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9

05

정서 및
자폐성장애

232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정서 및
자폐성장애

10 자폐성장애 사례 숨을 참아 머리를 어지럽게 하는 행동을


합니다.

11 자폐성장애 사례 사물에 집착을 보입니다.

12 자폐성장애 사례 손가락을 깨뭅니다.

13 정서장애 사례 수업시간에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거나


돌아다니는 등 수업 방해 행동을 합니다.

PART 3. 장애 유형별 Q&A 233


자폐성장애
자폐성장애 학생들이 보이는 대표적인 문제행동으로는 공격, 지시나 과제
거부, 자기자극(자해), 상동행동(신체 및 음성), 감각관련 문제(맛보기, 냄새맡
기, 기계적인 소리내기 및 듣기), 불안, 짧은 주의집중, 분노 등이 있으며, 적
절한 중재가 제공되지 않는다면 문제행동은 그들의 인생전반에 걸쳐 지속되
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자폐성장애 학생의 대표적인 문제행동 특성은 다음과 같다.

234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자기자극 행동(자해행동, 상동행동)
자폐성장애 학생은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욕구를 기능적 언어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에, 그리고 불안, 공포감 등의 내부적 자극에 대한 대응 전략 습득의
어려움이나 외부적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 습득 및 적용의 어려움 때문에 자
기자극행동이나 심각한 자해행동 등의 문제행동을 보인다. 이들이 보이는 자
해행동으로는 자신을 물어뜯어 심하게 피를 흘린다거나, 거무스름한 멍이나
상처가 피부에 남도록 자신의 머리를 벽에 부딪치기, 가구의 날카로운 모서리
에 자해하기, 주먹으로 자신의 얼굴 때리기 등이 있다(김진호 외, 2013).
또한 자폐성장애 학생은 반복적이고 상동적인 형태의 제한된 운동기능상의
습관을 보이기도 하는데(이소현, 박은혜, 201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상동행동은 개인적 즐거움과 강한 감각 피드백 등을 주는 반복적인 움
직임 및 음성 행동을 포함한 자기자극 행동이라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2~5
세경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신현기 외, 2010).
이들이 보이는 상동행동으로는 앉아 있을 때 몸 흔들기, 주변을 빙빙 돌기,
손으로 날갯짓하기, 반복해서 3~4개의 어조로 콧소리 내기, 손가락 튀기기, 물
건 돌리기, 불빛 쳐다보기 등이 있다(김진호 외, 2013).

공격행동과 과잉행동
일부 자폐성장애 학생들은 자신이나 타인을 향해 공격하는 형태의 문제행
동을 보인다(김진호 외 역, 2013). 중증자폐성장애학생의 공격행동은 자해행
동과 마찬가지로 다른 사람에게 심각한 해를 끼칠 수도 있다. 한편 이들이 나
타내는 공경행동의 예로는 교사나 부모를 발로 차거나 할퀴거나 물어뜯는 형
태(김진호 외 역, 2013에서 재인용) 또는 기물 파손 등이 있으며(이소현, 박
은혜, 2011), 사회적 규범을 무시한 일탈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Ertesvag, &
Valand, 2007).

PART 3. 장애 유형별 Q&A 235


기타 문제행동
자폐성장애 학생은 일과의 사소한 변경에 대하여 쉽게 흥분하거나 일과나
의례적인 행동이 지켜지지 않을 때 매우 불안해하기도 한다(이소현, 박은혜,
2011). 불안은 아스퍼거 장애 학생에게도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Russell &
Sofrononff, 2005).
자폐성장애 학생이 보이는 불안과 우울은 일반학생보다 더 심하기 때문에
새로운 환경을 탐색하거나 자신의 관심 영역을 확장하는데 위축적인 경향을
보일 수 있으며, 결국 이로 인하여 주의집중문제와 과잉행동을 포함한 문제행
동을 더 많이 나타내게 된다(Ashbumer et al., 2010). 또한 불안은 공격행동으
로도 발현되는데(Elder et al., 2006), 공격행동은 결국 사회적 상호작용의 손상
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하며, 학교 내에서 따돌림의 문제를 조장할
수도 있다(김경민, 2012).

자폐성장애 학생 중 고기능 자폐 학생은 상대적으로 높은 인지 및 언어적


능력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인식의 결여 및 자신의 감정 통제가 적절
히 이루어지지 않아 주의산만과 충동성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실행기능
의 문제로 통찰력의 결여뿐만 아니라 탈억제성과 충동성을 보여 정서 및 인
지를 통제하는 데 있어서 문제를 보이기도 한다(정대영, 박은미, 2010에서 재
인용).

한편 자폐성장애 학생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과 함께 기타 관련


행동 특성(예: 낮은 인내력, 자신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한 과도한 집착, 불안
정한 감정)이나 성질부리기(tantrum)를 보이기도 한다(이소현, 박은혜, 2011).
그리고 이들은 일탈된 사회적 발달로 인하여 적절한 기술 습득에 실패하

236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며 이를 대체하기 위한 수단으로 비정상적인 행동들을 하게 되는데(이소현,
1999), 상황적인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적절한 행동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
로 학급이나 수업 참여에 있어서 문제행동을 보여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초래
하기도 한다(임은엽, 2003). 그리고 언어 및 의사소통에서의 결함으로 인하여
의사소통을 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더라도 그 의도를 사회적으로 적절한 방법
으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는데, 이는 수업 중 부적절한 행동의 원인이 되
기도 한다(박윤이 외, 2012에서 재인용).

PART 3. 장애 유형별 Q&A 237


10 숨을 참아 머리를 어지럽게
자폐성
장애 하는 행동을 합니다.
Q 중학교 남학생으로 자폐성장애가 있습니다. 학생의 몸 상태나 날씨, 복용 약 여부에 따라 다
르지만 한 시간에 서너 번씩 심하게 숨을 참습니다. 보통 숨을 5초에서 7초 정도 깊이 들이마
셔 참으며, 참고 나서는 10초 정도 휘청거리며 정신 없어합니다. 뇌 산소공급 부족으로 간질
이 생겼고, 비정상적으로 배에 힘을 주기 때문에 비뇨기과적 문제도 있습니다.

1. 변화시키고자 하는 학생의 문제행동을 측정 및 관찰이 가능한


용어로 정의한다.
교사는 대상학생의 숨 참기 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일주일 간 오전 시간(1교시)
을 활용하여 대상학생의 행동을 5분 단위로 관찰 한 후 관찰 일지를 작성하였다.

▼ 관찰일지를 이용한 대상학생의 문제행동 기록

시간
날짜 합계
9:00 9:05 9:10 9:15 9 :20 9:25 9:30 9:35 9:40

6.16.(월) √ √ √ 3

6.17.(화) √ √ √ √ 4

6.18.(수) √ √ √ 3

•표에서 보면 전체 40분 수업 시간 동안
최소 3번에서 최대 4번까지 숨 참기 문제
행동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수업 시작 후보다는 수업 중간이나
수업이 끝나기 전 5분 내에 문제행동이
집중적으로 나타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따라서 문제행동을 정의하면, ‘학생은 수
업 시간 40분 중 수업 중간과 종료 전 5
분 이내에 평균 3회 정도 숨을 참는 문제
행동을 나타낸다.’로 표현할 수 있다.

238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2. 문제행동이 발생하는 특정 상황에 대해 분석한다.
• 교사는 대상학생에게서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상황을 알아보기 위해 수업시간
과 쉬는 시간을 주의 깊게 관찰한다.
• 관찰 결과 대상학생은 수업 시작 전, 쉬는 시간 동안 혼자 빙글빙글 도는 행동
을 수차례 보인다. 그리고 수업이 시작되고 15분이 경과했을 때부터 숨 참기
행동을 5초~7초 가량 했으며, 문제행동 직후 눈을 감은 채 몸을 휘청거린다.
즉 대상학생은 전정감각 자극을 강하게 느끼기 위해 이러한 문제행동을 한 것
으로 파악된다.

3. 학생의 목표 도달 행동을 측정 및 관찰이 가능한 용어로 정의한다.


• 교사는 관찰일지를 통해 대상학생의 문제행동은 수업시간 동안 평균 3회 발
생한다는 사실을 알았고, 스스로에게 강한 전정감각 자극을 제공하기 위해 문
제행동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 따라서 교사는 대상학생에게 기대하는 긍정적 행동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
한다.

▼ 목표 도달 행동에 대한 정의

학생의 목표 도달 행동: 대상학생은 수업 시간 동안 숨 참기 행동 없이 수업에 참여한다.

행동 규준

1단계 대상학생은 수업 시간 20분 동안 숨 참기 행동 없이 수업에 참여한다.

2단계 대상학생은 수업 시간 30분 동안 숨 참기 행동 없이 수업에 참여한다.

3단계 대상학생은 수업 시간 40분 동안 숨 참기 행동 없이 수업에 참여한다.

• 표에서와 같이 교사는 대상학생의 목표 행동을 구체적으로 정의하였으며, 수


업 시간동안 대상학생의 행동을 촬영하여 분석한다.

PART 3. 장애 유형별 Q&A 239


4. 구체적인 강화제의 종류를 파악하고 대상학생과 상의하여 강화
제를 결정한다.
• 교사는 관찰을 통하여 대상학생이 다음과 같은 강화물에 관심을 보인다는 것
을 안다.
-교실 구석에 있는 흔들의자에 앉기
-감각운동실에 있는 회전그네 타기
-운동장에 있는 회전 놀이기구 타기
-학교 앞 건물의 회전문 통과하기
• 이 밖에도 교사는 ‘초등학생용 강화제 선택 메뉴’를 이용하여 대상학생이 원하
는 강화제를 확인한다.

5. 강화제 제공을 위한 조건 및 빈도에 대해 결정하고 지속적으로


강화를 제공한다.
• 관찰 및 대상학생과의 대화를 통해 강화제가 선정되었으면, 1단계 도달 행동
을 달성하기 위해 강화제를 활용한다. 그리고 대상학생에게 다음 사항에 대해
명확히 설명한다.

이 시간에 내가 숨 참기 행동 없이 수업에 잘 참여하면, 나는 을 하고 싶다.

원하는 곳에 동그라미 하세요.


◯ 교실에 있는 흔들 의자에 5분 동안 앉아 있기
◯ 감각운동실에 가서 5분 동안 회전그네 타기

• 대상학생은 매일 수업 시작 전 자신이 원하는 강화물을 선택하고, 교사는 목


표 행동에 도달할 때마다 강화물을 즉시 제공한다. 이를 2단계까지 지속한다.

240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6. 향후 간헐적 강화를 제공하며, 강화가 질리지 않도록 관리한다.
• 3단계 목표 행동을 달성하기 위해 교사는 간헐적 강화를 제공하기로 한다. 그
리고 이때에는 2~3개의 강화물이 교대로(혹은 동일한 강화물이라도 방법을
달리 제공. 예 회전그네 타는 도중 갑자기 멈추기) 사용된다.

7. 긍정적 행동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 교사는 간헐적 강화의 빈도를 줄이면서 대상학생의 목표 행동이 최종 목표점
에 도달했는지를 파악한다.
• 강화물 전과 후의 행동 변화를 알기 위해 동일한 관찰일지 시트를 이용하여
강화물 제공 여부를 표시하도록 했으며, 이를 통해 대상학생의 행동 변화 뿐
만 아니라 강화물의 효과에 대해서도 파악한다.

PART 3. 장애 유형별 Q&A 241


11
자폐성 사물에 집착을 보입니다.
장애

Q 수업과 관련 없는 사물에 집착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수업 중 갑자기 자리에서 일어나 사물


함이나 신발장이 있는 곳에 가거나 휴대폰, 이면지 등을 만지작거리는 등 수업을 방해할 만큼
강한 집착을 보입니다. 집착 대상보다 더 좋아하는 활동으로 대체하면 멈추기는 하지만 그리
오래 가지는 않습니다.

1. 학생의 행동을 관찰한다.


교사는 대상학생의 집착 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시간표를 활용하였다. 즉 집착
행동이 일어난 시간에 표시를 하되 40분 수업 시간 동안 여러 번 집착행동을 보
인 경우에는 ◎, 한번 집착행동을 보인 경우에는 ○로 표시하였다.

▼ 간표를 이용한 대상학생의 문제행동 기록

일과 월 화 수 목 금

등교 ○ ◎ ◎ ○ ◎

조례 ○ ○

1교시 체육 국어◎ 국어◎ 과학○ 수학◎

2교시 도덕◎ 과학○ 사회◎ 체육 국어◎

3교시 사회◎ 음악 체육 국어◎ 창체-동아리○

4교시 수학◎ 영어◎ 영어◎ 창체-보건○ 영어◎

점심 시간 ◎ ◎ ◎ ◎

5교시 실과 미술 수학◎ 음악 사회◎

6교시 국어◎ 미술 실과 수학◎ 과학○

종례 ◎ ○

방과후 ○ ○ ◎ ◎ ○

귀가

• 표에서 보면, 사물에 대한 집착 행동이 나타나는 시간과 나타나지 않은 시간


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주로 문제행동은 국어, 사회, 수학, 도덕, 영어 교과 시간에 일어나고 있다.

