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동화의 이해 담당 : 이문기 교수님

5 주차 : 한 · 독 전래동화비교 (I)

2 교시 : < 콩쥐팥쥐 > 와 < 신데렐라 > 비교


< 콩쥐팥쥐 > 와
< 신데렐라 > 비교
1 한국의 전래동화 : 콩쥐팥쥐

2 그림형제의 동화 : 신데렐라

3 줄거리 구조 - < 콩쥐팥쥐 > 를 중심으로


1. 한국의 전래동화 : 콩쥐팥쥐

 작품 요약

• 콩쥐가 계모와 그녀의 딸 팥쥐와 함께 산다 .

• 자기 딸 팥쥐에게는 쇠호미로 모래밭을 갈게 하고 , 콩쥐에게는 나무호미를 주어


달밭을 매게 하는 등 계모의 학대가 심하다 .

• 심한 차별 대우와 학대로 울고 있는 콩쥐 앞에 검은 암소가 하늘로부터 내려와


밭을 갈아주고 약과도 준다 .

• 늦게 귀가한 콩쥐는 약과로 문을 열고 겨우 집안으로 들어간다 .

• 외갓집 잔치에 계모는 팥쥐만 데리고 가고 콩쥐에게는 많은 일거리를 주어 집에


남게 한다 .
1. 한국의 전래동화 : 콩쥐팥쥐

• 울고 있는 콩쥐 앞에 조력자가 나타난다 . 두꺼비는 밑 빠진 솥 가득히 밥하는


일을 , 구렁이는 밑 빠진 독에 물을 채우는 일을 , 참새는 벼를 , 까치는 좁쌀
찧기를 마친다 .

• 검은 암소가 하늘에서 나타나 콩쥐에게 예쁜 옷 한 벌 , 꽃신 한 켤레 , 가마 ,


하인을 선물한다 .

• 콩쥐는 단장하고 잔칫집으로 가다 꽃신 한 짝 잃어버린 것을 선비가 줍는다 .

• 선비는 신발의 주인과 결혼하겠다고 결심을 하고 그 주인을 찾아 헤맨다 .

• 콩쥐에게 목욕하러 가지 말 것을 당부하고 선비가 외출한다 .

• 팥쥐는 목욕을 빙자해 콩쥐를 억지로 연못으로 유인하여 빠뜨려 죽인다 .


1. 한국의 전래동화 : 콩쥐팥쥐

• 팥쥐는 죽은 콩쥐 행세를 하며 선비를 맞이한다 .

• 바뀐 용모에 대한 선비의 물음에 팥쥐는 그럴듯한 거짓말로 대답한다 .

• 선비는 연못에 핀 예쁜 꽃 한 송이를 꺾어 문 위에 꽂아 둔다 .

• 꽃은 선비를 보면 춤을 추고 , 팥쥐가 지나치려 하면 쥐어뜯어 괴롭힌다 .

• 선비가 집을 나간 사이에 팥쥐는 꽃을 아궁이 속에 처넣고 불태운다 .

• 불 을 뜨러 온 이웃 집 노 파는 아궁 이 속 에서 빨간 구 슬을 발견하 고 집 으로
가져간다 .

• 구 슬 속에 서 나 온 예 쁜 신부 는 선 비에 게 식 사 대 접을 해 줄 것을 노파 에게
부탁한다 .

• 초대를 받은 선비는 젓가락이 짝짝이인 것을 보고 화를 낸다 .


1. 한국의 전래동화 : 콩쥐팥쥐

• 비로소 신부가 바뀐 것을 알아차린 선비는 팥쥐를 죽인다 .

• 죽은 팥쥐 고기를 그 어미에게 대접하니 그녀 또한 죽음으로 벌을 받는다 .


