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멀티미디어학과 컴퓨터음악전공 석사논문 작성법

-2017 年 개정-

1. 학위논문 규격 : 한글 2002 이상으로 작성


▪ 규격 및 지질
가. 규격 : 26.5cm *19.3cm
나. 지질 : 70파운드(70g/m) 이상 모조지
▪ 인쇄방식 및 제본
가. 양면 또는 단면으로 인쇄
나. 제본은 단면제본
▪ 표지색깔 및 형식
가. 하드표지 : 흑색으로 하며, 금박인쇄, 클로스 양장제본으로 한다.
나. 소프트 표지 : 회색 레자크 200g 이상을 한다.
다. 표지형식
ㅇ논문표지 : 별표 1
ㅇ논문 내표지 : 별표 2 (25.8 ㎝ x 18.5cm : 내용은 표지와 동일함)
ㅇ학위논문 인준지 : 별표 3 (25.8㎝ x 18.5cm)
ㅇ학위논문 등표지 : 별표 4

2. 편집용지 설정

용지 위 아래 왼쪽 오른쪽 머리말 꼬리말


B5 세로 30mm 25mm 30mm 25mm 10mm 10mm

3. 글자 크기 및 모양

분류 내용 보기
본문 신명조 11point
머리말, 각주 신명조 10point
제목 신명조 18point (진하게)
각 단원 제목 ( 큰 제목) 신명조 16point (진하게) I, II, III,…
장 제목 (중간 제목) 신명조 14point (진하게) 1., 2., 3.,…
절 제목 (소 제목) 신명조 12point (진하게) 1), 2), 3),…
절 1 단계 아래 제목 신명조 11point (진하게) ①, ② , ③, …
절 2 단계 아래 제목 신명조 11point 가., 나., 다 .,…

4. 목 차
목차의 세분은 장, 절, 항 등으로 하며, 기호는 Ⅰ. 1. 가. (1). (가). 1). 가) 등의 순으로 한다.

5. 표목차 및 그림목차
순서는 표, 그림, 악보의 순서로 하고, [표-1], [표-2], ... [악보-1], [악보-2],.....와 같이 표시
한다.
6. 부 록
부록은 부록이라고 쓴 백색 별지를 앞에 붙인다.

7. 각 단원의 제목(I, II, III,… ) 은 가운데 정렬을 한다 .


장 제목 (1., 2., 3., …) 은 들여쓰기 하지 않는다.
절 제목과 그 이하는 한 단계씩 내려갈 때 마다 이전 단계보다 한 칸씩 들여쓰기 한다.
본문은 제목에 맞춰 들여쓰기 하지 않고 문단의 시작만 한 칸 들여쓰기 한다.

8. 제목과 본문간의 간격은 한 줄 띄어 쓴다.

9. 줄 간격 : 180%

10. 괄호 안에 영어 표기를 동반할 경우


[ 예 1] 음표의 길이(time value)

11. 인명은 한글로 < > 안에 적으며 ( ) 안에 원명과 연도를 기재한다 . 반복 사용 시 ( ) 표


기는 생략한다 .
[ 예 3] <슈톡하우젠> (Karl Heinz Stockhauzen, 1928- )

12. 원고는 한글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한글 표기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영어발음 그대로
한글 표기하거나 영단어로 표기하는 것은 금한다 . 또한 동일한 의미로 쓰인 단어는 반
드시 본문 안에서 하나로 통일 되어야한다 .

1) 일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단어의 경우


→ 「 」로 묶지 않고, 괄호 안에 영단어 표기 없이 그대로 사용
[ 예 4] 사운드

2)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컴퓨터 음악 외의 전공 영역에서 볼 때 생소한 단어에 해당하


는 경우 (완전한 외래어가 아닌 경우도 포함 )
→ 「 」로 묶지 않고, 괄호 안에 영단어 표기만 하여 사용
[ 예 5] 테이프음악(tape music)
[ 예 6] 링모듈레이션 (ring modulation)

* 반복 사용 시 괄호 안의 영단어 표기는 생략함

3) 프로그램명이나 프로그램을 제작한 회사명 등의 고유명사는 영문 그대로 사용


[ 예 7] Max/MSP, Jitter, Cycling74, Steinberg

* 단어의 첫 알파벳 대문자 표기를 원칙으로 함

13. 본문에서 본인의 작품명을 비롯한 작품명( 혹은 곡명) 을 언급 시 , 한글・ 영문・한자의


모든 경우 < > 안에 넣는다. ( ) 안에 또 다른 언어로 부가적인 표기를 할 경우, 반복
사용 시 괄호 표기는 생략하도록 한다.
[예 8] 작품 <白日夢>( 백일몽 )
[예 9] 작품 <白日夢> 을 통해 멀티미디어의 기술을 이용한 예술작품을

