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공개특허 10-2020-0074477

공개특허 10-2020-0074477

(19) 대한민국특허청(KR) (11) 공개번호 10-2020-0074477


(12) 공개특허공보(A) (43) 공개일자 2020년06월25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1) 출원인
D21C 3/04 (2006.01) D21C 9/16 (2006.01) 한국조폐공사
(52) CPC특허분류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80-67 (가정동)
D21C 3/04 (2013.01) (72) 발명자
D21C 9/002 (2013.01) 김태영
(21) 출원번호 10-2018-0162900
대전광역시 유성구 배울2로 61, 1006동 901호 (관
(22) 출원일자 2018년12월17일 평동, 대덕테크노밸리10단지아파트)
심사청구일자 없음 허용대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로 57, 136동 906호 (어은
동, 한빛아파트)
(뒷면에 계속)
(74) 대리인
인비전 특허법인
전체 청구항 수 : 총 7 항
(54) 발명의 명칭 면펄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면펄프

(57) 요 약
본 발명은 면섬유를 포함하는 면펄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면펄프에 대한 것으로, 표백공정에서 사용
되는 과산화수소 안정제를 회분함량이 낮은 유기계 안정제로 사용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조방법으로 제조된 면펄프는 회분함량이 낮고, 중합도가 개선되는 등 고품질의 면펄프를 얻을 수 있다.

-1-
공개특허 10-2020-0074477

(52) CPC특허분류 김준규


D21C 9/163 (2013.01)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북로 33, 501호 (봉명동,
(72) 발명자 모나빌2)
이종현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북로 73, 1202동 702호 (봉
명동, 투유1)

-2-
공개특허 10-2020-0074477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면섬유를 이용한 면펄프 제조방법으로서,

면섬유를 과산화수소 및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가 포함된 표백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백하는 표백 단계를 포함
하며,

상기 표백조성물은 과산화수소 100 중량부에 대해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를 25 내지 50 중량부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면펄프 제조방법.

청구항 2

제1항에서,

상기 면섬유는 린터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펄프 제조방법.

청구항 3

제1항에서,

상기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는 소듐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펄프 제조방법.

청구항 4

제3항에서,

상기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는, [에틸렌비스[니트릴로비스(메틸렌)]]테트라키스포스포닉산 소듐염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펄프 제조방법.

청구항 5

제1항에서,

상기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에서 회분성분이 되는 출발성분은 0.3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펄프
제조방법.

청구항 6

제 4항에서,

상기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는, [에틸렌비스[니트릴로비스(메틸렌)]]테트라키스포스포닉산 소듐염 40 내지


50 중량%, 증류수 5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펄프 제조방법.

청구항 7

제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의 면펄프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면펄프.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면섬유를 포함하는 면펄프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면펄프에 대한 것으로, 표백공정에서 사
용되는 과산화수소 안정제를 회분함량이 낮은 유기계 안정제로 사용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셀룰로오스는 천연물에서 유래되는 대표적인 고분자이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셀룰로오스는 목재 또
는 면 등의 비목재 식물에서 채취할 수 있으나, 목재보다는 면에서 얻어지는 경우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높은 특

-3-
공개특허 10-2020-0074477

징을 가진다. 목재는 40 내지 60%가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면은 90% 이상이 셀룰로오스 성분이다.
순수한 셀룰로오스를 알파셀룰로오스라고하며 알파셀룰로오스 함량이 98% 이상인 펄프(pulp)가 화학용 즉, 재생
섬유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목재에서 유래한 펄프에 비하여 셀룰로
오스의 함량이 월등히 높아 다양한 화학용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0003] 면섬유는 크게 스테이플과 린터섬유로 구분할 수 있는데, 스테이플은 성숙한 면섬유로 면 씨앗의 외부에 존재하
며 린터섬유는 씨앗에 붙어 있는 미성숙한 상태의 면섬유로 이해할 수 있다. 화학용의 면펄프를 제조하는 원료
로는 씨앗에 붙어있는 미성숙면인 린터섬유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섬유가 결정화도가 낮아 약품과의 반응성
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0004] 이러한 린터섬유를 화학용의 면펄프로 만들기 위해서는 린터섬유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쳐야
한다. 화학적인 방법에 의하여 면섬유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시트상(sheet type) 또는 플레이크상
(flake type)의 면펄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물을 매개로 한 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천연상태의 면섬유는
섬유 표면에 왁스와 펙틴 등의 성분이 있어 물에 젖지 않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1차적으로 이들을 제거하여 물
에 젖는 특성을 부여해야 하는데 이 공정이 바로 증해(cooking or digesting) 또는 정련공정이다. 증해공정을
거치면 면섬유가 물에 침지될 수는 있으나 아직 갈색을 띄는 상태이며 화학용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들
발색단 물질들을 추가적으로 제거해야 하며 이 공정이 표백공정이다. 표백공정에서는 과산화수소 등의 약품이
사용될 수 있다.

