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6

공개특허 10-2017-0125093

(19) 대한민국특허청(KR) (11) 공개번호 10-2017-0125093


(12) 공개특허공보(A) (43) 공개일자 2017년11월13일
(51) 국제특허분류(Int. Cl.) (71) 출원인
A61K 8/99 (2017.01) A61Q 19/02 (2006.01)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
A61Q 19/08 (2006.01) C12N 1/14 (2006.01) 드
C12R 1/645 (2006.01) 미국 오하이오 클리브랜드 브렉스빌 로드 9911 (
(52) CPC특허분류 우:44141-3247)
A61K 8/99 (2013.01) (72) 발명자
A61Q 19/02 (2013.01) 알미나나 도메네크, 누리아
(21) 출원번호 10-2017-7028194 스페인 08030 바르셀로나 바이슈스 씨/ 콘셉시오
(22) 출원일자(국제) 2016년03월02일 아레날 215
심사청구일자 없음 소리 아스탈스, 알버트
(85) 번역문제출일자 2017년09월29일 스페인 08205 바르셀로나 사바델 씨/ 몬타네스 1
(86) 국제출원번호 PCT/IB2016/051181 (뒷면에 계속)
(87) 국제공개번호 WO 2016/139602 (74) 대리인
국제공개일자 2016년09월09일 특허법인 남앤드남
(30) 우선권주장
15382099.8 2015년03월05일
유럽특허청(EPO)(EP)

전체 청구항 수 : 총 37 항
(54) 발명의 명칭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의 발효 추출물 및 이의 미용 용도

(57) 요 약
본 발명은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에 유용한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
의 박테리아 균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 및 이의 미용 용도에 관한 것이다.

-1-
공개특허 10-2017-0125093

(52) CPC특허분류 다리아스, 조세


A61Q 19/08 (2013.01) 스페인 38206 라 라구나 (테네리페) 산체즈 3 아스
C12N 1/14 (2013.01) 트로피시코 에프 아브다 인스티투토 드 프로덕토스
A61K 2800/85 (2013.01) 내츄랄레스 와이 아그로바이오로지아 델 씨에스아
이씨 (내)
C12R 1/645 (2013.01)
(72) 발명자 쿠에토, 메르세데스
가르시아 산즈, 누리아 스페인 38206 라 라구나 (테네리페) 산체즈 3 아스
트로피시코 에프 아브다 인스티투토 드 프로덕토스
스페인 03560 알리칸테 엘 캄페요 엔 10 디 씨/ 페
내츄랄레스 와이 아그로바이오로지아 델 씨에스아

이씨 (내)
모라 로베라, 젬마
스페인 08440 바르셀로나 카르데듀 씨/ 마누엘 라
스팔 27

-2-
공개특허 10-2017-0125093

명 세 서

청구범위
청구항 1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Eupenicillium crustaceum) 종의 균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

청구항 2

제1항에 있어서, 수성 배양 배지에서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를 발효시키고, 발효 생성물을 분리


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는, 발효 추출물.

청구항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리 아미노산, 펩티드, 탄수화물 및 지질을 포함하는, 발효 추출물.

청구항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400 Da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 발효 추출물.

청구항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가 기탁 번호 CECT 20901의 균


주인, 발효 추출물.

청구항 6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care)를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효 추출물의 용도.

청구항 7

제6항에 있어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탈색소 침착, 또는 색의 미백
또는 라이트닝(lightening); 검버섯의, 탈색소 침착, 또는 색의 미백 또는 라이트닝; 눈 다크 써클 피부의, 탈
색소 침착, 또는 색의 미백 또는 라이트닝; 피부 광도(skin luminosity)의 유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증상의
완화 또는 예방; 피부 주름, 예컨대 안와주위 주름의 치료; 눈밑 다크 써클의 치료; 수북한 눈(puffy eye)의 치
료; 눈밑 처진 살(eye bag)의 치료; 피부 주름의 평활화(smoothing) 또는 감소; 수북한 눈(puffy eye) 또는 눈
밑 처진 살의 부피 감소; 피부 탄력의 유지 또는 개선; 피부 저항성, 견고성(firmness) 또는 인장 강도의 유지
또는 개선인 용도.

청구항 8

제7항에 있어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탈색소 침착, 또는 색의 미백
또는 라이트닝인 용도.

청구항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피부에 대한 것인 용도.

청구항 10

제7항에 있어서, 피부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피부 노화 증상의 완화 또는 예방인 용도.

청구항 11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피부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검버섯, 피부 주름; 눈 다크 써클; 수북한
눈; 및 눈밑 처진 살 중 적어도 하나의 치료인 용도.

청구항 12

-3-
공개특허 10-2017-0125093

제11항에 있어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피부 주름, 바람직하게는 안와주위 주름의 평활화 또는 감소인
용도.

청구항 13

제11항에 있어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수북한 눈 또는 눈밑 처진 살의 부피 감소인 용도.

청구항 14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눈 다크 써클 피부의 색 라이트닝, 또는 탈색소침착


또는 미백인 용도.

청구항 15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검버섯의, 색의 라이트닝, 또는 탈색소침착 또는 미


백인 용도.

청구항 16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피부 광도의 유지 또는 개선인 용도.

청구항 17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피부 탄력의 유지 또는 개선인 용도.

청구항 18

제7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피부 저항성, 견고성 또는 인장 강도의 유지 또는 개


선인 용도.

청구항 19

제7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효 추출물이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고/거나, 엘라스틴 생성을 촉


진하고/거나, 콜라게나제 활성을 억제하고/거나, 엘라스타제 활성을 억제하고/거나, AGE 생성을 억제하고/거나,
혈관 투과성을 억제하고/거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거나,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고/거나 피부의 빌리루
빈의 분해를 촉진하는 용도.

청구항 20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에 사용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발효 추출물로서, 상기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제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발효 추출물.

청구항 21

미용적 유효량의,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 및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애주번트 및/또는 성분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청구항 22

제21항에 있어서, 발효 추출물이 리포솜, 혼합된 리포솜, 올레오솜, 니오솜, 에토솜, 밀리입자,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 및 고체 지질 나노입자, 나노구조화된 지질 담체, 스폰지(sponge), 시클로덱스트린, 소포(vesicle),
마이셀, 계면활성제의 혼합된 마이셀, 계면활성제-인지질 혼합된 마이셀, 밀리구체, 마이크로구체 및 나노구체,
리포구체, 밀리캡슐, 마이크로캡슐 및 나노캡슐, 마이크로에멀젼 및 나노에멀젼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
된 미용적으로 허용되는 전달 시스템 또는 서방형 시스템으로 도입되거나, 탈크, 벤토나이트, 실리카, 전분 또
는 말토덱스트린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고체 유기 폴리머 또는 고체 무기 지지체 상에 흡착되는, 미
용 조성물.

청구항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이러한 조성물이 다중 에멀젼, 용액, 액정, 무수 조성물, 수성 분산액, 오일, 밀

-4-
공개특허 10-2017-0125093

크, 발삼, 포움, 수성 또는 오일리 로션(oily lotion), 수성 또는 오일리 겔, 크림, 용액, 하이드로알코올성 용


액, 하이드로글리콜 용액, 하이드로겔, 도포제(liniment), 세라(sera), 비누, 샴푸, 컨디셔너, 페이스 마스크,
헤어스프레이, 세럼, 폴리사카라이드 필름, 연고, 무스, 포마드, 페이스트, 파우더, 바, 펜슬, 스프레이 또는
에어로졸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포뮬레이션으로 제공되는, 미용 조성물.

청구항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패브릭, 부직포 또는 의료용 디바이스(medical device)


내로 도입되는, 미용 조성물.

청구항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 애주번트 및/또는 성분이 피지 생성을 감소시키는


제제, 항지루제, 매트화제, 항여드름제, 진피 또는 표피 거대분자의 합성을 자극하고/거나 이의 분해를 억제하
거나 예방할 수 있는 제제, 콜라겐 합성-자극제, 엘라스틴 합성-자극제, 데코린 합성-자극제, 라미닌 합성-자극
제, 디펜신 합성-자극제, 샤페론 합성-자극제, cAMP 합성-자극제, AQP-3을 조절하는 제제, 아쿠아포린 합성을
조절하는 제제, 아쿠아포린 패밀리로부터의 단백질, 히알루론산 합성-자극제,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합성-자극제,
피브로넥틴 합성-자극제, 시르투인 합성-자극제, 열 충격 단백질, 열 충격 단백질 합성-자극제, 뉴런 엑소사이
토시스(neuronal exocytosis)를 억제하는 제제, 항콜린 작용제, 근육 수축을 억제하는 제제, 노화 방지제, 주름
개선제, 발한 억제제, 소염제 및/또는 진통제, 지양제, 진정제, 마취제, 아세틸콜린-수용체 응집의 억제제, 아
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를 억제하는 제제, 피부 완화제, 멜라닌 합성 또는 자극 억제제, 미백 또는 탈색 제제, 전
착색제(propigmenting agent), 셀프-태닝제(self-tanning agents), NO-신타제 억제제, 5α-환원효소 억제제,
리실- 및/또는 프롤릴 하이드록실라아제 억제제, 항산화제, 자유 라디칼 스캐빈져 및/또는 대기오염에 대한 제
제, 반응성 카보닐 종 스캐빈져, 항-당화 제제, 항히스타민제, 항바이러스제, 항기생충제, 에멀젼제, 연화제,
유기 용매, 액체 추진제, 피부 컨디셔너, 습윤제, 수분을 보유하는 물질, 알파 하이드록시산, 베타 하이드록시
산, 모이스쳐라이져, 표피 가수분해 효소, 비타민, 아미노산, 단백질, 안료 또는 착색제, 염료, 바이오폴리머,
겔화 폴리머, 증점제, 계면활성제, 연화제, 에멀젼제, 결합제, 보존제, 눈밑 처진 살을 감소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는 제제, 박피제, 각질 용해제, 박리제, 항미생물제, 항진균제, 정진균제, 살균제, 세균발육저해제, 각질층의
지질 및 성분들의 합성을 자극하는 제제, 세라마이드, 지방산,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제제, 기질 금속단백분
해효소를 억제하는 제제, 엘라스틴 분해를 억제하는 제제, 세린 프로테아제를 억제하는 제제, 섬유아세포 증식
을 자극시키는 제제, 케라틴세포 증식을 자극시키는 제제, 지방세포 증식을 자극시키는 제제, 멜라닌세포 증식
을 자극시키는 제제, 케라틴세포 분화를 자극시키는 제제, 지방세포 분화를 자극시키거나 지연시키는 제제, 항
과다각화증 제제, 면포용해제, 항-건선제, DNA 복구제, DNA 보호제, 줄기 세포 보호제, 안정화제, 민감성 피부
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제제, 응고제, 항-스트레치 마크 제제, 결합제, 지방분해제 또는 지방분해를 자극
시키는 제제, 지방 생성제, PGC-1α 발현을 조절하는 제제, PPARγ의 활성을 조절하는 제제, 지방 세포의 트리
글리세라이드 함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제, 항-셀룰라이트 제제, PAR-2의 활성을 억제하는 제제, 치유를
자극시키는 제제, 공동애주번트 상처 치유제, 재상피화를 자극시키는 제제, 공동애주번트 재상피화제, 사이토카
인 성장 인자, 모세관 순환 및/또는 미세순환에 대해 작용하는 제제, 혈관신생을 자극시키는 제제, 혈관 침투성
을 억제하는 제제, 정맥긴장제, 세포 대사에 대해 작용하는 제제, 진피-표피 접합부를 개선시키는 제제, 헤어
성장을 유도하는 제제, 헤어 성장 억제제 또는 지연제, 헤어 상실 지연제, 보존제, 퍼퓸, 냄새 흡수제 및/또는
체취 차폐제, 킬레이트제, 식물 추출물, 에센셜 오일, 해양 추출물, 생명공학 과정으로부터 얻어진 제제, 무기
염, 세포 추출물, 선스크린 및 자외선 A 및/또는 B 및/또는 적외선 A에 대해 활성인 유기 또는 무기 광보호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청구항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추출물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조성물에서 발효 추출물의 유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0000001 중량% 내지 20 중량%인 조
성물.

청구항 27

제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추출물이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


성물에 존재하는 조성물.

-5-
공개특허 10-2017-0125093

청구항 2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효량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을


개인에 국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를 위한 미용 방법.

청구항 29

제28항에 있어서, 피부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피부 노화 증상을 완화하거나 예방하는, 미용 방법.

청구항 30

제28항에 있어서, 피부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피부 주름, 눈밑 다크 써클, 수북한 눈 및/또는 눈밑 처
진 살 중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 치료인, 미용 방법.

청구항 31

제28항에 있어서, 피부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피부 탄력, 피부 광도, 피부 저항성, 피부 견고성 및/또
는 피부 인장 강도를 개선시키기 위한 것인, 미용 방법.

청구항 32

제28항에 있어서, 피부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피부의, 색의 라이트닝, 미백 또는 탈색소침착을 위한 것


인, 미용 방법.

청구항 33

제32항에 있어서, 피부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가 검버섯의, 색의 라이트닝, 미백 또는 탈색소침착을 위한


것인, 미용 방법.

청구항 34

제28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개인에게 국


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미용 방법.

청구항 35

제28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인이 백인 또는 아시아인인, 미용 방법.

청구항 36

제28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인이 20세 이상인, 미용 방법.

청구항 3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의 미용적 치료 및/도는 케어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발명의 설명

기 술 분 야
[0001] 개시되는 기술은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care)에 유용한 유페니실리움 크
루스타세움(Eupenicillium crustaceum) 종의 균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발효 추출물은
피부 노화 증상의 완화 또는 예방에, 그리고 색의 라이트닝(lightening), 또는 피부의 탈색소침착 또는 미백에
효과적이다.

배 경 기 술
[0002] 피부 노화는 연대기적 및 환경적 요소(주로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복잡한 과정이다. 피부 노화의 징후나 증
상으로는 피부 탄력과 견고성(firmness)의 상실, 주름과 깊은 주름과 같은 특징의 출현, 눈밑 다크 써클, 수북
한 눈(puffy eye), 눈밑 처진 살(eye bag), 일광 흑색점 (검버섯), 및 피부 얼룩을 포함한다. 피부 노화의 첫
번째 징후는 보통 인간의 얼굴, 특히 눈 주위의 영역에서 눈에 띈다. 이러한 징후는 눈 다크 써클(안와주위 과

-6-
공개특허 10-2017-0125093

다 색소 침착), 수북한 눈 (안와주위 부종), 눈밑지방(눈아래 안와 처진살), 및 주름(예를 들어, 안와주위


주름)의 존재를 포함한다. 인간의 피부, 특히 이들의 얼굴에 노화의 징후가 존재한다는 것은 심미적으로 바람
직하지 않다. 보다 젊어 보이는 피부, 즉, 노화 증상이 감소된 피부가 요망된다.

[0003]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은 유기체와 그 환경 사이에 물리적 장벽을 제공한다. 피부는 표피와 진피의 두
가지 주요 층으로 구성된다. 진피는 가장 두꺼운 층(피부의 두께의 대략 90 % 두께를 지님)이며 콜라겐, 엘라
스틴, 혈관과 같은 여러 분화된 구조 및 섬유 아세포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합성하는)와 같은 많은 세포 타입을
포함한다. 표피는 케라틴세포, 멜라닌세포, 및 랑게르한스 세포(Langerhans cells)로 구성되며, 주요 세포 모
집단은 케라틴세포로 구성된다.

[0004] 콜라겐은 피부의 결합 조직에서 가장 풍부한 단백질이며 피부에서 중요한 구조적 역할을 한다. 콜라겐은 필요
한 유연성을 제공하면서 성장함에 따라 새로운 세포를 지원하는데 도움을 주는 피부 연결 조직에 메쉬(mesh)와
같은 구조를 형성한다. 피부에서는 콜라겐 합성 및 분해가 지속적으로 있으며, 이것들 간의 균형이 피부의 인
장 강도 및 탄력 둘 모두를 결정한다. 엘라스틴(elastin)은 탄력있는 결합 조직의 단백질이다. 엘라스틴은 피
부를 유연하지만 팽팽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 피부가 당겨지는 경우, 바운스-백 반응(bounce-back
reaction)을 제공한다. 노화 과정은 피부의 콜라겐 섬유 및 탄력 섬유 둘 모두의 변성 및 용해를 동반한다.
탄력 섬유가 점차 사라지면 점차적으로 피부 탄력 감소를 야기한다. 콜라겐 섬유의 변성 및 용해는 피부 저항
력 상실(견고성)을 야기한다. 진피에서의 결합 섬유 용해의 또 다른 결과는 전체적으로, 특히 콜라겐 섬유의
감소를 통해 진피 두께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이다[Bonta M, Daina L, Mutiu G. The process of ageing
reflected by histological changes in the skin. Rom J Morphol Embryol. 2013:54(3 Suppl):797-804].

[0005] 피부 노화의 또 다른 요인은 고급 글리코실화 최종 생성물(Advanced Glycosylation End Product)(AGE)의 출현


이다. AGE는 당과 단백질을 포함하는 당화(glycation)로 일컫어지는 반응으로 얻어진다. 피부에 이러한 생성물
이 존재하면 생체 역학적(피부가 뻣뻣해지고 탄력을 잃음)과 생물학적 성질(합성 조절, 세포에 의한 기질 분
해)이 변한다. AGE는 콜라겐으로서 세포 외 기질 (ECM)의 단백질 발현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분해를 일으
키는 효소(엘라스타 제 및 금속단백분해효소)의 발현 및 합성을 변형시킬 수 있다[Pageon H. Reaction of
glycation and human skin: the effects on the skin and its components, reconstructed skin as a model.
Pathol Biol (Paris). 2010 Jun;58(3):226-31]. 결과적으로 피부의 탄력 및 두께가 감소한다. 피부에서, I형
콜라겐의 당화는 피부 둔화의 발달과 피부 탄력의 감소와 연관되어 있다.

[0006] 감소된 탄력, 견고성 및 두께의 결과로 눈 주위에 나타나는 것들과 같은, 피부 주름이 나타날 수 있다. 피부에
서 콜라겐 분해를 방지하고/거나 콜라겐 생성을 자극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활성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
다. 피부에서 엘라스틴 분해를 방지하고/거나 피부에서의 엘라스틴 생성을 자극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활성
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피부에서 AGE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활성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
한 활성제는 노화의 징후를 예방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피부를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0007] 노화 과정은 또한 피부의 혈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혈관 변화는 모세 혈관 벽이 얇아지는 것 및 미세순환


(microcirculation)이 느려지는 것을 포함한다. 혈관 벽의 변경은 혈관 투과성의 변화를 가져오고 섬유소간 부
종(interfibrillar edema)의 출현을 야기할 수 있다[Bonta M, Daina L, Mutiu G. The process of ageing
reflected by histological changes in the skin. Rom J Morphol Embryol. 2013;54(3 Suppl):797-804]. 따라
서, 노화 징후들 중 하나는 눈 주변과 아래에 있는 간질액의 축적, 예를 들어, 수북한 눈 및 눈밑 처진
살(또한, 눈아래 처진 살로도 알려짐)이다. 이들은 심미적으로 보기 흉하고, 피부의 부종/지방 부피가 감소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북한 눈 및 눈밑 처진 살에서 형성된 부종에 관련된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활성제가 필요하다.

[0008] 피부는 노화됨에 따라, 더 얇아진다. 예를 들어, Bonta 등은 특히 표재성 진피에서의 혈관 효율의 감소는 이를
혈관계의 효율에 적응시킴으로써, 다시 말해세포 층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즉,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표피에
서의 일련의 주요 효과를 일으킨다[Bonta M, Daina L, Mutiu G. The process of ageing reflected by
histological changes in the skin. Rom J Morphol Embryol. 2013;54(3 Suppl):797-804]. 이러한 얇아짐은
하부 혈관 및 색소포(chromophore)(예컨대, 빌리루빈 및 멜라닌)가 보다 잘 보이게 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대다수의 인간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매우 일반적인 미용상 문제점인 눈밑 다크 써클의 원인 중 하나이다[Ranu
H, Thng S, Goh BK, Burger A, Goh CL. Periorbital hyperpigmentation in Asians: an epidemiologic study
and a proposed classification. Dermatol Surg. 2011 Sep;37(9):1297-303]. 이 문제점은 노화되면서 혈관이
새게되고, 그 결과, 혈액의 분해 생성물인 빌리루빈이 눈 주위에 축적됨으로써 더 악화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7-
공개특허 10-2017-0125093

특히, 빌리루빈은 헴 신진 대사(heme metabolism)의 분해 생성물이다. 헴은 헤모글로빈, 미오글로빈, 및 간 사


이토크롬이 가장 중요한 대표물질인 몇몇 효소에서 발견되는 철 함유 포르피린(iron-containing
porphyrin)이다. 일당 빌리루빈 생성의 약 80 %가 노화 적혈구에서 유래한다. 이들은 분해되어, 철이 헴 분자
로부터 제거되고, 잔류 포르피린 고리가 단일 부위에서 산화되고 절단되어 빌리베르딘의 테트라피롤 사슬 구조
를 형성한다. 빌리베르딘의 추가의 감소는 눈밑 다크 써클로서 안와하 안검(infraorbital eyelid)에서 나타나
는 착색의 원인이 되는 빌리루빈의 형성을 야기한다[Stillman AE. Jaundice. Clinical Methods: The History,
Physical, and Laboratory Examinations. 3rd edition. Boston: Butterworths; 1990. Chapter 87]. 눈 다크
써클은 다수의 원인이 있는 복잡한 얼굴 미용상의 문제이며, 이는 멜라닌 침착, 헤모시데린(hemosiderin) 침착
이 있는 정맥 울혈, 및 안와 구조 문제를 포함한다. 진피의 멜라닌 침착은 선천적이거나, 태양한 과다 노출,
내인성, 또는 외인성 에스트로겐 사용, 임신 및 모유 수유와 같은 환경적 요인이 부수적일 수 있다. 눈 주위의
다크 써클에서 색소 침착의 원인이 되는 두 가지 색소인, 피부의 빌리루빈을 분해하고/거나 멜라닌 양을 감소시
킬 수 있는 활성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0009] 노화의 징후, 예컨대, 주름, 눈밑 다크 써클, 수북한 눈, 눈밑 처진 살은 다른 요인 중에서도 피로, 스트레스,
약물 및 알코올 사용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0010] 검버섯을 없애거나 약하게 하는 것 뿐만 아니라 피부의, 예를 들어, 눈 다크 써클을 밝게 하는 것을 포함하여


피부색을 변경하는 것은 많은 인간들이 바라는 미용 효과이다. 종종, 균일한 피부색을 얻는 것이 목표이다.
탈색소침착 화장품이 과색소증(hyperchromia)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되고, 전형적으로 탈색소침착제는 멜라닌 생
합성 경로를 억제함으로써 작용한다.

[0011] 멜라닌은 포유류의 피부, 헤어, 눈에 이온화 방사선에 대한 색상과 광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복합 색소이다.
멜라닌 생성은 멜라닌 색소 합성의 생리학적 과정 결과이며, 요약하면, 멜라닌세포에 의한 멜라닌의 생성 과정
및 이후 분포에 의해 특징된다. 포유류의 멜라닌세포는 멜라노좀으로 불리는 복잡한 소기관의 여러 효소에 의
해, 흑색 내지 갈색 유멜라닌(eumelanin) 및 황색 내지 적갈색 페오멜라닌(pheomelanin)의 두 가지 화학적으로
구분되는 멜라닌 색소 타입을 생성한다. 유멜라닌 및 페오멜라닌 둘 모두는 티로시나제 (TYR)에 의해 형성되는
공통의 전구체인 도파퀴논으로부터 유래된다. 티로시나제는 또한 폴리페놀 옥시다제로 불리우고, 구리-함유 다
기능 효소이다. 티로시나제는 L- 도파퀴논에서 L-티로신의 전환을 촉매작용하는 멜라닌 생성 캐스케이드의 첫
번째 단계에서 핵심 효소이다(Ito S., Wakamatsu K., and Ozeki, H. Chemical analysis of melanins and its
application to the study of the regulation of melanogenesis. Pigment Cell Res. 2000: 13 Suppl. 8. 103-
9). 티로시나제 이외에, 티로시나제-관련 단백질(TRP)로 지칭되는 두 개의 관련된 단백질, 즉, 또한 도파크롬
토토머라제로서 공지되어 있는 TRP-1(티로시나제-관련 단백질-1) 또는 DHICA (5,6-디하이드록시인돌-2-카복실산
옥시다제), 및 TRP-2 (티로시나제-관련 단백질-2)이 유멜라닌 형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earing. V.
J. The 멜라노좀: the perfect model for cellular response to the environment Pigment Cell Res. 2000; 13
Suppl. 8, 23-4). 멜라닌 형성은 또한 멜라닌세포 내부의 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DOPA)으로의 효소 티로시나
제에 의한, 티로신 산화에 기인한다.

