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등록특허 10-2342905

등록특허 10-2342905

(19) 대한민국특허청(KR) (45) 공고일자 2021년12월24일


(11) 등록번호 10-2342905
(12) 등록특허공보(B1) (24) 등록일자 2021년12월21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3) 특허권자
A61K 8/02 (2006.01) A61K 8/25 (2006.01) 코스맥스 주식회사
A61K 8/26 (2006.01) A61K 8/34 (2006.01)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제약공단2길 46
A61K 8/73 (2006.01) A61Q 17/04 (2006.01) (72) 발명자
A61Q 19/00 (2006.01) 김현지
(52) CPC특허분류 서울특별시 서초구 명달로24길 6 (서초동)
A61K 8/0229 (2013.01)
정동진
A61K 8/25 (2013.01)
(21) 출원번호 10-2019-0134116 경기도 화성시 동탄순환대로20길 69, 2254동 190
2호 (목동, 엔에이치에프경남아너스빌)
(22) 출원일자 2019년10월25일
(뒷면에 계속)
심사청구일자 2019년10월25일
(74) 대리인
(65) 공개번호 10-2021-0049609
리앤목특허법인
(43) 공개일자 2021년05월06일
(56) 선행기술조사문헌
KR101443181 B1*
KR1020150043910 A*
KR1020060023879 A
KR100789345 B1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전체 청구항 수 : 총 7 항 심사관 : 김희승


(54) 발명의 명칭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57) 요 약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산
스틱으로 보습감을 주면서도, 분산제를 포함하여 셀룰로오스를 스틱 제형 내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어 필링시
우수한 각질 개선 효과가 있으며, 고온에서의 스틱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며 발림성, 밀착성 등의 사용감이 우수
한 고마쥬 타입의 필링 스틱을 구현할 수 있다.
대 표 도 - 도1

-1-
등록특허 10-2342905

(52) CPC특허분류 박명삼


A61K 8/26 (2013.01)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34길 93, 302호(능동, 능
A61K 8/345 (2013.01) 동빌리지)
A61K 8/731 (2013.01)
A61Q 17/04 (2013.01)
A61Q 19/00 (2013.01)
A61K 2800/28 (2013.01)
A61K 2800/596 (2013.01)
(72) 발명자
이화영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보정로 30, 114동 601호 (보
정동, 행원마을동아솔레시티아파트)

-2-
등록특허 10-2342905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폴리올 1.0 내지 40.0 중량%, 계면활성제 0.1 내지 10.0 중량%, 겔화제 6.0 내지 10.0 중량%, 셀룰로오스 3.0
내지 10.0 중량%, 분산제 0.1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수분산 스틱형 피부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분산제는 실리카 및 벤토나이트인 것인 수분산 스틱형 피부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는 가시대나무(Bambusa Arundinacea) 가루, 아모포팔루스 곤약(Konjac) 뿌


리 분말, 아라키스 히포가에아(땅콩) 분말, 귀리 분말(Avena Sativa Kernel (oat) flour), 카르야 일리노엔시
스(Carya Illinoensis) (피칸) 껍질 분말, 시트러스 탠저리나(탠저린) 껍질 분말, 코코스 누시페라(Cocos
Nucifera) (코코넛) 껍질 분말, 코릴루스 아벨라나 (헤이즐) 껍질 분말, 달걀 껍질 분말, 글리신 소자(대두) 분
말, 헬리안투스 아누스 (해바라기) 씨 가루(Meal), 호르데움 디스티콘 (보리) 씨 가루, 주글란스 맨슈리카 (호
두) 껍질 분말, 차 나무(Melaleuca Alternifolia) 입 분말, 유로파에아 (올리브) 씨 분말, 오리자 사티바 (벼)
싹 분말, 제아 메즈 (옥수수) 씨 분말,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조성물.

청구항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 글


리콜, 펜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글리세레스-26, 디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조성물.

청구항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피이지-40스테아레


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60, 소듐스테아레이트, 포타슘스테아레이트, 소듐 라우레이트,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소듐스위트아몬드암포아세테이트, 소듐클로라이드,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레
스설페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조성물.

