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CERAMIST

특 집 액정 디스플레이용 산화물 반도체 기술 연구 동향

액정 디스플레이용 산화물 반도체 기술


연구 동향
글 _ 정재경, 원주연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1. 서론 에 물리적으로 적용의 한계에 도달하고 있다. 이러한 이


유 때문에 1990년대 중반 이후 다결정 실리콘 기술이 집
모바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및 TV 등의 응 중적으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었다. 저온 폴리 실리콘
용제품을 포함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산업은 연간 100조 (low temperature poly silicon, LTPS) 소자는 이동도가 80
2
원 이상의 세계시장 규모이며, 이중 국내 삼성 및 LG 디 cm /Vs 이상으로 매우 높아서 초고해상도 제품 구현은
스플레이 양사가 세계시장을 50% 이상 점유하고 있기 물론이고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 IC 회로
때문에 본 사업은 반도체와 더불어 우리나라 핵심 전략 내장이 동시에 가능하기 때문에 우수한 화질 특성과 베
적 산업이다. 역사적으로 최초의 디스플레이인 브라운관 젤 영역을 최소화한 고급 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CRT) 제품은 2000년 초반부터 액정 디스플레이 (LCD) LPTS 기술의 경우 레이져를 이용한 결정화 공정과 소스/
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P)에 의해 대체되기 시작하 드레인 오믹 접합 구현을 위한 이온주입이 필수적이기
였으며 LCD는 치열한 디바이스간의 경쟁에서 PDP를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대형 유리기판에 레이져를
압도하여 현재 기준으로는 LCD가 디스플레이 전체시장 이용한 스캔닝 방식의 결정화 공정의 소요시간이 길어
의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LCD 디스플레이를 구동 대형 TFT 기판 제작 생산성이 비정질에 비해 현저히 낮
하기 위해서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 어레이 기술이 필 은 한계점을 동시에 안고 있다. 산화물 반도체는 2004년
요한데 크게 비정질 실리콘, 다결정 실리콘 및 산화물 반 일본 동경공대 호소노 교수 그룹에서 네이쳐에 비정질
도체의 3가지 기술로 구분할 수 있다. 2010년 이후 유기 InGaZnO 박막을 이용한 TFT 소자 제작을 발표한 이후,
1)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가 우수한 화질 및 얇 전세계적인 연구 및 계발이 시작된 신생 TFT 기술이다.
은 패널 두께 등의 장점으로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부각 산화물 반도체는 LTPS 기술과 비교했을 때, 반도체 채
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산화물 반도체 응용은 본 특집편 널을 별도의 공정으로 결정화 공정과 소스/드레인 접촉
의 다른 논문에서 다루기 때문에 본 기고에서는 LCD용 저항 감소를 위한 이온도핑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제
산화물 반도체 기술 현황에 대해 다루기로 한다. 작 공정이 매우 단순해질 수 있다. 이는 스퍼터링법에 의
비정질 실리콘 기술은 8세대 이상의 대면적 증착이 용 해 증착된 비정질 산화물 박막이 비의도적 (unintention-
이할 뿐만 아니라, TFT 단면 구조의 단순성으로 인하여 al)으로 n-형 도핑이 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산화물
가장 넓게 상용되고 있는 검증된 기술이다. 그러나 비정 반도체는 비정질 실리콘과 비교하더라도 비슷한 제조비
2
질 실리콘 TFT는 전하 이동도가 0.5 cm /Vs 불과하기 용 및 생산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전계 이동도가
때문에 고이동도가 요구되는 대면적, 고해상도 응용제품 비정질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비정질 실리콘에 비해 20배

