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9

공개특허 10-2022-0035614

공개특허 10-2022-0035614

(19) 대한민국특허청(KR) (11) 공개번호 10-2022-0035614


(12) 공개특허공보(A) (43) 공개일자 2022년03월22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1) 출원인
A61K 8/06 (2006.01) A61K 8/02 (2006.01)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A61K 8/19 (2006.01) A61K 8/37 (2006.01)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35 (서린동)
A61Q 19/00 (2006.01) (72) 발명자
(52) CPC특허분류 황영훈
A61K 8/062 (2013.01) 서울특별시 관악구 난곡로64가길 6 화인리더스
A61K 8/0212 (2013.01) 204호
(21) 출원번호 10-2020-0117582
곽창곤
(22) 출원일자 2020년09월14일
경기도 의정부시 서광로 169 대광로제비앙 더 퍼
심사청구일자 2020년09월14일 스트 105동 1601호
(뒷면에 계속)
(74) 대리인
특허법인(유한) 해담
전체 청구항 수 : 총 11 항
(54) 발명의 명칭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57) 요 약
본 발명은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성이 낮은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스테아레이트, 유상 경도 형성제, 수


상 경도 형성제, 유화안정제, 벌킹제, 유상부, pH 조절제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
스크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상 경도 형성제는 폴리에틸렌 왁스, 파라핀 및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이고, 유화안정제는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고형


화제가 함유된 조성물에 벌킹제, 특정 성분의 유상경도 형성제 및 유화안정제를 특정 비율로 첨가시켜, 조성물을
수중유형으로 안정화시킴으로써, pH 및 수분감량에 대한 안정도가 우수하고, 발림성 및 건조속도 또한 우수하다.

-1-
공개특허 10-2022-0035614

(52) CPC특허분류 이기용


A61K 8/0229 (2013.01)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로86번길 6-7, 3층
A61K 8/19 (2013.01)
A61K 8/37 (2013.01)
A61K 8/731 (2013.01)
A61K 8/8111 (2013.01)
A61Q 19/00 (2013.01)
A61K 2800/52 (2013.01)
(72) 발명자
강현수
경기도 화성시 동탄공원로 21-12 푸른마을더샵2차
911동 2003호

-2-
공개특허 10-2022-0035614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소듐스테아레이트, 유상 경도 형성제, 수상 경도 형성제, 유화안정제, 벌킹제, 유상부, pH 조절제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상 경도 형성제는 폴리에틸렌
왁스, 파라핀 및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이고, 유화안정제는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
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소듐스테아레이트 1~10중량%, 유상 경도 형성제 1~5중량%, 수상 경도 형성제 0.1~10중량%, 유


화안정제 0.3~5중량%, 벌킹제 0.1~30중량%, 유상부 1~30중량%, pH 조절제 1~10중량% 및 수상부 잔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 경도 형성제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왁스, 파라핀 및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의
혼합비(중량%)는 40~60:35~55: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 경도 형성제는 디스테아레스-100 IPDI (disteareth-100 IPD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안정제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검의 혼합비(중량


%)는 10~20: 8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킹제는 카올린,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 피브이피 및 실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
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식물성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
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는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3-
공개특허 10-2022-0035614

청구항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 및 보습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은 자극 완화제, 알코올류, 스킨 컨디
셔닝제, 보존제, 착색제, 착향제, 분말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미용영양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
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11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항의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 클레이 마스크
용 수중유형 유화 스틱.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성이 낮은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외계로부터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체내로부터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피부 건강을 쉽게 지키고 개선하기 위해 마사지 또는 마스크 팩을 이용하고 있다. 종래
미용, 마사지 팩으로는 계란 등의 동물성 단백질이 주로 사용되다가,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에 피부 영양제를 첨
가시킨 겔 타입의 미용제가 개발되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천연과일이나 야채를 이용한 천연 팩도 널리 사용
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황토, 점토, 숯, 맥반석, 일라이트(ilite) 등을 이
용한 제품이 개발되어 각종 오염 및 환경요인에 노출된 인간 생활에 접목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피부질환을 예
방하고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되고 있다.

[0003] 특히, 각종 미네랄 및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벤토나이트, 게르마늄 등을 함유하고 있는 점토/머드를
주재로 하는 점토팩과, 독소 제거 및 원적외선 방사 등의 효능을 갖는 황토를 주재로 하는 황토팩 등이 연구되
었으며, 시중에도 판매되고 있다.

