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2

등록특허 10-2127674

등록특허 10-2127674

(19) 대한민국특허청(KR) (45) 공고일자 2020년06월29일


(11) 등록번호 10-2127674
(12) 등록특허공보(B1) (24) 등록일자 2020년06월23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3) 특허권자
A61K 8/06 (2006.01) A61K 8/02 (2006.01) 한국콜마주식회사
A61K 8/37 (2006.01) A61K 8/41 (2006.01)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덕고개길 12-11, 한국콜
A61K 8/92 (2006.01) A61Q 19/00 (2006.01) 마
(52) CPC특허분류 (72) 발명자
A61K 8/064 (2013.01) 고은아
A61K 8/0216 (2013.01)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임당로19길 88-11, 203호(서
(21) 출원번호 10-2019-0006116 초동)
(22) 출원일자 2019년01월17일 전지현
심사청구일자 2019년01월17일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2길 65-8, 401호(남현동)
(56) 선행기술조사문헌 (74) 대리인
KR1020130060570 A* 특허법인 프렌즈
(뒷면에 계속)
전체 청구항 수 : 총 10 항 심사관 : 박범용
(54) 발명의 명칭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57) 요 약
본 발명은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 본 발명에서는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


상을 포함하는 복합 유화제, 및 왁스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함에 따라, 실리콘과 피이지의 사용이 배제되어 피부에 저자극이면서도 워터 드롭이 잘 형성되고, 밤 또는
스틱 타입의 고형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습감, 쿨링감, 청량감이 향상된,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
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대 표 도 - 도1

-1-
등록특허 10-2127674

(52) CPC특허분류 (56) 선행기술조사문헌


A61K 8/0229 (2013.01) KR1020160117111 A*
A61K 8/375 (2013.01) KR1020190002997 A*
A61K 8/416 (2013.01) KR1020180033433 A
A61K 8/92 (2013.01) KR102789345 B1
A61Q 19/00 (2013.0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A61K 2800/30 (2013.01)
A61K 2800/34 (2013.01)
A61K 2800/48 (2013.01)

-2-
등록특허 10-2127674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유화제, 및 왁스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유화제는 상기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을 1 : 3 ~ 7 의 중량비로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복합 유화제 1 ~ 10 중량%, 왁스 1 ~ 10 중량%,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 0.001 ~ 1.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 유화제 및 상기 왁스를 1 : 0.1 ~ 4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4

삭제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헥토라이트계 화합물은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스테아랄코늄 헥토라이트(Stearalkonium


Hectorite), 쿼터늄-18 헥토라이트(Quaternium-18 Hectorite) 및 스테아디모늄하이드록시프로필하이드롤라이즈
드케라틴(Steardimonium hydroxypropyl hydrolyzed kerat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3-
등록특허 10-2127674

청구항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은

폴리글리세릴-2 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Di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


(Polyglyceryl-4 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10 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10 Diisostearate) 및
폴리글리세릴-6 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6 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소듐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베헤닐아크릴


레이트/다이메티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오조케라이트, 칸데릴라납,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파라핀, 카나우바왁스 및 비즈왁스로 이루어진 군에


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세테아릴에칠헥사노에이트 및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전이 왁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밤(Balm) 및 스틱(Stick)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고형타입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2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유화제, 및 왁스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형성하
는 단계;

-4-
등록특허 10-2127674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상부 및 수상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유화제는 상기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을 1 : 3 ~ 7 의 중량비로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워터 드롭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할 시, 전단력에 의해 화장료 조성물 내 수분이
외부로 방출되어 피부상에 물방울을 형성하고, 이러한 물방울이 피부 위에서 수분을 보충하는 원리로서, 피부
보습감 및 쿨링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일반 화장료 조성물 보다 수분 보충력이 좋고 유지력이 우수함에 따라, 워
터 드롭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0003]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6180호에서는 실리콘 오일부와 수상부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산화탄소 발생 캡슐과 디메치콘/피이지-10/15크로스폴리머와 피이지-10디메치콘의 혼합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워터 드롭 실리콘중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0004]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5823호에서는 아크릴계 수지 및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하는 워터 드롭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을 폴리우레탄 발포폼에 주입한, 화장품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0005] 그러나, 상기 특허를 포함하는 종래의 워터 드롭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계 화합물 또는 피이지계 화합
물을 포함하고 있어 피부에 자극적일 뿐 아니라 워터 드롭이 잘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워
터 드롭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은 주로 액상 또는 흐름성이 있는 크림상 제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밤 또는 스틱
타입의 고형 제형 보다는 보습감의 향상이 다소 미미한 문제가 있었다.