제17권 제1호, 2014년 3월 | | 15


CERAMIST
특 집 정재경, 원주연

2
관심은 2004년 Fortunato 그룹이 20cm /Vs 이상의 고이
동도 특성을 갖는 ZnO 트랜지스터 제작을 발표하고 난
2)
이후에 시작되었다. 그러나 ZnO 박막은 증착과정에서
결정화가 매우 쉽게 발생하기 때문에 대면적향에 적합한
비정질상을 얻기가 쉽지 않고, 결정입계의 존재 때문에
TFT 소자의 이동도 및 문턱전압 산포 문제가 발생할 가
능성이 높은 단점이 있다.
평판디스플레이 소자의 투명 전도막으로 널리 이용되
는 InSnO와 InZnO 박막은 증착중 산소 분압을 적절히
Fig. 1. 디스플레이 해상도 및 Frame rate 증가에 따른 요구되는
TFT의 전계 이동도. 증가시킴으로써 반도체 성질을 띠게 제작할 수 있고, 비
교적 높은 이동도를 가질 수 있으나 공통적으로 In 양이
2
이상 우수한 10 cm /Vs가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고해 온 함유량이 많이 누설전류가 높고 경신 변화 문제점과
상도 및 대면적 적용에 훨씬 유리하다. 열악한 DC, 광 신뢰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정보 디스플레이 산업의 눈부신 성장에 발맞추 InGaZnO 반도체 재료는 2004년 Nature에 보고된 이후
어 초고화질, 초고선명 및 대형화 등을 포함하는 최신 기 가장 집중적인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진 물질이다. 먼저
술의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해서는 4,000 x 2,000 이상의 비정질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이동도를 갖는 이유는 전이
픽셀과 240 Hz 이상의 frame rate 및 70인치 이상의 화 금속 최외각 전자 중 방향에 따른 비등방성이 가장 작은
면 크기가 필요하다. 이러한 기술적 요구사항을 만족하 s 오비탈 파동함수 겹침이 전자밴드 전하 수송에 기여하
기 위해서는 각 픽셀에 영상정보를 기입하는 충전시간을 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즉 비정질상태에서는 양
급격히 감소시켜야 하고 따라서 필요한 픽셀 트랜지스터 이온간의 결합각도의 무질서 (disordering)도가 증가하여
의 전계 이동도는 급격히 증가해야 한다 (Fig. 1). 향후에 도 s 오비탈의 파동함수 겹침은 큰 영향을 받지 않기 때
2
는 최신 기술의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합한 TFT 소자 특 문에 결정성의 이동도와 1/10 이상에 해당되는 10 cm /Vs
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고이동도를 갖는 신물질의 개발이 이상의 이동도가 관찰된다 (Fig. 2).
매우 중요하다. 본 기고에서는 비정질 산화물 TFT를 InGaZnO 물질에서 각각의 양이온의 역할은 상이하다.
LCD 제품에 응용하기 위해 소재, 공정 및 신뢰성의 현 In2O3는 이동도 개선제로, ZnO는 네트워크 형성제로,
기술을 소개하고 향후 LCD 제품에 산화물 반도체 적용 Ga2O3는 전하억제 및 네트워크 안정제로 역할을 하기 때
이 확대되기 위한 이슈를 소개한다. 문에 이동도, 전하농도 및 산소결함 농도제어가 가능하

2. 산화물 TFT 소재 및 공정

2.1. 산화물 반도체 소재


지금까지 연구된 반도체 채널 재료는 ZnO, In2O3,
InZnO, ZnSnO, InGaZnO, ZnGaSnO 등과 같이 매우
다양하다. 가장 대표적인 광대역 반도체 재료는 ZnO 반
도체인데, 주로 UV 감지소자, LED와 같은 광소자, SAW
필터와 같은 압전소자 등의 적용을 목표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TFT 소자의 채널재료로의 집중적인 Fig. 2. 실리콘과 InGaZnO 반도체 재료의 오비탈 구조 비교.

16 | | 세라미스트
CERAMIST
액정 디스플레이용 산화물 반도체 기술 연구 동향

며 상대적으로 산화물 반도체 시스템 중 가장 우수한 신


3)
뢰성을 갖는 산화물 반도체 재료 중에 하나이다. 구체
적으로 InGaZnO 물질에서 In 양이온의 함유량이 증가
할수록 TFT 소자의 전계 이동도는 증가하나 In-O 결합
은 Zn-O, Ga-O 결합강도에 비해 약하기 때문에 상대적
으로 산소 공공결함이 쉽게 형성되어 채널의 자유전자농
도 또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문턱전압은 음의 방향으
로 이동하고, OFF 상태의 누설전류는 점차 증가되는 문
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적조성의 In : Ga 비율은 이동도,
Fig. 4. 삼성 디스플레이가 2010년 FPD에 발표한 IGZO TFT 적용
문턱전압 및 OFF 누설전류의 상호 Trade-off 관계를 고 70 인치 UD급 3D LCD 디스플레이 신제품.
4)
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Fig. 3).
LG 디스플레이, 삼성 디스플레이, 샤프 및 AUO와 같
은 대기업에서 가장 집중적으로 연구된 물질은 IGZO이
며, 산화물 TFT를 적용한 LCD 패널 개발 역시 매우 활
5-7)
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Fig. 4,5).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In 및 Ga 원자는 대
표적인 희유금속일 뿐만 아니라 가격 또한 높기 때문에
최근에는 In, Ga이 적게 포함되거나 혹은 포함되지 않는
새로운 다성분계 채널재료에 대한 탐색도 활발하게 진행 Fig. 5. 중국 BOE가 2013년 개발한 IGZO TFT 적용
8,9)
UHD급 65인치 LCD 신제품.
중에 있다. 이런 관점에서 전세계 매장량이 풍부한
ZnO, SnO2의 이성분계 산화물인 ZnSnO 반도체 재료에 IZTO TFT에서 In2O3의 비율은 이동도를 결정하는 중요
10,11)
관심이 쏠리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Sn 원자의 정 한 component로 In의 비율이 증가 할수록 이동도가 향
확한 물리적, 전기적인 역할규명이 미흡하고, ZnSnO 이 상되는데 이러한 높은 In의 비율은 IGZO와 마찬가지로
성분계만으로 기존 InGaZnO TFT 소자특성 및 신뢰성 문턱전압의 불안정성을 야기시킨다. ETRI에서는 문턱전
에 근접한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확실치 않 압이 음의 값을 갖지 않으면서 가장 우수한 소자 성능을
다. 갖는 조성의 일례로 In:Zn:Sn = 20:40:40을 제시하였는데
2 9
최근에는 고이동도 채널 물질로 InZnSnO (IZTO)를 이동도 24.6 cm /Vs, Vth -0.4V, Ion/off ratio >10 , SS 0.12
이용한 TFT에 대한 결과들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V/decade의 IGZO에 비해 우수한 이동도을 가짐을 확인

