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本 記事는 日本 CQ出版社가 發行하는「トランジスタ技術」誌(2006年 11月號)와의 著作權 協定에 依據하여 提供받은 資料입니다.

연 재

EE
그림으로 배우는 전자부품 선택 방법

Series Articles
차 례
전자회로의 성능과 신뢰성을 결정짓는 전자부품. 그 종류는 엄청나게
전자부품의 기초 지식
많다. 저항이라고 해도 큰 전력을 다루는 회로에 적합한 것과 미소한 마이컴/디지털회로 주변에서의 부품 선택 방법
아날로그 신호를 다루는 계측회로에 적합한 것, 수MHz 이상의 고주파 전원회로에서의 부품 선택 방법

신호를 다루는 회로에 적합한 것까지 다양하다. 이와 관련, 본지에서는 신호를 다루는 아날로그 회로의 부품 선택 방법

여러 가지 그림을 사용하여 부품 선택 방법의 포인트를 소개한다. 고주파/와이어리스회로의 부품 선택 방법

마이컴 주변회로, 전원회로, 와이어리스/고주파 회로 등과 같이 커넥터와 케이블

목적별로 정리했다. 노이즈 대책 부품과 회로 보호 부품

중요한 보조 부품

커넥터와 케이블
이러한 플랫 케이블은 디지털 신호가 클록 주파수에서 10MHz
신호선이 많은 디지털 회로에 반드시 필요한 존재이다 정도, 신호 상승이 수ns 정도보다 느린 무렵에 실용화된 것이다.
최근과 같이 데이터 레이트가 100MHz 이상으로 되면 사용하기
힘들어진다.

1. 40개의 신호선을 단번에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


사진 1은 하드디스크(IDE)에 접속되는 플랫 케이블을 연결하
는 커넥터의 확대 모습이다. 사진 2와 같은 플랫 케이블이 접속
된다. 플랫 케이블은 발 모양으로 나란히 만들어진 케이블 앞에
접속부를 붙인 것이다.
플랫 케이블은 40핀이라고 해도 간단한 공구를 이용하여 원
노치
터치로 헤더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소량 생산인 경우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사진 1.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역 삽입 방지 노치(잘라낸 부분)가 있다]

월간 전자기술 2007₩11 125


하드디스크용 케이블에서도 커넥터는 40핀 그대로, 케이블은 다. 압접에는 전용 공구가 필요하다. 실험적으로 압접하는 경우
80심으로 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사진 3). 기존의 40심 케이블 에는 바이스로 끼워 붙일 수도 있다.
각 선 사이에 그라운드선을 배치하고 있다.
80심의 케이블에 연결하는 커넥터의 헤더는 ATA 규격 전용
이며, 사용할 경우에는 ATA 규격에 맞춰 그라운드나 신호를 할 스페이스 절약과 로우 코스트화를 실현한다

당해야 한다.
또한 ATA 규격의 80심용 헤더에서도 홀수 핀이 그라운드인
것과 짝수 핀이 그라운드인 것이 있다. 커넥터 측에서 보면 어느
쪽이든 차이가 없지만 헤더를 혼재시켜버리면 신호 핀 등이 떨 사진 5(a)는 PCI 인터페이스 카드의 예이다. 기판 일부에 금
어져버리므로 주의해야 한다. 헤더의 1번 핀 부근에 EVEN 도금을 실시한 빗의 이와 같은 모양으로 패턴을 설치하고, 이 부
GND, 혹은 ODD GND라 기재되어 있다. 사진 4에 나타난 것은 분을 사진 5(b)의 커넥터에 삽입하여 접속한다.
ODD GND의 예이다. 기판 측의 접속부는 카드 에지 커넥터라고 한다. 산업 용도에
플랫 케이블에 헤더를 접속하는 데에는 압접이라 불리는 방법 서도 이전에는 이러한 타입의 인터페이스가 일반적이었지만, 신
을 사용한다. 케이블의 절연층에 핀이 파고들도록 되어 있어 금 뢰성이라는 점에서 양쪽에 커넥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속 핀과 케이블의 도체가 일정한 압력으로 접함으로써 접속된 있다. PC용 인터페이스에 카드 에지가 남아 있는 것은, 기판의
일부를 커넥터로 사용하고 있어 커넥터 부품이 한쪽만으로 완료

플랫 케이블 되어 저가이기 때문이다.


