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HI084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6

2022년 2학기 (핵심교양 MOOC)

대운하를 통해 본 중국의 정치경제사


The Age of the Grand Canal in Chinese Political Economic History
- 부제: 1415-1784년, 중국은 왜 해양 진출을 주저했는가?

Professor: 조영헌(曺永憲)
Office: 운초우선교육관 508A
Email: chokra@korea.ac.kr
■ 수업 관련 문의 및 총괄 조교 : 양재영 (역사교육과 박사생. yangjaeyoung86@gmail.com)
■ 기말고사 관련 문의 조교 : 손고은 (역사교육과 박사생. skoeun87@korea.ac.kr)

1. Course Description

본 핵심교양 강좌는 무크(MOOC) 강의로, 전체가 온라인 강의로 진행된다. 기말고사는 직접 강의


실에 모여서 진행이 되고, 중간고사는 서평 과제로 대체된다.
* 중요!! : 대규모 강좌이기에 미리 정해진 기말고사 날짜인 12월 17일(토) 오전 11시-12시에 응
시가 가능해야 수강이 가능하다. (대면 시험이 될지 혹 비대면(온라인) 시험이 될지가 11월 말에 결
정됨. 단 비대면 시험이라 하더라도 실시간으로 진행되기에 12월 17일 오전 11-12시에 시간을 낼
수 없으면 수강이 불가능함을 미리 알려둠. 이후 개인적인 사정으로 실시간 기말고사에 응사하지 못
하는 경우는 성적에 불이익이 있을 수밖에 없음.)

오늘날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시장’으로 변화하는 중국의 위상 변화가 주목되는 가운데, 미국
과 함께 세계 경제를 이끌어가는 쌍두마차로 중국에 대해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른바
G2 혹은 “차이메리카(Chimerica)”라는 신조어는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 역사학계는 이러한 중국 경제력의 부상이 전혀 새로운 현상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한
다. 즉 이미 16-18세기 국제통화였던 전 세계의 은(silver)이 중국으로 집중되었으며, 당시 중국은
세계 은의 “블랙 홀”이었다는 평가가 그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500년을 전후로 시작된 유럽의
‘대항해시대(the Age of Maritime Expansion)’에 중국은 왜 바다로 적극적으로 나아가지 않았는가
에 대한 논쟁도 한층 다양해지고 있다.
본 강좌는 바로 이러한 세계 경제 속의 중국의 위상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해석하고, 유럽 중심주
의적 역사 해석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역사적 관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설되었다. 무엇보
다 유럽에서 국가 주도의 해양 진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시기, 중국에서 남북을 관통하는 1,800
여 킬로미터에 달하는 장거리 대운하 유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에 주목하여, 1415년에서 1784년

- 1 -
까지의 380년을 ‘대운하시대’(the Age of the Grand Canal)‘로 규정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시기
에 대운하를 둘러싸고 발생했던 다양한 사건을 크게 10개의 시기와 10명의 인물, 그리고 10개의 관
점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지역적으로 중국의 정치사 및 경제사가 핵심이지만, 지구적(global) 차원에
서 진행된 대항해시대와의 비교를 위해, 필요에 따라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와 서구와의 비교가 이
루어질 것이다.

■ 질의 응답 : 무크 강의인 관계로 직접 교수자를 만나서 질문을 할 기회가 없으므로, 매 주마다


블랙보드의 질문란에 강의 내용과 관련한 질문을 올릴 수 있다. 수강생이 많으므로 개별 답변보다는
매주에 1회씩 종합적인 답변을 공지란에 올림으로써 의사소통의 창구를 열어둔다. 개인적인 질문은
담당 조교에게 이메일로 전달한다.
온라인 수업이라는 자유로움이 있으므로, 평가는 매 주마다 업로드 되는 온라인 강의를 성실하게
수강하는지에 대한 수강 확인을 하고, 이에 대한 전체 내용으로 기말고사를 치룬다. 중간고사는 서
평 과제로 대체한다. 기말고사는 다른 오프라인 강의와 겹치지 않도록 토요일 오전 시간에 이루어진
다.

