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한글학교 한국어 5권

봐요 1. 가족하고 동물원에
갔어요
구분 활동 내용 준비물
소요
시간

아이의 돌 사진을 보며 대화 듣기 듣기 자기의 옛날 사진을 보여주고 친구들에게 소개하기 학생의


10분
후 활동 목표 문형 복습 및 정리 옛날 사진

활동 목표
엄마와 아이가 돌 사진을 보며 대화를 하고 있는 상황을 통해 과거의 일에 대한 듣기 전 활동
듣기를 이해할 수 있다.
1. 사진을 소재로 학생들과 이야기를 시작한다.

질문 예시:
1) 사진 찍는 것을 좋아해요?

활동 개요 2) 누구하고 찍는 것을 좋아해요?
3) 기억에 남는 사진이 있어요?
소요 4) 왜 기억에 남아요?
구분 활동 내용 준비물
시간 5) 그 사진을 언제 찍었어요?
6) 가지고 있는 사진 중에서 가장 오래된 사진은 어떤 사진이에요?
학습 동기 유발 교사나 학생의 7) 그 사진을 누구하고 같이 찍었어요?
듣기
본 학습에 앞선 기초학습 옛날 사진 5분
전 활동 8) 그 사진을 찍을 때 어떤 일이 있었어요?
활동 내용과 목표 설명 (도입용)
도입 대화 시 상호작용 방법:
1) 교사 – 전체 학생
듣기 전체 내용 훑어 듣기 교사는 전체 학생에게 질문하고 학생들은 자유롭게 대답한다.
15분
활동 전체 내용 자세히 듣고 내용 확인 2) 교사 – 특정 학생
교사는 사진을 미리 준비한 학생을 지목하여 질문한다.

한글학교 한국어 5권 1 가족하고 동물원에 갔어요

-1- -2-
아이의 돌 사진을 보며 대화 듣기
봐요
예 예
교사: 여기에 엄마와 아이가 있어요. 아이의 이름은 상우예요.
교사: 여러분은 가족, 친구하고 사진을 많이 찍었어요?
두 사람이 지금 무엇을 해요?
학생: 네/ 아니요.
학생: 같이 사진을 봐요.
교사: 여러분은 그 사진을 언제 찍었어요?
교사: 맞아요. 그 사진을 언제 찍었어요?
학생: 지난주에 찍었어요./ 작년에 찍었어요./ 5년 전에 찍었어요.
학생: 아마 아기 때 찍었어요.
교사: (사진을 찍은 지 가장 오래된 학생을 지목하며)
교사: 아기의 기분이 어땠어요?
와, 옛날에 그 사진을 찍었어요. 그때 누가 있었어요? 무슨 일이 있었어요?
학생: 아마 슬펐어요. / 기분이 나빴어요.
학생: 유치원 친구들하고 같이 있었어요. 생일 파티를 했어요.
교사: 사진에 있는 아기가 무엇도 하고 무엇도 했어요?
학생: 선물도 받고 케이크도 먹었어요.
[도움말]
수업 전에 교사와 학생의 사진을 미리 준비한다.
3. 활동 내용과 목표를 설명한다.
2. 활동지를 나누어 주고 그림을 보면서 어떤 이야기일지 추측한다.

활동 내용: 엄마와 아이가 돌 사진을 보고 대화하는 내용에 대한 듣기 활동이다.


학생들에게 활동지를 한 장씩 배포한다. 활동 목표: 과거형과 나열형을 사용한 대화를 듣고 이해할 수 있다.
활동지의 그림을 보고 이야기를 추측한다.
질문 예시: 예
1) 언제 이 사진을 찍었어요?
교사: 여러분의 생일을 기억해요? 오늘 우리는 상우의 생일 이야기를 같이 들어요.
2) 사진에 있는 사람(들)의 기분이 어땠어요? 상우의 생일에 무슨 일이 있었어요?
3) 사진에 있는 사람(들)이 무엇도 하고 무엇도 했어요? 상우의 기분이 어땠어요?
엄마와 상우의 이야기도 듣고 문제도 같이 풀어요.

한글학교 한국어 5권 1 가족하고 동물원에 갔어요

-3- -4-
아이의 돌 사진을 보며 대화 듣기
봐요
4. 준비물 2. 들은 내용을 학생들과 함께 확인한다.

① 교사 사진: 인쇄된 사진 준비, 디지털 사진일 경우 컴퓨터에 저장해 놓는다.


