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열병합발전 발전소 2011. 5. 1. 22:38

https://blog.naver.com/yooms1325/150107886615

제 2 절  열병합발전

  1. 개  요

   가. 개  요
보일러에서 생산된 고온고압의 증기를 이용하여 터빈/발전기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이 터빈에
서 일을 하고 나온 증기의 열에너지를 추출하여 공장의 공정(Process)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온수를 만들어서 인근주택, 상가, 사무실 및 병원 등 일반 수용가에 공급하여 난방용으로 사용
하도록 하는 발전방식을 열병합발전방식이라 하며, CHP(Combined Heat & Power Plant) 또는
Cogeneration Plant 라고 한다.
현재까지의 일반적인 발전방식이 최대한의 전력만 생산하는데 주력한데 비해 필요한 전력과
열을 동시에 생산하여 전력을 사용하고 생산된 열도 공정(Process)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
서 열손실(Loss)을 최대한 줄이는데 열병합발전의 목적이 있다.

   나. 열병합발전의 장점
열병합발전방식은 종합에너지 시스템에 의한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으로서 일반적으로
기력방식의 경우 보일러에서 생산된 증기를 터빈발전기에 통과 시켜 전력을 생산하고 배출 또
는 추기되는 증기를 다시 이용하여 에너지의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지역난방 공급을 목적으
로 하는 열병합발전은 전력부하 또는 열부하에 따라 적절히 부하 제어를 할 수 있으며, 더욱이
일반 기력발전 또는 가스터빈 복합발전방식의 경우 복수기 손실열을 냉각수 대신 난방용 순환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1/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온수를 사용함으로서 난방 또는 급탕열로 이용할 수 있어 유효열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


는 장점이 있다.

 
              발전전용                           열병합

 ※ 열병합발전 열효율(%) : 설계치


구   분 전력만 생산 열+전력 생산 열효율 증가 비    고
대구 26.5 84.9 +58.4 열병합
우리
공사 수원 27.5 84.5 +57.0 〃
청주 28.4 85.4 +57.0 〃
서울화력 36.9 70.6 +33.7 열병합 개조
발전 분당복합 44.1 76.1 +32.0 열병합
회사 일산복합 45.0 77.1 +32.1 〃
*서인천 47.5 열생산 불가 -  

  2. 열병합발전 방식

   가. 열이용순서에 따른 구분
열병합발전은 열에너지의 사용 순서에 따라 Topping Cycle과 Bottoming Cycle로 구분된다.
Topping Cycle은 연료 연소로 생산된 증기를 전력생산에 먼저 사용하고, 배열이나 잉여열을 열
에너지로 이용하는 방식이며 Bottoming Cycle은 증기를 열에너지로 먼저 사용하고, 여열이나
산업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하여 생산하는 방식이다.

   나. 발전형식에 따른 구분
열병합발전은 화석연료(Fossil Fuel)를 이용한 증기터빈방식, 가스터빈방식, 복합발전방식(가스
터빈+증기터빈의 조합), 쓰레기 소각열, 산업공정의 폐열을 이용하는 방식과 디젤엔진, 원자력
발전을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으며,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2/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 열병합 발전방식 구분 >

    1) 증기터빈 방식
기력(증기터빈)방식 열병합발전은 증기터빈 형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 할 수 있다.
   - 배압터빈 (Back Pressure Turbine)
   - 추기배압터빈 (Extraction - Back Pressure Turbine)
   - 추기복수터빈 (Extraction - Condensing Turbine)
   - 추기배압복수터빈 (배압터빈과 복수터빈의 조합)
 
     (가) 배압터빈 방식

배압터빈방식은 보일러에서 발생한 고


온 고압의 증기를 터빈내에서 팽창에 의
한 열낙차로 전력을 생산하고 터빈 마지
막 단에서 배출되는 배압증기는 생산공
정 또는 지역냉난방에 필요한 증기의 압
력에 의해 결정된다.
배압터빈방식은 배압증기의 양에 따라
전기출력이 결정되게 되므로 열부하의
변동이 적고 전력수요와 열수요가 평행
하게 변하는 경우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나) 추기배압터빈 방식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3/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배압터빈방식과 유사하며 생산공정 또는


지역냉난방에 필요한 2종류의 일정압력
의 증기를 필요로 할 경우 이용하는 방
식으로 추기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추기량
이 없는 배압터빈 형식보다 전력과 열의
제어가 용이하며 일정한 압력의 공정용
증기를 필요로 하고 열부하가 높은 산업
체에 공정용 증기를 공급하는 경우 가장
경제적인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다) 추기복수터빈 방식

이 방식은 터빈에서 팽창하는 증기의 일


부를 추기하여 열원으로 사용하고 잉여증
기를 복수터빈으로 보내 전력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추기 복수터빈방식은 추기량과 복수량을
조절할 수가 있으므로 전력과 열의 제어
에 있어 넓은 범위에 걸쳐 조절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나 배압터빈방식에 비하여 효
율이 낮으며, 추기단수는 1, 2, 3단 등으로
하여 여러 압력의 증기를 추출할 수 있어
각기 다른 압력의 열원을 필요로 하는 여
러 생산공정에 적합하다.

     (라) 배압터빈과 복수터빈 조합방식


배압터빈과 복수터빈의 특징을 동
시에 확보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복
수터빈 앞에 설치되어 있는 배압터
빈의 배압증기를 이용하여 열원 공
급도 하고 복수터빈도 가동시키는
방식이다.
열부하가 적고 전력부하가 큰 하절
기에는 복수터빈까지 운전함으로써
전력생산을 늘릴 수 있고 열부하가
큰 동절기에는 배압터빈만을 운전
함으로써 높은 열부하를 감당할 수
있어 에너지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
는 최적의 방식이다.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4/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 증기터빈 형식별 특징 비교 >


구  분 특      징 비  고

○설비가 간단하여 초기투자비가 저렴하다.


○다음의 경우에 배압터빈 방식 적용시 유리하다
  -전기수요와 열수요가 평행하게 변하는 경우
  -열부하가 일정하고 단일압력의 저압증기가 필요한 경우
배압터빈 ○열전비는 터빈제작시 배기압력에 의해 결정된다.  
  -운전중 열공급량과 전기출력의 비율조정이 어렵다.
○지역난방용 열병합설비로 채택시 설비이용율이 낮아진다.
  -열부하가 크게 감소되는 하절기에는 터빈 배기열 처리가
   곤란하므로 운전이 불가능하다.

