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등록특허 10-1589119

(19) 대한민국특허청(KR) (45) 공고일자 2016년01월28일


(11) 등록번호 10-1589119
(12) 등록특허공보(B1) (24) 등록일자 2016년01월21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3) 특허권자
A61K 8/97 (2006.01) A61K 8/65 (2006.01) 김인숙
A61K 8/67 (2006.01) A61Q 19/02 (2006.01) 부산 부산진구 개금본동로 42, 101동 1405호 (개
(52) CPC특허분류 금동, 반도보라아파트)
A61K 8/97 (2013.01) (72) 발명자
A61K 8/65 (2013.01) 김인숙
(21) 출원번호 10-2015-0107161 부산 부산진구 개금본동로 42, 101동 1405호 (개
(22) 출원일자 2015년07월29일 금동, 반도보라아파트)
심사청구일자 2015년07월29일 (74) 대리인
(30) 우선권주장 김영일
1020150050008 2015년04월09일 대한민국(KR)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312764 B1*
KR1020110108687 A*
KR1020110112231 A*
KR101262557 B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전체 청구항 수 : 총 1 항 심사관 : 이미정


(54) 발명의 명칭 안면 피부 온도를 낮추어 미백 효과를 내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57) 요 약
본 발명은 항산화 물질, 티로시나아제 억제물질, 열을 내리는 한방 청열제로 이루어져 안면 피부 온도를 낮추어
피부 미백 효과를 달성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녹차, 어성초, 소엽, 인삼, 황기, 단삼, 구기자, 감초, 당귀, 및 황금으로 이루어진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고, 알부틴, 마린 콜라겐, 실크 아미노산, 비타민C, 나이아신아마이드, 식물성 천연 유기
유황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대 표 도 - 도1

-1-
등록특허 10-1589119

(52) CPC특허분류
A61K 8/67 (2013.01)
A61Q 19/02 (2013.01)

-2-
등록특허 10-1589119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삭제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삭제

청구항 7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에 있어서,

녹차, 어성초, 소엽, 인삼, 황기, 단삼, 구기자, 감초, 당귀, 및 황금을 1 : 2 : 1 : 3 : 5 : 4 : 5 : 2 : 4 :
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복합 한약재를 물에 대하여 15중량%로 넣고 3시간 동안 약한 불과 강한 불을
번갈아 사용하며 물에 전탕한 후 추출된 탕약액의 2배의 물을 부어 희석시킨 다음 증류하여 추출되는 증류 추출
액(A)을 제조하는 단계(a)와;

상기 복합 한약재를 추출 용매인 1,3-부틸렌글리콜이 담긴 밀폐용기에 3 : 7의 중량비로 넣고 15℃ 하에서 100


일간 두었다가 거름 종이에 여과하여 추출되는 용매 추출액(B)을 제조하는 단계(b)와;

상기 단계(a)를 통해 제조된 증류 추출액(A)과 상기 단계(b)를 통해 제조된 용매 추출액(B)을 7 : 3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복합 한약재 추출물 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복합 한약재 추출물 용액에 실크 아미노산과 어류에서 추
출한 콜라겐 성분인 마린 콜라겐을 각각 5 vol%씩 첨가한 후 가열하여 녹여서 미백액(C)을 제조하는 단계(c)와;

상기 단계(c)를 통해 제조된 미백액(C)에 알부틴, 비타민C,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식물성 천연 유기 유황을 중


량비로 10 : 2 ~ 5 : 20 : 15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미백파우더(D)를 첨가하되, 상기 미백액(C)과 미백 파
우더(D)의 혼합 비율을 중량비로 15 : 1로 하여 첨가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피부 온도를 낮추어 미백 효과를 내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청구항 8

삭제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산화 물질, 티로시나아제

-3-
등록특허 10-1589119

억제 물질, 및 열을 내리는 한방 청열제(淸熱劑)로 이루어져 안면 피부 온도를 낮추어 미백 효과를 달성하는 피


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희고 깨끗한 피부는 모든 여성들이 소망이다. 그러나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있어도 검게 타서 색소 침착이 되
는 사람이 있는 반면, 며칠 후는 다시 하얗고 깨끗한 피부로 돌아가는 사람이 있다. 이런 차이점은 안면 피부
세포가 열에 민감하여 피부 온도를 빨리 상승시키는 체질인가 아닌가에 따라서 달라진다.

[0003] 피부 기저층에 있는 멜라닌 세포는 내적, 외적요인에 의해서 피부 온도가 정상보다 올라가면 그 열을 감지한 멜
라닌 세포가 열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해서 멜라닌 색소를 분비한다.

[0004] 그러나, 과도한 열 자극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멜라닌 세포가 색소를 자주 분비하여 기미나 잡티를 형성하는 경
우가 있다. 이런 경우는 그 원인이 간, 위장, 대장, 자궁 등의 문제와 호르몬의 불균형이 초래 되었을 경우와
같이 신체 내적 요인일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에는 얼굴로 열이 상승하여 자주 얼굴이 붉어지고 열감도 느
낀다. 또한 열에 의해 피부가 건조해지고 피부 세포는 허약해진다.