242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 하지만 체육, 실과, 음악, 미술 시간에는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과학 시간과 창의적 체험활
동 시간도 한번 정도밖에 나타나지 않는다.
• 교사는 문제행동이 발생하는 수업 시간을 더 면밀히 관찰하기 위해 동영상 촬영을 하였고
촬영 내용을 ABC로 분석하였는데, 즉 국어, 사회, 수학, 도덕, 영어, 과학,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활동이 주어졌을 때(A), 다른 사물에 집착하는 행동을 보였고(B) 교사가 제재를 하
기 전까지 집착 행동을 유지했다(C). 반면 체육, 실과, 음악, 미술 시간에는 활동이 주어졌을
때(A) 교과 활동을 수행하였고(B) 과제를 완료하였다(C). 단 점심 시간이나 쉬는 시간, 혹
은 등교를 한 직후에도 집착하는 행동을 보였고(B) 교사가 제재를 하기 전까지 그 사물을
오랜 시간 만지작거렸다(C).

▼ 상황별 문제행동에 대한 ABC 분석표

상황 A B C

등교, 조례, 점심 다른 사물에 집착하는 교사가 제재를 하기 전까지


과제가 주어지지 않음
종례, 쉬는 시간 행동 보임 오랜 시간 만지작거림
국어, 사회, 수학
다른 사물에 집착하는 교사가 제재를 하기 전까지
도덕, 영어, 방과후 과제가 주어짐
행동 보임 오랜 시간 만지작거림
과학, 창체
체육, 실과
과제가 주어짐 과제를 수행함 과제를 완료함
음악, 미술

2. ABC를 통해 문제행동을 제재할 수 있는 행동지원방법을 찾는다.


학생은 국어, 사회, 수학, 도덕, 영어, 방과후, 과학,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활동이 주어졌을
때(A), 다른 사물에 집착하는 행동을 보였고(B) 교사가 제재를 하기 전까지 집착 행동을 유지
했다(C). 즉 사물에 집착하는 행동은 교사의 관심으로 인해 강화되어졌다. 또한 과제가 주어지
지 않는 시간에는 다른 사물에 집착하는 행동을 함으로써(B) 무료함을 달랠 수 있었으므로 이
역시 집착 행동을 강화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체육, 실과, 음악, 미술 시간에는 과제가 주어

PART 3. 장애 유형별 Q&A 243


졌지만(A) 집착행동을 보이지 않았고 과제를 잘 수행하였는데(B), 이는 과제가
무료하지 않고 흥미 있는 활동이었기 때문이다(C). 따라서 교사는 아래와 같이
지원할 수 있다.
• 사물에 집착하는 행동이 수업 시간에 나타나지 않을 경우 다른 학생에게 피
해를 주지는 않는다. 따라서 수업 이외의 시간에는 사물에 다가가거나 만질
수 있도록 허용해 주며, 그 문제행동이 허락되는 시간을 대상학생이 알 수 있
도록 시간표에 표시를 해 둔다.
• 수업 시간에 집착행동이 나타난다면, 교사에게 허락을 받고 그 사물에 다가
가거나 만질 수 있도록 ‘요구하기 기술’을 가르친다.

3. 행동지원을 시행하고 지원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대상학생에게는 수업 이외의 시간에 집착 행동을 하는 것에 대해서는 허용이
되지만, 수업 시간에는 교사의 허락 하에 사물에 다가가거나 만질 것이 요구된
다. 따라서 교사는 수업 시간에 다음 행동에 관해 기록한다.
• 마음대로 수업과 관련 없는 사물에 다가가거나 만지작거리기
• 교사의 시범 하에 교사에게 허락을 구한 후 집착하는 사물에 다가가거나 만지
작거리기
• 스스로 교사에게 허락을 구한 후 집착하는 사물에 다가가거나 만지작거리기

교사는 대상학생이 (1)의 행동에서 (3)의 행동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가르쳤


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대상학생은 사물에 집착해도 되는 상황과 안 되는 상황
을 인식할 수 있었으며, 안 되는 상황이라도 교사에게 요구를 하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즉 대상학생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 행동인지를 스스
로 알게 된다.

244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4. 수업 시간 이외의 시간에만 집착하는 사물을 만질 수 있도록 지
원방법을 바꾼다.
교사는 ‘나중에~’라는 것을 가르친다. 즉 “지금은 수업 시간이라 안 되지만 수
업 이 외의 시간에는 그 사물을 만질 수 있어”라는 것을 가르친다. 따라서 교사는
대상학생이 수업시간 “선생님~”이라고 부르며 요구하기 행동을 보이려고 할 때,
‘나중에~“라고 답한 후 수업을 진행하고, 수업이 끝나자마자 사물을 만지는 행동
을 허용한다. 이를 통해 수업 시간에 수업과 관련 없는 사물에 집착하는 행동을
할 이유가 사라진다.

나중에

PART 3. 장애 유형별 Q&A 245


12
자폐성 손가락을 깨뭅니다.
장애

Q 초등학교 3학년 자폐성장애 남학생입니다. 과제 수행 없이 가만히 앉아 있을 때 손가락을 깨


뭅니다.

1. 학생의 행동을 관찰한다.


학생에게서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것은
그러한 행동을 강화하는 결과가 원인일 수
있다. 어떠한 상황에서(A), 학생이 어떠한
행동을 하고(B), 그에 따라 어떠한 결과(C)
가 발생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한 시간 동
안 문제행동이 발생하는 지속시간을 체크
한다.

▼ 의사소통 부족으로 나타나는 문제행동 기록

학생: 김○○(△△초등학교 3학년, 10세)

관찰자명: 이○○(특수교사)

관찰 장소 및 상황: ○○초등학교 학습도움실, 국어시간(40분), 1명의 교사와 3명의 학생이 수업을 하고 있음

표적행동: 손가락을 이빨로 깨무는 행동

행동발생 지속시간(각 회는 10분)


날짜 시간 관찰결과 요약
1회 2회 3회 4회
전체 관찰시간 40분

전체 지속시간 20초
10/1 1교시 3″ 5″ 4″ 8″
지속시간 백분율 0.8%

평균 지속시간 4초

전체 관찰시간 40분

전체 지속시간 24초
10/2 3교시 5″ 6″ 4″ 9″
지속시간 백분율 0.9%

평균 지속시간 6초

246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 표에서 보면 이 행동은 수업 시간 교실 상황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 담임선생님께 동영상을 통해 대상학
생의 행동을 촬영하도록 했다.
• 그리고 손가락을 깨무는 행동이 10분에 1회 발생할 때, 몇 초동안
지속되는지 초시계를 사용하여 기록하도록 했다.
• 관찰된 내용을 ABC 분석을 통해 보면, ‘수업 시간에 교사가 다른 학
생을 지도할 때(A), 손가락을 깨물면(B), 교사가 대상학생에게 다가
와 과제수행을 도와준다(C)’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이러한 행동은 수업 시간 교사에게 주로 나타났지만 쉬는 시간 동안
에도 아무런 할 일이 없을 때 나타나는 것 같았다.
• 한편, 교사가 대상학생의 곁에서 활동수행을 지원할 때(A), 손가락을
깨무는 행동이 나타나지 않았고(B), 대상학생은 교사의 관심아래 과
제를 수행하였다(C).

2. ABC를 이용하여 손가락을 깨무는 행동을 하지 않고 수


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행동지원방법을 찾는다.
• 관찰된 내용에 근거하여 문제행동의 이유를 이해한다.
• 수업 시간에 교사가 다른 학생을 지도할 때(A), 손가락을 깨물면(B),
교사가 자기에게 다가와 과제수행을 도와준다(C). 즉 손가락 깨물기
행동은 무료함을 달래주는 동시에 교사의 관심을 얻고 있다.
• 문제행동 이유에 대응한 지원을 이용한다.

PART 3. 장애 유형별 Q&A 247


▼ 대상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기능적 분석

A B C

교사가 다른 학생을 지도하고 있다. 1) 손가락을 깨문다. 1)*, 2)* 교사가 다가와 과제수행을 도와준다.

2) “도와주세요”라고 말한다.

•“1) 손가락을 깨문다”가 아닌 2)가 되도록 한다.


•“2) 도와주세요”라고 말하면 손가락을 깨무는 문제행동이 없어질 것이고, 그래도 교사가 자신에게 오지 않으면
다시 손가락을 깨물 것이다.
•교사는 대상학생에게 “도와주세요”라는 말을 하도록 지원하고, 대상학생이 적절한 말을 했을 때 “그래, 선생님이
도와줄께”라고 말하며 대상학생에게 다가간다.
•교사는 대상학생의 어머니에게 문제행동의 이유와 지원 방법에 대해 설명해 준다.

3. 목표행동이 나타날 때까지 단계적으로 지원을 실행하고 계속 관찰한다.


• 교사가 수업을 행하는 수업 시간을 지도장면으로 설정한다.
• 교사는 대상학생과 함께 “도와주세요”라고 말하고(모델링) 대상학생이 스스로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그 상황에서 나타난 대상학생의 행동(표정, 기분 등)을 기록한다.
• 목표행동에 대한 평가는 다음과 같은 단계목표로 설정한다.

▼ 대상학생의 “도와주세요”라고 말하는 행동의 변화

A(기초선) B(중재)

3. 자기가 “도와주세요”라고 말한다. ◯◯◯

2. 교사가 “도와주세요”라고 모델링을 제공한다. ◯ ◯ ◯

1. 손가락을 깨문다. ◯ ◯ ◯ ◯ ◯

•이와 같은 효과는 대상학생이 “도와주세요”라고 말하면 교사가 대상학생에게 다가와 관심을 보이며 지원해 준 경
험 때문이고, 이제 손가락을 깨물 이유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248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4. “~하고 싶어요”라고 말할 수 있도록 지원방법을 바꾼다.
• 교사 기록에서 보면 대상학생은 수업 시간에 교사가 다른 학생을 지도할 때
손가락을 깨무는 문제행동을 보였다.
• 교사가 자신에게 관심을 보이며 옆으로 다가와 과제수행을 도와주는 경험을
쌓아가면서 밝은 표정으로 “도와주세요”라고 말하게 되고, 교사에게 미소를
보인다.
• 지금까지 교사는 대상학생이 “도와주세요”라는 말을 할 때, “그래, 선생님이
도와줄게”라고 말해왔다.
• 하지만 향후 수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의미 있는 활동으로 확장할 필요
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래, 선생님이 도와줄게”라는 말을 한 후, “그럼 어떤
활동을 하고 싶은지 ○과 □중에 선택해 볼까?”라고 이야기 하고, 대상학생에
게 “~하고 싶어요”라고 말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선생님
그래, 선생님이
도와주세요.
도와줄게

PART 3. 장애 유형별 Q&A 249


정서장애
정서행동장애 문제행동은 4가지 범주로 나뉜다.

사소한 문제
학생의 눈에 잘 띄지 않는 사소한 문제 (예: 학생이 과제를 하다가 잠시 창
문 밖을 보는 것)

심하게 방해가 되지 않는 경도 문제
학급규칙이나 과정을 위반하지만, 학급 질서를 어지럽힌다거나 학습에
심하게 방해가 되지 않는 경도 문제(예: 한 학생이 허락없이 자리를 이탈하
는 것)

제한적으로 발생하는 문제행동


중도 문제이나 범위와 결과가 제한적이며, 학급 질서를 혼란에 빠뜨리고 학
습을 방해하지만 한명 또는 몇 명의 학생들에게만 제한적으로 발생하는 문제
행동(예: 계속적으로 반을 혼란에 빠뜨리는 학생)

널리 확산되는 중도문제
문제가 확산되거나 증가시키는 것으로, 학급 질서와 학습에 위협이 되고
다른 학생들에게 널리 확산되는 중도문제(예: 다른 학생을 때리고 교사가
중재하려고 하면 위협을 하는 학생).

이와 같이 정서행동장애 학생들이 보이는 문제행동들은 매우 다양한데,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행동문제를 정의하는 것은 쉽지 않지만 다음과 같이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도 있다.

250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파괴적 행동 대부분의 파괴적 행동은 다른 사람들을 짜증스럽게 만든다.
하지만 이러한 파괴적 행동도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교사의 관심을 끌기 위해
•친구들의 관심을 끌거나 인정받기 위해
•수업활동에 참여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지루한 수업을 좀 더 흥미진진하게 만들기 위해
•영웅심리로 인해

불안 행동 일부 학생들은 분리에 대한 극도의 반응,


사회적 회피, 일반화된 걱정과 같이 뚜렷하고
지속적인 불안의 형태를 보이게 되는데
이러한 행동을 불안 행동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불안과 관련된 대표적 행동은 실제적으로 지각된 위험에 대한 강한 정서적 반응으


로 회피나 도피를 유발하는 공포반응, 극도의 두려움이나 테러에 갑작스럽게 압도되
는 상태인 공황장애 행동, 미래에 발생할지도 모르는 나쁜 사건에 대한 걱정이 두드
러지며 더 지속적인 특징이 있는 행동이 포함된다.

ADHD 학생의 ADHD를 가진 학생들은 다양한 기능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데, 가장 빈번히 일어나는 문제는
문제행동
학업부진, 반항과 공격성, 또래관계의 문제 등이 있다.

