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4

2022학년도 2학기 통합과학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5. 수업환경 조성
학습목표에 근거한 설계 2
1. 증강현실(AR) 3

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 사용자가 보는 현실세계에 가상의 이미지나 정보를 겹쳐 보여주는 기술
 스마트폰,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움직이며 체험할 수 있음
 내비게이션, 카메라 어플 스티커, 게임 등 일상생활에 자주 이용됨

 증강현실의 특징 평창올림픽 천상열차분야지도

 상황이나 장소에 따라 실물과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자료가 즉시 제시되며,


실물에 이미지를 추가/삭제/변형한 화상을 보여줌 ▶ 학습자의 능동적 학습
필요
 물리적 마커와 가상 객체를 능동적으로 조작하고 탐색하는 과정에서
실재감과 몰입감을 느낄 수 있음 ▶ 기존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차별화됨

포켓몬GO
(1) 증강현실의 원리
 증강현실의 원리
 인식은 카메라 트래킹, 위치정보(GPS), 전자나침반, 중력센서 기술을 통해 이뤄짐.
카메라 트레킹의 경우 스마트폰으로 증강현실 앱을 실행해 주변을 비추거나,
AR글라스를 착용한 후 보이는 주변의 건물이나 조형물을 통해 현재 위치와 방향,
기울어진 정도에 대한 정보를 파악함
 위 정보가 중앙 데이터 서버에 전달되면, 서버는 다시 해당 위치정보와 관련된
부가정보를 앱과 기기로 전달함. 전송받은 부가정보를 카메라의 화면과 겹쳐서
보여주는 것으로 증강현실이 구현됨

증강현실 구성 요소 및 주요 원리
(2) 증강현실의 교육적 활용 5

 현재 증강현실(AR)을 이용한 다양한 앱이 구현되어 있으며,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개발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은 디지털
교과서에도 연계되어 있음.

샌드크래프트 by 셀빅 한국과학창의재단 사이언스레벨업


촉각인지기반 가상환경 모래놀이학습 컨텐츠 AR/VR 실감형 컨텐츠
2. 가상현실(VR) 6

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 실제 현실과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디지털로 구현한 가상의 공간
 현실 공간과 차단된 상태에서 가상 공간을 보여주는 기술

 가상현실의 특징
 특수안경이나 기기 등으로 시야가 차단되기 때문에 현실과 분리된 상태에서
가상의 세계를 보여줌
zSpace 가상실험
 몰입도가 높아 1인칭 시점의 게임이나 영화 등에 주로 이용되어 왔음
 현실과 완전히 단절된 상태에서 가상으로 만들어진 영상과 이미지를 경험하게 되며,
가상 세계의 몰입과 가상 객체와의 상호작용이 강조
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세계를 구현하고 그 내부 조작이 가능하며(태양계, 세포,
환자의 혈관 등), 원 상태로 돌려서 반복이 가능하다는 장점; 실제와 유사한 맥락
속에서 체험이 가능함
듀코젠 개구리 해부
(1) 가상현실의 원리: 양안시차의 원리 7

 사람의 양쪽 눈은 약간 다른 위치에 있어 양안시차가 발생함


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거리는 보통 6.5cm
 시차: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한 물체를 바라볼 때 물체의 모양과 위치의 변화
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의 거리로 인해 시차가 발생하게 됨
 이를 통해 원근감이나 깊이감과 같은 입체감을 느낌

좌우의 눈은 서로 각각 다른 이미지를 보며,


뇌는 이를 융합하여 본래 3차원 입체의
원근감을 나타낸다.
(2) 가상현실을 위한 기기: HMD (Head Mount Display) 8

 HMD의 원리
 안경처럼 머리에 쓰고 대형 영상을 즐길 수 있는 영상 표현 장치
 HMD는 양안시차를 고려하여 양쪽 눈에 다른 화면이 보이도록 고안되었으며,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각각 다른 시각적 정보를 보냄으로써 우리의 뇌는
가상현실을 실제 공간인 것처럼 생각하게 됨.
 HMD에서는 우리 눈 바로 앞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하지만, 현실세계처럼 더
멀리 있는 곳에서 보이는 것처럼 해야 함.
 HMD 착용 후 움직이면 영상이 함께 움직임. 이는 사람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시선에 맞는 영상을 재생하는 모션트래킹 센서 덕분임.
(3)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의 교육적 효과 9

