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52

추가자 [9자]


풀잎(艹)을 우려내 사람(人)이 호~(ホ) 불어가며 마시는
추가자 1

따뜻한 차이니  艹 : 풀 초

① 차 차 ② 차 다

9획

① 茶  차 (ちゃ) ① *無茶  무차  터무니없음, 형편없음 (むちゃ)


ちゃ 1순위
1순위
2학년│N3│571위 ① *茶色  차색  갈색 (ちゃいろ) ① 紅茶 홍차 (こうちゃ)
음독
↳ 45p 艹 (관련 페이지) ② *喫茶店  끽다점 찻집(きっさてん) ② 茶道  다도 (さどう)
さ~ 3순위
1순위
② 日常茶飯事  일상다반사 (にちじょう・さはんじ)

잠깐만요
・「さ」는 좀 더 격식이 있고 고풍스러운 느낌이 있는 ‘다도’의 영역에서 사용되던 단어에 쓰이는 경향
이 있어요.


조교가 언덕( 阝) 위에서 두 눈(丷) 시퍼렇게 뜨고 돼지(豕) 다루듯 엄하게 무리를 정렬
추가자 2

시키고 훈련시키는 군대이니 阝: (왼편) 언덕 부 (丷: 두 눈의 모습) 豕: 돼지 시

무리 대·군대 대

12획

隊  대  정렬된 무리 (たい) 軍隊  군대 (ぐんたい)


4학년│N1│410위
음독 たい 1순위
1순위
部隊  부대 (ぶたい) 隊員  대원 (たいいん)
↳ 49p 豕 (관련 페이지)

001

주인의 몸(月)에 하인이 무릎을 꿇은 채(卩 ) 손(又)수 옷을 입혀주는 모습이니
추가자 3

 月: 고기 육 卩: 무릎 꿇을 절 又: 오른손 우

① 옷 복 ② 복종할 복 ③ 가질 복

8획

① *服  복  옷 (ふく) ① 衣服  의복 (いふく)

3학년│N3│555위
 1순위
1순위 ① 服装  복장 (ふくそう) ② 服従  복종 (ふくじゅう)
음독 ふく ② 克服  극복 (こくふく) ② 不服  불복 (ふふく)
↳ 72p 卩 (관련 페이지)
③ 服用  복용 (ふくよう) ③ 着服  착복, 횡령 (ちゃくふく)
 3순위
1순위
③ 服薬  복약 (ふくやく)

잠깐만요
・‘②복종할 복’은 ‘노예 옷을 입다’에서 의미가 확장된 것이라고 이해해 주세요. 사실 어원은 ‘복종하
다’가 먼저고, ‘옷’이 후에 나온 의미이지만, 지금은 옷이라는 의미가 기본이니 의미 확장의 방향을
잠깐만요 ‘옷 → 입히다 → 가지다 → 복종하다’로 생각하는 것이 자연스럽겠죠?
의미에 따라 어휘 생산성의 ・‘③가질 복’은 「(옷 등을) 입다 → 자신의 것으로 함」의 의미 확장입니다. 자신의 것으로 하는 의미가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는 의 되기 때문에 복용(服用)은 ‘먹는 것’, 착복(着服)은 ‘입는 것,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버리다) → 횡령
미별로 순위를 분리했어요. 하다’는 의미로 확장됩니다. 제시된 3가지 단어 외에는 이 의미로 쓰이는 어휘는 별로 없어요.


미리 풀(䒑) 아래 몸(月)을 숨겼다 칼(刂 )을 뽑아 적에게 휘두르며 앞으로 뛰쳐나가는
추가자 4

모습이니 䒑: 풀 초 月: 고기 육 刂 : 칼 도

앞전

9획

前後  전후 (ぜんご) 前提 전제 (ぜんてい)


음독 ぜん 1순위
1순위
2학년│N4│31위
前進  전진 (ぜんしん) 以前 이전 (いぜん)
前(まえ)  (시・공간) 앞 前金(まえきん) 선금
↳ 75p刂 (관련 페이지)
  まえ
훈독
名前(なまえ) 이름 手前(てまえ) 바로 앞


