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

어린학습자(페다고지)의 특징에 대해 정리해봅시다

페다고지란 아동을 가르치는 예술과 과학을 뜻합니다. 페다고지의 여섯가지 핵심원리는


안드라고지와 마찬가지로 알고자 하는 욕구, 자아개념 변화, 경험의 역할, 학습준비도, 학습성향,
학습동기 이렇게 6 가지로 분류할수 있습니다. 먼저 첫번째 알고자하는 욕구 학습자는 교사가
가르치는 것을 학습해야만 한다고 인식합니다. 저는 이것을 보고 우리나라의 주입식 교육이 여기에
속할수 있겠구나 생각했습니다. 두번째 자아개념 변화, 교사의 학습자에 대한 개념은 의존적인
성격의 개념 따라서 학습자와 자아개념 역시 결과적으로 의존적 성격의 개념이 되는 특징이있습니다.
세번째 경험의 역할, 학습자의 경헌으 학습자원으로서 거의 가치가 없으며 학습자원에 포함하는
경험은 교사, 교재집필자, 시청각 보조물 제작자의 경험이 경험의 역합입니다. 네번째 학습준비도,
학습자는 교사가 그들에게 학습하도록 강요하는 것들을 학습할 준비가 되어있으며 다섯번쨰
학습성향은 학습자는 학습에 대하여 교과 중심적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은 학습을 교재
내용습득으로 봅니다. 마지막 여섯번째 학습자들은 외재적 동기에 의해 학습이 동기화 됩니다.

나의 바람직한 학습습관을 만들기위해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따라


시도해볼수있는 구체적인 강화전략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먼저 행동주의 학습이론이란 학습을 행동의 변화 과정으로 규정 하는것으로 주어진 자극에 대한
측정 가능한 반응을 의미하는 인간의 외형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추는 학습이론입니다. 행동주의
학습이론을 대표하는 가장 큰이로는 파블로프의 개 라는 실험으로 종을 치는것만으로도 개가 먹이를
상상하게끔 만드는것으로 어떤 행동으로 인하여 연쇄적으로 보상이라는 자극이 생각나게끔 만드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이론을 고전적 조건화라고 한다. 또한 행동주의 학습이론중
조작적 조건화도 있다. 조작적 조건화는 자그겡 의해 유발된 반응보다는 유기체에 의해 스스로
방출되는 반응으로 특정행동이나 반응의 확률이나 빈도를 증가시키는 강화의 개념이 매우중요 하다.
보통 일차적 강화는 음식, 공기, 물과 같이 선천적인 욕구를 만족시키는 강화를 말하며 이차적 강화는
일차적 강화 또는 다른 이차적 강화와 연합하여 학습된 강화를 말한다. 이렇듯행동주의 학습이론
보상과 처벌에 대해 관련이 깊다. 이에 따라 내가 할수 있는 학습 습관으론 일정한 학습시간을
맞춘뒤 그후 여가시간을 주는 학습습관을 만드는것이다.

현재일상속에서 적용하고 있는 초인지 전략은 어떤것들이 있나요?


초인지 전력이란 다른 말로 메타인지, 상위인지를 뜻하는 것으로 인지과정에서 자기의 모습을
관찰하고 스스로 상황을 인식하여 조절 통제하는 정신적 과정이다. 초인지 전략은 개인의 초인지
능력이 일상에서 적용되는 기술이나 방법을 의미합니다. 지금 나의 일상속에서 적용되고 있는 초인지
전략은 운동이라고 생각한다. 주어진 기간을 생각하여 아침 9 시부터 2 시간 운동을 하고 대학교
강의를 들으러 간다. 대학교 강의 시간에 맞추어 아침운동을 저녁운동으로 미루기도 하고 운동
시간을 줄여 상황에 맞게 계획을 변경하여 나의 행동을 실행한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