 증강현실(AR)의 장점  가상현실(VR)의 장점
 그림이나 사진으로 보아왔던 사물을 입체적으로 살펴볼  눈으로 보기 어려운 미시·거시세계를 구현하여 새로운
수 있음 경험을 제공함
 실제 실험실에서 하기 어려운 가상의 실험을 할 수 있음  실제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하여 시행착오를 줄이고
(위험하거나 규모가 큰 실험, 고가의 장비 필요) 위험성을 낮출 수 있음
 실제 현실에서의 위치를 고려하여 보여줄 수 있음  실제에서 변경하기 어려운 부분을 조작해볼 수 있음
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해당 이미지를 돌려가며 원하는 모습으로 볼 수 있음

학습자가 직접 조작하고 상호작용함으로써


학습몰입을 높이고 보다 폭넓은 경험을 가능하게 함
(4) 증강현실과 가상현실 비교 10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
실제 현실 배경 가상의 이미지/ 텍스트 가상 현실

스마트폰 HMD 또는
태블릿 PC 별도의 기기
필요 필요
(5) 다양한 AR/VR 어플리케이션 증강현실(AR) 11

다리(Bridge)를 직접 만들어보면서 얼마나 무거 다양한 종류의 분자구조를 AR로 확인해볼 수 있음.


Bridge MolAR 특히 분자식으로만 표현해보거나 어려운 이름을 가
운 하중을 버틸 수 있는지 실험해보고, 각 부위에
AR 진 분자구조를 확인해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어느 정도의 하중이 실리는지 확인할 수 있음

C, N, O, S, Cl, Br을 이용하여 원하는 분자모형을 만


Magnet 자석과 나침반을 원하는 위치와 강도로 선택한 후,
ModelAR 들어보고 형태를 눈으로 확인해볼 수 있음. AR로도
Lab AR 자기장을 시각적으로 보여줌.
확인해볼 수 있음.

현재 시각과 위치에서 확인해볼 수 있는 별자리를


우주의 탄생과 진화에 대한 AR 공간과 스토리를 구
Sky AR로 구현해 둠. 상하좌우 자유자재로 움직이면 BigBang
성해두었음. 우리 모두가 별의 일부로 만들어졌음을
Guide 서 별자리의 위치와 그 모습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AR
안내함.
수 있음.

Solar 현재위치에서 태양이 뜨고 지는 방향과 시간을 표현


나만의 태양계를 만들어보고, 거리가 너무 가까우
System 태양탐사선 하며, 날짜와 시간을 변경해보면서 계절에 따른 태양
면 행성이 태양에 흡수되는 모습을 보여줌.
Bomb 이 지나가는 길의 변화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음.

Letz 몸 속 암세포를 백혈구가 공격할 수 있도록 주위 여러가지 동물(예: 나비, 개미, 딱정벌레)의 기관을
Science 의 암세포를 찾아내고 그 과정을 설명함. 달 탐사 Edmentum 분류해보고, 개구리를 해부하는 실험을 순서대로 진
AR 선과 태양에너지와 관련한 AR도 제공함. AR 행해보도록 구현해두었음. 호기성과 혐기성 호흡을
가설설정하여 실험해보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음.
(5) 다양한 AR/VR 어플리케이션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왼쪽 표는 AR, 오른쪽 표는 VR
12

식물의 발아 및 생식에 대한 3D 설명을 제공하며,


이를 자유자재로 움직이며 식물의 각 부위를 살펴 Mars 화성표면을 걸어보면서 실제 화성탐사선
Plantale Walk (InSight, Viking, Curiosity)의 착륙지점을 탐험
볼 수 있음. AR을 이용하여 15일 간 식물을 키울
수 있음. VR 하고 화성 정보를 수집해 봄.

물리·화학과 관련된 가상실험실로, 물체를 분자·


전기회로 및 천체운동과 관련하여 AR 및 3D 형태
Physics 원자 수준에서 탐색해볼 수 있음. 예를 들어 연필
의 가상실험실을 제공함. 회로도를 연결하면 전자 MEL VR
Lab 과 다이아몬드 속을 탐험해봄으로써 구조를 파
가 이동하는 모습을 시각화하여 표현해둠.
악해볼 수 있음.

마커를 이용하여 여러가지 동물들의 먹이와 서식 EON에서는 다양한 주제의 내용을 VR, AR로 제
AR
지, 장기 등을 관찰할 수 있고, 동물에 관한 OX 퀴 EON 공하고 있음. 예를 들어 심장의 심방과 심실, 혈
동물관찰
즈를 풀 수 있도록 되어 있음. 관 등을 표현하여 제공함.

