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0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단 7시간만에 끝내는 쌩기초 영문법

본 자료는 수험영어를 준비하시는 수험생 분들이 기초영어를 공부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되고자
만들어진 자료입니다. 영문법이 재미없는 이유는 아무래도 딱딱한 한자어와 이해 없이 기계적인
암기 또한 시중에 나온 기초영문법교재들은 실제로 영문법이론과정과도 겹치는 부분들이 많아서
기초가 없으신 수험생 분들에게는 그 양이 상당히 부담이 많이 되실 것입니다.
따라서 본 자료는 쌩기초 영문법 자료로 단 7시간 만에 기초를 잡고서 영문법이론을 공부할 수
있도록 자료를 준비하였습니다. 수험생 분들의 시간은 소중하니까요 :D

Day 1

1. 문장의 구성요소

▪ S,V,O,C 약자표시 숙지
▪ 보어의 개념 이해
▪ 수식어 가로치기 약속
▪ be동사 뒤에 목적어는 안되요 ㅜㅜ
▪ 주어가 3인칭단수 주어가 오면 동사에 s를 붙이세요

2. 품사
단원별 목표
(근성이다!!) ▪ 명사,형용사,부사,전치사 약자숙지
▪ 자동사와 타동사의 차이는 목적어의 유무
▪ 접속사는 세모표시 !
▪ 구 vs 절

3. 인칭대명사

▪ 대명사는 주어자리에는 주격, 목적어 자리에는 목적격을 사용


▪ its 와 it`s 의 차이 구별
▪ 소유대명사 = ‘소유격+명사’

1. 문장의 구성요소
1) 주어 :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 (S)
2) 동사 :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나타낸다 (v)
3) 목적어: 동작의 대상 (O)

- 1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4) 보어: 보어는 동사만으로 뜻이 불충분하여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 설명하는 역할 :)(C)

5) 수식어: 문장의 주요요소인 주어,동사,목적어,보어를 꾸며주는 말이다. 형용사,부사,부사구 등이


있습니다. 수험영어에서는 부사 또는 부사구는 ( )를 칠것입니다.

* 부사,부사구가 뭐냐고요 ?? 부사편에서 자세히 설명드릴테니 pass!!


또한 ( )를 치는 연습은 상당히 중요합니다. 그 이유는 문장이 길어지는 이유가 S V O C의
기본구조에 여러 가지 수식어들이 삽입되서 문장이 길어지므로 ( )를 쳐서 불필요한 요소는
제거해보세요 :)

ex) Birds fly in the sky. 새들은 하늘을 난다.

Birds fly (in the sky.)


주어S 동사v 전치사+명사 = 전명구= 부사구 ( )

ex) My mother likes flowers. 나의 어머니는 꽃들을 좋아한다.

My mother likes flowers.


주어(S) 동사(vt) 목적어 (O)

* 여기서 like에 s가 붙은 것은 주어가 3인칭단수 (he,she,it,그


밖의 1,2인칭이 아닌 모든 단수명사들)일때는 동사에 s/es를 붙
입니다.

ex) He is a man.

He is a man
주어(s) 동사(vi) 보어(o)

→ be동사인 is는 자동사입니다. 자동사 뒤에는 목적어가 못오죠! 즉 be동사 뒤에 명사가 오면


보어라는 것을 알아두세요 :D

만일 위 문장에서 a man 이라는 보어가 없다고 생각해보세요! 그러면 He is '그는~이다‘ 라고


해석이 안되죠! 즉 ’동사만으로(is) 뜻이 불충분하여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설명하는 것'을 보어라
합니다. He = a man

Key point
1. S,V,O,C 약자표시들을 알아두세요
2. 보어의 개념 10번만 읽으세요! 목적어랑 자주 혼동됩니다
3. ( ) 치는 연습이 중요하다는 점 체크!!
4. 전치사+명사= 부사구 = ( )
5. be 동사 뒤에 오는 명사는 목적어가 아니라 보어이다 !!
6. 3인칭단수 주어가 오면 동사에s/es를 붙인다!!

- 2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2. 품사
: 낱말을 문법적인 기능에 따라 분류
1) 명사 : 사람 또는 사물의 이름을 지칭 (n)
2) 대명사: 명사를 대신하여 쓰이는 말 (*명사와 마찬가지로 ‘n'으로 표시)
3) 형용사 : 사람이나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 (a)
4) 부사: 동사,형용사 또는 다른 부사를 수식 (ad)
5) 동사: 주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설명

*자동사 (목적어 없이 사용)- vi. / 타동사 (목적어 필요함) - vt.

6) 전치사 : 명사 또는 대명사 앞 에 놓여서 시간,장소,방법 등을 나타냄 (pr)


7) 접속사 : 단어와 단어,구와 구, 절과 절을 연결 (세모표시)
* 접속사를 세모표시하는 이유???
1.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구와 구, 절과 절을 연결하기에 세모표시를 하여 절과 절을 쉽게 나눕
니다.
2. 독해시에 S+V and S+V 형태로 나오면 and접속사를 세모표시하면서 앞의 문장과 비슷한
내용이 but이 나오면 반대되는 내용이나 중요한 내용이 나오겠다는 것을 유추할수 있죠 :D
3. 병치구문을 쉽게 알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enjoy+ing(A) and ing(B) 이런 형식이면 enjoy가 목적어로 동명사를 취하는데
A와 B 모두 enjoy의 목적어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ex) She is a pretty woman. 그녀는 귀여운 여자이다.


(형용사: woman명사를 수식)

ex) He drives his car carefully. 그는 그의 자동차를 조심스럽게 운전한다.


(부사: carefully는 동사 drive 수식)

ex) We arrived at 6. 우리는 6시에 도착했다.


(전치사: at은 한 시점의 ‘때’를 가리켜서 몇 시,몇 분,몇 초, 정오,새벽,밤을 나타낼 때 쓰인다.)

ex) I am poor but I am happy. 나는 가난하다 그러나 나는 행복하다.


(접속사: 절과 절을 연결)

구 vs 절
구: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모인 것 ( 예를 들어 전치사+명사=전명구 )
ex) at night
절: 주어+동사
ex) I like you.

Key point
1. n,a,ad,pr 약자를 알아두세요
2. 자동사와 타동사는 목적어 유무로 따지세요
3. 접속사는 세모표시를 하세요
4. 구와 절의 차이를 기억하세요

- 3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3. 인칭대명사
인칭대명사는 사람 또는 사물을 가리키는 대명사입니다. 인칭에는 1,2,3인칭이 있으며
‘나/우리’는 1인칭, ‘당신(들)은 2인칭, 그 밖에는 모두 3인칭입니다.

소유 대명 사( ~
수/성 주격(~은,는,이,가) 소유격(~의) 목적격(~을,~를)
의 것)
1인칭 I my me mine
단수
2인칭 you your you yours
he his him his
단수 3인칭 she her her hers
it its it 없음
1인칭 we our us ours
복수 2인칭 you your you yours
3인칭 they their them theirs

* it의 소유격인 its 와 it is 의 줄임말인 it`s 혼동 주의하세요 :D

3-1. 소유대명사
‘소유격+명사’를 대신하며 ‘~의 것’이란 뜻으로 쓰인다.

ex) She loves him. 그녀는 그를 사랑한다.

→ She가 주어자리에 사용되었으므로 주격, him은 목적어 자리에 사용되었으므로 목적격으로


쓰였습니다.

ex) This is her book. 이것은 그녀의 책이다.

→ 해석상 그녀의 책을 뜻하므로 ‘그녀의’ 즉 소유격입니다. 또한 소유격 뒤에는 명사가 위치합


니다.

ex) This book is hers. 이 책은 그녀의 책이다.


= This book is her book.

→ hers 는 소유대명사로 사용되었습니다. 즉 ‘소유격+명사’ (her+book)의 역할을 하여 ‘~의 것’


이라 해석합니다.
Key point
1. 대명사는 주어자리에는 주격, 목적어 자리에는 목적격을 사용
2. its 와 it`s 의 차이 구별
3. 소유대명사(~의 것)= ‘소유격+명사’

- 4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Day 2 (강약중간약)

4. 형식
(1) 1형식 문장
① 완전자동사 와 불완전자동사 차이
② 자동사가 전치사와 함께 쓰이면 목적어를 쓸수 있다
③ 의미에 유의해야할 자동사 do

(2) 2형식 문장
① 보어의 개념
② 부사는 보어가 될수 없다

(3) 3형식 문장
단원별 목표
① 타동사는 전치사와 함께 쓸수 없다
(근성이다!!)
② 인식류동사는 that절을 목적어로 취할 수 있다

(4) 4형식 문장
① 수여동사
② 4형식을 3형식으로 전환시 사용되는 전치사 숙지
③ 4형식 불가동사 explain

(5) 5형식 문장
① 목적어와 목적격보어는 주술관계
② 각 5형식 동사와 목적격보어 형태 숙지
③ 명사가 보어일 때 문장의 주어 또는 목적어와 동격

4. 형식
: 동사는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사와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타동사로 나뉘며, 보어를 필
요로 하지 않는 완전동사와 보어를 필요로 하는 불완전동사로 나뉜다. 이와 같은 동사의 종류에 따
른 문형 구분을 문장의 5형식라 한다.

(1) 1형식 문장 : 주어+자동사(완전자동사)+(부사/부사구)


1) 주요문장

* 자동사와 타동사의 차이 기억하시나요? 자동사는 목적어 없이 동사 혼자 사용할수 있고 타동


사는 목적어를 필요로하는 동사입니다.

* 부사는 동사,형용사,부사,문장전체등을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부사구는 전치사+명사 즉 전명구도 수식하는 역할을 하고 1형식문장에 부사/부사구는 수식하는
것으로 보시고 ( ) 표시를 하세요.

* 1형식에 사용되는 자동사는 뒤에 목적어나 보어등이 필요없어서 완전자동사라고 합니다.

- 5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ex) He walks briskly.


그는 활발하게 걷는다.

He walks (briskly).
주어 자동사 부사 * walk에 s가 붙은 이유는 주어(He) 3인칭단수이므로 :D

ex) The sun rises in the east.


태양은 동쪽에서 뜬다.
The sun rises (in the east).
주어 자동사 전명구(부사구) *전명구,부사구,부사는 수식하므로 역할

2) 자동사+전치사 → 타동사 구실
자동사는 목적어를 취할 수 없지만 자동사 뒤에 전치사가 오면 목적어를 취할 수 있습니다:D
ex) I graduated from Korea University.
나는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

이 문장에서 graduate (vi. 졸업하다)는 자동사이고 뒤에 전치사 from 이 있으므로 목적어로


Korea University 가 왔습니다.

3) 의미에 유의해야할 자동사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동사들중에서 자동사일 때 특정한 뜻을 가지는 동사들이 있습니다.
독해시에도 해석 주의하세요 :D
ex) Anyone will do if he is honest.
어떠한 사람이라도 괜찮을 것이다 만약 그가 정직하다면
ex) Farming doesn`t pay these days.
농업은 수지가 맞지 않는다 요즘에

* pay 동사는 타동사일때는 ‘지불하다’뜻이지만 자동사일때는 ‘수지가 맞다,이익이 되다’ 뜻으로


사용됩니다.

Key point
1. 1형식 문장: 주어+완전자동사+(부사/부사구)
2. 1형식동사는 자동사 특히,완전자동사로 사용
2. 전치사+명사= 부사구
3. 자동사+전치사는 목적어를 취할수 있다.
4. 특정동사는 자동사일 때 타동사와 뜻이 다르다. (do, pay)

- 6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2) 2형식 문장 : 주어+불완전자동사+보어(명사,형용사)


* 불완전자동사: 1형식의 완전자동사와 다르게 불완전자동사는 불완전하므로 뒤에 항상 보어가 위
치합니다.
* 보어: 동사만으로 뜻이 불충분하여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설명해주는 역할

1) 상태 표시 (be형)
be, look, feel, smell, sound, taste 동사 뒤에 보어가 위치하며 be동사처럼 ‘~이다’로 해석합니다.

다음 동사들은 2형식과 3형식일 때 뜻이 다릅니다:D


be(v2) ~이다 ↔ be (v1)~이 있다‘
look(v2) ~처럼 보이다 ↔ look(v3) ~을 보다
feel(v2) ~처럼 느끼다 ↔ feel(v3) ~을 더듬다
smell(v2) ~한 냄새가 나다 ↔ smell(v3) 냄새를 맡다
sound(v2) ~처럼 들리다 ↔ sound (v3) 소리가 나다
taste(v3) ~한 맛이 나다 ↔ taste(v3) 맛을 보다

ex) He looks happy (o)


He looks happily (x) 그는 행복하게 보인다.