[0005] 멜라닌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에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도파(DOPA),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 후 비효소적인 산화반응을 거쳐 만들어진다.

[0006] 그러므로, 희고 고운 피부를 갖게 하기 위해서 하이드로퀴논이나 아스콜빈산, 고지산, 글루타치온 등과 같은 티


로시나제에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연고나 화장료에 배합하여, 피부 미백이나 기미, 주근깨 개선의 목적으로
사용하여 왔다.

[0007] 그러나, 이들은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거나 제품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사용에 제약이 있고, 또한 그 효과도 미
비하다는 단점이 있다.

[0008] 따라서, 피부 온도를 감안하고 피부에 자극적이지 않는 한약 성분을 주요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9] (특허문헌 0001) 한국 등록특허 제10-0466379호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10]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면 피부 온도를 낮추어 피부 미
백 효과를 달성하도록 항산화 물질, 티로시나아제 억제물질, 및 열을 내리는 한방 청열제로 이루어진 피부 미백
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1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면 피부 온도를 낮추어 미백 효과를 내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
성물은 녹차, 어성초, 소엽, 인삼, 황기, 단삼, 구기자, 감초, 당귀, 및 황금으로 이루어진 복합 한약재 추출물
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크 아미노산(silk amino acid)과 어류에서 추출한 콜라겐 성분인 마
린 콜라겐(marine Collagen)을 유효 성분으로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3]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부틴, 비타민C,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식물성 천연 유기 유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들은 멜라닌 합성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복합 한약재 추출물은 상기 복합 한약재를 물에 전탕한 후 물로 희석시킨

-4-
등록특허 10-1589119

다음 증류하여 추출한 증류 추출액(A)과, 상기 복합 한약재를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한 용


매 추출액(B)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6] 또한, 상기 증류 추출액(A)과 용매 추출액(B)은 7:3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7] 본 발명에 따른 안면 피부 온도를 낮추어 미백 효과를 내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은,

[0018] 녹차, 어성초, 소엽, 인삼, 황기, 단삼, 구기자, 감초, 당귀, 및 황금으로 이루어진 복합 한약재를 물에 전탕한
후 물로 희석시킨 다음 증류하여 증류 추출액(A)을 제조하는 단계(a)와; 상기 복합 한약재를 1,3-부틸렌글리콜
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하여 용매 추출액(B)을 제조하는 단계(b)와; 상기 단계(a)를 통해 제조된 증류 추출액
(A)과 상기 단계(b)를 통해 제조된 용매 추출액(B)을 혼합한 후, 실크 아미노산과 어류에서 추출한 콜라겐 성분
인 마린 콜라겐을 첨가한 다음 가열하여 녹여서 미백액(C)을 제조하는 단계(c)와; 상기 단계(c)를 통해 제조된
미백액(C)에 알부틴, 비타민C,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식물성 천연 유기 유황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미백파우더
(D)를 첨가하는 단계(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9]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증류 추출액(A)과 용매 추출액(B)은 7:3의 부


피비로 혼합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0020]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을 기미나 잡티 등 색소 침착 부위에 도포하면 안면 피부 온도를 낮추어 피
부 미백 효과를 현저히 발현시킬 수 있다.

[0021] 특히, 피부의 열을 확실하게 내림으로써 보습력이 향상될 수 있고, 항산화제로 활성 산소를 제거함으로써 침착
된 색소를 옅어지게 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22]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 성분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1개월간 사용 후의 안면 피부 온도 변화를 비교한 사진으


로서, 도 2a는 사용 전 사진을, 도 2b는 사용 후 사진을 각각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23] 본 발명에 따른 안면 피부 온도를 낮추어 미백 효과를 내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복합 한약재 추출물에
실크 아미노산, 마린 콜라겐, 알부틴, 비타민 C,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식물성 천연 유기 유황을 유효 성분으로
더 함유할 수 있다.

[0024] 우선, 본 발명의 상기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0025] 본 발명에 있어서 복합 한약재는 녹차, 어성초, 소엽, 인삼, 황기, 단삼, 구기자, 감초, 당귀, 및 황금을 각각
일정 비율로 혼합한 것이며, 바람직한 혼합비의 예로서, 상기 각 성분간의 중량비가 녹차 : 어성초 : 소엽 : 인
삼 : 황기 : 단삼 : 구기자 : 감초 : 당귀 : 황금 = 1 : 2 : 1 : 3 : 5 : 4 : 5 : 2 : 4 : 3일 수 있다.

[0026] 이하에서는 복합 한약재를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에 대한 기능(작용)을 설명한다.

[0027] 녹차의 대표적 기능은 항산화 작용으로서, 항산화의 주성분은 카테킨이다. 녹차에는 노화와 발암 성분으로 알려
진 활성 산소를 소거하는 항산화 효능이 비타민C 보다 40배 ~ 100배 강력한 카테킨(Catechin)을 차엽 중에 다량
함유하고 있어 높은 항암작용과 항균작용을 지님과 아울러 특히 노화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지질 생성을 저하하
는 작용을 지닌다.

