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정신지체학생의 화행규칙수행에 관한 연구

전병운・조유진
(공주대학교 특수교육과, 전 홍성YMCA 조기교육실)

전병운・조유진 . 정신지체학생의 화행규칙수행에 관한 연구 . 『언어청각장애연구』 , 2 0 0 1 , 제 6


권 , 제 1호 , 5 3- 7 6 . 본 연구는 정신지체 학생의 화행규칙수행 정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를 위하여 Lucas (1980)가 개발한 화행수행 점검목록을 사용하여 학생들이 각 화행을 어느 정도 수
행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구성규칙의 수행이 정신지체 학생의 정신지체 정도,
평균발화길이(MLU)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정신지체학생은 8가지 화행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절반정도가 구성규칙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방과 원활한 의사소
통을 하게 하려면 하위 구성 규칙 준수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전체적으로 정신지체
학생들은 소극적인 의사소통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진지하고 논리적으로 조리있게 대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정신지체 학생들은 정신지체정도와 평균발화길이의 정도에
따라 대부분의 화행 구성규칙 수행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Ⅰ. 서 론

일반적으로 심리언어학자들은 문법적 능력의 습득은 10세 전후에 습득되며, 화용적 능력의
습득은 문법적 능력의 습득의 시기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아동이 통사 구조상 완전한 문장
을 구사할 수 있더라도 화용론적 측면의 언어습득이 지체되어 있을 경우에는 의사소통에서 어려움
을 겪게 된다(정동빈, 19 9 2). 따라서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문법적 능력은 물론 화용적
능력도 갖추어야 한다.
19 70년대 이전 아동의 언어연구는 Ch oms ky ( 19 6 5 , 197 2 , 19 80 )의 변형생성문법에 따라 구
조론적 측면 즉 통사론적, 음운론적, 형태론적, 의미론적 속성의 언어기술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
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에 들어와서 언어연구는 사회적・
상황적 의사소통 맥락내에서 적절하게
언어를 사용하는 기능적 측면 즉 화용을 강조하고 이러한 입장에서 아동 언어의 발달을 설명하고자
하였다(Bates , 197 6 ; Pr uttin g , 19 82).
Hymes ( 19 7 2)는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정의에서 의사소통능력은 언어를 산출하기 위한 문법
적 규칙(문법적 능력)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특정한 상황에 맞는 말을 하기 위해 적절한 화용적 규
칙(pr agm atic r ule )에 대한 지식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인간이 말을 하는 것은 단순히
말을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언어를 통해 어떤 일을 수행하려고 말을 하는 것이다(Aus tin , 196 2).
화용론(pr ag matics )이란 화자의 언어사용과 청자의 언어이해를 언어학적 입장에서 과학적으
로 연구하는 분야이다. 화자 및 청자의 의사소통행위는 대체적으로 직시(de ix is ), 함축
(imp licatur e ), 전제(pr es upp os ition ), 화행(s p e e ch acts ) 등의 규칙적인 현상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다(정동빈, 19 92). 화자 및 청자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하여 화용언어의 발달은 핵
심적인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화용습득은 질적인 언어습득을 의미하고 화자 및 청자의 의사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소통을 위한 심층적 규칙체계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화용론의 여러 이론 중 화행이론을 중심으
로 그 수행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화행이란 인간이 언어를 이용해서 자신의 의도, 주장, 목적, 믿음, 소원, 감정, 진술 등을 표현
하는 일체의 행위를 가리킨다. 화행은 말소리, 음절, 단어, 문장을 이용하여 발화(utter an c e )된다.
화행이란 용어를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서, Aus tin ( 19 6 2)은 언어행위를 수행하기 위한 발화행위를
세 가지로 나누었다. 첫째, 언표내적 행위(illocution ar y act)로 이것은 어떤 것을 말하면서 실천되
거나 언어 수행된 행동을 가리킨다. 둘째, 언향적 행위(p er locution ar y act)는 어떤 것을 발화함으
로써 그 결과 다른 행위를 가져오게 하는 행동을 가리킨다. 셋째, 전제적 행위(pr op os ition al act)는
어떤 발화를 하기 전에 어떤 사실을 근거로 언어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Aus tin에 의해 시작된 화행이론은 언어의 사용을 연구하는 화용론의 중요한 한 분야가 되었
다. 그의 이론이 발단이 되어 발전되었다. S e ar le ( 19 7 5)은 Aus tin의 화행설을 좀더 확장시켜 성공
적인 화행을 구체화하기 위해 언표내적 행위를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표본발화(r epr es ent ativ es )는 어떤 사건의 진실을 나타내는 범주이며, 가장 평범한 예
로 진술하기, 주장하기, 설명하기, 예측하기와 분류하기가 있다. 둘째, 명령발화(dir e ctiv es )는 화자
가 청자에게 무엇인가 하도록 시도하는 것이다. 예로는 주문하기, 명령하기, 요구하기, 지시하기와
간청하기 등이 있다. 셋째, 약속발화(commis s iv es )는 화자가 어떤 것을 하도록 책임지는 것이다.
예로는 약속하기, 맹세하기, 맹약하기(p le dging )와 제공하기 등이 있다. 넷째, 표현발화
(e xpr es s iv es )는 화자의 심리적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감사하기, 축하하기, 사과하기 등이 있
다. 다섯째, 선언발화(de clar ations )는 존재하는 상황에 사건의 언어학적 특별 상태로 첨가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쟁포고하기, 거부권 행사하기, 제명하기, 지명하기 등과 같은 의사수행능력을
가지고 있다.
언어행위는 규칙의 범주에 속하는 행동인데 Se ar le ( 196 9)에 의하면 말을 한다는 것은 화용
규칙의 지배를 받는 것이라고 한다. Se ar le의 규정규칙은 화행수행의 조건을 전제로 이루어진 것이
고 청자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핵심요소는 언표내적행위(illocution ar y acts )로 기술될 수 있
다. 화자가 이런 언표내적 규칙을 습득하지 못하면 화용론적 측면에서 볼 때 언어수행에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정동빈, 19 92에서 재인용).
Se ar le ( 196 9)이 제시한 것처럼 아동이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언표내적행위 중에 화행의 8가
지 규칙을 습득해야 한다. 8가지 화행규칙은 화행론적 측면에서 언어수행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치가 된다. 8가지 화행규칙은 대상에 대하여 요구할 수 있는 발화행위를 할 수 있고, 행위를 정
당하게 청자에게 요구할 수 있으며, 자신의 주장을 화맥에 맞추어 전개할 수 있고, 상대방의 발화에
부정할 수 있으며, 정보를 진술할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요구할 수 있으며, 상대방을 부를 수 있
으며, 자신이 체험한 사실을 시간적 순서에 맞게 말할 수 있으면 된다. 화자가 이런 언표내적행위
규칙을 습득하지 못하면 언어수행에 문제점이 있다.
Se ar le ( 196 9)은 언어수행, 제안행위, 언표내적행위를 지배하는 효과적인 발화행위를 의미규
칙과 연관시켜 분류하고 있다. S e ar le은 의미규칙을 규정규칙(r eg ulativ e r ule )과 구성규칙
(c ons titutiv e r ule)으로 세분하고 있다. 규정규칙은 선례적으로 있는 행동을 조종하는 규칙으로 예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정신지체학생의 화행규칙수행에 관한 연구