카드 에지 방식은 사진 6과 같이 메모리 모듈 기판에도 이용
되고 있다. 메모리 모듈인 경우에는 저코스트와 스페이스 절감
이라는 양면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는 산업용에서는 마더보드 측과 도터보
드 측(인터페이스 측)의 양쪽에 커넥터를 부가하여 감합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 대표적인 커넥터가 VME 커넥터이다. VME 커
넥터는 VME 버스용으로 개발된 것이며 기본적으로 32핀 3열에
서 96핀이다(사진 7).
사진 2. 플랫 케이블용 헤더 (압접에 의해 케이블에 해더를 접속한다)

ATA 규격의
80심 케이블 커넥터

사진 3. 40핀 커넥터에 80심 플랫 케이블을 연결한 예 사진 4. ATA 규격 80심 케이블의 1번 핀 표기


(왼쪽은 기존의 40심, 오른쪽은 80심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다) (ODD GND라고 기재되어 있으므로 홀수 핀이 그라운드)

126
저속 데이터 전송에서 사용되고 있는 IC와 같은 정도의 스루레
적은 신호선으로 대량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연구 이트(시간당 상승 전압 진폭)의 트랜지스터로서 약 10배 정도 고
속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문제는 외부 노이즈에 약

EE
해진다는 점이다. 그러나 차동전송으로 하면 저진폭에서도 외부
노이즈에 강하다.

Series Articles
USB, PCI Express 등의 수백Mbps에서 Gbps의 고속 디지털 그림 1은 USB 케이블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USB에서는
신호전송에는 보통 차동신호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송에서 하나의 트위스트 페어선로에서 송수신 양쪽을 전환하여 전송하
는 신호의 진폭이 0.4V 정도로 되어 있다. 진폭을 1/10로 내리면 고 있다.

카드 에지 커넥터

(a) PCI 카드 (b) PCI 커넥터

사진 5. 카드 에지 커넥터의 외관

(a) 메모리 모듈 (b) 메모리 커넥터

사진 6. 카드 에지형 메모리 기판의 예

전원 페어 염화비닐 재킷
적색 : 전원
흑색 : 전원 그라운드
외부 실드
(그물 선)
백색
내부 실드
적색 흑색 (알루미늄 증착
폴리에스테르)
녹색
신호 트위스트 페어
AWG28 백색 : D+
드레인선 녹색 : D-

그림 1. 하이 스피드/풀 스피드용 USB 케이블의 단면 (신호는 한 쌍의


사진 7. VME 버스의 백 플레인 트위스트선으로 전송된다. 2개의 전원선과 함께 실드된다)

월간 전자기술 2007₩11 127


하드디스크의 ATA 후계 규격인 시리얼 ATA에서는 송수신 넥터가 사용된다. 사진 8은 그러한 용도로 만들어진 케이블과
각각에 차동선로를 설치하고 있다. 시리얼 ATA의 커넥터 케이 커넥터이다.
블 단면을 그림 2에 나타낸다. 시리얼 ATA에서 차동선로는 트 차동신호를 통과한 커넥터는 차동 페어의 선로 길이가 달라지
위스트 페어가 아니라 각각 독립적으로 평행선쌍을 실드한 형태 지 않도록 핀 어사인 한다. 차동 페어를 서로 인접한 핀으로 하
로 되어 있다. 는 것은 당연하지만, 커넥터가 L형인 경우에는 인접된 핀이라고
이러한 규격에 따르지 않고 차동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산업용 하더라도 커넥터 내부에서 길이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
등에서는 많이 시행되고 있다. 그러한 용도에서는 LVDS(Low 의해야 한다.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전송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기판 패턴도 사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같은 길이의 배선으
고 한다. 로 접속한다.
LVDS는 소프트면의 규정이 없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도 규정
되어 있지 않다. 신호 개수가 적은 경우에는 100BASE-TX 이더
넷용 UTP(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케이블을 사용하여 발열과 신뢰성에 주의하여 안전하게 사용한다

