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

등록특허 10-2066979

등록특허 10-2066979

(19) 대한민국특허청(KR) (45) 공고일자 2020년01월15일


(11) 등록번호 10-2066979
(12) 등록특허공보(B1) (24) 등록일자 2020년01월10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3) 특허권자
A61K 8/02 (2006.01) A61K 8/368 (2006.01)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A61K 8/37 (2006.01) A61K 8/9789 (2017.01)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35 (서린동)
A61Q 19/00 (2006.01) (72) 발명자
(52) CPC특허분류 안수은
A61K 8/0229 (2013.01) 경기도 김포시 태장로 845 한강센트럴자이1단지
A61K 8/368 (2019.05) 112동 1805호
(21) 출원번호 10-2019-0054731
김원종
(22) 출원일자 2019년05월10일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진재로 67 세원느티마을
심사청구일자 2019년05월10일 아파트 104동 804호
(56) 선행기술조사문헌 (뒷면에 계속)
KR101191606 B1* (74) 대리인
KR1020030068040 A* 특허법인(유한) 해담
KR1020120039205 A*
네이버블로그
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nodoubt19
78&logNo=221225085198 (2018.03.09. 공개)*
*는 심사관에 의하여 인용된 문헌

전체 청구항 수 : 총 6 항 심사관 : 조수익


(54) 발명의 명칭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57) 요 약
본 발명은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 안정성 및 피부 안정성이 우수한 수
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고형화제, 수상 경도 형성제, pH 조절제, 유화제, 자극 완화제, 유

(뒷면에 계속)
대 표 도 - 도1

-1-
등록특허 10-2066979

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형화제는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이고, 상기 수상 경도 형성제는 디스테아레스-100 IPDI (disteareth-100 IPDI)이며, 상기 pH 조절제가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라이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디스테아레스-100 IPDI 수상경도 형성제를 수상에 투입하였기 때문
에, 보존 경도 안정도가 높고,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라이드가 특정 비율로 혼합된 pH 조
절제를 사용함으로써, pH가 안정화되고, 제형의 내구성(경도, 스웨팅)이 우수하며, 자극 완화제에 의한 피부 안
정성 효과 또한 우수하다.
(52) CPC특허분류 소태섭
A61K 8/37 (2013.01) 경기도 부천시 조마루로 135 포도마을삼보,영남아
A61K 8/9789 (2017.08) 파트 812동 1503호
A61Q 19/00 (2013.01)
(72) 발명자
이기용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로86번길 6-7, 3층

-2-
등록특허 10-2066979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고형화제, 수상 경도 형성제, pH 조절제, 유화제, 자극 완화제, 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분 스틱형 화장


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형화제는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이고, 상기 수상 경도 형성제는 디스
테아레스-100 IPDI (disteareth-100 IPDI)이고, 상기 pH 조절제는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
라이드가 6.0~7.2 : 4.5~5.4 : 89.5~87.4 혼합비(중량%)로 혼합된 혼합물이고, 상기 자극완화제는 모란뿌리 추
출물이며, 상기 고형화제는 1~8중량%, 수상 경도 형성제는 0.1~5중량%, pH 조절제는 1~10중량%, 유화제는
0.1~15중량%, 자극 완화제는 0.01~5중량%, 유상부는 0.01~30중량%, 수상부는 잔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2

삭제

청구항 3

삭제

청구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폴


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피이지-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 다이메티
콘, 세틸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2 다이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디이
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
이트, 피이지/피피지-19/19 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치콘, 피이지-9 폴리디메칠실록
시에칠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10 트리스(트리메칠실록시)실릴에칠디메치콘, 및 피이지/피피지-18/18디메치콘으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5

삭제

청구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향료,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식물성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 및 보습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컨디셔닝제, 보존제, 착색제, 착향제, 분말제, 금속이
온봉쇄제 및 미용영양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3-
등록특허 10-2066979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청구항 9

제1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의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 수분 스틱형 화장품.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0001] 본 발명은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품 안정성 및 피부 안정성이 우수한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 경 기 술
[0002] 피부의 습기를 유지하고, 여러 가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지키는 배리어 기능을 유지하는 것은 스킨 케어의 기
본이다.

