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9

10차시 – 안정성비율과 활동성비율

개요

•사례

매출 100 매출 100
비용 50 비용 20
영업이익 50 영업이익 80
영업자산 400 영업자산 1,000

이익자체는 Y회사가 분명히 X회사 보다 많지만, 투자액과 같이 고려해보면


Y회사의 실적이 X회사의 실적보다 좋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당기순이익(또는 영업이익) 자산 1원당 얼마의 당기순이익 또는


영업이익을 만들어냈는지를 산출하여
자산 자산으로 투자된 돈의 효율성을 볼 수 있음
안정성비율

•안정성비율의 정의

Ø회사가 불안정하다는 것
= 부도나 파산 등으로 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
Ø안정성 비율
: 회사가 망하지 않는 힘을 가지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비율
Ø 안정성 비율을 장기간에 걸쳐 추세를 분석하게 되면 회사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알 수 있음
안정성비율

•유동비율 – 회사의 지급능력을 살펴보자.


Ø유동비율(Current Ratio)이란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누어 측정하는 것
Ø단기간 내에 갚아야 하는 부채를 단기간 내에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으로 갚을
수 있는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지표
Ø회사의 단기채무의 상환능력

유동자산
유동비율(%) = ´ 100
유동부채
유동비율이 유동비율이
100%보다 VS. 100% 미만
높은 회사 인 회사

아무리 전망이 좋은 흑자예상


기업의 재무구조가 견실해
기업이더라도 단기채무에
단기채무지급 능력이
대처하지 못한다면 도산의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
안정성비율

•유동비율의 분석 사례

구 분
구 분 제 36
제 36 기
기 제 35
제 35 기

13,958,491
13,958,491 13,482,409
13,482,409
유동비율
유동비율 x 100
x 100==160.1%
160.1% x 100 ==
x 100 140.7%
140.7%
8,720,903
8,720,903 9,191,898
9,191,898

•전년도 140.7%에 비해 증가한 160.1%를 기록


⇒ 전기보다 유동자산이 증가하고, 유동부채가 감소함에 기인함
⇒ 회사의 자금사정이 좋아졌음을 의미

•20x5년 제조업 유동비율 평균인 121.35% 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을 기록


⇒ 회사의 단기적인 안전성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냄
안정성비율

•당좌비율 – 지급능력을 꼼꼼히 살펴보자.

Ø당좌비율(Quick Ratio)은 유동자산 중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재고자산을


제외하고 유동성이 높은 자산인 당좌자산(현금   금융상품, 유가증권 및 매출채권
등)만을 유동부채와 대응시킴으로써 단기채무에 대한 기업의 초단기적인
지급능력을 파악하는 데 사용

당좌자산
당좌비율(%) = ´ 100
유동부채

•회사의 당좌비율이 100% 이상


⇒ 회사의 단기적인 안정성은 양호하다고 볼 수 있음
•위험하다는 소문이 있는 회사를 검토할 때에는, 이 수치를 사용하면 됨
안정성비율

•당좌비율의 분석 사례

구분
분 제제36
36기기 제제3535
기기

10,804,173
10,804,173 11,002,451
11,002,451
당좌비율
당좌비율 x 100 = =123.9%
x 100 123.9% x 100 = =119.7%
x 100 119.7%
8,720,903
8,720,903 9,191,898
9,191,898

•20x5년 현재 제조업계의 평균 당좌비율이 90.11%


⇒ 100%에 미달하는 수치로, 불황에 의한 판매부진 시, 매우 어려운 국면을 맞을
가능성이 있음
⇒ 불황이더라도 재고자산이 모두 팔리지 않을 가능성은 낮지만 재고자산을 제외한
유동자산, 즉 당좌자산으로 유동부채를 감당할 능력이 제조업계는 모자람

•A 회사는 당좌비율이 100% 이상


⇒유동성에 여유가 있음
안정성비율

•부채비율 – 회사의 지급 불능 위험을 파악해보자.