문제를 풀지 않고 전체 내용 확인 정도만 가볍게 진행한다.
② 학생 사진: 수업 전에 인쇄된 사진을 준비하게 한다.
교사 – 전체 학생: 들은 내용을 자유롭게 말한다.
디지털 사진일 경우 교사에게 파일로 보낸다.
질문 예시:
교사는 학생의 디지털 사진을 교실 컴퓨터에 저장해 놓는다.
1) 상우의 몇 번째 생일이었어요?
[도움말] 2) 그때 기분이 어땠어요?
혼자 찍은 사진보다는 다른 사람과 함께 찍거나, 활동 등을 하고 있는 사진 중심으로
3) 그때 무슨 일이 있었어요?
선택한다.


듣기 활동
교사: (들은 내용이나 단어, 표현 등을 자유롭게 말할 수 있도록 유도)
잘 들었어요? 상우의 몇 번째 생일이었어요?
1. 활동지를 보지 않고 전체 내용을 한 번 듣는다. 학생: (내용이나 단어, 표현 이야기) 첫 번째 생일이었어요.
교사: 와, 정말 잘 들었어요.

전체 듣기 활동을 지시한다. 그럼 그때 상우의 기분이 어땠어요?


학생: (다양한 답 제시) 기분이 좋았어요./ 안 좋았어요./ 울었어요.
들으면서 메모를 하거나 그림을 그리면서 듣는다.
교사: 상우의 생일에 사람들이 많이 왔어요? 그리고 그때 무엇을 했어요?

교사: 우리는 상우의 생일 이야기를 들어요. 문제를 보지 않아요.


이야기를 한번 듣고 같이 이야기도 해요.

(듣기 재생 ①) - 전체 듣기

한글학교 한국어 5권 1 가족하고 동물원에 갔어요

-5- -6-
아이의 돌 사진을 보며 대화 듣기
봐요
3. 활동지를 보며 다시 듣는다. 문제 풀이 방법:
다시 듣기 전에 활동지의 문제를 함께 읽어 본다. 1) 한 번 듣고 문제 전체 풀기
학생들의 실력이 좋은 경우 듣기 재생은 한 번만 한다.
예 한 번 듣고 1, 2번 문제를 모두 풀어 본다.
2) 문제별로 각각 듣기
교사: 여러분 활동지의 문제를 보세요. 1번 문제는 뭐예요? 학생들이 듣기를 어려워할 경우 각 문제별로 한 번씩, 총 두 번을 듣는다.
학생: (1번 문제를 읽는다.) 상우는 첫 번째 생일에 기분이 어땠어요?
1번 문제를 풀면서 듣기 재생 ②
교사: 그때 상우의 기분이 좋았어요? 나빴어요? 재미있었어요?관련 동사
힘들었어요?
2번 문제를 풀면서 듣기 재생 ③
같이 들어 봐요. 다음 2번 문제를 읽을까요?
학생: (2번 문제를 읽는다.) 맞으면 O, 틀리면 X 하세요. 예
교사: 2번 문제는 이야기를 듣고 이것이 맞았어요? 틀렸어요? O/X 해요. (듣기 재생 ②)
같이 들어 볼까요?
교사: 잘 들었어요? 옆 친구와 같이 답을 확인하세요.
학생: (두 명씩 짝을 지어 답을 확인한다.)
4.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를 푼다. 교사: 여러분, 같이 이야기했어요? 짝하고 들은 내용이 같아요? 달라요?
학생: 같아요. / 달라요.
듣기를 마친 후, 정답을 확인한다. 교사: 그래요? 그럼 다시 듣고 함께 확인해 볼까요?
확인 방법: (문항 별로 관련 내용을 다시 듣는다.)
교사: 어때요? 상우는 그때 왜 울었어요?
1) 1차 짝 확인 – 옆에 앉은 학생 두 명씩 정답을 확인한다.
학생: 사람들이 너무 많았어요. / 시끄러웠어요.
답이 다른 경우 각자의 활동지에 메모해 둔다.
교사: 맞아요. 그래서 기분이 어땠어요?
2차 확인 때 정답을 확인한다.
학생: 안 좋았어요.
2) 2차 교사 확인 – 교사와 함께 정답을 확인한다. 교사: 맞아요. 그래서 울었어요. 다음 질문이에요. 상우의 생일에는 누가 왔어요?
번호 순서대로 질문한다. 학생: 가족하고 친척도 많고 엄마, 아빠 친구들도 많이 왔어요.
교사: 상우의 생일에 무엇을 했어요?
학생: 노래도 부르고 이야기도 많이 했어요.
교사: 또 무엇을 했어요?
학생: 케이크를 잘랐어요. 사진도 찍었어요.

한글학교 한국어 5권 1 가족하고 동물원에 갔어요

-7- -8-
아이의 돌 사진을 보며 대화 듣기
봐요
5. 마지막 듣기를 하며 내용을 정리한다. 듣기 후 활동
전체 듣기를 하면서 학생들이 내용을 놓치거나 이해를 잘 못 하는 부분이
있으면 다시 확인한다. 1. 자기의 옛날 사진을 보여주고 친구들에게 소개한다.