LVDS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가능하다면 실드된 트위스트선


(STP ; Shielded Twisted Pair cable)을 사용하는 쪽이 문제를
덜 일으킬 것이다.
UTP나 STP보다 많은 신호선수로 기판 사이를 LVDS로 전송 1. 1핀당 수A가 흐르는 대전류 커넥터
할 경우에는 실드 트위스트선을 더욱 많이 통합한 케이블과 커 PC의 마더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에서는 나일론 커넥터
가 사용되고 있다. 절연부에 나일론의 하우징을 사용한 커넥터
∼3.7mm
1.09mm
AWG26 실드 이며, 콘택트에는 판금을 둥글게 한 핀이 사용되어 1핀당 수A까
지 흐른다.
재킷
드레인선
(a) 케이블

1.27mm
(b) 커넥터

그림 2. 시리얼 ATA 케이블과 커넥터의 단면 (두 쌍의 평행선을 각각


독립적으로 실드하고 있다)

길이가 같아질
수 있는 패턴

사진 9. 프린트 기판의 패턴 예 (페어 각각의 배선길이가 같아지도록 연구되고 있다)

male
female
사진 8. 실드 트위스트선의 케이블을 접속하는 커넥터 (female 측의 셸은
프린트 기판의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사진 10. 케이블 중계에 사용되는 나일론 커넥터 (1핀당 수A의 전류를 다룬다)

128
실제로 사용할 경우에는 카탈로그에서 정격전류를 확인하고 3. 케이블에도 흘리는 최대 전류가 결정되어 있다
복수의 핀을 사용하여 전류에 여유를 둔다. 어떤 케이블에서 얼마만큼 전류를 흘릴 것인가 하는 것은 전
사진 10은 케이블 중계에 사용되는 나일론 커넥터의 하우징 선의 발열에 따라 결정된다. 절연재로는 일반적으로 염화 비닐

EE
과 핀의 모습이다. 이 이용되고 있으며, 염화비닐이 견딜 수 있는 온도 이하로 되도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에는 단면이 사각인 핀을 기판 록 전류가 제한된다.

Series Articles
에 세우고 여기에 커넥터를 접속하는 타입도 있다. 이 타입에서 1개인 경우와 몇 개로 묶여 있는 경우에는 허용전류가 달라진
도 1핀당 수A이다. 다. 복수의 선이 묶여 있는 경우에는 열이 가득 차므로 허용전류
가 적어진다. 그림 3은 선의 굵기와 허용전류를 나타내고 있다.
2. 10A 이상은 단자대를 사용한다 그림 4는 여러 개로 묶인 경우의 저감률이다.
또한 전류가 많을 때에는 단자대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사
진 11에 단자대의 예를 나타낸다. 4. 케이블을 선택할 때는 전압강하에도 주의한다
압착단자라 불리는 금속제 단자를 선단에 압착하여 설치한 케 전선의 저항에 의한 전압강하가 허용범위인 케이블을 선택해
이블을 접속한다. 야 한다. 저항값의 기준을 표 1에 나타낸다. 전압강하는 케이블
의 왕복으로 계산한다.

