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DOI: http://dx.doi.org/10.16933/sfle.2021.35.1.

131

AI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김성희
(동국대학교)

신정아*
(동국대학교)

Kim, Sung-Hee & Shin, Jeong-Ah. (2021).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toward English education using AI. Studie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35(1), 131-146.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on utilizing AI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ata science in teaching English.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wo categories: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toward using AI in teaching
and their perceptions concerning the future of English education. A total of 161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55 elementary, 52 middle, and 54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in Seoul. Disparities
were reported among three school levels for their perceptions in implementing the latest technology
at issue; elementary teachers were significantly less interested and ready in teaching English by
utilizing AI than middle- and high-school teachers. By these new trends, teachers exhibited their
concerns in the possible removal of traditional language teaching such as conversation and writing
classes; this may ultimately hinder their existence as the primary knowledge bearer. Also, as for
comparing the future readiness of English teachers in 2017 and 2020, a significantly positive change
in their perceptions toward English education using AI. The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future English teacher training policies are suggested and discussed.

Ⅰ. 서론
2019년 말 중국 우한에서 발생한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유행으로 2020년도의 모든 산업 및 일상에 전대미문
의 변화가 찾아왔다. 이에 학교 교육은 온라인 수업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예상보다 빠르게 선택권 없이 놓
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놓이자, 초등학교에서부터 대학까지 다양한 기술들을 수업을 진행하는데 접목하게
되었고, 영어 수업 또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교육의 효과를 얻고자 하였다(e.g., 박선호, 최희경, 2020; 안지은,
박지현, 2020; 이보경, 2020; 최원경, 2020).
하지만, 교실 수업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다는 것을 반증하듯이 교사의 역량과 정보화기기 기반 여
건에 따라 현재 학교현장에 이루어지고 있는 온라인 수업은 쌍방향 실시간 화상수업과 컨텐츠(contents) 위주
의 일방향 수업으로 극명하게 나뉘게 되었다. 쌍방향 화상수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지역의 특정 학년 학부모
가 제기한 항의성 민원이 언론(2020. 8. 28. 경기도교육청 자유게시판, 2021. 2. 26. 서울특별시교육청 열린교육
* 제1저자: 김성희, 교신저자: 신정아
132 김성희․신정아

감실)과 교사 커뮤니티를 통해 급속도로 퍼지면서 성큼 다가온 변화된 미래사회의 교육체제에 유연하게 대처하
지 못하는 공교육으로 인해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교육격차는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
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의사소통 등 상호작용이 중요한 외국어 교육을 담당한 일선 교사들의 온라인 비대면 수업 상황에 맞는
교수법과 학습법에 대한 고민이 깊어졌다. 각종 학교관리자 연수에서 미래사회의 변화된 모습과 교육의 방향에
대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지만 일선 교사들에게까지 그 심각성을 체감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따
라서 갑자기 당겨진 미래사회에 대한 영어(담당)교사의 미래준비도 및 AI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김형순과 김혜영(2017)은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대한 지식, 태도, 인식 측면에서 영어 교사의 준비성을 기술
지식과 우려, 혁신 저항과 불안, 신기술의 영어교육 관련 영향에 대한 인식으로 설문지의 범주를 정하고 설문
조사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여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는 영어 교사의 미래준비도를 조사하였다. 3년 뒤, 코
로나19로 2020년에 전국이 일시에 경험하게 된 전면 온라인 수업의 상황을 맞이하게 된 교사들은 AI활용이 상
용화된 시대에 살아갈 학생을 이끌어갈 핵심 인적자원으로서 AI를 활용한 영어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하
고 있으며,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7년과 비교해서 이들의 미래준비도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연구하는 것
은 교육현장의 상황을 보다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좀 더 적확한 정책을 펴기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AI를 활용한 영어교육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2017년과 2020년의 영어(담당)교사의 미래준비도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영어교육 관련 AI 기술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기술은 언어, 교육, 경제 등 사회 전 분야 걸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인간이 지닌 지각 능력, 학습 능력, 추론 능력을 구현하면서 컴퓨터의 정보 처리 능력을 인간의 사고와 유사한
수준까지 접근시키고 있다. 특히, 최근 AI의 학습 능력은 방대한 데이터를 유의미하고 유용한 자료로 스스로
인식하고 처리하기 위해 신경망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의 방식을 사용하며 추후 유사한 처리 과정을 통해
더욱 효율적으로 지식을 학습하여 축적해간다.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은 꾸준히 국내·외 영어교육 현장에서 의사소통의 기회를 확대할 잠재적인 학습 도구
로서 연구되어왔다. 신형정(2002)이 인공지능 채팅프로그램 ‘A.L.I.C.E.bot’을 활용하여 고등학생 16명을 대상으
로 6주간 쓰기 수업을 한 결과, 상·하위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작문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챗봇과의
상호작용으로 영어 학습 동기, 태도, 불안감, 자신감, 흥미, 기대 등 정의적인 영역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
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이승민과 한정혜(2009)의 영어 교육용 로봇, ‘아이로비’를 활용한 수업을 농촌지역 초
등학교 3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 3개국의 대학생 영어 학습자 266명을 대상으로 ‘Intelligent
Tutor’ 를 활용한 쓰기 오류 분석과 수정을 학생들에게 개별적으로 제공하여 이들의 작문오류를 개선한
AI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133

Dodigovic(2007)의 연구 등이 있다.
박재홍과 윤성로(2016)는 네이버의 파파고, 구글의 신경망 번역 등이 학습된 방대한 양의 빅데이터를 기반으
로 이전의 단어나 구 단위의 번역에서 벗어나 문장 단위의 번역을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영어 학습자는 긴 영문을 요약하거나 표현을 다르게 글쓰기를 할 수 있고, 이 프로그램과 구글 번역기를 함께
사용하면 자신의 생각을 영어로 쓰고 표현을 세련되게 고쳐 쓸 수 있다. 요약하면, AI 기술은 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거나, 학생의 오류를 진단 및 수정하거나, 영어 능력을 평가하고, 영작문을 번역하고 영작을 하
는 데 다양하게 연구하고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 정보통신기술과 교사의 미래준비도