[0003] 건조한 피부에 수분을 보급하는 수단으로서 미스트 화장료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미스트 화장료는 건조
한 피부에 분무함으로써 손쉽게 수분 보급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분무 가능한 액상 화장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수용용기가 필요하므로,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용의 소형 용기에 수용한
미스트 화장료도 있지만, 미스트의 막힘이나 점도 상승에 의한 디스펜서에서의 흡입 저해를 회피하기 위해서 유
분, 특히 고형 유분의 배합량이 제한되고, 그 결과로서 보습 효과의 지속성이 한정되어 있었다.

[0004] 한편, 스틱형상 화장료는 고형이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여 휴대하기 편리하다. 현재, 피부에 적용되는 스틱
형상 화장료로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스틱 파운데이션이다.

[0005] 스틱형상 화장료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 피부에 직접 도포하는 것이므로 도포 시의 매끈매끈한 발림과 적절한
경도가 요구된다. 경도가 지나치게 낮으면 도포 시에 무너져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경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발림이 나빠 도포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경시적으로 조성 및 형상이 변화되지 않는 안정성도
구비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0006] 한국공개특허 제2018-0123080호는 (a) 부분 가교형 폴리에터 변성 실리콘 및 부분 가교형 폴리글리세린 변성 실


리콘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 : 0.1~4질량%, (b) 왁스 : 1~10질량%, (c) 수성 성분 : 30질량% 이상을 함유하
는 스틱 형상 화장료를 개시하였고, 한국공개특허 제2018-0047530호는 비누화(saponification) 반응을 통해 고
형화되며, 강염기 및 지방산을 1 : 2 ~ 10 의 함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였다.

[0007] 그러나, 종래 특허들은 보존 경도의 안정화나 pH를 고려한 피부의 안정화에 대한 고려가 배제되어 있으므로, 제
품 안정성 및 피부 안정성이 모두 우수한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0008]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고형화
제; 디스테아레스-100 IPDI(disteareth-100 IPDI) 수상 경도 형성제; 및 천연물 자극 완화제를 이용할 경우, 보
존 경도 안정도 및 피부 안정도가 우수한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
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발명의 내용

해결하려는 과제
[0009]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존 경도 안정도, 제형의 내구성 및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한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
물 및 이로 제조된 수분 스틱형 화장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0010]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형화제, 수상 경도 형성제, pH 조절제, 유화제, 자극 완화제, 유상
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형화제는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4-
등록특허 10-2066979

stearate)이고, 상기 수상 경도 형성제는 디스테아레스-100 IPDI (disteareth-100 IPDI)이며, 상기 pH 조절제


가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라이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
물을 제공한다.

[001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고형화제 1~8중량%, 수상 경도 형성제 0.1~5중량%, pH 조
절제 1~10중량%, 유화제 0.1~15중량%, 자극 완화제 0.01~5중량%, 유상부 0.01~30중량% 및 수상부 잔량을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pH 조절제를 구성하는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라이드의 혼합비(중


량%)는 6.0~7.2 : 4.5~5.4 : 89.5~87.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3]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폴리글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피이지-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 다이메
티콘, 세틸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2 다이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디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
에이트, 피이지/피피지-19/19 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치콘, 피이지-9 폴리디메칠실
록시에칠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10 트리스(트리메칠실록시)실릴에칠디메치콘, 및 피이지/피피지-18/18디메치콘
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4]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자극 완화제는 모란뿌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5]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상부는 향료,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및 식물성 오일로 구성된 군으로부
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6]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상부는 정제수 및 보습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7]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컨디셔닝제, 보존제, 착색제, 착향제, 분말제, 금속
이온봉쇄제 및 미용영양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8]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 수분 스틱형 화장품을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0019]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디스테아레스-100 IPDI 수상경도 형성제를 수상에 투입하였기 때
문에, 보존 경도 안정도가 높고,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라이드가 특정 비율로 혼합된 pH
조절제를 사용함으로써, pH가 안정화되고, 제형의 내구성(경도, 스웨팅)이 우수하며, 자극 완화제에 의한 피부
안정성 효과 또한 우수하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0020]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고형화 제형의 피부 자극성을 평가한 결과 사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21] 본 발명에서는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고형화제; 디스테아레스-100 IPDI(disteareth-100 IPDI) 수
상 경도 형성제;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라이드가 특정 비율로 혼합된 pH 조절제; 및 모란
뿌리 추출물 자극 완화제가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경우, 제형의 pH가 안정화되고, 제형의 내구성
(경도, 스웨팅)이 향상되며, 피부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0022] 본 발명에서는, 고형화제로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수상 경도 형성제로 디스테아레스-100 IPDI;


pH 조절제로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라이드 혼합물; 자극 완화제로 모란뿌리 추출물을 포
함하는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제품의 안정성(스웨팅), 피부 자극성 및 제형 사용감을 평가하
였다. 그 결과 고형화제로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수상 경도 형성제로 디스테아레스-100 IPDI; pH
조절제로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라이드 혼합물; 자극 완화제로 모란뿌리 추출물을 포함하
는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제품의 안정성(스웨팅), 피부 자극성 및 제형 사용감이 우수하다
는 것을 확인하였다.