마커를 이용하여 빛의 반사와 굴절, 분산, 혼합 등


원자로 내부 속 내용을 VR로 안내함. 우라늄에
AR 을 가상실험의 형태로 실험해볼 수 있음. 중학교 ENEC
중성자를 충돌시켜 분열되는 과정을 보여주며,
빛 실험실 교육과정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실제 수업에 활용 360
이 과정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는 부분을 설명함.
해볼 수 있음.
주기율표와 관련된 AR을 제공하며, 호주의
하나의 이미지에 원하는 내용(예: 이미지, 동영상, OPAL 다목적 원자로(Open Pool Australian
ANSTO
Halo AR 글 등)을 AR 형태로 불러올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Lightwater)에 대한 VR을 제공하여, 해당 원자
XR
앱. 로가 저농축 우라늄 연료를 사용하여 연구하는
모습을 간접 체험할 수 있음.
➊ 사이언스레벨업 실감형 컨텐츠 13

AR 빛 실험실 https://sciencelevelup.kofac.re.kr/virtualReality/list?course_cd=POS008&contents_idx=285

AR 동물관찰 https://sciencelevelup.kofac.re.kr/virtualReality/list?course_cd=POS008&contents_idx=269

그 외에도 다양한 AR/VR 앱이 개발되어 있음


➊ AR 빛 실험실 (사이언스레벨업 앱) 증강현실(AR) 물리 중등 14

 주요 특징
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AR/VR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컨텐츠 앱을 제작해왔으며, AR 기술로 구현한 빛 실험실임
 마커 (레이저, 거울, 렌즈, 프리즘)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빛의 성질을 학습할 수 있음
 구면거울과 빛의 반사, 다양한 렌즈와 빛의 굴절, 다양한 물질에서 빛의 굴절, 빛의 분산, 빛의 혼합 총 5가지를 제공함

2020-2 통교재 수강생 그림

AR 빛 실험실 ?

학생들이 직접 빛의 진행 방향을 예측하여 마커 배치 자신이 생각한 방향으로 빛이 진행되는지 확인


[활동] 빛의 합성과 관련된 POE 수업
 중학교 3학년 과학: 빛과 파동
 다양한 색의 스크린에 다양한 조명을 비추고자 합니다.
어떠한 색이 보일지 친구들과 예측하여 표를 채워봅니다.

마커 (스크린, 빛, 그림카드)
빨간색 빛 초록색 빛 파란색 빛

스크린 (초록)

AR 빛 실험실 다운로드
스크린 (파랑)

스크린 (빨강)

스크린 (노랑)

스크린 (청록)
➋ Plantale 증강현실(AR) 생물 중등 16

 특징
 식물이 발아하는 순간부터 성장하는 모습까지 생생하게 표현되어 있음.
 현실에서는 관찰하기 어려운 식물의 내부 형태와 입자의 미시적인 움직임을 확대하여 볼 수 있음.
 주변환경을 인식하여 어플 속 식물이 실제로 성장함. 본인이 원하는 지점에 식물을 키울 수 있으며, 해당 지점에 주기적으로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조건(물, pH)을 충족시켜주어야 함.
➋ Plantale을 이용한 과학수업 증강현실(AR) 생물 중등 17

 학년 및 교과  교수학습단계
 중학교 2학년 4. 식물과 에너지 • 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스스로 양분을 만드는 과정인 광합
개념설명
단계1 성을 학습한다.
(1/3차시)
• 광합성이 일어나는 장소와 광합성의 산물을 확인한다.
 성취기준 ▼

 [9과11-01] 식물이 생명 활동에 필요한 • 식물의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예상한다.
• 이를 고려하여 모둠별 토론을 통해 학교 내 장소 중 식물이 가장
에너지를 얻기 위해 양분을 만드는 광합성
잘 자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 곳을 선정한다.
실험설계
과정을 이해하고,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 Plantale의 AR 활동 기능을 이용해 해당 장소에 식물을 배치한다.
단계 2 및 수행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 (수업외) 모둠원들은 5일 간 해당 장소에 찾아가 식물에게 물을 주
(2/3차시)
거나 필요한 조치를 취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식물의 변화를 기
록한다.


