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2

종교와 인간

가장 먼저 가르치며 배워야 하는
교육
들어가는 말
왜 종교를 공부해야 하는가 ?

1. 인류 중 많은 사람들이 종교를 믿기 때문에

“ 종교를 가진 사람이 일반적인 사람이고 , 종교를 가지지 않은 사람이 특별한 사람이다



세계가 만일 100
명의 마을이라면
2020 년 종교인구 통계
통계가 의미하는 바는 강력하다 !

“ 종교를 가진 사람이 일반적인 사람이고 , 종교를 가지지 않은 사람이 특별한 사람이다


21 세기 들어 종교 인구는 증가했다 . 76%- 약 84% 로

이슬람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


< 동영상 감상 >
21 세기 이슬람 인구 변동 추이

종교는 세계의 변동을 파악함에 있어서도 중요하다 .


왜 종교를 공부해야
하는가 ?

2) 진정한 세계인이 되기 위해서


종교 전쟁 : 학살 , 강간
어린이들의 전쟁 참여
소녀들 목이 잘림
스리랑카 이야기
종교 분쟁 동영상 시청
Hans Küng

종교간의 대화 없이 종교간의 평화 없고 ,
종교간 의 평화 없이 세계 평화가 있을 수
없다 .
종교에 대한 기초 연구 없이는 종교간의
대화도 없다
인류의 역사와 문명을 이해하기
위해서

왜 종교를 공부해야
하는가 ?

종교

공부
해야
하는
가?
종교란
무엇인가 ?
종교란 ?
종교는 인간이 세상에서 태어나서
가장 먼저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
교육의 으뜸이다 .
종교란 ?

우주 , 세계 , 인생에 대한
최초의 대답이다 .

폴 틸리히 (P. Tillich): 종교는


궁극적 관심 (Ultimate Concern)
이다 .
인간은 날 때부터 종교적이다 .

CRT 프로젝트 (Cognition, Religion and


Theology Project)
종교란 ?

4) 종교의 씨앗

- J. Calvin – 종교의
씨앗 (the seed of reli-
gion)
- B. Pascal – 마음의 빈
공간 , 신의 자리
종교의 기능과
역할
종교의 순기능과 역기능

* 종교의 순기능과 역기능

순기능 : 삶의 의미 , 정체성 , 심리적 박탈 보상 , 위로 , 평정

역기능 : 죄책감 , 망설임 , 좌절 , 공포 , 불안 , 위협 , 의존 , 편협 , 배타성 , 억압


종교 의 긍 정 적 역 할

1) 사회적 응집력 (social cohesion)

에밀 뒤르켐 (E. Durkheim, 1858-


1917)
- 사회의 도덕과 질서를 추구
- 원시사회의 종교성 탐구
- 종교는 가장 원초적인 사회제도이며
가장 강력한 집합의식 (collective con-
sciousness) 을 공급한다 .
종교 의 긍 정 적 역 할
종교 의 긍 정 적 역 할

* 종교가 사회적 결속을 가져오기도


하지만 근본주의자들의 집단적 열광을
제공해서 전쟁 , 테러 , 또는 폭력을
선동하고 정당화할 수 있는 사회적
역기능도 가지고 있다 .
종교 의 긍 정 적 역 할

2) 사회적 통제력 (social control)

종교는 도덕성과 규범을 강화시켜 사회 속에서 일치와


통제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사회적 통제력을 제공한다 .

이미 확립된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사회를 보호할 수 있다 .
성으로
5 지성에서 영
지성에서 영성으로

Spirituality
궁극적 실재와의 접촉
거듭남 , 깨달음
예배 , 기도 , 고독 , 만남
- 지성과 영성의 조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