청구항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는 소듐스테아레이트, 솔비탄올리베이트, 12-히드록시 스테아린산, 경화피마자


유, 스테아린산 옥타데실, 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솔비톨 지방산에스테르, 솔비드 지
방산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인 조성물.

청구항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 파우더, 표면 피복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미백제, 피부 진


정제, 전분, 변성알코올, 방부제, 및 향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청구항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고마쥬 타입인 것인 조성물.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0001] 고마쥬 타입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3-
등록특허 10-2342905

배 경 기 술
[0002] 피부에서 각질층은 피부의 최외각에 존재하는 10 ∼ 20 겹의 죽은 세포, 세포간 지질, 천연보습인자
(naturalmoisturising factor: NMF)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외부의 오염인자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수분손실을 방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피부 각질층의 턴오버(Turn-over)주기는 4주
정도로 일정기간이 지나면, 묵은 각질층이 자연적으로 박리되고, 새로운 각질층이 형성된다. 하지만 노화 등의
내부적인 요인이나 자외선등의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이 턴오버 주기가 길어지고 불균형해져, 각질층이 오
래되고 중층화되어, 피부가 칙칙해지고, 피부톤이 불균일해지며, 피부가 각화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0003] 피부각질제거용 화장료는 크게 화학적 필링제와 물리적 필링제로 나누어 진다. 화학적인 각질제거제는
AHA(Alpha Hydroxy Acid)나 BHA(Beta-Hydroxy Acid)와 같은 산 성분을 이용하여 피부 위의 두터운 각질층의 연
결고리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화학적으로 각질을 용해하거나, 피부의 턴오버주기를 단축시켜 피부각질을 제거하
는 제형이다. 상기의 경우 일정기간 사용시 어느 정도의 각질 제거 효과는 얻을 수 있으나, 대부분 pH가 매우
낮은 화학적 활성물질을 사용하여 피부에 자극을 일으켜 부작용을 유발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0004] 물리적인 각질제거제는 주로 크림이나 젤 타입의 제형에 여러 형태의 알갱이를 피부와 마찰시켜 각질을 제거하
는 스크럽(scrub)제가 대표적이다. 이 경우 화학적인 각질제거 제형보다 화학적인 피부 부작용은 없지만, 스크
럽으로 각질을 강제적으로 벗겨내게 되는 것이므로 피부가 아프고, 사용시 불편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0005] 물리적인 각질제거제 중 하나인 고마쥬(gommage) 타입 각질제거제는 내용물을 바르고 문지르면 내용물이 때처럼
밀려나오면서 피부 표면에 있는 각질과 노폐물 등을 같이 흡착해서 나오는 방식으로 스크럽제에 비해 자극이 덜
하다는 장점이 있어 이에 대한 연구들이 다수 있으나 (한국공개특허 10-2014-0055689), 주로 액상, 젤, 또는 폼
(foam) 타입의 제형으로 설계되어 손에 많이 묻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이 간편한 스틱 형태의 고마쥬 타
입 각질제거제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06] 일 양상은 폴리올 1.0 내지 30.0 중량%, 계면활성제 0.1 내지 10.0 중량%, 겔화제 6 내지 10 중량%, 셀룰로오스
3.0 내지 10.0 중량%, 분산제 0.1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수분산 스틱형 피부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07] 일 양상은 폴리올 1.0 내지 30.0 중량%, 계면활성제 0.1 내지 10.0 중량%, 겔화제 6.0 내지 10.0 중량%, 셀룰로
오스 3.0 내지 10.0 중량%, 분산제 0.1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는 수분산 스틱형 피부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
물을 제공한다.

[0008] 용어 “수분산”은 고체 입자 또는 분체가 액체인 수상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가 수상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0009] 용어 “스틱형”은 스틱 타입, 밤 타입 등의 고형 제형을 의미하는 것으로, 액상형 또는 젤형과 구별되는 것일


수 있다.