미래사회의 교사의 준비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몇 가지 교사 요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1) 교사의 기술 지식

김형순과 김혜영(2017)에 의하면 TPACK(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을 교수·내용·지식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개념에 기술 분야에 대한 지식의 필요성을 추가하여 제시한 교사의 지
식에 대한 새로운 유형으로 기술의 발달과 교육과의 관계가 밀접해짐에 따라 보다 전문적이고 결합적인 지식
이 발전하여 기술, 교수, 내용 지식 세 영역의 상호작용지점인 TPACK은 각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합성된 고유
한 다른 종류의 지식으로 보아야 하므로 TPACK이 미래교사의 전문성의 본질이며, 기술적인 지식은 지능정보
사회의 교사가 반드시 함양해야 할 지식이다.
외국어 교육에서의 기술 지식은 세 가지 지식영역이 상호작용하는 고유한 융합지식으로 자리 잡은 지 오래
이며, 컴퓨터보조언어 학습이나 모바일기반언어학습 등의 연구 분야는 영어 교사 TPACK의 전형적인 예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획기적인 영어 학습의 변화를 위해서는 교사가 신기술을 합목적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영어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그 역할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근거를 TPACK에서 찾을 수
있다고 김형순과 김혜영(2017)이 말했다.

2) 교사의 관심도 및 실행 수준

교사가 고도의 전문적인 지식인 TPACK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해당교사의 관심과 노력이 요구
된다. 이러한 교사의 태도를 분석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틀로 교사의 관심도를 사용할 수 있다. Hall 과
Hord(2006)에 의하면 교사의 관심도는 관심중심모형(CBAM; Concerns-Based Adoption Model)의 한 요소인
관심 수준(Stages of Concern)에서 도출된 개념으로 교육 분야의 변화와 혁신에 대한 개인의 관심과 실행 수
준(Levels of Use) 정도를 평가하는 데에 쓸 수 있고, 이 모형으로 진단하여 나온 결과는 교육의 혁신과 변화
를 위해 필요한 정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관심 수준과 실행
수준에 관한 설문을 하였다.
134 김성희․신정아

3) 교사의 불안감과 혁신 저항

관심은 있으나 변화나 혁신이 쉽게 일어나지 않는 것은 교사가 기술과 기술을 활용한 수업에 대해 지니는
불안감이나 혁신 저항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Hativa(1995)에 의하면, 교사는 새로운 교육 방법이나 신기술 적용을 수용해야 할 때 불안을 느끼는데, 그 요
인으로는 교사의 지식과 훈련 경험, 기자재 등의 관리능력, 수업에 대한 부담, 교사의 역할, 타 교과와의 비교,
부정적 평가 등을 언급했다. Horwitz, Horwiz와 Cope(1986)는 비원어민 교사들의 외국어 수업 시 느끼는 불
안감은 교사의 감정적인 반응을 변화시키고, 교육의 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신기술을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영어(담당)교사의 불안감은 이들의 미래준비도를 측정하는데 주요 변수라고 할 수
있다.
박주호(2011)는 교사의 저항감을 학교 변화나 혁신에서 자연히 발생하는 주요 교사 요인으로 간주하고 그 저
항 정도는 학교 변화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변인이라고 보았다. Ram(1987)은 혁신 저항
을 현 상태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압력에 대항하여 이를 유지하려는 일련의 행동으로, 변화의 정도가 높으면 높
을수록 혁신에 대한 수용도가 낮아지고, 자기가 지각하는 혁신의 특성과 사용자 개인 특성, 혁신의 보급경로
등의 요인에 따라서 저항 정도가 상승한다고 주장했다.

3. 선행연구

김형순과 김혜영(2017)은 다가올 미래, 즉 4 차 산업 혁명 시대에 대한 지식, 태도, 인식 측면에서 영어 교사


의 준비성을 조사하기 위해 영어 교사의 미래 준비 상태를 1) 기술 지식과 우려, 2) 혁신 저항과 불안, 3) 신
기술의 영어교육 관련 영향에 대한 인식으로 설문지의 범주를 정하고 설문 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신기술
이 영어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은 높았지만 그들의 관심도는 교수법과는 무관했고, 새로운
기술에 대한 지식을 구축하는 데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다. 또한 신기술에 대한 교사의 혁신 저항과 불안감이
높지 않았고 새로운 기술을 교육 도구로 사용하려는 의지와 기술이 내장된 미래 교실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
도를 보였지만 신기술이 기존의 언어 교육 패러다임을 바꾸고 내부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믿지 않았다.
이영주와 김영민(2019)이 420명의 학교 교사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교사들은 4차 산
업 혁명 및 이것이 교육 분야에서 매우 크고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고 있고, 그 중 AI(인공 지능)가
핵심 기술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교육 분야의 혁신 필요성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
는 4차 산업 혁명에 대한 이해와 교육과정의 변경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중등 학교 교사들은 교육 시
스템과 수업의 변화가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박종향과 신나민(2017)은 가상의 AI 교사에 대
한 초·중·고등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초등학생 337명, 중학생 234명, 고등학생 178명(M=12.9세, SD=2.964)
으로부터 얻은 설문 응답을 분석하여, AI 교사가 인간 교사를 대체하는 것에 대해서는 참여 학생의 59.8%가
부정적 시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과 AI 교사가 대체 할 수 있는 과목은 과학, 수학, 영어, 국어 순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온라인 수업 및 최신 기술에 대한 인식 및 불안감에 대한 연구가 최근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e.g., 박은경, 2020; 이동주와 김미숙, 2020, 최가영과 윤택남, 2020). 특히, 최가영과 윤택남(2020)은 코로
나19로 인해 상호작용 활동이 배제된 상황에서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강원도의 N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
AI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135

