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생물물Ⅱ

Ⅲ. 생 명의 연 속성 - 2. 유전 자와 형질 발현
1
각 30% 함량을 차지하게 된다. 숙신산과 유사한 구조이므로 숙신산탈수소효

◎ 정답 ◎ 7. (다)에 해당하는 코돈은 CCG이며, 이것에


소에 옥살아세트산이 결합하면 숙신산이 결
합하는 것이 방해된다.
01. ① 02. ① 03. ① 04. ② 05. ④ 의해 지정되는 아미노산은 프롤린이다. 또,
06. ③ 07. ④ 08. ④ 09. ② 10. ④ 안티코돈이 UGU인 tRNA는 mRNA 코돈 14. ㄱ. 리보솜은 mRNA를 따라 이동하는데,
ACA가 지정하는 트레오닌을 운반한다. 코돈 하나씩 이동한다. 코돈은 mRNA의 3개
11. ② 12. ④ 13. ⑤ 14. ③ 15. ②
의 염기단위를 말한다. ㄴ. 개시코돈은
16. ④ 17. ⑤ 18 ① 19. ③ 20. ② 8. ㄱ. 이 DNA의 GAG는 mRNA의 CUC로 AUG, 정지코돈은 UAA, UGA, UAG라는
전사되므로 류신을 지정한다. ㄴ. DNA의 6 특정한 염기서열로 되어 있다. ㄷ. 추가되는
21. ③ 22. ④ 23. ① 24. ③ 25. ③
번째 트리플렛 코드 ATT는 mRNA의 UAA tRNA는 A자리로 들어오고, 떨어져나가는
26. ⑤ 27. ④ 28. ① 29. ③ 종결 코돈으로 전사된다. ㄷ. 이 DNA가 지 tRNA는 P자리에서 떨어진다. ㄹ. 정지코돈에
정하는 아미노산 순서는 메티오닌 - 류신 - 는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tRNA가 없
15
1. N로 표지된 DNA를
14
N가 들어 있는 배
15 14
프롤린 - 트레오닌 - 류신이므로 아미노산 기 때 문에 A자리가 비게 되고 단백질 합성
지에 옮겨 1회 분열시키면 N- N DNA 2 종류는 4가지이다. ㄹ. 개시 코돈인 AUG가 이 종결된다.
개가 만들어진다. 네 번 분열한 4세대에서는 지정하는 아미노산은 메티오닌이다.
16개의 DNA가 생겨나는데, 그 중에서 15. ㄱ. mRNA의 염기와 상보적으로 결합된
15 14
N- N DNA는 두 개이고 나머지 14개는
14
9. ㄴ. 유전자 B는 오르니틴을 시트룰린으로 DNA 가닥을 찾으면 된다. mRNA에만 있는
모두 N-14N DNA이다. 전환시키는 효소 b를 합성하는 유전자이다. 염기인 U와 같이 결합할 A가 같은 비율인
ㄷ. 유전자 A가 손상되면 효소 a가 합성되 것은 DNA 가닥 II이다. ㄴ. 주형인 DNA 가
2. tRNA의 안티코돈 5'-AAA-3'에 상보적 지 못하므로 글루탐산이 오르니틴으로 전환 +
닥 II의 A G의 비율과 mRNA의 C U는 서 +
으로 결합하는 mRNA의 코돈은 5'-UUU-3' 되지 못하고, 따라서 글루탐산이 축적된다. 로 상보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같다. ㄷ.
이고, 또 이 코돈에 상보적으로 결합하는 DNA 가닥 I의 A T는 43이고, DNA 가닥 +
DNA 트리플렛 코드는 3'-AAA-5'이다. 따 10. ㄱ. 대장균 A의 경우 약 50분경부터 젖 +
II의 염기 G C는 56.5로 서로 다르다.
라서, 5'-AAA-3'인 tRNA에 의해 운반되는 당 분해 효소의 양이 늘어난 것을 통해 젖당
아미노산은 페닐알라닌이다. 이 억제 단백질과 결합하므로 프로모터, 작 16. 젖당 오페론은 젖당이 있을 때 젖당을
동 유전자 및 구조 유전자인 젖당 오페론이 이용하기 위해 활성화된다. 억제 물질은 젖
3. 세포 주기가 24시간이라고 했으므로 72시 정상적으로 작동한 것을 알 수 있다. ㄴ. 대 당의 유 무와 관계 없이 생성되지만 젖당이
간 동안 증식시키면 3세대가 되어 8개의 장균 A가 약 50분경부터 구조 유전자를 발 있으면 젖당이 억제 물질에 결합하여 억제
DNA가 만들어진다. DNA는 반보존적으로
15 15 15 14
현하여 젖당 분해 효소를 늘리면, 대장균 A 물질이 작동 유전자에 결합하지 못하게 한
복제되므로 N- N DNA는 없고, N- N 는 이 효소로 젖당을 분해하여 포도당을 생 다. 이 때 RNA 중합 효소가 프로모터에 결
14 14
DNA가 2개, 나머지 6개는 N- N DNA이 성하면서 다시 세포수를 늘리게 된다. ㄷ. 억 합하여 mRNA를 전사시키고 젖당 분해 효
다. 제 단백질이 젖당과 결합하지 못하면 작동 소가 생성되게 한다.
유전자에 결합하여 젖당 분해 효소를 생산하
4. ㄱ. 돌연 변이주 Ⅰ형은 페닐알라닌을 넣 지 못하므로 젖당 분해 효소의 양이 증가하 17. 겸형 적혈구 빈혈증은 mRNA의 코돈 중
어주어야만 생장하는 것으로 보아 페닐알라 지 않는 대장균 B와 같이 된다. 6번째 코돈이 GAG에서 GUG로 염기 1개가
닌을 합성하지 못한다. ㄴ. 돌연 변이주 Ⅱ형 바뀌어 글루탐산이 발린으로 바뀌는 돌연 변
은 코리슴산을 넣어주었을 때 생장하지 못하 11. ㄱ. A 과정은 핵에서 일어나는 DNA의 이 결과 생긴 것이다. 이 경우 종결 코돈을
였으므로 코리슴산을 기질로 이용하지 못함 복제 과정이다. ㄴ. DNA의 유전 정보에 의 포함한 다른 코돈은 바뀌지 않는다. 발린을
을 알 수 있다. ㄷ. 페닐알라닌 합성 과정은 해 RNA가 전사되며, 이로 인해 mRNA, 지정하는 GUG 코돈의 상보적인 염기 서열
코리슴산 → 프리펜산 → 페닐피루브산 → rRNA, tRNA가 생성된다. ㄷ. C 과정은 번 은 CAC이다.
페닐알라닌이다. 역의 과정으로 단백질이 합성되는 장소인 리
보솜에서 일어난다. 18. 대장균을
15
N 배지에서 배양하다가
14
N
5. ㄱ. HIV는 RNA 바이러스이다. ㄴ. RNA 배지로 옮겨 1회 분열시 켰을 경우, 만일 반
는 숙주 세포인 보조 T림프구 내에서 역전 12. ㄱ. 염기가 A, T, G, C로 티민이 있는 보존적 복제가 이루어 졌다면 새로 형성된 두
사 과정을 거쳐 DNA를 합성한다. ㄷ. HIV 것을 통해 DNA임을 알 수 있다. ㄴ. DNA 가닥의 이중 사 슬은 모두 각각 N 가닥과 15

