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6

강준구 강유리 고형민 장소망 차신혁

Education Major

8. 직업 적응성 교육
9. 전문가의 인지기능
Introduction p. 144

8 과 요약
새로운 직업에서 적응하기 위한 “적응성”을 교육하기 위한
Cognitive Procedure[ 인지적 절차 ] 에 대하여 이야기 한다 .

Figure 8.1 Figure 8.2


Cognitive Structures in Vocational Education p. 145

세상의 변화  직업 변화

‘ 변화에 맞게 적응 하는 방
법’
Cognitive Structures in Vocational Education p. 145

Adaptability
필요한 교육과 학습을 위한
프레임 워크 [Cognitive Procedure]
Cognitive Structures in Vocational Education p. 145

Propositional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Cognitive Structures in Vocational Education p. 145

Example. 음식 만들 때

Propositional Knowledge
“Vocational Education”
음식에 들어가는 재료가 무엇인가 ?

Procedural Knowledge
음식을 어떻게 만드는가 ?
Cognitive Procedures Involved in Adaptability p. 145

Adaptability
: 새로운 방법으로 기존의 지식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Cognitive Procedures Involved in Adaptability p. 145

Adaptability
: 새로운 방법으로 기존의 지식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경험했던 것
Existing knowledge  바뀐 상황에 적용 가능

새로운 것
기존에 가지고 있던 지식 기반으로 작업 수행 불가
Cognitive Procedures Involved in Adaptability p. 146

Royer (1979)
Specific / Near

Non-Specific / Far

기존 인지 절차를 사용할 수
있는 것 / 없는 것

Figure 8.1
Cognitive Procedures Involved in Adaptability p. 147

Royer (1979)
Example

머리 염색  머리 파마
기존 인지 절차 사용 가능

머리 염색  악기 연주
기존 인지 절차 사용 불가
Figure 8.1
Teaching And Learning Adaptability p. 149

Teacher behaviour
학생들에게 더욱 높은 수준의 활동을
위한 학습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함

Classroom environment
학생들에게 더욱 높은 수준의 활동을
위한 학습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함
Teaching And Learning Adaptability p. 149

Student ability and character-


istics
학생들의 능력이 증진이 되더라도 ,
개인적인 것들이 영향을 끼친다

Student cognitive activity


학습환경이 좋아진다면 학생들의 능력 증진
Teaching And Learning Adaptability p. 149

새로운 문제 처리

“ 학습의 확장이 일어난다”


Experimental Work with Vocational Students p. 151

적응성 교육의 프로세스


교사 > 학급환경 > 학생인지활동

학생 대상으로 실제 실험
Experimental Work with Vocational Students p. 151
Experimental Work with Vocational Students p. 151

실험

독립변수 매개종속변수 종속변수

통제변수
Experimental Work with Vocational Students p. 151

직업 적응성 실험
교수방법 A 학습환경
학생인지활동
학생 행동
교수방법 B

학생의 능력 , 참여도 등등
Experimental Work with Vocational Students p. 151

독립변수 매개종속변수 종속변수 통제변수 결과

교수방법 A 교수방법 B
학생들이 직접 문제를 맞닥뜨리기 전에
학습문제를 맞닥뜨리고 , 교사가 문제에 대한
자료를 사용해서 답을 제공하면서
직접 풀어낸다 . 학습 과정을 지도한다 .
학생들에게 활동을 장려 활동을 장려하지 않음
(High HOCHP) (Low HOCHP)
Experimental Work with Vocational Students p. 153

독립변수 매개종속변수 종속변수 통제변수 결과

ICEQ - 질문지
A 와 B 방법에
대한
학생 / 교사의 평가
HOCHP 학생의 활동이
얼마나 장려되는가
Experimental Work with Vocational Students p. 154

독립변수 매개종속변수 종속변수 통제변수 결과

새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
도움이 얼마나 필요했는가
교수한 주제에 대해
얼마나 이해했는가
새 과제를 수행하는 데 있어
얼마의 시간이 필요했는가
Experimental Work with Vocational Students p. 154

