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1

CBA 초기 테스트 (chemical) 기기분석 완료


7 월 목표 :
산업부산물 정리 및 연락

< 지난 주 업무내용 > < 이번 주 업무일정 >

1. 실험 진행 및 XRD 1. FE-SEM 분석
2. Ansys 공부 2. CBA 활용방안 시도
3. 제지슬러지 요청 3. Ansys 공부
실험기기 현황 및 상태보고

열교반기 3 대
8.6 일까지 휴가
1 호 : 100 도 이상 시 온도조절이 안되는 상황
8.7 일 A/S 요청예정

2 호 : 이상 없음
A/S 요청상태
3 호 : 마그네틱바 교반 문제
( 멈췄다가 빨라지고 통통튀는현상 )

교반 플라스크
내충격형 플라스크로 구매필요
500ml : 3 개 중 1 개 남음 깨지는 원인 :
경질 1 급 ( 녹는점 580~820 도 ) 유리로 선정을 하였지만
가열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에 매우 약해지는 것 같다 .

2000ml : 3 개 중 3 개 남음 결론 : 여과플라스크와 같은 고압을 버티는 내충격형


플라스크로 구매할 예정
제지슬러지 샘플 요청
• 깨끗한나라㈜ 종이 종류에 따른 제지슬러지 샘플
요청

• 무림페이퍼 ( 주 ) 에서 펄프종이슬러지와
제지슬러지 두가지를 요청상태

• 모나리자㈜에서는 공문요청으로 인해 현재
대기상태
제지슬러지 샘플 요청

geosludge

Sludge 를 edable
의 binder 로 활용
2

CBA
2

실험기기 분석 결과
2

XRD
같은 위치에서 peak intensity 가 떨어지기는 했지만 amor-
phous 가 감소했다고 판단하기는 힘듦
72hr 48hr
신보령 CBA
실패한 실험이지만 반응성에 대한 경향을 확인하기 위함
영흥 CBA 실패한 실험이지만 반응성에 대한 경향을 확인하기 위함
12.43


17.6

21.6

24
ⓠⓝ

28

3

3
3


4

5
Alumina silica 가 다량
함유된 대략 Class-F Fly ash
정도 되는 물질은 저온
hydrothermal 반응을
일으키면 대체적으로
sodalite / NaP1 / quartz /
mullite 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상
실험의 방향성
- 초기실험 결과 -

XRF 결과 : 국내 CBA 성분은 대체적으로 비슷 (Class-F Fly ash)

Hydrothermal/XRD 결과 : si/al 비율에 따라 약간 형성물이 다르지만


대체적으로 비슷한 형성물을 보임 / 현재
3 가지 CBA 모두 이온추출이 가능한것으로 예상
SEM-EDS 를 통해 실제 예상한 particle 이 존재하는지 파악 필요

SEM(Normal) 결과 : particle size 가 작아지는것이 보이며


amorphous 입자의 형상이 변함

Raw 24hr

눈금 40 눈금 10
실험의 방향성
현재 방향 : 잔골재로 활용
-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는 정도가 각기 달라서 잔골재 사이즈 예측 불가

SCMS 로써 활용으로 방향

추가 진행 실험계획

Hydrothermal : 고온으로 장시간 반응
형성물질 비교
Hot press : 고온으로 고압 단시간 반응


Grinding 전 treated
형성물질 비교
Grinding 후 treated


몰별 시간에 따른 si 추출량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