집안(宀)을 실제로 유지하기 위해 제일(一) 중요한 것은 남편(夫)의 일이 결실(열매)을
추가자 5

맺는 것이니 宀 : 지붕 면・집 면 一 : 하나 일 夫 : 남편 부・사내 부

① 열매 실 ② 실제 실

8획

② 実(じつ)+は/に  실은 / 실로 ② 実力  실력 (じつりょく)


 1순위
1순위
② 現実  현실 (げんじつ) ② 事実  사실 (じじつ)
3학년│N2│66위 음독 じつ

夫 (관련 페이지)
↳ 89p
 4순위
1순위 ① 果実  과실 (かじつ) ① 充実  충실 (じゅうじつ)

み 実(み)  열매, 과실
훈독
[みの]る 実(みの)る  열매를 맺다, 결실을 얻다 → 実(みの)り  결실, 성과
잠깐만요
의미에 따라 어휘 생산성의 잠깐만요
차이가 많이 나는 경우는 의 ・음독의 경우는 「果実(과실)」 「充実(충실)」 외에는 대부분 ‘② 실제 실’의 의미로, 훈독의 경우는 대부
미별로 순위를 분리했어요. 분 ‘① 열매 실’의 의미로 쓰입니다.

002

나무(木)로 만든 판/종이에 새겨진 내용이나 가치를 숨은(乚) 약속을 통해 실현하는
추가자 6

증서이니 乚: 숨을 은

증서 찰

5획

*札 찰  지폐 (さつ) 改札口 개찰구 (かいさつぐち)


음독 さつ 1순위
1순위
4학년│N2│1125위 札束 지폐 다발 (さつたば) 落札 낙찰 (らくさつ)

木 (관련 페이지) ふだ 札(ふだ) 표, 팻말 → 名札(なふだ) 명찰, 명패


↳ 128p 훈독

잠깐만요
・돈이나 팻말, 명찰 등은 ‘이곳에 새겨져 있는 정보나 내용이 실제로 그와 동등한 가치나 의미를 지
닙니다’라고 암묵적인 약속에 근간해서 만들어진 것이죠? 이때, 음독인 「さつ」는 경제적 증서류(주
로 지폐)를 의미하고, 훈독인 「ふだ」는 정보 전달의 증서(표나 팻말)류를 의미하는 경향이 있어요.
・礼(예절 례)와의 구분에 주의하세요.


나무(木)에 양(⺷) 떼가 이동하는 정세를 마치 물(氺)이 흐르는 듯한 모양처럼 새겨
추가자 7

표현하는 모습에서  ⺷: 양 양 氺: 물 수

모양 양·상태 양

14획

多様  다양 (たよう) 模様  모양・기미・무늬 (もよう)


음독 よう 1순위
1순위
3학년│N2│188위 様式  양식 (ようしき) *様子  양자  모양, 상태, 정세 (ようす)

↳ 181p ⺷ (관련 페이지) 様(さま)  모양, 상태, 모습 様々(さまざま)  여러가지, 가지각색


훈독 さま 逆様(さかさま)  거꾸로 됨 有様(ありさま)  모양, 상태
잠깐만요 ~様(さま) ~님 → 王様(おうさま)  임금님
「様(よう)」만으로 쓰이는 경
우도 있으니 체크가 필요해 잠깐만요
요. な형용사로 활용되어서 ・「様」가 의미하는 ‘모양’은 단순히 겉모습이 아니라, 밖에서 바라볼 때 드러나 보이는 ‘모양, 분위기,
「~の様(よう) + だ/な/に 상태, 기색’ 등을 통틀어서 말하는 것입니다. 문맥에 따라 해석을 달리해야 해요.
(~와 같다 / 같은 / 같이)」의 형 ・회화에서의 예외적 쓰임으로, 「ざまを見ろ(꼴 좀 봐라)」와 같이, ‘(좋지 않은) 꼴, (구긴) 체면’ 등의
태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요. 의미로 「ざま」로 읽힙니다.