[0012] 멜라노좀은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독특한 능력을 지니고, 이들이 성숙함에 따라 4개의 연속적인 형태학적 단
계(단계 I, II, III 및 IV)를 거쳐 진행되는 리소솜-관련 소기관이다. 단계 I 멜라노좀은 일반적으로 핵 주위
영역에서 발견되는, 원형의 막 결합되고 전자-발광성인 소포(vesicle)이다. 단계 II 멜라노좀으로의 전이는 소
포의 신장, 및 뚜렷한 섬유성(fibrillar) 구조의 내 출현을 포함한다. 이러한 내부 기질 섬유의 생성 및 단계
I에서 단계 II로의 멜라노좀의 성숙은 Pmel17 (또한, gp100 또는 SILV로 공지됨)로 지칭되는 구조 단백질의 존
재에 의존한다. 단계 I 멜라노좀에 전달된 직후, Pmel17은 여러 단편으로 분해되어 소기관의 섬유성 기질을 형
성한다. 색소침착된 세포에서, 멜라닌은 이들 섬유 상에 침착되어, 점차적으로 색소침착된 내부 기질을 야기하
며, 이때 소기관이 단계 III 멜라노좀으로 지칭된다. 고도로 색소침착된 조직에서, 멜라닌 합성 및 증착은 내
부 구조가 거의 보이지 않거나 전혀 보이지 않을 때까지 계속되며, 이때 이들은 단계 IV 멜라노좀으로
지칭된다. 여러 단백질이 멜라노좀-특이적 단백질로서 확인되었다(Tyr, Trp1, Trp2, MART-1, Pmel17, GPNMB,
등). 멜라노좀-특이적 단백질인 T 세포 단백질에 의해 인식되는 흑색종-관련 항원인 MART-1(또한, Melan-A로서
공지됨)은 검출가능한 효소 활성을 갖지 않으며, 초기 멜라노좀 (단계 I 및/또는 II 멜라노좀)이 매우
풍부하고, Pmel17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발현, 안정성, 수송, 및 멜라노좀 구조 및 성숙에 필요한 프로세싱
(processing)에 영향을 미치고, 이에 따라 포유동물의 색소침착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Hoashi T, Watabe
H, Muller J, Yamaguchi Y, Vieira WD, Hearing VJ. MART-1 is required for the function of the
melanosomal matrix protein PMEL17/GP100 and the maturation of Melanosomes. J Biol Chem. 2005 Apr

-8-
공개특허 10-2017-0125093

8;280(14):14006-16. Epub 2005 Jan 28.) 고도로 글리코실화된 I형 막횡단 단백질인 GPNMB (글리코단백질(막
횡단(transmembrane)) 비전이성 흑색종 단백질 b)는 Pmel17와 높은 유사성을 나타낸다. GPNMB는 멜라닌세포에
서의 그것의 기능과 관련된 여러 개의 도메인을 함유한다. GPNMB의 아르기닌-글리신-아스파르테이트(RGD) 모티
프(motif)는 케라틴세포와의 멜라닌세포의 부착을 조절하기 위해 인테그린(integrin)에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그것이 멜라닌의 전달에 관여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멜라노좀의 중요한 구조 단백질로서,
GPNMB는 멜라노좀의 모든 단계(I-IV)에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성숙 단계에서 특히 풍부하다. 멜라노 세
포에서 GPNMB 결실은 멜라노좀 형성을 급격히 감소시켰으며, 이는 멜라노좀 합성에서 중대한 역할을 시사한다
(Zhang P, Liu W, Zhu C, Yuan X, Li D, Gu W, Ma H, Xie X, Gao T. Silencing of GPNMB by siRNA inhibits
the formation of 멜라노좀 in melanocytes in a MITF-independent fashion. PLoS One. 2012;7(8):e42955.)

[0013] 생성 후, 멜라니좀 내 멜라닌은 멜라닌세포에 존재하는 수상 돌기를 통해 인접한 케라틴세포로 옮겨지고, 거기


에서 운반되고 분해될 것이다. 이러한 멜라닌 전이는 세 가지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 케라틴세
포에 의한 멜라닌세포의 수상돌기 말단의 세포포식작용 과정; 세포질의 멜라노좀의 케라틴세포로의 직접 이동;
세포외 공간에서의 멜라노좀의 방출 및 이의 케라틴세포로의 도입. 따라서, 피부 색소침착은 멜라닌의 수, 화
학적 성질 및 함량(티로시나제 활성), 및 각 멜라닌세포에 의해 생성되고, 이를 둘러싸고 있는 케라틴세포의 클
러스터(cluster)에 전달된 멜라노좀의 분포에 의존한다.

[0014] 직접 또는 간접 자극으로 인한 멜라닌 생성 증가는 태양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피부의 방어 반응이다.


자외선 조사 후, 멜라노좀은 세포의 유전 물질을 보호하기 위해 핵 주변에서 재편성되고, 이에 따라 피부 및 헤
어 착색을 촉진시키는 것 이외에 멜라닌은 태양광선을 회절시키거나 반사시키는 태양 필터(sun filter)로서 작
용하는, 광 보호를 촉진한다. 멜라닌세포-케라틴세포 복합체는 종종 파라크린(paracrine) 및/또는 오토크린
(autocrine) 방식으로 광범위한 환경적 자극에 신속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멜라닌세포는 UV-R, agouti 신호
전달 단백질, 멜라닌세포-자극 호르몬(MSH), 엔도텔린, 성장 인자, 사이토카인 등에 반응한다. UV-R 노출 후,
멜라닌세포는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proopiomelanocortin)(POMC, MSH의 전구체) 및 이의 수용체 멜라노코르틴
(melanocortin) 1 수용체 (MC1-R), TYR 및 TYRP1, 단백질 키나제 C (PKC), 및 그 밖의 신호전달 인자에 대한
발현을 증가시킨다. 다른 한편, UV가 케라틴세포에 의한 엔도텔린-1 (ET-1) 및 POMC의 생성을 자극하고 그러한
인자들이 파라크린 방식으로 작용하여 멜라닌세포 기능을 자극 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케라틴세포 이
외에, 섬유 아세포, 및 가능하게는 피부의 다른 세포는, 사이토카인, 성장 인자, 및 멜라닌 생성을 증가시키고/
거나 멜라닌세포에 의한 케라틴세포로의 멜라닌 전달을 촉진할 수 있는 염증 매개체를 생성한다. 멜라닌세포
성장 인자는 멜라닌세포의 성장 및 색소침착 뿐만 아니라 그의 모양, 덴드리시티(dendricity), 기질 단백질에
대한 부착, 및 이동성에 영향을 미친다.

[0015] α-MSH, ACTH, 기본 섬유 아세포 성장 인자(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신경 성장 인자(NGF),
엔도텔린,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자극 인자(GM-CSF), 스틸 인자(steel factor), 백혈병 억제 인자(leukemia
inhibitory factor)(LIF), 및 간세포 성장 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HGF)는 멜라닌세포의 증식 및/또는
분화의 조절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케라틴세포-유래된 인자이며, 일부는 수용체 매개 신호 전달 경로를
통해 작용한다. 인간 표피에서, α-MSH 및 ACTH은 케라틴세포에서 생성되고, 이에 의해 분비되며, 멜라닌 생성
및/또는 멜라닌세포 수상돌기 형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α-MSH 및 ACTH는 멜라닌세포-특이적 수용체,
MC1-R에 결합하여 G 단백질을 통해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라제(adenylate cyclase)를 활성화시키고, 이는 이후 아
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로부터 cAMP를 상승시킨다. 사이클릭 AMP는 부분적으로, 미세안구-관련 전사 인자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MITF) 유전자의 M 프로모터에 존재하는 cAMP 반응 요소
(CRE)에 결합하는, cAMP 반응 요소 결합 단백질을 포스포릴화하고 활성화시키는 단백질 키나제 A(PKA)를 통해
그 효과를 발휘한다. MITF-M 발현의 증가는 TYR, TYRP1, 및 DCT의 상향 조절을 유발하며, 이는 멜라닌 합성을
유도한다.

[0016] 과다색소침착은 지나친 멜라닌 생성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이다. 무엇보다도, 과도한 태양 노출, 노화, 호르몬
변화, 염증, 알레르기 등과 같은 요인은 멜라닌 생성 및 분배 과정에서 불균형을 일으켜 피부 얼룩을 유발할 수
있다. 일광 흑색점(또한, 노인 흑색점, 일광-, 간- 또는 검버섯으로서 알려져 있음)은 국한되고, 색소 침착된
반점으로, 일반적으로 밝은 갈색이지만, 짙은 검은색까지 색 정도가 다양하다. 일광 흑색점은 전형적으로 몸
(얼굴, 손등쪽, 팔뚝 신근, 등 위쪽, 어깨와 가슴 윗부분)의 UV-노출된 영역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직경 1mm에
서 수 센티미터의 크기는 어디에서나 달라질 수 있으며, 심하게 햇빛에 손상된 피부의 영역에서는 훨씬 더 큰
병소로 합쳐질 수 있다. 일광 흑색점(검버섯)과 같은 과다 색소 침착된 피부의 색을 밝게 할 수 있는 미용 활
성제를 제공하려는 바람이 있다.

-9-
공개특허 10-2017-0125093

[0017] 일광 흑색점의 출현에 대해 최근 제안된 분자 메커니즘은 ET-1/ETBR(ET-1가 그것의 수용체 ETBR와 결합하여 개
시됨), 및 SCF/c-키트(줄기 세포 인자가 그것의 수용체 c-키트와 결합하여 개시됨)로 구성된 두 개의 표피 캐스
케이드의 자극, 및 UV 노출 후 이들 둘 간의 크로스-토크(cross-talk)를 포함한다. UV 방사선 노출은 케라틴세
포에 의한 ET-1 생성 증가를 유도하고, 이에 따라 이의 분비가 멜라닌세포를 자극하여 멜라닌을 생성한다. ET-
1을 생성하기 위해 SL 병소 표피에 위치할 케라틴세포의 가능성은 병소주위 정상 대조군에서보다 상당히 높고,
또한 ETBR 전사체의 두드러진 발현이 있다. ET-1의 증가된 생성 및 국소화는 멜라닌세포에서 티로시나제의 증
가된 양과 병행되었다. 별도로, SCF (또한, 케라틴세포에 의해 생성됨)은 멜라닌세포 상의 c-KIT 수용체에 결
합한다. 일광 흑색점 병소 표피는 비병소 대조군과 비교하여 증가된 수준의 SCF mRNA 전사체 및 단백질을 나타
낸다[Costin GE, Hearing VJ. Human skin pigmentation: melanocytes modulate skin color in response to
stress. FASEB J. 2007 Apr;21(4):976-94].

[0018] 그러나, 피부에서 다른 캐스케이드가 또한 일광 흑색 점에서 보여지는 과다 색소 침착에 기여할 수 있다. 일광


흑색점 병소에서 멜라닌세포 줄기 세포의 분화를 촉발하는 Wnt 신호전달 경로는 SL 형성에 관여하는 멜라닌세포
줄기 세포의 촉진된 분화와 관련이 있다. Wnt 신호전달 경로는 멜라닌세포 생물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 전달 경로는 또한 멜라닌세포 줄기 세포가 난포 멜라닌세포와 표피 멜라닌세포로의 분화를 촉발하
는 데 중요하다. Wnt 신호 전달 경로의 억제제인, 단백질 dickkopf WNT 신호 전달 경로 억제제 1 (DKK1)는 멜
라닌 생성을 방지하고, 멜라닌세포의 밀도를 감소시켰다. DKK1는 미세 안구-관련 전사 인자 (MITF) 및 b-카테
닌의 조절을 통해 멜라닌세포 기능 및 성장을 억제한다[Yamaguchi Y, Morita A, Maeda A, Hearing VJ.
Regulation of skin pigmentation 및 thickness by Dickkopf 1 (DKK1). J Investig Dermatol Symp Proc. 2009
Aug;14(1):73-5.] [Yamada T, Hasegawa S, Inoue Y, Date Y, Arima M, Yagami A, Iwata Y, Takahashi M,
Yamamoto N, Mizutani H, Nakata S, Matsunaga K, Akamatsu H.Accelerated differentiation of melanocyte
stem cells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hyperpigmented maculae. Exp Dermatol. 2014 Sep;23(9):652-
8.]

[0019] 따라서, 멜라닌 생합성 경로를 저해하거나 이에 직접 작용할 수 있는 활성제는 피부에 대한 라이트닝 또는 탈색
소침착 효과를 가질 수 있고, 예컨대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거나,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거나,
멜라닌 생성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주는 활성제는 탈색소침착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 피부
의 라이트닝(lightening), 미백 또는 탈색소침착 효과를 갖데 효과적인 새로운 활성제가 필요하다.

[0020] 본 발명은 상기 확인된 문제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고, 상기 확인된 요구 사항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충족


시키고자 한다.

발명의 내용
[0021] 발명의 개요

[0022]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유페니실


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이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
어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0023] 본 발명의 내용에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는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 색의 탈색소침착 또는 미백
또는 라이트닝; 검버섯 색의 탈색소 침착 또는 미백 또는 라이트닝; 눈 다크 써클 피부 색의 탈색소 침착 또는
미백 또는 라이트닝; 피부 광도(skin luminosity)의 유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증상의 완화 또는 예방; 피부
주름, 예컨대 안와주위 주름의 치료; 눈밑 다크 써클의 치료; 수북한 눈의 치료; 눈밑 처진 살의 치료; 피부 주
름의 평활화(smoothing) 또는 감소; 수북한 눈 또는 눈밑 처진 살의 부피 감소; 피부 탄력의 유지 또는 개선;
피부 저항성, 견고성 또는 인장 강도의 유지 또는 개선을 포함한다.

[0024]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이 피부 주름의 평활화 및


수북한 눈 또는 눈밑 처진 살의 부피 감소에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유페니실리움 크루스
타세움 종의 균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이 각각 콜라겐 및 탄성 섬유를 형성하는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합성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분해에 관여하는 효소를 억제할 수 있고, 콜라겐의 당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이 수
북한 눈 및 눈밑 처진 살에서 형성된 부종에 연관된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일 구체예
에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는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색의 라이트닝, 미백 또는 탈색소침착을
포함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이 나이반점과 같은 과다 색소 침착된 피부, 및 눈

- 10 -
공개특허 10-2017-0125093

다크 써클의 색의 라이트닝 또는 탈색소침착에 특히 효과적임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유페니실리움 크루


스타세움 종의 균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이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할 수 있고,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
제할 수 있고, 멜라닌 생성 과정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부 탈색소침착/
미백/라이트닝 착색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추가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효과가 과다 색소침착
된 피부, 예를 들어, 검버섯에서 더욱 두드러짐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이 눈 주위 다크 써클 피부에서 진한 색소침착에 대해 원인이 되는 두 가지 색소, 즉,
빌리루빈 및 멜라닌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0025] 두번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를 위한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0026] 세번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미용적 유효량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0027] 네번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에서의 상기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0028] 다섯번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을 국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를 치료하기 위한 미용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0029] 발명의 상세한 설명

[0030] 하기에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구체예는 본 발명의 상기 언급된 모든 양태에 적용가능하다.

[0031] 정의

[0032] 본 발명의 문맥에서 "피부"는 최상층 또는 각질층에서 최하층 또는 진피(둘 모두를 포함함)의 층들을 포함하는
층들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층들은 다른 것들 중에서, 케라틴세포, 섬유아세포, 멜라닌세포 및/또는 지방
세포와 같은 상이한 타입의 세포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용어 "피부"는 두피를 포함한다. 용어
"피부"는 인간 피부를 포함한다.

[0033] 단서 "미용적", 또는 "비-치료적"을 수반하지 않을 때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질병 또는


질환을 완화시키거나 치유하기 위해, 또는 질병 또는 질환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들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
기 위해, 또는 질병 또는 질환의 생리학적 결과(physiological consequence)를 완화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0034] 용어 "치료" 또는 "케어"가 단서 "미용(cosmetic)"을 수반하는 경우, 이는 치료 또는 케어가 비치료적이고, 피


부의 심미적 외관을 개선시키려는 목적을 가짐을 의미한다. 이는 수화, 탄력, 견고성, 윤기(shine), 색조
(tone) 또는 감촉과 수준과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닌 피부 성질을 개선시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성질이 피부의 미용적 외관에 영향을 미친다.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용어 "케어(care)"는 피부
의 성질의 유지를 지칭한다. 피부의 성질은 건강한 피검체, 뿐만 아니라, 피부 및/또는 점막의 질병 및/또는
질환을 지닌 피검체,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궤양 및 피부 상의 병소, 건선, 피부염, 여드
름 또는 주사비(rosacea)를 지니는 피검체 둘 모두에서 피부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를 통해 개선되고 유지
되게 된다.

[0035]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질병, 또는 장애, 또는 피부 성질/특징의 출현 또는 발달을 이의 출현 전


에 예방하거나, 지연시키거나, 방해하는 본 발명의 활성물질의 능력을 지칭한다.

[0036] 본 발명의 문맥에서 용어 "노화(aging)"는 나이가 듦에 따라(세월에 따른 노화(chronoaging)), 또는 태양에의


노출을 통해(광노화) 또는 담배 연기, 춥거나 덥거나 바람 부는 극한 기후 조건, 화학적 오염 물질 또는 오염원
과 같은 환경 요인에의 노출을 통해 피부가 경험하는 변화를 말하며, 촉감을 통한 외적인 가시적 및/또는 인식
가능한 모든 변화, 예를 들어, 비제한적인 예로, 피부 상의 불연속성의 발생, 예를 들어, 주름, 잔주름, 깊은
주름, 울퉁불퉁함 또는 거침, 모공 크기의 증가, 탄력의 상실, 견고함의 상실, 매끄러움의 상실, 변형으로부터
회복하는 능력의 상실, 피부의 처짐, 예를 들어, 특히 처진 볼, 눈밑 처진 살의 출현 또는 이중턱의 출현, 피부
색의 변화, 예를 들어, 마크(mark), 발적, 눈밑 처진 살 또는 과다색소침착된 부위의 출현, 예를 들어, 특히 검
버섯 또는 주근깨, 비정상적인 분화, 과다각질화, 탄성섬유증, 각화증, 탈모, 귤껍질 피부, 특히 각질층, 진피,

- 11 -
공개특허 10-2017-0125093

표피, 혈관계(예를 들어, 거미양 정맥 또는 모세혈관확장증의 출현)의, 또는 피부에 가까운 조직의, 콜라겐 구
조의 소실 및 기타 다른 조직학적 변화를 포함한다. 용어 "광노화"는 자외선 방사선에의 피부의 장기간 노출로
인해, 피부의 조기 노화를 가져오는 과정의 세트를 함께 그룹화한 것이고, 노화와 동일한 신체적 특징, 예를 들
어, 비제한적인 예로, 피부늘어짐, 처짐, 색의 변화 또는 색소침착의 얼룩, 비정상적 및/또는 과도한 각질화를
제공한다. 노화(예를 들어, 생리적 노화(chronoaging), 광노화 및/또는 환경적 노화)로 인한 피부의 변화는 또
한 본원에서 피부 노화의 증상 또는 징후로서 지칭된다.

[0037]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에 유용한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새로운 미용 성분인; 유페니실리
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로부터 유래된 발효 추출물을 발견하였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신규의 미용 활성물
질은 천연 자원으로부터 유래되며, 놀랍게도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에 효
과적이다. 특히, 피부 노와 징후를 완화 또는 예방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
일의 색의 라이트닝, 미백 또는 탈색소침착에 효과적이다.

[0038]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은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


주의 발효 생성물이다. 발효 추출물은 발효 과정으로 처리된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로부터의 추
출물이고, 발효액(fermentation broth)으로부터 분리된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세포로부터의 추출물일
수 있거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세포를 여전히 함유하는, 발효액 자체로부터의 추출물일 수 있다.
본원에서는 발효 추출물 또는 간단히 추출물로서 나타낸다.

[0039] 발효 추출물은 적합한 수성 배양 배지에서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발효액은 통상적으로 교반되고, 통기되어 배양 배지에 요망하는 생성물의 합성 및 분비를 가능하게 하고,
이 다음에 발효 추출물의 분리 및 정제가 이어진다. 발효는 15 ℃ 내지 40 ℃, 전형적으로 25 ℃의 온도에서
교반되고, 통기되는 배지에서 수행될 수 있고, 배지는 발효 동안에 필요에 따라 조절되는 5 내지 9, 전형적으로
대략 7.5의 pH를 갖는다. 발효 기간은 2 내지 10일, 일 구체예에서, 3 내지 8일, 다른 구체예에서 4 내지 7일
이다

[0040] 발효액으로부터 발효 추출물의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방법들, 예컨대 원심분리,
파쇄(disruption) 및 추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계에서, 배양액으로부터 유페니실리움 크
루스타세움 종의 균주로부터의 세포를 분리시키기 위해 원심분리가 사용될 수 있고, 제2 단계에서, 세포내 화합
물을 방출시키기 위해 파쇄가 사용될 수 있고; 제3 단계에서, 발효 추출물을 얻기 위해 세포내 화합물의 추출이
수행될 수 있다. 추출물은 추출 용매에 가용성인 그러한 세포내 화합물을 포함할 것이다. 발효 추출물은 발효
액의 추출에 의해, 즉, 원심분리 및 파쇄 단계 없이 간단히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파쇄 단계
는 요망하는 생성물의 수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0041]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Eupenicillium crustaceum) 종의 균주의 발효에서, 외인성 당(exogenous sugar),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갈락토스, 글루코스, 만노스, 만니톨, 아미그달린, 셀로비오스, 말토스, 전분, 글리
코겐, 락토스,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이러한 당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추출물을 함유한 배양 배지가 탄소 공급
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2 내지 40 g/L, 또는 3 내지 10 g/L의 만니톨의 외인성 공급이 제공
된다.

[0042] 배양 배지는 추가적인 질소 또는 탄소 공급원, 예컨대, 효모 추출물, 맥아 추출물 또는 펩톤을 포함할 수 있으


며, 이러한 성분들 중 각 하나의 농도는 0.1 내지 20 g/L, 또는 0.5 내지 10 g/L이다.

[0043] 배양 배지는 해염(sea salt)을 포함할 수 있다. 해염은 5 내지 40 g/L, 또는 25 내지 35 g/L의 농도의 무기 염
이다. 일 구체예에서, 해염에 추가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무기 염이 또한 발효 배양 배지에 제공된다. 이들
+ + + 2+ 2+ 3- 2- - - - 2- -
염은 이온 Na , K , NH4 , Ca , Mg , PO4 , SO4 , Cl , F , I , CO3 , NO3 , 시트레이트, 또는 미량 원소, 예컨대

Cu, Mn, Mo, Fe, Sr, B, Br, Si, Al, Li, 및 Zn를 제공하는 염들 중에서 선택된다.

[0044] 추출 단계는 용매, 예컨대 이소프로판올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그 밖의 용매, 예컨대 에탄올, 아세톤 및 에탈
아세테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0045]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 균주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은 전형적으로 펩티드, 유리 아미노산, 탄수화물 및


지질을 함유한다. 일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은 31 내지 79 %의 펩티드, 1 내지 8%의 유리 아미노산, 10 내지
27 %의 탄수화물, 및 15 내지 40 %의 지질의 상대적 종 비율을 포함하며, 비율의 합이 100%을 초과하지 않는 것

- 12 -
공개특허 10-2017-0125093

을 조건으로 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은 35 내지 73 %의 펩티드, 2 내지 7%의 유리 아미노산, 12


내지 25 %의 탄수화물, 및 17 내지 37%의 지질의 상대적 종 비율을 나타내며, 비율의 합이 100%을 초과하지 않
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은 39.4 내지 65.6 %의 펩티드, 2.2 내지 6.4%의 유
리 아미노산, 13.3 내지 22 %의 탄수화물, 및 18.8 내지 32.8 %의 지질의 상대적 종 비율을 나타내며, 비율의
합이 100%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발효 추출물은 39 내지 46 %의 펩티드,
3 내지 7%의 유리 아미노산, 21 내지 22 %의 탄수화물, 및 29 내지 33%의 지질의 상대적 종 비율을 나타내며,
비율의 합이 100%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이러한 백분율은 중량 비율이다.

[0046] 전형적으로, 발효 추출물은 3,400 Da 미만의 분자량을 갖는다. 이는 실시예 2에서 상세히 기술된 조건 하에서,
크기 배제 컬럼 TSK gel G2000SWXL을 지닌 크로마토마토그래피(HPLC) 분석에 의해 측정된다. 크기 배제 컬럼은
7.8 mm의 내부 직경, 30.0 cm의 길이, 5 mm의 입도 및 125 Å의 기공 크기를 갖는다. 용리제는 0.1M 완충 포스
페이트 pH 6.7 + 0.1M Na2SO4였고, 용리는 1 mL/min의 유량에서 등용매로 유지되었다.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
세움 종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은, 11.5 내지 13.5분에서 피크를 나타내며, 피크는 10 내지 20 분의 체류 시간
을 갖는 가우시안(Gaussian) 분포를 가졌다.

[0047] 예시적이고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는 기탁 번호 CECT 20901의 유페니실리
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이다. 이 균주는 2014년 3월 20일에 1977년 4월 28일 미생물 기탁에 관한 국제 승인
에 관한 부다페스트 조약에 따라 상기 목적에 대해 합법적으로 인정된 기관인 Coleccion Espanola de Cultivos
Tipo (CECT) (Edificio 3 CUE, Parc Cientific Universitat de Valencia, Catedratico Agustin Escardino 9,
46980 Paterna, Valencia, Spain)에 기탁되었다.