[0010] 용어 “피부각질제거”는 용어 “필링(peeling)”, “박리”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방식으로 피부 각질을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가시대나무 가루와
같은 셀룰로오스를 포함하여 필링때를 형성함으로써 물리적인 방식으로 피부 각질을 제거하는 것일 수 있으나,
스크럽제가 포함되거나 화학적인 각질제거 성분이 포함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0011]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는 가시대나무(Bambusa Arundinacea) 가루, 아모포팔루스 곤약(Konjac) 뿌


리 분말, 아라키스 히포가에아(땅콩) 분말, 귀리 분말(Avena Sativa Kernel (oat) flour), 카르야 일리노엔시
스(Carya Illinoensis) (피칸) 껍질 분말, 시트러스 탠저리나(탠저린) 껍질 분말, 코코스 누시페라(Cocos
Nucifera) (코코넛) 껍질 분말, 코릴루스 아벨라나 (헤이즐) 껍질 분말, 달걀 껍질 분말, 글리신 소자(대두) 분
말, 헬리안투스 아누스 (해바라기) 씨 가루(Meal), 호르데움 디스티콘 (보리) 씨 가루, 주글란스 맨슈리카 (호
두) 껍질 분말, 차 나무(Melaleuca Alternifolia) 입 분말, 유로파에아 (올리브) 씨 분말, 오리자 사티바 (벼)
싹 분말, 제아 메즈 (옥수수) 씨 분말,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

-4-
등록특허 10-2342905

료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셀룰로오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가시대
나무 가루 (Bambusa Arundinacea stem powder)를 포함하여 자극 없이 부드럽게 각질제거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시대나무 가루는 가시대나무의 줄기를 건조시켜서 얻은 가루를 의미할 수 있다.

[0012] 상기 셀룰로오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10.0 중량%, 예를 들어, 3.0 내지 9.0 중량%, 3.0 내지
8.0 중량%, 3.0 내지 7.0 중량%, 3.0 내지 6.0 중량%, 3.0 내지 5.0 중량%, 3.0 내지 4.0 중량%, 4.0 내지
10.0 중량%, 4.0 내지 9.0 중량%, 4.0 내지 8.0 중량%, 4.0 내지 7.0 중량%, 4.0 내지 6.0 중량%, 4.0 내지
5.0 중량%, 5.0 내지 10.0 중량%, 5.0 내지 9.0 중량%, 5.0 내지 8.0 중량%, 5.0 내지 7.0 중량%, 5.0 내지
6.0 중량%, 6.0 내지 10.0 중량%, 6.0 내지 9.0 중량%, 6.0 내지 8.0 중량%, 6.0 내지 7.0 중량%, 7.0 내지
10.0 중량%, 7.0 내지 9.0 중량%, 7.0 내지 8.0 중량%, 8.0 내지 10.0 중량%, 8.0 내지 9.0 중량%, 9.0 내지
10.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중량% 미만인 경우, 각질 제거 효과가
떨어지거나 필링 때가 형성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셀룰로오스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0 중량 %
초과인 경우, 피부 자극이 증가할 수 있다.

[0013]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실리카, 벤토나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카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여 스틱 제형 내에서 셀룰로오스가 고르게 분산되는 것일 수 있다. 용
어 “분산제”는 안료 등의 고체입자가 액체 속에 균일하게 혼합된 분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면활
성제를 의미할 수 있다.

[0014] 상기 분산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8.0 중량%, 예를 들어, 0.1 내지 7.0 중량%, 0.1 내지 6.0 중
량%, 0.1 내지 5.0 중량%, 0.1 내지 4.0 중량%, 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2.0 중량%, 1.0 내지 8.0 중량
%, 1.0 내지 7.0 중량%, 1.0 내지 8.0 중량%, 1.0 내지 7.0 중량%, 1.0 내지 6.0 중량%, 1.0 내지 5.0 중량%,
1.0 내지 4.0 중량%, 1.0 내지 3.0 중량%, 1.0 내지 2.0 중량%, 2.0 내지 8.0 중량%, 2.0 내지 7.0 중량%, 2.0
내지 6.0 중량%, 2.0 내지 5.0 중량%, 2.0 내지 4.0 중량%, 2.0 내지 3.0 중량%, 3.0 내지 8.0 중량%, 3.0 내
지 7.0 중량%, 3.0 내지 6.0 중량%, 3.0 내지 5.0 중량%, 3.0 내지 4.0 중량%, 4.0 내지 8.0 중량%, 4.0 내지
7.0 중량%, 4.0 내지 6.0 중량%, 4.0 내지 5.0 중량%, 5.0 내지 8.0 중량%, 5.0 내지 7.0 중량%, 5.0 내지 6.0
중량%, 6.0 내지 8.0 중량%, 6.0 내지 7.0 중량%, 7.0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분산제가 조성물 총 중
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인 경우, 셀룰로오스가 스틱 제형 내에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고 한쪽으로 몰려 있어
각질제거 효과가 떨어지거나, 필링 때가 형성되지 않거나, 상기 분산제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8.0 중량%
초과인 경우, 피부 자극이 증가할 수 있다.