Ø부채비율(Debt-To-Equity Ratio)이란 타인자본인 부채와 자기자본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재무지표
Ø부채비율이 클수록 채권자에 대한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
Ø일반적으로 100%이하를 표준비율로 보고 있음
부 채
부채비율(%) = ´ 100
자기자본

유동부채비율 고정부채비율
(Current Debt to Equity Ratio) (Long Term Debt to Equity Ratio)

•자기자본에 대해 단기에 상환
•자기자본에 대한 비유동부채
해야 할 유동부채의 비율
의 비율로 회사의 장기지급
•자본구성의 안정성을 측정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
하는 지표
안정성비율

•부채비율의 분석 사례


구 분
분 제제3636기기 제 35
제기35 기

9,376,134
9,376,134 9,788,906
9,788,906
부채비율
부채비율 x x100
100 =
= 27.2%
27.2% xx 100 =33.3%
100 = 33.3%
34,440,409
34,440,409 29,414,475
29,414,475

8,720,903
8,720,903 9,191,898
9,191,898
유동부채비율
유동부채비율 x x100
100 =
= 25.3%
25.3% xx100 = 31.2%
100 = 31.2%
34,440,409
34,440,409 29,414,475
29,414,475
655,231
655,231 597,008
597,008
비유동부채비율
비유동부채비율 xx100 = 1.9%
100 = 1.9% x x100
100 = 2.0%
= 2.0%
34,440,409
34,440,409 29,414,475
29,414,475

•부채비율이 100%가 되지 않는다는 것은 주주의 지분이 부채보다


많다는 것으로 매우 견실한 자본구조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
•A회사는 매우 낮은 부채비율을 나타내고 있어 이자비용과 향후 부채
상환에 대한 부담이 매우 적은 기업이라 할 수 있음
TO BE CONTINUED….
활동성비율

•활동성비율의 정의

Ø기업에 투입된 자본이 기업의 영업활동에 어느 정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측정하는 지표
Ø매출액을 형성하기 위하여 투자된 각종 자산들과의 관계를 분석
Ø자산을 몇 번 회전시켜 매출액을 달성했느냐를 나타내는 비율로 매출액을
자산항목으로 나누어 계산

•예) 재고자산회전율이 4회전이라고 한다면 회사의 재고자산에 비해


매출액(매출원가)이 4배

•활동성 비율은 회전율이 높을수록 투자자산에 비하여 매출액이 상


대적으로 높다는 것을 의미

•적은 자산을 투입하여 많은 매출을 실현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판매활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거나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용
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
활동성비율

•총자산회전율 – 자산이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는지 파악하자.

Ø총자산회전율은 매출액총자산율과 유사한 개념으로, 단위는 회전으로 나타냄

매출액
총자산회전률 =
평균총자산
•회사의 규모는 크나, 매출액이 상대적으로 적은 회사
⇒ 총자산회전율이 낮음

•회사의 규모는 작으나, 매출액이 상대적으로 큰 회사


⇒ 총자산회전율이 높음

•일반적으로, 대기업 등의 설비규모가 큰 회사


⇒ 회전율이 낮아 1회전 정도이면 적정한 수준이라고 봄

•소수 인원으로 높은 매출액을 나타내는 벤처기업이나, 상품의 회전이 빠른 도소매업


⇒ 상대적으로 총자산회전율이 높은 편
활동성비율

•총자산회전율의 분석 사례


구분분 36 기
제 36
제 기

57,632,359
57,632,359
총자산회전율
총자산회전율 ==1.39
1.39 회

(43,816,543+39,203,381)/2
(43,816,543+39,203,381)/2

•우리나라 제조업의 총자산회전율은 평균 1.20회를 기록


⇒ 전체적으로 자산규모 이상의 매출을 실현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제조업은 자산을 어느 정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나타냄
•A 회사의 총자산회전율은 1.39회로 대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총자산
회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음
⇒ A회사의 높은 효율성을 보여줌
활동성비율

•매출채권회전율 - 매출채권이 부실화 되어 있지 않는지 파악하자.