[0048] 제2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를 위한 발효 추출물의 용
도를 제공한다. 특히, 발효 추출물은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탈색소 침착 또는 미백, 또는 색의 라
이트닝; 검버섯 의, 탈색소 침착 또는 미백, 또는 색의 라이트닝; 눈 다크 써클 피부의, 탈색소 침착 또는
미백, 또는 색의 라이트닝; 피부 광도의 유지 또는 개선; 피부 노화 증상의 완화 또는 예방; 피부 주름, 예컨대
안와주위 주름의 치료; 눈밑 다크 써클의 치료; 수북한 눈의 치료; 눈밑 처진 살의 치료; 피부 주름의 평활화
또는 감소; 수북한 눈 또는 눈밑 처진 살의 부피 감소; 피부 탄력의 유지 또는 개선; 피부 저항성, 견고성 또는
인장 강도의 유지 또는 개선을 포함하는, 피부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에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발효 추출물이 콜라겐 및 엘라스틴 합성을 촉진하고, 콜라게나제의 작용으로 인해 콜라겐의 분해를 억제하고,
엘라스타제의 작용으로 인해 엘라스틴의 분해를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발효 추출물은 노화되
는 피부에서 콜라겐 및 엘라스틴 수준을 보충하고 유지하는 작용을 하고, 이에 따라 피부 탄력, 피부 저항성 및
/또는 피부 인장 강도를 유지하고, 개선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처짐 및/또는 주름 경향이 적은 더 탄
력있고 팽팽한 피부로 유도한다. 또한, 상기 발효 추출물은 고급 당화 최종 생성물(AGE)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것이 노화 피부에서 콜라겐(I형 콜라겐) 수준을 유지하게 돕고, 이 결과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발효 추출물의 능력을 더 향상시키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AGE의 형성을 억제시키는 이러한 능력
은 엘라스틴의 감소와 함께 피부 둔화를 야기하는 것으로 여기지는 화합물의 형성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이
러한 미용 활성물질의 사용이 피부 광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일 구체예에서,
피부 탄력, 피부 저항성, 피부 견고성, 피부 인장 강도 및/또는 피부 광도의 유지 또는 개선을 위한 상기 발효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피부 탄력, 피부 저항성, 피부 견고성, 피부 인장 강도 및/또는
피부 광도의 유지 또는 개선의 미용적 용도를 위한 상기 발효 추출물, 및 피부 퍼밍(firming) 및 토닝(toning)
제 및/또는 피부 광택제(skin brightening agent)로서의 상기 발효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를 제공한다.

[0049]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은 피부 주름, 특히 눈가 잔주름과 같은 안와주위 주름을 평활화하거나 크기를 감
소하는 것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일 구체예에서, 주름 치료용 상기 발효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주름 치료의 미용적 용도를 위한 상기 발효 추출물 및 피부 주름
개선제(anti-wrinkle agent)로서 상기 발효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를 제공한다.

[0050]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은 눈밑 처진 살의 부피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적어도 부분적으
로 발효 추출물이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키는 효과(노화된 피부와 관련된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킴)에 기인하고,
이에 따라 눈 밑의 피부에 보유되는 유체의 양을 감소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일 구체예에서, 눈밑 처진 살 및/또는 수북한 눈의 치료를 위한 상기 발효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가 제공
된다. 본 발명은 눈밑 처진 살 및/또는 수북한 눈 치료의 미용적 용도를 위한 상기 발효 추출물, 및 눈밑 처진
살 및/또는 수북한 눈 치료제로서 상기 발효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를 제공한다.

- 13 -
공개특허 10-2017-0125093

[0051]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은 피부의, 색의 라이트닝 또는 탈색소침착 또는 미백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형성 억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및/또는 멜라닌 생성 과
정에 관련된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서의 발효 추출물의 효능으로 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일 구체예에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색의 라이트닝, 미백 또는 탈색소침착
을 위한 상기 발효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피부의 미백 또는 색의 라이트닝 또는 탈색소
침착의 미용적 용도를 위한 상기 발효 추출물, 및 피부 미백제 또는 피부 색 라이트닝제 또는 피부 탈색소침착
제로서 상기 발효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를 제공한다. 특히, 발효 추출물은 과다 색소침착된 피부, 예를 들어
검버섯의 색의 라이트닝 또는 탈색소침착 또는 미백에 효과적이다. 검버섯에 영향을 미치는 이러한 능력은 부
분적으로는, EDNRB 유전자 발현의 하향 조절 및 멜라닌세포에서의 Wnt 신호전달 경로의 억제 효과(유전자 DKK1
의 상향 조절 및 이러한 경로에 관여된 유전자의 하향 조절)에서의 발효 추출물의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
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일 구체예에서, 검버섯의 치료를 위한 상기 발효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검버섯 치료의 미용적 용도를 위한 상기 발효 추출물, 및 검버섯 치료제로서의 상기 발효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은 눈 다크 써클에서 피부의 진한 색을 밝게
하는데 특히 효과적이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멜라닌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 뿐만 아니라 빌리루빈 분해
촉진에서의 발효 추출물의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일 구체예에서,
눈 다크 써클의 치료를 위한 상기 발효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눈 다크 써클 치료의 미
용적 용도를 위한 상기 발효 추출물, 및 눈 다크 써클 치료제로서의 상기 발효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를 제공한
다. 이러한 피부 색 라이트닝 능력은 또한 피부 광도를 유지하고/거나 개선시키는 발효 추출물의 능력에 기여
한다.

[0052]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일 구체예에서, 피부 노화의 증상 또는 징후의 완화 및/또는 예방을 위한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의 용도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 노화 증상의 완화 및/또는 예방에서의 미용적 용도를 위한
상기 발효 추출물, 및 피부 안티-에이징제로서의 상기 발효 추출물의 미용적 용도를 제공한다. 피부 노화의 증
상 또는 징후는 피부 주름, 눈 다크 써클, 검버섯, 수북한 눈 및/또는 눈밑 처진 살의 출현, 피부의 둔화, 피부
탄력, 피부 저항성, 피부 견고성 및/또는 피부 인장 강도의 상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 구체예에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는 피부 주름, 피부 주름, 눈 다크 써클, 검버섯, 수북한 눈 및/또는 눈밑 처진 살의 치료;
피부 주름의 평활화 또는 크기 감소; 수북한 눈 및/또는 눈밑 처진 살의 부피 감소; 눈 다크 써클 피부 색의 라
이트닝; 검버섯 색의 라이트닝; 피부 탄력, 피부 광도, 피부 저항성, 피부 견고성 및/또는 피부 인장 강도의 유
지 또는 개선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는 피부의 라이트닝, 미백 또는 탈색소침
착이고, 눈 다크 써클 및/또는 검버섯의, 피부 색의 라이트닝 및/또는 피부 광도의 유지 또는 개선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는 눈 주위 피부 영역의 치료이고, 피부 주름, 눈 다크 써클, 수북한
눈 및/또는 눈밑 처진 살의 치료를 포함한다.

[0053]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는 환경에 가장 많이 노
출되는 피부, 예컨대 얼굴 피부, 손 및 팔뚝의 피부, 어깨와 가슴 윗부분 및 다리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는 색의 라이트닝, 미백 또는 탈색
소침착을 위한 것이고, 치료 및/또는 케어는 보다 밝은 색이 개인에 의해 미용적으로 요망되는 피부, 예컨대 검
버섯과 같은 과다 색소 침착된 피부 또는 유두의 피부와 같이 높은 멜라닌 함량으로 인해 본래 더 진한 피부를
위한 것이다.

[0054] 일 구체예에서,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는 백인 또는 아시아인인 개인을 위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미용


적 치료 및/또는 케어는 20세 이상의 개인을 위한 것이다.

[0055]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미용적 유효량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 및 적어도
하나의 미용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애주번트 및/또는 성분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발효 추출물
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기술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Harry's Cosmeticology", Seventh edition, (1982), Wilkinson J.B., Moore R.J., ed.
Longman House, Essex, GB].

[0056]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발효 추출물의 미용적 유효량 뿐만 아니라 이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상태, 피부 노화
징후의 특성 또는 중증도, 치료 및/또는 케어되어야 하는 피부의 칙칙함(darkness), 추출의 투여 경로 및 횟수
를 포함할 수 있는 다수의 인자들에 따를 것이다.

[0057] "미용적 유효량"은 요망되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발효 추출물의 비독성적이지만 충분한 양인 것으로

- 14 -
공개특허 10-2017-0125093

이해된다.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은 요망하는 미용적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농도로 사용되고, 이들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추출물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000000001 wt % 내지 20 wt % 또는 0.00000001 wt %
내지 10 wt %, 또는 0.000001 wt % 내지 5 wt %, 또는 0.000001 wt % 또는 0.00005 내지 1 wt %를 포함한다.

[0058]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은 화장료 전달 시스템 및/또는 서방형 시스템에 도입될 수 있다.

[0059] 용어 "전달 시스템"은 본 발명의 추출물과 함께 투여되는 희석제, 애주번트(adjuvant), 비히클 또는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화장료 담체는 액체, 예를 들어, 물, 페트롤륨, 동물, 식물 또는 합성 기원의 것들을 포
함하는 오일 또는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땅콩 오일, 대두유, 광유, 세삼 오일, 캐스터 오일,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 에스테르, 에테르 설페이트, 설페이트, 베타인, 글리코사이드, 말토사이드, 지방 알
코올, 노녹시놀, 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에틸렌 글리콜, 덱스트로오스, 글리세롤, 디기토닌, 등일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이 투여될 수 있는 다른 전달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희석제, 애주
번트 또는 첨가제를 인지한다.

[0060] 용어 "서방형(sustained release)"은 소정 시간 동안 화합물의 점진적 방출을 제공하는 전달 시스템을 기술하기


위해 통상적인 의미에서 사용된다. 일 구체예에서, 전달 시스템은 소정 시간 동안 비교적 일정한 화합물 방출
수준을 제공한다.

[0061] 전달 또는 서방형 시스템의 예는 리포솜, 혼합된 리포솜, 올레오솜, 니오솜, 에토솜, 밀리입자, 마이크로입자,
나노입자, 및 고체 지질 나노입자, 나노구조화된 지질 담체, 스폰지(sponge), 시클로덱스트린, 소포(vesicle),
마이셀, 계면활성제의 혼합된 마이셀, 계면활성제-인지질 혼합된 마이셀, 밀리구체, 마이크로구체 및 나노구체,
리포구체, 밀리캡슐, 마이크로캡슐 및 나노캡슐,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에멀젼 및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며, 이는
본 발명의 활성 성질의 보다 큰 침투를 달성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전달 또는 서방형 시스
템은 리포솜, 계면활성제-인지질 혼합된 마이셀 및 마이크로에멀젼, 및 내부 역 마이셀 구조를 갖는 유중수 마
이크로에멀젼, 및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으로부터 선택된다.

[0062] 서방형 시스템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접착
성 패치, 비-접착성 패치, 폐쇄형 패치(occlusive patch) 및 마이크로전자 패치를 포함하는 국소 또는 경피 투
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서방형 시스템은 비교적 일정한 양의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을 방
출할 것이다. 서방형 시스템에 함유된 발효 추출물의 양은 예를 들어, 조성물이 투여되어야 하는 경우, 본 발
명의 발효 추출물의 방출 속도 및 기간, 뿐만 아니라, 치료되고/거나 예방되어야 하는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
의 특성에 의존할 것이다.

[0063]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은 또한, 고체 유기 폴리머 또는 고체 무기 지지체, 예를 들어, 비제한
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탈크, 벤토나이트, 실리카, 전분 또는 말토덱스트린 상에 흡착될 수 있다.

[0064]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은 또한 피부에 직접 접촉되는 직물, 부직포 직물 또는 의료 디바이스에 도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직물, 부직포 직물 또는 의료 비다이스에 결합 시스템의 분해에 의해, 또는 이러한 것과 신
체 간의 마찰로 인해, 신체 수분, 피부의 pH 또는 체온에 의해서 든지 본 발명의 추출물을 방출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은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의복의 제작에 사용되는 직물 및 부직포 직물에 도입될 수
있다.

[0065] 상술된 전달 시스템 및/또는 서방형 시스템인 것들 중에서, 화합물을 이러한 고정시키기 위한 직물, 부직포 직
물, 의복, 의료 디바이스 및 수단의 예는 문헌에서 확인될 수 있고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Schaab C.K.
(1986) HAPPI May 1986; Nelson G., "Application of microencapsulation in textiles", (2002), Int. J.
Pharm., 242(1-2), 55-62; "Biofunctional Textiles and the Skin" (2006) Curr. Probl. Dermatol. v.33,
Hipler U.C. and Elsner P., eds. S. Karger AG, Basel, Switzerland; Malcolm R.K. et al., "Controlled
release of a model antibacterial drug from a novel self-lubricating silicone biomaterial", (2004), J.
Cont. Release, 97(2), 313-320]. 바람직한 직물, 부직포 직물, 의복 및 의료 디바이스는 붕대, 거즈,
t-셔츠, 양말, 타이츠, 속옷, 거들, 장갑, 기저귀, 생리대, 드레싱, 침대보(bedspread), 와이프(wipe), 접착성
패치, 비-접착성 패치, 폐쇄형 패치, 마이크로전자 패치 및/또는 얼굴 마스크이다.

[0066]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 조성물은 임의로, 요망되는 투여 형태를 제형화하기 위해 필요한 미용
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국소 또는 경피 적용의 상이한 타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0067] 본 발명의 미용 조성물은 국소 또는 경피 적용에 대한 것일 수 있으며, 어떠한 고체, 액체 또는 반-고체 제형,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크림, 복합 에멀젼,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수중유 및/또는 수중실리콘 에멀젼,

- 15 -
공개특허 10-2017-0125093

유중수 및/또는 실리콘중수 에멀젼, 물/오일/물 또는 물/실리콘/물 타입 에멀젼, 및 오일/물/오일 또는 실리콘/


물/실리콘 타입 에멀젼, 무수 조성물, 수성 분산액, 오일, 밀크, 발삼, 포움, 로션, 젤, 크림 젤, 하이드로알코
올 용액, 하이드로글리콜 용액, 하이드로겔, 리니먼트, 세라, 비누, 샴푸, 컨디셔너, 세럼, 다당류 필름, 연고,
무스, 포마드, 파우더, 막대, 펜슬 및 스프레이 또는 에어로졸(스프레이)(리브-온(leave-on) 및 린스-오프
(rinse-off) 제형을 포함함)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국소 또는 경피 적용 제형은 상이한 타입의 고체 액세서
리,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붕대, 거즈, t-셔츠, 양물, 타이츠, 속옷, 거들, 장갑, 기저귀, 생리대, 드레싱,
침대보, 와이프, 접착성 패치, 비-접착성 패치, 폐쇄형 패치, 마이크로전자 패치 또는 얼굴 마스크로 당업자에
의해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도입될 수 있거나, 이러한 것은 상이한 메이크-업 제품(make-up product), 예를
들어, 다른 것들 중에서, 메이크-업 파운데이션(make-up foundation), 예를 들어, 유체 파운데이션 및 컴팩트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제거 로션, 메이크-업 제거 밀크, 눈밑 컨실러(under-eye concealer), 아이 섀도우(eye
shadow), 립스틱, 입술 보호제(lip protector), 립글로스(lip gloss) 및 파우더에 도입될 수 있다.

[0068] 본 발명의 미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경피 흡수를 증가시키는 제제,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
들 중에서, 디메틸 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계면활성제, 오존 (1-도데실아자시클로
헵탄-2-온), 알코올, 우레아, 에톡시디글리콜, 아세톤,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용 또는 피부약제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추출물의 보다 큰 침투를 달성하기 위해,
이온도입법, 초음파도입법, 전기천공법, 미세전자 패치(microelectric patch), 기계적 압력, 삼투압 구배, 밀봉
치유, 미량주사 또는 압력에 의한 바늘이 없는 주사, 예를 들어, 산소 압력에 의한 주사,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치료될 국소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적용 영역은 치료되고/거나 예방될 질환, 장애 및/또는 질병의 특성
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0069] 본 발명에 기술된 미용 조성물에 함유된 미용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애주번트 및/또는 구성성분들 중에는 미
용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추가적인 구성성분들,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피지 생성을 감소시키는 제
제, 항지루제, 매트화제, 항여드름제, 진피 또는 표피 거대분자의 합성을 자극하고/거나 이의 분해를 억제하거
나 예방할 수 있는 제제, 그 밖의 콜라겐 합성-자극제, 그 밖의 엘라스틴 합성-자극제, 데코린 합성-자극제, 라
미닌 합성-자극제, 디펜신 합성-자극제, 샤페론 합성-자극제, cAMP 합성-자극제, AQP 3을 조절하는 제제, 아쿠
아포린 합성을 조절하는 제제, 아쿠아포린 패밀리로부터의 단백질, 히알루론산 합성-자극제, 글리코사미노글리
칸 합성-자극제, 피브로넥틴 합성-자극제, 시르투인 합성-자극제, 열 충격 단백질, 열 충격 단백질
합성-자극제, 뉴런 엑소사이토시스(neuronal exocytosis) 억제제, 그 밖의 항콜린 작용제, 근육 수축을 억제하
는 제제, 그 밖의 노화 방지제, 그 밖의 주름 개선제, 발한 억제제, 소염제 및/또는 진통제, 지양제, 진정제,
마취제, 아세틸콜린-수용체 응집의 억제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를 억제하는 제제, 피부 완화제, 그 밖의 멜
라닌 합성 억제제, 미백 또는 탈색 제제, NO-신타제 억제제, 5α-환원효소 억제제, 리실- 및/또는 프롤릴 하이
드록실라아제 억제제, 항산화제, 자유 라디칼 스캐빈져 및/또는 대기오염에 대한 제제, 반응성 카보닐 종 스캐
빈져, 항-당화 제제, 항히스타민제, 항바이러스제, 항기생충제, 에멀젼제, 연화제, 유기 용매, 액체 추진제, 피
부 컨디셔너, 습윤제, 수분을 보유하는 물질, 알파 하이드록시산, 베타 하이드록시산, 모이스쳐라이져, 표피 가
수분해 효소, 비타민, 아미노산, 단백질, 안료 또는 착색제, 염료, 바이오폴리머, 겔화 폴리머, 증점제, 계면활
성제, 연화제, 에멀젼제, 결합제, 보존제, 눈밑 처진 살을 감소시키거나 치료할 수 있는 제제, 박피제, 각질 용
해제, 박리제, 항미생물제, 항진균제, 정진균제, 살균제, 세균발육저해제, 각질층의 지질 및 성분들의 합성을
자극하는 제제, 세라마이드, 지방산,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그 밖의 제제,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를 억제하는
제제, 엘라스틴 분해를 억제하는 그 밖의 제제, 세린 프로테아제, 예를 들어, 칼리크레인(kallikrein), 백혈구
엘라스타아제(leukocyte elastase) 또는 카텝신 G(cathepsin G)를 억제하는 제제, 섬유아세포 증식을 자극시키
는 제제, 케라틴세포 증식을 자극시키는 제제, 지방세포 증식을 자극시키는 제제, 멜라닌세포 증식을 자극시키
는 제제, 케라틴세포 분화를 자극시키는 제제, 지방세포 분화를 자극시키거나 지연시키는 제제, 항과다각화증
제제, 면포용해제, 항-건선제, DNA 복구제, DNA 보호제, 줄기 세포 보호제, 안정화제, 민감성 피부의 치료 및/
또는 관리를 위한 제제, 응고제, 항-스트레치 마크 제제, 결합제, 지방분해제 또는 지방분해를 자극시키는
제제, 지방 생성제, PGC-1α 발현을 조절하는 제제, PPARγ의 활성을 조절하는 제제, 지방 세포의 트리글리세라
이드 함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제, 항-셀룰라이트 제제, PAR-2의 활성을 억제하는 제제, 치유를 자극시키
는 제제, 공동애주번트 상처 치유제, 재상피화를 자극시키는 제제, 공동애주번트 재상피화제, 사이토카인 성장
인자, 모세관 순환 및/또는 미세순환에 대해 작용하는 제제, 혈관신생을 자극시키는 제제, 혈관 침투성을 억제
하는 제제, 정맥긴장제, 세포 대사에 대해 작용하는 제제, 진피-표피 접합부를 개선시키는 제제, 헤어 성장을
유도하는 제제, 헤어 성장 억제제 또는 지연제, 헤어 상실 지연제, 보존제, 퍼퓸, 냄새 흡수제 및/또는 체취 차
폐제, 킬레이트제, 식물 추출물, 에센셜 오일, 해양 추출물, 생명공학 과정으로부터 얻어진 제제, 무기 염, 세

- 16 -
공개특허 10-2017-0125093

포 추출물, 선스크린 및 자외선 A 및/또는 B 및/또는 적외선 A에 대해 활성인 유기 또는 무기 광보호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단, 이러한 것은 조성물 중의 나머지 성분들과, 그리고 특히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
의 균주에 의해 생성된 발효 추출물과 물리적으로 및 화학적으로 양립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추가적인
구성성분들의 특성은 본 발명의 추출물의 이점들을 허용 가능하지 않게 변경되지 못할 것이다. 이러한 추가적인
구성성분들의 특성은 합성 또는 천연, 예를 들어, 식물 추출물일 수 있거나, 생물공학적 공정으로부터 또는 합
성 공정과 생물공학적 공정의 조합으로부터 비롯된다. 추가적인 예는 문헌[CTFA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 Handbook, 12th Edition (2008)]에서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생물공학
적 공정은 유기체, 또는 이의 일부에서 활성 성분 또는 이의 일부를 생성시키기 위한 임의 공정인 것으로 이해
된다.