를 들면 교통법규 같은 것이 이 범주에 든다. 반면 구성규칙은 행동 그 자체를 야기시키거나 구성


하는 것으로 놀이의 규칙 등이 이 범주에 든다. 따라서 구성규칙의 맥락에서 보면 화자는 청자가
마주보고 있지 않는 상황에서 이야기하지 않을 것이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불가능할 것이다. 결국
효과적인 화행 수행을 위해서 구성규칙의 사전 형성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Se ar le ( 196 9)은 화행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구성규칙을 명제규칙(pr op os ition al conten t
r ule ), 예비규칙(pr ep ar ator y r ule), 성실규칙(s in c er ity r ule )과 핵심규칙(es s en tial r ule )으로 나누
어 기술하였다. 이런 규칙은 화행의 핵심이 되고, 음성적・
비음성적 행동을 묘사하는데 사용된다. 따
라서 이런 것들은 청자의 태도, 신념, 혹은 행위에 직접 영향을 준다. 명제내용규칙은 청자의 미래
행위를 예정하는 규칙이고, 성실규칙은 화자의 행동과 갈망을 규칙화하고 있고, 예비규칙은 발화의
선행조건이고, 핵심규칙은 표현의 관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런 4가지 구성규칙을 습득하면 언어
습득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화행은 Se ar le이 제시한 8가지의 화행규칙과 4가지의 구성규칙으로 짜여져 있다
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 e ar le이 제시한 규칙을 중심으로 정신지체 학생이 어느 정
도 화행의 규칙을 준수하면서 의사소통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정신지체 학생
이 원만한 의사소통을 하는데 장애가 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정신지
체 학생은 여러 가지 이유로 의사소통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몇몇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정신
지체 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은 개인차가 있기는 하나 정신지체의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고 한다(전병
운, 19 9 5 ; 배전자, 20 0 0). 그러나 정신지체 학생의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는 명확히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학생의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Se ar le이 제
시한 8가지 화행 분류를 기초로 하여 Lu cas ( 1980 )가 개발한 화행수행 점검목록을 사용하여 정신
지체 학생이 각 화행규칙을 어느 정도 수행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화행규칙의
수행이 정신지체 학생의 정신지체 정도, 평균발화길이(MLU)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
였다. 아울러 화행규칙의 수행과 정신지체 정도 및 평균발화길이간에 어느 정도의 상관이 있는지
알아본다. 이 결과는 그 동안 일반적으로 제기되어왔던 정신지체 학생의 의사소통 방해요인을 구체
적으로 알 수 있게 될 것이며,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Ⅱ. 연구방법

1. 대 상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생활연령 14 - 18세의 정신지체 학생 40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학생의 선정기준은 사회성숙도검사(김승국・
김옥기, 19 95)를 실시하였
다. 사회연령(SA)은 4 - 12세로 나타났으며, 사회지수(SQ)별 분포는 상위집단(55이상)이 평균
6 8 .74 (SD= 12 .98)이며, 하위집단(2 5 - 54 )은 평균 3 9 .4 2 (SD=9 .87)로 나타났다. 그리고 담임교사에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게 의뢰하여 자신의 의사를 두 낱말 정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
고 자폐성이나 뇌성마비 등 다른 장애를 수반하고 있는 중복장애아동은 대상에서 제외시켰다.

2 . 도구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 학생의 화행수행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Se ar le ( 196 9)의 화행 분


류규칙을 기초로 Lu cas ( 19 80)가 개발한 화행수행 점검목록을 사용하였다. Lucas는 S e ar le이 제시
한 8가지 화행(대상 요구, 행위 요구, 주장, 부정, 정보진술, 정보요구, 부름, 규칙순서)과 4가지 화
행 구성규칙(명제규칙, 예비규칙, 성실규칙, 핵심규칙)을 기초로 하여 화자와 청자간의 의사소통의
전제가 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화행수행 점검목록을 개발하였다. 화행수행 점검목록은 총 37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행별 구체적인 내용은 연구결과에 제시하였다.

3 . 절차

우선 연구대상의 정신지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회성숙도검사(김승국・


김옥기, 19 9 5)를
사용하였다. 검사실시는 학생을 가장 잘 알고 있는 학생의 담임교사에게 의뢰하여 학생을 관찰한
경험을 기초로 검사지의 각 문항에 답을 하게 하였다.
대상학생의 평균발화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학생의 자발적 발화를 두 가지 상황에
서 수집하였다. 평균발화길이는 문장당 평균형태소길이로 계산하였다. 우선 연구자는 학생이 흥미
를 느끼는 놀이감과 과자를 준비하여 학생이 친숙한 상황에서 또래와 상호작용을 하는 자연적인 발
화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발화를 수집하였고, 두 번째로 대상 학생들이 생활하는 기숙사에서 그
들의 발화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발화는 녹음기에 녹음하여 내용을 전사하고 평균발화길이는 김영
태( 19 9 7)의 형태소 구분원칙 기준에 따라 계산하였다.
다음으로 화행규칙 수행 준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들의 공식적인 수업이 종료된 후
학생들을 4명씩 같은 학년단위로 집단을 구성하여 미술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질문을 하면서 수업을 진행하여 학생이 과제를 수행하는지, 연구자의 질문에 어떻게 응답
하는지를 Lucas ( 1980 )가 제시한 화행수행 목록 을 기준으로 표시하였다. 연구자는 한 학생에게 2
번씩 같은 내용을 질문하였으며 이 때, 학생이 교사의 질문에 1분 이내에 과제를 수행해야 수행을
하는 것으로 체크하였고, 1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제를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체크하였다.

화행규칙 수행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대상요구

질문1: 는 어떤 것으로 그림을 그리고 싶어요?

질문2 : 선생님이 어떤 것을 줄까요?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정신지체학생의 화행규칙수행에 관한 연구

(연구자는 아동에게 그림 그리기에 사용하기 원하는 재료의 선택을 권한다. 연구자는 아동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돌아서서 기다린다.)
② 행위요구

질문1: 그림 그리는 것이 어려운 사람은 선생님! 도와주세요 라고 얘기하세요.

(연구자는 아동에게 도화지를 반으로 접게 한 뒤 한 쪽 면에는 자신이 그리고 싶은 그림을 그


리게 하고, 다른 한 쪽 면에는 연구자가 지시한 아동이 그리기 어려운 그림을 그리게 한다(예:
로케트, 탱크). 그리고 아동이 연구자를 찾아 그림을 그려달라고 요구할 때를 기다린다.)
③ 주장

질문1: 는 무엇을 그리고 싶어요?

질문2 : 는 무엇을 그린 거예요?

(연구자는 아동이 그린 그림에 대해서 말할 수 있게 한다.)


④ 부정

질문1: 야 눈사람을 빨갛게 색칠했어요?

질문2 : 야 탱크를 그린 거예요?

