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계면활성제와 에멀젼

김기성, 송은섭
Purpose

계면 활성제의 콜로이드 형성과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체를
균일하게 혼합시키는 에멀젼 형성의 원리를 이해한다.
Theory
계면활성제
물에 녹기 쉬운 친수성 부분과 기름에 녹기 쉬운 소수성 부분을 모두 가지고 있는 양쪽성 화합물.
표면장력을 낮추어 섞이지 않는 둘 이상의 혼합액에서 에멀젼 형성을 도움.
 비누나 세제 등으로 많이 활용

종류
음이온 계면활성제 : 머리에 음이온성 작용기.
예) 비누, 알킬벤젠 술폰산염, 알킬피리디늄염
양이온 계면활성제 : 머리에 양이온성 작용기.
예) CTAB, 아민염, 4차 암모늄염
양쪽성 계면활성제: 머리에 양쪽성 작용기.
예) 아미노산
Theory

미셸 (Micelle)
일정 농도 이상의 계면활성제 분자들이 자발적으로 회합하여 구와 같은 모양을 갖는 것

정상 미셸(normal micelle) : 계면활성제를 물에 첨가할 때 형성


소수성 꼬리가 구의 내부로 모이고 친수성 머리 부분이 구의 표면을 이룬다.

역미셸(inverse micelle) : 계면활성제를 유기 용매에 첨가할 때 형성


친수성 머리 부분이 구의 내부로 보이고 소수성 꼬리가 구의 표면을 이룬다.

물과 기름이 비슷한 양 있을 때, 계면활성제가 물에 더 잘 녹으면 o/w 형 에멀젼(정상미셸), 기름에 더 잘


녹으면 w/o 형 에멀젼(역미셸)을 형성할 수 있음 (* 잘 녹지 않는 phase 의 분산을 촉진시키는 경향이 있음)
에멀젼은 불안정하여 자발적으로는 형성되지 않고, 외부에서 힘을 가해주어야 함
Surfactant 로 에멀젼을 안정화(kinetically)
Theory

임계 미셸 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CMC)


미셸을 형성하는 계면 활성제의 최저 농도
- CMC 를 기준으로 표면장력, 삼투압 등 물리화학적 성질이 급변
- CMC 는 계면활성제의 구조, 온도, 공존 무기 염의 종류 등에 따라 변화
Theory
에멀젼(emulsion): 서로 섞이지 않는 둘 이상의 액체가 혼합된 상태
• Oil in water (o/w) 형 에멀젼 : 물에 기름이 분산된 상태
물보다 기름이 적어 기름이 공모양을 하고 물이 나머지 부분을 채우는 모양

• Water in oil (w/o) 형 에멀젼 : 기름에 물이 분산된 상태


기름보다 물이 적어 물이 공모양을 하고 기름이 나머지 부분을 채우는 모양
• 매크로 에멀젼 : 일반적으로 표면이 하얗고 불투명이며 비교적 큰 분자들
• 마이크로 에멀젼 : 작은 크기로 보통 투명하거나 약간 흐림
투명한 마이크로 에멀젼을 만들기 위해선 dispersed phase 보다
많은 양의 계면활성제가 필요함

Interface

Dispersed phase

Continuous
phase
Theory

콜로이드(Colloid)
에멀젼과 거의 비슷한 의미로 쓰임.
Emulsion 은 dispersed, continuous phase가 모두 액체 상일 때 쓰이는 말로
에멀젼은 콜로이드에 포함된다.
Theory
보조 계면활성제(co-surfactant)
서로 섞이지 않는 혼합액을 안정한 에멀젼으로
만드는 제 3의 물질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용액에 보조 계면활성제를
함께 넣으면 미셸의 표면 공간이 넓어지면서 안정
화 됨(표면 장력 ↓)
충분한 양의 보조 계면활성제가 있으면 안정한
상태의 마이크로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음
 크기가 큰 에멀젼 하나를 형성하는 것보다 크
기가 작은 여러 개의 에멀젼을 형성하는 것이 더
욱 안정하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계면활성제/보조
계면활성제가 존재할 경우 마이크로 에멀젼을 형

