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0

Topic 6_1

News Releases
“신문 기사 셋 중 적어도 하나는 언론홍보의
결과” (이상헌, 2016)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만들어지는 기사 비율은


미국의 경우 종합 일간지 격인 뉴욕타임즈가 약
60%, 경제지 격인 월스트리트저널은 약 70%,
분야별 전문지는 약 80%에 이른다”
(뉴스와이어 신동호, 2005)

‘처널리즘.pdf, 언론홍보페스티벌.pdf’
보도자료란?

보도자료는 PR 실무자가 작성하는 기사


1차적으로 기자에게 보내는 글이지만
궁극적으로는 공중과의 소통이 목적이고
공중에게 보내는 메시지
원재료를 가다듬어서 핵심을 추려 만드는
작품
요리에 비유하자면 회사 실무자는 농부,
PR담당자는 유통업자, 기자는 요리사
“군인은 총으로 싸우지만 PR 실무자는
보도자료로 승부한다”
가장 좋은 보도자료는? 수정 없이
곧바로 기사로 나가도 손색없는
보도자료 -> 결국 잘 쓴 보도자료는
신문기사와 같다
Q: 기자가 보도자료를
보는데 걸리는 시간은?
A: 5초
News Releases (=Press Releases)
=언론, 보도자료

The most commonly used PR tactic


A simple document whose primary
purpose is the dissemination of
information to mass media
The 1st
Press Release

On 28th October 1906, a train


of the Pennsylvania Railroad
suffered a tragic accident that
resulted in the death of more
than 50 passengers.

Closely monitoring the case


was the expert in Public
Relations, Ivy Lee.

He gave reporters a document,


reporting the ev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nnsylvania Railroad.
Planning a News Release

What objective does the release serve?


내가 이 자료를 쓰는 목적은 무엇인가?

What is the key message?


내가 전하고자하는 주요한 메시지는 무엇인가?
Who is the primary audience of the
release?
내가 접촉하고자하는 주요 타겟은 누구인가?

What does the target audience gain


from the product or service?
나의 타겟이 나의 보도자료로부터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
Content of a news release

“역피라미드 형식”(중요한 게 제일 처음)

Use “inverted pyramid” approach


- If the first 3 or 4 lines aren’t interesting,
it won’t be used 첫번째 3,4줄이 흥미롭지 않으면 기사는 쓸모없다.
- Editors cut stories from the bottom
편집자들은 기사 아래부터 자른다.
- Readers don’t always read the full story
독자들은 언제나 신문 기사 전체를 읽지 않는다.
Content of a news release (cont’d)

Use AP (Associated Press) style


AP(언론사에 유료로 언론을 제공하는 매체)의 표기원칙을 사용해라

Be concise
Avoid cliché and fancy phrases (ex.
Unique, revolutionary, state-of-the-art)
Avoid technical jargon
Double-check all information

언론사기사 표기원칙.pdf,
Publicity photos

News releases are often accompanied


내가 이 자료를 쓰는 목적은 무엇인가?
by a photo.
More people “read” photos than read
articles.
Publicity photos are not published if
they are not of high resolution and if
they don’t appeal to media gatekeepers.

보도자료 작성법 메뉴얼(사진도 뉴스가치를 판가름).pdf


옛날의 보도자료
The format of a news release
Use standard 8.5-by-11 inch paper. It
should be white or on the organization’s
letterhead
A4용지를 활용하라, 하얀색 종이에 쓰여져야 한다.
또는 조직의 레터헤드(윗부분에 발신인, 또는 조직의 주소와 이름이 적혀있는)를 사용해야 한다.

