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7

https://doi.org/10.35983/sikm.2020.68.

409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이숙희*

20)

<차 례>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Ⅰ. 서론
Ⅱ.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1.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 산형의 음위
2.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산형의 음정
3. 뺷악학궤범뺸 속악칠조(칠지)에 따른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의 조현법
Ⅲ. 결론

<국문요약>
www.earticle.net
본고는 당비파 악조의 이론체계를 보다 구체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의
특징을 밝혔다.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산형의 음위와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뺷금합자보뺸의 평조 만대엽 악보와
비교하여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음위에 대한 근거를 보다 명확히 하고자 했다. 그리고 당비파 계면조 하4의
음위는 중현 3주가 아니라 중현 2주임을 밝혔다.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 산형에서 계면조 하4를 제외한 모든 음은 4주 이상에 분포되어
있다. 이것은 1주부터 4주까지만 사용하는 당비파의 당악조와 변별되며, 당악조와 향악조가 일치하는 청황
종평조와 청황종계면조를 기준으로 했을 때, 당비파의 향악조는 당악조에 비해 음고가 한 옥타브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당비파의 음정과 관련하여, 당악 연주에 사용하는 1주에서 2주는 2율, 2주에서 3주도 2율, 3주에서
4주도 2율로 일정한데 비해, 향악 연주에 사용하는 4주와 5주는 3율, 5주와 6주는 2율, 6주와 7주는 3율,
7주와 8주는 2율, 8주와 9주는 2율, 9주와 10주는 3율, 10주와 11주는 4율의 음정임을 확인했다. 당악에
사용되는 4주 이하의 각 주간 음정이 각각 2율로 일정한데 비해, 향악에 사용되는 4주 이상의 각 주간의

* 전 국립국악원 학예연구관
410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음정이 2율 3율 4율로 일정하지 않은 특징이 있다. 당비파 4주부터 11주까지 각 주(柱) 간의 음정이 일정하
지 않고, 평조와 계면조의 음정도 서로 다르므로, 평조와 계면조의 조현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평조의
경우 자현 11주의 상6과 중현 6주의 하1은 역안하고, 계면조의 경우 자현 10주를 역안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미 기존연구에서 이미 밝혀졌지만, 본고에서는 검증해 본 데 의의가 있다.
당비파에는 자현․중현․대현․무현의 네 개의 현이 있는데, 평조와 계면조에 산형에서 대현은 개방음
만 사용한다. 이것은 당악의 상조와 하조에는 자현, 중현, 대현, 무현 등 모든 현에 분포되어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산형에는 오조궁과 시용궁 두 종류의 궁상자보가 표기되어 있는데, 개방현에 표기된
궁상자보는 시용궁임을 밝혔다. 더불어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산형에는 자현 徵, 중현 宮, 대현 宮, 무현 濁徵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로 표기되어 있으나, 개방현과 옥타브 관계인 자현 9주의 음과 비교했을 때, 자현 개방현의 음은 濁徵가


되어야 하고, 이에따라 중현과 대현은 濁宮, 무현 倍濁徵가 되어야 함을 밝혔다.
당비파 네 개현의 개방현의 음은 평조와 계면조가 동일하지만, 평조의 시용 궁상자보와 계면조의 시용
궁상자보는 음정이 서로 다르다. 평조에 부기되어 있는 시용 궁상자보의 음정은 3율-4율-3율-3율-4율
이고, 계면조에 부기되어 있는 시용 궁상자보의 음정은 4율-3율-3율-4율-3율이다. 이와같이 평조와
계면조의 음정은 달라도 개방현 徵와 宮의 음은 평조와 계면조가 일치하고, 시용 궁상자보 徵와 宮에 해당
하는 율명도 동일하다.
또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 산형에 속악칠조(칠지)를 적용해 봄으로써 악조의 성격을 더 분명히 밝힐
수 있었다. 첫째 향악의 음역은 㑬부터 㵈까지 세 옥타브로 나타났다. 당악의 음역 黃(合)부터 청협종(五)까
지 12율 4청성인 것과 비교해 보면, 당비파의 향악조는 당악조에 비해 음역이 세 배 더 넓다는 것을 확인했
다. 둘째 당비파의 상조(上調)는 황종우조이고, 하조(下調)는 황종치조이며, 당비파의 평조 육지(팔조)는
청황종치조이고, 계면조 육지(팔조)는 청황종우조이다. 따라서 상조(上調)와 청황종계면조, 하조(下調)와
www.earticle.net
청황종평조는 음역만 한 옥타브 차이가 있고, 향악조는 오음계이고 당악조는 칠음계인 차이가 있지만 동일
한 성격이다.

<주제어> 당비파, 평조, 계면조, 악학궤범, 속악칠조(칠지)

Ⅰ. 서론

뺷악학궤범뺸의 당비파는 당악기로 분류되어 있으나, 당악과 향악을 모두 연주할 수 있다. 당비


파는 자현․중현․대현․무현의 네 개의 현과, 12개의 주(柱)로 구성되어 있으며,1) 당악의 연
주에는 1주부터 4주까지 사용하고, 향악의 연주에는 계면조 하4를 제외하고 모두 4주 이상만

1) 연주할 때 12개의 주(柱) 가운데 11개의 주(柱)만 사용하고, 제12주는 사용하지 않는다. 뺷樂學軌範뺸 卷7, 국립국악
원, 2011, 唐部樂器圖說, 唐琵琶 平調 산형 참조.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11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2) 당비파의 1주부터 4주까지의 음정은 일정하게 2율인데, 4주부터 11
주까지는 그 음정이 일정하지 않다.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산형에는 향악조에 평조와 계면조, 당악조에 상조(上調)와 하조(下調) 산
형이 제시되어 있다. 당비파의 당악 악조인 상조와 하조는 조현법이 서로 다르며, 각 개방현의
음은 구체적 음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에 비해 당비파의 향악 악조인 평조와 계면조는 개방현의
음이 동일하게 표시되어 있는데, 특정한 음이 아니라 자현은 徵, 중현과 대현은 宮, 무현은 濁徵
등 오성(五聲)으로만 제시해 놓아 속악칠조(칠지)가 모두 적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 산형에는 오음약보, 오조 궁상자보, 시용 궁상자보 등 세 종류의 기보법이 표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되어 있다. 그런데 개방현의 徵, 宮, 濁徵가 오조궁에 해당하는지 시용궁에 해당하는지 분명하


지 않다.
지금까지 수행된 당비파와 관련한 연구에는 제도와 관련된 연구, 연주법에 관한 연구, 악조에
관한 연구가 있다.3) 제도에 관한 연구에서는 당비파의 구조, 악기의 제작 재료와 크기, 악기를
잡는 법, 연주도구, 특징 등에 대해 논했다.4) 이 연구 가운데 당비파의 향악 연주시의 조현법과
소용 주에 대한 언급이 있는데,5) 개방현 음의 성격과 소용 주에 대한 구체적 내용이 밝혀져
있지 않다. 당비파의 연주법에 관한 연구에서는 당비파의 조현 방법의 종류, 음위, 운지법에 대
해 논했는데,6) 본고에서 논하고자 하는 당비파 향악조의 음위가 제시되어 있고, 향악조의 조현
법에 대해 상대적인 음고를 표시해 놓았음을 밝혔다.
당비파의 악조와 관련하여 현행 한국 당악의 악조와 그 특징에 관한 연구가 있는데,7) 이 연
구에서 우리나라 당악의 악조는 청황종을 궁으로 하는 치조식(평조식) 5음음계, 제3음이 생략됨
www.earticle.net
으로써 6음계화된 연악7음음계, 전형적인 청악7음음계 등 3종이 활용되었다고 밝혔다. 또 당비
파 산형의 상조와 하조의 성격을 밝힌 연구가 있는데,8) 당비파의 상조는 황종우조, 하조는 황종
치조임을 밝혔다.
당비파 각 주(柱) 간의 음정을 밝히려면 음위가 확정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뺷악학궤범뺸 당
비파 음위와 관련하여 뺷금합자보뺸와 비교하여 그 근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특히 계면

2) 이혜구, 뺷신역악학궤범뺸, 국립국악원, 2000, 425쪽 각주 41.


3) 이 외에 당비파의 연원에 대한 연구(신옥분, 「당비파의 연원에 대한 연구」, 뺷남북문화예술연구뺸 15호, 남북문화예술
학회, 2014, 9~48쪽), 조선조 당비파와 향비파의 사용 양상고찰 및 교육 적용에 관한 연구(임미선, 「조선조 당비
파․향비파 사용 양상고찰 및 교육 적용」, 뺷국악교육연구뺸 11호,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7, 97~127쪽)가 있으
나, 본고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검토에서 제외한다.
4) 정화순, 「한국 당비파의 제도에 관한 연구」, 뺷한국음악사학보뺸 38집, 한국음악사학회, 2007, 223~247쪽.
5) 상동.
6) 정화순, 「한국 당비파의 연주법에 관한 연구」, 뺷온지논총뺸, 온지학회, 2008, 105~133쪽.
7) 정화순, 「현행 한국 당악의 악조와 그 특징에 관한 연구」, 뺷한국음악연구뺸 58집, 한국국악학회, 2015, 399~430쪽.
8) 이숙희, 「뺷악학궤범뺸 소재 당비파의 상조(上調)와 하조(下調)의 성격」, 뺷국악원논문집뺸 37집, 국립국악원, 2019,
267~304쪽.
412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조 하4의 음위에 대해 재고해 보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 당비파 각 주의 음정이 원산에서 1주까지의 음정은 3율, 1주와 2주, 2주와
3주, 3주와 4주의 음정은 각각 2율이며, 4주와 5주는 3율, 5주와 6주는 2율, 6주와 7주는 3율,
7주와 8주는 2율, 8주와 9주도 2율, 9주와 10주는 3율, 10주와 11주는 4율임이 밝혀졌다. 이
중 원산부터 4주까지 음정에 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으나, 4주부터 11주까지의 음정에
대해서는 결론만 제시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4주부터 11주까지의 음정이 왜 그러한 관계가 되
는지 구체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당악조 산형은 악조가 구체화 되어 있는데 비해,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조 산형의 음은 궁상자보와 오음약보 등 모두 상대적 관계로 표시되어 있다. 향악조를 당악조와


같이 구체화 하기 위해서는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 산형에 속악칠조(칠지)를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9)
속악칠조(칠지)의 기본음(궁)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칠율 칠지형과 십이율 칠지형, 그리고 기
타의 세 종류로 나뉜다.10) 칠율 칠지형에 대한 주장은 일지부터 칠지까지의 기본음(궁)이 姑․
仲․林․南․無․潢․汰라는 것과11) 姑․仲․林․南․應․潢․汰라는12) 두 종류가 있다. 십
이율 칠지형에 대한 의견은 일지, 이지, 횡지, 오지(우조), 칠지(막막조)의 기본음(궁)이 두 음씩
제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두 음 사이의 모든 미분음을 key로 지시하는 한다는 주장과13) 단순
히 12율 칠지형으로 보는 주장이 있다.14) 기타 의견은 12율이 모두 궁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보는 견해이다.15) 뺷악학궤범뺸의 가야금․향비파․대금(권1)의 기본음(궁)은 姑․仲․林․南․

www.earticle.net
9) 뺷악학궤범뺸에 속악은 칠조만 쓴다고 했고(뺷樂學軌範뺸, 卷1. 樂調總義, “…而俗樂則只用七調….”), 뺷악학궤범뺸의 가
야금․향비파․대금(권1)에는 모두 칠율 칠지형으로 표시되어 있다.
10) 각종 국악개론서에서 밝힌 속악칠조(칠지)의 기본음(궁)은 다음과 같다.
일지 이지 삼지 사지(횡지) 오지(우조) 육지(팔조) 칠지(막조)
전인평, 뺷국악감상뺸; 서한범, 뺷국악통론뺸;
협․고 중․유 임 이․남 무․응 청황 청대․청태
송방송, 뺷한국음악통사뺸, 거문고, 악조총의
장사훈 뺷국악개론뺸; 장사훈․한만영, 뺷국악개론뺸 고 중 임 남 무 황 태
송방송, 뺷한국음악통사뺸 가야고, 향비파 고 중 임 남 응 청황 청태

