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공개특허 10-2020-0082095

공개특허 10-2020-0082095

(19) 대한민국특허청(KR) (11) 공개번호 10-2020-0082095


(12) 공개특허공보(A) (43) 공개일자 2020년07월08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1) 출원인
A61K 8/31 (2006.01) A61K 8/19 (2006.01) 주식회사 쌤시크코스메틱
A61K 8/29 (2006.01) A61K 8/891 (2006.01)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경인로 775 ,2동503호(문
A61Q 1/04 (2006.01) A61Q 1/06 (2006.01) 래동3가,에이스하이테크시티)
(52) CPC특허분류 (72) 발명자
A61K 8/31 (2013.01) 이관형
A61K 8/19 (2013.01)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소원로 41, 701동 1201호(
(21) 출원번호 10-2018-0172310 행신동, 무원마을7단지아파트)
(22) 출원일자 2018년12월28일 (74) 대리인
심사청구일자 2018년12월28일 전종학, 이용하

전체 청구항 수 : 총 5 항
(54) 발명의 명칭 립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57) 요 약
립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립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왁스류와 오일류와 방부제를
혼합하여 50 내지 80℃의 온도로 믹싱하는 제1 믹싱 단계; 왁스류와 오일류와 방부제가 믹싱된 혼합물에 파우더
류를 믹싱하는 제2 믹싱 단계; 롤밀 과정을 통해 미세화된 색소 파우더를 왁스류와 오일류와 방부제와 파우더류
가 믹싱된 혼합물에 넣어 교반하는 단계; 및 교반된 혼합물을 충진기를 사용하여 립틴트 조성물로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1

-1-
공개특허 10-2020-0082095

(52) CPC특허분류
A61K 8/29 (2013.01)
A61K 8/891 (2013.01)
A61Q 1/04 (2013.01)
A61Q 1/06 (2013.01)
A61K 2800/805 (2013.01)

-2-
공개특허 10-2020-0082095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왁스류와 오일류와 방부제를 혼합하여 50 내지 80℃의 온도로 믹싱하는 제1 믹싱 단계;

상기 왁스류와 상기 오일류와 상기 방부제가 믹싱된 혼합물에 파우더류를 믹싱하는 제2 믹싱 단계;

롤밀 과정을 통해 미세화된 색소 파우더를 상기 왁스류와 상기 오일류와 상기 방부제와 상기 파우더류가 믹싱된


혼합물에 넣어 교반하는 단계; 및

교반된 혼합물을 충진기를 사용하여 립틴트 조성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립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청구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립틴트 조성물은 아이소도데케인,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마이카, 적색201호, 다이메티콘, 스쿠알


란,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
스폴리머, 폴리아이소부텐,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 카프릴릴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및 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청구항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립스틱 조성물은 적색202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청구항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립스틱 조성물은 티타늄디옥사이드, 황색4호 및 적색산화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틴트 조


성물의 제조 방법.

청구항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립틴트 조성물은 아이소도데케인,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마이카, 적색202호, 다이메티콘, 스쿠알


란, 적색산화철,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다이메티콘/비닐다
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폴리아이소부텐,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 흑색산화철, 티타늄디옥사이드, 카프릴릴글
라이콜, 1,2-헥산다이올 및 향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립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립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술에 보습감을 부여할 수 있고 부드러운 발림성을 확
보함과 아울러 빠른 시간에 입술에 바를 수 있고 묻어남을 방지할 수 있는 립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립틴트,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및 립 펜슬 등 입술에 사용 가능한 모든 립 메이크 업 조성물은 피부(특히, 입
술; 이하 같다)에 색상을 부여하여 아름답고 건강하게 보이도록 함과 동시에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동·식물성 왁스, 에스테르계 오일 등의 유성 물질에 피부에 유용한 각종 영양성분, 유기 및 무기 안료를

-3-
공개특허 10-2020-0082095

분산시켜 균일한 혼합물로 만든 것이다.

