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1.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대표적인 물질


가. 리보솜
원핵생물의 리보솜은 70S, 진핵생물의 리보솜은 80S 리보솜이다.
1) 리보솜에 존재하는 mRNA와 tRNA의 결합부위
가) 30S 소단위체와 mRNA의 결합: 30S 소단위체에 존재하는 16S rRNA는 SD서열과 상보적으로 수소결합을 이루어 30S 소단위체가 개시코돈을 찾는데
도움을 줌
나) tRNA의 결합부위: 리보솜에는 tRNA가 결합하는 세 부위인 E부위(Exit site), P부위(peptidyl site), A 부위(Aminoacyl site)가 있다.
(1) E 부위: 단백질 합성에 아미노산을 제공하여 아미노산과 결합하지 않은 tRNA가 위치하는 곳으로 E부위에 위치한 tRNA는 곧 리보솜에서 방출된다.
(2) P 부위: 폴리펩타이드가 결합한 tRNA가 위치한 부위
(3) A 부위: 아미노아실-tRNA가 처음 위치하는 부위
나. tRNA(transfer RNA)
tRNA는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에 의해 아미노산과 결합하는데, 이는 단백질 합성 정확도의 근간이 된다. 리보솜은 tRNA에 결합한 아미노산이 올바르게
결합한 것인지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의 기질특이성은 단백질 합성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 mRNA(messengerRNA)
1) mRNA의 구조
*헷갈리지 맙시다.
복제의 시작: 복제원점
복제의 종결: 복제 종결 서열

전사의 시작: 프로모터


전사의 종결: 전사종결서열

번역의 시작: 개시코돈


번역의 종결: 종결코돈(UAA, UAG, UGA)

2. 일반적인 단백질 합성 과정(번역)


단백질 합성 과정인 ‘번역‘은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에서 약간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큰 틀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번역은 크게 개시(initiation), 신장
(elongation), 종결(termination)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1) 개시(initiation)
가) 리보솜의 P자리에 개시코돈이 위치하도록 위치한다.
나) 리보솜의 A 자리에 다음 코돈에 맞는 아미노산과 결합한 아미노아실-tRNA가 위치한다.
2) 신장(elongation)
가) 신장 단계에서 A자리에 위치한 아미노아실-tRNA의 아미노산과 P자리에 위치한 아미노아실-tRNA의 아미노산 사이에 펩타이드결합이 형성된다.
나) 펩타이드 결합이 형성되는 동시에 P 자리의 아미노산과 tRNA 사이의 결합이 끊어진다.
다) A 자리에 존재하는 펩티딜-tRNA가 P 자리로 전좌(translocation)되고 빈 A 자리에 새로운 아미노아실-tRNA가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라) P자리에 존자하던 tRNA는 E자리로 전좌되어 방출된다.

0 0

8 ⑤
4

3) 종결(termination)
가) 신장(elongation)과정이 A 자리에 종결코돈(UAA, UGA, UAG)가 위치할 때까지 이어진다.
나) 종결코돈이 A 자리에 위치하면 A 자리에는 방출인자(RF, release factor)가 위치한다.
다) 방출인자는 P자리에 위치한 펩티딜-tRNA에서 폴리펩타이드와 tRNA 간의 결합을 가수분해한다.
라) A자리와 E 자리의 tRNA는 리보솜에서 분리된다.
4. 원핵생물의 번역
앞에서 본 번역 과정은 진핵생물과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번역 과정에서 가장 공통적인 부분만을 나타낸 것이다. 지금부터 원핵생물의 번역 과정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가 원핵생물의 번역 과정의 단계별 필요한 성분
1) 아미노산의 활성화 a+
21종의 아미노산, 20종의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 20종 or 그 이상의 tRNA, ATP, Mg
2) 개시
tRNA, fMet-tRNA, mRNA 상의 개시코돈, 30S 리보솜 소단위체, 50S 리보솜 소단위체, 개시 인자(IF-1, IF-2, IF-3), GTP, Mg*
3) 신장
Z
70S 리보솜, 코돈에 특이적인 아미노아실-tRNA, 신장인자(EF-Tu, EF-Ts, EF-G), GTP, Mg
4) 종결
mRNA 상의 종결코돈, 방출인자(RF1, RF2, RF3), GTP, Mg

