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W/S 액정 크림 개발에 관한 연구

김성호†, 이지민, 유정민, 김경민, 이청희, 이상길, 표형배

한불화장품㈜ 기술연구원 화장품연구소 기초팀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s liquid crystal cream

Seong-Ho Kim†, Ji-Min Lee, Jung-Min Yoo, Kyung-Min Kim,

Cheong-Hee Lee, Sang-Gil Lee and Hyeong-Bae Pyo

R&D Center, Hanbul Cosmetics Co. Ltd.,

62, Daeseong-ro547beon-gil, Samseong-myeon, Eumseong-gun, Chungcheongbuk-do, 369-834,

Korea

요 약: 본 연구에서 우리는 우수한 안정성 및 사용감의 W/S 액정 크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Magnesium Ascorbyl Phosphate 함량이 1.00 %일 때, 유화제로는 Cetyl/PEG/PPG-10/1 Dimethicone 처방 시,

유상에 첨가되는 오일로는 Cyclomethicone 처방 시에 액정 형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유화제인

Cetyl/PEG/PPG-10/1 Dimethicone 과 실리콘 오일인 사이클로메치콘의 처방 함량은 각각 1.20 % 와 18.0 %

처방 할 때 최적의 액정 형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tried to develop a W/S liquid crystal cream of excellent stability and feeling. As a

result, when content of Magnesium ascorbyl phosphate is 1.00%, when prescribing Cetyl/PEG/PPG-10/1

dimethicone as emulsifier, and when prescribing Cyclomethicone as oil, was the best liquid crystal formation.

Also, Cetyl /PEG/PPG-10/1 dimethicone is the content of 1.20 %, when the content of the 18.00 %

Cyclomethicone, exhibited the best liquid crystal form.

Keywords : liquid crystal, cetyl PEG/PPG-10/1 dimethicone, cyclomethicone, beeswax, magnesium ascorbyl

phosphate
⍏ 주 저자 (e-mail: ksh-1027@hanbul.co.kr)

1. 서 론

유화 계에서 생성된 액정은 계의 안정도를 강화시키며 보습효과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액정에 의한 계의 안정도 증가에 대하여 Friberg 등[1]은 액정

다중 층이 분산된 오일 입자와 물의 경계면 주위에 형성되어 유화된 입자 간 합일(coalescence)될

가능성을 줄여준다고 설명 하였는데 이는 O/W 유화에서 액정이 오일 분산상 간 Van dre Waals

인력을 감소시키고 액정상의 높은 점성이 합일 초기에 발생하는 계면활성제 필름 층의 얇아지는

현상을 지연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Shinoda 등[2]은 액정상에 전하를 띤 분자가 존재할 경우,

전기이중층의 영향으로 안정도는 더욱 증가한다고 보고하였고, Rydhag 등[3]은 액정이 형성될 때

나타나는 다중 층이 광범위하게 물에 팽윤(swelling)되면서 안정도가 강화되고 물에 팽윤은 해리된

이온그룹에 의해 조정되며 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첨가에 의해 강화된다고 보고하였다. Lecocu 등[4]

은 glucolipid 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glucolipid 는 오일 입자 주위에 견고한 네트워크인 이중층,

즉 액정을 형성하며 이것은 5 배 정도의 보습효과 증가를 나타낸다고 발표하였다. 이와 같이 계의

안정도와 보습효과를 증가시키는 다중 층의 액정은 대개 O/W 유화에서 나타나며 주로 계면활성제,

물, 지방산알코올로 구성된 계에서 형성된다[5~6]. 이와 같은 계에서 형성되는 액정은 주로 유화

입자의 계면에서 생성되는데 그 메카니즘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오일 상에 녹아 있는

지방산알코올은 유화 후 냉각될 때 용해도가 감소하여 유화 입자의 경계면으로 이동된다. 그와

동시에 수상에 존재하는 계면활성제와 만나 입자의 계면에서 액정을 형성한다.