PART 3. 장애 유형별 Q&A 251


1 부적절한 자극에 초점맞추기
2 혼자 책상에 잘 앉아있지 못함
주의력결핍 3 낮은 시험점수, 공부방법의 문제
(노트필기, 책상정리, 리포트제출)
4 수업시간에 소극적인 참여 혹은 방해

1 질문이 끝나기 전 불쑥 대답하기


2 자기 순서를 기다리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것
충동성
3 허락없이 소리지르기
4 아무 때나 친구와 이야기하기

1 허락 없이 자리 이탈
2 부적절한 물건 가지고 놀기(과제와 관련없
과잉행동 는 물건)
3 손과 발 계속적으로 두드리기
4 의자를 흔들기
5 안절부절 못하는 것

252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품행장애와 품행장애는 외현적으로 표출되는 공격적이고 반사회적인
행동들을 포함하며, 사회적 부적응으로 간주되어져 왔다.
공격성 행동
DSM-Ⅳ에서 나타나는 품행장애의 정의는 공격성 기물
파괴, 사기나 도둑질, 심각한 규칙 위반으로 유형화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정서 및 행동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은
결석, 성문제, 사회적 거부, 폭력집단, 비행 및 자기 파괴
적인 행동 등의 문제행동들을 나타낼 수 있다.

PART 3. 장애 유형별 Q&A 253


13 수업시간에 큰 소리로 노래를
정서장애 부르거나 돌아다니는 등 수업
방해 행동을 합니다.
Q 초등학교 정서장애 여학생으로 장애등급은 받지 않았으나 병원에서 ADHD라고 하였다고 합
니다. 일부러 수업 시간에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거나 친구들을 괴롭혀 수업을 방해하며 마음
13. 정서 장애 사례: 수업시간에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거나 돌아다니는 등 수업
대로 교실을 돌아다닙니다.
방해 행동을 합니다.

1. 학생의 행동을 관찰하여 문제행동을 발견한다.


교사는 대상학생의 수업 방해 행동을 관찰하기 위해 일주일 간 오전 시간(1교
시)을 활용하여 대상학생의 행동을 5분 단위로 관찰 한 후 관찰 일지를 작성하
였다.

▼ 관찰일지를 이용한 대상학생의 문제행동 기록

시간
날짜 합계
9:00 9:05 9:10 9:15 9 :20 9:25 9:30 9:35 9:40

5.12.(월) √ √ √ √ √ 5

5.13.(화) √ √ √ √ √ 5

5.14.(수) √ √ √ √ 4

• 표에서 보면 전체 40분 수업 시간 동안 최소 4번에서 최대 5번까지 수업 방해


행동이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문제행동이 발생하는 특정 상황과 빈도에 대해 기록한다.


• 교사는 대상학생의 이러한 문제행동이 특정 시간(1교시)에만 나타나는지 아니
면 다른 과목이나 시간에도 나타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상황에서 대
상학생의 문제행동을 관찰하였다.

254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 관찰일지를 이용한 대상학생의 문제행동 분석

날짜 교시 과목 시작 시간 마친 시간 행동빈도 특이사항
5.12.(월) 2교시 국어 9:50 10:30 5
5.13.(화) 3교시 수학 10:40 11:20 2 조용히 앉아 있을 때 교사가 칭찬을 해줌
5.14.(수) 5교시 사회 13:00 13:40 3 자리에 앉아 있을 때 교사가 머리를 쓰다듬어 줌

• 표에서 보면 문제행동은 특정 시간이나 교과를 떠나 수업시간 빈번하게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하지만 교사로부터 긍정적인 관심(예: 조용히 앉아 있을 때 칭찬)을 받은 후에는 문제행동
발생 빈도가 뚜렷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교사는 이러한 내용을 특이사항으로 기록해 둔다.

3. 학생의 목표 도달 행동을 측정 및 관찰이 가능한 용어로 정의한다.


• 교사는 관찰일지를 통해 대상학생의 문제행동은 수업시간 동안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사실
을 알고, 대상학생에게 긍정적인 강화를 제공해 주었을 때 문제행동이 급격히 감소된다는
점을 발견한다.
• 따라서 교사는 대상학생에게 기대하는 긍정적 행동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목표 도달 행동에 대한 정의(자리에 앉아 있기)

학생의 목표 도달 행동: 대상학생은 수업 시간에 20분 동안 자리에 앉아 있는다.


행동 규준
1단계 대상학생은 1,2,3,4교시 연속으로 수업 시간에 5분 동안 앉아 있는다.
2단계 대상학생은 1,2,3,4교시 연속으로 수업 시간에 10분 동안 앉아 있는다.
3단계 대상학생은 1,2,3,4교시 연속으로 수업 시간에 20분 동안 앉아 있는다.

• 표에서와 같이 교사는 대상학생의 목표 행동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며, 수업 시간동안 대상


학생의 행동을 촬영하여 분석한다.

PART 3. 장애 유형별 Q&A 255


4. 구체적인 강화제의 종류를 파악하고 대상학생과 상의하여 강화
제를 결정한다.
• 교사는 관찰을 통하여 대상학생이 다음과 같은 강화물에 관심을 보인다는 것
을 안다.
-교사가 칭찬하며 머리 쓰다듬어 주기
-교사가 대상학생을 바라보며 칭찬하기(예: 참 잘 앉아 있구나!, 과제를 잘
하고 있네~)
• 이 밖에도 교사는 ‘초등학생용 강화제 선택 메뉴(p. 참조)’를 이용하여 대상학
생이 원하는 강화제를 확인한다.

5. 강화제 제공을 위한 조건 및 빈도에 대해 결정하고 지속적으로


강화를 제공한다.
• 관찰 및 대상학생과의 대화를 통해 강화제가 선정되었으면, 1단계 도달 행동
을 달성하기 위해 강화제를 활용한다. 그리고 대상학생에게 다음 사항에 대해
명확히 설명해 준다.

이 과목 시간에 내가 자리에 5분 동안 앉아 있으면,

나에게 선생님이 을 해주셨으면 좋겠다.

원하는 곳에 동그라미 하세요.


◯ 오늘 잘 한 일에 대해 부모님께 편지 써주기
◯ 해야 할 과제를 한 가지 줄여주기
◯ 다른 반에 선생님 심부름가기

256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 대상학생은 매일 수업 시작 전 자신이 원하는 강화물을 선택하였고, 교사는 목
표 행동에 도달할 때마다 강화물을 제공하였다. 이는 2단계까지 지속되었다.

6. 향후 간헐적 강화를 제공하며, 강화가 질리지 않도록 관리한다.


• 3단계 목표 행동을 달성하기 위해 교사는 간헐적 강화를 제공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이때에는 2~3개의 강화물이 교대로 사용된다.

7. 긍정적 행동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 교사는 간헐적 강화의 빈도를 줄이면서 대상학생의 목표 행동이 최종 목표점
에 도달했는지를 파악한다.
• 강화물 전과 후의 행동 변화를 알기 위해 동일한 관찰일지 시트를 이용하여
강화물 제공 여부를 표시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대상학생의 행동 변화 뿐만
아니라 강화물의 효과에 대해서도 파악한다.

PART 3. 장애 유형별 Q&A 257


부록
하나 학생의 배경정보 수집과 문제행동 목록 작성
둘 각종 서식
셋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의 활용

•부 록에 제시된 모든 양식은 부산광역시 교육청 웹사이트(http://


www.pen.go.kr)에서 다운받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각 양식의 활용 방법에 대한 설명은 ‘문제행동 중재 매뉴얼’에 기술
해 두었습니다.
학생의
배경정보 수집과
문제행동
목록 작성

260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서식 1 기본 배경정보 양식 기록 방법 및 활용 방법

기본 배경정보

학생명 : 홍길동 성별 : 남

생년월일 : 0000년 00월 00일 학교/학년 : ○○초 2학년

* 가족관계
관계 성명 연령 직업 학력 학생에 대한 관심 정도 기타

아버지 홍두깨 45 공무원 대졸 무관심

어머니 김순심 40 주부 대졸 매우 높음

형 홍순길 12 초등학생 자주 괴롭히고 때림 DHD 진단

남동생 홍만길 8 초등학생 형을 놀리기를 좋아함

아버지는 대체로 가정일에 무관심하며 어머니가 아이들의 양육을 거의 도맡아 하


※ 가정 분위기
며 힘들어하심

* 발달사
발달영역 발달사항 상태 및 특이 사항

출생시 자연분만. 건강하고 문제없었음.


건강 및 신체 발달 출생이후 성장과정 없음
현재 없음
옹알이/ 첫단어 옹알이가 적은편
현재언어 발음이 부정확하고 말을 웅얼거리는 경향
언어 및 인지 발달
인지수준 상( ) 중( ) 하(∨)
학습수준 상( ) 중( ) 하(∨)
감정/의사 표현 울거나 짜증을 잘 냄
형제관계 좋지 못함. 괴롭힘 당함
사회 및 정서 발달
부모와의 관계 아버지를 무서워함
또래 관계 거의 잘 어울리지못하고 혼자 노는 편

✽ 필요시 개인정보활용 동의서를 받음

부록 261
서식 2 문제행동 목록과 행동특성 요약 양식 기록 방법 및 활용 방법

문제행동 목록과 행동 특성 요약

학생명: 홍길동 성별 : 남

생년월일 : 2005년 10월 23일 학교/학년 : ○○초 2학년

* 현재 학생의 문제행동들을 구체적으로 모두 적으시오.

구체적인 발생 발생 관련
해결방법 심한 정도 기타
행동 장소 시간 인물

기분 안 좋을 달래기도 하고
1 때 짜증내고 집 방과후 엄마 혼내기도 하고 때 상 중 하
울기 에 따라 다름

계속적으로 잔소리
숙제안하고
2 집 저녁 엄마 를 하고 혼내서 상 중하
딴짓하기
겨우 마무리함

* 그 밖의 학생 행동에 대한 정보나 특이사항을 기록하시오.

기타 : 주
 로 엄마에게 징징대며 투정을 많이 부리는 편이며 다른 사람들한테는 위축
되는 편임.

✽ 필요시 개인정보활용 동의서를 받음

262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서식 3 ABC 서술기록지 양식 기록 방법 및 활용 방법

ABC 서술기록지

학생이름:

문제행동 1 :

문제행동 2 :

문제행동 3 :

문제행동 4 :

날짜/시간 선행자극/사건 행동 후속결과/사건

문제행동 발생 후에 일어난 상황
문제행동이 목표문제행동이 발생하기 전에 일
위에서 서술된 (요구상황에서의 회피, 교사의 관
발생한 어난 상황(장소, 교사의 행동, 활
문제행동 심, 가지고 싶어하는 자극에 대한
날짜와 시간 동, 상호작용, 기타 사회적 사건)
접근)

✽ 필요시 개인정보활용 동의서를 받음

부록 263
서식 4 발생회수 및 지속시간을 이용한
데이터 기록지 기록 방법 및 활용 방법

데이터 기록지

학생이름: 날짜: / /

울음 (발생회수, 지속시간) 공격행동


시간 자학행동(발생회수)
발생회수 지속시간 (발생회수)

8:00-9:00

9:00-9:30

9:30-10:00

10:00-10:30

10:30-11:00

11:00-11:30

11:30-12:00

12:00-12:30

12:30-1:00

1:00-1:30

1:30-2:00

2:00–2:30

학생이
하루
학교에
동안의
있었던
총합
총시간:

* 문제행동
•자학행동: (학생이름)이 자신 신체부위를 이용하여 다른 신체부위를 세게 때리는 행동. 예) 주먹이나 손바닥으로 얼
굴을 때리기, 할퀴기, 귀 당기기, 물기, 꼬집기, 다른 물건을 이용하여 자학 등.
•울음: (학생이름)이 일반적 이상의 크기의 울음이 10초 이상 지속되는 행동. 울음이 멈추고 10초 후에 다시 울기 시
작할 때에는 서로 다른 울음발생 회수로 기록한다.
•공격행동: 다른 교사나 보조교사에게 힘을 줘서 때리는 시도. 예) 할퀴기, 발로차기, 깨물기, 꼬집기 등. 한번 공격행
동이 발생할 때마다 1회 발생회수로 기록한다.

✽ 필요시 개인정보활용 동의서를 받음

264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서식 5 기능적 행동평가 면담지 기록 방법 및 활용 방법

기능적 행동평가 면담

학생명: 홍길동 생년월일 : 2005/10/23

성별 : 남 면담자 : 김미미

날짜 : 2013년 2월 6일

1. 주요 문제 행동은 무엇입니까? (언제, 얼마나 자주, 얼마나 오랫동안, 얼마나 피해를 주는지 자세히
기록해주시기 바랍니다)

a. 학원 갔다 와서 엄마가 씻으라고 하거나 물건 정리하라고 할 때 소리 지르며 울기. 엄마에게 혼나고 나서도


계속 울고 기분이 가라앉을 때까지 10분 이상씩 울어댐.
b. 엄마가 숙제해라고 했을 때 숙제 안하고 다른 짓 하기. 주로 좋아하는 그림그리기 나 장난감 조립을 하고 있음.
엄마가 큰 소리로 혼을 내면 겨우 하긴 하지만 결국 엄마 가 같이 도와줘야 끝낼 수 있음.