[0023]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고형화제, 수상 경도 형성제, pH 조절제, 유화제, 자극 완화제, 유상부 및 수

-5-
등록특허 10-2066979

상부를 포함하는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형화제는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이


고, 상기 수상 경도 형성제는 디스테아레스-100 IPDI (disteareth-100 IPDI)이며, 상기 pH 조절제가 살리실릭애
씨드, 소듐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라이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
다.

[0024]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형화제는 제형의 고형화를 위한 것으로서,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를 사


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듐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는 전체 조성물중 1~8중량%, 바람직하게는 2~6
중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듐스테아레이트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고형화 효과가 미미하고, 8중
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도가 지나치게 딱딱하여 사용감이 나쁘거나 pH가 높아서 제품의 안정성이 낮고, 피부
자극도가 높아 제품의 안전성도 낮아질 우려가 있다.

[0025] 소듐스테아레이트는 pH가 높기 때문에 제형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pH 조절제를 이용하여, 조성물의 pH를
7.0~9.0으로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라이
드 혼합물을 pH 조절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H 조절제는 전체 조성물중 1~10중량%, 바람직하
게는 4~6중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거나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형의
제형이 무너져 제품의 안정성의 문제가 생기거나 피부 자극도가 높아져 제품의 안전성의 문제가 생긴다.

[0026] 또한, 상기 pH 조절제를 구성하는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및 소듐클로라이드의 혼합비(중량%)는


6.0~7.2 : 4.5~5.4 : 89.5~87.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H 조절제를 구성하는 3개의 성분중 1개라도 누락
되거나 혼합비를 벗어날 경우에는 고온에서 제형이 무너지거나 스웨팅 현상, 피부자극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
다.

[0027]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 경도 형성제는 제형의 경도를 유지시키고, 스웨팅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체 조
성물중 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5~3중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상 경도 형성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
인 경우에는 보존 경도 안정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수상 경도를 보조하는 그 이상의 단단
한 경도로 인해 사용감이 뻑뻑해지고 또한 피부 자극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0028]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상 경도 형성제는 디스테아레스-100 IPDI (disteareth-100 IPDI)인 것을 특징으로 한


다.

[0029]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제는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폴리글리세릴-10 미리스테이트, 폴리글
리세릴-10 라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피이지-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피이지-10 다이메티콘,
세틸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폴리글리세릴-2 다이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디이소스
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 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3 폴리리시놀리에이트,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피이지/피피지-19/19 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9 폴리디메틸실록시에틸디메치콘, 피
이지-9 폴리디메칠실록시에칠디메치콘, 라우릴피이지-10 트리스(트리메칠실록시)실릴에칠디메치콘, 및 피이지/
피피지-18/18디메치콘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화제는 전체 조성물중 0,1~15중량
%,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사용할 수 있다.

[0030] 본 발명에 있어서 자극 완화제는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모란뿌리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은 모란뿌리를 마쇄시킨 후, 유기용매 또는 물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 에테르, 벤젠, 톨루엔 등의 무극성 용매;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메틸렌클로라이드 등의 중간극성 용매를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
는 것은 아니다.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 등의 유기용매 또는 물에 모란뿌리를 침지, 중탕, 증류시켜 추출하거나
초임계 추출 또는 마이크로파 추출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여과 및 농축과정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0031] 상기 자극 완화제는 전체 조성물중 0.01~5중량%%, 바람직하게는 0.01~2중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극 완화제


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자극 완화
효과가 일정 이상 좋아지지는 않으므로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0032] 본 발명에 있어서, 유상부는 향료,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식물성 오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0033] 상기 향료는 합성향료, 천연향료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로는 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hexanoate), 이소세틸 에틸헥사노에이트(Isocetyl Ethylhexanoate), 이소세틸 미리스테이트(Isocetyl
myristate),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네오펜틸 글리콜 디카프레이트(Neopentyl glycol
dicaprat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트리에틸헥사노인(Triethylhexanoin),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옥
타노에이트(Pentaerythrityl tetraoctanonate), 에틸헥실 팔미테이트(Ethylhexyl palmitate), 이소노닐 이소노