14. 동격의 사실이나 인명 등을 나열할 때는 중간점( ・) 을 찍는다 . ( 수학식 기호 일반의 가


운데 점 사용 )
[예 10] 가야금・거문고・아쟁 등은

15. 표・ 그림 ・악보 등을 삽입할 때에는 캡션달기를 이용하며 , 표는 표의 상단에 번호와 제


목을 넣고 , 그림과 악보는 하단에 번호 및 제목을 넣는다.
이 때 표나 그림의 제목도 한글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단, 고유명사에 해당되는 경우
및 한글 표기가 불가능한 경우는 허용한다 .
논문의 내용 설명에 필요하지 않은 표 ・그림・ 악보는 넣지 않는다. 하나의 논문에 사용
된 표나 그림의 내용에 같은 내용이 중복 사용되는 것은 삼가 한다.

16. 표・ 그림 ・악보의 제목은 [ ] 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 번호와 ‘-’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본문의 표 ・그림・악보에 캡션달기로 제목으로 붙이는 경우, 문장 내에 거론하는 경우,
표・ 그림 ・악보의 목차에 사용되는 경우, 모두 동일한 표기법에 따른다 .
[예 11] [ 표-1] 작품의 구성도

17. 영문 초록 (Abstract)은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 들어간다 .


논문이 국문일 경우에는 영어로 된 개요를 석사 3 페이지로 하여 첨부한다.

18. 본문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서론・본론 ・결론은 그 내용인 포함된 다른 제목이어도 되고 , III 이상이어도 된다 .)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19. 본문에서의 책 제목은 영문일 경우에는 이탤릭체로 표기하고 한글일 경우에는 「」 안


에 적는다 . 영문 제목의 한글 표기가 있을 경우 한글 제목을 먼저 쓰고 ( ) 안에 영문
제목을 이탤릭체로 쓴다. 학술지( 저널) 의 논문일 경우에는 학술지명은 위의 책과 같이
쓰고 논문명은 이탤릭체로 하지 않고 “ ”안에 적는다 .
[예 12] < 포오트 >(Allen Forte) 의 The Structure of Atonal Music (1973) 이 출판된
[예 13] < 베베른 >의 「 관현악모음곡 」(1913)( Orchestra Pieces 1913)은

20. 각주는 짧고 명확한 것이 좋다. 인터넷 주소를 각주에 넣는 것을 금하며 필요하다면 참


고문헌에 넣도록 한다.

21. 각주는 필자가 인용한 문헌을 원전 그대로 적는다.


한글문헌은 ‘쪽 ’으로 영문은 ‘p.' 로 표기
[예 14] 노동은, < 한국민족음악현단계> (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 1989), 100 쪽.
[예 15] G.Reese, Music in the Renaissance (N.Y.:W.W.Norton & Co., Inc., 1959),
p.200.
[예 16] 宋芳松, “ 新羅三絃의 音樂史的 檢討”, 「民族文化硏究」( 서울 :高大民族文化硏究
所, 1984), 제 18 호, 200-234쪽 .
[예 17] D.J.Grout, "Current Historiography and Music History", : Studies in Music
HistoryEssays for Oliver Strunk (Princeton, N.J.: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8), pp.35-40.
[예 18] 박미경 역(J.Baur 저), 「음악이론사 I」(대구:계명대학교 출판부, 1989), 88쪽.

22. 앞에 언급한 문헌을 반복하여 인용할 때는 저자와 책명만으로 줄인다.


[예 19] 홍정수, 「 미학적 음악론」 , 150-152 쪽.
[예 20] G.Reese, Music in the Renaissance, pp.250-253.

23. 마침표 (.) 는 이어지는 괄호나 하이픈 다음에 찍는다 .


[예 21] 우주는 음을 방출한다( 우리는 그것을 듣지 못하지만).

24. 논문 원고 끝에 즉, 참고문헌 전 , 결론 다음에 아래의 예와 같이 영문과 한글의 검색어


(Keyword) 2-5개 및 논문작성자의 e-mail 주소를 반드시 적는다.
[예 22]

Keyword (검색어): Mozart( 모짜르트), Piano Music(피아노 음악 ), Sonata(소나타)

E-mail: my-id@hanmail.net

25. 참고문헌 작성요령


논문작성에 이용한 참고문헌은 국내, 국외서적, 논문, 기타의 순으로 그리고 가, 나, 다 또는
알파벳 순으로 배열한다.