한편 Suzuki 등[7]은 alpha-monoisostearyl glyceryl ether 를 이용하면 역 육각기둥 구조의 안정한

유방성(lyotropic) 액정을 W/O 유화에서 형성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W/O 유화의 특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계면에서 작용하는 힘은 O/W 유화에서 작용하는 수화력, Van dre Waals 힘, 그리고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사슬의 배향 등과 같은 강한 상호 작용에 의하지 않고, 오직 Van dre Waals

힘으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하고 안정적인 힘을 얻기가 쉽지 않다. 또한 연속상에 전기

이중층이 없으며 안정도의 중요 인자인 정전기적 반발력이 없어 일반적으로 W/O 유화의 제조는

쉽지 않다[8]. 이러한 제약 때문에 W/O 유화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오일상의 비중을 높이고 다량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해야 한다. 또한 제조 비용이 높고 사용감 측면에서 두껍고 번들거리고 걸쭉한

느낌을 피할 수가 없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W/O 유화를 지속적으로 연구하는 이유는

보습효과 때문인데, W/O 유화는 O/W 유화에 비해 피부에 즉각적인 보습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피부의 천연보습과정을 강화시켜 주며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고 장기간 지속시키는 효과가

탁월하다[9]. 이러한 W/O 유화의 특징을 갖는 유화 계에서 액정이 생성된다면 더욱 높은

보습효과의 상승 외에도 안정도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이 전 연구에서 W/S 유화에서 액정의 생성과 생성된 액정으로 인한 유화계 안정도, 보습의 상승

효과 등을 살펴보고자 W/O 유화의 사용감을 개선하기 위해 번들거림이 덜하고 퍼짐성이 우수하고

독특한 계면 성질을 지닌 실리콘을 사용하고 이와 상용성이 있는 실리콘 계통의 계면활성제를 액정

형성에 필요한 비즈왁스와 함께 사용하여[10~14] 비즈왁스, 계면활성제, 그리고 물로 이루어진

액정 시스템을 확인 하였다. 또한 비즈왁스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액정 형성도 증가함을 관찰

하였으며 그에 따라 유화계의 안정성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제조된 W/S 에멀젼의 보습효과도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W/S 액정 크림을 개발하고자 염, 유화제 종류, 오일

종류, 유화제 및 오일 함량에 따른 최적의 처방을 구성하고 그에 따라 크림을 제조하여 기존의

일반적인 W/S 크림과 유화입자, 점도 안정성, 사용감 등을 비교 평가하였다.

2. 실험

2. 1. 재료

시료를 제조하는데 사용한 유화제는 Cetyl PEG/PPG-10/1 Dimethicone(ABIL EM 90/180, Evonik,

Germany), PEG-10 Dimethicone(KF-6017, Shin-Etsu chemical, Japan),

Cyclopentasiloxane/PEG/PPG-19/19 Dimethicone(BY 11-030, Dow Cornning, Japan), Polyglyceryl-

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ISOLAN GPS, Evonik, Germany), 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KF-6038, Shin-Etsu chemical, Japan)을 사용하였으며

오일로는 Cyclomethicone(SF0015Z, KCC, Korea), Octyldodecanol(EUTANOL G, BASF, Germany),

Squalane(SQUALANE, KISIMOTO , Japan), Caprylic/Capric Triglyceride(MCT, PT Musim Mas,

Indonesia)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Beeswax(WHITE BEE'S WAX, Miki, Japan), Magnesium


Ascorbyl Phosphate(Fine Powder C.P.M., 대일본화성, Japan), Sodium Chloride(NaCl, 한주소금,

Korea) 등을 사용하였으며 그 외의 재료들은 일반적인 화장품 원료들을 사용하였다.

2. 2. 기기

시료의 제조는 유화기(T.K. Robo Mics, Tokushu Kika Co., Japan)를 사용하여 제조 하였으며,

제조된 시료의 점도는 점도계(Brookfield Viscometer RVT, Brookfield Eng. Lab. INC.,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화 입자는 광학현미경(Model 339554, Nikon, Japan)을 통하여, 액정

확인은 이 광학현미경에 편광판을 장착하고 Image analyzer(Model CP15U, Mitsubishi, Japan)를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2. 3. 방법

2. 3. 1. 시료의 제조 및 액정 확인

실험에 사용 할 시료들은 아래 Table1~4 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유상과 수상을 75℃로

가열한 후 유상을 2,000 rpm 으로 교반하면서 여기에 용해된 수상을 5 분간 투입한 후 4,000 rpm

으로 10 분간 추가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유화물은 30℃까지 서서히 냉각 시킨 후 점도와