2. Reading Materials
* 수강생들은 매주 블랙보드에 탑재되는 강의 동영상과 이를 위한 실라부스 요약본(PDF 형
식)을 이용하여 수강한다.
* 주교재 1) 조영헌, 대운하 시대, 1415∼ 1784: 중국은 왜 해양 진출을 ’주저‘했는가?, 민음
사, 2021

* 주교재 2) 로버트 마르크스 지음, 윤영호 옮김, 어떻게 세계는 서양이 주도하게 되었는가
, 사이, 2016

* 주교재 羽田正 엮음 고지마 쓰요시 小島毅 감수 조영헌·정순일 옮김


3) 하네다 마사시( ) , ( ) , ,

바다에서 본 역사 개방 경합 공생 – 동아시아
: 년의 문명 교류사 민음사
, , 700 , , 2018

* 참고 문헌

·
조영헌, 대운하와 중국상인: 회 양 지역 휘주 상인 성장사, 1415-1784, 민음사, 2011

조영헌, ‘대운하시대’(1415-1784), 중국의 상업과 변경 정책 , 사총 81, 2014

·
조영한 조영헌, 옐로우 퍼시픽: 다중적 근대성과 동아시아,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조너선 데일리 지음, 현재열 옮김, 역사대논쟁: 서구의 흥기(바다인문학번역총서1), 선인, 2020

리차드 폰 글란 지음, 류형식 옮김, 케임브리지 중국경제사, 소와당, 2019

이언 모리스 지음, 최파일 옮김, 『왜 서양이 지배하는가』 글항아리 , , 2013

- 2 -
카를로 치폴라 지음, 최파일 옮김, 대포, 범선, 제국: ∼
1400 1700년, 유럽은 어떻게 세계의 바다를 지배하게 되
었는가?, 미지북스, 2010

카를로 치폴라 지음, 장문석 옮김, 스페인 은의 세계사: 1500-1800년, 아메리카의 은은 역사를 어떻게 바꾸었는
가?, 미지북스, 2015
김호동,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 돌베게, 2010

케네스 포머란츠 지음, 김규태 등 옮김, 대분기: 중국과 유럽, 그리고 근대 세계 경제의 형성, 에코리브로, 2016

안드레 군더 프랑크, 이희재 옮김, 리오리엔트, 이산, 2003

알프레드 세이어 마한 지음, 김주식 옮김, 해양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 책세상, 2006


재닛 아부-루고드 저, 박흥식 이은정 옮김, 유럽 패권 이전 : 13세기 세계체제, 까치글방, 2006

제리 벤틀리 지음, 김병화 옮김, 교류사로 읽는 문명이야기-고대 세계의 만남 학고재, 2006

조나단 스펜스 저, 주원준 역, 마테오 리치, 기억의 궁전, 이산, 1999

조너선 클레멘츠 지음, 허강 옮김, 해적왕 정성공 - 중국의 아들, 대만의 아버지, 삼우반, 2008

주경철, 대항해시대: 해상 팽창과 근대 세계의 형성,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주경철, 문명과 바다: 바다에서 만들어진 근대, 산처럼, 2009

주경철, 바다 인류: 인류의 위대한 여정, 글로벌 해양사, 휴머니스트, 2022


티모시 브룩 지음, 이정 강인황 옮김, 쾌락의 혼돈: 중국 명대의 상업과 문화, 이산, 2005

양궈전(楊國楨) 지음, 김창경 등 옮김, 해양문명론과 해양중국, 소명출판, 2019

로저 크롤리 지음, 이순호 옮김, 바다의 제국들: 기독교와 이슬람의 지중해 쟁탈전, 1521-1580, 책과함께, 2010

앤드루 램버트 지음, 박홍경 옮김, 해양 세력 연대기, 까치, 2021

티머시 브룩 지음, 박인균 옮김, 베르메르의 모자 - 베르메르의 그림을 통해 본 17세기 동서문명교류사, 추수


밭, 2008

데이비드 문젤로 지음, 김성규 옮김, 동양과 서양의 위대한 만남 1500-1800: 대항해 시대 중국과 유럽은 어떻게
소통했을까, 휴머니스트, 2009