해석상 look이 ‘~을 보다(v3)'이 아니라 ’~처럼 보이다‘ 뜻으로 2형식으로 사용되었습니다. 2형식
불완전자동사 뒤에는 부사가 못오고 보어가 올수 있습니다. 2형식 동사의 보어로 쓰일 수 있는
품사는 명사와 형용사이고 부사는 보어가 될수 없습니다.

2) 변화 표시 (become형)
become, grow, go, come, make 는 2형식 불완전자동사로 쓰이면 ‘~이 되다’로 해석하고 부사가
아닌 보어가 위치합니다.
ex) His dream came true at last.
그의 꿈은 실현되었다 마침내

come은 ‘오다’ 뜻이지만 v2불완전자동사로 (이미 어떤 상태에서 다른 상태가)‘~되다’로 해석됩니


다. 보어인 true와 함께 사용되어 ‘come true’ (꿈) ‘실현되다’로 해석됩니다.
'at last' 마침내
Key point
1. 2형식 = 주어+불완전자동사+보어
2. 보어는 명사와 형용사(분사)가 될수 있다. 부사는 보어가 안된다.
3. 보어는 동사만으로 뜻이 불충분하여 주어나 목적어를 보충설명하는 역할
4. be, look, feel, smell, sound, taste(v2) ‘~이다’
5. become, grow, go, come, make(v2) '~이 되다‘

(3) 3형식 : 주어+완전타동사+목적어


1) 자동사로 혼동하기 쉬운 타동사
marry 결혼하다, enter 들어가다, resemble 닮다, affect 영향을 미치다, discuss 토론하다
는 대표적인 타동사입니다. 타동사는 목적어를 취하지만 타동사 뒤에는 전치사가 올수 없습니다.

ex) We discussed the problem.(o)


ex) We discussed about the problem.(x)

- 7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우리는 그 문제를 토론했다.

우리나라 말로는 ‘~에 관하여 토론하다’ 즉 ‘~에 관하여’ 라고 자연스럽게 discuss 뒤에 전치사
about을 사용하려고 하지만 타동사는 전치사가 바로 뒤에 올수 없습니다.

2) 절을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인식류 동사 (think, believe, suppose 가정하다, know 알다, find ) 는 that절을 목적어로 취할
수 있습니다.
ex) She thinks that she is very clever.
그녀는 그녀가 매우 영리하다고 생각한다.

3) 목적어 다음에 전치사구를 수반하는 동사


→ 목적어 다음에 어떤 전치사를 사용하는지 눈에 익혀두세요 :D 그러면 문장을 읽을 시에도 구
로 읽으시는 능력이 생길것입니다 :)
ex) The man robbed her of her handbag.
그 남자는 그녀에게서 핸드백을 훔쳤다.
ex) He stole a watch from the store.
그는 시계를 훔쳤다 가게에서

rob A(사람·장소) of B (물건)


steal B(물건) from A (사람,장소)

Key point
1. 타동사는 전치사와 함께 쓰일수 없다. (marry, enter, resemble,affect, discuss)
2. 인식류 동사(think,believe,suppose,know,find)는 that절을 목적어로 취한다.
3. 목적어 다음에 전치사구를 수반하는 동사들은 전치사를 함께 눈에 익혀두세요.

(4) 4형식 : 주어+타동사(수여동사)+간접목적어+직접목적어


1) 수여동사
4형식 문장은 목적어가 간접목적어(~에게,IO) 직접목적어(~를,DO) 두 개를 동시에 취하는 동사

2) 4형식 동사의 3형식 문장으로의 전환


4형식문장을 3형식으로 전환할수 있는데 이때는 간접목적어 앞에 전치사를 사용해야합니다.
① to를 쓰는 동사 - give, teach
ex) Mary gave(v4) John a flower. 메리는 존에게 꽃을 주었다.
→ Mary gave(v3) a flower to John.

② for를 쓰는 동사 - make(~에게 ~을 만들어 주다), buy(~에게 ~을 사주다)


ex) My mother made(v4) me a cake. 나의 어머니는 나에게 케이크를 만들어줬다.
→ My mother made(v3) a cake for me.

③ of를 쓰는 동사 - ask, require (~에게~을 요구하다)


ex) She asked(v4) me a question. 그녀는 나에게 질문을 물었다.
→ She asked(v3) a question of me.

- 8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3) 4형식 불가동사
explain, introduce, suggest는 4형식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ex) He explained me his situation. (x) 그는 나에게 그의 상황을 설명했다.
ex) He explained his situation to me. (o)
→ 우리나라말로는 ‘~에게 ~을 설명하다‘ 로 자연스럽기 때문에 explain이 4형식이 될거 같지만
explain은 4형식으로 사용될수 없습니다 :D

Key point
1. 수여동사는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를 취하는 동사
2. 4형식 문장을 3형식 문장으로 전환시 전치사를 사용하므로 전치사도 유의하세요
3. explain, introduce, suggest는 4형식 불가동사입니다,

5) 5형식 동사: 주어+불완전타동사+목적어+목적격보어(o.c)


→ 이 파트에서는 각각 5형식동사들이 어떤 형태의 목적격보어를 취하는지 살펴보고 5형식에서는
목적어와 목적격보어가 주술관계, 즉 목적격 보어는 주어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어를 설명한
다는 점을 이해하세요 또한 5형식 동사들은 워낙 다양하고 이론에서 더욱 자세히 배우므로 이번 자
료에서는 3종류의 5형식 동사만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D

5형식 동사는 독해에서도 상당히 중요한부분입니다. 그 이유는 5형식동사와 그 동사의 목적격보


어의 형태를 눈에 익혀두시면 문장을 읽거나 문장구조분석시 그동안 단어 또는 구 위주로 보셨
다면 5형식 동사를 제대로 이해하시면 절로 문장을 한번에 보고 문장구조분석할 수 있는 능력이
생깁니다 :D

(1) think 유형의 인식류 동사 : S+V+O +to be 명사·형용사


think, believe,suppose, know, find
ex) I believe John to be a good student.
나는 믿습니다 존이 좋은 학생이라고

목적격 보어인 to be a good student는 주어인 I가 아니라 목적어인 John을 설명하는것입니다.

(2) regard 유형 간주동사 : S+V+O+as 명사·형용사


일반동사: regard, consider + O + as 명사·형용사
구동사 : look upon, refer to, speak of, think of +목 + as 명사·형용사
ex) We regard the dove as the symbol of peace.
우리는 비둘기를 평화의 상징이라고 여긴다.

* look upon, refer to, speak of, think of 구동사들은 전치사도 함께 외우세요 :D

- 9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3) 명사나 형용사를 목적보어로 취하는 동사


명사를 목적보어로 취하면 목적어의 ‘정의’를 나타내는 것이며, 형용사가 목적보어로 위치하면 목
적어의‘상태,결과’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call, make
ex) They called him a fool.
그들은 그를 바보라고 불렀다.

Key point
1. 5형식 동사에서 목적격 보어는 주어가 아니라 목적어를 수식한다.
2. 각 5형식 동사와 그 동사의 목적격 보어형태를 자주보세요.
3. 인식류 동사는 목적격보어에 ‘to be 명사·형용사’ 가 온다.
4. regard 유형 동사는 목적격 보어에‘ as 명사·형용사’가 온다.
5. 보어가 명사이면 문장의 주어나 목적어와 동격이다.

- 10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Day 3 (강약중간약)

5강 시제
· 현재,과거,미래,현재완료,과거완료 개념이해
· 습관과 불변의 진리시 사용되는 현재시제
· be동사+현재분사 뜻 암기
· 미래시제를 대신 나타내는 현재시제 이해

6강 수동태
· 수동태의 개념
· 수동태를 만드는 방법 숙지
· ‘자동사+전치사’ 의 수동태 전환 시 주의
단원별 목표
(근성이다!!)
7강 조동사
· 조동사의 특징
· can의 다양한 해석
· cannot be
· may의 두 가지 뜻
· must not과 don`have toR의 차이 이해
· will의 다양한 기능
· 2,3인칭 주어 사용시 shall의 해석

제 5강 시제
A. 현재시제
1. 현재시제의 용법
1) 현재의 인식,소망,의향,감정을 나타낼 때
ex) I know that he likes movies. 나는 그가 영화를 좋아한다는 것을 안다.

2) 현재시제는 습관,일상적 행위를 나타낸다.


ex) I always get up early in the morning. 나는 항상 아침 일찍 일어난다.

3) 불변의 진리를 나타낼 때


ex) The earth goes around the sun. 지구는 태양 주위를 돈다.

2. 현재진행시제의 용법
be동사+현재분사(ing) = ‘진행’,‘예정’ 을 나타냅니다.

- 11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1) 진행
ex) She is having dinner right now. 그녀는 지금 저녁을 먹고 있는 중이다.

* have가 진행시제로 사용될 경우‘먹다’의 뜻이 있습니다.

2) 예정
ex) We are getting married next weekend. 우리는 다음주에 결혼할 예정이다.

are getting은 be동사+현재분사(ing) 형태이고 해석상 ‘~할 예정이라’ 해석합니다. 또한 get+


married (과거분사/pp)는 수동태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next weekend는 시간부사로 쓰였습
니다 :D

3. 미래시제를 대신하는 현재시제


1) 시간·조건·양보의 부사절 속에서 미래시제를 대신하는 현재시제
시간과 조건을 가리키는 부사절에서는 현재시제가 미래시제를 대신 나타냅니다. 즉 시간과 조건
의 부사절에서는 미래의 뜻이라고 미래시제를 사용해서는 안되고 현재시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ex) I will not go camping if it rains tomorrow. (o)


ex) I will not go camping if it will rain tomorrow. (x)
나는 캠핑을 가지 않을 것이다 만약 내일 비가 내린다면

* go+ing '~하러 가다‘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에서 우선 부사절의 개념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D

* 부사절: 부사역할을 하는 절로서, 시간·이유·조건 등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시작됩니다. 부사절


은 반드시 주절과 함께 쓰여야 하며, 주절의 앞이나 뒤에 올 수 있습니다.
· 시간의 부사절 : when, before, while, after, since
· 조건의 부사절 : if, unless(만약~이 아니라면)
예문을 보시면 I will not go camping는 주절이고 if it rains tomorrows는 조건의 접속사인 if
가 있으므로 부사절이 됩니다. 또한 if it rains라고 미래의 뜻인데 현재시제를 사용했다는점 유
의하세요 :D

B. 과거시제
1. 과거시점 부사어구가 있으면, 항상 과거시제를 써야한다.
ex) I met her on the street the other day.
나는 그녀를 거리에서 요전날에 만났다.

2. 과거시점의 부사구

yesterday, last week, 3years ago, in 1980, then, those days (그 당시에), the other
day(일전에), when I was 17

C. 미래시제
ex) John will be given some cake.
= John is going to be given some cake.
존은 약간의 케이크를 받을 것이다. (* be going toR : ~할 예정이다)

D. 현재완료 ( have pp)

- 12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과거의 어느 시점에서부터 현재까지의 완료,결과,계속,경험 등을 나타냄

1. 완료
ex) I have already finished my homework. 나는 이미 숙제를 끝냈다.

2.결과
ex) She has broken her arm.
= Something bad happened in the past, and still her arm is broken.
그녀는 팔이 부러졌다.

3.계속 : ‘for+기간’ ‘since+특정 시점’의 부사구와 자주 쓰임.


ex) He and I have known each other Since 2001.
= He and I started to know at 2001. We still know each other.
그와 나는 2001년 이후로 서로를 알고 지낸다.

4.경험 : ‘ ever,never,once, before, many times' 등과 함께 자주 쓰임


ex) I have never been to Japan.
나는 일본에 가본 적이 없다.

E. 과거완료 (had pp)


과거의 어떤 때를 기준으로 하여 그 이전부터 상태가 계속되는 것을 말한다.
과거이전의 대과거 시점으로부터 기준이 되는 과거 시점까지의 연속 선상에 걸쳐 있는 시제
ex) When students entered the classroom, the lesson had already begun.
학생들이 교실에 들어갔을 때, 수업은 이미 시작했다.

F. 미래완료 (will have pp)


미래의 어떠한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그때까지의 행위나 동작의 완료,경험,계속,결과를 나타낸다.
ex) I will have finished the work by five o`clock. 5시까지 그 일을 끝낼 것이다.