Fig. 6. 최적화된 Zn:In:Sn 비율(40:20:40)로 제작한 IZTO TFT


Fig. 3. IGZO 시스템에서 In 조성 변화에 따른 TFT 특성 변화. 소자 특성.

제17권 제1호, 2014년 3월 | | 17


CERAMIST
특 집 정재경, 원주연

12) 13)
할 수 있다(Fig. 6). 따라서 새로운 산화물 반도체 소재 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 (Fig. 8).
로서 주목을 받고 있고, 양이온 조성변화에 따른 bias와 따라서 이러한 소자 열화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손실된
온도에 따른 신뢰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산소원자를 공급하여야 하는데, 예를 들어 N2O 플라즈
진행되고 있다. 마 처리를 하게 되면 산소공공이 제거되면서 누설전류와
게이트 스윙 열화가 개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
2.2. LCD용 산화물 TFT 공정 나 채널 보호막이 미리 형성되어 소스/드레인 형성과정
산화물 TFT 소자 구조는 기존 양산라인에 적용중에 의 열화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ES 구조에 상응하
있는 비정질 실리콘 반도체 소자에서 적용되는 기본 구 는 우수한 게이트 스윙 및 문턱전압 산포 특성을 백채널
조인 바텀 게이트 (bottom gate)가 유리한데, 채널 위의 에치구조에서 달성하기 위해서는, 열화를 최소화 할 수
구조에 따라 백채널 에치 (back channel etch, BCE) 방 있는 식각 공정, 후처리 및 패시베이션 증착공정 등의 추
식과 에치 스탑 (etch stop, ES) 방식 두 가지로 구분된 가 개발이 요구된다. 반면 ES 구조는 소스/드레인 증착
다. 먼저 BCE 방식은 생산성 관점에서 가장 유리하다. 전에 채널 위에 보호막을 미리 형성하기 때문에, S/D 식
이는 디스플레이 TFT 기판에 소요되는 마스크 스텝수를 각 관련 열화를 방지할 수 있게 매우 우수한 소자 특성
14,15)
가장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및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ES 구조를 제조
Fig. 7에 이러한 바텀 게이트 BCE 소자 구조의 단면 하는 과정에서 ES층 형성을 위한 PECVD 증착과 ES층
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소스/드레인 전극을 제외한 금속 패터닝을 위한 사진, 식각 공정이 추가되어 제조비를 상
배선을 플라즈마 기반의 건식 식각을 이용하여 제거할 승시키는 단점이 있다.
때 노출되는 IGZO 박막 표면은 화학, 물리적인 손상을 산화물 TFT 소자의 문턱전압 제어는 패널설계 관점에
받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TFT 소자의 전달특성 서 매우 중요하다. 게이트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때
(Transfer Characteristics)은 누설전류 증가 및 게이트 스 TFT 소자가 OFF 상태를 보장하는 것이 소모전력 관점
윙의 열화를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원인은 아 에서 유리하다. 실리콘 반도체에서는 문턱전압 제어는
르곤 라디칼에 의해 표면에 가장 약한 In-O 결합의 산소 주로 채널에 엑셉터 및 도너를 이온주입으로 원하는 양
가 선별적으로 제거되면서 산소공공결함이 형성되고, 또 만큼 도핑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지만 산화물 반도체에서
한 3nm 두께의 In의 segregation이 형성과 관련된 트랩 는 이와 같은 이온주입 공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산화
물 반도체 기술의 장점은 결정화 및 이온도핑을 사용하
지 않는 점이기 때문에 문턱전압을 이온샤워 기술을 적
용하여 개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이다. 산화
물 TFT 소자에서 문턱전압을 제어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인데 첫 번째는 채널의 양이온와 음이온의 비율을
Fig. 7. 바텀 게이트 구조에서 (a) BCE 구조와 (b) ES 구조 비교. 조절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는 채널 두께를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스퍼터링법에 의한 채널 증착 과정에서 산소
유량을 증가시키면, 채널 층에 산소공공농도가 감소하게
되고 따라서 전자농도 역시 감소하게 되어 문턱전압은
증가하게 된다 (Fig. 9).
실험결과에서 이와 같이 산소공공은 얇은 도너
(Shallow Donor)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한
Fig. 8. BCE 구조에서 S/D 에칭 데미지에 의한 TFT 특성 열화 및 원인. 편, 이론물리 계산결과에서는 결정성의 ZnO에서 산소공

18 | | 세라미스트
CERAMIST
액정 디스플레이용 산화물 반도체 기술 연구 동향

Fig. 9. IGZO 증착시에 산소 유량 변화에 따른 TFT 소자 의존성.