등학생 4~6학년 26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온라인 수업 및 수업구성과 활동의 선호도, 온라
인 영어 수업에 대한 만족도 및 난이도로 구성된 온라인 설문지를 사용하여 첫째, 초등학습자들은 온라인 영어
수업보다 대면 영어 수업을 훨씬 더 선호하고 둘째, 초등학습자들이 선호하는 수업 구성은 영어 교사가 자체
제작한 수업 영상이며, 셋째 현재 제공된 내용이 쉽다고 답했고, 넷째 학년별 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
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비대면이라는 온라인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업 효과를 극대화하며 양질의 온라
인 수업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 당국 및 관계자들의 많은 노력이 뒷받침되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에서 영어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최신 기술들을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 및 방법에 대해서 교사들의 인식
과 준비도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가운데 설문에 참여한 161명의 영어(담당)교사이다. 2020


년 11월 27일 하루 동안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 참여 교사는 편의 표집 방식으로 모집하였으며 서울 소재 학
교 가운데 교장, 교감의 협조를 얻을 수 있는 학교를 우선 선택한 후 동료 교사의 협조를 얻는 방식으로 진행
하였다.
설문 안내 글에는 이 설문의 목적, 참여의 자발성, 익명 보장 및 사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는 모두 동일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설문에참가한 161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표 1 참고). 연구 참여자의 88%(142명)가 여교사이고, 연령대는 30~40대 교사가 80%(128명)를 차지하였다. 학
교 급별로는 초등교사가 34%, 중학교 교사가 34%, 고등학교 교사가 32%의 비율로 참가하였다. 응답자에게 사
례를 제공하기 위해 자발적 동의를 한 경우에만 전화번호를 수집하였고 이들에게는 4,000원씩 사례금을 지급하
였다.

표 1. 설문 응답자

성별 연령 영어교육경력 영어교육 관련학위 및 인증서

TE-
5년~10 10년이 해당없 해당없
여 남 20대 30대 40대 50대~ 3년미만3년~5년 박사 석사 학사 TEE-A TEE-M
년 상 음 음

3 30 34
SOL

고 42 10 4 26 17 5 5 17 27 1 21 0 4 2 12
중 48 6 6 26 14 8 5 7 16 26 1 15 38 0 8 0 8 38
초 52 3 4 18 27 6 13 9 14 19 0 17 27 11 9 9 11 26
소계 142 19 14 70 58 19 23 19 47 72 2 53 95 11 21 11 31 98
총계 161 161 161 161 161

선행연구인 김형순과 김혜영(2017)의 연구와 비교를 위하여 김형순과 김혜영(2017)의 설문지에서 질문 45문
항을 그대로 이용하여 구글 설문지를 만들었다. 그 외, 인적정보 7문항, 알고 있는 AI관련 프로그램 선택하는
136 김성희․신정아

질문 1문항, 영어 4기능 교수 난이도에 대한 인식 4문항, AI활용 영어교육 관련 지식 및 사용에 대한 질문 8문


항, 총 65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응답은 리커트 척도 5점 만점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질문의 서술방식에 따
라 긍정적 문항과 부정적 문항으로 분류하였을 때, 긍정적 문항(33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s α=0.896이고
부정적 문항(24문항)의 신뢰도는 Cronbach's α=0.846이다.

2. 자료 수집 및 분석

1) 자료 수집

설문조사는 신속성과 코딩의 정확성 확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구글 설문지)을 이용하여 1일간 시
행되었다. 초·중·고 교사 세 집단 모두 온라인 설문지 URL주소에 접속하여 시간제한 없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응답 자료는 구글 설문지 서버에 비공개 상태로 저장되었고 연구자는 추후 이 응답 자료를 엑
셀파일로 추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2) 자료 분석

초·중·고등학교 영어(담당)교사 161명이 응답한 자료를 최종 결과 분석에 활용하였고, jamovi1.2.27 통계 프


로그램(www.jamovi.org)을 활용하여 수집한 응답을 양적으로 분석하였다. jamovi 통계 프로그램은 R 통계 프
로그램의 알고리즘을 기초로 하여 무료로 공개된 프로그램으로 기존의 상업용 프로그램인 SPSS와 SAS 등의
프로그램과 비슷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설현수, 2020). 우선 기술통계를 통해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의 전반적
인 경향을 제시하였다. 문항에 따라 학교급별 교차 분석을 통해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초·중·고 교사 세
집단 간 응답 차이의 유의미성을 확인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여 비교하였고 세
집단의 응답에 대한 비교 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에서는 등분산일 경우 사후 검정
Tukey Test, 등분산이 아닐 경우 사후 분석인 Games-Howell Test를 실시하여 각 집단 간의 차이점을 확인하
였다. 또한 회귀모형 분석을 통해 AI활용 영어 말하기 교수법에 대한 지식이 AI활용 영어 말하기 교수법 사용
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2017년과 2020년 영어(담당)교사의 미래준비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서
는 독립표본 t-검정(Independant Two Samples t-test)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AI를 활용한 영어교육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1) 영어 4기능 교수 난이도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영어(담당)교사의 AI를 활용한 영어 4기능 교수법에 대한 지식과 사용 현황을 이들의 영어 4기능 교수의 난
이도에 대한 인식과 연계하여 이해하는 것은 현장에 시의 적절한 영어교육정책을 투입하기 위한 기초자료가
된다. 영어(담당)교사는 쓰기(M=3.63), 말하기(M=3.39), 듣기(M=2.52), 읽기(M=2.33) 순으로 가르치기가 어렵다
AI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137

고 인식하고 있다(표 2).

