차질과 직결될 가능성이 높음

◦ 화이트 리스트 국가에서 제외되어 B그룹에 속 - KIEF(2019) 조사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일본기업

해도 특별일반포괄허가 제도를 통해 화이트 리 의 세계시장 점유율 60%를 넘는 품목은 270개에

스트 국가에 준하는 혜택을 받을 수 있음 달하며 그 중 부품소재가 212개에 달함

◦ 또한 수출허가를 받은 포토 레지스트와 같이
일본 정부로부터 CP(자율준수기업) 인정을 받은
기업이 정부로부터 개별허가를 면제 받아 간략
한 심사를 통해 전략물자를 수출할 수 있음

◦ 문제는 일본 정부가 자의적 판단으로 수출규제


품목으로 지정할 수 있는 캐치올 리스트이지만,
일본도 수출에 상당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모
든 품목을 캐치올 리스트로 설정하고 규제하지
는 않을 전망임

□ 한국의 수입 품목 중 1위를 차지하는 대일본 수


입 품목은 주로 부품소재와 관련되어 있어 수출규
제 시 우리의 산업의 생산차질과 연결될 가능성
높음

◦ 한국의 수입품목 중 1위를 기록한 일본 수입


품목(HS코드 10단위 기준)은 총 322개로 조사
되고 있으며, 총수입규모는 89억 달러에 달함3)

- 대일본 수입이 1위를 차지한 품목은 화학공업생산


품(제6부)에 107개로 가장 많고, 기계류와 전기전
자(16부)에 60개, 비금속과 그 제품(제15부) 58개,
광학기기 및 정밀기기(제18부) 34개 순으로 많음

3) HS코드 10단위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임

4 KERI Insight 19-16


<표 3> 한국의 대일본 수입 1위 품목

한국의 대일본 1위 한국의 일본 일본의 대한국


대일본 수입규모
부  류의 표제 수입품목 수 수입품 비중1) 수출 비중2)
(천 달러)
(개) (%) (%)
5부 [26]광, 슬랙, 회 3 63,463 87.0 8.0
[27]광물성연료, 에너지 4 12,912 81.0 6.0
  소합계 7 76,375 86.1 6.9
6부 [28]무기화합물 28 156,951 53.0 25.0
  [29]유기화합물 41 594,199 69.0 7.0
  [33]향료 화장품 4 52,105 26.0 17.0
  [34]비누, 계면활성제, 왁스 7 56,315 43.0 9.0
  [35]카세인 알부민 변성 전분 효소 5 68,592 68.0 13.0
  [36]화약류, 성냥 1 11 92.0 0.6
  [37]필름인화지 사진용재료 9 415,673 89.0 13.0
  [38]각종 화학공업 생산품 12 929,824 54.0 20.0
  소합계 107 2,273,670 60.2 7.4
7부 [39]플라스틱과 그 제품 22 1,349,545 63.8 17.6
13부 [68]석·시멘트 석면제품 5 56,937 41.0 9.0
  [69]도자제품직물 4 10,513 40.0 11.0
  [70]유리 7 413,030 79.0 20.0
  소합계 16 480,480 69.4 15.4
14부 [71]귀석·반귀석, 귀금속 8 278,567 57.2 2.4
15부 [72]철강 14 147,484 45.0 16.0
  [73]철강제품 6 65,474 48.0 12.0
  [74]동과 그 제품 11 194,389 42.0 14.0
  [75]니켈과 그 제품 4 46,574 40.0 20.0
  [78]연과 그제품 2 229 60.0 6.0
  [80]주석과 그 제품 2 3,543 61.0 10.0
  [81]기타의 비금속 5 24,829 46.0 4.0
  [82]비금속제공구·스푼·포크 13 26,815 45.0 10.0
  [83]각종 비금속 제품 1 678 89.0 3.0
  소합계 58 510,015 43.9 13.7
16부 [84]보일러기계류 14 622,143 54.0 6.0
  [85]전기기기 TV.VTR 46 1,454,174 40.0 7.0
  소합계 60 2,076,317 43.5 7.2
17부 [86]철도차량 1 430 55.0 4.0
  [87]일반차량 7 595,135 82.0 2.0
  [89]선박 2 2,345 100.0 5.0
  소합계 10 597,910 81.7 2.2
18부 [90]광학/의료측정, 검사정밀기기 34 1,259,029 48.0 11.0
총계 322 8,901,908 54.0 8.0

주: 1) 한국의 수입은 HS코드 10단위를 기준으로 추정하였음


2) 일본의 HS코드가 한국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 일본의 수출은 HS코드 9단위를 기준으로 보정하였음
자료: 한국무역협회

□ 일본이 수출을 규제할 가능성이 높은 품목은 자국 ① 한국의 대일본 수입비중(한국의 대일본 수입액/
기업의 피해는 적으면서 한국의 주력산업의 타격 한국의 전 세계 수입액) 70% 이상
이 큰 품목을 선택할 것으로 전망됨 ② 일본의 대한국 수출비중(일본의 대한국 수출액/
일본의 전 세계 수출액) 30% 이하
◦ 일본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수출규제 대상
품목을 선택할 것으로 판단됨 ③ 한국의 전 세계 수출 (한국의 전 세계 수출액/
한국의 전 세계 수입액) 50% 이하

화이트 리스트 제외에 따른 경제적 영향 5


④ 한국의 주력산업의 필수 부품소재 여부 낮은 수준이며, 우리나라의 수출은 37,429천 달
러로 총수입 규모의 44%를 차지하고 있음
◦ 한국의 일본에 대한 수입비중이 높을수록 수출
규제에 따른 한국 산업의 피해가 큼 ◦ 우주, 항공, 전력·화학플랜트, 의료분야, 스포츠
분야, 자동차 분야 등 적용분야가 확대되고 있
◦ 일본의 대한국 수출비중이 낮을수록 수출규제
는 티타늄이나 티타늄 화학물도 규제대상이 될
에 따른 일본 기업의 피해가 작음
가능성이 높아보임

◦ 한국의 수출비중이 낮을수록 국산품으로 대체 - 티타늄이나 티타늄 화합물은 일본에 대한 의존도


가능성이 낮아 한국 산업의 피해가 큼 가 77.7%에 달하고 일본의 대한국 수출은 16%로
낮아 수출규제에 따른 일본 기업의 피해도 낮을
◦ 수출규제 품목이 한국의 주력산업의 필수 부품 것으로 판단됨
소재일수록 한국 산업의 피해가 큼
◦ 이 밖에도 앞서 설명한 수출규제 기준에 부합
□ 위와 같은 기준으로 선택한 품목은 <표 4>와 <표 하는 품목으로 큐멘, 프로스타글렌딘(의약품),
5>에서 찾아볼 수 있음 술폰아미드(농약제조용) 등을 꼽을 수 있음