[0028] 체내에 과다한 활성 산소가 있으면 단백질의 변성이나 DNA 파괴를 일으키고 피부 세포도 산화가 되면 칙칙한 안
색을 띠게 되는 것이다.

[0029] 어성초는 약간 차갑고 매운 성미를 지니는 것으로, 그 효능은 청열 해독, 항염 작용이 있다. 특히, 쿠에르치트
린이라는 성분이 피부에 있는 독소를 제거하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피를 맑게 하는 청혈작용이 뛰어나다.

[0030] 또한, 어성초 달인 물은 종창을 억제하고 조직액 분비를 감소시켜 조직을 재생시키는 실험 결과가 있다. 얼굴에
열이 자주 올라서 만성적인 가벼운 염증을 가지고 있으면 차고 건조한 날씨나 강한 햇볕에 노출될 경우 기미나

-5-
등록특허 10-1589119

잡티가 더 진하게 변하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어성초를 첨가하였다.

[0031] 소엽은 동의보감에서 성미가 따뜻하고 향이 있으며 독이 없다고 기록되어있다. 잎의 앞뒷면이 자주 빛이고 주름
이 있다. 또한, 소엽은 비타민 A, C가 풍부하고 무기질인 K, Ca, Mg가 풍부하다. 특히, 자소엽은 항산화 작용이
있다. 비타민C와 항산화 작용은 피부의 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작용이 있다.

[0032] 인삼의 주성분은 사포닌으로서, 이 사포닌은 30여 종류의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세
노사이드는 성인병 및 노화 예방, 알코올 해독과 간 보호, 혈행 개선, 항산화 및 항염 작용, 조혈 기능의 개선
등 인체 전반에 걸쳐서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다.

[0033] 황기의 기능(작용)은 다음과 같다.

[0034] 1) 비특이적 면역기능에 대한 영향

[0035] 황기는 혈중 백혈구 수를 증가시키고 호중구와 대식세포의 탐식과 사멸능력을 촉진시킨다.

[0036] 2) 특이적 면역에 대한 영향

[0037] 황기는 정상인에게 항체 생성을 촉진시킨다. mouse의 비장에서 항체 생성 세포수를 제고시킨다. rat에서 악성
종양의 임파 세포로 유발되는 항숙주 이식거부 반응을 제고시킨다. 그 기전은 Ts 세포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0038] 3) 노화 방지 작용

[0039] 황기는 누에와 초파리의 평균 수명을 연장시키고, 사람의 배아 신장 세포주와 어린 mouse의 신장 세포주 및 배
아 세포주의 배양에서 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키며 각 세포의 생존 기간을 연장시킨다.

[0040] 또한, 황기 추출물이 피부 진피 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UVB에 대한 보호 효과와, NF-κB의 발현 및 핵으로
의 전좌(translocation) 억제 효과 및 프로콜라겐(procollagen) 증가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0041] 단삼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0042] 1) 미순환 개선작용

[0043] 모세혈관의 개방이 증가되어 혈액 세포의 정체로 인해 완만하던 혈류 속도가 빨라진다.

[0044] 2) 조직 회복과 재생 조절 작용

[0045] 조직의 회복과 재생을 촉진시킨다. 실험에 의하면 단삼을 투여하면 죽은 세포가 비교적 빨리 제거되고 탐식 세
포가 증가하며 섬유 모세포의 분화와 교원섬유(collagen)의 형성이 나타나서 육아 조직의 형성이 비교적 감소된
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작용은 미순환 개선과 혈액 변화와 국소 혈류의 동력학적 변화에 의해서 나타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0046] 구기자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0047] 1) 면역 기능의 증강과 조절

[0048] 구기자의 다당은 백혈구와 호중구의 수를 증가시킨다.

[0049] 2) 조혈 기능 증강 작용

[0050] 구기자 전탕액은 백혈구 수의 증가와 기능을 회복시킨다.

[0051] 3) 항종양 작용

[0052] 구기자의 다당은 종양 억제 작용이 있다. 그 기전은 종양 세포에서 DNA 합성을 억제시키고 세포 분열을 저해하
여 세포 증식 능력을 감소시킨다.

[0053] 4) 노화 방지 작용; mouse의 피부 조직 중 hydroxyprolin양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결정 아미노산의 일종이며,


collagen의 한 성분이다.

[0054] 감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0055] 1) 항염 및 항알러지 작용

[0056] 감초는 corticosteron과 유사한 항염증 작용이 있다. 감초 달인 액은 피동적 피부 과민 반응을 억제한다.

-6-
등록특허 10-1589119

[0057] 2) 항바이러스 작용

[0058] 사람의 면역 결핍성 바이러스, 간염 바이러스, 수두 개성 포진 바이러스 등의 증상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그
기전은 바이러스에 대한 직접적인 작용 이외에 인터페론의 생성유도와 NK세포의 활성을 증강시킨다.

[0059] 3) 해독작용; 감초는 약물 증독, 동물독, 세균독소, 파상풍 독소의 중독과 생체 대사 산물의 중독을 해독시키는
작용이 있다.