[0070]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미용 조성물은

[0071] - 0.00000000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

[0072] - 0.1% (중량) 내지 20% (중량)의, (INCI 명칭)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카
프릴릴 글리콜, 락트산, 우레아, 소듐 히알루로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습윤제;

[0073] - 0.1%(중량 기준) 내지 20%(중량 기준)의 (INCI명) 디메티콘,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카프릴/카프르 트리글리
세라이드, 세테아릴 알코올, 레시틴, C12-155 알킬 벤조에이트, 스쿠알렌, 라놀린, 베헤닐 알코올, 토코페릴 아
세테이트, 판테놀, 부티로스페르뭄 파르키 버터(Butyrospermum Parkii Butter), 레티닐 팔미테이트, 레티놀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연화제 또는 피부 컨디셔닝;

[0074] - 0.1%(중량 기준) 내지 20%(중량 기준)의 (INCI명) 잔탄 검,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 스테아르산, 폴리소르베
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80, 스테아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레스-2, 세테아레스-20, 코카미도프로필 베
타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0075] 조성물은 피지 생성을 감소시키는 제제, 항지루제(anti-seborrheic agent), 매트화제(mattifying agent) 및/또
는 항여드름제,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무엇보다도, BASF에 의해 시판되는, Mat-XS Clinical [INCI: 사르코
신, 잔탄 검], Mat-XS Bright [INCI: 오르토시폰 스타미뉴스(Orthosiphon Stamineus) 잎 추출물,
말토덱스트린, 잔탄 검], Betapur [INCI: 류무스 볼두스(Reumus Boldus) 잎 추출물, 잔탄 검] 또는 Neurobiox
[INCI: 아킬레아 밀레폴륨(Achillea Millefolium) 추출물, 잔탄 검]; Sederma/Croda에 의해 시판되는 Evermat
[INCI: 엔안티아 클로르안타(Enantia Chlorantha) 목피 추출물, 올레아놀산], Ac.net [INCI: 부틸렌 글리콜,
Peg-60 아몬드 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릴 글리콜, 글리세린, 카보머, 모르디하이드로루아이아레트산, 올레아놀산]
또는 Sebuless [INCI: 말토덱스트린, 시린자 불가리스(Syringa Vulgaris) (릴락(Lilac)) 추출물]; Crodarom에
의해 시판되는 Phytessence Purple Ginseng [INCI: 글리세린 또는 폴리고눔 비스토르타(Polygonum Bistorta)
뿌리 추출물]; Silab에 의해 시판되는 P-Refinyl [INCI: 렌즈 에스쿨렌타(Lens Esculenta)(렌틸(Lentil)) 종자
추출물]; Codif에 의해 시판되는 EPS Seamat [INCI: 플란크토닉 엑소폴리사카라이드-5(Planktonic Exopoly사카
라이드-5), 페녹시에탄올] 또는 Epidermist 4.0 [INCI: 플랑크톤(Plankton) 추출물]; Alban Muller에 의해 시
판되는, Seborami [INCI: 시심브리움 오피이시날레(Sisymbrium Ofiicinale) 추출물, 아르크티움 라파(Arctium
Lappa) 뿌리 추출물, 시트르산, 글리콜산, 아연 PCA, 스클레로티움 검(Sclerotium Gum)]; Mibelle에 의해 시판
되는 Poreaway [INCI: 피스타시아 렌티스쿠스 검(Pistacia Lentiscus Gum)/피스타시아 렌티스쿠스(마스틱
(Mastic)) 검, 렉시틴]; Provital에 의해 시판되는 Citrustem [INCI: 잔탄 검, 소듐 벤조에이트,
글루코노락톤, 칼슘 글루코네이트] 또는 Affipore [INCI: 바로스마 베툴리나(Barosma Betulina) 잎 추출물, 시
트르산]; Laboratories Expanscience에 의해 시판되는 Sweetone [INCI: 사카라이드 하이드롤리세이트, 말토덱
스트린]; Solabia에 의해 시판되는 Seboxyl [INCI: 리베스 니그룸(Ribes Nigrum)(블랙 커런트(Black Currant))
잎 추출물, 루부스 이에우스(Rubus Idaeus) (라스베리(Raspberry)) 잎 추출물] 또는 Saniskin [INCI: 폴리고눔
쿠스피다툼(Polygonum CusAmelioxpidatum) 뿌리 추출물, 미리스틸 알코올]; DSM에 의해 시판되는, Alpaflor
Alp-Sebum [INCI: 에필로븀 플레이쉐리(Epilobium Fleischeri) 추출물, 시트르산, 포타슘 소르베이트] 또는
Regu-Seb [INCI: 아르가니아 스피노사 커넬(Argania Spinosa Kernel) 추출물, 세레노아 세르룰라타(Serenoa
Serrulata) 열매 추출물, 세사뭄 인디쿰(Sesamum Indicum)(참깨(Sesam)) 종자 추출물]; Lipotec/Lubrizol에 의
®
해 시판되는, Bodyfensine [INCI: 아세틸 디펩티드-3 아미노헥사노에이트], Matmarine™ [INCI: 슈도알테로모
나스(Pseudoalteromonas) 발효 추출물]; Aqua Bio Technology에 의해 시판되는 Dermaclarine [INCI: 가수분해
된 난 단백질(및) 프로테아제]; Lucas Meyer에 의해 시판되는 Linumine [INCI: 리눔 우시타티시뭄(Linum
Usitatissimum)(아마씨) 종자 추출물]; Evonik에 의해 시판되는 Granactive Acne [INCI: 오리자 사티바(Oryza

- 17 -
공개특허 10-2017-0125093

Sativa)(쌀) 브란(Bran) 추출물, 보스웰리아 세르라타(Boswellia Serrata) 추출물, 꿀 추출물, 올리고펩티드-


10]; Seppic에 의해 시판되는 Sepicontrol A5 [INCI: 카프릴로일 글리신, 사르코신, 신나암모늄 제일아니쿰
(Cinnamonium Zeylanicum) 목피 추출물]; Symrise에 의해 시판되는 Sympeptile 380 [INCI: 미리스토일 헥사펩
티드-23]; 또는 Laboratoires Serobiologiques/Cognis/BASF에 의해 시판되는 Sebaryl [INCI: 니아신아미드, 효
모 추출물, 아에스쿨루스 히포카스타눔(Aesculus Hippocastanum) (호스 체스넛(Horse Chestnunt)) 종자
추출물, 암모뮴 그리시르히제이트(Ammonium Glycyrrhizate), 판테놀, 프로필렌 글리콜, 아연 글루코네이트, 카
페인, 바이오틴]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0076] 조성물은,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 로사 카니나(Rosa


canina), 쿠르쿠마 론가(Curcuma longa), 테오브로마 카카오(Theobroma cacao), 진코 빌로바(Ginkgo biloba),
레온토포듐 알피눔(Leontopodium alpinum) 또는 투날리엘라 살리나(Dunaliella salina)의 추출물 또는 가수분
® ® ®
해된 추출물, Matrixyl [INCI: 팔미토일 펜타펩티드-4], Matrixyl 3000 [INCI: 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
®
팔미토일 올리고펩티드], Matrixyl Synthe'6™ [INCI: 글리세린, 물,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 팔
미토일 트리펩티드-38], Essenskin™ [INCI: 칼슘 하이드록시메티오닌], Renovage [INCI: 테프레논], Resistem
™ [INCI: 글로불라리아 코르디폴리아 발효물(Globularia Cordifolia Ferment)], Beautifeye [INCI: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껍질 추출물, 다루토사이드], Meiritage [INCI: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뿌리
추출물, 아트락틸로이드 마크로세팔라(Atractyloides Macrocephala) 뿌리 추출물, 시호(Bupleurum Falcatum)
뿌리 추출물], Senestem [INCI: 창질경이(Plantago Lanceolata) 잎 추출물], Beautifeye™ [INCI: 알비지아 줄
리브리신(ALbizia Julibrissin) 목피 추출물], Venuceane [INCI: 테르무스 테르모필루스(Thermus
®
Thermophillus) 발효물] 또는 Dermaxyl [INCI: 팔미토일 올리고펩티드](Sederma/Croda에 의해 시판됨),
® ® ® ®
Vialox [INCI: 펜타펩티드-3], Syn -Ake [INCI: 디펩티드 디아미노부티로일 벤질아미드 디아세테이트], Syn
-Coll [INCI: 팔미토일 트리펩티드-5], 피탈루로네이트 [INCI: 로우커스트 콩(Locust Bean) (세라토니아 실리쿠
아(Ceratonia siliqua)) 검], Regu-Scence [INCI: 아스파라거스 오피시날리스 줄기 추출물(Asparagus
Officinalis Stem Extract), 소듐 벤조에이트, 칼륨 소르베이트, 글루코노락톤, 칼슘 글루코네이트], Syn-TC
[INCI: 테트라데실 아미노부티로일발릴아미노부티릭 우레아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팔미토일 트리펩티드-5,
®
팔미토일 디펩티드-5 디아미노부티로일 하이드록시트레오닌] 또는 Preregen [INCI: 글리신 소야(Glycine
soja) (대두(Soybean)) 단백질, 옥시도 환원효소](Pentapharm/DSM에 의해 시판됨), Myoxinol™ [INCI: 가수분
해된 히비스커스 에스쿨렌투스 추출물(Hibiscus esculentus Extract)], Syniorage™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
드-11], Dermican™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드-9], Shadownyl [INCI: 조류 추출물, 헥실렌 글리콜, 카프릴릴
글리콜, 자탄 검] 또는 DN AGE™ LS [INCI: 카시아 알라타 잎 추출물(Cassia alata leaf
®
Extract)](Laboratoires Serobiologiques/Cognis/BASF에 의해 시판됨), Algisum C [INCI: 메틸실란올 만누로
®
네이트], Exage [INCI: 이미다졸릴에틸 디아미노프로판아미드] 또는 하이드록시프롤리실란 CN [INCI: 메틸실란
®
올 하이드록시프롤린 아스파르테이트](Exsymol에 의해 시판됨), Argireline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8],
®
SNAP-7 [INCI: 아세틸 헵타펩티드-4], SNAP-8 [INCI: 아세틸 옥타펩티드-3], Serilesine [INCI: 헥사펩티드-
® ® ®
10], Leuphasyl [INCI: 펜타펩티드-18], Inyline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30], Aldenine [INCI: 가수분
®
해된 밀단백질, 가수분해된 콩단백질, 트리펩티드-1], Preventhelia [INCI: 디아미노프로피오닐 트리펩티드-
® ® ®
33], Decorinyl [INCI: 트리펩티드-10 시트룰린], Decorinol [INCI: 트리펩티드-9 시트룰린], Trylagen
[INCI: 슈도알테로모나스(Pseudoalteromonas) 발효 추출물, 가수분해된 밀단백질, 가수분해된 콩단백질, 트리펩
®
티드-10 Citrulline, 트리펩티드-1], Eyeseryl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드-5], Peptide AC29 [INCI: 아세틸
® ®
트리펩티드-30 시트룰린], Relistase [INCI: 아세틸아르기닐트립토필 디페닐글리신], Thermostressine
®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드-22], Lipochroman™ [INCI: 디메틸메톡시 크로마놀], Chromabright [INCI: 디메
®
틸메톡시 크로마닐 팔미테이트], Antarcticine [INCI: 슈도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 dGlyage™ [INCI: 라
이신 HCl, 레시틴, 트리펩티드-9 시트룰린], Vilastene™ [INCI: 라이신 HCl, 레시틴, 트리펩티드-10 시트룰
린], Hyadisine™ [INCI: Pseudoalteromonas 발효 추출물], Hyanify™ [INCI: Saccharide Isomerate],
Diffuporine™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37], Silusyne™ [INCI: 대두(글리신 소야) 오일, 소르비탄 세스퀴올
레이트, 이소헥사데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라우릴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 아세틸

- 18 -
공개특허 10-2017-0125093

헥사펩티드-39], Adifyline™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38], Uplevity™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드-2],


Juveleven™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51 아미드], 또는 Lipotec/Lubrizol에 의해 시판되는 Telangyn™
®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드-40], Institut Europeen de Biologie Cellulaire에 의해 시판되는 Kollaren
®
[INCI: 트리펩티드-1, 덱스트란], Collaxyl IS [INCI: 헥사펩티드-9], Laminixyl IS™ [INCI: Heptapeptide],
Orsirtine™ GL [INCI: 오리자 사티바(Oryza sativa)(쌀) 추출물], D'Orientine™ IS [INCI: 대추야자(Phoenix
dactylifera)(Date) 종자 추출물], Phytoquintescine™ [INCI: 외알밀(Einkorn)(트리티쿰 모노쿠콤(Triticum
monococcum)) 추출물], Peptide Q10 [INCI: 펜타펩티드-34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Telosense [INCI: 가수분
해된 효모 단백질, 가수분해된 콩 단백질] 또는 Vincience/ISP/Ashland에 의해 시판된 Quintescine™ IS
[INCI: 디펩티드-4], Infinitec Activos에 의해 시판된 BONT-L-Peptide [INCI: 팔미토일 헥사펩티드-19],
®
Deepaline™ PVB [INCI: 팔미토일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또는 Seppic에 의해 시판되는 Sepilift DPHP [INCI:
®
디팔미토일 하이드록시프롤린], Gatuline Expression [INCI: 아크멜라 올레라세아(Acmella oleracea) 추출
®
물], Gatuline In-Tense [INCI: 사필란테스 아크멜라(Spilanthes acmella) 꽃 추출물] 또는 Gattefosse에 의
®
해 시판되는 Gatuline Age Defense 2 [INCI: 주글란스 레기나(Juglans regia)(호두) 종자 추출물],
Biotechmarine에 의해 시판된 Thalassine™ [INCI: 조류 추출물], ChroNOline™ [INCI: 카프로오일 테트라펩티
드-3] 또는 Atrium/Unipex Innovations에 의해 시판되는 Thymulen-4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드-2],
Coletica/Engelhard/BASF에 의해 시판되는, EquiStat [INCI: 피루스 말루스 과일 추출물(Pyrus malus Fruit
Extract), 글리신 소자 종자 추출물] 또는 Juvenesce [INCI: 에톡시디글리콜 및 카프릴 트리글리세라이드, 레티
놀, 우르솔릭산, 피토나디온, 일로마스타트(Ilomastat)], Epigenist™ [INCI: 보안드제이아 수브테르라네아
(Voandzeia Subterranea) 종자 추출물], LOX-AGE™ [INCI: 시코리움 인티부스(Cichorium Intybus)(치커리) 잎
추출물], Ameliox [INCI: 카르노신, 토코페롤, 실리붐 마리아눔(Silybum marianum) 과일 추출물],
Phytocelltec Symphytum [INCI: 이소말트(Isomalt), 심피툼 아피시날레 뿌리 세포 배양물(Symphytum
Officinale Root Cell Culture), 레시틴, 소듐 벤조에이트], 눈조류 분말 [INCI: 클라미도캅사(Chlamydocapsa)
추출물, 말토덱스트린, 레시틴], Dermcom [INCI: 아카시아 세네갈 검(Acacia Senegal Gum), 크로쿠스 키르산투
스(Crocus Chyrsanthus) 알뿌리 추출물], Anagain [INCI: 피숨 사티붐(Pisum Sativum)(Pea), 스프라우트
(Sprout) 추출물] 또는 Mibelle Biochemistry에 의해 시판되는 PhytoCellTec Malus Domestica [INCI: 말루스
도메스티카(Malus domestica) 열매 세포 배양물], Bioxilift [INCI: 핌피넬라 아니숨(Pimpinella anisum) 추출
물], Vitagenyl [INCI: 프루누스 페르시카(Prunus Persica)(Peach) 잎 추출물] 또는 Silab에 의해 시판된 SMS
®
Anti-Wrinkle [INCI: 안노나 스쿠아모사(Annona squamosa) 종자 추출물], Symrise에 의해 시판된 Symvital
Agerepair [INCI: 진기베르 오피시날(Zingiber Officinale)(징거(Ginger)) 뿌리 추출물], Citrustem [INCI: 잔
탄 검, 소듐 벤조에이트, 글루코노락톤, 칼슘 클루코네이트], Melavoid [INCI: 보에르하비아 디푸사(Boerhavia
Diffusa) 뿌리 추출물], Darkout [INCI: 히폭시스 루페리 리좀(Hypoxis Rooperi Rhizome) 추출물, 카에살피니
아 스피노사 검(Caesalpinia Spinosa Gum)] 또는 Provital에 의해 시판되는 Linefill [INCI: 디메틸 이소소르
비드, 세사뭄 인디쿰(Sesamum Indicum)(Sesame) 종자 추출물], Adipofill'in [INCI: 오르니틴, 인지질, 글리코
지질], Elix-IR [INCI: 폴리고눔 아비쿨라레(Polygonum Aviculare) 추출물] 또는 Lucas Meyer에 의해 시판된
Progeline [INCI: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트리펩티드-2], Amiperfect [INCI: 가울테리아 프로쿰벤스(Gaultheria
Procumbens)(Wintergreen) 잎 추출물] 또는 Alban Muller에 의해 시판된 Repulpami ER [INCI: 아단소니아 디기
타라(Adansonia Digitata) 펄프 추출물, 히비스쿠스 사브다리파(Hibiscus Sabdariffa) 꽃 추출물], Celloxyl
[INCI: 우아파카 보제리(Uapaca Bojeri) 잎 추출물] 또는 Solabia에 의해 시판된 Resistress [INCI: 소포라 제
포니카(Sophora Japonica) 꽃 추출물], Codif에 의해 시판된 Actiporine 8G [INCI: 자니아 루벤스(Jania
Rubens) 추출물] 또는 EPS Seafill [INCI: 플랑크톤 추출물], Lakesis [INCI: 피스타시아 렌티스쿠스(Pistacia
Lentiscus) (마스틱(Mastic))검], Novhyal Biotech G [INCI: 디소듐 아세틸 글루코사민 포스페이트] 또는
2+
Rubixyl [INCI: 헥사펩티드-47](Induchem에 의해 시판됨), Ca 채널의 길항제,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알베
린, 망간 또는 마그네슘 염, 특정 2차 또는 3차 아민,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 이데베논 및 이의 유도체, 코엔
자임 Q10 및 이의 유도체, 보스웰산(boswellic acid) 및 이의 유도체, GHK 및 이의 유도체 및/또는 염, 카르노
신 및 이의 유도체, DNA 복구 효소,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포토일라아제(photolyase) 또
는 T4 엔도누클레아제(endonuclease) V, 또는 클로라이드 채널 작용제,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주름방지 및/또는 노화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 19 -
공개특허 10-2017-0125093

[0077] 조성물은,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의 추출물, 에키나세아(echinacea)의 추출


물, 아마란트 종자 오일(amaranth seed oil), 샌들 우드 오일(sandal wood oil), 복숭아 나무 잎의 추출물, 알
로에 베라(aloe vera), 아르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아르테미시아 불가리스(Artemisia vulgaris), 아스
아룸 막시멈(Asarum maximum), 칼렌둘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카프시쿰(Capsicum), 센티페다
쿠닌가미(Centipeda cunninghamii), 카모밀라 레쿠티타(camomilla recutita), 크리눔 아시아티쿰(Crinum
asiaticum), 하마멜리스 비르기니아나(Hamamelis virginiana), 하르파고피툼(Harpagophytum) 프로쿰벤스
(procumbens), 하이페리쿰 페르포라툼(Hypericum perforatum), 릴륨 칸디둠(Lilium candidum), 말바 실베스트
리스(Malva sylvestris), 멜라류카 알테르니폴리아(Melaleuca alternifolia), 오리가눔 마조라나(Origanum
majorana), 오리가눔 불가레(Origanum vulgare), 프루누스 라우로세라수스(Prunus laurocerasus), 로스마리누
스 오피시알리스(Rosmarinus officialis), 살릭스 알바(Salix alba), 실리붐 마리아눔(Silybum marianum), 타
나세툼 파르테늄(Tanacetum parthenium), 티무스 불가리스(Thymus vulgaris), 운카리아 구이아넨시스(Uncaria
guianensis) 또는 박시눔 미르틸루스(Vaccinum myrtillus)의 추출물, 오메가-3 및 오메가-6 지방산, Atrium
Innovations/Unipex Group에 의해 시판되는 Neutrazen™ [INCI: 물, 부틸렌 글리콜, 덱스트란, 팔리토일 트리
펩티드-8], Lipotec/Lubrizol에 의해 시판되는 Delisens™ [제안된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 46], Institut
®
Europeen de Biologie Cellulaire/Unipex Group에 의해 시판되는 Meliprene [INCI: 덱스트란, 아세틸 헵타펩
티드-1], Laboratoires Serobiologiques/Cognis/BASF에 의해 시판되는 Skinasensyl™ [INCI: 아세틸 테트라펩
티드-15] 또는 Anasensyl™ [INCI: 만니톨, 암모늄 글리시르히제이트, 카페인, 히포카스타눔 (호스 체스넛 추출
물], Shawdonyl [INCI: 조류 추출물, 헥실렌 글리콜, 카프릴릴 글리콜, 잔탄 검]; Mibelle에 의해 시판되는
MAXnolia [INCI: 마그놀리아 오피시날리스(Magnolia Officinalis) 목피 추출물,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비티스 비니페라 (포도) 종자 추출물, 토코페롤]; Mibelle에 의해 시판되는 CM-나린게닌-칼콘(CM-
Naringenin-Chalcone)[INCI: 테트라소듐 테트라카복시메틸 나린게닌칼콘]; Induchem에 의해 시판되는 Unisooth
[INCI: 프로필 칼레이트, 갈릴 글루코사이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틸 글루코사이드], Sederma/Croda에 의해 시
판되는 Calmosensine™ [INCI: 아세틸 디펩티드-1]; 코엔자임 Q10 또는 알킬 글리세롤 에테르에 의해 형성된 군
으로부터 선택된 항염증제 및/또는 진통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0078] 조성물은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말피기아 푸니시톨리아(Malpighia punicitolia), 시나라


스콜리무스(Cynara scolymus), 고시피움 헤르바세움(Gossypium herbaceum), 알로에 바르바덴시스(Aloe
Barbadensis), 파니쿰 밀리아세움(Panicum miliaceum), 모루스 니그라(Morus nigra), 세사뭄 인디쿰(Sesamum
indicum), 글리신 소야(Glycine soja), 트리티쿰 불가레(Triticum vulgare)의 추출물, Provital에 의해 시판되
®
는 Pronalen Refirming HSC [INCI: 트리티쿰 불가레(Triticum Vulgare), 실리붐 마리아눔(Silybum Marianum),
글리신 소이(Glycine Soy), 에퀴세툼 아르벤세(Equisetum Arvense), 알케밀라 불가리스(Alchemilla Vulgaris),
메디카고 사티바(Medicago Sativa), 라파누스 사티부스(Raphanus Sativus)], Lipout [INCI: 플랑크톤 추출물],
®
또는 Polyplant Refirming [INCI: 콘플라워(Coneflower), 아시아틱 센텔라(Asiatic Centella), 푸쿠스
®
(Fucus), 페누그리크(Fenugreek)], Atrium Biotechnologies/Unipex Innovations에 의해 시판되는 Lanablue
®
[INCI: 소르비톨, 조류 추출물], Pentapharm/DSM에 의해 시판되는 Pepha -Nutrix [INCI: 천연 영양 인자], 이
TM
소플라본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Sederma/Croda에 의해 시판되는 Biopeptide EL [INCI: 팔미토일 올리고펩
TM ®
티드], Biopeptide CL [INCI: 팔미토일 올리고펩티드], Vexel [INCI: 물(아쿠아), 프로필렌 글리콜,
® ®
레시틴, 카페인, 팔미토일 카르니틴], Matrixyl [INCI: 팔미토일 펜타펩티드-3], Matrixyl 3000 [INCI: 팔미
TM
토일 테트라펩티드-3, 팔미토일 올리고 펩티드] 또는 Bio-Bustyl [INCI: 글리세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라넬라
(Rahnella) 콩 단백질 발효물, 물(아쿠아),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PEG-8, 팔미토일 올리고펩티드],
®
Laboratoires Serobiologiques/Cognis/BASF에 의해 시판되는 Dermosaccharides HC [INCI: 글리세린, 물(아쿠
®
아),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글리코겐], Aglycal [INCI: 만니톨, 사이클로덱스트린, 글리코겐, 아라토스타필로스
®
우바 우르시(Aratostaphylos Uva Ursi) 잎 추출물], Cytokinol LS [INCI: 가수분해된 카세인, 가수분해된 효
®
모 단백질, 리신 HCl] 또는 Firmiderm LS9120 [INCI: 테르미날리아 카타파(Terminalia Catappa) 잎 추출물,
®
삼부쿠스 네그라(Sambucus Negra) 꽃 추출물, PVP, 탄닌산], Silab에 의해 시판되는 Liftline [INCI: 가수분
® ®
해된 밀 단백질], Raffermine [INCI: 가수분해된 대두 분말] 또는 Ridulisse C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

- 20 -
공개특허 10-2017-0125093

® TM
Lipotec/Lubrizol에 의해 시판되는 Serilesine [INCI: 헥사펩티드-10], Decorinyl [INCI: 트리펩티드-10 시
®
트룰린], Trylagen [INCI: 슈도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 트
리펩티드-10 시트룰린, 트리펩티드-1], Silusyne™ [INCI: 대두(글리신 소야(Glycine Soja)) 오일,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이소헥사데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라우릴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
질, 아세틸 헥사펩티드-39] 또는 Adifyline™[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38], Coletica/Engelhard/BASF에 의해
®
시판되는 Ursolisome [INCI: 레시틴, 우르솔산, 아텔로콜라겐, 잔탄 검, 소듐 콘드로이틴 설페이트] 또는
® ®
Collalift [INCI: 가수분해된 맥아 추출물], Pentapharm/DSM에 의해 시판되는 Syn -Coll [INCI: 팔미토일 트
®
리펩티드-5], Atrium Biotechnologies/Unipex Innovations에 의해 시판되는 Hydriame [INCI: 물(아쿠아), 글
리코사미노글리칸, 스클레로티움 검(Sclerotium Gum)] 또는 Institut Europeen de Biologie Cellulaire/Unipex
Innovations에 의해 시판되는 IP2000 [INCI: 덱스트란, 트리플루오로아세틸 트리펩티드-2]에 의해 형성된 군으
로부터 선택된 추가의 퍼밍제 및/또는 재치밀화제(redensifying agent) 및/또는 재구성제(restructuring
agent)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0079] 조성물은 지방세포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함량을 감소시키는 제제, 지방 세포 분화를 지연시키는 제제, 항셀룰라
이트제, 지방분해제, 정맥긴장제(venotonic agent), PGC-1α 발현 억제제, 또는 PPARγ 활성 억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제들은 예를 들어, 무엇보다도 알케밀라 불가리스(Alchemilla vulgaris), 안젤리카
시넨시스(Angelica sinensis), 아르메니아세아(Armeniacea) sp., 아르니카 몬타나(Arnica montana) L, 아트락
틸로디스 플라티코돈(Atractylodis platicodon), 대나무(bamboo), 베툴라 알바(Betula alba), 부플레우럼 키넨
시스(Bupleurum chinensis), 칼렌둘라 오피시날리스(Calendula officinalis), 캉쥬(cangzhu), 세크로피아 오브
투시폴리아(Cecropia obtusifolia), 셀로시아 크리스타타(Celosia cristata),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케노포디움 퀴노아(Chenopodium quinoa), 크리산텔룸 인디쿰(Chrysanthellum indicum), 시미푸가
라세모사(Cimifuga racemosa), 시트루스 아우란티움 아마라(Citrus aurantium amara), 크니쿠스 베네딕투스
(Cnicus benedictus), 코페아 아라비카(Coffea arabica), 콜라 니피다(Cola nipida), 콜레우스 바르바투스
(Coleus barbatus), 콜레우스 블루메이(Coleus blumei), 콜레우스 에스퀴롤리(Coleus esquirolii), 콜레우스
포르스코흘리(Coleus forskohlii), 콜레우스 스쿠텔라로이데스(Coleus scutellaroides), 콜레우스(Coleus)
sp., 콜레우스 잔탄투스(Coleus xanthantus), 콤미포라 미르하(Commiphora myrrha), 크리트룸 마리티뭄
(Crithmum maritimum), 쿠미넘 시미넘(Cuminum cyminum), 디오스코레아 콜레티(Dioscorea colettii), 디오스코
레아 빌로사(Dioscorea villosa), 유게니아 카료필루스(Eugenia caryophyllus), 필리펜둘라 울마리아
(Filipendula ulmaria) L, 포에니쿨룸 불가레(Foeniculum vulgare), 푸쿠스 베시쿨로수스(Fucus vesiculosus),
겔리듐 카르틸라기네움(Gelidium Cartilagineum),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글리신 막스(Glycine max), 글리시르히자 글라브라(Glycyrrhiza glabra), 헤데라 헬릭스(Hedera helix)(아이비
추출물), 히비스쿠스 사브다리파(Hibiscus sabdariffa), 호르데움 불가레(Hordeum vulgare), 후물루스 루풀루
스(Humulus lupulus), 하이페리쿰 페르포라툼(Hyperycum perforatum), 이렉스 파라구아리엔시스(Ilex
paraguariensis), 키겔리아 아프리카나(Kigelia africana), 라미나리아 디지타타(Laminaria digitata), 푸피누
스 페렌니스(Lupinus perennis), 넬룸비움 스페시오숨(Nelumbium speciosum), 오르토시폰 스타민쿠스 벤트
(Orthosiphon stamincus benth), 파낙스 진셍(Panax ginseng), 파울리니아 쿠파나(Paullinia cupana), 퓨무스
볼두스(Peumus boldus), 필라칸타 피브로사(Phyllacantha fibrosa), 피페르 메티스티쿰(Piper methysticum),
피페르 니그룸(Piper nigrum), 프루넬라 불가리스(Prunella vulgaris), 프루누스 아미그달루스 둘시스(Prunus
amygdalus dulcis), 로스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Rosmarinus officinalis), 루부스이다에우스(Rubus idaeus),
루스쿠스 아쿨레아투스(Ruscus aculeatus)(부쳐스 브룸(Butcher's broom)의 추출물), 살비아 오피시날리스
(Salvia officinalis) L, 삼부쿠스 니그라(Sambucus nigra), 세레노아 레펜스(Serenoa repens), 스밀락스 아리
스톨로키아에폴리아(Smilax aristolochiaefolia),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Spirulina platensis) 조류, 타락사
쿰 에리트로스페르뭄(Taraxacum erythrospermum), 타락사쿰 오리시날레(Taraxacum officinale), 녹차(green
tea), 울무스 루브라(Ulmus rubra), 운카리아 토멘토사(Uncaria tomentosa), 베르베나 오피시날리스(Verbena
officinalis), 비텍스 아그누스-카스투스(Vitex agnus-castus), 다이스모르포코쿠스 글로보수스
(Dysmorphococcus globosus)의 추출물 또는 가수분해 추출물, 알베린(alverin), 알베린 시트레이트, 디하이드
로미리세틴(dihydromyricetin), 코엔자임 A, 리파제, 세룰레닌(cerulenin), 루틴(rutin), 글라우신(글라우신),
에스쿨린(esculin), 비스나딘(visnadine), 카페인(카페인), 테오필린(테오필린), 테오브로민(theobromine), 아
미노필린(aminophylline), 잔틴(xanthine), 카르니틴(카르니틴), 포르스콜린(forskolin), 에스신(escin), 루스
코게닌(ruscogenin), 헤데린(hederin), 트리에탄올아민 아이오다이드, AMPc 합성 유도제, Atrium/Unipex에 의