◦ 수입규모가 1,000만 달러 이상인 경우, 화학공


□ 수입규모 1,000만 달러 이하 중 수출규제 가능성
업생산품이 10개로 가장 많고, 플라스틱과 그
이 높은 품목은 <표 5>에서 찾아 볼 수 있음
제품이 2개, 광학의료 및 정밀기기, 광물성 생
산품이 각각 1개씩 차지하고 있음 ◦ 일본의 세계 시장 점유율이 70~80%에 달하는
측정용 공구인 마이크로미터는 일본에 대한 의
◦ 화학공업생산품에 속한 품목 중에서도 규제 가 존도가 91.9%에 달하고 일본의 대한국 수출이
능성이 높은 품목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용 부 14%에 그치고 있고 국내 생산도 많지 않은 것
품소재가 꼽히고 있음 으로 평가되고 있음
- 반도체 제조용 블랭크 마스크는 대일본 수입의존
◦ 반도체 웨이퍼의 경우도 대일본 수입비중이
도가 85.1%에 달하는 반면 일본의 대한국 수출비
100%에 달해 일본 의존도가 높고 우리의 수출
중은 17%로 낮고 한국의 수출액이 12,372천 달
러로 총수입액의 21.4%에 그치고 있음 규모는 357천 달러로 작아 국내 대체도 여의치
않은 반면 일본의 대한국 수출은 3%로 매우 작
- 디스플레이 제조용 블랭크 마스크도 대일본 수입
아 수출규제에 따른 일본 기업의 피해도 작을
의존도가 83.5%에 달하는 반면 일본의 대한국 수
출비중은 7%로 낮고 한국의 수출액이 13,380천
것으로 판단됨

달러로 총수입액의 48%를 차지하고 있음


◦ 하드디스크, 신용카드 등 기록용 매체도 일본의
- 액정디스플레이용 편광판에 사용되는 초산셀룰로스 의존도가 99.9%에 달하고 일본의 대한국 수출
는 일본 수입비중이 96.6%에 달하고 일본의 대한 도 2.0%로 낮은 품목으로 조사되고 있음
국 수출은 10%로 낮지만 한국의 수출이 252,018천
달러로 상대적으로 많아 일본이 수출을 규제할 경 ◦ 이 밖에도 기중기선, 엑스선 필름, 농약 제조용 유
우 국내 제품으로의 대체성도 높은 것으로 판단됨 기화학물, 도료용 및 합성 섬유용 플라스틱 제품

- 패널 및 CCTV용 필터의 경우 75%를 일본으로부


등이 수출규제 기준에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됨

터 수입하고 있으며 일본의 대한국 수출은 4%로

6 KERI Insight 19-16


<표 4> 일본의 수출규모 1,000만 달러 이상 수출규제 예상 품목

한국의 대일본 수입 일본 수출
한국의
한국의 수입 2위 총수출 일본의 수출 1위
부 류 품명 용도 HS CODE 대일본
총수입액 대일본 국가 (천 대한국 한국
수입비중 국가비중
(천 달러) 수입규모 수입비중 달러) 수출비중 순위
(%) (%)
(천 달러) (%) (%)

기 6부 [28]무기화합물 에칭가스 반도체 제조용 2811111000 159,512 66,857 41.9 중국(52.0) 15,742 89.3 대만(5.2) 1
규 [37]필름인화지
6부 리지스트 디스플레이 장치 3707901010 320,692 298,891 93.2 미국(5.8) 76,533 12.1 미국(21.1) 4
제 사진용재료
품 [39]플라스틱과 플루오드 네덜란드
목 7부 반도체 제조용 3920999010 23,336 19,726 84.5% 대만(7.4) 21,197 20.3 3
그 제품 폴리이미드 (30.7)
[37]필름인화지, 싱가포르
6부 Blank Mask 반도체 제조용 3701991000 57,826 49,217 85.1 12,372 17.0 대만(49) 2
사진용재료 (12)
[37]필름인화지, 말레이시아
6부 Blank Mask 평판 디스플레이용 3701309930 27,801 23,219 83.5 13,380 7.0 중국(12) 4
사진용재료 (10)
[39]플라스틱과 초산셀룰로오 액정디스플레이용
7부 3920730000 435,919 420,958 96.6 대만(3) 252,018 10.0 중국(39) 2
그 제품 스로 만든 것 편광판 제조
[90]광학・의료・측
18부 필터 기타 패널, CCTV용 9002209000 85,578 64,648 75.5 중국(13) 37,429 4.0 미국(19) 8
정・검사・정밀기기
폴리프로필렌
중합용 촉매
티타늄이나
[38]각종 화학공업 (우주, 항공, 이탈리아
6부 티타늄 3815192000 45,867 35,631 77.7 13,631 16.0 – 1
생산품 전력·화학플랜트, (14)
화합물의 것
의료분야, 스포츠 분야,
자동차 분야 적용)
BPA(비스페놀) 제조
수 HBPA는 우수한 색
출 안정성과 개선된
규 내후성이 지속적인
제 품질에 중요한 알킬드, 네덜란드
6부 [29]유기화합물 큐멘 2902700000 26,730 26,728 100.0 스위스(0) 11,168 7.0 5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35)
예 레진을 준비하는데
상 사용됨. 적용 분야로는
품 주물, 층화, 코팅 및
목 섬유 생산 등임
프로스타
글렌딘,
트롬복산과
류코트리엔,
6부 [29]유기화합물 의약품 원료 2937501000 13,122 10,679 81.4 헝가리(18) 0 24.0 프랑스(43) 2
이들의
유도체와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
6부 [29]유기화합물 레소르시놀 염색용 2907211000 28,644 23,336 81.5 중국(6) 1,526 16.0 벨기에(28) 3
[34]비누, 방직용 재료의
6부 방직용 3403911000 14,542 10,653 73.3 독일(13) 3,782 5.0 중국(59) 4
계면활성제, 왁스 처리용 조제품
농약원제
6부 [29]유기화합물 농약제조 2935909010 18,307 13,780 75.3 중국(12) 593 7.0 중국(20) 3
(술폰아미드)
연마용, 콘크리트
5부 [26]광, 슬랙, 회 기타 슬래그 2621900000 52,649 44,396 84.3 중국(6) 1,404 3.0 오만(20) 11
첨가용 등