위의 개론서 중 장사훈의 뺷국악개론뺸과 장사훈․한만영의 뺷국악개론뺸에는 속악칠조(칠지)의 기본음(궁)을 한 음씩


제시해 놓았으나, 그 근거를 밝혀놓지 않았다.
11) 김우진, 「뺷악학궤범뺸 대금의 악조와 뺷삼국사기뺸 삼죽의 악조 비교 연구」, 뺷한국음악연구뺸 21집, 한국국악학회,
1993, 49쪽; 남상숙, 「뺷악학궤범뺸 악조연구뺸, 신아출판사, 2002, 65~196쪽.
12) 이숙희, 「뺷악학궤범뺸 속악 7조 기본음(궁)의 성립배경」, 뺷한국음악사학보뺸 48권, 한국음악사학회, 2012, 225~302쪽.
13) 이보형, 「한국 중국 서역 적7조 수용과 변천에 대한 연구」, 뺷한국음악사학보뺸 46집, 한국음악사학회, 2011, 243~
317쪽; 이보형, 「뺷악학궤범뺸 향악7지 시용궁 지시 12음의 생성원리 연구」, 뺷한국음악연구뺸 54집, 한국음악사학회,
2015, 255~296쪽.
14) 박희정, 「거문고 조현법 변천에 의한 악조연구-영산회상을 중심으로-」, 뺷국악원논문집뺸 37집, 국립국악원, 2018,
219~245쪽; 손수린, 「뺷악학궤범뺸 속악 7조(俗樂七調)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뺷국악원논문집뺸 40집, 국립국악원,
2019, 11~47쪽.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13

應․潢․汰로 되어있고,16) 거문고 속악칠조(칠지)의 기본음(궁)은 夾․仲․林․夷․無․潢․


汰로 되어 있다.17) 본고에서는 이 중 칠율 칠지형의 하나인 뺷악학궤범뺸의 가야금․향비파․
대금(권1)의 姑․仲․林․南․應․潢․汰를 속악칠조(칠지)의 기본음(궁)의 기준으로 삼고자
한다.
당비파 산형에 사용된 기보법은 오음약보, 오조 궁상자보, 시용 궁상자보의 세 종류이다. 오
조 궁상자보와 시용 궁상자보에는 옥타브 표시가 없다. 궁상자보에는 옥타브 구분이 없음에도
개방현의 자현은 徵, 무현은 濁徵로 향악의 옥타브 구분법을18) 사용하여 옥타브 관계를 표시했
다.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를 속악칠조(칠지)에 적용하면 음역이 한 옥타브가 넘는다. 따라서 음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역의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시용 궁상자보의 한 옥타브 아래 음에는 탁성(濁聲), 두 옥타브


아래 음에는 배탁성(倍濁聲)의 개념을 적용하고자 한다.
당비파는 뺷악학궤범뺸에 소개되어 있는 악기 가운데 당악조인 상조와 하조, 향악조인 평조와
계면조 산형을 함께 제시해 놓은 유일한 악기이다. 따라서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 산형을 분석
함으로써 당비파의 당악조와 향악조의 차이 뿐만 아니라 음고, 음역 등 여러 가지 변별 요소를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을 분석하여 음위와 음정을 밝히고, 여기에 속악
칠조(칠지)를 적용, 조현법을 살펴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 산형의 특징을 밝히고 당비파 악조의
이론체계를 구체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논문 작성에 있어서 용어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속악칠지, 속악7조, 향악칠지, 향악칠조 등의
용어는 ‘속악칠조(칠지)’를 대표용어로 사용하고, 각 조의 첫 번째 음은 ‘기본음(궁)’으로, 속악
www.earticle.net
칠조(칠지) 중 횡지․우조․팔팔조․막막조는 사지(횡지), 오지(우조), 육지(팔조), 칠지(막조)로
용어를 통일한다. 대금 산형과 관련하여 권1의 대금은‘대금(권1)’로 사용할 것이다.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 산형에는 두 종류의 궁상자보가 제시되어 있는데, 오음약보의 宮 위치
에 徵가 배대되어 있는 것이 오조 궁상자보이고, 오음약보의 宮의 위치에 宮이 배대되어 있는
것이 시용 궁상자보이다. ‘오조’와 ‘시용’은 거문고 산형에서 설명해 놓은 것이지만,19) 당비파
산형에도 사용되었으므로, 이 논문에서도 오조 궁상자보와 시용 궁상자보로 구분하고, ‘오조궁’
과 ‘시용궁’으로 약칭한다.

15) 황준연, 「뺷악학궤범뺸의 향악조」, 뺷한국중세사회의 음악문화-조선전기편뺸, 한국예술종합학교, 2002, 954쪽.


16) 뺷樂學軌範뺸 卷7, 국립국악원, 2011, 鄕部樂器圖說.
17) 이숙희, 「악학궤범 거문고 산형 분석-평조와 계면조를 중심으로-」, 뺷한국음악연구뺸 67집, 한국국악학회, 2020,
157~194쪽.
18) 뺷樂學軌範뺸 卷1, 국립국악원, 2011, 五音配俗呼.
19) 뺷樂學軌範뺸 卷7, 국립국악원, 2011, 鄕部樂器圖說, 玄琴, 樂時調 “…絃中書宮上一上二下五下四之名及時用宮商角徵
羽,絃左書五調之宮商角徵羽.….”
414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Ⅱ.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향악조 산형은 평조와 계면조 두 종류가 제시되어 있는데, 평조는 오조
의 치조와 음정 관계가 동일하고, 계면조는 오조의 우조와 음정 관계가 동일하다.20) 그런데
당비파 주(柱) 간의 음정은 평조나 계면조의 음정과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먼저 당비파 평
조와 계면조 산형에서 각 악조의 음위를 확인하고, 그 다음 당비파 주 간의 음정을 살펴볼 것
이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1.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 산형의 음위

당비파 평조 산형에서 개방현은 다음 그림과 같이 자


현은 徵, 중현은 宮, 대현도 宮, 무현은 濁徵로 되어 있
다. 각 주(柱)에 기보된 음은 오음약보, 오조궁 그리고 시
용궁이다.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 산형에 음위를 표
시해 놓았지만, 좀 더 분명히 하기 위해 뺷금합자보뺸의 당
비파 평조 만대엽 악보를 분석하여 대조, 확인하고자 한
다.21) 뺷금합자보뺸의 당비파 만대엽보는 합자보로 되어
있다. 합자보는 현법(絃法), 주법(奏法), 지법(指法), 괘법
www.earticle.net
(棵法, 柱法)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음위
를 밝히는 것이 목적이므로, 현법과 괘법[柱法]만 대상으
로 분석할 것이다.
뺷금합자보뺸의 당비파 설명에 의하면 자현은 子, 중현
은 中, 대현은 大, 무현은 止로 표시하고, 그 아래 숫자
는 주(柱)를 표시한 것이다.22) 다음 그림은 뺷금합자보뺸
<그림 1>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평조 산형 에 기보된 평조 하5에서 상5까지의 합자보를 정리한 것
이다.

20) 뺷樂學軌範뺸 卷1, 국립국악원, 2011, 樂調總義; 뺷樂學軌範뺸 卷7, 鄕部樂器圖說, 玄琴, 徵調, 羽調.
21) 뺷琴合字譜뺸의 만대엽은 평조에 속한다. 황준연, 「뺷악학궤범뺸의 향악기 음고」, 뺷한국전통음악의 악조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2, 35쪽.
22) 뺷樂學軌範뺸 卷7, 국립국악원, 2011, 唐部樂器圖說, 唐琵琶.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15

<표 1> 뺷금합자보뺸 평조 만대엽의 하5에서 상5까지의 합자보23)

오음약보 현 주(柱) 기호

上六 -
자현 11주
上五

上四 자현 10주

9주
上三 자현
8주

上二 자현 7주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上一 자현 5주

宮 자현 4주

6주
下一 중현
7주

下二 중현 5주

下三 중현 4주

下四 대현 5주

下五 무현 -

www.earticle.net
뺷금합자보뺸 평조 만대엽 악보에서 상5는 자현 11주, 상4는 자현 10주로 기보되어 있다., 상3
은 자현 8주와 자현 9주의 두 종류로 나타나는데, 이 중 자현 8주로 기보된 상3은 1회 출현한
다.24) 상2는 자현 7주, 상1은 자현 5주, 궁은 자현 4주로 기보되어 있다.
하1은 중현 6주와 중현 7주의 두 종류로 나타나는데, 중현 7주로 기보된 하1은 1회 출현한
다.25) 하2는 중현 5주, 하3은 중현 4주, 하4는 대현 5주로 기보되어 있다. 하5에 대한 기보는
세 종류가 나타나는데,26) 모두 주 표시는 없고, 현만 표시되어 있다. 뺷금합자보뺸 비파만대엽

23) 뺷琴合字譜뺸, 琵琶慢大葉. 뺷한국음악학자료총서뺸 22, 국립국악원, 1989, 66~68쪽.


24) 만약 자현 8주에서 상3을 연주한다면 역안해야 한다.
25) 당비파 평조 산형의 하1은 중현 6주를 역안해서 연주한다(정화순,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제도에 관한 연구」, 뺷한국
음악사학보뺸 38집, 232쪽). 중현 6주를 역안하지 않고 중현 7주에서 하1을 연주하면 한 율 높아져서 음이 맞지
않는다. 이런 연주법을 취한 이유에 대해서는 다음의 연구 과제로 남긴다.
26) 뺷악학궤범뺸에는 을 흥이라고 했으나,(뺷樂學軌範뺸, 권7. 唐部樂器圖說, 唐琵琶) 뺷금합자보뺸에는 興이 아니고 淸이
라고 했다. 이혜구, 뺷신역악학궤범뺸, 430쪽, 각주 68.
416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악보에는 상6이 출현하지 않는다.


뺷금합자보뺸의 당비파 산형에 개방현의 음이 자현부터 무현까지 徵, 宮, 宮, 濁徵로 된 것과,
각 주(柱)의 음에 오음약보, 오조궁, 시용궁이 기보된 것은27) 뺷악학궤범뺸과 동일하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뺷금합자보뺸의 합자보를 산형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표 2> 뺷금합자보뺸 당비파 평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자현 徵 궁 상1 상2 (상3) 상3 상4 상5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중현 宮 하3 하2 하1 (하1)

대현 宮 하4

무현 濁徵 [하5]

* (상3)과 (하1)은 각각 1회 출현 표시임. [하5]는 뺷악학궤범뺸 참고.