(연구자가 아동이 색칠한 색을 틀리게 말할 때, 또는 연구자가 아동이 그린 그림을 틀리게 말


할 때 아동이 부정을 하는지 점검한다.)
⑤ 정보요구

질문: 야 에게 뭘 그렸는지 물어보세요.

(연구자는 에게 가 무슨 그림을 그리는지 묻게 한다.)


⑥ 정보진술

질문1: 는 미술실에 들어 와서 무엇을 했어요?

질문2 : 야 여기 와서 뭐했어요?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연구자는 아동이 교실에 들어왔을 때 무엇을 했는지 말하도록 제안한다.)
⑦ 부름

질문: 그림을 다 그린 사람은 선생님을 부르세요.

(연구자는 아동에게 그림을 다 그린 경우, 연구자를 부를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선생님! 이


것 보세요 라고 말을 할 경우는 부를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⑧ 규칙순서

질문1: 그림을 그린 순서를 선생님한테 설명해 주세요.

질문2 : 그림을 어떻게 그렸는지 선생님한테 설명해 주세요.

(연구자는 아동이 그림을 보고 그림을 그린 순서 또는 어떻게 그렸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지


점검한다.)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정신지체학생의 화행규칙수행에 관한 연구

4 . 자 료분 석 및 처 리

가 . 화 행수 행능 력 분석

연구대상 학생의 화행수행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위에서 제시한 발화상황에 따라 학생에게


질문하고 그 결과를 화행수행목록에 규칙 준수 여부에 따라 수행을 하면 예 , 수행을 하지 못하면
아니오 에 표시한다. 이때 학생이 교사의 질문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1분 이내에 응답하면 예 에,
학생이 1분 이내에 응답하지 못하는 경우는 아니오 에 표시한다. 점수에서 예 는 1점, 아니오 는 0
점으로 환산한다. 학생의 평가 점수는 학생의 수행에서 관찰한 필수 요소들의 총수와 동일하게 되
며, 본 평가의 최대 가능 점수는 3 7점이다.
이렇게 화행별 규칙수행점수를 알아보고, 각 화행의 하위 항목별 평균점수를 알아본다. 그리
고 이러한 결과가 정신지체 정도(SQ)와 평균발화길이에 따라 전체 화행규칙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
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 ers ion 7 .5)를 이용하였다.

Ⅲ. 결 과

1. 정 신지 체 아 동의 화 행 의 규 칙 수 행

정신지체 학생의 화행별 규칙수행 정도를 알아본 결과는 <표 - 1>과 같다. 전체적으로

<표 - 1> 화행의 규칙수행 점수 및 비율 (%)*

화행 수행 미수행 합계
대상 요구 112 (56.0 ) 88 (4 4 .0) 200 (100)
행위 요구 97 (4 8.5) 10 3 (5 1.5) 200 (100)
주 장 10 9 (68.1) 51 (3 1.9) 160 (100)
부 정 90 (56.3) 70 (4 3.7) 160 (100)
정보 요구 12 1 (60 .5) 79 (3 9.5) 200 (100)
정보 진술 79 (4 9.4 ) 81 (50 .6) 160 (100)
부 름 87 (54 .5) 73 (4 5.6) 160 (100)
규칙 순서 94 (39.2) 14 6 (60 .8) 240 (100)
계 789 (53.3) 69 1 (4 6.7) 1,4 80 (100)
* 수행점수는 화행별 문항의 수에 따라 달라지므로 수행 비율을 중심으로 해석하여야 함.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보면 정신지체 학생은 화행을 수행할 때, 발화의 절반정도(53 .3%)만이 대화 상황에 적절한 화행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8가지 화행별 규칙수행 정도를 보면 가장 높은 수행 비율을 보인 화행은 주장 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주장 , 정보요구 , 부정 , 대상요구 , 부름 순으로 나타났다. 화행규칙 중에서 가장 낮
은 수행 비율에 관한 것은 규칙순서 로 3 9 .2%의 수행 비율을 보였다. 이를 화행별 하위 규칙 항목에
따른 수행정도는 다음과 같다.

가 . 대상 요구 에 대 한 규칙 수행 빈도

정신지체 학생의 화행 분류 첫 번째인 대상요구 에 대한 규칙수행 정도를 알아본 결과는 <표


- 2 >와 같다. 이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수행 비율은 56 .0 %로 나타났으며, 미수행 비율
은 44 .0 %로 나타났다. 이를 하위 항목별로 비교해보면 항목 a를 92 .5 %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항목 d를 7 2 .5 %, 항목 e를 5 7 .5 %, b를 4 2 .5%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항목 c는 수행 비율이 15 .0 %로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표 - 2> 대상요구 에 대한 규칙수행 빈도(%)

문 항 수행 미수행 N
37
(9 2.5)
a. 화자는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를 한다. 17 3 ( 7.5) 40 (100)
b.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한다. (4 2.5) 23 (5 7.5) 40 (100)
c. 화자는 명령문이나 의문문으로 이야기한다. 6 (15.0) 34 (8 5.0) 40 (100)
d. 화자는 정중하게 대상을 요구한다. 29 11 (27.5) 40 (100)
e. 화자는 청자가 듣기 알맞은 소리로 대상을 요구한다. (7 2.5) 17 (4 2.5) 40 (100)
23
(5 7.5)
112
전체 평균 88 (4 4 .0) 200 (100)
(5 6.0)

나 . 행위 요구 에 대 한 규칙 수행 빈도

정신지체 학생의 행위요구 에 대한 규칙수행 정도를 알아본 결과는 <표 - 3 >과 같다. 전체적
인 수행 비율은 4 8 .5%로 나타났으며, 미수행 비율은 5 1.5 %로 나타났다. 이를 하위 항목별로 비교
해보면 항목 a는 6 2 .5 %, b는 4 5 .0 %, d는 5 7 .5 %, e는 4 2 .5% 등 평균 수행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
다. 그러나 항목 c는 3 5 .0 %의 수행을 보였다.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정신지체학생의 화행규칙수행에 관한 연구

<표 - 3> 행위요구 에 대한 규칙수행 빈도 및 비율 (%)

문 항 수행 미수행 N
25
(6 2.5)
18
a. 화자는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한다. 15 (3 7.5) 40 (100)
(4 5.0)
b.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한다. 22 (5 5.0) 40 (100)
14
c. 화자는 명령문 또는 의문문으로 이야기한다. 26 (6 5.0) 40 (100)
(3 5.0)
d. 화자는 정중하게 행위를 요구한다. 17 (4 2.5) 40 (100)
23
e. 화자는 청자가 듣기 알맞은 소리로 행위를 요구한다. 23 (5 7.5) 40 (100)
(5 7.5)
17
(4 2.5)
97 10 3
전체 평균 200 (100)
(4 8.5) (5 1.5)