1) 영문 문헌
[ 예 23]
Forte, Allen. "Aspects of Rhythm in Webern's Atonal Music." Music Theory
Spectrum, Vol. 2. (Spring, 1980), pp.90-109.

. "Pitch-Class Set Analysis Today." Music Analysis , Vol. 4, No. 1/2,


Special Issue: King's College London Music Analysis Conference 1984.(Mar.-Jul.,
1985), pp. 29-58.

2) 한글 문헌
[예 24]
노동은 , 「한국민족음악현단계」 (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 1989)
정성민 . “ 음성장애가 있는 성악인에 대한 성악치료의 효과”, 「 대한음성언어의학회지」,
제11권 제 1호 (2000)

26. 페이지 번호는 본문부터 1 로 시작한다. 목차 페이지는 i, ii, iii, iv.... 로 표기한다.

27. 선행연구( 사전연구) 에 관한 내용이 있을 경우 , 서론에서 꼭 기술한다.

28. 본론의 내용 안에 ‘작품내용 ’과 ‘ 기술적 연구 ’에 관한 내용뿐만 아니라 , 반드시 ‘기술적


연구를 토대로 작품에 어떻게 적용하였는가?’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29. 문장의 시제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미래형이 될 수 없다. 향후 연구과제나 문제


점 해결방안을 지적하는 결론 부분에 한정하여 가능하다.

30. ' 이' ・' 그' ・ '저 ' 등의 지시 대명사는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애매할 경우가 많으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31. 대를 이루는 문장의 구조나 술어를 통일시키는 것은 전달하려는 내용을 명확히 해 주는


효과가 있으나 , 그렇지 않은 모든 경우에는 반복되는 명사나 조사・ 동사 등을 최소화 하
는 것이 좋다. 동일한 조사나 동사 등의 무분별한 중복사용으로 문장이 어색해지는 경우
를 피한다.

32. 구어체적인 표현은 삼가 한다 .


[ 예 25] 소리가~ 난다. 게다가 ~

33. '~ 라 할 수 있다 .', '~ 가 된다.' 등의 표현이 너무 많이 쓰이지 않았는지 검토해 본다.
특히 정의에 관련된 부분은 '~ 라 할 수 있다 ' 보다는 '~ 이다 '라고 정확히 표현하고 각주
를 달아 출처를 밝히도록 한다 .

34. 본문 내에 ‘필자’와 같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금한다. 불가피한 경우 ‘ 저자’ 라는 단어


로 대신할 수 있으나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다.

35. 본문의 제목이나 소제목 등에는 직접 각주를 달지 않으므로, 이후 본문의 내용 중 가장


먼저 나오는 부분을 찾아 각주를 달도록 한다.

36. Steinberg 와 같은 회사명을 언급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표기를 피하여 회사명만 언


급하도록 한다.
[ 예 26] Steinberg社
[ 예 27] Steinberg사(社 )
[ 예 28] Steinberg사

37. 작품의 제목은 고유 명사라 할 수 있으므로 각주를 달기에 적합하지 않으나, 작품의 제
목으로 나오는 단어에 각주를 달고자 할 경우에는 전체 작품명의 뒤에 각주를 달아 내
용을 풀어준다 .
[예 29] 작품명 <Doctrine of feedback>에서 ‘Doctrine’ 에 각주를 달고자 할 경우 ,
<Doctrine 1) of feedback> 과 같이 표기하지 않고 ,
<Doctrine of feedback> 2)과 같이 표기하여 각주 내용을 달아 준다.

38. 작품의 파트나 악장에 소제목을 달아 언급할 경우에는 다음의 규칙에 따른다.
1) 본문에 쓰인 장의 제목으로 사용된 경우, 그대로 표기한다 .
[예 30] 가. A : 만남(1분 30 초)
2) 본문의 문장 내에서 소제목을 언급할 경우에는 반드시 ‘ ’ 안에 넣어준다.
[예 31] 여운이 긴 소리와 함께 ‘A : 만남’ 이 시작된다.

39. 본문의 문장 안에 작품에 사용된 가사 또는 텍스트를 인용할 경우에는 ‘ ’ 를 사용 하


여 묶어준다.