화이트 리스트 제외에 따른 경제적 영향 7


<표 5> 일본의 수출규모 1,000만 달러 이하 수출규제 예상 품목

한국의 대일본 수입 일본 수출
한국의 수입 2위 한국의 일본의
부 류 품명 용도 HS CODE 총수입액 대일본 대일본 국가 총수출 대한국 수출 1위 한국
수입비중 국가비중
(천 달러) 수입규모 수입비중 (천 달러) 수출비중 순위
(%) (%)
(천 달러) (%) (%)
[90]광학・의료・측정
18부 마이크로미터 측정용 9017301000 4,176 3,839 91.9 중국(4) 505 14.0 미국(15) 2
・검사・정밀기기
반도체 웨이퍼나 레티클의
[90]광학・의료・측정・
18부 취급과 이송용으로 특별히 반도체 제조용 9011201010 1,952 1,952 100.0 중국(0) 357 3.0 중국(41) 9
검사・정밀기기
고안된 장치가 부착된 것
카세트테이프, 비디오,
기록용 매체 오디오 테이프,
[85]전기기기・TV・ 필리핀
16부 (폭이 4밀리미터 초과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8523291120 3,624 3,619 99.9 중국(0) 438 2.0 9
VTR (38)
6.5밀리미터 이하) 신용카드, 예금통장,
전화카드 및 각종 승차표 등
브루나이 네덜란드
17부 [89]선박 기중기선 특수선박  8905903000 2,345 2,345 100.0 0 2.0 8
(0) (63)
[37]필름인화지, 네덜란드
6부 인스턴트프린트필름 엑스선용(의료) 3701200000 6,201 5,977 96.4 118 3.0 미국(52) 5
사진용재료 (2)
농약원제 브라질
6부 [29]유기화합물 농약제조 2920191000 2,913 2,913 100.0 중국(0) 0 15.0 2
(티오인산에스테르) (53)
농약원제 이탈리아
6부 [29]유기화합물 농약제조 2932191000 7,079 5,311 75.0 인도(21) 0 3.0 5
(푸란고리구조화합물) (46)
[38]각종화학공업 초산에틸ㆍ부틸알코올과 유기화학 합성용
6부 3814001020 7,553 7,095 93.9 벨기에(3) 437 13.0 중국(19) 2
생산품 톨루엔혼합물 락카/락카신나의 용제
[39]플라스틱과
7부 폴리테르펜 도료용 3911103000 5,153 4,722 91.6 미국(8) 35 6.0 중국(29) 6
그 제품
필리핀
6부 [28]무기화합물 하이포아염소산칼슘 표백, 소독용 2828100000 2,367 1,965 83.0 중국(17) 1 6.0 6
(29)
[39]플라스틱과 베트남
7부 염화비닐리덴 중합체 합성섬유 제조 3904500000 1,375 1,244 90.5 프랑스(8) 5 4.0 7
그 제품 (32)
스위스
6부 [28]무기화합물 황산나트륨 기타 유리 제조 2833199000 1,308 1,069 81.7 중국(10) 65 4.0 2
(96)
플라스틱 분쇄품 웨이스트 중 일부는
[39]플라스틱과 벨기에 말레이시아
7부 (염화비닐의중합체로 성형재료ㆍ바니시 기재ㆍ 3915300000 8,946 6,674 74.6 62 5.0 7
그 제품 (12) (33)
만든 것) 충전제 등으로서 재사용

8 KERI Insight 19-16


2. 한국의 화이트 리스트 제외 - 가의2 지역에 포함되면 포괄허가 재수출이 불가
능해지고, 포괄허가 신청서류가 1종에서 3종으로
□ 한국 정부도 화이트 리스트에서 일본을 제외하면 늘고, 포괄허가 유효기간은 3년에서 2년으로 줄
서 맞대응에 나서고 있으나, 수위조절을 통해 협 고, 개별허가신청서류는 3종에서 5종으로 늘고,
상의 여지를 남기고 있음 개별허가 심사기간도 5일에 15일로 늘어남

◦ 전략물자 수출지역 중 현행 가 지역을 ‘가의1’


□ 일본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배제하는 것은 WTO
과 ‘가의2’ 지역으로 구분하고 일본을 가의2 지 위반 여지가 있으며, 일본에게 어느 정도 타격을
역으로 분류 줄 수 있는지는 미지수
- 4대 국제 수출통제체제 가입국 중 국제 수출통제
◦ 우리가 일본의 화이트 리스트 배제를 무역보복
원칙 준수 여부, 제도 운영 현황 등을 고려하여
으로 상호호혜주의에 위배된다며 WTO에 제소
가의1․가의2 지역으로 구분
했는데, 우리도 일본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
- 일본은 바세나르체제(WA)4), 핵공급국그룹(NSG)5),
하면 WTO에 제소한 명분이 약화될 전망
오스트레일리아그룹(AG)6), 미사일기술통제체제
(MTCR) 등 4대 국제수출통제 체제에 모두 가입 ◦ 대일본 수출구조를 보면 우리는 상대적으로 소
했으나 국제원칙에 맞지 않게 수출을 통제하고 비재 비중이 높기 때문에 일본을 화이트 리스
있어 우대국에서 제외한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 트에서 제외하더라도 우리가 일본에게 상당한
타격을 주면서 우리 기업의 피해가 크지 않은
◦ 가의2 지역에 대한 수출통제는 원칙적으로 나
품목은 일본에 비해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됨
지역 수준을 적용하지만, 개별허가 신청서류 일
부와 전략물자 중개허가를 면제

<표 6> 전략물자 수출허가 지역별 관리 제도 요약

구분 종류 가의1 지역 가의2 지역 (신설) 나 지역


사용자 포괄 원칙적 허용 예외적 허용* 예외적 허용
품목포괄 AA, AAA 등급 허용 AAA 등급만 허용 AAA 등급만 허용
포괄허가 재수출 가능 불허 불허
신청서류 1종 (신청서) 3종 3종
유효기간 3년 2년 2년
신청서류 3종 5종 7종
개별허가 심사기간 5일 15일 15일
재수출·중계수출 심사면제 별도심사 별도심사
중개허가 심사면제 심사면제 별도심사
▪인지한 경우 ▪인지한 경우 ▪인지한 경우
상황허가 허가대상 ▪통보받은 경우 ▪통보받은 경우 ▪통보받은 경우
▪의심되는 경우 ▪의심되는 경우

주: * 동일 구매자에게 2년간 3회 이상 반복수출시, 2년 이상 장기 수출계약에 의한 수출시 등


** (가의1 지역: 총 3종) 신청서, 전략물자 판정서, 영업증명서
(가의2 지역: 총 5종) [가의1 지역 서류 (3종)] + 최종수하인 진술서, 최종사용자 서약서
(나 지역 : 총 7종) [가의2 지역 서류 (5종)] + 수출계약서, 수출자 서약서

4) 재래식무기 비확산 체제
5) 핵무기 비확산
6) 생화학무기 비확산

화이트 리스트 제외에 따른 경제적 영향 9


□ 일본 대한국 수입품목 중 1위를 차지한 품목은
총 322개에 달하고 총수입규모는 1조 1,164억
엔에 달함 7)

◦ 일본의 대한국 수입 1위 품목은 철강(15부)에


102개로 가장 많고, 화학공업생산품(제6부)에
61개, 방직 및 섬유(11부) 52개, 기계류와 전기
전자(16부)에 36개, 광물성생산품(5부) 26개, 플
라스틱 및 고무(7부) 26개 순으로 많음

◦ 소비재로 분류되는 방직 및 섬유(11부), 광물성


생산품(5부), 귀금속(14부), 가구류 및 잡품(20
부)등 84개와 수입규모가 1억 엔 이하인 작은
염료, 비누 등 14개 품목을 제외하면 224개 품
목을 일차적으로 맞대응 품목으로 고려할 수
있음

