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법정대위자 상호 간 효과> 부기등기 필요성을 중심으로 사례로 비교

CASE 1] 보증인 변제 후 à 제3취득자가 물권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


(채무자 : 갑 / 채권자 : 을, 채권자는 채무자 소유토지 X에 저당권 보유중 / 보증인 : 병 / 제3취득자 : 정)
<상황>
1. 병이 을에게 채무 전액 변제함
2. 갑은 X 토지를 정에게 매도하려 함
à 갑은 정에게 다음과 같이 말함
- X 토지에 을 명의 저당권이 붙어는 있지만 신경 안 써도 된다. 이미 변제 다 한거라 무효등기에 불과하다.
정 당신이 소유권 취득 후 직접 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을 행사해 해당 저당권 말소시키면 된다.
3. 믿을 수 없던 정은 을에게 진짜 변제 완료되었냐 물었고, 을은 변제 끝났다는 답변해줌
4. 이에 정은 X 토지 매매대금을 갑에게 지급하고 소이전등기를 마쳤음

<주의>
- 이 상황에서도 병이 정에게 대위를 주장해 경매를 실행시킬 수 있다 보면 정은 불측의 손해를 입을 수 있음
à 병이 변제한 후 ‘미리’ 부기등기를 했어야 = 이 사실을 알렸어야 : 병은 정에게 대위를 주장할 수 O
<해결>
- 병이 대신 변제했어도 정이 소유권 취득하기 전에 부기등기를 하지 않았으므로 병은 정에게 대위를 주장하지 못함

CASE 2] 제3취득자가 물권의 소유권을 취득한 후 à 보증인이 변제한 경우


(채무자 : 갑 / 채권자 : 을, 채권자는 채무자 소유토지 X에 저당권 보유중 / 보증인 : 병 / 제3취득자 : 정)
<상황>
1. 갑이 X 토지를 정에게 매도하고 소이전등기 해줌
2. 이 당시에는 을은 변제받은 것이 없으므로 을의 저당권은 여전히 유효하게 존속중인 상태임
정도 이거 다 알고 들어온거라 처음부터 보호할 것도 없음
3. 이후 병이 채권자 을에게 전액을 변제함
<해결>
- 병은 부기등기 없이도 당연히 정에게 대위를 주장할 수 O

CASE 3] 후순위저당권을 취득한 제3자와 보증인


# 후순위저당권을 취득한 제3자의 지위 = 보증인의 지위
à 먼저 갚은 사람은 부기등기 없이도 대위할 수 있다.

ㄱ. 후순위저당권자가 선순위저당권자에 변제
: 후순위저당권자도 보증인 상대로 대위 O
ㄴ. 보증인이 선순위저당권자에 변제
: 별도 부기등기 없이도 보증인은 후순위저당권자에 채권자 대위 O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