표 2. 영어 4기능 교수에 대한 영어(담당)교사의 난이도 인식

구분 N M SD
나는 영어의 4 기능 중에서 듣기 가르치기가 가장 어렵다. 1612.52 1.13
나는 영어의 4 기능 중에서 말하기 가르치기가 가장 어렵다. 1613.39 1.34
나는 영어의 4 기능 중에서 읽기 가르치기가 가장 어렵다. 1612.33 1.19
나는 영어의 4 기능 중에서 쓰기 가르치기가 가장 어렵다. 1613.63 1.14
영어 4기능 교수 난이도에 대한 영어(담당)교사의 학교급별 난이도 인식은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초등학교
영어담당교사와 중학교 영어교사는 영어 4기능 교수 중에 쓰기를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지만(초등학교
M=3.56, 중학교 M=3.63) 고등학교 영어교사는 말하기 교수가 가장 어렵다고 하였다(M=3.83).
표 3. 영어 4기능 교수에 대한 학교급별 영어(담당)교사의 난이도 인식

구분 N M SD F p
나는 영어의 4 기능 중에서 듣기 가르치기가 가장 중 54 2.62
고 52 1.14 0.951 0.388
어렵다. 2.59 1.16
초 55 2.35 1.09
나는 영어의 4 기능 중에서 말하기 가르치기가 가장 고

5254 3.83
3.57
1.18
1.22
9.483 < .001
어렵다. 초 55 2.8 1.41
나는 영어의 4 기능 중에서 읽기 가르치기가 가장 고

52 2.04 1.14 2.464 0.088
54 2.41 1.12
어렵다. 초 55 2.53 1.27
나는 영어의 4 기능 중에서 쓰기 가르치기가 가장 고 52 3.69 1.11 0.167 0.846
어렵다. 중 54 3.63 1.09
초 55 3.56 1.24

영어의 4기능 중 다른 기능과 달리 말하기 교수에 대해 영어(담당)교사가 인식하는 난이도는 학교급별로 유


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 (2, 158)=9.48, p<.001). 사후 분석 결과, 이 차이는 초등학교 영어 담당교사의 인식과
중학교 영어 교사의 인식 차이(t(158)=3.17, p<.01)와 초등학교 영어 담당교사의 인식과 고등학교 영어 교사의
인식차이(t(158)=4.16,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한다. 즉 초등학교 영어담당교
사는 중·고등학교 영어교사보다 말하기 교수를 p<.01 유의수준에서 쉽다고 인식하고 있다.

2) AI활용 영어 4기능 교수법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AI활용 영어 4기능 교수법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지식은 학교급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가 없었다(표 4).

표 4. 학교급별 영어(담당)교사의 AI를 활용한 영어 4기능 교수법 관련 지식

구분 N M SD F p
고 52 2.58 1.27 0.1789 0.836
AI 를 활용한 영어 듣기 교수법에 대해 알고 있다. 중 54 2.54 1.16
초 55 2.67 1.22
AI 를 활용한 영어 말하기 교수법에 대해 알고 있다. 고 52 2.75 1.4 0.0724 0.93
138 김성희․신정아

중 54 2.7 1.38
초 55 2.8 1.18
고 52 2.63 1.31 0.2922 0.747
AI 를 활용한 영어 읽기 교수법에 대해 알고 있다. 중 54 2.48 1.21
초 55 2.64 1.09
고 52 2.79 1.33 1.1352 0.324
AI 를 활용한 영어 쓰기 교수법에 대해 알고 있다. 중 54 2.72 1.28
초 55 2.45 1.03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AI활용 영어 4기능 교수법 사용의 전체 평균은 리커트 척도 5점 만점에 1.85이고,
이들은 쓰기, 읽기, 말하기, 듣기 순으로 AI활용 영어 4기능 교수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활용 영어 4기능 교수법에 대한 지식이 학교급별로 차이가 없었던 반면에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AI
를 활용한 영어 쓰기 교수법의 사용은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 (2, 96.7)= 4, p<.05). 사후 분석 결
과, 이 차이는 초등학교 영어담당교사와 고등학교 영어교사의 사용 변수의 차이(t(76.4)=2.39, p=.05)가 통계적으
로 유의미하게 접근한 것에서 기인하였다(표 5). 이 결과는 초등학교의 쓰기는 문장 수준 이하이기 때문에, 초
등학교 교사들은 쓰기 교수법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5. 학교급별 AI를 활용한 영어 쓰기 교수법을 사용

구분 N M SD F df1 df2 p
AI 를 활용한 영어 쓰기 교수법을 고 52 2.15 1.49 4 2 158 <.022
사용하고 있다. 중 54 2.00 1.18
초 55 1.60 0.78
161

3) 2020년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미래준비도

미래준비도 관련 7개의 문항은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표 6).

표 6. 학교급별 차이를 보이는 미래준비도 문항

최신 기술과 영어교육의 관련성을 더 자세히 고


N
52
M
4.48
SD
0.727
F
5.02
df1
2
df2
158
p
0.008
알고 싶다. 중

54
55
4.59
4.15
0.659
0.891
최신 기술을 활용한 영어교육에 고 52 4.44 0.725 3.48 2 158 0.033
관심이 있는 다른 사람들과 중 54 4.39 0.811
교류하고 싶다. 초 55 4.04 1.036
최신 기술을 활용한 영어교육이 미래 나의 고 52 4.71 0.498 4.59 2 158 0.012
직업(혹은 직무)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싶다. 중 54 4.43 0.792
초 55 4.36 0.847
나는 최신 기술의 발전이 미래에 고 52 2.77 1.198 4.71 2 158 0.01
영어교사라는 직업을 사라지게 할까 봐 중 54 2.56 1.269
두렵다. 초 55 2.05 1.253
AI 기술 등으로 영어 회화나 작문 수업이 고 52 2.1 1.125 3.57 2 158 0.03
사라질 것이다. 중 54 1.72 0.738
초 55 1.67 0.771
지식 전달자로서의 영어교사의 역할이 고 52 3.5 1.229 13.45 2 158 <.001
사라질 것이다. 중 54 2.93 1.257
초 55 2.29 1.133
현재와 같은 종이 교재 형식의 영어 고 52 3.31 1.147 6.66 2 158 0.002
AI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139