-6-
등록특허 10-2066979

나노에이트(Isononyl isononanoate)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로는 유동파라핀, 바세린, 이소


파라핀류 등의 석유계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합성 스쿠알란, 폴리부텐 등의 합성계 오일, 식물성
스쿠알렌 등의 식물계 오일을 예시할 수 있으며, 상기 식물성 오일로는 올리브유(Oliver oil), 메도폼유
(Medowfoam oil), 로즈힙오일(Rosehip oil), 아보카도유(Avocado oil), 동백유(Camellia oil), 마카데미아 너
트오일 (Macademia nut oil), 피마자유(Caster oil), 호호바유(Jojoba oil)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0034] 상기 유상부는 전체 조성물중 0.01~30중량%, 바람직하게는 0.5~15중량%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상부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보습류의 함량이 적어져, 피부 보습효과가 저하될 수 있으며, 30중량%를 초과할 경
우에는 필요이상의 유분에 인해 피부 트러블이 생길 수가 있다.

[0035] 본 발명에 있어서, 수상부는 정제수 및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습제는 전체 조성물중 0.1~30중량% 사용할
수 있으며, 정제수는 고형화제, pH 조절제, 수상 경도 형성제, 유화제, 자극 완화제, 유상부 및 보습제의 함량
에 따라 전체 조성물이 100중량%가 되는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0036] 상기 보습제로는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라이콜, 솔비톨, 디프로필렌글라이콜, 히알루론산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0037]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컨디셔닝제, 보존제, 착색제, 착향제, 분말제, 금속이
온봉쇄제, 미용영양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0038] 상기 스킨 컨디셔닝제로는 에틸헥실글리세린, 1,2-헥산다이올, 나이아신아마이드, 아데노신, 금속이온봉쇄제로


는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등을 예시할 수 있고, 미용영양제로는 비타민 C 유도체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
정되는 것은 아니다.

[0039]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수분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된 수분 스틱형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0040] 본 발명의 수분 스틱형 화장품은 수분 토너 스틱, 수분 로션 스틱, 데오드란트 스틱, 향수 스틱, 보습스틱, 고
마쥬 스틱, 파운데이션 스틱, 수분 립스틱, 유화 스틱, 가용화 스틱 등의 제형을 예시할 수 있으니 이에 한정되
는 것은 아니다.

[0041] 본 발명의 수분 스틱형 화장품은 보존 경도 안정도가 높고, 피부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0042] [실시예]

[0043]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
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0044] 실시예 1∼5 : 고형화 제형의 제조

[0045]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에 따라, 수상 비이커에 소듐스테아레이트, 살리실릭애씨드, 소듐시트레이트,


소듐클로라이드를 정제수에 투입하여 90℃로 가열하면서 100rpm으로 서서히 패들믹서를 이용해 혼합하였다. 완
전히 용해시킨 후, 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나이아신아마이드, 1,2-헥산다이올, 아데노신, 다이소듐이디티에
이, 모란뿌리 추출물(제조사: radiant), 에틸헥실글리세린, 디스테아레스-100 IPDI 및 정제수를 투입하면서 믹
서를 100rpm으로 하여 교반하였다. 유상 비이커에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및 합성향료(제조
사: kimex)를 투입하고, 5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다음으로 수상 비이커의 내용물에 유상 비이커의
내용물을 서서히 투입하면서 100rpm 이상, 5분 동안 호모믹싱(homomixing)하여 균일하게 혼합시킨 후 혼합된 혼
합물을 탈기한 후 여과하여 80℃를 유지하여 밀폐용기에 붓고 냉각하여 고형화 제형을 제조하였다.