공은 도너가 아니라 깊은 준위 (Deep State)로 존재하게 으로 이해할 수 있다.


된다고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비정질 전이금속 산화물에
서 산소공공결함의 정확한 전기적 기능은 완벽하게 이해 3. LCD용 산화물 TFT 소자의 광바이어스 신뢰성
되고 있지 못하다. 이러한 산소공공 결함의 양면성은
NBIS 신뢰성 부분에서 다시 한번 언급하기로 한다. 두 번 LCD는 비자발광이기 때문에 CCFL, LED와 같은 별
째 방법으로 채널 층의 두께를 증가시킬수록 문턱전압은 도의 Back Light Unit에서 백광이 항상 조사된다. 대부
16)
음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Fig. 10). 이는 트랜지스터 소 분의 빛은 게이트 금속 전극에서 반사되지만, 전체 빛의
자를 Turn-off 시킬 때 채널 전체를 공핍시켜야 하는데 이 약 5% 수준이 측면방향으로 굴절, 반사등을 통하여 채널
는 게이트에 음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가능하다. 그런 에 전달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Blue Light과 같은 높은
데 채널 두께가 증가할수록 공핍시킬 공간영역이 증가하 에너지를 갖는 빛이 산화물 반도체에 입사하면 광 전류
기 때문에 게이트에 인가하는 음의 전압 역시 증가하여 가 발생하게 되어 TFT의 문턱전압이 음으로 이동하는
17)
야 되므로 문턱전압은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 문제점이 2009년 보고되었다. 이러한 문턱전압이동은
스위칭 기능을 담당하는 TFT 소자의 오동작을 일으켜
패널 점등 불량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이슈
이다. 픽셀의 트랜지스터는 1 frame 시간 동안에 전체라
인수의 역수의 비율만큼만 선택되기 때문에 Turn-on 시
간은 FHD의 경우 1/2000초에 불과하다. 나머지 시간 동
안은 OFF 상태이므로 대부분의 게이트 전압은 NMOS
경우 음의 전압에 할당된다 (Fig. 11). 따라서 가장
Duration이 큰 스트레스는 Negative Gate Bias Stress
(NBS)와 빛이 합해진 Negative Gate Bias Illumination
Stress (NBIS)임을 알 수 있다.

Fig. 10. IGZO 채널 두께 변화에 따른 TFT 문턱전압 의존성. 3.1. Negative bias illumination stress (NBIS) 안정성

제17권 제1호, 2014년 3월 | | 19


CERAMIST
특 집 정재경, 원주연

Fig. 11. (a) 액정 디스플레이 단면도, (b) 단위픽셀의 등가 회로 및


(c) 단위 프레임 동안의 timing diagram.

산화물 TFT 소자에 NBIS를 인가할 때 발생하는 소자 Fig. 12. ZnO TFT 소자에 (b) PBIS와 (d) NBIS가 인가되었을 때
열화 특성 비교.
열화는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문턱전압이 음의 방향
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게이트에
Positive Bias Illumination Stress (PBIS)를 인가할 때는
상대적으로 산화물 TFT 소자가 안정성을 보임이 알려져
있다 (Fig. 12).
이는 PBS가 인가될 때의 MIS 캐패시터의 전하분포가
NBS가 인가될 때와 다르기 때문이다 (Fig. 13). PBIS 조
건에서는 게이트에 인가한 양의 전압이 채널 표면에 축
적되는 자유전자에 의해 screening되므로 채널의 대부분
은 중성영역으로 존재할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밴드
갭 보다 큰 에너지를 갖는 광자가 입사되면 가전자에 전
자가 전도대로 여기 되어 전자-홀 쌍이 형성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성된 과량의 전자, 홀은 PBIS가 제거되
면 곧 바로 재결합을 통해 평형상태로 빠르게 되돌아갈
것이다. 따라서 문턱전압의 이동은 크게 관찰되지 않는
다. 반면에 NBIS가 인가되면 채널 전체영역이 Fig. 13과 Fig. 13. PBIS와 NBIS 조건에서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과 전하
분포.
같이 공핍되고 따라서 채널 영역에는 전기장이 존재하게
된다. 빛에 의해 형성된 전자, 홀은 전기장에 의한 분리 서 NBIS가 제거되더라고 문턱전압의 음의 이동은 원래
되어 홀은 게이트/채널 계면 쪽으로 이동하고 전자는 채 대로 회복되지 못한다. 이를 홀트랩핑 (Trapping) 모델이
널 표면 쪽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계면에 쌓여 있는 라 하는데 실험적으로 게이트 절연체를 다른 물질을 적
홀은 계면 트랩이나 게이트 절연막으로 포획되거나 주입 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되어 문턱전압을 음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 Fig. 14는 게이트 절연체로 SiNx와 SiO2를 사용했을

20 | | 세라미스트
CERAMIST
액정 디스플레이용 산화물 반도체 기술 연구 동향

Fig. 15. (a) 홀 트래핑 모델과 (b) 산소 vacancy 결함의 광전이


모델.

