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행정학개론

(1 주차 )

경찰행정학과
제 1 장 행정의 본질
제 1 절 행정의 의의

1. 행정의 출현

* 행정 출현의 사회적 변혁과 사상적 배경


- 17 세기 말 절대군주국가
- 영국의 명예혁명
- 미국의 독립선언
- 프랑스 대혁명
- 로크의 ‘시민정부이원론’
- 몽테스키의 ‘법의정신’

※ 정치체제의 구분
군주제 : 절대 군주제 ⇨ 왕 + 왕의 자유로운 의사로 통치
입헌 군주제 ⇨ 왕 + 헌법으로 통치
공화제 : 민주공화제 ⇨ 대통령 ( 왕 x) + 헌법 , 법률로 통치
제 1 장 행정의 본질
제 1 절 행정의 의의

* 국가성격의 변천 과정

시대 18 세기 19 세기 20 세기

국가 근세국가 근대국가 현대국가

절대국가 자유국가 직능국가


국가성격 통치국가 입법국가 행정국가
경찰국가 야경국가 복지국가
제 1 장 행정의 본질
제 1 절 행정의 의의

2. 행정의 개념에 관한 학설

(1) 행정법학적 행정개념


- 삼권분립적 공제설

- 국가목적 실현설

- 기관 양태설

(2) 행정학적 행정개념


- 행정 관리설 : 기술적 행정학 ⇨ 정 , 행 이원론

- 통치 기능설 : 기능적 행정학 ⇨ 정 , 행 일원론

- 행정 행태설 : 정치 , 행정 새 이원론

- 발전 기능설 : 정치 , 행정 새 일원론
제 1 장 행정의 본질
제 2 절 공공행정과 사행정 ( 행정과 경영 )

1. 공공행정과 사행정의 의의

2. 공공행정의 유사점과 차이점

* 유사점 * 차이점
-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성 - 목적의 차이
- 관료제적 성격 - 법적 규제
- 의사결정 - 정치적 성격
- 협동적 성격 - 권력수단
- 평등의 원칙
- 활동의 규모와 원칙
- 무임승차 가능의 차이 공공행정 : 무임승차 가능
사행정 : 무임승차 불가능
- 실패의 유형
@ 공공행정 : 정부의 실패
@ 사행정 : 시장의 실패
제 1 장 행정의 본질
제 3 절 정치와 행정
1. 의의

2. 정치와 행정의 관계

(1) 정치 , 행정 이원론 (2) 정치 , 행정 일원론

- 윌슨 ‘행정의 연구’ (1887 년 ) - 디목 , 디모스 & 화이트

‘ 행정은 사람과 물질을 관리하는 기술이며 , 정치의 ‘ 행정이란 이미 수립된 정책뿐만 아니라 , 나아가
고유영역 밖 에 존재한다 , 따라서 행정은 사행정 , 즉 정책형성까지 담당한다 . 행정과 정책은 상호배타적이
경영과 구별을 하지 않는다’ 아니라 상호 협동적’

- 굳노우 - 애플비

‘ 정치와 행정을 구분 , 정치는 국가의사 표현 , ‘ 정책형성과 행정은 독립된 영역이 아니라 , 하나의
행정은 그 의사표현 을 집행’ 순환과정으로 일체화’

- 윌로우비

‘ 정치는 의사결정적 영역 , 행정은 결정된 의사를


집행하기 위한 관리적 영역’
제 1 장 행정의 본질
제 3 절 정치와 행정

(3) 정치 , 행정 새 이원론 (4) 정치 , 행정 새 일원론

- 와이드너 & 에스만


- 사이몬 : 행정 행태론자
‘ 행정은 정책결정 , 유지관리를 위한 소극적인
‘ 행정을 가치와 사실로 구분 , 검증이 가능한
것만이 아니라 적 극적으로 국가발전의 목표를 위한
사실문제만이 행정 의 대상’
기능’

3. 한국의 정치 , 행정의 관계
제 1 장 행정의 본질
제 4 절 정치와 행정

1. 행정은 공익성을 추구

2. 행정은 정치적 성격을 내포

3. 행정의 고도의 합리성을 추구

4. 행정은 협동적인 집단노력을 필요로 함


제 3 장 행정학의 발달
제 1 절 독일행정학

1. 관방학

2. 슈타인 행정학

3. 슈타인 이후의 독일 행정학


제 3 장 행정학의 발달
제 2 절 미국행정학

1. 미국행정의 발달배경

(1) 사상적 배경

(2) 행정기능의 확대 , 강화

(3) 과학적 관리운동의 영향

(4) 개혁운동
제 3 장 행정학의 발달
제 2 절 미국행정학
2. 미국행정학의 발달단계

(1) 전기 ( 기술적 행정학 )


- 정치 , 행정 이원론
- 과학적 연구방법과 원리 접근법
- 귤릭의 ‘ POSDCoRB’
- 능률지상주의

(2) 후기 ( 기능적 행정학 )


- 정치 , 행정 이원론에 대한 비판
- 능률지상주의의 기평가

(3) 신행정학
- 사회적 형평성의 대두
- 변화와 개혁
- 시민 참여
제 3 장 행정학의 발달
제 3 절 한국행정학

< 학습과제 >

1. 공공재의 ‘무임승차’ 개념

2. ‘ 정부의 실패’ & ‘ 시장의 실패’ 개념

3. ‘ 공유지 비극’의 개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