교과서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중 54 3.44 1.022


초 55 2.71 1.181
최신 기술과 영어교육의 관련성을 더 자세히 알고 싶다는 관심은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F(2,
158)=5.02, p<0.01), 사후 분석 결과, 이 차이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어(담당)교사 간의 인식 차이(t(158)=3.04,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즉, 대부분의 항목에서 다른 학교급 교사들보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최신 기술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최신 기술을 활용한 영어교육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과 교류하고 싶다는 적극적 의지도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F(2, 158)=3.48, p<0.05), 사후 분석 결과, 이 차이는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영어(담당)교사 간의
인식 차이(t(158)=2.41, p<0.05)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최신 기술을 활용한 영어교육의 미래의 나의 직업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싶다는 관심은 학교급별로 유의미
한 차이를 보였고(F (2, 158)=4.59, p<0.05), 사후 분석 결과, 이 차이는 초등학교 교사와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차이(t(88.3)=2.606, p<0.05)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최신 기술의 발전이 영어교사라는 직종을 소멸시킬 것이라는 두려움도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
데(F(2, 158)=4.71, p<0.05), 사후 분석 결과 이 차이는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영어(담당)교사 간의 인식 차이
(t(158)=2.98,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AI로 회화 및 작문 수업의 소멸에 대한 전망은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F(2, 158)=3.57,
p<0.05), 사후 분석 결과 이 차이는 초등학교 영어담당교사와 고등학교 영어교사의 인식 차이(t(158)=2.457,
p<0.05)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고, 지식 전달자로서의 영어교사의 역할
소멸 가능성에 대해서도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F(2, 158)=13.45, p<0.001), 사후 분석 결과 이
차이는 초등학교 교사와 중학교 교사의 인식 차이(t(158)=2.75, p<0.01), 초등학교 교사와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차이(t(158)=5.18, p<.001),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차이(t(158)=2.45, p<0.05)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
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현재와 같은 종이 교재가 감소할 것이란 전망도 학교급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F (2,
158)=6.66, p<0.01), 사후 분석 결과 이 차이는 초등학교 교사와 중학교 교사의 인식 차이(t(158)=3.43, p<0.01)
및 초등학교 교사와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차이(t(158)=2.77, p=0.017)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2. 2017년과 2020년의 영어(담당)교사의 미래준비도 비교

김형순과 김혜영(2017)의 논문에 보고된 결과값과 본 논문의 결과값을 사용하여 2017년과 2020년 영어(담당)
교사의 미래준비도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우선 2017년과 2020년 영어(담당)교사의 미래준비도 관
련 문항을 긍정적 문항과 부정적 문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긍정적 문항은 영어교육관련 최신기술에 대한
관심을 포함한 6개 영역 25개의 문항이다(표 7).
140 김성희․신정아

표 7. 2017년과 2020년 영어(담당)교사의 미래준비도 평균 비교_긍정적 문항

2017 2020
N M SD N M SD
인공지능 131 3.26 0.819 161 3.78 1.08
영어교육 빅테이터 131 3.13 0.964 161 3.7 1.12
관련
최신기술에 신경망 기계학습 131 2.25 1.139 161 2.3 1.16
대한 관심 음성인식 및 음성합성 131 2.7 1.121 161 2.94 1.21
사물인터넷 131 2.76 1.214 161 3.41 1.35
최신 기술과 영어교육의 관련성 131 3.75 1.048 161 4.4 0.786
최신기술활용의 미래 영어교육에의 영향 131 3.93 0.986 161 4.57 0.714
미래 최신기술활용영어교육 관심자와의 교류 131 3.66 1.122 161 4.29 0.883
영어교육에
대한 최신기술활용 영어교육의 적용 가능성 131 3.56 1.184 161 4.35 0.876
교사의 최신기술활용 영어교육관련 학생 태도 131 3.87 1.126 161 4.49 0.776
관심도
최신기술활용 영어 교수법 개발 131 3.94 1.185 161 4.27 0.922
최신기술활용 영어교육과 미래 내 직업 131 3.63 1.107 161 4.5 0.743
기술의
스마트기기 활용 보편화 131 3.89 1.017 161 4.18 0.955
도입 및 ICT 기술로 외국(인)문화와의 연결 131 3.95 0.963 161 4.21 0.904
보편화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수업에 적용 131 3.89 0.989 161 4.12 0.954
예측
사물인터넷 수업에 도입 131 3.54 1.104 161 4.01 0.978
기술활용 영어수업의 교사 흥미도 증가 131 3.93 0.879 161 4.22 0.857
영어 학습 기술활용 영어수업의 학생 흥미도 증가 131 4.01 0.864 161 4.27 0.797
기회 상승 학생 중심의 영어수업으로 변화 131 4.06 0.801 161 4.33 0.789
및 수업
전망 말하기 등의 의사소통 기회 확대 131 3.88 0.895 161 4.35 0.786
문학, 지식, 정보 등의 문화 학습 증가 131 3.92 0.891 161 4.34 0.829
학력 최신기술활용으로 학생 영어 격차 감소 131 2.63 1.104 161 2.38 1.06
격차와
사교육
감소에 최신기술활용으로 사교육의 영향력 감소 131 2.23 1.12 161 2.27 1.08
대한 기대
영어교과에 최신기술활용에도 주요 교과로서의 영어 131 3.38 1.034 161 3.81 1.11
대한 인식
및 필요성 최신기술활용에도 학교 영어 교육 필요 131 3.62 0.924 161 4.35 0.786
전망
긍정적 문항(25) 전체 평균 3.49 3.91
2017년과 2020년 영어(담당)교사의 미래준비도 관련 긍정적 문항을 비교한 결과 영어교육 관련 최신기술에
대한 관심도(2017 M=2.82, 2020 M=3.23)와 미래 영어교육에 대한 관심도(2017 M=3.76, 2020 M=4.41)는 증가하
AI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141