Key point
1. 습관이나 불변의 진리일 경우 현재시제를 사용한다.
2. be+ing(현재분사) 는 ‘예정’과 ‘진행’을 나타낸다
3.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에서는 현재시제가 미래시제를 대신 나타낸다.
4. 현재완료는 과거의 어느 시점에서부터 현재까지의 완료,결과,계속,경험 등을 나타낸다

제 6강 수동태
1. 태
주어와 동사의 능동·수동 관계를 나타내는 문장의 형식을 ‘태’라고 한다.
1) 능동태 : ‘주어가~을 하다’
2) 수동태 : ‘주어가 ~에 의해 당하다’

2. 수동태를 만드는 방법
ex) I love you (능동태) → You are loved (by me) (수동태)
1) 능동태의 목적어를 주격으로 바꾸어 수동태의 주어로 한다.
you (목적격) → You (주격)
2) 능동태의 동사를 [be동사+과거분사]의 형태로 바꾼다.
be동사는 주어의 인칭·수에 일치시키고, 시제는 능동태의 시제와 같게한다.

- 13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You are loved


3) 능동태의 주어를 목적격으로 바꾸어 [by+목적격]으로 행위자를 나타낸다.
‘by+목적격’ 은 전명구로 생략도 가능합니다 :D

즉 주어(S) + ‘be+pp’ 의 형태를 보고서 수동태라는 것을 쉽게 알수 있습니다.

3. 자동사+전치사의 수동태
수동태는 목적어의 입장에서 보는것이기에 자동사가 수동태로 사용되려면 전치사가 필요합니다.
또한 자동사+전치사의 수동태 전환시 전치사는 자동사뒤에 반드시 위치해야합니다!
ex) I spoke to him. (능동태) 나는 그에게 말했다.

→ He was spoken to (수동태) 그는 들었다.

여기서 speak는 자동사로 전치사 to가 같이 사용되어서 목적어인 him이 왔습니다.


수동태로 전환시 목적어인 him을 주격인 He로 고쳐서 수동태의 주어가 되며 ‘spoke to’ 즉
자동사+전치사를 be동사+pp(과거분사) 형태로 전환시켜야합니다.
* speak(현재동사)-spoke(과거동사)-spoken(과거분사)
주어가 He 이고 동사가 spoke과거시제이므로 was spoken으로 바꾸며 전치사(to) 자동사의
'be+pp' 바로 뒤에 위치하게 됩니다. 즉 He was spoken to ‘그는 들었다’

Key point
1. 수동태 'be동사+과거분사(pp)' 형태
2. ‘자동사+전치사’는 수동태 전환시 전치사는 자동사 (be동사+pp) 뒤에 반드시 위치!!

제 7강 조동사
1. 조동사의 개념
동사의 한 종류로 동사와 함께 쓰여 그 동사를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조동사와 함께 쓰이는 동사를 본동사라고 하며, 조동사는 본동사와 결합하여 본동사만으로 나타낼
수 없는 필요·의무·가능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2. 조동사의 특징
1) 인칭 변화하지 않고 원형동사가 뒤따른다
ex) He can go there. (o)
ex) He can goes there. (x)
2) 부정어는 첫 조동사 다음에 온다.
ex) He can not go there. (o)

3. can, could
1) 능력(=be able toR) , 허가(=may), 가능(=be possible), 추측을 나타냅니다.
ex) She can speak English very well.
그녀는 영어를 매우 잘 말할수 있습니다 (능력)

ex) You can watch TV now.


당신은 지금 TV를 봐도 됩니다. (허가)

ex) It can be very cold here even in May.


날씨가 5월에도 상당히 추울 수 있다. (가능)

- 14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 이 문장에서 주어인 it은 비인칭 주어 it으로 날씨·시간·거리·가격·상황·무게 등의 내용이 올 때


주어로 사용될수 있습니다.
ex) The story cannot be true. (추측)
그 이야기는 사실일리 없다.

* cannot be '~일리 없다‘ (추측)

2) could는 과거의 능력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정중하고 신중한 표현일때도 사용합니다.


ex) Could you show me the way to Seoul Station?
당신 나에게 서울로 가는 길을 알려주시겠어요?

* 이 때 could는 can의 과거형이라기 보다는 ‘정중하고 신중한 표현’입니다.

4. may,might
1) 허가(~해도 좋다), 추측(~일지도 모른다)
ex) You may go home. 너는 집에 가도 좋다(허가)

ex) She may be ill. 그녀는 아플지도 모릅니다(추측)

* home은 ‘이동하다’ 뜻의 동사와 함께 쓰이면 명사가 아닌 부사입니다.

5. must
1) 의무(have to), 추측(~임에 틀림없다)
ex) You must pay the fine. 당신은 벌금을 내야합니다. (의무) * fine n. 벌금

ex) She must be a spy. 그녀는 스파이임에 틀림없다. (추측)

2) must notR vs don`t have toR


ex) You must not go there. 너는 거기에 가서는 안된다.

ex) You don`t have to go there. 너는 거기에 갈 필요가 없다.

must의 부정은 must not R (~해서는 안된다)


don`t have toR(~할 필요가 없다)는 need의 부정입니다.

6. will, would
1) 주어의 의지,의향, 강한 희망의 would
ex) I will stop smoking. 나는 담배피는 것을 멈출 것이다.

ex) Will you have more wine? 당신 와인 좀더 마시겠어요?

ex) These programs are designed for those who would find a job abroad.
이 프로그램들은 해외에서 직업을 찾을 사람들을 위해 디자인되었습니다.

· stop+ing(동명사) ‘~하는 것을 멈추다’ 뜻으로 stop은 v3으로 동명사를 목적어를 취할 수 있습


니다. * stop toR ‘~하기 위해 멈추다’ 뜻으로 혼동 조심하세요 :D
· 'who would find a job abroad'에서 would는 will의 과거형이라기 보다는 현재형으로 강한
희망의 would입니다. 또한 abroad는 명사로 혼동될수 있지만 부사입니다 :D

2) would like toR ~하고 싶다


ex) I would like to have coffee now. 나는 커피를 지금 마시고 싶습니다.

- 15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7. shall, should
1) shall 이 2,3인칭 주어와 함께 긍정문에 사용시 ‘화자(말하는 사람)의 의지’를 나타냅니다.
ex) You shall die. 너는 죽을 것이다 (x) → 주어(You)의 의지로 해석하면 안됨
(말하는)나는 너를 죽일 것이다 = I`ll kill you (o)

8. need
1) 일반동사 need
ex) He needs to call me. 그는 나에게 전화할 필요가 있다.

need가 일반동사일 경우 주어가 3인칭 단수이므로 s가 붙었으며 need toR형태를 사용합니다.


2) 조동사 need
ex) He need not call me. 그는 나에게 전화할 필요가 없다.

이 문장에서 need가 조동사인 이유는 우선 일반동사라면 동사바로 뒤에 not이 올수 없습니다.


또한 need 말고 call이라는 동사원형이 올수 없습니다. 즉 조동사는 부정어(not)가 뒤에 오고 조동사
뒤에는 동사원형이 위치하므로 조동사 need로 쓰였습니다.

9. had better, would rather


1) had betterR : ~하는 것이 좋겠다(권유)
ex) You had better see the doctor. 당신은 의사를 보는 것이 낫겠다

2) would rather R : 오히려~하겠다 (선택)


ex) I would rather stay at home than go there.
나는 거기 가느니 집에 머무르는게 오히려 낫겠다.

Key point
1. 조동사는 인칭 변화하지 않고 원형동사가 뒤따른다.
2. can은 ‘능력’,‘허가’,‘가능’,‘추측’의 뜻이 있다.
3. could는 정중하고 신중한 표현
4. may는 허가,추측
5. must는 의무, 추측 (~임에 틀림없다)
6. will은 주어의 의지,의향을 나타낸다.
7. would는 현재시제로 강한희망을 나타낸다.
8. shall은 2,3인칭 주어일때는 화자(말하는 사람)의 의지를 나타낸다.
9. had betterR '~하는 것이 좋겠다‘
10. would ratherR '오히려~하겠다‘

- 16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Day 4

8강 가정법
· 가정과 조건의 차이 이해
· 가정법 공식 암기
· If생략 구별법

9강 to 부정사
· to부정사는 단수취급
· to부정사의 명사적,형용사적,부사적 용법의 이해

10강 동명사
단원별 목표 · 동명사는 단수취급
(근성이다!!) · 동명사의 명사적 용법의 이해
· 전치사to와 to부정사 유의

제 8강 가정법
A. 가정법의 시제

1. 가정법의 정의
어떤 사실을 있는 그대로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만일~라면[였다면] ~할[했을] 텐데 [것이다]‘와
같이 어떤일을 가정해서 말하기 위해 동사의 형태를 변화시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라면’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if절의 문장을 조건절[종속절]이라고 하며 ‘~일 텐데, ~
였을 텐데’라는 뜻의 결론을 나타내는 문장을 귀결절[주절]이라고 한다.

2. 조건의 if vs 가정의 if
조건의 if는 반대로 가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조건을 거는것입니다. (가정법 현재)
가정의 if는 반대로 가정할 때 사용합니다. (가정법과거, 가정법과거완료)

3. 가정법 시제형식

- 17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1) 가정법 현재: 현재나 미래의 불확실한 일을 가정 (직설법 : 어떤 일을 사실로서 진술하는 것)

If+주어+동사의 현재형 , 주어+will/shall/can/may 원형동사

* 가정법 현재는 가정법 과거나 과거완료처럼 반대로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조건을 거는것일뿐입니다. 시간과 조건의 부
사절에서는 현재시제가 미래시제를 대신나타내는데 가정법 현재의 if는 조건의 부사절이라고 보셔도 좋습니다.

ex) If he is honest, I will employ him.


만약 그가 정직하다면, 나는 그를 고용할 것이다.
(실제로 그는 정직할수 있으며 가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조건으로 사용되었습니다:D)
ex) If it is fine tomorrow, we will go on a picnic.
마약 내일 날씨가 좋다면, 우리는 소풍을 갈 것이다.
(실제로 내일 날씨가 좋을수도 있고 조건의 if로 사용되었습니다)
(* go on a picnic에서 ‘on'은 ’용무,목적‘을 뜻합니다)

(2) 가정법 과거 : 현재 사실과 반대되는 일을 가정할 때

If+주어+과거동사 / were ~ , 주어+would/should/could/might 원형동사

* 가정법과거에서는 be동사는 주어와 상관없이 무조건 'were'를 사용합니다.

ex) If I were a doctor, I could help sick children.


만약 내가 의사라면 나는 아픈 아이들을 도울 것이다.
( ‘실제로 의사가 아니기에 나는 지금 아픈 아이들을 도울수 없다’는 뜻을 반대로 가정)

ex) If he were honest, I would employ him.


만약 그가 정직하다면 나는 그를 고용할 것이다.
( 실제로 그가 정직하지 않기 때문에 나는 그를 고용할 수 없다는 뜻)

(3) 가정법 과거완료 : 과거사실과 반대되는 일을 가정할 때

If+주어+had pp~ , 주어 +would/should/could/might +have pp

ex) If I had seen you, I would have said hello.


만약 내가 너를 봤었더라면 안부인사를 했을 텐데
( 실제로 보지 못했고 안부인사를 못했다는 것을 반대로 가정)

ex) If he had been honest, I would have employed him.


만약 그가 정직했었더라면, 나는 그를 고용했었을 것이다.
(실제로 과거에 그가 정직하지 않았었고 그래서 그를 고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반대로 가정)

(4) 가정법 미래 : 미래의 불확실한 일이나 실현 가능성 희박한 일의 가정

If 주어 shouldR (가능성 있을 때) ~,주어 will,would/can,couldR


If 주어 were toR (가능성 없을 때) ~,주어 would,couldR

ex) If it should rain tomorrow, we would(will) not go on a picnic.


만약 내일 비가 내린다면, 우리는 소풍에 가지 않을 것이다. (가능성 있음)

- 18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ex) If the sun were to rise in the west, I would not change my mind.
만약 해가 서쪽에서 뜬다면, 나는 내 마음을 바꾸지 않을 것이다. (가능성 없음)

(5) 혼합시제
조건절은 가정법과거완료 사용( 과거사실의 반대) , 주절은 가정법 과거사용 (현재 사실의 반대)

If 주어 had pp~, S would,should,could,might R

ex) If he had not been killed in the war, he would be alive now.
만약 그가 전쟁에서 죽지 않았었더라면 그는 지금 살아있을 것이다.
ex) If you had taken my advice, you would not be in trouble now.
만약 너가 나의 조언을 들었었더라면 너는 지금 문제를 겪지 않을 것이다.