다 . 주장 에 대 한 규칙 수행 빈도

정신지체 학생의 주장 에 대한 규칙 수행 정도를 알아본 결과는 <표 - 4 >와 같다. 전체적인


수행 비율은 6 8 .1%로 나타났으며, 미수행 비율은 3 1.9%로 수행 비율이 미수행 비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를 하위 항목별로 비교해보면 항목 b를 95 .0 %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항목 a를 77 .5%, 항목 d를 5 7 .5 %, c를 4 2 .5%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 4> 주장 에 대한 규칙 수행 빈도 (%)

문 항 수행 미수행 N

a . 화자는 의젓한 태도로 자신의 믿음을 주장한다. 3 1 (7 7.5) 9 (2 2.5) 40 (100)


b . 화자는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한다. 38 (9 5.0) 2 ( 5.0) 40 (100)
c .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한다. 17 (4 2.5) 23 (5 7.5) 40 (100)
d . 화자의 발화는 청자에게 신뢰를 줄 수 있는 목소리로 말한다. 23 (5 7.5) 17 (4 2.5) 40 (100)
10 9
전체 평균 5 1 (3 1.9) 160 (100)
(6 8.1)

라 . 부정 에 대 한 규칙 수행 빈도

정신지체 학생의 부정 에 대한 규칙수행 정도를 알아본 결과는 <표 - 5>와 같다. 전체적인
수행 비율은 56 .3 %로 나타났으며, 미수행 비율은 4 3 .7%로 나타났다. 이를 하위 항목별로 비교해
보면 항목 c를 6 5 .0 %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항목 a와 b를 60 .0 % 수행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항목 d는 40 .0 %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행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

<표 - 5> 부정 에 대한 규칙수행 빈도 (%)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문 항 수행 미수행 N

a.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고 부정(거절)한다. 24 (60 .0) 16 (4 0 .0) 40 (100)


b. 화자의 발화는 단호하고 청자의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24 (60 .0) 16 (4 0 .0) 40 (100)
c. 화자의 발화는 청자가 듣기 알맞은 소리로 말한다. 26 (6 5.0) 14 (3 5.0) 40 (100)
d. 화자는 부정을 나타내는 몸짓이나 표정을 나타낸다. 16 (4 0 .0) 24 (60 .0) 40 (100)

전체 평균 90 (5 6.3) 70 (4 3.7) 160 (100)

마 . 정보 요구 에 대 한 규칙 수행 빈도

정보요구 에 대한 규칙수행 정도를 알아본 결과는 <표 - 6>과 같다. 전체적인 수행 비율은
60 .5 %로 나타났다. 이를 하위 항목별로 비교해보면 대체적으로 모든 항목이 비슷한 비율을 나타냈
고, 항목 e는 70 .0 %로 가장 높은 수행 비율을 보였으며, 가장 낮은 수행 비율로는 항목 b가 5 2 .5 %
로 나타났다.

<표 - 6> 정보 요구 에 대한 규칙수행 빈도 (%)

문 항 수행 미수행 N
a . 화자는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한다. 23 (5 7.5) 17 (4 2.5) 40 (100)
b .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고 정보를 요구한다. 2 1 (5 2.5) 19 (4 7.5) 40 (100)
c . 화자의 태도는 진지하고 필요한 정보를 구하고자 노력
25 (6 2.5) 15 (3 7.5) 40 (100)
하는 표정을 짓고있다.
d . 화자의 발화는 청자가 듣기 알맞은 소리로 말한다. 24 (60 .0) 16 (4 0 .0) 40 (100)
e . 화자는 의문문으로 정보를 요구한다. 28 (70 .0) 12 (30 .0) 40 (100)
12 1
전체 평균 79 (3 9.5) 20 0 (100)
(60 .5)

바 . 정보 진술 에 대 한 규칙 수행 빈도

정신지체 학생의 정보진술 에 대한 규칙수행 정도를 알아본 결과는 <표 - 7 >과 같다. 전체적
인 수행 비율은 4 9 .4 %로 나타났으며, 미수행 비율은 50 .6 %로 나타났다. 이를 하위 항목별로 비교
해보면 항목 a와 c가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그밖에 항목 b는 4 0 .0 %로 나타났으며, 특히 d는
10 .0 %로 매우 낮은 수행 비율을 보였다.

<표 - 7> 정보진술 에 대한 규칙수행 빈도(%)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정신지체학생의 화행규칙수행에 관한 연구

문 항 수행 미수행 N

a. 화자는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한다. 34 (8 5.0) 6 (15.0) 40 (100)


b.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고 사실을 진술하고 있다. 16 (4 0 .0) 24 (60 .0) 40 (100)
c. 화자의 발화는 서술에 알맞은 목소리로 말한다. 25 (6 2.5) 15 (3 7.5) 40 (100)
d. 화자는 정보를 흥미 있고, 진지하게 이야기한다. 4 (10 .0) 36 (90 .0) 40 (100)

전체 평균 79 (4 9.4) 8 1 (50 .6) 160 (100)

사 . 부름 에 대 한 규칙 수행 빈도

정신지체 학생의 부름 에 대한 규칙수행 정도를 알아본 결과는 <표 - 8>과 같다. 전체적인
수행 비율은 54 .5 %로 나타났으며, 미수행 비율은 4 5 .6%로 나타났다. 이를 하위 항목별로 비교해
보면 c와 d는 5 7 .5 %로 평균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a는 50 .0 %, b는 52 .5 %로 평균보다 조금
낮게 나타났다.

<표 - 8> 부름 에 대한 규칙수행 빈도 (%)

문 항 수행 미수행 N

a. 화자는 청자를 향하여 부르거나 주의를 환기시킨다. 20 (50 .0) 20 (50 .0) 40 (100)
b. 화자는 청자를 향하여 손짓이나 몸짓으로 부른다. 21 (5 2.5) 19 (4 7.5) 40 (100)
c.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여 소환한다. 23 (5 7.5) 17 (4 2.5) 40 (100)
d. 화자의 목소리는 청자를 환기시키거나 소환하기에 적절하다. 23 (5 7.5) 17 (4 2.5) 40 (100)

전체 평균 87 (54 .5) 73 (4 5.6) 160 (100)

아 . 규칙 순서 에 대 한 규칙 수행 빈도

정신지체 학생의 규칙순서 에 대한 규칙수행 정도를 알아본 결과는 <표 - 9 >와 같다. 전체적
인 수행 비율은 3 1.2%로 나타났으며, 미수행 비율은 60 .8 %로 나타났다. 이를 하위 항목별로 비교
해보면 항목 a는 87 .5%로 높게 나타났는데 반대로 항목 c는 2 7 .5 %, d는 2 2 .5%, e는 2 .5%로 평균
보다 낮은 수행을 보였다.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표 - 9> 규칙순서 에 대한 규칙수행 빈도 (%)

문 항 수행 미수행 N

a . 화자는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를 차분히 한다. 35 (87 .5) 5 (12.5) 40 (100)
b .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한다. 15 (37 .5) 25 (6 2.5) 40 (100)
c . 화자의 발화는 시제에 맞게 이야기한다. 11 (27 .5) 29 (7 2.5) 40 (100)
d . 화자는 사실을 시간순서에 알맞게 열거한다. 9 (22.5) 31 (77 .5) 40 (100)
e . 화자는 논리적으로 조리 있게 말을 한다. 1 ( 2.5) 39 (97 .5) 40 (100)
f. 화자의 목소리는 듣기 알맞은 소리로 이야기한다. 23 (57 .5) 17 (4 2.5) 40 (100)
14 6 240
전체 평균 94 (3 1.2)
(60 .8) (100)

2 . 정 신지 체 정 도별 화 행 규칙 수 행

본 연구에서는 SQ 55 .0 0을 기준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5 5 .00이상은 상위집단(교육가능급)


으로, 2 5 .00 - 54 .99의 아동은 하위집단(훈련가능급)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김승국・
김옥기,
19 95).