[0004] 팩은 제형과 사용 방법에 따라 건조된 필름을 제거하는 필오프 타입 팩, 팩제를 바른 후 물 세안으로 팩을 제거


하는 워시오프 타입 팩, 티슈로 닦아내는 티슈오프 타입 팩 및 시트에 유액이 적셔 있는 시트 타입 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 워시오프 타입 팩은 팩제를 바르고 마른 후 세안으로 내용물을 제거할 수 있어서 자극이
적고, 사용이 편리하며, 모공 노폐물 제거 및 각질 케어 기능이 뛰어나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팩 제형의 하
나이다. 그러나 이러한 워시오프형 팩은 제형 안정도가 좋지 않아서 효능을 나타내는 성분의 사용량에 한계가
있거나, 고온 또는 냉온에서 물이 생기는 등의 구조적인 불안 등의 문제도 발생한다.

[0005] 종래의 점토(클레이)/머드팩은 피부에 바른 후 마르면 씻어내는 워시오프 타입이 대부분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로부터 일정량을 취해 손을 이용하여 얼굴 등에 펴서 발랐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점토팩은 사용시
손에 묻어나는 불편함과 불규칙한 발림성 등의 문제가 있었다.

[0006]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2096009호는 스틱 타입의 클레이팩을 개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사용시 손에 묻어나지 않고


피지 흡착 효과가 우수하였으나, 오일이 포함되어있지 않아 보습력이 부족하고, 클레이와 같은 파우더 성분들이
고루 분산되지 않으며, 소듐스테아레이트로 인해 발수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0007]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고형화
제가 함유된 조성물에 벌킹제, 특정 성분의 유상경도 형성제 및 유화안정제를 특정 비율로 첨가시킬 경우, 조성
물을 수중유형으로 안정화시킴으로서, 보습력, 보존 경도 안정도, 발림성 및 건조속도가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4-
공개특허 10-2022-0035614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08]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존 경도 안정도, 보습력, 발림성 및 건조속도가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
크 화장료 조성물 및 이로 제조된 클레이 마스크용 수중유형 유화 스틱을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09]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듐스테아레이트, 유상 경도 형성제, 수상 경도 형성제, 유화안정제,
벌킹제, 유상부, pH 조절제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상 경도 형성제는 폴리에틸렌 왁스, 파라핀 및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이고, 유화안정제는 마
이크로 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
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0010]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스테아레이트 1~10중량%, 유
상 경도 형성제 1~5중량%, 수상 경도 형성제 0.1~10중량%, 유화안정제 0.3~5중량%, 벌킹제 0.1~30중량%, 유상부
1~30중량%, pH 조절제 1~10중량% 및 수상부 잔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상 경도 형성제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왁스, 파라핀 및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의
혼합비(중량%)는 40~60:35~55:2~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상 경도 형성제는 디스테아레스-100 IPDI (disteareth-100 IPDI)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

[0013]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화안정제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검의 혼합비(중
량%)는 10~20: 80~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벌킹제는 카올린, 티타늄디옥사이드, 징크, 피브이피 및 실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
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식물성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
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6]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극완화제는 모란뿌리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
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7]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는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라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8]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 및 보습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9]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은 자극 완화제, 알코올류, 스킨 컨
디셔닝제, 보존제, 착색제, 착향제, 분말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미용영양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0]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 클레이 마스크용 수중유형
유화 스틱을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0021]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고형
화제가 함유된 조성물에 벌킹제, 특정 성분의 유상경도 형성제 및 유화안정제를 특정 비율로 첨가시켜, 조성물
을 수중유형으로 안정화시킴으로써, pH 및 수분감량에 대한 안정도가 우수하고, 발림성 및 건조속도 또한 우수
하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5-
공개특허 10-2022-0035614

[0022] 본 발명에서는 (a)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b) 폴리에틸렌 왁스, 파라핀 및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로 구성된 유상 경도 형성제; (c) 수상 경도 형성제; (d)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검
으로 구성된 유화안정제; (e) 벌킹제; (f) 유상부; (g) pH 조절제 및 (h) 수상부가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
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 제형의 pH가 안정화되고, 제형의 내구성(경도, 발한성)도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0023] 본 발명에서는, 고형화제로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유상 경도 형성제로 폴리에틸렌 왁스, 파라핀