2. If의 생략
가정법 조건절의 if가 생략되면 were,should, could, had가 문두로 위치하는 도치가 발생한다.
ex) Were I in your position, I would not do so.
= If I were in your position, I would not do so.
만약 내가 너의 위치에 있다면 나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다.

ex) Had he been honest, I would have employed him.


= If he had been honest, I would have employed him.
만약 그가 정직했었더라면 나는 그를 고용했었을 것이다.

* if 생략 구문 알아보는 법
1. 문장이 두 개인데 접속사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접속사역할을 하는 if가 생략)
2. be동사나 조동사가 주어와 도치되었을 때 의심해보세요 (의문문도 아닌데 be동사와 조동사
가 도치되었을 때)
3. 주절에 가정법과 자주 쓰이는 would,should,would have pp가 있는지

Key point
1. 가정법 if와 조건의 if 비교
2. 가정법 현재는 직설법이다.
3. 가정법 과거는 ‘현재사실의 반대’ / be동사는 ‘were' 사용
4. 가정법과거완료는 ‘과거사실의 반대’
5. 가정법 미래에서 shouldR는 ‘가능성 있을 때’ were toR ‘가능성 없을 때’ 사용
6. 혼합가정법은 조건절(과거사실의 반대) , 주절(현재사실의 반대)
7. if 생략시 3가지 의심( 접속사 x , 도치, 주절의 would,should, couldR ...)

제 9강 부정사
A. 부정사의 역할
1. 부정사의 정의
to부정사는 ‘to+동사원형(R)' 의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서 개별 동사의 본래 성질 및 기능을 그대
로 유지하면서 문장 내에서 명사,형용사,부사의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2. 명사적 기능

- 19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 to부정사가 명사의 역할 ( 명사는 문장에서 주어,목적어,보어 역할)


- 해석은 ‘~하는 것’
- to부정사 주어로 오면 동사는 단수취급
- to부정사가 타동사로 이루어진 경우 목적어가 뒤에 와야한다 (동사의 피도 흐르고 있음)

ex) To see you is always a pleasure.


너를 보는 것은 항상 기쁨이다 ( 주어 역할)

ex) My wish is to meet her at once.


나의 소망은 그녀를 즉시 만나는 것이다. ( 보어 역할 )
* wish가 주어로 사용될 때 보어자리에 to부정사 위치할 수 있다.

ex) I want to buy a camera.


나는 카메라를 사기를 원한다. (목적어 역할)
* want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할 수 있다.

3. 형용사적 기능
- 명사 뒤에서 앞의 명사를 수식
- 해석은 ‘~할’ , ‘~하는’
- 앞의 명사는 부정사의 주어, 목적어, 전치사의 목적어, 또는 동격관계

ex) I have no friend to help me. (주어관계)


나는 나를 도와줄 친구가 아무도 없다.

ex) I want something to drink. (목적어)


나는 마실 무언가를 원한다.

ex) Please give me a pen to write with. ( 전치사의 목적어)


나에게 가지고 쓸 펜을 달라
* write는 자동사이고 뒤에 전치사with가 나왔으므로 목적어가 필요합니다.
to부정사 앞의 명사 a pen이 전치사 with의 목적어입니다.

ex) He has no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ability 의 동격)


그는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없다.

4. 부사적 기능
부정사가 부사와 같이 동사·형용사·부사 수식등을 하며 목적,결과,원인,이유·판단의 근거,조건을 의
미합니다.
1) 목적: ~하기 위하여
ex) He stopped for a minute to smoke.
그는 담배피우기 위해 1분 동안 멈췄다.

2) 감정의 원인: ~해서,~하니. ~하고


ex) I`m glad to meet you.
나는 너를 만나서 기쁘다.

- 20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 감정의 형용사 (happy,glad,sorry ...) 와 to부정사가 함께 쓰일시 ‘원인’으로 해석합니다.

3) 이유·판단의 근거 : ~하다니, ~하는 것을 보니


ex) He must be honest to say so.
그는 정직함에 틀림없다 그렇게 말하는 것을 보니
* must be '~임에 틀림없다 (추측)
* say so 'so(그렇게)'는 say의 목적어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4) 결과 : ~하여 ~하다
live,awake,grow up +toR ‘결과적 용법’으로 ‘~하고 보니,~하다’라고 해석합니다.
ex) He lived to be eighty.
그는 살고보니 80세가 되었다.

5) 조건 : (만일) ~라면
ex) You will be punished to do it again.
너는 벌을 받을 것이다 만약 그것을 다시 한다면
* 주절에 가정법을 나타내는 will,would등이 나오면 to부정사가 ‘조건’의 뜻으로 사용될수 있습
니다.

6) 정도
ex) This cart is strong enough to hold three adults.
이 카트는 3명의 어른들을 태울 만큼 충분히 강하다.
* enough 품사는 부사
* to 부정사는 부사적 용법으로 ‘정도 (~하기에)’

Key point
1. to부정사가 주어로 위치할 경우 동사는 단수동사 취급
2. to부정사의 명사적 용법일때는 문장의 ‘주어,목적어,보어’역할 (~하는 것)
3. to부정사의 형용사적 용법일때는 앞의 명사를 수식 (~할,~하는)
4. to부정사의 부사적 용법일때는 ‘목적,이유,근거,결과,조건,정도’로 해석

제 10강 동명사
A. 동명사의 역할, 전치사to와 to부정사의 차이
1. 동명사의 정의
동명사는 동사의 성질을 가지면서 명사의 역할을 하는 것 (동사원형+ing)

2. 명사적 기능
- 동명사가 명사의 역할 ( 명사는 문장에서 주어,목적어,보어 역할)
- 해석은 ‘~하는 것’
- 동명사가 주어로 오면 동사는 단수취급
- 동명사가 타동사로 이루어진 경우 목적어가 뒤에 와야한다 (동사의 피도 흐르고 있음)

ex) Swimming is good for health.


수영하는 것은 건강에 좋다 (주어 역할)

- 21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ex) My hobby is collecting stamps.


나의 취미는 우표들을 모으는 것이다. (보어 역할)
* hobby 가 주어로 사용시 보어자리에 to부정사 위치가능.
* collect가 타동사이므로 stamps라는 목적어 위치

ex) You must avoid making such a mistake.


당신은 그러한 실수를 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 (목적어 역할)
* avoid(피하다)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할수 있다.

ex) I am looking forward to seeing you.


나는 당신을 만나기를 고대하고 있다. (전치사의 목적어)
* look forward to +명사/동명사 ‘~을 학수고대하다’

* 전치사 to vs to부정사
영어에서 전치사to와 to부정사의 to를 유의하셔야합니다.
기본적으로 전치사 뒤에는 명사와 동명사를 목적어를 취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치사 to뒤에는 명사 또는 동명사가 목적어로 위치합니다.
반면 to부정사는 to뒤에 동사원형이 위치합니다.
look forward to에서 to는 전치사to로 동사원형은 못오고 명사나 동명사가 위치할 수 있습니다.

3. 동사적 기능
동명사는 타동사로 이루어졌을 경우 목적어를 반드시 취해야하며 자동사일 경우에는 목적어가 위
치하지 않습니다. (동사의 피가 흐르고 있다)

ex) Writing letters is very happy.


편지들을 쓰는 것은 매우 행복하다.
* 동명사 write가 타동사로 쓰여서 목적어로 letters까지 동명사로 봅니다.
* 동명사가 주어일때는 동사는 단수 취급

ex) Rising early in the morning is good for health.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은 건강에 좋다
* rise는 자동사이기 때문에 Rising 뒤에 목적어가 안오고 부사(구)(early in the morning)가 위
치하였습니다.

4. 전치사 to와 to부정사의 차이


전치사 to는 목적어로 to뒤에 명사와 동명사가 위치 할 수 있고 to부정사는 to 뒤에 동사원형이
위치합니다.
ex) He used to get up early in the summer.
그는 여름에 일찍 일어나곤 했었다.
* used toR (to부정사) : ‘~하곤 했었다’ (과거의 습관, 지금은 더 이상 안함)

ex) He is used to getting up early now.


그는 일찍 일어나는데 익숙해지고 있다.
* be used to명사,동명사 (전치사to) :‘~하는데 익숙해지다’

- 22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Key point
1. 동명사가 주어로 위치할 경우 동사는 단수동사 취급
2. 동명사의 명사적 용법 일 때는 문장의 ‘주어,목적어,보어’역할 (~하는 것)
3. 전치사 to뒤에는 명사와 동명사, to부정사는 to뒤에 동사원형이 위치한다

Day 5 (강약중간약)

11강 분사
· 분사의 정의 이해
· 분사의 동사적용법
· 분사의 한정용법
· 분사의 서술용법

12강 관계사
· 관계대명사의 개념
· 관계대명사의 격 알아보는 법 숙지
· 목적격 관계대명사의 생략 구조
단원별 목표
(근성이다!!) 13강 비교
· 비교급과 최상급의 개념
· 동등비교의 개념
· 우등비교의 개념
· 열등비교의 개념

제 11강 분사
A. 현재분사와 과거분사의 역할

1. 분사의 정의
분사는 동사와 형용사의 성질을 나누어 가지고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형용사의 역할을 한
다. (명사수식,보어역할)

- 23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현재분사 : 동사+ing (능동·진행의 의미)


과거분사 : 동사+ed (수동·완료의 의미)

2. 분사의 용법
분사는 형용사 역할을 하므로 형용사와 마찬가지로 한정용법과 서술용법이 있다.
한정적 용법 : 분사가 명사의 앞·뒤에서 그 명사를 수식
서술적 용법 : 분사가 주격보어·목적격 보어로 쓰임

(1) 분사의 동사적 용법


분사는 원래 동사에서 만들어진 것이므로 태·시제에 따라 각기 다른 변화형을 가지며, be동사나
have 동사와 결합하여 진행형, 완료형,수동태를 만든다.
1) be동사+ing(현재분사) : 예정, 진행
① 예정: Ann is coming to New York tomorrow.
앤은 내일 뉴욕에 올 예정이다.
② 진행: My father is reading a newspaper.
나의 아버지는 신문을 읽고 있는 중이다.
2) have pp(과거분사: 현재완료)
ex) I have been sick since last Sunday.
지난 일요일 이후로 나는 아파왔다,
3) 수동태 ( be동사+과거분사)
ex) The window was broken.
창문은 깨졌다.

(2) 분사의 한정용법


분사가 명사의 앞이나 뒤에서 수식하는 역할
현재분사(ing: 능동,진행) 과거분사(pp:수동,완료)

1) 명사 앞에서 수식하는 경우
ex) Look at that broken window. (수동)
저 깨진 유리창을 봐라!
* break(vt.)의 과거분사로 ‘깨진’ 즉 ‘수동’을 나타냄

ex) The police are now after the escaped prisoner. (완료)
경찰은 지금 달아난 죄수를 쫓고 있다.
*escape(vi)의 과거분사로 명사 prisoner앞에 과거분사로 사용되었고 ‘완료’를 나타냄.

2) 명사 뒤에서 수식하는 경우
ex) Who`s the fat man sitting in the corner? (진행)
저기 구석에 앉아있는 뚱뚱한 남자 누구니?
= Who`s the fat man (who is) sitting in the corner?
* 주격관계대명사절에서는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는 생략가능합니다. 또한 is sitting 즉 진행의
뜻입니다.

ex) He has a lovely sister called Mary. (수동)

- 24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그는 매리라고 불리는 아름다운 누이가 있다.


= He has a lovely sister (who is) called Mary.
* 주격관계대명사절인 who is called Mary에서 ‘주격관계대명사+be동사‘를 생략하였고 문장의
목적어인 a lovely sister is called Mary 로 ’~로 불려진‘이므로 수동의 뜻으로 해석합니다.

(3) 분사의 서술용법


분사가 불완전자동사(be, come, feel, go, keep, lie, sit, remain 등)의 보어가 되어 2형식 문형
을 만든다. 주어와의 관계에서 현재분사는 ‘능동’, 과거분사는 ‘수동’의 의미를 나타낸다.
ex) The dog kept barking. (능동)
그 개는 짖어댔다,
* keep가 2형식으로 사용되었고 keep가 2형식일때는 보어로 현재분사를 취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어로 barking 현재분사가 위치하였다. 주어인 개 입장에서는 자신이 능동적으로 짖는
것이므로 주어와는 능동의 관계입니다.

ex) The door remained locked. (수동)


그 문은 닫혀있다.
* remain이 2형식으로 사용될 때는 ‘(여전히)~이다’로 해석합니다. remain의 보어로 과거분사인
locked가 왔고 주어인 문 입장에서는 스스로 잠그는 것이 아니라 잠김을 당하므로 수동의 뜻인 과거
분사 locked를 사용하였습니다.