<표 - 10> SQ 집단별 화행 규칙수행 점수

화행 구분 N M SD t
상 17 3.59 1.3 7
대상 요구 3.18 *
하 23 2.26 1.25
상 17 3.4 1 2.12
행위 요구
*
2.74
하 23 1.69 1.8 2
상 17 3.00 1.0 6
주 장 1.4 3
하 23 2.54 1.0 3
상 17 2.87 1.3 3
부 정 2.4 5 *
하 23 1.8 2 1.23
상 17 4 .11 1.6 5
정보 요구
*
3.17
하 23 2.2 1 2.0 2
상 17 2.4 7 1.0 1
정보 진술 2.64 *
하 23 1.6 1 1.0 3
상 17 2.76 1.3 5
부 름 2.27 *
하 23 1.74 1.4 5
상 17 3.11 1.54
규칙 순서
*
2.9 2
하 23 1.78 1.3 5
상 17 25.53 8.5 1
계 2.65 *
하 23 18.17 8.7 7
*p < .05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정신지체학생의 화행규칙수행에 관한 연구

SQ 집단별 학생의 규칙수행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화행별로 비교 분석한 결과는 <
표 - 10 >과 같다. 전체적인 규칙수행에서 상위집단 정신지체 학생은 2 5 .5 3 , 하위집단 정신지체 학
생은 18 .17로 나타나, 두 집단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 .65 ,
p <.0 5). 따라서 SQ가 낮은 하위집단보다 상위집단의 학생이 규칙을 더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각 하위 화행별로 비교해보면 주장 을 제외한 모든 화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p <.0 5). 따라서 대체적으로 경도의 정신지체 학생들이 심한 학생보다 화행규칙을 더 잘 수행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화행규칙을 잘 수행하는 것은 대화상황에 적절한 발화를 수행하는 것을 의
미한다.

가 . S Q 집 단별 대상 요구 에 대 한 규 칙수 행

SQ 집단별 학생의 대상요구 에 대한 각 하위항목 문항수행 결과는 <표 - 11 >과 같다. 전체


적으로 볼 때, 상위집단 정신지체 학생이 하위집단 정신지체 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항목 b , c , e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0 5).

<표 - 11> SQ 집단별 대상요구 에 대한 규칙수행

문 항 구분 N M SD t
상 17 1.00 0 .00
a . 화자는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한다. 1.55
하 23 0 .87 0 .34
b .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 상 17 0 .65 0 .4 9
2.58 *
한다. 하 23 0 .26 0 .4 5
c . 화자는 명령문이나 의문문으로 상 17 0 .29 0 .4 7
2.28 *
이야기한다. 하 23 0 .0 1 0 .2 1
상 17 0 .8 2 0 .39
d . 화자는 정중하게 대상을 요구한다. 1.19
하 23 0 .65 0 .4 9
e . 화자는 청자가 듣기 알맞은 소리로 상 17 0 .76 0 .44 *
2.15
대상을 요구한다. 하 23 0 .4 3 0 .5 1
*p < .05

나 . S Q 집 단별 행위 요구 에 대 한 규 칙수 행

SQ 집단별 학생의 행위요구 에 대한 각 하위항목 문항 수행 결과는 <표 - 12 >와 같다. 전


체적으로 볼 때,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항목별
문항 수행에서 항목 b , c , e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 <.0 5).

<표 - 12> SQ 집단별 행위요구 에 대한 규칙수행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문 항 구분 N M SD t
상 17 0 .76 0 .44
a . 화자는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한다. 1.58
하 23 0 .5 2 0 .5 1
b .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고 상 17 0 .7 1 0 .4 7 *
3.04
이야기한다. 하 23 0 .26 0 .4 5
c . 화자는 명령문이나 의문문으로 상 17 0 .59 0 .5 1 *
2.93
이야기한다. 하 23 0 .17 0 .39
상 17 0 .7 1 0 .4 7
d . 화자는 정중하게 행위를 요구한다. 1.44
하 23 0 .4 8 0 .5 1
e . 화자는 청자가 듣기 알맞은 소리로 상 17 0 .65 0 .4 9
2.58 *
행위를 요구한다. 하 23 0 .26 0 .4 5
*p < .05

다 . S Q 집 단별 주장 에 대 한 규 칙수 행

SQ 집단별 학생의 주장 에 대한 각 하위항목 문항 수행 결과는 <표 - 13>과 같다. 이 표에


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볼 때,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항목별 문항 수행에서 c문항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p <.0 5).

<표 - 13> SQ 집단별 주장 에 대한 규칙수행

문 항 구분 N M SD t
a . 화자는 의젓한 태도로 자신의 믿음을 상 17 0 .7 1 0 .4 7
.8 7
주장한다. 하 23 0 .83 0 .39
상 17 1.00 0 .00
b . 화자는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한다. 1.24
하 23 0 .9 1 0 .29
c .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 상 17 0 .65 0 .4 9 *
2.5 8
한다. 하 23 0 .26 0 .4 5
d . 화자의 발화는 청자에게 신뢰를 줄 수 상 17 0 .65 0 .4 9
.7 8
있는 목소리로 말한다. 하 23 0 .5 2 0 .5 1
*p < .05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정신지체학생의 화행규칙수행에 관한 연구

라 . S Q 집 단별 부정 에 대 한 규 칙수 행

SQ 집단별 학생의 부정 에 대한 각 하위항목 문항 수행 결과는 <표 - 14 >와 같다. 이 표에


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볼 때,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항목별 문항 수행에서 항목 b와 c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p <.0 5).