○사용증기 압력이 2종류 이상일 경우에 적용된다.


  -열부하율이 높은 산업체의 공정열 공급시 경제적이다.
  -지역난방과 같이 열부하율이 낮을 경우는 설비 이용율이
추기배압터빈    떨어진다.  
○추기량을 조정할 수 있어 약간의 열전비 조절이 가능하다.
○1단 추기 또는 2단 추기가 주로 적용되며 시스템 제어가
  배압터빈보다 조금 복잡하다.

○추기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전기공급과 열공급을 넓은


  범위에 걸쳐 제어할 수 있다.
  -열부하의 변동이 있어도 설비 이용율이 높다.
추기복수터빈 ○여러종류의 증기압력 필요시 유리하며 필요한 압력단에서  
  추기하여 열부하를 담당한다.
○복수설비를 설치해야 하므로 초기투자비가 많이 든다.
○열효율은 배압터빈이나 추기배압터빈 방식보다 낮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두 터빈의 독립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배압터빈과 복수터빈 사이에 동기클러치(Synchronous
   Clutch) 설치또는 축을 분리하여 각각의 터빈에 발전기를
   각각 설치
○열전비 변화폭이 큰 산업체나 지역난방공급용에 적합하다.
배압식과 복수
○계절의 변화가 뚜렷한 우리나라 지역난방용 열공급에 적합하다.  
식의 조합
  -열부하가 적고 전력부하가 큰 하절기에는 복수터빈까지
   운전하여 전력생산을 최대로 한다.
  -열부하가 큰 동절기에는 복수터빈은 정지하고 배압터빈만
   운전하여 열공급을 많이 한다.
○설비 및 운전방법이 복잡하다.

    2) 가스터빈 방식
가스터빈은 근래에 와서 급속히 고온, 대형화되고 있으며 냉각수가 거의 필요 없으며 운전 적
응성과 기동정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어 열병합발전방식으로 채택이 늘고 있다.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5/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가스터빈은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한 후 연소기에서 고온 고압의 가스를 만들어 가스터빈을 가


동하면 500-600℃의 고온 배기가스가 대기로 배출된다. 배기열 손실이 60-70% 정도나 되므로
배열을 회수하기 위하여 배열회수보일러를 설치하고, 보통 증기터빈과 조합하는 방식(복합방
식, Combined Cycle)이 이용되어 진다.

지역난방용으로 가스터빈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배열을 회수하여 이용하는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 가스터빈과 배열회수보일러(HRSG)를 조합하는 방식
  - 가스터빈과 배열회수보일러(HRSG) 및 배압터빈을 조합하는 복합방식
  - 가스터빈과 배열회수보일러(HRSG) 및 배압복수터빈을 조합하는 복합방식

 
<가스터빈과 배열회수보일러 조합>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6/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가스터빈과 배열회수보일러 및 배압터빈 조합>

 
<가스터빈과 배열회수보일러 및 배압복수터빈 조합>

 
   다. 열병합발전 형식선정 일반기준
열병합발전 형식 및 용량은 열공급 사업의 경제성에 직접 영향이 미치기 때문에 그의 계획에
있어서 충분히 열부하의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해야 한다.
아울러 집단에너지사업법 시행령 제2조 [사업의 구분 및 기준] 2항 2호에서 “열과 전기를 사용
자에게 공급하는 경우에는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하는 시설의 열생산용량이 전기생산용량
보다 커야 한다.” 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선정 하여야 한다.
 
                 열생산 용량(Gcal/h, Heat)
열전비 = ------------------------
                 전기생산 용량(Gcal/h, Elec.)

 <참고자료>
1. 국내 지역난방 열병합발전설비 최적용량 선정연구
지역난방사업에 가장 적합한 열전비는 열과 전력의 열량단가를 분석하여 경제
성이 우수한 에너지생산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
직하다. 최적 열원방식과 열생산용량배분은 지역난방부하 특성에 따라 변화하
며 총투자비, 열요금단가, 전력요금단가 및 연료단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연구에서는 열병합발전설비를 배압터빈방식으로 선정하는 경우 최대공급
열부하 대비 열병합발전설비 열생산용량 비율이 25% 내외, 복수방식의 경우는
35~40% 내외인 열용량 분배가 가장 경제적인 지역난방 열원설비 구성으로 분
석되었으며, 경제성 측면에서 내부수익율은 복수터빈 방식이 배압터빈 방식 대
비 약 1% 가량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1996, 한국지역난방기술(주) 차장 채동식>
2. 외연기관 (증기터빈 열병합발전설비) : 공급열매체가 온수일 경우
  ① 열(Q1, kcal/h) = (h2 - h1) x V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7/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 h2 는 열교환기출구의 공급열매체(온수)의 엔탈피(k㎈/㎏를 단위로 한다)


  - h1 은 열교환기입구의 회수열매체의 엔탈피(k㎈/㎏를 단위로 한다)
  - V 는 열교환기출구의 가열된 공급열매체의 양(kg/h를 단위로 한다)
  ② 전기(Q2, kcal/h) = (K - K') x 860
  - K 는 정격설계부하(시간당 최대열생산부하 : MCR)시의 열병합발전기 출력
    (kW를 단위로 한다)
  - K' 는 소내소비전력(kW를 단위로 한다)
<열생산용량 및 전기생산용량 계산방법 : 산업자원부 고시 제2001-47호>
 

   라. 열병합발전 운전(분당복합)

    1) 운전모드 Ⅰ (열부하 추종운전)

 
 
 
    2) 운전모드 Ⅱ (가스터빈 단독운전)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8/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3) 운전모드 Ⅲ (전기부하 추종운전)

    4) 운전모드 Ⅳ (최대열부하 추종운전 : ST 정지)