7) HS코드 10단위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임

10 KERI Insight 19-16


<표 7> 일본의 대한국 수입 1위 품목

일본의 대한국 1위 대한국 대한국 한국의 대일본


부  류의 표제 수입품목 수 수입규모 수입비중 수출비중
(개) (백만 엔) (%) (%)
5부 [25]토석류, 소금 5 1,125 42 3
  [26]광, 슬랙, 회 1 4,756 98 0
  [27]광물성연료, 에너지 20 352,404 77 11
  소합계 26 358,285 76.8 11.2
6부 [28]무기화합물 18 75,732 69 13
  [29]유기화합물 23 95,347 78 5
  [30]의료용품 3 8,540 18 18
  [31]비료 5 3,553 42 12
  [32]염료, 안료, 페인트잉크 3 861 33 3
  [33]향료 화장품 2 10,278 44 4
  [34]비누, 계면활성제, 왁스 1 33 53 0.3
  [36]화약류, 성냥 1 39 74 25
  [37]필름인화지 사진용재료 3 449 40 26
  [38]각종 화학공업 생산품 2 87 99 0
  소합계 61 194,919 61.9 5.8
7부 [39]플라스틱과 그 제품 21 79,377 35 5
  [40]고무와 그 제품 5 4,300 43 7
  소합계 26 83,677 35 5
10부 [48]종이와 판지 7 4,886 80 2
11부 [52]면, 면사면직물 10 149 46 4
  [54]인조필라멘트섬유 10 2,217 32 3
  [55]인조스테이플섬유 12 6,918 47 6
  [56]워딩, 부직포 2 965 26 21
  [59]침투, 도포한 직물 2 95 70 7
  [60]편물 14 1,326 45 1
  [61]의류 1 0 0 3
  [63]기타섬유제품 1 6 86 2
  소합계 52 11,676 40.7 3.2
13부 [68]석·시멘트 석면제품 1 1,243 41 6
  [69]도자제품직물 1 235 52 7
  소합계 2 1,478 42 6
14부 [71]귀석·반귀석, 귀금속 2 95,194 79 8
15부 [72]철강 68 211,843 67 11
  [73]철강제품 15 9,446 35 11
  [74]동과 그 제품 10 10,876 74 11
  [76]알루미늄과 그 제품 1 699 58 7
  [80]주석과 그 제품 1 38 42 46
  [81]기타의 비금속 2 3,821 24 27
  [82]비금속제공구·스푼·포크 2 11,408 46 10
  [83]각종 비금속 제품 3 2,798 48 16
  소합계 102 250,929 61.5 11.2
16부 [84]보일러기계류 27 59,354 43 9
  [85]전기기기 TV.VTR 9 42,460 40 4
  소합계 36 101,814 41.7 5.9
17부 [87]일반차량 3 12,505 26 8
18부 [90]광학/의료측정, 검사정밀기기 1 60 88 0.6
20부 [94]가구류, 조명 2 413 34 35
  [96]잡품 2 543 77 14
  소합계 4 956 49 23
총 계 322 1,116,379 59.4 8.6

주: 1) 한국의 수입은 HS코드 10단위를 기준으로 추정하였음


2) 일본의 HS코드가 한국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아 일본의 수출은 HS코드 9단위를 기준으로 보정하였음

화이트 리스트 제외에 따른 경제적 영향 11


□ 일본의 수출규제 품목과 동일하게 다음과 같은 수 - 질산과 황질산은 일본의 대한국 수입 의존도가

출규제 기준을 적용하여 대일본 수출규제 품목을 100%에 달하고 한국의 대일본 수출 비중이 14%
선별하면 <표 8>과 같음 이며 자체 생산규모도 크지 않아 수출규제가 일

① 일본의 대한국 수입비중(한국의 대한국 수입액/ 본에 타격을 줄 가능성이 있지만 석유정제과정에

일본의 전 세계 수입액) 70% 이상 서 나온 원료를 가공하여 생산한다는 점에서 자


체 생산여지가 충분한 것으로 평가됨
② 한국의 대일본 수출비중(한국의 대일본 수출액/
한국의 전 세계 수출액) 30% 이하 - 오탈산디옥틸, 페놀, 아세톤 등의 유기화학품의
경우도 가격경쟁이 심하여 반덤핑 품목으로까지
③ 일본의 전 세계 수출 (일본의 전 세계 수출액/일
조사를 받은 경험이 있는 품목이라 수출규제 품
본의 전 세계 수입액) 50% 이하
목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됨
④ 일본의 주력산업의 필수 부품소재 여부
◦ 이 밖에 슬래그 광슬래그 잔재물과 석유역청과
◦ 이러한 기준을 충족하는 품목 중 10억 엔 이상 같은 에너지 부속물은 치열한 가격 경쟁을 거
품목은 <표 8>에서 보듯이 철강제품이 9개로 쳐 수출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 품목은 맞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됨 대응 수당으로 부적합한 것으로 평가됨
- 평판압연제품은 6밀리미터 이하의 경우 자동차
◦ 따라서 우리가 일본에게 타격을 주면서 우리기
차체, 가전제품, 주방기기 용품에 주로 사용되고
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부품을 찾기 어
6밀리미터 이상의 경우는 선체, 보일러, 기계구조
물, 원자로에 주로 사용되고 있음 려운 상황임8)

- 철강제품 중에서 철이나 비합금강의 평판압연제


품의 경우 한국의 의존도가 높고 한국의 대일본
수출 비중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음

- 특히 일본의 대외 수출비중도 낮아 일본 내 생산
도 많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 수출규제대
상품목으로 꼽을 수 있음

- 하지만 고품질 철강이 주로 일본에서 생산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한국이 수출을 규제할 경
우 빠른 시일 내에 자국 내 제품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특히 철강제품의 경우 한중일 3국이 세계 시장을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품목이기 때문에 한
국의 수출규제는 한국 철강기업만 손해를 볼 가
능성이 높음

◦ 수출규제 기준에 부합하는 화학공업품은 6개에


달하지만 일본의 자체생산이 가능하고 일본의 주
력산업에 타격을 주기에 역부족인 것으로 평가됨

8) 10억 엔 이하 품목도 철강이나 화학공업품이 다수이기 때문에 10억 엔 이상 품목과 비슷한 상황임.