[0060] 당귀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0061] 1) 조혈 작용 및 항빈혈 작용

[0062] 당귀는 단독 사용하거나 혹은 황기와 같이 사용하면 실혈성 빈혈, 용혈성 빈혈에 적혈구와 헤모글로빈 양을 증
가시킨다.

[0063] 2) 비특이적 면역기능 증강

[0064] 대식 세포의 탐식 능력을 뚜렷이 제고시킨다.

[0065] 황금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히스타민 분비를 억제하고, arachidonic acid의 대사를 저해
하여 급만성 염증을 억제하여 항염과 항과민 작용도 한다. 또한, 연구에서 baicalin과 baicalein의 항알러지 작
용은 SH-enzyme의 활성을 억제하여 아나팔락시 전달 물질의 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잦은 얼굴 피부
의 염증 반응은 결국은 칙칙하고 거친 피부결을 만들기 때문에 항염 기능이 비교적 강한 황금을 본 발명의 조성
물에 첨가하였다.

[0066]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합 한약재의 유효 성분을 2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다. 다시 말해, 물에 전탕하여 추
출하는 방법과 1,3-부틸렌글리콜에 추출하는 방법 2가지를 동시에 사용한다. 상기 2가지 방법을 사용하는 이유
는 상기 복합 한약재 중에는 물에서 잘 추출되는 유효성분이 있고 알콜에서 잘 추출되는 유효성분도 있기 때문
에 복합 한약재의 유효 성분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함이다.

[0067] 상기 복합 한약재를 물에 전탕하는 방법은 아래과 같다.

[0068] 우선, 상기 복합 한약재를 물에 대하여 15 중량%로 넣고 3시간 정도 문무화(文武火)로 또는 약한 불과 강한 불


을 번갈아 사용하여 달인 후 짜서 나온 탕약액의 2배의 물을 부어 희석한다, 그 다음으로, 물에 희석된 탕약액
을 다시 증류하여 그 증류액을 모아서 증류 추출액(A)을 만든다.

[0069] 본 발명에 있어서, 물에 희석된 탕약액을 다시 증류하는 주된 이유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순수 복합 한약재 성분
만을 추출함으로써 유효 성분이 피부에 최대한 흡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증류하면 분자 크기가
작은 증발 분자의 피부 흡수가 용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효 성분을 기(氣)의 형태로 만들어 피부에 잘 스
며들고 자극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0070] 상기 복합 한약재를 1,3-부틸렌 글리콜에 추출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0071] 상기 복합 한약재를 1,3-부틸렌 글리콜이 담긴 밀폐용기에 3 : 7의 중량비로 하여 넣고 서늘한 곳(대략 15℃)에


100일간 두었다가 거름 종이에 필터링하여 용매 추출액(B)를 만든다.

[007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3-부틸렌글리콜은 점도를 감소시키는 성분으로서, 다른 보습제처럼 건조함을 방지하
는 베리어(barrier)를 형성한다. 또한, 높은 습도의 대기 중의 수분이 막 형성을 하는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
아주기도 하고, 화장품에서 녹지않은 물질의 결정화를 막을 뿐만 아니라 물에 녹지 않는 물질의 용해를 돕는다.

[0073] 1,3-부틸렌글리콜의 보다 구체적인 기능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0074] 첫째, 1,3-부틸렌글리콜은 아주 좋은 분배계수를 가지고 있어 방부제가 제형에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만들


어 방부제를 보다 적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0075] 둘째, 1,3-부틸렌글리콜은 미생물에 의한 화장품의 부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부틸렌글리콜 자체가
항미생물 효과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그람양성균, 음성균, 곰팡이, 효모에 대해 억제작용을 한다.

[0076] 셋째, 1,3-부틸렌글리콜은 안정적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에 적용했을 때 해가 없고, 장시간 적용했을 때에도 자
극성이 없다.

[0077] 요약하면, 상기 1,3-부틸렌글리콜은 그 자체가 방부 효과를 가지는 재료로서 물에 용해되지 않는 물질을 효과적

-7-
등록특허 10-1589119

으로 추출하고, 보습제로서도 작용한다.

[0078]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복합 한약재 추출물은 상기 증류 추출액(A)과 용매 추출액(B)이 7 :


3의 부피비로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0079] 삭제

[0080]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 한약재 추출물에 실크 아미노산(silk amino acid)과 어
류에서 추출한 콜라겐 성분인 마린 콜라겐(marine Collagen)을 유효 성분으로 더 함유할 수 있다.

[0081] 상기 실크 아미노산은 누에고치(실크 단백질)를 가수분해하면 유리 아미노산 및/또는 아미노산이 두 분자 이상


결합된 펩티드를 형성하는데, 이와 같이 형성된 아미노산과 펩티드 모두를 통칭하여 실크 아미노산이라고 하며
연노랑색의 고운 분말이다.

[0082] 여기에는 발린, 이소로이신, 로이신, 트레오닌,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립토판의 8종 필수아미노산과
10종의 비필수 아미노산이 있다. 이 실크 아미노산은 인체의 피부 구성 단백질과 성분이 매우 유사하여 피부 흡
수가 잘 되는 것은 물론이고 피부를 재생하고 영양을 공급하는 기능이 우수하다. 또한,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피부 장벽을 튼튼하게 하여 자외선이나 외부 유해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준다.