및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유화안정제로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검을 포함하는 수중
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품의 안정성(발한성), 피부 자극성 및 제형 사용
감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제품의 안정성(발한성), 피부 자극성 및 제형 사용감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0024]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소듐스테아레이트, 유상 경도 형성제, 수상 경도 형성제, 유화안정제, 벌킹제,


유상부, pH 조절제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상 경도 형성제는 폴리에틸렌 왁스, 파라핀 및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이고, 유화안정제는 마이크로 크리스
탈린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0025]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는 제형의 고형화를 위한 것으로서, 전체 조성물중


1~10중량%,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듐스테아레이트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고형화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도가 지나치게 딱딱하여 사용감이 나쁘거나 PH가 높아서
제품의 안정성이 낮고, 피부 자극도가 높아 제품의 안전성도 낮다.

[0026] 본 발명에 있어서, 경도 형성제는 제형의 경도를 유지시키고, 스웨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수상 경
도 형성제는 디스테아레스-100 IPDI (disteareth-100 IPDI)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유상 경도 형성제로는 폴리
에틸렌 왁스, 파라핀 및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27] 전체 조성물 중 수상 경도 형성제는 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3중량%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벗어날 경


우에는 발림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거나, 스틱형태의 제형자체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0028] 상기 유상 경도 형성제를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왁스, 파라핀 및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의 혼합비(중량%)는
40~60:35~55:2~8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비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경도가 높아져 발림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스웨팅현상이 두드러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0029] 전체 조성물 중 유상 경도 형성제는 1~5중량%, 바람직하게는 1~4중량%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벗어날 경우에는
발림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거나, 스틱형태의 제형자체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0030] 전체 조성물중 유화안정제는 0.3~5중량%, 바람직하게는 0.5~3중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안정제가 0.3중량
% 미만인 경우에는 분산안정도가 좋지 않으며 스웨팅 현상이 심화될 우려가 있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사
용감 및 발림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오히려 파우더 뭉침 현상 및 고온에서 점도가 상승하여 충전시 어려운 문
제가 있다. 상기 유화안정제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 및 셀룰로오스검의 혼합비(중량%)는
10~20: 80~90인 것이 바람직하다.

[0031] 본 발명에 있어서, 벌킹제는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진정 및 피지 관리효과를 위한 것으로서, 카올린, 티타늄디
옥사이드, 징크, 피브이피, 실리카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032] 전체 조성물중 벌킹제는 0.1~30중량%, 바람직하게는 10~18중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벌킹제가 0.1중량% 미만
인 경우에는 수분증발이 심화되고 사용시 건조되는 속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분산이 어렵고 사용감 및 발림성이 좋지 않으며 충전시 점도가 높아 제형 형성에 문제가 있다.

[0033] 본 발명에 있어서, 유상부는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식물성 오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0034]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로는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이소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Isocetyl


Ethylhexanoate),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Isocetyl myristat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Neopentyl glycol dicaprat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옥타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octanonate),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Isononyl isononanoate)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로는 유동파라핀, 바세린, 이소파라핀류 등의 석유계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합성 스쿠알란, 폴리부텐 등의 합성계 오일, 식물성 스쿠알렌 등의 식물계 오일을 예시할 수 있다.

-6-
공개특허 10-2022-0035614

상기 식물성 오일로는 올리브유(Oliver oil), 메도폼유(Medowfoam oil), 로즈힙오일(Rosehip oil), 아보카도유


(Avocado oil), 동백유(Camellia oil), 마카데미아너트오일 (Macademia nut oil), 피마자유(Caster oil), 호호
바유(Jojoba oil), 코코넛유(coconut oil), 팜오일(palm oil) 및 이들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예를들면 카프릴릭
/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035] 상기 유상부는 전체 조성물중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1~10중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상부의 함량이 1중량
% 미만인 경우에는 용매로서의 역할이 어려우며, 제품 사용시 수분 보유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30중
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정제수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유화가 되지 않고 분리가 되며 필요이상의 오일
함량으로 인해 피부 트러블이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다.

[0036]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고형화제인 소듐스테아레이트는 pH가 높기 때문에 제형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pH 조절제
를 이용하여, 조성물의 pH를 7.0~9.0으로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살리실릭애씨드, 소듐
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라이드 혼합물을 pH 조절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H 조절제는 전체 조
성물중 1~10중량%, 바람직하게는 3~6중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거나 10중량
%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형의 제형이 무너져 제품의 안정성의 문제가 생기거나 피부 자극도가 높아져 제품의 안
전성의 문제가 생길 뿐만 아니라 경도가 너무 높아져 발림성이 현저하게 나빠질 수 있다..