[0003] 화장료 조성물, 특히 립 메이크 업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고형 성분이나, 액상 유상 성분, 색소 및 기타 영양


성분 등을 포함한다.

[0004] 전술한 고형 성분으로는 칸데릴라납, 세레신, 카르나우바납, 파라핀, 목납, 경납, 밀납, 마이크로 크리스탈린납
및 폴리에틸렌 등의 동물성, 식물성, 광물성 및 합성 왁스 성분 등이 있다.

[0005] 또한, 전술한 액상 유상성분으로는 피마자유, 호호바유, 스쿠알란, 라놀린 오일, 라놀린 유도체, 동·식물에서
추출된 오일 및 합성 에스테르 오일 등이 있다. 그 밖에, 화장료 조성물에는 유기 및 무기 색소로 이루어지는
색소성분이 포함되고, 산화방지제, 방부제, 향성분 및 영양성분 등의 기타 성분이 첨가된다.

[0006] 지금까지 립 메이크업 화장료에서 입술 보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

[0007] 일반적으로 립 메이크업 화장료는 대부분이 유상 성분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통상적인 보습 증진을 목적으로 하
는 경우, 바세린(petrolatum), 라놀린 왁스 및 라놀린 유도체 등의 유상 성분들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들 유
상 성분들이 입술에 오일 막을 형성하여 수분의 증발을 막아 주는 폐색효과(occlusive effect)에 의한 소극적인
보습성 향상 방법이 사용되었다.

[0008] 입술 보습성 향상의 적극적인 방법으로는 입술에 직접 수분이나 모이스처 효과를 주는 성분을 립 메이크업 제품
에 도입하거나, 친수성 보습제를 젤 네트워크 내에 함유시키는 방법이 있다. 물이나 친수성 다가 알코올을 계면
활성제를 이용하여 유중수형(W/O) 유화형 립스틱을 제공하는 방법은 수분에 의한 촉촉함이 있으나, 경시에 따른
물의 휘발에 의한 외관광택 저하, 스틱 제형의 결합력 약화, 친수성 무기안료의 응집 및 색조 변화 등의 문제점
을 가지고 있었다.

[0009] 즉, 일반적으로 대부분이 유상 성분으로 구성되는 립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서 계면활성제와 친수성 원료에
의해 사용된 색소가 수상 쪽으로 배향하여 분산의 불안정화, 색상 변화 및 발색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젤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물질들은 대부분 점도와 밀착감이 높아, 입술에 도포 시 마찰이 발생하여 가볍고
매끄러운 사용감을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0010] 특히 립틴트와 같은 입술을 기초로 한 종래의 제품의 경우 입술에 클럼프(clump) 또는 갈라짐(crack)이 발생하
고 입술이 마르게 되는 경향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입술과 관련된 상태(예를 들면, 입술이 마르거나 입술이 갈
라지고, 입술 주름들 등)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는데 부족한 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0011] 또한 사용자의 입술에 부드럽고 빠르게 발릴 수 있고, 묻어남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책이 요구된다.

[0012]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
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0013] (특허문헌 000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8535호(한국콜마주식회사) 213. 12. 02.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14]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술에 보습감을 부여할 수 있고 부드러운 발림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빠른 시간에 입술에 바를 수 있고 묻어남을 방지할 수 있는 립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15]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왁스류와 오일류와 방부제를 혼합하여 50 내지 80℃의 온도로 믹싱하는 제1 믹싱
단계; 상기 왁스류와 상기 오일류와 상기 방부제가 믹싱된 혼합물에 파우더류를 믹싱하는 제2 믹싱 단계; 롤밀
과정을 통해 미세화된 색소 파우더를 상기 왁스류와 상기 오일류와 상기 방부제와 상기 파우더류가 믹싱된 혼합

-4-
공개특허 10-2020-0082095

물에 넣어 교반하는 단계; 및 교반된 혼합물을 충진기를 사용하여 립틴트 조성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립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0016] 상기 립틴트 조성물은 아이소도데케인,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마이카, 적색201호, 다이메티콘, 스쿠알