바이러스는 역전사 과정을 통해 DNA와 단 의 5탄당은 디옥시리보오스이다. ㄷ. 염기의 N 가닥을 하나씩 갖고 있게 된다. 반면 보
14

백질을 합성하므로 이 과정을 차단하면 증식 비율을 보면 G와 C가 1 : 1이 아니라 1 : 2 존적 복제가 이루어졌다면 새로 형성된 두


을 막을 수 있다. ㄹ. HIV 바이러스는 숙주 로 서로 다르고, A : T도 1 : 1이 아니다. 가닥의 이중 사슬 중 하나는 N으로만 이루 15

세포의 DNA를 이용하여 자신의 DNA와 단 따라서 이 바이러스가 서로 염기들이 상보적 어진 이중 사슬이 되고, 새로 생긴 것은 N
14

백질을 합성한다. 으로 결합되어 있는 이중 나선 구조가 아니 으로만 이루어진 이중 사슬이 된다.


라 DNA의 한쪽 가닥으로만 된 바이러스임
6. ㄱ. DNA 이중 나선의 염기쌍 사이의 거 을 알 수 있다. 19. 하나의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코돈은 3개
리는 0.34nm이고, 3.4nm마다 1회전하므로 의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되므로, 첫 번째 염
DNA 이중 나선의 1회전에는 10쌍의 뉴클레 13. ㄱ. 숙신산탈수소효소는 숙신산과 결합 기부터 번역되었다면 UUU/UUU GGG GGG / /
오티드가 있다. ㄴ. DNA 이중 가닥에서 C와 하면 숙신산을 푸마르산과 수소로 분해하는 가 되어 폴리펩티드 A와 같은 결과가 나 타
G가 상보적으로 결합하고, A와 T가 상보적 것을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다. ㄴ. 숙신산의 나며, 두 번째 염기부터 번역되었다면
으로 결합하므로, C와 G의 양이 같고 A와 농도가 증가하면 숙신산탈수소효소와 결합하 / /
UUU UUG GGG GGG 가 되어 / 폴리펩티드
의 양이 같다. ㄷ. A의 함량이 20%라면 T의 는 비율이 높아지므로 옥살아세트산이 결합 B와 같은 결과가 나 타나고, 세 번째 염기부
함량도 20%일 것이고, 따라서 C와 G는 각 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ㄷ. 옥살아세트산은