[0005] 대표적인 과산화물인 과산화수소는 산화제로서 유용한 무기공업약품이며, 섬유 및 펄프 등의 표백, 살균소독액,


유기합성반응 등의 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산화수소는 수송, 보존 또는 사용 중에 과산
화수소가 분해되어 그 농도가 점차적으로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며, 이는 과산화수소 수용액 중에 포함되어 있
는 각종 금속이온 또는 침전된 금속 화합물 등의 불순물에 의하여 과산화수소가 촉매적으로 분해되기 때문이다.
즉, 과산화수소와 철(Fe), 망간(Mn) 등의 중금속 이온이 반응하면 자유 래디칼(Free radical)이 형성되고, 형성
된 자유 래디칼은 다시 과산화수소와 접촉 분해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균일분해반응을 유도하여, 과산화수소의
소모를 초래한다. 따라서 과산화수소가 표백제로 사용되는 표백 공정에 중금속 이온이 존재하면 과산화수소의
분해가 촉진되어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고, 그 기능을 상실할 뿐만 아니라, 생성된 자유 래디칼이 섬유를 공격하
여 표백되는 섬유의 허약을 초래하기도 한다.

[0006] 이와 같은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한 각종 안정제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종래에는 과산화수소의 표


백작용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고자 안정제로서,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를 사용하였는데, 소듐 실리케
이트는 회분 성분인 소듐(Na)과 규소(Si)를 포함하고 있고, 이 중에서 규소(Si) 성분이 세척에 의해서도 잘 제
거되지 않아 펄프에 남아 있을 가능성이 높아 제조되는 면펄프의 회분함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규
소 성분은 공정 중 여러 배관에 스케일을 발생시켜 막힘 현상을 발생시키는 문제도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7] (특허문헌 0001) 한국 등록특허 제1178727호 (2018.08.27 공개)

(특허문헌 0002) 한국 공개특허 제2004-0022867호 (2004.03.18. 공개)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08] 본 발명의 목적은 면펄프의 표백을 위한 과산화수소의 안정제로서 회분함량이 감소된 안정제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면펄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09]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면섬유를 이용한 면펄프 제조방법으로서, 면섬유를 과산화수소 및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
정제가 포함된 표백조성물을 이용하여 표백하는 표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백조성물은 과산화수소 100 중량
부에 대해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를 25 내지 5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펄프 제조방법에 의

-4-
공개특허 10-2020-0074477

해 달성된다.

[0010] 상기 면섬유는 린터섬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0011] 상기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는 소듐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0012] 상기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는, [에틸렌비스[니트릴로비스(메틸렌)]]테트라키스포스포닉산 소듐염을 포함하


는 것일 수 있다.

[0013] 상기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에서 회분성분이 되는 출발성분은 0.3 중량% 이하인 것일 수 있다.

[0014] 상기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는, [에틸렌비스[니트릴로비스(메틸렌)]]테트라키스포스포닉산 소듐염 40 내지