란,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
스폴리머, 폴리아이소부텐,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 카프릴릴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및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0017] 상기 립스틱 조성물은 적색202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0018] 상기 립스틱 조성물은 티타늄디옥사이드, 황색4호 및 적색산화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0019] 상기 립틴트 조성물은 아이소도데케인,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마이카, 적색202호, 다이메티콘, 스쿠알


란, 적색산화철,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다이메티콘/비닐다
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폴리아이소부텐,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 흑색산화철, 티타늄디옥사이드, 카프릴릴글
라이콜, 1,2-헥산다이올 및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002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왁스류와 오일류와 방부제를 혼합하여 50 내지 80℃의 온도로 믹싱한 후 파우더류와 색
소 파우더를 첨가한 후 각각 믹싱하는 단계를 거쳐 립틴트 조성물을 마련하므로 입술에 보습감을 부여할 수 있
고 부드러운 발림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빠른 시간에 입술에 바를 수 있고 묻어남을 방지할 수 있는 립틴트 조성
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2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립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22]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002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
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0024]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립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0025]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립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왁스류와 오일류와 방부제를 혼
합하여 50 내지 80℃의 온도로 믹싱하는 제1 믹싱 단계(S10)와, 왁스류와 오일류와 방부제가 믹싱된 혼합물에
파우더류를 믹싱하는 제2 믹싱 단계(S20)와, 롤밀 과정을 통해 미세화된 색소 파우더를 왁스류와 오일류와 방부
제와 파우더류가 믹싱된 혼합물에 넣어 교반하는 단계(S30)와, 교반된 혼합물을 충진기를 사용하여 립틴트 조성
물로 제조하는 단계(S40)를 구비한다.

[0026] 본 실시 예에서 립틴트 조성물에 부드러운 발림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왁스류와 오일류와 방부제는 70 내지 80℃
의 온도에서 일정 속도를 유지하며 혼합될 수 있다.

[0027]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립틴트 조성물이 빠른 시간 내에 사용자의 입술에 묻혀지게 함과 아울러 묻어나지 않은 효


과를 얻기 위해 왁스류와 오일류와 방부제는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일정 속도를 유지하며 혼합될 수 있다.

[0028]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립틴트 조성물은 아이소도데케인,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 마이카, 적색


201호, 적색202호, 다이메티콘, 스쿠알란,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프로필렌카보네
이트,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폴리아이소부텐,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 카프릴릴글라이콜,
1,2-헥산다이올 및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0029] 립틴트 조성물의 아이소도데케인(ISODODECANE)은, 휘발성 오일로 립틴트 조성물에 빠른 시간 내에 사용자의 입


술에 발라진 후 묻어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26 내지 30중량%로 마련될 수 있다.

[0030] 립틴트 조성물의 다이스테아다이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는, 현탁화제(비계면활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17 내지 21 중량%로 마련될 수 있다.

-5-
공개특허 10-2020-0082095

[0031] 립틴트 조성물의 마이카(MICA)는, 착색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9 내지 11중량%로 마련될 수 있다.

[0032] 립틴트 조성물의 적색201호(CI 15850)는, 착색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7 내지 10중량%로 마련될 수 있다.

[0033] 립틴트 조성물의 적색202호(CI 15850:1)는, 착색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6 내지 8중량%로 마련될 수 있다.

[0034] 립틴트 조성물의 다이메티콘(DIMETHICONE)은, 피부컨디셔닝제(Skin-Conditioning Agent - Occlusive)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5 내지 7 중량%로 마련될 수 있다.

[0035] 립틴트 조성물의 스쿠알란(SQUALANE)은, 수분 증발 차단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5 내지 7중량%로 마련될 수 있


다.

[0036] 립틴트 조성물의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은, 수분 증발 차단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2 내지


4중량%로 마련될 수 있다.

[0037] 립틴트 조성물의 트라이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TRIMETHYLSILOXYSILICATE )는, 소포제(Atifoaming Agent) 역할을


하는 것으로 2 내지 4중량%로 마련될 수 있다.

