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등록특허 10-1464914

(19) 대한민국특허청(KR) (45) 공고일자 2014년11월25일


(11) 등록번호 10-1464914
(12) 등록특허공보(B1) (24) 등록일자 2014년11월18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3) 특허권자
A61K 36/539 (2006.01) A61K 36/75 (2006.01) 김인숙
A61K 36/744 (2006.01) A61P 17/00 (2006.01) 부산 부산진구 개금본동로 42, 101동 1405호 (개
(21) 출원번호 10-2014-0024738 금동, 반도보라아파트)
(22) 출원일자 2014년02월28일 (72) 발명자
심사청구일자 2014년02월28일 김인숙
(56) 선행기술조사문헌 부산 부산진구 개금본동로 42, 101동 1405호 (개
KR1020100088881 A* 금동, 반도보라아파트)
KR1020110128385 A*
KR1020130030491 A*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전체 청구항 수 : 총 2 항 심사관 : 신창훈


(54) 발명의 명칭 피부 장벽 강화와 세포 재생으로 여드름을 치료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57) 요 약
본 발명은 천연 한약재 추출물과 천연 유기 유황을 주요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인체에 부작용이 발생하는
일 없이 피부 기능을 강화하고 피부 세포도 재생함과 동시에 여드름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황금, 황백, 치자, 마치현을 혼합하여 추출된 생약재 혼합 추출물과, 고삼 추출물과, 황련
추출물과, 백복령 추출물과, 천연 유기 유황을 함유한다.
대 표 도 - 도1

-1-
등록특허 10-1464914

특허청구의 범위
청구항 1

황금, 황백, 치자, 마치현을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된 생약재 혼합 추출물 8중량%와, 고삼 추
출물 6중량%와, 황련 추출물 2중량%와, 백복령 추출물 4중량%와, 천연 유기 유황 50중량%와, 나이아신아마이드
10중량%와, D-판테놀 4중량%와, 트리에틸시트레이트 16중량%를 함유하고;

상기 생약재 혼합 추출물, 고삼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은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와 세포재생으로 여드름을 치료하는 조성물.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a) 황금, 황백, 치자, 마치현이 1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생약재 혼합물과, 고삼, 황련, 백복령을 각
각 15 ~ 25℃에서 100일간 1,3-부틸렌글리콜에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되, 상기 생약재 혼합물의 황금, 황
백, 치자, 마치현 각각과 1,3-부틸렌 글리콜은 1 : 10의 중량비로 혼합되고, 상기 고삼, 황련, 백복령 각각과
1,3-부틸렌 글리콜은 3 : 7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얻어진 생약재 혼합 추출물, 고삼 추출물과, 황련 추출물과, 백복령 추출물을 전체 조성
물에서 생약재 혼합 추출물이 8 중량%, 고삼 추출물이 6 중량%, 황련 추출물이 2 중량%, 백복령 추출물이 4 중
량%를 차지하도록 혼합한 다음, 천연 유기 유황을 전체 조성물에서 50 중량%를 차지하도록 더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과 천연 유기 유황 혼합물에 나이아신아마이드, D-판테놀, 및 트리에틸시


트레이트를 첨가하되, 전체 조성물에서 나이아신아마이드이 10 중량%, D-판테놀이 4 중량%, 트리에틸시트레이트
이 16 중량%를 차지하도록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와 세포재생으로 여드름
을 치료하는 조성물 제조 방법.

명 세 서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피부 장벽 강화와 세포 재생으로 여드름을 치료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약
재를 열탕 추출이 아닌 알콜의 일종인 1,3-부틸렌글리콜을 용매로 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한 여드름 치료용 조성
물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일반적으로, 여드름은 11세 ~ 30세 사람들의 80%가 어떤 이유에서든지 한 번은 겪는 가장 흔한 피부 질환 중 하
나이다. 이러한 여드름은 피지샘의 이상으로 유발된다. 과량의 피지와 편평상피 세포가 피지샘을 막아 블랙헤드
혹은 화이트헤드를 형성하고, 관이 막힌 피지샘은 무산소 박테리아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되며 이에 대한
면역계의 반응으로 염증이 시작된다.