• 모둠별 실험결과를 도출하여 발표한다.
결론도출
• 식물의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습한다.
단계 3 및 개념설명
• Plantale에서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영향을
(3/3차시)
줄 수 있음을 안내한다.
➌ 태양탐사선 증강현실(AR) 지구 중등 18

 특징
 현재 위치에서 해가 뜨고 지는 방향을 시간별로
안내하며, AR로 표현되므로 이를 즉각 확인할 수
있음.
 또한 시간 축을 이동해보면서 계절에 따른 변화를
직관적으로 비교해보고 추론해볼 수 있음.
➍ BigBang AR 증강현실(AR) 통합 고등 19

 특징
 우주의 시작과 원소의 생성에 대한 설명을 시각효과와 사운드효과로 표현함. AR 기능을 이용하여 우주와 원소의 생성에 대해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인간(나) 또한 별의 원소로 만들어졌음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음.
➎ Magnet Lab AR 증강현실(AR) 물리 중등 20

 특징
 눈에 보이지 않는 자기장을 시각적으로 확인해볼 수 있음. 자석과 나침반, 자기장
측정장치를 평평한 면에 둘 수 있으며, 자석의 세기를 조절하면서 자기장을 확인해볼 수
있음.

 수업 적용
 학년 및 교과: 중학교 2학년, 2. 전기와 자기
 성취기준: [9과09-04] 전류의 자기 작용을 관찰하고 자기장 안에 놓인 전류가 흐르는
코일이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동기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 수업개요: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자기장이 생기는 것을 관찰해본다. 이를 위해
Magnet Lab AR을 이용하여 나침반의 위치에 따른 N극의 방향을 확인하고, 자석의
세기에 따른 차이를 비교해본다.
➊ MarsWalk VR 가상현실(VR) 지구 중등 21

 주요 특징
 제작: Lockheed Martin; 파트너: NASA, JPL
 화성을 탐사하는 우주인이 되어 “화성”을 우주에서 찾는 것부터
여러 지역을 탐사해보는 내용
 화성 표면을 걸어보면서 실제 화성탐사선인
InSight, Viking, Curiosity의 착륙지점 탐험
 북부 분화구에서 먼지폭풍 경험
 화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InSight을 관찰
 바이킹 착륙선 방문
 Curiosity가 샘플을 수집하는 빨간색 표면을 탐색하는
모습 따라가기
➋ Access Mars 가상현실(VR) 지구 중등 22

 주요 특징
 웹에서 이용가능한 VR 공간으로, NASA (미국항공우주국)에서는 화성탐사로봇인 큐리오시티(Curiosity Rover)가 수집한 실제
데이터와 이미지로 화성표면을 구현함 (NASA & Google)
 일부 공간을 움직여보고 탐색해볼 수는 있으나, 실질적인 데이터를 이용한 공간이라는 것 이외에 체험은 어려움
 https://accessmars.withgoogle.com/
➌ 유튜브를 이용한 360도 VR 가상현실(VR) 지구 중등 23

 유튜브 영상: Mars - The Red Planet 360 VR Documentary


 본 영상의 제작자(Theofanis Matsopoulos)는 실제 이미지와 과학적 측정을 기반으로 화성여행을 사실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다큐멘터리를 제작하였음.
 https://www.youtube.com/watch?v=pgEfZvJjbZg&ab_channel=AstronomyGreece
➊~➌ VR을 이용한 화성관련 수업 가상현실(VR) 지구 중등 24

 학년 및 단원
 중학교 3학년, 7. 별과 우주

 성취기준
 [9과23-04] 우주 탐사의 의의와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 수업개요
 우주탐사의 방법에는 인공위성, 우주정거장, 탐사선 등이 있음을 알고, 화성탐사방법
(궤도선, 착륙선, 탐사차 등)과 그 임무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위해 실제 화성표면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VR (예: Access Mars 또는 유튜브 360도 다큐멘터리)을 이용하여 탐색해본 후,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화성의 특징 또는 화성탐사의 특징을 생각해본다.
 Mars Walk를 이용하여 화성을 탐사하는 우주인이 되었다고 가정하고, 실제 화성탐사에 이용된
바이킹, 패스파인더, 큐리오시티의 발자취를 따라가보면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했는지
간접적으로 경험해본다.
➍ Mel VR 가상현실(VR) 화학 중등 25

 특징
 Mel Science는 과학학습 자료 및 실험 키트를 제작·제공하는 영국의 웹사이트로, 그 중 MEL VR 앱을 통해 30여 개의 과학수업을
위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음.
 기본적으로 2개 레슨은 무료이며(고체와 기체에서의 원자), 교사의 경우 5개 레슨까지 무료로 제공함.
 학생들은 원자 수준의 공간에 있는 듯한 생생한 경험을 통해 학습에 몰입할 수 있으며, 교사는 학생들이 시청하고 있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어 학습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➍ Mel VR을 이용한 과학수업 가상현실(VR) 화학 고등 26

 학년 및 단원
 고등학교 화학1, 3. 화학결합과 분자의 세계

 성취기준
 [12화학I 03-07]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분자 구조와 관계가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 수업개요 (공유결합 및 탄소 동소체) 화학1 비상교과서