Fig. 14. (a) SiNx와 (b)SiO2 게이트 절연막으로 제작된 IGZO TFT에
NBIS를 인할 때 IV 특성 열화와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18)
때 NBIS 불안정성을 비교한 것이다. SiNx 소자의 경우
NBIS 인가에 따른 문턱전압의 음의 방향으로의 이동이
매우 크게 나타났으나 SiO2 소자의 경우 매우 문턱전압
의 이동이 크게 감소한 안정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러한 원인은 가전자 구조의 차이로 이해할 수 있는데 SiO2
의 경우 밴드갭이 8.0 eV 정도로 크기 때문에 홀의 에너
지 장벽이 충분히 높게 GI/채널 계면에서 형성된다. 따라
서 계면에 축적된 홀의 주입이 억제될 뿐만 아니라 SiO2 Fig. 16. (a) Unpassivated 소자와 (b) Passivated 소자의 광바이어
스 신뢰성 비교. 이를 설명하는 (c) photo-desorption 모델
와 IGZO 계면 정합성이 우수하여 계면 트랩 밀도가 작 과 (d)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기 때문에 NBIS에 안정한 신뢰성을 보여준다. 반면에
SiNx의 경우 홀 장벽이 작은 SiNx 밴드갭 때문에 형성 다. 산소공공결함 모델은 결정성의 ZnO에서 관찰되는
되지 못해 홀 주입이 쉽게 발생하고, 이종계면에 근거한 Persistent Photo-conductivity (PPC) 현상을 설명하기 위
계면 트랩이 높아져서 문턱전압 불안정성이 증가하는 것 해 제안된 이론인데, 최근 비정질 IGZO에서도 유사한
20)
으로 이해된다. 산소공공 광전이가 발생할 수 있음이 계산된 바 있다.
NBIS 열화의 두번째 원인으로 산소공공결함 모델이 세번째 모델은 산화물 반도체 표면에 흡착된 산소 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Deep State인 중성 산소공공이 빛에 온이 빛에 의해 광탈착되는 과정에서 반도체층에 남게
2+
의해 V O 로 여기 되면서 이때 전도대에 기여되는 자유 되는 자유전자가 문턱전압의 열화를 일으킨다는 것인데,
전자 때문에 음의 문턱전압 이동을 보인다는 이론이다 이는 채널 보호막이 없는 샘플과 있는 샘플에서 NBIS
19) 2+
(Fig. 15). 이때 V
O 결함은 relaxation 과정을 거치면서 신뢰성이 현저하게 차이가 난다는 실험결과로부터 제안
21)
준안정상태로 전도대 근처에서 존재하므로 NBIS를 제 되었다. Fig. 1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보호막이 없는
거한 이후에도 원래 중성 VO 상태로 회복되지 못하게 된 소자에서는 NBIS에 의한 열화가 현저하게 관찰되는 반