[0015]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글리세레스-26, 디글리세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용어 “폴리올
(polyol)”은 용어 “다가알코올(polyhydricalcohol)”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히드록
시기를 갖는 알코올을 의미할 수 있다.

[0016] 상기 폴리올은 화장료 조성물에 보습력, 수분 함유력, 또는 수분보유력을 부여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폴


리올은 보습제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용어 “보습력”은 수분이탈을 약화시키거나 수분을 공급하여 건조하
지 않게 하는 성질을 의미할 수 있고, 용어 “수분 함유력”은 구조적 또는 성분 상의 이유로 얼마만큼의 수분
량을 일정한 시간 동안 함유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성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용어 “수분 보유력”은 구조적
또는 성분상의 이유로 보유하고 있는 수분량을 일정한 시간 동안 얼마만큼 보유하는가를 나타내는 성질을 의미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은 스틱 제형의 경도에도 영향을 주는 것일 수 있으며, 그 함량이 증가될수록 스
틱 제형의 경도가 증가되는 것일 수 있다.

[0017]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40.0 중량%, 예를 들어, 1.0 내지 35.0 중량%, 1.0 내지 30.0
중량%, 1.0 내지 25.0 중량%, 1.0 내지 20.0 중량%, 1.0 내지 15.0 중량%, 1.0 내지 10.0 중량%, 1.0 내지 5.0
중량%, 5.0 내지 40.0 중량%, 5.0 내지 35.0 중량%, 5.0 내지 30.0 중량%, 5.0 내지 25.0 중량%, 5.0 내지
20.0 중량%, 5.0 내지 15.0 중량%, 5.0 내지 10.0 중량%, 10.0 내지 40.0 중량%, 10.0 내지 35.0 중량%, 10.0
내지 30.0 중량%, 10.0 내지 25.0 중량%, 10.0 내지 20.0 중량%, 10.0 내지 15.0 중량%, 15.0 내지 40.0 중량
%, 15.0 내지 35.0 중량%, 15.0 내지 30.0 중량%, 15.0 내지 25.0 중량%, 15.0 내지 20.0 중량%, 20.0 내지
40.0 중량%, 20.0 내지 35.0 중량%, 20.0 내지 30.0 중량%, 20.0 내지 25.0 중량%, 25.0 내지 40.0 중량%,
25.0 내지 35.0 중량%, 25.0 내지 30.0 중량%, 30.0 내지 40.0 중량%, 30.0 내지 35.0 중량%, 35.0 내지 40.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미만인 경우, 보습력이 떨어져 각질 제거
시 피부 자극이 증가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0 중량% 초과인 경우, 스틱 제형

-5-
등록특허 10-2342905

의 경도가 높아지게 되어 필링력이 떨어질 수 있다.

[0018]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에스이, 피이지-40스테아


레이트,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60, 소듐스테아레이트, 포타슘스테아레이트, 소듐 라우레이트,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소듐스위트아몬드암포아세테이트, 소듐클로라이드,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소듐라우레
스설페이트,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
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다.

[0019] 상기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 예를 들어, 0.1 내지 8.0 중량%, 0.1 내지
6.0 중량%, 0.1 내지 4.0 중량%, 0.1 내지 2.0 중량%, 2.0 내지 10.0 중량%, 2.0 내지 8.0 중량%, 2.0 내지
6.0 중량%, 2.0 내지 4.0 중량%, 4.0 내지 10.0 중량%, 4.0 내지 8.0 중량%, 4.0 내지 6.0 중량%, 6.0 내지
10.0 중량%, 6.0 내지 8.0 중량%, 8.0 내지 10.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인 경우, 제형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0 중
량% 초과인 경우, 피부 자극이 증가할 수 있다.