뺷금합자보뺸에서 하4는 단 1회 출현하는데, 대현 5주에 표시되어 있다. 이것은 뺷악학궤범뺸 평


조 하4가 무현 5주에 표시되어 있는 것과 다르다. 만약 뺷금합자보뺸처럼 하4가 대현 5주에 위치
하게 되면 중현 2주의 하2와 음이 동일하게 된다. 만약 하4가 대현에 위치하는 것이 맞다면
음정 관계상 대현의 개방현 음도 무현과 마찬가지로 濁徵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뺷금합자보뺸
하4의 大는 武의 오기로 보이며, 결국 하4의 위치는 뺷악학궤범뺸의 평조 산형과 같이 무현 5주가
되어야 한다.
www.earticle.net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 뺷금합자보뺸 비파 만대엽 악보와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평조 산형을
종합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28)

<표 3>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평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상6

자현 오조궁 徵 徵 羽 宮 商 角 徵 羽

시용궁 宮 商 角 徵 羽 宮 商

오음약보 하3 하2 하1

중현 오조궁 宮 宮 商 角

시용궁 角 徵 羽

27) 뺷琴合字譜뺸, 琵琶 慢大葉, 한국음악학자료총서 22, 63~64쪽.


28) 뺷琴合字譜뺸 琵琶 慢大葉에 자현 8주 상3과 중현 7주 하1은 한 번 출현하므로 제외함.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17

오음약보

대현 오조궁 宮

시용궁

오음약보 하5 하4

무현 오조궁 濁徵 徵 羽

시용궁 宮 商

당비파 평조 산형에서 모든 음은 4주 이상이 사용되었고, 대현은 사용되지 않은 것이 특징이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다. 이것은 당악조 산형에서 1주에서 4주까지만 사용하고, 자현, 중현, 대현, 무현 등 모든 현을


사용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그림 2>의 뺷악학궤범뺸 계면조 산형도 개방현의 음은 평조와 동일하고, 각 음위에 평조와
마찬가지로 오음약보, 오조궁, 시용궁이 부기되어 있다. 계면조의 음역은 하5부터 상5까지이다.
위 당비파 계면조 산형 그림과 당비파 평조 산형을 종합하여 당비파 계면조 산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4>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계면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자현 오조궁 徵 羽 宮 商 角 徵 羽

시용궁 www.earticle.net
宮 商 角 徵 羽 宮

오음약보 하4 하3 하2 하1

중현 오조궁 宮 宮 商 角 徵

시용궁 商 角 徵 羽

오음약보

대현 오조궁 宮

시용궁

오음약보 하5

무현 오조궁 濁徵 羽

시용궁 宮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 산형에서 계면조 하4 이외에는 모든 음이 4주 이상이 사용되었다. 이


것은 당비파의 당악조 산형에서 모든 음이 4주 이하에 위치해 있는 것과 변별되는 점이다. 계면
조 하4의 음위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한 번 검토해 볼 것이다. 계면조 산형에서도 대현은
418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사용되지 않았다.
당비파의 당악조 산형에는 모든 현에 음이 배치되어 있는
데 비해,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 산형에는 대현에 음이 배치되
어 있지 않다. 이것 또한 당비파 당악조와 변별되는 점이다.
이상 살펴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 산형의 음위를 바탕으
로 당비파 산형의 음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2.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산형의 음정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그림 2>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계면조 산형


당비파 향악조 산형에서 계면조 하4를 제외하고 모두 4주
이상만 사용한다. 그리고 평조의 경우 자현은 11주까지, 중현
은 6주까지, 무현은 5주까지 사용한다. 계면조의 경우 자현은 11주까지, 중현은 7주까지, 무현
4주까지 사용한다. 따라서 각 주(柱) 간의 음정을 밝히기 위해서는 7주까지는 자현과 중현의
음정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1) 당비파 평조 산형의 음정
평조는 오조궁의 치조와 동일하므로 하5에서 궁까지, 궁에서 상5까지의 각 율 간의 음정은
3율(장2도)-4율(단3도)-3율(장2도)-3율(장2도)-4율(단3도)이다. 당비파 평조 산형 자현에
는 4주가 궁, 5주가 상1, 7주가 상2, 9주가 상3, 10주가 상4, 11주가 상5․상6으로 되어있다.
자현의 개방현 음은 徵이고, 자현 www.earticle.net
4주의 오조궁은 徵, 시용궁은 宮이다. 만약 개방현의 음
徵가 오조궁에 해당한다면 개방현 徵와 4주 徵와의 음정은 옥타브 관계이므로, 원산부터 4주까
의 음정은 13율이 되어야 한다. 만약 개방현의 음 徵가 시용궁의 徵라면 개방현 徵와 4주 宮의
음정은 6율이 되어야 한다. 당비파의 원산에서 1주까지는 3율이고, 1주부터 4주까지 각 주 사
이의 음정은 2율이므로,29) 평조 산형의 원산부터 오음약보의 궁이 위치해 있는 4주까지 음정
은 6율이다. 따라서 음정 관계로 볼 때 자현 개방현의 徵는 4주와 음정이 6율인 시용궁에 해당
한다.
평조 자현에서 개방현의 徵와 9주의 시용궁 徵는 옥타브 관계이다. 오음약보로는 9주가 상3
이므로 개방현은 하2가 된다. 따라서 자현 개방현은 9주의 徵와 옥타브 관계인 濁徵가 되어야
한다.
평조 음정을 기준으로 할 때, 당비파 평조 산형의 자현 4주와 5주는 3율, 5주와 7주는 4율,

29) 이숙희, 앞의 논문, 2019, 267~304쪽.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19

7주와 9주는 3율, 9주와 10주는 3율, 10주와 11주는 4율이 된다. 당비파 자현의 음정을 평조
음정을 기준으로 정리하면 다음 그림과 같다.

<표 5> 평조 음정을 기준으로 한 당비파 평조 자현 음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상6

오조궁 徵 羽 宮 商 角 徵 羽

시용궁 濁徵 宮 商 角 徵 羽 宮 商

6율 3율 4율 3율 3율 4율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위 그림에서 4주와 5주의 음정은 3율이고, 5주와 7주의 음정은 4율인데, 자현 산형만으로는
5주와 6주, 6주와 7주의 음정을 알 수 없다. 5주 6주 7주는 자현, 중현이 모두 걸쳐있기 때문에
평조의 자현과 중현, 계면조의 자현과 중현을 참고하여 다시 한 번 검토해 볼 것이다.
상2와 상3의 음정은 3율이므로 7주(상2)와 9주(상3)의 음정은 3율이 된다. 따라서 7주와 8주
의 음정은 2율이 되고, 8주와 9주의 음정도 2율이 된다. 상3과 상4의 음정은 3율이므로, 9주와
10주는 3율이다. 상4와 상5의 음정은 4율이므로, 10주(상4)와 11주(상5)의 음정은 4율이다. 상6
은 상5와 동일하게 11주에서 연주하므로 역안해야 한다. 이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표 6> 당비파 평조 자현 음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www.earticle.net
오음약보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상6⬇

오조궁 徵 羽 宮 商 角 徵 羽

시용궁 濁徵 宮 商 角 徵 羽 宮 商

6율 3율 4율 2율 2율 3율 4율

*‘⬇’는 역안 표시. 이하 같음.

다음에는 중현 산형을 살펴보기로 한다. 중현은 개방현 음이 궁(宮)이고, 4주가 하3, 5주가
하2, 6주가 하1이다. 원산에서 4주까지는 6율이다. 중현 개방현의 宮이 시용궁이므로, 중현 4주
시용궁의 角과 6율 관계가 된다. 만약 개방현의 宮이 오조궁에 해당한다면 개방현과 4주 宮이
옥타브 간격이 되어 음정이 일치하지 않는다. 중현 4주 시용궁 음이 角인 이유는 평조 선법에
궁조가 배대되었기 때문인데, 평조의 세 번째 음인 하3에 궁조의 세 번째음인 角이 배대된 것
이다.
420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자현 개방현의 음이 濁徵가 되면 자현과 8율 관계인 중현 개방현은


濁宮이 되어야 한다. 중현 개방현이 濁宮(하5)이 되면 중현 4주는 濁角(하3), 5주는 濁徵(하2),
6주는 濁羽(하1)가 된다.
중현의 평조 하3과 하2의 음정은 3율이므로, 4주(하3)과 5주(하2)의 음정은 3율이 되어야 한
다. 그리고 평조 하2와 하1의 음정도 3율이므로 5주(하2)와 6주(하1)의 음정도 3율이어야 한다.
그런데 평조 자현의 5주(상1)과 7주(상2)의 음정은 4율이고,30) 계면조 중현 5주(하2)와 7주(하
1)의 음정이 4율이다. 따라서 5주와 6주, 6주와 7주의 음정이 먼저 결정되어야 한다. 계면조
중현 5주와 6주의 음정은 2율이고, 계면조 자현 6주(상1)과 7주(상2)는 3율이다.31) 계면조 중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현 5주와 6주의 음정이 2율이므로 평조 중현 5주와 6주의 음정이 3율이 될 수 없다. 따라서
평조 중현 5주와 6주의 음정은 2율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5주와 6주의 음정이 3율이 되게
하려면 6주를 역안해야 한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한 평조 중현 산형의 음정은 다음과
같다.

<표 7> 평조 중현 음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하5 하3 하2 하1⬇

오조궁 - 宮 商 角

시용궁 濁宮 濁角 濁徵 濁羽

6율 3율 2율 3율

www.earticle.net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평조 산형 무현의 개방현은 탁치(濁徵)이고, 4주는 하5, 5주는 하4이다.
무현의 개방현 음은 자현에 비해 음역이 한 옥타브 낮고, 개방현과 4주의 음정은 동일하게 6율
이다. 자현 개방현의 음이 濁徵이고, 중현 개방현 음이 濁宮이면 무현 개방현의 음은 倍濁徵가
되어야 하고, 개방현은 오음약보로는 濁하2가 된다. 그리고 무현 4주는 濁宮(하5), 5주는 濁商
(하4)이다.
평조 하5와 하4의 음정은 3율인데, 자현 및 중현의 4주와 5주의 음정이 3율이므로, 무현 4주
(하5)와 5주(하4)의 음정도 3율이다. 이것은 자현 및 중현의 4주와 5주의 음정과도 일치한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한 평조 무현 산형은 다음과 같다.

30) 계면조 중현 5주와 7주의 음정도 4율이다.


31) 본고 2) 당비파 계면조 산형의 음정 참조.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21

<표 8> 평조 무현 음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濁하2) 하5 하4

오조궁 - 徵 羽

시용궁 倍濁徵 濁宮 濁商

6율 3율

이상 당비파 평조 산형의 자현, 중현, 무현의 개방현의 음, 각 주의 간의 음정 관계를 살펴본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개방현의 음은 시용궁에 해당하며, 원산과 4주의 음정은 6율이
다. 그리고 4주와 5주는 3율, 5주와 6주는 2율, 6주와 7주의 음정은 3율, 7주와 8주의 음정은
2율, 8주와 9주의 음정은 2율, 9주와 10주의 음정은 3율, 10주와 11주의 음정은 4율이다. 자현
상6은 상5와 동일한 11주에서 음을 내므로 역안해야 하고, 중현 5주와 6주의 음정은 2율이지만
하2와 하1의 음정은 3율이므로 6주는 역안해야 한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당비파 평조 산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9> 당비파 평조 산형의 음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자현 濁徵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상6⬇

중현 濁宮 하5 하3 하2 하1⬇

대현 濁宮 하5 www.earticle.net
무현 倍濁徵 濁하2 하5 하4

6 3 2 3 2 2 3 4

궁조의 본래 음정은 3율-3율-4율-3율-4율이지만, 평조에 부기되어 있는 시용궁은 평조


와 동일하게 3율-4율-3율-3율-4율이다. 치조(평조)와 궁조는 음정이 서로 다르지만, 치조
(평조)와 시용궁상자보는 음정이 동일하다. 따라서 개방현의 徵와 宮의 음정은 8율(6율)이다.