Theory

틴들 현상(Tyndall effect)
에멀젼의 interface 에서 빛이 산란될 때, 산란된 빛의 세기(intensity)는 (frequency)4 에 비례
blue light 강하게 산란
붉은 빛(긴 파장)은 푸른 빛(짧은 파장)에 비해 잘 통과
에멀젼의 농도가 높아지면 긴 파장대로 이동(붉은-노란색으로 보임)
에멀젼이 충분히 희석되면 짧은 파장대로 이동(푸른색으로 보임)

빛은 파장의 ¼ 을 넘는 크기의 droplet 에 의해 산란되어 emulsion 의 크기가 충분히 작으면 투명


하게 보임(100nm 이하)
Theory
표면 장력(Surface tension)
-액체의 자유 표면에서 표면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
모든 방향으로 같은 크기의 힘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합력은 0이 됨.
-표면 장력의 예
• 소금쟁이와 같은 수중생물의 물 표면상에서의 이동
• 모세관 현상
• 계면활성제 효과: 기름 때 제거, 표면 장력을 약화시킴
• 물에 계면활성제 첨가 시, 친 수성기의 머리는 물 쪽, 소수성기의 꼬리는 공기 쪽 배열
물 분자간의 인력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해 표면장력이 약해 짐.

친수성(Hydrophilic)
물과 친화력을 갖고 물에 잘 용해되는 성질

소수성(Hydrophobic)
물에 대해 친화력이 없는 성질. 물과 혼합되지 않는 성질
Chemicals & Apparatus

Apparatus
- 10mL 눈금실린더
- 피펫
Chemicals
- 증류수
- 5% CTAB 수용액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 톨루엔(toluene)
- 2-프로판올(2-propanol/Isopropyl alcohol)
Procedure

실험A. CTAB-물-톨루엔-IPA 에멀젼


1. 10mL 실린더에 5wt% CTAB 수용액 3mL 와 톨루엔 1mL 를 넣는다. 물과 유기층이 확
실히 분리되면, 각 층의 부피와 혼탁 정도를 기록한다.
2. 실린더에 IPA 0.1 mL 를 넣고 잘 흔들어주고 2분 정도 기다린 후 물과 유기층이 분리되
면 각 층의 부피와 용액의 혼탁도를 기록한다. 층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으면 3분 정
도 더 기다리고 관찰사항을 기록한다.
3. IPA 0.1 mL 를 더 첨가하고 다시 잘 혼합하고 관찰사항을 기록한다.
4. 실험 결과에 지시한 것과 같이 IPA 를 첨가하면서 관찰사항을 기록하고, 각 물음에 대
해 답한다.
Procedure

실험B. 계면활성제가 없는 에멀젼 : 물-톨루엔-IPA 에멀젼


1. 10mL 실린더에 물 3mL 와 톨루엔 1mL 를 넣는다. 물과 유기층이 확실하게 구분되면,
각 층의 부피와 혼탁 정도를 기록한다.
2. 실린더에 IPA 1mL 를 가하고 잘 흔들어주고 2분 정도 기다린 후 물과 유기층이 구분되
면 각 층의 부피와 용액의 혼탁도를 기록한다. 만약 층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으면 3
분 정도 더 기다리고 관찰사항을 기록한다.
3. IPA 0.5mL 를 더 첨가하고 다시 잘 혼합하고 각 층의 부피와 혼탁도를 기록한다.
4. 위의 과정을 전체 액체가 완전히 혼합되고 맑은 용액이 될 때까지 반복한다. 그러나 첨
가된 IPA 의 전체 부피가 6mL 를 넘으면 실험을 중단한다.
5. 실험 결과의 각 물음에 대해 답한다.
주의 및 참고사항
두 용액 층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을 때는 충분한 시간을 기다린다. 그러나
5분 이상을 기다려도 두 층이 분리되지 않으면 다음 실험을 진행한다. (단,
용액 전체가 한 개의 맑은 상이 되면 실험을 중지해도 무방하다.)
두 용액을 혼합할 때 피펫을 이용하여 한 쪽 층을 뽑아 다른 쪽 층에 넣어
주는 식으로 섞는다. 이 때, 과하게 섞으면 거품이 심하게 발생해 기다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적당한 세기로 섞는다.
시판되는 CTAB는 아주 순수하지 않으나, 이 실험을 위해서 정제할 필요는
없다.
CTAB 수용액을 사용할 때는 거품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거
품이 없는 상층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CTAB 수용액을 넣을 때는 눈금실
린더 벽면을 타고 천천히 넣어야 거품이 생기지 않는다.
Data & Result
실험 A 물층 톨루엔 층
첨가된 2-프로판올 양(전체 양) 부피(mL) 혼탁도 부피(mL) 혼탁도
0.0mL 1.9 약간 혼탁 2.0 아주 혼탁
0.3 mL (0.3 mL) 2.8 약간 혼탁 1.5 아주 혼탁
0.3 mL (0.6 mL) 2.6 혼탁 2.0 아주 혼탁