12 KERI Insight 19-16


<표 8> 한국의 수출규모 10억 엔 이상 수출규제 예상품목
일본의 대한국 수입 한국의 대일본 수출
일본의 수입 2위 한국의
대한국 수출 1위
부 류 품명 용도 HS CODE 총수입액 대한국수입 국가 총수출액 대일본 일본
수입비중 국가의 비중
(백만 엔) 규모 수입비중 (백만 엔) 수출비중 순위
(%) (%)
(백만 엔) (%) (%)
말레이시아
6부 [28]무기화학품 질산과 황질산 정밀화학 및 의료용 280800000 1,949 1,949 100.00 중국(0.0) 491 14.00 2
(24.1)
플라스틱, 페인트,
바닥재, 등에 첨가제로
6부 [29]유기화학품 오르토프탈산디옥틸 사용되어 제품의 291732000 1,725 1,638 95.00 대만(2.7) 710 5.00 인도(20.5) 6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유기물질임
석탄산과 그 염 사우디
6부 [29]유기화학품 페놀 290711000 19,328 17,330 90.00 3823 28.00 중국(38.8) 2
(소독 및 멸균) 아라비아(5.2)
케톤・퀴논과 이들의
할로겐화유도체・
술폰화유도체・
니트로화유도체・
니트로소화유도체
6부 [29]유기화학품 아세톤 291411000 3,395 2,861 84.00 싱가폴(14.6) 952 12.00 중국(42.2) 3
(아세톤은 화학원료로써
주로 비스페놀 A 등
제품의 생산에 사용됨.
유기용액, 의약품,
페인트 등에 사용)
[28]무기화학품,
귀금속ㆍ희토류
금속ㆍ방사성원 산화금속산염이나
6부 기타 284190090 80,856 60,941 75.00 중국(23.4) 0 10.00 중국(76.2) 2
소ㆍ동위원소의 과산화금속산염
유기화합물이나
무기화합물
디페닐메탄
6부 [29]유기화학품 폴리우레탄 제조 292910020 2,130 1,558 73.00 중국(22.9) 0 5.00 중국(36.0) 7
디이소시아네이트
철이나 비합금강의 두께3밀리미터 이상
15부 [72]철강 720826011 2,134 2,108 98.80 대만(1.2) 0 20.20 중국(17.7) 1
평판압연제품 4.75밀리미터 미만
철이나 비합금강의
15부 [72]철강 두께3밀리미터 이하 720827011 2,540 2,493 98.10 중국(0.8) 0 20.30 중국(22.6) 2
평판압연제품
철이나 비합금강의
15부 [72]철강 기타 721049010 32,893 30,954 94.10 중국(2.6) 18836 14.20 중국(19.0) 2
평판압연제품
철이나 비합금강의 두께가10밀리미터를
15부 [72]철강 720851011 28,929 26,263 90.80 대만(5.8) 0 16.00 중국(19.0) 2
평판압연제품 초과하는 것
철이나 비합금강의 페인팅한것·바니시한것·
15부 [72]철강 721070000 2,951 2,660 90.10 중국(6.2) 0 1.80 멕시코(11.2) 16
평판압연제품 플라스틱을 도포한 것
열간압연한 것으로서
15부 [72]철강 불규칙적으로 감은 기타 721399020 1,188 1,019 85.80 중국(10.8) 0 14.30 대만(33.0) 4
코일 모양의 봉
두께가 0.5밀리미터
철이나 비합금강의
15부 [72]철강 이상 1밀리미터 720917019 25,223 20,181 80.00 대만(17.8) 0 14.90 중국(27.2) 2
평판압연제품
이하인 것
철이나 비합금강의 두께가 10밀리미터를
15부 [72]철강 721921000 3,302 2,547 77.10 스웨덴(7.7) 0 10.00 중국(12.1) 2
평판압연제품 초과하는 것
탄소의 함유량이
철이나 비합금
15부 [72]철강 전중량의 100분의 720720011 1,584 1,527 96.40 중국(3.7) 0 0.10 핀리핀(34.2) 9
반제품
0.25이상인 것
[71]천연진주・
양식진주・귀석・
반귀석・귀금속・
14부 귀금속을 입힌 가공하지 않은 것 기타 710691000 115,176 92,403 80.20 멕시코(16.7) 319 0.00 중국(74.0) 12
금속과 이들의
제품, 모조신변
장식용품, 주화
주로 알루미늄을 인도네시아
5부 [26]광·슬래그·회 슬래그, 회, 잔재물 262040000 4,869 4,756 98.00 태국(0.8) 366 0.00 8
함유한 것 (81.7)
석유코크스,
5부 [27]광물성연료 석유역청 271320000 22,006 21,596 98.00 중국(1.1) 3324 13.00 중국(73.1) 2
석유역청

화이트 리스트 제외에 따른 경제적 영향 13


<표 9> 한국의 수출규모 10억 엔 이하 수출규제 예상품목

일본의 대한국 수입 한국의 대일본 수출


일본의 수입 2위 한국의
부 류 품명 용도 HS CODE 총수입액 대한국수입 대한국 국가 총수출액 대일본
수출 1위
일본
수입비중 국가의 비중
(백 만엔) 규모 수입비중 (백만 엔) 수출비중 순위
(%) (%)
(백 만엔) (%) (%)
광물성 비료나 말레이시아
6부 [31]비료 기타 310559000 492 401 82.00 2 1.00 태국(93.6) 3
화학비료 (9.3)
광물성 비료나
6부 [31]비료 질산암모늄 310230000 1049 786 75.00 러시아(13.3) 3 16.00 태국(24.0) 2
화학비료
폴리카르복시산과
이들의 무수물
(無水物)・할로겐
화물・과산화물・과
6부 [29]유기화학품 산화산, 이들의 기타 291739010 954 693 73.00 대만(20.0) 0 1.00 중국(38.8) 13
할로겐화유도체・
술폰화유도체・
니트로화유도체・
니트로소화유도체

[28]무기화학품,
귀금속ㆍ희토류 탄산염,
(稀土類)금속ㆍ 과산화탄산염
6부 방사성원소ㆍ (과탄산염), 탄산칼륨 283640000 585 413 71.00 미국(13.5) 121 6.00 미국(13.4) 6
동위원소의 상관습(商慣習)상
유기화합물이나 의 탄산암모늄
무기화합물

롤러머신(rollermachin
es)으로 압연(rolling),
인발(引拔:drwaing),
압착(pressing),
프레스-폴딩
(press-folding)이나
널말뚝 성형(forming)해서
15부 [73]철강제품 730110010 436 434 99.50 중국(0.2) 0 28.50 필리핀(28.4) 1
(sheetpiling) 얻은 형강(形鋼)이나
압연된 부품[예:리베팅
(riveting), 용접,
크림핑(crimping)한것]
을 조립해서 얻은
형강(形鋼)으로
구성된다

두께가 3밀리미터 이상
스테인리스강의
15부 [72]철강 4.75밀리미터 721913026 319 313 98.10 중국(1.6) 0 8.00 태국(25.8) 5
평판압연제품
미만인 것
두께가 0.5밀리미터
스테인리스강의 이탈리아
15부 [72]철강 이상 1밀리미터 721934019 166 153 92.20 태국(4.8) 0 15.70 2
평판압연제품 (20.2)
이하인 것
철이나 비합금강의 두께가 4.75밀리미터
15부 [72]철강 720825011 796 672 84.40 대만(15.5) 0 17.00 멕시코(21.0) 3
평판압연제품 이상인 것
스테인리스강의
15부 [72]철강 기타 721990000 875 655 74.90 미국(11.0) 0 9.70 멕시코(42.3) 3
평판압연제품
철이나 비합금강의
15부 [72]철강 기타 721090020 363 269 74.10 벨기에(16.3) 0 6.90 중국(39.8) 3
평판압연제품
철이나 비합금강의
15부 [72]철강 기타 720852019 800 576 72.00 대만(27.9) 0 3.20 멕시코(16.0) 10
평판압연제품
철강으로 만든 세로 방향으로
15부 [73]철강제품 730531010 150 107 71.30 독일(21.3) 0 0.70 멕시코(27.6) 23
그 밖의 관(管) 용접한 것
재생ㆍ반(半)합성
[55]인조스테이
11부 스테이플섬유의 염색한 것 551622091 131 116 88.50 중국(7.6) 0 7.80 중국(17.9) 6
플섬유
직물

14 KERI Insight 19-16


[54]인조필라멘트,
기타
인조방직용섬유
11부 합성필라멘트 (폴리프로필렌의 것으로 540248910 380 278 73.20 중국(12.1) 0 7.70 미국(15.3) 6
재료의 스트랩과
한정한다)
이와 유사한 것

[27]광물성연료
ㆍ광물유(鑛物油)
5부 와 이들의 증류물, 석유와 역청유 기타 271019142 741 617 83.00 중국(16.6) 0 8.00 중국(18.7) 6
역청(瀝靑)물질,
광물성왁스
가공한식물성이나
광물성조각용재료와 그
20부 [96]잡품 젤라틴 캡슐 960200010 113 102 90.30 프랑스(4.4) 0 4.10 미국(19.5) 9
제품, 성형품이나
조각품
[84]원자로보일
증기원동기용 인도네시아
16부 러기계류와   840420000 963 718 74.60 중국(13.2) 170 11.20 3
응축기 (43.4)
이들의 부분품