* 분사구문은 기초과정에서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D

Key point
1. 분사는 형용사 역할을 한다 (명사수식,보어역할)
2. 현재분사(ing)는 ‘능동’과 ‘진행’
과거분사(pp)는 ‘수동’과 ‘완료’
3. 한정적용법 :분사는 명사의 앞 또는 명사의 뒤에서 수식
4. 서술적용법 :분사는 보어역할

제 12강 관계대명사
A. 관계대명사의 종류와 용법
1. 관계대명사의 역할
관계대명사는 ‘접속사+(대)명사’의 역할을 한다.
관계대명사는 앞에 나오는 명사나 대명사를 대신해 주는 대명사의 역할을 한다.
관계대명사는 뒤에 나오는 절을 그 명사나 대명사에 결합시켜 주는 접속사의 역할도 한다.

관계대명사는 ‘접속사+(대)명사’의 역할을 한다.

이때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의 수식을 받는 명사·대명사를 ‘선행사’라고 한다.

ex) I like the boy and He is honest.


= I like the boy, who is honest.
* 이 문장에서 앞의 문장인 the boy와 뒤의 문장의 he가 같으므로
접속사 and와 대명사 he가 합쳐져서 관계대명사 who가 사용되었습니다.

- 25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I like the boy (who is honest)


‘선행사’
* 관계대명사 who is honest는 결국 선행사인 the boy를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관계대명사절= 형용사절 : 절이 형용사역할을 하여 명사(선행사)를 수식, 관계대명사절은 결국 명사
를 수식하는 역할을 하므로 ‘( )’ 표시를 해보세요!

* 또한 관계대명사절은 관계대명사를 제외한 나머지는 ‘불완전한 문장’입니다. 즉 'who is honest'


관계대명사절만 놓고 보았을 때 관계대명사who는 문장에서 주어역할을 하고, 그 주어를 제외하면
문장의 주어가 없기에 불완전한 문장이 됩니다.

* 관계대명사절이 불완전한 이유를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해드리자면 관계대명사= '접속사+명사'의 역


할을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명사’는 문장에서 ‘주어,목적어,보어’자리에 위치하므로 당연히 관
계대명사도 관계대명사절에서 주어,목적어,보어 자리에 오므로 관계대명사를 제외한 문장은 불완전한
문장이 되는것입니다.

관계대명사 = 접속사+(대)명사
= 형용사절
= 불완전한 문장

2. 관계대명사의 종류와 격

구분 주격관계대명사 목적격관계대명사 소유격관계대명사


선행사가 사람인 경우 who, that whom, that whose
선행사가 사물인 경우 which, that which , that whose, of which

ex) I like the boy (who is honest and diligent).


나는 정직하고 부지런한 소년을 좋아한다.
ex) The man (whose wallet was stolen) called the police.
지갑을 훔친 당한 남자는 경찰에게 연락했다.
ex) We checked everything ( that we needed).
우리는 우리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점검했다.
ex) The pill (which I took) made me sleepy.
내가 복용했던 약은 나를 졸립게 하였다.
* which는 took(복용하다)의 목적어이므로 관계대명사의 목적격이고 made는 5형식으로 쓰였습니
다.

* 관계대명사의 격을 알아보는 것은 관계대명사절에서 관계대명사를 제외한 문장에서 주어가


없으면 ‘주격’ ,목적어가 없으면 ‘목적격’ 또한 관계대명사 뒤에 명사가 바로 나오면 ‘소유격’을
의심해보세요 :D

3.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는 관계대명사 what


관계대명사는 앞에 선행사가 위치해야 하지만 관계대명사what은 그 자체에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
으며 문장에서 주어·목적어·보어 역할을 합니다. 해석은 ‘~한 것‘ 명사절을 이끌며 소유격은 없습니
다.

what = the thing(s) which

- 26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 anything that

ex) What he said is true. 그녀가 말한 것은 사실이다.


주어 동사 보어
= The thing which he said is true.

ex) This is what he said.


주어 동사 보어

3. 목적격관계대명사 생략
목적격 관계대명사 whom, which, that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ex) This is the novel (which) I want to read,


이것은 내가 읽고 싶던 소설이다.

* '명사+S+V' 형태로 오면 ‘목적격관계대명사의 생략’을 의심하세요!

Key point
1. 관계대명사= 접속사+(대)명사
= 형용사절
= 불완전한 문장
2. 관계대명사는 문장구조시 ( ) 표시
3. 관계대명사의 격은 관계대명사절에서 관계대명사를 제외한 자리를 확인하세요.
4. 관계대명사 what은 다른 관계대명사들과 달리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5. 문장에서 '명사+S+V' 형태일 경우는 관계대명사 목적격 생략을 의심하세요.

13강 비교
A. 비교급
둘 이상의 사람 또는 사물을 서로 비교할 때, 형용사나 부사의 비교 표현을 사용한다.

원급 형용사,부사의 원래의 형태이다.


둘 중에서 한쪽이 다른 쪽보다 정도가 높거나 낮음을 나타내는 데 쓰이며, 원급에
비교급
-er를 붙이거나 원급 앞에 more를 쓴다.
3개 이상 중에서 정도가 가장 높음을 나타내는 데 쓰이며, 원급에 -est를 붙이거나
최상급
원급 앞에 most를 쓴다.

1. 비교급 만드는 법
보통 형용사와 부사에 -er, -est를 붙여서 비교급과 최상급을 만든다.

원급 비교급 최상급
small smaller smallest
nice nicer nicest -e로 끝나는 단어는 ‘-r','-st'만 붙인다.
big bigger biggest ‘단모음+단자음’으로 끝나는 단어는 자음
hot hotter hottest 을 하나 더 쓰고 -er, -est를 붙인다.

- 27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easy easier easiest '자음+y‘로 끝나는 단어는 y를 I로 고치


happy happier happiest 고 -er,-est를 붙인다.
difficult more difficult most difficult 2음절 이상인 단어는 more, most를 붙
expensive more expensive most expensive 인다.
-ly로 끝나는 부사는 more,most를 붙인
slowly more slowly most slowly 다.
(예외: early-earlier- earliest)

2. 비교급과 최상급의 불규칙 변화

원급 비교급 최상급
good 좋은 / well 잘 better best
bad 나쁜/ ill 아픈 worse worst
many(수가) 많은
more most
much (양이) 많은
little(양이) 적은 less least
(시간이) 늦은 later latest
late
(순서가) 나중인 latter last
(거리가) 먼 farther farthest
far
(정도가) 더한 further furthest

3. 원급비교
1) 동등비교

'as+A(형용사/부사)+as B' 'B만큼 A한‘

ex) She is as kind as her mother.


그녀는 그녀의 어머니만큼 친절하다.

* 여기서 중요한 점은 우선 as ~ as 사이에는 형용사나 부사의 원급이 위치해야합니다.


형용사가 들어갈지 부사가 들어갈지는 앞의 동사가 1형식 동사면 as~as사이에는 부사가
동사가 2형식일 경우 as~as사이에는 보어인 ‘형용사’가 위치합니다.
as~ as her mother는 비교하기 이해 추가한것이므로 없다고 생각하시고 보면
She is kind. 즉 형용사가 들어갑니다.

ex) She is as kind as he (0)


ex) She is as kind as him (x)
ex) She likes as him as her (0)
이 문제는 as ~ as 뒤에 대명사가 올 경우 대명사를 주격으로 사용할지 목적격으로 사용할지를
묻는 문제입니다. 중요한 것은 비교하는 대상을 살펴보세요! 주어인 She랑 비교하므로 주격인 he를
사용해야합니다.

ex) She likes as him as me (0)


ex) She likes as him as I (x)

* 비교하는 대상이 주어가 아니라 목적어인 him 이므로 as뒤에도 목적격인 me가 알맞습니다.

- 28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2. 비교급 비교 : 비교급을 사용하여 둘 중에서 어느 한 쪽이 ‘더[덜]~하다’의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


이다.
1) 우등비교

[ 비교급~ than ] ‘~보다 더 ~하다’

ex) Tom is stronger than Mike.


Tom은 마이크보다 힘이 더 쎄다.

2) 열등비교

[less ~than] ‘~보다 덜 ~하다’

ex) My sister is shorter than your sister.


내 여동생은 당신의 여동생보다 키가 더 작다.

B. 최상급 비교
최상급을 사용하여 셋 이상의 사람·사물 중에서 어느 하나가 ‘가장~하다’의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이
다. 대개 형용사의 최상급 앞에는 the를 붙인다.

1. 최상급+of/in

최상급~ of (~중에서) + 명사·대명사의 복수명사


최상급~ in(~에서) + 범위·장소를 나타내는 단수명사

ex) Lions are the strongest of all the animals.


사자는 모든 동물 중에서 가장 강하다

ex) This lake is the deepest in Korea.


이 호수는 한국에서 가장 깊다.

Key point
1. 비교급 : er
최상급 : est
2. as +형용사/부사 + as '~만큼 ~한‘
3. 우등비교 : ~보다 더 ~한
4. 열등비교 : ~보다 덜 ~한
5. 최상급 + of +복수명사
최상급 + in + 단수명사

- 29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Day 6

14강 일치·병치·도치
· 일치·병치·도치 개념이해
· 장소부사+자동사+명사주어 암기
· 부정부사+조동사+주어 암기

단원별 목표 15강 접속사


(근성이다!!) · 등위접속사,상관접속사,명사절,부사절 개념 이해
· 명사절 if와 부사절 if해석 유의

16강 명사·관사
·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개념이해
· 명사의 종류 이해
· 정관사와 부정관사의 특징파악

14강 일치·병치·도치
A. 주어-동사의 일치
주어를 단수 취급할 경우 단수형 동사를 , 복수 취급할 경우 복수동사를 사용해야합니다.

1. 주어와 동사의 수일치


1) There is a table.
거기에 식탁이 있다.

→ 이 문장에서 주어는 누구인가요? 많은 기초수험생분들중에서 'There'을 주어라고 혼동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주어는
명사가 주어가 될수 있고 ‘there'은 명사가 아닌 ’장소부사‘입니다. 즉 주어는 a table입니다. 영어에서는
‘장소부사’가 문두(문장 제일 앞)에 위치하고 동사가 be동사나 자동사 그리고 주어는 일반명사이면 주어와 동사가
어순이 바뀝니다(도치). a table이 단수주어이므로 동사도 단수동사인 is를 사용하였습니다.

☑ There 은 ‘명사’가 아니고 ‘부사’이다. 즉 주어가 될수 없다.

2) There are many tables in the room.


방안에는 많은 테이블이 있다.

→ 마찬가지로 There은 장소부사 그리고 주어는 many tables입니다. 주어가 복수명사이므로 동사도 복수동사인 are
를 사용하였습니다.

2. One of 복수명사 + 단수동사


1) One of my favorite novels is " Gone with the wind". 내가 좋아하는 소설들중의 하나는 ‘바
람과 함께 사라지다’입니다.

- 30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이 문장에서 주어인 One of my favorite novels를 주의하셔야합니다. of my favorite novels는 전명구로 one을
수식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 수식하는 것은 ( ) 친다고 했죠. 그러면 ( )를 치면 문장에서 없다고 보시
면 one이 주어가 되고 one은 영어에서는 단수취급을 합니다. 따라서 동사도 단수동사인 is를 사용하였습니다 :D. 수
식하는 요소들은 ( 〕를 쳐서 문장에서 없다고 보시면 주어 동사를 쉽게 찾을수 있습니다.

☑ one은 단수취급한다.
☑ 전명구는 수식하는 역할을 하므로 ( ) 표시하여 문장의 중요요소위주로 본다.

3. every 와 both
1) Every boy and girl has his or her desk.
모든 소년과 소녀는 자신의 책상을 가지고 있다.

Every는 ‘모든’이라는 뜻이라서 복수로 취급하는 것으로 혼동하시는 수험생분들이 많습니다.


영어에서 every는 단수명사와 단수동사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boy and girl도 각각 복수명사가 아닌 단수명사를 사
용하였고 문장의 동사인 has도 every boy and girl을 3인칭 단수로 취급하여 has로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his or
her desk에서 every는 단수취급하므로 소유격도 ‘their’이 아닌 his or her 로 단수취급하였습니다 :D

☑ every는 단수취급한다. ‘every +단수명사+단수동사’

4. Either A or B , Not only A but also B


1) Either you or I am supposed to attend the meeting.
너든지 나는 미팅에 참석할 예정이다.
→ either A or B (A든지 B든지) 가 주어일때는 동사는 B에 수일치를 합니다. 여기서 B가 ‘I'이므로 be동사
’am‘을 사용하였습니다.