[0006] 이에 따라, 실리콘과 피이지의 사용을 배제하여, 피부 저자극이며, 워터 드롭이 잘 형성되면서도 밤 또는 스틱


타입의 고형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07]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6180호

(특허문헌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5823호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08]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리콘과 피이지의 사용을 배제하여, 피부에 저자극이며, 워터 드롭이 잘 형성될 뿐 아니라
밤 또는 스틱 타입의 고형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000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
가 도출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5-
등록특허 10-2127674

[0010]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유화제, 및 왁스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 및 물을 포
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0011]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복합 유화제 1 ~ 10 중량%, 왁
스 1 ~ 10 중량%,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 0.001 ~ 1.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0012]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 유화제 및 상기 왁스를 1 : 0.1 ~ 4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0013] 상기 복합 유화제는 상기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0014] 상기 복합 유화제는 상기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을 1 : 3 ~ 7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0015] 상기 헥토라이트계 화합물은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스테아랄코늄 헥토라이


트(Stearalkonium Hectorite), 쿼터늄-18 헥토라이트(Quaternium-18 Hectorite) 및 스테아디모늄하이드록시프
로필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Steardimonium hydroxypropyl hydrolyzed kerat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0016]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은 폴리글리세릴-2 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Diisostearate), 폴리글


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4 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10 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Polyglyceryl-10 Diisostearate) 및 폴리글리세릴-6 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6 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0017] 상기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소듐 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베헤닐아크릴레이트/다이메티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을 포함할 수 있다.

[0018] 상기 왁스는 오조케라이트, 칸데릴라납,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파라핀, 카나우바왁스 및 비즈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0019] 상기 유상부는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세테아릴에칠헥사노에이트 및 스테아릴헵타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전이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20]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밤(Balm) 및 스틱(Stick)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고형
타입 제형일 수 있다.

[002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유화제, 및 왁스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형성하는 단계;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 및 물을 포
함하는 수상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상부 및 수상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0022]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또는 피이지의 사용이 배제되어 피부에 저자극일 수 있다.

[0023]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워터 드롭이 잘 형성되어 피부에 즉각적으로 보습감, 쿨링감, 청량감 등을 부
여할 수 있다.

[0024]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액상 또는 흐름성이 있는 크림상이 아닌 밤 또는 스틱 타입의 고형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안정한 제형을 가질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부 보습감, 쿨링감, 청량감을 더욱 향상시
킬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25] 도 1은 실시예 1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비교예 1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6-
등록특허 10-2127674

도 3은 비교예 2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비교예 3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 4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 5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비교예 6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 7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비교예 8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비교예 9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비교예 10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비교예 14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26]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
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0027]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
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0028]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0029]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A 및/또는 B"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0030]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
물"은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 간략하게 호칭될 수 있다.

[0031]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있어서, "고형타입"은 "밤(Balm) 및 스틱(Stick)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고형타입의 제형"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033]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0035]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003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


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유화제, 및 왁스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
를 포함하는,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0038] 본 실시예의 유상부는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유화제, 및 왁스를 포함한다.