2. 학
 생의 긍정적인 행동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언제, 얼마나 자주, 얼마나 오랫동안, 어떻게 나타나
는지 자세히 기록해주시기 바랍니다)

a. 한 번씩 엄마에게 애교를 잘 부림. 엄마 힘들지 하면서 어깨를 주무르거나 두드려주기도 함. 빈도가 많지는 않
음. 2주에 한번정도. 기분이 좋을 때
b. 동생과 잘 놀아줌. 동생이 형을 놀려서 울기도 하지만 대개는 같이 잘 노는 편임 2~3일에 한번 정도는 동생
때문에 울곤 함.

3. 문제행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은 무엇입니까?(문제행동에 따라 기록해주시기 바랍니다)

a. 학원갔다 와서 씻어야 할때나 피곤할 때


b. 숙제해야 할 때

4. 학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만한 의료적/신체적 문제가 있습니까?(예: 알레르기, 두통, 축농증, 발작,
위장질환 등)

없음

부록 265
5. 학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만한 수면문제나 식사문제가 있습니까?

없음

6. 학생이 잘하는 활동이나 문제행동이 나타나지 않는 상황이나 시간대는 언제입니까?

그림그리 기, 장난감 조립,

7. 학생이 문제행동을 통해 얻거나 피할 수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문제행동에 따라 기록해주시기 바


랍니다)

a. 씻는 것, 정리하는 것 하기 싫어함
b. 엄마에게 숙제 도움을 받고 싶어함

8. 학생이 할 수 있는 행동 중 문제행동을 대체할 수 있는 긍정적 대체행동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문


제행동에 따라 기록해주시기 바랍니다)

a. 소리 지르거나 울지 않고 엄마에게 손 씻는 거 도와달라고 말하기


b. 숙제 할 때 다른 짓 하지 않고 엄마에게 도와달라고 말하기

9. 학생이 주로 다른 사람과 어떻게 의사소통합니까?

하기 싫을때는 울기부터 하려고 하고 친구들이나 무서운 아빠에게는 잘 말을 못하고 주로 엄마에게 투정을 부리


거나 짜증을 내는 편

10. 학생이 어느 정도의 요구와 지시에 따를 수 있는지 예를 들어 주세요.

하기 싫더라고 엄마가 무섭게 혼을 내면 울면서 하기는 할 수 있음.


엄마가 좋게 도와주면 더 잘하기도 함

11. 학생이 좋아하는 것과 강화물이 될 수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매우 좋아하는 음식 : 계란후라이, 만두, 빵, 치킨


장난감, 게임 또는 물건 : 레고 장난감, 삼국지 게임, 엄마 핸드폰에 있는 게임하기
가정에서의 활동 : 동생과 놀기, TV보기
바깥에서의 활동 : 슈퍼가서 과자 사먹기

✽ 필요시 개인정보활용 동의서를 받음

266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서식 6 문제행동 시각 그래프화를 위한 엑셀 파일 기록 방법

서식 7 기능분석(FA) 데이터 기록 및 시각 그래프화를 위한


엑셀 파일의 기록 방법

부록 267
서식 7-1 기능분석(FA) 데이터 기록의 그래프 결과의 활용 방법

268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서식 8 문제행동에 대한 가설 수립 기록 방법과 활용 방법

문제행동 가설수립 기록지

학생명: 홍길동 생년월일 : 2002년 10월23일 성별 : 남

날짜 : 2013년 5월 20일 작성자 : 김미미

* 선행사건과 후속결과를 야기하는 가설 만들어 보세요.

배경사건 선행사건 문제행동

엄마가 손을 씻으라고 간식먼저 달라고 울며


학원마치고 돌아옴
지시함 소리 지름

엄마가 숙제를 하도록 책상에 앉아서 좋아하는


숙제의 난이도가 높음
지시함 그림을 그리고 있음

선생님이 차례대로 줄을 급식을 먼저 받기 위해


점심 급식 시간
서라고 지시를 함 달려가서 친구를 밀침

가설 수립 후속결과

학생은 손 씻기를 회피하고자(행동기능) 울며 소리를 질렀고 엄마가 물티슈로 손을


엄마가 대신 물티슈로 손을 닦아줌으로써 손 씻기를 회피하게됨 닦아주고 간식을 먹음

엄마에게 혼나서 울게
학생은 숙제를 회피하고자(행동기능) 책상에 앉아서
되고 엄마에게 혼나면서
그림그리기를 하였고 결국 엄마의 도움을 받아 숙제를 하게 됨
숙제를 하게 되었음

학생은 먼저 급식을 받기위해(행동기능) 달려가서


맨 앞에서 급식을 받음
친구를 밀치고 맨 앞에 서서 먼저 급식을 받게 됨

✽ 필요시 개인정보활용 동의서를 받음

부록 269
서식 9 행동중재 계획표 기록 방법과 활용 방법

행동중재 계획표

학생명: 홍길동 학년 : 2학년 날짜 : 2013년 5월 30일

중재기간 : 5월 3일 ~ 6월 2일

* 행동이 발생하기 전의 배경사건과 선행사건과 후속결과를 구체적으로 기록하세요..

숙제할 때
대상행동 울며 소리지르기
다른 행동 하기
손 씻기를 회피하고자 다른 것을 요구하며 숙제가 많거나 어려울 때 숙제를
가설
울며 소리 지르면 엄마가 대신 닦아 줌 회피하고자 좋아하는 다른 활동을 함

손 씻을 때 울며 소리 지르는 대신 엄마에게 숙제를 준비하고 엄마에게 도와달라고


대체 행동
도와달라고 표현하기 요청하기

울며 소리 지르는 행동은 무시하고 도와 달라고 숙제의 양이나 난이도를 점검하여


선행사건 중재
표현할 수 있도록 모델링 제공하기 적절한 수준으로 낮추기

강화 계획 칭찬과 함께 간식 주기 칭찬과 함께 좋아하는 활동 허락하기

행동감소 중재 없음 없음

목표 기준 주 5회 중 4회 이상 수행하기 주 5회 중 4회 이상 수행하기

평가 방법 행동기록표를 작성하여 매일의 수행 체크하기 숙제기록장에 결과 확인하기

목표기준에 도달하면 점차 도움을 줄이고 스스로


기타
할 수 있도록 하기
대상행동

✽ 필요시 개인정보활용 동의서를 받음

270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서식 10 각종 중재 기법 기록-토큰 경제 예시

학생명: 홍길동 기간 : 4월 6일 ~ 4월 12일

✽ 다음의 행동을 수행하면 ♣ 스티커를 하나씩 붙일 수 있습니다. (토큰 : ♣ 스티커)

월 화 수 목 금

숙제하기 ♣ ♣ ♣

숙제 후 정리정돈 ♣ ♣

동화책 1권 읽기 ♣ ♣

✽일주일동안 ♣ 스티커를 10개 이상 모으면 주말동안 게임시간을 1시간 연장할 수 있습니다.


✽일주일동안 ♣ 스티커를 13개 이상 모으면 주말동안 청소 도우미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 필요시 개인정보활용 동의서를 받음

부록 271
서식 11 각종 중재 기법 기록-행동계약서 예시

이름: 홍길동 날짜: 6월 23일

나, 홍 길 동 은 매일 스스로 숙제를 수행하는 것 에 동의한다.


(학생 이름) (바람직한 목표 행동)

이것은 7월 30일 까지 수행할 것이다.


(날짜)

보상으로 나는 삼국지 게임팩 을 원한다.


(원하는 보상)

그러므로 나는 위에 적힌 계약에 동의한다.

김순심 홍길동
부모/교사 서명 학생 서명

* 계약 수행에 대한 기한이 없다면 효력이 없게 된다

서식 12

이름: 홍길동 날짜: 7월 24일

나오늘 나의 목표행동은

학교에 다녀 온 후 손을 깨끗이 씻는것과 옷을 제자리에

가지런히 정리하는 것입니다.

이 목표행동을 수행하면 나는 30분동안 컴퓨터 게임하는 시간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 이 목표행동을 수행하지 못하면, 나는 다음 결과를 받아들일 것입니다:


30분동안 컴퓨터 게임 하는 시간을 얻을 수 없습니다.

작성자 홍 길 동 김 순 심

272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서식 13 각종 중재 기법 기록-자기점검 예시

나의 행동을 점검해보아요.

학생명: 홍 길 동 날짜 : 03월 14일~18일

✽ 쉬는 시간 후 놀았던 자리를 정리하는 것을 잊지 않았을 때마다 동그라미 그림에 하나씩 색


칠하세요.

나의 행동을 점검해보아요.

학생명: 홍길동 날짜 : 03월 14일~18일

✽ 작문 과제를 제출하기 전에 다음사항을 수행했으면 O, 아니면 x로 표시하세요.

기억해야 할 것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문장 첫 시작에
O x O O O
들여쓰기를 했나요?

띄어쓰기를 했나요? x O x O O

문장 마지막에
x O O x O
마침표를 찍었나요?

맞춤법을
O O x O O
점검하였나요?

부록 273
서식 14 각종 중재 기법 기록-자기평가 예시

규칙을 잘 지켰습니까? 활동 후 평가해보세요

이름: 홍 길 동 날짜 : 03월 14일

3 = 매우 좋다 나는 시간 동안 모든 규칙을 지켰다.
2 = 좋다 나는 거의 대부분의 시간 동안 모든 규칙을 지켰다.
1 = 별로 좋지 않다 나는 규칙의 일부를 지키지 않거나 시간 동안 규칙을 지키지 않았다.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총점

1 2 3 1 2 3 1 2 3 1 2 3 1 2 3
과제시간 12
◯ ◯ ◯ ◯ ◯

1 2 3 1 2 3 1 2 3 1 2 3 1 2 3
단체 활동 시간 7
◯ ◯ ◯ ◯ ◯

1 2 3 1 2 3 1 2 3 1 2 3 1 2 3
바깥놀이 시간 9
◯ ◯ ◯ ◯ ◯

총점 6 7 4 5 7

* 한 주간 전체 평가

시간 총점 자기평가

과제시간 12점 한주동안 대체로 규칙을 잘 지킴.

단체 활동 시간 7점 규칙을 제대로 지키지 못한 날이 많음.

바깥놀이 시간 9점 좀 더 철저하게 규칙을 수행해야 함.

✽ 필요시 개인정보활용 동의서를 받음

274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서식 15 행동중재 평가표 기록 방법 및 활용 방법

나의 행동을 점검해보아요.

중재자: 평가자: 날짜 :

✽ 중재 계획과 진전도, 결과를 검토한 후 다음 사항에 체크하세요

매우 그렇다 그렇다 조금 그렇다 그렇지 않다


평가내용
(4) (3) (2) (1)

1. 목표행동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기술



하였습니까?

2.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도달점을



제시하였습니까?

3. 문제행동의 기능을 확인하였습니까? ∨

4. 아동의 수준과 상황을 고려한 중재입니



까?

5. 아동의 요구를 반영한 중재입니까? ∨

6. 부모의 요구를 반영한 중재입니까? ∨

7. 중재기간 중 아동에게 적절한 강화를



제공하였습니까?

8. 중재계획에 따라 수행하였습니까? ∨

9. 중재기간은 적절하였습니까? ∨

10. 중재실시후 행동 변화가 있었습니까? ∨

4 12 8 1
합계
총점 25점

제언 : 중재방법에 부모의 요구가 반영되지 않았으며 행동변화에 대한 기술이 명확하지 않음.

✽ 필요시 개인정보활용 동의서를 받음

부록 275
서식 16 행동중재 평가 기록 양식

행동 중재 평가

학생명: 홍길동 학년 : 2학년

평가일 : 9월 16일 평가방법 : 행동기록표/숙제기록장 점검

중간평가일
목표행동 목표기준 중재기간 중간평가 종료평가 기타
(1-2-3차)

손 씻을 때 전체 80% 5월 2일~ 6월3일 - 7월 4일 60 – 75 - 목표


90%
도움 요청하기 수행 9월 7일 - 8월 5일 85% 도달

숙제 시 필요할 때 전체 80% 5월 2일~ 6월3일 - 7월 4일 45 - 60- 목표


80%
도움 요청하기 수행 9월 7일 - 8월 5일 70% 도달

✽ 필요시 개인정보활용 동의서를 받음

276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행동 중재 평가 기록 양식
▶▶ 행동중재계획대로
 중재를 실시한 후 중재에 대한 평가를 실시해야 합니다. [서식 9 활용]

행동 중재 평가

학생명: 홍길동 학년 : 2학년

평가일 : 9월 16일 평가방법 : 행동기록표/숙제기록장 점검

중간평가일
목표행동 목표기준 중재기간 중간평가 종료평가 기타
(1-2-3차)

손 씻을 때 전체 80% 5월 2일~ 6월3일 - 7월 4일 60 – 75 - 목표


90%
도움 요청하기 수행 9월 7일 - 8월 5일 85% 도달

숙제 시 필요할 때 전체 80% 5월 2일~ 6월3일 - 7월 4일 45 - 60- 목표


80%
도움 요청하기 수행 9월 7일 - 8월 5일 70% 도달

✽ 필요시 개인정보활용 동의서를 받음

부록 277
각종 서식

278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서식 1] 의뢰 및 배경정보

기본 배경정보

학생명: 성별 :

생년월일 : 학교/학년 :

✽ 가족관계

관계 성명 연령 직업 학력 학생에 대한 관심 정도 기타

※ 사회경제적수준 상( ) 중상( ) 중중( ) 중하( ) 하( )

※ 가정 분위기

✽ 발달사
발달영역 발달사항 상태 및 특이 사항
출생시

건강 및 신체 발달 출생이후 성장과정

현재

옹알이/ 첫 단어

현재언어
언어 및 인지 발달
인지수준 상( ) 중( ) 하( ∨ )

학습수준 상( ) 중( ) 하( ∨ )

감정/의사 표현

형제관계
사회 및 정서 발달
부모와의 관계

또래 관계

부록 279
[서식 2] 문제행동 목록과 행동수준 요약서

문제행동 목록과 행동 수준 요약

학생명: 성별 :

생년월일 : 학교/학년 :

* 현재 학생의 문제행동들을 구체적으로 모두 적으시오.