[0037] 또한, 상기 pH 조절제를 구성하는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라이드의 혼합비(중량%)는


6.0~7.2 : 4.5~5.4 : 89.5~87.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H 조절제를 구성하는 3개의 성분중 1개라도 누락
되거나 혼합비를 벗어날 경우에는 고온에서 제형이 무너지거나 스웨팅 현상, 피부자극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
다.

[0038]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부는 정제수 및 보습제를 포함 할 수 있다. 보습제는 전체 조성물중 0.1중량%~30%중량%
사용할 수 있으며, 정제수는 소듐스테아레이트, 유상 경도 형성제, 수상 경도 형성제, 유화안정제, 벌킹제, 유
상부, pH 조절제의 함량에 따라 전체 조성물이 100중량%가 되는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0039] 상기 보습제로는 메틸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에틸헥실글리세린, 1,2-헥산


다이올, 솔비톨,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히알루론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04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은 자극 완화제, 알코올류, 스킨 컨디
셔닝제, 보존제, 착색제, 착향제, 분말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미용영양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추가로 포
함할 수 있다.

[0041] 상기 스킨 컨디셔닝제로는 나이아신아마이드, 금속이온봉쇄제로는 다이소듐이디티에이, 자극완화제로는 모란뿌


리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병풀 추출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미용영양제로는 아데노신, 비타민 C 유도체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042]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수중유형 유화 스틱형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 클레이 마스크용 수중
유형 유화 스틱에 관한 것이다.

[0043] 본 발명의 클레이 마스크용 수중유형 유화 스틱은 보존 경도 안정도가 높고, 발림성과 보습력 및 피부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0044] [실시예]

[0045]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
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0046]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 수분 스틱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의 제조

[0047]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에 따라, 수상비이커에 마이크로크리스탈린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검 및 피브이


피를 70℃로 가열한 정제수에 투입하여 10분간 호모믹싱(homomixing)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다시 수상 비이
커를 90℃까지 가열하여 소듐스테아레이트,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소듐클로라이드를 투입하여
100rpm으로 서서히 패들믹서를 이용해 용해 및 혼합하였다. 완전히 용해 시킨 후 메틸프로판다이올, 부틸렌글라
이콜, 1,2-헥산다이올,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모란뿌리추출물(제조사 : radiant), 다이스테아레스-100 IPDI 및
정제수를 투입하면서 믹서를 100rpm으로 하여 교반하였다. 유상비이커에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폴리에틸렌, 파란핀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를 투입하고 9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 시켰다. 다음으로 수

-7-
공개특허 10-2022-0035614

상 비이커의 내용물에 유상비이커의 내용물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100rpm 이상, 5분간 호모믹싱(homomixing)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카올린,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티아이오투, 실리카를 투입하여 100rpm 이상
5분간 호모믹싱(homomixing) 하였다. 그리고 완전히 용해 분산된 것을 확인한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고형화된
클레이 마스크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표 1
[0048] 구분 주요성분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고형화제  소듐스테아레이트 2.8 2.8 2.8 2.8 2.8 2.8 2.8 2.8 2.8
PH조절제 살리실릭애씨드 0.28 0.28 0.28 0.28 0.28 0.28 0.28 0.28 0.28
소듐시트레이트 0.21 0.21 0.21 0.21 0.21 0.21 0.21 0.21 0.21
소듐클로라이드 3.71 3.71 3.71 3.71 3.71 3.71 3.71 3.71 3.71
벌킹제 카올린 16 16 16 16 16 16 16 16 16
다이아이소스테아릴 0.5 0.5 0.5 0.5 0.5 0.5 0.5 0.5 0.5
말레이트
티아이오투 0.5 0.5 0.5 0.5 0.5 0.5 0.5 0.5 0.5
실리카 1 1 1 1 1 1 1 1 1
피브이피 2 2 2 2 2 2 2 2 2
유상부 카프릴릭/카프릭트라 2 2 2 2 2 2 2 2 2
이글리세라이드
수상 경도 다이스테아레스-100 0.7 0.7 0.7 0.7 0.7 0.7 0.7 0.7 0.7
형성제 아이피디아이
유상 경도 폴리에틸렌 1 1.2 2.9 1 1 5 - - 5
형성제 파라핀 0.9 1.5 1.8 0.9 0.9 0.9 - 0.9 2.7
마이크로크리스탈린 0.1 0.1 0.3 0.1 0.1 0.1 - 0.1 0.3
왁스
수상부 정제수 to to to to to to to to to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메틸프로판다이올 6 6 6 6 6 6 6 6 6
부틸렌글라이콜 3 3 3 3 3 3 3 3 3
1,2-헥산다이올 2 2 2 2 2 2 2 2 2
첨가제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모란뿌리추출물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유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0.065 0.26 0.39 - 0.78 0.78 - 0.26 0.26
안정제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검 0.435 1.74 2.61 - 5.22 5.22 - 1.74 1.74