    5) 운전모드 Ⅴ (열부하/전기부하 혼합운전)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9/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 운전모드별 비교 >
열부하 추종운전 전기부하 추종운전
구  분 Ⅰ Ⅳ Ⅱ Ⅲ
정상 운전 S/T 바이패스 가스터빈 단독 복수터빈 운전
춘추기에 지역 비상시 또는
가스터빈 전력부하
계통운전 난방 열부하에 지역난방 최대
단독운전 추종운전
따른 추종운전 열부하시
가스터빈 ○ ○ ○ ○
배열회수보일러 ○ ○ × ○
고압터빈 ○ × × ○
저압터빈 × × × ○
전기출력(MW) 541.0 385.0 392.6 586.6
열 (Gcal/h) 430.3 546.7 0 0
열효율(%) 77.0 75.5 29.0 43.4
 주 1. 분당복합화력 열수급계약서 기준(제1발전)
    2. 연료량은 89,480 kg/h(89,480×13,000=1,163 Gcal/h)

 참고자료 : 열병합 발전시설 현황

 가. 우리공사
구  분 단위 대  구 수  원 청  주 비  고
보 형  식 - 자연순환 자연순환 자연순환  
일 주 증발량 ton/h 176 185 260  
러 증 압력 kg/㎠g 106 106 106 과열기
기 출  구
℃ 535 535 535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10/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온도
B.C유 LSWR LSWR 설  계
주연료 -
(〃) (〃) (B.C유) (사  용)
제작사 - 대우중공업 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  

형  식 - 추기복수 추기배압 추기배압 충동터빈

전기출력 MW 38.3 40.1 58.2 발전단

열출력 Gcal/h 72.8 71.4 100.6 100/65℃


터 회전수 rpm 3,600 3,600 3,600  
빈 추기단수 - 4 5 5  
주 압력 kg/㎠g 101 101 101
증 터빈입구
기 온도 ℃ 530 530 530
제작사 - KHIWASAKI MITSUBIHI MITSUBIHI 일  본

형  식 - GENROU GENROU GENROU 원통형

발 용  량 MVA 48.889 48.000 68.222  


전 전  압 kV 13.8 13.8 13.8  

역  률 % 90 90 90  
제작사 - GEC-Aslthom BRUSH MELCO  
보일러 % 88.7 88.3 88.1 열손실법
효율 발  전 〃 26.5 27.5 28.4 발전량÷입열량

종  합 〃 84.9 84.5 85.4 출력계÷입열량


 * 자료출처 : 인수성능시험 결과보고서(설계기준)

 나. 발전회사

    ○ 서울화력 : 중부발전(주)


구     분 4호기 5호기 계 비    고
열출력 (Gcal/h) 129 258 387
 
전기출력 (MW) 137.5 250 387.5
설치년도 1971. 4 1969. 4 -  
보일러 FW MHI -
제작사 터  빈 GE MHI - Fuel : LNG
발전기 GE MELCO(일) -

   ○ 분당복합화력 : 남동발전(주)


구     분 기존 증설 계 비    고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11/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열출력 (Gcal/h) 430 267 697 Mode 1기준


계 598 340 900
전기출력
G/T 75×5 75×3 -  
(MW)
S/T 185×1 115×1 -
G/T 1992. 6 1995. 6 -
설치년도  
S/T 1993. 9 1997. 3 -
제작사 ABB ABB - Fuel : LNG, D.O

   ○ 일산복합화력 : 동서발전(주)


구     분 기존 증설 계 비    고
열출력 (Gcal/h) 476 238 714 Mode 1기준
계 600 300 900
전기출력
G/T 100×4 100×2 -  
(MW)
S/T 200×1 100×1 -
G/T 1993. 2 1995. 6 -
설치년도  
S/T 1993. 11 1996. 3 -
G/T WH WH -
제작사 Fuel : LNG, D.O
S/T MHI MHI -

  3. 지역난방
   가. 개  요
지역난방은 일정지역내에 있는 아파트, 주택, 상가, 사무실 등 각종 건물에 개별 열생산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집중된 대규모 열원시설에서 경제적으로 생산된 열(온수)을 매설된 열배관을
통하여 일괄적으로 공급하는 난방방식을 말한다.
지역난방 시스템은 열병합발전소 등 첨단 오염방지설비가 완비된 대규모 열생산시설에서 경제
적으로 생산된 열(온수)을 대단위지역에 일괄적으로 공급하는 도시기반 시설로써 기존의 난방
방식에 비하여 에너지절약과 오염물질 감소효과가 우수한 선진 난방시스템으로 자리 잡고 있
다.

지역난방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은 크게 열원시설, 열수송시설, 열사용설비로 구분되며 열원시


설과 열수송시설은 열공급시설이라 한다. 열원시설에는 열병합발전소, 열전용보일러, 자원회수
시설 등 열을 직접 생산하는 시설과, 비상시 또는 첨두부하시 활용할 수 있도록 온수를 저장하
는 축열조 및 열의 생산과 관련이 있는 설비로 구성되며, 열수송시설로는 열생산시설로부터 생
산된 온수를 사용자에게 수송하는 열배관과 순환펌프, 기타 열의 수송 또는 분배와 관련있는
설비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열사용설비는 지역난방의 사용을 위한 시설로서 사용자의 관리
에 속하는 시설로서 열교환기, 흡수식 냉동기 등이 있다.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12/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나. 지역난방 역사
    1) 우리나라 난방방식의 변천
1950년대 이전 농림부산물 또는 장작
1960년대 초반 단독주택 무연탄 개별난방
         후반 아파트 무연탄 개별 난방
1970년대 초반 아파트 대량 보급, 중앙난방(석유 또는 중유)
1985년 지역난방 도입
1980년대 후반 도시가스 개별난방 도입
1990년대 초반 신도시개발, 지역난방 확대 보급

    2) 유럽의 지역난방


①시초
1896년 독일 함부르크(Hamburg) 시청이 부근 포스트스트라세(Poststrasse)발전소에서 생산되
는 증기를 난방에 최초로 이용
② 발전과정
 - 1950년대 2차대전 종전이후 복구과정에서 대규모 아파트단지 조성으로 지역난방 기반 마련
 - 1970년대 오일쇼크로 인해 선진국들은 에너지절약 정책 시행
 - 1990년대 이후 환경인식 제고로 지역난방 보급 확대
③ 보급현황
구  분 보급률(%) 구  분 보급률(%)

아이슬랜드 86 체  코 32

덴마크 48 루마니아 30

핀란드 49 불가리아 19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13/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스웨덴 38 헝가리 16
러시아 70 독  일 12