구체적인 발생 발생 관련
해결방법 심한 정도 기타
행동 장소 시간 인물

1 상중하

2 상중하

3 상중하

4 상중하

5 상중하

6 상중하

* 그 밖의 학생 행동에 대한 정보나 특이사항을 기록하시오.

기타 :

280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서식 3] ABC 관찰 기록지

ABC 관찰 기록

학생명: 날짜 :

장소 : 관찰자 :

문제행동 :

* 문제행동은 한 기록지에 한 두 가지 정도 기록하도록 합니다.


* 행동이 발생하기 전의 배경사건과 선행사건과 후속결과를 구체적으로 기록하세요.

날짜 : 날짜 : 날짜 :
시간 : 시간 : 시간 :

상황이나
환경/배경사건

선행사건

행동

후속결과(행동이후)

기타 내용 및 의견

부록 281
[서식 4] 기능적 행동평가 면담지

기능적 행동평가 면담

학생명: 생년월일 :

성별 : 면담자 :

날짜 :

1. 주요 문제 행동은 무엇입니까? (언제, 얼마나 자주, 얼마나 오랫동안, 얼마나 피해를 주는지 자세히 기
록해주시기 바랍니다)
a.
b
c
d
e

2. 학
 생의 긍정적인 행동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언제, 얼마나 자주, 얼마나 오랫동안, 어떻게 나타나는
지 자세히 기록해주시기 바랍니다)
a.
b
c
d
e

3. 문제행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은 무엇입니까?(문제행동에 따라 기록해주시기 바랍니다)


a.
b
c
d
e

4. 학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만한 의료적/신체적 문제가 있습니까?


(예: 알레르기, 두통, 축농증, 발작, 위장질환 등)

282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5. 학생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만한 수면문제나 식사문제가 있습니까?

6. 학생이 잘하는 활동이나 문제행동이 나타나지 않는 상황이나 시간대는 언제입니까?


a.
b
c
d
e

7. 학생이 문제행동을 통해 얻거나 피할 수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문제행동에 따라 기록해주시기 바랍니


다)
a.
b
c
d
e

8. 학생이 할 수 있는 행동 중 문제행동을 대체할 수 있는 긍정적 대체행동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문제


행동에 따라 기록해주시기 바랍니다)
a.
b
c
d
e

9. 학생이 주로 다른 사람과 어떻게 의사소통합니까?

10. 학생이 어느 정도의 요구와 지시에 따를 수 있는지 예를 들어 주세요.

11. 학생이 좋아하는 것과 강화물이 될 수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매우 좋아하는 음식 :
장난감, 게임 또는 물건 :
가정에서의 활동 :
바깥에서의 활동 :

부록 283
[서식 5] 기능분석과 가설 수립 기록 양식

문제행동 가설수립 기록지

학생명: 생년월일 :

성별 : 날짜 :

작성자 :

✽ 선행사건과 후속결과를 야기시키는 가설 만들어 보세요.


✽ 행동의 기능을 함께 기술해주세요.

배경사건 선행사건 문제행동

가설 수립 후속결과

284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서식 6] 일반 행동 계약서

행동 계약서

이름: 날짜:

나, 은 에 동의한다.

(학생 이름) (바람직한 목표 행동)

이것은 까지 수행할 것이다.


(날짜)

보상으로 나는 을 원한다.

(원하는 보상)

그러므로 나는 위에 적힌 계약에 동의한다.

부모/교사 서명 학생 서명

✽ 계약 수행에 대한 기한이 없다면 효력이 없게 된다

부록 285
[서식 7] 일일 행동계약서

일일 행동 계약서

이름: 날짜:

나오늘 나의 목표행동은

이 목표행동을 수행하면 나는

오늘 이 목표행동을 수행하지 못하면, 나는 다음 결과를 받아들일 것입니다:

작성자:
학생 서명 부모/교사 서명

286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서식 8] 행동중재계획표

행동중재 계획표

학생명: 동 학년 : 날짜 :

중재기간 :

대상행동

가설

대체 행동

선행사건 중재

강화 계획

행동감소 중재

목표 기준

평가 방법

기타

대상행동

부록 287
[서식 9] 행동중재 평가

행동 중재 평가

학생명: 학년 :

평가일 : 평가방법 :

중간평가일
목표행동 목표기준 중재기간 중간평가 종료평가 기타
(1-2-3차)

288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의
활용

부록 289
이런 것도
활용해 보세요! 문제행동 중재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응용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장애학생 행동관찰 측정 장애학생들의 행동 발생 빈도수 및 지속시간 체크 가능

구성내용
관찰, 기록, 설정

소 개
장애학생 행동 관찰 측정 앱은 장애학생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측
정하여 나온 결과를 날짜/시간별로 발생 빈도수 및 지속시간을 체
크하고, 체크한 기록을 통해 담당 교사가 아이의 행동을 분석하여
학습의 주요지표로 활용합니다.
행동 관찰을 통해 교사들은 개선을 요하는 행동이 일어나는 환경
을 분석하고, 행동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장애학
생의 수준에 맞는 학습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사용방법
1. 관찰
•관찰자 관리 : 로그인 화면, 휴대폰번호(ID), 비밀번호, 이름 저

•대상자 관리 : 행동 관찰 대상자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이름, 나이,
성별, 수업시간 관리
•행동 유형 관리 : 행동 유형을 직접 입력하여 추가·삭제
•대상자 관찰하기 : 관찰대상자 선택 → 행동 유형 선택 → 관찰
기록 체크, 자동 체크된 관찰 기록은 교사가 직접 수정·삭제 가
능, 관찰대상자·행동유형·관찰일자·발생시간·지속시간·강
도·수업시간·메모입력

290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2. 기록
• 행동관찰을 통해 저장된 기록을 대상자별, 행동 유형별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월별, 주별, 일별 표 형태로 확인 가능하며, 주어진 양식에 따라 엑셀파일(관찰날짜/시간/지속시
간/강도/수업시간)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활용의 실제

▶▶ 초기화면 ▶▶ 사용등록을 통해서 아이디와 ▶▶ ‘설정’을 누르면 대상자 관리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아이디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는 핸드폰 번호를 입력합니다.

▶▶ 문제행동을 관찰할 학생의 ▶▶ 행동유형 관리로 들어가서 ▶▶ 수업 장면에서 아동이 노래부르는


기본 정보를 입력하면 관리 대상 아동의 문제행동 목록을 입력합 행동의 빈도 및 지속시간을 알아보고
자 목록에 해당 학생의 이름이 니다. 싶다면, START와 STOP 버튼을 눌러
나타납니다(예. 김철수). 서 관찰하도록 합니다. 아래쪽에 지속
시간이 누적되어 입력됩니다.

부록 291
Reward Chart Lite 토큰 제도

구성내용 person, week, table

소 개 토큰 강화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로 활용 가능. 컴퓨터를 좋아하거나 소리 자극


을 좋아하는 학생이라면, 스티커가 주어질 때 마다 더욱 흥미를 느낄 수 있을 것
입니다.

사용방법

▶▶ 초기화면 ▶▶ 왼쪽의 Task를 아동이 지켜


야 할 행동 목록으로 수정합니다.

▶▶ 아동이 요일별로 바람직한 행 ▶▶ 아동이 바람직한 행동을 지키지


동을 할 때마다 노란색 스티커를 않았을 경우에는 빨간색 스티커를
제공합니다(노란색 스티커를 제 제공합니다(빨간색 스티커를 제공할
공할 경우, 포인트가 올라감). 경우, 포인트 차감됨).

292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진소리 의사소통 기능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들을 위해 도움이 될 만한 어플

구성내용 대화, 파일, 상황

소 개 언어장애인을 위해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경해주는 어플리케이션입니다.

사용방법

▶▶ 초기화면 ▶▶ 대화 - 일상생활에서 가볍게


이야기하는 단어나 문장을 직접
입력하여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습니다.

▶▶ 파일-발표자리와 같이 긴 문장을 말해야 하는 경우 텍스트 파일을 만들


고 음성으로 출력이 가능합니다.
상황-각 상황에 맞는 문장들을 담고 있어 선택시 음성으로 출력해줍니다.

부록 293
그 외 의사소통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는 어플

비주얼 협업 및 소통 도구

▶▶ 언어발달장애로 인한 자폐아 및 언어발달장애인의 언어적 소통 불편과 갈등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


작된 어플입니다. 사용자가 편집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며, 생동적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으며, 상황
별·주제별로 제공하여 콘텐츠를 공유하고 의사교환 및 대화주제, 대화내역을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 맵입니다.

오케이 톡톡

▶▶ 상용구 분석을 통한 최적화된 600여개의 문장 및 단어로 구성된 의사소통 보조 도구(AAC) 오케이


톡톡히 스마트패드 앱으로 출시되었습니다. 600여개의 이미지 자료와 전문 성우의 발음으로 녹음된 음
성 데이터를 탑재, 바로 찍고, 바로 녹음하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나만의 자료를 얼마든지 추가로 만
들 수 있습니다.

294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Pecs Pics Autism

▶▶ 그림교환의사소통을 활용할 수 있는 앱
입니다. 그림 또는 사진을 설정하여 해당 항
목에 대한 자신의 단어를 기록할 수 있습니
다. 음성도 녹음이 가능하므로 기록을 재생
하여 영상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단, 무료
버전에서는 제한점이 있습니다.)

그 외 토큰 제도

iRewardChart Lite

▶▶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 보상하고 동기를


유지하기 위한 앱(토큰제도). 앞서 제시한
어플(Reward Chart Lite)과 유사하며, 요일
별로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 스티커 제공이
가능합니다.

※ 마켓이나 스토어 등에서 “AAC” 또는 “보완대체 의사소통”으로 검색하면 보다 많은 어플을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록 295
기타 참고할 만한 어플

차일드 케어

▶▶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을 키우거나 가


르치는 학부모님이나 초임교사를 위한 어
플리케이션으로 상황별 내용은 다년간 실
제로 상담받고 적용시킨 데이터를 기반으
로 내용을 구성한 어플리케이션입니다.

특수교육 앱 꾸러미

▶▶ 특수교육현장에서 활용가능 한 기능성 게임 및 기능성 앱 들을 통합하여 한자리에


서 보고 설치하며 실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 앱입니다. 과제에 다소 흥미를 잃은 학생들
에게 활용할 만한 다양한 앱들이 모여있습니다.

296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발달진단

▶▶ 부모님과 함께하는 발달 진단 앱입니다. 만3~5세 유아의 인지 영역과 언어 영역의 발달 정도를 빠르고 정확하게
알 수 있으며, 곽금주 교수의 영역별 가이드와 따라하기 쉬운 교육 놀이도 경험할 수 있습니다.

Behavior Status

▶▶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아동의 행동 상태를 기록할 수 있는 앱입니다. 행동 상


태를 초록/노란/빨간색 신호등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기록합니다. 자폐증이 있는 학
생들의 교육에 사용하거나 ADHD/ADD학생에게 활용하기에 용이합니다. 간단한 보
상과 바람직한 행동을 격려하기 위해 기록 정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부록 297
참고문헌

•강경미 (2012). 아동행동수정. 서울: 학지사.


