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2023학년도 임용닷컴 전공음악 최종 모의고사

음 악(11회 A) 모범답안
1)
(가)다양한 음악활동과 경험 0.5

(나)음악의 사회・문화적 역할과 기능 이해 1

(다)비평 0.5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 고등학교-음악, 음악감상과 비평>


가. 음악의 구성 및 표현 방법을 이해하고, 연주 기능을 익혀 창의 가. 음악의 구성 및 표현 방법을 이해하고 다양한 음악 활동과 경
적으로 표현한다. 험을 한다.
나. 음악의 사회적・문화적 역할과 기능을 이해하고 다양한 음악
나. 역사와 문화적 맥락 속에서 악곡의 특징을 이해하며 감상한다.
을 비평한다.

2)
(가)[12음03-02] 음악과 관련된 직업에 대해 조사하여 발표한다.(번호는 필요없음) 1
(나) 음악의 활용 0.5
음악을 즐기는 태도 0.5

성취기준 [12음03-02] 음악과 관련된 직업에 대해 조사하여 발표한다.

음악의 활용
영역 생활화 핵심 개념
음악을 즐기는 태도
내용 요소 음악과 직업 기능 조사하기 발표하기
일반화된 지식 음악을 생활 속에서 활용하고, 음악이 삶에 주는 의미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음악을 즐기는 태도를 갖는다.
[음악정보처리 역량] 음악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 분석, 분류, 평가, 조작함으 로써 음악과 관련 있는
직업 정보를 처리한다.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 음악 분야의 전문 지식과 소양을 토대로 새롭고 독창적인 아 이디어를 산출해 내고, 자신
교과 역량
이 학습하거나 경험한 음악 정보들을 바탕으로 다양한 직업에 융합적으로 활용한다.
[자기관리 역량] 모둠원들과 어떻게 화합하고 협동할 것인가, 내가 맡은 역할들을 얼마나 체 계적으로 준비할 것인가를
기획하고 관리한다.

3)
신경생리학
생리심리학 2
뇌기반 심리학 등

4)

살풀이 1

시나위 1

음악 [전공 A] (10면 중 1 면) www.imyonggosi.com


5)
① 반복듣기, 반복 청취 0.5
② 음악분석, 음악분석문 0.5
③은 반성적인 사고과정과 관계가 있음
일시적인 즉흥적인 창의성이 강조된 새로운 모형에서 time away는 사고(숙고)와 관 1
계가 있음
④ 3개이상 쓸 것. 1개에 0.5
• 적성 Aptitude
•개념(이론)적지식 Conceptual Understanding –개념 이해 1.5
• 음악기능의 숙련 Craftsmanship
•미적 감수성 Aesthetic Sensitivity
⑤ 무의식적 상상력
0.5
=> 아직 웹스터가 좀 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봄

6)
(가) 꽹과리 0.5
(나) 징 0.5
웃다리 풍물 0.5
경기 지역의 농악을 말함 0.5
정식명칭은 평택농악 0.5
길군악 칠채의 징을 치는 횟수와 관계가 있다. 0.5
② 육채 0.5
③ 짝쇠 0.5
<농악에 3가지가 더 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11-1호 진주삼천포농악 영남
11-2호 평택농악 경기, 충청지역
11-3호 이리농악 호남우도
11-4호 강릉농악 영동
11-5호 임실필봉농악 호남좌도
11-6호 구례잔수농악 호남좌도 농악의 일종
11-7호 김천금릉빗내농악 경북 내륙지역 농악
11-8호 남원농악 호남 좌도의 일종

음악 [전공 A] (10면 중 2 면) www.imyonggosi.com


7)
(1) 두 악곡의 전조방법은 이명동음 전조이다.
0.5
감7화음을 통한 이명동음 전조이다.
(가)는 A Major에서 F Major로 전조 0.5
①은 A Major의 vii⁰34/IV는 F Major의 ⅶο56 0.5
C#은 Db과 이명동음 0.5
(나)는 G minor에서 e minor로 전조
0.5

②는 g minor의 는 e minor의 에 해당 0.5


0.5
Eb과 D#이 이명동음
V9 0.5

8)
마디 1-마디 6에서 IAC 불완전 정격종지 0.5
마디 6-12는 F Major의 PAC 0.5
마디 13부터 c minor 이후 Bb Major로 전조 점수 없음
마디 13-16 IAC(c minor) 0.5
마디 20 IAC(Bb Major) 0.5
마디 26 IAC(Bb Major) 0.5
마디 30 PAC 0.5
3부분 형식으로 볼 수 있음 A B A’로
0.5
순환 2부분 형식도 가능 –대조의 요소가 약함. A를 줄여서 반복하고 있음
이탈음 0.5

음악 [전공 A] (10면 중 3 면) www.imyonggosi.com


9)
①대성악(大晟樂)/대성아악 0.5

②명나라 태종이 보낸 아악기들을 뜻함.이 악기들의 유입으로 송나라의 악기와 명나라의


0.5
악기들이 섞이고,많은 악기들이 유실되어 아악이 매우 혼란해졌다.

③악지(樂志) / 고려사 악지 0.5

세종실록 0.5

임우의 대성악보 - 아악을 정비하면서 박연이 고려한 대표적 문헌으로 수록됨 0.5

박연 0.5

대려궁 대, 협, 중, 고, 이, 무, 청황

10)
수심가토리를 사용하는 악곡들이며, 서도민요들이다.(두가지가 모두 있어야 함) 0.5

<보기1>은 평안도 민요, <보기 2>는 황해도민요 그러나 토리는 모두 수심가 토리를 씀

<보기 1>은 긴 자진 형식이다. (메기고받는 형식을 답으로 처리하지 않습니다) 0.5


보기 1은 느리고, 보기 2는 보다 빠른 장단으로 연주한다. 1

①서도 민요 배따라기
② 자진배따라기
<보기2>는 엮음 형식이다.(악곡의 제목이 엮음수심가이므로 확대를 답으로 처리하지 않습니다) 0.5
보기 ㄴ을 부르고 촘촘하게 엮어서 보기 ㄱ을 부른다. 1

㉠ 엮음 수심가
㉡ 수심가
<보기2> 수심가 계통의 악곡들은 곡을 마칠 때 실제 수심가 가락으로 마친다. 0.5

음악 [전공 A] (10면 중 4 면) www.imyonggosi.com


11)
9세기경 나타남 0.5
트로프(트로푸스) 1
보기 (가)는 미사의 입당송이므로 1
보기(나)는 입당송 앞에 불려지고 입당송과 연결되었음 0.5
보기 ①은 대화체로 이루어져 있음 극적인 형태 0.5
보기 ③은 가사가 없이 선율만 있는 형태임 0.5

12)
청소년을 위한 국악관현악입문 0.5

① 1차시와 관련된 내용요소는 음악의 역사문화적 배경 0.5

② 2차시와 관련된 내용요소는 다양한 연주형태의 음악 0.5

증보문헌비고 0.5
쇠붙이(金), 돌(石), 줄(絲), 대나무(竹), 바가지(匏), 흙(土), 가죽(革), 나무(木) 1

아악기, 당악기, 향악기 1

음악 [전공 A] (10면 중 5 면) www.imyonggosi.com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