오스트리아 16 폴란드 52

한  국     9.0 (총 가구수 12,090천호 대비 1,083천호 공급)


    * 자료원 : Euroheat & Power, unichal, 2001 survey

    3) 한국의 지역난방 역사


1970년 오일쇼크시 중동의 석유를 에너지원으로 하고 있던 선진국들은 큰 충격을 받았으며, 이
에 대한 대책으로 에너지 사용량 절감 및 효율개선, 대체에너지 개발, 석유 개발 적극 참여 등
의 대응책을 마련하여 시행하였다.
그러나 고도화 산업사회, 쾌적한 생활추구 등으로 에너지사용량 절감 정책은 곧 한계에 이르렀
으며, 이에 따라 저에너지 사용 산업구조로의 전환, 에너지 고효율 기자재 개발 등으로 정책을
전환 하였다. 특히, 전력 및 냉난방 등 기초 생활 필수 에너지의 효율개선 요구 및 환경보존 요
구 등을 충족시키기 위해 서구 선진국들은 지역난방 방식의 보급을 확대적용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경제는 1970년대의 제1, 2차 오일쇼크로 인하여 막대한 에너지비용의 부담을 짊어지
게 되었으며, 이러한 에너지비용의 과중한 부담은 국민경제에 커다란 악영향을 끼쳤고, 이에 정
부는 에너지 소비증가에 대한 다각적인 에너지 절약시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에너지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및 절약시책의 일환으로 정부는 지역난방의 도입을 추진


하게 되었으며, 1970년대 말부터 열병합발전에 의한 지역난방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와 서울화
력발전소의 열을 활용한 지역난방 종합에너지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는 등 지역난방 도
입에 대한 검토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우리나라는 인구밀도가 평방킬로미터당 약 480명으로서 지역난방이 발달한 덴마크 124명, 핀
란드 15명, 스웨덴 19명, 독일 230명 보다 훨씬 높고, 특히 도시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어 에너
지 사용밀도가 높고 특정지역에서 에너지를 집중 사용하므로, 타 선진국에 비해 지역난방 공급
을 통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천혜의 여건을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역난방은 1981년도에 서울화력발전소를 열병합발전방식으로 개조하여 남서울지


역(여의도, 동부이춘동, 반포)에 열공급하는 남서울지역난방 사업의 타당성 검토로부터 시작되
었으며, 이를 계기로 1985년 11월  열병합발전소 및 쓰레기 소각로에서 생산된 열을 활용하여
서울시 목동, 신정동 지역 약 2만 세대에 지역난방을 공급하게 되었다.
지역난방 방식이 기존의 중앙집중식 난방방식에 비하여 에너지효율 및 대기공해 방지 측면에
서 우수성이 입증되자 정부에서는 지역난방 사업도입 및 확대보급 추진을 위해 1985년 11월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전신인 한국지역난방주식회사를 설립하였고,

1987년 11월 한국전력공사의 서울화력발전소를 복수배열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개조하여 여의


도, 동부이촌동, 반포지역 등 남서울지역 약 4만 세대에 지역난방을 성공적으로 공급함으로서
한국에서도 지역난방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14/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1989년도에 부동산가격이 폭등하게 되자 정부는 수도권 5개 신도시(분당, 일산, 평촌, 산본, 중


동)에 200만호 주택건설 계획을 발표하였고, 난방방식은 남서울사업의 성공으로 에너지절약
및 환경개선 효과가 입증된 지역난방 방식을 도입함 따라 한국의 지역난방 사업은 획기적인 전
환기를 맞이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는 지역난방사업의 확대보급 및 지속적인 주택보급 정
책으로 지역난방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지역난방 사업은 건설초기에 주요시설이 집중 배치되므로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는 반면, 수요


는 점진적으로 개발되어 초기 자금조달이 곤란하며, 사업의 성격이 전기, 수도 등과 같은 공익
사업임을 감안하여 지역난방 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정부에서는 1991년에 집단에너지사
업법을 제정 지역난방 사업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한국지역난방주식회사를 공
공특별 법인인 한국지역난방공사로 변경 전담주체로 삼게 되었다.

  한편, 한국정부의 환경처에서 1990년도부터 수도권지역을 중심으로 청정연료를 사용하도록


하는 규제고시를 시행하였고, 지역난방 공급지역에서 가까운 평촌, 산본, 강남, 서초 등 기존지
역 아파트의 경우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연차별로 B-C유 연료에서 LNG 연료로 전환해야 되는
시점에 있었으며, 또한 지역난방의 우수성도 알려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 지역 아파트 단지에
서는 LNG로 개체하는 것 보다는 지역난방으로 전환하겠다는 요청을 관계부처에 제기, 한국지
역난방공사에서 이들 지역에 지역난방을 공급하게 되었다.

신도시 5개지역 및 기존지역의 사업은 동시에 추진되었을 뿐만 아니라, 최초 입주시기에 맞추


어야 하는 공사기한의 제한등 많은 어려움이 따랐으나 남서울 사업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예
정된 시기에 차질 없이 지역난방열을 공급함으로서 지역난방 사업의 기틀을 맞이하게 되었으
며, 1995년 대구 달서지구 열공급을 시작으로 수원, 청주, 김해, 양산지역으로 지역난방 보급지
역을 확대하였고, 1996년 부산시의 부산지역 지역난방 공급 등을 포함 지역난방이 전국적으로
보급되게 되었다.

   다. 지역난방의 효과
①에너지이용 효율향상에 의한 에너지절감(20~30%)
② 연료다원화에 의한 석유의존도 감소 및 미활용에너지 활용증대
  - 자원회수시설의 폐열, 매립가스(Land Fill Gas) 등
③ 24시간 연속난방에 의한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
④ 연료사용량 감소 및 집중적인 환경관리에 의한 대기환경 개선
⑤ 수도권 열병합발전소 건설로 발전소 부지난 해소 및 송전손실 감소 기여
⑥ 지역냉방 공급을 통한 하절기 전력 첨두부하 완화에 기여

   라. 한국 지역난방의 발전방향 및 기술개발


정부는 2006년까지 2002년 대비 36.5% 증가한 총 159만호로 지역난방 공급대상 가구수를 확
대하여 총가구수의 11.3%가 지역난방 혜택을 받도록 할 계획이며, 2010년에는 총 200만호 공
급을 목표로 확대보급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15/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정부는 '수도권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을 통해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배출허용총량제 및


배출권거래제 시행 등의 정책을 시행할 예정으로 이에 따라 수도권에 대한 지역난방 보급이 확
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열병합발전소는 열공급이라는 특성상 도심에 위치할 수밖에 없어 청정연료를 사용해야 함에도
전력시장에서 저급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시설과 가격경쟁을 해야 한다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생
각한다.