나. 개시(initiation)
1) 30S 소단위체가 개시인자(Initiation Factor)인 IF-1, IF-3에 결합한다.
2) mRNA가 30S 소단위체에 결합한다. 이때 30S 소단위체에 존재하는 16S rRNA가 mRNA 상의 SD 서열을 인식하여 개시코돈을 인식한다.
3) fMet-tRNA-IF-2-GTP 복합체가 mRNA-30S 소단위체 복합체의 P자리에 결합한다.

4) 50S 대단위체가 결합한다. 이때 GTP는 GDP로 분해되어 방출되고 3가지 개시인자도 방출된다.
개시인자의 역할
IF-1: 30S 소단위체 A자리에 결합하여 fMet-tRNA가 A자리에 결합하는 것을 억제함
IF-2: fMet-tRNA와만 결합하는 개시인자로서 다른 종류의 tRNA가 개시코돈과 상호작용 하는 것을 억제함
IF-3: 30S 소단위체에 결합하여 50S 대단위체가 결합하는 것을 억제함
다. 신장(Elongation)
1) 리보솜의 A자리로 도입되는 아미노아실-tRNA는 GTP와 결합한 신장인자인 EF-Tu와 결합한다. 이후 아미노아실-tRNA-EF-Tu*GTP 복합체는 70S 리
보솜의 A자리에 결합하며 GTP가 GDP로 분해된다. 분해된 EF-Tu*GDP 복합체는 70S 리보솜에서 분리된다.
2) 이후 EF-Tu는 EF-Ts가 관여하는 반응에서 EF-Tu*GTP로 재생된다.

3) A자리와 P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tRNA의 아미노산 간의 펩타이드 결합이 23S rRNA(펩타이드기 전이효소)에 의해 촉매되고 P자리의 tRNA에서 분리
된다.
4) A자리에 위치한 tRNA가 펩티딜-tRNA가 되면 리보솜은 한 코돈 만큼 5‘에서 3’방향으로 이동할 준비를 하는데, 이때, EF-G가 리보솜과 결합하여 리보
솜을 안정화시켜주고 A자리의 tRNA가 P자리로, P자리의 tRNA가 E자리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EF-G에 결합한 GTP가 가수분해되어 GDP로 된다.
라. 종결(Termination)
1) 종결코돈이 리보솜의 A자리에 위치할 때까지 신장은 계속된다.
2) 종결코돈이 리보솜의 A자리에 위치하면 아미노아실-tRNA 대신 방출인자(RF)가 결합한다.
3) 방출인자가 폴리펩타이드와 tRNA 사이의 결합을 가수분해 하면 폴리펩타이드는 방출된다. 이후 2분자의 GTP가 가수분해되며 mRNA, 리보솜 소단위체
와 대단위체는 분리된다.
5. 진핵생물의 번역
진핵생물의 번역과정은 원핵생물의 번역과정과 개시 단계에서 여러 차이점이 밝혀졌다.
가. 개시
1) 리보솜 소단위체가 mRNA에 결합했던 원핵생물의 개시단계와 달리 40S 소단위체는 Met-tRNA와 eIF1, eIF3, eIF5, eIF1A의 개시 인자들과 43S
복합체를 이룬 상태로 mRNA에 결합한다.
2) 이때, eIF4G, eIF4A, eIF4E는 복합체를 이루어 eIF4F라 불리는 복합체를 형성하여 5‘ Cap에 결합한다.
3) 그리고 PAB(Poly A Binding protein)이 Poly A 꼬리를 인식한 후 eIF4G와 상호작용하여 mRNA를 고리형태로 만들어준다.
6. 진핵생물과 원핵생물의 번역 개시에서 차이점은 뭐가 있을지 말해보자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