[0083] 상기 마린 콜라겐은 어류의 껍질에서 추출한 콜라겐이라서 동물성 콜라겐의 효능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피부의
재생을 촉진하고, 피부에 수분과 영양을 공급한다. 콜라겐, 엘라스틴 등 탄력 요소의 양을 증가시켜줌으로써 외
부의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0084]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증류 추출액(A)과 용매 추출액(B)이 7 : 3의 부피비로 혼합된 복합 한약재 추출물


용액에 상기 실크 아미노산과 마린 콜라겐이 각각 5 vol%씩 첨가한 후 가열하여 녹여서 미백액(C)를 제조할 수
있다.

[008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 한약재 추출물에 알부틴, 비타민C, 나이아신아마
이드, 및 식물성 천연 유기 유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유효 성분으로 더 함유할 수 있다.

[0086] 상기 알부틴은 월귤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식물 성분으로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안전한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티로시나아제에 직접 작용하여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다.

[0087] 상기 비타민C는 몸속의 유해 산소를 없애주는 항산화 기능이 우수하며 노화를 방지하고 각종 염증 증상을 개선
시켜준다. 항산화 기능에 의해 이미 생성된 기미나 잡티가 연하게 되는 것이다.

[0088]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비타민B군인 나이아신류의 일종으로, 니코틴아마이드라고도 알려진 수용


성 비타민 B3이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세라마이드와 함께 라멜라 구조 형성에 필요한 콜레스테롤과 지방산의
합성을 동시에 촉진하여 표피의 수분 상실을 감소시키고 지질량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나이아신아마
이드는 우리 몸에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비타민 B3가 부족할 경우 심각한 피부 병변을 일으킬 수 있다.

[0089] 특히, 나이아신아마이드가 피부에 미치는 여러 가지 효과로는 항염제 및 항산화제 기능이 있으며, 광면역 억제
및 광발암 현상을 막아주고, 세포간 지질의 합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나이아신아마이드의 국소적인 사용은 얼
굴 피부의 색소 침착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기본 피부 톤의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미백 효
과는 멜라닌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성과정에 직접 영향을 미쳐서가 아니라 멜라닌 세포로부터 주변 각질 형성 세
포로의 멜라닌소체의 이동을 억제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0090] 상기 식물성 천연 유기 유황은(MSM, Methy Sulfonyl Methane)은 식물에서 추출해낸 무독, 무취의 유황으로서,
Dimethy Sulfone 99.9%의 수용성 백색 분말이다. 주성분은 유황 아미노산 시스테인이며, 피부에 누적된 유해물
질을 신속히 정화,해독시켜준다.

[0091] 이러한 효능이 있어서 선조들은 피부병이 생기면 유황 온천을 찾아서 조리를 하였다. 이유는 유황 성분이 피부
조직의 케라틴 기능을 더욱 향상시켜주기 때문이다. 또한, 피부 콜라겐 분지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아미노산을
유황이 붙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콜라겐 생성에 없어서는 안될 물질이다. 본 발명은 유황을 첨가하여 피
부 볼륨을 두텁게하여 자외선으로부터 멜라닌 세포가 색소를 만드는 것을 최소화시킨 것이다.

[0092] 천연 유기 유황의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하면 아래와 같다.

-8-
등록특허 10-1589119

[0093] 1) 피부 조직의 케라틴(Keratin)기능을 더욱 향상시켜 피부에 누적된 유해 물질을 신속히 정화, 해독시켜 준다.

[0094] 2) 콜라겐 분자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콜라게나아제를 구성하는 여러 아미노산 사슬을 끈끈하게 엮어 주는 것
이 유황이다. 다시 말해, 유황 성분은 피부의 조직과 조직을 결집(S-S)시키는 접착제 역할을 하므로, 콜라겐 기
능적 작용에 의하여 피부가 탄력성을 유지하게 된다.

[0095] 3) 피부염 (건성 피부, 상처, 아토피 피부, 여드름 피부 등) 치료제로 사용된다. 유황의 살균 작용을 생화학적
으로 살펴보면, 유황을 피부에 바르면 유기물과 작용하여 펜타티온산(Pentathionic Acid)이 형성된다. 이 물질
이 피부 각질을 용해시켜 살충, 살균 작용을 한다. 따라서 유황은 무독의 유황 원소의 공급제로서 염증을 삭히
고, 살균력이 강하여 피부염에 좋은 역할을 한다.

[0096] 4) 식물성 천연 유기 유황은 음식 알레르기, 접촉성 알레르기, 공기 접촉성 알레르기를 포함한 수많은 알레르기
를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0097]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알부틴, 비타민C,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식물성 천연 유기 유황을


중량비로 10 : 2 ~ 5 : 20 : 15 ~ 18 비율로 혼합하여 미백 파우더(D)를 제조한 다음, 상기 미백액(C)에 상기
미백 파우더(D)를 첨가하되 미백액(C)과 미백 파우더(D)의 혼합 비율이 중량비로 12 ~ 15 : 1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0098]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안면 피부 온도를 낮추어 미백 효과를 내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의 바
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참조)

[0099] 우선,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녹차, 어성초, 소엽, 인삼, 황기,
단삼, 구기자, 감초, 당귀, 및 황금으로 이루어진 복합 한약재를 물에 전탕한 후 물로 희석시킨 다음 증류하는
단계(a)와, 상기 복합 한약재를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단계(b)를 포함한다.