열병합발전의 에너지절약 및 환경개선효과, 분산전원 역할을 통한 전력공급 안전성 제고, 에너


지부하가 많은 도심에 발전소를 건설, 계통에 기여하는 등 유형 및 무형의 외부효과가 시장에
제대로 반영될 수 있도록 전력시장설계가 개선되어야 하고, 정부에서도 에너지절약 및 환경개
선 효과가 있는 열병합발전에 대한 세제지원 등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하다고 본다.
지역난방의 개념은 원래 그 지역의 토착연료를 사용, 지역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며,
다양한 연료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열병합발전 방식이 발달 하였다. 유럽 선진국의 경우
각 나라의 연료시장 여건에 따라 지역난방 연료로 석탄, 석유, 천연가스등 화석연료뿐 만 아니
라, 쓰레기, 우드칩,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나, 한국의 경우 쓰레기
매립가스 및 소각열만이 일부 사용 되고 있다. 에너지 부존자원이 전무한 한국에서도 총 배출
량 한도내에서 다양한 연료 사용이 가능토록 정책개선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외국
처럼 탄소세 및 환경세 도입 등 세제개편을 통해 환경친화적 연료사용 시설에 대해 지원하는
것도 효과적인 정책이라고 생각된다.

정부에서는 현재 대체에너지개발 보급 및 이용촉진법을 통해 대체에너지 기술개발 및 활용 산


업을 적극지원하고 있다. 이에 지역난방 분야에서도 대체에너지를 이용한 지역난방 보급 기술
을 적극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어느 산업분야가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기술 확보가 무엇보다도 중


요하다. 선진국에서는 대규모 지역난방뿐만 아니라 주택, 건물들을 대상으로 10MW이하의 소
형 열병합발전설비를 활용한 소규모 지역난방의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도 소규
모 지역난방의 활성화를 위하여 소형 열병합발전설비 제조 및 보수기술 자립, 운전기술 표준화
등이 시급하고, 경제성 확보를 통한 확대보급을 위해 연료규제완화 및 사용연료 세제지원, 생산
전력 우선구매 등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열병합발전설비를 활용한 지역난방의 활성화를 위해 여름철 냉방사용을 통한 설비이용


율 제고 노력을 경주해야 하며, 이를 위해 온수를 이용한 냉동기술 발전 및 신기술개발, 운전기
술 향상 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외에도 열생산 및 열수송 시설 건설관련 기술을 지속적으로 제고, 경제성 및 안전성을 향상
시켜야 하겠으며, 효율적인 운전노하우를 축적해야 하겠다. 사용자 기술제고에도 노력을 기울
여 고객만족을 통해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개선시키는 것도 지역난방 활성화를 위해 빼놓을 수
없는 과제라고 생각한다.

   마. 지역난방시스템의 구성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16/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지역난방시스템은 열을 생산, 수송, 분배하는 열공급시설과 열을 사용하는 열사용설비로 구성


된다.

    1) 열원시설
열원시설로는 에너지 이용효율이 높은 열병합발전시설, 열만을 생산하는 열전용보일러 및 쓰
레기 연소열을 이용하는 쓰레기소각로 등이 있으며, 기저부하와 중간부하는 열병합발전시설
및 쓰레기소각로가 담당하고, 겨울철 첨두부하 및 비상시는 열전용보일러를 활용한다.

    ○ 열병합발전시설
열병합발전은 동일한 연료를 사용하여 열과 전기를 동시에 생산하는 종합에너지시스템으로서,
일반적으로 고온부는 전력, 저온부는 공정열로 사용하며 일반기력발전에 비해 에너지절감 및
환경개선효과가 크다.

    ○ 열전용보일러
지역난방용 열을 생산하는 보일러로써 증기보일러와 온수보일러, 이동식보일러가 있으며, 우리
공사는 연료로 저황왁스유(LSWR), B-C유, LNG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외국의 경우 석탄을 사용
하는 곳도 많다.

    ○ 축열조
축열조는 축열조 수두압을 이용하여 지역난방 배관망에서의 증발(Vaporizing)을 방지하고 배관
내 온도에 의한 비체적 변화에 따른 온수의 팽창, 수축량을 감당하는 팽창탱크 기능을 갖고 있
으며, 일일 열부하변동에 따라 부하가 낮은 시간대에 잉여열을 축열한 후 부하가 높은 시간대
에 방열할 수 있으므로 열생산설비의 규모 축소가 가능하다.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17/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 쓰레기 소각로


쓰레기를 소각하여 부산물로 발생되는 증기는 증기터빈을 설치하여 전력을 생산하거나 열병합발
전에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쓰레기 질에 따라 생산열량이 일정치 않고 열량자체도 많지 않아
일반적으로 지역난방의 기저부하로 이용된다.

    2) 열수송시설
열수송시설은 순환수펌프, 열배관망, 가압장설비 등으로 구성된다.

    ○ 순환수펌프
지역난방 순환수펌프는 사용자측 부하변동에 따라 추종운전이 가능하여야 하므로 변속펌프를
사용하고, 순환수펌프의 양정은 설계최대부하시 최대유량 공급조건으로 가장 말단사용자에 최
저차압(△P=1.0 Kg/㎠)이 형성되도록 선정하며 배관 설계압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운전한다.
 