*letterhead example
The format of a news release
(cont’d)
왼쪽 상단에 발신인 이름, 주소, 전화번호를 명확히 해라

Identify the sender in the upper-left-hand


corner of the page and provide the sender’s
name, address, and telephone number
After the contact information, write For
Immediate Release 콘텍트 인포

Leave 2 inches of space for editing


convenience 2인치를 띄워라(편집을 위해)
Provide a boldface headline 굵게 제목을 적어라
Provide a dateline (ex. Seoul, Korea: July 20,
2007) 편지나 신문 잡지 등에서 발신자와 날짜 등을 기입하는 란
The format of a news release
(cont’d)
첫번째 내용은 모든 중요한 내용을 요약한 내용
Start the text with a clearly stated summary
that contains the most important message
you want to convey to the reader
Leave at lease a 1.5-inch margin. Double-
space the copy to give editors room to edit
the material 1.5인치의 여백을 주어라

Use standard 10 to 12 point standard type,


such as Times Roman or Courier
타임스로만, 또는 쿠리어체를 활용하라
The format of a news release
(cont’d)

Never split a paragraph from 1 page to


the next. Place the word more at the
bottom of each page 한(만약단락이 다음 페이지로 끊기면 안된다
한페이지가 넘어가면 more을 적어라

Place a page number at the top of each


page after the first one 페이지가 넘어가면 페이지 넘버를 적어라
보도자료 작성법 개관
=역피라미드 형식
1. 두괄식을 활용하라: 결론부터 말하고 그 결론에 대해 설명
2. 육하원칙에 근거해서 작성하라
3. 가능한 한 쉽게 써라: 중학교 2-3학년 수준
4. 하나의 보도자료에는 하나의 주제만 담아 간결하게 작성하라
본문은 A4용지 기준으로 한페이지를 넘지 말고, 많아도 두페이지를 넘기지 말아야 한다.
신문에 실린 기사를 보면 a4용지 한 장을 넘기는 분량의 기사가 많지 않다.
요즘 기사 문장은 평균 60~70글자, 한문장의 글자수가 50자를 넘으면 읽는 자가 부담스러워 한다.
5. 사진, 표, 통계자료도 함께게재가
제공하면 기사 비중이 커진다
되는 사진의 특성
- 사람이 있어야하고, 자연스럽게 행동해야 한다.
- 보도 사진은 첨부파일로 별도로 보내야하고, 사진의 제목까지 만들어 보내야 한다.
- JPG형식, 화질은 0.5메가바이트 픽셀
6. 공부해야 보도자료를 잘 쓸 수 있다
7. 고위 관계자의 코멘트를 붙여라
-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은 고위 관리직의 코멘트가 있을 때 활용이 높아진다.
- 관련 분야 전문직이어야 하고 말하고자하는 방향과 향후 방향을 밝혀야 한다.

8. 끝에 회사 소개를 하라(핵심적 사실만 정확히 전달하고


1. 회사가 언제 생겼는지
홈페이지 주소를 남겨야) 3. 2대표는
2. 누구인지
주요 생산 품목이나 서비스 품목은?
4. 직원은 몇명
5. 자본금은 얼마
6. 최근 매출은 얼마
7. 업계에서의 위치는 어떻게되는지
8. 본사의 위치는 어디에 있는지
보도자료 글쓰기

1. 쉬운 단어를 선택한다 (예: 대두 -> 콩)


2. 어려운 한자어는 우리말로 바꿔 쓴다 (예: 현저히 증가했다 ->
눈에 띄게 늘었다)
3. 불쾌한 느낌을 주는 용어는 삼가야 한다.
4. 전문 용어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쓴다 (전문 용어를 쓴 경우
뒷부분에 용어 해설 덧붙여야)
5. 외래어의 사용은 불가피한 전문용어가 아닌 한 피한다
6. 문장은 가능한 한 짧게 쓴다
7. 수식어는 되도록 삼가는 것이 좋다
8. 주어와 술어의 간격은 좁히는 것이 좋다
9. 그런데, 또한, 그러므로 등의 접속사는 될 수 있는 한 사용하지
않는다
보도자료 글쓰기

10. 고압적이고 주관적인 가치판단을 내포한 표현은 피한다


(예: ~ 하지 않으면 안 된다, ~ 해야 할 것이다)
11. 같은 단어를 한 문장에서 되풀이 사용하는 것을 피한다
12.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면 수동태를 쓰지 않는다
13. 이중 부정 형태의 표현은 피한다 (예: ~않을 수 없다)
14. 겹말을 사용하지 않는다 (예: 역전 앞, 남은 여생, 따뜻한 온정)
15. 묘사는 가능한 한 가시적이고 구체적인 것이 좋다
(예: 그 배의 갑판 면적은 200 킬로미터다 -> 그 배의 갑판
면적은 서울 월드컵 경기장의 2배에 달하는 200킬로미터다)
의정부 교사 자살
스트레이트 기사: “언제, 어디서, 특정 교사가 자살했다”

