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다음주 금요일 코로나 백신, 백신 후 생기는 진통에 질병관리청에서 해열.

진통제 복용 권유 -> 진통제와 백신은


어떻게 분류할 있을까? 각각을 구성하는 재료와 제조 방식에 따라 백신은 바이오의약품으로, 해열.진통제는 합
성의약품으로 구분됩니다. 오늘 저는 바이오의약품과 합성의약품의 제조적 특징, 각각의 의약품이 효과를 나타내
는 방식의 차이를 알아본 후 바이오의약품의 전망에 대하여 소개하겠습니다.

합성의약품 : 여러가지 화학 물질을 적절히 배합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의약품


구조 : 물리화학적 특성이 명확한 저분자 구조
제조 : 간단한 화학적 합성으로 대량생산
: 구조와 형태가 일정한 화학물질을 이용 - 제조공정의 변이성이 비교적 낮음
: 상대적으로 복제가 쉽고 낮은 제조비용
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대부분의 의약품은 합성 의약품
ex) 대표적인 예시로 아스피린. 아스피린합성 실험을 해본 학생 있을 것?
학교에서 제작이 가능할 정도로 제작 방식이 간단하고 생산 비용이 낮음

바이오의약품 : 재조합DNA기술을 응용하여 미생물세포와 배양조직세포에서 생산한 의약품


구조 : 사람은 유전적 다양성과 변이 등으로 개체별 서로 다른 특성 - 활성과 구조가
일정하지 않음
제조 : 제조공정의 변이성이 매우 높음
: 복잡한 제조과정을 통한 맞춤형 소량 생산
: 복제가 불가능하고 높은 제조비용
ex) 단백질 의약품, 항체치료제,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등
인슐린. 단백질의약품에 속함. 대장균을 이용하여 인슐린 제작(생물이 만들어낸 산물을 사용).
백신. 코로나 바이러스가 다양한 변이를 거치며 우리를 위협하고 있듯. 코로나 바이러스를 통하여 생산한 바이
오의약품인 백신 역시 다양한 변이의 가능성이 있음

이처럼 합성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은 재료와 제조공정에서 많은 차이를 나타내기에 각각이 목표하는 효과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효과 면에서의 차이
합성의약품 : 질병의 증상 개선에 그침
: 진통제를 두통 치통 등 다양한 질병에 보편적으로 사용하듯 일관적 효과
바이오의약품 : 질병의 근본적인 원인치료 가능
: 환자에 따른 맞춤형 치료 가능
효과 작용을 위한 투약 방식
합성의약품 : 화학적 약품이므로 형태의 변경이 상대적으로 쉬워 다양한 방법으로 약물 투여 가능
: 알약 형태로 섭취하는 경구제, 바르는 형태의 연고, 주사의 형식. 등 일반적 경로로 투여
바이오의약품 : 생물을 원료로 하기에 형태의 변형이 어려움
: 주사 또는 주입, 이식 등 시술을 동반한 투여

바이오의약품의 전망
앞서 알아본 봐와 같이 바이오의약품은 합성 의약품에 비하여 부작용이 적고 안정성이 높으며 특정 질환에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어 앞으로 성장할 사업으로 여겨짐. 분석학 및 과학을 바탕으로 보건의료 솔루션을
제공해온 퀸타일즈 IMS 는 2016 년 바이오의약품이 세계 의약품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9%에서 2021 년
23..4%로 꾸준히 증가함을 밝혔다.
이처럼 바이오 의약품이 우리 일상에 점점 가까이 다가오는 사회에서 합성 의약품과 바이오의약품 각각의
특성을 잘 알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