Anthony Reid, Southeast Asia in the Age of Commerce 1450-1680, Volume One: The Lands below the Winds, Yale

University Press, New Haven and London, 1988

Zhao, Gang, The Qing Opening to the Ocean : Chinese Maritime Policies, 1684-1757, Honolulu :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3

John E. Wills, Jr ed., China and Maritime Europe, 1500-1800 : Trade, Settlement, Diplomacy, and Missions,

Cambridge ;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Angela Schottenhammer ed., The East Asian Maritime World 1400-1800 : Its Fabrics of Power and Dynamics of

Exchanges, Wiesbaden : Harrassowitz, 2007 고려대


Li Kangying ( 李康英), The Ming Maritime Trade Policy in Transition, 1368 to 1567, Wiesbaden : Harrassowitz,

2010

3. Assignment and Grading

① 온라인 강의 수강 출석에 해당 ( ) (15점)

* 1주차 전체 온라인 강의(약 80분)의 3/4 이상을 시청할 때 수강 점수 1점 부여

- 3 -
* 블랙보드에 표시되는 시청 분량이 3/4 이하일 경우 점수는 부여되지 않음.
* 14주차이므로 14점 + 1점(기본점수) = 15점

② 서평 레포트 과제 (25점)

* 주교재 1)에 대한 서평.


* 기한 : 기말고사까지 제출.
* 분량 : 표지와 마지막의 참고문헌 제외하고 본문으로만 A4 3장. (글자 크기 10포인트, 자
간 180%) (원고지 기준으로는 30매 내외)
* 서평의 평가 기준 :

1) 저자의 저술 의도(15 ∼18세기를 대운하 시대라고 부를 수 있는 이유, 대운하 시대 해양


진출에 대한 중국의 태도, 대운하 시대와 대항해 시대의 관련성)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가?
2) 저자의 논리에 대한 학생의 반론이나 다른 의견이 있다면 무엇이고, 그 근거를 제대로
제시하고 있는가?
3) 이 책이 학생의 중국사 및 세계사 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즉 독서 이전과 이후
바뀐 학생 개인의 관점이 무엇인지 제시되어 있는가?
4) 얼마나 다양하고 주제와 관련된 참고문헌을 참조했는가? (특별히 주교재 2), 3) 및 <참고
문헌> 목록을 추천함)
- 참고문헌 작성 요령 : 서평 말미에 A4 1페이지 분량으로, 한국어, 외국어 서적의 순서로
제시. 인용한 인터넷 사이트도 제시하고, 정확하게 언제 확인했는지 날짜를 기입해야 함. 서평
의 내용은 자신이 직접 쓴 독창적인 내용이어야 함. 표절 프로그램을 통해 표절이 20% 이상이
되어 윤리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 레포트 점수는 0점.

③ 기말고사 (60점)

* 다른 과목과 겹치지 않도록 12월 17일 토요일 오전 11-12시 사이에 진행


* 1-14주차 강의 내용 + 추가 강의영상(1회)에 대한 객관식 문제.
* 장소 : 대면 시험일 경우 우당교양관 / 비대면일 경우 온라인

* 주의사항!! 수강생이 500명이 되는 대형 강좌이기에 수강을 신청하려는 학생은 확정된 기


말고사 날짜에 반드시 직접 시험에 응시할 수 있어야 하고, 예외를 적용할 수 없음을 밝힙니
다.