2) 당비파 계면조 산형의 음정


<그림 2>의 계면조 산형에도 평조와 마찬가지로 각 음위에 오음약보, 오조궁, 시용궁이 부기
되어 있다. 계면조의 음정은 우조와 동일하므로, 오음약보의 宮의 위치에 오조궁의 羽가 배대되
어 있고, 시용궁의 宮이 배대되어 있다.
당비파 계면조와 평조의 개방현 음은 동일하고, 자현 4주가 宮인 것도 동일하므로, 계면조
422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자현 원산과 4주까지의 음정은 평조와 같이 6율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당비파 계면조 자현의
개방현도 평조와 마찬가지로 濁徵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9주의 시용궁 徵에 해당하는 오음약
보가 상3이므로, 개방현의 濁徵는 하2가 된다.
계면조 산형 자현의 4주는 궁이고 6주는 상1, 7주는 상2, 9주는 상3, 10주는 상4, 11주는
상5이다. 계면조 자현 산형의 음정을 계면조 음정을 기준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10> 계면조 음정을 기준으로 한 당비파 계면조 자현 음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오음약보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오조궁 - 羽 宮 商 角 徵 羽

시용궁 濁徵 宮 商 角 徵 羽 淸宮

6율 4율 3율 3율 4율 3율

계면조 자현 산형에서 4주와 5주의 음정은 알 수 없으나, 평조 산형을 참고해 보면 4주와


5주의 음정은 3율이다. 평조 산형에서 4주와 5주가 3율이고, 계면조 산형의 자현 4주(궁)와 6주
(상1)의 음정은 4율이므로, 5주와 6주는 2율이 된다.
계면조 상1과 상2의 음정은 3율이므로, 자현 6주(상1)과 7주(상2)의 음정은 3율이 되어야 한
다. 계면조 상2와 상3의 음정은 3율이므로, 자현 7주(상2)와 9주(상3)의 음정은 3율이 되어야
한다. 계면조 자현 7주(상2)와 9주(상3)의 음정이 3율이므로 평조 자현과 마찬가지로 계면조
자현 7주와 8주, 8주와 9주의 음정은www.earticle.net
동일하게 각각 2율이 된다.
계면조 상3과 상4의 음정은 4율이므로, 9주(상3)과 10주(상4)의 음정은 4율이어야 하는데,
평조 산형의 9주와 10주의 음정은 3율이므로, 계면조 자현 10주는 역안해야 한다. 자현 10주를
역안함으로써 계면조 상4와 상5의 음정 3율이 되고, 평조 자현 10주와 11주의 음정 4율과도
정합한다. 평조와 계면조 음정을 종합하여 계면조 기준으로 당비파 자현 음정을 정리하면 다음
과 같다.

<표 11> 당비파 계면조 자현 음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오조궁 - 羽 宮 商 角 徵 羽

시용궁 濁徵 宮 商 角 徵 羽 淸宮

6율 3율 2율 3율 2율 2율 3율 4율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23

계면조 중현의 개방현 음은 평조 중현과 마찬가지로 宮이 아니라 濁宮이 되어야 한다. 계면조
중현은 3주가 하4, 4주가 하3, 5주가 하2, 7주가 하1이다. 계면조 음정을 기준으로 중현 하4(3
주)와 하3(4주)는 3율, 하3(4주)와 하2(5주)의 음정은 3율, 하2(5주)와 하1(7주)의 음정은 4율이
되어야 한다. 계면조 음정을 기준으로 한 계면조 중현 음정은 다음과 같다.

<표 12> 계면조 음정 기준으로 한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계면조 중현 음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하5) 하4 하3 하2 하1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오조궁 - 宮 商 角

시용궁 宮 商 角 徵 羽

3율 3율 4율

다른 현과 달리 계면조 중현은 3주부터 시작된다. 당비파 1주부터 4주까지의 음정은 각각


2율이므로,32) 3주와 4주의 음정도 2율인데, 이것은 계면조 하4와 하3의 음정이 3율인 것과 일
치하지 않는다.
계면조 하4와 하3의 음정이 3율이 되도록 하기 위해 만약 3주를 역안하면 음정이 더 좁아지
고, 4주를 역안하면 4주와 5주의 음정이 좁아진다. 따라서 계면조 하4와 하3의 음정을 맞게 하
기 위해서는 하4의 위치가 2주에 와야 한다. 즉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계면조 중현 산형에서 하4의
위치는 3주가 아니라 2주에 와야 한다. 이와같이 바꾸면 개방현(하5)부터 2주(하4)까지의 음정
www.earticle.net
은 4율, 2주(하4)와 4주(하3)의 음정은 3율이 되어 계면조 음정과 일치한다. 다만 계면조 산형의
시용궁은 계면조와 음정이 동일하기 때문에 당비파 계면조 중현 산형에서 시용궁의 宮과 商의
음정은 4율이 되어야 한다.
평조 중현과 마찬가지로 계면조 중현 개방현이 濁宮이 되면 중현 2주는 濁商(하4), 4주는 濁
角(하3), 5주는 濁徵(하2), 6주는 濁羽(하1)이 된다. 중현 개방현의 濁宮은 시용궁에 해당하고,
오음약보의 하5이다. 따라서 하4가 2주에 위치하게 되면 개방현(宮)과 2주(商)의 음정은 계면조
하5와 하4의 음정과 동일하게 4율이 된다. 이런 측면에서도 중현의 하4의 위치는 3주가 아니라
2주임을 알 수 있다.
계면조 하4와 하3의 음정은 3율인데, 계면조 중현 2주(하4)와 4주(하3)의 음정은 3율이므로,
계면조 음정과 일치한다. 계면조 하3과 하2의 음정은 3율이므로, 4주(하3)과 5주(하2)의 음정도
3율이어야 한다. 계면조 하2와 하1의 음정은 4율이므로, 계면조 중현 5주(하2)와 7주(하1)의

32) 이숙희, 위의 논문, 2019, 267~304쪽.


424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음정도 4율이 되어야 한다.


다만 여기에서 5주와 6주, 6주와 7주의 음정을 다시 검토해 봐야 한다. 계면조 자현 산형에서
6주와 7주의 음정이 3율이고, 계면조 중현 5주와 7주의 음정이 4율이므로, 중현의 5주와 6주의
음정은 2율이 된다. 이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당비파 계면조 중현 산형의 음위와 음정을 정리
하면 다음 표와 같다.

<표 13> 계면조 중현 수정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오음약보 (하5) 하4 하3 하2 하1

오조궁 - 宮 商 角

시용궁 濁宮 濁商 濁角 濁徵 濁羽

4율 3율 3율 2율 3율

무현은 자현과 한 옥타브 관계이다.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계면조 산형의 개방현 음이 濁徵로
되어 있는데, 자현 개방현의 음이 濁徵이고, 중현 개방현 음이 濁宮이면 무현 개방현의 음은
倍濁徵가 되어야 한다.
계면조 무현에는 4주에 하5 한 음만 배치되어 있다. 무현 4주가 하5이므로, 원산부터 4주(하
5)까지의 음정은 6율이다. 무현 개방현 倍濁徵는 오음약보로는 濁하2이고, 무현 4주는 濁宮이
된다. 이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www.earticle.net
<표 14> 당비파 계면조 무현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濁하2) 하5

오조궁 - 徵

시용궁 倍濁徵 濁宮

6율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계면조 중현 산형에 하4가 3주에 위치해 있었으
나, 계면조 하4와 하3의 음정 관계, 중현 개방현 음 宮과 하4의 음정 관계 측면에서 중현 2주에
위치하는 것이 맞다고 보았다. 그리고 자현 10주의 상4는 역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당비파 계면조 산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25

<표 15> 계면조 산형의 음위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자현 濁徵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중현 濁宮 하5 하4 하3 하2 하1

대현 濁宮 하5

무현 倍濁徵 濁하2 하5

계면조에 부기되어 있는 시용궁의 음정은 계면조와 동일하게 4율-3율-3율-4율-3율이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우조(계면조)와 계면조 산형의 시용궁은 음정이 동일하므로 개방현의 宮과 徵의 음정은 8율(6


율)이다. 당비파의 당악조인 상조와 하조,33) 향악조인 평조 산형과 계면조 산형을 종합하여 당
비파 각 주간의 음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16> 당비파 산형 각주 간의 음정34)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3율 2율 2율 2율 3율 2율 3율 2율 2율 3율 4율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향악의 평조와 계면조는 계면조의 하4를 제외하고는 모두 4주 이상만


사용한다.35) 이것은 당비파의 당악의 상조와 하조는 1주부터 4주까지만 사용하는 것과 변별된
다. 또 당비파의 당악조에 사용되는 4주 이하의 각 주(柱) 간 음정은 각각 2율로 일정한데 비해,
향악에 사용되는 4주 이상의 각 www.earticle.net
주간의 음정이 2율 3율 4율로 일정하지 않은 특징이 있다.

3. 뺷악학궤범뺸 속악칠조(칠지)에 따른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의 조현법

당비파의 당악조 상조와 하조는 악조에 따라 음이 구체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반면,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 산형의 개방현의 음은 시용궁으로 표시되어 있고, 네 개 현의 음은 상대적 관계
로 표시되어 있다. 당비파의 당악조와 향악조의 관계 등 향악조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향악조 산형도 음을 구체적으로 나타낼 필요가 있다. 음을 구체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33) 이숙희. 위의 논문, 2019, 267~304쪽.


34) 졸고,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상조(上調)와 하조(下調)의 성격」(뺷국악원논문집뺸 37집, 267~304쪽)에서 당비파 4주 이
하의 음정을 일정하게 3율로 표시했는데, 이것을 본고의 내용으로 수정한다.
35) 기존 연구에서는 향악을 연주할 때는 3주부터 11주까지(정화순, 「한국 당비파의 제도에 관한 연구」, 뺷한국음악사학
보뺸 38집, 223~247쪽; 정화순, 「한국 당비파의 연주법에 관한 연구」, 뺷온지논총뺸 18집, 105~133쪽) 혹은 4주 이상
만 사용하는 것으로(이혜구, 뺷신역악학궤범뺸, 425쪽 각주 41) 밝혔다.
426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서는 악조가 정해져야 하고, 그 악조는 속악칠조(칠지)이다. 따라서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 산형


에 속악칠조(칠지)를 적용하여 그 조현법을 밝히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기본음(궁)이 한 음 씩 제시되어 있는 뺷악학궤범뺸의 가야금․향비파․대금(권1)
의 기본음(궁) 일지 姑, 이지 仲, 삼지 林, 사지(횡지) 南, 오지(우조) 應, 육지(팔조) 潢, 칠지(막
조) 汰를 기준으로 할 것이다.36)

1) 속악칠조(칠지)에 따른 당비파 평조 조현법


당비파 평조 조현과 관련하여 속악칠조(칠지) 기본음(궁)에 따른 개방현 음과 각 음위별 음을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살펴볼 것이다. 당비파는 네 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평조와 계면조 산형의 대현에는 음이
배치되어 있지 않고, 대현의 개방현 음은 중현과 동일하므로, 자현, 중현, 무현 중심으로 살펴보
기로 한다.