2) Not only you but also he is safe.


너뿐만아니라 그도 안전하다.
→ not only A but also B (A뿐만 아니라 B도)가 주어일 때 동사는 B에 수일치합니다.

☑ either A or B / not only A but also B는 B에 동사를 일치합니다.

5. 절,to부정사,동명사 주어
1) How they got there doesn`t concern me. (절 주어)
어떻게 그들이 거기에 도착했는지는 나에게 염려가 되지 않는다.
2) To treat them as hostages is criminal. (to부정사 주어)
그들을 인질로서 다루는 것은 범죄이다.
3) Writing letters is boring. (동명사 주어)
편지들을 쓰는 것은 지루하다.

→ 문장에서 절,toR,동명사가 주어로 사용되면 단수동사를 사용합니다.

☑ 문장의 주어가 절,to부정사,동명사가 주어이면 단수동사 사용합니다.

B. 병치
병치는 접속사 앞뒤에 동일한 품사나 격 구조가 오는 것을 말합니다.

- 31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ex) Professor Jones enjoys teaching and writing . (o)


Professor Jones enjoys teaching and to write. (x)

→ enjoy는 동명사(ing)를 목적어로 취합니다. 따라서 접속사 and는 세모를치세요.


지난 자료에서 설명하였듯이 접속사를 세모를 치는 이유는 ① 문장과 문장을 쉽게 나누기 위해서 ② 내용유추 ③
병치구문을 보기 위해서 즉, enjoy의 목적어로 동명사들이 and앞뒤로 나열되어야 합니다:D

☑ 접속사가 나오면 세모표시를 한 후 병치구문을 주의하세요.

C. 도치
어떤 어구를 강조하기 위해 어순이 바뀌는 것
1. 장소부사구+자동사+명사주어
ex) There is a boy.
거기에 소년이 있다.
ex) Here comes John.
존이 여기에 온다.
cf. Here he comes.
여기에 그는 온다.
→ 'Here he comes' 문장에서 he comes 어순이 도치가 안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주어가 명사주어일때만 도치가
가능하고 he와 같은 대명사일때는 도치안되고 원래 어순인 주어+동사 어순으로 씁니다.

2. 부정부사+ 조동사+명사주어
ex) I little thought that he would fail.
나는 그가 실패할거라 거의 생각하지 못했다.
= Little did I think that he would fail.

→ little은 수험생분들이 자주 혼동되는 부분인데 little과 a little의 차이를 먼저 설명드리겠습니다.


little (거의없는, 부정적인 의미) a little (약간,조금, 긍정적인 의미)
예를 들어 컵에 우유가 1/3정도 남아있습니다. 저처럼 긍정적인 사람은 ‘우유가 1/3씩이나 남아있네’ 라고 생
각할수 있고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들은 ‘뭐야~ 우유가 이것밖에 안남아있잖아’라고 볼수 있습니다. 즉 little milk
우유가 거의없는 것(부정) a little milk 우유가 조금,약간이라도 남아있는 것 (긍정)으로 봅니다.
독해에서는 little이 부정의 뜻이 있으므로 'not'의 개념으로 보셔도 좋고 little을 부정부사로 봅니다.

I little thought that he would fail. 이 문장에서 부정부사인 Little을 문두로 강조하기 위해 보내면 조동사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문장에서는 조동사가 없으므로 일반동사인 think에서 조동사역할을 하는 do동사를 빌려옵니다. 참
고로 do는 동사일때는 ‘~하다’ 뜻이지만 조동사로도 많이 쓰입니다.
조동사 do의 대표적인 예로 부정문과 의문문이 있죠!
ex) He likes music. 이문장을 부정문으로 전환시 He doesn`t like music. 이때 doesn`t가 조동사이죠
ex) Does he like music? 이렇게 의문문을 만들때도 조동사 do를 사용합니다.
즉 Little did I think that he would fail. 이렇게 됩니다.
이해가 잘 안되시는 분들은 우선 도치할 때 부정부사가 문두로 나오면 조동사가 필요하다는 개념정도만 알아두셔도 좋
을듯하네요 :D

☑ 장소부사+자동사+명사 주어
☑ 부정부사+조동사+주어

- 32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15강 접속사
A. 등위 접속사
1. 등위접속사
1) 접속사: 단어와 단어, 구와 구, 절과 절을 연결해 주는 말 (접속사는 세모표시!!)
2) 등위접속사: 문법적 기능이 같은 단어와 단어, 구와 구, 절과 절을 연결하는 접속사로서
and,but,for, or, so 등이 있다. 등위접속사가 문장을 연결시 문장과 문장 사이에 위치한다.

3) and : 그리고
ex) She is pretty and diligent. (단어와 단어)
그녀는 예쁘고 부지런하다.
4) but : 그러나
ex) I used to play the violin, but I have given it up. (절과 절)
나는 예전에 바이올린을 켰지만, (지금은) 그만두었다.
* used toR : 과거의 습관
* give up 포기하다

5) or : 또는
ex) Do you go to school by bus or on foot? (구와 구)
학교에 버스로 가니 아니면 걸어서 가니?
* on foot 걸어서

6) for : 왜냐하면
ex) I couldn`t go there, for it was raining hard. (절과 절)
나는 거기에 갈수 없었다 왜냐하면 비가 심하게 내렸기 때문에

7) so : 그래서
ex) I was very hungry, so I ate dinner early. (절과 절)
나는 매우 배가 고팠다 그래서 나는 저녁을 일찍 먹었다.

☑ 등위접속사는 문장끼리 사용될시 문장과 문장 가운데 사용되어야 합니다.

B. 종속 접속사
1. 종속접속사
: 종속절을 주절에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접속사로서 because, that, if, when, as soon as 등이
있다. 종속 접속사가 이끄는 절은 명사절 또는 부사절이 된다.

2. 명사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


* 명사절: 절이 문장에서 명사의 역할(주어,목적어,보어)을 하는 것
1) that
ex) That he said is true. (주어)
그가 말한 것은 사실이다.
= It is true that he said. (가주어,진주어)

- 33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 영어에서는 앞에 긴문장이 오는 것을 싫어합니다. 문장의 주어인 that절이 길어서 그 자리에 자리만 차지해주
는 가짜주어(가주어,it)을 넣고 진주어(that절)는 문장의 제일 뒤로 빼줍니다. 이런 것을 가주어 진주어 it ~that구문
이라고 합니다.
앞으로 it ~that 구문이 나오면 동그라미 표시를 하시고 가주어 진주어를 유의하셔서 해석하시기 바랍니다.

2) if (~인지 아닌지)
→ if는 ‘만약 ~한다면’ 뜻일때는 부사절 종속접속사로 사용되었을때이고 문장의 목적어자리에 위치하여 명
사절로 사용될시에는 ‘~인지 아닌지’로 해석합니다.

ex) I don`t know if it will rain tomorrow. (목적어)


나는 내일 비가 올지 안 올지를 모른다.

3. 부사절을 이끄는 종속접속사


1) 부사절: 부사절은 부사 역할을 하는 절로서, 시간·이유·조건 등을 나타내는 접속사로 시작됩니다.
부사절은 주절과 함께 쓰여야 하며, 주절의 앞이나 뒤에 올 수 있습니다.

→ 부사절도 결국 주절을 수식하는 역할을 하므로 ( )를 표시해보세요! 속독으로 독해하실때는 부사절은 ( )하


여 빠르게 읽고 주절을 집중적으로 읽으시는것도 하나의 요령이 됩니다 :D

2)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절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절


· when ~할 때 · while ~하는 동안 · before ~하기 전에 · after ~한 후에
· since ~이래로 · as ~할 때, 하면서 · until ~할 때까지 · as soon as ~하자마자

ex) I`ll phone you (when I get home from school).


주절 부사절
너에게 전화할게 내가 학교에서 집에 도착할 때

→ when이 의문사로 쓰일때는 ‘언제’라고 해석하지만 지금처럼 부사절접속사로 쓰이면 ‘~할때’라고 해석하
세요 :D

3) 이유·원인을 나타내는 부사절

이유·원인을 나타내는 부사절


· because 왜냐하면 ·as/since (~이므로) · now that 이제 ~이니까

ex) (Because it was a public holiday) , all the shops were shut.
부사절 주절
공휴일이라서 모든 가게들이 문을 닫았다.

ex) (Now that everyone`s here), we can begin the meeting.


지금 모두가 여기 있기에 , 우리는 미팅을 시작할수 있다.

4)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

- 34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


· if 만약~라면 · unless 만약~이 아니라면

ex) (If you do better next time), you`ll be able to join the team.
만약 당신이 다음번에 더 잘한다면, 그 팀에 합류할 수 있을거야.

→ 앞에서 배웠던 명사절 if(~인지 아닌지)와 혼동주의하세요! 이 문장에서 if는 조건을 나타내는 부사절로 ‘만약
~한다면’이라고 해석하세요:D

ex) He won`t forgive you (unless you say you`re sorry).


그는 너를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너가 미안하다고말하지 않는다면

5) 대조(양보)를 나타내는 부사절


: 주절의 내용이 부사절의 내용과 대조적으로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나타낼 때 사용한다.

대조·양보를 나타내는 부사절


· though, although 비록~이지만, even though 비록~일지라도, even if 비록~라 해도, while ~
인 반면에

cf. 형용사절은 관계대명사절입니다. 관계대명사 기억나시나요 ??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한


다고 했죠!! 관계대명사절은 별도로 관계대명사편을 참조하세요 :D

☑ 부사절이 나오면 ( ) 표시를 하시고 빠르게 읽으세요! 중요한 것은 주절이므로 주절의 내용


은 집중하셔서 보시기 바랍니다.

16. 명사·관사
A. 명사
: 명사란 사람·동식물·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로 셀 수 있는 명사(보통명사,집합명사)와 셀 수
없는 명사(추상명사,물질명사,고유명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명사의 단수와 복수
1) 셀 수 있는 명사(가산명사)
: 셀수 있는 명사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있으며, 단수인 경우에는 부정관사(a,an)가 붙는다.
ex) I eat an apple ( every day ).
나는 매일 사과 한 개를 먹는다.

→ apple은 가산명사로 앞에 an이 붙었습니다. 또한 every day는 명사가 아니라 시간부사입니다.

2) 셀수 없는 명사(불가산명사)
: 셀수 없는 명사는 복수형 없으며, 부정관사를 붙이지 않고, 항상 단수취급한다.(동사도 단수동
사 사용)

ex) We`ve spent money on this house.

- 35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우리는 돈을 집사는데 사용했다.

→ 우선 `ve‘는 have의 줄임말입니다. 또한 spend는 ‘(돈이나 시간) 등을 쓰다,사용하다’로


보통 'spend +돈/시간+ on+명사, (in) ing' 형태로 사용합니다. 또한 money는 영어에서는 셀 수 없는 명사로 쓰입니
다.

B. 명사의 종류
1. 보통명사 : 일정한 형태가 있거나, 형태는 없지만 구분이 확실해서 셀 수 있는 명사이다.
ex) My uncle is a farmer. 나의 아저씨는 농부이다

2. 집합명사 : 같은 종류의 여러 개가 하나의 집합체를 이루는 명사


class 학급, family 가족, crowd 군중, people 국민
ex) There are many people in the park.
공원에는 많은 사람들이 있다.

3. 추상명사 : 성질·상태·개념 등 구체적인 형태가 없이 추상적 의미를 나타내는 셀 수 없는 명사


love 사랑, peace 행복, beauty 미, kindness 친절, hope 희망

ex) Success depends upon our efforts. 성공은 우리의 노력에 달려있다.
→ success가 추상명사로 동사 depend에 ‘s'를 붙였다는 것 즉 추상명사는 단수취급합니다 :D

4. 물질명사 : 일정한 모양이나 한계가 없는 물질의 이름을 나타내는 셀 수 없는 명사이다.


water 물, paper 종이, sugar 설탕, tea 차, coffee 커피, wood 나무, stone 돌

ex) Please give me some water.


저에게 물을 좀 주십시오.

5. 고유명사 : 사람 이름·나라 이름·지명·언어 등에 붙여진 고유의 이름을 나타내는 명사.


첫 글자로 대문자를 쓰며, 셀수 없는 명사이므로 복수형이 없다.

ex) Tom arrived in Busan three days ago. (고유명사)


탐은 부산에 3일전에 도착했다.