제17권 제1호, 2014년 3월 | | 21


CERAMIST
특 집 정재경, 원주연

면에 보호막이 형성된 소자에서는 NBIS 열화가 크게 감 분야에서는 8세대급 이상의 대형 유리기판으로 확장되
소하는 결과가 그것이다 (Fig. 16). 어야 하는데 이에 대응하는 장비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
않다.
3.2. NBIS 안정성 개선을 위한 후처리 기술
NBIS 불안정성의 원인계는 외부적인 요인과 반도체 3.3. NBIS 안정성 개선을 위한 소자 구조 개발
물질 본질적인 요인으로 구분이 가능한데 홀 트랩핑 모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산화물 TFT 소자의 전계이
델과 산소 광탈착 모델은 외부적인 요인에 근거한 것이 동도와 NBIS 광신뢰성은 강한 Trade-off 관계를 보이고
며 SiO2 흑은 Al2O3와 같은 우수한 절연물질을 게이트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도와 문턱전압의 전기적 특성은
절연체 및 채널 보호막으로 사용하여 상당부분 억제할 채널층의 전자 농도에 의존하게 된다. 즉 채널의 전자농
수 있다. 그러나 산화물 반도체의 산소공공에 의한 열화 도가 증가하면 이동도는 증가하고 문턱전압은 음의 방향
의 경우 재료 본질적인 특성에 기인한 것이기 때문에 보 으로 급격한 이동을 보이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인듐
다 중요한 문제일수 있다. 이와 같은 산소공공에 기인한 함유량이 많은 IZO 혹은 ITO 채널층을 사용하게 되면
광바이어스 신뢰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재료적 접근 이동도의 증가 및 문턱전압의 급격한 음의 방향으로의
과 구조적 접근으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하자. 먼저 재료 이동은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2
적 접근법으로는 산소공공 결함을 억제할 수 있는 조성 이동도는 낮지만 (10 cm /Vs) 신뢰성이 우수한 IGZO 채
을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IGZO 산화물 시스템 널층을 IZO 상부에 증착하여 IGZO/IZO 이중 채널 구조
에서 산소와 강한 결합력을 갖는 Ga 이온의 함유량을 늘 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Fig. 17).
2
리면 산소공공 형성이 억제되어 NBIS 신뢰성을 개선시 이 경우 50 cm /Vs 이상의 이동도와 0V 근처의 문턱
킬 수 있다. 비슷한 방식으로 ZTO 반도체에 Zr을 도핑 전압 및 Bias 신뢰성의 우수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27)
하여 산소공공 결함억제를 통해 광바이어스 불안정성을 (Fig. 18).
22)
개선시킨 보고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이온 최적 흥미 있는 사실은 이와 같은 이중채널 구조에서 우수
화 방법은 산소공공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전자농도 역시 한 이동도와 전기적 안정성을 보고한 대부분의 결과에서
감소하게 되어 전계 이동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게이트 절연체 계면에 인접한 채널층의 두께가 약 5nm
있다. 일 때에 최적 조건에 해당한다는 사실이다. 이보다 계면
이는 산화물 반도체의 전도기구가 Percolation 채널층의 두께가 증가하면 문턱전압 값이 음의 방향으로
Conduction에 따르기 때문이다. 본 연구실에서는 양이온 급격히 이동할 뿐만 아니라 NBIS 인가시에 소자의 불안
은 고정된 상태에서 음이온의 구성원소인 산소 원자 혹 정성이 급증하는 문제점이 발견된다. 이에 대한 근본적
은 분자를 후처리를 통해 효과적으로 주입하며 이동도의 인 원인 규명은 이중채널 구조에서 열처리 공정 동안에
23)
저하 없이 광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발표하였다.
또한 오존이나 산소 플라즈마와 같은 후처리 공정을 통
해서도 비슷한 NBIS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
24,25) 2
음도 확인하였다. 특히 30 cm /Vs의 고이동도를 가
지면서도 우수한 광전기적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채널
물질을 In 함유량이 50%가 넘는 IZO를 적용하고 후처
리로 고압 산소 열처리를 거치면 매우 우수한 소자를 제
26)
작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이와 같은 고압열처리 시스
템은 반도체 분야에서는 제작이 가능하지만, 디스플레이 Fig. 17. 이중 채널 구조의 장점을 나타낸 개념도.

22 | | 세라미스트
CERAMIST
액정 디스플레이용 산화물 반도체 기술 연구 동향

free한 계면 채널층에서 과도한 인듐함량에 기인한 산소


공공 결함 형성이 급증하기 때문에 계면 채널층이 두꺼
워지면 NBIS 신뢰성이 다시 열화 될 수 있다고 해석되
었다.

4. 결론 및 향후 전망

본 기고에서는 LCD 제품에 응용하기 위한 금속 산화


물 TFT의 재료, 공정 및 신뢰성의 관점에서 최근 진행된
주요 연구 결과와 이슈를 살펴보았다. 재료적인 측면에
서는 IGZO 물질이 가장 많이 연구 및 개발 개발되었는데,
특히 C-axis aligned IGZO 물질은 매우 우수한 누설전류
및 광바이어스 신뢰성을 갖는 것으로 발표되었고, 일본
의 샤프에서 고해상도 IT 모바일 제품에 양산을 진행하
고 있다. 그러나 최적화된 IGZO 물질의 전계 이동도는
2
양산기존 10~20 cm /Vs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향
후 초고해상도 및 고 프레임 속도의 고부가 제품에 적용
가능할지는 미지수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IZTO와 같은
새로운 사성분계 물질에 대한 연구가 관심을 모으고 있
Fig. 18. 단채널과 이중채널 산화물 TFT 소자의 (a) PBTS와 (b) 다. 궁극적으로 금속산화물 반도체는 현재 가장 우수한
NBTS 신뢰성 비교.
성능을 보여주는 폴리 실리콘 TFT에 대응 가능한 수준
상호 확산이 되면서 계면채널에 전하 억제제로 알려진 이 되어야 모바일 제품에서 TV까지를 포함하는 차세대
Sn 과 같은 이온에 도핑되면서 계면 채널층에서 산소공 디스플레이 백플레이에 폭 넓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28)
공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Fig. 19). 따라서 현재 PMOS 폴리 실리콘 양산수준인 전계 이동
2
계면 채널층이 5nm 이하로 얇을 때는 전체 계면 채널 도 80 cm /Vs을 새로운 목표로 설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
층이 Sn에 의해 도핑되지만, 계면 채널층이 임계두께에 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정보 디스플레이 산업이 우리
비해 증가하면 한정된 Sn 확산거리 때문에 계면 채널층 나라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고려하고 향후 삼성 및
은 Sn 도핑된 층과 Sn-free층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Sn- LG 디스플레이가 지속적인 기술 격차를 유지하기 위해
서는 차세대 산화물 반도체 기술에 대한 국가주도형 과
제가 기획되어 핵심 소재 기술을 물론이고 핵심 인력양
성이 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1. K. Nomura, H. Ohta, A. Takagi, T. Kamiya, M. Hirano,
and H. Hosono, “Room-temperature Fabrication of
Transparent Flexible Thin-film Transistors Using Amor-
Fig. 19. 산소 공공 주위에 Sn 원자 배위수 변화에 따른 산소공공 phous Oxide Semiconductors,” Nature, 432 488 (2004).
결함의 형성에너지 계산결과.