 
    ○ 열배관
① 지역난방용 열배관 구조
지역난방용 열배관은 공장제작된 이중보온관으로 내관은 강관, 보온재는 경질 폴리우레탄폼,
외관은 고밀도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며, 내관, 보온재 및 외관은 Bonded System(일체형구조)
구조로 이루어진다. Bonded System이라 함은 지역난방용 도관내 보온재의 접착력으로 인해
열배관내 강관과 보온재 및 외관을 일체형구조로 결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열배관은 지역난
방수의 온도변화에 따라 강관에서 발생하는 열팽창력(축응력)이 매우 커서 대형관의 경우 수백
톤에 이르게 되며, 일정 직선구간에서는 흙과의 마찰력에 의해 거동이 억제되어지나 곡관부 끝
단에서는 마찰력을 이기고 거동을 하게 된다. 이때 거동구간내에서 강관의 움직임에 따라 보온
재 및 외관이 강관과 일체형으로 움직임여야 함에 따라 열배관이 Bonded System 구조로 제작
되어져야 함이 매우 중요하게 된다.

<설계조건>
 ○ 설계온도 : 120℃
   (온도범위 : 10~120℃)
 ○ 설계압력 : 16 kg/㎠
   (압력범위 : 2~16 kg/㎠)
 ○ 보장수명 : 30년 이상

② 열배관 감시시스템
매설된 열배관의 이상 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열배관 내부에 감지선을 설치하고 전기
적인 방법으로 배관의 이상 유무를 감시하는 장비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18/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 가압장 설비
열공급 대상지역이 열원에서 장거리인 경우 열원의 순환펌프 양정으로는 제한이 따르기 때문
에 가압펌프 설비가 필요하며, 연계공급을 위해서도 가압펌프를 설치 운용하고 있다.

<가압펌프에 의한 직접 연계>

    3) 열사용시설
열사용시설로는 지역난방열을 받아들일 수 있는 사용자열교환기, 유량조절을 원활히 할 수 있
는 차압자동조절밸브, 난방 및 급탕 순환펌프, 배관수의 저장 및 보충을 위한 팽창탱크 등으로
구성된다.
 - 1차측 : 열배관을 통하여 사용자 시설까지의 수송 및 분배배관
 - 2차측 : 열교환기를 거쳐 사용자와 연결되는 부분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19/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급탕 2단 계통도>

   바. 지역난방시설의 운영
열원설비의 운영은 연간열부하, 월간열부하, 일일열부하등을 고려하여 가장 경제적으로 열원설
비를 운영하여 열공급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열생산의 경제성을 고려하여 생산단가가 저렴한 소각로, 열병합 발전설비, 열전용 보일러
(LSWR 또는 B.C), 열전용 보일러(LNG)순으로 설비를 운전한다.
또한, 지사간 잉여열을 연계함으로써 저가의 여유열을 최대한 활용하여 시설의 이용율을 높이
며, 경제적인 운전을 도모하고 비상시에도 열공급의 안정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 기본설계기준 외기온도가 0℃이하일때 중온수의 공급온도는 120℃, 회수온도는 65℃이며


외기온도가 16℃이상일때의 급탕을 위한 중온수 공급온도는 80℃, 회수온도는 50℃이고 외기
온도가 27℃이상일때의 냉방을 위한 중온수 공급온도는 95℃, 회수온도는 80℃ 이다.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20/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 단위 열교환설비의 1차측 설계온도 및 압력기준(열사용시설기준)


    
설계온도(℃)
구   분 설계압력(bar)
공급 회수
난방열교환기 115 65
일반 75 35
급탕열교환기 재열 75 55 16
(1bar=1.0197kg/㎠)
예열 55 35  
1단 95 80
흡수식냉동기
2단 95 55
 

 
○ 연간 기준 열공급 방법
   계절변화에 따른 외기온도 변화 폭에 대응하도록 변온도 변유량 방식을 선정

 
 주. 공급부하율(%) = 공급열부하(Gcal/h)÷연결열부하(Gcal/h)×100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21/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 차압제어 방식
열원설비에 생산된 열이 지역난방계통 각 지역의 수용가에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
하여 열공급 지역내의 말단 사용자 기계실의 최소 차압은 최대 열부하시 10mH2O이다.

* 차압유량조절밸브(PDCV : Differential Pressure Control Valve)


① 목  적
지역난방 시스템에서는 근거리나 원거리에 있는 부하가 하나의 열원설비에 의존하게 되어, 가
까운 부하 쪽에는 불필요하게 과도한 유량과 압력차가 걸리게 되고 먼 곳의 부하에는 낮은 유
량과 압력차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분기관 기계실내 차압을 1차측 압력이나 유량변동에 관계
없이 요구되는 차압범위로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1차측에 밸런스를 유지시키고 2차측을 안
정된 제어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설치한다.

② 구조 및 원리

 
밸브 Seat(1)과 Plug(2) 사이로 중온수가 흐르고 부하전(4)과 부하후(5)의 압력이 Diaphragm(3)
의 상하부에 각각 전해지며 이들이 Plug의 위치를 결정해주는 힘이 된다. 이 힘은 Spring(6)과
평형을 이루면서 Plug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들어 (4)와 (5)사이의 압력차를 0.7㎏/㎠로 유지하려고 할때 다이아프램(3)의 면적이 314㎠
라 하면 220㎏에 해당하는 Spring의 압축력으로 평형이 되도록 Spring(6)을 조정하면 된다. 역
으로 설명하면 314㎠의 Diaphragm  면적을 가진 차압유량조절밸브에 220㎏으로 Spring 압축
력을 조정하면 부하전(4)와 부하후(5) 사이에 0.7㎏/㎠의 압력차(△P)를 유지하게 된다.
즉, F(힘) = P(압력) x A(면적)의 이론식으로 차압유량조절밸브의 기본원리이다.

③ 실제 시스템에서 차압유량조절밸브의 작동원리

 A. 차압유량조절밸브 미설치시 난방시스템


단독보일러와 단독펌프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이 시스템을 설계하는 사람은 최적 용량의 보
일러와 펌프로 적용 설계하였을 것이다. 이경우 양정을 0.7bar 로 하고 유량을 최대 30㎡/hr로
설계가 되었다면 그림과 같을 것이다.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22/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이에 비하여 중앙난방시스템에서 주펌프를 8bar인 것으로 가정하고 임의 분지점 A는 Pump에


서 가까운 지점에 있다고 가정하고 공동구 배관에서 0.5bar의 압력이 손실되며 분지점 A에서
의 차압을 5bar로 가정해 볼떄 이 분지점은 많은 유량을 흡수하기 때문에 다른 분지점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볼수 있다.