1. 한국의 전래동화 : 콩쥐팥쥐

 중심 모티프

• 결손 가정 : 가정동화의 전형대로 어린 딸만 남겨둔 생모의 사망


– 아버지의 재혼은 주인공과 계모와의 갈등 유발

• 계모의 학대 : 주인공에 대한 계모의 박해와 의부자매에 대한 편애

• 조력자의 출현 : 죽은 생모를 상징하는 검은 암소가 나타나 주인공을 도움 –


꿈속의 ‘소’는 조상을 뜻한다는 한국인의 일반적 의식구조에 부합

• 잔치 : 계모와 의부자매는 외가 쪽에서 보면 불청객이고 주인공은 계모의 학대로


참석을 방해 받는 갈등 상황 설정

• 꽃신 선물 : 죽은 생모가 검은 암소로 나타나 주인공의 소망 실현


1. 한국의 전래동화 : 콩쥐팥쥐

• 분실자의 탐색 : 선비의 갑작스런 등장이 신발 한 짝을 잃는 원인이 되고 그것은


신발 주인 찾기의 계기가 됨

• 결혼 : 외가의 잔칫집이 무대가 되며 신발 신기 경합에서 진짜 주인공이 판명 –


행복한 결혼

• 위계살인 ( 僞計殺人 ) 및 가장 : 가짜 주인공인 계모의 딸이 선비의 신부 행세

• 주인공의 환생 : 죽은 넋이 연못 속에 꽃으로 환생

• 꽃의 변신과 부활 : 아궁이 속에서 불태워진 꽃은 구슬로 변신하고 그것은 또


이웃 노파의 도움으로 다시 색시로 부활

• 인식과 재회 : 짝짝이로 놓인 젓가락이 아내가 바뀜을 일깨우고 비로소 남편과


재회가 이루어짐
1. 한국의 전래동화 : 콩쥐팥쥐

• 가해자의 응징 : 살인을 저지른 가짜 주인공은 죽임을 당하고 그 어미에게는 딸의


고기를 먹이는 잔인한 형벌을 내림
2. 그림형제의 동화 : 신데렐라

 작품 요약

• 한 부자의 아내가 죽음에 앞서 어린 딸에게 하나님을 잘 믿고 착하게 살 것을


당부하며 숨을 거둔다 .

• 두 딸을 데리고 들어온 계모는 주인공을 부엌데기로 몰아내고 학대한다 .

• 어 느 날 아 버 지 가 먼 길 을 떠 나 면 서 주 인 공 에 게 뭘 사다 줄 까 물 었을 때 ,
주인공은 돌아오는 길에 아버지 모자에 처음 닿는 나뭇가지를 꺾어 가져다 줄
것을 부탁한다 .

• 부탁대로 아버지가 가져다 준 개암나무 가지를 어머니의 무덤 앞에 심는다 .


2. 그림형제의 동화 : 신데렐라

• 무덤가에 자라난 개암나무에 하얀 비둘기 두 마리와 새들이 날아와 주인공의


소원을 들어준다 .

• 나라에서 왕자비를 간택하는 축제가 3 일 동안 열린다 .

• 축제에 참석하지 못하도록 계모가 심술을 부릴 때마다 두 마리의 흰 비둘기와


온갖 새들이 날아와 재속의 콩을 골라내는 일을 돕는다 .

• 계모는 자신의 두 딸을 데리고 축제에 참석하자 , 두 마리 비둘기와 새들이


날아와 주인공에게 화려한 옷과 순금 구두를 선물한다 .

• 3 일 동안 새들이 갖다 준 화려한 옷과 순금 구두를 신고 축제에 참석한 주인공은


왕자의 마음을 사로잡고 자신의 정체를 숨긴 채 집으로 돌아간다 .
2. 그림형제의 동화 : 신데렐라

• 계획적으로 끈끈이 칠을 하여 주인공의 신발 한 짝을 얻어낸 왕자는 주인공의


집에 와서 신발 주인을 탐색한다 .

• 계모와 두 딸들은 신발에 발을 맞추기 위해 긴 발가락을 혹은 발뒤꿈치의 살을


베어 내어 억지 행세를 하지만 나무 위의 새들이 가짜 주인공임을 귀띔한다 .

• 마침내 왕자는 신발의 주인공을 찾아내고 그녀에게 구혼을 한다 .

• 교회에서의 성대한 결혼식 날 신부 양 옆에 선 두 의붓자매의 눈을 두 마리의 흰


비둘기가 쪼아서 눈을 멀게 한다 .
3. 줄거리 구조 - < 콩쥐팥쥐 > 를 중심으로

 줄거리 구조

A: 가족구성원의 부재 ( 발단 ) → 계모의 학대 → 조력자의 출현 ( 생모 ) → 외갓집


잔치 → 조력자의 출현 ( 동물 ) → 꽃신 선물 → 신발 한 짝 분실 → 지체 높은
남자주인공이 꽃신의 주인을 탐색 → 결혼

B: 거짓 유인과 살해 → 적대자 ( 가짜 주인공 ) 의 거짓 행위 → 죽은 여주인공의


변신과 환생 → 가짜 주인공의 행위 탄로 → 행복한 재회 → 가해자의 벌

END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