(1) 당비파 평조 자현 조현법


고선을 기본음(궁)으로 하는 평조 일지 고선평조의 구성음은 姑(궁)․蕤(상1)․南(상2)․應
(상3)․汏(상4)․㴌(상5)이다. 따라서 평조 일지 자현의 4주(宮)은 姑, 5주(상1)은 蕤. 7주(상2)
는 南, 9주(상3)은 應, 10주(상4)는 汏, 11주(상5)는 㴌, 상6은 㶋이다.
이에 따라서 자현의 개방현의 음은 4주의 姑(궁)과 6율 관계인 㒣이다. 개방현 㒣은 자현 9주
시용궁 應과 옥타브 관계이므로, 개방현의 시용궁은 9주의 徵보다 한 옥타브 아래인 濁徵가 된
다. 濁徵의 㒣은 오음약보로는 하2이다. 이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www.earticle.net
<표 17> 당비파 평조 일지 자현 조현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상6⬇

오조궁 - 徵 羽 宮 商 角 徵 羽

시용궁 濁徵 宮 商 角 徵 羽 淸宮 淸商

율명 㒣 姑 蕤 南 應 汏 㴌 㶋

중려를 기본음(궁)으로 하는 평조 이지 중려평조의 구성음은 仲(궁)․林(상1)․無(상2)․潢


(상3)․汰(상4)․㳞(상5)이다. 따라서 평조 이지 자현의 4주(宮)은 仲, 5주(상1)은 林. 7주(상2)

36) 이숙희의 「뺷악학궤범뺸 속악 7조 기본음(궁)의 성립배경」(뺷국악원논문집뺸 37집, 국립국악원, 2019, 267~304쪽)에서


도 속악칠조(칠지)의 기본음(궁)이 일지 姑, 이지 仲, 삼지 林, 사지(횡지) 南, 오지(우조) 應, 육지(팔조) 潢, 칠지(막
조) 汰라고 밝혔다.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27

는 無, 9주(상3)은 潢, 10주(상4)는 汰, 11주(상5)는 㳞, 상6은 淋이다. 이에 따라 중려평조 자현


의 개방현의 음은 4주 仲(宮)과 6율 관계인 黃이다.
임종을 기본음(궁)으로 하는 평조 삼지 임종평조의 구성음은 林(궁)․南(상1)․潢(상2)․汰
(상3)․㴌(상4)․淋(상5)이다. 따라서 평조 삼지 자현의 4주 宮은 林, 5주 상1은 南. 7주 상2는
潢, 9주 상3은 汰, 10주 상4는 㴌, 11주 상5는 淋, 상6은 湳이다. 이에 따라서 임종 평조 자현의
개방현의 음은 4주 林(宮)과 6율 관계인 太이다.
남려를 기본음(궁)으로 하는 평조 사지(횡지) 남려평조의 구성음은 南(궁)․應(상1)․汰(상
2)․㴌(상3)․㶋(상4)․湳(상5)이다. 따라서 평조 사지(횡지) 자현의 4주 宮은 南, 5주 상1은 應,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7주 상2는 汰, 9주 상3은 㴌, 10주 상4는 㶋, 11주 상5는 湳, 상6은 㶐이다. 이에 따라서 남려


평조 자현의 개방현의 음은 4주 南(궁)과 6율 관계인 姑이다.
응종을 기본음(궁)으로 하는 평조 오지(우조) 응종평조의 구성음은 應(궁)․汏(상1)․㴌(상
2)․㶋(상3)․洟(상4)․㶐(상5)이다. 따라서 평조 오지(우조) 자현의 4주 宮은 應, 5주 상1은 汏.
7주 상2는 㴌, 9주 상3은 㶋, 10주 상4는 洟, 11주 상5는 㶐, 상6은 汏이다. 이에 따라서 응조
평조 자현의 개방현의 음은 4주 應(궁)과 6율 관계인 蕤이다.
청황종을 기본음(궁)으로 하는 평조 육지(팔조) 청황종평조의 구성음은 潢(궁)․汰(상1)․㳞
(상2)․淋(상3)․湳(상4)․㶂(상5)이다. 따라서 평조 육지(팔조) 자현의 4주 宮은 潢, 5주 상1은
汰. 7주 상2는 㳞, 9주 상3은 淋, 10주 상4는 湳, 11주 상5는 㶂, 상6은 㳲이다. 이에 따라서
황조 평조 자현의 개방현의 음은 4주 潢(궁)과 6율 관계인 林이다. 이 청황종평조는 황종치조인
당비파 하조와 성격이 동일하다. 다만 기본음(궁)에 있어서 하조는 黃, 청황종평조는 潢으로서,
서로 옥타브 차이가 있있고, 평조www.earticle.net
육지(팔조)는 오음계인 반면 하조(下調)는 칠음계인 차이가
있다.
청태주를 기본음(궁)으로 하는 평조 칠지(막조) 청태주평조의 구성음은 汰(궁)․㴌(상1)․淋
(상2)․湳(상3)․㶐(상4)․㳲(상5)이다. 따라서 평조 칠지(막조) 자현의 4주 宮은 汰, 5주 상1은
㴌. 7주 상2는 淋, 9주 상3은 湳, 10주 상4는 㶐, 11주 상5는 㳲, 상6은 㵈이다. 이에 따라서
황종 평조 자현의 개방현의 음은 4주 汰(궁)과 6율 관계인 南이다.
이상의 당비파 평조 자현 산형에 속악칠조(칠지)를 적용한 조현법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18> 속악칠조(칠지)에 따른 당비파 평조 자현 조현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상6⬇

오조궁 - 徵 羽 宮 商 角 徵 羽
428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시용궁 濁徵 宮 商 角 徵 羽 宮 商

일지 㒣 姑 蕤 南 應 汏 㴌 㶋

이지 黃 仲 林 無 潢 汰 㳞 淋

삼지 太 林 南 潢 汰 㴌 淋 湳

사지(횡지) 姑 南 應 汰 㴌 㶋 湳 㶐

오지(우조) 蕤 應 汏 㴌 㶋 洟 㶐 汏

육지(팔조) 林 潢 汰 㳞 淋 湳 㶂 㳲

칠지(막조) 南 汰 㴌 淋 湳 㶐 㳲 㵈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2) 당비파 평조 중현 조현법


일지 고선 평조의 하3은 㑲, 하2는 㒣, 하1은 大이다. 따라서 4주(하3)은 㑲, 5주(하2)는 㒣,
6주(하1)은 大이다. 6주의 하1(大)는 역안해서 낸다. 평조 중현의 개방현 음은 시용궁의 宮으로
되어 있는데, 음정 관계를 따졌을 때 濁宮임을 위에서 밝혔다. 따라서 평조 중현의 개방현 濁宮
의 음은 4주 하3의 㑲과 6율 관계에 있는 탁고선(㑬)이며, 오음약보는 하5이다. 이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19> 당비파 평조 일지 중현 조현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하5) 하3 하2 하1⬇

오조궁 - 宮 商 角

시용궁 濁宮 www.earticle.net
濁角 濁徵 濁羽

율명 㑬 㑲 㒣 大

평조 이지 중려평조의 하3은 㒇, 하2는 黃, 하1은 太이다. 따라서 중현 4주(하3)은 㒇, 5주(하


2)는 黃, 6주(하1↓)은 太이다. 개방현 宮의 음은 4주(하3)의 㒇와 6율 관계인 탁중려(㑖)이다.
평조 삼지 임종평조의 하3은 黃, 하2는 太, 하1은 姑이다. 따라서 중현 4주(하3)은 黃, 5주(하
2)는 太, 6주(하1↓)은 姑이다. 개방현 宮의 음은 4주(하3)의 黃과 6율 관계인 㑣이다.
평조 사지(횡지) 남려평조의 하3은 太, 하2는 姑, 하1은 蕤이다. 따라서 중현 4주(하3)은 太,
5주(하2)는 姑, 6주(하1↓)은 蕤이다. 개방현 궁의 음은 4주(하3)의 太와 6율 관계인 㑲이다.
평조 오지(우조) 응종평조의 하3은 姑, 하2는 蕤, 하1은 夷이다. 따라서 중현 4주(하3)은 姑,
5주(하2)는 蕤, 6주(하1↓)은 夷이다. 개방현 궁의 음은 4주(하3)의 姑와 6율 관계인 㒣이다.
평조 육지(팔조) 청황종평조의 하3은 仲, 하2는 林, 하1은 南이다. 따라서 중현 4주(하3)은
仲, 5주(하2)는 林, 6주(하1↓)은 南이다. 개방현 궁의 음은 4주(하3)의 仲과 6율 관계인 黃이다.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29

평조 칠지(막조) 청태주평조의 하3은 林, 하2는 南, 하1은 應이다. 따라서 중현 4주(하3)은


林, 5주(하2)는 南, 6주(하1↓)은 應이다. 개방현 궁의 음은 4주(하3)의 林과 6율 관계인 太이다.
이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20> 속악칠조(칠지)에 따른 당비파 평조 중현 조현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하5) 하3 하2 하1⬇


오조궁 - 宮 商 角
시용궁 濁宮 濁角 濁徵 濁羽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일지 㑬 㑲 㒣 大
이지 㑖 㒇 黃 太
삼지 㑣 黃 太 姑
사지(횡지) 㑲 太 姑 蕤
오지(우조) 㒣 姑 蕤 夷
육지(팔조) 黃 仲 林 南
칠지(막조) 太 林 南 應

(3) 당비파 평조 무현 조현법


평조 일지 고선평조의 하5는 㑬, 하4는 嫒이다. 따라서 4주(하5)는 㑬, 5주(하4)는 嫒이다.
평조 무현의 개방현은 倍濁徵이며, 그 음은 4주 하5의 㑬와 6율 관계에 있는 배탁응(㣹)이다.
www.earticle.net
㣹은 오음약보로는 濁하2이다. 이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21> 당비파 평조 일지 무현 조현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濁하2) 하5 하4

오조궁 - 徵 羽

시용궁 倍濁徵 濁宮 濁商

율명 㣹 㑬 嫒

*탁하2는 하2보다 한 옥타브 아래음을 뜻함.

평조 이지 중려평조의 하5는 㑖, 하4는 㑣이다. 따라서 무현 4주(하5)는 㑖, 5주(하4)는 㑣이


다. 개방현 倍濁徵의 음은 4주 하5의 㑖과 6율 관계에 있는 僙이다.
평조 삼지 임종평조의 하5는 㑣, 하4는 㑲이다. 따라서 무현 4주(하5)는 㑣, 5주(하4)는 㑲이
430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다. 개방현 倍濁徵의 음은 4주 하5의 㑣과 6율 관계에 있는 㑀이다.


평조 사지(횡지) 남려평조의 하5는 㑲, 하4는 㒣이다. 따라서 무현 4주(하5)는 㑲, 5주(하4)는
㒣이다. 개방현 倍濁徵의 음은 4주 하5의 㑲과 6율 관계에 있는 㑬이다.
평조 오지(우조) 응종평조의 하5는 㒣, 하4는 大이다. 따라서 무현 4주(하5)는 㒣, 5주(하4)는
大이다. 개방현 倍濁徵의 음은 4주 하5의 㒣과 6율 관계에 있는 嫒이다.
평조 육지(팔조) 청황종평조의 하5는 黃, 하4는 太이다. 따라서 무현 4주(하5)는 黃, 5주(하4)
는 太이다. 개방현 倍濁徵의 음은 4주 하5의 黃과 6율 관계에 있는 㑣이다.
평조 칠지(막조) 청태주평조의 하5는 太, 하4는 姑이다. 따라서 무현 4주(하5)는 太, 5주(하4)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는 姑이다. 개방현 倍濁徵의 음은 4주 하5의 太와 6율 관계에 있는 㑲이다.


이상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표 22> 속악칠조(칠지)에 따른 당비파 평조 무현 조현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濁하2) 하5 하4

오조궁 - 徵 羽

시용궁 倍濁徵 濁宮 濁商

일지 㣹 㑬 嫒

이지 僙 㑖 㑣

삼지 㑀 㑣 㑲

사지(횡지) 㑬 㑲 㒣
www.earticle.net
오지(우조) 嫒 㒣 大

육지(팔조) 㑣 黃 太

칠지(막조) 㑲 太 姑

2) 속악칠조(칠지)에 따른 당비파 계면조 조현법


당비파 계면조 개방현의 음은 자현 濁徵, 중현 濁宮, 대현 濁宮, 무현 倍濁徵로 평조와 동일하
고, 계면조 속악칠조(칠지)의 기본음(궁)도 평조와 동일하다. 다만 계면조 속악칠조(칠지) 각 조
의 구성음은 평조와 다르다. 계면조의 대현도 평조와 마찬가지로 개방현의 음은 중현과 같고,
음이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생략한다.