제17권 제1호, 2014년 3월 | | 23


CERAMIST
특 집 정재경, 원주연

2. E. M. C. Fortunato, P. M. C. Barquinha, A. C. M. B. and J. K. Jeong, “High Performance Thin Film Tran-


G. Pimentel, A. M. F. Goncalves, A. J. S. Marques, R. sistor with Cosputtered Amorphous Zn-In-Sn-O Chan-
F. P. Martins, and L. M. N. Pereira, “Wide-bandgap nel: Combinatorial Approach,” Appl. Phys. Letts.,
High-mobility ZnO Thin-film Transistors Produced 95 072104 (2009).
at Room Temperature,” Appl. Phys. Letts., 85 2541 13. J. C. Park, S. W. Kim, C. J. Kim, S. I. Kim, I. H.
(2004). Song, H. Yin, K. K. Kim, S. H. Lee, K. H. Hong,
3. H. Hosono, “Ionic Amorphous Oxide Semiconductors: J. C. Lee, J. K. Jung, E. H. Lee, K. W. Kwon, and Y.
Material Design, Carrier Transport, and Device Appli- S. Park, “High-performance Amorphous Gallium Indi-
cation,” J. Non-Cryst. Solids, 352 851 (2006). um Zinc Oxide Thin-film Transistors through N2O
4. J. K. Jeong, J. H. Jeong, H. W. Yang, J. S. Park, Y. G. Plasma Passivation,” Appl. Phys. Letts., 93 053505
Mo, and H. D. Kim, “High Performance Thin Film (2008).
Transistors with Cosputtered Amorphous Indium Gal- 14. M. K. Kim, J. H. Jeong, H. J. Lee, T. K. Ahn, H.
lium Zinc Oxide Channel,” Appl. Phys. Letts., 91 113505 S. Shin, J. S. Park, J. K. Jeong, Y. G. Mo, and H.
(2007). D. Kim, “High Mobility Bottom Gate InGaZnO Thin
5. H. Yabuta, M. Sano, K. Abe, T. Aiba, T. Den, H. Film Transistors with SiOx Etch Stopper,” Appl. Phys.
Kumomi, K. Nomura, T. Kamiya, and H. Hosono, Letts., 90 212114 (2007).
“High-mobility Thin-film Transistor with Amorphous 15. J. H. Jeong, H. W. Yang, T. K. Ahn, M. K. Kim, K. S.
InGaZnO4 Channel Fabricated by Room Temperature Rf- Kim, B. S. Gu, H. J. Chung, J. S. Park, Y. G. Mo, H.
magnetron Sputtering,” Appl. Phys. Letts., 89 112123 D. Kim, H. K. Chung, and J. K. Jeong, “12.1-in. WXGA
(2006). AMOLED Display Driven by InGaZnO Thin-film Tran-
6. M. Kim, J. H. Jeong, H. J. Lee, T. K. Ahn, H. S. Shin, sistors,” J. Soc. Inf. Disp., 17 95 (2009).
J. S. Park, J. K. Jeong, Y. G. Mo, and H. D. Kim, “High 16. J. S. Park, J. K. Jeong, Y. G. Mo, H. D. Kim, and
Mobility Bottom Gate InGaZnO Thin Film Transistors C. J. Kim, “Control of Threshold Voltage in ZnO-
with SiOx Etch Stopper,” Appl. Phys. Letts., 90 212114 Based Oxide Thin Film Transistors,” Appl. Phys. Letts.,
(2007). 93 033513 (2008).
7. J. K. Jeong, J. H. Jeong, H. W. Yang, J. S. Park, Y. G. 17. J. H. Shin, J. S. Lee, C. S. Hwang, S. H. K. Park, W.
Mo, and H. D. Kim, “High Performance Thin Film S. Cheong, M. K. Ryu, C. W. Byun, J. I. Lee, and H.
Transistors with Cosputtered Amorphous Indium Gal- Y. Chu, “Light Effects on the Bias Stability of
lium Zinc Oxide Channel,” Appl. Phys. Letts., 91 113505 Transparent ZnO Thin Film Transistors,” ETRI J.
(2007). 31 62 (2009).
8. E. M. C. Fortunato, L. M. N. Pereira, P. M. C. 18. K. H. Ji, J. I. Kim, Y. G. Mo, J. H. Jeong, S. H. Yang,
Barquinha, A. M. B. Rego, G. Gonçalves, A. Vilá , J. C. S. Hwang, S. H. K. Park, M. K. Ryu, S. Y. Lee,
R. Morante, and R. F. P. Martins, “High Mobility Indi- and J. K. Jeong, “Comparative Study on Light-Induced
um Free Amorphous Oxide Thin Film Transistors,” Bias Stress Instability of IGZO Transistors With SiNx
Appl. Phys. Letts., 91 222103 (2008). and SiO2 Gate Dielectrics,” IEEE Electron Device
9. A. Chipman, “The Flat-screen Television Boom Has Lett., 31 1404 (2010).
Materials Scientists Scrambling to Replace the Valu- 19. A. Janotti and C. G. V. Walle, “Native Point Defects
able Metal Oxide that Coats the Screens,”Nature in ZnO,” Phys. Rev. B, 76 165202 (2007).
(London), 449 131 (2007). 20. B. K. Ryu, H. K. Noh, E. A. Choi, and K. J. Chang,
10. H. Q. Chiang, J. F. Wager, R. L. Hoffman, J. Jeong, “O-vacancy as the Origin of Negative Bias Illumi-
and D. A. Keszler, “High Mobility Transparent Thin- nation Stress Instability in Amorphous In-Ga-Zn-O
film Transistors with Amorphous Zinc Tin Oxide Thin Film Transistors,” Appl. Phys. Letts., 97 022108 (2010).
Channel Layer," Appl. Phys. Letts., 86 013503 (2005). 21. S. H. Yang, D. H. Cho, M. K. Ryu, S. H. K. Park, C
11. W. B. Jackson, R. L. Hoffman, and G. S. Herman, S. Hwang, J. Jang, and J. K. Jeong, “Improvement in
“High-performance Flexible Zinc Tin Oxide Field- the Photon-induced Bias Stability of Al-Sn-Zn-In-O
effect Transistors,” Appl. Phys. Letts., 87 193503 (2005). Thin Film Transistors by Adopting AlOx Passivation
12. M. K. Ryu, S. H. Yang, S. H. K. Park, C. S. Hwang, Layer,” Appl. Phys. Letts., 96 213511 (2010).