[0003] 실험적으로, 여드름은 그것이 생기기 오래 전부터 피부의 장벽이 약해지고 피부 세포 재생이 안되어, 피부에 각
질세포가 많아진 상태에서 땀샘과 피지샘의 분비가 과도히 일어나게 되어 모공에 배출되지 못한 피지와 각질이
모이게 된다.

[0004] 이러한 피부 환경이 오래 지속되면, 서서히 무산소 박테리아가 서식하게 되는데 모공에 피지가 자꾸 쌓이게 되
어 먹이가 풍부하면 박테리아의 개체수가 급격히 늘어나게 되어 박테리아의 배설물이 여드름을 유발한다.

-2-
등록특허 10-1464914

[0005] 통상적으로, 여드름이 발병하면 양약으로는 항생제와 지방흡수를 억제하는 약인 아이소트레티노인(약명; 로아큐
탄)을 복용하는데 처음에는 아주 신기하게 여드름이 없어지지만, 여드름이 발생할 수 있는 근본 요인은 그대로
있기 때문에 1-2주 후 다시 여드름이 생기게 된다. 이후 다시 약을 복용하여 약 복용 횟수가 늘어나면 박테리아
는 내성이 생기게 되고, 더 이상 항생제에 반응을 안하고 반대로 피부의 생리 기능은 점점 더 약화되어 박테리
아가 서식하기 더 좋은 환경으로 바뀌게 됨으로써 여드름이 더 크게 되고 화농의 깊이는 더 깊어진다.

[0006] 이러한 부작용으로 인해,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고 피부 세포를 재생함과 동시에 여드름 질환도 치료할 수 있
는 천연 약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7] (특허문헌 000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2346호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한
약재 추출물과 천연 유기 유황을 주요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인체에 부작용이 발생하는 일 없이 피부 기능
을 강화하고 피부 세포도 재생함과 동시에 여드름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09]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피부장벽 강화와 세포재생으로 여드름을 치료하는 조성물은 황금, 황백,
치자, 마치현을 혼합하여 추출된 생약재 혼합 추출물과, 고삼 추출물과, 황련 추출물과, 백복령 추출물과, 천연
유기 유황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0]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 혼합 추출물, 고삼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백복령 추출물은 1,3-부틸
렌글리콜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1]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추출물들은 상온에서 상기 추출용매에 100일간 침적시켜 추출될 수 있다.

[0012]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 D-판테놀, 트리에틸시트레이트를 더 함유할 수 있다.

[0013]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약재 혼합 추출물이 8 중량%, 고삼 추출물이 6 중량%, 황련
추출물이 2 중량%, 백복령 추출물이 4 중량%, 천연 유기 유황이 50 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이 10 중량%, D-판
테놀이 4 중량%, 트리에틸시트레이트이 16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0014] 또한, 상기 생약재 혼합 추출물의 실시예로서 황금, 황백, 치자, 마치현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 : 1 : 1 : 1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드름 예방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또는 제제(製劑)로
제형화될 수 있다.

[0016]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의 제형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킨, 로션, 에센
스,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및 클렌징 크림과 같은 각종 크림, 클렌징 폼, 전신 세정제, 비누, 팩, 피부접착용
패취, 피부접착용 겔, 파우더, 파운데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17] 또한,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의 제형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 및 캡슐
제와 같은 경구투여제제, 주사제, 패취제, 연고제, 로션제 및 크림제 등과 같은 비경구 투여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0018]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 한약재 추출물과 천연 유기 유황을 주요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양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래와 같은 각종 부작용이 인체에 발생하는 일 없이 안정적이면서 지속적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3-
등록특허 10-1464914

피부 보습 및 탄력성도 향상될 수 있다.

[0019]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면 경구용 여드름 치료용 양약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1) 붉고 건조해지는 입
술, 2) 흐려지는 시야, 안구 건조증, 3) 어지러움증, 4) 메스꺼움과 구토, 5) 발작 증상, 6) 청각력이 떨어지고
이명 증상, 7) 피부 각질 발생 8) 탈모 증상, 9) 임산부 복용시 기형아 출산 등과 같은 부작용 증상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0020]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여드름균의 증식을 차단함과 아울러 피지와 각질의 생성도 억제함으로써 피부 기능 향
상과 피부 세포 재생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0021]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사용함으로써 물에 잘 용해되지 않는 한약재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22] 도 1은 실험예3의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23]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겠지만,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0024] 본 발명의 피부 장벽 강화와 세포 재생으로 여드름을 치료하는 조성물은 황금, 황백, 치자, 마치현을
혼합하여 추출된 생약재 혼합 추출물과, 고삼 추출물과, 황련 추출물과, 백복령 추출물을 함유한다.