(1) 당비파 계면조 자현 조현법


고선을 기본음(궁)으로 하는 계면조 일지의 구성음은 姑(궁)․林(상1)․南(상2)․應(상3)․汰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31

(상4)․㴌(상5)이다. 따라서 계면조 자현의 4주(宮)은 姑, 5주(상1)은 林. 7주(상2)는 南, 9주(상


3)은 應, 10주(상4↓)는 汰, 11주(상5)는 㴌이다.
고선계면조 자현의 개방현 음 濁徵는 고선평조 자현의 개방현 음과 동일한 㒣이다. 개방현
濁徵 㒣은 오음약보로는 하2이다. 다음 표는 계면조 일지 고선계면조 조현법이다.

<표 23> 당비파 계면조 자현 일지 조현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오조궁 - 羽 宮 商 角 徵 羽

시용궁 濁徵 宮 商 角 徵 羽 宮

일지 㒣 姑 林 南 應 汰 㴌

중려를 기본음(궁)으로 하는 계면조 이지 중려계면조의 구성음은 仲(궁)․夷(상1)․無(상2)․


潢(상3)․浹(상4)․㳞(상5)이다. 따라서 당비파 계면조 이지 자현의 4주(宮)은 仲, 5주(상1)은
夷. 7주(상2)는 無, 9주(상3)은 潢, 10주(상4↓)는 浹, 11주(상5)는 㳞이다. 그리고 계면조 이지
중려계면조 자현의 개방현의 음 濁徵는 중려평조 자현의 개방현 음과 동일한 黃이다.
임종을 기본음(궁)으로 하는 계면조 삼지 임종계면조의 구성음은 林(궁)․無(상1)․潢(상2)․
汰(상3)․㳞(상4)․淋(상5)이다. 따라서 계면조 삼지 자현의 4주(宮)은 林, 5주(상1)은 無. 7주
(상2)는 潢, 9주(상3)은 汰, 10주(상4↓)는 㳞, 11주(상5)는 淋이다. 그리고 계면조 삼지 임종계
면조 자현의 개방현의 음 濁徵는www.earticle.net
임종평조 자현의 개방현 음과 동일한 太이다.
남려를 기본음(궁)으로 하는 계면조 사지(횡지) 남려계면조의 구성음은 南(궁)․潢(상1)․汰
(상2)․㴌(상3)․淋(상4)․湳(상5)이다. 따라서 계면조 사지(횡지) 자현의 4주(宮)은 南, 5주(상
1)은 潢. 7주(상2)는 汰, 9주(상3)은 㴌, 10주(상4↓)는 淋, 11주(상5)는 湳이다. 그리고 계면조
사지(횡지) 남려계면조 자현의 개방현의 음 濁徵는 남려평조의 개방현 음과 동일한 姑이다.
응종을 기본음(궁)으로 하는 계면조 오지(우조) 응종계면조의 구성음은 應(궁)․汰(상1)․㴌
(상2)․㶋(상3)․湳(상4)․㶐(상5)이다. 따라서 계면조 오지(우조) 자현의 4주(宮)은 應, 5주(상
1)은 汰. 7주(상2)는 㴌, 9주(상3)은 㶋, 10주(상4↓)는 湳, 11주(상5)는 㶐이다. 이에 따라서 계
면조 오지(우조) 응종계면조 자현 개방현의 음 濁徵는 응종평조 자현의 개방현 음과 동일한 蕤
이다.
청황종을 기본음(궁)으로 하는 계면조 육지(팔조) 청황종계면조의 구성음은 潢(궁)․浹(상
1)․㳞(상2)․淋(상3)․潕(상4)․㶂(상5)이다. 따라서 평조 육지(팔조) 자현의 4주(宮)은 潢, 5
주(상1)은 浹. 7주(상2)는 㳞, 9주(상3)은 淋, 10주(상4↓)는 潕, 11주(상5)는 㶂이다. 이에 따라
432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서 계면조 육지(팡조) 황종 계면조 자현의 개방현의 음 濁徵는 청황종평조 자현의 개방현 음과


동일한 林이다. 이 청황종계면조는 황종우조인 당비파 상조와 성격이 동일하다. 다만 기본음
(궁)에 있어서 상조(上調)는 黃, 청황종평조는 潢으로서, 서로 옥타브 차이가 있고, 계면조 육지
(팔조)는 오음계인 반면 상조(上調)는 칠음계인 차이가 있다.
청태주를 기본음(궁)으로 하는 계면조 칠지(막조) 청태주계면조의 구성음은 汰(궁)․㳞(상
1)․淋(상2)․湳(상3)․㶂(상4)․㳲(상5)이다. 따라서 평조 칠지(막조) 자현의 4주(宮)은 汰, 5
주(상1)은 㳞. 7주(상2)는 淋, 9주(상3)은 湳, 10주(상4↓)는 㶂, 11주(상5)는 㳲이다. 이에 따라
서 계면조 칠지(막조) 청태주계면조 자현의 개방현 음 濁徵는 청태주계면조 자현의 개방현 음과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동일한 南이다.
이상 당비파 계면조 속악칠조(칠지) 자현의 조현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24> 속악칠조(칠지)에 따른 당비파 계면조 자현 조현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하2) 궁 上一 上二 上三 上四⬇ 上五

오조궁 - 羽 宮 商 角 徵 羽

시용궁 濁徵 宮 商 角 徵 羽 淸宮

일지 㒣 姑 林 南 應 汰 㴌

이지 黃 仲 夷 無 潢 浹 㳞

삼지 太 林 無 潢 汰 㳞 淋

사지(횡지) 姑 南 潢 汰 㴌 淋 湳
www.earticle.net
오지(우조) 蕤 應 汰 㴌 㶋 湳 㶐

육지(팔조) 林 潢 浹 㳞 淋 潕 㶂

칠지(막조) 南 汰 㳞 淋 湳 㶂 㳲

(2) 당비파 계면조 중현 조현법


계면조 일지 고선계면조의 하4는 㑣, 하3은 㑲, 하2는 㒣, 하1은 太이다. 그리고 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중현 하4의 음위는 2주이다. 따라서 2주(하4)는 㑣, 4주(하3)은 㑲, 5주(하2)는
㒣, 7주(하1)는 太이다.
당비파 고선계면조 중현 개방현 음도 고선평조 중현과 같이 濁宮이며, 그 음은 2주 하4의
㑣과 4율 관계에 있는 㑬이다. 중현 개방현 㑬와 자현 개방현 㒣은 8율 관계이므로, 중현 濁宮
과 자현 濁徵와의 음정과도 일치한다. 중현 개방현 濁宮 㑬에 해당하는 오음약보는 하5이다.
이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33

<표 25> 당비파 계면조 일지 중현 조현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하5) 하4 하3 하2 하1

오조궁 - 宮 商 角 徵

시용궁 濁宮 濁商 濁角 濁徵 濁羽

일지 㑬 㑣 㑲 㒣 太

계면조 이지 중려계면조의 하4는 侇, 하3은 㒇, 하2는 黃, 하1은 夾이다. 따라서 2주(하4)는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侇, 4주(하3)는 㒇, 5주(하2)는 黃, 7주(하1)은 夾이다. 중현 개방현 濁宮의 음은 2주 하4의 侇와


4율 관계인 탁중려(㑖)이다.
계면조 삼지 임종계면조의 하4는 㒇, 하3은 黃, 하2는 太, 하1은 仲이다. 따라서 2주는 㒇,
4주는 黃, 5주는 太, 6주는 仲이다. 계면조 삼지 임종계면조 중현 개방현 濁宮의 음은 2주 하4의
㒇와 4율 관계인 탁임종(㑣)이다.
계면조 사지(횡지) 남려계면조의 하4는 黃, 하3은 太, 하2는 姑, 하1은 林이다. 따라서 2주(하
4)는 黃, 4주(하3)은 太, 5주(하2)는 姑, 7주(하1)은 林이다. 계면조 사지(횡지) 남려계면조 중현
개방현 濁宮의 음은 2주 하4의 黃과 4율 관계인 탁남려(㑲)이다.
계면조 오지(우조) 응종 계면조의 하4는 太, 하3은 姑, 하2는 蕤, 하1은 南이다. 따라서 2주
(하4)는 太, 4주(하3)은 姑, 5주(하2)는 蕤, 7주(하1)은 南이다. 계면조 오지(우조) 응종계면조
중현 개방현 濁宮의 음은 2주 하4의 太와 4율 관계인 탁응종(㒣)이다.
www.earticle.net
계면조 육지(팔조) 청황종 계면조의 하4는 夾, 하3은 仲, 하2는 林, 하1은 無이다. 따라서 2주
(하4)는 夾, 4주(하3)은 仲, 5주(하2)는 林, 6주(하1)은 無이다. 계면조 육지(팔조) 청황종계면조
중현 개방현 濁宮의 음은 2주 하4의 夾과 4율 관계인 황종(黃)이다.
계면조 칠지(막조) 청태주계면조의 하4는 仲, 하3은 林, 하2는 南, 하1은 潢이다. 따라서 2주
(하4)는 仲, 4주(하3)은 林, 5주(하2)는 南, 7주(하1)은 潢이다. 계면조 칠지(막조) 청태주계면조
중현 개방현 濁宮의 음은 2주 하4의 仲과 4율 관계에 있는 태주(太)이다.
이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26> 당비파 계면조 중현 조현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하5) 하4 하3 하2 하1

오조궁 - 宮 商 角 徵

시용궁 濁宮 濁商 濁角 濁徵 濁羽
434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일지 㑬 㑣 㑲 㒣 太

이지 㑖 侇 㒇 黃 夾

삼지 㑣 㒇 黃 太 仲

사지(횡지) 㑲 黃 太 姑 林

오지(우조) 㒣 太 姑 蕤 南

육지(팔조) 黃 夾 仲 林 無

칠지(막조) 太 仲 林 南 潢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3) 당비파 계면조 무현 조현법


당비파 계면조 무현의 개방현 음은 평조 무현과 같이 倍濁徵이다. 계면조 일지 고선계면조
무현의 개방현 倍濁徵는 자현의 개방현 濁徵(㒣)과 한 옥타브 관계이자, 무현 4주와 6율 관계인
㣹이다. 㣹은 오음약보로는 濁하2에 해당한다.
당비파 계면조 일지 고선계면조의 하5는 탁고선(㑬)이다. 따라서 무현 4주(하5)의 음은 㑬이
다. 이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27> 당비파 계면조 일지 무현 조현법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濁하2 하5

오조궁 - 羽

시용궁 倍濁徵 www.earticle.net


濁宮

일지 㣹 㑬

당비파 계면조 이지 중려계면조의 하5는 㑖이다. 따라서 무현 4주(하5)의 음은 㑖이다. 계면


조 무현 개방현 倍濁徵의 음은 4주 㑖과 6율 관계인 僙이며, 자현 개방현 濁徵(黃)과 옥타브
관계이다.
계면조 삼지 임종계면조의 하5는 㑣이다. 따라서 무현 4주(하5)의 음은 㑣이다. 임종계면조
무현 개방현 倍濁徵의 음은 4주 㑣과 6율 관계인 㑀이고, 자현 개방현의 濁徵(太)와 옥타브 관
계이다.
계면조 사지(횡지) 남려계면조의 하5는 㑲이다. 따라서 무현 4주(하5)의 음은 㑲이다. 남려
계면조 무현 개방현 倍濁徵의 음은 4주 㑲과 6율 관계인 㑬이고, 자현 개방현 濁徵(姑)와 옥타
브 관계이다.
계면조 오지(우조) 응종계면조의 하5는 㒣이다. 따라서 무현 4주(하5)의 음은 㒣이다. 응종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35