•강리향 (2006). 활동중심 성교육프로그램이 경도정신지체학생의 성지식과 성태도에 미치는 효과. 영
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강우진 (2011). 청각장애청소년이 갖는 대인관계성향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
연구. 13(3), 143-161.
•강삼희, 홍정미, 백양희 (2006). 집단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충동성 및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
과. 미술치료연구, 13(1), 23-48.
•강영심, 황순영(2011). 최신행동치료 5판.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
•강영주 (2002). 협동미술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강우진 (2011). 청각장애청소년이 갖는 대인관계성향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
연구, 13(3), 143-161
•강종완, 권명옥(2005 청각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에 관한 비교 연구. 정서·행
동장애연구 21(3), 189-216.
•강혜진 (2007). 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기술지식과 수행력 비교.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곽승철, 김삼섭, 박화문, 안병즙, 전헌선, 정재권, 정진자(1997). 지체부자유아 교육. 경산: 대구대학교
출판부.
•곽승철, 김하경, 노선옥, 박석돈, 박재국, 박화문, 안병즙, 오세철, 전헌선, 정재권, 정진자, 조홍중, 한
경임 (2003). 중복지체부자유아 교육. 경산: 대구대학교 출판부.
•곽승철, 김형준, 전민정, 김정민, 백은희(2013).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증 지적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5(2), 129-150.
•곽승철·임경원·변찬석·박계신·황순영(2010). 정서행동장애학생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고동희, 이소현 (2003). 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수업시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
서·행동장애연구, 19(2), 1-21.
•교육인적자원부 (2004). 2004 특수교육연차보고서.
•권순황, 이규식 (2000). 통합교육이 청각장애 아동의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난청과 언어장애연
구, 23(1), 33-47.
•권오선 (1981). 청각장애아의 성격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권오윤 외 (2003). 움직이는 성교육: 함께하는 활동을 통한 발달장애 학생의 성교육. 파라다이스 복

298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지재단.
•김경민 (2012). 가정과 학교의 협력을 통한 멀티미디어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아동의 문제행동과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경민 (2012). 유산소 운동이 아스퍼거 장애 청소년의 불안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14(4), 139~162.
•김경민 (2013). 운동 프로그램이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불안과 위축 및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
서·행동장애연구, 29(3), 105~129.
•김경미, 김진미 (2007). 감각통합치료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균형 및 집중력에 미치
는 효과: 개별 실험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6(4), 103-130.
•김경민, 배내윤 (2011). 감정 읽어주기가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공격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특수
아동교육연구, 13(1), 63~77.
•김경민, 이미숙, 곽승철, 노진아(2013). 자폐성 장애아동에 대한 가족중심 중재에 관한 고찰. 정서행
동장애연구, 29(3), 131-154.
•김경이 (1996) 청각장애 학생의 정신건강 및 자아개념 특성과 그 상관.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
학과 석사학위논문
•김광수, 김해연 (2009).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초등
교육연구, 22(4), 275-300.
•김동일 (2007). ADHD 학교상담. 서울 : 학지사
•김미경, 최기창 (2011). 자폐범주성 장애아동 교육. 서울: 형지사
•김미경, 문장원, 서은정, 윤점룡, 윤치연, 이상훈 (2007). 정서 및 행동장애아 교육. 서울: 학지사.
•김미선 (2008). 효율적인 학급관리로서의 학급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1),
99~112.
•김미선, 박중휘 (2008). 가족이 수행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4(4), 115-129.
•김미선, 박지연 (2005). 학급차원의 긍정적인 행동지원이 문제행동을 보이는 초등학교 장애학생과
그 또래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0(2), 355-376.
•김미선, 송준만 (2004). 장애학생을 위한 학교차원에서의 긍정적 행동 지원 고찰. 특수교육, 3(1),
31-56.
•김수연, 이대식 (2008). 초등학교 일반학급 교사들이 인식한 학급 내 문제행동 실태와 그 대처방안.
특수교육학연구, 43(1), 183-201.

참고문헌 299
참고문헌

•김양희 (2002) 역할놀이 수업이 통합교육을 받는 청각장애 아동의 사회성숙성 및 학습태도에 미치


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란 (2009).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문헌연구.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10(4), 81-106.
•김영옥 (2004). 조형요소 표현활동 프로그램이 중복 지체부자유 학생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현장특수교육연구보고서. 한국특수교육총연합회.
•김윤희, 박지연 (2003). 정서 및 행동장애아동이 보이는 언어적 어려움에 대한 중재 방안 고찰. 언어
청각장애연구, 8(2), 196-211.
•김인자, 원희랑 (2010). ADHD 초등학생의 부주의 및 또래관계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미
술치료연구, 17(6), 1357-1377.
•김자경, 구자현, 강혜진(2011). 청각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사회적 기술 수준과 공감 능력 비교. 특
수아동교육연구, 13(1), 323-339.
•김정선, 여광응 (2005). 학교(School-setting)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PBS)이 정신지체학생의 문제행
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 12(1), 305-338.
•김정영 (2000) 일반 청소년과 청각장애 청소년의 가치관에 관한 비교연구. 교육심리연구, 14, 115-
141.
•김정혜 (2005). 치료놀이를 활용한 모-자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진호, 김미선, 김은경, 박지연 (2009). 긍정적 행동지원: 행동중재를 위한 최신 이론과 실재. 서울:
시그마프레스.
•김진호, 박재국, 방명애, 안성우, 유은정, 윤치연, 이효신 (2013). 최근 특수교육 제10판. 서울: 시그마
프레스.
•김진호, 민용아 (2013). 자폐성 장애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중재 특성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한국특수아동학회, 15(3), 337-361.
•김청자 (2002). 공항장애의 특성과 그 치료대책. 인문과학연구, 11, 1-27.
•김혜리 (2009). 중도·중복장애아동의 지각양식 이해를 위한 현상학적 방법론과 실제. 중복지체부자
유연구, 52(1), 397-415.
•김혜리 (2013).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지원을 위한 행동주의와 메를로-퐁티(Merleau-
Ponty) 현상학과의 대화. 특수아동교육연구, 15(4), 445-464.
•노금미 (2012). 감각통합치료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자기자극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300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영애 (2002). 부적응 학생들의 정서 변화를 위한 음악의 치료적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장원 (2011).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수업방해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18(3), 301-319.
•문장원, 홍화진 (2001). 음악활동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주증상 감소 및 친사회적 행동 증
가에 미치는 효과. 초등특수교육연구, 3(1), 185-212.
•박계신, 이상훈, 황순영 (2013). 정서행동장애학생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이해와 실천. 서울:
시그마프레스.
•박동진 (2014). 청각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 16(1), 279-299.
•박수진 (2003). 리코더 학습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ADHD)을 가진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
는 효과.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순희 (2005). 시각장애아동의 이해와 교육. 서울: 학지사.
•박순희, 김순진, 지원석 (2007). 시각중복장애아동을 위한 의사소통중심 행동중재를 통합한 기능적
교육과정 적용 사례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8(2), 345-368.
•박승희, 신현기 (2003). 정신지체 개념화: AAMR 2002년 정신지체 정의, 분류, 지원체계. 서울: 교육과
학사.
•박윤이, 박수현, 유은영, 이지연 (2012). 공의자 적용이 자폐범주성아동의 교실내 문제행동과 주의집
중 및 착석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1), 43-56.
•박은미, 정대영 (2010). 자기관리 전략을 활용한 긍정적 행동지원이 고기능자폐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교육학회, 26(4), 1-21.
•박은희 (2008). 자기점검법이 자폐성 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지연 (2003). 장애청소년 및 성인의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발달장애청소년 및 성인의
지역사회 참여지원,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441~449.
•박지연 (2005).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행동 지원. 국립특수교육원 직무연수 자료집, 111-123.
•박현옥, 김정현 (2005).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증·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시각장
애연구, 21(2), 133-149.
•박현옥, 김정현 (2012). 긍정적 행동지원이 시각장애-지적장애 중복장애학생의 수업시간 중 문제행
동에 미치는 영향. 시각장애연구, 28(3), 69-85.
•방명애 (2008).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중재동향. 국립특수교육원.

참고문헌 301
참고문헌

•방명애·이효신 (2004). 정서 및 행동장애. 서울: 시그마프레스.


•방현실 (2010). 사회 정서발달프로그램에 통합학급 청각장애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
는 영향.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배진희 (2003) 청각장애 내담자들 간의 다양성: 정체성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4(2), 267-279.
•백기자 (2010). 청각장애 학생들의 일상적 스트레스 저항능력에 뉴로피드백 훈련이 미치는 영향 분
석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1, 3318-3324
•서정훈, 고영란 (2013). 다중언어에 노출된 ADHD 경향성 아동의 문제행동과 자기표현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20(2), 333-357.
•성태제, 시기자 (2006).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신미란 (2007). 음악치료가 뇌성마비아동의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신진숙 (2010). 지적장애아교육. 서울: 양서원
•신현기, 이성봉, 이병혁, 이경면, 김은경(2010).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 교육의 실제. 서울: 시그마프레스.
•안선미 (2009). 치료놀이기법을 적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안선미, 최성열 (2010). 치료놀이 기법을 적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
는 효과. 아동교육, 19(3), 305-322.
•안영진, 장선철(2002). 아동상담. 서울: 동문사.
•여성가족부 (2013). 장애유형별 맞춤형 매뉴얼 성인권교육.
•유서정 (2007). 지적장애 학생의 성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선미 (2007). 청각장애 아동의 진단과 평가시 의사소통 능력 평가의 중요성에 관한 질적연구. 언
어청각장애연구, 12, 447-464.
•유은정 외 7인(2010). 청각장애아동의 이해와 교과교육. 학지사.
•유한구, 김수연, 이은주, 교육인적자원부 (2004). 초등 일반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통합교육 프로
그램의 개발 및 적용과 그 효과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유향숙(2005). 또래중재 연극놀이가 뇌성마비 아동의 사회적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점룡, 이상훈, 문현미, 서은정, 김민동, 문장원, 이효신, 윤치연, 김미경, 정대영, 조재규, 박계신
(2013). 정서 및 행동장애아 교육. 서울: 학지사.
•윤현숙 (2007). 구조화 접근을 통한 부모교육이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학령기 아동의 문제행동

302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및 언어 발달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5(2), 43~53.
•윤현숙 (2007). 비디오 피드백을 이용한 자기관찰방법이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지시순응 및 충
동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폐학회, 7(1), 5-20.
•윤현숙, 곽금주 (2006). 부모직접교수가 자폐성 영아의 지시따르기 및 문제행동, 부모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효과. 인간발달연구, 13(2), 37~54.
•이경림 (2005). 시각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 평정척도 개발 및 사회적 기술 특성 분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경림 (2011). 시각장애학생 교육의 이해와 실제. 고양: 서현사.
•이기현 (2001). 유치원 통합교육 장면에서 청각자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난청과 언어장애연구, 11(2), 115-139.
•이대식 (2003). 교사들이 지각한 초등학생들의 정서·행동 문제와 대처방안의 효과. 정서·행동장애
연구, 19(4), 283-302.
•이대식 (2007). 성공적인 통합교육에 필요한 일반교육의 조건. 통합교육연구, 2(1), 1-27.
•이동영, 노현주 (2011). 특수학교 시각장애학생의 학교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에 관
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6, 85-108.
•이명희, 김정연, 표윤희, 임장현, 김경양 (2012). 지체, 건강 및 중복장애학생에 대한 이해. 서울: 학지
사.
•이명희, 유용권 (2010). 원예치료가 지체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사회·심리·정서적 행동특성 및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ㆍ식물ㆍ환경학회지, 13(5), 9-16.
•이병희, 오명화, 정재권, 조은실(2006). 미술치료가 중증 뇌성마비아동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7(4), 541-556.
•이상복, 이상훈 (1998). 정서·행동장애아 치료와 교육. 대구: 대구대학교 출판부.
•이소현 (1999). 자폐 장애의 일탈적 특성 고찰을 통한 특수교육적 접근의 방향성 정립: 사회성 발달
장애를 중심으로. 특수교육학연구, 34(2), 227~256.
•이소현, 박은혜 (1998). 특수아동교육. 서울: 학지사.
•이소현, 박은혜 (2011). 특수아동교육(3판). 서울: 학지사.
•이소현, 박지연, 박현옥 (2008).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화 행동지원 : 긍정적 행동지원의 계획 및 실
행. 서울: 학지사.
•이승동, 정훈영 (2012). 정서행동장애연구: 자기교시훈련 프로그램이 자폐성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8(4), 403-424.

참고문헌 303
참고문헌

•이옥형,김영애 (2001) 현실요법 집단상담이 청각장애 아동의 책임감 , 욕구좌절 ,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장기효과 연구. 교육학연구 39(3), pp.121-144
•이정민, 안성우, 최상배 (2002). 청각장애학생과 건청학생의 행동특성 비교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4(2), 155-177.
•이제화 (2010). 학급수준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의 문제행동과 활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11(1), 359-383
•이해균 (2008).시각장애학교 기숙학생과 통학생의 인간관계와 학교적응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9(2), 219-242.
•이화순 (2000). 사회적 기술훈련 프로그램이 시각장애 청소년의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효신 (2004). 특수학교의 학급 내 문제행동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
천, 5(2), 245~263.
•이효신 (2004). PECS를 이용한 자폐장애 유아의 자발적 의사표현 행동 향상. 한국정서행동장 애아
교육학회, 20(4), 335-351.
•이효신 (2007). 교사를 위한 응용행동분석. 서울: 학지사.
•임안수 (2010). 시각장애아교육. 서울: 학지사.
•임연수 (2002). 시각장애 유아의 사회적 시작행동 중재에 따른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시
각장애연구, 18, 43-62.
•임윤경 (2002). 시각적 스케줄 사용이 초등학교 자폐아동의 장소이동시간의 문제행동 발생에 미치
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은엽 (2003). 비디오 피드백을 포함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초등학교 자폐 아동의 수업참여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은희 (1992). 음악 속에 숨은 의학. 서울: 청암문학사.
•장혜경, 최외선 (2008).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충동성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5(3), 391-410.
•전상희 (2008).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이해. 국립특수교육원.
•전영호 (1995). 지적장애인의 성행동과 그 지도대안. 특수교육학회, 16, 119-146.
•정광윤, 임안수, 이해균, 신동렬, 서인환, 강보순, 이동훈, 이우관, 이태훈 (2001). 시각장애인의 일상
생활훈련. 서울: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정대영 (2009). 행동기능평가와 긍정적 행동지원. 파주: 양서원.