[0025]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약재 혼합 추출물은 황금, 황백, 치자, 마치현의 생약재들을 혼합하고 상온
에서 일정 시간 동안 1,3-부틸렌글리콜에 침적시켜 유효 성분을 추출한다.

[0026] 상기 생약재 혼합 추출물 성분 중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은 약용 식물로서, 해열, 이뇨, 지사,
이담 및 소염제로 사용이 되며, 항균력이 매우 뛰어나며, 동의치료에서는 염증약, 열내림약으로 충혈, 염증과
열이 있는 질병에도 사용한다[사화해독(瀉火解毒)과 청열조습(淸熱燥濕) 효능].

[0027] 황금 뿌리에는 baicalein, baicalin, wogonin, wogonoside, neobaicalein, benzoic acid 등이 들어있
고, 줄기와 잎에는 scutellarin이 들어있는데, 보다 상세한 효능을 아래에서 설명한다.

[0028] 1) Bailcalein과 Wogonoside는 항균 및 항 바이러스 작용을 하고, Baiclin, Wogonin은 혈관 투과성을


억제하면서 부종을 경감시켜 급,만성 염증을 억제하는데(항염 및 항과민 작용), 그 기전은 Histamine의 분비를
억제하고, arachidonic acid의 대사를 저해하는 것이다.

[0029] 2) 피부 과민 반응을 억제한다. 상기 Baicalin과 Baicalein의 항 알러지작용은 SH-enzyme의 활성을 억


제하여 아나 팔락시 전달 물질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0030] 3) 지질 저하 작용을 한다. 황금의 주 성분인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화합물은 혈중 지질 수치를 감


소시킨다. 또한, 항 산화 작용도 한다.

[0031] 4) 세포면역 촉진 작용을 한다. 체내의 IL-2는 면역조절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인데 황금 추출물은
IL-2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다.

[0032] 상기 생약재 혼합 추출물 성분 중 황백은 운향(rutaceae)과에 속하는 황벽나무의 껍질을 말린 것으로 황경피라
고도 하며, 학명은 Phellodendron amurense Rupr라 한다. 그 효능으로서, 결막염, 당남염, 만성대장염, 세균성
적리에 사용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염증(버짐이나 부스럼 치료), 폐염, 골결핵, 감기, 살균약, 소염약으로 쓰
이며, 기타 전염성 질병에 해열약으로도 쓰이는 등 유용한 생약으로 이용되고 있다.

[0033] 상기 생약재 혼합 추출물 성분 중 치자(Gardenia jasminoides)는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상록관목으로


서, 주성분은 Gardenoside, Geniposide, Shanzhiside이다. 치자의 주요 효능은 인체의 열을 내리고 항균 및 항
바이러스 작용을 하기 때문에 기미 제거와 여드름과 같은 얼굴 피부질환 개선에 탁월한 약리효과를 갖는다. 더
욱 상세하게는, 치자는 몸 안에 있는 열을 내리는 약 중에 대표적인 약재로서, 피부 진균의 생장을 억제할 뿐만

-4-
등록특허 10-1464914

아니라 알콜 추출물은 항염 작용이 있으며 연조직 손상시 항염작용과 지통 효과가 있다.

[0034] 상기 생약재 혼합 추출물 성분 중 마치현은 쇠비름과의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의 전초를 말하는
것으로, 보습성이 우수한 폴리사카라이드와 각종 아미노산을 함유되어 있어, 해열작용, 해독작용이 뛰어나고,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피부건조를 해소하고, 항염 및 피부진정작용이 우수하여 아토피, 여드름에 효과적이며
발모촉진 효과도 있다.