계면조 무현 개방현 倍濁徵의 음은 4주 㑲과 6율 관계인 嫒이고, 자현 개방현 濁徵(蕤)와 옥타


브 관계이다.
계면조 육지(팔조) 청황종계면조의 하5는 黃이다. 따라서 무현 4주(하5)의 음은 黃이다. 황종
계면조 무현 개방현 倍濁徵의 음은 4주 黃과 6율 관계인 㑣이고, 자현 개방현 濁徵(林)와 옥타
브 관계이다.
계면조 칠지(막조) 청태주계면조의 하5는 太이다. 따라서 무현 4주 하5의 음도 太이다. 태주
계면조 무현 개방현 倍濁徵의 음은 4주 太와 6율 관계인 㑲이고, 자현 개방현 濁徵(南)과 옥타
브 관계이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당비파 계면조 무현 조현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28> 당비파 계면조 무현 조현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오음약보 濁하2 하5
오조궁 - 徵
시용궁 倍濁徵 濁宮
일지 㣹 㑬
이지 僙 㑖
삼지 㑀 㑣
사지(횡지) 㑬 㑲
오지(우조) 嫒 㒣
육지(팔조) 㑣 www.earticle.net

칠지(막조) 㑲 太

이상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 산형에 속악칠조(칠지)를 적용해 본 결과, 당비파의 향악조 음


역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첫째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 음역은 하5부터 상6까지인데,
여기에 속악칠조(칠지)를 적용해 보면 일지의 하5인 㑬가 가장 낮은 음이고, 칠지(막조)의 상6
인 㵈가 가장 높은 음이다. 계면조 음역은 하5부터 상5까지인데, 일지의 하5인 㑬가 가장 낮은
음이고, 칠지(막조)의 상5인 㳲가 가장 높은 음이다 따라서 당비파 향악조의 음역은 일지의 하5
인 㑬부터 평조 칠지(막조)의 상6인 㵈까지 세 옥타브이다. 당비파 당악조의 음역이 黃(合)부터
청협종(五)까지 12율 4청성인 것과37) 비교해 보면 당비파 향악조의 음역은 당악조에 비해 음역

37) 당비파의 당악조는 黃부터 浹까지 12율 4청성이 표시되어 있으나, 공척보 四의 大․太와 五의 汏․汰는 무현 3주
(柱)에 같이 표시되어 있고, 공척보 一의 夾․姑와 五의 浹은 무현 4주에 같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당비파의
당악조의 실제 음역은 黃(合)부터 潢(六)까지 한 옥타브이다.
436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대가 세 배 더 넓다.
둘째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의 속악칠조(칠지) 중 청황종평조와 청황종계면조는 당비파의 당
악조인 상조(황종우조) 및 하조(황종치조)와 옥타브 차이가 있을 뿐 서로 일치함을 알 수 있었
다. 다만 상조와 하조는 칠음계인데 비해 평조․계면조는 오음계인 점에서 서로 다르다.
셋째 당비파의 당악조 상조와 하조의 기본음(궁)은 무현 1주의 黃(合)인데, 이것의 한 옥타브
위의 음은 자현 4주의 潢(六)이다. 그런데 당비파의 향악조 평조와 계면조의 육지(팔조) 청황종궁
의 기본음(궁)은 자현 4주의 潢이다. 당비파 산형에서 각 주(柱) 간의 음정은 정해져 있으므로,
만약 황종 음고가 서로 다르다면 자현을 林으로 동일하게 조현했을 때 황종의 위치가 서로 달리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나타나야 한다. 따라서 당비파 상조와 하조의 기본음(궁) 黃과 평조와 계면조의 육지(팔조) 청황
종궁의 기본음(궁) 潢은 한 옥타브 차이로 같은 음이다. 당비파 향악의 황종 음고는 c이며,38) 뺷악
학궤범뺸 향악의 황종음고는 당악의 황종음고와 한 옥타브 차이로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Ⅲ. 결론

뺷악학궤범뺸 소재 당비파는 당악과 향악을 모두 연주할 수 있는 악기이고, 각각 산형이 제시되


어 있다. 뺷악학궤범뺸에 제시되어 있는 당비파의 향악조 산형은 평조와 계면조인데, 본고에서는
먼저 뺷금합자보뺸를 바탕으로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의 음위를 확인하고, 각 주(柱) 간의 음위와
음정을 검증했다. 이와 같은 기본 정보를 바탕으로 평조와 계면조에 각각 속악칠조(칠지)를 적
용하여 그 구체적 특징을 살펴보았다www.earticle.net
.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산형의 음위와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뺷금합자보뺸의 평조 만대엽 악보와
비교하여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음위에 대한 근거를 보다 명확히 하고자 했다. 그리고 당비파
계면조 하4의 음위는 중현 3주가 아니라 중현 2주임을 밝혔다.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 산형에서 계면조 하4를 제외한 모든 음은 4주 이상에
분포되어 있다. 이것은 1주부터 4주까지만 사용하는 당비파의 당악조와 변별되며, 당악조와 향
악조가 일치하는 청황종평조와 청황종계면조를 기준으로 했을 때, 당비파의 향악조는 당악조에
비해 음고가 한 옥타브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당비파의 음정과 관련하여, 당악 연주에 사용하는 1주에서 2주는 2율, 2주에서 3주도 2율,

38) 뺷악학궤범뺸 향악기의 황종 음고와 관련하여 c라는 주장과(남상숙, 「뺷악학궤범뺸 소재 향악기의 황종 음고」, 뺷한국음악
사학보뺸 20집, 한국음악사학회, 1998; 최헌, 「선초 황종음고 연구」 뺷한국음악문화연구뺸 4집, 한국음악문화학회, 2013,
227~244쪽), e 이라는 주장(황준연, 「뺷악학궤범뺸의 향악기 음고」, 뺷민족음악학뺸 16집, 서울대 동양음악연구소, 1994;

이진원, 「뺷악학궤범뺸의 대금과 당적에 관한 소고」, 뺷한국음악연구뺸 제25집, 한국국악학회, 1997, 319~ 338쪽; 조대웅,
「향악기와 당악기의 음고(音高) 차이에 대한 연구」, 뺷국악원논문집뺸 32집, 국립국악원, 2015, 9~36쪽)이 있다.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37

3주에서 4주도 2율로 일정한데 비해, 향악 연주에 사용하는 4주와 5주는 3율, 5주와 6주는 2율,
6주와 7주는 3율, 7주와 8주는 2율, 8주와 9주는 2율, 9주와 10주는 3율, 10주와 11주는 4율의
음정임을 확인했다. 당악에 사용되는 4주 이하의 각 주간 음정이 각각 2율로 일정한데 비해,
향악에 사용되는 4주 이상의 각 주간의 음정이 2율 3율 4율로 일정하지 않은 특징이 있다. 당비
파 4주부터 11주까지 각 주(柱) 간의 음정이 일정하지 않고, 평조와 계면조의 음정도 서로 다르
므로, 평조와 계면조의 조현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평조의 경우 자현 11주의 상6과 중현 6주의
하1은 역안하고, 계면조의 경우 자현 10주를 역안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이미 기존연구에서
이미 밝혀졌지만, 본고에서는 검증해 본 데 의의가 있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당비파에는 자현․중현․대현․무현의 네 개의 현이 있는데, 평조와 계면조에 산형에서 대현


은 개방음만 사용한다. 이것은 당악의 상조와 하조에는 자현, 중현, 대현, 무현 등 모든 현에
분포되어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산형에는 오조궁과 시용궁 두 종류의 궁상자보가 표기되어 있는데, 개방
현에 표기된 궁상자보는 시용궁임을 밝혔다. 더불어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산형에는 자현 徵, 중현
宮, 대현 宮, 무현 濁徵로 표기되어 있으나, 개방현과 옥타브 관계인 자현 9주의 음과 비교했을
때, 자현 개방현의 음은 濁徵가 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중현과 대현은 濁宮, 무현 倍濁徵가
되어야 함을 밝혔다.
당비파 네 개현의 개방현의 음은 평조와 계면조가 동일하지만, 평조의 시용 궁상자보와 계면
조의 시용 궁상자보는 음정이 서로 다르다. 평조에 부기되어 있는 시용 궁상자보의 음정은 3율
-4율-3율-3율-4율이고, 계면조에 부기되어 있는 시용 궁상자보의 음정은 4율-3율-3율
-4율-3율이다. 이와같이 평조와www.earticle.net
계면조의 음정은 달라도 개방현 徵와 宮의 음은 평조와 계면
조가 일치하고, 시용 궁상자보 徵와 宮에 해당하는 율명도 동일하다.
또 당비파 평조와 계면조 산형에 속악칠조(칠지)를 적용해 봄으로써 악조의 성격을 더 분명
히 밝힐 수 있었다. 첫째 향악의 음역은 㑬부터 㵈까지 세 옥타브로 나타났다. 당악의 음역 黃
(合)부터 청협종(五)까지 12율 4청성인 것과 비교해 보면, 당비파의 향악조는 당악조에 비해 음
역이 세 배 더 넓다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당비파의 상조(上調)는 황종우조이고, 하조(下調)는
황종치조이며, 당비파의 평조 육지(팔조)는 청황종치조이고, 계면조 육지(팔조)는 청황종우조이
다. 따라서 상조(上調)와 청황종계면조, 하조(下調)와 청황종평조는 음역만 한 옥타브 차이가
있고, 향악조는 오음계이고 당악조는 칠음계인 차이가 있지만 동일한 악조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당비파 상조․하조의 기본음(궁) 黃(C)과 평조․계면조의 육지(팔조) 청황종궁의 기본음
(궁) 潢(c)은 한 옥타브 차이로 음고가 동일하며, 뺷악학궤범뺸 당비파 향악조의 황종음고는 당악
과 한 옥타브 차이로 동일한 c임을 알 수 있었다. 당비파 평조 산형과 계면조 산형에 속악칠조
(칠지)를 적용한 결과를 아래에 첨부한다.
438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당비파 평조 일지 고선평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상6⬇
자현 濁徵
㒣 姑 蕤 南 應 汏 㴌 㶋

하5 하3 하2 하1⬇
중현 濁宮
㑬 㑲 㒣 大

하5
대현 濁宮

濁하2 하5 하4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무현 倍濁徵
㣹 㑬 嫒

<당비파 평조 이지 중려평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상6⬇
자현 濁徵
黃 仲 林 無 潢 汰 㳞 淋

하5 하3 하2 하1⬇
중현 濁宮
㑖 㒇 黃 太

하5
대현 濁宮

濁하2 하5 하4
무현 倍濁徵 www.earticle.net
僙 㑖 㑣

<당비파 평조 삼지 임종평조 산형>

원산 12 2 3 4 5 6 7 8 9 10 11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상6⬇
자현 濁徵
太 林 南 潢 汰 㴌 淋 湳

하5 하3 하2 하1⬇
중현 濁宮
㑣 黃 太 姑

하5
대현 濁宮

濁하2 하5 하4
무현 倍濁徵
㑀 㑣 㑲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39

<당비파 평조 사지(횡지) 남려평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상6⬇
자현 濁徵
姑 南 應 汰 㴌 㶋 湳 㶐