노이즈를 방지하기 위한 커넥터의 선택 및 실장

사진 12는 마우스나 키보드 등의 외부 접속 커넥터를 케이스


사진 11. 단자대를 기판에 설치한 예 (수A 이상의 전류를 다룰 수 있다. 압착단자를 사용한다)

표 1. 케이블 굵기와 저항값의 관계

단면적 [mm2] 0.18 0.3 0.5 0.75 1.25 2 3.5 5.5 8

1m당 저항값 [mΩ/m] 106 62 40 26 16 10 5.4 3.5 2.5


허용전류 [A]

허용 전류저감률

단면적
[mm2]

도체 상승온도 ΔT [℃] 전선 개수 [개]

그림 3. 전선의 굵기와 허용전류의 관계 (일반적인 기압, 허용전류는 그림 4. 전선을 다발로 묶었을 때의 허용전류 저감률 (케이블 내부에
도체의 상승온도로 제한된다) 열이 가득하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월간 전자기술 2007₩11 129


바깥쪽에서 본 모습이다. 이것은 케이스에 들어 있는 마더보드 할 것이다.
와 외부를 케이블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다. 이러한 커넥터 전원 케이블은 기기의 유닛 케이스 개소에 대부분 적절한
에 공통되는 특징은, 커넥터의 주위에 금속 커버(셸)가 부착되어 EMI 필터가 부가되어 있으므로 실드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있다는 것이다. 것이 일반적이다.
PC 등의 전자기기는 기기에서 나오는 전자 노이즈나 외부에 디지털 고속신호와 전원을 함께 외부기기에 공급할 경우에는
서 진입하는 전자 노이즈에 내성을 갖는 것이 규제되고 있다. 때 USB 케이블과 같이 전원선(기본적으로 직류)도 실드하고, 유닛
문에 기기에서 외부로 나오는 신호용 케이블에는 실드 케이블을 케이스로부터 외부로 나오는 곳에서 실드를 유닛 케이스에 접촉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시킨다.
실드 케이블용 커넥터의 하우징에는 금속 혹은 도전성 플라스 그림 5(a)는 실드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어도 효과가 낮은 경우
틱이 이용되고 있다. 케이블의 커넥터 하우징과 기기의 외부 케 를, 그림 5(b)는 적절한 실드의 기기 섀시에 떨어뜨리는 방식을
이스 사이를 가장 짧은 거리로 접속하는 것이 노이즈 대책의 포 나타내고 있다.
인트라 할 수 있다. 애써 실드 커넥터를 사용하고 있어도 그림 6(a)와 같이 유닛
디지털 신호를 기기의 유닛 바깥으로 내보내는 케이블/커넥터 의 외부 판금에 커넥터의 메탈 케이스를 접촉시키지 않고 띄워
에 플랫 케이블/헤더가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설계를 가끔 볼 수 버리면 도움이 되지 않는다. 커넥터의 셸은, 패널 판금에 비스
있다. 오동작을 일으키기 쉽게 되어 있거나 문제가 되는 레벨의 고정하거나 최단거리로 접촉시켜야 한다.
노이즈를 외부로 방출할 우려가 있으므로 일반적으로는 피해야 그림 6(b)와 같이 전선으로 접속하는 방법은 오히려 EMC 성
능을 악화시킬 수 있다.

외부 노이즈 기기 내에 노이즈가 외부 노이즈


들어간다
노이즈를 섀시의 그라운드로
배출한다

실드 실드
커넥터의 금속 셸이 케이블 케이블
케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내부 노이즈가 케이블을 따라 기기 안으로 외부 노이즈는 보디 바깥쪽을 통해 기기
들어간다 안으로 들어오기 어렵다

(a) 실드 케이블을 내부까지 끌어들인다 (b) 실드 외피를 섀시로 그라운드한다


사진 12. PC의 마더보드에서 외부에 접속하는
커넥터 (커넥터의 금속 셸이 케이스의 금속 섀시에 그림 5. 실드 케이블의 처리 방법에 따라 노이즈의 내성이 떨어진다 (실드선은 케이스의 패널
접속되어 있다) 혹은 섀시에 접속해야 한다)