<표 - 14> SQ 집단별 부정 에 대한 규칙수행

문 항 구분 N M SD t
a .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고 부정 상 17 0 .6 5 0 .4 9
.5 1
(거절)한다. 하 23 0 .5 7 0 .5 1
b . 화자의 발화는 단호하고 청자의 태도를 상 17 0 .8 2 0 .39
2.63 *
변화시킬 수 있다. 하 23 0 .4 3 0 .5 1
c . 화자의 발화는 청자가 듣기 알맞은 상 17 0 .8 2 0 .39
2.0 3 *
소리로 말한다. 하 23 0 .5 7 0 .5 1
d . 화자는 부정을 나타내는 몸짓이나 상 17 0 .5 3 0 .5 1
1.44
표정을 나타낸다. 하 23 0 .30 0 .4 7
*p < .05

마 . S Q 집 단별 정보 요구 에 대 한 규 칙수 행

SQ 집단별 학생의 정보요구 에 대한 각 하위항목 문항 수행 결과는 <표 - 15>와 같

<표 - 15> SQ 집단별 정보요구 에 대한 규칙수행

문 항 구분 N M SD t
상 17 0 .7 6 0 .44
a . 화자는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한다.
*
2.15
하 23 0 .4 3 0 .5 1
b .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고 정보를 상 17 0 .8 2 0 .39
3.69 *
요구한다. 하 23 0 .30 0 .4 7
c . 화자의 태도는 진지하고 필요한 정보를 상 17 0 .8 8 0 .33
3.17 *
구하고자 노력하는 표정을 갖고있다. 하 23 0 .4 3 0 .5 1
d . 화자의 발화는 청자가 듣기 알맞은 상 17 0 .7 6 0 .44
1.86
소리로 말한다. 하 23 0 .4 8 0 .5 1
상 17 0 .8 8 0 .33
e . 화자는 의문문으로 정보를 요구한다.
*
2.24
하 23 0 .5 7 0 .5 1
*p < .05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다. 이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볼 때,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
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항목별 문항 수행에서는 a , b , c , e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고 있다(p <.0 5).

바 . S Q 집 단별 정보 진술 에 대 한 규 칙수 행

SQ 집단별 학생의 정보진술 에 대한 각 하위항목 문항 수행 결과는 <표 - 16>과 같다. 이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볼 때,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음
을 알 수 있고, 항목별 문항 수행에서 항목 b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p <.0 5).

<표 - 16> SQ 집단별 정보진술 에 대한 규칙수행

문 항 구분 N M SD t
상 17 0 .94 0 .24
a . 화자는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한다. 1.39
하 23 0 .7 8 0 .4 2
b .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고 사실을 상 17 0 .7 1 0 .4 7
3.9 2 *
진술하고 있다. 하 23 0 .17 0 .39
c . 화자의 발화는 서술에 알맞은 목소리로 상 17 0 .7 1 0 .4 7
.89
말한다. 하 23 0 .5 7 0 .5 1
d . 화자는 정보를 흥미 있고, 진지하게 상 17 0 .12 0 .33
.3 1
이야기한다. 하 23 0 .0 1 0 .29
*p < .05

사 . S Q 집 단별 부름 에 대 한 규 칙수 행

SQ 집단별 학생의 부름 에 대한 각 하위항목 문항 수행 결과는 <표 - 17>과 같다. 이 표에


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볼 때,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고, 항목별 문항 수행에서 항목 a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p <.0 5).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정신지체학생의 화행규칙수행에 관한 연구

<표 - 17> SQ 집단별 부름 에 대한 규칙수행

문 항 구분 N M SD t
a . 화자는 청자를 향하여 부르거나 주의를 상 17 0 .7 1 0 .4 7
2.33 *
환기시킨다. 하 23 0 .3 5 0 .4 9
b . 화자는 청자를 향하여 손짓이나 상 17 0 .7 1 0 .4 7
2.0 2
몸짓으로 부른다. 하 23 0 .3 9 0 .50
c .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여 상 17 0 .6 5 0 .4 9
.78
소환한다. 하 23 0 .5 2 0 .5 1
d . 화자의 목소리는 청자를 환기시키거나 상 17 0 .7 1 0 .4 7
1.44
소환하기에 적절하다. 하 23 0 .4 8 0 .5 1
*p < .05

아 . S Q 집 단별 규칙 순서 에 대 한 규 칙수 행

SQ 집단별 학생의 규칙순서 에 대한 각 하위항목 문항 수행 결과는 <표 - 18>과 같다. 이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볼 때,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음
을 알 수 있고. 항목별 문항 수행에서 항목 c , d , e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p <.0 5).

<표 - 18> SQ 집단별 규칙순서 에 대한 규칙 수행

문 항 구분 N M SD t
상 17 0 .94 0 .24
a . 화자는 청자를 향하고 이야기를 한다. 1.0 8
하 23 0 .8 3 0 .39
b . 화자의 시선은 청자를 향하고 상 17 0 .5 3 0 .5 1
1.76
이야기한다. 하 23 0 .26 0 .4 5
상 17 0 .4 7 0 .5 1
c . 화자의 발화는 시제에 맞게 이야기한다.
*
2.5 1
하 23 0 .13 0 .34
d . 화자는 사실을 시간순서에 알맞게 상 17 0 .4 1 0 .5 1
2.57 *
열거한다. 하 23 0 .0 1 0 .29
상 17 0 .0 1 0 .24
e . 화자는 논리적으로 조리 있게 말을한다.
*
1.17
하 23 0 .0 0 0 .00
f. 화자의 목소리는 듣기 알맞은 소리로 상 17 0 .7 1 0 .4 7
1.44
이야기한다. 하 23 0 .4 8 0 .5 1
*p < .05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3 . 평 균발 화 길 이 별 화 행 규 칙 수행

평균발화길이에 따라 화행의 규칙수행이 달라지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학생들의 형태소를 분


석하여 각 학생별로 산출하였다. 대상 학생의 평균발화길이는 1.3 8에서 9 .58까지 다양하게 나타났
다. 평균발화길이는 5 .00을 기준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5 .0 1 이상의 평균발화길이는 상위집단으
로, 5 .0 0 미만은 하위집단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평균발화길이 집단별 학생의 규칙수행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화행별로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두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결과는 <표 - 19 >와 같다. 이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규칙수행에서는 상위집단 정신지체 학생은 26 .25 , 하위집단 정신지체 학생은 16 .3 5로 나타났다.
두 집단간의 차이 검증을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3 .94 ,
p <.0 5). 이를 화행별로 나누어 규칙수행정도를 알아본 결과 8가지 모든 화행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평균발화길이가 긴 학생이 규칙을 더 잘 수행하는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언어의 문법적 측면과 화용적 측면이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
다.

<표 - 19> 평균발화길이별 화행규칙수행

화행 구 분 N M SD t
상 20 3 .40 1.50
대상 요구 2.70 *
하 20 2.25 1.16
상 20 3 .65 1.67
행위 요구 4 .4 8 *
하 20 1.20 1.79
상 20 3 .10 1.04
주 장 2.36 *
하 20 2.35 0 .97
상 20 2.85 1.14
부 정 3.10 *
하 20 1.65 1.3 1
상 20 3 .85 1.66
정보 요구
*
2.70
하 20 2.20 2.17
상 20 2.50 0 .83
정보 진술 3.4 1*
하 20 1.4 5 1.10
상 20 2.85 1.04
부 름
*
3.20
하 20 1.50 1.57
상 20 3 .15 1.4 2
규칙 순서 3.74 *
하 20 1.55 1.28
상 20 26 .25 6 .9 2

*
3.94
하 20 16 .35 8 .85
*p < .05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정신지체학생의 화행규칙수행에 관한 연구

4 . 화 행규 칙 수 행 과 S Q 및 평 균 발 화 길 이의 상 관 관계

화행의 규칙수행과 SQ 및 평균발화길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는 <표 - 20 >과 같다. 전