B. 차압유량조절밸브 설치시 난방시스템


차압유량조절밸브는 부하가 필요로 하는 차압 0.7bar 를 설정하고 차압 0.7bar에서 30㎡/hr의
유량을 통과시키는 밸브를 선정 적용하면 차압유량조절밸브는 C의 압력 2.5bar를 감지하고 부
하에서 필요한 차압 0.7bar만큼 높은 3.2bar를 부하의 전인 D 지점에 유지시키는 것이다.
이로써 부하는 중앙난방설비에 연결되어 있으나 그것이 받는 차압은 0.7bar로서 마치 개별펌프
를 적용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냉각탑
   가. 개  요
발전소 냉각수는 크게 주 냉각수와 보조 냉각수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주 냉각수는 통상적으
로 일컫는 복수기 순환수로서 거의 해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일부는 하천수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발전소가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내륙에 건설되어 충분한 양의 냉각수 공급이 어
려운 경우나 수자원보존을 위해 온수배출이 제한되는 경우는 냉각수를 자체 순환시켜 다시 사
용해야 한다.

   나. 냉각원리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냉각탑은 공기를 매체로 이용하여 냉각수를 냉각시킨다.
냉각탑에 유입된 물은 탑의 상부에서 균일하게 분배되어 상승하는 공기층 속으로 물방울상태
로 흘러내리며 열교환이 일어난다.
 ○ 물과 공기의 온도차에 의한 현열(顯熱)교환 : 전체 열용량의 20~25%
 ○ 물의 증발작용에 의한 잠열(潛熱)교환 : 전체 열용량의 75~80%

   다. 냉각탑 종류
통풍방식 Fan Draft 중소형 발전소 냉각탑에 적용
기계통풍
(유입통풍,강제통풍) 자연통풍식보다 낮은 온도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23/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자연통풍 Stack Draft(높은 구조물) 대형발전소 냉각탑에 적용


냉각효율이 좋고 일정량의
습식 냉각수와 공기의 직접접촉
보충수 필요
Finned Tube를 통한 최소의 보충수로 운전 냉각
냉각방식 건식
공기와의 간접접촉 효과가 작아 큰 냉각탑 필요
하절기 냉각효과 제고 가능
혼합 직접 및 간접접촉 혼용
동절기 Plume 억제에 유리

   
<자연통풍식> <기계통풍식>

   라. 냉각탑 Plume 발생억제

    1) 냉각탑 Plume에 의한 환경영향


복합화력은 한정된 냉각용수를 재이용하기 위하여 대형 냉각탑설비를 운영하고 있다. 복수기
폐열을 대기로 방출하기 위하여 많은 양의 냉각수가 연속적으로 증발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환
경적인 영향요인은 가시배출증기, 비산침적, 안개발생, 서리결빙현상 등이 있다.

    ○ 가시배출증기
냉각탑 운전중 가장 쉽게 확인가능한 부산물은 아마도 가시배출증기일 것이다. 따뜻하고 습한
냉각탑의 유출물이 대기로 방출될 때,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방울을 형성한다. 그 결과로 불투명
한 배출증기가 탑으로부터 방출된다. 이런 형태의 배출증기는 모든 기상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
으나, 특히 저온다습한 계절에 심해진다. 결국 가시배출증기의 길이는 50Km나 그 이상까지 이
를 수 있다.

    ○ 비산침적
냉각탑에서 방출되는 수증기와 더불어 비산하는 미세한 물방울도 대기로 방출된다. 비산은 탑
에서 물방울의 형태로 빠져나와 순환하는 복수기 냉각수이다. 이물방울들은 탑으로부터 나가
대기흐름으로 들어가게 된다. 대개 물방울들은 포물선 궤적을 그리게 되고, 큰 물방울들은 냉각
탑 주위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배출증기가 비산된 물방울에서 수증기의 응축으로
부터 생긴 물방울들은 순환수와 같은 용해된 고형물을 함유한다. 비산에는 전형적으로 Sulfate,
Calcium, Magnesium, Sodium, Carbonate, Chloride 등을 포함한다. 때로는 다른 화학물질이
순환수에 포함되어 스케일이나 부식, 미생물의 성장을 초래하기도 한다. 냉각탑 주위에 위치한
발전소 시설물들에 대해서는 융해된 고형물들이 침적되고 부식문제를 일으킨다. 염부산물은
식물에 해를 끼치기 때문에 성장이상과 잎에 피해를 준다.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24/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 안개발생과 결빙현상


빠른 풍속이 있을 주기에는 대기의 유동이 냉각탑 배출증기를 하향조정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수평적인 대기 유동효과와 냉각탑의 구조는 다운워싱이라 불린다. 만약 가시배출증기가 지표
방면으로 생긴다면 안개가 생긴다.
기계통풍방식의 냉각탑에서는 이런 다운워싱 효과와 결과적으로 생기는 안개가 전형적으로 강
한 바람과 높은 습도,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발생하게 된다.
광범위한 서리 결빙이 주위의 온도가 빙점이하로 내려가면 냉각탑 부근에서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2) 냉각탑 Plume 발생 억제방안


    ○ 습건식 혼합형 냉각탑 운용
습건식 혼합형 냉각탑은 습식 냉각탑에서 사용되는 충진재와 건식 열교환기를 같이 사용하고
있으며, 기후에 따라 동시 또는 각각 운전하는 냉각탑을 말한다. 다시말해 여름철과 같이 기온
이 높은 경우 또는 부하가 많이 걸릴 경우에는 열의 방출 효과가 좋은 습식운전을 한다. 겨울철
과 같이 기온이 낮아 냉각탑에서 나오는 Plume이 기후에 영향을 줄 경우에는 습식과 건식을
혼합운전함으로써 Plume의 습도를 낮추거나, 건식운전만을 함으로써 수분을 포함한 Plume의
배출을 억제하는 냉각탑을 말한다. 이 방식의 냉각탑은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습식 냉각
탑에 비해 기후 및 날씨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며, 사용되는 물의 양도 상당량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방식은 종래의 습식 냉각방식을 그대로 쓰지만, 냉각수를 먼저 건식 열교환기를 이용해 수
온을 낮춘 후, 습식 충진재에 통과 시킴으로써 증발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건식 열교환기를 통과한 고온 건조한 공기는 습식 충진재를 통과한 다습한 공기와 혼합되
어, 배출됨으로써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건식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
기의 양과 습식 충진재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Plume을 눈에 보이지 않
게 하거나, Plume이 주위의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 냉각탑의 운전조건 최적화

옆그림은 유량 28,660㎥/h를 사
용하고 건식과 습식방식 모두를
최대한 사용할 때 기온 16℃, 상
대습도 70%와 같은 조건을 나타
내는 점들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운전조건과 냉각범위
(12.8℃)를 변화시키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기온 20℃와 상대습도
78% 조건에서는 Plume이 보이지
않으나, 기온 20℃와 상대습도
80%일 때는 Plume이 보인다.