였고, 기술의 도입 및 보편화를 예측하고 기술 활용 영어수업을 통해 영어 학습 기회가 상승하고 흥미로운 수


업이 진행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도 증가하였으며, 최신기술이 영어교육에 도입되는 것에 대한
관심도는 2017년과 2020년 모두 긍정적이었다.
최신기술 활용에도 불구하고 학생 간의 영어 격차는 감소할 것이라는 기대는 감소하였다(2017 M=2.63, 2020
M=2.38). 2017년에는 학생 간의 영어 격차 감소에 대해 긍정적 응답이 우세했던 반면에 2020년에는 부정적 응
답이 소폭 우세한 결과가 나왔다. 학생 간의 영어 격차는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에도 불구하고 사교육의 영향력
이 감소할 것이라는 기대는 소폭 상승하였다(2017 M=2.23, 2020 M=2.27).
최신기술 활용에도 영어가 주요교과로 인정될 것이라는 기대는 2017년 M=3.38 에서 2020년 M=3.81으로 상
승하였고, 학교 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017 M=3.63 2020
M=4.35).
표 8. 미래준비도 관련 긍정 문항에 대한 2017년과 2020년 평균 비교 결과

  95% Confidence Interval


    Statistic df p Md SE d   Effect Size Lower Upper
M Stu-
dent's t 2.33 48 0.024 0.419 0.18 henCo-
's d 0.658 0.0672 1.24
영어(담당)교사에게 실시한 미래준비도 관련 25개의 긍정적 문항의 평균은(2017 M=3.49, 2020 M=3.91) t 값
이 2.33이고 자유도는 48이며 p 값은 0.024로 p<.05 유의 수준에서 2017년과 2020년의 평균 차이 0.419는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다. 즉 3년 사이에 영어(담당)교사의 미래준비도는 p<.05 유의 수준에서 변화가 있었다.
2017년과 2020년 영어(담당)교사의 미래준비도 관련 부정적 문항은 미래영어교육에 대한 불안감, 최신기술
활용 영어교육 혁신에 대한 저항감, 최신기술 활용으로 영어 수업요소 변화에 대한 전망 등 3개 영역 20개의
문항이다(표 9).

표 9. 2017년과 2020년 영어(담당)교사의 미래준비도 평균 비교_부정적 문항

2017 2020
N M SD N M SD
영어수업 운영 능력 131 2.81 1.222 161 2.94 1.35
준비 및 운영 곤란 131 3.13 1.139 161 2.99 1.26
이론과 방법 지식 부족 131 3.21 1.109 161 3.17 1.29
미래영어교 기술활용 능력 부족 131 3.25 1.172 161 3.15 1.3
육에 대한 기술활용 수업 중 학생 통제 131 2.72 1.139 161 2.78 1.22
불안감 준비시간 부족 131 3.1 1.189 161 3.31 1.25
내 영어실력 평가 131 2.47 1.179 161 2.7 1.32
수업내용 외 소요 시간 131 2.9 1.169 161 3.57 1.3
영어교사 직종 소멸 131 2.45 1.165 161 2.45 1.27
최신기술 활용 영어교육 지속성 불신 131 2.47 1.159 161 2.26 1.1
최신기술활
용 최신기술 활용 영어교육 비판 131 2.53 1.084 161 2.35 1.05
영어교육
혁신 저항 타인의 최신기술 활용 영어교육 반대 131 1.95 1.118 161 1.73 0.927
기존의 영어교육 방법 고수 131 2.5 1.179 161 2.23 1.12
142 김성희․신정아

AI 로 회화 및 작문 수업 소멸 131 2.33 1.147 161 1.83 0.905


교사 중심 강의 소멸 131 2.65 1.221 161 2.32 1.12
수업요소 현재 영어 4 기능 학습방법 변화 131 2.41 1.143 161 2.72 1.28
변화에 지필에서 ICT 기반 수행평가로 전환 131 3.47 1.076 161 3.6 1.03
대한 전망 지식전달자로서의 영어교사역할 소멸 131 2.83 1.197 161 2.89 1.3
학교 수업 내 문법, 독해 비중 축소 131 3.12 1.19 161 2.89 1.22
종이 교재 사용 소멸 131 3.08 1.232 161 3.15 1.16
부정적 문항(20) 전체 평균 2.75 2.77

미래영어교육에 대한 영어(담당)교사의 불안감은 2017년에 비해 증가하였다(2017 M=2.89, 2020 M=3.01). 수


업 준비 및 운영이 어려울 것이라는 불안감과 최신기술활용 능력이 부족한 것에 대한 불안감 및 자신들이 최
신기술에 대한 이론과 방법에 대한 지식 부족하다는 인식은 2017년에 비해 2020년에 줄어든 반면에 영어수업
운영 능력에 대한 불안감, 기술활용 수업 중에 학생 관리에 대한 불안감, 수업 준비시간이 부족할 것이라는 불
안감은 증가하였다. 특히 영어교사 자신의 영어실력에 대한 평가에서 오는 불안감은 평균 이하에서 평균 이상
으로 증가하였다(2017 M=2.47, 2020 M=2.7). 이러한 불안감 증가에도 불구하고 영어교사라는 직종의 소멸에 대
한 불안감에는 변화가 없었다(2017 M=2.45, 2020 M=2.45).
최신기술 활용 영어교육 혁신에 대한 영어(담당)교사의 저항은 감소하였다(2017 M=2.36, 2020 M=2.14). 최신
기술 활용 영어교육의 지속성에 대해 불신하고 타인의 최신기술 활용 영어교육을 반대하며(M=1.95, 2020
M=1.73) 기존 영어교육방법을 고수하겠다는 저항감(M=2.5, 2020 M=2.23)은 평균점이하로 2017년에도 낮은 편
이었는데 2020년에는 더 낮아졌다. 특히 최신기술 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것은 평균
점 이상에서 평균점 이하로 변화했다(2017M=2.53 2020 M=2.35).
교사 중심의 강의는 소멸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서는 2017년에 비해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 결과가 나
왔다(2017 M=2.65, 2020 M=2.32). 이는 긍정적 문항 중 최신기술을 활용하면 학생 중심의 영어 수업으로 전환
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서는 긍정적 반응(2017 M=4.06, 2020 M=4.33)을 보인 것과는 상충되는 응답 결과이다.
그러나 지식전달자로서의 영어교사의 역할은 소멸될 것이라는 것에는 모두 그렇다고 대답하였다(2017 M=2.83,
2020 M=2.89).