표 1
[0046] 구분 주요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고형화제 소듐스테아레이트 3.2 8 3.2 1 3.2
pH 조절제 살리실릭애씨드 0.32 0.32 0.32 0.32 0.32
소듐시트레이트 0.24 0.24 0.24 0.24 0.24
소듐클로라이드 4.24 4.24 4.24 4.24 4.24
유상부 합성향료 0.5 0.5 0.5 0.5 0.5
유화제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 4 4 4 4 4
이티드 캐스터오일

-7-
등록특허 10-2066979

수상 경도 디스테아레스-100 IPDI 2 2 5 2 0.1


형성제
수상부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6 6 6 6 6
글리세린 10 10 10 10 10
1,2-헥산다이올 1 1 1 1 1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0.05 0.05 0.05 0.05
첨가제 나이아신아마이드 2 2 2 2 2
아데노신 0.04 0.04 0.04 0.04 0.04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자극 완화제 모란뿌리 추출물 0.01 0.01 0.01 0.01 0.01
마치현 추출물 - - - - -
병풀 추출물 - - - - -

[0047] 비교예 1~9: 고형화 제형의 제조

[0048] 하기 표 2에 나타낸 성분과 조성에 따라, 상기 실시예 1~5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형화 제형을 제조하였다.

표 2
[0049] 구분 주요성분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9
고형화제 소듐스테아레이트 3.2 3.2 3.2 3.2 3.2 13 0.1 3.2 3.2
pH 조절제 살리실릭애씨드 - 0.32 0.32 0.32 0.32 0.32 0.32 0.1 0.32
소듐시트레이트 - 0.24 0.24 0.24 0.24 0.24 0.24 3.2 0.24
소듐클로라이드 - 4.24 4.24 4.24 4.24 4.24 4.24 1.5 4.24
유상부 합성향료 0.5 0.5 0.5 0.5 0.5 0.5 0.5 0.5 0.5
유화제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 4 4 4 4 4 4 4 4 4
이티드 캐스터오일
수상 경도 디스테아레스-100 IPDI 2 - 2 2 2 2 2 2 7
형성제
수상부 정제수 to to 100 to 100 to 100 to to to to 100 to 100
100 100 100 100
부틸렌글라이콜 6 6 6 6 6 6 6 6 6
글리세린 10 10 10 10 10 10 10 10 10
1,2-헥산다이올 1 1 1 1 1 1 1 1 1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첨가제 나이아신아마이드 2 2 2 2 2 2 2 2 2
아데노신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자극 완화 모란뿌리 추출물 0.01 0.01 - - - 0.01 0.01 0.01 0.01
제 마치현 추출물 - - - 0.05 - - - - -
병풀 추출물 - - - - 0.05 - - - -

[0050] 시험예 1 : 안정성 평가

[0051] 안정성 평가는 -15℃, 5℃, Cycle(1일씩 45℃, -10℃, 25℃), 실온, 40℃, 50℃에서 단기간으로 2일, 5일, 10
일, 20일과 장기간으로 3개월까지 보관한 후 제품의 상태를 관찰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아래 평가기
준으로 고형화 제형 시료 표면의 발한 현상을 육안 관찰하여 안정성을 평가하고, 3개월 보관 후 결과를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0052] <평가기준>

[0053] 상태가 매우 양호하면 ◎, 양호하면 ○, 보통이면 △, 불량하면 X로 표시함

표 3
[0054] 발한성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15℃ ◎ ○ ○ ○ ○

-8-
등록특허 10-2066979

5℃ ◎ ◎ ○ ○ ◎
Cycle(1일씩 45℃,-10 ◎ ○ ○ ○ ○
℃, 25℃)
실온 ◎ ◎ ◎ ○ ◎
40℃ ◎ ◎ ◎ ○ ○
50℃ ◎ ○ ○ ○ ○

[0055]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듐스테아레이트, 수상 경도 형성제 및 pH 조절제의 함량을 최적의 범위로 혼합하여
사용한 실시예 1~5는 안정성이 매우 양호하였다.

표 4
[0056] 발한성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15℃ X X ○ △ △ X X X X
5℃ △ ○ ○ ○ ○ △ X X ○
Cycle(1일씩 45 X △ ○ ○ ○ X X X X
℃,-10℃, 25℃)
실온 △ ○ ◎ ◎ ◎ △ X X △
40℃ △ △ ○ ○ ○ X X X △
50℃ X ○ ○ ○ ○ X X X X

[0057]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듐스테아레이트, 수상 경도 형성제 또는 pH 조절제의 함량이 특정 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1~2 및 비교예 6~9는 안정성이 보통이거나 불량인 것을 알 수 있었다.