[0100] 상기 단계(a)는 일정 비율로 혼합된 상기 복합 한약재를 물에 대하여 15 중량%로 넣고 3시간 정도 문무화(文武


火)로 또는 약한 불과 강한 불을 번갈아 사용하여 달인 후 짜서 나온 탕약액의 2배의 물을 부어 희석한 다음,
물에 희석된 탕약액을 다시 증류하여 그 증류액을 모아서 증류 추출액(A)을 만드는 단계이다.

[0101] 일 실시예로서, 상기 복합 한약재는 중량비로 녹차 : 어성초 : 소엽 : 인삼 : 황기 : 단삼 : 구기자 : 감초 :


당귀 : 황금 = 1 : 2 : 1 : 3 : 5 : 4 : 5 : 2 : 4 : 3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02] 상기 단계(b)는 상기 복합 한약재를 알콜의 일종인 1,3-부틸렌 글리콜이 담긴 밀폐용기에 3 : 7의 중량비로 하


여 넣고 서늘한 곳(대략 15℃)에 100일간 두었다가 거름 종이에 필터링하여 용매 추출액(B)를 만드는 단계이다.

[0103]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계(a)와 단계(b) 이후 단계(c)에서 상기 증류 추출액(A)과 용매 추출액(B)은 일정 비율로


혼합하는데, 가장 바람직한 혼합 비율로는 상기 증류 추출액(A)과 용매 추출액(B)이 7:3의 부피비로 혼합되는
것이다.

[0104] 본 발명의 단계(c)에서는 상기 증류 추출액(A)과 용매 추출액(B)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복합 한약재 추출물


용액을 제조한 후, 실크 아미노산과 어류에서 추출한 콜라겐 성분인 마린 콜라겐을 일정량으로 첨가한 다음 가
열하여 녹여서 미백액(C)을 제조한다.

[0105]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실크 아미노산과 마린 콜라겐은 상기 복합 한약재 추출물 용액에 대하여 5 vol%로 각각 첨


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06] 이어서, 본 발명의 단계(d)에서는 상기 단계(c)를 통해 제조된 미백액(C)에 알부틴, 비타민C,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식물성 천연 유기 유황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미백파우더(D)를 일정 비율로
첨가하는 단계이다.

[0107] 일 실시예로서, 상기 미백 파우더(D)는 상기 알부틴, 비타민C, 나이아신아마이드, 및 식물성 천연 유기 유황을


중량비로 10 : 2 ~ 5 : 20 : 15 ~ 18 비율로 각각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08] 또한, 미백액(C)에 미백 파우더(D)를 첨가할 때, 미백액(C)과 미백 파우더(D)의 혼합 비율이 중량비로 12 ~ 15


: 1인 것이 바람직하다.

[0109]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미백 파우더(D)가 첨가된 미백액(C)를 잘 녹인 후 기미나 잡


티 등 색소 침착 부위에 도포하여 사용될 수 있다.

-9-
등록특허 10-1589119

[0110] 도 2는 하기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1개월 동안 사용 후의 안면 피부 온도 변


화를 비교한 사진이다.

[0111]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a는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 사진으로서, 안면에 열이
많이 발생하여 안면이 전체적으로 붉은 색을 띄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0112] 그러나, 도 2b는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1개월 동안 꾸준히 사용한 후 동일 실험자의 얼굴을
찍은 사진으로서, 안면에 열이 많이 내려 1개월 전과 대비하여 붉은 색 부분이 상당히 많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0113]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꾸준히 안면에 사용할 경우 안면 피부 온도를 지속적
으로 낮춰어 피부 미백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0114]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
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 등의 다양한 제형으로 사용되
어질 수 있다.

[0115]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개시하고,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고 대비할 수 있는 실험예 및 비교
예를 개시한다.

[0116] 실시예 1

[0117] 우선, 녹차 10g, 어성초 20g, 소엽 10g, 인삼 30g, 황기 50g, 단삼 40g, 구기자 50g, 감초 20g, 당귀 40g, 및
황금 30g으로 이루어진 복합 한약재를 물 2000g에 넣고 3시간 동안 문무화(文武火)로 또는 약한 불과 강한 불을
번갈아가며 달인 후 짜서 나온 탕약액에 그 2배의 물을 부어 희석시킨 다음, 그것을 다시 증류하여 증류액을 모
아 증류 추출액(A)를 제조한다.

[0118] 그리고, 동일한 양의 상기 복합 한약재를 1,3-부틸렌글리콜 700g이 담긴 밀폐 용기에 넣어 서늘한 곳(대략


15℃)에 100일간 두었다가 거름종이에 필터링하여 용매 추출액(B)을 제조한다.