하5 하3 하2 하1⬇
중현 濁宮
㑲 太 姑 蕤

하5
대현 濁宮

濁하2 하5 하4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무현 倍濁徵
㑬 㑲 㒣

<당비파 평조 오지(우조) 응종평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상6⬇
자현 濁徵
蕤 應 汏 㴌 㶋 洟 㶐 汏

하5 하3 하2 하1⬇
중현 濁宮
㒣 姑 蕤 夷

하5
대현 濁宮

濁하2 하5 하4
무현 倍濁徵 www.earticle.net
嫒 㒣 黃

<당비파 평조 육지(팔조) 청황종평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상6⬇
자현 濁徵
林 潢 汰 㳞 淋 湳 㶂 㳲

하5 하3 하2 하1⬇
중현 濁宮
黃 仲 林 南

하5
대현 濁宮

濁하2 하5 하4
무현 倍濁徵
㑣 黃 太
440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당비파 평조 칠지 청태주평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상6⬇
자현 濁徵
南 汰 㴌 淋 湳 㶐 㳲 㵈

하5 하3 하2 하1⬇
중현 濁宮
太 林 南 應

하5
대현 濁宮

濁하2 하5 하4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무현 倍濁徵
㑲 太 姑

<당비파 계면조 일지 고선계면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자현 濁徵
㒣 姑 林 南 應 汰 㴌

하5 하4 하3 하2 하1
중현 濁宮
㑬 㑣 㑲 㒣 太

하5
대현 濁宮

濁하2 하5
무현 倍濁徵 www.earticle.net
㣹 㑬

<당비파 계면조 이지 중려계면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자현 濁徵
黃 仲 夷 無 潢 浹 㳞

하5 하4 하3 하2 하1
중현 濁宮
㑖 侇 㒇 黃 夾

하5
대현 濁宮

濁하2 하5
무현 倍濁徵
僙 㑖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41

<당비파 계면조 삼지 임종계면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자현 濁徵
太 林 無 潢 汰 㳞 淋

하5 하4 하3 하2 하1
중현 濁宮
㑣 㒇 黃 太 仲

하5
대현 濁宮

濁하2 하5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무현 倍濁徵
㑀 㑣

<당비파 계면조 사지(횡지) 남려계면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자현 濁徵
姑 南 潢 汰 㴌 淋 湳

하5 하4 하3 하2 하1
중현 濁宮
㑲 黃 太 姑 林

하5
대현 濁宮

濁하2 하5
무현 倍濁徵 www.earticle.net
㑬 㑲

<당비파 계면조 오지(우조) 응종계면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자현 濁徵
蕤 應 汰 㴌 㶋 湳 㶐

하5 하4 하3 하2 하1
중현 濁宮
㒣 太 姑 蕤 南

하5
대현 濁宮

濁하2 하5
무현 倍濁徵
嫒 㒣
442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당비파 계면조 육지(팔조) 청황종계면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자현 濁徵
林 潢 浹 㳞 淋 潕 㶂

하5 하4 하3 하2 하1
중현 濁宮
黃 夾 仲 林 無

하5
대현 濁宮

濁하2 하5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무현 倍濁徵
㑣 黃

<당비파 계면조 칠지(막조) 청태주계면조 산형>

원산 1 2 3 4 5 6 7 8 9 10 11

하2 궁 상1 상2 상3 상4⬇ 상5
자현 濁徵
南 汰 㳞 淋 湳 㶂 㳲

하5 하4 하3 하2 하1
중현 濁宮
太 仲 林 南 潢

하5
대현 濁宮

濁하2 하5
무현 倍濁徵 www.earticle.net
㑲 太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43

<참고문헌>

뺷琴合字譜뺸, 뺷한국음악학자료총서뺸 22권, 국립국악원, 1989.


뺷樂學軌範뺸, 국립국악원, 2011.
이혜구, 뺷신역악학궤범뺸. 국립국악원, 2000.
김우진, 「뺷악학궤범뺸 대금의 악조와 뺷삼국사기뺸 삼죽의 악조 비교 연구」, 뺷한국음악연구뺸 21집, 한국국악학
회, 1993, 42~56쪽.
남상숙, 「뺷악학궤범뺸 소재 향악기의 황종 음고」, 뺷한국음악사학보뺸 20집, 한국음악사학회, 1998, 89~104쪽.
남상숙, 「뺷악학궤범뺸 악조연구뺸. 신아출판사, 2002, 65~196쪽.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박희정, 「거문고 조현법 변천에 의한 악조연구-영산회상을 중심으로-」, 뺷국악원논문집뺸 37집, 국립국악


원, 2018, 219~245쪽.
손수린, 「뺷악학궤범뺸 속악 7조(俗樂七調)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뺷국악원논문집뺸 40집, 국립국악원,
2019, 11~47쪽.
이보형, 「한국 중국 서역 적7조 수용과 변천에 대한 연구」, 뺷한국음악사학보뺸 제46집, 한국음악사학회,
2011, 243~317쪽.
이보형, 「뺷악학궤범뺸 향악7지 시용궁 지시 12음의 생성원리 연구」, 뺷한국음악연구뺸 제54집, 한국음악사학
회, 2015, 255~296쪽.
이숙희, 「뺷악학궤범뺸 속악 7조 기본음(궁)의 성립배경」, 뺷한국음악사학보뺸 48권, 한국음악사학회, 2012,
225~302쪽.
이숙희, 「뺷악학궤범뺸 소재 당비파의 상조(上調)와 하조(下調)의 성격」, 뺷국악원논문집뺸 37집, 국립국악원,
2019, 267~304쪽.
www.earticle.net
이숙희, 「뺷악학궤범 거문고 산형 분석-평조와 계면조를 중심으로-」, 뺷한국음악연구뺸 67집, 한국국악학회,
2020, 157~194쪽.
이진원, 「뺷악학궤범뺸의 대금과 당적에 관한 소고」, 뺷한국음악연구뺸 제25집, 한국국악학회, 1997, 319~338쪽.
정화순, 「한국 당비파의 제도에 관한 연구」, 뺷한국음악사학보뺸 38집, 한국음악사학회, 2007, 223~247쪽.
정화순, 「한국 당비파의 연주법에 관한 연구」, 뺷온지논총뺸 18집, 온지학회, 2008, 105~133쪽.
정화순, 「현행 한국 당악의 악조와 그 특징에 관한 연구」, 뺷한국음악연구뺸 58집, 한국국악학회, 2015, 399~
430쪽.
조대웅, 「향악기와 당악기의 음고(音高) 차이에 대한 연구」, 뺷국악원논문집뺸 32집, 국립국악원, 2015, 9~36쪽.
최 헌, 「선초 황종음고 연구」, 뺷한국음악문화연구뺸 4집, 한국음악문화학회, 2013, 227~244쪽.
황준연, 「뺷악학궤범뺸의 향악기 음고」, 뺷민족음악학뺸 16집, 서울대 동양음악연구소, 1994.
황준연, 「뺷악학궤범뺸의 향악조」, 뺷한국중세사회의 음악문화-조선전기편뺸, 한국예술종합학교, 2002, 939
~954쪽.
444 한국음악연구(Studies in Korean Music) 제68집(vol.68)

Analysis of Sanhyeong(散形) of Tang Pipa’s Pyeongjo(平調)


and Gyemyeonjo(界面調) in Akhakguebeom(樂學軌範)

Yi, Suk-hui*
39)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The Tang Pipa introduced in Akhakguebeom is a musical instrument to play both Tang
music and Korean music based on corresponding tone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anhyeong characteristics of Tang Pipa’s Pyeongjo and Gyemyeonjo under
the goal of making the theoretical system of Tang Pipa’s tones more concrete.
In Akhakguebeom, the tone position of Tang Pipa Gyemyeonjo in Ha 4(下4) is not
Junghyeon(中絃) 3 Ju(柱) but Junghyeon 2 Ju in relation to the tone positions of Tang Pipa
Sanhyeong. In the Sanhyeong of Tang Pipa’s Pyeongjo and Gyemyeonjo in the book, all
the notes are distributed above 4 Ju except for Ha 4 of Gyemyeonjo. It is different from
the tones of Tang music played with Tang Pipa using only the scope of 1~4 Jus.
the interval between each Ju is constant at 2 Yul(律)
As for the intervals of Tang Pipa,www.earticle.net
under 4 Ju used in Tang music, whereas it is not constant, varying among 2, 3, and 4 Yul,
above 4 Ju used in Korean music. Since the interval between each Ju is not constant from
4 to 11 Ju in Tang Pipa with different intervals between Pyeongjo and Gyemyeonjo, Yeokan
(力按) is applied to Sang 6(上6) of Jahyeon(子絃) 11 Ju and Ha 1(下1) of Junghyeon 6 Ju
in Pyeongjo and to Jahyeon 10 Ju in Gyemyeonjo to make it fit for the Johyeon(調絃) of
Pyeongjo and Gyemyeonjo.
There are four Hyeons(絃) in the Tang Pipa including Jaheon, Junghyeon, Daehyeon(大絃),
and Muhyeon(武絃). Only open notes are used for Daehyeon in the Sanhyeong of Pyeongjo
and Gyemyeonjo. It is different from the their distribution across all of Jahyeon, Junghyeon,
Daehyeon, and Muhyeon in the Sangjo(上調) and Hajo(下調) of Tang music.

* Fomer Researcher of National Gugak Center


뺷악학궤범뺸 당비파의 평조와 계면조의 산형 분석 445

In the Gaebanghyeon(開放絃) of Tang Pipa Sanhyeong in Akhakguebeom, Siyonggung(時


用宮) is used as a Gungsangjabo(宮商字譜). In the Tang Pipa Sanhyeong of the book,
Jahyeon Chi(徵), Junghyeon Gung(宮), Daehyeon Gung, and Muhyeon Takchi(濁徵) are
used. Compared with the notes of Jahyeon 9 Ju in octave relations with Gaebanghyeon,
however, the notes of Jahyeon Gaebanghyeon should be Takchi, which means that Junghyeon
and Daehyeon should be Takgung(濁宮) and that Muhyeon should be Baetakchi(培濁徵).
The notes of Gaebanghyeon are the same between Pyeongjo and Gyemyeonjo across the
four Hyeons of Tang Pipa. Despite different intervals between Pyeongjo and Gyemyeonjo,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25.191.158.140 at Friday, October 13, 2023 6:42 PM

the notes of Gaebanghyeon Chi and Gung are the same between Pyeongjo and Gyemyeonjo
with the same Yul names for Chi and Gung on Siyong Gungsangjabo(時用宮商字譜).
The study applied Sokakchiljo(俗樂七調) to the Pyeongjo and Gyemyeonjo Sanhyeong
of Tang Pipa and found the followings : first, there are three octaves from Goseon(㑬)
to Jungcheonggoseon(㵈) in the range of Korean music; secondly, Sangjo and
Cheonghwangjong(淸黃鍾) Gyemyeonjo are the same tones only with a difference of an
octave in the register, and so are Hajo and Cheonghwangjong Pyeongjo; and finally, the
basic note(Gung), 黃(C), of Sangjo and Hajo in the Tang Pipa is the same “c” with a
difference of an octave as the basic note(Gung), 潢(c), of Yukji(六指) Cheonghwangjonggung
in Pyeongjo and Gyemyeonjo.

<Keywords> www.earticle.net
Tang Pipa, Pyeongjo, Gyemyeonjo, Akhakguebeom, Sokakchiljo(chilji)

논문투고일 : 2020년 10월 20일∥심사완료일 : 2020년 11월 30일∥게재확정일 : 2020년 12월 4일

You might also like