Ⅴ. 논의 및 결론
AI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영어 4기능 교수의 난이도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이들이 AI를 활용한 영어 4기능의 교수법을 얼마나 알고 있으며 해당 교수법을 어느 정도
쓰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영어 4기능 교수의 난이도에 대해서는 쓰기, 말하기, 듣기, 읽기 순으
로 어렵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영어(담당)교사들은 언어의 수용적(receptive)기능 보다는 생산적(productive)
기능을 가르치는 것이 더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영어(담당)교사는 쓰
기 교수를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는데 고등학교 영어교사는 말하기 교수가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처럼 학교급별로 나타나는 영어 4기능 교수에 대한 난이도 인식 차이는 교수법 개발자나 정책입안자에게 학
교급별로 우선 제공해야 할 영어 기능 교수법에 대한 근거를 제공한다.
AI활용 영어 쓰기 교수법 사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접근한 수준에서 초등학교 영어담당교사와 고등학
교 영어교사가 차이를 보였는데(앞에서 차용하여 해석 추가), 말하기 영역 교수를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
AI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143

는 고등학교 교사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은 AI 활용 쓰기 교수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 분석으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AI활용 말하기 교수법 관련 지식이 AI활용 말하기 교수법 사용을 예측하는 회귀모
형을 검증한 결과, AI활용 말하기 교수법 관련 지식이 AI활용 말하기 교수법 사용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Coefficient = 0.491, SE=0.0567, p<0.001). 즉, AI활용 말하기 교수법 관련 지식이 많다고 인식할 수록 AI활용
말하기 교수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말하기 영역 교수가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는
고등학교 교사가 AI활용 말하기 교수법 관련 지식을 축적할 수 있게 연수 정책을 마련한 후 연수 전후 이들의
AI활용 교수법 활용 결과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2020년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미래준비도는 최신 기술과 영어교육의 관련성, 동일 관심인과의 교
류, 미래 나의 직업과의 관계, 영어교사라는 직종 소멸, AI로 회화 및 작문 수업의 소멸, 지식 전달자로서의 영
어교사의 역할 소멸, 종이교재 사용 감소에 대한 전망에 대해서 학교급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
고, 사후분석 결과 초등학교 영어(담당) 교사가 다른 학교급 교사보다 유의미하게 다르게 미래준비도가 낮게
나온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본인의 교수과목이 영어로 정해져 있는 중등교사에 비해 초등교사는 영어
교과에 대한 책임성이 낮은 데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영어(담당) 교사가 다른 학교급과는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 7개의 문항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한데, 인터뷰 등과 같은 질적연구
를 통해서 초등학교 영어(담당) 교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즉, 교사 커뮤니티 구성에 대한 학교급
별 인식 차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커뮤니티 형태나 운영방식을 도출하여 교사 교육 정책 입안에 반
영할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2017년과 2020년의 영어(담당)교사의 미래준비도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한 문항 45개를 긍정
적인 문항(25문항)과 부정적 문항(20문항)으로 분류하여 비교한 결과 긍정적 질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나, 부정적인 문항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로서 지난 3년 동안 영어
(담당)교사의 미래준비도는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2017년과 2020년의 영어(담당)교사의 미래
준비도 평균을 비교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신기술이 영어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과 영어 학습 및
영어 수업 전망은 평균 이상으로 긍정적이고 교사의 혁신 저항은 평균 이하이며 새로운 기술을 교육 도구로
사용하려는 의지와 기술이 내장된 미래 교실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보아 미래영어교육의
핵심 기술인 AI를 활용한 영어교육의 토대가 마련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단, 미래영어교육에 대한 불안감의 평
균은 2017년 2.89에서 2020년 3.01로 증가했고 이 중 수업내용 이외의 소요 시간이 증가할 것이라는 불안감의
평균이(2017 M=2.9, 2020 M=3.57)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AI활용 교수법에 적용되는 새로운 기술에 익숙
해지기까지의 소요 시간의 증가를 의미하므로 교육 당국에서는 이 소요 시간을 최대한 줄일 방법을 마련할 필
요가 있다.
그러나 사교육 영향력 감소에 대한 기대는 두 해의 결과값에 차이가 거의 없었고(2017 M=2.23, 2020
M=2.27) 오히려 학생 간 영어 격차 감소에 대해서는 2017년 비해 부정적 인식이 증가했음에도(2017 M=2.63,
2020 M=2.38) 여전히 학교 영어교육이 필요하다는 긍정적 전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선 교사에게는 교사
가 미래에 대해 준비가 되었을 때만 학교 영어교육이 그 자리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한편, 교사 중심의 강의는 소멸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서는 2017년에 비해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 결과
가 나왔다(2017 M=2.65, 2020 M=2.32). 이것은 긍정적 문항 중 최신기술을 활용하면 학생 중심의 영어 수업으
로 전환될 것이라는 전망에 대해 긍정적 반응(2017 M=4.06, 2020 M=4.33)을 보인 것과는 상충되는 응답 결과
이다. 단, 지식전달자로서의 영어교사의 역할은 소멸될 것이라는 것에는 모두 그렇다고 응답한(2017 M=2.83,
2020 M=2.89) 것으로 보아 미래의 영어수업은 학생 중심의 수업으로 변화하되 이것은 교사의 역할이 지식 전
144 김성희․신정아

