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등록특허 10-2096009

등록특허 10-2096009

(19) 대한민국특허청(KR) (45) 공고일자 2020년04월02일


(11) 등록번호 10-2096009
(12) 등록특허공보(B1) (24) 등록일자 2020년03월26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3) 특허권자
A61K 8/19 (2006.01) A61K 8/02 (2006.0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A61K 8/34 (2006.01) A61K 8/36 (2006.01)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삼곡2길 6
A61Q 19/00 (2006.01) (72) 발명자
(52) CPC특허분류 장선미
A61K 8/19 (2013.01)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로 403, 104동 301호(
A61K 8/0229 (2013.01) 박달동, 한일유앤아이아파트)
(21) 출원번호 10-2018-0088135
박현우
(22) 출원일자 2018년07월27일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성9로 14, 205동 2203
심사청구일자 2018년07월27일 호(성성동, 천안레이크타운2차 푸르지오)
(65) 공개번호 10-2020-0012617 (뒷면에 계속)
(43) 공개일자 2020년02월05일 (74) 대리인
(56) 선행기술조사문헌 특허법인세신
KR1020080088013 A*
(뒷면에 계속)
전체 청구항 수 : 총 3 항 심사관 : 홍수민
(54) 발명의 명칭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57) 요 약
본 발명은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클레이팩을 고체
화하여 사용과 세정이 용이하고 피지 흡착 효과가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1-
등록특허 10-2096009

(52) CPC특허분류 (56) 선행기술조사문헌


A61K 8/345 (2013.01) KR100163511 B1
A61K 8/361 (2013.01) KR1020160048945 A
A61Q 19/00 (2013.01) KR1020140049391 A
A61K 2800/80 (2013.01) KR101802143 B1*
(72) 발명자
KR1020180024852 A
이광식
KR101802144 B1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한들3로 36-17, 302동
JP2001503063 A
1002호(백석동, 천안백석3차 IPARK)
JP2006028190 A*
이건국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8길 58, 1102동 502호
(장지동, 송파파인타운11단지)

-2-
등록특허 10-2096009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폴리올 10 내지 30 중량%, 점증제 5 내지 15 중량%, 파우더 분산제 0.30 내지
3.0 중량% 및 클레이 성분 10 내지 50 중량%를 함유하는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파우더 분산제는 쿼터늄-90 몬모닐로나이트, 쿼터늄-90 세피로라이트 및 스테아르알코늄 벤토나이트로 이


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클레이 성분은 카올린, 벤토나이트, 모로코용암점토, 캐나다콜로이달클레이, 일라이트 및 숯가루로 이루어


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점증제는 소듐 라우레이트, 소듐 미리스트레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및 수크로우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


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피지 흡착 효과를 갖는,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인,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3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폴리올에 파우더 분산제를 아지믹서(Agi mixer)로 교반하면서 10분 이상 충분히 분산시키는 제1 단계;

70 내지 80℃로 가온한 정제수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상과 점증제를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용


해시키는 제2 단계;

클레이를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제3 단계;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50 내지 60℃까지 냉각시킨 후 스틱 용기에 충전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폴리올 10 내지 30 중량%, 점증제 5 내지 15 중량%,
파우더 분산제 0.30 내지 3.0 중량% 및 클레이 성분 10 내지 5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파우더 분산제는 쿼터늄-90 몬모닐로나이트, 쿼터늄-90 세피로라이트 및 스테아르알코늄 벤토나이트로 이


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클레이 성분은 카올린, 벤토나이트, 모로코용암점토, 캐나다콜로이달클레이, 일라이트 및 숯가루로 이루어


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점증제는 소듐 라우레이트, 소듐 미리스트레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및 수크로우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피지 흡착 효과를 갖는,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
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삭제

청구항 7

삭제

-3-
등록특허 10-2096009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클레이팩을 고
체화하여 사용과 세정이 용이하고 피지 흡착 효과가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피지는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도 있지만 과도하게 분비될 경우 여드름 등 피부 트러블을 유발한다. 이러한 피지
관리를 위해 일반적으로 피지 흡착 기능이 있는 클레이팩을 사용하게 된다. 클레이팩은 사용법에 따라 건조된
필름을 제거하는 필오프 타입, 팩제를 바른 후 물 세안으로 팩을 제거하는 워시오프 타입, 티슈로 닦아내는 티
슈오프 타입 및 시트에 적셔 있는 시트 타입 등으로 구분된다.