[0049] 시험예 1 : 경도 테스트

[0050]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및 6의 화장료 조성물의 표면 경도를 Rheometer 기기를 통해 측정한 결과를 하
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경도 측정은 제조후 25℃에서 하루동안 보관한 후에 실시하였으며, 15mm 직경의 어댑터
를 사용하여 5cm/min의 속도로 1cm 깊이로 측정하였다.

표 2
[005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6
상대경도 1008 1052 1015 992 1102 1836 1512
절단강도(g/f) 68 95 85 82 96 200 150

[0052] 시험예 2 : 안정성 평가

[0053] 안정성 평가는 실온, 35℃, 45℃에서 단기간으로 2일, 5일, 10일, 20일과 장기간으로 3개월까지 보관한 후 제품
의 상태를 관찰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아래 평가기준으로 스틱 제형 시료 표면의 발한 현상을 육안
관찰하여 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상태가 매우 양호하면 ◎, 양호하면 ○, 보통이면
△, 불량하면 X로 표시하였다.

-8-
공개특허 10-2022-0035614

표 3
[0054]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 3 비교예 6
발한성 실온 ◎ ◎ ◎ ○ △ ○ ◎
35°C ○ ◎ ◎ X X ○ ◎
45°C

○ ◎ ◎ X X ○ ◎

[0055]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정함량의 유화안정제를 혼합하여 사용 처방한 화장료가 안정성에 있어서 매
우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0056] 시험예 3 : 제형 사용감 평가

[0057]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료를 사용하여 제품을 제조한 후, 20-50세 여성 100명의 패널이 관능 평
가로 O/W 수분 머드 스틱 제형의 수분감, 사용감 및 클렌징력 정도를 판정하였다. 이때, 사용감 평가 점수는 매
우 우수하면 5점, 우수하면 3점, 보통이면 0점, 나쁜 경우에는 -3점, 매우 나쁜 경우에는 -5점으로 표시하였다.
각 개인별의 평가 점수에 대해 아래의 식과 같은 수식에 의해 평점을 산출하여 하기 표 4에 최종 결과를 나타내
었다.

표 4
[0058]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6
수분감 4.1 4 3.4 3.6 1.9 2.2 2.2
발림성 4 3.2 3.9 3.3 3.2 0.5 -2.2
클렌징력 3.9 4 3.3 2.8 2.4 3.5 3
피지 흡착 3.9 4.2 4 2.9 3.2 1.2 1.1

[0059]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3이 모든 항목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 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카올린
및 기타 파우더 원료의 분산이 더 잘된 경우 피지 흡착 효과가 우수하고 세정력도 좋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유화안정제와 유상성분 및 유상 경도 형성제의 함유량이나 함유 여부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비교예 1의 경우에는 유화안정제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인해 분산 안정도가 떨어져 발림성이나 피지 흡착능이 떨
어진 것으로 평가되었고, 비교예 2의 경우에는 과량의 유화안정제가 포함되어 오히려 분산능이 떨어지며
수분감, 발림성 및 클렌징력에도 나쁜 평가를 받았다. 비교예 3은 과량의 유상 경도 형성제로 인해 경도가 너무
딱딱하여 발림성이 현저히 떨어졌고, 비교예 4의 경우에는 유상경도형성제가 포함되지 않아 경도를 형성하지 못
하여 스틱제형으로 만들지 못하여 평가하지 못하였고, 비교예 5의 경우에도 유상경도형성제의 함량이 부족하여
스틱제형으로 구현이 불가능하였다. 비교예 6은 유상경도형성제에서 파라핀의 함량이 높고 폴리에틸렌의 함량이
낮을 경우 끈적이는 사용감과 높은 경도로 인해 각 항목인 수분감, 발림성, 피지흡착능 모두 현저하게 낮은 점
수를 받았다.

[0060]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
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9-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