[0035] 본 발명의 고삼 추출물에 있어서, 고삼(Sophora flavescens Aiton)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서, 너삼이라고도 한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말린 것을 고삼이라고 하는데, 대한약전에 기재되어 있는 생약으로
서 맛이 쓰고 인삼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신경통·간염·황달·치질 등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줄기나 잎을
달여서 살충제로 쓰기도 한다. 주 성분은 Matrine, Oxymatrine이며, 이 두 가지는 염증 억제 효과가 있다.

[0036] 본 발명의 황련 추출물에 있어서, 황련(Coptis chinensis)은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서,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0037] 1) 항균작용: 장이 피로해서 생기는 장피복통과 여러 가지 피부병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 황련의
Berberin 성분은 광범위한 항균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0038] 2) 항 바이러스 작용: 황련의 Bererine은 각종 유행성 바이러스를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증명되
었다.

[0039] 3) 해독 작용: 세균의 독소는 감염중에 여러 가지 조직을 손상시키는 요인이 되는데 Berberine 성분은
병원성 미생물의 독소를 저해하여 독혈증을 개선한다. 세균의 독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탐식세포의 탐식능력이
증강된다.

[0040] 4) 항염 및 생체 방어기능 증강 작용 : 황련의 알콜 추출물은 rat에 유도한 족종창을 억제하는 효과가


뚜렷하고, Berberine은 급성 염증에 효과가 있다. 또 체내외에서 백혈구와 망상내피계의 탐식능력을 증강시켜서
염증에 대한 방어능력을 향상시킨다.

[0041] 본 발명의 백복령 추출물에 있어서, 백복령은 복령(Poria cocas Wolf.)의 균핵을 말린 것으로 전국 각지의 소나
무를 베어낸 곳에 자라며 재배도 한다. 베어낸 지 여러 해 지난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크게 자라는데,
지름 30~50㎝ 쯤의 덩어리로 겉은 소나무 껍질처럼 거칠고 속은 희거나 분홍빛이 난다. 속이 흰 것은 백복령이
라 하고 분홍빛인 것은 적복령이라고 하는데, 백복령은 적송의 뿌리에 기생하고 적복령은 곰솔 뿌리에
기생한다. 그리고, 솔뿌리를 둘러싼 것을 복신이라고 한다.

[0042] 백복령의 주요성분은 β-Pachyman이 함유되어 있고, 건조 중량의 약 93%를 차지한다. 이외에도 Chitin,
단백질, 지방, Sterol, Lecithin, Glucose, Adenin, Histidine, Choline, β-Pachyman 분해효소, Lipase,
Protease 등이 함유되어 있어, 암억제, 위장, 강장, 췌장, 신장에 탁월한 효능을 보이고 있다. 옛날부터 강장제
로 사용되었다. 약리실험 결과에 의하면 이뇨작용과 혈당량을 낮추는 작용, 진정작용 등을 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0043] 한편, 본 발명의 주요 유효성분인 천연 유기 유황( MSM, Methy Sulfonyl Methane)은 식물에서 추출해낸 무독,
무취의 유황으로서, Dimethy Sulfone 99.9%의 수용성 백색 분말이다.

[0044] 천연 유기 유황의 효능은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0045] 1) 피부조직(케라틴-표피)에 침착된 유해 물질을 해독시켜준다.

[0046] 환경오염 속에서 피부 조직에 누적되어가는 유해 물질을 해독시키는 것에 케라틴(Keratin) 단백질 구조


의 주성분인 유황 아미노산 시스테인(Cystine)이 맡고 있다. 따라서, 유황 성분은 피부 조직의 케라틴(Kerati
n)기능을 더욱 향상시켜 피부에 누적된 유해 물질을 신속히 정화, 해독시켜 준다.

-5-
등록특허 10-1464914

[0047] 2) 피부조직(콜라겐)의 탄력성을 유지시켜준다.

[0048] 피부가 탄력성이 있느냐 그렇지 않느냐는 진피 층인 콜라겐(Collagen)의 기능성에 있다. 콜라겐
(Collagen)분자는 사람의 몸 속에 가장 많이 존재하는 단백질로서 3중 나선 구조를 이루고 있어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 콜라겐 분자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콜라게나아제라는 효소가 있다. 이 콜라게나아제를 구성
하는 여러 아미노산 사슬을 마치 풀처럼 끈끈하게 엮어 주는 것이 유황이다.