화이트 리스트 제외에 따른 경제적 영향 15


Ⅲ. 경제적 영향 - 한일 무역분쟁과 같이 한 국가가 특정국에 대해
수출을 규제할 경우, 수출규제를 받는 기업은 물
론 이를 필수 중간재화로 사용하는 상대국가의
1. 분석모형
기업의 독점적 이윤이 감소하고 시장에서 퇴출되
는 기업이 증가함
□ 분석모형
- 시장에서 퇴출되는 기업이 증가하면 내수기업 또
◦ 본 연구는 기업의 진퇴입이 내생적으로 결정되 는 경쟁관계에 있던 다른 국가의 기업의 진입이
는 글로벌 CGE 모형을 구축하고 한일 무역분 증가하는 대체효과가 발생함
쟁에 따른 양국 및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
- 따라서 본 연구는 수출규제로 인한 한일간의 교
을 분석하고 있음
역조건 변화뿐만 아니라 독점적 이윤 변화에 따
른 시장의 진퇴입 효과를 반영한 분석을 수행하
◦ 본 모형은 Balistreri and Markusen(2007), 조
고 있음
경엽(2019)와 같이 독점적 경쟁시장을 가정하고
독점이윤(mark-up)과 고정비용에 따라 기업의
□ 분석을 위한 전제조건
진퇴입이 내생적으로 결정되는 글로벌 CGE 모
형을 구축하고 있음9) ◦ 앞서 살펴보았듯이 양국은 수출규제 조건을 충

- 한일 무역분쟁으로 생산차질이 예상되는 전기전 족하는 품목을 골라 수출을 규제하는데, <표 4>
자 산업과 석유화학산업을 독점적 경쟁기업이 적 와 <표 8>과 같이 양국 모두 화학공업제품의
용되는 산업(Melitz 산업)으로 분류하였으며, 나머 일부를 골라 수출을 규제한다고 가정함
지 산업은 아밍톤 산업으로 분류하였음10) - <표 4>에 나타난 일본의 대한국 수출규제 14개

- Melitz의 독점적 이윤은 수출기업과 국내기업 모두 품목의 한국 수입규모는 1조 2,199억 원으로 총


에 적용된다고 가정하였으며 규모의 경제가 작동 석유화학제품의 대한국 수출의 13.1%에 달함12)
하여 생산이 증가할수록 평균비용이 감소하게 됨 - <표 8>에 나타난 한국의 대일본 수출규제 품목

- 따라서 독점이윤이 고정비용을 초과하게 되면 시 중 석유화학 품목 6개의 수출 규모는 8,596억 원


장에 진입하는 기업이 증가하고 반대로 고정비용 으로 총 석유화학 제품의 대일본 수출의 15%에
이 독점이윤을 초과하면 퇴출되는 기업이 증가하 달함
게 됨

◦ 본 모형은 전통적 무역이론에 기초한 교역조건


(terms of trade)의 외부성과 기업의 생산거점
의 재조정(production reallocation) 효과 모두
를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음11)

9) GTAP9 DB를 이용하여 분석대상 지역을 11개 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산업은 Armington 구조의 영향을 받는 산업 7개와 Melitz 구조에 영향을 받는 산업 7
개, 총 14개 산업으로 구성됨
10) Melitz 산업은 독점적 경쟁 시장이 적용되는 산업으로 정의됨. Melitz(2003)는 Dixit and Stiflitz의 다양성을 적용하여 규모의 경제와 독점적 이윤이 존재하면
비교우위가 없어도 산업간 무역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음. 아밍톤 산업은 지역간 제품의 차별성 때문에 완전경쟁 하에서도 지역간 거래가 발생하는
산업으로 정의함
11) 교역조건의 외부효과는 한·일 무역전쟁으로 대한국 및 대일 수입품에 대한 관세가 인상되면 미국과 중국 제품의 비교우위가 약화되고 타지역 제품의 비교우위
가 향상되어 타지역으로 수입이 대체되는 효과를 의미함. 생산거점의 재조정효과는 높아진 관세율 또는 수출규제로 일본의 대한국 수출기업은 물론 이를 수입
하여 제품을 생산하던 한국의 기업의 시장퇴출이 증가하고 국내 내수산업 또는 해외 산업의 진입이 증가하는 효과를 의미함
12) 본 모형의 분석 대상산업에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는 전기전자에 포함되고 유기화학과 무기화학 제품은 석유제품산업에 포함되어 있어 수출규제 품목이 이들 산
업에 차지하는 비중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음

16 KERI Insight 19-16


<표 10> 화이트 리스트 제외 시 양국의 수출규제 규모

수출규제 품목 총 석유화학제품 비중
 
(백만 원) (백만 원) (%)
일본의 대한국 수출 1,219,903 9,312,086 13.1
한국의 대일본 수출 859,552 5,741,251 15.0

주: <표 4>과 <표 8>의 화학공업제품의 수출입 규모에 2018년 말의 연평균 환율을 적용하여 시산
자료: 한국무역협회

◦ 한국이 대일본 수출을 규제해도 일본 기업의 준이 증가할수록 탄력성도 함께 증가한다고 가


생산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가정한 반면, 정하였음
일본이 수출을 규제할 경우 한국의 반도체 및
◦ 시나리오 4와 같이 생산 차질이 발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속한 전기전자산업의 생산에 차
는 교역조건 효과와 생산거점 재조정효과의 장
질이 발생한다고 가정함
단기 효과를 다음과 같이 반영하였음
- 산업연관표 2015년 기준 전기전자산업의 총산출
- Balistreri and Markusen(2007)의 분석과 유사하
액은 282.2조 원에 달하는데, 이중 반도체의 산
게 수입재화 간 대체탄력성은 GTAP의 탄력성의
출액은 80.5조 원에 달하고, 디스플레이는 65.8조
1/4로 하향조정하고, Dixit and Stiglitz의 제품
원에 달함
다양성 간 탄력성의 크기를 1/2로 조정한 이후
- 일본의 수출규제로 디스플레이는 일부 품목이 영
수출규제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한
향을 받기 때문에 10조 원에 달하는 산출이 영향
다고 가정하였음
을 받는다고 가정하면, 총 전기전자 산업의 32%
에 달하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의 생산(90.5조
원)이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함

□ 분석 시나리오

◦ 시나리오 1~3과 같이 생산 차질이 발생하지 않


는 경우 수입재화 간 그리고 수입재화와 국내
재화간 대체탄력성이 GTAP에서 제시한 탄력성
의 1/4 수준으로 하향 조정한 후 수출규제 수

<표 11> 분석을 위한 시나리오

내용
∙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
시나리오 1
- 대한국 유기·무기화학 수출의 1조 2,199억 달러 규모 규제
∙ 한국이 일본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
시나리오 2
- 대일본 유기·무기화학 수출의 8,596억 달러 규모 규제
∙ 양국 모두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
시나리오 3 - 대한국 유기·무기화학 수출의 1조 2,199억 달러 규모 규제
- 대일본 유기·무기화학 수출의 8,596억 달러 규모 규제
∙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
시나리오 4 - 대한국 유기·무기화학 수출의 1조 2,199억 달러 규모 규제
- 한국의 전기전자산업의 32%가 수출규제 규모에 따라 생산차질이 발생

화이트 리스트 제외에 따른 경제적 영향 17


2. 분석결과 ◦ 일본의 GDP 감소가 한국보다 작지만 한국의
보복으로 인한 일본의 GDP 손실이 커질 전망
□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해도 생산
차질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GDP 손실은 제한적일
□ 시나리오 4에서 보듯이 일본의 무역규제에 따른
전망
한국의 GDP 손실은 최고 6.26%까지 증가할 전
◦ 일본이 총 1조 4,419억 달러에 달한 대한국 수 망 13)