[0020]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는 소듐스테아레이트, 솔비탄올리베이트, 12-히드록시 스테아린산, 경화피마자


유, 스테아린산 옥타데실, 에틸렌글리콜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솔비톨 지방산에스테르, 솔비드 지
방산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용어 “겔화제”는 용어 “고형화제”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0021] 상기 겔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10.0 중량%, 예를 들어, 6.0 내지 9.0 중량%, 6.0 내지 8.0
중량%, 6.0 내지 7.0 중량%, 7.0 내지 10.0 중량%, 7.0 내지 9.0 중량%, 7.0 내지 8.0 중량%, 8.0 내지 10.0
중량%, 8.0 내지 9.0 중량%, 9.0 내지 10.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겔화제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0 중량
% 미만인 경우, 스틱 제형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겔화제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0 중량% 초
과인 경우, 피부 자극이 증가할 수 있다.

[0022]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외선 차단제, 기타 파우더, 표면 피복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미백제,


피부 진정제, 전분, 변성알코올, 방부제, 및 향료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0023]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화장료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무기 자외선차단제, 유기 자
외선차단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0024] 상기 기타 파우더는 백색 안료 또는 색소를 포함하는 파우더를 의미할 수 있으며, 유기물, 무기물, 또는 실리콘
류로 표면 처리되어 코팅된 것일 수 잇다. 상기 기타 파우더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기타 파우더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유색 효과를 발휘할 수
없으며, 상기 겔화제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0 중량% 초과인 경우, 제형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0025] 상기 표면 피복제는 화장료 조성물 내 포함된 파우더의 표면을 피복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
를 들어,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스테아릭애씨드, 알루미나, 소듐 헥사메타포스페이트, 소듐 메타포스페이트,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 라우르산, 디메틸폴리실록산, 디메티콘, 트리에톡시카프릴
릴실란, 메틸폴리실록산,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표면 피복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일 수 있다.

[0026] 상기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미백제는 아데노신,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알부틴(Arbutin), 아젤라익산


(Azelaic acid), 코직산(Kojic acid), 세라마이드(Ceramide), 리놀릭산(Linoleic Acid), 렉틴(Lecthin), 네오
글리코프로틴(Neoglycoprotein), 젖산(Lactic Acid), 글라이콜릭산(Glycolic Acid), 비타민A 유도체
(Retinoids), 비타민 C(Ascorbic Acid)유도체, 나이아신아마이드(Nyacinamid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 주름 개선 또는 미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0027] 상기 피부진정제는 감초추출물, 로즈마리 잎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오이 추출물, 알로에베
라 잎 추출물, 위치하젤 추출물,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진정제
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0028] 상기 전분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전분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변성옥수수전분, 소듐카복시메
틸스타치,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 알루미늄스타치옥테닐석시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전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0029] 상기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사용목적에 따라 추가적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감 조절

-6-
등록특허 10-2342905

을 위한 극성 또는 비극성 오일, 유동도 및 분산효율을 위한 분산제, 계면활성제, 화장효과 및 사용성 조절을


위한 안료 등과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폴리머, 지방산 알코올 및 향료 등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성
분들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될 수 있다.

[0030]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피부각질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은 고마쥬 타입일 수 있다. 용어 “고마쥬(Gommage) 타
입”은 각질제거 방식 중의 하나로, 내용물을 바르고 문지르면 내용물이 때처럼 밀려나오면서 피부 표면에 있는
각질과 노폐물 등을 같이 흡착해서 나오는 원리의 각질 제거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0031]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분산 스틱으로 보습감을 주면서도, 분산제를 포함하여 셀룰로오스를 스틱 제
형 내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어 필링시 우수한 각질 개선 효과가 있으며, 고온에서의 스틱 제형 안정성이 우
수하며 발림성, 밀착성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고마쥬 타입의 필링 스틱을 구현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32] 도 1은 일 구체예에 따른 고마쥬 타입의 각질제거용 수분산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
진이다.