독립변수 매개종속변수 종속변수 통제변수 결과

통제변수 - 학생의 특성
추론능력 ACER Mechanical reasoning
언어이해능력 Verbal Comprehension
독립심 16PF Independence
HOCHP 선호도 Student Preference for HOCHP
Experimental Work with Vocational Students p. 156

독립변수 매개종속변수 종속변수 통제변수 결과

종속변수
무시할 수 있을 정도
Experimental Work with Vocational Students p. 157

독립변수 매개종속변수 종속변수 통제변수 결과

도움이 얼마나
필요했는가
Experimental Work with Vocational Students p. 158

독립변수 매개종속변수 종속변수 통제변수 결과

지식 ,
이해도
Experimental Work with Vocational Students p. 158

독립변수 매개종속변수 종속변수 통제변수 결과

소모 시간
Experimental Work with Vocational Students p. 159

독립변수 매개종속변수 종속변수 통제변수 결과

학생과 교사의 평가
결론
새로운 일을 할 때
(Adaptability)

적응성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답을 주는 것이 아니라
학생이 직접 인지활동을
연습할 수 있게 해야 한다 .
Summary p. 164

9 과 요약
“ 전문가”의 인지능력을 습득하기 위한 방법을
정보처리기능 모델을 사용해 설명한다 .

정보처리기능 모델 실증적 연구
Basic structure of Knowledge-based approach p. 166

Instructional Expert
Design System (AI)
Basic structure of Knowledge-based approach p. 166

Human Intelligence Novice


전문가 초심자

지식체계 지식체계 생성 전문가의 지식체계를


(Knowledge base) (Generation)
가르쳐 초심자의
인지능력을 성장시킨다 .
지식 체계 서술 교수 시스템
(Representation) (Instructional system)

Instructional de-
signer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p. 167

Executive Memory
장기기억의
정보 처리 유형
Item-specific Processing
Relational Processing
Strategic Processing

전문가들의
인지능력의 기반
단기기억 장기기억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p. 169

Declarative Knowledge Procedural

Item-specific
특정 요소나 사물에 대한 지식
Knowledge Cognitive
Strategic
전략적 지식 Skill
Knowledge
Relational Performance
다른 요소와의 관계에 대한 지식
Knowledge

Knowing Potentially Actually


What Knowing How Knowing How
An empirical investigation p. 170

Declarative Knowledge Procedural

Item-specific
Knowledge Cognitive
Strategic
Knowledge Skill
Relational Performance
Knowledge

Knowing Potentially Actually


What Knowing How Knowing How

전문가의 선언적 지식으로 인지능력 성과를 향상 시키는가 ?


An empirical investigation p. 170

초보자전문가
1. 결정
2. 분석
3. 측정도구 개발
4. 사전검사
5. 기준설정
6. 교수처치 개발
7. 교수처치 적용
8. 사후검사
Knowledge acquisition p. 172

“ 엔지니어링
재료”
전문가
Item-specific Relational
Knowledge Knowledge

즉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음
The instructional treatment p. 175

Strategic Knowledge
전략적 지식

전문가들이
위계적 구조를
형성함
The instructional treatment p. 176

Glaser’s(1984)

37 개 주제로 pre-
test 과 protest
진행
Results p. 176

Figure 9.6
Results p. 177

Table 9.1: Overview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Results p. 177

Table 9.1: Overview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Results p. 177

Table 9.1: Overview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Results p. 178

Table 9.3: Overview of changes


from pre-test to post-test performance
Results p. 179

Table 9.4: Overview of changes


from novice to expert
Results p. 179

Table 9.4: Overview of changes


from novice to expert

Pre-expert 처치를 하기 전에도 전문가처럼 한 사람

Pre-novice 처치를 하기 전 초심자인 사람

Post-expert 처치 후 전문가처럼 된 사람

Post-novice 처치 후에도 초심자인 사람


Results p. 179

Table 9.4: Overview of changes


from novice to expert
Results p. 179

Table 9.4: Overview of changes


from novice to expert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