304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전용호 (1997). 장애인 복지론. 서울: 학문사.
•정정진 (1996). 지적장애 아동의 언어적 자기조정 훈련의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언어치료학회, 4,
113-130.
•정현주 (2005). 음악치료학의 이해와 적용.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조수철, 김다정, 김봉년, 김수진, 김은영, 김재원, 김효진, 남보라, 박규리, 박혜연, 반건호, 변민수, 손
지훈, 신문섭, 신서연, 양영희, 유한익, 이상돈, 이정현, 임미향, 장준환, 전유진, 정경미, 정동청,
정위훈, 조맹체, 채종희, 홍순범 (2011). 자폐장애. 서울: 학지사.
•조정연 (2006). 기능평가에 기초한 중재가 중복장애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
과학연구, 45(4), 57-77.
•조현경 (2009). 정서행동문제 청소년 대상 음악치료 연구분석: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이화여자대
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차재경, 김진호 (2007). 긍정적 행동지원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문헌고찰. 정서·행동장애연구,
23(3), 51-74.
•최규붕 (2003).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구안과 적용에 관한 연구. 시각
장애연구, 19(1), 111-142.
•최문지, 박은혜, 김주혜 (2009).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학생의 통합 학습에서의 문제행동 및 학업활
동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1), 21-41.
•최성규 (1997). 청각장애아의 심리. 도서출판 특수교육.
•최성규 (1999) 장애아동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부모의 요구조사. 초등특수교육연구, 1,
141-161.
•최애나, 김명현, 최낙천 (2009). 음악치료가 지적장애아동의 주의집중과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5(3), 17-40.
•최영종 (2010). 장애학생의 성행동 문제 유형 분석 -지적장애학생과 뇌성마비학생을 중심으로-. 특
수아동교육연구, 12(1), 249-265.
•최중옥 , 박희찬 (1997). 지적장애아 부모를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모형. 특수교육학회, 18(3).
•한경임 (2002). 보완대체 의사소통중재에 의한 중복 지체부자유아 문제행동 지도. 중복지체부자유
아교육, 39, 267-284.
•한경임, 맹현숙 (2003). 보완대체의사소통에 의한 요구하기 기능훈련이 중복장애학생의 문제행동
감소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학연구, 37(4), 219-241.
•한홍석, 박주연 (2011). 긍정적 행동지원이 중증 자폐성 장애학생의 자해행동과 공격행동에 미치는

참고문헌 305
참고문헌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7(1), 141-168.


•홍종표 (2009). 응용행동분석. 서울: 학지사.
•황선정 (2014). 뇌성마비아동과 청소년의 감각처리기능과 문제행동과의 상관관계.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순영 (2014). ADHD에 관한 100문 100답. 서울: 시그마프레스.
•황순영, 김정은 (2006). 성격변인을 통한 정신지체 및 일반학생 판별에 대한 연구. 특수아동교육연
구, 8(3), 233-251.
•Alberto, P. A., & Troutman, A. C. (1999). Applied Behavior Analysis for Teachers. 5th
Ed.,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Prentice-Hall.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text revision). Washington, D. C.: APA Press.
•Ashburner, J., Ziviani, J. & Rodger, S.(2010) Surviving in the mainstream: Capacity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o perform academically and regulate
their emotions and behavior at school.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4
(1), 18-27.
•Baghdadli, A., Pascal, C., Grisli, S., & Aussiloux, C. (2003). Risk factors for self-
injurious behaviours among 222 young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7(8), 622~627.
•Bak, S. (1999). Relationships between inappropriate behaviors and other factors in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RE:view, 31(2), 84-91.
•Bambara, L. M., & Kern, L. (2005). Individualized supports for students with problem
behaviors: Designing positive behavior plan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Bandura(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W.H. Freeman and Company.
•Barclay, L. A. (2003). Expanded core curriculum: Education. In S. S. Goodman, &
Wittenstein, S. H. (Eds). Collaborative assessment (pp. 94-121). New York: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Begun, R. W.(2006).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 초등학교 4-6학년용(응용발달심리연구센터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Best, Anthony B.(1992). Teachi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MK: Open University
Press.

306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Blasch, B. (1975). A study of the treatment of blindisms using punishment and
enforcement in laboratory and natural setting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Boulton-Lewis, G., Brownlee, J., & Walker, S. (2011). Moral and social development:
Teachers’ knowledge of children’s learning and teaching strategies in the early
years. Australas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36(4), 6-14.
•Brown, K. A., Wacker, D. P., Derby, K. M., Peck, S. M., Richman, D. M., & Sasso, G. M.
(2000). Evaluation the effects of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establishing operation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33,
53-71.
•Brubaker, R. G., & Szakowski, A. (2000). Parenting practices and behavior problems
among deaf children. Child & family behavior therapy, 22(4), 13-28.
•Cardaciotto, L., & Herbert, J. D. (2004).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social anxiety
disorder in the context of asperger’s syndrome: A single-subject report.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11, 75-81.
•Carr, E. G., & Durand, V. M. (1985). The social-communicative basis of severe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In S. Reiss & R. Bootzin (Eds.), Theoretical issues in
behavior therapy (pp. 219-254). New York: Academic Press.
•Chrisholm, B. (1966). Evaluation and treatment, In I. M. Seigel (Ed.). Posture in the
Blind. New York, NY: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Clark, G. M, & Kolstoe, O. P.(1990). Career development and transition education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Boston: Allyn & Bacon.
•Clark-Bishcke, C., & Crowley, E. P. (2011). Applied behavior analysis and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 literature review. Insight: Research & Practice in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4(1), 2-14.
•Cohn, J., & Tronick, E. (1983). Three month old infants’ reaction to stimulated maternal
depression. Child Development. 54, 185-193.
•Cox, P. R., & Dykes, M. K.(2001). Effective classroom adaptation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33(6). 68-74.
•Crone, D. A., & Horner, R. H. (2003). Build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systems

참고문헌 307
참고문헌

inschools. New York, London: Guilford Press.


•Deitz S. M. (1977). An analysis of programming DRL schedules in educational setting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15, 103–111.
•DeMario, N. C., & Crowley, E. P. (1994). Using applied behavior analysis procedures to
change the behavior of students with visual disabilities: a research review.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88(6), 532-543.
•Deris, A. R., Hagelman, E. M., Schilling, K., & DiCarlo, C. F. (2006). Using a weighted or
pressure vest for a child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
•Durand, V. M. (1999). Functional communication training using assistive devices:
Recruiting natural communities of reinforcement.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31, 543-560.
•E. Amanda Boutot, Brenda Smith Myles(2012). 자폐스펙트럼장애 특징과 효과적인 전략.
•Eaton, S. B., & Wall, Robert S.(1999). A survey of social skills instruction in preservice
programs for visual disabilities. Re: View, 31(1), 40-45.
•Eichel, V. J. (1979). A taxonomy for mannerisms for blind childre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73(5), 167-168.
•Elder, L. M., Caterino, L. C., Chao, J., Shacknai, D., & De Simone, G. (2006). The efficacy
of social skills treatment for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Education &
Treatment of Children, 29(4). 635~663.
•Elder, J. H., Shankar, M., Shuster, J., Theriaque, D., Burns, S., & Sherrill, L. (2006). The
gluten-free, casein-free diet in autism: Results of a preliminary double-blind
clinical trial.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6, 413–420.
•Elliott, S. N, & Gresham, F. M. (1991). Social skills intervention guide: Practical strategies
for social skills training.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Elliott, S. N., Malecki, C. K., & Demaray, M. K.(2001). New directions in social skills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Exceptionality, 9(1&2), 19-32.
•Emmer, E. T., Everson, C. M., & Worsham, M. E. (2006). Classroom management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7th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Ertesvag, S. K., & Valand, G. S.(2007). Prevention and reduction of behavioural problems

308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in school: An evaluation of the respect program. Educational Psychology, 27(6),
713-719.
•Ferrell, K. A. (1984). Parenting preschoolers: Suggestions for raising young blind and
visually impaired children. New York, NY: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Fornefeld, B. (1997). 최중도장애아의 교육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기초적 관계. 국제학술세
미나자료집, 4, 27-59.
•Foulke, E., & Uhde, T. (1975). Do blind children need sex education? Sex education
for th visually handicapped in schools and agencies. New York, NY: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Garry, M., & Joseph, P. (2011). Behavior Modification: What It Is and How to Do It. (9th
Ed.), NY: Pearson Publishing.
•Goodman, S. A., & Wittenstein, S. H.(Eds.)(2003). Collaborative assessment. NY: AFB
press.
•Granpeesheh, D., Tarbox, J., & Dixon, D. (2009). Applied behavior analyti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A description and review of treatment research. Annals
of Clinical Psychiatry, 21, 162~173.
•Gumpel, T. P., & Nativ-Ari-Am, H.(2001). Evaluation of a technology for teaching
complex social skills to young adults with visual and cognitive impairments.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95, 95-107.
•Hallenbeck. B. A., & Kauffman, J. M.(1995). How does observational learning affect the
behavior disorders? A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9, 43-71.
•Hatlen, P. H.(1996). The core curriculum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students,
including those with additional disabilities. RE:view, 28(1). 25-32.
•Hawken, L. S., & Horner, R. A. (2001). Evaluation of a largeted group intervention within
a schoolwide system of behavior support.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Hodgetts S., Magill-Evans J., Misiaszek J. (2011). Effects of weighted vests on classroom
behavior for children with autism and cognitive impairments.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5(1), 495-505.
•Holbrook, M. C., & Koenig, A. J. (2000). Foundations of education Vol Ⅰ: History and
theory of teaching children and youths with visual impairments (2nd eds.). NY:

참고문헌 309
참고문헌

AFB Press.
•Holland, L. (1971). How to deal with blindisms. Long Cane News, 4(5), 24-27.
•Horner, R. H., & Carr, E. G. (1997). Behavioral support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Functional assessment and comprehensive interventio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31, 84–104.
•Huot, S. (2002). The Attachment of attachment security through art therapy: A case
study illustration. Thesis, Concordia University, Cananda.
•Hurley, A. D., & Sovner, R.(1993). Treatment of sexual deviation in mentally retarded
Persons. New York: Free Press.
•Individuals with Disability Education Act Amendments of 1997 [IDEA]. (1997). Retrieved
from http://thomas.loc.gov/home/thomas.php.
•Igarashi, N. (1971). Ocular autostimulation of preschool blind children. Bulletin of
the Tokyo Metropolitan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Physically and Mentally
Handicapped, 39-45.
•James, S. (2011). Special education teacher knowledge of literacy: An analysis of two
preparation programs’ effectiveness in increasing subject-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reading comprehension. Ed.D. Dissertation,
University of Kansas, USA. (ED533650).
•Jensen, M. M.(2005). Introduction to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s. New Jersey:
Pearson Prentice Hall.
•Jindal-Snape, D.(1998). Using self-evaluation procedures to maintain social skills in a
child who is blind.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92(5), 362-6.
•K. McClintock, S. Hall, C. Oliver(2003). Risk markers associated with challenging
behaviours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meta‐analytic stud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7(6), 405-416.
•Kathryn, W. H., Paul, A. A., Sherwood, J. B., & Morton N. S. (2009). 박은혜, 강혜경.
•Kauffman, J. M. (1993). How we might achieve the radical reform of special education.
Exceptional Children, 60, 6-16.
•Kauffman, J. M.(2013). Characteristic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children
and youth(10th edition). NJ: Pearson Education.

310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Kirk, S. A., & Chalfant, J. C. (1984). Academic and developmental learning disabilities.
Denver, CO: Love Publishing.
•Kluwin, T. (1983). Discourse in deaf classrooms: The structure of teaching episodes.
Discourse Processes, 6, 275-293.
•Knight, J. (1972). Mannerisms in the congenitally blind child. The New Outlook for the
Blind, 66(9), 297-302.
•Koenig, A. J., & Holbrook, M. C.(2000). Foundations of education Vol Ⅱ: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children and youths with visual impairments(2nd eds.). NY:
AFB Press.
•Lee, H. J., Myles, B. S., & Tien, K. C. (2009). Indicators for Externalizing Behaviors of
Adolescents with Asperger Syndrome. 정서·행동장애연구, 25(3), 1-18.
•L. Juane Heflin, Donna Fiorino Alaime(2007).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 교육의 실제.
•Levine, E. (1956). Youth in a soundless world.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Lewis, M., Stranger, C., Sullivan, M., & Barone, P. (1989). Deception in the three year
olds. Developmental Psychology, 25, 439-443.
•Lou, M., & Charlson, E. (1991). A program to enhance the social cognition of deaf
adolescents. In D. Martin (Ed.), Advances in cognition, education, and deafness (pp.
329-334). Washington, DC: Gallaudet University.
•Loumiet, R., & Levack, N. (2003). Independent Living: A Curriculum with Adaptation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ustin, TX: Texas School for the Blind Visually
Impaired.
•Lowenfeld, B.(1975). The changing status of the blind: From separation to integration.
Ill: Charles C Thomas.
•Malchiod, C. A. (2000). 최재영, 김진영 역(2008). 미술치료. 서울: 조형교육.
•Mar, H. H. & Cohen, E. J. (1998). Educating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ho
exhibit emotional and behavior problems. In Sacks, S. Z. & Siberman, R. K.
Educating Students who Have Visual Impairments with Other Disabilities.
Baltimore, Maryland: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Martin, G., & Pear, J. (2007). Behavior modification: What it is and How to do it (6th
ed). Upper Saddle Rover, NJ: Prentice Hall.