체적으로 볼 때 화행의 규칙수행과 SQ, 화행의 규칙수행과 평균발화길이 둘 다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평균발화길이는 .6 7(p <.0 1)로 비교적 높은 상관을 나타낸 반면, SQ
는 .32 (p <.0 5)로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화행규칙수행은 정신지체 학생의 정
신지체 정도보다 평균발화길이(MLU)가 더 높은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화행 하위 항목별
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화행규칙수행과 정신지체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화행은 대상요구 , 정보요구 ,
정보진술 , 규칙순서 이다. 대상요구 는 .4 4 (p <.0 1)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보요구
는 .38 (p <.0 5)이었고, 정보진술 은 .37 (p <.0 5), 규칙순서 는 .3 8 (p <.0 5)로 나타났다. 그러나 행위
요구 , 주장 , 부정 , 부름 등의 규칙수행은 정신지체 정도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비추어볼 때, 대상요구 , 정보요구 , 정보진술 , 규칙순서 등의 화행은 비교적
적극적인 대화의지를 요하는 화행이고, 행위요구 , 주장 , 부정 , 부름 등의 화행은 상대적으로 단
순한 대화의지만으로도 가능한 화행임을 알 수 있다.
화행의 규칙수행과 평균발화길이는 모든 화행에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
장 높은 상관을 보인 화행인 규칙순서 는 .7 2(p <.0 1)이며, 그 다음으로 정보진술 .66 (p <.0 1), 행
위요구 .6 5 (p <.0 1), 부름 .60 (p <.0 1), 정보요구 .5 8 (p <.0 1), 부정 .50 (p <.0 1), 주장
.4 7(p <.0 1), 대상요구 .4 5(p <.0 1)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규칙순서 나 정보진술 등은 다른 화행과 비교해서 더 복잡하
고 논리적인 화행이 요구됨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화행들은 평균발화길이와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표 - 20> 화행규칙수행과 SQ 및 평균발화길이의 상관관계

대상 행위 정보 정보 규칙
전 체 주장 부정 부름
요구 요구 요구 진술 순서

SQ .3 2* .44 ** .26 .23 .3 1 .3 8 * .37 * .28 .38 *


MLU .67 ** .4 5 ** .6 5 ** .4 7 ** .50 ** .5 8 ** .66 ** .60 ** .7 2 **

*p < .05, **p < .01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정신지체 학생이 화행규칙을 어느 정도 수행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결과는 정신지체 학생의 의사소통에 방해가 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게 해줄 것이다. 이에
Luc as ( 19 80 )의 화행규칙 수행목록을 중심으로 화행별 규칙을 어느 정도 수행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정신지체 학생 4 0명을 대상으로 화행별 규칙수행정도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정신지체
정도와 평균발화길이에 따라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아울러 화행의 규칙수
행능력과 사회지수, 평균발화길이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 학생은 화행을 수행할 때, 절반정도(5 3 .3 %)만이 대화 상황에 적절한 화행을
수행하고 있으며, 절반정도(4 6 .7 %)는 상황에 적절하지 못한 화행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화행별로 보면 화행의 규칙수행에 있어서 주장 , 정보요구 는 60 %이상 규칙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 , 부름 은 50 %이상 수행하고 있으며, 대상요구 , 행위요구 , 정보진술 은
4 0 %이상 수행하고 있으며, 규칙순서 는 3 1.2 %로 가장 낮은 비율로 규칙을 수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정신지체 학생은 어떠한 사건이나 사실에 대하여 자기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거나 정
보를 요구할 때, 비교적 대화상황에 적절하게 화행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규칙순서 등
을 제시할 때, 대화상황에 부적절한 화행을 많이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대방에
게 어떤 것을 요구할 때, 의문문이나 명령문이 아닌 평서문으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정
신지체 학생들의 열악한 문법적 능력(전병운, 19 87 ; Abb e duto & Ros enb er g , 19 87)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정신지체의 정도에 따라 규칙수행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8가지 화행
중에서 주장 을 제외한 모든 화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화행별 하위규칙수행
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대상요구 에서는 시선 접촉과 발화소리 크기의 적절성
에서, 행위요구 에서는 대화시 시선접촉, 명령문 사용, 소리의 크기 등에서, 주장 은 시선접촉에서,
부정 은 발화의 단호함, 소리 크기의 적절성에서, 정보요구 는 방향, 시선접촉, 진지함, 의문문 사
용에서, 정보의 진술 은 시선접촉에서, 부름 은 방향, 소리 크기의 적절성에서, 규칙순서 는 시제사
용, 시간순서, 논리성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지체의 정도가 심한
학생이 가벼운 학생보다 상대방과 시선을 마주치며 의사소통 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좀 더 상황
에 적합한 의사소통 즉, 사실에 대한 시제, 시간 순서, 그리고 조리 있게 말하기를 요구하는 경우에
상황에 적합하지 않게 말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SQ가 높은 학생이 낮
은 학생보다 화행의 규칙을 더 잘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균발화길이에 따라 규칙수행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정신지체 학생들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 두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결과, 8가지 모든 화행에서 유의미한 차이
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화행별 하위 규칙 수행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대상요구
에서는 명령문 사용과 발화소리 크기의 적절성에서, 행위요구 에서는 대화시 시선접촉, 명령문 사
용, 소리 크기의 적절성에서, 부정 은 발화의 단호함과 소리 크기의 적절성에서, 정보요구 는 방향,
시선접촉, 진지함, 의문문 사용에서, 정보진술 은 방향과 시선접촉에서, 부름 은 방향, 몸짓・
손짓,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정신지체학생의 화행규칙수행에 관한 연구