[0039] 복합 유화제는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복합 유화제는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분상성을 향상시키며, 경도를 조절
하고, 제형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0040] 상기 헥토라이트계 화합물은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스테아랄코늄 헥토라이


트(Stearalkonium Hectorite), 쿼터늄-18 헥토라이트(Quaternium-18 Hectorite) 및 스테아디모늄하이드록시프
로필하이드롤라이즈드케라틴(Steardimonium hydroxypropyl hydrolyzed kerat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0041] 상기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은 폴리글리세릴-2 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Diisostearate), 폴리글

-7-
등록특허 10-2127674

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4 Isostearate), 폴리글리세릴-10 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Polyglyceryl-10 Diisostearate) 및 폴리글리세릴-6 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6 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0042]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서는 복합 유화제로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을 모두 포함하되,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을 1 : 3 ~ 7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실리콘 또는 피이지를 사
용 없이도 워터 드롭이 잘 형성되고, 밤 또는 스틱 타입의 고형 제형으로 형성되어 안정한 제형을 유지할 수 있
을 뿐 아니라 보습감, 쿨링감, 청량감이 더욱 향상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
또는 피이지의 사용이 배제되어 피부에 저자극일 수 있다.

[0043] 더욱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복합 유화제는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을 1 : 4 : 7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0044] 가장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복합 유화제는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을 1 : 5 ~ 7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0045] 반면, 본 실시예의 복합 유화제가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을 모두 포함하되, 헥토라이트
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을 1 : 3 ~ 7 의 중량비로 포함하지 않을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워터 드롭이 잘 형성되지 않고, 밤 또는 스틱 타입의 고형 제형으로 형성되기 어려울 뿐 아니
라 보습감, 쿨링감, 청량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0046]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복합 유화제는 1 ~ 10 중량%, 바람직하게 2 ~ 7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3 ~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0047] 만약,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복합 유화제는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단단한 밤 또는 스틱 타입의 고형 제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무른 제형으로 형성되며, 수상이 유상 내에
충분히 안정화되지 못하여 워터 드롭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
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복합 유화제를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고형 제형으로 형성되
나 케이킹 및 표면 갈라짐 현상이 발생되며, 워터 드롭이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0049] 왁스는 오조케라이트, 칸데릴라납,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납, 파라핀, 카나우바왁스 및 비즈왁스로 이루어
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도를 조절하는 역
할을 할 수 있다.

[0050]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왁스를 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 9 중량%, 더
욱 바람직하게는 3 ~ 7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0051] 만약,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왁스를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탄성
이 거의 없는 브리틀한 제형으로 형성되며, 표면이 갈라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왁스를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경도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무른 제형으로 형성되어 크림 또는 젤과 같은 제형으로 형성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0053]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복합 유화제 1 ~ 10 중량% 및 상기 왁스 1 ~ 10


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복합 유화제 및 상기 왁스를 1 : 0.1 ~ 4 의 중량비로 포함할 때, 실리콘 또는 피이지
를 사용하지 않아 피부에 저자극이면서도 워터 드롭이 잘 형성되고, 밤 또는 스틱 타입의 고형 제형으로 형성되
어 안정한 제형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습감, 쿨링감, 청량감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0054]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 유화제 및 상기 왁스를 1 : 0.3 ~ 3 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0055] 더욱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복합 유화제 및 상기 왁스를 1 : 0.5 ~ 2 의 중


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0056] 만약,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상기 복합 유화제 및 상기 왁스를 1 : 0.1 ~ 4 의 중량비로 포함
하지 않을 경우에는, 케이킹 현상 및 표면 갈라짐 현상이 없이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밤 또는 스틱 타입의 고
형 제형으로 형성되기 어려우며, 유상 내에 수상이 안정화되지 않아 워터 드롭이 잘 형성되지 않고, 보습감, 쿨
링감, 청량감이 저하될 수 있다.

[0058]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세테아릴에칠헥사노에이트 및 스테아릴헵타노에

-8-
등록특허 10-2127674

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전이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전이 왁스는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쿨링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0059]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상전이 왁스를 0.01 ~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
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4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0060] 만약,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상전이 왁스를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
우에는 쿨링감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상
전이 왁스를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쿨링감은 강한 반면에 밤 또는 스틱 타입의 고형 제형이 아
닌 무른 제형으로 형성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0062]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일을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 ~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0063] 상기 오일로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디부틸아디페이트, 디카프릴릴에텔,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세테아릴이소노나노에이트, 데실올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및 프로필헵틸카프릴
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065]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방부제를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
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0.01 ~ 3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0066] 상기 방부제로는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에칠헥실글리세린 및 카프릴릴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068] 본 실시예의 수상부는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 및 물을 포함한다.