[0049] 다시 말해, 유황 성분은 피부의 조직과 조직을 결집(S-S)시키는 접착제 역할을 하므로, 콜라겐 기능적
작용에 의하여 피부가 탄력성을 유지하게 된다.

[0050] 3) 피부염 (건성 피부, 상처, 아토피 피부, 여드름 피부 등) 치료제로 사용된다.

[0051] 유황의 살균 작용을 생화학적으로 살펴보면, 유황을 피부에 바르면 유기물과 작용하여 펜타티온산
(Pentathionic Acid)이 형성된다. 이 물질이 피부 각질을 용해시켜 살충, 살균 작용을 한다. 따라서 유황은 무
독의 유황 원소의 공급제로서 염증을 삭히고, 살균력이 강하여 피부염에 좋은 역할을 한다.

[0052] 4) 알레르기 현상을 경감시켜준다.

[0053] 식물성 유황(천연유기유황/Natural Sulfur)은 음식 알레르기, 접촉성 알레르기, 공기 접촉성 알레르기


를 포함한 수많은 알레르기를 경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0054] 본 발명에 적용된 1,3-부틸렌글리콜은 추출 용매로서, 기술적인 성분이나 생물학적 효과에 있어 프로필렌글리콜
이나 글리세롤 보다 더 나은 성분으로 두 성분의 대체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0055] 상기 1,3-부틸렌글리콜은 점도를 감소시키는 성분으로서, 다른 보습제처럼 건조함을 방지하는 베리어


(barrier)를 형성한다. 또한, 높은 습도의 대기 중의 수분이 막형성을 하는 쪽으로 유입되는것을 막아주기도 하
고, 화장품에서 녹지않은 물질의 결정화를 막을 뿐만 아니라 물에 녹지 않는 물질의 용해를 돕는다.

[0056] 1,3-부틸렌글리콜의 보다 구체적인 기능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0057] 첫째, 1,3-부틸렌글리콜은 아주 좋은 분배계수를 가지고 있어 방부제가 제형에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


게 만들어 방부제를 보다 적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0058] 둘째, 1,3-부틸렌글리콜은 미생물에 의한 화장품의 부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부틸렌글리콜
자체가 항미생물 효과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그람양성균, 음성균, 곰팡이, 효모에 대해 억제작용을 한다.

[0059] 셋째, 1,3-부틸렌글리콜은 안정적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적용했을 때 해가 없고, 장시간 적용했을
때에도 자극성이 없다.

[0060] 요약하면, 상기 1,3-부틸렌글리콜은 그 자체가 방부효과를 가지는 재료로서 물에 용해되지않는 물질도


추출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고, 보습제로서도 작용하며 방부역할도 하는 성분이다.

[0061] 본 발명에 있어서, 트리에틸시트레이트(triethy citrate)는 항균 오일로서 진피층의 세균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
다. 또한, 상기 트리에틸시트레이트는 피지와 염증을 잡아주며, 감염을 막아주는 기능을 한다.

[0062] 본 발명에 있어서,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비타민B군인 나이아신류의 일종으로, 니코틴아마이드라고


도 알려진 수용성 비타민 B3이다.

[0063]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세라마이드와 함께 라멜라 구조형성에 필요한 콜레스테롤과 지방산의 합성을


동시에 촉진하여 표피의 수분 상실을 감소시키고 지질량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우리 몸에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비타민 B3가 부족할 경우 심각한 피부 병변을 일으킬 수 있다.

[0064] 특히, 나이아신아마이드가 피부에 미치는 여러 가지 효과로는 여드름에 항염제로 작용하고, 항산화제
기능이 있으며 광면역 억제 및 광발암 현상을 막아주고 세포간 지질의 합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나이아신아마
이드의 국소적 사용은 얼굴 피부의 색소 침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기본 피부 톤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미백 효과는 멜라닌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과정에 직접 영향을 미쳐서가 아니라 멜라닌 세포

-6-
등록특허 10-1464914

로부터 주변 각질 형성세포로의 멜라닌소체의 이동을 억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진다.

[0065] 판테놀(Panthenol)은 판토테닉산의 다른 명칭으로서 체내에 흡수 후 비타민으로 전환되는 프로비타민 B5라고도


불리우는데, D-판테놀(D-Panthenol)과 DL-판테놀((DL-Panthenol)이 있다.

