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표시선 계전방식

표시선 계전방식에는 전류비교방식과 전압반항식의 두 가지가 있는데 각각의 작동원리는 다


음과 같습니다

(1) 전류비교 표시선 계전방식


① 그림과 같이 CT와 표시선 계전기를 결선해 두면 정상상태에서는 CT 2차측에 흐르는
전류는 그림의 화살표 방향으로만 흘러서 계전기의 동작코일에 흐르지 않으므로 계전
기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보호구간
A B
정상적인 전류의 방향

표시선

동작코일 동작코일

표시선계전기 표시선계전기

② 만일 그림의 F점에서 3상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단락전류는 단락지점을 향해 흐르므


로 오른쪽 CT 2차측의 전류는 그림의 빨간 화살표 방향으로 바뀌게 되는데 이렇게 되
면 양쪽 CT 2차측 전류가 표시선을 따라 순환하지 못하고 자체 내부에서만 동작코일
을 통해서 흐를 수밖에 없으므로 계전기가 동작해서 A B 두 개의 차단기를 동시에
트립 시킵니다
(2) 전압반항식 표시선 계전방식
① 표시선을 다음 그림과 같이 교차해서 결선하면 정상전류가 흐를 때는 각각의 CT 2차
측 전류는 리액터를 통해서만 흐르게 되는데 이때 양쪽 리액터에 발생하는 전압 EA
EB 는 그 방향이 서로 반대이고 크기가 같으므로 표시선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표
시선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동작코일에도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계전기는 동작하
지 않습니다

② 만일 F점에서 3상 단락사고가 발생했다면 전류방향이 다음 그림의 빨간 화살표와 같


이 바뀌어 표시선에 전류가 흐르고 이 전류가 동작코일에도 흐르므로 양쪽 계전기가
동시에 동작하여 차단기를 트립 시킵니다

(3) 표시선
표시선 계전 방식에서 신호 전송로로서 종래에는 전력선 반송파나 별도의 통신선 또는
Micro-Wave 가 사용되어 왔는데, 향후로는 FM (Frequency Modulation)전송, PCM (Pulse
Code Modulation) 전송 방식 및 광케이블 (Fiber Optic Cable) 등이 많이 사용될 것입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