24 | | 세라미스트
CERAMIST
액정 디스플레이용 산화물 반도체 기술 연구 동향

22. B. S. Yang, M. S. Huh, S. H. Oh, U. S. Lee, Y. J. of the Photo-bias Stability of the Zn-Sn-O Field Effect
Kim, M. S. Oh, J. K. Jeong, C. S. Hwang, and H. Transistors by an Ozone Treatment,” J. Mater. Chem.,
J. Kim, “Role of ZrO2 Incorporation in the Suppres- 22 10994 (2012).
sion of Negative Bias Illumination-induced Instabili- 26. S. Y. Park, J. H. Song, C. K. Lee, B. G. Son, C. K.
ty in Zn-Sn-O Thin Film Transistors,” Appl. Phys. Lee, H. J. Kim, R. Choi, Y. J. Choi, U. K. Kim, C.
Letts., 98 122110 (2011). S. Hwang, H. J. Kim, and J. K. Jeong, “Improvement
23. S. H. Yang, K. H. Ji, U. K. Kim, C. S. Hwang, S. in Photo-Bias Stability of High-Mobility Indium Zinc
H. K. Park, C. S. Hwang, J. Jang, and J. K. Jeong, Oxide Thin-Film Transistors by Oxygen High-Pressure
“Suppression in the Negative Bias Illumination Insta- Annealing,” IEEE Electron Device Lett., 34 894 (2013).
bility of Zn-Sn-O Transistor Using Oxygen Plasma 27. S. I. Kim, C. J. Kim, J. C. Park, I. H. Song, S. W.
Treatment,” Appl. Phys. Letts., 99 102103 (2011). Kim, H. Yin, E. H. Lee, J. C. Lee, and Y. S. Park,
24. K. H. Ji, J. I. Kim, H. Y. Jung, S. Y. Park, R. Choi, “High Performance Oxide Thin Film Transistors with
U. K. Kim, C. S. Hwang, D. S. Lee, H. S. Hwang, Double Active Layers,” IEDM Tech. Dig., 73 1 (2008).
and J. K. Jeong, “Effect of High-pressure Oxygen 28. H. Y. Jung, Y. H. Kang, A. Y. Hwang, C. K. Lee, S.
Annealing on Negative Bias Illumination Stress- W. Han, D. H. Kim, J. U. Bae, W. S. Shin, and J.
induced Instability of InGaZnO Thin Film Transis- K. Jeong, “Origin of the Improved Mobility and Photo-
tors,” Appl. Phys. Letts., 98 103509 (2011). Bias Stability in a Double-channel Metal Oxide Tran-
25. B. S. Yang, S. H. Park, S. H. Oh, Y. J. Kim, J. K. sistor,” Scientific Rep., 4 3765 (2014).
Jeong, C. S. Hwang, and H. J. Kim, “Improvement

정재경 원주연
2002년 서울대학교 재료공학과 박사 2013년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부 학사
2003년 일리노이 주립대학 박사후 과정 2013년-현재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2004년 삼성 SDI 중앙연구소 책임연구원 석사과정
2009년 인하대학교 신소재공학과 부교수

제17권 제1호, 2014년 3월 | | 2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