유화입자 관찰 후 1 일간 숙성시킨다. 숙성시킨 각 시료들은 편광판을 장착한 현미경(Model

339554, Nikon, Japan)을 이용하여 액정 생성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점도를 측정 한 후 각각 25℃와

42℃에 보관시켰다. 각 온도 조건에 보관된 시료들은 25 일 후 유화입자, 액정의 변화, 점도 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Table 1. The experimental formulation of the emulsion according to the MAP content(wt%).
Sample 1 Sample 2 Sample 3 Sample 4
Oil phase
Cetyl/PEG/PPG-10/1 Dimethicone 1.20
Cyclomethicone 18.00
Beeswax 2.00
Water phase
Water Qs to 100
Disodium EDTA 0.01
Sodium Chloride 1.00
Magnesium Ascorbyl Phosphate - 0.50 1.00 2.00
Glycerin 20.00
Preservative 0.80

Table 2. The experimental formulation of the emulsion according to the type of emulsifier(wt%).
Sample 1 Sample 2 Sample 3 Sample 4 Sample 5 Sample 6
Oil phase
Emulsifier* 1.20
Cyclomethicone 18.00
Beeswax 2.00
Water phase
Water Qs to 100
Disodium EDTA 0.01
Sodium Chloride 1.00
Magnesium Ascorbyl Phosphate 1.00
Glycerin 20.00
Preservative 0.80
Emulsifier*: Sample 1(ABIL EM 90), Sample 2((ABIL EM 180), Sample 3(KF-6017), Sample 4(BY 11-030),
Sample 5(ISOLAN GPS), Sample 6(KF-6038)

Table 3. The experimental formulation of the emulsion according to the type of oil(wt%).
Sample 1 Sample 2 Sample 3 Sample 4
Oil phase
Cetyl/PEG/PPG-10/1 Dimethicone 1.20
Oil* 18.00
Beeswax 2.00
Water phase
Water Qs to 100
Disodium EDTA 0.01
Sodium Chloride 1.00
Magnesium Ascorbyl Phosphate 1.00
Glycerin 20.00
Preservative 0.80
Oil*: Sample 1(Cyclomethicone), Sample 2(Octyldodecanol), Sample 3(Squalane), Sample 4(Caprylic/Capric Triglyceride)

Table 4. The experimental formulation of the emulsion according to the emulsifier and the oil content(wt%)
Sample 1 Sample 2 Sample 3 Sample 4
Oil phase
Cetyl/PEG/PPG-10/1 Dimethicone 0.60 1.20 2.40 3.60
Cyclomethicone 18.60 18.00 16.80 15.60
Beeswax 2.00
Water phase
Water Qs to 100
Disodium EDTA 0.01
Sodium Chloride 1.00
Magnesium Ascorbyl Phosphate 1.00
Glycerin 20.00
Preservative 0.80

2. 3. 2. W/S 액정 크림 및 일반 W/S 크림과의 비교

표 5 에 따라 각각 크림을 제조한 후 각각의 점도 및 유화입자 및 액정을 확인 하였다. 각 크림을

실온과 고온에 보관 후 25 일 후 다시 점도 및 유화입자 및 액정을 비교하였다.

Table 5. The experimental formulation of the W/S liquid crystal cream and general W/S cream(wt%).
Sample 1 Sample 2
Oil phase
Cetyl/PEG/PPG-10/1 Dimethicone 1.20 0.60
Emulsifier1 - 0.90
Dimethicone - 4.00
Cyclomethicone 18.00 9.00
Beeswax 2.00 -
Defensil2 - 1.10
Tocopheryl Acetate 0.10
Silicone Elastomer3 2.00
Water phase
Water Qs to 100
Disodium EDTA 0.01
Sodium Chloride 1.00 2.00
Magnesium Ascorbyl Phosphate 1.00 -
Glycerin 20.00 3.00
Butylene Glycol - 1.00
Chlorphenesin 0.20
Phenoxyethanol 0.60
Emulsifier1: Cyclopentasiloxane/PEG/PPG-19/19 Dimethicone
Defensil2: Cardiospermum Halicacabum Flower/leaf/vine Extract/Echium Plantagineum Seed Oil/
Helianthus Annuus (Sunflower) Seed Oil Unsaponifiables/Octyldodecanol
Silicone Elastomer2: Cyclopentasiloxane/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제조된 크림의 사용감 비교를 위해 user 10명을 대상으로 사용 중과 사용 후로 나누어 각 항목에 5

점 만점을 기준으로 도포 중은 흡수력, 끈적임, 발림성, 두께감, 오일감 그리고 도포 후는 번들거림,

유분감, 촉촉함, 부드러움, 산뜻함 등의 항목으로 실시하였다.