달자에서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수업을 이끌어가는 수업 설계자로 변환된 교사 중심 강의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소재 학교 교사로 한정되어 있는데 대상을 확대하면 전국 단위 및 지역
별로 적용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고 2017년과 2020년 미래준비도 간의 변화 원인에 대한 문항을 포
함하면 변화상의 원인도 밝힐 수 있다. 또한 말하기 교수법에 대한 지식이 말하기 교수법 사용과 정적 상관관
계를 이루고 있다는 통계 결과를 얻었지만 다른 영어 3기능 교수법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통계적 상관관계의
결과는 얻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AI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차이와 이들의 미래준비도를 살펴보는
것은 미래 영어교육 변화의 주축이 될 AI활용 영어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조사로서 그 의의가 있다. 초·중·
고 영어(담당)교사의 미래준비도는 긍정적으로 향상은 AI활용 영어교육 정책을 펼 수 있는 기반이 조성되었음
을 의미하고, AI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지식 중 말하기 교수법 관련 지식과 사용 간의 상관관계이기는 하지만
관련 지식이 많을수록 해당 교수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결과를 토대로 정책입안자에게 영어(담당)교사들이
가르치기 어려워하는 영어 기능 관련 교수법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연수를 학교급별로 구별하여 개설할 것을
제안한다. 더 나아가서 영어 4기능 교수법 지식 관련 연수부터 해당 교수법을 실제 학생 교수에 적용하는 것까
지를 하나의 과정으로 설계한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형순, 김혜영. (2017). 4차 산업혁명시대의 영어교사 미래준비도 연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3),
179-205.
박선호, 최희경. (2020). 코로나19 시대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 대한 초등영어교사들의 목소리. 문화교류와 다
문화교육, 9(4), 273-295.
박은경. (2020).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온라인 교양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이 느끼는 불안감에 대한 인식조사. 한
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3(3), 320-328.
박재홍, 윤성로. (2016). Word, subword, character 수준의 한국어-영어 인공신경망 기계번역 성능 비교. 한국통
신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1, 60-61.
박종향, 신나민. (2017). 인공지능기술과 인공지능교사에 대한 인식 분석: 초· 중· 고등학생의 관점에서. 한국교
원교육연구, 34(2), 169-192.
박주호. (2011). 교사의 변화에 대한 저항 측정모델 타당도 검증.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 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4(3), 1-31.
설현수. (2020). jamovi 통계프로그램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신형정. (2002). 인공지능 채팅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석
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안지은, 박지현. (2020). 코로나 19와 온라인 기반 영어매개강의: 경영대학 전공 수업 사례연구. 외국어교육연구,
34(4), 81-109.
이동주, 김미숙. (2020).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온라인 원격교육 실태와 방안.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
AI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145

회, 23(3), 359-377.
이보경. (2020).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자 반응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4(4),
97-112.
이영주, 김영민. (2019).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교육 변화에 대한 교원의 인식 분석. 공학교육연구, 22(3), 11-17.
이승민, 한정혜. (2009). 초등학교 영어 교육용 로봇 콘텐츠 개발 및 적용. 영어교과교육, 8(2), 97-119.
최가영, 윤택남. (2020).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의 방향: 온라인 영어 수업에 관한 초등학습자들의 인식도 조사.
한국초등교육, 31(4), 145-160.
최원경. (2020). 자기주도적 영어 학습능력과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 만족도, 인지된 성취도 간의 상관관계 연구:
코로나19 사태 맥락에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637-662.
Dodigovic, M. (2007).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An efficient approach to error
remediation. Language Awareness, 16(2), 99-113.
Hall, G. E., & Hord, S. M. (Eds.). (2006). Implementing change: P atterns, principles, and potholes (4th
ed.). Boston: Pearson.
Hativa, N., & Marincovich, M. (Eds.). (1995). Disciplinary differences in teaching and learning: Implications
for practice. San Francisco: Jossey-Bass.
Horwitz, E. K., Horwitz, M. B., & Cope, J. (1986).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The Modern
language journal, 70(2), 125-132.
Ram, S. (1987). A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4, 208-212.

<Korean Abstract>

김성희, 신정아. (2021). AI 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외국어교육연구, 35(1), 131-146.

본 연구는 인공지능 및 데이터과학 등을 활용한 영어교육에 관한 초·중·고 영어(담당)교사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


였다. 설문 문항은 AI 활용 영어교육과 영어 교사의 미래준비도의 두 범주로 구성하였다. 서울의 초등학교 영어
담당교사 55명, 중학교 영어교사 54명, 고등학교 영어교사 52명으로부터 얻어진 총 161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어(담당)교사들은 AI활용 영어교육에 대하여 전통적인 방식의 영어 회화나 작문 수업이
사라질 것이라는 인식, 지식 전달자로서의 영어교사의 역할 변화 등 최신기술과 영어교육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과 활용이 다른 학교급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영어(담
당)교사의 미래준비도는 2017년보다 2020년에 AI활용 영어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 결
과를 바탕으로 향후 영어교사 연수 정책 수립 관련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 Words: AI, English teacher, English education, New technology, future preparation / 인공지능, 영어교사, 영어교육, 신기술,

미래준비도

Examples in: English

Application Languages: English

Applicable Levels: University


146 김성희․신정아

Kim, Sung-Hee

Doctoral Student

Dongguk University, Department of English

30 Pildong-ro 1-gil, Jung-gu, Seoul, Korea

TEL: (02) 2260-8708

E-mail: sunghee4948@dgu.ac.kr

Shin, Jeong-Ah

Associate Professor

Dongguk University, Department of English

30 Pildong-ro 1-gil, Jung-gu, Seoul, Korea

TEL: (02) 2260-3167

E-mail: jashin@dongguk.edu

received in January 20, 2021

revised version received in February 10, 2021

revised version accepted in February 12, 202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