[0119] 그 다음, 상기 증류 추출액(A)과 용매 추출액(B)을 7:3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한다.

[0120] 실시예 2

[0121] 상기 실시예 1의 복합 한약재 추출물 용액에 실크 아미노산과 마린 콜라겐을 각각 5 vol%씩 넣어 가열하여 녹인


후 식혀서 실크 아미노산과 마린 콜라겐 성분이 추가된 복합 한약재 추출물[미백액(C)]을 제조한다.

[0122] 실시예 3

[0123] 상기 실시예 2의 실크 아미노산과 마린 콜라겐 성분이 추가된 복합 한약재 추출물에 알부틴 10g, 식물성 천연
유기 유황 15g, 나이아신아마이드 20g, 비타민C 2g으로 이루어진 미백 파우더(D)를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미
백액(C)] 6g 당 0.4g 비율로 혼합하여 녹여서 실크 아미노산, 마린 콜라겐, 및 상기 미백 파우더 성분이 추가된
복합 한약재 추출물을 제조한다.

[0124] [실험예 1] 항산화 활성 실험

[0125]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자유 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하여 항산화 활성 실험을 하였다.

[0126]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를 DPPH(1,1-디페닐
-2-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표준 DPPH 400μM 용액을
만들고, 200㎍/㎖ 농도의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조성물 시료를 각각 만들었다. 이어서, 상기 각
각의 시료에 표준 DPPH 용액을 같은 비율로 각각 첨가하고 잘 교반한 다음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nm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0127] 측정된 각각의 시료에 대한 반응 흡광도(Es)와 대조군의 반응 흡광도(Er)로부터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


라디칼 소거율(F)을 구하였다. 또한, 항산화제인 부틸레이티드 하이드록시톨루엔(BHT: Butylated
hydroxytoluene)을 동일 농도로 사용하여 상기 방법으로 자유 라디칼 소거율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0128] 수학식 1

- 10 -
등록특허 10-1589119

[0129] F(%) = 100 - {(Es/Er)×100}

표 1
[0130]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BHT
자유 라디칼 소거율(%) 61.9 62.2 66.9 35.5

[0131]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 따른 복합 한약재 추출물이 BHT 보다 자유 라디칼 소


거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2 및
실시예3과 같이 복합 한약재 추출물에 본 발명의 유효 성분들이 추가될수록 항산화 효과가 더욱 우수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0132] [실험예 2] 멜라닌 생성 억제 실험

[0133]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B16F1 멜라노사이트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를 실험하였다.
본 실험예에 사용된 B16F1 멜라노사이트는 쥐에서 유래한 세포주이며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를 분비하는 세포
이다. 이 세포의 인공 배양 중에 시료를 처리하여 멜라닌 흑색 색소가 감소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0134]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명하면, B16F1 멜라노사이트를 6 웰 플레이트에 각 웰당 2농도로 분주하고 세포를 부착
시킨 후 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농도로 시료를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세포를 트립신
-EDTA로 떼어낸 후 세포수를 측정한 다음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0135] 그리고, 셀 펠릿을 PBS로 1회 세척한 후 균질화 완충액(50mM 소듐 포스페이트, pH6.8, 1% Triton X-100, 2mM
PMSF) 1㎖을 첨가하여 5분간 와류하여 세포를 파쇄하였다. 원심분리(3,000rpm, 10분)하여 얻은 세포 여액에 1N
NaOH (10% DMSO)를 첨가하여 추출된 멜라닌을 용해한 후 마이크로 플레이트 판독기로 490㎚에서 멜라닌의 흡광
도를 측정한 다음 멜라닌을 정량하여 시료의 멜라닌 생성 저해율(I)을 하기 수학식 2에 의거하여 계산하였다.

[0136] 또한, 미백 성분인 코직산(Kojic acid)를 사용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멜라닌 생성 저해율을 구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시료 각각의 실험 농도는 200㎍/㎖로 하였고, 각각의 시료당 3회씩 실험한 결과치에 대한 평균값
을 표 2에 나타내었다.

[0137] 수학식 2

[0138] I(%) = {(A-B)/A}×100

[0139] 수학식 2에서, A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멜라닌 양을, B는 시료를 첨가한 웰의 멜라닌 양을 나타낸다.

표 2
[0140]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코직산
멜라닌 생성 저해율(%) 45.2 46.7 51.6 24.5

[0141]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복합 한약재 추출물이 종래의 미백 성분인 코


직산 보다 B16F1 멜라노사이트에 대한 멜라닌 생성 억제 정도(저해율)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른 유효 성분들이 추가될수록 멜라닌 생성 저해율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
타났다.

[0142] [실험예 3]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실험

[0143]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실험을 하였다.