[0003] 한편, 바쁜 현대사회에서 뷰티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되면서 더 효과적이고 사용이 편리한 제품에 대한
니즈가 증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고체 타입(스틱)의 제형이 다양한 기능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제형을 손에 묻히지 않고 얼굴에 간편하게 바를 수 있다는 장점으로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

[0004] 따라서, 사용성이 편리하면서 효과적인 클레이팩이 제공될 경우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면서 새로운 타입의 제
품군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기대된다.

[0005] 한국 등록특허 제10-1716475호는 미강, 카올린, 벤토나이트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필-오프 팩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고, 한국 등록특허 제10-1802143호는 카올린 또는 벤토나이트의 클레이를 포함하는 클레이 버블 워
시 오프 클렌징 팩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06] 이에 본 발명자들은 사용과 세정이 용이하면서 피지 흡착 효과가 우수한 클레이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0007] 본 발명의 목적은 클레이팩을 고체화하여 사용과 세정이 용이하고 피지 흡착 효과가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08] 본 발명은 폴리올, 점증제, 파우더 분산제 및 클레이 성분을 함유하는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파우더 분산제는 쿼터늄-90 몬모닐로나이트, 쿼터늄-90 세피로라이트 및 스테아르알코늄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클레이 성분은 카올린, 벤토나이트, 모로코용암
점토, 캐나다콜로이달클레이, 일라이트 및 숯가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0009]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올 10 내지 30 중량%, 점증제 5 내지 15 중량%, 파우더 분산제 0.30
내지 3.0 중량% 및 클레이 성분 10 내지 50 중량%를 함유한다.

[0010]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0011]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증제는 소듐 라우레이트, 소듐 미리스트레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및 수크로우스로 이루


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0012] 또한, 본 발명은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폴리올에 파우
더 분산제를 아지믹서(Agi mixer)로 교반하면서 10분 이상 충분히 분산시키는 제1 단계; 70 내지 80℃로 가온한
정제수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상과 점증제를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용해시키는 제2 단계; 클레
이를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제3 단계;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60 내지 50℃까지 냉각시킨
후 스틱 용기에 충전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0013]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0014]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지 흡착 효과를 갖는다.

-4-
등록특허 10-2096009

발명의 효과
[0015] 본 발명에 의한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과 세정이 용이하고 클레이가 피부에 완벽하게 부착
되어 한 번의 사용으로도 우수한 피지 흡착 효과를 제공한다.

[0016] 또한 본 발명의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후 5분 이내 건조되어 오래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휴대가 간편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분없이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면 바로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17]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
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
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
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1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0018]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 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
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
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0019] 본 발명에 의한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올, 점증제, 클레이 성분, 파우더 분산제 및 잔량의
물(정제수)을 함유할 수 있다.

[0020]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올은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등의 다가 알코올일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를 함유될 수 있다. 폴리올이 10 중량% 미만이면 사용감이 뻑뻑하고 쉽게 건조될 수 있고, 30 중량%를 초
과하면 폴리올 특유의 끈적한 사용감이 느껴지고 건조 시간이 늦어져 클레이팩으로서 적합하지 않다.

[0021]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증제는 소듐 라우레이트, 소듐 미리스트레이트, 소듐 스테아레이트, 수크로우스 등일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를 함유될 수 있다. 점증제가 5 중량% 미만이면
스틱 타입에 적합한 경도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스틱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시 제형의 무너짐이 심하고 안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점증제가 15 중량%를 초과하면 경도가 높아 피부에 도포가 안 되고 자극이 될 수 있
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0022]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파우더 분산제는 쿼터늄-90 몬모닐로나이트, 쿼터늄-90 세피로라이트, 스테아르알코늄 벤
토나이트 등일 수 있으며,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30 내지 3.00 중량%를 함유될 수 있다. 파우더
분산제가 0.3 중량% 미만이면 파우더 분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클레이가 냉각 도중 가라앉게 되며 3.0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클레이 분산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적합하지 않다.