C. 명사의 수 ( 수험에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기재하지 않으면 서운해하실까봐 넣었습니다. 가볍


게 읽어보세요:D)

1. 규칙 변화하는 복수명사
1) 대부분의 명사는 어미에 -s를 붙인다.
flower(꽃) - flowers book(책) -books

2) 어미가 -s, -sh,-ch,-x,-z 이면 -es를 붙인다.


bus(버스) - buses dish(접시) - dishes

3) 어미가 [자음+y]인 명사는 y를 I로 고친 다음 -es를 붙이고, [모음+y]인 명사는 -s만 붙인다.

- 36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story(이야기) - stories lady(숙녀) - ladies

4) 어미가 [자음+o]인 명사는 -es를 붙이고, [모음+o]인 명사는 -s만 붙인다.


hero(영웅) - heroes potato(감자) - potatoes

5) 어미가 -f, -fe인 명사는 f,fe를 v로 고친 다음 -es를 붙인다.


knife(칼) - knives leaf (잎) - leaves

2. 불규칙 변화하는 복수명사 (불규칙변화하는 복수명사는 수험영어에서도 충분히 시험에 나올수


있으므로 두 눈 동그랗게 뜨고 눈에 익혀두세요 :D)

1) 모음이 변하여 복수형이 되는 명사


man(남자) - men tooth(이) - teeth foot(발)- feet

2) 어미에 -en을 붙이는 명사


ox(소) - oxen child(어린이) - children

3) 단수형과 복수형이 같은 명사
sheep(양) - sheep deer(사슴) - deer

☑ 명사파트는 편입시험에서는 가산과 불가산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아직은 기초단계이므로


눈에 자주 익혀두시기만 하세요 :D

D. 관사
1. 관사: 관사는 명사 앞에 위치하여 명사를 한정하는 일종의 형용사이다. 관사에는 불특정한 것
을 가리키는 부정관사(a/an)와 지정된 것을 가리키는 정관사(the) 가 있습니다.

2. 부정관사의 용법
1) 막연한 하나
ex) There is a book on the table. 탁자위에 책이 있습니다.
2) 분명한 하나
ex) Rome was not built in a day. 로마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다.
3) 같은(the same)
ex) They are of an age. 그들은 같은 나이이다.
4) ~마다(per)
ex) Take this medicine three times a day. 이 약을 하루에 세 번 먹어라
*take(약) 복용하다
5) 어떤(a certain)
A Mr. smith came to see you.
스미스라는 분이 너를 만나러 왔다.
*to see you에서 to부정사는 부사적용법으로 목적(~하기 위해) 뜻입니다.

3.정관사의 용법
1) 앞에 나온 명사를 다시 말하는 경우
ex) This is a pen. The pen is big.

- 37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이것은 펜이다.(막연한) 그 펜은 크다(다시 한번 언급했으므로 특정해졌습니다)


2) 명사가 수식어구의 꾸밈을 받아 분명해진 경우
ex) He is the principal (of our school).
그는 우리학교의 교장 선생님이다.
→ 교장선생님은 학교에 한분만 계시므로 특정하다. 또한 principal 명사뒤의 of our school이 수
식하므로
cf. He is a teacher (of our school).
→ 학교에는 선생님들이 많이 계시므로 그중에 막연한 한명의 선생님이라서 부정관사a를 사용하였
습니다.

3) 서로 알고 있는 명사를 가리키는 경우
ex) Would you please open the window? 창문을 좀 열어 주시겠어요?

4) 형용사의 최상급과 서수 앞
ex) He is the fastest runner in the world. 그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주자이다.
ex) The music room is on the third floor. 음악실은 3층에 있다.

5) 세상에서 유일무이한 명사 앞
the sun 태양 the earth 지구 the moon 달
cf. 혜성들중에서 태양,지구,달만 the붙이고 금성,수성,토성등은 the를 붙이지 않습니다. 참고해
두세요:D

☑ 부정관사의 용법과 정관사의 용법 비교해두셔서 암기하세요!

- 38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Day 7

17강 대명사
· 인칭대명사
· 소유대명사
· 재귀대명사
· 비인칭 주어 it
· 지시대명사
· 부정대명사

18강 형용사
단원별 목표 · 한정용법
(근성이다!!) · 서술용법
· 수량형용사
· 수사
· 기수사
· 배수사

19강 부사
· 부사의 역할
· 부사의 종류
· 부사 vs 부사ly

17강 대명사
A. 인칭대명사
주어를 단수 취급할 경우 단수형 동사를 , 복수 취급할 경우 복수동사를 사용해야합니다.

1. 인칭대명사의 격변화
1) She loves him.
그녀는 그를 사랑한다.

→ 이 문장에서 주어자리는 주격(she) 목적어는 목적격(him) 대명사를 사용합니다. 즉 자리에 알맞은 격을 사용하
셔야합니다 :D

2) This book is too difficult for me.


이 책은 너무 어렵다 나에게
→ 전치사for는 ‘~을 위해’라는 뜻도 있지만 형용사뒤에 위치하여‘~에게’로 해석합니다.
중요한 것은 전치사 뒤에 대명사가 목적어로 위치한다면 무조건 목적격대명사를 사용해야합니다:D

3) This book is her book.


이책은 그녀의 책이다.

- 39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 소유격(her) 뒤에는 명사가 위치해야합니다.

☑ 주어자리에는 주격대명사 목적어자리에는 목적격 대명사 사용

2. 소유대명사
: [소유격+명사]를 명사의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하나의 대명사로 쓴 것
‘~의 것’이라고 해석하며 대명사it은 소유대명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1) This book is mine. ( *mine = my book)


이책은 나의것이다.
→ 소유격과 소유대명사는 수험생분들이 혼동하기 쉬운데 소유격은 ‘~의’ 소유대명사는‘~의 것’ 이라 해석합
니다. 또한 소유대명사는 [소유격+명사] 의 역학을 합니다.

2) It`s a dog. Its tail is long.


그것은 개다. 그 개의 꼬리는 길다.
→ It`s = It is 의 줄임말입니다.
Its 는 it의 소유격입니다.

☑ 소유격 뒤에는 명사 위치
☑ 소유대명사 = 소유격+명사
☑ it`s = it is / its는 it의 소유격

3. 재귀대명사
: 재귀대명사는 ‘인칭대명사+self[selves]의 형태이며, ’~자신,~자체‘의 의미이다

1) 재귀적 용법
: 재귀적 용법은 재귀대명사가 타동사 또는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여서 주어가 행한 동작이 주어
자신에게 돌아오는 경우를 말한다. 이때의 재귀대명사는 생략할 수 없다.
ex) She looked herself in the mirror. [She=herself]
그녀는 자신을 바라보았다 거울에서
→ 주어인 she 와 목적어인 her가 같은 대상이므로 목적격을 사용하지않고 재귀대명사인 herself를 사용하셔야합
니다 :D

ex) He killed himself. [He=himself]


그는 자살했다.

ex) He killed him. [He≠him, He와 him은 다른 사람]


그는 그를 죽였다.

2) 강조적용법
: 재귀대명사가 주어·목적어· 보어인 명사·대명사와 동격으로 쓰여 그것을 강조하는 용법으로, 강
조하는말 바로 뒤나 문장의 끝에 둔다. 이때의 재귀대명사는 ‘자신이,몸소’의 뜻으로 생략 가능하다.

ex) I myself wrote the book [주어강조]

- 40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내가 직접 그 책을 썼다.

ex) I have seen Mr.Smith himself. [목적어강조]


나는 바로 그 Smith씨를 만났다.

ex) The dirty beggar was the king himself. [보어강조]


더러운 거지는 왕이였다.

☑ 재귀대명사는 강조역할이 있음

4. 비인칭 주어 it
: 날씨·시간·거리·가격·무게·상황등을 나타낼 때 it은 주어자리에 위치하는데 우리말로 ‘그것’이라고
해석하지 않습니다.
1) 날씨
ex) It`s fine today.
오늘날씨가 좋습니다.

2) 시간
ex) What time is it now?
지금 몇시니?

3) 거리
ex) How far is it from here to the station?
여기서 역까지 얼마나 머니?

4) 가격
ex) How much is it?
가격이 얼마입니까?

5) 상황
ex) How is it going? * go (상황이)진행되다
상황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니?

☑ 비인칭주어 it : 날씨,시간,거리,가격,무게,상황시 주어에 쓰임

B. 지시대명사
사람· 사물을 가리키거나 앞뒤에 오는 문장이나 어구를 가리키는 것으로 this(복수 these), that(복
수 those)을 비롯해, such, so ,same 등이 있습니다.

1. this[these] / that[those]
1) this '이것‘ that ’저것‘
ex) This is my towel and that is yours.
이것은 나의 수건이고 저것은 너의 수건이다.

2) these (this의 복수형) / those (that의 복수형)

- 41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ex) These are my shoes but those are not mine.


이것들은 나의 신반들이고 그러나 저것들은 나의신발이 아니다.

3) 앞에 나온 명사 반복시 that
ex) The climate of Italy is similar to that of Korea. (that= climate)
이탈리아의 기후는 한국의 기후와 비슷하다 ( * be similar to~와 비슷하다)

4) those ( that의 복수형/ ‘~한 사람들’)


ex) Those who are rich are not always happy.
부자들은 항상 행복한 것은 아니다.
→ Those 는 ‘~한 사람들’ 뜻으로 쓰일 수 있고 뒤에 관계대명사 who절이 자주 옵니다.

☑ that은 앞에 나온 명사를 반복하는 역할있음


☑ those(who ~) '~한 사람들‘

C. 부정대명사
확실하게 정해지지 않은 사람이나 사물 또는 일정하지 않은 수량을 나타낼 때에 쓰이는 대명사를
‘부정대명사’라고 한다. one, other, another, some, any, both, every, all, each, either,
neither 등이 있다.

1. one
1) 일반인은 one으로 쓴다.
ex) One should keep one`s word.
사람은 약속을 지켜야 한다.

2) 앞 명사를 대신하는 one


ex) I have lost my umbrella; I think I must buy one.
나는 우산을 잊어버렸다. 나는 하나 사야겠다.
→ one은 같은 종류의 다른 물건을 나타내고 it은 동일한 바로 그 물건을 나타낸다.
즉 one = a+명사(막연한 명사), it= the+명사(특정한 명사)

☑ one은 앞명사를 대신 나타냄 (같은 종류)

2. other
other는 다른(것,사람)의 뜻이다.
1) one~ the other
ex) I have two dogs; one is white and the other is black.
나는 강아지 두 마리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하얀색 다른 하나는 검은색이다.
→ ‘둘 중의 하나는 one 다른 나머지 하나는 ’the other'를 사용‘

2) some ~ others ( 몇몇 ~ 나머지는)


ex) Some people like meat, and others don`t.
어떤 사람들은 고기를 좋아한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

- 42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3) each other 서로 각각 (상호대명사, 두명일 때 사용)


ex) Plants and animals affect each other in many ways.
식물들과 동물들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 많은 방식으로
→ each other는 상호대명사 즉 대명사이지 부사가 아닙니다 !!

☑ 둘중에 하나는 one 나머지 하나는 the other


☑ each other 부사가 아니라 상호대명사 !

3. another
‘an+other'에서 생긴 말로서,
1) one more
ex) I don`t like this one. Show me another.
나는 이것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내게 다른 것을 보여주세요.

2) one another '서로‘ (상호대명사, 세명이상일 때 사용)


ex) Neighbors are talking with one another.
이웃들이 서로 얘기를 나누고 있는 중이다.
→ each other와 마찬가지로 one another도 상호대명사이지 부사가 아닙니다 :D

☑ another = one more


☑ one another 도 부사가 아닌 상호대명사!

4. some
수량을 나타내고, ‘얼마(의),몇 개(의), 어떤’ 의 뜻
1) 긍정문
ex) I have some money.
나는 약간의 돈이 있다.

2) 의문문: 권유나 긍정의 대답 기대시


ex) Would you like some more coffee?
당신 커피 마시겠어요? (권유)

ex) Could I have some water, please?


제가 물 한잔 마셔도 될까요 ? ( 긍정의 대답 기대시)
→설마 물마시면 안되요!! 라고 거절하지는 않겠죠 >.<

☑ some이 의문문에 사용시 ‘권유’·‘긍정의 대답 기대시’사용

5. any
의문문·조건문에서 ‘무언가(의),얼마(의),누군가’의 뜻으로, 부정문에서 ‘어느 것도, 조금도, 아무도’
의 뜻으로 쓰인다.