[0069]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는 상호 연결된 기공이 형성된 폴리머로서, 상기 기공 내에는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
료 조성물 내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성분들이 충전 내지 담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공 내에는 본 실
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내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성분들이 충전 내지 담지되어 흡착될 수 있다.

[0070]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의 기공 내에는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등과 같은 수용성 유
효성분이 분산되어 충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용성 유효성분의 급격한 용해가 방지되어 일정한 속도로 수
용성 유효성분을 방출할 수 있음에 따라, 미백, 주름 개선 등의 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

[0071] 상기된 바와 같은 수용성 유효성분의 방출 속도는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의 기공 형태, 폴리머의 중합도 등에 따
라 조정될 수 있다.

[0072] 또한,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는 수용성 유효성분을 비롯한 수상 성분을 효과적으로 포집함으로써 이수 현상을 방
지하고, 워터 드롭의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0073] 상기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의 기공은 직경이 약 10 나노미터 ~ 1 마이크로미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
는다.

[0074]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특성의 다공성 폴리머를 점증제로서 사용함으로써, 밤 또는 스틱 타입의 고형 제


형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다공성이 아닌 잔탄검, 셀룰로오스검 등의 일반 폴리머를 사용할 경우에는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며, 이수 현상에 의해 안정한 제형을 유지하지 못할 뿐 아니라 워터 드롭이 잘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0075] 본 실시예에서는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소듐 아크릴레이


트코폴리머 및 아크릴레이트/베헤닐아크릴레이트/다이메티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0077]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를 0.001 ~ 1.0 중량%, 바람직하
게 0.01 ~ 0.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0.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0078] 만약,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를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이수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반면,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총
중량 기준으로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를 1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유상 내에 수상이 균일하게 분산되
지 않아 유중수 유화가 충분히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9-
등록특허 10-2127674

[0080] 수상부는 상기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와 함께 잔량의 물을 포함한다.

[0082] 또한, 본 실시예의 수상부는 염, 유효 성분, 보습제 및 자극 완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83] 더 상세히,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염을 0.1 ~ 2 중량%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은 소듐 클로라이드,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마그네슘 설페이트 및 칼슘 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084] 또한,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유효 성분을 0.1 ~ 5 중량%로 더 포함할 수 있
다. 상기 유효 성분은 나이아신아마이드, 알파-비사보롤, 올라아놀릭산, 유용성 감초 추출물, 아데노신, 이데베
논, 레티놀, 유비퀴논, 알부틴 및 에칠아스코빌에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085] 또한,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보습제를 1 ~30 중량%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
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1,3-프로판디올, 메칠프로판디올, 디프로필렌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3,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폴리올류를 포함할 수 있
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086] 또한,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총 중량 기준으로 자극 완화제를 0.1 ~ 5 중량%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극 완화제는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 알로에베라잎 즙, 무화과 추출물, 베타-글루칸, 카바카
바잎/뿌리/줄기 추출물, 로즈마리잎 추출물 및 줄맨드라미씨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088]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된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는 공지된 모든 종류
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89] 상기 첨가제는 유화제, 유화보조제, 계면활성제, 금속이온봉쇄제, 안료, 염료, 색소, 향료, 용제, 용매, 킬레이
트제, 고형화제, 분산제, 가교제, 안정화제, 미백제, 주름 개선제, 항산화제, 항노화제, 피부 컨디셔닝제, 유연
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091]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밤(Balm) 및 스틱(Stick)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의 고형타입 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이 밤 제형의 고형타입
인 경우에는 립밤, 바디밤, 멀티밤, 페이셜밤, 풋밤 등으로 활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093]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009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
하는 복합 유화제, 및 왁스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형성하는 단계,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
부를 포함하는 수상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상부 및 수상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워터 드롭 고
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0096] (1)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유
화제, 및 왁스를 포함하는 유상부를 형성하는 단계

[0097] 본 실시예의 (1)유상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
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유화제, 및 왁스를 혼합하여 유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0098] 본 실시예의 (1)유상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헥토라이트계 화합물 및 폴리글리세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유화제 및 왁스를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약 75 ~ 85 ℃로 가열하
여 가온 용해시킬 수 있다.