- 4 -
* 군복무 중의 학생이라도 직접 시험에 응시해야 함.
* 단 군대에서 발급하는 공식적인 불참 요인을 시험 일주일 전에 제시해서 승인을 받은 수
강생에 한해서만 개인 레포트 과제를 부여함. 기말 대체 레포트는 주교재 2)와 3)에 대한 종합
서평. 두 책을 읽고 비교하는 종합 서평. 형식은 서평 레포트 과제와 동일함.

④ 퀴즈 매번 온라인 수업 직후에
( 3문제)

* 퀴즈는 매 주차 이내에만 응답할 수 있음. 가령 3주차 퀴즈는 3주차 일주일 동안에만 응


답이 가능함. 일주일 안에서는 2회 응답이 가능함.
* 퀴즈 문제의 성적 활용 방안: 출석 + 중간 + 기말 고사 성적을 합산한 후 동점자의 우열
을 가릴 때 근거자료로 사용됨.

■ 최종 성적
* 출석 점수(15점)+서평 레포트(25점)+기말고사(60점) = 100점 만점.
* 동점자는 퀴즈 성적을 근거로 우열 가름.
* 학교의 상대평가 기준을 준용하지만, 핵심교양 강좌이므로 절대평가임.

■ 군복무 수강생의 경우
* 군복무 수강생은 국방부와 고려대와의 협약 규정에 따라 P/F로 성적 부과
* 규정에 따라 군복무 수강생도 중간과 기말 고사는 직접 오프라인 시험에 참여해야 함. 군
대 내 비상사태 등 불가피한 사정으로 시험에 응시하지 못한 경우는 당일 개인별 시험에 응시
해야 함. 이 역시 불가능하다고 인정될 경우 대체 과제로 평가. 단 군대에서 공식적으로 발행
하는 공문서를 통해서만 예외 사항이 인정됨.
* 총점이 상대적으로 C+ 성적 이상일 경우 pass. 총점이 상대적으로 C 이하는 fail

* 기말고사에 참석하지 못하는 불가피한 군대 사정이 인정될 경우 부과하는 과제 :

- 주교제 2)과 3)에 대한 종합 서평 (형식은 서평 레포트 과제와 동일)


- 분량은 표지 제외하고 A4 3장 (글자 크기 10포인트, 자간 180%)

4. Course Schedule
Week 1 중국의 ‘해양력(sea power)'과 ’대운하시대‘

Week 2 중국사에서 수도 변천과 대운하의 상관관계 : 수양제의 대운하에서 원 쿠빌라이의

- 5 -
대운하까지
Week 3 1415년 : 북경 천도를 준비하며 대운하를 재건한 영락제( 永樂帝 의 관점에서
)

Week 4 1449년 : 황제가 몽골에게 사로잡힌 위기를 구한 관리 우겸(于謙)의 관점에서


Week 5 1492년 : 염운법의 변화로 기회를 획득한 휘주(徽州 상인의 관점에서
)

Week 6 1573년 : 바다로 조운을 시도했던 조운총독 漕運總督 왕종목의 관점에서


( )

Week 7 1600년 : 중국을 방문한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의 관점에서


Week 8 중간고사
Week 9 1644년 : 만주족에 저항하며 해상을 장악했던 정성공(鄭成功)의 관점에서
Week 10 1684년 : 대운하를 이용해 남방 순행을 시작하는 강희제의 관점에서
Week 11 1724년 : 기독교에 대한 포교 금지령을 내렸던 옹정제의 관점에서
Week 12 1757년 : 서양과의 독점적인 무역으로 이윤을 확대하던 광동 상인의 관점에서
Week 13 1784년 : 대운하를 이용해 마지막 남방 순행을 마치는 건륭제의 관점에서
Week 14 19세기 기차와 기선 등장 이후의 대운하와 개항장
Week 15 현대 중국의 일대일로( 一帶一路 정책 및 해양 패권의 패러독스
)

Week 16 기말고사

- 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