[0023]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클레이 성분은 카올린, 벤토나이트, 용암점토(모로코용암점토), 콜로이달클레이(캐나다콜


로이달클레이), 일라이트, 숯가루 등일 수 있다. 모로코용암점토(ghassoul)는 모로코의 아틀라스 산맥의 일부
지역에서 채굴되는 점토를 의미한다. 캐나다콜로이달클레이는 실리콘, 알루미늄, 철,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칼륨 등으로 구성된 캐나다 서부에서 채취한 콜로이달 그린 클레이를 의미한다. 클레이 성분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클레이 성분이 10 중량% 미만이면 클레이팩 고유의 되직
한 발림이 없고 건조되어 타이트닝 효과가 느껴지지 않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면 발림이 너무 되직하고 뻑뻑하
여 피부에 자극을 주고 건조가 빨리되어 적합하지 않다.

[0024] 또한, 본 발명은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음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0025] 1) 폴리올에 파우더 분산제를 아지믹서(Agi mixer)로 교반하면서 10분 이상 충분히 분산시킨다(제1 단계)

[0026] 2) 7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80℃로 가온한 정제수에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상과 점증제를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용해시킨다(제2 단계)

[0027] 3) 클레이를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분산시킨다(제3 단계)

[0028] 4) 아지믹서로 교반하면서 5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55℃까지 냉각시킨 후 스틱 용기에 충전시킨다(제4


단계). 제4 단계의 온도가 60℃를 초과하면 용기에서 냉각되는 동안 클레이가 아래로 가라앉을 수 있고, 50℃

-5-
등록특허 10-2096009

미만이면 경도가 형성되기 시작하여 충전이 어려워진다.

[0029]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화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에
몰리언트, 향, 방부제, pH 조절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0030]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
은 아니다.

[0032]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0033] 하기 표 1의 성분과 함량비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글리세린 및 1,2-헥산디올을 혼합


한 후 여기에 쿼터늄-90 몬모닐로나이트를 아지믹서(Agi mixer)로 교반하면서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80℃로 가
온한 정제수에 상기 혼합 상과 소듐 스테아레이트를 고르게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마지막으로 카올린을 첨가
하고 55℃까지 고르게 교반하면서 냉각한 후 스틱 용기에 충전하였다. 여기서 1,2-헥산디올은 방부제로 사용하
였다.

표 1
[0034] 성분(단위: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20.00 - 20.00 20.00 20.00
1,2-헥산디올 2.00 2.00 2.00 2.00 2.00
소듐 스테아레이트 6.00 6.00 - 6.00 6.00
쿼터늄-90 몬모닐로나이트 0.50 0.50 0.50 - 0.50
카올린 20.00 20.00 20.00 20.00 -

[0036] <실험예 1> 경도 테스트

[0037]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의 표면 경도를 FUDOH RHEO METER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경도 측정은 제조 후 25℃에서 하루 동안 보관한 후에 실시하였으며, 15mm 직
경의 어댑터를 사용하여 5cm/min의 속도로 1cm의 깊이에 대해 측정하였다.

표 2
[0038]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경도 1.15 1.05 0.49 1.09 1.03

[0039] 상기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경우, 적당한 경도를 가지는 스틱 타입의 제형이 형성
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은 실시예 1보다 경도가 낮고 스틱 외관은 가졌지만 젤리처럼 탱탱한 제형이 되었고,
비교예 2는 경도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스틱 타입이 아닌 일반 클레이팩 제형이 되었다. 비교예 3은 실시예 1
과 경도가 비슷하지만 클레이가 고르게 분산되지 않고 뭉쳐있었고, 비교예 4는 클레이가 부족하여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이 아닌 일반 수분 스틱 제형이 되었다.