[0099] 이때, 본 실시예의 (1)유상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복합 유화제 및 왁스 이외에 오일, 상전이 왁스 및
방부제를 더 혼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101] (2)다공성 폴리머 점증제 및 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형성하는 단계

[0102] 본 실시예의 (2)수상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 및 잔량의 물을 혼합하여 수상부를 형성할 수
있다.

- 10 -
등록특허 10-2127674

[0103] 본 실시예의 (2)수상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 및 잔량의 물을 혼합한 후, 상기 혼
합물을 교반하면서 약 75 ~ 85 ℃로 가열하여 가온 용해시킬 수 있다.

[0104] 이때, 본 실시예의 (2)수상부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 및 물 이외에 염, 유효 성분,
보습제 및 자극 완화제를 더 혼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0106] (3)유상부 및 수상부를 혼합하는 단계

[0107] 본 실시예의 (3)유상부 및 수상부를 혼합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1)유상부를 형성하는 단계에 따라 제조된 유상
부에 상기 (2)수상부를 형성하는 단계에 따라 제조된 수상부를 천천히 분산되도록 투입한 후, 이를 교반함으로
써, 혼합을 실시할 수 있다.

[0108] 본 실시예의 (3)유상부 및 수상부를 혼합하는 단계는 약 75 ~ 85 ℃의 온도에서 실시될 수 있다.

[0110] 이어서, 상기 (3)유상부 및 수상부를 혼합하는 단계에 따라 수득된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별도의 냉각 공정
없이, 화장품 용기 내에 충전한 후 상온에서 서냉 또는 5 ℃ 이하로 급냉할 수 있다.

[0111]

[0112] 바람직하게, 상기 본 발명의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


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다.

[0114] 본 발명의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본 발


명의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내용을 모두 따른다.

[0116]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리콘-프리 및 피이지-프리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
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
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0118] [ 실시예 ]

[0119] 실시예 1 및 2

[0120] 복합 유화제, 왁스, 오일, 방부제를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78 ~ 80 ℃에서 가온 융해하여 유상부를 제조하였다.
또한, 염, 유효 성분, 보습제,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 및 물을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78 ~ 80 ℃에서 가온 융해
하여 수상부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로는 다공성 폴리머인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를 사
용하였다.

[0121] 상기에 따라 제조된 유상부에 상기에 따라 제조된 수상부 1/5 을 투입하고 300 rpm 에서 1차 교반하여 혼합물을
형성한 후, 상기 혼합물에 잔량의 수상부 1/2 을 투입하여 600 rpm 에서 2차 교반한 다음, 상기 혼합물에 잔량
의 수상부를 모두 투입하고 900 rpm 에서 3차 교반하였다. 이 후, 상기 혼합물을 1100 rpm 로 AGI Mixing 함으
로써, 유상에 수상이 균일하게 분산된 형태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0122] 이 후, 상기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별도의 냉각 공정 없이 혼합물을 화장품 용기에 충전하고, 이를 상온에
서 서냉 또는 5 ℃ 이하로 급냉하여, 밤 제형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표 1
[0124]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복합 유화제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3.0 3.0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
왁스 오조케라스트, 칸데릴라납 4.0 4.0
오일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8.0 8.0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상전이왁스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 3.0
방부제 에칠헥실글리세린 0.31 0.31
염 소듐 클로라이드 0.5 0.5
유효 성분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2.04 2.04
보습제 글리세린, 1,3-프로판디올 11 11
점증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0.2 0.2