참고문헌 311
참고문헌

•McCain, K. G., & Antia, S. D. (2005). Academic and social status of hearing, deaf, and
hard of hearing students participating in a co-enrolled classroom. Communication
Disorders Quarterly, 27(1), 20-32.
•McClintock, K., Hall, S., & Oliver, C. (2003). Risk markers associated with challenging
behaviors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meta-analytic stud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7(6), 405~416.
•McGregor, D., & Farrenkopf, C (2000). Recreation and leisure skills. in Koenig, A. J., &
Holbrook, M. C. (eds.) Foundations of Education vol 2.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Children and Youths with Visual Impairments. NY: AFB press.
•Meadow, K. (1980). Deafness and child development.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Meadow-Orlans, K. (1990). Research on developmental aspects of deafness. In D.
Moores & K. Meadow-Orlans (Eds.), Educational and developmental aspects of
deafness (pp. 283-298). Washington, DC: Gallaudet University Press.
•Meichenbaum, D. (1975). Self-instructional methods. In F. H. Kanfer, & A. P. Goldstein
(Eds.), Helping people change (pp. 357-391). New York: Pergamon Press.
•Meichenbaum, D. (1977). Cognitive-Behavior Modification, an Integrative Approach.
Kluwer Academic Publishers.
•Meichenbaum, D. (1995). 인지적 행동수정의 통합적 접근. 양서원, 여광응;정용석(역).
•Mercer, C. D., & Snell, M. E. (1977). Learning theory research in mental retardation:
Implications for teaching. Columbus, Ohio: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mpany.
•Merrill,E. C., & Peacock, M.(1993). Allocation of attention and task difficulty.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8(5), 588-593.
•Miller, L. J. (2003). Empirical Evidence Related to Therapies for Sensory Processing
Impairments, NASP Communique, 31(5).
•Minat, R. K.(1982). Sexuality and the mentally handicapped. SanDiego: College-Hill
Press.
•Mire, S. P., & Chisholm, R. W.(1990). Functional communication goals for adolescents
and adults who are severely and moderately mentally handicapped.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21(1), 57-58.

312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Morse, J. (1965). Mannerisms, not blindisms: Causation and treatment.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Blind, 15(1), 12-16.
•Murphy, G., Beadle-Brown, J., Wing, L., Gould, J., Shah, A., & Homes, N. (2005).
Chronicity of challenging behaviors in people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or autism: A total population sampl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5(4), 405~418.
•Myklebust, H. (1964). The psychology of deafness: Sensory deprivation, learning, and
adjustment (2nd ed.). New York: Grune & Stratton.
•Neff, J. (1975). Behaviour objectives and learning activities in sex education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Suggestions for a curriculum. Sex education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schools and agencies: Selected papers. New York,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Neff, J. (1982). Sexuality education methodology. In S. S. Nangold (Ed.), A teacher’s
guide to the special educational needs of blind and visually handicapped children.
New York, NY: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Nordenstam, T. (2013). Practical knowledge and ethics. AI & Society, 28(4), 377-382.
•Nordoff, P., & Robbins, C. (1995). Music Therapy on special education. New York: John
Day Company.
•Odom, S. L., & McConnell, S. R. et al.(1999). Relative effects of interventions supporting
the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9(2), 75-91.
•Odom. S. L., Strain. P. S. (1986). A comparison of peer-initiation and teacher-antecedent
interventions for promoting reciprocal social interaction of autistic preschoolers.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19, 59-71.
•Otto, C., & Everett, S. (2013). An instructional strategy to introdu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using Venn diagram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4(2),
391-403.
•Parasnis, I., & Long, G. (1979). Relationship among spatial skills, communication skills,
and field dependence in deaf student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49, 879-887.
•Paul, P., & Quigley, S. (1990). Education and deafness. White Plains, NY: Longman.

참고문헌 313
참고문헌

•Pintner, R. (1933). Emotional stability of the hard of hearing.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43, 293-309.
•Quittner, A. L., Barker, D. H., Cruz, I., Snell, C., Grimley, M. E., Botteri, M., & CDaCI
Investigative Team. (2010). Parenting stress among parents of deaf and hearing
children: associations with language delays and behavior problems.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10(2), 136-155.
•Raheja, S., Libretto.(2002). Successful use of risperidone in an adult with the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Asperger’s syndrome: A case report.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48(1), 61-66.
•Richard L. Simpson, Sonja R. de Boer-Ott, Deborah E. Griswold, Brenda Smith Myles,
Sara E. Byrd, Jennifer B. Ganz, Katherine Tapscott Cook, Kaye L. Otten, Josefa
Ben-Arieh, Sue Ann Kline, Lisa Garriott Adams.(2005). 자폐 범주성 장애 : 중재와 치료.
서울: 시그마프레스.
•Robinson, S., Curwen, T., & Ryan, T. G. (2012). A review of co-morbid disorders of
asperger’s disorder and the transition to adulthood. International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7(1), 4~16.
•Rodda, M., & Grove, C. (1987). Language, cognition, and deafness. Hillsdale, NJ:
Erlbaum.
•Ron leaf, John McEachin.(2013). 자페증 치료를 위한 ABA프로그램. 서울: 학지사.
•Rumrill, P. D.(1999). Effects of a social competence training program on accommodation
request activity, situational self-efficacy, and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knowledge among employed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nd blindness.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12, 25-31.
•Ruohotie-Lyhty, M. (2011). Constructing practical knowledge of teaching: Eleven newly
qualified language teachers’ discursive agency. Language Learning Journal, 39(3),
365-379.
•Sacks, S. Z., & Silberman, R. K. (2000). Social skills. In A. J. Koenig, & M. C. Holbrook
(eds.), Foundations of educ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eaching children and
youths with visual impairments (pp. 616-652). NY: AFB Press.
•Sacks, S. Z., & Wolffe, K. E.(1992). The importance of social skills in the transition

314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proces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1), 46-55.
•Sandler, A. (1963). Aspects of passivity and ego development in the blind infant.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18, 343-361.
•Scheuermann, B., & Webber, J. (2002). Autism: Teaching DOES make a difference.
Belmot, CA: Wadsworth/Thomson Learning.
•Schloss, P., Smith, M., & Schloss, C. (1984). Empirical analysis of a card game designed
to promote consumer-related social competence among hearing-impaired youth.
American Annals of the Deaf, 129, 417-423.
•Schwenkler, J. (2011). Perception and practical knowledge. Philosophical Explorations,
14(2), 137-152.
•Shinas, V., Yilmaz-Ozden, S., Mouza, C., Karchmer-Klein, R.,. & Glutting, J. (2013).
Examining domains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using factor
analysis.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45(4), 339-360.
•Sigurdardottir, S., Indredavik, M. S., Eiriksdottir, A., Einarsdottir, K., Gudmundsson, H.
S., & Vik, T. (2010). Behavioural and emotional symptoms of preschool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population-based stud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52(11), 1056-1061.
•Sipal, R. F., Schuengel, C., Voorman, J. M., VanEck, M., & Becher, J. G. (2010). Course of
behaviour problems of children with cerebralpalsy: the role of parental stress and
support.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36(1), 74-84.
•Skellenger, A. C., Hill, M. M., & Hill, E.(1992). The social functioning of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In S. L. Odom, S. R. McConnell, & M. A. McEvoy(Eds.),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pp. 165-188). Baltimore: Paul.
•Smith, D. M., & Landreth, G. L. (2004). Filial Therapy with Teachers of Deaf and Hard of
Hearing Preschool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Play Therapy, 13(1), 13.
•Smith, S. A., Press, B., Koenig, K. P., & Kinnealey, M. (2005). Effectsof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on self-stimulating and self-injurious behavior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9, 418–25.
•Snell, M. E., & Hoover, K. (2003). A Review of Recent Intervention Research on

참고문헌 315
참고문헌

Nonsymbolic and Symbolic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with


Others by Students who have Severe Disabilities. 국립특수교육원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Sroufe, L. (1979). Socioemotional development. In J. Osofsky (Ed.), Handbook of infant
development (pp. 462-516). New York: Wiley.
•Sugai, G. M., and Tindal, G. (1993). Effective school consultation: An interactive
approach. Pacipic Grove. CA. Brooks/cole.
•Trent, S. D. (1987). The importance of social skills in the employment interview.
Education of the Visually Handicapped, 19(1), 7-18.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Hazardous Substances Data Bank (HSDB,
online database). National Toxicology Information Program,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Bethesda, MD. 1993.
•Vernon, M. (1967a). Relationship of language to the thinking process. Archives of
Genetic Psychiatry, 16, 325-333.
•Vernon, M. (1967b). Prematurity and deafness: The magnitude of the problem among
deaf children. Exceptional Children, 34, 289-298.
•Volker, M. A., & Lopata, C. (2008). Autism: A review of biological bases,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3(2), 258~270.
•Vollmer, T. R., Iwata, B. A., Zarcone, J. R., Smith, R. G., & Mazaleski, J. L. (1993). The
role of attention in the treatment of attention-maintained self-injurious behavior:
Noncontingent reinforcement and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other behavior.
Journal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26, 9-21.
•Walker, H. M., Schwarz, I. E., Nippold, M. A., Irvin, L, K., & Noell, J. W. (1994). Social
skills in school-age children and youth: Issues and best practices i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14(3), 70-82.
•Warren, D. H. (1994). Blindness and children: An individual differences approach. New
York, HY: Cambridge University Press.
•Weiner, B. (1974). Achievement motivation and attribution theory. Morristown, NJ:
General Learning Press.
•Weisel, A. (1985). Deafness and perception of nonverbal expression of emotio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61, 515-522.

316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Q&A


•White, F. (1981). Affective vocabulary and personal adjustment of deaf and hearing
adolescent popul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 Texas State
University, Commerce.
•Wilbur, R. (1987). American Sign Language: Linguistic and applied dimensions (2nd ed.).
Boston: Little, Brown.
•Wilkinson, C. (2008). Status of Coral Reefs of the World. Global Coral Reef Monitoring
Network and Reef and Rainforest Research Center, Townsville, Australia.
•Wolery, M., Bailey, D. B., & Sugai, G. M. (1988). Effective teaching: Principles
andprocedures of applied behavior analysis with exceptional students. Boston:
Allyn &Bacon.
•Zahle, J. (2012). Practical knowledge and participant observation. Inquiry, 55(1), 50-65.
•Zeaman, D., & House, B. J. (1963). The role of attention in retardate discrimination
learning. In N. R. Ellis (Ed.), Handbook of mental deficiency (pp. 159–23). New
York: McGraw-Hill.
•Zigler, E.(1973). The retarded child as a whole person. In D. K. Routh(Ed.), The
experimental psychology of mental retardation (pp.267-273). Hawthome, NY:
Aldine.
•白石正久 (2005). 重度自閉症の行動と発達.障害者問題研究, 33(1),10-17.
•北島善夫 (2006). 重症心身障害児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指導の視点.障害者問題研究, 33(4),283-
290.
•井上裕紀、竹村 文(2013)。教師と親のための児童の問題行動を解決する3ステップ。日本評論社。
•水野治久、諸富祥彦(2013)教師のための問題行動フローチャート。図書文化。
•平澤紀子(2008)応用行動分析から学ぶ児童観察力&支援力養成ガイド。株式会社学研出版。
•志賀利一(2000)発達障害児者の問題行動ーその理解と対応マニュアル。エンパワメント研究所。

참고문헌 317
연구진 명단
책임 연구원 박재국(부산대학교 특수교육과)

공동 연구원 권순황(한국국제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김영미(광주여자대학교 초등특수교육과)


김혜리(중부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이경림(부산대학교 특수교육과)
황순영( 부산대학교 특수교육과)

협력 연구원 이한우(교육부 특수교육정책과)


조춘근(부산광역시교육청 유아특수복지과)
이성환(부산시교육청 유아특수복지과)
이상묵(부산광역시교육청 유아특수복지과)
손상희(부산광역시 교육연수원)
김우경(부산시남부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
장아롱(부산시남부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
정원택(부산시남부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
송민지(부산시해운대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
김윤정(기장초등학교)
김종욱(영도초등학교)
박수동(창신초등학교)
양경화(부산한솔학교)
우은진(부산해마루학교)
전인주(사직중학교)
최성욱(신촌초등학교)
김은라(부산대학교 특수교육학과)
이후희(부산대학교 특수교육학과)
박유정(University of Tennessee)
최진혁(Columbia University)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중재 가이드북 Q&A
장애유형별 문제행동 중재지침 개발연구

발 행 일 2014년 5월 31일
발 행 처 부산광역시교육청
연구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편집기획 도도북스

ISBN 979-11-85323-13-8 13370


장애학생의
문제행동 사례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