- 21 -
공개특허 10-2017-0125093

®
해 시판되는 Lanachrys [INCI: 크리산텔룸 인디쿰(Chrysanthellum Indicum) 추출물]; BASF에 의해 시판되는
Slim-Excess™ [INCI: 물, 부틸렌 글리콜, 소듐 클로라이드, 가수분해된 카라기난, 잔탄 검], Sveltine™
[INCI: 물, 부틸렌 글리콜, 카르니틴, 레시틴, 카페인, 카보머, 살리실산, 아텔로콜라겐, 센텔라 아시아티카
(Centella Asiatica) 추출물, 에스쿨린(Esculin), 소듐 콘드로이틴 설페이트(Sodium Chondroitin Sulfate)],
Peru Liana [INCI: 운카리아 토멘토사(Uncaria Tomentosa) 추출물] 또는 Flavenger™ [INCI: 카프릴/카프르 트
리글리세라이드, 실리카 디메틸 실릴레이트, 글리세릴 올레에이트, 퀘르세틴 카프릴레이트]; Codif에 의해 시판
되는 Scopariane [INCI: 스파셀라리아 스코파리아(Sphacelaria Scoparia)], Phyco R75 [INCI: 라미나리아 디지
타타(Laminaria Digitata)], Pheoslim [INCI: 필라칸타 피브로사(Phyllacantha Fibrosa) Extract], Buckwheat
Wax [INCI: 폴리고눔 파고피룸(Polygonum fagopyrum)] 또는 Areaumat Samphira [INCI: 크리트뭄 마리티뭄
(Crithmum Maritimum) 추출물], Actiporine 8.G [글리세린, 아쿠아(Aqua), 자니아 루벤스(Jania rubens) 추출
물]; Cosmetochem에 의해 시판되는 Slimming Factor Karkade™ [INCI: 히비스쿠스 사브다리파(Hibiscus
Sabdariffa)]; Infinitec Activos에 의해 시판되는 Liposuctionine [제안된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
® ®
Exsymol에 의해 시판되는 Xantalgosil C [INCI: 아세필린 메틸실라놀 만누로네이트], Theophyllisilane C
®
[INCI: 메틸실라놀 카복시메틸 테오필린 알기네이트], Glutrapeptide [INCI: 피로글루타밀아미도에틸 인돌]
또는 Cafeisilane C [INCI: 실록산트리올 알기네이트, 카페인, 부틸렌 글리콜]; Greentech에 의해 시판되는
®
Timiline [INCI: 폴리글루쿠론산]; Indena에 의해 시판되는 Visnadine [INCI: 비스나딘(Visnadine)] 또는
Ginkgo Biloba Dimeric Flavonoids Phytosome [INCI: 인지질, 징코 빌로바(Ginkgo Biloba) 잎 추출물];
®
Laboratoires Serobiologiques/Cognis/BASF에 의해 시판되는 Slimfit LS 9509 [INCI: 세크로피아 옵투시폴리
아(Cecropia Obtusifolia) 목피 추출물]; Lipotec/Lubrizol에 의해 시판되는, Silusyne™ [INCI: 대두(글리신
소야(Glycine Soja)) 오일,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에이트, 이소헥사데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라우릴디모늄 하
®
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된 콩 단백질, 아세틸 헥사펩티드-39] 또는 Liporeductyl [INCI: 물, 글리세린, 레시
틴, 카페인, 부체르브룸(Butcherbroom) (루스쿠스 아쿨레아투스(Ruscus Aculeatus)) 뿌리 추출물,
말토덱스트린, 실리카, 티-하이드로아이오다이드(Tea-Hydroiodide), 프로필렌 글리콜, 아이비(헤데라 헬릭스
(Hedera Helix)) 추출물, 카르니틴(카르니틴), 에스신(Escin), 트리펩티드-1, 잔탄 검, 카라기난(콘드루스 크리
스푸스(Chondrus Crispus)), 디소듐 EDTA]; Mibelle Biochemistry에 의해 시판되는, Iso-Slim Complex [INCI:
소이 이소플라본스(Soy Isoflavones), 카페인, 카르니틴, 스피룰리나 플라텐시스(Spirulina Platensis)
추출물, 폴리소르베이트 80, 알코올, 페녹시에탄올, 아쿠아], Happybelle-PE [INCI: 레시틴, 비텍스 아그누스
카스투스(Vitex Agnus Castus) 추출물, 글리세린,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토코페롤, 카프릴/카프르
트리글리세라이드, 사이클로덱스트린, 알코올, 물] 또는 AmaraShape [INCI: 레시틴, 카페인, 시트루스 아우란티
움 아마라(Citrus Aurantium Amara) 추출물, 펜틸렌글리콜, 알코올, 물]; Pentapharm/DSM에 의해 시판되는,
®
Regu -Slim [INCI: 말토덱스트린, 카페인, 파울리니아 쿠파나(Paullinia Cupana) 종자 추출물, 카르니틴, 미정
®
질 셀룰로즈, 시스테인산, 판테인 설포네이트(Pantheine Sulfonate)] 또는 Regu -Shape [INCI: 이성질화된 리
놀레산, 레시틴, 글리세린, 폴리소르베이트]; Provital에 의해 시판되는, Provislim™ [INCI: 프로판디올, 물
(Aqua), 피세틴(Fisetin), 라즈베리 케톤(Raspberry Ketone)], Myriceline [INCI: 디하이드로미리세틴],
Drenalip [INCI: 루스쿠스 아쿨레아투스(Ruscus Aculeatus) 뿌리 추출물, 시트루스 메디카 리모눔(Citrus
Medica Limonum) 껍질 추출물, 솔리다고 비르가우레아(Solidago Virgaurea) 추출물, 아스트라갈루스 멤브라나세
우스(Astragalus Membranaceus) 뿌리 추출물] 또는 Lipout™ [INCI: 플랑크톤 추출물]; Givaudan에 의해 시판
되는 Actisculpt [INCI: 콤미포라 미르하(Commiphora Myrrha) 추출물, 콜레우스 포르스코흘리(Coleus
®
Forskohlii) 뿌리 추출물]; Rahn에 의해 시판되는, Perfeline [INCI: 물, 카르니틴, 카페인, 루스쿠스 아쿨레
®
아투스(Ruscus Aculeatus) 추출물] 또는 CellActive Shape [INCI: 클로렐라 불가리스(Chlorella Vulgaris)/루
피누스 알부스(Lupinus Albus) 단백질 발효물, 콜레우스 포르스코흘리(Coleus Forskohlii), 카페인]; Rovi
Cosmetics에 의해 시판되는, ProContour™ [INCI: 물, 알코올, 레시틴, 카페인, 카르니틴, 켄텔라 아시아티카
(Centella Asiatica) 잎 추출물, 포타슘 포스페이트, 콜레우스 포르스코흘리(Coleus Forskohlii) 뿌리 추출
물]; Sederma/Croda에 의해 시판되는, Unislim™ [INCI: 일렉스 파라구아리엔시스(Ilex Paraguariensis) (잎)
추출물, 물, 부틸렌 글리콜, 코페아 아라비카(Coffea Arabica)(커피) 종자 추출물 (빈(Bean)), PEG-60 아몬드
글리세라이드, 글리세린, 세틸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 Redulite™ [INCI: 글리세린, 아쿠아,
에톡시디글리콜, 삼부쿠스 니그라(Sambucus Nigra),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Pleurimincyl™ [INCI: 카페인,

- 22 -
공개특허 10-2017-0125093

부플레우룸 키넨시스(Bupleurum Chinensis) 추출물], Phytotal™ SL [INCI: 글리세린, 베르베나 오피시날리스


(Verbena Officinalis) 추출물, 부틸렌 글리콜, 삼부쿠스 니그라(Sambucus Nigra) 꽃 추출물, 유게니아 카료필
루스(Eugenia Caryophyllus) (클로브(Clove)) 꽃 추출물, 레시틴], Phytosonic™ [INCI: 아쿠아, 유글레나 그
라실리스(Euglena Gracilis) 추출물, 카페인, 글라우시움 플라붐(Glaucium Flavum) 잎 추출물], Ovaliss™
[INCI: 글리세린, 아쿠아, 코코-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 글리콜, 알코올, 글라우신], Lipocare™ [INCI:
카페인, 코엔자임 A, 부플레우룸 키넨시스(Bupleurum Chinensis) 추출물], Cyclolipase™ [INCI: 글리세릴 폴
리메타크릴레이트, 물, 카페인, 리파제, 아데노신 포스페이트], Coaxel™ [INCI: 카페인, 코엔자임 A,
카르니틴, 물, 글리세린], Bodyfit™ [INCI: 글리세린, 아쿠아(물), 코코-글루코사이드, 카프릴릴 글리콜, 알코
올, 글라우신], Intenslim™ [INCI: 글로불라리아 코르디폴리아 칼루스(Globularia Cordifolia Callus) 배양
추출물, 진기베르 제룸베트(Zingiber Zerumbet) 추출물, 카페인] 또는 Vexel [INCI: 아쿠아, 프로필렌 글리콜,
레시틴, 카페인, 팔미토일 카르니틴]; Seppic에 의해 시판되는 Voluform [INCI: 팔미토일 이소류신],
Adipoless [INCI: 부틸렌 글리콜, 케노포디움 퀴노아(Chenopodium Quinoa) 종자 추출물]; Silab에 의해 시판되
® ®
는, Slimactive [INCI: 퓨무스 볼두스(Peumus Boldus) 잎 추출물], Remoduline [INCI: 시트루스 아우란티움
아마라(Citrus Aurantium Amara) 꽃 추출물], Pro-Sveltyl [INCI: 넬루비움 스페시오숨(Nelumbium Speciosum)
®
추출물], Biosculptine [INCI: 가수분해된 셀로시아 크리스타타(Hydrolyzed Celosia Cristata) 꽃/종자 추출
®
물, 가수분해된 프루넬라 불가리스(Prunella Vulgaris) 추출물], Affiness [INCI: 가수분해된 코리안드룸 사
티붐(Coriandrum Sativum) 열매 추출물, 시트루스 아우란티움 둘시스(Citrus Aurantium Dulcis)(오렌지) 열매
추출물] 또는 Stemsvelt [INCI: 물, 부틸렌 글리콜, 실리붐 마리넘(Silybum marinum) 추출물]; Solabia에 의해
®
시판되는, Delipidol [INCI: 티로실 푸니케이트], Guaraslim [INCI: 부틸렌 글리콜, 물, 카페인, 파울리니아
쿠파나(Paullinia Cupana) 종자 추출물, 프티코페탈룸 올라코이데스(Ptychopetalum Olacoides) 목피 추출물]
®
또는 Caobromine [INCI: 테오브로마 코코아(Theobroma Cocoa) 외피 추출물]; Soliance에 의해 시판되는,
Abdoliance [INCI: 수크로스 팔미테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글리세릴 리놀레네이트, 파울리니아 쿠파나
(Paullinia Cupana) 종자 추출물, 말토덱스트린, 프루누스 아미그달루스 둘시스(Prunus Amygdalus Dulcis)(스
윗(sweet) 아몬드) 오일, 레시틴, 물, 시트루스 아우란티움 아마라(Citrus Aurantium Amara (비터 오렌지
(Bitter Orange)) 껍질 추출물, 페녹시에탄올, 토코페롤], Betaphroline [INCI: 테프로시아 푸르푸레아
(Thphrosia Purpurea) 종자 추출물] 또는 PRO-DG [INCI: 물, 플랑크톤 추출물]; Vincience/ISP에 의해 시판되
는, UCPeptide™ V [INCI: 물, 부틸렌 글리콜, 펜타펩티드] 또는 ATPeptide™ IS [INCI: 트리펩티드-3],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0080] 조성물은, 예를 들어, Provital에 의해 시판되는 Legactif [INCI: 루스쿠스 아쿨레아투스(Ruscus Aculeatus)
뿌리 추출물, 시트루스 리몬(Citrus Limon) (레몬) 껍질 추출물, 솔리다고 비르가우레아(Solidago Virgaurea)
(골든로드(Goldenrod)) 추출물]; Sederma/Croda에 의해 시판되는, Legance™ [INCI: 진기베르 제룸베트
(Zingiber Zerumbet) 추출물] 및 Eyeliss [INCI: 헤스페리딘 메틸 칼콘(Hesperidin Methyl Chalcone), 디펩티
®
드-2, 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7]; Greentech에 의해 시판되는 Silidine [INCI: 프로피리듐 그루엔툼
(Prophyridium Cruentum) 삼출액]; L. Serobiologiques/BASF에 의해 시판되는, Biophytex [INCI: 에스신
(Escin), 루스쿠스 아쿨레아투스(Ruscus Aculeatus) 뿌리 추출물, 암모늄 글리시르히제이트(Ammonium
Glycyrrhizate), 켄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추출물, 가수분해된 효모 단백질, 칼렌둘라 오피시날
리스(Calendula Officinalis) 꽃 추출물]; Gattefossee에 의해 시판되는 Cytobiol Lumin-Eye [INCI: 니아신아
미드, 프란시우스 엑셀시오르(Franxius Excelsior) 목피 추출물, 실란트리올 포타슘 시트레이트]; DSM에 의해
®
시판되는 Regu -Age [INCI: 가수분해된 라이스 단백질, 옥시도 환원효소(Oxido Reductase), 글리신 소야
(Glycine Soja)(소이빈) 단백질]로부터 선택된, 항부종 성질을 가지며, 혈관 투과성/미세 순환을 개선시키는 적
어도 하나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0081] 조성물은 탈색소침착 활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추출물, 예컨대 이를 테면, 비제한적으로, 무엇보다도,
아킬레아 밀레폴리움(Achillea millefolium), 알로에 베라(Aloe vera), 아자디라크타 인디카(Azadirachta
indica), 오스문다 자포니카(Osmunda japonica), 아르토카르푸스 인시수스(Artocarpus incisus), 비덴스 필로
사(Bidens pilosa), 브로우소네티아 파피리페라(Broussonetia papyrifera), 클로렐라 불가리스(Chlorella
vulgaris), 시미시푸가 라세모사(Cimicifuga racemosa), 엠블리카 오피시날리스(Emblica officinalis), 글리시
르히자 글라브라(Glycyrrhiza glabra), 글리시르히자 우랄렌시스(Glycyrrhiza uralensis), 이렉스 푸르푸레아

- 23 -
공개특허 10-2017-0125093

(Ilex purpurea), 리구스티쿰 루시둠(Ligusticum lucidum), 리구스티쿰 왈리키(Ligusticum wallichii), 미트라


카르푸스 스카베르(Mitracarpus scaber), 모린다 시트리폴리아(Morinda citrifolia), 모루스 알바(Morus
alba), 모루스 봄비시스(Morus bombycis), 나린기 크레눌레이타(Naringi crenulata), 프루누스 도메스티쿠스
(Prunus domesticus), 슈도스텔라리아에 라딕스(Pseudostellariae radix), 루멕스 크리스푸스(Rumex crispus),
루멕스 옥시덴탈리스(Rumex occidentalis), 사핀두스 무쿠로시(Sapindus mukurossi), 삭시프라가 사르멘토사
(Saxifraga sarmentosa), 스쿠텔라리아 갈레리쿨라타(Scutellaria galericulata), 세둠 사르멘토숨 번지(Sedum
sarmentosum Bunge), 스텔라리아 메디카(Stellaria medica), 트리티쿰 불가레(Triticum Vulgare), 우바 우르시
(Uva ursi) 또는 위타니아 솜니페라( Withania somnifera) 추출물, 및/또는 탈색소침착 활성으로의 바이오발효
과정으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하나의 합성 화합물, 추출물 또는 생성물, 예컨대, 이를 테면, 비제한적으로, 무엇
보다도 Laboratoires Serobiologiques/BASF에 의해 시판되는, Actiwhite™ LS9808 [INCI: 아쿠아, 글리세린,
®
수크로즈 디라우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20, 피숨 사티붐(Pisum sativum)(완두콩) 추출물], Dermawhite NF
LS9410 [INCI: 만니톨, 아르기닌 HCl, 페닐알라닌, 디소듐 EDTA, 소듐 시트레이트, 코지산(Kojic Acid), 시트
르산, 효모 추출물] 또는 Radianskin™ [INCI: 하이드록시페녹시 프로피온산; Sederma에 의해 시판되는,
Lumiskin™ [INCI: 카프릴/카프르 트리글리세라이드, 디아세틸-볼딘], Melaclear™ [INCI: 글리세린, 아쿠아,
디티아옥탄디올, 글루콘산, 수틸라인스(Sutilains), 베타-카로틴(Beta-carotene)] 또는 Etioline™ [INCI: 글
리세린, 부틸렌 글리콜, 아르크토스타필로스 우바 우르시(Arctostaphylos uva ursi) 잎 추출물, 미트라카르푸스
스카베르(Mitracarpus scaber) 추출물], O.D.A. White™ [INCI: 옥타데센디오산], Wonderlight™ [INCI: 후물
루스 루풀루스(Humulus Lupulus)(홉) 스트로바일(Strobile)]; Seppic에 의해 시판되는 Sepiwhite™ MSH [INCI:
운데실레노일 페닐알라닌] 또는 Seashine [INCI: 조류 추출물, 운다리아 핀나티피다(Undaria Pinnatifida) 추
출물]; Vincience에 의해 시판되는 Achromaxyl [INCI: 아쿠아, 브라시카 나푸스(Brassica napus) 추출물];
Pentapharm/DSM에 의해 시판되는 Gigawhite™ [INCI: 아쿠아, 글리세린, 말바 실베스트리스(Malva sylvestris)
(아욱) 추출물, 멘타 피페리타(Mentha piperita) 잎 추출물, 프리물라 베리스(Primula veris) 추출물, 알케밀
라 불가리스(Alchemilla vulgaris) 추출물, 베로니카 오피시날리스(Veronica officinalis) 추출물, 멜리사 오
피시날리스(Melissa officinalis) 잎 추출물, 아킬레아 밀레폴리움(Achillea millefolium) 추출물], Melawhite
® ®
[INCI: 류코사이트(Leukocyte) 추출물, AHA] (백혈구 추출물, 알파 하이드록시산), Melfade -J [INCI: 아쿠
아, 아르크토스타필로스 우바-우르시(Arctostaphylos uva-ursi) 잎 추출물, 글리세린, 마그네슘 아스코르빌 포
® ®
스페이트] 또는 Regu -Fade [INCI: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Exsymol에 의해 시판되는 Albatin [INCI: 아
미노 에틸 인산, 부틸렌 글리콜, 아쿠아]; Atrium/Lucas Meyer에 의해 시판되는 Tyrostat™-11 [INCI: 아쿠아,
®
글리세린, 루멕스 옥시덴탈리스(Rumex occidentalis) 추출물] 또는 Melanostatine -5 [INCI: 덱스트란, 노나펩
티드-1]; Unipex에 의해 시판되는 ß-White [INCI: 올리고펩티드-68], Provital에 의해 시판되는 Darkout™
[INCI: 히폭시스 루페리 라이좀(Hypoxis Rooperi Rhyzome) 추출물, 카에살피나 스피노사 검(Caesalpina
Spinosa Gum)]; Lonza에 의해 시판되는 Vivillume™ [INCI: 스트렐리트지아 니콜라이 씨드 아릴(Strelitzia
Nicolai Seed Aril) 추출물]; Lucas Meyer에 의해 시판되는 Superox-C™ [INCI: 테르미날리아 페르디난디아나
(Terminalia Ferdinandiana) 열매 추출물]; 아르부틴(arbutin) 및 이의 이성질체, 코지산 및 이의 유도체, 비
타민 C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이를 테면, 비제한적으로, 무엇보다도, 6-O-팔미토일아스코르브산, 디팔미토일
아스코르브산,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MAP)의 마그네슘 염,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NAP)의 나트륨 염,
아스코르빌 글리코사이드 또는 아스코르빌 테트라이소팔미테이트 (VCIP), 레티놀 및 이의 유도체, 예로 트레티
노인 및 이소트레티노인, 이데베논(idebenone), 하이드록시벤조산 및 이의 유도체, 플라보노이드, 대두 추출물,
레몬 추출물, 오렌지 추출물, 은행 나무 추출물, 오이 추출물, 제라늄 추출물, 베어 베리 추출물, 유백 추출물,
계피 추출물, 마죠람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정향 추출물, 유용성 감초 추출물, 블랙베리 잎 추출물, 니아신
아미드, 리퀴리틴, 레조르시놀 및 이들의 유도체, 하이드로퀴논, α-토코페롤, γ-토코페롤, 아젤라산, 레스베
라트롤, 수은 염, 리놀레산, α-리포산, 디하이드로리포산, 알파 하이드록시산, 베타 하이드록시산, 엘라그산,
페룰산, 신남산, 올레아놀산, 알로에신 및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 예컨대 이를 테면,
비제한적으로, 무엇보다도 트립타제, 트립신 또는 PAR-2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0082] 조성물은 예를 들어, 비제한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콜라겐 합성-자극제, 엘라스틴 합성-자극제, 데코린 합성-
자극제, 라미닌 합성-자극제, 샤페론 합성-자극제, 시르투인 합성-자극제, 시르투인 활성화제, 아쿠아포린 합성
-조절제, 섬유결합소 합성-자극제, 콜라겐 분해를 억제하는 제제, 엘라스틴 분해를 억제하는 제제, 칼리크레인
(kallikrein), 백혈구 엘라스타제 또는 카텝신 G와 같은 세린 프로테아제를 억제하는 제제, 섬유아세포 증식을
자극하는 제제, 지방 세포 증식을 자극하는 제제, 지방 세포 분화를 촉진 또는 지연시키는 제제, 및 DNA 복구

- 24 -
공개특허 10-2017-0125093

제제 및/또는 DNA 보호제, 예를 들어, 비제한적인 예로,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사카로마이세
스 세리비지에(Saccharomyces cerivisiae), 솔라눔 투베로숨(Solanum tuberosum), 로스마리누스 오피시날리스
(Rosmarinus officinalis), 백시니움 안구스티폴리움(Vaccinium angustifolium)의 추출물, 조류 마크로시스티
스 피리페라(Macrocystis pyrifera), 파디나 파보니카(Padina pavonica)의 추출물, 콩, 맥아, 아마, 세이지,
붉은토끼풀, 칵콘(kakkon), 백색 루우핀 식물의 추출물, 헤이즐넛 추출물, 옥수수 추출물, 효모 추출물, 비치
슈트(beech shoot) 추출물, 콩과 씨앗(leguminous seed) 추출물, 식물 호르몬 추출물, 예를 들어, 특히 지베렐
린(gibberellin), 옥신 또는 사이토키닌, 또는 설린 동물플랑크톤(saline zooplankton)의 추출물,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를 이용한 유제의 발효 생성물, 아시아티코사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비
®
타민 C 및 이의 유도체, 신남산 및 이의 유도체, Sederma/Croda에 의해 시판되는 Matrixyl [INCI: 팔미토일
®
펜타펩티드-3], Matrixyl 3000 [INCI: 팔미토일 테트라펩티드-3, 팔미토일 올리고펩티드] 또는 바이오펩티드
TM ®
CL [INCI: 글리세릴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팔미토일 올리고펩티드], Antarcticine [INCI:
® ®
슈도알테로모나스 발효 추출물], Decorinyl [INCI: 트리펩티드-10 시트룰린], Serilesine [INCI: 헥사펩티드
®
-10], Lipeptide [INCI: 가수분해된(Hydrolized) 식물성 단백질], Aldenine [INCI: 가수분해된 밀 단백질, 가
수분해된 대두 단백질, 트리펩티드-1], Relistase™ [INCI: 아세틸아르기닐트립토필 디페닐글리신],
Thermostressine™ [INCI: 아세틸 테트라펩티드-22], Peptide AC29 [INCI: 아세틸 트리펩티드-30 시트룰린],
Diffuporine™ [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37], Silusyne™ [INCI: 대두 (글리신 소야) 오일, 소르비탄 세스퀴
올레에이트, 이소헥사데칸,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라우릴디모늄 하이드록시프로필 가수분해된 대두 단백질, 아
세틸 헥사펩티드-39] 또는 Adifyline™[INCI: 아세틸 헥사펩티드-38] (Lipotec/Lubrizol에 의해 시판됨),
®
Alban Muller에 의해 시판되는 Drieline PF [INCI: 효모 베타글루칸], Solabia에 의해 시판되는 Phytovityl C
® ®
[INCI: Aqua, 옥수수(Zea Mays) 추출물], Coletica/Engelhard/BASF에 의해 시판되는 Collalift [INCI: 가
수분해된 맥아 추출물], Vincience/ISP/Ashland에 의해 시판되는 Phytocohesine PSP™ [INCI: 소듐 베타-시토
®
스테롤 설페이트], Neodermyl [INCI: 메틸 글리코사이드 포스페이트 프롤린 리신 구리 착물], 미네랄, 예를 들
어, 특히 칼슘, 레티노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이소플라보노이드, 카로테노이드, 특히 리코펜, 슈도디펩티드,
레티노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예를 들어, 특히 레티놀 또는 레티닐 팔미테이트, 또는 특히 헤파리노이드에 의
해 형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진피 또는 표피 거대분자의 합성을 자극시키는 추가의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0083]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를 위한 미용 조성물
의 제조에서의,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발효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는 본원
에서 기술된 바와 같다.