[0058] 즉, 제형의 안정성은 주로 소듐스테아레이트, 수상 경도 형성제의 함량 및 pH 조절제의 적정 비율 함량이 주 역


할을 하므로, 적정 함량이 들어간 비교예 3~5는 안정성이 보통이지만, pH 조절제의 비율이 다른 비교예 1 및 8
의 경우 안정성이 확연이 떨어지고, 소듐스테아레이트의 함량이 많거나 적은 비교예 6 및 7의 경우에도 확연히
안정성이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0059] 또한 디스테아레스-100 IPDI의 함량이 0.1~5중량%를 벗어난 비교예 2 및 9의 경우, 제품 표면으로 심한 스웨팅
이 보이면서 안정성이 확연히 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0060] 시험예 2 : 피부 자극성 평가

[0061] 실시예 1~5 및 비교예 1~9에 따라 제조된 고형화 제형의 피부자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 시험 대상자 30명
을 대상으로 패치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각각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왼쪽 팔 안쪽에 내용물을 묻힌
패치를 24시간 부착한 후 떼어 냈을 때, 사용 이전과 비교하여 피부의 변화(전체 붉어짐, 부분 붉은 점 등)을
확인 하여 피부가 사용 이전과 차이가 거의 없을 시 O, 부분 붉어짐이 있을 시 △, 전체 붉어짐이 있을 시 X로
표시하였다.

표 5
[0062]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피부자극 ○ ○ ○ ○ ○

[0063]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극 완화제로 모란뿌리 추출물을 사용한 실시예 1~5는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하
였다.

표 6
[006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피부자극 △ ○ X X X △ ○ △ △

[0065]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극 완화제로 모란뿌리 추출물을 사용한 비교예 2 및 7은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우
수하였으며, 비교예 1, 6, 8 및 10의 경우에는 모란뿌리 추출물이 함유되었어도 소듐스테아레이트, pH 조절제
또는 디스테아레스-100 IPDI의 함량이 최적 사용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피부 자극도가 높게 나왔음을 알 수 있

-9-
등록특허 10-2066979

었다. 즉, 비교예 6은 소듐스테아레이트의 함량이 높았고, 비교예 1 및 비교예 8은 pH 조절제를 사용하지 않거


나 함량범위가 벗어났으며, 비교예 10은 디스테아레스-100 IPDI의 함량이 높았기에 피부 자극도가 높았다.

[0066] 또한, 화장품 제조시 피부 자극 완화제로 널리 사용되는 마치현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사용한 비교예 2 및 3
의 경우는 함량을 5배 높게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본 수분 스틱 제형에서는 피부자극 완화 효과가 없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0067] 시험예 3 : 제형 사용감 평가

[0068] 실시예 1~5 및 비교예 1~9에 따라 제조된 고형화 제형의 사용감을 확인하기 위하여, 20~50세 여성 100명을 대상
으로 수분감 및 사용감 정도를 판정하였다.

[0069] 평가 점수는 매우 우수하면 5점, 우수하면 3점, 보통이면 0점, 나쁜 경우에는 -3점, 매우 나쁜 경우에는 -5점으
로 표시하고, 각 개인별의 평가 점수들의 평균을 산출하여 하기 표 7 및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7
[0070]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수분감 4.3 3.5 3.7 3.9 4.1
사용감 3.5 3.0 2.5 3.2 3.2

표 8
[007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수분감 3.8 3.6 3.8 3.7 3.7 0.5 3.2 3.5 1.2
사용감 3.6 3.5 3.5 3.5 3.2 0 1 2.8 1.8

[0072] 표 7 및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듐스테아레이트의 비율에 따라 수분감과 사용감의 평가가 확연히 차이남을
알 수 있었다. 소듐스테아레이트가 다량 함유된 비교예 6은 바를 수 없을 정도로 뻑뻑하게 고형화되어 수분감과
사용감 평가 점수가 나빴으며, 소듐스테아레이트가 소량 함유된 비교예 7의 경우 말랑거려 수분감은 다소 있으
나 너무 묽어 사용하기 어렵기에 낮은 평가 점수를 받았다.

[0073] 반면, 적정량의 소듐스테아레이트와 수상 경도 형성제를 함유한 고형화 제형인 비교예 1~5 및 실시예 1~5는 전
반적으로 수분감 및 사용감이 우수하였다.

[0074] 또한, 디스테아레스-100 IPDI가 기준 함량인 0.1~5%에 해당되는 실시예 1~5와 기준 이하인 경우인 비교예 2는
수분감과 사용감의 평가점수가 우수하였지만, 기준 함량 범위가 초과된 비교예 9는 단단한 사용감과 이로 인한
수분감 악화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0075]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
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면

도면1

- 1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