출규제 품목 중 5%를 규제할 경우 한국의 ◦ 수입대체선과 국내공급을 확대하더라도 반도체


GDP는 0.07% 감소하고, 30% 규제할 경우 소재 부족분이 15%일 경우 한국의 GDP 손실
0.1%, 60% 규제할 경우 0.13% 감소할 전망 은 0.74%에 달하고, 30%일 경우 2.23%에 달하
고, 부족분이 커져 부족분이 60%에 달할 경우
◦ 반면 일본의 GDP 손실이 0.03%~0.06% 감소하
GDP 손실은 6.26%에 달할 전망
는데 그쳐 한국의 GDP 감소가 일본에 비해 클
전망 - 대일본 수입품이 감소하면 국내 산업이 공급을
확대하는 생산거점 재조정(production

□ 한국이 일본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하고 수출 reallocation) 효과와 타 지역 수출산업의 진입이

을 규제할 경우 일본보다 한국의 GDP 손실이 클 증가하는 수입대체효과가 발생함


전망 - 이러한 효과를 통해 일본으로부터의 수입 부족분
을 얼마큼 수월하게 메꿀 수 있느냐가 생산차질
◦ 한국이 총 1조 897억 달러에 달한 대일본 수출
을 최소화하고 GDP 손실을 줄이는 결정적인 요
규제 품목 중 5%를 규제할 경우 한국의 GDP
인으로 작용함
는 0.15% 감소하고, 30% 규제할 경우 0.21%,
60% 규제할 경우 0.28% 감소할 전망
□ 한일 양국이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하고 무역분
◦ 반면 일본의 GDP는 0.01%~0.02% 감소하는데 쟁이 악화될수록 양국의 GDP 감소폭이 커지고
있어 외교적 노력을 통한 해결이 요구됨
그쳐 한국의 GDP 감소보다 작을 전망
◦ 누가 덜 손해를 보느냐를 가지고 승자와 패자
◦ 일본이 수출규제 하는 것보다 한국이 대일본
를 결정하는 수단으로 치달을 경우 한국의 피
수출을 규제하는 경우 한국의 GDP 손실이 큰
해가 일본의 피해보다 큰 것으로 추정됨
이유는 일본의 수출품이 한국 산업에 미치는
산업연관효과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임

◦ 또한 국내외 제품으로 대체할 수 있는 능력이


일본이 한국보다 우수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 양국이 모두 상대국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하


고 수출을 규제할 경우 한국이 GDP는
0.25%~0.46% 감소하고, 일본은 0.05%~0.09%
감소할 전망

13) 시나리오 4와 조경엽(2019)의 결과의 차이는 일본의 수출규제 규모의 차이에 의해 발생함.

18 KERI Insight 19-16


<표 12> 화이트 리스트 제외에 따른 한일 GDP 변화 (%)

시나리오 1 시나리오 2 시나리오 3 시나리오 4


규제규모 
한국 일본 한국 일본 한국 일본 한국 일본
5 -0.07 -0.03 -0.15 -0.01 -0.25 -0.05 -0.04 -0.02
10 -0.08 -0.04 -0.17 -0.01 -0.27 -0.06 -0.36 -0.02
15 -0.08 -0.04 -0.18 -0.02 -0.29 -0.06 -0.74 -0.02
20 -0.09 -0.04 -0.19 -0.02 -0.31 -0.06 -1.18 -0.02
25 -0.10 -0.04 -0.20 -0.02 -0.32 -0.07 -1.68 -0.01
30 -0.10 -0.05 -0.21 -0.02 -0.34 -0.07 -2.23 -0.01
35 -0.11 -0.05 -0.22 -0.02 -0.36 -0.07 -2.83 -0.01
40 -0.11 -0.05 -0.23 -0.02 -0.38 -0.08 -3.46 -0.01
45 -0.12 -0.05 -0.25 -0.02 -0.40 -0.08 -4.13 -0.01
50 -0.12 -0.06 -0.26 -0.02 -0.42 -0.09 -4.82 -0.01
55 -0.13 -0.06 -0.27 -0.02 -0.44 -0.09 -5.53 -0.01
60 -0.13 -0.06 -0.28 -0.02 -0.46 -0.09 -6.26 0.00

□ 한일 무역분쟁으로 중국이 최대 수혜국이 될 전망 ◦ 따라서 미국이 추구하는 동북아의 안보와 경제


이며, 미국도 미미하나마 GDP가 증가하는 것으 질서 차원에서 미국의 중재의 필요성을 적극
로 평가됨 설득하여 한일 무역분쟁이 외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
◦ 생산차질이 발생하지 않는 시나리오 1~3에서
미국과 중국의 GDP에 거의 변화가 없는 반면
한국의 전기전자 산업의 생산 차질이 발생하는
시나리오 4에서 미국의 GDP는 0.03% 내외 증
가하고 중국의 GDP는 0.4% 내외로 증가하여
중국이 한일무역 분쟁의 최대 수혜국이 될 전망

◦ 순수한 경제적인 측면에서 미국이 중재에 나설


유인은 낮음

- 우리나라 반도체의 주 고객인 에플, 델, HP 등의


손실보다 경쟁회사인 마이크론, WDC, 인텔 등의
이익이 미미하나마 큰 것으로 분석14)

◦ 그러나 한일무역 분쟁으로 중국의 최대수혜국


이 된다는 것은 최근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중
국을 배제하기 위한 미국의 노력에 반한다는
점에서 미국이 중재에 나설 유인이 존재함15)

14) D램 점유율의 시장점유율은 삼성 39.9%, SK 31.9%, 마이크론 24%에 달하고, 낸드플래시 점유율은 삼성 30.4%, 도시바 19.3%, 마이크론 15.4%, WDC
15.3%, SK 11.2%에 달함
15) 미중 무역분쟁이 「자유 시장경제 블록」과 「국가자본주의 체제」의 세 대결 양상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한일무역 갈등은 한·일양국은 물론 자유 시장경제를 추구
하는 국가들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을 전망

화이트 리스트 제외에 따른 경제적 영향 19


<표 13> 화이트 리스트 제외에 따른 미국과 중국의 GDP 변화 (%)

시나리오 1 시나리오 2 시나리오 3 시나리오 4


규제규모 
미국 중국 미국 중국 미국 중국 미국 중국
5 0.002 0.007 0.001 0.004 0.003 0.012 0.022 0.386
10 0.002 0.007 0.001 0.004 0.004 0.012 0.023 0.400
15 0.002 0.007 0.002 0.005 0.004 0.013 0.025 0.413
20 0.002 0.008 0.002 0.005 0.004 0.014 0.026 0.424
25 0.002 0.008 0.002 0.005 0.004 0.015 0.027 0.435
30 0.002 0.009 0.002 0.005 0.004 0.016 0.028 0.444
35 0.002 0.009 0.002 0.006 0.005 0.017 0.029 0.453
40 0.002 0.010 0.002 0.006 0.005 0.017 0.030 0.460
45 0.003 0.010 0.002 0.006 0.005 0.018 0.031 0.465
50 0.003 0.011 0.002 0.007 0.005 0.019 0.032 0.470
55 0.003 0.011 0.002 0.007 0.006 0.020 0.033 0.474
60 0.003 0.012 0.002 0.007 0.006 0.021 0.034 0.477

