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학습심리뇌과학

공부해! 라는 말로 아이가 공부한다고 믿으시는 분에게는 어울리지 않습니다. 아이가 공부하길


바라는 부모는 많아도 아이가 왜 공부를 안하는 지에 대해 이해하려고 하는 사람은 1%도 되지
않습니다. 교육학, 심리학, 뇌과학을 이해하면 아이가 왜 공부를 하지 않는 지, 어떻게 하면 공부를 할
수 있고 잘할 수 있는 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교육학, 심리학, 뇌과학은 각기 분야가 너무
넓습니다. 교육학에는 학생에 대한 연구 외에도 수업 설계 등의 무수한 분야가 있고, 심리학 역시
청소년과 학생에 대해 다루는 영역은 매우 협소합니다. 뇌과학 역시 사춘기의 뇌는 노년의 뇌나 치매
등에 비해 주목을 덜 받습니다. 하지만 이 세 영역은 학생의 학습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이해해야
할 학문들입니다. 그래서 제가 교육, 심리, 놔과학에서 오직 학생만을 위한, 또 학습만을 위한
부분들을 추려서 수년간 학생들에게 적용해보고 그 중에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방법들만을 집대성한
것이 바로 학습심리뇌과학입니다.

유아교육학 교수님이신 학부모가 계셨습니다. 제가 학습심리뇌과학을 연구한다고는 하지만 당연히


제도권 대학에서 교육학만을 업으로 삼는 교수신 어머님께서 저보다 훨씬 많은 교육학적 지식을
가지고 계셨습니다. 학교도 등교하지 않던 딸이 서강대를 입학할 수 있었던 이유는 전부 다 저
때문이라고 하십니다. 하지만 저는 그 분이 제 지침을 따르실 만큼 머리가 좋고 이미 교육학적으로
완성되어 있으셨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미 완성되어 있는 부모에게 필요한 것은 약간의 실천적
지식일 뿐입니다. 제가 강한 부분은 단지 수많은 정보와 지식을 어떻게 적용하는 지에 대해서 알고
있다는 점일 뿐입니다.

때로는 경험 많은 애견훈련사가 수의사보다 반려견의 이상행동을 더 잘 진단하고 고쳐냅니다.(


때로는 경험 많은 물리치료사가 의사보다 내 몸의 아픈 곳과 해결방안을 더 잘 제시합니다.) 그것은
물리치료사(애견훈련사)가 실제로 환자(강아지)를 마주하는 순간이 훨씬 더 많기 때문입니다.
똑똑한 부모가 실패하는 이유는 똑똑하지 못한 사람이 어떻게 살아가는 지에 대한 경험이 없기
때문입니다. 경험이 없으면 이해할 수 없습니다. 일단은 이해하려고 하십시오. 그러고도 안되면 그
때 전문가를 찾으십시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