0.1 mL (0.7 mL) 2.0 약간 혼탁 2.4 아주 혼탁

0.1 mL (0.8 mL) 3.9 혼탁 0.9 맑음


0.1 mL (0.9 mL) 4.1 혼탁 0.8 맑음
0.3 mL (1.2 mL) 4.4 혼탁 0.8 맑음
0.3 mL (1.5 mL) 4.5 혼탁 1.0 맑음
0.3 mL (1.8 mL) 4.6 약간 혼탁 1.2 맑음
0.3 mL (2.1 mL) 4.9 약간 혼탁 1.2 맑음
0.3 mL (2.4 mL) 5.7 약간 혼탁 0.7 맑음
0.3 mL (2.7 mL) 6.1 약간 혼탁 0.6 맑음
0.1 mL (2.8 mL) 5.9 약간 혼탁 0.9 맑음
0.3 mL (3.1 mL) 맑아지면서 층 구분 안됨
Data & Result

실험 B 물층 톨루엔 층
첨가된 2-프로판올 양(전체 양) 부피(mL) 혼탁도 부피(mL) 혼탁도
0.0 mL 3.0 약간 혼탃 1.0 맑음
0.3 mL (0.3 mL) 3.2 약간 혼탁 1.1 맑음
0.3 mL (0.6 mL) 3.5 아주 혼탁 1.1 맑음
0.3 mL (0.9 mL) 3.9 아주 혼탁 1.0 맑음
0.3 mL (1.2 mL) 4.2 아주 혼탁 1.0 맑음

0.3 mL (1.5 mL) 4.4 아주 혼탁 1.1 맑음

0.3 mL (1.8 mL) 4.5 약간 혼탁 1.3 맑음

0.3 mL (2.1 mL) 4.8 약간 혼탁 1.3 맑음

0.3 mL (2.4 mL) 4.8 약간 혼탁 1.6 약간 혼탁


0.6 mL (3.0 mL) 5.2 약간 혼탁 1.8 약간 혼탁
1.0 mL (4.0 mL) 맑아지면서 층 구분 안됨
Data & Result

실험A. CTAB-물-톨루엔-IPA 에멀젼 (예시)


에멀젼의 형성 과정
1. IPA (0 ~ 0.2mL) : 톨루엔 층에 먼저 에멀젼이 형성된다.
2. IPA (0.2 ~ 2.6mL) : 물 층과 톨루엔 층이 모두 뿌옇다.
3. IPA (2.6mL ~ 3.0mL) : 뿌옇게 보이던 에멀젼이 서서히 사라지면서 맑아지다가 결국 한
개의 맑은 상이 된다.
(단계별 이유는 discussion에 적어주세요.)
생각해볼 사항

- CTAB 의 구조와 물 층과 톨루엔 층에서 생성되는 에멀젼에 대


한 설명
- 혼탁해지는 이유
- 마이크로 에멀젼의 형성
- IPA 의 역할
- 실험 A 와 B에서 IPA를 넣는 양이 차이나는 이유 (각 층에 대한
용해도)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