[0038] 립틴트 조성물의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는, 점성 감소제(Viscosity Decreasing Agent)의 역


할을 하는 것으로 2 내지 4중량%로 마련될 수 있다.

[0039] 립틴트 조성물의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는, 피


부컨디셔닝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0.5 내지 1.5중량%로 마련될 수 있다.

[0040] 틴트 조성물의 폴리아이소부텐(POLYISOBUTENE)은, 점도 상승제(Viscosity Increasing Agent)의 역할을 하는 것


으로 0.5 내지 1.5중량%로 마련될 수 있다.

[0041] 립틴트 조성물의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VP/HEXADECENE COPOLYMER )는, 점도 상승제(Viscosity Increasing


Agent)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0.5 내지 1.5중량%로 마련될 수 있다.

[0042] 립틴트 조성물의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은, 피부컨디셔닝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0.2 내지 0.4중
량%로 마련될 수 있다.

[0043] 립틴트 조성물의 1,2-헥산다이올(1,2-HEXANEDIOL)은, 용제(Solvent)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0.05 내지 0.15중량


%로 마련될 수 있다.

[0044] 립틴트 조성물의 향료(FRAGRANCE)는, 0.05 내지 0.15중량%로 마련될 수 있다.

[0045]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립틴트 조성물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성분에서 적색202호를 제외하고, 티타늄디
옥사이드(TITANIUM DIOXIDE)와 황색4호(CI 19140)와 적색산화철(CI 77491)을 더 부가하여 마련될 수 있다.

[0046] 본 실시 예에서 티타늄디옥사이드는 5 내지 7 중량%로 마련될 수 있고, 황색4호는 4 내지 5 중량%로 마련될 수


있고, 적색산화철은 0.3 내지 0.5중량%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티타늄디옥사이드와 황색4호와 적색
산화철은 착색제로 제공될 수 있다.

[0047] 이때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적색202호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의 중량%는 본 실시 예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0048]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립틴트 조성물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성분에 황색5호(CI 15985)를 더 부가하여
마련될 수 있다.

[0049] 본 실시 예에서 황색5호는 0.8 내지 1 중량%로 마련될 수 있고, 착색제로 제공될 수 있다.

[0050] 이때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성분의 중량%는 본 실시 예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0051]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립틴트 조성물은 전술한 제3 실시예의 성분에서 황색5호(CI 15985)를 제외하고,
황색산화철(CI 77492)과 흑색산화철(CI 77499)을 더 부가하여 마련될 수 있다.

[0052] 본 실시 예에서 황색산화철은 1 내지 2 중량%로 마련될 수 있고, 착색제로 제공될 수 있다.

[0053]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흑색산화철은 0.5 내지 1.5중량%로 마련될 수 있고, 착색제로 제공될 수 있다.

[0054] 이때 전술한 제3 실시예에서 황색5호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의 중량%는 본 실시 예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0055]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립틴트 조성물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성분에서 적색201호를 제외하고, 적색산화
철과 흑색산화철과 티타늄디옥사이드를 더 부가하여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적색산화철과 흑색산화철

-6-
공개특허 10-2020-0082095

과 티타늄디옥사이드는 착색제로 제공될 수 있다.

[0056] 본 실시 예에서 적색산화철은 4 내지 6중량%로 마련될 수 있고, 흑색산화철은 0.8 내지 1 중량%로 마련될 수 있
고, 티타늄디옥사이드는 0.6 내지 0.8중량%로 마련될 수 있다.

[0057] 이때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적색201호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의 중량%는 본 실시 예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0058]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왁스류와 오일류와 방부제를 혼합하여 50 내지 80℃의 온도로 믹싱한
후 파우더류와 색소 파우더를 첨가한 후 각각 믹싱하는 단계를 거쳐 립틴트 조성물을 마련하므로 입술에 보습감
을 부여할 수 있고 부드러운 발림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빠른 시간에 입술에 바를 수 있고 묻어남을 방지할 수
있는 립틴트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0059]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


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면

도면1

-7-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