3. 실험 결과 및 고찰

3. 1. Magnesium Ascorbyl Phosphate 함량에 따른 액정 변화 관찰

W/S 유화 시스템 처방 안에서 첨가되는 Magnesium Ascorbyl Phosphate(MAP)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량을 0.00 ~ 2.00 %로 달리 하여 시료를 제조한 후 시료의 점도 안정성과 액정의 변화

유무를 관찰하였다.

측정된 점도값을 표 6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점도값를 보면 MAP 가 처방되지 않은 Sample 1의

경우 1일 숙성 후 점도값은 제조직 후 측정된 점도값에 비해 상승된 것을 볼 수 있지만 실온에서 25

일 후 측정된 점도값은 약간 떨어졌다. 이와는 달리 MAP가 처방된 시료들의 점도값은 동일하거나

약간 상승된 것을 볼 수가 있었다.

Table 6. The viscosity of each sample measurement(cps)


Sample 1 Sample 2 Sample 3 Sample 4
제조 직후 10,500 10,500 12,000 11,500
1일 숙성 후 12,500 12,500 14,000 14,000
제조 25일 후 11,500 12,500 14,500 14,000

각 시료들의 1일 숙성 후(실온)와 25일 후(42℃)의 액정 변화 유무를 Fig. 1에 나타내었다. MAP가


1.00 % 처방된 Sample 3의 1일 숙성 후 다른 시료들 보다는 확연히 액정이 잘 형성된 것을 볼 수

있으며 각 시료들의 25일 후 42℃ 조건에서 액정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Figure 1. Polarized optical micrographs of samples.(sample 1: MAP 0.00 %, sample 2: MAP 0.50 %, sample 3:
MAP 1.00 %, sample 4: MAP 2.00 %).

한편 Fig. 1 에서 볼 수 있듯이 MAP 에 의해 액정이 조밀하게 더욱 잘 형성됨을 볼 수가 있는데

이는 MAP 가 수상에 존재하면서 염의 효과, 즉 수상에서 계면활성제의 용해도를 감소시켜

계면활성제가 계면에 보다 강하게 배향할 수 있도록 하는 염석 효과를 염화나트륨과 함께 발휘한

결과로 생각된다. Zombeck 등[18]은 염의 농도가 높은 계에서는 염석 효과와 더불어 확산이

차단되어 계면활성제는 계면에 이중으로 덮인다고 설명하였다.

3. 2. 유화제 종류에 따른 액정 변화 관찰

W/S 유화 시스템 처방 안에서 첨가되는 유화제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유화제 6종을 선정하여

함량은 1.20 %로 고정시켜 시료를 제조한 후 시료의 점도 안정성과 액정의 변화 유무를

관찰하였다.

시료들의 측정된 점도값은 표 7에 나타내었다. PEG-10 Dimethicone(KF-6017)이 처방된 Sample 3

와 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 Sebacate(ISOLAN GPS)가 처방된 Sample 5는

제조직 후 성상이 불안정 하여 점도를 측정 할 수 없었다.

Table 7. The viscosity of each sample measurement(cps)


Sample 1 Sample 2 Sample 3 Sample 4 Sample 5 Sample 6
제조 직후 12,000 13,000 - 8,000 - 8,500
1일 숙성 후 14,000 14,500 - 8,500 - 9,000
제조 25일 후 14,500 14,500 - 8,000 - 9,500

측정된 점도값를 보면 Cyclopentasiloxane/PEG/PPG-19/19 Dimethicone(BY 11-030)이 처방된

Sample 4와 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KF-6038)는 Cetyl PEG/PPG-10/1

Dimethicone(ABIL EM 90 / ABIL EM 180)이 처방된 Sample 1, 2 보다 점도 형성이 덜 하며 또한

유화 입자의 크기에서 차이를 보였다.