- 11 -
등록특허 10-2127674

자극 완화제 병풀 추출물 1.0 1.0


물 정제수 to.100

[0126] 이때, 상기 표 1에서 복합 유화제 및 왁스는 약 1 : 1.3 의 중량비로 혼합되며, 복합 유화제는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및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가 1 : 5 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0128] [ 비교예 ]

[0129] 비교예 1 내지 2

[0130] 표 2[단위 : 중량비]의 복합 유화제 및 왁스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표 2
[0132] 성분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복합 유화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1 1 1
제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
왁스 오조케라스트, 칸데릴라납 1.3 0.05 5

[0134] 비교예 3 내지 7

[0135] 표 3[단위 : 중량비]의 복합 유화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표 3에서 비
교예 6은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만 포함하는 것이며, 비교예 7은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만 포함
함을 의미한다.

표 3
[0137] 성분 실시 비교예 비 비 비 비
예1 3 교예 교예 교예 교예
4 5 6 7
복합 유화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1 1 1 1 1 -
제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 5 0.01 1 8 - 1

[0139] 비교예 8 내지 13

[0140] 표 4[단위 : 중량%]로 각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표 4
[0142] 성분 비교예
8 9 10 11 12 13
복합 유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0.5 15.0 3.0 3.0 3.0 3.0
화제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
왁스 오조케라스트, 칸데릴라납 4.0 4.0 0.5 15.0 4.0 4.0
오일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8.0 8.0 8.0 8.0 8.0 8.0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상전이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 - - - - -
왁스
방부제 에칠헥실글리세린 0.31 0.31 0.31 0.31 0.31 0.31
염 소듐 클로라이드 0.5 0.5 0.5 0.5 0.5 0.5
유효 성 나이아신아마이드,아데노신 2.04 2.04 2.04 2.04 2.04 2.04

보습제 글리세린,1,3-프로판디올 11 11 11 11 11 11
점증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0.2 0.2 0.2 0.2 0.005 5.0
자극 완 병풀 추출물 1.0 1.0 1.0 1.0 1.0 1.0
화제
물 정제수 to.100

- 12 -
등록특허 10-2127674

[0144] 비교예 14

[0145] 다공성 폴리머 점증제를 대신하여 잔탄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0147] 비교예 15 내지 16

[0148] 표 5[단위 : 중량%]로 각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표 5
[0150] 성분 비교예15 비교예16
복합 유화제 디스테아디모늄 헥토라이트 3.0 3.0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
왁스 오조케라스트, 칸데릴라납 4.0 4.0
오일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8.0 8.0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상전이왁스 미리스틸미리스테이트 0.001 15.0
방부제 에칠헥실글리세린 0.31 0.31
염 소듐 클로라이드 0.5 0.5
유효 성분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2.04 2.04
보습제 글리세린, 1,3-프로판디올 11 11
점증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0.2 0.2
자극 완화제 병풀 추출물 1.0 1.0
물 정제수 to.100

[0152] [ 실험예 ]

[0153] 실험예 1 : 피부 자극성

[0154] 실시예 1의 워터 드롭 고형타입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48 시간 단일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0155] - 첩포 부위 : 등

[0156] - 첩포 시간 : 48 시간 폐쇄첩포

[0157] - 평가 시점 : 첩포 제거 30 분 및 24 시간 후 관찰

[0158] - 평가 기준 : Frosch & Kligman, ICDRG 및 PCPC guideline

[0160] 상기 시험 대상자는 총 32 명이었으며, 이들의 평균 연령은 37.8 ± 9.2 이었다.

[0162] 상기 [48 시간 단일첩포 시험]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0163] 실시예 1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IQ Chamber에 20 μL 적하시킨 다음 70 % 에탄올로 시험 대상자의 등을


닦고, 건조시킨 후에 부착하였다. 실시예 1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48 시간 동안 폐쇄 첩포하며,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마킹펜으로 시험 부위를 표시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약 30 분 및 24 시간이 지난 후에 확대경
(SK101-3X, SeKi potical, Korea)아래서 피부 반응을 관찰하였다.