40. 한글화 가능한 것은 한글표기하며, 외래어는 ( )안에 영문표기를 달아 사용하고 반복


사용시 ( )표기를 생략한다.
[예 32] 리버브(reverb)

41. 목차를 비롯하여 본문에서 장의 제목으로 사용될 때는, 외래어의 ( ) 안 영문표기를 생략


하며 , 그 밖의 본문의 문장 안에 사용될 때는 반드시 위 40 번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다.
[ 예 33] 2) 그래뉼러 합성을 위한 플러그인의 사용
[ 예 34] 플러그인으로 사용된 것은 그래뉼러(Granular) 합성 방식을 응용한

42.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이펙트명 ’은 「」로 묶지 않고 ( )안에 영어 표기하여 사용


한다. ‘이펙트명’ 에는 각주를 달아 설명하고, 역시 반복 사용 시 ( )표기는 생략한다.
[예 35] 리버브(reverb)3) 효과
[예 36] 플랜져(flanger) 4) 효과

43. Max/MSP object 는 ‘object name+오브젝트 ’로 띄어쓰기 없이 붙여 표기하며, object


이름의 font 는 Courier New( 영문서체)로 한다 . 역시 반복 사용 시 ‘오브젝트’란 단어는
생략한다.
[예 37] fiddle~오브젝트
[예 38] cv.jit오브젝트

44. 본문에 ‘ 디지털 신호처리 ’ 또는 ‘실시간 신호처리’라는 단어를 사용할 경우 , 다음과


같이 표기하며, 반복 사용 시 ( ) 표기는 생략한다.
[예 39] 디지털 신호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예 40] 실시간 신호처리(real-time signal processing)

45. 다음의 단어들은 논문 사용빈도가 높은 것들로서 , 아래의 표기법에 따르도록 한다.


[예 41] 인터랙티브 (interactive)
[예 42] 테이프음악 (tape muctive)
[예 43] FM합성(FM synthesis)
[예 44] 기본설정(preset), 프리셋(preset)
(별표 1 : 학위논문표지)


3㎝

○ ○ 학 위 논 문

1.5㎝

논 문 제 목

1㎝

― 부 제 목 ―

지도교수 ○ ○ ○


7㎝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학과

1㎝

○ ○ ○

1㎝
26.5cm ↓
2 0 0 8

3㎝

19.3㎝
[ 예]

석 사 학 위 논 문

컴퓨터음악과 실시간 영상제어 연구


(멀티미디어음악작품 “내 작품”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김 준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멀티미디어학과 컴퓨터음악전공
김 동 국

2 0 0 4
(별표 2 : 논문 내표지 / 내용은 표지와 동일함)

25.8cm

18.5cm
[ 예]
석 사 학 위 논 문

컴퓨터음악과 실시간 영상제어 연구


(멀티미디어음악작품 “내 작품”을 중심으로)

김 동 국

지도교수 김 준

이 논문을 석사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05년 1월 일

김동국의 음악석사학위(컴퓨터음악전공) 논문을 인준함.


2005년 1월 일

위원장: 0 0 0 (인)
위 원: 0 0 0 (인)
위 원: 0 0 0 (인)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별표 3 : 학위논문 인준지)

○ ○ 학 위 논 문

논 문 제 목

― 부 제 목 ―

○ ○ ○

지도교수 ○ ○ ○

이 논문을 ○○학위 논문으로 제출함

2008 년 1월 일

○ ○ ○의 ○○학 ○○ 학위논문을 인준함

2008 년 1월 일

위원장 ────

위원 ─────

위원 ─────

위원 ─────

25.8cm 위원 ─────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18.5㎝
(별표 4 : 학위논문 등표지)


2㎝







1㎝

2
0
0
26.5cm 8

1㎝

[ 예]

목 차

I. 서론 ----------------------------------------------------- 1

II. 본론 ----------------------------------------------------- 3
1. 작품내용 ----------------------------------------------------- 5
1) 내용의 내용 ---------------------------------------------------- 12

III. 결론 ---------------------------------------------------- 32

참고문헌 ---------------------------------------------------- 42

Abstract ---------------------------------------------------- 45
표 목 차

[표-1] 작품의 구성도 ------------------------------------------------------- 15


[표-2] 사용악기 ------------------------------------------------------- 25
[표-3] 사용된 기법 ------------------------------------------------------- 26

그 림 목 차

[그림-1] 작품의 구성도 ------------------------------------------------------- 15


[그림-2] 사용악기 ------------------------------------------------------- 25
[그림-3] 사용된 기법 ------------------------------------------------------- 26

악 보 목 차

[악보-1] 작품의 구성도 ------------------------------------------------------- 15


[악보-2] 사용악기 ------------------------------------------------------- 25
[악보-3] 사용된 기법 ------------------------------------------------------- 2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