도 2는 각각 실시예 1(A) 및 비교예 4(B), 비교예 6(C), 비교예 7 (D)의 제형 외관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3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 후의 각질 면적을 측정한 사진 및 그래프이다.

도 4는 각각 실시예 3 (A) 및 비교예 2 (B)의 고온에서의 스틱 제형 안정성을 비교 관찰한 사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33]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
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034] 실시예 1 내지 3. 가시대나무 가루 및 분산제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0035] 정제수에 글리세린, 보습성분, 및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를 비이커에 계량한 후 80~90℃의 온도에서 이지믹서를
이용하여 25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후, 벤토나이트 및 실리카를 투입하여 25rpm으로 10분간 균
일하게 혼합한 다음 75℃ 정도로 냉각하여 소듐스테아레이트, 가시대나무 가루, 및 변성 알코올을 넣고 혼합하
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0036] 비교예 1. 가시대나무 가루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0037]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가시대나무 가루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0038] 비교예 2. 소듐스테아레이트를 소량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0039]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소듐스테아레이트 함 차이를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


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0040] 비교예 3. 보습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0041]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보습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0042] 비교예 4. 분산제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0043]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벤토나이트 및 실리카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0044] 비교예5. 가시대나무 가루 및 분산제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0045]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벤토나이트 및 실리카를 포함하지 않는 점 및 가시대나무


가루가 아닌 일반 필링젤에 사용되는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7-
등록특허 10-2342905

[0046] 비교예6. 벤토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0047]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벤토나이트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0048] 비교예7. 실리카를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0049]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실리카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0050] 하기 [표 1] 및 [표 2]는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7의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을 나


타낸 것이다.

표 1
[0051] 성분 함량 (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


5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
o
1
0
0
글리세린 10.00 5.00 2.00 2.00 2.00 2.00 10.00 1
0
.
0
0
보습성분(프로필렌글 20 25 28 28 28 - 20 2
리콜) 0
피이지-40스테아레이 0.30 0.30 0.30 0.30 0.30 0.30 0.30 0
트 .
3
0
벤토나이트 0.80 0.80 0.80 0.80 0.80 0.80 - -
실리카 2.50 2.50 2.50 2.50 2.50 2.50 - -
소듐스테아레이트 8.80 8.80 8.80 8.80 5.00 8.80 8.80 8
.
8
0
가시대나무가루 5.00 7.00 8.00 - 7.00 7.00 5.00 -
셀룰로오스 - - - - - - - 5
.
0
0
변성알코올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
.
0
0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

표 2
[0052] 성분 함량 (중량%)
비교예6 비교예7

정제수 To 100 To 100


글리세린 10.00 10.00

-8-
등록특허 10-2342905

보습성분(프로필렌글리콜) 20 20
피이지-40스테아레이트 0.30 0.30
벤토나이트 0.80
실리카 2.50
소듐스테아레이트 8.80 8.80
가시대나무가루 5.00 5.00
셀룰로오스 - -
변성알코올 3.00 3.00
방부제 적량 적량
향료 적량 적량

[0053] 실험예 1. 고마쥬 타입 스틱 형성 여부 및 분산성 확인

[0054]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이 고마쥬 타입의 스틱 형태 조성물로 형성되는지 여부 및


셀룰로오스가 고르게 분산되는 제형이 형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형의 외관, 경도, 및 때가 나오는
지 여부를 비교 관찰하였다. 도 2는 각각 실시예 1(A) 및 비교예 4(B), 비교예 6(C), 비교예 7 (D)의 제형 외관
을 나타낸 사진이다.

[0055]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경도와 때가 나오는 정도가 조금씩 다른 불투명 형태의 스틱 조성물이 얻어진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스틱 형성이 이루어졌으나 사용하였을 때 필링때가 나오지 않았고, 비교예 2와 비교예 3
은 스틱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는 조성물이 얻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벤토나이트
또는 실리카와 같은 분산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 (A)의 경우 셀룰로오스가 제형 내에 고르게 분산되나, 벤토나
이트 또는 실리카와 같은 분산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4 (B)의 경우 셀룰로오스가 제형 내에 고르게 퍼지지
않고 아래쪽으로 가라앉는 제형이 얻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산제로서 벤토나이트를 제외하고 실리카만 사용
한 비교예 6 (C)의 경우 내용물이 아래로 가라앉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분산제로서 실리카를 제외하고 벤토나이
트만 사용한 비교예 7 (D)의 경우 내용물이 쏠리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5의 경우, 스틱 형성이 이루어졌
으나, 가시대나무 가루가 아닌 셀룰로오스를 사용하였기에 사용하였을 때 필링때가 거의 나오지 않는 것을 확인
하였다.