메탈 패널
프린트 기판 프린트 기판 프린트 기판

메탈 커넥터

L 고정쇠로
피그 테일이라고 한다. 근처의 메탈
노이즈 성능을 악화시킬 수 있다. 패널에 접속

(a) 패널에 접속하지 않는다 (b) 배선으로 접속한다 (c) 금속으로 근처의 패널에 접속

그림 6. 메탈 커넥터를 사용해도 패널에 접속하지 않으면 효과가 없다 (커넥터의 금속부를 직접 패널에 고정할 수 없을 때는 (c)와 같이 한다)

130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특성 임피던스가 50 , 75
고주파 전송에는 저손실로 정합된 케이블이 필요하다 인 것이며 이 표 외에도 많은 종류가 있다.
표 2는 JIS 규격의 동축케이블이며 이것 외에도 MIL 규격의

EE
케이블 등 수많은 종류가 있다. GHz대 이하, 마이크로파대에서
는 사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은 세미리지드 케이블도 많이 사용

Series Articles
1. 고주파에서는 특성 임피던스에 주의한다 되고 있다.
고주파 신호를 멀리 전송하기 위해서는 기기의 입출력 임피던
스에 맞춘 특성 임피던스를 가진 케이블이 필요하다. 2. 특성을 발휘시키려면
표 2에 나타난 동축케이블은 그림 7과 같이 오디오 등에서 사 길이나 주파수가 높으면 손실이 많아져 손실이 적은 케이블
용되는 실드선과 같은 동축 구조의 외피를 갖고 있다. 실드선과 (일반적으로는 굵은 케이블)을 사용한다. 기기 내부의 배선이나
다른 점은, 일부를 제외하고 규정된 특성 임피던스를 가진 동축 커넥터를
특성 임피던스가 규정되어 있다 접속하여 사용한다.
고주파에서 저손실이 되도록 고려되고 있다 기기 내부의 배선 등에서 망선을 정리하여 처리하고 있는 경
는 것이다. 우를 가끔 볼 수 있지만, 높은 주파수에서는 망선 측의 고주파

표 2. 주요 동축케이블의 종류 (후지쿠라, 이 외에도 가는 것, 미세한 테플론 동축 등도 있다)

항목 특성 마무리 품명 기호의 의미
감쇠량 [dB/km]
임피던스 외경 3C2V
명칭 [Ω] [mm] 외도체 내경 [mm]
임피던스 (C : 75Ω, D : 50Ω)
절연방식 (2 : 폴리에틸렌 충실)
편조 및 외부 피복 형식
N : 1중 외부 도체 편조+나일론 편조
V : 1중 외부 도체 편조+PVC 피복
W : 2중 외부 도체 편조+PVC 피복
Z : 1중 외부 도체 편조뿐

케이블 색
50Ω 타입 : 회색 발포 폴리에틸렌 동선 편조
75Ω 타입 : 흑색 (a) 1중 실드

정전용량
50Ω 타입 : 100pF/m
75Ω 타입 : 67pF/m 알루미늄박
발포 폴리에틸렌
주석 동선 편조
(b) 2중 실드

(a) C(75Ω), D(50Ω)형 (JIS 규격) 그림 7. 동축케이블의 구조

내부도체 절연체 마무리


외피가
품명 구성 또는 외경 외경 외부 도체 외경
동파이프
[mm] [mm] [mm]






사진 13. 세미리지드 케이블의 외관 (외피부분이 동
파이프이고, 손실을 적게 하기 위해 잘 구부러지지
(b) 기기 내부 배선에 적합한 가는 케이블 (내열성 레이팅 충실 절연 동축케이블) 않는다. 마이크로파대 이상에서 사용된다)

월간 전자기술 2007₩11 131


전류가 균등하게 되지 않아 영향이 커진다. 심선 측의 노출된 부 1. 주파수, 임피던스를 맞춰서 사용한다
분을 가급적 짧게 하여, 망선 측이 균일하게 그라운드에 접속되 커넥터는 입출력, 케이블의 굵기, 케이블의 임피던스에 맞춰
는 구조로 하거나 몇 개로 나누어 접속한다. 사용한다. 사용할 수 있는 최고 주파수는 커넥터의 종류, 또는
같은 종류라도 기계가공의 정밀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사용 주파수 대역과 케이블에 의해 선택한다