각 시료들의 1일 숙성 후(실온)와 25일 후(42℃)의 액정 변화 유무를 Fig. 2에 나타내었다. Cetyl

PEG/PPG-10/1 Dimethicone(ABIL EM 90)이 1.20 % 처방된 Sample 1이 다른 시료들 보다 확연히

액정 형성이 잘 나타났으며 시료 모두 25일 후 나타난 액정은 1일 숙성 후 나타난 액정과 비교 할

때 큰 차이는 없었다. Sample 1의 액정 형성이 다른 시료들 보다 잘 형성된 것은 함께 처방된

비즈왁스가 W/S 유화 시스템 안에서 계면활성제와 상호 작용이 용이하여 결정 형성이 유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Figure 2. Polarized optical micrographs of samples.(sample 1: ABIL EM 90, sample 2: ABIL EM 180, sample
3: KF-6017, sample 4: BY 11-030, sample 5: ISOLAN GPS, sample 6: KF-6038).

3. 3. 오일 종류에 따른 액정 변화 관찰

W/S 유화 시스템 처방 안에서 첨가되는 오일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오일 4종을 선정하여 함량은

18.00 %로 고정시켜 시료를 제조한 후 시료의 점도 측정과 액정의 변화 유무를 관찰하였다.

시료들의 측정된 점도값은 표 8 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점도값을 보면 Cyclomethicone(SF0015Z)이

처방된 Sample 1 에 비해 다른 시료들의 점도값이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으나 유화 입자는 Sample 1

에 비해 모양과 크기가 다소 불규칙 하고 약간의 불안정한 성상을 나타냈다. 이는 이 유화 시스템


(실리콘 유화 시스템)과의 상용성 문제로 생각되며 또한 각 오일들의 극성 차이로 인한 문제로

생각된다.

Table 8. The viscosity of each sample measurement(cps)


Sample 1 Sample 2 Sample 3 Sample 4
제조 직후 12,000 15,500 13,000 20,000
1일 숙성 후 14,000 24,500 16,500 28,000
제조 25일 후 14,500 24,000 16,500 27,000

각 시료들의 1일 숙성 후(실온)와 25일 후(42℃)의 액정 변화 유무를 Fig. 3에 나타내었다.

Cyclomethicone(SF0015Z)이 처방된 Sample 1에서 다른 시료들 보다 확연히 액정 형성이 잘

나타났으며 Sample 1 외의 시료들에서 25일 후 나타난 액정은 1일 숙성 후 나타난 액정과 비교 할

때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Figure 3. Polarized optical micrographs of samples.(sample 1: Cyclomethicone, sample 2: Octyldodecanol,


sample 3: Squalane, sample 4: Caprylic/Capric Triglyceride).

이는 Sample 1의 액정 형성이 다른 시료들 보다 잘 형성된 것은 함께 처방된 비즈왁스가 온도가

하강하면서 용해도가 감소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비즈왁스는 실리콘과 물의 계면에 있는

계면활성제 쪽으로 이동하며 계면활성제의 친유기 사슬 사이에서 일정하게 배향되면서 액정을

형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비즈왁스는 친유성기의 사슬사이에 배향될 때 실리콘과 사용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친유성기 쪽으로 치우쳐서 더욱 더 조밀하게 배향된다. [11, 14].

3. 4. 유화제/오일 함량에 따른 액정 변화 관찰
W/S 처방 안에서 유화제로 사용한 Cetyl PEG/PPG-10/1 Dimethicone과 오일로 사용한

Cyclomethicone의 처방 함량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료를 제조한 후 시료의 점도 측정과

액정의 변화 유무를 관찰하였다.

시료들의 측정된 점도값은 표 9 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점도값을 보면 Cetyl PEG/PPG-10/1

Dimethicone 의 함량이 높을수록, Cyclomethicone 함량이 낮아질수록 점도값이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으며 유화제와 오일 함량이 3.60 %, 15.60 % 처방된 Sample 4 의 경우는 점도를 측정할 수 없는

불안정한 성상을 나타냈다. 이에 따른 시료의 유화입자는 더 조밀한 양상을 보였다.