비수(匕) 같은 추궁과 화살(矢) 같은 눈초리를 날리고 창의 머리날(龴)을 겨누며
추가자 8

정당성(正→疋)을 의심하고 혐의를 두는 모습이니


 匕: 숟가락 비・비수 비 矢: 화살 시 龴: 머리날 마 疋: 바를 정 (正의 변형)

의심할 의

14획

疑問  의문 (ぎもん) 疑惑  의혹 (ぎわく)


6학년│N2│623위 음독 ぎ 1순위
1순위
容疑  용의 (ようぎ) 質疑  질의 (しつぎ)
↳ 281p 矢 (관련 페이지)
훈독 [うたが]う 疑(うたが)う 의심하다 → 疑(うたが)い  의심, 혐의

잠깐만요
・바른(正) 대로 말하라며 비수(匕)와 화살(矢)의 날 끝(龴)을 겨누며 의심하는 모습을 그려 보세요.

003

쌀(米)알 같은 주판알을 아내(女)가 튕기며(攵) 생활비를 셈하는 모습이니
추가자 9

 米: 쌀 미 攵: 때릴 복

숫자 수·셈할 수

13획

数  수 (すう) 数学  수학 (すうがく)


2학년│N2│139위
음독 すう 1순위
1순위 数字  숫자 (すうじ) *手数  수수  수고, 귀찮음(てすう)
*奇数  기수  홀수 (きすう) *偶数  우수  짝수 (ぐうすう)
↳ 301p 攵 (관련 페이지)
かず 数(かず)  수 数々(かずかず) 여러가지, 갖가지
훈독
数(かぞ)える  세다, 계산하다
[かぞ]える
→ 数(かぞ)え年(どし) 한국식 나이

잠깐만요
・‘전통적인 다실 혹은 그런 풍취의 양식’을 「数寄屋(すきや)」라고 하는데, 예외적으로 数가 「す」로
읽히는 단어이니 참고만 해주세요.
・「数」 자체가 단어로 사용될 때, 사람의 수나 물건의 수 등 ‘개수로서의 숫자’일 때는 「かず」로, ‘수학
적 개념인 숫자’나, ‘계산・운수’의 의미인 경우일 때는 「すう」로 읽는 경향이 있습니다.
  数(かず)が足(た)りない : 개수가 부족하다
  数(すう)にあかるい : 계산·셈에 밝다 (계산하는 방법을 잘 안다)

질문 있어요
云々은 왜 うんぬん이 되고, 天王星는 왜 てんのうせい인가요?
35P의 촉음화 현상과 마찬가지로, 한어에서 ‘보다 편안한 발음’을 위해 발음이 변하는 음운 현상 중 하나로, 연성(連
声:れんじょう)이라는 현상이 있습니다. 「ん」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발음이 붙어 하나의 단어를 이룰 경우, 발
음의 편의를 위해 모음이 「な행」으로 바뀌는 현상입니다. 현재는 극히 일부 단어에만 흔적처럼 남아 있어요(‘ま행’으로
바뀌는 경우도 존재하는데, 그 예를 찾기 힘들 만큼 수가 적어요. 또, 한국어에서 ‘안양’을 [아냥]으로 발음하는 연음 법
칙도 이와 유사한 메커니즘이에요.). 촉음화 현상처럼 연성 현상도, ‘반드시 그렇게 된다’는 문법적 강제력이 있기보다
는 ‘그렇게 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내는 경향성이에요. 그러니 규칙을 암기하기보다는 아래와 같은 예시 단어가
등장할 때 그 이해를 위한 참고사항으로 봐 주세요.

① ~ん + 모음~ → [~ん+な행~]
うん(云) +うん(云) → うんぬん (云々: 운운) はん(反)+おう(応) → はんのう(反応: 반응)
てん(天)+おう(皇) → てんのう (天皇: 천황) いん(因)+えん(縁) → いんねん (因縁: 인연)

② ~ん+모음~ → [~ん+ま행~](그 수가 극히 적습니다. 陰陽 정도만 참고해 주세요.)


おん(陰)+よう(陽) → おんみょう(陰陽: 음양)

004
추가 주제별로 묶어서 익히면 좋은 한자들
학습 자료

1 4자한어로 확인해봐요!