[0041] <실험예 2> 사용성 평가

[0042] 20 내지 30대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샘플을 얼굴에 사용하게 한 후 다음 평가


기준에 따라 발림성, 피지 흡착 효과, 세정력, 마무리감 등의 사용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
었다.

[0043] [평가 기준]

[0044] 매우 우수함 - 5, 우수함 - 4, 보통 - 3, 나쁨 - 2, 매우 나쁨 - 1

-6-
등록특허 10-2096009

표 3
[0045] 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발림성 4.7 2.2 2.9 2.7 1.6
피지 흡착 효과 4.9 3.8 4.1 2.9 1.2
세정력 4.3 4.0 3.7 3.3 3.3
마무리감 4.2 2.5 3.5 3.0 3.6

[0046]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이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쉽게 펴 발


라지면서 피지 흡착 효과가 우수하고 세정이 빠르게 되며 건조하지 않은 상쾌한 마무리감을 갖는 특징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은 피지 흡착 효과와 세정력은 보통 이상으로 평가되었으나 폴리올이 부족하여
잘 펴발라지지 않고 세정 후 건조함이 심해 발림성과 마무리감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 비교예 2는 발림성 외
의 3개의 항목에서는 보통 이상의 점수로 평가되었지만 경도가 형성되지 않아 너무 소프트하여 도포하는 과정에
서 손으로 발라야하는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3은 클레이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아 발림성
이나 피지 흡착 효과에서 보통 이하로 평가되었고, 비교예 4는 클레이팩의 기능이 전혀 없고 너무 단단하여 발
림성과 피지 흡착 효과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

[0048] <실험예 3> 피지 흡착 효과

[0049]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피지 흡착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피지 분비량이 많은 20대 남녀 20명을 대상으


로 1회 사용 전후 피지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샘플을 피부에 도포
하고, 완전히 건조시킨 후 피지량의 변화를 skinvisiometer sebufix tape와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
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0050]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사용 전 13.25 13.25 13.25 13.25 13.25
사용 후 7.49 8.52 9.72 11.94 13.94
개선율 43.47% 35.70% 26.64% 9.88% -4.95%

[0051] 상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1이 비교예 1 ~ 4 에 비하여 우수한 피지 흡착 효과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3은 클레


이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아서 피지 흡착 효과가 크게 없었고, 비교예 4는 클레이를 함유하지 않았기 때문에
피지 흡착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동일한 클레이 함량을 가진 비교예 1과 비교예 2에 비해 실시예 1의 피지
흡착 효과가 우수한 것은 적당한 경도와 발림성으로 클레이가 피부에 완벽히 부착되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0053] <실험예 4> 제형 안정성 평가

[0054] 상기에서 제조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4의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0055] 상기 화장료들에 대하여 4℃, 45℃, 50℃ 및 4℃-45℃ 사이클(Cycle)의 항온조 및 실온에서 1주일, 1개월 및 3
개월을 단위로 하여 장기 보전 안정성을 하기 표 5의 평가기준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5
[0056] 상태 유지 O
불안정 △
침전 및 분리 X

-7-
등록특허 10-2096009

표 6
[0057] 보전온도 보전기간 실시예 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4℃ 1주일 O O O △ O
1개월 O O △ △ O
3개월 O O △ △ O
45℃ 1주일 O O X X O
1개월 O O X X O
3개월 O O X X △
50℃ 1주일 O O X X O
1개월 O O X X O
3개월 O △ X X △
4℃-45℃사이클 1주일 O O △ △ O
1개월 O O X X O
3개월 O O X X O
실온 1주일 O O O △ O
1개월 O O X X O
3개월 O O X X O

[0058] 상기 표 6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은 장기 보관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2 및 비교


예 3의 경우 경도와 클레이 분산에 영향을 주는 성분이 빠져있으므로 고온 안정성이 좋지 않았다. 따라서, 폴리
올, 점증제, 클레이 및 파우더 분산제가 적절하게 조성된 실시예 1은 장기 보관 안정성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