Ø매출채권이 잘 회수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수치는 매출채권회전율을 통해서 파악
Ø매출채권회전율은 평균매출채권과 매출액을 비교하여 산출됨

매출액
매출채권회전율 =
평균매출채권

•매출채권회전율이 높을수록, 매출채권의 현금화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의미


•보통 6회전 이상이면 양호하고, 4회전 이하 ⇒ 매출채권 회수에 불량한 회사
•매출채권회전율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게 됨
•일반적으로 고가의 제품일수록 신용판매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됨
•신용판매가 발생하면 재무상태표의 매출채권 잔액이 높아질 수 밖에 없으므로, 매출
채권회전율은 낮아지게 됨
•도소매업은 신용판매가 거의 일어나지 않음 ⇒ 매출채권회전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특정회사의 매출채권회전율을 분석할 때 동종 업계와 비교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음
활동성비율

•매출채권회전율의 분석 사례


구분분 36 기
제 36
제 기

57,632,359
57,632,359
매출채권회전율
매출채권회전율 = 40.1 회
= 40.1 회
(1,331,577+1,543,267)/2
(1,331,577+1,543,267)/2

36 기 매출채권잔액
36기 매출채권잔액 : 1,331,577 백만원
1,331,577 백만원
35 기 매출채권잔액
35기 매출채권잔액 : 1,543,267
1,543,267 백만원
백만원

• 제조업 평균 매출채권회전율은 7.74회로 매출채권회전율이 보통 양호


하다고 보는 기준인 6회전 이상을 기록
⇒ 매출채권회수가 나름대로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 A회사의 매출채권회전율 : 40.1 회전
⇒ 매출채권관리가 잘 이루어 지고 있음
활동성비율

•재고자산회전율 – 재고자산이 적정한지 파악하자.

Ø재고자산이 적정한지 판단하는 기준으로 재고자산회전율(Inventory Turnover)을 사용


Ø매출원가를 평균재고자산으로 나누어 계산하며, 재고자산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관리되고 있는지를 나타냄

매출원가
재고자산회전율 =
평균재고자산

•재고자산회전율이 높을수록 재고자산이 효율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냄
•재고자산회전율이 급격히 하락하거나 산업평균에 비하여 상당한
차이가 있을 때에는 재고자산관리에 비효율성이 있을 가능성을 나타
낸다고 할 수 있음
•기대 이하로 판매가 부진하여 재고자산이 적체되어 있거나 재고자산
이 진부화되면 재고자산회전율이 크게 둔화됨
활동성비율

•재고자산회전율의 분석 사례


구분분 제 36
제 기
36 기

37,279,686
37,279,686
재고자산회전율
재고자산회전율 =
= 13.2 회
13.2 회
(3,154,318+2,479,958)/2
(3,154,318+2,479,958)/2

•일반적으로, 제조업은 재고자산회전율이 6회전 이상은 유지해야 함


•A회사는 재고자산회전율이 13.2회로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
⇒A회사가 재고자산 관리를 아주 양호하게 하고 있음을 의미
활동성비율

•유형자산회전율 – 유형자산의 효율성를 파악하자.


Ø유형자산회전율(Tangible Assets Turnover)이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설비자산의 적정여부를 판단하는 지표
Ø매출액을 유형자산으로 나누어 계산

매출액
유형자산회전율 =
평균유형자산

•유형자산회전율이 높으면 즉, 유형자산을 적게 사용하여 매출액을 많이


달성하게 되면, 회사는 효율적으로 유형자산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냄
•하지만, 무조건 높다고 좋은 것은 아님
-회전율이 업종 평균보다 높다는 의미는 상대적으로 설비투자가 부족한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미래의 수요 상승에
대비할 여력이 없음을 나타내기 때문
활동성비율

•유형자산회전율의 분석 사례


구분분 제 36
제 36 기

57,632,359
57,632,359
유형자산회전율
유형자산회전율 =
= 3.14 회
3.14 회
(20,039,841+16,669,204)/2
(20,039,841+16,669,204)/2

•유형자산회전율이 2~3회전 이면 양호
•A회사는 3회전 이상으로 설비투자의 활용도가 높음
•유형자산회전율이 높은 편이므로, 미래 수요에 대비한 설비가 갖추어져
있는지 파악해 볼 필요가 있음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