Table 9. The viscosity of each sample measurement(cps)


Sample 1 Sample 2 Sample 3 Sample 4
제조 직후 9,000 12,000 15,500 -
1일 숙성 후 9,500 14,000 16,500 -
제조 25일 후 9,500 14,500 17,000 -

각 시료들의 1 일 숙성 후(실온)와 25 일 후(42℃)의 액정 변화 유무를 Fig. 4 에 나타내었다. Cetyl

PEG/PPG-10/1 Dimethicone 의 함량이 1.20 %, Cyclomethicone 함량이 18.00 % 처방된 Sample 2 의

액정 형성이 다른 시료들에 비해 더 잘 형성되었음을 볼 수 있으며 각 시료들의 1 일 숙성 후와

42℃에서 25 일 후 나타난 액정은 큰 차이가 없었다.

Figure 4. Polarized optical micrographs of samples.(sample 1: Cetyl/PEG/PPG-10/1 Dimethicone


0.60%/Cyclomethicone 18.60%, sample 2: Cetyl/PEG/PPG-10/1 Dimethicone 1.20%/Cyclomethicone
18.00%, sample 3: Cetyl/PEG/PPG-10/1 Dimethicone 2.40%/Cyclomethicone 16.80%, sample 4:
Cetyl/PEG/PPG-10/1 Dimethicone 3.60%/Cyclomethicone 15.60%).
이러한 액정의 형성 차이는 앞서 언급했던 Fig. 2 와 Fig. 3 의 결과와 부합되는 것으로 냉각 시

Cyclomethicone 에 대한 비즈왁스의 용해도 감소로 유화제인 Cetyl/PEG/PPG-10/1 Dimethicone 의

친유성 부분에 좀 더 조밀하게 배향되어 액정 형성이 용이하게 되는 것으로 보인다.

3. 5. W/S 액정 크림 및 W/S 일반 크림 특성 비교

앞서 실험한 결과에 의거하여 W/S 유화시스템에서 액정이 형성되는 최적의 처방을 구성하여(Table

5 참조) 일반 W/S 크림을 같이 제조한 후 측정된 점도를 Table 10 에 나타내었다. W/S 액정 크림인

Sample 1 의 1 일 숙성 후 점도와 25 일 경과 후 점도를 일반 W/S 크림의 점도와 비교 시 일반 W/S

크림 점도의 경우 하락되는 현상과 반대로 점도가 상승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액정 형성이

시간 경과에 따른 제형의 안정성을 증가시킨 결과로 생각된다.

Table 10. The viscosity of each sample measurement(cps)


Sample 1 Sample 2
제조 직후 13,000 14,500
1일 숙성 후 14,500 13,500
제조 25일 후 15,000 12,000

또한 제조직후 각 시료의 유화입자와 액정 형성을 관찰한 결과 Fig. 5 에서 볼 수 있듯이 Sample 1

에서 액정이 잘 형성된 것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각 시료의 유화입자도 작고 조밀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Sample 1> <Sample 2>

Figure 5. Polarized and optical micrographs of samples.(Sample 1: W/S liquid crystal cream, Sample 2: W/S
general cream).

Fig. 6 에서는 W/S 액정 크림과 일반 W/S 크림의 사용감 비교 결과를 볼 수 있는데 사용 중의

사용감 항목인 끈적임과 발림성에서, 사용 후의 사용감인 산뜻함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차이는 처방 상의 차이로 인한 결과로 보인다. 처방을 보면 유상에 사용한 오일 함량에서 Sample 2


의 일반 W/S 크림 처방에 비해 Sample 1 의 W/S 액정 크림의 오일 함량이 많으며 그 외 비즈왁스,

글리세린의 함량 차이로 이러한 사용감 차이가 발생 하였다.

(A) (B)

Figure 6. Result of User Test of W/S liquid crystal cream and W/S general cream.(A: in use , B: after use)

이러한 끈적임, 발림성, 촉촉함 등의 사용감은 추후 개선 실험을 통하여 해결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결론

본 연구는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한 W/S 액정 크림을 개발하고자 염, 유화제 종류, 오일 종류,

유화제 및 오일 함량에 따른 최적의 처방을 구성하여 그에 따라 크림을 제조하여 기존의 일반적인

W/S 크림과 유화입자, 점도 안정성, 사용감 등을 비교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W/S 유화계에서 사용한 Magnesium Ascorbyl Phosphate 함량이 1.00 %일 때, 유화제로는

Cetyl/PEG/PPG-10/1 Dimethicone 처방 시, 유상에 첨가되는 오일로는 Cyclomethicone 처방 시에

액정 형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유화제인 Cetyl/PEG/PPG-10/1 Dimethicone 과 실리콘 오일인

사이클로메치콘 의 처방 함량은 각각 1.20 % 와 18.0 % 처방 시 최적의 액정 형성을 나타내었다.