소리의 적절성에서, 규칙순서 는 방향, 시제사용, 시간순서, 발화소리 크기의 적절성에서 집단간 유
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평균발화길이와 화용능력은 상당히 관련이 높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화행의 규칙수행과 SQ와 평균발화길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화행의 규칙수행과 SQ, 화행의 규칙수행과 평균발화길이, 둘 다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그러나 평균발화길이는 .6 7로 비교적 높은 상관을 나타낸 반면, SQ는 .32로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화행별로 알아보면 화행규칙수행과 정신지체 정도에서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이는 화행은 대상요구 , 정보요구 , 정보진술 , 규칙순서 이고, 화행의 규칙수행과 평균발
화길이는 모든 화행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화행규칙수행은 정
신지체 학생의 정신지체 정도보다 평균발화길이가 더 높은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화용적인
능력을 기본적인 언어능력을 필요로 하며, 원만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문법적 능력과 화용적 능력
을 겸비하여야 한다는(Cor der , 19 73) 것을 확인해주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비추어보면, 정신지체 학생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8가지 화행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대체적으로 절반정도의 규칙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방과 원활한 의사소
통을 하게 하려면 하위 구성규칙 준수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정신지체
학생은 소극적인 의사소통 형태를 엿볼 수 있었으며, 좀 더 진지하고 논리적으로 조리 있게 대화하
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내용들은 결국, 정신지체 학생들의 의사소통은 학
생의 인지능력 및 언어능력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P iag e t , 1954 ; 전병운, 19 87)를 확인시켜 주었
다.
정신지체 학생의 정신지체 정도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면, 대부분의 영역에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는데,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화용능력과 사회적 능력간에 관련이 높다는 연구
(McT e ar & Con ti- Rams den , 199 2 ; 전병운, 19 9 5 , 199 6 ; 배전자, 19 9 9)와 일치하였다. McT e ar
& Conti- Rams den (19 92)는 화용능력과 관련이 있는 구성요인으로 인지적 결함, 사회인지적 장애,
정의적・
정서적 요인을 들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모든 요인을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해주
고 있다. 화행규칙의 하위 항목별 내용을 보면 대부분의 화행에서 정신지체 학생은 정신지체 정도
가 심할수록 상대방과 시선을 맞추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대화에 적절한 발화의 크기에도 어려
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도 정신지체 학생의 소극적 의사소통형태(Be dr os ian &
Pr uttin g , 197 8)를 반영하는 것임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밝혀진 의사소통 관련요인들은 정신지체 학생들의 의사소통 지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으며, 학생의 의사소통은 인지적 능력만이 아니라 화용적 능력 즉,
말하는 사람에게 있어서는 자신의 의도와 상황에 맞게 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듣는 사
람에게 있어서는 말하는 사람의 의도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도 필요하다는(Ch oms k y , 19 80)
것을 확인해 주고 있다. 또한, 학생마다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학생 개개인의 화행규칙수행 정도를
알아보아 그 결과에 따라 지도목표를 정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원만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음
성적 요인뿐만 아니라 비음성적 영역과 준언어적(p ar alinguis tic)요인의 지도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참 고 문 헌

김승국・
김옥기(1995). 『
사회성숙도검사』.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김영태(1997). 한국 2- 4세 아동의 발화길이에 관한 기초연구. 『
말- 언어장애연구』, 2, 5- 26.
배전자(2000). 『
정신지체 아동의 화행 습득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병운(1987). 『
정신지체아동의 언어발달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병운(1995). 정신지체아동의 화용능력과 연령변인과의 관계. 『
특수교육논총』, 12, 185- 210.
전병운(1996). 정신지체아동의 화용능력 발달 연구. 『
특수교육논총』, 13( 1), 117- 147.
정동빈(1992). 『
심리언어학: 언어의 심리적 기저』.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정동빈(1994). 『
언어발달지도』. 서울: 한국문화사.
Abbeduto, L. & Rosenberg , L.(1987). Linguistic communication and mental r etar dation. In L. Rosen -
ber g(Ed.), A dv ance s in Applied Psy cholinguistic s(pp . 76- 125). Cambridge : Cambridge
Univer sity Pr e s s.
Austin , J. L.(1962). How to Do T hings with Words . New York : Ox for d Univer sity Pre ss .
Bate s , E.(1976). Language and Contex t : T he A cquisition of Pragmatic s. New York : Academic Pr e s s.
Bedrosian , J. L. & Pr utting C. A.(1978). Communicative performance of mentally re tar de d adults in
four conver sational se ttings. Journal of Sp ee ch and He aring Re search, 21, 79- 95.
Chomsky , N.(1965). A sp ects of the T heory of Sy ntax . The Hague : Mouton.
Chomsky , N.(1972). Studie s on Semantics in Generativ e Grammar. The Hague : Mouton.
Chomsky , N.(1980). Rule s and Repre sentations . New York : Columbia Univer sity Pre ss .
Cor der , S. P .(1973). Introducing Applie d Linguistics . Middle sex : P enguin.
Hyme s , D.(1972). Models of the inter action of language and social life . In J. J. Gumper z & D.
Hyme s (Eds.), Direction s in Sociolinguistic s. New York : Holt , Rinehart & Win ston.
Lucas , E. V.(1980). Semantic and Pragmatic Language Disorders . London : An Aspen Publication .
McTe ar , M. & Conti- Ramsden , G.(199 2). Pragmatic Disability in Children. London : Whurr Pub -
lisher s.
Piage t, J.(1954) T he Construction of Reality in the Child. New York : Basic Books .
Prutting , C.(1982). Observ ational Protocol for Pragmatic Behaviors(Clinic manual). Develope d for the
Univer sity of California Spe ech and Hearing Clinic , Santa Barbar a.
Searle , J. R.(1969). Spe ech A cts : An Essay in the Philosophy of Language . Cambridge : Cambridge
Univer sity Pr e s s.
Searle , J. R.(1975). Indire ct spe ech- act. In P . Cole & J. L. Mor gan(Eds .), Sy ntax and Semantic s(pp .
59- 82). New York : Academic Pr e ss .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정신지체학생의 화행규칙수행에 관한 연구

A B ST RA CT

A St u dy on th e P er f or m an ce Ru les of Speech A ct s in Childr en


w it h M ent al Ret ar dat ion

Je o n , B y u n g - U n * (Dept. of Special Education , Kongju National Univer sity)


Ch o , Y u - Jin (Hongsung YMCA)

T h e purp os e of th e pr es ent s tudy was to inv es tigate th e degr e es of obs erv an ce of th e


p er forman ce rules of s p e e ch acts on th e b as is of th e 8 s p e e ch - acts th at Se ar le s h owe d an d
to inv es tigate th e differ en ces in th e p er forman ce r ules of s p e e ch acts an d me an length of
utter an ce to fin d out th e pr oblem ar e as of communication in childr en with mental r etar dation .
F or ty childr en with mental r etar dation wer e tes te d in light of th e degr e es of th e p er forman ce
of s p e e ch acts comp os e d of 37 inv entor ies , s ocial matur ity s cales , an d MLU. T h ey wer e
divide d into two gr oups , th e high - lev el gr oup an d th e low - lev el gr oup . T h e r es ults of th e s tudy
could b e s ummar ize d as follows : ( 1) Among th e cons titutiv e r ules of s p e e ch acts , ins is ten ce
an d infor mation deman d s h owe d th e high es t r ates of obs erv an ce an d r ule or der , th e lowes t
r ate , (2) Among th e 8 s p e e ch acts s tudie d th e two gr oups s h owe d differ en ces in s ev en of th e
s p e e ch acts , ins is ten ce b eing an ex cepption , (3) A me aningful differ en ce is foun d in MLU
b etwe en th e two gr oups . T h e obs erv an ce of th e cons titutiv e r ules in cr e as e d in p ar allel with
th e in cr e as e in MLU, (4) Accor ding to th e total r es ults of corr elation among th e obs erv an ces
of cons titutiv e r ules of s p e e ch acts , Social Quotient(SQ) an d MLU ar e foun d to b e me aningfully
corr elate d. But MLU h as a high corr elation as .67(p <.0 1) an d SQ h as a r elativ ely low
corr elation as .32(p <.0 5). T h e high es t corr elation by th e degr e es of mental r etar dation is
s h own in a cons titutiv e r ule of obje ct deman d, an d th e high es t corr elation by av er age
s enten ce length is s h own in a cons titutiv e r ule of r ule or der .

*e - m a il: je on un @k on gju .a c .kr

교보문고 KYOBO Book Centre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