[0084] 본 발명의 제4 양태에서,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를 위한 본 발명의 발효
추출물의 용도로서, 발효 추출물이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조성물로 존재하는 용도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피부, 점막, 헤어 및/또는 네일의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를 위한 미용적 유효량의 유
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용 조성물은 본
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다.

[0085] 본 발명의 제5 양태에서, 미용적 유효량의 발효 추출물을 피부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를 치료 및/또는
케어하는 미용 방법이 제공된다. 미용적 치료 및/또는 케어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다. 일 구체예에서, 투
여는 국소적이다. 일 구체예에서, 투여는 경피적이다. 일 구체예에서, 국소 또는 경피 적용은 이온삼투요범
(iontophoresis), 음파 영동(sonophoresis),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 기계적 압력, 삼투압 구배, 교합
경화(occlusive cure), 미세주입법(microinjection)에 의해, 압력에 의한 무-바늘 주입에 의해, 미세 전기 패
치(microelectric patch), 페이스 마스크(face mask)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서, 발효 추출물은 미용 조성물, 예를 들어 본원에서 기술된 미용 조성물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용적 유효량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을 피부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를 치료
및/또는 케어하는 미용 방법을 제공한다.

[0086] 미용적 유효량의 발효 추출물의 적용 또는 투여 회수는 각 피검체의 필요에 따라 광범위하게 달라질 수 있으며,
월 1회 내지 일 10회, 주 1회 내지 일 4회, 주 3회 내지 일 3회, 또는 하루에 한번 또는 두번의 적용 또는 투여
범위가 제안된다.

[0087]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미용적 유효량의 발효 추물물을 인간 진피 섬유 아세포(피부)에 투여하는 것을 포

- 25 -
공개특허 10-2017-0125093

함하는, 콜라겐 또는 엘라스틴 합성을 자극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0088] 생물학적 물질의 기탁

[0089]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는 부다페스트 조약의 조건 하에 Coleccion Espanola de Cultivos Tipo
(CECT) (Edificio 3 CUE, Parc Cientific Universitat de Valencia, Catedratico Agustin Escardino 9, 46980
Paterna, Valencia, Spain)에 기탁되었다. 기탁은 2014년 3월 20일에 이루어졌고, 기탁 번호는 CECT-20901였
다.

[0090] 상기에 특별히 나열되었거나 아니건 간에 우선권이 주장되는 어떠한 종래 출원을 포함하는 상기 언급된 문헌 각
각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어떠한 문헌의 언급은 상기 문헌이 종래 기술로서 자격이 있거나, 어떠한 권
한으로 당업자의 일반 지식을 구성하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또는 달리 명백히 표시된 것을 제
외하고는, 물질의 양, 반응 조건, 분자량, 탄소 원자의 수 등을 명기하는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모든 수치적 양
은 근사치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즉, 표시된 값에 비해 ± 5%, ± 3%, ± 1%, ± 0.1%, 또는 ± 0.01%의
변동성에 적용된다. 본원에 기술된 상한치 및 하한치, 범위, 및 비율 한계가 독립적으로 조합될 수 있는 것으
로 이해될 것이다. 유사하게, 본원에 기술된 기술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범위 및 양은 임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한 범위 또는 양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0091] 본 발명은 이제 하기 비제한적 실시예에 의해 예시될 것이다.

[0092] 실시예

[0093] 실시예 1: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균주에 의해 생성되는 발효 추출물의 제조

[0094] A)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균주의 배양 과정

[0095]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균주를, 물, 탄소 공급원으로서 5 g/L의 만니톨, 5 g/L의


효모 추출물, 탄소 및 질소의 공급원으로서 5 g/L의 소이 펩톤(soy peptone), 및 30 g/L의 해염을 함유하는 배
양 배지에서, 25℃ 및 7.5의 pH에서 발효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5 부피%의 성장 전-배양물(growing
pre-culture)으로 접종시켰다. 발효를 대략 1 주일 동안 수행하였으며, 그 시간 동안 배양물에 충분한 공기 공
급을 제공하고, n 150 내지 350 rpm의 교반 속도로 교반하였다.

[0096] B)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균주에 의해 생성된 발효 추출물의 분리.

[0097]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세포를 대략 10,000g에서의 지속적인 원심분리에 의해 단계 A)에 의해 생성된 발효


액으로부터 분리시켰다. 상등액을 버리하고,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세포를 링거 ¼ 완충액 (염화나트륨
2.25g/L, 염화칼륨 0.105g/L, 염화칼슘 육수화물 0.12g/L 및 탄산수소나트륨 0.05g/L)으로 재현탁시켰다. 이
다음에, 40 KPsi에서 2회 사이클의 작동으로 프렌치 프레스(French press)를 사용하여 세포를 파쇄시켰다. 이
후, 파쇄된 액을 교반되는 용기에서 3시간에 걸쳐 이소프로판올(4.7:1.0의 이소프로판올: 파쇄된 액 부피비)로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물의 정제를 40-50℃의 온도에서 추출물의 회전 증발(rotaevaporation)에 의해 수행하
였다. 이후, 일정 중량이 얻어질 때까지 110℃에서 (액체) 추출물을 건조시킴으로써 샘플 추출물의 건조 중량
을 얻었다. 구체적으로, 2 mL의 추출물을 일정 중량이 달성될 때까지 110℃에서 건조시켰다. 이후, 건조된 추
출물의 일정 중량을 추출물의 건조 중량 농도(샘플의 건조 중량을 샘플 중량으로 나눈값)를 산출하는데 사용하
였다. 이는 10 % (W/W)의 값을 제공하였다. 실시예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발효 추출물은 액체(즉, 비
건조된) 형태로 사용되고, 추출물의 중량을 언급할 때, 이는 추출물의 등가 건조 중량(equivalent dry weight)
이다. 액체 추출물은 추후 사용시까지 -20℃의 온도에서 유지된다.

[0098] 실시예 2: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균주에 의해 생성된 발효 추출물의 물리화학적


특징화.

[0099] 발효 추출물의 물리화학적 특징화를 위해, 유리 아미노산 및 펩티드 분석, 탄수화물 분석 (페놀-황산법), 및 지
질 함량 분석을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균주로부터의 추출물의 3가지 상이한 배치
(batch)에 대해 수행하였다. 배치 1은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졌다. 배치 2 및 3은 실시예 1에서 기술된 프로토
콜에 따라 얻어졌으나, 한가지 차이점은 실시예 1에서 기술된 연속 원심분리 조건에 상응하여 불연속 원심분리
를 사용한 것이다.

[0100] 유리 아미노산 및 펩티드 분석

[0101] 유리 아미노산 및 펩티드의 분석을 위해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되, 차이점은 유리 아미노산에 대해, 가수분해(파

- 26 -
공개특허 10-2017-0125093

트 i)가 수행되지 않은 반면, 펩티드에 대해서는 수행된다는 점이다.

[0102] i. 가수분해

[0103]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균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의 세가지 배치는 하기 건조 중량


을 가졌다: 배치 1은 10% (W/W)의 건조 중량 농도를 가졌고; 배치 2는 18.4% (W/W)의 건조 중량 농도를 가졌고;
배치 3은 19.9% (W/W)의 건조 중량 농도를 가졌다.

[0104] 각각의 배치에 대해, 25 mg의 추출물을 10 mL의 깨끗한 가수분해 관에 넣었다. 1 mL의 6N HCl + 0.5% 페놀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4시간 동안 110℃로 가열하였다. 그후, 가수분해된 샘플을 동결-건조시키고, 3 mL의 20
mM HCl에 용해시켰다.

[0105] ii. 아미노산 유도체화.

[0106] AccQ-Fluor 시약 (WATERS Cromatografia, SA에 의한)을 기반으로 하는, ACCQ-TAG 화학 패키지(ACCQ-TAG
Chemistry Package)를 아미노산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가열 블록을 55℃로 예열시킨다. 모든 AccQ를
확인하기 위해 바이알 2A를 가볍게 두드린다. 플루오르 시약 파우더(Fluor Reagent Powder)는 바이알의 바닥에
있다. 바이알 2B에서 AccQ·플루오르 시약 희석액 1 mL를 추출하여 버림으로써 깨끗한 마이크로피펫을 헹군다.
바이알 2B의 AccQ·플루오르 시약 희석액 1 mL를 바이알 2A의 AccQ·플루오르 시약 파우더로 옮긴다. 바이알
2A를 가볍게 캡핑하고, 10 초 동안 볼텍싱(vortexing)한다. 재구성된 AccQ·플루오르 시약은 1주일까지 데시케
이터(desiccator) 내에 실온에서 저장될 수 있다. 그후, 보정 표준 (1-50pmol/㎕인 시스테인을 제외하고 2-
100pmol/㎕의 각 아미노산을 포함)이 유도체화되어야 한다. 깨끗한 샘플관의 바닥에 보정 표준 용액 10 ㎕를
첨가한 후, 70 ㎕의 AccQ·플루오르 보레이트 완충액을 샘플관에 첨가하고, 가볍게 볼텍싱한다. 그후, 20 ㎕의
재구성된 AccQ·플루오르 시약을 샘플관에 첨가하고, 수초 동안 볼텍싱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분 동안 인큐
베이션시킨 후, 바이알을 10분 동안 55℃에서 가열한다.

[0107] 샘플로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였다(가수 분해된 샘플에 대한 보정 표준을 대체한다). 분석에 사용된 컬럼은 AccQ
·플루오르 컬럼(WATERS)이었으며, 용리제는 A) AccQ·플루오르 용리제 A, 및 B)
물/아세토니트릴(40:60)이었다. 용리 구배는 B 0%에서 출발하고, 0.2분에 B 2%로 증가하였다. 이후, 15분에,
B 농도가 7%로 상승하고, 19분에는 B 10%로 상승하였다. B의 농도가 계속 증가하고, 32분에, B의 농도는 33%였
다. 이후, 농도를 1분 동안 안정하게 유지시키고, 그 후, B의 농도를 1분 내에 100%로 증가시켰다. 컬럼을 세
척하기 위해 100% B를 3분 동안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끝으로 다시 시작하기 위해 농도를 0%로 다시 되돌렸다.
모든 분석 동안에 흐름은 일정하였고(1 mL/min), 검출은 형광 검출기(Fluorescence Detector) (ex = 250 nm;
em = 395 nm)로 이루어졌다. 주입 용량은 10 ㎕이고, 오븐 온도는 37℃였다.

[0108] 유리 아미노산 (비가수분해된 샘플) 및 펩티드의 농도(유리 아미노산 농도가 공제될 수 있는 총 농도)를 보정
표준에 기초하여 계산하였다.

[0109] 탄수화물 분석 (페놀-황산법)

[0110] 글루코스의 여러 표준을 상이한 농도(20 내지 500 μg/mL)로 물에 용해시켰다. 별도로, 5% 페놀 용액을 제조하
기 위해 500 mg의 페놀을 10 mL의 물에 용해시켰다.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균주
로부터의 발효 추출물의 각각의 배치를 수중 10 mg/mL로 제조하였다. 이후, 100 ㎕의 이 용액 (또는 표준 중
하나)에, 100 ㎕의 5% 페놀 용액을 첨가하였다. 형성된 용액을 혼합한 후, 500 ㎕의 황산을 첨가하였다. 혼합
후, 반응 용액을 30분 동안 40℃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반응을 실온에서 15-20 분 동안 유지시키고,
490 nm에서의 흡광도를 판독하였다. 글루코스 표준으로 수행된 보정에 기초하여 샘플의 탄수화물 농도를 산출
하였다.

[0111] 지질 함량 분석(헥산 추출 시험)

[0112] 5 g의 각각의 배치들 1, 2 및 3을 10 mL의 헥산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10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고, 5분 동
안 볼텍스에서 혼합하였다. 그후, 고형물을 분시키기 위해 용액을 10분 동안 4000 rpm에서 원심분리시켰다.
액체상을 회수한 후, 모든 지질을 추출하기 위해 고형물을 5 mL의 헥산으로 2회 세척한 후, 폐기하였다. 유기
상을 혼합하고, 질소 흐름을 통해 증발시켰다. 그 후, 추출로부터 얻은 고형물을 동결 건조기에서 밤새 건조시
키고, 칭량하였다. 칭량된 전체 샘플에 대한 추출된 칭량된 고형물의 백분율로서 샘플의 지질 농도를 산출하였
다.

- 27 -
공개특허 10-2017-0125093

[0113] 지질 함량 분석(디크로메이트(dichromate) 시험)

[0114] 이 방법은 상기 헥산 추출 시험에 대한 대안이며, 소량의 샘플이 있는 경우에 유용하다. 30 mg의 각각의 배치
들 1, 2 및 3을 2.5 mL의 헥산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을 10 분 동안 초음파 처리하고, 5분 동안 볼텍스에서 혼
합하였다. 그후, 고형물을 분시키기 위해 용액을 10분 동안 4000 rpm에서 원심분리시켰다. 액체상을 회수한
후, 모든 지질을 추출하기 위해 고형물을 5 mL의 헥산으로 2회 세척한 후, 폐기하였다. 유기 상을 혼합하고,
질소 흐름을 통해 증발시켰다. 그후, 3 mL의 반응성 용액(2.5g의 K2Cr2O7가 1L의 H2SO4 36N 중에 용해되어
있음)을 첨가하고, 상이한 시간에 3회 혼합하면서 45분 동안 100℃로 가열하였다. 샘플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0.2 mL의 분취액을 2.5 mL의 물로 희석시켰다. 그후, 350 nm에서의 흡광도를 판독하고, 블랭크(샘
플 없이 동일 처리)로부터 공제하였다. 차이는 지질 양에 비례한다. 흡광도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지질 함량이
알려지지 않은 샘플에서 지질을 산출하기 위해 표준 샘플을 사용하였다.

[0115]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균주로부터의 3개의 상이한 배치에 대해 수행된 유리 아미


노산 및 펩티드 분석, 탄수화물 분석, 및 지질 함량 분석의 결과가 표 1에 제시된다. 배치 1에 대한 지질 분석
결과는 헥산 추출 시험을 사용하여 얻어졌고, 배치 2 및 3에 대한 것들은 디크로메이트 시험을 사용하여 얻어졌
다.

[0116]

[0117] 표 1 - 유리 아미노산, 펩티드, 탄수화물, 및 지질의 상대적 중량 퍼센트

[0118] HPLC 특징화

[0119]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균주로부터의 발효 추출물을 물/2-


프로판올 (1:4, v/v)의 1mg/mL로 희석하고, 하기 조건을 사용하는 크기 배제 컬럼 TSKgel G2000SWXL을 갖춘
HPLC에 의해 분석하였다: 컬럼은 TSKgel G2000SWXL (7.8mm ID x 30.0 cm 길이, 입도 5 mm, 기공 크기 125 Å)
이다. 용리제는 0.1M 완충 포스페이트 pH 6.7 + 0.1M Na2SO4이고, 용리는 1 mL/min의 흐름을 사용하여 등용매
(isocratic)로 유지된다. 검출기는 UV (=220 nm)이고, 주입량은 25 L이고, 오븐 온도는 37℃이다.

[0120] 발효 추출물은 12 및 12.3분에서 피크를 나타냈으며, 가우시안 분포는 10 내지 20 분의 체류 시간은 가졌다.


전체 면적의 73.5 %가 11분 내지 16 분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체 면적의 65%가 11 내지 14 분 사이에 위치
한다.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상이한 표준(티로글로불린, 670,000 Da; 알부민, 66,000 Da; 리보누클레아제,
13,700 Da 및 아미노벤조산, 122 Da)을 사용하여, 분자량을 체류 시간으로부터 산출하였다. 발효 추출물의 피
크(12 및 12.3 분)는 325,9 Da 내지 229,2 Da의 분자량을 가졌으며, 가우시안 분포는 표준을 사용하여 계산한
경우 3,400 Da와 122 Da 사이에 간격을 지녔다(이는 표준의 최소 중량임). 가우시안 분포 하에 면적의 73.5 %
가 표준으로 계산된 경우, 1053.9 내지 122 Da의 분자량을 지녔다.

[0121] 실시예 3: 효소-결합 면역흡착 검정(Enzyme-Linked Immunsorbent Assay) (ELISA)에 의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의 I형 콜라겐 합성에 대한 시험관내 연구.

[0122] I형 콜라겐은 피부에 존재하는 콜라겐의 주요 형이고, 피부의 강도 및 탄력성에 관여한다. 콜라겐은 나이가 들
면서 퇴화하고 용해된다. 섬유 아세포는 콜라겐의 주요 세포 생산자이다. 따라서, 인간 진피 섬유 아세포
(HDFa)를 후보 화장료 활성제로 처리한 결과로서의 콜라겐 합성 유도의 시험관내 정량화는 그 후보 물질이 피부
노화 방지제로서 효과적인지 여부에 대한 지표를 제공한다. 후보 물질이 콜라겐 합성을 유도하는 경우, 이는
후보물질이 피부 노화 방지제로서 효과적일 것이라는 지표이다.

[0123] 화장품에 의한 콜라겐 유도를 효소-결합된 면역흡착 검정(ELISA)에 의해 평가하였다.


4
[0124] 인간 진피 섬유 아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5x10 세포/웰을 48-웰 플레이트(48-well plate)에 시딩하였다.

5 % CO2 가습 공기 중에서 24 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한 후,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추출물의 스칼라(scalar) 희석액을 새로운 배지에 20-0.1 μg/mL로 첨

- 28 -
공개특허 10-2017-0125093

가하였다. 각 농도는 3회 시험하였다. 비처리된 세포를 48-웰 플레이트에서 6-웰에 대조군으로서 시딩하였다.
세포를 5 % CO2 가습 공기 중에서 추가 48 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 ELISA에 의해 분석될

수 있도록 웰 배지를 수거하였다. 표준 곡선을 1 mg/ml의 스톡 용액으로부터 시작하여 송아지 피부(Sigma)로부


터의 I 형 콜라켄으로 작성하였다. 세포 배양 처리로부터 수거된 표준 곡석 희석액 및 상등액을 96-웰 플레이
트에 옮겼다. 샘플 및 표준 곡선 희석액의 콜라겐이 가습 대기 중에서 밤새 4℃로 유지된 96-웰 플레이트의 벽
을 코팅하였다. 이후, 웰 플레이트를 PBS-0.05% Tween-20 (v:v) (Sigma)로 3회 세척하고, 3% 우혈청 알부민
(BSA) (w:v) (Sigma)으로 1시간 동안 블록킹하였다. 블록킹 후, 웰 플레이트를 2시간 동안 I형 안티-콜라겐 항
체(Sigma)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이러한 인큐베이션 후, 2차 항체 IgG-HRP (Molecular Probes)를 첨가하
였다. 이때, 웰 플레이트를 교반 하에서 30분 동안 포스파타제 기질(OPD, Sigma)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3M H2SO4를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중지시키고, 490 nm에서의 흡광도를 마이크로역가 플레이트 판독기 TECAN
GENios에서 판독하였다. I 형 콜라겐 표준 곡선의 선형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콜라겐 농도를 측정하였다. 비처
리 세포(대조군)에 대한 콜라겐 합성 증가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0125]

[0126] 표 2 - 3회 검정의 대조군에 대한 I형 콜라겐 백분율의 평균

[0127] 결과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인간 섬유 아세포에서 I형 콜라겐을 촉진시킴을 나타낸다.

[0128] 실시예 4: 콜라게나제 활성에 대한 시험관내 검정

[0129] 콜라겐은 피부 결합 조직에서 가장 풍부한 단백질이다. 그것은 필요한 유연성을 제공하면서 성장하면서 새로운
세포를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되는 메쉬-유사 구조를 형성한다. 피부에는 지속적인 콜라겐 합성 및 콜라겐 분해
가 있으며, 이들 과정 간의 조화가 피부의 인장 강도와 탄력 모두를 결정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콜라겐
분해가 증가한다. 콜라게나제는 콜라겐을 단편으로 분해하는 금속단백분해효소(metalloproteinase)이다. 이는
콜라게나제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 활성제가 피부 저항성을 개선시키고 피부 노화 방지제로서 작용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따른다.

[0130] 콜라게나제 활성은 EnzChek 젤라티나제/콜라게나제 검정 키트(EnzChek Gelatinase/Collagenase Assay


Kit)(Molecular Probes)로 측정된다.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균주 추출물을 실시예
1에 따라 얻고, 반응 완충제 중 10 및 0 (대조군) mg/ml 추출물 농도의 용액으로 만들었다. 이들 용액을 블랙
(black)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각 농도를 2회 시험하였다. 다음으로, 20 ㎕의 1mg/ml DQ 젤
라틴을 각 웰에 첨가하고, 100 ㎕의 콜라게나제를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고, 2시간 기
간 동안 빛으로부터 보호시키고, 여러 시점에서 형광을 측정하였다. 형광을 마이크로역가 플레이트 판독기
Tecan GENios의 λexc= 495 nm 및 λem= 515 nm에서 판독하였다.

- 29 -
공개특허 10-2017-0125093

[0131] 표 3은 최소 2회 검정의 대조군에 대한 형광 백분율의 평균을 나타낸 결과를 나타낸다.

[0132]

[0133] 표 3

[0134] 결과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콜라게나제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0135] 실시예 5: 인간 진피 섬유 아세포에 대한 엘라스틴 유도의 평가

[0136] 엘라스틴은 탄력있고 피부를 유연하게, 하지만 팽팽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결합 조직의 단백질로, 피부
가 당겨지면 바운스-백 반응(bounce-back reaction)을 일으킨다. 섬유 아세포는 엘라스틴의 주요 세포 생산자
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간 진피 섬유 아세포에 대해 화장료 활성제에 의한 엘라스틴 유도의 시험관내 정량화
는 피부에 있을 수 있는 화장료 활성제의 잠재적 노화 방지 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화장료 활성제가 콜
라겐 합성을 유도하는 경우, 이는 화장료 활성제가 피부 노화방지제로서 효과적일 것이라는 지표가 된다.

[0137] 화장료 활성제에 의한 엘라스틴 유도는 Fastin 엘라스틴 검정(Tebu-Bio)에 의해 평가된다.