이렇게 구성된 W/S 액정 크림은 일반 W/S 크림과 비교하여 점도 안정성이 우수하였으나 사용감

부분에서 사용 중의 항목 중 끈적임과 발림성, 사용 후의 항목 중 산뜻함 등에서 일반 W/S 크림

보다는 사용감이 약간 떨어지는 단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사용감의 단점들은 추후 계속된 실험을

통하여 보완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1. S .E. Friberg and K. Larrson, 'Adv. in Liquid Crystals', vol. 2, p.13, G. M. Brown, Academic Press,
London (1976)
2. K. Shinoda and S. E. Friberg, 'Emulsion and Solubilization', p. 159, John Wiley & Sons (1986)
3. L. Rydhag and I. Wilton, The Function of Phospholipids of Soybean Lecithin in Emulsions, J. Am
Oil Chem Soc., 58, 830 (1981)
4. N. Lecocu, Michel, and C. Amalric, Glucolipids : Liquid Crystal Promoters, Cosmetic and
Toiletries Manufacturer Worldwide, 91 (1994)
5. T. Suzuki, H. Tsutsumi, and A. Ishida, Secondary Droplet Emulsion ; Contribution of Liquid
Crystal Formation to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kin Moisturizing Effect of Cosmetic Emulsion,
p. 117, 12th IFSCC International Congress, Paris (1982)
6. S. E. Friberg, Micelles, Microemulsions, Liquid Crystals and the Structure of Stratum Corneum
Lipids, J. Soc. Cosmet. Chem, 41, 155 (1990)
7. Y. Suzuki and H. Tsutsumi, Emulsifying Characteristics of alpha-monoalkyl glyceryl ether, 油化學,
36, 588 (1987)
8. D. R. Clymans and H. M Brand, Polymeric Emulsifiers :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Emulsifiers
based on Stability of Multi-phase Systems, Cosmetic and Toiletries Manufacturer Worldwide, 119
(1995)
9. Dow Corning ASIA, Personal Household and Autocare Catalog (1998)
10. C. Todd, Volatile Silicone Fluids for Cosmetic Formulations, Cosmetics and Toiletries, 91(1), 29
(1976)
11. H. Brand, Octopussy, Cosmetic and Toiletries Manufacturer Worldwide, 159 (1996)
12. K. A. Kasprzak, Emulsion Techniques Using Silicone Formulation Aids, DCI, 5, 39 (1996)
13. K. Yokooji, Cosmetic Raw Materials Contain Polysiloxane Chains, Fragrance Journal, 12, 21
(1996)
14. H. Kondo, New Formulation Possibilities based on Silicone Polyeters as W/O Emulsifier,
Fragrance Journal, 12, 87 (1996)
15. D. Y. Lee, C. N. Jung, K. D. Suh, H. K. Choi, and Y. H. Park,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Silicone Emulsions Using Mixed Surfactants and Its Stability, J. Korean Ind & Eng..Chem, 6(6), 1124
(1995)
16. R. D. Void and M. C. Acevedo, Comparison of Ultracentrifugal Stability Parameters with Long
Term Shelf Stability of Emulsions, J. Amer. Oil Chemist's Soc:, 54, 84 (1977)
17. Y. H. Kim, A. D. Nikolov, D. T. Wasan, H. D. Arauzo, and C. S. Shetty, Demulsification of
Water-in-Crude Oil Emulsions : Effects of Film Tension, Elasticity, Diffusivity and Interfacial
Activity of Demulsifier Individual Components and Their Blends, J. Dis. Sci. & Tec., 17(1), 33
(1996)
18. A. Zombeck and G. Dahms, Novel Formulations based on Nonaqueous Emulsions of Polyols in
Silicones, p. 111, 19th IFSCC International ongress, Sydney (1996)
19. M. J. Choi, Y. M. Lee, and B. S. Jin, Studies on the Formation of Liquid Crystal and the Stability
in W/O Emulsion System using Silicone Surfactant,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Vol. 21, No. 4,
279 (2004)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