[0056] 이는 셀룰로오스의 함량과 종류에 따라 때가 나오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고, 폴리올이나 겔화제의 함량에 따라
스틱의 경도나 스틱의 형성 가부가 달라질 수 있으며, 벤토나이트, 실리카와 같은 분산제를 사용하여 셀룰로오
스를 스틱 제형 내에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0057] 실험예 2.사용감 평가

[0058]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관능 평가를 수


행하였다.

[0059] 구체적으로, 25-45세 전문 여성 패널 15명을 대상으로 2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를 각 군에 적절히 조절하여 얼굴 양쪽 부위에 사용하게 한 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바를 때 느끼는
발림성, 밀착성, 필링때가 나오는 정도, 및 전반적인 만족도 등의 사용감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발림성은 피부에 펴 발랐을 때 부드럽게 발리는 느낌으로 끈적임이나 흘러내림이 없이 발리는 것을
말한다. 밀착성은 피부에 도포 시 조성물이 피부 표면에 얇게 발려 피부에 달라붙는 느낌을 말한다. 필링때가
나오는 정도는 사용할 때 각질이 나오는 정도를 말한다. 이와 같은 세 가지 기준은 화장료로서의 사용 가치를
높여주는 중요한 특징이 될 수 있다.

[0060] <평가기준>

[0061] 9명 이상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0062] 5-8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0063] 2-4명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

[0064] 1명 이하의 여성이 우수하다고 판정: X

-9-
등록특허 10-2342905

표 3
[0065]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발림성 ○ ○ ◎ ○ ○ X △ ○
밀착성 △ ○ ○ X X X △ ○
필링 정도 △ ○ ◎ X △ ○ ○ X
전반적인 ○ ○ ◎ X X △ △ △
만족도

[0066] 그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발림성, 밀착성, 필링 정도, 및 전반적인 만족도가 비
교예 1 내지 5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3은 전반적으로 사용감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3은 발림성 또는 밀착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교예 4는 분산제를 포함하지 않아
셀룰로오스가 한쪽에 몰려 있어 발림성 및 밀착성이 좋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5는 필링 능력이 현
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0067] 실험예 3. 각질 개선 효과 확인

[0068] 상기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 개선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의 사용 전후의 각질을 채취
하여 각질 면적 감소여부를 측정하였다.

[0069] 구체적으로, 평균나이 27.8세의 성인 5명을 대상으로 시험 부위를 미온수로 세정하게 한 후 항온항습실에 10분
간 대기시킨 뒤, B-SQUAM으로 각질을 채취하였다. 이후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게 한 후 위와 동일
한 방법으로 각질을 채취하였다. 도 3은 실시예 3의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전 후의 각질 면적을 측
정한 사진 및 그래프이다.

[0070]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스틱 조성물은 사용 전후에 각질 면적이 72.8 % 감소하여 각질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0071] 실험예 4. 고온에서의 스틱 제형 안정성

[0072]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이 고온에서도 제형 안정성이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의 스틱 (비교
예 2)과 고온에서의 안정도를 비교 관찰하였다.

[0073] 구체적으로, 50℃ 항온조에 스틱 내용물을 소분하여 넣은 후 1, 3, 7일 간격으로 내용물을 꺼내어 확인하였다.

[0074] 도 4는 각각 실시예 3 (A) 및 비교예 2 (B)의 고온에서의 스틱 제형 안정성을 비교 관찰한 사진이다.

[0075]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의 경우 7일까지 50도에서 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비교예 2
의 경우 3일만에 고온에서 점차 녹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 10 -
등록특허 10-2342905

도면

도면1

도면2

- 11 -
등록특허 10-2342905

도면3

- 12 -
등록특허 10-2342905

도면4

- 13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