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고찰

201720283 이민욱

이번 실험은 CSTR의 RTD를 측정하는 실험으로 KCl을 Tracer로 사용하여 전도도를 측정하면서
RTD를 계산하였다.
1. 그래프 분석
tank 1, tank 2, tank 3 순으로 정상상태에 도달하였으며 rpm과 상관없이 각 tank별 그래프의
경향성은 비슷한 것을 볼 수 있다.
2. 체류 시간 분석
이론적 체류시간은 5 min인데 60 rpm에서 tank 1의 경우 5 min보다 작은 값이 나오고 다른
tank들과 90 rpm에서의 경우 5 min보다 큰 값이 나왔다. 이를 통해 Dead Volume과 Bypass의
영향력을 생각해보면 60 rpm에서의 tank 1만 Dead Volume의 영향력이 더 크고 나머지의 경
우 Bypass의 영향력이 더 크기 때문에 5 min보다 큰 값이 나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3. 반응기 부피 분석
반응기의 부피를 구하는 방식은    으로 체류시간에 유량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체류 시
간과 같은 맥락으로 60 rpm에서 tank 1의 경우 Dead Volume의 영향력이 더 크고 나머지는
Bypass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4. rpm 변화에 따른 분석
90 rpm으로 rpm이 증가했을 때 체류시간이 tank 1을 제외하고 60 rpm에 비해 상대적으로 줄
어들었기 때문에 Bypass인한 영향력이 줄어들거나 또는 Dead Volume으로 인한 영향력이 증가
했다고 분석할 수 있다. 하지만 rpm이 증가했기 때문에 사실 Dead Volume의 영향력이 증가했
다는 것을 생각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60 rpm과 90 rpm에서의 Dead Volume의 영향력은 비슷
하다고 볼 수 있고 Bypass의 영향력이 크게 줄어들면서 그로 인해 체류시간이 감소했다고 볼
수 있다.
tank 1의 경우 60rpm에서 Dead Volume이 지나치게 컸고 rpm이 증가하면서 그 영향력이 감
소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5. 결론
실험에서 체류 시간이 rpm이 증가함에 따라 tank 1을 제외하고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번에서 분석한 것처럼 tank 1의 경우 Dead Volume의 영향력이 rpm이 증가하면
서 크게 감소해서 나온 결과라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더 높은 rpm을 설정하면 이상적인 반응기
에 가까운 결과 값이 나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유량을 감소시켜 물질
들의 이동을 천천히 만들어서 더 골고루 섞이게 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