초등학교 한자로만 이루어진 4자한어 중, 한자의 음독을 익히기에 좋은 것만 엄선했습니다.

동서남북 東西南北(とうざい・なんぼく) 온고지신 温故知新(おんこ・ちしん)

전후좌우 前後左右(ぜんご・さゆう) 이구동음 異口同音(いく・どうおん)

춘하추동 春夏秋冬(しゅんか・しゅうとう) 약육강식 弱肉強食(じゃくにく・きょうしょく)

산천초목 山川草木(さんせん・そうもく) 기사회생 起死回生(きし・かいせい)

풍림화산 風林火山(ふうりん・かざん) 완전무결 完全無欠(かんぜん・むけつ)

일월성신 日月星辰(じつげつ・せいしん) 대동소이 大同小異(だいどう・しょうい)

생년월일 生年月日(せいねん・がっぴ) 침소봉대 針小棒大(しんしょう・ぼうだい)

생로병사 生老病死(しょうろう・びょうし) 공명정대 公明正大(こうめい・せいだい)

구사일생 九死一生(きゅうし・いっしょう) 일신월보 日進月歩(にっしん・げっぽ)

노약남녀 老若男女(ろうにゃく・なんにょ) 인과응보 因果応報(いんが・おうほう)

형제자매 兄弟姉妹(きょうだい・しまい) 아전인수 我田引水(がでん・いんすい)

도도부현 都道府県(とどう・ふけん) 기상천외 奇想天外(きそう・てんがい)

시구전촌 市区町村(しく・ちょうそん) 주지육림 酒池肉林(しゅち・にくりん)

사농공상 士農工商(しのう・こうしょう) 공전절후 空前絶後(くうぜん・ぜつご)

가감승제 加減乗除(かげん・じょうじょ) 후안무치 厚顔無恥(こうがん・むち)

희로애락 喜怒哀楽(きど・あいらく) 재색겸비 才色兼備(さいしょく・けんび)

기승전결 起承転結(きしょう・てんけつ) 전인미답 前人未踏(ぜんじん・みとう)

감산신고 甘酸辛苦(かんさん・しんく) 주객전도 主客転倒(しゅかく・てんとう)

유일무이 唯一無二(ゆいいつ・むに) 품행방정 品行方正(ひんこう・ほうせい)

이속삼문 二束三文(にそく・さんもん) 무아몽중 無我夢中(むが・むちゅう)

삼한사온 三寒四温(さんかん・しおん) 무리난제 無理難題(むり・なんだい)

005
칠전팔기 七転八起(しちてん・はっき) 문답무용 問答無用(もんどう・むよう)

팔방미인 八方美人(はっぽう・びじん) 이해득실 利害得失(りがい・とくしつ)

십인십색 十人十色(じゅうにん・といろ) 유언비어 流言飛語(りゅうげん・ひご)

천차만별 千差万別(せんさ・ばんべつ) 언어도단 言語道断(ごんご・どうだん)

일촉즉발 一触即発(いっしょく・そくはつ) 입신출세 立身出世(りっしん・しゅっせ)

종시일관 終始一貫(しゅうし・いっかん) 이합집산 離合集散(りごう・しゅうさん)

심기일전 心機一転(しんき・いってん)

2 첫째마당에서 다루지 않은 주제별 묶어 보기

장기(臓器)

脳 胸 腹 胃 腸

(のう)
뇌 (きょう/むね)
흉 (ふく/はら)
복 (い)
위 (ちょう)

색(色)

白 黒 赤 朱 紅

(はく・びゃく/
백 (こう・く/

(こく/くろ)
흑 (せき/あか)
적 (しゅ)

しろ) くれない・べに)

黄 緑 青 茶

(おう・こう/
황 (りょく/

(せい/あお)
청 (ちゃ)

きいろ) みどり)

시간(時間)

年 月 日

(ねん)
년 (がつ・げつ)
월 (にち・じつ)

時 分 秒

(じ)
시 (ふん)
분 (びょう)

006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