 흑연과 다이아몬드는 모두 탄소라는 한 가지 원소로 이루어져 있지만


원자의 배열과 구조가 달라서 성질이 서로 다른 물질이다. 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Mel VR을 이용하여 다이아몬드와 흑연이 탄소 원자만으로
이루어졌으나, 서로 분자구조가 다르다는 것을 눈으로 명확하게 확인한다.
다른 탄소 동소체에는 다이아몬드, 흑연, 플러렌, 탄소나노튜브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 분자구조의 안정성에 따라 다이아몬드가 가장
안정적임을 인식한다.
Mel VR 중 Atoms in Solid
➎ 코스페이시스 (Cospaces)
 스크래치나 앱인벤터처럼 마우스 클릭만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플랫폼
 3차원 환경에서 작품을 제작하며, 완성된 작품은 스마트폰에서 실행하면
VR화면, AR화면, 3D화면으로 체험할 수 있음

다양한 나만의 공간을 만들고,


VR/AR로 체험해볼 수 있음
➏ VR 공간 제작하기: 헬로앱스 VR코딩 28

https://www.helloapps.co.kr/vr/
29

과연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을 이용하는 수업이


정말 좋은 수업일까?
4. 테크놀로지 이용_3D프린터 30

 3D 프린터와 Tinkerpad 이용

입체/대칭 원리

등고선 원리를
이용한 사진 출력
4. 테크놀로지 이용_실시간 데이터/빅데이터 이용 31

국가환경방사선자동감시망
4. 테크놀로지 이용_실시간 데이터/빅데이터 이용 32

IoT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교실 내 실시간 데이터
측정을 위한 센서 설치
5. 프로그램/웹사이트 이용_Socrative | Plickers | Kahoot 33

Socrative (소크라티브)

Plickers (플리커스)
Kahoot (카훗)
5. 프로그램/웹사이트 이용_Tracker 34

 Tracker: 2차원 공간에서 운동하는 물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이용방법 다운로드
5. 그 외 수업도구 및 수업교구
구리테이프를 활용한 전기회로 작품만들기 패턴을 찾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8. 과학교과서 36

 내가 교사라면 어떤 교과서를 채택할까?


 채택 기준에는 무엇이 있을까?

www.menti.com에서 응답하기!
과학교과서의 종류
 교과서 종류
 초·중등교육법 제29조 제1항 “학교에서는 국가가 저작권을 가지고 있거나 교육부장관이 검정하거나 인정한 교과용 도서를
사용하여야 한다”라는 규정에 따름. 국가 관여 방식에 따라 국정교과서, 검정교과서, 인정교과서로 구분됨
 국정교과서
 국가가 교과서 저작에 직접 관여함. 교육부(연구기관, 대학 등에 위탁)가 편찬하며 교육부 심사를 통과해야 교과서가 됨
 1교과 1종 도서로 모든 학교에서 동일한 교과서로 배움
 검정교과서
 출판사 등 민간이 교과서를 집필하며, 채택되기 위해서는 국가가 정한 검정 기준(교육부 공통기준과 교과별 기준)을
통과해야 함
 교육부 장관이 검정도서로 고시한 과목에 대해 검정·실시 공고를 하고 검정신청을 받아 일정한 기준을 충족한 도서에 한함
 인정교과서
 국·검정 교과서가 없거나 보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일정한 심사기준 충족 후 인정교과서로 지위를 부여 받음
 시·도교육청 자체개발 인정도서와 출판사 출원인정도서로 구분됨
(1) 교과서 분석 예시_개념설명 40

 기압

유형 2
유형 1 유형 3
단위 면적에 작용하는
무게로 설명한 경우 기체 분자운동으로 설명
공기의 압력으로 설명

지표면도 공기의 무게에 기체가 용기벽의 단위 면적에 기체 압력은 분자가 끊임없이


의하여 압력을 받고 있다. 가하는 힘을 그 기체의 운동을 하면서 용기의 내벽과
이러한 공기의 압력을 압력이라고 한다 충돌함으로써 일어나는
기압이라고 한다. (Oxtoby et al., 2000). 결과이다(Corwin, 2000).
(2) 교과서 분석 예시_탐구활동의 다양성 41
(3) 교과서 분석 예시_STS, SSI, STEAM 42
9. 학습지 구성 43

탐구 학습지

비주얼씽킹 학습지
9. 온라인 학습지
 라이브 워크시트 (https://www.liveworksheets.com/)
 띵커벨 (https://www.tkbell.co.kr/user/support/worksheetGuide.do)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