[0164] 이때, 피부 반응 평가 기준은 하기 표 6 및 표 7과 같으며, 이러한 기준으로 평가된 실시예 1의 피부 반응 결과


를 표 8[단위 : 명수]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2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피
부 자극 정도를 평가한 후,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6
[0166] 점수 기호 설명
0 - 반응 없음
0.5 ± 의심스럽거나 희미한 홍반 반응
1 + 약하지만 뚜렷하게 보이는 홍반 반응
2 ++ 뚜렷한 홍반이 보이며 구진 혹은 부종을 동반한 홍반 반응
3 +++ 부종 및 구진을 동반한 강한 홍반 반응
4 ++++ 부종과 수포를 동반한 홍반 반응

- 13 -
등록특허 10-2127674

표 7
[0168] 평균 피부 반응도 판정
0.00 ~ 0.87 저자극
0.88 ~ 2.42 경자극
2.43 ~ 3.44 중자극
3.45 이상 강자극

표 8
[0170] 첩포 제거 30 분 후 첩포 제거 30 분 후 평
(48시간) (72시간) 균
0.5± 1+ 2+ 3+ 4+ 반 0.5± 1+ 2+ 3+ 4+ 반 반
응 응 응
도 도 도
실 - - - - - 0.00 - - - - - 0.00 0.00


1
실 - - - - - 0.00 - - - - - 0.00 0.00


2

[0172] 표 8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피부에 저자극임을 확인할 수 있다.

[0174] 실험예 2 : 제형 및 워터 드롭 평가

[0175] (1)고형타입(밤 타입) 여부

[0176]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밤 타입으로의 형성 유무를 평가하고, 그 결
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사진을 도 1 내지 12에 나타내었
으며, 이를 표 9에 기재하였다.

[0177] 표 9 에서, 매끄러운 표면의 밤 타입의 고형 제형으로 형성된 경우는 ○로 표기하였으며, 표면이 갈라지거나 밤
타입의 고형 제형으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는 ×로 표기하였다.

표 9
[0179] 밤 타입 형성 여부 도면 밤 타입 형성 여부 도면
실시예1 ○ 1 비교예8 × 9
실시예2 ○ - 비교예9 × 10
비교예1 × 2 비교예10 × 11
비교예2 × 3 비교예11 × -
비교예3 × 4 비교예12 × -
비교예4 × 5 비교예13 × -
비교예5 × 6 비교예14 × 12
비교예6 × 7 비교예15 ○ -
비교예7 × 8 비교예16 × -

[0181] 표 9를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밤 타입의 고형 제형의 구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0183] (2)워터 드롭 평가

- 14 -
등록특허 10-2127674

[0184]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워터 드롭 형성 여부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0185] 워터 드롭 형성 여부는 스패츌라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적당량을 손등 위에 덜어 러빙


한 후, 물방울이 형성된 경우에는 워터 드롭이 형성 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표 10 에서, 워터 드롭(피부 표면에
물방울 형성)이 형성된 경우는 ○로 표기하였으며, 워터 드롭이 형성되지 않은 ×로 표기하였다.

표 10
[0187] 워터 드롭 형성 여부 워터 드롭 형성 여부
실시예1 ○ 비교예8 ×
실시예2 ○ 비교예9 ×
비교예1 × 비교예10 ×
비교예2 × 비교예11 ×
비교예3 × 비교예12 ×
비교예4 × 비교예13 ×
비교예5 × 비교예14 ×
비교예6 × 비교예15 ○
비교예7 × 비교예16 ×

[0189] 표 10을 보면,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워터 드롭이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0191] 실험예 3 : 피부 보습감 및 쿨링감 평가

[0192] (1)피부 보습감

[0193]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감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2
[0195] 피부 보습감은, Corneometer CM825 장비(용량 : 100-240 V AC, 0.3 A, 50-60 Hz, 측정 가능 면적 : 49 mm , 정
확도 : 3 %)로 피부에 시료(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를 도포하기 전과 후의 정전용량을 측
정한 후, 정전용량의 증가 정도를 통해 평가하였다.