[006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D-판테놀을 함유한다. D-판테놀의 효능으로서, 피부의 보습 유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피부의 재생을 자극하며 건성 피부는 부드러움과 탄력성을 제공하므로 화장품에서는 주로 습윤제, 연화제 및 보
습제의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염증 및 가려움을 방지하고 모발을 부드럽게 하며 모발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0067] 이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0068]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래의 추출 단계, 혼합 단계, 첨가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0069] (1) 추출 단계 : 황금, 황백, 치자, 마치현으로 이루어진 생약재 혼합물과, 고삼, 황련, 백복령을 각각 1,3-부
틸렌 글리콜에 혼합하여 상온에서 일정시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다.

[0070] 본 발명에서의 상온은 15 ~ 25℃를 말하고,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침적 시간은 100일 될 수 있으나, 성분량에 따
라 변경될 수도 있다.

[0071] 상기 황금, 황백, 치자, 마치현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 : 1 : 1 : 1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황금, 황백,
치자, 마치현 각각과 1,3-부틸렌 글리콜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 : 10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삼, 황련, 백복령
각각과 1,3-부틸렌 글리콜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3 : 7이 바람직하다.

[0072] (2) 혼합 단계: 상기 추출 단계에서 얻어진 생약재 혼합 추출물, 고삼 추출물과, 황련 추출물과, 백복령 추출물
을 전체 조성물에서 생약재 혼합 추출물이 8 중량%, 고삼 추출물이 6 중량%, 황련 추출물이 2 중량%, 백복령 추
출물이 4 중량%를 차지하도록 혼합하고, 천연 유기 유황은 전체 조성물에서 50 중량%를 차지하도록 더
혼합한다.(전체 조성물 중 70중량%)

[0073] (3) 첨가 단계: 상기 혼합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물과 유황 혼합물에 나이아신아마이드, D-판테놀, 및 트리에틸
시트레이트를 첨가하되, 전체 조성물에서 나이아신아마이드이 10 중량%, D-판테놀이 4 중량%, 트리에틸시트레이
트이 16 중량%로 첨가한다. (전체 조성물 중 30중량%)

[0074] 실시예

[007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0076] 본 발명의 생약재 혼합 추출물은 황금, 황백, 치자, 마치현 각각을 70g씩 1.3-부틸렌 글리콜 700g에 혼합하여
상온에서 100일간 침적(숙성)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얻는다.

[0077] 본 발명의 고삼 추출물은 고삼 300g을 1,3-부틸렌 글리콜 700g에 혼합하여 상온에서 10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
을 추출하여 얻는다.

[0078] 본 발명의 황련 추출물은 황련 300g을 1,3-부틸렌 글리콜 700g에 혼합하여 상온에서 10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
을 추출하여 얻는다.

[0079] 본 발명의 백복령 추출물은 백복령 300g을 1,3-부틸렌 글리콜700g에 혼합하여 상온에서 100일간 침적시켜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얻는다.

[0080] 다음으로, 상기 생약재 혼합 추출물이 8 중량%, 고삼 추출물이 6 중량%, 황련 추출물이 2 중량%, 백복령 추출물
이 4 중량%, 천연 유기 유황이 50 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이 10 중량%, D-판테놀이 4 중량%, 트리에틸시트레이
트이 16 중량%를 차지하도록 혼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얻는다.

-7-
등록특허 10-1464914

[0081]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드름 예방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또는 제제(製劑)로 제형화될 수 있다.

[0082]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화장료의 제형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킨, 로션, 에센
스, 영양 크림, 맛사지 크림 및 클렌징 크림과 같은 각종 크림, 클렌징 폼, 전신 세정제, 비누, 팩, 피부접착용
패취, 피부접착용 겔, 파우더, 파운데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83] 또한,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의 제형으로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제 및 캡슐
제와 같은 경구투여제제, 주사제, 패취제, 연고제, 로션제 및 크림제 등과 같은 비경구 투여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0084]

[0085] 실험예

[0086]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각 유효성분을 하기 표 1과 같이 분류하고, 항균 효능 평가와 최소 저해 농도(MIC) 측정 실


험을 실시하였다. 표 1에서 단위는 중량%이며, 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을 나타낸다.