[0144] 구체적인 실험 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조성물을 각각 완충 용액에 희석하
여 50㎍/㎖의 농도로 각각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된 각 농도의 시료 0.5㎖를 티로신 용액 0.5㎖(0.05M 인산 나
트륨 완충용액(pH 6.8)에 티로신을 녹여 만든 0.1㎎/㎖ 용액)가 함유된 시험관에 넣고 37℃ 항온기에서 10분간
방치한 후, 200U/㎖ 티로시나아제 0.5㎖을 넣고 37℃ 항온기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0145] 그런 다음 시험관을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파장 475㎚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서는 실시예 1 내지 3의 추출물 대신에 완충 용액을 넣은 것을 사용하였다. 티로시나아

- 11 -
등록특허 10-1589119

제의 활성 억제율(T)은 흡광도의 차이를 이용한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0146] 수학식 3

[0147] T(%)=100-[시료의 흡광도/대조군의 흡광도×100]

표 3
[0148]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 71 72 75

[0149]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모두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율이 70%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복합 한약재 조성물에 피
부 미백용 유효성분이 추가된 실시예 3의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0150]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효과와 보습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하기 실시예 4 내지 실시


예 6 및 비교예를 실시하였다.

[0151] 실시예 4

[0152]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 10중량%, 글리세린 5중량%, 유동 파라핀 8중량%, 폴리솔베이트60 2중량%, 솔비탄세스퀴
롤올레이트 1중량%, 스쿠알란 5중량%, 밀납 2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중량%, 및 카
르복실비닐폴리머 1.5중량%를 혼합하고 잔량은 정제수를 섞어 에멀젼 형태로 제조한다.

[0153] 실시예 5

[0154]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 10중량%, 글리세린 5중량%, 유동 파라핀 8중량%, 폴리솔베이트60 2중량%, 솔비탄세스퀴
롤올레이트 1중량%, 스쿠알란 5중량%, 밀납 2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중량%, 및 카
르복실비닐폴리머 1.5중량%를 혼합하고, 잔량은 정제수를 섞어 에멀젼 형태로 제조한다.

[0155] 실시예 6

[0156] 상기 실시예 3의 조성물 10중량%, 글리세린 5중량%, 유동 파라핀 8중량%, 폴리솔베이트60 2중량%, 솔비탄세스퀴
롤올레이트 1중량%, 스쿠알란 5중량%, 밀납 2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중량%, 및 카
르복실비닐폴리머 1.5중량%를 혼합하고 잔량은 정제수를 섞어 에멀젼 형태로 제조한다.

[0157] 비교예

[0158]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조성물 중 어느 성분도 혼합하지 않고, 단지 글리세린 5중량%, 유동 파라핀 8중
량%, 폴리솔베이트60 2중량%, 솔비탄세스퀴롤올레이트 1중량%, 스쿠알란 5중량%, 밀납 2중량%, 트리에탄올아민
0.5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중량%, 및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중량%만을 혼합하고 잔량은 정제수를 섞어 에멀
젼 형태로 제조한다.

[0159] [실험예 4] 미백 효과(L*a*b* 표색계의 명도 지수 L*값 측정) 실험

[0160]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미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1개월간 20 ~ 40대의 건강한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실
시예 4 내지 실시예 6과 비교예에 따른 조성물을 10명씩 4조로 나누어 매일 2회씩 한 달간 도포하게 한 후, 피
부의 흑백 정도를 색차계(미놀타 CR2002)를 사용하여 판정하였다. 색을 표시하는 데에는 L*a*b* 표색계를 쓰며
본 실험에서는 주로 L*값(명도)을 지표로 하였다. L*값은 검정색(L*=0)으로부터 흰색(L*=100) 까지를 나타내며
한 달 후의 ΔL*를 구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0161] 실험 조성물 ΔL*
실시예 4 10.7
실시예 5 11.3
실시예 6 12.5
비교예 0.52

[0162] 상기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 한약재 조성물이 함유되지 않은 비교예는 실시예 4 내지

- 12 -
등록특허 10-1589119

6과 비교하여 ΔL*값이 현저하게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0163] [실험예 5] 보습 효과 실험

[0164]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보습 효과를 실험하기 위해, 20 ~ 40대의 건강한 여성 20명에 대하여 세안 후 물기를
제거하고 10분 후 정제수(대조구)와 실시예 4 내지 6에 따른 조성물을 얼굴에 발라, 10분 간격으로 시중에서 구
매할 수 있는 일본 스칼라 주식회사의 [MY-808S]를 사용하여 얼굴 피부의 수분을 측정하였다. 객관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각 대상자마다 5회씩 측정하고 각각의 평균값을 표 5에 나타내었다.

[0165] 수분함량(%)은“도포후 수”에서“도포전 수치”를 뺀 퍼센트 값이며, 실험 조건은 바람이 잘 통하는 실내온도
25℃, 상대습도 25%로 설정하였다.

표 5
[0166] 시간(분) 대조구(%)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10 8.5 60.4 64.8 65.7
20 5.3 58.3 58.6 58.6
30 2.1 54.8 55.1 55.2
40 0.3 47.3 48.0 49.3
50 0.0 39.2 40.3 41.2
60 0.0 31.8 33.7 34.1

[0167]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조성물은 60분 경과 후에도 얼


굴 피부의 수분 함량이 3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보습 효과가 매우 우수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0168]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실험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개시된 수치 한정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예 및 균등 범위까지 포함하며, 본 발
명은 그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면

도면1

- 13 -
등록특허 10-1589119

도면2a

도면2b

- 1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