5
[0138] 인간 진피 섬유 아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3 x10 세포/웰을 배양 플라스크에서 시딩하였다. 5 % CO2 가습

공기 중에서 72 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 후, 1, 0.1 및 0.01 μg/mL의 농도에서, 실시예 1에 따라 얻어


진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 추출물을 지닌 새로운 배지를 첨가하였다. 비
처리된 세포를 엘라스틴 합성을 위한 네가티브 대조군으로서 시딩하였다. 각 농도를 2회 시험하였다. 세포를
5 % CO2 가습 공기 중에서 추가 48 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이후, 엘라스틴을 세포로부터 추출하

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세포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 (Sigma)로 2회 세척한 후, 세포 분해 용액(Cell
Dissociation Solution)(Sigma)을 첨가하였다. 세포 현탁액을 마이크로원심분리관으로 옮기고, 1M 옥살산을 첨
가하고, 1시간 동안 100℃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엘라스틴이 가용화된 후, 검정 키트와 함께 제공된 α-엘라
스틴을 사용하여 표준을 제조하였다. 이 시점부터, 샘플 및 표준을 엘라스틴 분리 및 염료에 대한 키트 지침에
따라 함께 처리하였다. 끝으로, 염료를 키트와 함께 제공된 염료 분해 시약으로 추출하고, 흡광도를 마이크로
역가 플레이트 판독시 TECAN GENios로 540 nm에서 측정하였다.

[0139] 표 4에서, 네가티브 대조군에 대한 엘라스틴 유도 비율의 평균이 최소 3회 검정으로 기재된다.

[0140]

[0141] 표 4

[0142] 결과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인간 진피 섬유 아세포의 엘라스틴 합성을 촉진함을 나타낸다.

[0143] 실시예 6: 엘라스타제 활성에 대한 시험관내 검정

[0144] 피부 탄력은 콜라겐과 글리코사미노글리칸과 함께 결합 조직을 구성하는 진피의 단백질인 엘라스틴에 의해 영향


을 받는 기계적 성질이다. 결합 조직 단백질의 대사는 노화 과정 동안 감소하고, 엘라스틴과 콜라겐을 파괴하
는데 관여하는 효소, 주로 엘라스타제와 콜라게나제는 훨씬 더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에 따른 피부의 탄력
상실을 방지하기 위한 한 가지 가능한 방법은 활성 엘라스타제 효소를 억제할 수 있는 활성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다.

- 30 -
공개특허 10-2017-0125093

[0145] 엘라스타제 활성을 EnzChek 엘라스타제 검정 키트(Molecular Probes)로 측정하였다.

[0146]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 추출물을 실시예 1에 따라 얻고, 반응 완충제 중


10, 5, 2, 1 및 0 (control) mg/ml 추출물 농도의 용액으로 만들었다. 용액을 블랙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각 농도를 2회 시험하였다. 50 ㎕의 엘라스틴 작용 용액 (1 mg/ml)을 100 ㎕의 희석된 효고와 함
께 각 웰에 첨가하였다. 마이크로플레이트를 실온에서 인큐베이션하고, 4시간 기간 동안 빛으로부터 보호하고,
형광을 여러 시점에서 측정하였다. 형광을 마이크로역가 플레이트 판독기 Tecan GENios의 λexc= 490 nm 및 λ

em= 535 nm에서 판독하였다.

[0147] 표 5는 최소 2회 검정의 대조군에 대한 형광 백분율의 평균을 나타낸다.

[0148]

[0149] 표 5

[0150] 결과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엘라스타제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0151] 실시예 7: 고급 당화(glycation) 최종 생성물의 형성에 대한 시험관내 평가

[0152] 당화는 단백질과 환원 당, 예컨대 글루코스 간의 비-효소적 반응이다. 이 반응은 고급 당화 최종 생성물(AGE)


로서 알려져 있는 것을 형성한다. 당화는 단백질의 구조 및 기능을 변경시켜 단백질의 기능장애를 일으킨다.
피부에서, I형 콜라겐의 당화는 피부 둔화의 발달 및 피부 탄력 감소와 연관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당화는 나
이가 들어감에 따라 증가한다. 따라서, AGE 형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 활성제는 피부의 탄력 및 광도를 개
선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화장료 활성제는 효과적인 피부 노화 방지제일 것이다.

[0153] 0.2M의 글루코스 및 0.6%(v:v)의 콜라겐을,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


스타세움 종의 균주 추출물의 존재 하에서 100, 1 및 0 (기본 대조군) μg/ml의 콜라겐 농도로 인큐베이션하였
다. 각 농도를 2회 시험하였다. 모든 용액을 60℃에서 인큐베이션하고, 0 및 3일에 샘플링하고, AGE 정보를
측정하였다.

[0154] 글루코스와 I형 콜라겐 간의 AGE 형성은 OxiSelect™ 고급 당화 최종 생성물 경쟁적 ELISA 키트(OxiSelect™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 Competitive ELISA Kit)(Cell Biolabs)로 평가하였다. 이후,샘플 또는 AGE-
BSA 표준을 AGE 컨쥬게이트 사전흡수된 ELISA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잠시 인큐베이션한 후, 항-AGE 폴리클로
날 항체를 첨가한 다음, HRP(Horseradish Per옥시다제) 컨쥬게이트된 2차 항체를 첨가하였다. 2차 항체와 함
께 인큐베이션한 후, 웰 플레이트를 기질 용액과 함께 인큐베이션하고, 반응 정지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중단시켰다. 마이크로역가 플레이트 판독기 TECAN GENios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0155] 표 6은 3회의 대조군에 대한 AGE 백분율의 평균을 나타낸다.

[0156]

[0157] 표 6

- 31 -
공개특허 10-2017-0125093

[0158] 결과는 1 μg/ml의 농도에서, 본 발명의 추출물이 AGE의 생성을 억제함을 나타낸다(생성된 AGE의 양이 추출물이
존재하는 않은 경우 생성된 양의 80.6 %임). 추출물의 양을 100 μg/ml로 증가시키면 AGE의 생성 억제를 증가
시켰으며, 생성된 AGE의 양이 추출물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생성된 양의 70.3 %로 떨어졌다.

[0159] 실시예 8: 혈관 투과성에 대한 시험관내 검정

[0160] 수북한 눈 및 눈밑 처진 살은 여러 원인이 되는 요인으로 인해 생기지만, 눈밑 영역에서의 과도한 유체 보유 또


는 부종이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 불량한 림프액 순환 및 증가된 모세혈관 투과성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이유로 유체가 축적될 수 있다. 따라서,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켜 간질 구획에 축적되는 유체의 양을 감소
시키는 화장료 활성제는 수북한 눈 및 눈밑 처진 살의 미용적 치료를 위한 양호한 후보가 될 수 있다.
4
[0161] 인간 제대 정맥 내피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5 x 10 세포/웰을 96-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에서 1.0 μm 대
칭적인 기공을 함유하는 인서트에 시딩하였다. 5 % CO2 가습 공기 중에서 72 시간 동안 37 ℃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내피 단일 층이 형성되고, 그것이 막 기공을 막았다. 이 시점에서,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 추출물을 갖는 새로운 배지를 5, 1 및 0.2 μg/mL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비처리된 세포를 혈관 투과성에 대한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각 농도를 3회 시험하였다. 모
든 세포를 37℃ 및 5% CO2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0162] 처리 후, FITC-덱스트란을 세포의 상부에 첨가하여 세포 단일층을 통과하도록 하였다. 20분 후 마이크로역가
플레이트 판독기 Tecan GENios로 λexc= 485 nm 및 λem= 535 nm에서 플레이트 웰 용액의 형광을 측정함으로써
투과성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0163] 표 7은 최소 3회의 대조군에 대한 혈관 투과성 억제에 대한 백분율의 평균을 나타낸다.

[0164]

[0165] 표 7

[0166] 결과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추출물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추출물이 존재하는 경우가 세포 단층을
통해 침투된 FITC-덱스트란의 양이 최대 20.8 % 적었다는 점에서 혈관 투과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였음을 보여
준다.

[0167] 실시예 9: 빌리루빈 분해의 영향에 대한 시험관내 검정

[0168] 최근 빌리루빈은 눈 주위에 다크 써클이 존재하는 요인으로 간주되어 왔다. 눈 주변의 미세순환은 다크 써클 형
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눈 주위의 부종에서 혈관 누출은 빌리루빈 축적을
초래하며, 이로 인해 노란색에서 파란색으로 바뀔 수 있는 색으로 다크 써클이 생긴다. 따라서, 눈 주위에 있
는 빌리루빈의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는 화장료 활성제는 눈 다크 써클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우수한 화장제
(cosmetic agent)일 수 있다.

[0169] 빌리루빈 산화를 피하기 위해 빛-보호된 바이알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물/2-프로판올 (1:1, v/v) 중의 1mL의
0.1% 빌리루빈 용액을 10mL 용량 플라스크(volumetric flask)에 첨가하였다. 그후, 25mg/mL로, 물/2-프로판올
(1:1, v/v) 중의 용액으로, 실시예 1에 따라 얻은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
추출물 4mL를 첨가한 후, 플라스크에 물/2-프로판올 (1:1, v/v)을 채워 10mL가 되게 하였다. 이들 조건에서,
균주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추출물의 최종 농도는 1%였다. 동시에, 25 mg/mL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추출물 용액이 없는 네거티브 대조군을 1mL의 0.1% 빌리루빈 용액 및 10mL 용량 플라스크를 채우기 위해 요구되
는 물/2-프로판올 (1:1, v/v)의 용량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두 용액이 제조되면, 이들을 빛-보호된 유리 바
이알에 옮기고, 실온에서 일정한 교반 하에 있도록 유지하였다. 빌리루빈의 농도는 상이한 시점에서 HPLC에 의
해 정해진다.

- 32 -
공개특허 10-2017-0125093

[0170] 세번 반복을 비교하기 위해, 제로 시간에 컨쥬게이트된 빌리루빈의 영역을 100%로 표준화시켰다. 24시간 후, 1%
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추출물 용액은 19.36%의 빌리루빈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표 8에서, 상이
한 시점에서 빌리루빈의 표준화된 영역을 나타낸다.

[0171]

[0172] 표 8

[0173] 결과는 24시간 후,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샘플에서, 존재하는 빌리루빈의 양이 대조군 샘플 양의 80.64
%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상 분해에 비해, 19.36 %의 빌리루빈 감소가 달성되었다.

[0174] 실시예 10: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


물의 제조

[0175] 미용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이의 성분들이 하기 표 9에 기재된다. 적합한 용기에서, 상 A의 성분들을 용해시


키고, 전체 분산이 달성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상 A1 성분을 조금씩 첨가하였다. 이후, 상 A2 성분을 첨가하고,
형성된 성분들의 혼합물을 이들의 용해될 때까지 계속해서 교반하고, 70-75℃로 가열시켰다.

[0176] 다른 용기에서, 상 B 성분들을 70-75℃에서 용융시키고, 이를 터빈 교반 하에서 상 A, A1 및 A2 성분들의 혼합


물에 조금씩 첨가하였다.

[0177] 이후, 40℃에서, 상 C의 성분들을 조금씩, 그리고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0178] 이어서, 상 D의 성분들을 완전이 분산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조금씩 첨가하고, 상 E의 성분들 완전히 분산될 때
까지 교반하면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교반 하에 수산화나트륨(이러한 pH로 조절하기 위한 최대한 충분량)(상
F)의 첨가에 의해 pH를 6.0-6.5으로 조절하여, 표 9에 기재된 비율로 미용 조성물을 얻었다. 조성물은 국소 투
여용으로 적합한 크림이었다.

- 33 -
공개특허 10-2017-0125093

[0179]

[0180] 표 9

[0181] 실시예 11: 여성 지원자의 눈가 잔주름의 주름 치료를 위한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의 효능을 시험하는, 실시예 10의 조성물에 의한 생체내 연구

[0182] 이 연구는 14일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측정은 처음에 시간 = 0에, 그리고 나서 14일 후에 이루어졌다. 20 명의
자원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들은 40세에서 54세 사이의 백인 여성이었다. 피검체는 한쪽 눈 윤곽(왼쪽 또는
오른쪽)에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0의
크림을, 그리고 다른 눈 윤곽에 플라세보 크림을 적용하였다. 크림을 하루에 두번 적용하였다(아침 및 밤).
피검체는 자신이 기준이 되고, 다른 시간에 얻은 결과를 초기 시간 0에서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활성
크림으로 얻은 결과를 플라세보 크림으로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0183] 생성물의 효능을 프린지 프로젝션 시스템(fringe projection system)을 사용하여 눈가 잔주름(주름살) 주름의
거칠기 파라미터 (Ra, Rz, Rt) 평가에 의해 평가하였다.

[0184] Ra (평균 거칠기): 절대 높이 값의 산술 평균

[0185] Rz (평균 완화(mean relief)) : 가장 높은 지점과 가장 낮은 지점 사이의 거리 (5 개의 피크 및 5 개의 밸리


(valley))

[0186] Rt (전체 거칠기) : 가장 높은 피크와 가장 낮은 밸리 사이의 거리 (평가 길이에서 발견됨)

[0187]

[0188] 표 10 - 14일에서의 거칠기 파라미터의 초기 시간에 대한 백분율 변화

- 34 -
공개특허 10-2017-0125093

[0189] 표 10에서 보여준 결과는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
는 크림의 14일의 치료 기간 동안 안와주위(안와주위) 주름으로 인한 피부 거칠기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입증한다. 즉, 주름의 크기가 감소되고, 주름진 피부가 더 부드럽게 되었다.

[0190] 실시예 12: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


물의 제조

[0191] 미용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그 성분들이 하기 표 11에 기재된다. 적합한 용기에서, 상 A의 성분들을 용해시
키고, 전체 분산이 달성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상 A1 성분을 조금씩 첨가하였다. 이후, 상 A2 성분을 첨가하고,
형성된 성분들의 혼합물을 이들의 용해될 때까지 계속해서 교반하고, 70-75℃로 가열시켰다.

[0192] 다른 용기에서, 상 B 성분들을 70-75℃에서 용융시키고, 형성된 혼합물을 터빈 교반 하에서 상 A, A1 및 A2 성


분들의 혼합물에 조금씩 첨가하였다.

[0193] 이후, 40℃에서, 상 C의 성분들을 조금씩, 그리고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0194] 이 다음에, 상 D의 성분들을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조금씩 첨가하고, 상 E의 성분들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교반 하에 수산화나트륨(이러한 pH로 조절하기 위한 최대한 충분량)(상
F)의 첨가에 의해 pH를 6.0-6.5으로 조절하여, 표 11에 기재된 비율로 미용 조성물을 얻었다. 조성물은 국소
투여용으로 적합한 크림이었다.

[0195]

[0196] 표 11

[0197] 실시예 13: 백인 피부 타입 여성 지원자의 눈 아래 다크 써클의 치료를 위한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


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의 효능을 시험하는, 실시예 12의 조성물에 의한 생체내 연구

[0198] 이 연구는 28일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측정은 처음에 시간 = 0에, 그리고 나서 28일 후에 이루어졌다. 21명의
자원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들은 22세에서 65세 사이의 백인 여성이었다. 피검체는 한쪽 눈 윤곽(왼쪽 또는
오른쪽)에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2의
크림을, 그리고 다른 눈 윤곽에 플라세보 크림을 적용하였다. 크림을 하루에 두번 적용하였다(아침 및 밤).
피검체는 자신이 기준이 되고, 다른 시간에 얻은 결과를 초기 시간 0에서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활성
크림으로 얻은 결과를 플라세보 크림으로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 35 -
공개특허 10-2017-0125093

[0199] 생성물의 효능을 혈관 성분의 분석에 사용된 다크 써클의 교차 편광된 빛 하에서의 디지털 사진에 의해 평가하
였으며, 결과가 12에 있다.

[0200]

[0201] * 평균 값으로 계산됨.

[0202] 표 12. 28일에서의 다크 써클의 혈관 성분 세기의 초기 시간에 대한 백분율 변화

[0203] 표 12에서 보여준 결과는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
는 크림의 28일의 치료 기간 동안 눈밑 다크 써클에서 피부 어두움 감소(즉, 색을 밝게 함)에 효과적임을 입증
한다.

[0204] 실시예 14: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용 조성


물의 제조

[0205] 미용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그 성분들이 하기 표 xx에 기재된다. 적합한 용기에서, 상 A의 성분들을 용해시
키고, 전체 분산이 달성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상 A1 성분을 조금씩 첨가하였다. 이후, 상 A2 성분을 첨가하고,
형성된 성분들의 혼합물을 이들의 용해될 때까지 계속해서 교반하고, 70-75℃로 가열시켰다.

[0206] 다른 용기에서, 상 B 성분들을 70-75℃에서 용융시키고, 이를 터빈 교반 하에서 상 A, A1 및 A2 성분들의 혼합


물에 조금씩 첨가하였다.

[0207] 이후, 40℃에서, 상 C의 성분들을 조금씩, 그리고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이 다음에, 상 D의 성분들을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조금씩 첨가하고, 상 E의 성분들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조금씩 첨가하였
다. 교반 하에 수산화나트륨(이러한 pH로 조절하기 위한 최대한 충분량)(상 F)의 첨가에 의해 pH를 6.0-6.5으
로 조절하여, 표 13에 기재된 비율로 미용 조성물을 얻었다. 조성물은 국소 투여용으로 적합한 크림이었다.

[0208]

- 36 -
공개특허 10-2017-0125093

[0209] 표 13

[0210] 실시예 15: 여성 지원자의 눈밑 처진 살의 치료에 대한 효능을 시험하는, 실시예 14의 조성물에 의한 생체내 연

[0211] 이 연구는 28일에 걸쳐 수행되었으며, 측정은 처음에 시간 = 0에, 이후 14일 후에, 그리고 나서 28일 후에 이루
어졌다. 20명의 자원자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들은 41세에서 66세 사이의 백인 여성이었다. 피검체는 한쪽 눈
윤곽(왼쪽 또는 오른쪽)에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
하는 실시예 12의 크림을, 그리고 다른 눈 윤곽에 플라세보 크림을 적용하였다. 크림을 하루에 두번 적용하였
다(아침 및 밤). 피검체는 자신이 기준이 되고, 다른 시간에 얻은 결과를 초기 시간 0에서 얻은 결과와 비교하
였다. 또한, 활성 크림으로 얻은 결과를 플라세보 크림으로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0212] 생성물의 효능을 프린지 프로젝션 시스템에 의해 눈밑 처진 살 부피의 평가로 평가하였으며, 결과가 표 14에 제
시된다.

[0213]

[0214] 표 14. 14일 및 28일에서의 눈밑 처진 살 부피의 초기 시간 제로에 대한 변동율

[0215] 표 14에서 보여준 결과는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
는 크림의 14일 및 28일의 치료 기간 동안 눈밑 처진 살 부피의 감소에 효과적임을 입증한다.

[0216] 실시예 16: 인간 표피 멜라닌세포에 대한 멜라닌 생성의 시험관내 검정

[0217] 멜라닌 생성은 피부의 멜라닌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과정이며, 피부색의 색소 결정 인자인 멜라닌의 합성을 유도
한다. 화장료 활성제에 의해 유발된 시험관 내 멜라닌 정량화는 이들의 잠재적인 미백 효과에 대한 정보를 제
공한다.
5
[0218] 인간 멜라닌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6-웰 플레이트 상에 2x10 세포/웰의 밀도로 플레이팅하였다.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한 후, 10, 5, 1 및 0.2 μg/mL로,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추출물로 첫번째 치료를 수행하였다. 비처리된 세포를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각 농도를 2회 시험하였다. 3, 6, 8 및 10일에 치료를 반복하였다. 끝으로, 세포를 최후 치료
후 추가 72시간 동안 37℃, 5% CO2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0219] 최종 인큐베이션 후, 세포를 세포 계수 및 멜라닌 측정을 위해 분리시켰다. 세포 현탁액을 15분 동안 3000 rpm
에서 원심분리시키고, 펠렛을 10% DMSO (v:v)를 지닌 1ml의 1N NaOH 중에 용해시켰다. 세포를 2시간 동안 80℃
에서 용해시키고, 10분 동안 12000 rpm에서 원심분리시켰다. 멜라닌 농도를 플레이트 판독기 TECAN GENios에서
45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하고, 값들을 웰당 세포수에 대해 표준화시켰다. 멜라닌 농도는 기지
의 농도에서 합성 멜라닌으로 플로팅된 표준 곡선으로부터 세포 당 피코그램(pg/세포)로 측정되었다.

[0220] 표 15에서, 대조군에 대한 멜라닌 백분율의 평균을 3회 검정으로 나타낸다.

[0221]

- 37 -
공개특허 10-2017-0125093

[0222] 표 15

[0223] 표 15에 보여진 결과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인간 표피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생성(멜라닌 합성) 억제에 효과적임
을 입증한다.

[0224] 실시예 17: 티로시나제 활성에 대한 시험관내 검정

[0225] 멜라닌 생성은 피부의 멜라닌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과정이며, 피부색의 색소 결정 인자인 멜라닌의 합성을 유도
한다. 멜라닌 생성에서 중요한 효소는 티로시나제이다. 티로시나제는 티로신을 멜라닌으로 전환시키는 일련의
반응을 개시시킨다. 따라서, 타이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화장료 활성제는 피부 미백제로서의 가능성
을 갖는다.

[0226] 티로시나제 활성을 HumanLike 티로시나제 검정 키트(Feldan)로 측정하였다. 200 ㎕/웰의 반응 믹스를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추출물 10㎕의 샘플을 100, 10 및 1 g/ml로 첨가하였다. 각 농도를 2회 시험하였다. 끝으로, 2㎕의 효소를 로
딩하였다. 효소가 없는 웰을 블랭크로서 사용하였다. 흡광도를 마이크로역가 플레이트 판독기 TECAN GENios
(Genios, Tecan)로 λ= 490 nm에서 판독하였다.

[0227] 표 16에서, 3회 검정의 대조군에 대한 흡광도의 백분율 평균을 나타낸다.

[0228]

[0229] 표 16

[0230] 표 16에서 보여준 결과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에 효과적임을 입증한다.

[0231] 실시예 18: 인간 표피 멜라닌세포의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의 연구


5
[0232] 인간 멜라닌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6-웰 플레이트 상에 2x10 세포/웰의 밀도로 플레이팅하였다.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한 후, 10 μg/mL로,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추출물로 첫번째 치료를 수행하였다. 비처리된 세포를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각 농도를 10개의 웰에서 시험하였다. 3, 6, 8 및 10일에 치료를 반복하였다. 끝으로, 세포를 최후 치료 후
추가 72시간 동안 37℃, 5% CO2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0233] 최종 인큐베이션 후, 세포를 웰에서 직접 용해시키고, 제조업체의 프로토콜에 따라 RNeasyPlus 미니 키트


(Qiagen)에 의해 각각의 복제물, 및 각각의 상태로부터RNA를 추출하고, 정제하였다. 간단히, 용해된 세포를 균
질화시키고, RN아제를 불활성화시켰다. gDNA 제거기 스핀 칼럼(Eliminator spin column)을 사용함으로써 게놈
DNA을 샘플로부터 제거하였다. 이후, 샘플을 특수 RAN 결합 컬럼을 통과시키고, 여러번 마이크로원심분리 후,
세척하여 오염물질 및 불순물을 제거하고, 정제된 RNA를 50 ㎕의 초순수 물로 용리시켰다.

[0234] 얻어진 RNA의 순도, 무결성 및 농도를 분광 광도법 (Nanodrop) 및 생물분석기(bioanalyzer)(Agilent


Bioanalyzer)에 의해 평가하였다. 4 개의 대조군 샘플 및 4 개의 처리된 샘플은 순도 및 무결성의 결과에 따라
선택되었다.

[0235] 이후, 표지화를 수행하고 샘플을 인간 유전자 발현 마이크로어레이 (ASurePrint G3, Agilent)에서
혼성화시켰다.

[0236] 치료로 얻어진 표준화된 값을, 상이한 발현을 갖는 유전자를 얻기 위해 네가티브 대조군으로 얻어진 표준화된

- 38 -
공개특허 10-2017-0125093

값과 비교하였다. 이후, 바이오컨덕터(Bioconductor)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파라미터 분석을 수행하


였다. 얻어진 값을, 유전자 존재론(Gene Ontology) 및 생물학적 경로의 관점에서 차별적인 표현으로 유전자들
을 함께 그룹화하기 위해 GSEA (Gene Set Enrichment)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0237] 멜라닌 생성에 포함된 선택된 유전자에 대해 얻어진 LogFc의 결과가 다음 표에 보여진다. LogFC는 배수 변경
(FC)의 로그 (기본 2)이다. FC는 유전자 발현 수준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마이크로어레이에서의 유전자 발현
데이터 분석에 사용된다. 배수 변화는 비교 중인 두 실험 조건 간에 양이 얼마나 많이 변화하는지 또는 비교
중인 두 실험 조건 간의 강도 비율로서 나타내는 척도로 정의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LogFC가 음의 값을 갖는
유전자는 대조군에 비해 하향 조절되는 반면, LogFC가 양의 값을 갖는 유전자는 대조군에 비해 상향 조절된다.