표 1
[0087] 성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생약재 혼합 추출물 8 - 8 8 8 8 8
고삼 추출물 6 6 - 6 6 6 6
황련 추출물 2 2 2 - 2 2 2
백복령 추출물 4 4 4 4 - 4 4
천연유기유황 50 50 50 50 50 50 50
나이아신아마이드 10 10 10 10 10 - 10
D-판테놀 4 4 4 4 4 - 4
트리에틸 16 16 16 16 16 - -
시트레이트

[0088] <항균 효능 평가Ⅰ - 실험예1>

[0089] 여드름의 원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 KCTC3314 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여러 개의 원반에 기지


농도의 평가 대상 용액을 묻혀 시험균주가 도포된 고체 한천배지에 올려놓고 배양한 후 원반 주변의 투명대
(growth inhibition halo)의 크기를 측정하는 한천 확산법으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0090] 항균시험 농도를 1000ppm(0.1%)으로 한정하였고 대조군으로는 화장표 조성물의 항균제로 많이 쓰이는 트리클로
산(Triclosan)을 사용하여 수행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0091] 평가 대상 트리클로산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P.acnes 억제능 + ++++ +++ +++ +++ +++

[0092] +: 투명대 크기 8mm 미만, ++: 투명대 크기 8 ~ 12mm 미만,

[0093] +++: 투명대 크기 12mm ~ 16mm 미만, ++++: 투명대 크기 16mm 이상

[0094]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모든 유효 성분을 함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가장 강한 항여드름균 활


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0095] <최소 저해 농도(MIC) 측정 - 실험예2>

[0096]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Propionibacterium


acne를 3ml 브레인 하트 인퓨전 브로스(brain heart infusion broth)에 넣고, 동시에 측정 대상물을 각각 농도
별로 첨가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배 희석법을 사용하였고, 대조군으로 트리클로산과 비교예
5를 사용하여 수행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8-
등록특허 10-1464914

표 3
[0097] 측정 대상 트리클로산 실시예 비교예5
MIC (mg/ml) 0.0042 0.0012 0.0016

[0098]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예5 모두 최소 저해 농도가 트리클로산 보다 훨씬 더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본 발명의 모든 유효 성분을 함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가장 낮게 나타나 여드름균을 억
제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0099] <항균 효능 평가Ⅱ - 실험예3>

[0100] 여드름의 원인균인 Propionibacterium acnes KCTC3314에 대한 비교예1, 비교예4 내지 비교예6, 및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항균효과를 Conner DE와 Beuchat LR의 Agar disc diffusion method 방법으로 측정하였다(Conner DE,
Beuchat LR, Sensitivity of heat-stressed yeasts to essential oils plant. Appl Environ microbiol.
1984;47:229~33.). 평판 배지에 배양된 균주를 1백금이 취하여 액체 배지 10mL에서 24시간 예비 배양하였다. 이
를 다시 액체 배지 9mL에 1mL 접종하여 본 배양 후 평판배지에 균액을 고루 도포하였다. 멸균된 filter paper
disc를 고체 평판배지에 올려놓은 후 0.20 membrane filter로 멸균된 평가 대상 시료를 각각 Total volume
20/disc가 되도록 각각 분주하였다. 37℃의 혐기성상태에서 균을 배양하여 disc 주위의 clear zone의 직경을 확
인하였다.

[0101] 생육저해환(clean zone) 크기를 통해 그 결과를 확인하였고, 표 4와 도 1에 나타내었다.

표 4
[0102] 평가 대상 시료 (sample) diameter(mm) 도면 표시
비교예 5 12 A
비교예 1 9 B
비교예 4 9 C
비교예 6 14 D
실시예 15 E

[0103] 표 4와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생육저해환(clean zone)의 직경이 가장 큰 것


으로 나타나 항균력이 가장 뛰어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0104]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와 실험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개시된
수치 한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예 및 균등 범위까지 포함하며,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
하다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0105] A : 비교예 5의 생육저해환 B : 비교예 1의 생육저해환

C : 비교예 4의 생육저해환 D : 비교예 6의 생육저해환

E : 본 발명의 실시예의 생육저해환

-9-
등록특허 10-1464914

도면

도면1

- 1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