1) 부정문
ex) I don`t have any money.
나는 돈이 조금도 없다.

- 43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2) 의문문
ex) Do you have any question?
너 질문있니?

3) 조건문
ex) If any of your friends are interested, let me know.
만약 너의친구들중에서 누군가 흥미를 갖는다면, 나에게 알려줘

4) 긍정문 (any가 긍정문에 쓰일때는 ‘양보(~일지라도)’의뜻으로 해석


ex) Any boy can do it.
어떤 소년일지라도 그것을 할수 있다.

☑ any가 긍정문에 사용시 ‘양보’로 해석

6. each
대명사·형용사로 쓰이며, ‘각각의,개개의’ 의미, each가 붙는 말은 항상 단수로 취급한다.
1) each +단수명사
ex) Each boy has his own room.
각각의 소년은 그 자신의 방을 가지고 있다.
→ each 명사의 소유격도 단수취급합니다. 따라서 his 단수소유격사용. 복수소유격인 their등은 틀립니다.

2) each of+복수명사
ex) Each of the brothers has a different personality.
형제들 각각은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다.
→ [each of+복수명사]도 단수취급하여 단수동사 사용합니다.

☑ each+단수명사+단수동사
☑ each of 복수명사+단수동사

7. every
형용사로서 ‘모두의,모든~’의 의미. [every+단수명사]의 형태로 쓰여 단수취급한다.

1) every+단수명사+단수동사
ex) Every teacher in our school is kind to us.
우리학교의 모든 선생님은 우리에게 친절하다.

2) every는 형용사이지 명사가 아니다.


ex) every of the boys has his own room. (x)
→ 전치사 of는 명사와 명사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every는 명사가 아니라 형용사이므로
‘every of ~’ 는 틀립니다. 단 everybody ,eveyone 은 명사이므로 of와 함께 사용될수 있습니다.

☑ every+단수명사+단수동사
☑ every는 명사가 아니라 형용사!

- 44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8. both
‘둘 다’ 의뜻으로서 복수취급하며, 형용사,부사로도 쓰입니다.
1) 형용사 ( +복수명사+복수동사)
ex) Both his parents are living here.
그의 부모님 두분 다 여기에 살고 있는 중입니다.

2) 대명사 ( of+복수명사+복수동사)
ex) Both of these books are expensive.
이 책들 두 권 다 비싸다.
→ both는 대명사 즉 명사로 사용되었으므로 전치사 of와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 both(형용사+복수명사 +복수동사
☑ both(대명사) of 복수명사 +복수동사

9. all
대명사 또는 형용사로 쓰이며, ‘모든(것,사람들)’의 뜻이다. all 다음에 복수명사가 오면 복수동사를
사용하고 단수명사가 오면 단수동사를 사용합니다.

1) all +복수명사+복수동사
ex) All the students in the class are healthy.
그 반의 모든 학생들은 건강하다.

2) All+단수명사+단수동사
ex) All money was spent on books.
모든 돈은 책사는데 사용되었다.
→ spend +돈/시간 + on 명사, (in) ing [돈/시간‘을 ~하는데 사용하다’] 의 수동태로 사용되었습니다.
즉 돈/시간 be spent on 명사/(in) ing

Key point
1. 주어자리에는 주격대명사, 목적어자리에는 목적격 대명사 사용
2. 소유격 뒤에는 명사위치
3. 소유대명사 = 소유격+명사
4. it`s = it is / its는 it의 소유격
5. 재귀대명사는 강조역할이 있음 (강조용법)
6. 비인칭주어 it : 날씨,시간,거리,가격,무게,상황시 주어에 사용
7. that은 앞에 나온 명사를 반복하는 역할
8. those (who) '~한 사람들‘
9. one은 앞 명사를 대신 나타냄
10. 둘 중 하나는 one 나머지 하나는 the other
11. each other는 부사가 아니라 상호대명사
12. another = one more
13. one another 도 부사가 아닌 상호대명사
14. some이 의문문에 사용 시 ‘권유’ ‘긍정의 대답 기대시’
15. any가 긍정문에 사용 시 ‘양보’로 해석
16. each+단수명사+단수동사

- 45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17. each of 복수명사+단수동사


18. every+단수명사+단수동사
19. every는 명사가 아니라 형용사!
20. both (형용사) +복수명사+복수동사
21. both(대명사) of 복수명사+복수동사
22. all+복수명사+복수동사
23. all+단수명사+단수동사

18강 형용사
A. 형용사의 용법
형용사는 사람이나 동물,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로서 보어로 쓰이거나 명사·대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한다.

1. 한정용법
형용사가 명사·대명사의 앞 또는 뒤에서 직접 그 명사·대명사를 수식한다.
1) 명사 앞에서 수식
ex) She is a pretty woman.
그녀는 귀여운 여자이다.

2) 명사 뒤에서 수식
ex) Please give me something cold to drink.
나에게 마실 차가운 것을 주세요
→ something처럼 -thing로 끝나는 명사는 형용사가 명사 뒤에서 수식합니다. 이런 것을 ‘후치수식’이라고
합니다. 형용사 (cold)뒤에 to부정사가 위치하면 ‘~하기에’라고 해석합니다 :D

☑ 형용사 한정용법은 명사 앞 또는 명사 뒤에서 명사를 수식


☑ -thing 로 끝나는 명사는 형용사가 뒤에서 후치수식

2. 서술용법
형용사가 주격보어·목적격보어로서 주어나 목적어의 동작이나 상태를 설명해 준다.
1) 형용사가 주격보어자리에 위치
ex) She is cute.
그녀는 귀엽다.
→ cute가 보어자리에 사용되었고 is가 2형식 동사로 주어를 설명해주는 주격보어로 사용되었습니다.

2) 형용사가 목적격보어자리에 위치
ex) I thought him (to be) happy.
나는 그가 행복하다고 생각했다.
→ think는 5형식 동사로 목적격보어에 to be명사/to be 형용사 가 올 수 있습니다. 특히 to be 다음에 형용사
가 올 경우 to be는 생략도 가능합니다. 즉 happy는 윗문장에서 목적격보어자리에 위치하였습니다.

- 46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 형용사 서술용법은 형용사가 주격보어나 목적격 보어에 위치

B. 수량 형용사
수나 양을 나타내는 형용사를 수량 형용사라고 한다. 수량 형용사에는 일정하지 않은 수,양 및 정도
를 나타내는 부정수량 형용사와 one, first등과 같이 구체적으로 특정한 수를 나타내는 수사가 있
다.

1. 부정수량 형용사
1) many 와 much

· many+셀 수 있는 복수명사 → (수가) 많은, 다수의


· much+셀 수 없는 명사 → (양이) 많은, 다량의

ex) There are many people.


거기에 많은 사람들이 있다.
→ 이 문장에서 주어는 many people입니다. there은 명사가 아니라 부사이고 장소부사입니다. 영어에서 장소부사
가 문장의 앞에 오면 자동사와 명사주어는 도치가 일어납니다 :D

ex) I don`t have much information about the company.


나는 그 회사에 관해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
→ information은 셀수 없는명사 (불가산명사)입니다. 따라서 셀수 없으므로 many가 아니라 much를 사용하였습니
다.

2) few 와 a few

· few+셀 수 있는 복수명사 → (수가) 거의 없는 (부정적 의미)


· a few+ 셀수 있는 복수명사 → (수가) 약간 있는 (긍정적 의미)

ex) There were few passengers in the bus.


버스에는 승객이 거의 없었다.

ex) There were a few passengers in the bus.


버스에는 승객이 약간 있었다.

3) little 과 a little

· little+셀 수 없는 명사 → (양·정도가) 거의 없는 (부정적 의미)


· a little+ 셀 수 없는 명사 → (양·정동가) 조금 있는 (긍정적 의미)

ex) There is little water in the bottle.


병에 물이 거의 없었다.

ex) There is a little water in the bottle.


병에 물이 약간 있다.

4) enough
‘충분한’의 뜻으로 수·양·정도를 나타내며, 형용사 enough는 수식하는 명사 앞,뒤 어디에나 올 수

- 47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있지만 부사로 쓰인 enough는 형용사,부사 뒤에 위치합니다.

ex) There are enough chairs for the people. (형용사로 명사 앞에 위치)
사람들이 앉기에 충분한 의자가 있다.
= There are chairs enough for the people. (형용사로 명사 뒤에 위치)

ex) This knife is sharp enough. (부사로 형용사(sharp) 뒤에 위치)


이 칼은 충분히 날카롭다.

☑ enough (형용사) +명사


☑ 형용사/부사 +enough(부사)

C. 수사
1. 기수와 서수사

수 기수사 서수사 수 기수사 서수사


1 one first (1st) 14 fourteen fourteenth (14th)
2 two second (2nd) 15 fifteen fifteenth (15th)
3 three third (3rd) 16 sixteen sixteenth (16th)
4 four fourth (4th) 17 seventeen seventeenth (17th)
5 five fifth(5th) 18 eighteen eighteenth (18th)
6 six sixth (6th) 19 nineteen nineteenth (19th)
7 seven seventh (7th) 20 twenty twentieth (20th)
8 eight eighth (8th) 21 twenty-one twenty-first (21th)
9 nine ninth (9th) 30 thirty thirtieth (30th)
10 ten tenth (10th) 40 forty fortieth (40th)
11 eleven eleventh (11th) 50 fifty fiftieth (50th)
12 twelve twelfth (12th) 100 hundred hundredth (100th)
13 thirteen thirteenth (13th) 1000 thousand thousandth (1000th)

·기수사는 개수를 서수사는 순서를 나타낸다.


·서수사는 1~3을 제외하고는 [기수사+-th]로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서수 앞에는 the를 붙인다.

Key point
1. 형용사 한정적 용법은 명사 앞 또는 뒤에서 명사를 수식
2.-thing 로 끝나는 명사는 형용사가 뒤에서 후치수식
3. 형용사 서술용법은 형용사가 주격보어나 목적격 보어에 위치
4. enough (형용사)+명사 / 명사+enough (형용사)
5. 형용사/부사+enough (부사)

19강. 부사
A. 부사의 역할
1. 부사의 역할
1) 동사수식
ex) He drives his car carefully.

- 48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그는 그의 운전을 조심스럽게 운전한다.


→ 부사 carefully가 동사 drives 수식

2) 형용사 수식
ex) This book is too difficult for me.
이 책은 나에게 너무 어렵다.
→ 부사 too가 형용사 difficult 수식

3) 부사 수식
ex) It is much too hot in summer.
날씨가 여름에 너무 덥다.
→ 부사 much 가 부사 too 수식

4) 문장전체 수식
ex) Luckily no one was hurt.
다행히 아무도 다치지 않았다.
→ 부사 Luckily 가 문장전체( no one was hurt)를 수식

5) 부사구 수식
ex) He arrived exactly at nine o`clock.
그는 정확하게 9시에 도착했다.
→ 부사 exactly 가 부사구인 at nine o`clock을 수식

6) 부사절 수식
ex) I didn`t go there only because I was sleepy.
나는 다만 졸려서 거기에 가지 않았다.
→ 부사 only가 부사절인 because I was sleepy를 수식

7) 명사 수식
ex) Even a child can do it.
어리애조차도 그것을 할 수 있다.
→ 부사는 명사를 수식못하지만 even은 ‘앞초점부사’로 자신이 강조하고 싶은 명사 앞에 사용될수 있습니다.

B. 단순부사의 종류
1. 단순부사의 종류
‘때,빈도,장소’ 등을 나타내며, 보통 부사라고 일컫는다.
ex) It is Friday today. (시간)
오늘은 금요일이다.
ex) Is he still there? (장소)
그가 아직도 거기에 있니?
ex) She often writes to me. (빈도)
그녀는 종종 나에게 편지를 쓴다.
→ write (vi) to ‘~에게 편지쓰다’

- 49 -
공무원/경찰/편입/토익 영어전문 영가러닝센터 부평지점
‘유동현 센터장’ (상큼유자쌤)

C. 형용사와 형태가 같은 부사와 그것에 -ly가 붙은 부사


1. ① He came home late. (늦게)
그는 늦게 집에 왔다.
② Have you seen Tom lately? (최근에)
당신 최근에 Tom을 보신 적 있나요?
2. ① The ground was frozen hard. (단단히)
땅이 단단히 얼어있었다.
② I can hardly understand him. (거의 ~않다)
나는 그를 거의 이해할 수가 없었다.

Key point
1. 부사는 동사,형용사,부사,문장전체를 수식

수고하셨습니다 :D

- 50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