생물물Ⅱ

Ⅲ. 생 명의 연 속성 - 2. 유전 자와 형질 발현
2
/ /
터 번역되었다면 UUU UGG GGG 가 되어 (ㄴ)은 전사 과정이다.
폴리펩티드 C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 류신
이 나타나는 경우는 폴리펩티드 B이므로, 류 25. 유전자에는 직접 형질을 발현시키는 구
신을 지정하는 코돈은 UUG임을 알 수 있 조 유전자와 그 작용을 조 절하는 조절 유전
다. 자가 존 재하는데, 구조 유전자는 조 절 유전
자의 조절을 받는다. 이와 같이 구조 유전자
20. 주어진 표는 mRNA의 코돈표이며, 문제 와 조절 유전자가 모여 있는 유전자 군을 오
의 DNA로부터 전사된 mRNA의 염기 순서 페론이라고 한다. 조절 유전자는 억제 물질
는 다 음과 같다. 을 생산하고 그 억제 물질은 구조 유전자 앞

5 -AUGAAAAUAUGUUGAACA-3' 에 있는 작동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따라서 이 mRNA로부터 합성된 아미노산 구조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 여기에 젖

순서는 다 음과 같다. 당을 첨가하면 젖당은 억제 물질과 결합하여


메티오닌-리신-이소류신-시스 테인 억제 물질이 작용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오페
론의 유전자가 발현된다.
5번째 코돈인 -UGA-는 종결코돈으로 아미
노산이 오지 모하고 여기서 단백질 합성이
26. (가)와 (다)에서 우라 실(U)이 없으므로
종료된다. DNA임을 알 수 있다. 티민(T)이 없고 우라
실(U)이 있는 (나)는 RNA로 단일 가닥이다.
21. 택솔의 기능이 방추사의 기능을 억제하 염기쌍 A와 T는 이중 수소 결합으로, G와
는 작용을 하므로 방추사의 기능이 억제되어 C는 삼중 수소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나 타나는 현상을 찾아야 한다. 방추사는 세 /
G C의 비율이 많은 (다)가 더 안정적이며,
포 분열시 염색체를 이동하게 하는 기능을 (가), (나), (다)의 핵산에 따른 염기 조성 비
하고, 암세포는 불필요하
세포 분열 기능이 율은 서로 다르다.
게 왕성하므로 택솔이 세포 분열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② 방추사의 기 27. 주어진 그림을 보면 DNA →
능이 억제되어도 염색체 수가 줄어들지는 않 GAGCCGTGT 유전 암호를 mRNA로 전사
는다. ④, ⑤ 방추사의 기능 억제가 DNA 복 했 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mRNA →
제나 감소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CUCGGCACA이다. (가)는 GGC에 해당하는
글리신이다.
22. 1개의 DNA는 두 가닥 사 슬로 이루어져
있으며, 1회 분열을 통해 DNA 수는 2배씩 28. DNA 복제는 주형 DNA의 2중 나선 중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두 번 분열이 끝난 하나의 사 슬을 갖는 반보존적 복제이므로 3
대장균은 총 4개이며, DNA를 분리하면 8개 세대 DNA는
15
N와
14
N로 이루어진 2중 나
15 14
의 가닥이 생겨난다. 그 중 N로 표지된 선과 N로만 이루어진 2중 나선이 1 : 3으
DNA 가닥은 처음에 있던 2개이고 나머지 6 로 복제된다. 따라서, DNA의 위 치는 A와 B
개는 모두 새로 합성된 것이므로 N이다. 14
이고, DNA의 양은 A가 B보다 많다.
아 무리 대를 거듭하여도 새로 생겨나는
DNA 가닥은 모두 14
N로 이루어진 것이며 <실험 1>에서 32P로 표시된 DNA가 대
29.
15
N로 표지된 DNA는 처음 두 가닥 뿐이다. 장균에 들어갔고 <실 험 2>에서 S로 표시 35

된 단백질은 대장균에 들어가지 않았다. 이


23. 티민은 DNA에만 존 재하는 염기로 DNA 것은 T 파지 증식을 위해 대장균 안으로
2

의 구성 성분이며, 우라 실은 RNA에만 들어 들어가는 물질이 T 파지의 DNA임을 알려 2

있는 염기이다. 그리고 글리신은 단백질을 준다.


구성하는 아미노산이다. 따라서 방사성으로
표지된 티민을 주 입한 후 방사능의 위치를
추적하면 DNA의 존 재 장소를 알 수 있으
며, 우라실과 글리신도 각각 RNA와 단백질
의 존재 위치를 알 수 있다. ㄱ. DNA는 핵
이외에도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에도 존재하
는 물질이다. ㄴ. 리보솜을 구성하는 주성분
이 RNA이다. ㄷ. 조면 소포체는 소포체에
리보솜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단백질 합성 기
관인 리보솜에서 단백질을 발견할 수 있다.
24. 물질 A는 tRNA로 mRNA의 정보에 따
라 아미노산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즉,
RNA에서 단백질을 합성하는 번역 과정에
관여하는 것이다. (ㄱ)은 복제 과정이고.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