50 중량%, 증류수 5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발명의 효과
[0015] 본 발명의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를 사용한 면펄프 제조방법은 종래기술에 비해 회분함량, 특히 규소 성분이
적어 제조되는 면펄프의 회분함량을 낮추어 면펄프의 품질을 높일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이나 면펄프를 이용하는
여러 공정에서의 배관 스케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16] 면펄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면섬유에서 기계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 이물질이 제거된 면섬유에 알
칼리성 용액을 사용하여 펄프화하는 증해공정, 수득된 펄프를 세척하는 세척공정, 및 세척된 펄프를 표백용액
으로 처리하는 표백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0017] 본 발명의 셀룰로오스 유도체용 면펄프의 제조에 사용하는 면섬유는 린터섬유이다. 린터섬유는 면 씨앗에서 조
면기 등에 의해 긴 섬유를 뽑아낸 후 종자에 남아있는 길이 3 내지 5mm의 짧은 섬유를 말한다. 린터섬유는 짧아
서 방적은 할 수 없고 화학공업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린터섬유를 원료로 면펄프를 제조하는 공정 중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은, 기계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과 화학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이물질이라 함은 면 씨앗, 모래, 먼지, 및 씨앗의 껍데기 등을 포함한다. 기계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은 타면, 및 건식 클리너 등으로 구성되어 씨앗, 모래 등의 중량 이물질과 먼지 등의 경량 이물질을 제거하
게 된다. 화학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은 가성소다에 의하여 섬유 표면의 왁스와 펙틴 등을 제거한 후,
과산화수소 등에 의하여 백색도를 높이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0018] 기계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은, 타면 후 건식사이클론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5~10분 처리하는 것이 씨앗,
모래 등의 중량 이물질과 먼지 등의 경량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바람직하다.

[0019] 린터섬유에서 기계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한 후 화학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다. 화학적인 이물질 제거 공
정은 증해공정을 통해 섬유 표면의 왁스와 펙틴 등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증해공정은 증해용액
으로 알칼리성을 가지는 가성소다, 탄산소다 및 규산소다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
으며, 펄프 중량 기준으로 알칼리성 용액을 0.5~15중량부 사용하면 백색도의 증가와 중합도의 감소에 적합하다.
증해용액에는 정련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정련제로서 AE44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알칼리
성 용액을 사용하여 90~110℃에서 50~70분 처리하는 것이 중합도의 감소를 최소화 하면서 섬유표면의 왁스와 펙
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섬유질은 연해지게 되면서 면섬유의 표면
에 존재하는 왁스와 펙틴 성분을 제거하여 물에 쉽게 침지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다.

[0020] 세척공정은 증해된 섬유를 희석한 후 농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희석은 증해가 끝난 섬유를 효과적으
로 교반할 수 있는 교반기에서 이루어지며, 효과적인 희석을 위해 증해된 섬유를 섬유농도 3~4 %로 희석하는 것
이다.

[0021] 희석이 이루어진 후 스크류 프레스 또는 벨트 프레스로 농축을 실시할 수 있는데, 희석된 섬유를 섬유농도 50%
이상이 되도록 농축하는 것이 증해공정에서 섬유에서 탈락된 오염물들을 섬유로부터 제거하고, 이후 효율적인
표백작용에 유리하다.

[0022] 표백공정은 세척공정으로 세척된 펄프를 표백조성물로 처리하여 면섬유의 백색도를 높이는 본 발명의 표백단계
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표백조성물은 과산화수소와, 과산화수소가 중금속 등과 반응하여 분해촉진되는 것을 방
지하기 위한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를 포함한다. 표백조성물은 과산화수소 100 중량부에 대해 유기계 과산화

-5-
공개특허 10-2020-0074477

수소 안정제를 1.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한다.

[0023] 본 발명의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는 소듐염을 포함하나, 종래기술에 문제가 되었던 규소 성분은 포함하지 않
는다. 본 발명의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는 에틸렌비스[니트릴로비스(메틸렌)]]테트라키스포스포닉산 소듐염
(Ethylenebis[nitrilobis(methylene)]tetrakisphosphonic acid Na salt)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계 과
산화수소 안정제 성분들은 회분성분이 되는 출발성분은 0.3 중량% 이하이며, 규소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종래
기술에 문제가 되었던, 제조된 면펄프에 회분성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여러 공정 중의 배관의 스케일 형성도
줄일 수 있게 된다.

[0024]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는 [에틸렌비스[니트릴로비스(메틸렌)]]테트라키스포스포닉산 소


듐염 40 내지 50 중량%, 증류수 5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
정제는 종래의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에 비해 안정제로서 더 적은 양을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
되는 면펄프에서 얻어지는 점도 및 백색도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회분 함량이 감소되어 더 고품
질의 면펄프를 얻을 수 있다.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표백조성물에 포함된 과산화수소를 100중량부로 하였을 때
본 발명의 안정제는 25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안정제가 25 중량부보다 적을 경우 펄프
내 포함되어 있는 금속이온과의 반응량이 적어 표백효율이 떨어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50 중량부보다 많
을 경우 과량의 안정제가 부반응을 일으켜 표백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0025] 본 발명의 표백조성물에는 정련제와 가성소다(NaOH)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표백단계에서 더욱 효과


적인 표백이 가능하다. 정련제는 AE440일 수 있으며,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가성소다는
과산화수소와 함께 표백제로 많이 사용되는 물질로서, 린터섬유의 표백단계가 효과적으로 되도록 한다. 표백조
성물에 포함된 과산화수소를 100중량부로 하였을 때, 정련제는 0.1 내지 1 중량부, 가성소다는 5 내지 15 중량
부 포함할 수 있다.