[0197] 먼저, 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시험부위(안쪽 팔목)를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었다. 이때, 보습 성분과 강력한 세
정 성분이 포함된 제품은 사용하지 않았다. 이 후, 시험부위의 물기를 가볍게 제거하고, 약 20 - 30분 동안에
건조한 다음, 시험부위에 2.0 cm × 2.0 cm의 사각형을 표시하였다.

[0198] 시험부위에 시료를 도포하기 전에 corneometer로 정전용량(capacitance)를 5 회 측정하고, 최저값과 최고값을


제외한 3 회 측정치의 평균값을 구하였다.

[0199] 이 후, 시험부위의 사각형 표시 내에 실시예 1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일정량 도포하고 흡수시킨 뒤, 약
30 분이 지난 후 corneometer로 정전용량(capacitance)을 측정하여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이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020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16의 정전용량 평균값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시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6에서 시료를 도포하기 전 시험부위의 정
전용량의 평균값은 35.5 ~ 36.0 이었다.

표 11
[0203] 정전용량 평균값(A.U.) 정전용량 평균값(A.U.)
실시예1 46.80 비교예8 38.63
실시예2 48.34 비교예9 39.84
비교예1 41.06 비교예10 40.23
비교예2 42.48 비교예11 40.98
비교예3 40.57 비교예12 44.27
비교예4 40.94 비교예13 38.47
비교예5 41.06 비교예14 39.65
비교예6 39.85 비교예15 45.29
비교예7 39.77 비교예16 42.14

- 15 -
등록특허 10-2127674

[0205] 표 11을 보면, 시험부위에 시료를 도포하기 전의 정전용량 평균값 보다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16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의 정전용량 평균값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수분함유량과 정전용량은 서로
비례하므로, 이는 피부 내 수분의 양이 증가함을 의미하는 바, 모두 피부 보습감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0206]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에는 정전용량의 평균값이 10 이상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는 바, 피부 보습


감 향상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0207]

[0208] (2)쿨링감

[0209]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쿨링감을 평가하여 표 12에 나타내었다.

[0211] 20 ~ 30 대 여성 10 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의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안쪽 팔목)에 도포하도록 한 다


음,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피부 쿨링감을 0 ~ 5 점으로 평가하도록 한 후, 그 평균값을 표 12에 나타내었다. 이
때, 5 점에 가까울수록 피부 쿨링감이 강함을 의미한다.

[021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16의 피부 쿨링감을 평가하여 표 12에
나타내었다.

[0213]

표 12
[0214] 피부 쿨링감 피부 쿨링감
실시예1 0.5 비교예8 0.4
실시예2 3.9 비교예9 0.3
비교예1 0.4 비교예10 0.4
비교예2 0.4 비교예11 0.3
비교예3 0.3 비교예12 0.4
비교예4 0.2 비교예13 0.1
비교예5 0.3 비교예14 0.4
비교예6 0.2 비교예15 1.1
비교예7 0.3 비교예16 3.6

[0216] 표 12를 보면, 상전이 왁스를 포함할 경우에 피부 쿨링감이 현저히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0217] 더 상세히, 실시예 2, 비교예 15 및 비교예 16을 비교해보면, 상전이 왁스를 포함하되, 이를 0.01 ~ 10 중량%로
포함하는 실시예 2의 경우 쿨링감 향상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0219]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
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
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0220]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
로 해석되어야 한다.

- 16 -
등록특허 10-2127674

도면

도면1

도면2

- 17 -
등록특허 10-2127674

도면3

도면4

- 18 -
등록특허 10-2127674

도면5

도면6

- 19 -
등록특허 10-2127674

도면7

도면8

- 20 -
등록특허 10-2127674

도면9

도면10

- 21 -
등록특허 10-2127674

도면11

도면12

- 2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