한 사람씩 나와서 미리 준비한 사진을 보면서 발표한다.


예 발표 시간은 한 사람에 3분 정도로 제한한다.

교사: 잘 들었어요? 우리 마지막으로 다시 들어요. 여러분은 무엇을 잘 못 학생이 많은 경우 옆에 앉은 두 명씩 짝을 지어 짝 활동으로 대신한다.


들었어요? 무엇이 어려웠어요? 소개 예시
다시 들어 봐요. 어려운 부분은 한 문장씩 들을 거예요.관련 동사 1) 배경 설명: 언제, 어디에서, 누구하고 찍었는지 말한다.
2) 상황 설명: 사진을 찍었을 때 무엇을 하고, 기분이 어땠는지 말한다.
(듣기 재생 ③) - 전체 듣기 학생 발표 시 교사는 목표 문형을 사용하도록 유도한다.

[도움말] 2. 오늘 활동을 통해 배운 어휘들과 문법 표현을 다시 정리한다.


교실 상황과 학습자 이해도에 따라 한 문장씩 끊어서 듣고 따라 읽기를 진행한다.

어휘 항목 정리: 칠판에 판서하거나 활동지를 가리키며 확인한다.


1) 활동지 순서대로 정리: 사진을 찍다, 생일, 기분, 친척, 시끄럽다,
조용하다, 울다, 자르다, 기억이 나다/ 안 나다
2) 듣기 후 활동 시 학생 발표 내용대로 정리
문법 표현 정리: 활동지의 그림을 보며 전체 확인한다.
교사가 전체 학생에게 확인 질문을 하는 과정을 통해 정리하는 것이 좋다.

한글학교 한국어 5권 1 가족하고 동물원에 갔어요

-9- - 10 -
아이의 돌 사진을 보며 대화 듣기
봐요
참고 사항

본 활동은 한국어에 유창성이 높은 학생들의 경우 듣기의 내용을 확장하여


듣기 스크립트를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다.
1) 모둠 짓기: 2~3명으로 구성
2) 주제:
나의 유치원 졸업식/ 나의 초등학교 입학식/ 우리 가족의 생일파티/
한글학교 친구들과 여행을 간 날 등
3) 상황 선택 후 이야기 만들기
상황을 선택한다.
선택한 상황에 맞는 스크립트를 만든다.
스크립트는 활동지의 스크립트 내용을 기본 바탕으로 한다.
이야기를 만든 후 내용 확인 질문 2개를 만든다.
4) 스크립트 내용 발표하기
듣기 내용을 발표한다.
5) 스크립트 내용을 잘 듣고 질문하기
발표자는 다른 학생들에게 내용 확인 질문을 한다.
발표를 들은 다른 학생들이 대답한다.
발표자에게 추가 질문을 한다.

한글학교 한국어 5권 1 가족하고 동물원에 갔어요

- 11 - - 12 -
아이의 돌 사진을 보며 대화 듣기
봐요
상우가 엄마하고 같이 첫 번째 생일 때 사진을 봤어요. 잘 듣고 문제를 풀어 보세요. 1. 상우는 첫 번째 생일에 기분이 어땠어요?

1 2
관련 동사

3 4

2. 맞으면 O, 틀리면 X 하세요.

(1) 상우의 생일에 가족들만 와서 조용했어요. ( O , X )

(2) 그날 사람들이 노래도 부르고 이야기도 많이 했어요. ( O , X )

한글학교 한국어 5권 1 가족하고 동물원에 갔어요

- 13 - - 14 -
아이의 돌 사진을 보며 대화 듣기
봐요

한글학교 한국어 ⑤ - 1과
듣기 스크립트

상우: 엄마, 이 사진을 언제 찍었어요?


엄마: 상우의 첫 번째 생일에 찍었어요.
상우: 그런데 저는 생일에 왜 기분이 안 좋았어요?
엄마: 생일파티에 가족하고 친척도 많고 엄마, 아빠 친구들도
많았어요. 사람들이 너무 많고 시끄러웠어요.
그래서 상우가 사람들 앞에서 울었어요.
상우: 그랬어요? 그럼 생일에는 무엇을 했어요?
엄마: 먼저 케이크를 자르고 노래도 불렀어요. 다 같이 사진도 찍고
이야기도 했어요.
상우: 지금은 기억이 안 나요. 하지만 첫 번째 생일이 재미있었어요.

한글학교 한국어 5권 1 가족하고 동물원에 갔어요

- 15 - - 1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