보도자료 종류
기획 해설 기사: 교권추락의 실태, 자살 이유, 해당 학부모의
갑질 이유
피처 기사: 피해자 유가족들의 이야기 인터뷰, 학교 교장 인터뷰
캡션 기사: 집회사진

스트레이트 뉴스 객관적인 보도기사(시의성있는 뉴스 전달을 목적으로 함)+역피라미드 형식


기획·해설 기사 어떤 이슈에 대한 배경 및 분석 전망 등을 자세하게 서술하는 뉴스
n 뉴스 뒤의 배경을 중심으로 정리(보도 추진 배경을 설명하는 자료)
n 기승전결 기법으로 작성하는 정삼각형 스타일
피처 기사 사실보다 진한의 감동을 주는 뒷이야기 등의 박스형 기사
n 감정과 감성에 호소, 눈물과 웃음을 주는 감동적인 스토리 중심
n 주인공이 등장해야 하며, 증언과 체험 등 에피소드 위주로 작성
n 박진감 넘치는 사건 전개 및 갈등 구조
캡션 기사
n 사진을 사용하여 비주얼을 강조하면서 의도하는 메시지 전달
n 글 구성은 5W1H로 간단하게 요약
보도자료의 구성 요소

1. 제목 (headline, 헤드라인)
2. 리드(lead, 전문)
3. 본문 작성해야하는 순서
1. 본문
2. 리드(본문을 요약)
3. 헤드라인(리드를 요약)

•헤드라인은 한 번, 리드는 두 번, 본문은


세 번 말한다
•필요하면 끝에 보충 설명을 덧붙인다
1. 제목

기사의 중요성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기준이자 보도자료의 승부처 -> 제목을
잘 뽑아야 기사화 됨
기사를 요약해주고 내용을 짐작하게 해

최근 포털 사이트를 통해 뉴스가
유통되면서 제목이 더욱 중요해짐: 피싱
or 어뷰징 등장
* 필요하면 부제목(sub headline) 활용
제목 작성 요령
n 짧을 수록 좋다: 최대 15자를 넘기지
말아야
n 사실을 기반으로 핵심을 찌르는 요약된 한
마디가 제목이어야
n 본문과의 연계성 유지해야: 본문 내용을
짐작할 수 있어야 한다
n 제목은 리드문에서 쉽게 나온다
좋은 제목의 조건
n 단순명쾌하고 한 번에 이해할 수 있어야
n 궁금증을 유발해야
n 구체적이어야
n 문제에 대한 해결을 제시한다는 암시를
주면 좋아
2. 리드

누가 어디 어디에서 어떻게…가 포함되어야 함

보도자료 전체 내용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첫 문장(기사의 핵심을 요약)
리드 문장만 읽더라도 전체 내용을 알
수 있도록 써야
짧고 명확하게 구어체로 작성
“리드는 고치고 또 고쳐라“
리드에 담겨야 하는 내용
n 독자와 관련된 기사라는 것
n 중요한 기사라는 것
n 놀랄 만한 내용이라는 것
n 주요 내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야
3. 본문

기사의 본론
리드를 뒷받침하는 사실을 글의 흐름에
따라 단락별로 작성
매 단락마다 주제가 있어야 한다
문장의 앞뒤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야
하고 단락 간 주제 연결에 무리가
없어야 한다
‘개요 짜기’ 방법 활용

먼저 보도자료에 포함될 내용을 열거


그 뒤 비슷한 내용을 묶어 문단을 만듦
핵심 내용 순으로 나열
문단과 문단 사이를 연결
이렇게 윤곽이 잡히면 본격적으로
보도자료 작성 시작
소재를 어디에서 찾을까?

사내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가칭 ‘홍보위원회’


설치
회사 내부에서 소재를 공모한다: 인센티브
부여
부단히 회사 생활을 영위한다: 생활 속에
아이디어가 있다
사외 유관 기관 및 업종과 모임을 결성 정보를
수집한다 (예: 케순이, 건홍회, 홍.당.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