[0238]

[0239] 표 17 - 멜라닌 합성의 상이한 반응에 포함된 효소를 암호화하는 선택된 유전자의 LogFC 값

[0240]

[0241] 표 18 - 멜라닌 합성의 상이한 반응에 포함된 효소의 조절 제어에 관련된 수용체, 리간드 및 그 밖의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선택된 유전자의 LogFC 값

[0242]

[0243] 표 19 - 멜라노좀 조직화(melanosomal organization) 또는 생물발생(biogenesis)에 관련된 선택된 유전자의

- 39 -
공개특허 10-2017-0125093

LogFC 값

[0244] 표 18에 보여진 결과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멜라닌 생성 억제를 야기하는 유전자를 상향조절 또는 하향조절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표 19 및 표 17에서 보여진 결과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멜라노좀 생물발생에 직접 관련
된 유전자 및 멜라닌 합성에 관련된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를 하향 조절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유전자 조
절에서의 모든 그러한 효과에 대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 과정을 억제하여 미백 효과를 얻도록 하
였다.

[0245] 실시예 19: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의 미용 조성물의 제조

[0246] 적합한 용기에서, 상 A의 성분들을 용해시키고, 전체 분산이 달성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상 A1 성분을 조금씩 첨
가하였다. 이후, 상 A2 성분을 첨가하고, 형성된 성분들의 혼합물을 이들의 용해될 때까지 계속해서 교반하고,
70-75℃로 가열시켰다.

[0247] 다른 용기에서, 상 B 성분들을 70-75℃에서 용융시키고, 이를 터빈 교반 하에서 상 A, A1 및 A2 성분들의 혼합


물에 조금씩 첨가하였다.

[0248] 이후, 40℃에서, 상 C의 성분들을 조금씩, 그리고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0249] 이 다음에, 상 D의 성분들을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조금씩 첨가하고, 상 E의 성분들 완전히 분산될
때까지 교반하면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교반 하에 수산화나트륨(이러한 pH로 조절하기 위한 최대한 충분량)(상
F)의 첨가에 의해 pH를 6.0-6.5으로 조절하여, 표 20에 기재된 비율로 미용 조성물을 얻었다.

[0250]

[0251] 표 20

[0252] 실시예 20: 아시아인 피부 타입 여성 지원자의 검버섯 및 피부 미백 효과의 치료를 위한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의 효능을 시험하는, 실시예 19의 조성물에 의한 생체내 연

[0253] 이 연구는 개시 시간, 및 8주 치료 후 측정으로 56일에 걸쳐 수행되었다. 38세 내지 53세 사이의 22명의 아시
아인 여성 자원자의 패널은 얼굴 절반에 실시예 19의 크림을, 다른 반쪽에 플라세보 크림을 하루에 두번(아침
및 밤)에 적용하였다. 피검체는 자신이 기준이 되고, 다른 시간에 얻은 결과를 초기 시간에서 얻은 결과와 비

- 40 -
공개특허 10-2017-0125093

교하였다. 또한, 활성 크림으로 얻은 결과를 플라세보 크림으로 얻은 결과와 비교하였다.

[0254] 생성물의 효능을 하기에 의해 평가하였다:


* *
[0255] - 빛의 스펙트럼 반사, 파라미터 L , b 및 ITA °(n = 22)에 의한 피부색의 측정, 결과는 표 21에 나타남.

*
[0256] L : 휘도(Luminance) 파라미터(진함으로부터 밝음까지, 피부의 밝기 또는 광도)

*
[0257] b : 색차(Chrominance) 매개 변수 (파란색부터 노란색까지; 피부 황색도)

* *
[0258] ITA° (개인별 유형학 각(Individual Typology Angle)): [아크 탄젠트 ((L -50)/b )] x 180/3.14159

[0259]

[0260] 표 21 - 과다 색소 침착 영역 및 비과다 색소 침착 영역의 초기 시간에 대한 백분율 변화 및 치료 8 주 후의 두


영역 간의 대조.
* *
[0261] 각각의 파라미터(L , b 및 ITA)를 상이한 시간(바탕선 및 8주)에 각 지원자에 대해 측정하였다. 추후 각 파라
미터에 대한 평균을 계산하였고, 표 21에 포함된 %는 [(8주 평균 - 0주 평균)/0주 평균](%)이다. 피부 콘트라
스트(skin contrast)는 비과다 색소 침착 영역에 대한 파라미터 값에서 과다 색소 침착 영역에 대한 파라미터
값을 뺀 것이다. 즉, 콘트라스트는 치료 말미에 피부 색이 보다 균질하게 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피부색의
균질성과 관련된 파라미터이다. 그러므로, 콘트라스트의 음의 값은 피부색 균질성의 개선을 나타낸다. 콘트라
* * *
스트는 예를 들어, L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각 지원자 및 파라미터에 대해 계산된다: L 콘트라스트 = L 비과
*
다 색소침착 - L 과다 색소침착. 평균 콘트라스트 값이 계산되어, 치료 동안 콘트라스트의 진전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 콘트라스트 = [(8주 평균 - 0주 평균)/0주 평균]. 이 %는 표제 콘트라스트 하에 표 21에 포함되어
있다.

[0262] 표 21에 보여진 결과는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
크림의 8주 치료 기간 동안 과다 색소침착된 영역의 피부(검버섯)에 대한 피부 밝기(L 및 ITA°) 증가 및 피부
*
황색도 (b ) 감소에 효과적이었음을 입증한다. 또한, 과다 색소 침착된 영영과 비과다 색소 침착된 영역 간의 콘
트라스트가 감소되어 검버섯의 미백 효과를 나타냈다.

[0263] 반사 공초점 현미경(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n = 2)에 의한 과다 색소 침착된 영역에 대한 멜라닌의


세기 분석 결과를 표 22에 나타낸다.

[0264]

[0265] 표 22 - 치료 8주 후 멜라닌 세기의 개시 시간에 대한 백분율 변동

[0266] 표 22에서 보여진 결과는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
는 크림의 8주 치료 기간 동안 과다 색소 침착된 영역의 피부(검버섯)에 대한 멜라닌 강도 감소에 효과적이었음
을 입증한다.

[0267] 실시예 21: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에

- 41 -
공개특허 10-2017-0125093

멀젼의 제조

[0268] 적합한 용기에서, 도쿠세이트 소듐(Docusate Sodium) USP [INCI: DIETHYLHEXYL SODIUM SULFOSUCCINATE] 및 이
소스테아르산[INCI: ISOSTEARIC ACID]을 혼합하였다(상 A).

[0269] 다른 용기에서, 물 [INCI:물 (AQUA)] 및 BUTILENGLICOL 1,3 [INCI: 부틸렌 글리콜]과 함께 실시예 1에 따라 얻
어진 기탁 번호 CECT20901의 유페니실리움 크루스타세움 종의 균주의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에탄올 [INCI: 알
코올] 중에 용해시켰다(상 B). 서서히, 상 B를 교반하면서 상 A에 첨가하였다. 표 23을 참조하라.

[0270]

[0271] 표 23

[0272] 실시예 22: 실시예 21의 마이크로에멀젼을 포함하는 지질 나노입자 조성물의 제조


®
[0273] 물 [INCI: 물 (AQUA)], Amigel [INCI: SCLEROTIUM GUM], Zemea™ [INCI: PROPANEDIOL], 히알루론산[INCI:
SODIUM HYALURONATE] 및 페녹시에탄올[INCI: PHENOXYETHANOL] (상 A 성분)을 이 순서로 적합한 용기에 첨가하
고, 균질성이 얻어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0274] 실시예 XX의 마이크로에멀젼, 정제된 대두유 IP Ph. Eur.[INCI: GLYCINE SOJA (SOYBEAN) OIL], Arlacel 83
[INCI: SORBITAN SESQUIOLEATE], 및 Massocare HD [INCI: ISOHEXADECANE] (상 B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또
다른 용기에 첨가하였다.

[0275] 이후, 상 B 성분들의 혼합물을 에멀젼이 형성될 때까지 터빈 교반 하에 상 A 성분들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
[0276] 이후, 혼합물을 고압 균질화 시스템인 Microfluidizer 로 균질화시켰다.

[0277] 끝으로, SENSOMER CT-400 [INCI: CASSIA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를 교반하면서 서서히 첨가하였다
(상 C). 표 24를 참조하라.

[0278]

- 42 -
공개특허 10-2017-0125093

[0279] 표 24

[0280] 실시예 23: 재구성된 인간 색소침착된 표피의 멜라닌 생성 억제에 대한 시험관내 검정

[0281] 과다 색소 침착은 지나친 멜라닌 생성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이다. 무엇보다도, 과도한 태양 노출, 노화, 호르
몬 변화, 염증, 알레르기 등과 같은 요인은 멜라닌 생성 및 분배 과정에서 불균형을 일으켜 피부 얼룩을 유발할
수 있다. 일광 흑색점(SL) (또한, 노인 흑색점, 일광-, 간- 또는 검버섯으로서 알려져 있음)은 국한되고, 색소
침착된 반점이고, 전형적으로 몸의 UV-노출된 영역에서 발견된다. 현재 일광 흑색점의 출현에 대해 제안된 분
자 메카니즘은 Wnt 경로를 포함하는 표피 신호전달 경로의 자극을 포함한다. WNT-1는 일광 흑색점에 관련된
Wnt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자이다.

[0282] 재구성된 인간 색소침착된 표피(Reconstructed Human Pigmented Epidermis)(RHPE), 10일령, 포토타입


(phototype) IV (SkinEthic laboratories)를 도착 직후 멀티웰 플레이트(multiwell plate)에서 아가로스-영양
액으로부터 제거하고, 각 웰이 이미 SkinEthic 성장 배지 (SkinEthic laboratories)로 채워진 6-웰 플레이트에
배치하였다. 37℃, 5 %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한 후, 200ng/ml의 재조합 인간 WNT-1(Peprotech) 또는 WNT-
1로, 200 또는 100 ㎍/ml의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추출물로 제 1 처리를 수행하였다. 각 웰의 배지를 흡인하
고 새로운 배지 (재조합 인간 WNT-1, 또는 추출물 및 재조합 인간 WNT-1을 함유하는)를 첨가하였다. 각 검정은
RHPE가 성장 배지 단독으로 처리되는 대조군(기본 조건) 웰을 가졌다. 치료를, 6일까지 매일, 즉 조직 모델이
Cryo-M-Bed (Bright)에 임베딩(embedding)되어 있는 5일 동안 반복하였다.

[0283] 치료 5일 후, 조직 모델을 3시간 동안 4℃에서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Sigma) 중에 고정시키고, 포스페이트-완


충 염수(PBS) (Sigma)로 4회 세척하였다. 이후, 샘플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0.6몰에서 2.3몰
의 수크로스 구배가 이루어지게 하였다. 마지막 인큐베이션 후, 조직 모델을 Cryo-M-Bed에 임베딩시켰다. 10
μm 절편을 저온유지장치(cryostat) (Leica)로 커팅하고, 절편내 멜라닌을 폰타나-메이슨 스테인 키트(Fontana-
Masson Stain kit)(Abcam)를 사용하여 착색시켰다.

[0284] 조직 절편을 0-60 분 동안 58-60℃에서 사전-가온된 암모니컬 실버 용액(Ammonical Silver Solution)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조직 절편의 색이 황색빛깔/갈색이 되면, 이를 증류수를 여러 번 교체하여 헹구었다.
이후, 조직 절편을 30초 동안 골드 클로라이드 용액(Gold Chloride Solution)중에서 인큐베이션하고, 다시 헹구
었다. 조직 절편을 1-2 분 동안 소듐 티오설페이트 용액(Sodium Thiosulfate Solution) 중에서
인큐베이션하고, 흐르는 수돗물로 2분 동안 헹군 후, 증류수로 2번 교체하여 헹구었다. 절편을 5분 동안 누클
리어 패스트 레드 용액 중에서 인큐베이션하고, 흐르는 수돗물로 2분 동안 헹군 후, 증류수로 2번 교체하여 헹
®
구었다. 끝으로, 절편을 무수 알코올을 3회 교체하여 탈수시키고, 제거하고, Neo-Mount (Merck)에 탑재시켰다.

[0285] Zeiss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절편을 관찰하고, Ze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캡쳐하였다. 각각의 이
미지로부터, 착색된 영역의 양을 정량화하였다.

[0286] 표 25는 최소 3회 검정에 대해, 기본 조건에 대한 멜라닌 함량의 배수 유도를 보여준다.

[0287]

[0288] 표 25

[0289] 결과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시험된 농도에서 과다 색소 침착된 인간 피부 모델에서 멜라닌 함량의 상당한 감소
를 유도함을 나타낸다.

[0290] 실시예 24: 유전자 발현 분석을 위한 시험관내 검정

- 43 -
공개특허 10-2017-0125093

[0291] 이 연구의 목적은 RT-qPCR 시스템을 사용하여 진하게 색소침착된 멜라닌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경로의 유전자 발
현을 평가함으로써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추출물의 탈색소침착 효능을 조사하는 것이다.

[0292] 신생아의 진하게 색소침착된 기증자로부터의 인간 표피 멜라닌세포(Human Epidermal Melanocyte)(HEMn-DP)


(Life Technologies)를 트립신 처리하고, 인간 멜라닌세포 성장 보충물-2(Human Melanocyte Growth
Supplement-2)(HMGS-2-(PMA-비함유)) (Life Technologies)이 보충된 Medium 254에서 6-웰 배양 플레이트 상의
5
3x10 세포/웰의 밀도로 플레이팅하였다. 37℃, 5 %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한 후, 1 μg/ml로 실시예 1에 따

라 얻어진 추출물을 사용하거나, 배지 단독(기본 조건)으로의 제1 처리를 수행하였다. 각 웰의 배지를 흡인시


키고, 이후 새로운 배지 (추출물을 함유하거나, 배지 단독)를 첨가하였다. 3, 6, 8 및 10일에 치료를 반복하였
다. 끝으로, 마지막 치료 후 추가 72시간 동안 37℃, 5% CO2에서 세포를 인큐베이션하였다.

[0293] 최종 인큐베이션 후, 세포를 제조업체의 프로토콜에 따라 Aurum Total RNa Mini kit (BioRad)에 대해 기술된 프
로토콜에 따라 웰에서 직접 용해시켰다. 용해된 세포를 균질화시키고, RN아제를 불활성화시켰다. 이후에, 샘
플을 특수한 RNA 결합 컬럼으로 통과시키고, 오염물 및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여러 차례의 마이크로원심분리
세척 후에, 정제된 RNA를 80 ㎕의 용리액으로 용리시켰다. RNA 샘플의 정량화 및 순도 분석을 바이오포토미터
(biophotometer)(Eppendorf)로 수행하였다.

[0294] 0.4 ㎍의 고품질 RNA를, 20 ㎕의 최종 부피로 iScript 어드밴스드(advanced)(BioRad, Hercules, CA, USA)로 역
전사시켰다. 완전한 반응 혼합물을 열 사이클러(thermal cycler)(Eppendorf)에서 42℃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
®
션하고, 반응을 85℃에서 5분 동안 정지시켰다. 상보적인 RNA를 SYBR Green(BioRad)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인간 멜라닌 생성 96-웰 패널에서 SsoAdvanced Universal Inhibitor-Tolerant SYBRgreen 수퍼믹스(BioRad)를
이용하여 실시간 PCR 써모사이클러(thermocycler)(BioRad)에서 qPCR에 의해 증폭시켰다. SYBR Green은 이중
가닥 DNA 분자에 결합하고, 정량화되는 형광을 방출시키며, 형광 세기는 PCR 반응에서 생성물의 양에 비례한다.
BioRad CFX96 기기에서 사이클링 조건(cycling condition)은 하기와 같다: 3분 동안 95℃, 이후 5초 동안 95℃
에서 40 변성 사이클, 어닐링 및 60℃에서 30초 동안 신장(elongation). GAPDH(글리세르알데하이드 3-포스페이
트 데하이드로게나아제), TBP(TATA 박스 결합 단백질) 및 HRPT1(하이포잔틴 포스포리보실트랜스퍼라아제 1)을
내인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샘플 유전자 및 기준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배수 변화를 CFX Manager 소프트
웨어(BioRad)를 이용하여 디폴트 문턱값(default threshold value)을 갖는 일반화된 발현(ΔΔ(Ct)) 방법을 이
용하여 계산하였다.

[0295] 표 26은 최소 3회 검정에 대해, 기본 조건에 대해 나타난 여러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수준을 보여준다.

[0296]

[0297] 표 26

[0298] 결과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시험한 농도에서 인간 멜라닌세포에서 멜라닌 생성 유전자 발현의 상당한 감소 및
DKK1 유전자의 상당한 증가를 유도함을 나타낸다. DKK1 유전자는, WNT 경로를 통한 멜라닌세포의 증식 억제제이
기도 한 식균작용 억제제를 코드화한다.

[0299] 실시예 25: ELISA에 의한 티로시나제 정량화를 위한 시험관내 검정

[0300] 멜라닌 생성에서 중요한 효소는 티로시나제이며, 이는 티로신을 바이오폴리머 멜라닌으로 전환시키는 일련의 반
응을 개시시킨다. 이 효소는 두 개의 상이한 반응에 촉매작용을 한다: 모노-페놀성 화합물의 o-디페놀로의 하
이드록실화; 및 o-디페놀의 o-퀴논으로의 산화. 상기 효소는 티로신을 3,4-디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L-도파)로

- 44 -
공개특허 10-2017-0125093

전환시키고, L-도파를 산화시켜 도파퀴논을 형성시킨다. L-도파는 멜라닌 생합성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한다.

[0301] 신생아의 진하게 색소침착된 기증자로부터의 인간 표피 멜라닌세포(Human Epidermal Melanocyte)(HEMn-DP)


(Life Technologies)를 트립신 처리하고, 인간 멜라닌세포 성장 보충물-2(Human Melanocyte Growth
Supplement-2)(HMGS-2-(PMA-비함유)) (Life Technologies)이 보충된 Medium 254에서 96-웰 배양 플레이트 상의
3
5x10 세포/웰의 밀도로 플레이팅하였다. 37℃, 5 %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한 후, 50 또는 10 μg/ml로 실시

예 1에 따라 얻어진 추출물을 사용하거나, 배지 단독(기본 조건)으로의 제1 처리를 수행하였다. 각 웰의 배지


를 흡인하고 새로운 배지 (50 또는 10 μg/ml로 추출물을 함유하거나, 배지 단독)를 첨가하였다. 3, 6, 8 및
10일에 치료를 반복하였다. 13일 배양한 후, 티로시나제 세포-기반 ELISA 키트(Abnova)를 사용하여 배양된 세
포에서 효소 정량화가 이루어졌다. 먼저, 세포를 포스페이트-완충 염수(PBS)로 2회 헹구고, 20분 동안 4% 포름
알데하이드로 고정시켰다. 이후, 세포를 세척 완충액(Wash Buffer)으로 3회 세척하고, 켄칭 완충액(Quenching
Buffer)을 첨가하고,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플레이트를 다시 세척하고, 블록킹 완충액으로 1시간 동안
블록킹시켰다. 블록킹 후, 웰 플레이트를 안티-티로시나제 항체 또는 안티-GAPDH 항체와 함께 16시간 동안 인
큐베이션하였다. 각 조건에 대해 전체 6개의 웰을 사용하고, 이중 3개를 안티-티로시나제 항체와 함께 인큐베
이션하고, 나머지 3개를 안티-GAPDH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이러한 인큐베이션 후, 2차 항체(안티-티
로시나제 항체로 인큐베이션된 웰에 대해 HRP-컨쥬게이트된 안티-래빗 IgG 또는 안티-GAPDH 항체로 인큐베이션
된 웰에 대해 HRP-컨쥬게이트된 안티-마우스 IgG)를 해당 웰에 첨가하고, 1.5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
후, 웰 플레이트를 부드럽게 진탕하면서 암실에서 30분 동안 TMB 원-스텝 솔루션(TMB one-Step Solution)과 함
께 인큐베이션하였다. 각 웰에 정지 용액(Stop Solution)을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중지시켰다. 마이크로역가
플레이트 판독기(Clariostar, BMG Labtech)에서 450 nm에서의 흡광도를 판독하였다. 티로시나제 값의 표준화를
위해 GAPDH 신호를 사용하였다.

[0302] 표 27은 최소 3회 검정의 기본 조건에 대한 티로시나제 수준 발현 억제의 평균 백분율을 보여준다.

[0303]

[0304] 표 27

[0305] 결과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시험된 농도에서 멜라닌세포 배양물의 티로시나제 단백질 수준의 상당한 감소를 유
도하였음을 나타낸다.

[0306] 실시예 26: 미소구체-기반 식균작용에 대한 시험관내 검정

[0307] 피부 색소 침착은 멜라닌세포에서 이웃하는 케라틴세포로의 멜라닌 색소의 이동에 의해, 그리고 멜라닌세포에서
합성된 멜라닌의 양과 타입 뿐만 아니라 상부 표피층에서의 이들의 분포 패턴에 의해 결정된다. 멜라닌 색소는
멜라노좀으로 불리는 특화된 막-결합된 소기관(specialized membrane-bound organelle)에서 합성되고
저장된다. 멜라노좀은 세포체에서 멜라닌세포의 주변으로 운반되고, 멜라닌세포의 수상 돌기에서 인접한 케라
틴세포로 전달된다. 전달된 후, 멜라노좀은 핵쪽으로 운반되어 멜라닌 캡을 형성하여 케라틴세포에서 내부 선
스크린(internal sunscreen)으로서 작용한다.

[0308] 멜라닌세포의 배양 상등액을, 인간 멜라닌세포 성장 보충물-2(HMGS-2-(PMA-비함유))(Life Technologies)가 보충


5
된 Medium 254에서 6-웰 배양 플레이트에 3x10 세포/웰의 밀도로 시딩된 신생아의 진하게 색소침착된 기증자로
부터의 인간 표피 멜라닌세포(HEMn-DP) (Life Technologies)로부터 입수하였다.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CO2 인큐베이터에서 13일 동안 37℃에서, 1 μg/ml의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추출물과 함께 또는 배지

- 45 -
공개특허 10-2017-0125093

단독(상등액 대조군)으로 인큐베이션하였다. 3, 6, 8 및 10일에 치료를 반복하였다. 13일 째에 상등액을 수거


하고, 인간 표피 케라틴세포의 치료를 위해 사용하였다.
5
[0309] 인간 표피 케라틴세포(Human Epidermal 케라틴세포)(HEKa) (Life Technologies)를 트립신 처리하고, 3 x10 세
포/웰을 에필리페 지정 성장 보충물(Epilife Defined Growth Supplement) (EDGS)가 보충된 에필리페 배지
(Life Technologies)에서 코팅 매트릭스(Coating Matrix)로 사전-코팅된 커버슬립(coverslip)을 갖는 12-웰 배
양 플레이트 상에서 시딩하였다. 5% CO2 가습 공기 중에서 37℃에서 24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100 ng/ml DKK1
(R&D Systems)를 함유하는 새로운 배지 또는 처리된 멜라닌세포의 상등액을 첨가하였다. 각 플레이트는 배지
단독(기본 조건)으로 처리된 대조군 웰을 가졌다. 플레이트를 30 분 동안 37℃, 5% CO2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8 ®
처리 후,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4시간 동안 3x10 /ml로 FluoSpheres 카복실레이트-개질된 적색 형광 미소구
체(0.5 μm 직경, Life Technologies)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미소구체는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 우혈청
알부민(BSA)(Sigma)으로 미리 코팅되었다. 인큐베이션 후, 광범위하게 비내재화된 미소구체를 제거하기 위해
세포를 포스페이트-완충 염수(PBS) (Sigma)로 세척하고, 10분 동안 3.7% (V/V) 파라포름알데하이드 (Sigma) 중
에 고정시켰다.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3분 동안 냉각된 아세톤 중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샘플을 30분 동안
PES 중 1% (W/V) BSA로 블록킹하였다. 세포 윤곽을 시각화하기 위해, 세포를 암실에서 20분 동안 Alexa Fluor
®
488 팔로이딘(phalloidin)(Life Technologies)으로 표지화시켰다. 세포핵이 염색되고, 오버슬립에 DAPI
(Life Technologies)와 함께 ProLong Gold antifade Reagent이 구비된다. Zeiss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세포
를 관찰하고, 정량화를 위한 Ze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미지를 캡쳐하였다.

[0310] 미소구체 흡수의 정량 분석을 위해, 세 가지 다른 실험에서 무작위로 취한 6 개의 현미경 영역에 존재하는 미소
구체 및 핵의 수를 각 조건에 대해 계수하였다. 각 이미지의 미소구체의 수를 각 이미지의 핵 수로 표준화시켰
다.

[0311] 표 28은 최소 3회 검정에 대해, 기본 조건에 대한 평균 식균작용의 배수 유도를 보여준다.

[0312]

[0313] 표 28

[0314] 결과는, 본 발명의 추출물이 시험된 농도에서 케라틴세포의 미소구체 흡수 또는 식균작용의 상당한 억제를 유도
함을 나타낸다.

수탁번호
[0315]

기탁기관명 : CECT

수탁번호 : CECT20901

수탁일자 : 20140320

- 4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