[0027] [실시예]

[0028] 린터섬유에서 기계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증해공정을 위해 린터 섬유를 액비 6:1에 맞추어 정련제 AE440과
가성소다와 증류수를 혼합한 증해용액을 조성하여 IR 증해표백기에 100℃에서 40분간 증해공정을 진행한다. 증
해용액은 정련제(AE440) 0.05중량%, NaOH 10.6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0029] 5L의 수돗물을 이용하여 1회 세척 후 손으로 물기를 제거하여 표백조성물(액비 6:1)에 넣는다. 표백용액은 과산
화수소 5.7 중량%, 과산화수소 안정제로서 안정제1([에틸렌비스[니트릴로비스(메틸렌)]]테트라키스포스포닉산
소듐염 및 증류수) 2 중량%, 정련제(AE440) 0.02 중량%, 및 가성소다 0.42 중량%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사용하였
으며, IR증해표백기를 통해 100℃에서 100분간 표백단계를 진행한다.

[0031] [비교예]

[0032] 실시예 1에서, 과산화수소 안정제로서 소듐 실리케이트를 5중량% 사용하였다.

[0034] 실시예 및 비교예로 제조된 면펄프에 대해 점도, 백색도 및 회분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0036] 점도 측정방법

[0037] 점도 측정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표백된 각각의 표백펄프에 대해, 잘게 찢어 전건량 0.25g을 채취하여 증
류수 25ml에 30분간 세라믹 비드(직경10mm) 6개와 교반시킨다. 이후 CED(cupriethylenediamine) 용액 25ml을
추가하여 1시간동안 반응시켜 펄프를 완벽히 용해시킨다. 이를 점도계(모세관타입)에 주입하여 모세관 점도계의
눈금에서 용액이 떨어지는 시간을 측정하여 계산한다. 점도 계산식은 Viscosity(cPs) = Viscometer
constant*time(s)*density of pulp(d)이다. 여기서 펄프의 점도는 1.052이다.

[0039] 백색도 측정방법

-6-
공개특허 10-2020-0074477

2
[0040] 펄프의 백색도 측정은 200g/m 의 펄프 시트를 4장 이상 제조하여 시료를 백색도 측정기 광원에 위치시켜 측정한
다.

[0042] 회분함량 측정방법

[0043] 펄프 속의 함유된 무기물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서 시료를 연소시킨 후 남아 있는 잔류물의 질량을 측정하는 방
법을 사용하며, 열적 안정성을 가지는 도가니 속에 측정시편을 넣고 525℃에서 약 4시간 이상 연소시킨 후 남은
무게를 측정하여 함량으로 표시한다..

표 1
[0045]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실험 결과 비교

점도(cPs) 백색도(%) 회분함량(%)


비교예 37 86.4 0.6
실시예 39 85.1 0.2

[0047] 표 1에서 실시예와 비교예의 각 과산화수소 안정제를 사용하여 표백한 면펄프에 대한 실험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0048] 셀룰로오스 유도체용 면펄프는 용도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는 하나 기본적으로 점도(중합도), 백색도, 회분함량
및 개별 무기원소 함량이 중요한 품질관리 항목이다.

[0049]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해 점도가 높게 나타나 중합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백색도에서는 실시예와 비교
예가 유사한 범위의 수치를 나타내어, 백색도에 더 좋은 효과가 있지는 않았으나, 회분함량이 비교예의 0.6%에
비해 실시예에서 0.2%를 나타내어 절반 이하로 크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품질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005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면펄프는 백색도가 종래와 유사하면서도 중합도가 개선되었고, 회
분함량을 크게 낮춰 고품질의 면펄프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의 유기계 과산화수소 안정제에는
규소 성분이 포함되지 않아, 본 제조방법을 수행하는 제조장치나, 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면펄프를 이용한 여
러 다양한 공정에서의 배관 스케일 발생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0051] 본 발명은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
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
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