 참고자료 : 국내 지역난방 보급현황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25/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년도별 보급실적(누계)
지역난방은 2003년말 현재 1,251천호에 보급됨으로써 총 주택 12,360천호 대비 10.1%의 보급
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우리공사는 727천호로서 전체 지역난방 공급호수의 58.1% 에 해당된다.
구    분 단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총 주택호수 천호 11,473 12,090 12,385 12,360 13,223 13,763 14,088
보급                
계획 천호 1,560 1,800 1,166 1,245 1,362 1,514 1,592
실적 〃 980 1,083 1,177 1,251 - - -
전체
보급률                
계획 % 13.6 14.9 9.4 10.0 10.3 11.0 11.3
실적 〃 8.5 9.0 9.5 10.1 - - -

우리 보급실적 천호 564 631 685 727 788 815 902


공사 점유율 % 57.6 58.3 58.2 58.1 57.9 53.8 56.7
주 1. 2004이후는 집단에너지공급기본계획(산자부공고 제2002-240호) 기준
   2. 2004이후 총주택호수=보급실적÷보급률, 우리공사 2005, 2006 보급실적은 계획기준

2003년 사업자별 공급현황


구분 사업자 주택(호) 공급지역 추진중인 사업
중앙,분당,고양,강남,대구,수원,
한국지역난방공사 727,289 화성,파주,판교
청주,김해,양산,상암,용인
서울시 196,715 강서, 노원  
부산시 32,191 해운대  
지역
안산도시개발 36,214 안산고잔  
난방
한국CES 820 광주상무  
LG파워(주) 234,058 안양, 부천  
인천공항에너지(주) 5,111 인천국제공항  
(주)포스코 5,198 포항효자단지  
오산에너지(주) 8,594 오산운암 오산세교
산업
에너지관리공단 3,036 대전 송강단지  
단지
사이스이천 1,530 이천 사동리 APT  
부산정관(정관애너지)
계 1,250,756 24 송도(인천종합에너지)
인천논현,대전서남부(주공)
 * 자료 : 집단에너지관련 자료집(에너지관리공단, 2004.7)

 참고자료 : 지역냉난방 공급기준

사업기준 : 자가소비량을 제외한 열생산용량이 시간당 5Gcal이상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26/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공급대상지역
   최대열부하, 열사용량, 열밀도가 다음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공급 대상으로
   지역지정
최대열부하 열사용량 열밀도
구   분 비고
(Gcal/h) (Gcal/y) (Gcal/㎢*h)
 ㅇ독립된 열원시설이 필요한
150 300,000 30  
   경우
 ㅇ인근 5Km이내에가용열원
30 60,000 30  
   시설이 있는 경우
 주  1.연계가 가능한 2개이상의 택지개발지역이 있는 경우 각 지역의 열수요를 합산
     2. 1개 조건이 미달되더라고 다른 조건이 월등히 좋을 경우 타당성을 별도 고려
        하여 결정

열원시설
항   목 내                용
열원시설  - 열병합발전시설(또는 쓰레기소각로), 열전용보일러, 축열조,
구    성  열펌프, 빙축열 등
 - 기술적․경제적 사항을 고려하여 시설구성 및 용량산정
시설용량  - 택지개발계획에 따른 입주시기를 감안 용량산정 및 건설
및  건설  - 기존 열원시설 활용증대 및 소각장 건설계획과 연계하여
   신규 투자시기 조정
시설부지  - 지방자치단체 또는 택지개발사업자가 지원

열수송관  - 공급지역간의 연계관은 중․장기 열수요를 감안하여 설치

집단에너지공급대상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에는 별도의 열원시설 설치를 억제(단, 단독주택, 종


교시설 및 학교는 열원시설설치 억제대상 에서 제외)

 * 자료 : 집단에너지공급기본계획(산자부공고 제2002-240호, 2002.12)

 참고자료 : 택지개발지역 사업 추진절차

                택지개발사업 부문            지역난방사업 부문


택지개발예정                
          지구지정․고시              

          건교부 (사업시행자                             
   지정 포함)
                                                            

      집단에너지공급에 에너지 사용계획


관한 협의 및 지역지정검토
    택지개발계획(안) 수립 ▶
  ▲       (산자부)         (에관공)  
          택지개발사업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27/28
2020. 6. 5. 네이버 블로그 :: 글 내용 Print

  (지자체,                               
토공, 주공)
                                                  

집단에너지 공급에
관한 검토회신     집단에너지공급 타당성 검토
          ◀
    사업타당성(경제성) 분석
              

                                       (에너지관리공단,
    산자부   한국지역난방공사)
   
환경영향평가                         

택지개발사업자
의견청취 집단에너지공급
                      ◀
대상지역 지정·공고
             

                                          산자부 (지자체와 협의)

                                                            

          택지개발계획 승인 고시            

건교부,지자
          체
                  
 
                                                  

▼  
    택지개발 실시계획 수립         집단에너지(지역난방)사업계획수립
     
택지개발사업
  자                  지역난방사업자 (지자체 협의)
에너지사용
계획 수립
                                                    

산자부협의   택지개발 실시계획 승인고시         집단에너지(지역난방)사업 허가신청


건교부,지자
          체                  지역난방사업자          

                                                             

                         집단에너지(지역난방)사업 허가

                                      산자부            

                                                             

          택지개발 사업착수         지역난방사업 착수

[출처] 열병합 발전(펌) | 작성자 마이아이

https://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yooms1325&logNo=150107886615 28/2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