20 KERI Insight 19-16


Ⅳ. 정책 제언 전자(16부)에 36개, 광물성생산품(5부) 26개, 플
라스틱 및 고무(7부) 26개 순으로 많음
□ 강제징용에 대한 대법원 판결 이후 불거진 한일간 - 소비재로 분류되는 방직 및 섬유(11부), 광물성생
경제적 갈등이 악화되고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 산품(5부), 귀금속(14부), 가구류 및 잡품(20부)등
지고 있음 84개와 수입규모가 1억 엔 이하인 작은 염료, 비
누 등 14개 품목을 제외하면 224개 품목을 일차
◦ 양국이 모두 화이트 리스트에서 상대국을 제
적으로 맞대응 품목으로 고려할 수 있음
외하면서 양국 정부의 자의적인 판단에 따라
언제든지 수출품을 규제할 가능성을 열어두고
□ 본 연구에서 규정한 수출규제 기준을 충족하는 일
있음
본의 규제 품목은 14개인 반면, 한국의 수출규제
품목은 18개 정도로 추정되나 일본 산업의 생산
◦ 한일 갈등이 심화될 경우 양국은 상대국에게
차질을 유발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됨
큰 타격을 주면서 자국 기업의 피해를 최소하
기 위해 수출규제품목을 전략적으로 선택할 가 ◦ 일본의 경우 수출규제 기준을 충족하는 품목은
능성이 높음 화학공업생산품이 10개로 가장 많고, 플라스틱
- 양국은 자국의 수입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총 수 과 그 제품이 2개, 광학의료 및 정밀기기, 광물
출에서 상대국으로의 수출비중이 낮은 품목을 선택 성 생산품이 각각 1개씩 차지하고 있음
함으로써 수출규제로 상대국은 큰 타격을 입는 반
◦ 화학공업생산품에 속한 품목 중에서도 규제 가
면 자국 기업의 피해가 적은 품목을 선택할 전망
능성이 높은 품목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용 부
- 또한 수출규제 품목은 상대국의 국내 제품으로의
품소재가 꼽히고 있음
대체가 낮고 주력산업의 필수품이 대상이 될 전
망임 ◦ 한국은 철강제품 9개, 화학공업제품 6개, 광슬
래그 등 기타 제품 3개로 총 18개를 고려할 수
□ 양국의 수입품목 중에서 1위를 차지한 품목 수는 있으나 일본 산업에 타격을 줄 제품은 전무한
양국 모두 322개에 달하지만, 한국의 대일본 수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입 품목은 주로 부품소재인 반면 일본의 대한국
- 고품질 철강이 주로 일본에서 생산되고 있다는
수입 품목은 주로 소비재화가 차지하고 있음
점을 고려하면 한국이 수출을 규제할 경우 빠른
◦ 대일본 수입이 1위를 차지한 품목은 화학공업 시일 내에 자국 내 제품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
생산품(제6부)에 107개로 가장 많고, 기계류와 단됨
전기전자(16부)에 60개, 비금속과 그 제품(제15 - 특히 철강제품의 경우 한중일 3국이 세계 시장을
부) 58개, 광학기기 및 정밀기기(제18부) 34개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품목이기 때문에 한
순으로 많음 국의 수출규제는 한국 철강기업만 손해를 볼 가

- 부품소재가 주로 일본으로부터 수입되기 때문에 능성이 높음

일본의 수출규제는 우리의 주력산업의 생산차질 - 화학공업품의 경우도 일본의 자체생산이 가능하
과 직결될 가능성이 높음 고 일본의 주력산업에 타격을 주기에 역부족인
것으로 평가됨
◦ 일본의 대한국 수입 1위 품목은 철강(15부)에
- 이 밖에 슬래그 광슬래그 잔재물과 석유역청과
102개로 가장 많고, 화학공업생산품(제6부)에
같은 에너지 부속물은 치열한 가격 경쟁을 거쳐
61개, 방직 및 섬유(11부) 52개, 기계류와 전기

화이트 리스트 제외에 따른 경제적 영향 21


수출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 품목은 맞대응 여 한일 무역분쟁이 외교적으로 해결될 수 있
수당으로 부적합한 것으로 평가됨 는 방안을 모색해야 함

□ 화학공업 제품을 중심으로 양국이 수출규제를 한 ◦ 과거에는 민간차원의 협력이 완충지대 역할을
다고 가정할 경우, 한국의 GDP 손실이 일본의 하면서 경제적 문제로의 확대를 차단하였으나,
GDP 손실보다 커서 한국은 한일 무역전쟁의 패 최근 일본 재계는 이번 대법원 판결을 재산권
자가 될 전망 침해로 인식하고 과거와 달리 냉담한 반응을
보임
◦ 일본의 수출규제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주력산
업의 생산차질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 개별기업은 물론 일본 재계와 주기적인 교류를
규제수준(5%~60%)에 따라 일본의 GDP 손실은 어어 온 전경련, 대한상의의 역할이 확대될 필
0.03%~0.06%에 그치는 반면 한국의 GDP 손실 요성도 높음
은 0.07%~0.13%에 달할 전망

◦ 한국의 대일본 수출규제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주력산업의 생산차질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가
정하면 규제수준(5%~60%)에 따라 일본의 GDP
손실은 0.01%~0.02%에 그치는 반면 한국의
GDP 손실은 0.15%~0.28%에 달할 전망

◦ 양국이 모두 상대국을 화이트 리스트에서 제외


하고 수출을 규제할 경우 한국이 GDP는
0.25%~0.46% 감소하고, 일본은 0.05%~0.09%
감소할 전망

◦ 일본의 수출규제로 인해 생산차질이 발생할 경


우 한국의 GDP 손실은 0.04%~6.26%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는 반면 일본의 GDP 손실은 미
미한 수준에 그칠 전망

□ 한일갈등이 심화될수록 일본에 비해 한국의 GDP


손실이 상대적으로 큰 만큼 국가 차원의 외교적
노력은 물론 민간 외교력까지 총동원하여 해결할
필요성이 높음

◦ 한일 무역분쟁의 최대 수혜국이 중국이 된다는


점은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중국을 배제하려는
미국의 전략에 위배될 전망

◦ 미국이 추구하는 동북아의 안보와 경제 질서


차원에서 미국의 중재의 필요성을 적극 설득하

22 KERI Insight 19-16


<참고 문헌>

대외경제정책연구원(2019), “일본의 對한국 수출규제와


전망”, KIEF 기초자료 19-11.
조경엽(2019), “한일 무역분쟁이 양국 경제에 미치는 영
향”, 한국경제연구원, KERI Brief.
일본경제산업성(2017), “Guidance for the Control of
Sensitive Technologies for Security Export for
Academic and Research Institutions: 3rd Edition”
Balistreri, E.J., and J.R. Markusen(2009), “Sub-national
Differentiation and the role of the firm in optimal
international pricing”, Economic Modelling 26(1).
Melitz, M.J.(2003), “The Impact of Trade on
Intra-Industry Reallocations and Aggregate Industry
Productivity”, Econometrica, Vol. 71, No. 6.

화이트 리스트 제외에 따른 경제적 영향 23


발행일 2019년 11월 25일 | 발행인 권태신 | 발행처 한국경제연구원 |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24 FKI TOWER 46층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