2. 용도에 맞춘다
기기나 케이블의 종류, 크기, 기계적 강도, 탈착 횟수 등을 고
려한다.
삽입하는 쪽은 플러그라고 하며, 받아들이는 쪽은 잭 또는 리 소형 기기나 내부 배선 등에서 기판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
셉터클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고주파용 우, 규격의 커넥터에서는 형상이 커져 버린다. 사진 14(i)와 같이
커넥터는 사용하는 케이블에 맞춘 50 또는 75 의 특성 임피 기판에서 직접 출력하기 위한, 소형이고 높이가 낮은 커넥터나
던스로 된다. 자동차용 등 다양한 커넥터가 있다.
많이 사용되는 고주파 커넥터를 사진 14에 나타낸다. 같은 형
태 중에서도 재질 차이, 설치하는 것(패널, 기판, 케이블), 설치 3. 케이블의 가공 방법, 설치 방법을 준수한다
형상의 차이, 방향, 케이블의 굵기 차이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 기계 강도가 저하되거나 접속부분의 임피던스가 외란된다. 패
다. 다른 종류의 커넥터간, 플러그와 잭을 변환하는 어댑터도 많 널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내부 측에서의 접속이 임피던스를 외란
이 나와 있어 매우 다양하다. 시키지 않도록 주의한다.

(a) BNC (4GHz 정도까지. 50/75Ω. 비교적 소형이며 (b) TNC (4GHz 정도까지. 비교적 소형이며 다루기 쉽다. (c) M (200MHz 정도까지. 저가. 임피던스의 규정 없음)
다루기 쉽다. 탈착 용이. 오실로스코프에도 사용되고 탈착 용이)
있다)

(d) F (75Ω. 1GHz 정도까지. TV 등에서 사용) (e) N (18GHz 정도까지. 고주파수 기기, 측정기의 입출력 (f) SMA (18GHz 정도까지. 소형 고주파 기기에 많이 사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50/75Ω) 용된다. 반복 착탈하는 용도에는 적합하지 않다)

(g) SMB (4GHz 정도까지. SMA의 푸시 온 타입) (h) MMCX (6GHz 정도까지. 소형 무선 LAN 등에서 많이 (i) 기판용 소형 저배 커넥터의 예 (히로세 H. FL 시리즈,
사용되고 있다) 6GHz 정도까지)

사진 14.(1), (2), (3) 기기의 외부 접속에 사용하는 주요 고주파 커넥터와 용도

132
외부 인터페이스용 커넥터

EE
Series Articles





































차동전송용 커넥터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전원용 커넥터

사진 15. 많은 커넥터가 존재하는 PC의 마더보드 (둥글게 싸여 있는 부분이 커넥터이다. 여러 종류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인용문헌 이 커넥터와 케이블이다.


그렇다면 커넥터는 단지 접속하는 수만큼 접점이 있어야 하고
케이블도 신호선 수만큼 선이 있으면 될까.
각각의 접속부분에 적절한 커넥터와 케이블을 선택하지 않을
경우, 안정된 동작을 실행하는 유닛을 설계할 수 없다.
사진 15는 표준적인 데스크탑 PC의 마더보드의 일례이다. 둥
글게 싸여 있는 부분이 커넥터이다. 많은 수의 다양한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데스크탑 PC의 마더보드만으로는 모든 기능을 실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 표시 디바이
디지털 회로가 주요 기판이라고 해도 기판 내부에서 모든 기 스 등의 외부장치 등을 연결해야 한다. 물론 전원 유닛에도 연결
능이 실현되는 경우는 적으며 일반적으로 입출력 디바이스, 주 해야 한다. 이러한 주변기기, 유닛을 적절하게 연결하기 위해 다
변기기, 전원 등에 접속해야 한다. 그러한 접속에 사용되는 부품 양한 커넥터가 선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월간 전자기술 2007₩11 13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